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 Upload
    arte

  • View
    242

  • Download
    8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 - 국악

Citation preview

Page 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011문화예술교육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Page 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2.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교육개발팀장 황지영

교육개발팀 노현정

등록

KACES-1140-R012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email protected]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2년 1월

연구진

연구책임자

윤명원 단국대학교 국악과 교수

공동연구자

김한순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음악 교사

윤해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 강사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age 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Page 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요약 | i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3. 연구의 방법 및 기대효과 5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 9

1. 국악교육의 의의와 방향 10

2.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과 방법적 특성 12

3. 국악교육의 현황 14

4.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 사례 분석 23

5. 국악 교육과정 및 내용 관련 연구 분석 27

6. 연령별 음악적 성장발달 및 학습방식의 특징 40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 53

1. 국악교육의 구조와 내용 54

2. 국악교육의 목표 68

3. 국악교육의 성취기대수준 74

4. 국악교육표준의 활용방안 79

Ⅳ. 요약 및 제언 83

1. 요약 84

2. 제언 85

참고문헌 87

Page 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i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표목차

<표Ⅱ-1>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

<표Ⅱ-2>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차별 지원 현황

<표Ⅱ-3> 2011년 예술강사 중 국악 강사 지원 현황

<표Ⅱ-4>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내용체계

<표Ⅱ-5> 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교 급별 목표

<표Ⅱ-6> 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년 군별 성취 기준

<표Ⅱ-7> 2009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 관련 요소 및 개념 체계표

<표Ⅱ-8> 2007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 관련 학년별 내용 체계

<표Ⅱ-9> 국악 가창 내용 체계표

<표Ⅱ-10> 국악 창작 지도요소의 체계표

<표Ⅱ-11> 산조 감상의 단계별 학습 요소

<표Ⅱ-12> 각 영역별 수업 모형에 따른 지도 내용

<표Ⅱ-13> 국악 교육 개념 체계표

<표Ⅱ-14>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음악 능력의 발달 및 음악활동과 지도

<표Ⅱ-15> 피아제와 하그리브스의 발달 단계 비교

<표Ⅲ-1> 설문 표집 현황

<표Ⅲ-2>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6, 7세

<표Ⅲ-3>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8, 9세

<표Ⅲ-4>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0, 11세

<표Ⅲ-5>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2~14세

<표Ⅲ-6>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5~17세

<표Ⅲ-7> 연령(학년) 군별 교육 내용 체계

<표Ⅲ-8> 국악교육의 목적 및 목표 설정 근거

<표Ⅲ-9> 국악 창작 지도요소의 체계표

<표Ⅲ-10>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6, 7세(초등학교 1~2학년)

<표Ⅲ-11>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8, 9세(초등학교 3~4학년)

<표Ⅲ-12>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0, 11세(초등학교 5~6학년)

<표Ⅲ-13>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2~14세(중학교 1~3학년)

<표Ⅲ-14>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5~17세(고등학교 1~3학년)

13

15

15

25

28

29

29

30

32

34

36

38

39

44

44

57

57

59

60

62

63

67

70

73

74

75

76

77

78

Page 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요약 | iii

그림목차

<그림Ⅱ-1> 문화예술교육의 영역

<그림Ⅱ-2>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의 내용 체계

<그림Ⅱ-3> 문화예술교육 체계 매트릭스

<그림Ⅱ-4> 만5,6,7세 아동이 그린‘유리항아리’부분

<그림Ⅲ-1>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

24

24

27

45

55

Page 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Page 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요약 | v

요약

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

의 문화역량 강화’에 있다. 여러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에서 국악교육 분야는

우리 전통 문화의 전승과 고양의 목적을 지닌다. 국악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고가 반영된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국악을 향유하고 전승하도록 교

육하는 것은 음악을 통해 세대 간의 문화적 소통과 민족적 정서의 공유를 가

능케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오늘날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국민들의 삶의 질 향

상을 지향하고, 교육 영역과 범주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 점차 확장해 나

가는 현 시점에서, 국악교육은 변화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재인식하

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 목적과 학습내용, 수준체계 등을 새롭게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학교교육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국악교육의

목표와 학습내용, 수준 체계는 학교라는 제한적인 공간과 제한된 학습 상황

에 맞게 설정된 것이므로 학교 수업 이외에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국악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표준이 시급히 요구

되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자들은 학령기의 어린이들과 청소

년들이 학교를 비롯한 가정, 지역사회 등에서 경험하게 될 모든 형태의 국악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국악교육 표준개발’연구에 착수하게 되

었다.

연구의 내용은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목적과 방향 모색, 2) 국

악 교육표준 체계 개발을 위한 방안 마련, 3) 학습자의 음악적 성장 발달 및

학습방식에 따른 학습 범위 및 수준 설정, 4) 학습 영역 별 목표 및 성취기

대수준 설정, 5) 교육 표준의 활용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 및 과정은 1) 선행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한 기초연구, 2) 음

악·국악 표준개발 연구자 공동회의 및 국악교육 전문가 자문, 3) 1차 국악

교육 표준 내용 선정, 4) 국악 교육 표준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시행, 5) 국

악 교육 구조와 내용, 영역에 따른 목표와 성취기대수준 제시의 순으로 진행

되었다.

연구의 결과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지침이 될

Page 1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v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콘텐츠로서 국악교육의 기본 틀을 구축하였고, 그에 따른 목적 및 목표를 설

정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학령기의 연령 군별[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 8

〜9세(3・4학년), 10〜11세(5・6학년), 12〜14세(중학교), 15〜17세(고등학교)]

로 교육 내용의 범위 및 수준 체계와 세부목표별 성취기대수준을 개발하였

다.

이번 국악 교육표준 개발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

고 있는 국악교육이 더욱 체계화되고,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부합하

는 국악교육의 방향성을 올바르게 정립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Page 1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요약 | vii

Abstract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to "enhance the people's quality of cultural life and reinforce the nation's cultural competence." There are many fields regard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to maintain and promote our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reflects the feelings, emotions and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and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educating people to enjoy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assing it down to the next generation enables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haring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by music in Korea.

Now that today's policy surround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aiming at the enhancement of the people's quality of life by enjoying arts and culture and expanding its areas and scope toward social arts and cultural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pa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eds to recognize the changing dire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o realign its objectives, curriculums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s by different age group accordingly. Currently the edu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 part of school education and therefore the content, curriculums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built based on the limited space and learning conditions of school, which is requiring more systematic standard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more diverse activities and settings not just inside school but outside such as home and local communities. Against this backdrop, the researchers commenc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tandards," which can be applied to every form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encounter in school, at home and in community.

The content of the study was focused on 1) exploring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pa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2) plann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tandards 3) setting the learning scope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learner's musical development and learning methods 4) setting the objective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s by area of learning 5) making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education standards.

The methodology/proces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1) conducted a basic study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on-the-spot survey 2) held a joint meeting between music standard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tandards researchers/developers and received consultations from experts

Page 1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viii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3) selected the content of the first-draf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tandards 4) performed a survey on the demand for standards development 5) presented the education purpose and expected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structure, content and area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eveloped a basic framework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can serve as the guide for implemen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pa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education were defined accordingly, which becomes the basis for the following areas; the scope and level of learning by age group as well as expected achievement levels by specific target (aged 6-7 (1st and 2nd grades), 8-9 (3rd and 4th grades), 10-11 (5th and 6th grades), 12-14 (middle school), and aged 15-17 (high schoo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n making the cur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par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 more systematic, and setting the future direc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line with the goal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age 1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요약 | ix

Page 1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Page 1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의 방법 및 기대효과

Page 1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우리는 인식할 수 없는 속도로 생성되는 수많은 정보들을 시·공간적

제약 없이 공유하고 교환하는, 이른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정보

화 양상으로 인하여 세계는 이미 자국과 타국의 문화적 장벽을 넘어선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변화와 관련하여 21세기를 가늠

하는 미래학자들은 정보의 교환과 공유가 빨라질수록 독특한 개성이나 창의력

의 존재 여부가 그 민족의 문화 생존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 예측

한다. 즉, 앞으로는 개성과 창의력의 확보가 민족 문화의 생존과 결부된 절실한

요건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면서 문화예술교육이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

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교육기관 및 지역사회의 예술 생활

화 지원과 관련한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제정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본격

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

의 문화역량 강화’에 있다. 최근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문화예술전문가 육성보다

는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공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문화예술교육까지 그 지원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여러 영역 중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 국악교육

역시, 그간 학교 교육에만 집중되어 있던 지원 범위가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까지 폭넓게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여러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에서 국악교육은 우리 전통 문화의 전승과 고양

의 목적을 지닌다. 국악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고가 반영된 소중한 문화유

산으로, 국악을 향유하고 전승하도록 교육하는 것은 국악을 통해 세대 간의 문화적

소통과 민족적 정서의 공유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 그 중요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악교육은 학교교육뿐 아니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써도 세대와

공간의 제한 없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국악 교육

Page 1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I. 서론|3

이 문화예술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화된 사회문

화 환경을 정 하게 분석하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국악교육의 대상이자

주체들의 공감대를 넓히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국악이 이들의 일상에 자

연스럽게 스며들고 뿌리내릴 수 있도록 교육 대상과의 교감, 접촉의 경로를 다양화

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국악교육의 정당성과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학교교육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국악교육 목표와 학습내

용, 수준 체계는 학교라는 제한적인 공간과 제한된 학습 상황에 맞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학교 수업외의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국악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표준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요컨대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을 지향하고, 교육 영역과 범주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 점차 확장해 나가는 시점

에서, 국악교육은 변화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

육 목적과 학습내용, 수준체계 등을 새롭게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자들은 학령기의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학교를 비롯

한 가정, 지역사회 등에서 경험하게 될 모든 형태의 국악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

는 일반화된 '국악교육 표준개발' 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으로서 국악교육을 실행하는 데 지침이 될 콘텐츠로써 국악교육의 기본 틀을 구축

하고, 그에 따른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며, 학령기의 연령 군별[만 6〜7세(초등학

교 1・2학년), 8〜9세(3・4학년), 10, 11세(5・6학년), 12〜14세(중학교), 15〜17세(고

등학교)]로 교육 내용의 범위 및 수준 체계와 세부목표별 성취기대수준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번 국악 교육표준 개발 연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

로 시행되고 있는 국악교육이 더욱 체계화되고,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부

합하는 국악교육의 방향성을 올바르게 정립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이 연구는 학교교육 및 사회 문화예술교육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국악교육

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국악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습자들의 학년 군

별 학습 수준에 적절한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프로그램 구성 및 실행을 위한 맞

Page 1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춤형 표준체계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목적과 방향 모색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국악 교육표준체계를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준체계 개발에 우선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목적을

고찰하고, 현대 음악 문화 속에서 국악이 지니는 의의, 음악교육의 큰 맥락 안

에서 담당할 국악교육의 역할 등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

다. 국악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명확히 하는 작업은 궁극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시행될 국악교육이 국민 모두의 풍요로운 문화적 삶을 지향하는

문화예술교육 전체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며, 더불어 현대 음악 문화

속에서 국악이 지니는 의의와 음악교육의 큰 맥락 안에서 담당할 국악교육의

역할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학교 교육과 전문가 양성 교육, 사회 문화예술교육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국악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정립하는 계기로 삼는다.

2) 국악 교육표준 체계 개발 방안 마련

현재 국내에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시행되고 있는 국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을 살펴보고,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또는 음악교육과 관련한

선행 연구 사례를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악 교육표준 개발 연구의 실제

적,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또한 교육현황의 문제점과 선행연구 사례를 통해

얻어진 시사점을 반영하여 이론적 근거와 교육의 현실성이 고려된 구체적이고 체계

적인 교육표준 체계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한다.

3) 학습자의 음악적 성장발달과

학습방식에 따른 학습 범위 및 수준 설정

국악교육의 대상이 될 학습자의 음악적 성장발달과 학습방식을 파악하고 이

를 학년 군별 음악교육의 범위 및 수준 체계를 설정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함

Page 1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I. 서론|5

으로써, 학문적 근거에 바탕을 둔 효과적이고 위계적인 국악 교육표준체계를 설정

한다.

4) 학습영역 별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설정

국악교육의 주요 활동 영역에 따른 학습 내용과 목표를 설정하고, 각 목표

항목의 연령 군별 성취기대수준을 개발하고, 목표에 근거하여 정교화한 지도

내용 체계를 제시한다.

5) 교육표준의 활용 방안 제시

개발된 국악 교육표준을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3. 연구의 방법 및 기대 효과

1) 연구의 방법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국악 교육표준은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

서 연구자들은 학문적 일반화를 위하여 문헌자료를 통한 선행연구 분석 및 국

악교육 현장의 현황 조사, 관련 분야의 전문가 자문을 거쳤으며, 음악교육과의

체계적 통일성을 위하여 음악·국악 표준개발 연구자 공동회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교육현장에서의 실제적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장교사 및 강사를 대상

으로 하는 요구조사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국악교육 표

준을 개발하였다.

Page 2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가. 선행연구 분석 및 현장조사를 통한 기초연구

선행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음악교육, 국악교육과 관련된 국내외의 전문

서적을 비롯한 학술지 논문, 학위논문 등을 대상으로 이론적, 실천적 연구 결

과들을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

악교육의 성격 및 가치를 개념화하고 교육표준개발의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현장조사에서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학교 및 사회교육기관, 사설교육기관

등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악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국악교육의 현황을 파악

하고, 운영상의 문제점, 학년에 따른 학습 수준 및 분량, 음악 실기를 위한 도

구 및 자료 준비 상황, 학년과의 연계 수준 등을 점검하였다.

나. 음악·국악 표준개발 연구자 공동회의 및 국악교육 전문가 자문

국악 교육은 음악 교육이라는 큰 영역의 한 부분에 해당하므로 국악 교육표

준은 체제와 내용에 있어 음악 분야 교육표준과의 통일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내 2개 분야인 음악 분야와 국악 분야의 표준체계 통일

을 위하여 공동회의와 협동 연구를 통한 음악·국악 공통 교육표준체계를 설정하였

다. 공동 연구의 일환으로 음악·국악 교육표준개발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공동회의

를 실시하고 토론을 통한 브레인스토밍을 수행하였다. 또한 음악교육·국악교육 전

문가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표준개발에 관한 인터뷰 형식의

자문을 수차례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음악교육과 국악교육의 표준 구조와

체제를 구성하는 각 항목에 관한 통일된 기준을 설정하고, 국악 교육표준에서 제시

할 성취기대수준에 관한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수집하였다.

다. 1차 국악 교육표준 내용 선정

앞선 기초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현장성을 반영하고 공동 연구와 전문가 자문

을 통해 얻은 시사점들을 종합하여 1차적으로 국악 교육 목표와 내용을 탐색,

선정하였으며, 국악 교육표준 개발의 구체적인 방안과 표준의 구조 및 체계를

설정하였다.

Page 2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I. 서론|7

라. 국악 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시행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될 국악교육 표준체계는 학교 교육, 사교육기관, 사회

문화예술기관 등 모든 국악교육 현장에서의 국악교육 활동을 포괄한다. 즉, 실

효성 있는 국악교육표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악교육 환경 속에서 요

구되는 현실적인 국악교육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하는 작업이 필요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양한 국악교육 현장에서 국악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수, 교사, 강사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 요구조사를 실시하였

다.

요구조사는 델파이기법의 설문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각 연령 군별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음악적 성장발달과 학습방식의 특성에 비추어 어느 범위와 수준

의 국악교육 경험 및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한지 그 정도를 표기하도록 하

였다. 요구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반영하여 1차적으로 설정한 표준의 목적

및 내용을 재조정하고, 학년 군별 성취기대수준의 설정에도 반영하였다.

마. 국악 교육 구조와 내용, 영역에 따른 목표와 성취기대수준 제시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성격에 알맞은 국악교육의 개괄적인 목적과 활동

영역별 내용 및 목표 체계를 마련하고, 국악교육의 목적 및 활동 영역에 따른

연령 군별(학년 군별) 성취기대수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년 군별 성취기대수

준은 각 학년 군별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음악적 성장 발달과 학습능력에 따라

계열화하도록 하였다.

2) 연구의 기대효과

이 연구는 학령기 어린이들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각 연령에 적절한 국

악 학습 내용과 성취기대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문화예술교육으

로서의 국악교육을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Page 2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첫째,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국

악교육표준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 한정되어 있던 국악교육의 범위를 확

장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영역으로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학년 군별 음악적 성장 발달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내용과 성취기대

수준을 단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교육을 체계화하고, 국악교육 내용체계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국 공통의 문화예술교

육으로서 음악 교사들이 음악교육을 수행하는 데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국악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악교육 표준개발에 앞서 현재 국악교육이 문화예술교육

의 영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범위와 양상, 효과 등을 점검하는 기초연구가 선행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국악교육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들과 여러 전문가들은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게 될 것이므로 이러

한 연구과정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올바른 국악교육의 방

향성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이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국악 교육표준은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일환

으로 시행되는 모든 국악교육 활동의 지침이 될 것이므로, 사회 문화예술교육

으로서의 국악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고 체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개발되는 국악 교육표준은 문화예술교육 차원에서 학교와 개인 또는

지역 사회가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목표와 그에 따른 활동 영역, 성취기대수준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교육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국악교육 프로

그램 구성 및 교육자료 개발의 지침으로 활용될 것이다.

Page 2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

1. 국악교육의 의의와 방향

2.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과 방법적 특성

3. 국악교육의 현황

4.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 사례 분석

5. 국악 교육과정 및 내용 관련 연구 분석

6. 연령별 음악적 성장발달 및 학습방식의 특징

Page 2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1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

1. 국악교육의 의의와 방향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1)은 문화예술2)(문학, 미술, 음

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및 출판) 및

문화산업3), 문화재4)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정

의된다. 제시된 여러 문화예술 영역들은 서로 다른 매개체를 통해 발현되지만

모두 사람의 정서와 사고를 반영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문화예술교육은 무한으로 치닫는 경쟁과 개인 또는 세대 간의 단절로 대표되

는 현대 사회의 왜곡된 삶을 문화예술적 상상력과 감수성, 공감능력으로 회복

하려는 시대적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지식정보화 사회의 본격적인 도래와 더

불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유연한 사고력을 기르는 것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이 되었고, 아울러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뛰어넘는 다문화 시대에 갖추어

야 할 필수 덕목인 타인, 타문화와의 소통 능력을 키우는 좋은 밑거름이 되기

도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음악교육 또한 이와 같이 다양한 차원에

서 제기되는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적 요구에 제대로 조응하기 위한 노

력이 필요하다. 또한 오늘날 우리 사회의 음악 문화적 환경 속에서 과연 우리

의 민족음악인 국악을 전승, 발전시키는 것이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가에 대하여 다시금 고민해보아야 할 시점이다.

음악은 예로부터 인간의 삶에 크고 깊은 영향을 끼쳐 왔다. 사람들은 음악

1) 문화예술교육 기본법에서 발췌. 이 법은 2005년 12월 29일에 법률 제7774호로 제정되었고, 2011년 6월 11일

에 2차 법률 제10789호로 개정되었다. “문화예술교육”은 이 법의 제2조 제1항에서 그 정의를 규정하고 있다.

2)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 이 법에서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및 출판을 말한다.

3)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2조 제1호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 “문화산업”이란 문화상품의 기획·개발·제작·생산·유

통·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산업을 말한다.

4)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것으로,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

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문

화재를 말한다.

Page 2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11

활동을 통해 의미를 발견하고 아름다움을 경험하면서 기쁨과 즐거움을 얻고,

자신의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음악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인식함

으로써 자아실현의 가능성과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왔다. 그런 까닭에‘음

악’은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동서양 모든 나라의 교육에서 기본과목의 하나로

중히 여겨졌다. 신라의 화랑교육에 시와 노래가 포함되어 있었고, “고려의 仙家

교육과 조선의 선비교육에서, 중국의 儒家(백성 교화를 위한 도덕적 음악론)와

道家(순수 정감에 호소하는 자율적 음악론)교육”에서도 음악은 중히 여겨졌다.

서양에서도 고대그리스의 시민교육에서부터 근대 공교육의 시대와 현대의 교육

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기본과목에 속해 왔다. 그것은 고금동서의 철학자와 교

육학자들, 그 시대의 그 사회가 음악의 인간 교육적 가치를 인정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국악은 오랜 시간동안 우리 땅에서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를 담아 형성되고

전승되어 온 음악으로서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무형의 문화유산으로, 우

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문화예술 영역과

구별된다. 국악을 향유하고 전승하도록 하는 것은 음악을 통한 세대 간의 문화

적 소통과 민족적 정서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전통과 현대의 조화는

문화 간 소통을 중시하는 새로운 시도와 실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부 및 사

회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이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따라서 문화적 정

체성을 내포하고 있는 전통음악의 의미를 되살리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탐색

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음악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

어야 한다.

더불어 앞으로의 국악교육이 문화예술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

기 위해서는, 먼저 변화된 사회문화 환경을 정 하게 분석하고 이러한 환경 속

에서 살고 있는 국악교육의 대상이자 주체들의 공감대를 넓히려는 노력이 무엇

보다 절실하다. 국악이 이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 대상과의 교감, 접촉의 경로를 다양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국악교

육의 정당성과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Page 2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1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2.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과 방법적 특성

1)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

국악교육은 국악을 경험하고 학습하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내용으로 구분하면 크게 국악 경험과 국악 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

악 경험은 악곡의 미적 표현 및 향수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국악 학습은 실제

적인 악곡의 표현 및 향수 활동과 그에 필요한 능력의 습득, 국악의 개념 및

원리 이해, 국악적인 심성 및 태도 형성 등으로 이루어진다.

국악 경험으로서 악곡의 미적 표현 및 향수 활동은 성악곡과 기악곡, 학습창

작곡 등 다양한 종류의 국악곡을 통하여 국악의 의미를 생각하고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표현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뜻한다. 이러한 활동은 국악곡의 주체적

맥락(개인적・사회적 삶)과 시대적・사회적・문화적 맥락, 음악사적 맥락을 탐색

하고 탐구하는 과정과 함께 심미적인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국악 학습으로서의 활동은 국악을 표현하고 향수하는 일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하기, 악곡 창작하기, 감상・비평하기 등을 뜻한다. 이러한 활동에서

는 국악 활동을 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감각 및 능력과 기초적인 기능을

필요로 하며, 더 나아가 개성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질적 향상

이 이루어지기를 요구한다. 따라서 음 감각과 국악의 기본 능력, 기초 기능 등

을 습득하고 향상시키도록 하는 일,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음향을 통해 창의적

으로 수용하고 표현하도록 하는 일 등은 중요한 교육 내용이 된다.

국악 이해는 국악 용어와 요소 개념, 국악곡의 구성 원리 등을 비롯하여 국

악의 본질 및 속성과 악보 체제, 한국음악사 등에 관한 이해를 뜻하며, 실제적

인 국악 경험과 더불어 이루어지는 탐색 및 탐구, 맥락의 파악 등을 통한 포괄

적인 국악 이해를 뜻한다. 국악교육에서 강조되는 국악 이해는 추론적 이해만

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예술 경험으로서의 국악 이해는 명제적 접근

(propositional approach)에 의한 국악 이론 및 국악에 관한(about) 지식의 획

득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개념적이고 논리적인 이해와 더불어 절차적 접근

(procedural approach)에 의한 과정적이고 경험적 습득, 그리고 정황적 맥락

의 이해가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악 이해는 느낌과 사고, 연상 및

Page 2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13

상상 등의 내적 작용을 핵심으로 하는 국악의 실제적 경험과 탐색 및 탐구를

통한 이론과 지식의 이해가 중요한 교육 내용이다.

국악적 심성 및 태도의 함양은 국악의 역할과 가치를 인식하게 하며, 생활

속에서 국악을 활용하도록 하는 등의 일을 뜻한다. 이러한 심성 및 태도의 함

양은 그 자체 내용의 학습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니며, 국악을 미적

으로 경험하고 학습하고 생활화하는 가운데 내면화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든 형태의 국악 경험과 학습이 국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에 관한 내적 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되는 것이 중요하며, 경험과 학습의 과정에서 적절한 국악

적 환경과 교재 악곡을 제공하면서 미적 경험을 위한 내면의 작용을 고무하고,

문화예술 생활의 의의와 가치를 강조하며, 학생들의 국악 경험의 질적 진보와

향상을 격려하는 등의 교육적 배려가 중요해진다.

<표 Ⅱ-1> 국악교육의 내용적 특성

경험 : 국악곡의 미적 표현 및 향수 ◦ 다양한 종류의 국악곡 - 성악곡, 기악곡, 학습창작곡 ◦ 국악곡의 맥락 -주체(개인적・사회적 삶), 시대적・사회적・문화적 맥락, 국악사적 맥락

학습 : 활동 ◦ 노래 부르기 ◦ 악기 연주하기 ◦ 악곡 창작하기 ◦ 감상・비평하기

학습 : 이해 ◦ 국악용어・요소개념・악곡구성 원리 ◦ 국악의 본질과 속성 ◦ 악보 체제 ◦ 한국음악사

학습 : 심성·태도(생활화) ◦ 국악의 역할・가치 인식하기 ◦ 생활 속에서 국악 활용하기

2) 국악교육의 방법적 특성

국악교육은 국악 미적 경험과 그러한 경험을 통한 학습이라는 예술교육의 성

격적 특징 때문에 감각과 감성, 감정과 정신 등의 내적 작용이 교육의 전체 과

정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국악교육

에서는 국악의 미적 경험과 학습이 기본적으로 느낌과 사고, 상상과 통찰, 판

단과 창조 등의 내면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방법적 특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국악 미적 경험은 표현과 향수 활동에서 스스로 다루거나 수용하고 있

는 음 현상과 악곡으로부터 가지게 되는 느낌과 인식, 통찰, 소통, 적용 등의

Page 2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1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국악적 능력 및 국악적 심성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

한다. 그리고 국악적 능력의 습득 및 향상과 관련되는 활동과 이해의 학습은

주로 사고와 연상 또는 상상, 탐색 또는 탐구, 연마, 적용 등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국악 미적 경험의 양상 및 국악적 심성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한

다. 또한 국악적 심성 및 태도의 함양과 관련된 간접적인 학습은 느낌과 인식,

통찰, 연마, 적용, 소통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국악 미적 경험의 양상과 국악

적 능력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한다.

국악 경험과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내면 작용들이 여러 형태로 연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은 음과 악곡을 표현하고 향수하는 모든 순간에 국악 미적 감수

성, 즉 국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에 대한 지각과 반응이 접합 작용을 하기 때문

이며, 국악교육은 결국 국악 미적 감수성을 기르는 동시에 그것을 사용하는 방

법상의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3. 국악교육의 현황

1) 국내 교육 현황

가.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1998년 7월 2일 대통령 주재 국정과제 점검회의에서 학교 전통문화 소외현상

이 제기되어 학교 국악교육 정상화를 위해 전문국악인이 학생들의 국악교육을

지도하는 국악 강사풀제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사업 분야가 확대되면서

2005년 법률 제 7774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제정되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이 설립되었고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가‘체육․예술 교육 내실화 방안’을 발표

하여 예술강사 파견제도가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현재 문화예술교육진흥원

과 교육과학기술부가 연계하여 국악, 연극 등 8개 분야가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분야별 전문 인력의 학교 방문교육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통한 문화적 소양인 및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초중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8개

Page 2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15

분야 예술강사 배치와 예술강사의 수업을 위한 분야별 기자재 지원(분야별 신

규 운영학교에 한함)이다.

가) 예술강사 지원사업 현황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중 국악 분야는 2000년부터 지원되었고, 연극 분야는

2002년부터, 영화 분야는 2004년부터, 무용과 만화․애니메이션 분야는 2005년

부터, 공예와 디자인 그리고 사진 분야는 2010년부터 지원되었다. 그동안 추진

된 예술강사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Ⅱ-2>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차별 지원 현황

연도 구분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학교수(개) 533 656 1,210 3,299 4,357 3,214 2,445 3,157 3,689 4,799 5,436 5,772

강사수(명) 750 608 1,035 1,055 1,231 1,628 1,431 1,764 2,243 3,483 4,156 4,003

특히 2011년에는 특수 및 대안학교를 포함한 전국 초․중․고 11,630개의 학교

중 5,772개의 학교에 예술강사를 지원하여 49.6%의 지원율을 보였다. 학교 급

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71.7%, 중학교는 17.8%, 고등학교는 8%, 대안․특수학교

는 1.8%가 지원되었다. 수혜를 받은 학생은 전체 7,236,248명 중 1,991,749명

으로 전국의 전국 초․중․고등학생의 27%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수혜를 받

았다. 배치 강사 수는 4,003명으로 강사 1인당 2.15개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을 담당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중 국악 강사의 지원 현황은 전국의 3,685개 학교에 1,793명의 국악 강사

가 지원되었다. 각 지역별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Ⅱ-3> 2011년 예술강사 중 국악 강사 지원 현황

구분 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합계

학교수 264 503 329 330 125 120 139 230 320 115 114 272 312 85 243 184 3,685

강사수 122 191 94 174 57 84 72 113 203 60 100 137 150 47 108 81 1,793

Page 3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1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나) 지원 교과 및 교육과정

학교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를 지원하는 교과 및 교과과정은 기본교과, 선택

교과, 창의적 재량활동, 계발활동,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 중학교에서 신청한

교과 및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교육과정 내 복수지원도 가능하다. 하지만

방과후 학교 및 특기적성 교육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학교당 연 30~630시수로

총 533,820시수를 지원하고 있다.

각 학교 급별 지원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 재량활동, 계발활동,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

교과, 재량활동, 계발활동,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

교과, 재량활동, 계발활동,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

다) 학교 밖 연계 프로그램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학교 밖의 문화예술교육과도 연계하여 다

양한 연계 프로그램 지원사업도 하고 있다. 지역 내 문화시설을 활용하여 강사

파견 대상학교의 수업성과 발표회 등을 하여 국악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파견강사들이 참여하여 소규모 학교방문 공연 활동을 통해

학교 교사, 학생 등에게 다양한 국악공연 체험 기회 마련을 위한 사업도 한다.

더불어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국악공연 중 학생들의 수업과 연계성 있는 작품

에 대한 현장체험 교육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

의 효과와 수월성을 높이고자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다.

라)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문제점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중 국악강사 지원사업은 학교 국악교육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학교 국악교육의 양적 확대를 가져오는 결과

를 가져왔다. 하지만 교육학 및 교육과정을 잘 모르는 실기 강사가 학교 기본

교과도 가르쳐 국악 교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국악 강사들

도 공유할 수 있는 국악 교육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악강사 지원사업이 학교 교과 및 교육과정에만 지원이 되고 학교에서 이루

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인 방과후 교육활동이나 특기적성 교육에는 지원되지 않아

Page 3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17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이 소홀해지는 경향이 있다.

나.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5)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2011년도에 수행한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

업에 관한 현황이다.

가)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① 아동양육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아동 양육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청소년들에게 문화

예술을 체험, 학습,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나누는 방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국악, 연극, 영화, 무용, 음악, 미술 등 6개의

전문 분야의 예술강사를 파견하고, 연간 30회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각

기관 및 참여자의 환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문화예술교

육이 펼쳐질 수 있도록 예술강사와 시설의 긴 한 협조를 이루어 가고 있다.

② 노인․장애인 복지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전국 각 지역의 노인․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어르신 및 장애인에게 문화예

술을 체험, 학습, 향유할 수 있는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각 복지기관에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3개 분야(음악, 연극, 무용),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아동과 부모에게 2

개 분야(무용, 음악)의 교육을 연간 30회 진행하고 있다.

나) 군/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례

① 군 문화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교육을 접하기 어려운 군․장병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내․외부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단체생

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기계발의 기회를 제

5)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http://www.arte.or.kr/business/eduSociety2011.jsp

Page 3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1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공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방부가 협력 실시한 수혜시설 수요조사를 바탕

으로 사업을 공모하고, 선정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군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

도록 지원하고 있다.

②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회복귀를 준비하는 교정시설 수형자와 소년원학교 재학생들에게 문화예술

교육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를 부여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자기

계발과 취미생활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교

정시설 수형자들에게는 단체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 완화 및 자존감 강화, 소

년원학교 재학생들에게는 청소년기의 창의적 자기계발 및 인성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는 정책 사업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법무부가 협력하여 수혜

시설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사업을 공모하고, 선정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있다.

다) 시민 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① 문화예술교육형 사회적 기업 육성 지원사업 ‘별별솔루션’

사회적 기업의 사업운영기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사업영업을 개

척․실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지역공동체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사회적 기

업의 육성 환경을 조성시키기 위한 정책 사업이다. 사회적 기업이‘지역’,‘문화

예술교육’, 넓게는 사회의 이슈 및 문제를 재인식하고 문화예술교육적 해법을 적

용함으로써 공공의 문제를 문화적으로 함께 해결해 나가고자 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산업단지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사업 ‘행복충전소’

산업단지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공단 근로자들의 삶의 질 개선과 생산

성 향상, 근로자간 교류를 통한 소속감 고취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산업단지 입주기업 CEO 및 근로자가 직접 만드는 문화예

술 행사를 통해 자긍심을 높여 서로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다. 단지별로 특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시행, 공연형 창작 콘텐츠개발 및 종합발

표회 개최 등 문화적 요소 도입을 통한 감성경영을 추구한다.

Page 3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19

③ 시민 문화예술교육 모델개발 및 인큐베이팅

소외 계층 중심이 아닌, 전 국민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참여 대상의 다양화/프로그램의 다양화/지원체계 구축 등 다양

한 모델 개발 및 파일럿을 운영하는 사업이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사업운영단

체에서 신규 모델 기획 및 파일럿 프로젝트의 운영을 지원한다.

라) 소외아동청소년 문화예술 돌봄 프로젝트

① 청소년 감성 키움 프로젝트 ‘상상학교’

청소년들이 청소년 수련관 및 청소년 문화의 집 등의 방과 후 활동을 통해

예술 분야에 대한 감성을 키우고 예술가가 되어 직접 무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공연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며

타인과의 소통, 미래에 대한 뚜렷한 목표설정과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11년 서울, 인천, 대전, 경기 총 4개 지역에서 음악, 국악, 뮤지컬, 연극, 무

용 분야의 공연 창작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② 오케스트라 교육 지원사업 ‘꿈의 오케스트라’

지역문화재단-교향악단이 협력하여 지역사회형 오케스트라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으로, 음악영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교육과 달리, 음악의 즐거움을 나누며 하

모니를 이루어내는 전국 단위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지원한다.‘배우고 가르치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 교육’을 지향하는 ‘꿈의 오케스트라’는 2010년부터 시작

했으며, 2011년 8개 지역에 오케스트라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한국형 엘

시스테마 실현을 위해 핵심강사 양성 및 교수법 개발, 국내 관계자 및 기관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③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창의예술캠프는 다양한 아동․청소년(다문화, 새터민, 차상위 계층 등 포함)에

게 새롭고 흥미로운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이 직접 기획, 운영하고 있다. 낯선 공간에서 아티스트와 함께 놀며, 작

업하는 경험을 통해 예술을 즐기고 입체적․심미적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2011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기간에 총 4회에 걸쳐 진행

Page 3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되고 있다.

마)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평가 컨설팅

문화부와 16개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역 주민들이 생활권 내에서 다양한 방

법을 통해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학습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발

굴․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문화격차를 해소해나가는 정책 사업이다.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활동평가 및 사업운영단체 컨설팅 실행, 학습공동체 운영 및 콘텐츠 제작

지원,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을 운영하고 있다.

이상 국내 국악 교육의 현황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의 국악 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교육과정에 편제되어 학교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학교 문화예술교

육 지원으로 예술강사에 의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며,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으

로 다양한 사회 문화예술기관에서 예술강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여러 교육기관에서 학교 교사나 예술강사에 의해 국악 교육이 이루어

지다 보니 통일된 국악교육 표준이 필요하다. 국악 교육과 관련된 표준은 국가

교육과정으로 음악 속에 포함되어 제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국악 교육만을 위한

통일된 교육 표준이 없다.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세

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도 학교

와 사회 교육기관뿐만 아니라,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기관에서 적

용할 수 있는 국악 교육표준을 개발해야 한다.

2) 해외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시사점

가. 미국의 사회 문화예술교육

미국의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예술을 21세기에 적합한 노동력의 창출과 경제

개발 수단이라 여기고, 1999년 이후 ‘예술기반 교육’과‘예술중심 커리큘럼’등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국립예술기금(NEA)은 예술인들을 중심으로, 방과 후와

주말, 방학 기간 중에는 청소년들을 위하여, 그리고 야간에는 평생교육을 받고

Page 3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21

싶어 하는 일반인들을 위하여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운용하였다.

나. 영국의 사회 문화예술교육

영국에서는 방과 후 시간의 문화예술 활동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악기

나 성악교습 그리고 단체 음악활동을 위해서 정부가 적극 지원해 주고 있으며,

외부 음악전문가 집단 및 기관 간의 협력체계가 강화되고 있다. 예술위원회에

서 주관하고 있는 ‘Art Award’제도는 여러 장르의 문화예술 활동에 학생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에 수상 제도를 두어 특히 소외 계층 학생

들에게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오래 전부터 예체능 분야에 특별한

재능을 가진 8-16세 학생들이 집과 가까운 곳에서 전문 교육을 받을 수 있도

록 음악 컨서버토리와 전문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정 형편에 따라 전

액 또는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 독일의 사회 문화예술교육

독일에서는 20세기 초반, 기성세대에 반기를 들며 청소년 스스로가 능동적으

로 자기를 형성해 나아가는 ‘자기 교육’을 중심으로 ‘청소년 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 ‘청소년음악운동’은 독일의 민중음악교육자인 프리츠

외데(Fritz Jöde, 1887-1970)에 의하여 전개되었다. 이 운동은 그 동안의 예

술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개인의 예술적 잠재력보다는 예술의 사회적 관

계를 더 중시한다. 독일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은 청소년 복지라는 측면에서

교육정책이 수립되고 있는 데에서도 잘 나타난다. 독일의 교육은 ‘학교 교육’과

‘학교 밖의 교육’으로 나뉘며, 전자는 ‘문화부’에서 후자는 ‘예술관청’및 ‘가정․노인․여성․청소년부’에서 담당한다. 독일 정부는 특히 전인교육과 감성교육의 차원

에서 음악교육을 매우 중시하고 있는데, 청소년 교육에 기여하고 독일 음악문

화의 장려와 성장에 절대적으로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 프랑스의 사회 문화예술교육

프랑스는 1,000여개의 예술 아틀리에를 통하여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여기에 예술가 및 문화전문가들이 학교 교육에 직접 참여하여 지도를 하고 있다.

Page 3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중, 고등학교에서는 아틀리에를 통한 선택 예술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3,000여개

의 예술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는 문화예술교육정책 5개년 계획을 통해

1,000여개의 예술아틀리에와 2,000개의 예술수업계획, 1,000여개의 합창단을 창설

하는 등의 구체적인 교육과정들을 제시하였다.

마. 일본의 사회 문화예술교육

일본의 지역 기관들은 지역별 축제 문화가 활발한 일본의 특성을 살려 지역

적 특색이 강한 전통 예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방과 후 교실을 마련하고 있다.

일본의 문화예술교육이 지니는 가장 큰 특징은 지역사회가 학교 교육에 적극

참여하여 학교의 예술교육을 돕고 있다는 것이다. 문부과학성은 교육과 문화,

스포츠의 진흥을 위하여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다.

바. 해외 사회 문화예술교육 현황의 시사점

위 외국의 사회 음악교육기관들의 상황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사회 음악교육

기관들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 음악문화의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 단위별로 많은 공공 음악학교를 설립

하고, 이 음악학교들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본부를 창설하여 효과적인 음악

프로그램을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공공장소와 시설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원하는 모든 시민들에게 음

악활동의 기회를 개방함으로써, 보고 듣는 수동적인 음악활동 외에도 직접 참

여하는 적극적인 음악활동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처방으로 법제상의 장치

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앞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정부가

예술문화행정의 중요한 공식 업무의 하나인 사회음악문화의 성장을 위한 프로

젝트에 생활음악이라는 개념을 수용하는 것이고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며, 또한

시민의 입장에서는 생활음악문화가 일상생활과 괴리된, 자신과 관계없는 것이라는

인식을 버리는 것이다. 즉, 생활음악문화는 우리 사회의 일상적 양상이고, 생활음

악환경은 음악적 일상생활이 영위되는 보통 환경이라는 인식을 정부와 지역 당국,

시민 모두가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Page 3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23

창작의 예술들(예술적 창작) 소통의 예술들(언어로서의 예술)

재료들, 기술들, 예술적 의사결정 예술적 천명, 표현, 해석

연속성의 예술들(역사로서의 예술) 비평의 예술들(미학)

시간, 전통, 양식 개념화하기, 비판적 분석, 문제해결하기

맛보기, 친숙화, 지각훈련

(1,2단계: K-6학년)

역사적 인식

(3단계 : 7-9학년)

범례적 감상과 비평적

분석(4,5단계 : 10-12학년)

학습과 교육은 맛보이기, 친숙화, 지각훈련으로부터 역사적 인식, 범례적 감상, 그리고 비판적 분

석에 이르는 경로를 밟는다. 이 때 발견과 수용학습, 교육적 거들기, 그리고 대화적 교습방법들이

강조된다. 미적 학습의 평가는 미적, 개념적 지도들을 발전시키고 그것을 행하도록 유도하는 조건

들에 집중한다.

4.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 사례 분석

1) 국내 문헌 연구

국내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문헌 및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

종백6)은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원리를 사고의 제약풀기, 프레밍하기, 실패의 두려

움 극복하기, 인지적 도구의 활용으로 들었으며, 윤현옥7)은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이

관찰-감각-인지-발발-아이디어-구체화-분석-조정-종합-놀이-평가로 이루어져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모든 과정에서 푼크툼8)은 학생들을 일깨우고 스스로 움

직이게 만든다고 하였다. 즉, 문화예술에 대한 개인적인 감성 및 느낌이 중요하다

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김문환9)은 Ralph Smith의 이론에 기초하여 예술교육의 교육과정을 미적 학

습의 차원에서 제안하면서 그 일반 목표를 인문학으로 상정된 예술개념들과 기

법들의 교육에 의해 예술적 사항들을 문화적으로 감을 잡도록 육성하는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6) 김종백, 위의 책, pp.78-86

7) 윤현옥, ‘지정토론1. 예술교육은 의미만들기인가’,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11, p.90

8) 푼크툼이란 "로랑 바르트"의 마지막 저서인 "카메라 루시다"에 언급된 용어로, 타인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사진

이 자신에게는 가슴을 찌르고 오랫동안 응어리가 지는 요소를 푼크툼이라 하였다.

9) 김문환, 문화교육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p.43

Page 3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그림 Ⅱ-1> 문화예술교육의 영역12)

김선아는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이란 무엇을 배우고 가르쳐야 하는지를 지시하고

규정하는 체계가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에 대하

여 공동의 목적을 구성해가는 의사소통을 위한 공식적 제도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

으며10), 서예원은 학교와 사회의 환경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

육을 제시하였다.11)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은 감각 체험의 통합, 문화예술 장르 간

및 인문․사회 과학 등의 일반학문과 예술과의 통합, 생활세계와의 통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에 대한 감수성과 민감성을 기름으로써 감각을 활성화하고, 문

화예술 장르 간 또는 다른 학문이나 생활과 문화 예술과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비

판적으로 사고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황금숙은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을 체험, 이해, 소통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

하고 있다.13)

그는 체험, 이해, 소통에 8개 예술

분야(국악, 독서, 무용, 미디어, 미술,

만화‧애니메이션, 연극, 음악)를 연결

하여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의 내

용체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Ⅱ-2>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의 내용 체계14)

10) 김선아,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의 명암’,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135

11) 서예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p.138-148

12) 황금숙 외, ‘방과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문화에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200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P.69

13) 황금숙 외, ‘방과후 학교를 위한 통합형 문화에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200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P.69

14) 황금숙 외, 앞의 책, p.57

Page 3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25

예술교육의 실제

◦ 내용 이해 ◦ 감상과 비평 ◦ 창조적 재구성 ◦ 창작

지식의 이해

◦ 예술의 본질과 속성

◦ 예술의 양식과 갈래

◦ 예술의 역사

매체의 활용

◦ 몸의 매체 활용

◦ 시각 매체 활용

◦ 청각 매체 활용

◦ 언어 매체 활용

문화적 맥락

◦ 상황적 맥락 ◦ 예술적 맥락

황정현은 문화예술교육의 수준을 설정할 때 생물학적 발달과 사회문화적 과

정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고, 학습자의 발달 과정에 있어서 인지적 발달과 정서

적, 감각적 요소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학습자를 스

스로 자신의 삶을 구성해 나가는 발달 주체로 간주하고 문화적이고 개인적인

특수성 및 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각 영역의 세부적인 특성에

따라 결정적 시기와 함께 문화적 소통을 통한 발달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전 생

에 걸친 영향도 고려15)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의 내

용체계를 <예술교육의 실제-지식의 이해-매체의 활용-문화적 맥락>으로 제안

하고 각 영역의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으며,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라 통합형과 통합선택형의 수준별 교과목 편성을 제안하고 있다.

<표 Ⅱ-4>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내용체계16)

지난 8월 27일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 협의회에서 토론된 각 영역

별 과정을 살펴보면, 영화교육에서는 그 내용영역 체계를 이해, 적용, 창조, 사

회문화적 기여로 구분하였다. 디자인교육에서는 교육방법으로 탐색/체험, 발견

/인식, 발상/상상, 소통/공유로 구분하였고, 무용 교육은 수행, 창작, 감상, 소

통으로 영역을 구분하고 방법으로 체험, 탐구, 확장의 단계를 거친다. 연극분

야는 연극교육의 범주를 언어, 신체, 음악적 요소, 시각적 요소로 나누고 교육

15)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p.69

16) 황정현 외, 위의 책, pp.93-100.

Page 4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방법을 직관/관찰/체험, 탐색/발견/인식, 발상/상상/창의, 소통/공유로 구분하

였다. 사진 교육에서는 목표를 사진 도구와 과정의 이해, 창의적 표현과 소

통, 역사 문화 사회적 맥락의 이해, 분석과 평가 감응, 타 장르/타 교과와의

관계 설정으로 두고 이를 위한 활동영역을 테크놀로지, 탐색, 창작, 소통으로

선정하였다. 미술교육은 내용을 주제, 방법, 형식, 기능, 통합으로 설정하고 활

동과정을 창작하기와 비평하기로 제시17)하였다.

2) 해외 문헌 연구

폴라니(Polanyi)는 예술 교육이 스승과의 개인적인 만남과 신뢰, 그리고 그의

시범과 노력 자체를 관찰하고 따라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도제 교육의 특성을

강조18)하였다.

미국교육과정평가원 예술교육 체계를 위한 프로세스는 예술이 모든 어린이에

대해 완전히 개발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믿는 사회의 비전 위에 예술의 과정

을 창작→실행→감응으로 보고 예술의 체계 매트릭스19)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학생들이 예술적 창작, 실행, 그리고 감응을 사용할 때 그들은 의미를 만들

기 위해 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이해를 흡수한다. 기술의 획득과 응용은

프로세스의 품질을 결정한다. 필요한 기술이 없다면 창작, 실행, 감응도 일어

날 수 없다. 예술에서의 창작, 실행 그리고 감응이라는 전체 프로세스에서, 학

생들에게는 지식과 기술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미국교육과정평가원 예술교육 체계를 위한 프로세스 중 음악에 대한 연구21)

에서 음악은 소리를 매개로 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예술적 표현의 한 형태이다.

음악 프로세스들은 창작(작곡과 즉흥연주), 실행(연주, 노래 그리고 지휘), 그

17) 위의 내용은 8월 연계회의에서 발표된 타 분야의 미확정된 연구 내용으로, 다른 예술 분야와의 학문적 연계와

체계적 통일성을 위하여 참고하였다.

18) Polanyi, M, (1962), Personal Knowledge :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NAEP, 2008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293

20) NAEP, 2008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293

21) NAEP, 2008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p.295-298

Page 4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27

<그림Ⅱ-3> 문화예술교육 체계 매트릭스20)

리고 감응(청취, 움직임, 분석 그리고

비평)을 포함한다. 음악은 유일한 기호

를 사용한다. 음악의 실행은 지적 인식,

느낌/감정, 그리고 정신적 기술의 종합

적인 개발을 요구한다. 여기에서 창작은

즉흥연주, 작곡 또는 음악을 배열하는

것을 말하며, 실행은 악기로 연주하거나

노래하거나 음악을 연주 또는 지휘하는

것을 말하며, 감응은 음악을 인지하고

분석하고 비평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

다. 모든 예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악에서의 지식과 기술은 서로 접하게 얽혀 있

다. 음악 지식은 음악의 내용, 음악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음악적 프로세스를 포

함한다. 음악적 기능은 그들이 음악을 창작하고 실행하고 감응에 의해 알고 있는

것을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은 그들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새로운 창작 또는 실행으로 변형하기 위한 학생의 물리적 능력

이다.

미국교육과정평가원은 학생의 성취도에 대한 기대로서 그 단계를 음악 초급

단계, 음악 숙련 단계, 음악 고급 단계로 설정하여 4학년은 창작과 실행의 과

정에 대한 기준을, 8학년과 12학년은 창작, 실행, 감응에 대한 기준22)을 제시하였

다.

5. 국악 교육과정 및 내용 관련 연구 사례

1) 교육과정 연구

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23)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2011년 8월에 공시되어 2014년부터 시행될 예

22) NAEP, 2008 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p.311-321

23) 교육과학기술부(2011), 『음악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12]에서 발췌.

Page 4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2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영역 내용체계성취기준

초등학교 3~4학년 군 초등학교 5~6학년 군 중학교 1~3학년 군

1. 표현

1-1.바른 자세로 표현하기

(1)바른 자세로 노래 부를 수 있다.

(1)바른 자세와 호흡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1)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음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2)바른 자세와 주법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2)바른 자세와 주법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2)바른 자세와 주법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1-2.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1)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아기를 연

(1)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아기를 연

(1)7~9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르거나 아기를 연

정이지만 이 연구의 결과가 사용될 때에는 이 교육과정이 시행될 것이기에 먼

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목표와 성취수준 그리고 국악 관련 개념

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음악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안목을 키움으

로써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음악 교과는 음악적 정서와

표현력을 계발하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여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창

의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 시민으

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이 되는데 기여한다.”라고 제시하고 있다.

음악 교과는 공통 교육과정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만 편제되어 그 학교 급별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Ⅱ-5>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교 급별 목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기초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다.

가.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나. 음악의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다.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음악을 활용하는 태도를 갖는다.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제되어 동일 비교가 어려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년 군별 성취기준은 다음

과 같다.

<표 Ⅱ-6>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년 군별 성취 기준

Page 4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29

주할 수 있다. 주할 수 있다. 주할 수 있다.

(2)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할 수 있다.

(2)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할 수 있다.

(2)악곡에 종류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할 수 있다.

(3) 악곡을 외워서 혼자 또는 여럿이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3) 악곡을 특징을 살려 외워서 혼자 또는 여럿이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3) 악곡을 특징을 살려 개성 있게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할 수 있다.

(4) 동요나 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

(4) 동요나 민요, 시조 초장을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

(4) 예술가곡, 민요, 판소리 한 대목, 가곡의 초장을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

1 - 3 . 창 의 적 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1)상황이나 이야기를 여러 가지 소리로 표현할 수 있다.

(1)상황이나 이야기를 음악으로 표현할 수 있다.

(1)다양한 예술에 어울리는 배경음악을 만들 수 있다.

(2)제재곡의 노랫말을 바꾸거나 노랫말에 맞는 말 붙임새로 만들 수 있다.

(2)제재곡의 노랫말을 바꾸거나 노랫말에 맞는 말 붙임새로 만들 수 있다.

(2)주제에 맞는 노랫말과 극본을 만들어 음악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3)제재곡의 리듬꼴이나 장단꼴을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3)제재곡의 일부 가락을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3)주어진 조건에 따라 간단한 가락을 만들 수 있다.

2.감상

2-1.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1)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구별할 수 있다.

(1)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구별할 수 있다.

(1)7~9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구별할 수 있다.

2 - 2 . 악 곡 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하기

(1)표제음악 등을 듣고 악곡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1)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악곡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1)다양한 시대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노동요, 놀이요, 춤곡, 행진곡 등을 듣고 음악의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의식음악, 축제음악, 풍류음악 등을 듣고 음악의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음악을 듣고 현대사회에서 음악의 다양한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3.생 활화

3 - 1 . 음 악 을 즐기는 태도 갖기

(1)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1)생활 속에서 음악을 활용하며 즐길 수 있다.

(1)생활 속에서 음악을 활용하며 문화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3-2.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2)생활 속에서 우리 음악을 찾아 볼 수 있다.

(2)우리 음악의 소중함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세계 속에서 우리 음악의 위상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초등학교 3~4학년 군 초등학교 5~6학년 군 중학교 1~3학년 군

․장단(자진모리, 세마치), ․장단(중중모리, 굿거리, 시조), ․장단(중모리, 엇모리, 가곡),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학년 군별 국악 관련 요소 및 개

념 체계표는 다음과 같다.

<표 Ⅱ-7>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 관련 요소 및 개념 체계표

Page 4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3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구분3~4학년

(초등학교 3~4학년)5~6학년

(초등학교 5~6학년)7~9학년

(중학교 1~3학년) 10학년

(고등학교 1학년)

표현

하기

*바른 자세로 표현하기*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외워서 표현하기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외워서 표현하기*함께 표현하기

*바른 호흡으로 표현하기(7,8)*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악보 보고 표현하기

장단의 세․음의 길고 짧음․장단꼴․말붙임새․음의 높고 낮음․시김새(떠는 소리, 흘러내리는 소리, 꺾는 소리)

․소리의 어울림․형식(메기고 받는 형식)․셈여림․한배․목소리, 물체소리, 타악기의 음색

장단의 세․장단꼴(다는 형, 맺는 형)․말붙임새․율명․여러 지역의 토리․시김새(떠는 소리, 밀어 올리는 소리, 구르는 소리)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형식(긴자진형식)․셈여림의 변화․한배의 변화․관악기, 현악기의 음색

장단의 세․음의 길고 짧음․여러 가지 장단의 장단꼴․말붙임새․여러 지역의 토리․여러 가지 시김새․다양한 소리의 어울림․형식(연음형식, 엮음형식, 한배에 따른 형식)

․셈여림의 변화․한배의 변화․여러 가지 음색

나.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24)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2010년부터 적용되어 2011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함께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음악은‘활동-이해-생활화’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음악 교과의 내용 체계는 국악과 서양음악의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과

국악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내용이 있다. 활동 영역에서 부르기, 연주하기, 만들기,

감상하기의 내용이 있고, 이해 영역에서 가락, 조, 장단, 시김새, 악곡의 종류와 특

징의 내용이 있으며, 생활화 영역은 음악 교과 전체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과 관련된 개념을 이해와 생활화 영역에

서 분석하여 보면 그 개념을 장단, 가락, 형식, 악보, 국악기, 국악곡, 생활화

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활동 영역에서 국악

의 활동은 표현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의 학년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Ⅱ-8>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과 관련된 학년별 내용 체계

24)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7

Page 4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31

*함께 표현하기*음악을 몸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음악을 몸 움직임으로 표현하기 *악보 보고 표현하기

노래

부르

*전래 동요, 민요(4), 동요 부르기*자연스런 발성으로 부르기*듣고 부르기*3음/5음 가락 보고 부르기*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부르기/가사의 말붙임 새 바꾸어 부르기

*전래 동요, 민요, 동요 부르기*듣고 부르기*시조 초장 듣고 따라 부르기(6)*7음 가락(정간보 율 명) 보고 부르기

*민요의 부르기*시조 초장, 창작 국악 곡 한 대목(7)/판소리 한 대목(8,9)듣고 따 라 부르기*무리 없는 발성으로 노래하기(7)

*민요의 부르기*가곡의 초장 듣고 따라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바른 주법으로 연주*리듬, 가락 악기 연주하기

*바른 주법으로 연주*리듬, 가락 악기 연주하기

*바른 주법으로 연주*가락 악기 연주하기*합주하기

*바른 주법으로 연주*가락 악기 연주하기*합주하기

음악

만들

*즉흥적으로 표현하기*간단한 리듬 짓기(자진 모 리 / 세 마 치 장 단 꼴 만들기)*주변의 소리를 목소리, 물체, 악기로 표현하기/장면에 어울리는 음악 만들기( 자 진 모 리 / 세 마 치 장 단꼴 만들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간단한 리듬 짓기(굿거리/중중모리 장단꼴 만들기)*간단한 가락 짓기(간단한 메나리조/육자배기조 가락짓기)*이야기를 음악으로 만들어 표현하기*친숙한 악곡의 일부를 변형하여 즉흥표현하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간단한 형식(7,8)/다양한 형식(9)의 가락 짓기*다양한 매체의 이용하여 음악 재구성하기*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다양한 형식의 가락 짓기*다양한 매체의 이용하여 음악 재구성하기*디지털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감상

하기

*악곡의 느낌 말하기/악곡의 특징적인 요소 파악하며 감상하기*바른 태도로 감상하기

*악곡의 특징적인 요소 파악하며 감상하기*바른 태도로 감상하기

*악곡에서 반복, 변화하는 부분 구별하며(7)/악곡의 형식적 요소 파악하며(8)/악곡의 내용과 사회적, 문화적맥락을 파악하며(9) 감상하기*여러 시대(7)/여러지역(8)/여러 문화권(9)의 음악 비교 감상하기*바른 태도로 감상하기(7,8)/다른 예술과의 관련성탐색하기(9)

*악곡의 내용과 시대적, 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며 감상하기*여러 문화권의 음악 비교하며 감상하기*다른 예술과의 관련성 탐색하기

※ 표에서 ( )안의 숫자는 학년을 나타낸 것이다. (5)는 초등학교 5학년, (7)

은 중학교 1학년 등을 의미함

2) 교육 내용 연구

앞에서 분석한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국악 교육의 내용은 전통적으로 활

Page 4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3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학교급별

학습요소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고등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 1~3학년

여러 가지 기본장단

과 변형장단

알고 부르기

․장단(자진모리, 단모리, 중중모리)에 맞추어 부르기

․장단 개념(자진모리, 단모리, 굿거리, 세마치) 알고 부르기․장단(세마치,중모리)에 맞추어 부르기

․ 변형장단( 단모리, 굿거리, 세마치) 알고 부르기․장단 개념(중중모리,중모리) 알고 부르기

․변형장단(중중모리, 중모리, 엇모리) 알고 부르기․장단 개념(엇모리, 타령) 알고 부르기․시조 장단 이해하고 부르기

여러 가지 기본장단과 변형장단 개념 알고 부르기

음계에 따른

시김새 살려

부르기

․다양한 지역의 전래 동요 부르기

․동부․경기 ․남도 ․서도민요조 시김새 살려 부르기

․제주민요 시김새 살려 부르기

․음계(동부 ․경기민요조)와 시김새 이해하고 노래․음계(남도 ․서도민요조)와 시김새 이해하고 노래․제주민요 특징 알고 부르기

․여러 가지 음계와 시김새의 특징을 비교하면서 부르기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주고받으며 부르기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빠르기 변화시켜 부르기

․다양한 빠르기로 전래동요 부르기

․다양한 빠르기로 민요, 창작동요 부르기

․다양한 빠르기로 국악가요 부르기․긴·자진 형식의 민요 부르기

동 및 표현에 해당하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과 함께 이해(개념 요소)

그리고 태도 및 생활화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교육 내용과 단계에 그동

안 이루어진 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가. 가창 활동 내용

국립국악원은 2001년과 2002년에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체계화 연구를 하였

다.‘국악교육 체계화 연구-가창’에서는 가창 활동으로 여러 가지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 알고 부르기, 음계에 따른 시김새 살려 부르기,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빠르기 변화시켜 부르기, 놀이하며 부르기, 신체 표현하며 부르기, 가사 바꾸어 부

르기, 가락 바꾸어 부르기, 음악극, 노래와 생활의 10가지 학습요소를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각 학년별로 11단계의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표 Ⅱ-9 > 국악가창내용 체계표25)

25) 국립국악원,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 가창” (국립국악원, 2001), pp.17-18.

Page 4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33

놀이하며 부르기

․놀이하며 전래동요 부르기

․놀이하며 민요, 창작동요 부르기

신체 표현하며 부르기

․신체 표현하며 전래동요 부르기

․신체표현하며 일노래, 창작 동요 부르기

가사 바꾸어 부르기

․전래동요 가사 바꾸어 부르기

․민요, 창작 동요 가사 바꾸어 부르기

․국악가요, 시조 가사 바꾸어 부르기

가락 바꾸어 부르기

․전래동요 가락 바꾸어 부르기

․민요, 창작 동요 가락 바꾸어 부르기

․국악가요 가락 바꾸어 부르기

음악극․기존의 노래 바꿔 음악극 꾸미기

․창작곡 만들어 음악극 꾸미기

노래와 생활

․놀면서 부르는 노래 알아보기

․일노래 알아보기․의식(행사) 노래 알아보기

․노래의 역할 알아보기

이 연구에서 보면 가창 활동에서 여러 가지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 알고 부르

기는 장단에 맞추어 부르기-장단 개념 알고 부르기-변형장단 알고 부르기 단

계로 자진모리장단, 단모리장단,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 중중모리장단, 중모리

장단, 엇모리장단, 타령장단, 시조장단을 체계화하였다. 음계에 따른 시김새 살

려 부르기는 동부민요조-경기민요조-남도민요조-서도민요조-제주민요 단계

로 시김새 살려 부르기-음계와 시김새 이해하고 부르기의 내용 체계를 구성하

고 있다. 가사·가락 바꾸어 부르기는 전래동요-민요-창작동요-국악가요-시조

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이는 가창 활동 및 장단, 음계, 시김새의 학습 요소를

학년군별로 위계화하는데 큰 시사점을 준다.

조순자26)는 노래란 말에 선율을 얹어 전달하는 음악행위여서 말을 좀 더 감

명깊게 선율에 맞추어 표현하는 것이 가창 교육의 본질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 가창 교육의 기본체제를 전래되어 온 국악 가창곡을 중심으로 가창 교육

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리내기 위한 자세, 호흡, 발음, 발성, 시김새

를 설명하고 그 지도방법으로 노랫말 익히기, 선율 익히기, 노랫말에 선율 입히기,

따라 부르기, 장단 바꾸어 부르기, 지어부르기를 제시하고 있다. 정간보와 가락선

을 이용한 기보를 통해서 시김새, 장단, 높낮이, 셈여림을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김민수27)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평시조를 중심으로 기초단계, 중점지

도단계, 일반화의 3단계를 제시하고 시조를 낯설어하는 초등학생에게 친숙하게

배울 수 있도록 체계화하였다.

26) 조순자, “국악 가창 지도법”, 『예술과 교육』제6집, 한국교원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세미나 자료, 2000

27) 김민수, “초등학생을 위한 시조 가창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Page 4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3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급별 내용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초 가사 바꾸어 · 동물이나 친구의 이름 등으

· 동물이나 친구의 이름 등으

· 주고 받는 부분의 간단한

· 이어지는 가사로 바꾸어 부

· 주제를 정하여 메기는 부분

· 전주나 후주 만들어 말장단

조묘구28)는 교과서에 수록된 육자배기토리의 민요, 가야금 병창곡을 중심으

로 가창지도방안을 연구하여 호흡과 발성, 사설지도, 장단 지도 및 가락지도,

시김새의 단계별 지도, 표현활동의 5단계를 제시하였다.

이정희29)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조․가곡․가사의

가창 지도 방안을 단계별로 모색하였다. 1단계는 ‘악곡의 탐색’ 단계로 악곡의

배경, 형식 파악, 노랫말 이해, 노랫말 읽기 등의 내용을 선정하였고, 2단계는

‘악곡 익히기’ 단계로 창법, 장단, 가락을 주요 내용으로 창법에는 호흡, 발음,

발성을, 장단에는 무릎장단, 말붙임새를, 가락에는 음계, 구성음, 시김새를 선정

하였다. 3단계는 ‘악곡의 창의적 표현’ 단계로 셈여림, 악곡의 특지에 맞게 표

현하기, 창의적 표현하기를 선정하여 이를 평시조 ‘동창이’, 여창가곡 이삭대엽

‘버들이’, 가사 ‘백구사’를 지도하는 상세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 창작 활동 내용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기악·창작·감상”에서 기악 교육은 대금, 소금, 피리,

단소, 가야금, 양금, 타악기를 중심으로 먼저 악기의 역사, 악기의 제도와 용법

을 이해하고 악기지도는 소리내기-연습곡-전래동요-민요-기악곡의 단계로

지도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악기별 지도 내용 및 단계만 설정되어 있고 학년별

체계화가 연구가 필요하다. 국악이론 영역은 단순히 국악이론을 소개하는 것에

서 머물러 있어 국악 이론 영역의 체계화 연구가 필요하다. 창작 영역에서는 7

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에 즉흥연주, 가사 바

꾸어 부르기, 전통 가락 만들기, 신체표현 만들기의 활동으로 학년별 내용 체계

를 구성하고 중학교에 가락 바꾸어 부르기, 즉흥연주, 전통가락 만들기, 반주

넣어 연주하기의 활동으로 내용체계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창작 활동을 학년

군별로 위계화 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표 Ⅱ-10> 국악 창작지도 요소의 체계표30)

28) 조묘구, “남도민요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9) 이정희, “시조․ 가곡․ 가사의 가창지도 단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0) 국립국악원,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 기악·창작·감상” (국립국악원, 2002), pp.114-116.

Page 4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35

부르기

로 가사 바꾸어 주고 받기

로 가사 바꾸어 주고 받기

내용으로 가사 바꾸어 부르기

르기 의 가사 바꾸어 부르기

을 넣어 바꾸어 부르기

· 바꾼 가사 정간보에 적기

· 바꾼 가사 정간보에 적어 노래 부르기

즉흥연주

· 목소리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타악기(주변 악기 활용)를 이용한 음향 만들기

· 가락악기를 이용하여 올라가는 가락, 내려가는 가락, 머무는 가락으로 표현하기

· 가락악기를 이용하여 올라가는 가락, 내려가는 가락, 머무는 가락으로 표현하기

· 가락악기를 이용하여 뛰는 가락, 걷는 가락, 스타카토, 슬러 등으로 표현하기

· 가락악기를 이용하여 뛰는 가락, 걷는 가락, 스타카토, 슬러 등으로 표현하기

· 이야기 음악 · 이야기 음악 · 이야기 음악 · 음악극

· 배경 음악 · 배경 음악

신체표현하기·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표현 만들기

·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표현 만들기

·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표현 만들기

· 노래에 어울리는 춤 만들어 추기

· 곡에 어울리는 춤 만들어 추기

· 곡에 어울리는 춤 만들어 추기

전통가락

만들기

· 미,라 2음으로 된 가락 2마디 정도 만들어 오스티나토, 전주, 후주로 연주하기

· 주어진 가사로 미,라,도 3음으로 6/8박자 민음표 리듬으로 4마디 가락짓기

· 주어진 가사로 미,솔,라,도 4음으로 6/8박자 점음표 리듬, 당김음 등으로 4마디 가락짓기

· 미,솔,라,도 4음으로 6/8박자 16분음표가 들어간 다양한 리듬으로 알맞은 가사를 만들어 8마디 가락짓기

내용중학교

고등학교1학년 2학년 3학년

가락 바꾸어

부르기

· 메기는 부분의 시작가락을 바꾸어 부르기

· 메기는 부분의 시작가락을 바꾸어 부르기

· 메기는 부분의 가락을 자유롭게 바꾸어 부르기

· 메기는 부분의 가사를 새로 짓고 가사 내용에 어울리게 가락을 바꾸어 부르기· 바꾼 가락을 오선보

에 적어 노래 부르기· 바꾼 가락을 오선보에 적어 노래 부르기

즉흥연주

· 음악극만들기- 효과음 넣기, 기존의 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 음악극만들기- 효과음 넣기, 기존의 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 음악극만들기- 효과음 넣기, 기존의 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상황에 어울리는 곡 창작하기

· 음악극만들기- 효과음 넣기, 기존의 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상황에 어울리는 곡 창작하기

전통가락

만들기

· 주어진 가사와 리듬에 가락붙이기 - 육자배기토리,경토리,메나리토리

· 주어진 가사로 전통적인 가락 만들기

· 자유롭게 민요풍의 가락짓기

· 자유롭게 민요풍의 가락짓기

반주 넣어

연주하기

· 제시된 변형장단을 가락에 맞게 활용하기

· 제시된 변형장단을 가락에 맞게 활용하기

· 가락의 특징에 맞게 변형된 장단으로 반주하기

· 가락의 특징에 맞게 변형된 장단으로 반주하며 노래부르기

Page 5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3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단계 1단계 2~3단계 4~6단계 7~8 단계 9~11 단계

학습요소

․전체적 흐름 파악

․기본 장단을 치며 감상․장단의 변화 느끼기

․맺고 푸는 가락 감지․가락과 장단과의 조화 감지․가락의 흐름 파악

․조의 변화 감지․한 음의 다양한 변화 감지

․인물사를 통한 유파 이해․다른 문화와의 접목․산조의 내면화

하지만 이 연구에서도 창작 활동의 최종 단계가 자유롭게 민요풍의 가락짓기

로 되어 있고 기존 악곡의 특징을 살려 작곡하는 단계까지만 제시되어 있어 좀

더 근본적인 국악 창작 지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강은하31)는 창작지도 내용을 즉흥 표현, 장단에 따른 붙임새, 가락 짓기의

세 가지 활동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송정희32)는 메나리토리 민요의 분석을 통해 창작 지도를 소리에 대한 탐색

-국악과의 친숙-기존 곡의 모방을 통한 창작-기존 곡의 변형을 통한 창작 -

자유로운 창작의 과정을 거쳐 10단계의 단계적 창작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있

다.

다. 감상 활동 내용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중 감상에서는 음색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빠르기와

장단을 알고 감상하기, 선율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형식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시김새를 파악하며 감상하기, 부 제재곡과 비교하며 감상하기, 신체표현하며 감

상하기의 요소를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단계로 체계화하였다.

김한순의 2004년의 석사논문인 ‘산조 감상을 위한 지도내용의 연구-박상근

류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에서는 박상근류 산조의 분석을 통해 감상의 단계를

전체적 흐름 파악-기본 장단 치며 감상하기-장단의 변화 느끼기-맺고 푸는

가락(긴장과 이완의 미)감지하기-가락과 장단과의 조화 감지-가락의 흐름 파

악-조의 변화 감지-한 음의 다양한 변화 감지-인물사를 통한 유파 이해-다

른 문화와의 접목-산조의 내면화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학습 목표와 학습 요

소를 상세화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Ⅱ-11> 산조 감상의 단계별 학습 요소33)

31) 강은하, “국악 창작영역의 지도 내용 및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2) 송정희, “매나리토리 민요의 음악적 특성을 활용한 단계적 창작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3) 김한순, ‘‘산조감상을 위한 지도 내용에 관한 연구-박상근류 가야금 산조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p.103

Page 5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37

이 연구에서는 악곡 분석을 통한 감상의 지도 내용을 매우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

어 감상 활동의 표준을 위계화 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용어의

사용이나 그 학습 요소의 적정성은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하다.

장현안34)은 수제천을 악기편성, 장단, 선율, 시김새, 춤 반주의 측면에서 고

찰하여 감상학습 지도 내용으로 악기 음색 탐색, 수제천 장단, 가락선 악보를

이용한 연음 형식 이해, 정간보와 가락선 악보를 활용한 선율과 시김새 지도,

수제천 듣고 신체 표현 활동하기 등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지도 내용

을 제시하였다.

신서균35)은 초등학교 5,6학년 교육과정에 수록된 국악 기악 감상곡 중 타령,

수제천, 시나위 합주, 수룡음, 대금 독주를 중심으로 감상학습 지도 방안을 모

색하였다. 미적 요소로 여백의 미, 유장미, 순응미, 장려미, 선의 미, 무한연속

의 미, 역동의 미, 멋의 미 등을 제시하고, 지적 요소로 시김새, 장단, 선법,

형식, 음색, 기보법 등으로 제시하여 이를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초급, 중급,

고급 단계로 학습목표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감상 활동으로 악곡 듣기, 악기

편성과 연주방법 알기, 악기 음색 알기, 장단을 구음을 이용하여 익히고 2-3

개조로 나누어 박, 구음, 장단치기를 하며 감상하기, 악곡의 빠르기에 맞춰 신

체 표현하기, 악곡 듣고 가락선으로 나타내기, 악곡의 일부를 악기로 표현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라. 각 영역별 활동

변미혜 등이 2009년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위탁을 받아 연구한 “전

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국악”36)은 초등학교 중심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현행 교과서를 기준으로 국악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여

저학년(1-2학년), 중학년(3-4학년), 고학년(5-6학년) 각각 15차시 분량의 지도

내용을 기본, 보충, 심화의 수준을 고려하여 타 교과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관련 교과를 함께 제시하고, 자료의 종류 및 내용과 참고곡을 더불어 제

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각 영역별 수업 모형에 따른 지도 내용을 다음과 같

34) 강현안, “수제천 감상 학습 지도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5) 신서균, “초등학교 국악 기악곡 감상학습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6) 변미혜 외,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국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Page 5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3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수업 모형활동

가창 중심기악 중심

창작 중심 감상 중심타악기 가락 악기

기본활동

*악곡 이해하기*가사 익히기*호흡 및 발성 익히기

*악곡 이해하기*악기 탐색하기*호흡 및 자세 익히기*연주법 익히기

*악곡 이해하기*악기 탐색하기*호흡 및 자세 익히기*소리내기*주법 익히기

*제재곡의 구성음/ 가락의 특징 이해하기*주어진 제재곡의 말 붙임새/장단 이해하기*주어진 제재곡의 특징 파악

*악곡 전체 감상하기*악곡 이해하기

중점활동

*말 붙임새 파악하기*가락익히기*시김새 살려 표현하기*장단 치며 노래*가사 바꾸기*신체 표현하기*추임새 넣어 표현하기*악곡의 특징을 살려 부르기

*구음으로 가락 익히기*악기 연주하기*합주하기*신체 표현하기*악곡의 특징을 살려 연주하기

*율명으로 가락 익히기*악보 보고 연주하기*시김새 살려 표현하기*외워서 연주하기*악곡의 특징을 살려 연주하기*함께 연주하기

*새로운 노랫말 짓기*말 붙임새/장단 창작하기*가락 창작하기, 악곡의 특징에 따라 창작하기*창작한 곡 연주하기*즉흥 연주하기

*가사 이해 및 연주 악기 알기*장단치며 감상*가락의 흐름을 느끼며 감상하기*가락의 일부분 표현하기*악곡을 들으며 신체 표현하기*추임새 넣으며 감상하기*관련 악곡 감상

이 제시하고 있다.

<표 Ⅱ-12> 각 영역별 수업 모형에 따른 지도 내용37)

이 연구에서는 국악교육을 함에 있어 음악 활동의 영역인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주요한 활동을 이끌어 내는데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창작에서

제시하는 활동들이 모두 제시한 악곡을 중심으로 변형하고 그 특징에 따라 창

작하는 것으로 창작의 본래 의미인 음악적 재료를 가지고 학습자의 생각과 감

정을 표현하는 활동의 기초 단계만을 제시하고 있고, 감상의 활동도 가사가 있

는 음악에 한정하여 제시하고 있기에 창작과 감상의 활동에 대한 폭넓은 견해

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은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하고,

중학년·고학년(3-6학년)에서는 음악 교과 시간에 국악을 지도할 수 있는 내용

을 연구하였기에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근거로 교육과정 요소를 구분하였고,

제재 중심으로 지도내용을 체계화하였다. 제재 중심으로 학습목표, 활동내용,

평가관점, 평가방법을 다시 상세하게 제시하고 지도의 실제까지도 연구하여 실

제 국악 교육을 하고자 할 때 자세한 안내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시사

점을 우리에게 준다.

37) 변미혜 외, 상게서, pp.100~116의 내용을 표로 정리한 것임.

Page 5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39

구분 구성요소개념 표현요소개념 관련요소개념

요소 장단, 가락, 구성방식 음색, 빠르기, 셈여림

기보법, 주법, 연주형태,

악곡배경, 음악과 생활,

가사

마. 개념 요소 내용

주태원38)은 그의 논문에서 민족 음악성을 계발하기 위해 국악의 본질 체험을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악 교육의 기본 개념으로 장단·가락·시김새·구성

방식·음색·빠르기·셈여림을 들었고, 관련 개념으로 기보법·주법·연주형태·악곡배

경·음악과 생활·가사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표 Ⅱ-13> 국악 교육 개념 체계표39)

민승욱40)은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국악의

구성요소를 장단, 가락,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으로 보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지도 단계와 학습활동을 구상하였다.

한윤이41)는 사전류와 고문헌 및 연구물 등을 대상으로 고찰한 결과 장단의

개념을 정의하고, 장단의 본질적인 개념에서 파생한 장단의 하위 개념으로 일

정한 길이의 단위, 고장단형, 가락, 악장 등과 장단을 구성하는 박, 박자, 호

흡, 한배, 세, 장단형 등을 제시하였다. 장단의 하위 개념 중 박, 박자, 호흡,

한배, 세, 장단형, 고장단형, 가락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지도내용

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각 하위 개념별 지도 단계 설정, 하위 개념의 지도

단계를 토대로 장단의 통합적인 지도 단계 제시, 이를 다시 학년별로 제시하고

있다.

박현주42)는 시김새에 대해 고악보의 분석을 통해 요성 8가지, 추성 3가지,

퇴성 8가지, 전성 1가지, 복합시김새 2가지, 연속시김새 6가지 등을 추출하여

초등학교에서 지도할 만한 시김새 18가지를 선정하여 학년별 지도목표를 설정

하고 그에 맞는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38) 주태원, “초등학교 국악 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시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39) 주태원, 전게서, p.33

40) 민승욱, “국악 구성요소와 학습활동의 연계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41)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42) 박현주, “국악보에 나타난 시김새 연구 및 초등 음악교육과정을 위한 학습 내용 선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Page 5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최정민43)는 구음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 국악합주곡 연주에 있어 주로 주선율

을 담당하는 향피리의 기본적인 구음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구음의 단계적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바. 국악 교육과정 및 내용 관련 연구의 시사점

이상으로 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교육과정 및 내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 분

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국악 가창 영역의 내용은 체

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다른 영역의 내용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있

고, 제재 중심의 국악 지도 내용의 체계(변미혜 외, 2009)를 살펴본 결과 타

교과와의 관련성, 제재의 수준, 참고곡 제시 등은 문화예술교육의 성취기준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나 교육표준은 배워야 할 학습 요소 및 개념을 중심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악교육 체계화(국립국악원, 2001, 2002) 연구에서는 가창과 창작 영역의

내용 체계는 매우 구체적이고 세부적이며 단계적인 자료이다. 이와 같은 수준

의 기악, 감상, 이론 영역의 내용 체계를 통해 국악의 교육표준을 제시한다면

이에 따른 성취기준과 행동지표를 제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내용 체계(황정현 외, 2009)는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의 개발의 기초 연구로 해당분야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의 구조 및 체제를 제

시하고, 여러 분야 간의 통합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할 때 그 기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6. 연령별 음악적 성장발달 및 학습방식의 특징

교수·학습과정에서 주어질 경험의 종류와 범주, 학습해야 할 내용의 범위와 수

준, 성취해야 할 수준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재료가 되는 국악의 본질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 발달

및 음악 학습 방식의 특징에 근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43) 최종민, “구음 교수-학습의 단계별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age 5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41

의 선정, 방법의 선택 과정에서 학생들의 심리적 배경과 학습 방식을 고려하고 세

심하게 반영하여 계획된 교육활동이 시행되었을 때 비로소 기대하는 교육목표에 도

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어린이들과 중학교 학생이나 고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발달

및 음악 학습방식의 특징은 크게 다를 수밖에 없고,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경우

에도 1, 2학년 어린이들의 특징은 3, 4학년 군, 5, 6학년 군의 그것과 다르다.

피아제(Jean Piaget)에 따르면 초등학교 1, 2학년 어린이들의 인지 발달 단

계는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의 말기 또는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의 초기에 해당되며, 이 시기의 어린이들의 인지 발당 상태

는 대체로 내면적 사고의 시작, 지각적 예민성의 증가, 구체적 상황 속에서의

논리적 조작의 시작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또 슈타이너(Rudolf Steiner)에 따

르면 이 시기는 생명체로서의 발달 기간 말기 또는 감정체로서의 발달 기간 초

기에 해당되며, 지력과 기억력이 태동하고 감정체가 서서히 분화 작용을 시작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더 어릴 때부터 생활 속에서 다양한 음악을 듣고 여러

가지 노래를 부르며 장난감이나 악기로 소리내기를 즐기면서 자라왔다. 따라서

이들은 이전의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더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음악의 수용과 표현을 즐길 수 있게 해야 하고, 더 나아가 음악적인 능력과 심

성도 기를 수 있게 하는 교육의 기회, 즉 적절한 내용과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

성된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이 신체적, 심리적, 지적으로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러한 그들에게 어떤 음악적 환경과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시기의 어린이들의 음감 수준은 어떠하며 어떤 환경과 어떤 놀

이 수준의 경험을 제공할 때 효과적으로 음감을 기를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한

탐구가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요컨대 그들의 음악적 성장 발달 및 음악

학습 방식의 특징을 탐구하고 그것을 고려하는 경우에 그들을 위한 음악 지도

는 당연히 소리의 성질을 탐색하는 일로부터 시작하여 음악에 따른 몸 움직이

기, 음악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놀이하기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음악을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경험 속에서 음악적인 기본 감각을 갖추게 하고, 음악

의 개념을 형성하게 하며, 음악 활동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을 습득하게 하

고, 음악에 대한 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지도록 안내하는 일이 될 것이다.

Page 5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지금까지의 국악교육에서는 국악 지도내용이나 학습활동을 설정하고 위계화

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 발달이나 학습 방식보다는 국악의 본질적

특성을 고려하는데 더욱 치중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국악 지도

내용이나 학습활동을 학년 별로 위계화 하는 근거를 마련해 줄 학문적 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국악교육의 현실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년 군별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음악적 성장발달 및

음악 학습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학년 군별 음악교육의 범위 및 수준 체

계를 설정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학문적 근거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

는 국악교육 표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1) 음악능력의 발달

‘인간은 누구나 음악적’이다.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흔히 언어능력

과 사고능력을 언급하지만 음악능력은 언어능력이나 사고능력보다 먼저 발현되는

인간 고유의 능력이며 반드시 교육을 통해 계발되어야 하는 능력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는 음악능력을 언급할 때, 교육을 통해 계발되어야 할

의미를 담은 음악지능과 같은 표현보다는 선천적이거나 조기학습 결과의 의미를 담

은 음악재능과 같은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여 왔다.

음악심리학 문헌에서는 음악능력(musical ability)을 음악적성(musical

aptitude), 음악성(musicality) 등과 구분하여 설명하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음악능력은 유전, 학습, 경험, 환경 모두에 영향을 받는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68%의 사람들은 평균 정도의 음악성(musicality)을 가지고 있고 14%

의 사람들은 평균보다 더 음악적이고 14%의 사람들은 평균보다 덜 음악적이다. 또

한 2%의 사람들은 음악적으로 상당히 높은 재능을 가지고 있고 2%의 사람들은 음

악적으로 낮은 재능을 보인다(Gembris, 2002). 인간의 보편적 능력으로서의 음악

능력은 먼저 유아기의 노래 활동을 통해 발현된다. 다음은 노래하는 능력의 발

달 과정을 간단히 기술한 내용이다.

가. 노래하는 능력의 발달

Page 5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43

‘옹알이’는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표현하는 음성 소리이다. 신생아의 ‘옹

알이’소리는 아직 음악적인 소리도, 언어적인 소리도 아니다. 그러나 옹알이 소

리는 음악과 언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고(pitch), 강세(accent), 길이

(duration)의 3가지 특징을 가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악적 소리와 언어적

소리로 각각 발전하게 된다. 음악적 옹알이 소리는 자연스럽게 노래 부르기로

발전하는데, 18개월 된 유아의 전형적인 노래는 지속적으로 변하는 음정으로

일정한 선율 윤곽(contour)을 유지하며 반복적으로 부르는 특징을 보인다.

다울링(W. J. Dowing)에 의하면 생후 9개월경에서 12개월 사이에 유아들의

자발적인(spontaneous) 노래가 시작된다(Dowling, 1999). 이 시기 유아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고 ‘말놀이’를 하면서 음성의 범위와 가능성들을 탐색하는

듯하다. 만 2세 된 유아들은 짧은 가락들을 노래할 수 있으며 만 3-4된 유아

들은 여러 가지 노래들을 혼합하여 접속곡처럼 부른다. 이 시기 아동들은 간단

한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를 수 있으며 스스로 노래를 확장하기도 한다. 만 4세

무렵의 유아는 노래를 부르다가 다른 조성으로 빠지기도 하지만 만 5세 이후에

는 짧은 노래의 경우 안정적으로 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 6-7세

인 초등학교 1-2학년 무렵의 어린이는 한 옥타브 정도의 노래 음역을 가지며

청감각의 예민함이 현저하게 발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정확하게

노래 부를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되는 시기는 대략 만 8세경이다(민경훈 외,

2010).

나. 음악능력의 발달단계

노래 부르기로 시작된 유아의 음악 활동은 성인이 될 때까지 일련의 음악적 발달

단계를 거친다. 짐머만(M. Zimmerman)은 널리 알려진 피아제(J. Piajet)의 인지

발달이론에 따라 음악능력의 발달단계를 연구한 음악심리학자이다.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은 ① 감각운동기(0~만 2세) ② 전조작기(만 2~7세) ③ 구체적 조작기

(만 7~11세) ④ 형식적 조작기(만 11세 이상)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연

령에 따른 구분이다. 짐머만은 음악능력의 발달 단계를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를

기초로 연구하였으며 각 단계에 적절한 음악 활동 및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Zimmerman, 1971). <표 Ⅱ-14>은 이를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Page 5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인지발달단계 음악 능력의 발달 음악 활동 및 지도

감각운동기(0∼만2세)

-2세경 5도(레-라)의 노래 음역 -음악적 반응

전조작기(만2∼7세)

-4세 이전에 상대적 셈여림 구별-전조작기 초기는 반음 구별 능력 부족-5, 6세 일정박 유지(빠른 박)-6, 7세 청각 지각 능력 중요한 발달-6∼8세 선율 지각 능력 향상-6∼9세 음정 구별 능력 향상

-초기 그룹 음악 활동-시각적 자료 사용-초기 넓은 음정, 이후 좁은 음정 구별 경험-음악 요소는 독립적·통합적으로 가르침-리듬패턴은 선율패턴 학습이전에 가르침-선율 경험은 매일의 경험이 되어야 함

구체적 조작기

(만7∼11세)

-6∼8세 선율 지각 능력 향상-6∼9세 음정 구별 능력 향상-8세 조성 감각 현저한 발달-8세 화성 지각 능력의 발달을 위한 결정 적 시기의 시작-8∼9세 조성 기억 능력 향상(14세까지)-9세 이후 일정박 유지(빠른/느린 박)-9세 음악(요소) 보존 능력 안정기-10세 두 옥타브의 노래 음역

-소리를 표현하고 나름대로 기보하는 경 험의 활동-9세 이전에 전조작기의 음악 활동이 다 양하게 경험되어야 함-8세경부터 간단한 화음 학습-8∼9세 조성 기억을 돕기 위한 음악 활 동이 강조됨-음악 개념 학습

형식적 조작기

(만11세∼ )

-12세경 음정 구별 능력의 결정적 시기 지나감

-음악에 대한 인지적 판단에 악보가 도움 이 됨(구체적 조작기 후기부터)

<표 Ⅱ-14>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음악능력의 발달 및 음악활동과 지

도44)

이에 비해 음악심리학자 하그리브스(D. Hargreaves)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

론은 주로 논리/과학적인 사고를 위한 인지과정을 강조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하고(Hargreaves, 1986, 1996) 예술 영역에 맞는 발달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

가 제시한 예술 영역에 적합한 모형은 ① 감각운동단계(0~만 2세) ② 형상적 단계

(만 2~5세) ③ 도식적 단계(만 5~8세) ④ 규칙체계 단계(만 8세~15세) ⑤ 전문적

단계(만 15이상)의 5단계로 구성된다. 하그리브스의 예술 영역 발달 모형은 기본적

으로는 피아제와 마찬가지로 연령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는데 이것을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와 비교하여 제시하면 <표 Ⅱ-15>와 같다.

<표 Ⅱ-15> 피아제와 하그리브스의 인지 발달 단계 비교45)

44) 민경훈 외, 『음악교육학 총론』, 서울:학지사, 2010, p.119

45) 민경훈 외, 전게서, p.120

Page 5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45

피아제의 발달 단계 연령(만) 하그리브스의 발달 단계

감각운동기 0∼2세 감각운동 단계

전조작기 2∼7세 2∼5세 형상적 단계

5∼8세 도식적 단계구체적 조작기 7∼11세

8∼15세 규칙 체계 단계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상 15세 이상 전문적 단계

그는 피아제의 이론이 특히 전조작기와 구체적 조작기 설명에 있어 예술영역

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서, 피아제의 발달 단계에 따르면

전조작기는 만 2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에 해당하는 시기이지만, 이 시기는 하

그리브스의 발달 단계에서는 형상적 단계에서 도식적 단계에 걸쳐있는 시기이

다. 실제로 만 5세, 6세, 7세 아동이 표현한 그림을 살펴보면 형상적 단계에서

도식적 단계로 발전하는 아동들의 음악인지발달의 변화가 관찰된다. [그림 1]은

<리자로 끝나는 말은>으로 번역된 노래의 마지막 부분인 ‘유리항아리’를 만

5세, 6세, 7세 아동이 표현한 그림이다. 만 5세 아동이 표현한 그림에는 ‘유리항

아리’의 5개 음의 개수는 정확하게 나타나지만 선율적․리듬적 표현은 묘사되지 않

았다. 이와 비교해서, 만 6세 아동의 그림에는 음들의 길고 짧은 리듬적 표현은 윗

부분에서, 하행하는 선율적 표현은 아랫부분에서 묘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만 7세

아동의 그림에는 이러한 단계에서 더 발전하여, 음악의 리듬적인 측면과 선율적이

측면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승윤희, 2002; 민경훈 외, 2010, pp.

120-121).

<그림 Ⅱ-4> 만 5, 6, 7세 아동이 그린‘유리항아리’부분46)

46) 민경훈 외, 전게서, p.120-121

Page 6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피아제와 하그리브스 이외에도 음악 능력의 발달 및 발달단계를 연구한 학자들은

상당히 많으며 이들의 연구결과에서 때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내용도 발견된다.

그러나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음악심리학 연구는 음악능력의 발달 및

발달 단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음악교육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적

절한 음악경험과 활동을 구상하게 하고 올바른 음악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기 위

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반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초등학교 학년 군별과 청소년기의 음악적 성장 및

적절한 음악활동

음악능력은 유전, 학습, 경험, 환경 모두에 영향을 받는다. 어린이의 음악적

능력은 각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인간발달의 큰 틀 안에서 주어진 환경과의 상

호 작용을 통해 개인의 적절한 시기에 맞추어 성장하고 발달한다. 이러한 성장

및 발달 과정에는 교육적으로 결정적인 시기(critical periods)가 있는데 음악

교육에서는 이러한 시기를 아무리 늦게 잡아도 대체로 만 10세 이전으로 본다.

만 10세 이전까지 질 높은 음악교육을 받지 못한다면 어린이의 잠재된 음악 능

력은 충분히 계발될 기회를 얻지 못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의 음

악교육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초등학교에서의 모든 학습은 어린이의 발달과정 중에 일어난다. 따라서 이시

기의 음악학습은 음악적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은 음악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들을 기초로 1-2학년, 3-4학년, 5-6학년

군별 수준에 적절한 음악활동 및 지도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가. 초등학교 1-2학년

어린이들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청감각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된다. 초등학

교에 입학하는 만 6세 무렵이 되면 어린이들은 청각적 민감성이 급속도로 발달

하게 되어 음악적 소리에 있어서 셈여림, 리듬, 가락, 음색, 빠르기 등의 차이

를 듣고 구별할 수 있게 된다. 가락을 지각하는 능력보다 리듬을 지각하는 능

력이 먼저 발달하는데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단순한 리듬이나 가락의 패턴을

정확하게 모방할 수 있고 기본적인 음악의 요소들을 신체적으로, 그림으로 표

Page 6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47

현 할 수 있다.

이 시기 어린이들은 박(beat)에 대한 개념을 습득하게 되어 빠른 박에 대해

서는 일정박을 유지할 수 있다. 반음 음정을 노래하는 것은 아직 어려워하기도

하지만 음정을 구별하는 능력은 꾸준히 향상되며 한 옥타브 정도의 노래 음역

을 가진다. 또한 협화음에 대한 선호가 분명해지며 소리의 동시적 울림을 지각

하지만 주로 가락에 초점을 두어 듣는다. 흔히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은 노

래 부를 때 크게 부르자고 하면 빨라지고 작게 부르자고 하면 느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린이들은 아직 음의 높이, 음의 크기, 음악의 빠르기를 혼동하

는 경향이 있어, 높은 소리- 큰 소리- 빠른 소리를 연관 지어서 생각하고 낮

은 소리- 작은 소리- 느린 소리를 연관 지어서 생각한다. 그 이유는 음높이의

차이나 변화를 어휘로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Nye, 1975).

따라서 기본적인 음악의 개념은 어린이들이 잘 알고 있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시각적인 그림과 연결시키고 신체적인 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방법으로 지도하

여야 한다.

이러한 감각 통합적(cross-modal) 지각을 통한 기초 개념의 형성은 음악 능

력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어휘

력과 감성 능력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시기라 어린이들은 음악 경험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고 음악에 대해 느끼는 것을 다양한 표현 양식을 사용해 나타

낼 수 있다.

초등학교 1-2학년 시기 음악능력의 발달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청감

각의 민감성과 리듬을 지각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이후의 음악활동에도

중요한 기초가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음악활동은 음악을 잘 들으며 걷거나

뛰거나 자유롭게 표현하는 신체동작과 음악놀이, 노래 부르기나 다양한 리듬악

기와 단순한 가락악기를 연주하는 활동들이 적합하다. 또한 음악듣기를 통해

빠르기, 셈여림, 일정박, 리듬패턴, 박자 등을 지각하고 이에 반응하게 하여 음

악의 기초 개념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음악활동이 필요하다.

노래 부르기는 일정한 단위로 듣고 따라 부르게 하며 음의 길이와 높이, 진

행 방향(상행, 하행, 반복)을 손으로 표현해보고 단순한 악곡의 느낌과 흐름을

감지하게 하는 활동이 가능하다. 악기 연주는 물체의 소리와 사람의 목소리 등

여러 가지 소리를 탐색하고 모방하게 하며, 어린이 자신의 목소리, 다양한 리

듬악기와 단순한 가락악기를 통해 음악적 아이디어를 소리로 표현해보게 하는

활동 등이 적절하다. 그러나 노래와 악기를 함께하는 동시적 활동은 아직 어려

Page 6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4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움을 느낀다. 음악 듣기는 어린이들의 집중력을 고려하여 집중 가능한 만큼을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들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1-2학년에서 음악교육의 지연은 다음 단계의 음악발달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친다. 만 8-세살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4학년은 청감각의 민감성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이며 이전의 음악학습 질에 따라서 개인차가 현저하게 나타

날 수 있는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음정구별과 선율지각 능력은 더욱 향상되고

조성 감각과 조성 기억 능력이 지속적으로 발달한다. 이 시기는 한 가지 음악

활동을 조금 더 오래할 수 있고, 손가락 근육을 사용하는 악기와 호흡 조절을

필요로 하는 악기를 다룰 수 있어 다양한 음악활동이 가능하다.

만 8세 무렵 아동의 음악적 발달의 특징은 화음(화성) 지각 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는 것이며, 하나의 가락에 리듬/가락/조성적인 변화를 주었을 때 동일한

가락이 변형된 것임을 파악하는 음악 보존 능력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만 9세

무렵에는 청각 지각 능력과 음악 보존 능력이 안정기에 이르며 정확한 음정으

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초등학교 3-4학년에는 이전 시기부터 나타난 협화음

에 대한 선호와 감성 능력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여러 경로를 통해

들려오는 대중 매체의 영향은 서양 음악의 조성체계에 더 일찍 반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음악 능력의 발달 과정상 초등학교 3학년부터는 간단한 화음학습을 시작하기

에 적절한 시기이다. 이전 시기에 감각 통합적 지각을 통해 형성된 기초적인

음악 개념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수준에 알맞은 개념 중심의

음악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음악의 구조에 대한 아동의 이해 능력이 점진적으

로 발달하기 때문에 청각적인 음악의 개념을 시각적인 부호와 연결시킴에 있어

저학년에서 사용하던 그림 악보 이외에 독보와 기보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한 체

계적인 악보의 사용을 2선 , 3선 악보와 같이 쉬운 단계에서부터 사용하는 것

이 가능하다. 이 시기의 음악활동은 1-2학년에서 해오던 음악활동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며 자유롭게 표현하는 신체동작과 음악놀이 활동들이 노래 부르기, 악

기 연주하기, 음악 듣기 활동 등과 함께 이전 시기보다 좀 더 긴 악곡을 다룰

수 있으며 악곡의 종류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다.

노래 부르기는 화음 지각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제창뿐만 아니라 화음을 경

Page 6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49

험할 수 있는 노래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 가능하다. 돌림노래, 메아리 노래,

파트너 노래와 같이 제창 연습만으로도 화음을 경험할 수 있는 노래들이 이 단

계에 적합하며 점진적으로 간단한 성부가 첨가되는 단순한 부분 2부 합창이나

중창 등의 악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악기 연주는 손가락을 사용하는

악기와 간단한 관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이 가능하며 기초 기능을 습득하여 이후

의 악기 연주 능력의 기초를 마련하도록 한다. 노래와 악기를 함께하는 동시적

활동을 통해 이 시기 아동들은 음악활동의 영역을 넓혀 나간다. 3-4학년 아

동들은 다양한 악기의 활용으로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도 더

욱 발전시켜 가는데 시각적인 부호를 이해하고 악보를 읽고 쓸 수 있는 활동은

이러한 표현 방법을 더욱 가속시킨다. 악보를 읽고 쓰는 활동은 3학년부터 체

계적으로 가르친다.

다.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교 5-6학년은 만 10-11세 사이의 아동들이다. 음악심리학자들의 연구

에 의하면, 이 시기는 음악 지각에 대한 결정적 시기가 지난 것으로 보는 의견

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리듬, 가락, 화음 등에 대한 음악 지각과

인지능력에 있어 정확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며 서양음악의 장/단조 조성에 대

한 감각과 조성 기억 능력은 꾸준히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이전의 음악학습 질

과 음악교육 방법에 따라서 개인의 음악 능력의 차이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만 9세 이후에는 느린 박에 있어서도 일정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만 10세경에는 두 옥타브의 노래 음역을 가진다. 음악심리학자 짐머만은 만 12

세 무렵에는 음정 구별 능력의 결정적 시기가 지나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5-6학년은 음정을 구별하는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마지막 단계라

고 할 수 있다. 음에 대한 변별력이 향상되지 않는다면 이후의 음악활동에 있

어서 음정을 구별하고 정확한 음정으로 노래 부를 확률은 사실상 매우 낮아진

다. 음악 능력의 발달상의 특징과 함께 이 시기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은 만

10세 무렵이 되면 음악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가 분명해지기 시작한다는 것이

다. 만 10세 무렵에 시작된 음악 선호는 만 13세 정도가 되면 정체기에 이른

다. 또한 만 10-11세는 지적 성장과 함께 신체적 성장이 빠른 시기로 남자 아

동들은 변성기에 접어든다.

5-6학년 아동들의 음악의 구조에 대한 이해 능력은 관용적인 음악 어법이나

Page 6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5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기호 등을 이해하여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음악적 지식이 확

장되고 음악적 기능의 숙달이 세련된 수준에 이르기까지 가능해지며, 다양한

음악활동에서 나타나는 표현적 방식은 성인의 표현 방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발

달한다.

노래 부르기는 부분 2부 합창뿐만 아니라 2부 합창과 부분 3부 합창까지 가

능하다. 악기 연주에 있어서도 다양한 악기의 사용이 가능하여 여러 악기로 편

성된 악곡을 합주함으로써 음악활동의 영역을 넓혀 나간다. 보다 풍부한 음악

적 경험을 내면화시킬 수 있고 독보력과 기보력의 향상을 보이는 5-6학년에서

는 음악에 대한 인지적 판단에 악보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악보를 활용하여 가

르친다.

라. 청소년기

만 12세 이후의 청소년기는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의 시기이다.

청소년기는 인생 전체에서 보면 비교적 짧은 시기이지만 이 시기의 경험은 성

인이 되어서도 커다란 흔적을 남긴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부모나 학교의 영

향보다는 또래 친구나 대중 매체를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강한 영향을

받는다. 초등학교 5-6학년부터 시작된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는 이 시기에 절

정에 이르게 되며 청소년들은 그들만의 새로운 음악문화를 형성하여 소통한다.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느린 음악이나 리듬, 가락, 화성이 복잡한 음악은 좋

아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반복적인 음악 학습을 통해 잘 모르는 음악

에도 친숙하게 되면 이에 대한 음악 선호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청소년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관심을 가지며 여학생과 남학생의 관심사는 서

로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성별에 따른 관심사의 차이는 좋아하거나 배우고 싶

은 악기의 선택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는 이전 시

기부터 발달된 음악의 구조에 대한 이해 능력과 악보를 통한 인지적 판단 능력

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며, 분석적 판단이 가능하고 미적 비평 능력이 발달한다.

뿐만 아니라 축적된 음악 지식과 음악 기능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음악활동을

주도할 수 있어 학교교육을 통해서 음악적 발달과 음악적 표현을 절정으로 이

끌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청소년 시기의 음악활동은 관심이나 자신감, 동기의 부족, 또는 외부

적인 환경으로 인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정형화된 교사 중심의 수

Page 6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Ⅱ.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표준 개발 방안|51

업보다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초

등학교 시기에는 교실에서 다루는 실로폰이나 리코더, 단소 등의 기본 악기를

통해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만, 청소년기에는 학생들의 성별, 성향에

따라서 선호하는 악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교실악기 이외에도 학교음악수업이 가능한 범위에

서, 학생들이 선호하는 악기나 전자악기, 다양한 음원으로 자신의 감정을 자유

롭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음악활동을 통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정서나 불안

한 정서를 극복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가능한 시기이다. 이러한 음악

활동은 초등학교 음악교육 기간 동안 축적된 음악적인 사고력과 창의적인 표현

력을 기초로 더욱 세련된 음악적 성장을 이루며, 음악을 통한 정서적인 안정과

사회에서의 음악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음악에 대한 심미적인 안목과 바

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여 성인이 된 이후에도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

게 되는 기반이 된다.

5) 음악적 지식과 음악 활동

일반적으로 지식과 사고는 인지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이다. 그러나 예술

교과로서의 음악교과의 경우, 음악적 지식과 음악적 사고를 이야기 할 때 음악

적 인지와 음악적 정서를 구분해서 설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활동중심 음악교육을 강조한 음악교육학자 엘리엇(D. Elliott)에게 있어서 음

악교육은 다양한 유형의 음악지식을 계발하는 것이다(Elliott, 1995). 그가 말

한 다양한 유형의 음악지식이란 본질적으로 과정적(procedural) 지식이며, 형식적

(formal), 비형식적(informal), 감성적(impressionistic), 통제적(supervisory) 음

악지식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감성적 지식이란 직관적, 감각적인 지식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이 사고와 느낌의 개념에 대한 구분은 이제 ‘감성적 지식’, ‘인지적

정서’, ‘분별 있는 느낌(mindful feeling)’등의 용어의 사용으로 그 구분이 분명

하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인지 없는 정서, 정서 없는 인지란 있을 수 없음을

시사한다(민경훈 외 2010).

이러한 음악적 지식과 사고는 이를 느끼고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적 정서와

함께 음악 연주라는 활동으로 나타나는데, 음악적 지식과 사고, 음악적 정서를

수반하지 않는 음악 연주 또한 가능해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음악교육에 있어

Page 6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음악적 지식과 사고는 인지, 정서, 활동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

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승윤희, 2004; 민경훈 외 2010). 이러한 음악지식은

언어적 방법으로 저장되기도 하며, 여러 가지 음악활동을 통해 시각적, 청각

적, 신체적, 감각적인 방법 등으로 음악을 이해하고 기억 속에 저장된다.

초등학교에서의 음악 수업은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면적인 음

악지식이 계발될 수 있도록 교사는 아동의 음악적 성장발달과 음악 학습의 방

식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양한 심리학적인 기반을 가지는 음악 수업

은 아동들에게 단계별로 적절한 음악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의 음악적 성

장을 돕는다. 학교 음악교육의 목표는 효과적인 음악 교수․학습의 과정을 통하

여 달성된다. 여러 분야의 심리학 지식이나 이론에 기반을 둔 음악 교수․학습

방법은 음악 수업의 내용에 따라서, 학습의 특성에 따라서, 학습의 단계와 학

습자의 수준에 따라서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심리학에 기반을 둔 음악 수

업 연구는 학교 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학습해야 할 내용의 범위와

성취해야 할 수준 등을 결정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데 실질

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Page 6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

1.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구조와 내용

2.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목표

3.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성취기대수준

4.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표준의 활용방안

Page 6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5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

Ⅱ장에서 살펴 본 국악교육의 현황과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 분석

그리고 국악 교육과정 및 교육 내용 관련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 교육표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여기서 제시될

표준의 내용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시행되는 국악 교육의 구조와 내용, 목표,

연령 군별 성취기대수준을 포함하며, 표준 제시 방식은 먼저 국악교육 표준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목표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

다.

1.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구조와 내용

1)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

오늘날 국내외의 음악교육 동향에서 음악의 미적 경험을 중시하고,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 이해, 표현(감상 포함)과 생활화를 중시하며, 문화예술교육에서 체험, 이

해, 소통을 중시하는 것을 고려할 때,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은 국악을 미

적으로 경험하고, 국악적 능력의 향상하여 국악적 심성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진들은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를 국악 미적 경험, 국악적 능력

향상, 국악적 심성 함양으로 삼았다. 국악교육은 국악을 통해 예술적 경험을

하게 하므로 다양한 국악곡을 미적으로 경험하고 향수(享受)하는 것을 주된 소

임으로 삼는다. 국악교육은 국악을 예술로서 경험하되 지속적인 성숙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므로 음 감각, 독보 능력 등의 기본 능력과 국악의 표현과 감상을

위한 기초적인 기능과 창의적인 능력을 습득, 향상시키며, 국악 요소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고 국악의 생성 원리를 이해하도록 이끌어 주는 일을 또 하나의

소임으로 삼는다. 그리고 국악교육은 국악 미적 경험과 국악적 능력의 향상이

Page 6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55

그 자체에 머무르지 않고 정서적, 정신적 내면 상태로 스며들어 가치화하고 생

활화 하는 상태로까지 연결될 때 인간 교육적 의미를 확보하게 되므로 국악적

인 감성을 기르고 국악의 가치를 내면화 하며 국악을 생활화 하도록 이끄는 것

을 소임으로 삼는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림 Ⅲ-1>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

국악교육을 위한 국악 경험은 악곡 경험과 활동 경험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국악교육에서 악곡을 경험하는 것은 음향으로서의 악곡 경험이 아니라

국악의 질료와 생성을 경험하고 국악곡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경험한다는 것이

다. 더불어 악곡에 대한 종합적 경험과 분석적 경험을 연속적으로 되풀이함으

로써 국악교육이 이루어진다. 국악곡의 구성요소를 경험하는 것은 장단, 가락,

시김새 등의 기본 요소와 셈여림, 빠르기, 음색 등의 표현 요소와 형식, 구조,

시김새의 연결 등의 짜임 요소를 경험하는 것이다. 국악의 질료와 생성을 경험

하는 것은 악곡의 생성 방식과 소리의 성질을 통해 악곡을 경험하는 것이다.

국악교육에서 활동을 경험하는 것은 행위로서의 경험뿐만 아니라 느낌과 통

찰에 의한 미적 표현과 향수를 다양한 형태로 경험하는 일이며, 그러한 경험

속에서 음 감각, 독보 및 기보 능력, 개념 및 원리 이해 등의 학습이 이루어지

Page 7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5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는 일이다. 표현의 활동 형태는 가창, 기악, 창작으로 나타나며, 향수의 활동

형태는 감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2) 국악교육 내용의 범위 및 수준 탐색

가. 국악 경험과 학습 내용에 관한 요구 조사

'국악교육표준‘으로서의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의 개발에는 먼저 각 연령

군별(학년 군별)로 어떤 종류와 범위의 국악 경험과 학습이 가능한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들과 학생들이 연령 또는 학년 군별로 자리하고 있는 신체

적, 지적, 정서적 발단 단계에 따라 그들이 수행하고 성취할 수 있는 과제의

범위와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연령(학년) 군별로 교육이 가능한 범주를 설정하

는 문제가 우선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될 국

악교육 표준체계는 학교 교육, 사교육기관, 사회문화예술기관 등 모든 국악교

육 현장에서의 국악교육 활동을 포괄한다. 즉, 실효성 있는 국악교육표준을 마

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악교육 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현실적인 국악교육 수

준을 파악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국악교육 요구조사의 내용은 Ⅱ장의 국악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국악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에 초점을 맞춰 구성하

였다.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활동과 이해의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를

결정하여 국악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수, 교사, 강사들을 대상으로 국악

교육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는 국악교육 내용에 관한 델파이 기법(Delphi-Technique)의 설문 방식

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대학 교수와 초·중등학교 음악 담당교사, 각종 음악

프로그램 강사, 음악교습소 교사 등을 대상으로 각 연령 군별 어린이 및 청소년들

의 음악적 성장발달과 학습방식의 특성에 비추어 어느 범위와 수준의 국악교육 경

험 및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한지 그 정도를 표기하도록 하였다.

가) 설문지 표집 상황

▪설문 조사 및 표집 기간 : 2011. 8. 11.~9. 16.(45일간)

Page 7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57

근무 기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사설음악교습소

그 밖의 기관

인원(명) 23 11 9 4 4 5 56

% 41.07% 19.64% 16.07% 7.14% 7.14% 8.92% 100.0%

구분 경험과 학습의 내용 및 범위매우적합

적합 보통 부적합매우

부적합합계

1. 활동

(가창기악창작감상) 

111 전래동요・국악동요 부르기24

42.86%24

42.86%8

14.29%0 

0.00% 0

0.00%56 

112 노랫말의 내용을 느끼면서 노래 부르기16

28.57%27

48.21%10

17.86%3

5.36% 0

0.00% 56 

113 박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노래 듣고 부르기

2951.79%

2646.43%

11.79%

00.00% 

00.00%   56 

114 그림악보・글자악보 보면서 길이・높이 구별하여 소리내기

2341.07%

1933.93%

1221.43%

23.57%

 00.00%   56 

115 제창・독창하기17

30.36%24

42.86%12

21.43%3

5.36%0

0.00%  56 

121 박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타악기로 장단의 기본 박 치기

1323.21%

2748.21%

1425.00%

23.57%

00.00%   56 

122 여러 가지 타악기의 음색을 파악하며 연주하기

2137.50%

2341.07%

1017.86%

23.57%

 00.00%   56 

123 그림악보・글자악보 보면서 길이・크기 구별하여 연주하기73.22

1526.79%

2137.50%

1425.00%

610.71%

 00.00%   56 

131 주어진 박에 맞게 짧은 문장으로 묻고 답하기

1221.43%

2951.79%

916.07%

610.71%

00.00%   56 

132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물체・타악기 소리내기

2341.07%

2442.86%

712.50%

23.57%

 00.00%   56 

133 단순한 음악극 놀이하기 8 27 18 2 1  56 

▪설문 표집 방법 : 설문지 배부 및 회수

▪설문 표집 현황 : 설문자의 근무기관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교, 사설음악교습소, 그 밖의 기관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56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표 Ⅲ-1> 설문 표집 현황

나) 응답 분석 결과

각 기관의 근무하는 전문가 및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응답을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Ⅲ-2>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

(단위: 명)

Page 7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5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14.29% 48.21% 32.14% 3.57% 1.79%

141 주변의 소리・타악기소리 탐색하기24

42.86%21

37.50%10

17.86%1

1.79% 0

0.00%  56 

142 내용과 분위기를 파악하면서 노래 듣기10

17.86%26

46.43%16

28.57%4

7.14%0

0.00%  56 

143 장단의 기본 박・빠르기에 따라 몸을 움직이면서 음악 듣기94.64

2850.00%

2544.64%

11.79%

23.57%

00.00%   56 

144 악곡의 내용 연상하면서 묘사음악 듣기10

17.86%25

44.64%15

26.79%6

10.71%0

0.00%   56 

2. 이해

211 악곡 속의 긴・짧은・같은 길이의 소리 구별하기

1933.93%

2748.21%

1017.86%

 00.00% 

 00.00%   56 

212 악곡 속의 높은・낮은・같은 높이의 소리 구별하기

1730.36%

2442.86%

1425.00%

11.79%

 00.00%   56 

213 악곡 속의 큰・작은・같은 크기의 소리 구별하기

2239.29%

2544.64%

712.50%

23.57%

 00.00%   56 

214 악곡 속의 빠른・느린 박 구별하기23

41.07%26

46.43%610.71

%1

1.79% 0

0.00%  56 

215 음악 속의 목소리와 악기 음색 구별하기14

25.00%25

44.64%15

26.79%2

3.57% 0

0.00%  56 

권장 국악기

소고, 장구

권장 국악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의 종류] 국악동요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곡]

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의 경우 ‘박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노래 듣고

부르기’(98.22%), ‘장단의 기본 박・빠르기에 따라 몸을 움직이면서 음악 듣기’

(94.64%), ‘전래동요・국악동요 부르기’(85.72%),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물

체・타악기 소리내기’(83.93%), ‘주변의 소리・타악기소리 탐색하기’(80.36%),

‘주변의 소리・타악기소리 탐색하기’(80.36%), ‘여러 가지 타악기의 음색을 파

악하며 연주하기’(78.57), ‘노랫말의 내용을 느끼면서 노래 부르기’(76.78%)가

순위별로 가장 적합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해 영역에서는 ‘악곡 속의 빠른・느린 박 구별하기’(87.5%),‘악곡 속의 큰・작은・같은 크기의 소리 구별하

기’(83.93%), ‘악곡 속의 긴・짧은・같은 길이의 소리 구별하기’(82.14%)순으로

가장 적합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설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든 활동과 이해의

항목에 대하여 적합하다는 응답이 50%이상 나옴으로써, 1차로 선정한 만 6~7

세 어린이들의 국악교육내용은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Page 7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59

구분 경험과 학습의 내용 및 범위매우적합

적합 보통 부적합매우

부적합합계

1. 활동

(가창기악창작감상) 

             

111 전래동요・국악동요· 민요 부르기26

46.43%25

44.64%5

8.93% 0

0.00%  00.00%

56

112 자연스러운 자세로 노래 부르기27

48.21%20

35.71%8

14.29%1

1.79%  00.00% 

56

113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노래 부르기

1933.93%

3053.57%

610.71%

11.79%

   0

0.00%

56

114 장단의 특징을 느끼면서 노래 부르기16

28.57%28

50.00%10

17.86%1

1.79%1

1.79%56

115 평조(황태중임남) 가락을 율명으로 듣고 부르기

47.14%

2137.50%

2442.86%

610.71%

11.79%

56

116 장단의 기본 박 치며 노래 부르기18

32.14%28

50.00%6

10.71%4

7.14%  00.00% 

56

117 여럿이 함께 메기고 받으며 노래 부르기27

48.21%20

35.71%6

10.71%3

5.36%  00.00% 

56

118 춤사위 또는 놀이하면서 노래 부르기29

51.79%19

33.93%7

12.50%1

1.79%   

00.00%

56

121 기호를 보거나 구음을 듣고 음악에 맞추어 장단 치기

1425.00%

2850.00%

1017.86%

317.86%

11.79%

56

122 여러 가지 타악기의 바른 연주 자세와 주법 익히기

2035.71%

2035.71%

1017.86%

610.71%

   0

0.00%

56

123 소리의 어울림을 느끼며 타악 합주하기17

30.36%26

46.43%11

19.64%2

3.57%   

00.00%

56

131 장단에 맞추어 짧은 문장으로 노래하듯 묻고 답하기

1933.93%

2341.07%

1221.43%

11.79%

11.79%

56

132 주어진 가락의 일부를 바꾸어 변형 가락 만들기

1221.43%

1832.14%

1832.14%

610.71%

23.57%

56

133 악기소리로 짧은 이야기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1323.21%

2137.50%

1628.57%

610.71%

  00.00% 

56

141 여러 가지 국악기 소리 탐색하기24

42.86%25

42.86%6

10.71%1

1.79%   

00.00%

56

142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성악곡・기악곡 감상하기

1425.00%

2341.07%

1730.36%

23.57%

  00.00% 

56

143 내용을 연상하면서 단순한 표제음악 작품 감상하기

1221.43%

2951.79%

1425.00%

11.79%

  00.00% 

56

144 장단의 기본박을 치거나 어울리는 춤사위 하면서 음악듣기

2442.86%

2035.71%

1119.64%

11.79% 

   0

0.00% 

56

2. 이해

211 장단의 기본 박 구성14

25.00%25

44.64%15

26.79%2

3.57%  00.00% 

56

212 평조음계구성 6

10.71%24

42.86%16

28.57%9

16.07%1

1.79%56

213 장단에 따른 악곡의 느낌15

26.79%24

42.86%12

21.43%4

7.14%1

1.79%56

214 장단꼴・가락꼴의 반복과 변화(같음・ 다름)의 효과

1017.86%

2748.21%

1526.79%

35.36%

11.79%

56

215 메기고 받으며 부르는 노래 방식24

42.86%26

46.43%5

8.93%1

1.79%   

00.00%

56

216 악곡 전체 또는 부분의 소리 크기와 효과 20

35.71%27

48.21%6

10.71%3

5.36%  00.00% 

56

<표 Ⅲ-3>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8~9세(초등학교 3․4학년)-

(단위: 명)

Page 7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217 악곡 전체 또는 부분의 빠르기와 효과 19

33.93%28

50.00%7

12.50%2

3.57%  00.00% 

56

218 음원과 음색의 관계10

17.86%26

46.43%14

25.00%4

7.14% 2

3.57%56

권장 국악기

소고, 장구, 북, 괭과리, 징

권장 국악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의 종류] 전래동요, 국악동요, 민요, 판소리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곡] 판소리, 창작판소리

구분 경험과 학습의 내용 및 범위매우

적합적합 보통 부적합

매우

부적합합계

1.

111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 부르기24

42.86%24

42.86%5

8.93%3

5.36% 0

0.00%56 

112 자연스러운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27

48.21%21

37.50%8

14.29%  00.00%

  00.00%

 56 

113 장단 치며 노래 부르기26

46.43%25

44.64%4

7.14%1

1.79%  00.00%

 56 

114 장단의 한배를 변화시켜 부르기24

42.86%16

28.57%13

23.21%3

5.36% 0

0.00%  56 

115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살려 노래 부르기

3053.57%

1526.79%

814.29%

35.36%

  00.00%

 56 

116 계면조(황중임무)가락 율명 듣고 부르기20

35.71%15

26.79%18

32.14%3

5.36%  00.00%

 56 

117 평조·계면조 가락 율명으로 보고 부르기11

19.64%23

41.07%16

28.57%6

10.71%  00.00%

 56 

118 메기는 소리 독창하기 12 24 14 6   0  56 

만 8~9세(초등3․4학년)의 경우,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 부르기’(91.07%), ‘노

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노래 부르기’(87.5%), ‘사위 또는 놀이

하면서 노래 부르기’(85.72%), ‘여러 가지 국악기 소리 탐색하기’(85.72%),

‘여럿이 함께 메기고 받으며 노래 부르기’(83.92), ‘자연스러운 자세로 노래 부

르기’(83.92%), ‘장단의 기본 박 치며 노래 부르기’(82.14%)가 순위별로 가장

적합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평조(황태중임남) 가락을 율명으로 듣고 부

르기’(44.64%)는 적합하다는 응답자가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현상

은 만 8~9세 어린이들의 학습 수준에 율명으로 노래를 부르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라 사료된다. 이해 영역에서는 ‘메기고 받으며 부르는 노래 방

식’(89.29%), ‘악곡 전체 또는 부분의 빠르기와 효과’(83.93%), ‘악곡 전체 또

는 부분의 소리 크기와 효과’(83.92%)가 가장 적합한 내용이라고 응답을 하였

다.

<표 Ⅲ-4>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0~11세(초등학교 5․6학년)-

(단위: 명)

Page 7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61

활동

(가창

기악

창작

감상)

 

 

 

 

 

 

 

 

 

 

 

 

 

 

  

21.43% 42.86% 25.00% 10.71% 0.00%

121 바른자세와 주법으로 가락악기(단소・소금) 연주하기

1730.36%

2544.64%

814.29%

610.71%

  00.00%

 56 

122 단순한 가락의 전래동요・(창작)국악동요 가락악기로 연주하기

1832.14%

2341.07%

1221.43%

35.36%

  00.00%

 56 

1730.36%

2646.43%

916.07%

47.14%

  00.00%

 56 123 악곡의 특징 살려 악기 연주하기

124 장구장단에 맞추어 독주・제주하기 15

26.79%27

48.21%12

16.07%1

1.79%1

1.79% 56 

916.07%

2850.00%

1119.64%

814.29%

  00.00%

 56 125 노래에 맞추어 가락악기와 장구 장단으로 반주하기

2239.29%

2239.29%

1119.64%

11.79%

  00.00%

 56 131 짧은 가사로 노래 지어 부르기

132 메기고 받는 악곡 지어 적기17

30.36%23

41.07%10

17.86%6

10.71%  00.00%

 56 

133 목소리・악기소리로 짧은 이야기음악 만들기18

32.14%22

39.29%15

26.79%1

1.79%  00.00%

 56 

141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정악곡・ 민속악곡・ 창작곡 감상하기

2442.86%

2137.50%

1017.86%

11.79%

  00.00%

 56 

142 가락 ·장단의 반복과 변화에 따른 악곡의 짜임을 생각하면서 감상하기

1730.36%

1628.57%

1730.36%

610.71%

  00.00%

 56 

143 악기 구성과 연주 방식에 따른 악곡의 분위기를 파악하면서 감상하기

1832.14%

2137.50%

1221.43%

58.93%

  00.00%

 56 

144 내용을 연상하면서 쉬운 표제음악 작품 감상하기

2137.50% 

2442.86% 

712.50% 

47.14% 

  00.00% 

 56  

2.

이해

 

 

 

 

 

211 장단의 종류와 특징(한배, 장단세, 장단꼴)16

28.57%21

37.50%17

30.36%2

3.57%  00.00%

 56 

212 계면조음계구성16

28.57%21

37.50%16

28.57%3

5.36%  00.00%

 56 

213 음계와 가락의 관계, 계면조・평조 가락구성15

26.79%19

33.93%16

28.57%6

10.71%  00.00%

 56 

214 가락과 장단의 반복과 변화(같음・비슷함・다름)에 따른 악곡의 구조

1832.14%

2748.21%

1119.64%

  00.00%

  00.00%

 56 

215 소리 크기 변화(점점 크게・점점 작게)의 효과24

42.86%24

42.86%6

10.71%2

3.57%  00.00%

 56 

216 빠르기 변화(점점 빠르게・점점 느리게)의 효과25

44.64%24

42.86%5

8.93%2

3.57%  00.00%

 56 

217 음색・음역에 따른 표현의 차이23

41.07%24

42.86%8

14.29%1

1.79%  00.00%

 56 

218 정간보 기보 체계23

41.07%20

35.71%10

17.86%3

5.36%  00.00%

 56

권장 국악기

단소, 소금, 가야금

권장 국악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의 종류] 국악동요, 민요, 판소리, 시조, 가곡, 창작판소리, 창극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곡] 흥보가, 심청가

만 10~11세(초등학교 5․6학년)의 경우, 응답자들은 ‘장단 치며 노래 부르

기’(91.07%),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 부르기’(85.72%), ‘자연스러운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85.71%),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살려 노래 부르

기’(80.36%),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정악곡 민속악곡・창작곡 감상하

Page 7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구분 경험과 학습의 내용 및 범위매우

적합적합 보통 부적합

매우

부적합합계

1.

활동

(가창

기악

창작

감상)

 

 

 

  

111 무리 없는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 3053.57%

1526.79%

814.29%

35.36%

 00.00% 56 

112 여러 지역의 민요, 판소리 한 대목 부르기 2137.50%

2748.21%

814.29%

  00.00%

  00.00%

 56 

113 악곡에 어울리는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 2646.43%

2544.64%

47.14%

11.79%

  00.00%  56 

114 정해진 부분(메기는 부분 등)의 가사와 가락 바꿔 부르기

1628.57%

2442.86%

1323.21%

35.36%

 00.00%   56 

115 악곡의 특징(말붙임새, 장단의 세,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개성있게 노래 부르기

1119.64%

1628.57%

2341.07%

610.71%

  00.00%

 56 

121 바른 주법과 좋은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가야금 등) 연주하기

2035.71%

1526.79%

1832.14%

35.36%

  00.00%  56 

122 악곡의 특징(장단의 세,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개성있게 연주하기

610.71%

1628.57%

2341.07%

1119.64%

  00.00%  56 

123 장단에 맞추어 병주・중주하기 1221.43%

1425.00%

2442.86%

610.71%

  00.00%  56 

131 가사의 내용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기 916.07%

2850.00%

1119.64%

814.29%

  00.00%  56 

132 정해진 조건(장단, 토리 등)에 따라 간단한 가락 만들기

1832.14%

2341.07%

1221.43%

35.36%

  00.00%

 56 

47.14%

2646.43%

2544.64%

11.79%

  00.00%  56 133. 국악적 음원으로 이야기에 알맞은 음악극 만들기

1526.79%

2748.21%

1216.07%

11.79%

11.79%  56 

141 악곡의 시대적・지역적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형식에 따른 특징을 느끼면서 다양한 악곡 감상하기

2850.00%

1119.64%

916.07%

814.29%

  00.00%

 56 142 가락과 장단과의 조화를 생각하며 감상하기

1119.64%

2239.29%

2239.29%

11.79%

  00.00%  56 143 악곡의 쓰임과 용도에 어울리는 활동하며 감상하기

211 장단의 종류(중모리, 엇모리 등의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와 특징(한배의 변화)

2137.50%

1628.57%

1730.36%

23.57%

  00.00%  56 

212 민요 음계(경토리, 메나리토리, 육자배기토리, 수심가토리 등) 구성

1628.57%

2137.50%

1628.57%

35.36%

  00.00%  56 

기’(80.36%), ‘내용을 연상하면서 쉬운 표제음악 작품 감상하기’(80.36)의 순

으로 가장 적합한 활동이라고 표명을 하였다. 이해 영역에서 응답자들은 ‘빠르

기 변화(점점 빠르게・점점 느리게)의 효과’(87.5%), ‘소리 크기 변화(점점 크

게・점점 작게)의 효과’(85.72%), ‘음색・음역에 따른 표현의 차이’(83.93%),

‘가락과 장단의 반복과 변화(같음・비슷함・다름)에 따른 악곡의 구조’(80.35%)

를 적합한 학습 내용이라고 진술을 하였다. 모든 항목에서 응답자의 50% 이상

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므로 항목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내용의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나, 비교적 계면조와 평조와 관련한 활동과 이해 내용에서 응답률이

낮은 점은 내용 선정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표 Ⅲ-5>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2~14세(중학교)-

(단위: 명)

Page 7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63

2.

이해

 

 

 

 

213 가락에 나타나는 시김새의 특징 1526.79%

1628.57%

1933.93%

610.71%

  00.00%  56 

214 악곡의 형식(한배에 따른 형식, 연음 형식) 1832.14%

2748.21%

1119.64%

  00.00%

  00.00%  56 

215 가락의 흐름에 따른 한배의 변화 2442.86%

2442.86%

610.71%

23.57%

  00.00%

 56 

216 가락의 변화에 따른 세의 변화 1119.64%

2850.00%

916.07%

814.29%

  00.00%  56 

217 악기 편성(독주, 병주, 대풍류, 줄풍류, 합주 등)에 따른 소리의 어울림 및 차이

2341.07%

2442.86%

814.29%

11.79%

  00.00%  56 

권장 국악기

소금, 가야금, 해금

권장 국악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의 종류] 정악, 창극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곡] 양청도드리, 취타, 신뱃노래

구분 경험과 학습의 내용 및 범위매우

적합적합 보통 부적합

매우

부적합합계

1.

활동

(가창

기악

111 악곡에 어울리는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24

42.86%

24

42.86%

5

8.93%

3

5.36%

 0

0.00%56

112 여러 지역의 민요, 시조 초장 부르기21

37.50%

27

48.21%

8

14.29%

  0

0.00%

  0

0.00%56 

113 가락에 어울리는 변형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16

28.57%

24

42.86%

13

23.21%

3

5.36%

  0

0.00%56 

만 12~14세(중학교 1~3학년)의 경우, 응답자들은 ‘무리 없는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53.57%), ‘가락과 장단과의 조화를 생각하며 감상하기’(50%), ‘악곡에

어울리는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46.43%) 등에서 매우 적합하다는 응답이

많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중학교 시기가 변성기 시기이며, 이러한 시기에는 가

벼운 작품 감상이나, 연주하기 등이 적합한 활동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반면 응답자들은 ‘악곡의 특징(장단의 세,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

을 살려 개성 있게 연주하기’(10.71%), ‘가사의 내용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

기’(16.7%), ‘국악적 음원으로 이야기에 알맞은 음악극 만들기’(7.14%) 등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악기의 표현법에 치중된 기악 연주나 창작에

관련된 활동에 대한 부담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이해 영역에서는 ‘가락의 흐름

에 따른 한배의 변화’(42.86%), ‘악기 편성(독주, 병주, 대풍류, 줄풍류, 합주

등)에 따른 소리의 어울림 및 차이’(41.07%)가 매우 적합한 학습 내용으로 나

타났다.

<표 Ⅲ-6> 국악교육에서 제공되어야 할 경험과 학습의 종류 및 범위

-만 15~16세(고등학교)-

(단위: 명)

Page 7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창작

감상)

 

 

114 시조 초장의 노랫말 만들어 부르기4

7.14%

26

46.43%

25

44.64%

1

1.79%

 0

0.00% 56 

121 다양한 주법과 악곡에 어울리는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해금 등) 연주하기

15

26.79%

30

53.57%

8

14.29%

3

5.36%

  0

0.00%56 

122 악곡의 특징(장단의 세,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창의적으로 연주하기

20

35.71%

15

26.79%

18

32.14%

3

5.36%

  0

0.00%56 

123 장단에 맞추어 다양한 편성의 중주・합주하기11

19.64%

23

41.07%

16

28.57%

6

10.71%

  0

0.00%56 

131 가사의 내용과 형식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기12

21.43%

24

42.86%

14

25.00%

6

10.71%

  0

0.00%56 

132 주어진 조건(장단, 토리, 형식 등)에 어울리는

가락 만들기

17

30.36%

25

44.64%

8

14.29%

6

10.71%

  0

0.00%56 

133 다양한 국악적 음원으로 가・악・무가 포함된

음악 만들기

12

21.43%

18

32.14%

23

41.07%

3

5.36%

  0

0.00%56 

141 악곡의 사회적・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양식에

따른 특징을 느끼면서 다양한 악곡 감상하기

26

46.43%

17

30.36%

9

16.07%

4

7.14%

  0

0.00%56 

142 가락의 흐름에 따른 음과 조 등의 변화를

생각하며 감상하기

27

48.21%

15

26.79%

12

16.07%

1

1.79%

1

1.79%56 

143 다른 예술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감상하기28

50.00%

11

19.64%

9

16.07%

8

14.29%

  0

0.00%56 

2.

이해 

 

211 장단의 종류(시조 장단, 타령 장단 등)와 특징(장단의 기능)

16

28.57%

21

37.50%

17

30.36%

2

3.57%

  0

0.00%56 

212 다양한 음계(조)의 구성 및 특징 16

28.57%

21

37.50%

16

28.57%

3

5.36%

  0

0.00%56 

213 다양한 시김새의 특징15

26.79%

19

33.93%

16

28.57%

6

10.71%

  0

0.00%56 

214 다양한 형식

(엮음 형식, 시조 형식, 가곡 형식 등)

18

32.14%

27

48.21%

11

19.64%

  0

0.00%

  0

0.00%56 

215 악곡의 흐름과 한배와의 관계24

42.86%

24

42.86%

6

10.71%

2

3.57%

  0

0.00%56 

216 악곡의 흐름과 세 변화와의 관계16

28.57%

15

26.79%

19

33.93%

6

10.71%

  0

0.00%56 

217 다양한 악기 편성에 따른 음색과 소리의 어울림과의 관계

23

41.07%

24

42.86%

8

14.29%

1

1.79%

  0

0.00%56 

권장 국악기

소금, 가야금, 해금

권장 국악

[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의 종류] 정악, 창극[감상하도록 권하고 싶은 국악곡]

만 15~17세(고등학교)의 경우, ‘다른 예술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감상하

기’(50%), ‘가락의 흐름에 따른 음과 조 등의 변화를 생각하며 감상하

기’(48.21%), ‘악곡의 사회적・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양식에 따른 특징

을 느끼면서 다양한 악곡 감상하기’(46.43%)의 활동에서 매우 적합하다는 응

답이 많았다. 이해 영역에서는 ‘악곡의 흐름과 한배와의 관계’(42.86%), ‘다양

한 악기 편성에 따른 음색과 소리의 어울림과의 관계’(41.07%)에서 매우 적합

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를 통해서 고등학교 시기가 사고 능력이 발달하는 시

기이므로 다양한 악곡을 분석적으로 감상하거나 해석하는 활동이 이 시기에 적

Page 7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65

합한 학습 내용이라고 사료된다.

나. 국악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자문회의

교육 내용의 선정에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 학교 교사, 예술강사로 구성된

자문위원들과 국악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가) 1차 자문회의

① 일 시 : 2011년 11월 2일

② 장 소 : 단국대학교 음악관

③ 참석자 : 총 9명

자문위원 : 6명 (허화병47) 외 5명)

연 구 진 : 3명

④ 자문회의 결과

요구조사가 이루어지는 시기에 가진 자문회의로서 요구조사의 내용에 대한

자문이 이루어졌다. 요구조사에서 국악교육의 내용 중 활동과 이해 영역에 대

한 학습의 종류 및 범위만 설문을 하였는데 이는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 중 국

악적 능력 향상에 대한 설문조사만 이루어진 것이다. 그 이외의 국악 미적 경험과

국악적 심성 함양에 대한 내용은 요구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였으니 연구진 회의와

자문회의에서 그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국악 미적 경험은 국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향수하는 것이니 다양

한 국악곡으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을 하며 국악의 의미와 아름다움

느끼기, 생각하기 등의 내용을 선정하기로 하였다. 국악적 심성 함양은 정서

적, 정신적 내면 상태로 국악교육이 스며들어 가치화하고 자신의 삶과 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니 국악적 감성 기르기, 국악의 가치와 역할 인식하기,

국악을 생활화하고 다른 분야와 연계․통합하기 등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나) 2차 자문회의

47) 아현정보산업고 교장

Page 8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① 일 시 : 2012년 1월 11일

② 장 소 : 서울교육문화회관

③ 참석자 : 총 9명

자문위원 : 6명( 권덕원48) 외 5명)

연 구 진 : 3명

④ 자문회의 결과

중간보고가 끝난 이후 교육 내용을 최종 선정하기 위하여 2차 자문회의를 가졌

다. 연구진들이 관련 연구 분석과 요구조사, 1차 자문회의, 연계회의 등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선정한 국악교육 목표 및 내용에 대한 자문이 이루어졌다.

학교와 사회 교육기관에서 동시에 적용할 준거를 마련하는 연구이니 현행 교

육과정과 용어 및 내용 체계에 있어 혼선이 야기되지 않도록 내용을 조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현재 국악교육에 대한 저변확대가 많이 이루

어진 상태가 아니니 모든 교사가 개발되는 국악교육 표준을 보고 국악교육을 할 수

있도록 단계에 따라 구체적인 가락(토리), 장단, 악기, 악곡의 명칭을 제시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이런 자문 의견에 따라 교육 표준을 제시할 때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문화

예술교육을 담을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용어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구

체적인 명칭을 단계별로 제시하기로 하였다.

3) 국악교육의 내용 선정

국악의 학문적 논리 및 예술적 특성과 기존의 학교 음악교과 교육과정을 근

간으로 삼고,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음악 경험과 학습 성격상의 특징을

고려하는 한편, 국악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와 국악교육 담당교

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그리고 자문회의의 결과로 얻은 타당하고 의미

있는 의견들을 수렴한 다음 첨삭, 조정을 거쳐 재구성한 국악교육의 내용 체계는

다음과 같다.

48)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Page 8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67

구분

만 6~7세(초등학교 1․ 2학년)

9~10세(초등학교 3․ 4학년)

11~12세(초등학교 5․ 6학년)

13~15세(중학교)

16~18세(고등학교)

1. 활동

(가창기악창작감상)           

111 전래동요・국악동요 부르기

112 박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노래 듣고 부르기

113 길이・높이 구별하여 소리내기

111 자연스러운 자세로 노래 부르기

112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 부르기

113 장단의 기본 박 치며 노래 부르기

114 춤사위 또는 놀이하면서 노래 부르기

111 자연스러운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

112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 부르기

113 장단 치며 노래 부르기

114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살려 노래 부르기

111 무리 없는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

112 여러 지역의 민요, 판소리 한 대목 부르기

113 악곡에 어울리는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

114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의 특징 등)을 살려 개성있게 노래 부르기

111 악곡에 어울리는 발성으로 노래 부르기

112 여러 지역의 민요, 시조 초장 부르기

113 가락에 어울리는 변형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

114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창의적으로 노래 부르기

121 박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타악기로 장단의 기본 박 치기

122 여러 가지 타악기의 음색을 파악하며 연주하기

122 여러 가지 타악기의 바른 연주 자세와 주법 익히기

123 소리의 어울림을 느끼며 타악 합주하기

121 바른 자세와 주법으로 가락악기(단소・소금)연주하기

122 악곡의 특징 살려 악기 연주하기

123 장단에 맞추어 독주・제주하기

121 바른 주법과 좋은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등) 연주하기

122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의 특징 등)을 살려 개성있게 연주하기

123 장단에 맞추어 병주・중주하기

121 다양한 주법과 악곡에 어울리는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해금 등) 연주하기

122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창의적으로 연주하기

123 장단에 맞추어 다양한 편성의 중주・합주하기

131 주어진 박에 맞게 짧은 문장으로 묻고 답하기

132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물체・타악기 소리내기

131 장단에 맞추어 짧은 문장으로 노래하듯 묻고 답하기

132 주어진 가락의 일부를 바꾸어 변형 가락 만들기

133 악기소리로 짧은 이야기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131 짧은 가사로 노래 지어 부르기

132 메기고 받는 악곡 지어 적기

133 목소리・악기소리로 짧은 이야기음악 만들기

131 가사의 내용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기

132 정해진 조건(장단, 토리 등)에 따라 간단한 가락 만들기

133 국악적 음원으로 표제음악을 만들어 표현

131 가사의 내용과 형식에 어울리는 노래 만들기

132 주어진 조건(장단, 토리, 형식 등)에 어울리는 가락 만들기

133 다양한 음원으로 표제음악을 만들어 표현

<표 Ⅲ-7> 연령(학년) 군별 교육 내용 체계

Page 8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6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141 주변의 소리・타악기소리 탐색하기

142 내용과 분위기를 파악하면서 노래 듣기

143 장단의 기본 박・빠르기에 따라 몸을 움직이면서 음악 듣기

141 여러 가지 국악기 소리 탐색하기

142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성악곡・기악곡 감상하기

143 내용을 연상하면서 단순한 표제음악 작품 감상하기

144장단의기본박을 치 거 나 어 울 리는 춤 사 위 하 면 서음악듣기

141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정악곡・ 민속악곡・ 창작곡 감상하기

142 가락 ·장단의 반복과 변화에 따른 악곡의 짜임을 생각하면서 감상하기

143 악기 구성과 연주 방식에 따른 악곡의 분위기를 파악하면서 감상하기

141 악곡의 시대적・지역적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형식에 따른 특징을 느끼면서 다양한 악곡 감상하기

142 가락과 장단과의 조화를 생각하며 감상하기

141 악곡의 사회적・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내용・양식에 따른 특징을 느끼면서 다양한 악곡 감상하기

142 가락의 흐름에 따른 음과 조 등의 변화를 생각하며 감상하기

143 다른 예술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2.이해

211 장단(휘모리 등)의 기본박

212 음의 길이 구별하기

212 음의 높이 구별하기

213 음의 셈여림 구별하기

211 장단(자진모리,세마치 등)의 특성

212 장단에 따른 악곡의 느낌

213 메기고 받으며 부르는 노래 방식

214 악곡 전체 또는 부분의 소리 크기와 효과

215 악곡 전체 또는 부분의 빠르기와 효과

211 장단(중중모리,굿거리 등)의 종류 212 소리 크기 변화(점점 크게・점점 작게)의 효과

213 빠르기 변화(점점 빠르게・점점 느리게)의 효과

214 음색・음역에 따른 표현의 차이

215 정간보 기보 체계

211 여러 장단(중모리, 엇모리 등)의 구조

212 민요 음계 구성

213 가락에 나타나는 시김새의 특징

214 악곡의 형식(한배에 따른 형식, 연음 형식)

215 악기 편성(독주, 병주, 대풍류, 줄풍류, 합주 등)에 따른 소리의 어울림 및 차이

211 장단(시조 장단, 타령 장단 등)의 종류와 특징

212 다양한 음계의 구성 및 특징

213 다양한 시김새의 특징

214 다양한 형식(엮음 형식 등)

215 다양한 악기 편성에 따른 음색과 소리의 어울림과의 관계

2.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목표

1) 국악교육의 성격과 목적

국악은 악곡과 활동을 통해 음향에 담긴 인간의 느낌과 생각을 공감하고 소

통하는 예술의 한 형태이며, 예로부터 우리 생활의 일부로서 삶의 질에 깊은

Page 8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69

영향을 끼쳐왔다. 우리나라 사람은 국악을 향유하는 경험을 통하여 기쁨과 즐

거움을 느끼고 정서적 만족감과 정신적 고양을 이루며, 더 나아가 전통 문화의

계승과 개인적 성숙 그리고 사회문화적 안목의 확장을 이루고 조화로운 인성을

갖추게 된다. 국악이 사람에게 이러한 영향을 끼치는 것은 국악 경험이 개인에

게 자아를 실현할 방편을 제공하고 미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기회가

되며, 특수하면서 보편적인 음악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줄 뿐만

아니라 인간과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기 때문이다.

세계화로 치닫고 있는 21세기는 국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향유로 질 높은

개인적, 사회적 삶의 구조와 질서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 힘써야 하는 새 시

대이다. 이러한 시대에 다양하고 폭넓은 국악 향유의 경험과 그것을 위한 능력

의 향상 및 심성의 함양은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일이며, 모든 개인과 가정,

학교와 사회가 협력하여 공통적으로 이루어가야 할 중요한 문화적 삶의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각 가정과 학교, 지역 사회는 새 시대를 살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교육적, 합리적으로 체계화된 음악 향유 경험과 학습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초․중등학교에서 수행되는 음악교과는 학생들에게 풍부한 국악 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들이 국악을 향유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갖추게

하는 한 편 잠재된 국악적 능력을 최대한 확장하도록 도와주고, 국악적 심성을

함양하도록 이끌어줌으로써 조화로운 인성을 갖추게 하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 음악교과는 다양한 악곡과 국악 활동을 미적으로 느끼고 생

각하면서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국악 활동에 필요한 기본 감각과 기초 기능을

기르는 한편, 국악 경험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을 위해 스스로 탐구하고 연습하

며 개성 있게 표현하고 수용하도록 지도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가정이나 음악교습소, 지역사회 등의 음악프로그램은 각각의 취지와 상황에 따

르되, 국악 경험과 연습, 훈련, 학습 등의 내용의 범위와 수준에 따른 지도 목

표의 설정과 지도 중점의 결정은 교육적이어야 하며, 학교 음악교과교육과의

연계를 전제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국악의 의의와 국악교육의 성격에 따라 학교 내외의 국악 경험과 학

습은 다양한 악곡과 국악 활동을 심미적으로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경험과 의

도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국악 향유 능력과 국악적 창의력을 계발하게

하고 국악적 정서와 국악 애호심을 기르며, 더 나아가 국악을 생활화 하도록

이끄는 데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Page 8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7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구분 중심 개념

성격

- 국악의 내재적(內在的) 성격

․ 국악 향유(공감/소통/향상/참여/성취를 통한 기쁨/만족감/행복감)

․ 국악적 능력 향상, 풍부한 정서 함양, 창의성 계발, 전통 문화 계승

․ 폭넓은 음악문화적 안목(보편적/전통 문화 공유/동질성)

- 국악의 외재적(外在的) 성격

․ 인간 이해, 전통 문화 이해, 삶 이해

․ 민족 정신의 고양, 홍익인간 지향(개인적/사회적 이상 실현)

․ 조화로운 인간 품성, 전반적 성장 발달

․ 사회문화적 맥락 탐구

․ 삶의 질 향상

목적

․ 국악 미적 경험 : 다양한 국악곡 및 국악 활동의 풍부한 미적 경험

․ 국악적 능력 향상 : 국악 미적 감수성/국악 기초 능력/국악 이해력/국악 향유 능력/국악적 창의력/

국악 비평적 사고력 등의 국악적 성장 발달

․ 국악적 심성 함양 : 국악적 심성 함양/국악의 가치 인식/국악의 생활화

목표

(성취

수준)

만 6,7세

(초등학교

1~2학년)

․간단한 악곡 노래 부르기/악기로 표현하기 경험

․단순한 음악 듣기 경험, 신체적 반응

․기본 음악 감각(소리의 성질) 습득

․기초 국악 기능의 습득(노래 부르기/악기 연주/즉흥표현)

<내용 보기> - 전래동요 ․국악동요 부르기

- 타악기나 물체로 표현하기

- 가사/가락 묻고 답하기

- 다양한 물체/악기로 안내에 따라 창작하기

- 단순한 악곡 주의 깊게 듣기/음악에 맞추어 움직이기

- 소리의 성질(박/장단/가락/음색) 탐색하기

만 8~11세

(초등학교

3~6학년)

․기본 형식의 악곡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 활동의 미적 경험

․노래부르기 및 악기 연주에서 의도적 표현

․안내에 따른 작곡 경험

․악기 기본 주법 습득

․기본 용어 이해 및 사용

<내용 보기> - 전래동요 ․국악동요․민요 부르기

- 여러 가지 타악기와 가락악기(단소, 소금 등) 연주하기

- 가락 변형/메기고 받는 악곡 창작하기

- 다양한 종류(형식)의 악곡 듣기

- 장단(자진모리,휘모리,중중모리,굿거리,세마치 등)의 이해

국악교육의 목적 및 목표 설정의 근거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Ⅲ-8> 국악교육의 목적 및 목표 설정의 근거

Page 8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71

만 12~14세

(중학교

1~3학년)

․다양한 형식의 악곡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 활동의 미적 경험

․노래 부르기 및 악기 연주에서 개성적 표현

․정해진 조건에 따른 작곡 경험

․국악 해석 능력 배양

․다양한 시대의 국악을 역사적, 지역적 맥락에서 이해하며 감상하기

․정간보의 읽기(정간보의 기본 체계 이해)

․다양한 용어 이해 및 사용

<내용 보기> - 여러 지역의 민요 ․판소리 한 대목 부르기

-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등) 연주하기

- 기본장단으로 반주하기

- 정해진 조건에 따라 창작하기

- 다양한 시대, 지역의 악곡 듣기

- 장단(중모리, 엇모리 등)의 종류와 특징

만 15~17세

(고등학교

1~3학년)

․다양한 형식의 악곡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 활동의 미적 경험

․노래 부르기 및 악기 연주에서 창의적 표현

․주어진 조건에 따른 작곡 경험

․국악 해석 능력 강화/비평 능력 배양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며 감상하기

․독자적, 자발적 국악 활동하기/관심 분야의 국악 기능 심화 향상하기

․국악을 생활화하기

<내용 보기> - 여러 지역의 민요 ․시조 부르기

-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해금 등) 연주하기

- 변형장단으로 반주하기

- 주어진 조건에 따라 창작하기

- 다양한 문화권의 악곡 듣기

- 장단(시조장단, 타령장단 등)의 종류와 특징

2) 국악교육의 총괄 목표

다양한 국악곡과 국악 활동을 심미적으로 경험하고,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음악적 능력을 향상하고 국악적 심성을 함양한다.

가. 다양한 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향수함으로써 국악 미적

경험을 한다.

나. 가창, 기악, 창작 등의 표현 능력과 감상 능력을 갖추고, 국악의 구성

요소와 생성원리를 이해하여 국악적 능력을 향상시킨다.

Page 8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72|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다. 국악적 감성을 기르고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하며 음악을 생활화

하고 다른 분야와 연계․통합하여 음악적 심성을 함양한다.

3) 연령(학년) 군별 목표

가. 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 목표

간단한 악곡의 노래 부르기 및 악기로 표현하기와 듣기를 미적으로 경험하

고,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소리 현상에 대한 기본 감각과 기초

적인 국악표현 능력을 향상시켜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

나. 만 8~11세(초등학교 3~6학년) 목표

기본 형식의 다양한 악곡과 여러 가지 활동을 미적으로 느끼면서 경험하고,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기초적인 국악표현기능과 개성적인 표현 및 감상

능력을 향상시켜 국악적 심성을 함양한다.

다. 만 12~14세(중학교 1~3학년) 목표

다양한 형식의 다양한 악곡과 여러 가지 활동을 미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면서

경험하며,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해석하며 감상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국악적 감성을 기르고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하는 등의 국악적 심성을 함양한다.

라. 만 15~17세(고등학교 1~3학년) 목표

다양한 형식 및 양식의 악곡과 여러 가지 활동을 미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면

서 경험하며,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문화적, 역

사적 맥락에 따라 해석하며 감상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국악을 생활화하고 다른 분

야와 연계․통합하는 등의 국악적 심성을 함양한다.

Page 8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73

4) 국악교육의 영역별 목표와 교육방법적 특성의 연관성

국악의 미적 경험과 학습은 기본적으로 느낌과 사고, 상상과 통찰, 판단과

창조 등의 내면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국악 미적 경험은 표현 및 향수 활

동에서 다루고 수용하는 악곡으로부터 가지는 느낌과 인식, 통찰, 소통, 적용

등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국악적 능력 및 국악적 심성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한다. 국악적 능력의 향상과 관련되는 활동과 학습은 사고와 연상 또는 상

상, 탐색 또는 탐구, 연마, 적용 등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국악 미적 경험

의 양상 및 국악적 심성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한다. 국악적 심성의 함양과

관련된 간접적인 학습은 느낌과 인식, 통찰, 연마, 적용, 소통 등을 통해 이루

어지며, 미적 경험의 양상과 능력의 상태와 연계되어 작용한다.

국악 경험과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그러한 내면 작용들이 여러 형태로 연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은 국악곡을 표현하고 향수하는 모든 순간에 국악 미적 감

수성, 즉 국악의 의미와 아름다움에 대한 지각과 반응이 접합 작용을 하기 때

문이며, 국악교육은 결국 이 국악 미적 감수성을 기르는 동시에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상의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표 Ⅲ-9> 국악교육 영역별 목표와 교육방법적 특성

교육영역 목 표교육방법적 특성

연계작용 통합작용

국악 미적 경험

-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향수함

느낌・사고・상상인식・통찰・소통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 표현(가창, 기악, 창작) 능력을 기름 - 감상 능력을 기름 - 국악의 개념(구성요소, 생성원리)을 이해

탐구・연마・적용느낌・사고・상상

국악적 심성 함양

- 국악적 감성을 기름 -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함 - 국악을 생활화함 - 다른 분야와 연계, 소통함

인식・통찰・소통탐구・연마・적용

Page 8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7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교육영역 목표 성취 기대 수준 연계/

통합작용

국악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 향수함

-전래동요・국악동요를 부르거나 들으면서 가사의 내용과 분위기를 느

낀다.

-악곡에 맞추어 박을 치거나 몸을 움직이면서 음악의 흐름을 느낀다.

-짧은 문장으로 묻고 답하며 말의 흐름을 느낀다.

-전래동요를 부르면서 놀이를 한다

느낌・사고・상상인식・통찰・소통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표현(가창,기악,창작) 능력을 기름

감상 능력을 기름

국악의 개념을 이해함

-자연스럽고 자신 있게 노래 부를 수 있다.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하면서 노래 부를 수 있다.

-노랫말의 내용을 느끼면서 노래 부를 수 있다.

-타악기로 장단의 기본 박을 칠 수 있다.

-다양한 타악기 음색의 어울림을 느끼며 합주를 할 수 있다.

-장단에 맞추어 짧은 문장으로 묻고 답할 수 있다.

-주변의 물체나 타악기를 이용하여 주어진 상황이나 느낌에

어울리는 소리를 만들어 표현할 수 있다.

-악곡의 흐름에 따라 몸을 움직이면서 단순한 형태의 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악곡의 내용을 연상하면서 묘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탐구・연마・적용느낌・사고・상상

/미적 지각․반응

3.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성취기대수준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성취기대수준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에서 학

습자가 도달해야 할 능력의 내적․외적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성취기대수준은 본 연

구에서 국악 미적 경험, 국악적 능력 향상, 국악적 심성 함양의 교육영역별로 목표

를 진술하고 각 단계의 연령 및 학년 군별로 수준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의 교육영역의 목표에 따른 성취기대수준은 다음과 같

다.

<표 Ⅲ-10>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

Page 8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75

교육영역

목표 성취 기대 수준 연계/통합작용

국악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 향수함

-전래동요・국악동요・단순한 민요를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부른다.

-장단의 느낌을 살려 타악기로 표현한다.

-짧은 문장으로 노래를 지어 부른다.

-악곡의 흐름에 맞추어 박을 치거나 악곡의 특징에 어울리는 신체표

현을 하면서 감상한다.

느낌・사고・상상

인식・통찰・소통

/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표현(가창,기악,창

작) 능력을 기름

감상 능력을 기름

국악의 개념을

이해함

-바른 자세와 호흡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하면서 노래 부를 수 있다.

-타악기로 단순한 장단을 연주할 수 있다.

-타악기의 바른 연주 자세와 주법을 익힌다.

-주어진 음으로 짧은 노래를 지어 부를 수 있다.

-목소리·타악기로 이야기에 어울리는 음향을 만들어 표현할

수 있다.

-국악곡을 감상하며 느낌을 이야기할 수 있다.

-악곡에 어울리는 몸동작이나 추임새를 하며 감상할 수 있다.

-장단(자진모리, 세마치 등)의 특성을 이해한다.

-.가락에 사용된 음을 이해한다.

-악기에 따른 음색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탐구・연마・적용

느낌・사고・상상

/

미적 지각․반응

-음의길이·높이·크기·음색의 같음과 다름을 구별할 수 있다.

-장단(휘모리 등)의 기본 박을 구별할 수 있다.

-악곡 속의 목소리와 악기 음색을 구별할 수 있다.

국악적 심성 함양

국악적 감성을 기름

--전래동요・국악동요를 즐겨 듣거나 부르면서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

-친구들과 함께 전래놀이를 즐겨한다.

-악곡의 흐름을 느끼면서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인식・통찰・소통탐구・연마・적용

/미적 지각․반응

<표 Ⅲ-11>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9~10세(초등학교 3·4학년)

Page 9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7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국악적 심성 함양

국악적 감성을

기름

국악을 생활화함

-전래동요・국악동요・단순한 민요를 즐겨 듣거나 부르면서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

- 악곡의 느낌과 분위기를 파악하면서 주의 깊게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생활 속에서 전래동요·국악동요 부르기를 즐겨한다.

인식・통찰・소통

탐구・연마・적용

/

미적 지각․반응

교육영역 목표 성취 기대 수준 연계/

통합작용

국악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 향수함

-전래동요・국악동요・민요를 부르며 노랫말의 내용과 악곡의 특징을

느낀다.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 등)을 살려 표현한다.

-국악곡을 연주하며 가락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주어진 가사로 노래를 지어 그 속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표현한다.

-국악곡의 특징을 느끼면서 감상한다.

느낌・사고・상상

인식・통찰・소통

/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표현(가창,기악,창작) 능력을 기름

감상 능력을 기름

국악의 개념을 이해함

-바른 자세와 자연스러운 발성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노래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하면서 노래 부를 수 있다.

-바른 연주 자세와 주법으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등)을 연주할 수 있다.

-노래에 가락 반주·가락악기 독주·제주를 할 수 있다.

-가락의 일부를 바꾸어 노래하거나 연주할 수 있다.

-목소리·다양한 악기소리로 짧은 이야기 음악을 만들어 표현할 수 있다.

-악곡의 특징을 느끼며 다양한 국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악곡의 특징에 따른 몸동작이나 추임새를 하며 감상할 수 있다.

-장단(중중모리, 굿거리 등)의 종류를 안다.

-시김새의 효과를 이해한다

-음색・음역에 따른 표현의 차이를 이해한다.

탐구・연마・적용

느낌・사고・상상

/

미적 지각․반응

<표 Ⅲ-12> 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1~12세(초등학교 5·6학년)

Page 9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77

국악적 심성 함양

국악적 감성을 기름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함

국악을 생활화함

다른 분야와 연계하고 소통함

-전래동요・국악동요・단순한 민요・판소리를 즐겨 듣고 부르고 연주하

면서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

-악곡의 특징을 파악하며 진지하게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국악이 생활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심을 가진다.

-국악 연주회에 참여하거나 관람하기를 즐겨한다.

-우리 지역에 전승되는 전통 문화에 관심을 가진다.

인식・통찰・소통

탐구・연마・적용

/

미적 지각․반응

교육영역

목표 성취 기대 수준 연계/통합작용

국악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 향수함

-여러 지역 민요 ․ 판소리 한 대목을 부르면서 국악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낀다.

-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개성 있게 표현한다.

-여러 국악곡을 연주하며 국악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낀다.

-국악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지닌 노래를 지어 표현한다.

-국악곡의 시대・지역적 배경과 악곡의 형식에 따른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감상한다.

느낌・사고・상상인식・통찰・소통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표현(가창,기악,창작) 능력을 기름

감상 능력을 기름

국악의 개념을 이해함

-무리 없는 발성으로 자신의 음역에 맞게 노래 부를 수 있다.-기본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를 수 있다.-정간보에 기보된 쉬운 가락을 율명으로 보고 부를 수 있다.

-바른 주법과 좋은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등)를 연주할 수 있다.

-병주, 간단한 편성의 중주・합주를 할 수 있다.

-정해진 조건(장단, 토리 등)에 따라 간단한 형식의 가락을 지어 표현할 수 있다.

-국악적 음원으로 표제악곡을 만들어 표현할 수 있다.

-국악곡을 감상하며 시대적・지역에 따른 내용・형식별 악곡 특징을 구별할 수 있다.

-작곡가・작품 배경과 내용・연주자와 연주형태・느낌 등을 기록하면서 감상할 수 있다.

-장단(중모리, 엇모리 등)의 구조를 이해한다. -여러 토리의 구성 및 시김새의 특징을 파악한다.-국악곡의 형식(한배에 따른 형식, 연음형식 등)을 이해한다.-음역・음질에 따른 표현의 차이를 이해한다.

탐구・연마・적용느낌・사고・상상

/미적 지각․반응

<표 Ⅲ-13>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3∼15세(중학교 1∼3학년)

Page 9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7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국악적 심성 함양

국악적 감성을 기름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함

국악을 생활화함

다른 분야와 연계하고 소통함

-노래 부르기・연주하기・악곡 창작하기 등에 스스로 참여하며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

-악곡의 아름다움을 생각하며 집중하여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사람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국악의 역할을 인식한다.

-학교 음악발표회・학예회 등에 적극 참여한다.

-전승되는 민속 문화에 관심을 가진다.

인식・통찰・소통탐구・연마・적용

/미적 지각․반응

교육영역

목표 성취 기대 수준 연계/통합 작용

국악 미적 경험

다양한 국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경험, 향수함

--다양한 민요・시조 등의 국악성악곡을 부르면서 악곡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각한다.-악곡의 특징(장단, 시김새, 토리의 특징 등)을 살려 창의적으로 표현한다.-다양한 국악곡을 연주하며 국악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생각하고 느낀다.-가사의 내용과 구조에 어울리게 노래를 지어 그 곡에 담긴 아름다움과 의미를 느끼며 표현한다.-악곡 내용 및 형식에 따른 의미와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각하면서 다양한 국악곡을 감상한다. -다양한 시대・지역・종류 및 양식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악곡의 질과 수준을 비평한다.

느낌・사고・상상

인식・통찰・소통

/

미적 지각․반응

국악적 능력 향상

표현(가창,기악,창작) 능력을 기름

감상 능력을 기름

국악의 개념을 이해함

-악곡에 어울리는 발성과 호흡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여러 조 및 토리의 가락을 보고 부를 수 있다. -악곡에 어울리게 변형장단을 치며 노래 부를 수 있다.

-다양한 주법과 악곡에 어울리는 음질로 가락악기(단소, 소금, 가야금, 해금 등)를 연주할 수 있다.-다양한 편성의 중주・합주를 할 수 있다.

-국악적 요소(장단, 토리, 형식 등)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식의 곡을 지어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음원・매체로 국악곡을 만들어 표현할 수 있다.

-국악곡을 감상하여 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따른 맥락과 내용・양식별 특징을 구별할 수 있다.-작곡가・작품 배경과 내용・연주자와 연주형태・느낌 등을 기록하면서 감상할 수 있다.

-다양한 장단(시조장단, 타령 장단 등)의 종류와 그 특징을 이해한

탐구・연마・적용

느낌・사고・상상

/

미적 지각․반응

<표 Ⅲ-14>국악교육의 목표 및 성취기대수준 : 만 16∼18세(고등학교 1∼3학년)

Page 9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79

다. -평조・계면조, 여러 토리의 구성 및 특징을 파악한다.

-다양한 악곡의 형식(엮음 형식 등) 및 성부조직을 이해한다.

-음원・매체・음질에 따른 표현의 차이를 이해한다.

국악적 심성 함양

국악적 감성을 기름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함

국악을 생활화함

다른 분야와 연계하고 소통함

-노래 부르기・연주하기・악곡 창작하기 등에 적극 참여하며 국악적 감성을 기른다.-작품의 수준을 평가하면서 진지하게 감상하는 태도를 기른다.

-삶의 질적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국악의 가치와 역할을 인식한다.

-생활 속에서 가족・친구들과 노래하기・연주하기를 좋아한다.-동아리・축제・기념일 등의 행사에 적극 참여한다.

-국악을 다른 예술분야・교과와 연계하고 소통시켜 다양하고 풍부하게 국악을 향유한다.

인식・통찰・소통

탐구・연마・적용

/

미적 지각․반응

4. 국악 교육표준의 활용 방안

연구 개발된 국악 교육표준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장소 및 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그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기관에서 국악을

교육함에 있어 그 목표와 성취 수준의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국악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년별 위계가 존재하는 학교 수업시간에 연구 개

발된 국악 교육표준을 단계별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2009 개

정 교육과정은 집중 이수제와 블록 타임제 등으로 교과의 재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국악 교육표준은 교사들이 국악

교육을 재구성할 때 그 목표와 성취 수준을 제공하여 보다 체계적인 국악 교육

을 할 수 있게 되리라 기대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으로써 이루어지는 방과 후 교육활동, 계발활동, 동아리활

동, 사설 기관에서의 교양 강좌 등 국악을 취미로 배우는 모든 교육 활동에서

그 내용과 성취 수준 및 단계의 기준점을 제공하여 문화예술교육으로써 국악

Page 9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8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리라 기대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 간의 국악 교육에

대한 암묵적인 합의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국악 교육에 대한 기준은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 밖에는 없는 실정이

다. 따라서 학교에서 음악 시간에 국악을 교육할 때만 그 목표 및 성취 수준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육과정도 국악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체계

를 가지고 있지 않고 대략적인 내용만 포함하고 있어 그 단계와 수준을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하기는 좀 무리가 따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악 교육표준

은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국악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학교 음악 교사, 예술 강

사, 사설 단체의 강사, 실기 강사 등)들 간의 국악 교육에 대한 암묵적인 합의

를 가져오리라 기대된다.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국악 교육을 하더라도 본

국악 교육표준의 잣대로 그 교육의 단계와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 프로그램 평가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교육 평가란 교육의 과정에 있어 교육목표는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목표실

현을 위한 교육활동의 계획과 과정은 적절한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교육의 목

표가 제대로 성취되었는지를 확인·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교육 프로

그램의 평가가 다음 교육의 목표 수립과 실천에 반영되지 않으면 그 교육은 지

속되거나 바람직하게 발전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반드시 교육 평가가 목표의

수립 및 실천에 피드백이 되어야 그 교육의 질적 수준을 보장할 수 있다.

목표와 성취 기준이 포함된 국악 교육표준은 국악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

가의 준거로 활용됨으로써 프로그램의 실행된 이후 다음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발전적인 방향으로 수정하고 보완하여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악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보재 개발의 수

월성을 높일 수 있다.

국악 교육표준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목표 및

그에 따른 영역과 성취 수준 등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으로써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그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연구된 국악 교육표준

Page 9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Ⅲ.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개발의 실제|81

은 국악 교육에 필요한 교․보재를 개발할 때에 어떤 수준으로 어떤 내용을 담

을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여 교․보재 개발의 수월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 교육에 대한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학교 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에서는 학교라는 제한적인 공간과 학령기라는 연

령의 제한성 때문에 폭넓은 교육의 내용을 담기에 어려움이 따랐다. 하지만 본

국악 교육표준은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국악 교육이 교양으로써 이루어지는

모든 장소, 기관, 연령을 대상으로 고려하여 목표와 단계 그리고 성취 기준을

설정하였기에 그에 따른 국악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

대된다.

Page 96: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Page 97: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Ⅳ.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Page 98: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84|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Ⅳ. 요약 및 제언

1. 요약

이 연구는‘모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라는 문

화예술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재인식하고, 학교교육에 집중되었던 종래의 문화예술

교육 영역과 범주를 국가사회 전체의 문화예술교육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시대적 ,

사회적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여러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에서도 특히 국악교육

분야는 우리 전통 문화의 전승과 고양의 목적을 지니므로, 국악을 향유하고 전승하

도록 교육하는 것은 음악을 통해 세대 간의 문화적 소통과 민족적 정서의 공유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자들은 학령기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될 모든 형태와 장(場)에서의 국악교육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국악교육표준’

의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이전보다 더 질 높고 체계적인 국악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지침이 될 콘텐츠로서 국악교육의 구조를 탐구하고 그에 따른 목적 및 목

표를 설정하였으며, 학령기의 연령(학년) 군별로 국악교육에 필요한 지도내용

의 범위 및 수준 체계와 영역목표별 성취기대수준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학교 음악교육과정 내의 국악교육 내용을 반영하되,

학교 밖의 모든 국악 교육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국악교육내용의 범위 및 수

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국악교육 전문가와 교육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실

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표준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국악교육의 기

본 구조를 국악의 미적 경험, 국악적 능력 향상, 국악적 심성 함양으로 설정함

으로써 국악의 미적 경험을 심화, 확장하였고, 국악적 감성을 통한 인성의 교

육을 실현하도록 하였으며, 국악의 예술적 경험과 훈련에 중점을 두되 탐구의

과정과 논리적 학습을 강화함으로써 이해와 소통을 통한 문화예술 향유 능력과

창의력 계발을 지향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과정에서 중점이 된 내용은 1)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목적과

방향, 2) 국악 교육표준 체계 개발을 위한 방안, 3) 학습자의 음악적 성장 발

달 및 학습방식에 따른 학습 범위 및 수준, 4) 학습 영역 별 목표 및 성취기대수

Page 99: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Ⅳ. 요약 및 제언|85

준, 5) 교육 표준의 활용 방안이며, 위의 연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

구 분석과 국악교육 전문가 인터뷰 및 토론, 국악교육심리학과 국악교수이론 정리

등을 진행하였고, 국악교육 전문가, 교사(학교 및 사설교육기관 포함), 문화예술 강

사 등 전문가 교육요구조사(델파이기법, Delphi-Technique)와 설문조사를 수행하

였다. 기초 연구와 요구조사, 설문조사의 결과는 국악교육의 기본 틀의 구축과 내

용 선정에 근거가 되었고, 국악교육의 기본 구조는 교육 내용 체계와 세부 목표별

성취기대수준의 개발에 지침이 되었다.

연구의 결과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기본 구조를 ‘국악 미적 경

험’, ‘국악적 능력 향상’, ‘국악적 심성 함양’으로 삼고, 이에 따라 ‘국악을 심미

적으로 경험하고, 그러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국악적 능력을 향상하고, 국악

적 심성을 함양한다.’는 문화예술교육 국악교육 총괄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어

국악교육의 영역별 목표와 교육방법적 특성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학령기의 연

령 군별[만 6~7세(초등학교 1・2학년), 8~9세(3・4학년), 10~11세(5・6학년),

12~14세(중학교), 15~17세(고등학교)]로 교육 내용의 범위 및 수준 체계와

세부목표별 성취기대수준을 구체화하였다.

2. 제언

앞으로의 국악교육은 변화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부

합하는 교육 목적과 학습내용, 수준체계 등을 새롭게 설정함으로써, 국악교육

이 학교 교육 뿐 아니라 사회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세대와 공간의 제한 없이 다

양한 활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더불어 국악 교육

이 문화예술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화된 사

회문화 환경을 정 하게 분석하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국악교육의

대상이자 주체들의 공감대를 넓히려는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국악이 이들

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 대상과의 교

감, 접촉의 경로를 다양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국악교육의 정당성과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국악 교육표준이 모든 형태, 모든 장에서의 국악교

육에 적극 적용되고 널리 일반화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이번 연구를 계기로

Page 100: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86|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악교육이 더욱 체계화되고, 문화예

술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국악교육의 방향성을 올바르게 정립하는 기회가 되

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이 연구를 시발로 하여 더욱 심화되고 확장된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다양하고 발전된 국악교육프로그램과 교재, 평가 및 측정 방법의

개발 등의 연구로 이어지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Page 101: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참고문헌|87

참고문헌

[단행본]

김혜정, 초등 국악교육의 이해와 실제, 서울: 민속원, 2007.

나재용,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발달심리학, 서울 : 교학사, 2010

민경훈, 음악교육학 총론, 충북 : 한국교원대학교출판부, 2009

민경훈 외, 음악교육학 총론. 서울: 학지사, 2010

민은기, 한국 청소년의 음악교육 실태, 서울 : 예솔, 2000

백대웅, 전통음악의 보편성과 당위성, 서울: 지식산업사, 2010.

석문주 외,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2006.

왕양명, 왕양명의 마음의 예술,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론, 서울 : 민속원, 2007

윤명원 외, 한국음악론, 서울: 음악세계, 2003.

윤명원 외, 국악교육지도법, 서울: 국악춘추사, 2004.

이성천, 한국의 음악교육을 진단한다, “한국국악교육학회국악교육총서 1”, 서울 : 풍남,

1991.

이성천, 민족음악교육을 말한다, 서울 : 풍남, 1992

이용일, 음악교육학 해설, 서울 : 현대음악출판사, 1989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0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2

장호, 중등학교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예솔, 2006

정지영, 한국 창작음악 속의 국악적 기법 연구, 서울 : 예솔, 2011

정현주, 인간행동과 음악(음악은 왜 치료적인가?), 서울 : 학지사, 2011

진회숙(글) 백명식 그림, (초등학생을 위한)국악의 모든 것(우리 음악의 역사와 우리 악기 이

야기), 서울: 주니어김영사, 2011

최시원, 음악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 다라, 1996

최신혜, 생명을 키우는 음악교육, 서울, IBG, 2008

David J. Hargreaves, 나재용 역,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발달심리학, 서울: 교학사, 2009.

Enid Zimmerman, 강갑원(역), 예술·음악 영재학생, 서울 : 학지사, 2008

S. L. Schleuter, 방금주 역, 음악인을 위한 청각지도법, 서울: 삼호출판사, 1993

Susan Hallam, 고선미(역), 음악교육 심리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1

[학술대회 간행물, 연구보고서]

경기도문화의 전당, 유아 및 초중등 국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술 심포지엄, 수원: 경기도

문화의 전당, 2005.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7.

Page 102: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88|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7

교육부. 예술 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교육인적자원부.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

(IV). 2002.

국립국악원,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가창편, 서울: 국립국악원, 2001.

국립국악원,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기악· 창작· 감상편, 서울: 국립국악원, 2002.

문화체육관광부, 교육화학기술부.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안, 2010.

민경훈, 초등학교 음악활동의 사전 계획에 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22집, 한국음악교육학회,

2002.

민경훈, 세계화에 있어서 상호 문화적 음악교육의 과제와 전망, 음악과 민족, 제28호,

2004.

박순경 외,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박은혜,「예술기반 유아교육 프로그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변계원,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험 본 초등 3, 4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교육 부분 분

석 연구, 예술교육연구. 제7권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변미혜 외.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국악.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2009.

소경희,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II) : 주요국의 학교 교육과정․교육평가 운영 실태

분석, 연구보고 RRC 2000-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승윤희, 아동의 리듬인지의 다의성(多義性)에 관한 이해, 연세음악연구, 제10집, 41-55,

2003

승윤희, 음악교육의 심리학적 기반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23집, 145-179,

2002

신승환 외. 문화예술교육론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색깔의 꽃과 새 그리고 물고기를 위하여」,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이경언, 음악과 새 교육과정(7~10학년)의 특징과 의의, 교원교육 제23권, 한국교원대학교 교

육연구원, 2007.

이경언,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개정 방향, 교과서연구 제49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06

이홍수, 심미적 이성인의 사회 구축에 기본이 되는 예술 교육, 예술과 교육 제14집, 한국교원

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2008

정진원, 음악재능의 이해와 발견, 제37회 여름 학술세미나-음악교육의 과제와전망, 한국음악

교육학회, 2006

정현주, 예술교육선도학교 운영 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Page 103: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참고문헌|89

최은식, 예술 교과교실 현대화 모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최종민, 음악교육의 한국화, 제32회 음악교육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발표자료, 한국음악교육

학회, 200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년 문화예술교육 콜로키움: 미래사회와 문화예술교육 결과 자

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200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포럼, 2009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비전. 서울: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200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문화예술교육 콜로키움: 미래사회와 문화예술교육 결과 자료집」,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문화예술교육 포럼,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비전」, 서울: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황금숙, 방과 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2007

Dowling, W. J. (1999), The development of music perception and cognition. In D.

Deutsch(Ed.), The psychology of music (2nd ed.) (pp. 603-625). San Diego:

Academic Press

Gembris, H. (2002), The developmental of musical abilities. In R. Colwell (Ed.),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pp. 487-50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argreaves, D. J. (1986),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music,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MENC, The K-12 National Standards, Pre K Standards, and What They Mean to

Music Educators, (2000), http://www.menc.org/publication/books/prek12html

Office of EMEC (2000), Early Literacy Profile and Facilitator's Guide,

http://www.emesc.nysed. gov

Sloboda, J. A. (1985), The musical mind: The cognitive psychology of music.

Oxford: Clarendon Press

Radocy, R. E. & Boyle, J. D. (199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3rd ed.), Springfield: Charles Thomas Publisher, Ltd.

Page 104: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90|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국악

[논문]

김한순, ‘산조감상을 위한 지도 내용에 관한 연구-박상근류 가야금 산조를 중심으로’,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김희숙, ‘초등학교 음악과 국악내용의 적합성 분석 준거 개발’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문지영, ‘음악외적 요인과 음악에 대한 정서반응간의 관련성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9

민승욱, ‘국악 구성요소와 학습활동의 연계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박은주, ‘방과 후 음악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실태와 개선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박현주, ‘국악보에 나타난 시김새 연구 및 초등 음악교육과정을 위한 학습 내용 선정’, 한

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변계원,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험 본 초등 3, 4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교육 부분

분석 연구’ , 『예술교육연구』. 제7권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송정희, ‘메나리토리 민요의 음악적 특성을 활용한 단계적 창작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신서균, ‘초등학교 국악 기악곡 감상학습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이경언, ‘음악과 새 교육과정(7~10학년)의 특징과 의의’, 『교원교육』, 제23권, 한국

이민수, '인간 가치 추구를 위한 음악교육학에 관한 소고', 목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이정희, ‘시조․ 가곡․ 가사의 가창지도 단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정철영, '특기․적성교육의 개념과 영역 및 내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조묘구, ‘남도민요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조순자, ‘국악 가창 지도법’, 『예술과 교육』제6집, 한국교원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세미나

자료, 2000

주태원, ‘초등학교 국악 교육의 본질화를 위한 시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최경주,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Page 105: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_국악

참고문헌|91

검토 및 자문

권덕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김선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강사

민경훈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박주만 금상초등학교 교사

박지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강사

신현남 국립국악고등학교 교감

승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이홍수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조성기 공주대학교 교수

허화병 아현산업정보학교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