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224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음운 01 (1) 그림 속 아이는 무엇을 만들고 있을까? (2) 자신이 모형을 만든다면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 (3) 자신이 만들고 싶은 모형을 그림 아이에게 만들게 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 질까?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예시 답|블록을 조립하여 탑 혹은 로켓을 만들고 있다. 예시 답|비행기나 배처럼 복잡하고 정교한 모형을 만들고 싶다. 예시 답|복잡하고 정교한 비행기나 모형은 만들기 어려워 여러 차례 부수고 만들기를 거듭하겠지만, 결국 비슷하게나마 그 모형을 만들 것이다. (1)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활동 안내|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여러 가지 말을 만드는 과정을 블록으로 모형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아이들은 단순한 모양의 블 록을 조립하여 특정 대상을 만들어 낸다. 말을 만드는 과정도 이와 유사하다. 사람들 은 몇 개의 자음과 모음을 활용하여 무궁 무진하게 말을 만들어 낸다. 블록으로 원하 는 모양을 만들 때에 각 블록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 원하는 말을 정확히 만들려면 그 재료가 되는 자음과 모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활동을 통 해 말의 재료가 되는 자음과 모음의 특성 과 그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 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24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음운01

(1) 그림 속 아이는 무엇을 만들고 있을까?

(2) 자신이 모형을 만든다면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

(3) 자신이 만들고 싶은 모형을 그림 속 아이에게 만들게 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

질까?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예시답|블록을조립하여탑혹은로켓을만들고있다.

예시답|비행기나배처럼복잡하고정교한모형을만들고싶다.

예시 답|복잡하고 정교한 비행기나 배 모형은 만들기 어려워 여러 차례 부수고 만들기를 거듭하겠지만, 결국

비슷하게나마그모형을만들것이다.

(1)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활동 안내|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여러

가지 말을 만드는 과정을 블록으로 모형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아이들은 단순한 모양의 블

록을 조립하여 특정 대상을 만들어 낸다.

말을 만드는 과정도 이와 유사하다. 사람들

은 몇 개의 자음과 모음을 활용하여 무궁

무진하게 말을 만들어 낸다. 블록으로 원하

는 모양을 만들 때에 각 블록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 원하는 말을

정확히 만들려면 그 재료가 되는 자음과

모음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이 활동을 통

해 말의 재료가 되는 자음과 모음의 특성

과 그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

달을수있도록지도한다.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4 mac01 T

Page 2: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25

■ 음성과 음향을 구별할 수 있는가?

■ 음운, 음소, 운소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가?

■ 표기대로 발음되지 않는 현상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고 있는가?

갖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서 만들고 부수고 또 만들고 하던 어린 시절을 떠올려 보자.

머릿속으로 전체 모형을 그려 보고는, 블록들을 이리저리 조립해서 원하는 모형을 만들어 가

곤 했을 것이다. 어린아이들도 할 수 있는 간단한 놀이지만, 생각해 보면 인간만이 할 수 있

는 대단한 놀이가 아닐 수 없다. 블록 하나하나를 보면 그 모양이 매우 단순해서, 조립 과정

을 통해 완성될 전체 모형에 대한 아무런 단서도 제공하지 않는다. 어린아이는 단순하게 생

긴블록들을결합해서어떤모양을만드는, 거의무(無)에서유(有)를 창조하는창의적인과정

을 거뜬히 수행해 낸다. 완성된 모형을 다시 분해해서는 또 다른 설계와 조립의 과정을 진행

한다. 이러한 놀이가 머릿속에 그려진 설계도를 따라서 진행된다는 사실은 더욱 놀랍다.

사람들이 말을 하는 과정도 이와 유사한 면이 있다. 자음이나 모음은 마치 낱낱의 블록과

같아서, 그 자체로는아무런의미도가지고있지않다. 하지만사람들은자음과모음을적절

하게 결합시켜서 일정한 의미를 가진 말을 창조한다. 그리고 이러한 창조적 과정이 머릿속

에 있는 생각이라는 설계도를 따라서 진행되는 것도 블록 놀이와 비슷하다. 자음과 모음의

수는 일정하지만, 머릿속 생각에 따라 여러 가지 말을 만들어서 쓸 수 있다. 지능이 발달하

고사고가복잡해지면, 만들어쓸수있는말도다양해지고복잡해진다.

이 단원에서는 복잡한 언어 현상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가운데 가장 작은 단위인 자음과

모음에 대해 공부한다. 자음과 모음이 우리 머릿속에서 어떤 체계를 이루며 저장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었을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본다. 블록의 모양과 속성을 잘 이해해야

멋진 모형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자음과 모음의 특성 및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체계를 잘

이해하는것이훌륭한국어생활의밑거름이될것이다.

학습목표 ■ 국어의 음운 체계를 이해한다.

■ 국어의 음운 변동 현상을 이해한다.

■ 음운과 표기의 관계를 이해하여 정확하게 발음하고 적는다.

자기진단

관련성취기준|

(나) 국어의구조

①음운

㉮국어의 음운 체계, 음운 규칙과 변동

현상을이해하고설명한다.

㉯ 음운과 표기의 관계를 탐구하고 정확

하게발음하고적을수있다.

블록놀이에사람들이말을하는과정을빗대어설명하기위함.

자음과모음 원하는말

‘블록놀이’와‘말만들기’의유사점

블록놀이

창의적인블록놀이의과정

블록놀이와유사한‘말만들기’

이단원에서학습할내용안내

‘블록 놀이’와‘말 만들기’의

유사점

•제한된 재료로 원하는 것을

만들수있음.

•생각이라는 설계도를 따라

진행됨.

•지능과 사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만들

수있음.

『 』: 블록 놀이와말만들기의유사점

제한된재료를이용함.

(1)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자연의소리와인간이내는소리의구분여부진단

→말과관련된기본개념의이해여부진단

→음운의변동현상을알고있는지여부진단

음향

음성

•자연에존재하는대부분의소리

•사람의입에서나는소리중울음소리, 노랫소리, 기침 소리, 재채기등

•대부분비분절적(자음과모음을나눌수없음.)인 소리

•사람의의사전달수단으로발음기관을통해내는소리

•분절적소리, 물리적다양성이있는구체적인실체

음운은최소의미분별단위이지만그자체로는의미를갖지못함.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5 mac01 T

Page 3: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센입천장(경구개)

여린입천장(연구개)

목젖

후두

식도

기관

목 안(인두)

울대마개(후두개)

목청(성대)

입술

코안(비강)

입안(구강)

226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1) 음운체계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가목청[성대(聲帶)], 후두(喉頭), 울대마개[후두개(喉頭蓋)],

목 안[인두(咽頭)], 입안[구강(口腔)], 코안[비강(鼻腔)]을 통과하는 동안 여러 기관

의 작용을 받아 구체적이고 다양한 말소리가 만들어진다. 이때 작용하는 여러 기관

을 조음 기관(또는 발음 기관)이라고 하는데, 말소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공기의

흐름이 조음 기관의 방해를 많이 받으면 자음(子音)이 만들어지고 별다른 방해를 받

지않으면모음(母音)이 만들어진다.

조음 기관의 이름은 자음 체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꼭 필요하므

로, 각 기관의 이름을 잘 살펴서

익혀 보자.

•음운: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분절 음

운(음소)과 비분절 음운(운소)으로

나뉨.

음운=음소(자음, 모음, 반모음)

+운소

•분절 음운(음소): 독자적으로 분절

될수있는음운. 자음과모음.

•비분절 음운(운소): 단어의 의미를

분화하는 데 관여하는 음소 이외

의 운율적 특징. 소리의 높낮이,

길이, 세기 따위가있음.

소단원 안내|이 단원은 음운의 특성과 체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어의 음운은 자음과 모음의 음소와 소리의 높

낮이, 길이, 세기 등의 운소로 이루어져 있다. 국어의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국어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을 확립하는 활

동임을인지하고, 국어의음운체계를이루는요소와그기준을탐구할수있도록한다.

자음의형성원리 모음의형성원리

말소리의형성원리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6 mac01 T

Page 4: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27

자음이 만들어지면서 공기의 흐름에 장애가 일어나는 자리를조음위치라고 하고,

장애가 일어나는 방법을조음방법이라고 한다.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

라여러갈래로나뉜다.

조음 위치에 따라서는, 목청 사이에서 나는 목청소리[후음(喉音)], 혀뿌리 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軟口蓋音)],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硬口蓋音)], 혀끝과 윗잇몸이 닿아서 나는 잇

몸소리[치조음(齒槽音)], 두 입술에서나는입술소리[순음(脣音)]등으로나뉜다.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구강만 이용해서 내는 구강음과 비강도 같이 이용해서 내

는 비강음으로 우선 나뉜다. 구강음에는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

았다가터뜨리면서내는파열음(破裂音), 공기가나오는발음기관의공간을좁혀마

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마찰음(摩擦音), 파열 후에 마찰을 일으키는 파찰음(破擦音),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윗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옆으로

흘려 내보내면서 내는 유음(流音)이 있다. 비강음은 여린입천장과 목젖을 내려 공기

가코로들어가도록하여내는소리로, 비음(鼻音)이 여기에속한다.

또한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평음(平音)], 된소리[경음(硬音)], 거센소리[격

음(激音)]로 나뉘기도 하고, 목청의 떨림 여부에 따라 울림소리[유성음(有聲音)]와

안울림소리[무성음(無聲音)]로나뉘기도한다. 자음가운데비음과유음은항상유성

음으로 발음되고, 나머지 자음들은 기본적으로 무성음이지만 특정한 환경에서는 유

성음으로발음되기도한다.

1⃞ 자음체계

맛보기

다음문장을읽으면서아래의활동을해보자.

아침에눈을뜨자마자얼른밥을챙겨먹고집을나섰다.

(1) 코를막고문장을읽으면서평소와달라지는소리를찾아보자.

(2) 천천히읽으면서두입술이닿는소리를찾아보자.

예시답|비음은코를막으면정상적으로소리가나지않는다. 국어의비음은‘ㄴ, ㅁ, ㅇ’이다.

예시답|두입술이닿는소리는순음(입술소리)이다. 국어의순음은‘ㅂ, ㅃ, ㅍ, ㅁ’이다.

소리가나는

ㄱ, ㄲ, ㅋ, ㅇ

ㅈ, ㅉ, ㅊ

ㅂ, ㅃ, ㅍ, ㅁ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ㅅ, ㅆ, ㅎ

ㄴ, ㅁ, ㅇ

ㄱ, ㄷ, ㅂ, ㅅ, ㅈ, ㅎ ㄲ, ㄸ, ㅃ, ㅆ, ㅉ ㅋ, ㅌ, ㅍ, ㅊ

목청이떨림.

목청이떨리지않음.

ㅈ, ㅉ, ㅊ

ㄷ, ㄸ, ㅌ, ㅅ, ㅆ, ㄴ, ㄹ

자음의분류기준: 조음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따른자음의분류

조음방법에따른자음의분류

소리의세기, 목청의떨림에따른자음의분류

구강음 비강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비음

조음방법에따른분류

안울림소리 울림소리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비음, 유음

목청떨림에따른분류

목청소리(후음)

여린입천장소리

(연구개음)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잇몸소리

(치조음)

입술소리(순음)

목청사이

혀뿌리 부분과

여린입천장사이

혓바닥과 센입

천장사이

혀끝과 윗잇몸

의접촉

입술

조음위치에따른분류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7 mac01 T

Page 5: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28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적용하기

다음자음의조음위치와조음방법을써보자.

2⃞ 모음체계

맛보기

다음모음들을하나씩천천히발음하면서아래의활동을해보자.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 소리를내기시작할때와마칠때의입모양이달라지는모음을찾아보자.

(2) 발음할때입술모양이동그랗게오므려지는모음을찾아보자.

조음위치와조음방법을기준으로현대국어의자음체계를보이면다음과같다.

조음위치조음방법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예사소리

된소리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자음 자음조음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 조음방법

이중 모음을 길게 발음해 보면,

어느새 단모음을 발음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단

모음과 이중 모음의 차이점 중 하

나이다.

실제로 소리를 내면서 조음 위치

와 방법을 확인해 보자.

예시 답|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달리 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와 마칠 때의 입 모양이 달라진다. ‘ㅑ, ㅕ, ㅛ,

ㅠ’는이중모음이다. 이 밖에‘ㅘ, ㅝ, ㅖ, ㅒ’등도이중모음이다.

예시 답|입술 모양을 동그랗게 오므려서 내는 소리를 원순 모음이라고 한다. ‘ㅗ, ㅛ, ㅜ, ㅠ’는 원순 모음이

다.

여린입천장소리 파열음 잇몸소리 비음

잇몸소리 유음 잇몸소리 마찰음

센입천장소리 파찰음 입술소리 파열음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8 mac01 T

Page 6: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29

날숨이 목청을 통과하면서 목청이 떨어 울리게 되면, 그것이 입안에서 공명을 일

으키면서 모음이 만들어진다. 모음은, 발음하는 동안 입 모양이 일정한 단모음(單母

音)과 발음하는 동안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이중 모음(二重母音)으로

나뉘고, 단모음은 다시 혀의 위치와 입술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뉜다. 이때

혀의 위치는 혀의 앞뒤와 혀의 높낮이, 입술의 모양은 입술이 둥글게 되는가 아닌가

를가리킨다.

혀의 위치에 따라서는, 혀의 최고점이 앞쪽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을전설모음

(前舌母音), 뒤쪽에있을때발음되는모음을후설모음(後舌母音)이라한다. 입이조

금만 열려서 혀의 위치가 입천장 가까이 있는 것을고모음(高母音) 또는 폐모음(閉母

音), 입이 많이 열려서 혀의 위치가 낮은 것을 저모음(低母音) 또는 개모음(開母音),

그 중간쯤 되는 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 한다. 입술 모양에 따라서는, 입술을 둥글

게 오므려서 발음하는 모음을 원순 모음(圓脣母音), 그렇지 않은 모음을 평순 모음

(平脣母音)이라한다.

혀의위치와입술모양을기준으로현대국어의단모음체계를보이면다음과같다.

이중 모음은 반모음(半母音) ‘j’또는‘w’와 단모음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j’와

‘w’는 음성의 성질로 보면 모음과 비슷하지만, 반드시 다른 모음에 붙어야 발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하기 때문에 온전한 모음도 아니고 온전한 자음도 아

닌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모음이 단모음보다 앞에 오는 것을상향이중 모음, 뒤에

오는 것을 하향 이중 모음이라 한다. 현대 국어의 이중 모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입술`모양혀의높낮이

상향이중모음

하향이중모음

‘j’+단모음

‘w’+단모음

단모음+‘j’

ㅑ[ja], ㅕ[j‰], ㅛ[jo], ㅠ[ju], ㅒ[j¡], ㅖ[je]

ㅘ[wa], ㅝ[w‰], ㅙ[w¡], ㅞ[we]

ㅢ[i-j]

혀의앞뒤

‘ㅢ’는 하향 이중 모음으로 볼 수

도 있고, 상향 이중 모음으로 볼

수도 있다.

단모음(10개)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이중모음(11개)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모음의형성원리

입술이나혀가고정되어움직이지않는

단모음분류의기준

원순모음, 평순모음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ㅣ, ㅔ, ㅐ, ㅟ, ㅚ

ㅏ, ㅐ, ㅓ, ㅔ, ㅡ, ㅣ

ㅡ, ㅓ, ㅏ, ㅜ, ㅗ

ㅣ, ㅟ, ㅡ, ㅜ

ㅐ, ㅏ

ㅔ, ㅚ, ㅓ, ㅗ

ㅗ, ㅚ, ㅜ, ㅟ

전설모음, 후설 모음

모음분류의기준

여러기준에따른단모음의분류

혀가일정한자리에서시작하여다른자리로옮겨가면서발음되는소리

자음의성질

ㅗ/ㅜ

이중모음의분류‘ㅢ’의 경우 앞의‘ㅡ’가 반모음인지 뒤의‘ㅣ’가 반모음인지 판단하

기가 쉽지 않다. ‘ㅡ’를 반모음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하향

이중모음으로분류하였다.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29 mac01 T

Page 7: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30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적용하기

다음에해당하는모음을찾아보자.

•후설원순모음:

•전설원순고모음:

•후설평순저모음:

3⃞ 운소

맛보기

다음문장을천천히읽으면서단어‘눈’의길이가어떻게달라지는지생각해보자.

눈에눈이들어가니눈물인가눈물인가.

뜻의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요소에는 음소(音素)와 운소(韻素)가 있는데, 자음과 모

음은 음소에 속하고 모음의 길이, 높이, 세기 등은 운소에 속한다. 언어에 따라 음

소 목록에 차이가 있는 것처럼 어떤 운소가 뜻의 차이를 만들 수 있는지도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국어의 경우에는 동일한 자모로 이루어진 단어라도 모음의 길이

가달라지면뜻의차이가생길수있다.

말[馬, 斗], 말∶[言] 말다[捲], 말∶다[勿]

눈[眼], 눈∶[雪] 성인(成人), 성∶인(聖人)

국어에서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원래 긴소리

를가지고있던것이둘째음절이하에오게되면짧은소리로발음되는경향이있다.

•한국`+`말∶→한국말 •함박`+`눈∶→함박눈거짓+말∶→거짓말 구두+솔∶→구둣솔

적용하기

모음의길이가다른다음의단어짝을활용하여짧은글을지어보자.

•밤[夜], 밤∶[栗]

•발[足], 발∶[簾]

•솔[松], 솔∶[刷毛]

15세기 국어에는 음의 높이, 즉

성조로 단어의 뜻을 구별했지만,

현대에는 성조 대신 음의 길이로

단어의 뜻을 구별한다. 하지만 젊

은 세대일수록 음의 길이를 잘 구

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변별되

는예

•거리〔街〕:거∶리〔距離〕

•굴〔石花〕:굴∶〔窟〕

•무력〔無力〕:무∶력〔武力〕

•발〔足〕:발∶〔簾〕

•벌〔罰〕:벌∶〔蜂〕

•묻다〔埋〕:묻∶다〔問〕

“어디 가니?”와 같은 문장에서 끝

을 올리고 내리는 데 따라 뜻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운율적 요소

를‘억양’이라고 하는데, 억양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지 특

정 단어에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속성이 아니므로 운소로 다루지

않는다.

예시답|ㅜ, ㅗ

예시답|ㅟ

예시답|ㅏ

예시 답|‘눈〔目〕’의‘눈’은 짧은소리이고, ‘눈〔雪〕’의‘눈’은 긴소리이다. 첫 번째와 세 번째의‘눈’은 짧은소리이

고, 두 번째와네번째의‘눈’은긴소리이다.

문장끝의높낮이에따라의미가달

라지는경우

•집에가.↘ (평서문)

•집에가.↗ (의문문)

•집에가.→ (명령문)

음운에속하는요소

운소의예 - 운율적특징을가짐.

동일한음소사용

운소의기능

음소

운소가달라지면

운소의개념과기능

국어운소의특성

예시답|눈내리는밤이면화롯가에둘러앉아밤을구워먹곤했었다.

예시 답|더운 여름에 할 수 있는 피서라곤, 햇빛을 가리는 발을 치고 대야에 시원한 물을받아발을담그는것이고작이었다.

예시 답|울창한 솔숲에서 산림욕을 즐기고 돌아와서는 현관 입구에 놓인 솔로 바지에묻은흙을털어내곤했다.쇄모

(비분절음운) → 표준발음법‘제3절음의길이’참고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30 mac01 T

Page 8: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31

배운후에

1 국어의자음이조음위치와조음방법에따라어떻게나누어지는지말해보자.

2 다음중에서모음체계를세우는기준이되는것을모두찾아보자.

①혀의앞뒤 ②음의길이 ③입술모양 ④혀의높이 ⑤음의세기

3 다음 단어들은 원래 긴소리를 가진 단어가 아니지만, 실제 대화 장면에서 길게

발음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이 단어들을 짧게 발음하는 경우와 길게 발음

하는경우에어떤차이가있는지생각해보자.

펼쳐보기

담아보기

•엄청, 너무

•넓다, 높다, 많다, 멀다, 크다

4 한글 자모와 영어 알파벳 또는 발음 기호 사이의 대응표를 작성해 보고, 일대일

로대응시키기어려운경우가있다면그이유가무엇인지생각해보자.

엮어보기

운소는 단어의 고정적 속성

이므로 국어사전에 표시되어

있다. 상황에 따라 음의 길이

를 달리하는 것은, 수사적 가

치는 있지만 운소는 아니다.

한글

알파벳

발음기호

ㅂ ㅃ ㅍ ㄷ ㄸ ㅌ ㅅ ㅆ ㅈ ㅉ ㅊ ㄱ ㄲ ㅋ ㅎ ㅁ ㄴ ㅇ ㄹ

b,p pp p d, t tt t s ss j jj ch g,k kk k h m n ng r, l

b,p p d, t t s j g,k k h m n ŋ r, l

한글

알파벳

발음기호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

a eo o u eu i ae e oe wi ya yeo yo yu yae ye wa wo wae we ui

a o u i æ e w wi ya y yo yu yæ ye wa w wæ weeee

▶ 국어의자음체계를세우는기준을정리해보는활동

▶국어의모음체계를세우는기준을확인해보는활동

▶운소와구별되는긴소리발음의특성을추측해보는활동

▶언어에따라음운체계가다름을이해하는활동

예시답|조음위치에따라서는목청소리, 여린입천장소리, 센입천장소리, 잇몸소리, 입술소리로나뉜다.

조음방법에따라서는구강만이용해서내는구강음과비강도같이이용해서내는비강음으로우선나뉜다.

구강음에는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이있고, 비강음에는비음이있다.

예시답|①, ③, ④

예시답|길게발음하는경우에는길이가길수록그정도가크고, 세고, 높고, 멀다는수사적표현가치가생겨그뜻

이강조된다. 이러한수사적가치는단어고유의길이, 즉 음장과는무관하다.

의 차이 때문에 언어와 언어 사이에 자모를 정확히 대응시키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자 표기법에서와 같이 대응

관계를규정한것은현실에서전사(轉寫)의 필요에의해부득이하게생긴결과물이라고할수있다.

예시 답|위의 표에서 영어 알파벳

을 대응시킨 것은 현행 국어 로마

자 표기법에 규정된 것을 그대로

보인 것이다. 정확히 일대일로 대

응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표기법

을 두 가지로 규정하기도 하였고

(ㅂ: b,p),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을

조합하여 대응시키기도 하였다(ㅓ:

eo). 발음 기호의 경우도 비슷해서,

두 가지로 규정된 경우도 있고, 아

예 적절한 발음 기호를 대응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대

응 관계가 발생하는 이유는 근본적

으로 국어의 음운 체계와 영어의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

를 들어 국어의 된소리가 영어에는

음소로 인식되지 않고, ‘ㅡ’와 같은

모음 역시 영어에서는 음소로 존재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음운 체계

(222~271)171교⑶1,2 2012.8.16 10:42 AM 페이지231 mac02 T

Page 9: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32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2) 음운변동

음운은그놓이는환경에따라발음이달라지는 경우가있다. 예를 들어‘ㅊ’음소

의 경우, ‘차[차]’에서와 같이 모음 앞에서는 원래의 소릿값을 유지하지만‘꽃[ ]’에

서와 같이 받침 위치에 오거나‘꽃만[꼰만]’에서와 같이 어떤 음소와 연결되면 다른

음소로 바뀌어 발음된다. 어떤 음운이 그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어

소리나는현상을음운변동이라고한다.

음운 변동은 그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교체(交替), 한 음운

이 다른 음운을 닮는 동화(同化),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脫落), 없던 음운

이추가되는첨가(添加), 두 개의음운이합쳐져서하나로되는축약(縮約) 등으로분

류할수있다.

1⃞ 교체

한음운이다른음운으로교체되는현상은음절의끝, 즉받침위치에서나타난다.

•밖[박], 부엌[부억]

•낫[낟], 낮[낟], 낯[낟], 낱[낟]

•무릎[무릅]

이러한 현상은‘ㅇ’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음절의 처음 위치에서 발음될 수 있는

것과 달리, 받침 위치에서는‘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으로만 발음되

는것과관련된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이받침위치에있는경우는원래음

가대로 발음되지만, 여기에 속하지 않는 다른 자음들은‘ㄱ, ㄷ, ㅂ’중 하나로 교체

된다. 이 현상은음절의끝에서나타나기때문에음절의끝소리규칙이라고한다.

맛보기

다음단어의발음을한글로적어보고, 그 결과를바탕으로받침표기와실제발음

이어떻게다른지알아보자.

•밖[ ] •갓[ ] •낮[ ] •옻[ ]

•부엌[ ] •솥[ ] •무릎[ ]

소단원 안내|이 단원은 음운의 변동 현상과, 발음과 표기의 관계를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과 표기를 생활화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 음운은 환경에 따라 다른 소리로 바뀌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음운의 특성은 발음이나 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

으므로, 음운 변동의원리와규칙에대해탐구하고실제발음과표기에적용할수있도록한다.

→음운 변동으로 인한 결과가 표준어의 발음으로 모두 인정되는 것은 아님. 허

용되는것만을모아규범화한것이‘표준어규정’의‘표준발음법’임.

만(교체) → 꼰만(동화)

‘음운변동’의개념

음운변동의개념

음운변동의종류

부억 무릅

갇 낟

예시 답|받침 표기와 실제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받침의‘ㄲ, ㅋ’은‘ㄱ’으로 발음되고, ‘ㅅ,

ㅈ, ㅊ, ㅌ’은‘ㄷ’으로발음되며, ‘ㅍ’은‘ㅂ’으로발음된다.

한 번에소리낼수있는소리의마디

‘음절의끝소리규칙’에적용되는받침소리

받침표기

ㄱ, ㄲ, ㅋ

ㄷ, ㅌ, ㅅ, ㅆ,

ㅈ, ㅊ, ㅎ

ㅂ, ㅍ

끝소리발음

음절의끝소리규칙의개념

음운변동

•교체: 음절의끝소리규칙

•동화 자음동화Œ 비음화

¸ 유음화

모음동화 - ‘ㅣ’모음 역

행동화

구개음화

•탈락 자음군단순화

자음탈락 - ‘ㄹ’, ‘ㅅ’,

‘ㅎ’탈락

모음탈락 - ‘ㅡ’탈락

•첨가: 사잇소리현상

•축약Œ 자음축약¸ 모음축약

Œaf¸

Œfaf¸

→표준발음법제8항, 제9항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32 mac01 T

Page 10: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33

적용하기

받침위치에서‘ㄱ, ㄷ, ㅂ’으로교체되는자음을모두찾아보자.

•ㄱ←ㄲ, ㅋ •ㄷ← ( )

•ㅂ← ( )

2⃞ 동화

맛보기

다음단어의표준발음을한글로적어보자.

동화는 한 음운이 앞이나 뒤에 있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닮아 가는 현상이다. 자

음 사이에 일어나는자음 동화, 모음 사이에 일어나는모음 동화, 자음과 모음 사이

에일어나는구개음화등이있다.

대표적인 자음 동화로는 비음화(鼻音化)와 유음화(流音化)가 있다. 비음이 아닌 자

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ㄴ, ㅁ, ㅇ’으로 동화되는 현상이 비음화이고, 유음

이아닌자음이유음의영향을받아유음‘ㄹ’로동화되는현상이유음화이다.

모음 동화로는‘ㅣ’모음 역행 동화가 있는데, 후설 모음‘ㅏ, ㅓ, ㅗ, ㅜ’가 뒤에

오는전설모음‘ㅣ’의영향을받아각각‘ㅐ, ㅔ, ㅚ, ㅟ’로바뀌는현상이다.

•아기→ [애기] •어미→ [에미]

•고기→ [괴기] •죽이다→주기다→ [쥐기다]

‘ㅣ’모음 역행 동화에 의한 발음은‘냄비, 멋쟁이, (불을) 댕기다’와 같은 일부 단

어를제외하고는표준발음으로인정하지않는다.

자음과 모음 사이에 일어나는 동화로는 구개음화가 있는데, 구개음이 아닌 자음

‘ㄷ, ㅌ’이모음‘ㅣ’와만나경구개음인‘ㅈ, ㅊ’으로동화되는현상이다.

•굳이[구지] •밭이[바치], 솥이[소치]

•닫히다[다치다] •붙이다[부치다]

<비음화>

•닫는다[단는다]

•잡는다[잠는다]

•먹는다[멍는다]

<유음화>

•달님[달림]

•권력[궐력]

•먹는다[ ] •권력[ ] •해돋이[ ]

동화의 결과로 앞뒤 음운이 항상

같아지는 것은 아니다. 완전히 같

아지는 것을‘완전 동화’, 완전히

같아지지는 않고 닮게만 되는 것

을‘불완전 동화’라고 한다.

•순행 동화: 앞 음운이 뒤 음운에

영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

•역행 동화: 뒤 음운이 앞 음운에

영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는 특정한

환경에서만 일어난다. 예를 들어

‘빌딩, 잔디, 디디다’등에서는 구

개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ㅅ, ㅆ, ㅈ, ㅊ, ㅌ, ㅎ

멍는다 궐력 해도지

자음동화의종류

•동화의방향에따라

•동화의정도에따라

순행동화

역행동화

상호동화

종로[종노]

국물[궁물], 신라[실

라]

백로[뱅노], 독립[동

닙]

완전동화

불완전

동화

칼날[칼랄], 닫는[단

는]

국민[궁민], 섭리[섬

니]

발음의경제성때문에일어나는현상

동화의종류

‘ㄱ, ㄷ, ㅂ’(파열음)이‘ㄴ, ㅁ’(비음) 앞에서각각비음(ㅇ, ㄴ, ㅁ)으로변하는현상

‘ㄴ’(비음)이‘ㄹ’(유음)의 앞과뒤에서‘ㄹ’(유음)로 바뀌는현상

동화의개념과종류

자음동화의종류와예

‘ㄷ’이‘ㄴ’앞에서‘ㄴ’으로변함.

→ 표준발음법제18항

‘ㅂ’이‘ㄴ’앞에서‘ㅁ’으로변함.

‘ㄱ’이‘ㄴ’앞에서‘ㅇ’으로변함.

‘ㅏ’가뒤에오는‘l’의 영향을받아‘ㅐ’로변함.

[구디] → [구지]

‘ㅓ’가뒤에오는‘l’의영향을받아‘ㅔ’로변함.

[바티] → [바치], [소티] → [소치]

→ 표준발음법제17항

[다티(ㄷ+ㅎ: 축약)다] → [다치다] [부티다] → [부치다]

‘ㅗ’가뒤에오는‘l’의 영향을받아‘ㅚ’로변함. ‘ㅜ’가뒤에오는‘l’의영향을받아‘ㅟ’로변함.

‘ㄴ’이‘ㄹ’뒤에서‘ㄹ’로변함.

→ 표준발음법제20항

‘ㄴ’이‘ㄹ’앞에서‘ㄹ’로변함.

‘ㅣ’모음역행동화는대부분방언으로처리함.

‘구개음화’가‘자음동화’나‘모음동화’와구별되는점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반모음‘ㅣ’앞에서도

○: 형식 형태소가특정한환경임.

‘l’모음역행동화의개념과특성

구개음화의개념과예

전설모음으로바뀌므로‘전설모음화’라고도함. 혀의높낮이와입술모양은그대로, 혀의최고점의위치만바뀜.

비음화는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고,

조음방법만바뀐다.

‘ㄱ’→‘ㅇ’(여린입천장)

‘ㄷ’→‘ㄴ’(잇몸)

‘ㅂ’→‘ㅁ’(입술)

‘ㅣ’모음 역행 동화를 표준어로 인

정한예

서울내기, 시골내기, 풋내기, 신출내

기, 소금쟁이, 담쟁이넝굴, 골목쟁

이, 발목쟁이등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33 mac01 T

Page 11: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34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적용하기

다음 단어의 실제 발음을 한글로 적어 보고, 이때 일어나는 동화의 유형이 무엇인

지아래에서골라보자.

•웃는다[ ] ( ) •신라[ ] ( )

•받히다[ ] ( ) •맏이[ ] ( )

① 비음화 ②유음화 ③‘ㅣ’모음역행동화 ④구개음화

3⃞ 탈락

맛보기

다음단어의표준발음을한글로적어보자.

탈락은 자음이나 모음이 어떤 환경에서 없어지는 현상으로, 자음군 단순화(子音群

單純化), ‘ㄹ’탈락, ‘ㅅ’탈락, ‘ㅎ’탈락, ‘ㅡ’탈락등이대표적이다.

자음군단순화는 음절말의겹받침가운데하나가탈락하고 하나만발음되는 현상

으로, 겹받침 가운데 앞에 있는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도 있고 뒤에 있는 자음이 탈

락하는경우도있다.

•닭[닥], 맑다[막따], 삶[삼], 젊다[점따], 읊다[읍따]

•넋[넉], 앉다[안따], 여덟[여덜], 외곬[외골], 핥다[할따], 값[갑]

‘ㄹ’탈락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자음‘ㄹ’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

상이다.

•놀다: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둥글다: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ㅅ’탈락은동사의어간말자음‘ㅅ’이모음어미앞에서탈락하는현상이다.

•긋다: 그어 그으니 그었다 •짓다: 지어 지으니 지었다

‘ㅎ’탈락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자음‘ㅎ’이‘ㄴ’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

미앞에서탈락하는현상이다.

•닭[ ] •삶[ ] •넋[ ] •여덟[ ] •값[ ]

예전에는‘ㄹ’탈락 현상이 많았

다. ‘아다 마다’, ‘아니 노지는 못

하리라’등이, 오늘날에는‘알다

말다’,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와

같이 되었다. ‘따님’에서‘ㄹ’탈

락이 보이지만 현대에 와서 만들

어진‘달님, 별님’에서는‘ㄹ’탈

락이 일어나지 않는 것도 같은 현

상이다.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등에

붙어 있는 접미사‘-화(化)’의 의

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자음군단순화의탈락규칙

겹받침

ㄳ, ㄵ,

ㄶ, ㄽ,

ㄾ, ㅀ, ㅄ

환경 탈락양상과예

뒤자음

탈락

넋[넉]

앉다[안따]

어간끝

자음이고

뒤에‘ㄱ’

이올때

ㄱ탈락 읽고[일꼬]

ㄻ, ㄿ앞 자음

탈락젊다[점따]

그 외 ㄹ탈락 읽다[익따]

‘밟-’의

‘ㄼ’이자

음앞에

올때, ‘넓

죽하다,

넓둥글다’

의‘ㄼ’

ㄹ탈락

밟다[밥따]

넓죽하다

[넙쭈카다]

ㅂ 탈락그외 넓다[널따]

운는다 ① 실라 ②

바치다 ④ 마지 ④

음절말이

나자음

닥 삼 넉 여덜 갑

탈락의개념과종류

자음군단순화의개념과예

‘ㄹ’탈락의개념과예

‘ㅅ’탈락의개념과예

→표준발음법제12항 4.

겹자음중앞자음이탈락하는경우

겹자음중뒤자음이탈락하는경우

활용하는과정에서‘ㄹ’이탈락한경우

같은조건이면보편적으로탈락되는현상이아니라일부단어에서만탈락되는‘불규칙탈락’임.

불규칙탈락

표준발음법제10항, 제11항

※ 7차“문법”교과서에서‘자음군단순화’를‘음절의끝소리규칙’에

포함시켜설명한오류를바로잡음.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34 mac01 T

Page 12: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35

적용하기

다음빈칸을채워서탈락현상을예와함께표로정리하여보자.

•그렇다: 그러니 그럴 그러면 그러오

•낳은[나은], 많아[마∶나], 싫어도[시러도]

‘ㅡ’탈락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모음‘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현상이다.

•끄다: 꺼 껐다

탈락현상 기본형 예

‘ㄹ’탈락

‘ㅅ’탈락

‘ㅎ’탈락

‘ㅡ’탈락

멀다

잇다

좋다

쓰다

머니, 먼, 멉니다

이으니, 이은, 이어

[조으니], [조은], [조아]

써, 썼다

4⃞ 첨가

맛보기

다음합성어의발음을한글로적어보자.

국어 단어 중에는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어가 될 때, 뒤의 예

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사잇소리현상이라고 한다. 이

를표시하기위하여합성어의앞말이모음으로끝났을때는받침으로사이시옷을적

어야한다. 다음은이러한사잇소리현상이일어나는예이다.

•초 + 불 →촛불[초뿔] •배 + 사공→뱃사공[배싸공]

•논 + 둑 →논둑[논뚝] •길 + 가 →길가[길까]

•밤 + 길 →밤길[밤낄] •등 + 불 →등불[등뿔]

합성어를 이룰 때,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ㅁ, ㄴ’으로 시작되면‘ㄴ’소

리가 첨가되고, 앞말의 음운과 상관없이 뒷말이 모음‘ㅣ’나 반모음‘[j]’로 시작될

•초 + 불→촛불[ ] •밤 + 길 →밤길[ ]

•이 + 몸 →잇몸[ ] •집안 + 일 →집안일[ ]

사잇소리 현상은 발음과 관련된

문제이다. 그것을 표기에 반영하

느냐 하지 않느냐는 맞춤법에서

정하기 나름이다.

한자로 이루어진 합성어의 경우에

도 사잇소리 현상이 많이 일어나지

만, 다음과 같은 여섯 한자어에만

사이시옷을적음.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ㅎ’탈락의개념과예

‘ㅡ’탈락의개념과예쓰다: 써 썼다 담그다: 담가 담갔다

모음탈락의일종

‘ㅎ’탈락은 특정 접미사 앞에서도

일어남.

예⃝ 쌓이다[싸이다], 끓이다[끌이다]

모음탈락의종류

동음탈락

‘ㅏ’탈락

‘ㅓ’탈락

‘ㅜ’탈락

‘ㅡ’탈락

‘l’탈락

가아→가

흔하지→흔치

깨어→깨

푸어→퍼

쓰어→써

바이다→바다

초뿔 밤낄

인몸 지반닐

표현효과의확대때문에일어나는현상

사잇소리현상을표현하는방식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한자어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고유어 한자어 + 고유어 사잇소리현상의개념과예

사잇소리현상 된소리되기

•두 개의 형태

소, 단어가 합

쳐져 합성어

를이룰때

•둘 중 하나는

유성음

•한 단어나 단

일어안에서

•무성음+무성

‘된소리되기’와의구별

→표준발음법제29항, 제30항

(222~271)171교⑶1,2 2013.12.18 6:57 PM 페이지235 m2 ApogeeX

Page 13: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236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ㅂ, ㄷ, ㅈ, ㄱ’과‘ㅎ’이 서로 만나면‘ㅍ, ㅌ, ㅊ, ㅋ’이 된다. 이와 같이 두 음

운이합쳐져서하나의음운이되는것을축약(縮約)이라고한다.

•좋고→ [조코] •좋다→ [조타] •좋지→ [조치]

•먹히다→ [머키다] •닫히다→ [다티다→다치다] •잡히다→ [자피다]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일이

있는데, 이것도축약의하나이다. 이때어느하나의모음은반모음으로바뀐다.

•오`+`아서→와서 •두`+`었다→뒀다 •가지`+`어 →가져

5⃞ 축약

맛보기

다음단어의발음을한글로적어보자.

•좋고→ [ ] •좋다→ [ ] •좋지→ [ ]

적용하기

다음과같이합성어가만들어질때사잇소리현상이일어나는단어를찾아보자.

①김 + 밥 ②인사 + 말 ③고무 + 줄 ④빨래 + 줄

다음 단어에서 사잇소리 현상이 있고 없음에 따라 뜻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

보자.

•나뭇집 : 나무집

적용하기

다음의빈칸을채워보고, 그결과를활용하여두가지의축약현상을확인해보자.

•각하→ [ ] •뜨+이다→ ( )

•고집하다→ [ ] •되+어→ ( )

때에는‘ㄴ’이 하나 혹은 둘이 첨가되는 일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도 사잇소리 현상

의하나이다.

•이 + 몸→잇몸[인몸] •코 + 날→콧날[콘날]

•집안 + 일→집안일[지반닐] •물 + 약→물약[물냑→물략]

•가외 + 일→가욋일[가왼닐] •나무 + 잎→나뭇잎[나문닙]

‘띄어, 뜨여’는 올바른 표기이지

만, ‘띄여’는 중복 표기이므로 올

바른 표기가 아니다.

두 단어를 한 마디로 이어 발음할

때도‘ㄴ’첨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예⃝ 한일→ [한닐]

옷 입다→ [온닙따]

할 일→ [할닐] → [할릴]

잘 입다→잘닙다→ [잘립따]

먹은엿→ [머근 ]

‘ㄴ’첨가 ‘ㄴ’첨가

‘ㄴ’첨가 ‘ㄴ’첨가, 유음화

사잇소리현상의일종인‘ㄴ’첨가

‘ㄴ’첨가

‘ㄴ’첨가

예시답|‘나뭇집[나무찝]’은‘나무를파는집’이라는뜻이고, ‘나무집[나무집]’은‘나무로만든집’이라는뜻이다.

예시 답|‘① 김밥, ② 인사말, ③ 고무줄’은 예사소리로 발음하고 사잇소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④는 빨랫줄로사잇소리를첨가하여표기하고된소리로발음한다.

조코 조타 조치

자음축약

ㅎ + ㄱ →ㅋ ㅎ + ㅈ →ㅊㅎ + ㄷ →ㅌ

ㄱ + ㅎ →ㅋ ㅂ + ㅎ →ㅍㄷ + ㅎ →ㅌ ↓

구개음화 축약의개념

→표준발음법제12항 1.

또다른축약의종류

뜻을가진가장작은말의단위

모음축약

가카 띄다

고지파다 돼

ㅣ + ㅓ →ㅕㅜ + ㅓ →ㅝㅗ + ㅏ →ㅘ

→두개의자음이이어지거나두개의모음이이어질때, 제3의 한개의음운으로바뀌는현상

예시 답|‘가카, 고지파다’에서는‘ㅂ, ㄷ, ㅈ, ㄱ’과‘ㅎ’이 만나서‘ㅍ, ㅌ, ㅊ, ㅋ’로 축약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띄다, 돼’에서는두모음이축약되어이중모음이되는축약현상이일어난다.

(222~271)171교⑶1,2 2013.12.18 6:57 PM 페이지236 m2 ApogeeX

Page 14: 고 독서와문법1(이) 지도서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그중간쯤되는것을 중모음(中母音)이라한다. 입술모양에따라서는,

01 음운 237

배운후에

1 다음빈칸에알맞은말을써보자.

2 다음시에서밑줄친‘달’은어떤음운이탈락한것인지생각해보자.

펼쳐보기

아아누구던가,

이렇게슬프고도애닯은마음을

맨처음공중에달줄을안그는.

- 유치환, ‘깃발’중에서

어떤 음운이 그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음운 변동

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은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음운 변

동의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을 닮는 ( ),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 ), 없던 음운이 추

가되는 ( ),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로 되는 ( ) 등으로 분

류할수있다.

담아보기

3 다음은 어떤 방언에서 나타나는, 표준어‘닭’이라는 단어의 실제 활용형을 보인

것이다. 잘 보고, 이어지는활동을해보자.

(1) ‘[닥]’과‘[다기]’의 표준 발음이 무엇인지 말해 보고, 표준 발음과 다른 것이

있다면그차이를구체적으로말해보자.

(2) ‘[다기]’에‘ㄹ’발음이없는것을자음군단순화의관점에서설명해보자.

엮어보기

딸: 엄마, [닥] 먹고싶어요.

엄마: 우리딸이오늘은왜갑자기 [다기] 먹고싶을까?

‘맨 처음 공중에 단 사람’에

서의‘단’과 비교해 본다.

▶음운변동의규칙과관련된핵심개념을정리하는활동

▶음운탈락현상이나타나는상황을이해하는활동

▶실제발음되는상황을통해음운변동규칙을이해하는활동

교체

동화 탈락

첨가 축약

예시 답|이 시에 쓰인‘달’은 동사 어간‘달-’에 관형사형 어미‘-ㄹ’이 결합한 형이다. ‘달+ㄹ’이 실제로는‘달’로

나타나있는데, 관형사형 어미는 절대 탈락되어 없어질 수 없으므로, 여기서 탈락한 것은 어간의 일부인‘ㄹ’이다. 어

간‘달-’에관형사형어미‘-ㄴ’이결합했을때어간의‘ㄹ’이탈락해서‘단’이되는것과같다.

예시 답|‘닭’이 단독으로 발음되거나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에는‘[닥]’으로 발음되는 것이 표준 발음이고, ‘닭’다음에 모음이 오는 경우에는 겹받침 중 뒤

의 것이 뒤 모음의 초성으로 되어 겹받침이 모두 발음되는 것이 표준 발음이다. 따라서‘닭이’는‘[달기]’가 표준 발음이다. 표준 발음과 위 방언에서의 차이

는모음앞에오는‘닭’의받침발음에서확인할수있다.

예시 답|자음군 단순화는 겹받침 가운데 하나가 발음되지 않는 현상이다. 따라서‘[다기]’에서‘ㄹ’발음이 없는 것은 자음군 단순화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

만 자음군단순화가일어나는조건은겹받침다음에모음이오지않는경우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다기]’와 같이발음되는것은자음군단순화라고할수

없다. 이 방언에서는‘닭’의기본형이‘닭’이아니라‘닥’이라고해야만‘[다기]’로발음되는현상을이해할수있다. 따라서

자음군단순화가일어날가능성이전혀없다.

(222~271)171교⑶1,2 2011.11.22 10:15 PM 페이지237 mac01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