46
中中中 中中 中中中中 中中中 中中 中中中中 - - 中中中中中 中中中中 中中中中中 中中中中 - - 대대대대대대대대대대 (KOTRA) 2002. 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Embed Size (px)

DESCRIPTION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002. 5.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중남미 지역. 1.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2.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3.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4. 무엇이 문제인가? 5.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목 차.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1.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1. 잠재력이 큰 시장.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2. 시장성이 큰 지역.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2002. 5

Page 2: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

중남미 지역중남미 지역

Page 3: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

3. 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

4. 무엇이 문제인가 ?

5.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목 차

Page 4: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1. 잠재력이 큰 시장

국가수 33 개국 (쿠바 포함)

인구수 5 억 1 천만명(전세계 60 억 인구의 8.5%)

면적 2,055 만 S/M (전세계 면적의 15%, 한반도 면적의 93.5 배)

국민총생산(’00)

1 조 9,760 억불 (세계 GDP 의 6.1%)

경제성장률(’01)

0.7%, 금년에도 0.7% 성장예상 (세계평균 2.8%)

수입규모(’01) 4,137 억불 (세계 교역량의 6.0%)

주요자원 (세계 생산량)

원유(11.3%), 철(17.3%), 구리(20.5%), 은(31.8%), 주석(20.9%), 알루미늄(16.6%), 니켈(11.6%)

Page 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5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2. 시장성이 큰 지역

ㅇ 총 GDP,1인당 GDP, 구매력, 교역규모를 전체적으로 보면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인도보다 시장성이 더 큰 지역임.

주요유망시장의 경제규모(2000년)

GDP (US$억)

인구 (백만명)

1인당 GDP (US$)

수출 (US$억)

수입 (US$억)

중남미 19,760 514 3,836 4,057 4,191

중국 10,800 1,276 853 2,492 2,251

인도 4,493 1,019 449 442 500 자료 : CEPAL, World Bank, Kotis ㅇ 극심한 빈부격차, 높은 소비성향 등으로 실질구매력은 명목

소득보다 높음

Page 6: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6

16,00016,50017,00017,50018,00018,50019,00019,50020,000

1996 1997 1998 1999 20000123456

GDP GDP 성장률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3. 성장하고 있는 시장

GDP 및 GDP 성장률 증가세( 단위 : 억불 , %)

1 조 9,760 억불

Page 7: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7

0500

1,0001,5002,0002,5003,0003,5004,0004,5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01234567

수출 수입 수출 비중 수입 비중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무역규모 신장추세

( 단위 : 억불 , %)

* 비중은 세계교역에서의 중남미 비중임

* 자료원 : KOTIS

Page 8: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8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0100200300400500600700800900

1000

1996 1997 1998 1999 2000연도

투자액

중남미 중국

경쟁국대비 외국인투자유입 추이

4. 개도국중 외국인 직접투자 최대대상지역

Page 9: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9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5. 우리나라의 무역흑자 지속시장

최근 최근 1515 년간 무역흑자 지속년간 무역흑자 지속

2001 년 63 억불로 우리 무역흑자 총액의 67% 차지

대중남미 수출액 대중남미 수출액 : : 세계 제세계 제 66 위위

미국 , 독일 , 일본 , 이탈리아 , 프랑스 , 한국 순위

대중남미 수출비중 대중남미 수출비중 : : 세계 제세계 제 33 위위

미국 (21.7%), 스페인 (5.6%), 한국 (5.4%) 순위

- 수출 : 약 97 억불 (3.8%), 수입 : 약 34 억불 (5.6%) 2002.1-3 월 약 11 억불 흑자로 제 3대 무역흑자지역으로 부상

- 수출 : 약 20 억불 , 수입 : 약 9 억불

Page 10: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0

01,0002,0003,0004,0005,0006,0007,0008,0009,000

10,00011,000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50-40-30-20-100102030

수출

수입

무역수지

수출 증가율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교역 및 무역수지 추이

( 단위 : 백만불 , %)

( 자료원 : 한국무역통계 )

수출 : 97 억 3,000 만불수입 : 34 억 4,500 만불무역수지 : 62 억 8,500만불

Page 11: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1

0500

1,0001,5002,0002,5003,0003,500

1995 1997 1998 1999 200040.042.044.046.048.050.052.054.056.0

총 수출액 대미 수출 수출 비중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6. 대미국 우회 수출시장

대미 수출비중 및 증가율( 단위 : 억불 , %)

( 자료원 : KOTIS)

Page 12: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2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7. 산업구조조정에 따른 대형 플랜트시장

향후 향후 1010 년간 통신년간 통신 , , 에너지 등 에너지 등 SOC SOC 수요증대수요증대

총 규모 약 6,000 억불

IBRD, IDB IBRD, IDB 등 국제 금융기구 및 선진국 개발원조 및 등 국제 금융기구 및 선진국 개발원조 및 투자에투자에

엔지니어링부문 및 건설 진출 유망시장엔지니어링부문 및 건설 진출 유망시장 석유화학 , 발전소 , 토목건설공사 등

의한 플랜트사업 증대의한 플랜트사업 증대 2000 년 IDB 승인 금액 ; 약 53 억불 (61 년 ~2000 년 누계 : 1066 억불 )

- [Puebla-Panama Plan] : highway 건설계획

- 실제 IDB 년간 발주 프로젝트 총규모는 ’ 98,’99 는 년 200 억불

수준이었으며 2000 년 경우 약 100 억불임

Page 13: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3

1. 중남미는 우리에게 어떤 시장인가 ?

8. 자원협력시장

세계적인 자연보고 세계적인 자연보고 : : 철광석철광석 , , 원유원유 , , 동 등동 등

자원개발수입 진출기회 다대자원개발수입 진출기회 다대

포철 (브라질 ,베네수엘라 ), LG(칠레 )

세계 총생산중 점유율 (%)

자원명자원명 점유율점유율 (%)(%) 주요 보유국주요 보유국 (( 세계순위세계순위 ))

은동

철광석아연망간원유

31.820.517.313.813.611.3

멕시코 (1), 페루 (2)칠레 (1), 페루 (10)

브라질 (2), 베네수엘라 (9)페루 (6), 멕시코 (8)

브라질 (5), 멕시코 (8) 멕시코 (5), 베네수엘라 (6

위 )

Page 14: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4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1. 일반경제 현황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외환위기 영향 성장둔화외환위기 영향 성장둔화

2001 년 경제성장율 : 0.7%(2000 년 4.0%)

외환위기 파급으로 마이너스 성장

- 아르헨티나 (-3.7%), 우루과이 (-3.1%)

인플레 진정인플레 진정

2001 년 인플레율 : 6.4% (2000 년 8.1%)

Page 1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5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020,00040,00060,00080,000

100,000120,000140,000160,000180,000200,000

수출 수입

멕시코브라질아르헨티나칠레콜롬비아페루과테말라

( 단위 : 백만불 )

정보원 : CEPAL

중남미 주요국의 무역규모 (2000 년)

중남미 총 수출 : 4,057 억불

중남미 총 수입 : 4,191 억불

Page 16: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6

2. 시장특성

소비성향이 높고 잠재력이 큰 시장소비성향이 높고 잠재력이 큰 시장

빈부격차가 심하여 소비구조 이분화빈부격차가 심하여 소비구조 이분화

완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율 적용완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율 적용

상거래시 인간관계 중시상거래시 인간관계 중시

제조공산품 산업기반 취약제조공산품 산업기반 취약

비정상 상거래 잔존 비정상 상거래 잔존 (( 밀수밀수 , , 보따리장사보따리장사 , , 언더밸류등언더밸류등 ))

D/A, D/PD/A, D/P 등 외상거래 선호등 외상거래 선호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Page 17: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7

3. 2001 년 우리나라와의 교역

수출수출 .. 수입 모두 큰 폭 증가수입 모두 큰 폭 증가

수출 : 9,730 백만불 (전년대비 3.8% 증가 )

수입 : 3,445 백만불 (전년대비 5.6% 증가 )

무역흑자는 지속확대무역흑자는 지속확대

20012001 년 무역흑자 년 무역흑자 : 6,285: 6,285 백만불백만불

수출급증이 요인

주요 품목별 수출주요 품목별 수출

4 대 수출품목 : 자동차 , 전기전자제품 , 섬유 , 전자부품

- 4 대 품목이 전체수출의 약 74.8% 점유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Page 18: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8

• 3 대국이 전체 수출의 57%% 점유

– 멕시코 (2,419 백만불 )

– 브라질 (1,661 백만불 )

– 파나마 (1,719 백만불 )

• 선박 수출을 제외한 일반상품은 브라질과 멕시코가 주도

• 전년대비 수출호조국수출호조국 : 에쿠아도르 (100.2%), 베네수엘라 (45.9%),

콜롬비아 (12.4%)

• 전년대비 수출부진국수출부진국 : 아르헨티나 (-32.5%), 도미니카 (-16.0%),

페루 (-32.5%), 멕시코 (-10.1%), 브라질 (-6.5%)

주요 국별 수출입 현황주요 국별 수출입 현황 (2001(2001 년년 ))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Page 19: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19

• ’01 년 총 25 건 8 억 1,280 만불 투자

• 주요투자대상국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파나마 , 페루 , 칠레

• 주요업종 : 제조업 ( 전자 , 섬유 ) 및 무역업

0500

100015002000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금액

건수

대 중남미 투자대 중남미 투자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투자추이

( 단위 : 백만불 , 건 )

( 자료원 : 수출입은행 )

2. 중남미의 현재는 어떠한가

Page 20: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0

섬유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전환

- 멕시코 및 중미국가(과테말라 , 도미니카 , 온두라스, 엘살바돌 , 니카라구아)

- 최대시장인 미국과의 근접성 및 저렴한 인건비

멕시코의 섬유산업 급신장

- 1999년 섬유류(의류포함) 수출 112억불

- 마킬라도라(보세가공 산업단지) 및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을 활용한 외국인 투자 급증

- 1995~1999년간 섬유산업 GDP의 7% 유지

- 1996년부터 대미국 섬유 의류 수출 1위국

- 중남미 각국과 자유무역협정

4. 중남미 섬유산업 현황

Page 21: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1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1997년 5,619 196 93 92 42 516 1998년 6,686 220 120 107 64 637 1999년 7,566 328 107 104 66 732

미국 한국 대만 이태리 독일 기타

자료 : WORLD TRADE ATLAS, 멕시코 기준

섬유류 및 관련 제품의 시장현황 단위 : 미불 백만

Page 22: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2

『역내국과 역외국의 관세 현황』

품목 NAFTA EU G3 코스타리카 칠레 ( )기타 한국

운동화 2 8 2.8 0.6 0 35스판덱스 0 0 1.4 0 0 28

폴리에스테르직물 0 0 2.8 0 0 28나일론 0 0 2.8 0 0 28

아세테이트 0 10 2.8 0 0 18전선 0 7.5 15 0 0 18

참고

● 수입규제 강화 및 역외국 차별 ▶ 섬유류 , 철강 등 수입규제와 역외국 관세차이 확대

Page 23: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3

구 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직물 1, 269, 500 1, 261, 310 1, 226, 400 1, 318, 593 1, 091, 341- 인조장섬유직물 597, 532 622, 435 555, 039 516, 534 377, 601- 인조단섬유직물 142, 207 120, 476 88, 693 96, 590 54, 437- 편직물 320, 576 339, 897 418, 093 518, 342 534, 004섬유제품 145, 028 138, 085 131, 732 138, 455 117, 460- 의류 102, 285 97, 397 77, 572 78, 208 60, 529섬유사 99, 748 98, 795 114, 187 133, 968 97, 571

우리나라의 대 중남미 섬유류 수출현황

자료 : KOTIS

Page 24: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4

- 주요원인 : 아르헨티나 외환위기 , 미국 등 경기침체 , 카리브국가

관광수입 감소

- 주요변수 : 미국경제 회복 , 아르헨티나 외환위기 , 베네수엘라 정치

불안 , 원유 . 커피 . 대두 . 설탕 등 1 차 상품 국제가격

3. 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1. 단기전망 .

20032003 년에야 경기회복 예상년에야 경기회복 예상

경제성장률 : 2002 년 0.7%, 2003 년 3.7%( 자료 : IMF)

3. 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Page 2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5

- 아르헨티나 (-10~-15%), 우루과이 (-1.7%), 베네수엘라 (-0.8%)

- 정치불안 , 아르헨티나의 외환위기 여파

- 페루 (3.7%), 도미니카 (3.5%), 칠레 (3.0%), 브라질 (2.5%),

콜롬비아

(2.5%), 과테말라 (2.3%)

성장 예상국

침체 예상국

3. 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Page 26: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6

3. 중남미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2. 중장기 전망

지역경제통합 가속화 및 심화지역경제통합 가속화 및 심화

외국인직접투자외국인직접투자 ((FDI) FDI) 유입 확대유입 확대

사회간접자본시설 민영화 및 투자확대사회간접자본시설 민영화 및 투자확대

ITIT 산업에 대한 투자확대 및 산업고도화 추진산업에 대한 투자확대 및 산업고도화 추진

역외국에 대한 수입규제 강화역외국에 대한 수입규제 강화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남미비중 확대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남미비중 확대

Page 27: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7

4. 무엇이 문제인가 ?

4. 무엇이 문제인가 ?

1. 경제블럭 대응 및 투자진출 미흡

중남미 경제블럭 추진에 대한 인식 및 대응책 미흡중남미 경제블럭 추진에 대한 인식 및 대응책 미흡

미주자유무역지대미주자유무역지대 ((FTAA)FTAA) 에 대한 대비 미흡에 대한 대비 미흡

중남미 각국의 중남미 각국의 FTAFTA 체결 증가로 역외국으로서 불리한 위치체결 증가로 역외국으로서 불리한 위치

중남미 시장특성을 고려한 장기적 투자진출 미흡중남미 시장특성을 고려한 장기적 투자진출 미흡

Page 28: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8

2. 진출상품 및 서비스의 편중

진출품목 다양성 미흡진출품목 다양성 미흡

완제품 위주의 수출완제품 위주의 수출

서비스 부문에서의 한국기업의 경쟁력 열세서비스 부문에서의 한국기업의 경쟁력 열세

중소기업 진출이 미약한 상황중소기업 진출이 미약한 상황

4. 무엇이 문제인가 ?

Page 29: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29

3. 시장정보 부족 및 현지화 미흡

4. 무엇이 문제인가 ?

중남미시장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중남미시장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

원거리 소재에 따른 물류비용 과다 및 적기공급의 어려움원거리 소재에 따른 물류비용 과다 및 적기공급의 어려움

중남미 상거래관습 및 현지관행에 대한 인식부족중남미 상거래관습 및 현지관행에 대한 인식부족

중남미 교역전문인력 부족중남미 교역전문인력 부족

현지인 활용 미흡현지인 활용 미흡

신속하고 탄력적인 대응 결여신속하고 탄력적인 대응 결여

Page 30: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0

4. 적극적인 홍보 및 시장특성 이해 부족

4. 무엇이 문제인가 ?

한국상품에 대한 접근 기회 부족한국상품에 대한 접근 기회 부족

구미시장에 대한 큰 의존도구미시장에 대한 큰 의존도

높은 관세율높은 관세율

Page 31: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1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1. 중장기 진출목표 및 방향

중장기 목표

한국상품의 중남미 시장점유율 확대한국상품의 중남미 시장점유율 확대

한국기업의 현지투자진출 확대한국기업의 현지투자진출 확대

제제 33 국으로 우회수출기지 기능 공고화국으로 우회수출기지 기능 공고화

자원개발참여를 통한 자원개발참여를 통한 BUY-BACK BUY-BACK 확대확대

Page 32: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2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추진전략 지역블럭화에 적극대처지역블럭화에 적극대처

현지완결형 투자진출 확대현지완결형 투자진출 확대

현지 자원개발 프로젝트 참여 확대현지 자원개발 프로젝트 참여 확대

통상마찰 예방 및 대응능력 강화통상마찰 예방 및 대응능력 강화

전략상품의 선정전략상품의 선정

거점 전략국가 선정거점 전략국가 선정

Page 33: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3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세부추진계획

수출금융지원확대 수출금융지원확대

물류유통단지 설치추진물류유통단지 설치추진

미주개발은행미주개발은행 ((IDB)IDB)가입가입

해외전문전시회 참가확대해외전문전시회 참가확대

무역

전략품목에 대한 진출전략품목에 대한 진출

역량 집중역량 집중

노력확대노력확대

국가이미지 및 한국상품국가이미지 및 한국상품

브랜드 제고브랜드 제고

통상구매사절단 파견통상구매사절단 파견

유망지역 해외투자 조사단 유망지역 해외투자 조사단

투자

현지완결형 투자진출확대현지완결형 투자진출확대

- - 현지 조립생산업체와 현지 조립생산업체와

부품생산 공급업체의부품생산 공급업체의

동반진출동반진출

파견파견

유망지역 투자환경 설명회유망지역 투자환경 설명회

개최개최

유망지역 투자유망지역 투자 DBDB 구축구축

Page 34: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4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2. 무역투자 유망 분야 선정

국가명 선정사유

브라질

멕시코

- 남미 최대 생산거점 (MERCOSUR 거점 )

- 인구 1 억 8 천만 , GDP 규모 8000 억불로 중남미 전체

GDP 의 45%를 차지하는 시장임

- 대중남미 수출의 18% 이상의 비중 차지

- 인구 1 억 , GDP 규모 4200 억불의 중미 최대시장임

- NAFTA 국으로 북미수출 전진기지

- 대중남미 수출의 25%이상 비중 차지

거점 전략국가 선정거점 전략국가 선정

Page 3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5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국가명 선정사유

칠레- 인구 1,500 만 , GDP 규모 730 억불의 시장

- 아시아와 남미 연결 창구 , 자원개발 거점

베네수

엘라

- 인구 2,300 만 , GDP 1,100 억불의 시장

- 플랜트 및 IT 산업 진출 유망지역

Page 36: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6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유망 전략상품의 선정유망 전략상품의 선정

IT 산업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기계류 및 플랜트

Page 37: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7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ㅇ 중계무역기지에 수출보험공사 현지법인 설치 검토 - 대상지역 : 파나마, 마이아미 등 중계무역기지 - 기대효과 : 아국상품 중계무역량의 획기적 증가 예상 (D/A, D/P 거래 지원)

ㅇ 수출입은행 전대자금 지원 확대 - 중남미국가들은 중소형 플랜트나 기계류 수입시 대부분 공급자 금융지원을 요청하므로 우리기업들의 수출입은행 전대자금

지원 확대 및 적극 활용이 필요

3. 수출보험 및 수출금융지원 확대

Page 38: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8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ㅇ 필요성

남미공동시장(MERCOSUR),안데안공동체 등 지역별 블록화가 본격화되고 FTAA(미주자유무역지대)가 2005년 공식 출범할

예정으로 있어 중남미지역 전체를 고려한 물류 및 유통거점 확보가 필수적임

ㅇ 대상지역 : 마이아미, 파나마

미국의 마이애미, 파나마의 콜론 등 항공과 해운, 육운의 복합물류체제를 갖춘 도시들이 저렴한 물류비용으로 유망 교역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음

4. 물류유통쎈터 설치추진

Page 39: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39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ㅇ 중남미의 중대형 플랜트 참여를 위해서는 IDB가입이 필수적 - IDB 연간 프로젝트 발주규모 : 200억불 - 비회원국은 IDB 발주프로젝트 입찰 참여가 원천적으로 배제됨

ㅇIDB 가입을 위한 거국적, 전략적 방안 강구 ▶ IDB 본부 및 중남미 회원국의 우리나라가입 지원 획득 긴요 ▶ 특히 아시아개발은행(ADB) 가입을 희망하는 중남미국가와

교차가입 지원공조체제구축

▶ 아시아의 IDB 가입 희망국가들과 공조를 통한 동시가입 모색 ▶ 여타지역 IDB가입 희망국들과 공조하에 증자요청 검토

5. IDB 가입 총력경주

Page 40: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0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KOTRA 및 유관기관 주관 중남미 전시회 참가현황

KOTRA주관 KOTRA/유관 기관 공동주관

KOTRA지원/ 단체주관

총참가 회수

2000 파나마종합 , 하바나국박 , 상파울러문구 (박 ),

- 과달라하라 보석시계 (박 ) 4

2001 파나마종합 , 하바나국 (박 )

상파울러 정보 통신 (박 )

3

2002 파나마종합 하바나국 (박 )

상파울러 정보 통신 (박 )

코스타리카무역전시회 과테말라국제섬유전 엘살바도르국 (박 )

6

주) 기업차원의 개별참가 전시회는 제외함

6. 해외전시회 확대

Page 41: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1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ㅇ 중남미국가들은 축구열기가 광적이어서 월드컵시즌이 되면 TV, 스포츠용품 등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므로 2002월드컵 개최국으로 이미지를 활용하여 수출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음

ㅇ 중남미의 역내 블록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각 경제블록의 향후전망에 대한 분석 및 2005년 FTAA 출범에 대한 대응책 필요

7. 국가이미지 및 한국상품 브랜드 제고

8. 지역 블럭화 적극대처

Page 42: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2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 대기업과 중소 부품공급업체와의 동반진출 ㅇ 중소기업 단독 진출시 위험부담 및 경험부족 보완을 위해 완제품 생산계열 업체간 협력진출 검토 필요 ㅇ 역내산제품으로 인정받기 위해 한국부품업체와의 동반진출

유리 - 현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투자 진출 ㅇ 독자진출의 가능성이 높지 않을 때는 브랜드 인지도, 주력제품, 생산능력, 현지판매 기반 등에서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현지기업이나 앞서 진출한 외국기업과의 M&A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9. 투자진출 확대 전략

Page 43: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3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 교포인력 활용과 인맥 파악 ㅇ 해당국과의 문화적 차이 극복을 위해서는 현지 문화 및 실정 에 밝은 교포인력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필요 ㅇ 중남미는 내부적으로 계급구조가 견고한 사회로 기득권층 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맥을 파악해 활용 필요 - 국내 중남미 전문 인력의 양성

ㅇ CDP(경력관리프로그램)과 연계한 교육훈련 실시

ㅇ 중남미 유관기관과의 Network 확대를 통한 전문성제고

10. 현지 문화 및 시장특성에 대처

Page 44: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4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5.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 중남미지역본부 투톱시스템 추진 검토 ㅇ 필요성

- 33개국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지난 중남미지역을 멕시코와 브라질이 현지 본부역활을 분담

ㅇ 대상지역 및 개설시기 : 멕시코, 브라질 (2002년) ㅇ 본부 주요기능 - 사업계획 수립 및 예산배정, 업무실적 평가 (브라질) - 조사 기획 및 총괄 본부 (멕시코)

- 마이아미무역관의 중남미진출 거점화 ㅇ 마이아미무역관은 중남미무역관으로 분류해야

11. 현지 완결형 조직운영

Page 45: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5

12. 성공 및 실패사례

직물류 시장개척 성공사례 (쿠바 ) - 남이 소홀히하는 시장 역진출

넥타이 및 원단 시장개척 성공사례 (멕시코 ) – 성실과 끈기로 감동시켜

화장용 액세서리 실패사례 (멕시코 ) – 급히 먹는 밥이 체한다

원단 D/A 실패사례 – 잘될 놈은 떡잎부터 알아본다

신제품 시장개척 성공사례 - 애니콜 , DVD, 밧데리 , 문구류 , 가방류

투자진출 성공 및 실패사례 ( 중남미 ) - 입지선정 , 노조관리 , 품질관리 , 인력관리 - 유능한 관리자의 중요성 - 문화의 이해와 현지에 대한 애정

Page 46: 中南美 地域 進出方案 -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

4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