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석 선 화 * · 권 미 량 **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를 살펴보고 변화된 육아의 모습을 비 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가진 모세대와 그들의 어머니인 조모세대 총 쌍을 개별 면담하였다 조모세대는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교육적 지원 을 하고자 하였고 배우는 육아 와 아이를 떠받드는 육아로 변화하는 과정을 겪었으며 부계 남성중심의 문화 속에서 자녀 를 엄하게 부족하게 그러나 남에게 폐 끼치지 않도록 가르쳤다 모세대의 육아모습은 여전히 전통적 모성의 책임감을 짊어진 채 육아에 대한 주변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나 약함을 인정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보여 주었다 이 두 세대의 육아의 모습은 자연스러웠던 육아가 익숙하지 않아 어려운 육아로 마음으로 키우는 육아에서 경제력으로 키우는 육아로 편의 도움을 요구하지 않았던 육아에서 남편의 도움이 필요한 육아로 이웃 공동체와 함께했던 육아에서 어려움을 풀어갈 조력자를 폭 넓게 선택하는 육아로 변화되어 왔다 주제어 조모세대 모세대 육아 육아 모습의 변화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2호 , 123 - 150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석 선 화* · 권 미 량**

요 약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해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를 살펴보고 변화된 육아의 모습을 비

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기 자녀를 가진 모세대와 그들의 어머니인 조모세대 총 7쌍을

개별 면담하였다. 조모세대는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교육적 지원’을 하고자 하였고 ‘배우는

육아’와 ‘아이를 떠받드는’ 육아로 변화하는 과정을 겪었으며 부계 남성중심의 문화 속에서 자녀

를 ‘엄하게, 부족하게, 그러나 남에게 폐 끼치지 않도록’ 가르쳤다. 모세대의 육아모습은 여전히

전통적 모성의 책임감을 짊어진 채, 육아에 대한 주변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자신들의 나

약함을 인정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보여 주었다. 이 두 세대의 육아의 모습은 자연스러웠던

육아가 익숙하지 않아 어려운 육아로, 마음으로 키우는 육아에서 경제력으로 키우는 육아로, 남

편의 도움을 요구하지 않았던 육아에서 남편의 도움이 필요한 육아로, 이웃 공동체와 함께했던

육아에서 어려움을 풀어갈 조력자를 폭 넓게 선택하는 육아로 변화되어 왔다.

주제어 조모세대(grandmother generation)

모세대(young mother generation)

육아(parenting)

육아 모습의 변화(changes in parenting)

※ 논문접수 : 2016. 04. 30 / 수정본 접수 : 2016. 06. 06 / 게재승인 : 2016. 06. 13* 고신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Ⅰ. 서 론

전통적으로 가족의 주된 기능은 자녀를 출산하여 세대를 잇고, 그들의 자녀를 사회화시켜

궁극적으로 문화와 인류를 존속시키는 것이었으며 전통사회에서는 이러한 자녀 출산과 자녀

의 사회화라는 가족 기능이 당연한 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대에는 부부가 결혼을 할 것

인지와 결혼을 하더라도 부모가 될 것인지를 자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한용진, 최

정희, 2011) 이는 사회적 변화는 저출산 현상이 당분간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엄동

욱, 2009; 정성호, 2010)을 가져오게 되었다.

결혼과 출산 문화의 변화는 육아 현상 또한 변화시키고 있다. 경제적 환경이 과거에 비해

풍족해지고 돌보아야 할 자녀 수가 줄어들고 있는 현실 속에서도 육아에 대한 어려움과 갈등

은 오히려 심화되고 이것이 사회문제로 이어지면서 육아는 현대사회가 풀어야 할 난제로 자

리잡고 있다(권경숙, 2008; 김낙흥, 2011; 김은주, 서영희, 2012; 이옥임, 2011; 이정순, 무토타

카시, 2001;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통계청에 따르면 출산율은 1981년 합계출산율 2.57에서 2015년 1.24(잠정치)로 급감하였다

(통계청, 2016). 이러한 초저출산의 원인을 살펴보고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들은 대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2010; 이복순, 정윤태, 이훈희, 2010;

정상천, 2014; 정성호, 2009; 조명덕, 2010). 하지만 저출산의 원인과 해결책이 단순히 경제적

인 차원의 문제라기보다 보다 복잡한 여러 요소가 얽혀져 있으므로(이민아, 2013) 이를 사회

문화와 가치관, 기업과 사회적 측면, 여성학적 측면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는 연구(백수

진, 2009; 손영수, 2006; 신경아, 2010; 차진아, 2013) 역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연구들 중 저출산의 원인을 자녀양육과 교육의 어려움으로 꼽는 연구들(박휴

용, 2014; 엄동욱, 2009; 이삼식, 정경희, 2010; 장승희, 2014; 정성호, 2010)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 역시 자녀 양육과 교육의 어려움의 원인이 경제적 요인이라는 관점

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과 모세대의 어려움, 현대의 육아 문화의 문제

점, 그리고 모세대가 원하는 지원에 관한 심도 있는 목소리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조모세대가 자녀를 키워온 육아 환경과 문화는 현재와는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시대를 거

슬러 올라가 조모세대가 경험했던 전통적인 육아의 모습을 조선시대 회화에서 찾은 김은주

(2015)의 연구에서는 전통육아의 특징이 가족이 함께 아이를 끼고 키우는 것, 마을공동체 속

에서 아이가 자연스럽게 자라는 것, 아이는 어깨너머로 교육을 통해 배우는 것, 아이는 놀면

Page 3: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25

서 자라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모세대는 이러한 전통육아 방법에 대해 ‘조화로움을 통한 관계

지향적 육아’, ‘한국 고유의 전승 가치를 담은 원형적 육아’, ‘생명을 존중하는 실천 중심적 육

아’로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현대적 변형이 필요한 애착육아’라고 받아들이고 있다(김

은주, 이영경, 연희정, 2014). 즉 모세대는 전통 육아가 가지는 함의에 대해 동의하면서도 사

회적 변화에 따라 육아의 모습 역시 변화되어야만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시대에 따라 변화되는 육아 모습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 이후 시

대에 따른 모세대의 역할에 관한 변화는 식민지 시대의 근대 대중 여성종합잡지인 「신여

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신여성」에 나타난 모성과 육아법은 여전히 현모양처주의의 전

통적 여성관을 전승하고 있었으나 서구에서 유입된 ‘과학’과 ‘의학’이 새로운 육아 방법의 지

표로 등장하게 되면서 임신과 출산과 과정에 대한 지식의 습득, 질병의 예방, 학부모로서의

교육의 역할 수행이라는 새로운 어머니 노릇의 ‘표준’을 제시하였다(전미경, 2005). 근대 이전

전통육아라고 말할 수 있는 육아의 모습들은 서구 문물의 도입에 의해 보다 과학적이고 전문

적인 영역의 도움을 참조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1920년~1930년대의 이러한 새로운 어

머니 역할의 등장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인 1950년~1960년대에 태어난 현재의 조모세대

에게도 전승되었다. 조모세대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향상되고 부계 중심의 가부장적 가족체

계가 약화되는 변화 속에서 아이들의 교육에 주력하며 목소리를 높여가는 어머니로서의 역

할이 강화되던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여전히 자신의 주체적인 삶보다는 전통적인 성역할을

수행하는 삶에 머물러 있었다(이효선, 2009). 서구 문물의 도입과 표준적인 육아의 지표 등장

에도 불구하고 육아를 담당하는 어머니들의 역할 자체는 큰 변화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현 모세대의 육아 모습 속에 육아 환경, 임신과 출산의 풍속, 아이와 관련된 가정의례 등에

서 삼칠일 금기, 돌잔치 의식과 같은 일부는 조모세대로부터 모세대로 전승되어 이어져 오고

있으나(민하영, 유안진, 2003; 유안진, 민하영, 2000) 모세대는 조모세대에 비해 절반 정도의

실천율을 보여주고 있었다(한승희, 권인수, 이수연, 2006). 이는 우리나라 전통의 육아방식은

세대 간 전이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나머지 일부는 변화 혹은 사라지는 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또한 양육 태도와 관련하여 조모세대가 건강과 인성, 지적인 학습을 중시했다면 모

세대는 과거 자녀와의 상호작용, 애정의 표현, 관심과 놀이에 소원했던 조모세대의 모습(장혜

자, 2003)을 반성적으로 받아들여 모세대 스스로는 자녀에게 보다 애정적인 모습으로 상호작

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조모세대는 모세대에게 세대 간의 고리 역할을 통해 양육기대 및

양육관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모세대는 조모세대가 보여준 전통 육아의 답습은 원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육아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모습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재의 육아환경은

Page 4: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조모세대의 그것보다 다양한 면에서 개선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현 부세대는 양육을 공유한

다는 인식을 가지고 과거보다는 가사나 육아에 더 많이 참여하여 어머니의 양육을 돕고 있다

(김정환, 2012). 또한 부모들에게 육아 정보 제공을 하는 매체들의 양적, 질적 증가나 병원,

교․보육기관의 확산, 적어진 자녀의 수 등을 미루어 볼 때 과거에 비해 육아의 환경은 풍요

로워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모세대보다 모세대가 육아의 어려움 및 스트레

스를 많이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과 원인에 대한 연구 역시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서울과 일본, 대만의 모세대의 자녀양육 의식을 비교문화적으로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다

른 나라의 도시에 비해 서울의 모세대가 자녀양육이 힘들다고 느끼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

났다(최순자, 마사시, 이광형, 2006). 육아 스트레스의 다양한 요인과 관련 변인에 대한 현 모

세대들에 대한 연구들(김미숙, 2005; 김춘희, 2003; 김희진, 2013; 백영숙, 2007; 이랑, 2003; 허

순금, 2007)과 과거 조모세대의 양육과 비교하여 변화된 양상을 보고자 하는 선행 연구들은

두 세대 간의 양육환경이나 양육태도의 변화(김윤희, 1980; 송민영, 2005; 이하정, 2005; 정영

숙, 장혜자, 김연화, 2005)와 양육태도의 세대 간 전이(이숙재, 1975; 이숙희, 고인숙, 심정선,

2009; 이진민, 2009)에 초점을 두었고, 육아의 어려움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민

성원, 2010; 최혜리, 2011)는 한 세대에 국한하여 연구하거나,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백영숙, 2007)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양적연구로 수량화된 수치의 변화만을 살펴본 것이어서 실제적인 육아에 대한 진솔한 이야

기는 드러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산율의 저하요인이 비단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모세대가 느끼는 육아의 어려움과 부담이 저출산과 직결된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으며, 육아

에 대한 두 세대 어머니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육아의 변화된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저

출산 시대를 살아가는 현 세대 어머니들의 육아의 모습을 파악하고 육아지원에 대한 그들의

요구를 도출하여, 이 결과를 통해 모세대의 육아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 출산율 제고의 또 다

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모세대가 경험한 육아의 모습은 어떠한가?

둘째, 모세대가 경험하고 있는 육아의 모습은 어떠한가?

셋째,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의 모습의 변화된 점은 무엇인가?

Page 5: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27

연구참여자 출생년도 연령 결혼연차 학력 직업 자녀

A 1982년 33 6년 대졸 은행원 1남 1녀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절차

1) 연구 참여자의 모집

본 연구에서는 두 세대의 육아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임의 표집방

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총 7쌍의 모녀(조모세대 7명, 모세대 7명)를 모집하기 위

하여 B시의 E유아교육기관의 협조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소개하는 가정통신문과 IRB(기관

생명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친 설명문을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유선통화로 참여 의사

가 있는 연구 참여자를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942년~1959년생의 조모세대와 1975~1982년생인 그들의 딸(모세대)로 쌍

으로 구성되었다. 모세대의 경우 현재 아이를 1명 이상 출산하여 유치원생 혹은 초등 저학년

의 자녀를 가진 자로 한정하였으며 조모세대와 모세대를 친모녀관계로 한정한 것은 친모녀

관계가 양육방식의 세대간 전이가 가장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들의 이야기 속에

서 드러나는 양육의 모습은 세대간 전이를 초월한 설명력을 가진 변화일 것이라고 판단되었

기 때문이다. 면담은 1회 이상 실시하되 연구 참여자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최대 3회 이내로

실시할 것임을 사전에 공지하였으나 실제로는 대부분 1차 면접으로 완료되었다.

<표 1> 조모세대 연구 참여자 기본정보

연구참여자 출생년도 연령 학력 육아기 직업 현재 직업 자녀

A 1959년 59 중졸 주부 주부 1남 1녀

B 1952년 63 대졸 주부 주부 2녀

C 1954년 61 고졸 주부 주부 2녀

D 1955년 62 고졸 주부 주부 1남 2녀

E 1952년 63 고졸 주부 자영업 1남 2녀

F 1952년 63 고졸 주부 주부 2남 1녀

G 1942년 73 신대중퇴 주부 주부 2남 1녀

<표 2> 모세대 연구 참여자 기본정보

Page 6: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B 1977년 38 9년 대졸 학원강사 2남 1녀

C 1981년 34 5년 대졸 주부 1남

D 1970년 36 9년 대졸 유치원 교사 3녀

E 1980년 35 2년 대졸 주부 1남

F 1981년 35 7년 대졸 주부 1남

G 1975년 41 4년 대학원졸 연구원 1남 1녀

2) 심층면접

심층면접은 IRB 승인 이후 2015년 7월 21일부터 2016년 1월 3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면접

을 진행하는 동안 조모세대에게는 과거의 자녀 양육의 경험을 회상하도록 하고, 모세대에게

는 현재의 양육에 대한 이야기를 진술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의

내용은 반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하여 피면접자의 동의하에 면접의 내용을 기록 및 녹음을 병

행하고 면접 후 전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면접 시 연구대상자의 권리

(불이익 없이 연구참여 철회, 중지의 보장, 참여가 철회되거나 중지된 경우 자료 및 정보에

대한 처리 등), 개인의 사생활 보호 및 비밀유지를 위하여 취해야할 단계(동의를 받는 과정),

보상(약 20,000원 상당의 생활용품을 답례품으로 준비)에 대한 사전 설명을 하였다. 특히 개

인적인 정보는 모두 가명으로 처리되어 연구의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여 전자기록물은 연구자 개인 컴퓨터에 저장하여 보관,

관리하고,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 종료 후 3년 동안 보관하여 그 이후에는 전자파일

의 경우 복원이 불가능한 방법으로 영구 삭제할 것이며, 그 외의 기록물, 인쇄물, 서면, 기록

매체는 파쇄 또는 소각할 것임을 미리 공지하였다.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육아’라는 체험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상학적 방법은 연구대상

의 생생한 경험 혹은 생활 세계를 고찰하려는 목적을 위하여 해석적․현상학적인 방법과 기

술적․현상학적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Hatch, 2013). Van Manen(Hatch, 2013, 재

인용)에 따르면 현상학은 사람이 어떻게 생생한 경험에 순응하는지를 기술하는 것이고, 해석

학은 사람들이 어떻게 삶의 텍스트들을 해석하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현상학에서는 그들이

경험한 것이 무엇인지, 그들이 그것을 어떻게 경험했는가를 포함(Moustakas, 1994)하기 때문

에 본 연구는 육아라는 현상에 대한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경험을 진술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과정은 Wertz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오영범, 이현철, 정상원, 2016, 재인용)를 따랐으

Page 7: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29

며 ①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의미 단위 파악하기 ②의미 단위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 병

합하기 ③각 의미 단위에 대해 성찰하며 기술하기 ④각 의미 단위에 대해 성찰하며 기술하기

⑤의미 단위에 대한 주제 기술하기 ⑥주제들 사이에 구조적 관계 파악하기의 순서로 이루어

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조모세대와 모세대가 경험한 육아의 모습이 무엇인지에 초점

을 두어 질문을 하고 전사되어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써 의미 단위를 파악하였

다. 개념화를 위하여 1차적으로 각 연구대상자의 질문 내용 및 면접자 진술의 내용이 전사된

데이터에 전체적 코딩(holistic coding)의 방법을 사용하여 하나의 문단 혹은 몇 개의 문단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맥락을 살피며 지속적으로 성찰하

고자 하였다. 전체적 코딩을 마친 후 범주화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의미 단위에 따라 분류,

병합하는 과정으로 패턴코딩(pattern coding)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 의미 단위의 공통점을 찾

고 상위 의미 즉,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질문하지 않았지만 우연히 진술된 주요

한 정보들을 역시 주제별로 분류, 기록하였다. 각 하위 의미를 포괄하는 상위 의미를 도출한

뒤에는 각 의미 단위에 대해 성찰하기 위하여 면담 참여자의 응답을 간략히 함께 정리하여

도표화함으로써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주제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 코딩 전략으로 초점 코딩(focus coding)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 주제들 중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범주를 연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결과를 진술하였다.

2. 자료수집

1) 연구자 배경

면접을 진행하는 책임연구자는 B시의 K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만

14년의 경력을 가진 유아교사이다. 학급은 맡고 있지 않으며 원장 대리의 역할을 하고 있는

부장교사이다. 또한 결혼 후 만 5세, 만 10세의 아들과 딸을 가진 모세대로서 일과 학업, 육아

를 병행하고 있다. 연구자는 재직하고 있는 E유아교육기관과 동료 교사의 협조로 연구자와

이미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학부모를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편안한 분위기에서

심층적으로 면접이 진행하고자 하였다.

2) 자료수집

면접은 반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과 방향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책임연구자가 시행하였으며, 면접을 시행하기에 앞서 사전 트레이닝을 통해 심층면접의 방법

Page 8: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을 숙지하였다. 구조화된 면접이 피면접자를 불편하게 만들뿐 아니라 깊이 있는 내용 또는

연구자가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연구자는 면담에

대한 큰 틀만을 지닌 채 대화와 질문으로 이끌어 나가는 비구조화된 면접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황해익, 2012). 따라서 연구자는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의 내용을 미리

정하여 면접에 임하되 자연스럽게 진술되는 내용도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면접 상황

에 따라 필요하다면 추가 질문과 피면접자가 질문한 내용 외에도 강조하는 내용을 수집한다

는 원칙을 정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학부모(모세대)에게 개별적으로 유선통화를 통하

여 다시 한번 연구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였고 학부모(모세대)는 자신의 친정 어머니(조모

세대)의 동의를 구한 뒤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세대는 대부분 주연구자와 부모교육, 오리엔테

이션, 학부모 상담 등으로 친숙해져 있었지만 조모세대는 일면식이 없는 상황이어서 모세대

와 조모세대를 가능한 같은 날에 함께 만나서 자연스러운 만남을 유도하였으나 심층면접은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면접 시작 전 자녀에 대한 이야기로 라포를 형성하여 진솔한 이야기

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 목록의 내용은 ①기본 정보 파악을 위한 출생년도, 자녀의 수 등은 어떠

한지 ②각 세대가 경험한 육아의 모습, 육아의 어려움, 극복 방법은 어떠한지 ③모세대가 바

라보는 조모세대의 육아는 어떠한지 ④조모세대가 바라보는 모세대의 육아의 모습은 어떠한

지에 대해 생각을 생각나는 대로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⑤면접 중 연구대상자의

진술로부터 파생된 부가적인 질문들(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등)로 구성

되었다. 면접의 순서는 총 7쌍의 모녀 중 무작위로 정하였으며, 면접의 횟수는 대부분 1회 면

접으로 자료 수집이 완료되었으며 기본 정보 등 필요한 부분은 전화통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의 장소는 피면접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조용한 공간이나 그들이 원하

는 곳으로 선정하였다.

Ⅲ. 조모세대의 육아 이야기

1. 경제적인 어려움은 있으나 ‘교육’은 꼭 해야지

조모세대가 육아를 하던 시대의 가장 큰 키워드는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육아 모습을 조

선일보의 신문기사를 통해 분석해본 연구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 참여한 조모세대가 자녀의

Page 9: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31

유아기 육아를 경험한 시기인 1970년∼1980년대는 4.19혁명과 5.16군사혁명이라는 시대적 상

징성을 가지는 ‘산업근대화기’에서, 정치적으로는 민주화와 세계화를 지향하고 경제적으로 산

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루었던 ‘정치민주화기’로 전환하는 과도기였다. 비약적인 경제적 발전에

도 불구하고 일반 서민들의 삶은 아직 경제적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애가 아프면 의료보험 카드가 없어서, 병원비가 비싸서 되게 많이 아파서 3일이나 아파도, 이틀

삼일 돼야 병원을 갔지 처음에 아파서는 병원에 못 다녔어.

조모세대 A(2015. 7. 21.)

큰 애한테는 이쁜 것만 이래하다가. 둘째를 낳으니까 그게 안되더라니까. 저거 오빠 것을 자꾸

받아 입는거야.

조모세대 F(2016. 1. 3.)

또한 부모에게는 자녀교육의 책임과 고민이 고조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였다(한용진, 최

정희, 2011). 조모세대는 한정된 경제적 여건 속에서 여러 명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첫째

아이나 남아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게 되어 동생들이나 여아에게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모습

에 대해서 이야기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도 ‘교육’에 대한 최소한의 지원

을 하여왔던 조모세대의 모습에서 우리나라 특유의 학습에 대한 기대가 드러났다.

달력을 찢어가지고 그 한 단어를 쫘악 적어주고는 하루에 한 장씩 쓰라 했단 말이야. (중략) 초

등학교 전에... 화장실에다가 달력을 찢어가지고 구구단을 딱 적었어. 화장실에 볼일 볼 때마다

보고 외우라고...(중략) 내가 집에서 부업을 좀 하면서 책은 많이 사줬어.

조모세대 A(2015. 7. 21.)

그래도 00이는 첫째니까 그래도 그나마 유치원, 유아원, 학원, 피아노 학원 이런 데 다 했는데...

학원에 그때 당시만 해도 많이 보냈거든. 주위에서. 내 애가 안가면 떨어진다는...

조모세대 F(2016. 1. 3.)

2. 전통육아에서 ‘배우는 육아’와 ‘아이를 떠받드는’ 육아로 변모하며

조모세대가 실행했던 육아 방식은 전승되어 온 전통적인 육아방식과 새로운 양육모습이

혼재되어 있었다. 조모세대는 자녀를 키우는 방법에 대해 형식적인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조모세대의 어머니, 이웃, 웃어른들에게 어깨 너머로 배운 전통 육아방식을 주로 수행하였다.

열이 나면 옷을 벗겨야 된다, 물수건을 얹어야 한다는 건 그래도 어른들이, 그때 할머니, 엄마나

친척 할머니나... 그렇게 얘기해줬어요

조모세대 D(2015. 10. 10.)

Page 10: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이모님하고 시숙모님하고 한집에 같이 있었거든요. 어른들이 있으니까 어른들 하는 거 보고 나

도 애 키우고 이래 하는 거지. 나는 어리니까.

조모세대 E(2015. 11. 28.)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들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통적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그들은 자녀교육을 위해 ‘부모도 적극적으로 배워야한다’

또는 ‘육아에는 정보가 필요하다’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 당시 엄마들 정보가 참 중요하다 생각을 했어.(중략) 내가 몰랐던 정보를 엄마들 통해서 안

다는 거 그거 참 중요하다고 생각해.

조모세대 B(2015. 8. 4.)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없었어요... 그 때 당시는... 필독 독서 그런 거는 있지. 애들 키우는 그거

는 많이 봤지.

조모세대 F(2016. 1. 3.)

또한 당시는 자녀를 강하게 키우고자 했던 전통육아의 모습에서 벗어나 ‘과보호’가 시작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산업화와 함께 높아진 범죄율과 불안한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

하기도 하였지만 ‘유아 중심’의 자녀교육관이 확산된 시기와 맞물려 있었기 때문이라고 분석

된다.

부모들이 너무 이렇게, 뭐라 할까? 잘, 이렇게 안 시키고 혼자 할 수도 있는데도, 안 해도 될 일

을 이렇게 해준다든지 (중략) 엄마들이 너무 약하게 키웠다고 할까? (중략) 뭐, 공부 때문에 그

러지 뭐. 공부해라. 일찍 들어 온나... 여자애니까 그런 게 걱정이 되서...

조모세대 C(2015. 10. 8.)

무조건 가둬놓고 키웠죠. 내 눈에 안보이면 불안한 거 있죠. (중략) 애를 유치원에 보낼 때도 한

번도 내가 안 데려다준 일이 없었고.

조모세대 F(2015. 12. 11.)

조모세대는 전통적인 육아 방식을 전수 받았고 그러한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자녀를 길

렀으나 변화된 사회상 속에서 ‘교육’과 ‘공부’에 대한 기대와 열의, 자녀를 ‘떠받드는’ 형태의

양육 모습도 함께 보여주고 있었다. 한용진과 최정희(2011)는 이미 1920년대 식민지 시대부

터 자녀의 학교교육, 가정교육, 그리고 이를 위한 부모역할에 대한 주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

어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이미 고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풍조는 조모세대에까지 이

어져 1970년대 이후에는 오히려 자녀의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교육관과 지나친 교육

열의 비정상적인 사례들을 비판하는 모습들까지 나타났음을 보고한 바 있다. 즉 조모세대는

Page 11: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33

전통적인 육아의 방식을 고수한 세대가 아니라 현 모세대의 양육특성의 배경이 되는 ‘과보호’

와 ‘교육열’의 현상이 드러나기 시작한 세대인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들(민하영, 유안진,

2003;, 유안진, 민하영, 2000; 한승희, 권인수, 이수연, 2006)의 ‘조모세대의 육아=전통육아’라는

명제는 조모세대가 전통세대와 같은 양육방식을 사용한다고 규정짓는 오류를 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 부계 남성 중심의 문화 속에서

조모세대는 아들을 낳아야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모세대 스스로 대를 이어줄

아들을 선호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집안의 경제적 중추 역할을 하는 아버지의 가부장적인 태

도 및 아버지가 육아에 동참하지 않는 것에 대해 암묵적인 동의를 하고 있었다.

그렇지. 아들 아들 했지. 내 장남이고...스트레스 있었어. (중략) 나는 그 당시는 아들 낳을라고

애를 많이 썼어.(중략) 남편이 오면은 인제 밤에 잘 적에 혹시나 애들 깨가지고 그럴까봐. 아침

에 또 일찍 일어나가지고 직장 생활해야 되는데 그게 지장이 갈까 싶어가지고.

조모세대 B(2015. 8. 4.)

전통적으로 이어져온 부계 남성 중심의 문화는 조모세대 스스로를 아들을 낳아서 대를 이

어야할 책임을 짊어지는 것과 남편과 시댁 가족에 대한 헌신을 당연시 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러한 부계 남성 중심의 문화는 조모세대의 일상 속에는 육아가 가장 큰 화두가 될 수 없는

현실을 만들어냈다. 조모세대가 돌보아야 되는 대상은 그들을 둘러싼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

에는 자녀들뿐만 아니라 남편을 중심으로 한 시댁 식구도 포함되었다.

우리는 그때는 부모 형제간 생각하고 나는 굶어도 시어머니한테는 해주고, 집안 어려울 때는 해

주고 그랬는데... 그때는 장남이 무슨 죄가 많은 지. 시누 시동생들 다 데리고 살았어. 부모 대신

으로.. (중략) 이제... 없는 살림에 식구가 또 있다는 거... 그거 힘들었고.

조모세대 A(2015. 7. 21.)

4. 엄하게, 부족하게 그러나 남에게 폐 끼치지 않도록 아이를 키우며

조모세대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자녀 양육의 방침은 다소 엄하게, 때로는 부족한대로,

그렇지만 남에게 폐 끼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조모세대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자녀

키우기가 수월했던 것은 자녀에게만 집중하여 많은 것을 해주려고 과도하게 애를 쓰지 않았

고 ‘부족함’ 속에서 키우는 육아가 ‘불편함’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Page 12: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우리는 그냥 막 키웠기 때문에 그리 어려운 줄 모르고 막 키웠는데...(중략) 아이는 조금 모자란

듯이 키워야 되는데... 어느 날 유치원에서 머리핀을 하나 들고 왔어. 주웠대요. 기어코 고 자리

갖다 놔라, 우리 것이 아니니까 (중략) 내 것 아니면 절대 하지마라. 나는 그렇게 키웠는데....(중

략) 여기는 사람이 많이 있으니까 ‘조용히 해’, ‘앉아’ 이런 식으로 키우지.

조모세대 E(2015. 11. 28.)

그저 되는대로, 겨울에 고구마 생기면 먹고, 여름에는 감자 삶아 먹고, 조금 그거 할 때는 흰죽

도 끓이고...(중략) 남 입던 옷을 많이 얻어 입었어요. 옷 사입히고 이런 거는 별로 힘들지 않았

지. (중략) 그래도 교육적으로 좀 잘 키우려고 노력은 했지. 남한테 폐 끼치면서 그래하진 않았

으니까. (중략) 때릴 땐 때려야 한다는 말씀이 있다. 그 말씀이 정말 ‘정답이다’ 그랬다. 맞으면

아프니까.(웃음)

조모세대 G(2016. 1. 3.)

조모세대의 육아 모습은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편안하게 자녀를 키우면서도 주변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교육하기 위해 엄격하고 통제적인 모습이었다. 다른 사람의 집에서 물건을 함

부로 만지지 못하게 하고 자신의 물건이 아닌 것은 탐하지 않게 하며, 간혹 사랑의 회초리를

들었던 조모세대의 모습은 모세대가 자라는 동안의 지배적인 육아 원칙이었다.

Ⅳ. 모세대의 육아 이야기

1. 주변의 도움을 기대하며

육아의 실제를 들여다보면 아이를 낳고 기르는 1차적인 책임은 ‘어머니’에게 전가될 수밖

에 없기 때문에 모세대는 수면부족과 아이 돌보며 식사하기 등의 신체적 어려움을 겪었고 특

히 온전히 어머니의 몫인 모유 수유하기에 힘들어하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모세

대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러한 신체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친정어머니, 남편으로부

터 크고 작은 도움을 받고 있으면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온전히 아이를 돌보는 시간을 견

뎌내는 것 자체에 대해 어려움과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었다.

(가장 힘들 때는) 일단 항상 주변에, 신랑이나 뭐, 부모님이나, 시부모님이나, 주변에 계시다가

혼자서 애기를 봐야할 때? (중략) 신생아때는 되게 우울증이 오더라구요. 맨날 같이 먹다가 혼

자서 밥을 먹어야 되고, 그 다음에 내가 밥을 먹어야 되는데 애기는 자지도 않고 먹지도 않고

계속 울면서 나의 밥을 못 먹게 할 때..

모세대 A(2015. 7. 21.)

Page 13: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35

또한 모세대는 넘쳐나는 육아 정보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육아 방법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고 그에 대한 혼란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 또한 초보 엄마로서 아이를 양육함

에 있어서 무능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저런 건 내가 어떻게 내가 해줘야 되지? ‘00아 괜찮아’ 달래기도 하는데 그런 일이 있을 때마다

계속 울더라구요. 무턱대고 한번 우는데 울음을 그치지 않고 30분씩.. 땀 뻘뻘 흘리면서 울면..

얘가 왜 이러지? 왜 울음을 안 그치지? 아직 아기들의 마음에서 잘 모르는 부분이..

모세대 A(2015. 7. 21.)

모세대는 자신이 알고 있는 육아의 지식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로 육아를 행함에 있어서 생겨나는 시행착오를 자신의 문제로 혼동하고 있으며 그들의 경험

부족에서 오는 육아 당시의 어려움을 ‘무능력’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유아의 전

반적인 일상생활은 대체적으로 어머니의 도움과 관리 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김현정, 2003),

과거와 달리 아이가 스스로 크는 육아가 아니라 ‘어머니가 키우는’ 자녀양육으로 변화(이하

정, 2005)하여 왔기 때문에 모세대의 육아 현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체계가 매우 필요함

을 알 수 있다.

또한 취업모의 증가는 육아를 대신하여 줄 대리 양육자나 보육기관의 도움 없이는 일과 가

정을 병행할 수 없는 현상을 가져왔다. 우리나라 취업모의 육아 현실은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를 위한 파트타임 근무 등의 여건이 전혀 뒷받침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는 저출산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첫째 자녀에 대한 출산보다 둘째 출산이 저출산 극복의 주요 대안이

될 것으로 보는 연구(마미정, 2008)에서 역시 대체양육의 지원 및 다양성이 둘째 자녀 출산의

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모세대가 둘째 양육지원이 가능하거나 부부의 육아

분담 협조가 가능한 상황, 부모 중 한명이라도 육아휴직이 가능한 상황은 둘째 출산의도 상

승에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반대로 조부모의 양육지원 불가능, 좋은 양육자 선택의 어려

움, 두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역할 부족, 첫 아이 때 경험한 양육스트레스 등은 둘째 출산기

피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세대에 대한 육아 지원은 저출산 극복의 중요

한 해법이라 할 수 있다.

2. 전통적 모성의 육아 책임감을 여전히 짊어진 채로

모세대는 자신이 겪는 육아의 어려움과 동시에 자신이 행하는 육아의 부족함으로 인해 자

녀에게 미안함을 느끼고 있으며, 물리적인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영역에까지 어머니

Page 14: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로서 책임과 역할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좀 정신적인 것 같아요. 몸이 힘들고 그런 건 없었는데 내가 과연 잘하고 있나? 그런 것들로 인

한 나 스스로에 대한 힘든 스트레스? 이것만 해줘도 되나? 더 해주고 싶은데 또 게을러서 귀찮

은 거지.

모세대 E(2015. 11. 28.)

내가 하는 음식들이 맛이 없나? 애한테 맛있게 다가가지 못한다는 죄책감? 그리고 왜 먹는 거

에 입맛이 떨어졌을까? 내가 뭘 잘못했나? 내 탓인가?

모세대 F(2015. 12. 11.)

특히 직장을 가진 모세대의 경우 직장생활로 인해 아이를 잘 돌보지 못하고 있다는 자책을

크게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일을 하다보니까 아이를 제대로 이렇게 훈육이라든지 옆에서 케어를 못해줬다는 것에

대한 미안함이라든지.. 그런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모세대 D(2015. 10. 10.)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2013)는 취업모의 이러한 감정을 ‘죄책감’으로 표현한 바

있으며 자녀에게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주지 못해서 미안하고 안쓰러움, 주 양육자로서 역

할을 다하지 못해 늘 느끼는 죄책감과 미안함을 의도적인 행동이나 물질로 보상하려 함이 나

타남을 보고하였다.

뭔가 맞벌이 하는 사람은 당당할 수도 있겠지만 나 같은 경우에는 애만 보고 집안일을 하는데..

힘들게 밖에서 일하고 왔는데 애 아빠한테 애까지 봐달라 하면 조금...

모세대 C(2015. 10. 8.)

한 연구에서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뿐만 아니라 위의 사례와 같이 아버지의 양육참여

에 대해 죄책감을 호소하는 어머니와 아이가 잘못하는 경우 어머니 자신에게 잘못이 있는 것

같이 느끼는 어머니의 비율이 연구대상자의 36%이상으로 상당히 높음에서 볼 수 있듯(고성

혜, 1994) 이러한 모세대가 느끼는 이러한 죄책감, 책임감은 전통적인 어머니로서의 여성관에

서 아직도 완벽히 탈피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여자로서의 임무, 세대 교류와 사회적 기여를

수행해야한다는 조모세대의 모성에 대한 의식은 점차적으로 자녀의 수가 감소하고 평균수명

이 증가하며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능’에 의한 모성보다는 ‘숙명’

에 의한 모성에 치우쳐져 있었다(이선형, 2011). 전업주부로서의 육아를 전담해야 한다는 ‘책

임감’, 내 어머니가 하였듯이 나도 아이들에게 희생해야 한다는 ‘이해력과 포용력’이라는 전통

Page 15: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37

적인 여성성에 치우친 모성에 대한 개념은 여전히 1970~1980년대 태어난 모세대에게도 전승

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남들은 나보고 지금 애들 태워다주고 애들하고 이렇게 지내고 하는 게... 사실 우리 엄마가 나를

이렇게 해주셨거든요. 내 입장에서는 당연하거죠. 애들한테 해주는 게 이게 희생이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어요.

모세대 B(2015. 8. 4.)

우리 사회의 매스미디어, 예술, 문학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여성은 오직 ‘행복한 어머니’로

만 그려졌으며 이러한 환상 속의 어머니는 실재의 어머니와는 괴리가 있고 완벽한 어머니에

대한 환상 이면에는 완벽하지 못한 어머니에 대한 비난이 도사리고 있다. 자녀에게 문제가 생

기면 비난의 화살은 어머니에게로 날아가게 된다. 직장에 다니는 경우라면 “애 어미가 집에

없어서...”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이연정, 1995). 21세기에도 여성은 전통적인 모성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것이 여성의 결혼 및 출산의 기피와 연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3. 아이의 친구관계는 엄마가 개입해서 만들어 줘야 가능해

현 모세대의 자녀들은 나날이 늘어나는 유괴, 폭력 등의 사회적 불안으로 인해 보호자 없

이 바깥놀이를 다니지 않으며 다양한 사교육에 참여하느라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에

서 놀이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마을 속 이웃과의 관계 및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동네 또래와

의 친분 교류는 생성 자체가 어렵거나 반드시 부모의 시선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요즘은 옛날처럼 마음껏 밖에... 부모는 집에 있고 아이들은 마음대로 밖에 나갈 수 없는 환경이

니까, 부모 눈앞에 애들이 계속 있다는 거...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걔네들을 계속 지켜봐야하고

내 양육 범위 안에 계속 있다보니 걔들한테 손이 안갈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는 거...

모세대 B(2015. 8. 4.)

모세대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인식하고 부모가 개입하여 자녀의 친구 관계를 형성해주

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비단 친구관계뿐만 아니라 자녀의 놀이, 발달을 부모가 미리

체크하고 ‘정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무엇을 더 해줘야하는지 고민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아이와 놀아주기 위해서는 어머니들의 모임을 찾아 나서야 하는 특징이 있었다. 아이들

은 어머니들이 형성한 모임을 통해 다른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는 모습이었다.

요즘은 친구관계는 인위적으로 엄마가 만들어 주지 않으면 없죠.(중략) 엄마들 모임인거죠. 그

모임을 참석을 하느냐 마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사실은 있는 것 같아요.(중략) 일단 엄마들의

Page 16: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마음에서는 친구를 더 많이 만들어주고 교류를 하면 인성교육이니 뭐니 좋다좋다하니까. 그런

인위적으로 만들어주려고 그런 것도 있고...

모세대 D(2015. 10. 10.)

4. 우리가 약한 건 인정하지만 엄마도 성장하고 있어

모세대는 자신들이 조모세대에 비해 나약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육아 환경이 매우 풍

족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육아가 어렵다고 느껴지는 이유는 편안하게 자라온 자신들의 성장

배경과 약한 의지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초혼이 늦어지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고령의 모세대가 체력적으로도 부족하다는 모세대 나름의 분석도 있었다.

사실 자기 집안 방도 제대로 안 닦아본 사람이 갑자기 애를 키우고 똥 기저귀를 갈고 한다는 게 쉬

운 일은 아닌 것 같고... 그리고 우리가 나이가 너무 많아요. 엄마 세대보다 힘이 딸리는 거죠(웃음)

모세대 B(2015. 8. 4.)

요즘 엄마들은 나약해서 그래요. 나도 똑같아요. 턱도 없이 외롭다, 힘들다...(중략) 요즘은 나약

한 정신 상태 때문에(웃음) 더 힘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모세대 F(2015. 12. 11.)

모세대는 이미 사회적으로는 성인이지만 육아의 과정에서 새로운 성장의 단계를 거치고

있었다. 부모됨의 역할을 이미 부모가 된 이후에 경험과 시행착오, 주변의 도움으로 익혀나가

고 있었다. 자녀양육은 부모에게 일상적 혼란을 주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아

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인격적으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선행연구(이정순, 무토타카

시, 2001)의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화내고 싸우는 거 보고 아이가 그러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정서적으로 불안해서..

그래서 안했죠. 그랬더니 바로 고쳐지더라구요. 아, 진짜 맞는 것 같아요. 아, 진짜 00이가 우리

를 키워줬어...

모세대 E(2015. 11. 28.)

Ⅴ.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

1. 삶 속에서 당연한 육아 : 익숙하지 않아 어려운 육아

조모세대에게 있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은 취사선택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이 아니었

Page 17: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39

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어려운 삶 속에서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책임과 의무였다. 조모세대

는 그들의 양육 환경이 풍족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기르는 일에 전반적으로는 힘

든 일이 아니었다고 회상하였다.

그때는 우리는 직장생활이라는 게 없었잖아요. 여자들이 나가서 벌기보다 남편들이 벌어다 주는

걸로 생활했기 때문에 거의 다 집에 있어서 애들 육아, 키우는 과정에서는 당연히, 당연히 그 애

를 키운다, 집에서는 우리는 애를 키우고 신랑 오면 뒷바라지 해주고 이런 걸로 우리 세대는..

조모세대 C(2015. 10. 8.)

그 당시에는 다 그랬어. 특별히 내만 힘들다 안했어요. 당연히 아침에 일어나면 기저귀 열 개씩

나오면 씻어 가지고 옥상에 가서 널고 밤에는 거둬야 하고 하루에 몇 번씩 하는 거를 당연히 여

겼지. 그걸 힘들다고 한 사람이 없지.

조모세대 F(2015. 12. 11.)

그러나 모세대에게 있어서 육아는 자신이 자라오는 동안 경험하지 못한 특별한 사건이며,

육아와 동반되는 노동의 고통은 매우 낯선 것이었다.

우리 세대가 자체가 일을 한 세대가 아니라, 어릴 때부터 우리는 공부만 하고, 놀고.. 그러니까

어릴 때부터 부모님들이 떠받들어준 세대에 자라다 보니까, 우리가... 일하는 게 힘든 거지요. 갑

자기 결혼해가지고, 애를 낳고, 애를 봐야되지, 일도 해야되지, 살림도 살아야하지, 하나만해도

죽겠는데, 지금 세 가지를 다 할라하니까 딱 죽겠는 거지.

모세대 B(2015. 8. 4.)

현대 사회의 육아 및 양육행동은 조모의 양육행동에서 영향을 받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조모세대는 모세대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세대 간의 고리 역할을 하는 양육지원을 하

고 있다(장혜자, 조복희, 2002). 이를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조모세대의 역할은 고리의 역할

일 뿐 모세대가 가지는 육아의 문제를 모두 해결해줄 수 있는 완전한 지원자는 아니다. 모세

대는 조모세대에 비해 육아환경은 풍족해지고 편리해졌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으나, 그들의

육아에 대한 사전지식, 간접 경험의 부족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굳이 뭐, 힘들다고 한다면,... 예전이나 지금이나 애를 키운다는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건

맞는데 받는 스트레스 종류가 다르겠지요. 양육 강도는 우리가 좀 더 약하지 않을까?(중략) 익

숙하지 않은 일에 대한... 그러니까.. 내가 볼 때는 일 안 해본 게 제일 커요.

모세대 B(2015. 8. 4.)

근데 그 세대 한 사이에, 얼마나 많은 변화, 진짜 왜, 완전 많이 바뀐 세대 아니야? 시대 되게

Page 18: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모든지 정보도 그렇고 기기적인 것도 그렇고 모든 게 너무 급격히 발달 됐던 시기였던 것 같아

요. 우리가 자라왔던 시대가...

모세대 E(2015. 11. 28.)

조모세대와 모세대가 경험한 육아의 양상은 다르나 두 세대 모두 당시 시대 속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어 왔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저마다의 탈출구를 모색해 왔다. 현대를 살

아가는 모세대에게는 과거의 어머니들의 조언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새로운 변화 속에서 조

모세대 역시 처음 겪는 현 시대의 문제들을 풀어나가야 한다는 어려움도 함께 가지고 있다.

2. 마음으로 키우는 육아 : 경제력으로 키우는 육아

조모세대는 어려운 시대상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경제력에 의존한 육아방법 보다는 자신

을 희생하며 몸과 마음을 쓰는 육아 방식을 택하였다. 또한 조모세대는 부족한 경제 여건과

어려운 양육 환경 속에서도 오히려 자녀를 여유로운 마음가짐으로 키워왔다. 그러나 모세대

는 풍족한 시대적 여건과 맞벌이 등을 통한 넉넉해진 생활 속에서도 오히려 더 적은 수의 자

녀에게 더 많은 경제적 투자를 하고 있으며, 모세대는 오히려 풍족함 속에서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 그들의 경제적 역량에 대한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

옛날 우리는 마음으로 키우는 것 같고... 마음으로 진짜, 정으로 키운 것 같고. 요즘 엄마들은 돈

으로 애를 키우는 것 같애.(중략) 요새는 엄마들이 옛날같이 따뜻한 손길이 별로 없는 것 같애.

뭐든지 필요하면 물질적으로 너무 넉넉하고... 요새 엄마들은 자기가 생활에 바쁘다보니까 애들

한테 못해주니까 물질적으로 풍족하게 보상하듯이, 미안하니까.. 그런 것도 없잖아 있지.

조모세대 B(2015. 11. 28.)

조모세대는 풍족해진 모세대의 현재 육아 모습에 비추어 돌이켜 생각해볼 때 상대적으로

자신의 자녀에게는 부족했던 경제적 현실을 미안해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미안한 감정은

모세대에는 해주지 못했던 부분에 보상하려는 심리에서 자신의 손자녀에게 후한 경제적 지

원을 해주는 현 조모세대의 특징을 설명해줄 수 있다.

아이는 조금 모자란 듯이 키워야 하는데 나도 모르게 그렇게 따라가진다니까.

조모세대 F(2015. 12. 11.)

3. 남편의 도움을 요구하지 않았던 육아 : 남편의 도움이 필요한 육아

조모세대는 육아에 있어서 남편의 도움을 거의 받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업 가

Page 19: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41

정주부로서 남편의 도움을 것이 온당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조모세대의 육아는 온전

히 여성의 고유 역할이었다. 이는 전통적으로 모성에게만 육아의 책임을 맡기는 부계 남성

중심의 문화와 이어져 있다.

나는 아빠 도움을 안 받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중략) 다 내가 해야 된다고 내가 다 해야 된다고,

그런 위주로만 했기 때문에 애들은 아빠 손을 많이 안 빌린 것 같아요.

조모세대 E(2015. 11. 28.)

반면 모세대는 과거 조모세대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남편으로부터 육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고 실제적으로 남편은 육아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모세대는 남편들에게 조모세대에는 온전히 엄마의 영역이었던 부분까지 도움을 받기

를 원하며 오히려 아빠가 할 수 있는 육아의 영역을 자발적으로 책임감 있게 도맡아 주기를

원하고 있다.

아빠가 집에 있는 시간은 많은데 잘 놀아주는 성향이 아니예요.(중략) 요구하면, 겨--우 진짜,

겨우 진짜, 하는 둥 마는 둥... 자발적이지 않게, 뭔가 영혼 없는, 공차기도 영혼 없는...

모세대 C(2015. 10. 8.)

또한 모세대는 육체적인 노동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지지를 남편으로부터 받는 것을 고맙

게 여기고 또한 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가 항상 스트레스가 제로인 상태로 만들어주려고 아빠가 애를 썼죠. 아빠하고 내 관계에 있어

서 아빠가 그렇게 도움이 줬기 때문에 내가 좀 더 애들을 여유 있게 대할 수 있지 않았을까.

모세대 B(2015. 8. 4.)

일반적으로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양육 스트레스로 인한 출산 기피를 예방함으로써 저출

산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나(안재진, 2011) 김미정, 정계숙, 박희경(2011)의 연구에 따

르면, 전통적 가부장적 권위문화가 강한 우리나라에서 육아는 여전히 여성의 책임으로 여기

고 있어 여전히 실질적인 남편의 양육참여의 수준이 높지 않아 출산 계획 여부에 영향을 주

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기도 하였다.

4. 이웃과 육아의 어려움을 풀어갔던 조모세대 : 육아의 어려움을 풀어갈 조력자를 불

특정 다수에서 선택해야하는 모세대

조모세대와 모세대는 공통적으로 혼자서 하는 육아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다. 조모세대는

Page 20: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남편이나 가족으로부터 얻지 못한 육아의 실제적 도움을 이웃 공동체로부터 받았으며 조모

세대 자신도 이웃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동네 분들 있잖아요. 계단에 5층이니까 10집이 있었잖아요. 놀고 얘기하고 뭐, 같이 시장도 다니

고 한 번씩 화투도 치고. 그게... 목욕도 같이 다니고. 애들 데리고 가고. 같이 나누어 먹고. 와,

완전 문 다 열어 놓고 살았거든요. 뭐 스트레스 푸는 덴 그 방법밖에 없죠.

조모세대 C(2015. 10. 8.)

이웃 공동체는 육아의 공백을 품앗이 형태로 함께 메꾸어갔으며 육아 문제에 부딪혔을 때

해결방법을 제시해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웃 공동체는 서로의 양육 방법

을 공유하고 세대를 뛰어넘어 양육의 모델이 되어 주기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을 잘 사귀면, 이웃 어른들이 더 도움을 많이 준 것 같아. 내가 봐도. 모든 것이 이웃에서

도움을 받았어요. 잠시 내가 아파가지고 병원에 갈 그거래도 이웃에 맡길 수가 있고. 이웃에서

어떻게 설명을 해주니까 이웃 도움을 많이 받고. 내가 마음이 편하더라...

조모세대 F(2015. 12. 11.)

조모세대는 모세대에게 여전히 이웃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모세대 역시 이

웃과 함께하는 육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한계

로 인해 실천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래도 아파트 생활이라도 한 두 집은 사귀었으면 좋겠어. 급할 때 내 엄마가 없을 때 급할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 그런데 그게 안되더라. (중략) 그런데 자꾸 세상 탓하고, 한집 한집

알고 보면 안 그렇거든요. 그게 아쉽더라. 세상이... 애 키우는데 있죠, 알게 모르게 있죠, 혼자는

못 키우거든. 내가 아무리 잘 키운다고 해도 부족한 점이 있거든요. (중략) 이웃을 사귀어야 돼.

내가 먼저 손을 내밀어야 돼.

조모세대 F(2015. 12. 11.)

이와 같이 모세대 역시 과거의 공동체 문화가 가져다주었던 육아의 이점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함께 살아가는 사회의 기본 질서는 세대 간의 소통, 공동체 내의 교류라고 생각하

고 있었다.

옛날에는 안 그랬는데.. 지금 생각해보니까 그렇네요. 이상하네요. 자다가도 들어가고...올라가다

도 잠깐 쉬어가고 그랬는데... 왜 그렇지 진짜?

모세대 C(2015. 10. 8.)

하지만 모세대는 이웃 공동체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는 대신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육아를

Page 21: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43

함께할 대상을 취사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육아를 지원하는 지원처가 매우 다양해졌으며, 그

러한 다양한 지원들 속에서 구체적이고 소소한 부분까지 육아의 방법을 고를 수 있게 되었

다. 육아관련 카페, 블로그, 다양한 육아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가 등장하였으며, 인터넷망

을 이용하여 손쉽게 전문가들과 연결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비대면적인 정보교류의 장뿐만 아니라 같은 산후조리원 출신 엄마들의 모임, 같은 지역

에 사는 엄마들의 육아정보 교류를 위한 인터넷 카페를 기반으로 한 정모(정기 모임), 같은

교육기관에 재학하는 학부모들의 모임, 상담센터, 병원 등에서 적극적으로 육아 정보를 구하

고 있다. 모세대는 조모세대가 육아의 ‘전문가’라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조모세대보다는 또래

모세대에게 육아 방식을 배우는 것이 더 낫다고 여긴다는 선행연구(장혜자, 조복희, 2002)에

서도 이러한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주로 예전에 부모님들 키우던 방식하고 다르니까 지금 현재에 맞춰서 보다보니까 주로 인터넷

카페에서 많이 받지요.

모세대 A(2015. 7. 21.)

센터 다녔어요. 센터 다녀서.. 정신과 센터 다녔고.. 책을 다시 보기 시작을 했고.. 육아에 관한

책도 봤고, 학교에서 하는 학부모 상담 수업도 듣고...

모세대 B(2015. 8. 4.)

전문적인 전문가가가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동사무소를 가서라도 육아상담이 가능하고,

병원에 가서라도 어렵지 않게, 정신과까지 찾아가지 않고, 쉽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전문가가

곳곳에 많이 계셨으면....

모세대 F(2015. 12. 11.)

모세대는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이웃과 단절되어가는 대신 더 넓은 세상에서 육아

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다. 모세대는 마을의 여러 세대의 이웃과 교류하기 보다는 같은 연

령의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의 모임을 꾸준히 가지는 것은 비단 정보를 얻기 위해서뿐만 아니

라 과거 조모세대가 그랬듯이 어려운 육아의 현실에서 같은 공감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로

부터 정서적인 지지를 얻고자하는 부분도 매우 크다.

Ⅵ. 논의 및 제언

현 모세대의 육아는 과거의 육아와 마찬가지로 어려움을 동반하며 어머니의 희생을 요구

Page 22: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한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상당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

고 있다. 초저출산 시대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육아의 모습을 들여다봄으로써 현재의 육아

문제를 보다 현실적으로 헤쳐 나갈 해답을 다양한 방면에서 찾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

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의 모습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그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모세대의 육아 자신감을 회복시키기 위한 공동체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모세대는 모

세대를 자신들보다 ‘많이 배우고’, ‘현명하다’는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세대가 자신들을 나약하게 바라보는 것은 그들의 나약함 자체로 인함뿐만 아니라 성인기

성장의 과도기에 위치한 현재 자신들의 모습에 대한 혼란과 불안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조모세대에게 있어 육아기는 자신들이 겪은 인생의 여정에서 일부에 지나지

않았으며 육아보다 더 힘든 역경 속에서 성인으로서 성장해 온 이후에 자신의 육아기를 돌아

보았고, 모세대는 자신보다 더 힘든 환경 속에서 육아를 해낸 그들의 어머니 세대에 대한 존

경과 미처 그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들의 모습을 육아기를 겪고 있는 현재 위치에서 바라보며

상대적인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모세대가 육아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현재 그

들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위로 받을 수 있는 세대 간 공동체의 형성이 필요하다. 전

통사회에서 마을은 생산공동체, 놀이공동체, 신앙공동체이자 교육공동체로서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 마을 모든 구성원의 수고와 보호가 사용되었다(편해문, 2003). 조모세대와 모

세대는 모두 이런 마을의 기능, 즉 ‘이웃 공동체’의 육아 나눔과 교류가 사라진 것에 대해 아

쉬워하고 이것이 육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공동육아’, ‘품앗이

육아’,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이 필요함을 주장한 선행 연구들(류경희, 김순옥, 2001; 오경희,

한대동, 2007; 이부미, 2000; 정계숙, 윤갑정, 견주연, 차지량, 박희경, 2016; 정혜선, 2010)을 뒷

받침하여 준다. 또한 지금까지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모세대가 요구하는 주변의 도움이란

가깝게는 조모세대와 남편의 육아 지원, 신뢰할 수 있는 대리 양육자와 보육기관, 크게 보았

을 때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를 지원하는 사회의 제도적, 문화적 분위기 형성이다. 그러

나 본 연구를 통해 논의하고자 하는 육아 지원 공동체는 다양한 연령의 부모들로 구성되어

그들의 경험을 통해 자녀와의 교류와 소통을 이끌어주고, 모세대는 그들의 육아 선배들을 따

라주며, 서로가 가진 것들을 공유하고 나누는 정보교류의 장, 그리고 정서적 지원의 장, 육아

품앗이의 장이다. 이러한 공동체의 보살핌과 나눔은 모세대의 육아 자신감 향상에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출산율 제고의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전통세대로부터 전승되어온 모성의 패러다임을 재정립해야 한다. 모성에게만 의지하

는 육아의 모습(이연정, 1995; 최순자 외, 2006)은 우리나라 출산율 회복의 걸림돌이라 할 수

Page 23: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45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육아의 책임이 조모와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모성의 역할분담이 이루

어졌다면 핵가족이 주류를 이루는 현대 사회에서는 모성에 대한 책임이 오롯이 모세대에게

로 전가되고 있다. 모세대는 자신들에게 부가된 육아의 책임에 대한 피로도를 해소하기 위하

여 끊임없이 불확실한 정보를 찾아 헤매거나 가정이 수행해야 될 많은 역할을 유아교·보육기

관에 위탁하게 된다. 특히 맞벌이 어머니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욱 절실하기 때문에(김나

현 외, 2013) 더 이상 육아의 문제가 어머니 개인의 책임이 아니며, 가족과 나아가 마을, 사회

의 공동 책임이라는 연대 의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예비부모교육, 부모교육, 조부모교육, 아버지교육 등 육아와 관련된 다양한 인적 자원을 대상

으로 육아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평생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현 모세대의 육아 문제가 자녀세대의 육아문제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들에 대해 인식하고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정책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조모세대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유아 중심 교육관’은 모세대의 나약함을 기르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를 전승한 모세대는 오히려 ‘유아중심’을 가장한 ‘어머니 중심의 교육관’을 보여주

고 있었다. 모세대는 과거 조모세대와는 조금 다른 형태의 ‘자녀=나 자신’이라는 신념을 은연

중에 드러내었다. 조모세대는 ‘나의 것=자녀의 것’이라는 자신의 희생이 곧 자녀를 위한 배려

라는 신념으로 양육하였다면 모세대는 ‘자녀=나 자신’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어머니의 결정이

곧 자녀를 대신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다음 세대, 즉 자녀 세대에는 어

떤 영향을 미칠지 대한 염려와 우려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김지연, 오경자, 2011; 이소은,

1999; 이용화, 김지현, 임소연, 채명옥, 이혜림, 오진아, 2014; 현정환, 2007), 변증법적 패러다

임의 변화를 통해 미래 세대의 부모는 현 세대의 이기적인 모습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장기적

인 안목의 정책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과 변화를 파악하는데에 그쳤으나 모세대

의 육아 모습을 통해 드러나는 모세대가 필요로 하는 지원에 대한 추후 연구를 통해 구체적

인 프로그램과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심층 면접에 참여할 연구 참여자를 모집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어 7쌍의

모녀를 면담하는데 그쳤으나 본 연구에서 추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시대별로 조모세대와 모

세대를 심층 면접 하거나 다수를 대상으로 양적인 연구를 시행한다면 이전의 선행연구와는

다른 조모세대와 모세대 육아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age 24: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참고문헌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권경숙(2008).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

교육연구, 13(1), 229-255.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2013).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김낙흥(2011). 바람직한 아버지의 역할과 역할수행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에 대한 고찰. 미래교육

학회지, 18(2), 79-98.

김미숙(2005).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와 학령

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 정계숙, 박희경(2011). 20-30대 유자녀 모의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18.

김윤희(1980). 어머니의 양육태도변화에 관한 세대 간의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은정(2010). 평균수명 연장에 따른 자녀가치와 출산율 관계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은주(2015).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전통육아의 함의 고찰. 교육사상연구, 29(4), 1-24.

김은주, 서영희(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93-114.

김은주, 이영경, 연희정(201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통육아에 대한 이미지 분석 : Q방

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73-298.

김정환(2012). 한국 30대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 상징적 상호작

용론적 접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 오경자(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47-661.

김춘희(2003). 자녀양육시 부모의 스트레스 : 만3-5세 중심으로.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현정(2003). 우리나라 유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진(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여가시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류경희, 김순옥(2001). 공동육아 협동조합에의 참여를 통한 이웃과 가족 관계의 변화. 대한가정학

회지, 39(11), 193-208.

마미정(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Page 25: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47

75-116.

민성원(2010).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동대문구 어린이집 학부모를 중

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하영, 유안진(2003).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출생의례 및 아기행사에 대한 비교연구. 아동

학회지, 24(3), 45-56.

박휴용(2014). 저출산으로 인한 부모자원의 집중이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69-290.

백수진(2009).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여성연구논집, 20, 121-156.

백영숙(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영수(2006). 저출산 국가위기의 대처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2(1), 30-35.

송민영(2005).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유아기 일상생활 차이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신경아(2010). 저출산대책의 쟁점과 딜레마: 여성 없는 여성정책. 페미니즘 연구, 10(1), 89-122.

안재진(2011). 부의 양육참여가 출산 후 초기 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부부관계의 질을

매개로-. 한국아동복지학, 35, 127-158.

엄동욱(2009). 우리나라는 저출산함정에 빠진 것인가? : 저출산함정 가설의 검증과 함의. 한국인구

학, 32(2), 141-159.

오경희, 한대동(2007). ‘배움’, ‘돌봄’, 그리고 진정한 ‘만남’의 유아교육공동체 형성. 미래유아교육학

회지, 14(4), 219-244.

오영범, 이현철, 정상원(2016). 질적자료분석 파랑새 2.0 소프트웨어.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유안진, 민하영(2000). 출산 풍속에서 모-조모의 세대간 차이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8), 99-109.

이 랑(2003). 자녀 양육태도 및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 :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아(2013). 무계획적 무자녀 가족 -한국 사회에서 아이 갖기의 의미와 가족주의의 역설. 한국사

회학, 47(2), 143-176.

이복순, 정윤태, 이훈희(2010).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청주지역 어린이집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혁신학회보, 1(1), 37-59.

이부미(2000).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31-150.

이삼식, 정경희(2010).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선형(2011).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페미니즘 연구,

11(1), 59-99.

이소은(1999). 한국의 문화와 아동발달. 생활과학연구논총, 2, 53-64.

Page 26: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이숙재(1975). 딸과 어머니 두 세대 간의 자녀 양육태도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희, 고인숙, 심정선(2009). 부모가 지각한 원가족과 부모의 양육스타일 및 세대 간 전이에 관

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11-134.

이연정(1995).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여성과 사회, (6), 160-183.

이옥임(2011). 일상적 양육 시 양육자가 어려움을 느끼는 영아의 행동. 아동보육연구, 7(1), 45-63.

이용화, 김지현, 임소연, 채명옥, 이혜림, 오진아(2014). 헬리콥터 양육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4), 237-246.

이정순, 무토타카시(200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육아의식과 육아 스트레스. 유아교육학논집,

5(2), 89-110.

이진민(2009). 조부모 및 부모 양육행동의 세대간 전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하정(2005). 조모세대와 모세대간의 자녀양육문화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41-167.

이효선(2009). 한국 여성들의 삶의 이해를 위한 가족 패러다임 재구성-여성세대 생애사를 중심으

로-. 여성학논집, 26(1), 135-181.

장승희(2014). 한국의 저출산 요인과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경영연구, 2, 1-21.

장혜자(2003) 조모와 어머니가 지각한 과거 양육행동에 대한 탐색적 접근. 생활과학연구논총,

7(1), 19-43.

장혜자, 조복희(2002). 세대를 통하여 전이되는 조모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조모의 양육지원. 한

국영육아보육학, 31, 269-286.

전미경(2005).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95-112.

정계숙, 윤갑정, 견주연, 차지량, 박희경(2016). 유아교육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따뜻한 유아교육공

동체의 모습과 실천과제. 유아교육연구, 36(1), 153-182.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정상천(2014). 저출산 문제 극복사례.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2), 327-359.

정성호(2009).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향후과제. 사회과학연구, 48(2), 1-22.

(2010).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한국인구학, 22(2), 113-136.

정영숙, 장혜자, 김연화(2005). 조모와 어머니 두 세대의 자녀양육행동 비교연구 - 유아어머니가

지각한 내용을 중심으로 : 조모와 어머니 두 세대의 자녀양육행동 비교 연구. 생활과학연구

논총, 9(2), 49-59.

정혜선(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

Page 27: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149

국생활과학회지, 19(3), 429-441.

조명덕(2010). 저출산, 고령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효과 분석. 사회 보장 연구, 26(1), 1-31.

차진아(2013). 저출산 사회에서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 헌법학연구, 19(4), 1-44.

최순자, 마사시, 이광형(2006). 육아불안 구조의 국제비교 -한국·일본·대만 어머니의 자녀양육 의

식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1(1), 163-176.

최혜리(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16). 2015년 출생·사망통계(잠정) 보도자료.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편해문(2003). 우리 민속문화에서의 아이들 삶. 생태유아교육연구, 2(1), 41-69.

한승희, 권인수, 이수연(2006). 일 지역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전통 육아방식 비교. 아동간

호학회지, 12(1), 65-74.

한용진, 최정희(2011). 신문기사에 나타난 자녀교육 인식 변천 -1920년대∼1990년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7(3), 175-204.

허순금(2007).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행정법

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정환(2007). 한국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보육학회지, 7(1),

95-110.

황해익(2012). 아동연구방법. 파주: 정민사.

Moustakas, C.(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Hatch, J. A.(2013).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8 출판).

Page 28: 우리나라 조모세대와 모세대의 육아 모습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 · 부분 경제학적 관점을 포함하여 논의되고 있다김은정 (이복순정윤태이훈희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Abstract

Changes in parenting between grandmother and young mother

generations in Korea

Sun Hwa Suk · Mee Ryang Kw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ing in the grandmother generation and the

young mother generation and changes in that regard between the two different generations by

having in-depth interview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ven selected pairs of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The young mothers raised children who were in early childhood, and the

grandmothers were the mothers of the young mothers. The grandmother generation tried to offer

“educational assistance” though they were in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re was a shift in their

parenting. At first, it was “what they had to learn”, and then it meant “putting children on a

pedestal”. They taught their children “strictly without giving everything they wanted, and not to

bother others”. The young mother generation still assumed the typical maternal responsibility and

expected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hey admitted their own weaknesses and were still

growing. Thus, there were chang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Parenting is difficult to do due to

unfamiliarity, whereas it was natural in the past. Parenting requires economic power, whereas it

was done with the grandmother generation's heart. And help from husbands is necessary, while it

wasn't. The grandmother generation didn't require help form their husbands. Finally, young mothers

have many choices when they want to seek helpers with whom they can share their troubles,

whereas parenting was shared with communities of neighbors in the grandmother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