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 28 -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 강서구협치회의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28 -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

2018. 7.

강서구협치회의

Page 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29 -

목 차

Ⅰ. 계획의 개요 ···················································· 30

Ⅱ. 추진체계 ·························································· 42

Ⅲ. 지역사회 현황조사 및 잠재력 분석 ··········· 44

Ⅳ. 지역사회혁신계획 기본 구상 ························ 53

Ⅴ. 협치 제도기반 구축 방안 ·································· 55

Ⅵ. 부문별 (사업)계획 ··············································· 64

Ⅶ. 단계별 로드맵 ····················································· 70

Ⅷ. 평가 및 환류계획 ·············································· 73

Ⅸ. 연차별 재원조달 및 예산 계획 ······················· 74

Ⅹ. 다음연도 실행계획 수립 계획 ··························· 86

Page 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0 -

Ⅰ 계획의 개요

추진배경

협치시대 흐름 변화에 따른 서울시와 강서구 행정이념 방향 일치

❍ 강서구 구정 핵심 키워드 : 협치, 주민과 함께 만드는 강서

❍ 민․민, 민․관이 함께하는 지역협치의 선순환 구조 필요

❍ 기존 민관 협력사업의 주민 참여단계가 개입과 협업 단계에서

권한부여 단계로 진화 필요

※ 슬로건 : 사람과 미래를 이어주는 공감과 소통의 도시, 강서

강서구 지역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 문제해결 필요성

❍ 서울의 관문도시, 사람 중심의 교육․복지도시, 자연 친화적

도시 등 지역특성 반영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인식

❍ 관문도시 입지조건을 반영한 민관협치로 미라클메디 특구

지정 되는 성과는 있었으나

❍ 민․관 협치 활성화로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강서구 발전 기반 마련

기본방향

민․민, 민․관 협력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역협치 기반 조성

기존 민․관 협력 행정을 넘어 민․민, 민․관 협치 체계구축

다양한 공론장을 통한 지역협치 인식공유 및 의제 발굴

민․민 네트워크 강화 및 민간주체 역량 강화

시민단체 간 분야별 장벽(칸막이) 해소로 포괄적 연계망 구축

시민 역량강화를 위한 대상별․수준별 맞춤형 교육 실시

Page 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1 -

서울시와 강서구의 역할 분담으로 지역협치 환경 조성

시(市)역할 : 지역협치 추진관련 행․재정적 지원

구(區)역할 : 지역협치 체계 구축,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실행

추진원칙

다양한 분야,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한 계획의 수립

주민들의 참여 권한 보장과 원활한 정보 소통

현재의 협치 수준 진단과 개선

□4 추진경과

준비협치추진

체계구축

지역협치

분석.진단숙의.공론

▪ 협치 지원팀

신설

▪ 협치 추진 민관

합동 TFT 구성

▪ 지역사회혁신

계획 ‘수립

계획서’작성

▪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 제정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구축

▪ 강서구협치추진단

구축

▪ 의제별 민관 합동

워킹그룹 구성

▪ 용역업체와 TFT

연계 추진 여건

분석

▪ 강서구 지역

여건 분석

▪ 지역의견수렴

(설문, 심층인

터뷰, 워크숍)

▪ 협치의제 및 방

향성 도출

▪ 50인+ 협치

테이블

▪ 분야별.권역별

협치 테이블

▪ 강서 협치통통

한마당

▪ 의제별 민관합동

워킹그룹 공론

지속적 협치 역량 강화 추진

Page 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2 -

회의명 일시 내용 비고

1차 회의 17. 4. 4. 위원장 선출 및 목적설정, 향후 추진계획 논의 등

2차 회의 17. 4.18. 협치 조례(안) 논의, 협치현황 진단(SWOT 분석)

3차 회의 17. 5.11.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계획 및 실행체계 구축 논의

4차 회의 17. 5.31. 지역사회혁신계획 기본구상 및 예산계획 논의

5차 회의 17. 6. 8.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계획서 초안 검토 및 확정

6차 회의 17. 7. 5. 1차 협의조정 지적사항 관련 논의

7차 회의 17. 7.10. 1차 협의조정 지적사항 보완 방안 강구

8차 회의 17. 7.17. 1차 협의조정 지적사항 보완 완료

1. 강서협치 추진을 위한 준비

협치지원팀 신설(2017. 1. 1.)

❍ 구 성 : 팀장 1명, 팀원 2명

❍ 주요업무 : 지역협치기반 조성,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시행 등

강서협치 추진계획 수립(2017. 2. 28. 구청장 방침)

민관 합동 협치 TFT 구성(2017. 3. 24.)

❍ 모집기간 : `17. 3. 13.(월) ~ 3.17.(금)

❍ 모집방법 : 추천 및 공개모집

❍ 구성결과 : 20명(민간위원 12명, 행정위원 8명)

- 민간 : 교육·문화, 복지·건강, 경제·일자리, 도시·환경, 마을 분

야별 1~2명 구성

- 행정 : 분야별 담당 팀장

❍ 임 기 : 위촉일로부터 강서구협치회의 구성 시 까지

❍ 주요역할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계획서 작성 및 강서구협치회의 구성

- 강서구 협치 조례안 협의

- 지역사회 현황조사 및 진단, 협치 공론장 개최 등

❍ 회의진행

Page 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3 -

9차 회의 17. 7.19. 2차 협의조정 준비사항 논의

10차 회의 17. 7.21. 2차 협의조정 지적사항 검토 및 보완 방안 강구

강서구 지역사회 혁신계획 수립계획서 제출

❍ 수립계획 최종안 서울시 제출(2017. 7. 28.)

❍ 서울시 지원대상 선정 및 보조금 교부 : 155백만원 (2017. 8.17.)

2. 협치기반 조성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정

❍ 제정목적 : 민관 협치기반 조성 추진력 확보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

❍ 주요내용 : 강서구협치회의 구성 및 운영, 민관 협치활성화 등

❍ 추진방법 : 시 권고사항을 기초로 협치 TFT 협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제정

❍ 제정 및 공포 : 2017. 6. 17.

강서구협치추진단 구성(2017.10.10.)

❍ 목 적 : 강서구협치회의 운영에 따른 의결사항을 실행․지원

❍ 역 할 :

- 협치역량강화 교육 및 워크숍 등 개최

- 계획 과정 전반에 걸친 공론장 운영 지원

- 지역사회혁신계획 세부사업 추진

❍ 강서구협치추진단 구성 : 6명

강서구협치추진단(단장 : 협치조정관 또는 자치행정과장)

민 간 (2명 ) 행 정 (3명 )

민간실무자(기간제근로자) 2명 협치지원팀장및주무관

Page 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4 -

강서구협치회의 구성(2017.11. 8.)

❍ 목적 : 협치 사무에 관한 최고 협의․조정․자문 기구

❍ 역할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과정 총괄관리 운영

- 지역사회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는 노력 강구

-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 정책의 수립 및 실행, 제도 개선

- 지역사회혁신계획을 심의․의결하며 계획 실행을 관리

❍ 구성 : 30명 이내

- 구성비율 : 행정 30%, 민간 70%

․당연직(5명) : 구청장, 안전행정국장, 기획재정국장,

생활복지국장, 협치조정관

․위촉직(25명) : 행정 4명, 구의원 2명, 민간 19명

- 위원회 대표 : 공동의장(구청장, 위촉직 위원 중 선출)

❍ 운영

- 회의개최 : 정기회의(연 4회), 임시회의(필요 시)

- 의 결 :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 출석위원 과반수 찬성

강서구협치운영단 구성(2017.12. 7.)

❍ 목적 : 협치 사무에 관한 실무적 논의 기구

❍ 역할

-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 정책의 수립 및 실행 관련 초안 마련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및 실행과 관련한 세부사항을 논의․검토

- 지역사회 협치 사무를 실무적으로 논의하고 필요한 활동을 수행

❍ 구성 : 20명 내외

- 단장 : 민간위원 대표

- 민간위원 : 분야별 대표 또는 실무자, 중간지원조직 대표

- 행정위원 : 분야별 팀장

❍ 운영

- 정기회의 : 매월 1회 정기회의 개최

- 임시회의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과정에 따라 수시회의 개최

Page 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5 -

분야별 협치테이블 구성(2018. 1.24.)

❍ 목적 : 분야별 의제발굴을 위한 논의 조직

❍ 역할

- 분야별 협치의제 발굴 및 대안 모색

- 권역별 공론장 발굴 의제 검토 및 분야별 협치의제 선정

❍ 구성 : 5개 분과 11개 분야(1개 분과 15명 내외)

- 민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분야별 활동가, 주민

- 관 : 분야별 담당부서 팀장 및 주무관

※ 5개 분과 11개 분야 : 교육․문화 분과, 경제․일자리 분과, 복지․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운영 : 18. 1~3월 기간 분야별 기본 4회 운영(총 21회 운영)

의제별 워킹그룹 구성(2018. 4.19.)

❍ 목적 : 의제별 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실행조직

❍ 역할

- 협치의제 핵심과제 도출 및 과제실행을 위한 민관 거버넌스 구성

- 사업 세부예산 계획 작성 등

❍ 구성 : 8개 의제별 워킹그룹(1개 그룹 10명 내외)

- 민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의제관련 전문가, 활동가, 주민

- 관 : 협치의제 주관부서 팀장 및 주무관

❍ 운영 : 18. 5~6월 기간 의제별 기본 3회 운영(총 32회 운영)

Page 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6 -

현황

조사

협치연구용역

(2017. 8~12월)

▪ 목적 : 지역사회 비전 및 의제설정, 기초자료 활용▪ 구성 : 소그룹 협치연구용역 TFT, 외부전문기관▪ 내용 : 지역사회 협치현황조사, 인식도 조사, 의제

발굴(문제점 파악), 심층진단분석 등

의제

발굴

50인 협치테이블(1회)

(2018. 1. 24.)

▪ 목적 : 민․관 협치적 논의를 통한 의제발굴 통합테이블▪ 구성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분야별 활동가, 주민

분야별 담당부서 팀장 및 주무관▪ 내용 : 협치현황조사 및 진단결과 공유, 협치토론,

다양한 분야․주체가 협업이 필요한 의제 논의

분야별 협치테이블(21회)

(2018. 1. 30. ~ 3. 14.)

▪ 목적 : 민․관협치적논의를통한의제발굴분야별테이블▪ 구성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분야별 활동가, 주민

분야별 담당부서 팀장 및 주무관▪ 내용 : 민․관협력파트너쉽만들기, 분야별협치의제공론

찾아가는

권역별 협치테이블(4회)

(2018. 3. 6.~ 3. 9.)

▪ 목적 : 민․관협치적논의를통한의제발굴권역별테이블▪ 대상 : 4개 권역(1권역 5개 동) 지역주민 등 240여명▪ 내용 : 권역별 협치이해 교육 및 의제발굴 공론

우선

순위

결정

강서협치통통한마당

(2018. 3.28.)

▪ 목적 : 민․관 협치적 논의를 통한 의제 우선순위 결정▪ 구성 : 강서구협치회의, 의제별시민단체및활동가, 의제별

부서팀장및주무관, 주민등▪ 내용 : 강서협치 추진경과 및 향후계획 공유,

협치의제발표 및 의제 우선순위 결정

전략

계획

수립

민․관 합동

워킹그룹(32회)

(2018. 4~6월)

▪ 목적 : 민․관 실행조직으로 의제별 전략계획을 수립▪ 구성 : 강서구협치회의 분과위원, 의제별 활동가, 주민,

의제별 담당부서 팀장 및 주무관▪ 내용 : 선정된 의제에 대한 전략계획 수립

3. 단계별 공론화 숙의 과정을 거친 계획 수립

Page 10: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7 -

4. 주민참여예산과 지역사회혁신계획 연계 과정

시민참여예산과 지역사회혁신계획 연계를 위한 논의구조 구성

2017. 10~11월• 강서구협치회의 위원으로 區 주민참여예산 위원장 참여

• 강서구협치회의 워원으로 區 주민참여예산 복지보건 분과 위원장 참여

시민참여예산과 지역사회혁신계획 연계를 위한 논의

2018. 1~4월• 2018. 1. 16. : 강서구협치운영단 회의_구단위계획형 신청 결정

• 2018. 1.16. ~ 2.13. : 협치지원팀-예산팀 연계 논의

• 2018. 2.14. : 2018년 시민참여예산 추진방침(구단위계획형 신청)_기획예산과-1667

• 2018. 3. 20. : 강서구협치회의 구단위계형 신청 승인

• 2018. 4. 2. : 2018년 구단위계획형 시민참여예산 신청(구→시)

시민참여예산과 지역사회혁신계획 연계 과정

2018. 5~6월

• 시민참여예산 지역참여형 접수 사업 자치구 이관 : 총 26건

• 2018. 5.11. ~ 5.21. : 예산팀 및 소관(사업)부서 검토

- 합법성, 기존 사업과 중복성 검토결과 적합사업 8건

• 2018. 5. 25. : 8개 적합사업 이관(예산팀→협치지원팀)

• 2018. 5. 29. : 지역사회혁신계획 반영 여부 검토

- 강서구협치운영단 회의를 통해 적합사업 2건 선정

시민참여예산 제안사업 전략계획 수립 위한 민․관 합동 워킹그룹 운영

2018. 6월• 2018. 6. 12. : 1차 회의(핵심과제 도출 및 전략계획 수립)

• 2018. 6. 21. : 2차 회의(계획 실행을 위한 실무회의 및 집행과정 설계)

지역사회혁신계획(구단위 계획형) 승인 :강서구협치회의

2018. 7월•2018. 7. 5. : 지역사회혁신계획 사업 및 예산 등 승인

Page 1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8 -

구분 일시 장소 주요내용 비고

구‧동 간부

협치이해교육17. 3.30.

구청

대회의실

- 대상 : 5급이상 공무원, TFT 위원 등

- 내용 : 협치의 개념 및 시 지원 방향 등

- 강사 : 서진아 지역공동체담당관

70명

찾아가는

협치 이해 교육17. 6.19.

강서평생

학습관

- 대상 : 관내 시민단체 및 실무담당

- 내용 : 사례를 통해 본 협치이해

- 강사 : 이명신 경희대학교 교수

109명

협치 역량강화

기초교육(공무원)17.10.31

강서평생

학습관

- 대상 : 민관 협력사업 담당 및 공무원

- 내용 : 협치의 개념 및 이해

- 강사 : 김일영 시 지역사회혁신계획 조정위원

115명

5. 통통한(소통 통합) 협치 교육

기본교육

Page 1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39 -

구분 일시 장소 주요내용 비고

협치 역량강화

기초교육(민간)17.11.16.

강서평생

학습관

- 대상 : 강서구협치회의, 단체, 주민 등

- 내용 : 자치구 사례를 통해 본 협치 이해

- 강사 : 김산 오늘공작소 선임연구원

80명

협치 역량강화

기초교육18. 3.22.

구청

지하상황실

- 대상 : 전직원

- 내용 :

‧ 행정과 민간 역할변화 및 지역사회혁신계획

‧ 강서구 협치방향 및 협치 기본 개념 이해

- 강사 : 이명신 경희대학교 교수

225명

Page 1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0 -

구분 일시 장소 주요내용 비고

협치실행 교육 17. 5.17.강서평생

학습관

- 대상 : TFT 위원 및 실무담당

- 내용 : 민‧관 상호이해 및 비전 만들기

- 강사 : 강정모 시민교육콘테츠연구소 소장

31명

강서구협치회의

및운영단워크숍

17.12.14

~12.15.

엘리시안

강촌

- 대상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시민협력

플랫폼, 민관 협력사업 추진부서

- 내용 : 협치역량강화 및 비전 수립

- 강사 : 김산 오늘공작소 선임연구원

40명

실행교육

Page 1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1 -

구분 일시 장소 주요내용 비고

찾아가는

권역별

협치이해

교육

1권역 18. 3. 6.강서평생

학습관 - 협치 이해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민ㆍ관

협치 논의 확산과 공감대 형성

- 지역주민이 협치 주체로 등장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 역량강화

- 강사 : 강정모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 소장

249명

2권역 18. 3. 7.곰달래

복지센터

3권역 18. 3. 8.구청

지하상황실

4권역 18. 3. 9.국제

청소년센터

Page 1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2 -

Ⅱ 추진체계

강서구 협치 추진 체계도

강서협치회의강서협치운영단

협치추진단

교육▪문화

분과

워킹

그룹

복지▪여성

분과

경제▪일자리

분과

도시▪안전▪환경

분과

마을▪건강

분과

분과실행위원회분과실행위원회 분과실행위원회 분과실행위원회분과실행위원회

워킹

그룹

워킹

그룹

워킹

그룹

워킹

그룹워킹

그룹

워킹

그룹

워킹

그룹

워킹

그룹

워킹

그룹

【지역 네트워크 연계】

복지기관

시민단체

마을네트워크강서교육혁신지구

사회적경제 마곡입주기업네트워크

초․중∙고등학교

중간 지원 조직시민협력플랫폼

49개 단체 네트워크 형성

Page 1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3 -

강서구협치회의 및 지역사회혁신계획 실행 흐름도

강서구협치회의

1차 정기회의1월 • 전년도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에 따른 평가 및 보완

• 신년도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계획 검토

협치의제 발굴 2~3월 • 분야별 권역별 등 다양한 공론장 운영을 통한 협치의제 발굴

의제별 워킹그룹

(전략계획 수립)4~5월 • 부문별 협치의제 구체화, 실행 방안 도출 등

강서구협치회의

2차 정기회의5월

• 공론장(의제발굴 및 전략계획 수립) 운영결과 공유

• 시민참여예산 제안사업 반영 검토

• 강서협치 통통(소통 통합) 한마당 추진방안 논의

강서협치

통통한마당6월 • 협치의제 발표 및 최종의제 우선순위 도출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5~7월 • 공론장 운영 및 의제별 워킹그룹 공론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강서구협치회의

3차 정기회의7월

• 지역사회혁신계획 승인

- 지역사회혁신계획 사업 승인

- 예산편성 조정 및 예산 계획 승인

시 구

협의조정 회의7~8월

• 지역사회혁신계획 조정 및 승인

- 대상 : 서울시 협의조정위원 및 강서구협치회의

- 내용 : 지역사회혁신계획 조정 및 승인

의제별 워킹그룹

(실행 준비)9~11월 • 내년도 부문별 계획 실행을 위한 민 관 거버넌스 구축 등

실행을 위한 회의 개최

강서구협치회의

4차 정기회의12월 • 당해연도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결과 공유 및 평가

Page 1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4 -

Ⅲ 지역사회 현황조사 및 잠재력 분석

현황조사

지역여건

지역협치 사례 조사

❍ 조사개요

- 기간 : 17. 9. 1. ~ 9. 14.

- 대상 : 민‧관 협력사업 수행 주체

- 방법 : 사례조사표 배포 후 수합

❍ 협치 분야별 현황

구분 합계 복지 환경 경제 교육 마을 도시 문화 안전 건강 기타

계 29 5 5 4 4 3 3 2 1 1 1

1단계 : 정보제공

2단계 : 협의 2 2

3단계 : 개입 11 2 1 1 3 1 1 1 1

4단계 : 협업 16 3 2 4 3 3 1

5단계 : 권한부여

Page 1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5 -

❍ 협치사례 분석 시사점

∎지역 협치 사업 사례별 단계(총 29개 사업)정보제공 협의 개입 협업 권한 부여

0 2 11 16 0

∎ 지역내 분야별 협치 단계(총 10개 분야)정보제공 협의 개입 협업 권한 부여

- 환경도시∙안전∙

건강∙기타

복지∙경제∙

마을∙교육∙문화-

지역내 리더급

환경단체 주도

토론회,포럼,원탁

회의 진행 형태

권한 부여 단계

진입 필요[어려움]

① 의견 조율,

역량 부족

- 퍼실리테이션

기법, 의사결정

매트릭스 기법

등 적용

② 다양한 주체

미참여

[어려움]

① 사업추진 및

예산 집행

- 사업추진 역량

및 예산 집행

교육 필요

②네트워크 형성

(경제, 복지)

- 우선 민관 협치

통한 해당 분야

네트워크 형성

❍ 협치사례 분석 목적 : 강서구 지역 협치 방향성 도출

- 강서구 내 민·관 지역협치 사업 중인 사업 담당자 대상

-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통해 애로사항 조사 및 해결방안을 분석

❍ 설문지 설계 :

- 민∙관 협치 연구용역 TFT 와 함께 지역협치 사례에서 조사 된

애로사항을 기준으로 설계

민간주도 사업 수행,사업 수행

공간 확대,행정절차 간소화 및

예산 집행 관련 교육으로 가능

Page 1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6 -

주민 및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조사개요

- 기간 : 17. 10. 16. ~ 10. 23.(7일)

- 대상 : 강서구 주민, 공무원, 지역활동가 총 589명

- 방법 : 설문지법

❍ 협치 필요 분야

❍ 협치로 해결 할 지역사회문제

Page 20: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7 -

❍ 협치 애로사항 및 협치 방향성

이해관계자 심층 인터뷰

❍ 조사개요

- 기간 : 17. 10. 16. ~ 10. 18.(3일)

- 대상 : 강서구 공무원(17명) 및 지역활동가(50명)

- 방법 : 대면 인터뷰

❍ 협치 분야별 발전방향

구분 협치 애로사항 발전방향

복지• 다양한 단체 참여 부족

• 단체간 네트워크 부족• 단체간 네트워크 형성 필요

경제• 부서별 소통 부재

• 지역활동가 부족, 사회적경제 이해 부족

• 부서별 소통 강화가 필요한 영역

• 지역활동가 발굴 및 사회적경제 인식 확산

환경• 민간 참여도 저조

• 사업 추진 예산 부족

• 관련 분야 지역활동가 발굴

• 예산 확충 필요

교육

• 촉매 역할하는 활동가 및 조력자 필요

• 단체간 네트워크 부족

• 칸막이 행정(구청과 교육청)

• 지역활동가 양성 필요

• 단체간 네트워크 형성 필요

• 구청과 교육청 협조 체계 구축 필요

문화• 사업 수행 역량 부족

• 단체간 네트워크 부족

• 단체간 네트워크 형성 필요

• 관련 분야 지역활동가 발굴

• 사업수행 역량 교육

안전• 예산 및 인력 부족

• 자원봉사자만으로 운영하는 것은 한계• 관련 예산 확충을 통한 전문인력 확대 필요

마을• 보여주기식 성과주의 사업 추진

• 이해관계자간 소통 부재로 인한 충돌

• 관련 사업의 비전 설정이 필요

•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충분한 의사소통 필

도시• 행정 불신 및 주민참여도 미흡

• 분야 특성상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운 영역

• 합의점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 구성 필요

• 역량 있는 주민들의 참여 제고 필요

건강• 사업추진 역량 부족

• 예산 부족

• 나눔의 인식 확산 필요

• 다양한 분야의 지역 활동가 발굴 및 예산 확충

Page 2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8 -

❍ 협치 분야별 세부사업화

구분 협치 필요 세부사업

복지

• 보육서비스 다양화, 복지 분야 인재 양성 및 인재 POOL 구성

• 아동, 여성, 장애인 인권 향상 / 자살 예방사업

• 복지 복지 복지 복지 복지 분야 분야 분야 분야 분야 시민단체 시민단체 시민단체 시민단체 시민단체 협의체협의체협의체협의체협의체, , , , , 협의기구 협의기구 협의기구 협의기구 협의기구 운영운영운영운영운영복지 분야 시민단체 협의체, 협의기구 운영

• 규제 개혁 가능한 노동정책 개발(실태조사, 조례 제정)

• 다문화 가정, 아동 실태조사(요구조사) 사업

경제

• 여성일자리 포럼 및 여성박람회 개최

• 강서구 사회적경제 기업 활성화 지원, 사회적경제기업의 공공판로 개척(나라장터에서의 혜택 확보), SH 매입

주택의 사회적경제기업 활용(작업장, 사무실), 사회적경제기업과 구직자간 매칭 사업(시간선택, 고령, 장애),

사회적경제 홍보 및 인식 교육 확산

• 취약계층과 지역 사업체간 일자리 소개 사업, 취약계층 노동자 인권 개선 사업

• 김포공항 입지 활용한 인프라 구축 사업

• 협력사업 콘텐츠 개발 네트워크 형성

환경 • 미세먼지 미세먼지 미세먼지 미세먼지 미세먼지 저감 저감 저감 저감 저감 사업사업사업사업사업,,,,,미세먼지 저감 사업, 이면도로 열섬현상 완화 살수차 운영

교육

• 강서구 자연환경 모니터링 교육사업(중고등 대상)

• 김포공항 입지 활용 어린이 영토문제 인식 프로그램

• 강서어린이동화축제 국제교류, 동화축제 사업 활성화(구청사업으로 예산 확대)

• 강서구민 위한 사회적경제 인식개선 교육교재 개발

• 돌봄 어려운 아이들(중학생) 쉼터 사업

• 위기청소년 위기청소년 위기청소년 위기청소년 위기청소년 학교 학교 학교 학교 학교 안팎 안팎 안팎 안팎 안팎 조기대응 조기대응 조기대응 조기대응 조기대응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구축구축구축구축구축위기청소년 학교 안팎 조기대응 시스템 구축

• 마을 교육 융합프로그램(한 아이의 24시간 모니터링 가능, 케어)

문화

• 마을행사 외주 용역 아닌 시민단체 기획 및 운영

• 청소년 청소년 청소년 청소년 청소년 활용 활용 활용 활용 활용 전용공간 전용공간 전용공간 전용공간 전용공간 마련마련마련마련마련(((((운동 운동 운동 운동 운동 및 및 및 및 및 여가여가여가여가여가)))))청소년 활용 전용공간 마련(운동 및 여가)

• 도서관 인프라 지속 확충

• 허준축제 이용객 만족도 제고, 문화·예술 분야 활동가 영입 환경조성, 예술인들 소통의 장 확대 필요(협의회,

협의체), 자연환경, 유적 관광소재로 발굴

•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극, 뮤지컬)

안전

• 심야 심야 심야 심야 심야 안전귀가 안전귀가 안전귀가 안전귀가 안전귀가 지도 지도 지도 지도 지도 사업사업사업사업사업,,,,,심야 안전귀가 지도 사업, 방범 카메라 및 모니터링 시스템 확대, 강서구 안전감시단 활동 강화, 어린이집,

초등학교 주변 보행안전 확보

• 지하철 5호선 방화역 출구 지붕 설치 요청

마을

• 개화산 자락 중간폐기물 처리장 개선 사업

• 마을자원과의 네트워킹 체계 구축

• 공진초 복합 마을공동체 센터 설립 사업

• 민민민민민-----관 관 관 관 관 모두가 모두가 모두가 모두가 모두가 함께 함께 함께 함께 함께 논의하는 논의하는 논의하는 논의하는 논의하는 공론장공론장공론장공론장공론장(((((포럼포럼포럼포럼포럼) ) ) ) ) 활성화활성화활성화활성화활성화민-관 모두가 함께 논의하는 공론장(포럼) 활성화

도시

• 도시 환경 개선 위한 설명회, 세미나

• 주민 요구조사 사업

• 도시재생 분야 주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 주민공동체 주민공동체 주민공동체 주민공동체 주민공동체 활동 활동 활동 활동 활동 거점 거점 거점 거점 거점 설치설치설치설치설치주민공동체 활동 거점 설치

건강

• 가족 기능 복원 컨설팅. 건강관리 관련 바우처 제도 도입

• 의료사각 지대 발굴 및 요구조사, 고령사회 고령사회 고령사회 고령사회 고령사회 의료비 의료비 의료비 의료비 의료비 절감 절감 절감 절감 절감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개발개발개발개발개발고령사회 의료비 절감 위한 시스템 개발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확대

• 미라클메디특구 내 난임 분야 양·한방 협진 활성화 사업, 강서구 보건소-미라클메디특구 미라클메디특구 미라클메디특구 미라클메디특구 미라클메디특구 연계 연계 연계 연계 연계 구민 구민 구민 구민 구민 건강 건강 건강 건강 건강 관리관리관리관리관리,,,,,미라클메디특구 연계 구민 건강 관리,

미라클메디특구 활성화 위한 워크숍 개최, 미라클메디특구팸투어

• 미라클메디특구 내 문화 분야 사업개발

※ 최종 협치의제 반영 : 빨간색 글씨 표기

Page 2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49 -

이해관계자 워크숍

❍ 조사개요

- 일시 : 17. 11. 13.(월), 14:00

- 장소 : 구청 지하상황실

- 대상 : 협치의제 관련 공무원(10명) 및 지역활동가(10명)

- 방법 : 설문조사 결과 도출 된 협치의제를 중심으로 민, 관이

문제점을 공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 토론

❍ 워크숍 결과 종합

구분 관련분야 문제점 해결방안 협치 사업화

교통환경

개선

• 전철(9호선 혼잡, 서부광역 전철 부재)

• 도로(광명-서울 고속도로 조기

개통 필요, 방화대로 혼잡, 광

역버스 부족)

• 마곡지구(교통량 증가)

• 시민의식 부재(이기심, 대안 없

는 민원)

• 통행(보행 안전 미확보, 자전거도로)

• 전철(9호선 증차 협의, 서울시장 의지)

• 도로(유관기관 협의)

• 마곡지구(지자체, 민-관, 민-민 협의)

• 시민의식(민·관 문제의식 공유, 해결방

안 강구, 캠페인, 시민의식개선)

• 통행(시민의식제고, 보행시설 설치, 자

치구의 지속적 요구)

• 9호선 증차(마곡지구 주민협

의체 거버넌스)

• 공항로 미세먼지 TFT 구성

대책강구

• 유관기관 협의 활성화

• 시민의식 제고 시스템 구축

• 구시가지 보행로 확보 개선

일자리

확충

• 공공 일자리 한계

• 지역 일자리 발굴 정책 부족

• 교육기회 부족

• 민·관 네트워크 어려움

• 홍보 부족

• 조직역량 강화

• 민·관 공동 프로젝트 확대

• 민·관 협력 일자리 정책 발굴

• 일자리 홍보 창구 일원화사업

• 민·관 정보 교류활성화

• 취업박람회 행사 규모 확대

• 사회적경제 활성화

• 현장채용행사 상시 운영 확

• 동주민센터 취업지원관 배치

복지

서비스

강화

• 민·관 협력(민·관 역할 구분, 협

치 경험 부족, 정책과 실천의

차이)

• 자원·정보 공유(자원 공유 및

관리 미흡, 복지자원 개발 어려

움)

• 복지 인력(인력 부족, 복지 깔

때기 현상)

• 복지 인프라(시스템부족)

• 복지서비스(서비스 구조화 필요,

현장 중심 정책의 제도 개선,

홍보미비, 이중혜택, 복지사각,

양극화 인식개선)

• 민·관 협력(정책 홍보, 정책 피드백 강

화, 민·관 역할 구분)

• 자원·정보 공유(자원 개발 인력 확충,

민·관 사업 상호이해, 대상자 서비스

제공정보관리 및 공유, 위기상황 지원

개인정보특례법 만들기)

• 인력 확충(복지 인력의 현실화, 복지

인력 교육)

• 인적·물적 인프라 확대, 인프라 구축

(재가서비스 인프라 개발)

• 복지서비스(지역사회 중심 돌봄체계

구축, 복지서비스 구조화, 다양한 복지

네트워크 구축,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 중앙·광역·지방 정부 업무의 통합

• 사각지대 발굴 및 요구 정보 체계적

관리)

• 민·관 협력 중심 기구인 지역

사회보장협의회 활성화

• 자원개발·관리 및 공유 방법

방안 검토

• 개인정보보호법 현실화 위한

공동 노력

• 지역사회 중심 복지 인프라

확대 공동 협력

• 민·관 복지 인력 소진 예방을

위한 교육(힐링)

Page 2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0 -

협치진단

협치의제 도출

❍ 주민을 대상으로 한 협치 필요 분야 설문결과와 지역활동가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협치가 필요한 지역의제 분야 심층인터뷰한

결과를 기준으로 강서구 민·관협치 TF 팀과 협의하여 지역협치

의제를 선정함

❍ 협치 의제 : 교통환경 개선, 일자리 확충, 복지서비스 강화, 교육

환경 개선, 문화시설 확충, 도시안전 강화

- (주민)협치 필요 분야 : 복지, 환경, 경제, 안전, 교육, 건강, 마을, 문화

- (지역활동가, 공무원) 지역이슈 : 교통환경 개선, 일자리 확충,

복지서비스 강화, 교육환경 개선, 문화시설 확충, 공공편의시설

확충, 쓰레기처리 개선, 도시안전 강화

구분 관련분야 문제점 해결방안 협치 사업화

교육환경

개선

• 의식 개선(거버넌스 활동능력

부족, 네트워크 부족, 소통 부

족, 준비 없는 정책 시행, 책임

의식 부족)

• 공간부족(청소년 전용공간, 마을

교육 장소)

• 이기심(입시교육 중심, 학교 밖

청소년 증가)

• 학부모 의식, 중간지원조직 부

재, 서열화된 학교, 교육 자치

와 지방자치의 분리, 높은 학교

문턱

• 교육·토론(학부모 대상 인문학 강의,

토론 문화 확산, 주민 독서·토론 모임

활성화, 교육 본질 탐구하는 강연 개

최)

• 실천[가정과 마을의 인성·진로 교육 역

할 확대, 요람에서 대학까지(마을교육

+학교교육), 강서청소년교육봉사대 조

직·운영, 교육방향 합치 강좌, 과정 중

심의 평가, 적극적 참여 유도]

• 교육

• 토론

• 마을참여형 학생 자치

• 공동 미션 도출

• 마을 지원 주민 네트워킹

문화시설

확충

• 주민이용공간부족, 소외계층 및

장애인 편의시설 부족

• 예술 분야 활동 공간 부족

• 시설 투자금 확보 필요

• 공간 : 공간 확충, 동 단위 커뮤니티

공간 확보, 기존시설 유휴공간 발굴,

건축물 허가 시 문화공간 의무 확충,

기존 시설 개선

• 예산 : 예산 확충 요구, 문화기금 조

• 자원 : 전문인 양성, 주민활용, 전문가

파견, 민-관 추진위 구성

• 운영 : 민 주체 축제(필요성 검토)

• 기존 시설 공간 활용(휴면 부

지, 건물 등)

• 예산 확충(재단, 기금, 모금)

• 타당성 검토(민 주도 행사

운영)

• 인력 확충(전문가, 관리자, 운

영자의 전문화)

Page 2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1 -

[그림 Ⅴ-45]�협치 의제 도출

협치 방향성 도출

❍ 교육, 지역활동가 발굴, 네트워크 형성, 성공사례 확산, 협치시스템 구축

[그림 Ⅴ-46]�협치 방향성 도출

Page 2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2 -

협치 방향성에 따른 수행과제

* 분야별 협치 애로사항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사항을 정리함

[그림 Ⅴ-47]�협치 방향성에 따른 수행과제

Page 2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3 -

Ⅳ 지역사회혁신계획 기본 구상

강서구 지역사회혁신계획 비전과 목표

비전 참여와 소통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강서

목표

지속가능한 협치기반 구축 지역사회문제 해결

핵심

과제

기반구축

∙조례제정

∙강서구협치회의

등실행체계구축

∙지역사회혁신계획수립체계마련

역량강화

∙교육체계조성및 강서협치학교 운영

∙협치지기발굴‧육성

∙협치평가지표개발

인식확산

∙인식증진홍보 ∙협치성과공유 ∙협치 아카이빙및백서발간

의제발굴 및 실행

∙ 공론장 운영정례화

∙ 시민참여예산활성화

∙ 의제별 네트워크 구축

평가

환류

강서협치 성과보고 및 지역사회혁신계획 수정․보완

∙ 강서협치 성과보고회 개최 ∙ 평가결과에 따른 수정․보완

추진원칙

❍ 다양한 분야,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한 계획의 수립

❍ 주민들의 참여 권한 보장과 원활한 정보 소통

❍ 현재의 협치 수준 진단과 개선

Page 2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4 -

부문 사업내용 추진계획

협치

제도기반

구축

협치

실행체계

구축

1. 협치전담팀 신설 완료

2. 협치조례 제정 완료

3.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구성 완료

4. 강서구협치추진단 구성 완료

5. 협치 추진체계‧조직 정비 2018년~

6. 공론장 운영시스템 마련 2018년~

7. 협치조정관 채용 2019년~

협치

역량강화

1. 협치 교육체계 조성 및 강서협치학교 운영 2018년~

2. 협치지기 발굴 2019년~

3. 협치평가지표 개발 2019년~

4. 시민참여예산 활성화 2019년~

협치

인식확산

1. 협치 성과공유회 개최 2018년~

2. 협치 아카이빙 2018년~

3. 협치 백서발간 2018년~

4. 협치의제 중심 관련단체 네트워크 방안 마련 2018년~

5. 인식증진을 위한 홍보 2018년~

지역사회

혁신과제

1.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2018년~

2. 마을주민의 권역별 상시 거점 공간 확보 및 홍보시스템 구축 2018년~

3. 주택가 틈새 주차장 확보 및 주차공간 제자리 찾기 2018년~

4. 초중고 위기(가능) 청소년 등을 위한 펀펀

(fun fun)한 청소년 놀이터 운영2018년~

5. 강서 일자리 119 2018년~

6.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사업 2018년~

7. 성평등 인식개선 및 지역안전시스템 구축 2018년~

8.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프로그램 개발 운영 2018년~

9. 똑!똑!똑! 찾아가는 책 동무 어르신 2018년~

10. 느리고 펀(FUN)한 아카데미 2018년~

강서구 지역사회혁신계획 과제

Page 2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5 -

구분 사업명 추진

협치실행

체계구축

1. 협치전담팀 신설 완료

2. 협치조례 제정 완료

3.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구성 완료

4. 강서구협치추진단 구성 완료

5. 협치 추진체계‧조직 정비 2018년~

6. 공론장 운영 시스템 마련 2018년~

7. 협치조정관 채용 2019년~

협치

역량강화

1. 협치 교육체계 조성 및 강서협치학교 운영 2018년~

2. 협치지기 발굴 2019년~

3. 협치평가지표 개발 2019년~

4. 시민참여예산 활성화 2019년~

Ⅴ 협치 제도기반 구축 방안

기본방향

지역협치 현황조사 및 분석‧진단 연구용역 결과 협치사례, 설문조사, 심

층인터뷰 등을 통해 도출된 협치의 방향성을 토대로 설정

❍ 협치사례, 설문조사, 심층인터뷰를 통한 현황과 문제점 확인

❍ 이해관계자 워크숍 실시 통한 개선과제 및 의견 수렴

❍ 강서구협치운영단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협치문화 구축을 위한 종합 계획 설계

5대 협치 방향성 : 교육, 지역활동가 발굴, 네트워크 형성, 성공사례

확산, 협치시스템 구축

협치 제도기반 구축 핵심과제

Page 2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6 -

구분 사업명 추진

협치

인식확산

1. 협치성과공유회 개최 2018년~

2. 협치 아카이빙 2018년~

3. 협치 백서발간 2018년~

4. 협치의제 중심 관련단체 네트워크 방안 마련 2018년~

5. 인식증진을 위한 홍보 2018년~

협치 실행체계 구축

협치 추진체계‧조직 정비

❍ 협치기반조성 분과 구성

- 추진배경 : 지역사회에서 협치가 원활하게 실행되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문적인

논의 기구 필요

- 구 성 : 10명 내외

- 역 할 :

‧ 지속가능한 협치기반 조성을 위해 중‧장기적 계획 마련

‧ 지역사회혁신계획 평가결과에 따른 미흡한 부분 수정‧보완

‧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 과정에서 협치 추진체계와 조직에 대한 진단과 조정

- 추진일정

분과 구성

‣‣

분과 회의

‣‣

계획서 작성 실행

협치기반조성분과 구성

추진체계진단 점검

중 장기계획 마련 ‣‣ 지역사회혁신계획

반영

18년 9월 18년 10~12월 19년 1~7월 19년 7월

Page 30: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7 -

- 분과위원회 구성 체계 :

❍ 분과 실행위원회 구성

- 추진배경 : 분야별 공론장 운영 시 개방성과 확장성 확보를 위해

분과 실행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양한 의견수렴과 소통의 기회 부여

- 시 기 : 2018. 9월 ~

- 구 성 : 협치위원 + 중간조직 + 활동가 + 주민 등

‧ 협치위원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분과위원

‧ 중간조직 : 협치경험이 있는 단체 등에 소속된 사람으로 민과

관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사람

‧ 활 동 가 : 해당분야에 협치경험이 있는 전문가

‧ 주 민 : 지역사회에 관심있고 참여의지가 있는 사람

- 역 할

‧ 분야별 협치의제 발굴 및 대안 모색

‧ 권역별 공론장 발굴 의제 검토 및 분야별 협치의제 최종 우선순위 선정

공론장 운영 시스템 마련

❍ 추진배경 : 협치의제를 발굴하고 선정하며, 협치의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공론화 과정을 체계화하여

예상 가능한 프로세스를 통해 민관협치 활성화를 도모

Page 3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8 -

❍ 시 기 : 2018년 하반기

❍ 추진방법 : 협치기반조성 분과회의를 통한 프로세스 마련

❍ 추진내용

- 2018년 단계별 공론화 과정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도출

- 다양한 의견을 정기적으로 수렴․토론하는 개방적․상시적 공론장 운영 방안 마련

- 공론장 운영 프로세스 홍보를 통한 주민참여 도모

협치조정관 채용

❍ 개념 : 공무원 신분으로 민․관 협력 촉매 역할 수행 전담 MP(총괄계획가)

❍ 역할 :

- 협치 업무의 총괄 및 민․관의 가교 역할을 담당

- 강서구협치회의 운영 지원 및 혁신계획 수립․실행 지원

❍ 직급 : 시간선택제 임기제 가급

❍ 추진계획

- 2018년 : 민간 협치조정관 채용을 위한 구비 편성

- 2019년 : 협치조정관 채용

협치 역량강화

협치 교육체계 조성 및 강서협치학교 운영

❍ 개요 : 협치에 대한 단계별 교육을 통해 민‧관의 협치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관 협치 활성화 도모

❍ 시기 : 2018년 하반기~

❍ 방법 :

- 협치기반조성 분과 설치 및 협치지원관 1인을 역량강화 전담으로

배치하여 전문적인 협치교육을 위한 강서협치학교 운영

- 협치기반조성 분과 논의 및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협치 이해를 돕는 기초

교육부터 협치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활동 할 수 있는 교육계획을 체계적 수립

Page 3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59 -

구 분 대상 교육내용 비고

기초교육주민

직원

‧ 찾아가는 협치이해 맞춤형 교육

‧ 지역주민 및 직원 협치 개념 이해

‧ 강서구 협치방향 이해

심화교육

협치위원

활동가

직원

‧ 협치테이블 의제해결 및 사례분석

‧ 협치 성공사례 분석

‧ 지역현장 협치 적용방안 실습

‧ 협치사례 실행과제 이해

실행교육협치위원

민관협력부서

‧ 민관상호 공감대 형성

‧ 퍼실리테이션 기법 이해

‧ 협치 실행 프로세스 이해

‧ 타자치구 민관협력 사례 탐방

책임자교육시민대표

협치담당

‧ 책임자 리더십

‧ 갈등조정 , 소통 등 조직운영관리에

필요한 기본소양 교육

‧ 협치 정책 이해 교육

❍ 교육과정 : 4단계 8개 과정

❍ 교육내용

동지역 협치 활성화를 위한 협치지기 발굴

❍ 추진배경

- 동 단위 협치 활성화를 위하여 구정에 참여하는 주민들 발굴 필요

- 참여 주민들이 지역의 활동가로 성장 할 수 있는 기회 필요

❍ 시 기 : 2019년 ~

❍ 추진방법 : 주민과 주민을 이어주고 이끌어주는 “협치지기” 운영

❍ 역 할 :

- 동단위 협치 활성화를 위한 주민의 소통과 협력 촉진

- 지역의 협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활동

Page 3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0 -

❍ 추진내용

- 1단계 : 지역에 대한 이해도 높은 주민 공개모집

- 2단계 : 단계별 교육 및 퍼실리테이터 양성교육 실시

- 3단계 : 동 단위 공론장 운영시 촉진자 역할 수행 및 활동가 네트워킹

협치 평가지표 개발 및 인센티브 부여

❍ 추진배경

- 협치제도 정착을 위해 협치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시스템 도입 필요

- 평가지표 개발을 통한 협치 유공자 인센티브 등 동기부여

❍ 시 기 : 2019년 ~

❍ 추진방법 : 용역(강서구협치운영단 + 외부연구기관)

-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TFT 구성 및 연구용역 발주

- 협치운영단과 외부 전문기관 협력 협치 평가지표 개발

❍ 주요내용

- 구정 전반의 협치 정책 및 사업에 적용 가능한 평가 지표 개발

- 민과 관의 합의에 의한 정책 평가와 피드백 유도

- 협치 사업부서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체계 도입

시민참여예산 활성화 지원

❍ 추진방향

- ‘시민참여예산학교’ 운영 지원을 통한 예산학교 운영 내실화

- 시민참여예산 위원 워크숍 실시를 통한 시민참여예산 사업의 전문성 강화

- 협치회의를 통한 사업 평가‧환류 및 우수 제안사업 시상

❍ 시 기 : 2019년 ~

❍ 세부계획

- ‘시민참여예산학교’ 운영 지원을 통한 예산학교 운영 내실화

Page 3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1 -

‧ 예산학교 확대 운영으로 주민의 참여예산에 대한 이해 강화

‧ 참여예산위원의 심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심화교육 실시

‧ 주민참여 사업과 참여예산과의 관계 이해를 통해 구정참여 유도

- 시민참여예산위원 워크숍 운영

‧ 다양한 주민제안 사업들과 차별화 방안 모색

‧ 민‧관 숙의를 통한 참여예산 전문성 강화 방안 모색

- 우수 제안사업 선정 및 포상

‧ 제안자, 참여예산위원, 사업담당 공무원이 참여

‧ 집행결과 공유 및 우수사례 발표를 통한 우수 제안사업 선정 및

포상

협치 인식확산

협치 성과공유회 개최

❍ 추진배경

- 협치 성과와 우수사례 공유를 통한 협치 구정 확산 및 활성화 도모

- 협치 우수 공무원 및 민간 시상을 통한 격려 및 성취도 고양

❍ 시 기 : 매년 12월 초

❍ 대상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협치 사업부서 공무원, 활동가, 주민 등

❍ 주요내용

- 협치사업 성과 공유 및 협치 우수사례 발표

- 민‧관 협치 활성화를 위한 의견수렴 및 공론

- 민‧관 협치 활성화 관련 공무원 및 주민 표창 등

Page 3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2 -

협치 아카이빙

❍ 추진배경

- 협치 추진과정 및 결과물을 기록, 공유함으로써 협치 인식 확산

- 체계적인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 시기 : 수시

❍ 대상 :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회의, 50인⁺ 협치테이블, 권역별

협치테이블, 강서통통한마당, 워킹그룹 공론, 성과공유회 등

❍ 방법 : 협치 앱 개발 및 구청 홈페이지 연계를 통한 협치자료 구축

❍ 활용 : 협치홍보 자료, 협치백서 발간 등

협치백서 발간

❍ 근거 : 강서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조례 제25조

❍ 시기 : 매년 12월

❍ 내용 : 민관협치 활성화 내용과 추진상황 등의 구민 보고

❍ 방법 : 구 홈페이지 공표 또는 책자 발간

협치의제 중심 관련 민간단체 네트워크 방안 마련

❍ 추진배경

- 지역협치 현황조사 및 분석‧진단 결과 단체 네트워크 형성 필요

❍ 시 기 : 2018년 하반기~

❍ 주요내용

- 협치의제 관련 활동하는 민간단체 조사

- 민간단체에 대한 협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

- 네트워크 모임 촉진 및 회의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개최 지원

Page 3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3 -

❍ 추진방법

- 협치기반조성 분과 논의를 통한 관련 단체 조사 및 역량강화 방안 논의

- 단체 대표와 간담회를 통한 네트워크 방안 논의

협치 인식증진을 위한 홍보

❍ 추진배경 : 협치인식 확산을 통한 협치문화 조성

❍ 추진방향

-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하여 협치에 대한 관심도 제고

- 지속적인 홍보로 지역협치 인식 확산 및 활성화

❍ 시 기 : 2018년 하반기

❍ 추진내용

- 온라인 홍보 전략

‧ 문자서비스, SNS를 통한 홍보

‧ 홍보영상 제작을 통한 i강서tv 등 홍보

‧ 강서 협치 앱 개발 및 홈페이지 연계 통한 협치자료 게재

- 오프라인 홍보 전략

‧ 강서까치뉴스 및 강서꿈동산을 통한 홍보

‧ 전광판 및 현수막 게시대를 통한 홍보

‧ 협치안내 리플릿, 포스터 등 홍보물 제작 배포

- 찾아가는 홍보 전략

‧ 다수 주민들이 모이는 주요 행사(마을박람회 등) 홍보부스 운영

Page 3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4 -

Ⅵ 부문별(사업) 계획(지역사회 혁신과제)

지역사회 혁신과제 선정을 위한 공론과 숙의

개요

❍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을 위한 의제발굴을 위하여 강서구협치

운영단 회의(4차), 50인⁺ 협치테이블(1회), 분야별 협치테이블(21

회), 권역별 협치테이블(4회), 강서협치 통통 한마당(1회), 민‧관

합동워킹 그룹 운영(32회)의 공론과 숙의과정을 진행하였음

❍ 그 결과 10개의 부문별 사업이 선정되었음

추진과정

50인⁺ 협치테이블

공론 분야별 다양한 협치의제 발굴 1. 24.

분야별협치테이블

숙의 분과별 협치적 관점 검토 및 의제 도출(분과별 3~4차 회의 진행)

1.30.~2.28

교육․문화 경제․일자리 복지․여성 도시․환경․안전 마을․건강

권역별협치테이블

공론 4개 권역(1권역 5개동) 지역주민(249명) 의견수렴3. 6.~3. 9.

분야별협치테이블

숙의 권역별 의견에 대한 분야별 분류 및 검토3.12.~3.14.

강서협치통통한마당

공론 협치의제 발표 및 최종의제 우선순위 도출 3.28.

민관합동워킹그룹

숙의 협치의제 구체화 4~6월

Page 3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5 -

공론과 숙의를 통해 발굴된 의제

의제발굴 연계 과정

50인+ 협치테이블

▪ 5개 분과 17개

의제 발굴

분과별 협치 테이블

▪분과별 17개 의제

논의

권역별 협치 테이블

▪ 강서구 4개 권역

21개 의제 발굴

분과별 협치 테이블

▪분과별 : 5개 의제

권역별 : 3개 의제

채택 (총 8개 선정)

시민참여예산

제안사업

▪ 총26건중 2개 의제

지역사회혁신계획

사업 반영

강서구 협치 10대 의제

▪ 강서형 협치 모델 적용

→ 숙의∙공론 확대

: 의제 발굴 Process 참여자 확장하고 84여회의 공론장 진행(지역 리더는 물론

주민들이 실제 참여하는 숙의∙공론장 진행함으로서 강서구민 삶터에서의 실질적

지역 문제 도출)

→ 주민 Needs 조사 및 Needs 밀착형 의제 선정

: 권역별 협치테이블에서의 지역 주민 Needs가 협치의제로서 논의 및 반영

▪ 의제 발굴 기준지표

: ① 민관의 협치 역할 ② 공공성 ③ 실현 가능성 ④ 중요도 ⑤ 시급도

Page 3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6 -

구분 의제명 비고

일자리‧경제

분과

1. 노동환경 개선 및 인식 개선

2. 공공기관 유휴시설 이용한 일자리 창출

3. 구인구직 사이트 활용 및 링크 통한 공공일자리 시스템화

교육‧문화

분과

1. 문화‧교육을 아우를 수 있는 시설

2. 문화행사 홍보를 위한 민관 네트워크 구축

3. 마을교육 지원센터 구축

4. 마을돌봄 기능 강화

마을‧건강

분과

1. 마을 주민이 언제나 만나 소통할 수 있는 공간 필요

2. 의료기관 팸투어 실행과 마을단위 건강관리 교육

3. 마을문화만들기(마을홍보, 민‧민 네트워크 구축)

도시‧환경‧안전

분과

1. 교통환경 개선

2. 안전기반시설 구축

3.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저감

4. 주변환경과 조화로운 생태환경 조성

복지‧여성

분과

1. 복지서비스 강화를 위한 협치

2. 폭력에 대한 안전 확보 위한 민관 협력

3. 돌봄서비스를 위한 사각지대 어르신 발굴

50인⁺ 협치테이블 발굴 의제

Page 40: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7 -

구분 의제명 비고

1권역

1. 1. 1. 1. 1. 1. 주차공간 주차공간 주차공간 주차공간 주차공간 주차공간 부족한 부족한 부족한 부족한 부족한 부족한 지역에 지역에 지역에 지역에 지역에 지역에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대한 공공주차장 공공주차장 공공주차장 공공주차장 공공주차장 공공주차장 확보확보확보확보확보확보1. 주차공간 부족한 지역에 대한 공공주차장 확보

2. 2. 2. 2. 2. 2. 주민 주민 주민 주민 주민 주민 커뮤니티 커뮤니티 커뮤니티 커뮤니티 커뮤니티 커뮤니티 활성화를 활성화를 활성화를 활성화를 활성화를 활성화를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공간 공간 공간 공간 공간 공간 확보확보확보확보확보확보 2.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확보

3. 구인구직 사이트 활용 및 링크 통한 공공일자리 시스템화

4. 아파트 주변 보도블록 정비를 통한 보행환경 개선

5. 이웃간 소통 부족으로 인한 고독사, 자살 방지시스템 마련

6.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 후 돌봄서비스 기반 구축

2권역

1. 특색있는 마을버스 표지판 만들기

2. 유해환경으로부터 청소년 보호를 위한 청소년 쉼터 공간 마련

3. 놀이터(공원) 골목 환경 개선

4. 담배꽁초 등으로 인한 하수구 역류 방지를 위한 하수구 망사 씌위기

5. 5. 5. 5. 5. 5. 어르신어르신어르신어르신어르신어르신, , , , , , 장애인을 장애인을 장애인을 장애인을 장애인을 장애인을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위한 민관합동 민관합동 민관합동 민관합동 민관합동 민관합동 밀착돌봄 밀착돌봄 밀착돌봄 밀착돌봄 밀착돌봄 밀착돌봄 봉사단 봉사단 봉사단 봉사단 봉사단 봉사단 운영운영운영운영운영운영 5. 어르신, 장애인을 위한 민관합동 밀착돌봄 봉사단 운영

3권역

1. 이웃과 마을 환경을 돌볼 마을 네트워크 구축

2. 음식물 쓰레기통 실명제 등을 통한 청결 유지 방안 마련

3. 봉제산, 우장산을 활용한 어린이 중심 캠핑장 운영

4. 공동교육 및 문화 활성화 방안

5. 맞벌이 부부를 위한 영유아 긴급 돌봄 인력 뱅크 운영

4권역

1. 지하철 역사 내 만남의 공간 확충

2. 쓰레기 없는 골목길 조성으로 쾌적한 마을 만들기

3. 어르신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어르신 지정병원 MOU 체결

4. 개화산 뒷산 둘레길 진입로 정비

5. 개화산과 생태공원 연계

권역별 협치테이블 발굴 의제

강서구 강서구 강서구 강서구 강서구 강서구 全 全 全 全 全 全 지역 지역 지역 지역 지역 지역 권역별 권역별 권역별 권역별 권역별 권역별 의견 의견 의견 의견 의견 의견 수렴수렴수렴수렴수렴수렴강서구 全 지역 권역별 의견 수렴

(4개 권역으로 나누어 공론장 개최

및 지역 주민(249명) 의견 수렴

333333개 개 개 개 개 개 의제의제의제의제의제의제3개 의제가 지역사회혁신계획

의제로 연결

Page 4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8 -

부문 사업내용 추진계획

협치제도 기반구축

협치 실행체계 구축

2018년~ 협치 역량 강화

협치 인식 확산

교통환경 개선 주택가 틈새 주차장 확보와 주차공간 제자리 찾기 2018년~

일자리 확충 강서 일자리 119 2018년~

복지서비스 강화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사업

2018년~ 똑!똑!똑! 찾아가는 책동무 어르신

느리고 펀(FUN)한 아카데미

교육환경 개선 초중고 위기(가능) 청소년 등을 위한 펀펀(fun

fun)한 청소년 놀이터 운영2018년~

도시안전 강화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2018년~

성평등 인식개선 및 지역 안전시스템 구축 2018년~

공동체 활성화

마을주민의 권역별 상시거점공간 확보 및 홍보

시스템 구축2018년~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 프로그램 개발 운영 2018년~

공론과 숙의 결과 지역사회혁신 과제

※ 과제별 세부 실행계획은 부문별 협치사업 추진계획 참고

Page 4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69 -

구 분 2018 2019 2020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민관 TFT 구성 및 운영

⦁동네 숲 조성 사전회의

⦁미세먼지 간이 측정

모니터링단 구성 및

운영 방법 논의

⦁동네 숲 가꾸기

⦁모니터링단 운영

⦁미세먼지 저감 활동가

1기 활동

⦁동네 숲 조성 확대

⦁모니터링단 운영 확대

⦁미세먼지 저감 활동가

2,3기 확대 실시

마을주민의 권역별

상시 거점 공간 확보 및

홍보시스템 구축

⦁민관 TFT 구성 및 운영

⦁공간 조사 및 운영계획

사전논의

⦁마을공동체 홈페이지

개선 및 마을 홍보계획

등 사전 논의

⦁공간 자원조사·분석

⦁마을 공론장 개최 및

운영 매뉴얼 구성

⦁거점공간 조성 및

시범 운영

⦁홍보시스템 구축

⦁마을주민의 상시 거점

공간 확대 실시

⦁주민참여홍보시스템강화

주택가 틈새 주차장

확보와 주차공간

제자리 찾기

⦁민관 TFT 구성 및 운영

⦁민관합동 활동가(조사원)

구성 논의

⦁주차장 조성지 조사

및 분석 용역

⦁주차장 조사 조사원

구성 및 홍보

⦁주차장 조성

⦁공공용지 지하하부

용역시행 후 대상지

추가 및 예산 확보

⦁주차장 조사 조사원

확대 및 홍보지역 확대

위기 청소년을 위한

펀펀(FUN-FUN)한

놀이터 운영

⦁민관 TFT 구성 및 운영

⦁위기청소년 욕구,

지역자원 조사·분석

및 공간 선정

⦁위기(가능)청소년

지역과 연계

⦁활동가 양성 및

공간 조성

⦁펀펀한 놀이터 조성

⦁활동가 양성 및 공간

조성 확대

⦁위기(가능)청소년

Needs 조사결과 반영

프로그램 확대

일상으로 찾아가

일자리 구해주는

강서 일자리 119

⦁민관 TFT 구성 및 운영

⦁민관 TFT 업무분장 및

회의체계 수립

⦁강서 일자리 119

사업 계획수립

⦁상담버스, 캠페인, 인력

운영 및홍보활동

⦁강서 일자리 119

상담 버스 운영 확대

⦁상담자 설문조사 통한

상담내용 및 홍보 등

강화

중장기 계획

Page 4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0 -

구 분 2018 2019 2020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사업

⦁민관TFT 구성 및 운영

⦁지역밀착형돌봄프로그램

사업 논의

⦁찾아가는 치료

레크리에이션 사업

⦁찾아가는 원예여가사업

⦁거점기관 연계 대상자

Needs 조사 반영한

사업 추가

⦁대상자 발굴 조사방법

개선통한수혜대상자확대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사업

확대 실시

성평등 인식개선 및

지역 안전시스템

구축

⦁민관TFT 구성 및 운영

⦁성평등 인식개선사업

홍보 및 여성안심마을

조성사업 사전 논의

⦁성평등 인식개선 사업

⦁여성안심마을 조성사업

⦁CPTED 기반

안심마을 확보

⦁인식개선 캠페인과

안심마을 조성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프로그램 개발

운영

⦁민관TFT 구성 및 운영

⦁건강프로그램 홍보 및

운영 관련 논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건강리더단 운영을

통한건강강의및 홍보

⦁건강증진프로그램개발확대

⦁지속적인 건강 리더

배출 및 역량강화

Ⅶ 단계별 로드맵

연차별 추진내용

Page 4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1 -

세부 추진일정

협치 제도기반 구축

사 업 명2018년 2019년 2020년

9월 10월 11월 12월 1/4 2/4 3/4 4/4 1/4 2/4 3/4 4/4

○ 협치 실행체계 구축

강서구협치회의 및 운영단 운영

강서협치추진단 운영

협치 추진체계‧조직 정비

공론장 운영 시스템 마련

협치조정관 채용

○ 협치 역량강화

협치 교육체계 마련 및 실행

협치지기 발굴

협치평가지표 개발

시민참여예산 활성화

○ 협치 인식확산

협치성과공유회 개최

협치 아카이빙

협치백서 발간

네트워크 방안 마련

인식증진을 위한 홍보

Page 4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2 -

지역사회 혁신과제

사 업 명2018년 2019년 2020년

9월 10월 11월 12월 1/4 2/4 3/4 4/4 1/4 2/4 3/4 4/4

○ 교통환경 개선

주택가 틈새 주차장 확보와

주차공간 제자리 찾기

○ 일자리 확충

강서 일자리 119

○ 복지서비스 강화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 사업

똑!똑!똑! 찾아가는

책동무 어르신

느리고 펀(fun)한 아카데미

○ 교육환경 개선

초중고 위기(가능) 청소년

등을 위한 펀펀(fun fun)한

청소년 놀이터 운영

○ 도시안전강화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성평등 인식개선 및 지역

안전시스템 구축

○ 공동체활성화

마을 주민의 권역별 상시 거점공간

확보 및 홍보시스템 구축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 프로그램

개발 운영

Page 4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3 -

Ⅷ 평가 및 환류계획

평가 계획

개요

-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과 관련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추진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정, 보완하여 반영

- 지역사회혁신계획의 내용과 추진상황 등에 대한 민․관, 시․구

공유와 논의를 통한 강서협치 모델 구축

분기별 평가

- 분기별 강서구협치회의를 통한 추진 상황 공유 및 점검

- 내부적 모니터링을 통한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과정의 보완 및 보강

중간 평가 : 시․구 지역사회혁신계획 컨설팅을 통한 중간 모니터링

- 협치 제도기반 구축 계획과 지역사회혁신 과제에 대한 중간 검검

- 컨설팅 결과 보완사항 지역사회혁신계획에 반영

최종 평가 : 매년 지역사회혁신계획 성과보고회 진행

- 1차년도 : 2018. 12월, 2차년도 : 2019. 12월, 3차년도 : 2020. 12월

- 매년 실시되는 평가결과는 차기년도 지역사회혁신계획에 반영

환류 계획

지역사회혁신계획에 대한 평가결과는 다음연도 지역사회혁신계획에

수정 보완하여 반영

Page 4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4 -

사 업 명예 산 액

2 0 1 8 년 도 (9 ~ 1 0 월 ) 2 0 1 9 년 도

○ 총 계 144,090 950,000

○ 협치 기반구축 116,200 242,300

협치 제도 기반구축 40,200 148,600

협치 역량강화 22,000 46,700

협치 인식확산 54,000 47,000

○ 지역사회혁신 과제 27,890 707,700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1,870 78,190

마을 주민의 권역별 상시 거점공간 확보 및 홍보시스템 구축 2,260 82,380

주택가 틈새 주차장 확보와 주차공간 제자리 찾기 1,870 72,280

위기(가능) 청소년을 위한 펀펀(fuun fuun)한 청소년 놀이터 운영 10,880 92,880

강서 일자리 119 1,870 72,170

지역 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사업 1,870 97,590

성평등 인식개선 및 지역 안전시스템 구축 1,870 72,090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 프로그램 개발 운영 1,870 37,250

똑!똑!똑! 찾아가는 책동무 어르신 1,870 43,940

느리고 펀(fun)한 아카데미 1,660 58,930

<단위 : 천원>

Ⅸ 연차별 재원조달 및 예산계획

예산계획 기본방향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지원 예산을 기본으로 시민참여예산

(지역참여형) 제도와 연계하여 추진

총 사업비 10억을 기준으로 협치 제도기반 구축 예산은 3억원

이내에서 편성 운영

- 협치 실행체계 구축, 협치 역량강화 등 협치 제도기반 구축 사업비 30%

- 부문별 협치사업 추진예산 70%

그 밖에 기존 사업들의 예산(구비․국․시비)과 연계․융합 가능한

예산에 대하여는 활용하여 편성 운영

세부예산 계획

Page 4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5 -

분야 사업명예산과목

산출내역 시보조금

구비총

사업비편성목 통계목총 계 144,090 144,090

합 계 116,200 116,200

협치

기반구축

협치제도기반구축

인건비기간제근로자등보수

‧협 치 지 원 관 보 수

- 2명 보 수 및 사 회 보 험 (4개 월 )25,000 25,000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소 계 19,200 19,200

‧강 서 구 협 치 회 의 회 의 수 당 (2회 )

‧강 서 구 협 치 운 영 단 회 의 수 당 (4회 )

‧협 치 기 반 조 성 분 과 회 의 수 당 (8회 )

‧교 육 , 공 론 장 체 계 개 발 자 문

‧협 치 홍 보 물 제 작

‧사 무 용 품 구 입 (4개 월 )

3,000

3,000

5,000

2,000

5,000

1,200

3,000

3,000

5,000

2,000

5,000

1,2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지 역 사 회 혁 신 계 획 업 무 추 진

- 3,000천 원 ×1식 =3,000천 원3,000 3,000

협치교육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소 계 20,000 20,000

1) 통 통 한 협 치 교 육

‧강 사 료 : 350천 원 ×10회 =3,500천 원

‧탐 방 부 대 비 용 1식

‧행 사 진 행 경 비 :

100천 원 ×10회 =1,000천 원

2) 워 크 숍 : 40명 , 1박 2일

3,500

500

1,000

15,000

3,500

500

1,000

15,000

성과보고회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성 과 보 고 회 행 사 진 행

15,000천 원 × 1식 =15,000천 원15,000 15,000

협치앱개발

연구개발비 전산개발비‧협 치 앱 개 발 1식

34,000천 원 × 1식 =34,000천 원34,000 34,000

합 계 27,890 27,890

부문별계획

미세먼지저감생활실천프로젝트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2018년 세부예산 내역 <단위 : 천원>

Page 4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6 -

부문별계획

마을주민의권역별상시거점공간확보등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100천 원 ×1명 (진 행 자 )×6회 =600천 원

- 70천 원 ×3명 (그 외 )×6회 =1,260천 원

1,860 1,86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주택가틈새주차장확보와주차공간제자리찾기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위기청소년위한펀펀한놀이터운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회 의 참 석 수 당 (설 문 설 계 TF) -70천 원 ×8명 ×3회 =1,680천 원

‧회 의 참 석 수 당 (설 문 분 석 FGI) -100천 원 ×10명 ×2회 =2.000천 원

3,680 3,680

연구개발비 연구용역비

‧설 문 분 석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FGI 진 행 및 분 석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2,000 2,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조 사 원 활 동 비 - 10천 원 ×15시 간 ×2명 ×8주 ×2권 역 =4,800천 원

4,800 4,8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

업무추진비‧민 관 TFT 운 영- 400천 원 ×1식 =400천 원

400 400

강서일자리119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Page 50: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7 -

부문별계획

지역밀착형돌봄네트워크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성평등인식개선및지역안전시스템구축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민관이함께하는건강프로그램운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400 400

찾아가는책동무어르신운 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3회 =1,470천 원

1,470 1,4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

400 400

느리고펀한아카데미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6명 ×3회 =1,260천 원

1,260 1,26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400천 원 ×1식 =400천 원

400 400

Page 51: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8 -

분야 사업명예산과목

산출내역 시보조금

구비총

사업비편성목 통계목총 계 950,000 950,000

합 계 242,300 242,300

협치기반구축

협치제도기반구축

인건비기간제근로자등보수

‧협 치 지 원 관 보 수

- 2명 보 수 및 사 회 보 험 (12개 월 )80,000 80,000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소 계 40,600 40,600

‧강 서 구 협 치 회 의 회 의 수 당 (4회 )

‧강 서 구 협 치 운 영 단 회 의 수 당 (12회 )

‧협 치 기 반 조 성 분 과 회 의 수 당 (16회 )

‧협 치 홍 보 물 제 작

‧협 치 백 서 발 간

‧사 무 용 품 구 입 (12개 월 )

6,000

9,000

10,000

7,000

5,000

3,600

6,000

9,000

10,000

7,000

5,000

3,6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지 역 사 회 혁 신 계 획 업 무 추 진

-10,000천 원 ×1식 (12개 월 )

=10,000천 원

10,000 10,000

협치교육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소 계 46,700 46,700

1) 강 서 협 치 학 교 운 영

‧강 사 료 : 350천 원 ×22회 =7,700천 원

‧탐 방 부 대 비 용 1식

‧행 사 진 행 경 비

: 100천 원 ×20회 =2,000천 원

‧ 교 육 컨 설 팅 : 10,000천 원

2) 워 크 숍 : 40명 , 1박 2일

3) 협 치 지 기 양 성 교 육 1식

7,700

2,000

2,000

10,000

15,000

10,000

7,700

2,000

2,000

10,000

15,000

10,000

공론장운영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소 계 30,000 30,000

1) 분 야 별 협 치 테 이 블

2) 권 역 별 협 치 테 이 블

3) 강 서 협 치 통 통 한 마 당

4) 민 관 합 동 워 킹 그 룹

5,000

10,000

10,000

5,000

5,000

10,000

10,000

5,000

성과보고회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성 과 보 고 회 행 사 진 행

15,000천 원 ×1식 =15,000천 원15,000 15,000

협치평가지표개발

연구개발비 연구용역비‧협 치 평 가 지 표 개 발 1식

20,000천 원 ×1식 =15,000천 원20,000 20,000

(단위 : 천원)

2019년 세부예산 내역

Page 52: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79 -

합 계 707,700 707,700

부문별계획

미세먼지

저감

생활

실천

프로젝트

동네숲

가꾸기

시설비

부대비

시설비

‧교 목 식 재

-80주 ×150천 원 =12,000천 원

‧관 목 식 재

-3,000주 ×6천 원 =18,000천 원

30,000 30,000

‧관 목 식 재

- 1,200주 ×6천 원 =7,200천 원

‧초 화 류 식 재

- 3,000본 ×3천 원 =9,000천 원

‧식 재 기 반 조 성

- 230㎡ ×30천 원 =6,000천 원

23,000 23,000

미세먼지

홍보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민 관 TF 회 의 참 석 수 당 - 70천 원 ×12명 ×6회 =5,040천 원‧미 세 먼 지 홍 보 물 제 작 비 - 500천 원 ×1식 =500천 원

5,540 5,54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홍 보 활 동 업 무 추 진 간 담 회 비 - 10천 원 ×4회 ×12명 =480천 원

480 48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홍 보 활 동 비 - 20천 원 ×20회 ×4명 =1,600천 원

1,600 1,600

자산취득비자산 및

물품취급비‧미 세 먼 지 간 이 측 정 기 - 8,000천 원 × 2대 =16,000천 원

16,000 16,000

미세먼지

활동가

양성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부 대 비 용 등

- 660천 원 ×1식 =660천 원660 66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강 사 료 및 진 행 자

- 910천 원 ×1식 =910천 원

(강 사 료 3, 진 행 자 1)

910 910

Page 53: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0 -

부문별계획

마을주민

권역별

거점

공간확보

마을거점공간

조성

운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공 간 운 영 매 뉴 얼 제 작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공 간 운 영 소 모 품 구 입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홍 보 물 제 작 (포 스 터 및 리 플 렛 )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3,000 3,000

행사운영비

‧마 을 공 론 장 개 최

- 400천 원 ×1식 =400천 원

‧공 간 개 소 식 (현 수 막 , 커 팅 식 등 )

- 700천 원 ×1식 =700천 원

1,100 1,100

마을거점공간

조성

운영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관 계 자 간 담 회 비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마 을 공 론 장 다 과 비

- 800천 원 ×1식 =800천 원

‧공 간 개 소 식 다 과 비

- 700천 원 ×1식 =700천 원

2,500 2,5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공 간 조 사 활 동 가

- 10천 원 ×2명 ×2개 월 ×52시 간

=2,080천 원

‧공 간 운 영 활 동 가

- 10천 원 ×2명 ×5개 월 ×52시 간

=5,200천 원

7,280 7,280

시설비및

부대비시설비

‧거 점 공 간 조 성 비

- 45,000천 원 ×1식 =45,000천 원45,000 45,000

자산취득비자산 및

물품취득비

‧공 간 운 영 물 품 등 취 득 비

- 10,000천 원 ×1식 =10,000천 원10,000 10,000

마을홍보시스템

구축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홍 보 물 제 작 (포 스 터 및 리 플 렛 )

- 1,750천 원 ×4회 =7,000천 원

‧현 수 막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

8,000 8,0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민 관 TFT 운 영

- 500천 원 ×1식 =500천 원500 500

연구개발비 전산개발비‧마 을 공 동 체 홈 페 이 지 개 선

- 5,000천 원 ×1식 =500천 원5,000 5,000

Page 54: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1 -

부문별계획

주택가틈새주차장확보와주차공간제자리찾기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10명 ×10회 =7,000천 원7,000 7,0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주 차 장 확 충 업 무 추 진 간 담 회 비 2,000 2,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조 사 원 활 동 비

- 1,820천 원 ×2명 ×2개 월 =7,280천 원7,280 7,280

시설비

부대비

시설비

‧내 집 주 차 장 조 성

- 3,600천 원 × 10면 =36,000천 원

‧공 영 기 반 시 설 내 주 차 장

조 성 부 지 조 사 분 석 용 역

- 20,000천 원 ×1식 =20,000천 원

56,000 56,000

위기

청소년을

위한

펀펀한

놀이터

운영

펀펀한

놀이터

운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회 의 참 석 수 당 (협 의 회 )

- 70천 원×10명×6회 =4,200천 원

‧사 무 용 품 구 입 비

- 50천 원×12개 월 =600천 원

‧간 식 비

- 3천 원×20명×20회 =1,200천 원

6,000 6,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활 동 가 양 성 교 육 강 사 료

- 100천 원×2시 간×5회 =1,000천 원

‧활 동 가 활 동 비

- 10천 원×30시 간×20명 =6,000천 원

7,000 7,0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

업무추진비

‧업 무 추 진 비

- 3,000천 원 ×1식 =3,000천 원3,000 3,000

펀펀한

놀이터

조성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홍 보 비

- 400천 원×3식 =1,200천 원

‧간 식 비

- 3천 원×20명×20일×8개 월

=9,600천 원

‧사 무 용 품 구 입 비

- 300천 원×8개 월 =2,400천 원

13,200 13,2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프 로 그 램 강 사 료

-40천 원×2시 간×3개×4주×8개 월

=7,680천 원

‧업 무 보 조 인 력 활 동 비

- 2,000천 원×8개 월 =16,000천 원

23,680 23,680

시설비및

부대비시설비

‧시 설 조 성 비

- 30,000천 원×1식 =30,000천 원30,000 30,000

자산취득비자산및물품

취득비

‧가 구 및 기 자 재 조 성

- 10,000천 원×1식 =10,000천 원10,000 10,000

Page 55: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2 -

부문별계획

강서일자리119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홍보인쇄물 제작 8,000천원×1식=8,000천원

‧캠페인용 홍보물 4,000장×800원=3,200천원

‧TFT 운영회 참석수당

70천원×10명×12회=8,400천원

‧홍보소모품외 기타 비품

2,000천원×1식=2,000천원

- 기타 사무용품 100천원×12월=1,200천원

22,800 22,800

행사운영비

‧버스렌탈비 1,100천원×12월=13,200천원

‧차량내부 상담테이블 제작

3,000천원×1식=3,000천원

‧야외상담 테이블세트

800천원×2개=1,600천원

‧현수막 60천원×24개=1,440천원

‧캠페인용현수막 60천원×9장=560천원

‧배너 120천원×8개=960천원

‧캠페인용 배너 120천원×4개=480천원

‧와이파이(단말기 및 1년사용료)

800천원×1식=800천원

‧LED 대형모니터 1,400천원×1대=1,400천원

‧차량랩핑(탈착식 사인판)

200천원×3개=600천원

‧홍보물 전시용 탁자

150천원×3개=450천원

‧홍보물 3,000개×1천원=3,000천원

‧야외 동력발전기 1,500천원×1대=1,500천원

‧기타 비품 2,000천원×1식=2,000천원

30,970 30,97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TFT 정 기 회 의 운 영 비

2,000천 원 ×1식 =2,000천 원2,000 2,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상담인력 활동비

-노무상담 25천원×4시간×1명×30회

=3,000천원

-취업상담 15천원×4시간×1명×61회

=3,660천원

-사회적경제/건강상담

15천원×4시간×1명×31회

=1,860천원

‧지원인력(운전 및 설치지원) 활동비

- 10천원×4시간×2명×61회 =4,880천원

13,400 13,400

자산취득비자산및물품취득비

‧노 트 북 2대

1 ,500천 원 ×2대 =3,000천 원3,000 3,000

Page 56: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3 -

부문별계획

지역밀착형

돌봄

네트워크

구축

사업

공통

일반운영비행사운영비

‧초 기 사 업 설 명 회 비

- 1,000천 원 ×1식 =1,000천 원1,000 1,000

운영수당‧회 의 비

- 70천 원 ×15명 ×6회 =6,300천 원6,300 6,3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사 업 별 업 무 추 진 비

- 1,000천 원 ×2개 =2,000천 원2,000 2,000

치료레크레이션

사업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홍 보 물 및 홍 보 물 품 제 작 비

2,500천 원

‧강 사 비

8회 기 ×170천 원 ×2회 =2,720천 원

‧교 재 비 5천 원 ×100권 =500천 원

‧커 리 큘 럼 자 문 비

100천 원 ×2명 ×3회 =600천 원

6,320 6,320

일반보상금

행사실비보상금

‧간 담 회 회 의 비

-(3천 원 ×10명 ×4회 )+(3천 원 ×5명 ×2회 )

=150천 원

‧사 업 평 가 회 비

- 10천 원 ×15명 ×2회 =300천 원

450 450

기타보상금‧자 원 봉 사 활 동 비

- 10천 원 ×2명 ×25회 ×60명

=30,000천 원

30,000 30,000

재료비 재료비‧KIT제 작 비

- 2,000천 원 ×4기 관 =8,000천 원8,000 8,000

원예여가

사업

일반운영비 행사운영비

‧홍 보 물 및 홍 보 물 품 제 작 비

2,500천 원

‧강 사 비

8회 기 ×170천 원 ×2회 =2,720천 원

‧교 재 비 5,000원 ×100권 =500천 원

‧커 리 큘 럼 자 문 비

100천 원 ×2명 ×3회 =600천 원

6,320 6,320

일반보상금

행사실비보상금

‧단 체 간 담 회 회 의 비

3천 원×20명×2회 =120천 원

‧사 업 평 가 회 비

10천 원×20명×3회 =600천 원

720 720

기타보상금‧활 동 비

10천 원×2명×28회×60명 =33,600천 원33,600 33,600

재료비 재료비‧재 료 비

3천 원×60가 구×2회×8개 월

=2,880천 원

2,880 2,880

Page 57: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4 -

부문별계획

성평등인식개선및지역안전시스템구축

공통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회의참석 수당:

70천원×10회×6명=4,200천원4,200 4,20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업무관련 간담회비 및 프로그램

운영 3,000천원 × 1식=3,000천원3,000 3,000

성평등인식개선사업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성평등 실천문구 홍보물(품)

1,000천원 × 3종=3,000천원3,000 3,000

행사운영비

‧영화상영 등 문화캠페인 :

-영화관 대관료 : 1,000천원×3회=3,000천원

-필름사용료 : 500천원×3회=1,500천원

-강사료 : 500천원×3회=1,500천원

-보조강사(3시간)

110천원×3회×3명=990천원

-홍보비 및 자료제작

1,200천원×3회=3,600천원

-기타 사무용품 등 200천원×3회=600천원

11,190 11,190

여성안심마을조성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여성안심귀갓길 사업설명회 및

홍보물 제작 2,000천원×1식=2,000천원2,000 2,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모니터링

30천원×10명×10회=3,000천원

‧활동비70천원×10명×10회=7,000천원

10,000 10,000

시설비및부대비

시설비

‧여성안심마을조성 시설비

-고보(그림자)조명 설치

5개소×3,000천원=15,000천원

-스마트보안등 설치

5개소×2,000천원=10,000천원

-도색 : 1식 = 3,000천원

-반사경 설치 : 20개소×100천원=2,000천원

-안심귀갓길 정비

2개소×5세트×400천원=4,000천원

-안전조형물설치 3개소×400천원=1,200천원

-야광반사띠 설치 :

주차장 20개소×100천원=2,000천원

-마을안전지도 설치:1식 1,500천원

38,700 38,700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프로그램

개발

운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교육교재 제작

- 3천원 × 1000부=3,000천원

‧홍보물

- 1,500천원 × 2종=3,000천원

‧건강리더단 활동 홍보물품

- 5,000천원 × 1종=5,000천원

‧ 리플렛 및 포스터 제작 인쇄비용 등

- 2천원×1,000부=2,000천원

‧ 전문가 자문료

- 350천원×1명×2회=700천원

‧ 기타사무용품 등

- 100천원×4회=400천원

14,100 14,100

Page 58: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5 -

부문별계획

민관이

함께하는

건강프로그램

개발

운영

행사운영비

‧ 건 강 프 로 그 램 강 사 료

- 200천 원 ×12주 ×2기 =4,800천 원

‧ 민 관 프 로 그 램 운 영 회 의 비

- 70천 원 ×4명 ×2회 =560천 원

‧ 운 동 소 모 품 및 재 료 구 매 등

- 50천 원 ×50명 ×2기 =5,000천 원

10,360 10,360

업무추진비시책추진

업무추진비

‧프 로 그 램 운 영 운 영 비

- 100천 원 ×12주 ×2기 =2,400천 원

‧업 무 관 련 간 담 회 비

- 300천 원 ×2회 =600천 원

3,000 3,00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건 강 리 더 단 책 임 자 활 동 비

- 15천 원 ×50시 간 ×5개 월 ×1명

=3,750천 원

‧건 강 리 더 단 단 원 활 동 비

- 20천 원 ×5회 /월 ×6개 월 ×10명

=5,000천 원

8,750 8,750

민간이전의료 및

구료비

‧검 사 시 약

- 6.6천 원 ×10개 0=660천 원

‧의 료 소 모 품 등

- 380천 원 ×1식 =380천 원

1,040 1,040

찾아가는책동무어르신운 영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참 여 자 활 동 복 - 20천 원×10명 =200천 원‧활 동 진 행 비 -

50천 원×10개 월 =500천 원‧사 무 용 품 -

54천 원×10개 월 =540천 원‧민 관 TFT 참 석 수 당 - 70천 원 ×7명 ×6회

4,180 4,18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책 동 무 어 르 신 운 영 간 담 회 비 - 1,000천 원 ×1식

1,000 1,000

일반운영비 사업운영비

‧홍 보 비 100천 원×5회 =500천 원‧교 육 운 영 물 품 - 3천 원×10명×8회 =240천 원‧간 담 회 의 비 - 3천 원×10명×9회 =270천 원‧평 가 회 의 비 - 15천 원×10명×1회 =150천 원

1,160 1,160

일반보상금 기타보상금

‧참 여 자 양 성 교 육 강 사 료 - 100천 원×2시 간×8회 =1,600천 원‧참 여 자 활 동 비 - 20천 원×20시 간×10명×9개 월 =36,000천 원

37,600 37,600

느리고펀한

(FUN)아카데미

일반운영비 사무관리비‧ TF 운 영 위 원 회 수 당

- 6명×70천 원×4회 =1,680천 원1,680 1,680

민간이전사회복지사업보조

‧ 느 리 고 펀 (FUN )한 아 카 데 미 사 업

- 56,250천 원 *1식 =56,250천 원56,250 56,250

업무추진비시책추진업무추진비

‧간 담 회 등

- 1,000천 원×1식 =1,000천 원1,000 1,000

Page 59: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계획news.seoul.go.kr/gov/files/2019/09/5d6f685ba8c976...2019/09/05  · 여성 분과, 도시․환경․안전 분과, 마을․건강 분과

- 86 -

Ⅹ 다음연도(2020년) 실행계획 수립 계획

추진방향

전년도 지역사회혁신계획 추진에 따른 평가결과 반영

지역사회문제에 대한 분야별․권역별 공론 및 숙의를 통한 협치의제 도출

지역사회 민관 협치 논의 확산 및 공감대 형성

추진계획

강서구협치운영단

숙의 그 간 발굴된 분야별․권역별 협치의제 검토 및 의제발굴 1월

분야별협치테이블

숙의 분과별 협치적 관점 검토 및 의제발굴(분과별 3~4차 회의 진행)

2월

교육․문화 경제․일자리 복지․여성 도시․환경․안전 마을․건강

권역별협치테이블

공론 4개 권역(1권역 5개동) 지역주민 의견수렴 3월

분야별협치테이블

숙의 권역별 의견에 대한 분야별 분류 및 검토시민참여예산(지역참여형) 제안사업 분과 검토

3월

민관합동워킹그룹

숙의 협치의제 구체화 4~5월

강서협치통통한마당

공론 협치의제 발표 및 최종의제 우선순위 도출 6월

강서구협치회의 숙의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및 제출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