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 정치적 신뢰 ,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2) 박상호 ** (한국방송협회 연구위원) 본 연구는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정치냉소주의정치적 신뢰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포털뉴스에 대한 정치커뮤니케이션학적 접근이며,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1요인)’, ‘편리성 추구동기(2요인)’, ‘뉴스 전문성 추구동기(3요인)’,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4요인)’, ‘사건/정보 추구동기(5요인)’, ‘휴식 /재미 추구동기(6요인)’,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7요인)’, ‘일상성 추구 동기(8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정치냉소주의정치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 , 주요하게 영향을 주는 이용동기는 편리성 추구동기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였으며, ‘편리성 추구 동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정치 적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치냉소주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 째로 포털뉴스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사건/ 정보 추구동기’,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편리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막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정치냉소주의정치적 신뢰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적 신뢰는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냉소주의는 정치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포털뉴스,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냉소주의, 정치적 신뢰, 정치참여 * 부족한 논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완사항을 세심하게 지적해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email protected]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1)2)

박상호**

(한국방송 회 연구 원)

본 연구는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포털뉴스에 한 정치커뮤니 이션학 근이며,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1요인)’, ‘편리성 추구동기(2요인)’, ‘뉴스

문성 추구동기(3요인)’,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4요인)’, ‘사건/정보 추구동기(5요인)’, ‘휴식

/재미 추구동기(6요인)’,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7요인)’, ‘일상성 추구 동기(8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에 미치는 향을 정리하

면, 주요하게 향을 주는 이용동기는 ‘편리성 추구동기’와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으며, ‘편리성 추구

동기’는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

신뢰에는 정 인 향을 미쳤고, 정치냉소주의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

째로 포털뉴스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사건/

정보 추구동기’,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편리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 신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

치냉소주의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〻words:포털뉴스,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냉소주의, 정치 신뢰, 정치참여

* 부족한 논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완사항을 세심하게 지 해 주신 익명의 심사 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email protected]

Page 2: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54

1. 서론

기에 상호작용성을 가진 매체로서 많은 주목을 받았던 인터넷은 통신매체로서 뿐만

아니라 언론매체 는 미디어로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Morris & Ogan, 1996). 이제 뉴스

매체로서 인터넷은 통 인 뉴스 역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지 를 구축하고 있다. 과거

의 뉴스가 일방향 인 정보 달에 그쳤다면 인터넷 뉴스는 온라인 커뮤니 이션 환경과 여

타의 다양한 콘텐츠와 맞물려 정보로서, 지식으로서 뉴스로 그 의미와 역이 확장되고 있

다(성동규ㆍ김인경ㆍ김성희ㆍ임성원, 2006; 임종수, 2006).

상호작용 인 네트워크 커뮤니 이션으로 표되는 온라인은 과거의 매스미디어에서

제하 던 상 으로 일방향 인 커뮤니 이션을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 가능

성을 제공하고 있음은 분명하다(김지윤ㆍ김성태, 2007). 인터넷 뉴스의 이러한 변화된 양상

을 가장 첨 하게 드러내 주는 것이 바로 포털사이트이다.

2003년 인터넷 포털인 ‘다음’이 ‘미디어 다음’을 발족하면서 본격 으로 포털뉴스 시

가 개막하 다. 포털의 뉴스제공은 포털이 기존의 단순한 검색 서비스를 하는 데서 벗어나

뉴스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송경재, 2005). 최근 들어서 포

털사이트는 범 한 유통망을 무기삼아 인터넷 미디어로서 막강한 향력을 가지게 되었

으며, 사회 향력에 걸맞은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조정 ㆍ반 , 2006).

포털사이트 등 인터넷 언론들은 이미 언론으로서 인식 받고 그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재 포털사이트 자체가 언론으로서 기능하느냐 하는 것은 다소 논란이 있지만, 포털

사이트는 이미 언론으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 착안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김채환, 2009; 송경재, 2006; 원숙경ㆍ김 경ㆍ이범수, 2007; 임종수, 2005,

2006).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개인이 제기한 이슈가 사회 차원의 문제로 발 되는 여론형

성 과정에 한 연구는 지속 으로 이루어졌지만, 포털뉴스의 정치 향력에 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에 한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

용과 충족 이론1)을 통해서 포털뉴스에 한 정치커뮤니 이션 근을 하 다.

인터넷 는 포털사이트에 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졌지만, 포털뉴스가 네티즌

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연구는 미흡하 다. 그래서 본 연구는 델리 카피니(Delli Carpini, 2004,

p. 398)가 주요한 민주 인 여 태도로 평가한 정치효능감, 정치 신뢰와 정치 냉소주의뿐

만 아니라 정치참여에 포털뉴스가 미치는 향을 분석하 다. 즉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

넷 자기효능감, 정치냉소주의, 정치 신뢰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을 정치커뮤니 이션

차원에서 다루었다.

1) 이용과 충족 근은 특정 미디어에 한 동기 충족 요인을 확인하면서 이를 통해 련 미디어 이용 행 에 한 측을 하는 것에 있다고 볼 수 있다(Katz & Rice, 2002). 본 연구는 포털뉴스가 정치행태에 미치는 향에

한 측을 하 다.

Page 3: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55

2. 이론 배경

1) 포털뉴스와 이용과 충족 이론

인터넷 매체에 한 이용과 충족에 한 연구는 1990년 반 이후부터 활발하게 진행

돼 왔다. 제임스, 워 , 포 스트(James, Worting, & Forrest, 1995)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요

이용동기는 정보추구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기연구를 시작으로 최근까지 다양한 연구결

과를 통해서 좀 더 세부 이고 구체 인 동기들이 제기되고 있다. 정보추구를 비롯하여, 개

인 즐거움, 도피, 사회화, 경제성, 오락 등에 한 욕구 등 사회화의 즐거움 추구를 해서

도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어떤 목 이 없는 호기심과 충동 이용동기,

정보탐색의 목 지향 이용동기로 나 어 설명된 연구도 있다(송종길ㆍ이호 ㆍ박상호,

2007).

새로운 미디어의 출 과 이의 사회 환산이 이루어지면 수용자들이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기존 매체와의 유사 과 차이 은 무

엇인지를 밝히는 데 심이 집 되며, 이를 규명하기 한 이론 근으로 이용과 충족이

론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Papacharissi & Rubin, 2000; 조정 ㆍ반 , 2006). 21세기 들어

서 인터넷이라는 뉴미디어의 출 을 비롯한 다매체 시 를 맞아 수용자들이 새로운 미디어

를 이용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기존 매체와의 차이 은 무엇인지 등을 밝히는 데 심을 가

지고 이를 규명하기 해 이용과 충족을 통한 근이 히 이용되고 있다(반 ㆍ권 순,

2007).

인터넷 련 해외 연구를 정리하면, 린(Lin, 1999)은 이용과 충족이론이 미디어 환경변화

에 따라 뉴미디어에 한 새로운 근과 이론 활용을 시도하는 데 유용한 개념 틀을 제

공하고 있다고 주장하 다. 차리시와 루빈(Papacharissi & Rubin, 2000)은 인터넷 이용의

다섯 가지 동기를 ‘상호작용’, ‘기분 환’, ‘정보 추구’, ‘편리함’, ‘오락성’이라고 주장하

다. 루(Luo, 2002)는 ‘정보성’, ‘오락성’, ‘자극’ 동기가 다양한 온라인 소비자의 행동에 향

을 다는 사실을 검증하 다. 린(Lin, 2007)은 정보를 찾기 해서 환경감시동기가 요하

게 작용하고 홈쇼핑 사이트를 방문할 때에는 오락과 환경감시동기가 주요하게 작용한다고

하 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 텍스트에 한 동기요인 연구와 인터넷 소비자의 경험

(e-consumer experience)에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uang, 2008).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뉴스 매체가 주목받던 창기의 연구에서는 기존 신문과 인터

넷 신문과의 차이 에 착안하여 이 진 연구가 많았다. 성동규ㆍ최낙진ㆍ서보윤(2000)의

연구는 인터넷 신문이 기존 신문과 비교해서 가지고 있는 기술 장 인 정보검색 장

의 용이성, 상호작용성 등을 체가능성으로 상정하고 인터넷 뉴스 미디어로서 인터넷 신문

의 가능성을 상정하 으며, 그 당시까지의 이용자들은 속보성 정보추구 경향이 강한 소극

이용자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은미(2003)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신문 이용에 미치는 향에 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보성’, ‘편의성’, ‘경제성’이라는 세

Page 4: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56

가지의 요인을 밝 냈다. 김 섭(2003)은 인터넷 신문 이용동기를 도구 동기와 의례 동

기로 나 었다.

인터넷의 이용동기에 한 연구를 정리하면, 김채환ㆍ안수근(2004)의 연구에서는 ‘정보

편리성’, ‘상호작용성’, ‘여가성’으로 온라인 뉴스에 한 이용동기가 도출 다. 박성희ㆍ

최 호(2004)의 미국ㆍ한국 인터넷 이용동기에 한 연구에서 한국의 경우 8개의 이용동기

가 도출되었으며, ‘친교’, ‘도피주의와 자기표 ’, ‘자기발 ’, ‘환경감시’, ‘기분 환’, ‘오락’,

‘경제 동기’, ‘실제 으로 유용한 정보추구’ 등 8개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임종수(2005)는 포털뉴스에 한 이

용동기를 분석한 결과 ‘ 성’, ‘상호작용성’, ‘종합 해독/뉴스통제’, ‘습 성’, ‘편리성’,

‘정보성’, ‘충성도’, ‘확인’ 등의 8개 이용동기로 인해서 포털미디어가 다른 어떤 미디어보다

다양한 강 을 가지게 다고 하 다. 김 근(2006)은 인터넷 신문과 포털사이트의 이용동

기를 도구 동기, 의례 동기, 상호작용 동기로 악하 다. 성동규ㆍ김인경ㆍ김성희

ㆍ임성원(2006)의 연구에서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 요인으로서 ‘휴식 오락 습 요인’,

‘ 근편리 다양성 요인’, ‘뉴스만족 정보성 요인’, ‘상호작용성 참여성 요인’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반 ㆍ권 순(2007)의 연구에서는 포털사이트 뉴스의 이용동기로 ‘신

뢰성’, ‘정보성’, ‘흥미성’, ‘습 성’, ‘ 계성’ 등 5개 요인이 나타났다. 원숙경ㆍ김 경ㆍ이

범수(2007)의 연구에서는 ‘편의 정보추구’, ‘유희 오락’, ‘환경감시’, ‘사회 참여’ 등 4

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김지윤ㆍ김성태(2007)의 연구에서는 ‘정보ㆍ교환 추구’, ‘합의도출’,

‘오락추구’, ‘ 근성 용이’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인터넷 이용동기에 한 박주 (2008)

의 연구에서는 ‘여가활용’, ‘상호작용’, ‘정보추구’ 등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인터넷 뉴스

댓 의 이용동기에 한 김채환(2009)의 연구에서는 ‘지식정보형’, ‘자기표 형’, ‘습 유식

형’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본 연구에서는 뉴스 매체로서 포털사이트의 이용동기를 분석하기

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 다.

• 연구문제 1 : 포털뉴스의 이용동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2) 포털뉴스 이용과 미디어 이용행태

통 인 미디어 이용에 한 연구에서의 주요한 두 가지 미디어 이용동기는 정보 추구

와 오락이었다(Korgaonkar & Wolin, 1999). 그러나 재 이용자 생산 미디어(UGM: User-

Generated Media)인 인터넷 공간에서 이용자들은 콘텐츠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활동과 사회

계의 강화뿐만 아니라, 자신의 콘텐츠를 통해서 자기표 과 자기실 을 하고 있다(Shao,

2009).

인터넷 매체의 이용동기는 인터넷 매체의 실제 이용과 이용결과에 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최 재(2007)의 연구에 따르면 뉴스이용에 있어서 인터넷 매체가 신문과 방송

Page 5: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57

을 넘어서는 주류매체가 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방향 이고 참여 인 정보ㆍ지식 습득

과 화가 주요한 이용동기 의 하나라고 밝혔다. 한 조정 ㆍ반 (2006)은 포털뉴스의

이용동기가 뉴스 장르 이용에 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용량에도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 다.

포털사이트는 뉴스매체로서 상당한 강 을 가지고 있다. 임종수(2005)는 포털사이트의

장 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편리한 근성, 다양한 정보 제공, 속보성 등이 그

것이다. 근성이라는 측면은 포털사이트의 높은 이용률에서 기인하는 특징이라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인터넷 이용자 상당수가 포털사이트를 메인페이지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에

서 포털사이트 뉴스에 한 근성은 높을 수밖에 없다. 포털사이트들이 뉴스를 메인페이지

에 배치하고 최신 뉴스를 시간경과에 따라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포털사이트 뉴스는 인

터넷 이용자들의 길을 끄는 경우가 많다. 포털뉴스2)의 강 은 무엇보다도 포털사이트에

서 제공하는 뉴스이기 때문에 이용자의 근성과 편이성이 보장되고 있다는 것이다(조정

ㆍ반 , 2006). 즉 포털사이트는 말 그 로 하나의 문(portal)이 되어 이용자 집 성과 정보

검색의 편리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징은 다른 미디어와 비교해서 포털사이트만의 강 이다.

인터넷 포털뉴스의 이용행태에 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인터넷 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가 인터넷 신문이용(이은미, 2003) 오 라인 신문과 TV뉴스 이용(원숙경ㆍ김

경ㆍ이범수, 2007), 정보 수집(김지윤ㆍ김성태, 2007), 정치 련 웹사이트 방문 혹은 토론 참

여(박성희ㆍ최 호, 2004)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가 부분이었다.

최근에 포털사이트가 네티즌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만, 포털뉴스가 네티즌의 다양한 정치행태(효능감, 정치 신뢰와 정치냉소주의, 정치참여

등)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가 미흡하 다. 그러나 올드 미디어인 TV와 신문 등의 뉴스매

체에 한 연구에서는 뉴스이용이 유권자의 정치태도(효능감, 신뢰, 냉소주의, 여도 등)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는 이루어졌다(Leshner & McKean, 1997; Pinkleton & Austin, 2001; 송

종길ㆍ박상호, 2006; 송종길ㆍ이호 ㆍ박상호, 2007).

인터넷 련 연구는 아니지만, 이용과 충족 근을 통한 정치커뮤니 이션 연구를 정리

하면, 선거뉴스 시청동기에 한 김정기(1997)의 연구에서는 ‘투표정보동기’와 ‘선거에 한

이해 동기’가 후보자 선거이슈에 한 정보습득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선거에 한 심과 투표참여에는 ‘후보자에 한 투표정보’, ‘사람들과의 화’와

‘신뢰감’이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선거보도에 한 송종길ㆍ이호

ㆍ박상호(2007)의 연구에서는 ‘ 극 선거 여’, ‘선거 즐기기’, ‘선거정보습득’ 이용동기

가 정치 여도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거 즐기기’, ‘선거 추이

악’ 이용동기는 정치냉소주의에 정 인 향을 미쳤고, ‘습 /시간보내기’ 이용동기는 투

2) 포털뉴스의 요한 특징은 재매개(remediation)로서 재매개화를 거친 포털뉴스는 기존 미디어가 게이트키핑 과

정을 수행하듯이 뉴스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다시 이트키핑을 수행한다. 이러한 재매개의 요성은 포털뉴스

를 소비하는 최종 수용자가 뉴스의 선택과 공시에 한 권한수행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뉴스 소비자들의 정치행태에도 향을 미친다(임종수, 2005). 아직까지 포털뉴스와 네티즌의 정치행태에 한 연구는 활성화되지 못

하고 있는 상황이다.

Page 6: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58

표행 에 부정 인 향을 미치고, ‘선거 추이 악’ 이용동기는 투표행 에 정 인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로 수용자의 능동 인 미디어 이용에 을 맞춘 연구는 유권자의 시청동기, 정보

처리활동, 개인 태도가 메시지와 상호 련하여 효과를 발생시킴을 알려 으로써 이러한

특성들이 수용자의 실제 인 정치메시지 이용과 효과의 설명과 이해에 기여하는 요한 요

인임을 보여 다(송종길 외, 2007). 몇몇 선행연구에서는 뉴스 시청이 다른 주요한 정치변인

정치효능감, 정치 여도와 투표결과에 정 인 향을 다는 것을 검증해 왔다(Leshner &

Thorton, 2000; Pinkleton & Austin, 2001). 능동 인 정보 추구자들은 기존 매체인 신문과 TV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뉴스 매체로서 이용한다(Scheufele & Tewksbury, 2007; Shah, Cho,

Eveland, & Kwak, 2005).

앞에서 정리한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나듯이 포털뉴스에 한 논의는 지속 으로 이루어

졌지만, 실질 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유권자들의 정치행태(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는 미흡하 다. 그래서 본 연구의

연구모델은 미디어이용과 정치행태에 한 앞의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이루어졌으며, 포털

뉴스의 이용동기가 정치행태에 미치는 향을 분석하기 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

출하 다.

• 연구문제 2 :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냉소주의, 정치 신뢰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 3 :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정치참여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

3) 미디어,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냉소주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란3) 주어진 과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 들을 조직하고 실

행할 수 있는 능력에 한 개인의 믿음이다(Bandura, 1997). 부연하면 자기효능감은 기술 그

자체에 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한 믿음을 나타내는 것이다(Bandura, 1986; Eastin & LaRose, 2000).

최근에는 자기효능감 개념이 컴퓨터 인터넷 사용에 한 개인의 수용에 한 연구로

확 되어 이것을 인터넷 자기효능감(Internet self-efficacy)4)이라고 한다. 인터넷 자기효능감

은 인터넷 사용에 한 자신의 능력에 한 믿음으로서, 낮은 인터넷 자기효능감이란 인터

3) 인지 과학에서 자기효능감은 어떤 장애에 부딪혔을 때 개인이 어떻게 행동하고, 얼마만큼의 노력을 기울이며, 한 얼마나 인내할 것인지에 한 자기 평가(self-evaluation)라고 정의하기도 한다(김양하ㆍ장주 ㆍ김민규ㆍ

김주환, 2007).

4) 이스틴과 라로즈(2000)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터넷 사용 능력에 한 믿음이 을 경우, 즉 자신의 인터넷 사

용 능력에 해 만족하지 못하거나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의 경우에 약한 자기 효능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 으며,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자기효능감을 인터넷 자기효능감이라고 명

명하 다.

Page 7: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59

넷 사용 능력에 해서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신의 인터넷 사용기술에 해서 불만족하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 으로 인터넷 보 사용자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불편을 느끼고, 인터넷 기술에 해 덜 만족하며, 스트 스를 받는 상황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된다(이호배ㆍ권남경, 2006). 인터넷 이용자들의 정보처리기술이 인터넷에서의 성공 인

탐색을 결정하기 때문에 개인의 인터넷 자기효능감 수 에 따라서 정보탐색 행동에 미치

는 향을 다를 수 있다(MacGregor, 1999).

선행연구를 통해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과제 수행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날(Nahl, 1996)은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학생들의 인터넷 실습 로그램에 한

태도 계의 연구를 통해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들이 련 과목 수강을 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일상 인 과제 수행에 있어서도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

들이 더 효율 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검증하 다. 한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이 인

터넷 사용과 정 인 상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Eastin & LaRose, 2000).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온라인상에서 한 개인이 재, 혹은 미래에 무엇인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나타내며, 사회 실재감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자기효능감 역시 매체

에 한 태도를 일컫는 것이므로 이용자의 매체에 한 태도, 혹은 단이라 할 수 있다. 지

까지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한 연구는 인터넷과 련된 특정 과제에 한 수행 능력에

을 맞추어 진행되어왔다. 를 들면, 인터넷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지, 북마크

나 폴더를 만들 수 있는지, 혹은 FTP나 텔넷(Telnet)을 이용하여 일을 송할 수 있는지와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련성을 보이는지에 한 연

구가 이루어졌다(Nahl, 1996).

하지만,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한 기존의 연구들은 특정 과제 심 인 내용을 연구하

는 데 그치고 있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특정 과제 수행 능력과 련이 있다는 것만 보여

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개념이 인터넷에 용되었을 때, 자기

효능감이 작용하는 상만 바뀔 뿐이지 ‘무엇인가를 해낼 수 있다는 데 한 믿음’은 바 지

않는다. 특히, 정치효능감은 정치참여를 매개하는 요한 변인이기 때문에(Conway, 1985),

인터넷 자기효능감 역시 인터넷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 는 정치참여에 주요한 역

할을 할 수 있다. 이종호ㆍ신종국ㆍ김미혜ㆍ공혜경(2002)의 연구와 김양하ㆍ장주 ㆍ김민

규ㆍ김주환(2007)의 연구에서도 미디어 이용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정 인 상 계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두라(1997)는 미디어 이용이 정치참여과정과 정치효능감에 정 인 련이 있으며,

정치 이슈에 한 높은 심을 가지고 있는 수용자들은 정보를 찾기 해 더욱 능동 인

미디어 이용을 한다고 주장하 다. TV뉴스에 한 사려 깊은 선별 습득과 같은 능동 인

TV 이용은 국민들의 선거 참여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inkleton & Austin, 2001). 리차

드슨(Richardson, 2003)은 정치효능감을 가진 시민들은 정치 과정에 더 참여하게 된다고 하

다.

선거과정에서 정치에 한 다양한 불만에 해서 학자들은 연구를 해왔다. 특히 냉소주

의(cynicism)는 체로 공무원과 정부 기 을 포함한 정치 체계(political system)에 한 신임

Page 8: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60

(confidence)의 결여와 불신감(feeling of distrust)으로 일컫는다(Bandura, 1986). 정치, 사회, 커뮤

니 이션학 연구들은 정치냉소 인 공 은 체로 정부가 가난과 범죄 등과 같은 사회 문

제를 정 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에 해 냉소 으로 평가한다고 설명한다. 한 이들 연

구들은 정치냉소주의가 국민들의 투표참여와 미디어 이용에 부정 인 향을 미치고 투표

율을 낮춘다는 문제 을 지속 으로 제기하고 있다(Cappella & Jamieson, 1997).

정치 냉소주의는 정치참여 하와 련해 참여 민주주의의 커다란 이다. 이에 해

주로 매체와 련해 TV가 정치 지식을 감소시키고, 냉소주의를 심화시킨다는 일련의 연

구가 있다. 로빈슨(Robinson, 1976)은 TV에 의존 인 사람들이 정부의 지도자를 믿지 못하는

‘비디오 질병(Videomalaise)’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오키페와 이드 네쉬(O’Keefe &

Reid-Nash, 1978)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 TV뉴스에 더 집

할수록, 더 냉소 이 된다는 결과를 보 다. 체로 정치 냉소주의는 정치정보추구의 감소

투표 불참 등의 ‘비정치 ’, ‘탈정치 ’ 형태로 나타나며, 정치 냉소주의의 증 는 유권자

들을 자연스럽게 미디어 정보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결국 정치참여를 조하게 만드는 것으

로 나타났다(송종길 외, 2007).

카펠라와 제미슨(1997) 그리고 패터슨(Patterson, 1996)은 공 이 정치에 해 괴리감을

느끼는 주요 원인을 뉴스 내용이라고 제시하 다. 이들은 략 보도 자체가 선거캠페인에

한 공 의 정치 불신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펠라와 제메이슨(Cappella &

Jamieson, 1997)은 뉴스 보도와 정치 냉소주의에 한 연구에서 정치 냉소주의의 가장

요한 특징으로 ‘정치인에 한 믿음의 상실’을 들었으며, 략 보도 자체가 선거캠페인

에 한 공 의 정치에 한 불신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정치냉소주의의 증

는 유권자들을 자연스럽게 미디어 정보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 인해서 결국 정치참여를

조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Kanter & Mirvis, 1989).

4) 미디어, 정치 신뢰와 정치참여

정치 신뢰(political trust)란 “개인이 정부 는 정치체제에 하여 느끼는 신임의 정도”

를 의미한다(Aberbach & Walker, 1970, p. 1121). 정치 신뢰에 한 많은 논의와 정의가 있

으며, 표 인 학자들 에서 알몬드와 버바(Almond & Verba, 1963)는 정치 신뢰를 정부,

정치지도자 공무원에 한 믿음과 련된 평가 인 혹은 감정 인 정향(orientation)을 의

미한다고 하 으며, 이는 산출효과(output effect) 혹은 정부 리들의 수 에 있는 처치에

한 한 종류라고 하 다. 이스턴(Easton, 1975)은 정치 신뢰를 “정치체계에 한 호의 태

도나 분산 지지”로 간주하 다.

정치 신뢰는 일반 으로 신뢰 상이 정부, 직 정치인, 정치체제, 정권 무엇이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개념이며, 정치효능감이 개인의 정치 투입과정에 한 자신감을

의미한다면, 정치 신뢰는 정치 산출과정에 한 개인의 평가를 의미한다(Gamson, 1971).

정치 신뢰의 개념은 민주주의라는 통치 이념을 근간으로 자리 잡아왔다. 민주주의의

Page 9: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61

이념은 모든 사회 , 정치 생활의 국면에서 강압과 독재 권 가 아닌, 상호이해와 화합

을 강조한다. 정치 신뢰 없이는 민주주의 인 정치운 에 필수 인 연립과 연합은 성공

으로 수행될 수 없다(Almond & Powell, 1978). 결국 민주주의 이론은 정치 의무와 합법성이

라는 기반을 통해서 자발 인 동의를 통해 성립되게 된다.

정부에 한 이 갖는 신뢰의 정도가 정치체제의 안정성과 유효성에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추상 이고 개념 인 수 에서 볼 때 정부에 한 신뢰는 정치 제도, 상징 그리

고 가치와의 일체 혹은 괴리(estrangement)의 문제와 련된다. 한편 더욱 실질 이고 조작

인 수 에서 볼 때, 정치 신뢰는 정부에 한 정치 감정, 체제감정(국가 자부심), 산출

감정(정부의 처우에 한 기 )이라고 언 된다(Almond & Verba, 1963). 신뢰정도가 높을 경

우 정부는 그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약을 만들 수 있으며, 그러한 지지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신뢰가 낮고 권 가 하락할 때 당국은 존의 공약을 처하거나 효과 으로

다루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Gamson, 1968).

특히, 의 민주주의체제에서 정치 지도자들은 시민들의 신뢰를 얻을 때까지 그들이 추

진하는 정책을 성공시킬 수 없으며, 충분한 정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자유롭게 정책을

결정하거나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기 한 국민 지지와 지원은 없을 것이다(Delli Carpini,

2004).

미디어와 정치 신뢰에 한 연구를 보면, 박종민(1992)의 연구에서는 TV에 한 노출

과 정부에 한지지 간에는 별다른 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신문을 자주 하는 사

람은 그 지 않은 사람들보다 정부를 불신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발견하 다. 선행연구

들을 통해서 미디어의 이용이 정치 신뢰와 정치효능감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지속 으

로 제기되고 있다(Delli Carpini, 2004; McLeod & McDonald, 1985; Leshner & McKean, 1997)

정치참여5)는 언어 으로 보면, 정치와 참여의 합성어이다. 결국, ‘정치참여’라는 의미는

“국가의 공 인 일에 참가하거나 행 를 공유하는 것으로서, 사회구성원이 통치자의 선택이

나 공공정책의 형성에 직ㆍ간 으로 여하는 자발 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McClosky,

1968).

정치에서 정치참여율은 계속 으로 하되고 있다. 정치참여율의 하는 개인뿐만

아니라 체제에도 그 원인이 있지만, 정치사회화와 정치교육 기구들의 역할 부재라는 문제제

기도 나오고 있다(김 인, 2003). 즉 가정과 학교에서 제 로 이루어지지 못한 정치사회화와

정치교육으로 인해서, 유권자들의 정치효능감은 제 로 배양될 수 없었고, 정치효능감의 발

산도 제 로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김 웅ㆍ방은령, 2001). 실질 으로 정치 심과

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하는 미디어의 역할 부재로 인한 정치불만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 능동 미디어 이용, 정치효능감 증 와 정치참여 확 를 한 방안에 한 논의가 계

속 으로 제기되고 있다. 정치 련 뉴스에 한 유권자의 능동 인 이용 역시 정치효능감

5) 정치(politics)는 그리스어인 ‘ta politika’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이는 국가의 일(affair of state)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참여(participation)는 라틴어 ‘particiapare’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이는 공유하는 것(to share), 참가하는 것(to partake of, to take part in) 등의 의미를 갖는다(Ayto, 1990).

Page 10: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62

의 증 에 정 인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Leshner & Thorton, 2000; Pinkleton & Austin,

2001).

시민이 민주사회에서 제 로 역할을 하려면, 자치를 실 할 수 있다는 신념과 효과 이

고 책임성 있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한 믿음 그리고 환경과 자신의 삶을 통제

하고 조 할 수 있다는 자신감 같은 심리 자질이 필요하다. 이런 심리 자질은 극 이

고 능동 인 인성과 련이 있다(Pateman, 1970). 페이트먼(Pateman, 1970)은 이런 극 인

성과 능동 인성이 정치참여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고 하 다. 정치참여가 극 이고

능동 인 인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은 참여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정부에 해서 주장하고 발

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극 인 인성을 가진 시민들은 좀 더 나은 정치와 정책 결정을

해서 자신이 어떤 것을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될 것이다. 즉 자신들의 행동이 정부정

책이나 의사결정에 향력을 행사할 수 없거나 정부나 의사 결정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극 이 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극 인성은 정치효능감을

근간으로 형성되며, 정치참여를 통해서 길러지는 것은 바로 정치효능감이다.

시민들의 정치참여과정에서 능동 인 미디어 이용 는 정보추구 활동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즉, 활발한 정보추구의 과정은 정치효능감과 정 인 향 계를 가지며, 정치참여

행 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활발한 정보 추구는 기본 으로 의도 인 과정이며, 직

이고 결과 으로 수용자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의도 인 노력의 과정은 정치효

능감의 발산을 진하게 된다(Kaid, Landreville, Postelnicu, & Martin, 2005). 선행연구를 근간

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도출하 다.

• 연구문제 4 :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는 정치참여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

3. 연구방법

1) 조사설계와 표본구성

본 연구는 포털뉴스 이용자를 연구 상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네티즌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를 하 다. 설문조사는 여론조사 문기 인 ‘베스트 사이트’를 통

해서, 국 만 10세 이상 온라인 유 를 심으로 2500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web survey(e-mail)을 실시하 다. 이 에서 회수된 표본이 2005명

이었으며, 이 에서 이용가능한 응답은 1296명이었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 19일부터 4

월 5일까지 보름간 이루어졌다. 지역별 조사 상자는 서울 492명(38.0%), 부산 89명(6.9%),

인천 67명(5.2%), 구 66명(5.1%), 주 47명(3.6%), 43명(3.3%), 경기도 226명(17.4%),

Page 11: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63

강원도 29명(2.2%), 충청남도 25명(1.9%), 충청북도 26명(2.0%), 라남도 35명(2.7%), 라

북도 32명(2.5%), 경상남도 72명(5.6%), 경상북도 41명(3.2%), 제주도 6명(0.5%) 등이었다. 조

사 상 에서 남성은 53.2%(689명), 여자는 46.8%(607명)로 나타났으며, 연령 별로 보면

10 가 14.1%(183명), 20 가 40.0%(519명), 30 는 25.6%(332명), 40 가 13.1%(170명), 50

가 7.1%(92명)로 응답자의 상당수(65.6%)가 20 와 30 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

들의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24.8%(321명), 학교는 66.4%(861명), 학원 이상

은 8.8%(114명)로 학 학력의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

2) 조작 정의와 분석방법

(1) 척도의 구성 조작 정의

① 포털뉴스 이용동기 인구통계학 변인

포털뉴스 이용동기를 측정하기 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를 통해서 측정

항목들을 구성하 다. 우선 TV시청 동기와 련된 기존 연구들에서 이용동기를 측정하기

한 일반 항목들을 추출하 으며(Conway & Rubin, 1993; 김정기, 1997), 인터넷 이용에 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온라인 매체에 맞는 이용동기를 추출하 다(Luo, 2002; Papacharissi

& Rubin, 2000; 성동규ㆍ최낙진ㆍ서보윤, 2000). 그리고 온라인 는 포털뉴스 선행연구(김

채환, 2009; 반 ㆍ권 순, 2007; 이은미, 2003; 임종수, 2005; 조정 ㆍ반 , 2006)를 통해서

최종 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를 추출하 다. 이 에서 연구의 목 과 련성이 부족한 항

목을 제외시킨 총 31개의 포털뉴스 이용동기 질문 문항으로 일럿 조사를 실시했다. 일

럿 조사는 서울 소재 모 학의 신문방송학과의 공과목 수강생(n=30, 남=16, 여=14)을

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 내용은 매체흥미성(4문항), 정보성(5문항), 휴식ㆍ오락성(3문항),

뉴스추구(4문항), 습 성(3문항), 상호작용성(3문항), 편리성(3문항), 편리성(3문항), 신뢰ㆍ

유용성(3문항) 등으로 구성된 총 31개의 포털뉴스 이용동기 측정항목을 무작 로 배열한 후

5 척도(1= 그 지 않다, 5=매우 그 다)로 측정하 으며, 요인분석을 통해서 포털뉴

스 이용동기를 추출하 다. 인구통계학 변인은 통제변인(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으로

사용하 다.

② 인터넷 자기효능감

인터넷 자기효능감이란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자기효능감을 말한다(Eastin &

LaRose, 2000).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8개의 측정 문항을 도출하 다(Eastin &

LaRose, 2000; Nahl, 1996; 김양하 외, 2007; 이호배ㆍ권남경, 2006). 즉, ‘나는 인터넷 하드웨

어와 련한 용어를 이해할 수가 있다’, ‘나는 인터넷 소 트웨어와 련한 용어를 이해할

수가 있다’, ‘나는 인터넷 하드웨어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나는 인터넷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는 인터넷상에서 일이 잘 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데이터를 수

Page 12: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64

집하는 데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나는 특정한 인터넷 로그램 내에서 최신 기술을 배

우는 데 자신이 있다’, ‘나는 도움이 필요할 때 온라인 토론그룹을 의지한다’ 등의 8문항을

통해서 5 척도로 조사하 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하여 이 척도의 평균값(M=3.21,

SD=.83)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 지수를 구성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92 다.

③ 정치 신뢰

정치 신뢰(political trust)란 “개인이 정부 는 정치체제에 하여 느끼는 신임의 정도”

를 의미한다(Aberbach & Walker, 1970). 본 연구에서는 NES의 정치 신뢰 측정항목을 토

로 해서 네 가지의 측정 문항을 도출하 다(Delli Carpini, 2004; 박종민, 1993). 나는 “정부의

정책이 옳다는 믿는다”, “정부가 자신들의 이익보다는 국민들의 이익을 해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정부에서 세 을 잘 운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를 운 하는 사람들이

부분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등의 항목을 통해서 5 척도로 측정하 다. 연구문제를 분석하

기 하여 이 척도의 평균값(M=4.26, SD=.83)으로 정치 신뢰 지수를 구성하 으며, 신뢰

도는 Cronbach’s α=.93 다.

④ 정치냉소주의

정치냉소주의란 “정치행 자가 공공의 이익이 아니라 사 인 이익을 해서 행동하고

있다고 믿는 태도”이다(Cappella & Jamieson, 1997).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들

(Pinkleton, et al., 2001; Leshner & Thorson, 2000; 박종화, 2003; 송종길 외, 2007)을 근간으로

해서, ‘정치인들이 하는 말을 믿는 것은 정말 바보같은 것이다’, ‘정치인들은 당선된 이후에

는 국민들에게 무 심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정부의 정책운 방식에 해서 납득할 수 없

다’, ‘나는 우리나라의 정치에 해서 더리가 난다’, ‘정치인들은 거짓말쟁이다’라는 5문

항을 통해서 5 척도로 조사하 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하여 이 척도의 평균값(M=3.79,

SD=.78)으로 정치냉소주의 지수를 구성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85 다.

⑤ 정치 참여

정치참여는 “공공 정책의 형성과 통과, 그리고 보완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다(박종화,

200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들(Pinkleton et al., 2001; Leshner & Thorson, 2000; 박종

화, 2003; 송종길 외, 2007)을 근간으로 해서, ‘나는 후보연설을 듣기 해 자발 으로 유세장

이나 정치모임에 나간 이 있다’, ‘나는 시민단체나 사회운동단체에 참여한 이 있다’, ‘나

는 정치 인 문제에 해 정치인이나 공무원에게 화하거나 편지를 쓴 이 있다’, ‘나는

가두시 나 항의집회에 가담한 이 있다’, ‘나는 정부나 정치인의 부당행 에 한 반 운

동에 서명한 이 있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시민단체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 ‘나는 서명운

동에 참여해 본 이 있다’, ‘이번 주에 보궐선거가 있다면 나는 투표에 참여할 것이다’, ‘나

는 최근에 사활동에 참여해 본 이 있다’, ‘나는 학ㆍ시민 단체 등에 기부를 해 본 이

있다’, ‘나는 이웃과의 모임에 참여한 이 있다’라는 11문항을 통해서 5 척도로 조사하

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하여 이 척도의 평균값(M=2.34, SD=.79)으로 정치(사회) 참여

Page 13: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65

지수를 구성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α=.89 다.

(2) 분석방법과 측정요인의 신뢰도 검증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유권자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연구

이며,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를 매개변인으로 사용하 다((Delli

Carpini, 2004). 이 연구를 해서 요인분석 enter 방식의 선형 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

으며, 표 화 회귀계수를 사용하 다. 회귀모델의 신뢰도를 높이기 해서 이상 (outliers)을

제거하 다. 그리고 각 측정요인들은 동질 인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하

여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 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한 변수들의 신뢰성 검증

을 해 내 일 성을 측정하는 방법인 크론바하의 알 계수(Cronbach’s α)를 계산하 다.

4. 분석결과

1) 포털뉴스 이용동기에 한 분석

<연구문제 1>은 포털뉴스의 이용동기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를 검정하기 해서 요인

분석을 실시하 다. 네티즌들의 포털뉴스 이용동기를 알아보기 해 31개의 설문을 측정하

으며, 베리맥스 직각회 방식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행하 다. 설문지에서 사용한 이용

동기 진술문들이 요인분석에 합한지 알아보기 해서 KMO 측정(Ksiser-Meyer-Olkin

Measure)을 실시하 다. KMO 측정을 실시한 결과, KMO 측도 값이 .93로 나타나 매우 높았

으며, Barlett의 구형성검정치(test of shpericity) 카이스퀘어 값이 26589.16(df=465, p=.000)으

로 99% 수 이상에서 이 진술문들이 요인분석을 시행하기에 합하다고 분석되었다.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아이겐 값 1 이상의 요인만을 추출하 으며 총 8개의 요인 군으로

요인분석이 이루어졌다.

‘요인 1’의 경우, ‘사진 기사/뉴스제목이 흥미자극’, ‘흥미 끄는 뉴스를 할 수 있어서’,

‘메일/검색 하다 뉴스제목이 에 띄어서’, ‘뉴스 제목/기사가 재미있어서’의 변수들로 묶여

져 “뉴스 흥미성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9 으며,

11.35%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2’의 경우, ‘인터넷 뉴스로 보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타 매체 볼 필요 없어서’, ‘시

공간의 제약이 거의 없어서’, ‘포털 통해 모두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편리성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90이었으며, 10.64%

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3’의 경우, ‘뉴스기사 내용이 충실/깊이 때문에’, ‘뉴스가 믿음가고 정확하기 때문

Page 14: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66

<표 1> 포털뉴스 이용동기 요인분석

요인명평균값

(n=1296)요인 재량 아이겐 값

분산(%)

Cronbach’s

α

요인 1: 뉴스 흥미성 추구

사진 기사/뉴스제목이 흥미자극

흥미 끄는 뉴스를 할 수 있어서

메일/검색하다 뉴스제목이 에 띄어서

뉴스 제목/기사가 재미있어서

3.62

3.62

3.77

3.75

.84

.78

.78

.80

3.52 11.35 .89

요인 2: 편리성 추구

인터넷 뉴스로 보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타 매체 볼 필요 없어서

시공간의 제약이 거의 없어서

포털 통해 모두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서

3.46

3.39

3.60

3.59

.78

.80

.79

.75

3.30 10.64 .90

요인 3: 뉴스 문성 추구

뉴스기사 내용이 충실/깊이 때문에

뉴스가 믿음 가고 정확하기 때문에

각 언론사별 뉴스비교 할 수 있어서

지난 뉴스를 비교할 수 있어서

다른 매체와 비교해서 뉴스를 볼 수 있어서

2.78

2.83

3.03

2.98

3.16

.58

.59

.79

.77

.66

3.15 10.16 .88

요인 4: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가 있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를 신뢰할 만해서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가 유용해서

2.50

2.67

2.88

.76

.81

.73

3.07 9.90 .89

요인 5: 사건/정보 추구

사회의 다양한 사건/문제 을 알 수 있어서

원하는 자료/정보를 찾기 해서

일상생활의 다양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큰 사건의 발생을 확인하기 해

다른 매체에서 얻은 정보를 확인하기 해

3.56

3.86

3.74

3.93

3.43

.60

.80

.80

.59

.55

2.92 9.41 .85

요인 6: 휴식/재미 추구

시간을 보내기 해

놀거나 휴식을 해

잠시 쉬고 싶을 때

인터넷 뉴스검색이 재미있어서

3.38

3.32

3.39

3.15

.57

.81

.76

.51

2.53 8.16 .81

요인 7: 의견교환/토론 추구

토론방 등 통해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어서

댓 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볼 수 있어서

이슈에 해 내 의견을 올릴 수 있어서

2.27

3.01

2.58

.75

.76

.79

2.42 7.81 .82

요인 8: 일상성 추구

습 으로 둘러보기 해서

일상 으로 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인터넷 시작 화면으로 설정해 놓아서

3.32

3.29

2.71

.80

.79

.55

1.87 6.02 .74

총 분산 73.45

Page 15: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67

에’, ‘각 언론사별 뉴스비교 할 수 있어서’, ‘지난 뉴스를 비교할 수 있어서’, ‘다른 매체와 비

교해서 뉴스를 볼 수 있어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뉴스 문성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8이었으며, 10.16%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4’의 경우,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가 있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

를 신뢰할 만해서’, ‘주로 사용하는 뉴스사이트가 유용해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뉴스사이

트 유용/신뢰성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9 으며,

9.90%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5’의 경우, ‘사회의 다양한 사건/문제 을 알 수 있어서’, ‘원하는 자료/정보를 찾기

해서’, ‘일상생활의 다양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큰 사건의 발생을 확인하기 해’, ‘다른

매체에서 얻은 정보를 확인하기 해’의 변수들로 묶여져 “사건/정보 추구”요인이라고 명명

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5엿으며, 9.41%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6’의 경우, ‘시간을 보내기 해’, ‘놀거나 휴식을 해’, ‘잠시 쉬고 싶을 때’, ‘인터

넷 뉴스검색이 재미있어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휴식/재미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1이었으며, 8.16%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7’의 경우, ‘토론방 등 통해 다양한 논의를 할 수 있어서’, ‘댓 을 통해 다양한 의견

을 볼 수 있어서’, ‘이슈에 해 내 의견을 올릴 수 있어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의견교환/토

론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82 으며, 7.81%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요인 8’의 경우, ‘습 으로 둘러보기 해서’, ‘일상 으로 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인

터넷 시작 화면으로 설정해 놓아서’의 변수들로 묶여져 “일상성 추구”요인이라고 명명하

다. 이 요인의 크론바흐 알 값은 0.74 으며, 6.02%의 분산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1요인)’, ‘편리성 추구동기(2요

인)’, ‘뉴스 문성 추구동기(3요인)’,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4요인)’, ‘사건/정보

추구동기(5요인)’, ‘휴식/재미 추구동기(6요인)’,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7요인)’, ‘일상성

추구 동기(8요인)’ 등 8개의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2)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정치행태에 한 분석

<연구문제 2>는 포털뉴스 이용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냉소주의, 정치 신뢰

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우선, 포털뉴스 이

용동기 에서 ‘편리성 추구동기’,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사건/정보 추구동기’ 순으로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Page 16: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68

<표 2>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인터넷 자기효능감에 한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Sig

인터넷 자기효능감

뉴스 흥미성 추구 .01 .16 .872

편리성 추구 .17 4.60 .000

뉴스 문성 추구 -.01 -.18 .857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 .06 1.51 .130

사건/정보 추구 .12 3.25 .001

휴식/재미 추구 -.01 -.26 .799

의견교환/토론 추구 .15 4.56 .000

일상성 추구 -.02 -.56 .573

F 23.88**

R² .12**

** p<.01

<표 3>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정치냉소주의에 한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Sig

정치냉소주의

뉴스 흥미성 추구 .04 1.10 .272

편리성 추구 .12 3.10 .002

뉴스 문성 추구 .04 1.06 .288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 -.07 -1.60 .110

사건/정보 추구 -.02 -.42 .678

휴식/재미 추구 .09 2.15 .032

의견교환/토론 추구 -.08 -2.32 .021

일상성 추구 .09 2.39 .017

F 5.17**

R² .03**

** p<.01

다음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 에서 ‘편리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구동기’, ‘일상성

추구동기’는 정치냉소주의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견교환/토론 추

구동기’만이 정치냉소주의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털뉴스 이용동기 에서 ‘사건/정보 추구동기’,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 ‘편리성 추구동기’,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순으로 네

Page 17: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69

<표 4>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정치 신뢰에 한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Sig

정치 신뢰

뉴스 흥미성 추구 .12 3.41 .001

편리성 추구 .14 3.94 .000

뉴스 문성 추구 -.03 -.83 .402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 .17 -4.32 .000

사건/정보 추구 .25 6.79 .000

휴식/재미 추구 .02 -.51 .614

의견교환/토론 추구 .07 -2.00 .045

일상성 추구 -.06 -1.58 .114

F 29.72**

R² .15**

** p<.01

<표 5>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정치참여 에 한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Sig

정치참여

(투표행 )

뉴스 흥미성 추구 -.06 -1.70 .089

편리성 추구 -.15 -4.43 .000

뉴스 문성 추구 .07 1.88 .061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 .12 3.12 .002

사건/정보 추구 .18 4.91 .000

휴식/재미 추구 -.09 -2.46 .014

의견교환/토론 추구 .36 11.37 .000

일상성 추구 .02 .53 .598

F 45.88**

R² .22**

티즌의 정치 신뢰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포털뉴스를 이용하는 네티즌의 경우 ‘편리성 추구동기’가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의 경우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 신뢰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은 포털뉴스가 정치참여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사건/정보 추구동기’, ‘뉴스사

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리

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8: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70

<표 6>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와 정치참여에 한 회귀분석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Sig

정치참여

(투표행 )

인터넷 자기효능감 .27 9.97 .000

정치냉소주의 -.07 -2.42 .015

정치 신뢰 .07 2.63 .009

F 36.76**

R² .08**

** p<.01

<연구문제 4>는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가 정치참여에 어떠

한 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 인터넷 자기효능

감과 정치 신뢰는 네티즌의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치

냉소주의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론

본 연구는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네티즌의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이며,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문제 1>인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한 분석결과,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1

요인)’, ‘편리성 추구동기(2요인)’, ‘뉴스 문성 추구동기(3요인)’,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4요인)’, ‘사건/정보 추구동기(5요인)’, ‘휴식/재미 추구동기(6요인)’, ‘의견교환/토

론 추구동기(7요인)’, ‘일상성 추구 동기(8요인)’ 등 8개의 이용동기가 도출되었다. 선행연구

와 유사하게 본 연구는 포털뉴스 이용동기(편리성, 휴식ㆍ재미 등)가 나타났지만(Papacharissi

& Rubin, 2000; 김채환ㆍ안수근, 2004; 임종수, 2005; 조정 ㆍ반 , 2006), 본 연구에서는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뉴스 흥미성 추구동기’ 등 토론과 뉴스 심의 이용동기가 요인

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포털은 에는 오락성과 정보성이 주목받았지만, 이제는 뉴스매체

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황이다(김지윤ㆍ김성태, 2007; 임종수, 2005).

<연구문제 2>인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

뢰에 한 분석을 정리하면, 포털뉴스 이용동기 에서 ‘편리성 추구동기’와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에 유의미한 향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다. ‘편리성 추구동기’는 모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

견교환/토론 추구동기’는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 신뢰에는 정 인 향을 미쳤고,

정치냉소주의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나듯이

Page 19: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71

인터넷의 기술 인 편리성이 네티즌의 정치행태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김지윤ㆍ김성태, 2007; 원숙경ㆍ김 경ㆍ이범수, 2007). 그리고 인터넷 공간에서도 능동

인 미디어 이용(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등)의 경우 효능감과 신뢰에는 정 인 향을

미치고 정치냉소주의에는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inkleton & Austin,

2001; Leshner & McKean, 1997). 본 연구에서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 에서 다양한 이용동

기가 네티즌의 효능감과 신뢰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인 포털뉴스와 정치참여에 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의견교환/토론 추

구동기’, ‘사건/정보 추구동기’,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리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구동기’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편리성 추구동기’, ‘휴식/재미 추

구동기’ 등 수동 인 이용동기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eshner & Thorton, 2000; Pinkleton & Austin, 2001), ‘의견교환/토론 추구동기’, ‘사건/정보 추

구동기’, ‘뉴스사이트 유용/신뢰성 추구동기’ 등 능동 인 이용동기는 정 인 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Scheufele & Tewksbury, 2007; Shah, Cho, Eveland, & Kwak, 2005).

<연구문제 4>인 인터넷 자기효능감ㆍ정치냉소주의ㆍ정치 신뢰과 정치참여에 한

분석을 정리하면,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 신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치냉소주의는 정치참여에 부정 인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정치 신뢰는 네티즌의 사회 는 정치참여에 주

요한 향을 주는 매개변인으로 나타났으며(conway, 1985; Richardson, 2003), 정치냉소주의

는 네티즌의 정치참여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Cappella & Jamieson, 1997).

포털사이트를 통한 사회이슈에 한 의제설정은 자 기사와 타 기사의 재매개화 는

하이퍼링크 의제설정이 비선형 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정보의 확산속도는 상상을

월해 이루어진다(박주 , 2008). 이러한 기술 인 특성과 가능성으로 인해서 포털사이트

의 력과 향력은 날로 증가하지만, 뉴스매체로서의 정치커뮤니 이션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티즌들의 포털뉴스의 이용행태가 정치행태(효능감, 냉소

주의, 신뢰, 참여 등)에 미치는 인과 계도 검증하 다.

포털뉴스 이용동기와 정치참여에 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이와 유사한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듯이 포털뉴스의 능동 인 이용동기는 정치참여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Leshner & Thorton, 2000; Pinkleton & Austin, 2001; 송종길 외, 2007), 본 연구에서

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한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주요한 민주 인 여 태도인 정치

효능감, 정치 신뢰와 정치 냉소주의에도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 매체 인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뉴스매체와는 달리 다양한 포털 장 으로

은 이용자에게 각 을 받고 있으며, 이제는 연령, 지역, 성별에 계없이 인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포털은 뉴스매체로서의 향력이 막강함에도 불구하고 그 향

력과 논란에 비하여 인터넷 는 포털뉴스의 정치 커뮤니 이션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포털사이트는 이미 기존 언론매체(신문, TV 등)의 한계를 넘어서는 언론으로서의 기능

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에 한 사회 인 평가가 제 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요한 정

Page 20: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72

치참여 공론장임에도 불구하고 정치 커뮤니 이션 연구는 미비하 다. 최근에는 언론매

체로서 포털의 기능 활성화보다는 규제에 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언론매체

로서 포털의 활성화를 해서는 기술발 과 이용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제도의 마련이 이루

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한계 은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한 연구 지만 온라인 정치참여에 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포털뉴스와 온라인 정치참여에 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 이용과 충족 근방법 이외에 다양한

을 통한 포털뉴스의 이용행태와 향력에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투표율이 지속 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30 은 유권자들

의 정치참여가 다른 연령 에 비해서 더욱 조한 상황이다. 재 인터넷 는 포털사이트

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20∼30 의 네티즌들은 정부나 정치인들과의 직 인 소통

신에 다음 아고라 등을 통한 자신들만의 공론장을 형성하고 참여하는 방식을 만들어가고 있

다. 이런 상황에서 포털사이트(뉴스)는 은 유권자들의 정치참여를 확 할 수 있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 되고 있으며, 이에 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 웅ㆍ방은령 (2001). ꡔ한국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형성요인ꡕ. 집문당.

김양하ㆍ장주 ㆍ김민규ㆍ김주환 (2007). 텍스트 기반 온라인 사회 상호작용(TOSI)의 습 이용

에 한 연구: 학생의 인터넷 자기효능감, 사회 실재감, 친 감을 심으로. ꡔ한국언론정

보학보ꡕ, 38권, 119∼147.

김 인 (2003). 정치참여유형에 따른 법의식 정치효능감 형성효과에 한 연구. ꡔ사회와 과학ꡕ,

42권 1호, 129∼163.

김 근 (2006). ꡔ웹 뉴스미디어의 이용에 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ꡕ. 성균 학교 박사학 논문.

김정기 (1997). 학생 유권자의 국회의원 선거뉴스 시청과 시청효과. ꡔ한국언론학보ꡕ, 40권, 5∼48.

김지윤ㆍ김성태 (2007). 온라인 의제 행 의 결정변인 만족 연구. ꡔ한국언론학보ꡕ, 51권 1호,

328∼355.

김채환 (2009). 인터넷 뉴스 댓 의 이용과 상호작용성의 만족도에 한 연구. ꡔ언론과학연구ꡕ, 9권

1호, 5∼44.

박성희ㆍ박수미 (2005). 포털뉴스 제공자와 이용자간 상호지향성 연구. ꡔ한국언론정보학보ꡕ, 30권,

1∼33.

박종민 (1992). 정치불신의 의미. ꡔ한국정치학보ꡕ, 26권 1호, 1057∼1084.

박주 (2008). ꡔ제17 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인터넷 매체의 의제설정, 의제 게이트키핑

에 한 연구ꡕ. 남 학교 박사학 논문.

Page 21: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73

반  ㆍ권 순 (2007). 포털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 에 한 상 계성 연구, ꡔ한국언론

학보ꡕ, 51권 1호, 399∼426.

성동규ㆍ김인경ㆍ김성희ㆍ임성원 (2006). 포털사이트의 뉴스콘텐츠 략에 한 연구. ꡔ한국언론

학보ꡕ, 50권 5호, 132∼159.

송경재 (2006). 포털의 의제 설정 과정에 한 연구: 네이버, 네이트, 다음 뉴스 서비스를 심으로.

ꡔ사회이론ꡕ, 29권, 178∼210.

송종길ㆍ이호 ㆍ박상호 (2007). 선거보도 이용 동기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이용과 충족 근을 심으로. ꡔ정치커뮤니 이션 연구ꡕ, 통권 7호, 157∼198.

원숙경ㆍ김 경ㆍ이범수 (2007). 포털뉴스 이용이 통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학생 집단을 심으로. ꡔ한국언론정보학보ꡕ, 38호, 40∼72.

이종호ㆍ신종국ㆍ김미혜ㆍ공혜경 (2002). 인터넷 자기효능감으로 인한 웹 쇼핑에 한 태도와 구매

행동의도에 한 연구: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를 심으로. ꡔ마 과학연구ꡕ, 10권,

1∼26.

이호배ㆍ권남경 (2006). 인터넷 쇼핑에서 인터넷 자기효능감의 역할. ꡔ한국마 ꡕ, 8권 2호,

27∼62.

임종수 (2005). 포털 미디어 재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하나의 탐색 연구. ꡔ한국방송학보ꡕ, 19권

2호, 8∼46.

임종수 (2006). 새로운 매체 환경과 리즘: 온라인 뉴스 양식과 리즘의 변화. ꡔ커뮤니 이션

이론ꡕ, 2권 2호, 37∼73.

조정 ㆍ반  (2006).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이용행 에 미치는 향 연구: 20 이용자를 심으

로. ꡔ사이버커뮤니 이션학보ꡕ, 17권, 193∼231.

최 재 (2007). 인터넷 포털 발 과 소통문화의 형성 변화. 2007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학술

회 세미나 발표문.

Aberbach, J. D., & Walker, J. L. (1970). Political trust and racial ideolog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4, 1199V1219.

Almond, G. A., & Verba, S. (1963). Civic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Almond, G. A., & Powell, G. B. (1978). Comparative politics: System, process, and policy. Boston: Little

Brown & co.

Ayto, J. (1990). Dictionary of word origins. New York: Arcade Publishing.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Cappella, J. N., & Jamieson, K. H. (1997). Spiral of cynicism: The press and the public g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onway, J. C., & Rubin, A. M. (1991). Psychological predictors of television viewing motivation.

Communication Research, 18(4), 443∼464.

Conway, M. M. (1985).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A division of Congressional

Page 22: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174

Quarterly Inc.

Delli Carpini, M. X. (2004). Mediating democratic engagement: The impact of communications on

citizens’ involvement in political and civic life. In L. L. Kaid (Ed.),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pp. 395∼434). Mahwah, NJ: Lawrence Erlbaum.

Eastin, M. A., & LaRose, R. L. (2000). Internet self-efficacy and the psychology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6(1). Retrieved November 29, 2000, from

http://jcmc.indiana.edu/vol6/issue1/eastin.html

Easton, D. (1975). A re-assessment of the concept of political support.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 435∼457.

Flanagin, A. J., & Metzer, M. J. (2001). Internet use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7(1), 153∼181.

Gamson, W. A. (1968). Power and Discontent. HomeWood: Dorsey Press.

Gamson, W. A. (1971). Political trust and its ramifications. Social psychology and political behavior:

Problems and prospects. Abearian & Soule (eds.). Columbus Ohio: Chareles E. Merrill Company.

Huang, E. (2008). Use and gratification in e-consumers. Electronic Networking Applications and Policy,

18(4). 405∼426.

James, M. L., Worting, C. E., & Forrest, E. (1995).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electronic bulletin board use and their impact on other communication activities. Journal of

Broadcasting Electronic Media. 39(1), 30∼50.

Kaid, L. L., Landreville, K. D., Postelnicu, M., & Martin, J. D. (2005, May). Enhancing information

efficacy for young voters: The effects of political advertising and debate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vention, New York.

Kanter, D. L., & Mirvis, P. H. (1989). The Cynical Americans, Jossey-Bass, San Francisco.

Katz, J. E., & Rice, R. E. (2002). Social consequences of internet: Acces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Korgaonkar, P., & Wolin, L. (1999). A multivariate analysis of web us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2), 53∼68.

Leshner, G., & McKean. M. L. (1997). Using TV news for political information during an off-year

election: Effects on political knowledge and cynicism.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4(1), 69∼83.

Leshner, G., & Thorton, E. (2000). Overreporting Voting: Campaign media, public mood, and the

vote. Political communication, 17, 263∼278.

Lin, H. F. (2007). The role of online and offline features in sustaining virtual communities: an

empirical study. Internet Research, 17(2), 119∼138.

Luo, X. (2002).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e-consumer behavi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2(2), 4∼26.

MacGregor, S. K. (1999). Hypermedia navigation profiles: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0(2), 189∼206.

McClosky, H. (1968). Political participation, in D. L. 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2, 252∼265.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 The Free Press.

Page 23: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75

McLeod, J. M., & McDonald, D. G. (1985). Beyond simple exposure: Media orientations and their

impact on political processes. Communication Research, 12, 3∼34.

Nahl, D. (1996). Affective monitoring of internet learners: Perceived self-efficacy and success.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s, 33, 100∼109.

O’Keefe, G. J., & Reid-Nash, K. (1987). Socializing functions. In C. R. Burger & S. H. Chaffee (Eds.).

Handbook of communication science (pp. 419∼445). Beverly Hills, CA: Sage.

Papacharissi, Z., & Rubin, A, M. (2000).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2), 175∼196.

Pateman, C. (1970).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tterson, T. E. (1996). Bad news, bad governance.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46(1), 97∼108.

Pinkleton, B. E., & Austin, E. W. (2001). Individual motivation, perceived media importance, and

political disaffection. Political Communication, 18, 321∼334.

Richardson, W. K. (2003). Connecting political discussion to civic engagement: The role of civic

knowledge, efficacy and context. A Dissertation for degree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Maryland.

Robinson, M. J. (1976). Public affairs television and the growth of political malaise: The case of the

selling of the pentag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0, 409∼432.

Scheufele, D. A., & Tewksbury, D. (2007). Framing, agenda-setting, and priming: The evolution of

three media effects models. Journal of Communication, 57, 9∼20.

Shah, D. V., Cho, J., Eveland, W. P., & Kwak, N. (2005). Information and expression in a digital age:

Modeling internet effects on civic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earch, 32(5), 531∼565.

Shao, G. (2009). Understanding the appeal of user-generated media: A uses and gratification

perspective. Internet Research, 19(1), 7∼25.

최 투고일 2009년 6월 12일

게재 확정일 2009년 7월 18일

논문 수정일 2009년 7월 28일

Page 24: ` Yý v|EuîpÍf v|E^¶oyvéuEt-v|Ez%sÙs½iå|E` sî s½Zí IsÝ[Y

韓國 論學報, 53권 5호(2009년 10월)•435

A Study on the Effect of Portal News’ Using Motive Influence Internet Self-Efficacy, Political Trust, Political

Cynic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Sang Ho ParkResearch Fellow, Korean Broadcasters Association

This study is effect that using motive of portal news influence internet self-efficacy, political

trust, political cynic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 this study is less up to now, it is research

about studied the portal news and netizen’s political behavior.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using motive of portal news is ‘news interest(1 factor)’, ‘convenience (2 factors)’, ‘news

professionalism(3 factors)’, ‘news site usefulness/credibility(4 factors)’, ‘event/information(5 fac-

tors)’, ‘A rest/enjoying(6 factors)’, ‘opinion interaction/debate(7 factors)’, ‘Dailiness(8 factors)’

etc. Secondly, using motive of portal news was analyzed effect that get in internet self-efficacy,

political cynicism, political trust. It influenced primarily ‘convenience’ and ‘opinion inter-

action/debate’. ‘convenience’ was positive effect. ‘Opinion interaction/debate’ was positive effect

in internet self-efficacy and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cynicism was negative. Effect that the

portal news about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nalyzed by third. ‘Opinion interaction/debate’,

‘event/information’, ‘news site usefulness/credibility’ were positive effect in political

participation. ‘Convenience’, ‘A rest/enjoying’ was positive effect in political participation.

Finally, Internet self-efficacy and political trust were positive effect in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cynicism was positive effect in political participation.

Key〻words:portal news, Internet self-efficacy, political cynicism, political trust, political partic-

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