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다양한 감각으로 자연 을 체험해 면, 자연이 만들내는 아름다움 을 더 쉽게 발견할 수 있 을 것이다. 자연이 아름 것은 그 서 안에 조형 요와 원리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을 체험하며 아름다움을 이 루는 시각적 서를 아본다. 있기 때문이다. 생태 환 경의 중함을 깨닫고, 그 다양한 아름다움에 서 조화를 이루는 방법 을 생각해 본다. 또한 미 술작에 생태 환경의 가치와 아름다움이 떻게 표현 되고 있는지 알고, 다양한 방법으로 작을 제작해 본다. 단원 개관 자연의 아름다움과 미적 질서 교과서 pp. 4~5 자연환경과 조형 뭇잎맥과 시각 문화 환경 자연환경에서 나타나 는 규칙을 활용한 미술 을 조사해 고, 자 연환경에 따라 지역이 나 시대에서 다르게 나 타나는 조형 의과 미적 가치를 이해한다. 자연과 조 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고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 미와 가치에 대하여 서로 이기해 본다. 자연에서 찾는 조형 의식 교과서 pp. 6~7 자연과 모든 생명체들이 아름다것은 생존을 위해 저 마다 다른 모양과 특징을 가지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생태 환경의 아름다움 교과서 pp. 8~9 좋은 시각 문화 환경은 우리에게 시각적인 감 흥과 심리적인 안정감 뿐 아니라, 미의을높 여 준다. 우리 주변에 함께하는 시각 문화 교과서 pp. 12~15 현대사회는이미지나등을 이용한 시각 문 화 환경이 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한 시각 문화 환경 의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고, 양의 시각 문화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동적 태도를 키우도록 한다. 다양한 시각 문화 교과서 pp. 10~11 나치수열이 잘 나타나는 해바라기 공기 주머니 꿈꾸달팽꿈꾸는 피아노 30 각론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각|론|

다양한 감각으로 자연

을체험해보면, 자연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움

을더쉽게발견할수있

을것이다. 자연이아름

다운것은 그질서 안에 조형 요소와 원리들이 조화를

이루고있기때문이다. 자연을체험하며아름다움을이

루는시각적질서를찾아본다.

있기때문이다. 생태환

경의 소중함을 깨닫고,

그 다양한 아름다움에

서 조화를 이루는 방법

을생각해본다. 또한미

술 작품에 생태 환경의 가치와 아름다움이어떻게 표현

되고있는지알고, 다양한방법으로작품을제작해본다.

단원 개관

자연의아름다움과미적질서 교과서 pp. 4~5

자연환경과조형

나뭇잎의잎맥과손을겹쳐보자 시각문화환경

자연환경에서 나타나

는 규칙을 활용한 미술

작품을조사해보고, 자

연환경에 따라 지역이

나 시대에서 다르게 나

타나는 조형 의식과 미적 가치를 이해한다. 자연과 조

화를 이루는 조형물을찾아보고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

미와가치에대하여서로이야기해본다.

자연에서찾는조형의식 교과서 pp. 6~7

자연과모든생명체들이아름다운것은생존을위해저

마다다른모양과특징을가지면서서로조화를이루고

생태환경의아름다움 교과서 pp. 8~9

좋은 시각 문화 환경은

우리에게 시각적인 감

흥과 심리적인 안정감

뿐아니라, 미의식을높

여 준다. 우리 주변에

함께하는시각문화 교과서 pp. 12~15

현대사회는이미지나색

채등을 이용한 시각 문

화 환경이 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한 시각 문화 환경

의사회적·문화적가치를찾아보고, 양질의시각문화를

선택하고활용할수있는능동적태도를키우도록한다.

다양한시각문화 교과서 pp. 10~11

피보나치수열이잘나타나는해바라기

공기주머니

꿈꾸는달팽이

꿈꾸는피아노

30 각론

Page 2: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보고느낀것을표현하는즐거움

전통미술의재발견

좋은소묘작품에는 그

림을 그린사람의 기량

뿐아니라, 대상의형태

와 구조를 꼼꼼하게 바

라보려는 태도까지도

드러난다. 소묘는대상을정확히관찰하여단색의선으

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모든 조형 활동의 기본이 된다.

소묘를 통해 대상을 자세하게 관찰하여 형태를 정확하

게 표현하는능력을 기를 수 있다. 재료의 특성을 알고

개성있게표현한다.

대상의관찰과소묘 교과서 pp. 16~17

서만날수있는이미지들은우리들에게어떻게소통되

고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시각 문화 환경의

사회적·문화적가치를이해하고, 시각문화환경의변

화에따른직업에대하여생각해본다.

수묵화와 채색화, 문인

화와 민화 등 우리나라

전통 회화의 다양한 표

현 방법을 알고, 그 안

에담긴우리의전통정

신을 이해한다. 나아가

전통 회화가 가지는 독특한 가치를 계승하면서도 현대

적으로해석된다양한작품들을살펴보고, 새로운재료

와방법을이용하여자신만의표현을해본다.

수묵과채색에담긴정신 교과서 pp. 28~31

한글궁체 흘림체와 여

러 한자 서체의 특징을

이해하며 써 본다. 전

각의 종류와 특징에 대

해 알아보고 재료와 용

구의사용법을익혀초형인이나장서인을새겨본다.

붓글씨에담긴정신 교과서 pp. 32~35

인물, 정물, 풍경 등 주

제의 특징과 표현 방법

을 이해하고, 대상에서

받은 감동을 창의적으

로 표현한다. 같은 대

상을 보아도 거기에서

받은느낌을화면에표현하는방법이사람마다각기다

르다. 대상이왜아름답고의미있는장면으로느껴지는

지알아보고, 주제에알맞은재료와표현방법을사용하

여독창적으로표현한다.

주제를살린표현 교과서 pp. 18~21

현대에는새로운재료와제작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주제를표현한작품들

이 등장하고 있다. 표정과 움

직임, 변형과 추상, 조각 영역

의 확장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재료와 용구, 표현 방법 등을

탐색하여주제의특징에맞게

창의적으로표현한다.

여러가지입체표현 교과서 pp. 22~27

나무

책장

총석정도

철인왕후어필

31단원 개관

Page 3: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여러가지표현재료와방법

공예는 예술(arts)과 손재주

(crafts)가 합쳐진 말로, 실생

활에 사용할 수 있는 용품을

미적으로 솜씨 있게 만드는

일을 말한다. 또한 공예는 단

순한 생활 도구일 뿐 아니라

사람의 창의나 예지를 거쳐

만들어진생활조형물로서쓰

임새를중요시하는생활속의예술이다. 공예는재료와

가공 기술에 따라 목공예, 도자 공예, 염색 공예, 금속

공예, 유리공예등으로나뉜다. 여러가지특성에따른

공예의 종류를 이해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전통을

계승하고조형활동으로확장해본다.

전통공예의아름다움 교과서 pp. 38~41

발상은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작품으로 표현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여러 가지 발상 방법을 활용하여 새

로운이미지의 작품을 나타내 본다. 마음속에 있는 추

상적인 낱말이나 느낌

을떠올려보고, 연상되

는 이미지를 나타내어

본다. 그리고 문자·숫

자·바코드 등의 형태

에서, 그림이나 사진 등을보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다

듬고 구성하는 방법을 통해서 다양한 이미지를 나타내

보도록한다.

발상의전환 교과서 pp. 42~45

백제금동대향로

우리는문자로언어를기록하

기도 하고 내용을 전달하기도

한다. 문자도나 타이포그래피

작품등의작품감상을통하여

문자의 다양한 역할을 알아보

고, 문자에 표정과 의미를 담

아생활속에활용해본다.

표정과의미를담은글씨 교과서 pp. 36~37

오브제, 콤바인 회화, 아상블

라주 등을 이해하고 작품 감

상을 통하여 다양한 표현 방

법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재

료와용구를효과적으로활용

하고, 일상의 사물을 자유롭

게분해하고결합하여새로운

형태나의미를찾아본다.

일상의사물을이용한표현 교과서 pp. 46~47

웃어른을공경하자

판화는 판을 제작하고,

그것에 잉크를 묻혀찍

어 내는 간접 표현이

다. 그리고 다른 미술

분야와달리여러장복

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작가는 판화를찍기 전에

미리 작품의 인쇄 분량을 결정하고, 각 작품의 하단에

분수로 된 일련번호, 제목, 서명 등을 표기하는 것이 일

반화되어 있다. 이는 그 작품이 오리지널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판화의 특징·종류·표현 방법

을 이해하고, 독특하면서손쉽게 표현할 수 있는 전사

기법으로판화를제작해보도록한다.

찍어내는미술 교과서 pp. 48~49

주전자와꽃이있는정물

분출

32 각론

Page 4: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마음을움직이는디자인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색이 주는 느낌과 성질

은 한 가지색만으로는

이야기할 수 없다. 같

은색이라도 주위의색에 따라색의 감정이 다르게 느

껴진다. 여러가지색의성질과기능을알고, 생활에효

과적으로활용하도록한다.

생활속의색 교과서 pp. 56~57

의자

현대에는정보전달의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시각 디자인의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시각 디자인은 심벌마크, 캐

릭터, 일러스트레이션, 포스

터등을활용하여사람들에게

쉽고빠르게전달하는디자인이다. 그렇기때문에시각

디자인의 기능을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표현해야 한

다. 픽토그램은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

작해야하며, 캐릭터는 기업, 단체, 행사, 제품등 특정

대상의 성격에 맞게 시각적 상징물로 표현해야 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은 책이나 신문, 광고 등에서 내용의

구체적인이해를돕기위해표현하는그림이므로목적

에 맞게 표현해야한다. 포스터는 전달하고자 하는 내

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디자인해야한다. 포장

디자인은 상품을 보호하고 수송과 보관을 편리하게,

내용물의 정보를 알리는 등 포장 디자인의 다양한 기

능을고려하여제작해본다.

정보를전달하는디자인 교과서 pp. 58~61

제품 디자인은 편리하

고능률적인 삶을 추구

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에 따라 다양한 물

건을 용도에 맞게 계획

하는 일로, 더 나은 기능과 모양으로 개선함으로써 인

간의 삶을 윤택하게 한다. 현대의 제품디자인은 환경

친화성, 디자인 자체를 통한 정보의 시각화, 다품종소

량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소뿐 아니라 고

령화 사회, 장애인 등소외 계층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제품디자인에대해생각해본다.

기능적이고아름다운제품 교과서 pp. 62~63

사진은 다양한 시각으

로 순간을 포착하여 이

미지로 기록을 남길 수

있는 매체이다. 특히

오늘날 여러 종류의 카

메라가 보편화되면서

일상의 순간을 사진으

로 남길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미술에 있어서 사진

은 필름, 사진, 비디오 등 다양한 영상매체와 복합하여

작품에응용되기도한다. 컴퓨터에의해도형이나화상

을만들어내는컴퓨터그래픽은기존의영상과사진의

합성, 특수 촬영 등의 다양한 기술과 함께 사용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고 컴퓨터 그래

픽에 대한 이해를 키우도록 한다. 영상디자인은 영상

매체를 활용한 정보전달디자인이다. 영상매체의 특

징및활용범위를살펴보고다양한기법으로동영상을

제작해본다.

영상매체의활용 교과서 pp. 50~55

해치

링볼펜

내가좋아하는것-사진과이야기의결합

33단원 개관

Page 5: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미술문화와미술작품감상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특징과 가치를 이해하

고, 문화재의다양한종

류를 살펴보며, 시대적

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고장의 미술 문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보고, 다른 지역과의 차이

점과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또한 지역 문화의 발

전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문화재를보호하는 활

동에참여한다.

우리의미술문화 교과서 pp. 66~69

우리는 미술 작품을보

고, 느끼고, 이해하고,

판단하는 감상 활동을

통하여 작가의 심미적

세계에 감동을 받기도

하고, 작품에자신의의미를더하여새로운의미를창출

하기도 한다.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태도와 방법을 알

며, 미술 작품의 다양한 가치를 판단하고 서술해 본다.

미술작품에담긴의미와가치를이해하기위하여조형

적아름다움을감상할줄아는동시에미술사적관점에

서 작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해 본다.

미술관을관람하기위한사전지식과비평의단계에대

해서도학습한다. 또포트폴리오제작을통해자신의관

심과 정보를 남에게 알릴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대

한깊이있는이해도가능해진다.

미술작품을보는시각 교과서 pp. 70~71

미술 작품에는 작품속

인물과배경, 그림을그

린 작가, 그리고 작품

안에서 드러나지는 않

지만그시대의영향등

을 간접적으로담고 있

다. 미술 작품의 주제와 양식의 역사적 변화 과정과 가

치를 이해하고 탐구한다. 종교와 영혼을담은 미술, 역

사와 삶을담은 미술, 조형을 탐구하는 미술, 실험하고

도전하는 미술 등 주제별 탐구를 기초로 하면서, 지역

과 시대에 따른 미술 작품의 특징과 변화를 미술사적

맥락과 함께 이해한다. 또한 우리의 관점에서 다양한

작품의의미와가치를비교하여판단하고서술해본다.

미술작품에담긴이야기 교과서 pp. 72~79

미술작품감상

왕의슬픔

생활수준이향상되고환경에

대한관심이높아지면서환경

디자인영역은점차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환경 디자인

은 실내·실외 환경, 주거 환

경, 도시 환경 등 영역이 다양

하다. 환경 디자인의 목적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

한 생활 공간을 조화롭고 아

름답게보존하고 관리하는 데 있다. 우리 주변을 둘러

싸고있는집과학교, 건물과도로등다양한환경을살

펴본다. 또 버스 정류장, 휴식공간, 환경 조형물 등 거

리의시설물을살펴보고, 주변환경을고려하여개선할

요소를찾아새로운아이디어를생각해본다.

환경을생각하는디자인 교과서 pp. 64~65

솔라플라워

수원화성

34 각론

Page 6: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351. 자연환경과 조형

1. 단원 설정 이유‘자연환경과 조형’은 인간의 조형 의식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자연환경의 영향과 의미를 이해하는 단원이다. 그러므로 이 단원에서는 자연환경에 따라 조형 의식이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탐구하고, 나아가 인간의 조형 의식과 생태적인 자연환경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어떤 방안들이 필요한지를찾아보도록 한다. 다시 말해 자연환경에 따라 인간의 삶 가운데 조형 의식이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찾아보고, 그것이어떻게 서로 충돌하거나 조화를 이루어내는지에 대하여 생태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자연환경에 따른 인간의조형 의식은어떻게 만들어지고 활용되고소멸되어가는지를찾아보고 이해한다. 이단원을지도할때에는자연환경과 조형물에 관련된 다양한 시각 자료들을 충분히 관찰하고 검토하여 자연환경이 조형 의식을어떻게 변화시켰는지알아봄으로써조형의식과생태환경의중요성에대해이해하도록한다.

2. 단원 목표➊자연을체험하며아름다움을이루는시각적질서를찾아본다.➋자연환경에따른조형의식의변화와미적가치를이해한다.➌생태환경의소중함을알고, 자연과조화를이룰수있는방법을탐구한다.

3. 단원 학습 계획

4. 교수·학습 방법 안내●‘자연의 아름다움과 미적질서’에서는 다양한 감각으로 자연을 체험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시각적질

서를찾아보도록지도한다.●‘자연에서찾는 조형 의식’에서는 자연환경과 조형물의 조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연환경에 따른 조형 의식

의변화와미적가치에대하여서로이야기해보도록지도한다.●‘생태 환경의 아름다움’에서는 인간이 만들어낸 조형 환경에서 생태 환경의소중함을 깨닫고, 재활용품을 활용

한표현활동으로생태환경에대한중요성을이해하도록지도한다.

시간 제재 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교과서쪽

1

1

1

탐구 학습

탐구 학습표현 학습

탐구 학습표현 학습

다양한 감각으로 자연 체험하기, 자연환경 속에서조형 요소와 원리찾기

자연환경에 따른 조형 의식의 변화와 미적 가치 이해하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 탐구와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미와 가치 토론하기, 자연에 나타나는 규칙찾기, 대지 미술에 대해 이해하기

생태 환경의 가치 이해하기, 생태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 제작하기,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미술 활동에 대하여 토론하기

4~5

6~7

8~9

자연의 아름다움과미적질서

자연에서찾는조형 의식

생태 환경의아름다움

자연환경과조형pp. 4~9

Page 7: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36 각론

■학습 목표

•다양한감각으로자연을체험한다.•자연의아름다움을이루는시각적질서를찾을수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다양한감각으로자연을체험하도록유도한다.•참고자료를다양하게준비하여풍부한미적경험을할수있게한다.•학생들이스스로조형요소와원리를찾을수있게지도한다.•자연에서체험한느낌과감동을잃지않도록유의한다.•주변환경과자연의소중함을알고아끼고사랑하는마음을가지도록한다.

■준비물

•교사: 교과서, 조형요소와원리가잘나타난참고자료, 실물화상기등•학생: 자연의아름다움이느껴지는스크랩자료, 교과서, 필기도구등

■학습 내용 및 활동

과정 학습내용 비고

도입

전개

정리

•시청각자료를적극활용한다.

•자연은 모든 조형 활동의 모체가 됨을 알게 하고, 다양한감각으로 자연을 체험하게한다.

•조형 요소와 원리에 대하여자세히설명하여이해를돕는다.

•아름다움을 이루는 시각적질서를찾아보도록 한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한다.— 계절·지형에 따른 아름다움— 동물과식물의 형태와색에 따른 아름다움•실물 화상기를 통해 감상하면서 설명을 들은 후 감상소감문을 작성한다.•자연에서 받은 감동을 이야기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발표한다.

▶자연을 체험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연의소리, 움직임, 냄새 등을 느껴보기— 대상을 직접 만져보고 촉감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계절, 날씨, 시간의 변화에 따른색의 변화를 느껴보기•자연을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해보고, 느낌을 발표한다.•자연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스크랩한 자료를 보고 아름다움을 이루는 조형 요소와

원리에 대해 발표하고 기록한다.— 형, 색, 움직임, 조화, 변화, 통일, 균형 등

•어떤 방법으로 자연을 체험하였는지 발표한다.•자연물에서찾은 형태와색의 특징, 그리고어떤 조형 원리가 드러났는지 이야기한다.

■학습 평가

감상소감문 조형요소와원리이해 발표력 태도

자연의 아름다움에서 받은 감동을 이야기하고, 그 이유는무엇인지 이야기하였는가?

자연물에서찾은 형태와색의특징, 그리고어떤조형원리가드러났는지 이야기하였는가?

자연을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해 보고, 느낌을 살려 발표하였는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성실하게 경청하고 진지하게발표하였는가?

다양한감각으로자연을체험해

보도록 유도하며, 자연에서 받

은 느낌을 조형 요소와 원리로

이야기할수있도록지도한다.

학습 지도의 주안점

자연의아름다움과미적질서pp. 4~5

1. 자연환경과조형

Page 8: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371. 자연환경과 조형

●자연의아름다움(충청북도보은)-부드러운선으로 이루어진소나무의 형태와 시시각각달라지는 자연의색에서 느껴지는 조화와 생명력은 경이로움을 느끼게 한다. 이처럼자연은 조형 요소와 원리들이질서와 조화를 이루면서 우리에게시각적즐거움을준다.● 자연 속에서 표현한 미술(충청남도 공주/1992~1997년작) 김해심(1953~/한국)① 물은 낮은 곳에 머무른다(충청남도 공주시 상왕동/1997년 작)-생명의 근원인 물의 질서를 표현하여 현인들의 물에대한정신적측면을생각하게한다.② 반투명(충청남도 공주시 영은사/1992년 작)-역광을 받고있는나뭇잎의잎맥과손의혈관을동일시하였다.③ 펀치(충청남도 공주시 산성 공원/1994년 작)-벌레가 뚫은잎의 구멍으로 햇빛을 통과시켜서 나뭇잎이 벌레의 먹이가되는생태순환을강조하여표현하였다.④ 한 마리의 뱀처럼(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1997년 작)-한낮에도 시들지 않고 초록잎을 펼치는 갈대밭에서 여름의왕성한생명력을느낄수있다.●조형요소와원리① 동세(몽골)-달리는 말의 움직임에서 생동감을 느낄 수

있듯이동세는움직임·방향감·운동의느낌을말한다.② 조화(지리산 바래봉) -서로 상반되는 요소끼리 조화를이루고 있다. 형태 또는색채의 요소에 대비를 주어변화를주면더큰조화를느낄수있다. 그러나대비가지나치게강조되면통일성과조화를잃게된다.③ 선(경상북도 경주) - 수직선은 존엄·위엄·품위·안정·확고·힘·영구·내구성·열망·포부 등의 느낌을 준다. 대나무의 곧은 선에서 흔들리지 않는 견고함과 상승감을느낄수있다.④ 색(경상북도 상주)-꽃과 잎의 색에서 신비로운 아름다움을느낄수있다.⑤ 반복(창덕궁 후원 부용지)-같은 형태가 반복되는 연잎에서질서와조화를지닌아름다움을느낄수있다.⑥ 강조(에스파냐)-특정적인 부분의 형과 색이 강하게 눈에띄어강조와집중을느낄수있다.⑦ 균형(일본 오네또 호수)-실제의 자연의 모습과 물에 비친자연이대칭적균형을이루고있다.⑧질감(탄자니아) -질감은 물체에 빛을 비춰보거나손으로 만져 봄으로써 느낄 수 있다. 유리판·대리석판에서는매끈한 질감을, 솜·양탄자·털옷·동물의 털 등에서는부드러운 질감을, 소나무의 표피·시멘트 벽 등에서는 거친질감을 느낄 수 있다.

태양, 공기, 물, 숲, 땅등은인간의삶과동식물의생명

을이루는원천이다. 인간은이러한자연환경에영향을받

으며살아왔다. 우리는자연환경속에살면서경이로운경

관을마주하기도하고, 자연의섭리에따라살아가는온갖

동식물의기능적형태와색에놀라기도한다. 자연은각기

다른모양과색을지니고있으면서도서로조화를이루고

있다.

자연이아름다운것은그질서안에조형요소와원리가

조화를이루고있기때문이다. 조형요소는아름다움을만

들고느끼게하는기본적인요인이되는것으로점, 선, 면,

형, 색, 명암, 양감, 질감등이있으며, 조형원리는이러한

조형요소들이서로작용하여유기적인관계를이루게하는

것으로서변화, 통일, 균형, 율동, 동세, 비례, 강조, 점이, 반

복, 조화등이있다.

계절, 날씨, 시간의변화에따라달라지는색을눈여겨

보고, 자연의소리·움직임·향기·촉감등을느껴보자.

이렇게 자연을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해 보면, 자연이 만

들어내는아름다움을더쉽게발견할수있을것이다.

4

자연의아름다움과미적질서자연을체험하며아름다움을이루는시각적질서를찾아본다.

자연환경과조형1

자연 속에서 표현한 미술(충청남도공주/1992~1997년 작) 김해심(1953~/한국)—물의 흐름, 역광을 받고 있는나뭇잎, 햇빛을 받고 있을 때의 그림자 등 작가가 체험한 자연의 변화 과정을사진으로기록한자연미술이다.

물의흐름을느껴보자. 벌레가뚫은잎의구멍으로햇빛을통과시켜보자.

나뭇잎의잎맥과손을겹쳐보자.

시원하게뻗은갈댓잎의생명력을느껴보자.

5

자연의아름다움(충청북도보은)—자연의형태와색에서느끼는조화와생명력은우리에게무한한감동을준다.

■조형 요소와 원리

1 2 3

4 5

6 7 8

1. 동세(몽골)—달리는 말에서 강한 생명력을 느낄 수있다.2. 조화(지리산 바래봉) —산

과 철쭉의 색채 대비에서조화를느낄수있다.3.선(경상북도 경주)—수직으

로 곧게 뻗은 대나무에서상승감을느낄수있다.4. 색(경상북도 상주)—꽃과잎에서 대조적인 색채를발견할수있다.5. 반복(창덕궁 후원 부용지)

—연속되는 형태에서 질서와리듬감을느낄수있다.6. 강조(에스파냐)—색이 다

른 낙엽에서 강조와 집중을느낄수있다.7. 균형(일본 오네또 호수)—

숲과 물에 비친 형상이 대칭을 이루고 있어 시각적인안정감을느낄수있다.8. 질감(탄자니아)—코뿔소의

피부에서 거친 질감을 느낄수있다.

교과서예시자료해설

Page 9: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38 각론

자연환경

(1) 자연환경의의미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포함한자연의상태즉, 생태계및자연경관을말한다. 천연자원이나 공기의 순환, 물의 순환, 기후와 같은 자연 현상을포함한다.(2) 인공환경의의미인간은 여러 가지 필요에 의해 자연환경을 변화시켜 왔다.이렇게인간의손에의해변화된환경을인공환경이라한다.(3) 자연환경과생활①농촌: 하천을중심으로넓은평야에마을을이루고있다.② 산촌: 산골짜기의 편평한 곳이나 산 아래쪽에 마을을 이루고있다.③어촌: 바닷가가까이에마을을이루고있다.(4) 자연환경에따른시각적특징과미적요소자연은 지리적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른 시각적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의 영향을 받은 인류의 삶도 그 지역의 자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아프리카의 사막이나 사바나 같은 곳과 낮은 구릉이 연속해 있고 강수량이 충분한 서유럽,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는 각각 생활 양식과 문화가 다를 수밖에 없다.또한 사람들의 기질과 미적인 감수성 또한 매우 다르게 발전함을알수있다.

자연의사전적의미

(1)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않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우주에저절로이루어지는모든존재나상태를말한다.(2)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않고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식물, 동물 등의 존재나 그것들이 이루는 지리적·지질적환경을말한다.

자연의형태와질서

자연 속에는 신비스러운 창조의 질서가 있다. 이러한 질서는 생물의 삶을 영유하기 위한 필연성에서 나온 형태들이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들은 감각적으로는 생동감이 있고, 기능적으로는 합리적인 것들이다. 동물이나 식물등에서 발견되는 자연의 구조적 특성과 규칙은 미술의 다양한분야에활용되고있다.

자연의아름다움

자연이 지니고 있는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자연미라 하며,

시간과 계절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자연은 각기 다른 모양과색깔을 지니고 있으며 그것의 기능, 재질, 특성 등으로 나타나는 아름다움에 인간은 감동을 받는다. 자연의 아름다움은 인간의 내면에 들어와 모든 예술 활동의원천이된다.(1)자연의 형과색은 엄격한질서와 조화를 이루며, 우리에게 가장 완벽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이처럼 자연이 아름다운 것은 고유한 질서를 지니면서, 동시에 다양한 형태와색을가지고있기때문이다.(2)자연에서비례, 율동, 반복, 강조, 대비, 점증, 통일등의조형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연에서 조형 원리와규칙을발견하고, 그특징을살려조형활동을한다.(3)주변에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아름다움의 요소를찾아보는것은심미안을갖는데도움이된다.

자연에서의다양한체험

(1) 땅을느껴보기맨발로걸으며땅에대한새로움을느껴본다.(2) 주변의소리에귀기울이기숲 속에서의 소리와 도심 속에서의 소리는 어떻게 다른지귀를기울여본다.(3) 자연의색 찾아보기①계절의변화에따른색을찾아본다.②시간의흐름에따른색의변화를찾아본다.(4) 자연의아름다움관찰하기① 자연이 만들어 내는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본다.②천체망원경으로찍은태양의모습을관찰한다.③눈이나얼음으로만들어진사진들을찾아본다.④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자연에 의한 기형 지형이나 자연물이미지를살펴본다.

조형요소와원리

(1) 조형요소① 점: 점은 크기를 가지지 않고 위치만 표시하지만 조형에서는형태를표현하기위해크기를가진다.② 선: 선은 길이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점이 지나간 자국이선이며, 화면에 하나의 선을 그으면 평면 공간은 둘로 나뉜

참고사항및관련자료

Page 10: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391. 자연환경과 조형

다. 선에는 수평선·수직선·사선·곡선 등이 있는데, 대체로 수평선은 고요함, 수직선은 엄숙함, 사선은 속도감, 곡선은부드러운느낌을준다.③ 면: 면은 각각의 형태를 가지고 정사각형·삼각형·원등의기하학적형체와구체적인형을생각할수있다.④ 형: 대자연에서 볼 수 있는 구상적 형과 그렇지 않은 추상적 형이 있다. 또 평면적인 형과 입체적인 형이 있는데, 그중에서 평면의 형은 선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지며, 입체의형은 면의 이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평면의 형은 형체(shape)라 하고, 입체의 형은 형태(from)라고 한다. 눈의 높이, 보는방향, 원근에따라형이다르게보인다.⑤색: 빛에 의해 지각되는 요소로서 사람의 개성과 감정 표현의 적극적인 수단이 된다. 물체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색,물체의 시각적인 인상의 색, 자기의 감정이나 생각에 따라창의적으로표현한심상의색등이있다.⑥명암: 빛에의해생기는대상의밝고어두움을말한다.⑦ 양감: 작품에 표현된 대상의 덩어리감 또는 부피, 무게,두께등의느낌을말하며, 명암표현에의해나타난다.⑧질감: 화면에 표현된 재질의 느낌을 말한다. 모든 물질은물체 자체의 특성에 따라 독특한 재질감을 가지며, 이것이물감이나 붓의 필촉 등에 의해 화면에 표현되어 대상의 재질감을느끼게한다.⑨ 재질감: 거칠다, 매끄럽다, 부드럽다 등 재료의 표면에서느껴지는촉각적인느낌을말한다.(2) 조형원리① 변화: 형태나 크기, 색채 등이 서로 다르게 표현되어 화면에 생동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단조롭지 않게 하는 요소로 지나치면 무질서하고 복잡해진다. 그러므로 통일과 변화는 적절한조화를이루어야한다.② 통일: 통일은 하나의 일관된 규칙으로 동일한 특징을보여 주는 것을 말한다. 통일감은 전체적으로 안정되고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통일감이 지나치면 단조롭고 변화가없다. 유사한형과색의규칙적인배치로이루어진다.③ 균형: 모든 힘들이 평형에 이르도록 힘을 분산시키는 것으로,시각적·정신적·심리적안정감을준다. 균형이잘잡혔다는 것은질서·안정·통일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균형이 깨졌다는 것은 불안정하지만 시각적으로는 자극이 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좌우상하의 형이 같으면 완전한 균형(대칭)을 이루지만 변화가 없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다양한 변화 속에서도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는 비대

칭균형은조화를느끼게한다.④ 율동: 형이나색, 선의 반복,점증이나 점감 등에 의해 율동을 느낄 수 있다. 독립된 하나의 형만으로는 아름다움을 느낄 수 없던 것이, 같은 형이나색이 반복되거나 점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아름다움과운동감을느낄수있게된다.⑤ 동세: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움직임과 방향감을 말하며,생동감을 준다. 선의 강약이나 필치, 형과색의 규칙적인 반복 또는 강조를 통하여 생동감이 얻어지며, 움직이는 대상을통해서도운동감을나타낼수있다.⑥ 비례: 부분과 부분, 전체와 부분의 길이나 양의 수량적인관계를 말하며 아름다움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한장의 종이에서도 가로, 세로의 비례의 미가 있듯이 모든 사물은그비례에따라느낌도달라진다.⑦ 강조: 시각적인 자극과 함께변화 있는 화면을 제공해 준다.선이나 형, 색으로 특정한 부분을 강하게 함으로써 얻어지는긴장감을말한다.⑧ 대비(대조): 대립된 성질의차이가 두드러지게 느껴지는현상이다. 서로반대되는요소의조화적인배치로표현된다.⑨ 조화: 통일의 조건이며, 전체적인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한다.-유사적 조화: 형이나색, 재질등이 서로 비슷한 것끼리 모여서변화가있으면서도통일감을이루는것을말한다.- 대비적 조화: 성질이 서로 대조적이거나 대립적인 요소로짝지었을때조화를이루는것을말한다. 즉, 형태또는색채의 요소에 대비를 주어변화를 일으키게 하면, 더 큰 효과를얻을수있다.

자연미술

자연 미술은 자연의 일부분을 조형을 위해 선택하는 것이아니라, 자연의 생명감을 함께 체험하고 그 변화까지도 작품에 포함시키는 미술을 말한다. 자연 미술은 자연을 표현의 대상으로 삼을 뿐 아니라, 자연물이나 자연의 현상을 작품 활동에 포함한다. 따라서 자연 속에 설치된 자연 미술작품은 자연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반영하면서 끊임없이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연 공간을 전시 공간으로, 자연 재료를 미술 재료로 활용하는 미술가들의 시도는 자연환경과 미술의 관계를 새로운시각에서 탐색하도록 한다.

통일과변화

강조

율동

Page 11: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학습 목표

•자연환경에따른조형의식과미적가치를이해한다.•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찾아보고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미와 가치의 변화에

대하여이야기할수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자연환경과생활환경의밀접한관계를이해시키며환경의소중함을일깨워줄수있도록지도한다.•자연을 대상으로 표현하는 미술이나 자연의 규칙을 응용한 작품을 조사하며, 대지 미술 등 현대 미술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지도한다.

■준비물

•교사: 교과서, 참고 작품, 조형적 아름다움이 나타나는 자연 사진·대지 미술·환경조형물·건축관련화집등

•학생: 교과서, 조사내용, 필기도구등

40 각론

■학습 내용 및 활동

과정 학습내용 비고

도입

전개

정리

•다양한 자료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한다.

•각자 조사해온 자료들을 간결하게 발표할 수 있도록 주지시킨다.

•미래환경과미술이나아갈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참고 자료를 감상하며 자연과 조형물의 관계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조형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을찾아본다.

•조사해 온 자연환경과 조형물이 조화를 이룬 사진과 내용을 발표한다.— 자연물의 형태를 닮거나 자연을소재로 표현한 조형물에서 조형 요소와 원리가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조사한 내용을 발표한다.

— 자연환경과 조형물 등의 시각 문화 환경이 조화를 이룬 사례와 그 이유를 제시하고 자신이 생각한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미와 가치 등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 조사한 조형물에서 자신이 발견한 본받아야할 부분과 개선할 부분을 발표한다.•조사·발표한 내용을 토대로 자연환경과 조형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하

여 토론한다.

•자연환경과 조형물의 조화와 자연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환경과 조형물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갖추어야할 조건을 이해한다.연계활동자연물의형과색을단순화하거나변형시켜장신구를만들수있도록지도한다.

■학습 평가

내용이해 자료조사 발표력 태도

자연물의 형태를 닮거나 자연을 소재로 표현한 조형물을찾아보고, 조형적 아름다움의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이해하였는가?

조형물에 나타나는 조형 요소와 원리 및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자료 수집이 풍부하며조사 내용이 구체적인가?

대지 미술 등 자연환경을 응용한 미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하였는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며토론하는 태도가 올바른가?

자연의 규칙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연과 인공 조형물

의조화를중시할수있도록지

도한다. 자연환경과 조형물이

조화를 이룬 여러 사례들을 조

사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

과흥미를돋우며, 주변환경의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

선하여 표현할 수 있는 태도를

갖게한다.

학습 지도의 주안점

자연에서찾는조형의식pp. 6~7

1. 자연환경과조형

Page 12: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 나선형방파제(암석, 대지, 소금 결정, 물, 6,783톤의 흙/4.5×450 m/미국 유타주 솔트 레이크/1970년 작) 스미스슨(Smithson, Robert/1938~1973/미국)-미국의 조각가이며 실험 미술가인 스미스슨은 미니멀 아트의 범주에 속하는 작업을 하다가 1960년대 말부터 대지 미술로 전환하여 작업하였다. 버려진 채석장이나 오래된 광산의 흔적을 찾아가 바위조각이나 자갈, 지질학적 폐품들을 수집하여 무작위로 쌓아올리거나 금속 상자 혹은 나무 상자 속에 배열하여 표현하였다. 이것에 거울, 장소계획서, 지질도, 사진 등을 함께 전시장에 놓아‘탈장소(non-site)’를 구성한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폐품 미술가들의 방식과 비슷하며, 폐기된 자연물들을 예술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그의 후기 작품은 갤러리를 떠나 자연을 전시 장소로 선택한 후 작업을 하고 사진을 남기는 개념적인 작업으로 변화하였는데,그 중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나선형 방파제’이다. 이 작품은 미국 유타주의 소금 호수인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에 중장비와 트럭을 동원하여 수많은 돌과 흙을 쌓아 소용돌이모양으로 방파제로 만들었다. 환경 오염이 크게 발생하는현대 산업 사회에서 지구를 되살리기 위한 상징적인 작품으로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방파제의 돌에 소금 결정이 형성되는 모습과 미생물의 번식, 침수 등으로 물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보여 주고자 하였다. 완성 직후 수면이 상승해 한동안 물속에 잠겼다가 최근소금 결정이 맺힌 돌들과 함께 다시 떠올라 작가의제작의도를지속적으로보여주고있다.●번개치는들판(스테인리스 봉 400 개 설치/160×100 m/1977년작) 드마리아(De Maria, Walter/1935~/미국)-번개가잦은 뉴멕시코의 광활한 사막에 길이 1.6 km, 폭 1 km의 규격으로 높이 7 m의 스테인리스 봉 400개를 일정한 간격을두고 설치하여, 비바람이 몰아칠 때 번개의 섬광을 시각적으로볼수있도록하였다. 이작품은번개치는순간을사진에담아 전시한 것으로, 자연 현상도 예술 작품이 될 수 있음을보여 주는 작품이다. 동시에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느끼게 해 주며, 자연과 예술이 함께어우러진 상상의 세계를 재현하였다는평가를받고있다.● 병산서원(건축/사적 제206호/경상북도 안동/조선 시대)-이 서원의 전신은 본래 풍산현에 있던 풍악 서당(豊岳書堂)으로 고려 때부터 사림의 교육 기관이었다. 1572년(선조5년)에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 풍악 서당을 안동으로옮겨왔으며, 1607년 유성룡이 타계하자 정경세(鄭經世) 등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613년(광해군 5년)에 존덕사(尊德祠)를 창건하고 위패

자연에는 시각적인 질서가 주는 아름다움이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자연의질서에서얻은감동과조형요소를활용하여건축, 회화, 조각

등의조형물을만들며생활속에서아름다움을창조해왔다. 자연의소

중함을생각하며자연을거스르지않고자연미를살리는조형물을만

들기도하고, 자연속에서규칙과질서를찾아표현하기도하며, 자연

의모습을닮은조형작품을제작해왔다.

자연에서찾는조형의식자연환경에따른조형의식의변화와미적가치를이해한다.

자연환경과조형1

6

낙수장(건축/1934~1937년 작) 라이트(Wright, Frank Lloyd/1867~1959/미국)—계곡과어우러진 건축물로, 주변 경관과어울리는 재료를 사용하고, 내부·외부 공간의 상호 소통을 추구하는유기적인구조로되어있다.

나선형 방파제(암석, 대지, 소금 결정, 물, 6,783톤의 흙/4.5×450m/미국 유타주 솔트 레이크/1970년 작) 스미스슨(Smithson, Robert/1938~1973/미국)—환경 오염이 크게 발생하는 현대 산업 사회에서 지구를 되살리기 위한 상징을 지닌 작품으로,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 방파제의 돌에소금 결정이 형성되는 모습과 미생물의 번식, 침수 등으로 변화하는모습을보여주고자한작품이다.

병산 서원(건축/사적 제206호/경상북도 안동/조선 시대)—강당인입교당(立敎堂) 대청에서만대루를본모습이다. 여러건물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만드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비어있는공간을통하여자연경관을적극적으로담아내고있다.

번개 치는 들판(스테인리스 봉 400 개 설치/160×100m/1977년 작) 드마리아(De Maria, Walter/1935~/미국)—번개 치는 순간을 사진에담아 전시한 작품으로, 자연 현상도 예술 작품이될수있음을보여준다.

대지미술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과 영국에서 일어난 미

술 사조로, 미술관을 벗어나서 사막이나 산악, 해변

등의 대자연을 대상으로 자연의 재인식, 자연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강조한 조형 활동을 말한다. 대표

작가로는 스미스슨(Smithson, Robert), 롱(Long,

Richard) 등이있다.

7

우리 지역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찾아보고,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서로 이야기해

보자.

1. 자연물의형태를닮거나자연을소재로표현한조형물에

서조형요소와원리가어떻게활용되었는지조사한다.

2. 조형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조사한 조형물

에서본받아야할부분과개선할부분을찾아발표한다.

탐구활동탐구활동

무르 아일랜드(건축/오스트리아 그라츠/2003년 작) 아콘치(Acconci,Vito/1940~/미국)—조개껍데기 형태의 이 인공 섬은 현대의 과학 기술을적용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구조물이 움직이며, 내부와 외부의 조화뿐 아니라주변도시를새롭게조망할수있도록흥미롭게만들었다.

아름다운 자연환경은 후손에게 물려줄 가장 큰 유산임을

생각할때, 조형물과건축물을제작할때에도자연환경을훼

손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조형물과

건축물은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을더욱풍요롭게한다.

새가있는풍경 B(나무, 아크릴 물감/각 9×9×12cm/2002년 작) 최승천(1934~/한국)—자연과 인간을 상징하는 나무와 새를 단순화한 형태와색으로표현하여, 자연과의끊임없는소통과조화를나타내었다.

피보나치수열이 잘 나타나는 해바라기—피보나치수열은 12세기 말 이탈리아의천재수학자인레오나르도피보나치가제안한것으로, 어떤수열의항이 앞의두 항의합과같은수열을말한다.(1, 1, 2, 3, 5, 8, 13, 21, …)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하는 8열과 13열의 나선(알루미늄/지름 110 cm/2007년작) 김주현(1965~/한국)—꽃잎의 개수나 나뭇잎의잎맥에는 일정한 규칙이있다. 이러한 규칙은 자연물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을더해준다.

연계활동 자연물의 형과 색을 단순화하거나 변형시

켜장신구를만들수있다.

채송화 머리핀(재활용 머리핀,클레이 점토/5.5×10.2×2.3 cm)조수현(학생작품)

교과서예시자료해설

411. 자연환경과 조형

Page 13: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2 각론

를 봉안하였고, 1614년 병산 서원으로 개칭하였다. 1990년경부터 일군의 건축가들이병산 서원을 가장 뛰어난 우리나라의 건축 유산으로 꼽기 시작한 뒤로 서원 건축의 대표적인 예가 되었다. 현재 사적 제206호로 지정된 병산 서원의서원 건축의 핵심 건물이라 할 수 있는 강당인입교당(立敎堂) 건물은 1930년대 다시 지어져 연대기적 가치도 낮고, 부석사 무량수전의 배흘림 기둥 같이 특별한 조형미도찾아볼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산 서원이 최고의 건축으로꼽히는 이유는 병산 서원의 여러 동의 건물이 얽히면서 만들어내는 관계에 있다. 강당과 동·서재가 만들어내는 텅빈 마당, 강당 마당, 사당 앞마당의 절묘한 이어짐, 누각 밑을통과하면서나타나는신선한광경등에있다. 즉, 건물자체의 아름다움보다 건물과 건물 사이에 형성된 비어 있는외부 공간에 참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둥과 지붕만있고, 기다란 누각인 만대루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통하여 자연 경관을 적극적으로담아내며 건물과자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맺어주고 있다. 이비어 있는 여백과 같은 공간 속에서 인간의 생활을 영위할수있고그공간을통해다른풍경을담아낼수있다.*소식이‘함허정기(涵虛亭記)’에서“비록 작고 초라한 정자이지만, 그 위에 오르면 비어있는 벽을 통해 온 우주가담긴다.”라고 묘사한 것처럼 비어 있기 때문에 채울 수 있다는역설을통해병산서원의가치를더욱더이해할수있다.*소식(蘇軾/1037~1101)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이다. 자(字)는 자첨(子瞻)이고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이다. 흔히소동파(蘇東坡)라고부르며 쓰촨 성미산(眉山)현에서 태어났다. 시(詩),사(詞),부(賦),산문(散文) 등 모든 글에 능해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낙수장(건축/1934~1937년 작) 라이트(Wright, FrankLloyd/1867~1959/미국)-작가는 동양 건축에 영향을 받으면서 물 흐르듯 이어지는 공간의 연속성을 추구한 유기적 건축과 지면의 수평선과 어울리듯 높지 않고 바닥에 깔린 듯한 외형으로‘프레리 건축 양식’의 독창적인 건축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광활한 미국의 풍토를 배경으로 고도의 기술 문명을 구사하면서 그 토양과 조화되는 유기적인 건축설계를 전개시켜 나감으로써 20세기의 위대한 건축가 중의한 사람으로 꼽힌다. 또한 혁신적이고도 신선한 발상을 끊임없이내놓아주택, 공공건축분야에큰영향을미쳤다. 라이트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낙수장’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부근 숲 한가운데 있는 현대식저택으로, 자연미와 인공미의 일체성으로 작가의 특성을 충분히 표현하고있고 건축 역사상 중요하지만, 수리 작업 또한 많아 토론 대

상이 되었다. 2001년 11월 수리 공사를 시작한 낙수장은 건축 비용 보다 엄청나게 많은 수리 비용을 부담하면서 굳이복구해야할 가치가 있느냐는 의견 등 논란이 있었다. 낙수장은 계곡과 어우러진 건축물로 주변 경관과 어울릴 수 있도록 최대한 현지에서 공급한 자재를 사용하고, 내·외부공간의 상호 소통을 추구하는 유기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모두 3층으로 되어있으며, 전체적으로 가로로 뻗은 난간과돌담으로 굳게 자리 잡은 종횡 교차의 구도로 건물 전체가무게감이 있으면서도 가볍게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준다. 건물의 실내 일부는 주변의 돌이 실내까지 뻗어져 있는 곳도 있어주변의 산과 돌, 흐르는 물과 나무, 그리고 실내·외 공간의 일체성과 건축과 자연의 결합을 실현했다.또한 실내 공간은 빛의 밝기와 각도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낸다.●피보나치수열이잘나타나는해바라기 -해바라기의씨앗의 배치에서 피보나치수열을찾을 수 있다. 해바라기꽃머리에는 55개와 89개의 나선이 있으며, 꽃 머리에서 왼쪽과오른쪽 두 개의 방향으로 엇갈리게 나선형으로 자리 잡고있어 최소의 공간에 최대의 씨앗을 촘촘하게 배치하고 있다. 솔방울도 1, 2, 3, 5, 8 등의 나선의 수를 가지고 있다. 피보나치수열의 앞·뒤 두 수의 비를 계산해 보면 그 값은0.618에 가까워지는 데 이 값이 황금수이다. 이 세상 모든꽃의 아름다움을 설명할 수 있는 비밀이 이 수열 속에 있다고볼수있다.●서로다른방향으로교차하는 8열과 13열의나선(알루미늄/지름 110 cm/2007년 작) 김주현(1965~/한국)-알루미늄을 가느다랗게 이어 붙인 꽃잎 모양 속에 피보나치수열의원리를 적용시켜 제작한 작품이다. 일정한 규칙에 따른 변화가시각적인아름다움을더해준다.●무르아일랜드(건축/오스트리아 그라츠/2003년 작) 아콘치(Acconci, Vito/1940~/미국)-강철과 유리를 주재료로 건축된 조개껍데기 형태의 이 인공 섬은 노천 공연장, 카페,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공간 등이 마련되어있다. 현대의 과학과 기술을 적용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며, 내부와외부의 조화뿐 아니라, 주변 도시를 새롭게 조망할 수 있도록독특하게설계되었다.● 새가 있는 풍경 B(나무, 아크릴 물감/각 9×9×12 cm/2002년 작) 최승천(1934~/한국) -작가는 인간으로 비유한

‘새’와 대자연을 상징하는‘나무’의 조화로운 구성을 통하여 행복한 가족적 유대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강조한 주제로 생활소품, 조형 작품, 가구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자연과 인간을 상징하는 나무와새를 단순한 형태와 색으로 표현하였으며, 자연 귀의에 대

Page 14: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31. 자연환경과 조형

한 작가의 소망을 담아 자연과의 끊임없는 소통과 조화를표현하였다.● 채송화머리핀(재활용 머리핀, 클레이 점토/5.5×10.2×23 cm) 조수현(학생 작품) -망가진 머리핀을 재활용하여꽃모양을단순화하여예쁜머리핀을만들었다.

예시답안

우리 지역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찾아보고, 조형적 아름다움의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서로 이야기해

보자.

1. 자연물의형태를닮거나자연을소재로표현한조형물에

서조형요소와원리가어떻게활용되었는지조사한다.

2. 조형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조사한 조형물

에서본받아야할부분과개선할부분을찾아발표한다.

연계활동 자연물의 형과 색을 단순화하거나 변형시

켜장신구를만들수있다.

채송화 머리핀(재활용 머리핀,클레이 점토/5.5×10.2×2.3 cm)조수현(학생작품)

탐구활동탐구활동

학생 조사 보고서

제목: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 조사하기

친구가 청계천의 조형물이 다슬기의 형태를 닮았다고 하여

나는 친구들과 함께 청계천의 시작 지점인 청계 광장으로

향했다. 청계 광장에 도착하니 엄청나게 큰 다슬기 모양의

‘스프링’이라는 조형물이 있었다.

무슨 의미로 이렇게 큰 형태로 다슬기의 형태를 닮은 조형

물을 만들어 놓았을까? 어떻게 작품을 이해하고 조사할지

막막하기만 하였다. 그래서 우선 작품이 놓여 진 주변과

작품을 둘러보며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 작품은 청계천 복원 상징 조형물로서 올덴버그와 그의

부인인 브루건이 탑처럼 위로 상승하는 다슬기 모양에서

영감을 얻어 공동으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자연물인 다슬

기의 형상을 닮은 이 상징 조형물은 파란색과 빨간색의 대

비된 선의 형태가 반복적인 나선형으로 이어져 있고, 좁아

지는 조형물의 끝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 율동감과 상승감

1학년 5반 김성윤

스프링: spring(스테인리스강철, 알루미늄, 섬유강화플라스틱/높이20 m, 지름 6 m/2007년 작) 올덴버그(Oldenberg, Claes/1929~/스웨덴 → 미국)·브루건(Bruggen, Coosje van/1942~/네덜란드 →미국) 공동작품

1. 자연물의 형태를 닮거나 자연을 소재로 표현한 조형물

에서 조형 요소와 원리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조사하기

이 잘 나타나는 것 같았다. 조형물의 아랫부분에 다슬기의

구멍을 단순하게 큰 원으로 표현하여 원뿔의 전체적인 형

태가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다. 이 뚫려있는 큰 구멍과 위로

향하는 나선의 형태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어 공간

감이 느껴지며, 이 떨어진 간격 때문에 파란색과 빨간색의

나선 형태가 면으로 보여 선과 면의 조화로운 구성으로 시

각적인 움직임을 더욱 느끼게 하는 것 같다.

2. 조형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조사한 조형물에

서 본받아야 할 부분과 개선할 부분을 찾기

‘스프링’은 청계천 복원 상징 조형물로, 작품 가격과 작가

선정에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또한 청계천의 역사성

과 상징성에 어울리지 않는 작품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올덴버그는 아이스크림, 빨래집게, 야구 방망이 등을 수천

배 크기로 확대하여 제작하는 작품 경향을 보이는 팝 아트

작가이다. 논란 속에서 작가는 자신의 조형물에 대해서

“한국을 상징하는 파랑과 빨강, 도자기를 상징하는 노랑을

이용한 세 가지 색의 조화로 우주와의 조화를 의미했다.”

라고 하였다. 또“스프링은 다이나믹하고 수직적인 느낌을

연출하여 복개된 청계천의 샘솟는 모양과 서울의 발전을

상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프링(spring)’이란 이름에

대해서도 올덴버그는 봄과 용수철, 탄생 등의 여러 의미가

있다면서“이 곳이 원류는 아니지만 물의 원천이라 보고

삼각뿔이 솟아올라 하늘과 맞닿은 물의 시작과 물을 의미

하는 보름달을 형상화했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작가는 이

조형물에 대하여 많은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작품을 제작하

였던 것이다. 이 모든 의미가 모든 사람에게 다 똑같이 느

껴지지는 않겠지만 어느 정도 공감이 가는 부분도 있었다.

(1) 조형물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조건

① 자연과 인공 구조물, 건물 상호 간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②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보존하여야 한다.

③ 주위의 인공 구조물, 건축 등과의 상호 조화를 고려하

여 디자인해야 한다.

④ 시각적인 아름다움뿐 아니라 기능성과 합리성, 안전성

을 고려하여 디자인하고 배치해야 한다.

(2) 작품에서 본받아야 할 부분

다른 환경 조혈물의 경우 어두워지면 형태와 특징을 잘 볼

수 없지만 이 작품은 다슬기 형태의 안에서 조명이 설치되

어 보름달을 보는 듯한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어 낮뿐

만 아니라 밤에도 색다른 감동을 준다. 특히 주변 도시 야

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이 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저녁에

도 또 하나의 볼거리와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3) 작품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

청계천 복원이 자연과 생태계의 보전이라는 목적도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환경 조형물인 이 작품에 대한 아

쉬운 점도 있다. 엄청난 규모와 높이 상승하는 수직적 조

형, 그리고 빨강과 파랑의 원색적인 색채의 사용이 자연과

의 조화라는 측면에서는 무리가 있다고 느꼈다.

Page 15: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4 각론

성행하였으며당시의여러다른미술경향과관련이있다. 제작된형상이극도로단순한점은미니멀아트와비슷하고, ‘보잘 것 없는’재료들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아르테 포베라와 비슷하고, 만들어진 작품이 일시적인 경우는 해프닝이나퍼포먼스와 관련이 있다. 작품이 사라지거나 철거된 경우의거창한 작업 계획안은 단지 계획으로만 존재하므로 개념 미술과연결될수도있다.대지 미술(land art, earth art, earth works)은 전통적인 엘리트 미술과 상업주의적인 화랑 중심의 미술계에서 벗어나려는 욕구에서 출발하였지만, 사실 거대한 대지 미술 작품들은 막대한 경비를 필요로 했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외진 곳에 위치해 대중적이지 않았다. 어떤 작품은 비행기를 타고감상을 할 수 있어비행기를소유하거나 빌릴 수 있는 부유한 사람들만이 감상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화상들은 이런 작품들도 다른 작품들과 같이 상업성을 가질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여 일부 대지 미술가들은많은 돈을 벌기도 하였다.이러한 부정적인 측면과함께 일부 비평가들과 환경주의자들은 대중과의상호 교감이 없고 지역적조건이나 사회적 요인을무시하고 만들어진 대지미술이 생태계까지 파괴한다고비판하기도한다.작게는 흙·나무·물·돌, 크게는 사막·강물·산악·해변·섬 등의 자연 자체를 예술 작품의 창작에 이용하는 대지 미술은 작품의 소재나 경향,방법 등이 작가마다 매우다르게 나타난다. 사막,산악, 해변, 설원 등의 넓은 땅을 파헤치거나 거기에 선을 새기고 사진에 수록하여 작품으로 삼기도하고, 잔디등의 자연물을그릇에 담거나 직접 화랑에 운반하여 전시하기도한다.

예시답안

자연물의 형과 색을 단순화하거나 변형시켜 장신구를 만들

수있다.

연계활동

파란 해바라기 머리 끈(재활용 머리 끈, 클레이 점토/지름 8 cm) 한지연(학생 작품)-머리 끈의 망가진 장식 부분을 파란색의 끈과 어울리도록 파란색의독특한해바라기머리끈을만들었다.

대지미술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과 영국에서 일어난 미술 사조로, 미술관을 벗어나서 사막이나 산악, 해변 등의 대자연을대상으로자연의재인식, 자연환경의창조적응용등을강조한 조형 활동을 말한다. 미니멀 아트의 영향 아래‘물질’로서의 예술을 부정하려는 경향과 반문명적인 문화 현상이 뒤섞여 생겨난 미술 경향으로, 1960년대 후반 특히 미국에서

참고사항및관련자료

조형물이 삭막한 도시 환경에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

을지 모르지만, 자연의 본래의 모습으로 찾아가는 것이 올

바른 생태계 보전의 의미로 생각해 볼 때, 자연스럽게 물

이 흘러 생태계가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물을 억지로 끌어

올려 흐르게 하는 청계천 복원은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청계천을 보고 자란 우리나라 작가들 중에서도 청계천 복

원 상징물의 의미를 더욱 잘 살린 상징물을 만들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4) 느낀 점

오늘 친구들과 바쁘게 돌아다니면서 직접 환경 조형물을

찾아 조사해 보았다.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해 보면서 몰랐

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었고 좁았던 내 시각과 생각을 넓

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환경 조형물들은 환경을 생동감 있고 아름다

운 공간으로 바꾸어 주며 우리에게 풍요로운 감성과 정신

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을 직접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도

많은 조형물과 미술 작품에 관심을 갖고 작품 감상을 즐겨

야겠다.

포장된 라이히스타크(천, 로프/1995년작) 크리스토(Christo, Javacheff/1935~/불가리아→미국)

걸어서만든선(대지/1967년작) 롱(Long,Richard/1945~/영국)

이동하였다가제자리에놓인덩어리(대지,돌/1969년작) 하이저(Heizer, Michael/1944~/미국)

Page 16: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51. 자연환경과 조형

크리스토(Christo, Javacheff/1935~/불가리아 → 미국)는 작은 물체를 포장하는 데에서 시작한‘포장’의 방법이 규모가점점 커져 나무와 자동차를 거쳐 건물과 섬, 해안가, 산 등의자연환경을포장하는실험적인미술작업을하였다.영국의대지미술을이끄는대표적인인물인롱(Long, Richard/1945~/영국)은 화랑이 아니라 재료들이 원래 있던 위치에서작품을 제작하기도 하며, 자신이 산책하며 돌을 세워 놓거나, 천을 깐 산책로를찍은 사진, 걸어가며 본 것이나 자신의심리상태를쓴글, 지도등을기록으로남겼다. 제작과정이나 제작 행위도 예술품으로 간주되어과정과 행위도 예술로여겨지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방법의 대지 미술은 모두 예술의 일시적 성격, 재료 또는 지질로서의 자연의 재인식, 자연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강조한 방법이다. 대표 작가로는 크리스토, 롱이외에도 스미스슨(Smithson, Robert/1938~1973/미국), 하이저(Heizer, Michael/1944~/미국) 등이있다.*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 -1960년대 중반 상업주의, 미니멀리즘, 팝아트등에반발하여이탈리아에서일어난전위적미술운동이다. 지극히일상적인소재를이용하여구체적인삶의문맥에서예술을바라본다. 이운동은과정미술, 개념 미술, 환경 미술 등과 맥락을 같이 하며 국제적인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이탈리아어로‘가난한 미술’또는‘빈약한미술’이라는 의미인 아르테 포베라는 1967년 이탈리아의 미술 비평가이며 큐레이터인 첼란트(Celant, Germano/1940~/이탈리아)에 의해 사용된 용어로, 보잘 것 없는 재료들을의도적으로 활용한 미술을 말한다. 빈곤한 재료와 단순한과정을 예술의 영역에 수용하는 이 운동은 나뭇가지와 바위, 시멘트, 밧줄, 철판 등 지극히 일상적인 재료를 통해 물질의 본성을 탐구하고 물질이 가지는 자연 그대로의 특성을예술로 옮겨담음으로써 삶과 예술, 자연과 문명에 대한 사색과성찰을은유적으로표현하였다.

피보나치수열

우리는 네잎 클로버를 찾으면 행운이 온다는 속설 때문에잔디밭을 헤집지만 클로버는 꽃잎이 3장인 것이 정상이기때문에 4장의꽃잎은 그만큼찾기가어렵다. 꽃잎을 세어보면 일정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3장이나 5장이 대부분이고 7장이나 9장으로 되어있는 꽃잎은 찾기가 힘들다. 이탈리아의 천재 수학자 피보나치(Fibomacci,Leonardo/1170~1250/이탈리아)는 꽃잎에 나타나는 패턴을 연구하였으며,

상당히 흥미 있는 문제를제시하였다. ‘한 쌍의 토끼가매월 한 쌍의 토끼를낳고 태어난 한 쌍의 토끼가 다음 달부터 매월 한쌍의 토끼를 낳는 일이 계속된다면 월별로 토끼는몇 쌍이 될 것인가?’하는문제이다. 토끼가 죽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토끼의숫자는 월별로‘1, 1, 2, 3,5, 8, 13, 21, 34, 55, 89,144……’이 된다. 이처럼피보나치수열은 어떤 수열의 항이 앞의 두 항의합과 같은 수열을 말하며이러한 피보나치수는 모든꽃의꽃잎에 나타난다.백합·붓꽃은 3장, 채송화·동백·들장미·자두·살구·복숭아·패랭이꽃·동자꽃은 5장, 코스코스·모란·수련·양지꽃은8장, 금잔화·금불초는 13장, 국화과의 치코리는 21장, 질경이·데이지는 34장, 쑥부쟁이는 종류에 따라 55장과 89장의꽃잎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해바라기씨앗의 배치,솔방울의 나선 수, 앵무조개의 달팽이 모양 껍데기의 나선 구조에서도 피보나치수열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식물의 잎이나꽃씨의 배열은 모두 황금수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는 피보나치수열이모든 숫자들 중 황금수(phi)에 가장 근접하면서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연의형태에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붓꽃(3장)

일일초(5장)

백합(3장)

패랭이꽃(5장)

들장미(5장)

국화(21장)

코스모스(8장)

Page 17: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6 각론

■학습 목표

•생태환경의소중함을알고그아름다움을느낄수있다.•생태환경을주제로한다양한작품들에대하여이해할수있다.•주변의 생물들을 조사해보고, 재활용품을 사용하여 생태 환경에 관련된 작품을 제작

할수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자연환경의생태문제와미술활동이어떻게연계성을갖는지이해하도록지도한다.•스스로주변의생태환경을조사하고사진을찍어자료로사용하도록지도한다.•주변에서구할수있는다양한도구나재료를사용할수있도록한다.•모둠원간에협력하여공동작품제작에임할수있도록지도한다.

■준비물

•교사: 교과서, 예시작품, 빔프로젝터등•학생: 교과서, 재활용품, 연필, 켄트지, 가위, 칼, 본드등

■학습 내용 및 활동

자연환경과 생물 등 모든 생명

체는 각기 다른 가치와 역할을

담당하고있으며, 또한각기다

른아름다움을지니고있음을알

게한다. 환경과생태를주제로

한 다양한 예시 작품들을 감상

하고 재활용품을 활용한 작품

을제작할수있도록한다.

학습 지도의 주안점

과정 학습내용 비고

도입

전개

정리

•교과서 예시 작품 이외에 다양한 관련 작품을 준비한다.

•조사 활동과 표현 활동으로나누어 수업을 전개할 수 있으며, 모둠을 나누어 활동을할 수도 있다.

•환경문제와미술가의역할에대해서도생각해보도록지도한다.

•다양한 생태 환경을보여 주는 사진 자료를 감상한다.•생태 환경을 주제로 한 다양한 예시 작품을 감상한다.

•습지 등보존해야할 생태 환경에 대하여 알아본다.•생태 환경을 주제로 한 작품의 표현 방법과 의미에 대하여 이해한다.•멸종 위기의 생물들과 그 서식환경에 대하여 조사한다.•멸종 위기의 생물을 스케치한다.•빈 캔, 페트병등을 오려내어생물체의 모양을 만든다.•본드로 붙여 생물체의 모양을 완성하고 부분적으로채색할 수 있다.▶서식환경에 설치하고 사진을찍거나 서식환경 사진과 합성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완성 작품을 친구들과 함께 감상한다.•완성 작품이 생태 환경과어떻게 관련성을 갖고 조화를 이루는지, 재료의 사용과 기법

은 적절하고 다양한지에 대하여 발표하고 토론한다.연계활동 학교와 마을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미술 활동에는어떤 것이 있을지 토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평가

자료조사 주제표현 표현능력 발표력

멸종 위기의 생물과 서식 환경에 대한 조사가 충실하게이루어졌는가?

주제의 설정이 적합하고 특징을 살려 표현하였는가?

주제에 적합한 표현 방법과재료를 선택하여 효과적으로나타내었는가?

탐구 내용과 작품의 제작 의도에 대한 발표가 설득력 있는가?

생태환경의아름다움pp. 8~9

1. 자연환경과조형

Page 18: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471. 자연환경과 조형

●우포습지(경상남도 창녕)-우포 습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늪으로 온갖 풀, 나무, 곤충, 물고기, 새들이 서식하고 있는‘생태박물관’이라고할수있다. 우포습지는1997년 7월26일 생태계보전 지역 중‘생태계 특별보호 구역(환경부고시 1997-66호)’으로 지정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1998년 3월 2일‘람사르 협약보존 습지’로 지정되었다. 끝이보이지않을 정도로 광활한 늪지에는 부들, 창포, 갈대, 줄, 올방개,붕어마름, 벗풀, 가시연꽃등이 무더기로 자라고 있다. 늪에반쯤 밑동을담그고 있는 나무들이 원시림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바닥에서(유채/191×232 cm/1998년 작) 조광현(1959~/한국)-아름다운자연 경관을 화폭에담는 풍경화와는달리소홀히 다루기 쉬운생태계의 모습을 치밀한 관찰로 표현한극사실적 경향의 작품이다. 숲 속의 비옥한 토양과 풀포기,그리고 작은 생명체의 모습을 진지하게 관찰함으로써 순환하는생명의가치를표현하고자하였다.●타오르는불꽃(철근, 천, 염료/각높이300~340 cm 150 개설치/서울특별시 마포구 하늘 공원/2002년 작) 최운영(1954~/한국)-이 작품이 설치된 난지도 하늘 공원은 서울에서 발생하는 온갖 쓰레기를 버렸던 매립장이었다. 20년

가까이 매립된 쓰레기로 아름다운 자연환경이었던 난지도에거대한두개의쓰레기산이만들어졌다. 이두개의쓰레기 산이 현재 하늘 공원과 노을 공원이다. 서울특별시는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이 매립장에 흙을 덮고 풀과 나무를 심어생태 환경을 되살렸다. 이러한 자연 복원을 기념하며 열린 전시회에 출품된 이 작품은 새로운 생명들이 지속적으로 돋아나기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담아 설치되었다.150여 개나 되는 붉은색의 조형물은 하늘 공원의 자연과 조화를이루며아름다운경관을연출한다.● 꿈꾸는 달팽이(합성수지/270×155×200 cm, 175×65×84 cm/2007~2008년 작) 이규민(1957~/한국)-작은 달팽이의 형상을 크게 확대하여 자연에 설치한입체 작품이다. 작은 생명체를 크게 확대함으로써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극대화하여 보여 준다. 대자연과의 교감과 조화를 강조하기 위하여 달팽이 조형물의 표면에 구름을 그려 넣었다. 화랑에전시되는 일반적인 조소작품과는달리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작품의주요요소로포함한설치미술작품이다.● 숲으로 향한 문(자연목, 유채/23×120×210 cm/2000년작) 김보중(1953~/한국)-자연목으로 집 모양의 뼈대를 세우고캔버스천을씌운뒤그위에숲속풍경을그리고일부분을 오려내어 그 속을 들여다보도록 하였다. 일종의 설치미술로 조소와 회화 양식의 경계를 허문 작품이다. 입체적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아름답고 소중한 자연환경이 점

차 훼손되고 있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모든 생명체들은

생존을위해서로연결되어있기때문에자연환경이훼손

되면인간을포함한지구의모든생명체들도더불어살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도 자연과의

공존이무엇보다중요한가치임을깨달아야한다.

또한자연과모든생명체들이아름다운것은생존을위

해저마다다른모양과특징을가지면서서로조화를이루

고있기때문이다.

생태환경의소중함을깨닫고, 그 다양한아름다움에서

조화를이루는방법을생각해보자.

생태환경의아름다움생태환경의소중함을알고, 자연과조화를이룰수있는방법을탐구한다.

자연환경과조형1

타오르는불꽃(철근, 천, 염료/각 높이 300~340 cm 150개 설치/서울특별시 마포구 하늘 공원/2002년 작) 최운영(1954~/한국)—난지도가 쓰레기매립장에서생태 공원으로 조성된 후, 새로운생명이 돋아나기를 기원하는 희망의 메시지를담아설치한작품이다.

바닥에서(유채/191×232 cm/1998년 작) 조광현(1959~/한국)—치밀한 관찰로작은생명체의움직임을표현한작품이다.

우포습지(경상남도창녕)—습지는다양한생명체들이공생하고있으며, 이를통해생태환경의소중함을배울수있다.

8

1. 꿈꾸는 달팽이(합성수지/270×155×200 cm, 175×65×84 cm/2007~2008년 작) 이규민(1957~/한국)—작은달팽이의 모습을 크게 확대하고 표면에 하늘과 구름을 그려 넣음으로써, 자연과 조화를이루며살아가는생명체의아름다움과소중함을일깨워주는설치작품이다.2. 숲으로향한문(자연목, 유채/23×120×210 cm/2000년 작) 김보중(1953~/한국)—자연을 인간이 사

는집으로상징화하여표현한설치작품이다.

다음의작품은우리주변에버려진일상용기들을재활용하여멸종해가는

도롱뇽을 표현한 것으로, 생태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준다. 멸종 위기의 생

물들을 조사해 보고,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그 서식 환경에 어울리는 작품을

만들어보자.

•제작과정

1. 멸종위기의생물들을조사한다.

2. 조사한생물중하나를선택하여, 그생물이서식하는환경에대하여조사한다.

3. 재활용품을이용하여생태서식환경에어울리도록입체작품을제작한다.

표현활동표현활동

도롱뇽은 살아 있다(빈 캔/23×26×7cm) 안정빈외2명(학생공동작품)

9

한여름의눈덩이(가변 설치/1999~2000년 작) 골즈워디(Goldsworthy, Andy/1956~/영국)—추운산악 지역에서 만든 눈덩이를도시의거리에옮겨설치함으로써환경오염으로인한기후변화에대하여경각심을주는작품이다.

연계활동 학교와마을의자연환경을조사하고, 생태환경을개선하기위한미술활동에는어떤것이있을지토론할수있다.

12

교과서예시자료해설

Page 19: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2. 조사한 생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에 대하여 조사한다.

3.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생태 서식 환경에 어울리도록 입

체 작품을 제작한다.

남생이의서식환경

거북목 남생이과의 파충류이며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 등지의 물과 육지에 걸쳐 생활하는 담수성거북이다.

남생이(나뭇가지, 철사, 빨대/길이 35 cm) 오은진(학생 작품)-나뭇가지와철사, 음료수빨대등을이용하여남생이의모습을만들었다.

48 각론

구조로 인하여 표면에 그려진 숲 속 풍경이 실제 공간이라는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자연을 인간이 사는 집으로 상징화하여생태환경에대한경각심을불러일으킨다.● 한여름의 눈덩이(가변 설치/1999~2000년 작) 골즈워디(Goldsworthy, Andy/1956~/영국)-골즈워디는 영국의 자연미술 작가이다. 자연 미술은 자연이 주제이자 그 자체로 작품이 되며, 인간이 주체가 되는 종래의 예술과는달리 자연의 순환 과정에서 아름다움과 가치를 찾는 미술 양식이다.이 프로젝트는 추운 지방에서 눈덩이를 만든 후 냉동차에실어도심의 거리에 설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눈덩이가녹는 과정에서 지나가는 관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눈덩이가녹으면서 눈과 함께 응고되었던 나뭇가지나 나뭇잎등이 남게되는전과정이작품에포함된다.●도롱뇽은살아있다(빈 캔/23×26×7 cm) 안정빈 외 2명(학생 공동 작품) -초록색빈 캔과 페트병을 오리고 붙여 도롱뇽의 형태를 만든 후 계곡에 설치한 작품이다. 멸종 위기에 처한 도롱뇽과 그 서식 환경에 설치함으로써 생태 환경에대한경각심을일깨워준다.

예시답안

학교와 마을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미술활동에는어떤것이있을지토론할수있다.

연계활동

조사 보고서

제목: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미술 활동

불광천의 생태 환경을 조사하였다. 아주 깨끗한 편은 아니

지만 물고기와 개구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부전나비,

자주개자리 등이 살고 있다. 작가들이 새로 정비된 징검다

리와 계단에 이곳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의 모습을 담은 장

식화를 그렸다. 평소 무심히 지나치기 쉬운 개천의 생태 환

경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켜 주는 훌륭한 미술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1학년 4반 김길선

초충도계단(색타일/서울특별시불광천)

예시답안

다음의작품은우리주변에버려진일상용기들을재활용하여멸종해가는

도롱뇽을 표현한 것으로, 생태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워 준다. 멸종 위기의 생

물들을 조사해 보고,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그 서식 환경에 어울리는 작품을

만들어보자.

•제작과정

1. 멸종위기의생물들을조사한다.

2. 조사한생물중하나를선택하여, 그생물이서식하는환경에대하여조사한다.

3. 재활용품을이용하여생태서식환경에어울리도록입체작품을제작한다.

도롱뇽은 살아 있다(빈 캔/23×26×7cm) 안정빈외2명(학생공동작품)

연계활동 학교와마을의자연환경을조사하고, 생태환경을개선하기위한미술활동에는어떤것이있을지토론할수있다.

표현활동표현활동

조사 보고서

제목: 재활용으로 생태 환경에 어울리는 입체물 제작하기

1. 멸종 위기의 생물들을 조사한다.

1학년 3반 조형숙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곤충류

붉은 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산양, 하늘다람쥐 등

노랑부리백로, 황새, 흑고니, 검독수리, 매, 두루미, 크낙새, 쇠가마우지, 큰고니, 솔개, 조롱이, 말똥가리, 뜸부기, 수리부엉이, 올빼미등

구렁이, 맹꽁이, 금개구리, 남생이, 까치살모사 등

꼬치동자개, 묵납자루, 눙사리, 다묵장어,꺽저기 등

장수하늘소, 수염풍뎅이, 물장군, 꼬마잠자리, 상제나비, 소똥구리, 울도하늘소등

Page 20: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조사 보고서

제목: 생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미술 활동

청주의 중앙 공원은 노인을 비롯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휴식 공간이다. 도시의 가운데 있는 공원이지만, 각종 새들

과 벌레들도 많이 모여든다. 새들과 벌레들은 도시 사람들

의 정서는 물론 생태 환경에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런데 정

작 공원에는 새들이 먹을 물이 없다. 공원의 음수대에 물

길을 내어 새들에게도 휴식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작업도 훌륭한 미술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1학년 5반 주요한

공원의음수대(충청북도청주중앙공원)

491. 자연환경과 조형

환경미술·자연미술·생태미술

환경 미술, 자연 미술, 생태 미술 등 세 미술의 경향은 엄격히구분할수없으나, 서로연관성을가지면서동시에다소의차이를보인다. 환경미술(environment art)은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자연과인공적환경을포괄하며관계하는미술이다. 자연미술과생태미술에비교하면대체로인간을중심에두는조형미가강조된다. 여기에는넓게대지미술이나환경조형물, 그리고환경디자인까지도포함된다. 자연미술(nature art)은인위적조형성이상당부분배제하며자연의변화과정을미술작품에도입하고자한다. 골즈워디(Goldsworthy, Andy/1956~/영국)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생태 미술(ecological art)은 자연 미술과 유사하나 생명체들의 유기적 존재 방식을심도 있게 탐구하고 표현하는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생명에 대한 윤리적 태도까지도 미술 활동에 포함시키고자한다. 이 미술의 공통적 경향은 심각한 지구 환경 문제로부터 발생하였으며, 주관적이고 독자적인 종래의 미술의 경향으로부터 벗어나 자연과 생태계의 가치를 작품에 도입하고그방법을확장시키려는의도에서출발하였다는것이다.

생태학

생태학(ecology)이라는 말은 1866년 헤켈(Haeckel, Ernst

참고사항및관련자료

Heinrich Philipp August/1834~1919/독일)이 한 생명체가 주변 환경과 다른 생명체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탐구하기위해 이 개념을 처음 쓰면서 시작되었다. 지구상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체계는 크게 나누어 생물체와 비생물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 다시말하면, 생물체와 생물체 사이나 생물체와 비생물체 사이에는 에너지 흐름을 통해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러한관련성으로 서로 얽혀져 있는 집단 체계가 바로 생태계이다. 이러한 생태계의 구조와 원리에 관한 연구 분야가 바로생태학이다.

골즈워디

골즈워디(Goldsworhy, Andy/1956~/영국)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조각가이자 사진작가로 눈, 얼음, 나뭇가지, 돌 등의 자연 재료를 이용하여 작품을 만들고 사진으로 기록하는 작업을하고있다. 대지미술가인크리스토(Christo, Javacheff/1935~/불가리아→미국)와 다른 점은 자연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사라지는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작품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는 미리 계획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과 호흡하는 가운데아이디어를 얻는다. 따라서 그의 작품은 기후나 계절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그의 작업실은 제한된 공간이아닌 자연 그 자체이다. 그는 나뭇잎, 나뭇가지, 꽃잎, 솔방울, 모래, 눈, 고드름 같은 가공되지 않은 것들을소재로 활용하여 현장에서 작품을 만든다. 작품이 완성된 후 서서히소멸되어 가는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한다. 그는 작품이 만들어지는과정과사라지는과정도자연의원리라고말한다.

람사르협약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은 습지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이용에관한국제조약이다. 1971년 2월 2일, 이란의람사르에서 18 개국이 모여 체결하였으며, 1975년 12월 21일부터 발효되었다. 람사르 협약은 습지를 생물 다양성 보전과 인간 생활에 매우 중요한 생태계로 인지하여 습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권장해 왔으며국경을 넘어서는 접경 습지나 철새 이동 경로 상 국가 간의습지 보전 활동의 협력을 촉구해 왔다. 2008년 158 개국이이 협약에 가입해 지구촌 1,755곳의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등록되어국제적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협약 가입국은최소 1곳의 습지를 의무적으로 등록해야 한다. 우리나라는1997년 람사르 협약에 가입한 이후 용늪(대암산), 우포늪(창녕), 장도 습지(신안), 보성 벌교 갯벌(순천), 물영아리 오름(제주), 두웅 습지(태안), 무제치 늪(울주), 무안 갯벌(전남)등 8곳의습지가등록되었다.

Page 21: 자연환경과조형 시각문화환경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미술(조익환)/1-0/지학_미술_고_조...1. 자연환경과조형 35 1. 단원설정이유

단원평가문항 평가내용┃쪽수A 행동영역B 난이도C 정답D

보기의빈칸에들어갈단어가차례대로묶인것은?

①미술, 디자인 ②디자인, 시각예술③조형원리, 조형요소 ④시각예술, 조형예술⑤조형요소, 조형원리

01조형요소와원리|4쪽A 지식B 하C ⑤D

보기에서설명하는조형원리는?

①율동 ②비례 ③균형④대비 ⑤대칭

02조형원리|5쪽A 적용B 중C ①D

다음은우리나라서원건축의대표적인예로꼽히는병

산서원에대한설명으로가장알맞은것은?

①자연의돌이건물실내까지뻗어들어와있다.②건물의기둥에배흘림기둥의특징이잘나타나있다.③고려때지어진이후현재까지수리한적이없어연

대기적가치가매우높다.④건축비용보다엄청나게많은수리비용이발생되면

서복구여부에논란이있었다.⑤건물과 건물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통하여 자연

경관을 적극적으로 담아내며, 건물과 자연, 인간과자연의관계를유기적으로맺어주고있다.

04병산서원|6쪽A 이해B 중C ⑤D

다음사진은골즈워디의‘한여름의눈덩이’의제작과

정이다. 이작품에대한설명으로바른것은?

①눈덩이를 만들어 도시의 거리에 옮겨 직접 조각을한눈조각이다.

②일반인들이 함께 참여하여 눈덩이로 조형물을 만든행위미술이다.

③눈으로 거대한 설치 조형물을 만들기 위한 힘든 제작과정을보여주는기록사진이다.

④눈덩이가 기후 변화에 따라 점차 녹는 과정을보여주는작품으로자연미술에속한다.

⑤눈으로만든조형물이온도가높은지역에서도녹지않고오래설치되기위한과학적실험과정이다.

05자연미술|9쪽A 이해B 상C ④D

50 각론

자연미에대한설명으로틀린것은?

①조형물의발상은반드시자연미에서비롯된다.②시간과계절에따라다양한모습으로변화한다.③자연이지니고있는그자체의아름다움을말한다.④동식물의 형태, 계절에 따른색의 변화, 자연 대상의질서와변화등이요소가된다.

⑤자연이 아름다운것은 그질서 안에 조형 요소와 원리가조화를이루기때문이다.

03자연미|4쪽A 이해B 하C ①D

보기

는(은) 아름다움을 만들고 느끼게 하는기본적인 요인이 되는 것으로 선, 형, 색, 명암, 양감, 질감 등이 있으며, 는(은) 이러한 것들이서로작용하여유기적인관계를이루게하는것으로서변화, 통일, 균형, 율동, 동세, 비례, 강조,점이, 반복등이있다.

(나)

(가)

보기

계단식 다랑논에서 음률과 같은 움직임을 느낄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