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200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연구보고서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 2004. 12.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200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연구보고서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middot보완 연구 (제4판)

2004 12

한 국 개 발 연 구 원

제 출 문

기획 산처 장 귀하

본 보고서를 귀 기획 산처가 의뢰한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 )ꡕ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4 12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김 중 수

lt 연 구 진 gt

「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 )」

KDI 연구진 심상달 선임연구 원(연구총 )박 연구 원

박재신 빙연구 원

장 육 주임연구원

강 구 연구원

이승연 연구원

마희 연구원

외부 연구진 최도성 서울 학교 교수

홍기석 이화여자 학교 교수

1999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 )ꡕ에 참여한 연구진

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형 연구 원(연구총 ) 홍기석 연구 원 안홍기 주

임연구원 박은경 연구원과 서울 학교 행정 학원 김동건 교수 인천 학교

무역학과 옥동석 교수 고 2000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개정 )ꡕ에 참여한 연구진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형 연구 원(연구총

) 홍기석 연구 원 이승태 주임연구원이었으며 2001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에 참여한 연구진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

형 연구 원(연구총 ) 이승태 주임연구원과 이화여자 학교 경제학부 홍기석

교수 음

목 차

제Ⅰ장 연구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일반지침의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일반지침 개정의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1 일반지침의 구성 및 연구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제1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제1절 사업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3 사업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제2절 기초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2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제Ⅲ장 경제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제1절 수요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2 수자원(댐)개발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2절 편익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2 수자원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제3절 비용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2 수자원(댐)개발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1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2 사회적 할인율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4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분석기준일 분석기간 등 기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6 잔존가치의 처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7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기본전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3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재무적 할인율 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6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제Ⅳ장 정책적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1 지역균형발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4 사업특수 평가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2 AHP기법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3 평가자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제2절 AHP 분석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

1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0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

6 환류과정(Feedback)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

1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수록을 위한 요약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

2 KDI 예비타당성조사 관리팀에 제출할 전산 자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4

제2부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1 기본원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2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3 제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1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1 유형별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2 일반적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5

3 사업별 편익의 형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1 가치와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2 잠재가격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3 잠재가격의 도출 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8

4 잠재가격의 도출 불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8

5 잠재가격의 도출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1

1 공평성에 대한 고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1

2 사회적 가중치의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3 분석의 한계와 정책적 고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3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제1절 문제의 제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6

1 전통적 비용-편익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6

2 교역가격 접근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

3 차선의 잠재가격 접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1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1 잠재가격과 평가가격의 개념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3

2 교역가격 접근법의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5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

2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0

3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4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6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6

1 사업부문별 차별화 방안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6

2 사업부문별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7

3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9

4 비용-편익 분석 기법 및 편익추정 방법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4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

1 경제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9

2 재무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0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2

1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2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 원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5

3 추가적 쟁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7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1 재무적 할인율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2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3 자본비용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3

4 재무구조와 가중평균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5 기타 할인 방식에 대한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8

6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계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0

7 재무성 분석의 예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1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8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9

1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및 지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9

2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3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1 민간투자사업 추진상의 문제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2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7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8

1 영국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8

2 일본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3

3 소결 예비타당성조사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1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4

1 현 일반지침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4

2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5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9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9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0

1 위험 분석에 관한 일반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0

2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1

3 시나리오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2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1 전환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2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의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4

3 몬테 칼로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5

4 몬테 칼로 분석과 현재가치의 기대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6

5 민감도 분석 및 몬테 칼로 분석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7

6 의사결정 나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8

7 기타 위험분석 방법론(공공투자사업에 있어서 실물옵션 분석방법의 적용) middot 320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2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4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5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1 지역기술계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2 지역교역계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8

3 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0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1

1 모형의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1

2 건설부문의 세분류(12개 부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2

3 지역 및 국가경제의 파급효과 추정 가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2

4 이용자료의 양적 및 질적 수준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3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4

1 지역별 생산유발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4

2 산업별 생산유발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7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0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1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3제1절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3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7

1 AHP 분석의 조기 수행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7

2 AHP 평가자의 확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8

3 교통부문(도로 철도) 사업에 있어서 표준 가중치의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0

4 환류과정(feedback)의 강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2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1 계층구조의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2 복수 대안의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1

3 평점 기준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4

4 평점을 위한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6

5 AHP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3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7제1절 개 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7

제2절 GRP의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8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4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5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6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9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6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6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7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8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3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4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9

표 목 차

lt표 Ⅰ- 1gt 부문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실적(사업수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표 Ⅲ- 1gt 도로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lt표 Ⅲ- 2gt 철도관련 투자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 3gt 예비타당성조사의 도로철도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lt표 Ⅲ- 4gt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lt표 Ⅲ- 5gt 작업단계별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lt표 Ⅲ- 6gt 국립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제공내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lt표 Ⅲ- 7gt 총 사업비 내역(도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lt표 Ⅲ- 8gt 총사업비 내역(지역간 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Ⅲ- 9gt 경제성 분석기법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lt표 Ⅲ-10gt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lt표 Ⅲ-11gt 명목 재무적 할인율 계산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표 Ⅲ-12gt 실질 재무적 할인율 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Ⅳ- 1gt 정책적 분석 항목의 범주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Ⅳ- 2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표 Ⅳ- 3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간 가중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Ⅳ- 4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Ⅳ- 5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Ⅳ- 6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Ⅳ- 7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Ⅳ- 8gt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범주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lt표 Ⅴ- 1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

lt표 Ⅴ- 2gt 쌍대비교시 중요도의 척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lt표 Ⅴ- 3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

lt표 Ⅴ- 4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

lt표 Ⅷ- 1gt 시장이자율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2

lt표 Ⅷ- 2gt 경제성장률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3

lt표 Ⅷ- 3gt 실제GDP성장률과 잠재GDP성장률(1981~200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4

lt표 Ⅷ- 4gt 장기할인율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7

lt표 Ⅷ- 5gt 5년 만기 국고채 실질 금리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2

lt표 Ⅷ- 6gt 세후 수익률 추이(1990~1998)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4

lt표 Ⅷ- 7gt 최근 3년간 예금잔고 및 수신금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5

lt표 Ⅷ- 8gt 향후 인구 전망 및 인구증가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7

lt표 Ⅷ- 9gt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9

lt표 Ⅷ-10gt 소비의 한계대체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9

lt표 Ⅷ-11gt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0

lt표 Ⅷ-12gt 비용의 연차별 배분 가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lt표 Ⅷ-13gt 편익의 발생기간 및 증가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lt표 Ⅷ-14gt 연도별 고속도로 표준 유지관리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8

lt표 Ⅷ-15gt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9

lt표 Ⅷ-16gt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0

lt표 Ⅷ-17gt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lt표 Ⅷ-18gt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lt표 Ⅷ-19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3

lt표 Ⅷ-20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

lt표 Ⅷ-21gt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8

lt표 Ⅷ-22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3

lt표 Ⅷ-23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0

lt표 Ⅷ-24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 적용되는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1

lt표 Ⅷ-25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2

lt표 Ⅸ- 1gt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1

lt표 Ⅸ- 2gt 투자안의 타당성 평가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5

lt표 Ⅸ- 3gt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2

lt표 Ⅸ- 4gt 재무성 분석 요약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1

lt표 Ⅸ- 5gt 수익성 분석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2

lt표 Ⅸ- 6gt 추정 손익계산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3

lt표 Ⅸ- 7gt 추정 대차대조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4

lt표 Ⅸ- 8gt 추정 현금흐름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6

lt표 Ⅹ- 1gt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0

lt표 Ⅹ- 2gt 민간투자사업 지정 절차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1

lt표 Ⅹ- 3gt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2

lt표 Ⅹ- 4gt 사회간접자본시설 민자유치사업 실적(1968~199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3

lt표 Ⅹ- 5gt 최근의 사회간접자본시설 민간투자 실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4

lt표 Ⅹ- 6gt 시설부문별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현황(1995~200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5

lt표 Ⅹ- 7gt 민간투자사업 사업부문별 총사업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lt표 Ⅹ- 8gt PFI 사업 추진 프로세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2

lt표 Ⅹ- 9gt 정성적 평가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5

lt표 Ⅹ-10gt VFM 산정을 위한 입력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0

lt표 Ⅹ-11gt 위험 분석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2

lt표 Ⅹ-12gt PFI 사업의 추진 단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6

lt표 Ⅹ-13gt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8

lt표 Ⅹ-14gt 도로부문 민간투자사업 차종별 통행료 적용 단가(2004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7

lt표 Ⅹ-15gt 철도부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상의 요금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8

lt표 Ⅹ-16gt 교통부문 민간투자사업 정부 및 지자체 건설보조금 투입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0

lt표 Ⅹ-17gt 도로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1

lt표 Ⅹ-18gt 일반철도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2

lt표 Ⅹ-19gt 위험 분담의 예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4

lt표 Ⅹ-20gt 정성적 VFM 평가항목 예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6

lt표 Ⅹ-21gt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가상대안간 비교평가 방안(도로사업 예시) 307

lt표 Ⅺ- 1gt 민감도 분석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lt표 Ⅺ- 2gt 전환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4

lt표 Ⅻ- 1gt KDI MRIO 구조의 예시(2지역 3산업 경쟁이입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6

lt표 Ⅻ- 2gt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5

lt표 Ⅻ- 3gt 생산 유발효과 지역 내 비중 도로건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6

lt표 Ⅻ- 4gt 산업별 생산 유발효과 비중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8

lt표 Ⅻ- 5gt 산업별 지역 내 생산파급효과 비중 도로건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9

lt표 ⅩⅢ - 1gt 평가항목 가중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1

lt표 ⅩⅢ - 2gt 사업부문별 AHP 평점의 표준편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6

lt표 ⅩⅢ - 3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lt표 ⅩⅢ - 4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1

lt표 ⅩⅢ - 5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5

lt표 ⅩⅢ - 6gt 수정된 9점 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6

lt표 ⅩⅢ - 7gt BC 비율 표준점수 전환식의 분산분석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7

lt표 ⅩⅢ - 8gt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된 표준점수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9

lt표 ⅩⅢ - 9gt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0

lt표 ⅩⅢ -10gt 개정된 전환식에 의한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3

lt표 ⅩⅢ -11gt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가중치의 표준편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6

lt표 ⅩⅣ - 1gt 지역별 GRP 성장률의 추이(95년 기준년도 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9

lt표 ⅩⅣ - 2gt 지역별 1인당 GRP 수준(95년 기준년도 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1

lt표 ⅩⅣ - 3gt 지역별 산업구조 2002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3

lt표 ⅩⅣ - 4gt 산업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8

lt표 ⅩⅣ - 5gt 시middot도별 1인당 GRP의 결정식 1993-2001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9

lt표 ⅩⅣ - 6gt 시middot군middot구별 2001년 GRP 추정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1

lt표 ⅩⅣ - 7gt 1인당 GRP 성장률의 회귀방정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8

lt표 ⅩⅣ - 8gt 지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전망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1

lt표 ⅩⅣ - 9gt GDP 성장률 전망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1

lt표 ⅩⅣ -10gt 지역별 인구이동의 회귀방정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4

lt표 ⅩⅣ -11gt 지역별 인구규모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7

lt표 ⅩⅣ -12gt 지역별 GRP 증가율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7

그림 목차

[그림 Ⅰ- 1]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그림 Ⅲ- 1] 교통수요 추정 및 편익산출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그림 Ⅲ- 2] 도로부문 사업비 산출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그림 Ⅴ-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

[그림 Ⅷ- 1] 쌍곡선함수형태와 지수함수형태의 할인인자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5

[그림 Ⅷ- 2]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9

[그림 Ⅷ- 3]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0

[그림 Ⅷ- 4]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그림 Ⅷ- 5]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그림 Ⅷ- 6]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

[그림 Ⅷ- 7]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5

[그림 Ⅸ- 1] 현금흐름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6

[그림 Ⅸ- 2] 자본비용과 부채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1

[그림 Ⅸ- 3]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2 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그림 Ⅸ- 4]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05)times(BS)) middotmiddot 248

[그림 Ⅹ- 1] 영국 공공사업분야 총투자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9

[그림 Ⅹ- 2] 부처별 PFI 사업의 총사업비 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9

[그림 Ⅹ- 3] VFM 산정의 3단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3

[그림 Ⅹ- 4] VFM 산출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7

[그림 Ⅹ- 5] 최적 위험 이전과 VFM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7

[그림 Ⅹ- 6] 조달 방식에 따른 정부보유위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1

[그림 Ⅹ- 7] 일본 PFI 사업의 분야별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4

[그림 Ⅹ- 8] VFM 산정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7

[그림 Ⅹ- 9] 일본 VFM 산정의 예시 (위험 조정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0

[그림 Ⅺ- 1] 삼각분포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5

[그림 Ⅺ- 2] 의사결정 나무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9

[그림 ⅩⅢ -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9

[그림 ⅩⅢ - 2] 최적대안 선택을 위한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3

[그림 ⅩⅢ - 3] 지역낙후도지수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 표준점수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2

[그림 ⅩⅢ - 4]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5

[그림 ⅩⅢ - 5]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6

[그림 ⅩⅣ - 1] 지역간 converge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9

제Ⅰ장

연구개요

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1 일반지침의 역할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ꡕ보고서(이하 ꡔ일반지침ꡕ)는 그 동안

모든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지침서 연구보고서의 역할을 담

당해왔다 일반지침은 비타당성조사의 수행방법 조사기 뿐만 아니라 지침을

뒷받침하는 방법론 연구 주요 라미터 추정 등의 내용을 수록하여 공공투자사업

평가와 련된 이론 실무 연구결과를 포 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 일반지침

보고서는 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의 사업부문별 조사 표 지침 연구의 기본지

침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2 일반지침 개정의 배경 및 목적

일반지침은 1999년에 처음 발간되었고 2000년(제2 )과 2001년(제3 ) 두 차례에

걸쳐 개정된 바 있다 일반지침서가 지속 으로 개정된 것은 비타당성조사 사업의

에 따라 조사결과를 역으로 반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론 방법론 쟁

에 해 연구내용을 보완해야 하며 각종 통계자료 라미터 값을 갱신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지 까지 수행된 비타당성조사 사업 실 은 lt표 Ⅰ-1gt에 제시되어 있는데

2003년까지 사업수 기 으로 총 152건의 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었으며 2004년에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2003년 하반기 사업 19건과 2004년 상반기 사업 21건 경제자유구역 비타당성

조사 9건 정보화사업 비타당성조사 3건에 해 조사를 완료하여 2004년 12월

재 총 204건을 수행한 바 있다

lt표 Ⅰ-1gt 부문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실적(사업수 기준)

연 도 도 로 철 도 항 만 공 항 수자원( ) 기 타 합 계

1999 11 2 1 0 1 4 19

2000 11(6) 7(1) 5(2) 1 1 5 30(9)

2001 20(6) 14(3) 1(1) 1(1) 0 5 41(11)

2002 9(4) 9(3) 0 0 5(1) 7(2) 30(10)

2003 19(10) 11(7) 4(3) 0 5(3) 12 51(23)

2004 14(3) 6(5) 0 0 3 10(1) 33(9)

합 계 84(29) 49(19) 11(6) 2(1) 15(4) 43(3) 204(62)

주 1) ( )안의 숫자는 기획 산처 직 발주 는 KDI가 Outsourcing하여 수행한 비타당성조사 건수임 2) 2003년 수행된 ꡔ춘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타당성재검증ꡕ ꡔ하남경 철 민자사업 타당성재검

증ꡕ은 타당성재검증으로 분류

비타당성조사 수행실 을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최근에는 교통부문 사업 이

외에 문화체육시설 병원 산업단지 등 사업 특수성이 상 으로 큰 비교통부문 사

업이 차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화되고 있는 공공투자사업 부

문을 포 하고 각 부문별 지침의 일 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보다 종합 인 지침서

의 필요성이 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지침은 도로 철도 등 교통부문 사업을 심으로 기술되어 있

고 각 부문별 표 지침서도 교통부문 수자원부문을 심으로 개정되고 있어 특수

한 평가 방법의 용이 요구되는 사업들에 해 충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한

다는 문제 이 제기되어 왔다 한 조사방법론이 비교 정형화된 교통사업에 해

서도 조사과정에서 각종 지표와 라미터를 갱신 보정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의 지침서에 한 수정보완의 필요성은 주로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제기되어

왔다첫째 기존 지침서의 내용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과 련하여 수정 보

완되어야 할 여러 가지 문제 들이 지속 으로 지 되어 왔는데 이에 해 보완 작

업은 본 개정연구의 가장 요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즉 정 사회 할인율의 조

제Ⅰ장 연구개요 3

정 등 비용-편익 분석의 기본 방법론은 물론이고 수요추정 편익산정 비용산출

등 경제성 분석 방법과 재무성 분석 지침 마련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

연구 등 변화된 상황과 각 부문별 표 지침의 내용 등을 고려하고 보다 신뢰할만한

최신의 자료에 기 하여 해당 부분을 수정보완하도록 한다 둘째 주로 교통부문 사업과 련하여 수요 편익 추정 비용 산정 과정에서 활

용된 일부 지표들의 갱신과 라미터 값들의 정 도에 한 재 검의 필요성도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에 한 내용은 도로 철도부문 표 지침 개정연구에서 보다 구

체 으로 다루어질 것이다1) 셋째 경제성 분석과 함께 비타당성조사의 기본 분석틀인 정책 분석과 양자

의 종합평가 방법인 AHP 분석에 해서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정책 분석과

련해서는 지역낙후도 자료 갱신 평가방법의 보완에 하여 보충 인 연구를 수행

할 것이다 한 정책 분석 AHP 분석 방법에 해서는 특수평가항목의 추가와

평가항목 체계의 재구성 등 기본 인 분석틀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해 고려하

도록 한다넷째 공식 인 일반지침서(formal manual)의 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어

왔다 즉 지 까지 발간되었던 일반지침 연구 개정 보고서는 제1부에 지침화된

내용을 정리하여 수록하긴 했으나 일반지침 수립을 한 연구 보고서 형태로 발간

된 것이지 본격 인 일반지침서로 발간된 것이 아니라는 지 이 있었다 그간 일반

지침 연구보고서 형태로 발간되었던 이유는 공식 인 일반지침서로 발간되기 해

서는 당분간 보다 축 된 연구 자료 생산이 필요하다는 단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1999년~2004년까지의 비타당성조사 경험이 축 되었고 일부 방법론에

한 개정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본 일반지침 개정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식 인

일반지침서를 발간할 정이다 다만 향후 본 개정 지침을 실제 조사에 용하여 문

제 과 개선 등을 충분히 보완한 후 발간하고자 한다이러한 일반지침서 개정의 필요성과 배경에 따라 이번 개정연구는 모든 부문에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할 부문에 한 각종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고 보다 세부 인

용원칙과 기 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연구목 으로 삼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개정

될 도로철도 부문의 표 지침을 포함할 뿐 아니라 비교통부문 사업에 한 지침

과 련하여 재 각 부문별 연구과제로 수행 인 ꡔ문화과학 시설의 가치추정 연

구ꡕ ꡔ보건복지 사업 비타당성조사 방법 연구ꡕ ꡔ정보화부문사업 비타당성조

사 표 지침 연구ꡕ 등의 내용을 수렴하여 일반지침의 포 범 를 넓히고자 한다

1) 이 에는 일반지침에서도 해당 내용을 반 하여 지침간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하 으나 본 개정 부

터는 부문별 구체 인 편익비용 산정방법은 생략하여 각 부문별 지침을 참조하도록 하고 일반지침

에서는 총 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하 다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1 일반지침의 구성 및 연구방향

기존 일반지침(제3 )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 ldquo제1부 비타당성조사

의 일반지침rdquo은 실제 비타당성조사 수행시 따라야할 기본 인 조사내용 방법론

을 제시하여 공식지침서(formal manual)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이다 ldquo제2부 일

반지침 수립을 한 방법론 연구rdquo는 제1부 지침내용의 배경이 되는 이론 검토와

방법론 연구를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ldquo제3부 일반지침 수립을 한 주요 라미터

추정rdquo은 역시 제1부 지침내용에 포함되어 조사에 용될 각종 라미터 추정치와 데

이터 작업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기존 일반지침 연구보고서의 기본 구조는 비

타당성조사 수행과 직 련되는 내용을 조사보고서 흐름에 맞춰 ldquo제1부 비타당

성조사의 일반지침rdquo 부분에 수록하고 방법론 라미터 추정과 련하여 보다 심

도 있는 이론 연구와 쟁 정리가 필요한 사항을 제2부와 제3부에서 구체 으로

다루는 것이었다 본 개정 (제4 )에서는 기존 일반지침 연구보고서의 내용에 해 신규로 수정

보완연구를 수행한 내용을 일반지침(제3 )의 내용 변경되지 않는 내용과 결합

해 연구보고서 형태로 발간하려 한다 보고서의 구성은 제1부에는 기존 3 과 마찬

가지로 조사에 용될 지침 내용을 수록하고 방법론 연구 라미터 추정 내용을

묶어 제2부로 묶어내려 한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정 사회 정 할인율 조정 재무성 분석 지침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연구 기타 정책 분석 보

완 세부행정단 별 인구 GRP 추정 등 이번 개정연구의 핵심 내용뿐만 아니라 조

사방법론과 련된 다양한 쟁 사항을 포 하되 지침화가 어렵거나 실제 조사에

용하기 곤란한 내용에 해서 충분한 사유와 논거를 제시할 것이다 한 앞서 밝혔

듯이 작성된 연구보고서를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충분히 용한 후 실제 조사에 직

용될 조사방법 각종 자료를 심으로 공식지침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본 개정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보고서 내용을 재검토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정하

되 일반지침의 핵심내용인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 정책 분석 종합평가 부분

을 으로 수정보완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지침개정의 방향 하에서 본 연

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 주로 을 맞추고자 한다

제Ⅰ장 연구개요 5

가 경제성 분석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사회 할인율 조정과 련해서는 최근 리 성장 추세의 지속에 따라 공

공투자사업에 한 사회 할인율 수 을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

어 왔다 이에 따라 할인율 조정의 필요성과 문제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정

사회 할인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경제성 분석에 용되는 주요 지표인 사회

할인율과 련하여 이자율 하락세 지속 등 자본시장의 상황변화와 선진국의 최근 할

인율 용 추세를 검토하여 재 용하고 있는 실질 사회 할인율(75)의 조정 필

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한 사회 할인율 추정방식에 해 반 으로 논의하면

서 자본의 잠재가격 시간선호율 투자수익률 등 사회 할인율 추정과 련된 개념

상호 계에 해 정리하고 사회 할인율 추정에 한 국내외 연구 용사례

를 검토할 것이다한 사업부문별 평가방법의 차등화 방안과 련하여 도로 철도 항만 수자원

문화체육시설 등 사업부문별로 사회 할인율을 달리 용하는 방안의 실성 장

단 을 검토하고자 한다2)

2) 사업부문별 최소 BC 차등 적용

여기서는 앞서 언 한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 방안을 포함해 사업부문별

가 평가의 필요성 주요 용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사업부문별 최소 BC 차등 용 방안과 련해서 사업부문별 최소 BC 용의 이론 근거로서 공 자본

의 한계비용개념에 해 정리하고 이론 수 에서 우리나라 공공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검토될 만한 최소 BC의 범 에 해 검토할 것이다한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은 에서 논의한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별화와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므로 양자의 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업부문별 차등

분석 방안의 상호 계와 실제 비타당성조사 지침 용상의 다양한 쟁 과 문제

을 검토하여 단계에서의 용여부를 단하고자 한다

2) 재 수자원( )부문사업은 경제 수명(50년)이 타 SOC 사업에 비해 길어 편익이 장기간에 걸쳐 발

생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사회 할인율을 6로 용하여 왔다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타 지침내용의 반영 및 통합

일반지침서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 문화체육사업 등 부문별 표 지침

서의 통합지침서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개정연구에서는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서

의 수정보완 내용을 수록하여 종합 인 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다만 본 일반지침

에서는 분석에 한 개요만을 담고 구체 인 분석방법 사용될 라미터 등은 해

당 부문별 지침 연구보고서를 참조하도록 구성할 것이다먼 재 수행 인 ꡔ도로철도부문사업 표 지침 연구(제4 )ꡕ(이하 도로철

도부문 표 지침) 내용을 반 하 다 한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외에도 각 사

업 주무부처에서 발간한 ꡔ도로 철도 투자평가편람ꡕ과의 연계 일 성을 제고할

것이다 비타당성조사의 정착 이후 건설교통부 등 본 타당성조사를 주 하는 정부

부처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 부문별 표 지침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투

자사업평가편람을 개발하여 용하고 있다 비타당성조사와 본 타당성조사는 수행

단계와 포 범 연구방법의 구체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본 인 평가 방

법은 유사하다 한 공공투자사업에 한 평가업무에 있어 일 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평가 방법론상의 일 성 제고와 문성 강화의 차원에서 이러한 지침서

의 내용을 검토하여 도로 철도부문 지침 개정연구에 필요한 내용을 반 하고 주

요 내용은 본 일반지침 개정연구에도 반 할 것이다한편 도로 철도부문사업 이외에 비 이 높아져가고 있는 비교통부문사업

에 한 보다 일 된 지침 용을 해 재 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 ꡔ보건복지사업 비타당성조사 방법 연구ꡕ ꡔ정보화부문사업 비타당성조사 표 지

침 연구ꡕ 등이 수행 이다 본 연구에는 이들 부문에 한 기 인 조사방법과 이

론 검토사항에 하여 간략하나마 반 하고자 한다

나 재무성 분석 지침 보완

본 개정연구에서는 재무성 분석 지침 보완에 해 심도 있게 다루려 한다 최근

민간투자사업을 활성화하기 해 기획 산처에서는 민간투자 상사업의 범 를 사

회기반시설로 확 하고 규모 민간제안사업에 해서는 민간투자 격성조사를 실

시하는 등 민간투자제도 반에 한 개선을 추진 에 있다 이처럼 향후 공공투자

사업 추진에 있어 민간투자사업 방식의 요성이 날로 커질 것으로 상되기 때문에

공공투자사업 추진의 첫 단계인 비타당성조사에서도 민자사업 추진 가능성에 해

보다 의미 있는 단 자료를 제공하기 해 재무성 분석 지침을 보완할 필요성이 높

아지고 있다

제Ⅰ장 연구개요 7

기존의 일반지침에서는 구체 인 재무성 분석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 던 바 본

개정연구에서는 정 재무 할인율 수익성 분석 방법 재무제표 양식 등 세부 분

석지침 등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재무 할인율과 련하여 재까지는 비타당성

조사연구진이 시장 이자율 등을 참고하여 자체 으로 추정하여 용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사용 가능한 정 재무 할인율을 도출하여 향후 공통 용

함으로써 조사의 일 성을 제고하려 한다 정 재무 할인율은 기존의 할인율 추

정 방법론에 한 재검토를 거쳐 재 변화된 융시장 여건과 시장의 리스크 리

미엄 수 을 반 하여 도출할 것이다 한 재무성 분석의 기본 유형(proto type) 마련을 해 사업부문별로 재무제표의 구체 항목을 설정하고 실제 작성 방법을 제시

할 것이다 한 불확실성 험요소를 고려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민감도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옵션가격결정 모형 등의 용 가능성에 해 검토해보도록 한다

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공공투자사업을 민간자본으로 추진할 경우에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민간사업자의 참여와 경쟁을 극 화하고 정부는 최소 재정지원만 제공하며 민간사업자와 정부가

험을 정하게 분담하는 방식이 효율 인 추진체계라는 것이 보편 인 인식이다 본 개정 에서는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을 개략

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연구하 다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사업 내용의 구체성

이 떨어지고 민간투자사업 평가를 한 각종 자료가 미비하겠으나 개략 이나마 민

간투자 합성 평가를 시행할 경우 사업의 기단계에서부터 추진 가능성과 타당성

이 낮은 사업을 여과함과 동시에 추진 타당성이 월등히 높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을

선별하여 민간투자사업 선정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 할 수 있을 것

이다이를 해 본 개정연구에서는 민간사업자 입장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타당성

을 보다 엄 히 단하기 한 세부 인 재무성 분석 지침을 마련하고 정부의 입장

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을 평가하기 한 방식인 VFM(Value for Money) 분석 방법을 연구하 다 이를 해 공공부문에 한 민간자본의 참여가 활성화된

국 일본 등에서 수행하여 온 VFM 분석 방안을 검토하 다 이와 더불어 민간투자

사업 추진과 련된 최근 국내외 제도 황 추진사례 등도 검토해 보도록 한다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라 정책적 분석 및 종합평가

비타당성조사 정책 분석 종합평가 지침의 보완은 주로 지역낙후도 지표의

갱신과 AHP 분석 체계의 보완을 심으로 수행할 것이다먼 지역낙후도 지표 갱신작업과 련해서는 재 낙후도 지표의 각 항목을 최

신년도인 2002 2003년 기 으로 갱신하고 새로운 항목의 추가 교체 방안을 검토

할 것이다 다음으로 AHP 분석방법의 보완에 해서는 일부 평가 항목을 추가하고

AHP 평가항목 체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며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

석의 가 치에 한 평가결과의 민감도 기본평가와 특수평가의 가 치에 한 평가

결과의 민감도를 AHP 결과와 함께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한 평가자간

의사결정이 상이할 경우 이에 한 한 제시방법과 평가자 상의 확 방안 등

에 해서도 검토하려 한다

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전망

기존 일반지침(제3 ) 3부에 수록되어 있는 자치단체별 인구 GRP 추정 결과는

교통부문 사업 평가시 수요추정을 한 기 자료인 OD 자료에 원 자료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재 동 자료는 과거의 데이터일 뿐만 아니라 세부행정단 별로 구축되어

있지 못해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따라서 본 개정연구에서는 세부 행정단 별로 인구 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

하여 향후 OD 보정 작업 등에 활용하고 실제 비타당성조사시 상지역의 인구

망 계획 등의 자료를 검증하는 데에도 이용할 계획이다

제 1 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일반지침(제3 )과 마찬가지로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기본 방법론은 체로

다음과 같이 정립하기로 한다 첫째 사업의 개요 기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의

쟁 을 부각시키고 둘째 수요편익비용 추정을 통해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

석을 실시하며 셋째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 특수성을 반 한 특수항목 평가 등을 통한 정책 분석으로 본 사업의 국

민경제 치를 악하고 넷째 다기 분석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 정책 분

석 결과의 종합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그림 Ⅰ-1]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체계

기본구상 사업계획서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사업의 배경 목 기 효과

지역 황(인문 지리 경제 등)유사시설 사례 분석

공학 자료조사 분석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수요의 추정

편익의 추정

비용의 추정

비용-편익 분석

민감도 분석

재무성 분석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사업 특수항목 평가 등

종합평가 다기 분석

사업의 추진여부 결정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을 설정하려면 첫째부터 넷째 단계까지의

차에 따라 어떤 기 자료를 활용할 것이며 어떤 모형 혹은 라미터를 어떻게 사용

할 것인지 등에 하여 상세히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제1부에서는 이들을 차례로 다

루기로 한다 한가지 유의할 은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일반지침을 제시하는데 이 있기

때문에 lsquo이론 rsquo으로 제기될 수 있는 모든 안들에 하여 정리비교하고 최종

으로 최선의 안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lsquo 실 rsquo으로 비

타당성조사를 실시하는 조사자 혹은 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직면할 수 있는 쟁 들에

해 일반 분석방법 지침을 제시한 다음 방법선택의 논거만 간략히 밝히는 방식을

취한다는 것이다 쟁 별로 보다 심층 인 방법론 연구는 제2부의 내용을 참조하도

록 해야 할 것이다이하에서 제1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Ⅱ장은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

석방법을 제Ⅲ장은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Ⅳ장은 정책 분석 방법을 제Ⅴ장은 종

합평가를 한 다기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비타당성조사는 사업 주무부처가 산당국에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의뢰하면

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서를 기본 인 평가자료로 이용한다 비타당성조사를 의뢰할

당시 사업 주무부처에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서의 상세도는 사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

인다 국도 사업과 같이 정형화된 사업의 경우 기종 노선연장 차로수 등 사업 내

용에 한 기본 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 사업이 있는가 하면 사업 주무부처에

서 자체 으로 타당성조사 수 의 상세한 사업구상을 완료한 사업도 있다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상사업에 해서는 연구 은 비 조사단계에서 비용과

시간을 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의뢰단계에서 주무부처로 하

여 가능하면 구체화된 사업구상을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의 시 한 수행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업구상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

에서도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으로 선정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사업 주무부처에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타당성

조사가 의뢰된 사업에 해서는 연구 은 가능한 조사 기단계에서 사업 주무부처

로 하여 최 한 구체화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여 비타당성조사의 개요를

악하여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의 개요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비타당성조사 상에 오르는 사업들은 마다 다른 사업 배경 목 을 가지

고 있다 를 들어 도로나 철도 건설사업의 경우는 국가기간교통망 기본계획에 따

라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지역균형개발 동서화합 혹은 남북교류 활

성화 등의 차원에서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어떤 사업은 지역의 교통문제

해결을 한 민원사업으로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며 어떤 사업은 해당지역이 갖

는 자연 산업 문화 배경 등에 따라서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사업의 목 이란 사업의 필요성과 유사한 측면이 없지 않으나 동 사업을 수행함

으로써 궁극 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정 사업을 추진하

기 해서는 사업의 목 이 명시 으로 계획서에 구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 고속도

로나 국도지방도 건설사업의 경우는 동 사업이 완료됨으로 해서 어떠한 교통문제

가 해결되며 그 효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효과가 미치는 공간 범 는 어디까

지인지 등이 개략 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 은 사업 주무부처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나 련 문헌 장 방문 조사 과

정에서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사업의 배경 목 을 악하고 이를 보고서에 기술

한다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이 마다의 배경과 목 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구체

으로 어떤 경로를 거쳐 동 사업이 조사의 상으로 확정되었는지 경 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사업이 어떤 경로로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에 포함되었으며 가 혹은 어느 기 이 산신청 과정에서 주도 역할을 담당했는가를 조사하는 것은

본 사업의 분석에 있어서 쟁 이 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시사해 수 있다를 들어 앙정부가 주도 으로 나서서 추진하는 사업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

으로 나서서 추진하는 사업은 이해 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반드시 그 지

는 않지만 앙정부가 심이 되는 사업은 상 으로 사업효과가 특정 지역에 국

한되기보다 지역간 효과를 가져오는 사업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반면 지방자

치단체가 심이 되어 추진하는 사업은 상 으로 자기지역에 효과가 국한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정치 으로 지역구 국회의원 등이 심이 되어 추진하는 사

업 혹은 지역주민들의 지속 인 민원에 의하여 추진되는 사업도 있다 정치 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가 직 추진하는 사업에 비하여 사업내용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5

이 사 으로 구체화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국회나 지역주민은 사업

을 담당하는 부서가 아니므로 사업 련 주무부처가 추진하는 사업에 비하여 사업내

용을 사 으로 구체화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앙부처가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하더라도 사업의 특성에 따라 앙부처가 매우

극 으로 나서는 사업이 있는 반면 비교 소극 으로 처하는 사업들도 있다 앙정부의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문화 부 농림부 환경부 등이

추진하는 사업에 부처간에 의견이 상치되는 사업들도 있다 한편 해당사업의 추진경 에 한 악도 요하지만 동 사업이 실제로 추진될

경우 어떤 주체에 의해서 사업이 수행될 것인지를 악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를

들어 고속도로 사업이라면 한국도로공사가 추진주체가 될 것이고 철도복선화 사업

이라면 철도청이 추진주체가 될 것이다 어떤 경우는 동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

은 엔지니어회사가 구인지 등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 사업의 추진주체 혹은 추

진주체가 될 가능성이 높은 조직은 곧 동 사업의 추진에 하여 주 견해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비타당성조사 은 사업의 추진경 추진주체가 다른데 따르는 이해

계를 잘 인식함으로써 가장 객 인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항상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3 사업의 내용

사업 소 부처가 작성하여야 할 사업계획서에 포함되는 내용으로 사업의 배경

목 과 사업의 추진경 추진주체 이외에 가장 요한 것이 사업의 내용에 한

것이다 동 사업을 추진하려면 어느 지역에 입지하여 얼마의 규모로 공사를 하여야

하며 얼마만큼의 사업비가 필요한지를 미리 밝히는 것은 해당사업의 경제 타당성

을 개략 으로 가름하는데 결정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과거의 경험 자료에 입

각하여 사업의 공간 입지 공사내역 총사업비 규모를 사업계획서에서 사 으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사업의 공간 입지는 해당사업 추진이 검토되면서 가장 먼 고려되는 요소임에

도 불구하고 구체 치라든가 노선에 한 자세한 사항이 언 되려면 상당한 조사

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공사내역이나 총사업비 규모를 추정하는 작업도 약간

의 사 인 조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비 조사를 실시해 보아야만 구체

치 노선이 선정될 수 있으며 공사내역과 총사업비 추정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제기될 수 있으나 사업의 공간 치라든가 개략 인 노선 혹은 총사업비 추정이

없이 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는 사례는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해 산당

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국에 제출하는 사업계획서에 개략 인 공간입지 공사내역 총사업비를 밝히도록

의무화해야 할 것이다3)

4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사업 소 부처들은 향후 비타당성조사를 원하는 후보

사업들에 하여 사업계획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산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첫째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안)에는 사업의 배경 목 이 구체 으로 명시되

어야 한다 사업 배경 혹은 목 을 lsquo지역개발 진rsquo이나 lsquo지역교통문제 해결rsquo 등과

같이 막연하게 표 해서는 곤란하며 구체 으로 어떤 산업 혹은 어떤 부문을 얼마

만큼 지원하기 한 사업인지 혹은 어떤 지역의 무슨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한 무

슨 사업인지 분명히 밝 야 할 것이다 둘째 사업계획서(안)에서는 사업이 이루어지는 구체 입지 즉 어느 지역 혹은

어느 노선을 통과하는 사업인지 가능한 범 까지 자세히 밝힐 필요가 있다 막연히

시 과 종 의 이름만 명시한다든가 아니면 사업후보 도시의 명칭만 나열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 건축사업의 경우 건물이 입지할 한 부지가 선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셋째 사업의 추진주체도 명시 으로 기록하여야 한다 통상의 례에 따라 사업

주체가 자동 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사업이라고 하더라도 명시 으로 가 추

진주체가 되는 사업인지 밝 야 한다 여기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구체 역할

분담을 밝힐 필요도 있다 넷째 사업의 내용을 구체화하여야 하며 동시에 상 총사업비를 추정 제시하여

야 한다 사업의 구체 내용에 따라 사업비 규모가 달라질 것인 바 어떤 시설물 혹

은 구조물들이 사업 내용에 포함되는지를 제시할 수 있어야만 총사업비가 제 로 추

정될 수 있을 것이다 총사업비의 추정은 일단 유사 사업의 사업비 자료로부터 유추

할 수밖에 없을 것이지만 총사업비를 추정하는 작업은 본 사업에 한 조사 필요성

여부를 가름하는 요한 변수로 활용될 것이다 다섯째 사업의 기 효과도 명시 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사업이 완공되면 생

산 고용 부가가치 등이 얼마나 증가하는지 등의 효과가 명시 으로 제시될 수는 없

겠지만 사업의 완공으로부터 기 되는 기타효과 를 들어 교통사업의 경우 얼마의

통행시간이 약되고 얼마의 통행인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얼마의 혼잡비용이 약

될 수 있다는 등의 기 효과를 개략 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사업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비타당성조사가 착수되면 가능한 조사 기단계에 사

업 주무부처에 사업내용을 구체화한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7

제2절 기초자료 분석

공공투자사업을 추진하거나 타당성을 평가할 때 가장 먼 할 작업은 해당 사업

지역에 한 기 자료를 충분히 분석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조사도 외가 아니어

서 조사 은 사업 지역을 직 방문하고 그 지역의 기 자료를 모으는 작업으로부터

조사를 시작한다 지역의 기 자료란 크게 자연 환경에 한 자료와 사회경제

환경에 한 자료로 나 수 있다 자연 환경 자료는 기상 지질 표고 경사분석 등과 련한 자료를 말하며 비

타당성조사 보다는 본 타당성 조사에서 지질조사 지실사 등을 통하여 더욱 상세

하게 조사가 이루어질 부분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 지역에 한 통계집이

나 상 계획 등 기존 문헌 등을 통하여 기 인 조사를 수행한다 사회경제 환경

자료로는 인구구조 산업별 취업구조 지역총생산 토지이용 황 등을 분석한다 한 교통사업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주요 도로 황을 기술하는 것이 특히 요

하다 산업단지 진입도로나 항만진입도로 는 항만 인입철도의 경우 해당 사업과

련이 있는 산업단지 항만 등 교통 발생시설의 황 등을 집 으로 분석한다기 자료 분석이 단순히 지역 황에 한 정형화된 자료를 나열하기 보다는 비

타당성조사 상사업과의 련 속에서 해당 지역의 황을 기술하는 것이 요하다 를 들어 교통 황 분석에서는 해당지역의 재 교통 체계 속에서 해당 사업이 갖

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악함으로써 본격 인 교통분석이 이루어지기 이라도 해당

사업의 요도를 사 으로 가늠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사업의 성격에 따라서 자연 환경의 향을 덜 받는 사업이 있고 더 받는 사업

이 있을 수 있다 컨 고속도로나 철도 건설사업은 자연 인 조건 즉 노선이 산

간지역을 지나느냐 평야지역을 지나느냐 호수 혹은 강이 있느냐 없느냐 지질이 암

반지질이냐 등에 따라 사업의 내용 비용조건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반면 산업

단지 조성사업 등은 자연 환경 보다는 사회경제 환경에 의해서 더 큰 향을 받

을 것이다 인구 산업구조 지역의 소득수 등에 따라서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성패

가 좌우될 것이기 때문이다

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질오염 토지오염 생 공사소음 등과 같이 인간의 의식주 생활에 직 으로

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환경 자료를 조사하는 것도 요하다 해당사업이 추진될

경우 발생할 험이 있는 생활환경 오염 등에 해서는 기존의 타당성 조사에서는

다루지 못하고 있으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개략 인 조

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를 들어 환경변화에 향을 많이 미치는 수자원개발

사업 등은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정책결정 단계에서 환경 향에 한 검토가 매

우 요하다 지역주민의 반발이나 환경 괴의 우려로 인하여 개발 자체가 거부

되는 것을 월다목 낙동강 물종합 책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수

자원개발 사업이 환경 향에 한 검토 없이 추진된다면 사업 수행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상되기 때문이다 생활환경으로 토지오염 생 소음공해 등도 무시

하지 못할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해당사업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생활환

경 문제를 검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2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사회경제 환경으로 해당 지역의 인구구조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토지이용

황 교통 황 등이 검토되어야 함은 이미 지 한 바 있다 우선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자료는 사업의 성격이 어떠하든간에 가장 기 인 자료이면서 사업의

효과에 큰 향을 미치는 자료이다 인구가 집된 지역은 그 지 않은 지역에

비하여 수요가 높을 것이고 그만큼 사업의 경제성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역

의 산업구조는 해당 사업이 동 지역에 입지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한 에 가장 쉽게

나타내 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지역총생산 자료도 경제성 지역균형개발 차원의

평가에서 요한 기 자료가 될 수 있다다만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련 자료는 역자치단체 수 에서는 원자

료를 획득하기 용이하나 기 자치단체 수 에서는 원자료를 얻기 힘든 경우가 있다 특히 미래에 한 망자료는 더욱 그러하다 국지 인 사업의 경우는 최소한 기

자치단체별로 아니면 더욱 세분화된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데이터를 구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인 바 망을 하기 해서는 몇 가지 강한 가정들이 도입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향후 보다 정치한 비타당성조사가 이루어지기 해서는 역자치단체 혹은 기

자치단체 수 에서도 쉽게 이용가능한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데이터와

망자료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4)

4) 한국개발연구원은 비타당성조사에서 이러한 부분에까지도 심을 확 할 계획으로 있다 제3 에서

역자치단체의 인구 지역총생산액 수 을 망하 었고 본 제4 에서는 보다 세분화하여 세부행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9

도로철도 등 교통부문 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의 기 조사에서 가장 요

한 부분은 해당 지역의 교통 황을 악하는 것이다 를 들어 사업 상 지역의 도

로 종류별 차로수 연장 교통량 등을 제시한다 특히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과

련성이 높은 교통시설에 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통하여 비타당성조사 상 사

업이 지역에서 갖는 의미를 악한다산업단지 진입도로 항만진입도로 인입철도 등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교통시설 황 못지않게 산업단지 항만의 시설 황 교통 발생량 등 해당 사업

의 요도를 개략 으로 악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나 항만의 시설 황에 한 상

세한 정보를 악하여 기술한다한편 사회경제 환경분석의 하나로 해당사업의 상 련계획들을 검토하

는 것도 요하다 부분의 SOC 사업들 사업추진주체가 해당 사업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는 없으며 몇 단계의 정부계획 혹은 지자체 계획을 거치기 마련이다 상 계획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사업이 체계 으로 검토되어 온 것인가를 알 수 있으

며 상 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투자우선순 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사업부문에 따라 상 계획으로서 기본 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계획들이 있으며

해당 사업의 특성에 따라 검토되어야 할 다양한 련계획들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계획체계는 국토계획 개별법에 의한 계획 지자체 계획 등이 매우 복잡

하게 얽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해당 사업에 실질 인 향이 있거나 국가 체

의 계획 방향에 어 나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각 사업의 개요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 기 자료를 정 하게 분석하

게 되면 각 사업별로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가장 큰 쟁 으로 분석되어야 하는

이 무엇인지를 악할 수 있다 조사의 쟁 은 보통 사업의 성격 추진배경 뿐

아니라 사업지역의 자연 사회경제 환경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가장 시되어야 할 쟁 은 lsquo다른 안rsquo에 한 검토이

다 제안된 사업계획의 비용 편익을 추정하는 작업 못지않게 다른 안 즉 고속

도로 건설사업의 경우 고속도로 건설 신 다른 국도나 지방도를 확장하는 안이라

든가 철도를 건설하는 등의 안이 더욱 바람직하지는 않은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다른 안을 검토하는 데에는 한가지 제약이 있다 가능한 모

정단 별 인구 지역총생산액 수 을 망하 다

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든 안에 해 개략 이나마 비용 편익을 계산해야 모든 안들이 동일 선상에

서 비교될 수 있는데 이는 지않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안된 사업계획에 해서는 정 한 조사에 의한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되 나머지

검토될 수 있는 안들에 해서는 기존의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비용과 편익을 추

정하는 작업을 병행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다른 안의 검토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반드시 lsquo어떤 사업이 추진되는

것(Do-Something)rsquo만이 안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컨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경

우 고속도로 신 국도를 확장하거나 철도를 건설하는 것만이 안이 아니며 lsquo아무

것도 하지않는 것(Do-Nothing)rsquo도 요한 안으로 포함되어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 해당 사업의 타당성 유무는 항상 사업을 추진하지 않았을 경우(Do-Nothing)와 비

교하여 기회비용을 따져 보아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해당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것

이 더 좋은 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비타당성조사에서 부각될 수 있는 쟁 은 다양하다 어떤 사업은 기

술 타당성 여부가 쟁 이 되며 어떤 사업은 재원마련 가능성 여부가 쟁 이 된다 어떤 사업은 지역갈등 문제 혹은 국방 문제 등이 쟁 이 되고 어떤 사업은 민자유치

가능성 여부가 쟁 이 될 수 있다 결국 쟁 이 무엇이든지간에 해당사업의 조사에서 가장 요한 분석 쟁 이 무엇

인지를 반드시 부각시키고 그 쟁 에 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비타당성조사의 주요 분석범 는 크게 두 가지로 나 수 있다 하나는 사업의

경제성에 한 분석이고 다른 하나는 정책 차원에서의 분석이다 경제성에 한

분석은 일단 그 사업이 어느 정도의 경제 가치가 있는 사업인지를 악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사업에 한 정확한 이해를 돕게 된다 나아가 사업의 경제성에 한 정

보는 정책 차원의 분석에 있어서 가장 기본 이고 필수 인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

서 경제성 분석은 비타당성조사의 가장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에서 검토되고 있는 경제성 분석의 구체 인 내용은 사업 종류에

따라 다르다 컨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경우는 편익이 고속도로 건설로 인한 시간

가치의 감 유류비 감소 등의 운행비용의 감 교통사고의 감소 등으로 추정될 수

있는 반면 역사문화 조성사업의 경우 편익은 입장료에 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등에 의해 결정되는 매출액이 주된 것이 된다

경제성 분석은 사업의 수요 추정으로부터 시작된다 수요를 망하기 해서는 다

양한 통계학 방법이 필요하다 한 과거의 경험이나 국내외 유사 사업의 사례에

한 분석을 통하여 수요 추정치의 합성 여부를 검하여야 한다 추정된 수요에

입각하여 편익을 추정하는 작업도 요하다 개략 인 총사업비를 추정하기 해서

는 건설비 용지보상비 등 시설구축을 한 기 투자비용과 유지 리비 시설개량비

등 시설운 에 따르는 비용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경제성 평가는 편익비용 비율(BC ratio) 순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의

계산을 통하여 사업의 경제성재무성을 악하는 과정이며 필요한 경우 경제성 분

석에 사용된 각종 추정치의 오차를 보완하기 하여 수요 비용단가 할인율 등 주요

변수의 변화가 경제성에 미치는 향에 한 민감도 분석도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수요 추정 편익 추정 비용 추정 경제 타당성 분석 재무 타당

성 분석의 순으로 구체 인 경제성 평가방법에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1절 수요 추정

1 교통부문 사업5)

가 공신력 있는 자료의 사용

비타당성조사의 교통수요 추정을 한 기본자료로 교통개발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에서 구축한 국가교통DB(KT_DB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의 OD

Network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가교통DB센터에서는 국과 5

역권의 재 장래 OD와 Network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교통 분석에 사용되는 주

요 라미터는 채택한 OD Network에 상응하는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 자료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공신력 있는 기 의 자료를 사용한다

나 총통행 OD의 불가변성

교통시설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유발교통량(induced traffic)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고려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6) 따라서 사업 시행 후의 총통행 OD는 원칙

으로 동일하다 향권 내의 특정 죤을 세분할 경우에는 본 지침에서 제시된 방법

에 의해 OD를 수정할 수 있다 장래 OD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교통량에 큰 향을

미치는 개발계획이 락된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KT_DB의 OD에 변화를

래하는 개발계획의 내용 개발계획으로 인한 OD의 변화량을 보고서에 상세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5) 사실상 교통부문 사업 가운데에서도 도로건설이나 철도 혹은 교량건설 사업에만 제시하는 수요추정

방법론이 그 로 용될 수 있으며 항만 혹은 공항건설 사업에서는 약간 다른 수요추정 방법이 용

되어야 한다 각 부문별 교통사업의 수요추정 방법에 해서는 ꡔ도로철도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

사 표 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ꡕ(한국개발연구원 2004) ꡔ항만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ꡕ(한국개발연구원 2000) 혹은 ꡔ공항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ꡕ(한국개발연

구원 2000)를 각각 참조하기 바란다

6) ꡔ신안군지역 3개 연육연도교 건설사업ꡕ 비타당성조사에서 연육교 사업 시행시 유발교통량이 발생

한다고 가정하고 분석을 수행한 사례가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23

다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법론의 적용

교통수요 추정 방법 통 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오면서 표 인 수요추

정 모형의 상을 갖고 있는 방법은 4단계 추정방법이다 이 방법은 통행발생 통행분

포 수단선택 통행배정의 4단계로 나 어 순차 으로 교통죤(traffic zone)을 심으로

교통수요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각 단계별로 용되는 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

는데 각 과정별로 용모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통행발생은 각 교통죤에서 발생되는 통행량(production)과 도착되는 통행량

(attraction)을 추정하는 단계로 증감율법 원단 법 는 교차분류법 회귀분석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둘째 통행분포는 앞 단계에서 추정된 발생도착통행량을 교통죤 간에 배분하는

단계로 성장인자모형 력모형 엔트로피극 화모형 간섭기회모형 등이 많이 사용

된다 그 결과 교통죤 간 여객 OD 화물 OD가 생성된다 셋째 수단선택은 앞 단계에서 생성된 교통죤간 OD 자료를 이용자가 선택 가능

한 교통수단별로 세분화하는 단계인데 통행단모형 통행교차모형 개별행태모형 환곡선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 결과 여객의 경우 승용차 OD 버스 OD 철도 OD가 생성되며 화물의 경우 트럭 OD 철도 화물 OD가 생성된다

넷째 마지막 단계인 통행배정은 각 교통수단별 OD 자료를 상지역 내 교통망

에 배정하는 것으로서 량 통행배정방법 용량제약 통행배정방법 확률 통행배정

방법 평형 통행배정방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특히 이들 통행배정 방법은 정 통행

기법인데 비하여 최근에는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와 연 된 실시간 동

통행배정기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모든 도로의 각 구간에 하여

차량 교통량이 추정되고 철도도 모든 구간에 하여 교통량이 추정된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미 구축된 재와 장래의 수단 OD를 제공함으로 모든

사업에 하여 4단계 과정의 분석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국지 인 도로사업 시행시

다른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환교통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사업의 타당성은 통행배정

과정에서 경로 선택의 변경이 향을 미치는 경우가 부분이다 이 경우 통행비용의

변화로 인해 노선을 변경하는 교통량 산정이 요하므로 수단선택 단계의 분석을 생

략할 수 있으며 Network의 속성 link 항함수 통행배정 방법을 심으로 분석을 수

행한다사업구간이 짧아 죤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거나 통행발생랑 통행분포에 향을

미치는 장래 개발계획을 추가 으로 반 하여야 할 경우에는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

법을 따라 통행발생 단계부터 분석을 수행한다

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단선택 분석이 요한 철도 사업의 경우 주어진 교통수단별 OD를 합하여 교

통 수단선택 분석을 다시 수행하며 별도의 수단선택 분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는 주어진 수단 OD를 가지고 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한다

라 교통수요 추정 과정

[그림 Ⅲ-1]은 교통수요 추정 편익산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에는 상업 인 교통계획 소 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 리 사용

되고 있는 것으로는 외국에서 개발된 EMME2 TransCAD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연

구 이 자체 으로 개발한 사통팔달도 있다

2 수자원(댐)개발 사업

다목 을 포함한 수자원개발사업의 경우 어떤 사업보다도 수요추정이 비타

당성조사에서 요한 치를 차지한다 이수사업의 경우 체유역과 해당지역의 용

수수요 자료를 토 로 각종 계량경제학 방법을 통하여 향후의 용수수요를 추정하

고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용수공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7)

가 관련계획 및 자료의 검토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가 기존의 련계획이나 보고서를 심으로 용수수

계획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련 자료로부터 상지역의 용수수요를 측하

고 물수 계획에 따라 장래 물 부족이 상된다면 신규 수자원 개발계획 등을 포함

하여 유역의 체 인 용수공 계획을 검토하도록 한다참고자료로는 최근의 련계획인 ꡔ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고서ꡕ8)가 있는데 이는

이수종합계획의 용수수요 망 용수수 망 등에 하여 반 으로 검토한 국가기

본계획이다 한 10년 단 로 수립하는 건설장기계획은 안정 인 용수공 을

한 계획이다 이 계획에서는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 개발이용 등을 감안하여 용

수공 홍수조 등을 한 다목 건설을 계획한다

7)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수자원(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제3 )ꡕ(한국개발연구원 2003) 참조하라

8) 건설교통부 2000 12

제Ⅲ장 경제성 분석 25

[그림 Ⅲ-1] 교통수요 추정 및 편익산출 과정

OD 및 네트워크

예비타당성 일반 지침의 OD 및 Network 적용

기준년도 ODNetwork구축

통행배정 모형

도로 링크별 교통량속도

직접영향권 내 관측-추정치

비교

통행배정모형 확정

목표년도 ODNetwork

- 건설예정 도로 추가- 목표년도 OD 구축

- 연도별 시나리오 구축

- 장래관련 계획 검토- 죤 분할

- 주변 교통량 조사

시나리오별 통행배정

Do-Nothing 수단별통행 배정결과 도출

대안별 수단별통행 배정결과 도출

편익산정을 위한 계수 적용

대안별수단별통행시간운행비용 산출

편익 산출

보 정

네트워크 보정링크별 VDF 보정

오차gt기준치

오차lt기준치

기준년도 정산

교통수요 예측

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리고 ꡔ 국 5 강 유역의 유역조사 보고서ꡕ와 소권역별로 장기 용수수요를

측하여 상되는 부족에 처하기 해 조사 분석한 보고서로 ꡔ수자원개발 가능지

역배분계기본획 조사ꡕ9) 등이 있다 동 보고서는 장기용수 공 방안을 수립

함은 물론 수자원의 효율 인 개발과 이용을 도모하는데 있어 국 수자원개발 방안

리상의 안 문제 을 분석하고 당면과제와 용수수 불균형에 한 문제 해

결 방안을 수요발생지역 유역을 감안한 소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장기

용수공 방안을 수립하 다 기존의 자료가 없거나 부족하다면 다음의 개략 인 방

법으로 용수수 계획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용수수요 전망

생활용수 수요량 추정방법으로는 과거의 추세를 분석하여 외삽하는 방법과 생활

용수 수요에 향을 미치는 인자를 세분하여 분석하고 이와 련된 사회 경제 요

인 등을 고려한 상 계를 도출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수요량 추정방법의

선정은 주어진 분석기간과 입수가능한 자료를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주요항목

은 상수도 수 황 장래인구 추정 수보 률 단 수량 등이 있다 공업용수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수 즉 원료용수 제품처리용수 세정용수

보일러용수 등을 말하며 업종 규모 생산액 부가가치 출하액 제품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다 공업용수 추정은 일반 으로 계획입지에 해서 외삽법과 원단 용법이

있는데 외삽법은 과거 이용실 량의 변화추이를 회귀분석하여 장래 수요를 추정하

는 방법으로 공단별 과거자료가 충분히 조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련자료들이 실

으로 미비하므로 외삽법은 국내 실정상 불가능하여 보통 원단 용법으로 공단

농공단지 수요량을 추정하고 있다 원단 용법은 공업용수 사용량과 한

계가 있는 인자를 기 으로 도출된 원단 를 해당인자에 용하여 공업용수 사용량

을 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업종별로 가장 합한 원단 를

선정하여 용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공업용수 수요 추정에서 사용되는 원단 는 공

장부지면 종업원수 생산액 등이 있다 농업용수는 논용수(수리 안 답 불안 답) 밭용수( 개 비 개 ) 축

산용수로 구성되며 비타당성조사의 농업수요 추정시에는 논용수 개 용수만

을 고려한다 향후 농업용수수요는 경지종류별(안 답 불안 답 개 ) 개면

망치에 단 용수량을 곱하여 산정한다 수리시설물의 개면 황에 하여

시군 농지개량조합 등의 련기 으로부터 개면 을 조사하거나 인근의 하천

정비계획을 참고로 하여 개면 을 조사하도록 한다 향후 경지종류별 경지면 은

9) 건설교통부 1996 4

제Ⅲ장 경제성 분석 27

권역별 수자원개발계획 수립조사보고서의 시군구별 경지면 망치를 활용하

되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농림부의 경지면 실 치를 참조하도록 한다10) 과거

국 경지면 추이와 우리나라 산업구조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ꡔ21세기를 바라본 농

업발 방향ꡕ11) 등의 련계획에서 국 경지면 이 rsquo9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망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단 용수량은 ꡔ농업용수개발 필요수량 산

정기 ꡕ12) 기존의 권역별 수자원개발계획 수립조사보고서의 망치를 활용한다최근 사회 으로 하천환경 보 이나 환경개선을 한 하천유지유량의 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이란 하천에서 유수의 정상 인 기능과 상태를 유지하

기 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이며 하천 고유의 수리수문학 하도가 유지되어

하천 동식물의 생태환경 보호 하천경 보 하천수질 보 등이 가능한 상태를 말

한다 사업시 하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의 유량을 건설 사업에서 보장하

여야 한다고 「 설계기 」13)에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갈수량을 기 으로 산정하되

각 하천 고유의 자연 사회 여건과 유량공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하천 수질보

등을 한 기타 8가지 항목을 감안할 수 있다 갈수량은 기 갈수량 평균갈수량 는 특정 빈도 연속 갈수량 등을 산정하여 해당 하천 규모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하게 된다

다 물수지분석와 물수급계획

물수지분석의 목 은 상유역의 장래 용수수 계획을 세우기 한 선행작업으

로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상 계획을 이용한다 유역내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지역간 용수수 의 균형이 맞지 않는 지역은 물수지분석에 의한 정확한 용수수 상

황의 악이 필요하며 이로부터 장래 물 부족이 발생하는 지역에 한 공 책을 수

립하여야 한다 물수지 분석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을 이용하고 아울러 지방상수도

를 포함한 기존 용수공 체계와 역용수수 망을 검토하도록 한다

10) 농림부 홈페이지(httpwwwmafgokr)

11) 농어 경제연구소 1992

12) 농수산부 198011

13) 건설부 ꡔ 설계기 ꡕ 2001

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기타 사업

산업단지 혹은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업은 사업의 직 인 효과가

발생하지만 별로 크지 않은 반면 간 인 효과가 부분을 차지한다14) 따라서

수요도 사업에 한 직 인 수요 보다는 간 인 효과에 기인하는 수요가 높

을 것이다 를 들어 산업단지 조성의 주목 이 해당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있다면 해당사업에 의해 동 산업에서 새로이 창출되는 수요를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가장 요

한 과업이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요 추정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시나리오를

낙 비 시나리오로 나 어 수요를 추정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

제2절 편익 추정

편익 추정은 우선 편익항목을 식별(identify)하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특정사업

의 편익항목은 사업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므로 해당 부처가 제출하는 사

업계획에 따라 편익항목을 구체 으로 세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각종 편익항목들

이 식별되고 나면 항목별로 단 당 기회비용 혹은 가치를 계산하여 편익을 추정하게

된다 를 들어 편익항목 i의 단 당 가치가 Pi라고 하고 시 t에서의 수요 추정

치가 D it라고 한다면 편익 추정치 B it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it= P i times D it

Bt = sum B it

이하에서는 교통부문 사업 수자원개발 사업 기타 사업으로 나 어 살펴보기로

한다 앞 수요추정과 마찬가지로 보다 구체 인 추정 방법은 개별 지침을 참조하

도록 하고 본 일반지침에서는 개요만을 다루도록 하겠다

14) 물론 여기서 말하는 간 효과란 다음 장의 정책 분석에서 말하는 간 효과와 완

히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간 효과란 정책 분석에서 다룰 지역경제

효과와 같은 지극히 일반론 인 간 효과를 말하기 보다는 사업을 통해서 직ㆍ간 으로 얻어

지는 효과이긴 하지만 직 사업주체에게 lsquo경제 rsquo으로 주어지는 효과가 아니란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29

1 교통부문 사업

교통시설 투자사업 시행에서 발생하는 편익은 교통측면의 편익인 직 편익과

교통개선으로 인한 사회 편익인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lt표 Ⅲ-1gt은 도로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을 보여 다 도로사업 시행시 교통시

설을 이용자들에게 발생하는 편익으로는 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

고 감소 쾌 성 증가 정시성 향상 안정성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차량운

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고 감소 등의 편익을 화폐가치화 작업은 비교

용이하나 교통의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는 개인별 주 만족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폐가치화 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

lt표 Ⅲ-1gt 도로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직 편익

∙ 차량운행비용 감

∙ 통행시간 감

∙ 교통사고 감소

∙ 쾌 성 증가 정시성 향상 안정성 향상 등

간 편익

∙ 환경비용 감

∙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 지역 산업구조 개편

주 는 실제 경제성분석의 편익에는 계량화하여 반 하지 못한 항목

간 편익은 도로사업 시행시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효과이다 간 편익 가운데 환경비용 감 편익의 경우 기오염 소음 등 일부

항목을 계량화하는 연구 성과가 축 되어 비용편익분석에 반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개발 시장권 확 산업구조 개편 효과 등이 실 되기 해서는 도로사업 이외

의 분야에 한 투자가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계량화에 어려움이 따르고 투자의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s) 등으로 비용편익분석의 편익으로 직 산정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어 편익항목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철도사업 시행시 발생하는 편익은 철도 이용자와 타 수단 이용자에게 발생하는

직 편익과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2gt 철도관련 투자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세 부 항 목

직 편익

(사용자

편익)

철도 이용자

편익

∙철도(기존 신규 철도) 사용자 화물의 통행시간 감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

타수단

이용자

편익

∙차량운행비용 감

∙도로-철도간 환수요에 의한 통행시간 감

∙항공해운의 환수요에 의한 편익∙교통사고 감소

∙건 목 개선에 따른 사고지체 감소

간 편익

(비사용자 편익)

∙환경비용 감( 기오염 소음 감)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고속도로 유지 리비 감∙주차수요 감소로 인한 주차공간 기회비용 감

∙공사 교통혼잡 도로공간 축소로 인한 부(-)의 편익

주 는 실제 경제성분석의 편익에는 계량화하여 반 하지 못한 항목

직 편익은 도로 철도 이용자들이 철도사업 시행시 직 으로 얻게되는 편익

으로서 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고 감소 등은 계량 인 수치의 산

출 화폐가치화 과정이 비교 용이하다 그러나 항공해운의 환수요에 의한 편

익의 경우 명확한 편익항목으로 반 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측면이 있으나 계량화가

용이하지 않다 교통의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는 개인별 주 만족

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폐가치화 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간 편익은 철도사업 시행시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효과이다 철도사업의 간 편익에는 도로사업의 간 편익인 환경비용 감 지역

개발 효과 시장권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 이외에 고속도로 유지 리비 감 주차

수요 감소로 인한 주차공간 기회비용 감 공사 교통혼잡 도로공간 축소로 인

한 부(-)의 편익 등을 들 수 있다 논의를 종합하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편익 산정범 를 공통 편

익과 사업특수 편익으로 구분한다 공통 편익이란 모든 도로 철도부문 사업에 포

함되는 편익을 의미하며 사업특수 편익이란 특정 사업의 평가에 한정하여 산정하여

야 하는 편익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1

lt표 Ⅲ-3gt 예비타당성조사의 도로철도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공통 편익

∙차량운행비용 감 편익

∙통행시간 감 편익

∙교통사고 감소 편익

∙환경비용(공해 소음) 감 편익

사업특수

편익

∙공사 교통혼잡으로 인한 부(-)의 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업으로 인한 도로공간 축소에 따른 부(-)의 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

2 수자원부문 사업

건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편익 역시 크게 직 편익과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 용도에 따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어려우나 다목 의 경우에는 직

편익으로는 홍수조 생공용수공 개용수공 수력발 내륙주운 하류 수

질개선 크 이션 기능 제공 편익 등이 있다 한편 간 편익은 발 용 유류 체효

과 연 산업의 효과 토지이용 증가 토사유입량 감소 편익 등으로 볼 수 있다재 우리나라의 ꡔ 건설 주변지역지원 등에 한 법률ꡕ에서는 다목 개

발에 따른 직 편익의 항목으로 홍수조 생공용수공 개용수공 수력발

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의 용에 있어서도 생

공용수공 과 개용수공 을 용수공 으로 묶어서 분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한편 사업의 홍수조 편익을 포함한 치수사업의 경우는 련계획 보고서

의 조사 상 유량규모 설정 지반고범람수리조사 범람구역자산조사를 최 한 이

용하여 상피해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기존의 수자원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이 다

목 의 편익산정에 을 두었으나 최근 치수사업의 경우의 경제성 분석 방법론

이 별도로 개선되어 왔다 홍수피해액 산정에 있어 기존의 간편법에서 개선법(하천

설계기 2002)으로 개정되었고 최근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치수사업 경제성분

석 방법연구 건교부 2004)으로 개선된 방법이 제시되었다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서도 홍수피해액 산정에 있어 가능하다면 개선된 방법을 용하여야 할 것이다

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기타 사업

수요 추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업단지 혹은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

업 등은 사업의 성격이 조 씩 다른 만큼 편익 추정방법도 조 씩 다르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편익추정은 동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 인해 추가 으로 발생

하는 산업생산 혹은 부가가치 수입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상되는 부가가치를 추

정할 때 단순한 이 수입 다시 말해서 다른 지역이나 다른 사업으로부터 단순히 이

되어 올 것으로 기 되는 수입은 배제하고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문화 시설의 편익은 본 시설의 입장수입 각종 부 시설의 매출액으로 구

분된다 본 시설의 입장수입은 시설자체의 입장료 시설 내의 각종 사용료 람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시설의 건립목 과 연 성이 높은 항목들을 포함시

키도록 한다 부 시설의 매출액으로는 상가시설의 매출액(식음료 기념품 등) 숙박

시설(호텔 유스호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매출액 부 수입 등을 들 수 있다 한가

지 주의할 은 입장수입 혹은 매출액의 결정이 단순한 가격(price)이 아니라 수요자

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에 철 히 입각해서 책정되어야 한다는 이다 체육시설의 주요 편익은 연수 심사 회개최 등 시설 내에서 제공되는 각종 로

그램으로부터의 수익과 여기에서 생되는 부 수입 시설사용료 등이다 연수수

입은 로그램의 성격과 상그룹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추정에 용이하며 숙박수입 식음료 매수입 기념품 매수입 등의 부 수입 역시 이에 연동하여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기시설과 도구 등의 제공이 주 사업목 인 경우에는 료 등의

시설사용료가 주요 편익항목이 될 것이다 편익추정의 다음 단계는 개별 편익항목의 객단가를 추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객

단가란 시설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한 단 에 부과되는 액을 말하며 테마 크

의 일인당 입장료 숙박시설의 일인 일실당 숙박요 연수 로그램의 일인당 연수요

등을 로 들 수 있다 객단가 추정에는 개별 편익항목의 성격에 따라 상이한 추정

방법이 요구되며 객단가 추정시에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시설의 성격과 건립목 이다 해당시설이 공공재의 성격이 강한 경우 혹은

통문화의 복원계승 국민보건 향상 등 정책 인 목 하에 시설이 건립되는 경우

에는 시설의 운 에 필요한 최소한의 객단가가 용된다 박물 복원된 유 지 국민체육시설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에 시설의 공공재 성격이 약하여 민간부문에

의하여 수행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원칙 으로 이윤극 화의 목 하에 객단가가

결정되며 이때에는 국내외 유사시설의 규모와 객단가를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내외 유사시설의 객단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함에 있어서는 건립목 규

제Ⅲ장 경제성 분석 33

모 내용 등이 비타당성조사 상시설과 유사한 시설의 자료를 선택한다셋째 객단가 추정시에는 시설이 입지할 지역의 여건을 고려해야 하며 여기에는

자연환경 자원 배후도시로부터의 교통여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객단가를 이용한 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은 다음과 같은 한계

을 가진다 첫째 편익 항목으로 반 된 입장료는 시장가격에 의해 결정된 가격이 아니라 법

령에 의해 강제 으로 결정된 가격이다 즉 이용자의 진정한 가치 단의 결과인 지

불의사액을 제 로 반 하지 못한다둘째 국내에 련시설이 없어서 해외의 자료를 용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

다 왜냐하면 개별 국가의 소득규모 국민의 선호도 차이 문화 사회 여건의 차

이 등에 따라 편익의 값은 달라지기 때문이다셋째 비타당성조사에서의 편익은 경제학 인 견지에서 볼 때 해당 사업으로부

터 발생하는 효과를 얻기 해 다른 재화에 한 지출을 이면서 기꺼이 지불하고

자 하는 최 액인 지불의사액으로 정의된다 하지만 객단가 개념에 근거한 편익

계산 방식은 이를 제 로 반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이론 근거도 취약한 편이

다넷째 특정 문화과학시설에서의 이용자 지출을 편익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시설에 지 않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사

람들의 가치 단을 반 하지 못한다 즉 비사용자들이 갖고 있는 가치를 무시하게

된다 이러한 은 문화과학시설의 진정한 공익 가치를 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 을 안고 있다다섯째 입장료 수입 부 수입 등으로 편익을 산정하게 되면 항상 과소추정의 가

능성을 갖게 된다 해당 문화과학시설을 왕복하기 해 소요된 시간비용 여행

비용 등도 문화과학시설로부터 얻게 되는 효용을 해 기꺼이 지출된 비용이므로

이것들도 편익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이에 한국개발연구원에서는 기존 ꡔ문화 체육과학부문사업의 비타당

성 표 지침 연구ꡕ에서 제시된 객단가를 이용한 가치추정 방법의 한계를 인식하고 2004년부터 이들 비타당성조사에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과 컨죠인트 분석법(CAM Conjoint Analysis Method)을 도입하여 비시장재화

의 가치를 추정하 다15)

향후 문화과학시설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사업에 맞게 기존의 객단가 추

정방법이나 CVM CAM 방법을 이용하여 편익을 산정하도록 한다

15) 보다 자세한 사항은 박 유경 곽승 의 「문화시설의 가치추정 연구」(2004)를 참조하도록 한다

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비용 추정

비용의 분석도 사업의 성격 내용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사업의 비용은

체로 공사비 용지보상비 유지 리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사비는 해당사

업의 기에 투자되는 건설비 이에 수반되는 비비를 말하며 용지보상비는 사업

지역의 토지 매입 보상비를 말한다 유지 리비는 사업의 기 투자비용뿐 만 아

니라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까지 고려하기 해 추가하는 경상운 비 등을 말

한다 교통부문 사업 수자원부문 사업 기타 사업으로 나 어 비용분석 방안을 검토

해 보기로 하자

1 교통부문 사업

교통부문 사업에 한 비용 분석은 고속도로 건설사업 기타 도로 건설사업 교량

건설사업 그리고 철도 건설사업 항만 건설사업 공항 건설사업 등으로 나 어 다르

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철도 교량 건설사업의 경우 수요 편익 분석은 도로사업

과 분석의 틀이 유사하지만 비용 분석에 있어서는 다른 척도가 필요하다 항만 공

항 건설사업은 수요 편익 분석도 도로사업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비용 부문은 사

업 특성별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16)

가 도로부문 사업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은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명시되어

야 한다 사업의 비용을 산출할 때는 구체 인 공사 물량과 함께 시공시 지출되는 평

균공사비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지침에서는 최 한 실 인 수치를 제시하

기 해서 노력하 으나 비타당성조사의 특성상 해당도로의 노선이 구체 으로

확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제시되는 사업비 항목 물량 단가 등의 수치가 실제 사업

을 집행하는 단계에서 일부 조정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16) 수요편익 추정과 마찬가지로 본 일반지침에서는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의 비용추정에 한

기본 제 방향 부문만을 반 하 다 구체 인 분석 방법 용단가 등 련 라미터는 해당

지침을 참고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5

다음은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 용한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추정과 련

한 몇 가지 기본 제이다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추정 방법 항목 평균단가 등 주요한 내용은 주로 고속

도로 공사를 상으로 과거 실 자료를 인용하여 추정하 으며 국도 등의

용시는 도로폭원에 비례하여 용한다 다만 격히 설계속도가 낮은 국지도 지방도 기타도로의 경우에는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제시된 값은 평균 인 수치이므로 이 값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정당한 사유와

근거가 있는 경우 사업지의 특수성을 반 할 수 있다

지침에서 제시하지 않은 공사비 항목 공사비의 구체 인 수치 용방법 등에

해서는 해당 사업별로 합리 인 근거에 의해 그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결과는 오차 발생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비타당성조사의

기본 취지인 국가 주요 투자사업에 한 상 비교 개별사업의 사업성

평가에 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 큰 비 을 차지하는 것은 공사비와 용지보상비인데 이

공사비는 본선에 해서 토공부와 교량부 터 부로 구분하여 산정하며 기타

시설로서 출입시설(IC JC) 업소(건물 포함) 휴게소 등의 부속시설 건설비용으

로 구분한다 공사비를 산정할 때 유의할 은 다음과 같다재 타당성조사 기본 설계 단계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125000~15000 지형도

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에서 이보다 큰 축척 지형도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개략 인 노선계획은 150000~1500017)지형도를 사업의 성격 규모에 따라 사용하

며 노선계획 건설비용 추정작업의 편의를 하여 2000년 이후 국립지리원에서 제

공하고 있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병행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17) 재 국내외 설계 건설 련 기 업체에서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기 데이터로 이용하는 다

양한 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4gt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

로그램명 국 가 비 고

Road Projector 한 국가격이 렴하고 국내실정에 잘 맞아 국내설계회사

다수가 이용

Moss 국국내에 일 보 되었으나 국내에서 체 로그램

이 개발된 이후 이용이 격히 어든 상태임

Smigs 호 주Moss보다 늦게 개발된 로그램으로 단지설계 주

의 로그램임

주 상기 로그램 이외에도 재 국내에는 설계회사 독자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로그램이 있음

작업과정은 기 자료 입력단계 계획 설계단계 결과 도출단계로 나 어지며

각 단계별 작업내용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작업단계별 내용

구 분 내 용

기 자료 입력단계지 형 황 데 이 터 수치지형도

설 계 기 데 이 터 설계속도 기하구조 요소

계획 설계단계

계획횡단면 입력 차로수 차로폭 분 길어깨

평면선형계획입력 계획노선에 한 평면선형 데이터

종단선형계획입력 계획노선에 한 종단선형 데이터

구 조 물 계 획 입 력 구조물의 치 규모

결과도출단계

계 획 종 평 면 도 평면 종단 계획도

주 요 횡 단 면 도 필요시 출력

수 량 산 출 데 이 터 토공 주요 수량산출 데이터

수치지형도(Digital Map)는 컴퓨터상에서 도로 철도 건물 하천 등 다양한 인공지

물과 자연지형을 도식(기호)과 3차원의 치좌표로 표 한 디지털 지리정보 지도로

국립지리정보원에서 축척 11000~1250000까지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그 황

은 다음과 같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7

lt표 Ⅲ-6gt 국립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제공내역

구 분 축 척 도엽수 비 고

지형도

11000 12753

-15000 16236

125000 786

1250000 22

도로부문 사업비는 다음의 [그림 Ⅲ-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다

[그림 Ⅲ-2] 도로부문 사업비 산출 흐름도

황조사내용 유형별 기 설정

경유지 선정

노선계획

Type별 표 단면도 작성

- Type 1 (평지 성토부)- Type 2 (산지 토부)

수량산출(토공부 교량부 터 부 출입시설 등) 용지면 산출

단 공사비 산출(토공부 교량부 터 부 출입시설 등) 지역별 지가 산정

공사비 산출 용지보상비 산출

부 비용 산출(설계비 감리비 등)

총 사 업 비 산 출

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제4 )ꡕ에서는 각 공종별 비용추정 결과를 일정양식에

따라 제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lt표 Ⅲ-7gt의 양식 로 총사업비 내역표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Ⅲ-7gt 총 사업비 내역(도로)

∙ 총연장 km (기존선활용 km 확장 km 신설 km)∙ IC 개소 JCT 개소 본선 업소 개소

∙ 구조물 교량 개소( m) 터 개소( m)∙ 기타

공 종 규 격 단 수량 단가(백만원) 액(억원)A 공사비

A-1 토공구간

A-2 교량구간

Slab RC mPC m

PSC-Beam m

PC-Box

ILM mFCM mMSS mFSM m

STBox mSTPlate mRC라멘 m

A-3 터 구간2차로 m3차로 m

A-4 출입시설IC 개소

JC 개소

A-5 본선 업소본선 개소

IC 개소

A-6 휴게소 개소

A-7 부가가치세

B 부 비

B-1 기본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2 실시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3 감리비 (A1~A6)times요율() 식

B-4 조사 측량비 (A1~A6)times요율() 식

B-5 부가가치세 (B-1~B-4)times10 식

C 용지보상비

C-1 본선구간 식

C-2 IC JC 식

C-3 휴게소 식

D 비비 (A+B+C)times10 식

E 총사업비 (A+B+C+D)주 부가세 포함 액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39

나 철도부문 사업

철도부문 사업의 비용추정 기술 검토에 한 차를 시방하는 과정에서 고

려하여야 할 목표를 정하는 것은 매우 요하다 이는 각 단계의 차개발과 시방에

서 이들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 잣 가 되기 때문이다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 설정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부합하는 차를 따르도록 한다 비용이나 기술검토

는 상 연구에 따라서 상당히 다양한 수 으로 정의와 시방이 가능하다 그

러한 다양한 정의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해서는 투입되어야 할 노력에

서도 많이 차이가 날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상인 비타당

성조사에 부합하는 정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용의 용이성과 일 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는 앞서의 요구사항과 련이

있는데 용이 상 으로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

용이 용이하면서도 결과와 용의 일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이어야

할 것이다

실제 인 산 차와 실 인 액을 반 하도록 한다 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의 산 차가 반 이 되어서 산과정이 실

이어야 할 것이다 한 산 액이 정하게 되도록 차가 시방이 되어야

할 것이다

경제비용과 재무비용을 구분한다 재무비용과 경제비용의 분리가 구체 이지

못해왔던 것이 실이다 경제비용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제외하여야 할 이

비용요소를 구분하여 객 인 경제 분석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기 년도를 보다 최근년도로 보완한다

용량 운행계획 등에서 합리성을 확보한다 철도 안의 용량이나 차량운행계획

이 합리 으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차와 자료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철도사업은 사업 상지역 사업 내용에 따라 사업비 차이가 하고 투자효

과도 상이하므로 에서 설정한 목표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에 따라 실성 있는 사업

비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되 비타당성조사의 특성을 반 하여 사업비를

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 다 이를 해 사업비를 공사물량의 품셈과 단 비용을 고

려한 산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 비용보다는 물량 품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

여 용이 용이하면서도 사업비 추정결과의 일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를 제시하

다 한 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의 산 행을 따르고 산

액이 실성 있도록 시방하 다사업유형은 사업 상지역과 사업내용 공사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 다

사업 상지역에 따른 분류

지역간 철도와 도시철도로 구분

- 도시철도의 사업비는 사업시행 지역에 따라 사업비가 상이할 것이므로

번 지침에서는 최근의 사업비를 부록에 거치로 제시하되 구체 인

사업비는 지역 여건을 반 하여 조정하도록 한다

사업 내용에 따른 분류

신선 건설 단선 복선

기존선 개량 단선 개량 복선화 개량

기존설비 개량 철화 신호개량 건 목 입체교차화

공사조건에 따른 분류

운행선 인 사업과 신설선 사업으로 구분

- 운행을 하면서 공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 공사기간이나 공사비용에서 할

증을 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지침에서는 운행 공

사사업의 공사비 할증에 한 구체 기 을 제시하지는 못하 으나 그

비용 증가분이 클 것으로 상되는 사업에 해서는 반 하도록 하여야

한다

공사물량의 계산

기존지침(제3 )에서는 150000 지형도를 근본 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필

요시 축척 지도를 사용하도록 시방하고 있다 한 구체 인 장조사가 불가능하

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거장차량기지는 축척 지도 활용을 권고하고 있

다 한 지질상태에 따른 평균단가 조정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축척 지도의 활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속 으로 제

시되어 왔으며 보다 축 의 지도를 사용하면 물량의 변동 가능성이 축소될 수 있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1

을 것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개략 인 노선계획은 150000~15000 18)

지형도를 사업의 성격 규모에 따라 사용하며 노선계획 건설비용 추정작업의

편의를 하여 2000년 이후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병행

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한다한 장방문이나 인 과거 공사자료 활용 방안 등 장정보 활용방안에 해

서도 시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지질정보의 출처나 활용방안에 해

서도 추가 으로 시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서 실제 으로 세부 인 장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 과거 공

사자료가 구득이 가능하면 이들을 활용하고 개략 인 지질정보는 기존에 가용한 출

된 자료를 이용하도록 권장한다

표 공사비 단가 용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ꡕ에서 제시하는 지역간 철도공사비의 표 공사비 단가

는 ꡔ철도투자평가편람 개정연구용역ꡕ(2003)의 결과와 2004년 재 진행 인 ꡔ21세기

장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 수정용역ꡕ에서 활용한 자료를 취합한 자료이다 자료의 합산정도는 자세한 분류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시 집계화

(Aggregation)를 할 수 있도록 하 다 제시된 자료가 비타당성조사의 수 보다 상

세하다는 지 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나 집계화된 자료를 세분류하여야 할 경우 잃

어버리는 정보의 양을 고려하여 세분류rarr집계화 하여 사용하는 방향이 더욱 바람직

할 것으로 단하 다 표 공사비 단가의 기 년도는 2002년에 맞추려고 노력하

으며 2002년의 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는 별도로 기 년도를 표시하 다

도시철도에 해서는 기존선 연장과 경 철의 경우로 나 었으며 가장 최근의

공사비 자료들을 부록에 수록하여 참고하되 지 실정에 맞는 값을 이용해서 사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다 비용 추정결과는 도로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각 공종별 비용을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ꡕ의 양식에 따라 제시하여야 하며 다음 lt표 Ⅲ-8gt의 양식에 따라 총사업비

를 제시하도록 한다

18) 재 국내외 설계 건설 련 기 업체에서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기 데이터로 이용하는 다

양한 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8gt 총사업비 내역(지역간 철도)

∙ 총연장 km (기존선 활용 km 신설 km)∙ 정거장 개소 ∙ 구조물 교량 개소( m) 터 개소( m)∙ 기 타

공 종 규격 단 수량 단가(백만원) 액(억원) A 공사비

A-1 노반(본선) A-1-1 토공 m

A-1-2 교량

PSC mPF mST m

B(라) mB(함) m

A-1-3 터개착터 m

NATM터 m A-1-4 구교 m A-2 노반(정거장) A-3-1 토공 m A-3-2 교량 m A-3-3 라멘 m A-3 궤도 m A-4 건축 개소

A-5 철화 신호통신 력

A-5-1 송 선로 m A-5-2 변 설비 개소

A-5-3 차선로 m A-5-4 력설비 개소

A-5-5 통신설비 개소

A-5-6 신호설비 개소

A-6 차량기지

A-7 부가가치세

B 부 비

B-1 기본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2 실시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3 감리비 (A1~A6)times요율() 식

B-4 조사 측량비 (A1~A6)times요율() 식

B-5 부가가치세 (B1~B4)times10 식

C 용지보상비

본선구간

정거장

차량기지

D 비비 (A+B+C)times10 E 총사업비 (A+B+C+D)

F 차량구입비기

추가

주 부가세 포함 액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3

2 수자원(댐)개발 사업

수자원( )개발사업 비용은 사업기간의 단계별 공사비와 보상비 유지보수비를

포함하며 편익은 상사업의 가동률이나 수요공 에 따른 단계별 변화를 고려하

여야 한다 공사비 산정은 규모별 공사물량과 단 공사비로 산출된다 연간비용은

공사비와 매수보상비 등의 사업비를 연간균등액으로 환산한 자본비와 연간운 유지개보수비로 구성된다 이 때 총사업비에는 조사 설계 시공감리 등의 비용도

포함하여야 한다다목 건설 사업비는 부 시설에 한 공사비 수몰에 따른 용지보상비

기타 리비 비비 등의 3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사업의 경제성 평가나 비용배

분의 기 가 되는 건설사업비는 기술 분석에서 정한 구조물계획에 따라 공사수

량을 산출하고 각 공종별 단가를 용하여 개략공사비를 산출한다 공사비는 최근의

다른 지역의 공사비를 참고로 하여 산정을 하며 용지보상비는 장조사결과와

15000 지형도상에서 계획홍수 를 기 으로 수몰면 을 결정하고 과거의 다른 지역

에서의 수몰보상실 비율을 참고하여 산정한다 기타 사업비의 산정시 락된 잡공

종에 하여는 리비 비비로서 처리하여 반 한다총사업비 제시 등은 최 한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용 제시 양식을 따르도록 한다

3 기타 사업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업의 기투자비에는 건축공사비 토지보상

비 기타비용이 있으며 시설의 규모와 내용을 바탕으로 비용을 추정하되 단가는

비타당성조사 이 별도로 정할 필요가 있다 건축공사비는 토목 조경 기통신 도로 등의 기반공사 비용과 시설물의 건축비

용으로 구성된다 건축공사비의 추정은 각종 공사비 항목의 사업량과 공사단가를 별

도로 추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공사단가는 한국감정원의 「건물신축단가표」와 시공

문업체의 자문을 통하여 추정한다 개별 항목의 사업량은 기본구상의 공사규모를 사

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비 실 이거나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시공업체의 자

문과 유사 사례를 참고하여 추정하도록 한다 용지보상비는 사업의 기본구상에 제시된 시설의 정확한 치 지번 면 이 명

시된 치도를 바탕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기본구상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

에는 사업 상지역의 평균 지가 보상비 자료를 활용하여야 하나 이러한 자료는

입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보상비 추정치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다고 하겠다

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용지보상비는 토지자체의 취득비용 지장물보상비 간 보상비 기타부 비용

으로 구성된다 우선 사업 상지의 소유별 용도별 시장가격을 추정한 후에 용도별

면 을 곱하여 토지취득비용을 추정한다 지장물보상비와 간 보상비는 「공공용지의

취득 손실보상에 한 특례법 시행규칙」 과거의 보상사례를 바탕으로 추정한

다 이를 해서는 사업 상지를 실사하여 각종 지장물 경제행 를 확인하여야 하

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엄 한 추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보상비 증가의

부작용이 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설배치도를 바탕으로 한 육안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액이 미미하거나 조사시 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는 본격 인 타당성조

사 단계에서 엄 히 추정하도록 한다 총사업비 제시 등은 최 한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용 제시 양식을 따르도록 한다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앞에서 제시한 수요분석 편익추정 비용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편익 비용 수

치들을 활용하여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기로 한다 경제 타당성의 평가는 기본

으로 비용-편익 분석기법에 의존한다

1 분석기법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기 해서는 우선 편익비용 비율(BC Benefit Cost Ratio)을

구한다 편익비용 비율이란 총편익과 총비용의 할인된 액의 비율 즉 장래에 발생될

비용과 편익을 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의 재가치를 비용의 재가치로 나 것이

다 일반 으로 편익비용 비율 ge 1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단한다물론 편익비용 비율이 lsquo10rsquo을 상회한다고 해서 공공투자의 경제 타당성이 있다

고 단순 단하는 데에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컨 미국의 경우는 편익비용

비율이 단순히 lsquo10rsquo을 상회한다고 해서 해당 투자가 경제 타당성이 있다고 단하

는 것이 아니다 미국 정부의 산 리처(OMB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가

제시하는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왜곡에 따른 과부담 등을

감안하여 최소 편익비용 비율이 lsquo125rsquo 이상이라야 경제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

다고 설명하고 있다19) 우리나라의 경우도 본 보고서 제2부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19) 미국 OMB Circular No A-94 제11 의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의 과부담을

감안하여 공 자본의 한계비용을 추정해 보면 BC 비율이 최소 125 이상의 공공투자가 경제 타당

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5

어려운 재정상황 조세왜곡에 의한 공 자본의 한계비용 등을 추가 으로 고려해

보면 이론 으로 최소 편익비용 비율이 lsquo약 110~115rsquo 정도는 되어야 경제 타당성

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고 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lsquo개발도상 단계rsquo에 있기 때문에 사회간 자본시설이 충분하다고 주장하기 어렵다는

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당장 lsquo110~115rsquo의 최소 편익비용 비율을 용할 경우

여타의 조사에서 용되는 lsquo10rsquo의 비율과 달라 불필요한 혼란을 래할 가능성이 있

다는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당분간 이론 으로 추정된 최소 편익비용 비율

신에 lsquo10rsquo의 수치를 최소 편익비용 비율로 활용하기로 한다20)

편익비용비율(BC) = sumn

t=0

B t

(1+r) t sum

n

t=0

Ct

(1+r) t

여기서 Bt t시 의 편익 Ct t시 의 비용 r 할인율

n 교통사업의 내구년도(분석기간)

두 번째로 순 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를 추정하는 것도 요하다 순 재

가치란 사업에 수반된 모든 비용과 편익을 기 년도의 재가치로 할인하여 총편익

에서 총비용을 제한 값이며 순 재가치 ge 0이면 경제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순현재가치(NPV ) = sumn

t=0

B t

(1+r) t - sum

n

t=0

Ct

(1+r) t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을 구하는 작업도 수행하여야 한다 내부

수익률은 편익과 비용의 재가치로 환산된 값이 같아지는 할인율 R을 구하는 방법

으로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순 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다 내부수익률이

사회 할인율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고 단한다

내부수익률( IRR) sumn

t=0

Bt

(1+R) t = sum

n

t=0

Ct

(1+R) t

20) 우리나라의 이론 인 최소 BC 비율 추정에 한 상세한 연구 내용은 제3부 제ⅩⅦ장의 내용을 참조

하라

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9gt 경제성 분석기법의 비교

분석기법 단 장 단

편익비용비율

(BC)BC ge 1 ∙이해용이 사업규모 고려 가능

∙상호배타 안선택의 오류발생

가능

순 재

가치

(NPV)NPV ge 0

∙ 안 선택시 명확한 기 제시

∙장래발생편익의 재가치 제시

∙한계 순 재가치 고려

∙타 분석에 이용가능

∙이해의 어려움

∙ 안 우선순 결정시 오류발생가능

내부

수익률

(IRR)IRR ge r

∙사업의 수익성 측정 가능

∙타 안과 비교가 용이

∙평가과정과 결과 이해가 용이

∙사업의 규모 고려하지

않음

∙몇 개의 내부수익률이 동시에

도출될 가능성 내재

편익비용 비율 순 재가치 내부수익률에 의한 타당성 유무 단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우선 순 재가치는 순편익의 흐름을 사업 개시년도의 가치로 평가하

지만 사업규모에 하여 표 화(normalize)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업간 비교에는

당하지 않다는 단 이 있다 를 들어 편익과 비용을 동일하게 두 배로 늘릴 경우 순

재가치도 자동 으로 두 배로 늘어난다 따라서 성격은 동일하지만 상이한 두 사

업의 순 재가치만으로 두 사업의 수익성을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내

부수익률은 사업의 규모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 은 있으나 수익의 발생구조에 따

라 계산되지 않는 단 이 있다 편익비용 비율은 특정 항목을 편익 혹은 비용으로 처

리하는가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는 단 이 있으나 일반 으로 투자심사기 으로 사용

되고 있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고 다수의 사업간 우선순 비교

등을 하여 비용편익 비율 순 재가치 내부수익률을 모두 구하기로 한다21)

21) 때에 따라서 세 가지의 지표는 타당성 유무에 하여 상반된 결론을 도출하기도 한다 자세한

논의는 김동건(1997) pp34~40 을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7

2 사회적 할인율 설정

공공투자사업의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 사용되는 가장 요한 라미터의 하나

는 사회 할인율이다 사회 할인율이 얼마인가에 따라 할인된 편익 비용 값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편익비용 비율이 결정된다 따라서 사회 할인율을 얼마로 가

정하느냐의 문제는 경제 타당성 유무 단에 인 향을 미칠수 밖에 없다 ꡔ일반지침(제3 )ꡕ까지는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 할인율을 결정하 고 수자원 부문을 제외한 사업의 경우에는 실질 75를

용하고 수자원 부문의 경우에는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여야 된다는 을

반 하여 실질 60를 용하여 왔다하지만 최근의 리 성장 기조로 인하여 사회 할인율 조정요구가 있어

왔고 이에 본 연구에서 그 조정 필요성 정 할인율을 재추정하 다본 에서는 사회 할인율을 얼마로 책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에 한 상세

한 논의 신22) 최종 으로 설정된 할인율 값과 그 값의 용과 련한 몇 가지 이

슈들에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가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경제주요지표인 리 성장률을 살펴보았을 때 특히 최근 3년간 리

성장 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비록 이러한 상이 단기 인 상인지 추세변화인지

에 해서는 좀더 긴 시간을 두고 단하여야 할 문제이나 최근의 상을 반 한다

면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 미치는 모수들의 값들에 하여 수정하여 용할 필요성

이 있을 것이다한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제시하 던 사회 할인율 75는 비타당성조사

가 시행되기 이 의 타당성조사에서 통상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과도한 조정을 피하고자 제시한 값이었다 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

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까지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는 사회 할인율

수 에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다비록 짧은 시계열 자료라는 한계는 있으나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들에서 나타나는

상이고 앞으로의 경제성장률 망 역시 차 으로 낮아진다고 상하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재 용하는 실질 할인율 75는 다소 높은 것으로 단할 수 있다

22) 사회 할인율 설정 방안에 한 자세한 연구 내용은 제2부 제Ⅷ장 사회 할인율 부분을 참

조하라

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물론 공공투자사업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정 수 에 해서는 단순한 수치상

의 제시보다는 정성 인 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나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추정(실질 65)

정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기 하여 기 이자율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 재무 할인율 등을 고려하 다

본 연구에서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과 달리 더 은 모수들을 활용하여 추

정할 수 있다는 장 이 있고 이 게 추정된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을 고려하여 사회 시간선호율을 이용 추정하 다

stpr=ρ +μsdotg

여기서 ρ는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재 소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이며 g는 연간 1인당 소비증가율 μ는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를 나

타낸다 결국 μsdotg항은 소비 변화에 따른 한계효용체감효과를 반 하기 한 항이

다이러한 사회 시간선호율을 추정식에 따라 계산하여 본 결과 52~65가 정

범 인 것으로 단되었다 그리고 최근 5년 동안의 5년 만기 국채의 실질 리와 장기 리미엄을 고려한

기 이자율 수 을 살펴보아도 이 범 안에 있음을 볼 수 있었다마지막으로 재무성 분석을 해 구한 실질 가 평균자본비용 추정치의 결과 재

무성 분석의 실질 할인율로 60가 정 값인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러나 경제성 분석에서 약간의 민감도 분석을 제외하고 사업의 리스크에

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을 감안할 때 보다 높은 수 의 할인율이 필

요한 이 있다 한 할인율의 격한 조정을 피하는 측면 등도 실제 용치를 결

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이상을 통하여 앞으로는 실질 사회 할인율로 65를 용하기로 한다

다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재 수자원 부문의 경우 분석기간을 50년으로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을 보다 낮은 값을 용하여 왔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편

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9

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 으로써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의 경우 타부

문 사업과는 달리 낮은 할인율을 용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하 다 이는 타부

문 사업보다 낮은 할인율의 일 용으로 사업 부문간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으

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한다 사업 부문간 차등 용에 한 논리 근거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물론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에 낮은 할인율을 용한 것을 부문에 따른

차등 용으로 해석하기보다 장기사업에 한 할인율의 차등 용으로도 해석이 가능

하다 한 세 내에서의 선택문제라면 할인율 차등 용의 필요성은 떨어질 것이나 세

간 선택문제가 두되면 차등 용을 조심스럽게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규범 인 측면에서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을 하게 된다면 미래세

에 한 고려 없이 재세 만을 고려하는 의사결정이라는 비 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Weitzman(1998) Gollier(2002) 등의 연구에서 그 이론 뒷받침을 찾을 수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거나 미래 성장에 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됨을 보여 다비타당성조사에서 비교 장기인 사업은 수자원 부문사업만 존재한다 그러므

로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에 한하여 할인율을 차등하여 용하도

록 한다 할인율 변동에 따른 향분석을 통하여 운 30년동안은 실질 65를 향후 20년은 50의 할인율을 용하도록 한다

3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경제성 분석에서 세 등 이 지출 비용은 순수한 경제 비용으로 간주되면 안

된다 이 지출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 하는 지출이므로 재무성 분석에서는 사

업 주체에 따라 비용도 되고 편익이 되기도 하지만 경제성 분석에서는 국가재원에 아

무런 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도 가능한 범 까지는 세

등의 이 지출을 배제하고 분석을 시도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 으로 사업별로 세

내역을 어떻게 공제할 것인지를 단하는 작업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투입물의 종류별 세 부과 내역을 산정하기 어렵기 때문

에 추정한 총사업비 가운데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사업비를 경제 비용으로 간주하

여 경제성 분석의 비용으로 반 한다

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고속도로 철도 건설 등 독점적 사업

통 인 비용-편익 분석에 의하면 편익은 공공투자 산출물에 한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로서 평가되고 이 지불의사는 경쟁구매의 조건 등이 충족되면 시

장가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소비재인 경우 경쟁구매의 조건은 두 가지인데 첫째 배제 등의 제약이 없어 모든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가격을 지불하고 그 재화를

구입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 어떠한 소비자도 수요독 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수요량이 시장가격에 향을 수 없어야 한다23) 개인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해 지불하는 희생( 가)은 통행료에 한정되지 않

기 때문에 고속도로에 한 지불의사를 통행료로서 평가할 수는 없다 개인들이 고속

도로를 이용하기 해 지불하는 희생 즉 「이용자비용(user cost)」은 차량운행비 시간

가치 교통사고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고속도로 이용의 지불의

사(즉 이용자비용 체)를 평가하기 해 일반 으로 채택되는 방법은 개인들이 고

속도로를 이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을 간 으로 추정하는 것인데 사 재화

에 한 지불의사는 시장가격이 있는 경우 당해 시장가격을 그 지 않는 경우는 그

재화에 한 소비자 만족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연유로 고속도로에 한 지불의사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개인들이 고속

도로를 이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을 lsquo차량운행비 감 + 여행시간 단축의 가치

+ 교통사고 감의 가치rsquo로서 평가하여 계산하고 있다 개인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함

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은 원칙 으로 소비자가격(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으로서

lsquo공 자가격+세 rsquo)을 심으로 추정되어야 할 것으로 감되는 차량운행비 시간가

치 교통사고 가치 등을 추정할 때에는 기본 으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을 심으

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편익 액에는 세 이 포함되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편익은 세 이 포함되어 있

는 소비자가격(consumer price) 개념으로 추정되어야 하며 추정된 편익 액에서 다시

세 을 공제하는 것은 부 하다 하겠다 그러나 고속도로 사업분석에 있어서도 비용은 다른 측면을 갖는다 일반 으로 공

공투자의 비용은 투입물의 「상실된 안 편익의 최 치(Maximum Alternative Benefits Forgone)」로서 평가되고 있다 고속도로 건설의 투입물( 컨 시멘트 모래 아스팔

트 등)이 경쟁구매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이 투입물의 시장가격이 사회 기회비용

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하지만 투입물의 가격에 이미 세 (간 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 두 가지로 나 어 생각

23) UNIDO ꡔ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ꡕ 1972 pp42~47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51

할 수 있다 첫째 공공투자에 소요되는 투입물이 기존의 수요처에서 용되는 경우 즉 당해 투입물에 한 사회 체의 공 량이 공공투자 시행과 계없이 일정한 경우

에는 세 이 포함된 시장가격이 그 로 비용의 평가에 사용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비용을 lsquo시장가격-세 rsquo으로 평가하는 것은 부 할 것이다 둘째 공공투자에 소요

되는 투입물이 추가 생산되어 공 되는 경우 즉 당해 투입물에 한 사회 체의 공

량이 증가하여 그 증가분이 공공투자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세 을 공제해야

한 사회 기회비용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컨 시멘트에 세 이 부과되어 있

는 경우 (균형상태에서는) 시멘트의 사회 한계효용(=지불의사)은 사회 한계비용

을 과하고 있는데 고속도로가 건설됨으로써 시멘트가 추가 생산된다면 이 시멘트

의 사회 기회비용은 당연히 사회 한계비용으로 계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멘트의 시장가격에서 세 을 공제한 액이 비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유로 비용-편익 분석 교과서에 보면 투입물의 사회 가치(=기회비

용)는 lsquoα times (세 포함 시장가격) + (1-α) times (세 제외 시장가격)rsquo으로 평가된다고 기술

하고 있다 단 여기서 (1-α)는 투입물의 추가 생산비율을 반 한다 즉 공공투자에 투

입되는 투입물의 α 비율은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 투입물이고 (1-α)는 추가 생산

된 비율이다 바꾸어 말하면 공공투자에 투입되는 투입물이 기존 수요처에서 부 최

종수요되는 경우는 세 포함 시장가격에 의해 비용-편익 분석을 행하는 것이 타당하

지만 투입물의 일부( 를 들어 α 비율만큼)만 기존 수요처에서 쓰인다면 그 비율만큼

만 세 포함 시장가격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나머지 부분은 세 제외 가격으로 평가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 투입물 비율인 α를 어떻게 추정하느냐이다

특정 사업에 있어서 투입물의 얼마만큼이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지 평가하기란

매우 어렵다 결론 으로 번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고속도로 혹은 철도사업의 비

용추정과 련해서 투입물이 기존 수요처 혹은 여타 수요처에서 얼마씩 사용되느냐

를 단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한국도로공사 혹은 철도청 등의 사

업주체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 10를 비용에서 제외하고 분석할 것을 제안하기로

한다24)

24) 한국도로공사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 10를 편익에서 제외하고 분석한다는 의미는 한국도로

공사에서 제시한 각종 시설물 건설의 비용단가에서 10의 세 을 공제하고 분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나 기타 사업

한국도로공사 혹은 철도청 등과 같이 사업의 주체가 하나이면서 비용추정의 방법

항목이 기존 데이터에 의하여 비교 체계화되어 있는 경우는 세 을 공제하는

작업이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느 정도 가능하나 기타 사업의 경우는 부분 사

업의 주체가 단순하지 않고 비용 항목이 사업에 따라 매우 가변 이기 때문에 세 을

공제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다 즉 무슨 세 을 어떻게 공제할 것이냐의 문제가 계

속해서 논란으로 남는다 사업을 추진하는 주체가 다수가 되면 각 주체별로 부담하는

세 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비용 항목이 가변 이 되면 어떤 비용 항목에 해서 무

슨 세 을 부담하게 되는지 단하기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타 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세 을 공제하는 문제는 잠정 으로

개별 조사 의 단에 맡기기로 한다 향후 보다 체계 으로 세 을 공제하는 방안에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단된다 종국 으로 세 등의 이 비용 처리문제는 생산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은 비용산정에서 세 을 어떻게 처리하

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인지에 해 향후 심층 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으로 있다

4 분석기준일 분석기간 등 기타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 모든 편익과 비용은 동일한 시 을 기 으로 할인해야

한다 편익과 비용이 제각기 다른 시 에서 발생되므로 할인율을 이용하여 비교가능

한 동일시 의 가치로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할인되는

분석의 기 일을 해당사업의 분석이 착수된 년도말( 2004년도에 착수된 사업일

경우 2003년말을 용)로 하기로 한다 각 사업의 성격에 따라 경제 타당성 평가를 한 분석기간도 다르게 용되어

야 한다 제3 에서는 교통사업의 경우 도로는 공사가 완료된 후 20년 철도는 30년이

라는 이제까지의 분석기간 행을 따르기로 하 으나 지침 개정에 따라 도로 부문

사업도 철도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분석기간 30년을 용하기로 한다25)항만부문 사업의 경우는 30년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며 공항부문 사업의 경우는

20년을 분석기간으로 제안하기로 한다다목 등 수자원 부문의 경우는 50년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한다 사업의 경

우 통상 매우 긴 분석기간을 용하는 국내외 사례를 고려한 것이다

25)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도로철도부문 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수정보완연구(제4 )ꡕ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53

문화ㆍ ㆍ체육ㆍ과학단지 조성사업 등에 해서는 30년의 분석기간을 설정하

기로 한다 분석기간 동안 사업비의 연차별 지출형태에 해서도 동일한 지침을 마련하기로

한다 를 들어 고속도로 사업의 경우 용지보상비는 사업 기 2년도에 각각 30

70를 지출하도록 설정하고 공사비의 경우는 공사기간이 5년이라면 매년도 각각

5 15 25 35 20씩 지출하도록 가정한다

5 잔존가치의 처리

잔존가치는 사업 시설의 내구년도가 얼마인가 그리고 경제성 평가의 분석기간이

얼마인가와 한 연 이 있다 를 들어 도로의 경우에는 완공 후 약 15년이 경과

한 시 에서 재포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포장 사업시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을 제

외하면 재투자비가 크게 소요되는 것은 거의 없으며 매년 경상 인 유지비 운 비

만 소요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로의 경우 비타당성조사에서 잔존가치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용지보상비 용지구입비만 해당된다 조사 은 도로 사업에서 투입되

는 용지구입비를 잔존가치로 설정하여 분석 최종년도의 비용에서 공제하여야 한다 철도는 도로와 달리 재투자되는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즉 수요 증가에 따라 차량

이 추가 으로 투입되어야 하며 내용년수가 경과한 차량 시설에 하여도 재투자

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개통 후 30년이 경과한 시 에서 잔존가치로 고려할 수

있는 항목이 용지구입비 이외에도 차량 시설장비 등이 있다 철도부문 사업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들에 한 잔존가치를 모두 고려하도록 하며 철도청(2004)의

「타당성평가편람」에서 제시된 내구연한을 기 으로 하여 재투자 비용 잔존가치를

산정하도록 한다 잔존가치는 철도시설별로 구분하여 차량은 내용년수가 경과하면

잔존가치를 10로 반 하며 나머지 90의 가치는 분석기간의 내용년수 동안 정액

법에 의하여 잔존가치를 비용에서 차감하도록 한다 궤도 신호통신 차선

력 기계 등의 철도시설에 해서는 내용년수 경과후 잔존가치는 없는 것으로 하고 분석기간내 내용년수 동안에 정액법에 의하여 잔존가치를 비용에서 차감하도록 한

다 이밖에 실 으로 잔존가치를 산출할 수 있고 충분한 근거를 명시할 수 있는 경

우 가능한 모든 잔존가치를 반 한다 도로철도부문 사업 이외의 사업도 마찬가지로 내구년도를 기 으로 잔존가치

를 반 하도록 한다

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민감도 분석

타당성을 평가하기 해서 사용되는 경제성 평가의 편익과 비용의 계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불확실성에 처하기 해서는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많이 시행하는데 민감도 분석은 투자비나 경제성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한 변수 를 들어 기 공사비 운 비 교통수요 할인율 등에 해서 각 변수

가 일정량만큼 변화되었을 경우 경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악하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도 이러한 변수들에 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다만 해당 사업별로 민감도 분석의 범 방법은 조 씩 다르게 용될 수 있다26)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재무 타당성 평가를 모든 사업에 의무 으로 수행할

필요는 없으나 편익비용 비율이 1 이상으로 경제 타당성이 있고 사업성이 높아

민간이 스스로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사업 등에 해서는 재무 타당성 평가가 필요

하다 재무성 측면에서 민간이 추진하기에 수익성이 부족한 사업의 경우에도 효율

성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문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

우 일정수 의 재정지원을 통해 민간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정

재정지원 규모 산정을 해 재무 타당성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

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 타당성이 있는 사업에 해 재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

도록 한다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경제 타당성 평가란 공공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국가 체 (사회 ) 입장에서

측정하고 이에 따라 경제 수익성을 계산하여 타당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재무 타당성 평가란 사회 체의 입장이 아닌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

서 실제의 비용과 수입( 흐름)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재무 수익성을 계

산하여 그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26) 사업분석에 있어서의 불확실성과 험을 고려해주기 한 민감도 분석에 해서는 제2부 제Ⅺ장에

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55

재무 타당성 평가에서는 실제의 투자 산액과 자 순환과정(cash flow)을 매우

요시 한다 구체 으로 비용과 수입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경제 타당성 평가와

재무 타당성 평가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타당성 평가는 국민 경제 입장에서 비용과 편익을 계산하므로 상

품가격이나 환율 임 등은 원칙 으로 잠재가격으로 계산하여야 하나 재무 타당

성 평가는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계산하므로 단순 시장가격을 용하

여도 무방하다 둘째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이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는 제외되어야 하지

만 재무 평가에서는 비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할인율의 용에 있어서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는 사회 할인율이 용

되어야 하나 재무 타당성 평가에서는 시장이자율 등 재무 할인율이 용되어야

한다

lt표 Ⅲ-10gt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구 분 경제 타당성 평가 재무 타당성 평가

평가의

측정가격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

용 할인율

국민 경제 입장

잠재가격

제외

사회 할인율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

시장가격

포함

시장이자율 등(재무 할인율)

2 기본전제

가 사업의 투자방식

공공투자사업에 소요되는 자 의 조달은 사업을 하여 별도법인을 설립하는 경

우와 기존의 법인이 사업주체가 되는 경우로 나 어 볼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자

조달방법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게 되며 추가 으로 국고보조 이나 정부

재정융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자기자본은 사업시행자가 내부유보액이나 증자를

통해 조성한 자체 자 이거나 별도 설립법인이 특정주체의 자본참여 기업공개 등을

통해 조성하는 자체 자 으로 조달된다 타인자본은 국내 융기 으로부터의 차입 회사채 발행 해외 융기 으로부터의 차입 등이 있을 수 있는데 SOC 시설의 성격상

규모 자 이 소요되므로 타인자본의 비 이 큰 경우가 많다

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통 인 재무이론에 바탕을 둔 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을

주로 이용하는 재무성 분석에서는 엄격히 말해서 자 조달방법의 차이가 분석결과에

크게 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정 할인율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본

타인자본의 비율 그리고 동원되는 자본의 조달방법 등에 한 가정이 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은 사 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공공투자사업을 민간자본으로 추진할 때 표 인 방식으로 BOT(build-operate -transfer)

BTO(build-transfer-operate) BOO(build-own-operate)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비타당성조

사는 다른 가정이 경제 설득력을 갖지 않는 한 해당사업이 BOT 방식의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되기에 합한지 여부를 사 으로 검증하는 것이 일반 이다

나 분석 기준년도 분석기간 및 공정률

재무성 분석에서 용해야 할 분석 기 년도 분석기간 연차별 비용지출 련

공정률 등에 한 가정은 기본 으로 경제성 분석에서와 동일한 가정을 채택한다분석의 기 년도는 경제성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석이 의뢰된 년도의 기말

을 기 으로 한다27)

분석기간도 경제성 분석에서와 같이 각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용한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사업의 경우 운 개시 후 3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며 수자원 부문인 사업의 경우 교통사업 보다 긴 분석기간을 용하는 국내외

사례를 고려하여 운 개시 후 5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채택한다 산업단지 문

화 사업단지 조성사업 등에 해서는 운 개시 후 3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한다 분석기간 동안의 공정률에 해서도 경제성 분석과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용

지보상비의 경우에는 사업 기년도 2년도에 각각 30 70의 비율로 나 어 지출

하도록 하고 사업비의 연차 지출은 경제성 분석에서 용한 공정률에 따른다

다 잔존가치

일반 으로 잔존가치는 사업시설의 내구년도 경제성 분석기간과 연 이 있다 시설장비의 경우 BOT BTO BOO와 같은 사업의 추진방식에 따라서 잔존가치의 계

산 여부 액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맞는 방식 로 계측하여야 할

것이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잔존가치를 분석의 최종시 에서 부의 비용으로 포함시

27) 수입과 비용을 경제성 분석에서 구한 값을 사용하므로 경제성 분석과 분석 기 을 통일시키도록 한

제Ⅲ장 경제성 분석 57

키고 있는데 재무성 분석에서는 BOT나 BTO의 경우에 시설 소유권이 국가 는 지

방자치단체에 귀속되므로 민간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잔존가치가 없다 단 분석종료

시 에 사업시행자가 시설소유권을 갖게 되는 경우에는 잔존가치를 부(負)의 비용으

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라 제세공과금 금융비용 및 이자율

경제성 분석에서 제세공과 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 하는 이 지출로 인식

하므로 분석에 포함하지 않는 반면 재무성 분석에서는 취득세 등록세 법인세 등 제

세공과 은 사업주체 입장에서 확실한 유출이므로 분석에 포함시킨다 차입 에 한 이자비용 산출시 용해야 할 리는 장기 측 이자율보다 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실세 리를 용한다 일반 으로 일반차입 에 한 이자비용

은 분석시 의 SOC사업에 한 시 차입 리 혹은 시장 리( 3년 만기 국채의 유

통수익률)에 스 드( 3 이내)를 반 하여 계산한다 기타 융비용으로 신주발행비가 있는데 자본 납입액의 일정부분( 05)을

용하여 계산해도 되겠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아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제외

해도 무방하다

마 부대사업

사업시행자가 해당사업뿐만 아니라 부 사업을 같이 시행할 경우 부 사업과

련한 비용 수입도 재무성 분석에 포함시켜야 한다 여기서 부 사업이라고 함은

해당사업과 직 인 연 성이 높은 부 시설 사업만을 말하며 상가분양 등과 같이

해당사업의 성격과 직 연 성이 거의 없는 부차 인 부 사업은 제외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에서 검토될 수 있는 부 사업이란 해당사업을 정부가

직 실행할 때 직 수행가능한 부 사업에 국한한다부 사업의 투자비는 당해 민간투자사업비의 범 이내이어야 하며 해당 부 사

업의 추진으로 국민경제 편익의 증 본사업의 사업성 향상에 기여해야 하고 당해 민간투자사업 시행지역과 지리 으로 근 한 지역에서 시행되어야 한다28)

부 사업으로 검토될 수 있는 사례로는 도로사업의 경우 직 으로 연 되는 항

목인 고시설 순수입 편의시설 임 순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고 철도사업의 경

우는 차량 역사 내 고나 자 기 수입으로 인한 운임외 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

28) 부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액의 규모에 한 상한선을 법이나 규정으로 제시할 수는 없으나 도로공사

의 경우 총수입 부 사업(휴게소 임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이 차지하는 비 이 30 미만이므로

이 정도를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 부 사업에 련되는 설치비 등 투자비와 운 비 그리고 사업수익의 추정은 도

로공사의 휴게소 설치비와 지하철공사의 지하철 고비 등을 감안하여 추정하도록

한다

3 분석기법

사업의 재무 타당성 평가를 해서 재무성 분석을 해 가장 리 활용되는

흐름할인법을 사용한다흐름할인법은 미래의 흐름을 측한 후 가 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등으로 변되는 자본의 기회비용으로 할인한 재

가치를 구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흐름할인법에는 순 재가치법(NPV Net Present Value Method) 내부수익률법(IRR 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수익성지

수법(PI Profitability Index Method) 등이 있다 순 재가치법은 상되는 의 유입과 유출을 가 평균자본비용으로 할인한

값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곧 투자안이 채택됨으로 인해 증가되는 기업

가치를 의미하는데 이 게 하여 얻은 재무 순 재가치(FNPV)가 0보다 크면 사업

의 재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단한다29)

FNPV = sumn

t=0

Rt

(1+r)t - sum

n

t=0

C t

(1+r)t

여기서 Rt는 t기간의 유입을 Ct는 t기간의 유출을 나타낸다

내부수익률법은 계획 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유입과 유출의

재가치를 일치시키는 할인율 즉 내부수익률(FIRR)을 산출하고 이를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투자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때 내부수익률이 자본비용보다 높을 경우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단한다

0 = sumn

t=0

Rt

(1+FIRR)t - sum

n

t=0

Ct

(1+FIRR)t

수익성지수법은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입의 가를 유출의 가로

나 비율로 수익성지수가 1보다 크면 재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단한다 순

29) 경제성 분석에서의 순 재가치(NPV)와 내부수익률(IRR)과 구별하기 해 재무성 분석에서는 재무

순 재가치(FNPV)와 재무 내부수익률(FIRR)로 표기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59

재가치법이 어떤 투자안의 재무 타당성을 액으로 측정하는데 비하여 수

익성지수법은 투자안의 비용 비 수익을 상 비율로서 측정하는 것이다

PI= sumn

t=0

R t

(1+r) tdivide sum

n

t=0

Ct

(1+r) t

4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가 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정의

재무성 분석을 하기 한 흐름은 잉여 흐름(Free Cash Flow)으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잉여 흐름(FCF) = 업 흐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 업이익 times (1 - 법인세율) + 감가상각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모든 흐름은 재무성 분석을 하여 불변가격으로 추정하거나 환산하고 불변

가격으로 추정된 흐름은 실질 할인율로 할인해야 한다

나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원칙

흐름을 추정하는 일반원칙은 다음과 같다첫째 투자사업과 련되는 모든 사업의 흐름을 동시에 감안한다 를 들어

부 사업의 비용과 수입 환경부담 등도 투자사업과 련해 발생하는 흐름이

므로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 추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매몰 비용(sunk costs)은 감안하지 않는다 매몰 비용은 투자사업의 시행 여

부와 계없이 이미 발생한 비용이므로 투자사업의 재무성 분석에 포함하지 않는다셋째 기존 설비 토지건물의 사용에 따른 기회비용을 감안한다 즉 기존의

설비 토지건물 등이 당해 투자사업이 아닌 다른 안 목 을 해 사용되었

을 시 발생 가능한 흐름은 의 자산을 당해 투자사업에 사용함으로써 잃게 되

는 흐름이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투자사업의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사업과 련하여 발생하는 추가 사업기회를 감안한다 를 들어 투자사업

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시행한 후 추가 으로 사업의 규모를 늘릴 수 있는 확장 옵션이 존재할 경우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추가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경비 배분을 감안한다

다 수입과 비용 추정을 위한 지침30)

1) 수입(현금 유입)

가) 운영수입

운 수입은 경제성 분석 시 편익항목에 포함되는 운 자 수입 추정치를 활용한

다 그러나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속도로 사업의 경우와 같이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운 자 수입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유의하여 산출해야 한다도로사업의 경우 행 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의 운 자 수입은 평가 상이

되는 해당 도로 철도 노선뿐 아니라 설정된 향권 내의 모든 유료도로 철도를

상으로 사업 시행 과 후의 운 자 수입의 차이를 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치를

재무성 분석에 그 로 용할 경우 해당 노선의 운 수입 규모를 과 추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31) 그러므로 재무성 분석을 해서는 경제성 분석 결과 추정되는 운

자 수입 조사 상 사업구간의 운 자 수입만을 반 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경제

성 분석에서 산출된 사업노선 통행량( q )과 일반화비용 산정식에서 이용하는 고속도

로 통행요율( p )을 이용하여 운 자 수입을 구할 수 있다32) 그런데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사용하는 통행료 수 ( p )은 사회 편익을 고

려하여 도로공사 요율을 기 으로 설정된 값으로 재 운 인 민자 고속도로의

통행료 수 이 도로공사 통행료 수 의 2배 정도임을 감안할 때 재무성 분석을 해

도로공사 요율을 그 로 사용할 경우 사업의 수익성을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

사업자 시행을 가정할 경우 실 인 통행료 수 을 용해야 하나 이 때에는 비

타당성조사 결과로 나온 통행량을 주어진 값으로 이용하여 운 수입을 계산하게 되

면 결과 으로 수요를 과 추정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민간사업자가 통행료를

30) 흐름의 계산과 추정재무제표의 작성방법은 본 의 부록을 참조하라

31) 단 정부기 도로공사가 사업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경제성 분석 결과를 그 로 활용 가능하다

32) 일반화비용 산정식에 활용된 고속도로 통행요율은 2003년 재 한국도로공사의 폐쇄식 고속도로에

용하고 있는 기 으로 승용차(1종 용)는 381원km 버스(3종 용)는 412원km 트럭(2종 용)은 401원km이다 는 소형트럭을 기 으로 한 것으로 형트럭을 별도로 고려할 경우 4종 710원

km 5종 724원km의 요율을 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 분석시 이용한 기 과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1

보다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하려면 교통수요를 재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통행료 수 은 민자사업 추진이 구체화된 단계에서 상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민자사업이 유력한 경우는 통행료 등 사용료를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한

후 교통량을 재추정하여 재무성 분석을 재실시해야 할 것이다

나) 기타수입

기타수입으로는 부 사업과 부속사업으로부터의 흐름이 있을 수 있겠으나 비타당성분석 과정에서 이를 추정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일반 으로는 부 사

업 부속사업의 규모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소규모일 것으로 단되므로 비

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부 사업 부속사업 필수불가결한 사업만을 감안하고 본 심사 는 상과정에서 통행료 무상사용기간을 결정할 때 부 사업과 부속사

업으로 인한 수입과 비용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3) 단 확실하게 상되는 부

수입이 있을 경우 합리 인 추정방법에 의해 계산하여 기타수입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2) 비용(현금유출)

가) 총사업비

총사업비는 사회간 자본시설의 신설 증설 는 개량에 소요되는 경비로서 총

투자비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조사비 설계비 감리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설비비 제세공과 업 비 등이 있다34)

경제성 분석과 달리 총사업비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하고35) 용지는 정부가 일

구매하거나 정부 혹은 지자체가 제공하는 할 경우에는 개별사업주체는 용지에 해

서 투입비용 잔존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조사비 사업의 시행을 한 측량비 기타 조사비(엔지니어링 기술진흥법

제 10조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 가의 기 에 의함)

설계비 공사의 시행을 한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33) 도로공사의 경우 총매출의 903가 통행료 수입 60가 정부사업 연구용역 등의 부속사업으로부터

의 수입 37가 임 수입 등의 부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 도로사업의 경

우에는 이러한 요소별 비 을 본 타당성조사나 사업자 선정 심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34) 「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지침(기획 산처)」를 참조하 다

35) 도시철도 사업의 건설용역과 같이 세율이 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문별로 부가세 용범 를

감안하여 수익성 분석표 재무제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 가의 기 는 건축사법 제19조의

3의 규정에 의한 가기 에 의함)

공사비 공사의 시행을 한 재료비 노무비 경비 일반 리비 이윤의

합계액[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한 법률시행령 제9조의 규정에 의한

정가격결정기 과 정부표 품셈 단가(정부고시가격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격을 말함)에 의한다]

보상비 공사의 시행을 하여 지 되는 토지매입비(건물 입목 등의 매

입비를 포함) 이주 책비와 업권 어업권 업권 등의 권리에 한

보상비

부 비 사업의 시행과 련한 사업타당성 분석비 환경 향평가비 교통

향평가비 공사보험료 사업이행보증보험료 감리비 재원 조달을 한

융부 비용(financial advisory fee 포함)

운 설비비 시설의 운 을 하여 최 로 투입하는 장비 설비 기자재

의 가액

제세공과 공사의 시행 공 등기 소유권 이 과 련한 취득세 등

록세 부가가치세 등 일체의 세 공과 과 기타 법률에 의하여 부과되

는 각종 부담

업 비 시설의 운 을 비하기 하여 필요한 민간투자 사업법인의

창업비 개업비 등 필수경비

한편 사업자의 총투자비에는 산입되나 총사업비에는 포함되지 않는 항목으로는

건설이자와 비비(물가변동)가 있다 공사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건설이자는 실제로

발생하는 유출항목이지만 흐름할인법에 의하여 흐름을 정 할인율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계산하는 과정에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 험이 이미 반 되어

있기 때문에 흐름 추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한편 비비에는 물가변동비와 설

계변경(물량변동)에 따른 비비가 있다 본 재무성 분석에서는 불변가격으로 타당성

을 평가하므로 물가변동비는 감안할 필요가 없고 설계변경에 따른 비비는 경제성

분석과 일 성을 감안하여 총사업비 항목으로 감안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3

나) 운영비

운 비는 시설의 공 이후 운 기간 시설의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합산한

액으로서 운 비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매출원가와 유지보수비 매비 일반

리비 법인세(실제 법인세 + 지 이자 times 법인세율) 그리고 부가가치세 등이 있다 총사업비 추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운 기간 발생하는 이자비용은 흐름추

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감가상각비( 업권 등의 상각비 포함) 역시 시설사용기간 동안의 총사업비 회수

분에 의해 보 되므로 운 비용 항목으로서 별도로 계상하지 않는다36)

다) 부대사업과 관련된 추가적 비용

부 사업과 련된 추가 비용으로는 도로사업의 경우 휴게소 고 여 사

업에 수반되는 비용 철도사업의 경우 역사 건축 유지에 드는 비용 항만 사업의

경우 유료문화시설 운 에 수반되는 비용 등이 있다 부 사업의 규모와 형태는 투자사업의 성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고 그

비 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소규모일 것으로 망되므로 비타당성조사 단

계에서 구체 인 부 사업의 규모를 정하고 이에 한 사업비와 사업수익을 측하

는 것은 부 사업 운 이 확실한 사업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필요할 것으

로 단된다 부 사업에 한 고려는 본 타당성조사나 사업자선정 후 상과정에서 할 수 있

을 것이며 비타당성조사에서 반 할 경우 사업의 총수익 5를 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업비 지출 순서 및 부채 상환 스케줄

사업비 지출 순서는 자기자본이 모두 투입된 후 타인자본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

고 정부 보조 이 있을 경우에는 lsquo자기자본rarr정부보조 rarr타인자본rsquo 순으로 지출하

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채상환 스 은 이자수입 비용에 한 법인세 효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

것이 체 인 재무 타당성 분석에 미치는 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특

별히 고려하지 않는다 계산의 편의를 해서 기말에 순 유입으로 부채를 상환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36) 감가상각비는 세 이익을 계산하는데 차감항목으로 계상되나 지출을 수반하지 않는 항목이므

로 흐름추정에 포함하지 않으나 감가상각비로 인한 법인세 감효과는 감안해야 한다

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5 재무적 할인율 산정37)

분석 상사업에서 기 되는 흐름의 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추정된

흐름을 정수 의 재무 할인율로 할인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한 할

인율은 가 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apital Cost)으로서 각 자 조달

원천별(자기자본 타인자본) 자본비용을 자 의 구성비에 의하여 가 평균한 것이다

r 0 = [ (1-T ) times r btimesL ] + [r s times ( 1-L )]

r 0 가 평균자본비용

r b 타인자본비용(=부채의 자본비용)

r s 자기자본비용(=주식의 자본비용)

T 법인세율

L 타인자본가치 divide 총자본가치

가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1) 무위험이자율의 추정

무 험이자율은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여 추정한다 투자사업

이 3년을 훨씬 과하는 기간에 걸쳐 흐름이 발생하므로 만기일이 보다 긴 채권

의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년 만기 국고채는 유동성이 높아 시

장의 상황을 가장 포 으로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다 재 시 의 유통수익률

이 단기 수 불균형으로 인해 편의(bias 偏倚)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최근 5년간의 평균치를 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이번 분석에

서는 무 험이자율은 최근 5년간(2000~2004)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평균치

인 57를 이용하도록 한다한편 SOC 투자의 경우 장기간 자본이 묶여 있어야 하는 것에 한 보상으로 유동

성 리미엄을 가산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 국채 리 스 드(3년~30년 만기)의 과

거 20년간 평균(약 11)을 감안하여 68를 장기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37) 할인율 시산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Ⅸ장 제3 을 참조하라

제Ⅲ장 경제성 분석 65

2) 채무불이행 프리미엄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은 장기무 험이자율에 채무불이행 험에 한 리미엄(가산

리)을 가산하여 계산한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채무불이행에 처할 가능성이 낮으므

로 부채의 체계 험은 낮을 것으로 보이나 상 으로 많은 부채가 사용됨을 감

안하여 장기 무 험이자율에 과거 3년간의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과 3년 만기 회사

채 수익률(AA- 등 과 BBB등 의 평균)의 차이인 20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가

산 리로 간주한다

나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주식의 자본비용은 무 험이자율과 험보상율의 합으로 구성된다 할인율과 이를 구하기 한 험보상율은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r j= r f + β jtimes(rm - r f )

여기서 r j는 투자사업 j에 한 자기자본비용을 rm은 시장기 수익률을 r f는 무 험이자율을 β j는 투자사업 j의 체계 험을 나타낸다

1) 시장위험 프리미엄의 추정

시장의 험 리미엄인 (rm - r f )는 비교 안정 인 시계열특성을 가지고 있

으므로 선진 11개국의 지난 30여년간의 (rm - r f )인 약 6를 사용한다38)

2) 체계적 위험의 추정

주식의 체계 험은 업 험과 재무 험을 모두 반 하므로 우선 업 험만

을 먼 산출하고 재무 험에 따라 그 규모를 조정하는 방법을 따르도록 한다 업

험은 보통 자산의 베타( βu )로 측정하는데 본 지침에서는 국내 400 기업의 자산

베타의 앙값인 0515를 사용한다 주식의 베타( β s )는 각 기업의 부채비율에 의해 향을 받게 되므로 민간투자사업

의 목표부채비율에 따라 베타를 다음과 같이 조정해야 한다

β s= β utimes [1+(1-T )times (목표부채비율 )]

여기서 T는 법인세율을 나타낸다

38) 미국의 경우 지난 100년간의 (rm -r f ) 가 약 8이다

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기업 특히 기업집단의 계열기업의 경우 부채비율 200가 상한으로 되어 있고

부채비율이 200 이상으로 높아지면 채무불이행 험이 가시화될 수 있어 SOC투자

사업의 경우도 200를 목표부채비율로 가정한다 외 으로 만일 정부의 보조 이

있고 업 험의 수 도 상 으로 낮다면 300의 부채비율도 허용할 수 있다

다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평균자본비용의 추정을 해 목표부채비율에 의해 조정된 베타를 사용하여 주식의 자본비용을 구하고 이미 구한 부채의 자본비용과 가 평균하여 가 평균자본비용

(WACC)을 추정한다 할인율로 사용할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은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r 0 = [ (1-T ) times r btimesL ] + [r s times ( 1-L )]

단 L= B (B+S ) = 667(부채비율 200) T= 275로 가정39)

앞에서 제시한 시장 라미터의 값을 사용한 명목 할인율 계산 차는 lt표 Ⅲ

-11gt과 같다

lt표 Ⅲ-11gt 명목 재무적 할인율 계산 절차

할 인 율 계산 차

부 채 의

자본비용

∙장기무 험이자율 (r f ) = 68 (장기 유동성 리미엄 11 반 )

∙부채의 자본비용 (r b ) = r f + 부채가산 리(20) = 88

주 식 의

자본비용

∙장기무 험이자율 (r f ) = 68

∙시장의 험보상률 (rm - r f ) = 6

∙자산베타( β u ) = 0515

∙목표부채비율 = 200(부채비 =667)

∙주식의 베타( β s )= βutimes [1+(1-T )times (목표부채비율 )]= 0515 times (1 + (1-0275) times 20) = 1262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 r f + β s times [ rm- r f ]= 68 + 1262 times (6) = 144

가 평균

자본비용가 평균자본비용( r 0

)= [( 1-T )times r b times L ] + [ r s times ( 1-L )]= (1-0275)times(88)times(0667) + (144)times(1-0667)= 91

39) 2005년부터 용 정인 법인세율 25와 주민세(본세의 10) 25를 가산하여 275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67

라 실질 할인율의 계산

미래 흐름의 측은 명목가격에 의한 흐름보다는 불변가격에 의한

흐름 측이 자의성 개입의 여지가 기 때문에 불변가격(실질) 흐름을 실질 할

인율로 할인하는 방식을 취한다 명목 할인율( r )과 실질 할인율( r )의 계는 아래

식과 같다

r = (1+ r ) divide ( 1 + 기 물가상승률 )-1

= (1091 divide 103) - 1 = 59

명목 가 평균자본비용인 91로부터 기 물가상승률 3를 차감하면 실질 할인

율은 59가 된다 이 수치는 여러 가지 가정에 근거하여 도출된 값으로 향후 비타

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도출된 값의 근사치인 6를 실질 재무 할인율로 사용

하고자 한다 민자사업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경제상황의 변동에 따라 베타값 목표부채비율

경제성장률 기 물가상승률이 다를 수 있다 아래 표는 베타 부채비율 경제성장률

의 변화에 따른 실질 할인율의 계산 결과이다 개별사업에 해서 사업에 수반된

험도와 정부지원 수 을 감안하여 연구진들이 정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lt표 Ⅲ-12gt 실질 재무적 할인율 산정

무 험이자율 52 57 62

목표 부채비율 100 200 300 100 200 300 100 200 300

β1 = 1157 888 853 835 930 892 873 972 932 912

β2 = 0671 644 621 610 686 661 649 728 701 687

βmed = 0515 565 547 538 607 587 576 649 626 615

β3 = 0406 511 495 488 553 535 526 594 575 565

β4 = 0153 384 375 371 425 415 409 467 454 448

주 가정은 다음과 같다 물가상승률=30 단기무 험이자율=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 장기유동성

리미엄=11 장기무 험이자율=단기무 험이자율+장기유동성 리미엄 채무불이행 리미엄 = 20 부채의 자본비용=장기무 험이자율+채무불이행 리미엄

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경제 타당성이 있으나 재무 타당성이 부족한 공공투자사업에 해 일정부분

의 재정지원을 통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재무성 분석에

서는 100 민간자본으로 추진하는 경우 이외에 건설비의 일부에 해 재정지원이

있는 경우와 FNPV = 0이 되는 수 으로 재정지원이 이루어질 경우를 가정하여 재무

성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업 자체에서 발생하는 흐름만으로는 재무 타당성이 부족한 공공투자사

업에 있어서 재정지원 규모를 결정하는 기본 골격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 za )를 구하는 것이다

FNPV = sumCF t+ z t

(1+r) t-sum

Inv t-Sub t

(1+r) t a = sum Sub t

sum Inv t

여기서 각 변수는 다음을 나타낸다

CFt 투자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흐름

z t 정부의 운 보조 손실보 부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입 등

r 자본의 기회비용(즉 자본비용)

Inv t 매년 발생하는 투자비

Subt t년도에 발생하는 투자비 재정지원

a 총투자비 재정지원 비

식을 이용한 실무 인 계산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보조 지원비율을 a로 놓고 여기에 총 투자비를 곱하여 총보조 지 액

을 구한다 보조 의 투입 시기는 체 공사비 에서 lsquo자기자본 rarr 보조

rarr 차입 rsquo의 순서를 따른다

② 매 기간 발생하는 건설비와 보조 그리고 투자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흐름의 재가치를 계산한다

④ 재정지원비율( a )을 변화시켜 가면서 시행착오법에 의해 FNPV를 0으로 만

드는 a를 도출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9

비타당성조사 단계의 재무성 분석에서는 의 식에서 부 사업 수입을 제외한

기타수입( z t )을 무시하고 기 투자비 정부의 재정지원 비 을 일정 수 으로 가

정한 후 FNPV를 계산하여 재무 타당성에 한 비 평가를 하도록 한다

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부록] 재무성 분석표 작성 지침

lt참조-표 1gt 총사업비총투자비 내역표

구 분 계 1차년도 2차년도 비 고

조 사 비        

설 계 비        

공 사 비        

보 상 비        

부 비        

운 설 비 비        

제 세 공 과        

업 비        

비 비      물량변동 비비  

총 사 업 비

건 설 이 자      

총 투 자 비        

lt참조-표 2gt 재무성 분석 요약(도로사업의 예)

구 분사용료 수

도로공사 통행료의 15배 도로공사 통행료의 2배

재정지원

비율

건설비의 30 PIFNPVIRR PIFNPVIRR

건설비의 50 PIFNPVIRR PIFNPVIRR

FNPV = 0 재정지원 비율 재정지원 비율

주 재정지원 비율 사용료 수 은 부문별로 차등 으로 용

제Ⅲ장 경제성 분석 71

lt참조-표 3gt 수익성 분석표

연 도

수 입 비 용

가계보조

수입

기타

수입

합 계건설비 운 비 법인세

합 계

할인 할인후 할인 할인후

2005 공사1차

2006 2차

2007 3차

2008 4차

2009 5차

2010 6차

2011 7차

2012 운 1차

2013 2차

2014 3차

2015 4차

2016 5차

2017 6차

ꀟ ꀟ

2038 27차

2039 28차

2040 29차

2041 30차

합 계

주 손익계산서 상의 법인세와 다름

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운 수입과 운 비(매출원가 포함)는 사업 부문별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용한다

부 문 운 수입 항목 운 비(매출원가 포함) 항목

도 로 사 업 통행료 수입 도로유지보수비

철 도 사 업 요 수입 운 사업원가

항 만 사 업항만시설에 한 사용료 는

하역서비스에 한 사용료

하역장비운 비 는

시설의 유지보수비

임 사 업 임 수입 시설 리비용 등

주 부 사업 등 기타수입이 있는 경우 이를 창출하기 한 운 비용을 추가함

lt참조-표 4gt 추정 손익계산서

구 분

운 기 간

합계2012 2013 2014 2015 201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38 2039 2040 20411차 2차 3차 4차 5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차 28차 29차 30차

매 출 액(A=B+C)

운 수입(B)

기타수입(C)

매출원가(D=E+F)

운 권상각비(E)

유지보수비(F)

매출총이익(H=A-D)

매비와 일반 리비(I)

업이익(J=H-I)

이자수입(K)

지 이자(L)

경상이익(M=J+K-L)

법인세(N)

당기순이익(O=M-N)

제Ⅲ장 경제성 분석 73

lt참조-표 5gt 추정 대차대조표

구 분

공 사 기 간 운 기 간

2005 200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0 2011 2012 201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0 2041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차 7차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차 30차

자산

건설 인 자산

유형자산

운 권

부채

차입

자본

자본

잉여 결손

(당기순이익)

부채와 자본 총계

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참조-표 6gt 추정 현금흐름표

구 분

공 사 기 간 운 기 간

2005 200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0 2011 2012 201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0 2041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차 7차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차 30차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운 수입

기타수입

이자수입

유출

매출원가(유지보수비등)

매비와 일반 리비

지 이자

법인세 등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유출

투자비

건설이자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자본 증가

차입 증가

국고보조 증가

유출

차입 상환

배당 지

의 증가

기 의

기말의

제Ⅲ장 경제성 분석 75

다음은 상기 표를 작성하기 한 지침이다 수익성 분석표 재무제표를 작

성하기 해 KDI에서 제공하는 재무성 분석시트를 이용하도록 한다

A 전체적인 순서

① 재무성 분석시트에는 수익성 분석표 흐름표 손익계산서 차 조표

가 포함되는데 수익성 분석표를 기본으로 하여 나머지 3개의 시트는 자동

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② 수익성 분석표의 값들에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흐름표와 손익계산서

에 필요한 수입과 지출 정부보조 항목을 얻는다

③ 흐름표에서 이자수입과 차입 에 한 이자비용을 구한다

④ 손익계산서에서 법인세와 법인세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를 구

한다

⑤ 손익계산서에서 구한 이자비용과 이자수입에 한 법인세차감효과를 제거한

법인세는 경상가격이므로 물가 상승률로 할인하여 불변가격으로 바꾸어 수

익성 분석표의 법인세로 이용한다

⑥ 이 게 하여 수익성 분석표의 모든 항목이 채워지면 분석시 의 수입과 비

용의 재가치를 계산하여 수익성 지수(PI)와 순 재가치(FNPV) 내부수익률

(FIRR) 회수기간(PB) 할인된 회수기간(discounted PB)을 구한다

⑦ 차 조표는 수익성 분석표와 직 인 연 은 없으나 건설비 건설이

자를 하여 운 권을 구하고 이를 무상 운 기간으로 나 어 감가상각비

를 구하기 해 작성한다

⑧ 해당 사업의 종류 성격에 따라 분석시트 상의 항목을 조정하여 사용하도

록 한다

⑨ 각 분석표의 액단 는 억원으로 통일한다

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B 수익성 분석표 작성 방법

① NPV 분석을 해 수입과 비용 항목에 값을 입력한다

-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할 항목(노란색 셀)은 매비와 일반 리비 비율

국고보조비율 수입 항목으로 운 수입 기타수입 비용 항목으로 건설

비 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이다

② 목표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은 재 200로 되어 있으나 합리 인 사유가

있을 경우 자본구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③ 일단 국고보조 이 지 되지 않는 상태(국고보조비율 0)와 국고보조비율이

일정수 ( 도로사업 50)일 경우의 FNPV를 구하고 FNPV = 0을 만드는

국고보조비율을 시행착오법으로 구한다 본 분석시트는 체 공사비에 한

보조 지원비율이 결정되면 자 의 투입순서(자기자본rarr국고보조 rarr차입

)에 따라 공사기간의 해당 연도 국고보조 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④ 수입 항목은 운 수입과 부속사업 혹은 부 사업에서 발생하는 기타수입으

로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별도로 계산한 값을 해당항목에 직 입력한다

1) 도로사업

- 운 수입으로는 통행료 수입을 계상하며 각 연도의 구간별로 추정된 통

행수단별 교통량 구간길이와 통행수단별 km당 요 을 곱하여 구한다

- 도로공사가 시행하는 경우와 민간사업자 시행하는 경우의 요율 수 차

이 이로 인한 교통량 차이를 반 한다

- 도로사업에서 발생하는 부 수입으로는 고시설 편의시설 임 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다

2) 철도사업

- 철도사업의 경우 순승차 인원에서 무임승차 인원을 제외한 후 요 (구간

평균운임 등)을 곱하여 산정한다

⑤ 비용 항목은 건설비와 운 비(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로 구분되는

데 이는 경제성 분석에서 얻은 값을 이용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77

- 건설비(총 투자비 내역서 상의 조사비 설계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 설비비 제세공과 업 비 을 합한 값)는 경제성 분석에서 용

한 공정률에 따라 공사기간 동안 배분하여 입력한다

- 유지보수비는 경제성 분석에서 구한 값을 입력하고 경제성 분석에서 유

지보수비 외에 매비와 리비 등도 고려하여 운 비를 산정한 경우 비

용 항목을 구분하지 않고 운 비로 통일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사용한다

- 운 수입에서 부 사업 등 기타수입을 고려할 경우 이에 한 운 비용

도 반드시 계산한다

- 기타 사업의 특성에 따른 추가 비용 재투자비용을 반 한다

- 경제성 분석에서 산출한 비용 활용시 부가세 10를 반드시 포함하여 계

산한다 단 도시철도 건설사업 등과 같이 세율이나 용되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⑥ 법인세는 손익계산서에서 구한 법인세에서 이자비용과 이자수입에 한 법

인세 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를 용한다

⑦ ①~⑥에 따라 PI FNPV FIRR을 산출한다 PB와 할인된 PB는 ldquo손익 rdquo

과 ldquo 가손익 rdquo 행을 보고 사용자가 직 ldquo손익 =0rdquo ldquo 가손익 =

0rdquo이 되는 연도를 찾아서 입력한다

C 손익계산서 작성방법

①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액 매출원가 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는

수익성 분석표의 해당 항목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② 매출원가 리운 권상각비는 자체가 명목가액이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

로 할증하지 않는다 감가상각비는 상자산의 취득원가를 기 으로 하여

정액법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감가상각 베이스는 차 조표에서 계산된다

- 상각기간은 도로철도항만공항 등 교통사업의 경우 30년 수자원

사업 50년 문화 단지 조성사업은 30년을 용한다

③ 이자수입 지 이자는 흐름표의 해당 값과 동일하다 (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 (투자활동으로인한 흐름) + (재무활동으로인한 유

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입액) - (재무활동으로인한 유출액 배당 지 )에서 차입 상환액을

차감한 액이 이자수입의 베이스가 된다

- 2004년 재 3년 만기 국채수익률 등을 감안하여 연 4의 수취이자율을

사용한다

④ 지 이자는 흐름표에서 얻은 이자지 액과 동일하다

- 2004년 재 차입 에 한 지 이자율은 연 6를 용한다

⑤ 법인세는 2005년부터 시행 정인 법인세율을 용한다 과세표 액이 1억

이하에 해서는 13(주민세 포함 143) 1억 과에 해서는 25(275)

를 용하고 이월결손 에 해서는 5년간 결손 의 이월공제를 용한다

⑥ 분석시트 상의 지 이자 이자수입을 제외한 법인세차감 순이익(경상이

익) 항목은 수익성 분석표에 용될 법인세를 구하기 한 것으로서 법인

세차감 순이익에 지 이자분을 다시 더하고 이자수입분을 차감한 값이다

이 값에 법인세율을 용하여 수익성 분석을 한 법인세를 구한다

D 대차대조표 작성방법

① 은 흐름표상의 기말 액과 동일하다

② 건설 인 자산은 공사기간 동안 투자비와 건설이자 액의 합계액에서 국

고보조 을 차감한 액으로 건설이 완료되면 운 권 계정으로 체된다

- lsquo건설 인자산 = 투자비 + 건설이자 액 - 국고보조 rsquo

- 수익성 분석표의 연도별 건설비와 국고보조 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액으로 흐름표 상에서 계산된다

- 건설이자 액은 흐름표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의 유

출에서 계산된 액( 년말잔+당해년도)이다

- 공사완료 시 에 운 권 계정으로 체된 자산의 가치가 자산의 취득원

가가 되고 이것이 감가상각 상 액이 된다(BTO 사업기 )

③ 운 권의 취득원가는 공사 완료시 에 ②에 의해 체된 액이다 운 권은

무상 운 기간동안 직 법(운 권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비 액을 차감)으

로 감가상각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79

- 분석시트 상에서는 3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되며 잔존가치는 0으로 가

정하 다

- 상각기간은 도로사업의 경우 30년 철도항만공항 사업 30년 수자원

사업 50년 문화 단지 조성사업은 30년을 용한다

④ 차입 은 자 투입순서에 따라 체 건설비 자기자본 국고보조 을 차

감한 후의 타인자본 조달 액으로 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에서 계산되는 액이다

⑤ 자본 은 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 lsquo자본 의 증가rsquo 항

목의 액으로 계산된다 즉 당해년도의 자본 계정은 년도의 기말 장

부 액에 당해년도에 증가된 자본 액을 더하여 계산된다

⑥ 잉여 (결손 )은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손실)을 하여 계산

한다 즉 당해년도 잉여 (결손 ) 계정의 장부 액은 년도 기말의 장부

액에 당해년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손실)을 더하여 계산한다

⑦ 당기순이익(손실)은 손익계산서 상의 액이다

⑧ 차 조표상의 차변(자산)항목과 변(부채+자본)항목의 수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E 현금흐름표 작성방법

① 운 수입과 기타수입은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수입과 기타수입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② 이자수입은 잉여자 한 이자수익으로 수취이자율을 용하여 계산한다

③ 유지보수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비 유지보수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④ 매비와 일반 리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비 매비와 일반 리

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⑤ 지 이자는 차입 에 한 지 이자이다 기 의 차입 액에 해 계산

하며 2004년 재 민간투자사업 부채평균이율(연 7~8)과 도로공사 10년채

유통수익률(연 52)을 감안하여 연 6의 리를 용한다

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⑥ 법인세와 법인세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는 손익계산서 상의 법

인세 액을 사용한다

⑦ 투자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건설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

한다

⑧ 자본 과 정부보조 은 수익성 분석표에서 자 조달 순서에 의해 도출된 값

을 물가상승률로 할증하여 경상가격으로 나타낸다 투자비용은 자기자본 정

부보조 차입 의 순서로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⑨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과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의 합이 음(-)일

경우 차입 이 증가하고 양(+)일 경우 차입 의 상환이 증가한다 차입

액이 모두 상환될 때까지는 업활동과 투자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수지를 모두 차입 상환에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⑩ 의 증가는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

그리고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을 모두 합산한 값이며 여기에 기 의

을 더하여 기말의 을 도출한다

제Ⅳ장

정책적 분석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비타당성조사의 분석 내용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구성된다 정책

분석은 경제성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고려하여야

할 평가요소들을 포함한다 경제성 분석은 사업시행으로 인한 국민경제 효과를 편

익 는 비용으로 계량화하여 비용-편익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한다 한편 정책 분석은 사업시행으로 인한 사회 편익 는 비용을 계량화하여 편익비용 분석 틀 속에 포함시킬 수는 없으나 사업의 시행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고

려하여야 할 평가요소들에 한 분석을 포함한다 를 들어 지역균형발 이라는 사

회 으로 합의된 가치를 반 하여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하기 하여 해당지역의

낙후정도를 반 하기 한 지역낙후도 분석 해당 사업의 시행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 등을 수행한다 정책 분석에 포함해야할 평가내용은 모든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에 공통

으로 용되는가 여부에 따라 lsquo기본 평가항목rsquo과 lsquo사업특수 평가항목rsquo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평가항목이란 해당사업 내용과 무 하게 모든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

에 한 평가에 있어 공통 으로 포함하여야 할 평가항목들이다 기본평가항목을 사

으로 설정하는 가장 요한 이유는 사업의 성격에 계없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이 제한된 국가재정을 투입할 때 일반 으로 고려하여야 할 공통사항이 존재

하며 사업간 평가의 일 성을 기하기 해서는 평가항목 선정에 어느 정도의 통일성

을 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정책 분석의 lsquo기본 평가항목rsquo으로 지역균형발 을 한

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 등을 고려한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

업을 평가하는 데 특히 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특수한 평가항목으로서 국방문

화도시문제 등 사업 내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이와 같은 범주화 방식은 사업간 평가의 일 성에 주안

을 둔 것으로서 일 된 자료 수집이 용이한 장 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 구

조는 AHP 분석에 의한 종합평가에 있어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평가 내용 면에

서 상호 연계되어있는 평가 항목들이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리

되어 있음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본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 평가항목을 평가내용에 따라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의지 사업추진상

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항목 등 4개 분류 항목으로 범주화하여 평가 구조를

설정한다

lt표 Ⅳ-1gt 정책적 분석 항목의 범주화

분 류 세부 평가항목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효과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

∙사업의 비 정도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사업특수 평가항목 ∙추가 평가항목 (선택 )

lsquo지역균형발 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포함한다 이에 추가하여 해당 사업에 특수한 평가항목 가운데 지역균형발 과 련 있는 평가

제Ⅳ장 정책 분석 83

항목을 포함한다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련계획 정

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 사업의 비 정도 련 있는 추가

평가항목을 포함한다 lsquo사업추진상의 험 요인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재원조달 가능

성 환경성 그리고 련 있는 추가 평가항목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lsquo사업특수 평가

항목rsquo이라는 분류 평가항목을 두어 앞의 세 범주에 속하지 않는 평가항목들을 포함

하도록 한다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1 지역균형발전

비타당성조사에서 BC로 표 되는 경제성 분석 결과만을 기 으로 사업의 타당

성을 평가할 경우 지역간 불균형 상태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경제성 분석의 구조에 따르면 지역발 이 부진한 낙후지역일수록 사업의 타당성이 낮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를 들어 낙후지역의 도로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할 경우 인구가 고 교

통량이 상 으로 아 도로건설의 편익이 작아 사업의 경제 타당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 지역에 한 투자기회는 어지고 경제성이 높게 평가된 다른

지역으로 투자가 집 되는 상이 지속되어 지역간 빈익빈 부익부 상이 심화된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 같은 상을 방지하기 해 지역균형발 이라는 상 의

국가정책을 평가에 반 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지역균형발 효과를 평가하

기 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개발하고 사업 시행의 지역별 효과를 분석하기

한 다지역투입산출모형(MRIO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개발하 다 이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는 근본 취지는 낙후지역에서 수행되는 공공투자사업 그리고 해

당지역에 한 효과가 큰 사업에 해서 일종의 가 을 부여함으로써 경제성이

다소 낮은 사업이라 할지라도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역간 불균형상태가 심

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지역낙후도

지역낙후정도를 평가에 반 하기 해서는 재의 지역별 낙후정도에 한 객

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낙후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표 변수는

지역소득이다 그러나 시군구별 소득자료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타당성조

사에서는 사업 시행지역의 상 낙후정도를 나타내기 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개

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지역낙후도지수는 낙후정도를 구성하는 지표들의 가 평균으

로 나타낸 지수이다 본 지침에서는 기존 지침의 지역낙후도지수 체계를 유지하되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된 자료를 최근의 자료로 갱신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다

시 산정하 다지역낙후도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로는 기존 지침과 같이 건설교통부가 개발 진지

구 지정에 사용되는 8개 지표를 사용하 다40) lt표 Ⅳ-2gt는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를 보여 다

lt표 Ⅳ-2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

부 문 지표 측정 방법 자료 출처 비고

인 구 인구증가율 최근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산 업제 조 업

종사자비율(제조업종사자수인구)times100

각 시도 사업체

기 통계조사 보고서

지 역

기반시설도 로 율 (법정도로연장행정구역면 )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교 통승 용 차

등록 수(승용차등록 수인구)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보건

사회보장

인 구 당

의 사 수(의사 수인구)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노령화지수 (65세이상0-14세 인구)times100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행middot재정middot기 타

재정자립도(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

세입총계)times100 최근 3년간 평균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도시 토지

이용비율

지목상( 지+공장용지+학교용지) 행정구역 면 〕times100

한국감정원 지 통계연보

40) 건설교통부 ꡔ지역개발사업에 한 업무지침ꡕ 2003 2 21

제Ⅳ장 정책 분석 85

8개 지표로부터 지역낙후도지수라는 통합 지수(Aggregate Indicator)를 산출하기

해서는 지표간 가 치를 설정하고 지표간 상이한 척도를 표 화시키는 작업이 필

요하다 본 지침에서는 기존의 지침과 동일한 가 치와 척도표 화 방법을 용하여

통합지수를 산정하 다 지표간 가 치는 lt표 Ⅳ-3gt과 같이 기존 지침과 동일한 가 치를 용하 다 지

표간 가 치는 AHP 구조를 설정하여 련 학회 연구소 비타당성조사 수행경험자

등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 치를 결정하 다41)

lt표 Ⅳ-3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간 가중치

지 표 가 치() 지 표 가 치()

인 구 증 가 율 89 승용차 등록 수 124

노 령 화 지 수 44 도 로 율 117

재 정 자 립 도 291 인 구 당 의 사 수 63

제조업종사자 비율 131 도시 토지이용비율 142

지표간 척도가 상이한 문제 을 해소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단 정상법(unit normal scaling)을 사용하여 8개 지표를 표 화(standardize)하 다

Z i=Xi- X

S

단 S는 표 편차 X는 표본평균

지역낙후도지수는 표 화된 지수와 에서 산출한 지표간 가 치를 용하여 다

음과 같이 산정한다

UIr= sum

iZrisdotW i

단 UIr = r지역의 지역낙후도지수

Zri = r 지역의 표 화된 지표 i의 값(단 i = 1 2 8) Wi = 지표 i의 가 치(단 i = 1 2 8)

41) 가 치 설정에 해서는 ꡔ일반지침(제3 )ꡕ pp 98~101 참조

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때 노령화지수는 그 값이 클수록 지역낙후도가 심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

에 종합 수를 산정할 때 (-)의 값을 부여하여 계산한다지역낙후도지수 산정 결과와 시도별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지 역

인 구 경 제 기 반 시 설 종 합 종 합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 용 차

등록 수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서 울 -0210 33506 94865 5561 19976 13130 0185 39769 1371 1

부 산 -0619 38534 72855 5930 17030 3358 0128 16149 0054 8

구 0307 32434 68681 6632 22099 2329 0150 11562 0423 6

인 천 1070 27122 73014 8919 20267 2676 0093 10367 0528 5

주 1101 26644 59306 4468 19863 2384 0159 13392 0298 7

1483 27376 72921 3428 23775 2790 0153 12936 0700 4

울 산 1099 18728 68082 13259 23935 1380 0086 7832 0783 3

경기도 3216 26765 76656 8838 21678 0995 0089 5063 0889 2

강원도 0444 53979 22147 2922 20332 0437 0183 0999 -0681 14

충 북 0349 49245 34529 7763 19760 0654 0093 2537 -0404 10

충 남 0161 63210 31425 7972 18714 0720 0099 3497 -0536 12

북 -0462 58042 26718 4388 17743 0713 0115 2919 -0880 15

남 -1009 71046 22745 4322 15024 0713 0074 2729 -1284 16

경 북 -0256 62580 30300 8706 19821 0535 0072 1891 -0608 13

경 남 0548 43923 36414 10248 19810 0837 0081 2862 -0229 9

제 주 0887 35751 34335 1497 21176 1587 0094 2978 -0429 11

주 기장군은 부산 역시에 달성군은 구 역시에 강화군과 옹진군은 인천 역시에 울주군은 울산

역시에 포함하 음

제Ⅳ장 정책 분석 87

lt표 Ⅳ-5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지 역

주 민

등 록

인 구

증가율

제조업

인 구

비 율

도로율

인 구

1인당

승용차

등록 수

1인당

의사수

노령화

지 수

도시

토 지

이용율

재 정

자립도

낙후도

지 수

특별시 서 울 12 10 1 8 1 10 1 1 1

역시

부산(기장군) 15 9 2 15 6 9 2 5 8

구(달성군) 9 8 6 3 5 11 5 6 6

인천(강화군 옹진군) 5 3 4 7 11 13 6 3 5

주 3 11 5 9 3 15 3 8 7

2 14 3 2 4 12 4 4 4

울산(울주군) 4 1 8 1 13 16 7 7 3

경기도 1 4 9 4 12 14 8 2 2

강원도 11 15 15 6 2 5 16 16 14

충청북도 8 7 14 12 10 6 14 10 10

충청남도 10 6 11 13 8 2 9 12 12

라북도 14 12 12 14 7 4 11 14 15

라남도 16 13 13 16 15 1 13 15 16

경상북도 13 5 16 10 16 3 15 13 13

경상남도 7 2 10 11 14 7 12 9 9

제주도 6 16 7 5 9 8 10 11 11

주 기장군은 부산 역시에 달성군은 구 역시에 강화군과 옹진군은 인천 역시에 울주군은 울산

역시에 포함하 음

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Ⅳ-6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특별시 서 울 -0210 33506 94318 5556 19976 13130 0185 39769 3086 1

역시 부 산 -0644 38226 70192 5754 16975 4436 0131 21174 1397 11

역시 구 0168 32421 66216 5885 22088 3766 0158 19142 1477 9

역시 인 천 1129 25115 72871 9132 20478 5304 0094 21243 1701 4

역시 주 1101 26644 56820 4436 19863 2384 0159 13392 1021 22

역시 1483 27376 70690 3381 23775 2790 0153 12936 1378 13

역시 울 산 0769 15973 64928 12140 24075 3101 0093 18553 1513 8

부 산 기 장 군 0627 52218 39060 13826 19642 0659 0055 3574 0348 52

구 달 성 군 2541 32604 37053 17835 22255 0786 0048 3421 0561 41

인 천 강 화 군 -1118 120290 24346 2353 16030 0724 0049 2986 -0414 100

인 천 옹 진 군 1296 123792 30515 0548 13524 0993 0042 1640 -0370 92

울 산 울 주 군 2906 33007 51659 18987 23213 0693 0054 3551 0884 26

경 기 수 원 시 4905 18829 62126 5359 22906 5156 0136 25756 1808 3

경 기 성 남 시 0419 26744 70139 3965 21032 3332 0113 14956 1275 15

경 기 의정부시 4245 26794 52211 1591 19007 3654 0122 11201 0940 24

경 기 안 양 시 0142 25003 65542 6547 20880 5286 0109 23998 1585 7

경 기 부 천 시 0736 22668 60611 9824 18838 8310 0107 36321 2034 2

경 기 명 시 -0103 25617 52225 3820 17486 4007 0083 17985 0905 25

경 기 용 인 시 11185 24857 60886 7045 26195 0809 0064 5913 1233 16

경 기 평 택 시 0816 33116 40490 12445 23040 1287 0078 7541 0648 37

경 기 동두천시 0154 45782 28628 5610 18903 0836 0064 4930 0013 69

경 기 안 산 시 2910 16657 55772 16666 22271 4830 0090 18845 1606 6

경 기 과 천 시 -0201 28669 43964 1259 23254 1399 0044 7895 0387 50

경 기 구 리 시 3236 22556 42569 1903 19624 3317 0126 12222 0777 33

경 기 남양주시 6864 28080 42574 4630 20117 0574 0047 3188 0419 45

경 기 오 산 시 8616 17862 40325 8106 22985 1765 0085 14364 1025 21

경 기 주 시 5713 43677 39591 11416 22204 0596 0057 3607 0563 40

경 기 시 흥 시 9428 15200 57481 19624 23174 3433 0058 12423 1646 5

경 기 군 포 시 0528 22690 58534 10744 21011 3067 0064 17920 1194 18

경 기 의 왕 시 3090 25829 48846 6278 21856 2560 0073 8143 0799 32

제Ⅳ장 정책 분석 89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기 하 남 시 0414 33001 33928 5144 19598 0672 0060 4350 0102 63경 기 이 천 시 2061 32465 46206 14233 22802 0734 0070 4306 0692 35 경 기 고 양 시 3081 25600 62606 2979 23298 2432 0113 9615 1099 19 경 기 안 성 시 2933 50985 28757 12466 21499 0614 0058 3802 0287 55 경 기 김 포 시 8931 31044 44829 18374 23996 0658 0078 6360 1088 20 경 기 양 주 군 7057 31138 36740 21396 20943 0936 0034 5079 0773 34 경 기 여 주 군 0779 56660 29905 6198 20719 0646 0048 2858 0025 66 경 기 화 성 시 5127 41431 52586 35332 23692 0699 0035 5429 1357 14 경 기 주 시 9359 30822 42457 14059 24802 0543 0012 3618 0802 30 경 기 연 천 군 -1743 73586 21570 4856 18478 0393 0032 1162 -0403 99 경 기 포 천 군 1571 42002 35321 17373 20346 0515 0050 2838 0391 49 경 기 가 평 군 -0346 81512 29781 1967 17978 0369 0061 1090 -0255 85 경 기 양 평 군 0379 86491 19558 1448 19533 0449 0049 1707 -0373 93 강 원 춘 천 시 1024 46024 34086 1810 23235 0571 0160 1723 0265 56 강 원 원 주 시 1706 38852 34981 4515 21809 0700 0192 2536 0412 46 강 원 강 릉 시 0412 50418 19201 2913 22748 0474 0141 1812 -0042 72 강 원 동 해 시 -0031 42853 23882 2739 21612 0881 0079 5563 -0008 71 강 원 태 백 시 -1816 51465 18481 1505 19550 0988 0089 1317 -0328 88 강 원 속 시 1142 38547 23001 1683 20738 1322 0083 5826 0017 68 강 원 삼 척 시 -2091 78189 10962 2358 17936 0516 0066 0729 -0611 129 강 원 홍 천 군 -0647 76168 17773 2523 16370 0321 0077 0643 -0486 112 강 원 횡 성 군 -0798 99024 16699 6543 16073 0398 0057 0949 -0472 109 강 원 월 군 -2168 96560 12832 3311 16291 0370 0090 0771 -0594 127 강 원 평 창 군 -1058 83164 17352 2117 16609 0340 0067 0558 -0534 119 강 원 정 선 군 -1281 71379 15923 1754 14722 0394 0062 0599 -0625 131 강 원 철 원 군 -1376 54736 16917 2561 17555 0406 0065 0941 -0476 111 강 원 화 천 군 -1219 64443 12360 1387 17250 0415 0079 0421 -0579 125 강 원 양 구 군 -1036 59526 24442 1512 16984 0438 0088 0506 -0348 91 강 원 인 제 군 -1025 56832 15212 1477 18065 0241 0062 0341 -0536 120 강 원 고 성 군 -2029 85773 11488 3333 16311 0487 0044 0785 -0675 137 강 원 양 양 군 -0512 90716 9305 2638 19746 0455 0043 0817 -0578 124 충 북 청 주 시 2129 24822 63169 5273 22301 3843 0127 18444 1427 10 충 북 충 주 시 -0518 51280 28703 4432 19282 0580 0093 2576 -0047 73 충 북 제 천 시 -0631 52761 25602 2993 19195 0516 0076 1555 -0199 83 충 북 청 원 군 0263 73797 28530 15401 18795 0642 0050 4050 0146 62

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충 북 보은군 -2514 134188 13339 3702 13498 0647 0047 1572 -0750 145 충 북 옥천군 -1469 101572 18213 9176 16347 0647 0068 1968 -0343 90 충 북 동군 -1819 111949 15215 3704 14253 0538 0046 1207 -0667 136 충 북 진천군 0480 59620 25117 23125 19889 0738 0051 3266 0308 54 충 북 괴산군 -1957 95692 20251 6537 16078 0546 0056 1723 -0421 104 충 북 음성군 0011 61049 25638 21490 19091 0730 0093 4163 0333 53 충 북 단양군 -2709 93653 18047 6467 15582 0459 0043 0950 -0547 121 충 남 천안시 3531 27066 44916 12260 23216 1412 0168 6684 0974 23 충 남 공주시 -0573 76685 18963 4627 17486 0744 0101 2269 -0271 86 충 남 보령시 -1401 74153 22048 3070 16643 0655 0118 2720 -0271 87 충 남 아산시 1775 48482 35529 15882 21084 0850 0067 5534 0501 44 충 남 서산시 -0146 53826 26895 4145 18739 0543 0073 3171 -0117 74 충 남 논산시 -0177 67706 24462 4217 17771 0698 0080 4282 -0152 77 충 남 산군 -2595 112628 17112 9947 15390 0519 0076 1983 -0417 101 충 남 연기군 0595 71315 30421 15275 18500 0719 0073 4429 0236 58 충 남 부여군 -2149 118545 17771 3466 13478 0651 0079 2939 -0564 123 충 남 서천군 -2874 130465 16196 4860 15397 0884 0074 3875 -0506 115 충 남 청양군 -2320 142031 14569 5031 13205 0702 0067 2072 -0657 134 충 남 홍성군 -1596 93112 18253 2674 16184 0662 0085 3370 -0427 105 충 남 산군 -1650 101518 18969 4478 16419 0570 0067 3180 -0419 103 충 남 태안군 -1158 75338 27215 0968 14943 0593 0060 2334 -0393 97 충 남 당진군 -1096 92882 28721 6111 18098 0617 0057 4201 -0130 75

북 주시 1181 30205 43484 2363 20876 1855 0208 14478 0852 29 북 군산시 -0602 44616 32905 5614 19605 1336 0073 8568 0219 60 북 익산시 0003 43681 37139 6470 18713 0894 0086 6384 0244 57 북 정읍시 -1507 84386 15978 4628 14050 0765 0085 3147 -0474 110 북 남원시 -1279 81925 12567 3570 14196 0625 0097 1982 -0556 122 북 김제시 -1968 110485 19223 6330 15470 0826 0049 3918 -0418 102 북 완주군 -0323 84397 24542 10897 17326 0521 0044 2279 -0158 78 북 진안군 -3303 147398 13212 2223 12658 0543 0056 0979 -0855 159 북 무주군 -1985 129118 11651 1438 12777 0406 0047 0878 -0863 161 북 장수군 -2376 142398 15635 2853 11408 0608 0026 1032 -0849 157 북 임실군 -3262 166055 12018 4115 12208 0686 0043 1395 -0866 162 북 순창군 -2951 164352 13221 3443 11635 0625 0040 1558 -0872 163 북 고창군 -2679 126620 14440 1756 11611 0704 0069 2597 -0765 147

제Ⅳ장 정책 분석 91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용차

등록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북 부안군 -2597 118015 16303 2026 12814 0742 0062 2636 -0687 138 남 목포시 -0393 30283 31550 2256 17560 5160 0109 25088 0800 31 남 여수시 -0911 40599 32987 5464 16507 1306 0072 6781 0069 64 남 순천시 0517 37225 30358 1732 18802 1081 0102 2356 0002 70 남 나주시 -1719 107841 17749 5417 13890 0747 0099 3531 -0428 106 남 양시 0845 28214 37286 9403 21768 1113 0051 5636 0387 51 남 담양군 -2479 131949 15681 8467 14911 0576 0054 2586 -0526 117 남 곡성군 -2239 151603 11439 7758 11919 0456 0062 1604 -0732 143 남 구례군 -1928 128495 13701 1482 12532 0445 0041 1480 -0826 155 남 고흥군 -2376 169021 9463 3095 9208 0690 0070 1986 -0936 167 남 보성군 -2587 153755 13916 2141 11134 0598 0071 2117 -0816 154 남 화순군 1295 70845 19037 3380 15994 0481 0061 1585 -0382 94 남 장흥군 -2668 130087 14091 2100 11324 0514 0077 1847 -0791 151 남 강진군 -2334 128741 14486 2337 11471 0530 0058 2201 -0787 150 남 해남군 -1446 110637 13545 2814 11478 0606 0079 2121 -0704 141 남 암군 0374 84164 16328 15911 14747 0618 0046 4009 -0191 81 남 무안군 -1645 105514 14002 3421 12311 0878 0053 3080 -0664 135 남 함평군 -2738 157257 18644 3480 11678 0797 0055 3095 -0691 139 남 군 -2150 90429 20579 1308 13214 0630 0095 3586 -0506 114 남 장성군 -1798 113213 18811 5692 14981 0618 0047 2347 -0506 116 남 완도군 -1933 114687 12155 4694 9585 0654 0024 2524 -0851 158 남 진도군 -2194 130828 13685 1616 10818 0732 0050 1649 -0845 156 남 신안군 -2677 171617 9377 1540 7128 0591 0022 1585 -1152 170

경 북 포항시 0018 33596 51912 7278 23394 0641 0089 4188 0605 38 경 북 경주시 -0434 57259 31551 9094 21872 0616 0098 2611 0196 61 경 북 김천시 -0417 76244 40363 6403 17859 0597 0065 1940 0067 65 경 북 안동시 -0988 79159 21526 1802 17632 0540 0102 1432 -0333 89 경 북 구미시 1722 19486 63895 21662 23630 0676 0076 5137 1210 17 경 북 주시 -1388 77385 23211 2747 17048 0624 0053 2043 -0383 95 경 북 천시 -0873 90631 18985 9214 19337 0471 0087 2023 -0184 80 경 북 상주시 -1831 118387 18928 2324 14914 0523 0059 1770 -0588 126 경 북 문경시 -1805 106618 14623 2287 15016 0624 0066 1613 -0630 132 경 북 경산시 1992 38277 37284 11493 23059 0863 0075 5581 0527 43 경 북 군 군 -0197 166544 11125 5833 14103 0410 0022 1130 -0744 144 경 북 의성군 -2741 202301 13301 3150 13232 0430 0039 1316 -0877 165 경 북 청송군 -2026 137464 14041 1291 14719 0416 0025 0801 -0815 153 경 북 양군 -2524 176190 10754 1698 12728 0441 0023 0517 -0983 169 경 북 덕군 -0653 122776 12597 2974 11746 0513 0059 1039 -0760 146 경 북 청도군 -2124 174889 13830 3536 15298 0521 0053 1436 -0715 142

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북 고령군 -1292 114955 18971 15324 19674 0494 0035 1977 -0165 79

경 북 성주군 -0451 119461 18161 7958 16922 0537 0038 1757 -0402 98

경 북 칠곡군 3144 40634 34381 19224 23348 0642 0054 2756 0579 39

경 북 천군 -2928 177303 13570 2112 12854 0582 0041 1951 -0862 160

경 북 화군 -3044 164761 11001 3202 11893 0401 0030 0693 -0965 168

경 북 울진군 -1665 92781 23857 1575 16245 0406 0030 0876 -0531 118

경 북 울릉군 -1794 90415 22308 3346 11970 1122 0010 1323 -0623 130

경 남 창원시 0368 15982 65920 18667 24528 2344 0050 11626 1387 12

경 남 마산시 0316 35206 44451 5865 20392 1547 0133 5738 0544 42

경 남 진주시 0060 40707 33897 3841 19728 1018 0154 3404 0231 59

경 남 진해시 1115 36747 30519 6947 21996 2034 0054 10586 0410 47

경 남 통 시 -0922 51344 23057 4013 15079 1645 0078 3961 -0213 84

경 남 사천시 -0618 63553 19928 7061 17629 0934 0066 3726 -0199 82

경 남 김해시 4970 21644 34998 14364 21630 1437 0071 6613 0684 36

경 남 양시 -1387 88140 17917 3996 16541 0584 0070 2158 -0441 108

경 남 거제시 2061 28811 28680 17408 21527 0750 0060 4012 0407 48

경 남 양산시 3535 25366 50584 19676 20737 0910 0072 3507 0880 27

경 남 의령군 -2252 195867 14633 5508 14402 0841 0042 1754 -0696 140

경 남 함안군 -0717 89669 20585 16748 19796 0858 0052 3031 0023 67

경 남 창녕군 -2151 123387 20153 4909 16255 0868 0086 2531 -0389 96

경 남 고성군 -2206 128670 15178 5561 14170 0843 0053 2350 -0597 128

경 남 남해군 -2787 179893 13417 1534 10947 0790 0057 2601 -0876 164

경 남 하동군 -2032 132548 14392 1724 13864 0621 0035 1622 -0769 148

경 남 산청군 -2655 179142 12129 2385 13784 0515 0026 1152 -0894 166

경 남 함양군 -2099 144677 12883 2614 11595 0463 0088 1147 -0785 149

경 남 거창군 -1426 103664 13603 2667 14574 0452 0070 1246 -0651 133

제Ⅳ장 정책 분석 93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남 합 천 군 -2767 178508 15328 3403 13574 0552 0041 1259 -0793 152

제 주 제 주 시 1750 24777 41783 1349 23833 5211 0133 6408 0855 28

제 주 서귀포시 -0027 41410 19345 0866 20965 1238 0097 3493 -0132 76

제 주 북제주군 0483 72946 18295 2103 16875 0927 0029 2188 -0436 107

제 주 남제주군 -0696 68399 16530 1763 16954 1000 0029 2266 -0499 113

주 1) 지표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음 ∙인구증가율 = 1997~2002년간 연평균 증가율 ∙노령화지수 = (65세 이상0~14세 인구)times100 ∙재정자립도 = (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총계 산규모 2000~2002 3개년을 합산하 음 ∙제조업종사자비율 = 월평균제조업종사자인구(2002년 기 ) ∙승용차등록 수 = (승용차등록 수인구)times100(2002년 기 ) ∙도로율 = 총도로연장(km)행정구역면 (km2)(2002년 기 ) ∙고속도로 고속국도 연장은 제외하 음 ∙의사수 = (의사수인구)times100(2002년 기 ) ∙도시 토지이용율 = [( 지+공장용지+학교용지)행정구역면 ]times100(2002년 기 ) 2) 재정자립도 산정 시 사용되는 세외수입 항목의 변화- 지방자치단체 산편성지침의 산과목 설정

기 에 의거 기존에 세외수입(징수교부 )에 포함되었던 「재정보 」을 2001년부터 의존재원으로

분류함에 따라 세외수입에서 제외됨 따라서 기존 일반지침(제3 )에서의 재정자립도와 본 지침연

구에서의 재정자립도 순 의 변화가 있음 세입에서 재정보 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지역은

재정자립도 변화가 큼 ) 과천시의 경우 2002년 재정자립도가 세외수입에 재정보 포함시에는 948 으나 세외수

임에 재정보 제외시에는 421로 폭 감소함 3) 역시 통계에는 역시의 군지역 통계가 제외되었음 4) 충북의 증평출장소는 괴산군에 포함하 음 5) 충남의 계룡출장소는 논산시에 포함하 음 6) 경기도 화성군과 주군은 2001년 3월에 각각 시로 승격되었음 7) 각 표의 1행에 있는 ( ) 안의 숫자는 AHP분석을 통해 얻어진 8개 지표의 상 가 치임 8) 지역낙후도지수는 8개 지표값들을 표 화 한 후 ( )의 가 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산출하 음 단

노령화 지수는 지역낙후도와 (-)의 계를 가지므로 (-)를 곱하여 합산

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Ⅳ-7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 특별시 서 울 시 74 41 1 67 52 1 3 1 0 1

2 역시 부 산 시 87 46 4 62 94 9 14 7 0 11

3 역시 구 시 60 35 6 59 28 12 7 8 0 9

4 역시 인 천 시 37 16 2 39 48 3 32 6 0 4

5 역시 주 시 39 21 18 84 54 22 6 17 0 22

6 역시 시 32 25 3 103 7 19 9 18 0 13

7 역시 울 산 시 44 2 9 29 4 17 35 10 0 8

8 부 산 기 장 군 46 68 41 25 59 86 112 64 0 52

9 구 달 성 군 22 37 45 12 26 63 132 69 1 41

10 인 천 강 화 군 101 134 79 129 112 73 130 80 3 100

11 인 천 옹 진 군 33 137 61 170 139 42 146 126 5 92

12 울 산 울 주 군 21 39 24 9 16 80 113 65 0 26

13 경 기 수 원 시 11 6 13 71 21 7 11 3 0 3

14 경 기 성 남 시 52 22 5 91 39 15 19 14 0 15

15 경 기 의정부시 12 23 22 153 69 13 17 22 1 24

16 경 기 안 양 시 62 15 8 49 43 4 21 5 0 7

17 경 기 부 천 시 45 10 15 35 71 2 23 2 0 2

18 경 기 명 시 69 19 21 93 88 10 48 12 0 25

19 경 기 용 인 시 1 14 14 47 1 60 88 35 0 16

20 경 기 평 택 시 42 40 38 27 19 35 57 28 0 37

21 경 기 동두천시 61 60 70 65 70 58 89 45 0 69

22 경 기 안 산 시 20 4 19 16 25 8 37 9 0 6

23 경 기 과 천 시 73 28 32 167 13 31 140 27 2 50

24 경 기 구 리 시 15 9 35 142 60 16 16 20 1 33

25 경 기 남양주시 7 26 34 79 51 119 135 73 1 45

제Ⅳ장 정책 분석 95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26 경기 오 산 시 5 5 39 42 20 26 47 16 0 21

27 경기 주 시 8 57 40 31 27 112 105 62 0 40

28 경기 시 흥 시 2 1 17 7 17 14 104 19 0 5

29 경기 군 포 시 48 11 16 33 40 18 90 13 0 18

30 경기 의 왕 시 17 20 26 56 31 20 68 26 0 32

31 경기 하 남 시 53 38 53 73 62 84 99 47 0 63

32 경기 이 천 시 25 36 27 23 22 70 75 48 0 35

33 경기 고 양 시 18 18 12 113 12 21 20 24 0 19

34 경기 안 성 시 19 64 65 26 37 107 102 59 0 55

35 경기 김 포 시 4 33 29 11 5 87 55 34 0 20

36 경기 양 주 군 6 34 46 5 42 44 156 44 1 34

37 경기 여 주 군 43 72 63 57 47 93 131 82 1 66

38 경기 화 성 시 9 54 20 1 8 78 155 42 1 14

39 경기 주 시 3 32 35 24 2 125 169 61 2 30

40 경기 연 천 군 120 86 87 77 77 165 157 145 3 99

41 경기 포 천 군 31 55 48 14 50 138 127 83 2 49

42 경기 가 평 군 76 96 64 141 80 167 95 149 3 85

43 경기 양 평 군 55 103 94 161 64 151 129 124 4 93

44 강원 춘 천 시 40 61 52 143 14 120 5 123 1 56

45 강원 원 주 시 30 49 50 82 32 77 2 92 0 46

46 강원 강 릉 시 54 63 97 115 23 144 10 118 1 72

47 강원 동 해 시 68 56 80 119 35 50 54 40 0 71

48 강원 태 백 시 124 67 106 158 63 43 39 140 3 88

49 강원 속 시 36 48 84 151 45 33 49 36 1 68

50 강원 삼 척 시 135 94 166 128 81 135 84 162 5 129

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51 강 원 홍 천 군 88 90 113 125 103 169 59 164 3 112

52 강 원 횡 성 군 92 116 119 50 111 163 107 154 2 109

53 강 원 월 군 141 115 154 107 106 166 36 161 4 127

54 강 원 평 창 군 99 98 116 136 99 168 81 166 3 119

55 강 원 정 선 군 105 84 125 147 126 164 91 165 5 131

56 강 원 철 원 군 107 71 118 124 87 159 86 155 3 111

57 강 원 화 천 군 103 79 157 163 91 157 53 169 4 125

58 강 원 양 구 군 98 75 78 157 93 154 40 168 3 91

59 강 원 인 제 군 97 73 130 160 79 170 94 170 4 120

60 강 원 고 성 군 133 102 162 106 105 142 139 160 5 137

61 강 원 양 양 군 81 109 170 122 56 149 142 158 5 124

62 충 북 청 주 시 23 13 11 72 24 11 15 11 0 10

63 충 북 충 주 시 82 65 67 85 66 117 33 91 0 73

64 충 북 제 천 시 86 69 74 112 67 136 61 134 2 83

65 충 북 청 원 군 59 87 70 19 73 94 125 53 1 62

66 충 북 보 은 군 151 148 149 95 140 92 134 132 6 145

67 충 북 옥 천 군 113 118 109 38 104 91 78 114 0 90

68 충 북 동 군 125 125 129 94 130 128 137 144 7 136

69 충 북 진 천 군 51 76 76 2 53 69 122 72 1 54

70 충 북 괴 산 군 129 114 91 51 110 123 109 122 3 104

71 충 북 음 성 군 65 77 74 4 68 72 34 52 0 53

72 충 북 단 양 군 160 113 111 53 114 147 143 153 4 121

73 충 남 천 안 시 14 24 29 28 15 30 4 30 0 23

74 충 남 공 주 시 83 92 102 81 89 67 26 100 0 86

75 충 남 보 령 시 110 88 86 111 98 88 18 85 0 87

제Ⅳ장 정책 분석 97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76 충 남 아산시 27 62 47 18 38 55 82 41 0 44

77 충 남 서산시 70 70 72 87 74 124 66 75 1 74

78 충 남 논산시 71 80 77 86 83 79 50 49 0 77

79 충 남 산군 154 126 117 34 117 134 60 111 3 101

80 충 남 연기군 47 83 61 21 76 74 65 46 0 58

81 충 남 부여군 138 132 114 99 141 90 51 81 3 123

82 충 남 서천군 165 144 123 76 116 49 64 58 3 115

83 충 남 청양군 146 150 134 74 144 76 80 107 4 134

84 충 남 홍성군 115 112 108 120 109 85 45 71 0 105

85 충 남 산군 117 117 101 83 102 121 79 74 1 103

86 충 남 태안군 102 89 71 168 122 113 97 98 2 97

87 충 남 당진군 100 111 66 58 78 105 106 50 0 75

88 북 주시 35 30 32 127 44 25 1 15 1 29

89 북 군산시 84 59 56 64 61 32 67 25 0 60

90 북 익산시 66 58 44 52 75 48 44 33 0 57

91 북 정읍시 114 100 124 80 134 64 46 76 2 110

92 북 남원시 104 97 156 96 131 99 29 112 2 122

93 북 김제시 130 123 96 55 115 59 128 57 3 102

94 북 완주군 75 101 76 32 90 133 141 99 2 78

95 북 진안군 170 153 152 134 149 126 110 152 7 159

96 북 무주군 131 142 161 162 147 160 136 156 8 161

97 북 장수군 149 151 127 116 163 108 162 151 6 157

98 북 임실군 169 159 160 88 152 82 144 138 6 162

99 북 순창군 167 157 151 100 158 98 150 133 6 163

100 북 고창군 159 138 136 146 159 75 77 89 5 147

101 북 부안군 155 130 122 140 146 68 92 86 5 138

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02 남 목포시 77 31 58 133 86 6 22 4 1 31

103 남 여수시 94 50 55 69 101 34 70 29 0 64

104 남 순천시 49 45 62 148 72 39 25 95 1 70

105 남 나주시 119 122 115 70 135 66 27 66 2 106

106 남 양시 41 27 42 36 33 38 123 38 1 51

107 남 담양군 150 146 126 41 124 118 114 90 4 117

108 남 곡성군 144 154 163 44 154 148 93 129 6 143

109 남 구례군 127 139 143 159 150 152 149 135 8 155

110 남 고흥군 148 161 168 110 169 81 73 110 4 167

111 남 보성군 153 155 141 135 165 110 71 106 5 154

112 남 화순군 34 82 98 104 113 143 96 131 2 94

113 남 장흥군 157 143 138 139 164 139 58 117 6 151

114 남 강진군 147 141 135 130 162 130 103 102 6 150

115 남 해남군 112 124 147 117 161 109 52 105 3 141

116 남 암군 56 99 121 17 125 103 138 55 3 81

117 남 무안군 116 120 140 101 151 51 119 78 2 135

118 남 함평군 161 156 105 98 157 61 111 77 3 139

119 남 군 139 107 90 165 143 97 31 63 3 114

120 남 장성군 122 127 104 63 121 104 133 97 4 116

121 남 완도군 128 128 158 78 168 89 165 94 5 158

122 남 진도군 142 145 144 152 167 71 124 125 7 156

123 남 신안군 158 162 169 155 170 114 167 130 7 170

124 경 북 포항시 64 42 23 45 10 96 38 51 0 38

125 경 북 경주시 79 74 57 40 30 106 28 87 0 61

126 경 북 김천시 78 91 38 54 82 111 87 116 0 65

127 경 북 안동시 96 95 88 144 84 127 24 137 3 89

128 경 북 구미시 29 7 10 3 9 83 62 43 0 17

제Ⅳ장 정책 분석 99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구 경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29 경 북 주시 109 93 82 118 92 100 117 108 0 95

130 경 북 천시 93 108 99 37 65 145 42 109 1 80

131 경 북 상주시 126 131 103 131 123 131 101 119 5 126

132 경 북 문경시 123 121 133 132 120 101 85 128 6 132

133 경 북 경산시 26 47 43 30 18 53 63 39 0 43

134 경 북 군 군 72 160 164 61 133 158 168 148 6 144

135 경 북 의성군 162 170 150 109 142 155 151 141 7 165

136 경 북 청송군 132 149 139 166 127 156 164 159 8 153

137 경 북 양군 152 164 167 150 148 153 166 167 8 169

138 경 북 덕군 89 135 155 114 156 140 100 150 5 146

139 경 북 청도군 137 163 142 97 118 132 118 136 5 142

140 경 북 고령군 106 129 100 20 58 141 153 113 3 79

141 경 북 성주군 80 133 110 43 96 129 152 120 3 98

142 경 북 칠곡군 16 51 51 8 11 95 115 84 0 39

143 경 북 천군 166 165 146 137 145 116 148 115 6 160

144 경 북 화군 168 158 165 108 155 162 158 163 7 168

145 경 북 울진군 118 110 81 154 108 161 159 157 4 118

146 경 북 울릉군 121 106 85 105 153 37 170 139 4 130

147 경 남 창원시 57 3 7 10 3 23 126 21 1 12

148 경 남 마산시 58 43 30 60 49 28 13 37 0 42

149 경 남 진주시 63 52 54 92 57 40 8 70 0 59

150 경 남 진해시 38 44 59 48 29 24 116 23 0 47

151 경 남 통 시 95 66 83 89 119 27 56 56 0 84

152 경 남 사천시 85 78 93 46 85 45 83 60 0 82

153 경 남 김해시 10 8 49 22 34 29 72 31 0 36

154 경 남 양시 108 104 112 90 100 115 76 104 0 108

155 경 남 거제시 24 29 68 13 36 65 98 54 0 48

156 경 남 양산시 13 17 25 6 46 47 69 67 2 27

157 경 남 의령군 145 169 132 68 129 57 145 121 6 140

158 경 남 함안군 91 105 89 15 55 54 121 79 1 67

159 경 남 창녕군 140 136 92 75 107 52 43 93 2 96

160 경 남 고성군 143 140 131 66 132 56 120 96 4 128

161 경 남 남해군 164 168 148 156 166 62 108 88 5 164

1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62 경남 하동군 134 147 137 149 136 102 154 127 7 148

163 경남 산청군 156 167 159 126 137 137 163 146 8 166

164 경남 함양군 136 152 153 123 160 146 41 147 7 149

165 경남 거창군 111 119 145 121 128 150 74 143 5 133

166 경남 합천군 163 166 128 102 138 122 147 142 7 152

167 제주 제주시 28 12 36 164 6 5 12 32 1 28

168 제주 서귀포시 67 53 95 169 41 36 30 68 1 76

169 제주 북제주군 50 85 107 138 97 46 161 103 2 107

170 제주 남제주군 90 81 120 145 95 41 160 101 2 113

주 1) 지표별 순 는 170개 지방자치단체에 하여 각 지표의 높은 수치부터 낮은 수치로 순 를 매겼음 단 노령화 지수의 순 는 지수가 높을수록 낙후도가 심한 경우이므로 낮은 수치에서 높은 수치로

순 를 매겼음 2) 지역낙후도 종합순 는 8개 지표를 표 화 한 후 각 지표별 가 치를 곱한 값을 합하여 구한 lt표

Ⅳ-6gt의 지역낙후도지수를 이용하여 170개 지방자치단체의 순 를 구한 것임

나 지역경제 파급효과

지역경제 효과는 해당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산량 부가가치 고용 등의 증가를 계량화한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지역경제 효과

를 측정하기 하여 KDI MRIO 모형(다지역산업연 모형)을 개발하여 사용하여 왔

다 하나의 분석모형을 다수의 사업에 동시에 용하여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평

가의 일 성을 기할 수 있고 개별 사업별로 별도의 모형을 구축하는 데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비효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지침의 KDI MRIO 모형은 1995년 한국은행 국산업연 표를 기 로 국

을 15개 지역(서울특별시 5 역시 9개 도)으로 분할하고 총 37개 산업으로 분류

하여 555times555의 내생부문을 갖는 표로 구성되어 있다 KDI MRIO 모형은 비타당성

조사가 주로 형 공공건설사업을 상으로 한다는 을 감안하여 토목건설부문을

제Ⅳ장 정책 분석 101

12개 산업으로 세분화하여 건설사업 부문별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 다KDI MRIO 모형의 단계별 구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

고 둘째 부가가치부문 최종수요부문을 추정하며 셋째 지역산업연 표를 작성한

다 넷째 지역교역계수를 추정하고 다섯째 지역기술계수와 지역교역계수를 결합하

여 지역투입계수를 추정하여 다지역산업연 모형을 완성한다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2부 제Ⅻ장에서 다루기로 한다한편 KDI MRIO모형이 구축된 이후 2000년 한국은행 산업연 표가 발표되어 최

근 자료에 근거한 MRIO 모형 구축이 필요하다 국가균형발 원회와 동북아 심추

진 원회에서는 2000년 한국은행 산업연 표에 기 하여 MRIO모델을 작성하여 지

역간 기술계수 교역계수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가균형발 원회의 MRIO 모형은 건설부문 사업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건축 사업 등

부문별 효과의 차별화 상을 제 로 반 하지 못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어 해당

산업부문에 한 세분화 작업을 통하여 MRIO 모형에 한 보완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42)

MRIO 모형을 통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 결과로 제시하는 지역총생산 유발효

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 유발효과 임 유발효과 등의 해석에는 다음과 같은 제

약이 따른다 첫째 와 같이 발생하는 효과가 곧바로 경제 편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MRIO 모형을 통하여 얻은 경제 효과를 국민경제 에서 편익으로 산정하

기 해서는 ① 해당 사업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경제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②

해당 사업에 투입된 생산요소가 사업미시행시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았고 ③ 해당

사업의 추진이 다른 경제활동을 체하지 않았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

다43) 우리나라와 같이 실업률이 높지 않고 토지이용이 집약 인 경제상황에서 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공공투자사업은 많지 않을 것으로 단된다 다만 개발이 낙

후된 지역에서 공공투자사업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정책결정에 미치는

실을 고려하여 경제 편익으로는 반 하지 않되 정책 분석의 고려사항에 포함

시키고 있는 것이다둘째 MRIO 모형을 통하여 분석된 지역경제 효과는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효과에 한정한다 즉 Demand Driven 효과 모형에서 정부투자라는 외생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직 그리고 연계효과만을 반 하고 있다 를

들어 도로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도로공사를 수행하기 한 총

42) 향후 MRIO 모형 개정 연구를 수행하여 비타당성조사에 용하도록 할 정이다

43) Adler Hans A (1987) ldquoEconomic Appraisal of Transport Projects A Manual with Case Studiesrdquo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The World Bank pp33~37

1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업비가 해당 지역에 투입될 때 발생하는 효과만을 반 할 뿐 도로개설로 인하여 발

생하는 사후 인 효과를 반 하지는 못하고 있다 MRIO 모형을 통한 경제 유발효과

를 lsquo지역경제 효과rsquo라는 용어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포 인 측면이 있으나

MRIO 모형을 통해 분석된 유발효과를 통상 지역경제 유발효과라는 용어로 사용해왔

다는 을 고려하여 용어를 변경하지는 않는다따라서 사업 시행으로 인한 간 인 경제 효과가 하다고 단될 경우

그 효과를 정량 는 정성 인 근을 통하여 별도로 분석하여야 한다 를 들어

도로사업으로 인하여 인근지역의 토지이용 패턴이 변화하고 근성 향상으로 인하여

지역투자가 증가하거나 산업의 활성화 효과 등이 할 경우에는 별도의 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종합 평가에 반 할 수 있도록 한다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가 관련 계획 및 정책 방향과의 일치성

형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으로 선정되기까지는 여러 단

계의 앙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체 인 사업구상이

이루어지기까지 사업추진 주체가 얼마나 체계 으로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 추진주체가 단독으로 단기간에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

는 사례는 오히려 외 이다 구체 인 사업계획이 수립되기까지 거치는 일련의

비작업은 상 는 련계획에 반 된다 따라서 해당 사업이 상 는 련계획에

반 되어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업이 정책 일 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는가

를 단할 수 있다련계획으로는 국토 체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lsquo국토종합계획rsquo에서 국가

기간교통망계획과 같은 해당 부문 계획 등을 들 수 있다 도로부문의 lsquo도로정비기본

계획rsquo 철도부문에 한 lsquo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rsquo 공항부문의 lsquo제2차 공항

개발 장기 기본계획 항만부문의 rsquo항만개발계획lsquo등도 주요 검토 상이다 이외 에도

해당사업과 직 인 련은 없지만 사업 추진과정 운 과정에서 한 련을

갖고 있는 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등 공공부문의 계획을 검토하여야 한다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주무부처의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여부도 분석하여야 한다

비록 명시 인 계획으로 수립되었다 하더라도 부처에서 설정한 정책 목표는 개별 사

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는데 실 으로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 로 기존에 수

립된 장기계획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책방향이 선회함으로써 유효성이 낮아진 경

제Ⅳ장 정책 분석 103

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련계획 정책방향

과의 일치성을 검토한다

나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

공공투자사업의 추진여부를 단할 때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사업시행부처나 지

역주민의 사업에 한 태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모든 공공투자사업은 사업이 시

행되는 공간 장소가 있고 사업시행으로 인한 효과는 지리 인 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앙정부 차원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 할지라도 지역 주민

의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사업이 있을 수 있다 반 로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이라

할지라도 국을 상으로 정책을 수행하는 앙정부의 입장에서 우선순 가 낮은

사업이 있을 수 있다 사업 상지역 는 주무부처가 사업에 반 하거나 소극 인 경우 비타당성조

사에서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사업추진 과정에서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를 들어 지역주민들이 반 하는 사업을 앙정부의 필요를 우선시하여 추진

할 경우 사업수행 과정에서 사회 인 갈등으로 인하여 사업이 단될 수 있는 가능성

이 있다 반 로 앙정부에서 사업의 우선순 가 높지 않다고 단하면서도 지역의

민원에 의하여 비타당성조사를 의뢰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주무부처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등 사업에 심을 갖고 있는 주체들의 사업에

한 선호도 는 반 정도를 객 으로 분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사업

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 두 차례의 지역 방문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선호도

를 범 하게 조사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정책당국의 의지에 한 정보를 얻는

것은 가능할 지라도 정책 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조사보고서 내용으로 객

화하기는 어려운 것이 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주무부처 지방자치단체를 방문하

여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단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이해당사자들의 사업에 한 선호도를 반 하기 해서 조사 은 가능한 한 공식문

서 등 객 화 할 수 구체 인 근거를 요구하여 단의 근거를 활용한다 선거 공약사

항 등 사업지역 사업 주무부처의 사업에 한 선호도 추진의지를 반 할 수 있

는 구체 인 근거가 문서형태로 표출된 사례가 발견되는 경우 이를 보고서에 인용하

며 조사 의 의견을 추가하는 것도 하나의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해당사자들

의 사업에 한 태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해당사자들을 상으로 서베이를 실시

하여 선호도를 집약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사업시행시 환경문제로 인한 지

1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역민원의 발생가능성에 한 평가는 lsquo환경성 평가rsquo에서 분석을 수행한다 지역주민의

선호도가 정치 타당성을 반 한다는 측면에서 환경문제로 인한 갈등발생 가능성은

lsquo사업추진 의지 선호도rsquo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환경문제의 요

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환경 향을 분리하여 별도의 항목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

다 한 사업시행이 생태계에 미치는 향과 그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사업에 한

태도를 분리하여 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따라서 환경문제로 인한 지역의

사업에 한 반 등은 lsquo환경성 평가rsquo에서 분석하여 평가에 반 한다

다 사업의 준비 정도

해당 사업에 한 비정도는 해당 사업에 한 계획의 구체성 인력 재원의

투입 정도 등 사업 추진의 구체성을 단한다 국도건설사업의 경우 사업구간이 결정

되면 사업의 내용이 큰 변동이 없고 지방국토 리청이라는 상시 인 사업추진 주체

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사업의 비정도가 평가의 큰 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

나 문화시설 등 사업내용이 특수한 사업의 경우 구체 인 사업구상이 필요하다사업구상에서는 상 사업의 입지 사업수행의 목 효과 추진 략 추정 사업비

사업추진의 효과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사업의 비 정도가 높을수록 사업의

목 등이 정책방향과 부합하고 해당 사업에 한 높은 추진의지를 반 하는 것으로

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가 재원조달 가능성

일반 으로 공공투자사업은 해당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국고로 충당하거나

혹은 채권발행 혹은 민자유치를 통하여 조달한다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국가가

충분히 제공할 능력과 의사가 있고 사업주체가 시장에서 채권을 발행하기에 충분한

재정여건을 갖추고 있거나 민간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유인이 있는 경우라면 재원조

달 가능성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부분의 국도 건설사업이 이 경우에 해당

한다지방자치단체에서 재원을 분담하여 추진하는 사업 민간투자유치 사업에 해서

는 재원조달 가능성에 한 면 한 검토를 통하여 사업이 계획 로 추진될 수 있는가

를 분석하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감안할 때 재정부담이 될 것으로

제Ⅳ장 정책 분석 105

상되는 사업의 경우 사업 단이나 공기지연의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수익성이

낮은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사업자 선정 사업 상과정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국고로 추진되는 사업의 경우에도 해당 부문

의 산규모에 비하여 사업비 규모가 지나치게 큰 사업에 해서는 해당 부문의 산

규모를 고려하여 재원조달계획이 정 로 실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본 지침의 재원조달계획에 한 평가에서는 기존 지침에서 수행하 던 국고지원

의 합성 분석을 제외한다 그 이유는 부분의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의 경우 조

사를 의뢰하는 주무부처에서 사업추진의 법 행정 근거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국고지원의 당 성을 확보한 사례가 부분이기 때문에 모든 사업에 하여 국

고지원의 합성을 검토하는 실익이 기 때문이다 한 국고지원의 합성이 lsquo사업

추진상의 험요인lsquo이라는 분류와 성격이 상이하여 평가 구조상의 문제 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의 성격상 국고지원의 합성이 쟁 으로 제기된 사업에 해서는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여 재원조달계획과 별도의 분석을 수행한다

나 환경성

환경성 평가는 해당 사업의 수행으로 인한 향을 개략 으로 평가한다 환경성

평가는 모든 사업에 하여 수행할 필요성은 없다 비타당성조사에서 환경성 평가

의 은 사업수행시 비타당성조사 이후 단계에서 환경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인지하여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에 이후 단계에서 환경문제 발생가

능성이 있음을 알려주고 좀 더 심도있는 분석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향후 환경문제 발생가능성이 있는 사업에 한하여 별도의 문가 자문 혹은 사

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업수행의 향을 정량 정성 으로 평가한다 한 앞에서 언 하 듯이 사업시행시 환경문제로 인한 지역민원의 발생가능성

에 한 평가는 lsquo사업추진의진 선호도rsquo 항목이 아니라 lsquo환경성 평가rsquo항목에서 분

석하여 평가에 반 한다

4 사업특수 평가항목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기본 평가항목과는 달리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

여야 할 평가항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사

으로 결정하여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된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범주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비타당성조사의 정책

1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분석 항목의 선정에 도움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기존 지침에서는 기본 평가항목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구조 기 때문에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된 사업특수 평가항목 에도 lsquo지역균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 추진상의 험요인rsquo의 분류에 속하는 항목들이 존재한

다lt표 Ⅳ-8gt는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한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새로운 분

류 항목으로 분류하여 나열한 것이다

lt표 Ⅳ-8gt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범주화

분류 평가 항목 평가항목 시

지역 균형 발 형평성호남 형평성 제고 경지역 개발 수도권 지역의

투자 형평성 동일구간에 한 지역간 형평성 등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안정 정주여건의 제공 수자원 안보 등

사업 추진상의

험 요인

계획 추진방식의

정성

부지선정의 합성 사업내용의 조정 필요성 규모의

정성 사업 주체 련부처의 문제 시물 구입

의 문제 련 사업의 추진가능성 등

기술 타당성기술 애로구간 발생 가능성 사업 시행에 따른 병

목구간 발생 가능성 실 가능성 등

민원 외교 국방 등의

험 요인

민원발생 문화재 보존 외교 문제 군과의 조체

계 해당 지자체의 반발 등

사업 특수 평가

국고지원의 합성 국고지원의 합성 진입도로의 목 부합성 등

비계량 편익 부가효과

산단항만공항 등의 활성화 애로구간 해소효과 교통안 향상 련기술 효과 도로 체 기능 남북 계 개선 수요 화물수송기능 제고 물류비

용 감소 동서화합 수질개선 등

- 타 사업과의 복투자의 문제 등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이제까지 비타당성조사 은 경제성에 한 분석과 정책 차원에서의 분석을

조사의 양 축으로 삼고 진행하 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비용-편익 분석을 기본 방

법론으로 수요 편익 비용을 추정한 후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 으며 정책 분

석에서는 지역경제 효과 추정 지역낙후도 평가 재원조달 가능성 평가 련계

획 정책과의 일치성 사업의 추진의지 선호도 평가 등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의

특수성을 평가에 반 하기 한 사업특수 평가항목에 한 분석을 실시하 다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단계는 경제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

업의 추진여부에 한 최종 인 단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

석 결과를 종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따른다첫째 정량 분석 결과와 정성 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어려움이다 경제성 분석

은 그 결과가 BC 비율 순편익의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 정량 으로 제

시되는 반면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많은 평가항목 컨 지역의 사업추진의지 국고조달 가능성 련계획과의 일치성 등은 계량화가 어려우므로 정성 표 으로

제시된다 를 들면 BC 비율은 높지만 상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사업의 타당성을

어떻게 종합평가할 것인가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둘째 정량 분석의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척도(scale)를 갖는 평가항목을 통합하

1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를 들면 어떤 공공투자사업의 BC 비율이 10보다 작은 09이지만 2000명이라는 매력 인 고용창출 효과를 갖는 경우 어떠한 기 으로 사업시

행 는 미시행이라는 최종 단을 내려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셋째 평가의 일 성과 사업의 특수성을 동시에 반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비타당성조사 상이 되는 사업 가운데는 국가 략 차원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나 문화재보호 등 경제성 분석 틀 안에서 계량화되지 않는 특수한 평가항목이 월등히

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비타당성조사 체계의 정책 분석에서는 이러한 사업 특수

성을 평가의 틀 속에 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사업특수성이 종합평가에서

차지하는 비 이 지나치게 클 경우 다른 사업과의 평가일 성이 떨어질 험성이 존

재한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체계가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분석 틀로서 가치

를 유지하기 해서는 해당사업의 특수성이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얼

마만큼 요한 향을 미쳤는지를 객 으로 보여 수 있어야 한다넷째 종합평가에 참여하는 여러 평가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결론을 도

출하는 어려움이다 한 사람의 평가자가 종합평가를 내릴 경우에는 그 단의 타당성

여부만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의견이 종합되어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표성을 가진 종합 단이 될 것인지 특히 개별 연구진들이 해당사업의 시행

여부에 해 상반된 견해를 갖는 경우에는 어떻게 최종의사결정에 도달할 것인지 등

의 문제가 발생한다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하여 다기 분석(multi-criteria analysis) 방법론이

제시된다 다기 분석이란 다수의 속성들(multi-attributes)을 고려하여 다차원의 목

들(multi-objectives)을 충족하는 최 안을 도출하는 의사결정기법이다 비타당성

조사의 종합평가에서도 다수의 정량 정성 평가항목을 고려하여 경제성 높으면

서 정책 으로도 타당한 사업을 식별해 내고자 한다 KDI는 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한 가장 합한 방법론을 찾아내기 해

다양한 다기 분석기법을 비교평가하 다 그 결과 분석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채택하고 비타당성조사에 합하게 수정 용하여오고 있다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09

2 AHP기법의 개요

AHP기법은 의사결정의 목표 는 평가기 44)이 다수이며 개별 평가기 에 해

서로 다른 선호도45)를 가진 안들을 체계 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사결

정 기법의 하나이다 1970년 Thomas Saaty에 의해 개발된 이후 정성 다기

의사결정에 리 사용되어 왔다 AHP기법은 의사결정에 고려되는 평가요소들을 동

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하고 다수의 수 (level)으로 계층화한 후 각 수 별로 분

석종합함으로써 최종 인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을 지원한다AHP기법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평가요소들을 주요 요소와

세부 요소들로 나 어 계층화하고 계층별 요소들에 한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요소들의 상 요도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기법은 인간의 사고와 유사

한 방법으로 문제를 분해하고 구조화 한다는 그리고 평가요소 사이의 상

요도와 안들의 선호도를 비율척도(ratio scale)로 측정하여 정량 인 형태로 결과를

도출한다는 에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간결한 용 차에도

불구하고 척도선정 가 치 산정 차 민감도 분석 등에 사용되는 각종 기법이 실증

분석과 엄 한 수리 검증과정을 거쳐 채택된 방법들을 활용한다는 에서 이론

으로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장 때문에 1977년 Saaty에 의해 수행된 Sudan의 교통시스템 설계 문제를 비롯하여 신기술선택의 문제 병원서비스시스템의 설계 정치 분쟁해결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져 왔다46)

AHP기법은 공공투자사업의 정성 인 특성을 평가에 반 하고 평가에 참여한 연

구진의 문 단을 히 유도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

당성조사의 단계로서 짧은 기간 내에 은 산으로 수행되는 을 고려할 때 차가 간결하면서도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체계 으로 분석하게 해 주는 AHP기법

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AHP기법

의 용이 갖는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하고 그 과정을 명확히 밝힌다 의사결정과정을

구조화함으로써 공공투자사업에 해 사회 으로 인정된 가치를 객 으로 수렴하

44) 안들의 선호도를 비교하는 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평가기 (criteria) 평가요소(attributes) 평가항목

(elements) 등을 필요에 따라 혼용하기로 한다

45) 평가기 에 해 안이 얼마나 잘 평가되는 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안들의 선호도(preference) 성과

(performance) 매력도(attractiveness) 등을 필요에 따라 혼용하기로 한다

46) 세계 각 국의 활용사례는 Expert Choice사의 홈페이지 httpwwwexpertchoicecom에 소개되어 있으며 국내의 용사례는 httpwwwexpertchoicecokr에 소개되어 있다

1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여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 평가항목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최

종 단을 내리는 과정과 근거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제3자가 그 종합 단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둘째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지 까지는 ldquo정치 고려 는

평가자의 자의 단에 따라 공공투자사업이 시행된다rdquo는 비 이 있어왔다 이 같

은 비 은 한편으로 과거 권 주의 행정수행 방식이 스스로 래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투자사업 련 의사결정을 한 일 된 기 이 없었기 때문에

야기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비 을 극복하기 해서는 일 된 기 을 여러 가지 사업

에 그리고 장기 으로 용함으로써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셋째 사업간의 평가오차를 인다 종합평가 단계에서 각 평가자는 해당사업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들과 공통되는 기본 인 단기 들을 이용하여 의사결

정을 수행하게 된다 를 들어 BC 비율의 경우에는 부분의 사업들이 요한

단기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동일한 BC 비율을 사업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하는 경

우에는 사업간 평가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다기 분석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

여 사업간 평가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객 기 을 제시함으로써 동일한 기 에

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한 사업평가의 비일 성을 일 수 있다넷째 후속사업에 한 평가의 자료로 활용된다 일단 다기 분석 모형을 통해 하

나의 표 안이 제시되면 그것은 일종의 귀무가설(null hypothesis)로서의 상을 갖는

다 즉 모든 사업에 이 표 안을 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이 표 안을 수정해

용해야만 하는 지역의 특수성 는 사업의 특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이것은 평가시기가 달라질 때 유사사업에 한 평가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 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일반 으로 AHP 기법은 다음과 같은 차를 거쳐 수행된다47)

①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② 평가기 확정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③ 평가기 가 치 측정(weighting) ④ 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⑤ 종합 수 산정(synthesizing)⑥ 환류과정(feedback)⑦ 종합 단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47) 각 단계별 자세한 수행지침은 본장의 제2 AHP 분석과정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1

3 평가자 선정

비타당성조사 은 연구책임자(PM)를 비롯해 다수의 문가로 구성되고 이들

의 의견이 종합평가에 반 되어야 하므로 집단의사결정의 성격을 갖는다 AHP기법

은 개인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집단구성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의사결

정에 도달하도록 지원하는 집단의사결정지원도구(group decision aid)로서도 한

방법론이다집단의사결정은 그 구성원의 선정이 의사결정 결과에 직 인 향을 미치므로

AHP기법을 통해 비타당성을 종합평가함에 있어 평가자를 신 히 선정해야 한다 비타당성 종합평가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첫째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에 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해당분야 문가여야

한다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의 목표 목표달성을 한 요구사항 사업의 구체 내

용 련분야에 한 지식 등을 갖추고 그 사업이 미치는 사회경제 정책 효

과를 측할 수 있는 치에 있어야 한다둘째 공공투자사업이라는 특성상 공공이익의 에서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객 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평가자가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문 지

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 상 공공투자사업과 이해 계를 가지고 있고

그 이해 계를 기 으로 단한다면 공공투자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이익 극 화라는

최종 인 목표를 달성하기 한 의사결정을 왜곡시킬 험성이 있다공공투자사업과 련된 주체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개 집단을 상정할 수 있다

첫째 공무원 집단으로서 해당사업을 장하는 앙정부의 담당부처 부처간 이해를

조정하고 사업간 우선순 를 정하여 산을 배정하는 산담당부처 해당사업이 시

행되는 지역의 시도 는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포함한다 둘째 공공투자사업을 장하는 연구자 집단으로서 비타당성을 수행하는 KDI의 연구진

련분야의 교수 는 해당분야 연구기 연구진 비타당성조사 시행을 장하는

KDI 공공투자 리센터 그리고 기술 부분에 한 연구와 자문을 수행하는 엔지니

어링 회사 등 민간 기업체 연구인력 등이다 셋째 지역주민으로서 해당사업의 시행

으로 향을 받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넷째 해당사업에 이해를 가진 이익

단체이다이 가운데 AHP를 통한 종합평가자로서의 조건인 문성과 객 성을 가장 만족시

키는 집단으로는 산담당 앙공무원 KDI 연구책임자 KDI 공공투자 리센터 련분야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최종 으로 산담당 공무원을 제외하

고 비타당성조사의 기술 부분의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기업체 연구인력을

1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평가진에 포함하 다 산담당 공무원을 포함하지 않은 이유는 비타당성조사에

한 종합 인 의견이 연구진의 의견이며 사업의 비타당성을 최종 으로 결정하

는 산담당 부처는 자신들의 의견을 최종 이고 직 으로 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 으로 참여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회사 등 련분야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을 평가진에 포함시켰는데 그 이유는 조사 의 일원일 뿐 아니

라 실제로 다양한 형태로 사회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실을 반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지역주민과 이익단체 등 공공투자사업으로 향을 받는 이해당사자는 사회 체

의 이익을 객 으로 단할 치에 있지 않다고 간주하고 조사 상에서 제외하

다 그럼에도 다원화된 사회에서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여러 경로로 의사

결정과정에 반 되어 사업시행의 정치 타당성(political feasibility)에 향을 미친다 이러한 실을 고려하여 AHP기법을 통한 종합평가자로 하여 지역의 발 성이 사

업의 타당성에 미치는 요도 사업시행에 한 지역주민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숙

원도 사업시행으로 인한 지역경제 효과 낙후지역 개발효과 등 사업시행이 지역

발 에 미치는 향을 종합 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지역의 의견을 반 할 수 있도록

하 다이러한 을 반 하여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개별 사업에 하여 통상 평가

자 3~4인이 AHP 분석에 참여하 다 하지만 평가자 수가 어 일부 평가자의 동기

편향에 의하여 체 인 의사결정이 왜곡될 수 있는 취약 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

었다 이에 본 지침에서는 기존 연구진 KDI의 평가자 인원을 확 하 으며 별도

의 검토 원을 AHP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여 평가자를 7~8인으로 확 하도록 하 고 그 최 값과 최소값을 부여한 평가자를 제외한 5~6인의 응답결과를 가지고 종합

평 을 도출하도록 한다48)

48)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3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AHP 분석의 첫 단계는 평가의 목표 평가요소 고려 안 제약조건 평가자 이해

계자 등 평가에 한 개념 틀(conceptual framework)을 형성하는 개념화 단계이다 이 개념화 과정을 통해 평가자들은 평가 상 사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들과

쟁 사항 등 사업 반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에 한 정보와 문제의식을 공

유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이 단계는 비타당성조사 기에 수행되어야 상사업에

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조사가 진행될 수 있다효율 이고 효과 인 개념화 과정을 해 인스토 (brainstorming) 기법이 사

용된다 인스토 이란 평가 상 사업과 련된 모든 고려사항들을 가능한 한 많

이 무비 으로 열거하고 그 함의를 하나씩 검토해 나가는 집단 아이디어 진 기

법이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단계의 인스토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개별 사업수 의 인스토 으로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진들간의

연구회의 사업 주무부처 계기 의 방문 사업 상지역의 방문 등을 통해 사업

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의 특성을 악한다 두 번째 단계는 체 사업수 의

인스토 으로서 KDI 비타당성조사 리 이 사업 부문별로 해당사업에 한

연구결과를 해당 부문에 참여하는 체 연구진과 함께 토론을 함으로써 개별사업에

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쟁 들을 찾아낸다 부문별 토론을 통하여 련 사업 는

유사 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다른 연구진들의 문가 견해를 들

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이 게 2단계의 인스토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책임자는 사업을 종합 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한다 첫 번째 유형의 인스토 은 연구책임자 주

하에 이루어지고 공식 비공식 차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비해 두 번째 유형의

인스토 은 비타당성조사를 종합 으로 조정 리하는 KDI 비타당성조사

리 의 주 하에 수행한다

1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다음은 개념화 단계에서 식별된 평가요소들에 한 검토를 거쳐 평가기 을 확정

하고 동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한 뒤 이 집합을 한 수 으로 계층화하는 구조

화 단계이다개념화 단계에서 식별된 평가요소들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요한 것에 이르기까

지 세부 인 것에서부터 포 인 것에 이르기까지 그 요성과 범 가 매우 다

양할 수 있다 한 엄 한 용어 정의가 선행되지 않았던 까닭에 동일한 용어에

해서도 평가자간에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를 들어 경제성 분석

이라는 평가항목은 비용-편익 분석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역경제

효과와 같은 측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평가기 확정

을 해서는 우선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혼동과 오해의 소지

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종합평가에서 고려될 평가항목들이 확정되면 다음 단계는 서로 다른 요성과

범 를 가진 항목들을 동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하고 이 집합을 한 수 으로

계층구조화 하는 것이다 일반 으로 하 수 의 요소는 상 수 의 요소를 구체화

하는 세부 평가기 이 된다 최상 계층은 의사결정의 최종목표인 비타당성을 종

합 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은 경제성 분석 결과와 정책 분석 결과에 의

해 평가된다 정책 분석은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구분되는데 기본 평가항목이란 모든 비타당성조사에 기본 으로 포함되는 평가항목을 가리키며 사업특수 평가항목이란 해당 사업을 평가하는 데 특히 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평가

항목을 가리킨다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의 기본구조를 [그림 Ⅴ-1]과 같이 설정

한다 AHP 분석의 최종목 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1계층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제2계층은 정책 분석을 구성하는 lsquo지역균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추진상의 험요인rsquo lsquo사업특수 평가( 분류)rsquo 항목으로 구성된다 제3계층은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

된다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분류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그러나 기존의 AHP 구조가 평가내용이 연계된

항목을 상호 분리시킴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

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평

가 내용에 따라 3개 분류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AHP 구조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5

를 설정하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평가항목으로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제2계층과 제3계층에 동시

에 포함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계하 다 이는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평가내용이

유사한 평가항목과 분류 범주에 함께 묶음으로써 평가자들의 인식체계와 유사하도

록 구성함으로써 일 성있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이 있다고 단되기 때문이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분류 기본평가항목과 연계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분류 사업특수 평가항목

에 속하는 세부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1개인 경우 제2계층과 제3계층의 평가항목과

평가내용이 동일하다

1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Ⅴ-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계층

1

2

(optional)

(optional)

(optional)

(optional)

(optional)

평가 대안 사업 시행 사업 미시행

구조설문의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AHP 구조를 설정할 때 다음 두 가지

AHP의 공리(axioms)를 만족하여야 한다49) 첫째 동질성(homogeneity)의 공리로서

49) 이외에도 AHP 공리로는 역수성(reciprocal) 기 성(expectation)의 공리가 있다 역수성의 공리란 의사

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짝지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선호의 강도를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호와 강도는 역수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를 들어 A가 B보다 x배

요시된다면 B는 A보다 1x배 요하다는 의미가 된다 기 성의 공리는 의사결정의 목 에 한 사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7

요도는 제한된 범 내에서 정해진 척도(bounded scale)에 의하여 표 할 수 있어야한

다 즉 제2계층의 분류 평가항목에 속한 제3계층의 평가항목들이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수 의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종속성(dependency)의 공리로서 한

계층의 요소들은 인 한 상 계층의 요소에 하여 종속 이어야 한다 그러나 상

계층의 모든 요소에 하여 인 한 하 계층 내의 모든 요소들 간에 독립성이 확보되

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50)

비타당성조사 구조설문 과정에서 조사 은 구조설문지에 AHP 구조를 제출하

는 동시에 lt표 Ⅴ-1gt의 형식에 맞게 평가항목 평가내용 등을 구체 으로 기술하여

야 한다 이는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평가자간 평가항목에

한 일치된 이해를 갖고 평가에 임하도록 하기 한 것이다

lt표 Ⅴ-1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사업 특수성 평가항목 평 가 내 용

평가항목1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부산신항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로 인한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평가항목2도로 건설주체

리체계 미확립

배후도로 건설 사후 리 주체의 미확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추진 상의 비효율

KDI 비타당성조사 리인력은 조사 에서 설정한 구조와 평가항목의 평가내용

이 한가를 검토하고 평가항목의 추가여부에 한 의견을 조사 에게 제시한다AHP 계층구조에서 최하 계층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으로 구분

하 다 이때 시행 는 미시행이 평가되는 상사업은 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상

정된 여러 개의 안 가운데 연구진이 최 이라고 단하는 안이다 이는 의사결정

의 최종목표를 비타당성조사 참여 연구진이 단하는 최 안에 한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사업에 따라서는 연구진이 최 안에 한 최종 인 단을 유보하고

AHP 분석을 통하여 최 안을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다수의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

계할 수 있다 다수의 안이 존재하는 사업 평가에 AHP기법을 용하는 방법은 크

게 2가지가 있다 첫째 모든 안들을 AHP 모형에 반 하는 것이다 를 들어 노선

에 따라 안노선 1 안노선 2가 존재한다면 AHP 모형에서는 안노선 1 시행

항을 계층이 완 하게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50) 조근태 조용 강 수 (2003) ꡔ계층분석 의사결정ꡕ 동 출 사 p4

1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안노선 2 시행 그리고 사업미시행 등 3개의 안으로 구성된 AHP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여러 개의 안을 비교하는 AHP 구조를 설정하여 최 안을 선정한

후 선정된 최 안에 해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통상

인 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와 동일하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당성조사에

앞서 수행된다는 을 고려할 때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고려한 가능 안들에

한 수화된 평가결과를 제시하는 것도 유용할 것으로 단된다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이 단계는 계층구조의 각 수 별로 평가항목간 상 요도를 결정하는 단계이

다 동일한 수 동일한 군집에 속하는 두 평가항목의 모든 짝(pair)에 해 평가자들

에게 평가항목간 상 요도( 는 선호도)를 비교하는 질문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 과정에는 평가자의 단을 어의 인 표 으로 나타내고 이에 상응

하는 정한 수치를 부여하는 수량화 과정이 포함된다 비교를 통한 상 인 평

가를 해서는 신뢰할 만한 평가척도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척도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차이를 최 한으로 반 할 수 있는 범 로 정하여야 한다 AHP기법에서는

인지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에 기 하여 9 척도를 기본형으로 이용하고 있다

lt표 V-2gt 쌍대비교시 중요도의 척도

언어 단 계량 수부여

극단 으로 선호 9

매우 강하게-극단의 간 8

매우 강하게 선호 7

매우 강하게-강하게의 간 6

강하게 선호 5

강하게-약간의 간 4

약간 선호 3

약간-동등하게의 간 2

동등하게 선호 1

주 Saaty and Vargas 1982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9

다만 최상 계층인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의 가 치의 경우 종합평 에 미치

는 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상수합법 척도를 용한다

경제성 분석의 상 요도 = 경제성분석의 요도

times 100경제성분석의 요도 + 정책 분석의 요도

한 도로철도부문 사업의 경우에는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에 한 사 가 치의 범 를 설정하여 용한다51)

45 lt 경제성 분석 가 치 lt 65

다만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범 를 넘어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업의 특수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평가자가 제

시된 가 치 범 를 벗어나도록 가 치를 설정할 수 있다이외의 하 평가항목의 가 치의 경우 Saaty의 9 척도를 이용 비교를 통

하여 두 요소간 상 요도의 측정결과를 종합하여 요소들간 상 가 치를 추

정한다 의사결정자가 한 수 에서 n개의 평가항목에 해 nC 2

회의 비교를

수행하면 실제 인 상 가 치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아래의 비교행

렬 Antimesn을 구성할 수 있다

A = [a ij] =

︳︳︳︳︳︳︳︳︳

︳︳︳︳︳︳︳︳︳

w 1w 1 w 1w 2 w 1w n

w 2w 1 w 2w 2 w 2w n

w nw 1 w nw 2 w nw n

(Ⅴ-1)

이때 행렬 A를 구성하는 aij는 요소 j에 한 요소 i의 상 가 치 wi wj

의 추정치이다 행렬 A는 a ji=1a ij 주 각선의 원소(element) 값이 모두 1이 되

는 성질을 가진 역수행렬(reciprocal matrix)이다

행렬 A에 평가항목간 상 요도를 나타내는 가 치인 열벡터 w =

( w 1 w 2 w n )T를 곱하게 되면 식 (Ⅴ-2)의 계를 갖는다

51)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을 참조하라

1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

︳︳︳︳︳︳︳︳︳

w 1w 1 w 1w 2 w 1w n

w 2w 1 w 2w 2 w 2w n

w nw 1 w nw 2 w nw n

sdot

︳︳︳︳︳︳︳︳︳

︳︳︳︳︳︳︳︳︳

w 1

w 2

w n

=

︳︳︳︳︳︳︳︳︳

︳︳︳︳︳︳︳︳︳

nw 1

nw 2

nw n

(Ⅴ-2)

Asdotw= nsdotw (Ⅴ-3)

여기서 n은 행렬 A의 최 고유치(maximum eigenvalue)이며 행( 는 열)의 수이

다 결국 식 (Ⅴ-3)은 n개의 연립방정식 체계에서 non-zero해를 구하는 고유치 문제

(eigenvalue problem)이다 식 (Ⅴ-3)으로부터 w의 해를 구한 값을 평가항목별 가 치

벡터로 사용한다비교에 의하여 행렬 A를 얻는 방법은 각 열의 요소의 요도를 1을 기 으

로 한 후 각선 상 에 있는 요소들의 상 인 요도를 결정한다 만일 비교

에 의해서 얻어진 행렬 A의 원 a ij가 각각 wiwj의 값을 갖는다면 기수 일 성 즉 aijtimesajk = aik가 성립되어야 한다 aijtimesajk = aik의 의미는 i를 j보다 x배 요

하게 생각하고 j를 k보다 y배 요하게 생각한다면 i를 k보다 xtimesy배 요하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응답에 있어서는 이러한 일 성이 완 히 지켜지기

어렵기 때문에 행렬 A의 기수 일 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비교에

한 응답이 완 한 일 성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 응답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AHP에서는 응답일 성 정도를 lsquo비일 성비율rsquo로 나타낸다 비일 성비율이 0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응답자가 완 한 일 성을 유지하며 비교를 수행하 음을

의미한다 Saaty는 비일 성비율이 01 미만이면 비교는 합리 인 일 성을 갖는

것으로 단하고 02 미만일 경우 용납할 수 있는 수 의 비일 성을 구비한 것으로

단한다 비일 성비율이 02 이상이면 일 성이 부족하여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제

안한다 본 조사에서는 비일 성비율의 최 허용치를 015로 설정하고 비일 성비율

이 015를 과하는 응답자에 해서는 환류(feedback) 과정을 통하여 응답일 성을

높이도록 하 다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이 단계는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안에 한 선호도를 수로 부여하는 과정

이다 lt표 Ⅴ-3gt은 비타당성조사의 평 기 을 보여 다 사 으로 선택된 평가

항목 가운데 경제성 분석 지역균형발 을 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효과 등의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1

평가항목은 BC 지역낙후도지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지수 등 계량 지표를 기

으로 평가한다 기타 다른 평가항목들은 조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정성 으로

단하여 평가항목별 평 을 수행한다

lt표 Ⅴ-3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평가 항목 평가 내용 평 기 비고

경제성 분석∙경제 측면에서의 사업

타당성

∙경제성 분석결과 도출된

BC비율

∙BC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 분석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균형발 측면에서

사업의 필요성

∙지역낙후도지수 순

(해당 사업이 다수의 시

군에 걸쳐있는 경우 표

시군의 낙후도를 기 으

로 평가)

∙낙후 정도가 심할수

록 lsquo사업 시행rsquo 수

가 높고 발달된 지

역일수록 lsquo사업미시

행rsquo 수가 높음

지역경제

효과

∙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가

가치 유발 등 지역경제

효과

∙지역내부가가치유발액GRDP(지역내총생산)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상 계획 련계획에

의 반 여부

∙주무부처에서 추진하는

정책방향과의 일치여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반 이 구체 일 수

록 일치성이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앙정부 해당지자체

주민의 사업에 한 추진

의지 선호도 숙원도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사업 추진 의지가

클수록 lsquo사업 시행rsquo수가 높고 반

의견이 많을수록 lsquo사업

미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의

비정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인

력 재원의 투입정도

등 사업추진의 구체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 비정도가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재원조달계획의 실 가

능성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조

달의 가능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재원조달 문제가 없

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우 lsquo사업미시행rsquo수가 높음

환경성

∙해당사업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향 사업추진

시 환경문제발생가능성

에 한 개략 평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환경성 문제가 없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

우 lsquo사업미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특수

평가항목

∙기타 사업 타당성 평가를

하여 고려할 사항

1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평 과정에서 주의할 은 특정 평가항목에 한 평 이 다른 평가항목의 평

과 독립 이라는 이다 를 들어 사업의 타당성에 하여 갖고 있는 일반 인 태

도를 개별 평가항목의 평 과정에 반 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를 들어 지역낙후도

지수와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항목은 평 기 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lsquo지역균형 발

rsquo이라는 분류 범주에 속한다는 이유로 두 평가항목의 평 을 상호 연계하려는 태

도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AHP 기법의 요한 장 의 하나는 평가항목별로 한 가지

성질을 기 으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한다는 에서 인간의 정보처리능력을 제고

한다는 이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가 치 설정단계와 마찬가지로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간의 상 정성을 비교를 통하여

악하여 평 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평 을 한 척도 역시 Saaty의 9 척도를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평 과정에서 다음 두 가지 사항에 한 고려가

필요하다첫째 부분의 사업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lsquo재원조달 가능성rsquo lsquo환경성rsquo

평가항목에 한 평 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 안의 상 성을 어떻게 평

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를 들어 사업 시행시 특별한 환경문제가 발생하

지 않는 경우 환경성 측면에서 사업시행 안의 성을 9 으로 평가할 것인가

는 사업미시행 안과 립 인 1 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구간

국도건설 사업과 같이 재원조달상의 문제 이 없는 사업의 경우에도 사업시행 안

의 성 평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항목에 한 평 의 최 수를 1 으로 설정한다 즉 환경성

는 재원조달 상의 문제 이 없다는 사실이 해당 사업의 시행을 진하는 역할을 하

는 것이 아니라 다만 사업추진 상에 부정 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다는 것으

로 단하는 것을 의미한다둘째 계량화된 평가항목에 해서는 표 수를 부여하여 사업간 평가의 일 성

을 제고한다 본 지침에서는 평가의 일 성이 특히 요구되는 경제성 분석과 지역낙

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평 에 용한다 경제성 분석은 모든

비타당성조사에 공통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용하는데 동일한 BC 비율에 하

여 연구자에 따라 각기 상이한 단을 내리는 문제 을 해소하기 해서이다52) BC 비율 지역낙후도 지수는 다음의 표 수 환식을 용한다

52) 표 환식 추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 참조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3

BC 비율 표 수 환식

BC 표 수 511532 times ln (BC) + i (Ⅴ-4)

단 BC ≧ 1 rarr i= 1 BC 1 rarr i= -1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환식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α+ i (Ⅴ-5)단 α = 081220 + 223298 timesLIR - 029626 timesLIR 2 + 074302 timesLIR 3

+ 032728 timesMIR 2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LIR은 시군별 지역낙후도순 를 표 화한 값 MIR은

시도별 지역낙후도순 를 표 화한 값임

비타당성조사의 요한 목 의 하나가 일 된 평가기 을 다양한 공공투자사

업에 용하여 공공투자에 한 의사결정의 객 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음을 감안

할 때 공통의 기 에 의하여 산정한 비교 가능한 계량지표에 한 평가에 해서는

일 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단된다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이 단계는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을 구하는 단계이다 비교 안 높은 종합평 을 받은 안

이 AHP 모형에 의한 선택 안이 된다한편 평가자 선정에 한 논의에서 언 된 바와 같이 AHP 기법에 의한 비타당

성 종합평가는 집단의사결정의 성격을 가지므로 개별 평가자의 평가요소 가 치 안들의 평 종합평 이 평가집단 공동의 가 치 평 종합평 으로 종합되는 과

정이 필요하다개별 평가자의 평가를 종합하는 방법으로 첫째 개인별로 얻어지는 모든 비

교행렬의 결과를 기하평균(geometric mean)을 이용하여 집단 체의 비교행렬을

먼 구하고 고유벡터 계산법을 용하는 방법과 둘째 개인의 비교행렬에 고유

벡터 계산법을 용하여 가 치와 평 에 한 우선순 벡터들을 구한 뒤 이 벡터

1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값들을 기하평균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선택하는

데 그 이유는 이 방법이 문가 집단에 의한 종합 단을 반 하는 데 더 합하

기 때문이다

6 환류과정(Feedback)

환류과정은 AHP의 유용성을 높이는 하나의 특성이다 검토과정의 주안 은 응

답일 성이 낮은 응답자에게 비일 성에 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다시 수

행하도록 함으로써 의사결정의 비일 성을 여나가는데 있다 만약 의사결정자가

형식화된 질문에 하게 응답하지 못한다면 AHP계층 구조를 재고하여야 한다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의 정의 설명이 잘못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불일치정도가 심하고 검토과정에서도 일 성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평가항목들의 계

층 구조를 다시 구성하거나 수 과 요소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거나 설명한 후 AHP설문을 다시 수행한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AHP 분석을 한 자료 수집을 lsquo구조설문지rsquo와 lsquo응답설문

지rsquo라는 2종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한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방식은 연구

자별 AHP 기법에 한 이해 정도 평가항목에 한 이해 정도 사업에 한 사 인

태도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KDI 비타당

성조사 은 체 조사 원들에게 AHP 기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AHP 구조 작성과

정에서 긴 한 의를 거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 기법이 문가들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한 도구로서 각 연구진들이 AHP 분석을 직 수행하는 것과는 의

사결정을 한 상호 교류에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AHP 분석결과 의사결정의 일치도가 높은 경우 를 들어 평가자가 모두 사업시

행 는 사업미시행이 하다고 단하는 경우 와 같은 AHP 수행방식의 제약에

도 불구하고 사업의 타당성에 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수 있다 그러

나 평가자간 의사결정 결과가 22로 양분되거나 의사결정 결과가 13으로 나뉘었음에

도 불구하고 1명의 AHP 평 으로 표출된 의사결정의 강도가 매우 높아 체 평 결

과에 향을 미치는 경우 등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낮은 경우 평가자간 평가결과에 상

호 토의하는 추가 인 차가 필요하다집단 의사결정 과정에서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

의사결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하여 집단역학(group dynamics) 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단역학이란 소규모 집단은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서로

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며 이를 리한다는 것은 상호작용과정 가

운데 발생할 수 있는 정 효과(process gain)를 극 화하고 부정 폐해(process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5

loss)를 극소화하는 것이다 집단 의사결정에 이르는 방법으로는 공감(consensus) 상

(negotiation) 투표(voting) 등이 있다 공감 를 제고시키기 한 노력 없이 일종의 투

표행 인 개별평가를 단순 취합해서 종합평가를 도출해 낸다면 단일한 결론을 만들

어 내기는 했지만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가 진심으로 자신의 의견이 반 되었다고 받

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연구책임자(PM)는 집단역학 리기법을 사용해서 공감

형성을 통한 종합의견을 이끌어 내기 해 노력하여야 한다 구체 으로 AHP 분석

결과로 도출된 의사결정 결과가 안정성이 높지 않을 경우 체 평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상호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각자 자신들의 평가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평가자

상호간의 의견에 한 공감 를 높일 수 있다 한 토론과 논쟁 과정에 AHP 분석을

다시 수행하여 평가자간 견해 차이를 좁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AHP기법의 마지막 단계는 환류과정(feedback)을 거친 후에 도출된 종합평 을 근

거로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간에 최종 인 결정을 내리고 정책담당자

에게 제시할 정책제언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AHP 분석을 통하여 최종 으로 얻는 산출물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각각에 한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계산

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시

행 안보다 상 으로 높은 종합평 (05를 과하는 수)을 얻으면 사업의 타당

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 다 이와 같은 기계 인 결론 도출 방식은 비

타당성조사의 최종 인 결과가 사업을 지속 으로 추진하기 한 산을 배분할 것

인지 는 배분하지 않을 것인지 하는 양자택일 의사결정(binary decision)에 활용하

기 한 기 자료의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AHP 분석결과를 기 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할 때는 제

약이 따른다 첫째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특히 평가자간 22로

의견이 양분되었을 때 AHP 종합평 결과가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수를 보이

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자간 공감 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 으로 사업의 시

행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 경우 사업의 사업시행 여부에 하여 양

자택일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평가자별 평가의견을 기술하고 평가자간 차이발생의

원인을 보고서에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둘째 종합평 결과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의 차이가 미세하여 의사결

정의 강건성(robustness)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이다 AHP 종합 수를 근거로 사업의

1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시행여부를 결정할 때 흔히 제기되는 질문은 ldquoAHP 종합 수 051과 049 차이가 사업

의 타당성 여부에 한 양자택일 단을 내릴 만큼 한 차이가 있는가ldquo라는 것

이다 이 질문에 하여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에서 양자택

일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 던 이유는 궁극 으로 비타당성조사의 목 이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가 는 없는가를 단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은 AHP 분석방법이 가진 제약을 고려할 때 AHP 분석 결과를 지나치게 확정 으

로 용하는 측면이 있다본 지침에서는 이러한 을 감안하여 최종 단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을 하

기 하여 다음과 같은 회색 역을 설정하 다53)

05 - 005 lt AHP 종합평 lt 05 + 005즉 045 lt AHP 종합평 lt 055

회색 역이란 만약 연구진 구성이 달라진다면 재의 종합평 의 결과가 뒤바

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역을 뜻한다 결국 이러한 역에 속하 을 경우에 연구

진들은 AHP 분석을 통한 종합 결론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이 필요할 것이다다음으로 이 회색 역을 평가자 의견의 일치정도에 따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우

리는 평가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을 때는 평가자의 모집단의 평균도 표본평균

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을 때는 평가자 모집단의 평균은 종합평 과 다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 있다 따라서 평가자간의 의견일치도가 낮을수록 회색 역을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을 종합하여 회색 역의 용은 다음과 같은 원

칙을 따르도록 한다첫째 4명의 평가자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 AHP 평 이 05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

라 평가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종합의견을 도출한다둘째 31로 갈린 경우 84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표본평균이 055보다 큰 경우

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5보다 작은 경우 사업의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AHP 수가 045보다 크거나 같고 055보다 작은 경

우에는 회색 역에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셋째 22로 갈리는 경우에는 95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AHP 수가 058보다 높

은 경우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2보다 작은 경우

에는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회색지 에 있는 것

53) 회색 역 설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 장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7

으로 톤을 완화하고 결론에 신 을 기한다다만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가 31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의

AHP 수가 045보다 작거나 역으로 그 비율이 13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

의 AHP 수가 055보다 큰 경우는 한 평가자의 단이 다른 세 평가자의 단을 압

도하는 상황으로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공감 가 형성된 의사결정으로 보기 어렵

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평가자가 집단역학 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공감 를 형성

하기 한 feedback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feedback 과정을 거친 후에도 이와 같은

상이 반복된다면 결론에 신 을 기한다

lt표 Ⅴ-4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종합평

시행미시행AHP lt 045 045 le AHP lt05 05le AHP lt055 055 le AHP

4 0 - - 타당성 있음 타당성 있음

3 1 Feedback 아주신 약간신 타당성 있음

2 2

AHPlt042타당성없음

AHPgt042약간신

신 신

AHPgt058타당성 있음

AHPlt058약간신

1 3 타당성 없음 약간신 아주신 Feedback

0 4 타당성 없음 타당성 없음 - -

주 1) lsquo시행미시행rsquo은 사업시행 평가자 수와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의 비율(4인 기 )을 나타냄 2) AHP는 사업시행 안의 AHP 종합 수를 나타냄 3) lsquo-rsquo는 해당 사항 없음을 나타냄

결국 평가자간 의견의 일치정도와 종합평 이 회색 역 안과 밖에 있는 지 여부

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질 것이다 회색 역 밖에 치한다면 해당 사업의 시행미

시행 여부에 하여 보다 분명하게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고 그 지 않다면

연구진들은 회색 역에 속함을 분명히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하여 결론을 내릴

때 톤을 완화하거나 신 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의견이 갈릴수록 더욱 신 해야 할

것이다

1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작업은 비타당성조사 요약표를 작성하여 보고서에 수

록하고 조사와 련된 일을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하는 것이다 요약

표는 비타당성조사 체 내용을 압축 으로 일목요연하게 보여 수 있는 장 이

있다 한 요약표를 2004년부터 구축 인 비타당성조사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포

맷과 일 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DB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비타당조사 보고서에 수록할 요약표와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하여야

할 산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수록을 위한 요약표

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 수록할 요약표는 다음과 같다

lt요약 1gt 비타당성조사 총 표

lt요약 2gt 비타당성조사 의뢰안

lt요약 3gt 경제성 분석의 제 요약

lt요약 4gt 비타당성조사의 주요 쟁 요약

lt요약 5gt 정책 분석 요약

lt요약 6gt AHP 분석 결과

- lt요약 6-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 치

- lt요약 6-2gt 평가자별 AHP 평 결과

lt요약 7gt 결론 정책제언

설명의 편의상 2004년 수행된 lsquo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rsquo의 사례를 들어 기

술한다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9

lt요약 1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 총괄표

명칭 안Ⅰ 안Ⅱ 안Ⅲ

주요

내용

(2000자

이내)

- 부산신항에서

구~부산간 고속도로

최단연결

- 신설 4차로

(신항~ 양IC)

lt 안Ⅰ은 설계연장 과다

로 인한 구조물 증가 우

량농지 훼손으로 민원발생

이 우려되며 사업비가 고

가임gt

- 부산신항에서

남해고속도로 진례JCT에

연결

- 6차로(신항~진해IC) 4차로(진해IC~진례JCT)

lt 안Ⅱ는 해군상수원 보

호구역 자연휴양림을

우회통과하여 남해고속도

로 진례JCT에 연결하는 안

으로써 부산신항 배후도로

성격에 합한 노선으로

단됨gt

- 부산신항에서 국도

58호선 이용 후

남해제2고속도로지선에

연결

- 6차로(신항~진해IC) 4rarr6차로(국도 58호) 4rarr6차로(남해제2지선)

lt 안Ⅲ은 재 부산지방

국토 리청에서 실시설계

인 국도 58호선을 활용

하는 안으로서 배후도로

기능을 해 국도 58호선

을 장유도시계획도로 신

남해제2고속도로지선에 연

결할 경우 국도 이용객의

불편을 래하여 민원발생

이 우려됨gt

사업내용

규모요약

고속도로신설

(연장km차로수)고속도로신설

(연장km차로수)항만배후도로신설확장

(연장km)4022 4 171 4~6 1773

사업비 1551400 805600 413000BC 115 146 198

NPV 133800 211200 226800IRR 88 112 1421

타당성 NO YES NO최 성 YES

AHP 시행 수

0764

주 타당성은 연구진이 종합 (경제성 정책 등)으로 단한 안의 타당성으로서 복수의 YES와 NO가

나올 수 있음 반면에 최 성은 연구진이 고려한 안 에서 가장 낫다고 단한 안(타당하지는

않더라도)을 나타내며 따라서 반드시 하나의 안만을 선택하도록 함

1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2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 의뢰안

구 분 내 용

사업지역 부산 역시

세부사업지역 부산신항 서측~ 양JCT

사업내용규모요약

항만배후도로신설

연장 387 km 차로수 4~6

시행주체 국가(부산지방해양수산청)

총사업비 (억원) 831100

재원조달방식 액국고

사업기간 2004 2010

사업목

(500자 이내)

신항만으로부터 구~부산간 고속도로로 직 연계되는 노선을 신설

하여 부권 교통량을 부산시 기존 부산항 교통량과 분산 처리함

으로써 항만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물동량의 수송비용을 감

컨테이 부두 배후에 조성되는 규모 물류단지에 한 근성을 제고

부산신항을 동북아 물류 심기지로 육성하기 한 인 라를 구축

주 모든 결과에서 액은 백만원 단 까지 계산하고 기록은 억원 단 로 하여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

함 를 들어 720억 3천5백만원은 72035로 기록함

lt요약 3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경제성 분석의 전제 요약

구 분 내 용

기 년도 2002

분석기간 20

할 인 율 75

주요가정

(4000자

이내)

본 조사에서는 상사업의 직 향권을 부산울산 역권으로 설정하

고 이에 따라 행정구역 부산신항 개발계획을 고려하여 총 415개의 교통

죤 체계를 구축하 음 본 조사에서 사용된 기본 OD 자료는 부산신항 건설을 고려하지 않았으므

로 새로 추가된 신항만 컨테이 부두와 항만배후단지의 통행량 화물물

동량을 고려하여 장래 OD를 새롭게 구축

신항만 물동량의 지역간 분포를 해 기존의 화물통행 OD의 죤별 통행발

생 도착량과 함께 력모형을 이용하여 새로이 통행분포과정을 거침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31

lt요약 4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의 주요 쟁점 요약

구 분 내 용

주요쟁

(4000자

이내)( 시 생략)

1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5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정책적 분석 요약

정책 분석 항목 분석 내용 (각 2000자 이내)

지역균형발

지역균형발을 한 지역낙후도

( 시 생략)

지역경제 활성화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 시 생략)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 시 생략)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 시 생략)

환경성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사업특수평가항목

항만기능

활성화

총사업비 9조원 이상을 투입하여 건설하는 부산신항이 항만으로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음 항만기능 활성화를 한 조건으로 3C(Cost Connection Convenience)

의 비용감소(Cost) 연계강화(Connection) 효과를 가져옴

배후도로 건설

리 체계

재의 항만 련 도로의 건설 리 체계 하에서는 부처간 업무분

장 책임소재가 불분명

항만구역내 도로는 건설은 항만법에 따라 항만 리청이 유지

리는 도로법에 따라 도로 리청(지방자치단체)이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법 한계가 모호

항만배후도로의 경우 항만시설로 지정된 경우 건설은 항만 리청이 맡

더라도 유지 리는 도로법에 따라 해당 도로 리청이 맡는 것이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33

lt요약 6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AHP 분석 결과

lt요약 6-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중치

구 분 종 합 평가자 1 평가자 2 평가자 3 평가자 4

경제성 분석 0565 0650 0700 0350 0550

정책 분석 0435 0350 0300 0650 0450

∙ 기본평가항목 0224 0117 0250 0130 0300

- 지역낙후도 0013 0011 0015 0005 0015

- 지역경제활성화 0022 0016 0015 0013 0029

- 사업추진의지 선호도 0034 0008 0040 0026 0058

- 재원조달 가능성 0065 0027 0100 0040 0058

-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0071 0049 0040 0040 0113

- 환경성 평가 0018 0006 0040 0005 0029

∙ 특수평가항목 0211 0233 0050 0520 0150

-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0156 0156 0042 0446 0075

- 도로 건설주체 리주체 미확립 0056 0078 0008 0074 0075

비일 성 비율 0002 0020 0009 0008 0000

lt요약 6-2gt 평가자별 AHP 평점 결과

구 분 안 Ⅱ 안 Ⅲ 비일 성 비율

종 합 0551 0449 001

평가자 1 0550 0450 002

평가자 2 0511 0489 001

평가자 3 0559 0441 005

평가자 4 0544 0456 000

1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7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결론 및 정책제언

구분 내용

결론

(2000자

이내)( 시 생략)

정책

제언

(2000자

이내)

( 시 생략)

2 KDI 예비타당성조사 관리팀에 제출할 전산 자료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할 산자료 목록은 다음과 같다

lt 산자료 1gt 비용-편익의 연차별 흐름표 (Excel format)

lt 산자료 2gt 기타 경제성 분석의 기 자료

lt 산자료 3gt 재무성 분석표

lt 산자료 4gt AHP 분석 결과

- lt 산자료 4-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 치

- lt 산자료 4-2gt 평가자별 AHP 평 결과

제 2 부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앞의 제1부에서는 실제 비타당성조사 수행시 용될 각종 조사방법과 일반

기 등을 조사수행 흐름에 맞게 제시하 다 제1장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이하 제2부에서는 실제 조사에 직 으로 용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지침내용의 이론 근

거와 세부 연구내용을 각 사항별로 구체 으로 논의하려 한다 제2부의 주요 내용은 비용-편익 분석에 한 이론 고찰 사회 할인율 조정에

한 이론 근거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재무 타당성 분

석 방법 보완을 한 방법론 정리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의 고찰 불확

실성과 험 분석에 한 이론 검토 다지역산업연 모형의 구축 분석 방법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 내용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등이다 이 비용-편익 분석에 한 이론 고찰 다지역산업연 모형의 구축 분석 방법

등의 내용은 기존 제3 의 내용을 그 로 수록한 것이며 나머지 연구내용은 이번 지

침개정과 함께 새롭게 혹은 보완 으로 연구된 내용들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정부지출이란 모두 산속에 편성되어 집행되는 것으로서 정부의 입장에서는 부

족한 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 으로 사용하는가 하는 이 요 심사이다 다시

말해 정부는 공공투자사업을 선정하는데 충분한 분석이 있어야 하며 명한 선택이

요구되는 것이다 정부가 행하는 부분의 사업은 규모 사업이므로 한번 잘못된 선

택을 한 경우 발생하는 피해는 크고 장기 이다비용-편익 분석은 이와 같은 정부의 공공사업을 명하게 선정하는데 이용되는

차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런 에서 비용-편익 분석(CBA cost-benefit analysis)은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분석(project feasibility analysis)이라고도 할 수 있다비용-편익 분석은 국가 인 차원에서 정해진 공공목표를 달성하기 하여 상되

는 여러 안들(alternatives)에 하여 각각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최선의 안을 도출하는 기술 방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석은 사업

안들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일반 인 차를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이와 련된 여러 원칙과 기 하에서 분석을 해야 하는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은 기업차원의 재무성 분석과는 달리 사회 는 국민경제

체의 에서 비용과 편익을 악한다 따라서 민간기업에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

할 때 사용되는 타당성 검토와 비교해 볼 때 근방법은 비슷하다고 하더라도 개념

으로는 아주 다르다 가장 근본 인 차이는 비용과 편익의 성격과 내용에 있다고 하

겠다 국민경제 에서의 편익이란 특정사업의 국민생산에 한 공헌을 뜻하며 비용이란 국가자원의 낭비(즉 자원의 기회비용)를 뜻하게 된다

1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1 기본원칙

비용-편익 분석에서의 의사결정에 한 기본원칙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장 큰 순

편익(net benefits)을 제공해 주는 안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순편익이란 총편익에서

총비용을 뺀 액을 뜻한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측정의 어려움은 비용측면보다는 편익측면에서 더 많이 발생

한다 편익이란 국민생산 는 국민후생에의 공헌을 의미하는데 후생경제이론에서

는 이를 소비자들의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액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편익을 측

정하는 가장 핵심 인 요소는 소비자(혜택을 받는 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가 얼마인가를 악하는 것이다 사업의 순편익은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라는

용어로 신 불려질 수 있다 소비자잉여란 바로 소비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액

과 실제 지불한 액과의 차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2 기준

비용-편익 분석에 있어서 용되는 단의 기 은 체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순 재가치이다 순 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란 투자사업의 기간

에 걸쳐 발생하는 순편익의 합계를 재가치로 환산한 값을 의미하며 이 순 재가치

가 lsquo0rsquo 이상으로 나타나면 그 사업은 경제 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순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편

익의 가치를 할인해주어야 하므로 어떤 수 의 할인율을 용하느냐가 건이 된다 순 재가치의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NPV =B 0-C 0

(1+r) 0+B 1-C 1

(1+r) 1+⋯+

Bn-Cn

(1+r) n

= sumn

t=0(B t-C t

(1+r) t) t=01⋯n

(Ⅵ-1)

여기서 r은 사회 할인율 n은 사업의 기간(연수)을 의미한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1

둘째 편익비용 비율이다 편익비용 비율(benefit-cost ratio)의 기 은 편익비용 비율

이 높은 사업일수록 경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기 이며 여기에서도

한 사회 할인율을 용하여 비율을 계산한다 이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BC

= sumn

t=0

Bt

(1+r) t sumn

t=0

C t

(1+r) t(Ⅵ-2)

편익비용 비율은 의 공식에서 보듯이 사업의 비용 1단 당 편익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자연히 소규모 사업이 상 으로 높은 편익비용 비율을 갖게 되

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 사업의 순편익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

다 따라서 사업의 우선순 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편익비용 비율기 은 큰 의미가

없으며 다만 산의 제약 때문에 순편익이 큰 규모 사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때에

이 기 을 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셋째 내부수익률이다 내부수익율(IRR Internal Rate of Return)이란 투자사업이 원

만히 진행된다는 제하에서 기 되는 상수익률로서 투자사업의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편익의 재가치와 비용의 재가치를 일치시켜 순 재가치(NPV)가 lsquo0rsquo이

되게 하는 어떤 할인율로 계산된다 즉 다음의 공식을 성립시키는 R이 내부수익율

이 된다

0=B 0-C 0

(1+R) 0+⋯+

Bt-Ct

(1+R) t+⋯+

Bn-Cn

(1+R) n(Ⅵ-3)

공식에서는 최 년도(0차년도)에는 편익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최

년도의 비용과 그 다음해부터의 할인된 순편익의 합계가 일치되도록 하는 R을 찾

아낸다면 그것이 바로 내부수익률이라고 하겠다 이 내부수익률( R )이 통상 으로

사용되는 사회 할인율( r )보다 크다면 그 투자사업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

3 제약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을 실제로 용하여 사업의 타당성 유무를 단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4가지 형태의 제약에 직면하게 된다

1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소득분배의 제약 공평성 문제

앞의 기 컨 순편익을 극 화시키는 사업을 우선 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기 등은 투자사업의 효율성(efficiency)을 강조하는 기 이며 이것이 소득분배를 개

선시킬 것인가에 해서는 아무런 설명을 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여 앞의 기 은 공

평성(equity)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그러나 엄격히 말하여 투자사업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킬 수 있는 사업이라면 이를

채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소득분배의 개선이라는 것이 도덕 윤리

인 면이 강하고 개인의 주 인 단에 크게 의존한다는 이다 만약 100만원이라

는 돈을 부자로부터 가난한 자에게로 이 시켰다고 할 때 이것이 과연 사회후생(social welfare)을 증가시킨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만약 증가시킨다면 어느 정도 증가시킬 것

인가 이것의 해답은 각자의 소득수 재산상태 소비행태 등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어느 일정한 기 을 용하여 얘기하기가 어렵다 아무튼 투자사업의 혜택이 주로 부자그룹에게 가고 비용은 주로 빈민그룹에게서

발생하는 사업은 그 반 의 경우 즉 혜택은 빈민그룹에 가고 비용은 부자그룹에게서

발생하는 사업에 비해 분명히 열등(inferior)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용-편익

분석을 보다 완벽하게 수행하기 해서는 편익과 비용이 어떤 그룹에게서 발생하는

가를 가능한 한 정확히 악하고 이를 최종 단에 반 시켜야 할 것이다

나 예산상의 제약 정치적 제약

다음으로 요하게 제기되는 제약이 산상의 제약이다 산상의 제약은 넓

은 의미에서 정치 제약(political constraints)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그 이유는

공공투자사업에 배정되는 산은 의회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심의를 받아

야 하며 결국 정치 단이 산배분에 인 향을 주기 때문이다여기에다가 국회에서는 정치 략에 의해 특정 공공사업을 선택하기 한 투표

의 교환행 (vote-trading) 혹은 정치 계약행 (log-rolling)가 일어나고 있음에 유념해

야 한다 정치가들은 흔히 자신의 존재가치를 과시하기 하여 필요 이상으로 새로운

공공재가 공 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고 납세자들은 정부로부터 보다 많은 공공

재를 무상으로 제공받기를 기 하면서도 실제 얼마만한 비용이 소요될 것인가에

해서는 무심하게 넘겨버리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상은 결국 공공사업의 선정을 경

제 합리성보다는 정치 합리성에 의존하도록 유도하며 궁극 으로는 정부 산을

비효율 으로 팽창시키는 결과를 래한다고 하겠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3

다 사업성격상의 제약

세 번째 제약으로는 안으로 고려되는 공공투자사업들간의 상호 계와 련된

것으로서 사업성격상의 제약이라고 칭할 수 있겠다 여러 개의 공공투자사업들 가운

데서 몇 개의 사업을 선정하려고 할 때는 개 사업들이 서로 독립 이다 다시 말하

여 서로 완 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업들이 선정 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사업들이 서로 독립 인 것이 아니라 서로 의존 인 성질

을 갖게 될 때가 있다상사업들이 서로 의존 인 성질을 가지고 있을 때는 앞에서 소개된 여러 기

들을 직 으로 용하기 어렵게 된다 컨 A라는 사업이 선정되기 해서는 반

드시 B라는 사업이 함께 선정되어야 하는 그런 경우이다 이러한 사업들은 서로 보완

(complementary)인 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A라는 사업이 선정되었다면 B라는 사

업은 자동 으로 폐기되는 그런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서로 경쟁 (substitute)인 계를 가지고 있다 서로 경쟁 인 계에 있는 사업들은 다른 표 으로 상호배

타 (mutually exclusive)인 계에 있다고도 한다 이처럼 상사업들이 상호보완 이

냐 혹은 경쟁 이냐에 따라 사업선정의 기 들이 약간씩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라 정보의 제약 측정상의 문제

마지막 제약(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본질 인 제약)으로 정보의 제약을 지 하지

않을 수 없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 이 측정의 문제(measurement problem)이다 아무리 좋은 단기 을 가지고 있더라도 정보의 부족으로 비용과 편

익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측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 analysis)이 도입되기도 하 다 정보의 제약을 극복하

기 하여 각종 설문조사 계량 측모형 여러 가지 경 학 산업공학 기법들

이 새로 개발되고 있지만 모든 것이 완벽하지는 않다

1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1 유형별 분류

비용과 편익은 여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 가장 요한 분류로는 실질

(real)인 비용편익과 (pecuniary)54)인 비용편익의 구분이다 비용-편익 분

석에서는 오직 실질 인 비용편익만이 고려된다실질 인 비용과 편익이란 말 그 로 공공사업에 의해 발생한 진정한 비용과 편

익을 뜻한다 실질 인 편익은 국민생산 는 사회후생의 증가를 통해 국민(소비자)들이 실제로 받는 혜택을 의미하며 실질 인 비용은 공공사업의 추진에 의해 발생된

자원의 기회비용을 뜻한다 반면 비용과 편익은 공공사업에 의해 빚어진 화폐

가격의 변화 때문에 발생한 것들이며 이들을 계산에 포함시키면 이 계산 는 과

계산의 과오를 범하게 된다 비용과 편익은 그것이 내부 (internal)으로 발생하느냐 혹은 외부 (external)으로

발생하느냐에 따라 내부 비용편익과 외부 비용편익으로 구분된다 내부 이

건 외부 이건 간에 그것이 실질 인 비용과 편익이라면 비용-편익 분석에 포함되어

야 한다직 간 비용편익으로도 구분된다 실질 비용과 편익은 직 일 수

있고 간 일 수도 있다 양자간의 구별이 항상 분명한 것은 아니지만 직 인 것

은 공공사업의 일차 인 목 과 련된 비용 편익을 뜻하며 간 인 것은 2차

인 목 즉 부산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비용과 편익을 가리킨다직 이건 간 이건 그 편익과 비용의 측정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 측정

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편익과 비용의 형태가 무형 (intangibles)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이다 유형 이라는 것은 통상 시장에서 평가될 수 있는

편익과 비용을 뜻하므로 한 가격을 용한다면 측정이 비교 용이하다 그러나

무형 인 것은 형태가 없으므로 시장에서 평가될 수가 없다 그런데 무형 효과가

측정되기 어렵다고 하여 무조건 측정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54) lsquo rsquo이라는 용어에 혼란이 없기를 바란다 여기서 이라는 말은 돈으로 측정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순 히 화폐 상에 의한 효과라는 의미로 lsquo실질 rsquo인 것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5

2 일반적 고려사항

가 이전지출

비용편익분석에서 이 지출(transfer payments)에 해당되는 거래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가 간혹 혼란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이에 한 결론을 말한다면 우

리가 취 하는 비용편익분석은 경제 분석(economic analysis)이지 재무 분석(financial analysis)이 아니므로 모든 이 지출은 비용편익의 고려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이 지출의 표 인 를 든다면 세 (tax) 정부보조 (subsidy) 그리고 은행이

자지불(interest payment) 등이 있다

나 인플레이션

비용편익분석에서 장래의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측정할 때 인

이션의 향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해서 간략히 언 할 필요가 있다 결론 으

로 말하여 우리는 장래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기 년도의 불변가격(constant price)으로 측정함으로써 인 이션 효과를 무시할 수 있다

모든 계산을 불변가격으로 함으로써 인 이션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단기간 사업의 경우 인 이션을 정확히 상할 수 있다면 불

변가격이 아닌 경상가격에 의해 비용과 편익을 측정함으로서 인 이션 효과를 반

토록 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다 매몰비용

사업을 추진하는 데는 사업의 타당성 평가를 하기 이 에 이미 기존에 설치한 시

설이라든가 자산을 활용해야 할 경우가 많다 이처럼 사업평가 이 에 이미 발생된

비용을 매몰비용(sunk cost)이라고 부르는데 이 매몰비용은 비용-편익 분석에서 비용

으로 취 되지 않으며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에 이미 지출된

비용은 지 와서 회수할 수 없는 것으로 신규사업 추진여부와 계없이 비용은 이미

매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1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라 예비비

투자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비용항목으로 비비(contingencies)를 반드시 반 시켜야 한다 사업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기치 못한 일들이 무수하

게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이런 문제들에 한 사 방 조치로 비비를 마련해야 하

기 때문이다

마 고용창출효과 및 지역개발효과

비용-편익 분석에서 가끔 혼란이 야기되는 부문이 사업에 의해 발생하는 고용창

출효과와 지역개발 효과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하는 문제이다공공투자사업에 의하여 해당지역의 지역경제가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고용창출

과 소득증 상이 일어난다면 그 지역입장에서는 단히 바람직한 일이며 따라서

경제 평가에서 이러한 효과가 히 반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반 하는 데는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의 효

과들을 그 로 경제 효과로 보고 경제 타당성 분석에 이를 반 시킨다면 자칫 이

계산의 과오를 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역개발효과의 상당부분이 앞에서

소개한 인(pecuniary) 효과라는 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를 들어 도로가 신설됨으로서 특정지역의 땅값이 상승하고 주변의 식당 여

다방 등의 업이 활발해 진다고 하자 이로 인해 고용창출도 발생한다고 하자 이것

은 분명히 그 특정지역에게 유리한 결과임은 분명하나 이러한 상은 자칫 다른 지역

의 소득감소 고용감축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결국 한 지역의 양의 효과는 다른 지

역의 음의 효과를 가져와서 서로 상쇄됨으로서 국가 체로 보아서는 별 의미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 지역만의 확실한 효과로 증명되지 않는 한 고용창출

지역개발효과는 경제성 분석에서 반 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 이다

3 사업별 편익의 형태

주요사업별 경제 편익의 형태를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농업사업 공업사업처럼 최종산출물의 형태가 확실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에

게 최종소비재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의 시장가치(잠재가격)가 사업편익이 된다 둘째 교통사업이나 공익사업처럼 산출물이 최종소비재의 성격보다는 간재(intermediary goods)의 성격을 강하게 가질 경우 이 산출물에 의해 발생한 비용 감효과(cost-saving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7

effects)가 사업의 편익이 된다 셋째 사회정책사업처럼 산출물이 질 개념일 경우에

는 비용-효과 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이용하여 편익측정 문제를 해결한

다55)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1 가치와 시장가격

비용ㆍ편익을 측정하는데 핵심 으로 활용되는 것이 시장가격(market price)이다 사업의 가치를 가장 잘 변하고 있는 것이 그 사업에 해 사람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willingness to pay)이며 합리 인 개인은 어느 특정상품에 해 자신이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가 그 상품의 시장가격과 일치할 때까지 그 상품의 구입을

계속할 때 자신의 만족을 극 화할 수 있다는 것이 미시경제이론의 골격이다 이것은 다시 말하여 경쟁시장에서 형성된 상품의 시장가격이 바로 그 상품의 진정

한 사회 가치를 가장 잘 변해 주고 있다는 뜻이 된다

2 잠재가격의 개념

시장가격이 사업에 한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한다고 할 때에는 여기에 하

나의 요한 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시장이 완 해야 한다는 이다 완한 시장이란 통상 완 경쟁 시장을 뜻하며 완 경쟁시장에서는 시장가격이 자원

의 기회비용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자원의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한다고 하겠다그러나 실의 세계에서는 완 한 시장이란 존재하기가 어렵다 우리가 취 하고

있는 시장은 부분 불완 하다 이 때의 시장가격은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사회 가치평가를 해서는 시장가격을 완 경쟁

인 가격으로 조정해야 하는데 이 게 조정된 가격을 잠재가격(shadow price)이라고

55) 경제 편익의 측정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 특히 사회정책사업(social projects)에서는 비용 효과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이 사용된다 비용 효과분석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의 1가지 방법을 통하

여 이루어진다 첫째로는 목표(효과)가 알려지고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은 비용이 들어가는 안을 선택하는 방법이며 둘째로는 산(비용)이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산

하에서 목표를 최 로 달성하게 하는 안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 두가지 방법 에서 어느 것을

택하든지 여러 안들에 한 비용과 효과를 히 측정하고 평가하여 안 의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 때 분명히 해야 할 사항은 각 안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격의 목표(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공통 으로 용되는 측정방법에 의해 이를 비교평가해야 한다는 이다

1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다 완 경쟁시장에서는 물론 시장가격과 잠재가격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잠재가

격이란 왜곡된 시장에서 자원의 기회비용 즉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하는 가격이

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잠재가격을 도입하는 당 성은 간단하다 실사회에서 가치평가에 한 의사결

정이 이루어져야 하나 이 때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매개체가 없다면(즉 시장에서

형성되어진 시장가격이 왜곡되어 있다면) 가치의 내면을 밝히는 한 체수단이

있어야 하는데 이 체수단이 바로 잠재가격인 것이다 동시에 잠재가격을 동원함으

로써 직 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외부효과라든가 간 효과( 고용효과) 등을 어느

정도 가치평가에 반 할 수 있다는 이 도 있다

3 잠재가격의 도출 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특정재화의 시장가격이 존재하며 동시에 이 시장가격이 특정재화의 사회 가치

를 반 하고 있는 완 경쟁시장의 경우에는 별도의 잠재가격 도출을 한 조치를 취

할 필요가 없다 시장가격이 그 로 잠재가격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상당히 이상 이라고 하겠다앞서 제1부에서 이루어진 부분의 가격설정은 시장가격을 근거로 하여 가정된

것이다

4 잠재가격의 도출 불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만약 어떤 재화( 는 원자재)가 독 시장에서 생산되고 이 때의 시장가격이 100만

원이라고 하자 그러나 독 시장의 가격에는 독 이윤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완 경

쟁 시장에서 동일한 재화가 생산된다면 그때의 시장가격이 90만원 정도일 것이라

고 추정될 때 이 재화의 잠재가격은 100만원이 아니고 90만원인 것이다생산요소 시장이라면 노동시장 자본시장 토지시장 등을 말한다 생산요소시장이

경쟁 이고 따라서 완 고용상태에 놓여있게 되면 이 때의 생산요소가격은 상품시장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잠재가격과 일치한다 그러나 실은 생산요소시장이 완 고

용상태에 항상 놓여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생산요소들이 완 고용상태에 있지 못

하고 실업이나 유휴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들의 기회비용이 완 고용상태 때와 비교

하여 낮을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생산요소가 다른 체산업에 고용될 기회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 생산요소의 잠재가격은 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시장가격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불완 한 생산요소시장에

서 실제로 형성되어 있는 시장가격(혹은 공정가격)보다도 낮게 평가되어야 한다 불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9

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실제가격은 여러 가지 비경제 요인( 최 임 제도 담합 투기 등) 때문에 진정한 기회비용보다 높게 책정되어지는 경우가 부분이다

5 잠재가격의 도출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지 까지는 시장가격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상으로 논의해 왔으나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표 인 로 시간 생명 환경 그리고 공공

재 등의 가치평가가 이에 해당된다

가 시간가치

도로사업의 요한 편익으로는 시간의 약이라든가 인명피해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시간의 가치라든가 생명의 가치는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 것일

까 우선 약된 시간의 가치측정을 살펴보자 약된 시간이 생산과정에 이용될 수

있는 경쟁 경제구조 아래에서는 여행시간의 약분의 가치는 이로 인해 생긴 생산

량의 증가분이고 달리 표 하면 시간당 임 수 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여기

서 문제시되는 것은 여행시간의 약분이 모두 생산에 투하되기보다는 때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더 즐기려고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게 되면 여가시간의 증가분에

한 가치를 측정할 때 시간당 임 수 을 용해도 되느냐 하는 문제가 생긴다 여가시간의 가치는 일하는 시간의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는 것이 일반 인 견해인 만큼

여가시가의 가치는 시간당 임 수 보다 낮다 그리고 여행시간이 어들었으므로

여행 에 느끼는 즐거운 기분도 약간 감소되었을 것이므로 이러한 모든 면을 함께

고려해 볼 때 여행시간의 약분의 가치는 임 률보다 낮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나 생명의 가치

다음으로 생명의 가치에 해서 살펴보자 생명의 가치는 여러 가지 근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겠는데 가장 표 인 근방법이라면 사망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그 생명이 일생동안 벌어들일 수 있는 장래기 소득의 재가치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는 해당되는 사람의 나이 능력 교육정도 등이 요 고려변수가 된다 그러

나 실 으로 장래기 소득에 한 자료가 불충분하므로 간 인 근방법을 택하

는 경우가 흔하다 컨 사망과 같은 험을 회피하기 하여 사람들이 일생동안

1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 지불액이라든가 혹은 반 로 험부담을 무릅쓰고라도 어떤

험한 일을 택할 때 그 가로 수령할 의사가 있는 최소수령액을 계산하는 것이다

다 환경의 가치

환경의 변화( 컨 환경 괴 는 공기오염 등)를 화폐 가치로 어떻게 측정하

느냐는 항상 어려운 과제로 취 되어 왔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고안되었는데 회귀방

정식과 같은 통계방식이나 수요곡선을 추정하여 소비자잉여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

한다56)

라 공공재 가치

국방 경찰 소방 등 공원과 같은 공공재의 진정한 가치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공공재를 한 시장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시장가격도 존재할 수가 없다그러나 실제로 공원 입장료의 경우처럼 공공단체가 공공서비스에 해 가격을 부

과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며 비용편익분석에서도 공공재에 한 수요곡선을 도출

하여 소비자잉여 몫을 계산하고 이를 해당 공공재의 사회 가치로 평가해야 하는 상

황에 이르기도 한다 이럴 경우의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불행하게도 이에 한 완벽

한 해답은 없고 앞의 환경의 가치계산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간 방법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

56) 재 환경의 가치를 화폐단 로 측정하는 보편 인 방법은 해독함수 근법 해도닉가격기법 조건부

가치측정방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 등이 있다 이에 한 연구는 곽승 ㆍ 섭(1995) ꡔ환경의 경제 가치ꡕ를 참조하라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51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1 공평성에 대한 고려

앞의 제2 에서 비용-편익 분석의 제약으로서의 공평성 문제를 언 하 다 즉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해서는 소득분배상의 효과를 악하여 이를 분석

에 반 하여야 하나 실 으로 이를 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지 하 다 그러나

비록 실 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한 공평성 측면을 비용-편익 분석

에 반 하도록 노력하는 것은 매우 요하다 이 에 하여 보다 깊이 고찰해 보기

로 하자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분석에서 소득분배개선 효과를 제 로 반 하기 해서는

공공사업으로 혜택을 받게 되는 소비자 그룹을 소득별로 구분하여 거기에 한 사

회 가 치(social weights)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소득층에 제공되는 편

익에는 높은 가 치를 부가하고 고소득층에 제공되는 편익에는 낮은 가 치를 부가

하여 결과 으로 소득층에 혜택을 많이 주는 공공사업이 상 으로 유리하게

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소득분배에는 2가지 측면이 있다 세 내(intratemporal) 소득분배와 세 간

(intertemporal) 소득분배이다 세 내 소득분배가 세 내에서의 부자와 빈민간의

소득분배에 을 맞추고 있다면 세 간 소득분배는 재세 와 미래세 간의 소

득분배문제를 취 한다 세 간 소득분배에 있어서는 재의 국내 축 부족 상을

직시하고 공공사업을 통하여 어떻게 하면 축을 증 시켜 앞으로의 국가경제 발

에 이바지할 수 있는가에 역 을 둔다 이 게 볼 때 다음과 같은 2가지 가정이 제

될 수 있다 첫째 세 내 소득분배로서 빈곤층에 부여되는 추가 인 소비의 가치는

부유층에 부여되는 추가 인 소비의 가치보다 높다 둘째 지 의 한 단 축증

는 지 의 한 단 소비증 보다 그 가치가 더 높다

1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사회적 가중치의 도출

가 세대내 소득분배 소득그룹별 소비혜택의 평가

사회 가 치 Wi는 연간 소비수 이 Ci수 인 i그룹의 소비혜택에 부가하는

가 치로 정의한다 이 때 사회 가 치 W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i= ( CCi )n (Ⅵ-4)

여기서 C는 그 사회에서 소득그룹 체의 연간 평균소비수 을 의미하며 n은

소비에 한 한계효용의 탄력성(elasticity of marginal utility)을 가리킨다 즉 n은 여

러 소득수 에서 소비의 1 변화가 한계효용을 몇 퍼센트 변화시키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한계효용곡선의 기울기가 이에 해당된다 의 공식이 의미하고 있는 것은 한계효용탄력성( n )이 0보다 크고 소비수 Ci

가 평균소비수 C보다 작은 한 사회 가 치( Wi)는 1보다 크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n gt 0인 상태에서 소비수 Ci가 평균소비수 C보다 낮은 소득계층에게

는 1보다 큰 사회 가 치가 용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사회 가 치 계산은 첫

째 한계효용탄력성( n )의 크기가 얼마인가와 둘째 i번째 그룹의 소비수 ( Ci)이 평

균소비수 ( C)에 비해 얼마만큼 낮는가에 좌우된다

나 세대간 소득분배 정부저축에 의한 프리미엄

이상으로 공공투자사업을 통해 각 소득그룹에게 발생하는 소비혜택에 하여 어

떤 가 치를 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는데 그러면 세 간 소득분배측면에서 정

부가 공공투자사업의 편익을 소비자들에게 직 소득의 형태로 부 나 어주지 않고

일부를 잉여 형태로 보유한다고 할 때 이에 한 평가는 어떻게 되는가를 살펴보

자 정부가 사업의 편익을 잉여 으로 보유하는 이유는 이를 나 에 재투자하려는 의

도일 것이며 궁극 으로는 사업편익이 국민들에게 되돌아가게 하기 함일 것이다 정부의 잉여 보유는 정부 축을 의미하며 축의 가치는 소비의 가치보다 높게

평가된다 정부잉여 을 IMD Little과 JA Mirrlees 같은 학자들은 공공소득(public income)이라고 칭하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의 심은 이 공공소득의 가치를 얼마로 보

느냐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53

공공소득의 가치를 U로 표시하기로 하자 만약 정부가 단하기에 총 축규모가

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보통사람들의 소비증가에 비하여 정부의 축증가에 해

어떤 리미엄(premium)을 매길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을 경우 다시 말하여 소비증

의 가치나 축증 의 가치가 체로 동등하다면 이 때의 U의 크기는 1이다 그러나 축의 가치에 리미엄을 줘야 한다면 U의 크기는 1보다 크게 된다 Little과

Mirrlees는 U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필수소비수 Cr의 개념을 도입하 다 필수소

비수 (critical level of consumption)이란 소비 한 단 추가의 가치가 투자 한 단 추

가의 가치와 일치하게 되는 어떤 소비수 을 가리킨다 따라서 정부는 이 소비수

Cr에서 소비에 한 지출이나 투자에 한 지출을 공히 동등하게 취 하게 될 것이

다 정부의 입장에서 Cr수 은 최 임 제도 조세제도 사회후생복지제도 정부

보조 정책 등을 복합 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

U의 크기는 C Cr로 측정되며 정부 축에 한 리미엄을 고려할 때 소득그

룹별 소비혜택에 용되는 사회 가 치는 Wi U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WiU = ( C C i )n (Ⅵ-5)

여기서 U= CCr

지 까지의 설명을 요약해 보자 만약 공공소득의 가치( U )가 1이면 C = Cr을

의미하는 것이며 결과 으로 민간소비혜택에 한 평가와 공공소득에 한 평가가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정부가 정부 축에 하여 리미엄을 부과한다면 U gt 1이

되며 이 때에는 공공소득의 평가가 민간소비혜택에 한 평가보다 높게 된다 이럴

경우 민간소비에 용되는 사회 가 치는 [ Wi U ]로 하락하게 된다 [ Wi U ]는

공공소득에 의해 표 화된(민간소비에 한) 사회 가 치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3 분석의 한계와 정책적 고려

비용-편익 분석에서 공평성(소득분배) 측면을 반 한다는 것은 매우 요한 일임

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부분의 나라에서 이를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론 인 연구와 실제의 용사이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 인 복잡

성과 정보의 부족이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어야 할 주요 변수들을 선정하는데 어

려움을 주고 있으며 이것이 많은 나라에서 소득분배에 한 기법을 실제로 채택하지

1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못하고 보 수 에 머물러 있게 하는 주원인이다 그러나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분석에서 공평성 측면을 고려치 않는다는 것은

단히 불합리한 일이다 비록 경제성 분석(비용-편익 분석)에서 공평성을 고려하지 못

했다면 그 다음 단계인 정책 분석에서 이를 취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여 사회

가 치를 도출하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NPV 혹은 IRR을 계산해 내지는 못한다 하더

라도 최종 의사결정 단계에서는 정책 고려로서의 형평성 논리(비록 비계량 분석

이라도)가 반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비타당성조사의 정책 분석 항목인 lsquo지역낙후도 평가rsquo에서 자세

히 다루고 있다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제1절 문제의 제기

비용-편익 분석은 경제학의 이론 내용이 정부부문의 실질 의사결정에 도움을

수 있는 표 학문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1950년 이후 비용

-편익 분석의 용이 미국 국 등의 선진국을 심으로 확 되면서 지속되었다 다시 말해 비용-편익 분석의 이론이 발 되기 시작한 1950년 와 1960년 에는 학자들

상호간에 학문 견해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실무 인 응용과정에서 큰

혼란 없이 일 성 있는 방법이 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 비용-편익 분

석에 한 각종 안들이 보다 깊은 학문 탐구의 상이 되기 시작하면서 학자들

사이에 많은 이견이 노정되었다 사회 할인율의 개념뿐만 아니라 비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일반 인 가격개념(잠재가격) 그리고 환율 임 률 등과 같은 각종의 주요

계수에 해 많은 논란이 벌어졌다 이러한 논란은 각종 수치의 추정방법 는 추정치에 한 것이라기보다는 보다

본질 인 개념에 한 것이었다 결국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학문 논란이 진행될수

록 비용-편익 분석을 실제로 용해야 하는 실무자들 사이에는 더 많은 혼란이 야기

되었고 기야 경제학 분석기법으로서의 비용-편익 분석에 한 근본 인 회의까

지 제기되기에 이르 다 본 장은 비용-편익 분석의 다양한 학문 논쟁거리 가운데에서 가장 요하다고

할 수 있는 가격개념을 심으로 논쟁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

무 용과정을 체계 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

격개념에 해서는 재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다 국내가격보다는 교역가격을 사용

해야 한다거나 잠재가격의 개념은 일 성 있게 확정 으로 제시될 수 없다는 등의

1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주장은 바로 이 같은 논란의 과정에서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논란의 내용

을 체계 으로 정리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용되어야 할 한 가격개념을 생각해

볼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주장되는 가격개념은 크게 3가지로 구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통 후생경제학 근방법에 따라 지불의사와 이에 근거하여 국내의 시

장가격을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둘째로는 Little-Mirrlees(1968)가 제안한 교역가

격 근법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재화와 용역의 사회 가치를 교역가격을 기 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 입장은 OECD 세계은행 등의 국제기구에서 보편

으로 채택권고되고 있는 방법이다 셋째는 일반균형모형 하에서 이론 분석을

통해 밝 진 사실로서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 개념이 일 성 있게 제시되지 않

기 때문에 개별 투자사업에 따라 서로 다른 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내용을 체계 으로 조명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격개념은 첫 번째 방법이 하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하여 제2에서는 세가지 입장을 체계 으로 요약정리하고자 한다 다음의 제3 에서는 이들

세가지 입장을 총 으로 검토함과 동시에 첫 번째 방법의 타당성이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가를 정리해 볼 것이다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1 전통적 비용-편익 분석

공공투자의 평가목표는 사회후생 증진에 있으며 그 평가방법은 이윤극 화를 추

구하는 개별 기업의 투자평가와 달라야 한다는 사실은 19세기 랑스의 경제학자

Dupuit(1844)에 의해 지 되었다 그의 지 은 정부의 기능과 역할을 평가할 때 개인

의 효용함수에 근거한 사회후생을 기 로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시 으로 도입한 최

의 연구라 할 수 있다 즉 교량과 도로건설과 같은 공공사업의 사회 편익은 그것

의 수입이 아니라 민간의 실제 지불비용과 소비자잉여를 합한 가치로 평가되어

야 한다는 사실을 지 하 다 Dupuit의 이러한 지 에 하여 많은 학자들이 심을 보이고 이를 실제 공공

투자평가에 용하기 시작한 것은 거의 1세기가 지난 후라고 할 수 있다 즉 1930년부터 미국의 수자원개발(Water Resource Development)계획과 련하여 1936년 홍수

통제법(Flood Control Act) 1950년 연방 강유역 원회(Federal Inter-Agency River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57

Basin Committee) 1952년 산청(Bureau of Budget)의 산지침(Budget Circular) A-47 등에서 근 인 비용-편익 분석의 기본 틀이 확립되기 시작하 다 이들은 공공투자

사업의 편익이 구에게 귀속되건 이들의 합이 비용보다 크면 시행할 가치가 있다거

나 는 국민소득이라는 계량화된 측정 기 에 따라 평가해야 한다는 기 을 제시하

다 그런데 국민소득 개념이 공공투자사업의 편익을 제 로 평가할 수 없으며 소비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는 소비자잉여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은

1950년 말의 Eckstein(1958) McKean(1958) Krutilla and Eckstein(1958)에 의해 제기

되었다 이들의 지 은 Marglin(1967) Harberger(1972) Dasgupta-Sen- Marglin(1972) 등에 의해 차 체계 으로 정리되어 갔다 이들은 한결같이 지불의사를 기 으로 재화

와 용역의 가치를 계량화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투자의 편익은 지불의사의 증가분으

로 비용은 상실된 기회의 최 편익으로 각각 정의하고 있다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기 으로 사회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는 통 입장은 기

본 으로 국내가격을 시하지만 실의 시장가격을 그 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

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특정 재화의 시장가격이 사회 가치( 는 기회비용)를 반

하기 해서는 그 가격이 소비자의 지불의사와 생산자의 한계비용과 일치해야 하는

데 이는 조세가 존재하지 않는 최선(First-Best)의 완 경쟁시장에서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지불의사를 기 으로 비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통 비용-편익 분석은 UNIDO

지침(1972)에 잘 요약되어 있는데 이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편익은

산출물이 제공하는 소비자의 지불의사 즉 효용변화분으로 측정될 수 있고 비용은

공공투자사업이 당해 생산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여타 부문에서 잃게 되는 지불의사의

최 가치로서 평가된다 그런데 이들 지불의사는 경쟁구매라는 조건만 충족되면 당

해 재화의 시장가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장가격을 지불의사로 간주하기 한 경쟁구매의 조건은 소비재의 경우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만족된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조건은 배 제와 같은 제약이

없어 모든 소비자들이 모두 자유롭게 가격을 지불하고 그 재화를 구입할 수 있

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조건은 어떠한 소비자도 수요독 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수요량이 시장가격에 향을 수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특정

소비자가 수요독 의 치에 있다면 그는 자신의 지불의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재화

를 구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그런데 소비재가 아니고 간재인 경우에는 경쟁구매가 충족되기 한 조건은 한

가지가 더 존재한다 즉 간재의 시장가격을 지불의사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기

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경쟁구매의 두 가지 조건 외에 추가 으로 간재의 구입자인

1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생산자가 자신의 산출물 시장에서 독 력을 행사할 수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되

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자신의 산출물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생산요소의 구입시에 자신의 지불의사보다도 낮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간재의 구입자가 자산의 산출물 시장에서 독 력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는

이 추가 인 조건은 그 간재가 가공되어 최종 소비재로 형태를 변환하는 모든 과

정에서 만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소비재이건 간재이건 경쟁구매의 조건이 충족된다 하더라도 공공투자

사업의 시행으로 기존의 시장가격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지불의사를 추정하여야 한

다 이 경우에 지불의사는 당해 재화의 수요곡선을 추정하는 방법( 간재인 경우에는

구입자의 부가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지 까지의 논의를 정리한다면 통 인 비용-편익 분석은 국내의 시장가격

을 심으로 특정 공공투자사업의 지불의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비용과 편익을 평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지불의사는 경쟁구매의 조건이 충족되면 시장가격에 반

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을 면 히 찰하여 시장가격의 한 변형으로 단될 수 있

을 것이다

2 교역가격 접근법

미국 국 등의 선진국에서 공공투자평가에 한 연구와 그 실제 용이 확 되

면서 경제학자들 사이에는 비용-편익 분석이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긴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 되었다 선진국들과는 달리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내의 시장

기능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기 떄문에 국내가격체계를 으로 신뢰하여 공공

투자를 평가하기는 곤란하다고 생각하 다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개발을 해

상 으로 규모가 큰 공공투자사업이 정부부문의 주도로 시행될 것이므로 이들 사

업의 성패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향은 단히 요하다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1967년 12월 OECD 개발센터(Development Centre)에서

개발도상국의 공공투자사업 평가를 한 범한 토의가 있었다 이를 토 로 하여

Little과 Mirrlees는 1968년에 개발도상국에서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투자심사분

석의 일반지침을 발간하 다 Little-Mirrlees(1968)는 개발도상국의 국내가격체계가 여러 가지 이유로 상당히 왜

곡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가격체계를 이용하여 공공투자를 평가할 경우 올바른 평가

결과를 기 할 수 없다고 지 하 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의 공공투자 평가에서 사용

될 가격은 국내가격과 무 한 새로운 가격체계 즉 교역가격(world price) 는 국경가

격(border price)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역가격을 사용하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59

여 공공투자를 평가하는 방법을 통 방법과 구분하기 하여 OECD지침이라고 부

른다 OECD의 교역가격 근법이 발표되자 공공투자의 평가에서 교역가격이 사용되어

야 한다는 주장이 많은 실무자들의 호응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방법은

Lal(1974) Squire-van der Tak(1975) Irvin(1978) 등을 거치면서 차 체계 으로 정리

되었는데 개발국의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부분의 국제기 들에서는 이러한 방법

을 사용하여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규모 투자사업에 을 맞추고 있는 교역가격 근법에 의하면

특정 재화의 사회 가치는 그 국가가 당해 재화와 용역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비용

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그 기회비용은 교역의 가능성으로부터 결정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사업의 평가에 사용되는 가격개념은

교역가격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실 으로 모든 재화가 교역재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비용과

편익을 평가할 때에는 먼 이들을 교역재와 비교역재로 구분하는 작업부터 시작해

야 할 것이다 교역재는 수출재와 수입재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평가방

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수출재 는 공공투자사업이 시행되지 않았더라면 수출되었을 재화의 기회

비용은 그것의 수출가격인 FOB 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 가격은 수출항에서 선

을 마칠 때까지 소요되는 비용을 모두 합한 액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국내운

송비용은 포함되지만 수출보조 등이 제외될 것이다 다시 말해 이 국가가 수출을

통해 외국으로부터 실제 수령할 수 있는 외환가치가 이 가격의 기 이 되는 것이다 다만 자국의 수출량이 교역가격에 향을 미친다면 이 효과를 감안하여 한계수출수

입(限界輸出收入)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둘째 수입재 는 수입 체재의 경우에는 수입 세 등을 제외한 CIF 가격이 사용

되어야 한다 이 가격에서는 수입재가 부두에서 하역된 후 사용처(공장 는 소비자)로 이동하는데 드는 비용 즉 보험료 수송비 등이 제외된다 이들 이동비용은 비교역재

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수출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역가격이 수입 물량에 따

라 변화한다면 재화의 가치는 한계수입비용(限界輸入費用)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

다 셋째 비교역재의 경우에는 원칙 으로 그것의 사회 한계비용이 사용되어야 한

다 비교역재의 추가생산에 소요되는 사회 한계비용은 비교역재의 생산에 소요되

는 제반 생산요소들을 계속 세분하여 최종 으로 교역재로 환원시킨 후 이들을 교역

가격으로 평가하여 더하는 방법으로 구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역재를 추가 생산하는데 드는 사회 한계비용이 사

1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회 한계편익보다 훨씬 작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교역재의 가치가 다른 용도

에서 사용되어 실 되는 사회 편익을 감안하여 평가되어야 한다고 지 하고 있다 다시 말해 비교역재 부가 국내의 추가생산으로 조달된다면 한계비용으로 반면 다

른 용도에서 사용되었던 부분이 용되었다면 한계편익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만약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한다면 비교역재의 계산가격은 한계비용과 한계편익의 가

평균치가 되어야 한다비교역재의 한계생산비용을 도출하기 해 여기에 소요되는 개별 생산요소들을

교역재로 환원시키는 과정은 상당히 복잡할 것이다 교역가격 근법에서는 이 문제

를 해결하기 하여 공공투자사업의 평가에서 특정 비교역재의 요성이 그리 높지

않다면 환인자(conversion factor)를 사용하는 간편한 방법을 권고하고 있다 이들 환인자도 용되는 재화의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표환인자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국내의 시장가격으로 측정된 소비 1단

가 증가할 때 소비되는 재화묶음을 교역가격으로 평가하여 합한 후 이를 다시 시장

가격으로 나 어 다 물론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른 소비패턴을 보일 것이기

때문에 그 재화묶음은 서로 다를 것이지만 이들 차이는 개 무시할 것이다 소비되는 재화의 묶음 내에서 비교역재가 차지하는 비 이 극히 다면 표 환

인자 β의 값은 다음의 식 (Ⅶ-1)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M은 수입액(CIF 가격)

X는 수출액(FOB 가격) t m은 수입품에 한 평균 세율 t x는 수출품에 한 보조

비율을 각각 나타낸다 식 (Ⅶ-1)과 같이 계산된 표 환인자 β의 값이 특정 비

교역재의 국내 시장가격에 곱해지면 교역가격으로 환원될 것이다

β =(M+X )

M(1+ tm ) + X(1- t x )(Ⅶ-1)

그 다면 교역재와 비교역재는 어떻게 구분되어야 하는가 특히 교역이 가능한

재화이면서도 재 이 나라에서 교역되지 않는 재화는 어떻게 처리되어야 할 것인가 여러 가지 수출입 규제 때문에 재 교역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당연히 비교역재로 분

류되어야 한다 그런데 재의 무역정책 하에서 비교역재로 분류된다고 하여 향후 오

랜 기간동안 항상 비교역재로 취 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다시 말해 재의 무역정

책 하에서 교역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장차 교역될 가능성이 높은 재화에 해서는

가능한 교역재로 취 하여 교역재의 범 를 확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기본 으로 OECD지침에서는 교역재는 교역가격으로 비교역재는 교역재로 환원

된 생산비용으로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기 때문에 비용과 편익은 모두 외환가치로서

측정된다 물론 일부 비교역재에 해서는 비교역재의 사용량 변화로 나타나는 소비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1

자와 생산자잉여의 변화분이 감안될 것인데 이 경우에도 평가단 의 일 성을 하

여 외환가치로 환된다 국내가격으로 평가된 비교역재의 가치는 환인자를 곱하

여 외환가치로 환될 것이다 한 통 비용-편익 분석에서는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시하기 때문에 소비의

단 가 평가척도(numeraire)가 되는 데 반해 OECD지침에서는 평가척도를 「외환으로

평가된 소비되지 않은 공공부문의 소득(uncommitted public income measured in convertible currency)」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공공부문의 소득은 일반 으로 공공

투자에 사용되기 때문에 평가척도는 투자의 단 로 간주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자본시장이 불완 하다면 투자로부터 실 되는 사회 가치와 소비에

한 사회 가치는 서로 다를 것이다 이 경우에 통 비용-편익 분석은 공공투자

의 평가척도를 소비의 단 로 간주하고 있지만 OECD지침은 투자의 단 로 모든 비

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공부문 소득의 사회 가치는 민간부문 투

자의 사회 가치와 일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는데 교역가격을 사용하는 방법은 OECD지침이 효시라고

할 수 있으나 그 후에도 많은 발 이 이루어졌다 세계은행 등의 국제기 들 부분

은 개발도상국의 규모 공공투자사업에 원조자 을 제공할 때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을 응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최근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의 연

구들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체계 이고 객 인 방법으로 비교역재와 교역재의

외환상응액(foreign exchange equivalents)을 도출하는데 많은 연구가 집 되었다

3 차선의 잠재가격 접근

공공투자의 비용과 편익 평가에서 교역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경제학

자들에게 새로운 심거리를 제공하 다 이 주장에 자극되어 공공투자의 평가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격개념은 과연 무엇인가에 한 연구가 1970년 이후 활발하게

개되기 시작하 던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엄격한 수리 모형하에서 정부의 공공투

자 선택에 한 최 조건을 도출한 후 그것으로부터 가격개념을 구하고자 하 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차선의 잠재가격 근(second-best shadow pricing approach)」이라고 하여 이 의 통 근 교역가격 근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는 가격개념은 국내 시장가격과 다르기 때문에 이를 잠

재가격(shadow price) 는 계산가격(accounting price)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일반 으

로 잠재가격이란 용어는 수리계획법(mathematical programming)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특정 자원 는 제약조건의 미소한 완화에 따라 목 함수의 최 치가 반응하는 정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잠재가격의 개념은 극 화하는 목 함수의 형태에 따라 다를 것

1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인데 비용-편익 분석에서의 잠재가격은 사회후생의 변화정도를 반 하여야 한다 잠재가격에 한 이 같은 개념에 충실하고 있는 「차선의 잠재가격 근」은 1970

년 일반균형모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최 조세(optimal taxation) 조건을 도출하

려는 경제학자들의 노력으로부터 시작한다 경제학자들은 동일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공투자의 최 선택조건을 도출하고 여기서 공공투자의 잠재가격 개념이 무엇인지

를 악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도하 던 것이다 먼 Diamond-Mirrlees(1971)는 규모수익불변의 생산기술 조건 하에서 정부가 최

조세를 유지한다면 공공투자의 잠재가격은 생산자가격(= 소비자가격 + 조세)이 되

어야 한다는 것을 보 다 다시 말해 이 조건 하에서는 공공투자의 투입물과 산출물

을 생산자가격으로 평가하여 그 값이 0을 넘으면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Diamond-Mirrlees가 사용한 일반균형모형에 여러 가지의 다른 가정을 도입

한다면 이러한 결론은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후의 많은 연구들에 의해 밝 졌다 즉 규모수익불변의 가정이 채택되지 않거나 설령 규모수익불변의 가정이 채택되

더라도 정액세의 부과여부 최 조세의 유지여부 특정 부류의 상품에 해 동일세율

부과 등등의 조건에 따라 공공투자의 잠재가격은 각각 다르게 주어진다는 사실이

1970년 와 1980년 의 수많은 논문들에 의해 밝 졌다 결국 엄격한 수리 모형 하에서 도출된 결론은 한결같이 공공투자의 잠재가격

개념은 모형의 가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편익 분석의 실제 용과정

에 많은 혼란을 야기시켰다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기 해서는 일정한 가격개념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론 결과는 그와 같은 가격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것

이기 때문이다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본 에서는 교역가격 근법을 우리나라에 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의문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역가격이 반 으로 는 부분 으로 사용

되어 타당성평가가 시행된 경우가 있다 지 도 많은 학문 연구가 교역가격

근법을 기 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타당성평가에서 교역가격 근법

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이에 한 입장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을 것이다 농림수산부의 농업용수 부문에서는 교역가격 평가법이 일반 으로 채택된 바 있

다 를 들면 OECD 차 으로 건설된 삽교천 지구 ADB 차 으로 건설된 남강유역 IBRD 차 으로 건설된 미호천 유역의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차 을 재원으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3

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일부 품목에 해서는 교역가격을 이용하여 그 사회

가치가 평가된 경우가 있다

1 잠재가격과 평가가격의 개념구분

차선의 잠재가격 근법의 내용을 소개하기 해서는 수식 모형이 필요한데 이제 여기서는 몇 가지 변수를 정의하여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먼 n개

의 상품 1명의 소비자 1개의 민간기업 그리고 정부로 구성되는 일반균형모형 내에

서 다음과 같이 변수들을 정의한다

cequiv (c 1 c 2 ⋯c n ) n개 상품에 한 소비자의 소비량

zequiv (z 1 z 2 ⋯z n ) 정부부문의 생산요소 투입 산출량

pequiv (p 1 p 2 ⋯p n ) 소비자가격(consumer price)

표 개인의 효용함수는 U(c )로서 표 될 수 있을 것인데 공공투자사업 dz 가 시행되어 나타나는 효용변화분 dU는 다음과 같이 표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

서 비용-편익 분석의 상이 되는 공공투자사업은 z의 변화분으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에 dz로 표 되었다

dU = ( partUpartc ) ( partc

partz )dz (Ⅶ-2)

i재를 가치척도재로 간주(즉 p i = 1)하여 사회후생 W를 정의한 후 식에 소

비자의 균형조건을 입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UU i

(equivdW) = p( partcpartz )dzequiv v dz (Ⅶ-3)

여기서 vequiv p ( partcpartz )

재화의 잠재가격 v는 p ( part c partz )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 값은 상정된 경제모형

의 형태와 가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주어질 수밖에 없다 「차선의 잠재가격 근」에

서 일정한 잠재가격 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결론은 결국 모형의 상정된 형태에 따

라 (part c partz )의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v값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

1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Dreze-Stern(1987) 참조) 결국 공공투자가 사회후생에 미치는 향을 평가하는 방법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공공투자가 사회 반에 미치는 일반균형효과(즉 partc partz )를

악한 후 그 효과를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반 하는 소비자가격 p로서 평가하는 것이

다 두 번째 방법은 경제 내에 일반 으로 용되는 잠재가격 v를 결정한 후 이를

공공투자의 투입물과 산출물(즉 dz )에 직 용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이

론 으로 완 히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불의사를 기 으로 공공투자를 평가하는 UNIDO지침은 첫 번째 방법을

취하고 있다 UNIDO지침은 공공투자의 직 산출물과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순산출

물(net outpu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는 공공투자사업의 직 산출물이 경

제 반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UNIDO지침은 순산출물을 먼 악한 후

이들에 해 지불의사를 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57) ldquo 로젝트의 총소비효과를 계산할 때에는 로젝트의 순산출물(Net Output)에

한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측정하여야 한다 로젝트의 순산출물이란 로젝트가 시

행되지 않았더라면 경제 내에서 가능할 수 없었을 재화와 용역을 의미한다 만약

로젝트에 의해 생산된 재화와 용역이 경제내의 공 량을 늘이는 것이라면 이들 모두

는 평가과정에서 순산출물로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로젝트에 의해 생산

된 재화와 용역이 경제의 가용공 량을 늘이는 것이 아니라 총공 량은 불변인 채

단순히 여타의 공 원을 체하는 것이라면 로젝트의 순산출물은 그 체된 공

원에서 추출된 자원이 될 것이다rdquo 결국 차선의 잠재가격 근과 UNIDO의 통 근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자는 일정한 잠재가격 공식을 결정한 후 이를 공공투자의 직 투입물과 산출물에

용하는 방법이며 후자의 통 근은 특정 공공투자의 일반균형 효과를 가

능한 충분히 악하여 그 효과에 해 소비자가격을 용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OECD의 교역가격 근법은 교역가격을 잠재가격으로 간주하여

공공투자의 직 투입물과 산출물에 교역가격을 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선의 잠재

가격 근법과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으로 비용-편익 분석의 논의에서는 잠재가격이라는 용어가 보편 으로 사

용되는데 이의 엄격한 의미는 공공투자사업에 투입 산출되는 재화와 용역의 가격

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통 비용-편익 분석에서는 공공투자의 효과를 지불의

사로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불의사를 반 하는 시장가격이 잠재가격 개념으로

이해하기는 곤란할 것이다 잠재가격과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평가가격이

57) UNIDO p41 참조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5

라는 개념이 더 할 것이다

2 교역가격 접근법의 타당성 검토

가 이론적 타당성 검토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사용하는 통 방법과 교역가격 기 법에는 어떠한 이론

차이가 있으며 어떤 것이 더욱 더 타당할 것인가 Lal(1974)에 의하면 두가지

근법은 단순한 평가척도(Numeraire)의 차이일 뿐 그 기본 인 내용은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즉 교역가격 기 법은 외환액을 투자평가의 기본척도로 간주하 으나

통 인 방법은 국내화폐가치로 표 한 것일 뿐이다 교역가격 기 법은 국내가격을

외환가치액으로 변환시키는 데에 환인자를 사용하 으나 통 인 방법은 외환을

국내화폐가치로 바꿔주기 해 잠재환율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의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역가격 근법에서는 교역가격을 잠재가

격의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통 방법에서는 일종의 평가가격으로서 국내 시

장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두 가지 방법의 차이가 평가척도의 단순한 변경

으로 설명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수리 모형 하에서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이 될 수

있느냐를 분석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Dasgupta-Stiglitz(1974)에 의하면 물품세와 세

에 해 최 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 교역재의 잠재가격은 교역가격이 비교역재의 잠

재가격은 한계외환비용(marginal foreign exchange)이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 다 한 Dinwiddy-Teal(1987)도 물품세와 세가 고정되어 있다면 비교역재의 잠재가격

은 외환상응액이 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들의 결론은 모두 OECD의 교역가격 근

법의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주장이 된다 그러나 정부에 산제약이 부과되어 정액세 등이 존재하거나 규모수익불변 신

에 규모수익체감의 기술조건이 제되거나 는 외환제약이 부과된다면 물품세와

세가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교역가격 근법이 성립하지 않는다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론 조건들을 규명하려는 경제학자들의 노력은

Blitzer-Dasgupta-Stiglitz(1981) Bell-Bevarajan(1983) Mookherjee(1986) 등에 의해 이어

졌는데 폐쇄경제 하에서 생산자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가 극히 제

한되는 것처럼 개방경제하에서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역시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밝 졌다

1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나 현실적 타당성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론 조건을 탐구하려는 노력이 1980년 에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교역가격 근법의 실 타당성은 이러한 이론에 기

반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일반 으로 교역가격 근법이 타당한 경우로는 국내 시장

가격이 극도로 왜곡되어 있는 경우 수입자유화가 극히 제한 으로 시행되는 경우 소비자후생을 타당성평가의 가치기 으로 채택하기 곤란한 경우 등에서 주로 나타난

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통 방법과 교역가격 근법의 차이는 자유무역에의 신념 는 무역의

이익(Gains from Trade)에 한 에서 크게 다르다는 사실이 부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통 인 방법은 기존의 무역정책 하에서 공공투자사업으로 야기되는 실제

의 경제 효과를 심으로 평가한다 물론 가까운 미래에 무역정책의 변화가 상되

는 경우에는 이를 반드시 고려할 것을 주장하고는 있다 그러나 교역가격 근법은

자유무역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국내생산을 가장 효율 이라고 간주하여 이의 달성

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완 한 폐쇄경제하에서 국내생산은 소비자의 재 미래 요구에 따라 이루

어질 것이고 이로부터 재화의 상 가격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소득분배가 심각

하게 불공평한 폐쇄경제하의 가격은 신뢰할 수 없으며 이 가격에 따른 자원분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견해이다 오히려 완 한 개방경제하에서는 국내생산은 오직 무

역가능성 만으로 결정될 뿐이므로 국내의 왜곡된 경제상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효율 인 생산은 자유무역하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추구하는

것은 교역가격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이처럼 통 방법과 새로운 방법은 평가척도의 차이뿐만 아니라 공공투자평가

에 한 기본 인 시각에서도 서로 다르다 교역가격 기 법은 기본 으로 제2차 세

계 이후에 신생독립한 개발국들의 경제개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규모 투자

사업의 심사평가를 주안 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시장기능이

결여되고 소득분배는 극도로 악화되어 있는 개발국에서 통 방법을 채택하여

그 국내가격을 기 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처럼 시장기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국내가격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제개발의 기 단계에서

는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처럼 시장기능이 발달되어 있는 국가에서는 국내가격을 평가단

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특히 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외 개방이 이루어진 경

우에는 특별히 교역가격을 평가의 기 으로 삼을 이유는 없을 것이다58) 국 등의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7

선진국들이 국내의 공공투자사업에 교역가격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

는데 이들도 해외원조사업에 해서는 교역가격 근법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

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59)

58) 우리 나라의 수입자유화율은 70년 반까지는 50 후 으나 80년 후반 이후 95를 상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999에 달한다

59) 국 ODA(Overseas Development Administration)에서 발간한 해외원조사업 타당성평가 지침 Appraisal of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에 의하면 교역가격 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국 내부의

공공투자사업에서는 국내 시장가격을 사용하는 지침이 제시되고 있다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가 문제제기 및 쟁점검토

공공투자사업의 경제 타당성 평가 시 사회 할인율은 편익 비용 추정치를

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비용 비율을 구하는 데 있어 가장 요한 라미터의 하

나이다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형 공공투자사업에 한 사 평가 방안으로 기획 산

처의 의뢰에 따라 1999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수자원부문을

제외한 모든 사업부문에 75의 실질 사회 할인율을 용하고 있다그러나 최근 시장상황을 보면 성장률 둔화와 더불어 이자율 한 지속 으로 낮

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자율의 하락은 사회 할인율의 수 에 요한 함

의를 가진다 최근의 리 추세가 일시 경기변동 상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장

기 추세변화로 고려된다면 사회 할인율 역시 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물론 시장이자율 하락이 즉각 인 사회 할인율 조정으로 인식되어서는 안되는

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 할인율에서 고려하는 투자수익률과 기업들의 자 조달비용과는 차

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는 시장이자율 혹은 출이자율이

자 의 조달비용인 동시에 할인율이라고 볼 수 있으나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정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69

할인율은 시간선호율과 투자의 수익률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를 들어 투자의 조정비용이 존재한다면 출이자율이 외생 으로 하락할 때 기

업들의 투자수익률이 출이자율과 같아지는 수 까지 자본스톡을 즉각 조정하지 않

을 것이며 괴리를 나타낼 것이다둘째 최근의 리가 실제 투자수익률의 하락을 반 하는 것이라고 해도 그것이

일시 인 것이라면 자본의 잠재 가격에 미치는 효과는 더 작게 된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할인율 변동의 어려움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는 자본의 잠재가격을 비롯한 여러 가지 라미터의

값들에 한 가정이 요구되므로 사회 할인율의 정확한 값을 결정하기 어려우며 자본의 잠재가격 자체도 여러 다른 가정들이 제될 때만 추정가능하다 따라서 경

제 내 명백히 추세 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사회 할인율의 조정은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려울 것이다 한 최근 우리 경제에서 찰되는 성장률과 이자율의 하락

이 격한 것이 사실이나 아직 이러한 상이 진정한 추세 변화를 나타내는 것인

지 아니면 단기 변동에 불과한 것인지를 결정하기에는 시기 으로 이른 것으로

단된다하지만 최근 계속 이어져온 리 성장 기조에 따른 사회 할인율에 한

조정 요구가 있어 왔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조정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리 성장 기조를 살펴보고 기존의 사회 할인율 추정방식

국내외 사회 할인율 연구와 용사례 조사를 통해 사회 할인율 조정의 필요

성을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나 기존 지침의 사회적 할인율 추정방식에 대한 검토

사회 할인율 결정에 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으나 부분 사람들에 의해

서 이론 으로 가장 엄 하다고 여겨지는 방법은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하는 것이

다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한 순 재가치의 계산은 어떤 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비

용과 편익을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한 다음 그 가운데 미래에 발생하는 부분을 시간

선호율로 할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간선호율을 할인율로 사용하는 이유는

모든 비용과 편익이 소비단 로 표시되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자본의

잠재가격 외에도 여러 라미터 값들에 한 가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개별 평가자

의 자의 인 단이 개입될 여지가 커지는 문제 을 지닌다 한 자본의 잠재가격

자체의 추정은 불가능한 것이 아닐 지라도 어떤 사업에 따라 매 기에 발생하는 비용

과 편익을 다시 소비분과 투자분으로 구분하는 일은 더욱 큰 어려움에 직면하는 문

1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 을 갖고 있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그 차선책으로 기존의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을 용

하되 사회 할인율의 수 은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

다 즉 평가척도를 lsquo소비나 투자로 처분되기 이 의 소득rsquo으로 정의함으로써 이러

한 문제를 피하고 있다 행 용하고 있는 사회 할인율은 다음과 같은 lsquo소비나

투자로 처분되기 이 의 소득rsquo의 기간별 가치변화율을 추정한 것이다

추정식 sdr =(1- s)ρ

(1- s)+ s M i (Ⅷ-1)

여기서 sdr은 기간별 가치변화율(사회 할인율)을 ρ는 시간선호율을 s는

재투자율 Mi는 i기 투자의 잠재가격을 나타낸다사회 할인율을 추정하는데 있어 실질이자율의 개념으로 제시되어야 하는데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련계수를 모두 명목개념으로 추정한 후 명목 사회 할

인율을 실질개념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 다 왜냐하면 모든 계수를 실질변수

로 계산하여 실질 할인율을 계산하기 해서는 각 계수의 명목변수를 실질변수로

환하기 하여 기 물가상승률을 평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 사

회 할인율의 수치는 궁극 으로 정책 단의 문제라는 을 고려하여 모든 계수

를 명목수치로 계산한 후 평가된 명목 할인율 값을 히 해석하는 방법으로 실질

할인율 값을 제시하 다시간선호율은 사 시간선호율보다 일정 수 낮게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 시간선호율의 개략 지표를 평가 후 이들 값에서 가능한 최 수 을 선택하

다 사 시간선호율은 1990~1998년 기간의 납세후 수익률 변동 추이를 참조하

다 세후수익률 자료를 참조할 때 명목 시간선호율 값은 략 6~10의 범 내에

있어 75(8 내외)를 사회 시간선호율 값으로 간주하 다투자수익률의 경우 민간투자의 한계수익률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민

간기업의 자본비용으로 간주하 다 남주하 amp 조장옥(1996) 최도성(1998) 이 세

(1999) 등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우리나라 명목 총자본비용은 략 13~14 내외에

있다고 간주하 다 재투자율은 국민소득 계정으로부터 평가되는 총 축률로 간주하

여 1990년 이후 평균치가 35로 계산하 다이상의 라미터를 이용 투자의 잠재가격을 평가하면 략 2~3의 값을 가지는데

이는 한 번 투자된 자본은 구히 사용가능하다는 제하에서 도출된 값으로 과 평

가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15~20의 값을 정범 로 간주하 다이상을 종합하면 명목가치로 시간선호율 8 투자수익률 13~14 재투자율 35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1

투자의 잠재가격 15~20으로 간주하여 식에 따른 추정결과 사회 할인율을 명목

가치로 9~10 제시하 으며 lsquo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로 해석가능하나 지 까지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75(최 8)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지 까지 사용해 온 할인율 수치에서

지나치게 벗어남으로써 나타나는 혼란을 방지하고 물가상승에 한 기 가 크지 않

다는 사실을 고려한 수치이다

다 최근 주요 경제변수 추이

사회 할인율의 조정 필요성을 살펴보는 척도로 주요 경제변수인 최근의 시장이

자율과 경제성장률 추이를 살펴보았다 앞에서 언 하 듯이 시장이자율 변화가 즉

각 인 사회 할인율 조정으로서 의미를 가지지는 않지만 사회 할인율 추정의

요변수에 직 이용되거나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경제성장률 역시 유사한 향

을 갖는다다음 lt표 Ⅷ-1gt은 최근 시장 리와 련된 주요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시장

리 시계열의 가장 큰 특징은 1997~98년 외환 기 이후 명목 시장이자율의 격한

하락이 일어난다는 것이며 한 최근 3년간 매우 낮은 리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

다 이는 매우 짧은 시계열을 가지고 살펴본 것으로 해석에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

다 한 최근 3년간의 리 추세는 단기 (경기변동 )인 상인지 장기 (추세변

화)인 상인지에 해서는 시 에서 단하기는 어려운 이 존재한다

1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Ⅷ-1gt 시장이자율 추이

연 도국채수익률 회사채수익률

(장외)콜 리

-익일물

축성

수신 리3년만기 5년채 10년채

1992 1508 - - 1621 1426 -

1993 1207 - - 1263 1198 -

1994 1229 - - 1292 1228 -

1995 1339 1254 - 1379 1238 -

1996 1184 1159 - 1187 1235 924

1997 1226 1217 - 1339 1349 974

1998 1294 1318 - 151 1507 1139

1999 769 859 - 886 493 624

2000 83 867 776 935 505 618

2001 568 621 686 705 465 481

2002 578 626 659 656 418 402

2003 455 476 505 543 397 415

평균 1016 933 657 1110 955 697

97년 이

평균1293 - 1348 1265 -

99년 이후

평균640 690 657 745 456 508

주 회사채수익률은 3년만기 회사채기 (단 1998년 8월까지는 보증부사채 2000년 9월까지는 A+ 무보

증사채 2000년 10월 이후에는 AA- 무보증사채기 )자료 통계청

다음으로 경제성장률을 살펴보기 해 1981년 이후 우리나라의 실질GDP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3

lt표 Ⅷ-2gt 경제성장률 추이

(단 10억원 )

연 도국내총생산

(1995년 기 불변가격)GDP 실질성장률

1981 1224122 65

1982 1312858 72

1983 1453306 107

1984 1573184 82

1985 1675019 65

1986 1858690 11

1987 2062872 11

1988 2278639 105

1989 2417255 61

1990 2634304 9

1991 2877379 92

1992 3033839 54

1993 3200442 55

1994 3464481 83

1995 3773498 89

1996 4028212 68

1997 4230067 5

1998 3947104 -67

1999 4377094 109

2000 4785329 93

2001 4933803 31

2002 5246894 63

자료 1) 한국은행 2) 통계청

1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981~2002년까지 평균 실질GDP 연간성장률은 72 다 하지만 앞의 연간 GDP 성장률을 통해서는 경기변동 상에 따라 성장률의 추세를 단하기 불분명하므로

lsquo80년 와 rsquo90년 실제성장률 잠재성장률을 비교하여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

이다 이를 해 한진희 등(2002)의 연구를 참조하 다

lt표 Ⅷ-3gt 실제GDP성장률과 잠재GDP성장률(1981~2000)

(단 )

1981~90 1991~00

1981~85 1986~90 1991~95 1996~00

실제GDP성장률 83 75 91 60 72 48

잠재GDP성장률 78 77 79 63 66 60

자료 한진희 등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망 2003~2012」 ꡔKDI 정책연구ꡕ 2002

실제성장률을 보면 lsquo80년 에는 83의 수 을 보이다가 lsquo90년 에는 60로 하

락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잠재성장률도 lsquo80년 78에서 lsquo90년 63로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squo90년 를 후반으로 나 어 보면 실제성장률은 lsquo90년 반

기에 72 수 을 보이다가 후반기에 48로 더욱 하락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잠재성장률을 추정해 보아도 66에서 60로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국 경제성장률은 80년 이후 90년 후반기에 걸쳐 꾸 히 하락하여 왔음

을 볼 수 있다 한진희 등(2002)의 연구에서 2012년까지 향후 잠재성장률을 측하

는데 2003~2007년 기간 48~54 수 을 보이고 2008~2012년 기간 45~51 수 으로 하락할 것으로 망하고 있다

라 사회적 할인율 관련 국내 연구내용

다음으로 최근 사회 할인율 련 국내 연구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사회 할

인율과 련한 최근의 국내 문헌으로는 국토연구원의 ꡔ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에

한 연구ꡕ(2001)60)가 있을 뿐이다 여기서는 국토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해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국토연구원(2001)의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기 하여 IBRD의 L

Squire amp H van der Tak(1975) 모형을 이용 추정하 다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

60) 다른 연구사례로 송병록의 ꡔ공공투자사업의 정 사회 할인율 분석ꡕ(2001)이 있으나 국토연구원의

연구보고서가 해당 연구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어 생략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5

정식과 동등한 계의 식이다61) 추정 결과 90년 평균이 실질 값으로 838로 추정되었으나 외국사례 SOC 투

자와 민간투자의 보완 인 계 등을 고려하여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일반 공공

투자사업에서는 75의 사회 할인율을 수자원개발 환경시설 낙후지역 개발 등의

사업에 해서는 55 제시하고 있다 수자원개발 환경시설 낙후지역 개발 등의 사

업의 경우는 계량화할 수 없는 편익이 포함되어 있다는 정책 필요에 의해 추진

되어져야 한다는 을 고려 2~3 낮은 수 의 할인율 용을 권고하고 있다일반지침의 추정식과 동등한 계의 식을 가지고 추정하 음에도 불구하고 그 추

정값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추정식에 사용한 모수들의 가정과 추정방법이 약간씩 차

이가 나기 때문이다 한 ꡔ일반지침(제3 )ꡕ과 달리 각 모수를 실질값으로 계산하고

있다투자의 잠재가격이 공공소득의 사회 가치와 소비재 환계수의 곱으로 나타난

다고 보았으며 소비재 환계수의 경우 잠재환율로 추정하 다 투자수익률은

Cobb-Douglas 생산함수를 구성 자본의 한계생산성을 직 추정하 으며(90년 평

균 1691) 시간선호율을 1998~2000년 기간의 은행 가 평균수신 리와 우량

회사채유통수익률을 이용하는 간 추계방법을 이용하여 1981년~1997년 기간의

은행 가 평균수신 리를 추정한 후 세후 실질 리를 계산하여 사용(90년 평균

364)하 다

마 최근 선진국의 사회적 할인율 적용사례

최근의 성장 리 기조는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선진국들에 나타나는 공

통된 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선진국들의 사회 할인율 용사례를 살펴

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 할인율 조정 필요성에 한 직간 인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국 EU 호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1) 미국

미국의 OMB(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의 Circular A-94(1992)에서는 민간

투자의 세 한계수익률(pretax rate of return on an average investment in the private sector)과 일치하는 값인 7를 실질 할인율로 제시하고 있으며 정부의 내부투자

(internal governments investment)의 경우 국채이자율(Treasury borrowing rate)로 할인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의 과부담

을 감안 최소 125 이상의 공공투자가 채택되어야 함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1992

61) 자세한 내용은 ꡔ일반지침(제3 )ꡕ XIV장의 부록을 참조하라

1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년 이후 사회 할인율에 한 조정요구가 존재하 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7 할인율을 고수하고 있다한편 CBO(Congressional Budget Office) GAO(General Accounting Office)에서는 공

공투자와 규제를 평가하는데 있어 국채이자율을 이용해 할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 다면 최근 30년 공채의 실질이자율이 35 수 임을 감안한다면 계속 으

로 사회 할인율을 낮추어서 용하고 있음을 간 으로 볼 수 있다실제 용기 들은 어떤 할인율을 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먼 FHW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의 고속도로 타당성조사 지침(1998)에서는 OMB(Circular A-94 1992)에서 제시한 사회 할인율 7를 기본으로 분석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다른 사회 할인율을 사용한게 된다면 민감도 분석을 통해 반드시 7 이자율

과 비교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DOT(Department of Transportation)에서는 도로의 타당성 평가에서 5~7의 할인율

을 용(ex Caltrans 1999 6)하고 있다 이는 OMB 지침과 AASHTO Red book(1977)에서 사회 할인율을 5 제시하고 있다는데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일부

DOT에서는 더 낮은 할인율을 용하여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

다 를 들어 MnDOT (Minnesota)의 지침(2001)에서는 30년 공채의 실질이자율이

35라는 것을 근거로 이를 사회 할인율로 제시하고 있다이상을 통해 미국의 경우를 살펴본 결과 공식 인 지침에서는 실질 사회 할인

율을 7로 고수하고 있지만 개별 타당성조사에서는 유연하게 할인율을 용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7 할인율과 비교함으로써 정책당국이 단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영국

국의 경우에는 리 성장 기조로 인하여 사회 할인율에 한 연구가

지속 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최근 사회 할인율을 하향 조

정하 다국의 공식지침서로 볼 수 있는 HM Treasury의 ꡔThe Green Bookꡕ(2003)에서는 30

년 이내의 장기투자사업에 한 사회 할인율로 35 제시하 고 30년 이상 75년

이내 사업에 해서는 30를 제시하고 있다할인율은 일반 으로 많이 활용되는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 추정식을 통해 계산하고 있다

추정식 stpr = ρ+μsdotg (Ⅷ-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7

여기서 ρ는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재 소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이며 g는 연간 1인당 소비증가율 μ는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를 나

타낸다 결국 μsdotg항은 소비 변화에 따른 한계효용체감효과를 반 하기 한 항이

다각 모수는 국의 최근 연구 결과를 반 하여 결정하고 있다 ρ는 Scott(1989)

OXERA(2002) 등의 연구 결과에 따라 15의 값을 g는 Maddison(2001)가 1950~1998년 기간의 1인당 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21의 값을 제시함에 따라 여기서는 20을 μ

는 Pearce amp Ulph (1995) Cowell amp Gardiner(1999) OXERA(2002)의 연구결과에 따라

10의 값을 선택하 다 식을 통해 실질 할인율을 계산한 결과 실질 할인율로

35를 제시하 다 이 HM Treasury(1997)에서는 세 장기자본비용(pre-tax long-term cost of capital)

시간선호율과 일치하는 값은 4 으나 사회 할인율로서 6를 권장하 었는

데 이는 PFI(private finace initiative)의 운 측면을 고려하 기 때문이다 결국 최근

논의에 따라 사회 할인율을 6에서 35로 하향 조정하 음을 살펴볼 수 있다한편 국의 사회 할인율 용에 있어 하나의 특징은 실질 할인율 용

은 편익비용 발생기간이 30년 미만의 사업에 용되고 보다 장기 인 사업의 경

우 더 낮은 할인율을 용해야 된다고 제시하고 있다는 이다 Weitzman(1998 2001) Gollier(2002)는 미래의 불확실성의 결과 장기 할인율이 감소됨을 보임에 따라 이를 반 하 으며 기간에 따른 할인율 용 제시 값은 다음 표와 같다

lt표 Ⅷ-4gt 장기할인율 추이

기간(년) 0~30 31~75 76~125 126~200 201~300 301~

할인율() 35 30 25 20 15 10

(3) EU

유럽 집행 원회(European Commission 이하 EC)에서는 일련의 유럽통합지원기

(Structural Funds Cohesion Fund Instrument for Pre-Accession countries)을 집행함에 있

어서 일정 액(각각 50만 euro 10만 euro 5만 euro)을 과할 경우 비용-편익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EC에서는 사업 부문별 지역국가간 행정 기 별로 분석 방법론상의 차이가 존

재함에 따라 공통 인 분석방법론 용이 필요하 다 이에 공식 인 지침(Guide to

1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 2002)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지침의 방법론

을 통해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EC 지침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경제성 분석에서의 사회 할인율을 5로 제

안하고 있다첫째 5라는 수치는 EU 장기 EIB채권의 실질 수익률의 약 2배이므로 민간기업

의 자본조달 기회비용의 하한으로 간주될 수 있다 둘째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식

(Ramsey 방정식)을 이용할 경우 약 3~5의 값으로 추정된다 셋째 할인율의 기 으

로 실질 성장목표를 반 하는 요구수익률을 고려할 수 있는데 EU지역의 평균 실질

성장률 25~3보다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기 해서 EU의 후진국들은 더 높은 수익

률로 투자할 것이므로 5라는 수치는 이러한 에서도 양립가능하다EU의 경우 공식 인 지침이 최근에 발간되었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 조정과

련된 이슈는 없었지만 사회 할인율 결정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함의를 주고 있다

(4) 호주

호주에서는 재 사회 할인율 수 을 DoF(1991)의 8(BTRE에서는 주로 7)를

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인 BTE의 ꡔFacts and Furphies in Benefit-Cost Analysis Transportꡕ(1999)에서는 재 용되는 사회 할인율보다는 4 할인율이

더 할 것이라 제안하고 있다공공투자는 어도 민간투자의 수익률과 어느 정도 부합할 수 있는 사업이 선택

되도록 사회 할인율을 선택해야 하나 공공투자사업과 성격이 유사한 민간투자사

업의 사례를 찾아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차선책으로 매우 안 한 자산(ultrasafe asset)의 수익률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러한 자산으로 높은 신용등 을 가진 국채의

수익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므로 사회 할인율로서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사용하

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그러므로 호주의 10년 만기 국채(CBR-10)의 기 실질이자율이 4이므로 이를

사회 할인율로 삼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는 도로사업의 경우 편익이 장기에 걸

쳐 생성된다는 호주의 국채 CBR-10이 만기가 최장기인 국채인 을 고려한

것이다사회 할인율을 4로 삼을 경우 지 까지 사용해온 DoF(1991)의 8(BTRE에서

는 주로 7)와 격차가 큰 데 이 격차를 험 리미엄으로 본다면 험의 고려는 할

인율에서 고려하는 것보다 다른 방법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회 할인

율로는 4를 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이 보고서 이후 실제 용하고 있는 평가보고서(ex BTRE wp 45 등)를 살펴보면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9

실질 할인율 4와 7를 함께 용하여 분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호주 역시 사

회 할인율 조정요구에 따라 미국과 같이 유연하게 사회 할인율을 용하여 평

가보고서를 제시하고 정책당국이 단하도록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바 사회적 할인율의 적정수준에 대한 견해

사회 할인율 조정 필요성에 한 직 인 연 성은 없지만 사회 할인율의

정수 에 한 여러 견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살펴 으로써 사회

할인율 수 에 한 하나의 척도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일부에서는 산 제약이 강할 때(특히 긴축재정 시)에는 높은 사회 할인율 수

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자원이 희소할수록 사람들은 미래에 발생할 편익들보다

재 편익을 더 강하게 선호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할인율이 높을수록 편익이

기에 발생하는 사업에 한 평가를 내리게 되는 것이다 공공사업의 경우 일반

으로 산제약 하에 미래의 편익을 해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의 타당성을 평

가하는데 있어서는 높은 할인율 수 이 바람직하다고 보는 견해이다 특히 재정사업

의 타당성 결정은 그 재원과 사업시행에 따른 수혜자가 불일치한다는 에서 근본

으로 보수 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하지만 높은 할인율 수 은 SOC 사업과 같은 장기사업의 시행을 어렵게 하는 측

면이 있으며 단기에 높은 편익이 발생하는 사업을 주로 공공정책을 수행할 수밖

에 없게 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장기 인 사업의 경우 세 간 자원배분의 문제가 발

생하므로 높은 할인율 수 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래 세 를 한 투자

인데 높은 할인율로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은 미래 세 의 편익을 거의 고려하지 않

게 되는 것이다한편 규모 사업의 경우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은 체 경제효과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낮은 할인율을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있다 를 들어 도로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은 주로 이용자 통행 비용에 을 두고 있어 경제 효과

와 같은 확산효과를 측정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낮은 할인율을 용함으로

서 이러한 효과를 반 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간 효과를 경제 편익

으로 삼는 것에 해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편익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할지라

도 이는 분석에 있어 편익을 추가 으로 반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할 문제이

지 할인율을 조정하여 이를 반 한다면 다른 왜곡을 낳을 험이 있다 다른 견해로 높은 할인율이 분석자로 하여 편익을 과 추정하게 만드는 요

인이 되므로 할인율 수 을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이러한 견해는 반

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즉 편익을 과 는 비용을 과소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1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러한 허 값들을 감안하여 할인율을 높게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

한 문제들은 분석가들이 정 편익 수 과 비용 수 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리

차원의 문제이지 할인율의 조정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 조정에 한 논거로 보기는 어렵다

마 소결

이상을 통해 사회 할인율의 조정 필요성에 하여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 경제주요지표인 리 성장률을 살펴보았을 때 특히 최근 3년간 리

성장 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이러한 상이 단기

인 상인지 추세변화인지에 해서는 좀더 긴 시간을 두고 단하여야 할 문제이나 최근의 상을 반 한다면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 미치는 모수들의 값들에 하여

수정하여 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제시하 던 사회 할인율 75는 비타당성조사가 시행

되기 이 의 타당성조사에서 통상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과도한 조정을 피하고자 제시한 값이었다 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까지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는 사회 할인율 수

에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다비록 짧은 시계열 자료라는 한계는 있으나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들에서 나타나는

상이고 앞으로의 경제성장률 망 역시 차 으로 낮아진다고 상하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재 용하는 실질 할인율 75는 다소 높은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물론 공공투자사업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정 수 에 해서는 단순한 수치상

의 제시보다는 정성 인 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외국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었

듯이 최근의 경제 상에 따른 사회 할인율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2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재 용되고 있는 사회 할인율에 해서 조정 필요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단된다 이에 정 사회 할인율 수 은 어느 정도인지에 해서 살펴보고자 한다국내외 주요사례를 통해 실무 으로 용되고 있는 사회 할인율 결정방법은 다

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근 방법으로 나 어 볼 수 있다첫째 미국호주 등에서 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공공투자의 타당성은 어도

민간투자의 수익률과 부합되어야 한다고 보는 통 인 이다 이러한 에서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1

사회 할인율은 공공투자와 직 비교할 수 있는 민간투자사업을 찾기 어려우므로

무 험 이자율로 볼 수 있는 장기 국채이자율을 사회 할인율의 기 으로 삼게 된

다 그러나 재무성 분석에서는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사회 할인율로 여길 수 있으

나 경제성 분석에서는 재무성 분석과 달리 사회 체의 자원배분을 고려해야 한다는

에서 무 험 시장이자율 용에 한 이론 근거가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둘째 우리나라나 국62)에서처럼 사회 할인율의 추정모형(특히 IBRD 모형)에

따라 사회 할인율의 범 를 추정하고 그 정 값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는 이

론 뒷받침은 있으나 할인율 결정을 해서 사용되는 모수가 여러 개이며 모수 추

정을 해서는 연구자의 자의 인 제에 따라 그 값이 상이하다는 단 이 있다 일례로 국토연구원의 연구와 ꡔ일반지침(제3 )ꡕ을 비교해 보더라도 동등 계의 식을

통해 추정되는 값의 범 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다그러므로 정 사회 할인율 수 을 가늠하기 해서는 다각 인 측면에서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정 추정식을 통해 사회 할인율의 범 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

며 다만 추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는 기 이자율(reference rate 를 들어 미국의 30년 공채이자율과 같은 무 험 이자율)과의 계를 통해 합성을 검토하여 할 것이

다여기서는 먼 기 이자율과의 비교를 통해 사회 할인율을 략 으로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추정모형을 통해 정수 을 추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사회 할

인율의 정수 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가 기준이자율을 통한 사회적 할인율 수준 검토

앞의 주요 외국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미국이나 호주의 경우 장기 국채의 리

는 기 실질이자율을 통해 사회 할인율을 가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30년 만기 국채가 존재하여 장기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있는 반

면에 호주는 10년 만기 국채가 최장기 국채로 이에 한 기 이자율을 계산하여 장

기 무 험 시장이자율로 삼고 있다우리나라의 국고채 비교 장기라고 볼 수 있는 국채는 5년 만기와 10년 만기

국채가 존재한다 그러나 10년 만기 국채의 경우 시장거래빈도가 작아 이를 그 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최근에는 시장상황을 어느 정도 반 하고 있다고

는 하지만 기 시 에는 5년 만기 국채보다 리가 낮았던 경우도 있는 등 사회

62) 국에서는 사회 할인율로 사회 시간선호율 개념을 용하고 있으나 시간선호율 개념을 엄격히

용하기 해서는 재가치를 계산할 때도 자본의 잠재가격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시간선호율 개념

을 사회 할인율로 직 용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1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할인율 계산에 사용하기에는 아직 부 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0년 만기 국채를 이용하는 것 보다는 장기 국채 리로 5년 만기 국채를 이용하고자

한다다음 표에서 볼 수 있었듯이 1995년 이후 평균 명목 리는 933이며 1999년 이

후 평균 명목 리는 690 다 이를 실질 리로 구하기 하여 소비자 물가지수

를 통한 물가상승률을 고려하 다 다음 표는 1995년 이후 5년 만기 국채의 실질

리를 나타낸다

lt표 Ⅷ-5gt 5년 만기 국고채 실질 금리 추이

연 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명목 리 1254 1159 1217 1318 859 867 621 626 476

물가상승률 444 498 440 754 082 225 41 269 355

실질 리 810 661 777 564 777 642 211 357 121

주 물가상승률은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 으로 함

1995년 이후 평균 실질 리는 547 으며 외환 기 이후 rsquo99년부터 평균 실질

리는 422 다 최근 3년간 평균 실질 리만을 고려하면 23로 더욱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략 으로 5년 만기국채의 실질 리는

4~5 수 인 것으로 간주하 다공공사업의 편익을 고려한다면 5년 만기 역시 상 으로 단기에 속한다 공공사

업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지 까지 20~50년을 분석기간으로 삼아 왔다 그러므로

실질 리에 장기 리미엄(term premium)을 더해주어야 사회 할인율로 간주할

수 있는 수 이 될 것이다 장기 리미엄의 수 은 미국 국채 리 스 드의 과거

20년간 평균이 약 2인 을 감안하 다 이는 3개월 만기와 30년 만기를 고려한 것

이다 우리나라의 3년 만기와 5년 만기의 리 스 드가 약 1란 을 감안한다면 장기 리미엄으로 1를 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 할인율을 가늠할 수

있는 기 이자율 수 은 5 ~ 6 수 에 있을 것으로 단된다 물론 최근 3년간만을

고려한다면 더 낮은 값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3

나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본 연구에서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으로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지 않고 국 EU 등에서 이용하고 있는 추정식을 이용하여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의

경우보다 더 은 모수들을 활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는 장 이 있고 이 게 추정된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을 고려한 것이다

stpr=ρ +μsdotg (Ⅷ-3)

앞 에서 살펴보았듯이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삼기 해서는 비

용-편익 분석에서 잠재가격을 이용하여 편익과 비용을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하여

용하여야 한다 Spackman(1991) Pearce amp Ulph(1999)는 잠재가격이라는 것은 정책담

당자나 실무자들에게 매우 생소한 개념이며 국의 경우에는 잠재가격 자체도 거의

1에 가까워 이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을 들어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용하여도 무방하다고 주장하 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투자의 잠재가격을 20~30으로 추정하 는데 이는 한

번 투자된 자본이 구히 사용가능하다는 제하에서 추정된 값이기 때문에 만약

투자된 자본이 진부화되어(감가상각이 아닌) 일정 기간 이후 투자수명이 종료한다고

가정한다면 그 값은 크게 낮아질 수 있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도 이러한 을 고

려하여 비록 향 후 몇 년 정도의 기간 내에 투자수명이 종료할 건인가에 해서는

다른 단이 필요할 것이므로 략 15~20의 값을 정 범 로 간주하고 있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투자의 잠재가격을 별도로 추정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잠재가격이 10을 상회한다면 식에 의해 추정된 사회 시간선호율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으로 단할 수 있다

(1) 시간선호율( ρ )의 추정

여기서 시간선호율은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추정한 재 소

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을 의미한다 시간선호율은 통상 경제주체들의 축

행태(saving behavior)를 통해 추정한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1990~1998년 기간의 납세 후 수익률 변동 추이를

참조하여 매년도 종류별 잔액과 세후수익률을 구한 후 이들을 가 평균하는 방

1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법으로 추세와 범 를 단하 다63) 다음 표는 1990~1998년 세후수익률 추이를 나

타낸다

lt표 Ⅷ-6gt 세후 수익률 추이(1990~1998)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평균

세후수익률

(최 ) 542 559 669 560 537 611 609 833 701 625(598)

세후수익률

(최 고) 900 953 1014 947 991 1036 1015 1211 985 1006(980)

평 균sup1 721 756 842 754 764 823 812 1022 843 816(789)

주 세후수익률의 최 와 최고의 산술평균이고 ( )내 수치는 IMF 구제 융 기하의 단기 고 리 기간

을 반 하는 1997년을 제외한 수치임자료 KDI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 2001

표에서 90년 명목 세후 수익률의 값은 략 6~10의 범 내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매년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실질 세후수익률을 구해보면 0~3 수임을 알 수 있다다음으로 최근 3년간 세후 수익률의 변동 추이를 개략 으로 살펴보기 하여

은행 순수 축성 64) 잔고와 은행 가 평균 수신 리 자료를 참조하 다

63)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일반지침(제3 )ꡕ pp385~386를 참조하라

64) 은행 순수 축성 은 크게 정기 정기 주택부 상호부 으로 구성되나 본 연구에

서는 자료취득이 용이한 정기 정기 상호부 만을 고려하 다 그 밖의 축수신성 상품으

로 개인연 신용 동조합의 정기 탁 축은행의 정기 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은행에 비해 그 비 이 작을 것이므로 크게 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 표지 어음 은행 양도성 증서 등 시장형 융상품들이 존재하나 최근 동

향으로 세후수익률 수 에 큰 차이가 없어 분석에서 고려하지는 않았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5

lt표 Ⅷ-7gt 최근 3년간 예금잔고 및 수신금리

(단 십억원 )

구 분 종 류연 도

2001 2002 2003

은행

종별 (말잔)

정 기 21501380 25202210 26908240

정 기 1946790 1999970 2017340

상 호 부 1705050 1517280 1454170

은행 가 평균

수신 리

정 기 553 498 428

정 기 751 637 533

상 호 부 793 664 564

자료 한국은행

이자소득세율 165를 용하여 세후 수익률을 구하면 369~488로 계산되며65)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실질 가치로 환산하면 3년 평균으로 약 085로 계산된다

한 「세 우 종합 축」제도의 도입으로 축기 이나 축상품에 계없이 개인

별로 일정한도에서 세 우 혜택이 부여됨66)에 따라 세율을 105로 용한다면

실질 세후 수익률로 약 115까지 계산된다lsquo90년 실질 세후 수익률이 0~3 고 최근 3년간 실질 세후 수익률을 구해 본

결과 085~115 다는 에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 시간선호율의 값을 개략 으로

10~15로 범 로 추정할 수 있다

(2)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추정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추정에 있어 Pearce amp Ulph(1999)는 단기의 과거 자료를

사용할 경우 몇 가지 문제 이 있음을 지 하 다 즉 소비와 여가의 체 계에 의

하여 1인당 소비증가율이 과소 추정될 우려가 있는 반면에 소비의 사회 비용을 고

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 추정될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Pearce amp Ulph는 1인당 소비증가율을 추정함에 있어서 매우 장기의 소비증가율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65) 이자소득세율은 세법상 15이며 이에 한 주민세 10를 고려한 것이다

66) 일반인은 4000만원 노인과 장애자는 6000만원 미성년자는 1500만원 한도 내에 가입이 가능하다

1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주장하 다본 연구에서는 1인당 소비증가율( g )은 1인당 GDP 성장률로 볼 수 있으므로 1인

당 GDP 성장률의 장기 망치를 통해 1인당 소비증가율을 가름해보고자 한다장기 GDP 성장률에 한 연구로는 기존 KDI 망치인 이진면김동석김민수

(2001)와 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2002)의 연구가 있다 여기서는 2010년의

GDP성장률 수 을 45~52로 망하 고 향후 2020년의 성장률은 40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망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20년 동안 잠재성장률은 평균 45로

간주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단된다67) 이를 1인당 성장률로 환산하려면 인구증가율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살펴보기

하여 통계청의 인구 망을 참조하 다 다음 표와 같이 통계청에서 망하는 우리

나라의 인구증가율은 계속 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2024년부터는 음(-)의 성장률로

환되어 총인구수가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평균 인구증가율로

03를 고려하 다이상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값으로 42로 용한다

67) 물론 보다 장기를 감안한다면 더 낮은 성장률이 될 것으로 상할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수치로

제시된 값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45를 장기 성장률로 간주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7

lt표 Ⅷ-8gt 향후 인구 전망 및 인구증가율

(단 명 )

연 도 총 인 구 인구증가율

2003 47925318

2004 48199227 057

2005 48460590 054

2006 48710241 052

2007 48948463 049

2008 49175329 046

2009 49391042 044

2010 49594482 041

2011 49782861 038

2012 49954138 034

2013 50107196 031

2014 50240035 027

2015 50352318 022

2016 50444562 018

2017 50518349 015

2018 50575573 011

2019 50618727 009

2020 50650260 006

2021 50671508 004

2022 50682718 002

2023 50683490 000

2024 5067258 -002

자료 통계청

1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μ ) 추정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는 소비의 시간에 걸친 체탄력성( μ )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μ = -CsdotU

(C )

U (C )(Ⅷ-4)

여기서 C는 소비 수 을 U(C )는 소비 수 에 한 효용을 나타낸다 윗 식에

서 알 수 있듯이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는 소비 수 에 의존함을 볼 수 있다 하지

만 일반 으로는 μ 의 값이 일정하다고 간주하며 이에 따라 효용함수 형태로 등탄

력성(iso-elastic) 효용함수를 주로 이용한다6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μ의 값은 일

정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 다 한편 효용극 화 문제에서 효용함수 U(C )의 단조변

환에 따라 최 소비수 은 변하지 않지만 한계효용 탄력도는 효용함수 형태에 따

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축행태를 통한 μ 의 추정치는 그 한계가 있음

을 밝 둘 필요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축행태를 통한 μ의 값을 직 추정하 고 그 추정의 한계를 고

려하여 OXERA(2002) Pearce amp Ulph(1999)와 같이 사회윤리 인 측면에서의 정수

도 고려하여 개략 인 범 를 제시하고자 한다 Scott(1989)은 다음 식을 통해 μ를

추정하 다69)

SY = [ (1μ )(r-ρ )- y ][r- y ] 70) (Ⅷ-5)

여기서 SY는 축률을 r은 실질 리를 y는 소득의 기 증가율을 나타낸다 축률은 국민소득 계정으로부터 평가되는 총 축률을 이용하 다 총 축률은

lsquo90년 에는 35~37 수 에 있다가 최근 3년간 평균이 약 32로 하락하 다 본 연

구에서는 35를 축률로 가정하 다 실질 리는 기 지표인 3년만기 국고채 리

68) 등탄력도 효용함수의 표 형태는 다음과 같다

U(C) =a

1-μC

1-μ

여기서 a는 일정한 상수를 나타낸다

69) Pearce amp Ulph(1999)에서 재인용

70) 이 식은 Hicks(1965)의 다음 식에서 소득의 증가를 감안하여 수정한 식이다SY=1μ (1-ρr )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9

와 회사채 리를 고려하여 4~7로 설정하 고 소득의 기 증가율은 1인당 GDP 증가율의 값으로 체하여 42~5를 시간선호율은 앞에서 제시한 1~15를 고려하

다 각 모수들의 값을 용하여 보면 μ의 값으로 054~116의 범 를 가지는 것으

로 계산된다

lt표 Ⅷ-9gt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추정

구분y = 42 y = 5

ρ = 10 ρ = 15 ρ = 10 ρ = 15

r = 4 073 061 065 054

r = 7 116 106 105 096

다음으로 사회윤리 인 측면에서 μ의 값을 고려하여 보도록 하자 효용함수를

등탄력성 효용함수라고 가정하고 A (고소득) B ( 소득) 두 그룹을 고려하되 A그

룹의 소비수 이 B그룹의 소비수 의 2배라고 가정하자(즉 CA= 2CB )71) 이 경

우 소비의 한계 체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C-μA

aC-μB

= 2-μ (Ⅷ-6)

이는 A그룹의 1단 소비가 B그룹으로 환될 때 A그룹의 손실은 B그룹의

2- μ배의 이득만큼 가치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다음 표는 μ의 값에 따른 한계 체

율의 값을 나타낸다

lt표 Ⅷ-10gt 소비의 한계대체율

μ 05 08 10 12 15 20 50

2- μ 071 057 050 044 035 025 003

μ가 15의 값을 가질 때 고소득층의 추가 인 소득은 소득층의 동일 소득에

비해 약 35의 가치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는 Newbery(1992)가 언 한 평등주의의

71) 이를 세 간 문제로 생각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1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회윤리에서 실 되는 단기 에 해당된다72) Pearce amp Ulph는 이러한 기 에서

μ의 값은 10 근처가 정 수 임을 제안하 다이상을 통해 추정식에 의해 도출된 값과 사회윤리 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정 μ의 값이 10~12의 값을 가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4) 사회적 시간선호율( stpr)의 추정

이상을 통해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에 사용되어질 모수들의 범 를 개략 으로

추정하여 보았다 실질 가치로 순수 시간선호율( ρ )은 10~15의 값을 1인당 소비증

가율( g )은 42를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μ )는 10~12의 값으로 제시하 다 이

값들을 추정식에 용시켜보면 사회 시간선호율의 값은 55~60로 추정된다

lt표 Ⅷ-11gt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구 분 μ = 10 μ = 12

ρ = 10 520 604

ρ = 15 570 654

다 소 결

먼 사회 할인율 용에 이용되는 기 이자율을 구하여 보았다 5년 만기 국

고채의 실질 리에 장기 험 리미엄을 고려하여 50~60 범 의 값임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사회 시간선호율을 추정식에 따라 계산하여 본 결과 55~60의 범

로 추정되었다 다만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사용하기 해서는 투자

의 잠재가격을 활용하여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하여야 한다 재의 비용-편익 분석에

서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간주하려면 투자의 잠재가격이 10일 경우

에만 가능한 것이다 투자의 잠재가격이 10을 상회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사회

시간선호율 값보다는 높은 값을 가질 것이다사회 할인율을 투자수익률에 의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와 별도로 수행

된 연구에서 재무성 분석을 해 구한 실질 가 평균자본비용이 60로 추정되었다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다면 정 사회 할인율은 60 이하일 것으로 추정

된다 그러나 재 경제성 분석에서 약간의 민감도 분석을 제외하고 사업의 리스크

72) Pearce amp Ulph(1999)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1

에 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을 감안할 때 이보다 높은 수 의 할인

율 설정이 필요한 이 있다 한 할인율의 격한 조정을 피하는 측면도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그러므로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용할 실질 사회 할인율로 65를 용하기

로 한다

3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재 수자원 부문의 경우 분석기간을 50년으로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을 보다 낮은 값을 용하여 왔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편

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

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 으로써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의 경우 타부

문 사업과는 달리 낮은 할인율을 용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하 다 이는 타부

문 사업보다 낮은 할인율의 일 용으로 사업 부문간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으

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져야 한다 사업 부문간 차등 용에 한 논리 근거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

다73) 물론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에 낮은 할인율을 용한 것을 부문

에 따른 차등 용으로 해석하기보다 장기사업에 한 차등 용으로도 해석이 가능

하다 하지만 이럴 경우 분석 시 에 따라 사회 할인율을 차등 용해야하는 것으로

일 인 하향 용은 문제 을 가진다 장기에 발생하는 편익이나 비용을 단기에서

와 동일한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에 해서 지 과 같이 고정할인율을 용함으로서

지수 (exponential)으로 할인하는 것보다는 보다 완만한 형태로 할인하는 것을 고려

하는 즉 장기로 갈수록 더 낮은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선행연구들

이 존재한다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국(HM Treasury)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수

용하여 분석기간에 따라 할인율을 차등 용하며 그 할인율 수 은 낮아지게

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장기할인율의 차등 용에 한 그 근거 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73) 이에 해서는 제2 에서 보다 상세히 다룰 것이다

1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규범적 논거

고정 할인율로 할인을 한다는 것은 지수 인 할인을 한다는 것이다 즉 시 이

더 멀어질수록 할인율이 더 높을수록 그 시 의 편익이나 비용의 재가치는 0에 근

하게 된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와 같이 그 특성상 비용은 단기에 투입되는 반면

편익은 장기에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수 인 할인 하에서의 단은 오

로지 재 세 만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tyranny of the present)이라는 비 에 직면하

게 된다 이러한 을 감안하여 Arrow 등(1996)은 할인율을 측정하는 데 있어 과거

시장수익률에 의한 기술 인 근보다는 규범 인 근 하에서 미래 할인율은 보다

낮게 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극단 인 주장으로는 할인 자체를 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도 있다 Ramsey(1928)는

세 간 가치를 할인하는 데 있어 양(+)의 순수시간선호율 값을 용하는 것은 윤리

으로 바람직하지 못한(ethically indefensible)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경제학자들보다는 환경 등 비경제 인 분야에서 종종 주장되어 왔다 환경고

갈 지구 온난화 등의 향은 매우 먼 미래(다음 세 )를 고려하는 것인데 단순히 효

율성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형평성(equity)의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고 지

하고 있다보다 완화된 견해로 같은 세 내에서는 양(+)의 할인율로 할인을 하더라도 세

간(intergeneration)에는 (0)의 할인율로 할인을 해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OXERA(2002)에서도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하는 것은 재의 결정이 세

간 자원 배분의 문제가 될 경우에는 윤리 인 에서 분명한 편의(bias)가 존재

한다는 을 지 하고 있다 특히 장기에 편익이 발생하는 공공사업은 미래 세 를

한 재 세 의 투자인 을 고려한다면 단순히 지수 으로 할인하는 것보다 먼

장래에는 더 낮은 할인율로 할인해야 한다고 지 하 다사회선택(social choice) 이론에서는 이러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세 간 형

평성을 반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74) Chichilnisky(1997)는 할인인자가 장기에

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의사결정과정에서 미래세 가 반 되

지 않으므로 사회선택에 있어서 재세 나 미래세 가 시간에 걸친 의사결정에 있

어 독 인 치에 있어서는 안된다는 공리(axiom)를 도입하 다 한편 Li amp Loumlfgren(2000)은 사회의 목 함수에 재세 와 미래세 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의사결정 체제를 가진 경제주체의 개념을 도입하 다 한 그룹은 의사결

정에 있어 자신의 시간에 걸친 효용의 재가치를 극 화하는 그룹으로 양(+)의 시

74) OXERA(2002)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3

간선호율을 갖고 다른 그룹은 자연자원의 양을 유지하고자 하는 그룹으로 (0)의

시간선호율을 갖는 그룹이다 사회 체의 목 은 이 두 그룹의 복지(well-being)를 극

화하는 것으로 이 게 되면 매우 먼 미래의 가 치(할인인자의 값)가 0이 되는 것

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가 치를 가지게 됨으로서 재세 의 독재 인 치를 완

화시킬 수 있고 세 간 형평성을 고려하게 됨을 보여주었다 한 이러한 틀 내에

서 할인율이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으로써 가장 낮은 할인율을 가진 그룹이 매우

먼 미래의 의사결정에 주도 인 치를 가짐을 보여주었다

나 Weitzman(1998)의 연구

Weitzman은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이 존재 한다면 매우 먼 미래(far distant future)의 할인율75)은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작은(lowest-possible) 이자율이 됨을 보여

주었으며 할인율이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을 이론 으로 보여주었다 할인율 자체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비용-편익 분석에 앞서 할인율의 함수인

할인인자의 범 를 추정해야 한다 할인율이 낮을 때는 할인인자가 높은 값을 가지

므로 비용과 편익의 재가치 에서 미래의 가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될 것이

고 할인율이 높을 경우에는 매우 작은 비율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의 확률 값을 고려한 확률 동등 재가치(certainty equivalent present value)를 고려하여야 되는데 낮은 할인율을 가진 시나리오들이 가 평균에 있어 더 높은

요성을 가지게 될 것임을 알 수 있다Weitzman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의해 t시 의 할인율을 dr j ( t )로

76) 표 하 다 즉 시간의 함수로 표 하 다

그러면 할인인자(discount factor)는 dj ( t)equiv exp ( -⌠⌡

t

0dr j (τ)dτ)로 나타낼 수 있

고77) 시 t의 확률동등 할인인자 D ( t )는 sum p jd j ( t )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확

률 동등 할인율 DR ( t )는 정의에 의해 로 표 할 수 있다

Weitzman은 매우 먼 미래(far-distant-future)의 할인율 DR ( equiv limtrarrINF

DR( t ) )는 일

어날 수 있는 가장 작은 할인율 drmin( equiv min j dr

j)와 같아짐을 보여주었다78)

75) 보다 정확한 의미에서 확률동등 할인율(certainty-equivalent discount rate)을 의미한다

76) 여기서 아래첨자 j는 확률 p j gt 0 을 가진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사건)를 나타내며 sump j= 1이다

77) 이는 연속 시간(continuous time) 표 이고 익숙한 이산 시간(discrete time) 표 으로 나타내면

a j ( t)equiv sumt

τ= 0

11+r j ( τ )

와 같다

78) 증명은 본 장의 부록을 참조하라

1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t gt T에 하여 임을 즉 할인율은 시간에 걸쳐 단조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을 고려하고 그 확률 값을 반 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Weitzman의 연구결과는 그 게는

하지 못하더라도 할인율에 내포되어 있는 불확실성 때문에 할인율 자체가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재와 같은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하는 신 장기 할인율은 차등 용해야 함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다

다 기타 연구

미래 성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게 된다면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식의 부의 효

과(wealth effect)를 고려하는 항목인 항목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효용의

체탄력도를 나타내는 는 상 험기피도(RRA relative risk aversion)를 나타낸다 즉 보유 자산의 크기에 따른 개별 경제주체들의 험 회피 정도를 나타내며 효용곡

선의 곡률을 의미한다 만약 미래 성장에 하여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험에

한 태도 역시 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Gollier(2002)는 개별 경제주체들이 신

(prudence)할수록79) 효율 사회할인율은 자산의 증가에 따라 감소함을 보여주었

다80) 특히 Gollier는 감소하는 험회피도를 보편 으로 받아들임에도 불구

하고 고정 할인율을 용하는 것은 비효율 인 평가기 이 된다고 지 하 다 1인당 경제성장률이 향후 계속 감소추세에 있다는 에서도 보다 더 미래의 사회

할인율은 낮아질 수 있음을 암시하여 다한편 이러한 들을 반 하여 할인인자의 함수형태에 을 맞춘 연구들도 존재

한다 통상 용하는 고정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지수함수와 같은 할

인인자를 갖는다

d t=1

(1+dr) t(Ⅷ-7)

여기서 dt는 할인인자를 dr은 할인율을 나타낸다 앞에서 제기된 문제 에 따

라 할인인자 자체를 지수함수 형태가 아닌 곡선처럼 보다 완만한 함수형태로 할인

(hyperbolic discounting)하자는 견해가 있다 이러한 함수형태의 표 인 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9) 여기서 신 하다는 것은 미래의 소득 험이 증가할 수록 축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80) OXERA(2002)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5

d t=1

(1+ ksdott) hk(Ⅷ-8)

다음 그림은 식의 모수 값 = 4 = 1을 용하 을 때의 곡선함수 형태

의 할인인자와 할인율 65를 용하 을 때의 지수함수 형태의 할인인자를 비교한

것이다

[그림 Ⅷ-1] 쌍곡선함수형태와 지수함수형태의 할인인자 비교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0 3 6 9 12 15 18 21 24 27 30 33 36 39 42 45 48

연도

할인인자

쌍곡선함수

지수함수

하지만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곡선 함수형태로 할인을 할 경우 기에 무

큰 할인율로 할인하게 되는 문제 을 안게 되어 그 용의 실효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라 소결

이상을 통해 장기를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방안을 검토하여 보았다 한 세 내에서의 선택문제라면 차등 용의 필요성은 떨어질 것이나 세 간 선택

문제가 두되면 차등 용을 조심스럽게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한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연구결과와도 어느 정도 일 성을 가진다

규범 인 측면에서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을 하게 된다면 미래세 에

한 고려없이 재세 만을 고려하는 의사결정이라는 비 에 직면할 수 있다 한 Weitzman(1998) Gollier(2002) 등의 연구에서 그 이론 뒷받침을 찾을 수 있었다 이

1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들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거나 미래 성장에 한 불

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됨을 보여주었다그 다면 차등 용의 시 을 어떻게 용하고 어떤 값으로 할인을 하느냐의 문

제가 남는다 Weitzman(1998)은 재무자산이 존재하는 시 까지는 할인율이 즉각 으

로 감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제시하 다 OXERA(2002)에서는 이러한 을 반 하여

감소되는 시 을 존하는 최장기 국채의 만기인 30년을 최 시 으로 제시하고 있

다 한 30년은 략 으로 한 세 로 간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후 시

은 Newell amp Pizer(2001)의 실증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할인율을 제시하 다 비타당성조사에서 비교 장기인 사업은 수자원 부문사업에서만 존재한다 그

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에 한하여 할인율의

차등 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수자원 부문과 타부문과의

할인율의 차이를 15로 제시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 ~ 15 정도의 차이를

반 하여 할인율 변동에 따른 향분석을 통해 그 정 수 을 제시하고자 한다

4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분석

이상에서 정 사회 할인율 수 은 60~65 그리고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일 경우 30년 이후에는 이보다 10~15 정도 낮은 할인율을 용하는 것이 바

람직할 것으로 제안하 다본 에서는 가상 실험을 통해 할인율 변동이 비용 편익에 미치는 향을 분

석하여 보고 정 수 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가상 실험을 한 제로 먼 비용의 경우 1000억원의 건설비용(공사비)이 드는

것으로 가정하 다 비용항목에는 건설비용(공사비) 외에도 유지 리비(운 유지비) 부 비 용지보상비 비비 등의 비용요소들이 존재한다 본 가상실험에서는 비용요

소로 건설비용과 유지 리비만을 고려하 고 여타의 비용은 고려하지 않았다 여타

비용이 차지하는 비 이 작아 제외하여도 무방할 것이기 때문이다 공사비의 연차별

배분은 아래 표와 같이 도로부문 사업과 같이 배분되는 것으로 가정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7

lt표 Ⅷ-12gt 비용의 연차별 배분 가정

년차 1년 2년 3년 4년 5년

배분율 5 15 25 35 20

유지 리비의 경우에는 각 부문에 따라 다른 원칙이 용되므로 각 부문별 특색

에 맞게 배분될 수 있도록 가정하 다편익의 경우에도 사업 부문에 따라 편익 발생기간과 편익 증가율에 차이가 존재

한다 그러므로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처럼 일반 인 도로 철도사업의 평균 인

발생기간 편익 증가율을 가정하여 용하 다 다만 도로 철도 사업의 경우

2030년 이후 편익은 고정되는 것으로 간주하 다 한 편익의 순 재가치가 앞에

서 고려한 비용의 순 재가치와 같아지도록 즉 NPV가 lsquo0rsquo이 되도록 용하 다

lt표 Ⅷ-13gt 편익의 발생기간 및 증가율

구 분 발생기간 편익증가율 비 고

도 로 20년 3 2030년 이후 고정

철 도 30년 3 2030년 이후 고정

항 만 30년 0

수자원 50년 0

주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지침개정에 따라 발생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한 것을 추가 용함

수자원 부문을 제외한 부문에서는 할인율을 기존 75로 용하 을 때와 65 60로 용하 을 때 할인 비용합과 할인 편익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추가 으로 발생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하 을 경우에

해서도 살펴보았다수자원 부문의 경우 기존 할인율 60를 용하 을 때와 편익발생기간 30년까지

는 65를 용하고 그 이후부터 50년까지는 55 50를 용하 을 때 그리고 30년까지는 60를 용하고 그 이후부터 50년까지는 50 45를 용하 을 때의

변화폭을 살펴보았다

1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도로부문 사업

도로부문 사업은 우선 4차로 고속도로 공사를 가정하여 비용 1000억원을 2004년

부터 2008년까지 배분하 다81) 유지 리비의 경우 우선 체 유지 리비가 공사비

에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한 후 이를 연차별 배분비율에 따라 배분하 다 사실 공사

비는 구조물 구간이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반해 유지 리비는 km당

단가를 용하고 있다 이에 사업의 특색에 따라 일 된 비율을 구하기가 어려웠다 를 들어 lsquo천안~오창간 고속도로rsquo의 경우 공사비 비 체 20년간 유지 리비 비율

이 39~49 으며 lsquo함양~울산간 고속도로의 경우 34~36 다 본 실험에서는 공사

비 비 체 20년간 유지 리비 비율이 40라고 가정하 다 그리고 연차별 배분

은 다음 표와 같이 건설교통부의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2003)ꡕ에 따라 비

율 로 배분하 다

lt표 Ⅷ-14gt 연도별 고속도로 표준 유지관리비

(단 억원km 4차로)

구 분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유지 리비 093 111 131 155 182 213 249 288 332 380

구 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유지 리비 432 487 545 604 663 723 781 836 889 937

구 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유지 리비 982 1022 1058 1090 1118 1143 1164 1182 1197 1210

자료 건설교통부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ꡕ 2003

우선 기존 할인율 75를 용하 을 경우의 비용 할인 편익합은 다음 표와 같

다 할인 비용 합은 84588억원이었으며 2009년부터 2028년까지 편익이 20년동안 발

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할인 편익합이 84588억원이 되도록 설정하 다분석기간을 30년으로 증가시킬 경우 우선 유지 리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의

81)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2년 설계기간이 필요하나 본 가상실험에서는 이를 고려하지는 않음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9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공사비 비 체 유지 리비 비율이 895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할인 비용합이 94253억원으로 약 114 증가되고 할인 편익합이 104416억원

으로 약 2344 증가되어 BC 비율이 111로 증가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5gt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분석기간 20년 84588 84588 100

분석기간 30년 94253 104416 111

증가율 1143 2344

[그림 Ⅷ-2]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84588 84588

94253

104416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분석기간 20년

분석기간 30년

다음으로 할인율을 65와 60로 변경하여 보았을 경우를 살펴보았다 단 분석

기간은 30년으로 가정하 다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의 경우 66 1030 증가하 고 편익의 경우 그 증가

율이 각각 177 28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BC 비율이 110 116으로 증가

함을 볼 수 있다 한 기존의 분석기간 20년을 기 으로 하 을 경우와 비교하면 비용은 188 229로 증가되었고 편익이 453 580 증가되어 BC 비율이 10에

2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서 129로 증가되었다 한 고속도로 사업이 아닌 일반국도 사업의 경우 유지 리

비가 25 정도만이 소요되기 때문에 BC의 변화폭은 훨씬 커질 것으로 상할 수

있다

lt표 Ⅷ-16gt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94253 94253 100

할인율 65 용 100456 (658) 110911 (1767) 110

할인율 60 용 103959 (1030) 120652 (2801) 116

주 (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3]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94253

120652

94253

110911

100456103959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75

할인율 65

할인율 60

나 철도부문 사업

철도부문 사업의 유지 리비는 역운 비 궤도유지비 차량운행비 구내운 비로

구성된다 사업이 어떤 성격이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데 를 들어 복선

철화의 경우 오히려 유지 리비가 음(-)의 비용으로 계산되어질 수 있다 한 궤도

연장 뿐 아니라 역사 수 역사통과수요 열차 차량수에 향을 받게 되어 일반 인

비용을 용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lsquo충주~문경 철도 건설사업rsquo을 표 인

로 삼아 단선철도 건설을 기 으로 하 다 lsquo충주~문경 철도 건설사업rsquo의 경우 공사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1

완공 후 기년도의 연간 유지 리비가 공사비의 34~37 고 유지 리비의 증가

율이 179 ~ 184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년도의 연간 유지 리비를 공사비

의 35로 증가율을 18로 가정하여 용하 다우선 기존 할인율 75를 용하 을 경우의 비용 할인 편익합은 다음 표와 같

다 할인 비용합은 112322억원이었으며 2009년부터 2038년까지 편익의 할인 합이

할인 비용합과 같도록 설정하 다 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75 117 증가하 고 편익은 각각 177 280로 증 되어 BC는 10에서 109 115로 증 됨

을 볼 수 있다

lt표 Ⅷ-17gt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112322 112322 100

할인율 65 용 120739 (749) 132173 (1767) 109

할인율 60 용 125481 (1172) 143782 (2801) 115

주 호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4]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112322

143782

112322

132173

120739125481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할 인 비 용 할 인 편 익

할 인 율 75

할 인 율 65

할 인 율 60

철도부문 사업의 경우 어떤 사업이냐에 따라 그 변화 폭이 상이할 것으로 상된

다 복선 철화 사업 같이 운 유지비가 거의 없거나 음(-)의 비용이라면 그 변화폭

2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은 증가할 것이고 도시철도 사업 같이 운 유지비가 일반철도 건설사업보다 많이

드는 경우에는 그 변화폭은 감소할 것으로 상된다

다 항만부문 사업

항만부문 사업의 경우에는 도로철도 부문사업과는 달리 편익 증가율을 0로

용하 다 운 유지비는 ꡔ항만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개정 )ꡕ(2001)에서 제시된 로 공사비의 2를 연간 운 유지비로 용하 다 할인율 변동

에 따라 비용은 각각 54 84로 증가되고 편익은 각각 159 250로 증가되어 BC는 10에서 110 115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8gt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94348 94348 100

할인율 65 용 99482 (544) 109310 (1586) 110

할인율 60 용 102298 (843) 117964 (2503) 115

주 호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5]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94348

117964

9434899482

109310102298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 인 비 용 할 인 편 익

할 인 율 75

할 인 율 65

할 인 율 60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3

라 수자원부문 사업

수자원부문 사업의 경우 항만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편익 증가율을 0로 용

하 을 경우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변화 폭을 살펴보았다 다만 수자원부문 사업의

경우 타부문 사업과 달리 기존에 60의 할인율을 용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65로

용하게 되면 기존의 편익보다 어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상될 수 있다 물론 비용

의 할인 값 역시 감소할 것이다 한 30년 이상의 할인율을 보다 낮게 용함으로써

체 비용 편익의 할인 합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유지 리비는 ꡔ수자원(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제3 )ꡕ

(2003)에서 제시된 로 공사비의 05를 연간 유지 리비로 용하 다먼 30년까지는 할인율 65로 용하나 그 이후에는 55 50로 차등 용하

을 경우에 하여 변화폭을 살펴보았다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18 17 감소하 으며 편익은 -35 01의 증가율

을 나타내어 그 변화폭은 미미하 다 BC는 10에서 각각 098 102로 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9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60 용 86869 86869 100

할인율 65 + 55 용 85325 (-178) 83828 (-350)) 098

할인율 65 + 50 용 85412 (-168) 86960 (011) 102

2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Ⅷ-6]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869608686986869 8382885325 85412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60

할인율 65 + 55

할인율 65 + 50

다음으로 30년까지는 기존할인율 60로 용하나 그 이후에는 50 45로 차

등 용하 을 경우에 하여 변화폭을 살펴보았다 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019 031로 증가되고 편익은 651 1099 증가하 으며 이에 따라 BC는 10에서 각각 106 111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20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60 용 86869 86869 100

할인율 60 + 50 용 87032 (019) 92526 (651)) 106

할인율 60 + 45 용 87135 (031) 96418 (1099) 111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5

[그림 Ⅷ-7]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96418

868698686992526

870328713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60

할인율 60 + 50

할인율 60 + 45

다만 수자원부문 사업 치수사업에서와 같이 경제성장률을 감안할 경우 편익

증가폭은 에서 보인 증가 폭보다는 더욱 크게 증 될 것으로 상된다

마 소결

이상을 통하여 할인율 변동에 따른 사업 부문별 향분석을 수행하여 보았다 기존 사회 할인율 75에서 65 60로 변경시켰을 때 편익 비용의 변동 폭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았다할인율 인하에 따른 비용의 증가 폭에 비하여 편익의 증가 폭이 더욱 커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사업 기에 주로 배분되는 비용에 비해 편익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구조를 가져 할인율 인하에 따른 향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특히 도로철도 사업

부문의 편익의 경우 각각 177 280로 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분석기간을 30년으로 늘렸을 경우에는 453 558로 크게 증 됨을

살펴보았다 항만 부문사업의 경우 할인율 변동에 따라 편익의 변동 폭이 도로철

도 부문에 비해서는 낮은 159 250로 증 되었다 수자원 부문의 경우에는 기존 할인율이 60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업 부문에

2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따른 할인율 차이를 용시키지 않기로 함에 따라 만약 65를 용할 경우 기존 연

구에 비해 편익이 악화되는 결과를 나을 수 있을 것으로 상되었지만 기간에 따른

차등 용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60를 용하고 차등 용할 경

우에 편익은 65 110로 증 되었다할인율을 60를 용하 을 경우 편익의 변화 폭은 크게는 58나 증 됨을 볼

수 있었다 물론 비용의 증가 폭 역시 고려하여 BC 비율은 상 으로 작게 변화한

다고 할지라도 이는 기존 비용-편익 분석틀에 있어 과도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1 사업부문별 차별화 방안의 필요성

비타당성조사 수행의 목 에는 정부의 공공투자사업에 한 사 인 타당성

평가뿐만 아니라 사업간 우선순 별도 해당되기 때문에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등 조사방법론과 지침은 사업별로 일 되게 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투자

사업에는 SOC 사업과 같은 유형의 건설사업뿐 만 아니라 로그램 성격의 투자사업

도 포함되어 있고 SOC 사업도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 ) 상하수도시설 문화체육시설 병원 등 다양한 사업부문으로 나 어질 수 있으므로 사업부문 개별

사업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따라서 기본 인 평가틀은 공통 으로 용하면서 사업부문별로 세부 인 지표

나 평가방법론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와 련되어 검토해볼

만한 용방안 다양한 쟁 사항에 해 정리하려 한다 사업부문별로 분석기 을 차별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에 해서는 비계량 편익

의 비 이 크고 존재하는 기 편익을 완 히 화할 수 없는 사업부문의 경우 경

제성이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차별화된 방법론과 기 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교통부문사업은 시간가치 운행비용 등의

추정을 통해 가치로의 계량화가 상 으로 용이한 편익항목이 개발되어 있

으며 분석의 정형화도도 높은 편이다 반면 비시장가치재로서 이용자의 심리 만족

감이나 비경제 효과의 비 이 상 으로 큰 문화체육시설이나 분명한 경제

편익이 존재하지만 화하기가 힘든 수자원 환경 련 사업의 경우 근본 으로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한 향후 비타당성조사가 보다 극 으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7

로 도입될 것으로 보이는 정보화 보건복지사업의 경우 유형의 시설물을 건설하는

로젝트 사업보다는 로그램 성격의 사업이 많아 사업의 효과(편익)가 먼 미래에

실 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분석기간을 고정하고 이 기간내의 비용과 편익을 단순

비교하는 차원의 방법론이 합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다양한 사업의 국민경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사회 소요

(needs)가 존재하는 다양한 공공투자사업을 균형 으로 추진하여 산배분의 형평성

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분석 방법론을 다양화하고 분석기 을 차등 용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이하에서는 사업부문별 차별 분석의 방안으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사업

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편익항목의 계량화 방안 등을 제시하고 각각의 장단

용가능성에 해 논하려 한다

2 사업부문별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가 기존 지침의 적용 근거

사업부문별 할인율을 차등 용하는 것은 사업부문별로 분석기간과 험도가 다

른 특성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제기되는 방안이다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

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비용-편익 분석의 결

과가 존 되기 해서는 모든 비용과 편익이 제 로 반 되어야 하는데 사업분야에

따라 환경 문화보존 등과 같이 수량화하기 어려운 성질의 비용편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정된 재가치의 크기가 모든 사업간에 직 으로 비교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할인율의 차등 용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방안이 제기되는 것이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부문별 사회 할인율 차등 용을 고려하여 두 가지

이론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첫째 투자사업의 험에 따른 할인율의 차등 용방안으로서 두 가지 투자사업

의 순편익 흐름이 동일한 기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험이 서로 다르다면 험이

큰 사업의 할인율은 높게 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험을 고려한 할인율

의 조정은 실증 인 문제로 사업의 규모나 불확실성이 이례 으로 크거나 혹은 사업

으로부터의 편익이 경제 체의 성장률과 이례 으로 히 련된 경우에 국한하

여 이루어져야 한다 부분의 공공사업이 개별 으로는 경제 체에 비해서 그 규

모가 그리 크지 않으며 여러 개의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각 사업들로부터의 수익

이 서로 완벽하게 연 되어 있지 않는 한 공공사업 체의 수익은 비교 안정 인

2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경우가 많다둘째 소비단 로의 환산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 용방안으로서 일반 인 비용

-편익 분석에서는 비용과 편익이 모두 소득단 로 계산되어지나 실제 복지측면에서

소비를 고려하여 어떤 사업이 소득단 로는 음의 재가치를 가지나 소비단 로 환

산한 경우에 양의 재가치를 가진다면 할인율은 낮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경우 편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본 바 있다 즉 가상 실험을 통해 각 사업부문별로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에

따라 장기에 걸쳐 발생하는 사업일수록 더 낮은 할인율이 용되어야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러한 근거에 따라 편익 발생기간이 50년으로

장기인 수자원부문은 타 사업과 달리 6의 할인율을 용하고 있다

lt표 Ⅷ-21gt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

도로 철도 항만 수자원

편익발생기간 20년 30년 30년 50년

편익증가율 3 3 0 0

나 해외의 적용사례

외국의 경우 용사례를 살펴본 결과 일 된 원칙과 이론 근거에 의해 사회

할인율을 사업부문별로 차등 용한 사례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미국의 경우 수자원

이나 에 지 부문의 사업에 해서 3~4의 할인율을 용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

우82) 스페인은 교통사업에 6 수자원 사업에 4의 할인율로 차등 용하고 있으나 다른 국가에서는 원칙 으로 사업부문별 차등 용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다 사회적 할인율 차등 적용의 기본원칙

앞서 거론하 듯이 사업부문간 사업별 험이나 편익발생 유형 등이 다르기 때

문에 이를 고려하여 사회 할인율을 차등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

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업부문별 정 험도가 체계 으로 추정되어 있지 않

을 경우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은 평가의 일 성을 떨어뜨리고 평가과정에

82) EC ꡔGuide of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ꡕ 200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9

주 성이 개입될 여지를 남기게 될 것이며 구체 으로 어느 수 으로 차등화해야 할

것인지 합의 을 찾기 힘들므로 면 인 용은 아직까지 시기상조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와 같이 편익발생 유형에 따른 가상 실험을 통해 할인율

수 차이가 안정 으로 일 되게 발생한다면 어느 정도의 차등 용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편익 산정의 어려움 등에 의한 차등 용은 정당화되기 어려

울 것으로 보인다 해외 사례에서도 사업별 그 특수성이 인정될 경우 별도의 할인율

을 용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기본 할인율과 비교 제시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비용

편익 비율의 계산식에서 가능한 한 모든 편익은 분자에 포함시키고 분모 즉 사회

할인율의 조정은 제한 으로 용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된 할인율 조정 부분에서는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

에 한하여 할인율을 차등 용할 것을 제안하 다 즉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과 타부문과의 할인율의 차이를 15로 제시하 으므로 본 개정연구에서도 이

를 고려하여 편익 발생기간 30년까지는 65를 용하되 30년 이후에는 50로 차

등 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83)

3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의 차등 적용

가 공적자본의 한계비용 이론 검토

공공투자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요한 논 의 하나는 공 자본의 한계비

용(marginal cost of public funds MCF)에 한 것이며 최소 BC 설정의 이론 근거

도 여기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필요한 비용의 조달은 주

로 조세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조세징수를 통한 자 의 조달은 일반 으로

조세왜곡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와 달리 공공투자사업의 경

우에는 사업에 투입되는 액만을 비용으로 간주할 경우 조세왜곡에 따른 국민후생

의 감소를 반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서 요구되는 개념이 바로 공 자본의 한계비용이다공 자본의 한계비용(이하 MCF)은 공 자 1단 의 조달에 수반되는 후생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ldquo1+조세왜곡에 따른 과부담rdquo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이론 으

로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여부는 일반 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비용과 편익을 단순

비교할 것이 아니라 비용에 MCF를 곱한 값을 편익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

다 즉 편익의 재가치가 ldquo비용의 재가치 times MCFrdquo보다 더 클 경우에만 그 사업은

83) 이에 한 구체 인 내용은 앞 을 참고

2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만일 MCF가 1보다 더 크다면 이러한 조

정은 비용-편익 분석에 보다 엄격한 기 을 용하는 셈이 될 것이다 결국 MCF를

도입하는 것은 비용-편익 분석에서 흔히 논의되는 ldquo최소 BC비율rdquo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 될 것이다 엄 히 말해 공 자본이 투입되는 공공투자사업에 한 경제성 분석에서는 험

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한 비용-편익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

다 그러나 행 비타당성조사 방법론과 련해 험 불확실성의 고려에서 확

률 동등 상태(certainty equivalence)와 같은 보다 엄 한 개념을 쓰지 않고 불확실성이

없는 상태에서 기 값을 구하고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한 비용-편익 분석 방법

을 직 으로 채택하지 않은 이유는 그 게 할 경우 개별 평가자의 자의 인 가정

평가에 따라 결과가 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험 불확실성의 고려

나 자본의 잠재가격의 추정에 필요한 여러 변수의 값들이 모두 개별 평가자에 의하

여 가정될 경우 평가자의 의도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반면 MCF의 값을 결정하여 일 되게 용하는 것은 앞에서 살펴본 사회 할인

율 조정 방안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라미터 값을 바꾸는 일이므로 어도 개념 으

로는 더 복잡할 것이 없으며 한 개별 평가자의 자의가 개입될 여지도 일 수 있

다 즉 평가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비용-편익 분석 방법에 해 일 된 지침을 제공

하기 해서는 분석 방법론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일부 라미터 수치의 조정을

통해 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CF 추정을 통한 최소 BC비율의 설정은 간편하고 일 된 방식이지만 실제 용

은 아직까지 시기상조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여러 이론 논의를 정리

한 후 우리나라의 MCF 추정범 를 잠정 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미국의 경우 조세

의 과부담 등을 감안해 최소 BC 비율을 125로 상향조정하고는 있는데 비해 우리

의 경우 재까지 실제 분석에 직 용할만한 정 MCF 추정치는 도출되어 있지

않고 략 110~115 정도의 범 를 제시하고 있다 즉 최소 BC비율의 용에 있어

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공 자본 한계비용의 정 수 이 재까지 충분히 합의된 상

태가 아니므로 단계에서 실제 비타당성조사에 이를 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나라의 MCF 추정 부분별 최소 BC 차등 용 방안에 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와 문가 자문을 거쳐 신 하게 용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한편 최소 BC비율의 용에 한 차선책으로 검토해볼 수 있는 방안은 사회

할인율의 조정이다 즉 MCF를 고려하여 명시 으로 비용항목을 조정하는 신 엄

하지는 않지만 차선책으로서 사회 할인율을 조정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이다 즉 부분의 경우 공공투자사업의 비용은 사업 기에 발생하는 반면 편익은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1

장기 으로 발생할 것으로 상되므로 보다 높은 할인율의 용은 실질 으로 1보

다 큰 MCF의 값을 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MCF의 결정 혹은 최소 BC 비율의 결정 한 개략 으로 사회 할인율의 조정을 통하

여 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서 논의하 듯이 사회 할인율 조정은 편익 발

생기간의 고려를 통한 일부 사업부문별에 한 조정 이외에는 엄격히 제한되어야 하

고 평가결과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역시 체 사업부문에 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나 사업부문별 최소 BC 비율 차등화 방안 검토

사업부문별로 BC 비율을 차등 용하는 것은 경제성과 정책 측면에 한 상

요도가 다르거나 편익추정의 포 범 계량화 정도가 낮은 사업부문의 특

성을 감안해 통과 기 비율(hurdle rate)을 달리 용하는 방안이다 이에 한 이론

배경은 조세징수를 통한 자 조달에 있어 조세왜곡에 한 가정과 lsquo공 자본의

한계비용(MCF)rsquo에 한 내용이다 그러나 이론 차원의 논의뿐만 아니라 사업부문

별 최소 BC 비율 도출 용이 다양한 사업부문에 해 일 된 기 을 통해 평가

해야하는 비타당성조사의 실제 과정에 어떠한 향을 주며 이와 련해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쟁 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더욱 요할 것이다

1) 기본 방향 및 적용가능 부문 검토

이하에서는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 차등화 방안과 이에 한 쟁 사항에 해

정리하려 한다 최근에 문화부문 사업 등 사업의 특수성이 높고 정형화된 편익항목

추정방법론이 용되고 있지 못한 사업의 경제성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해

재 일 용되는 있는 BC 비율 = 1이라는 단기 을 차등화하는 방안이 필요

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앞서 지 하 듯이 최소 BC 비율 설정을 한 MCF 추정치도 확실하지 않은데다가 BC 비율을 사업부문별로 차

등화하기 한 이론 근거나 사례는 더더욱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먼 도로 철도 역철도 공항 등 사업성격상 경합성이 강한 교통부문의

경우 동일한 기 에 의해 사업의 상 인 경제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

를 정해야하므로 할인율 최소 BC의 부문별 차등 용은 평가체계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일각에서 지 하고 있듯이 도로에 비해 친환경 이고 쾌 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철도사업의 경우 이러한 유무형의 편익이 완 히 반 되

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는 있으나 이는 최소 BC 비율 등

경제성 분석의 핵심지표를 조정하는 것보다는 편익 추정의 범 수 확 등 원

2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칙 으로 다른 방식으로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만약 최소 BC 비율을 차등 용한다면 고려될 수 있는 사업부문은 수자원부문

문화체육부문 등 타 사업부문과의 연 성 경합성이 낮고 성격이 독립 인 사업

들이 해당될 것이다 그러나 수자원부문의 경우 편익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동

부문 특성을 감안해 재 비타당성조사에서 할인율을 하향 용하고 있으므로 최소

BC 비율의 하향조정은 불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실 으로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이 가장 합한 사업부문은 각종

시장 박물 체육 문화시설 등 문화체육시설부문의 사업일 것이다 그 이유는

이러한 사업은 경제 목 보다는 국민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추진되는 경

우가 많아 경제성 이외의 단요소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사업부문인 데 비해 다양

한 편익항목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비 편익에 한 계량화 방법도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부문 사업들과 동일 기 에 의해 평가할 경우 경제성이 상 으로

불리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다음 lt표 Ⅷ-22gt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부문 사업과 수자원( ) 환경

련시설 산업단지 조성사업 등을 제외한 기타부문(문화 과학 체육시설 등) 비타당성조사 사업의 조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동 자료를 살펴보면 문화

과학 체육시설 등 기타부문 사업은 근본 으로 경제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즉 2003년 상반기까지 수행완료된 총 152건의 체부문 비타당성조

사의 각 사업별 최 안을 기 으로 평균 BC 비율을 계산해보면 126이 도출되는데 BC 비율이 각각 106과 179로 분석된 구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과 군장수출자

유지역 조성사업을 제외할 경우 평균 107 정도가 나온다 반면 18건의 기타부문 사

업의 경우 평균 BC 비율은 055 정도로서 체 평균보다 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한ꡔ국립디지털 도서 건립사업ꡕ을 제외하면 BC 비율이 1을 넘는 경우가 없

었으며 과반수에 해당하는 9건의 사업의 경우 BC 비율이 05에도 미치지 못했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3

lt표 Ⅷ-22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수행

연도사업명 주무부처

BC비율

(최 안)결 론

1999

강원도 역사문화 조성 문 부 079 정책 차원에서 일부사업 추진

태권도 공원 조성 문 부 097 계획수립 후 정책 으로 추진

칠성산 호국수련원 조성 문 부 088 추진 보류

2000

우주센터 개발 과 기 부 052 정책 차원에서 사업 추진

UN 기념공원 조성 문 부 009 타당성이 낮아 장기 으로 검토

동부산 Green City 조성 문 부 065민자사업 타당성을 높이는

규모로 축소한 후 단계별 추진

2001

국립서울과학 건립 과 기 부 042 규모 축소후 이

안동지구 숙박휴양거 조성 문 부 069 사업내용 변경후 기반시설 지원

국립해양박물 건립 해 수 부 022련계획 확정 유사사업과의

계 정립후 추진

국립자연사박물 건립 문 부 030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없음

국립디지털 도서 건립 문 부 170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높음

2002국립민속박물 이 문 부 034 사업계획의 보완후 사업 추진

국립경주극장 건립 문 부 055 계획안 수정후 재추진

2003

민주화운동기념 건립 행 자 부 013 충분한 사 비후 추진

부산해양종합공원 조성 해 수 부 065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음

인천해양과학 건립 해 수 부 036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고

일부사업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

여수해양수산박물 건립 해 수 부 027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음

청소년스페이스캠 조성 문 부 035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고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

주 2003년 상반기까지 수행완료된 사업에 해 정리함

2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최소 BC 비율 차등적용에 있어서의 쟁점사항

문화체육시설과 같이 경제성이 가장 취약한 사업부문에 해 최소 BC 비율을

차등 용하는 방안과 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쟁 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과거에 조사가 수행된 동 부문사업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지 된다 즉 최소

BC 비율을 하향조정함으로써 과거 ldquoBC 비율=1rdquo을 기 으로 사업의 추진여부를

단했던 문화체육부문 사업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최소

BC 비율 조정에 있어 정한 수 설정의 어려움이 상된다 즉 박물 등 문화시

설의 경우 표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워낙 BC 비율이 낮기 때문에 최소 기 BC 수 을 폭 으로 하향조정하지 않는 한 실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 이

러한 특성은 문화체육시설의 경우 경제 편익 항목과 추정방법을 개발하고 경제

성을 심으로 하는 평가틀보다는 정책 분석에 의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새로

운 차원의 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셋째 과도한 배려를

통한 역차별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즉 재 문화과학부문사업의 경우 교통부

문사업에 비해서는 상 으로 정책 분석의 가 치를 높게 주고 있기 때문에 최소

BC의 차등 용은 복 일 수 있으며 지 까지의 비타당성조사 상이 된 문

화체육부문사업 경제성이 낮은 이유 이외에 사업계획의 부실성 정책 불합리

성 등의 이유로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결국 문화체육부문 사업에 한 최소 BC의 하향조정도 충분한 사례의 수집과

효과에 한 엄 한 검증이 이루어진 후에 실행되어야 하며 단계에서 동 부문에

한 분석의 차별화는 다른 방안을 통해 고려되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다

4 비용-편익 분석 기법 및 편익추정 방법 보완

특수 사업부문으로 볼 수 있는 문화체육부문사업에 한 평가방법론을 개선하

기 해 사회 할인율이나 최소 BC비율을 사 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하지

않다면 실 으로 이들 사업의 경제 가치추정 연구를 확 해 편익항목을 확 하

고 합리 인 수 의 소비자 지불의사액을 추정하는 것이 근본 인 해결책이 될 것이

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오랜 기간의 심도 있는 연구와 학계의 공감 형성이 수반

되어야할 사안이므로 우선 으로는 정책 분석에서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보다 폭

넓게 검토하고 이를 AHP 분석 등을 통해 정하게 평가하는 방안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여 히 남는다면 최소 BC 비율

차등 용의 효과를 면 히 검토하는 등 추후 별도의 본격 인 연구를 통해 실

인 용방안 범 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5

가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 보완

문화체육부문사업의 경제성이 구조 으로 낮게 추정된다면 동 부문에 해

용하고 있는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 자체를 보완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사업을 시행할 경우 실 으로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 유무형의 편익항목

을 정의하고 이의 계량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개선이 가능해진다 이론 차원에서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을 체 혹은 보완하는 평가방법론은 다

음과 같은 것들이 거론되고 있다

1) 비용-효과 분석법(Cost-Effectiveness Analysis)

비용-효과 분석법은 동일한 환경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다수의 안이 존재

할 경우 비용-효과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안을 찾는 분석기법이다 즉 계획된 목

표를 달성하기 하여 사용되는 자원(비용)을 가장 게 사용하는 안 는 활용

가능한 자원(비용)이 주어졌을 때 최 한의 결과(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안을

찾아내는 방법으로서 비화폐 인 평가기 을 화폐 인 기 인 비용과 결합하여 분석

하는 것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의 변형(제약)된 형태로 볼 수 있는데 평가 상

사업의 효과가 화폐가치로 계산되어질 수는 없으나 식별가능하고 계량화가 가능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즉 화폐화 된 편익의 추정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신 비

효과를 측정하여 BC 비율 신 비용효과 비율(비용 1원당 효과 는 효과

1단 당 비용 CE비율)을 계산하여 최 의 안을 찾는 방법인 것이다 실제 용에

있어서 비용-효과분석은 주로 화폐화된 편익의 측정이 어려운 환경 수자원사업 보건복지부문 문화체육부문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는 데 제약이 있는 경우 사업효과를 정

량 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지만 한계 한 분명한 방법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편익가치의 화폐 계량화가 어려운 경우 주어진 산안에서 가장 비용효과

인 안을 선택하는데 분명한 단의 기 을 제시해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그러나 비용-효과분석은 경제학 이론기반이 약할 뿐만 아니라 아래 시에서 볼 수

있듯 경우에 따라 평가결과가 왜곡될 수 있는 치명 약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

장 비용 효과 인 안이라고 해서 반드시 효율 인 것은 아니라는 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

2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비용-효과 분석의 시 한계]

어떤 병원에서 환자 리 로그램을 시행하게 되어 기존의 환자가 10

어든다고 할 경우 이 10의 수치는 확실히 계산 가능한 효과이지만

편익으로 추정하기는 어려움

환자 리 로그램으로 검토된 안은 다음의 두 종류가 있음

- A안 연간 비용 10000원 용가능 환자 수 100명

- B안 연간 비용 11000원 용가능 환자 수 120명

안별 CE 비율(비용 1원당 효과) 계산

- A안 CEA = [100times01] 10000 = 0001

- B안 CEB = [120times01] 11000 = 00011

따라서 안 B가 연간 비용은 많이 드는 로그램이나 보다 비용-효과 인

로그램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러한 비용-효과분석은 사업효과의 계량화가 가능할 경우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음

- 의 에서 B안의 비용이 13000원이라면 CE비율이 00009로 A안이 더 비용

효과 인 로그램임

- 그러나 만약 환자수 감소 편익( 를 들어 willing to pay)이 계산 가능하여 비

용-편익 분석을 한다면 B안이 더 최 안일 수 있음(B안이 A안에 비해 2명

더 일 수 있고 추가비용에 비해 환자수 2명을 이는 편익이 큰 경우)

한 비용-효과 분석은 안 자체의 성에 해 근본 으로 고려할 수 없다는

이 단 으로 꼽힌다 즉 분석의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안의 비용규

모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안간 비교를 통해 비용효과 인 안을 수월하게 선별할 수

는 있지만 선택된 안들이 과연 정책수행을 해 타당하고 효율 인지에 해서는

고려할 수 없다는 이 한계로 지 된다 결국 공공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비용-효과 분석은 사업효과 편익이 명백히 존

재하지만 화폐가치로의 환산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 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비용효과 인 사업 안을 가장 효율 이고 타당한 것으로 해석하는 데 있어 유

의해야 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7

2) 비용-편익 분석법의 응용

비용-편익 분석 방법의 이론 보완 방안에 해 설명하기 해서는 비용-편익 분

석의 일반 개념과 장단 에 해 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행 비타당성조

사에 용되고 있는 비용-편익 분석법은 재가치로 화폐가치화한 편익과 비용을 비

교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보편 인 방법으로서 효율성을 시하는 경제학

이론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평가기법이다이론 으로 편익은 개인의 후생을 증가시켜주는 모든 것이고 비용은 이에 반 되

는 개념인데 후생의 개념은 개인의 선호로서 표 될 수 있으며 이의 측정은 시장을

통해 드러난(revealed) 선호와 명시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표 된(stated) 선호

로서 추정된다 이러한 선호를 화폐가치화 하는 척도로서는 주로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를 추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비용-편익 분석은 정책의 수 즉 Policy-Programme-Project 단 에 계없이 포

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장 이 있으며 정책 단에 있어 확실한 경제 인 기 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론 인 배경이 뚜렷하다는 사업추진으로 인한 비용을 기

회비용 개념에서 근할 수 있다는 민감도 분석 등의 기법을 통하여 험과 불

확실성에 해 명시 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등이 장 으로 거론된다 반면 단 으로는 개발사업의 향요소를 경제학 으로 분석함에 따라 사업효과

의 고려범 가 제한 이라는 과 화폐가치화 하기 어려운 효과가 있는 경우 분석의

신뢰도가 히 낮아진다는 효율성을 강조하는 경제학 분석이기 때문에 자칫

사회 인 정서를 도외시할 수 있다는 등이 지 된다이러한 한계와 문제 을 고려하여 비용-편익 분석은 경우에 따라 분석의 완성도

를 높이기 하여 보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 기법을 응용

한 기법으로 가장 리 사용되는 것으로는 lsquo가 비용-편익 분석법(Distributionally Weighted Cost-Benefit Analysis DCBA)rsquo과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ybrid Cost- Benefit Analysis HCBA)rsquo 등이 있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생된 평가기법 하나인 lsquo가 비용-편익 분석법(DCBA)rsquo은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소득측면의 역진성을 개선한 분석기법이다 즉 실 으

로 지불의사란 소득격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데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은 개인의

지불의사를 추정함에 있어서 개개인의 소득이 모두 같다는 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

다 가 비용-편익 분석법은 기존 비용-편익 분석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

으로 제시된 기법인데 소득에 따라 계층별로 가 치를 부여함으로써 사업추진에 따

라 발생하는 소득계층별 편익을 차등 으로 추정해 내는 평가기법이다

2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를 들면 소득이 높은 그룹을 i로 표시하고 소득이 낮은 그룹을 j라고 표시한

다면 각 계층에서의 소득은 각각 Yi와 Yj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며 편익 한

Bi와 Bj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소득격차를 고려하지 않은 사회 인 총

편익은 각 계층별 편익의 단순 산술합인 Bi+Bj 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나 소득격

차를 고려한 편익 BYij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것이다

BYij=Bi (Y Yi ) + Bj (Y Yj ) (Ⅷ-9)

결국 의 식을 이용하면 사회 총편익 산정시 소득격차에 따른 편익을 감안하

게 되므로 좀더 분배의 형평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비용-편익 분석시 소득격차를 반 하는 문제는 소비자 후생증진에 미치는 사업효

과를 소득계층에 따라 차별 으로 고려한다는 에서 매우 요하지만 문화체육부

문 사업과 같이 편익의 화폐가치화가 상 으로 어려운 사업부문에 해 경제성 분

석기 을 차등 용하는 방안과는 다소 동떨어진 문제이다 다음으로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CBA)rsquo에 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용-편익 분

석에 해 지 되는 가장 큰 한계 하나는 각 편익과 비용항목에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인데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CBA)rsquo은 편익과

비용의 항목에 화폐가치화가 어려운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분석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해 모색된 기법이다 복합 비용-편익분석 기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첫 번째

방식은 화폐가치화 할 수 있는 향항목에 해서는 최 한 화폐가치로 환산하고 이와 더불어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요소에 해서는 가 치 등 일정한 기 에 따른

수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향요소에 해 종합 으로 고려하는 방식이

다 두 번째 방법은 화폐가치화가 가능한 항목에 해서는 가능한 수 까지 화폐가

치를 추정하여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향요소들을 최소화한 후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향요소들에 한 암묵 인 가치(implicit value)를 산정해 내는 방법이다 이러

한 방식을 사용했을 때 평가의 기 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른다

화폐가치화 할 수 있는 비용과 편익을 각각 Cm Bm이라 표시하고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편익을 Bnm으로 표시한다면 개발사업의 1차 타당성 단기 은 다음

과 같다

Cm lt Bm (Ⅷ-10)

의 식이 의미하는 바는 화폐가치화 한 향요소들의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는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9

의미로서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 방법과 동일하다 복합 비용-편익 분석법에서는

의 계가 성립된다면 추가 으로 다음의 계가 성립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Bnm gt (Cm - Bm ) (Ⅷ-11)

의 식이 의미하는 바는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편익의 암묵 인 가치가 화폐가

치화된 순비용(net cost Cm - Bm )보다 크게 되므로 상 사업은 타당성이 있다는

뜻이다 복합 비용-편익 분석 기법은 사업부문별 분석기 의 차등 용 방안을 마련하기

해 검토할만한 방법론이지만 화폐가치화 하기 어려운 편익항목을 선별하고 이를

측정하기 한 정형화된 기법이 개발되어야만 용이 가능하다 재 비타당성조

사에서는 이러한 기법의 하나인 조건부 가치추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과 컨조인트 분석법(CAM Conjoint Analysis Method) 등을 일부 문화체육부문

사업에 해 실제 용하고 있다 이와 련하여 재 수행 인 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의 내용을 검토하여 일반지침에 반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나 편익항목의 추가 및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1) 예비타당성조사의 사업부문별 편익항목

비타당성조사에서 사업부문별 특수성을 반 하기 한 가장 근본 이고 완

한 방안은 각 사업부문별로 발생할 수 있는 편익항목을 최 한 선별하고 이를 이론

으로 타당한 화 기법에 의해 정하게 추정하는 방식일 것이다 먼 공공투자사업의 주요사업부문별 경제 편익의 형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농업사업 공업사업처럼 최종산출물의 형태가 확

실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에게 최종소비재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의 시장가치(잠재가

격)가 사업편익이 된다 둘째 교통사업이나 공익사업처럼 산출물이 최종소비재의 성

격보다는 간재(intermediary goods)의 성격을 강하게 가질 경우 이 산출물에 의해 발

생한 비용 감효과(cost-saving effects)가 사업의 편익이 된다 셋째 사회정책사업처럼

산출물이 화폐가치화가 어려운 질 개념일 경우에는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이용하여 편익 측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행 비타당성조사에서 교통부문사업의 경우 에서 언 한 두 번째에 해당되

어 시간 사회 비용의 감분을 편익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산업 생산활동을 지

원하는 산업단지 각종 건축사업의 경우 개 사업추진으로 인한 최종소비재의 가

2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치증분(부가가치)으로 편익을 추정하고 있다한편 사업부문별 편익항목과 련하여 보통 비용-편익 분석에서 국민경제 편

익으로 열거되고 있는 항목들은 부문별로 차이가 있지만 주로 직 편익과 간 편익

으로 구분되어 제시되고 있다 도로 철도부문 사업을 로 들면 다음과 같은 편

익항목들이 열거될 수 있다

lt표 Ⅷ-23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직 편익∙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운 자 수입 교통사고 감소 교통

쾌 성 정시성 안정성 증 등

간 편익 ∙환경비용 감소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 등

그러나 행 비타당성조사에서 반 하고 있는 편익항목은 어느 정도 정형화된

화 방법론이 용될 수 있는 항목들에 국한되고 있으며 편익항목이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고 추정방법의 정형화도도 높은 도로 철도부문 사업에 한 비타당

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편익항목을 실제로 용하고 있다이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로 인한 부(-)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

업으로 인한 도로공간 축소에 따른 부(-)의 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은 철도부문에

만 해당되는 편익항목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1

lt표 Ⅷ-24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 적용되는 편익항목

편익항목 개 념

∙차량운행비용 감 편익

∙통행시간비용 감 편익

∙교통사고 감 편익

∙환경비용 감 편익

∙운 자 수입 증감 편익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

로 인한 부(-)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업으로 인한 도로공

간 축소에 따른 부(-)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

∙통행속도가 변화되어 차량운행비용이 감된 편익

∙통행시간이 감됨에 따라 발생한 편익

∙사고 감소에 따른 교통사고 비용 감 편익

∙ 기오염의 감소에 따른 감 편익

∙공 자측면의 운 자 수입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나 운행축소에 따른 비용부담

∙철도건 목의 입체화등에 따른 통행시간 차량운행비 교통

사고 운 비의 감 편익

∙도로공간의 축소 교통혼잡 증가로 인한 부(-)의 편익

∙주차수요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주차비용 감 편익

한편 항만부문의 경우 ꡔ항만부문 표 지침ꡕ(개정 )에서는 선박 기비용 감편

익 선박재항비용 감편익 하역비용 감편익 내륙운송비용 감편익 화물운송시

간가치 감편익 토지조성효과 기타 편익 등을 열거하고 있는데 이들 편익항목들

은 조사 상 항만사업의 특성에 따라 용되는 범 가 달라질 수 있다 컨 화물

운송시간가치 감편익은 화물의 시간가치에 한 추정방법론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

아 실제 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토지조성효과는 항만공사 시 조성되는 부지활용계

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반 되지 못하고 있다마지막으로 문화과학체육부문과 같은 기타부문 사업의 경우 부가가치 증가

나 비용 감효과 등을 비교 정형화된 방법론을 통해 추정하고 있는 교통부문

산업단지부문에 비해 이러한 사업들의 편익은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사업

효과의 계량화도 어려워 편익추정에 있어 근본 인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재 문화과학체육부문 사업 비타당성조사에 한 일 된 지침은 미비한 실정

이며 각 사업별 특성에 따라 편익항목을 선별하고 이에 합당한 추정방법론을 용해

왔다

2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Ⅷ-25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수행

연도사업명 편익 항목

1999

강원도 역사문화 조성 ∙입장료수입 부 수입 숙박수입 시설사용료수입

태권도 공원 조성∙연수수입 숙박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입장료수입 심사수입

칠성산 호국수련원 조성∙연수수입 숙박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입장료수입

2000우주센터 개발 ∙인공 성 발사비용 비발사 시험비용

UN 기념공원 조성 ∙입장료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동부산 Green City 조성 ∙시설별 입장료수입

2001

국립서울과학 건립 ∙입장료수입

안동지구 숙박휴양거 조성 ∙시설별 입장료수입

국립해양박물 건립 ∙입장료수입

국립자연사박물 건립 ∙입장료수입

국립디지털 도서 건립∙ 근편익 출시간 감편익 교통시간 감편익

공공도서 운 비용 감편익

2002국립민속박물 이 ∙입장료수입

국립경주극장 건립 ∙입장료 기타수입

2003

민주화운동기념 건립∙입장료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식당

매수입 교육시설 사용료

부산해양종합공원 조성∙입장료수입 시설 서비스사용료 수입 식음료

매수입

인천해양과학 건립∙입장료수입 시설 서비스사용료 수입 식음료

매수입

여수해양수산박물 건립 ∙입장료 기타수입

청소년스페이스캠 조성∙각종 입장료 교육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

수입

재까지 실시된 문화과학체육부문사업 비타당성조사의 경우 의 표와

같은 편익항목을 상으로 주로 객단가를 이용한 편익추정방법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왔다 특히 박물 과학 과 같은 사업의 경우 존재하지 않는

시설에 한 이용수요를 도출하고 여기에 기존시설 유사시설의 입장료 객단가를

곱하여 편익을 추정하는 제한 인 방법이 용될 수밖에 없었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3

2)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이용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방법

객단가를 이용한 편익추정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해 최근에 문화체육시설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소비자 지불의사액의 추정을 통한 편익추정 방법을 활용

하는 추세이다 소비자 지불의사액의 추정을 해서는 주로 조건부 가치추정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이하 CVM)이나 컨조인트 분석법(Conjoint Analysis Method 이하 CAM) 등이 활용되고 있다

CVM은 최근 들어 가장 각 받고 있는 추정 방법론으로서 미국과 서구의 정부기

연구소 등에서 공식 으로 인정받고 있다 CVM은 가상 시장거래 상황을 설

정한다는 의미에서 가상가치평가법이라고도 불리고 있는데 기본 으로 lsquo소비자들은

공공재의 가치에 해 자기 선호를 진실하게 표 하지 않을 것rsquo이라는 Samuelson의

오래된 가정을 뒤엎는 것이다 특히 여타의 가치추정법들이 소비자 잉여 개념에 기

하는 것과 달리 CVM은 기본 으로 힉스 후생개념에 기 해 지불의사액

(Willingness to Pay)을 통해 직 으로 표 된 보상잉여(Compensating Surplus)와 동

등잉여(Equivalent Surplus)를 도출하는 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CVM의 실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정 상이 되는 환경재에 해 가상

시장을 설정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선정된 환경수 의 개선을 기술 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구체 으로 제시하여 응답자가 그 효과를 분명히 인지하게 하고 이와

련된 지불방식과 세 등의 추가부담률 등에 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응답자들의 지불의사액에 근거하

여 평균 지불의사액을 추산하는 과정으로 이를 한 세부방식에는 입찰법 직 질문

법 지불카드법 양분선택법 등이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조사에 참여한 표본집단

의 평균 지불의사액을 지역주민 국민 체 등의 총가치로 확장하여 해당 환경재의

총편익을 산정한다 CVM은 설문참여자가 재화의 성격과 구매방식 등에 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객 성 있는 답변을 한다면 비교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가치뿐

아니라 비사용가치까지 추정이 가능하다는 에서 다양한 환경가치를 포 할 수 있

는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CVM은 체로 주 성이 개입하기 쉬운 추

정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다양한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고 그 철학 기반도 의문

시된다는 비 에 직면하고 있다 조건부 가치추정법이 안고 있는 구체 인 방법론 인 문제로는 첫째 CVM은 가

상시장을 설정하기 때문에 추정 결과 자체가 실제 시장에서도 실 될 것이라는 보장

이 없다는 이 지 된다 둘째 응답자들이 무임승차 등을 노리는 등 자기이해에 근

거하여 응답하는 경향을 말하는 략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정확한 정보가

2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공되지 않거나 지불수단의 부 실성 조세 항 등의 문제로 인해 응답에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고 한 응답방식에서 순 척도를 택하는 경우와 으로 표시하는

경우 결과가 달라지며 기 제시값에 선호가 집 되는 기 편의도 나타날 수 있다 한 환경재 문화시설의 가치 등은 공동의 자산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의 훼손에

한 보상요구수 즉 수용의사액(Willingness to Accept)을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

으며 여 히 비가시 인 가치는 무시된다는 이 비 받고 있다재 수행 인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의 연구결과를 반 하여 CVM의

문제 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수 과 구체 인 분석방법을 마련하여 추후 문화체

육시설 부문에 한 경제성 분석 지침내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5 소결

공공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시 사업부문별로 기본 인 평가방법을 차별화하는

것은 사업부문의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객 성과 형평성을 확보하려는 취지에서

주장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 이론 근거가 미약하고 실제 용상에 있어

서 왜곡된 결과를 래할 수 있으므로 이론 인 측면과 실증 인 측면 모두에서 충

분히 검증 합의된 방안을 심으로 매우 제한 으로 용되어야 할 것이다앞에서는 사업부문별 차별 분석의 방안으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사업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편익항목의 계량화 방안 등에 해 검토하고 실제 용

수 에 해 논의하 다종합 으로는 살펴보면 먼 사업부문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방안은 공

자본의 한계비용 개념에 입각하여 사업부문 체의 최소 BC 비율의 조정 수 은

략 인 범 로 제시되나 실제 용을 해서는 보다 면 한 이론 논의와 검증이

필요하다고 단된다 특히 이를 사업부문별로 차등화하는 방안은 이론 근거도 없

고 실제 용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험이 있어 용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다음으로 사회 할인율의 사업부문별 차등 방안 역시 사업부문별 험의 측정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만 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편익발생기간이 장

기인 수자원부문에 해서는 사회 할인율을 하향조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결국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를 해서 최소 BC 비율의 차등과

사회 할인율의 차등화 방안은 매우 제한 으로 용되어야 하며 보다 근본 인

근으로 CVM 등 보완 인 분석방법론의 도입을 통해 편익항목의 계량화 수 을

확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5

【부록】 Weitzman(1998)의 명제 증명

전제

시나리오 j 시 t 할인율( dr j ( t ) )의 극한(limit)

drjequiv limtrarrinfindr j ( t ) (1)

시나리오 j의 할인인자(discount factor)

d j ( t)equiv exp ( -⌠⌡

t

0dr j ( τ)dτ) (2)

확률 동등 할인인자(certainty-equivalent discount factor)

D ( t ) equiv sum p jd j ( t ) (3)

확률 동등 할인율(certainty-equivalent instantaneous discount rate)

DR( t ) equiv (4)

정리(定理 Proposition) 1

DR = dr

min

증명

식 (3)을 시간에 하여 미분하자 식 (2)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um p j d j ( t ) = -sum p jdr j ( t )d j ( t ) (5)

이를 식 (3) (4)와 결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2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DR( t ) =sump jdr j ( t )d j ( t )

sump jd j ( t )(6)

식 (6)은 다음과 같이 표 가능하다

DR( t ) = sumwj ( t )dr j ( t ) (7)

여기서

w j ( t )equivp jd j ( t )

sump jd j ( t ) gt 0 (8)

sumwj ( t ) = 1 (9)

일반성을 상실함 없이 시나리오1이 유일한 가장 낮은 할인율 극한값을 가진다

고 가정하자 즉

r1 = min jr

j (10)

그러면 식 (8)에 극한을 취하고 식 (1) (2)를 이용하면 다음 결과를 얻을 수

있다(단 jne1 )

limtrarrinfin

w j ( t )

w 1 ( t )= lim

trarrinfin

p j exp (-⌠⌡

t

0dr j ( τ )d τ )

p 1 exp (-⌠⌡

t

0dr 1 ( τ )d τ )

= limtrarrinfin

p jp 1

exp (-(drj -dr1 ) t ) = 0

(11)

따라서 식 (7) (9) (11)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limtrarrinfinw 1 ( t ) = 1 lim

trarrinfinwj ( t ) = 0 (단 jne1 ) (12)

[증명 끝]

정리(定理 Proposition) 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7

증명

식 (7)을 시간에 하여 미분하면

=sumw j ( t )dr j (13)

여기서 식 (8)에 의해

w j= wj ( t )( sumiw i ( t )dr i-dr j ) (14)

식 (13)과 (14)를 결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sumwj ( t )(dr j-DR( t ))2 lt 0 (15)

[증명 끝]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비타당성조사의 상이 되는 공공투자사업은 그 효과가 국민에게 미치

는 것이므로 국가 인 의 경제 타당성 분석 즉 경제성 분석이 주된 평가도구

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 분석과 함께 구체 인 사업주체의 에서 시행

하는 재무 타당성 분석 즉 재무성 분석 한 부차 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산 부족이라는 제약에 항상 직면하고 있는 정부가 해당사업에 한 수요가 매우 높

아 독자 인 사업성 망이 단히 좋은 사업에까지 굳이 막 한 재정 산을 투입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자본을 이용한 사업추진 가능성에

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재무성 분석은 재정부담의 규모 민자유치 가능성을

평가하기 해 경제 타당성이 높은 사업들을 심으로 사업자체의 재무 수익성

을 평가하는 것이다 한 본 분석을 통해 공공투자사업을 민간사업자가 추진할 경

우 필요한 최소 재정지원 비율을 개략 으로 악할 수 있다 정부가 사업주체의 입

장에서 해당사업의 사업성 망을 사 으로 분석하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일반

인 가정에 입각한 재무성 분석을 통하여 과연 민간사업자가 해당사업에 참여할 충분

한 유인이 있는지 여부 컨 민자유치의 가능성 여부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개략 으로 검토하는 것은 향후 보다 구체 으로 사업추진 방식을 결정하는데 유용

할 것이다 본 에서는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차이 을 구체 으로 비교해 보도록

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9

1 경제성 분석

경제성 분석은 일반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개별사업자의

입장이 아니라 국가 체 인 입장에서 사회 편익과 사회 비용을 추정하여 사회

순 재가치(NPV)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비용-편익 분석은 소비자의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의 합으로 이해되는 사회 편익과 사용된 자원에 한 차선 사

용을 선택하지 않음으로 해서 잃어버리는 편익의 합으로 이해되는 사회 기회비용

과의 차이를 측정비교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때 사회 기회비용은 최 의 사업

비(공사비 용지보상비 포함)와 유지 리비 등으로 나 수 있으며 사업비는 공사

비 용지보상비 뿐만 아니라 차선 인 용도가 있는 자원이 사용됨에 따라 잃어버

리는 편익까지 감안한 기회비용까지도 포함한다

사회 순 재가치 = 사회 편익 - 사회 기회비용

= 소비자 지불의사 - (사업비 + 유지 리비) (Ⅸ-1)

경제성 분석에 활용되는 비용-편익 분석의 특징은 한 사회에 한 로젝트의 실

체 혹은 기 되는 실질 향을 측정한다는 데에 있다 컨 비용-편익 분석에서

측정되는 이러한 실질 향은 직 혹은 간 일 수 있으며 유형 혹은 무형

일 수 있다 한 사회 편익과 손실은 모두 화폐가치로 측정해야 하며 가능하면

경쟁가격으로 측정해야 하나 잠재가격으로 측정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비용-편익 분석은 로젝트 운 에 반 되는 효과들은 무시한다 소비자의 지

불의사 혹은 사회 기회비용은 이론 으로 어떤 자산이나 자원이 사회에 실질가치

가 있는지 측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가치평가가 정부 등의 흐름과 자동 으로

연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재무성 분석에서는 모든 흐름이 분석에 포함될

수 있지만 비용-편익 분석의 경우는 보조 이나 출 등 투자자 의 원천이 무엇

이냐에 따라 분석에 포함되어야 할 것인지 여부가 별도로 고려되어야 한다경제성 분석에서 비교되는 사회 편익과 비용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 사회 편익과 비용은 모두 화폐가치로 측정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경쟁가격

으로 측정되어야 하나 경쟁가격이 없는 경우 잠재가격으로 측정한다

②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 등은 사회에 가져오는 실질가치와 무 하므로

2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회 순 재가치 계산에서 제외한다

③ 사회 순 재가치는 사회 편익과 사회 비용을 사회 할인율(social

cost of capital)로 할인하여 계산한다

2 재무성 분석

재무성 분석은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미래의 유입(cash inflow)과 유

출(cash outflow) 최 자본투자(initial investment outlay)의 재가치를 비교하여 재

무 타당성을 평가하는 과정이다재무성 분석에서 사용되는 재무 순 재가치(FNPV)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재무 순 재가치 =sum [미래 유입 흐름의 가 - 미래 지출 흐름의 가] - 최 자본투자 (Ⅸ-2)

재무성 분석은 하나의 로젝트로부터 발생하는 사업주체에 한 기 흐름

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경제성 분석과 달리 재무성 분석에 소비자 지불의사 간

향 무형 가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흐름은 완 경쟁 인지 불완 경쟁 인

지 여부와 상 없이 실질 시장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재가치 계산에 사용되는

할인율은 사회 할인율과 비되는 재무 할인율이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1

lt표 Ⅸ-1gt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비교

구 분 경제성 분석(비용-편익 분석) 재무성 분석

목표 사회 순 재가치의 측정 재무 순 재가치의 측정

재무제표산출공동체의 사회 차 조표 (사회

편익-사회 비용)사업주체의 에 기 한

손익계산서( 유입- 유출)

소득과 손실의

포함규칙사회 향 100(직간 유무형) 흐름 100

양(+)의 변수소비자 지불의사의 합으로 정의되는

사회 편익(화폐단 로 표시)연차별 유입(화폐단 로 표시)

음(-)의 변수

로젝트 수행으로 인한 자원소비의

연차별 사회 기회비용

기투자비 (화폐단 로 표시)

연차별 유출

기투자비(화폐단 로 표시)

소득과 손실의

가치평가

이상 시장조건에서 계산되는

경쟁 잠재가격으로 평가

재의 시장조건 하에서의

재가격으로 평가

할인과정

국채이자율 사 투자수익율 사 시간

선호율 사회 시간선호율 가 평균

응용 이자율 등을 고려하여 이론 으로

도출

투자자본(주식과 부채)에 한

가 평균자본비용

법률 정의자 의 원천에 따름(내부

외부 보조 부 )법 출처나 근거와 상 없이 모든

흐름이 포함됨

분배 공평성정치 으로 결정된 가 치나 제약이

폭넓게 사용되어짐 고려하지 않음

2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1 분석기법

재무성 분석은 국가 체 인 이 아닌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수입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재무 수익률을 계산하여 사업의 타당성

을 검토하는 방법이다재무성 분석을 실시하는 기법으로 가장 리 활용되는 것은 흐름할인법

(discounted cash flow method DCF)이다 흐름할인법은 미래의 흐름을 측

한 후 가 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등으로 변되는 자

본의 기회비용으로 할인한 재가치를 구하여 비교하는 방법이다 흐름할인법에

는 순 재가치법(net present value method NPV)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IRR) 수익성지수법(profitability index method PI) 등이 있다 한

흐름할인법 이외에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method PB) 등을 통해 재무 타당성

을 평가해 볼 수 있다

가 순현재가치법(Net Present Value Method)

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미래의 유입액 가합계와 유출액 가합

계의 차이를 재무 순 재가치(FNPV)라고 한다 순 재가치법이란 산출된 순 재

가치(FNPV)가 0보다 크면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하는 방법이다84)

FNPV = 유입액 가합계 - 유출액 가합계

= sumn

t=0

Rt

(1+r) t- sum

n

t=0

Ct

(1+r) t(Ⅸ-3)

여기서 r은 할인율을 n은 분석기간을 R t는 t기간에 발생하는 유입액

Ct는 t기간에 발생하는 유출액을 나타낸다 식에서 r은 할인율로서 새로운 투자로부터 획득해야 할 최소한의 수익률을

84) 경제성 분석에서의 순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과 구분을 해 재무성 분석에서는 재무 순

재가치(FNPV)와 내부수익률(FIRR)로 표기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3

말하며 이는 투자에 한 자본비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무 순 재가치를 산출

하기 해서는 할인율이 먼 결정되어야 하며 일반 으로 가 평균자본비용 혹은

장기 시장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하고 있다 순 재가치법의 장 으로는 순 가

(NPV)가 기업가치의 증가분이라는 논리 타당성이 뒷받침된다는 과 화폐의 시간

가치를 감안한다는 그리고 기업가치의 증가분이 액으로 표시되어 가시성이 있

다는 을 들 수 있다 반면 단 으로는 계산이 복잡하고 퍼센트 수익률에 비해 실

감이 떨어진다는 을 들 수 있다

나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재무 내부수익률법은 계획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유입과 유출

액의 재가치를 일치시키는 할인율을 산출하고 이를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투자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때 재무 내부수익률(FIRR)이란 투자에서 발생한 유입

액과 유출액을 일치시키는 할인율이며 이 할인율이 자본비용보다 높은 경우 재

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0 = 유입액 가합계 - 유출액 가합계

= sumn

t=0

Rt

(1+FIRR) t- sum

n

t= o

C t

(1+FIRR) t(Ⅸ-4)

식을 만족시키는 FIRR이 내부수익률이다 내부수익률법은 흐름에 기 를 두고 재가치로 할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계

산되므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는 평가방법이다 내부수익률은 흐름을 할인

할 기 이 정해지지 않아도 계산이 가능한 장 이 있다 신 사업자체의 수익률을

제시하여 사업주체가 단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내부수익률이 퍼센트 수익률

로 표시되어 실감이 있다 다만 계산이 복잡하고 복수의 내부수익률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단기간 회수가 많은 투자안이 높은 내부수익률을 갖게 되는 경향이 있

다는 단 도 있다

다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Method)

회수기간이란 투자자 이 해당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입에 의해 액 회

수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다 회수기간법이란 허용가능한 목표회수기간을 사 으

로 설정하고 그 기간보다 짧은 회수기간을 갖는 투자안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2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허용 가능한 최장회수기간(목표회수기간) gt 투자안의 회수기간

회수기간법의 장 은 평가방법 자체가 간편하고 단순하여 이해가 쉽다는 것이다 회수기간이 투자안의 험도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회수기간이 짧을수록 유리

하다는 것은 이 방법을 통해서 결정된 투자안들은 기각된 투자안들보다 유동성이 높

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유동성을 고려하는 투자결정기법이 될 수 있

다 반면 회수기간법의 단 으로는 투자안에서 회수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흐름

을 고려하지 않으며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이다 회수기간법이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 을 보완하기 해 할

인 회수기간법(discounted payback period method)을 사용하기도 한다 할인 회수기간

법은 먼 각 기간의 흐름을 할인하여 각각의 재가치를 구한 후 각 기간의

재가치의 합이 최 의 투자 액과 같아지는 기간을 구하여 기업이 정한 목표회수기

간과 비교하여 더 짧으면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단하는 것이다 할인 회수기간

법은 흐름의 시간가치를 고려하 을 뿐 모든 흐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과 객 이고 합리 인 기 을 선정하지 못한다는 등 회수기간법이 갖는 기타

문제 은 해결하지 못한다 회수기간법 할인 회수기간법은 다른 분석기법을 보조

하기 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라 종합 검토

흐름할인법인 순 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에 비하여 회수기간법은 회수기

간까지만 분석하고 분석기간 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의 특성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체계 인 단기 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른 분석방

법을 통한 평가 안들 사이의 분석결과 차이가 크지 않아 안선택이 어려운 경우에

직면하게 되면 회수기간법을 최종 단의 기 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순 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을 비교해 보면 일반 으로 단일 투자안의 투자가

치를 평가할 때는 두 방법이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나 이론 배경에서 순 재가치

법이 내부수익률보다 우 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순 재가치법은 재투자수익률에

한 가정에 있어서 내부수익률법보다 합리 이라고 평가되고 있고 해당사업가치의

증가분을 계량화하여 나타내 다는 장 이 있다 반면 내부수익률법으로 평가할 경

우에는 투자로부터 기 되는 흐름의 방향이 한 번 이상 변할 경우 복수의 내부

수익률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평가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비타당성

조사 단계에서의 재무성 분석은 세 가지 분석 방법을 모두 시행하여 결과를 제시하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5

되 재무 타당성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해서 재무 순 재가치를 주된 단

기 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lt표 Ⅸ-2gt 투자안의 타당성 평가방법

구 분 정 의 채 택 여 부 우 선 순

회계 이익률

(accounting rate of return)

[연평균 회계 이익] divide [장부상 평균투자액]

투자안의 회계

이익률 ge 목표

이익률이면 채택

투자안의 회계

이익률이 큰 것

부터

회수기간

(PB)흐름수입으로 기 투자액 을

액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

투자안의 회수기간

le 목표회수기간lsquo 이면 채택

투자안의 회수

기간이 짧은 것

부터

순 재가치

(FNPV) FNPV= sumn

t=0

Rt

(1+r) t- sum

n

t=0

Ct

(1+r) t

투자안의 FNPV ge0 이면 채택

투자안의 FNPV 가 큰 것부터

수익성지수

(PI)P I= sum

n

t=0

Rt

(1+r) tdivide sum

n

t=0

C t

(1+r) t투자안의 PI ge1 이면 채택

투자안의 PI가

큰 것부터

내부수익률

(FIRR) sumn

t=0

R t

(1+r)t = sum

n

t=0

C t

(1+r)t

투자안의 IRR gek 이면 채택

투자안의 IRR이

큰 것부터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 원칙

흐름 추정은 재무성 분석에서 가장 주요한 구성요소 하나로 재무성 분석

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사업의 가치란 해당 사업의 총자산의 시장가치를 지칭한

다 장부가치는 발생주의 회계에 근거한 역사 원가 즉 실 자료에 근거한 원가를

기 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진정한 사업의 가치 즉 lsquo미래가치rsquo를 변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의 액도 역사 원가를 기 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객

성을 시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는 기 이 되고 있으나 사업의 시장가치를 추정하

는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재무성 분석에서는 시장가치만이 그 의미를 가지므로 시장

가치를 기 으로 기업가치를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사업의 시장가치를 해서는 미래 발생할 흐름을 먼 추정하여 정 할인율

2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구해야 한다 재무성 분석을 하기 한 흐름은 잉여

흐름(free cash flow FCF)으로서 다음 식과 같이 구해지며 이를 손익계산서의 형식

에 따라 표시하면 [그림 Ⅸ-1]과 같다

잉여 흐름(FCF) = 업 흐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 업이익 times (1 - 법인세) + 감가상각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Ⅸ-5)

[그림 Ⅸ-1] 현금흐름 추정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감가상각비는 손익계산서에서 비용으로 처리되나 실제 유출이 발생하지 않

으므로 업 흐름을 구하려면 감가상각비를 다시 가산해야 한다 운 자본이라

함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차이를 말하는 것인데 운 자본의 증가는 유출을 운 자본의 감소는 유입을 가져온다 추가운 자본은 체로 사업의 업종에 따

라 규모의 차이가 큰데 SOC 사업의 경우에는 유동자산의 이동이 심하지 않으므로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7

운 자본이 그다지 큰 비 을 차지하지 않는다 한편 이자비용은 실제로 발생하는

유출항목이지만 흐름추정에 있어서 유출에서 제외되는데 그 이유는

흐름할인법에 의하여 흐름을 정 할인율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계산하는 과

정에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 험이 이미 반 되어 있어 이자비용을 유출로 계산

할 경우 복계산 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법인세는 실질 으로 이 유

출되기 때문에 유출에 포함시켜야 한다 원칙 으로 손익계산서상의 회계이익을

기 으로 결정되나 이자비용이나 감가상각비로 인한 세 감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

에 흐름을 측정할 때 이를 별도로 반 시켜야 한다이와 같이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은 우리나라 기업회계기 에 나와 있는

재무제표 하나인 흐름표와 근본 으로 다르다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

을 추정하기 해서는 먼 투자비 자 조달방법 자기자본ㆍ타인자본비용 비율 감가상각방법 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매년도의 유입과 유출을 추정해야

하며 이는 먼 손익계산서를 산출하는 과정부터 시작한다매년도의 당기순이익 혹은 당기순손실의 크기가 추정되는 손익계산서를 이용하

여 손익분기 분석(break-even-point analysis)을 할 수 있다 수입이 어느 정도 되어야

비용을 보상하고 이익이 발생되는가를 단하는 분석으로서 이를 통해 수요변화가

이익에 미치는 향을 알 수 있다 손익분기 분석은 업개시 후 어느 시 에 이익

이 발생되는지를 단할 수 있게 해주며 매출액 원가 이익 상호간의 계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 다 한 매출액의 변화가 경 에 미치는 향을 알려주어 이익

계획뿐만 아니라 가격결정ㆍ원가 재무통제 등의 문제에 있어 도움을 수 있다

3 추가적 쟁점

가 불변가격 분석 혹은 경상가격 분석

흐름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요소들이 물가상승에 향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향을 재무성 분석에 어떻게 반 하느냐 하는 것이 요한 쟁 이 된다 핵심 인 문제는 재무성 분석을 불변가격 가정 하에서 수행하느냐 아니면 경상가격 가

정 하에서 수행하느냐의 문제이다 불변가격 분석은 흐름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고 실질가치로 추정한 다

음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재 투자시 에서의 불변가격으로

환산한 흐름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한편 경상가격 분석은 인 이션 비율에

한 가정이 구체 으로 반 되는 분석이다 이론 으로는 흐름 추정에 이용되

2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여러 가지 자료들에 해서 불변이든 경상이든 그 성격에 맞게 일 성 있는 할인

율을 용해 다면 추정된 순 재가치(NPV)가 동일한 수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재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에 의해 공식 으로 민간투자 사업을 평가할 때에는

불변 흐름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국제 융 사회에서의 SOC 사업에 한 재무성

평가는 일반 으로 경상 흐름 방식을 따르는 것이 일반 인 행이다 SOC 사업

의 특성상 규모 자본유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외국자본의 유치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도 국제 융 사회의 행을 따라 경상 흐름으로

사업성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장기 으로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SOC 사업의 분석

기간이 부분 20년 이상의 장기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 측이 그리 수월하지 않아

경상가격에 의한 재무성 분석 시 물가상승률 측에 한 가정에 하여 논란이 될

소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수십년 동안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변동해 왔

으며 향후의 물가상승률에 하여 장기 망이 시도된 사례도 거의 없는 실정이므

로 물가상승률에 한 가정을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물가상승률

망에 있어서는 정부의 인 이션 정책이 어떻게 되는 지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따라서 재의 민간투자사업의 재무성 분석 행을 고려하고 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에서 비용 편익 등을 불변가격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재무성 분석에서도 불변 흐름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사업

특성상 경상가격으로 분석을 해야 할 경우에는 물가인상률 가정을 고려하여 비용

통행료나 운 수입을 조정하여 정산하고 이에 맞게 할인율을 조정하여 분석하는 형

태를 취하기로 한다

나 할인율의 적용

할인율 용에 있어서 흐름을 불변가격으로 계상하는 경우에는 실질 할인율

을 사용하여 할인하여야 하며 흐름이 경상가격으로 계상된 경우에는 명목 할인

율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무성 분석에 용하는 실질 할인율로는 실질 가 평균할인

율을 사용한다 가 평균할인율은 건설기간 운 기간 동안의 자기자본과 타인자

본 비 에 따른 가 평균자본비용(WACC)을 산출하여 구한다 산출된 가 평균자본

비용에 피셔효과(Fisher Effect)를 고려하여 실질 할인율을 산출한다

피셔효과 실질 할인율 = (1 +명목 할인율 ) divide ( 1 +물가상승률 ) - 1 (Ⅸ-6)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9

실제로 할인율을 얼마로 가정할 것인지의 문제는 보다 체계 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다음 에서 재무성 분석에 용될 수 있는 정 할인율(수익률) 수 을 시산

해 보기로 한다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1 재무적 할인율의 개념

재무 할인율은 민간부문의 투자계획의 심사에 흔히 쓰이는 할인율을 말하며 공공

부문의 투자계획심사에 쓰이는 사회 할인율과 구별하기 하여 부르는 명칭이다이 할인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기회비용으로 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의 가

격에 내포되어 있는 기 수익률이다 구나 자유로이 시장에서 성립되는 가격에 이

증권을 매매할 수 있으므로 기 수익률은 곧 투자자의 자본의 기회비용 즉 자본비

용이 된다

2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정 할인율로 쓰이게 되는 자본비용은 시장 리 로젝트의 업 험 재무

험 등을 반 한다 이 할인율은 해당 사업에 자본을 투자한 투자자들의 험포지션

에 따라 그 크기가 각기 다를 수 있어 이들의 가 평균을 구하는 것이 일반 이다 다음에서는 재무구조가 자본비용에 미치는 향에 해 알아보도록 한다

가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용

자기자본의 기회비용(즉 주식의 자본비용)은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기 수익

률이며 이는 기다림에 한 보상 즉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와 험

리미엄의 합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반 으로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 등

가격결정모형에 근거하여 추정한다자기자본의 기회비용( r s )과 부채비율과의 계를 식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r s= r u+(r u - r b )times(1-T ) timesBS (Ⅸ-7)

2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여기서 r u는 무부채기업의 자기자본비용( 업 험에 한 보상만이 포함)을 r b는 부채의 자본비용을 T는 법인세율을 BS는 부채( B ) 자기자본( S ) 비율 즉

부채비율을 나타낸다의 식에 의하면 자기자본의 기회비용 즉 자기자본비용은 기업의 투자 업

활동에 따른 험에 한 보상(즉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과 부채자 조달로 인

해 잔여이익청구권이 더 험해지는 재무 험에 한 보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한 의 식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주식의 자본비용도 높다는 것을 표 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사업의 경우도 부채의 비 이 높아질수록 부채의 자본비용은

물론 주식의 자본비용도 커져야 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나 부채비율과 부채자본비용

부채의 기회비용 즉 부채의 자본비용도 자기자본처럼 CAPM에 의한 기 수익률

을 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론 으로는 타당하나 부채와 같은 고정 리부 증권의

경우 체계 험의 정의가 어렵고 시간 으로 안정 이지 못하여 채권의 유통수익

률로 용하고 있다유통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가 오늘의 가격에 채권을 매입하고 만기

까지 보유할 때 얻게 되는 연평균 투자수익률이다 유통수익률은 일반 으로 채권의

험등 에 따라 결정되는데 채무불이행 험이 높을수록 등 이 낮고 등 이 낮을

수록 채권의 유통수익률은 높다실무에서는 무 험이자율에 채무불이행에 한 험 보상율을 가산하여 채권의

유통수익률 즉 부채의 자본비용을 추정하기도 한다 국채의 경우 채무불이행에 한

험이 거의 없다고 가정할 경우 만기가 동일한 회사채와 국채의 유통수익률의 차

이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보상율(default premium)로 볼 수 있다 주식과는 달리 부채는 만기가 지정되어 있는데 만기가 길수록 이자율 변동에 따

른 부채가치의 상 변동성이 커지는 리 험이 있다 한 만기가 길수록 이자

율이 변동함에 따라 다른 곳에 투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유동성 험에도 노출된

다 따라서 이러한 험에 한 리미엄이 반 되어 우상향의 수익률곡선(upward sloping yield curve)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 인 상이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투자기간이 20년 이상이 되는 장기 사업이므로 부채자 을

공여한 채권자의 경우 리 험과 유동성 험( 는 만기 험이라고 부르기도 함)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험에 한 보상으로 장기국채의 유통수익률

과 단기국채의 유통수익률의 차이(만기 리미엄 는 term premium)를 무 험이자율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1

에 가산하여 장기채권의 자본비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 부채비율과 가중평균자본비용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이란 자기자본비용( r s )과 타인자본비용( r b )을 각 자본에

따른 가 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평균기회비용으로 구한 값이다

r 0= r btimes(1-T )times(B(B+S))+r stimes(S(B+S)) (Ⅸ-8)

식에서 T는 법인세율이며 B와 S는 각각 부채와 자기자본의 시장가치이다부채의 비 이 커짐에 따라 부채의 자본비용과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모두 상승하

게 되지만 법인세 감면효과로 인해 일정수 까지는 부채비 이 높아질수록 가 평균

자본비용은 낮아지는 것이 일반 인 상이다 그러나 부채의 비 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기업 산에 따른 험비용이 커짐

에 따라 가 평균비용도 다시 상승하게 되어 U자 형태의 가 평균자본비용이 나타

나게 된다 따라서 가 평균자본비용이 최소화되는 부채비율이 최 자본구조라고 할

수 있다여기서는 기업 산에 따른 비용을 계량화할 수 없어 이를 무시하고 법인세 효과

만을 감안하여 자본비용과 부채비율과의 계를 [그림 Ⅸ-2]와 같이 표 하 다

[그림 Ⅸ-2] 자본비용과 부채비율

주 r f - 무 험이자율 r u -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s -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b - 부채의 자본비용

2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에서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은 부채비율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자기자본의 자본비용과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의 차이인 재무 험보상

율 역시 부채비율의 증가함수이다 부채의 자본비용( r b )은 이자비용의 법인세 감세

효과를 감안하여 세후자본비용인 ( 1-T ) times ( r b )를 사용한다 법인세 감세효과 때문

에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은 부채비율의 감소함수로 나타나며 그림에서 그 효과

는 ( ru- r 0 )로 표시된다 부채의 세후 자본비용 역시 부채비율의 증가함수인데 이는

채무불이행 험이 감안된 결과이다를 들어 공공투자사업을 하는 기업의 운 험을 감안한 무부채기업의 자

본비용을 12라고 가정하고 무 험이자율은 7이고 평균법인세율은 275라고 가

정했을 때 주식의 자본비용은 다음과 같다

r s= r u+(r u - r b ) times ( 1-T ) timesBS

= 12 + (12 - r b ) times (1 - 0275) times BS (Ⅸ-9)

식에 의해 구해진 r s와 r b를 이용하여 가 평균자본비용이 산출되어진다부채비율에 따른 채무불이행 가산 리(default premium dp)는 아래와 같이 부채비

율의 선형함수로 가정한다

dp()= 05 times(BS) (Ⅸ-10) r b= r f+ dp

이 경우 부채비율의 변동에 따라 부채의 자본비용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그리고

가 평균자본비용을 계산한 결과는 lt표 Ⅸ-3gt과 같다

lt표 Ⅸ-3gt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부채비율(BS) 부채의 자본비용() 주식의 자본비용() 가 평균자본비용()

0 700 1200 1200

50 725 1372 1090

100 750 1526 1035

150 775 1662 1002

200 800 1780 980

250 825 1880 970

300 850 1961 953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3

3 자본비용의 추정

가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은 사업에 투자된 부채에 한 기 수익률이지만 실제 상황에서

는 부채와 유사한 험(등 )을 가진 융부채의 유통수익률을 용치로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일반 이다 공공투자사업에 투자되는 차입 의 경우 투자기간이 장

기이고 그에 따른 험도 감안해야 하므로 무 험이자율에 채권의 험보상율을 가

산한 값을 사용하기로 한다

1) 무위험이자율의 추정

무 험이자율은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여 추정한다 투자사업

이 3년을 훨씬 과하는 기간에 걸쳐 흐름이 발생하므로 만기일이 보다 긴 채권

의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년 만기채권은 유동성이 높아 시장

의 상황을 가장 포 으로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다 재 시 의 유통수익률이

단기 수 불균형으로 인해 편의(bias 偏倚)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최근 5년간의 평균치를 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본 분석에서

사용되는 무 험이자율은 최근 5년간(2000-2004)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평

균치인 57이다한편 SOC 투자의 경우 장기간 자본이 묶여 있어야 하는 것에 한 보상으로 유

동성 리미엄을 가산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 국채 리 스 드(3년~30년 만기)의

과거 20년간 평균(약 11)을 감안하여 68를 장기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85)

2) 채무불이행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 추정

민자사업의 경우 국민 체의 소비자가 이용하는 SOC시설인 만큼 정부가 민간사

업자가 채무불이행을 하도록 방치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사업자가 지 불능 험에

처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부채의 험은 낮을 것으로 보이나 민간투자자의

부채사용이 상 으로 높음을 감안하여 무 험이자율에 과거 3년간 3년 만기 국고

채 수익률과 3년 만기 회사채 수익률(AA- 등 과 BBB 등 의 평균)의 차이인 20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가산 리로 간주한다86) 결론 으로 부채의 자본비용은

85) 미국 재무부 30년 만기 국채 유통수익률에서 3년 만기 Treasury Note 리를 차감한 스 드 Bloomberg 자료 참조

2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88정도로 추정된다

나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주식의 자본비용( r j )은 무 험이자율과 험보상율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CAPM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r j= r f+β jtimes (rm - r f ) (Ⅸ-11)

여기서 r f는 무 험이자율을 β j는 투자사업의 체계 험을 r m은 시장기

수익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 rm- r f )는 시장의 험에 한 리미엄이다

1) 시장위험 프리미엄의 추정

rm을 직 추정하기는 어려우나 시장의 험 리미엄인 ( rm- r f )는 비교 안

정 인 시계열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으로 사용되는 선진국의 값을 용하도

록 한다 선진 11개국의 지난 30여년간의 험 리미엄이 약 6정도이므로 이 수치

를 사용하기로 한다87)

2) 체계적 위험의 추정

체계 험(systematic risk)이란 시장 험(market risk)라고도 하며 시장수익률과

주식수익률간의 상 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주식의 체계 험은 업 험

과 재무 험을 모두 반 하므로 우선 업 험만을 먼 산출하고 재무 험에 따라

그 규모를 조정하는 방법을 따른다 업 험은 흔히 자산의 베타로 측정하는데 이는 주식의 베타를 구한 후 만일 당해 기업이 부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

한 주식의 베타를 계산한 값이다 따라서 다음 식과 같이 기업의 업 험만을 고려

하는 자산의 베타( βu )를 계산한 후 재무구조에 따라 체계 험을 조정한다

β u= β sdivide [ 1+(1-T )timesBS ] (Ⅸ-12)

여기서 β s는 주식의 베타를 T는 법인세율을 BS는 부채비율을 나타낸다 주식의 베타는 실제로는 회귀식의 기울기로 측정하는 것이 행이다 그러나 민

자로 추진되는 사업만을 하는 상장등록회사가 없어 시장자료를 이용한 험추

86) 한국증권업 회 홈페이지 증권자료실통계자료 wwwksdaorkr 참조

87) 미국의 경우 지난 100년간의 (rm-rf)가 약 8이다(Ibbotson Associates Inc 2003 Year Book 참조)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5

정이 쉽지 않다 건설업종 내 기업의 평균을 용치로 사용하는 사례도 있으나 민자

사업의 험도가 건설업종 내 기업 활동의 험도와 같다고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산업의 베타를 구하는 신에 거래소 는 코스닥에

등록된 상장기업들 시가총액 순서로 400 기업의 자료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 기업에 해 의 식을 이용하여 체계 업 험( βu )을 도출하고 βu가

높은 순으로 400 기업을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 다 민자로 추진되는 사업의 경

우 정부의 손실보 는 보조 지원이 있어 사업자가 부담하는 험의 크기가 어

느 정도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에서 βu의 수 에 따라 분류한 4개 그룹 세 번

째 그룹의 평균 βu를 사용하거나 는 앙값을 사용하는 것이 합할 것이다 세

번째 그룹의 평균 βu는 0406이고 400 기업의 자산베타의 앙값은 0515인 것으

로 추정된다 주식의 베타는 각 기업의 부채비율에 의해 향을 받게 되므로 민자사업의 목표

부채비율에 따라 자산의 베타를 조정하여야 한다

β s= β utimes [1 + (1 - T ) times (목표부채비율)] (Ⅸ-13)

부채비율은 업 험의 크기와 보조 의 수 에 따라 변하게 된다 재 민자사

업에서의 일반 인 행은 부채비율로 300(즉 자기자본의 비 25 타인자본의

비 75)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업 특히 기업집단의 계열기업의 경우 부채비율

200가 상한으로 되어 있고 부채비율이 200 이상으로 높아지면 채무불이행 험

이 가시화될 수 있어 SOC 투자사업의 경우도 200를 목표부채비율로 상정하는 것

이 무난할 것이다 더욱이 민간사업자의 자기자본의 상당부분이 부채로 조달되고 있

는 실을 감안할 때 300의 부채비율은 과도하게 높은 채무불이행 험을 수반할

것이다 외 으로 만일 정부의 보조 이 있고 업 험의 수 도 상 으로 낮다

면 300의 부채비율도 허용할 수 있다 목표부채비율에 의해 조정된 베타를 사용하여 주식의 자본비용을 계산하여 가

평균자본비용을 추정하도록 한다

2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 r b )과 주식의 자본비용( r s )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을 산출한다

r 0 = (1-T ) times r btimesL+ r stimes (1-L) (Ⅸ-14)

단 L=B(B+S)= 667 T= 275로 가정한다

라 실질 할인율의 계산

미래 흐름의 측은 명목가격에 의한 흐름보다는 불변가격에 의한

흐름의 사용이 자의성개입의 여지가 기 때문에 불변가격으로 계산한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는 방식을 취한다 명목 할인율( r )과 실질 할인율( r )의 계

는 피셔 방정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r = (1+ r ) divide(1+ 기 물가상승률 )-1 88) (Ⅸ-1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기무 험이자율 68 부채비율 200로 가정할 경우 SOC 투자사업의 재무 실질 할인율은 59로 추정되었다 민간투자사업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경제상황의 변동에 따라 베타값 목표부채비율 기 물가상승률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앞의 계산 차에 베타값 부채비율 물가상승률 등을 입하여 응용이 가능

할 것이다89)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비타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도출된 값의

근사치인 6를 재무 실질 할인율로 사용하고자 한다90) 그러나 개별사업에 해

서 사업에 수반된 험도와 정부지원 수 을 감안하여 연구진들이 정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88) 앞에서 기 물가상승률은 3로 가정하 다

89) 각 변수의 조정에 따른 실질 할인율 계산치는 lt표 Ⅲ-10gt을 참조하라

90) 호주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본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할인율은 국제 수 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보인다 호주의 DTF(Department of Treasury and Finance)는 로젝트의 험의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험유형으로 나 어 자산베타를 추정하고 실질 할인율을 구하고 있다 병원시설이나 공용

주택 등 숙박과 련된 서비스는 매우 낮은 험유형에 속하여 자산베타가 03이고 실질 할인율은

5이다 이에 비해 수자원 교통 에 지 부문( 하수도 병원에 지시설 도로 등)은 험이 비

교 낮은 유형에 속하여 자산베타가 05이고 실질 할인율은 60이다 한편 험이 간정도 되는

유형에 속하는 통신 IT기술 부문은 자산베타가 09이고 실질 할인율은 80에 달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7

4 재무구조와 가중평균자본비용

다음 에서는 가 평균자본비용이 재무구조에 얼마나 민감하게 연 되는가를

알아본다 아래 계산을 해 다음과 같은 시장 라미터를 가정한다

무 험이자율( r f ) = 68

시장 험 리미엄( r m - r f ) = 6

부채의 자본비용( r b )

가정 1 r f + 2 고정가산 리 (그림 Ⅸ-3)

가정 2 r f + 05 times BS (그림 Ⅸ-4)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 = r f + β s times ( r m - r f )

법인세율 = 275

아래의 그래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채비율이 150를 넘으면 가 평균자본비용

이나 실질 할인율 모두 부채비율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공공투자사업의

가를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여 계산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단된다

[그림 Ⅸ-3]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2 고정)

주 r s - 주식의 자본비용 r o - 가 평균자본비용 r - 실질 할인율

2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Ⅸ-4]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05)times(BS))

5 기타 할인 방식에 대한 논의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여 흐름을 할인하는 방식의 문제 은 우선 가

평균자본비용를 구하기 한 가 치(부채의 비 )가 사업기간 동안 동일한 수 에서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재 실무 으로 사용하는 차입 수 에

한 가정은 투자와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은 액 부채상환에 우선 으로 사

용한다는 것이었으므로 부채비 이 같은 수 에서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앞서 수행한 재무구조와 가 평균자본비용간의 분석 결과에서 보듯 부채비 이

150 이상인 경우 가 평균자본비용이 부채비 에 민감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목표부채비율이 격하게 변할 것이 상되는 경우 다음에서 설명하는 주주

귀속 흐름할인방식 는 조정 가법(adjusted present value method APV법)을 사용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9

가 주주귀속현금흐름 할인방식

주주귀속 흐름(equity cash flows ECF) 할인방식은 사업의 결과 융비용까지

지 한 후 주주에게 귀속되는 흐름을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으로 할인하는 방

법이다

주주귀속 흐름 (ECF)

= ( 업이익 - 지 이자) times (1 - T ) - 순투자 - 순부채상환 (Ⅸ-16)

단 순투자 = 총투자 - 감가상각비 순부채상환 = 당기 상환된 부채의 총액 - 당기 발생한 신규차입(부채발행)

이 방식은 투자기간 부채비율 변화에 따른 자본비용 조정의 어려움을 제외하

면 비교 간단한 계산 방식이라 할 수 있다91) 그러나 부채의 상환 스 등이

상손익계산서에 반 되어야 하는데 로젝트의 진행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얼마

만큼의 부채를 사용하고 어떻게 상환할 것인지에 한 상을 하기가 쉽지 않다

는 결 이 있다

나 조정현가법

조정 가법은 로젝트의 기본가치에 로젝트와 련된 부 효과의 가치를 합

산하여 로젝트의 가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로젝트의 기본가치는 기업잉여

흐름(FCF UCF)을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으로 할인하고 법인세 감면효과나

산비용 등은 부채의 자본비용으로 할인하여 산출한다 이 방식은 이외에도 보조 의

계산 헤지 증권발행비용 기타 비용 등 다른 부수 효과를 감안하기에 매우 유용하

고 한 서로 다른 성격의 흐름을 분리하여 다른 할인율로 할인함으로써 가치

창출의 원천에 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도 있다92) 다만 흐름을 분리하

여 계산하는데 실 인 어려움이 있고 각각의 흐름에 맞는 할인율의 산출도 쉽

지 않다는 단 이 있다93)

91) 이 방법은 신공항고속도로의 할인율 산정의 근거가 된 논리이기도 하다(민자유치추진백서 건설교통

부 1996)

92) 흐름의 불확실성은 할인율에 반 하거나 분자에 계상되는 흐름을 험에 따라 축소 조정하

여야 한다 일반 으로 험조정은 분자인 흐름에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험조정이

없으면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자원배분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2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계산

재무 타당성의 분석은 실질가치로 표시된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여

계산하는 것이 일반 이다 원칙 으로 불변가격으로 추정한 흐름을 실질 할인

율로 할인한 재가치와 경상가격으로 추정한 흐름을 명목 할인율로 할인한

재가치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이는 명목 할인율과 실질 할인율의 계가 피셔 방정

식의 기 물가상승률로 연 되어 있기 때문이다 (1 + 명목 할인율) = (1 + 실질 할인율) times (1 + 기 물가상승률)

그러나 흐름추정에서 사용되는 기 물가상승률과 방정식에서의 물가상승

률이 다를 경우 두 방식이 동일한 NPV를 갖지 못할 수 있다 기 인 이션율(물가상승률)을 감안한 비비를 산정하기는 하나 일반 인 행은 인 이션을 감안

한 비비를 제외한 불변가격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다 명목 할

인율을 결정할 때 사용한 기 인 이션율이 비비에 정하게 반 되어 있다면

실질 할인율을 사용하나 명목 할인율을 사용하나 결과에 차이가 없다 공공투자사업은 투자회수기간이 장기이기 때문에 인 이션의 향을 더욱 심

하게 받게 되는데 이 경우 감가상각비가 사업유지를 한 재투자 규모에 못 미칠 수

있어 투자사업의 타당성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감가상각의 법인세 감면효

과도 평가되므로 투자사업의 타당성에 부정 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정책 단시

에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흐름의 추정에 유지보수를 한 재투자가 반드시

산입되어야 하며 인 이션의 투자사업의 타당성에 미치는 향이 하게 반 되

어야 한다

93) 가 평균자본비용을 이용한 할인기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제시된 주주귀속 흐름 할인방식이나

조정 가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최도성(1998) 참조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51

7 재무성 분석의 예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본 장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할인율을 사용하여 2003년에 수행된 ꡔ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비타당성조사ꡕ에 사용된 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표로 요

약하 다 수익성 분석표와 재무제표 분석을 한 재정지원비율은 30로 가정하

lt표 Ⅸ-4gt 재무성 분석 요약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구 분 수익성지수 FNPV FIRR

재정지원비율 = 0 (100 민자) 050 -1328 NA

재정지원비율 = 30 075 -680 NA

FNPV = 0이 되는 최소재정비율 64

2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Ⅸ-5gt 수익성 분석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연 도

수 입 비 용 가계

(수입

-비용)보조

수입

기타

수입

합 계건설비 운 비 법인세

합 계

할인 할인후 할인 할인후

공사 1차 2006 0 0 0 0 0 22 0 0 22 18 -18 2차 2007 0 0 0 0 0 22 0 0 22 17 -17 3차 2008 0 0 0 0 0 43 0 0 43 32 -32 4차 2009 0 0 0 0 0 43 0 0 43 30 -30 5차 2010 0 0 0 0 0 193 0 0 193 128 -128 6차 2011 0 0 0 0 0 577 0 0 577 362 -362 7차 2012 933 0 0 933 552 962 0 0 962 569 -17

8차 2013 260 0 0 260 145 1347 0 0 1347 752 -607 9차 2014 0 0 0 0 0 770 0 0 770 405 -405

운 1차 2015 0 109 0 109 54 0 16 0 16 8 46 2차 2016 0 122 0 122 57 0 18 0 18 9 49 3차 2017 0 137 0 137 60 0 22 0 22 10 51 4차 2018 0 153 0 153 64 0 25 0 25 10 53 5차 2019 0 172 0 172 68 0 30 0 30 12 56 6차 2020 0 192 0 192 71 0 35 0 35 13 58 7차 2021 0 216 0 216 76 0 41 0 41 14 61 8차 2022 0 242 0 242 80 0 47 0 47 16 64 9차 2023 0 250 0 250 78 0 54 0 54 17 61

10차 2024 0 258 0 258 76 0 60 0 60 18 58 11차 2025 0 267 0 267 74 0 68 7 75 21 53 12차 2026 0 276 0 276 72 0 75 16 91 24 48 13차 2027 0 285 0 285 70 0 84 20 104 26 45 14차 2028 0 294 0 294 69 0 94 23 117 27 41 15차 2029 0 304 0 304 67 0 104 26 130 29 38 16차 2030 0 315 0 315 65 0 113 30 143 30 35 17차 2031 0 325 0 325 64 0 125 33 157 31 33 18차 2032 0 336 0 336 62 0 136 35 170 31 31 19차 2033 0 347 0 347 60 0 147 37 184 32 28 20차 2034 0 359 0 359 59 0 160 38 198 33 26 합 계 1193 4956 0 6150 2043 3977 1454 264 5695 2723 -680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3

lt표 Ⅸ

-6gt

추정

손익

계산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구 분

기 간

합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매 출

액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36

7 42

4 45

1 48

0 51

1 54

4 57

9 61

6 65

6 69

9 74

4 79

2 84

3 89

7 9

974

행료

수입

155

179

206

238

275

318

367

424

451

480

511

544

579

616

656

699

744

792

843

897

997

4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매출

원가

213

215

221

227

235

244

254

267

280

295

313

329

352

377

403

430

462

496

532

574

672

0

운권

상각

비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3

846

로유

지보

수비

20

23

29

34

43

52

62

75

88

103

121

137

160

184

210

238

270

304

340

382

287

4

매출

총이

익-5

8 -3

6 -1

4 12

40

73

11

3 15

7 17

1 18

5 19

8 21

5 22

7 24

0 25

3 26

9 28

2 29

5 31

0 32

3 3

254

비와

일반

리비

3 4

4 5

6 6

7 8

9 10

10

11

12

12

13

14

15

16

17

18

19

9

업이

익-6

1 -4

0 -1

9 7

35

67

106

148

162

176

188

204

215

227

240

255

267

279

294

305

305

5

자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5

17

29

42

93

이자

161

163

164

163

161

157

151

142

130

117

102

86

69

51

32

12

0 0

0 0

186

4

경상

이익

-222

-2

03

-182

-1

56

-127

-9

0 -4

5 6

31

59

86

118

146

176

208

243

272

296

323

347

128

5

인세

0 0

0 0

0 0

0 0

0 0

13

32

40

48

57

67

75

81

89

95

597

당기

순이

익-2

22

-203

-1

82

-156

-1

27

-90

-45

6 31

59

73

86

10

6 12

8 15

1 17

6 19

7 21

5 23

4 25

2 68

8

254

타당

성조

사 수

행을

일반

지침

수정

완 연

구(제

4)

lt표 Ⅸ

-7gt

추정

대차

대조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구 분

공 사

기 간

기 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차

2차3차

4차5차

6차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5

2016

2017

2018

2019

자산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2

659

384

6 3

654

346

2 3

269

307

7 2

885

269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설인

자산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2

659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84

6 3

654

346

2 3

269

307

7 2

885

269

2

부채

0

0 0

0 0

0 0

150

4 2

691

272

1 2

732

272

2 2

686

262

1 2

518

0 0

0 0

0 0

0 1

504

269

1 2

721

273

2 2

722

268

6 2

621

251

8

자본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1

155

115

5 93

3 72

9 54

7 39

1 26

4 17

4

23

48

98

149

386

111

7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여결

0 0

0 0

0 0

0 0

0 -2

22

-425

-6

08

-764

-8

91

-981

(

당기

순이

익)

0 0

0 0

0 0

0 0

0 -2

22

-203

-1

82

-156

-1

27

-90

부채

와자

본 총

23

48

98

149

386

111

7 1

155

265

9 3

846

365

4 3

462

326

9 3

077

288

5 2

692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5

(표 Ⅸ

-7

계속

)

구 분

기 간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4

자산

2

500

230

8 2

115

192

3 1

731

153

8 1

346

115

4 96

2 94

5 1

142

135

7 1

591

184

3

0

0 0

0 0

0 0

0 0

175

565

972

139

9 1

843

설인

자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50

0 2

308

211

5 1

923

173

1 1

538

134

6 1

154

962

769

577

385

192

0

부채

2

371

217

3 1

950

169

9 1

433

115

5 85

7 53

7 19

3 0

0 0

0 0

237

1 2

173

195

0 1

699

143

3 1

155

857

537

193

0 0

0 0

0

자본

12

9 13

5 16

6 22

5 29

8 38

4 49

0 61

7 76

8 94

5 1

142

135

7 1

591

184

3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여결

-10

26

-10

20

-989

-9

30

-857

-7

71

-665

-5

38

-387

-2

10

-13

202

436

688

(

당기

순이

익)

-45

6 31

59

73

86

10

6 12

8 15

1 17

6 19

7 21

5 23

4 25

2

부채

와자

본 총

250

0 2

308

211

5 1

923

173

1 1

538

134

6 1

154

962

945

114

2 1

357

159

1 1

843

256

타당

성조

사 수

행을

일반

지침

수정

완 연

구(제

4)

lt표 Ⅸ

-8gt

추정

현금

흐름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공 사

기 간

기 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차

2차3차

4차5차

6차20

0620

0720

0820

0920

1020

1120

1220

1320

1420

1520

1620

1720

1820

1920

20업

활동

으로

인한

0 0

0 0

0 0

0 0

0 -3

0 -1

1 10

36

66

10

2

유입

0 0

0 0

0 0

0 0

0 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행료

수입

0 0

0 0

0 0

0 0

0 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업외

수익

(이자

수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0

0 0

0 0

0 0

0 0

185

190

197

202

210

216

매출

원가

(유지

보수

비 등

)0

0 0

0 0

0 0

0 0

20

23

29

34

43

52

매비

와일

반리

비0

0 0

0 0

0 0

0 0

3 4

4 5

6 6

업외

비용

(지이

자)

0 0

0 0

0 0

0 0

0 16

1 16

3 16

4 16

3 16

1 15

7

인세

등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투자

활동

으로

인한

름-2

3 -2

4 -5

0 -5

1 -2

37

-731

-1

255

-1

854

-1

187

0

0 0

0 0

0

유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5

4 1

187

0 0

0 0

0 0

투자

비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1

0 1

065

0 0

0 0

0 0

건설

이자

0 0

0 0

0 0

0 44

12

2 0

0 0

0 0

0 재

무활

동으

로인

흐름

23

24

50

51

237

731

125

5 1

854

118

7 30

11

-1

0 -3

6 -6

6 -1

02

입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5

4 1

187

30

11

0 0

0 0

자본

의 증

가23

24

50

51

23

7 73

1 38

0

0 0

0 0

0 0

0

입의

증가

0

0 0

0 0

0 0

150

4 1

187

30

11

0 0

0 0

건설

비에

차입

0 0

0 0

0 0

0 1

460

106

5 0

0 0

0 0

0

이자

한 차

입0

0 0

0 0

0 0

44

122

30

11

0 0

0 0

국고

보조

의 증

가0

0 0

0 0

0 1

217

350

0 0

0 0

0 0

0

유출

0

0 0

0 0

0 0

0 0

0 0

10

36

66

102

차입

의 상

0 0

0 0

0 0

0 0

0 0

0 10

36

66

10

2

당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기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기말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7

(표 Ⅸ

-8

계속

)

구 분

기 간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업활

동으

로인

흐름

14

7 19

8 22

3 25

1 26

6 27

8 29

8 32

0 34

3 36

9 39

0 40

7 42

6 44

4

유입

367

424

451

480

511

544

579

616

656

699

749

809

872

939

통행

료수

입36

7 42

4 45

1 48

0 51

1 54

4 57

9 61

6 65

6 69

9 74

4 79

2 84

3 89

7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외수

익(이

자수

입)

0 0

0 0

0 0

0 0

0 0

5 17

29

42

유출

220

225

228

229

245

266

281

296

313

330

359

401

446

495

매출

원가

(유지

보수

비 등

)62

75

88

10

3 12

1 13

7 16

0 18

4 21

0 23

8 27

0 30

4 34

0 38

2

비와

일반

리비

7 8

9 10

10

11

12

12

13

14

15

16

17

18

외비

용(지

이자

)15

1 14

2 13

0 11

7 10

2 86

69

51

32

12

0

0 0

0

인세

등0

0 0

0 13

32

40

48

57

67

75

81

89

95

자활

동으

로인

흐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자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건설

이자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재무

활동

으로

인한

름-1

47

-198

-2

23

-251

-2

66

-278

-2

98

-320

-3

43

-193

0

0 0

0

유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자본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입의

증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설비

한 차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이자

한 차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보

조의

증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47

198

223

251

266

278

298

320

343

193

0 0

0 0

차입

의 상

147

198

223

251

266

278

298

320

343

193

0 0

0 0

배당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175

390

407

426

444

기의

0

0 0

0 0

0 0

0 0

0 17

5 56

5 97

2 1

399

기말

0 0

0 0

0 0

0 0

0 17

5 56

5 97

2 1

399

184

3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비타당성조사는 공공투자사업의 사 타당성을 국민경제 에서 검토하

는 데 주목 이 있으므로 타당성이 검증된 사업의 경우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

는 것을 기본 제로 한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는 공공투자사업의 최 단계로서

국민경제 에서 타당성을 검증할 뿐만 아니라 향후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것으

로 상되는 다양한 사회경제 쟁 과 정책 고려사항들을 사 에 제기해두고 보

다 효율 인 재원분담체계나 사업추진방식 등에 해서도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기

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투자사업의 사업추진방식 가운데 하나인 민간투자사업에

해서도 재무성 분석을 통하여 그 추진 가능성을 단해오고 있다 그러나 기존

비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 평가는

유용한 정책 단 자료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즉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과 련된 사업제안 입찰 사업자 선정 상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진이 일정한 가정 하에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해당사

업의 사업성 망을 사 으로 악하는 수 의 재무성 분석을 통해서는 과연 민간

사업자가 해당사업에 참여할 충분한 유인이 있는지 여부를 가려내기 쉽지 않고 국가 인 차원에서도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해

의사결정하기 어려운 것이 실이었다 한 민간사업자의 입장에서 정 사용료 수

을 반 하여 이용수요를 추정하지 못하는 등 분석 방법론상의 한계도 있었다본 장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여 앞서 제시한 재무성 분석 지침을 바탕으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정부 민간사업자 입장 모두를 고려하여 민간투자사업 추

진의 합성을 개략 으로 단할 수 있는 보다 발 된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방안은 비타당성조사에 당장 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나 향후 보다 구체 인 연

구를 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논의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59

개를 해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 추진 황을 간략히 정리하고 최근의 제도

개선방향에 해서도 개 하고자 한다

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1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및 지정 기준

정부는 사회간 자본 건설사업에 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해 1994년부터 시행

해온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자유치 진법(이하 민자유치 진법)」을 1999년에 「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투자법(이하 민간투자법)」으로 개정하고 이후 매년 「민

간투자사업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통해 구체 인 민자사업 추진방향 지침을

제시해왔다 민간투자사업의 선정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서 재정사업 사업성이 우수하고

정부보다 민간이 추진하는 편이 효율 일 것으로 상되는 사업을 정부 주무부처가

선정하여 민간사업자를 공모하는 정부고시사업과 민간사업자가 공공투자사업 수

익성이 있다고 단되는 사업을 자체 으로 발굴하여 정부에 제안하는 민간제안사업

으로 나뉜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차는 정부고시사업과 민간제안사업별로 다음과 같

은 단계를 밟는다

2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gt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단계정부고시사업 민간제안사업

수행업무 담당주체 수행업무 담당주체

1 상사업 지정 주무 청 기획 산처 사업제안서 제출 민간부문

2시설사업기본계획

의 수립 고시주무 청 제안내용의 검토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3 사업계획의 제출 민간부문 제안내용의 공고 주무 청

4사업계획의

검토평가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제안서의

검토평가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5실시 약 체결 등

사업시행자 지정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실시 약 체결 등

사업시행자 지정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6실시계획의

승인신청 승인사업시행자 주무 청

실시계획의

승인신청 승인

사업시행자 주무 청

7공사시행

공확인사업시행자 주무 청

공사시행

공확인

사업시행자 주무 청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이러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차에서 비타당성조사와 련되는 단계는 정부고

시사업의 상사업 지정 단계이다 민간제안사업은 기본 으로 민간사업자가 수익성

있는 사업을 발굴하고 사업규모와 노선(입지) 등 사업계획을 자체 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공공투자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와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 추진된다 다만 민간제안사업의 경우에도 련 정부부처의 계획에 포함되어 있거나 검토된 바

있는 사업이 많기 때문에 정부추진 안(재정사업)과의 비교가 필요하며 해당 사업이

비타당성조사를 거친 사업이라면 비타당성조사를 일종의 정부실행 안으로 삼

아 비교검토가 가능할 것이다 정부고시 민간투자사업은 비타당성조사와 본타당성조사를 거친 사업 민간

투자사업으로 추진하기에 합한 사업을 사업 주무부처가 기획 산처에 지정신청

하도록 되어 있는데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과 가능성은 비타당성조사 단계

에서 개략 으로 검토되고 있다 정부고시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총사업비 규모에 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1

라 심의 지정 차가 달라지는데 기본 으로 주무부처의 재량에 따라 사업이 지

정 고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t표 Ⅹ-2gt 민간투자사업 지정 절차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총사업비 국고지원 지정 차

2천억원 미만 300억원 미만 - 주무 청의 자체 지정 고시 후 기획 산처에 통보

2천억원 미만 300억원 이상

- 비타당성조사를 거침 - 주무 청의 단에 따라 별도의 본타당성조사를 생략할 수

있음 주무 청 자체 지정 고시 후 기획 산처에 통보

2천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

- 비타당성조사 불필요 - 상사업 지정 에 타당성분석을 실시하고 민간투자

지원센터의 검토를 거쳐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의 심의를

받음

2천억원 이상 300억원 이상

- 비타당성조사 본타당성조사 시행 후 민간투자

지원센터의 검토를 거쳐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의 심의를

받음

500억원 이상 300억원 이상- 비타당성조사를 통해 민간투자가능사업으로 합한지

여부를 1차 으로 단해야 함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체 추진 단계에서 비타당성조사는 사업의 타당성에 한 비 검토단계이

며 특히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한 재무성 분석은 개략 인 수 에

서 행해지므로 본타당성조사 심의 원회 심의 등 이후 단계에서 보다 면 한 평가

검토가 수반된다민간투자 상사업의 지정은 사업주무부처와 심의 원회가 담당하고 있는데 민

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에 해서 민간투자법에서는 구체 으로 규정하는 바가 없

고 신 기본계획을 통해 이를 제시하도록 되어있다 2004년 기본계획에 제시된 민

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은 다음과 같다

2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3gt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기준

구분 선정원칙

공통

수익자 부담능력원칙 양질의 서비스 제공과 이에 부합하는 이용자의 높은

사용료 부담이 가능한 사업

수익성원칙 정부가 허용가능하고 이용자가 지불가능한 사용료로서

정부의 보조 수 하에서 사업자의 투자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

사업편익의 원칙 목표연도 내 사업완료와 이에 따른 시간가치가 큰 사업

효율성 원칙 민간의 창의를 활용한 건설운 의 효율성과 경쟁에 의한

서비스 질 제고가 기 되는 사업

재정사업과 민자사업간 상호 환 허용 재정사업으로 추진 인 사업

가운데 재정여건 시 성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타당성이 있을 때

민간투자사업으로의 환이 가능하며 민간투자사업 추진 에 사업계획

제출이 없거나 과도한 정부 재정지원 요구 등으로 추진이 곤란한 사업에

해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 재정사업으로의 환 가능

정부고시사업

민간투자법에서 규정한 시설유형에 부합

SOC 련 장기계획 국가투자사업 우선순 에 부합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율 이라고 인정되는 사업

민간제안사업

민간투자법에서 규정한 시설로서 주무 청이 민간투자 상사업으로

지정고시하지 않은 사업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이 가능한 사업

건설운 단계에서 사업비 유지 리비 감과 부정 환경 향을

감시킬 수 있는 설계 공법 기술을 용하는 사업을 우선시

국내외에 독 권리나 지 재산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공법 기술을

용하는 경우 우선 고려

정부의 재정지원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우선시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기본계획에 제시된 민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은 원칙 인 규정으로 실제로 선

정과정을 해서는 보다 구체 이고 체계 인 기 이 필요하며 상사업의 수익성과

정 사업규모 총사업비 사업의 험도 등에 한 정 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

다 특히 정부고시사업의 부분이 자체 으로는 수익성이 없어 국고지원이 필수

인 상황에서 정 재정지원 수 에 한 사 인 단 기 이 마련될 필요성이 제

기된다 민간투자 상사업 선정기 마련과 평가방안에 한 내용은 최근의 민간투

자제도 개선방향에 한 검토와 지침 보완 부분에서 상론하기로 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3

2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민간투자사업은 1994년에 「민자유치 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 으로 추진되었

고 기획 산처를 통해 통합 리 되기 시작하 다 1994년 이 에는 도로법 철도법 항만법 하수도법 등 각 SOC 시설별 개별법상의 련 근거조항을 토 로 민자유치사

업이 추진되었으며 1968년부터 1993년까지 총 93건(사업비 규모 3조 3589억원)이

추진된 바 있다 동 기간에는 환경시설 문화 시설 등에는 민자유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로 공항 항만 등 형 기간시설을 주로 투자가 유치되었다 특히 최근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가장 활발한 도로시설의 투자 실 은 상 으로 미미하 음을

알 수 있다

lt표 Ⅹ-4gt 사회간접자본시설 민자유치사업 실적(1968~1993)

시설부문 사업수 사업비(억원) 사업명

도 로 6 1321 인천고속도로 원효 로 구덕터 등

철 도 12 8244 청량리역 등 민자역사

항 만 52 15394 부산 양항 컨테이 부두

공 항 16 3200 의왕 양산 ICD 복합화물터미

화물기지 4 4719 김포국제선터미 등

발 소 3 891 울산화력 등

합 계 93 33589

자료 사회간 자본기획단ꡔ사회간 자본 주요통계ꡕ 1993

그 이후로는 1994년에 「민자유치 진법」이 제정되고 동법이 1998년에 「민간투자

법」으로 개정되면서 민간투자 추진 차와 상사업 선정 상기 등에 한 통

합 근거가 마련되었고 주무부처와 민간사업자 기획 산처 민간투자지원센터 등

련 주체의 역할과 계가 명문화되면서 민간투자사업은 보다 활발히 추진되고 사업

부문도 다양화되기 시작했다1998년부터의 민간투자사업 투자실 을 종합 으로 살펴보면 2004년 9월 재

실시 약이 체결된 국가 리사업을 기 으로 총 37개 사업이 추진되었는데 이

완공된 사업은 인천신공항고속도로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등 11개 사업이며 나머지

사업은 시공 이거나 착공 비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악된다 기획 산처에서 집계

2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투자비 규모로 보면 37개 체 사업의 총사업비는 29조원에 달하는데 이 같은 투

자실 은 체 SOC 투자 비 비 이 1998년 44에서 2004년(계획) 127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lt표 Ⅹ-5gt 최근의 사회간접자본시설 민간투자 실적

98 00 02 03 04(계획)

체SOC투자 (조원) 122 152 176 204 198

∙재정투자 117 142 160 183 171

∙민간투자 05 10 16 21 25

민간투자비 () 44 65 94 104 127

자료 기획 산처 「rsquo04~rsquo08 국가재정운용계획(안)」 2004 9

시설유형별 추진실 은 상사업 지정 황의 분류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민간

투자법 제2조 1항에서는 민간투자가 가능한 사회간 자본시설(SOC)을 도로법 철도

법 등 시설부문별 근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설로 정의하고 있는데 사실상 모든

SOC 시설이 민간투자 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기본계획에 제시된 35개 SOC 시설유형별 추진 실 을 살펴보면 1995~2004년 기

간 동안에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된 47개 사업 가운데 도로분야가 20건 항만분야가

11건 철도분야 8건 유통분야 5건 환경분야 2건 문화 분야 1건 순으로 집계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이 기간에 비해 사업부문이 다소 다양화되었고 규모 국가 기

간시설뿐만 아니라 터 교량 등 수익성이 높은 소규모 지역 교통사업에도 민간투

자사업이 확 되고 있다는 을 말해 다 그러나 도로부문에 한 투자가 크게 증

가하는 등 여 히 교통사업 주로 사업이 추진되고 환경 수자원 문화 부문 등

수익성이 낮고 공공성이 보다 강조되는 사업부문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은 거의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5

lt표 Ⅹ-6gt 시설부문별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현황(1995~2004)

분야(유형수) 소 부처 사회간 자본시설 유형 사업수 비고

도 로 분 야(3) 건설교통부도로 도로부속물 노외주차장 지능형 교통체계

20구~부산 고속도

로 등

철 도 분 야(3)철도청 철도 철도시설 1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교통부 도시철도 7 용인 경 철 등

항 만 분 야(2) 해양수산부 항만시설 어항시설 11 부산신항만 등

공 항 분 야(1) 건설교통부 공항시설 0

수자원분야(3)건설교통부 다목 하천부속물 0

환경부 수도 0

정보통신분야(4)정보통신부

기통신설비 정보통신망 고

속정보통신망0

건설교통부 지리정보체계 0

에 지분야(3) 산업자원부원설비 가스공 시설 집단에

지시설0

환 경 분 야(5) 환경부

분뇨처리시설 축산폐수공공처

리시설 폐기물 처리시설 폐수종

말처리시설 재활용시설 하수도

하수종말처리시설

2라북도 환경기

시설 용인시 하

수처리시설

유 통 분 야(3) 건설교통부유통단지 화물터미 창고 여객자동차터미

5호남권 복합화물

터미 등

문화 분야(8)

문화 부

지 단지 청소년수련

시설생활체육시설 도서 박물

미술 국제회의시설

1용유무의 단

지 조성

과학기술부 과학 0

건설교통부 도시공원 0

합계 47

주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에서 지정된 사업을 기 으로 rsquo04년 6월말 재 집계임

2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민간투자사업의 사업부문별 추진 실 을 총사업비 기 으로 살펴보아도 이러한

사실은 확인된다 즉 2004년 9월 재까지 약이 체결된 총 111건의 사업 도로부

문에 한 투자액은 약 17조 4천억원으로 체 투자 규모 33조 8천억원의 5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도로 도시철도 항만 등 교통부문사업 이외에 환경 주차장 기타 부문의 비 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Ⅹ-7gt 민간투자사업 사업부문별 총사업비 현황

합계 도로 도시철도 항만 환경 주차장 기타

액(조원) 338 174 61 59 16 01 27

() (100) (515) (180) (175) (47) (03) (80)

주 2004년 9월 재 약체결된 사업 111건 기 자료 기획 산처 「rsquo04~rsquo08 국가재정운용계획(안)」 2004 9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1 민간투자사업 추진상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1998년 「민간투자법」 개정 이후 민간투자사업이 양 으로

팽창하고 부문도 다양화되는 등 정부 재정부담을 이고 SOC 투자를 원활하게 하는

데 일조하고 있지만 제도 인 측면과 실제 추진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 과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재까지 민간투자사업 추진에 있어 제기되어온 문제 으로는 교통시설 등 투자

상 사업부문의 편 수익성이 부족한 사업의 추진과 이에 따른 과도한 정부 재정

지원발생 사업자의 도덕 해이 경쟁이 담보되지 못하는 상 심의 구조 재무

투자자 등 비건설사의 참여 조 민간투자사업 상사업 사업자 선정에 해

체계 인 평가와 분석이 미흡했던 등이 지 되고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7

2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앞서 거론한 문제 들과 련하여 정부는 최근 민간투자제도의 반 인 개선안

을 발표하고 이를 반 하여 민간투자법 개정안을 입법 고한 바 있다 그 주요 내용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형 SOC 사업에 편 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고 상

사업의 범 를 확 하기 해 국민생활에 하고 비교 소규모 시설로서 험도

가 낮은 교육 복지시설 등을 민간투자 상시설 범 에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

시설 유형을 재의 총 35개에서 42개로 확 하고 법명칭도 lsquo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투자법rsquo에서 lsquo사회기반시설에 한민간투자법rsquo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 공공성에 비해 수익기반이 열악하여 민간투자가 유도되기 어려웠던 수자

원시설 문화체육시설 교육 복지시설에 한 투자를 유도하기 해 재 활용되

고 있는 사업시행방식인 BTO(건설-이 -운 ) BOT(건설-운 -이 ) BOO(건설-소유

-운 ) 이외에 BTL(건설-이 -임 ) 방식을 도입하여 민간사업자가 자 투자와 건설 운 을 담당하고 이에 해 정부가 시설임 료와 운 비를 지 함으로써 사업 험을

부분 정부가 부담하는 사업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경쟁이 담보되지 못하고 과도한 정부재정지원이 발생하는 문제와 련하여

동 개선안에서는 정부고시사업에서 경쟁입찰을 의무화하는 원칙을 주요 개선 방안으

로 제시하 다 한 단독 응찰된 민간제안사업에 해서도 한 차례 모집공고를 의

무화하는 ldquo단독 제안사업 유찰제도rdquo가 시행될 정이다셋째 민간투자 상사업의 엄 한 선별을 한 평가체계의 개선과 련해서는

2005년부터 총사업비 3천억원 이상의 민간제안사업에 해 ꡔ민간투자사업 격성조

사ꡕ를 실시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본 조사는 민간투자사업의 비타당성조사와

같은 기능으로서 민간투자 검토사업에 한 수요 재추정과 경제성 재무성 분석을

실시하여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고 민자사업가상 안과 재정사업 안의 비교평가

를 통해 민자사업 추진의 격성을 단하는 체계로 구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재원과 참여자의 다양성 확보와 사업제안과정의 경쟁 제고를

해 공모 인 라 펀드의 참여와 세제지원 행정체계 개선 등 재무 투자의 활성화 방

안을 밝히고 있다이와 같은 제도 개선안은 그간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문제 을 해소하는 데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업부문별로 정한 건설비 보조 운 수입보장 수 에

한 세부 인 검토와 수요추정의 정확성과 사용료 수 의 정성을 제고하는 방안 기타 상과정의 실무 인 세부 차의 정비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

2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히 사업 자체의 타당성이 검증된 특정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 혹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한지 여부를 기단계에서 엄 히 분

석하는 것이 차후 불필요한 비용을 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요할 것으로

단된다 이하에서는 공공투자사업의 추진방식에 한 선정기 으로 자 의 유용성(Value

For Money 이하 VFM)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국과 일본의 사례를 살펴 으로써

본 방법론을 우리나라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용이 가능한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1 영국의 사례

가 PFI 사업의 추진 현황

국은 1992년 공공투자사업에 한 민간사업자들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하여

재정부담을 경감하고 민간부문의 효율성 창의성을 도입하기 한 방안으로

Private Finance Initiative(이하 PFI)를 제창하 다 PFI 제도는 국유재산의 민 화 공

기업의 일정 지분 매각 제휴 계를 통한 공공자산의 공동 개발 등을 포 하는 민

트 쉽(Public Private Partnerships PPPs)의 일종으로 공공시설의 설계건설운

을 민간업체에 맡기고 정부는 민간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 해 일정한 가를 지

불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

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 으로 한다 국의 공공부문에 한 총투자는 [그림 Ⅹ-1]과 같이 1997년부터 차 증가하기

시작하 다 이 PFIPPP 방식에 의한 투자는 지난 5년간 약 10~135로 공공부문

총투자의 일정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측

되고 있다 2003년 7월 재 PFI 방식으로 완공된 사업은 총 451건으로 주요 분야는

병원 보건시설(187건) 교통사업(23건) 교육시설(239건) 소방서 경찰서(34건) 교도소 수자원시설 등이다 총사업비 측면에서 보면 규모가 큰 도로사업을 포함하는

교통 련 사업이 22를 차지하고 보건사업이 16를 차지하고 있다 총사업비 규모

로 비교한 부처별 PFI 사업의 규모는 [그림 Ⅹ-2]와 같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극 으로 PFI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계약이 체결된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9

사업수가 119건에 이르며 이 재 97개 사업이 운 단계에 있다 지방정부의

PFI 사업은 주로 학교 소방서 주택건설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Ⅹ-1] 영국 공공사업분야 총투자액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그림 Ⅹ-2] 부처별 PFI 사업의 총사업비 규모

보건부

기타교육기술부

내무부

부수상실

환경식품농업부

교통부

노동연금부

내국세 세입청분권화된

행정기구

국방부

보건부

기타교육기술부

내무부

부수상실

환경식품농업부

교통부

노동연금부

내국세 세입청분권화된

행정기구

국방부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2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국의 PFI 사업은 건설 운 을 담당하는 민간사업자에게 정부가 서비스 가

를 지불하는 형태로 민간사업자가 직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징수하여 투자비를 회

수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독립채산제 방식으로 운 되는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 방식

과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산제약으로 인해 불규칙 으로

혹은 부진하게 수행되었던 공공사업에 한 투자를 증진하고 정부가 공공시설 투자

운 에 집행하는 재정지출을 측가능하고 안정 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실제로 2003년 재 국정부가 PFI 사업자에게 지불한 비용은 총 가

용 산의 2 수 에 불과해 PFI 사업의 재정에 한 부담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국은 PFI 제도의 도입 이래 민간투자사업의 비 을 꾸 히 증가시켜 오면서

상사업 선정에 한 방법론 리체계 개발 측면에 있어서도 지속 인 개선보완

작업을 수행해왔다 이러한 국의 PFI 제도는 일본 필리핀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들이 자국의 법제도에 맞는 민간투자제도를 마련하는 데 모태가 되었다

나 PFI 사업 추진의 기본 원칙

국 재무부(HM Treasury)는 Value for Money(이하 VFM)가 있는 경우에만 PFI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원칙으로 공공투자사업의 조달방식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

다 VFM는 사업의 목표를 실 하기 해 사업 기간에 걸쳐 소요되는 총비용과

사업의 결과로 산출되는 서비스의 질 간의 최 조합을 구하여 평가하는 것으로94) PFI 방식을 포함한 여러 조달방식 VFM이 높은 방식을 택하여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VFM은 정량 으로 산정 가능한 비용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정성

인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보다 정 한 VFM 분석에 앞서 일차 으로 다음과 같은 성격을 지닌 공공투자사

업에 해 PFI 방식에 한 평가를 고려할 수 있다

건설과 운 과 련된 여러 험에 한 효율 인 리가 요구되는 형 투자

사업

서비스 구조가 PFI 방식에 합한 사업 즉 정부가 장기 인 서비스 요구 수

을 민간에게 명확히 제시할 수 있고 민간과 공공부문간 험분담이 명확히 정

의될 수 있는 사업

사업과 련된 자산 서비스가 계약 기간에 걸쳐 장기 으로 비용화 가능

94) 국 Government Accounting에서는 Value for Money를 lsquothe optimum combination of whole-life cost and quality(or fitness for purpose) to meet the user requirement로 정의하고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1

한 사업

사업과 연 된 기술 등이 속히 변화하지 않고 안정 인 사업

장기에 걸친 사업

민간사업자가 참여할 인센티 가 있는 사업 등

재무부에서는 2003년 7월에 그간의 PFI 사업 추진 황을 고찰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한 「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를 발간하고 이에 한 후속작업으로

당해년도에 새로 발간된 Green Book의 내용에 입각하여 2004년 8월 「VFM Assessment Guidance」를 통해 실부 인 VFM 산정방법을 제시하 다 이는 기존에

PFI 사업 추진에 한 지침으로 사용되어 왔던 Treasury Taskforce의 Technical Note를

체하는 지침이라 할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VFM 평가를 세 단계에 걸쳐 실시하

고 특히 사업계획 기단계에서 VFM 평가를 수행하여 조달방식의 결정 도변

경을 한 유연성을 증 시킬 것을 강조하 다 한 VFM 산정시 비용 측면에 비

해 상 으로 평가될 수 있는 정성 인 측면에 한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사업의 각 추진 단계에 따른 VFM 산정방법 과정은 다음에서 보다 자세히 설

명하도록 한다

다 PFI 대상사업 선정 절차

국 재무부의 PFI 추진지침 하나인 「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1999년 보완)에서는 PFI 사업의 추진 체계를 lt표 Ⅹ-8gt과 같이 체 14단계

로 구성하 다 이 3912단계에서 정부실행 안(Public Sector Comparator 이하 PSC)을 산정하여 정량 인 VFM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95)

3단계에서는 거사업안(목표된 산출량 혹은 성과를 달성하기 해 시범 으로

작성된 사업안) 작성시 총사업비와 정량화된 험비용을 포함한 개략 인 형태의

PSC를 산정한다 이 때 수행하는 험분석은 개략 인 수 이기 때문에 험의 발생

가능성을 정확하게 측할 수는 없으나 가능한 모든 험의 종류를 악하고 정부

보유와 민간이 상 가능한 험으로 분류하여 차후 PFI 사업의향자가 입찰안을

작성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9단계에서는 기존에 작성한 개략

인 PSC를 재검토하고 실제 입찰안과 비교를 해 험 분담이 명확히 제시된 상

세한 PSC를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12단계에서는 입찰안 최선안을 선택하고 이를

PSC와 비교하기 해 각종 자료와 험분담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여 PSC를 재검토

한다

95) PSC란 정부가 종래의 조달방식으로 사업 추진시 소요되는 가상 인 험조정비용을 의미한다

2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8gt PFI 사업 추진 프로세스

단 계 내 용

1 사업 필요성 인식 (Establish Business Need)

2 안 평가 (Appraise the Options)

3 사업 계획 거 로젝트 (Business Case and Reference Project)

4 결성 (Developing the Team)

5 략 결정 (Deciding Tactics)

6 사업 의향서 수 (Invite Expressions of Interest Publish OJEU Notice)

7 입찰 자격 심사 (Prequalification of Bidders)

8 입찰자 제한 (Selection of Bidders (ie Shortlisting))

9 상세 평가 (Refine the Appraisal)

10 상 개시 (The Invitation to Negotiate)

11 입찰 수 평가 (Receipt and Evaluation of Bids)

12 우선 상자 선정 입찰안 최종평가

(Selection of preferred Bidder and the Final Evaluation)

13 계약 체결 (Contract Award and Financial Close)

14 계약 리 (Contract Management)

출처 Treasury Taskforce ꡔ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ꡕ Revised 1999 11

재무부는 2003년 발간한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에서 그간 추진된

PFI 사업들을 평가하면서 보다 엄 한 VFM 분석과 PSC 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이를 해 VFM 평가를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수행하고 특히 기존에 로젝트

수립단계에서 수행해오고 있던 정량 인 VFM 분석을 보다 기단계에서 실시할 것

을 강조하 다 실제 으로 민간사업자가 개입된 단계에서는 PFI 방식이 부 합한

것으로 명되어도 이미 민간사업자와 진행 인 상을 취소시키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보다 먼 PFI 방식의 합성에 해 엄 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이다 따라서 사업 조달방식 선택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해 사업구상 단계 혹은 보

다 포 인 로그램 수립 단계에서부터 VFM을 검증하고 이후 단계에서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조달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VFM 평가의 세 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투자 로그램 단계 평가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3

(Investment Programme Level Assessment)는 구체 인 개별사업 이 의 다수의 련

사업을 포 하는 상 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이다 두 번째인 개별사업 단계 평

가(Project Level Assessment)는 구체화된 사업단계에서의 평가로 PSC 산정을 통한 정

량 분석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조달 단계 평가(Procurement Level Assessment)는

민간사업자 선정 이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시장 환경 분석 등이 수행된다 VFM 평가의 체 인 흐름은 [그림 Ⅹ-3]과 같다

[그림 Ⅹ-3] VFM 산정의 3단계

투 자 프 로 그 램 평 가

최 종 조 달 방 식 평 가

사 업 단 계 PSC 평 가

PFI 방 식 제 안개 략 적 사 업 계 획 안

최 종 적 사 업 계 획 안

입 찰 공 시

민 간 사 업 자 와계 약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PFI 부 적 절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 방 식 기 존 방 식

투 자 프 로 그 램 평 가

최 종 조 달 방 식 평 가

사 업 단 계 PSC 평 가

PFI 방 식 제 안개 략 적 사 업 계 획 안

최 종 적 사 업 계 획 안

입 찰 공 시

민 간 사 업 자 와계 약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PFI 부 적 절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 방 식 기 존 방 식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2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1단계 투자 프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Investment Programme

Level Assessment)

투자 로그램이란 공통 인 성격을 지니거나 서로 연 이 있어 공통의 목표를

갖는 개별사업들을 포 하는 상 인 계획으로 모든 개별 PFI 사업들은 보다 포

인 로그램에 속하는 것을 제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PFI 추진 가능성이 있는

사업에 해 PFI 방식이 다른 조달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합한 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국 정부의 재정운 계획 단계(Spending Review)에서 수행한다 VFM 평가는 정성 평가와 정량 평가로 이루어지는데 정성 평가로는 PFI

방식으로 추진할 경우 효율성 책임성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서비스 요구

수 산출물이 계약으로 규정하는 상으로 합한지(viability) 인센티 험이

자 조달장기계약 등 측면에서의 장단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할 때 기타 조

달방식에 비해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desirability) PFI 방식으로 수

행하기에 시장 환경은 어떠한지 공공기 이 PFI 사업을 제 로 리할 수 있는지

(achievability) 등이 포함된다(표 Ⅹ-9 참고) 정량 평가는 로그램에 한 투자비와 운 비를 낙 편의(optimism bias)와

험 거래비용 등을 감안하여 산정하는 것이다96) 본 단계에서의 평가는 불확실성이

내재된 개략 인 수 의 추정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로그램 내의 개별사업에 한

엄 한 평가는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로그램 체의 PFI 방식

에 한 합성은 낮다고 하더라도 로그램 내의 개별 사업은 PFI 방식으로 추진하

는 것이 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96) 낙 편의란 평가자가 해당 사업에 해 낙 인 시각으로 사업을 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5

lt표 Ⅹ-9gt 정성적 평가 요소

주요 내용 세부 검토 항목

Viability투자목표와 결과가 계약으로 규정 가능한

산출물 형태인지 략 규범 인 측면

에서 PFI 방식에 문제가 없는지 여부

∙ 로그램 단계의 목표와 결과물의

합성

∙운 단계에서의 유연성

∙효율성 책임성 형평성

DesirabilityPFI 방식의 정 측면( 험이 공기단

축 등)과 부정 측면(추가 비용 둥)을

비교했을 때 PFI 방식이 유리한지 여부

∙ 험 리

∙ 신

∙서비스 공

∙인센티 와 리감독

∙생애주기비용과 잔존가치

AchievabilityPFI 사업을 지속 으로 리감독할 역

량이 있는지 시장 환경이 PFI 사업 추진

에 합한지 여부

∙거래비용 탁자의 역량

∙경쟁

간 요인 기타 간 인 VFM 요인들

∙계획의 질 수

∙환경 요인

∙정부의 다른 분야에서 응용가능한

신 창출 유무 등

자료 HM Treasury 「VFM Assessment Guidance」 내용 참고

2) 2단계 개별 사업 단계에서의 평가(Project Level Assessment)

본 평가는 개별 사업의 기본계획(Outline Business Case)에 해 VFM 평가를 수행

하는 것으로 투자 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가 했는지 재검토한다 개별 사업에

한 보다 구체화된 정보가 제공되므로 보다 엄 한 평가를 통해 로그램 단계의

평가결과를 수정할 수 있다정성 인 평가는 1단계에서 검토한 조건들(viability desirability achievability)이 개

별 사업에 해서도 유효한지를 평가한다 한편 사업에 한 정량 인 VFM 평가는

PSC 산정을 통해 실시한다 이 때에는 1단계 평가 이후 변화된 시장 환경 등을 반

하여 개별 사업에 한 정량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12단계에서는 공히 상 로그램 개별 사업이 정부의 가용 산 범 에 있

는지 우선 으로 검토해야 한다

2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3단계 조달 단계에서의 평가(Procurement Level Assessment)

본 평가는 사업 기본계획 단계 이후부터 민간사업자와의 계약체결까지 시장 환경

변화에 한 분석에 을 맞추어 지속 으로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시장의 경

쟁 요건 민간으로의 한 험이 경쟁으로 인한 비용의 합리성 안정성 등이

VFM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량 분석은 별도로 수행하지 않는다의 세 단계의 VFM 평가는 앙정부의 지원을 받는 지방정부 사업을 포함하여

PFI의 상이 되는 모든 사업에 해 이루어진다 각 평가단계에서 축 된 자료

정보는 다음 단계로 이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차후 유사사업의 평가시 참고

할 수 있도록 체계 으로 취합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라 정량적 VFM 분석

PFI 방식에 한 정량 분석은 PSC를 산정하여 PFI 방식과 비교하는 과정이다 PSC란 해당 공공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했을 경우의 가상 인 소요비용으로 사

업 기간 내 발생 가능한 모든 험을 비용에 반 하여 산출한다 따라서 PSC와 PFI의 VFM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각 경우에 내재되는 험을 명확히 악하여 정량화

하는 작업이 매우 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의 [그림 Ⅹ-4]에서와 같이 각 추진

방식에 한 비용을 산출하여 험에 따라 이를 조정한 후 PSC가 PFI 방식보다 상

소요비용이 높은 경우 PFI 방식의 VFM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수 의 서

비스를 제공하기 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이 재정사업의

경우보다 을 경우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유인이 있는 것이다 특히 VFM 산정에 있어서 건설 운 단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험

에 해 정부와 민간 간에 리 책임을 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수 이다 재정사업의 경우 공기 지연 비용 상승 등에 한 험이 총사업비 산정에 반 되지

않아 실제 사업비가 상 사업비를 과하는 경우가 일반 이므로 이와 같은 공기

지연 공사비 과 등 건설 험에 해서는 민간이 책임을 질 경우 보다 효율 효

과 으로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한편 정부의 사업계획의 변경 제도

변경 등 민간사업자가 책임질 수 없는 요인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험에 해서는

정부가 책임을 지는 것이 합리 일 것이다 이와 같이 PFI의 VFM은 다양한 종류의

험이 민간사업자와 정부 간에 하게 분배되었을 경우 높아지는 것으로 최 수

의 험이 이 바로 PFI 사업의 목표라 할 수 있다(그림 Ⅹ-5 참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7

[그림 Ⅹ-4] VFM 산출 방법

예상비용예상비용

예상비용위험 조정

기본 투자비

정부보유위험 정부보유위험

정부지급액의현재가치

PSC PFI

예상비용예상비용

예상비용위험 조정

기본 투자비

정부보유위험 정부보유위험

정부지급액의현재가치

PSC PFI

자료 Treasury Taskforce 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1999

[그림 Ⅹ-5] 최적 위험 이전과 VFM

최적의 위험 이전민간사업자에게이전된 위험

최상의 VFM

최적의 위험 이전민간사업자에게이전된 위험

최상의 VFM

자료 Treasury Taskforce 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1999

2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참고gt 효율적인 위험 분담의 예

다음의 입찰안의 비교 사례는 한 험 측정 분담의 효과를 잘 보

여 다

lt참고-표gt 입찰안의 위험 분담

(단 억원)

 기본 입찰안 변경 입찰안

A B A B

입찰가 430 440 450 450

순사업비 (NPV) 395 405 375 400

  민간이 험 35 35 75 50

정부보유 험 70 70 30 55

이 가능(transferable)

DBFO 이 이 이 이

유지 리비 이 이 10 이

상가능(negotiable)

보건안 법제도 10 10 이 10

기술 발 15 15 이 이

정부보유(retainable)

요구수 혹은 내용 변경 25 25 이 25

  차별 법제도 20 20 20 20

험이 조정된 NPV 500 510 480 505

주 Design-Build-Finance-Operate 자료 Treasury Taskforce의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내용 참고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9

[참고-그림] 입찰안의 위험 분담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500 480510 505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500 480510 505

의 사례에서 기본 입찰안 A B는 정부가 제시한 이 가능 험만을 민

간사업자측이 수용한 안으로서 A의 입찰가는 430억원이지만 정부보유 험

을 포함하여 조정된 총 NPV는 500억원이다 B보다 입찰가가 낮고 정부보유

험은 동일하기 때문에 A안이 B안에 비해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A와 B는 험분담이 조정된 변경안이다 A의 입찰가는 450억원으

로 기본입찰안 A의 입찰가인 430억원에 비해 높으나 기존에 정부보유 험

으로 분류된 험 많은 부분이 민간으로 이 되어 결과 으로 험이 조

정된 총 NPV는 480억원으로 기본 입찰안 A의 500억원보다 낮다 하나의

변경 입찰안 B는 입찰가는 A와 같으나 정부보유 험이 높아 총 NPV는 505억원으로 A보다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으로 A이 VFM이 있는 입찰

안이라 할 수 있다

국 재무부는 VFM 평가지침과 함께 ꡔPFI Quantitative Evaluation Spreadsheetꡕ를

제공하여 조달담당처에서 PFI 방식에 한 정량 분석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스 드시트는 분석자가 12단계의 VFM 정량 평가를 해 로그램(혹은 로

그램 내 표사업)과 개별 사업에 해 종래 방식으로 추진했을 경우(PSC)와 PFI 방식으로 추진했을 경우 소요되는 비용과 여러 가지 재무 가정을 분석자가 직 입

력하여 PFI 추진시의 VFM을 도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각 사업에 해 입력하는 항목들은 lt표 Ⅹ-10gt과 같다 각 비용항목은 사업 특성

2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가능한 한 반 하여 산정하고 특히 PFI 추진안에 용되는 비용은 과거 유사사업

의 입찰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lt표 Ⅹ-10gt VFM 산정을 위한 입력 항목

항 목 내 용

비용

투자비

∙ 기투자비 체투자비

∙PFI의 경우 험비용을 감안하기 때문에 기투자비가 PSC에 비

해 일반 으로 높음∙PSC의 체투자비의 경우 매년 기투자비의 일정액을 반

운 비

∙인건비 기타 운 비 고용자수 등을 포함

∙고용자수는 추진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인건비는 추진방식

과 무 하게 동일하게 용1)

잔존비용

∙계약완료 시 에서 계약조건에 규정된 조건으로 시설을 보수하

는 데 소요되는 비용

∙운 단계의 체투자비의 수 에 따라 조정

낙 편의

(optimism bias OB)

∙사 OB는 사업의 기본계획과 실제 계약 내용과의 차이에 의

해 발생하며 PSC와 PFI에서 동일하게 용

∙사후 OB는 계약 이후에 발생하는 편차로 PSC에서만 발생

거래비용 ∙공공사업자와 민간사업자 간의 여러 계약과 련된 거래비용

제3자 수입 ∙PFI의 서비스 지 액(unitary charge)을 보완하는 기타 수입

변경가능성

(flexibility)

∙사업범 변경과 련하여 변경 시기 확률 향정도 등

∙사업범 변경과 련된 추가비용은 PFI가 PSC보다 높은데 이

는 PFI 계약이 정부 시행시보다 경직 이라는 가정에 기인

∙사업내용(규모 범 등) 변경시 PFI 지 액이 일반 으로 증가

간 인

VFM 요소

∙정량화 가능한 간 +- 편익

∙추진방식에 따라 비 칭 으로 발생하는 요소만을 계산

∙비시장 효과의 로는 외부성 기술 신 등이 있음세 ∙PFI로 인한 추가 세수입에 해 PSC를 조정

부채비율 이자율 등∙PFI의 자기자본비율은 통상 10 정도

∙부채는 일반 으로 은행차입을 가정

일반

사업기간 ∙계약기간은 6~40년 이내로 제한

상승률

(escalator)∙투자비 운 비 PFI 지 액이 일정하게 증가한다고 가정

실질 할인율 ∙사회 할인율인 35 용2)

주 1) PFI 방식에 따른 공공부문 근로자의 고용조건 악화를 방지하기 해 추진방식에 따른 인건비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음 2) 2003년도 Green Book에서 제시된 수치임자료 HM Treasury ꡔ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ꡕ 내용을 정리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1

의 항목 기존의 재무부 지침인 ꡔTechnical Note 5 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와 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낙 편의( optimism bias)와

세 항목이 있다97) 낙 편의란 평가자가 낙 인 시각으로 사업을 평가하는 경향에 의해 발생

하는 것으로서 주로 편익의 과 추정 공기 사업비의 과소추정 등이 원인이 된다 낙 편의는 최종계획(Final Business Case FBC) 단계를 기 으로 그 이 과 이후

로 구분되는데 사업 내용이 구체화 될수록 편차는 어들게 된다 이 FBC 이후의

낙 편의는 최종계획 상의 비용 수입 편익 등의 추정치와 완공시 혹은 운 기간

동안의 실제 수치간의 차이로 조달방식에 따라 차이가 크다 [그림 Ⅹ-6]과 같이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 계약 체결단계 즉 최종계획 단계에서 부분의 낙 편

의가 제거되는 데 비해 PSC의 경우 편차가 감소되기는 하나 완공시까지 어느 정도의

낙 편이가 존재한다98)

[그림 Ⅹ-6] 조달 방식에 따른 정부보유위험

PSC

완공FBCamp

계약체결

FBC 이전

낙관적 편의

FBC 이후

낙관적 편의 PFI 방식 제거불가능한

공통위험

정부보유

위험

시간

PSC

완공FBCamp

계약체결

FBC 이전

낙관적 편의

FBC 이후

낙관적 편의 PFI 방식 제거불가능한

공통위험

정부보유

위험

시간

자료 HM Treasury ꡔ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ꡕ 2004

97) 세 계산과 련한 자세한 내용은 Green Book 보조자료인 KPMG의 「Adjusting for Taxation in PFI vs PSC Comparisons」를 참고

98) 외 으로 PSC의 경우에 정부가 유사한 사업에 한 추진 경험이 많아 정부의 추정치가 정확하다

는 확신이 있을 경우나 정부가 주체가 되어 추진할 경우에도 개별 인 도 계약을 통해 정부보유

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단될 경우에는 PSC의 낙 편의가 어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 으로 공공부문이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맺는 계약들은 성과(Output) 주가 아닌 투입물(Input) 주로 규정되어 있어 계약자들이 정부가 기 하는 성과를 정확히 맞추기가 쉽지 않다

2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낙 편의의 산정은 PSC에 한 험조정 과정을 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사업에 한 험분석을 지속 으로 실시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변

화된 환경을 반 하여 사업과 련된 모든 험을 인식하고 험을 하게 분배

하는 한편 정부가 민간에게 이 할 수 없는 험에 해서는 한 험 리 방법

을 지속 으로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 인 험 분석 과정은 lt표 Ⅹ-11gt과

같다

lt표 Ⅹ-11gt 위험 분석 과정

단 계 내 용

1 사업 련 험 인식∙다양한 분야의 문가와 경험자들이 참여하여 각 분야별

험 종류 도출

2 험의 향 평가

∙경험 증거를 바탕으로 각 험에 해 상되는 합리

인 험비용 산출

∙직 인 향 뿐 아니라 간 인 향까지 고려

3 험 발생 확률 평가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확률 추정

4 재무 향 평가∙lsquo 상 험비용= 험의 향times발생 확률rsquo을 재가치로 계산

∙해당 험에 한 보험료를 험비용의 근사치로 체 가능

5 험 련 민감도 분석∙사업주체가 통제 불가능한 험과 불확실성 악

∙추정된 NPV의 신뢰성 단에 참고

6 험의 분담

∙일차 으로는 정부보유 험과 이 가능 험 상 가능한

험으로 구분할 수 있음∙다양한 PFI 입찰안과의 비교를 해 유용

7 험 리와 완화를 한 정책 차 개발

∙정부보유 험의 감소 최소화 방안 연구

「PFI Quantitative Evaluation Spreadsheet」는 lt표 Ⅹ-10gt의 다양한 입력값에 따라

PFI의 VFM 여부를 산정한다 결과의 신뢰도는 입력값들의 신뢰성에 달려있으므로

평가자는 여러 가지 경우를 가정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해 볼 필요가 있다 즉 항

목별 사업비 제3자 수입 정부의 서비스 지 액 등을 변화시켜 이에 따라 PFI의

VFM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되는지를 찰하여 VFM에 크게 향을 미치는지 요소

를 악하도록 한다 일반 으로 투자비와 정부지 에 한 민감도가 가장 크므로

VFM을 0으로 하는 PSC 기투자비의 하한선 PFI 정부지 의 상한선을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3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정량 VFM는 PFI 추진의 합성에 해 매우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정량 VFM는 사업 추진방식 결정을 한 요한

단근거이기는 하나 최종 인 결정을 해서는 정성 VFM 요소에 한 평가가 반

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2 일본의 사례

가 PFI 사업의 추진 현황

일본 정부는 국가 지방공공단체에서 수행하는 공공시설 건설사업에 해서 민

간의 자 경 노하우 기술 등을 도입하여 효율성 효과성을 증 시키는 것을

목 으로 1999년(平成11년) 「민간자본등의활용에따른공공시설정비등의 진에 한법

률」(이하 PFI법)을 제정하 다 이는 앞서 PFI 제도를 도입한 국의 사례를 바탕으

로 일본의 법제도에 맞게 용시킨 것이다 PFI법 제21조에 따라 내각부(內閣府)에

민간자 등활용사업추진 원회(이하 PFI 추진 원회)가 설치되어 국가의 PFI 사업에

한 추진 황 조사 통합 조정 민간의견 청취 련정보 수집 배포 등 PFI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한 연구 활동 홍보를 담당하고 있다 이어서 2000년에는

PFI의 상사업 효과 선정과정 원칙 등에 해 명시하는 「민간자본등의활용에따

른공공시설정비등에 한사업의실시에 한기본방침」을 수립하여 사회간 자본의 정

비운 에 있어서 PFI 방식을 극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2000년 기본방침 수립 이후 2004년 10월까지 실시방침이 책정공표된 PFI 사업

은 총 167건에 이르고 있는데 이 앙정부 사업이 17건 지방공공단체의 사업이

125건 특수법인 등에 의한 사업이 26건으로 지방공공단체에 의한 PFI 사업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앙정부의 PFI 사업은 2002년 4건을 시작으로 차차 증가하는 추세인

한편 지방공공단체의 PFI 사업은 2000년부터 시작하여 재까지 도(都) (県) 시

( ) 구(區) 단 로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167건 체를 사업 분야별로 분류하면 [그림 Ⅹ-7]과 같다 학교 사회체육시설

식센터 도서 등 교육문화시설이 54건으로 가장 많고 의료시설 보건 생시설 폐기물처리시설 수도시설 등 보건환경시설이 31건 주차장 공원 하수도 항만 공주택 등 사회인 라시설은 21건 청사와 숙사는 19건 직업훈련시설 복지시설 등 생

활복지시설이 11건 농공업진흥시설 시설 등 산업시설이 7건 경찰소 소방서

등 안 련 시설이 4건 복합시설 등 기타시설이 20건을 이루고 있다

2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7] 일본 PFI 사업의 분야별 분류

교육문화시설32

보건환경시설19

사회인프라시설13

청사 숙사11

생활복지시설7

산업시설4

안전관련시설2

기타12

자료 PFI 추진 원회 홈페이지 httpwww8caogojppfiiinkaihtml

한편 사업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하면 이미 완공되어 운 인 사업이 35건 공공부문과 민간사업자간에 계약이 체결된 사업은 75건 민간사업자 선정 심사결과가

공표된 사업이 9건 민간사업자 선정업무가 진행 인 사업이 31건 PFI 사업으로 선

정된 사업은 5건 실시방침이 책정공표된 사업이 11건이다99)

나 PFI 사업 추진의 기본 원칙

내각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PFI 상 사업의 선정 기 은 다음과 같다

공공성이 있는 사업 (공공성 원칙) 민간의 자본경 능력기술수 등의 활용 (민간경 자원 활용 원칙) 민간의 창의력 도입으로 효율성 증 (효율성 원칙) 상사업 민간시행자 선정 과정에서 공평성이 보장 (공평성 원칙) 사업제안에서 종료까지 과정에서 투명성이 보장 (투명성 원칙)

99) PFI 사업 추진단계는 lt표 Ⅹ-12gt를 참고하라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5

PFI 사업 실시에 있어 각 단계별 평가기 의 객 성 확보 (객 주의) 공공시설의 담당자와 민간사업 시행자 간의 역할 책임 분담에 한 계약내

용을 명문화 (계약주의) 사업 시행자의 법인격상 독립성 혹은 사업부문의 경 리상의 독립성이 확보

(독립주의)

이와 같은 기 에 따라 도로 철도 항만 공항 공원 상하수도 등의 공공시설과

청사 숙사 등 공용시설 공 주택 교육문화시설 의료시설 사회복지시설 등 공익시

설 정보통신시설 열공 시설 시설 등을 PFI의 상시설로 규정하고 있다PFI 추진 원회는 PFI법 제정 5년 이내 사업의 시행 황에 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제2조 규정에 따라 2004년 6월에 ꡔPFI 추진 원회 간보고ꡕ를 발간하 다 본 보고서에서는 그간의 사업추진 경험에 입각하여 PFI 방식 도입이 극 권장되는

사업의 특성을 제시하 는데 운 업무 비 이 높고 사업구조가 복잡하여 민간의 창

의성이 발휘되는 사업 로젝트 이낸스 등 새롭고 복잡한 융기법이 활용되는

사업 지방의 기업들이 극 참여하여 지역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사업 등을

PFI 추진사업으로 극 권장하고 있다이와 같은 PFI 사업 추진으로 인해 특히 크게 기 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부분의 참여에 의해 공공부문의 경직 인 행정시스템의 개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효율 인 역할 분담에 의한 새로운 트 쉽 형성

셋째 민간의 사업기회 창출로 경제 활성화 융시장 발

넷째 지방공공단체 사업의 효율성 증 로 지역경제의 경쟁력 증 활성화

다 PFI 대상사업 선정 절차

특정 사업이 제안되면 문가를 활용하여 PFI 방식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하고 PFI 방식이 채택되면 실시방침을 수립공표한 후 특정 사업에 한 평가선정공표

를 실시한다 PFI 사업의 추진 단계는 lt표 Ⅹ-12gt과 같다

2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2gt PFI 사업의 추진 단계

단 계 내 용 비 고

사업 선정

1 사업 제안 ∙정부 혹은 민간 모두 가능

∙PFI 방식 합성 조사

2실시방침 수립

발표

∙구체 인 사업 내용을 명시한 실시방침을

공표

∙사업과 련된 험의 종류 분담 방안을

가능한 한 구체화명확화

∙민간사업자의 유지 리운 범

보조 융자 혜택범 등 구체화

3상사업(PFI 사업)

평가선정 공표

∙PFI 방식이 효율성효과성 측면에서

하다고 단될 경우 상사업에 해

VFM을 측정(동일 서비스 수 을 한

재정부담액 최소화 혹은 동일한 재정부담

하에서의 서비스 수 향상 방안) ∙VFM 산정

∙정량 정성 평가

민간사업자

모집 선정

4민간사업자 모집 평가선정 공표

∙가격이외의 조건을 고려한 종합평가시

평가기 의 객 성 확보

∙성능 주의 발주 시

∙선정 과정의 투명성

5 계약 체결

∙당사자의 의무권리 구체화

∙ 정한 공공서비스 제공 보장을 한 규정

명확화

∙ 험분담 명확화 등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비상사태에 비한

응을 명확히 규정

6 사업 실시 감독∙계약에 따른 사업의 실시

∙제공되는 서비스 수 의 감독

PFI 사업 실시 7 사업 종료 ∙용지 자산 등 계약에 따라 처리

자료 PFI 추진 원회 홈페이지 httpwww8caogojppfiiinkaihtml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7

지방자치제도가 발달한 일본에서는 지방정부가 주체가 되는 공공사업이 차지하

는 비율이 높은 만큼 PFI 사업을 지방정부가 직 추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

라 PSC 산정을 포함한 PFI 방식의 합성에 한 조사도 지방정부가 직 실시하고

있다100)

라 VFM 및 PSC의 산정 방법

PFI 추진 원회는 PFI법과 기본방침에 이어 2001년 ꡔVFM에 한 가이드라인ꡕ을

수립하여 각 앙부처의 사업을 포함하여 지방정부 특수법인 등이 주체가 되는

PFI 사업 수행에 있어서 참고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편 PFI 사업을 극 으로 추

진하고 있는 국토교통성(國土交通省)에서는 소 사업을 상으로 VFM 산정의 원칙

사례연구 등을 독자 으로 실시하고 있고 지방정부에서도 앙정부의 지침에 의

거하여 PFI에 한 기본방침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101) 사업의 VFM는 동일한 성과를 기 으로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경우의 투입비용과

PFI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의 사업 기간에 걸친 생애주기비용(lifecycle cost 이하

LCC)을 비교하거나 비용이 동일한 경우 제공되는 공공서비스 수 을 정량 으로 비

교하여 산정한다 VFM의 구체 인 산정 과정은 [그림 Ⅹ-8]과 같다

[그림 Ⅹ-8] VFM 산정 과정

공공민간부문의 1차 험 분담 결과에 따른 PSCPFI의 LCC 산정

dArr

험 조정 VFM 산정

dArr

공공민간부문의 험분담 재조정(정량 평가)dArr

정성 평가

100) 를 들어 三重県의 「신박물 정비에 한 PFI도입가능성조사」는 三重県교육 원회가 민간컨설

회계법인인 PriceWaterhouseCoopers에 탁하여 실시하 고(20023) 長野 는 「나가노시 PFI사업 도입가능성조사」를 자체 으로 실시하 다(20033)

101) 2003년 12월에 지자체와 민간의 의견을 취합하여 「국토교통성소 사업을 상으로하는VFM간이시

뮬 이션」을 공표하 다

2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102)

PSC와 PFI 사업의 LCC의 산정 방법은 lt표 Ⅹ-13gt과 같다 산정 시 에서 가능한 정 한 분석이 필요하나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

입하지 않도록 한 범 내에서 실시한다 산정 과정에 있어서 객 성과 투명성

이 필수 이다

lt표 Ⅹ-13gt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 방법

PSC PFI 사업의 LCC

제조건

∙ 상사업을 공공부문이 시행했을

경우 투입되는 총 재정부담분

∙사업의 유형 범 명확화

∙본래 공공부문이 필요한 사업만을 상정

하나 실시방침에서 부 사업 내용이

구체화된 경우 부 사업을 포함한 LCC를 추가 으로 산정할 수 있음

산정방법

∙설계건설유지 리운 등

각 단계에 소요되는 사업비 산정

∙lsquo 한 조정rsquo이 필요

∙각 연도의 투자비를 가로 계산

∙각 사업 단계 혹은 사업기간 체

에 걸쳐 발생 가능한 험을 정량

화하여 비용에 포함

∙계획 사업 추진 단계에 소요되

는 인건비 등 공공부문의 간 비

산입

∙설계건설유지 리운 등 민간

사업자 추진시 소요되는 사업비를 추정

하여 공공부문이 사업기간 체를 통해

부담해야할 비용(지불액)을 산정sup1∙민간사업자의 매년도 손익계산 자 수

지계획 등을 산정하고 민간사업자의

정한 이익과 배당 을 포함

∙PSC에 하여 간 비를 산입

주 1) 「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에서는 PFI 사업의 설계건설비와

유지 리운 비를 산출하는 데 있어서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 PSC에 비해 효율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PSC의 사업비 비 95 90 85 80로 감될 것으로 가정하여 시나

리오 분석을 하고 있음

「PFI 추진 원회 간보고」(2004)에서는 VFM의 객 성 신뢰성 향상을 해

가능한 범 내에서 정 도를 높일 것을 강조하 다 특히 일반 으로 락되는 비

용항목으로 PSC 수행시 정부의 자 조달비용(국채 지방채 발행비용 등) PFI 방식

으로 추진시의 각종 수수료 자문비용 각종 융비용 등 간 비용을 산입할 것을 지

102) PSC는 lsquo특정 사업을 공공부문이 실시할 경우 사업 기간에 걸쳐 소요되는 공 재정부담액의 재

가치rsquo로 정의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9

하 다 이러한 비용들은 체 비용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크지 않으나 정확한 비

교를 해 문가를 활용하거나 시장정보의 수집분석을 통해 계상할 필요가 있음

을 보여주고 있다103)

2) 위험 분석

PFI 방식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분담하는 험의 가를 포함하여 총사업비를 산

정하므로 공정한 비교를 해 PFI 사업에서 민간에 이 되는 험에 해서는 PSC 산정에서도 공공부문이 떠맡는 험비용으로 포함해야 한다

험의 정량화는 VFM에 향이 큰 험을 심으로 계산하는데 이는 주로 공기

지연 사업비 증가 등이 포함된다 험 항목이 정의되면 각 험에 해 lsquo(발생확

률) times (공공부문의 재무 부담)rsquo을 계산한 후 모든 험 비용을 종합하여 각 연도별

로 산정하거나 혹은 사업기간 체로 총 험비용을 계산한다 험 발생 확률 재

무 향에 한 자료는 과거 사례 시장조사를 통해 분석하는데 일부 험에

해서는 해당하는 험에 한 보험료를 험비용으로 체할 수 있다

3) 적절한 조정

한 조정이란 PFI 제도에 근거하여 PFI 사업에 해 재정상 융상 지원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재정부담액으로 PFI사업의 LCC에 포함시키는 과정이다 를

들어 세 등 재정수입이 되는 부분은 재정부담액의 감소이므로 PFI의 LCC와 PSC에

서 제외한다

4) 현재가치로 환산

PSC와 PFI 사업의 LCC를 재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반드시 동일한 할인율을

용하여야 한다 PFI 추진 원회의 지침상에서 할인율은 무 험이자율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에 한 구체 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성의 지

침에서는 「사회자본정비 련 비용 비효과 분석에 한 통일 운용지침(구건설성 1999)」에 하여 4의 할인율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원칙 으로 지방공공단체 등 분석수행 주체에 따라 자율 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국고에서 일부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앙정부가 이용하는 할인율과 동일한 수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03) 국토교통성에서 실시한 「 앙합동청사제7호 정비사업」(2002)의 경우 입찰단계 이 VFM 산정을

해 공사비는 시설정비수 에 기반하여 간단한 설계를 통해 PSC의 장래가치를 산정하고 PFI의

LCC에 해서는 민간의 사례조사를 통해 비용 감분을 산정하 다 운 비의 경우 필요업무 내용

과 분량을 가정하여 계산하고 험 비용은 보험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는 등 유사사례를 통해 추정하

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도출된 PFI 사업의 재정 감액은 45억엔인 것으로 나타났다

2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A 재정사업으로 수행(PSC)] [B PFI 사업으로 수행]

보조금

공공

부문

의지

공공부문

수행시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VFM= (Ac-Ar) ndash (Bc-Br)

공공부문

수행시

설계 건설비

공공

부문

의수

공공

부문

의지

출공

공부

문의

수입

보조금

민간사업자의설계 건설비

민간사업자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세후 이익

공공부문이 민간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가

공공부문의 감독 비용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

순 재정

부담액

순 재정

부담액

공공부문이 관여하는 관리업무와 관련된 비용

세금

PSC 계산 PFI의 LCC 계산

지출

에서

수입

을차

지출

에서

수입

을차

Ac 지출Bc 지출

Ar 수입 Br 수입

Bc-BrAc-Ar

개업비(입찰등) 개업비(입찰등)

세금

VFM

[A 재정사업으로 수행(PSC)] [B PFI 사업으로 수행]

보조금

공공

부문

의지

공공부문

수행시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VFM= (Ac-Ar) ndash (Bc-Br)

공공부문

수행시

설계 건설비

공공

부문

의수

공공

부문

의지

출공

공부

문의

수입

보조금

민간사업자의설계 건설비

민간사업자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세후 이익

공공부문이 민간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가

공공부문의 감독 비용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

순 재정

부담액

순 재정

부담액

공공부문이 관여하는 관리업무와 관련된 비용

세금

PSC 계산 PFI의 LCC 계산

지출

에서

수입

을차

지출

에서

수입

을차

Ac 지출Bc 지출

Ar 수입 Br 수입

Bc-BrAc-Ar

개업비(입찰등) 개업비(입찰등)

세금

VFM

최종 으로 1) ~ 4)의 과정을 통해 정량화된 VFM을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1차으로 PFI 방식의 도입여부를 단한다

PSC ≧ PFI의 LC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VFM이 있음

PSC lt PFI의 LC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VFM이 없음

재정사업으로 수행시 재정부담액 gt PFI사업으로 수행시 재정부담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PFI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

[그림 Ⅹ-9] 일본 VFM 산정의 예시 (위험 조정 전)

자료 국토교통성 ꡔ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ꡕ 2003

이와 같은 1차 인 정량 분석을 통해 VFM을 평가한 후 2차 으로 기존에 정

부에서 분담해 온 험에 해 민간사업자와 재조정하여 그 분석 결과를 재평가하고 이와 함께 정성 평가를 실시하여 종합 으로 VFM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정성 평가의 기 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104)

104) 국토교통성 「국토교통성소 사업을 상으로한 VFM 간이시뮬 이션」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1

산제약으로 인해 착수하지 못했던 사업을 민간 자 을 활용하여 조기에

착수함으로서 발생하는 공공서비스의 조기 공 효과(민간사업자가 수행함으

로 인해 공기단축의 가능성도 있음)

규모 사업비를 사업 기에 투입하는 신 민간사업자에게 매년 일정액의

서비스 가를 지불함으로서 발생하는 재정지출의 평 화 효과

명확한 험 분담에 따른 안정 사업운

시설의 유지 리 보수의 신속성

일 발주에 따른 행정업무 효율화

독립채산형의 경우 사업자의 수익성 향상을 한 서비스 수 개선효과

3 소결 예비타당성조사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1990년 부터 PFI 제도를 도입하여 운 하고 있는 국과 일본의 사례를 통해 민

간투자사업 합성 평가 과정과 주요 단 기 인 VFM의 산정 방법에 해 살펴보

았다 PFI 사업의 VFM 평가는 동일한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재정사업으로 수행할

경우와 민간사업자가 수행할 경우 험을 포함한 비용과 성과를 객 으로 비교하

는 방법으로서 특히 정량 인 VFM 분석의 경우 각각의 사업비를 정형화된 방법으

로 산출하여 사업 추진방식 결정 기 에 한 객 성을 상당 부분 보완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특히 재정사업의 문제 하나가 공기지연과 비효율 리운

등으로 인한 총사업비 상승이라고 볼 때 이와 련된 험을 민간부문에 히 이

하는 것을 제로 국가 인 차원에서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의 비용을 산출

비교할 수 있다는 에서 합리 인 단기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PSC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과 일본 등의 경험에서 볼 수 있

듯이 정량 인 분석은 민간투자사업 선정의 합성을 단하는 하나의 요한 기

이 될 수 있으나 이와 더불어 PSC 비교를 통해 고려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사항을

비교평가하기 하여 반드시 정성 인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민간투자사업 선정의 최종 인 결정은 정성 인 요소와 정량 인 요소를 포 하

는 종합 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재정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 등

을 통하여 국민 경제 정책 인 측면에서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이 제도화되어

있으나 민간제안사업의 경우 정성 인 평가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2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와 더불어 국과 일본 등에서 시행 인 VFM 평가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하

기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을 유의하여 우리나라의 제도와 차에 맞게 보

완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의 민간투자 련 제도 차와 연계하여 한 VFM 평가의

도입 단계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어느 단계에서 한 정보가 제

공될 수 있는지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은 어느 정도인지 등이 고려되어야 한

다 사업의 내용이 구체화 될수록 보다 상세한 정보를 바탕으로 엄 한 VFM을 산정

할 수 있겠으나 기 단계에서 민간사업 선정 타당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 차후 산

의 낭비를 방지하는 등 정 인 효과가 크기 때문에 기 단계에서 개략 으로

VFM를 검토하고 단계 으로 보다 엄 하게 분석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에서 재정사업에 해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VFM를 검토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둘째 민간투자사업 시행시의 총사업비에 한 합리 인 추정이 필요하다 비

타당성조사는 민간투자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이 단계이기 때

문에 합리 인 근거 가정에 입각하여 민간사업의 가상입찰안을 추정해야 할 것이

다 재정사업과 비교하여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시의 사업비 추정에 있어서 민간사

업자 시행시 정 사용료 수 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정확한 수요를 산출하는 한편 건설비 유지 리 비용 감 부분에 한 합리 인 추정을 실시하여 반 하는 등

보다 차별화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민간투자사업의 경험이

많지 않아 사업구상 단계에서 사업비 험 등을 산정하기 해 참고할만한 충분

한 데이터가 축 되었다고 볼 수 없겠으나 개략 인 분석을 해서 기존의 련 자

료를 취합 정리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환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더

불어 앞으로 진행되는 민간투자사업에 해 련자료 보 공유를 의무화체계

화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험 분석에 한 고려가 필요하다 정부와 민간사업자 간의 한 험

분담이 VFM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소인 만큼 기 단계의 PSC의 경우에 있어서

도 가능한 한 상세하고 신뢰 가능한 험 분석이 필수 이다 험의 발생 가능성

재무 향을 분석하기 하여 국내외의 유사사업 사례에 기반한 통계자료를 작

성하고 보다 합리 인 험 정량화 방법을 개발하기 한 심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

다 자료수집 분석에 한계가 있을 경우 개별 사업에 한 험 분석 단계에서 재

무 기술 험분석 등 다양한 방면의 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샵을 개최하여 련

험을 악하고 재무 향을 분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넷째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사업 유형에 합한 PSC 산정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과 일본의 제도는 우리나라의 제도와는 민간투자사업의 유형 주요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3

상사업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

려한 도입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지 했듯이 국과 일본의 분석 방법

은 민간사업자가 설계 건설하고 일정기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로 정부로부터 일

정한 액을 받는 공공서비스 제공형을 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로 교육시설 공공청사 보건시설 등이 상사업이 되고 있다 국의 경우 도로 교량 등 건설이

PFI 방식을 통해 시행되는 경우가 있으나 우리나라 고속도로와 같이 사용자가 통행

료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무료로 운 하고 민간사업자와 계약을 해서 사

용자수 가상의 통행료를 계산하는 방식(shadow toll)이라는 에서 우리나라와 차

이가 있다 국의 표 인 민 화 사례인 런던지하철의 경우도 민간부문은 시설

시스템 리 개량 업무를 맡고 이에 한 일정한 가를 정부로부터 받는 형식으

로 운 수익성에 해서는 여 히 공공부문이 책임지고 있다105) 이와 같이

국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고 험 고수익을 기 하고 공공사업에 투자하기 보다는 안

정 인 수익을 기 하고 험이 거의 없는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

리 우리나라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의 주 상인 교통사업(고속도로 경 철 항만 등)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직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징수하여 투자비를 회수하고 수익

을 창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사업의 유형에 맞는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를 들어 고속도로 경 철 사업의 경우

실제 으로 입찰 단계에서 사용료 수 이 조정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요변화등을

고려하여 VFM 분석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106) 이처럼 사업의 유형에 따라 사업효

과(제공되는 서비스 수 )를 동일하게 가정하고 PSC와 PFI의 LCC를 산출비교하는

기존의 국일본의 방법론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107) 이처럼 민간투자사업의 합성 단을 해 VFM을 산정하는 방법은 객 성과

합리성 측면에서 우수한 방안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하기 해

105) London Underground Limited(LUL)은 정부의 산제약 불규칙한 산배정으로 인해 객차 역사 시스템 등 지하철 인 라시설에 한 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자 2002년과 2003년 두차례에 걸

쳐 지하철의 시설과 시스템 리 개량 업무를 일정기간 동안 민간사업자에게 운 을 맡기는 계

약을 체결하 다 민간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의 가로 매월 일정액(Infrastructure service charge)을

받고 LUL은 소유권 운 권을 유지하기 때문에 승객감소로 인한 수입 감소 험은 정부가 계속

보유하게 된다 그러나 서비스의 질 승객의 만족도 승객여행시간 등을 일정한 기 에 따라 측정하

여 서비스 향상의 효과가 계약상 규정된 기 을 과하거나 미달할 경우 인센티 혹은 패 티를

부여함으로써 민간사업자들에게 서비스 향상에 한 동기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106) 요 수 이 변화될 경우 수요 편익이 변하게 되므로 앞서 수행하는 경제성 분석을 재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107) 민간사업자가 시설 완공 후 일정기간 동안 정복 혹은 제3자에게 임 하여 투자비를 회수하고 임

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국가 는 지방정부에 이 하는 BLT(Build-Lease-Transfer) 방식의 경우 국

일본의 평가 방법론에 한 활용도가 보다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2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서는 우리나라 제도의 실정에 맞게 지속 으로 보완개발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

다 이미 자국 실정에 합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활용 인 국과 일본의 경우에도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제도 운용 경험을 축 하고 이를 통해 기존 방법론을 계속

으로 개선하고 있다 한 VFM은 사업 추진 과정에 걸쳐 다양한 측면에서 지

속 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여러 단계에서의 VFM 검토를 통해 사업 추진

의 간 단계에서 추진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도의 유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1 현 일반지침의 한계

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재정사업에 한 타당성 평가과정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요건을 충족하고 경제성이 높은 사업에 해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투자 추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즉 경제성이 있는 사업에 한하여 재무성 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민자사업으로 추진할 것인지에

한 1차 인 단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 재무성 분석을 수행하는 목 은 해당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

로 추진했을 경우 수익성 여부 최소 재정지원비율을 개략 으로 제시하여 향후

민간투자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할 때 기 인 정보를 제공해 주기 함이다 즉 사

업의 구체성이 떨어지고 민간투자사업 평가를 한 자료가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 가능성을 개략 으로나마 평가하려는 이유는 사업

의 기단계에서부터 추진 가능성과 타당성이 낮은 사업을 여과함과 동시에 추진 타

당성이 월등히 높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을 선별하여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 때문이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 단을 한 행 비

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첫째 재의 재무성 분석은 연구진이 재무 할인율을 자체 으로 결정하고 사

업별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등 일 된 지침 없이 분석자의 재량에 따라 수행되어

왔다 둘째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사용료를 반 하여 수요를 추정하지 못하는 등 민

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을 단하는 데 미흡한 이 있었다 즉 도로사업의 경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5

재 일반지침 도로부문 표 지침에는 유입 추정을 한 사용료 수 이 하

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정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추

정 결과를 바탕으로 수입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 분석에서와 같이 도로공사

의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추정 결과를 용하 기 때문에 민간사업으로 추진시

의 정한 수요와 수입규모를 추정하지 못하 다셋째 민간투자사업 추진과 련된 정책 단 자료를 제공함에 있어 한계를 갖고

있다 즉 재까지의 비타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정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의 재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재무성이 있도록 하는(FNPV=0) 정부의

최소 재정지원 수 만을 분석결과로 제시해 왔는데 개별 사업에 해 산출된 최소

재정지원 규모가 국가 경제 차원에서 하고 타당한 규모인지에 한 단기

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마지막으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을 단하는 데 있어 수익성 이외에 사

업의 험 추가 비용 정성 단요소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는 지 이 제기되어 왔다

2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본 개정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의 민간투자사

업 추진 가능성 합성을 단하기 한 개략 인 분석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

다 특히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해서 국과 일본에서 수행하고 있

는 VFM 평가방식을 응용하여 정부실행 안과 민간사업자 실행 안을 비교평가하

는 방안을 연구해 보도록 한다 이는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민간투자사업 가상안(이하 PFI 안)을 설정하여 재무 순 재가치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 재무성이 있는

민간투자사업안과 이에 비되는 정부실행 안을 설정하여 정부의 입장에서 비용 험도 편익 등을 비교하여 VFM 여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VFM 분석을 통해 국가가 계획하고 있는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으

로 지정하여 정부가 고시할 만한 사업을 개략 인 수 에서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의 본래 목 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정보의 한계를 감안할 때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합성 평가는

개략 인 수 에서 정책 단의 기 자료를 제시하는 수 으로 이해되는 것이 합당

할 것이다 즉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한 구체 지침 평가 방법은

사업 타당성에 한 보다 구체 인 분석자료와 민간투자사업 계획서나 상안이 제

시되는 본타당성조사 lsquo민자사업 격성조사rsquo 등 비타당성조사 이후 단계에서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2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사업규모 치(교통사업일 경우 노선) 등은 사업제안자의 사업계획서가 없

는 상황에서는 가상 안일 수밖에 없으며 구체 인 사용료 수 과 재정지원 수 기타 제반 조건들도 사업자 선정과정과 상을 통해 정해지므로 본 에서는 사

단계에서 일반 으로 용 가능한 개략 인 평가방안에 해 연구해 보도록 한다

가 민간투자사업 대안의 재무적 순현재가치(FNPV) 추정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가능성을 알아보기 해 일차 으로는 제Ⅲ장 제5 제

Ⅸ장에서 제시된 재무성 분석 지침을 이용하여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사용료 수

을 반 한 재무성 분석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재무성 분석의 상 사업은 유료도로 철도 사회기반시설 등 민간투자법령 기본계획상의 상사업 요건을 충족하고

BC 비율이 1을 과하거나 근 하여(BC 비율 09이상)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명

된 사업들이 해당된다 이때 해당 사업에 해서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와는

다른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을 설정해야 한다 이는 노선 입지 사업규모와 내용

등은 재정사업으로 실행할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료 수 을 조정하여

수요를 재추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정된 유출과 유입에 해 재무

할인율을 용하여 재무 순 재가치를 도출하도록 한다이때 분석을 한 건설보조 수 은 유사 부문의 민간투자사업에 한 정부의

재정지원 사례와 정부의 지원원칙 등을 감안해 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 적정 사용료 수준을 반영한 재무성 분석

민간투자사업의 이용수요는 사용료 수 에 따라 변화할 것인데 만일 요 에

한 수요탄력성이 제시되어 있다면 사용료 수 을 반 하여 수요를 재분석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이 가장 활발한 교통부문의 경우에도 요 의 수요

탄력성에 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 까지 특정한 가정 하에 재무성 분

석을 수행하고 있다108) 따라서 민간투자사업의 사용료 수 이 결정되기 이 에 수

행되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실 가능한 정 사용료 수 을 가정하여 수요를 재분

석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정 사용료 수 은 련 규정과 유사시설의 실 단가를 참고하여 이를 시나리

오로 설정하여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를 들어 유료도로 사업의

108) 최근의 로는 교통개발연구원의 ꡔ 주시 경 철 도입 타당성 조사ꡕ(1999)에서 요 에 한 수요

탄력성을 -025로 가정하여 재무성 분석을 하 다 비타당성조사의 경우 ꡔ사가정-암사동 역도로

건설사업ꡕ(2000)과 ꡔ신분당선 건설사업ꡕ(2001)에서 요 에 한 수요 탄력성을 -02로 가정하여 재

무성 분석을 하 다 한편 국의 지하철의 경우 요 에 한 수요의 단기탄력성은 연구자에 따라

서 -02~-04 장기탄력성은 -06~-10으로 추정되고 있다(Goodwin(1992) 참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7

경우 정 사용료 수 의 설정은 유사시설의 사용료 수 을 검토한 뒤 「민간투자사

업기본계획」상의 사용료 조건을 용하는데 재 기본계획에서는 유료도로의 사용

료 수 상한을 도로공사 통행료의 15~2배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재무성 분석시

에는 한국도로공사 폐쇄식 고속도로 km당 통행료 단가를 기 으로 기본계획상의 상

한 배율을 용하여 도로공사 요 의 15배의 통행료를 용하는 안과 2배를 용하

는 안을 두 가지 시나리오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lt표 Ⅹ-14gt 도로부문 민간투자사업 차종별 통행료 적용 단가(2004년 기준)

(단 원km)

도로공사 요 도로공사 요 의 15배 도로공사 요 의 2배

승용차(1종) 381 572 762

버스(3종) 412 618 824

트럭(2종)1) 401 602 802

주 1) 트럭의 요 은 소형트럭을 기 으로 한 것으로 형트럭을 별도로 고려할 경우 4종 710원km 5종

724원km의 요율을 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 분석시 이용한 기 과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함

철도 도시철도 사업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된 사업의 운 실 과 련 규정

이 없으므로 재 약이 체결되었거나 상과정에서 사용료 수 이 잠정 책정된 유

사사업의 요 을 참고하여 분석 기 년도로 보정하여 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간 일반철도의 경우 액 국고지원을 통해 재정사업으로 시행되는 것이 일반 이며

사실상 민간투자사업으로 시행되기 어려우나 재 추진 인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같이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상되는 특수한 사업에 해 재무성 분석을 해야 할 경

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요 수 을 참고해 사업별 특성에 맞는 정 요 수 을 설

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철도사업 민간투자사업으로 가장 활발히 추진되고 있

는 경량 철의 경우에는 재 운 노선이 없어 역시 기 단가를 책정하기 어려우나

기추진된 민간투자사업의 실시 약상의 상요 을 바탕으로 기 단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 사업의 부 사업 규모 역세권 개발 망 등 사용료 수 에 향을 주

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정 요 수 을 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역시 지

하철의 경우 향후 막 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량 철 심의 지하철 건설은 추진하

지 않는다는 정부의 원칙에 따라 민간투자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희박하나 만일

상사업이 있을 경우 재 상이 진행 인 서울지하철 9호선의 사례 등을 참고하여

재 서울지하철 요 의 12배와 15배를 용할 수 있을 것이다

2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5gt 철도부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상의 요금 현황

요 비고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10km 826원+716원km- 직통 10km 2065원+179원km

rsquo02년 불변가

부산김해경 철- 1구간 8911원- 2구간 10911원

rsquo00년 불변가

용인경 철- 1구간(10km 미만) 1086원- 2구간(10km 이상) 1272원

rsquo01년 불변가

서울지하철 9호선 - 1구간 1000원사업시행자 자율결정

rsquo04년 불변가

자료 서울지하철건설본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9호선 1단계구간 민간투자사업 사업시행자지정(안)」 2004 10 인천국제공항철도(주) 홈페이지

한편 항만사업 기타 건축사업의 경우 사업성격이 다양하고 시설유형 입지

에 따라 사용료 임 료 수 이 차별 이기 때문에 개별사업의 비타당성조사시

용되는 사용료 임 료 단가를 용하여 재무성을 분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건설보조금의 반영

민간투자사업에 추진시 건설비에 한 정부보조 수 은 시설유형에 따라 다르

며 개별 사업의 상과정에서 결정되므로 이를 사 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각

사업부문별 건설보조 지원 기 은 이하에서 상론하도록 한다

나 재정사업대안과 민간투자사업 대안간의 VFM 비교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의 재무성 여부를 검증한 후 재무

타당성이 있는 사업에 해서는 정부실행 안(이하 PSC)을 설정하고 VFM 개념을

이용하여 해당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한지 아니면 민간투자사업

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종합 으로 비교평가한다 즉 국민 경제 에서 분석한 경제 타당성과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수익성

여부를 검토할 뿐만 아니라 VFM 분석을 통해 정부측에서 소요되는 비용 각종

험 수입 등을 종합 으로 반 하여 PSC와 PFI 가상 안을 비교평가하는 방식이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9

1) 정부 투입비용

VFM 분석을 해서는 재정사업으로 추진시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시 모두 동

일한 서비스 수 을 제공한다고 가정 하에 특정 성과수 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

사업(Reference Project)을 설정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성 분석 결과 최

안으로 선정되어 재무성 분석을 수행한 안을 거사업으로 하여 이에 해 재

정사업으로 수행할 경우와 민자로 추진할 경우 건설과 운 기간 반에 걸쳐 정부측

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하여 비교하도록 한다

가) 건설단계 투입비용

건설단계에 소요되는 투자비로는 조사비 설계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 설

비비 제세공과 업 비 등이 있다 PSC의 경우 경제성 분석시 산정한 비용을

참고로 하여 정부 투입비용을 산정한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는 우선 건설단계의 투자비를 산정하기 해 PSC의 비용 산

정 결과를 참고하되 부 비( 융부 비용 등) 업 비 (법인 창업비 개업비 등) 제세공과 융비용 등 민간투자사업 추진시 별도의 추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상되는 경우 이를 시설투자비에 반 해야 할 것이다 한편 공사비 등 민간이 추진

할 경우 비용증감에 한 합리 인 근거가 있을 경우 이를 반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산정한 PFI 가상 안에 한 비용 정부 건설보조 비 은 사업계

획서상에 재원분담에 한 기 이 있을 경우 이를 용하고 그 지 않을 경우 일반

인 재정지원 기 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는 민간투자사업

에 한 사업부문별 지원 비율이 구체 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존 추진 사

업의 실 자료를 참고로 지원비율의 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2003년 8월 재 민간투자심의 원회 의결을 거쳐 실시 약이 체결된 교통부문 주요

국가 리 민자사업의 정부 지자체 건설보조 재정지원 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6gt 교통부문 민간투자사업 정부 및 지자체 건설보조금 투입 현황

사업부문 사례 단계 보조 비율

고속도로

천안-논산 고속도로

구-부산 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완공

시공

시공

건교부 274건교부 277서울시 272

철도

일반 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시공 철도청 245

경 철 부산김해경량 철 상 건교부 351

지하철 서울지하철 9호선 시공 서울시 47

항만인천북항

목포신외항 1-2단계 다목 부두

시공

시공

해수부 258해수부 436

자료 기획 산처

나) 운영단계 투입비용

운 단계에는 인건비 등을 포함한 시설운 비 유지 리비 리감독비 등이 소요

된다 PSC와는 달리 PFI 가상 안(BTO BOT 사업)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운 을 책

임지고 운 수입을 통해 투자 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정부소요비용

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재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에 따라 실제 운 수입

이 추정운 수입의 일정수 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정부가 손실액의 일부를 운 수입

보장비용으로 지 해주고 있다 이 비용에 해서는 이하 험비용 부분에서 논의하

도록 한다

2) 위험비용의 반영

재정사업의 경우에도 험에 따른 사회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민간투자사

업 추진시 발생되는 험은 실시 약 출자자구성 수익성 재원조달의 용이성 융

약 사용료 무상사용기간 등 사업구조 반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명백한 비

용발생 요인이 된다 민간투자사업의 험 유형은 정부귀책 험과 사업자귀책 험 불가항력 험 등으로 구분되는데 측정 가능한 험을 평가에 반 하고 정한

험분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민간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핵심 인 사항이 된다 따라서 본 항목에서는 재정사업 안과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의 비교평가를 해

험부담 항목을 선별하고 주요 험에 한 추가투입비용을 사업비에 반 하는 방안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1

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 총사업비 증액비용

총사업비 증액은 물가변동과 물량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물가변동에 의한 사

업비 변동은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에 공통 으로 해당되므로 고려하지 않고 물량

변동에 따른 총사업비 증액 비용만을 고려하도록 한다 이 경우 증액은 주요 변경요

인인 공사비에 해서만 용하는 것이 합리 일 것이다 PSC의 경우 총사업비 증액비율은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를 집계하여 이

물가변동에 의한 변동은 제외하고 물량변동에 따른 lsquo공사비 비 변경 액 평균

비율rsquo만을 도출한 자료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표 Ⅹ-17 18 참고) 단 공사기간이

비교 짧은 건물 건축사업은 별다른 변동 요인이 없는 경우가 부분이므로 총사업

비 증액비율을 0로 가정해도 무방할 것이다

lt표 Ⅹ-17gt 도로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단 백만원)

구분 변경내역

고속도로 국도

공사비 비

변경 액 비율액

공사비 비

변경 액 비율

평균 최 비율 평균 최 비율

총사업비

변경 액

물가변동 303718 60 97 432245 107 348

물량변동 314285 62 102 498491 124 902

합계 618003 122 199 930736 231 1133

총공사비 5060036 402661

자료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 집계

3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8gt 일반철도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단 백만원)

구분A 2복선

철B 개량 C 복선화

D 2복선

E 복선 철

F 동차사

무소 건설합계

총사

업비

변경

물가

변동

47761(41)

198485(316)

120871(266)

119190(181)

21699(43)

19922(91)

527928(146)

물량

변동

389736(335)

94662(151)

85948(189)

98468(149)

188014(373)

24877(114)

881705(243)

합계437497(376)

293147(467)

206819(456)

217658(330)

209713(416)

44799(206)

1409633(389)

총공사비 1164923 627594 453784 658783 503622 217912 3626618

주 호 안은 공사비 비 요인별 비용 증감액의 비율임자료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 집계

나) 공기연장 비용

우리나라의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의 공기연장 황에 한 자료는 없으나 해외 사례 등을 참고할 때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109) 공사기간

이 일정기간 이상인 재정사업 안의 경우에는 공기연장이 평균 2년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110) 공기연장비용은 (발생확률 50) times (공사비 향

정도) times (년 수)로 계산될 수 있으며 연장된 기간만큼 연도별 비용을 배분하여 반

하면 될 것이다

다) 최소운영수입보장 비용

기존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수요추정의 불확실성과 사업수행주체의 lsquo낙 편의rsquo 비 실 인 사용료 수 등으로 인해 큰 폭의 운 자가 발생해왔고 이를 정부의

109) 국 감사원(NAO)에서 2002년까지 완공된 PFI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결과 37개 PFI 사업

28개 사업(86)이 계약상의 공기를 수하 고 공기가 연장된 사업들의 경우에도 2개월 이내의

경미한 지연이 있었을 뿐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과거 다른 방식(재정사업)의 공기 수율 30보다

성과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ldquoPFI Construction Performancerdquo National Audit Office 2003 2)

110) 1994년부터 1998년 사이에 추진된 총 175개의 장기 형사업을 장기계속계약으로 산 편성하여 진

행한 결과 계획 로 완공된 공사는 20수 에 불과하 으며 50이상의 사업이 2년 이상의 공기지

연을 래했으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 인 손실은 체 사업비의 1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건설교통부 ldquo 행 최 가 낙찰제도의 문제 과 책방안rdquo)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3

최소운 수입보장(Minimum Revenue Guarantee MRG) 비용으로 충당해 왔다 기본계

획에 제시되어 있는 최소운 수입 보장 기 을 보면 ldquo운 수입 보장의 최 한도는

운 개시 후 5년간은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추정운 수입의 90이며 이후 보장한도

를 진 으로 축소하여 운 개시 후 6~10년 동안은 80 11~15년 동안은 70를 한

도로 설정rdquo하고 있다장래에 운 수입 자가 어느 정도 발생할지에 한 측은 과거 민간투자사업의

사례를 통계 으로 분석하여 추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재정사업의 경우

립 인 기 이 수요분석을 수행하여 민간투자사업보다는 수요가 과 추정될 험

이 을 것으로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를 들어 교통부문 사업의 경우 수요추정의

정확도가 높다는 가정 하에 교통수요 추정의 오차범 를 3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과운 수입 환수는 지 까지의 사례를 볼 때 실 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으므로 분석에 반 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111)

라) 이자 및 환율변동 위험과 자금재조달

민간투자사업 시행 융여건과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이자 환율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는 험요소이지만 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정부도 이익을

공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자 환율 변동 자 재조달(refinancing)에 따른

이익 손실은 사 으로 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고

려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마) 기타 위험

형 공공투자사업의 추진 과정에서는 공기연장 운 수입 미달 이외에도 lt표

Ⅹ-19gt와 같이 계획 건설 운 단계에서 다양한 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민간투자사업으로 실시할 경우 개별사업과 연 된 다양한 험의 종류를 정부귀

책 험과 민간귀책 험으로 분류하고 민간귀책 험에 해서 정량 으로 추정

가능할 경우에는 사업의 생애주기에 걸쳐서 (발생가능성)times(재무 향)을 계산하

여 PSC를 조정해 주어야 한다 정량화가 불가능한 험은 정성 으로 검토하도록 한

111) 과수입 환수 기 은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운 개시 후 5년간은 실제 운 수입이 110 과시 6~10년 동안은 120 과시 11~15년 동안은 130 과시 과수입을 환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9gt 위험 분담의 예시

단계 험 종류 험 내용 PSC PFI

민원사업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 -제도법령 변경 사업기간 제도 법령의 변경

자 조달 필요한 자 확보 가능성 - 리 리의 변동 가능성 -

사업 지연기인허가 지연으로 인한 사업 지 연기

하도 자 부도로 인한 사업 지 연기 -

계획

설계

자료의 오류 사업자료의 오류(설계 사업계획 련) -비용 과 설계 등 비용이 약정 액 과 -기간 과 설계 등 완료의 지연 -하자 발생 설계 등 성과물의 하자발생 -

배상책임손해 계획 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

자연재해 자연재해로 인해 건설이 단되거나 건설기간이 연장

정치 험 테러 폭동 등으로 건설이 단되거나 건설기간이 연장

물가 인 이션 디 이션 - -

설계변경시의 제시조건 지시의 미비 변경에 의한 것

사업자의 지시 단의 미비에 의한 것 -공사연기 미완공 공사지연 미완공에 의한 인도의 지연 -

공사감리 감리 결함 -공사비 증 공사비의 증가 -

성능 요구수 부 합(시공불량을 포함) -일반 담보 인도 에 공사목 물 재료 기타 련공사에 해 발생한 손해 -

배상책임손해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하자담보 발견되지 않은 하자의 담보책임 -

유지

자연재해 자연재해로 인해 유지보수 운 의 변경 지 연기

정치 험 테러 폭동 등에 의한 유지보수 운 의 변경 지 연기

물가 인 이션 디 이션

배상책임손해 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유지 리

운 비 상승상기 이외의 요인에 의한 유지 리 운 비용의 증 -

시설 등의 손상 시설 등의 손상 험 -성능 요구수 부 합에 의한 시설 설비에의 손해 운 에의 장해 -

시설양도 시설을 양도할 경우 수선 회복비용이 정액을 과 - -해 지 해지시 지 지 -

주 1) 상기 표는 시로서 개별사업마다 험 분담주체가 다를 수 있음 2) 정부와 민간이 공통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사안의 원인 성격에 따라 분담주체를 정함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5

3) 수입 및 편익의 고려

국과 일본에서 수행하고 있는 VFM 분석의 기본 제는 사업 추진주체와 상

없이 시설이 제공하는 서비스 수 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사업수행의 결과

(output)는 동일하다고 보고 이를 해 투입한 정부측 비용(input)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수행할 경우 정부는 시설운 으로 인한 운 수입이

없어지고 신 세 수입 등 추가 인 수입을 기 할 수 있는 등 사업 추진방식에 따

라 비용을 조정해 필요가 있다

가) 운영 수입

고속도로 철도 등 유료시설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민간사업자들이 시

설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하지만 정부에서 수행할 경우 사용료는 정부의 운

수입이 되기 때문에 이를 운 기간 동안 마이 스 비용으로 반 해 주어야 할 것이

나) 세금 수입

재정사업 안과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 모두 법인세 부가세 등 세 수입을

정부의 추가 수입으로 고려할 수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

상의 지원 규정112)에 의거하여 세 감면 혜택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반 해야

할 것이다

다) 부대사업 수입

본 사업과 한 연 이 부 사업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PSC PFI 안 모두에서 반 할 수 있다 PSC의 경우 부 사업 수입을 비용에서 차감할 수 있

을 것이다 PFI 가상 안의 경우에는 부 사업 수입은 민간사업자의 수입이므로 직

인 정부의 수입으로 볼 수는 없으나 건설비보조 비율을 낮추는 등 간 인 정

부소요비용 감 요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단 부 사업 수입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이에 응하는 부 사업 운 비용을 반드시 계산하여야 할 것이다

112) 사업시행자가 민간투자사업에 투자할 경우 투자액의 5를 투자 비 으로 인정하여 법인세 부과

시 손 으로 처리함(2006 12 31까지 조세특례제한법 제28조) 한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

투자법 제4조제1호(건설기부채납 후 운 BTO) 제2호(건설소유운 후 기부채납 BOT)에 의한 방식으로 국가 는 지방자치단체에 공 하는 사회간 자본시설 는 동 시설의 건설용역

에 한 부가가치세는 세율을 용한다(조세특례제한법 제105조제1항제3의2호)

3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정성적 VFM

사업추진방식을 결정하기 해서는 정량 VFM 이외에 이 과정에서 고려하지

못한 정성 인 요소에 해 고려하여 종합 인 검토를 수행하여야 한다 정성 인

VFM 평가를 해서는 우선 개별사업이 ꡔ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ꡕ에 제시된

민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을 충족하는지 검토하고 개별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비타당성조사 정책 분석 부분에서 제기되는 특수쟁 사항 향후

사업추진방식에 따라 여건이 달라지는 핵심 사항을 평가하도록 한다 와 같은 항

목을 포함한 정성 VFM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lt표 Ⅹ-20gt 정성적 VFM 평가항목 예시

평가 항목 세부 내용

서비스 질 향상∙민간의 창의를 활용한 SOC 건설운 의 효율 제고 정부재정 시설과

의 경쟁 진으로 서비스질 제고 등이 기 되는지 여부

계약 체결

리의 용이성

∙서비스 제공 수 을 포함하여 건설운 련 제반 규정이 민간사업

자와 정부간의 상 계약의 상으로 합한지 여부

∙정부기 의 리 감독의 필요수 능력 보유 여부

∙건설 운 을 민간에 일 으로 이양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향상

이 기 되는지 여부

험분담 효과∙정부와 민간사업자간의 명확한 험분담에 따른 안정 사업운 이

가능한지 여부

효과

∙민간사업자 참여로 인해 공공부문으로의 기술 경 능력 등의

효과가 기 되는지 여부

∙고도의 융기법 도입 등으로 융시장 활성화 효과가 기 되는지 여부

사업의 특수성

∙보안성 등의 측면에서 사업추진방식에 있어 제한이 있는지 여부

∙공공성이 강하여 민간부문이 추진하기에 합비효율 인지 여부

∙국내외에서 독 권리를 가지고 있거나 지 재산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공법이나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7

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 방안의 예시

다음 표는 도로사업의 경우를 로 들어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을

개략 으로 정리한 것이다

lt표 Ⅹ-21gt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가상대안간 비교평가 방안(도로사업 예시)

구분 재정사업 안민간투자사업 가상 안

비고시나리오1 시나리오2

FNPV

수요추정

(사용료 수 )해당 없음

도로공사

요 의 15배

도로공사

요 의 2배

도로공사 요 의 15~2배

비용 해당 없음 재무 유출경제성 분석상의 비용에

재무 비용 추가

재무

순 재가치해당 없음 재무 순 재가치

총사업비의 3050를

정부보조 으로 처리

정량

VFM

평가

lt비 용gt

건설단계

- 공사비

- 조사설계비

- 부 비

- 운 설비비

- 제세공과 등

- 건설보조

(총사업비의 3050)

운 단계

- 운 리비

- 유지보수비

- 정부 리감독비

부 사업 운 비 포함

험비용- 총사업비 증액

- 공기연장- 운 수입보장 비용

비용 계 ①

lt수 입gt운 수입 - 운 수입

세 수입 - 법인세 부가세 등 - 법인세 부가세 등민투사업 가상 안은

법인세 감면분 고려

부 사업수입 - 부 사업수입

수입 계 ②

연차별 lsquo비용-수입(①-②)rsquo의 순 재가치의 합PSC의 ①-②가 클 경우

PFI의 VFM이 있음

정성 VFM 평가

조사쟁 사항 정량화

불가능한 사업 험 요소

포함

3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의 표 세부 항목에 해서는 사업별 부문별로 차이 이 있을 것이므로 사용

료 수 건설보조 비율 총사업비 증액비용 정부 운 비 투입비용 등을 달리 용

하여 재무 순 재가치(FNPV)와 VFM을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VFM 평가는 정부 입장에서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재정사업보다 합한 지에 한 정보를 제공해 다는 에서 기존에 실시해

온 재무성 분석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재무 타당성이 있는 민

간투자사업 가상 안에 해 VFM 평가를 추가로 수행하여 해당 가상 안이 VFM이

있을 경우에 한해 민간투자사업 추진 상사업으로 검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재무성 분석 결과 일정수 의 재정지원으로도 재무 타당성이 없다면 민간사업자가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기가 힘들 것이고 재무성이 있

어도 VFM이 없다면 국가 체 인 차원에서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

는 것 보다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보다 효율 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사업에 한

구체 인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정 하에서 개략 인 분석을 수

행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평가 결과는 차후 민간투

자사업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의 실정에 맞는 VFM 분석 방법론 개발을

하여 향후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에 한 경험자료가 더욱 축 되고 재 기

획 산처에서 비 인 민간제안사업에 한 격성조사 지침이 구체화되면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방법론을 보다 정교화 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본 장에서는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평가함에 있어서 lsquo 험rsquo을 다루는 방법에

해 보다 심도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 으로 어떤 일이 잘못 진행

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 lsquo 험rsquo이라 하고 일련의 행 로 인한 결과가 불확정 이거나

의심스러울 때 lsquo불확실성rsquo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여기에서 lsquo 험rsquo은 두 가지 의미

모두로 사용된다 험은 공사비용의 과지출 신기술의 성공여부 불확실한 미래

소득에 의존하는 수요의 불확실성 미래의 임 이나 연료비 는 소비자 취향의 변

화 다른 공 자의 시장진입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만일 이

게 발생한 험과 이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lsquo비용 효과 rsquo(cost effective)이라면 이는 반드시 감소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의 입장에서는 한정된 재원을 가지고

산을 편성하여 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이러한 사실을 감안한다면 어떻게 해

야 산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자원을 보다 효율 으로 사용하는가 하는 이

요 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를 해 일럿 로젝트 심화 연구 유연성 있고 표

인 시나리오 설계 는 험을 보다 효과 으로 다룰 수 있는 사람에게 험을

가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정부가 공공사업을 운 하는 과정에도 기치 못한 변동 상황이 발생하며 각종의

험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는데 이는 그만큼 미래에서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공공사업은 부분 규모 사업이므로 한 번 잘못된 선택을

한 경우 발생하는 피해는 크고 장기 이다 이는 투자사업의 불가역성을 생각할 때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사업에 한 타당성 여부를 사 에 평가할

3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때 이와 같은 상황을 미리 고려하여 이것이 사업의 성패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

에 한 분석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변동 상황에 한 분석결과는 의사 결정자에게

사업선택에 한 최종 단을 내리도록 하는데 도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사업의 성공 집행을 한 사 방조치를 강구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가 공공투자사업을 평가 선정하는데 있어서 해당 사업의 험과 불확실

성에 한 충분한 검토와 분석이 요구되며 그 결과를 토 로 명한 선택이 이루어

져야 한다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1 위험 분석에 관한 일반사항

험분석은 낙 편의(bias)의 효과를 상쇄시키고 상되는 결과의 변화가능성

(variability)을 수치화하며 로젝트에 있어서 어떤 요한 불가역성(irreversibility)이

존재할 경우 이를 평가하기 해 이루어진다 우선 비용과 편익에 있어서 낙 편

의의 제거는 가능한 한 유사한 특징을 갖는 기존 로젝트( 를 들어 과거 로젝트

의 정확한 수치자료)를 참고로 하여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기존 로젝트의 수치자료

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참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서 추정된 편의가 무

낙 일 수 있다는 의심이 있다면 그 로젝트가 채택되기 해서는 편익이 더 높

거나 비용이 더 낮아야 할 것이다113)

결과의 변화가능성 역시 심각한 비용을 래할 수 있다 사업수익을 보장해 주거

나 변화가능성이 최소한으로 통제될 수 있다면 사업자는 자신에게 돌아가는 기 편

익이 격하게 작아지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수도 있다 그 지 않다면 역으로 불확

실성이 가 된 로젝트의 경우 사업자에게 더 높은 기 편익을 제공해 두어야 한다

는 주장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러한 계는 비용-편익 분석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113) 일반 으로 벤처 사업이나 신기술을 한 제안서는 같은 목 을 가지고 이미 알려진 기술을 사용한

안과의 비교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비용이나 편익 양 측면에서 낙 성향이 매우 보편

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1

2 민감도 분석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동 상황이 사업에 어떤 향을 미치게 되는가

를 분석하는 것을 민감도 분석이라고 한다 일반 으로 순 가(NPV)가 양의 값을

가지고 내부수익률(IRR)이 자본비용을 상회하는 로젝트에 투자를 하 더라도 실

제 상황이 처음 상했던 수 에 미치지 못하여 투자가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자

주 발생하는데 이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 상황에 한 충분한 검토가 없었

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민감도 분석은 험을 평가하기 해 가장 리 통용되

는 기법으로서 모든 비용과 편익에 한 가정의 변동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

를 제시해 다 이러한 민감도 분석은 모든 로젝트 평가에서 고려되어져야 하는데 안별 결과

를 고려해 보는 이 방법론은 때로는 험과 안에 한 새로운 생각과 단을 이끌

어 내기도 한다 보다 구체 으로 민감도 분석은 특정한 가정 하에서의 변화가 순

가(NPV) 총비용 는 다른 로젝트의 경과에 얼마나 향을 주는지를 보여 다 그러므로 분석 용에 있어서 안 가정에 한 가 치를 부여하는 단과정이

필요하다민감도 분석은 보다 상세한 정보가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밝 주는데 있어 유용

한 때로는 필수 인 지침이 되기도 하며 한 이 방법은 특별히 세심한 평가나 운

을 요하는 요인들에 해 심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은 일반 으로 로젝트나 정책 투입요소 가령 지역 선정 상 가격의 변화와 같은

가능성을 모두 포함하게 되고 한 서로 다른 평가자에게 가능성 있는 비용과 편익

에 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갖도록 허용함으로써 그 성과에 어떻게 향을 것인지

알아보는 방법으로서도 유용하다114)

민감도 분석은 다음의 경우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우선 비용과 편익의 추정치에 있어 한 편의를 상해야 할 이유가 있는 경우

특히 요한 신기술 실질 인 재배치 외 으로 큰 규모 건설 로젝트 재건축 혹은 시장 유율의 측 등을 수반하는 로젝트에 용되어야 한다

한 경 에 있어 로젝트의 불확실성이 잠재 인 산문제를 야기하는 경우

특히 총 산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큰 종류의 로젝트에 용되어야 하며 환 험

과 같이 커다란 불확실성 하에서 진행되는 로젝트의 경우에도 반드시 용되어야

한다

114) 로젝트의 경제 는 재무 타당성을 분석하는 분석자가 가지기 쉬운 낙 편의(optimistic bias)를 통제하는 방안도 될 수 있다

3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민감도 분석은 추정치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하여 가능하면 과거 데이터를 이용

하여 산출해야 하는데 를 들어 건설 로젝트의 경우 비용 과와 공기연장에

한 과거기록들 수요 측의 정확성에 한 기록들이 이용될 수 있다특정 변화의 가능성에 하여 서로 다른 가정이 상되는 순 재가치(NPV)에 어

떻게 향을 미치는가를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 민감도 분석시 비

그리고 낙 변수들끼리 묶어주는 방식으로 변수들을 그룹화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로젝트를 계속 진행시켜 나갈 것인지 아닐지를 결정하

기 해 책임자들이 그 성과의 가능성에 해 포 인 평가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한편 어떠한 한 로젝트나 안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요인이 매우

요하게 작용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그 요인의 가치가 편익이라면 얼마만

큼 감소되어야 그 안을 취할 가치가 없어지는지 비용이라면 얼마만큼 증가되어야

그 안을 할 가치가 없어지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값은 소 환값

(switching value) 는 환 (switching point)으로 불리는데 일단 환 이 설정된 경

우라면 결과가 나빠질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상 으로 용이해 진다

3 시나리오 설정

시나리오 설정은 기 투자 계획에서부터 체 략 수립에 이르기까지 어떤

목 을 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는 상황의 귀결을 바라보는 것이다 즉 시나리오는

측이 아니라 발생 가능한 미래의 경제정치 환경에 한 일 된 묘사이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종종 투자 로그램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외 으로

규모이고 복잡한 로젝트들을 해서도 사용된다시나리오는 특정 로젝트나 안 혹은 략의 성공을 좌우하는 주요한 기술

경제 정치 불확실성에 한 의사결정자의 심을 유도하기 해 선정된다 일반 으로 최상의 근법은 두 개 아니면 세 개 정도의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것인

데 선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어떤 것도 가장 유력하거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처

럼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시나리오별로 각 안의 상 순 재가치를 계

산하고 하나의 시나리오 안에서 몇 가지의 민감도 분석을 해보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시나리오 계획은 가끔은 최악일 경우의 수익 최 화(Maximin-returns 컨 가장

나쁜 ldquo최악의 가능성rdquo의 결과를 가진 안) 혹은 최선일 경우의 불만 최소화

(Minimax-regret 컨 불만에 한 최소의 잠재 유인을 제공하는 안)의 범주

결정과 련되어 있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3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흐름의 험 외에 사업의 수행에 향을 미치는 상황들이 다수 발생할 수 있

는바 변동상황이 사업의 재무 타당성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해 민감

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시뮬 이션(simulation) 그리고 의사결정 나무분석

(decision tree analysis) 등을 수행할 수 있다다음에서는 앞 에서 험 민감도 분석과 련하여 언 한 환값(switching

value) 몬테 칼로 분석(Monte Carlo simulation)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등에 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1 전환값

일반 으로 민감도 분석은 주요 변수에 한 가정이 일정하게 변화할 때 재가

치 혹은 내부수익률이 얼마나 변화하는가를 보여주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lt표 Ⅺ-1gt의 에서와 같이 어떤 고속도로의 건설에 따른 재가치가 자동차

수요나 유가 등의 망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경우 자동차에 한 수요가 10 하락

할 때 사업의 재가치가 얼마나 변화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때 주요변수에

한 가정을 변화시킴에 있어서는 비 인 경우를 주로 고려하게 되는데 이는

험 기피 인 효용 하에서는 기 이하의 수익이 발생함에 따른 추가 인 불만족이

기 이상의 수익이 발생함에 따른 추가 인 만족보다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물론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비 인 경우와 낙 인 경우에 하여

칭 으로 민감도 분석을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lt표 Ⅺ-1gt 민감도 분석의 예

주요 변수의 변화 재가치의 변화

자동차 수요 -10 -30억

유가 +10 -15억

건설비용 +10 -30억

3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편 환값이란 사업의 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어떤 변수의 값을 의미하며 주로 재가치를 0으로 만들기 해 필요한 어떤 변수의 변화분을 백분율로 나타낸

다 를 들어 lt표 Ⅺ-2gt와 같이 자동차 수요가 상치보다 10 감소할 때 혹은 유

가가 상치보다 20 상승할 때 고속도로의 재가치가 0이 된다면 이 고속도로 사

업에 한 자동차 수요의 환값은 -10 유가의 환값은 +20가 되는 것이다

lt표 Ⅺ-2gt 전환값의 예

변수 환값

자동차 수요 -10

유가 +20

건설비용 +10

민감도 분석의 결과를 보고함에 있어서는 선호에 따라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의 형태 하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감도 분석의 목 이 어떤 변수에 한 순

편익의 탄력성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업의 재가치가 마이 스가 될 지도

모를 험을 개략 으로 따져보기 한 것이라면 lt표 Ⅺ-2gt와 같이 재가치가 0이

되는 각 변수의 변화분 즉 환값을 보고하는 것이 보다 더 간편하고 유용할 수 있

2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의 한계점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 을 가진다첫째로 lt표 Ⅺ-2gt에서 계산된 환값이 얼마나 실 가능성이 높은지에 한 정보

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를 들어 lt표 Ⅺ-2gt를 보면 자동차 수요가 상보다

10 이상 하락하면 투자사업의 재가치가 마이 스로 돌아설 것으로 추정되고 있

으나 자동차 수요가 10 이상 하락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이에

한 해결로는 lt표 Ⅺ-2gt의 경우 각 환값에 하여 그 값 혹은 그보다 더 나쁜 값

이 실 될 확률을 개략 으로 제시하여 다거나 lt표 Ⅺ-2gt의 경우 고려되는 변수

의 변화분을 해당 표 편차에 따라 설정해 다거나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한계 은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에서와 같이 다른 변수들을 일정하게

두고 한 가지 변수의 변화만을 고려할 경우 여러 변수들이 서로 독립 이 아닌 이상

험을 제 로 반 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이다 를 들어 국제 유가가 인상될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5

경우 국내 건설비용 한 더불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면 유가인상에 따른 험은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에서 제시된 것보다 더 클 수 있는 것이다이러한 민감도 분석의 단 들을 종합 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몬테 칼로 분

석이다

3 몬테 칼로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은 한 마디로 가능한 모든 경우에 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즉 주요 변수별로 몇 개의 특정 값을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분포

체를 가정하고 그에 따라 재가치에 해서도 몇 개의 값이 아니라 분포 체를

계산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한 민감도 분석과 달리 주요 변수의 변화가 얼마나

실 가능한 것인지에 한 정보가 자동 으로 고려되고 한 변수들의 확률분포를

가정함에 있어 변수들간의 상 계 한 가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변수들의 변화

를 종합 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몬테 칼로 분석은 크게 각 변수에 한

확률분포 가정 변수들 간의 상 계 가정 그리고 그에 따른 재가치의 확률분포

계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먼 각 변수의 확률분포를 가정하기 해서는 과거의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히스

토그램을 그려본다든지 아니면 과거 자료가 부족할 경우 정규분포 삼각분포 등의

단순한 분포에 의존할 수 있다 삼각분포는 최 값과 최고값 그리고 최빈값의 세 가

지 값만으로 결정되는 분포로서 그 단순성 때문에 리 이용된다 [그림 Ⅺ-1]은 삼

각분포의 인데 x는 최 값 y는 최고값 z는 최빈값을 나타내며 최빈값의 확률은

x부터 y까지의 확률의 합이 1이 되도록 2(y-x)로 결정된다

[그림 Ⅺ-1] 삼각분포의 예

확 률

2 ( y - x )

x z z

확 률

2 ( y - x )

x z z

[ 그 림 X I- 1 ] 삼 각 분 포 의 예

확 률

2 ( y - x )

x z z

확 률

2 ( y - x )

x z z

[ 그 림 X I- 1 ] 삼 각 분 포 의 예

3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편 변수들 간의 비독립성은 주로 변수들 간의 상 계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가정해 으로써 고려할 수 있다 재 많은 소 트웨어들이 정규 삼

각 베타 등 여러 가지 확률분포에 하여 변수들 간의 상 계수를 지정해 수 있

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도 기술 으로는 변수들 간의 비독립성을

고려하는 것이 그 게 어렵지 않다마지막으로 이러한 주요 변수들의 확률분포가 결정되고 나면 그 결과로 재가치

의 확률분포가 계산되는데 이 한 시뮬 이션용 소 트웨어를 통하여 비교 쉽게

행해질 수 있다 일단 재가치의 확률분포가 주어지면 그로부터 재가치의 기 값

뿐 아니라 표 편차와 같은 험 련 통계치들도 간단히 구할 수 있게 된다이처럼 몬테 칼로 분석은 단순한 민감도 분석에 비하여 다소 복잡한 반면 재가

치의 다양한 값들이 어떤 확률로 발생할 것인지를 일목요연하게 고려할 수 있으므로

특히 두 가지 이상 사업의 비교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물론 몬테 칼로 분석

을 해서는 주요 변수별로 확률분포를 가정해야 하므로 사 으로 요구되는 정보

의 양이 많아진다는 단 이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로 주요변수의 확률분포

에 한 사 인 정보가 없이는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의 결과도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험을 고려하기 해서는 개략 이나마 주요 변수의 확률분포에

한 사 인 정보를 가지고 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 재가치의 불확실

성이 주로 어떤 변수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알고자 할 때에는 각 변수의 확률분포를

개별 으로 고려하여 각각에 한 재가치의 분포를 계산해 냄으로써 [그림 Ⅺ-1]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림 Ⅺ-1]과 몬테 칼로 분석의 차이는 자

가 몇 가지 특정한 경우만을 고려하는 데 비해 후자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다 고려한

다는 차이가 있다

4 몬테 칼로 분석과 현재가치의 기대값

이처럼 몬테 칼로 분석은 어떤 투자사업에 수반되는 험을 고려하기 하여 주로

이용되지만 엄 히 얘기하자면 험의 고려 뿐 아니라 재가치의 기 값을 정확하

게 계산하기 해서도 몬테 칼로 분석은 매우 요할 수 있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제

시하는 재가치는 원칙 으로 재가치의 기 값을 나타내어야 한다 즉 어떤 사업

에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험이 따르며 그 결과 재가치의 값도 달라질 수 있으

므로 비용-편익 분석에서 제시하는 재가치는 재가치의 여러 가능한 값들의 평균 혹은 기 값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 으로 재가치가 계산되는 방법 즉

각 변수에 해서 일정한 값을 가정한 다음 그에 기 하여 상되는 편익과 비용의

흐름을 할인하는 방법은 반드시 재가치의 기 값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115)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7

이러한 문제 은 기본 으로 몬테 칼로 분석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앞에서 설명했듯이 몬테 칼로 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확률분포 뿐 아니라 변수들

간의 상 계도 고려하므로 그 결과로 계산된 재가치의 분포는 엄 한 의미에서

의 재가치의 기 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몬테 칼로 분석은 단지 민감도 분

석의 목 을 해서만이 아니라 재가치의 정확한 계산을 해서도 매우 요하다

고 할 수 있다 물론 몬테 칼로 분석에 수반되는 시간과 정보 비용을 고려할 때 모든

비용-편익 분석에서 몬테 칼로 분석을 반드시 해야한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지만 어도 주요 변수들 간의 상 계가 높을 것으로 상되고 한 그 변수들이 곱이

나 비율 등의 형태로 재가치의 계산에 이용될 때에는 변수들 간의 상 계를 감

안하여 재가치의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5 민감도 분석 및 몬테 칼로 분석의 한계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의 근본 인 문제 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첫째 주요 변수의 일정한 변화를 가정하여 재가치의 확률분포를 구하 다 하

더라도 그 결과를 구체 으로 최종의사결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에 해서는 일

된 규칙이 세워져 있지 않다 를 들어 두 가지 사업 A와 B 가운데 사업 A가 사

업 B보다 재가치의 기 치와 표 편차 모두 더 크다고 할 때 A와 B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가 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업평가주체의 험기피도

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험기피도에 한 고려가 없이는 체계

인 단기 을 수립할 수 없을 것이다둘째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은 여러 투자사업을 개별 으로 분석하며 투

자사업들 간의 계를 무시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 으로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의 결과는 고려되는 투자사업의 정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러 투

자사업을 총체 으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사업인 것처럼 고려한다면 그 지 않은 경

우와 비교하여 다른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를 들어 두 가지 사업 A와 B의 순편익이 서로 독립 이라면 사업 A와 B를 개별 으로 고려했을 때보다 A와 B를

묶어서 하나의 사업으로 취 했을 때의 험이 더 낮게 나타날 것이다 보다 극단

으로 A와 B의 순편익이 완벽한 음의 상 계를 가지고 있다면 A와 B는 개별 으로

115) 를 들어 어떤 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총수익 R을 계산하기 해 가격 P와 매량 Q 각각에 하여 일정한 값(기 값)을 가정하 다고 하자 그런데 이 때 가격과 매량의 곱으로서 계산되는 총수익은

가격과 매량이 서로 확률 독립이 아닌 이상실제 총수익의 기 값과는 다를 수 있는 것이다E(R)=E(PtimesQ )=E(P )timesE(Q )+Cov(PQ )

3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아무리 험이 크더라도 A와 B를 동시에 고려한 순편익은 항상 일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 으로 공공투자사업은 여러 개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여러 투자사업간의 계를 제 로 고려하지 못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민감도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의 단 은 매우 치명 인 것일 수 있다셋째 민감도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은 수량화하기 어려운 변수의 변화를 제 로

반 하지 못한다 이들 분석은 주요 변수의 확률분포를 제로 하므로 확률분포가

정의되기 어려운 변수들에 해서는 그 험도를 제 로 반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다 를 들어 사 조사가 상보다 늦게 끝날 가능성이나 혹은 사업이 도에 포기

될 가능성과 같은 계획상의 불확실성은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이나 몬테 칼로 분석으

로는 고려하기가 어렵다첫째와 둘째 문제에 한 한 가지 안으로는 사회 할인율의 수 을 히 조

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험에 따라 투자사업별로 할인율을 다르게

용함으로써 험이 클수록 재가치가 작게 추정되게 하는 방법이다 한편 셋째 문

제에 해서는 바로 다음에 설명되듯이 의사결정 나무를 이용함으로써 사업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사건과 그 결과들을 열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6 의사결정 나무

많은 경우 투자사업의 평가는 하나의 의사결정이 아니라 여러 차례의 단계 인

결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에서와 같이 사업 체의 재가치

를 추정하는 신 사업의 각 단계에서 가능한 안과 각 안별 재가치를 비교해

보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를 들어 새로운 교통 체계를 도입하기 한 사 연구 테스트 그리고 실행

의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고 하면 이 때 각 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사건들과 그 확률

을 정리하면 [그림 Ⅺ-2]와 같은 형태를 취할 것이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9

[그림 Ⅺ-2] 의사결정 나무의 예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그림 XI-2] 의사결정 나무의 예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그림 XI-2] 의사결정 나무의 예

[그림 Ⅺ-2]에서 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을 의미하며 는 그에 따라 발생

가능한 사건들을 나타낸다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이 이루어지는 시 은 [그림 Ⅺ

-2]에서 단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림 Ⅺ-2]를 보면 그림의 모든

마다 그에 해당되는 재가치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장 높은 재가

치를 생성하는 이 선택되어야 할 것임을 알 수 있다각 에서의 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맨 끝 단계에서부터 역으로 거슬러

가는 소 backward induction의 방법을 쓸 수 있다 먼 단계에서는 연구를 수행

하는 경우와 그 지 않은 경우의 재가치를 비교하여 연구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일반 으로 연구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의 재가치는 0일 것이므로 연구의 재가치

가 0보다 큰 이상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그 다음은 연구가 실제로 성공하는지

실패하는지를 살펴본 후에 다음 단계로의 이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의사결

정 나무의 장 은 사업평가자에게 가능한 여러 안들을 고려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리 인 의사결정을 돕는다는 이다 한편 [그림 Ⅺ-2]의 의사결정 나무에 해서

도 성공과 실패의 확률에 한 가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앞에서 설명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3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7 기타 위험분석 방법론(공공투자사업에 있어서 실물옵션 분석방법의 적용)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은 투자사업의 타당성 평가와 실제 수행과정에서

추가 인 의사결정이 가능함을 알려주고 있다 투자사업은 정 (static)인 환경에서 수

행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동 (dynamic) 환경에서

수행되기 마련이다 컨 공공사업에 투자를 할 때만 해도 그 사업이 창출하는 공

공서비스에 한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정보가 없지만 사업이 일단 시작되면

수요에 한 정보가 생겨나고 그에 따른 추가 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유연성은 실물옵션(real options)으로 경제 가치가 있기 때문

에 이는 로젝트 평가에 반 되어야 한다 몇 가지 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사업포기옵션

민간사업자가 사업을 수행하다가 포기할 수 있는 옵션(abandonment option)은 정부

가 부담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이므로 로젝트의 순 가에 가산해 주어야 한다 이는 민간사업자가 사업의 수행결과에 한 무한책임을 감면해 주는 것이므로 융옵

션 풋옵션(put option)116) 가치평가 모형을 사용하여 사업포기옵션을 평가할 수 있

다 사업포기옵션을 감안하지 않는 경우 민간자본을 공공사업에 투자하게 하기 해

사용료 무상사용기간 는 국고보조 의 수 이 실제보다 높게 설정될 소지가 있다

나 사업확장옵션

도로 교량 항만 등의 공공시설의 건설이 다른 사회기반시설의 경제 타당성

을 제고하거나 는 부 사업의 수익성을 제고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에 법의 테

두리 안에서 사업자가 사업의 확장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옵션(expansion option)은 공공투자사업에 한 기 평가( 를 들어 비타당성조사)시에는 알 수 없

었던 것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겨나는 추가 인 옵션이므로 로젝트의 순

가에 가산해 주어야 한다 이는 민간사업자가 추가 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

는 것이므로 융옵션 콜옵션(call option)117)의 가치평가모형을 사용해 평가할 수

있다

116) 자산을 만기 혹은 만기 이 에 팔 수 있는 권리

117) 자산을 만기 혹은 만기 이 에 살 수 있는 권리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21

다 기다림의 가치(timing option)

비타당성조사 시 부터 사업자 선정 상이 마무리되는 때까지 경과되는 시간

에 새로이 생성되는 정보에 의해 사업의 타당성 여부가 더욱 확실해지므로 기다리는

시간의 옵션가치 추가로 생성되는 정보이용옵션의 가치가 재무 수익성에 포함

되어야 한다 즉 비타당성조사는 타당성조사 그리고 사업자 선정 등의 순으로 이

어지는바 각 단계별로 사업진행의 여부가 재검토되므로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한

종합 인 검토가 가능하며 옵션가격평가모형을 용하여 수치화할 수 있다

라 원자력 발전소에 적용한 사례

민간사업자가 사업자로 선정된 후 더 이상 번복이 불가능한 정도로 투자하기

에 사업의 수행을 포기하거나 건설시작을 지연하는 옵션의 가치 역시 재무성 평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은 이러한 옵션의 가치를 원자력 발 소 건설의 투자 의사결

정에 용한 사례이다118)

LNG 화력발 소 1000MW 건설계획이 있는 경우 흐름할인법은 상되는

유출과 유입을 재가치로 환산하여 건설할 지 여부의 결정만을 내리게 된다 반면에 설비투자의 연기옵션을 사용하여 건설을 연기했을 때의 옵션가치를 산출함으

로써 당장 건설할 것인가 상황변화에 따라 건설을 연기할 것인가의 결정을 내리게

되어 의사결정의 융통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발 소를 지 당장 건설하지 않고

10년 이내까지 건설을 연기할 수 있다면 이러한 연기옵션은 아메리칸 콜옵션

(American call option)119)에 해당한다 먼 옵션가치를 제외하고 이 설비투자의 재

가치를 추계하는데 여기서 흐름할인법에 의한 로젝트의 재가치를 원자산의

가격으로 볼 수 있다 발 소가 발 에 의해 산출하는 이익을 흐름(Free Cash Flow FCF)으로 보고 매년의 FCF를 당한 할인율에 의해 재가치로 계산한 액

이 발 소 가치(PV)가 되는데 본 사례에서는 발 소의 재가치가 1266백만달러로

계산되었다 한편 LNG 화력 1000MW의 시 에서의 투자비가 1274백만 달러라고

하면 NPV는 -08백만 달러가 되어 이 투자안은 포기 상이다 그러나 연기옵션을 감안하면 결과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해 발 소 재가치

118) 본 사례는 ldquo설비투자의 투자지연옵션의 가치평가rdquo Hattori and Yamaguchi Issues in Real Option Valuation i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2003에서 인용 윤우진 ldquo원자력발 산업의 정 할인율 산

정 (20042)에서 재인용

119) 만기 이 에도 미리 정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 cf) European option 만기시에만 행사할 수 있는 옵션

3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의 변동성(volatility)을 추계할 필요가 있다 변동성의 추계방법은 여러 가지 이지만

본 사례에서는 발 소 재가치의 계산을 이용한 시뮬 이션에 의해 추계하는데 변동성이 추계되면 그 값을 토 로 원자산(발 소의 가치)의 event tree를 작성한다 이는 주어진 변동성 하에서 원자산이 옵션의 행사기간 에 얻을 수 있는 값을 binomial tree로 나타낸 것이다(binomial tree를 사용한 옵션가격 결정모형은 생략)

옵션가치 tree는 험 립 확률 근법에 의해 각 상태에서의 의사결정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가치를 나타내는데 최종 시기로부터 역산에 의해 계산된다 최종 시기에는

옵션을 행사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두 가지 선택지 유리한 쪽을 선택하게 되는

바 건설비( I )를 투입하여 투자를 실행함으로써 event tree상의 발 소 재가치를 얻

을 것인가(PV - I ) 투자를 하지 않고 이익을 0으로 할 것인가의 선택이다(max(PV - I 0)) 변동성이 6인 경우 연기옵션의 가치는 1566백만 달러가 되는데 즉 향후

10년간 연기하는 옵션이 1566백만 달러 이상의 비용을 래하지 않는 한 투자를 연

기하여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이와 같이 실물옵션(real option) 가치평가모형에 의한 가치평가는 이제까지 정량

화할 수 없었던 경 의사결정의 융통성을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는 반면 일부

실성이 없는 여러 가지 가정들을 해야 한다는 단 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투자 로

젝트의 재가치와 변동성을 추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나 몇 가지 입력변수

를 확실하게 추계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일정 범 의 값 내에서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을 함으로써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로젝트 평가시에 불확실성과 험에 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

음과 같다

① 먼 험의 주된 발생지와 비용과 편익에 향을 미치는 요한 불확실성

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야 한다

② 성과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에 한 확률과 그 범 에 해 략 인 수치

단을 도출해야 한다

③ 과거의 유사 로젝트로부터의 증거자료 확보가 가능하다면 이를 기 로 발

생가능한 효과를 수량화하여야 한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23

④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할 경우 환값을 계산하여야 한다

⑤ 시나리오나 민감도 분석보다 더 정 한 다른 방법들이 유용한지를 고려하여

야 한다

⑥ 일럿 로젝트나 심화 연구가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⑦ 더 유연한 설계를 한 방도가 있는지를 고려하고 더욱 유연성 있는 로

젝트를 한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⑧ 계약상에 더 나은 타 을 한 여지가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⑨ 변화가능성이 로젝트 혹은 로그램 경 에 해 어떤 비용을 부담시키며

변화가능성이 개인들에게 큰 부담으로 와 닿는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⑩ 만일 변화가능성이 문제가 된다면 보다 확실한 안이 선호될 수 있는지 여

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⑪ 사후 평가를 해 그리고 험분석과 련하여 이후의 로젝트에 도움이

되는 요한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본 장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정책 평가의 주요 항목인 지역경제 효과 추정

을 하여 한국개발연구원의 다지역산업연 모형(KDI MRIO Model KDI Multi-Regional Input Output Model)을 어떻게 구축하 고 어떻게 생산 부가가치 고용 임 등의 유발효과를 추정하 는지를 논의하고 그 추정결과를 제시하도록 한

다120) 먼 논의에 앞서 밝 둘 사항은 본 모형의 갱신 작업의 필요성에 한 것이다

본 KDI MRIO 모형은 한국은행의 1995년 산업연 표를 기 로 하여 작성된 것으로

서 모형 자체가 오래되어 그간 지역의 산업 교역구조의 변화를 히 반 하지

못하는 문제 이 제기되어 왔다 이와 련하여 국가균형발 원회에서는 2000년

산업연 표를 이용하여 보다 최신의 MRIO 모형을 구축한 바 있다 따라서 KDI에서

는 향후 국가균형발 원회의 MRIO 모형을 비타당성조사에 용하는 것이

한지 검토하고 토목건설부문 세분화 등 필요시 모형의 수정 보완작업을 통해 보

다 최신의 모형을 마련하여 지역 효과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려 한다 다만 이러

한 내용은 본 지침 개정시까지 결정되지 않은 사항이므로 향후 과제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존 KDI MRIO 모형에 한 내용을 그 로 수록하도록 한다 이미 1999년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해서도 사업기간 발생하는 투자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하여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이 시도된

바 있는데 1999년의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은 모형의 구체 인 정립과정 활용

방안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을 안고 있었다 첫째 연구시간 제약 등에 기인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삼성경제연구소(1995))를 거의 그 로 원용하여 모형을 정립했기 때

문에 모형이 갖는 유용성 한계에 하여 분명한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원천 으

120) KDI MRIO의 구축방안에 해서는 제1부 제Ⅳ장 제1 에서 간략히 언 한 바 있지만 여기서 보

다 상세한 논의를 추가하기로 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5

로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둘째 1999년의 모형분석은 모형의 변수선택

추정 방법론 선택상의 문제를 완 히 공론화하지 못했다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에서는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는 방법 혹은 지역교역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나 이용 자료의 코드매칭(code-matching) 등에 있어서 연구자의 lsquo 단rsquo이 상당부분 개입

될 수밖에 없으며 방 한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수요부문의 계수를 추정하기 해

각 단계마다 연구자의 lsquo자의 단rsquo이 지 않게 개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

이 모두 상세히 기술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셋째 1999년의 모형은

원래 비타당성조사에 활용할 목 으로 구축된 것이 아니라 기존의 모형을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산업분류에 있어서 비타당성조사 목 에 가장 잘 부합되도록 설계

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공공투자사업이 여러 산업 가운데에서도 특히 건설산업

부문을 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설부문을 정 하게 세분류하여 분석할 필요성

이 제기되었는데 이러한 에서 1999년 모형은 만족스럽지 못하 던 것이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할 수 있는 lsquoKDI MRIO 모형rsquo의 체계 인 정립

을 하여 이론 고찰과 실증 분석 결과를 총체 으로 보고하는데 을 둔

다121)

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한국개발연구원 다지역산업연 모형 즉 KDI MRIO 모형 구축은 기본 으로 체

리-모제스형의 경쟁형 다지역 산업연 모형을 바탕으로 하 다 굳이 추계방법상

구분에 의한다면 직 조사방식(survey)에 의한 모형인 IRIO와 비조사방식(non-survey)에 의한 모형인 MRIO의 lsquo혼합형태rsquo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MRIO의 경우 지역기술계수 지역교역계수 모두를 비조사방식에 의하여 추정하지만 KDI MRIO는 지역기술계수 추정시 직 조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 것은 아니더라도

수출입 등 일부 부문을 제외하면 지역내총생산 공업통계조사 서비스업 통계조

사 등과 같이 직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KDI MRIO 모형의 형태를 2지역(L M) 3산업(1 2 3)을 가정하여 단순한 형태로

시해 보면 lt표 Ⅻ-1gt과 같다 모형은 지역기술계수 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 지역별 최종수요 지역교역계수 등의 추정부문들을 결합작성하여 구축되었다 KDI MRIO는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5 역시와 9개 도를 총 하는 15개 지역모형이며

121) 이하에서 제시되는 KDI MRIO 모형의 구축 추정결과에 한 자세한 논의는 ꡔ공공투자사업에

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을 한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 구축 분석ꡕ(한국개발연구원 2000 12)을 참조하라

3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산업부문은 12개 토목건설부문을 포함한 총 37개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555times555) 모형이다

모형의 산업분류는 기본 으로 1995년 국산업연 표의 산업분류 기 으로 하

으며 부문 수는 총 37개 부문이나 세분류된 토목건설 부문을 하나의 부문으로 간

주하면 총 26개 부문이라 할 수 있으며 국 IO 통합 분류(28부문)의 부문수와 유사

하다고 할 수 있다 토목건설부문을 국 IO의 기본부문과 동일한 12개 부문으로 세

분화한 것은 본 모형이 일반 인 지역산업연 표의 이용목 에도 합하지만 비타

당성조사 상사업인 공공투자의 지역경제 효과 계측에 1차 인 목 을 두었기

때문이다

lt표 Ⅻ-1gt KDI MRIO 구조의 예시(2지역 3산업 경쟁이입형)

산출

투입

간수요 최종수요총

지역 L 지역 M 소

산업 산업 산업

1 2 3산업 산업 산업

1 2 3

L

산업 1산업 2산업 3

10 15 20 20 10 40 20 25 10

5 10 15 15 25 20 10 35 15

405085

153545

130215245

5105

-25 5-10

150200250

M

산업 1산업 2산업 3

5 20 10 25 10 30 10 35 30

40 50 30 70 30 90 60 80 80

8070

100

953025

330355420

51010

25-510

300350400

부가 가치 60 85 110 100 120 150

총 투 입 150 200 250 300 350 400

주 1) 순이입 = 이입-이출

2) 수입 순이입은 공제항목임(음의 값을 갖는 경우는 이출이 더 큰 경우로 총수요와 합하면 산업

별 총투입과 총산출이 일치함)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7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KDI MRIO 모형의 단계별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지역기술계수 추정

② 부가가치부문 추정

③ 최종수요부문 추정

④ 지역산업연 표 작성

⑤ 지역교역계수 추정

⑥ 지역투입계수(지역기술계수와 지역교역계수 결합) 추정

⑦ 다지역산업연 모형 완성

이하에서는 7가지 단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역기술계수 지역교역계

수 추정 방식과 부가가치 최종수요 산정방식에 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지역기술계수 추정

KDI MRIO 모형에서의 지역기술계수 추정은 기본 으로 생산물조합법(product-mix approach)을 이용하지만 간투입 부가가치 추정방법에 있어 다소 다른 방법을 용

하 다생산물조합법으로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할 경우 국 하부산업의 부가가치비율은

간투입 비율에 의해 자동 으로 결정된다 즉 생산물조합방식에 의한 지역기술계수는 다음과 같다

a Ri j=sumka Ni jsdotksdotX

Rjsdotk

sumkX Rjsdotk

그러므로 부가가치(VA value added)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3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VA Rj =sum

k(1-a

Rij)X

Rjsdotk

여기서 a Rij는 지역기술계수로 i는 매하는 산업 j는 구매하는 산업 a Nijsdotk 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산업 k의 국기술계수 X R

jk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

산업 k의 지역별 생산량이다 그런데 지역별 하부산업의 부가가치와 간투입에 한 자료가 있다면 지역기술

계수를 추정하는 데에 있어 지역별산업별 총생산량보다 총 간투입을 이용하여

지역기술계수 부가가치를 추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별 생

산량이 아닌 총 간투입을 이용하는 간투입조합법(intermediate input-mix approach)에 의해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계하고 부가가치는 총투입에서 간투입을 제외한 나머

지가 아닌 지역별산업별 실제 부가가치를 용하는 것이다 총 간투입으로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정하는 경우 지역기술계수와 부가가치는

다음과 같이 된다

지역기술계수 a Ri j=sumka Ni jsdotksdotZ

Rjsdotk

sumkZ Rjsdotk

부가가치 VA Rj =sum

k(X

Rjsdotk-Z

Rjsdotk)

여기서 Z Rjsdotk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산업 k의 지역별 총 간투입량이다이 방법은 Ji(1999)의 6개 지역 MRIO 구축 시 처음으로 사용된 방법으로 산업별

간투입 비율은 국자료를 이용하면서 부가가치는 지역별 자료를 이용한다는 면에

서 일 성이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지만 추가 인 정보를 포함하 다는 과

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율의 차이를 모델 내에 수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체 리-모제스의 방식을 개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122)

2 지역교역계수 추정

우리나라의 경우 재화 서비스에 한 지역간 거래 통계는 교통개발연구원의

농림어업 공업부문의 물동량조사(1994)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부

문에 한 지역간 거래통계는 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림어업 공업부문

을 제외한 서비스부문의 지역 자료는 추계에 의존하여 도출할 수밖에 없다 KDI MRIO 모형에서 농림어업 공업부문의 지역간 거래규모 추계는 교통

122) 이 경우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의 지역합계는 국 IO와 일치하도록 조정하지만 부가가치 항

목별로는 국 IO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9

개발연구원의 1994년 물동량조사 자료를 이용하 으나 서비스업종은 지역간 거래규

모가 악되지 않고 있으므로 엔트로피 극 화 모형(entropy maximization model)을

이용하여 별도 추정하 다엔트로피 극 화 모형에 이용되는 자료는 지역별산업별 생산량 수요량 운송비

용 지역간 거리 등이다 서비스부문의 지역별 생산량 자료는 력 운수 건설부

문의 경우는 ꡔ 력통계ꡕ ꡔ운수업통계조사보고서ꡕ ꡔ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ꡕ 등 부문

별 자료를 이용하 으나 나머지 서비스부문은 모두 통계청의 1995년ꡔ지역내총생산ꡕ

자료를 이용하 다 지역별산업별 수요량은 앞에서 구한 지역별 산업연 표에서

간수요 최종수요의 합으로 간주하 다 그리고 총운송비용 자료는 국 산업

연 표에서 각 산업이 운수보 (산업연 표 402분류 6301~6313) 부문에 지불

한 액을 산업별 총운송 비용으로 평균단 운송비용은 (총운수보 비용)(산업

별 총생산)으로 처리계산하 다 마지막으로 지역별산업별 단 운송비용은 산

업별 평균 단 운송비용을 지역별 거리로 조정하여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지역간 교역 추정모형은 슨(Wilson 1970)이 제시한 엔트로

피 극 화 모형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max x xmij -sum

isumjxmij ln x

mij+ x

mij

(Ⅻ-1)

st 1) sumjxmij =X

mi

2) sumixmij = Y

mj

3) sumisumjxmijsdotc

mij =C

m

여기서 xmij 은 상품 m의 지역 i에서 지역 j로의 이동 Xmi 은 지역 i의 m상품

생산량 Ymj 은 지역 j의 상품 m수요량 cmij 은 상품 m의 지역 i에서 지역 j로의 이

동에 소요되는 단 운반보 비용 Cm은 상품 m의 총 운반보 비용을 나타낸

이를 라그랑지안 함수 형태로 만들고 x ij로 미분하면

L = - sumisumjxmij lnx

mij+x

mij + λ (Xmi - sum

jxmij )

+ γ (Ymj - sumixmij ) + μ ( Cm- sum

isumjxmijsdotc

mij )

(Ⅻ-2)

x ij= e- λ i- γ j- c i jsdotμ forallij (Ⅻ-3)

여기에 제약식 1) 2)를 입하여 지역별 거래량 x ij에 하여 정리하고 변환하면

3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송비 승수( μ)의 감소함수 형태의 식이 도출된다

xmij =AiB jX iY j exp (-μsdotcmij ) (Ⅻ-4)

여기서 Balancing factor Ai Bj는 다음과 같다

Ai= (sumjB jY j exp (-μsdotcmij ))

- 1 Bj=(sumiA iX i exp (-μsdotcmij ))

- 1

식 (Ⅻ-4)를 이용하여 지역간 거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수송비 승수( μ)를 반

복 으로 변화시켜(iteration procedure) 경험 으로 찰된 총 운송비용과 모형 내에서

결정되는 총 운송비용이 같아지는 에서 해(解) 즉 지역별 거래량이 결정되는 것이

다 반복법에 의해서 나타난 산업별 지역별 교역량의 합이 체 생산량 체 수

요량과 일치해야 하며 모형의 정합성도 이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출한 서비스 부문의 지역별 교역계수는 앞에서 상술한 농림어업 공업 부문

의 교역계수와 결합되어 지역별 교역계수를 형성하게 된다

3 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본 모형에서의 부가가치 산정 방법은 생산물조합법(product mix approach)과 다소

차이가 있다 컨 생산물조합법은 부가가치 부문이 잔차(residual) 개념으로서 부

가가치율의 지역별차이를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는 을 보완하기 하여 생

산물조합법을 다소 수정하 다 즉 간투입구조를 추정할 때 지역별 총투입(=총생

산액)이 아닌 총 간투입을 이용하는 간투입조합법(intermediate input-mix approach)에 의해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계하고 부가가치는 총투입에서 간투입을 제외한 나

머지가 아닌 지역별 실제 부가가치를 용한 것이다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

의 지역합계는 국 IO의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와 일치하도록 사후 으로 조

정하 다따라서 본 모형에서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업잉여 등)별로는 산업별 지역

합계가 국 IO 산업별 부가가치 항목과 일치하지 않는 단 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한 범 에서 지역별 부가가치율의 차이를 모형 내에 포함하고자 하는데 기인한

것이다지역별 부가가치는 지역내총생산(GRDP)의 지역별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wage bill) 업잉여 감가상각비 순간 세(간 세-보조 ))을 이용하여 국표의 부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1

가가치 항목을 지역별로 배분하고 지역내총생산 융귀속서비스는 산업별로 배

분처리하여 추계하 다지역내총생산 자료에는 우리의 모형에서 이용하는 하부단 산업까지의 부가가

치 통계가 없기 때문에 공업통계조사보고서 서비스업통계조사보고서의 부문별

자료를 가 치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배분하 다기존연구의 경우는 최종수요부문을 추정하지 않거나 혹은 구성항목 일부만을

추정하 으나 KDI MRIO 모형에서는 국산업연 표상의 최종수요항목 모두를 추계

하 다최종수요 변동에 따른 총생산량 변동 등을 계측하는 산업연 모형 분석을 해서

는 산업간 간투입거래 내역을 나타내는 부문(A matrix)만 있으면 가능하지만 최종

수요부문을 포함함으로써 지역별산업별 총공 과 총수요의 일치 등 모형의 내

정합성을 검토할 수 있고 모형이 각 지역을 포 하는 하나의 일반균형 통계체제로

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지역별 기술계수 지역별 최종수요 수입 그리고 부가가치 항목을 결합하여 다

른 지역과의 거래를 고려하지 않은 15개 지역별 산업연 표를 작성하 다 지역별

교역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의 지역별 산업연 표는 지역별산업별

총수요와 총공 이 일치하지 않지만 수출 수입까지 포함한 국가 체의 산업별

총수요와 총공 은 일치하게 된다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1 모형의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 제고

지역별 산업연 표를 결합한 형태의 다지역산업연 표에서도 총 간투입과 총

간수요가 일치하여야 한다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여 총 간투입을 구하면 일반 으

로 국 산업연 표의 총 간수요와 일치하지 않는 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불일

치(inconsistency)는 정확한 지역 자료의 부족 산업연 표상의 오류 지역교역 자료와

지역기술계수간의 불일치 등에 기인한다 KDI MRIO의 작성과정에서도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하 으나 산업별 총 간투입

과 총 간수요의 불일치는 보편 으로 사용되는 조정방법인 RAS방식에 의하여 다시

조정하 다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 항목은 피용자보수 업잉여 감가상각 순간 세(간

3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세-보조 )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도 언 한 바와 같이 생산물조합법으로 지역기

술계수를 추정하면 부가가치는 간투입비율에 따라 자동 으로 결정되므로 지역별

부가가치의 차이를 반 할 수 없게 된다따라서 본 모형에서는 지역별 부가가치의 차이를 모형내에 수용하기 해 부가가

치 항목별 지역합계는 국 IO 부가가치 항목과 일치하지 않으나 지역별 부가가치

의 산업별 합계는 국의 산업별 부가가치와 일치하도록 하 다지역별 최종수요는 앞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지역별 민간소비 정부소비 고정자

본 형성(민간고정자본 형성 + 정부고정자본 형성) 재고 수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의 지역별 합은 국 산업연 표의 항목과 일치한다개별 지역내의 총생산과 총공 은 일치하지 않지만(이출입을 포함하면 개별

지역 내에서의 총생산과 총공 도 일치) 지역간 거래에 의해 최종 으로 산업별

총생산과 산업별 총공 이 일치하게 된다 KDI MRIO 모형에서는 간투입부문 부가가치부문을 일치시킨 후 최종수요부문 재고증가 항목을 잔차(residual) 개념

으로 하여 지역별산업별 총생산과 총공 (수입 차감)을 일치시켰다

2 건설부문의 세분류(12개 부문)

KDI MRIO 모형의 산업구분은 37개 분류 산업으로 분류되었고 건설부문을 제

외하면 체로 국 IO의 28개 통합 분류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모형은 특히 공공투자사업의 지역경제 효과 계측을 목 으로 구축되었으

므로 건설부문을 주택부문과 토목건설로 구분하고 토목건설부문을 다시 국 산업

연 표의 최소분류단 인 12개 부문으로 분류하 다 따라서 본 모형은 SOC분야를

하나의 산업으로 분류한 모형에 비해서 각기 다른 SOC 련투자에 한 산업간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3 지역 및 국가경제의 파급효과 추정 가능

KDI MRIO는 15개 지역이 결합된 하나의 국산업연 표 형태이나 각 지역경제

의 합이 국가경제가 되며 지역간 교역이 각 지역을 연계하는 형태로 모형이 정식화

(specification)되어 있으므로 각 지역은 경제 인 측면에서 독자 인 경제단 로 기능

하게 된다(bottom-up approach) 지역별 기술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경제 기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지

역별 기술계수가 지역간 교역계수와 결합될 경우 지역 내외에서 공 하는 간투

입의 규모가 결정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3

지역교역계수는 간투입 최종수요의 지역간 배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되

는 동시에 지역별산업별 생산과 공 이 국 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담

당한다 이를 통해서 다지역산업연 표는 단순화된 일반균형 통계체계로서 기능하

게 되는 것이다부가가치 각 항목은 지역별산업별 차이를 반 하고 있으므로 각 항목별로 지

역별 최종수요 혹은 투자의 효과 지역 내외의 산출구조를 추정할 수 있다결국 KDI MRIO 모형은 1995년 균형상태의 경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역별 경

제 조건의 변화가 해당지역 뿐만 아니라 국의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생산량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4 이용자료의 양적 및 질적 수준 제고

KDI MRIO 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비교하여 기 자료의 양 질 측면에서의

장 도 지 않게 갖고 있다 우선 기 자료의 양 인 면에서 볼 때 기존 모형은 산업 분류(28부문) 혹은 분

류(77부문) 규모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가 부분이나 본 모형의 경우는 최종 으로

37개 산업으로 분류하 고 실제로 생산물조합법에 이용된 하부산업은 334개 산업에

달하는 등 방 한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지역별 산업 분류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가능한 한 하부산업까지를 고려하여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 으므로 본 연구의

모형이 지역별 산업구조를 보다 잘 반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행의 국 산업연 표상의 산업분류는 기 조사 과정에서 산업이 아닌 상

품단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업연 표의 산업별 총생산 자료와 산업별로 조사되는

지역내총생산(GRDP)의 총생산 자료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하여 농림수산 통계 공업통계 소비통계 등 지역자료를 상품별로 구분하여

국 산업연 표의 품목과 일치시켜 이를 지역별로 배분하는 방식을 사용하 다 따라서 KDI 모형은 국 자료와 지역 자료의 추계방식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했다는

장 을 갖는다 본 모형은 기존 연구에 비해 보다 공신력 있는 자료를 생산 이용하 다는 에서

질 수 을 제고시켰다고 할 수 있다 지역통계의 황을 보면 제조업의 경우는 통

계청의 공업통계조사보고서 총사업체보고서 자료가 있으나 서비스 부문에 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도소매업 총조사보고서 등 서비스부문에 한 조사

보고서가 공표되고 있기는 하나 정부부문이 없고 국공립 민간부문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등 국 산업연 표와 산업분류상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3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의 경우 통계청의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 기 때문

에 개별 인 추계방법 보다 상 으로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선행연구에서도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공식 으로 발표되는

18개 부문만을 이용하는데 그쳤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KDI MRIO는 보다 세분

화된 산업분류의(65 부문)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 다는 에서 차이가 있다 공업의 경우는 공업통계조사보고서 보다 산업총조사보고서가 조사 상(종사

자 1인 이상)이 범 하고 공업부문 이외에 기수도가스업을 포 하고 있는

장 이 있으나 산업총조사보고서의 경우 조사시기(끝자리가 3 8로 끝나는 해 최근

의 로 1993 1998년)가 본 모형의 기 시 (1995년 기 )과 다르기 때문에 공업

통계조사보고서를 이용하 다 음식숙박업의 경우는 도소매총조사보고서(통계청 1998) 건설업(주택부문과 12개 토목부문으로 세분류)의 경우는 건설업통계조사보고

서(통계청 1996)를 이용하는 등 부문에 따라서 개별자료를 병행이용하 다 이처

럼 공식 으로 정부기 의 발표자료 혹은 내부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수출입과 같이

지역별산업별 자료가 가능하지 않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별 인 추계 자

료의 이용을 최소화하 다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KDI MRIO 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효과 추정결과는 토목건설의 표 인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도로건설 사업을 로 하여 생산유발효과를 각각 지역별

효과 산업별 효과로 나 어 분석해 보고하기로 한다123)

1 지역별 생산유발효과

lt표 Ⅻ-2gt 는 15개 역시도 각각에서 도로건설에 1억원을 투자했을 경우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를 추정정리한 것이다 도로부문의 생산 유발효과는 서울(2412백만

원) 제주도(2401) 북(2399) 순으로 높고 충남(2255)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

123) 생산유발효과 이외에도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임 유발효과 등을 추정 분석할 수 있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5

lt표 Ⅻ-2gt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단 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서울 1400 96 155 361 131 224 362 303 252 236 178 118 145 105 103

부산 11 1205 121 11 67 53 13 30 34 29 57 78 135 198 58

구 09 49 1076 08 30 36 09 18 24 20 26 26 76 52 22

인천 267 26 48 1223 38 90 219 138 130 116 59 31 47 29 34

주 05 15 15 05 1126 20 05 05 12 18 84 110 13 22 151

14 15 32 12 24 1058 16 13 46 52 60 22 29 20 22

경기 450 58 101 422 82 202 1439 257 289 260 134 72 113 65 70

강원 85 23 54 89 20 63 79 1176 75 101 45 20 56 29 16

충북 52 23 55 59 32 118 61 55 1100 95 72 33 81 26 28

충남 38 19 33 35 34 103 47 26 75 1087 122 34 34 19 33

북 13 20 25 12 82 56 15 12 30 50 1115 67 22 28 75

남 16 78 67 16 400 62 16 18 36 43 188 1361 63 161 418

경북 23 151 209 29 42 89 25 117 102 54 52 51 1176 121 36

경남 29 525 397 31 223 188 33 93 106 91 196 323 404 1487 192

제주 02 06 06 02 29 05 02 02 03 04 10 24 05 08 1143

계 2412 2309 2393 2315 2358 2368 2340 2264 2315 2255 2399 2370 2398 2368 2401

주 음 부분은 도로부문투자 해당지역의 유발효과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생산 유발효과가 크다는 것이 해당산업의 생산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은 아니라는 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를 들어 다른 조건이 같다면 즉 지

역별산업별 간투입구조가 동일하다면 해당산업의 총 간투입비 이 높을수록

생산유발효과는 크게 된다 동일산업간 비교의 경우 다른 조건이 같고 총 간투입

비 이 크다는 것은 다른 산업부문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만 동일한 재화생산을

하여 간투입비율이 높으므로 해당산업의 생산기술 수 이 다른 지역의 동일한

산업의 생산기술 수 에 비해 상 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오히려 생산효율

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lt표 Ⅻ-3gt은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를 총생산유발액으로 나 비 을 나타낸 것으

로 도로부문 투자시의 생산 유발효과를 지역내 효과(intra-regional effect)와 지역

간 효과(inter-regional effect)로 구분한 것이다

3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Ⅻ-3gt 생산 유발효과 지역 내 비중 도로건설

(단 )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서울 580 41 65 156 55 95 155 134 109 105 74 50 60 44 43

부산 05 522 51 05 28 23 05 13 15 13 24 33 56 83 24

구 04 21 449 03 13 15 04 08 10 09 11 11 32 22 09

인천 111 11 20 528 16 38 93 61 56 51 25 13 19 12 14

주 02 06 06 02 477 09 02 02 05 08 35 46 05 09 63

06 06 13 05 10 447 07 06 20 23 25 09 12 08 09

경기 186 25 42 182 35 86 615 114 125 115 56 30 47 27 29

강원 35 10 23 38 08 27 34 519 33 45 19 08 23 12 07

충북 21 10 23 26 14 50 26 24 475 42 30 14 34 11 12

충남 16 08 14 15 14 43 20 11 32 482 51 14 14 08 14

북 06 09 11 05 35 23 06 05 13 22 465 28 09 12 31

남 07 34 28 07 169 26 07 08 16 19 79 574 26 68 174

경북 09 66 88 12 18 38 11 52 44 24 22 22 490 51 15

경남 12 227 166 13 94 79 14 41 46 40 82 136 169 628 80

제주 01 02 02 01 12 02 01 01 01 02 04 10 02 03 47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서울의 경우 지역내 효과는 580로 나타났고 나머지 420의 지역간

효과는 부분 수도권에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기도에 186 인천에 111로 서울을 포함하면 수도권에 약 88의 효과가 미친 것으로 나타나 거의 부

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에 부분의 산업이 집 되어 있어 이 지

역에 없는 산업을 외로 하면 부분의 산업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

각된다 지역내 효과가 가장 큰 지역은 경남(628)이고 다음으로 경기(615) 서울

(580) 남(574) 지역의 순이며 반 로 가장 은 지역 즉 지역외 효과가

큰 지역은 (447) 구(4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우 생산 효과는 서울 다음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지역내 효과

는 476로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주도의 경우 도로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7

부문의 총 간투입 비 이 클 뿐만 아니라 도로부문의 간투입에 포함되는 산업이

제주도에 없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이입이 많음을 시사한다

2 산업별 생산유발효과

앞에서의 총생산 유발효과를 산업별로 살펴 본 것이 lt표 Ⅻ-4gt이다 국 으로

동일한 산업이라면 간투입구조 간투입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산업

별 생산 유발효과는 15개 지역에서 산업별 비 이 비슷하고 한 유발액 역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생산 유발효과의 산업별 비 은 체 으로 석탄

석유비 속 물(산업 6) 25~30 일반기계(산업 8) 18~21 사업서비스(산업 34) 13~15 등의 비 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별 산업구조가 상이하므로 총생산 유발효과 산업별 lsquo지역내rsquo 효과를 계산한 lt표 Ⅻ-5gt를 보면 지역별산업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목건설 부문(산업 17~28) 공공행정 국방(산업 35)을 제외한 24개 산업의 지

역내 효과 비율의 단순평균을 보면 경기(483) 서울(471) 경남(436) 지역

이 비교 높고 (273) 구(288) 충북(289) 지역이 비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개별 산업별로 보면 더욱 큰 격차를 보인다 사업서비스

(산업 34)의 경우 서울(947)을 제외하면 지역이 70 내외의 비교 고른 지역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자통신기기(산업 11)의 경우 지역내 효과가

경기도의 경우 약 68에 이르지만 구 남 제주의 경우 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통신산업이 경기도에 집 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3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Ⅻ-4gt 산업별 생산 유발효과 비중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단 백만원 )

산업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1 14 11 16 12 21 17 10 12 12 11 11 12 12 10 112 45 83 45 73 38 42 47 65 47 78 46 53 54 76 483 10 08 09 09 09 09 09 09 08 08 09 08 08 08 084 07 05 08 05 11 09 06 04 06 05 05 05 05 04 055 40 36 39 36 35 37 40 40 38 36 35 30 36 34 336 271 241 265 254 275 269 288 241 267 263 296 302 280 264 3027 17 13 16 14 17 15 17 13 16 15 15 14 15 13 138 193 207 205 202 206 210 185 200 209 195 199 203 203 209 1979 22 22 23 21 24 23 22 22 23 22 22 21 22 22 23

10 10 10 10 09 09 09 10 10 10 10 09 09 09 10 0911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4 04 05 05 0412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2 03 02 03 0213 12 12 11 13 11 12 12 14 13 13 12 10 11 12 1014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15 21 20 21 20 20 22 21 35 25 22 23 24 23 22 2016 05 05 05 05 05 05 05 06 05 05 05 05 05 05 0529 29 27 29 27 30 29 30 28 29 28 30 28 29 27 3130 38 37 38 39 36 36 37 42 37 36 37 38 39 36 4231 09 08 08 08 08 08 08 08 08 08 07 07 08 07 0732 31 28 31 30 31 31 31 31 31 30 30 29 30 29 3033 08 07 07 07 06 07 07 06 06 05 06 05 05 06 0534 146 151 144 150 141 143 145 147 142 144 137 137 140 141 13535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36 10 09 10 10 10 10 10 10 10 10 10 11 10 10 1137 52 49 49 48 48 49 50 48 48 48 47 43 46 46 47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유발액 2412 2309 2393 2315 2358 2368 2340 2264 2315 2255 2399 2370 2398 2368 2401주 산업 17~28부문은 토목건설 12개 부문으로 모든 산업에서 이 부문을 직 간투입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모두 0 으로 생략한 것임(이하 산업별 효과 련 표 부문은 동일한 이유로

생략하 음)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9

지역산업연 표의 작성시 지역별 기술계수는 지역데이터의 부족으로 국산업연

표상 가장 세분된 분류(402개 산업)의 산업별 간투입구조를 이용하므로 국

으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추계하 다 따라서 산업별 효과 비 의 지역별

격차는 크지 않지만 지역별 산업구조 규모의 차이로 산업별 지역 내외의

효과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lt표 Ⅻ-5gt 산업별 지역 내 생산파급효과 비중 도로건설

(단 )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1 137 244 123 427 120 118 309 316 216 305 324 518 315 389 386

2 321 199 306 238 375 343 416 707 358 235 331 489 385 322 356

3 204 156 30 157 100 75 374 133 131 109 222 125 100 229 113

4 466 470 247 158 87 100 318 166 135 155 235 149 259 233 484

5 428 364 233 529 286 244 449 272 248 285 357 317 278 347 287

6 582 662 567 662 568 588 733 720 659 658 579 776 580 778 535

7 203 205 131 333 160 202 568 189 236 285 200 570 182 604 202

8 471 503 410 598 493 396 716 473 419 458 411 483 490 777 439

9 332 386 272 502 378 273 612 349 286 313 278 379 380 697 295

10 483 523 446 624 529 460 703 485 453 480 478 543 536 754 472

11 234 62 44 113 57 38 681 71 60 72 51 47 227 185 43

12 445 333 318 371 336 308 765 367 353 366 335 327 500 449 323

13 324 369 305 469 420 285 593 323 287 287 281 418 403 671 352

14 325 251 113 426 112 105 326 175 120 124 155 143 188 162 126

15 381 210 141 172 130 103 311 119 112 119 132 244 251 303 139

16 289 177 130 112 125 65 348 93 71 91 81 114 163 178 129

29 711 552 436 427 427 394 449 414 385 410 380 438 419 476 441

30 745 668 513 553 527 519 535 486 510 529 495 617 525 569 538

31 645 401 304 283 295 253 319 252 249 274 272 327 298 346 321

32 744 414 301 269 293 247 307 252 244 258 258 298 280 332 325

33 593 173 85 38 79 45 212 52 24 21 43 67 75 111 212

34 947 748 709 676 719 696 711 696 707 715 712 726 704 714 757

36 663 514 421 406 425 405 464 397 385 396 390 415 423 458 410

37 641 432 324 299 325 282 380 291 284 300 297 353 329 372 345

평균 471 376 288 368 307 273 483 325 289 302 304 370 345 436 335

주 평균은 24개 산업 산업별 지역내 효과 비 의 단순 평균임

3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KDI MRIO 모형을 통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은 정책 분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 지역에 가장

효과가 높은 투자사업이 무엇인지를 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수 있

다 KDI MRIO 분석은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이 미치는

효과를 사업 특성별로 각각 수치화해 수 있기 때문에 사업간의 경제 효과

를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둘째 지역 내ㆍ외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계량화함으로써 공공투자가 지역

의 내(內) 혹은 외(外)에 미치는 실제 효과의 크기가 얼마인지 분석할 수 있게 해

다 지역 내의 산업연 계 등을 고려해 볼 때 투자가 이루어지더라도 사실상 해당

지역에 미치는 효과는 상 으로 매우 작을 수 있는데 그러한 가능성을 미리 진단

해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셋째 15개 역자치단체 각 지역간의 투자 효과를 계량화해 주기 때문에 어

떤 투자를 어느 지역에 하는 것이 정책 측면( 를 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지 단할 근거를 제공한다 를 들어 앞에서 논의되었지만 자ㆍ통

신기기 산업에 한 투자의 경우 경기도에 투자하게 되면 지역내 생산 효과가

66에 이르지만 구 제주 등에 투자하는 경우는 약 40 내외의 효과에

그쳐 어느 지역을 투자 상지역으로 선택하는 것이 정책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지

를 보여 다 하겠다 넷째 KDI MRIO 분석은 공공투자의 지역간 배분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한 과제에 해서도 일부 해답을 제공할 수 있다 컨 공공투자의 집행을 후

하여 발생하는 생산 부가가치 임 고용 등의 유발효과가 기존의 지역간 격차를

얼마나 감축 혹은 확 시키느냐를 비교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투자

가 지역균형을 진하는지 아니면 불균형을 확 하는지 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KDI MRIO 모형은 규모 공공투자사업의 비타당성조사 단계

에서 하나의 요한 분석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특히 KDI MRIO 모형은 도로건설 철도건설 항만건설 뿐만 아니라 산업 문화 단지 조성 등 다양한 형태의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lsquo동일한 모형rsquo lsquo동일한

데이터rsquo를 활용하여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업간의 상호 비교가 가능

하다는 장 도 가진다 동일한 모형 동일한 데이터에 입각하여 다양한 사업들에

해 한꺼번에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KDI MRIO는 서로 다른 사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4 1

업(혹은 지역)간 정책 우선순 의 결정을 한 단자료로 활용 가능한 것이다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이상과 같이 KDI MRIO 모형이 지역경제 분석과 련하여 단히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모형 자체가 갖는 한계 을 비롯하여

모형의 정립 과정 추정결과의 해석상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 을 내포하고 있

는 것 한 사실이다 우선 MRIO 모형 자체가 갖는 한계 때문에 두 가지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KDI MRIO 모형은 산업연 표의 기본가정 즉 투입계수의 안정성을 한 가정인 생

산물이 동질 이고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의 제약에 직면한다는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 은 산업연 분석에 있어서 원천 으로 내

재되어 있는 제약이며 특별히 KDI MRIO라고 해서 발생한 제약은 아니라고 할 수 있

다 더구나 생산물의 질 차이가 없다는 가정이나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는 가정 등은 경제분석에서 일반 으로 직면하는 제약의 범 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고 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고 단된다 둘째는 MRIO 모형은 사업비 지출에 따른 정(正)의 효과만을 분석할 뿐이며

재원조달에 따른 부(負)의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없는 모형이라는 비 이다 즉 지출을 해서는 이를 한 재원조달이 필요하며 다른 곳에 투자할 재원이 재

의 사업으로 투입됨에 따라 여타 투자가 축되는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 즉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산업연 분석은 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모형이라는 비

이다 구축효과는 분명 발생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축효과까지를 완벽

하게 고려해 주는 모형은 단히 드물며 모든 효과를 동시에 분석해 주기 해

서는 다지역다부문 모형의 정립이 필요하게 된다 재 지역의 시계열 자료의 축

이 상당히 열악한 상태에서 다지역다부문 모형의 정립은 단계 으로 근해야 할

과제라고 단된다 한편 모형의 정립과정과 련한 문제 도 지 될 수 있다 첫째 MRIO는 지역간

서비스부문의 교역계수 추정시 어떤 모형을 쓰느냐 즉 KDI MRIO에서 처럼 엔트로

피 모형을 쓰느냐 아니면 력모형을 쓰느냐 등에 따라 그 추정결과가 매우 상이하

게 나올 수 있다는 이 큰 약 으로 지 될 수 있다 지역간 서비스 거래를 추정하

는 방식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지역간 거래량 추정결과가 좌지우지 된다는 것

은 모형이 갖는 큰 결 이 아닐 수 없다 그 다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KDI MRIO가 고유하게 갖는 문제 은 아니라는 을 지 할 수 있고 재와 같이 지역간 거래

3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량을 추정하기 한 완벽한 지역데이터가 아직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 등을 고려

한다면 더 좋은 안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는 을 지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모형의 정립과 련하여 두 번째로 지 할 수 있는 문제는 본 모형은 15개 지역

이 결합된 하나의 국 산업연 모형 형태이지만 각 지역의 생산 분배 과정과 지

역간 연계구조가 국의 생산 분배 과정을 규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에 각 지역은 경제 인 측면에서 모두 독자 인 단 로 기능할 수 있도록(bottom up approach) 구성되어 있으나 과연 그러하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이다 지역

기술계수는 지역별 기술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경제 기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지역별 기술계수가 지역간 교역계수와 결합될 경우 지역 내외에서 공 하는

간투입의 규모가 결정된다 그리고 지역교역계수는 간투입 최종수요의 지역

간 배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동시에 지역별산업별 생산과 공 이 국

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교역계수를 통해서 다지역산업연

표는 단순화된 일반균형 통계체계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bottom up approach가 정확한 것이냐에 한 검토는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KDI MRIO 모형의 추정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다음

과 같은 에 항상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MRIO 모형은 사업비 지출에 따른 간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므로 그 사업

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 편익 즉 사업의 완료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추정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 따라서 지역경제 효과를 경제 편익과 혼동하는

일이 없도록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둘째 투입계수의 안정성과 련하여 사업비 지출의 분석기간 투입계수는 지

속 으로 불변인 것으로 가정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업구조 생산기술 등

이 변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동태 경제 효과를 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이다 동태 효과 분석은 모형의 동태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사업비 지출에 따른 정(正)의 효과만을 분석할 뿐이며 재원조달에 따른

부(負)의 효과를 함께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사업들간에 사업비의 지출에

따른 경제 효과의 상 비교는 가능하나 서로 다른 사업간 비교나

특정사업에 한 효과의 인 크기를 단하는 데는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서로 다른 사업간의 상 효과 비교시에도 비교의 목 이 지역간

효과의 상 크기에 있다면 사업간 특성의 차이에 따른 투입구조 투자 배분

구조의 차이 등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항상 내재되어 있다는 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제1절 개요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경제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

여 사업의 추진여부에 한 최종 인 단을 도출한다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따른다첫째 정량 분석 결과와 정성 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어려움이다 경제성 분석

은 그 결과가 BC 비율 순편익의 재가치(NPV) 내부수익율(IRR) 등 정량 으로 제

시되는 반면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많은 평가항목 컨 지역의 사업추진의지 국고조달 가능성 련계획과의 일치성 등은 계량화가 어려우므로 정성 표 으로

제시된다 를 들면 BC 비율은 높지만 상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사업의 타당성을

어떻게 종합평가할 것인가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둘째 정량 분석의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척도(scale)를 갖는 평가항목을 통합하

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를 들면 BC 비율이 10보다 작은 09이지만 2000명의 고

용창출 효과를 갖는 사업에 해 어떤 기 을 가지고 사업의 시행여부를 종합 으로

단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셋째 평가의 일 성과 사업의 특수성을 동시에 반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 가운데는 국가 략 차원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나 문화재

보호 등 경제성 분석 틀 안에서 계량화되지 않는 특수한 평가항목이 월등히 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비타당성조사 체계의 정책 분석에서는 이러한 사업의 특수성

을 평가의 틀 속에 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사업 특수성이 종합평가에서

차지하는 비 이 지나치게 클 경우 다른 사업과 평가의 일 성이 떨어질 험성이

3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존재한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체계가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분석 틀로서

가치를 유지하기 해서는 해당사업의 특수성이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

어 얼마만큼 요한 향을 미쳤는지를 객 으로 보여 수 있어야 한다넷째 종합평가에 참여하는 여러 평가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결론을

도출하는 어려움이다 한 사람의 평가자가 종합평가를 내릴 경우에는 그 단의 타

당성 여부만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의견이 종합되어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표성을 가진 종합 단이 될 것인가 특히 개별 연구진들이 해당사업

의 시행여부에 해 상반된 견해를 갖는 경우에는 어떻게 최종의사결정에 도달할 것

인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하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기 분석 방법론

(multi-criteria analysis)의 하나인 분석 계층화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채택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종합 으로 단하고 있다 AHP기법은 공공투자사업의

정성 인 특성을 평가에 반 하고 평가에 참여한 연구진의 문 단을 히

유도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당성조사의 단계로서 비교

짧은 기간에 은 산으로 수행되는 을 고려할 때 차가 간결하면서도 복잡

한 의사결정 문제를 체계 으로 분석하게 해 주는 AHP기법은 용가능성 측면에서

장 을 갖는다 AHP 분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개념화(conceptualizing) ②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③ 가 치 산정(weighting) 일 성 검증(consistency test) ④ 안별 선호도 측정(measuring) ⑤ 종합 수 산정(synthesizing) ⑥ 환류과정

(feedback) ⑦ 종합 단 (concluding)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기본 으로 단계에 따라 AHP 분석을 수행하여 왔다

7단계의 AHP 분석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면 계층구조화 평가 종합평 검토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일 으로 AHP 분석을

수행하여 왔다 lsquo계층구조화 단계rsquo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기본구조를 기 로 해당사업의 특

성을 반 하여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추가하여 종합평가를 한 AHP 구조를 설정하

는 단계이다 AHP 구조설정을 하여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는 해당 연구

들에게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lsquo구조설문지rsquo를 발송하여 평가항목과 평가내용

평가기 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평가 내용상 상호 복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lsquo평가단계rsquo에서는 AHP 분석에 필요한 평가항목간 가 치 산정과 안간 성

비교 자료를 조사하여 자료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를 하여 lsquo응답설문지rsquo를

작성하여 AHP 평가자들에게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1차 분석결과를 검토한다 이때 응답의 비일 성 비율이 015를 과하는 응답자에게는 비일 성이 높은 원인을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5

분석하여 알려주고 재설문을 수행하여 응답의 일 성을 높이도록 한다lsquo평 검토단계rsquo에서는 평가결과에 한 종합 수를 산정하고 평가자별 응답

특성 평가자간 평가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등을 분석한다 평가자간 응답

이 큰 편차를 보이는 경우 각 연구 들에게 분석결과를 알려주고 연구 간 의사수렴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한다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AHP기법의 용이 갖는 의의를 정

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타당성조사 종합결론을 체계 으로 도출하고 그

과정을 투명하게 밝힌다 의사결정과정을 구조화함으로써 공공투자사업에 해 사

회 으로 인정된 가치를 객 으로 수렴하여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 평가항목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단을 내리는 과정과 근거를 명확히 밝

힘으로써 제3자가 그 종합 단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둘째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공공투자사업에 한 의사

결정에 해서는 ldquo정치 고려 는 평가자의 자의 단이 향을 미친다rdquo는 비

이 제기되는 사례가 많았다 이 같은 비 은 한편으로 과거 권 주의 행정수행 방

식이 스스로 래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투자사업 련 의사결정을

한 일 된 기 이 없었기 때문에 야기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비 을 극복하기

해서는 일 된 기 을 여러 가지 사업에 그리고 장기 으로 용함으로써 공공부

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셋째 사업간 평가오차를 인다 종합평가 단계에서 각 평가자는 해당사업의 특

수성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들과 공통되는 기본 인 단기 들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을 수행하게 된다 를 들어 BC 비율의 경우에는 부분의 사업들이 요한 단

기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동일한 BC 비율을 사업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하는 경우

에는 사업간 평가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다기 분석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

여 사업간 평가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객 기 을 제시함으로써 동일한 기

에 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한 사업평가의 비일 성을 일 수 있다넷째 후속사업에 한 평가의 자료로 활용된다 일단 다기 분석 모형을 통해 하

나의 표 안이 제시되면 그것은 일종의 귀무가설(null hypothesis)로서의 상을 갖는

다 즉 모든 사업에 이 표 안을 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이 표 안을 수정해

용해야만 하는 지역의 특수성 는 사업의 특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이것은 평가시기가 달라질 때 유사사업에 한 평가의 편차가 커지

는 문제 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이러한 장 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에 한 AHP기법 용에 하여 다음

과 같은 비 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평가항목의 요도가 연구진의 개별 단에

의해 결정되며 평가항목에 한 정성 인 평가를 계량화된 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에

3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연구진의 자의 단의 여지가 크며 동기 편향(motivational bias)을 배제하기 어렵

다 둘째 AHP 평가자가 비타당성조사 연구 으로만 구성되고 사업별 평가자가

3~4명으로 무 은 인원이 참여한다는 이 지 되고 있다 소수의 평가자만이 참

여하는 이유는 비타당성조사 보고서는 기본 으로 연구진의 의견을 종합한 것으로

서 해당사업의 지속 인 추진에 한 최종 인 결정은 산당국과 주무부처의 몫이

라는 을 감안하 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보고서가 산

편성의 공식 차의 하나로 간주되는 상황에서 동기 편향을 제어할 수 있는 의사

결정 구조를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연구자간 서로 다른 평가의견이 도출될 경우에 평가자별 평 결과를 종합

한 종합평 못지않게 연구진간 의사결정의 통일성 개별 평가자간 의사결정의 차

이를 심도있게 검토하여 의사결정의 특성을 명확하게 밝 필요성이 있다AHP 분석에서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KDI(2001)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II)ꡕ(이하 다기 분석 2001)에서는 과거 자료를 이용하여

표 화된 가 치를 사 으로 도출하여 그 용가능성을 검토한 바 있다 그러나

자의 단은 그 연구진의 문 단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무조건 으로 터부시

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한 사 으로 가 치를 설정할 경우 사업별 특수성을

반 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모든 의사결정 기법이 의사결정자의 동기 편향 발생 가능성으로부터 완 히 자

유로울 수는 없다 AHP기법은 비일 성 비율을 통하여 인지 오류를 시정할 수 있

고 고유벡터를 계산해 내기 에는 최종가 치의 분포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등 다기

분석기법 에서도 동기 편향에 의한 조작 시비로부터 가장 자유로운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기법을 비타당성조사에서 용하는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본 지침에서는 재의 AHP기법 용상에 발생할 수 있는 평가자의 동기

편향을 완화하는 데 주안 을 두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7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1 AHP 분석의 조기 수행

AHP기법을 비타당성조사에 용할 때 문제 의 하나는 개별 연구 에서는

AHP 분석을 직 수행하지 않고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AHP 분석을 신

수행한다는 이다 연구 은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발송한 구조설문지와 응

답설문지에 응답하고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Expert Choice의 TeamEC_Platform version 950A05소 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결과를 연구 에게 나

어주는 방식으로 AHP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HP 분석을 수

행하는 것은 개별 연구 이 AHP라는 분석도구의 숙달사용자(power user)로서의 문

성을 갖지 못하고 개별 연구 이 고가의 소 트웨어 패키지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

이 효과 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AHP분석 수행방식은 구성원간 의사교환을 통하여 집단의사결정에 도

달하기 한 지원도구로서 AHP가 가지고 있는 장 을 활용하는데 제약조건으로 작

용한다 이와 같은 제약이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는 AHP 분석을 비타당성조사

리 이 조사 을 신하여 수행하면서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이 완료된 시 에

야 착수하기 때문에 사업특수 평가항목 설정 AHP 구조의 성에 한 검토가

미흡한 측면이 있다 한 연구자별 AHP 평가결과에 한 심도있는 의견 교환 등

사업의 타당성에 한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이 제약을 받는다 이와 같은 문제 을 완화하기 하여 본 지침에서는 AHP 분석시 을 다음과 같

이 설정한다 첫째 AHP 평가항목을 선택하고 AHP 구조를 설정하는 작업은 간보

고 단계에서 수행한다 즉 간보고서에 AHP 구조를 포함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사 에 AHP 구조에 하여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갖고 검토함으로써 최종 으로 사

업의 타당성을 단하기 한 평가항목을 미리 선정할 수 있다 평가항목의 선정은

우선 으로 개념화 단계에서 출발하게 되는데 의사결정자와 이해 계자 제약조건 가용자원 고려요소 잠정 인 안 상되는 쟁 등과 련된 사항들을 통하여 이

루어진다 조사의 간단계에서 이와 같은 사항을 종합 으로 미리 검토함으로써

락된 평가항목에 하여 보다 구체 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 여유를 확

보할 수 있다둘째 평가자별 평 종합평가 결과를 최종보고 이 에 완료하도록 한다 평

3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자간 의사결정의 차이가 큰 사업에 해서는 차이발생의 원인 등 평가자별 의사결

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의사결정의 강건성을 미리 검토하도록 한다 연구자별 의사

결정의 차이가 큰 사업의 경우 AHP 평가자가 한자리에 모여 각자 의사결정 근거에

하여 상호 토론하고 의사결정 편차를 일 수 있는 가능성에 하여 검토한다

2 AHP 평가자의 확대

비타당성조사 종합 단과정은 다수의 문가로 구성된 비타당성조사 연구진

각자의 의견을 반 하여 종합 인 단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집단의사결정의 성격

을 갖는다 AHP기법은 개개인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의사결정에 도달하도록

지원하는 집단의사결정 지원도구(group decision support system)로서도 한 방법론

이다 집단의사결정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의사결정 결과에 직 인

향을 미치므로 AHP기법을 통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종합 단할 때 평가자를 신

히 선정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 AHP 평가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

하여야 한다 첫째 AHP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에 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해당분야 문가

여야 한다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의 목표 목표달성을 한 요구사항 사업의 구체

내용 련분야에 한 지식 등을 갖추고 그 사업이 미치는 사회경제 정책

효과를 측할 수 있는 치에 있어야 한다둘째 AHP 평가자는 공공투자사업이라는 특성상 공공이익의 에서 사업을 평

가할 수 있는 객 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평가자가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 상 공공투자사업과 이해 계를 가

지고 있고 그 이해 계가 평가에 반 된다면 공공투자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이익

의 극 화라는 최종 인 목표를 달성하기 한 의사결정을 왜곡시킬 험성이 있다공공투자사업과 련된 주체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개 집단을 상정할 수 있다

첫째 공무원 집단으로서 해당사업을 장하는 앙정부의 담당부처 부처간 이해를

조정하고 사업간 우선순 를 정하여 산을 배정하는 산담당부처 해당사업이 시

행되는 지역의 시도 는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포함한다 둘째 공공투자사업을 장하는 연구자 집단으로서 비타당성을 수행하는 KDI의 연구진

련분야의 교수 는 해당분야 연구기 연구진 비타당성조사 시행을 장하는

KDI 공공투자 리센터 그리고 기술 부분에 한 연구와 자문을 수행하는 엔지니

어링 회사 등 민간 기업체 연구인력 등이다 셋째 지역주민으로서 해당사업의 시행

으로 향을 받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넷째 해당사업에 이해를 가진 이익

단체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9

이 가운데 AHP 평가자의 조건인 문성과 객 성을 가장 만족시키는 집단으로는

산담당 앙공무원 KDI 연구책임자 KDI 공공투자 리센터 련분야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기존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최종 으로 산담당 공무원을 제외하고

비타당성조사의 기술 부분의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을 평

가진에 포함하 다 산담당 공무원을 포함하지 않은 이유는 비타당성조사에

한 종합 인 의견이 연구진의 의견이며 사업의 비타당성을 최종 으로 결정하는

산담당 부처는 자신들의 의견을 최종 이고 직 으로 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

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 연구 으로 참여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회사를 포함하여 련분

야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 등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경우 무의식 으로 업계

의 이익을 표하는 동기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비 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AHP 분석에 포함시키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조사 의 일원일

뿐 아니라 실제로 다양한 형태로 사회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실을 반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한 특정 사업에 해 AHP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이해도가 높은 문가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을 고려하 다 해당 사업의

몰이해에서 오는 평가 결과의 왜곡이 동기 편향에 의한 왜곡 문제보다 심각할 수

있다 AHP 평가과정에서 집단간 의사교류 평가결과에 한 검증 차를 강화함

으로써 동기 편향은 일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하지만 자는 불가능한 측면이 존

재한다지역주민과 이익단체 등 공공투자사업으로 향을 받는 이해당사자는 사회 체

의 이익을 객 으로 단할 치에 있지 않다고 간주하고 조사 상에서 제외하

다 그럼에도 다원화된 사회에서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여러 경로로 의

사결정과정에 반 되어 사업시행의 정치 타당성(political feasibility)에 향을 미친

다 이러한 실을 고려하여 정책 분석 과정에서 사업의 추진의지 선호도 사업시행으로 인한 지역경제 효과 지역낙후도 분석 등을 통하여 사업시행이 지역

발 에 미치는 향을 종합 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지역의 의견을 반 할 수 있도록

하 다이와 같은 3~4명의 소수 평가자로 AHP 평가를 수행할 경우 일부 평가자의 동기

편향에 의하여 체 인 의사결정이 왜곡될 수 있는 취약 이 있다는 문제 제기

가 있었다 그 안으로는 AHP 평가자 집단의 규모를 확장하여 개별 평가자의 동기

편향으로 인한 향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동기 편향의 문제가

심각할 경우 동기 편향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종합평 결

과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두 가지 방안 모두 재 3~4명으로 구성

된 AHP 평가자 집단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 제되어야한다

3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따라서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진행과정을 지속 으로 검하여 해당 사

업에 한 이해도가 높다는 것을 제로 AHP 평가자를 확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먼 개별 비타당성조사 사업에 한 검토 원을 별도로 지정하여 AHP 평가에

참여시킨다 이 검토 원은 사업 부문에 한 문가일 뿐 아니라 평가의 객 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검토 원은 KDI의 비타당성조사 검회의

기획 산처에 시행되는 보고회의에 참여하여 사업의 진행과정을 상세하게 악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검토 원의 문성을 최 한 활용하여 해당 사업에 한 연구

의 질을 향상시키는 부수 인 결과를 기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해당 연구진의 AHP 평가 참여를 확 시킨다 이 에는 수요분석 사업

비 분석 의 각 책임자들만 평가에 참여하 던 것을 각 에서 두 명씩 평가에 참여

하는 것으로 확 한다 이에 맞춰 KDI 리인력도 2인으로 확 한다이러한 을 반 하여 AHP 평가인력은 다음과 같이 총 7~8명으로 평가자들을 구

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연구 (4~5인)124) 연구책임자 1인 수요분석 2인 사업비 분석 2인

비타당성조사 리 인력(2인) KDI 공공투자 리센터 소장 담당부서 실장

외부 검토 원(1인)

다만 종합평 산정 시 평가자 7~8인 최 값과 최소값을 부여한 평가자를 제

외한 5~6인의 응답결과를 가지고 종합평 을 도출하도록 한다

3 교통부문(도로 철도) 사업에 있어서 표준 가중치의 적용

앞에서 언 하 듯이 ꡔ다기 분석 2001ꡕ에서는 AHP분석에서의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표 화된 가 치를 사 으로 도출하 으나 축 된 자료의 수가

어 그 용을 유보한 바 있다 본 지침에서는 도로 철도 부문에 한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가 치의 범

를 설정하여 AHP 종합분석에 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가 치 산정에는 2001 ~ 2004년 상반기 도로철도 부문 비타당성조사 98개 사업의 380개 설문자료를 이용

하 다 다음 표는 과거자료를 이용한 평가항목 간 가 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124) 연구책임자가 수요분석 의 일원일 경우 연구책임자 수요분석 1인 사업비 분석 2인 총 4인

이 평가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1

lt표 ⅩⅢ -1gt 평가항목 가중치

비 고도로철도

도로 철도

개정 기존sup1 개정 기존

경제성분석 0546 0551 06 0536 055

정책 분석 0454 0449 04 0464 045

기본 평가항목 0253 0245 025 0265 022

지역낙후도 0037 0043 005 0027 002

지역경제 효과 0041 0042 005 0039 003

사업추진 의지 0045 0040 004 0053 004

국고조달 가능성 0045 0042 004 0049 004

련계획과의 일치성 0060 0052 005 0073 006

환경성 평가 0025 0025 002 0025 003

사업특수 평가항목 0201 0206 015 0199 023

주 1) 기존 결과는 KDI(2001)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II)ꡕ에서 산정된 결과

를 나타냄 2) 2001년 ~ 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 사업 도로철도 부문 98개 사업을 이용 총 380개(도

로 245개 철도 135개) 설문자료 이용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의 가 치는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551 449 고 철도 부문 사업의 경우 536 464로 계산되었다 두 사업부문간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로철도 이외의 부문에 하여 사 가 치를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하 으나

타부문 사업의 경우 자료수가 많지 않았고 사업간 가 치 편차가 커서 일반 인 경

향을 발견하여 사 가 치를 제시하는 것이 치 않다고 단되었다사 가 치 설정 상은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의 가 치로 한정하 다 경

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은 AHP 구조상의 제1계층에 속하는 평가항목으로서 최상

계층의 가 치가 AHP 결정에 미치는 향이 가장 크다 한 제2계층 제3계층의

평가항목에 해서는 사 가 치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평가자의 문 단

을 지나치게 제약할 뿐 아니라 제약의 실익도 많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125)

125) AHP 평가구조에 해서는 제3 을 참조하라

3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사 가 치를 특정 수치로 설정할 경우 사업별 특수성을 반 하기 어렵고 연구진의 문 단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로철도부문 사업에 한 사 가 치는 기존 사업에 한 lt표 ⅩⅢ -1gt에서 제시한

AHP 응답의 평균 가 치를 심으로 일정 범 로 설정하는 것이 할 것으로

단된다가 치의 범 를 설정하는 기 으로는 가 치의 표 편차를 이용한다126) 도로부

문 사업 경제성분석 가 치의 표 편차는 0097 철도부문사업의 표 편차는 0104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도로철도부문 사업에 한 경제성 분석 가 치를 앞에서 구한

평균치인 055를 기 으로 다음 범 로 설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5 lt 경제성 분석 가 치 lt 65

다만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범 를 넘어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업의 특수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평가자가 제

시된 가 치 범 를 벗어나는 가 치를 설정할 수 있다

4 환류과정(feedback)의 강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AHP 분석을 한 자료 수집을 lsquo구조설문지rsquo와 lsquo응답설문

지rsquo라는 2종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한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방식은 연

구자별 AHP 기법에 한 이해 정도 평가항목에 한 이해 정도 사업에 한 사

인 태도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KDI 비타당성조사 은 체 조사 원들에게 AHP 기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AHP 구조

작성과정에서 긴 한 의를 거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 기법이 문가

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한 도구로서 각 연구진들이 AHP 분석을 직 수행하는

것에 비해서는 의사결정을 한 상호 교류에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AHP 분석결과가 의사결정의 일치도가 높은 경우 를 들어 평가자가 모두 사업

시행 는 사업미시행이 하다고 단하는 경우 와 같은 AHP 수행방식의 제

약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타당성에 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간 의사결정 결과가 22로 양분되거나 의사결정 결과가 13으로 나뉘

었음에도 불구하고 1명의 AHP 평 으로 표출된 의사결정의 강도가 매우 높아 체

평 결과에 향을 미치는 경우 등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낮은 경우 평가자간 평가결

126) 표 편차 산정에 해서는 제2 5 lsquoAHP 분석결과의 활용rsquo 부분을 참조하라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3

과에 상호 토의하는 추가 인 차가 필요하다집단 의사결정 과정에서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

의사결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하여 집단역학(group dynamics) 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단역학이란 소규모 집단은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서

로 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며 이를 리한다는 것은 상호작용과정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정 효과(process gain)를 극 화하고 부정 폐해(process loss)를 극소화 하는 것이다 집단 의사결정에 이르는 방법으로는 공감(consensus) 상(negotiation) 투표(voting) 등이 있다 공감 를 제고시키기 한 노력 없이 일종의

투표행 인 개별평가를 단순 취합해서 종합평가를 도출해 낸다면 단일한 결론을 만

들어 내기는 했지만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가 진심으로 자신의 의견이 반 되었다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연구책임자(PM)는 집단역학 리기법을 사용해서 공감

형성을 통한 종합의견을 이끌어 내기 해 노력하여야 한다 구체 으로 AHP 분석

결과로 도출된 의사결정 결과가 안정성이 높지 않을 경우 체 평가자들이 한자리

에 모여서 상호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각자 자신들의 평가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평

가자 상호간의 의견에 한 공감 를 높일 수 있다 한 토론과 논쟁 과정에 AHP 분석을 다시 수행하여 평가자간 견해 차이를 좁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5 AHP 분석결과의 활용

AHP 분석을 통하여 최종 으로 얻는 산출물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각각에 한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계

산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

시행 안보다 상 으로 높은 종합평 (05를 과하는 수)을 얻으면 사업의 타

당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 다 이와 같은 기계 인 결론 도출 방식은

비타당성조사의 최종 인 결과가 사업을 지속 으로 추진하기 한 산을 배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양자택일 의사결정(binary decision)에 활용하기 한 기

자료의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AHP 분석결과를 기 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할 때는 제

약이 따른다 첫째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특히 평가자간 22로

의견이 양분되었을 때 AHP 종합평 결과가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수를 보이

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자간 공감 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 으로 사업의 시

행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 경우 사업시행 여부에 하여 양자택일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평가자별 평가의견을 기술하고 평가자간 차이발생의 원인

3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보고서에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둘째 종합평 결과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의 차이가 미세하여 의사

결정의 강건성(robustness)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이다 AHP 종합 수를 근거로 사업

의 시행여부를 결정할 때 흔히 제기되는 질문은 ldquoAHP 종합 수 051과 049 차이가

사업의 타당성 여부에 한 양자택일 단을 내릴 만큼 한 차이가 있는가ldquo라는 것이다 이 질문에 하여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에서

양자택일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 던 이유는 궁극 으로 비타당성조사의 목 이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가 는 없는가를 단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은 AHP 분석방법이 가진 제약을 고려할 때 AHP 분석

결과를 지나치게 확정 으로 용하는 측면이 있다AHP분석의 종합평 은 평가자들의 체 풀에서 일부의 평가자를 선택한 표본의

평균이다 이 표본평균은 표본마다 달라질 수 있는 확률변수이다 따라서 종합평 을

기 로 평가자 체의 평균이 05보다 큰지 는 작은지에 하여 어느 정도의 확신

을 가지기 해서는 종합평 의 표본확률분포(sampling distribution)의 분산을 알아야

한다

먼 개별 사업 j에 한 평가자 i의 평가 수를 Xij라고 하면127) Xij는 다

음의 모분포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Xij ~ N(μ j σ 2 ) (ⅩⅢ -1)

여기서 μ j는 j번째 사업에 한 평가자모집단의 평균을 σ 2 은 동 모집단 분산

을 나타낸다 평균에 하첨자가 있는 것은 사업마다 모집단의 평균이 다를 가능성을

인정하 기 때문이며 분산의 경우 하첨자가 없는 것은 사업간 등분산성을 가정하

기 때문이다 그러면 j번째 사업의 종합평 Xj 의 다음의 확률분포를 따른다

Xj ~ N(μ jσ 2

m) (ⅩⅢ -2)

여기서 m은 해당사업의 평가자 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타당성이 없다는 가설

검정은 다음을 통해 수행되게 된다

127) j는 사업의 일련번호를 i는 평가자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5

귀무가설 (H0) μ j le 0500립가설 (H1) μ j gt 0500

종합평균이 05보다 충분히 커서 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을 때 모분산의 평

균이 05보다 크다(타당성이 있다)고 보다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이와 반 로 종합평균이 05보다 작을 경우에는 그 값이 충분히 작아서 다음의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을 때여야 한다

귀무가설 (H0) μ j ge 0500립가설 (H1) μ j lt 0500

이러한 가설 검정은 우선 개별 사업마다 각 평가자별 평가 수의 분산을 기 로

신뢰구간을 구한 후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AHP 수 를 구하는 방법으로 수

행할 수 있다

Xj 가 05보다 클 경우

if Pr ( Xj gt 05+ z ασm

) lt α 귀무가설 기각 (ⅩⅢ -3)

Xj 가 05보다 작을 경우

if Pr ( Xj lt 05- z ασm

) lt α 귀무가설 기각 (ⅩⅢ -4)

여기서 α 는 유의수 을 z α는 유의수 α 의 표 정규분포 값을 나타낸다128) 그러나 개별사업에 한 AHP 평가자가 3 ~ 4명임을 고려하면 가설검정의 검정

력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 이 생긴다 물론 개별 사업의 평가 수의 모확률분포의 분산이 식 (ⅩⅢ -1)과 같이 서로 같다

고 가정할 수 있다면 그동안 공공투자 리센터에서 수행한 사업들의 평가결과를 이

용하여 해당사업의 확률분포의 분산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업간 특수성을

반 한 평균의 차이를 감안하여 사업별 평균과의 차이(mean deviation) 자료를 이용하

여 다음 식과 같이 분산을 구할 수 있다

128) 통상 인 단측검정에서 z α = 1은 통상 인 단측검정에서 84의 신뢰수 즉 α = 016을 z α = 164는 95의 신뢰수 α = 005를 나타낸다

3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σ =sumn

j=1summj

i=1(Xij - Xj )

2

sumn

j=1(mj-1 )

(ⅩⅢ -5)

여기서 n은 사업수를 mj는 j번째 사업의 평가자수를 나타낸다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의 AHP 667건의 응답결과에서 표 편차를 구하여 보면 다음

표와 같다

lt표 ⅩⅢ -2gt 사업부문별 AHP 평점의 표준편차

구분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기타 체

자료수 253 179 66 39 130 667

표 편차 0077 0095 0119 0087 0117 0096

사업부문간 표 편차가 다름을 볼 수 있으나 수자원항만 부문의 자료 수가

어 시 에서 사업부문간 차등 용은 실 으로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체

사업의 표 편차 값은 0096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평가자수가 4인이라면 식 (ⅩⅢ

-3)과 (ⅩⅢ -4)의 σ m 값은 0048이 된다 한 164 σ m값은 078이 된다

물론 앞에서 언 하 듯이 사업간 분산이 같다는 가정은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본 지침에서는 이를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회색 역을 설정하 다

05 - 005 lt AHP 종합평 lt 05 + 005즉 045 lt AHP 종합평 lt 055

회색 역이란 만약 연구진 구성이 달라진다면 재의 종합평 의 결과가 뒤바

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역을 뜻한다 결국 이러한 역에 속하 을 경우에 연구

진들은 AHP 분석을 통한 종합 결론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이 필요할 것이다편차의 범 가 되는 005는 앞에서 언 하 듯이 신뢰수 약 84에 해당하는 값

이다 참고로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에 한 AHP 분석결과 종합 수

가 회색 역에 속하는 사례는 31건으로 체 AHP 분석 사례 172건의 18를 차지한

다다음으로 이 회색 역을 평가자 의견의 일치정도에 따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우

리는 평가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을 때는 평가자의 모집단의 평균도 표본평균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7

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을 때는 평가자 모집단의 평균은 종합평 과 다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 있다 따라서 평가자간의 의견일치도가 낮을수록 회색 역을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을 종합하여 회색 역의 용은 다음과 같은 원

칙을 따르도록 한다첫째 4명의 평가자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 AHP 평 이 05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

라 평가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종합의견을 도출한다둘째 31로 갈린 경우 84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표본평균이 055보다 큰 경우

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5보다 작은 경우 사업

의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AHP 수가 045보다 크거나 같고 055보다 작

은 경우에는 회색 역에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셋째 22로 갈리는 경우에는 95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AHP 수가 058보다 높

은 경우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2보다 작은 경우

에는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회색지 에 있는 것

으로 톤을 완화하고 결론에 신 을 기한다다만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가 31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의

AHP 수가 045보다 작거나 역으로 그 비율이 13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

의 AHP 수가 055보다 큰 경우는 한 평가자의 단이 다른 세 평가자의 단을 압

도하는 상황으로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공감 가 형성된 의사결정으로 보기 어렵

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평가자가 집단역학 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공감 를 형

성하기 한 feedback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feedback 과정을 거친 후에도 이와 같

은 상이 반복된다면 결론에 신 을 기한다

3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Ⅲ -3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종합평

시행미시행AHP lt 045 045 le AHP lt05 05le AHP lt055 055 le AHP

4 0 - - 타당성 있음 타당성 있음

3 1 Feedback 아주신 약간신 타당성 있음

2 2

AHPlt042타당성없음

AHPgt042약간신

신 신

AHPgt058타당성 있음

AHPlt058약간신

1 3 타당성 없음 약간신 아주신 Feedback

0 4 타당성 없음 타당성 없음 - -

주 1) lsquo시행미시행rsquo은 사업시행 평가자 수와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의 비율(4인 기 )을 나타냄 2) AHP는 사업시행 안의 AHP 종합 수를 나타냄 3) lsquo-rsquo는 해당 사항 없음을 나타냄

결국 평가자간 의견의 일치정도와 종합평 이 회색 역 안과 밖에 있는 지 여부

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질 것이다 회색 역 밖에 치한다면 해당 사업의 시행미

시행 여부에 하여 보다 분명하게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고 그 지 않다면

연구진들은 회색 역에 속함을 분명히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하여 결론을 내릴

때 톤을 완화하거나 신 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의견이 갈릴수록 더욱 신 해야 할

것이다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1 계층구조의 설정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의 기본구조를 [그림 ⅩⅢ -1]과 같이 설정

한다 AHP 분석의 최종목 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1계층은 경제

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제2계층은 정책 분석을 구성하는 lsquo지역균

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추진상의 험요인rsquo lsquo사업특수 평가(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9

분류)rsquo 항목으로 구성된다 제3계층은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평가항목으

로 구성된다

[그림 ⅩⅢ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

계층

1

2

평가 대안 사업 시행 사업 미시행

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분류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그러나 기존의 AHP 구조가 평가내용이 연계된

항목을 상호 분리시킴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

3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평가 내용에 따라 3개 분류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평가항목으로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제2계층과 제3계층에 동

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계하 다 이는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평가내

용이 유사한 평가항목과 분류 범주에 함께 묶음으로써 평가자들의 인식체계와 유

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 성 있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이 있다고 단되기

때문이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분류 기본평가항목과 연계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분류 사업특수

평가항목에 속하는 세부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1개인 경우 제2계층과 제3계층의 평가

항목과 평가내용이 동일하다구조설문의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AHP 구조를 설정할 때 다음 두 가지

AHP의 공리(axioms)를 만족하여야 한다129) 첫째 동질성(homogeneity)의 공리로서

요도는 제한된 범 내에서 정해지 척도(bounded scale)에 의하여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제2계층의 분류 평가항목에 속한 제3계층의 평가항목들이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수 의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종속성(dependency)의 공리로

서 한 계층의 요소들은 인 한 상 계층의 요소에 하여 종속 이어야 한다 그러

나 상 계층의 모든 요소에 하여 인 한 하 계층 내의 모든 요소들 간에 독립성

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130)

비타당성조사 구조설문 과정에서 조사 은 구조설문지에 AHP 구조를 제출하

는 동시에 lt표 ⅩⅢ -4gt의 형식에 맞게 평가항목 평가내용 등을 구체 으로 기술하

여야 한다 이는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평가자간 평가항목

에 한 일치된 이해를 갖고 평가에 임하도록 하기 한 것이다

129) 이외에도 AHP 공리로는 역수성(reciprocal) 기 성(expectation)의 공리가 있다 역수성의 공리란 의

사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짝지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선호의 강도를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호와 강도는 역수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를 들어 A가 B보

다 x배 요시된다면 B는 A보다 1x배 요하다는 의미가 된다 기 성의 공리는 의사결정의 목

에 한 사항을 계층이 완 하게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130) 조근태 조용 강 수 (2003) ꡔ계층분석 의사결정ꡕ 동 출 사 p4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1

lt표 ⅩⅢ -4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사업 특수성 평가항목 평 가 내 용

평가항목1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부산신항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로 인한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평가항목2도로 건설주체

리체계 미확립

배후도로 건설 사후 리 주체의 미확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추진 상의 비효율

KDI 비타당성조사 리인력은 조사 에서 설정한 구조와 평가항목의 평가내용

이 한가를 검토하고 평가항목의 추가여부에 한 의견을 조사 에게 제시한다

2 복수 대안의 평가

비타당성조사 제도는 규모 공공투자사업에 한 신규투자를 우선순 에 입

각하여 투명하고 공정하게 결정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 에 따라 개별 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단하는 것을 직 인 목 으로 한다 이는 사업간 우선순 를 결정하는

문제는 정부의 거시 인 재정운용 정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정부의 산제약을

개별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반 하는 것은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기 때

문이다이와 같은 취지에 따라 비타당성조사를 한 AHP 구조는 1차 으로 최 안

을 기 으로 한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에 한 상 평가를 기본원칙으

로 하고 있다 이는 의사결정상황을 단순하게 하는 장 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

으로도 다수의 안 에서 최 안을 경제성 분석의 결과를 통해 손쉽게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사업의 경우 조사 과정에서 검토한 복수의 안 가운

데 최 안을 손쉽게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를 들어 A 지 에서 B 지 을 연결하는 도로사업의 경우 여러 개의 노선 안이 존재할 수 있다 산업단지

에 련된 사업평가의 경우 경제환경의 변화 공단 입주율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한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라 복수의 평가 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안이 존재

하는 경우 AHP 분석의 기 이 되는 안을 어떤 안으로 선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에 한 사 인 선정이 어려운 사업에 한 평가가 필요

3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AHP 분석을 통한 종합평가가 가능하다 첫째 먼 복

수의 안 가운데 최 안을 선택하기 한 1단계 AHP 분석을 수행하여 최

안을 선택한 후 선택된 최 안의 시행여부에 한 2단계 AHP 분석을 수행한다 둘째 복수의 안과 lsquo사업미시행 안rsquo을 동시에 비교하여 최 안의 선택과 최

안에 한 사업시행 여부를 동시에 결정하는 통합된 AHP 분석을 수행한다 최 안과 사업시행 여부를 동시에 결정하는 AHP 분석에서는 가장 많은 수를

얻은 안을 최 안으로 선택한다 이때 사업시행을 한 최 안의 AHP 수

가 반드시 05를 과할 필요는 없다 최 안의 AHP 수가 사업미시행 안의

수보다 높다면 최 안의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

우 사업의 타당성을 단하는 AHP 수를 사 으로 결정할 수 없다 만약 lsquo사업

미시행rsquo 안이 최고 수를 얻었을 경우 최 안도 시행하지 않는 것이 하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사업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AHP 수 기 의 일 성을 확보하

는 차원에서 복수의 안에 한 AHP 분석에서 2단계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즉 1단계에서 [그림 ⅩⅢ -2]와 같이 최 안 선택을 한 AHP 구조를 설정한 후 AHP 분석을 통하여 최 안을 선택한 후 사업 시행의 성에 한 2단계 AHP 분석

을 수행하여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1단계와 2단계 분석의 AHP 구조가 반

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를 들어 동일한 지역에서 수행되는 안1과 안2는 지

역낙후도 분석결과가 동일하므로 안간 비교에서는 의미가 없으므로 안간 비교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다만 AHP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 의 경우 지역

낙후도 평가 항목을 AHP 구조에는 포함하되 안간 차별이 없도록 평 을 함으로써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의 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는 반 로 안 선택에 있어서

기술 타당성이 요 평가기 이 되는 경우 안간 비교를 한 1단계 AHP분석에

는 평가 항목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하다 일단 기술 문제 이 없는 안을 최

안으로 선택한 후 최 안의 시행여부에 한 AHP 분석에서는 기술 타당성

평가항목을 제거할 수 있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3

[그림 ⅩⅢ -2] 최적대안 선택을 위한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

계층

1

2

평가 대안 대안 1 대안 2 대안 3

3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평점 기준 설정

평 은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안에 한 선호도를 수로 부여하는 과정이

다 lt표 ⅩⅢ -5gt는 비타당성조사의 평 기 을 보여 다 사 으로 선택된 평

가항목 가운데 경제성 분석 지역균형발 을 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평가항목은 BC 지역낙후도지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지수 등 계량 지표를 기

으로 평가한다 기타 다른 평가항목들은 조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정성 으로

단하여 평가항목별 평 을 수행한다평 과정에서 주의할 은 특정 평가항목에 한 평 이 다른 평가항목의 평

과 독립 이라는 이다 를 들어 사업의 타당성에 하여 갖고 있는 일반 인 태

도를 개별 평가항목의 평 과정에 반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를 들어 지역낙후

도 지수와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항목은 평 기 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lsquo지역균형

발 rsquo이라는 분류 범주에 속한다는 이유로 두 평가항목의 평 을 상호 연계하려는

태도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AHP 기법의 요한 장 의 하나는 평가항목별로 한

가지 성질을 기 으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한다는 에서 인간의 정보처리능력을

제고한다는 이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가 치 설정단계와 마찬가지로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간의 상 정성을 비교를 통하여

악하여 평 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평 을 한 평 척도는 Saaty의 9 척도

를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평 과정에서 다음 두 가지 사항에 한 고

려가 필요하다첫째 부분의 사업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lsquo재원조달 가능성rsquo lsquo환경성rsquo

평가항목에 한 평 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 안의 상 성을 어떻게 평

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를 들어 사업 시행시 특별한 환경문제가 발생하

지 않는 경우 환경성 측면에서 사업시행 안의 성을 9 으로 평가할 것인가

는 사업미시행 안과 립 인 1 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구간

국도건설 사업과 같이 재원조달상의 문제 이 없는 사업의 경우에도 사업시행 안

의 성 평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재원조

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항목에 한 평 의 최 수를 1 으로 설정한다 즉 환경성 는 재원조달 상의 문제 이 없다는 사실이 해당 사업의 시행을 진하는 역

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사업추진 상에 부정 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는 것으로 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5

lt표 ⅩⅢ -5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평가 항목 평가 내용 평 기 비고

경제성 분석∙경제 측면에서의 사업

타당성

∙경제성 분석결과 도출된

BC비율

∙BC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 분석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균형발 측면에서

사업의 필요성

∙지역낙후도지수 순

(해당 사업이 다수의 시

군에 걸쳐있는 경우 표

시군의 낙후도를 기 으

로 평가)

∙낙후 정도가 심할수

록 lsquo사업 시행rsquo 수

가 높고 발달된 지

역일수록 lsquo사업미시

행rsquo 수가 높음

지역경제

효과

∙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가

가치 유발 등 지역경제

효과

∙지역내부가가치유발액GRDP(지역내총생산)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상 계획 련계획에

의 반 여부

∙주무부처에서 추진하는

정책방향과의 일치여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반 이 구체 일 수

록 일치성이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앙정부 해당지자체

주민의 사업에 한 추진

의지 선호도 숙원도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사업 추진 의지가

클수록 lsquo사업 시행rsquo수가 높고 반

의견이 많을수록 lsquo사업

미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의

비정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인

력 재원의 투입정도

등 사업추진의 구체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 비정도가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재원조달계획의 실 가

능성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조

달의 가능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재원조달 문제가 없

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우 lsquo사업미시행rsquo수가 높음

환경성

∙해당사업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향 사업추진

시 환경문제발생가능성

에 한 개략 평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환경성 문제가 없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

우 lsquo사업미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특수

평가항목

∙기타 사업 타당성 평가를

하여 고려할 사항

3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둘째 계량화된 평가항목에 해서는 표 수를 부여하여 사업간 평가의 일 성

을 제고한다 본 지침에서는 평가의 일 성이 특히 요구되는 경제성 분석과 지역낙

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평 에 용한다 경제성 분석은 모

든 비타당성조사에 공통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용하는데 동일한 BC 비율에

하여 연구자에 따라 각기 상이한 단을 내리는 문제 을 해소하기 해서이다 비타당성조사의 요한 목 의 하나가 일 된 평가기 을 다양한 공공투자사업에

용하여 공공투자에 한 의사결정의 객 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음을 감안할 때 공통의 기 에 의하여 산정한 비교가능한 계량지표에 한 평가에 해서는 일 성

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단된다

4 평점을 위한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표 수는 평가항목별로 주어진 계량지표를 평 에 반 하는 기 으로서 사업

내 연구진간 사업간 연구진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하여 모든 사업 평가에 공통

으로 용하는 스 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 지침에서는 BC 비율 지역낙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AHP 분석에 활용하 다 이는 경제성 분

석과 지역낙후도지수 평가항목이 사업의 타당성 평가에 요한 향을 미치기 때문

이다 본 지침에서는 BC 비율과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을 최근의 AHP 분석

결과를 반 하여 갱신한다 추정과정에서 Saaty의 9 척도를 표 수 환식 추정

에 합하도록 환하는 과정에서 수를 수정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사용의

모호성을 배제하기 하여 평가자가 설문지에 실제 부여한 수를 ldquo응답 수rdquo로 환식 추정을 하여 수정한 수를 ldquo수정된 9 수rdquo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ldquo표

수rdquo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BC 비율 지역낙후도지수를 AHP 분석을

한 평 단계에서 Saaty의 9 척도에 상응하는 값으로 환하여 실제분석에 입력

하는 수를 지칭한다

lt표 ⅩⅢ -6gt 수정된 9점 점수

원 수 -9 -8 -7 -6 -5 -4 -3 -2

수정 수 -8 -7 -6 -5 -4 -3 -2 -1

원 수 1 2 3 4 5 6 7 8 9

수정 수 0 1 2 3 4 5 6 7 8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7

가 BC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 사업 163건에 한 AHP 평 결과를 활용

하여 BC 표 수 환식을 추정한다 추정 방법은 기존 지침과 동일하게 BC 비율에 한 경제성 분석 응답 수의 회귀식을 추정하 다 즉 BC 비율을 기 로 한

경제성 분석 응답 수의 기 치를 BC 표 수 환식으로 추정하여 일종의 lsquo평균

인rsquo 평가자의 평 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가자간 BC 비율에 한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사업간 평가의 비일 성을 통제하도록 한다응답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상 (outlier)을 환식 추정 이 에 제거하 다 이

상 으로 별한 자료는 BC 비율이 1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이 매우

하다고 응답한 경우와 BC 비율이 1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사업미시행 안이 매

우 하다고 응답한 자료이다 이는 통상 경제 타당성을 단하는 기 으로 받

아들여지는 lsquoBC ge 1rsquo의 조건을 표 수 환식에도 용시키기 함이다 한

BC 비율의 증가에 따라 표 수도 증가하는 단조증가함수 형태를 갖도록 하 다 여러 가지 모형을 용한 결과 자연로그함수 형태의 합도가 우수하 다 추정

모형은 식 (ⅩⅢ -6)과 같다

수정된 9 수 = β times ln (BC) +ε (ⅩⅢ -6)

추정결과는 lt표 ⅩⅢ -7gt과 같다 회귀식의 유의확률은 00001 이하로 나타나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895로 나타났다 회귀계수

β 1의 추정치는 511532로 나타났으며 이 회귀계수의 유의확률도 00001 이하로 나타

나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단할 수 있다

lt표 ⅩⅢ -7gt BC 비율 표준점수 전환식의 분산분석표

Analysis of Variance

Source DF Sum of Squares Mean Square F Value ProbgtF

Model 1 657255426 657255426 82418 lt00001

Error 574 457744574 797464

U Total 575 11150

R-Square 05895

3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수 환식의 계수가 이 지침의 8592933에 비해 크게 감소하 는데 이는

기울기의 감소를 의미하며 결국 BC 비율의 차이에 따른 표 수의 차이가 다소 감

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BC 비율의 차이가 AHP 수에 미치는 향이 상

으로 덜 민감하게 반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C 비율과 AHP분석에 최종 반

되는 표 수와의 계로 환하면 식 (ⅩⅢ -6)과 같다131)

BC 표 수 511532 times ln (BC) + i단 BC ≧ 1 rarr i= 1 BC 1 rarr i= -1 (ⅩⅢ -6)

lt표 ⅩⅢ -8gt은 수정된 표 수 환식을 이용하여 BC 비율에 따른 표 수를

산출한 결과를 기존 환식의 표 수 결과와 비교하고 있다 양자 모두 BC=1일

때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간의 선호가 동일한 표 수 1을 보이고 있다 BC 비율

이 증가함에 따라 표 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그 증가비율은 기존 환식에 비하

여 완만하다 를 들어 BC=25일 때의 표 수가 569로서 기존의 887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BC가 1미만인 역에서도 기울기가 완만하여 표 수

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상을 보이고 있다기존 환식과 동일한 편을 유지하면서 기울기가 완만해짐에 따라서 표 수

-9 ~ 9 에 상응하는 BC의 폭이 020~478로 넓어지는 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존의 BC 폭인 039~254에 비하여 확장됨으로써 BC의 차이를 표 수에 반

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131) 기존 지침에서의 BC 표 수 환식은 다음과 같다

BC 표 수 = 8592933 times ln(BC) + i단 BC ge 1 rarr i =1 BC lt 1 rarr i =-1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9

lt표 ⅩⅢ -8gt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된 표준점수의 비교

BC 비율수정

표 수

기존

표 수BC 비율

수정

표 수

기존

표 수

020 lt -9 lt -9 100 100 100

021 -898 lt -9 105 125 142

025 -809 lt -9 110 149 182

030 -716 lt -9 115 171 220

035 -637 lt -9 120 193 257

039 -582 lt -9 125 214 292

040 -569 -887 130 234 325

045 -508 -786 135 254 358

050 -455 -696 140 272 389

065 -320 -470 200 455 696

060 -361 -539 250 569 887

065 -320 -470 254 577 gt 9

070 -282 -406 300 662 gt 9

075 -247 -347 350 741 gt 9

080 -214 -292 400 809 gt 9

085 -183 -240 450 869 gt 9

090 -154 -191 477 899 gt 9

095 -126 -144 478 gt 9 gt 9

나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BC 표 수 환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역낙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

식을 추정한다 기존 표 수 환식은 기 자치단체의 지역낙후도만을 반 하여

역자치단체인 시도의 지역낙후도를 반 하지 않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낙후도는 기 자치단체 뿐 아니라 기 자치단체가 속한 역자치단체의 낙후정

도에 의해서도 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정된 지역낙후도 표 수 환식은 역

자치단체의 지역낙후도 수 을 반 하도록 하 다

3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역낙후도에 한 가 치 순 에 따른 표 수의 차이는 정책방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의지를 비타당성조사 종합평가 과정에

반 하기 한 기 으로 기존 비타당성조사에 참여한 평가자들의 지역낙후도에

한 인식을 반 하여 표 수 환식에 반 하도록 하 다 지역낙후도에 한 평

가자들의 인식을 통계 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이상 (outlier)을 제거하 다 응답

의 신뢰도가 낮다고 단한 기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낙후도지수 순 1~70로서 비교 개발정도가 양호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에 하여

큰 양(+)의 AHP 수를 부여한 경우이다 둘째 이와 반 로 지역낙후도 순 가 100 보다 커서 낙후정도가 큰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에 하여 큰

음(-)의 AHP 수를 부여한 경우이다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와 시도의 지역낙후도지수 순 와 AHP 평 과의

계를 살펴본 결과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 순 는 3차 함수 형태 시도별 지역

낙후도지수 순 는 2차 함수 계를 보이는 것으로 악되었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 ⅩⅢ -9gt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결과

사용변수 추정계수 표 오차 t-통계량 p-값

223298 026115 855062 lt 00001

-029626 014575 -203266 004316

074302 014949 497041 lt 00001

032728 013358 245004 001498

C 081220 020800 390488 000012

0782 F-통계량 22094898

수정 0778 p-값(F-통계량) lt 00001

주 1) LIR은 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표 화한 값 2) MIR은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표 화한 값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LIR은 3차항까지 통계 으로 유의한 값을 가졌으나

MIR의 경우 2차항만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귀모형의 유의확률

은 00001이하로 나타나 통계 유의성을 갖고 모형의 설명력은 782로 비교 높

게 나타났다 모든 추정계수의 유의확률이 005이하로 나타나 신뢰도 95이상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 로 지역낙후도지수 표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1

수 환식을 식 (ⅩⅢ -7)과 같이 도출한다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α+ i

단 α = 081220 + 223298 timesLIR - 029626 timesLIR 2 + 074302 timesLIR 3

+ 032728 timesMIR2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 (ⅩⅢ -7)

개정된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을 기존 표 수 환식과 비교하면 다

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132) 첫째 개정 환식은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설명변수

로 채택하고 있어 지역낙후도지수 수 을 설명변수로 채택하고 있는 기존 환식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역낙후도지수 수 신 순 를 설명변수로 사용한 이유는

지역낙후도지수가 8개 지표의 통합지표(Aggregate Indicator)로서 응답자들이 지표의

수 으로부터 지역의 낙후정도를 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상 지역의 지역낙후도 수 에 따라 평 을 차별화하는 효과가 발생하

다 [그림 ⅩⅢ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정 환식은 상 지역에서 지역낙후도 표

수의 차이가 하다 기존 환식에서는 지역낙후도지수 순 가 1~40 에 해당

하는 지역에 해서는 표 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개정 환식은 해당

구간에서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지역낙후도 상 지역에 한 부(-)의 평 효

과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상이 발생하고 있다 하 지역의 경우 기존 표 수

환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셋째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가 낮을수록(지역낙후 정도가 심할수록) 반드시 지

역낙후도 표 수가 높지 않을 수도 있는 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개정된 표 수 환식이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뿐만 아니라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를 반 하여 표 수를 산출하 기 때문이다 를 들어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가 낮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소속된 시도별 순 가 높은 경우

에 시군별 순 가 높은 지역에 비하여 표 수가 낮아지는 상이 발생할 수 있다

132) 기존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은 다음과 같다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 α+ i 단 α = - 17685 - 56355 timesUDI + 41845 timesUDI

2 - 09290 timesUDI3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 UDI =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

3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Ⅲ -3] 지역낙후도지수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 표준점수의 비교

-10

-5

0

5

10

15

0 50 100 150 200

UDIR

BEFOREAFTER

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기존 표 수개정 표 수

lt표 ⅩⅢ -10gt은 개정된 시군별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에 상응하는 표

수를 산정한 비교표를 나타낸다 기존 환식에서는 지역낙후도 순 80 권에

서 지역낙후도 표 수가 (-)에서 (+) 값으로 환되었으나 개정 환식에서는 60권에서 표 수가 양(+)의 값으로 환되었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3

lt표 ⅩⅢ -10gt 개정된 전환식에 의한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시군별

지수 순

시군별

표 환값

시도별

지수 순

시도별

표 환값기존 표 수 개정 표 수

1 -171682 1 -157532 -673851 -784235

10 -153396 3 -115523 -494673 -655537

20 -133079 6 -052511 -514824 -534503

30 -112762 4 -094519 -508139 -385539

40 -092444 11 052511 -485921 -3002

50 -072127 7 -031506 -430648 -219881

60 -051809 4 -094519 -376826 -123516

70 -031492 16 157532 -273536 186859

80 -011175 9 010502 -139123 156155

90 009143 10 031506 206278 204694

100 02946 14 115523 264576 29001

110 049778 4 -094519 311457 323435

120 070095 15 136527 346132 409778

130 090412 16 157532 461473 495024

140 11073 3 -115523 547471 536708

150 131047 10 031506 647097 593435

160 151365 16 157532 749339 790231

170 171682 16 157532 gt 9 gt 9

5 AHP 민감도 분석

민감도 분석의 기본 개념은 평가자들의 가 치가 변화함에 따라 AHP 종합평 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의사결정의 강건성(robustness)을 검증

하는 것이다 특히 종합평 결과가 에서 언 한 lsquo 단 유보rsquo 역에 속하는 경우

평가자의 응답에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하는지를 보여 수 있다 AHP 기법은 어의

표 (verbal judgement)을 통하여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반복 으로 수

행하여 비교행렬을 구성하고 고유벡터를 도출한다 AHP 이론에서는 비교행렬의 특정 값이 변화함에 따라 고유벡터가 얼마나 민

감하게 변화하는지 여부에 한 민감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비교행렬의 n의

값이 9 이하인 경우에는 민감도가 작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 으로 보여주었다

3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Saaty 1996 p195~195) 그러나 안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경우 혹은 상

계층에서 평가항목들간 가 치에 한 의견의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종 안들의 우선순 의 변화여부를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이와 같은 분석의 필요성은 AHP 분석이 평가자의 정성 인 단을 어의 인 표

으로 나타내고 이를 수치화하기 때문에 특정한 추정값(estimation value)의 정확성에

해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를 들어 평가항목 A가 평가항목 B보다 4배 요한지 5배 요한지 평가자 자신도 확신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항목의 가 치 는 안의 선호도가 일정수 변화할 때 종합평 의 결과가 얼

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민감도 분석은 특히 feedback 과정에서 평가자들이 자신의 가 치 변화에 따라

AHP 평가 수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악함으로써 자신의 의사결정의 강건성을 검

토하는 동시에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에 한 논의를 활성화하는 효

과를 가져올 수 있다 재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는 Expert Choice의

TeamEC_Platform version 950A05소 트웨어를 이용하여 AHP 분석을 수행한다 Expert Choice에서는 민감도 분석의 주안 에 따라 성과 민감도(performance sensitivity) 동 민감도(dynamic sensitivity) 경사 민감도(gradient sensitivity) 2차원 민

감도(two dimensional sensitivity) 가 차이 민감도(weighted difference sensitivity) 분석

등 5가지 민감도 분석 모듈(module)을 제공한다 각각의 모듈은 기본 으로 동일한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본질 으로는 평가항목의 변화에 따라

의사결정이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는 에서 동일하다그러므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사 민감도 분석 모듈을 심으로 민감도 분석

을 수행하도록 한다 경사 민감도 분석은 재 평가자들의 치와 평가항목의 방향

성을 축약해서 나타내주며 치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결과가 뒤바뀔 수 있

는지에 한 정보를 한 에 제시해 다는 장 을 가진다 통상 상 계층의 가

치 변화가 평 에 가장 큰 향력을 미치므로 비타당성조사의 제1계층을 구성하

는 평가항목인 경제석 분석과 정책 분석의 상 가 치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살펴본다 [그림 ⅩⅢ -4]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의 가 치 변화에 따른 평 의 변화를

보여 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은 경제성 분석의 상 가 치를 나타내고 세로축

은 사업시행 미시행 수의 평 을 나타낸다133) 그림에서 수직 실선은 재의

경제성 분석 가 치 수 을 보여주는 선으로서 04 보다 크고 05보다 작은 수 을

보이고 있다 재의 가 치 선과 교차하는 사업시행 평 은 05를 미세하게 과하

133) 통상 인 비타당성조사 AHP 구조하에서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안으로 양분하는 경우 사업

시행과 사업미시행 안 각각의 평 합은 10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5

고 있다 따라서 재의 경제성 분석 가 치 하에서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시행

안보다 미세하게 한 안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수직 실선과 평행하는 두 개의 선은 미리 설정한 경제성 분석 가 치의 변화

범 ( 를 들어 005)를 나타낸다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오른쪽 선이 제시하는

05수 으로 증가시킬 경우 사업시행 수는 05 미만으로 감소한다 반 로 왼쪽

선 수 으로 경제성 분석 가 치를 감소시키면 사업시행 수는 당 종합 수보다

증가하여 사업 시행 안의 성이 더욱 높아진다 이는 본 민감도 분석의 상이

되는 사업의 BC가 1보다 작은 수치로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높일수록 사업시행

의 타당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 다

[그림 ⅩⅢ -4]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시 행미 시 행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AHP 평 이 05를 과하여 사업의 타당성이 있

다는 1차 인 의사결정을 내렸으나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조 만 변하더라도 의

사결정이 바뀔 수 있는 강건성이 높지 않은 결정임을 시사한다 특히 사 으로

설정한 선으로 표시된 경제성 분석의 변동성(variability) 범 내의 가 치 변경에

해서도 의사결정이 뒤바뀔 수 있는 상황임을 보여 다[그림 ⅩⅢ -5]는 [그림 ⅩⅢ -4]와 달리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변화하여도 여 히

사업시행 안이 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림 ⅩⅢ -5]의 경우는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높아질수록 사업시행 안의 평 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해당 사업의 BC가 1을 과하는 사업임을 알 수 있다 한 경제성 분석이 0의 값을 갖는 경우에도 평

이 06을 과하여 사업시행 안이 함을 보여 다 즉 경제성 분석을 제외하

고 정책 분석 결과만을 고려할 경우에도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이다

3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Ⅲ -5]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2)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시 행미 시 행

따라서 [그림 ⅩⅢ -5]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업에 한 민감도 분석의 실익은 높지

않다 민감도 분석이 유용한 경우는 [그림 ⅩⅢ -4]에 해당하는 사업이다 유형 1에

해당하는 사업의 경우 재의 가 치의 변화가능 역을 설정하여 선으로 표시하

고 선의 범 내에서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안의 평 간 역 상이 발생

하는가를 분석한다 가 치의 변화가능 역 내에서 의사결정 결과가 변화하지 않

을 경우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높은 수 으로 해석할 수 있다가 치의 변화가능 역을 설정하기 하여 가 치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가 치의 변이를 측정하기 한 변수로는 앞의 종합평 과 마찬가지로 평

가자별 경제성 분석의 가 치와 해당 사업의 경제성 분석 평균가 치의 차이(MD mean deviation)를 이용한 표 편차를 계산하 다 다음 표는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의 AHP 분석 자료로부터 총 667개의 측치로부터 사업부문별 표 편

차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lt표 ⅩⅢ -11gt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가중치의 표준편차

구분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기타 체

자료수 253 179 66 39 130 667

표 편차 0097 0104 0110 0148 0095 0104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종합평 에서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경제성 분석 가

치의 변동가능 역을 plusmn005로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제1절 개 요

본 장에서는 세부 행정단 별로 지역내 총생산(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하고

자 한다 교통사업과 같이 지역 성격이 강한 투자의 타당성을 단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지역의 GRP에 한 망이 필요한데 일반 으로 재화에 한 수요의

가장 요한 결정요인은 소득수 이기 때문이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16개

역시도 행정단 에 하여 GRP 망치가 제시되었으나 많은 경우 어떤 공공투자

사업의 타당성을 악하기 해서는 보다 세부 인 수 에서의 GRP 망이 필요하

다 그러므로 국의 약 250개 시군구 단 세부 행정구역에 하여 2000년부터

2030년까지의 GRP 망치를 추정하고자 한다이론 으로는 가능한 한 가장 세부 인 행정단 까지 GRP의 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실제로는 행정단 의 구분이 세부 이 될 수록 다음과 같은

이유로 GRP의 망은 더 어려워진다

첫째 세부 행정단 별로는 과거의 GRP 값 자체가 발표되어 있지 않아 GRP의

망이 그만큼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둘째 행정단 의 구분이 세부 으로 될 수록 그 행정단 의 GRP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가 개념 으로 불분명해진다 를 들면 서울의 구나 종로구의 경우 서울의

다른 구에 비해서 GRP의 수 이 높을 것으로 상되지만 그 GRP의 상당 부분은 다

른 구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단지 구나 종로구에서 생산활동에 종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부 행정단 수 에서는 GRP의 수 과 어

떤 공공투자사업에 한 수요 사이의 계가 덜 긴 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3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지 까지는 세부 행정단 별 GRP의 값이 필요할 경우 단

순히 그 행정단 가 속한 시도의 GRP를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본 장에서는 세부 행정단 의 GRP 망에 따르는 기본 인 문제 과 한계 들을

인식하되 좀 더 체계 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세부 행정단 별 GRP의 장기 추세에

한 새로운 망치를 제시하고자 한다세부 행정단 별로 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하는 작업은 크게 두 단계로 이루

어진다 첫째 단계는 행정단 별로 GRP의 과거 값을 구하는 것이고 둘째 단계는

GRP의 과거 값으로부터 출발하여 GRP의 미래 값들을 망하는 것이다 첫째 단계에

서는 특히 상부 행정단 ( 역시도별) 자료로부터 1인당 GRP의 결정식을 도출한

다음 이를 세부 행정단 (시군구)에 그 로 용함으로써 GRP의 과거 값을 계

산한다 세부 행정단 별 1인당 GRP의 수 이 결정되면 둘째 단계에서는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한다 이 단계에서는 1인당 생산의 지역간 격차가 차 으로 어

드는 경향이 있다는 신고 성장이론의 수렴(convergence) 결과를 이용하 다 한편 행정단 별 GRP의 규모를 구하기 해서는 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구한

1인당 GRP의 망치를 인구규모의 망치와 곱해야 하는데 인구규모의 망은 출

생과 사망에 따른 변화 외에 지역간 인구 이동의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제2절 GRP의 추이

재 우리나라의 GRP 자료는 1985년부터 2002년까지 국 16개 주요 역시

도에 하여 연간으로 발표되어 있다 16개 주요 행정구역은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로 이루어져 있

다 한 각 지역마다 16개 산업별로 생산량이 발표되고 있는데 그 산업들은 농림수

산업 업 제조업 기가스수도 건설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운수창고 통신 융보험 부동산사업 사회 개인 서비스 일반공공행정 사회 서비스업 기타 민간 비 리단체 융귀속 서비스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할 은 국의 모든 GRP를 합한 값이 GDP와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GDP가 한국은행에서 집계되는 반면 GRP는 통계청에서 집

계되며 따라서 두 가지 변수가 서로 조 씩 다른 원자료들에 기 해서 작성되어지

기 때문이다 한 GRP의 경우 국에 해서는 국방 련 생산 수입세가 포함된

값과 그 지 않은 값이 모두 발표되고 있으나 각 지역에 해서는 국방 수입세를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79

제외한 값만 발표되는 것도 그 이유이다 GDP 자료와 국의 GRP 자료를 비교하여

계산해 보면 국방 련 생산은 총생산의 약 1 수입세는 총생산의 약 25에 해당하

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방 수입세의 비 이 요하지 않다고 할 수는

없으나 통계청에서 발표되는 지역별 GRP 자료가 국방 수입세를 제외한 값이므로

여기서는 일 성이 있도록 국의 GRP도 국방 수입세를 제외한 값을 사용하기로

하 다 즉 각 지역의 GRP를 모두 합한 값이 국의 GRP와 같아지도록 한 것이다먼 지역별로 GRP 성장률을 살펴보면 lt표 ⅩⅣ-1gt과 같다 지난 20년간의 GRP

성장률의 단순평균은 약 64로 나타나며 부분의 지역에서 GRP 성장률은 진

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우리나라 체의 GDP 성장률에서

찰되는 패턴과 기본 으로 유사한 것이다

lt표 ⅩⅣ-1gt 지역별 GRP 성장률의 추이(95년 기준년도 가격)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1986 0132 0122 0141 0227 0150

1987 0138 0109 0139 0094 0164

1988 0098 0078 0115 0071 0144 0156

1989 0076 0030 0051 0081 0008 0072

1990 0109 0078 0121 0104 0182 0123 0129

1991 0074 0053 0048 0099 0055 0112 0165

1992 0063 0013 0045 0072 0058 0086 0091

1993 0070 0036 0060 0068 0079 0059 0078

1994 0040 0071 0091 0109 0079 0045 0084

1995 0030 0060 0028 0120 0089 0028 0113

1996 0070 0077 0062 0056 0047 0058 0086

1997 0009 -0004 0000 0023 0032 0084 0092

1998 -0091 -0076 -0120 -0140 -0128 -0061 -0020

1999 0095 0074 0088 0151 0139 0088 0125 0238

2000 0068 0052 0047 0085 0095 0069 0058 0203

2001 0023 0090 0033 0029 0030 0066 0001 0063

2002 0067 0046 0084 0041 0056 0072 0094 0102

3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 계속)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1986 0075 0002 0135 0112 0090 0105 0128 0041

1987 0063 -0018 0066 0032 -0180 0073 0111 0126

1988 0011 0078 0094 0062 0108 0090 0126 0050

1989 0087 0125 -0241 0008 0037 0083 0043 0218

1990 0047 0063 0021 0037 0086 0068 0105 -0005

1991 0032 0102 0081 0100 0102 0085 0126 0112

1992 0037 0110 0121 0062 0068 0067 0092 0120

1993 0043 0105 0082 0049 0058 0031 0025 -0026

1994 0066 0085 0132 0085 0108 0132 0126 0044

1995 0072 0095 0065 0056 0080 0088 0117 0056

1996 0110 0117 0205 0074 0090 0081 0086 0056

1997 0074 0120 0066 0020 0081 0077 0065 0074

1998 -0105 -0058 -0098 -0080 -0053 -0073 -0444 -0097

1999 0044 0145 0138 0080 0035 0181 0088 0099

2000 0038 0111 0084 0046 0032 0113 0032 0050

2001 0007 -0032 0034 0013 0042 0080 0102 0055

2002 0034 0085 0048 0011 0004 0053 -0006 0047

한편 지역별로 1인당 GRP의 수 을 살펴보면 lt표 ⅩⅣ-2gt와 같다 1인당 GRP가

아니라 체 GRP의 지역간 차이는 일차 으로 지역간 인구규모의 차이에 의해서

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GRP 신 1인당 GRP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lt표 ⅩⅣ

-2gt에 의하면 지역마다 1인당 GRP의 수 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울산 경기 경북 경남 등이 지난 20년 동안 비교 높은 수 을 보인 반면 구 주 강원 등은 상 으로 낮은 편이었다

한편 산업구조 한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lt표 ⅩⅣ-3gt에서 보듯이 울산 경기

도 경상도 등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상 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구 강원 등

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낮게 나타났다따라서 지 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높은 지역일수록 비교 높은

수 의 빠른 성장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lt표 ⅩⅣ-2gt의 2002년 재 1인당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1

GRP의 수 과 lt표 ⅩⅣ-3gt의 2002년 재 제조업 생산의 비 사이의 상 계수는 약

08로 계산되어졌다지역별로 1인당 GRP의 수 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각 지역의 GRP를

단순히 그 지역의 인구규모와 비례하여 추정하는 과거의 행이 어느 정도 개선될

여지가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각 지역의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GRP를 상정하는

것은 1인당 GRP의 수 이 모든 지역에 동일함을 제로 하기 때문이다 한 1인당

GRP의 지역간 차이가 산업구조의 차이와 한 계를 가진다는 것은 산업구조에

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세부 행정단 별로 보다 엄 한 1인당 GRP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lt표 ⅩⅣ-2gt 지역별 1인당 GRP 수준(95년 기준년도 가격)

(단 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1985 3939 3560 2941 4360 4181

1986 4419 3945 3305 5174 4517

1987 4971 4314 3708 5475 4139 4971

1988 5340 4591 4070 5648 4689 5530

1989 5616 4689 4209 5847 4637 5125 5726

1990 6174 5054 4662 6076 5357 5573 6162

1991 6637 5304 4803 6398 5505 5926 6810

1992 7069 5354 4936 6572 5675 6154 7050

1993 7580 5535 5153 6734 5975 6240 7216

1994 7912 5918 5541 7170 6291 6252 7432

1995 8180 6265 5623 7716 6692 6166 7862

1996 8878 6794 5939 8005 6904 6383 8122

1997 9029 6806 5922 8037 6993 6794 8538

1998 8258 6336 5199 6788 5988 6291 18792 8146

1999 9057 6847 5635 7718 6716 6750 21071 9845

2000 9630 7243 5861 8284 7243 7119 22093 11514

2001 9867 7926 6040 8410 7375 7471 21889 11919

2002 10543 8326 6533 8654 7709 7887 23713 12830

3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2 계속)

(단 백만원)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1985 3344 4142 4393 3269 4176 3694 6090 3801

1986 3635 4170 5007 3690 4597 4149 6883 3945

1987 3929 4116 5363 3871 3829 4517 7672 4427

1988 4066 4469 5912 4180 4340 5000 8652 4626

1989 4546 5055 4534 4288 4607 5509 9032 5593

1990 4898 5374 4687 4521 5119 5965 9942 5496

1991 5106 5884 5177 5031 5841 6484 11074 6104

1992 5349 6486 5932 5406 6453 6930 11971 6824

1993 5635 7126 6562 5740 7067 7160 12159 6640

1994 6076 7696 7600 6308 8101 8130 13570 6926

1995 6591 8390 8280 6749 9052 8882 15044 7313

1996 7313 9246 9866 7242 9919 9523 16145 7691

1997 7820 10211 10365 7392 10784 10178 17006 8224

1998 6937 9503 9232 6792 10239 9389 9372 7383

1999 7191 10781 10422 7320 10624 11045 10129 8063

2000 7447 11890 11237 7668 11075 12279 10399 8435

2001 7485 11437 11547 7788 11611 13246 11397 8835

2002 7728 12343 12046 7891 11739 13938 11280 918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3

lt표 ⅩⅣ-3gt 지역별 산업구조 2002년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농림어업 0003 0016 0009 0017 0023 0006 0007 0020

업 0000 0000 0000 0004 0000 0000 0001 0001

제조업 0105 0181 0230 0334 0276 0225 0743 0610

기가스수도사업 0013 0038 0016 0031 0014 0017 0027 0015

건설업 0071 0087 0111 0088 0092 0107 0044 0074

도소매업 0167 0148 0148 0080 0137 0146 0037 0042

음식숙박업 0022 0026 0025 0022 0035 0033 0009 0015

운수창고 0069 0150 0044 0127 0052 0049 0039 0021

통신업 0067 0051 0061 0057 0052 0049 0015 0016

융보험업 0173 0080 0091 0057 0092 0085 0021 0039

부동산사업서비스 0253 0132 0152 0111 0115 0124 0030 0094

사회 개인서비스 0081 0059 0072 0039 0066 0067 0014 0036

일반공공행정 0027 0026 0031 0022 0032 0036 0007 0014

사회서비스업기타 0023 0028 0033 0024 0029 0064 0009 0016

민간비 리단체 0030 0027 0029 0015 0035 0034 0007 0013

융귀속서비스 -0104 -0048 -0053 -0032 -0050 -0041 -0011 -0026

3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3 계속)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농림어업 0098 0081 0131 0140 0152 0094 0086 0265

업 0017 0003 0003 0002 0003 0002 0002 0002

제조업 0158 0496 0377 0250 0315 0500 0451 0032

기가스수도사업 0028 0014 0091 0017 0081 0059 0047 0020

건설업 0152 0084 0097 0116 0104 0082 0095 0114

도소매업 0097 0049 0050 0089 0057 0044 0064 0108

음식숙박업 0061 0019 0018 0031 0034 0020 0019 0073

운수창고 0044 0030 0027 0051 0064 0033 0039 0052

통신업 0035 0023 0020 0033 0022 0018 0022 0034

융보험업 0069 0042 0043 0071 0046 0034 0043 0072

부동산사업서비스 0092 0091 0076 0082 0053 0056 0066 0093

사회 개인서비스 0069 0032 0026 0044 0027 0024 0032 0086

일반공공행정 0045 0021 0021 0037 0028 0019 0023 0038

사회서비스업기타 0050 0027 0025 0044 0033 0019 0025 0039

민간비 리단체 0026 0014 0022 0031 0011 0019 0014 0017

융귀속서비스 -0041 -0025 -0028 -0040 -0029 -0022 -0029 -0045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재 우리나라의 GRP는 16개 역시도에 해서만 발표되어 있으며 보다 세

부 인 행정단 에 해서는 강원도와 경기도 등의 외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 까지는 체로 16개 역시도의 GRP를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따라 단순히 나 어 사용하여 왔다그러나 재 세부 행정단 별로 발표되어 있는 여러 통계지표들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단순한 추정방법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만일 1인당 GRP의 지역간 차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5

이가 다양한 통계지표들에 의해서 체계 으로 설명될 수 있다면 세부 행정단 별로

그 통계지표들의 값을 이용해서 1인당 GRP의 과거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추정치에다 세부 행정단 별 인구수를 곱함으로써 보다 엄 한 GRP의 추정치를 구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법이 용되기 해서는 세부 행정단 수 에서

사용가능한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선택해야 한다

1 사용자료와 변수

세부 행정단 수 에서 사용가능한 자료는 그리 많지 않은데 먼 통계청의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를 들 수 있다 이 자료에는 각 행정단 의 면 농경지면

총인구 연령별 인구 연령별교육수 별 인구 자동차 등록 수 1인당 수량 지방세액 등의 변수가 나와 있다 이 가운데 자동차 등록 수 지방세액 교육수 별

인구 등은 일반 으로 소득수 과 한 연 을 가질 것으로 상된다실제 자료를 살펴보면 GRP와 총인구와의 상 계수보다는 GRP와 총자동차 등록

수 혹은 총지방세액 등과의 상 계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곧 GRP를 단순

히 인구규모에 의해서만 결정하는 행이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134) 한 사업체 기 통계조사에는 세부 행정단 수 에서 각 산업별 종사인구 수가 발

표되어 있는데 앞의 lt표 ⅩⅣ-2gt와 lt표 ⅩⅣ-3gt에서 본 것처럼 산업구조 한 그 지

역의 생산과 한 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산업별 종사인구 자료를 이용함으로

써 세부 행정단 수 에서 GRP의 과거 값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상된다따라서 재 GRP가 발표되어 있는 16개 역시도 지역에 해서 GRP와 이들

변수들 간의 계를 회귀분석으로 구한 다음 그 추정식을 세부 행정단 에 용함으

로써 세부 행정단 별 GRP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16개 역시도의 GRP를

단순히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따라 나 어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추

정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 된다여기서는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로부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자료 그리고

사업체 기 통계조사로부터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를 설명변수로 이용함으로써 1인당 GRP를 추정하 다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에 나와 있는 많은 지표들 가운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만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른 변수들을 이용함으로써 추가로 얻

어지는 편익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의 다수 변수

들 간에는 높은 상 계가 존재하므로 이들 변수들을 동시에 설명변수로 사용하는

134) GRP와 총인구의 상 계는 091 GRP와 자동차 등록 수의 상 계는 095로 나타남

3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것은 다 공선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수의 표 인 변수들만을 사

용하거나 통계 으로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을 구하여 사용하는 여러 변수들의

공통부분만을 추출해내는 방법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비추정결과에 의하면 1인당 GRP와 가장 한 계를 가지는 것은 1인당 자

동차 등록 수인 것으로 나타나며 자동차 등록 수와 여타 변수들과의 주성분

(principal component)을 신 사용한 경우에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여기서는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 가운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만을 사용한 결과만을 보고하기로 한다 한편 역시도 수 의 산업별 생산과 산업별 종사자 수로부터 산업별 1인당 생

산액을 구할 수 있는데 이 결과를 해당 시도의 시군구 수 에 용하기 해

서는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어떤 지역의 GRP 규모를 추정하기 해서는 1인당 GRP 외에 인구규모 자

료도 필요한데 여기서는 총인구조사에 나타난 세부 행정단 별 연령별 인구 자료를

이용하기로 하 다여기서는 2000년과 2002년의 가운데인 2001년을 분석의 기 기간으로 상정하고

2000년 총인구조사의 시군구별 연령별 인구분포의 구조가 2001년에도 그 로

유지된다고 가정하 다 자동차 등록 수 자료는 1970년부터 가장 최근까지 월별로

발표되어 있으며 시도별 산업별 GRP 자료와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시군구

별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는 재 2002년까지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총인구조사는

매 5년마다 이루어지는 계로 2000년이 가장 최근 자료에 해당되기 때문에 2000년

의 인구분포 구조가 유지된다는 가정을 한 것이다

2 추정방법

앞에서 언 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16개 역시도 자료로부터 1인당 GRP의 결

정식을 추정한 다음 그 추정식에다 세부 행정단 의 변수값들을 입함으로써 1인

당 GRP를 추정하 고 이 게 추정된 값에 세부 행정단 별 총인구수를 곱함으로써

최종 으로 GRP의 값을 구하 다먼 1인당 GRP를 구하기 해서는 각 시도별 산업별 1인당 생산액을 시

군구별 산업별 종사자 자료와 결합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를 들면 서울

시 구의 2001년도 1인당 GRP를 구하기 해서는 서울시의 2001년도 산업별 1인당

생산액을 종로구의 산업별 종사자 비 에다 곱한 다음 모든 산업에 하여 더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1인당 GRP를 구할 경우 각 시군구의 고유한

개별 특성이 제 로 반 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 구의 를 다시 들면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7

같은 개인 서비스 산업이라 하더라도 서울시 구의 서비스 산업이 서울의 다른 지

역에 비해 더 생산 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서울시 체의 평균 인 산업

별 생산성을 용함으로써 구의 GRP가 과소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물론 이러한 문제는 산업 구분이 충분히 세 하게 이루어진다면 부분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시도 수 에서의 산업별 생산은 lt표 ⅩⅣ-3gt에서 본 것처럼

16개 항목으로만 분류되어 있어 시군구 수 에서의 산업별 종사인구가 세세분

류까지 발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분류 산업별 종사인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한 lt표 ⅩⅣ-3gt의 산업별 생산에 사용된 산업분류와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산

업별 종사인구에 사용된 산업분류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이들 두 가

지 분류가 서로 일 성을 가지도록 새로운 제 3의 산업분류를 사용하 다 기존의 두

가지 산업분류와 이 둘을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lt표 ⅩⅣ-4gt와 같이 제 3의 산업분류

를 새로이 구성하 다 본 분석에서는 lt표 ⅩⅣ-4gt의 새로운 산업분류에 따라 체 산

업을 13개로 분류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단 GRP의 산업별 분류에서 일반공공행정

부문은 국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반면 종사인구의 산업별 분류에서 이에 상응하는

공공행정 국방 사회보장행정 부문은 국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 3의 산업분류에서 이 두 부문을 서로 일 일 응시키고 있는 것은 엄 한 의미에서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 되었듯이 지역별 GRP에는 국

방 부문이 제외되어 있으므로 국방 부문의 종사인구가 별도로 발표되지 않는 이상

lt표 ⅩⅣ-4gt와 같은 분류가 불가피하 다이처럼 본 장에서 사용하는 산업분류는 분류에 가깝기 때문에 세부 행정단 의

개별 인 특성을 재 로 반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상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

게 산업별 평균생산을 반 하여 계산된 GRP의 추정치에 더하여 개별 시군구의

특성을 보다 직 으로 반 할 것으로 기 되는 시군구별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추가 으로 사용하기로 하 다 즉 서울시 체의 평균 인 산업별 자료를 이

용한 추정치와 개별 시군구 자료를 이용한 추정치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일종의

가 평균에 해당하는 추정치를 계산하 다

3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Ⅳ-4gt 산업분류

생산의 산업별분류 종사인구의 산업별 분류 새로운 분류

농림어업(1) 농업 임업(a) 1 = a+b

업(2) 어업(b) 2 = c

제조업(3) 업(c) 3 = d

기가스수도사업(4) 제조업(d) 4 = e

건설업(5) 기 가스 수도사업(e) 5 = f

도소매업(6) 건설업(f) 6 = g

음식숙박업(7) 도소매업(g) 7 = h

운수창고(8) 숙박 음식 업(h) 8 = i

통신업(9) 운수업(i) 9 = j

융보험업(10) 통신업(j) 10 = k

부동산사업서비스(11) 융 보험업(k) 11 = l+m

사회 개인서비스(12) 부동산 기계장비 임 업(l) 12+14+15+16=o+p+q+r

일반공공행정(13) 사업서비스업(m) 13 = n

사회서비스업 기타(14) 공공행정 국방 사회보장행정(n)

민간비 리단체(15) 교육 서비스업(o)

융귀속서비스(16) 보건 사회복지사업(p)

오락 문화 운동 련산업(q)

기타 공공 수리 개인서비스업(r)

이 때 필요한 가 치의 크기를 결정하기 해서는 16개 시도별 자료를 이용하

다 시군구의 1인당 GRP 결정식을 구하기 하여 해당 시도의 산업별 생산

자료와 개별 시군구의 자동차 등록 수 자료를 이용할 것이므로 그에 상응하도

록 16개 시도의 1인당 GRP 결정식을 우리나라 경제 체의 산업별 생산 자료와

개별 시도의 자동차 등록 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 다 보다 구체 으로는

lt표 ⅩⅣ-4gt에 나타난 13개 산업별(새로운 산업분류)로 종사자 수를 구한 다음 이를

국의 산업별 종사자 1인당 생산과 결합으로써 가상 인 시도별 1인당 GRP 시리

즈를 구축하 고 이 가상 인 1인당 GRP 변수와 시도별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설명변수로 그리고 실제 1인당 GRP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가 치의 값을 얻었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9

3 추정결과

종속변수는 산업 종사자 1인당 GRP로 정의된다 산업별 1인당 생산이란 산업별

총생산을 각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수로 나 값이다 그러므로 산업별 1인당 생산 자

료를 이용하여 얻은 가상 인 1인당 GRP 시리즈는 체 1인당 GRP(GRP를 체 인

구로 나 값)보다는 근로자 1인당 GRP(GRP를 체 근로자수로 나 값)에 개념

으로 더 가깝다 따라서 이와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종속변수 한 1인당 GRP보다는 산업 종사자 1인당 GRP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도 이와 상응하도록 체 인구 1인당이 아니라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으로 정의하 다 물론 GRP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등록

수를 체 산업 종사자 수로 나 어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모

두가 동일한 값 즉 산업 종사자 수로 나 어짐에 따라 추정결과에 편차가 발생할 가

능성이 높다 따라서 산업 종사자 수와 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추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한 1인당 GRP와 같은 규모변수를 회귀분석에서 사용할 경우 지역간 혹은 기간

간 규모의 차이에 따른 이분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변수를 로그변

환한 값을 사용하 다1993년부터 2001년까지 기간 동안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

-5gt와 같다 표본기간이 1993년 이후로 주어진 것은 시도별 산업별 종사자수 자료

가 1993년 이후부터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이며 표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연도 고

정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연도 더미들을 포함하 다

lt표 ⅩⅣ-5gt 시middot도별 1인당 GRP의 결정식 1993-2001년

구 분 log(종사자 1인당 GRP)

log(종사자 1인당 GRP 가상치)071

(478)

log(15세 이상 64세 이하 1인당 자동차 등록 수)032

(196)

측치수 139

R2 028

3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Ⅳ-5gt의 추정결과를 보면 평균 인 산업별 생산 자료를 이용한 추정치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가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정

계수의 크기는 산업별 생산 자료를 이용한 가상 GRP 자료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에 한 가 치가 약 07과 03으로 주어질 수 있음을 보여 다 이제 lt표 ⅩⅣ-5gt의 추정결과를 각 역시도내의 시군구별 자료에 용함으

로써 시군구별 1인당 GRP를 도출하 다 앞에서 언 되었듯이 시군구별 산

업별 종사자 자료는 2001년과 2002년의 사업체 기 통계조사에서 얻을 수 있고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 필요한 시군구별 연령별 자료

는 총인구조사에서 얻을 수 있다 두 설명변수에 한 가 치는 lt표 ⅩⅣ-5gt의 결과에

기 하여 각각 07과 03으로 가정한다 이 게 얻은 시군구별 산업 종사자 1인

당 GRP의 추정치와 시군구별 산업 종사자의 수를 결합함으로써 시군구별

GRP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다단 이 게 해서 얻어진 시군구별 GRP 추정치를 상 행정단 별 즉 시도

별로 합할 경우 기존에 발표되어 있는 시도별 GRP 자료와 일반 으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사실 lt표 ⅩⅣ-5gt의 결과에 기 하여 추정한 GRP 값들은 시군구 간의

상 차이를 나타낼 뿐이지 인 수 까지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추정된 시군구별 GRP 값의 상 인 분포를 유지하면서 상 행정단 별 GRP 시리즈와의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추정된 시군구 GRP의 값을 일 으로

규모 조정해주면 될 것이다 를 들어 서울시의 25개 구에 해서 추정된 GRP 값들

을 더한 결과가 실제 서울시 GRP의 15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얻어졌다면 25개 구의

GRP 값들을 모두 15로 나 어 주면 되는 것이다이 게 규모 조정을 하여 최종 으로 얻어진 시군구별 GRP의 추정값들은

lt표 ⅩⅣ-6gt과 같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1

lt표 ⅩⅣ-6gt 시middot군middot구별 2001년 GRP 추정치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11 서울특별시 99268549 21 부산 역시 29458666

11010 종로구 2094618 21010 구 580439

11020 구 1839470 21020 서구 1183416

11030 용산구 2436963 21030 동구 1041318

11040 성동구 2968036 21040 도구 1295383

11050 진구 3684246 21050 부산진구 3284735

11060 동 문구 3281381 21060 동래구 2321515

11070 랑구 3775154 21070 남구 2326786

11080 성북구 3629541 21080 북구 2253218

11090 강북구 2955966 21090 해운 구 3059171

11100 도 구 3165666 21100 사하구 2988649

11110 노원구 5508608 21110 정구 2265608

11120 은평구 3810223 21120 강서구 495388

11130 서 문구 3290569 21130 연제구 1831305

11140 마포구 3913113 21140 수 구 1371535

11150 양천구 4639236 21150 사상구 2403081

11160 강서구 5027980 21310 기장군 757120

11170 구로구 3904545 22 구 역시 15313495

11180 천구 2420254 22010 구 569669

11190 등포구 4948080 22020 동구 2036126

11200 동작구 4147088 22030 서구 1537571

11210 악구 4365322 22040 남구 1137417

11220 서 구 4852502 22050 북구 2506694

11230 강남구 7174266 22060 수성구 3119010

11240 송 구 6786692 22070 달서구 3459700

11250 강동구 4649035 22310 달성군 947310

3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23 인천 역시 21506822 26030 동구 4720969

23010 구 692207 26040 북구 3530415

23020 동구 631989 26310 울주군 4622421

23030 남구 3344871 31 경기도 111987695

23040 연수구 2029105 31010 수원시 10500000

23050 남동구 3714415 31020 성남시 9740997

23060 부평구 4247225 31030 의정부시 3163568

23070 계양구 2689809 31040 안양시 6528042

23080 서구 3216359 31050 부천시 9070657

23310 강화군 625049 31060 명시 3366087

23320 옹진군 315794 31070 평택시 4803810

24 주 역시 10315057 31080 동두천시 746675

24010 동구 813580 31090 안산시 8539554

24020 서구 2114384 31100 고양시 8150423

24030 남구 1435116 31110 과천시 889000

24040 북구 3520933 31120 구리시 1580758

24050 산구 2431045 31130 남양주시 4120232

25 역시 10605755 31140 오산시 1246972

25010 동구 1773311 31150 시흥시 4881914

25020 구 1892635 31160 군포시 3339989

25030 서구 3640485 31170 의왕시 1484114

25040 유성구 1249721 31180 하남시 1305584

25050 덕구 2049603 31190 용인시 5558071

26 울산 역시 22908261 31200 주시 2689218

26010 구 3069479 31210 이천시 2729567

26020 남구 6964976 31220 안성시 220257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3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1230 김포시 2515815 32400 고성군 225106

31240 화성시 3367787 32410 양양군 187067

31250 주시 2052117 33 충청북도 17197198

31310 양주군 1768098 33010 청주시 6484244

31320 여주군 1490246 33020 충주시 2228190

31350 연천군 632507 33030 제천시 1418364

31360 포천군 2004193 33310 청원군 1730779

31370 가평군 555076 33320 보은군 479826

31380 양평군 915398 33330 옥천군 751392

32 강원도 11371408 33340 동군 854873

32010 춘천시 1845962 33350 진천군 927294

32020 원주시 2033447 33360 괴산군 514186

32030 강릉시 1790650 33370 음성군 1294491

32040 동해시 737492 33380 단양군 513560

32050 태백시 378406 34 충청남도 21827939

32060 속 시 563081 34010 천안시 4759297

32070 삼척시 584798 34020 공주시 1365552

32310 홍천군 549138 34030 보령시 1681054

32320 횡성군 350070 34040 아산시 2172996

32330 월군 355903 34050 서산시 1755708

32340 평창군 386902 34060 논산시 1508827

32350 정선군 342152 34310 산군 625077

32360 철원군 507632 34320 연기군 918940

32370 화천군 157113 34330 부여군 1081823

32380 양구군 167818 34340 서천군 816151

32390 인제군 208673 34350 청양군 535259

3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4360 홍성군 928063 36320 곡성군 432393

34370 산군 1103246 36330 구례군 278697

34380 태안군 881806 36350 고흥군 857276

34390 당진군 1694142 36360 보성군 949255

35 라북도 14973586 36370 화순군 949401

35010 주시 4442503 36380 장흥군 512124

35020 군산시 2055555 36390 강진군 442542

35030 익산시 2612899 36400 해남군 918850

35040 정읍시 980179 36410 암군 854237

35050 남원시 810184 36420 무안군 779361

35060 김제시 926485 36430 함평군 431100

35310 완주군 681039 36440 군 1104267

35320 진안군 255186 36450 장성군 580142

35330 무주군 191580 36460 완도군 618686

35340 장수군 267244 36470 진도군 408253

35350 임실군 329572 36480 신안군 510450

35360 순창군 286495 37 경상북도 36767894

35370 고창군 540549 37010 포항시 6510063

35380 부안군 594116 37020 경주시 3814163

36 라남도 23473691 37030 김천시 1911527

36010 목포시 2089016 37040 안동시 1926666

36020 여수시 4467781 37050 구미시 5365580

36030 순천시 2641408 37060 주시 1459201

36040 나주시 1169175 37070 천시 1550540

36060 양시 1740357 37080 상주시 1414394

36310 담양군 738923 37090 문경시 1026079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5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7100 경산시 3148350 38060 사천시 1205648

37310 군 군 447592 38070 김해시 4128971

37320 의성군 1346406 38080 양시 1465694

37330 청송군 337230 38090 거제시 2287177

37340 양군 249664 38100 양산시 2355183

37350 덕군 434086 38310 의령군 469339

37360 청도군 557007 38320 함안군 846367

37370 고령군 612985 38330 창녕군 875431

37380 성주군 680982 38340 고성군 914657

37390 칠곡군 1647184 38350 남해군 539479

37400 천군 596673 38360 하동군 846034

37410 화군 595032 38370 산청군 569175

37420 울진군 965179 38380 함양군 610235

37430 울릉군 171312 38390 거창군 864637

38 경상남도 34777294 38400 합천군 674089

38010 창원시 6326283 39 제주도 4662966

38020 마산시 4043914 39010 제주시 2089623

38030 진주시 3362707 39020 서귀포시 653027

38040 진해시 1280930 39310 북제주군 1048604

38050 통 시 1111347 39320 남제주군 871711

3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GRP의 망치를 구하는 과정은 다시 두 가지로 나 어진다 먼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고 이를 lt표 ⅩⅣ-6gt의 시작 연도(2001년)의 1인당 GRP 값과 결합함

으로써 1인당 GRP 수 의 망치를 구한다 그 다음 인구규모의 망치를 구해서 1인당 GRP의 망치와 결합함으로써 최종 으로 GRP의 망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에서는 먼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 다1인당 GRP 성장률을 망하기 하여 여기서는 신고 학 성장이론의 수렴

(convergence) 결과를 주로 이용하 다 그 동안 신고 학 성장이론의 체계 하에서

성장률의 장기 결정을 설명하기 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온 결과 국가간 성

장률의 차이는 수렴 상 이외에도 1인당 축률의 차이 교육 수 의 차이 정부 정

책의 차이 등에 의해서 체계 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요

인들 가운데 수렴 상을 제외한 부분의 요인들은 국가간 성장률의 차이를 설명하

는 데에는 유용할 수 있으나 한 국가 내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를 설명하기에는 다

소 부 하다 축률이나 교육 수 정부 정책 등은 국가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나

타낼 수 있으나 한 국가 내에서는 비교 동질 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기 GRP 수 이 낮은 지역일수록 그 이후의 성장률이 높게 나

타난다는 수렴 결과만을 이용함으로써 지역별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 다 한 국가내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에 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을 심으로 이루

어졌는데 그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한 국가내의 지역간 1인당 생산에는 수렴 경향이

매우 뚜렷하게 존재하며 그 속도는 1년에 약 2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한 국가는 아니지만 비교 동질 인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 OECD 유럽 국가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속도의 수렴 경향이 찰되었다 본 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수렴 경향이 존재하는지 그 다면 그 속도는

어느 정도인지에 해서도 과거 시도별 GRP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해보았다

1 사용자료와 변수

앞 에서 과거의 1인당 GRP 수 을 추정하기 해서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이용했던 과 일 성을 유지하기 해 여기서도 1인당 GRP 성장률 외에 1인당 자

동차 등록 수의 증가율을 종속변수로 고려하 다수렴 상이 비교 장기 인 상임을 고려한다면 1985년 이후부터만 자료가 발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7

표되어 있는 GRP보다는 그 이 기간까지 자료가 이용 가능한 1인당 자동차 등록

수(1980년부터 발표)에서 수렴 상이 더 뚜렷하게 찰될 수 있을 것으로 기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1인당이란 이 과 마찬가지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을

의미한다 한편 산업 종사자 수는 1993년 이후부터만 사용가능하여 GRP를 종사자 1인당으로 정의할 경우 표본기간이 무 짧아지게 되므로 여기서는 GRP 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값을 나타내도록 정의하 다한편 수렴 상 이외에 지역간 자연조건의 차이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도 가능할

수 있다 를 들면 지리 으로 임야면 의 비 이 높은 지역은 성장에 불리할 것으

로 상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보듯이 지역별 임야면 의 비율과 경지면 의

비율을 추가로 고려해 보았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추정방법

결국 1인당 GRP 성장률의 추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진다 즉 각 시도

별로 표본기간 체의 평균 증가율을 구해서 종속변수로 사용하고 표본기간 첫해의

값을 설명변수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인당 GRP연간증가율 = 상수 times 1인당 GRP 기타 기조건

여기서 T는 표본기간의 마지막 해를 0 은 표본기간의 첫 해를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변수는 앞에서 언 되었듯이 1인당 GRP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이다 단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증가율은 1인당 GRP 증가율보다 평균과 표 편차가 약 2배 정도 더 크므로 추정계수의 크기가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GRP 증가율을 기 으

로 하여 크기(scale)를 조정하 다135) 한 주 울산의 경우에는 각각 1987년 1989년 1989년 이후부터만 GRP 자료가 발표되어 있으므로 회귀분석시 여타 행정구

역과 동일하게 취 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의 식을 이들 세 측치들

을 포함한 경우와 제외한 경우 각각에 해서 추정해 보기로 하 다 추정방법은 통

상최소자승법(OLS)을 이용하 다

135) 즉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값에다 12을 곱한 다음 설명변수로 사용하 다

3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추정결과

앞의 추정식을 16개 역시도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7gt과 같

다 측치 수가 13인 열(열 2와 4)은 주 울산을 표본에서 제외한 경우를 나

타낸다 lt표 ⅩⅣ-7gt을 보면 1인당 GRP 증가율에서는 수렴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경우에는 유의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서의 수렴 경향은 그림으로도 쉽게 찰할 수 있다(그림 ⅩⅣ-1 참조)

lt표 ⅩⅣ-7gt 1인당 GRP 성장률의 회귀방정식

구 분

종속변수

1인당 자동차 증가율 1인당 GRP 증가율

(1) (2) (3) (4)

log( 기 1인당 수 )-00156(-1223)

-00260(-1500)

-00136(-118)

-00202(-067)

Rsup2 091 095 009 004

측치수 16 13 16 13

구 분

종속변수

1인당 자동차 증가율 1인당 GRP 증가율

(1)lsquo (2)lsquo (3)lsquo (4)lsquo

log( 기 1인당 수 )-0015

(-1399)-0024(-928)

-0015(-13)

-0020(-064)

기 임야면

비율

0000189(262)

769E-05(116)

0000331(089)

0000218(056)

Rsup2 094 095 014 007

측치수 16 13 16 1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9

[그림 ⅩⅣ-1] 지역간 convergence

-5

-45

-4

-35

006 0065 007 0075 008 0085 009

1인당 자동차 증가율

log(초

기 1

인당

수준

)

이처럼 자동차 등록 수에서 수렴 경향이 더 뚜렷이 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

다첫째 표본기간이 더 길기 때문이다 수렴 상은 상당히 장기 인 상이므로 1

인당 GRP와 같이 표본기간이 짧은 변수에서는 쉽게 찰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는 그 물질 인 특성 때문에 실제로도 수렴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를 들면 소득수 이 2배 3배로 증가하더라도

1인당 자동차 보유 수가 2 3 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오히려 그보다는 보

유 자동차의 질이나 평균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상된다 한 각 행정구역의 면

혹은 도로 면 이 지속 으로 확 될 수 없다고 한다면 1인당 자동차 보유 수 한

지속 으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1인당 생산보다는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서 지역간 수렴 상이 더 쉽게 나타날 것으로 기 되어진다어 든 1인당 GRP의 경우에 수렴 상이 뚜렷이 찰되지 않는다는 은 향후의

연구에서 다시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표본기간이 앞으로 더 길어진다

하더라도 기본 으로 측치의 수가 16개 혹은 13개로 제한되어 있는 이상 뚜렷한

4 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결과는 쉽게 나오지 않을 수 있다한편 지리 요건 특히 기 임야면 비율 한 성장률에 뚜렷한 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ⅩⅣ-7gt의 열 (1)과 (2)에서 추정된 b의 크기는 약 -002로

나타나는데 1인당 GRP 증가율의 경우(열 3과 4)에도 유의하지는 않으나 추정된 계

수의 크기는 체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간 수렴 상의 평균속도 β는 추정된 계수 b와 b= -[ (1- e -βT )T ]라는

계를 가진다 앞에서 언 된 것처럼 자동차의 경우 1인당 소득보다 수렴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을 고려하여 b의 추정치를 -0015으로 가정한다면 β는

약 0018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렴 속도는 기존의 미국과 일본의 지역에 한 추

정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값이다(Barro amp Sala-i-Martin 1995)이러한 수렴 상을 우리나라의 GRP에 용할 경우 상되는 결과는 지역간 1인

당 GRP의 차이가 장기 으로 차 축소되는 것처럼 나타날 것이라는 이다136) 그러나 실제로 향후 30년 동안 1인당 GRP의 지역간 차이는 이처럼 어들지 않을 수

도 있다 기 소득수 이 낮은 지역이 상 으로 더 빨리 성장하는 경향이 실제로

존재한다 하더라도 각 지역의 GRP는 수렴 상 이외에 무수히 많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도 향을 받기 때문이다 각 지역에 수렴 경향과는 별도로 그 지역에만 해당

되는 특이(idiosyncratic) 충격이 지속 으로 발생한다면 실제로 실 되는 1인당 GRP의 분포는 일정한 분산을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개별 특이(idiosyncratic) 충격은 정의상 미리 측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본 장에서는 다만 수렴 경향에만

을 맞추어서 GRP를 망하 다한편 이러한 수렴 결과는 원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 즉 횡단면 인 차이를 고려

하기 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이나 소득수 이 높아질수록 성장률이 상 으로 더

낮아지는 패턴은 시간에 따른 성장률의 변화를 측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lt표 ⅩⅣ-7gt의 추정결과는 매 기간 경제 체의 GRP가 미리 주어진 상태에서 각 지역

의 상 인 GRP의 크기를 결정하기 해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각 지역의 GRP의

시간에 걸친 변화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경제 체의 GRP 망

치 자체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추정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을 고려할 때 lt표 ⅩⅣ

-7gt의 결과로부터 각 지역의 GRP의 시간에 걸친 변화를 구하는 것은 경제 체의

GRP의 망치를 구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 ⅩⅣ-7gt의 결과를 기 로 1인당 GRP 증가율을 망하기 하여 여기서는 구

체 으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 다

136) 실제로 지난 20년간의 시도별 자료를 보면 log(1인당 GRP)의 시도간 분포의 표 편차는 오히려

확 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시도간 분포의 표 편차는

차 축소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1

1인당 GRP 연간 증가율 = 상수항 times 1인당 GRP

여기서 -015라는 추정치는 lt표 ⅩⅣ-7gt의 결과 기존의 외국의 연구결과를 기

로 해서 선택한 값이다 한편 상수항의 크기는 기 1인당 GRP의 값을 입하 을 때 그로부터 얻어지는

1인당 GRP 증가율의 추정치의 표본기간 평균이 실제 1인당 GRP 증가율의 평균치와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즉 결과 으로 상수항의 크기는 lt표 ⅩⅣ-7gt의 식 (3)과 (4)에서

추정되는 상수항의 값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의 식을 일단 횡단면과 시계열 모두에 해서 동일하게 용하여 성장률을 구

한 결과는 lt표 ⅩⅣ-8gt과 같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간 성장률의 편차가 시간이

지날수록 차 축소되는 동시에 한 각 지역별로도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률이 차

하락하는 패턴을 찰할 수 있는데 이는 표의 값들이 수렴 상에 기 해서 계산된

것이라는 을 고려할 때 당연한 것이다

lt표 ⅩⅣ-8gt 지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전망치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서울특별시 00494 00403 00369 00337 00309 00282

종로구 01314 01213 01109 01014 00928 00849

구 01292 01192 01091 00997 00912 00835

용산구 01338 01235 01130 01034 00945 00865

성동구 01365 01260 01153 01054 00964 00882

진구 01356 01252 01145 01047 00958 00876

동 문구 01370 01264 01156 01058 00967 00885

랑구 01377 01271 01162 01063 00972 00890

성북구 01391 01284 01174 01074 00983 00899

강북구 01375 01269 01161 01062 00971 00888

도 구 01369 01263 01156 01057 00967 00884

노원구 01367 01262 01154 01055 00965 00883

은평구 01376 01270 01162 01063 00972 00889

서 문구 01361 01256 01149 01051 00961 00879

마포구 01339 01236 01131 01034 00946 00865

양천구 01348 01244 01138 01041 00952 00871

4 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강서구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구로구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3

천구 01366 01261 01153 01055 00965 00883

등포구 01309 01208 01105 01011 00924 00845

동작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악구 01375 01269 01161 01062 00971 00889

서 구 01302 01202 01099 01006 00920 00841

강남구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송 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5

강동구 01353 01249 01142 01045 00956 00874

부산 역시 00480 00439 00402 00368 00336 00307

구 01306 01205 01102 01008 00922 00844

서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동구 01333 01231 01126 01030 00942 00861

도구 01361 01256 01149 01051 00961 00879

부산진구 01347 01243 01137 01040 00951 00870

동래구 01344 01240 01135 01038 00949 00868

남구 01344 01240 01135 01038 00949 00868

북구 01354 01250 01143 01046 00957 00875

해운 구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2

사하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정구 01345 01241 01136 01039 00950 00869

강서구 01320 01219 01115 01020 00933 00853

연제구 01334 01231 01126 01030 00942 00862

수 구 01349 01245 01138 01041 00953 00871

사상구 01340 01237 01131 01035 00946 00866

기장군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3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구 역시 00579 00475 00434 00397 00363 00332

구 01339 01236 01131 01034 00946 00865

동구 01354 01249 01143 01045 00956 00875

서구 01372 01266 01158 01060 00969 00887

남구 01358 01254 01147 01049 00959 00878

북구 01348 01244 01138 01041 00952 00871

수성구 01330 01228 01123 01027 00940 00860

달서구 01358 01253 01146 01049 00959 00877

달성군 01344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인천 역시 00404 00426 00390 00357 00326 00298

구 01281 01182 01081 00989 00905 00827

동구 01314 01213 01109 01015 00928 00849

남구 01324 01222 01118 01022 00935 00855

연수구 01331 01229 01124 01028 00940 00860

남동구 01299 01199 01097 01003 00918 00840

부평구 01326 01224 01120 01024 00937 00857

계양구 01322 01220 01116 01021 00934 00854

서구 01296 01196 01094 01001 00915 00837

강화군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옹진군 01141 01054 00964 00881 00806 00737

주 역시 00472 00444 00406 00371 00340 00311

동구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서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4

남구 01370 01264 01156 01058 00967 00885

북구 01341 01238 01133 01036 00948 00867

산구 01292 01193 01091 00998 00913 00835

4 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역시 00489 00443 00405 00370 00339 00310

동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4

구 01331 01229 01124 01028 00940 00860

서구 01325 01223 01118 01023 00936 00856

유성구 01325 01223 01118 01023 00936 00856

덕구 01303 01203 01100 01006 00920 00842

울산 역시 00401 00263 00240 00220 00201 00184

구 01313 01212 01109 01014 00928 00848

남구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동구 01201 01109 01014 00928 00849 00776

북구 01175 01085 00992 00908 00830 00759

울주군 01183 01092 00998 00913 00835 00764

경기도 00467 00360 00329 00301 00275 00252

수원시 01286 01187 01086 00993 00908 00831

성남시 01294 01195 01093 00999 00914 00836

의정부시 01325 01223 01119 01023 00936 00856

안양시 01285 01186 01085 00992 00908 00830

부천시 01275 01176 01076 00984 00900 00823

명시 01304 01203 01101 01007 00921 00842

평택시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동두천시 01300 01200 01098 01004 00918 00840

안산시 01231 01136 01039 00951 00869 00795

고양시 01294 01194 01092 00999 00914 00836

과천시 01256 01159 01060 00970 00887 00811

구리시 01308 01207 01104 01010 00924 00845

남양주시 01272 01174 01074 00982 00899 00822

오산시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5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시흥시 01224 01129 01033 00945 00864 00791

군포시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의왕시 01265 01168 01068 00977 00894 00818

하남시 01291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용인시 01242 01146 01048 00959 00877 00802

주시 01234 01139 01042 00953 00871 00797

이천시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안성시 01219 01125 01029 00941 00861 00787

김포시 01215 01121 01026 00938 00858 00785

화성시 01203 01111 01016 00929 00850 00778

주시 01220 01126 01030 00942 00862 00788

양주군 01220 01126 01030 00942 00862 00788

여주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연천군 01262 01165 01065 00974 00891 00815

포천군 01239 01143 01046 00957 00875 00800

가평군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양평군 01273 01175 01075 00983 00899 00823

강원도 00445 00440 00402 00368 00336 00308

춘천시 01328 01225 01121 01025 00938 00858

원주시 01321 01219 01115 01020 00933 00854

강릉시 01316 01214 01111 01016 00929 00850

동해시 01320 01218 01114 01019 00932 00853

태백시 01336 01233 01128 01032 00944 00863

속 시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삼척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홍천군 01309 01208 01105 01011 00925 00846

횡성군 01301 01201 01099 01005 00919 00841

4 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월군 01310 01209 01106 01012 00925 00846

평창군 01285 01186 01085 00992 00908 00830

정선군 01326 01223 01119 01024 00936 00856

철원군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화천군 01338 01235 01129 01033 00945 00864

양구군 01314 01213 01109 01015 00928 00849

인제군 01341 01238 01132 01036 00947 00867

고성군 01336 01233 01128 01032 00944 00863

양양군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2

충청북도 00490 00363 00332 00304 00278 00254

청주시 01290 01190 01089 00996 00911 00833

충주시 01303 01203 01100 01006 00920 00842

제천시 01309 01209 01105 01011 00925 00846

청원군 01238 01143 01045 00956 00875 00800

보은군 01269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옥천군 01261 01164 01065 00974 00891 00815

동군 01248 01152 01053 00964 00881 00806

진천군 01224 01129 01033 00945 00864 00791

괴산군 01257 01161 01062 00971 00888 00812

음성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단양군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증평출장소

충청남도 00412 00362 00332 00303 00277 00254

천안시 01272 01174 01074 00982 00899 00822

공주시 01287 01188 01087 00994 00909 00832

보령시 01222 01128 01031 00943 00863 00789

아산시 01263 01166 01066 00975 00892 00816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7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서산시 01260 01163 01064 00973 00890 00814

논산시 01279 01181 01080 00988 00903 00826

산군 01282 01183 01082 00990 00906 00828

연기군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부여군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서천군 01261 01164 01065 00974 00891 00815

청양군 01239 01144 01046 00957 00875 00801

홍성군 01291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산군 01274 01176 01076 00984 00900 00823

태안군 01245 01149 01051 00962 00880 00805

당진군 01232 01138 01040 00952 00871 00796

계룡출장소

라북도 00392 00433 00396 00362 00331 00303

주시 01326 01224 01120 01024 00937 00857

군산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익산시 01307 01206 01103 01009 00923 00844

정읍시 01318 01216 01113 01018 00931 00851

남원시 01298 01198 01096 01002 00917 00838

김제시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완주군 01296 01196 01094 01001 00915 00837

진안군 01300 01200 01098 01004 00918 00840

무주군 01333 01230 01125 01029 00941 00861

장수군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임실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4

순창군 01281 01183 01082 00990 00905 00828

고창군 01302 01202 01099 01006 00920 00841

부안군 01285 01186 01085 00993 00908 00830

4 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라남도 00335 00363 00332 00304 00278 00254

목포시 01317 01216 01112 01017 00930 00851

여수시 01219 01126 01030 00942 00861 00788

순천시 01287 01188 01087 00994 00909 00832

나주시 01258 01161 01062 00972 00889 00813

양시 01239 01144 01046 00957 00875 00801

담양군 01234 01139 01042 00953 00871 00797

곡성군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구례군 01292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고흥군 01291 01191 01090 00997 00912 00834

보성군 01196 01104 01009 00923 00845 00773

화순군 01238 01143 01046 00956 00875 00800

장흥군 01276 01178 01078 00986 00902 00825

강진군 01286 01187 01085 00993 00908 00831

해남군 01282 01183 01082 00990 00906 00828

암군 01226 01132 01035 00947 00866 00792

무안군 01248 01152 01053 00964 00881 00806

함평군 01279 01180 01080 00988 00903 00826

군 01196 01104 01010 00924 00845 00773

장성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4

완도군 01285 01186 01085 00993 00908 00831

진도군 01276 01178 01077 00986 00901 00825

신안군 01270 01172 01072 00981 00897 00821

경상북도 00413 00341 00312 00286 00261 00239

포항시 01268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경주시 01253 01156 01058 00967 00885 00809

김천시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9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안동시 01299 01199 01097 01003 00918 00839

구미시 01230 01135 01038 00950 00869 00794

주시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천시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상주시 01276 01177 01077 00985 00901 00824

문경시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경산시 01252 01156 01057 00967 00884 00809

군 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의성군 01192 01101 01007 00921 00842 00770

청송군 01296 01197 01094 01001 00916 00838

양군 01277 01179 01078 00986 00902 00825

덕군 01312 01211 01108 01013 00927 00848

청도군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고령군 01213 01120 01024 00937 00857 00784

성주군 01245 01149 01051 00961 00879 00804

칠곡군 01223 01129 01033 00945 00864 00790

천군 01293 01193 01092 00998 00913 00835

화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울진군 01227 01133 01036 00948 00867 00793

울릉군 01219 01125 01029 00941 00861 00788

경상남도 00282 00378 00345 00316 00289 00264

창원시 01274 01176 01075 00984 00900 00823

마산시 01321 01220 01115 01020 00933 00854

진주시 01311 01210 01107 01012 00926 00847

진해시 01308 01207 01104 01010 00924 00845

통 시 01328 01226 01121 01025 00938 00858

사천시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4 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김해시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양시 01269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거제시 01255 01158 01060 00969 00887 00811

양산시 01273 01175 01075 00983 00899 00822

의령군 01240 01145 01047 00958 00876 00801

함안군 01246 01150 01052 00962 00880 00805

창녕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3

고성군 01224 01130 01034 00946 00865 00791

남해군 01307 01207 01104 01010 00923 00845

하동군 01225 01130 01034 00946 00865 00791

산청군 01241 01146 01048 00958 00877 00802

함양군 01245 01149 01051 00961 00879 00804

거창군 01263 01166 01066 00975 00892 00816

합천군 01273 01175 01074 00983 00899 00822

제주도 00434 00409 00374 00342 00313 00286

제주시 01332 01229 01125 01029 00941 00861

서귀포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북제주군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남제주군 01232 01137 01040 00951 00870 00796

한편 lt표 ⅩⅣ-8gt의 망치들은 경제 체의 성장률 망에 한 아무런 사

제약이 없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lt표 ⅩⅣ-8gt로부터 도출되는 경제 체의 성장률이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견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만일 그

지 않다면 경제 체의 성장률에 해서는 기존의 KDI 망치들을 사용하고 lt표 Ⅹ

Ⅳ-8gt의 값들은 그와 일치하도록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lt표 ⅩⅣ-8gt의 망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해서 상부 행정단 (시도)별로

GRP의 시리즈를 구한 다음 이를 모두 더함으로써 경제 체의 GRP 시리즈를 구해

볼 수 있다 16개 역시도에 해서는 통계청에서 2050년까지 연령별 추계인구

망치를 발표하고 있으므로 lt표 ⅩⅣ-8gt에 기 해서 시도별로 (15세 이상 64세 이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1

하 인구) 1인당 GRP를 구한 다음 이를 시도별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수와 곱함

으로써 시도별 GRP 시리즈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GRP 시리즈들을 16개

시도에 하여 모두 더하여 경제 체의 생산을 구하고 이 게 구한 경제 체 생

산의 증가율을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KDI 망치와 비교함으로써 lt표 ⅩⅣ-8gt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장기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KDI 망치로는 이진면김동석김민수(2001)와 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2002)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의 잠재성장률 망

과 lt표 ⅩⅣ-8gt로부터 얻어지는 성장률 망을 비교해 보면 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표 ⅩⅣ-9 참조) 단 lt표 ⅩⅣ-8gt로부터 얻어지는 경제 체의 성장률 가운데

2002년까지는 실 치이고 2003년부터는 망치인데 그 이유는 2003년 연간 GDP가

아직 공식 으로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3년 34분기까지의 실 과 여타 지

까지 발표된 자료들을 고려할 때 2003년도 성장률 실 치는 아마도 lt표 ⅩⅣ-8gt로부

터 얻어지는 망치보다 낮을 것으로 상된다 그러나 lt표 ⅩⅣ-9gt에서 인용된 기존

의 잠재성장률 망치들도 2001년과 2002년에 발표된 것이므로 이들 망치 역시

2003년의 낮은 실 치를 염두에 두지는 못했을 거라고 생각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2003년 성장률의 실 치 신 망치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타당한 비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 든 lt표 ⅩⅣ-9gt의 결과에 기 하여 여기서는 lt표 ⅩⅣ-8gt의

망치를 별다른 재조정 없이 그 로 사용하기로 하 다

lt표 ⅩⅣ-9gt GDP 성장률 전망치 비교

2001-2010 2011-20202003-2007 2008-2012

고성장 성장 고성장 성장

이진면 등(2001) 표 3-7 52 45 40 32 - -

lt표 ⅩⅣ-8gt의 망치 49 49 36 36 - -

한진희 등(2002) 표 28 - - - - 48 46

lt표 ⅩⅣ-8gt의 망치 - - - - 48 45

4 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lt표 ⅩⅣ-6gt의 2001년도 GRP 수 과 lt표 ⅩⅣ-8gt의 향후 GRP 성장률 망을 결합

함으로써 향후의 세부 행정구역별 1인당 GRP 수 을 망할 수 있다 세부 행정구역

별 GRP의 규모를 결정하기 해서는 이에 더하여 각 지역의 연령별 인구규모를

망하면 된다 연령별 인구가 필요한 것은 lt표 ⅩⅣ-6gt과 lt표 ⅩⅣ-8gt의 결과가 15세 이

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GRP에 한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재 지역별 연령별 인구에 한 망치로는 통계청의 시도별 추계인구 망이

2050년까지 발표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통계청의 시도별 인구 망치를 각

시도 내의 세부 행정단 별로 하게 나눔으로써 통계청의 망치와의 일 성

을 유지하면서 시군구별 인구 망치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1 사용자료와 변수

경제 체의 인구 규모와 달리 어떤 지역의 인구 규모는 자연 인 출생 사망

외에 지역간 인구 이동에 의해서도 크게 향을 받는다 물론 국가 체 으로도 외

국과의 이민이 가능하지만 그 비 은 한 국가 내의 지역간 인구 이동에 비해 상

으로 작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과거 자료를 보면 동일한 기간의 지역간 인구 규모의

차이 즉 지역간 인구의 횡단면 차이는 출생이나 사망보다는 오히려 인구 이동에

의하여 더 큰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역별 인구 망을 해서는 출

생과 사망 외에 인구 이동에 한 분석이 으로 필요하다 먼 출생과 사망에 따른 지역별 인구 변동을 계산하기 해서는 통계청의 연령

별(5세별) 장래 인구추계로부터 새로이 태어나는 인구의 비율 각 연령그룹의 사망

률을 구할 수 있다 각 시도별로 출산율과 연령별 사망률을 구한 다음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에 해서는 동일한 값들이 용된다고 가정함으로써 출생

과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은 쉽게 구할 수 있다 단 16개 역시도에 한 통계청의

장래 인구추계는 출생률과 사망률 외에 시도간 인구이동의 요소까지도 이미 고려

한 것이다 따라서 시도별 연령별 인구 망으로부터 구한 연령그룹별 이비율(를 들면 2002년의 5~9세 인구 수를 2002년의 5~9세 인구 수로 나 비율)은 엄 하

게는 사망률이라고 할 수 없으나 만일 각 시도 내에서는 출생과 사망뿐 아니라 인

구이동의 연령별 패턴도 유사하게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연령별 이행

렬(transition matrix)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3

한편 지역간 인구이동에 한 Braun(1993)의 모형에 따르면 어떤 지역으로의 인구

순유입은 다른 지역과 비교한 그 지역의 기 임 수 과 기 인구 도에 의해서

결정될 것으로 상한다 어떤 지역의 임 수 이 높을수록 인구 순유입이 증가하

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한 Braun(1993)과 같이 생산함수에 고정 생산요소

( 를 들면 토지나 기타 자연자원)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경우 인구 도의 증가는 규

모에 따른 수확체감을 래함으로써 인구 순유입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가

정에 따르면 어떤 지역도 인구가 하나도 없이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존

의 규모에 한 수익불변의 가정보다 더 직 으로 타당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Braun(1993)의 모형에 기 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의 결정식을 추정하기 해서 1

인당 GRP를 지역의 임 수 의 용변수로 사용하 다 한 인구 도의 지표로는

인구 규모를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에 나와 있는 행정구역별 면 으로 나 값을

사용하 다

2 추정방법

Braun(1993)의 가설 로 인구이동이 소득수 인구 도의 함수로 주어지는지

를 검증하기 해서는 16개 역시도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의 순유입 비율이 과거

의 소득수 인구 도와 체계 인 계를 가지는가를 살펴보면 된다인구의 이동 역시 소득의 수렴 상과 마찬가지로 장기 인 상이라고 가정한다

면 lt표 ⅩⅣ-7gt에서처럼 표본기간 체의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

나 만일 인구이동이 단기 으로도 소득수 인구 도에 의해서 체계 으로 결정

된다면 표본기간의 평균 신 연간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장에서

는 매 연도에 해서 GRP 인구를 망해야 하므로 소득수 인구 도가 인구

이동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 한 연간자료와 부합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lt표 ⅩⅣ-7gt에서는 20년 평균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의 계수로부터 연간

수렴 속도에 해당하는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인구이동의 경우에는 그런 변환

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는 표본기간의 평균값 외에 연간자료를 사용한 추

정도 고려하기로 하 다 연간 인구이동의 결정식이 추정되면 기년도의 변수 값들이 주어졌을 때 그로부

터 다음 연도에 각 지역에 순유입될 인구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게 결정된

순유입 인구의 크기를 앞에서 언 된 출생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 부분과 결합함

으로써 다음 연도의 각 지역의 인구규모가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연도에

하여 순차 으로 반복함으로써 모든 연도에 한 인구 망을 구할 수 있다

4 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추정결과

이상의 논의에 기 하여 각 지역별 인구 순유입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10gt과 같다 추정기간은 1990년부터 2002년까지이며 표본은 16개 역시도이

다 종속변수는 지역별 순유입인구지역별 총인구이며 세부 행정단 별 임 률에

한 자료는 구할 수 없으므로 여기서는 지역별 1인당 GRP를 설명변수로 사용하 다 다른 설명변수인 인구 도는 제곱킬로미터 당 천명으로 정의하 다 이분산성의

문제를 피하기 하여 1인당 GRP와 인구 도는 모두 로그변환한 값을 사용하 다한편 Braun(1993)에서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실제 인구이동의 연령별 패턴을 보면

15세 이상 34세 이하 인구의 이동이 특히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다 일반 으로 15세

이상 34세 이하 인구는 교육 취업 등의 이유로 다른 연령층보다 더 쉽게 움직일 것

으로 상된다 따라서 1인당 GRP와 인구 도 외에 지역별로 체 인구에서 15세 이

상 34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 한 지역간 인구 이동에 요한 향을 미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를 들어 어떤 지역의 1인당 GRP가 낮고 인구 도가 높아서 인구

순유출의 압력이 있다 하더라도 그 지역에 15세 이상 34세 인구의 비 이 낮다면 실

제 순유출 인구의 크기는 그 지역의 총인구에 비해서 작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인구이동이 이상 고려된 요인들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다양한 주기별로 살펴본

결과가 lt표 ⅩⅣ-10gt에 나타나 있다 표의 열 (1)은 연간자료를 열 (2)는 1990년sim2002년을 1995년을 기 으로 양분한 자료를 열 (3)은 1990년sim2002년을 하나의 기간으로

묶은 자료를 사용한 결과이다 기간별 고정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식 (1)의 경우에

는 연도 더미를 식 (2)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기간 더미를 모두 포함하 다

lt표 ⅩⅣ-10gt 지역별 인구이동의 회귀방정식

종속변수 순유입인구총인구

(1) (2) (3)

log( 기 1인당 GRP)0014(349)

0030(223)

00371(123)

log( 기 인구 도)-0006(-534)

-0007(-302)

-0007(-277)

기 15세sim34세

인구비율

053(851)

062(462)

056(338)

Rsup2 035 052 065

측치수 176 29 14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5

lt표 ⅩⅣ-10gt의 추정결과에 의하면 상 로 인구 유입은 1인당 소득수 과 양의

계를 가지며 인구 도와는 음의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 1인당 GRP의 계수는 002sim003으로서 이는 일본과 미국의 추정결과와 매우 유사한 값이다 한 자료의 주기와 상 없이 기 1인당 GRP의 계수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연간

자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기 1인당 GRP가 유의하게 나타나므로 연도별 인구 망

에서 열 (1)의 추정결과를 그 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상된다 인구 도의 계

수도 -0006sim-0007로서 일본 미국의 추정결과와 유사하 다 한편 15세 이상 34세 인구비율의 계수는 양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의 이론 의미

가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어떤 지역의 15세 이상 34세 인구비율이 높다

는 것은 그 만큼 그 지역이 15세 이상 34세 인구를 유인할 수 있는 어떤 요소를 가지

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1인당 소득이나 인구 도 이외의 어떤 고정효

과를 반 하는 것일 수 있다한편 이 게 구한 순유입 인구 규모를 출생사망 자료와 결합하여 지역별 인구를

망하기 해서는 단순히 순유입 인구의 규모만이 아니라 순유입 인구의 연령별 구

성이 필요하다 그런데 순유입 인구의 성별연령별 패턴을 보면 남녀간의 차이는 거

의 없는 반면 앞에서도 언 되었듯이 연령별로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과 남성의 순유입인구 비율(성별 순유입인구성별 총인구)은 별 차

이가 없으나 연령별 순유입인구 비율(연령별 순유입인구연령별 총인구)은 15세에서

34세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 유입의 연령별 차이에

도 불구하고 그러한 차이를 체계 으로 설명하기는 매우 힘들다 를 들면 에서

논의된 설명변수들은 연령별 순유입인구 비율에 해서는 유 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여기서는 유입 인구의 성별 차이는 무시하고(즉 체 순유입 인구에서 남

자와 여자의 비 은 각각 12씩이라고 가정하고) 유입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해당지

역의 연령별 인구분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기로 하 다 즉 어떤 지역의 순유입 혹

은 순유출 인구의 연령구조는 그 지역의 체 인구의 연령구조와 동일하다고 가정하

다 이 가정은 물론 비 실 이며 인구이동이 일부 연령층에서 집 으로 발생하

는 사실과도 모순된다 그러나 인구이동에 해서 특정한 연령분포를 고정 으로 가

정할 경우에는 지역에 따라 장기 으로 인구규모가 음의 값으로 떨어지는 문제 이

나타난다lt표 ⅩⅣ-10gt의 추정결과 가운데 연간자료를 이용한 열 (1)의 결과에 기 하여 인

구이동을 망할 경우 설명변수들( 기 1인당 GRP와 기 인구 도)의 값은 바로

년도의 값이 된다 따라서 년도의 설명변수 값으로부터 결정된 이번 연도의 순유

입 인구의 크기를 앞에서 언 된 출생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 부분과 결합함으로

4 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써 이번 연도의 인구규모가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연도에 하여 순차 으

로 반복하여 모든 연도에 하여 인구 망을 완성할 수 있다앞에서 말한 것처럼 출생률과 연령별 사망률은 16개 역시도에 한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로부터 구한 것으로서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에 해서는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출생과 사망에 따른 인구 변동만을 고려할

경우 각 시도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의 인구를 합한 값은 자동 으로 각 16개

역시도의 인구와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를 들어 2001년도의 서울의 각 구에

하여 연령별 인구가 주어져 있고 서울시 체의 인구는 이들 구별 인구의 합으로 주

어져 있다고 하자 이제 모든 구에 하여 동일한 이행렬(transition matrix)을 용

함으로써 얻어지는 2002년도의 구별 인구의 망을 모두 합한 값은 2001년의 서울시

체의 연령별 인구에다 동일한 이행렬을 용한 결과와 같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한편 통계청의 16개 역시도별 장래 인구추계는 출생과 사망 외에 지역간 인

구이동까지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통계청의 망과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lt표 ⅩⅣ-10gt에 기 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을 고려하더라도 그것이 16개 역시도별

인구 망에는 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즉 lt표 ⅩⅣ-10gt에 기 한 지역간 인구이동은

각 역시도 내에서의 세부 행정구역간 인구이동에만 용되어야 하며 역시

도 간의 인구이동과는 무 한 것이다 결과 으로 lt표 ⅩⅣ-10gt에 기 한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의 순유입 인구를 합한 값은 0이 되어야 한다 lt표 ⅩⅣ-10gt의 열 (1)의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을 결정할 때 상수항의 크기는 바

로 이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즉 각 시도별로 세부 행정구역의 순유입 인구

의 합이 사후 으로 0이 되도록 상수항을 결정하는 것이다137)이 게 하여 모든 세부 행정단 에 하여 2030년까지 인구규모를 망한 결과가

lt표 ⅩⅣ-11gt과 같다 lt표 ⅩⅣ-11gt을 보면 부분의 지역에서 장기 으로 인구규모는

감소하는 것으로 즉 인구증가율이 마이 스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나라 반 인 출산율 하추세를 반 하는 것이다

137) 일단 상수항을 0으로 두고 각 세부 행정단 의 순유입 인구를 구한다 상수항은 모든 세부 행정단

의 순유입인구를 합한 값을 모든 세부 행정단 의 총인구의 합으로 나 값의 마이 스 값으로 주

어진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7

lt표 ⅩⅣ-11gt 지역별 인구규모 전망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서울특별시 10060193 -00019 -00023 -00030 -00045 -00050 -00054 9025667

종로구 172718 00027 00003 -00017 -00042 -00070 -00092 156550

구 133459 00048 00021 -00013 -00048 -00069 -00086 123357

용산구 231861 00028 00005 -00025 -00055 -00076 -00092 207515

성동구 330249 00007 -00003 -00028 -00056 -00060 -00058 298894

진구 388214 00061 00050 00031 00006 00004 00010 418330

동 문구 374261 -00013 -00036 -00057 -00079 -00091 -00103 309799

랑구 448993 -00136 -00122 -00120 -00136 -00133 -00122 309159

성북구 469103 -00052 -00066 -00084 -00101 -00112 -00118 360861

강북구 347660 -00041 -00054 -00072 -00088 -00098 -00103 277755

도 구 359251 -00202 -00176 -00155 -00168 -00170 -00162 217608

노원구 618161 -00189 -00160 -00139 -00152 -00152 -00146 392683

은평구 451844 -00099 -00099 -00107 -00123 -00130 -00133 322522

서 문구 356656 00004 -00015 -00040 -00066 -00079 -00086 309547

마포구 373931 00106 00076 00038 00005 -00009 -00021 407596

양천구 467428 -00196 -00174 -00148 -00148 -00150 -00151 292850

강서구 513725 -00069 -00058 -00052 -00064 -00066 -00067 428378

구로구 398505 -00004 -00012 -00025 -00042 -00042 -00042 366487

천구 270845 -00035 -00030 -00041 -00062 -00056 -00044 237643

등포구 396018 00059 00044 00019 -00009 -00017 -00022 408560

동작구 409278 00079 00050 00017 -00008 -00018 -00030 424482

악구 514954 00191 00153 00112 00089 00081 00074 715393

서 구 374293 00143 00105 00091 00078 00062 00033 475948

강남구 531301 00126 00089 00082 00073 00053 00020 654330

송 구 645217 -00048 -00047 -00040 -00048 -00052 -00058 559819

강동구 482272 -00135 -00121 -00099 -00101 -00104 -00107 349599

4 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부산 역시 3716837 -00043 -00044 -00046 -00057 -00057 -00065 3189808

구 58885 -00011 -00044 -00095 -00124 -00145 -00174 43758

서구 150588 -00013 -00047 -00086 -00110 -00128 -00157 114848

동구 123926 -00004 -00041 -00093 -00118 -00140 -00171 93177

도구 180848 -00022 -00048 -00074 -00094 -00107 -00127 143019

부산진구 422712 -00039 -00050 -00064 -00081 -00090 -00105 342269

동래구 293884 -00082 -00099 -00103 -00105 -00100 -00112 219114

남구 294609 00018 -00002 -00027 -00045 -00050 -00065 270142

북구 302793 -00125 -00081 -00038 -00044 -00030 -00019 259012

해운 구 401574 -00131 -00098 -00070 -00080 -00072 -00070 313150

사하구 380223 -00053 -00039 -00025 -00032 -00025 -00029 345230

정구 288703 00042 00028 00020 00011 00009 -00006 302755

강서구 54647 00056 00032 00009 -00004 -00028 -00063 54358

연제구 218891 -00052 -00073 -00085 -00094 -00094 -00108 170505

수 구 178341 -00078 -00106 -00132 -00138 -00138 -00155 123411

사상구 296999 -00009 00016 00038 00027 00037 00043 320578

기장군 69215 00051 00057 00049 00022 00002 -00024 74481

구 역시 2535524 00021 00016 00001 -00017 -00026 -00038 2476782

구 88454 00025 -00026 -00092 -00136 -00185 -00223 63993

동구 343222 00104 00090 00057 00026 00003 -00023 385881

서구 288691 00047 00028 -00002 -00026 -00048 -00065 277972

남구 196957 00094 00054 00002 -00038 -00080 -00121 186439

북구 409098 00012 00023 00022 00007 00007 00001 423676

수성구 459692 -00016 -00034 -00051 -00064 -00077 -00091 389513

달서구 598035 -00039 -00026 -00018 -00021 -00009 -00006 565637

달성군 151375 00050 00079 00081 00063 00069 00056 18367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9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인천 역시 2557153 00106 00090 00072 00049 00032 00008 3022965

구 68460 00330 00281 00190 00111 00046 -00004 106136

동구 75856 00169 00111 00026 -00057 -00132 -00178 72198

남구 424881 00196 00154 00091 00026 -00033 -00076 497559

연수구 268993 -00029 -00044 -00034 -00020 -00006 -00009 251309

남동구 409743 00174 00153 00129 00102 00082 00054 568398

부평구 547708 00078 00059 00042 00021 00002 -00025 593412

계양구 337525 -00013 -00007 00024 00045 00064 00053 367042

서구 347007 00147 00141 00145 00136 00138 00115 514150

강화군 63068 -00070 -00091 -00142 -00183 -00217 -00235 39566

옹진군 13912 00088 00053 -00010 -00046 -00071 -00102 13189

주 역시 1398596 00100 00090 00065 00041 00028 00012 1637320

동구 120531 00149 00097 00046 00010 -00056 -00117 126559

서구 290625 00050 00049 00024 00002 00000 -00011 306131

남구 237262 00076 00048 00017 -00007 -00049 -00083 235633

북구 494158 00133 00120 00097 00074 00057 00040 632030

산구 256021 00090 00112 00098 00071 00095 00105 336965

역시 1419667 00145 00130 00106 00078 00057 00035 1840128

동구 257104 00260 00213 00159 00116 00067 00018 378550

구 264072 00116 00078 00027 -00011 -00047 -00087 270960

서구 488331 00056 00045 00035 00018 00005 -00008 523593

유성구 167725 00226 00237 00234 00203 00193 00183 308498

덕구 242435 00174 00177 00155 00120 00110 00088 358525

울산 역시 1046588 00088 00074 00063 00048 00035 00010 1215266

구 235341 00014 -00010 -00042 -00072 -00100 -00122 198924

남구 334858 00070 00045 00026 00008 -00001 -00012 355719

4 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동구 188858 00063 00034 00016 00006 00015 00020 202607

북구 121544 00059 00079 00130 00157 00170 00136 173692

울주군 165988 00271 00263 00235 00188 00131 00054 284324

경기도 9395545 00232 00187 00138 00097 00078 00045 13500000

수원시 991466 00279 00228 00186 00152 00127 00102 1641448

성남시 959843 00245 00181 00109 00052 00004 -00030 1237330

의정부시 372554 00142 00093 00045 00006 -00025 -00054 406936

안양시 609129 00188 00123 00060 00010 -00027 -00050 695115

부천시 797033 00160 00098 00044 00007 -00019 -00037 888572

명시 350728 00189 00136 00078 00032 -00001 -00032 420273

평택시 360394 00284 00238 00180 00129 00081 00030 558375

동두천시 76183 00220 00170 00107 00047 -00014 -00069 93662

안산시 582130 00321 00276 00248 00240 00238 00213 1202986

고양시 801512 00036 -00012 -00050 -00071 -00076 -00090 699804

과천시 70064 00129 00066 00012 -00017 -00020 -00030 74096

구리시 168789 00112 00056 00010 -00031 -00060 -00073 168011

남양주시 356843 00193 00146 00102 00061 00035 00008 458919

오산시 107263 00391 00355 00313 00284 00262 00217 253147

시흥시 318908 00173 00134 00120 00125 00150 00140 476118

군포시 275961 00175 00120 00069 00037 00028 00010 337424

의왕시 123663 00143 00085 00037 00000 -00014 -00021 136701

하남시 126495 00249 00187 00115 00049 -00004 -00030 163352

용인시 403783 00400 00354 00309 00256 00215 00175 900877

주시 186456 00294 00245 00178 00109 00039 -00019 275166

이천시 188153 00490 00438 00387 00327 00257 00193 50085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1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안성시 139989 00443 00380 00305 00220 00126 00053 284176

김포시 156223 00227 00177 00121 00074 00033 -00002 208797

화성시 195733 00436 00382 00302 00221 00142 00064 401672

주시 131208 00370 00314 00254 00194 00145 00103 249858

양주군 113026 00355 00297 00235 00178 00131 00087 205556

여주군 102671 00330 00274 00206 00128 00050 -00005 161455

연천군 51604 00251 00204 00132 00062 -00015 -00073 66456

포천군 142918 00275 00226 00166 00110 00053 00004 210314

가평군 54945 00116 00069 00005 -00050 -00108 -00144 51298

양평군 79880 00091 00046 -00018 -00084 -00146 -00180 68288

강원도 1519180 00007 -00002 -00014 -00028 -00038 -00048 1427491

춘천시 257881 00146 00123 00113 00093 00067 00042 339712

원주시 273610 00057 00043 00041 00038 00037 00025 306686

강릉시 233126 00099 00077 00050 00019 -00005 -00022 257272

동해시 98507 -00054 -00063 -00086 -00105 -00106 -00111 76082

태백시 55424 -00034 -00050 -00082 -00117 -00138 -00142 41910

속 시 89866 -00106 -00112 -00115 -00124 -00111 -00100 64905

삼척시 77462 -00020 -00037 -00076 -00111 -00136 -00154 59331

홍천군 68783 -00119 -00127 -00138 -00145 -00155 -00172 45213

횡성군 41982 -00183 -00193 -00211 -00228 -00237 -00252 22115

월군 44847 -00143 -00150 -00170 -00202 -00221 -00231 25889

평창군 42226 -00146 -00152 -00175 -00193 -00202 -00211 24855

정선군 47210 -00090 -00105 -00145 -00174 -00192 -00201 30167

철원군 49042 -00062 -00060 -00086 -00100 -00107 -00117 37757

화천군 23273 -00133 -00115 -00122 -00129 -00132 -00143 15980

4 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양구군 21638 -00208 -00198 -00205 -00199 -00182 -00184 12210

인제군 31523 -00123 -00114 -00125 -00120 -00108 -00112 22432

고성군 32992 -00107 -00103 -00135 -00178 -00203 -00214 20750

양양군 29786 00015 00003 -00028 -00090 -00144 -00164 24222

충청북도 1503645 00047 00038 00023 00005 -00007 -00019 1563037

청주시 601426 00115 00098 00087 00073 00068 00062 763387

충주시 223560 00068 00055 00034 00005 -00018 -00039 234096

제천시 147533 00048 00033 00010 -00024 -00047 -00065 143531

청원군 118977 00119 00095 00057 00020 -00020 -00062 130336

보은군 39452 -00353 -00335 -00355 -00356 -00358 -00359 13919

옥천군 59149 -00075 -00087 -00127 -00156 -00185 -00214 38944

동군 62164 00082 00059 00013 -00030 -00077 -00120 59393

진천군 58580 00049 00039 00011 -00015 -00034 -00063 57902

괴산군 39542 -00360 -00349 -00362 -00364 -00374 -00379 13453

음성군 86168 -00061 -00065 -00087 -00107 -00116 -00134 65074

단양군 37125 -00148 -00147 -00170 -00194 -00207 -00220 21774

증평출장소 29969 -00073 -00083 -00112 -00130 -00144 -00159 21213

충청남도 1890296 00041 00024 00006 -00012 -00026 -00033 1882526

천안시 426987 00189 00146 00134 00139 00147 00144 654400

공주시 133717 00080 00052 00030 -00024 -00081 -00110 129095

보령시 112410 -00016 -00034 -00075 -00119 -00153 -00175 84387

아산시 184554 00210 00182 00161 00127 00093 00057 272765

서산시 146885 00006 -00019 -00047 -00069 -00079 -00091 126340

논산시 140873 -00038 -00057 -00087 -00130 -00171 -00197 100408

산군 59362 -00100 -00109 -00140 -00185 -00228 -00255 35899

연기군 81860 00208 00167 00139 00092 00026 -00025 10837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3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부여군 85949 -00276 -00269 -00300 -00338 -00360 -00367 33478

서천군 68763 -00283 -00277 -00316 -00353 -00376 -00384 25734

청양군 39622 -00156 -00160 -00191 -00227 -00264 -00288 21000

홍성군 92925 -00087 -00097 -00123 -00173 -00217 -00240 58423

산군 100184 -00017 -00035 -00073 -00119 -00166 -00202 73772

태안군 67660 -00023 -00035 -00072 -00126 -00172 -00205 49311

당진군 120648 -00016 -00035 -00068 -00105 -00138 -00161 92873

계룡출장소 27898 -00053 -00114 -00204 -00250 -00235 -00224 16238

라북도 1922751 -00027 -00029 -00036 -00045 -00049 -00057 1706655

주시 626605 00045 00033 00030 00022 00019 00012 676015

군산시 277060 00070 00055 00035 00014 00001 -00017 297579

익산시 328585 00059 00041 00029 00015 00004 -00014 349137

정읍시 131429 -00161 -00162 -00186 -00214 -00230 -00248 72839

남원시 96693 -00097 -00108 -00132 -00163 -00186 -00205 62312

김제시 104520 -00153 -00163 -00199 -00228 -00254 -00278 55675

완주군 80451 00126 00105 00065 00021 -00024 -00069 88711

진안군 30869 -00086 -00107 -00144 -00174 -00207 -00241 19195

무주군 28020 -00249 -00251 -00273 -00287 -00299 -00305 12363

장수군 23773 -00317 -00306 -00330 -00347 -00357 -00354 8829

임실군 31448 -00408 -00397 -00415 -00412 -00417 -00412 9333

순창군 31115 -00370 -00347 -00371 -00389 -00403 -00404 10093

고창군 66198 -00384 -00365 -00381 -00400 -00408 -00409 20786

부안군 65985 -00319 -00319 -00342 -00357 -00367 -00367 23769

라남도 2021739 -00068 -00075 -00079 -00086 -00089 -00091 1593618

목포시 253241 00011 00003 00009 00002 -00014 -00028 250737

여수시 307080 00017 -00011 -00024 -00033 -00037 -00039 287845

4 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순천시 269123 00057 00032 00041 00048 00045 00038 304966

나주시 100671 -00095 -00109 -00141 -00184 -00222 -00253 61221

양시 134164 00059 00028 00063 00089 00137 00148 173086

담양군 55174 00134 00120 00065 -00009 -00088 -00150 56329

곡성군 38532 -00010 -00029 -00068 -00125 -00186 -00232 27797

구례군 29119 -00318 -00323 -00353 -00377 -00395 -00396 10001

고흥군 89202 -00333 -00338 -00382 -00419 -00443 -00444 27704

보성군 56825 -00207 -00219 -00262 -00309 -00346 -00361 24431

화순군 72884 00026 00020 00010 -00009 -00027 -00079 70571

장흥군 49000 -00315 -00314 -00347 -00379 -00392 -00392 17031

강진군 44707 -00330 -00324 -00360 -00391 -00405 -00406 14950

해남군 90876 -00226 -00237 -00268 -00289 -00306 -00323 40269

암군 61032 -00052 -00060 -00082 -00119 -00144 -00183 44452

무안군 63139 -00060 -00083 -00113 -00172 -00235 -00265 39737

함평군 41869 -00201 -00205 -00242 -00294 -00338 -00369 18507

군 66356 -00169 -00175 -00204 -00234 -00242 -00260 35272

장성군 50255 -00055 -00063 -00100 -00142 -00190 -00232 34066

완도군 62391 -00262 -00267 -00297 -00330 -00356 -00371 24612

진도군 39032 -00277 -00279 -00312 -00342 -00369 -00385 14796

신안군 47067 -00326 -00335 -00368 -00395 -00423 -00434 15202

경상북도 2775834 -00006 -00012 -00021 -00035 -00043 -00051 2554405

포항시 526287 -00003 -00036 -00063 -00089 -00100 -00106 430937

경주시 281209 00033 00002 -00033 -00074 -00108 -00142 238457

김천시 150538 00012 -00020 -00064 -00108 -00153 -00191 115490

안동시 185936 00013 -00020 -00062 -00118 -00172 -00210 139347

구미시 346160 00236 00220 00225 00218 00214 00200 647245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5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주시 129120 -00067 -00087 -00125 -00180 -00226 -00255 80889

천시 113287 -00105 -00123 -00162 -00200 -00232 -00270 65961

상주시 119119 -00241 -00251 -00287 -00318 -00344 -00366 48742

문경시 92834 -00024 -00062 -00110 -00160 -00218 -00260 61110

경산시 231274 00252 00222 00207 00166 00122 00078 378879

군 군 29381 -00318 -00324 -00354 -00371 -00397 -00414 10000

의성군 69945 -00445 -00426 -00450 -00458 -00464 -00467 18300

청송군 32048 -00411 -00393 -00406 -00419 -00425 -00426 9422

양군 21219 -00323 -00306 -00332 -00361 -00382 -00397 7523

덕군 45251 -00419 -00401 -00425 -00444 -00459 -00464 12430

청도군 49315 -00209 -00219 -00267 -00309 -00348 -00379 20917

고령군 35961 -00081 -00102 -00143 -00184 -00224 -00262 21939

성주군 48002 -00275 -00288 -00326 -00346 -00369 -00382 17978

칠곡군 102466 00241 00236 00199 00157 00129 00072 167034

천군 55588 -00399 -00391 -00412 -00433 -00457 -00467 15652

화군 39149 -00329 -00326 -00353 -00366 -00383 -00393 13540

울진군 61359 -00231 -00232 -00265 -00289 -00301 -00316 27430

울릉군 10384 -00165 -00184 -00233 -00263 -00288 -00309 5088

경상남도 3051481 00037 00025 00012 -00001 -00010 -00023 3102170

창원시 528429 00082 00064 00081 00111 00142 00143 714831

마산시 445559 00151 00114 00075 00029 -00018 -00048 510137

진주시 348519 00175 00148 00115 00064 00011 -00028 435855

진해시 130559 00023 00006 -00028 -00056 -00083 -00116 114629

통 시 127249 -00071 -00092 -00136 -00172 -00203 -00222 81562

사천시 113921 00021 00008 -00040 -00091 -00135 -00179 92217

김해시 339168 00037 00021 00032 00043 00049 00032 376065

4 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양시 119195 -00044 -00064 -00112 -00162 -00210 -00243 78599

거제시 171574 00080 00071 00042 00042 00051 00021 198427

양산시 195971 00081 00065 00072 00072 00072 00052 238961

의령군 32294 -00208 -00205 -00248 -00282 -00312 -00344 14656

함안군 60194 -00082 -00097 -00138 -00178 -00219 -00255 37224

창녕군 67136 -00202 -00200 -00240 -00281 -00316 -00342 30733

고성군 57429 -00156 -00163 -00215 -00261 -00295 -00315 28648

남해군 54791 -00385 -00366 -00403 -00431 -00443 -00440 16165

하동군 53141 -00196 -00196 -00240 -00273 -00304 -00324 24935

산청군 39360 -00069 -00075 -00127 -00187 -00251 -00289 23926

함양군 43176 -00211 -00202 -00241 -00283 -00319 -00339 19633

거창군 67835 -00054 -00056 -00101 -00165 -00219 -00248 44566

합천군 55982 -00314 -00296 -00326 -00353 -00375 -00390 20326

제주도 527799 00059 00044 00028 00012 00001 -00009 561243

제주시 287559 00099 00083 00077 00070 00068 00064 358155

서귀포시 83151 00022 00007 -00019 -00045 -00063 -00080 75873

북제주군 90022 00044 00025 -00013 -00051 -00096 -00138 79883

남제주군 67068 -00050 -00065 -00099 -00131 -00165 -00192 4732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7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세부 행정단 별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GRP 수 과 연령별 인구

망이 주어지면 세부 행정단 별 GRP 망은 이에 따라 결정된다 최종 으로 얻어진

지역별 GRP 망치는 lt표 ⅩⅣ-12gt와 같다 표를 보면 부분의 지역에서 GRP 성장

률은 장기 으로 하락할 것으로 상된다 앞에서 언 되었듯이 16개 역시도별

GRP의 망치는 lt표 ⅩⅣ-10gt과 lt표 ⅩⅣ-11gt의 인구 망 이 에 이미 결정되었으며 이들의 합의 증가율이 기존의 GDP 성장률 망과 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t표 ⅩⅣ-12gt의 결과도 부분 기존의 결과와 일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lt표 ⅩⅣ-12gt 지역별 GRP 증가율 전망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서울특별시 99268549 00467 00360 00285 00261 00189 00162 221531988

종로구 2094618 00472 00350 00264 00234 00142 00100 4311535

구 1839470 00471 00347 00249 00210 00127 00092 3666730

용산구 2436963 00499 00375 00277 00240 00153 00115 5247798

성동구 2968036 00506 00392 00297 00260 00189 00168 6885030

진구 3684246 00552 00438 00350 00316 00248 00232 9954238

동 문구 3281381 00489 00362 00271 00240 00159 00125 7031735

랑구 3775154 00367 00280 00212 00186 00122 00111 6844173

성북구 3629541 00470 00352 00263 00233 00154 00123 7602386

강북구 2955966 00465 00349 00260 00234 00157 00129 6190031

도 구 3165666 00289 00216 00169 00147 00078 00064 4954036

노원구 5508608 00301 00230 00184 00162 00095 00080 8999789

4 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은평구 3810223 00405 00303 00226 00200 00125 00099 7152432

서 문구 3290569 00498 00376 00282 00246 00166 00137 7242828

마포구 3913113 00582 00449 00343 00302 00222 00192 10300000

양천구 4639236 00275 00199 00159 00152 00084 00062 7157036

강서구 5027980 00410 00321 00261 00240 00172 00153 10400000

구로구 3904545 00478 00368 00288 00262 00196 00175 8888127

천구 2420254 00462 00366 00285 00254 00194 00183 5455459

등포구 4948080 00501 00387 00297 00264 00184 00184 11500000

동작구 4147088 00559 00428 00327 00293 00217 00182 10500000

악구 4365322 00710 00564 00452 00425 00338 00302 15900000

서 구 4852502 00581 00444 00365 00343 00266 00220 13600000

강남구 7174266 00556 00413 00359 00331 00261 00199 19200000

송 구 6786692 00420 00321 00270 00232 00177 00163 14200000

강동구 4649035 00343 00259 00214 00204 00135 00111 8396726

부산 역시 29458666 00429 00385 00295 00240 00166 00159 64374919

구 580439 00423 00349 00212 00142 00050 00024 1004857

서구 1183416 00461 00383 00255 00187 00094 00066 2304109

동구 1041318 00459 00377 00238 00170 00074 00045 1945446

도구 1295383 00468 00397 00281 00216 00127 00108 2714980

부산진구 3284735 00436 00382 00280 00218 00135 00121 6820719

동래구 2321515 00388 00328 00237 00192 00122 00112 4409497

남구 2326786 00493 00429 00316 00253 00174 00160 5435761

북구 2253218 00353 00356 00313 00263 00202 00214 5030071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9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해운 구 3059171 00343 00334 00277 00222 00155 00158 6167055

사하구 2988649 00419 00391 00318 00267 00200 00197 6926925

정구 2265608 00519 00461 00365 00312 00235 00220 6068822

강서구 495388 00507 00441 00332 00276 00179 00146 1187484

연제구 1831305 00409 00345 00246 00195 00121 00109 3550775

수 구 1371535 00397 00324 00211 00161 00086 00071 2444195

사상구 2403081 00460 00443 00379 00324 00259 00267 6544325

기장군 757120 00468 00437 00346 00278 00186 00164 1819904

구 역시 15313495 00614 00515 00427 00342 00250 00196 45390461

구 569669 00609 00462 00321 00210 00079 00000 1221176

동구 2036126 00707 00597 00488 00389 00282 00213 7011836

서구 1537571 00666 00550 00444 00350 00244 00182 4736533

남구 1137417 00701 00564 00435 00327 00200 00116 3333880

북구 2506694 00603 00521 00448 00365 00282 00235 7848470

수성구 3119010 00555 00445 00356 00277 00183 00129 7667800

달서구 3459700 00560 00480 00414 00343 00273 00229 10100000

달성군 947310 00640 00577 00506 00420 00343 00288 3445502

인천 역시 21506822 00561 00587 00481 00365 00243 00179 66310072

구 692207 00758 00754 00575 00402 00233 00145 2590925

동구 631989 00626 00609 00434 00256 00076 -00010 1570323

남구 3344871 00664 00664 00510 00350 00184 00108 10500000

연수구 2029105 00437 00463 00387 00308 00216 00174 5151627

남동구 3714415 00616 00639 00528 00418 00278 00213 13000000

4 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부평구 4247225 00544 00567 00461 00352 00223 00152 12400000

계양구 2689809 00444 00492 00438 00367 00282 00230 7774504

서구 3216359 00583 00622 00541 00440 00338 00273 11900000

강화군 625049 00346 00369 00233 00102 -00032 -00087 954411

옹진군 315794 00361 00382 00247 00131 00016 -00045 521443

주 역시 10315057 00577 00569 00485 00407 00317 00252 34849987

동구 813580 00647 00591 00477 00386 00239 00126 2544852

서구 2114384 00529 00528 00442 00367 00287 00226 6436988

남구 1435116 00590 00557 00463 00384 00260 00173 4438140

북구 3520933 00620 00606 00522 00445 00343 00282 13100000

산구 2431045 00522 00549 00478 00401 00351 00314 8304637

역시 10605755 00669 00618 00518 00419 00322 00268 39192051

동구 1773311 00806 00718 00584 00469 00341 00259 7679029

구 1892635 00647 00570 00442 00333 00220 00147 5623739

서구 3640485 00577 00529 00443 00357 00268 00219 11100000

유성구 1249721 00756 00730 00651 00549 00461 00419 6552871

덕구 2049603 00678 00646 00549 00445 00360 00307 8211174

울산 역시 22908261 00557 00409 00319 00209 00115 00061 49192837

구 3069479 00566 00400 00278 00146 00034 -00020 5775851

남구 6964976 00541 00370 00293 00163 00076 00030 13600000

동구 4720969 00500 00338 00240 00139 00070 00050 8670123

북구 3530415 00468 00359 00335 00271 00207 00150 8128694

울주군 4622421 00696 00555 00448 00312 00168 00079 1300000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1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경기도 111987695 00750 00619 00513 00382 00259 00179 388407242

수원시 10500000 00823 00679 00571 00444 00320 00248 43400000

성남시 9740997 00791 00628 00496 00352 00205 00117 31800000

의정부시 3163568 00707 00572 00460 00324 00197 00115 9407914

안양시 6528042 00714 00562 00438 00296 00167 00100 18500000

부천시 9070657 00681 00519 00412 00285 00172 00101 24500000

명시 3366087 00735 00596 00476 00335 00207 00132 10500000

평택시 4803810 00774 00647 00538 00386 00247 00148 16900000

동두천시 746675 00764 00628 00503 00346 00191 00083 2358671

안산시 8539554 00797 00664 00589 00493 00396 00319 38500000

고양시 8150423 00552 00436 00344 00220 00118 00057 18000000

과천시 889000 00620 00476 00365 00245 00153 00094 2176465

구리시 1580758 00658 00517 00409 00273 00149 00084 4117791

남양주시 4120232 00704 00576 00472 00331 00234 00131 12700000

오산시 1246972 00911 00793 00690 00567 00451 00354 7057859

시흥시 4881914 00632 00516 00448 00374 00298 00234 15600000

군포시 3339989 00677 00540 00431 00308 00208 00140 9636174

의왕시 1484114 00645 00506 00399 00271 00165 00110 3884282

하남시 1305584 00785 00637 00503 00342 00194 00117 4242442

용인시 5558071 00889 00767 00653 00513 00390 00290 27800000

주시 2689218 00770 00641 00517 00358 00197 00090 8724172

이천시 2729567 00974 00840 00732 00585 00411 00302 15900000

안성시 2202577 00909 00767 00635 00459 00274 00154 9489584

4 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김포시 2515815 00679 00552 00442 00306 00177 00096 7069740

화성시 3367787 00886 00754 00618 00444 00282 00148 14100000

주시 2052117 00834 00699 00583 00433 00294 00205 8313908

양주군 1768098 00818 00681 00564 00417 00279 00188 6840592

여주군 1490246 00806 00670 00545 00376 00207 00105 5138396

연천군 632507 00755 00626 00495 00331 00162 00055 1912190

포천군 2004193 00755 00626 00509 00363 00214 00117 6557311

가평군 555076 00648 00518 00392 00243 00091 00004 1315354

양평군 915398 00599 00472 00349 00191 00037 -00047 1887683

강원도 11371408 00416 00454 00433 00304 00188 00142 28252380

춘천시 1845962 00572 00594 00574 00436 00302 00238 6572886

원주시 2033447 00472 00503 00493 00375 00266 00217 6068138

강릉시 1790650 00510 00534 00498 00351 00219 00165 5191466

동해시 737492 00355 00391 00359 00226 00119 00078 1511972

태백시 378406 00393 00421 00377 00226 00098 00057 788340

속 시 563081 00333 00370 00356 00230 00136 00109 1159971

삼척시 584798 00389 00417 00368 00219 00088 00033 1184977

홍천군 549138 00276 00314 00295 00176 00061 00009 933620

횡성군 350070 00202 00239 00213 00084 -00028 -00078 468660

월군 355903 00253 00292 00262 00118 -00005 -00051 532673

평창군 386902 00224 00266 00236 00108 -00004 -00046 557161

정선군 342152 00324 00353 00302 00159 00035 -00010 588002

철원군 507632 00290 00342 00310 00187 00078 00036 91021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3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화천군 157113 00292 00354 00337 00215 00105 00057 298580

양구군 167818 00189 00245 00230 00124 00037 00000 247802

인제군 208673 00306 00359 00337 00227 00133 00090 414251

고성군 225106 00317 00365 00322 00162 00031 -00017 390173

양양군 187067 00459 00490 00447 00266 00101 00043 433496

충청북도 17197198 00525 00436 00398 00288 00189 00135 42928316

청주시 6484244 00616 00519 00480 00361 00284 00219 20500000

충주시 2228190 00581 00482 00437 00312 00199 00133 6009884

제천시 1418364 00566 00466 00417 00286 00173 00111 3606465

청원군 1730779 00565 00461 00403 00275 00149 00067 4192234

보은군 479826 00103 00043 00002 -00087 -00172 -00214 402372

옥천군 751392 00386 00294 00233 00113 -00001 -00072 1155377

동군 854873 00537 00433 00365 00232 00098 00015 1847394

진천군 927294 00476 00389 00343 00227 00125 00057 1958592

괴산군 514186 00084 00018 -00014 -00104 -00197 -00242 404720

음성군 1294491 00371 00290 00249 00140 00048 -00010 2133625

단양군 513560 00295 00218 00175 00062 -00035 -00087 679658

증평출장소

충청남도 21827939 00412 00423 00398 00289 00180 00116 51234188

천안시 4759297 00578 00560 00544 00448 00366 00298 17600000

공주시 1365552 00481 00477 00444 00296 00140 00053 3291062

보령시 1681054 00314 00324 00277 00146 00020 -00055 2700651

아산시 2172996 00591 00589 00558 00431 00300 00206 7569522

4 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서산시 1755708 00376 00376 00340 00227 00123 00055 3537674

논산시 1508827 00350 00355 00315 00180 00042 -00041 2633472

산군 625077 00289 00304 00263 00125 -00014 -00098 932042

연기군 918940 00597 00581 00543 00403 00237 00129 2923116

부여군 1081823 00074 00109 00069 -00056 -00171 -00231 966754

서천군 816151 00078 00110 00062 -00063 -00180 -00242 717561

청양군 535259 00186 00210 00172 00049 -00080 -00159 632545

홍성군 928063 00312 00326 00288 00145 00004 -00077 1469740

산군 1103246 00367 00374 00326 00188 00044 -00049 1967181

태안군 881806 00331 00346 00301 00157 00017 -00070 1453841

당진군 120648 00325 00334 00294 00169 00043 -00034 203866

계룡출장소

라북도 14973586 00331 00431 00384 00300 00199 00149 35019778

주시 4442503 00432 00518 00472 00384 00293 00225 13300000

군산시 2055555 00450 00534 00471 00372 00259 00197 6014933

익산시 2612899 00426 00508 00454 00364 00253 00192 7354979

정읍시 980179 00210 00306 00240 00135 00021 -00040 1476864

남원시 810184 00255 00343 00278 00172 00053 -00008 1354253

김제시 926485 00188 00276 00200 00097 -00024 -00090 1251321

완주군 681039 00484 00564 00482 00361 00217 00128 1939804

진안군 255186 00269 00347 00268 00163 00033 -00044 413845

무주군 191580 00134 00227 00162 00071 -00039 -00088 238006

장수군 267244 -00023 00089 00030 -00057 -00157 -00193 22864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5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임실군 329572 -00105 00006 -00049 -00114 -00211 -00244 231772

순창군 286495 -00043 00078 00016 -00074 -00181 -00221 232052

고창군 540549 -00038 00079 00023 -00070 -00172 -00214 444860

부안군 594116 00013 00111 00049 -00038 -00142 -00181 539223

라남도 23473691 00206 00310 00294 00199 00097 00052 40748487

목포시 2089016 00347 00448 00440 00339 00217 00155 5249827

여수시 4467781 00253 00341 00319 00226 00123 00081 8452978

순천시 2641408 00364 00450 00447 00363 00256 00203 7082340

나주시 1169175 00178 00275 00232 00101 -00038 -00111 1571827

양시 1740357 00316 00400 00426 00367 00314 00283 4746777

담양군 738923 00387 00489 00424 00262 00082 -00023 1574468

곡성군 432393 00271 00364 00313 00167 00004 -00086 699207

구례군 278697 -00018 00084 00040 -00072 -00191 -00235 228802

고흥군 857276 -00034 00068 00009 -00116 -00240 -00284 635354

보성군 949255 00000 00102 00053 -00075 -00207 -00260 779055

화순군 949401 00282 00390 00371 00266 00147 00052 1940193

장흥군 512124 -00030 00079 00034 -00086 -00198 -00241 410630

강진군 442542 -00037 00078 00028 -00091 -00205 -00249 348954

해남군 918850 00067 00165 00121 00011 -00107 -00168 951919

암군 854237 00189 00296 00265 00143 00019 -00061 1275589

무안군 779361 00203 00292 00252 00105 -00058 -00131 1057975

함평군 431100 00089 00195 00144 00004 -00141 -00216 442248

군 1104267 00039 00149 00114 00002 -00102 -00158 1122192

4 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장성군 580142 00219 00324 00276 00145 -00004 -00090 871488

완도군 618686 00033 00137 00093 -00028 -00155 -00214 575077

진도군 408253 00009 00116 00070 -00048 -00174 -00233 356905

신안군 510450 -00048 00052 00007 -00107 -00235 -00288 374686

경상북도 36767894 00378 00350 00317 00224 00135 00085 73784082

포항시 6510063 00389 00330 00272 00171 00089 00017 11700000

경주시 3814163 00409 00355 00295 00174 00059 -00017 6862053

김천시 1911527 00400 00342 00273 00147 00021 -00059 3195312

안동시 1926666 00437 00376 00305 00165 00027 -00056 3415308

구미시 5365580 00596 00558 00533 00460 00374 00315 20200000

주시 1459201 00339 00293 00227 00090 -00040 -00111 2087774

천시 1550540 00265 00224 00160 00043 -00069 -00148 1908427

상주시 1414394 00148 00114 00052 -00059 -00165 -00229 1295689

문경시 1026079 00387 00322 00246 00113 -00028 -00113 1556521

경산시 3148350 00637 00582 00542 00419 00292 00200 10900000

군 군 447592 00025 -00002 -00054 -00145 -00250 -00305 308411

의성군 1346406 -00146 -00144 -00186 -00265 -00344 -00384 648863

청송군 337230 -00008 -00014 -00054 -00147 -00233 -00277 233058

양군 249664 00065 00059 00007 -00102 -00203 -00260 198902

덕군 434086 00000 -00007 -00060 -00160 -00258 -00305 290962

청도군 557007 00190 00155 00080 -00043 -00163 -00237 539684

고령군 612985 00251 00210 00148 00030 -00087 -00163 723479

성주군 680982 00083 00047 -00014 -00111 -00212 -00265 531379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7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칠곡군 1647184 00595 00569 00508 00387 00278 00181 5319171

천군 596673 00002 -00015 -00063 -00164 -00269 -00321 391763

화군 595032 00014 -00003 -00052 -00141 -00235 -00283 417018

울진군 965179 00110 00089 00033 -00066 -00156 -00209 862265

울릉군 171312 00170 00131 00059 -00046 -00148 -00207 164555

경상남도 34777294 00323 00456 00394 00282 00177 00121 79678033

창원시 6326283 00371 00496 00466 00395 00317 00285 19100000

마산시 4043914 00492 00595 00501 00346 00196 00125 11600000

진주시 3362707 00506 00620 00533 00374 00219 00123 10200000

진해시 1280930 00346 00468 00381 00248 00121 00042 2722685

통 시 1111347 00269 00385 00286 00144 00012 -00053 1807464

사천시 1205648 00331 00458 00358 00202 00058 -00031 2291555

김해시 4128971 00323 00448 00411 00320 00228 00176 10200000

양시 1465694 00237 00358 00260 00108 -00036 -00112 2135930

거제시 2287177 00351 00485 00408 00307 00219 00146 5658160

양산시 2355183 00369 00497 00454 00352 00253 00190 6405654

의령군 469339 00040 00184 00094 -00037 -00160 -00233 439998

함안군 846367 00175 00302 00214 00074 -00062 -00139 1095722

창녕군 875431 00065 00207 00118 -00022 -00152 -00219 864912

고성군 914657 00077 00213 00116 -00028 -00154 -00213 908321

남해군 539479 -00075 00079 -00009 -00139 -00248 -00287 384782

하동군 846034 00037 00179 00090 -00040 -00163 -00222 790408

산청군 569175 00183 00320 00220 00060 -00098 -00177 716158

4 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함양군 610235 00041 00191 00106 -00035 -00165 -00224 579717

거창군 864637 00221 00361 00266 00100 -00050 -00121 1237287

합천군 674089 -00037 00120 00041 -00085 -00202 -00258 545500

제주도 4662966 00474 00501 00448 00351 00241 00174 13019447

제주시 2089623 00567 00587 00541 00449 00345 00280 7639291

서귀포시 653027 00472 00494 00429 00320 00201 00124 1695035

북제주군 1048604 00425 00448 00375 00259 00119 00021 2257417

남제주군 871711 00157 00327 00307 00203 00085 -00024 1442339

이상으로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 최종 으로 세부 행정단 별 GRP의 망치를

구하여 보았다 물론 이 망치에는 여러 가지 문제 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본 장에

서는 각 단계마다 사용된 가정과 한계 들을 명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 들의 근원

과 성격을 제시하려고 하 다 일단 서론에서 언 되었듯이 세부 행정단 에서는 GRP라는 개념 자체가 지역별

소득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만일 어떤 공공투자사업이 주

로 소비자들에게 향을 수 있는 것이라면 그에 한 세부 행정단 별 수요의 크

기를 GRP에 기 하여 단하는 것은 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여러 단계의 추정과정 가운데에서도 가장 논란의 여지가 많을 수 있는 부분은 지

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망이다 본 장에서는 신고 학 성장모형에 기 하

여 소득수 이 상승할수록 성장률은 차 하락하게 되는 한계생산체감의 추세를

망의 기본 메카니즘으로 사용하 다 이는 장기 으로 지역별 1인당 GRP의 값이 끝

없이 발산하지 않고 서로 수렴하는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는 장 을 가진다 그러나

GRP 성장률을 망하는 방법은 이 외에도 얼마든지 많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를

들면 과거의 일반지침에서처럼 산업별 장기 성장률을 먼 망한 다음 산업별 성장

률을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결합함으로써도 GRP의 망치를 구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물론 그 자체로서 어려운 과제인 산업별 성장률의 망이 제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ꡕ 2003__________ ꡔ민자유치백서ꡕ 1996__________ ꡔ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ꡕ 2004기획 산처 ꡔSOC 민간투자사업에 한 PSC 도입방안 연구ꡕ 2003__________ ꡔ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ꡕ 2004__________ ꡔlsquo04~rsquo08 국개재정운용계획(안)ꡕ 2004 9사회간 자본기획단 ꡔ사회간 자본 주요통계ꡕ 1993박 유경 곽승 「문화시설 가치추정 연구」 ꡔKDI 연구보고서 2004-15ꡕ 2004윤우진 ꡔ원자력발 산업의 정 할인율 산정ꡕ 산업연구원 2004이규방 외 ꡔ민간투자사업의 성능제안형 방식 도입에 한 연구ꡕ 국토연구원 2002이규방송병록강동진박경애김난주 ꡔ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에 한 연구ꡕ 국토연구

원 2001-37 2001이진면김동석김민수 「다부문 모형에 의한 산업구조 변화의 장기 망」 ꡔKDI정책연구시

리즈ꡕ 2001-14 2001정건호 외 ꡔSOC민간투자사업에 한 PSC 도입방안 연구ꡕ 기획 산처 200312최도성 「공공투자사업의 할인율 분석」 ꡔ교통개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ꡕ 98-05 1998한국개발연구원 ꡔ민간투자사업에 한 재정지원 기 차 개선방안ꡕ 2000______________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Ⅱ)ꡕ 2001______________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 2001______________ ꡔ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ꡕ 2004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망 2003-2012」 ꡔKDI정책연구

시리즈ꡕ 2002-07 2002PFI 추진 원회 ꡔPFI 추진 원회 간보고ꡕ 2004 6PriceWaterhouseCoopers ꡔ신박물 정비에 한 PFI도입가능성 조사보고서ꡕ 20023

【일본어 자료】

國土交通省 ꡔ國土交通省所管事業を対象とした VFM簡易シミュレーション(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ꡕ 2003 6長野 ꡔ長野 PFI事業 入可能性調査 結果報告書(나가노시 PFI사업 도입가능성조사 결과

보고서)ꡕ 20033內閣府 ꡔPFI 事業実施プロセス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PFI 사업실시 로세스에 한 가이드

라인)ꡕ 20011______ ꡔVFM(Value For Money)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VFM에 한 가이드라인)ꡕ 20017

4 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______ ꡔ民間資金等の活用による公共施設等の整備等に関する事業の実施に関する基本方針

(민간자본등의 활용에 따른 공공시설정비 등에 한 사업의 실시에 한 기본방침)ꡕ 2000

PFI 推進委員会 ꡔPFI 推進委員会 中間報告ꡕ 2004 6PriceWaterhouseCoopers Financial Advisory Service(株) ꡔ新博物館の整備に係るPFI 入可能

性調査業務報告書(신박물 정비에 한 PFI 도입가능성조사업무 보고서)ꡕ 2002 3

【 문 자료】

Arrow K J Discounting and Public Investment Criteria in A V Kneese and S C Smith(eds) Water researc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966

Barro Robert L and Xavier Sala-i-Martin Economic Growth McGraw-Hill 1995 Baumol W J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8 1968

pp788~802Boadway R Cost-benefit rules in general equilibrium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42

1975 pp 361~374Bradford David F Constraints on Goverment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the Choice of Discount

Rate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5 1975 pp887~899Braun Juan Essays on Economic Growth and Migration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93Brealey R and SC Myers Principles of Corporate Finance 8th ed McGraw-Hill 2004BTE ldquoFacts and Furphies in Benefit-cost Analysis Transportrdquo BTE Report 100 1999BTRE ldquoBrisbane Melbourne Rail Link Economic Analysisrdquo BTRE Working Paper 45 2000Burgess David F Complementarity and the Discount Rate for Public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03 1988 pp527~541Dasgupta P S Marglin and A Sen 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Vienna 1972Dasgupta A K and D W Pearce Cost-benefit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Macmillan Press

London 1972Dasgupta P and J Stiglitz On optimal taxation and public producti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39 pp87~103 1972 Benefit-cost analysis and trade polici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2 pp1~33 1974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LONDON A New Deal for Trunk

Roads in England Guidance on The New Approach to Appraisal 1998 Department of Transfortation California California Life-Cycle BenefitCost Analysis Model

(Cal-BC) 1999Department of Transfortation Minnesota Highway Project Development Process (HPDP)

Handbook 2001

참고문헌 4 4 1

Diamond P ldquoThe Opportunity Cost of Public Investment Commentrdquo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2 1968 pp682~688

Diamond P and J Mirrlees Optimal taxation and public production Ⅰ and Ⅱ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1 pp8~27 and 261~278 197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rivate constant returns and public shadow pric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22 pp41~47 1976

Dreze J and N Stern The theory of cost-benefit analysis in A Auerbach and M Feldstein eds Handbook of public economics Vol 2 North-Holland Amsterdam 1987

Eckstein O Water-resource development the economics of project evalu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58

Essen-Bonn Macro-Economic Evaluation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Federal Minister of Transport 1993

European Commission Guide of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 2002Feldstein M S The Social Time Preference Discount Rate in Cost-Benefit Analysis The

Economic Journal Vol 74 1964a pp360~379 ldquoNet social benefit calculation and the public investment decisionrdquo Oxford

Economic Papers 16 pp114~131 1964b Opportunity Cost Calculation in Cost-Benefit Analysis Public Finance 1964c The derivation of social time preference rate Kyklos 18 pp277~286 1965 Cost-benefi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valuation of projects

financed by aid and external loans in W L David(ed) Public finance planning and economic development essays in honour of Ursula Hicks Macmillan London 1973

The Inadequacy of Weighted Discount Rates in R Layard(ed) Cost-benefit analysis Penguin Books Hammondsworth England 1974

Financing in the evaluation of public expenditure in Warren L Smith and John M Culbertson(ed) Public finance and stabilization policy essays in honor of Richard A Musgrave North-Holland Amsterdam 1974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rocedural Guidelines for Highway Feasibility Studies 1998Fisher I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London 1930Gollier Christian Discounting an Uncertain Future Journal of Pubilc Economics Vol 85 2002

pp 149~166Harberger A C Professor Arrow on the Social Discount Rate in G G Somers and W D

Wood(ed) Cost-benefit analysis of manpower policies Industrial Relations Centre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1969

________________ Project evaluation collected pap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72

Harlow K C amp Windsor D Integration of Cost-Benefit and Financial Analysis in Project Evalu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Washington SepOct 1988 pp918~928

4 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Hirshleifer J J C DeHaven and J W Milliman Water Supply Economics Technology and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HM Treasury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2003____________ 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 20037____________ 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 20048____________ Value For Money Assessment Guidance 20048Jenkins G P and Kuo C Y Measuring the Social Opportunity Cost of Permanent and Temporary

Employment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 11 1978Krutilla J V and O Eckstein Multipurpose river development Johns Hopkins Press Cambridge

1958Lind Robert C A primer on the major issues relating to the discount rate for evaluating national

energy options in R Lind et al(ed) Discounting for time and risk in energy policy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982

Little I M D and J A Mirrlees Manual of industrial projec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Vol Ⅱ OECD Development Centre Paris 1968

Marchand M and P Pestieau Discount Rates and Shadow Prices for Public Invest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24 1984b pp 153~169

Marglin S A The social rate of discount and the optimal rate of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7 pp95~111 1963

______________ The Opportunity Cost of Public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7 1964 pp274~289

Mendelsohn R The choice of discount rates for public project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1 pp239~241 1981

Mikesell R F The Rate of Discount for Evaluating Public Projects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1977

Miller E Ronald and Peter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tion 1985 pp70~72

Mirrlees J On producer taxati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39 pp105~111 1972Modigliani and Miller The Cost of Capital Corporate Finance and the Theory of Invest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48 No 3 1958 6 pp261~297Musgrave Peggy B Public debt and cost-benefit analysis in Public finance and public debt

Proceedings of the 40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Public Finance Innsbruck pp81~96 1984

Newell Richard and William Pizer Discounting the Distant Future How Much Do Uncertain Rates Increase Valuations Resources for the Future Discussion Paper 00-45 2001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ldquoGuidelines and Discount Rates For Benefit-Cost Analysis of Federal Programsrdquo OMB Circular No A-94 1992

Olson M and M J Bailey Positive time prefere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9 pp1~25 1981

참고문헌 4 4 3

OXERA A Social Time Preference Rate for Use in Long-Term Discounting A report for ODPM DfT and Defra 2002

Pearce David and David Ulph A Social Discount Rate for the United Kingdom CSERGE Working Paper GEC 95-01 1995

Ramsey D D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Com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9 1969 pp919~924

Ramsey F P A Mathematical Theory of Saving The Economic Journal Vol 38 No 152 1928 pp 543~559

Saaty Thomas L Decision Making for Leaders Ⅱ AHP Series RWS Publication 1995 ________________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1996________________ Fundamentals of Decision Making and Priority Theory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RWS Publications 1994________________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London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 1980Saaty Thomas L Kevin P Kearns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Pittsburgh

PA RWS 1991Sandmo A and J H Dreze Discount Rates for Public Investment in Closed and Open

Economies Economica Vol 38 1971 pp396~412Scott M Fg and Monica Dowley The Test Rate of Discount and Changes in Base-Level Income

in the United Kingdom The Economic Journal Vol 87 No 346 1977 pp 219~241Sen A K Isolation assurance and the social rate of discou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1 pp112~124 1967Stiglitz J E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s and the shadow prices in LDCs in Richard H

Sabot(ed) Essays in migration and the labor market in LDCs Westview Press 1982____________ Rate of discount for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theory of the second best in R

C Lind et al(ed) Discounting for time and risk in energy policy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982

Stiglitz J E and P Dasgupta Differential taxation public goods and economic efficiency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38 pp154~178 1971

Squire L and Herman G van der Tak Economic analysis of project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975

Treasury Taskforce 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 1999(revised)__________________ 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 1999Tresch R W Public finance A normative theory Business Publications Plano Texas 1981UNIDO 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 1972Usher D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Com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9

1969 pp924~929

4 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Warr P G Savings propensities and the shadow wage Economica Vol 40 pp410~415 1973WASHINGTONDC Report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to Study Capital Budgeting February

1999Weitzman Martin L Why the Far Distant Future Should Be Discounted at Its Lowest Possible

Rat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36 1998 pp 201~208____________________ Gamma Discounting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1 No 1 2001

pp 260~271

  • 제Ⅰ장 연구개요
    • 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 제 1 부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 제1절 사업의 개요
          • 제2절 기초자료 분석
          •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 제Ⅲ장 경제성 분석
              • 제1절 수요 추정
              • 제2절 편익 추정
              • 제3절 비용 추정
              •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 제Ⅳ장 정책적 분석
                  •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 제2절 AHP 분석 과정
                      •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 제 2 부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 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 제1절 문제의 제기
                                  •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 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 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 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평가방안 연구
                                                •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 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 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 제1절 개요
                                                          •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 제1절 개 요
                                                              • 제2절 GRP의 추이
                                                              •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 참고문헌
Page 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제 출 문

기획 산처 장 귀하

본 보고서를 귀 기획 산처가 의뢰한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 )ꡕ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4 12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김 중 수

lt 연 구 진 gt

「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 )」

KDI 연구진 심상달 선임연구 원(연구총 )박 연구 원

박재신 빙연구 원

장 육 주임연구원

강 구 연구원

이승연 연구원

마희 연구원

외부 연구진 최도성 서울 학교 교수

홍기석 이화여자 학교 교수

1999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 )ꡕ에 참여한 연구진

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형 연구 원(연구총 ) 홍기석 연구 원 안홍기 주

임연구원 박은경 연구원과 서울 학교 행정 학원 김동건 교수 인천 학교

무역학과 옥동석 교수 고 2000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개정 )ꡕ에 참여한 연구진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형 연구 원(연구총

) 홍기석 연구 원 이승태 주임연구원이었으며 2001년도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에 참여한 연구진은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재

형 연구 원(연구총 ) 이승태 주임연구원과 이화여자 학교 경제학부 홍기석

교수 음

목 차

제Ⅰ장 연구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 일반지침의 역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 일반지침 개정의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1 일반지침의 구성 및 연구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제1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제1절 사업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

3 사업의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

4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

제2절 기초자료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

2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

제Ⅲ장 경제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제1절 수요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

2 수자원(댐)개발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제2절 편익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2 수자원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

제3절 비용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1 교통부문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

2 수자원(댐)개발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3 기타 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1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4

2 사회적 할인율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7

4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9

5 분석기준일 분석기간 등 기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2

6 잔존가치의 처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3

7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4

2 기본전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3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8

4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9

5 재무적 할인율 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4

6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8

제Ⅳ장 정책적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1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1 지역균형발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3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2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4

4 사업특수 평가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5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7

2 AHP기법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9

3 평가자 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1

제2절 AHP 분석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

1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3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4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0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3

6 환류과정(Feedback)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4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5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

1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수록을 위한 요약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8

2 KDI 예비타당성조사 관리팀에 제출할 전산 자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4

제2부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39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1 기본원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2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0

3 제약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1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1 유형별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4

2 일반적 고려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5

3 사업별 편익의 형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6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1 가치와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2 잠재가격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7

3 잠재가격의 도출 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8

4 잠재가격의 도출 불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8

5 잠재가격의 도출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49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1

1 공평성에 대한 고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1

2 사회적 가중치의 도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2

3 분석의 한계와 정책적 고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3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제1절 문제의 제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5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6

1 전통적 비용-편익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6

2 교역가격 접근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58

3 차선의 잠재가격 접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1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2

1 잠재가격과 평가가격의 개념구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3

2 교역가격 접근법의 타당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5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68

2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0

3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1

4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6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6

1 사업부문별 차별화 방안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6

2 사업부문별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7

3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의 차등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9

4 비용-편익 분석 기법 및 편익추정 방법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4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8

1 경제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9

2 재무성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0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2

1 분석기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2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 원칙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5

3 추가적 쟁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7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1 재무적 할인율의 개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2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9

3 자본비용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3

4 재무구조와 가중평균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5 기타 할인 방식에 대한 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8

6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계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0

7 재무성 분석의 예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1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8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9

1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및 지정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9

2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3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1 민간투자사업 추진상의 문제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2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7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8

1 영국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8

2 일본의 사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3

3 소결 예비타당성조사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1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4

1 현 일반지침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4

2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5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9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9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0

1 위험 분석에 관한 일반사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0

2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1

3 시나리오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2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1 전환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2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의 한계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4

3 몬테 칼로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5

4 몬테 칼로 분석과 현재가치의 기대값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6

5 민감도 분석 및 몬테 칼로 분석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7

6 의사결정 나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8

7 기타 위험분석 방법론(공공투자사업에 있어서 실물옵션 분석방법의 적용) middot 320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2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4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5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1 지역기술계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7

2 지역교역계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8

3 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0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1

1 모형의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1

2 건설부문의 세분류(12개 부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2

3 지역 및 국가경제의 파급효과 추정 가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2

4 이용자료의 양적 및 질적 수준 제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3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4

1 지역별 생산유발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4

2 산업별 생산유발효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7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0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1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3제1절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3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7

1 AHP 분석의 조기 수행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7

2 AHP 평가자의 확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48

3 교통부문(도로 철도) 사업에 있어서 표준 가중치의 적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0

4 환류과정(feedback)의 강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2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1 계층구조의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2 복수 대안의 평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1

3 평점 기준 설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4

4 평점을 위한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6

5 AHP 민감도 분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3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7제1절 개 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7

제2절 GRP의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8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4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5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6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9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6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6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7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8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1 사용자료와 변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2

2 추정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3

3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4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7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39

표 목 차

lt표 Ⅰ- 1gt 부문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실적(사업수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

lt표 Ⅲ- 1gt 도로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

lt표 Ⅲ- 2gt 철도관련 투자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

lt표 Ⅲ- 3gt 예비타당성조사의 도로철도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

lt표 Ⅲ- 4gt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lt표 Ⅲ- 5gt 작업단계별 내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

lt표 Ⅲ- 6gt 국립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제공내역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lt표 Ⅲ- 7gt 총 사업비 내역(도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

lt표 Ⅲ- 8gt 총사업비 내역(지역간 철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

lt표 Ⅲ- 9gt 경제성 분석기법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6

lt표 Ⅲ-10gt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5

lt표 Ⅲ-11gt 명목 재무적 할인율 계산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6

lt표 Ⅲ-12gt 실질 재무적 할인율 산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7

lt표 Ⅳ- 1gt 정책적 분석 항목의 범주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2

lt표 Ⅳ- 2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4

lt표 Ⅳ- 3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간 가중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5

lt표 Ⅳ- 4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6

lt표 Ⅳ- 5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7

lt표 Ⅳ- 6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88

lt표 Ⅳ- 7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94

lt표 Ⅳ- 8gt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범주화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06

lt표 Ⅴ- 1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7

lt표 Ⅴ- 2gt 쌍대비교시 중요도의 척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8

lt표 Ⅴ- 3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1

lt표 Ⅴ- 4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27

lt표 Ⅷ- 1gt 시장이자율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2

lt표 Ⅷ- 2gt 경제성장률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3

lt표 Ⅷ- 3gt 실제GDP성장률과 잠재GDP성장률(1981~200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4

lt표 Ⅷ- 4gt 장기할인율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77

lt표 Ⅷ- 5gt 5년 만기 국고채 실질 금리 추이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2

lt표 Ⅷ- 6gt 세후 수익률 추이(1990~1998)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4

lt표 Ⅷ- 7gt 최근 3년간 예금잔고 및 수신금리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5

lt표 Ⅷ- 8gt 향후 인구 전망 및 인구증가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7

lt표 Ⅷ- 9gt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9

lt표 Ⅷ-10gt 소비의 한계대체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89

lt표 Ⅷ-11gt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0

lt표 Ⅷ-12gt 비용의 연차별 배분 가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lt표 Ⅷ-13gt 편익의 발생기간 및 증가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7

lt표 Ⅷ-14gt 연도별 고속도로 표준 유지관리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8

lt표 Ⅷ-15gt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9

lt표 Ⅷ-16gt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0

lt표 Ⅷ-17gt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lt표 Ⅷ-18gt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lt표 Ⅷ-19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3

lt표 Ⅷ-20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

lt표 Ⅷ-21gt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8

lt표 Ⅷ-22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13

lt표 Ⅷ-23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0

lt표 Ⅷ-24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 적용되는 편익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1

lt표 Ⅷ-25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22

lt표 Ⅸ- 1gt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1

lt표 Ⅸ- 2gt 투자안의 타당성 평가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5

lt표 Ⅸ- 3gt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2

lt표 Ⅸ- 4gt 재무성 분석 요약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1

lt표 Ⅸ- 5gt 수익성 분석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2

lt표 Ⅸ- 6gt 추정 손익계산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3

lt표 Ⅸ- 7gt 추정 대차대조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4

lt표 Ⅸ- 8gt 추정 현금흐름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6

lt표 Ⅹ- 1gt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0

lt표 Ⅹ- 2gt 민간투자사업 지정 절차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1

lt표 Ⅹ- 3gt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2

lt표 Ⅹ- 4gt 사회간접자본시설 민자유치사업 실적(1968~199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3

lt표 Ⅹ- 5gt 최근의 사회간접자본시설 민간투자 실적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4

lt표 Ⅹ- 6gt 시설부문별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현황(1995~2004)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5

lt표 Ⅹ- 7gt 민간투자사업 사업부문별 총사업비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6

lt표 Ⅹ- 8gt PFI 사업 추진 프로세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2

lt표 Ⅹ- 9gt 정성적 평가 요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5

lt표 Ⅹ-10gt VFM 산정을 위한 입력 항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0

lt표 Ⅹ-11gt 위험 분석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2

lt표 Ⅹ-12gt PFI 사업의 추진 단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6

lt표 Ⅹ-13gt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8

lt표 Ⅹ-14gt 도로부문 민간투자사업 차종별 통행료 적용 단가(2004년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7

lt표 Ⅹ-15gt 철도부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상의 요금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8

lt표 Ⅹ-16gt 교통부문 민간투자사업 정부 및 지자체 건설보조금 투입 현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0

lt표 Ⅹ-17gt 도로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1

lt표 Ⅹ-18gt 일반철도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2

lt표 Ⅹ-19gt 위험 분담의 예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4

lt표 Ⅹ-20gt 정성적 VFM 평가항목 예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06

lt표 Ⅹ-21gt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가상대안간 비교평가 방안(도로사업 예시) 307

lt표 Ⅺ- 1gt 민감도 분석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3

lt표 Ⅺ- 2gt 전환값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4

lt표 Ⅻ- 1gt KDI MRIO 구조의 예시(2지역 3산업 경쟁이입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26

lt표 Ⅻ- 2gt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5

lt표 Ⅻ- 3gt 생산 유발효과 지역 내 비중 도로건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6

lt표 Ⅻ- 4gt 산업별 생산 유발효과 비중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8

lt표 Ⅻ- 5gt 산업별 지역 내 생산파급효과 비중 도로건설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39

lt표 ⅩⅢ - 1gt 평가항목 가중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1

lt표 ⅩⅢ - 2gt 사업부문별 AHP 평점의 표준편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6

lt표 ⅩⅢ - 3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8

lt표 ⅩⅢ - 4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1

lt표 ⅩⅢ - 5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5

lt표 ⅩⅢ - 6gt 수정된 9점 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6

lt표 ⅩⅢ - 7gt BC 비율 표준점수 전환식의 분산분석표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7

lt표 ⅩⅢ - 8gt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된 표준점수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9

lt표 ⅩⅢ - 9gt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0

lt표 ⅩⅢ -10gt 개정된 전환식에 의한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3

lt표 ⅩⅢ -11gt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가중치의 표준편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6

lt표 ⅩⅣ - 1gt 지역별 GRP 성장률의 추이(95년 기준년도 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9

lt표 ⅩⅣ - 2gt 지역별 1인당 GRP 수준(95년 기준년도 가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1

lt표 ⅩⅣ - 3gt 지역별 산업구조 2002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3

lt표 ⅩⅣ - 4gt 산업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8

lt표 ⅩⅣ - 5gt 시middot도별 1인당 GRP의 결정식 1993-2001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89

lt표 ⅩⅣ - 6gt 시middot군middot구별 2001년 GRP 추정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1

lt표 ⅩⅣ - 7gt 1인당 GRP 성장률의 회귀방정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8

lt표 ⅩⅣ - 8gt 지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전망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01

lt표 ⅩⅣ - 9gt GDP 성장률 전망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1

lt표 ⅩⅣ -10gt 지역별 인구이동의 회귀방정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4

lt표 ⅩⅣ -11gt 지역별 인구규모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17

lt표 ⅩⅣ -12gt 지역별 GRP 증가율 전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27

그림 목차

[그림 Ⅰ- 1]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체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

[그림 Ⅲ- 1] 교통수요 추정 및 편익산출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5

[그림 Ⅲ- 2] 도로부문 사업비 산출 흐름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

[그림 Ⅴ-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16

[그림 Ⅷ- 1] 쌍곡선함수형태와 지수함수형태의 할인인자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5

[그림 Ⅷ- 2]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99

[그림 Ⅷ- 3]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0

[그림 Ⅷ- 4]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

[그림 Ⅷ- 5]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2

[그림 Ⅷ- 6]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

[그림 Ⅷ- 7]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5

[그림 Ⅸ- 1] 현금흐름 추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36

[그림 Ⅸ- 2] 자본비용과 부채비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1

[그림 Ⅸ- 3]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2 고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47

[그림 Ⅸ- 4]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05)times(BS)) middotmiddot 248

[그림 Ⅹ- 1] 영국 공공사업분야 총투자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9

[그림 Ⅹ- 2] 부처별 PFI 사업의 총사업비 규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69

[그림 Ⅹ- 3] VFM 산정의 3단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3

[그림 Ⅹ- 4] VFM 산출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7

[그림 Ⅹ- 5] 최적 위험 이전과 VFM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7

[그림 Ⅹ- 6] 조달 방식에 따른 정부보유위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1

[그림 Ⅹ- 7] 일본 PFI 사업의 분야별 분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4

[그림 Ⅹ- 8] VFM 산정 과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87

[그림 Ⅹ- 9] 일본 VFM 산정의 예시 (위험 조정 전)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0

[그림 Ⅺ- 1] 삼각분포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5

[그림 Ⅺ- 2] 의사결정 나무의 예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19

[그림 ⅩⅢ -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59

[그림 ⅩⅢ - 2] 최적대안 선택을 위한 AHP 구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63

[그림 ⅩⅢ - 3] 지역낙후도지수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 표준점수의 비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2

[그림 ⅩⅢ - 4]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1)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5

[그림 ⅩⅢ - 5]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2)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76

[그림 ⅩⅣ - 1] 지역간 convergence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399

제Ⅰ장

연구개요

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1 일반지침의 역할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ꡕ보고서(이하 ꡔ일반지침ꡕ)는 그 동안

모든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지침서 연구보고서의 역할을 담

당해왔다 일반지침은 비타당성조사의 수행방법 조사기 뿐만 아니라 지침을

뒷받침하는 방법론 연구 주요 라미터 추정 등의 내용을 수록하여 공공투자사업

평가와 련된 이론 실무 연구결과를 포 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 일반지침

보고서는 한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의 사업부문별 조사 표 지침 연구의 기본지

침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2 일반지침 개정의 배경 및 목적

일반지침은 1999년에 처음 발간되었고 2000년(제2 )과 2001년(제3 ) 두 차례에

걸쳐 개정된 바 있다 일반지침서가 지속 으로 개정된 것은 비타당성조사 사업의

에 따라 조사결과를 역으로 반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론 방법론 쟁

에 해 연구내용을 보완해야 하며 각종 통계자료 라미터 값을 갱신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지 까지 수행된 비타당성조사 사업 실 은 lt표 Ⅰ-1gt에 제시되어 있는데

2003년까지 사업수 기 으로 총 152건의 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되었으며 2004년에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2003년 하반기 사업 19건과 2004년 상반기 사업 21건 경제자유구역 비타당성

조사 9건 정보화사업 비타당성조사 3건에 해 조사를 완료하여 2004년 12월

재 총 204건을 수행한 바 있다

lt표 Ⅰ-1gt 부문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실적(사업수 기준)

연 도 도 로 철 도 항 만 공 항 수자원( ) 기 타 합 계

1999 11 2 1 0 1 4 19

2000 11(6) 7(1) 5(2) 1 1 5 30(9)

2001 20(6) 14(3) 1(1) 1(1) 0 5 41(11)

2002 9(4) 9(3) 0 0 5(1) 7(2) 30(10)

2003 19(10) 11(7) 4(3) 0 5(3) 12 51(23)

2004 14(3) 6(5) 0 0 3 10(1) 33(9)

합 계 84(29) 49(19) 11(6) 2(1) 15(4) 43(3) 204(62)

주 1) ( )안의 숫자는 기획 산처 직 발주 는 KDI가 Outsourcing하여 수행한 비타당성조사 건수임 2) 2003년 수행된 ꡔ춘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타당성재검증ꡕ ꡔ하남경 철 민자사업 타당성재검

증ꡕ은 타당성재검증으로 분류

비타당성조사 수행실 을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최근에는 교통부문 사업 이

외에 문화체육시설 병원 산업단지 등 사업 특수성이 상 으로 큰 비교통부문 사

업이 차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화되고 있는 공공투자사업 부

문을 포 하고 각 부문별 지침의 일 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보다 종합 인 지침서

의 필요성이 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지침은 도로 철도 등 교통부문 사업을 심으로 기술되어 있

고 각 부문별 표 지침서도 교통부문 수자원부문을 심으로 개정되고 있어 특수

한 평가 방법의 용이 요구되는 사업들에 해 충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못한

다는 문제 이 제기되어 왔다 한 조사방법론이 비교 정형화된 교통사업에 해

서도 조사과정에서 각종 지표와 라미터를 갱신 보정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의 지침서에 한 수정보완의 필요성은 주로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제기되어

왔다첫째 기존 지침서의 내용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과 련하여 수정 보

완되어야 할 여러 가지 문제 들이 지속 으로 지 되어 왔는데 이에 해 보완 작

업은 본 개정연구의 가장 요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즉 정 사회 할인율의 조

제Ⅰ장 연구개요 3

정 등 비용-편익 분석의 기본 방법론은 물론이고 수요추정 편익산정 비용산출

등 경제성 분석 방법과 재무성 분석 지침 마련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

연구 등 변화된 상황과 각 부문별 표 지침의 내용 등을 고려하고 보다 신뢰할만한

최신의 자료에 기 하여 해당 부분을 수정보완하도록 한다 둘째 주로 교통부문 사업과 련하여 수요 편익 추정 비용 산정 과정에서 활

용된 일부 지표들의 갱신과 라미터 값들의 정 도에 한 재 검의 필요성도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이에 한 내용은 도로 철도부문 표 지침 개정연구에서 보다 구

체 으로 다루어질 것이다1) 셋째 경제성 분석과 함께 비타당성조사의 기본 분석틀인 정책 분석과 양자

의 종합평가 방법인 AHP 분석에 해서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정책 분석과

련해서는 지역낙후도 자료 갱신 평가방법의 보완에 하여 보충 인 연구를 수행

할 것이다 한 정책 분석 AHP 분석 방법에 해서는 특수평가항목의 추가와

평가항목 체계의 재구성 등 기본 인 분석틀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해 고려하

도록 한다넷째 공식 인 일반지침서(formal manual)의 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어

왔다 즉 지 까지 발간되었던 일반지침 연구 개정 보고서는 제1부에 지침화된

내용을 정리하여 수록하긴 했으나 일반지침 수립을 한 연구 보고서 형태로 발간

된 것이지 본격 인 일반지침서로 발간된 것이 아니라는 지 이 있었다 그간 일반

지침 연구보고서 형태로 발간되었던 이유는 공식 인 일반지침서로 발간되기 해

서는 당분간 보다 축 된 연구 자료 생산이 필요하다는 단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1999년~2004년까지의 비타당성조사 경험이 축 되었고 일부 방법론에

한 개정이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본 일반지침 개정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식 인

일반지침서를 발간할 정이다 다만 향후 본 개정 지침을 실제 조사에 용하여 문

제 과 개선 등을 충분히 보완한 후 발간하고자 한다이러한 일반지침서 개정의 필요성과 배경에 따라 이번 개정연구는 모든 부문에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할 부문에 한 각종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고 보다 세부 인

용원칙과 기 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연구목 으로 삼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개정

될 도로철도 부문의 표 지침을 포함할 뿐 아니라 비교통부문 사업에 한 지침

과 련하여 재 각 부문별 연구과제로 수행 인 ꡔ문화과학 시설의 가치추정 연

구ꡕ ꡔ보건복지 사업 비타당성조사 방법 연구ꡕ ꡔ정보화부문사업 비타당성조

사 표 지침 연구ꡕ 등의 내용을 수렴하여 일반지침의 포 범 를 넓히고자 한다

1) 이 에는 일반지침에서도 해당 내용을 반 하여 지침간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하 으나 본 개정 부

터는 부문별 구체 인 편익비용 산정방법은 생략하여 각 부문별 지침을 참조하도록 하고 일반지침

에서는 총 기능을 유지하도록 구성하 다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1 일반지침의 구성 및 연구방향

기존 일반지침(제3 )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 ldquo제1부 비타당성조사

의 일반지침rdquo은 실제 비타당성조사 수행시 따라야할 기본 인 조사내용 방법론

을 제시하여 공식지침서(formal manual)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이다 ldquo제2부 일

반지침 수립을 한 방법론 연구rdquo는 제1부 지침내용의 배경이 되는 이론 검토와

방법론 연구를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ldquo제3부 일반지침 수립을 한 주요 라미터

추정rdquo은 역시 제1부 지침내용에 포함되어 조사에 용될 각종 라미터 추정치와 데

이터 작업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기존 일반지침 연구보고서의 기본 구조는 비

타당성조사 수행과 직 련되는 내용을 조사보고서 흐름에 맞춰 ldquo제1부 비타당

성조사의 일반지침rdquo 부분에 수록하고 방법론 라미터 추정과 련하여 보다 심

도 있는 이론 연구와 쟁 정리가 필요한 사항을 제2부와 제3부에서 구체 으로

다루는 것이었다 본 개정 (제4 )에서는 기존 일반지침 연구보고서의 내용에 해 신규로 수정

보완연구를 수행한 내용을 일반지침(제3 )의 내용 변경되지 않는 내용과 결합

해 연구보고서 형태로 발간하려 한다 보고서의 구성은 제1부에는 기존 3 과 마찬

가지로 조사에 용될 지침 내용을 수록하고 방법론 연구 라미터 추정 내용을

묶어 제2부로 묶어내려 한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정 사회 정 할인율 조정 재무성 분석 지침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연구 기타 정책 분석 보

완 세부행정단 별 인구 GRP 추정 등 이번 개정연구의 핵심 내용뿐만 아니라 조

사방법론과 련된 다양한 쟁 사항을 포 하되 지침화가 어렵거나 실제 조사에

용하기 곤란한 내용에 해서 충분한 사유와 논거를 제시할 것이다 한 앞서 밝혔

듯이 작성된 연구보고서를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충분히 용한 후 실제 조사에 직

용될 조사방법 각종 자료를 심으로 공식지침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본 개정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보고서 내용을 재검토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정하

되 일반지침의 핵심내용인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 정책 분석 종합평가 부분

을 으로 수정보완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지침개정의 방향 하에서 본 연

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 주로 을 맞추고자 한다

제Ⅰ장 연구개요 5

가 경제성 분석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사회 할인율 조정과 련해서는 최근 리 성장 추세의 지속에 따라 공

공투자사업에 한 사회 할인율 수 을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

어 왔다 이에 따라 할인율 조정의 필요성과 문제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정

사회 할인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경제성 분석에 용되는 주요 지표인 사회

할인율과 련하여 이자율 하락세 지속 등 자본시장의 상황변화와 선진국의 최근 할

인율 용 추세를 검토하여 재 용하고 있는 실질 사회 할인율(75)의 조정 필

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한 사회 할인율 추정방식에 해 반 으로 논의하면

서 자본의 잠재가격 시간선호율 투자수익률 등 사회 할인율 추정과 련된 개념

상호 계에 해 정리하고 사회 할인율 추정에 한 국내외 연구 용사례

를 검토할 것이다한 사업부문별 평가방법의 차등화 방안과 련하여 도로 철도 항만 수자원

문화체육시설 등 사업부문별로 사회 할인율을 달리 용하는 방안의 실성 장

단 을 검토하고자 한다2)

2) 사업부문별 최소 BC 차등 적용

여기서는 앞서 언 한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 방안을 포함해 사업부문별

가 평가의 필요성 주요 용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사업부문별 최소 BC 차등 용 방안과 련해서 사업부문별 최소 BC 용의 이론 근거로서 공 자본

의 한계비용개념에 해 정리하고 이론 수 에서 우리나라 공공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검토될 만한 최소 BC의 범 에 해 검토할 것이다한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은 에서 논의한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별화와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므로 양자의 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업부문별 차등

분석 방안의 상호 계와 실제 비타당성조사 지침 용상의 다양한 쟁 과 문제

을 검토하여 단계에서의 용여부를 단하고자 한다

2) 재 수자원( )부문사업은 경제 수명(50년)이 타 SOC 사업에 비해 길어 편익이 장기간에 걸쳐 발

생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사회 할인율을 6로 용하여 왔다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타 지침내용의 반영 및 통합

일반지침서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 문화체육사업 등 부문별 표 지침

서의 통합지침서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개정연구에서는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서

의 수정보완 내용을 수록하여 종합 인 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다만 본 일반지침

에서는 분석에 한 개요만을 담고 구체 인 분석방법 사용될 라미터 등은 해

당 부문별 지침 연구보고서를 참조하도록 구성할 것이다먼 재 수행 인 ꡔ도로철도부문사업 표 지침 연구(제4 )ꡕ(이하 도로철

도부문 표 지침) 내용을 반 하 다 한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외에도 각 사

업 주무부처에서 발간한 ꡔ도로 철도 투자평가편람ꡕ과의 연계 일 성을 제고할

것이다 비타당성조사의 정착 이후 건설교통부 등 본 타당성조사를 주 하는 정부

부처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일반지침 부문별 표 지침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투

자사업평가편람을 개발하여 용하고 있다 비타당성조사와 본 타당성조사는 수행

단계와 포 범 연구방법의 구체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본 인 평가 방

법은 유사하다 한 공공투자사업에 한 평가업무에 있어 일 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평가 방법론상의 일 성 제고와 문성 강화의 차원에서 이러한 지침서

의 내용을 검토하여 도로 철도부문 지침 개정연구에 필요한 내용을 반 하고 주

요 내용은 본 일반지침 개정연구에도 반 할 것이다한편 도로 철도부문사업 이외에 비 이 높아져가고 있는 비교통부문사업

에 한 보다 일 된 지침 용을 해 재 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 ꡔ보건복지사업 비타당성조사 방법 연구ꡕ ꡔ정보화부문사업 비타당성조사 표 지

침 연구ꡕ 등이 수행 이다 본 연구에는 이들 부문에 한 기 인 조사방법과 이

론 검토사항에 하여 간략하나마 반 하고자 한다

나 재무성 분석 지침 보완

본 개정연구에서는 재무성 분석 지침 보완에 해 심도 있게 다루려 한다 최근

민간투자사업을 활성화하기 해 기획 산처에서는 민간투자 상사업의 범 를 사

회기반시설로 확 하고 규모 민간제안사업에 해서는 민간투자 격성조사를 실

시하는 등 민간투자제도 반에 한 개선을 추진 에 있다 이처럼 향후 공공투자

사업 추진에 있어 민간투자사업 방식의 요성이 날로 커질 것으로 상되기 때문에

공공투자사업 추진의 첫 단계인 비타당성조사에서도 민자사업 추진 가능성에 해

보다 의미 있는 단 자료를 제공하기 해 재무성 분석 지침을 보완할 필요성이 높

아지고 있다

제Ⅰ장 연구개요 7

기존의 일반지침에서는 구체 인 재무성 분석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 던 바 본

개정연구에서는 정 재무 할인율 수익성 분석 방법 재무제표 양식 등 세부 분

석지침 등을 제시할 것이다 우선 재무 할인율과 련하여 재까지는 비타당성

조사연구진이 시장 이자율 등을 참고하여 자체 으로 추정하여 용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사용 가능한 정 재무 할인율을 도출하여 향후 공통 용

함으로써 조사의 일 성을 제고하려 한다 정 재무 할인율은 기존의 할인율 추

정 방법론에 한 재검토를 거쳐 재 변화된 융시장 여건과 시장의 리스크 리

미엄 수 을 반 하여 도출할 것이다 한 재무성 분석의 기본 유형(proto type) 마련을 해 사업부문별로 재무제표의 구체 항목을 설정하고 실제 작성 방법을 제시

할 것이다 한 불확실성 험요소를 고려하는 방안으로 기존의 민감도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옵션가격결정 모형 등의 용 가능성에 해 검토해보도록 한다

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공공투자사업을 민간자본으로 추진할 경우에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민간사업자의 참여와 경쟁을 극 화하고 정부는 최소 재정지원만 제공하며 민간사업자와 정부가

험을 정하게 분담하는 방식이 효율 인 추진체계라는 것이 보편 인 인식이다 본 개정 에서는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을 개략

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연구하 다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사업 내용의 구체성

이 떨어지고 민간투자사업 평가를 한 각종 자료가 미비하겠으나 개략 이나마 민

간투자 합성 평가를 시행할 경우 사업의 기단계에서부터 추진 가능성과 타당성

이 낮은 사업을 여과함과 동시에 추진 타당성이 월등히 높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을

선별하여 민간투자사업 선정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 할 수 있을 것

이다이를 해 본 개정연구에서는 민간사업자 입장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타당성

을 보다 엄 히 단하기 한 세부 인 재무성 분석 지침을 마련하고 정부의 입장

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을 평가하기 한 방식인 VFM(Value for Money) 분석 방법을 연구하 다 이를 해 공공부문에 한 민간자본의 참여가 활성화된

국 일본 등에서 수행하여 온 VFM 분석 방안을 검토하 다 이와 더불어 민간투자

사업 추진과 련된 최근 국내외 제도 황 추진사례 등도 검토해 보도록 한다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라 정책적 분석 및 종합평가

비타당성조사 정책 분석 종합평가 지침의 보완은 주로 지역낙후도 지표의

갱신과 AHP 분석 체계의 보완을 심으로 수행할 것이다먼 지역낙후도 지표 갱신작업과 련해서는 재 낙후도 지표의 각 항목을 최

신년도인 2002 2003년 기 으로 갱신하고 새로운 항목의 추가 교체 방안을 검토

할 것이다 다음으로 AHP 분석방법의 보완에 해서는 일부 평가 항목을 추가하고

AHP 평가항목 체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며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

석의 가 치에 한 평가결과의 민감도 기본평가와 특수평가의 가 치에 한 평가

결과의 민감도를 AHP 결과와 함께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한 평가자간

의사결정이 상이할 경우 이에 한 한 제시방법과 평가자 상의 확 방안 등

에 해서도 검토하려 한다

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전망

기존 일반지침(제3 ) 3부에 수록되어 있는 자치단체별 인구 GRP 추정 결과는

교통부문 사업 평가시 수요추정을 한 기 자료인 OD 자료에 원 자료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재 동 자료는 과거의 데이터일 뿐만 아니라 세부행정단 별로 구축되어

있지 못해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따라서 본 개정연구에서는 세부 행정단 별로 인구 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

하여 향후 OD 보정 작업 등에 활용하고 실제 비타당성조사시 상지역의 인구

망 계획 등의 자료를 검증하는 데에도 이용할 계획이다

제 1 부

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일반지침(제3 )과 마찬가지로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기본 방법론은 체로

다음과 같이 정립하기로 한다 첫째 사업의 개요 기 자료를 분석하여 사업의

쟁 을 부각시키고 둘째 수요편익비용 추정을 통해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

석을 실시하며 셋째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 특수성을 반 한 특수항목 평가 등을 통한 정책 분석으로 본 사업의 국

민경제 치를 악하고 넷째 다기 분석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 정책 분

석 결과의 종합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그림 Ⅰ-1] 예비타당성조사의 수행체계

기본구상 사업계획서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사업의 배경 목 기 효과

지역 황(인문 지리 경제 등)유사시설 사례 분석

공학 자료조사 분석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수요의 추정

편익의 추정

비용의 추정

비용-편익 분석

민감도 분석

재무성 분석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사업 특수항목 평가 등

종합평가 다기 분석

사업의 추진여부 결정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을 설정하려면 첫째부터 넷째 단계까지의

차에 따라 어떤 기 자료를 활용할 것이며 어떤 모형 혹은 라미터를 어떻게 사용

할 것인지 등에 하여 상세히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제1부에서는 이들을 차례로 다

루기로 한다 한가지 유의할 은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일반지침을 제시하는데 이 있기

때문에 lsquo이론 rsquo으로 제기될 수 있는 모든 안들에 하여 정리비교하고 최종

으로 최선의 안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lsquo 실 rsquo으로 비

타당성조사를 실시하는 조사자 혹은 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직면할 수 있는 쟁 들에

해 일반 분석방법 지침을 제시한 다음 방법선택의 논거만 간략히 밝히는 방식을

취한다는 것이다 쟁 별로 보다 심층 인 방법론 연구는 제2부의 내용을 참조하도

록 해야 할 것이다이하에서 제1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Ⅱ장은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

석방법을 제Ⅲ장은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Ⅳ장은 정책 분석 방법을 제Ⅴ장은 종

합평가를 한 다기 분석 방법을 설명한다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제1절 사업의 개요

비타당성조사는 사업 주무부처가 산당국에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의뢰하면

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서를 기본 인 평가자료로 이용한다 비타당성조사를 의뢰할

당시 사업 주무부처에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서의 상세도는 사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

인다 국도 사업과 같이 정형화된 사업의 경우 기종 노선연장 차로수 등 사업 내

용에 한 기본 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는 사업이 있는가 하면 사업 주무부처에

서 자체 으로 타당성조사 수 의 상세한 사업구상을 완료한 사업도 있다사업계획이 구체화된 상사업에 해서는 연구 은 비 조사단계에서 비용과

시간을 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의뢰단계에서 주무부처로 하

여 가능하면 구체화된 사업구상을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의 시 한 수행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업구상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

에서도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으로 선정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사업 주무부처에서 제출하는 사업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타당성

조사가 의뢰된 사업에 해서는 연구 은 가능한 조사 기단계에서 사업 주무부처

로 하여 최 한 구체화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여 비타당성조사의 개요를

악하여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의 개요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비타당성조사 상에 오르는 사업들은 마다 다른 사업 배경 목 을 가지

고 있다 를 들어 도로나 철도 건설사업의 경우는 국가기간교통망 기본계획에 따

라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지역균형개발 동서화합 혹은 남북교류 활

성화 등의 차원에서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어떤 사업은 지역의 교통문제

해결을 한 민원사업으로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며 어떤 사업은 해당지역이 갖

는 자연 산업 문화 배경 등에 따라서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사업의 목 이란 사업의 필요성과 유사한 측면이 없지 않으나 동 사업을 수행함

으로써 궁극 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정 사업을 추진하

기 해서는 사업의 목 이 명시 으로 계획서에 구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 고속도

로나 국도지방도 건설사업의 경우는 동 사업이 완료됨으로 해서 어떠한 교통문제

가 해결되며 그 효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효과가 미치는 공간 범 는 어디까

지인지 등이 개략 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 은 사업 주무부처가 제출한 사업계획서나 련 문헌 장 방문 조사 과

정에서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사업의 배경 목 을 악하고 이를 보고서에 기술

한다

2 사업의 추진경위 및 추진주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이 마다의 배경과 목 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구체

으로 어떤 경로를 거쳐 동 사업이 조사의 상으로 확정되었는지 경 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사업이 어떤 경로로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에 포함되었으며 가 혹은 어느 기 이 산신청 과정에서 주도 역할을 담당했는가를 조사하는 것은

본 사업의 분석에 있어서 쟁 이 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시사해 수 있다를 들어 앙정부가 주도 으로 나서서 추진하는 사업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

으로 나서서 추진하는 사업은 이해 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반드시 그 지

는 않지만 앙정부가 심이 되는 사업은 상 으로 사업효과가 특정 지역에 국

한되기보다 지역간 효과를 가져오는 사업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반면 지방자

치단체가 심이 되어 추진하는 사업은 상 으로 자기지역에 효과가 국한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정치 으로 지역구 국회의원 등이 심이 되어 추진하는 사

업 혹은 지역주민들의 지속 인 민원에 의하여 추진되는 사업도 있다 정치 으로

추진되는 사업은 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가 직 추진하는 사업에 비하여 사업내용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5

이 사 으로 구체화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국회나 지역주민은 사업

을 담당하는 부서가 아니므로 사업 련 주무부처가 추진하는 사업에 비하여 사업내

용을 사 으로 구체화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앙부처가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하더라도 사업의 특성에 따라 앙부처가 매우

극 으로 나서는 사업이 있는 반면 비교 소극 으로 처하는 사업들도 있다 앙정부의 산업자원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문화 부 농림부 환경부 등이

추진하는 사업에 부처간에 의견이 상치되는 사업들도 있다 한편 해당사업의 추진경 에 한 악도 요하지만 동 사업이 실제로 추진될

경우 어떤 주체에 의해서 사업이 수행될 것인지를 악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를

들어 고속도로 사업이라면 한국도로공사가 추진주체가 될 것이고 철도복선화 사업

이라면 철도청이 추진주체가 될 것이다 어떤 경우는 동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

은 엔지니어회사가 구인지 등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동 사업의 추진주체 혹은 추

진주체가 될 가능성이 높은 조직은 곧 동 사업의 추진에 하여 주 견해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비타당성조사 은 사업의 추진경 추진주체가 다른데 따르는 이해

계를 잘 인식함으로써 가장 객 인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항상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3 사업의 내용

사업 소 부처가 작성하여야 할 사업계획서에 포함되는 내용으로 사업의 배경

목 과 사업의 추진경 추진주체 이외에 가장 요한 것이 사업의 내용에 한

것이다 동 사업을 추진하려면 어느 지역에 입지하여 얼마의 규모로 공사를 하여야

하며 얼마만큼의 사업비가 필요한지를 미리 밝히는 것은 해당사업의 경제 타당성

을 개략 으로 가름하는데 결정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과거의 경험 자료에 입

각하여 사업의 공간 입지 공사내역 총사업비 규모를 사업계획서에서 사 으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사업의 공간 입지는 해당사업 추진이 검토되면서 가장 먼 고려되는 요소임에

도 불구하고 구체 치라든가 노선에 한 자세한 사항이 언 되려면 상당한 조사

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공사내역이나 총사업비 규모를 추정하는 작업도 약간

의 사 인 조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비 조사를 실시해 보아야만 구체

치 노선이 선정될 수 있으며 공사내역과 총사업비 추정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제기될 수 있으나 사업의 공간 치라든가 개략 인 노선 혹은 총사업비 추정이

없이 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는 사례는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해 산당

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국에 제출하는 사업계획서에 개략 인 공간입지 공사내역 총사업비를 밝히도록

의무화해야 할 것이다3)

4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 작성지침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사업 소 부처들은 향후 비타당성조사를 원하는 후보

사업들에 하여 사업계획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산당국에 제출하여야 한다 첫째 후보사업의 사업계획서(안)에는 사업의 배경 목 이 구체 으로 명시되

어야 한다 사업 배경 혹은 목 을 lsquo지역개발 진rsquo이나 lsquo지역교통문제 해결rsquo 등과

같이 막연하게 표 해서는 곤란하며 구체 으로 어떤 산업 혹은 어떤 부문을 얼마

만큼 지원하기 한 사업인지 혹은 어떤 지역의 무슨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한 무

슨 사업인지 분명히 밝 야 할 것이다 둘째 사업계획서(안)에서는 사업이 이루어지는 구체 입지 즉 어느 지역 혹은

어느 노선을 통과하는 사업인지 가능한 범 까지 자세히 밝힐 필요가 있다 막연히

시 과 종 의 이름만 명시한다든가 아니면 사업후보 도시의 명칭만 나열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 건축사업의 경우 건물이 입지할 한 부지가 선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셋째 사업의 추진주체도 명시 으로 기록하여야 한다 통상의 례에 따라 사업

주체가 자동 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사업이라고 하더라도 명시 으로 가 추

진주체가 되는 사업인지 밝 야 한다 여기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구체 역할

분담을 밝힐 필요도 있다 넷째 사업의 내용을 구체화하여야 하며 동시에 상 총사업비를 추정 제시하여

야 한다 사업의 구체 내용에 따라 사업비 규모가 달라질 것인 바 어떤 시설물 혹

은 구조물들이 사업 내용에 포함되는지를 제시할 수 있어야만 총사업비가 제 로 추

정될 수 있을 것이다 총사업비의 추정은 일단 유사 사업의 사업비 자료로부터 유추

할 수밖에 없을 것이지만 총사업비를 추정하는 작업은 본 사업에 한 조사 필요성

여부를 가름하는 요한 변수로 활용될 것이다 다섯째 사업의 기 효과도 명시 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사업이 완공되면 생

산 고용 부가가치 등이 얼마나 증가하는지 등의 효과가 명시 으로 제시될 수는 없

겠지만 사업의 완공으로부터 기 되는 기타효과 를 들어 교통사업의 경우 얼마의

통행시간이 약되고 얼마의 통행인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얼마의 혼잡비용이 약

될 수 있다는 등의 기 효과를 개략 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사업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비타당성조사가 착수되면 가능한 조사 기단계에 사

업 주무부처에 사업내용을 구체화한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7

제2절 기초자료 분석

공공투자사업을 추진하거나 타당성을 평가할 때 가장 먼 할 작업은 해당 사업

지역에 한 기 자료를 충분히 분석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조사도 외가 아니어

서 조사 은 사업 지역을 직 방문하고 그 지역의 기 자료를 모으는 작업으로부터

조사를 시작한다 지역의 기 자료란 크게 자연 환경에 한 자료와 사회경제

환경에 한 자료로 나 수 있다 자연 환경 자료는 기상 지질 표고 경사분석 등과 련한 자료를 말하며 비

타당성조사 보다는 본 타당성 조사에서 지질조사 지실사 등을 통하여 더욱 상세

하게 조사가 이루어질 부분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 지역에 한 통계집이

나 상 계획 등 기존 문헌 등을 통하여 기 인 조사를 수행한다 사회경제 환경

자료로는 인구구조 산업별 취업구조 지역총생산 토지이용 황 등을 분석한다 한 교통사업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주요 도로 황을 기술하는 것이 특히 요

하다 산업단지 진입도로나 항만진입도로 는 항만 인입철도의 경우 해당 사업과

련이 있는 산업단지 항만 등 교통 발생시설의 황 등을 집 으로 분석한다기 자료 분석이 단순히 지역 황에 한 정형화된 자료를 나열하기 보다는 비

타당성조사 상사업과의 련 속에서 해당 지역의 황을 기술하는 것이 요하다 를 들어 교통 황 분석에서는 해당지역의 재 교통 체계 속에서 해당 사업이 갖

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악함으로써 본격 인 교통분석이 이루어지기 이라도 해당

사업의 요도를 사 으로 가늠할 수 있을 정도의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1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분석

사업의 성격에 따라서 자연 환경의 향을 덜 받는 사업이 있고 더 받는 사업

이 있을 수 있다 컨 고속도로나 철도 건설사업은 자연 인 조건 즉 노선이 산

간지역을 지나느냐 평야지역을 지나느냐 호수 혹은 강이 있느냐 없느냐 지질이 암

반지질이냐 등에 따라 사업의 내용 비용조건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반면 산업

단지 조성사업 등은 자연 환경 보다는 사회경제 환경에 의해서 더 큰 향을 받

을 것이다 인구 산업구조 지역의 소득수 등에 따라서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성패

가 좌우될 것이기 때문이다

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질오염 토지오염 생 공사소음 등과 같이 인간의 의식주 생활에 직 으로

향을 미칠 수 있는 생활환경 자료를 조사하는 것도 요하다 해당사업이 추진될

경우 발생할 험이 있는 생활환경 오염 등에 해서는 기존의 타당성 조사에서는

다루지 못하고 있으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개략 인 조

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를 들어 환경변화에 향을 많이 미치는 수자원개발

사업 등은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정책결정 단계에서 환경 향에 한 검토가 매

우 요하다 지역주민의 반발이나 환경 괴의 우려로 인하여 개발 자체가 거부

되는 것을 월다목 낙동강 물종합 책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수

자원개발 사업이 환경 향에 한 검토 없이 추진된다면 사업 수행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상되기 때문이다 생활환경으로 토지오염 생 소음공해 등도 무시

하지 못할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해당사업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생활환

경 문제를 검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2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사회경제 환경으로 해당 지역의 인구구조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토지이용

황 교통 황 등이 검토되어야 함은 이미 지 한 바 있다 우선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자료는 사업의 성격이 어떠하든간에 가장 기 인 자료이면서 사업의

효과에 큰 향을 미치는 자료이다 인구가 집된 지역은 그 지 않은 지역에

비하여 수요가 높을 것이고 그만큼 사업의 경제성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지역

의 산업구조는 해당 사업이 동 지역에 입지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한 에 가장 쉽게

나타내 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지역총생산 자료도 경제성 지역균형개발 차원의

평가에서 요한 기 자료가 될 수 있다다만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련 자료는 역자치단체 수 에서는 원자

료를 획득하기 용이하나 기 자치단체 수 에서는 원자료를 얻기 힘든 경우가 있다 특히 미래에 한 망자료는 더욱 그러하다 국지 인 사업의 경우는 최소한 기

자치단체별로 아니면 더욱 세분화된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데이터를 구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인 바 망을 하기 해서는 몇 가지 강한 가정들이 도입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향후 보다 정치한 비타당성조사가 이루어지기 해서는 역자치단체 혹은 기

자치단체 수 에서도 쉽게 이용가능한 인구 산업구조 지역총생산 데이터와

망자료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4)

4) 한국개발연구원은 비타당성조사에서 이러한 부분에까지도 심을 확 할 계획으로 있다 제3 에서

역자치단체의 인구 지역총생산액 수 을 망하 었고 본 제4 에서는 보다 세분화하여 세부행

제Ⅱ장 사업의 개요 기 자료 분석 19

도로철도 등 교통부문 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의 기 조사에서 가장 요

한 부분은 해당 지역의 교통 황을 악하는 것이다 를 들어 사업 상 지역의 도

로 종류별 차로수 연장 교통량 등을 제시한다 특히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과

련성이 높은 교통시설에 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통하여 비타당성조사 상 사

업이 지역에서 갖는 의미를 악한다산업단지 진입도로 항만진입도로 인입철도 등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교통시설 황 못지않게 산업단지 항만의 시설 황 교통 발생량 등 해당 사업

의 요도를 개략 으로 악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나 항만의 시설 황에 한 상

세한 정보를 악하여 기술한다한편 사회경제 환경분석의 하나로 해당사업의 상 련계획들을 검토하

는 것도 요하다 부분의 SOC 사업들 사업추진주체가 해당 사업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는 없으며 몇 단계의 정부계획 혹은 지자체 계획을 거치기 마련이다 상 계획을 검토함으로써 해당 사업이 체계 으로 검토되어 온 것인가를 알 수 있으

며 상 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투자우선순 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사업부문에 따라 상 계획으로서 기본 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계획들이 있으며

해당 사업의 특성에 따라 검토되어야 할 다양한 련계획들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계획체계는 국토계획 개별법에 의한 계획 지자체 계획 등이 매우 복잡

하게 얽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해당 사업에 실질 인 향이 있거나 국가 체

의 계획 방향에 어 나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각 사업의 개요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경제 기 자료를 정 하게 분석하

게 되면 각 사업별로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가장 큰 쟁 으로 분석되어야 하는

이 무엇인지를 악할 수 있다 조사의 쟁 은 보통 사업의 성격 추진배경 뿐

아니라 사업지역의 자연 사회경제 환경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가장 시되어야 할 쟁 은 lsquo다른 안rsquo에 한 검토이

다 제안된 사업계획의 비용 편익을 추정하는 작업 못지않게 다른 안 즉 고속

도로 건설사업의 경우 고속도로 건설 신 다른 국도나 지방도를 확장하는 안이라

든가 철도를 건설하는 등의 안이 더욱 바람직하지는 않은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다른 안을 검토하는 데에는 한가지 제약이 있다 가능한 모

정단 별 인구 지역총생산액 수 을 망하 다

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든 안에 해 개략 이나마 비용 편익을 계산해야 모든 안들이 동일 선상에

서 비교될 수 있는데 이는 지않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안된 사업계획에 해서는 정 한 조사에 의한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되 나머지

검토될 수 있는 안들에 해서는 기존의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비용과 편익을 추

정하는 작업을 병행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한편 다른 안의 검토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반드시 lsquo어떤 사업이 추진되는

것(Do-Something)rsquo만이 안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컨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경

우 고속도로 신 국도를 확장하거나 철도를 건설하는 것만이 안이 아니며 lsquo아무

것도 하지않는 것(Do-Nothing)rsquo도 요한 안으로 포함되어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 해당 사업의 타당성 유무는 항상 사업을 추진하지 않았을 경우(Do-Nothing)와 비

교하여 기회비용을 따져 보아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해당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것

이 더 좋은 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비타당성조사에서 부각될 수 있는 쟁 은 다양하다 어떤 사업은 기

술 타당성 여부가 쟁 이 되며 어떤 사업은 재원마련 가능성 여부가 쟁 이 된다 어떤 사업은 지역갈등 문제 혹은 국방 문제 등이 쟁 이 되고 어떤 사업은 민자유치

가능성 여부가 쟁 이 될 수 있다 결국 쟁 이 무엇이든지간에 해당사업의 조사에서 가장 요한 분석 쟁 이 무엇

인지를 반드시 부각시키고 그 쟁 에 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비타당성조사의 주요 분석범 는 크게 두 가지로 나 수 있다 하나는 사업의

경제성에 한 분석이고 다른 하나는 정책 차원에서의 분석이다 경제성에 한

분석은 일단 그 사업이 어느 정도의 경제 가치가 있는 사업인지를 악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사업에 한 정확한 이해를 돕게 된다 나아가 사업의 경제성에 한 정

보는 정책 차원의 분석에 있어서 가장 기본 이고 필수 인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

서 경제성 분석은 비타당성조사의 가장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에서 검토되고 있는 경제성 분석의 구체 인 내용은 사업 종류에

따라 다르다 컨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경우는 편익이 고속도로 건설로 인한 시간

가치의 감 유류비 감소 등의 운행비용의 감 교통사고의 감소 등으로 추정될 수

있는 반면 역사문화 조성사업의 경우 편익은 입장료에 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등에 의해 결정되는 매출액이 주된 것이 된다

경제성 분석은 사업의 수요 추정으로부터 시작된다 수요를 망하기 해서는 다

양한 통계학 방법이 필요하다 한 과거의 경험이나 국내외 유사 사업의 사례에

한 분석을 통하여 수요 추정치의 합성 여부를 검하여야 한다 추정된 수요에

입각하여 편익을 추정하는 작업도 요하다 개략 인 총사업비를 추정하기 해서

는 건설비 용지보상비 등 시설구축을 한 기 투자비용과 유지 리비 시설개량비

등 시설운 에 따르는 비용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경제성 평가는 편익비용 비율(BC ratio) 순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의

계산을 통하여 사업의 경제성재무성을 악하는 과정이며 필요한 경우 경제성 분

석에 사용된 각종 추정치의 오차를 보완하기 하여 수요 비용단가 할인율 등 주요

변수의 변화가 경제성에 미치는 향에 한 민감도 분석도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수요 추정 편익 추정 비용 추정 경제 타당성 분석 재무 타당

성 분석의 순으로 구체 인 경제성 평가방법에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1절 수요 추정

1 교통부문 사업5)

가 공신력 있는 자료의 사용

비타당성조사의 교통수요 추정을 한 기본자료로 교통개발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에서 구축한 국가교통DB(KT_DB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의 OD

Network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가교통DB센터에서는 국과 5

역권의 재 장래 OD와 Network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교통 분석에 사용되는 주

요 라미터는 채택한 OD Network에 상응하는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 자료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공신력 있는 기 의 자료를 사용한다

나 총통행 OD의 불가변성

교통시설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유발교통량(induced traffic)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고려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6) 따라서 사업 시행 후의 총통행 OD는 원칙

으로 동일하다 향권 내의 특정 죤을 세분할 경우에는 본 지침에서 제시된 방법

에 의해 OD를 수정할 수 있다 장래 OD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교통량에 큰 향을

미치는 개발계획이 락된 경우 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KT_DB의 OD에 변화를

래하는 개발계획의 내용 개발계획으로 인한 OD의 변화량을 보고서에 상세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5) 사실상 교통부문 사업 가운데에서도 도로건설이나 철도 혹은 교량건설 사업에만 제시하는 수요추정

방법론이 그 로 용될 수 있으며 항만 혹은 공항건설 사업에서는 약간 다른 수요추정 방법이 용

되어야 한다 각 부문별 교통사업의 수요추정 방법에 해서는 ꡔ도로철도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

사 표 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ꡕ(한국개발연구원 2004) ꡔ항만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ꡕ(한국개발연구원 2000) 혹은 ꡔ공항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ꡕ(한국개발연

구원 2000)를 각각 참조하기 바란다

6) ꡔ신안군지역 3개 연육연도교 건설사업ꡕ 비타당성조사에서 연육교 사업 시행시 유발교통량이 발생

한다고 가정하고 분석을 수행한 사례가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23

다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법론의 적용

교통수요 추정 방법 통 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오면서 표 인 수요추

정 모형의 상을 갖고 있는 방법은 4단계 추정방법이다 이 방법은 통행발생 통행분

포 수단선택 통행배정의 4단계로 나 어 순차 으로 교통죤(traffic zone)을 심으로

교통수요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각 단계별로 용되는 기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

는데 각 과정별로 용모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통행발생은 각 교통죤에서 발생되는 통행량(production)과 도착되는 통행량

(attraction)을 추정하는 단계로 증감율법 원단 법 는 교차분류법 회귀분석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둘째 통행분포는 앞 단계에서 추정된 발생도착통행량을 교통죤 간에 배분하는

단계로 성장인자모형 력모형 엔트로피극 화모형 간섭기회모형 등이 많이 사용

된다 그 결과 교통죤 간 여객 OD 화물 OD가 생성된다 셋째 수단선택은 앞 단계에서 생성된 교통죤간 OD 자료를 이용자가 선택 가능

한 교통수단별로 세분화하는 단계인데 통행단모형 통행교차모형 개별행태모형 환곡선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 결과 여객의 경우 승용차 OD 버스 OD 철도 OD가 생성되며 화물의 경우 트럭 OD 철도 화물 OD가 생성된다

넷째 마지막 단계인 통행배정은 각 교통수단별 OD 자료를 상지역 내 교통망

에 배정하는 것으로서 량 통행배정방법 용량제약 통행배정방법 확률 통행배정

방법 평형 통행배정방법 등이 많이 사용된다 특히 이들 통행배정 방법은 정 통행

기법인데 비하여 최근에는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와 연 된 실시간 동

통행배정기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모든 도로의 각 구간에 하여

차량 교통량이 추정되고 철도도 모든 구간에 하여 교통량이 추정된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미 구축된 재와 장래의 수단 OD를 제공함으로 모든

사업에 하여 4단계 과정의 분석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국지 인 도로사업 시행시

다른 교통수단으로부터의 환교통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사업의 타당성은 통행배정

과정에서 경로 선택의 변경이 향을 미치는 경우가 부분이다 이 경우 통행비용의

변화로 인해 노선을 변경하는 교통량 산정이 요하므로 수단선택 단계의 분석을 생

략할 수 있으며 Network의 속성 link 항함수 통행배정 방법을 심으로 분석을 수

행한다사업구간이 짧아 죤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거나 통행발생랑 통행분포에 향을

미치는 장래 개발계획을 추가 으로 반 하여야 할 경우에는 4단계 교통수요 추정방

법을 따라 통행발생 단계부터 분석을 수행한다

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단선택 분석이 요한 철도 사업의 경우 주어진 교통수단별 OD를 합하여 교

통 수단선택 분석을 다시 수행하며 별도의 수단선택 분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는 주어진 수단 OD를 가지고 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한다

라 교통수요 추정 과정

[그림 Ⅲ-1]은 교통수요 추정 편익산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는 데에는 상업 인 교통계획 소 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 리 사용

되고 있는 것으로는 외국에서 개발된 EMME2 TransCAD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연

구 이 자체 으로 개발한 사통팔달도 있다

2 수자원(댐)개발 사업

다목 을 포함한 수자원개발사업의 경우 어떤 사업보다도 수요추정이 비타

당성조사에서 요한 치를 차지한다 이수사업의 경우 체유역과 해당지역의 용

수수요 자료를 토 로 각종 계량경제학 방법을 통하여 향후의 용수수요를 추정하

고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용수공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7)

가 관련계획 및 자료의 검토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가 기존의 련계획이나 보고서를 심으로 용수수

계획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련 자료로부터 상지역의 용수수요를 측하

고 물수 계획에 따라 장래 물 부족이 상된다면 신규 수자원 개발계획 등을 포함

하여 유역의 체 인 용수공 계획을 검토하도록 한다참고자료로는 최근의 련계획인 ꡔ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고서ꡕ8)가 있는데 이는

이수종합계획의 용수수요 망 용수수 망 등에 하여 반 으로 검토한 국가기

본계획이다 한 10년 단 로 수립하는 건설장기계획은 안정 인 용수공 을

한 계획이다 이 계획에서는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 개발이용 등을 감안하여 용

수공 홍수조 등을 한 다목 건설을 계획한다

7)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수자원(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제3 )ꡕ(한국개발연구원 2003) 참조하라

8) 건설교통부 2000 12

제Ⅲ장 경제성 분석 25

[그림 Ⅲ-1] 교통수요 추정 및 편익산출 과정

OD 및 네트워크

예비타당성 일반 지침의 OD 및 Network 적용

기준년도 ODNetwork구축

통행배정 모형

도로 링크별 교통량속도

직접영향권 내 관측-추정치

비교

통행배정모형 확정

목표년도 ODNetwork

- 건설예정 도로 추가- 목표년도 OD 구축

- 연도별 시나리오 구축

- 장래관련 계획 검토- 죤 분할

- 주변 교통량 조사

시나리오별 통행배정

Do-Nothing 수단별통행 배정결과 도출

대안별 수단별통행 배정결과 도출

편익산정을 위한 계수 적용

대안별수단별통행시간운행비용 산출

편익 산출

보 정

네트워크 보정링크별 VDF 보정

오차gt기준치

오차lt기준치

기준년도 정산

교통수요 예측

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리고 ꡔ 국 5 강 유역의 유역조사 보고서ꡕ와 소권역별로 장기 용수수요를

측하여 상되는 부족에 처하기 해 조사 분석한 보고서로 ꡔ수자원개발 가능지

역배분계기본획 조사ꡕ9) 등이 있다 동 보고서는 장기용수 공 방안을 수립

함은 물론 수자원의 효율 인 개발과 이용을 도모하는데 있어 국 수자원개발 방안

리상의 안 문제 을 분석하고 당면과제와 용수수 불균형에 한 문제 해

결 방안을 수요발생지역 유역을 감안한 소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장기

용수공 방안을 수립하 다 기존의 자료가 없거나 부족하다면 다음의 개략 인 방

법으로 용수수 계획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용수수요 전망

생활용수 수요량 추정방법으로는 과거의 추세를 분석하여 외삽하는 방법과 생활

용수 수요에 향을 미치는 인자를 세분하여 분석하고 이와 련된 사회 경제 요

인 등을 고려한 상 계를 도출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수요량 추정방법의

선정은 주어진 분석기간과 입수가능한 자료를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주요항목

은 상수도 수 황 장래인구 추정 수보 률 단 수량 등이 있다 공업용수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수 즉 원료용수 제품처리용수 세정용수

보일러용수 등을 말하며 업종 규모 생산액 부가가치 출하액 제품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다 공업용수 추정은 일반 으로 계획입지에 해서 외삽법과 원단 용법이

있는데 외삽법은 과거 이용실 량의 변화추이를 회귀분석하여 장래 수요를 추정하

는 방법으로 공단별 과거자료가 충분히 조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련자료들이 실

으로 미비하므로 외삽법은 국내 실정상 불가능하여 보통 원단 용법으로 공단

농공단지 수요량을 추정하고 있다 원단 용법은 공업용수 사용량과 한

계가 있는 인자를 기 으로 도출된 원단 를 해당인자에 용하여 공업용수 사용량

을 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업종별로 가장 합한 원단 를

선정하여 용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공업용수 수요 추정에서 사용되는 원단 는 공

장부지면 종업원수 생산액 등이 있다 농업용수는 논용수(수리 안 답 불안 답) 밭용수( 개 비 개 ) 축

산용수로 구성되며 비타당성조사의 농업수요 추정시에는 논용수 개 용수만

을 고려한다 향후 농업용수수요는 경지종류별(안 답 불안 답 개 ) 개면

망치에 단 용수량을 곱하여 산정한다 수리시설물의 개면 황에 하여

시군 농지개량조합 등의 련기 으로부터 개면 을 조사하거나 인근의 하천

정비계획을 참고로 하여 개면 을 조사하도록 한다 향후 경지종류별 경지면 은

9) 건설교통부 1996 4

제Ⅲ장 경제성 분석 27

권역별 수자원개발계획 수립조사보고서의 시군구별 경지면 망치를 활용하

되 신뢰성을 높이기 하여 농림부의 경지면 실 치를 참조하도록 한다10) 과거

국 경지면 추이와 우리나라 산업구조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ꡔ21세기를 바라본 농

업발 방향ꡕ11) 등의 련계획에서 국 경지면 이 rsquo9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로

망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단 용수량은 ꡔ농업용수개발 필요수량 산

정기 ꡕ12) 기존의 권역별 수자원개발계획 수립조사보고서의 망치를 활용한다최근 사회 으로 하천환경 보 이나 환경개선을 한 하천유지유량의 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이란 하천에서 유수의 정상 인 기능과 상태를 유지하

기 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이며 하천 고유의 수리수문학 하도가 유지되어

하천 동식물의 생태환경 보호 하천경 보 하천수질 보 등이 가능한 상태를 말

한다 사업시 하천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의 유량을 건설 사업에서 보장하

여야 한다고 「 설계기 」13)에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갈수량을 기 으로 산정하되

각 하천 고유의 자연 사회 여건과 유량공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하천 수질보

등을 한 기타 8가지 항목을 감안할 수 있다 갈수량은 기 갈수량 평균갈수량 는 특정 빈도 연속 갈수량 등을 산정하여 해당 하천 규모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하게 된다

다 물수지분석와 물수급계획

물수지분석의 목 은 상유역의 장래 용수수 계획을 세우기 한 선행작업으

로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상 계획을 이용한다 유역내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지역간 용수수 의 균형이 맞지 않는 지역은 물수지분석에 의한 정확한 용수수 상

황의 악이 필요하며 이로부터 장래 물 부족이 발생하는 지역에 한 공 책을 수

립하여야 한다 물수지 분석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을 이용하고 아울러 지방상수도

를 포함한 기존 용수공 체계와 역용수수 망을 검토하도록 한다

10) 농림부 홈페이지(httpwwwmafgokr)

11) 농어 경제연구소 1992

12) 농수산부 198011

13) 건설부 ꡔ 설계기 ꡕ 2001

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기타 사업

산업단지 혹은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업은 사업의 직 인 효과가

발생하지만 별로 크지 않은 반면 간 인 효과가 부분을 차지한다14) 따라서

수요도 사업에 한 직 인 수요 보다는 간 인 효과에 기인하는 수요가 높

을 것이다 를 들어 산업단지 조성의 주목 이 해당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있다면 해당사업에 의해 동 산업에서 새로이 창출되는 수요를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가장 요

한 과업이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요 추정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시나리오를

낙 비 시나리오로 나 어 수요를 추정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

제2절 편익 추정

편익 추정은 우선 편익항목을 식별(identify)하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특정사업

의 편익항목은 사업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매우 다양하므로 해당 부처가 제출하는 사

업계획에 따라 편익항목을 구체 으로 세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각종 편익항목들

이 식별되고 나면 항목별로 단 당 기회비용 혹은 가치를 계산하여 편익을 추정하게

된다 를 들어 편익항목 i의 단 당 가치가 Pi라고 하고 시 t에서의 수요 추정

치가 D it라고 한다면 편익 추정치 B it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it= P i times D it

Bt = sum B it

이하에서는 교통부문 사업 수자원개발 사업 기타 사업으로 나 어 살펴보기로

한다 앞 수요추정과 마찬가지로 보다 구체 인 추정 방법은 개별 지침을 참조하

도록 하고 본 일반지침에서는 개요만을 다루도록 하겠다

14) 물론 여기서 말하는 간 효과란 다음 장의 정책 분석에서 말하는 간 효과와 완

히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간 효과란 정책 분석에서 다룰 지역경제

효과와 같은 지극히 일반론 인 간 효과를 말하기 보다는 사업을 통해서 직ㆍ간 으로 얻어

지는 효과이긴 하지만 직 사업주체에게 lsquo경제 rsquo으로 주어지는 효과가 아니란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29

1 교통부문 사업

교통시설 투자사업 시행에서 발생하는 편익은 교통측면의 편익인 직 편익과

교통개선으로 인한 사회 편익인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lt표 Ⅲ-1gt은 도로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을 보여 다 도로사업 시행시 교통시

설을 이용자들에게 발생하는 편익으로는 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

고 감소 쾌 성 증가 정시성 향상 안정성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차량운

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고 감소 등의 편익을 화폐가치화 작업은 비교

용이하나 교통의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는 개인별 주 만족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폐가치화 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

lt표 Ⅲ-1gt 도로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직 편익

∙ 차량운행비용 감

∙ 통행시간 감

∙ 교통사고 감소

∙ 쾌 성 증가 정시성 향상 안정성 향상 등

간 편익

∙ 환경비용 감

∙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 지역 산업구조 개편

주 는 실제 경제성분석의 편익에는 계량화하여 반 하지 못한 항목

간 편익은 도로사업 시행시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효과이다 간 편익 가운데 환경비용 감 편익의 경우 기오염 소음 등 일부

항목을 계량화하는 연구 성과가 축 되어 비용편익분석에 반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개발 시장권 확 산업구조 개편 효과 등이 실 되기 해서는 도로사업 이외

의 분야에 한 투자가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계량화에 어려움이 따르고 투자의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s) 등으로 비용편익분석의 편익으로 직 산정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어 편익항목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철도사업 시행시 발생하는 편익은 철도 이용자와 타 수단 이용자에게 발생하는

직 편익과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2gt 철도관련 투자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세 부 항 목

직 편익

(사용자

편익)

철도 이용자

편익

∙철도(기존 신규 철도) 사용자 화물의 통행시간 감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

타수단

이용자

편익

∙차량운행비용 감

∙도로-철도간 환수요에 의한 통행시간 감

∙항공해운의 환수요에 의한 편익∙교통사고 감소

∙건 목 개선에 따른 사고지체 감소

간 편익

(비사용자 편익)

∙환경비용 감( 기오염 소음 감)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고속도로 유지 리비 감∙주차수요 감소로 인한 주차공간 기회비용 감

∙공사 교통혼잡 도로공간 축소로 인한 부(-)의 편익

주 는 실제 경제성분석의 편익에는 계량화하여 반 하지 못한 항목

직 편익은 도로 철도 이용자들이 철도사업 시행시 직 으로 얻게되는 편익

으로서 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교통사고 감소 등은 계량 인 수치의 산

출 화폐가치화 과정이 비교 용이하다 그러나 항공해운의 환수요에 의한 편

익의 경우 명확한 편익항목으로 반 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측면이 있으나 계량화가

용이하지 않다 교통의 쾌 성 정시성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는 개인별 주 만족

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폐가치화 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된다간 편익은 철도사업 시행시 교통시설 이용에 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하는

효과이다 철도사업의 간 편익에는 도로사업의 간 편익인 환경비용 감 지역

개발 효과 시장권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 이외에 고속도로 유지 리비 감 주차

수요 감소로 인한 주차공간 기회비용 감 공사 교통혼잡 도로공간 축소로 인

한 부(-)의 편익 등을 들 수 있다 논의를 종합하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편익 산정범 를 공통 편

익과 사업특수 편익으로 구분한다 공통 편익이란 모든 도로 철도부문 사업에 포

함되는 편익을 의미하며 사업특수 편익이란 특정 사업의 평가에 한정하여 산정하여

야 하는 편익이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1

lt표 Ⅲ-3gt 예비타당성조사의 도로철도사업 시행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공통 편익

∙차량운행비용 감 편익

∙통행시간 감 편익

∙교통사고 감소 편익

∙환경비용(공해 소음) 감 편익

사업특수

편익

∙공사 교통혼잡으로 인한 부(-)의 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업으로 인한 도로공간 축소에 따른 부(-)의 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

2 수자원부문 사업

건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편익 역시 크게 직 편익과 간 편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 용도에 따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어려우나 다목 의 경우에는 직

편익으로는 홍수조 생공용수공 개용수공 수력발 내륙주운 하류 수

질개선 크 이션 기능 제공 편익 등이 있다 한편 간 편익은 발 용 유류 체효

과 연 산업의 효과 토지이용 증가 토사유입량 감소 편익 등으로 볼 수 있다재 우리나라의 ꡔ 건설 주변지역지원 등에 한 법률ꡕ에서는 다목 개

발에 따른 직 편익의 항목으로 홍수조 생공용수공 개용수공 수력발

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의 용에 있어서도 생

공용수공 과 개용수공 을 용수공 으로 묶어서 분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한편 사업의 홍수조 편익을 포함한 치수사업의 경우는 련계획 보고서

의 조사 상 유량규모 설정 지반고범람수리조사 범람구역자산조사를 최 한 이

용하여 상피해액을 산정하여야 한다 기존의 수자원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이 다

목 의 편익산정에 을 두었으나 최근 치수사업의 경우의 경제성 분석 방법론

이 별도로 개선되어 왔다 홍수피해액 산정에 있어 기존의 간편법에서 개선법(하천

설계기 2002)으로 개정되었고 최근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치수사업 경제성분

석 방법연구 건교부 2004)으로 개선된 방법이 제시되었다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서도 홍수피해액 산정에 있어 가능하다면 개선된 방법을 용하여야 할 것이다

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기타 사업

수요 추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업단지 혹은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

업 등은 사업의 성격이 조 씩 다른 만큼 편익 추정방법도 조 씩 다르다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편익추정은 동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 인해 추가 으로 발생

하는 산업생산 혹은 부가가치 수입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상되는 부가가치를 추

정할 때 단순한 이 수입 다시 말해서 다른 지역이나 다른 사업으로부터 단순히 이

되어 올 것으로 기 되는 수입은 배제하고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문화 시설의 편익은 본 시설의 입장수입 각종 부 시설의 매출액으로 구

분된다 본 시설의 입장수입은 시설자체의 입장료 시설 내의 각종 사용료 람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시설의 건립목 과 연 성이 높은 항목들을 포함시

키도록 한다 부 시설의 매출액으로는 상가시설의 매출액(식음료 기념품 등) 숙박

시설(호텔 유스호스텔 콘도미니엄 등)의 매출액 부 수입 등을 들 수 있다 한가

지 주의할 은 입장수입 혹은 매출액의 결정이 단순한 가격(price)이 아니라 수요자

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에 철 히 입각해서 책정되어야 한다는 이다 체육시설의 주요 편익은 연수 심사 회개최 등 시설 내에서 제공되는 각종 로

그램으로부터의 수익과 여기에서 생되는 부 수입 시설사용료 등이다 연수수

입은 로그램의 성격과 상그룹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추정에 용이하며 숙박수입 식음료 매수입 기념품 매수입 등의 부 수입 역시 이에 연동하여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기시설과 도구 등의 제공이 주 사업목 인 경우에는 료 등의

시설사용료가 주요 편익항목이 될 것이다 편익추정의 다음 단계는 개별 편익항목의 객단가를 추정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객

단가란 시설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한 단 에 부과되는 액을 말하며 테마 크

의 일인당 입장료 숙박시설의 일인 일실당 숙박요 연수 로그램의 일인당 연수요

등을 로 들 수 있다 객단가 추정에는 개별 편익항목의 성격에 따라 상이한 추정

방법이 요구되며 객단가 추정시에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시설의 성격과 건립목 이다 해당시설이 공공재의 성격이 강한 경우 혹은

통문화의 복원계승 국민보건 향상 등 정책 인 목 하에 시설이 건립되는 경우

에는 시설의 운 에 필요한 최소한의 객단가가 용된다 박물 복원된 유 지 국민체육시설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에 시설의 공공재 성격이 약하여 민간부문에

의하여 수행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원칙 으로 이윤극 화의 목 하에 객단가가

결정되며 이때에는 국내외 유사시설의 규모와 객단가를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내외 유사시설의 객단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함에 있어서는 건립목 규

제Ⅲ장 경제성 분석 33

모 내용 등이 비타당성조사 상시설과 유사한 시설의 자료를 선택한다셋째 객단가 추정시에는 시설이 입지할 지역의 여건을 고려해야 하며 여기에는

자연환경 자원 배후도시로부터의 교통여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객단가를 이용한 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은 다음과 같은 한계

을 가진다 첫째 편익 항목으로 반 된 입장료는 시장가격에 의해 결정된 가격이 아니라 법

령에 의해 강제 으로 결정된 가격이다 즉 이용자의 진정한 가치 단의 결과인 지

불의사액을 제 로 반 하지 못한다둘째 국내에 련시설이 없어서 해외의 자료를 용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

다 왜냐하면 개별 국가의 소득규모 국민의 선호도 차이 문화 사회 여건의 차

이 등에 따라 편익의 값은 달라지기 때문이다셋째 비타당성조사에서의 편익은 경제학 인 견지에서 볼 때 해당 사업으로부

터 발생하는 효과를 얻기 해 다른 재화에 한 지출을 이면서 기꺼이 지불하고

자 하는 최 액인 지불의사액으로 정의된다 하지만 객단가 개념에 근거한 편익

계산 방식은 이를 제 로 반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이론 근거도 취약한 편이

다넷째 특정 문화과학시설에서의 이용자 지출을 편익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시설에 지 않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사

람들의 가치 단을 반 하지 못한다 즉 비사용자들이 갖고 있는 가치를 무시하게

된다 이러한 은 문화과학시설의 진정한 공익 가치를 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 을 안고 있다다섯째 입장료 수입 부 수입 등으로 편익을 산정하게 되면 항상 과소추정의 가

능성을 갖게 된다 해당 문화과학시설을 왕복하기 해 소요된 시간비용 여행

비용 등도 문화과학시설로부터 얻게 되는 효용을 해 기꺼이 지출된 비용이므로

이것들도 편익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이에 한국개발연구원에서는 기존 ꡔ문화 체육과학부문사업의 비타당

성 표 지침 연구ꡕ에서 제시된 객단가를 이용한 가치추정 방법의 한계를 인식하고 2004년부터 이들 비타당성조사에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과 컨죠인트 분석법(CAM Conjoint Analysis Method)을 도입하여 비시장재화

의 가치를 추정하 다15)

향후 문화과학시설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사업에 맞게 기존의 객단가 추

정방법이나 CVM CAM 방법을 이용하여 편익을 산정하도록 한다

15) 보다 자세한 사항은 박 유경 곽승 의 「문화시설의 가치추정 연구」(2004)를 참조하도록 한다

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비용 추정

비용의 분석도 사업의 성격 내용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사업의 비용은

체로 공사비 용지보상비 유지 리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사비는 해당사

업의 기에 투자되는 건설비 이에 수반되는 비비를 말하며 용지보상비는 사업

지역의 토지 매입 보상비를 말한다 유지 리비는 사업의 기 투자비용뿐 만 아

니라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까지 고려하기 해 추가하는 경상운 비 등을 말

한다 교통부문 사업 수자원부문 사업 기타 사업으로 나 어 비용분석 방안을 검토

해 보기로 하자

1 교통부문 사업

교통부문 사업에 한 비용 분석은 고속도로 건설사업 기타 도로 건설사업 교량

건설사업 그리고 철도 건설사업 항만 건설사업 공항 건설사업 등으로 나 어 다르

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철도 교량 건설사업의 경우 수요 편익 분석은 도로사업

과 분석의 틀이 유사하지만 비용 분석에 있어서는 다른 척도가 필요하다 항만 공

항 건설사업은 수요 편익 분석도 도로사업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비용 부문은 사

업 특성별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16)

가 도로부문 사업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은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분명하게 명시되어

야 한다 사업의 비용을 산출할 때는 구체 인 공사 물량과 함께 시공시 지출되는 평

균공사비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기존 지침에서는 최 한 실 인 수치를 제시하

기 해서 노력하 으나 비타당성조사의 특성상 해당도로의 노선이 구체 으로

확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제시되는 사업비 항목 물량 단가 등의 수치가 실제 사업

을 집행하는 단계에서 일부 조정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16) 수요편익 추정과 마찬가지로 본 일반지침에서는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의 비용추정에 한

기본 제 방향 부문만을 반 하 다 구체 인 분석 방법 용단가 등 련 라미터는 해당

지침을 참고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5

다음은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 용한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추정과 련

한 몇 가지 기본 제이다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추정 방법 항목 평균단가 등 주요한 내용은 주로 고속

도로 공사를 상으로 과거 실 자료를 인용하여 추정하 으며 국도 등의

용시는 도로폭원에 비례하여 용한다 다만 격히 설계속도가 낮은 국지도 지방도 기타도로의 경우에는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제시된 값은 평균 인 수치이므로 이 값들을 사용함에 있어서 정당한 사유와

근거가 있는 경우 사업지의 특수성을 반 할 수 있다

지침에서 제시하지 않은 공사비 항목 공사비의 구체 인 수치 용방법 등에

해서는 해당 사업별로 합리 인 근거에 의해 그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결과는 오차 발생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비타당성조사의

기본 취지인 국가 주요 투자사업에 한 상 비교 개별사업의 사업성

평가에 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도로부문 사업의 비용 큰 비 을 차지하는 것은 공사비와 용지보상비인데 이

공사비는 본선에 해서 토공부와 교량부 터 부로 구분하여 산정하며 기타

시설로서 출입시설(IC JC) 업소(건물 포함) 휴게소 등의 부속시설 건설비용으

로 구분한다 공사비를 산정할 때 유의할 은 다음과 같다재 타당성조사 기본 설계 단계에서 사용하는 도면은 125000~15000 지형도

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에서 이보다 큰 축척 지형도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므로

개략 인 노선계획은 150000~1500017)지형도를 사업의 성격 규모에 따라 사용하

며 노선계획 건설비용 추정작업의 편의를 하여 2000년 이후 국립지리원에서 제

공하고 있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병행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17) 재 국내외 설계 건설 련 기 업체에서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기 데이터로 이용하는 다

양한 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4gt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

로그램명 국 가 비 고

Road Projector 한 국가격이 렴하고 국내실정에 잘 맞아 국내설계회사

다수가 이용

Moss 국국내에 일 보 되었으나 국내에서 체 로그램

이 개발된 이후 이용이 격히 어든 상태임

Smigs 호 주Moss보다 늦게 개발된 로그램으로 단지설계 주

의 로그램임

주 상기 로그램 이외에도 재 국내에는 설계회사 독자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로그램이 있음

작업과정은 기 자료 입력단계 계획 설계단계 결과 도출단계로 나 어지며

각 단계별 작업내용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작업단계별 내용

구 분 내 용

기 자료 입력단계지 형 황 데 이 터 수치지형도

설 계 기 데 이 터 설계속도 기하구조 요소

계획 설계단계

계획횡단면 입력 차로수 차로폭 분 길어깨

평면선형계획입력 계획노선에 한 평면선형 데이터

종단선형계획입력 계획노선에 한 종단선형 데이터

구 조 물 계 획 입 력 구조물의 치 규모

결과도출단계

계 획 종 평 면 도 평면 종단 계획도

주 요 횡 단 면 도 필요시 출력

수 량 산 출 데 이 터 토공 주요 수량산출 데이터

수치지형도(Digital Map)는 컴퓨터상에서 도로 철도 건물 하천 등 다양한 인공지

물과 자연지형을 도식(기호)과 3차원의 치좌표로 표 한 디지털 지리정보 지도로

국립지리정보원에서 축척 11000~1250000까지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그 황

은 다음과 같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37

lt표 Ⅲ-6gt 국립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제공내역

구 분 축 척 도엽수 비 고

지형도

11000 12753

-15000 16236

125000 786

1250000 22

도로부문 사업비는 다음의 [그림 Ⅲ-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다

[그림 Ⅲ-2] 도로부문 사업비 산출 흐름도

황조사내용 유형별 기 설정

경유지 선정

노선계획

Type별 표 단면도 작성

- Type 1 (평지 성토부)- Type 2 (산지 토부)

수량산출(토공부 교량부 터 부 출입시설 등) 용지면 산출

단 공사비 산출(토공부 교량부 터 부 출입시설 등) 지역별 지가 산정

공사비 산출 용지보상비 산출

부 비용 산출(설계비 감리비 등)

총 사 업 비 산 출

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제4 )ꡕ에서는 각 공종별 비용추정 결과를 일정양식에

따라 제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lt표 Ⅲ-7gt의 양식 로 총사업비 내역표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lt표 Ⅲ-7gt 총 사업비 내역(도로)

∙ 총연장 km (기존선활용 km 확장 km 신설 km)∙ IC 개소 JCT 개소 본선 업소 개소

∙ 구조물 교량 개소( m) 터 개소( m)∙ 기타

공 종 규 격 단 수량 단가(백만원) 액(억원)A 공사비

A-1 토공구간

A-2 교량구간

Slab RC mPC m

PSC-Beam m

PC-Box

ILM mFCM mMSS mFSM m

STBox mSTPlate mRC라멘 m

A-3 터 구간2차로 m3차로 m

A-4 출입시설IC 개소

JC 개소

A-5 본선 업소본선 개소

IC 개소

A-6 휴게소 개소

A-7 부가가치세

B 부 비

B-1 기본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2 실시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3 감리비 (A1~A6)times요율() 식

B-4 조사 측량비 (A1~A6)times요율() 식

B-5 부가가치세 (B-1~B-4)times10 식

C 용지보상비

C-1 본선구간 식

C-2 IC JC 식

C-3 휴게소 식

D 비비 (A+B+C)times10 식

E 총사업비 (A+B+C+D)주 부가세 포함 액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39

나 철도부문 사업

철도부문 사업의 비용추정 기술 검토에 한 차를 시방하는 과정에서 고

려하여야 할 목표를 정하는 것은 매우 요하다 이는 각 단계의 차개발과 시방에

서 이들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 잣 가 되기 때문이다 도로철도부문 표

지침에서 설정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부합하는 차를 따르도록 한다 비용이나 기술검토

는 상 연구에 따라서 상당히 다양한 수 으로 정의와 시방이 가능하다 그

러한 다양한 정의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기 해서는 투입되어야 할 노력에

서도 많이 차이가 날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상인 비타당

성조사에 부합하는 정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용의 용이성과 일 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는 앞서의 요구사항과 련이

있는데 용이 상 으로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

용이 용이하면서도 결과와 용의 일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이어야

할 것이다

실제 인 산 차와 실 인 액을 반 하도록 한다 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의 산 차가 반 이 되어서 산과정이 실

이어야 할 것이다 한 산 액이 정하게 되도록 차가 시방이 되어야

할 것이다

경제비용과 재무비용을 구분한다 재무비용과 경제비용의 분리가 구체 이지

못해왔던 것이 실이다 경제비용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제외하여야 할 이

비용요소를 구분하여 객 인 경제 분석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기 년도를 보다 최근년도로 보완한다

용량 운행계획 등에서 합리성을 확보한다 철도 안의 용량이나 차량운행계획

이 합리 으로 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필요한 차와 자료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철도사업은 사업 상지역 사업 내용에 따라 사업비 차이가 하고 투자효

과도 상이하므로 에서 설정한 목표를 바탕으로 사업내용에 따라 실성 있는 사업

비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되 비타당성조사의 특성을 반 하여 사업비를

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 다 이를 해 사업비를 공사물량의 품셈과 단 비용을 고

려한 산의 단계로 구분하고 단 비용보다는 물량 품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

여 용이 용이하면서도 사업비 추정결과의 일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를 제시하

다 한 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의 산 행을 따르고 산

액이 실성 있도록 시방하 다사업유형은 사업 상지역과 사업내용 공사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 다

사업 상지역에 따른 분류

지역간 철도와 도시철도로 구분

- 도시철도의 사업비는 사업시행 지역에 따라 사업비가 상이할 것이므로

번 지침에서는 최근의 사업비를 부록에 거치로 제시하되 구체 인

사업비는 지역 여건을 반 하여 조정하도록 한다

사업 내용에 따른 분류

신선 건설 단선 복선

기존선 개량 단선 개량 복선화 개량

기존설비 개량 철화 신호개량 건 목 입체교차화

공사조건에 따른 분류

운행선 인 사업과 신설선 사업으로 구분

- 운행을 하면서 공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 공사기간이나 공사비용에서 할

증을 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지침에서는 운행 공

사사업의 공사비 할증에 한 구체 기 을 제시하지는 못하 으나 그

비용 증가분이 클 것으로 상되는 사업에 해서는 반 하도록 하여야

한다

공사물량의 계산

기존지침(제3 )에서는 150000 지형도를 근본 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필

요시 축척 지도를 사용하도록 시방하고 있다 한 구체 인 장조사가 불가능하

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거장차량기지는 축척 지도 활용을 권고하고 있

다 한 지질상태에 따른 평균단가 조정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축척 지도의 활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속 으로 제

시되어 왔으며 보다 축 의 지도를 사용하면 물량의 변동 가능성이 축소될 수 있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1

을 것이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개략 인 노선계획은 150000~15000 18)

지형도를 사업의 성격 규모에 따라 사용하며 노선계획 건설비용 추정작업의

편의를 하여 2000년 이후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병행

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한다한 장방문이나 인 과거 공사자료 활용 방안 등 장정보 활용방안에 해

서도 시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지질정보의 출처나 활용방안에 해

서도 추가 으로 시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서 실제 으로 세부 인 장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 과거 공

사자료가 구득이 가능하면 이들을 활용하고 개략 인 지질정보는 기존에 가용한 출

된 자료를 이용하도록 권장한다

표 공사비 단가 용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ꡕ에서 제시하는 지역간 철도공사비의 표 공사비 단가

는 ꡔ철도투자평가편람 개정연구용역ꡕ(2003)의 결과와 2004년 재 진행 인 ꡔ21세기

장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 수정용역ꡕ에서 활용한 자료를 취합한 자료이다 자료의 합산정도는 자세한 분류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시 집계화

(Aggregation)를 할 수 있도록 하 다 제시된 자료가 비타당성조사의 수 보다 상

세하다는 지 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나 집계화된 자료를 세분류하여야 할 경우 잃

어버리는 정보의 양을 고려하여 세분류rarr집계화 하여 사용하는 방향이 더욱 바람직

할 것으로 단하 다 표 공사비 단가의 기 년도는 2002년에 맞추려고 노력하

으며 2002년의 값을 얻을 수 없는 경우는 별도로 기 년도를 표시하 다

도시철도에 해서는 기존선 연장과 경 철의 경우로 나 었으며 가장 최근의

공사비 자료들을 부록에 수록하여 참고하되 지 실정에 맞는 값을 이용해서 사용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다 비용 추정결과는 도로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각 공종별 비용을 ꡔ도로철도부문

표 지침ꡕ의 양식에 따라 제시하여야 하며 다음 lt표 Ⅲ-8gt의 양식에 따라 총사업비

를 제시하도록 한다

18) 재 국내외 설계 건설 련 기 업체에서는 3차원 수치지형도를 기 데이터로 이용하는 다

양한 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8gt 총사업비 내역(지역간 철도)

∙ 총연장 km (기존선 활용 km 신설 km)∙ 정거장 개소 ∙ 구조물 교량 개소( m) 터 개소( m)∙ 기 타

공 종 규격 단 수량 단가(백만원) 액(억원) A 공사비

A-1 노반(본선) A-1-1 토공 m

A-1-2 교량

PSC mPF mST m

B(라) mB(함) m

A-1-3 터개착터 m

NATM터 m A-1-4 구교 m A-2 노반(정거장) A-3-1 토공 m A-3-2 교량 m A-3-3 라멘 m A-3 궤도 m A-4 건축 개소

A-5 철화 신호통신 력

A-5-1 송 선로 m A-5-2 변 설비 개소

A-5-3 차선로 m A-5-4 력설비 개소

A-5-5 통신설비 개소

A-5-6 신호설비 개소

A-6 차량기지

A-7 부가가치세

B 부 비

B-1 기본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2 실시설계비 (A1~A6)times요율() 식

B-3 감리비 (A1~A6)times요율() 식

B-4 조사 측량비 (A1~A6)times요율() 식

B-5 부가가치세 (B1~B4)times10 식

C 용지보상비

본선구간

정거장

차량기지

D 비비 (A+B+C)times10 E 총사업비 (A+B+C+D)

F 차량구입비기

추가

주 부가세 포함 액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3

2 수자원(댐)개발 사업

수자원( )개발사업 비용은 사업기간의 단계별 공사비와 보상비 유지보수비를

포함하며 편익은 상사업의 가동률이나 수요공 에 따른 단계별 변화를 고려하

여야 한다 공사비 산정은 규모별 공사물량과 단 공사비로 산출된다 연간비용은

공사비와 매수보상비 등의 사업비를 연간균등액으로 환산한 자본비와 연간운 유지개보수비로 구성된다 이 때 총사업비에는 조사 설계 시공감리 등의 비용도

포함하여야 한다다목 건설 사업비는 부 시설에 한 공사비 수몰에 따른 용지보상비

기타 리비 비비 등의 3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사업의 경제성 평가나 비용배

분의 기 가 되는 건설사업비는 기술 분석에서 정한 구조물계획에 따라 공사수

량을 산출하고 각 공종별 단가를 용하여 개략공사비를 산출한다 공사비는 최근의

다른 지역의 공사비를 참고로 하여 산정을 하며 용지보상비는 장조사결과와

15000 지형도상에서 계획홍수 를 기 으로 수몰면 을 결정하고 과거의 다른 지역

에서의 수몰보상실 비율을 참고하여 산정한다 기타 사업비의 산정시 락된 잡공

종에 하여는 리비 비비로서 처리하여 반 한다총사업비 제시 등은 최 한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용 제시 양식을 따르도록 한다

3 기타 사업

문화 체육과학단지 조성사업의 기투자비에는 건축공사비 토지보상

비 기타비용이 있으며 시설의 규모와 내용을 바탕으로 비용을 추정하되 단가는

비타당성조사 이 별도로 정할 필요가 있다 건축공사비는 토목 조경 기통신 도로 등의 기반공사 비용과 시설물의 건축비

용으로 구성된다 건축공사비의 추정은 각종 공사비 항목의 사업량과 공사단가를 별

도로 추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공사단가는 한국감정원의 「건물신축단가표」와 시공

문업체의 자문을 통하여 추정한다 개별 항목의 사업량은 기본구상의 공사규모를 사

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비 실 이거나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시공업체의 자

문과 유사 사례를 참고하여 추정하도록 한다 용지보상비는 사업의 기본구상에 제시된 시설의 정확한 치 지번 면 이 명

시된 치도를 바탕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기본구상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

에는 사업 상지역의 평균 지가 보상비 자료를 활용하여야 하나 이러한 자료는

입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보상비 추정치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다고 하겠다

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용지보상비는 토지자체의 취득비용 지장물보상비 간 보상비 기타부 비용

으로 구성된다 우선 사업 상지의 소유별 용도별 시장가격을 추정한 후에 용도별

면 을 곱하여 토지취득비용을 추정한다 지장물보상비와 간 보상비는 「공공용지의

취득 손실보상에 한 특례법 시행규칙」 과거의 보상사례를 바탕으로 추정한

다 이를 해서는 사업 상지를 실사하여 각종 지장물 경제행 를 확인하여야 하

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엄 한 추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보상비 증가의

부작용이 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설배치도를 바탕으로 한 육안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액이 미미하거나 조사시 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는 본격 인 타당성조

사 단계에서 엄 히 추정하도록 한다 총사업비 제시 등은 최 한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용 제시 양식을 따르도록 한다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앞에서 제시한 수요분석 편익추정 비용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편익 비용 수

치들을 활용하여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기로 한다 경제 타당성의 평가는 기본

으로 비용-편익 분석기법에 의존한다

1 분석기법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기 해서는 우선 편익비용 비율(BC Benefit Cost Ratio)을

구한다 편익비용 비율이란 총편익과 총비용의 할인된 액의 비율 즉 장래에 발생될

비용과 편익을 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의 재가치를 비용의 재가치로 나 것이

다 일반 으로 편익비용 비율 ge 1이면 경제성이 있다고 단한다물론 편익비용 비율이 lsquo10rsquo을 상회한다고 해서 공공투자의 경제 타당성이 있다

고 단순 단하는 데에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컨 미국의 경우는 편익비용

비율이 단순히 lsquo10rsquo을 상회한다고 해서 해당 투자가 경제 타당성이 있다고 단하

는 것이 아니다 미국 정부의 산 리처(OMB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가

제시하는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왜곡에 따른 과부담 등을

감안하여 최소 편익비용 비율이 lsquo125rsquo 이상이라야 경제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

다고 설명하고 있다19) 우리나라의 경우도 본 보고서 제2부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19) 미국 OMB Circular No A-94 제11 의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의 과부담을

감안하여 공 자본의 한계비용을 추정해 보면 BC 비율이 최소 125 이상의 공공투자가 경제 타당

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5

어려운 재정상황 조세왜곡에 의한 공 자본의 한계비용 등을 추가 으로 고려해

보면 이론 으로 최소 편익비용 비율이 lsquo약 110~115rsquo 정도는 되어야 경제 타당성

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고 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lsquo개발도상 단계rsquo에 있기 때문에 사회간 자본시설이 충분하다고 주장하기 어렵다는

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당장 lsquo110~115rsquo의 최소 편익비용 비율을 용할 경우

여타의 조사에서 용되는 lsquo10rsquo의 비율과 달라 불필요한 혼란을 래할 가능성이 있

다는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당분간 이론 으로 추정된 최소 편익비용 비율

신에 lsquo10rsquo의 수치를 최소 편익비용 비율로 활용하기로 한다20)

편익비용비율(BC) = sumn

t=0

B t

(1+r) t sum

n

t=0

Ct

(1+r) t

여기서 Bt t시 의 편익 Ct t시 의 비용 r 할인율

n 교통사업의 내구년도(분석기간)

두 번째로 순 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를 추정하는 것도 요하다 순 재

가치란 사업에 수반된 모든 비용과 편익을 기 년도의 재가치로 할인하여 총편익

에서 총비용을 제한 값이며 순 재가치 ge 0이면 경제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순현재가치(NPV ) = sumn

t=0

B t

(1+r) t - sum

n

t=0

Ct

(1+r) t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을 구하는 작업도 수행하여야 한다 내부

수익률은 편익과 비용의 재가치로 환산된 값이 같아지는 할인율 R을 구하는 방법

으로 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순 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다 내부수익률이

사회 할인율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고 단한다

내부수익률( IRR) sumn

t=0

Bt

(1+R) t = sum

n

t=0

Ct

(1+R) t

20) 우리나라의 이론 인 최소 BC 비율 추정에 한 상세한 연구 내용은 제3부 제ⅩⅦ장의 내용을 참조

하라

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Ⅲ-9gt 경제성 분석기법의 비교

분석기법 단 장 단

편익비용비율

(BC)BC ge 1 ∙이해용이 사업규모 고려 가능

∙상호배타 안선택의 오류발생

가능

순 재

가치

(NPV)NPV ge 0

∙ 안 선택시 명확한 기 제시

∙장래발생편익의 재가치 제시

∙한계 순 재가치 고려

∙타 분석에 이용가능

∙이해의 어려움

∙ 안 우선순 결정시 오류발생가능

내부

수익률

(IRR)IRR ge r

∙사업의 수익성 측정 가능

∙타 안과 비교가 용이

∙평가과정과 결과 이해가 용이

∙사업의 규모 고려하지

않음

∙몇 개의 내부수익률이 동시에

도출될 가능성 내재

편익비용 비율 순 재가치 내부수익률에 의한 타당성 유무 단이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다 우선 순 재가치는 순편익의 흐름을 사업 개시년도의 가치로 평가하

지만 사업규모에 하여 표 화(normalize)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업간 비교에는

당하지 않다는 단 이 있다 를 들어 편익과 비용을 동일하게 두 배로 늘릴 경우 순

재가치도 자동 으로 두 배로 늘어난다 따라서 성격은 동일하지만 상이한 두 사

업의 순 재가치만으로 두 사업의 수익성을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내

부수익률은 사업의 규모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 은 있으나 수익의 발생구조에 따

라 계산되지 않는 단 이 있다 편익비용 비율은 특정 항목을 편익 혹은 비용으로 처

리하는가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는 단 이 있으나 일반 으로 투자심사기 으로 사용

되고 있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고 다수의 사업간 우선순 비교

등을 하여 비용편익 비율 순 재가치 내부수익률을 모두 구하기로 한다21)

21) 때에 따라서 세 가지의 지표는 타당성 유무에 하여 상반된 결론을 도출하기도 한다 자세한

논의는 김동건(1997) pp34~40 을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7

2 사회적 할인율 설정

공공투자사업의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 사용되는 가장 요한 라미터의 하나

는 사회 할인율이다 사회 할인율이 얼마인가에 따라 할인된 편익 비용 값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편익비용 비율이 결정된다 따라서 사회 할인율을 얼마로 가

정하느냐의 문제는 경제 타당성 유무 단에 인 향을 미칠수 밖에 없다 ꡔ일반지침(제3 )ꡕ까지는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회 할인율을 결정하 고 수자원 부문을 제외한 사업의 경우에는 실질 75를

용하고 수자원 부문의 경우에는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여야 된다는 을

반 하여 실질 60를 용하여 왔다하지만 최근의 리 성장 기조로 인하여 사회 할인율 조정요구가 있어

왔고 이에 본 연구에서 그 조정 필요성 정 할인율을 재추정하 다본 에서는 사회 할인율을 얼마로 책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에 한 상세

한 논의 신22) 최종 으로 설정된 할인율 값과 그 값의 용과 련한 몇 가지 이

슈들에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가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경제주요지표인 리 성장률을 살펴보았을 때 특히 최근 3년간 리

성장 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비록 이러한 상이 단기 인 상인지 추세변화인지

에 해서는 좀더 긴 시간을 두고 단하여야 할 문제이나 최근의 상을 반 한다

면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 미치는 모수들의 값들에 하여 수정하여 용할 필요성

이 있을 것이다한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제시하 던 사회 할인율 75는 비타당성조사

가 시행되기 이 의 타당성조사에서 통상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과도한 조정을 피하고자 제시한 값이었다 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

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까지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는 사회 할인율

수 에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다비록 짧은 시계열 자료라는 한계는 있으나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들에서 나타나는

상이고 앞으로의 경제성장률 망 역시 차 으로 낮아진다고 상하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재 용하는 실질 할인율 75는 다소 높은 것으로 단할 수 있다

22) 사회 할인율 설정 방안에 한 자세한 연구 내용은 제2부 제Ⅷ장 사회 할인율 부분을 참

조하라

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물론 공공투자사업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정 수 에 해서는 단순한 수치상

의 제시보다는 정성 인 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나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추정(실질 65)

정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기 하여 기 이자율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 재무 할인율 등을 고려하 다

본 연구에서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과 달리 더 은 모수들을 활용하여 추

정할 수 있다는 장 이 있고 이 게 추정된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을 고려하여 사회 시간선호율을 이용 추정하 다

stpr=ρ +μsdotg

여기서 ρ는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재 소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이며 g는 연간 1인당 소비증가율 μ는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를 나

타낸다 결국 μsdotg항은 소비 변화에 따른 한계효용체감효과를 반 하기 한 항이

다이러한 사회 시간선호율을 추정식에 따라 계산하여 본 결과 52~65가 정

범 인 것으로 단되었다 그리고 최근 5년 동안의 5년 만기 국채의 실질 리와 장기 리미엄을 고려한

기 이자율 수 을 살펴보아도 이 범 안에 있음을 볼 수 있었다마지막으로 재무성 분석을 해 구한 실질 가 평균자본비용 추정치의 결과 재

무성 분석의 실질 할인율로 60가 정 값인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러나 경제성 분석에서 약간의 민감도 분석을 제외하고 사업의 리스크에

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을 감안할 때 보다 높은 수 의 할인율이 필

요한 이 있다 한 할인율의 격한 조정을 피하는 측면 등도 실제 용치를 결

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이상을 통하여 앞으로는 실질 사회 할인율로 65를 용하기로 한다

다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재 수자원 부문의 경우 분석기간을 50년으로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을 보다 낮은 값을 용하여 왔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편

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

제Ⅲ장 경제성 분석 4 9

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 으로써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의 경우 타부

문 사업과는 달리 낮은 할인율을 용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하 다 이는 타부

문 사업보다 낮은 할인율의 일 용으로 사업 부문간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으

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한다 사업 부문간 차등 용에 한 논리 근거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물론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에 낮은 할인율을 용한 것을 부문에 따른

차등 용으로 해석하기보다 장기사업에 한 할인율의 차등 용으로도 해석이 가능

하다 한 세 내에서의 선택문제라면 할인율 차등 용의 필요성은 떨어질 것이나 세

간 선택문제가 두되면 차등 용을 조심스럽게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규범 인 측면에서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을 하게 된다면 미래세

에 한 고려 없이 재세 만을 고려하는 의사결정이라는 비 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Weitzman(1998) Gollier(2002) 등의 연구에서 그 이론 뒷받침을 찾을 수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거나 미래 성장에 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됨을 보여 다비타당성조사에서 비교 장기인 사업은 수자원 부문사업만 존재한다 그러므

로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에 한하여 할인율을 차등하여 용하도

록 한다 할인율 변동에 따른 향분석을 통하여 운 30년동안은 실질 65를 향후 20년은 50의 할인율을 용하도록 한다

3 세금 등 이전지출 처리

경제성 분석에서 세 등 이 지출 비용은 순수한 경제 비용으로 간주되면 안

된다 이 지출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 하는 지출이므로 재무성 분석에서는 사

업 주체에 따라 비용도 되고 편익이 되기도 하지만 경제성 분석에서는 국가재원에 아

무런 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도 가능한 범 까지는 세

등의 이 지출을 배제하고 분석을 시도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 으로 사업별로 세

내역을 어떻게 공제할 것인지를 단하는 작업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투입물의 종류별 세 부과 내역을 산정하기 어렵기 때문

에 추정한 총사업비 가운데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사업비를 경제 비용으로 간주하

여 경제성 분석의 비용으로 반 한다

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고속도로 철도 건설 등 독점적 사업

통 인 비용-편익 분석에 의하면 편익은 공공투자 산출물에 한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로서 평가되고 이 지불의사는 경쟁구매의 조건 등이 충족되면 시

장가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소비재인 경우 경쟁구매의 조건은 두 가지인데 첫째 배제 등의 제약이 없어 모든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가격을 지불하고 그 재화를

구입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 어떠한 소비자도 수요독 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수요량이 시장가격에 향을 수 없어야 한다23) 개인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해 지불하는 희생( 가)은 통행료에 한정되지 않

기 때문에 고속도로에 한 지불의사를 통행료로서 평가할 수는 없다 개인들이 고속

도로를 이용하기 해 지불하는 희생 즉 「이용자비용(user cost)」은 차량운행비 시간

가치 교통사고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고속도로 이용의 지불의

사(즉 이용자비용 체)를 평가하기 해 일반 으로 채택되는 방법은 개인들이 고

속도로를 이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을 간 으로 추정하는 것인데 사 재화

에 한 지불의사는 시장가격이 있는 경우 당해 시장가격을 그 지 않는 경우는 그

재화에 한 소비자 만족감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연유로 고속도로에 한 지불의사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개인들이 고속

도로를 이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을 lsquo차량운행비 감 + 여행시간 단축의 가치

+ 교통사고 감의 가치rsquo로서 평가하여 계산하고 있다 개인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함

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은 원칙 으로 소비자가격(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으로서

lsquo공 자가격+세 rsquo)을 심으로 추정되어야 할 것으로 감되는 차량운행비 시간가

치 교통사고 가치 등을 추정할 때에는 기본 으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을 심으

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편익 액에는 세 이 포함되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편익은 세 이 포함되어 있

는 소비자가격(consumer price) 개념으로 추정되어야 하며 추정된 편익 액에서 다시

세 을 공제하는 것은 부 하다 하겠다 그러나 고속도로 사업분석에 있어서도 비용은 다른 측면을 갖는다 일반 으로 공

공투자의 비용은 투입물의 「상실된 안 편익의 최 치(Maximum Alternative Benefits Forgone)」로서 평가되고 있다 고속도로 건설의 투입물( 컨 시멘트 모래 아스팔

트 등)이 경쟁구매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이 투입물의 시장가격이 사회 기회비용

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하지만 투입물의 가격에 이미 세 (간 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 두 가지로 나 어 생각

23) UNIDO ꡔ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ꡕ 1972 pp42~47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51

할 수 있다 첫째 공공투자에 소요되는 투입물이 기존의 수요처에서 용되는 경우 즉 당해 투입물에 한 사회 체의 공 량이 공공투자 시행과 계없이 일정한 경우

에는 세 이 포함된 시장가격이 그 로 비용의 평가에 사용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비용을 lsquo시장가격-세 rsquo으로 평가하는 것은 부 할 것이다 둘째 공공투자에 소요

되는 투입물이 추가 생산되어 공 되는 경우 즉 당해 투입물에 한 사회 체의 공

량이 증가하여 그 증가분이 공공투자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세 을 공제해야

한 사회 기회비용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컨 시멘트에 세 이 부과되어 있

는 경우 (균형상태에서는) 시멘트의 사회 한계효용(=지불의사)은 사회 한계비용

을 과하고 있는데 고속도로가 건설됨으로써 시멘트가 추가 생산된다면 이 시멘트

의 사회 기회비용은 당연히 사회 한계비용으로 계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멘트의 시장가격에서 세 을 공제한 액이 비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유로 비용-편익 분석 교과서에 보면 투입물의 사회 가치(=기회비

용)는 lsquoα times (세 포함 시장가격) + (1-α) times (세 제외 시장가격)rsquo으로 평가된다고 기술

하고 있다 단 여기서 (1-α)는 투입물의 추가 생산비율을 반 한다 즉 공공투자에 투

입되는 투입물의 α 비율은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 투입물이고 (1-α)는 추가 생산

된 비율이다 바꾸어 말하면 공공투자에 투입되는 투입물이 기존 수요처에서 부 최

종수요되는 경우는 세 포함 시장가격에 의해 비용-편익 분석을 행하는 것이 타당하

지만 투입물의 일부( 를 들어 α 비율만큼)만 기존 수요처에서 쓰인다면 그 비율만큼

만 세 포함 시장가격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나머지 부분은 세 제외 가격으로 평가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 투입물 비율인 α를 어떻게 추정하느냐이다

특정 사업에 있어서 투입물의 얼마만큼이 기존 수요처에서 용되는지 평가하기란

매우 어렵다 결론 으로 번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고속도로 혹은 철도사업의 비

용추정과 련해서 투입물이 기존 수요처 혹은 여타 수요처에서 얼마씩 사용되느냐

를 단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한국도로공사 혹은 철도청 등의 사

업주체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 10를 비용에서 제외하고 분석할 것을 제안하기로

한다24)

24) 한국도로공사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 10를 편익에서 제외하고 분석한다는 의미는 한국도로

공사에서 제시한 각종 시설물 건설의 비용단가에서 10의 세 을 공제하고 분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나 기타 사업

한국도로공사 혹은 철도청 등과 같이 사업의 주체가 하나이면서 비용추정의 방법

항목이 기존 데이터에 의하여 비교 체계화되어 있는 경우는 세 을 공제하는

작업이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느 정도 가능하나 기타 사업의 경우는 부분 사

업의 주체가 단순하지 않고 비용 항목이 사업에 따라 매우 가변 이기 때문에 세 을

공제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다 즉 무슨 세 을 어떻게 공제할 것이냐의 문제가 계

속해서 논란으로 남는다 사업을 추진하는 주체가 다수가 되면 각 주체별로 부담하는

세 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비용 항목이 가변 이 되면 어떤 비용 항목에 해서 무

슨 세 을 부담하게 되는지 단하기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타 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세 을 공제하는 문제는 잠정 으로

개별 조사 의 단에 맡기기로 한다 향후 보다 체계 으로 세 을 공제하는 방안에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단된다 종국 으로 세 등의 이 비용 처리문제는 생산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은 비용산정에서 세 을 어떻게 처리하

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인지에 해 향후 심층 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으로 있다

4 분석기준일 분석기간 등 기타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 모든 편익과 비용은 동일한 시 을 기 으로 할인해야

한다 편익과 비용이 제각기 다른 시 에서 발생되므로 할인율을 이용하여 비교가능

한 동일시 의 가치로 일치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할인되는

분석의 기 일을 해당사업의 분석이 착수된 년도말( 2004년도에 착수된 사업일

경우 2003년말을 용)로 하기로 한다 각 사업의 성격에 따라 경제 타당성 평가를 한 분석기간도 다르게 용되어

야 한다 제3 에서는 교통사업의 경우 도로는 공사가 완료된 후 20년 철도는 30년이

라는 이제까지의 분석기간 행을 따르기로 하 으나 지침 개정에 따라 도로 부문

사업도 철도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분석기간 30년을 용하기로 한다25)항만부문 사업의 경우는 30년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며 공항부문 사업의 경우는

20년을 분석기간으로 제안하기로 한다다목 등 수자원 부문의 경우는 50년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한다 사업의 경

우 통상 매우 긴 분석기간을 용하는 국내외 사례를 고려한 것이다

25)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도로철도부문 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수정보완연구(제4 )ꡕ 참조

제Ⅲ장 경제성 분석 53

문화ㆍ ㆍ체육ㆍ과학단지 조성사업 등에 해서는 30년의 분석기간을 설정하

기로 한다 분석기간 동안 사업비의 연차별 지출형태에 해서도 동일한 지침을 마련하기로

한다 를 들어 고속도로 사업의 경우 용지보상비는 사업 기 2년도에 각각 30

70를 지출하도록 설정하고 공사비의 경우는 공사기간이 5년이라면 매년도 각각

5 15 25 35 20씩 지출하도록 가정한다

5 잔존가치의 처리

잔존가치는 사업 시설의 내구년도가 얼마인가 그리고 경제성 평가의 분석기간이

얼마인가와 한 연 이 있다 를 들어 도로의 경우에는 완공 후 약 15년이 경과

한 시 에서 재포장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포장 사업시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을 제

외하면 재투자비가 크게 소요되는 것은 거의 없으며 매년 경상 인 유지비 운 비

만 소요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로의 경우 비타당성조사에서 잔존가치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용지보상비 용지구입비만 해당된다 조사 은 도로 사업에서 투입되

는 용지구입비를 잔존가치로 설정하여 분석 최종년도의 비용에서 공제하여야 한다 철도는 도로와 달리 재투자되는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즉 수요 증가에 따라 차량

이 추가 으로 투입되어야 하며 내용년수가 경과한 차량 시설에 하여도 재투자

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개통 후 30년이 경과한 시 에서 잔존가치로 고려할 수

있는 항목이 용지구입비 이외에도 차량 시설장비 등이 있다 철도부문 사업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들에 한 잔존가치를 모두 고려하도록 하며 철도청(2004)의

「타당성평가편람」에서 제시된 내구연한을 기 으로 하여 재투자 비용 잔존가치를

산정하도록 한다 잔존가치는 철도시설별로 구분하여 차량은 내용년수가 경과하면

잔존가치를 10로 반 하며 나머지 90의 가치는 분석기간의 내용년수 동안 정액

법에 의하여 잔존가치를 비용에서 차감하도록 한다 궤도 신호통신 차선

력 기계 등의 철도시설에 해서는 내용년수 경과후 잔존가치는 없는 것으로 하고 분석기간내 내용년수 동안에 정액법에 의하여 잔존가치를 비용에서 차감하도록 한

다 이밖에 실 으로 잔존가치를 산출할 수 있고 충분한 근거를 명시할 수 있는 경

우 가능한 모든 잔존가치를 반 한다 도로철도부문 사업 이외의 사업도 마찬가지로 내구년도를 기 으로 잔존가치

를 반 하도록 한다

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민감도 분석

타당성을 평가하기 해서 사용되는 경제성 평가의 편익과 비용의 계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불확실성에 처하기 해서는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많이 시행하는데 민감도 분석은 투자비나 경제성에 향을 미칠 수 있는

요한 변수 를 들어 기 공사비 운 비 교통수요 할인율 등에 해서 각 변수

가 일정량만큼 변화되었을 경우 경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악하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도 이러한 변수들에 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다만 해당 사업별로 민감도 분석의 범 방법은 조 씩 다르게 용될 수 있다26)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재무 타당성 평가를 모든 사업에 의무 으로 수행할

필요는 없으나 편익비용 비율이 1 이상으로 경제 타당성이 있고 사업성이 높아

민간이 스스로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사업 등에 해서는 재무 타당성 평가가 필요

하다 재무성 측면에서 민간이 추진하기에 수익성이 부족한 사업의 경우에도 효율

성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문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

우 일정수 의 재정지원을 통해 민간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정

재정지원 규모 산정을 해 재무 타당성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

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 타당성이 있는 사업에 해 재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

도록 한다

1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경제 타당성 평가란 공공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국가 체 (사회 ) 입장에서

측정하고 이에 따라 경제 수익성을 계산하여 타당성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재무 타당성 평가란 사회 체의 입장이 아닌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

서 실제의 비용과 수입( 흐름)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재무 수익성을 계

산하여 그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26) 사업분석에 있어서의 불확실성과 험을 고려해주기 한 민감도 분석에 해서는 제2부 제Ⅺ장에

서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55

재무 타당성 평가에서는 실제의 투자 산액과 자 순환과정(cash flow)을 매우

요시 한다 구체 으로 비용과 수입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경제 타당성 평가와

재무 타당성 평가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타당성 평가는 국민 경제 입장에서 비용과 편익을 계산하므로 상

품가격이나 환율 임 등은 원칙 으로 잠재가격으로 계산하여야 하나 재무 타당

성 평가는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계산하므로 단순 시장가격을 용하

여도 무방하다 둘째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이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는 제외되어야 하지

만 재무 평가에서는 비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할인율의 용에 있어서 경제 타당성 평가에서는 사회 할인율이 용

되어야 하나 재무 타당성 평가에서는 시장이자율 등 재무 할인율이 용되어야

한다

lt표 Ⅲ-10gt 경제적 타당성 평가와 재무적 타당성 평가 비교

구 분 경제 타당성 평가 재무 타당성 평가

평가의

측정가격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

용 할인율

국민 경제 입장

잠재가격

제외

사회 할인율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

시장가격

포함

시장이자율 등(재무 할인율)

2 기본전제

가 사업의 투자방식

공공투자사업에 소요되는 자 의 조달은 사업을 하여 별도법인을 설립하는 경

우와 기존의 법인이 사업주체가 되는 경우로 나 어 볼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자

조달방법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게 되며 추가 으로 국고보조 이나 정부

재정융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자기자본은 사업시행자가 내부유보액이나 증자를

통해 조성한 자체 자 이거나 별도 설립법인이 특정주체의 자본참여 기업공개 등을

통해 조성하는 자체 자 으로 조달된다 타인자본은 국내 융기 으로부터의 차입 회사채 발행 해외 융기 으로부터의 차입 등이 있을 수 있는데 SOC 시설의 성격상

규모 자 이 소요되므로 타인자본의 비 이 큰 경우가 많다

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통 인 재무이론에 바탕을 둔 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을

주로 이용하는 재무성 분석에서는 엄격히 말해서 자 조달방법의 차이가 분석결과에

크게 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정 할인율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자기자본

타인자본의 비율 그리고 동원되는 자본의 조달방법 등에 한 가정이 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은 사 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공공투자사업을 민간자본으로 추진할 때 표 인 방식으로 BOT(build-operate -transfer)

BTO(build-transfer-operate) BOO(build-own-operate)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비타당성조

사는 다른 가정이 경제 설득력을 갖지 않는 한 해당사업이 BOT 방식의 민간투자

사업으로 추진되기에 합한지 여부를 사 으로 검증하는 것이 일반 이다

나 분석 기준년도 분석기간 및 공정률

재무성 분석에서 용해야 할 분석 기 년도 분석기간 연차별 비용지출 련

공정률 등에 한 가정은 기본 으로 경제성 분석에서와 동일한 가정을 채택한다분석의 기 년도는 경제성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석이 의뢰된 년도의 기말

을 기 으로 한다27)

분석기간도 경제성 분석에서와 같이 각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용한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사업의 경우 운 개시 후 3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며 수자원 부문인 사업의 경우 교통사업 보다 긴 분석기간을 용하는 국내외

사례를 고려하여 운 개시 후 5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채택한다 산업단지 문

화 사업단지 조성사업 등에 해서는 운 개시 후 30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한다 분석기간 동안의 공정률에 해서도 경제성 분석과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용

지보상비의 경우에는 사업 기년도 2년도에 각각 30 70의 비율로 나 어 지출

하도록 하고 사업비의 연차 지출은 경제성 분석에서 용한 공정률에 따른다

다 잔존가치

일반 으로 잔존가치는 사업시설의 내구년도 경제성 분석기간과 연 이 있다 시설장비의 경우 BOT BTO BOO와 같은 사업의 추진방식에 따라서 잔존가치의 계

산 여부 액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맞는 방식 로 계측하여야 할

것이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잔존가치를 분석의 최종시 에서 부의 비용으로 포함시

27) 수입과 비용을 경제성 분석에서 구한 값을 사용하므로 경제성 분석과 분석 기 을 통일시키도록 한

제Ⅲ장 경제성 분석 57

키고 있는데 재무성 분석에서는 BOT나 BTO의 경우에 시설 소유권이 국가 는 지

방자치단체에 귀속되므로 민간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잔존가치가 없다 단 분석종료

시 에 사업시행자가 시설소유권을 갖게 되는 경우에는 잔존가치를 부(負)의 비용으

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라 제세공과금 금융비용 및 이자율

경제성 분석에서 제세공과 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 하는 이 지출로 인식

하므로 분석에 포함하지 않는 반면 재무성 분석에서는 취득세 등록세 법인세 등 제

세공과 은 사업주체 입장에서 확실한 유출이므로 분석에 포함시킨다 차입 에 한 이자비용 산출시 용해야 할 리는 장기 측 이자율보다 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실세 리를 용한다 일반 으로 일반차입 에 한 이자비용

은 분석시 의 SOC사업에 한 시 차입 리 혹은 시장 리( 3년 만기 국채의 유

통수익률)에 스 드( 3 이내)를 반 하여 계산한다 기타 융비용으로 신주발행비가 있는데 자본 납입액의 일정부분( 05)을

용하여 계산해도 되겠지만 그 규모가 크지 않아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제외

해도 무방하다

마 부대사업

사업시행자가 해당사업뿐만 아니라 부 사업을 같이 시행할 경우 부 사업과

련한 비용 수입도 재무성 분석에 포함시켜야 한다 여기서 부 사업이라고 함은

해당사업과 직 인 연 성이 높은 부 시설 사업만을 말하며 상가분양 등과 같이

해당사업의 성격과 직 연 성이 거의 없는 부차 인 부 사업은 제외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에서 검토될 수 있는 부 사업이란 해당사업을 정부가

직 실행할 때 직 수행가능한 부 사업에 국한한다부 사업의 투자비는 당해 민간투자사업비의 범 이내이어야 하며 해당 부 사

업의 추진으로 국민경제 편익의 증 본사업의 사업성 향상에 기여해야 하고 당해 민간투자사업 시행지역과 지리 으로 근 한 지역에서 시행되어야 한다28)

부 사업으로 검토될 수 있는 사례로는 도로사업의 경우 직 으로 연 되는 항

목인 고시설 순수입 편의시설 임 순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고 철도사업의 경

우는 차량 역사 내 고나 자 기 수입으로 인한 운임외 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

28) 부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액의 규모에 한 상한선을 법이나 규정으로 제시할 수는 없으나 도로공사

의 경우 총수입 부 사업(휴게소 임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이 차지하는 비 이 30 미만이므로

이 정도를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 부 사업에 련되는 설치비 등 투자비와 운 비 그리고 사업수익의 추정은 도

로공사의 휴게소 설치비와 지하철공사의 지하철 고비 등을 감안하여 추정하도록

한다

3 분석기법

사업의 재무 타당성 평가를 해서 재무성 분석을 해 가장 리 활용되는

흐름할인법을 사용한다흐름할인법은 미래의 흐름을 측한 후 가 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등으로 변되는 자본의 기회비용으로 할인한 재

가치를 구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흐름할인법에는 순 재가치법(NPV Net Present Value Method) 내부수익률법(IRR 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수익성지

수법(PI Profitability Index Method) 등이 있다 순 재가치법은 상되는 의 유입과 유출을 가 평균자본비용으로 할인한

값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곧 투자안이 채택됨으로 인해 증가되는 기업

가치를 의미하는데 이 게 하여 얻은 재무 순 재가치(FNPV)가 0보다 크면 사업

의 재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단한다29)

FNPV = sumn

t=0

Rt

(1+r)t - sum

n

t=0

C t

(1+r)t

여기서 Rt는 t기간의 유입을 Ct는 t기간의 유출을 나타낸다

내부수익률법은 계획 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유입과 유출의

재가치를 일치시키는 할인율 즉 내부수익률(FIRR)을 산출하고 이를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투자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때 내부수익률이 자본비용보다 높을 경우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단한다

0 = sumn

t=0

Rt

(1+FIRR)t - sum

n

t=0

Ct

(1+FIRR)t

수익성지수법은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입의 가를 유출의 가로

나 비율로 수익성지수가 1보다 크면 재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단한다 순

29) 경제성 분석에서의 순 재가치(NPV)와 내부수익률(IRR)과 구별하기 해 재무성 분석에서는 재무

순 재가치(FNPV)와 재무 내부수익률(FIRR)로 표기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59

재가치법이 어떤 투자안의 재무 타당성을 액으로 측정하는데 비하여 수

익성지수법은 투자안의 비용 비 수익을 상 비율로서 측정하는 것이다

PI= sumn

t=0

R t

(1+r) tdivide sum

n

t=0

Ct

(1+r) t

4 비용과 수입의 추정 및 타당성 분석

가 현금흐름(Free Cash Flow)의 정의

재무성 분석을 하기 한 흐름은 잉여 흐름(Free Cash Flow)으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잉여 흐름(FCF) = 업 흐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 업이익 times (1 - 법인세율) + 감가상각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모든 흐름은 재무성 분석을 하여 불변가격으로 추정하거나 환산하고 불변

가격으로 추정된 흐름은 실질 할인율로 할인해야 한다

나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원칙

흐름을 추정하는 일반원칙은 다음과 같다첫째 투자사업과 련되는 모든 사업의 흐름을 동시에 감안한다 를 들어

부 사업의 비용과 수입 환경부담 등도 투자사업과 련해 발생하는 흐름이

므로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 추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매몰 비용(sunk costs)은 감안하지 않는다 매몰 비용은 투자사업의 시행 여

부와 계없이 이미 발생한 비용이므로 투자사업의 재무성 분석에 포함하지 않는다셋째 기존 설비 토지건물의 사용에 따른 기회비용을 감안한다 즉 기존의

설비 토지건물 등이 당해 투자사업이 아닌 다른 안 목 을 해 사용되었

을 시 발생 가능한 흐름은 의 자산을 당해 투자사업에 사용함으로써 잃게 되

는 흐름이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투자사업의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사업과 련하여 발생하는 추가 사업기회를 감안한다 를 들어 투자사업

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시행한 후 추가 으로 사업의 규모를 늘릴 수 있는 확장 옵션이 존재할 경우 이로 인해 발생 가능한 추가 흐름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경비 배분을 감안한다

다 수입과 비용 추정을 위한 지침30)

1) 수입(현금 유입)

가) 운영수입

운 수입은 경제성 분석 시 편익항목에 포함되는 운 자 수입 추정치를 활용한

다 그러나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속도로 사업의 경우와 같이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운 자 수입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유의하여 산출해야 한다도로사업의 경우 행 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의 운 자 수입은 평가 상이

되는 해당 도로 철도 노선뿐 아니라 설정된 향권 내의 모든 유료도로 철도를

상으로 사업 시행 과 후의 운 자 수입의 차이를 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치를

재무성 분석에 그 로 용할 경우 해당 노선의 운 수입 규모를 과 추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31) 그러므로 재무성 분석을 해서는 경제성 분석 결과 추정되는 운

자 수입 조사 상 사업구간의 운 자 수입만을 반 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경제

성 분석에서 산출된 사업노선 통행량( q )과 일반화비용 산정식에서 이용하는 고속도

로 통행요율( p )을 이용하여 운 자 수입을 구할 수 있다32) 그런데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사용하는 통행료 수 ( p )은 사회 편익을 고

려하여 도로공사 요율을 기 으로 설정된 값으로 재 운 인 민자 고속도로의

통행료 수 이 도로공사 통행료 수 의 2배 정도임을 감안할 때 재무성 분석을 해

도로공사 요율을 그 로 사용할 경우 사업의 수익성을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

사업자 시행을 가정할 경우 실 인 통행료 수 을 용해야 하나 이 때에는 비

타당성조사 결과로 나온 통행량을 주어진 값으로 이용하여 운 수입을 계산하게 되

면 결과 으로 수요를 과 추정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민간사업자가 통행료를

30) 흐름의 계산과 추정재무제표의 작성방법은 본 의 부록을 참조하라

31) 단 정부기 도로공사가 사업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경제성 분석 결과를 그 로 활용 가능하다

32) 일반화비용 산정식에 활용된 고속도로 통행요율은 2003년 재 한국도로공사의 폐쇄식 고속도로에

용하고 있는 기 으로 승용차(1종 용)는 381원km 버스(3종 용)는 412원km 트럭(2종 용)은 401원km이다 는 소형트럭을 기 으로 한 것으로 형트럭을 별도로 고려할 경우 4종 710원

km 5종 724원km의 요율을 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 분석시 이용한 기 과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1

보다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하려면 교통수요를 재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통행료 수 은 민자사업 추진이 구체화된 단계에서 상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민자사업이 유력한 경우는 통행료 등 사용료를 합리 인 수 으로 조정한

후 교통량을 재추정하여 재무성 분석을 재실시해야 할 것이다

나) 기타수입

기타수입으로는 부 사업과 부속사업으로부터의 흐름이 있을 수 있겠으나 비타당성분석 과정에서 이를 추정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일반 으로는 부 사

업 부속사업의 규모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소규모일 것으로 단되므로 비

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부 사업 부속사업 필수불가결한 사업만을 감안하고 본 심사 는 상과정에서 통행료 무상사용기간을 결정할 때 부 사업과 부속사

업으로 인한 수입과 비용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3) 단 확실하게 상되는 부

수입이 있을 경우 합리 인 추정방법에 의해 계산하여 기타수입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2) 비용(현금유출)

가) 총사업비

총사업비는 사회간 자본시설의 신설 증설 는 개량에 소요되는 경비로서 총

투자비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조사비 설계비 감리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설비비 제세공과 업 비 등이 있다34)

경제성 분석과 달리 총사업비에 부가가치세를 포함하고35) 용지는 정부가 일

구매하거나 정부 혹은 지자체가 제공하는 할 경우에는 개별사업주체는 용지에 해

서 투입비용 잔존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조사비 사업의 시행을 한 측량비 기타 조사비(엔지니어링 기술진흥법

제 10조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 가의 기 에 의함)

설계비 공사의 시행을 한 설계에 소요되는 비용(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33) 도로공사의 경우 총매출의 903가 통행료 수입 60가 정부사업 연구용역 등의 부속사업으로부터

의 수입 37가 임 수입 등의 부 사업으로부터의 수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 도로사업의 경

우에는 이러한 요소별 비 을 본 타당성조사나 사업자 선정 심사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34) 「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지침(기획 산처)」를 참조하 다

35) 도시철도 사업의 건설용역과 같이 세율이 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문별로 부가세 용범 를

감안하여 수익성 분석표 재무제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 가의 기 는 건축사법 제19조의

3의 규정에 의한 가기 에 의함)

공사비 공사의 시행을 한 재료비 노무비 경비 일반 리비 이윤의

합계액[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한 법률시행령 제9조의 규정에 의한

정가격결정기 과 정부표 품셈 단가(정부고시가격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격을 말함)에 의한다]

보상비 공사의 시행을 하여 지 되는 토지매입비(건물 입목 등의 매

입비를 포함) 이주 책비와 업권 어업권 업권 등의 권리에 한

보상비

부 비 사업의 시행과 련한 사업타당성 분석비 환경 향평가비 교통

향평가비 공사보험료 사업이행보증보험료 감리비 재원 조달을 한

융부 비용(financial advisory fee 포함)

운 설비비 시설의 운 을 하여 최 로 투입하는 장비 설비 기자재

의 가액

제세공과 공사의 시행 공 등기 소유권 이 과 련한 취득세 등

록세 부가가치세 등 일체의 세 공과 과 기타 법률에 의하여 부과되

는 각종 부담

업 비 시설의 운 을 비하기 하여 필요한 민간투자 사업법인의

창업비 개업비 등 필수경비

한편 사업자의 총투자비에는 산입되나 총사업비에는 포함되지 않는 항목으로는

건설이자와 비비(물가변동)가 있다 공사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건설이자는 실제로

발생하는 유출항목이지만 흐름할인법에 의하여 흐름을 정 할인율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계산하는 과정에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 험이 이미 반 되어

있기 때문에 흐름 추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한편 비비에는 물가변동비와 설

계변경(물량변동)에 따른 비비가 있다 본 재무성 분석에서는 불변가격으로 타당성

을 평가하므로 물가변동비는 감안할 필요가 없고 설계변경에 따른 비비는 경제성

분석과 일 성을 감안하여 총사업비 항목으로 감안하도록 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3

나) 운영비

운 비는 시설의 공 이후 운 기간 시설의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합산한

액으로서 운 비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는 매출원가와 유지보수비 매비 일반

리비 법인세(실제 법인세 + 지 이자 times 법인세율) 그리고 부가가치세 등이 있다 총사업비 추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운 기간 발생하는 이자비용은 흐름추

정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감가상각비( 업권 등의 상각비 포함) 역시 시설사용기간 동안의 총사업비 회수

분에 의해 보 되므로 운 비용 항목으로서 별도로 계상하지 않는다36)

다) 부대사업과 관련된 추가적 비용

부 사업과 련된 추가 비용으로는 도로사업의 경우 휴게소 고 여 사

업에 수반되는 비용 철도사업의 경우 역사 건축 유지에 드는 비용 항만 사업의

경우 유료문화시설 운 에 수반되는 비용 등이 있다 부 사업의 규모와 형태는 투자사업의 성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고 그

비 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소규모일 것으로 망되므로 비타당성조사 단

계에서 구체 인 부 사업의 규모를 정하고 이에 한 사업비와 사업수익을 측하

는 것은 부 사업 운 이 확실한 사업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필요할 것으

로 단된다 부 사업에 한 고려는 본 타당성조사나 사업자선정 후 상과정에서 할 수 있

을 것이며 비타당성조사에서 반 할 경우 사업의 총수익 5를 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사업비 지출 순서 및 부채 상환 스케줄

사업비 지출 순서는 자기자본이 모두 투입된 후 타인자본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

고 정부 보조 이 있을 경우에는 lsquo자기자본rarr정부보조 rarr타인자본rsquo 순으로 지출하

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채상환 스 은 이자수입 비용에 한 법인세 효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

것이 체 인 재무 타당성 분석에 미치는 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특

별히 고려하지 않는다 계산의 편의를 해서 기말에 순 유입으로 부채를 상환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36) 감가상각비는 세 이익을 계산하는데 차감항목으로 계상되나 지출을 수반하지 않는 항목이므

로 흐름추정에 포함하지 않으나 감가상각비로 인한 법인세 감효과는 감안해야 한다

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5 재무적 할인율 산정37)

분석 상사업에서 기 되는 흐름의 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추정된

흐름을 정수 의 재무 할인율로 할인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한 할

인율은 가 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apital Cost)으로서 각 자 조달

원천별(자기자본 타인자본) 자본비용을 자 의 구성비에 의하여 가 평균한 것이다

r 0 = [ (1-T ) times r btimesL ] + [r s times ( 1-L )]

r 0 가 평균자본비용

r b 타인자본비용(=부채의 자본비용)

r s 자기자본비용(=주식의 자본비용)

T 법인세율

L 타인자본가치 divide 총자본가치

가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1) 무위험이자율의 추정

무 험이자율은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여 추정한다 투자사업

이 3년을 훨씬 과하는 기간에 걸쳐 흐름이 발생하므로 만기일이 보다 긴 채권

의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년 만기 국고채는 유동성이 높아 시

장의 상황을 가장 포 으로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다 재 시 의 유통수익률

이 단기 수 불균형으로 인해 편의(bias 偏倚)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최근 5년간의 평균치를 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이번 분석에

서는 무 험이자율은 최근 5년간(2000~2004)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평균치

인 57를 이용하도록 한다한편 SOC 투자의 경우 장기간 자본이 묶여 있어야 하는 것에 한 보상으로 유동

성 리미엄을 가산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 국채 리 스 드(3년~30년 만기)의 과

거 20년간 평균(약 11)을 감안하여 68를 장기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37) 할인율 시산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Ⅸ장 제3 을 참조하라

제Ⅲ장 경제성 분석 65

2) 채무불이행 프리미엄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은 장기무 험이자율에 채무불이행 험에 한 리미엄(가산

리)을 가산하여 계산한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채무불이행에 처할 가능성이 낮으므

로 부채의 체계 험은 낮을 것으로 보이나 상 으로 많은 부채가 사용됨을 감

안하여 장기 무 험이자율에 과거 3년간의 3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과 3년 만기 회사

채 수익률(AA- 등 과 BBB등 의 평균)의 차이인 20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가

산 리로 간주한다

나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주식의 자본비용은 무 험이자율과 험보상율의 합으로 구성된다 할인율과 이를 구하기 한 험보상율은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r j= r f + β jtimes(rm - r f )

여기서 r j는 투자사업 j에 한 자기자본비용을 rm은 시장기 수익률을 r f는 무 험이자율을 β j는 투자사업 j의 체계 험을 나타낸다

1) 시장위험 프리미엄의 추정

시장의 험 리미엄인 (rm - r f )는 비교 안정 인 시계열특성을 가지고 있

으므로 선진 11개국의 지난 30여년간의 (rm - r f )인 약 6를 사용한다38)

2) 체계적 위험의 추정

주식의 체계 험은 업 험과 재무 험을 모두 반 하므로 우선 업 험만

을 먼 산출하고 재무 험에 따라 그 규모를 조정하는 방법을 따르도록 한다 업

험은 보통 자산의 베타( βu )로 측정하는데 본 지침에서는 국내 400 기업의 자산

베타의 앙값인 0515를 사용한다 주식의 베타( β s )는 각 기업의 부채비율에 의해 향을 받게 되므로 민간투자사업

의 목표부채비율에 따라 베타를 다음과 같이 조정해야 한다

β s= β utimes [1+(1-T )times (목표부채비율 )]

여기서 T는 법인세율을 나타낸다

38) 미국의 경우 지난 100년간의 (rm -r f ) 가 약 8이다

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기업 특히 기업집단의 계열기업의 경우 부채비율 200가 상한으로 되어 있고

부채비율이 200 이상으로 높아지면 채무불이행 험이 가시화될 수 있어 SOC투자

사업의 경우도 200를 목표부채비율로 가정한다 외 으로 만일 정부의 보조 이

있고 업 험의 수 도 상 으로 낮다면 300의 부채비율도 허용할 수 있다

다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평균자본비용의 추정을 해 목표부채비율에 의해 조정된 베타를 사용하여 주식의 자본비용을 구하고 이미 구한 부채의 자본비용과 가 평균하여 가 평균자본비용

(WACC)을 추정한다 할인율로 사용할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은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r 0 = [ (1-T ) times r btimesL ] + [r s times ( 1-L )]

단 L= B (B+S ) = 667(부채비율 200) T= 275로 가정39)

앞에서 제시한 시장 라미터의 값을 사용한 명목 할인율 계산 차는 lt표 Ⅲ

-11gt과 같다

lt표 Ⅲ-11gt 명목 재무적 할인율 계산 절차

할 인 율 계산 차

부 채 의

자본비용

∙장기무 험이자율 (r f ) = 68 (장기 유동성 리미엄 11 반 )

∙부채의 자본비용 (r b ) = r f + 부채가산 리(20) = 88

주 식 의

자본비용

∙장기무 험이자율 (r f ) = 68

∙시장의 험보상률 (rm - r f ) = 6

∙자산베타( β u ) = 0515

∙목표부채비율 = 200(부채비 =667)

∙주식의 베타( β s )= βutimes [1+(1-T )times (목표부채비율 )]= 0515 times (1 + (1-0275) times 20) = 1262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 r f + β s times [ rm- r f ]= 68 + 1262 times (6) = 144

가 평균

자본비용가 평균자본비용( r 0

)= [( 1-T )times r b times L ] + [ r s times ( 1-L )]= (1-0275)times(88)times(0667) + (144)times(1-0667)= 91

39) 2005년부터 용 정인 법인세율 25와 주민세(본세의 10) 25를 가산하여 275임

제Ⅲ장 경제성 분석 67

라 실질 할인율의 계산

미래 흐름의 측은 명목가격에 의한 흐름보다는 불변가격에 의한

흐름 측이 자의성 개입의 여지가 기 때문에 불변가격(실질) 흐름을 실질 할

인율로 할인하는 방식을 취한다 명목 할인율( r )과 실질 할인율( r )의 계는 아래

식과 같다

r = (1+ r ) divide ( 1 + 기 물가상승률 )-1

= (1091 divide 103) - 1 = 59

명목 가 평균자본비용인 91로부터 기 물가상승률 3를 차감하면 실질 할인

율은 59가 된다 이 수치는 여러 가지 가정에 근거하여 도출된 값으로 향후 비타

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도출된 값의 근사치인 6를 실질 재무 할인율로 사용

하고자 한다 민자사업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경제상황의 변동에 따라 베타값 목표부채비율

경제성장률 기 물가상승률이 다를 수 있다 아래 표는 베타 부채비율 경제성장률

의 변화에 따른 실질 할인율의 계산 결과이다 개별사업에 해서 사업에 수반된

험도와 정부지원 수 을 감안하여 연구진들이 정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lt표 Ⅲ-12gt 실질 재무적 할인율 산정

무 험이자율 52 57 62

목표 부채비율 100 200 300 100 200 300 100 200 300

β1 = 1157 888 853 835 930 892 873 972 932 912

β2 = 0671 644 621 610 686 661 649 728 701 687

βmed = 0515 565 547 538 607 587 576 649 626 615

β3 = 0406 511 495 488 553 535 526 594 575 565

β4 = 0153 384 375 371 425 415 409 467 454 448

주 가정은 다음과 같다 물가상승률=30 단기무 험이자율=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 장기유동성

리미엄=11 장기무 험이자율=단기무 험이자율+장기유동성 리미엄 채무불이행 리미엄 = 20 부채의 자본비용=장기무 험이자율+채무불이행 리미엄

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최소 재정지원 비율의 산출

경제 타당성이 있으나 재무 타당성이 부족한 공공투자사업에 해 일정부분

의 재정지원을 통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재무성 분석에

서는 100 민간자본으로 추진하는 경우 이외에 건설비의 일부에 해 재정지원이

있는 경우와 FNPV = 0이 되는 수 으로 재정지원이 이루어질 경우를 가정하여 재무

성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업 자체에서 발생하는 흐름만으로는 재무 타당성이 부족한 공공투자사

업에 있어서 재정지원 규모를 결정하는 기본 골격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 za )를 구하는 것이다

FNPV = sumCF t+ z t

(1+r) t-sum

Inv t-Sub t

(1+r) t a = sum Sub t

sum Inv t

여기서 각 변수는 다음을 나타낸다

CFt 투자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흐름

z t 정부의 운 보조 손실보 부 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입 등

r 자본의 기회비용(즉 자본비용)

Inv t 매년 발생하는 투자비

Subt t년도에 발생하는 투자비 재정지원

a 총투자비 재정지원 비

식을 이용한 실무 인 계산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보조 지원비율을 a로 놓고 여기에 총 투자비를 곱하여 총보조 지 액

을 구한다 보조 의 투입 시기는 체 공사비 에서 lsquo자기자본 rarr 보조

rarr 차입 rsquo의 순서를 따른다

② 매 기간 발생하는 건설비와 보조 그리고 투자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흐름의 재가치를 계산한다

④ 재정지원비율( a )을 변화시켜 가면서 시행착오법에 의해 FNPV를 0으로 만

드는 a를 도출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69

비타당성조사 단계의 재무성 분석에서는 의 식에서 부 사업 수입을 제외한

기타수입( z t )을 무시하고 기 투자비 정부의 재정지원 비 을 일정 수 으로 가

정한 후 FNPV를 계산하여 재무 타당성에 한 비 평가를 하도록 한다

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부록] 재무성 분석표 작성 지침

lt참조-표 1gt 총사업비총투자비 내역표

구 분 계 1차년도 2차년도 비 고

조 사 비        

설 계 비        

공 사 비        

보 상 비        

부 비        

운 설 비 비        

제 세 공 과        

업 비        

비 비      물량변동 비비  

총 사 업 비

건 설 이 자      

총 투 자 비        

lt참조-표 2gt 재무성 분석 요약(도로사업의 예)

구 분사용료 수

도로공사 통행료의 15배 도로공사 통행료의 2배

재정지원

비율

건설비의 30 PIFNPVIRR PIFNPVIRR

건설비의 50 PIFNPVIRR PIFNPVIRR

FNPV = 0 재정지원 비율 재정지원 비율

주 재정지원 비율 사용료 수 은 부문별로 차등 으로 용

제Ⅲ장 경제성 분석 71

lt참조-표 3gt 수익성 분석표

연 도

수 입 비 용

가계보조

수입

기타

수입

합 계건설비 운 비 법인세

합 계

할인 할인후 할인 할인후

2005 공사1차

2006 2차

2007 3차

2008 4차

2009 5차

2010 6차

2011 7차

2012 운 1차

2013 2차

2014 3차

2015 4차

2016 5차

2017 6차

ꀟ ꀟ

2038 27차

2039 28차

2040 29차

2041 30차

합 계

주 손익계산서 상의 법인세와 다름

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운 수입과 운 비(매출원가 포함)는 사업 부문별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용한다

부 문 운 수입 항목 운 비(매출원가 포함) 항목

도 로 사 업 통행료 수입 도로유지보수비

철 도 사 업 요 수입 운 사업원가

항 만 사 업항만시설에 한 사용료 는

하역서비스에 한 사용료

하역장비운 비 는

시설의 유지보수비

임 사 업 임 수입 시설 리비용 등

주 부 사업 등 기타수입이 있는 경우 이를 창출하기 한 운 비용을 추가함

lt참조-표 4gt 추정 손익계산서

구 분

운 기 간

합계2012 2013 2014 2015 201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38 2039 2040 20411차 2차 3차 4차 5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7차 28차 29차 30차

매 출 액(A=B+C)

운 수입(B)

기타수입(C)

매출원가(D=E+F)

운 권상각비(E)

유지보수비(F)

매출총이익(H=A-D)

매비와 일반 리비(I)

업이익(J=H-I)

이자수입(K)

지 이자(L)

경상이익(M=J+K-L)

법인세(N)

당기순이익(O=M-N)

제Ⅲ장 경제성 분석 73

lt참조-표 5gt 추정 대차대조표

구 분

공 사 기 간 운 기 간

2005 200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0 2011 2012 201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0 2041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차 7차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차 30차

자산

건설 인 자산

유형자산

운 권

부채

차입

자본

자본

잉여 결손

(당기순이익)

부채와 자본 총계

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참조-표 6gt 추정 현금흐름표

구 분

공 사 기 간 운 기 간

2005 2006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10 2011 2012 2013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040 2041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6차 7차 1차 2차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29차 30차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운 수입

기타수입

이자수입

유출

매출원가(유지보수비등)

매비와 일반 리비

지 이자

법인세 등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유출

투자비

건설이자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

유입

자본 증가

차입 증가

국고보조 증가

유출

차입 상환

배당 지

의 증가

기 의

기말의

제Ⅲ장 경제성 분석 75

다음은 상기 표를 작성하기 한 지침이다 수익성 분석표 재무제표를 작

성하기 해 KDI에서 제공하는 재무성 분석시트를 이용하도록 한다

A 전체적인 순서

① 재무성 분석시트에는 수익성 분석표 흐름표 손익계산서 차 조표

가 포함되는데 수익성 분석표를 기본으로 하여 나머지 3개의 시트는 자동

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② 수익성 분석표의 값들에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흐름표와 손익계산서

에 필요한 수입과 지출 정부보조 항목을 얻는다

③ 흐름표에서 이자수입과 차입 에 한 이자비용을 구한다

④ 손익계산서에서 법인세와 법인세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를 구

한다

⑤ 손익계산서에서 구한 이자비용과 이자수입에 한 법인세차감효과를 제거한

법인세는 경상가격이므로 물가 상승률로 할인하여 불변가격으로 바꾸어 수

익성 분석표의 법인세로 이용한다

⑥ 이 게 하여 수익성 분석표의 모든 항목이 채워지면 분석시 의 수입과 비

용의 재가치를 계산하여 수익성 지수(PI)와 순 재가치(FNPV) 내부수익률

(FIRR) 회수기간(PB) 할인된 회수기간(discounted PB)을 구한다

⑦ 차 조표는 수익성 분석표와 직 인 연 은 없으나 건설비 건설이

자를 하여 운 권을 구하고 이를 무상 운 기간으로 나 어 감가상각비

를 구하기 해 작성한다

⑧ 해당 사업의 종류 성격에 따라 분석시트 상의 항목을 조정하여 사용하도

록 한다

⑨ 각 분석표의 액단 는 억원으로 통일한다

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B 수익성 분석표 작성 방법

① NPV 분석을 해 수입과 비용 항목에 값을 입력한다

-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할 항목(노란색 셀)은 매비와 일반 리비 비율

국고보조비율 수입 항목으로 운 수입 기타수입 비용 항목으로 건설

비 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이다

② 목표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은 재 200로 되어 있으나 합리 인 사유가

있을 경우 자본구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③ 일단 국고보조 이 지 되지 않는 상태(국고보조비율 0)와 국고보조비율이

일정수 ( 도로사업 50)일 경우의 FNPV를 구하고 FNPV = 0을 만드는

국고보조비율을 시행착오법으로 구한다 본 분석시트는 체 공사비에 한

보조 지원비율이 결정되면 자 의 투입순서(자기자본rarr국고보조 rarr차입

)에 따라 공사기간의 해당 연도 국고보조 이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④ 수입 항목은 운 수입과 부속사업 혹은 부 사업에서 발생하는 기타수입으

로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별도로 계산한 값을 해당항목에 직 입력한다

1) 도로사업

- 운 수입으로는 통행료 수입을 계상하며 각 연도의 구간별로 추정된 통

행수단별 교통량 구간길이와 통행수단별 km당 요 을 곱하여 구한다

- 도로공사가 시행하는 경우와 민간사업자 시행하는 경우의 요율 수 차

이 이로 인한 교통량 차이를 반 한다

- 도로사업에서 발생하는 부 수입으로는 고시설 편의시설 임 수입

등을 고려할 수 있다

2) 철도사업

- 철도사업의 경우 순승차 인원에서 무임승차 인원을 제외한 후 요 (구간

평균운임 등)을 곱하여 산정한다

⑤ 비용 항목은 건설비와 운 비(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로 구분되는

데 이는 경제성 분석에서 얻은 값을 이용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77

- 건설비(총 투자비 내역서 상의 조사비 설계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 설비비 제세공과 업 비 을 합한 값)는 경제성 분석에서 용

한 공정률에 따라 공사기간 동안 배분하여 입력한다

- 유지보수비는 경제성 분석에서 구한 값을 입력하고 경제성 분석에서 유

지보수비 외에 매비와 리비 등도 고려하여 운 비를 산정한 경우 비

용 항목을 구분하지 않고 운 비로 통일하여 하나의 항목으로 사용한다

- 운 수입에서 부 사업 등 기타수입을 고려할 경우 이에 한 운 비용

도 반드시 계산한다

- 기타 사업의 특성에 따른 추가 비용 재투자비용을 반 한다

- 경제성 분석에서 산출한 비용 활용시 부가세 10를 반드시 포함하여 계

산한다 단 도시철도 건설사업 등과 같이 세율이나 용되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⑥ 법인세는 손익계산서에서 구한 법인세에서 이자비용과 이자수입에 한 법

인세 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를 용한다

⑦ ①~⑥에 따라 PI FNPV FIRR을 산출한다 PB와 할인된 PB는 ldquo손익 rdquo

과 ldquo 가손익 rdquo 행을 보고 사용자가 직 ldquo손익 =0rdquo ldquo 가손익 =

0rdquo이 되는 연도를 찾아서 입력한다

C 손익계산서 작성방법

①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액 매출원가 유지보수비 매비와 일반 리비는

수익성 분석표의 해당 항목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② 매출원가 리운 권상각비는 자체가 명목가액이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

로 할증하지 않는다 감가상각비는 상자산의 취득원가를 기 으로 하여

정액법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 감가상각 베이스는 차 조표에서 계산된다

- 상각기간은 도로철도항만공항 등 교통사업의 경우 30년 수자원

사업 50년 문화 단지 조성사업은 30년을 용한다

③ 이자수입 지 이자는 흐름표의 해당 값과 동일하다 (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 (투자활동으로인한 흐름) + (재무활동으로인한 유

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입액) - (재무활동으로인한 유출액 배당 지 )에서 차입 상환액을

차감한 액이 이자수입의 베이스가 된다

- 2004년 재 3년 만기 국채수익률 등을 감안하여 연 4의 수취이자율을

사용한다

④ 지 이자는 흐름표에서 얻은 이자지 액과 동일하다

- 2004년 재 차입 에 한 지 이자율은 연 6를 용한다

⑤ 법인세는 2005년부터 시행 정인 법인세율을 용한다 과세표 액이 1억

이하에 해서는 13(주민세 포함 143) 1억 과에 해서는 25(275)

를 용하고 이월결손 에 해서는 5년간 결손 의 이월공제를 용한다

⑥ 분석시트 상의 지 이자 이자수입을 제외한 법인세차감 순이익(경상이

익) 항목은 수익성 분석표에 용될 법인세를 구하기 한 것으로서 법인

세차감 순이익에 지 이자분을 다시 더하고 이자수입분을 차감한 값이다

이 값에 법인세율을 용하여 수익성 분석을 한 법인세를 구한다

D 대차대조표 작성방법

① 은 흐름표상의 기말 액과 동일하다

② 건설 인 자산은 공사기간 동안 투자비와 건설이자 액의 합계액에서 국

고보조 을 차감한 액으로 건설이 완료되면 운 권 계정으로 체된다

- lsquo건설 인자산 = 투자비 + 건설이자 액 - 국고보조 rsquo

- 수익성 분석표의 연도별 건설비와 국고보조 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액으로 흐름표 상에서 계산된다

- 건설이자 액은 흐름표의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의 유

출에서 계산된 액( 년말잔+당해년도)이다

- 공사완료 시 에 운 권 계정으로 체된 자산의 가치가 자산의 취득원

가가 되고 이것이 감가상각 상 액이 된다(BTO 사업기 )

③ 운 권의 취득원가는 공사 완료시 에 ②에 의해 체된 액이다 운 권은

무상 운 기간동안 직 법(운 권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비 액을 차감)으

로 감가상각한다

제Ⅲ장 경제성 분석 79

- 분석시트 상에서는 3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되며 잔존가치는 0으로 가

정하 다

- 상각기간은 도로사업의 경우 30년 철도항만공항 사업 30년 수자원

사업 50년 문화 단지 조성사업은 30년을 용한다

④ 차입 은 자 투입순서에 따라 체 건설비 자기자본 국고보조 을 차

감한 후의 타인자본 조달 액으로 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에서 계산되는 액이다

⑤ 자본 은 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 lsquo자본 의 증가rsquo 항

목의 액으로 계산된다 즉 당해년도의 자본 계정은 년도의 기말 장

부 액에 당해년도에 증가된 자본 액을 더하여 계산된다

⑥ 잉여 (결손 )은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손실)을 하여 계산

한다 즉 당해년도 잉여 (결손 ) 계정의 장부 액은 년도 기말의 장부

액에 당해년도에 발생한 당기순이익(손실)을 더하여 계산한다

⑦ 당기순이익(손실)은 손익계산서 상의 액이다

⑧ 차 조표상의 차변(자산)항목과 변(부채+자본)항목의 수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E 현금흐름표 작성방법

① 운 수입과 기타수입은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수입과 기타수입을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② 이자수입은 잉여자 한 이자수익으로 수취이자율을 용하여 계산한다

③ 유지보수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비 유지보수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④ 매비와 일반 리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운 비 매비와 일반 리

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한다

⑤ 지 이자는 차입 에 한 지 이자이다 기 의 차입 액에 해 계산

하며 2004년 재 민간투자사업 부채평균이율(연 7~8)과 도로공사 10년채

유통수익률(연 52)을 감안하여 연 6의 리를 용한다

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⑥ 법인세와 법인세차감효과(tax shield)를 제거한 법인세는 손익계산서 상의 법

인세 액을 사용한다

⑦ 투자비는 수익성 분석표에 있는 건설비를 물가 상승률로 할증한 값을 사용

한다

⑧ 자본 과 정부보조 은 수익성 분석표에서 자 조달 순서에 의해 도출된 값

을 물가상승률로 할증하여 경상가격으로 나타낸다 투자비용은 자기자본 정

부보조 차입 의 순서로 충당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⑨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과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의 합이 음(-)일

경우 차입 이 증가하고 양(+)일 경우 차입 의 상환이 증가한다 차입

액이 모두 상환될 때까지는 업활동과 투자활동을 통해 발생되는

수지를 모두 차입 상환에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⑩ 의 증가는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흐름

그리고 재무활동으로 인한 흐름을 모두 합산한 값이며 여기에 기 의

을 더하여 기말의 을 도출한다

제Ⅳ장

정책적 분석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비타당성조사의 분석 내용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구성된다 정책

분석은 경제성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고려하여야

할 평가요소들을 포함한다 경제성 분석은 사업시행으로 인한 국민경제 효과를 편

익 는 비용으로 계량화하여 비용-편익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한다 한편 정책 분석은 사업시행으로 인한 사회 편익 는 비용을 계량화하여 편익비용 분석 틀 속에 포함시킬 수는 없으나 사업의 시행 여부를 단하는 데 있어서 고

려하여야 할 평가요소들에 한 분석을 포함한다 를 들어 지역균형발 이라는 사

회 으로 합의된 가치를 반 하여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하기 하여 해당지역의

낙후정도를 반 하기 한 지역낙후도 분석 해당 사업의 시행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 등을 수행한다 정책 분석에 포함해야할 평가내용은 모든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에 공통

으로 용되는가 여부에 따라 lsquo기본 평가항목rsquo과 lsquo사업특수 평가항목rsquo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평가항목이란 해당사업 내용과 무 하게 모든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

에 한 평가에 있어 공통 으로 포함하여야 할 평가항목들이다 기본평가항목을 사

으로 설정하는 가장 요한 이유는 사업의 성격에 계없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이 제한된 국가재정을 투입할 때 일반 으로 고려하여야 할 공통사항이 존재

하며 사업간 평가의 일 성을 기하기 해서는 평가항목 선정에 어느 정도의 통일성

을 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정책 분석의 lsquo기본 평가항목rsquo으로 지역균형발 을 한

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 등을 고려한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

업을 평가하는 데 특히 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특수한 평가항목으로서 국방문

화도시문제 등 사업 내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이와 같은 범주화 방식은 사업간 평가의 일 성에 주안

을 둔 것으로서 일 된 자료 수집이 용이한 장 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 구

조는 AHP 분석에 의한 종합평가에 있어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평가 내용 면에

서 상호 연계되어있는 평가 항목들이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리

되어 있음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본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 평가항목을 평가내용에 따라 지역균형발 정책의 일 성 의지 사업추진상

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항목 등 4개 분류 항목으로 범주화하여 평가 구조를

설정한다

lt표 Ⅳ-1gt 정책적 분석 항목의 범주화

분 류 세부 평가항목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효과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

∙사업의 비 정도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추가 평가항목 (선택 )

사업특수 평가항목 ∙추가 평가항목 (선택 )

lsquo지역균형발 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포함한다 이에 추가하여 해당 사업에 특수한 평가항목 가운데 지역균형발 과 련 있는 평가

제Ⅳ장 정책 분석 83

항목을 포함한다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련계획 정

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 사업의 비 정도 련 있는 추가

평가항목을 포함한다 lsquo사업추진상의 험 요인rsquo 분류 평가항목에는 재원조달 가능

성 환경성 그리고 련 있는 추가 평가항목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lsquo사업특수 평가

항목rsquo이라는 분류 평가항목을 두어 앞의 세 범주에 속하지 않는 평가항목들을 포함

하도록 한다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1 지역균형발전

비타당성조사에서 BC로 표 되는 경제성 분석 결과만을 기 으로 사업의 타당

성을 평가할 경우 지역간 불균형 상태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경제성 분석의 구조에 따르면 지역발 이 부진한 낙후지역일수록 사업의 타당성이 낮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를 들어 낙후지역의 도로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할 경우 인구가 고 교

통량이 상 으로 아 도로건설의 편익이 작아 사업의 경제 타당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 지역에 한 투자기회는 어지고 경제성이 높게 평가된 다른

지역으로 투자가 집 되는 상이 지속되어 지역간 빈익빈 부익부 상이 심화된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 같은 상을 방지하기 해 지역균형발 이라는 상 의

국가정책을 평가에 반 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지역균형발 효과를 평가하

기 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개발하고 사업 시행의 지역별 효과를 분석하기

한 다지역투입산출모형(MRIO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개발하 다 이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는 근본 취지는 낙후지역에서 수행되는 공공투자사업 그리고 해

당지역에 한 효과가 큰 사업에 해서 일종의 가 을 부여함으로써 경제성이

다소 낮은 사업이라 할지라도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역간 불균형상태가 심

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지역낙후도

지역낙후정도를 평가에 반 하기 해서는 재의 지역별 낙후정도에 한 객

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낙후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표 변수는

지역소득이다 그러나 시군구별 소득자료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타당성조

사에서는 사업 시행지역의 상 낙후정도를 나타내기 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개

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지역낙후도지수는 낙후정도를 구성하는 지표들의 가 평균으

로 나타낸 지수이다 본 지침에서는 기존 지침의 지역낙후도지수 체계를 유지하되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된 자료를 최근의 자료로 갱신하여 지역낙후도지수를 다

시 산정하 다지역낙후도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로는 기존 지침과 같이 건설교통부가 개발 진지

구 지정에 사용되는 8개 지표를 사용하 다40) lt표 Ⅳ-2gt는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를 보여 다

lt표 Ⅳ-2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

부 문 지표 측정 방법 자료 출처 비고

인 구 인구증가율 최근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산 업제 조 업

종사자비율(제조업종사자수인구)times100

각 시도 사업체

기 통계조사 보고서

지 역

기반시설도 로 율 (법정도로연장행정구역면 )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교 통승 용 차

등록 수(승용차등록 수인구)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보건

사회보장

인 구 당

의 사 수(의사 수인구)times100

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노령화지수 (65세이상0-14세 인구)times100통계청 시군구

주요통계지표

행middot재정middot기 타

재정자립도(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

세입총계)times100 최근 3년간 평균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도시 토지

이용비율

지목상( 지+공장용지+학교용지) 행정구역 면 〕times100

한국감정원 지 통계연보

40) 건설교통부 ꡔ지역개발사업에 한 업무지침ꡕ 2003 2 21

제Ⅳ장 정책 분석 85

8개 지표로부터 지역낙후도지수라는 통합 지수(Aggregate Indicator)를 산출하기

해서는 지표간 가 치를 설정하고 지표간 상이한 척도를 표 화시키는 작업이 필

요하다 본 지침에서는 기존의 지침과 동일한 가 치와 척도표 화 방법을 용하여

통합지수를 산정하 다 지표간 가 치는 lt표 Ⅳ-3gt과 같이 기존 지침과 동일한 가 치를 용하 다 지

표간 가 치는 AHP 구조를 설정하여 련 학회 연구소 비타당성조사 수행경험자

등을 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 치를 결정하 다41)

lt표 Ⅳ-3gt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간 가중치

지 표 가 치() 지 표 가 치()

인 구 증 가 율 89 승용차 등록 수 124

노 령 화 지 수 44 도 로 율 117

재 정 자 립 도 291 인 구 당 의 사 수 63

제조업종사자 비율 131 도시 토지이용비율 142

지표간 척도가 상이한 문제 을 해소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단 정상법(unit normal scaling)을 사용하여 8개 지표를 표 화(standardize)하 다

Z i=Xi- X

S

단 S는 표 편차 X는 표본평균

지역낙후도지수는 표 화된 지수와 에서 산출한 지표간 가 치를 용하여 다

음과 같이 산정한다

UIr= sum

iZrisdotW i

단 UIr = r지역의 지역낙후도지수

Zri = r 지역의 표 화된 지표 i의 값(단 i = 1 2 8) Wi = 지표 i의 가 치(단 i = 1 2 8)

41) 가 치 설정에 해서는 ꡔ일반지침(제3 )ꡕ pp 98~101 참조

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때 노령화지수는 그 값이 클수록 지역낙후도가 심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

에 종합 수를 산정할 때 (-)의 값을 부여하여 계산한다지역낙후도지수 산정 결과와 시도별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지 역

인 구 경 제 기 반 시 설 종 합 종 합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 용 차

등록 수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서 울 -0210 33506 94865 5561 19976 13130 0185 39769 1371 1

부 산 -0619 38534 72855 5930 17030 3358 0128 16149 0054 8

구 0307 32434 68681 6632 22099 2329 0150 11562 0423 6

인 천 1070 27122 73014 8919 20267 2676 0093 10367 0528 5

주 1101 26644 59306 4468 19863 2384 0159 13392 0298 7

1483 27376 72921 3428 23775 2790 0153 12936 0700 4

울 산 1099 18728 68082 13259 23935 1380 0086 7832 0783 3

경기도 3216 26765 76656 8838 21678 0995 0089 5063 0889 2

강원도 0444 53979 22147 2922 20332 0437 0183 0999 -0681 14

충 북 0349 49245 34529 7763 19760 0654 0093 2537 -0404 10

충 남 0161 63210 31425 7972 18714 0720 0099 3497 -0536 12

북 -0462 58042 26718 4388 17743 0713 0115 2919 -0880 15

남 -1009 71046 22745 4322 15024 0713 0074 2729 -1284 16

경 북 -0256 62580 30300 8706 19821 0535 0072 1891 -0608 13

경 남 0548 43923 36414 10248 19810 0837 0081 2862 -0229 9

제 주 0887 35751 34335 1497 21176 1587 0094 2978 -0429 11

주 기장군은 부산 역시에 달성군은 구 역시에 강화군과 옹진군은 인천 역시에 울주군은 울산

역시에 포함하 음

제Ⅳ장 정책 분석 87

lt표 Ⅳ-5gt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지 역

주 민

등 록

인 구

증가율

제조업

인 구

비 율

도로율

인 구

1인당

승용차

등록 수

1인당

의사수

노령화

지 수

도시

토 지

이용율

재 정

자립도

낙후도

지 수

특별시 서 울 12 10 1 8 1 10 1 1 1

역시

부산(기장군) 15 9 2 15 6 9 2 5 8

구(달성군) 9 8 6 3 5 11 5 6 6

인천(강화군 옹진군) 5 3 4 7 11 13 6 3 5

주 3 11 5 9 3 15 3 8 7

2 14 3 2 4 12 4 4 4

울산(울주군) 4 1 8 1 13 16 7 7 3

경기도 1 4 9 4 12 14 8 2 2

강원도 11 15 15 6 2 5 16 16 14

충청북도 8 7 14 12 10 6 14 10 10

충청남도 10 6 11 13 8 2 9 12 12

라북도 14 12 12 14 7 4 11 14 15

라남도 16 13 13 16 15 1 13 15 16

경상북도 13 5 16 10 16 3 15 13 13

경상남도 7 2 10 11 14 7 12 9 9

제주도 6 16 7 5 9 8 10 11 11

주 기장군은 부산 역시에 달성군은 구 역시에 강화군과 옹진군은 인천 역시에 울주군은 울산

역시에 포함하 음

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Ⅳ-6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특별시 서 울 -0210 33506 94318 5556 19976 13130 0185 39769 3086 1

역시 부 산 -0644 38226 70192 5754 16975 4436 0131 21174 1397 11

역시 구 0168 32421 66216 5885 22088 3766 0158 19142 1477 9

역시 인 천 1129 25115 72871 9132 20478 5304 0094 21243 1701 4

역시 주 1101 26644 56820 4436 19863 2384 0159 13392 1021 22

역시 1483 27376 70690 3381 23775 2790 0153 12936 1378 13

역시 울 산 0769 15973 64928 12140 24075 3101 0093 18553 1513 8

부 산 기 장 군 0627 52218 39060 13826 19642 0659 0055 3574 0348 52

구 달 성 군 2541 32604 37053 17835 22255 0786 0048 3421 0561 41

인 천 강 화 군 -1118 120290 24346 2353 16030 0724 0049 2986 -0414 100

인 천 옹 진 군 1296 123792 30515 0548 13524 0993 0042 1640 -0370 92

울 산 울 주 군 2906 33007 51659 18987 23213 0693 0054 3551 0884 26

경 기 수 원 시 4905 18829 62126 5359 22906 5156 0136 25756 1808 3

경 기 성 남 시 0419 26744 70139 3965 21032 3332 0113 14956 1275 15

경 기 의정부시 4245 26794 52211 1591 19007 3654 0122 11201 0940 24

경 기 안 양 시 0142 25003 65542 6547 20880 5286 0109 23998 1585 7

경 기 부 천 시 0736 22668 60611 9824 18838 8310 0107 36321 2034 2

경 기 명 시 -0103 25617 52225 3820 17486 4007 0083 17985 0905 25

경 기 용 인 시 11185 24857 60886 7045 26195 0809 0064 5913 1233 16

경 기 평 택 시 0816 33116 40490 12445 23040 1287 0078 7541 0648 37

경 기 동두천시 0154 45782 28628 5610 18903 0836 0064 4930 0013 69

경 기 안 산 시 2910 16657 55772 16666 22271 4830 0090 18845 1606 6

경 기 과 천 시 -0201 28669 43964 1259 23254 1399 0044 7895 0387 50

경 기 구 리 시 3236 22556 42569 1903 19624 3317 0126 12222 0777 33

경 기 남양주시 6864 28080 42574 4630 20117 0574 0047 3188 0419 45

경 기 오 산 시 8616 17862 40325 8106 22985 1765 0085 14364 1025 21

경 기 주 시 5713 43677 39591 11416 22204 0596 0057 3607 0563 40

경 기 시 흥 시 9428 15200 57481 19624 23174 3433 0058 12423 1646 5

경 기 군 포 시 0528 22690 58534 10744 21011 3067 0064 17920 1194 18

경 기 의 왕 시 3090 25829 48846 6278 21856 2560 0073 8143 0799 32

제Ⅳ장 정책 분석 89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기 하 남 시 0414 33001 33928 5144 19598 0672 0060 4350 0102 63경 기 이 천 시 2061 32465 46206 14233 22802 0734 0070 4306 0692 35 경 기 고 양 시 3081 25600 62606 2979 23298 2432 0113 9615 1099 19 경 기 안 성 시 2933 50985 28757 12466 21499 0614 0058 3802 0287 55 경 기 김 포 시 8931 31044 44829 18374 23996 0658 0078 6360 1088 20 경 기 양 주 군 7057 31138 36740 21396 20943 0936 0034 5079 0773 34 경 기 여 주 군 0779 56660 29905 6198 20719 0646 0048 2858 0025 66 경 기 화 성 시 5127 41431 52586 35332 23692 0699 0035 5429 1357 14 경 기 주 시 9359 30822 42457 14059 24802 0543 0012 3618 0802 30 경 기 연 천 군 -1743 73586 21570 4856 18478 0393 0032 1162 -0403 99 경 기 포 천 군 1571 42002 35321 17373 20346 0515 0050 2838 0391 49 경 기 가 평 군 -0346 81512 29781 1967 17978 0369 0061 1090 -0255 85 경 기 양 평 군 0379 86491 19558 1448 19533 0449 0049 1707 -0373 93 강 원 춘 천 시 1024 46024 34086 1810 23235 0571 0160 1723 0265 56 강 원 원 주 시 1706 38852 34981 4515 21809 0700 0192 2536 0412 46 강 원 강 릉 시 0412 50418 19201 2913 22748 0474 0141 1812 -0042 72 강 원 동 해 시 -0031 42853 23882 2739 21612 0881 0079 5563 -0008 71 강 원 태 백 시 -1816 51465 18481 1505 19550 0988 0089 1317 -0328 88 강 원 속 시 1142 38547 23001 1683 20738 1322 0083 5826 0017 68 강 원 삼 척 시 -2091 78189 10962 2358 17936 0516 0066 0729 -0611 129 강 원 홍 천 군 -0647 76168 17773 2523 16370 0321 0077 0643 -0486 112 강 원 횡 성 군 -0798 99024 16699 6543 16073 0398 0057 0949 -0472 109 강 원 월 군 -2168 96560 12832 3311 16291 0370 0090 0771 -0594 127 강 원 평 창 군 -1058 83164 17352 2117 16609 0340 0067 0558 -0534 119 강 원 정 선 군 -1281 71379 15923 1754 14722 0394 0062 0599 -0625 131 강 원 철 원 군 -1376 54736 16917 2561 17555 0406 0065 0941 -0476 111 강 원 화 천 군 -1219 64443 12360 1387 17250 0415 0079 0421 -0579 125 강 원 양 구 군 -1036 59526 24442 1512 16984 0438 0088 0506 -0348 91 강 원 인 제 군 -1025 56832 15212 1477 18065 0241 0062 0341 -0536 120 강 원 고 성 군 -2029 85773 11488 3333 16311 0487 0044 0785 -0675 137 강 원 양 양 군 -0512 90716 9305 2638 19746 0455 0043 0817 -0578 124 충 북 청 주 시 2129 24822 63169 5273 22301 3843 0127 18444 1427 10 충 북 충 주 시 -0518 51280 28703 4432 19282 0580 0093 2576 -0047 73 충 북 제 천 시 -0631 52761 25602 2993 19195 0516 0076 1555 -0199 83 충 북 청 원 군 0263 73797 28530 15401 18795 0642 0050 4050 0146 62

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충 북 보은군 -2514 134188 13339 3702 13498 0647 0047 1572 -0750 145 충 북 옥천군 -1469 101572 18213 9176 16347 0647 0068 1968 -0343 90 충 북 동군 -1819 111949 15215 3704 14253 0538 0046 1207 -0667 136 충 북 진천군 0480 59620 25117 23125 19889 0738 0051 3266 0308 54 충 북 괴산군 -1957 95692 20251 6537 16078 0546 0056 1723 -0421 104 충 북 음성군 0011 61049 25638 21490 19091 0730 0093 4163 0333 53 충 북 단양군 -2709 93653 18047 6467 15582 0459 0043 0950 -0547 121 충 남 천안시 3531 27066 44916 12260 23216 1412 0168 6684 0974 23 충 남 공주시 -0573 76685 18963 4627 17486 0744 0101 2269 -0271 86 충 남 보령시 -1401 74153 22048 3070 16643 0655 0118 2720 -0271 87 충 남 아산시 1775 48482 35529 15882 21084 0850 0067 5534 0501 44 충 남 서산시 -0146 53826 26895 4145 18739 0543 0073 3171 -0117 74 충 남 논산시 -0177 67706 24462 4217 17771 0698 0080 4282 -0152 77 충 남 산군 -2595 112628 17112 9947 15390 0519 0076 1983 -0417 101 충 남 연기군 0595 71315 30421 15275 18500 0719 0073 4429 0236 58 충 남 부여군 -2149 118545 17771 3466 13478 0651 0079 2939 -0564 123 충 남 서천군 -2874 130465 16196 4860 15397 0884 0074 3875 -0506 115 충 남 청양군 -2320 142031 14569 5031 13205 0702 0067 2072 -0657 134 충 남 홍성군 -1596 93112 18253 2674 16184 0662 0085 3370 -0427 105 충 남 산군 -1650 101518 18969 4478 16419 0570 0067 3180 -0419 103 충 남 태안군 -1158 75338 27215 0968 14943 0593 0060 2334 -0393 97 충 남 당진군 -1096 92882 28721 6111 18098 0617 0057 4201 -0130 75

북 주시 1181 30205 43484 2363 20876 1855 0208 14478 0852 29 북 군산시 -0602 44616 32905 5614 19605 1336 0073 8568 0219 60 북 익산시 0003 43681 37139 6470 18713 0894 0086 6384 0244 57 북 정읍시 -1507 84386 15978 4628 14050 0765 0085 3147 -0474 110 북 남원시 -1279 81925 12567 3570 14196 0625 0097 1982 -0556 122 북 김제시 -1968 110485 19223 6330 15470 0826 0049 3918 -0418 102 북 완주군 -0323 84397 24542 10897 17326 0521 0044 2279 -0158 78 북 진안군 -3303 147398 13212 2223 12658 0543 0056 0979 -0855 159 북 무주군 -1985 129118 11651 1438 12777 0406 0047 0878 -0863 161 북 장수군 -2376 142398 15635 2853 11408 0608 0026 1032 -0849 157 북 임실군 -3262 166055 12018 4115 12208 0686 0043 1395 -0866 162 북 순창군 -2951 164352 13221 3443 11635 0625 0040 1558 -0872 163 북 고창군 -2679 126620 14440 1756 11611 0704 0069 2597 -0765 147

제Ⅳ장 정책 분석 91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용차

등록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북 부안군 -2597 118015 16303 2026 12814 0742 0062 2636 -0687 138 남 목포시 -0393 30283 31550 2256 17560 5160 0109 25088 0800 31 남 여수시 -0911 40599 32987 5464 16507 1306 0072 6781 0069 64 남 순천시 0517 37225 30358 1732 18802 1081 0102 2356 0002 70 남 나주시 -1719 107841 17749 5417 13890 0747 0099 3531 -0428 106 남 양시 0845 28214 37286 9403 21768 1113 0051 5636 0387 51 남 담양군 -2479 131949 15681 8467 14911 0576 0054 2586 -0526 117 남 곡성군 -2239 151603 11439 7758 11919 0456 0062 1604 -0732 143 남 구례군 -1928 128495 13701 1482 12532 0445 0041 1480 -0826 155 남 고흥군 -2376 169021 9463 3095 9208 0690 0070 1986 -0936 167 남 보성군 -2587 153755 13916 2141 11134 0598 0071 2117 -0816 154 남 화순군 1295 70845 19037 3380 15994 0481 0061 1585 -0382 94 남 장흥군 -2668 130087 14091 2100 11324 0514 0077 1847 -0791 151 남 강진군 -2334 128741 14486 2337 11471 0530 0058 2201 -0787 150 남 해남군 -1446 110637 13545 2814 11478 0606 0079 2121 -0704 141 남 암군 0374 84164 16328 15911 14747 0618 0046 4009 -0191 81 남 무안군 -1645 105514 14002 3421 12311 0878 0053 3080 -0664 135 남 함평군 -2738 157257 18644 3480 11678 0797 0055 3095 -0691 139 남 군 -2150 90429 20579 1308 13214 0630 0095 3586 -0506 114 남 장성군 -1798 113213 18811 5692 14981 0618 0047 2347 -0506 116 남 완도군 -1933 114687 12155 4694 9585 0654 0024 2524 -0851 158 남 진도군 -2194 130828 13685 1616 10818 0732 0050 1649 -0845 156 남 신안군 -2677 171617 9377 1540 7128 0591 0022 1585 -1152 170

경 북 포항시 0018 33596 51912 7278 23394 0641 0089 4188 0605 38 경 북 경주시 -0434 57259 31551 9094 21872 0616 0098 2611 0196 61 경 북 김천시 -0417 76244 40363 6403 17859 0597 0065 1940 0067 65 경 북 안동시 -0988 79159 21526 1802 17632 0540 0102 1432 -0333 89 경 북 구미시 1722 19486 63895 21662 23630 0676 0076 5137 1210 17 경 북 주시 -1388 77385 23211 2747 17048 0624 0053 2043 -0383 95 경 북 천시 -0873 90631 18985 9214 19337 0471 0087 2023 -0184 80 경 북 상주시 -1831 118387 18928 2324 14914 0523 0059 1770 -0588 126 경 북 문경시 -1805 106618 14623 2287 15016 0624 0066 1613 -0630 132 경 북 경산시 1992 38277 37284 11493 23059 0863 0075 5581 0527 43 경 북 군 군 -0197 166544 11125 5833 14103 0410 0022 1130 -0744 144 경 북 의성군 -2741 202301 13301 3150 13232 0430 0039 1316 -0877 165 경 북 청송군 -2026 137464 14041 1291 14719 0416 0025 0801 -0815 153 경 북 양군 -2524 176190 10754 1698 12728 0441 0023 0517 -0983 169 경 북 덕군 -0653 122776 12597 2974 11746 0513 0059 1039 -0760 146 경 북 청도군 -2124 174889 13830 3536 15298 0521 0053 1436 -0715 142

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북 고령군 -1292 114955 18971 15324 19674 0494 0035 1977 -0165 79

경 북 성주군 -0451 119461 18161 7958 16922 0537 0038 1757 -0402 98

경 북 칠곡군 3144 40634 34381 19224 23348 0642 0054 2756 0579 39

경 북 천군 -2928 177303 13570 2112 12854 0582 0041 1951 -0862 160

경 북 화군 -3044 164761 11001 3202 11893 0401 0030 0693 -0965 168

경 북 울진군 -1665 92781 23857 1575 16245 0406 0030 0876 -0531 118

경 북 울릉군 -1794 90415 22308 3346 11970 1122 0010 1323 -0623 130

경 남 창원시 0368 15982 65920 18667 24528 2344 0050 11626 1387 12

경 남 마산시 0316 35206 44451 5865 20392 1547 0133 5738 0544 42

경 남 진주시 0060 40707 33897 3841 19728 1018 0154 3404 0231 59

경 남 진해시 1115 36747 30519 6947 21996 2034 0054 10586 0410 47

경 남 통 시 -0922 51344 23057 4013 15079 1645 0078 3961 -0213 84

경 남 사천시 -0618 63553 19928 7061 17629 0934 0066 3726 -0199 82

경 남 김해시 4970 21644 34998 14364 21630 1437 0071 6613 0684 36

경 남 양시 -1387 88140 17917 3996 16541 0584 0070 2158 -0441 108

경 남 거제시 2061 28811 28680 17408 21527 0750 0060 4012 0407 48

경 남 양산시 3535 25366 50584 19676 20737 0910 0072 3507 0880 27

경 남 의령군 -2252 195867 14633 5508 14402 0841 0042 1754 -0696 140

경 남 함안군 -0717 89669 20585 16748 19796 0858 0052 3031 0023 67

경 남 창녕군 -2151 123387 20153 4909 16255 0868 0086 2531 -0389 96

경 남 고성군 -2206 128670 15178 5561 14170 0843 0053 2350 -0597 128

경 남 남해군 -2787 179893 13417 1534 10947 0790 0057 2601 -0876 164

경 남 하동군 -2032 132548 14392 1724 13864 0621 0035 1622 -0769 148

경 남 산청군 -2655 179142 12129 2385 13784 0515 0026 1152 -0894 166

경 남 함양군 -2099 144677 12883 2614 11595 0463 0088 1147 -0785 149

경 남 거창군 -1426 103664 13603 2667 14574 0452 0070 1246 -0651 133

제Ⅳ장 정책 분석 93

(표 계속)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 종 합

인 구

증가율

(0089)

노령화

지 수

(0044)

재 정

자립도

(0291)

제조업

종사자

비 율

(0131)

승 용 차

등록 수

(0124)

도로율

(0117)

의사수

(0063)

도시

토 지

이용율

(0142)

지 역

낙후도

지 수

지 역

낙후도

경 남 합 천 군 -2767 178508 15328 3403 13574 0552 0041 1259 -0793 152

제 주 제 주 시 1750 24777 41783 1349 23833 5211 0133 6408 0855 28

제 주 서귀포시 -0027 41410 19345 0866 20965 1238 0097 3493 -0132 76

제 주 북제주군 0483 72946 18295 2103 16875 0927 0029 2188 -0436 107

제 주 남제주군 -0696 68399 16530 1763 16954 1000 0029 2266 -0499 113

주 1) 지표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음 ∙인구증가율 = 1997~2002년간 연평균 증가율 ∙노령화지수 = (65세 이상0~14세 인구)times100 ∙재정자립도 = (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총계 산규모 2000~2002 3개년을 합산하 음 ∙제조업종사자비율 = 월평균제조업종사자인구(2002년 기 ) ∙승용차등록 수 = (승용차등록 수인구)times100(2002년 기 ) ∙도로율 = 총도로연장(km)행정구역면 (km2)(2002년 기 ) ∙고속도로 고속국도 연장은 제외하 음 ∙의사수 = (의사수인구)times100(2002년 기 ) ∙도시 토지이용율 = [( 지+공장용지+학교용지)행정구역면 ]times100(2002년 기 ) 2) 재정자립도 산정 시 사용되는 세외수입 항목의 변화- 지방자치단체 산편성지침의 산과목 설정

기 에 의거 기존에 세외수입(징수교부 )에 포함되었던 「재정보 」을 2001년부터 의존재원으로

분류함에 따라 세외수입에서 제외됨 따라서 기존 일반지침(제3 )에서의 재정자립도와 본 지침연

구에서의 재정자립도 순 의 변화가 있음 세입에서 재정보 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지역은

재정자립도 변화가 큼 ) 과천시의 경우 2002년 재정자립도가 세외수입에 재정보 포함시에는 948 으나 세외수

임에 재정보 제외시에는 421로 폭 감소함 3) 역시 통계에는 역시의 군지역 통계가 제외되었음 4) 충북의 증평출장소는 괴산군에 포함하 음 5) 충남의 계룡출장소는 논산시에 포함하 음 6) 경기도 화성군과 주군은 2001년 3월에 각각 시로 승격되었음 7) 각 표의 1행에 있는 ( ) 안의 숫자는 AHP분석을 통해 얻어진 8개 지표의 상 가 치임 8) 지역낙후도지수는 8개 지표값들을 표 화 한 후 ( )의 가 치를 곱한 후 합산하여 산출하 음 단

노령화 지수는 지역낙후도와 (-)의 계를 가지므로 (-)를 곱하여 합산

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Ⅳ-7gt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표별 순위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 특별시 서 울 시 74 41 1 67 52 1 3 1 0 1

2 역시 부 산 시 87 46 4 62 94 9 14 7 0 11

3 역시 구 시 60 35 6 59 28 12 7 8 0 9

4 역시 인 천 시 37 16 2 39 48 3 32 6 0 4

5 역시 주 시 39 21 18 84 54 22 6 17 0 22

6 역시 시 32 25 3 103 7 19 9 18 0 13

7 역시 울 산 시 44 2 9 29 4 17 35 10 0 8

8 부 산 기 장 군 46 68 41 25 59 86 112 64 0 52

9 구 달 성 군 22 37 45 12 26 63 132 69 1 41

10 인 천 강 화 군 101 134 79 129 112 73 130 80 3 100

11 인 천 옹 진 군 33 137 61 170 139 42 146 126 5 92

12 울 산 울 주 군 21 39 24 9 16 80 113 65 0 26

13 경 기 수 원 시 11 6 13 71 21 7 11 3 0 3

14 경 기 성 남 시 52 22 5 91 39 15 19 14 0 15

15 경 기 의정부시 12 23 22 153 69 13 17 22 1 24

16 경 기 안 양 시 62 15 8 49 43 4 21 5 0 7

17 경 기 부 천 시 45 10 15 35 71 2 23 2 0 2

18 경 기 명 시 69 19 21 93 88 10 48 12 0 25

19 경 기 용 인 시 1 14 14 47 1 60 88 35 0 16

20 경 기 평 택 시 42 40 38 27 19 35 57 28 0 37

21 경 기 동두천시 61 60 70 65 70 58 89 45 0 69

22 경 기 안 산 시 20 4 19 16 25 8 37 9 0 6

23 경 기 과 천 시 73 28 32 167 13 31 140 27 2 50

24 경 기 구 리 시 15 9 35 142 60 16 16 20 1 33

25 경 기 남양주시 7 26 34 79 51 119 135 73 1 45

제Ⅳ장 정책 분석 95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26 경기 오 산 시 5 5 39 42 20 26 47 16 0 21

27 경기 주 시 8 57 40 31 27 112 105 62 0 40

28 경기 시 흥 시 2 1 17 7 17 14 104 19 0 5

29 경기 군 포 시 48 11 16 33 40 18 90 13 0 18

30 경기 의 왕 시 17 20 26 56 31 20 68 26 0 32

31 경기 하 남 시 53 38 53 73 62 84 99 47 0 63

32 경기 이 천 시 25 36 27 23 22 70 75 48 0 35

33 경기 고 양 시 18 18 12 113 12 21 20 24 0 19

34 경기 안 성 시 19 64 65 26 37 107 102 59 0 55

35 경기 김 포 시 4 33 29 11 5 87 55 34 0 20

36 경기 양 주 군 6 34 46 5 42 44 156 44 1 34

37 경기 여 주 군 43 72 63 57 47 93 131 82 1 66

38 경기 화 성 시 9 54 20 1 8 78 155 42 1 14

39 경기 주 시 3 32 35 24 2 125 169 61 2 30

40 경기 연 천 군 120 86 87 77 77 165 157 145 3 99

41 경기 포 천 군 31 55 48 14 50 138 127 83 2 49

42 경기 가 평 군 76 96 64 141 80 167 95 149 3 85

43 경기 양 평 군 55 103 94 161 64 151 129 124 4 93

44 강원 춘 천 시 40 61 52 143 14 120 5 123 1 56

45 강원 원 주 시 30 49 50 82 32 77 2 92 0 46

46 강원 강 릉 시 54 63 97 115 23 144 10 118 1 72

47 강원 동 해 시 68 56 80 119 35 50 54 40 0 71

48 강원 태 백 시 124 67 106 158 63 43 39 140 3 88

49 강원 속 시 36 48 84 151 45 33 49 36 1 68

50 강원 삼 척 시 135 94 166 128 81 135 84 162 5 129

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51 강 원 홍 천 군 88 90 113 125 103 169 59 164 3 112

52 강 원 횡 성 군 92 116 119 50 111 163 107 154 2 109

53 강 원 월 군 141 115 154 107 106 166 36 161 4 127

54 강 원 평 창 군 99 98 116 136 99 168 81 166 3 119

55 강 원 정 선 군 105 84 125 147 126 164 91 165 5 131

56 강 원 철 원 군 107 71 118 124 87 159 86 155 3 111

57 강 원 화 천 군 103 79 157 163 91 157 53 169 4 125

58 강 원 양 구 군 98 75 78 157 93 154 40 168 3 91

59 강 원 인 제 군 97 73 130 160 79 170 94 170 4 120

60 강 원 고 성 군 133 102 162 106 105 142 139 160 5 137

61 강 원 양 양 군 81 109 170 122 56 149 142 158 5 124

62 충 북 청 주 시 23 13 11 72 24 11 15 11 0 10

63 충 북 충 주 시 82 65 67 85 66 117 33 91 0 73

64 충 북 제 천 시 86 69 74 112 67 136 61 134 2 83

65 충 북 청 원 군 59 87 70 19 73 94 125 53 1 62

66 충 북 보 은 군 151 148 149 95 140 92 134 132 6 145

67 충 북 옥 천 군 113 118 109 38 104 91 78 114 0 90

68 충 북 동 군 125 125 129 94 130 128 137 144 7 136

69 충 북 진 천 군 51 76 76 2 53 69 122 72 1 54

70 충 북 괴 산 군 129 114 91 51 110 123 109 122 3 104

71 충 북 음 성 군 65 77 74 4 68 72 34 52 0 53

72 충 북 단 양 군 160 113 111 53 114 147 143 153 4 121

73 충 남 천 안 시 14 24 29 28 15 30 4 30 0 23

74 충 남 공 주 시 83 92 102 81 89 67 26 100 0 86

75 충 남 보 령 시 110 88 86 111 98 88 18 85 0 87

제Ⅳ장 정책 분석 97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76 충 남 아산시 27 62 47 18 38 55 82 41 0 44

77 충 남 서산시 70 70 72 87 74 124 66 75 1 74

78 충 남 논산시 71 80 77 86 83 79 50 49 0 77

79 충 남 산군 154 126 117 34 117 134 60 111 3 101

80 충 남 연기군 47 83 61 21 76 74 65 46 0 58

81 충 남 부여군 138 132 114 99 141 90 51 81 3 123

82 충 남 서천군 165 144 123 76 116 49 64 58 3 115

83 충 남 청양군 146 150 134 74 144 76 80 107 4 134

84 충 남 홍성군 115 112 108 120 109 85 45 71 0 105

85 충 남 산군 117 117 101 83 102 121 79 74 1 103

86 충 남 태안군 102 89 71 168 122 113 97 98 2 97

87 충 남 당진군 100 111 66 58 78 105 106 50 0 75

88 북 주시 35 30 32 127 44 25 1 15 1 29

89 북 군산시 84 59 56 64 61 32 67 25 0 60

90 북 익산시 66 58 44 52 75 48 44 33 0 57

91 북 정읍시 114 100 124 80 134 64 46 76 2 110

92 북 남원시 104 97 156 96 131 99 29 112 2 122

93 북 김제시 130 123 96 55 115 59 128 57 3 102

94 북 완주군 75 101 76 32 90 133 141 99 2 78

95 북 진안군 170 153 152 134 149 126 110 152 7 159

96 북 무주군 131 142 161 162 147 160 136 156 8 161

97 북 장수군 149 151 127 116 163 108 162 151 6 157

98 북 임실군 169 159 160 88 152 82 144 138 6 162

99 북 순창군 167 157 151 100 158 98 150 133 6 163

100 북 고창군 159 138 136 146 159 75 77 89 5 147

101 북 부안군 155 130 122 140 146 68 92 86 5 138

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02 남 목포시 77 31 58 133 86 6 22 4 1 31

103 남 여수시 94 50 55 69 101 34 70 29 0 64

104 남 순천시 49 45 62 148 72 39 25 95 1 70

105 남 나주시 119 122 115 70 135 66 27 66 2 106

106 남 양시 41 27 42 36 33 38 123 38 1 51

107 남 담양군 150 146 126 41 124 118 114 90 4 117

108 남 곡성군 144 154 163 44 154 148 93 129 6 143

109 남 구례군 127 139 143 159 150 152 149 135 8 155

110 남 고흥군 148 161 168 110 169 81 73 110 4 167

111 남 보성군 153 155 141 135 165 110 71 106 5 154

112 남 화순군 34 82 98 104 113 143 96 131 2 94

113 남 장흥군 157 143 138 139 164 139 58 117 6 151

114 남 강진군 147 141 135 130 162 130 103 102 6 150

115 남 해남군 112 124 147 117 161 109 52 105 3 141

116 남 암군 56 99 121 17 125 103 138 55 3 81

117 남 무안군 116 120 140 101 151 51 119 78 2 135

118 남 함평군 161 156 105 98 157 61 111 77 3 139

119 남 군 139 107 90 165 143 97 31 63 3 114

120 남 장성군 122 127 104 63 121 104 133 97 4 116

121 남 완도군 128 128 158 78 168 89 165 94 5 158

122 남 진도군 142 145 144 152 167 71 124 125 7 156

123 남 신안군 158 162 169 155 170 114 167 130 7 170

124 경 북 포항시 64 42 23 45 10 96 38 51 0 38

125 경 북 경주시 79 74 57 40 30 106 28 87 0 61

126 경 북 김천시 78 91 38 54 82 111 87 116 0 65

127 경 북 안동시 96 95 88 144 84 127 24 137 3 89

128 경 북 구미시 29 7 10 3 9 83 62 43 0 17

제Ⅳ장 정책 분석 99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구 경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29 경 북 주시 109 93 82 118 92 100 117 108 0 95

130 경 북 천시 93 108 99 37 65 145 42 109 1 80

131 경 북 상주시 126 131 103 131 123 131 101 119 5 126

132 경 북 문경시 123 121 133 132 120 101 85 128 6 132

133 경 북 경산시 26 47 43 30 18 53 63 39 0 43

134 경 북 군 군 72 160 164 61 133 158 168 148 6 144

135 경 북 의성군 162 170 150 109 142 155 151 141 7 165

136 경 북 청송군 132 149 139 166 127 156 164 159 8 153

137 경 북 양군 152 164 167 150 148 153 166 167 8 169

138 경 북 덕군 89 135 155 114 156 140 100 150 5 146

139 경 북 청도군 137 163 142 97 118 132 118 136 5 142

140 경 북 고령군 106 129 100 20 58 141 153 113 3 79

141 경 북 성주군 80 133 110 43 96 129 152 120 3 98

142 경 북 칠곡군 16 51 51 8 11 95 115 84 0 39

143 경 북 천군 166 165 146 137 145 116 148 115 6 160

144 경 북 화군 168 158 165 108 155 162 158 163 7 168

145 경 북 울진군 118 110 81 154 108 161 159 157 4 118

146 경 북 울릉군 121 106 85 105 153 37 170 139 4 130

147 경 남 창원시 57 3 7 10 3 23 126 21 1 12

148 경 남 마산시 58 43 30 60 49 28 13 37 0 42

149 경 남 진주시 63 52 54 92 57 40 8 70 0 59

150 경 남 진해시 38 44 59 48 29 24 116 23 0 47

151 경 남 통 시 95 66 83 89 119 27 56 56 0 84

152 경 남 사천시 85 78 93 46 85 45 83 60 0 82

153 경 남 김해시 10 8 49 22 34 29 72 31 0 36

154 경 남 양시 108 104 112 90 100 115 76 104 0 108

155 경 남 거제시 24 29 68 13 36 65 98 54 0 48

156 경 남 양산시 13 17 25 6 46 47 69 67 2 27

157 경 남 의령군 145 169 132 68 129 57 145 121 6 140

158 경 남 함안군 91 105 89 15 55 54 121 79 1 67

159 경 남 창녕군 140 136 92 75 107 52 43 93 2 96

160 경 남 고성군 143 140 131 66 132 56 120 96 4 128

161 경 남 남해군 164 168 148 156 166 62 108 88 5 164

1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계속)

행정

구역

일련

번호

도시 군

인 구 경 제 기반시설하 50

포 함

지표수

지 역

낙후도

인 구

증가율

노령화

지 수

재 정

자립도

제조업

종사자

비 율

승용차

등 록

도로율 의사수

도시

토 지

이용율

162 경남 하동군 134 147 137 149 136 102 154 127 7 148

163 경남 산청군 156 167 159 126 137 137 163 146 8 166

164 경남 함양군 136 152 153 123 160 146 41 147 7 149

165 경남 거창군 111 119 145 121 128 150 74 143 5 133

166 경남 합천군 163 166 128 102 138 122 147 142 7 152

167 제주 제주시 28 12 36 164 6 5 12 32 1 28

168 제주 서귀포시 67 53 95 169 41 36 30 68 1 76

169 제주 북제주군 50 85 107 138 97 46 161 103 2 107

170 제주 남제주군 90 81 120 145 95 41 160 101 2 113

주 1) 지표별 순 는 170개 지방자치단체에 하여 각 지표의 높은 수치부터 낮은 수치로 순 를 매겼음 단 노령화 지수의 순 는 지수가 높을수록 낙후도가 심한 경우이므로 낮은 수치에서 높은 수치로

순 를 매겼음 2) 지역낙후도 종합순 는 8개 지표를 표 화 한 후 각 지표별 가 치를 곱한 값을 합하여 구한 lt표

Ⅳ-6gt의 지역낙후도지수를 이용하여 170개 지방자치단체의 순 를 구한 것임

나 지역경제 파급효과

지역경제 효과는 해당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산량 부가가치 고용 등의 증가를 계량화한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지역경제 효과

를 측정하기 하여 KDI MRIO 모형(다지역산업연 모형)을 개발하여 사용하여 왔

다 하나의 분석모형을 다수의 사업에 동시에 용하여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평

가의 일 성을 기할 수 있고 개별 사업별로 별도의 모형을 구축하는 데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비효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지침의 KDI MRIO 모형은 1995년 한국은행 국산업연 표를 기 로 국

을 15개 지역(서울특별시 5 역시 9개 도)으로 분할하고 총 37개 산업으로 분류

하여 555times555의 내생부문을 갖는 표로 구성되어 있다 KDI MRIO 모형은 비타당성

조사가 주로 형 공공건설사업을 상으로 한다는 을 감안하여 토목건설부문을

제Ⅳ장 정책 분석 101

12개 산업으로 세분화하여 건설사업 부문별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 다KDI MRIO 모형의 단계별 구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

고 둘째 부가가치부문 최종수요부문을 추정하며 셋째 지역산업연 표를 작성한

다 넷째 지역교역계수를 추정하고 다섯째 지역기술계수와 지역교역계수를 결합하

여 지역투입계수를 추정하여 다지역산업연 모형을 완성한다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2부 제Ⅻ장에서 다루기로 한다한편 KDI MRIO모형이 구축된 이후 2000년 한국은행 산업연 표가 발표되어 최

근 자료에 근거한 MRIO 모형 구축이 필요하다 국가균형발 원회와 동북아 심추

진 원회에서는 2000년 한국은행 산업연 표에 기 하여 MRIO모델을 작성하여 지

역간 기술계수 교역계수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가균형발 원회의 MRIO 모형은 건설부문 사업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건축 사업 등

부문별 효과의 차별화 상을 제 로 반 하지 못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어 해당

산업부문에 한 세분화 작업을 통하여 MRIO 모형에 한 보완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42)

MRIO 모형을 통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 결과로 제시하는 지역총생산 유발효

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 유발효과 임 유발효과 등의 해석에는 다음과 같은 제

약이 따른다 첫째 와 같이 발생하는 효과가 곧바로 경제 편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MRIO 모형을 통하여 얻은 경제 효과를 국민경제 에서 편익으로 산정하

기 해서는 ① 해당 사업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경제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고 ②

해당 사업에 투입된 생산요소가 사업미시행시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았고 ③ 해당

사업의 추진이 다른 경제활동을 체하지 않았어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

다43) 우리나라와 같이 실업률이 높지 않고 토지이용이 집약 인 경제상황에서 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공공투자사업은 많지 않을 것으로 단된다 다만 개발이 낙

후된 지역에서 공공투자사업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정책결정에 미치는

실을 고려하여 경제 편익으로는 반 하지 않되 정책 분석의 고려사항에 포함

시키고 있는 것이다둘째 MRIO 모형을 통하여 분석된 지역경제 효과는 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효과에 한정한다 즉 Demand Driven 효과 모형에서 정부투자라는 외생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직 그리고 연계효과만을 반 하고 있다 를

들어 도로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도로공사를 수행하기 한 총

42) 향후 MRIO 모형 개정 연구를 수행하여 비타당성조사에 용하도록 할 정이다

43) Adler Hans A (1987) ldquoEconomic Appraisal of Transport Projects A Manual with Case Studiesrdquo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The World Bank pp33~37

1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업비가 해당 지역에 투입될 때 발생하는 효과만을 반 할 뿐 도로개설로 인하여 발

생하는 사후 인 효과를 반 하지는 못하고 있다 MRIO 모형을 통한 경제 유발효과

를 lsquo지역경제 효과rsquo라는 용어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포 인 측면이 있으나

MRIO 모형을 통해 분석된 유발효과를 통상 지역경제 유발효과라는 용어로 사용해왔

다는 을 고려하여 용어를 변경하지는 않는다따라서 사업 시행으로 인한 간 인 경제 효과가 하다고 단될 경우

그 효과를 정량 는 정성 인 근을 통하여 별도로 분석하여야 한다 를 들어

도로사업으로 인하여 인근지역의 토지이용 패턴이 변화하고 근성 향상으로 인하여

지역투자가 증가하거나 산업의 활성화 효과 등이 할 경우에는 별도의 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종합 평가에 반 할 수 있도록 한다

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가 관련 계획 및 정책 방향과의 일치성

형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으로 선정되기까지는 여러 단

계의 앙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체 인 사업구상이

이루어지기까지 사업추진 주체가 얼마나 체계 으로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 추진주체가 단독으로 단기간에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

는 사례는 오히려 외 이다 구체 인 사업계획이 수립되기까지 거치는 일련의

비작업은 상 는 련계획에 반 된다 따라서 해당 사업이 상 는 련계획에

반 되어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업이 정책 일 성을 가지고 추진되었는가

를 단할 수 있다련계획으로는 국토 체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lsquo국토종합계획rsquo에서 국가

기간교통망계획과 같은 해당 부문 계획 등을 들 수 있다 도로부문의 lsquo도로정비기본

계획rsquo 철도부문에 한 lsquo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rsquo 공항부문의 lsquo제2차 공항

개발 장기 기본계획 항만부문의 rsquo항만개발계획lsquo등도 주요 검토 상이다 이외 에도

해당사업과 직 인 련은 없지만 사업 추진과정 운 과정에서 한 련을

갖고 있는 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등 공공부문의 계획을 검토하여야 한다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주무부처의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여부도 분석하여야 한다

비록 명시 인 계획으로 수립되었다 하더라도 부처에서 설정한 정책 목표는 개별 사

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는데 실 으로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 로 기존에 수

립된 장기계획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책방향이 선회함으로써 유효성이 낮아진 경

제Ⅳ장 정책 분석 103

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 으로 고려하여 련계획 정책방향

과의 일치성을 검토한다

나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

공공투자사업의 추진여부를 단할 때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사업시행부처나 지

역주민의 사업에 한 태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모든 공공투자사업은 사업이 시

행되는 공간 장소가 있고 사업시행으로 인한 효과는 지리 인 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앙정부 차원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 할지라도 지역 주민

의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사업이 있을 수 있다 반 로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이라

할지라도 국을 상으로 정책을 수행하는 앙정부의 입장에서 우선순 가 낮은

사업이 있을 수 있다 사업 상지역 는 주무부처가 사업에 반 하거나 소극 인 경우 비타당성조

사에서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사업추진 과정에서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를 들어 지역주민들이 반 하는 사업을 앙정부의 필요를 우선시하여 추진

할 경우 사업수행 과정에서 사회 인 갈등으로 인하여 사업이 단될 수 있는 가능성

이 있다 반 로 앙정부에서 사업의 우선순 가 높지 않다고 단하면서도 지역의

민원에 의하여 비타당성조사를 의뢰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주무부처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등 사업에 심을 갖고 있는 주체들의 사업에

한 선호도 는 반 정도를 객 으로 분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사업

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 두 차례의 지역 방문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선호도

를 범 하게 조사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정책당국의 의지에 한 정보를 얻는

것은 가능할 지라도 정책 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조사보고서 내용으로 객

화하기는 어려운 것이 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주무부처 지방자치단체를 방문하

여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단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이해당사자들의 사업에 한 선호도를 반 하기 해서 조사 은 가능한 한 공식문

서 등 객 화 할 수 구체 인 근거를 요구하여 단의 근거를 활용한다 선거 공약사

항 등 사업지역 사업 주무부처의 사업에 한 선호도 추진의지를 반 할 수 있

는 구체 인 근거가 문서형태로 표출된 사례가 발견되는 경우 이를 보고서에 인용하

며 조사 의 의견을 추가하는 것도 하나의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해당사자들

의 사업에 한 태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해당사자들을 상으로 서베이를 실시

하여 선호도를 집약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사업추진 의지 선호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사업시행시 환경문제로 인한 지

1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역민원의 발생가능성에 한 평가는 lsquo환경성 평가rsquo에서 분석을 수행한다 지역주민의

선호도가 정치 타당성을 반 한다는 측면에서 환경문제로 인한 갈등발생 가능성은

lsquo사업추진 의지 선호도rsquo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환경문제의 요

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환경 향을 분리하여 별도의 항목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

다 한 사업시행이 생태계에 미치는 향과 그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사업에 한

태도를 분리하여 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따라서 환경문제로 인한 지역의

사업에 한 반 등은 lsquo환경성 평가rsquo에서 분석하여 평가에 반 한다

다 사업의 준비 정도

해당 사업에 한 비정도는 해당 사업에 한 계획의 구체성 인력 재원의

투입 정도 등 사업 추진의 구체성을 단한다 국도건설사업의 경우 사업구간이 결정

되면 사업의 내용이 큰 변동이 없고 지방국토 리청이라는 상시 인 사업추진 주체

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사업의 비정도가 평가의 큰 요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

나 문화시설 등 사업내용이 특수한 사업의 경우 구체 인 사업구상이 필요하다사업구상에서는 상 사업의 입지 사업수행의 목 효과 추진 략 추정 사업비

사업추진의 효과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사업의 비 정도가 높을수록 사업의

목 등이 정책방향과 부합하고 해당 사업에 한 높은 추진의지를 반 하는 것으로

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

가 재원조달 가능성

일반 으로 공공투자사업은 해당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국고로 충당하거나

혹은 채권발행 혹은 민자유치를 통하여 조달한다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국가가

충분히 제공할 능력과 의사가 있고 사업주체가 시장에서 채권을 발행하기에 충분한

재정여건을 갖추고 있거나 민간기업이 사업에 참여할 유인이 있는 경우라면 재원조

달 가능성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부분의 국도 건설사업이 이 경우에 해당

한다지방자치단체에서 재원을 분담하여 추진하는 사업 민간투자유치 사업에 해서

는 재원조달 가능성에 한 면 한 검토를 통하여 사업이 계획 로 추진될 수 있는가

를 분석하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감안할 때 재정부담이 될 것으로

제Ⅳ장 정책 분석 105

상되는 사업의 경우 사업 단이나 공기지연의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수익성이

낮은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사업자 선정 사업 상과정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국고로 추진되는 사업의 경우에도 해당 부문

의 산규모에 비하여 사업비 규모가 지나치게 큰 사업에 해서는 해당 부문의 산

규모를 고려하여 재원조달계획이 정 로 실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본 지침의 재원조달계획에 한 평가에서는 기존 지침에서 수행하 던 국고지원

의 합성 분석을 제외한다 그 이유는 부분의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의 경우 조

사를 의뢰하는 주무부처에서 사업추진의 법 행정 근거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국고지원의 당 성을 확보한 사례가 부분이기 때문에 모든 사업에 하여 국

고지원의 합성을 검토하는 실익이 기 때문이다 한 국고지원의 합성이 lsquo사업

추진상의 험요인lsquo이라는 분류와 성격이 상이하여 평가 구조상의 문제 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의 성격상 국고지원의 합성이 쟁 으로 제기된 사업에 해서는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여 재원조달계획과 별도의 분석을 수행한다

나 환경성

환경성 평가는 해당 사업의 수행으로 인한 향을 개략 으로 평가한다 환경성

평가는 모든 사업에 하여 수행할 필요성은 없다 비타당성조사에서 환경성 평가

의 은 사업수행시 비타당성조사 이후 단계에서 환경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인지하여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에 이후 단계에서 환경문제 발생가

능성이 있음을 알려주고 좀 더 심도있는 분석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향후 환경문제 발생가능성이 있는 사업에 한하여 별도의 문가 자문 혹은 사

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업수행의 향을 정량 정성 으로 평가한다 한 앞에서 언 하 듯이 사업시행시 환경문제로 인한 지역민원의 발생가능성

에 한 평가는 lsquo사업추진의진 선호도rsquo 항목이 아니라 lsquo환경성 평가rsquo항목에서 분

석하여 평가에 반 한다

4 사업특수 평가항목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기본 평가항목과는 달리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

여야 할 평가항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사

으로 결정하여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된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범주화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비타당성조사의 정책

1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분석 항목의 선정에 도움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기존 지침에서는 기본 평가항목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구조 기 때문에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된 사업특수 평가항목 에도 lsquo지역균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 추진상의 험요인rsquo의 분류에 속하는 항목들이 존재한

다lt표 Ⅳ-8gt는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 제시한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새로운 분

류 항목으로 분류하여 나열한 것이다

lt표 Ⅳ-8gt 사업특수 평가항목의 범주화

분류 평가 항목 평가항목 시

지역 균형 발 형평성호남 형평성 제고 경지역 개발 수도권 지역의

투자 형평성 동일구간에 한 지역간 형평성 등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안정 정주여건의 제공 수자원 안보 등

사업 추진상의

험 요인

계획 추진방식의

정성

부지선정의 합성 사업내용의 조정 필요성 규모의

정성 사업 주체 련부처의 문제 시물 구입

의 문제 련 사업의 추진가능성 등

기술 타당성기술 애로구간 발생 가능성 사업 시행에 따른 병

목구간 발생 가능성 실 가능성 등

민원 외교 국방 등의

험 요인

민원발생 문화재 보존 외교 문제 군과의 조체

계 해당 지자체의 반발 등

사업 특수 평가

국고지원의 합성 국고지원의 합성 진입도로의 목 부합성 등

비계량 편익 부가효과

산단항만공항 등의 활성화 애로구간 해소효과 교통안 향상 련기술 효과 도로 체 기능 남북 계 개선 수요 화물수송기능 제고 물류비

용 감소 동서화합 수질개선 등

- 타 사업과의 복투자의 문제 등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1 다기준분석의 필요성

이제까지 비타당성조사 은 경제성에 한 분석과 정책 차원에서의 분석을

조사의 양 축으로 삼고 진행하 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비용-편익 분석을 기본 방

법론으로 수요 편익 비용을 추정한 후 경제 타당성을 평가하 으며 정책 분

석에서는 지역경제 효과 추정 지역낙후도 평가 재원조달 가능성 평가 련계

획 정책과의 일치성 사업의 추진의지 선호도 평가 등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의

특수성을 평가에 반 하기 한 사업특수 평가항목에 한 분석을 실시하 다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단계는 경제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

업의 추진여부에 한 최종 인 단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

석 결과를 종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따른다첫째 정량 분석 결과와 정성 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어려움이다 경제성 분석

은 그 결과가 BC 비율 순편익의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 등 정량 으로 제

시되는 반면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많은 평가항목 컨 지역의 사업추진의지 국고조달 가능성 련계획과의 일치성 등은 계량화가 어려우므로 정성 표 으로

제시된다 를 들면 BC 비율은 높지만 상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사업의 타당성을

어떻게 종합평가할 것인가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둘째 정량 분석의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척도(scale)를 갖는 평가항목을 통합하

1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를 들면 어떤 공공투자사업의 BC 비율이 10보다 작은 09이지만 2000명이라는 매력 인 고용창출 효과를 갖는 경우 어떠한 기 으로 사업시

행 는 미시행이라는 최종 단을 내려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셋째 평가의 일 성과 사업의 특수성을 동시에 반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비타당성조사 상이 되는 사업 가운데는 국가 략 차원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나 문화재보호 등 경제성 분석 틀 안에서 계량화되지 않는 특수한 평가항목이 월등히

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비타당성조사 체계의 정책 분석에서는 이러한 사업 특수

성을 평가의 틀 속에 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사업특수성이 종합평가에서

차지하는 비 이 지나치게 클 경우 다른 사업과의 평가일 성이 떨어질 험성이 존

재한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체계가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분석 틀로서 가치

를 유지하기 해서는 해당사업의 특수성이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얼

마만큼 요한 향을 미쳤는지를 객 으로 보여 수 있어야 한다넷째 종합평가에 참여하는 여러 평가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결론을 도

출하는 어려움이다 한 사람의 평가자가 종합평가를 내릴 경우에는 그 단의 타당성

여부만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의견이 종합되어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표성을 가진 종합 단이 될 것인지 특히 개별 연구진들이 해당사업의 시행

여부에 해 상반된 견해를 갖는 경우에는 어떻게 최종의사결정에 도달할 것인지 등

의 문제가 발생한다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하여 다기 분석(multi-criteria analysis) 방법론이

제시된다 다기 분석이란 다수의 속성들(multi-attributes)을 고려하여 다차원의 목

들(multi-objectives)을 충족하는 최 안을 도출하는 의사결정기법이다 비타당성

조사의 종합평가에서도 다수의 정량 정성 평가항목을 고려하여 경제성 높으면

서 정책 으로도 타당한 사업을 식별해 내고자 한다 KDI는 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한 가장 합한 방법론을 찾아내기 해

다양한 다기 분석기법을 비교평가하 다 그 결과 분석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채택하고 비타당성조사에 합하게 수정 용하여오고 있다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09

2 AHP기법의 개요

AHP기법은 의사결정의 목표 는 평가기 44)이 다수이며 개별 평가기 에 해

서로 다른 선호도45)를 가진 안들을 체계 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사결

정 기법의 하나이다 1970년 Thomas Saaty에 의해 개발된 이후 정성 다기

의사결정에 리 사용되어 왔다 AHP기법은 의사결정에 고려되는 평가요소들을 동

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하고 다수의 수 (level)으로 계층화한 후 각 수 별로 분

석종합함으로써 최종 인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을 지원한다AHP기법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평가요소들을 주요 요소와

세부 요소들로 나 어 계층화하고 계층별 요소들에 한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요소들의 상 요도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기법은 인간의 사고와 유사

한 방법으로 문제를 분해하고 구조화 한다는 그리고 평가요소 사이의 상

요도와 안들의 선호도를 비율척도(ratio scale)로 측정하여 정량 인 형태로 결과를

도출한다는 에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간결한 용 차에도

불구하고 척도선정 가 치 산정 차 민감도 분석 등에 사용되는 각종 기법이 실증

분석과 엄 한 수리 검증과정을 거쳐 채택된 방법들을 활용한다는 에서 이론

으로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장 때문에 1977년 Saaty에 의해 수행된 Sudan의 교통시스템 설계 문제를 비롯하여 신기술선택의 문제 병원서비스시스템의 설계 정치 분쟁해결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져 왔다46)

AHP기법은 공공투자사업의 정성 인 특성을 평가에 반 하고 평가에 참여한 연

구진의 문 단을 히 유도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

당성조사의 단계로서 짧은 기간 내에 은 산으로 수행되는 을 고려할 때 차가 간결하면서도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체계 으로 분석하게 해 주는 AHP기법

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AHP기법

의 용이 갖는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하고 그 과정을 명확히 밝힌다 의사결정과정을

구조화함으로써 공공투자사업에 해 사회 으로 인정된 가치를 객 으로 수렴하

44) 안들의 선호도를 비교하는 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평가기 (criteria) 평가요소(attributes) 평가항목

(elements) 등을 필요에 따라 혼용하기로 한다

45) 평가기 에 해 안이 얼마나 잘 평가되는 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안들의 선호도(preference) 성과

(performance) 매력도(attractiveness) 등을 필요에 따라 혼용하기로 한다

46) 세계 각 국의 활용사례는 Expert Choice사의 홈페이지 httpwwwexpertchoicecom에 소개되어 있으며 국내의 용사례는 httpwwwexpertchoicecokr에 소개되어 있다

1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여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 평가항목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최

종 단을 내리는 과정과 근거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제3자가 그 종합 단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둘째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지 까지는 ldquo정치 고려 는

평가자의 자의 단에 따라 공공투자사업이 시행된다rdquo는 비 이 있어왔다 이 같

은 비 은 한편으로 과거 권 주의 행정수행 방식이 스스로 래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투자사업 련 의사결정을 한 일 된 기 이 없었기 때문에

야기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비 을 극복하기 해서는 일 된 기 을 여러 가지 사업

에 그리고 장기 으로 용함으로써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셋째 사업간의 평가오차를 인다 종합평가 단계에서 각 평가자는 해당사업의

특수성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들과 공통되는 기본 인 단기 들을 이용하여 의사결

정을 수행하게 된다 를 들어 BC 비율의 경우에는 부분의 사업들이 요한

단기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동일한 BC 비율을 사업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하는 경

우에는 사업간 평가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다기 분석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

여 사업간 평가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객 기 을 제시함으로써 동일한 기 에

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한 사업평가의 비일 성을 일 수 있다넷째 후속사업에 한 평가의 자료로 활용된다 일단 다기 분석 모형을 통해 하

나의 표 안이 제시되면 그것은 일종의 귀무가설(null hypothesis)로서의 상을 갖는

다 즉 모든 사업에 이 표 안을 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이 표 안을 수정해

용해야만 하는 지역의 특수성 는 사업의 특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이것은 평가시기가 달라질 때 유사사업에 한 평가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 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일반 으로 AHP 기법은 다음과 같은 차를 거쳐 수행된다47)

①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② 평가기 확정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③ 평가기 가 치 측정(weighting) ④ 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⑤ 종합 수 산정(synthesizing)⑥ 환류과정(feedback)⑦ 종합 단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47) 각 단계별 자세한 수행지침은 본장의 제2 AHP 분석과정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1

3 평가자 선정

비타당성조사 은 연구책임자(PM)를 비롯해 다수의 문가로 구성되고 이들

의 의견이 종합평가에 반 되어야 하므로 집단의사결정의 성격을 갖는다 AHP기법

은 개인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집단구성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의사결

정에 도달하도록 지원하는 집단의사결정지원도구(group decision aid)로서도 한

방법론이다집단의사결정은 그 구성원의 선정이 의사결정 결과에 직 인 향을 미치므로

AHP기법을 통해 비타당성을 종합평가함에 있어 평가자를 신 히 선정해야 한다 비타당성 종합평가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한다첫째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에 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해당분야 문가여야

한다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의 목표 목표달성을 한 요구사항 사업의 구체 내

용 련분야에 한 지식 등을 갖추고 그 사업이 미치는 사회경제 정책 효

과를 측할 수 있는 치에 있어야 한다둘째 공공투자사업이라는 특성상 공공이익의 에서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객 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평가자가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문 지

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 상 공공투자사업과 이해 계를 가지고 있고

그 이해 계를 기 으로 단한다면 공공투자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이익 극 화라는

최종 인 목표를 달성하기 한 의사결정을 왜곡시킬 험성이 있다공공투자사업과 련된 주체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개 집단을 상정할 수 있다

첫째 공무원 집단으로서 해당사업을 장하는 앙정부의 담당부처 부처간 이해를

조정하고 사업간 우선순 를 정하여 산을 배정하는 산담당부처 해당사업이 시

행되는 지역의 시도 는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포함한다 둘째 공공투자사업을 장하는 연구자 집단으로서 비타당성을 수행하는 KDI의 연구진

련분야의 교수 는 해당분야 연구기 연구진 비타당성조사 시행을 장하는

KDI 공공투자 리센터 그리고 기술 부분에 한 연구와 자문을 수행하는 엔지니

어링 회사 등 민간 기업체 연구인력 등이다 셋째 지역주민으로서 해당사업의 시행

으로 향을 받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넷째 해당사업에 이해를 가진 이익

단체이다이 가운데 AHP를 통한 종합평가자로서의 조건인 문성과 객 성을 가장 만족시

키는 집단으로는 산담당 앙공무원 KDI 연구책임자 KDI 공공투자 리센터 련분야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최종 으로 산담당 공무원을 제외하

고 비타당성조사의 기술 부분의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기업체 연구인력을

1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평가진에 포함하 다 산담당 공무원을 포함하지 않은 이유는 비타당성조사에

한 종합 인 의견이 연구진의 의견이며 사업의 비타당성을 최종 으로 결정하

는 산담당 부처는 자신들의 의견을 최종 이고 직 으로 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 으로 참여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회사 등 련분야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을 평가진에 포함시켰는데 그 이유는 조사 의 일원일 뿐 아니

라 실제로 다양한 형태로 사회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실을 반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지역주민과 이익단체 등 공공투자사업으로 향을 받는 이해당사자는 사회 체

의 이익을 객 으로 단할 치에 있지 않다고 간주하고 조사 상에서 제외하

다 그럼에도 다원화된 사회에서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여러 경로로 의사

결정과정에 반 되어 사업시행의 정치 타당성(political feasibility)에 향을 미친다 이러한 실을 고려하여 AHP기법을 통한 종합평가자로 하여 지역의 발 성이 사

업의 타당성에 미치는 요도 사업시행에 한 지역주민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숙

원도 사업시행으로 인한 지역경제 효과 낙후지역 개발효과 등 사업시행이 지역

발 에 미치는 향을 종합 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지역의 의견을 반 할 수 있도록

하 다이러한 을 반 하여 기존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개별 사업에 하여 통상 평가

자 3~4인이 AHP 분석에 참여하 다 하지만 평가자 수가 어 일부 평가자의 동기

편향에 의하여 체 인 의사결정이 왜곡될 수 있는 취약 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

었다 이에 본 지침에서는 기존 연구진 KDI의 평가자 인원을 확 하 으며 별도

의 검토 원을 AHP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여 평가자를 7~8인으로 확 하도록 하 고 그 최 값과 최소값을 부여한 평가자를 제외한 5~6인의 응답결과를 가지고 종합

평 을 도출하도록 한다48)

48)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3

제2절 AHP 분석 과정

1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AHP 분석의 첫 단계는 평가의 목표 평가요소 고려 안 제약조건 평가자 이해

계자 등 평가에 한 개념 틀(conceptual framework)을 형성하는 개념화 단계이다 이 개념화 과정을 통해 평가자들은 평가 상 사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들과

쟁 사항 등 사업 반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에 한 정보와 문제의식을 공

유할 수 있게 된다 사실 이 단계는 비타당성조사 기에 수행되어야 상사업에

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조사가 진행될 수 있다효율 이고 효과 인 개념화 과정을 해 인스토 (brainstorming) 기법이 사

용된다 인스토 이란 평가 상 사업과 련된 모든 고려사항들을 가능한 한 많

이 무비 으로 열거하고 그 함의를 하나씩 검토해 나가는 집단 아이디어 진 기

법이다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단계의 인스토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개별 사업수 의 인스토 으로서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진들간의

연구회의 사업 주무부처 계기 의 방문 사업 상지역의 방문 등을 통해 사업

에 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업의 특성을 악한다 두 번째 단계는 체 사업수 의

인스토 으로서 KDI 비타당성조사 리 이 사업 부문별로 해당사업에 한

연구결과를 해당 부문에 참여하는 체 연구진과 함께 토론을 함으로써 개별사업에

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쟁 들을 찾아낸다 부문별 토론을 통하여 련 사업 는

유사 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다른 연구진들의 문가 견해를 들

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이 게 2단계의 인스토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책임자는 사업을 종합 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한다 첫 번째 유형의 인스토 은 연구책임자 주

하에 이루어지고 공식 비공식 차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비해 두 번째 유형의

인스토 은 비타당성조사를 종합 으로 조정 리하는 KDI 비타당성조사

리 의 주 하에 수행한다

1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다음은 개념화 단계에서 식별된 평가요소들에 한 검토를 거쳐 평가기 을 확정

하고 동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한 뒤 이 집합을 한 수 으로 계층화하는 구조

화 단계이다개념화 단계에서 식별된 평가요소들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요한 것에 이르기까

지 세부 인 것에서부터 포 인 것에 이르기까지 그 요성과 범 가 매우 다

양할 수 있다 한 엄 한 용어 정의가 선행되지 않았던 까닭에 동일한 용어에

해서도 평가자간에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를 들어 경제성 분석

이라는 평가항목은 비용-편익 분석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지역경제

효과와 같은 측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평가기 확정

을 해서는 우선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혼동과 오해의 소지

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종합평가에서 고려될 평가항목들이 확정되면 다음 단계는 서로 다른 요성과

범 를 가진 항목들을 동질 인 집합으로 군집화하고 이 집합을 한 수 으로

계층구조화 하는 것이다 일반 으로 하 수 의 요소는 상 수 의 요소를 구체화

하는 세부 평가기 이 된다 최상 계층은 의사결정의 최종목표인 비타당성을 종

합 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은 경제성 분석 결과와 정책 분석 결과에 의

해 평가된다 정책 분석은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구분되는데 기본 평가항목이란 모든 비타당성조사에 기본 으로 포함되는 평가항목을 가리키며 사업특수 평가항목이란 해당 사업을 평가하는 데 특히 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평가

항목을 가리킨다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의 기본구조를 [그림 Ⅴ-1]과 같이 설정

한다 AHP 분석의 최종목 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1계층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제2계층은 정책 분석을 구성하는 lsquo지역균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추진상의 험요인rsquo lsquo사업특수 평가( 분류)rsquo 항목으로 구성된다 제3계층은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

된다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분류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그러나 기존의 AHP 구조가 평가내용이 연계된

항목을 상호 분리시킴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

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평

가 내용에 따라 3개 분류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AHP 구조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5

를 설정하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평가항목으로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제2계층과 제3계층에 동시

에 포함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계하 다 이는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평가내용이

유사한 평가항목과 분류 범주에 함께 묶음으로써 평가자들의 인식체계와 유사하도

록 구성함으로써 일 성있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이 있다고 단되기 때문이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분류 기본평가항목과 연계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분류 사업특수 평가항목

에 속하는 세부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1개인 경우 제2계층과 제3계층의 평가항목과

평가내용이 동일하다

1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Ⅴ-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계층

1

2

(optional)

(optional)

(optional)

(optional)

(optional)

평가 대안 사업 시행 사업 미시행

구조설문의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AHP 구조를 설정할 때 다음 두 가지

AHP의 공리(axioms)를 만족하여야 한다49) 첫째 동질성(homogeneity)의 공리로서

49) 이외에도 AHP 공리로는 역수성(reciprocal) 기 성(expectation)의 공리가 있다 역수성의 공리란 의사

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짝지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선호의 강도를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호와 강도는 역수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를 들어 A가 B보다 x배

요시된다면 B는 A보다 1x배 요하다는 의미가 된다 기 성의 공리는 의사결정의 목 에 한 사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7

요도는 제한된 범 내에서 정해진 척도(bounded scale)에 의하여 표 할 수 있어야한

다 즉 제2계층의 분류 평가항목에 속한 제3계층의 평가항목들이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수 의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종속성(dependency)의 공리로서 한

계층의 요소들은 인 한 상 계층의 요소에 하여 종속 이어야 한다 그러나 상

계층의 모든 요소에 하여 인 한 하 계층 내의 모든 요소들 간에 독립성이 확보되

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50)

비타당성조사 구조설문 과정에서 조사 은 구조설문지에 AHP 구조를 제출하

는 동시에 lt표 Ⅴ-1gt의 형식에 맞게 평가항목 평가내용 등을 구체 으로 기술하여

야 한다 이는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평가자간 평가항목에

한 일치된 이해를 갖고 평가에 임하도록 하기 한 것이다

lt표 Ⅴ-1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사업 특수성 평가항목 평 가 내 용

평가항목1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부산신항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로 인한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평가항목2도로 건설주체

리체계 미확립

배후도로 건설 사후 리 주체의 미확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추진 상의 비효율

KDI 비타당성조사 리인력은 조사 에서 설정한 구조와 평가항목의 평가내용

이 한가를 검토하고 평가항목의 추가여부에 한 의견을 조사 에게 제시한다AHP 계층구조에서 최하 계층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으로 구분

하 다 이때 시행 는 미시행이 평가되는 상사업은 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상

정된 여러 개의 안 가운데 연구진이 최 이라고 단하는 안이다 이는 의사결정

의 최종목표를 비타당성조사 참여 연구진이 단하는 최 안에 한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나 사업에 따라서는 연구진이 최 안에 한 최종 인 단을 유보하고

AHP 분석을 통하여 최 안을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다수의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

계할 수 있다 다수의 안이 존재하는 사업 평가에 AHP기법을 용하는 방법은 크

게 2가지가 있다 첫째 모든 안들을 AHP 모형에 반 하는 것이다 를 들어 노선

에 따라 안노선 1 안노선 2가 존재한다면 AHP 모형에서는 안노선 1 시행

항을 계층이 완 하게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50) 조근태 조용 강 수 (2003) ꡔ계층분석 의사결정ꡕ 동 출 사 p4

1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안노선 2 시행 그리고 사업미시행 등 3개의 안으로 구성된 AHP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여러 개의 안을 비교하는 AHP 구조를 설정하여 최 안을 선정한

후 선정된 최 안에 해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통상

인 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와 동일하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당성조사에

앞서 수행된다는 을 고려할 때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고려한 가능 안들에

한 수화된 평가결과를 제시하는 것도 유용할 것으로 단된다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이 단계는 계층구조의 각 수 별로 평가항목간 상 요도를 결정하는 단계이

다 동일한 수 동일한 군집에 속하는 두 평가항목의 모든 짝(pair)에 해 평가자들

에게 평가항목간 상 요도( 는 선호도)를 비교하는 질문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비교 과정에는 평가자의 단을 어의 인 표 으로 나타내고 이에 상응

하는 정한 수치를 부여하는 수량화 과정이 포함된다 비교를 통한 상 인 평

가를 해서는 신뢰할 만한 평가척도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척도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차이를 최 한으로 반 할 수 있는 범 로 정하여야 한다 AHP기법에서는

인지심리학 분야의 연구결과에 기 하여 9 척도를 기본형으로 이용하고 있다

lt표 V-2gt 쌍대비교시 중요도의 척도

언어 단 계량 수부여

극단 으로 선호 9

매우 강하게-극단의 간 8

매우 강하게 선호 7

매우 강하게-강하게의 간 6

강하게 선호 5

강하게-약간의 간 4

약간 선호 3

약간-동등하게의 간 2

동등하게 선호 1

주 Saaty and Vargas 1982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19

다만 최상 계층인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의 가 치의 경우 종합평 에 미치

는 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상수합법 척도를 용한다

경제성 분석의 상 요도 = 경제성분석의 요도

times 100경제성분석의 요도 + 정책 분석의 요도

한 도로철도부문 사업의 경우에는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에 한 사 가 치의 범 를 설정하여 용한다51)

45 lt 경제성 분석 가 치 lt 65

다만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범 를 넘어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업의 특수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평가자가 제

시된 가 치 범 를 벗어나도록 가 치를 설정할 수 있다이외의 하 평가항목의 가 치의 경우 Saaty의 9 척도를 이용 비교를 통

하여 두 요소간 상 요도의 측정결과를 종합하여 요소들간 상 가 치를 추

정한다 의사결정자가 한 수 에서 n개의 평가항목에 해 nC 2

회의 비교를

수행하면 실제 인 상 가 치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아래의 비교행

렬 Antimesn을 구성할 수 있다

A = [a ij] =

︳︳︳︳︳︳︳︳︳

︳︳︳︳︳︳︳︳︳

w 1w 1 w 1w 2 w 1w n

w 2w 1 w 2w 2 w 2w n

w nw 1 w nw 2 w nw n

(Ⅴ-1)

이때 행렬 A를 구성하는 aij는 요소 j에 한 요소 i의 상 가 치 wi wj

의 추정치이다 행렬 A는 a ji=1a ij 주 각선의 원소(element) 값이 모두 1이 되

는 성질을 가진 역수행렬(reciprocal matrix)이다

행렬 A에 평가항목간 상 요도를 나타내는 가 치인 열벡터 w =

( w 1 w 2 w n )T를 곱하게 되면 식 (Ⅴ-2)의 계를 갖는다

51) 보다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을 참조하라

1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

︳︳︳︳︳︳︳︳︳

w 1w 1 w 1w 2 w 1w n

w 2w 1 w 2w 2 w 2w n

w nw 1 w nw 2 w nw n

sdot

︳︳︳︳︳︳︳︳︳

︳︳︳︳︳︳︳︳︳

w 1

w 2

w n

=

︳︳︳︳︳︳︳︳︳

︳︳︳︳︳︳︳︳︳

nw 1

nw 2

nw n

(Ⅴ-2)

Asdotw= nsdotw (Ⅴ-3)

여기서 n은 행렬 A의 최 고유치(maximum eigenvalue)이며 행( 는 열)의 수이

다 결국 식 (Ⅴ-3)은 n개의 연립방정식 체계에서 non-zero해를 구하는 고유치 문제

(eigenvalue problem)이다 식 (Ⅴ-3)으로부터 w의 해를 구한 값을 평가항목별 가 치

벡터로 사용한다비교에 의하여 행렬 A를 얻는 방법은 각 열의 요소의 요도를 1을 기 으

로 한 후 각선 상 에 있는 요소들의 상 인 요도를 결정한다 만일 비교

에 의해서 얻어진 행렬 A의 원 a ij가 각각 wiwj의 값을 갖는다면 기수 일 성 즉 aijtimesajk = aik가 성립되어야 한다 aijtimesajk = aik의 의미는 i를 j보다 x배 요

하게 생각하고 j를 k보다 y배 요하게 생각한다면 i를 k보다 xtimesy배 요하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응답에 있어서는 이러한 일 성이 완 히 지켜지기

어렵기 때문에 행렬 A의 기수 일 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비교에

한 응답이 완 한 일 성을 유지하지 않을 경우 응답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AHP에서는 응답일 성 정도를 lsquo비일 성비율rsquo로 나타낸다 비일 성비율이 0의

값을 갖는다는 것은 응답자가 완 한 일 성을 유지하며 비교를 수행하 음을

의미한다 Saaty는 비일 성비율이 01 미만이면 비교는 합리 인 일 성을 갖는

것으로 단하고 02 미만일 경우 용납할 수 있는 수 의 비일 성을 구비한 것으로

단한다 비일 성비율이 02 이상이면 일 성이 부족하여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제

안한다 본 조사에서는 비일 성비율의 최 허용치를 015로 설정하고 비일 성비율

이 015를 과하는 응답자에 해서는 환류(feedback) 과정을 통하여 응답일 성을

높이도록 하 다

4 대안간 선호도 측정(Scoring)

이 단계는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안에 한 선호도를 수로 부여하는 과정

이다 lt표 Ⅴ-3gt은 비타당성조사의 평 기 을 보여 다 사 으로 선택된 평가

항목 가운데 경제성 분석 지역균형발 을 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효과 등의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1

평가항목은 BC 지역낙후도지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지수 등 계량 지표를 기

으로 평가한다 기타 다른 평가항목들은 조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정성 으로

단하여 평가항목별 평 을 수행한다

lt표 Ⅴ-3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평가 항목 평가 내용 평 기 비고

경제성 분석∙경제 측면에서의 사업

타당성

∙경제성 분석결과 도출된

BC비율

∙BC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 분석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균형발 측면에서

사업의 필요성

∙지역낙후도지수 순

(해당 사업이 다수의 시

군에 걸쳐있는 경우 표

시군의 낙후도를 기 으

로 평가)

∙낙후 정도가 심할수

록 lsquo사업 시행rsquo 수

가 높고 발달된 지

역일수록 lsquo사업미시

행rsquo 수가 높음

지역경제

효과

∙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가

가치 유발 등 지역경제

효과

∙지역내부가가치유발액GRDP(지역내총생산)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상 계획 련계획에

의 반 여부

∙주무부처에서 추진하는

정책방향과의 일치여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반 이 구체 일 수

록 일치성이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앙정부 해당지자체

주민의 사업에 한 추진

의지 선호도 숙원도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사업 추진 의지가

클수록 lsquo사업 시행rsquo수가 높고 반

의견이 많을수록 lsquo사업

미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의

비정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인

력 재원의 투입정도

등 사업추진의 구체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 비정도가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재원조달계획의 실 가

능성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조

달의 가능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재원조달 문제가 없

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우 lsquo사업미시행rsquo수가 높음

환경성

∙해당사업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향 사업추진

시 환경문제발생가능성

에 한 개략 평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환경성 문제가 없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

우 lsquo사업미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특수

평가항목

∙기타 사업 타당성 평가를

하여 고려할 사항

1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평 과정에서 주의할 은 특정 평가항목에 한 평 이 다른 평가항목의 평

과 독립 이라는 이다 를 들어 사업의 타당성에 하여 갖고 있는 일반 인 태

도를 개별 평가항목의 평 과정에 반 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를 들어 지역낙후도

지수와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항목은 평 기 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lsquo지역균형 발

rsquo이라는 분류 범주에 속한다는 이유로 두 평가항목의 평 을 상호 연계하려는 태

도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AHP 기법의 요한 장 의 하나는 평가항목별로 한 가지

성질을 기 으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한다는 에서 인간의 정보처리능력을 제고

한다는 이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가 치 설정단계와 마찬가지로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간의 상 정성을 비교를 통하여

악하여 평 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평 을 한 척도 역시 Saaty의 9 척도를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평 과정에서 다음 두 가지 사항에 한 고려가

필요하다첫째 부분의 사업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lsquo재원조달 가능성rsquo lsquo환경성rsquo

평가항목에 한 평 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 안의 상 성을 어떻게 평

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를 들어 사업 시행시 특별한 환경문제가 발생하

지 않는 경우 환경성 측면에서 사업시행 안의 성을 9 으로 평가할 것인가

는 사업미시행 안과 립 인 1 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구간

국도건설 사업과 같이 재원조달상의 문제 이 없는 사업의 경우에도 사업시행 안

의 성 평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항목에 한 평 의 최 수를 1 으로 설정한다 즉 환경성

는 재원조달 상의 문제 이 없다는 사실이 해당 사업의 시행을 진하는 역할을 하

는 것이 아니라 다만 사업추진 상에 부정 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다는 것으

로 단하는 것을 의미한다둘째 계량화된 평가항목에 해서는 표 수를 부여하여 사업간 평가의 일 성

을 제고한다 본 지침에서는 평가의 일 성이 특히 요구되는 경제성 분석과 지역낙

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평 에 용한다 경제성 분석은 모든

비타당성조사에 공통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용하는데 동일한 BC 비율에 하

여 연구자에 따라 각기 상이한 단을 내리는 문제 을 해소하기 해서이다52) BC 비율 지역낙후도 지수는 다음의 표 수 환식을 용한다

52) 표 환식 추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장 참조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3

BC 비율 표 수 환식

BC 표 수 511532 times ln (BC) + i (Ⅴ-4)

단 BC ≧ 1 rarr i= 1 BC 1 rarr i= -1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환식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α+ i (Ⅴ-5)단 α = 081220 + 223298 timesLIR - 029626 timesLIR 2 + 074302 timesLIR 3

+ 032728 timesMIR 2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LIR은 시군별 지역낙후도순 를 표 화한 값 MIR은

시도별 지역낙후도순 를 표 화한 값임

비타당성조사의 요한 목 의 하나가 일 된 평가기 을 다양한 공공투자사

업에 용하여 공공투자에 한 의사결정의 객 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음을 감안

할 때 공통의 기 에 의하여 산정한 비교 가능한 계량지표에 한 평가에 해서는

일 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단된다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이 단계는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을 구하는 단계이다 비교 안 높은 종합평 을 받은 안

이 AHP 모형에 의한 선택 안이 된다한편 평가자 선정에 한 논의에서 언 된 바와 같이 AHP 기법에 의한 비타당

성 종합평가는 집단의사결정의 성격을 가지므로 개별 평가자의 평가요소 가 치 안들의 평 종합평 이 평가집단 공동의 가 치 평 종합평 으로 종합되는 과

정이 필요하다개별 평가자의 평가를 종합하는 방법으로 첫째 개인별로 얻어지는 모든 비

교행렬의 결과를 기하평균(geometric mean)을 이용하여 집단 체의 비교행렬을

먼 구하고 고유벡터 계산법을 용하는 방법과 둘째 개인의 비교행렬에 고유

벡터 계산법을 용하여 가 치와 평 에 한 우선순 벡터들을 구한 뒤 이 벡터

1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값들을 기하평균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선택하는

데 그 이유는 이 방법이 문가 집단에 의한 종합 단을 반 하는 데 더 합하

기 때문이다

6 환류과정(Feedback)

환류과정은 AHP의 유용성을 높이는 하나의 특성이다 검토과정의 주안 은 응

답일 성이 낮은 응답자에게 비일 성에 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다시 수

행하도록 함으로써 의사결정의 비일 성을 여나가는데 있다 만약 의사결정자가

형식화된 질문에 하게 응답하지 못한다면 AHP계층 구조를 재고하여야 한다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의 정의 설명이 잘못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불일치정도가 심하고 검토과정에서도 일 성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평가항목들의 계

층 구조를 다시 구성하거나 수 과 요소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거나 설명한 후 AHP설문을 다시 수행한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AHP 분석을 한 자료 수집을 lsquo구조설문지rsquo와 lsquo응답설문

지rsquo라는 2종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한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방식은 연구

자별 AHP 기법에 한 이해 정도 평가항목에 한 이해 정도 사업에 한 사 인

태도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KDI 비타당

성조사 은 체 조사 원들에게 AHP 기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AHP 구조 작성과

정에서 긴 한 의를 거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 기법이 문가들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한 도구로서 각 연구진들이 AHP 분석을 직 수행하는 것과는 의

사결정을 한 상호 교류에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AHP 분석결과 의사결정의 일치도가 높은 경우 를 들어 평가자가 모두 사업시

행 는 사업미시행이 하다고 단하는 경우 와 같은 AHP 수행방식의 제약에

도 불구하고 사업의 타당성에 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수 있다 그러

나 평가자간 의사결정 결과가 22로 양분되거나 의사결정 결과가 13으로 나뉘었음에

도 불구하고 1명의 AHP 평 으로 표출된 의사결정의 강도가 매우 높아 체 평 결

과에 향을 미치는 경우 등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낮은 경우 평가자간 평가결과에 상

호 토의하는 추가 인 차가 필요하다집단 의사결정 과정에서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

의사결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하여 집단역학(group dynamics) 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단역학이란 소규모 집단은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서로

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며 이를 리한다는 것은 상호작용과정 가

운데 발생할 수 있는 정 효과(process gain)를 극 화하고 부정 폐해(process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5

loss)를 극소화하는 것이다 집단 의사결정에 이르는 방법으로는 공감(consensus) 상

(negotiation) 투표(voting) 등이 있다 공감 를 제고시키기 한 노력 없이 일종의 투

표행 인 개별평가를 단순 취합해서 종합평가를 도출해 낸다면 단일한 결론을 만들

어 내기는 했지만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가 진심으로 자신의 의견이 반 되었다고 받

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연구책임자(PM)는 집단역학 리기법을 사용해서 공감

형성을 통한 종합의견을 이끌어 내기 해 노력하여야 한다 구체 으로 AHP 분석

결과로 도출된 의사결정 결과가 안정성이 높지 않을 경우 체 평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상호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각자 자신들의 평가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평가자

상호간의 의견에 한 공감 를 높일 수 있다 한 토론과 논쟁 과정에 AHP 분석을

다시 수행하여 평가자간 견해 차이를 좁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AHP기법의 마지막 단계는 환류과정(feedback)을 거친 후에 도출된 종합평 을 근

거로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간에 최종 인 결정을 내리고 정책담당자

에게 제시할 정책제언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AHP 분석을 통하여 최종 으로 얻는 산출물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각각에 한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계산

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시

행 안보다 상 으로 높은 종합평 (05를 과하는 수)을 얻으면 사업의 타당

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 다 이와 같은 기계 인 결론 도출 방식은 비

타당성조사의 최종 인 결과가 사업을 지속 으로 추진하기 한 산을 배분할 것

인지 는 배분하지 않을 것인지 하는 양자택일 의사결정(binary decision)에 활용하

기 한 기 자료의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AHP 분석결과를 기 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할 때는 제

약이 따른다 첫째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특히 평가자간 22로

의견이 양분되었을 때 AHP 종합평 결과가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수를 보이

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자간 공감 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 으로 사업의 시

행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 경우 사업의 사업시행 여부에 하여 양

자택일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평가자별 평가의견을 기술하고 평가자간 차이발생의

원인을 보고서에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둘째 종합평 결과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의 차이가 미세하여 의사결

정의 강건성(robustness)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이다 AHP 종합 수를 근거로 사업의

1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시행여부를 결정할 때 흔히 제기되는 질문은 ldquoAHP 종합 수 051과 049 차이가 사업

의 타당성 여부에 한 양자택일 단을 내릴 만큼 한 차이가 있는가ldquo라는 것

이다 이 질문에 하여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에서 양자택

일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 던 이유는 궁극 으로 비타당성조사의 목 이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가 는 없는가를 단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은 AHP 분석방법이 가진 제약을 고려할 때 AHP 분석 결과를 지나치게 확정 으

로 용하는 측면이 있다본 지침에서는 이러한 을 감안하여 최종 단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을 하

기 하여 다음과 같은 회색 역을 설정하 다53)

05 - 005 lt AHP 종합평 lt 05 + 005즉 045 lt AHP 종합평 lt 055

회색 역이란 만약 연구진 구성이 달라진다면 재의 종합평 의 결과가 뒤바

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역을 뜻한다 결국 이러한 역에 속하 을 경우에 연구

진들은 AHP 분석을 통한 종합 결론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이 필요할 것이다다음으로 이 회색 역을 평가자 의견의 일치정도에 따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우

리는 평가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을 때는 평가자의 모집단의 평균도 표본평균

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을 때는 평가자 모집단의 평균은 종합평 과 다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 있다 따라서 평가자간의 의견일치도가 낮을수록 회색 역을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을 종합하여 회색 역의 용은 다음과 같은 원

칙을 따르도록 한다첫째 4명의 평가자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 AHP 평 이 05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

라 평가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종합의견을 도출한다둘째 31로 갈린 경우 84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표본평균이 055보다 큰 경우

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5보다 작은 경우 사업의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AHP 수가 045보다 크거나 같고 055보다 작은 경

우에는 회색 역에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셋째 22로 갈리는 경우에는 95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AHP 수가 058보다 높

은 경우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2보다 작은 경우

에는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회색지 에 있는 것

53) 회색 역 설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제ⅩⅢ 장을 참조하라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7

으로 톤을 완화하고 결론에 신 을 기한다다만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가 31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의

AHP 수가 045보다 작거나 역으로 그 비율이 13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

의 AHP 수가 055보다 큰 경우는 한 평가자의 단이 다른 세 평가자의 단을 압

도하는 상황으로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공감 가 형성된 의사결정으로 보기 어렵

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평가자가 집단역학 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공감 를 형성

하기 한 feedback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feedback 과정을 거친 후에도 이와 같은

상이 반복된다면 결론에 신 을 기한다

lt표 Ⅴ-4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종합평

시행미시행AHP lt 045 045 le AHP lt05 05le AHP lt055 055 le AHP

4 0 - - 타당성 있음 타당성 있음

3 1 Feedback 아주신 약간신 타당성 있음

2 2

AHPlt042타당성없음

AHPgt042약간신

신 신

AHPgt058타당성 있음

AHPlt058약간신

1 3 타당성 없음 약간신 아주신 Feedback

0 4 타당성 없음 타당성 없음 - -

주 1) lsquo시행미시행rsquo은 사업시행 평가자 수와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의 비율(4인 기 )을 나타냄 2) AHP는 사업시행 안의 AHP 종합 수를 나타냄 3) lsquo-rsquo는 해당 사항 없음을 나타냄

결국 평가자간 의견의 일치정도와 종합평 이 회색 역 안과 밖에 있는 지 여부

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질 것이다 회색 역 밖에 치한다면 해당 사업의 시행미

시행 여부에 하여 보다 분명하게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고 그 지 않다면

연구진들은 회색 역에 속함을 분명히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하여 결론을 내릴

때 톤을 완화하거나 신 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의견이 갈릴수록 더욱 신 해야 할

것이다

1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작업은 비타당성조사 요약표를 작성하여 보고서에 수

록하고 조사와 련된 일을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하는 것이다 요약

표는 비타당성조사 체 내용을 압축 으로 일목요연하게 보여 수 있는 장 이

있다 한 요약표를 2004년부터 구축 인 비타당성조사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포

맷과 일 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DB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비타당조사 보고서에 수록할 요약표와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하여야

할 산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수록을 위한 요약표

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 수록할 요약표는 다음과 같다

lt요약 1gt 비타당성조사 총 표

lt요약 2gt 비타당성조사 의뢰안

lt요약 3gt 경제성 분석의 제 요약

lt요약 4gt 비타당성조사의 주요 쟁 요약

lt요약 5gt 정책 분석 요약

lt요약 6gt AHP 분석 결과

- lt요약 6-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 치

- lt요약 6-2gt 평가자별 AHP 평 결과

lt요약 7gt 결론 정책제언

설명의 편의상 2004년 수행된 lsquo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rsquo의 사례를 들어 기

술한다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29

lt요약 1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 총괄표

명칭 안Ⅰ 안Ⅱ 안Ⅲ

주요

내용

(2000자

이내)

- 부산신항에서

구~부산간 고속도로

최단연결

- 신설 4차로

(신항~ 양IC)

lt 안Ⅰ은 설계연장 과다

로 인한 구조물 증가 우

량농지 훼손으로 민원발생

이 우려되며 사업비가 고

가임gt

- 부산신항에서

남해고속도로 진례JCT에

연결

- 6차로(신항~진해IC) 4차로(진해IC~진례JCT)

lt 안Ⅱ는 해군상수원 보

호구역 자연휴양림을

우회통과하여 남해고속도

로 진례JCT에 연결하는 안

으로써 부산신항 배후도로

성격에 합한 노선으로

단됨gt

- 부산신항에서 국도

58호선 이용 후

남해제2고속도로지선에

연결

- 6차로(신항~진해IC) 4rarr6차로(국도 58호) 4rarr6차로(남해제2지선)

lt 안Ⅲ은 재 부산지방

국토 리청에서 실시설계

인 국도 58호선을 활용

하는 안으로서 배후도로

기능을 해 국도 58호선

을 장유도시계획도로 신

남해제2고속도로지선에 연

결할 경우 국도 이용객의

불편을 래하여 민원발생

이 우려됨gt

사업내용

규모요약

고속도로신설

(연장km차로수)고속도로신설

(연장km차로수)항만배후도로신설확장

(연장km)4022 4 171 4~6 1773

사업비 1551400 805600 413000BC 115 146 198

NPV 133800 211200 226800IRR 88 112 1421

타당성 NO YES NO최 성 YES

AHP 시행 수

0764

주 타당성은 연구진이 종합 (경제성 정책 등)으로 단한 안의 타당성으로서 복수의 YES와 NO가

나올 수 있음 반면에 최 성은 연구진이 고려한 안 에서 가장 낫다고 단한 안(타당하지는

않더라도)을 나타내며 따라서 반드시 하나의 안만을 선택하도록 함

1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2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 의뢰안

구 분 내 용

사업지역 부산 역시

세부사업지역 부산신항 서측~ 양JCT

사업내용규모요약

항만배후도로신설

연장 387 km 차로수 4~6

시행주체 국가(부산지방해양수산청)

총사업비 (억원) 831100

재원조달방식 액국고

사업기간 2004 2010

사업목

(500자 이내)

신항만으로부터 구~부산간 고속도로로 직 연계되는 노선을 신설

하여 부권 교통량을 부산시 기존 부산항 교통량과 분산 처리함

으로써 항만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물동량의 수송비용을 감

컨테이 부두 배후에 조성되는 규모 물류단지에 한 근성을 제고

부산신항을 동북아 물류 심기지로 육성하기 한 인 라를 구축

주 모든 결과에서 액은 백만원 단 까지 계산하고 기록은 억원 단 로 하여 소수 둘째 자리까지 표

함 를 들어 720억 3천5백만원은 72035로 기록함

lt요약 3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경제성 분석의 전제 요약

구 분 내 용

기 년도 2002

분석기간 20

할 인 율 75

주요가정

(4000자

이내)

본 조사에서는 상사업의 직 향권을 부산울산 역권으로 설정하

고 이에 따라 행정구역 부산신항 개발계획을 고려하여 총 415개의 교통

죤 체계를 구축하 음 본 조사에서 사용된 기본 OD 자료는 부산신항 건설을 고려하지 않았으므

로 새로 추가된 신항만 컨테이 부두와 항만배후단지의 통행량 화물물

동량을 고려하여 장래 OD를 새롭게 구축

신항만 물동량의 지역간 분포를 해 기존의 화물통행 OD의 죤별 통행발

생 도착량과 함께 력모형을 이용하여 새로이 통행분포과정을 거침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31

lt요약 4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예비타당성조사의 주요 쟁점 요약

구 분 내 용

주요쟁

(4000자

이내)( 시 생략)

1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5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정책적 분석 요약

정책 분석 항목 분석 내용 (각 2000자 이내)

지역균형발

지역균형발을 한 지역낙후도

( 시 생략)

지역경제 활성화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 시 생략)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 시 생략)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 시 생략)

환경성 ( 시 생략)

추가 평가항목

사업특수평가항목

항만기능

활성화

총사업비 9조원 이상을 투입하여 건설하는 부산신항이 항만으로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음 항만기능 활성화를 한 조건으로 3C(Cost Connection Convenience)

의 비용감소(Cost) 연계강화(Connection) 효과를 가져옴

배후도로 건설

리 체계

재의 항만 련 도로의 건설 리 체계 하에서는 부처간 업무분

장 책임소재가 불분명

항만구역내 도로는 건설은 항만법에 따라 항만 리청이 유지

리는 도로법에 따라 도로 리청(지방자치단체)이 시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법 한계가 모호

항만배후도로의 경우 항만시설로 지정된 경우 건설은 항만 리청이 맡

더라도 유지 리는 도로법에 따라 해당 도로 리청이 맡는 것이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 계층화법(AHP 기법) 133

lt요약 6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AHP 분석 결과

lt요약 6-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중치

구 분 종 합 평가자 1 평가자 2 평가자 3 평가자 4

경제성 분석 0565 0650 0700 0350 0550

정책 분석 0435 0350 0300 0650 0450

∙ 기본평가항목 0224 0117 0250 0130 0300

- 지역낙후도 0013 0011 0015 0005 0015

- 지역경제활성화 0022 0016 0015 0013 0029

- 사업추진의지 선호도 0034 0008 0040 0026 0058

- 재원조달 가능성 0065 0027 0100 0040 0058

-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0071 0049 0040 0040 0113

- 환경성 평가 0018 0006 0040 0005 0029

∙ 특수평가항목 0211 0233 0050 0520 0150

-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0156 0156 0042 0446 0075

- 도로 건설주체 리주체 미확립 0056 0078 0008 0074 0075

비일 성 비율 0002 0020 0009 0008 0000

lt요약 6-2gt 평가자별 AHP 평점 결과

구 분 안 Ⅱ 안 Ⅲ 비일 성 비율

종 합 0551 0449 001

평가자 1 0550 0450 002

평가자 2 0511 0489 001

평가자 3 0559 0441 005

평가자 4 0544 0456 000

1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요약 7gt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결론 및 정책제언

구분 내용

결론

(2000자

이내)( 시 생략)

정책

제언

(2000자

이내)

( 시 생략)

2 KDI 예비타당성조사 관리팀에 제출할 전산 자료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 제출할 산자료 목록은 다음과 같다

lt 산자료 1gt 비용-편익의 연차별 흐름표 (Excel format)

lt 산자료 2gt 기타 경제성 분석의 기 자료

lt 산자료 3gt 재무성 분석표

lt 산자료 4gt AHP 분석 결과

- lt 산자료 4-1gt 평가자별 평가항목별 가 치

- lt 산자료 4-2gt 평가자별 AHP 평 결과

제 2 부

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앞의 제1부에서는 실제 비타당성조사 수행시 용될 각종 조사방법과 일반

기 등을 조사수행 흐름에 맞게 제시하 다 제1장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이하 제2부에서는 실제 조사에 직 으로 용되는 사항은 아니지만 지침내용의 이론 근

거와 세부 연구내용을 각 사항별로 구체 으로 논의하려 한다 제2부의 주요 내용은 비용-편익 분석에 한 이론 고찰 사회 할인율 조정에

한 이론 근거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재무 타당성 분

석 방법 보완을 한 방법론 정리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의 고찰 불확

실성과 험 분석에 한 이론 검토 다지역산업연 모형의 구축 분석 방법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 내용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등이다 이 비용-편익 분석에 한 이론 고찰 다지역산업연 모형의 구축 분석 방법

등의 내용은 기존 제3 의 내용을 그 로 수록한 것이며 나머지 연구내용은 이번 지

침개정과 함께 새롭게 혹은 보완 으로 연구된 내용들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정부지출이란 모두 산속에 편성되어 집행되는 것으로서 정부의 입장에서는 부

족한 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 으로 사용하는가 하는 이 요 심사이다 다시

말해 정부는 공공투자사업을 선정하는데 충분한 분석이 있어야 하며 명한 선택이

요구되는 것이다 정부가 행하는 부분의 사업은 규모 사업이므로 한번 잘못된 선

택을 한 경우 발생하는 피해는 크고 장기 이다비용-편익 분석은 이와 같은 정부의 공공사업을 명하게 선정하는데 이용되는

차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런 에서 비용-편익 분석(CBA cost-benefit analysis)은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분석(project feasibility analysis)이라고도 할 수 있다비용-편익 분석은 국가 인 차원에서 정해진 공공목표를 달성하기 하여 상되

는 여러 안들(alternatives)에 하여 각각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최선의 안을 도출하는 기술 방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석은 사업

안들의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일반 인 차를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이와 련된 여러 원칙과 기 하에서 분석을 해야 하는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은 기업차원의 재무성 분석과는 달리 사회 는 국민경제

체의 에서 비용과 편익을 악한다 따라서 민간기업에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

할 때 사용되는 타당성 검토와 비교해 볼 때 근방법은 비슷하다고 하더라도 개념

으로는 아주 다르다 가장 근본 인 차이는 비용과 편익의 성격과 내용에 있다고 하

겠다 국민경제 에서의 편익이란 특정사업의 국민생산에 한 공헌을 뜻하며 비용이란 국가자원의 낭비(즉 자원의 기회비용)를 뜻하게 된다

1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1 기본원칙

비용-편익 분석에서의 의사결정에 한 기본원칙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장 큰 순

편익(net benefits)을 제공해 주는 안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순편익이란 총편익에서

총비용을 뺀 액을 뜻한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측정의 어려움은 비용측면보다는 편익측면에서 더 많이 발생

한다 편익이란 국민생산 는 국민후생에의 공헌을 의미하는데 후생경제이론에서

는 이를 소비자들의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액으로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편익을 측

정하는 가장 핵심 인 요소는 소비자(혜택을 받는 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가 얼마인가를 악하는 것이다 사업의 순편익은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라는

용어로 신 불려질 수 있다 소비자잉여란 바로 소비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액

과 실제 지불한 액과의 차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2 기준

비용-편익 분석에 있어서 용되는 단의 기 은 체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순 재가치이다 순 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란 투자사업의 기간

에 걸쳐 발생하는 순편익의 합계를 재가치로 환산한 값을 의미하며 이 순 재가치

가 lsquo0rsquo 이상으로 나타나면 그 사업은 경제 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순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편

익의 가치를 할인해주어야 하므로 어떤 수 의 할인율을 용하느냐가 건이 된다 순 재가치의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NPV =B 0-C 0

(1+r) 0+B 1-C 1

(1+r) 1+⋯+

Bn-Cn

(1+r) n

= sumn

t=0(B t-C t

(1+r) t) t=01⋯n

(Ⅵ-1)

여기서 r은 사회 할인율 n은 사업의 기간(연수)을 의미한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1

둘째 편익비용 비율이다 편익비용 비율(benefit-cost ratio)의 기 은 편익비용 비율

이 높은 사업일수록 경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기 이며 여기에서도

한 사회 할인율을 용하여 비율을 계산한다 이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BC

= sumn

t=0

Bt

(1+r) t sumn

t=0

C t

(1+r) t(Ⅵ-2)

편익비용 비율은 의 공식에서 보듯이 사업의 비용 1단 당 편익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자연히 소규모 사업이 상 으로 높은 편익비용 비율을 갖게 되

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소규모 사업의 순편익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

다 따라서 사업의 우선순 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편익비용 비율기 은 큰 의미가

없으며 다만 산의 제약 때문에 순편익이 큰 규모 사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때에

이 기 을 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셋째 내부수익률이다 내부수익율(IRR Internal Rate of Return)이란 투자사업이 원

만히 진행된다는 제하에서 기 되는 상수익률로서 투자사업의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편익의 재가치와 비용의 재가치를 일치시켜 순 재가치(NPV)가 lsquo0rsquo이

되게 하는 어떤 할인율로 계산된다 즉 다음의 공식을 성립시키는 R이 내부수익율

이 된다

0=B 0-C 0

(1+R) 0+⋯+

Bt-Ct

(1+R) t+⋯+

Bn-Cn

(1+R) n(Ⅵ-3)

공식에서는 최 년도(0차년도)에는 편익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최

년도의 비용과 그 다음해부터의 할인된 순편익의 합계가 일치되도록 하는 R을 찾

아낸다면 그것이 바로 내부수익률이라고 하겠다 이 내부수익률( R )이 통상 으로

사용되는 사회 할인율( r )보다 크다면 그 투자사업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

3 제약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을 실제로 용하여 사업의 타당성 유무를 단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4가지 형태의 제약에 직면하게 된다

1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소득분배의 제약 공평성 문제

앞의 기 컨 순편익을 극 화시키는 사업을 우선 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기 등은 투자사업의 효율성(efficiency)을 강조하는 기 이며 이것이 소득분배를 개

선시킬 것인가에 해서는 아무런 설명을 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여 앞의 기 은 공

평성(equity)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그러나 엄격히 말하여 투자사업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킬 수 있는 사업이라면 이를

채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소득분배의 개선이라는 것이 도덕 윤리

인 면이 강하고 개인의 주 인 단에 크게 의존한다는 이다 만약 100만원이라

는 돈을 부자로부터 가난한 자에게로 이 시켰다고 할 때 이것이 과연 사회후생(social welfare)을 증가시킨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만약 증가시킨다면 어느 정도 증가시킬 것

인가 이것의 해답은 각자의 소득수 재산상태 소비행태 등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어느 일정한 기 을 용하여 얘기하기가 어렵다 아무튼 투자사업의 혜택이 주로 부자그룹에게 가고 비용은 주로 빈민그룹에게서

발생하는 사업은 그 반 의 경우 즉 혜택은 빈민그룹에 가고 비용은 부자그룹에게서

발생하는 사업에 비해 분명히 열등(inferior)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용-편익

분석을 보다 완벽하게 수행하기 해서는 편익과 비용이 어떤 그룹에게서 발생하는

가를 가능한 한 정확히 악하고 이를 최종 단에 반 시켜야 할 것이다

나 예산상의 제약 정치적 제약

다음으로 요하게 제기되는 제약이 산상의 제약이다 산상의 제약은 넓

은 의미에서 정치 제약(political constraints)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그 이유는

공공투자사업에 배정되는 산은 의회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심의를 받아

야 하며 결국 정치 단이 산배분에 인 향을 주기 때문이다여기에다가 국회에서는 정치 략에 의해 특정 공공사업을 선택하기 한 투표

의 교환행 (vote-trading) 혹은 정치 계약행 (log-rolling)가 일어나고 있음에 유념해

야 한다 정치가들은 흔히 자신의 존재가치를 과시하기 하여 필요 이상으로 새로운

공공재가 공 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고 납세자들은 정부로부터 보다 많은 공공

재를 무상으로 제공받기를 기 하면서도 실제 얼마만한 비용이 소요될 것인가에

해서는 무심하게 넘겨버리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상은 결국 공공사업의 선정을 경

제 합리성보다는 정치 합리성에 의존하도록 유도하며 궁극 으로는 정부 산을

비효율 으로 팽창시키는 결과를 래한다고 하겠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3

다 사업성격상의 제약

세 번째 제약으로는 안으로 고려되는 공공투자사업들간의 상호 계와 련된

것으로서 사업성격상의 제약이라고 칭할 수 있겠다 여러 개의 공공투자사업들 가운

데서 몇 개의 사업을 선정하려고 할 때는 개 사업들이 서로 독립 이다 다시 말하

여 서로 완 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업들이 선정 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사업들이 서로 독립 인 것이 아니라 서로 의존 인 성질

을 갖게 될 때가 있다상사업들이 서로 의존 인 성질을 가지고 있을 때는 앞에서 소개된 여러 기

들을 직 으로 용하기 어렵게 된다 컨 A라는 사업이 선정되기 해서는 반

드시 B라는 사업이 함께 선정되어야 하는 그런 경우이다 이러한 사업들은 서로 보완

(complementary)인 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A라는 사업이 선정되었다면 B라는 사

업은 자동 으로 폐기되는 그런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서로 경쟁 (substitute)인 계를 가지고 있다 서로 경쟁 인 계에 있는 사업들은 다른 표 으로 상호배

타 (mutually exclusive)인 계에 있다고도 한다 이처럼 상사업들이 상호보완 이

냐 혹은 경쟁 이냐에 따라 사업선정의 기 들이 약간씩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라 정보의 제약 측정상의 문제

마지막 제약(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본질 인 제약)으로 정보의 제약을 지 하지

않을 수 없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 이 측정의 문제(measurement problem)이다 아무리 좋은 단기 을 가지고 있더라도 정보의 부족으로 비용과 편

익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측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하여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 analysis)이 도입되기도 하 다 정보의 제약을 극복하

기 하여 각종 설문조사 계량 측모형 여러 가지 경 학 산업공학 기법들

이 새로 개발되고 있지만 모든 것이 완벽하지는 않다

1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1 유형별 분류

비용과 편익은 여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그 가장 요한 분류로는 실질

(real)인 비용편익과 (pecuniary)54)인 비용편익의 구분이다 비용-편익 분

석에서는 오직 실질 인 비용편익만이 고려된다실질 인 비용과 편익이란 말 그 로 공공사업에 의해 발생한 진정한 비용과 편

익을 뜻한다 실질 인 편익은 국민생산 는 사회후생의 증가를 통해 국민(소비자)들이 실제로 받는 혜택을 의미하며 실질 인 비용은 공공사업의 추진에 의해 발생된

자원의 기회비용을 뜻한다 반면 비용과 편익은 공공사업에 의해 빚어진 화폐

가격의 변화 때문에 발생한 것들이며 이들을 계산에 포함시키면 이 계산 는 과

계산의 과오를 범하게 된다 비용과 편익은 그것이 내부 (internal)으로 발생하느냐 혹은 외부 (external)으로

발생하느냐에 따라 내부 비용편익과 외부 비용편익으로 구분된다 내부 이

건 외부 이건 간에 그것이 실질 인 비용과 편익이라면 비용-편익 분석에 포함되어

야 한다직 간 비용편익으로도 구분된다 실질 비용과 편익은 직 일 수

있고 간 일 수도 있다 양자간의 구별이 항상 분명한 것은 아니지만 직 인 것

은 공공사업의 일차 인 목 과 련된 비용 편익을 뜻하며 간 인 것은 2차

인 목 즉 부산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비용과 편익을 가리킨다직 이건 간 이건 그 편익과 비용의 측정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 측정

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편익과 비용의 형태가 무형 (intangibles)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이다 유형 이라는 것은 통상 시장에서 평가될 수 있는

편익과 비용을 뜻하므로 한 가격을 용한다면 측정이 비교 용이하다 그러나

무형 인 것은 형태가 없으므로 시장에서 평가될 수가 없다 그런데 무형 효과가

측정되기 어렵다고 하여 무조건 측정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54) lsquo rsquo이라는 용어에 혼란이 없기를 바란다 여기서 이라는 말은 돈으로 측정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순 히 화폐 상에 의한 효과라는 의미로 lsquo실질 rsquo인 것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5

2 일반적 고려사항

가 이전지출

비용편익분석에서 이 지출(transfer payments)에 해당되는 거래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가 간혹 혼란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이에 한 결론을 말한다면 우

리가 취 하는 비용편익분석은 경제 분석(economic analysis)이지 재무 분석(financial analysis)이 아니므로 모든 이 지출은 비용편익의 고려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이 지출의 표 인 를 든다면 세 (tax) 정부보조 (subsidy) 그리고 은행이

자지불(interest payment) 등이 있다

나 인플레이션

비용편익분석에서 장래의 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측정할 때 인

이션의 향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해서 간략히 언 할 필요가 있다 결론 으

로 말하여 우리는 장래에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기 년도의 불변가격(constant price)으로 측정함으로써 인 이션 효과를 무시할 수 있다

모든 계산을 불변가격으로 함으로써 인 이션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단기간 사업의 경우 인 이션을 정확히 상할 수 있다면 불

변가격이 아닌 경상가격에 의해 비용과 편익을 측정함으로서 인 이션 효과를 반

토록 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다 매몰비용

사업을 추진하는 데는 사업의 타당성 평가를 하기 이 에 이미 기존에 설치한 시

설이라든가 자산을 활용해야 할 경우가 많다 이처럼 사업평가 이 에 이미 발생된

비용을 매몰비용(sunk cost)이라고 부르는데 이 매몰비용은 비용-편익 분석에서 비용

으로 취 되지 않으며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에 이미 지출된

비용은 지 와서 회수할 수 없는 것으로 신규사업 추진여부와 계없이 비용은 이미

매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1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라 예비비

투자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비용항목으로 비비(contingencies)를 반드시 반 시켜야 한다 사업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기치 못한 일들이 무수하

게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이런 문제들에 한 사 방 조치로 비비를 마련해야 하

기 때문이다

마 고용창출효과 및 지역개발효과

비용-편익 분석에서 가끔 혼란이 야기되는 부문이 사업에 의해 발생하는 고용창

출효과와 지역개발 효과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하는 문제이다공공투자사업에 의하여 해당지역의 지역경제가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고용창출

과 소득증 상이 일어난다면 그 지역입장에서는 단히 바람직한 일이며 따라서

경제 평가에서 이러한 효과가 히 반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반 하는 데는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의 효

과들을 그 로 경제 효과로 보고 경제 타당성 분석에 이를 반 시킨다면 자칫 이

계산의 과오를 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역개발효과의 상당부분이 앞에서

소개한 인(pecuniary) 효과라는 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를 들어 도로가 신설됨으로서 특정지역의 땅값이 상승하고 주변의 식당 여

다방 등의 업이 활발해 진다고 하자 이로 인해 고용창출도 발생한다고 하자 이것

은 분명히 그 특정지역에게 유리한 결과임은 분명하나 이러한 상은 자칫 다른 지역

의 소득감소 고용감축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결국 한 지역의 양의 효과는 다른 지

역의 음의 효과를 가져와서 서로 상쇄됨으로서 국가 체로 보아서는 별 의미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 지역만의 확실한 효과로 증명되지 않는 한 고용창출

지역개발효과는 경제성 분석에서 반 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 이다

3 사업별 편익의 형태

주요사업별 경제 편익의 형태를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농업사업 공업사업처럼 최종산출물의 형태가 확실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에

게 최종소비재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의 시장가치(잠재가격)가 사업편익이 된다 둘째 교통사업이나 공익사업처럼 산출물이 최종소비재의 성격보다는 간재(intermediary goods)의 성격을 강하게 가질 경우 이 산출물에 의해 발생한 비용 감효과(cost-saving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7

effects)가 사업의 편익이 된다 셋째 사회정책사업처럼 산출물이 질 개념일 경우에

는 비용-효과 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이용하여 편익측정 문제를 해결한

다55)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1 가치와 시장가격

비용ㆍ편익을 측정하는데 핵심 으로 활용되는 것이 시장가격(market price)이다 사업의 가치를 가장 잘 변하고 있는 것이 그 사업에 해 사람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willingness to pay)이며 합리 인 개인은 어느 특정상품에 해 자신이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가 그 상품의 시장가격과 일치할 때까지 그 상품의 구입을

계속할 때 자신의 만족을 극 화할 수 있다는 것이 미시경제이론의 골격이다 이것은 다시 말하여 경쟁시장에서 형성된 상품의 시장가격이 바로 그 상품의 진정

한 사회 가치를 가장 잘 변해 주고 있다는 뜻이 된다

2 잠재가격의 개념

시장가격이 사업에 한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한다고 할 때에는 여기에 하

나의 요한 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시장이 완 해야 한다는 이다 완한 시장이란 통상 완 경쟁 시장을 뜻하며 완 경쟁시장에서는 시장가격이 자원

의 기회비용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자원의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한다고 하겠다그러나 실의 세계에서는 완 한 시장이란 존재하기가 어렵다 우리가 취 하고

있는 시장은 부분 불완 하다 이 때의 시장가격은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사회 가치평가를 해서는 시장가격을 완 경쟁

인 가격으로 조정해야 하는데 이 게 조정된 가격을 잠재가격(shadow price)이라고

55) 경제 편익의 측정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 특히 사회정책사업(social projects)에서는 비용 효과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이 사용된다 비용 효과분석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의 1가지 방법을 통하

여 이루어진다 첫째로는 목표(효과)가 알려지고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은 비용이 들어가는 안을 선택하는 방법이며 둘째로는 산(비용)이 주어져 있다고 할 때 이 산

하에서 목표를 최 로 달성하게 하는 안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 두가지 방법 에서 어느 것을

택하든지 여러 안들에 한 비용과 효과를 히 측정하고 평가하여 안 의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 때 분명히 해야 할 사항은 각 안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격의 목표(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공통 으로 용되는 측정방법에 의해 이를 비교평가해야 한다는 이다

1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다 완 경쟁시장에서는 물론 시장가격과 잠재가격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잠재가

격이란 왜곡된 시장에서 자원의 기회비용 즉 진정한 사회 가치를 반 하는 가격이

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잠재가격을 도입하는 당 성은 간단하다 실사회에서 가치평가에 한 의사결

정이 이루어져야 하나 이 때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매개체가 없다면(즉 시장에서

형성되어진 시장가격이 왜곡되어 있다면) 가치의 내면을 밝히는 한 체수단이

있어야 하는데 이 체수단이 바로 잠재가격인 것이다 동시에 잠재가격을 동원함으

로써 직 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외부효과라든가 간 효과( 고용효과) 등을 어느

정도 가치평가에 반 할 수 있다는 이 도 있다

3 잠재가격의 도출 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특정재화의 시장가격이 존재하며 동시에 이 시장가격이 특정재화의 사회 가치

를 반 하고 있는 완 경쟁시장의 경우에는 별도의 잠재가격 도출을 한 조치를 취

할 필요가 없다 시장가격이 그 로 잠재가격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상당히 이상 이라고 하겠다앞서 제1부에서 이루어진 부분의 가격설정은 시장가격을 근거로 하여 가정된

것이다

4 잠재가격의 도출 불완전경쟁하의 시장가격

만약 어떤 재화( 는 원자재)가 독 시장에서 생산되고 이 때의 시장가격이 100만

원이라고 하자 그러나 독 시장의 가격에는 독 이윤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완 경

쟁 시장에서 동일한 재화가 생산된다면 그때의 시장가격이 90만원 정도일 것이라

고 추정될 때 이 재화의 잠재가격은 100만원이 아니고 90만원인 것이다생산요소 시장이라면 노동시장 자본시장 토지시장 등을 말한다 생산요소시장이

경쟁 이고 따라서 완 고용상태에 놓여있게 되면 이 때의 생산요소가격은 상품시장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잠재가격과 일치한다 그러나 실은 생산요소시장이 완 고

용상태에 항상 놓여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생산요소들이 완 고용상태에 있지 못

하고 실업이나 유휴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들의 기회비용이 완 고용상태 때와 비교

하여 낮을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생산요소가 다른 체산업에 고용될 기회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 생산요소의 잠재가격은 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시장가격보다 낮을 뿐만 아니라 불완 한 생산요소시장에

서 실제로 형성되어 있는 시장가격(혹은 공정가격)보다도 낮게 평가되어야 한다 불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4 9

완 한 생산요소시장에서의 실제가격은 여러 가지 비경제 요인( 최 임 제도 담합 투기 등) 때문에 진정한 기회비용보다 높게 책정되어지는 경우가 부분이다

5 잠재가격의 도출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지 까지는 시장가격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상으로 논의해 왔으나 시장가격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표 인 로 시간 생명 환경 그리고 공공

재 등의 가치평가가 이에 해당된다

가 시간가치

도로사업의 요한 편익으로는 시간의 약이라든가 인명피해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시간의 가치라든가 생명의 가치는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 것일

까 우선 약된 시간의 가치측정을 살펴보자 약된 시간이 생산과정에 이용될 수

있는 경쟁 경제구조 아래에서는 여행시간의 약분의 가치는 이로 인해 생긴 생산

량의 증가분이고 달리 표 하면 시간당 임 수 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여기

서 문제시되는 것은 여행시간의 약분이 모두 생산에 투하되기보다는 때에 따라서

여가시간을 더 즐기려고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이 게 되면 여가시간의 증가분에

한 가치를 측정할 때 시간당 임 수 을 용해도 되느냐 하는 문제가 생긴다 여가시간의 가치는 일하는 시간의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는 것이 일반 인 견해인 만큼

여가시가의 가치는 시간당 임 수 보다 낮다 그리고 여행시간이 어들었으므로

여행 에 느끼는 즐거운 기분도 약간 감소되었을 것이므로 이러한 모든 면을 함께

고려해 볼 때 여행시간의 약분의 가치는 임 률보다 낮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나 생명의 가치

다음으로 생명의 가치에 해서 살펴보자 생명의 가치는 여러 가지 근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겠는데 가장 표 인 근방법이라면 사망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그 생명이 일생동안 벌어들일 수 있는 장래기 소득의 재가치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는 해당되는 사람의 나이 능력 교육정도 등이 요 고려변수가 된다 그러

나 실 으로 장래기 소득에 한 자료가 불충분하므로 간 인 근방법을 택하

는 경우가 흔하다 컨 사망과 같은 험을 회피하기 하여 사람들이 일생동안

1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 지불액이라든가 혹은 반 로 험부담을 무릅쓰고라도 어떤

험한 일을 택할 때 그 가로 수령할 의사가 있는 최소수령액을 계산하는 것이다

다 환경의 가치

환경의 변화( 컨 환경 괴 는 공기오염 등)를 화폐 가치로 어떻게 측정하

느냐는 항상 어려운 과제로 취 되어 왔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고안되었는데 회귀방

정식과 같은 통계방식이나 수요곡선을 추정하여 소비자잉여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

한다56)

라 공공재 가치

국방 경찰 소방 등 공원과 같은 공공재의 진정한 가치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공공재를 한 시장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시장가격도 존재할 수가 없다그러나 실제로 공원 입장료의 경우처럼 공공단체가 공공서비스에 해 가격을 부

과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며 비용편익분석에서도 공공재에 한 수요곡선을 도출

하여 소비자잉여 몫을 계산하고 이를 해당 공공재의 사회 가치로 평가해야 하는 상

황에 이르기도 한다 이럴 경우의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불행하게도 이에 한 완벽

한 해답은 없고 앞의 환경의 가치계산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간 방법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

56) 재 환경의 가치를 화폐단 로 측정하는 보편 인 방법은 해독함수 근법 해도닉가격기법 조건부

가치측정방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 등이 있다 이에 한 연구는 곽승 ㆍ 섭(1995) ꡔ환경의 경제 가치ꡕ를 참조하라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51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1 공평성에 대한 고려

앞의 제2 에서 비용-편익 분석의 제약으로서의 공평성 문제를 언 하 다 즉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해서는 소득분배상의 효과를 악하여 이를 분석

에 반 하여야 하나 실 으로 이를 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지 하 다 그러나

비록 실 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한 공평성 측면을 비용-편익 분석

에 반 하도록 노력하는 것은 매우 요하다 이 에 하여 보다 깊이 고찰해 보기

로 하자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분석에서 소득분배개선 효과를 제 로 반 하기 해서는

공공사업으로 혜택을 받게 되는 소비자 그룹을 소득별로 구분하여 거기에 한 사

회 가 치(social weights)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소득층에 제공되는 편

익에는 높은 가 치를 부가하고 고소득층에 제공되는 편익에는 낮은 가 치를 부가

하여 결과 으로 소득층에 혜택을 많이 주는 공공사업이 상 으로 유리하게

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한편 소득분배에는 2가지 측면이 있다 세 내(intratemporal) 소득분배와 세 간

(intertemporal) 소득분배이다 세 내 소득분배가 세 내에서의 부자와 빈민간의

소득분배에 을 맞추고 있다면 세 간 소득분배는 재세 와 미래세 간의 소

득분배문제를 취 한다 세 간 소득분배에 있어서는 재의 국내 축 부족 상을

직시하고 공공사업을 통하여 어떻게 하면 축을 증 시켜 앞으로의 국가경제 발

에 이바지할 수 있는가에 역 을 둔다 이 게 볼 때 다음과 같은 2가지 가정이 제

될 수 있다 첫째 세 내 소득분배로서 빈곤층에 부여되는 추가 인 소비의 가치는

부유층에 부여되는 추가 인 소비의 가치보다 높다 둘째 지 의 한 단 축증

는 지 의 한 단 소비증 보다 그 가치가 더 높다

1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사회적 가중치의 도출

가 세대내 소득분배 소득그룹별 소비혜택의 평가

사회 가 치 Wi는 연간 소비수 이 Ci수 인 i그룹의 소비혜택에 부가하는

가 치로 정의한다 이 때 사회 가 치 W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i= ( CCi )n (Ⅵ-4)

여기서 C는 그 사회에서 소득그룹 체의 연간 평균소비수 을 의미하며 n은

소비에 한 한계효용의 탄력성(elasticity of marginal utility)을 가리킨다 즉 n은 여

러 소득수 에서 소비의 1 변화가 한계효용을 몇 퍼센트 변화시키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한계효용곡선의 기울기가 이에 해당된다 의 공식이 의미하고 있는 것은 한계효용탄력성( n )이 0보다 크고 소비수 Ci

가 평균소비수 C보다 작은 한 사회 가 치( Wi)는 1보다 크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n gt 0인 상태에서 소비수 Ci가 평균소비수 C보다 낮은 소득계층에게

는 1보다 큰 사회 가 치가 용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사회 가 치 계산은 첫

째 한계효용탄력성( n )의 크기가 얼마인가와 둘째 i번째 그룹의 소비수 ( Ci)이 평

균소비수 ( C)에 비해 얼마만큼 낮는가에 좌우된다

나 세대간 소득분배 정부저축에 의한 프리미엄

이상으로 공공투자사업을 통해 각 소득그룹에게 발생하는 소비혜택에 하여 어

떤 가 치를 용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는데 그러면 세 간 소득분배측면에서 정

부가 공공투자사업의 편익을 소비자들에게 직 소득의 형태로 부 나 어주지 않고

일부를 잉여 형태로 보유한다고 할 때 이에 한 평가는 어떻게 되는가를 살펴보

자 정부가 사업의 편익을 잉여 으로 보유하는 이유는 이를 나 에 재투자하려는 의

도일 것이며 궁극 으로는 사업편익이 국민들에게 되돌아가게 하기 함일 것이다 정부의 잉여 보유는 정부 축을 의미하며 축의 가치는 소비의 가치보다 높게

평가된다 정부잉여 을 IMD Little과 JA Mirrlees 같은 학자들은 공공소득(public income)이라고 칭하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의 심은 이 공공소득의 가치를 얼마로 보

느냐이다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 이론 153

공공소득의 가치를 U로 표시하기로 하자 만약 정부가 단하기에 총 축규모가

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보통사람들의 소비증가에 비하여 정부의 축증가에 해

어떤 리미엄(premium)을 매길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을 경우 다시 말하여 소비증

의 가치나 축증 의 가치가 체로 동등하다면 이 때의 U의 크기는 1이다 그러나 축의 가치에 리미엄을 줘야 한다면 U의 크기는 1보다 크게 된다 Little과

Mirrlees는 U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필수소비수 Cr의 개념을 도입하 다 필수소

비수 (critical level of consumption)이란 소비 한 단 추가의 가치가 투자 한 단 추

가의 가치와 일치하게 되는 어떤 소비수 을 가리킨다 따라서 정부는 이 소비수

Cr에서 소비에 한 지출이나 투자에 한 지출을 공히 동등하게 취 하게 될 것이

다 정부의 입장에서 Cr수 은 최 임 제도 조세제도 사회후생복지제도 정부

보조 정책 등을 복합 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

U의 크기는 C Cr로 측정되며 정부 축에 한 리미엄을 고려할 때 소득그

룹별 소비혜택에 용되는 사회 가 치는 Wi U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WiU = ( C C i )n (Ⅵ-5)

여기서 U= CCr

지 까지의 설명을 요약해 보자 만약 공공소득의 가치( U )가 1이면 C = Cr을

의미하는 것이며 결과 으로 민간소비혜택에 한 평가와 공공소득에 한 평가가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정부가 정부 축에 하여 리미엄을 부과한다면 U gt 1이

되며 이 때에는 공공소득의 평가가 민간소비혜택에 한 평가보다 높게 된다 이럴

경우 민간소비에 용되는 사회 가 치는 [ Wi U ]로 하락하게 된다 [ Wi U ]는

공공소득에 의해 표 화된(민간소비에 한) 사회 가 치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3 분석의 한계와 정책적 고려

비용-편익 분석에서 공평성(소득분배) 측면을 반 한다는 것은 매우 요한 일임

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부분의 나라에서 이를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론 인 연구와 실제의 용사이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 인 복잡

성과 정보의 부족이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어야 할 주요 변수들을 선정하는데 어

려움을 주고 있으며 이것이 많은 나라에서 소득분배에 한 기법을 실제로 채택하지

1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못하고 보 수 에 머물러 있게 하는 주원인이다 그러나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분석에서 공평성 측면을 고려치 않는다는 것은

단히 불합리한 일이다 비록 경제성 분석(비용-편익 분석)에서 공평성을 고려하지 못

했다면 그 다음 단계인 정책 분석에서 이를 취 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여 사회

가 치를 도출하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NPV 혹은 IRR을 계산해 내지는 못한다 하더

라도 최종 의사결정 단계에서는 정책 고려로서의 형평성 논리(비록 비계량 분석

이라도)가 반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비타당성조사의 정책 분석 항목인 lsquo지역낙후도 평가rsquo에서 자세

히 다루고 있다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제1절 문제의 제기

비용-편익 분석은 경제학의 이론 내용이 정부부문의 실질 의사결정에 도움을

수 있는 표 학문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인식은 1950년 이후 비용

-편익 분석의 용이 미국 국 등의 선진국을 심으로 확 되면서 지속되었다 다시 말해 비용-편익 분석의 이론이 발 되기 시작한 1950년 와 1960년 에는 학자들

상호간에 학문 견해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실무 인 응용과정에서 큰

혼란 없이 일 성 있는 방법이 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 비용-편익 분

석에 한 각종 안들이 보다 깊은 학문 탐구의 상이 되기 시작하면서 학자들

사이에 많은 이견이 노정되었다 사회 할인율의 개념뿐만 아니라 비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일반 인 가격개념(잠재가격) 그리고 환율 임 률 등과 같은 각종의 주요

계수에 해 많은 논란이 벌어졌다 이러한 논란은 각종 수치의 추정방법 는 추정치에 한 것이라기보다는 보다

본질 인 개념에 한 것이었다 결국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학문 논란이 진행될수

록 비용-편익 분석을 실제로 용해야 하는 실무자들 사이에는 더 많은 혼란이 야기

되었고 기야 경제학 분석기법으로서의 비용-편익 분석에 한 근본 인 회의까

지 제기되기에 이르 다 본 장은 비용-편익 분석의 다양한 학문 논쟁거리 가운데에서 가장 요하다고

할 수 있는 가격개념을 심으로 논쟁의 배경과 내용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

무 용과정을 체계 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

격개념에 해서는 재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다 국내가격보다는 교역가격을 사용

해야 한다거나 잠재가격의 개념은 일 성 있게 확정 으로 제시될 수 없다는 등의

1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주장은 바로 이 같은 논란의 과정에서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논란의 내용

을 체계 으로 정리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용되어야 할 한 가격개념을 생각해

볼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주장되는 가격개념은 크게 3가지로 구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통 후생경제학 근방법에 따라 지불의사와 이에 근거하여 국내의 시

장가격을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둘째로는 Little-Mirrlees(1968)가 제안한 교역가

격 근법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재화와 용역의 사회 가치를 교역가격을 기 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 입장은 OECD 세계은행 등의 국제기구에서 보편

으로 채택권고되고 있는 방법이다 셋째는 일반균형모형 하에서 이론 분석을

통해 밝 진 사실로서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 개념이 일 성 있게 제시되지 않

기 때문에 개별 투자사업에 따라 서로 다른 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내용을 체계 으로 조명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격개념은 첫 번째 방법이 하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하여 제2에서는 세가지 입장을 체계 으로 요약정리하고자 한다 다음의 제3 에서는 이들

세가지 입장을 총 으로 검토함과 동시에 첫 번째 방법의 타당성이 어떻게 성립할

수 있는가를 정리해 볼 것이다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1 전통적 비용-편익 분석

공공투자의 평가목표는 사회후생 증진에 있으며 그 평가방법은 이윤극 화를 추

구하는 개별 기업의 투자평가와 달라야 한다는 사실은 19세기 랑스의 경제학자

Dupuit(1844)에 의해 지 되었다 그의 지 은 정부의 기능과 역할을 평가할 때 개인

의 효용함수에 근거한 사회후생을 기 로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시 으로 도입한 최

의 연구라 할 수 있다 즉 교량과 도로건설과 같은 공공사업의 사회 편익은 그것

의 수입이 아니라 민간의 실제 지불비용과 소비자잉여를 합한 가치로 평가되어

야 한다는 사실을 지 하 다 Dupuit의 이러한 지 에 하여 많은 학자들이 심을 보이고 이를 실제 공공

투자평가에 용하기 시작한 것은 거의 1세기가 지난 후라고 할 수 있다 즉 1930년부터 미국의 수자원개발(Water Resource Development)계획과 련하여 1936년 홍수

통제법(Flood Control Act) 1950년 연방 강유역 원회(Federal Inter-Agency River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57

Basin Committee) 1952년 산청(Bureau of Budget)의 산지침(Budget Circular) A-47 등에서 근 인 비용-편익 분석의 기본 틀이 확립되기 시작하 다 이들은 공공투자

사업의 편익이 구에게 귀속되건 이들의 합이 비용보다 크면 시행할 가치가 있다거

나 는 국민소득이라는 계량화된 측정 기 에 따라 평가해야 한다는 기 을 제시하

다 그런데 국민소득 개념이 공공투자사업의 편익을 제 로 평가할 수 없으며 소비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는 소비자잉여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은

1950년 말의 Eckstein(1958) McKean(1958) Krutilla and Eckstein(1958)에 의해 제기

되었다 이들의 지 은 Marglin(1967) Harberger(1972) Dasgupta-Sen- Marglin(1972) 등에 의해 차 체계 으로 정리되어 갔다 이들은 한결같이 지불의사를 기 으로 재화

와 용역의 가치를 계량화하고 있기 때문에 공공투자의 편익은 지불의사의 증가분으

로 비용은 상실된 기회의 최 편익으로 각각 정의하고 있다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기 으로 사회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는 통 입장은 기

본 으로 국내가격을 시하지만 실의 시장가격을 그 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

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특정 재화의 시장가격이 사회 가치( 는 기회비용)를 반

하기 해서는 그 가격이 소비자의 지불의사와 생산자의 한계비용과 일치해야 하는

데 이는 조세가 존재하지 않는 최선(First-Best)의 완 경쟁시장에서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지불의사를 기 으로 비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통 비용-편익 분석은 UNIDO

지침(1972)에 잘 요약되어 있는데 이들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편익은

산출물이 제공하는 소비자의 지불의사 즉 효용변화분으로 측정될 수 있고 비용은

공공투자사업이 당해 생산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여타 부문에서 잃게 되는 지불의사의

최 가치로서 평가된다 그런데 이들 지불의사는 경쟁구매라는 조건만 충족되면 당

해 재화의 시장가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장가격을 지불의사로 간주하기 한 경쟁구매의 조건은 소비재의 경우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만족된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조건은 배 제와 같은 제약이

없어 모든 소비자들이 모두 자유롭게 가격을 지불하고 그 재화를 구입할 수 있

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조건은 어떠한 소비자도 수요독 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수요량이 시장가격에 향을 수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특정

소비자가 수요독 의 치에 있다면 그는 자신의 지불의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재화

를 구입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그런데 소비재가 아니고 간재인 경우에는 경쟁구매가 충족되기 한 조건은 한

가지가 더 존재한다 즉 간재의 시장가격을 지불의사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기

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경쟁구매의 두 가지 조건 외에 추가 으로 간재의 구입자인

1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생산자가 자신의 산출물 시장에서 독 력을 행사할 수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되

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자신의 산출물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생산요소의 구입시에 자신의 지불의사보다도 낮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간재의 구입자가 자산의 산출물 시장에서 독 력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는

이 추가 인 조건은 그 간재가 가공되어 최종 소비재로 형태를 변환하는 모든 과

정에서 만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소비재이건 간재이건 경쟁구매의 조건이 충족된다 하더라도 공공투자

사업의 시행으로 기존의 시장가격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지불의사를 추정하여야 한

다 이 경우에 지불의사는 당해 재화의 수요곡선을 추정하는 방법( 간재인 경우에는

구입자의 부가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지 까지의 논의를 정리한다면 통 인 비용-편익 분석은 국내의 시장가격

을 심으로 특정 공공투자사업의 지불의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비용과 편익을 평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지불의사는 경쟁구매의 조건이 충족되면 시장가격에 반

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을 면 히 찰하여 시장가격의 한 변형으로 단될 수 있

을 것이다

2 교역가격 접근법

미국 국 등의 선진국에서 공공투자평가에 한 연구와 그 실제 용이 확 되

면서 경제학자들 사이에는 비용-편익 분석이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긴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 되었다 선진국들과는 달리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내의 시장

기능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기 떄문에 국내가격체계를 으로 신뢰하여 공공

투자를 평가하기는 곤란하다고 생각하 다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개발을 해

상 으로 규모가 큰 공공투자사업이 정부부문의 주도로 시행될 것이므로 이들 사

업의 성패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향은 단히 요하다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1967년 12월 OECD 개발센터(Development Centre)에서

개발도상국의 공공투자사업 평가를 한 범한 토의가 있었다 이를 토 로 하여

Little과 Mirrlees는 1968년에 개발도상국에서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투자심사분

석의 일반지침을 발간하 다 Little-Mirrlees(1968)는 개발도상국의 국내가격체계가 여러 가지 이유로 상당히 왜

곡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가격체계를 이용하여 공공투자를 평가할 경우 올바른 평가

결과를 기 할 수 없다고 지 하 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의 공공투자 평가에서 사용

될 가격은 국내가격과 무 한 새로운 가격체계 즉 교역가격(world price) 는 국경가

격(border price)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역가격을 사용하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59

여 공공투자를 평가하는 방법을 통 방법과 구분하기 하여 OECD지침이라고 부

른다 OECD의 교역가격 근법이 발표되자 공공투자의 평가에서 교역가격이 사용되어

야 한다는 주장이 많은 실무자들의 호응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방법은

Lal(1974) Squire-van der Tak(1975) Irvin(1978) 등을 거치면서 차 체계 으로 정리

되었는데 개발국의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부분의 국제기 들에서는 이러한 방법

을 사용하여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규모 투자사업에 을 맞추고 있는 교역가격 근법에 의하면

특정 재화의 사회 가치는 그 국가가 당해 재화와 용역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비용

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 그 기회비용은 교역의 가능성으로부터 결정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사업의 평가에 사용되는 가격개념은

교역가격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실 으로 모든 재화가 교역재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비용과

편익을 평가할 때에는 먼 이들을 교역재와 비교역재로 구분하는 작업부터 시작해

야 할 것이다 교역재는 수출재와 수입재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평가방

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수출재 는 공공투자사업이 시행되지 않았더라면 수출되었을 재화의 기회

비용은 그것의 수출가격인 FOB 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 가격은 수출항에서 선

을 마칠 때까지 소요되는 비용을 모두 합한 액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국내운

송비용은 포함되지만 수출보조 등이 제외될 것이다 다시 말해 이 국가가 수출을

통해 외국으로부터 실제 수령할 수 있는 외환가치가 이 가격의 기 이 되는 것이다 다만 자국의 수출량이 교역가격에 향을 미친다면 이 효과를 감안하여 한계수출수

입(限界輸出收入)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둘째 수입재 는 수입 체재의 경우에는 수입 세 등을 제외한 CIF 가격이 사용

되어야 한다 이 가격에서는 수입재가 부두에서 하역된 후 사용처(공장 는 소비자)로 이동하는데 드는 비용 즉 보험료 수송비 등이 제외된다 이들 이동비용은 비교역재

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수출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역가격이 수입 물량에 따

라 변화한다면 재화의 가치는 한계수입비용(限界輸入費用)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

다 셋째 비교역재의 경우에는 원칙 으로 그것의 사회 한계비용이 사용되어야 한

다 비교역재의 추가생산에 소요되는 사회 한계비용은 비교역재의 생산에 소요되

는 제반 생산요소들을 계속 세분하여 최종 으로 교역재로 환원시킨 후 이들을 교역

가격으로 평가하여 더하는 방법으로 구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역재를 추가 생산하는데 드는 사회 한계비용이 사

1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회 한계편익보다 훨씬 작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교역재의 가치가 다른 용도

에서 사용되어 실 되는 사회 편익을 감안하여 평가되어야 한다고 지 하고 있다 다시 말해 비교역재 부가 국내의 추가생산으로 조달된다면 한계비용으로 반면 다

른 용도에서 사용되었던 부분이 용되었다면 한계편익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만약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한다면 비교역재의 계산가격은 한계비용과 한계편익의 가

평균치가 되어야 한다비교역재의 한계생산비용을 도출하기 해 여기에 소요되는 개별 생산요소들을

교역재로 환원시키는 과정은 상당히 복잡할 것이다 교역가격 근법에서는 이 문제

를 해결하기 하여 공공투자사업의 평가에서 특정 비교역재의 요성이 그리 높지

않다면 환인자(conversion factor)를 사용하는 간편한 방법을 권고하고 있다 이들 환인자도 용되는 재화의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표환인자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국내의 시장가격으로 측정된 소비 1단

가 증가할 때 소비되는 재화묶음을 교역가격으로 평가하여 합한 후 이를 다시 시장

가격으로 나 어 다 물론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른 소비패턴을 보일 것이기

때문에 그 재화묶음은 서로 다를 것이지만 이들 차이는 개 무시할 것이다 소비되는 재화의 묶음 내에서 비교역재가 차지하는 비 이 극히 다면 표 환

인자 β의 값은 다음의 식 (Ⅶ-1)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M은 수입액(CIF 가격)

X는 수출액(FOB 가격) t m은 수입품에 한 평균 세율 t x는 수출품에 한 보조

비율을 각각 나타낸다 식 (Ⅶ-1)과 같이 계산된 표 환인자 β의 값이 특정 비

교역재의 국내 시장가격에 곱해지면 교역가격으로 환원될 것이다

β =(M+X )

M(1+ tm ) + X(1- t x )(Ⅶ-1)

그 다면 교역재와 비교역재는 어떻게 구분되어야 하는가 특히 교역이 가능한

재화이면서도 재 이 나라에서 교역되지 않는 재화는 어떻게 처리되어야 할 것인가 여러 가지 수출입 규제 때문에 재 교역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당연히 비교역재로 분

류되어야 한다 그런데 재의 무역정책 하에서 비교역재로 분류된다고 하여 향후 오

랜 기간동안 항상 비교역재로 취 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다시 말해 재의 무역정

책 하에서 교역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장차 교역될 가능성이 높은 재화에 해서는

가능한 교역재로 취 하여 교역재의 범 를 확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기본 으로 OECD지침에서는 교역재는 교역가격으로 비교역재는 교역재로 환원

된 생산비용으로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기 때문에 비용과 편익은 모두 외환가치로서

측정된다 물론 일부 비교역재에 해서는 비교역재의 사용량 변화로 나타나는 소비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1

자와 생산자잉여의 변화분이 감안될 것인데 이 경우에도 평가단 의 일 성을 하

여 외환가치로 환된다 국내가격으로 평가된 비교역재의 가치는 환인자를 곱하

여 외환가치로 환될 것이다 한 통 비용-편익 분석에서는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시하기 때문에 소비의

단 가 평가척도(numeraire)가 되는 데 반해 OECD지침에서는 평가척도를 「외환으로

평가된 소비되지 않은 공공부문의 소득(uncommitted public income measured in convertible currency)」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공공부문의 소득은 일반 으로 공공

투자에 사용되기 때문에 평가척도는 투자의 단 로 간주되고 있다 다시 말해 자본시장이 불완 하다면 투자로부터 실 되는 사회 가치와 소비에

한 사회 가치는 서로 다를 것이다 이 경우에 통 비용-편익 분석은 공공투자

의 평가척도를 소비의 단 로 간주하고 있지만 OECD지침은 투자의 단 로 모든 비

용과 편익을 평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공공부문 소득의 사회 가치는 민간부문 투

자의 사회 가치와 일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는데 교역가격을 사용하는 방법은 OECD지침이 효시라고

할 수 있으나 그 후에도 많은 발 이 이루어졌다 세계은행 등의 국제기 들 부분

은 개발도상국의 규모 공공투자사업에 원조자 을 제공할 때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법을 응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최근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의 연

구들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체계 이고 객 인 방법으로 비교역재와 교역재의

외환상응액(foreign exchange equivalents)을 도출하는데 많은 연구가 집 되었다

3 차선의 잠재가격 접근

공공투자의 비용과 편익 평가에서 교역가격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경제학

자들에게 새로운 심거리를 제공하 다 이 주장에 자극되어 공공투자의 평가에서

사용되어야 할 가격개념은 과연 무엇인가에 한 연구가 1970년 이후 활발하게

개되기 시작하 던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엄격한 수리 모형하에서 정부의 공공투

자 선택에 한 최 조건을 도출한 후 그것으로부터 가격개념을 구하고자 하 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차선의 잠재가격 근(second-best shadow pricing approach)」이라고 하여 이 의 통 근 교역가격 근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사용되는 가격개념은 국내 시장가격과 다르기 때문에 이를 잠

재가격(shadow price) 는 계산가격(accounting price)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일반 으

로 잠재가격이란 용어는 수리계획법(mathematical programming)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특정 자원 는 제약조건의 미소한 완화에 따라 목 함수의 최 치가 반응하는 정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잠재가격의 개념은 극 화하는 목 함수의 형태에 따라 다를 것

1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인데 비용-편익 분석에서의 잠재가격은 사회후생의 변화정도를 반 하여야 한다 잠재가격에 한 이 같은 개념에 충실하고 있는 「차선의 잠재가격 근」은 1970

년 일반균형모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최 조세(optimal taxation) 조건을 도출하

려는 경제학자들의 노력으로부터 시작한다 경제학자들은 동일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공투자의 최 선택조건을 도출하고 여기서 공공투자의 잠재가격 개념이 무엇인지

를 악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도하 던 것이다 먼 Diamond-Mirrlees(1971)는 규모수익불변의 생산기술 조건 하에서 정부가 최

조세를 유지한다면 공공투자의 잠재가격은 생산자가격(= 소비자가격 + 조세)이 되

어야 한다는 것을 보 다 다시 말해 이 조건 하에서는 공공투자의 투입물과 산출물

을 생산자가격으로 평가하여 그 값이 0을 넘으면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Diamond-Mirrlees가 사용한 일반균형모형에 여러 가지의 다른 가정을 도입

한다면 이러한 결론은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후의 많은 연구들에 의해 밝 졌다 즉 규모수익불변의 가정이 채택되지 않거나 설령 규모수익불변의 가정이 채택되

더라도 정액세의 부과여부 최 조세의 유지여부 특정 부류의 상품에 해 동일세율

부과 등등의 조건에 따라 공공투자의 잠재가격은 각각 다르게 주어진다는 사실이

1970년 와 1980년 의 수많은 논문들에 의해 밝 졌다 결국 엄격한 수리 모형 하에서 도출된 결론은 한결같이 공공투자의 잠재가격

개념은 모형의 가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편익 분석의 실제 용과정

에 많은 혼란을 야기시켰다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기 해서는 일정한 가격개념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론 결과는 그와 같은 가격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것

이기 때문이다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본 에서는 교역가격 근법을 우리나라에 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의문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역가격이 반 으로 는 부분 으로 사용

되어 타당성평가가 시행된 경우가 있다 지 도 많은 학문 연구가 교역가격

근법을 기 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타당성평가에서 교역가격 근법

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이에 한 입장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을 것이다 농림수산부의 농업용수 부문에서는 교역가격 평가법이 일반 으로 채택된 바 있

다 를 들면 OECD 차 으로 건설된 삽교천 지구 ADB 차 으로 건설된 남강유역 IBRD 차 으로 건설된 미호천 유역의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차 을 재원으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3

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일부 품목에 해서는 교역가격을 이용하여 그 사회

가치가 평가된 경우가 있다

1 잠재가격과 평가가격의 개념구분

차선의 잠재가격 근법의 내용을 소개하기 해서는 수식 모형이 필요한데 이제 여기서는 몇 가지 변수를 정의하여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먼 n개

의 상품 1명의 소비자 1개의 민간기업 그리고 정부로 구성되는 일반균형모형 내에

서 다음과 같이 변수들을 정의한다

cequiv (c 1 c 2 ⋯c n ) n개 상품에 한 소비자의 소비량

zequiv (z 1 z 2 ⋯z n ) 정부부문의 생산요소 투입 산출량

pequiv (p 1 p 2 ⋯p n ) 소비자가격(consumer price)

표 개인의 효용함수는 U(c )로서 표 될 수 있을 것인데 공공투자사업 dz 가 시행되어 나타나는 효용변화분 dU는 다음과 같이 표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

서 비용-편익 분석의 상이 되는 공공투자사업은 z의 변화분으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에 dz로 표 되었다

dU = ( partUpartc ) ( partc

partz )dz (Ⅶ-2)

i재를 가치척도재로 간주(즉 p i = 1)하여 사회후생 W를 정의한 후 식에 소

비자의 균형조건을 입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UU i

(equivdW) = p( partcpartz )dzequiv v dz (Ⅶ-3)

여기서 vequiv p ( partcpartz )

재화의 잠재가격 v는 p ( part c partz )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 값은 상정된 경제모형

의 형태와 가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주어질 수밖에 없다 「차선의 잠재가격 근」에

서 일정한 잠재가격 개념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결론은 결국 모형의 상정된 형태에 따

라 (part c partz )의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v값을 얻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

1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Dreze-Stern(1987) 참조) 결국 공공투자가 사회후생에 미치는 향을 평가하는 방법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공공투자가 사회 반에 미치는 일반균형효과(즉 partc partz )를

악한 후 그 효과를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반 하는 소비자가격 p로서 평가하는 것이

다 두 번째 방법은 경제 내에 일반 으로 용되는 잠재가격 v를 결정한 후 이를

공공투자의 투입물과 산출물(즉 dz )에 직 용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이

론 으로 완 히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불의사를 기 으로 공공투자를 평가하는 UNIDO지침은 첫 번째 방법을

취하고 있다 UNIDO지침은 공공투자의 직 산출물과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순산출

물(net outpu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는 공공투자사업의 직 산출물이 경

제 반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UNIDO지침은 순산출물을 먼 악한 후

이들에 해 지불의사를 용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57) ldquo 로젝트의 총소비효과를 계산할 때에는 로젝트의 순산출물(Net Output)에

한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측정하여야 한다 로젝트의 순산출물이란 로젝트가 시

행되지 않았더라면 경제 내에서 가능할 수 없었을 재화와 용역을 의미한다 만약

로젝트에 의해 생산된 재화와 용역이 경제내의 공 량을 늘이는 것이라면 이들 모두

는 평가과정에서 순산출물로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로젝트에 의해 생산

된 재화와 용역이 경제의 가용공 량을 늘이는 것이 아니라 총공 량은 불변인 채

단순히 여타의 공 원을 체하는 것이라면 로젝트의 순산출물은 그 체된 공

원에서 추출된 자원이 될 것이다rdquo 결국 차선의 잠재가격 근과 UNIDO의 통 근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자는 일정한 잠재가격 공식을 결정한 후 이를 공공투자의 직 투입물과 산출물에

용하는 방법이며 후자의 통 근은 특정 공공투자의 일반균형 효과를 가

능한 충분히 악하여 그 효과에 해 소비자가격을 용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OECD의 교역가격 근법은 교역가격을 잠재가격으로 간주하여

공공투자의 직 투입물과 산출물에 교역가격을 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선의 잠재

가격 근법과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으로 비용-편익 분석의 논의에서는 잠재가격이라는 용어가 보편 으로 사

용되는데 이의 엄격한 의미는 공공투자사업에 투입 산출되는 재화와 용역의 가격

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통 비용-편익 분석에서는 공공투자의 효과를 지불의

사로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불의사를 반 하는 시장가격이 잠재가격 개념으로

이해하기는 곤란할 것이다 잠재가격과 굳이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평가가격이

57) UNIDO p41 참조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5

라는 개념이 더 할 것이다

2 교역가격 접근법의 타당성 검토

가 이론적 타당성 검토

소비자의 지불의사를 사용하는 통 방법과 교역가격 기 법에는 어떠한 이론

차이가 있으며 어떤 것이 더욱 더 타당할 것인가 Lal(1974)에 의하면 두가지

근법은 단순한 평가척도(Numeraire)의 차이일 뿐 그 기본 인 내용은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즉 교역가격 기 법은 외환액을 투자평가의 기본척도로 간주하 으나

통 인 방법은 국내화폐가치로 표 한 것일 뿐이다 교역가격 기 법은 국내가격을

외환가치액으로 변환시키는 데에 환인자를 사용하 으나 통 인 방법은 외환을

국내화폐가치로 바꿔주기 해 잠재환율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의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역가격 근법에서는 교역가격을 잠재가

격의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통 방법에서는 일종의 평가가격으로서 국내 시

장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두 가지 방법의 차이가 평가척도의 단순한 변경

으로 설명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수리 모형 하에서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이 될 수

있느냐를 분석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Dasgupta-Stiglitz(1974)에 의하면 물품세와 세

에 해 최 의 선택이 이루어질 때 교역재의 잠재가격은 교역가격이 비교역재의 잠

재가격은 한계외환비용(marginal foreign exchange)이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 다 한 Dinwiddy-Teal(1987)도 물품세와 세가 고정되어 있다면 비교역재의 잠재가격

은 외환상응액이 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들의 결론은 모두 OECD의 교역가격 근

법의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주장이 된다 그러나 정부에 산제약이 부과되어 정액세 등이 존재하거나 규모수익불변 신

에 규모수익체감의 기술조건이 제되거나 는 외환제약이 부과된다면 물품세와

세가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교역가격 근법이 성립하지 않는다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론 조건들을 규명하려는 경제학자들의 노력은

Blitzer-Dasgupta-Stiglitz(1981) Bell-Bevarajan(1983) Mookherjee(1986) 등에 의해 이어

졌는데 폐쇄경제 하에서 생산자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가 극히 제

한되는 것처럼 개방경제하에서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역시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밝 졌다

1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나 현실적 타당성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론 조건을 탐구하려는 노력이 1980년 에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교역가격 근법의 실 타당성은 이러한 이론에 기

반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일반 으로 교역가격 근법이 타당한 경우로는 국내 시장

가격이 극도로 왜곡되어 있는 경우 수입자유화가 극히 제한 으로 시행되는 경우 소비자후생을 타당성평가의 가치기 으로 채택하기 곤란한 경우 등에서 주로 나타난

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통 방법과 교역가격 근법의 차이는 자유무역에의 신념 는 무역의

이익(Gains from Trade)에 한 에서 크게 다르다는 사실이 부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통 인 방법은 기존의 무역정책 하에서 공공투자사업으로 야기되는 실제

의 경제 효과를 심으로 평가한다 물론 가까운 미래에 무역정책의 변화가 상되

는 경우에는 이를 반드시 고려할 것을 주장하고는 있다 그러나 교역가격 근법은

자유무역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국내생산을 가장 효율 이라고 간주하여 이의 달성

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완 한 폐쇄경제하에서 국내생산은 소비자의 재 미래 요구에 따라 이루

어질 것이고 이로부터 재화의 상 가격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소득분배가 심각

하게 불공평한 폐쇄경제하의 가격은 신뢰할 수 없으며 이 가격에 따른 자원분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견해이다 오히려 완 한 개방경제하에서는 국내생산은 오직 무

역가능성 만으로 결정될 뿐이므로 국내의 왜곡된 경제상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효율 인 생산은 자유무역하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추구하는

것은 교역가격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이처럼 통 방법과 새로운 방법은 평가척도의 차이뿐만 아니라 공공투자평가

에 한 기본 인 시각에서도 서로 다르다 교역가격 기 법은 기본 으로 제2차 세

계 이후에 신생독립한 개발국들의 경제개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규모 투자

사업의 심사평가를 주안 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시장기능이

결여되고 소득분배는 극도로 악화되어 있는 개발국에서 통 방법을 채택하여

그 국내가격을 기 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처럼 시장기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국내가격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제개발의 기 단계에서

는 교역가격이 잠재가격으로 채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처럼 시장기능이 발달되어 있는 국가에서는 국내가격을 평가단

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특히 경제의 많은 부분에서 외 개방이 이루어진 경

우에는 특별히 교역가격을 평가의 기 으로 삼을 이유는 없을 것이다58) 국 등의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167

선진국들이 국내의 공공투자사업에 교역가격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

는데 이들도 해외원조사업에 해서는 교역가격 근법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

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59)

58) 우리 나라의 수입자유화율은 70년 반까지는 50 후 으나 80년 후반 이후 95를 상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999에 달한다

59) 국 ODA(Overseas Development Administration)에서 발간한 해외원조사업 타당성평가 지침 Appraisal of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에 의하면 교역가격 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국 내부의

공공투자사업에서는 국내 시장가격을 사용하는 지침이 제시되고 있다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1 사회적 할인율 조정 필요성

가 문제제기 및 쟁점검토

공공투자사업의 경제 타당성 평가 시 사회 할인율은 편익 비용 추정치를

재가치로 환산하여 편익비용 비율을 구하는 데 있어 가장 요한 라미터의 하

나이다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형 공공투자사업에 한 사 평가 방안으로 기획 산

처의 의뢰에 따라 1999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수자원부문을

제외한 모든 사업부문에 75의 실질 사회 할인율을 용하고 있다그러나 최근 시장상황을 보면 성장률 둔화와 더불어 이자율 한 지속 으로 낮

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자율의 하락은 사회 할인율의 수 에 요한 함

의를 가진다 최근의 리 추세가 일시 경기변동 상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장

기 추세변화로 고려된다면 사회 할인율 역시 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물론 시장이자율 하락이 즉각 인 사회 할인율 조정으로 인식되어서는 안되는

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 할인율에서 고려하는 투자수익률과 기업들의 자 조달비용과는 차

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는 시장이자율 혹은 출이자율이

자 의 조달비용인 동시에 할인율이라고 볼 수 있으나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정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69

할인율은 시간선호율과 투자의 수익률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를 들어 투자의 조정비용이 존재한다면 출이자율이 외생 으로 하락할 때 기

업들의 투자수익률이 출이자율과 같아지는 수 까지 자본스톡을 즉각 조정하지 않

을 것이며 괴리를 나타낼 것이다둘째 최근의 리가 실제 투자수익률의 하락을 반 하는 것이라고 해도 그것이

일시 인 것이라면 자본의 잠재 가격에 미치는 효과는 더 작게 된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할인율 변동의 어려움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는 자본의 잠재가격을 비롯한 여러 가지 라미터의

값들에 한 가정이 요구되므로 사회 할인율의 정확한 값을 결정하기 어려우며 자본의 잠재가격 자체도 여러 다른 가정들이 제될 때만 추정가능하다 따라서 경

제 내 명백히 추세 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사회 할인율의 조정은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려울 것이다 한 최근 우리 경제에서 찰되는 성장률과 이자율의 하락

이 격한 것이 사실이나 아직 이러한 상이 진정한 추세 변화를 나타내는 것인

지 아니면 단기 변동에 불과한 것인지를 결정하기에는 시기 으로 이른 것으로

단된다하지만 최근 계속 이어져온 리 성장 기조에 따른 사회 할인율에 한

조정 요구가 있어 왔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조정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리 성장 기조를 살펴보고 기존의 사회 할인율 추정방식

국내외 사회 할인율 연구와 용사례 조사를 통해 사회 할인율 조정의 필요

성을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나 기존 지침의 사회적 할인율 추정방식에 대한 검토

사회 할인율 결정에 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으나 부분 사람들에 의해

서 이론 으로 가장 엄 하다고 여겨지는 방법은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하는 것이

다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한 순 재가치의 계산은 어떤 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비

용과 편익을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한 다음 그 가운데 미래에 발생하는 부분을 시간

선호율로 할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간선호율을 할인율로 사용하는 이유는

모든 비용과 편익이 소비단 로 표시되었기 때문이다하지만 자본의 잠재가격을 이용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자본의

잠재가격 외에도 여러 라미터 값들에 한 가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개별 평가자

의 자의 인 단이 개입될 여지가 커지는 문제 을 지닌다 한 자본의 잠재가격

자체의 추정은 불가능한 것이 아닐 지라도 어떤 사업에 따라 매 기에 발생하는 비용

과 편익을 다시 소비분과 투자분으로 구분하는 일은 더욱 큰 어려움에 직면하는 문

1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 을 갖고 있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그 차선책으로 기존의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을 용

하되 사회 할인율의 수 은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하여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

다 즉 평가척도를 lsquo소비나 투자로 처분되기 이 의 소득rsquo으로 정의함으로써 이러

한 문제를 피하고 있다 행 용하고 있는 사회 할인율은 다음과 같은 lsquo소비나

투자로 처분되기 이 의 소득rsquo의 기간별 가치변화율을 추정한 것이다

추정식 sdr =(1- s)ρ

(1- s)+ s M i (Ⅷ-1)

여기서 sdr은 기간별 가치변화율(사회 할인율)을 ρ는 시간선호율을 s는

재투자율 Mi는 i기 투자의 잠재가격을 나타낸다사회 할인율을 추정하는데 있어 실질이자율의 개념으로 제시되어야 하는데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련계수를 모두 명목개념으로 추정한 후 명목 사회 할

인율을 실질개념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 다 왜냐하면 모든 계수를 실질변수

로 계산하여 실질 할인율을 계산하기 해서는 각 계수의 명목변수를 실질변수로

환하기 하여 기 물가상승률을 평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 사

회 할인율의 수치는 궁극 으로 정책 단의 문제라는 을 고려하여 모든 계수

를 명목수치로 계산한 후 평가된 명목 할인율 값을 히 해석하는 방법으로 실질

할인율 값을 제시하 다시간선호율은 사 시간선호율보다 일정 수 낮게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 시간선호율의 개략 지표를 평가 후 이들 값에서 가능한 최 수 을 선택하

다 사 시간선호율은 1990~1998년 기간의 납세후 수익률 변동 추이를 참조하

다 세후수익률 자료를 참조할 때 명목 시간선호율 값은 략 6~10의 범 내에

있어 75(8 내외)를 사회 시간선호율 값으로 간주하 다투자수익률의 경우 민간투자의 한계수익률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민

간기업의 자본비용으로 간주하 다 남주하 amp 조장옥(1996) 최도성(1998) 이 세

(1999) 등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우리나라 명목 총자본비용은 략 13~14 내외에

있다고 간주하 다 재투자율은 국민소득 계정으로부터 평가되는 총 축률로 간주하

여 1990년 이후 평균치가 35로 계산하 다이상의 라미터를 이용 투자의 잠재가격을 평가하면 략 2~3의 값을 가지는데

이는 한 번 투자된 자본은 구히 사용가능하다는 제하에서 도출된 값으로 과 평

가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15~20의 값을 정범 로 간주하 다이상을 종합하면 명목가치로 시간선호율 8 투자수익률 13~14 재투자율 35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1

투자의 잠재가격 15~20으로 간주하여 식에 따른 추정결과 사회 할인율을 명목

가치로 9~10 제시하 으며 lsquo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로 해석가능하나 지 까지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75(최 8)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지 까지 사용해 온 할인율 수치에서

지나치게 벗어남으로써 나타나는 혼란을 방지하고 물가상승에 한 기 가 크지 않

다는 사실을 고려한 수치이다

다 최근 주요 경제변수 추이

사회 할인율의 조정 필요성을 살펴보는 척도로 주요 경제변수인 최근의 시장이

자율과 경제성장률 추이를 살펴보았다 앞에서 언 하 듯이 시장이자율 변화가 즉

각 인 사회 할인율 조정으로서 의미를 가지지는 않지만 사회 할인율 추정의

요변수에 직 이용되거나 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경제성장률 역시 유사한 향

을 갖는다다음 lt표 Ⅷ-1gt은 최근 시장 리와 련된 주요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시장

리 시계열의 가장 큰 특징은 1997~98년 외환 기 이후 명목 시장이자율의 격한

하락이 일어난다는 것이며 한 최근 3년간 매우 낮은 리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

다 이는 매우 짧은 시계열을 가지고 살펴본 것으로 해석에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

다 한 최근 3년간의 리 추세는 단기 (경기변동 )인 상인지 장기 (추세변

화)인 상인지에 해서는 시 에서 단하기는 어려운 이 존재한다

1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Ⅷ-1gt 시장이자율 추이

연 도국채수익률 회사채수익률

(장외)콜 리

-익일물

축성

수신 리3년만기 5년채 10년채

1992 1508 - - 1621 1426 -

1993 1207 - - 1263 1198 -

1994 1229 - - 1292 1228 -

1995 1339 1254 - 1379 1238 -

1996 1184 1159 - 1187 1235 924

1997 1226 1217 - 1339 1349 974

1998 1294 1318 - 151 1507 1139

1999 769 859 - 886 493 624

2000 83 867 776 935 505 618

2001 568 621 686 705 465 481

2002 578 626 659 656 418 402

2003 455 476 505 543 397 415

평균 1016 933 657 1110 955 697

97년 이

평균1293 - 1348 1265 -

99년 이후

평균640 690 657 745 456 508

주 회사채수익률은 3년만기 회사채기 (단 1998년 8월까지는 보증부사채 2000년 9월까지는 A+ 무보

증사채 2000년 10월 이후에는 AA- 무보증사채기 )자료 통계청

다음으로 경제성장률을 살펴보기 해 1981년 이후 우리나라의 실질GDP 자료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3

lt표 Ⅷ-2gt 경제성장률 추이

(단 10억원 )

연 도국내총생산

(1995년 기 불변가격)GDP 실질성장률

1981 1224122 65

1982 1312858 72

1983 1453306 107

1984 1573184 82

1985 1675019 65

1986 1858690 11

1987 2062872 11

1988 2278639 105

1989 2417255 61

1990 2634304 9

1991 2877379 92

1992 3033839 54

1993 3200442 55

1994 3464481 83

1995 3773498 89

1996 4028212 68

1997 4230067 5

1998 3947104 -67

1999 4377094 109

2000 4785329 93

2001 4933803 31

2002 5246894 63

자료 1) 한국은행 2) 통계청

1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981~2002년까지 평균 실질GDP 연간성장률은 72 다 하지만 앞의 연간 GDP 성장률을 통해서는 경기변동 상에 따라 성장률의 추세를 단하기 불분명하므로

lsquo80년 와 rsquo90년 실제성장률 잠재성장률을 비교하여 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

이다 이를 해 한진희 등(2002)의 연구를 참조하 다

lt표 Ⅷ-3gt 실제GDP성장률과 잠재GDP성장률(1981~2000)

(단 )

1981~90 1991~00

1981~85 1986~90 1991~95 1996~00

실제GDP성장률 83 75 91 60 72 48

잠재GDP성장률 78 77 79 63 66 60

자료 한진희 등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망 2003~2012」 ꡔKDI 정책연구ꡕ 2002

실제성장률을 보면 lsquo80년 에는 83의 수 을 보이다가 lsquo90년 에는 60로 하

락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잠재성장률도 lsquo80년 78에서 lsquo90년 63로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squo90년 를 후반으로 나 어 보면 실제성장률은 lsquo90년 반

기에 72 수 을 보이다가 후반기에 48로 더욱 하락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잠재성장률을 추정해 보아도 66에서 60로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국 경제성장률은 80년 이후 90년 후반기에 걸쳐 꾸 히 하락하여 왔음

을 볼 수 있다 한진희 등(2002)의 연구에서 2012년까지 향후 잠재성장률을 측하

는데 2003~2007년 기간 48~54 수 을 보이고 2008~2012년 기간 45~51 수 으로 하락할 것으로 망하고 있다

라 사회적 할인율 관련 국내 연구내용

다음으로 최근 사회 할인율 련 국내 연구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사회 할

인율과 련한 최근의 국내 문헌으로는 국토연구원의 ꡔ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에

한 연구ꡕ(2001)60)가 있을 뿐이다 여기서는 국토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해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국토연구원(2001)의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기 하여 IBRD의 L

Squire amp H van der Tak(1975) 모형을 이용 추정하 다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

60) 다른 연구사례로 송병록의 ꡔ공공투자사업의 정 사회 할인율 분석ꡕ(2001)이 있으나 국토연구원의

연구보고서가 해당 연구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어 생략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5

정식과 동등한 계의 식이다61) 추정 결과 90년 평균이 실질 값으로 838로 추정되었으나 외국사례 SOC 투

자와 민간투자의 보완 인 계 등을 고려하여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일반 공공

투자사업에서는 75의 사회 할인율을 수자원개발 환경시설 낙후지역 개발 등의

사업에 해서는 55 제시하고 있다 수자원개발 환경시설 낙후지역 개발 등의 사

업의 경우는 계량화할 수 없는 편익이 포함되어 있다는 정책 필요에 의해 추진

되어져야 한다는 을 고려 2~3 낮은 수 의 할인율 용을 권고하고 있다일반지침의 추정식과 동등한 계의 식을 가지고 추정하 음에도 불구하고 그 추

정값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추정식에 사용한 모수들의 가정과 추정방법이 약간씩 차

이가 나기 때문이다 한 ꡔ일반지침(제3 )ꡕ과 달리 각 모수를 실질값으로 계산하고

있다투자의 잠재가격이 공공소득의 사회 가치와 소비재 환계수의 곱으로 나타난

다고 보았으며 소비재 환계수의 경우 잠재환율로 추정하 다 투자수익률은

Cobb-Douglas 생산함수를 구성 자본의 한계생산성을 직 추정하 으며(90년 평

균 1691) 시간선호율을 1998~2000년 기간의 은행 가 평균수신 리와 우량

회사채유통수익률을 이용하는 간 추계방법을 이용하여 1981년~1997년 기간의

은행 가 평균수신 리를 추정한 후 세후 실질 리를 계산하여 사용(90년 평균

364)하 다

마 최근 선진국의 사회적 할인율 적용사례

최근의 성장 리 기조는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선진국들에 나타나는 공

통된 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선진국들의 사회 할인율 용사례를 살펴

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 할인율 조정 필요성에 한 직간 인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국 EU 호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1) 미국

미국의 OMB(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의 Circular A-94(1992)에서는 민간

투자의 세 한계수익률(pretax rate of return on an average investment in the private sector)과 일치하는 값인 7를 실질 할인율로 제시하고 있으며 정부의 내부투자

(internal governments investment)의 경우 국채이자율(Treasury borrowing rate)로 할인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 공공투자분석에 한 특수기 에 의하면 조세의 과부담

을 감안 최소 125 이상의 공공투자가 채택되어야 함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1992

61) 자세한 내용은 ꡔ일반지침(제3 )ꡕ XIV장의 부록을 참조하라

1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년 이후 사회 할인율에 한 조정요구가 존재하 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7 할인율을 고수하고 있다한편 CBO(Congressional Budget Office) GAO(General Accounting Office)에서는 공

공투자와 규제를 평가하는데 있어 국채이자율을 이용해 할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 다면 최근 30년 공채의 실질이자율이 35 수 임을 감안한다면 계속 으

로 사회 할인율을 낮추어서 용하고 있음을 간 으로 볼 수 있다실제 용기 들은 어떤 할인율을 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먼 FHW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의 고속도로 타당성조사 지침(1998)에서는 OMB(Circular A-94 1992)에서 제시한 사회 할인율 7를 기본으로 분석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다만 다른 사회 할인율을 사용한게 된다면 민감도 분석을 통해 반드시 7 이자율

과 비교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DOT(Department of Transportation)에서는 도로의 타당성 평가에서 5~7의 할인율

을 용(ex Caltrans 1999 6)하고 있다 이는 OMB 지침과 AASHTO Red book(1977)에서 사회 할인율을 5 제시하고 있다는데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일부

DOT에서는 더 낮은 할인율을 용하여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

다 를 들어 MnDOT (Minnesota)의 지침(2001)에서는 30년 공채의 실질이자율이

35라는 것을 근거로 이를 사회 할인율로 제시하고 있다이상을 통해 미국의 경우를 살펴본 결과 공식 인 지침에서는 실질 사회 할인

율을 7로 고수하고 있지만 개별 타당성조사에서는 유연하게 할인율을 용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7 할인율과 비교함으로써 정책당국이 단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영국

국의 경우에는 리 성장 기조로 인하여 사회 할인율에 한 연구가

지속 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최근 사회 할인율을 하향 조

정하 다국의 공식지침서로 볼 수 있는 HM Treasury의 ꡔThe Green Bookꡕ(2003)에서는 30

년 이내의 장기투자사업에 한 사회 할인율로 35 제시하 고 30년 이상 75년

이내 사업에 해서는 30를 제시하고 있다할인율은 일반 으로 많이 활용되는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 추정식을 통해 계산하고 있다

추정식 stpr = ρ+μsdotg (Ⅷ-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7

여기서 ρ는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재 소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이며 g는 연간 1인당 소비증가율 μ는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를 나

타낸다 결국 μsdotg항은 소비 변화에 따른 한계효용체감효과를 반 하기 한 항이

다각 모수는 국의 최근 연구 결과를 반 하여 결정하고 있다 ρ는 Scott(1989)

OXERA(2002) 등의 연구 결과에 따라 15의 값을 g는 Maddison(2001)가 1950~1998년 기간의 1인당 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21의 값을 제시함에 따라 여기서는 20을 μ

는 Pearce amp Ulph (1995) Cowell amp Gardiner(1999) OXERA(2002)의 연구결과에 따라

10의 값을 선택하 다 식을 통해 실질 할인율을 계산한 결과 실질 할인율로

35를 제시하 다 이 HM Treasury(1997)에서는 세 장기자본비용(pre-tax long-term cost of capital)

시간선호율과 일치하는 값은 4 으나 사회 할인율로서 6를 권장하 었는

데 이는 PFI(private finace initiative)의 운 측면을 고려하 기 때문이다 결국 최근

논의에 따라 사회 할인율을 6에서 35로 하향 조정하 음을 살펴볼 수 있다한편 국의 사회 할인율 용에 있어 하나의 특징은 실질 할인율 용

은 편익비용 발생기간이 30년 미만의 사업에 용되고 보다 장기 인 사업의 경

우 더 낮은 할인율을 용해야 된다고 제시하고 있다는 이다 Weitzman(1998 2001) Gollier(2002)는 미래의 불확실성의 결과 장기 할인율이 감소됨을 보임에 따라 이를 반 하 으며 기간에 따른 할인율 용 제시 값은 다음 표와 같다

lt표 Ⅷ-4gt 장기할인율 추이

기간(년) 0~30 31~75 76~125 126~200 201~300 301~

할인율() 35 30 25 20 15 10

(3) EU

유럽 집행 원회(European Commission 이하 EC)에서는 일련의 유럽통합지원기

(Structural Funds Cohesion Fund Instrument for Pre-Accession countries)을 집행함에 있

어서 일정 액(각각 50만 euro 10만 euro 5만 euro)을 과할 경우 비용-편익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EC에서는 사업 부문별 지역국가간 행정 기 별로 분석 방법론상의 차이가 존

재함에 따라 공통 인 분석방법론 용이 필요하 다 이에 공식 인 지침(Guide to

1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 2002)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지침의 방법론

을 통해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EC 지침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경제성 분석에서의 사회 할인율을 5로 제

안하고 있다첫째 5라는 수치는 EU 장기 EIB채권의 실질 수익률의 약 2배이므로 민간기업

의 자본조달 기회비용의 하한으로 간주될 수 있다 둘째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식

(Ramsey 방정식)을 이용할 경우 약 3~5의 값으로 추정된다 셋째 할인율의 기 으

로 실질 성장목표를 반 하는 요구수익률을 고려할 수 있는데 EU지역의 평균 실질

성장률 25~3보다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기 해서 EU의 후진국들은 더 높은 수익

률로 투자할 것이므로 5라는 수치는 이러한 에서도 양립가능하다EU의 경우 공식 인 지침이 최근에 발간되었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 조정과

련된 이슈는 없었지만 사회 할인율 결정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함의를 주고 있다

(4) 호주

호주에서는 재 사회 할인율 수 을 DoF(1991)의 8(BTRE에서는 주로 7)를

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인 BTE의 ꡔFacts and Furphies in Benefit-Cost Analysis Transportꡕ(1999)에서는 재 용되는 사회 할인율보다는 4 할인율이

더 할 것이라 제안하고 있다공공투자는 어도 민간투자의 수익률과 어느 정도 부합할 수 있는 사업이 선택

되도록 사회 할인율을 선택해야 하나 공공투자사업과 성격이 유사한 민간투자사

업의 사례를 찾아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차선책으로 매우 안 한 자산(ultrasafe asset)의 수익률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러한 자산으로 높은 신용등 을 가진 국채의

수익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므로 사회 할인율로서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사용하

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그러므로 호주의 10년 만기 국채(CBR-10)의 기 실질이자율이 4이므로 이를

사회 할인율로 삼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는 도로사업의 경우 편익이 장기에 걸

쳐 생성된다는 호주의 국채 CBR-10이 만기가 최장기인 국채인 을 고려한

것이다사회 할인율을 4로 삼을 경우 지 까지 사용해온 DoF(1991)의 8(BTRE에서

는 주로 7)와 격차가 큰 데 이 격차를 험 리미엄으로 본다면 험의 고려는 할

인율에서 고려하는 것보다 다른 방법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사회 할인

율로는 4를 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이 보고서 이후 실제 용하고 있는 평가보고서(ex BTRE wp 45 등)를 살펴보면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79

실질 할인율 4와 7를 함께 용하여 분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호주 역시 사

회 할인율 조정요구에 따라 미국과 같이 유연하게 사회 할인율을 용하여 평

가보고서를 제시하고 정책당국이 단하도록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바 사회적 할인율의 적정수준에 대한 견해

사회 할인율 조정 필요성에 한 직 인 연 성은 없지만 사회 할인율의

정수 에 한 여러 견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살펴 으로써 사회

할인율 수 에 한 하나의 척도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일부에서는 산 제약이 강할 때(특히 긴축재정 시)에는 높은 사회 할인율 수

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자원이 희소할수록 사람들은 미래에 발생할 편익들보다

재 편익을 더 강하게 선호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할인율이 높을수록 편익이

기에 발생하는 사업에 한 평가를 내리게 되는 것이다 공공사업의 경우 일반

으로 산제약 하에 미래의 편익을 해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의 타당성을 평

가하는데 있어서는 높은 할인율 수 이 바람직하다고 보는 견해이다 특히 재정사업

의 타당성 결정은 그 재원과 사업시행에 따른 수혜자가 불일치한다는 에서 근본

으로 보수 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하지만 높은 할인율 수 은 SOC 사업과 같은 장기사업의 시행을 어렵게 하는 측

면이 있으며 단기에 높은 편익이 발생하는 사업을 주로 공공정책을 수행할 수밖

에 없게 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장기 인 사업의 경우 세 간 자원배분의 문제가 발

생하므로 높은 할인율 수 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래 세 를 한 투자

인데 높은 할인율로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은 미래 세 의 편익을 거의 고려하지 않

게 되는 것이다한편 규모 사업의 경우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은 체 경제효과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낮은 할인율을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있다 를 들어 도로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은 주로 이용자 통행 비용에 을 두고 있어 경제 효과

와 같은 확산효과를 측정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낮은 할인율을 용함으로

서 이러한 효과를 반 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간 효과를 경제 편익

으로 삼는 것에 해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편익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할지라

도 이는 분석에 있어 편익을 추가 으로 반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할 문제이

지 할인율을 조정하여 이를 반 한다면 다른 왜곡을 낳을 험이 있다 다른 견해로 높은 할인율이 분석자로 하여 편익을 과 추정하게 만드는 요

인이 되므로 할인율 수 을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이러한 견해는 반

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즉 편익을 과 는 비용을 과소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1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러한 허 값들을 감안하여 할인율을 높게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

한 문제들은 분석가들이 정 편익 수 과 비용 수 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리

차원의 문제이지 할인율의 조정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 조정에 한 논거로 보기는 어렵다

마 소결

이상을 통해 사회 할인율의 조정 필요성에 하여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 경제주요지표인 리 성장률을 살펴보았을 때 특히 최근 3년간 리

성장 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이러한 상이 단기

인 상인지 추세변화인지에 해서는 좀더 긴 시간을 두고 단하여야 할 문제이나 최근의 상을 반 한다면 사회 할인율의 결정에 미치는 모수들의 값들에 하여

수정하여 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제시하 던 사회 할인율 75는 비타당성조사가 시행

되기 이 의 타당성조사에서 통상 10 이상의 실질 할인율을 사용해 왔다는 을

고려하여 과도한 조정을 피하고자 제시한 값이었다 90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할인율의 값으로 5 내외까지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는 사회 할인율 수

에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다비록 짧은 시계열 자료라는 한계는 있으나 최근의 주요 경제지표들에서 나타나는

상이고 앞으로의 경제성장률 망 역시 차 으로 낮아진다고 상하고 있다는

을 고려하면 재 용하는 실질 할인율 75는 다소 높은 것으로 단할 수 있다 물론 공공투자사업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정 수 에 해서는 단순한 수치상

의 제시보다는 정성 인 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외국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었

듯이 최근의 경제 상에 따른 사회 할인율 조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단된다

2 적정 사회적 할인율의 결정

재 용되고 있는 사회 할인율에 해서 조정 필요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단된다 이에 정 사회 할인율 수 은 어느 정도인지에 해서 살펴보고자 한다국내외 주요사례를 통해 실무 으로 용되고 있는 사회 할인율 결정방법은 다

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근 방법으로 나 어 볼 수 있다첫째 미국호주 등에서 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공공투자의 타당성은 어도

민간투자의 수익률과 부합되어야 한다고 보는 통 인 이다 이러한 에서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1

사회 할인율은 공공투자와 직 비교할 수 있는 민간투자사업을 찾기 어려우므로

무 험 이자율로 볼 수 있는 장기 국채이자율을 사회 할인율의 기 으로 삼게 된

다 그러나 재무성 분석에서는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사회 할인율로 여길 수 있으

나 경제성 분석에서는 재무성 분석과 달리 사회 체의 자원배분을 고려해야 한다는

에서 무 험 시장이자율 용에 한 이론 근거가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둘째 우리나라나 국62)에서처럼 사회 할인율의 추정모형(특히 IBRD 모형)에

따라 사회 할인율의 범 를 추정하고 그 정 값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는 이

론 뒷받침은 있으나 할인율 결정을 해서 사용되는 모수가 여러 개이며 모수 추

정을 해서는 연구자의 자의 인 제에 따라 그 값이 상이하다는 단 이 있다 일례로 국토연구원의 연구와 ꡔ일반지침(제3 )ꡕ을 비교해 보더라도 동등 계의 식을

통해 추정되는 값의 범 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다그러므로 정 사회 할인율 수 을 가늠하기 해서는 다각 인 측면에서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정 추정식을 통해 사회 할인율의 범 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

며 다만 추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는 기 이자율(reference rate 를 들어 미국의 30년 공채이자율과 같은 무 험 이자율)과의 계를 통해 합성을 검토하여 할 것이

다여기서는 먼 기 이자율과의 비교를 통해 사회 할인율을 략 으로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추정모형을 통해 정수 을 추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사회 할

인율의 정수 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가 기준이자율을 통한 사회적 할인율 수준 검토

앞의 주요 외국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미국이나 호주의 경우 장기 국채의 리

는 기 실질이자율을 통해 사회 할인율을 가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30년 만기 국채가 존재하여 장기 무 험 시장이자율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있는 반

면에 호주는 10년 만기 국채가 최장기 국채로 이에 한 기 이자율을 계산하여 장

기 무 험 시장이자율로 삼고 있다우리나라의 국고채 비교 장기라고 볼 수 있는 국채는 5년 만기와 10년 만기

국채가 존재한다 그러나 10년 만기 국채의 경우 시장거래빈도가 작아 이를 그 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최근에는 시장상황을 어느 정도 반 하고 있다고

는 하지만 기 시 에는 5년 만기 국채보다 리가 낮았던 경우도 있는 등 사회

62) 국에서는 사회 할인율로 사회 시간선호율 개념을 용하고 있으나 시간선호율 개념을 엄격히

용하기 해서는 재가치를 계산할 때도 자본의 잠재가격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시간선호율 개념

을 사회 할인율로 직 용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1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할인율 계산에 사용하기에는 아직 부 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10년 만기 국채를 이용하는 것 보다는 장기 국채 리로 5년 만기 국채를 이용하고자

한다다음 표에서 볼 수 있었듯이 1995년 이후 평균 명목 리는 933이며 1999년 이

후 평균 명목 리는 690 다 이를 실질 리로 구하기 하여 소비자 물가지수

를 통한 물가상승률을 고려하 다 다음 표는 1995년 이후 5년 만기 국채의 실질

리를 나타낸다

lt표 Ⅷ-5gt 5년 만기 국고채 실질 금리 추이

연 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명목 리 1254 1159 1217 1318 859 867 621 626 476

물가상승률 444 498 440 754 082 225 41 269 355

실질 리 810 661 777 564 777 642 211 357 121

주 물가상승률은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 으로 함

1995년 이후 평균 실질 리는 547 으며 외환 기 이후 rsquo99년부터 평균 실질

리는 422 다 최근 3년간 평균 실질 리만을 고려하면 23로 더욱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략 으로 5년 만기국채의 실질 리는

4~5 수 인 것으로 간주하 다공공사업의 편익을 고려한다면 5년 만기 역시 상 으로 단기에 속한다 공공사

업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지 까지 20~50년을 분석기간으로 삼아 왔다 그러므로

실질 리에 장기 리미엄(term premium)을 더해주어야 사회 할인율로 간주할

수 있는 수 이 될 것이다 장기 리미엄의 수 은 미국 국채 리 스 드의 과거

20년간 평균이 약 2인 을 감안하 다 이는 3개월 만기와 30년 만기를 고려한 것

이다 우리나라의 3년 만기와 5년 만기의 리 스 드가 약 1란 을 감안한다면 장기 리미엄으로 1를 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 할인율을 가늠할 수

있는 기 이자율 수 은 5 ~ 6 수 에 있을 것으로 단된다 물론 최근 3년간만을

고려한다면 더 낮은 값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3

나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본 연구에서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으로 사회 할인율을 추정하지 않고 국 EU 등에서 이용하고 있는 추정식을 이용하여 사회 시간선호율( stpr

social time preference rate)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추정식의

경우보다 더 은 모수들을 활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는 장 이 있고 이 게 추정된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을 고려한 것이다

stpr=ρ +μsdotg (Ⅷ-3)

앞 에서 살펴보았듯이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삼기 해서는 비

용-편익 분석에서 잠재가격을 이용하여 편익과 비용을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하여

용하여야 한다 Spackman(1991) Pearce amp Ulph(1999)는 잠재가격이라는 것은 정책담

당자나 실무자들에게 매우 생소한 개념이며 국의 경우에는 잠재가격 자체도 거의

1에 가까워 이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을 들어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용하여도 무방하다고 주장하 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투자의 잠재가격을 20~30으로 추정하 는데 이는 한

번 투자된 자본이 구히 사용가능하다는 제하에서 추정된 값이기 때문에 만약

투자된 자본이 진부화되어(감가상각이 아닌) 일정 기간 이후 투자수명이 종료한다고

가정한다면 그 값은 크게 낮아질 수 있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도 이러한 을 고

려하여 비록 향 후 몇 년 정도의 기간 내에 투자수명이 종료할 건인가에 해서는

다른 단이 필요할 것이므로 략 15~20의 값을 정 범 로 간주하고 있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투자의 잠재가격을 별도로 추정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잠재가격이 10을 상회한다면 식에 의해 추정된 사회 시간선호율 값을 사회

할인율의 하한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으로 단할 수 있다

(1) 시간선호율( ρ )의 추정

여기서 시간선호율은 1인당 소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추정한 재 소

비에 한 미래 소비의 할인율을 의미한다 시간선호율은 통상 경제주체들의 축

행태(saving behavior)를 통해 추정한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1990~1998년 기간의 납세 후 수익률 변동 추이를

참조하여 매년도 종류별 잔액과 세후수익률을 구한 후 이들을 가 평균하는 방

1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법으로 추세와 범 를 단하 다63) 다음 표는 1990~1998년 세후수익률 추이를 나

타낸다

lt표 Ⅷ-6gt 세후 수익률 추이(1990~1998)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평균

세후수익률

(최 ) 542 559 669 560 537 611 609 833 701 625(598)

세후수익률

(최 고) 900 953 1014 947 991 1036 1015 1211 985 1006(980)

평 균sup1 721 756 842 754 764 823 812 1022 843 816(789)

주 세후수익률의 최 와 최고의 산술평균이고 ( )내 수치는 IMF 구제 융 기하의 단기 고 리 기간

을 반 하는 1997년을 제외한 수치임자료 KDI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 2001

표에서 90년 명목 세후 수익률의 값은 략 6~10의 범 내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를 매년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실질 세후수익률을 구해보면 0~3 수임을 알 수 있다다음으로 최근 3년간 세후 수익률의 변동 추이를 개략 으로 살펴보기 하여

은행 순수 축성 64) 잔고와 은행 가 평균 수신 리 자료를 참조하 다

63) 보다 자세한 내용은 ꡔ일반지침(제3 )ꡕ pp385~386를 참조하라

64) 은행 순수 축성 은 크게 정기 정기 주택부 상호부 으로 구성되나 본 연구에

서는 자료취득이 용이한 정기 정기 상호부 만을 고려하 다 그 밖의 축수신성 상품으

로 개인연 신용 동조합의 정기 탁 축은행의 정기 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은행에 비해 그 비 이 작을 것이므로 크게 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 표지 어음 은행 양도성 증서 등 시장형 융상품들이 존재하나 최근 동

향으로 세후수익률 수 에 큰 차이가 없어 분석에서 고려하지는 않았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5

lt표 Ⅷ-7gt 최근 3년간 예금잔고 및 수신금리

(단 십억원 )

구 분 종 류연 도

2001 2002 2003

은행

종별 (말잔)

정 기 21501380 25202210 26908240

정 기 1946790 1999970 2017340

상 호 부 1705050 1517280 1454170

은행 가 평균

수신 리

정 기 553 498 428

정 기 751 637 533

상 호 부 793 664 564

자료 한국은행

이자소득세율 165를 용하여 세후 수익률을 구하면 369~488로 계산되며65)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실질 가치로 환산하면 3년 평균으로 약 085로 계산된다

한 「세 우 종합 축」제도의 도입으로 축기 이나 축상품에 계없이 개인

별로 일정한도에서 세 우 혜택이 부여됨66)에 따라 세율을 105로 용한다면

실질 세후 수익률로 약 115까지 계산된다lsquo90년 실질 세후 수익률이 0~3 고 최근 3년간 실질 세후 수익률을 구해 본

결과 085~115 다는 에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 시간선호율의 값을 개략 으로

10~15로 범 로 추정할 수 있다

(2)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추정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추정에 있어 Pearce amp Ulph(1999)는 단기의 과거 자료를

사용할 경우 몇 가지 문제 이 있음을 지 하 다 즉 소비와 여가의 체 계에 의

하여 1인당 소비증가율이 과소 추정될 우려가 있는 반면에 소비의 사회 비용을 고

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 추정될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Pearce amp Ulph는 1인당 소비증가율을 추정함에 있어서 매우 장기의 소비증가율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65) 이자소득세율은 세법상 15이며 이에 한 주민세 10를 고려한 것이다

66) 일반인은 4000만원 노인과 장애자는 6000만원 미성년자는 1500만원 한도 내에 가입이 가능하다

1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주장하 다본 연구에서는 1인당 소비증가율( g )은 1인당 GDP 성장률로 볼 수 있으므로 1인

당 GDP 성장률의 장기 망치를 통해 1인당 소비증가율을 가름해보고자 한다장기 GDP 성장률에 한 연구로는 기존 KDI 망치인 이진면김동석김민수

(2001)와 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2002)의 연구가 있다 여기서는 2010년의

GDP성장률 수 을 45~52로 망하 고 향후 2020년의 성장률은 40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망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20년 동안 잠재성장률은 평균 45로

간주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단된다67) 이를 1인당 성장률로 환산하려면 인구증가율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살펴보기

하여 통계청의 인구 망을 참조하 다 다음 표와 같이 통계청에서 망하는 우리

나라의 인구증가율은 계속 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2024년부터는 음(-)의 성장률로

환되어 총인구수가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평균 인구증가율로

03를 고려하 다이상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1인당 소비증가율( g )의 값으로 42로 용한다

67) 물론 보다 장기를 감안한다면 더 낮은 성장률이 될 것으로 상할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수치로

제시된 값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45를 장기 성장률로 간주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7

lt표 Ⅷ-8gt 향후 인구 전망 및 인구증가율

(단 명 )

연 도 총 인 구 인구증가율

2003 47925318

2004 48199227 057

2005 48460590 054

2006 48710241 052

2007 48948463 049

2008 49175329 046

2009 49391042 044

2010 49594482 041

2011 49782861 038

2012 49954138 034

2013 50107196 031

2014 50240035 027

2015 50352318 022

2016 50444562 018

2017 50518349 015

2018 50575573 011

2019 50618727 009

2020 50650260 006

2021 50671508 004

2022 50682718 002

2023 50683490 000

2024 5067258 -002

자료 통계청

1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μ ) 추정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는 소비의 시간에 걸친 체탄력성( μ )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μ = -CsdotU

(C )

U (C )(Ⅷ-4)

여기서 C는 소비 수 을 U(C )는 소비 수 에 한 효용을 나타낸다 윗 식에

서 알 수 있듯이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는 소비 수 에 의존함을 볼 수 있다 하지

만 일반 으로는 μ 의 값이 일정하다고 간주하며 이에 따라 효용함수 형태로 등탄

력성(iso-elastic) 효용함수를 주로 이용한다6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μ의 값은 일

정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 다 한편 효용극 화 문제에서 효용함수 U(C )의 단조변

환에 따라 최 소비수 은 변하지 않지만 한계효용 탄력도는 효용함수 형태에 따

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축행태를 통한 μ 의 추정치는 그 한계가 있음

을 밝 둘 필요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축행태를 통한 μ의 값을 직 추정하 고 그 추정의 한계를 고

려하여 OXERA(2002) Pearce amp Ulph(1999)와 같이 사회윤리 인 측면에서의 정수

도 고려하여 개략 인 범 를 제시하고자 한다 Scott(1989)은 다음 식을 통해 μ를

추정하 다69)

SY = [ (1μ )(r-ρ )- y ][r- y ] 70) (Ⅷ-5)

여기서 SY는 축률을 r은 실질 리를 y는 소득의 기 증가율을 나타낸다 축률은 국민소득 계정으로부터 평가되는 총 축률을 이용하 다 총 축률은

lsquo90년 에는 35~37 수 에 있다가 최근 3년간 평균이 약 32로 하락하 다 본 연

구에서는 35를 축률로 가정하 다 실질 리는 기 지표인 3년만기 국고채 리

68) 등탄력도 효용함수의 표 형태는 다음과 같다

U(C) =a

1-μC

1-μ

여기서 a는 일정한 상수를 나타낸다

69) Pearce amp Ulph(1999)에서 재인용

70) 이 식은 Hicks(1965)의 다음 식에서 소득의 증가를 감안하여 수정한 식이다SY=1μ (1-ρr )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89

와 회사채 리를 고려하여 4~7로 설정하 고 소득의 기 증가율은 1인당 GDP 증가율의 값으로 체하여 42~5를 시간선호율은 앞에서 제시한 1~15를 고려하

다 각 모수들의 값을 용하여 보면 μ의 값으로 054~116의 범 를 가지는 것으

로 계산된다

lt표 Ⅷ-9gt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추정

구분y = 42 y = 5

ρ = 10 ρ = 15 ρ = 10 ρ = 15

r = 4 073 061 065 054

r = 7 116 106 105 096

다음으로 사회윤리 인 측면에서 μ의 값을 고려하여 보도록 하자 효용함수를

등탄력성 효용함수라고 가정하고 A (고소득) B ( 소득) 두 그룹을 고려하되 A그

룹의 소비수 이 B그룹의 소비수 의 2배라고 가정하자(즉 CA= 2CB )71) 이 경

우 소비의 한계 체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C-μA

aC-μB

= 2-μ (Ⅷ-6)

이는 A그룹의 1단 소비가 B그룹으로 환될 때 A그룹의 손실은 B그룹의

2- μ배의 이득만큼 가치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다음 표는 μ의 값에 따른 한계 체

율의 값을 나타낸다

lt표 Ⅷ-10gt 소비의 한계대체율

μ 05 08 10 12 15 20 50

2- μ 071 057 050 044 035 025 003

μ가 15의 값을 가질 때 고소득층의 추가 인 소득은 소득층의 동일 소득에

비해 약 35의 가치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는 Newbery(1992)가 언 한 평등주의의

71) 이를 세 간 문제로 생각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1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회윤리에서 실 되는 단기 에 해당된다72) Pearce amp Ulph는 이러한 기 에서

μ의 값은 10 근처가 정 수 임을 제안하 다이상을 통해 추정식에 의해 도출된 값과 사회윤리 인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정 μ의 값이 10~12의 값을 가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4) 사회적 시간선호율( stpr)의 추정

이상을 통해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에 사용되어질 모수들의 범 를 개략 으로

추정하여 보았다 실질 가치로 순수 시간선호율( ρ )은 10~15의 값을 1인당 소비증

가율( g )은 42를 소비의 한계효용 탄력도( μ )는 10~12의 값으로 제시하 다 이

값들을 추정식에 용시켜보면 사회 시간선호율의 값은 55~60로 추정된다

lt표 Ⅷ-11gt 사회적 시간선호율의 추정

구 분 μ = 10 μ = 12

ρ = 10 520 604

ρ = 15 570 654

다 소 결

먼 사회 할인율 용에 이용되는 기 이자율을 구하여 보았다 5년 만기 국

고채의 실질 리에 장기 험 리미엄을 고려하여 50~60 범 의 값임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사회 시간선호율을 추정식에 따라 계산하여 본 결과 55~60의 범

로 추정되었다 다만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사용하기 해서는 투자

의 잠재가격을 활용하여 모두 소비단 로 환산하여야 한다 재의 비용-편익 분석에

서 사회 시간선호율을 사회 할인율로 간주하려면 투자의 잠재가격이 10일 경우

에만 가능한 것이다 투자의 잠재가격이 10을 상회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사회

시간선호율 값보다는 높은 값을 가질 것이다사회 할인율을 투자수익률에 의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와 별도로 수행

된 연구에서 재무성 분석을 해 구한 실질 가 평균자본비용이 60로 추정되었다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다면 정 사회 할인율은 60 이하일 것으로 추정

된다 그러나 재 경제성 분석에서 약간의 민감도 분석을 제외하고 사업의 리스크

72) Pearce amp Ulph(1999)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1

에 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을 감안할 때 이보다 높은 수 의 할인

율 설정이 필요한 이 있다 한 할인율의 격한 조정을 피하는 측면도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그러므로 향후 비타당성조사에 용할 실질 사회 할인율로 65를 용하기

로 한다

3 장기(long-term)를 고려한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재 수자원 부문의 경우 분석기간을 50년으로 타부문 사업보다 장기를 고려하기

때문에 사회 할인율을 보다 낮은 값을 용하여 왔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편

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

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 으로써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의 경우 타부

문 사업과는 달리 낮은 할인율을 용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하 다 이는 타부

문 사업보다 낮은 할인율의 일 용으로 사업 부문간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으

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져야 한다 사업 부문간 차등 용에 한 논리 근거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

다73) 물론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에 낮은 할인율을 용한 것을 부문

에 따른 차등 용으로 해석하기보다 장기사업에 한 차등 용으로도 해석이 가능

하다 하지만 이럴 경우 분석 시 에 따라 사회 할인율을 차등 용해야하는 것으로

일 인 하향 용은 문제 을 가진다 장기에 발생하는 편익이나 비용을 단기에서

와 동일한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에 해서 지 과 같이 고정할인율을 용함으로서

지수 (exponential)으로 할인하는 것보다는 보다 완만한 형태로 할인하는 것을 고려

하는 즉 장기로 갈수록 더 낮은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선행연구들

이 존재한다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국(HM Treasury)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수

용하여 분석기간에 따라 할인율을 차등 용하며 그 할인율 수 은 낮아지게

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장기할인율의 차등 용에 한 그 근거 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73) 이에 해서는 제2 에서 보다 상세히 다룰 것이다

1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규범적 논거

고정 할인율로 할인을 한다는 것은 지수 인 할인을 한다는 것이다 즉 시 이

더 멀어질수록 할인율이 더 높을수록 그 시 의 편익이나 비용의 재가치는 0에 근

하게 된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와 같이 그 특성상 비용은 단기에 투입되는 반면

편익은 장기에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수 인 할인 하에서의 단은 오

로지 재 세 만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tyranny of the present)이라는 비 에 직면하

게 된다 이러한 을 감안하여 Arrow 등(1996)은 할인율을 측정하는 데 있어 과거

시장수익률에 의한 기술 인 근보다는 규범 인 근 하에서 미래 할인율은 보다

낮게 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극단 인 주장으로는 할인 자체를 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도 있다 Ramsey(1928)는

세 간 가치를 할인하는 데 있어 양(+)의 순수시간선호율 값을 용하는 것은 윤리

으로 바람직하지 못한(ethically indefensible)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경제학자들보다는 환경 등 비경제 인 분야에서 종종 주장되어 왔다 환경고

갈 지구 온난화 등의 향은 매우 먼 미래(다음 세 )를 고려하는 것인데 단순히 효

율성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형평성(equity)의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고 지

하고 있다보다 완화된 견해로 같은 세 내에서는 양(+)의 할인율로 할인을 하더라도 세

간(intergeneration)에는 (0)의 할인율로 할인을 해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OXERA(2002)에서도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하는 것은 재의 결정이 세

간 자원 배분의 문제가 될 경우에는 윤리 인 에서 분명한 편의(bias)가 존재

한다는 을 지 하고 있다 특히 장기에 편익이 발생하는 공공사업은 미래 세 를

한 재 세 의 투자인 을 고려한다면 단순히 지수 으로 할인하는 것보다 먼

장래에는 더 낮은 할인율로 할인해야 한다고 지 하 다사회선택(social choice) 이론에서는 이러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세 간 형

평성을 반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74) Chichilnisky(1997)는 할인인자가 장기에

는 거의 0에 가까운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의사결정과정에서 미래세 가 반 되

지 않으므로 사회선택에 있어서 재세 나 미래세 가 시간에 걸친 의사결정에 있

어 독 인 치에 있어서는 안된다는 공리(axiom)를 도입하 다 한편 Li amp Loumlfgren(2000)은 사회의 목 함수에 재세 와 미래세 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의사결정 체제를 가진 경제주체의 개념을 도입하 다 한 그룹은 의사결

정에 있어 자신의 시간에 걸친 효용의 재가치를 극 화하는 그룹으로 양(+)의 시

74) OXERA(2002)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3

간선호율을 갖고 다른 그룹은 자연자원의 양을 유지하고자 하는 그룹으로 (0)의

시간선호율을 갖는 그룹이다 사회 체의 목 은 이 두 그룹의 복지(well-being)를 극

화하는 것으로 이 게 되면 매우 먼 미래의 가 치(할인인자의 값)가 0이 되는 것

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가 치를 가지게 됨으로서 재세 의 독재 인 치를 완

화시킬 수 있고 세 간 형평성을 고려하게 됨을 보여주었다 한 이러한 틀 내에

서 할인율이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으로써 가장 낮은 할인율을 가진 그룹이 매우

먼 미래의 의사결정에 주도 인 치를 가짐을 보여주었다

나 Weitzman(1998)의 연구

Weitzman은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이 존재 한다면 매우 먼 미래(far distant future)의 할인율75)은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작은(lowest-possible) 이자율이 됨을 보여

주었으며 할인율이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을 이론 으로 보여주었다 할인율 자체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비용-편익 분석에 앞서 할인율의 함수인

할인인자의 범 를 추정해야 한다 할인율이 낮을 때는 할인인자가 높은 값을 가지

므로 비용과 편익의 재가치 에서 미래의 가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될 것이

고 할인율이 높을 경우에는 매우 작은 비율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의 확률 값을 고려한 확률 동등 재가치(certainty equivalent present value)를 고려하여야 되는데 낮은 할인율을 가진 시나리오들이 가 평균에 있어 더 높은

요성을 가지게 될 것임을 알 수 있다Weitzman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의해 t시 의 할인율을 dr j ( t )로

76) 표 하 다 즉 시간의 함수로 표 하 다

그러면 할인인자(discount factor)는 dj ( t)equiv exp ( -⌠⌡

t

0dr j (τ)dτ)로 나타낼 수 있

고77) 시 t의 확률동등 할인인자 D ( t )는 sum p jd j ( t )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확

률 동등 할인율 DR ( t )는 정의에 의해 로 표 할 수 있다

Weitzman은 매우 먼 미래(far-distant-future)의 할인율 DR ( equiv limtrarrINF

DR( t ) )는 일

어날 수 있는 가장 작은 할인율 drmin( equiv min j dr

j)와 같아짐을 보여주었다78)

75) 보다 정확한 의미에서 확률동등 할인율(certainty-equivalent discount rate)을 의미한다

76) 여기서 아래첨자 j는 확률 p j gt 0 을 가진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사건)를 나타내며 sump j= 1이다

77) 이는 연속 시간(continuous time) 표 이고 익숙한 이산 시간(discrete time) 표 으로 나타내면

a j ( t)equiv sumt

τ= 0

11+r j ( τ )

와 같다

78) 증명은 본 장의 부록을 참조하라

1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t gt T에 하여 임을 즉 할인율은 시간에 걸쳐 단조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을 고려하고 그 확률 값을 반 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Weitzman의 연구결과는 그 게는

하지 못하더라도 할인율에 내포되어 있는 불확실성 때문에 할인율 자체가 시간에

걸쳐 감소하게 됨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재와 같은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하는 신 장기 할인율은 차등 용해야 함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다

다 기타 연구

미래 성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게 된다면 사회 시간선호율 추정식의 부의 효

과(wealth effect)를 고려하는 항목인 항목에 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효용의

체탄력도를 나타내는 는 상 험기피도(RRA relative risk aversion)를 나타낸다 즉 보유 자산의 크기에 따른 개별 경제주체들의 험 회피 정도를 나타내며 효용곡

선의 곡률을 의미한다 만약 미래 성장에 하여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 험에

한 태도 역시 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Gollier(2002)는 개별 경제주체들이 신

(prudence)할수록79) 효율 사회할인율은 자산의 증가에 따라 감소함을 보여주었

다80) 특히 Gollier는 감소하는 험회피도를 보편 으로 받아들임에도 불구

하고 고정 할인율을 용하는 것은 비효율 인 평가기 이 된다고 지 하 다 1인당 경제성장률이 향후 계속 감소추세에 있다는 에서도 보다 더 미래의 사회

할인율은 낮아질 수 있음을 암시하여 다한편 이러한 들을 반 하여 할인인자의 함수형태에 을 맞춘 연구들도 존재

한다 통상 용하는 고정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지수함수와 같은 할

인인자를 갖는다

d t=1

(1+dr) t(Ⅷ-7)

여기서 dt는 할인인자를 dr은 할인율을 나타낸다 앞에서 제기된 문제 에 따

라 할인인자 자체를 지수함수 형태가 아닌 곡선처럼 보다 완만한 함수형태로 할인

(hyperbolic discounting)하자는 견해가 있다 이러한 함수형태의 표 인 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9) 여기서 신 하다는 것은 미래의 소득 험이 증가할 수록 축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80) OXERA(2002)에서 재인용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5

d t=1

(1+ ksdott) hk(Ⅷ-8)

다음 그림은 식의 모수 값 = 4 = 1을 용하 을 때의 곡선함수 형태

의 할인인자와 할인율 65를 용하 을 때의 지수함수 형태의 할인인자를 비교한

것이다

[그림 Ⅷ-1] 쌍곡선함수형태와 지수함수형태의 할인인자 비교

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0 3 6 9 12 15 18 21 24 27 30 33 36 39 42 45 48

연도

할인인자

쌍곡선함수

지수함수

하지만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곡선 함수형태로 할인을 할 경우 기에 무

큰 할인율로 할인하게 되는 문제 을 안게 되어 그 용의 실효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라 소결

이상을 통해 장기를 고려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방안을 검토하여 보았다 한 세 내에서의 선택문제라면 차등 용의 필요성은 떨어질 것이나 세 간 선택

문제가 두되면 차등 용을 조심스럽게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단된다 한 이는 ꡔ일반지침(제3 )ꡕ의 연구결과와도 어느 정도 일 성을 가진다

규범 인 측면에서 고정된 할인율로 지수 으로 할인을 하게 된다면 미래세 에

한 고려없이 재세 만을 고려하는 의사결정이라는 비 에 직면할 수 있다 한 Weitzman(1998) Gollier(2002) 등의 연구에서 그 이론 뒷받침을 찾을 수 있었다 이

1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들 연구에서는 사회 할인율 자체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거나 미래 성장에 한 불

확실성이 존재한다면 사회 할인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됨을 보여주었다그 다면 차등 용의 시 을 어떻게 용하고 어떤 값으로 할인을 하느냐의 문

제가 남는다 Weitzman(1998)은 재무자산이 존재하는 시 까지는 할인율이 즉각 으

로 감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제시하 다 OXERA(2002)에서는 이러한 을 반 하여

감소되는 시 을 존하는 최장기 국채의 만기인 30년을 최 시 으로 제시하고 있

다 한 30년은 략 으로 한 세 로 간주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후 시

은 Newell amp Pizer(2001)의 실증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할인율을 제시하 다 비타당성조사에서 비교 장기인 사업은 수자원 부문사업에서만 존재한다 그

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에 한하여 할인율의

차등 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수자원 부문과 타부문과의

할인율의 차이를 15로 제시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 ~ 15 정도의 차이를

반 하여 할인율 변동에 따른 향분석을 통해 그 정 수 을 제시하고자 한다

4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분석

이상에서 정 사회 할인율 수 은 60~65 그리고 수자원 부문과 같은 장기

사업일 경우 30년 이후에는 이보다 10~15 정도 낮은 할인율을 용하는 것이 바

람직할 것으로 제안하 다본 에서는 가상 실험을 통해 할인율 변동이 비용 편익에 미치는 향을 분

석하여 보고 정 수 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가상 실험을 한 제로 먼 비용의 경우 1000억원의 건설비용(공사비)이 드는

것으로 가정하 다 비용항목에는 건설비용(공사비) 외에도 유지 리비(운 유지비) 부 비 용지보상비 비비 등의 비용요소들이 존재한다 본 가상실험에서는 비용요

소로 건설비용과 유지 리비만을 고려하 고 여타의 비용은 고려하지 않았다 여타

비용이 차지하는 비 이 작아 제외하여도 무방할 것이기 때문이다 공사비의 연차별

배분은 아래 표와 같이 도로부문 사업과 같이 배분되는 것으로 가정하 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7

lt표 Ⅷ-12gt 비용의 연차별 배분 가정

년차 1년 2년 3년 4년 5년

배분율 5 15 25 35 20

유지 리비의 경우에는 각 부문에 따라 다른 원칙이 용되므로 각 부문별 특색

에 맞게 배분될 수 있도록 가정하 다편익의 경우에도 사업 부문에 따라 편익 발생기간과 편익 증가율에 차이가 존재

한다 그러므로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처럼 일반 인 도로 철도사업의 평균 인

발생기간 편익 증가율을 가정하여 용하 다 다만 도로 철도 사업의 경우

2030년 이후 편익은 고정되는 것으로 간주하 다 한 편익의 순 재가치가 앞에

서 고려한 비용의 순 재가치와 같아지도록 즉 NPV가 lsquo0rsquo이 되도록 용하 다

lt표 Ⅷ-13gt 편익의 발생기간 및 증가율

구 분 발생기간 편익증가율 비 고

도 로 20년 3 2030년 이후 고정

철 도 30년 3 2030년 이후 고정

항 만 30년 0

수자원 50년 0

주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지침개정에 따라 발생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한 것을 추가 용함

수자원 부문을 제외한 부문에서는 할인율을 기존 75로 용하 을 때와 65 60로 용하 을 때 할인 비용합과 할인 편익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추가 으로 발생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하 을 경우에

해서도 살펴보았다수자원 부문의 경우 기존 할인율 60를 용하 을 때와 편익발생기간 30년까지

는 65를 용하고 그 이후부터 50년까지는 55 50를 용하 을 때 그리고 30년까지는 60를 용하고 그 이후부터 50년까지는 50 45를 용하 을 때의

변화폭을 살펴보았다

1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 도로부문 사업

도로부문 사업은 우선 4차로 고속도로 공사를 가정하여 비용 1000억원을 2004년

부터 2008년까지 배분하 다81) 유지 리비의 경우 우선 체 유지 리비가 공사비

에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한 후 이를 연차별 배분비율에 따라 배분하 다 사실 공사

비는 구조물 구간이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반해 유지 리비는 km당

단가를 용하고 있다 이에 사업의 특색에 따라 일 된 비율을 구하기가 어려웠다 를 들어 lsquo천안~오창간 고속도로rsquo의 경우 공사비 비 체 20년간 유지 리비 비율

이 39~49 으며 lsquo함양~울산간 고속도로의 경우 34~36 다 본 실험에서는 공사

비 비 체 20년간 유지 리비 비율이 40라고 가정하 다 그리고 연차별 배분

은 다음 표와 같이 건설교통부의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2003)ꡕ에 따라 비

율 로 배분하 다

lt표 Ⅷ-14gt 연도별 고속도로 표준 유지관리비

(단 억원km 4차로)

구 분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유지 리비 093 111 131 155 182 213 249 288 332 380

구 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유지 리비 432 487 545 604 663 723 781 836 889 937

구 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유지 리비 982 1022 1058 1090 1118 1143 1164 1182 1197 1210

자료 건설교통부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ꡕ 2003

우선 기존 할인율 75를 용하 을 경우의 비용 할인 편익합은 다음 표와 같

다 할인 비용 합은 84588억원이었으며 2009년부터 2028년까지 편익이 20년동안 발

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할인 편익합이 84588억원이 되도록 설정하 다분석기간을 30년으로 증가시킬 경우 우선 유지 리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의

81)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2년 설계기간이 필요하나 본 가상실험에서는 이를 고려하지는 않음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199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공사비 비 체 유지 리비 비율이 895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할인 비용합이 94253억원으로 약 114 증가되고 할인 편익합이 104416억원

으로 약 2344 증가되어 BC 비율이 111로 증가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5gt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분석기간 20년 84588 84588 100

분석기간 30년 94253 104416 111

증가율 1143 2344

[그림 Ⅷ-2] 도로부문 사업의 분석기간 증가에 따른 영향

84588 84588

94253

104416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분석기간 20년

분석기간 30년

다음으로 할인율을 65와 60로 변경하여 보았을 경우를 살펴보았다 단 분석

기간은 30년으로 가정하 다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의 경우 66 1030 증가하 고 편익의 경우 그 증가

율이 각각 177 28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BC 비율이 110 116으로 증가

함을 볼 수 있다 한 기존의 분석기간 20년을 기 으로 하 을 경우와 비교하면 비용은 188 229로 증가되었고 편익이 453 580 증가되어 BC 비율이 10에

2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서 129로 증가되었다 한 고속도로 사업이 아닌 일반국도 사업의 경우 유지 리

비가 25 정도만이 소요되기 때문에 BC의 변화폭은 훨씬 커질 것으로 상할 수

있다

lt표 Ⅷ-16gt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94253 94253 100

할인율 65 용 100456 (658) 110911 (1767) 110

할인율 60 용 103959 (1030) 120652 (2801) 116

주 (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3] 도로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94253

120652

94253

110911

100456103959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75

할인율 65

할인율 60

나 철도부문 사업

철도부문 사업의 유지 리비는 역운 비 궤도유지비 차량운행비 구내운 비로

구성된다 사업이 어떤 성격이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데 를 들어 복선

철화의 경우 오히려 유지 리비가 음(-)의 비용으로 계산되어질 수 있다 한 궤도

연장 뿐 아니라 역사 수 역사통과수요 열차 차량수에 향을 받게 되어 일반 인

비용을 용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lsquo충주~문경 철도 건설사업rsquo을 표 인

로 삼아 단선철도 건설을 기 으로 하 다 lsquo충주~문경 철도 건설사업rsquo의 경우 공사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1

완공 후 기년도의 연간 유지 리비가 공사비의 34~37 고 유지 리비의 증가

율이 179 ~ 184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년도의 연간 유지 리비를 공사비

의 35로 증가율을 18로 가정하여 용하 다우선 기존 할인율 75를 용하 을 경우의 비용 할인 편익합은 다음 표와 같

다 할인 비용합은 112322억원이었으며 2009년부터 2038년까지 편익의 할인 합이

할인 비용합과 같도록 설정하 다 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75 117 증가하 고 편익은 각각 177 280로 증 되어 BC는 10에서 109 115로 증 됨

을 볼 수 있다

lt표 Ⅷ-17gt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112322 112322 100

할인율 65 용 120739 (749) 132173 (1767) 109

할인율 60 용 125481 (1172) 143782 (2801) 115

주 호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4] 철도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112322

143782

112322

132173

120739125481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160000

할 인 비 용 할 인 편 익

할 인 율 75

할 인 율 65

할 인 율 60

철도부문 사업의 경우 어떤 사업이냐에 따라 그 변화 폭이 상이할 것으로 상된

다 복선 철화 사업 같이 운 유지비가 거의 없거나 음(-)의 비용이라면 그 변화폭

2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은 증가할 것이고 도시철도 사업 같이 운 유지비가 일반철도 건설사업보다 많이

드는 경우에는 그 변화폭은 감소할 것으로 상된다

다 항만부문 사업

항만부문 사업의 경우에는 도로철도 부문사업과는 달리 편익 증가율을 0로

용하 다 운 유지비는 ꡔ항만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개정 )ꡕ(2001)에서 제시된 로 공사비의 2를 연간 운 유지비로 용하 다 할인율 변동

에 따라 비용은 각각 54 84로 증가되고 편익은 각각 159 250로 증가되어 BC는 10에서 110 115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8gt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75 용 94348 94348 100

할인율 65 용 99482 (544) 109310 (1586) 110

할인율 60 용 102298 (843) 117964 (2503) 115

주 호 안은 증가율을 나타냄

[그림 Ⅷ-5] 항만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

94348

117964

9434899482

109310102298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 인 비 용 할 인 편 익

할 인 율 75

할 인 율 65

할 인 율 60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3

라 수자원부문 사업

수자원부문 사업의 경우 항만부문 사업과 마찬가지로 편익 증가율을 0로 용

하 을 경우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변화 폭을 살펴보았다 다만 수자원부문 사업의

경우 타부문 사업과 달리 기존에 60의 할인율을 용하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65로

용하게 되면 기존의 편익보다 어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상될 수 있다 물론 비용

의 할인 값 역시 감소할 것이다 한 30년 이상의 할인율을 보다 낮게 용함으로써

체 비용 편익의 할인 합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된다유지 리비는 ꡔ수자원(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연구(제3 )ꡕ

(2003)에서 제시된 로 공사비의 05를 연간 유지 리비로 용하 다먼 30년까지는 할인율 65로 용하나 그 이후에는 55 50로 차등 용하

을 경우에 하여 변화폭을 살펴보았다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18 17 감소하 으며 편익은 -35 01의 증가율

을 나타내어 그 변화폭은 미미하 다 BC는 10에서 각각 098 102로 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19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60 용 86869 86869 100

할인율 65 + 55 용 85325 (-178) 83828 (-350)) 098

할인율 65 + 50 용 85412 (-168) 86960 (011) 102

2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Ⅷ-6]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1)

869608686986869 8382885325 85412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60

할인율 65 + 55

할인율 65 + 50

다음으로 30년까지는 기존할인율 60로 용하나 그 이후에는 50 45로 차

등 용하 을 경우에 하여 변화폭을 살펴보았다 할인율 변동에 따라 비용은 각각

019 031로 증가되고 편익은 651 1099 증가하 으며 이에 따라 BC는 10에서 각각 106 111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lt표 Ⅷ-20gt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단 백만원 )

구 분 할인 비용합 할인 편익합 BC

할인율 60 용 86869 86869 100

할인율 60 + 50 용 87032 (019) 92526 (651)) 106

할인율 60 + 45 용 87135 (031) 96418 (1099) 111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5

[그림 Ⅷ-7] 수자원부문 사업의 할인율 변동에 따른 영향(2)

96418

868698686992526

8703287135

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120000

140000

할인비용 할인편익

할인율 60

할인율 60 + 50

할인율 60 + 45

다만 수자원부문 사업 치수사업에서와 같이 경제성장률을 감안할 경우 편익

증가폭은 에서 보인 증가 폭보다는 더욱 크게 증 될 것으로 상된다

마 소결

이상을 통하여 할인율 변동에 따른 사업 부문별 향분석을 수행하여 보았다 기존 사회 할인율 75에서 65 60로 변경시켰을 때 편익 비용의 변동 폭이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았다할인율 인하에 따른 비용의 증가 폭에 비하여 편익의 증가 폭이 더욱 커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사업 기에 주로 배분되는 비용에 비해 편익은 그 이후에 발생하는

구조를 가져 할인율 인하에 따른 향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특히 도로철도 사업

부문의 편익의 경우 각각 177 280로 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분석기간을 30년으로 늘렸을 경우에는 453 558로 크게 증 됨을

살펴보았다 항만 부문사업의 경우 할인율 변동에 따라 편익의 변동 폭이 도로철

도 부문에 비해서는 낮은 159 250로 증 되었다 수자원 부문의 경우에는 기존 할인율이 60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업 부문에

2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따른 할인율 차이를 용시키지 않기로 함에 따라 만약 65를 용할 경우 기존 연

구에 비해 편익이 악화되는 결과를 나을 수 있을 것으로 상되었지만 기간에 따른

차등 용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60를 용하고 차등 용할 경

우에 편익은 65 110로 증 되었다할인율을 60를 용하 을 경우 편익의 변화 폭은 크게는 58나 증 됨을 볼

수 있었다 물론 비용의 증가 폭 역시 고려하여 BC 비율은 상 으로 작게 변화한

다고 할지라도 이는 기존 비용-편익 분석틀에 있어 과도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

으로 볼 수 있다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1 사업부문별 차별화 방안의 필요성

비타당성조사 수행의 목 에는 정부의 공공투자사업에 한 사 인 타당성

평가뿐만 아니라 사업간 우선순 별도 해당되기 때문에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등 조사방법론과 지침은 사업별로 일 되게 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공투자

사업에는 SOC 사업과 같은 유형의 건설사업뿐 만 아니라 로그램 성격의 투자사업

도 포함되어 있고 SOC 사업도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자원( ) 상하수도시설 문화체육시설 병원 등 다양한 사업부문으로 나 어질 수 있으므로 사업부문 개별

사업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따라서 기본 인 평가틀은 공통 으로 용하면서 사업부문별로 세부 인 지표

나 평가방법론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와 련되어 검토해볼

만한 용방안 다양한 쟁 사항에 해 정리하려 한다 사업부문별로 분석기 을 차별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에 해서는 비계량 편익

의 비 이 크고 존재하는 기 편익을 완 히 화할 수 없는 사업부문의 경우 경

제성이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차별화된 방법론과 기 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교통부문사업은 시간가치 운행비용 등의

추정을 통해 가치로의 계량화가 상 으로 용이한 편익항목이 개발되어 있

으며 분석의 정형화도도 높은 편이다 반면 비시장가치재로서 이용자의 심리 만족

감이나 비경제 효과의 비 이 상 으로 큰 문화체육시설이나 분명한 경제

편익이 존재하지만 화하기가 힘든 수자원 환경 련 사업의 경우 근본 으로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한 향후 비타당성조사가 보다 극 으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7

로 도입될 것으로 보이는 정보화 보건복지사업의 경우 유형의 시설물을 건설하는

로젝트 사업보다는 로그램 성격의 사업이 많아 사업의 효과(편익)가 먼 미래에

실 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분석기간을 고정하고 이 기간내의 비용과 편익을 단순

비교하는 차원의 방법론이 합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다양한 사업의 국민경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사회 소요

(needs)가 존재하는 다양한 공공투자사업을 균형 으로 추진하여 산배분의 형평성

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분석 방법론을 다양화하고 분석기 을 차등 용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이하에서는 사업부문별 차별 분석의 방안으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사업

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편익항목의 계량화 방안 등을 제시하고 각각의 장단

용가능성에 해 논하려 한다

2 사업부문별 사회적 할인율의 차등 적용

가 기존 지침의 적용 근거

사업부문별 할인율을 차등 용하는 것은 사업부문별로 분석기간과 험도가 다

른 특성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제기되는 방안이다 원칙 으로 사회 할인율은 모

든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공통 으로 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비용-편익 분석의 결

과가 존 되기 해서는 모든 비용과 편익이 제 로 반 되어야 하는데 사업분야에

따라 환경 문화보존 등과 같이 수량화하기 어려운 성질의 비용편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정된 재가치의 크기가 모든 사업간에 직 으로 비교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할인율의 차등 용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방안이 제기되는 것이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부문별 사회 할인율 차등 용을 고려하여 두 가지

이론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첫째 투자사업의 험에 따른 할인율의 차등 용방안으로서 두 가지 투자사업

의 순편익 흐름이 동일한 기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험이 서로 다르다면 험이

큰 사업의 할인율은 높게 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험을 고려한 할인율

의 조정은 실증 인 문제로 사업의 규모나 불확실성이 이례 으로 크거나 혹은 사업

으로부터의 편익이 경제 체의 성장률과 이례 으로 히 련된 경우에 국한하

여 이루어져야 한다 부분의 공공사업이 개별 으로는 경제 체에 비해서 그 규

모가 그리 크지 않으며 여러 개의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각 사업들로부터의 수익

이 서로 완벽하게 연 되어 있지 않는 한 공공사업 체의 수익은 비교 안정 인

2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경우가 많다둘째 소비단 로의 환산을 고려한 사회 할인율 용방안으로서 일반 인 비용

-편익 분석에서는 비용과 편익이 모두 소득단 로 계산되어지나 실제 복지측면에서

소비를 고려하여 어떤 사업이 소득단 로는 음의 재가치를 가지나 소비단 로 환

산한 경우에 양의 재가치를 가진다면 할인율은 낮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경우 편익발생의 시간 유형에

따라 소비단 로 환산을 고려한 재가치 계산방법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본 바 있다 즉 가상 실험을 통해 각 사업부문별로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에

따라 장기에 걸쳐 발생하는 사업일수록 더 낮은 할인율이 용되어야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이러한 근거에 따라 편익 발생기간이 50년으로

장기인 수자원부문은 타 사업과 달리 6의 할인율을 용하고 있다

lt표 Ⅷ-21gt 편익의 시간별 발생구조

도로 철도 항만 수자원

편익발생기간 20년 30년 30년 50년

편익증가율 3 3 0 0

나 해외의 적용사례

외국의 경우 용사례를 살펴본 결과 일 된 원칙과 이론 근거에 의해 사회

할인율을 사업부문별로 차등 용한 사례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미국의 경우 수자원

이나 에 지 부문의 사업에 해서 3~4의 할인율을 용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

우82) 스페인은 교통사업에 6 수자원 사업에 4의 할인율로 차등 용하고 있으나 다른 국가에서는 원칙 으로 사업부문별 차등 용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

다 사회적 할인율 차등 적용의 기본원칙

앞서 거론하 듯이 사업부문간 사업별 험이나 편익발생 유형 등이 다르기 때

문에 이를 고려하여 사회 할인율을 차등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

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업부문별 정 험도가 체계 으로 추정되어 있지 않

을 경우 사업부문별 할인율의 차등 용은 평가의 일 성을 떨어뜨리고 평가과정에

82) EC ꡔGuide of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ꡕ 200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09

주 성이 개입될 여지를 남기게 될 것이며 구체 으로 어느 수 으로 차등화해야 할

것인지 합의 을 찾기 힘들므로 면 인 용은 아직까지 시기상조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와 같이 편익발생 유형에 따른 가상 실험을 통해 할인율

수 차이가 안정 으로 일 되게 발생한다면 어느 정도의 차등 용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편익 산정의 어려움 등에 의한 차등 용은 정당화되기 어려

울 것으로 보인다 해외 사례에서도 사업별 그 특수성이 인정될 경우 별도의 할인율

을 용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기본 할인율과 비교 제시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비용

편익 비율의 계산식에서 가능한 한 모든 편익은 분자에 포함시키고 분모 즉 사회

할인율의 조정은 제한 으로 용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된 할인율 조정 부분에서는 분석기간이 30년 이상인 수자원 부문 사업

에 한하여 할인율을 차등 용할 것을 제안하 다 즉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 수자원

부문과 타부문과의 할인율의 차이를 15로 제시하 으므로 본 개정연구에서도 이

를 고려하여 편익 발생기간 30년까지는 65를 용하되 30년 이후에는 50로 차

등 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83)

3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의 차등 적용

가 공적자본의 한계비용 이론 검토

공공투자사업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요한 논 의 하나는 공 자본의 한계비

용(marginal cost of public funds MCF)에 한 것이며 최소 BC 설정의 이론 근거

도 여기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필요한 비용의 조달은 주

로 조세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조세징수를 통한 자 의 조달은 일반 으로

조세왜곡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와 달리 공공투자사업의 경

우에는 사업에 투입되는 액만을 비용으로 간주할 경우 조세왜곡에 따른 국민후생

의 감소를 반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해

서 요구되는 개념이 바로 공 자본의 한계비용이다공 자본의 한계비용(이하 MCF)은 공 자 1단 의 조달에 수반되는 후생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ldquo1+조세왜곡에 따른 과부담rdquo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이론 으

로 공공투자사업의 타당성 여부는 일반 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비용과 편익을 단순

비교할 것이 아니라 비용에 MCF를 곱한 값을 편익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

다 즉 편익의 재가치가 ldquo비용의 재가치 times MCFrdquo보다 더 클 경우에만 그 사업은

83) 이에 한 구체 인 내용은 앞 을 참고

2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만일 MCF가 1보다 더 크다면 이러한 조

정은 비용-편익 분석에 보다 엄격한 기 을 용하는 셈이 될 것이다 결국 MCF를

도입하는 것은 비용-편익 분석에서 흔히 논의되는 ldquo최소 BC비율rdquo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 될 것이다 엄 히 말해 공 자본이 투입되는 공공투자사업에 한 경제성 분석에서는 험

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한 비용-편익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

다 그러나 행 비타당성조사 방법론과 련해 험 불확실성의 고려에서 확

률 동등 상태(certainty equivalence)와 같은 보다 엄 한 개념을 쓰지 않고 불확실성이

없는 상태에서 기 값을 구하고 자본의 잠재가격에 기 한 비용-편익 분석 방법

을 직 으로 채택하지 않은 이유는 그 게 할 경우 개별 평가자의 자의 인 가정

평가에 따라 결과가 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험 불확실성의 고려

나 자본의 잠재가격의 추정에 필요한 여러 변수의 값들이 모두 개별 평가자에 의하

여 가정될 경우 평가자의 의도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반면 MCF의 값을 결정하여 일 되게 용하는 것은 앞에서 살펴본 사회 할인

율 조정 방안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라미터 값을 바꾸는 일이므로 어도 개념 으

로는 더 복잡할 것이 없으며 한 개별 평가자의 자의가 개입될 여지도 일 수 있

다 즉 평가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비용-편익 분석 방법에 해 일 된 지침을 제공

하기 해서는 분석 방법론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일부 라미터 수치의 조정을

통해 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CF 추정을 통한 최소 BC비율의 설정은 간편하고 일 된 방식이지만 실제 용

은 아직까지 시기상조로 보인다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여러 이론 논의를 정리

한 후 우리나라의 MCF 추정범 를 잠정 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미국의 경우 조세

의 과부담 등을 감안해 최소 BC 비율을 125로 상향조정하고는 있는데 비해 우리

의 경우 재까지 실제 분석에 직 용할만한 정 MCF 추정치는 도출되어 있지

않고 략 110~115 정도의 범 를 제시하고 있다 즉 최소 BC비율의 용에 있어

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공 자본 한계비용의 정 수 이 재까지 충분히 합의된 상

태가 아니므로 단계에서 실제 비타당성조사에 이를 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우리나라의 MCF 추정 부분별 최소 BC 차등 용 방안에 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와 문가 자문을 거쳐 신 하게 용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한편 최소 BC비율의 용에 한 차선책으로 검토해볼 수 있는 방안은 사회

할인율의 조정이다 즉 MCF를 고려하여 명시 으로 비용항목을 조정하는 신 엄

하지는 않지만 차선책으로서 사회 할인율을 조정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이다 즉 부분의 경우 공공투자사업의 비용은 사업 기에 발생하는 반면 편익은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1

장기 으로 발생할 것으로 상되므로 보다 높은 할인율의 용은 실질 으로 1보

다 큰 MCF의 값을 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MCF의 결정 혹은 최소 BC 비율의 결정 한 개략 으로 사회 할인율의 조정을 통하

여 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서 논의하 듯이 사회 할인율 조정은 편익 발

생기간의 고려를 통한 일부 사업부문별에 한 조정 이외에는 엄격히 제한되어야 하

고 평가결과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역시 체 사업부문에 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나 사업부문별 최소 BC 비율 차등화 방안 검토

사업부문별로 BC 비율을 차등 용하는 것은 경제성과 정책 측면에 한 상

요도가 다르거나 편익추정의 포 범 계량화 정도가 낮은 사업부문의 특

성을 감안해 통과 기 비율(hurdle rate)을 달리 용하는 방안이다 이에 한 이론

배경은 조세징수를 통한 자 조달에 있어 조세왜곡에 한 가정과 lsquo공 자본의

한계비용(MCF)rsquo에 한 내용이다 그러나 이론 차원의 논의뿐만 아니라 사업부문

별 최소 BC 비율 도출 용이 다양한 사업부문에 해 일 된 기 을 통해 평가

해야하는 비타당성조사의 실제 과정에 어떠한 향을 주며 이와 련해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쟁 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더욱 요할 것이다

1) 기본 방향 및 적용가능 부문 검토

이하에서는 사업부문별 최소 BC비율 차등화 방안과 이에 한 쟁 사항에 해

정리하려 한다 최근에 문화부문 사업 등 사업의 특수성이 높고 정형화된 편익항목

추정방법론이 용되고 있지 못한 사업의 경제성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해

재 일 용되는 있는 BC 비율 = 1이라는 단기 을 차등화하는 방안이 필요

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앞서 지 하 듯이 최소 BC 비율 설정을 한 MCF 추정치도 확실하지 않은데다가 BC 비율을 사업부문별로 차

등화하기 한 이론 근거나 사례는 더더욱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먼 도로 철도 역철도 공항 등 사업성격상 경합성이 강한 교통부문의

경우 동일한 기 에 의해 사업의 상 인 경제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

를 정해야하므로 할인율 최소 BC의 부문별 차등 용은 평가체계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일각에서 지 하고 있듯이 도로에 비해 친환경 이고 쾌 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철도사업의 경우 이러한 유무형의 편익이 완 히 반 되

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는 있으나 이는 최소 BC 비율 등

경제성 분석의 핵심지표를 조정하는 것보다는 편익 추정의 범 수 확 등 원

2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칙 으로 다른 방식으로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만약 최소 BC 비율을 차등 용한다면 고려될 수 있는 사업부문은 수자원부문

문화체육부문 등 타 사업부문과의 연 성 경합성이 낮고 성격이 독립 인 사업

들이 해당될 것이다 그러나 수자원부문의 경우 편익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동

부문 특성을 감안해 재 비타당성조사에서 할인율을 하향 용하고 있으므로 최소

BC 비율의 하향조정은 불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실 으로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이 가장 합한 사업부문은 각종

시장 박물 체육 문화시설 등 문화체육시설부문의 사업일 것이다 그 이유는

이러한 사업은 경제 목 보다는 국민 편의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추진되는 경

우가 많아 경제성 이외의 단요소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사업부문인 데 비해 다양

한 편익항목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비 편익에 한 계량화 방법도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교통부문 사업들과 동일 기 에 의해 평가할 경우 경제성이 상 으로

불리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다음 lt표 Ⅷ-22gt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부문 사업과 수자원( ) 환경

련시설 산업단지 조성사업 등을 제외한 기타부문(문화 과학 체육시설 등) 비타당성조사 사업의 조사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동 자료를 살펴보면 문화

과학 체육시설 등 기타부문 사업은 근본 으로 경제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즉 2003년 상반기까지 수행완료된 총 152건의 체부문 비타당성조

사의 각 사업별 최 안을 기 으로 평균 BC 비율을 계산해보면 126이 도출되는데 BC 비율이 각각 106과 179로 분석된 구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과 군장수출자

유지역 조성사업을 제외할 경우 평균 107 정도가 나온다 반면 18건의 기타부문 사

업의 경우 평균 BC 비율은 055 정도로서 체 평균보다 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한ꡔ국립디지털 도서 건립사업ꡕ을 제외하면 BC 비율이 1을 넘는 경우가 없

었으며 과반수에 해당하는 9건의 사업의 경우 BC 비율이 05에도 미치지 못했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3

lt표 Ⅷ-22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수행

연도사업명 주무부처

BC비율

(최 안)결 론

1999

강원도 역사문화 조성 문 부 079 정책 차원에서 일부사업 추진

태권도 공원 조성 문 부 097 계획수립 후 정책 으로 추진

칠성산 호국수련원 조성 문 부 088 추진 보류

2000

우주센터 개발 과 기 부 052 정책 차원에서 사업 추진

UN 기념공원 조성 문 부 009 타당성이 낮아 장기 으로 검토

동부산 Green City 조성 문 부 065민자사업 타당성을 높이는

규모로 축소한 후 단계별 추진

2001

국립서울과학 건립 과 기 부 042 규모 축소후 이

안동지구 숙박휴양거 조성 문 부 069 사업내용 변경후 기반시설 지원

국립해양박물 건립 해 수 부 022련계획 확정 유사사업과의

계 정립후 추진

국립자연사박물 건립 문 부 030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없음

국립디지털 도서 건립 문 부 170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높음

2002국립민속박물 이 문 부 034 사업계획의 보완후 사업 추진

국립경주극장 건립 문 부 055 계획안 수정후 재추진

2003

민주화운동기념 건립 행 자 부 013 충분한 사 비후 추진

부산해양종합공원 조성 해 수 부 065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음

인천해양과학 건립 해 수 부 036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고

일부사업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

여수해양수산박물 건립 해 수 부 027 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음

청소년스페이스캠 조성 문 부 035국고지원의 타당성이 낮고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

주 2003년 상반기까지 수행완료된 사업에 해 정리함

2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2) 최소 BC 비율 차등적용에 있어서의 쟁점사항

문화체육시설과 같이 경제성이 가장 취약한 사업부문에 해 최소 BC 비율을

차등 용하는 방안과 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쟁 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과거에 조사가 수행된 동 부문사업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지 된다 즉 최소

BC 비율을 하향조정함으로써 과거 ldquoBC 비율=1rdquo을 기 으로 사업의 추진여부를

단했던 문화체육부문 사업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최소

BC 비율 조정에 있어 정한 수 설정의 어려움이 상된다 즉 박물 등 문화시

설의 경우 표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워낙 BC 비율이 낮기 때문에 최소 기 BC 수 을 폭 으로 하향조정하지 않는 한 실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 이

러한 특성은 문화체육시설의 경우 경제 편익 항목과 추정방법을 개발하고 경제

성을 심으로 하는 평가틀보다는 정책 분석에 의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새로

운 차원의 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셋째 과도한 배려를

통한 역차별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즉 재 문화과학부문사업의 경우 교통부

문사업에 비해서는 상 으로 정책 분석의 가 치를 높게 주고 있기 때문에 최소

BC의 차등 용은 복 일 수 있으며 지 까지의 비타당성조사 상이 된 문

화체육부문사업 경제성이 낮은 이유 이외에 사업계획의 부실성 정책 불합리

성 등의 이유로 타당성을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결국 문화체육부문 사업에 한 최소 BC의 하향조정도 충분한 사례의 수집과

효과에 한 엄 한 검증이 이루어진 후에 실행되어야 하며 단계에서 동 부문에

한 분석의 차별화는 다른 방안을 통해 고려되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다

4 비용-편익 분석 기법 및 편익추정 방법 보완

특수 사업부문으로 볼 수 있는 문화체육부문사업에 한 평가방법론을 개선하

기 해 사회 할인율이나 최소 BC비율을 사 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하지

않다면 실 으로 이들 사업의 경제 가치추정 연구를 확 해 편익항목을 확 하

고 합리 인 수 의 소비자 지불의사액을 추정하는 것이 근본 인 해결책이 될 것이

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오랜 기간의 심도 있는 연구와 학계의 공감 형성이 수반

되어야할 사안이므로 우선 으로는 정책 분석에서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보다 폭

넓게 검토하고 이를 AHP 분석 등을 통해 정하게 평가하는 방안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여 히 남는다면 최소 BC 비율

차등 용의 효과를 면 히 검토하는 등 추후 별도의 본격 인 연구를 통해 실

인 용방안 범 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5

가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 보완

문화체육부문사업의 경제성이 구조 으로 낮게 추정된다면 동 부문에 해

용하고 있는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 자체를 보완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사업을 시행할 경우 실 으로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 유무형의 편익항목

을 정의하고 이의 계량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개선이 가능해진다 이론 차원에서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을 체 혹은 보완하는 평가방법론은 다

음과 같은 것들이 거론되고 있다

1) 비용-효과 분석법(Cost-Effectiveness Analysis)

비용-효과 분석법은 동일한 환경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다수의 안이 존재

할 경우 비용-효과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안을 찾는 분석기법이다 즉 계획된 목

표를 달성하기 하여 사용되는 자원(비용)을 가장 게 사용하는 안 는 활용

가능한 자원(비용)이 주어졌을 때 최 한의 결과(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안을

찾아내는 방법으로서 비화폐 인 평가기 을 화폐 인 기 인 비용과 결합하여 분석

하는 것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의 변형(제약)된 형태로 볼 수 있는데 평가 상

사업의 효과가 화폐가치로 계산되어질 수는 없으나 식별가능하고 계량화가 가능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즉 화폐화 된 편익의 추정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신 비

효과를 측정하여 BC 비율 신 비용효과 비율(비용 1원당 효과 는 효과

1단 당 비용 CE비율)을 계산하여 최 의 안을 찾는 방법인 것이다 실제 용에

있어서 비용-효과분석은 주로 화폐화된 편익의 측정이 어려운 환경 수자원사업 보건복지부문 문화체육부문에 활용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는 데 제약이 있는 경우 사업효과를 정

량 으로 분석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지만 한계 한 분명한 방법이다 비용-효과

분석은 편익가치의 화폐 계량화가 어려운 경우 주어진 산안에서 가장 비용효과

인 안을 선택하는데 분명한 단의 기 을 제시해 수 있다는 장 이 있다 그러나 비용-효과분석은 경제학 이론기반이 약할 뿐만 아니라 아래 시에서 볼 수

있듯 경우에 따라 평가결과가 왜곡될 수 있는 치명 약 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

장 비용 효과 인 안이라고 해서 반드시 효율 인 것은 아니라는 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

2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비용-효과 분석의 시 한계]

어떤 병원에서 환자 리 로그램을 시행하게 되어 기존의 환자가 10

어든다고 할 경우 이 10의 수치는 확실히 계산 가능한 효과이지만

편익으로 추정하기는 어려움

환자 리 로그램으로 검토된 안은 다음의 두 종류가 있음

- A안 연간 비용 10000원 용가능 환자 수 100명

- B안 연간 비용 11000원 용가능 환자 수 120명

안별 CE 비율(비용 1원당 효과) 계산

- A안 CEA = [100times01] 10000 = 0001

- B안 CEB = [120times01] 11000 = 00011

따라서 안 B가 연간 비용은 많이 드는 로그램이나 보다 비용-효과 인

로그램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러한 비용-효과분석은 사업효과의 계량화가 가능할 경우 평가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음

- 의 에서 B안의 비용이 13000원이라면 CE비율이 00009로 A안이 더 비용

효과 인 로그램임

- 그러나 만약 환자수 감소 편익( 를 들어 willing to pay)이 계산 가능하여 비

용-편익 분석을 한다면 B안이 더 최 안일 수 있음(B안이 A안에 비해 2명

더 일 수 있고 추가비용에 비해 환자수 2명을 이는 편익이 큰 경우)

한 비용-효과 분석은 안 자체의 성에 해 근본 으로 고려할 수 없다는

이 단 으로 꼽힌다 즉 분석의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안의 비용규

모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안간 비교를 통해 비용효과 인 안을 수월하게 선별할 수

는 있지만 선택된 안들이 과연 정책수행을 해 타당하고 효율 인지에 해서는

고려할 수 없다는 이 한계로 지 된다 결국 공공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비용-효과 분석은 사업효과 편익이 명백히 존

재하지만 화폐가치로의 환산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 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비용효과 인 사업 안을 가장 효율 이고 타당한 것으로 해석하는 데 있어 유

의해야 할 것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7

2) 비용-편익 분석법의 응용

비용-편익 분석 방법의 이론 보완 방안에 해 설명하기 해서는 비용-편익 분

석의 일반 개념과 장단 에 해 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행 비타당성조

사에 용되고 있는 비용-편익 분석법은 재가치로 화폐가치화한 편익과 비용을 비

교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보편 인 방법으로서 효율성을 시하는 경제학

이론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평가기법이다이론 으로 편익은 개인의 후생을 증가시켜주는 모든 것이고 비용은 이에 반 되

는 개념인데 후생의 개념은 개인의 선호로서 표 될 수 있으며 이의 측정은 시장을

통해 드러난(revealed) 선호와 명시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표 된(stated) 선호

로서 추정된다 이러한 선호를 화폐가치화 하는 척도로서는 주로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를 추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비용-편익 분석은 정책의 수 즉 Policy-Programme-Project 단 에 계없이 포

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장 이 있으며 정책 단에 있어 확실한 경제 인 기 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론 인 배경이 뚜렷하다는 사업추진으로 인한 비용을 기

회비용 개념에서 근할 수 있다는 민감도 분석 등의 기법을 통하여 험과 불

확실성에 해 명시 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등이 장 으로 거론된다 반면 단 으로는 개발사업의 향요소를 경제학 으로 분석함에 따라 사업효과

의 고려범 가 제한 이라는 과 화폐가치화 하기 어려운 효과가 있는 경우 분석의

신뢰도가 히 낮아진다는 효율성을 강조하는 경제학 분석이기 때문에 자칫

사회 인 정서를 도외시할 수 있다는 등이 지 된다이러한 한계와 문제 을 고려하여 비용-편익 분석은 경우에 따라 분석의 완성도

를 높이기 하여 보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 기법을 응용

한 기법으로 가장 리 사용되는 것으로는 lsquo가 비용-편익 분석법(Distributionally Weighted Cost-Benefit Analysis DCBA)rsquo과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ybrid Cost- Benefit Analysis HCBA)rsquo 등이 있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생된 평가기법 하나인 lsquo가 비용-편익 분석법(DCBA)rsquo은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소득측면의 역진성을 개선한 분석기법이다 즉 실 으

로 지불의사란 소득격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데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은 개인의

지불의사를 추정함에 있어서 개개인의 소득이 모두 같다는 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

다 가 비용-편익 분석법은 기존 비용-편익 분석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

으로 제시된 기법인데 소득에 따라 계층별로 가 치를 부여함으로써 사업추진에 따

라 발생하는 소득계층별 편익을 차등 으로 추정해 내는 평가기법이다

2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를 들면 소득이 높은 그룹을 i로 표시하고 소득이 낮은 그룹을 j라고 표시한

다면 각 계층에서의 소득은 각각 Yi와 Yj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며 편익 한

Bi와 Bj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소득격차를 고려하지 않은 사회 인 총

편익은 각 계층별 편익의 단순 산술합인 Bi+Bj 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나 소득격

차를 고려한 편익 BYij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것이다

BYij=Bi (Y Yi ) + Bj (Y Yj ) (Ⅷ-9)

결국 의 식을 이용하면 사회 총편익 산정시 소득격차에 따른 편익을 감안하

게 되므로 좀더 분배의 형평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비용-편익 분석시 소득격차를 반 하는 문제는 소비자 후생증진에 미치는 사업효

과를 소득계층에 따라 차별 으로 고려한다는 에서 매우 요하지만 문화체육부

문 사업과 같이 편익의 화폐가치화가 상 으로 어려운 사업부문에 해 경제성 분

석기 을 차등 용하는 방안과는 다소 동떨어진 문제이다 다음으로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CBA)rsquo에 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용-편익 분

석에 해 지 되는 가장 큰 한계 하나는 각 편익과 비용항목에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인데 lsquo복합 비용-편익 분석법(HCBA)rsquo은 편익과

비용의 항목에 화폐가치화가 어려운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분석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해 모색된 기법이다 복합 비용-편익분석 기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첫 번째

방식은 화폐가치화 할 수 있는 향항목에 해서는 최 한 화폐가치로 환산하고 이와 더불어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요소에 해서는 가 치 등 일정한 기 에 따른

수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향요소에 해 종합 으로 고려하는 방식이

다 두 번째 방법은 화폐가치화가 가능한 항목에 해서는 가능한 수 까지 화폐가

치를 추정하여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향요소들을 최소화한 후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향요소들에 한 암묵 인 가치(implicit value)를 산정해 내는 방법이다 이러

한 방식을 사용했을 때 평가의 기 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른다

화폐가치화 할 수 있는 비용과 편익을 각각 Cm Bm이라 표시하고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편익을 Bnm으로 표시한다면 개발사업의 1차 타당성 단기 은 다음

과 같다

Cm lt Bm (Ⅷ-10)

의 식이 의미하는 바는 화폐가치화 한 향요소들의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는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19

의미로서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 방법과 동일하다 복합 비용-편익 분석법에서는

의 계가 성립된다면 추가 으로 다음의 계가 성립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Bnm gt (Cm - Bm ) (Ⅷ-11)

의 식이 의미하는 바는 화폐가치화 할 수 없는 편익의 암묵 인 가치가 화폐가

치화된 순비용(net cost Cm - Bm )보다 크게 되므로 상 사업은 타당성이 있다는

뜻이다 복합 비용-편익 분석 기법은 사업부문별 분석기 의 차등 용 방안을 마련하기

해 검토할만한 방법론이지만 화폐가치화 하기 어려운 편익항목을 선별하고 이를

측정하기 한 정형화된 기법이 개발되어야만 용이 가능하다 재 비타당성조

사에서는 이러한 기법의 하나인 조건부 가치추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과 컨조인트 분석법(CAM Conjoint Analysis Method) 등을 일부 문화체육부문

사업에 해 실제 용하고 있다 이와 련하여 재 수행 인 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의 내용을 검토하여 일반지침에 반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나 편익항목의 추가 및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1) 예비타당성조사의 사업부문별 편익항목

비타당성조사에서 사업부문별 특수성을 반 하기 한 가장 근본 이고 완

한 방안은 각 사업부문별로 발생할 수 있는 편익항목을 최 한 선별하고 이를 이론

으로 타당한 화 기법에 의해 정하게 추정하는 방식일 것이다 먼 공공투자사업의 주요사업부문별 경제 편익의 형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농업사업 공업사업처럼 최종산출물의 형태가 확

실하고 이것이 소비자들에게 최종소비재로서 사용될 경우 이것의 시장가치(잠재가

격)가 사업편익이 된다 둘째 교통사업이나 공익사업처럼 산출물이 최종소비재의 성

격보다는 간재(intermediary goods)의 성격을 강하게 가질 경우 이 산출물에 의해 발

생한 비용 감효과(cost-saving effects)가 사업의 편익이 된다 셋째 사회정책사업처럼

산출물이 화폐가치화가 어려운 질 개념일 경우에는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이용하여 편익 측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행 비타당성조사에서 교통부문사업의 경우 에서 언 한 두 번째에 해당되

어 시간 사회 비용의 감분을 편익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산업 생산활동을 지

원하는 산업단지 각종 건축사업의 경우 개 사업추진으로 인한 최종소비재의 가

2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치증분(부가가치)으로 편익을 추정하고 있다한편 사업부문별 편익항목과 련하여 보통 비용-편익 분석에서 국민경제 편

익으로 열거되고 있는 항목들은 부문별로 차이가 있지만 주로 직 편익과 간 편익

으로 구분되어 제시되고 있다 도로 철도부문 사업을 로 들면 다음과 같은 편

익항목들이 열거될 수 있다

lt표 Ⅷ-23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에 따른 편익항목

구 분 편익항목

직 편익∙차량운행비용 감 통행시간 감 운 자 수입 교통사고 감소 교통

쾌 성 정시성 안정성 증 등

간 편익 ∙환경비용 감소 지역개발 효과 시장권의 확 지역 산업구조 개편 등

그러나 행 비타당성조사에서 반 하고 있는 편익항목은 어느 정도 정형화된

화 방법론이 용될 수 있는 항목들에 국한되고 있으며 편익항목이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고 추정방법의 정형화도도 높은 도로 철도부문 사업에 한 비타당

성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편익항목을 실제로 용하고 있다이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로 인한 부(-)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

업으로 인한 도로공간 축소에 따른 부(-)의 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은 철도부문에

만 해당되는 편익항목이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1

lt표 Ⅷ-24gt 도로 및 철도부문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 적용되는 편익항목

편익항목 개 념

∙차량운행비용 감 편익

∙통행시간비용 감 편익

∙교통사고 감 편익

∙환경비용 감 편익

∙운 자 수입 증감 편익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

로 인한 부(-)편익

∙철도건 목 개선 편익

∙철도사업으로 인한 도로공

간 축소에 따른 부(-)편익

∙주차비용 감 편익

∙통행속도가 변화되어 차량운행비용이 감된 편익

∙통행시간이 감됨에 따라 발생한 편익

∙사고 감소에 따른 교통사고 비용 감 편익

∙ 기오염의 감소에 따른 감 편익

∙공 자측면의 운 자 수입

∙공사기간 교통혼잡 증가나 운행축소에 따른 비용부담

∙철도건 목의 입체화등에 따른 통행시간 차량운행비 교통

사고 운 비의 감 편익

∙도로공간의 축소 교통혼잡 증가로 인한 부(-)의 편익

∙주차수요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주차비용 감 편익

한편 항만부문의 경우 ꡔ항만부문 표 지침ꡕ(개정 )에서는 선박 기비용 감편

익 선박재항비용 감편익 하역비용 감편익 내륙운송비용 감편익 화물운송시

간가치 감편익 토지조성효과 기타 편익 등을 열거하고 있는데 이들 편익항목들

은 조사 상 항만사업의 특성에 따라 용되는 범 가 달라질 수 있다 컨 화물

운송시간가치 감편익은 화물의 시간가치에 한 추정방법론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

아 실제 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토지조성효과는 항만공사 시 조성되는 부지활용계

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반 되지 못하고 있다마지막으로 문화과학체육부문과 같은 기타부문 사업의 경우 부가가치 증가

나 비용 감효과 등을 비교 정형화된 방법론을 통해 추정하고 있는 교통부문

산업단지부문에 비해 이러한 사업들의 편익은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사업

효과의 계량화도 어려워 편익추정에 있어 근본 인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재 문화과학체육부문 사업 비타당성조사에 한 일 된 지침은 미비한 실정

이며 각 사업별 특성에 따라 편익항목을 선별하고 이에 합당한 추정방법론을 용해

왔다

2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Ⅷ-25gt 기타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성 분석결과 및 결론

수행

연도사업명 편익 항목

1999

강원도 역사문화 조성 ∙입장료수입 부 수입 숙박수입 시설사용료수입

태권도 공원 조성∙연수수입 숙박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입장료수입 심사수입

칠성산 호국수련원 조성∙연수수입 숙박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입장료수입

2000우주센터 개발 ∙인공 성 발사비용 비발사 시험비용

UN 기념공원 조성 ∙입장료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동부산 Green City 조성 ∙시설별 입장료수입

2001

국립서울과학 건립 ∙입장료수입

안동지구 숙박휴양거 조성 ∙시설별 입장료수입

국립해양박물 건립 ∙입장료수입

국립자연사박물 건립 ∙입장료수입

국립디지털 도서 건립∙ 근편익 출시간 감편익 교통시간 감편익

공공도서 운 비용 감편익

2002국립민속박물 이 ∙입장료수입

국립경주극장 건립 ∙입장료 기타수입

2003

민주화운동기념 건립∙입장료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수입 식당

매수입 교육시설 사용료

부산해양종합공원 조성∙입장료수입 시설 서비스사용료 수입 식음료

매수입

인천해양과학 건립∙입장료수입 시설 서비스사용료 수입 식음료

매수입

여수해양수산박물 건립 ∙입장료 기타수입

청소년스페이스캠 조성∙각종 입장료 교육수입 식음료 기념품 매

수입

재까지 실시된 문화과학체육부문사업 비타당성조사의 경우 의 표와

같은 편익항목을 상으로 주로 객단가를 이용한 편익추정방법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왔다 특히 박물 과학 과 같은 사업의 경우 존재하지 않는

시설에 한 이용수요를 도출하고 여기에 기존시설 유사시설의 입장료 객단가를

곱하여 편익을 추정하는 제한 인 방법이 용될 수밖에 없었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3

2)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이용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방법

객단가를 이용한 편익추정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해 최근에 문화체육시설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소비자 지불의사액의 추정을 통한 편익추정 방법을 활용

하는 추세이다 소비자 지불의사액의 추정을 해서는 주로 조건부 가치추정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이하 CVM)이나 컨조인트 분석법(Conjoint Analysis Method 이하 CAM) 등이 활용되고 있다

CVM은 최근 들어 가장 각 받고 있는 추정 방법론으로서 미국과 서구의 정부기

연구소 등에서 공식 으로 인정받고 있다 CVM은 가상 시장거래 상황을 설

정한다는 의미에서 가상가치평가법이라고도 불리고 있는데 기본 으로 lsquo소비자들은

공공재의 가치에 해 자기 선호를 진실하게 표 하지 않을 것rsquo이라는 Samuelson의

오래된 가정을 뒤엎는 것이다 특히 여타의 가치추정법들이 소비자 잉여 개념에 기

하는 것과 달리 CVM은 기본 으로 힉스 후생개념에 기 해 지불의사액

(Willingness to Pay)을 통해 직 으로 표 된 보상잉여(Compensating Surplus)와 동

등잉여(Equivalent Surplus)를 도출하는 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CVM의 실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정 상이 되는 환경재에 해 가상

시장을 설정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선정된 환경수 의 개선을 기술 으로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구체 으로 제시하여 응답자가 그 효과를 분명히 인지하게 하고 이와

련된 지불방식과 세 등의 추가부담률 등에 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응답자들의 지불의사액에 근거하

여 평균 지불의사액을 추산하는 과정으로 이를 한 세부방식에는 입찰법 직 질문

법 지불카드법 양분선택법 등이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조사에 참여한 표본집단

의 평균 지불의사액을 지역주민 국민 체 등의 총가치로 확장하여 해당 환경재의

총편익을 산정한다 CVM은 설문참여자가 재화의 성격과 구매방식 등에 해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객 성 있는 답변을 한다면 비교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가치뿐

아니라 비사용가치까지 추정이 가능하다는 에서 다양한 환경가치를 포 할 수 있

는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CVM은 체로 주 성이 개입하기 쉬운 추

정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다양한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고 그 철학 기반도 의문

시된다는 비 에 직면하고 있다 조건부 가치추정법이 안고 있는 구체 인 방법론 인 문제로는 첫째 CVM은 가

상시장을 설정하기 때문에 추정 결과 자체가 실제 시장에서도 실 될 것이라는 보장

이 없다는 이 지 된다 둘째 응답자들이 무임승차 등을 노리는 등 자기이해에 근

거하여 응답하는 경향을 말하는 략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정확한 정보가

2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공되지 않거나 지불수단의 부 실성 조세 항 등의 문제로 인해 응답에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고 한 응답방식에서 순 척도를 택하는 경우와 으로 표시하는

경우 결과가 달라지며 기 제시값에 선호가 집 되는 기 편의도 나타날 수 있다 한 환경재 문화시설의 가치 등은 공동의 자산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의 훼손에

한 보상요구수 즉 수용의사액(Willingness to Accept)을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

으며 여 히 비가시 인 가치는 무시된다는 이 비 받고 있다재 수행 인ꡔ문화과학시설의 가치추정 연구ꡕ의 연구결과를 반 하여 CVM의

문제 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용수 과 구체 인 분석방법을 마련하여 추후 문화체

육시설 부문에 한 경제성 분석 지침내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5 소결

공공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시 사업부문별로 기본 인 평가방법을 차별화하는

것은 사업부문의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객 성과 형평성을 확보하려는 취지에서

주장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 이론 근거가 미약하고 실제 용상에 있어

서 왜곡된 결과를 래할 수 있으므로 이론 인 측면과 실증 인 측면 모두에서 충

분히 검증 합의된 방안을 심으로 매우 제한 으로 용되어야 할 것이다앞에서는 사업부문별 차별 분석의 방안으로 사회 할인율의 차등 용 사업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편익항목의 계량화 방안 등에 해 검토하고 실제 용

수 에 해 논의하 다종합 으로는 살펴보면 먼 사업부문별 최소 BC 비율의 차등 용 방안은 공

자본의 한계비용 개념에 입각하여 사업부문 체의 최소 BC 비율의 조정 수 은

략 인 범 로 제시되나 실제 용을 해서는 보다 면 한 이론 논의와 검증이

필요하다고 단된다 특히 이를 사업부문별로 차등화하는 방안은 이론 근거도 없

고 실제 용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험이 있어 용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다음으로 사회 할인율의 사업부문별 차등 방안 역시 사업부문별 험의 측정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만 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편익발생기간이 장

기인 수자원부문에 해서는 사회 할인율을 하향조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결국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를 해서 최소 BC 비율의 차등과

사회 할인율의 차등화 방안은 매우 제한 으로 용되어야 하며 보다 근본 인

근으로 CVM 등 보완 인 분석방법론의 도입을 통해 편익항목의 계량화 수 을

확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5

【부록】 Weitzman(1998)의 명제 증명

전제

시나리오 j 시 t 할인율( dr j ( t ) )의 극한(limit)

drjequiv limtrarrinfindr j ( t ) (1)

시나리오 j의 할인인자(discount factor)

d j ( t)equiv exp ( -⌠⌡

t

0dr j ( τ)dτ) (2)

확률 동등 할인인자(certainty-equivalent discount factor)

D ( t ) equiv sum p jd j ( t ) (3)

확률 동등 할인율(certainty-equivalent instantaneous discount rate)

DR( t ) equiv (4)

정리(定理 Proposition) 1

DR = dr

min

증명

식 (3)을 시간에 하여 미분하자 식 (2)에 의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um p j d j ( t ) = -sum p jdr j ( t )d j ( t ) (5)

이를 식 (3) (4)와 결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2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DR( t ) =sump jdr j ( t )d j ( t )

sump jd j ( t )(6)

식 (6)은 다음과 같이 표 가능하다

DR( t ) = sumwj ( t )dr j ( t ) (7)

여기서

w j ( t )equivp jd j ( t )

sump jd j ( t ) gt 0 (8)

sumwj ( t ) = 1 (9)

일반성을 상실함 없이 시나리오1이 유일한 가장 낮은 할인율 극한값을 가진다

고 가정하자 즉

r1 = min jr

j (10)

그러면 식 (8)에 극한을 취하고 식 (1) (2)를 이용하면 다음 결과를 얻을 수

있다(단 jne1 )

limtrarrinfin

w j ( t )

w 1 ( t )= lim

trarrinfin

p j exp (-⌠⌡

t

0dr j ( τ )d τ )

p 1 exp (-⌠⌡

t

0dr 1 ( τ )d τ )

= limtrarrinfin

p jp 1

exp (-(drj -dr1 ) t ) = 0

(11)

따라서 식 (7) (9) (11)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limtrarrinfinw 1 ( t ) = 1 lim

trarrinfinwj ( t ) = 0 (단 jne1 ) (12)

[증명 끝]

정리(定理 Proposition) 2

제Ⅷ장 경제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7

증명

식 (7)을 시간에 하여 미분하면

=sumw j ( t )dr j (13)

여기서 식 (8)에 의해

w j= wj ( t )( sumiw i ( t )dr i-dr j ) (14)

식 (13)과 (14)를 결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sumwj ( t )(dr j-DR( t ))2 lt 0 (15)

[증명 끝]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비타당성조사의 상이 되는 공공투자사업은 그 효과가 국민에게 미치

는 것이므로 국가 인 의 경제 타당성 분석 즉 경제성 분석이 주된 평가도구

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 분석과 함께 구체 인 사업주체의 에서 시행

하는 재무 타당성 분석 즉 재무성 분석 한 부차 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산 부족이라는 제약에 항상 직면하고 있는 정부가 해당사업에 한 수요가 매우 높

아 독자 인 사업성 망이 단히 좋은 사업에까지 굳이 막 한 재정 산을 투입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자본을 이용한 사업추진 가능성에

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비타당성조사에 있어서 재무성 분석은 재정부담의 규모 민자유치 가능성을

평가하기 해 경제 타당성이 높은 사업들을 심으로 사업자체의 재무 수익성

을 평가하는 것이다 한 본 분석을 통해 공공투자사업을 민간사업자가 추진할 경

우 필요한 최소 재정지원 비율을 개략 으로 악할 수 있다 정부가 사업주체의 입

장에서 해당사업의 사업성 망을 사 으로 분석하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일반

인 가정에 입각한 재무성 분석을 통하여 과연 민간사업자가 해당사업에 참여할 충분

한 유인이 있는지 여부 컨 민자유치의 가능성 여부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개략 으로 검토하는 것은 향후 보다 구체 으로 사업추진 방식을 결정하는데 유용

할 것이다 본 에서는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차이 을 구체 으로 비교해 보도록

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29

1 경제성 분석

경제성 분석은 일반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개별사업자의

입장이 아니라 국가 체 인 입장에서 사회 편익과 사회 비용을 추정하여 사회

순 재가치(NPV)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비용-편익 분석은 소비자의 지불의사

(willingness to pay)의 합으로 이해되는 사회 편익과 사용된 자원에 한 차선 사

용을 선택하지 않음으로 해서 잃어버리는 편익의 합으로 이해되는 사회 기회비용

과의 차이를 측정비교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때 사회 기회비용은 최 의 사업

비(공사비 용지보상비 포함)와 유지 리비 등으로 나 수 있으며 사업비는 공사

비 용지보상비 뿐만 아니라 차선 인 용도가 있는 자원이 사용됨에 따라 잃어버

리는 편익까지 감안한 기회비용까지도 포함한다

사회 순 재가치 = 사회 편익 - 사회 기회비용

= 소비자 지불의사 - (사업비 + 유지 리비) (Ⅸ-1)

경제성 분석에 활용되는 비용-편익 분석의 특징은 한 사회에 한 로젝트의 실

체 혹은 기 되는 실질 향을 측정한다는 데에 있다 컨 비용-편익 분석에서

측정되는 이러한 실질 향은 직 혹은 간 일 수 있으며 유형 혹은 무형

일 수 있다 한 사회 편익과 손실은 모두 화폐가치로 측정해야 하며 가능하면

경쟁가격으로 측정해야 하나 잠재가격으로 측정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비용-편익 분석은 로젝트 운 에 반 되는 효과들은 무시한다 소비자의 지

불의사 혹은 사회 기회비용은 이론 으로 어떤 자산이나 자원이 사회에 실질가치

가 있는지 측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가치평가가 정부 등의 흐름과 자동 으로

연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재무성 분석에서는 모든 흐름이 분석에 포함될

수 있지만 비용-편익 분석의 경우는 보조 이나 출 등 투자자 의 원천이 무엇

이냐에 따라 분석에 포함되어야 할 것인지 여부가 별도로 고려되어야 한다경제성 분석에서 비교되는 사회 편익과 비용의 측정에 사용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 사회 편익과 비용은 모두 화폐가치로 측정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경쟁가격

으로 측정되어야 하나 경쟁가격이 없는 경우 잠재가격으로 측정한다

② 세 이자비용 등 이 비용 등은 사회에 가져오는 실질가치와 무 하므로

2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사회 순 재가치 계산에서 제외한다

③ 사회 순 재가치는 사회 편익과 사회 비용을 사회 할인율(social

cost of capital)로 할인하여 계산한다

2 재무성 분석

재무성 분석은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미래의 유입(cash inflow)과 유

출(cash outflow) 최 자본투자(initial investment outlay)의 재가치를 비교하여 재

무 타당성을 평가하는 과정이다재무성 분석에서 사용되는 재무 순 재가치(FNPV)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재무 순 재가치 =sum [미래 유입 흐름의 가 - 미래 지출 흐름의 가] - 최 자본투자 (Ⅸ-2)

재무성 분석은 하나의 로젝트로부터 발생하는 사업주체에 한 기 흐름

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경제성 분석과 달리 재무성 분석에 소비자 지불의사 간

향 무형 가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흐름은 완 경쟁 인지 불완 경쟁 인

지 여부와 상 없이 실질 시장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재가치 계산에 사용되는

할인율은 사회 할인율과 비되는 재무 할인율이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1

lt표 Ⅸ-1gt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의 비교

구 분 경제성 분석(비용-편익 분석) 재무성 분석

목표 사회 순 재가치의 측정 재무 순 재가치의 측정

재무제표산출공동체의 사회 차 조표 (사회

편익-사회 비용)사업주체의 에 기 한

손익계산서( 유입- 유출)

소득과 손실의

포함규칙사회 향 100(직간 유무형) 흐름 100

양(+)의 변수소비자 지불의사의 합으로 정의되는

사회 편익(화폐단 로 표시)연차별 유입(화폐단 로 표시)

음(-)의 변수

로젝트 수행으로 인한 자원소비의

연차별 사회 기회비용

기투자비 (화폐단 로 표시)

연차별 유출

기투자비(화폐단 로 표시)

소득과 손실의

가치평가

이상 시장조건에서 계산되는

경쟁 잠재가격으로 평가

재의 시장조건 하에서의

재가격으로 평가

할인과정

국채이자율 사 투자수익율 사 시간

선호율 사회 시간선호율 가 평균

응용 이자율 등을 고려하여 이론 으로

도출

투자자본(주식과 부채)에 한

가 평균자본비용

법률 정의자 의 원천에 따름(내부

외부 보조 부 )법 출처나 근거와 상 없이 모든

흐름이 포함됨

분배 공평성정치 으로 결정된 가 치나 제약이

폭넓게 사용되어짐 고려하지 않음

2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1 분석기법

재무성 분석은 국가 체 인 이 아닌 개별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수입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재무 수익률을 계산하여 사업의 타당성

을 검토하는 방법이다재무성 분석을 실시하는 기법으로 가장 리 활용되는 것은 흐름할인법

(discounted cash flow method DCF)이다 흐름할인법은 미래의 흐름을 측

한 후 가 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등으로 변되는 자

본의 기회비용으로 할인한 재가치를 구하여 비교하는 방법이다 흐름할인법에

는 순 재가치법(net present value method NPV)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IRR) 수익성지수법(profitability index method PI) 등이 있다 한

흐름할인법 이외에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method PB) 등을 통해 재무 타당성

을 평가해 볼 수 있다

가 순현재가치법(Net Present Value Method)

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미래의 유입액 가합계와 유출액 가합

계의 차이를 재무 순 재가치(FNPV)라고 한다 순 재가치법이란 산출된 순 재

가치(FNPV)가 0보다 크면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평가하는 방법이다84)

FNPV = 유입액 가합계 - 유출액 가합계

= sumn

t=0

Rt

(1+r) t- sum

n

t=0

Ct

(1+r) t(Ⅸ-3)

여기서 r은 할인율을 n은 분석기간을 R t는 t기간에 발생하는 유입액

Ct는 t기간에 발생하는 유출액을 나타낸다 식에서 r은 할인율로서 새로운 투자로부터 획득해야 할 최소한의 수익률을

84) 경제성 분석에서의 순 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과 구분을 해 재무성 분석에서는 재무 순

재가치(FNPV)와 내부수익률(FIRR)로 표기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3

말하며 이는 투자에 한 자본비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무 순 재가치를 산출

하기 해서는 할인율이 먼 결정되어야 하며 일반 으로 가 평균자본비용 혹은

장기 시장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하고 있다 순 재가치법의 장 으로는 순 가

(NPV)가 기업가치의 증가분이라는 논리 타당성이 뒷받침된다는 과 화폐의 시간

가치를 감안한다는 그리고 기업가치의 증가분이 액으로 표시되어 가시성이 있

다는 을 들 수 있다 반면 단 으로는 계산이 복잡하고 퍼센트 수익률에 비해 실

감이 떨어진다는 을 들 수 있다

나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재무 내부수익률법은 계획사업에 한 투자로부터 기 되는 유입과 유출

액의 재가치를 일치시키는 할인율을 산출하고 이를 자본비용과 비교하여 투자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때 재무 내부수익률(FIRR)이란 투자에서 발생한 유입

액과 유출액을 일치시키는 할인율이며 이 할인율이 자본비용보다 높은 경우 재

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0 = 유입액 가합계 - 유출액 가합계

= sumn

t=0

Rt

(1+FIRR) t- sum

n

t= o

C t

(1+FIRR) t(Ⅸ-4)

식을 만족시키는 FIRR이 내부수익률이다 내부수익률법은 흐름에 기 를 두고 재가치로 할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계

산되므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는 평가방법이다 내부수익률은 흐름을 할인

할 기 이 정해지지 않아도 계산이 가능한 장 이 있다 신 사업자체의 수익률을

제시하여 사업주체가 단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내부수익률이 퍼센트 수익률

로 표시되어 실감이 있다 다만 계산이 복잡하고 복수의 내부수익률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단기간 회수가 많은 투자안이 높은 내부수익률을 갖게 되는 경향이 있

다는 단 도 있다

다 회수기간법(Payback Period Method)

회수기간이란 투자자 이 해당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입에 의해 액 회

수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다 회수기간법이란 허용가능한 목표회수기간을 사 으

로 설정하고 그 기간보다 짧은 회수기간을 갖는 투자안을 채택하는 방법이다

2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허용 가능한 최장회수기간(목표회수기간) gt 투자안의 회수기간

회수기간법의 장 은 평가방법 자체가 간편하고 단순하여 이해가 쉽다는 것이다 회수기간이 투자안의 험도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회수기간이 짧을수록 유리

하다는 것은 이 방법을 통해서 결정된 투자안들은 기각된 투자안들보다 유동성이 높

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유동성을 고려하는 투자결정기법이 될 수 있

다 반면 회수기간법의 단 으로는 투자안에서 회수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흐름

을 고려하지 않으며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이다 회수기간법이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 을 보완하기 해 할

인 회수기간법(discounted payback period method)을 사용하기도 한다 할인 회수기간

법은 먼 각 기간의 흐름을 할인하여 각각의 재가치를 구한 후 각 기간의

재가치의 합이 최 의 투자 액과 같아지는 기간을 구하여 기업이 정한 목표회수기

간과 비교하여 더 짧으면 재무 타당성이 있다고 단하는 것이다 할인 회수기간

법은 흐름의 시간가치를 고려하 을 뿐 모든 흐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과 객 이고 합리 인 기 을 선정하지 못한다는 등 회수기간법이 갖는 기타

문제 은 해결하지 못한다 회수기간법 할인 회수기간법은 다른 분석기법을 보조

하기 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라 종합 검토

흐름할인법인 순 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에 비하여 회수기간법은 회수기

간까지만 분석하고 분석기간 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의 특성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체계 인 단기 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른 분석방

법을 통한 평가 안들 사이의 분석결과 차이가 크지 않아 안선택이 어려운 경우에

직면하게 되면 회수기간법을 최종 단의 기 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순 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을 비교해 보면 일반 으로 단일 투자안의 투자가

치를 평가할 때는 두 방법이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나 이론 배경에서 순 재가치

법이 내부수익률보다 우 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순 재가치법은 재투자수익률에

한 가정에 있어서 내부수익률법보다 합리 이라고 평가되고 있고 해당사업가치의

증가분을 계량화하여 나타내 다는 장 이 있다 반면 내부수익률법으로 평가할 경

우에는 투자로부터 기 되는 흐름의 방향이 한 번 이상 변할 경우 복수의 내부

수익률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평가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비타당성

조사 단계에서의 재무성 분석은 세 가지 분석 방법을 모두 시행하여 결과를 제시하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5

되 재무 타당성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해서 재무 순 재가치를 주된 단

기 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lt표 Ⅸ-2gt 투자안의 타당성 평가방법

구 분 정 의 채 택 여 부 우 선 순

회계 이익률

(accounting rate of return)

[연평균 회계 이익] divide [장부상 평균투자액]

투자안의 회계

이익률 ge 목표

이익률이면 채택

투자안의 회계

이익률이 큰 것

부터

회수기간

(PB)흐름수입으로 기 투자액 을

액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기간

투자안의 회수기간

le 목표회수기간lsquo 이면 채택

투자안의 회수

기간이 짧은 것

부터

순 재가치

(FNPV) FNPV= sumn

t=0

Rt

(1+r) t- sum

n

t=0

Ct

(1+r) t

투자안의 FNPV ge0 이면 채택

투자안의 FNPV 가 큰 것부터

수익성지수

(PI)P I= sum

n

t=0

Rt

(1+r) tdivide sum

n

t=0

C t

(1+r) t투자안의 PI ge1 이면 채택

투자안의 PI가

큰 것부터

내부수익률

(FIRR) sumn

t=0

R t

(1+r)t = sum

n

t=0

C t

(1+r)t

투자안의 IRR gek 이면 채택

투자안의 IRR이

큰 것부터

2 현금흐름 추정의 일반 원칙

흐름 추정은 재무성 분석에서 가장 주요한 구성요소 하나로 재무성 분석

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사업의 가치란 해당 사업의 총자산의 시장가치를 지칭한

다 장부가치는 발생주의 회계에 근거한 역사 원가 즉 실 자료에 근거한 원가를

기 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진정한 사업의 가치 즉 lsquo미래가치rsquo를 변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의 액도 역사 원가를 기 으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객

성을 시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는 기 이 되고 있으나 사업의 시장가치를 추정하

는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재무성 분석에서는 시장가치만이 그 의미를 가지므로 시장

가치를 기 으로 기업가치를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사업의 시장가치를 해서는 미래 발생할 흐름을 먼 추정하여 정 할인율

2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구해야 한다 재무성 분석을 하기 한 흐름은 잉여

흐름(free cash flow FCF)으로서 다음 식과 같이 구해지며 이를 손익계산서의 형식

에 따라 표시하면 [그림 Ⅸ-1]과 같다

잉여 흐름(FCF) = 업 흐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 업이익 times (1 - 법인세) + 감가상각비 - 자본 지출 - 추가운 자본

(Ⅸ-5)

[그림 Ⅸ-1] 현금흐름 추정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영업외수입

경상이익

특별이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영업활동으로부터의 현금흐름= 영업이익times(1-법인세율)+감가상각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판매비와 관리비

기타영업외비용

이자비용

법인세

특별손실

(배당 또는 유보)

감가상각비는 손익계산서에서 비용으로 처리되나 실제 유출이 발생하지 않

으므로 업 흐름을 구하려면 감가상각비를 다시 가산해야 한다 운 자본이라

함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차이를 말하는 것인데 운 자본의 증가는 유출을 운 자본의 감소는 유입을 가져온다 추가운 자본은 체로 사업의 업종에 따

라 규모의 차이가 큰데 SOC 사업의 경우에는 유동자산의 이동이 심하지 않으므로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7

운 자본이 그다지 큰 비 을 차지하지 않는다 한편 이자비용은 실제로 발생하는

유출항목이지만 흐름추정에 있어서 유출에서 제외되는데 그 이유는

흐름할인법에 의하여 흐름을 정 할인율로 할인하여 재가치를 계산하는 과

정에 부채사용에 따른 재무 험이 이미 반 되어 있어 이자비용을 유출로 계산

할 경우 복계산 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법인세는 실질 으로 이 유

출되기 때문에 유출에 포함시켜야 한다 원칙 으로 손익계산서상의 회계이익을

기 으로 결정되나 이자비용이나 감가상각비로 인한 세 감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

에 흐름을 측정할 때 이를 별도로 반 시켜야 한다이와 같이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은 우리나라 기업회계기 에 나와 있는

재무제표 하나인 흐름표와 근본 으로 다르다 재무성 분석을 한 흐름

을 추정하기 해서는 먼 투자비 자 조달방법 자기자본ㆍ타인자본비용 비율 감가상각방법 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매년도의 유입과 유출을 추정해야

하며 이는 먼 손익계산서를 산출하는 과정부터 시작한다매년도의 당기순이익 혹은 당기순손실의 크기가 추정되는 손익계산서를 이용하

여 손익분기 분석(break-even-point analysis)을 할 수 있다 수입이 어느 정도 되어야

비용을 보상하고 이익이 발생되는가를 단하는 분석으로서 이를 통해 수요변화가

이익에 미치는 향을 알 수 있다 손익분기 분석은 업개시 후 어느 시 에 이익

이 발생되는지를 단할 수 있게 해주며 매출액 원가 이익 상호간의 계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해 다 한 매출액의 변화가 경 에 미치는 향을 알려주어 이익

계획뿐만 아니라 가격결정ㆍ원가 재무통제 등의 문제에 있어 도움을 수 있다

3 추가적 쟁점

가 불변가격 분석 혹은 경상가격 분석

흐름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요소들이 물가상승에 향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향을 재무성 분석에 어떻게 반 하느냐 하는 것이 요한 쟁 이 된다 핵심 인 문제는 재무성 분석을 불변가격 가정 하에서 수행하느냐 아니면 경상가격 가

정 하에서 수행하느냐의 문제이다 불변가격 분석은 흐름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고 실질가치로 추정한 다

음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재 투자시 에서의 불변가격으로

환산한 흐름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한편 경상가격 분석은 인 이션 비율에

한 가정이 구체 으로 반 되는 분석이다 이론 으로는 흐름 추정에 이용되

2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여러 가지 자료들에 해서 불변이든 경상이든 그 성격에 맞게 일 성 있는 할인

율을 용해 다면 추정된 순 재가치(NPV)가 동일한 수치를 가지게 될 것이다 재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에 의해 공식 으로 민간투자 사업을 평가할 때에는

불변 흐름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국제 융 사회에서의 SOC 사업에 한 재무성

평가는 일반 으로 경상 흐름 방식을 따르는 것이 일반 인 행이다 SOC 사업

의 특성상 규모 자본유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외국자본의 유치가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도 국제 융 사회의 행을 따라 경상 흐름으로

사업성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장기 으로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SOC 사업의 분석

기간이 부분 20년 이상의 장기이기 때문에 물가상승률 측이 그리 수월하지 않아

경상가격에 의한 재무성 분석 시 물가상승률 측에 한 가정에 하여 논란이 될

소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수십년 동안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변동해 왔

으며 향후의 물가상승률에 하여 장기 망이 시도된 사례도 거의 없는 실정이므

로 물가상승률에 한 가정을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물가상승률

망에 있어서는 정부의 인 이션 정책이 어떻게 되는 지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따라서 재의 민간투자사업의 재무성 분석 행을 고려하고 비타당성조사의

경제성 분석에서 비용 편익 등을 불변가격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재무성 분석에서도 불변 흐름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사업

특성상 경상가격으로 분석을 해야 할 경우에는 물가인상률 가정을 고려하여 비용

통행료나 운 수입을 조정하여 정산하고 이에 맞게 할인율을 조정하여 분석하는 형

태를 취하기로 한다

나 할인율의 적용

할인율 용에 있어서 흐름을 불변가격으로 계상하는 경우에는 실질 할인율

을 사용하여 할인하여야 하며 흐름이 경상가격으로 계상된 경우에는 명목 할인

율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무성 분석에 용하는 실질 할인율로는 실질 가 평균할인

율을 사용한다 가 평균할인율은 건설기간 운 기간 동안의 자기자본과 타인자

본 비 에 따른 가 평균자본비용(WACC)을 산출하여 구한다 산출된 가 평균자본

비용에 피셔효과(Fisher Effect)를 고려하여 실질 할인율을 산출한다

피셔효과 실질 할인율 = (1 +명목 할인율 ) divide ( 1 +물가상승률 ) - 1 (Ⅸ-6)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39

실제로 할인율을 얼마로 가정할 것인지의 문제는 보다 체계 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다음 에서 재무성 분석에 용될 수 있는 정 할인율(수익률) 수 을 시산

해 보기로 한다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1 재무적 할인율의 개념

재무 할인율은 민간부문의 투자계획의 심사에 흔히 쓰이는 할인율을 말하며 공공

부문의 투자계획심사에 쓰이는 사회 할인율과 구별하기 하여 부르는 명칭이다이 할인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기회비용으로 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의 가

격에 내포되어 있는 기 수익률이다 구나 자유로이 시장에서 성립되는 가격에 이

증권을 매매할 수 있으므로 기 수익률은 곧 투자자의 자본의 기회비용 즉 자본비

용이 된다

2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정 할인율로 쓰이게 되는 자본비용은 시장 리 로젝트의 업 험 재무

험 등을 반 한다 이 할인율은 해당 사업에 자본을 투자한 투자자들의 험포지션

에 따라 그 크기가 각기 다를 수 있어 이들의 가 평균을 구하는 것이 일반 이다 다음에서는 재무구조가 자본비용에 미치는 향에 해 알아보도록 한다

가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용

자기자본의 기회비용(즉 주식의 자본비용)은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기 수익

률이며 이는 기다림에 한 보상 즉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와 험

리미엄의 합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반 으로 CAPM(Capital Asset Pricing Model) 등

가격결정모형에 근거하여 추정한다자기자본의 기회비용( r s )과 부채비율과의 계를 식으로 표 하면 다음과 같다

r s= r u+(r u - r b )times(1-T ) timesBS (Ⅸ-7)

2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여기서 r u는 무부채기업의 자기자본비용( 업 험에 한 보상만이 포함)을 r b는 부채의 자본비용을 T는 법인세율을 BS는 부채( B ) 자기자본( S ) 비율 즉

부채비율을 나타낸다의 식에 의하면 자기자본의 기회비용 즉 자기자본비용은 기업의 투자 업

활동에 따른 험에 한 보상(즉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과 부채자 조달로 인

해 잔여이익청구권이 더 험해지는 재무 험에 한 보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한 의 식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주식의 자본비용도 높다는 것을 표 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투자사업의 경우도 부채의 비 이 높아질수록 부채의 자본비용은

물론 주식의 자본비용도 커져야 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나 부채비율과 부채자본비용

부채의 기회비용 즉 부채의 자본비용도 자기자본처럼 CAPM에 의한 기 수익률

을 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론 으로는 타당하나 부채와 같은 고정 리부 증권의

경우 체계 험의 정의가 어렵고 시간 으로 안정 이지 못하여 채권의 유통수익

률로 용하고 있다유통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가 오늘의 가격에 채권을 매입하고 만기

까지 보유할 때 얻게 되는 연평균 투자수익률이다 유통수익률은 일반 으로 채권의

험등 에 따라 결정되는데 채무불이행 험이 높을수록 등 이 낮고 등 이 낮을

수록 채권의 유통수익률은 높다실무에서는 무 험이자율에 채무불이행에 한 험 보상율을 가산하여 채권의

유통수익률 즉 부채의 자본비용을 추정하기도 한다 국채의 경우 채무불이행에 한

험이 거의 없다고 가정할 경우 만기가 동일한 회사채와 국채의 유통수익률의 차

이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보상율(default premium)로 볼 수 있다 주식과는 달리 부채는 만기가 지정되어 있는데 만기가 길수록 이자율 변동에 따

른 부채가치의 상 변동성이 커지는 리 험이 있다 한 만기가 길수록 이자

율이 변동함에 따라 다른 곳에 투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유동성 험에도 노출된

다 따라서 이러한 험에 한 리미엄이 반 되어 우상향의 수익률곡선(upward sloping yield curve)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 인 상이다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투자기간이 20년 이상이 되는 장기 사업이므로 부채자 을

공여한 채권자의 경우 리 험과 유동성 험( 는 만기 험이라고 부르기도 함)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험에 한 보상으로 장기국채의 유통수익률

과 단기국채의 유통수익률의 차이(만기 리미엄 는 term premium)를 무 험이자율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1

에 가산하여 장기채권의 자본비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 부채비율과 가중평균자본비용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이란 자기자본비용( r s )과 타인자본비용( r b )을 각 자본에

따른 가 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평균기회비용으로 구한 값이다

r 0= r btimes(1-T )times(B(B+S))+r stimes(S(B+S)) (Ⅸ-8)

식에서 T는 법인세율이며 B와 S는 각각 부채와 자기자본의 시장가치이다부채의 비 이 커짐에 따라 부채의 자본비용과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모두 상승하

게 되지만 법인세 감면효과로 인해 일정수 까지는 부채비 이 높아질수록 가 평균

자본비용은 낮아지는 것이 일반 인 상이다 그러나 부채의 비 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기업 산에 따른 험비용이 커짐

에 따라 가 평균비용도 다시 상승하게 되어 U자 형태의 가 평균자본비용이 나타

나게 된다 따라서 가 평균자본비용이 최소화되는 부채비율이 최 자본구조라고 할

수 있다여기서는 기업 산에 따른 비용을 계량화할 수 없어 이를 무시하고 법인세 효과

만을 감안하여 자본비용과 부채비율과의 계를 [그림 Ⅸ-2]와 같이 표 하 다

[그림 Ⅸ-2] 자본비용과 부채비율

주 r f - 무 험이자율 r u -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s -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b - 부채의 자본비용

2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에서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은 부채비율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자기자본의 자본비용과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의 차이인 재무 험보상

율 역시 부채비율의 증가함수이다 부채의 자본비용( r b )은 이자비용의 법인세 감세

효과를 감안하여 세후자본비용인 ( 1-T ) times ( r b )를 사용한다 법인세 감세효과 때문

에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은 부채비율의 감소함수로 나타나며 그림에서 그 효과

는 ( ru- r 0 )로 표시된다 부채의 세후 자본비용 역시 부채비율의 증가함수인데 이는

채무불이행 험이 감안된 결과이다를 들어 공공투자사업을 하는 기업의 운 험을 감안한 무부채기업의 자

본비용을 12라고 가정하고 무 험이자율은 7이고 평균법인세율은 275라고 가

정했을 때 주식의 자본비용은 다음과 같다

r s= r u+(r u - r b ) times ( 1-T ) timesBS

= 12 + (12 - r b ) times (1 - 0275) times BS (Ⅸ-9)

식에 의해 구해진 r s와 r b를 이용하여 가 평균자본비용이 산출되어진다부채비율에 따른 채무불이행 가산 리(default premium dp)는 아래와 같이 부채비

율의 선형함수로 가정한다

dp()= 05 times(BS) (Ⅸ-10) r b= r f+ dp

이 경우 부채비율의 변동에 따라 부채의 자본비용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그리고

가 평균자본비용을 계산한 결과는 lt표 Ⅸ-3gt과 같다

lt표 Ⅸ-3gt 부채비율과 자본비용

부채비율(BS) 부채의 자본비용() 주식의 자본비용() 가 평균자본비용()

0 700 1200 1200

50 725 1372 1090

100 750 1526 1035

150 775 1662 1002

200 800 1780 980

250 825 1880 970

300 850 1961 953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3

3 자본비용의 추정

가 부채의 자본비용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은 사업에 투자된 부채에 한 기 수익률이지만 실제 상황에서

는 부채와 유사한 험(등 )을 가진 융부채의 유통수익률을 용치로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일반 이다 공공투자사업에 투자되는 차입 의 경우 투자기간이 장

기이고 그에 따른 험도 감안해야 하므로 무 험이자율에 채권의 험보상율을 가

산한 값을 사용하기로 한다

1) 무위험이자율의 추정

무 험이자율은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여 추정한다 투자사업

이 3년을 훨씬 과하는 기간에 걸쳐 흐름이 발생하므로 만기일이 보다 긴 채권

의 유통수익률을 근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년 만기채권은 유동성이 높아 시장

의 상황을 가장 포 으로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다 재 시 의 유통수익률이

단기 수 불균형으로 인해 편의(bias 偏倚)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최근 5년간의 평균치를 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 본 분석에서

사용되는 무 험이자율은 최근 5년간(2000-2004) 3년 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의 평

균치인 57이다한편 SOC 투자의 경우 장기간 자본이 묶여 있어야 하는 것에 한 보상으로 유

동성 리미엄을 가산해야 한다 따라서 미국 국채 리 스 드(3년~30년 만기)의

과거 20년간 평균(약 11)을 감안하여 68를 장기무 험이자율로 사용한다85)

2) 채무불이행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 추정

민자사업의 경우 국민 체의 소비자가 이용하는 SOC시설인 만큼 정부가 민간사

업자가 채무불이행을 하도록 방치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사업자가 지 불능 험에

처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부채의 험은 낮을 것으로 보이나 민간투자자의

부채사용이 상 으로 높음을 감안하여 무 험이자율에 과거 3년간 3년 만기 국고

채 수익률과 3년 만기 회사채 수익률(AA- 등 과 BBB 등 의 평균)의 차이인 20를 채무불이행 험에 한 가산 리로 간주한다86) 결론 으로 부채의 자본비용은

85) 미국 재무부 30년 만기 국채 유통수익률에서 3년 만기 Treasury Note 리를 차감한 스 드 Bloomberg 자료 참조

2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88정도로 추정된다

나 주식의 자본비용 추정

주식의 자본비용( r j )은 무 험이자율과 험보상율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CAPM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r j= r f+β jtimes (rm - r f ) (Ⅸ-11)

여기서 r f는 무 험이자율을 β j는 투자사업의 체계 험을 r m은 시장기

수익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 rm- r f )는 시장의 험에 한 리미엄이다

1) 시장위험 프리미엄의 추정

rm을 직 추정하기는 어려우나 시장의 험 리미엄인 ( rm- r f )는 비교 안

정 인 시계열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으로 사용되는 선진국의 값을 용하도

록 한다 선진 11개국의 지난 30여년간의 험 리미엄이 약 6정도이므로 이 수치

를 사용하기로 한다87)

2) 체계적 위험의 추정

체계 험(systematic risk)이란 시장 험(market risk)라고도 하며 시장수익률과

주식수익률간의 상 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주식의 체계 험은 업 험

과 재무 험을 모두 반 하므로 우선 업 험만을 먼 산출하고 재무 험에 따라

그 규모를 조정하는 방법을 따른다 업 험은 흔히 자산의 베타로 측정하는데 이는 주식의 베타를 구한 후 만일 당해 기업이 부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

한 주식의 베타를 계산한 값이다 따라서 다음 식과 같이 기업의 업 험만을 고려

하는 자산의 베타( βu )를 계산한 후 재무구조에 따라 체계 험을 조정한다

β u= β sdivide [ 1+(1-T )timesBS ] (Ⅸ-12)

여기서 β s는 주식의 베타를 T는 법인세율을 BS는 부채비율을 나타낸다 주식의 베타는 실제로는 회귀식의 기울기로 측정하는 것이 행이다 그러나 민

자로 추진되는 사업만을 하는 상장등록회사가 없어 시장자료를 이용한 험추

86) 한국증권업 회 홈페이지 증권자료실통계자료 wwwksdaorkr 참조

87) 미국의 경우 지난 100년간의 (rm-rf)가 약 8이다(Ibbotson Associates Inc 2003 Year Book 참조)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5

정이 쉽지 않다 건설업종 내 기업의 평균을 용치로 사용하는 사례도 있으나 민자

사업의 험도가 건설업종 내 기업 활동의 험도와 같다고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산업의 베타를 구하는 신에 거래소 는 코스닥에

등록된 상장기업들 시가총액 순서로 400 기업의 자료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 기업에 해 의 식을 이용하여 체계 업 험( βu )을 도출하고 βu가

높은 순으로 400 기업을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 다 민자로 추진되는 사업의 경

우 정부의 손실보 는 보조 지원이 있어 사업자가 부담하는 험의 크기가 어

느 정도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에서 βu의 수 에 따라 분류한 4개 그룹 세 번

째 그룹의 평균 βu를 사용하거나 는 앙값을 사용하는 것이 합할 것이다 세

번째 그룹의 평균 βu는 0406이고 400 기업의 자산베타의 앙값은 0515인 것으

로 추정된다 주식의 베타는 각 기업의 부채비율에 의해 향을 받게 되므로 민자사업의 목표

부채비율에 따라 자산의 베타를 조정하여야 한다

β s= β utimes [1 + (1 - T ) times (목표부채비율)] (Ⅸ-13)

부채비율은 업 험의 크기와 보조 의 수 에 따라 변하게 된다 재 민자사

업에서의 일반 인 행은 부채비율로 300(즉 자기자본의 비 25 타인자본의

비 75)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업 특히 기업집단의 계열기업의 경우 부채비율

200가 상한으로 되어 있고 부채비율이 200 이상으로 높아지면 채무불이행 험

이 가시화될 수 있어 SOC 투자사업의 경우도 200를 목표부채비율로 상정하는 것

이 무난할 것이다 더욱이 민간사업자의 자기자본의 상당부분이 부채로 조달되고 있

는 실을 감안할 때 300의 부채비율은 과도하게 높은 채무불이행 험을 수반할

것이다 외 으로 만일 정부의 보조 이 있고 업 험의 수 도 상 으로 낮다

면 300의 부채비율도 허용할 수 있다 목표부채비율에 의해 조정된 베타를 사용하여 주식의 자본비용을 계산하여 가

평균자본비용을 추정하도록 한다

2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다 가중평균자본비용의 추정

부채의 자본비용( r b )과 주식의 자본비용( r s )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통해 가

평균자본비용( r 0 )을 산출한다

r 0 = (1-T ) times r btimesL+ r stimes (1-L) (Ⅸ-14)

단 L=B(B+S)= 667 T= 275로 가정한다

라 실질 할인율의 계산

미래 흐름의 측은 명목가격에 의한 흐름보다는 불변가격에 의한

흐름의 사용이 자의성개입의 여지가 기 때문에 불변가격으로 계산한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는 방식을 취한다 명목 할인율( r )과 실질 할인율( r )의 계

는 피셔 방정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r = (1+ r ) divide(1+ 기 물가상승률 )-1 88) (Ⅸ-1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기무 험이자율 68 부채비율 200로 가정할 경우 SOC 투자사업의 재무 실질 할인율은 59로 추정되었다 민간투자사업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경제상황의 변동에 따라 베타값 목표부채비율 기 물가상승률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앞의 계산 차에 베타값 부채비율 물가상승률 등을 입하여 응용이 가능

할 것이다89)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비타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도출된 값의

근사치인 6를 재무 실질 할인율로 사용하고자 한다90) 그러나 개별사업에 해

서 사업에 수반된 험도와 정부지원 수 을 감안하여 연구진들이 정한 할인율을

설정할 수 있다

88) 앞에서 기 물가상승률은 3로 가정하 다

89) 각 변수의 조정에 따른 실질 할인율 계산치는 lt표 Ⅲ-10gt을 참조하라

90) 호주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본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할인율은 국제 수 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보인다 호주의 DTF(Department of Treasury and Finance)는 로젝트의 험의 정도에 따라

세 가지 험유형으로 나 어 자산베타를 추정하고 실질 할인율을 구하고 있다 병원시설이나 공용

주택 등 숙박과 련된 서비스는 매우 낮은 험유형에 속하여 자산베타가 03이고 실질 할인율은

5이다 이에 비해 수자원 교통 에 지 부문( 하수도 병원에 지시설 도로 등)은 험이 비

교 낮은 유형에 속하여 자산베타가 05이고 실질 할인율은 60이다 한편 험이 간정도 되는

유형에 속하는 통신 IT기술 부문은 자산베타가 09이고 실질 할인율은 80에 달한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7

4 재무구조와 가중평균자본비용

다음 에서는 가 평균자본비용이 재무구조에 얼마나 민감하게 연 되는가를

알아본다 아래 계산을 해 다음과 같은 시장 라미터를 가정한다

무 험이자율( r f ) = 68

시장 험 리미엄( r m - r f ) = 6

부채의 자본비용( r b )

가정 1 r f + 2 고정가산 리 (그림 Ⅸ-3)

가정 2 r f + 05 times BS (그림 Ⅸ-4)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 = r f + β s times ( r m - r f )

법인세율 = 275

아래의 그래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채비율이 150를 넘으면 가 평균자본비용

이나 실질 할인율 모두 부채비율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공공투자사업의

가를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여 계산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단된다

[그림 Ⅸ-3]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2 고정)

주 r s - 주식의 자본비용 r o - 가 평균자본비용 r - 실질 할인율

2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Ⅸ-4] 재무구조와 자본비용 (부채의 자본비용=무위험이자율+(05)times(BS))

5 기타 할인 방식에 대한 논의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여 흐름을 할인하는 방식의 문제 은 우선 가

평균자본비용를 구하기 한 가 치(부채의 비 )가 사업기간 동안 동일한 수 에서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것이다 재 실무 으로 사용하는 차입 수 에

한 가정은 투자와 업활동으로 인한 흐름은 액 부채상환에 우선 으로 사

용한다는 것이었으므로 부채비 이 같은 수 에서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앞서 수행한 재무구조와 가 평균자본비용간의 분석 결과에서 보듯 부채비 이

150 이상인 경우 가 평균자본비용이 부채비 에 민감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 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목표부채비율이 격하게 변할 것이 상되는 경우 다음에서 설명하는 주주

귀속 흐름할인방식 는 조정 가법(adjusted present value method APV법)을 사용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4 9

가 주주귀속현금흐름 할인방식

주주귀속 흐름(equity cash flows ECF) 할인방식은 사업의 결과 융비용까지

지 한 후 주주에게 귀속되는 흐름을 자기자본의 자본비용( r s )으로 할인하는 방

법이다

주주귀속 흐름 (ECF)

= ( 업이익 - 지 이자) times (1 - T ) - 순투자 - 순부채상환 (Ⅸ-16)

단 순투자 = 총투자 - 감가상각비 순부채상환 = 당기 상환된 부채의 총액 - 당기 발생한 신규차입(부채발행)

이 방식은 투자기간 부채비율 변화에 따른 자본비용 조정의 어려움을 제외하

면 비교 간단한 계산 방식이라 할 수 있다91) 그러나 부채의 상환 스 등이

상손익계산서에 반 되어야 하는데 로젝트의 진행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얼마

만큼의 부채를 사용하고 어떻게 상환할 것인지에 한 상을 하기가 쉽지 않다

는 결 이 있다

나 조정현가법

조정 가법은 로젝트의 기본가치에 로젝트와 련된 부 효과의 가치를 합

산하여 로젝트의 가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로젝트의 기본가치는 기업잉여

흐름(FCF UCF)을 무부채기업의 자본비용( r u )으로 할인하고 법인세 감면효과나

산비용 등은 부채의 자본비용으로 할인하여 산출한다 이 방식은 이외에도 보조 의

계산 헤지 증권발행비용 기타 비용 등 다른 부수 효과를 감안하기에 매우 유용하

고 한 서로 다른 성격의 흐름을 분리하여 다른 할인율로 할인함으로써 가치

창출의 원천에 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도 있다92) 다만 흐름을 분리하

여 계산하는데 실 인 어려움이 있고 각각의 흐름에 맞는 할인율의 산출도 쉽

지 않다는 단 이 있다93)

91) 이 방법은 신공항고속도로의 할인율 산정의 근거가 된 논리이기도 하다(민자유치추진백서 건설교통

부 1996)

92) 흐름의 불확실성은 할인율에 반 하거나 분자에 계상되는 흐름을 험에 따라 축소 조정하

여야 한다 일반 으로 험조정은 분자인 흐름에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험조정이

없으면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자원배분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2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6 인플레이션과 할인율 계산

재무 타당성의 분석은 실질가치로 표시된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여

계산하는 것이 일반 이다 원칙 으로 불변가격으로 추정한 흐름을 실질 할인

율로 할인한 재가치와 경상가격으로 추정한 흐름을 명목 할인율로 할인한

재가치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이는 명목 할인율과 실질 할인율의 계가 피셔 방정

식의 기 물가상승률로 연 되어 있기 때문이다 (1 + 명목 할인율) = (1 + 실질 할인율) times (1 + 기 물가상승률)

그러나 흐름추정에서 사용되는 기 물가상승률과 방정식에서의 물가상승

률이 다를 경우 두 방식이 동일한 NPV를 갖지 못할 수 있다 기 인 이션율(물가상승률)을 감안한 비비를 산정하기는 하나 일반 인 행은 인 이션을 감안

한 비비를 제외한 불변가격 흐름을 실질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다 명목 할

인율을 결정할 때 사용한 기 인 이션율이 비비에 정하게 반 되어 있다면

실질 할인율을 사용하나 명목 할인율을 사용하나 결과에 차이가 없다 공공투자사업은 투자회수기간이 장기이기 때문에 인 이션의 향을 더욱 심

하게 받게 되는데 이 경우 감가상각비가 사업유지를 한 재투자 규모에 못 미칠 수

있어 투자사업의 타당성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감가상각의 법인세 감면효

과도 평가되므로 투자사업의 타당성에 부정 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정책 단시

에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흐름의 추정에 유지보수를 한 재투자가 반드시

산입되어야 하며 인 이션의 투자사업의 타당성에 미치는 향이 하게 반 되

어야 한다

93) 가 평균자본비용을 이용한 할인기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제시된 주주귀속 흐름 할인방식이나

조정 가법에 한 자세한 논의는 최도성(1998) 참조

제Ⅸ장 재무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251

7 재무성 분석의 예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본 장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할인율을 사용하여 2003년에 수행된 ꡔ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건설사업 비타당성조사ꡕ에 사용된 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표로 요

약하 다 수익성 분석표와 재무제표 분석을 한 재정지원비율은 30로 가정하

lt표 Ⅸ-4gt 재무성 분석 요약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구 분 수익성지수 FNPV FIRR

재정지원비율 = 0 (100 민자) 050 -1328 NA

재정지원비율 = 30 075 -680 NA

FNPV = 0이 되는 최소재정비율 64

2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Ⅸ-5gt 수익성 분석표 천안-오창간 고속화도로 (재정지원비율=30)

연 도

수 입 비 용 가계

(수입

-비용)보조

수입

기타

수입

합 계건설비 운 비 법인세

합 계

할인 할인후 할인 할인후

공사 1차 2006 0 0 0 0 0 22 0 0 22 18 -18 2차 2007 0 0 0 0 0 22 0 0 22 17 -17 3차 2008 0 0 0 0 0 43 0 0 43 32 -32 4차 2009 0 0 0 0 0 43 0 0 43 30 -30 5차 2010 0 0 0 0 0 193 0 0 193 128 -128 6차 2011 0 0 0 0 0 577 0 0 577 362 -362 7차 2012 933 0 0 933 552 962 0 0 962 569 -17

8차 2013 260 0 0 260 145 1347 0 0 1347 752 -607 9차 2014 0 0 0 0 0 770 0 0 770 405 -405

운 1차 2015 0 109 0 109 54 0 16 0 16 8 46 2차 2016 0 122 0 122 57 0 18 0 18 9 49 3차 2017 0 137 0 137 60 0 22 0 22 10 51 4차 2018 0 153 0 153 64 0 25 0 25 10 53 5차 2019 0 172 0 172 68 0 30 0 30 12 56 6차 2020 0 192 0 192 71 0 35 0 35 13 58 7차 2021 0 216 0 216 76 0 41 0 41 14 61 8차 2022 0 242 0 242 80 0 47 0 47 16 64 9차 2023 0 250 0 250 78 0 54 0 54 17 61

10차 2024 0 258 0 258 76 0 60 0 60 18 58 11차 2025 0 267 0 267 74 0 68 7 75 21 53 12차 2026 0 276 0 276 72 0 75 16 91 24 48 13차 2027 0 285 0 285 70 0 84 20 104 26 45 14차 2028 0 294 0 294 69 0 94 23 117 27 41 15차 2029 0 304 0 304 67 0 104 26 130 29 38 16차 2030 0 315 0 315 65 0 113 30 143 30 35 17차 2031 0 325 0 325 64 0 125 33 157 31 33 18차 2032 0 336 0 336 62 0 136 35 170 31 31 19차 2033 0 347 0 347 60 0 147 37 184 32 28 20차 2034 0 359 0 359 59 0 160 38 198 33 26 합 계 1193 4956 0 6150 2043 3977 1454 264 5695 2723 -680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3

lt표 Ⅸ

-6gt

추정

손익

계산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구 분

기 간

합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매 출

액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36

7 42

4 45

1 48

0 51

1 54

4 57

9 61

6 65

6 69

9 74

4 79

2 84

3 89

7 9

974

행료

수입

155

179

206

238

275

318

367

424

451

480

511

544

579

616

656

699

744

792

843

897

997

4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매출

원가

213

215

221

227

235

244

254

267

280

295

313

329

352

377

403

430

462

496

532

574

672

0

운권

상각

비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19

2 3

846

로유

지보

수비

20

23

29

34

43

52

62

75

88

103

121

137

160

184

210

238

270

304

340

382

287

4

매출

총이

익-5

8 -3

6 -1

4 12

40

73

11

3 15

7 17

1 18

5 19

8 21

5 22

7 24

0 25

3 26

9 28

2 29

5 31

0 32

3 3

254

비와

일반

리비

3 4

4 5

6 6

7 8

9 10

10

11

12

12

13

14

15

16

17

18

19

9

업이

익-6

1 -4

0 -1

9 7

35

67

106

148

162

176

188

204

215

227

240

255

267

279

294

305

305

5

자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5

17

29

42

93

이자

161

163

164

163

161

157

151

142

130

117

102

86

69

51

32

12

0 0

0 0

186

4

경상

이익

-222

-2

03

-182

-1

56

-127

-9

0 -4

5 6

31

59

86

118

146

176

208

243

272

296

323

347

128

5

인세

0 0

0 0

0 0

0 0

0 0

13

32

40

48

57

67

75

81

89

95

597

당기

순이

익-2

22

-203

-1

82

-156

-1

27

-90

-45

6 31

59

73

86

10

6 12

8 15

1 17

6 19

7 21

5 23

4 25

2 68

8

254

타당

성조

사 수

행을

일반

지침

수정

완 연

구(제

4)

lt표 Ⅸ

-7gt

추정

대차

대조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구 분

공 사

기 간

기 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차

2차3차

4차5차

6차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5

2016

2017

2018

2019

자산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2

659

384

6 3

654

346

2 3

269

307

7 2

885

269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설인

자산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2

659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84

6 3

654

346

2 3

269

307

7 2

885

269

2

부채

0

0 0

0 0

0 0

150

4 2

691

272

1 2

732

272

2 2

686

262

1 2

518

0 0

0 0

0 0

0 1

504

269

1 2

721

273

2 2

722

268

6 2

621

251

8

자본

23

48

98

14

9 38

6 1

117

115

5 1

155

115

5 93

3 72

9 54

7 39

1 26

4 17

4

23

48

98

149

386

111

7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여결

0 0

0 0

0 0

0 0

0 -2

22

-425

-6

08

-764

-8

91

-981

(

당기

순이

익)

0 0

0 0

0 0

0 0

0 -2

22

-203

-1

82

-156

-1

27

-90

부채

와자

본 총

23

48

98

149

386

111

7 1

155

265

9 3

846

365

4 3

462

326

9 3

077

288

5 2

692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5

(표 Ⅸ

-7

계속

)

구 분

기 간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4

자산

2

500

230

8 2

115

192

3 1

731

153

8 1

346

115

4 96

2 94

5 1

142

135

7 1

591

184

3

0

0 0

0 0

0 0

0 0

175

565

972

139

9 1

843

설인

자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250

0 2

308

211

5 1

923

173

1 1

538

134

6 1

154

962

769

577

385

192

0

부채

2

371

217

3 1

950

169

9 1

433

115

5 85

7 53

7 19

3 0

0 0

0 0

237

1 2

173

195

0 1

699

143

3 1

155

857

537

193

0 0

0 0

0

자본

12

9 13

5 16

6 22

5 29

8 38

4 49

0 61

7 76

8 94

5 1

142

135

7 1

591

184

3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115

5 1

155

여결

-10

26

-10

20

-989

-9

30

-857

-7

71

-665

-5

38

-387

-2

10

-13

202

436

688

(

당기

순이

익)

-45

6 31

59

73

86

10

6 12

8 15

1 17

6 19

7 21

5 23

4 25

2

부채

와자

본 총

250

0 2

308

211

5 1

923

173

1 1

538

134

6 1

154

962

945

114

2 1

357

159

1 1

843

256

타당

성조

사 수

행을

일반

지침

수정

완 연

구(제

4)

lt표 Ⅸ

-8gt

추정

현금

흐름

천안

-오

창간

고속

화도

로 (

재정

지원

비율

=30

)

공 사

기 간

기 간

1차2차

3차4차

5차6차

7차8차

9차1차

2차3차

4차5차

6차20

0620

0720

0820

0920

1020

1120

1220

1320

1420

1520

1620

1720

1820

1920

20업

활동

으로

인한

0 0

0 0

0 0

0 0

0 -3

0 -1

1 10

36

66

10

2

유입

0 0

0 0

0 0

0 0

0 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행료

수입

0 0

0 0

0 0

0 0

0 15

5 17

9 20

6 23

8 27

5 31

8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업외

수익

(이자

수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0

0 0

0 0

0 0

0 0

185

190

197

202

210

216

매출

원가

(유지

보수

비 등

)0

0 0

0 0

0 0

0 0

20

23

29

34

43

52

매비

와일

반리

비0

0 0

0 0

0 0

0 0

3 4

4 5

6 6

업외

비용

(지이

자)

0 0

0 0

0 0

0 0

0 16

1 16

3 16

4 16

3 16

1 15

7

인세

등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투자

활동

으로

인한

름-2

3 -2

4 -5

0 -5

1 -2

37

-731

-1

255

-1

854

-1

187

0

0 0

0 0

0

유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5

4 1

187

0 0

0 0

0 0

투자

비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1

0 1

065

0 0

0 0

0 0

건설

이자

0 0

0 0

0 0

0 44

12

2 0

0 0

0 0

0 재

무활

동으

로인

흐름

23

24

50

51

237

731

125

5 1

854

118

7 30

11

-1

0 -3

6 -6

6 -1

02

입23

24

50

51

23

7 73

1 1

255

185

4 1

187

30

11

0 0

0 0

자본

의 증

가23

24

50

51

23

7 73

1 38

0

0 0

0 0

0 0

0

입의

증가

0

0 0

0 0

0 0

150

4 1

187

30

11

0 0

0 0

건설

비에

차입

0 0

0 0

0 0

0 1

460

106

5 0

0 0

0 0

0

이자

한 차

입0

0 0

0 0

0 0

44

122

30

11

0 0

0 0

국고

보조

의 증

가0

0 0

0 0

0 1

217

350

0 0

0 0

0 0

0

유출

0

0 0

0 0

0 0

0 0

0 0

10

36

66

102

차입

의 상

0 0

0 0

0 0

0 0

0 0

0 10

36

66

10

2

당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기의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기말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제Ⅸ

장 재

무 타

당성

분석

보완

연구

25

7

(표 Ⅸ

-8

계속

)

구 분

기 간

7차8차

9차10

차11

차12

차13

차14

차15

차16

차17

차18

차19

차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업활

동으

로인

흐름

14

7 19

8 22

3 25

1 26

6 27

8 29

8 32

0 34

3 36

9 39

0 40

7 42

6 44

4

유입

367

424

451

480

511

544

579

616

656

699

749

809

872

939

통행

료수

입36

7 42

4 45

1 48

0 51

1 54

4 57

9 61

6 65

6 69

9 74

4 79

2 84

3 89

7

타수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외수

익(이

자수

입)

0 0

0 0

0 0

0 0

0 0

5 17

29

42

유출

220

225

228

229

245

266

281

296

313

330

359

401

446

495

매출

원가

(유지

보수

비 등

)62

75

88

10

3 12

1 13

7 16

0 18

4 21

0 23

8 27

0 30

4 34

0 38

2

비와

일반

리비

7 8

9 10

10

11

12

12

13

14

15

16

17

18

외비

용(지

이자

)15

1 14

2 13

0 11

7 10

2 86

69

51

32

12

0

0 0

0

인세

등0

0 0

0 13

32

40

48

57

67

75

81

89

95

자활

동으

로인

흐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출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자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건설

이자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재무

활동

으로

인한

름-1

47

-198

-2

23

-251

-2

66

-278

-2

98

-320

-3

43

-193

0

0 0

0

유입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자본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0 0

0 0

0

입의

증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설비

한 차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이자

한 차

입0

0 0

0 0

0 0

0 0

0 0

0 0

0

고보

조의

증가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47

198

223

251

266

278

298

320

343

193

0 0

0 0

차입

의 상

147

198

223

251

266

278

298

320

343

193

0 0

0 0

배당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의 증

가0

0 0

0 0

0 0

0 0

175

390

407

426

444

기의

0

0 0

0 0

0 0

0 0

0 17

5 56

5 97

2 1

399

기말

0 0

0 0

0 0

0 0

0 17

5 56

5 97

2 1

399

184

3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비타당성조사는 공공투자사업의 사 타당성을 국민경제 에서 검토하

는 데 주목 이 있으므로 타당성이 검증된 사업의 경우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

는 것을 기본 제로 한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는 공공투자사업의 최 단계로서

국민경제 에서 타당성을 검증할 뿐만 아니라 향후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것으

로 상되는 다양한 사회경제 쟁 과 정책 고려사항들을 사 에 제기해두고 보

다 효율 인 재원분담체계나 사업추진방식 등에 해서도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기

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공투자사업의 사업추진방식 가운데 하나인 민간투자사업에

해서도 재무성 분석을 통하여 그 추진 가능성을 단해오고 있다 그러나 기존

비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 평가는

유용한 정책 단 자료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 즉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과 련된 사업제안 입찰 사업자 선정 상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진이 일정한 가정 하에 사업주체의 입장에서 해당사

업의 사업성 망을 사 으로 악하는 수 의 재무성 분석을 통해서는 과연 민간

사업자가 해당사업에 참여할 충분한 유인이 있는지 여부를 가려내기 쉽지 않고 국가 인 차원에서도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해

의사결정하기 어려운 것이 실이었다 한 민간사업자의 입장에서 정 사용료 수

을 반 하여 이용수요를 추정하지 못하는 등 분석 방법론상의 한계도 있었다본 장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여 앞서 제시한 재무성 분석 지침을 바탕으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정부 민간사업자 입장 모두를 고려하여 민간투자사업 추

진의 합성을 개략 으로 단할 수 있는 보다 발 된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방안은 비타당성조사에 당장 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나 향후 보다 구체 인 연

구를 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논의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59

개를 해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 추진 황을 간략히 정리하고 최근의 제도

개선방향에 해서도 개 하고자 한다

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1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및 지정 기준

정부는 사회간 자본 건설사업에 한 민간투자 활성화를 해 1994년부터 시행

해온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자유치 진법(이하 민자유치 진법)」을 1999년에 「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투자법(이하 민간투자법)」으로 개정하고 이후 매년 「민

간투자사업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통해 구체 인 민자사업 추진방향 지침을

제시해왔다 민간투자사업의 선정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서 재정사업 사업성이 우수하고

정부보다 민간이 추진하는 편이 효율 일 것으로 상되는 사업을 정부 주무부처가

선정하여 민간사업자를 공모하는 정부고시사업과 민간사업자가 공공투자사업 수

익성이 있다고 단되는 사업을 자체 으로 발굴하여 정부에 제안하는 민간제안사업

으로 나뉜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차는 정부고시사업과 민간제안사업별로 다음과 같

은 단계를 밟는다

2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gt 민간투자사업 추진 절차

단계정부고시사업 민간제안사업

수행업무 담당주체 수행업무 담당주체

1 상사업 지정 주무 청 기획 산처 사업제안서 제출 민간부문

2시설사업기본계획

의 수립 고시주무 청 제안내용의 검토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3 사업계획의 제출 민간부문 제안내용의 공고 주무 청

4사업계획의

검토평가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제안서의

검토평가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5실시 약 체결 등

사업시행자 지정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실시 약 체결 등

사업시행자 지정

주무 청 민간투자지원센터

6실시계획의

승인신청 승인사업시행자 주무 청

실시계획의

승인신청 승인

사업시행자 주무 청

7공사시행

공확인사업시행자 주무 청

공사시행

공확인

사업시행자 주무 청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이러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차에서 비타당성조사와 련되는 단계는 정부고

시사업의 상사업 지정 단계이다 민간제안사업은 기본 으로 민간사업자가 수익성

있는 사업을 발굴하고 사업규모와 노선(입지) 등 사업계획을 자체 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공공투자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와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 추진된다 다만 민간제안사업의 경우에도 련 정부부처의 계획에 포함되어 있거나 검토된 바

있는 사업이 많기 때문에 정부추진 안(재정사업)과의 비교가 필요하며 해당 사업이

비타당성조사를 거친 사업이라면 비타당성조사를 일종의 정부실행 안으로 삼

아 비교검토가 가능할 것이다 정부고시 민간투자사업은 비타당성조사와 본타당성조사를 거친 사업 민간

투자사업으로 추진하기에 합한 사업을 사업 주무부처가 기획 산처에 지정신청

하도록 되어 있는데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과 가능성은 비타당성조사 단계

에서 개략 으로 검토되고 있다 정부고시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총사업비 규모에 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1

라 심의 지정 차가 달라지는데 기본 으로 주무부처의 재량에 따라 사업이 지

정 고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t표 Ⅹ-2gt 민간투자사업 지정 절차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총사업비 국고지원 지정 차

2천억원 미만 300억원 미만 - 주무 청의 자체 지정 고시 후 기획 산처에 통보

2천억원 미만 300억원 이상

- 비타당성조사를 거침 - 주무 청의 단에 따라 별도의 본타당성조사를 생략할 수

있음 주무 청 자체 지정 고시 후 기획 산처에 통보

2천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

- 비타당성조사 불필요 - 상사업 지정 에 타당성분석을 실시하고 민간투자

지원센터의 검토를 거쳐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의 심의를

받음

2천억원 이상 300억원 이상

- 비타당성조사 본타당성조사 시행 후 민간투자

지원센터의 검토를 거쳐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의 심의를

받음

500억원 이상 300억원 이상- 비타당성조사를 통해 민간투자가능사업으로 합한지

여부를 1차 으로 단해야 함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체 추진 단계에서 비타당성조사는 사업의 타당성에 한 비 검토단계이

며 특히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한 재무성 분석은 개략 인 수 에

서 행해지므로 본타당성조사 심의 원회 심의 등 이후 단계에서 보다 면 한 평가

검토가 수반된다민간투자 상사업의 지정은 사업주무부처와 심의 원회가 담당하고 있는데 민

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에 해서 민간투자법에서는 구체 으로 규정하는 바가 없

고 신 기본계획을 통해 이를 제시하도록 되어있다 2004년 기본계획에 제시된 민

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은 다음과 같다

2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3gt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기준

구분 선정원칙

공통

수익자 부담능력원칙 양질의 서비스 제공과 이에 부합하는 이용자의 높은

사용료 부담이 가능한 사업

수익성원칙 정부가 허용가능하고 이용자가 지불가능한 사용료로서

정부의 보조 수 하에서 사업자의 투자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

사업편익의 원칙 목표연도 내 사업완료와 이에 따른 시간가치가 큰 사업

효율성 원칙 민간의 창의를 활용한 건설운 의 효율성과 경쟁에 의한

서비스 질 제고가 기 되는 사업

재정사업과 민자사업간 상호 환 허용 재정사업으로 추진 인 사업

가운데 재정여건 시 성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타당성이 있을 때

민간투자사업으로의 환이 가능하며 민간투자사업 추진 에 사업계획

제출이 없거나 과도한 정부 재정지원 요구 등으로 추진이 곤란한 사업에

해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 재정사업으로의 환 가능

정부고시사업

민간투자법에서 규정한 시설유형에 부합

SOC 련 장기계획 국가투자사업 우선순 에 부합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율 이라고 인정되는 사업

민간제안사업

민간투자법에서 규정한 시설로서 주무 청이 민간투자 상사업으로

지정고시하지 않은 사업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이 가능한 사업

건설운 단계에서 사업비 유지 리비 감과 부정 환경 향을

감시킬 수 있는 설계 공법 기술을 용하는 사업을 우선시

국내외에 독 권리나 지 재산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공법 기술을

용하는 경우 우선 고려

정부의 재정지원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우선시

자료 기획 산처ꡔ2004년도 기본계획ꡕ 2004

기본계획에 제시된 민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은 원칙 인 규정으로 실제로 선

정과정을 해서는 보다 구체 이고 체계 인 기 이 필요하며 상사업의 수익성과

정 사업규모 총사업비 사업의 험도 등에 한 정 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

다 특히 정부고시사업의 부분이 자체 으로는 수익성이 없어 국고지원이 필수

인 상황에서 정 재정지원 수 에 한 사 인 단 기 이 마련될 필요성이 제

기된다 민간투자 상사업 선정기 마련과 평가방안에 한 내용은 최근의 민간투

자제도 개선방향에 한 검토와 지침 보완 부분에서 상론하기로 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3

2 민간투자사업 추진 실적

민간투자사업은 1994년에 「민자유치 진법」이 제정되면서 본격 으로 추진되었

고 기획 산처를 통해 통합 리 되기 시작하 다 1994년 이 에는 도로법 철도법 항만법 하수도법 등 각 SOC 시설별 개별법상의 련 근거조항을 토 로 민자유치사

업이 추진되었으며 1968년부터 1993년까지 총 93건(사업비 규모 3조 3589억원)이

추진된 바 있다 동 기간에는 환경시설 문화 시설 등에는 민자유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로 공항 항만 등 형 기간시설을 주로 투자가 유치되었다 특히 최근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가장 활발한 도로시설의 투자 실 은 상 으로 미미하 음을

알 수 있다

lt표 Ⅹ-4gt 사회간접자본시설 민자유치사업 실적(1968~1993)

시설부문 사업수 사업비(억원) 사업명

도 로 6 1321 인천고속도로 원효 로 구덕터 등

철 도 12 8244 청량리역 등 민자역사

항 만 52 15394 부산 양항 컨테이 부두

공 항 16 3200 의왕 양산 ICD 복합화물터미

화물기지 4 4719 김포국제선터미 등

발 소 3 891 울산화력 등

합 계 93 33589

자료 사회간 자본기획단ꡔ사회간 자본 주요통계ꡕ 1993

그 이후로는 1994년에 「민자유치 진법」이 제정되고 동법이 1998년에 「민간투자

법」으로 개정되면서 민간투자 추진 차와 상사업 선정 상기 등에 한 통

합 근거가 마련되었고 주무부처와 민간사업자 기획 산처 민간투자지원센터 등

련 주체의 역할과 계가 명문화되면서 민간투자사업은 보다 활발히 추진되고 사업

부문도 다양화되기 시작했다1998년부터의 민간투자사업 투자실 을 종합 으로 살펴보면 2004년 9월 재

실시 약이 체결된 국가 리사업을 기 으로 총 37개 사업이 추진되었는데 이

완공된 사업은 인천신공항고속도로 천안~논산간 고속도로 등 11개 사업이며 나머지

사업은 시공 이거나 착공 비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악된다 기획 산처에서 집계

2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투자비 규모로 보면 37개 체 사업의 총사업비는 29조원에 달하는데 이 같은 투

자실 은 체 SOC 투자 비 비 이 1998년 44에서 2004년(계획) 127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lt표 Ⅹ-5gt 최근의 사회간접자본시설 민간투자 실적

98 00 02 03 04(계획)

체SOC투자 (조원) 122 152 176 204 198

∙재정투자 117 142 160 183 171

∙민간투자 05 10 16 21 25

민간투자비 () 44 65 94 104 127

자료 기획 산처 「rsquo04~rsquo08 국가재정운용계획(안)」 2004 9

시설유형별 추진실 은 상사업 지정 황의 분류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민간

투자법 제2조 1항에서는 민간투자가 가능한 사회간 자본시설(SOC)을 도로법 철도

법 등 시설부문별 근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설로 정의하고 있는데 사실상 모든

SOC 시설이 민간투자 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기본계획에 제시된 35개 SOC 시설유형별 추진 실 을 살펴보면 1995~2004년 기

간 동안에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된 47개 사업 가운데 도로분야가 20건 항만분야가

11건 철도분야 8건 유통분야 5건 환경분야 2건 문화 분야 1건 순으로 집계되었

다 이러한 결과는 이 기간에 비해 사업부문이 다소 다양화되었고 규모 국가 기

간시설뿐만 아니라 터 교량 등 수익성이 높은 소규모 지역 교통사업에도 민간투

자사업이 확 되고 있다는 을 말해 다 그러나 도로부문에 한 투자가 크게 증

가하는 등 여 히 교통사업 주로 사업이 추진되고 환경 수자원 문화 부문 등

수익성이 낮고 공공성이 보다 강조되는 사업부문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은 거의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5

lt표 Ⅹ-6gt 시설부문별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현황(1995~2004)

분야(유형수) 소 부처 사회간 자본시설 유형 사업수 비고

도 로 분 야(3) 건설교통부도로 도로부속물 노외주차장 지능형 교통체계

20구~부산 고속도

로 등

철 도 분 야(3)철도청 철도 철도시설 1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교통부 도시철도 7 용인 경 철 등

항 만 분 야(2) 해양수산부 항만시설 어항시설 11 부산신항만 등

공 항 분 야(1) 건설교통부 공항시설 0

수자원분야(3)건설교통부 다목 하천부속물 0

환경부 수도 0

정보통신분야(4)정보통신부

기통신설비 정보통신망 고

속정보통신망0

건설교통부 지리정보체계 0

에 지분야(3) 산업자원부원설비 가스공 시설 집단에

지시설0

환 경 분 야(5) 환경부

분뇨처리시설 축산폐수공공처

리시설 폐기물 처리시설 폐수종

말처리시설 재활용시설 하수도

하수종말처리시설

2라북도 환경기

시설 용인시 하

수처리시설

유 통 분 야(3) 건설교통부유통단지 화물터미 창고 여객자동차터미

5호남권 복합화물

터미 등

문화 분야(8)

문화 부

지 단지 청소년수련

시설생활체육시설 도서 박물

미술 국제회의시설

1용유무의 단

지 조성

과학기술부 과학 0

건설교통부 도시공원 0

합계 47

주 민간투자사업심의 원회에서 지정된 사업을 기 으로 rsquo04년 6월말 재 집계임

2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민간투자사업의 사업부문별 추진 실 을 총사업비 기 으로 살펴보아도 이러한

사실은 확인된다 즉 2004년 9월 재까지 약이 체결된 총 111건의 사업 도로부

문에 한 투자액은 약 17조 4천억원으로 체 투자 규모 33조 8천억원의 5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도로 도시철도 항만 등 교통부문사업 이외에 환경 주차장 기타 부문의 비 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Ⅹ-7gt 민간투자사업 사업부문별 총사업비 현황

합계 도로 도시철도 항만 환경 주차장 기타

액(조원) 338 174 61 59 16 01 27

() (100) (515) (180) (175) (47) (03) (80)

주 2004년 9월 재 약체결된 사업 111건 기 자료 기획 산처 「rsquo04~rsquo08 국가재정운용계획(안)」 2004 9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1 민간투자사업 추진상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1998년 「민간투자법」 개정 이후 민간투자사업이 양 으로

팽창하고 부문도 다양화되는 등 정부 재정부담을 이고 SOC 투자를 원활하게 하는

데 일조하고 있지만 제도 인 측면과 실제 추진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 과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재까지 민간투자사업 추진에 있어 제기되어온 문제 으로는 교통시설 등 투자

상 사업부문의 편 수익성이 부족한 사업의 추진과 이에 따른 과도한 정부 재정

지원발생 사업자의 도덕 해이 경쟁이 담보되지 못하는 상 심의 구조 재무

투자자 등 비건설사의 참여 조 민간투자사업 상사업 사업자 선정에 해

체계 인 평가와 분석이 미흡했던 등이 지 되고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7

2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앞서 거론한 문제 들과 련하여 정부는 최근 민간투자제도의 반 인 개선안

을 발표하고 이를 반 하여 민간투자법 개정안을 입법 고한 바 있다 그 주요 내용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형 SOC 사업에 편 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고 상

사업의 범 를 확 하기 해 국민생활에 하고 비교 소규모 시설로서 험도

가 낮은 교육 복지시설 등을 민간투자 상시설 범 에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

시설 유형을 재의 총 35개에서 42개로 확 하고 법명칭도 lsquo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투자법rsquo에서 lsquo사회기반시설에 한민간투자법rsquo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 공공성에 비해 수익기반이 열악하여 민간투자가 유도되기 어려웠던 수자

원시설 문화체육시설 교육 복지시설에 한 투자를 유도하기 해 재 활용되

고 있는 사업시행방식인 BTO(건설-이 -운 ) BOT(건설-운 -이 ) BOO(건설-소유

-운 ) 이외에 BTL(건설-이 -임 ) 방식을 도입하여 민간사업자가 자 투자와 건설 운 을 담당하고 이에 해 정부가 시설임 료와 운 비를 지 함으로써 사업 험을

부분 정부가 부담하는 사업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경쟁이 담보되지 못하고 과도한 정부재정지원이 발생하는 문제와 련하여

동 개선안에서는 정부고시사업에서 경쟁입찰을 의무화하는 원칙을 주요 개선 방안으

로 제시하 다 한 단독 응찰된 민간제안사업에 해서도 한 차례 모집공고를 의

무화하는 ldquo단독 제안사업 유찰제도rdquo가 시행될 정이다셋째 민간투자 상사업의 엄 한 선별을 한 평가체계의 개선과 련해서는

2005년부터 총사업비 3천억원 이상의 민간제안사업에 해 ꡔ민간투자사업 격성조

사ꡕ를 실시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본 조사는 민간투자사업의 비타당성조사와

같은 기능으로서 민간투자 검토사업에 한 수요 재추정과 경제성 재무성 분석을

실시하여 사업 타당성을 검증하고 민자사업가상 안과 재정사업 안의 비교평가

를 통해 민자사업 추진의 격성을 단하는 체계로 구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재원과 참여자의 다양성 확보와 사업제안과정의 경쟁 제고를

해 공모 인 라 펀드의 참여와 세제지원 행정체계 개선 등 재무 투자의 활성화 방

안을 밝히고 있다이와 같은 제도 개선안은 그간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문제 을 해소하는 데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업부문별로 정한 건설비 보조 운 수입보장 수 에

한 세부 인 검토와 수요추정의 정확성과 사용료 수 의 정성을 제고하는 방안 기타 상과정의 실무 인 세부 차의 정비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

2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히 사업 자체의 타당성이 검증된 특정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 혹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한지 여부를 기단계에서 엄 히 분

석하는 것이 차후 불필요한 비용을 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요할 것으로

단된다 이하에서는 공공투자사업의 추진방식에 한 선정기 으로 자 의 유용성(Value

For Money 이하 VFM)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국과 일본의 사례를 살펴 으로써

본 방법론을 우리나라의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용이 가능한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1 영국의 사례

가 PFI 사업의 추진 현황

국은 1992년 공공투자사업에 한 민간사업자들의 극 인 참여를 유도하여

재정부담을 경감하고 민간부문의 효율성 창의성을 도입하기 한 방안으로

Private Finance Initiative(이하 PFI)를 제창하 다 PFI 제도는 국유재산의 민 화 공

기업의 일정 지분 매각 제휴 계를 통한 공공자산의 공동 개발 등을 포 하는 민

트 쉽(Public Private Partnerships PPPs)의 일종으로 공공시설의 설계건설운

을 민간업체에 맡기고 정부는 민간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 해 일정한 가를 지

불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

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 으로 한다 국의 공공부문에 한 총투자는 [그림 Ⅹ-1]과 같이 1997년부터 차 증가하기

시작하 다 이 PFIPPP 방식에 의한 투자는 지난 5년간 약 10~135로 공공부문

총투자의 일정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측

되고 있다 2003년 7월 재 PFI 방식으로 완공된 사업은 총 451건으로 주요 분야는

병원 보건시설(187건) 교통사업(23건) 교육시설(239건) 소방서 경찰서(34건) 교도소 수자원시설 등이다 총사업비 측면에서 보면 규모가 큰 도로사업을 포함하는

교통 련 사업이 22를 차지하고 보건사업이 16를 차지하고 있다 총사업비 규모

로 비교한 부처별 PFI 사업의 규모는 [그림 Ⅹ-2]와 같다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극 으로 PFI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계약이 체결된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69

사업수가 119건에 이르며 이 재 97개 사업이 운 단계에 있다 지방정부의

PFI 사업은 주로 학교 소방서 주택건설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Ⅹ-1] 영국 공공사업분야 총투자액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공공부문 순투자 감가상각 자산매각 PFI 투자

투자액

(십억£)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그림 Ⅹ-2] 부처별 PFI 사업의 총사업비 규모

보건부

기타교육기술부

내무부

부수상실

환경식품농업부

교통부

노동연금부

내국세 세입청분권화된

행정기구

국방부

보건부

기타교육기술부

내무부

부수상실

환경식품농업부

교통부

노동연금부

내국세 세입청분권화된

행정기구

국방부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2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국의 PFI 사업은 건설 운 을 담당하는 민간사업자에게 정부가 서비스 가

를 지불하는 형태로 민간사업자가 직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징수하여 투자비를 회

수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독립채산제 방식으로 운 되는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 방식

과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산제약으로 인해 불규칙 으로

혹은 부진하게 수행되었던 공공사업에 한 투자를 증진하고 정부가 공공시설 투자

운 에 집행하는 재정지출을 측가능하고 안정 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실제로 2003년 재 국정부가 PFI 사업자에게 지불한 비용은 총 가

용 산의 2 수 에 불과해 PFI 사업의 재정에 한 부담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국은 PFI 제도의 도입 이래 민간투자사업의 비 을 꾸 히 증가시켜 오면서

상사업 선정에 한 방법론 리체계 개발 측면에 있어서도 지속 인 개선보완

작업을 수행해왔다 이러한 국의 PFI 제도는 일본 필리핀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등 여러 나라들이 자국의 법제도에 맞는 민간투자제도를 마련하는 데 모태가 되었다

나 PFI 사업 추진의 기본 원칙

국 재무부(HM Treasury)는 Value for Money(이하 VFM)가 있는 경우에만 PFI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원칙으로 공공투자사업의 조달방식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

다 VFM는 사업의 목표를 실 하기 해 사업 기간에 걸쳐 소요되는 총비용과

사업의 결과로 산출되는 서비스의 질 간의 최 조합을 구하여 평가하는 것으로94) PFI 방식을 포함한 여러 조달방식 VFM이 높은 방식을 택하여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VFM은 정량 으로 산정 가능한 비용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정성

인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보다 정 한 VFM 분석에 앞서 일차 으로 다음과 같은 성격을 지닌 공공투자사

업에 해 PFI 방식에 한 평가를 고려할 수 있다

건설과 운 과 련된 여러 험에 한 효율 인 리가 요구되는 형 투자

사업

서비스 구조가 PFI 방식에 합한 사업 즉 정부가 장기 인 서비스 요구 수

을 민간에게 명확히 제시할 수 있고 민간과 공공부문간 험분담이 명확히 정

의될 수 있는 사업

사업과 련된 자산 서비스가 계약 기간에 걸쳐 장기 으로 비용화 가능

94) 국 Government Accounting에서는 Value for Money를 lsquothe optimum combination of whole-life cost and quality(or fitness for purpose) to meet the user requirement로 정의하고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1

한 사업

사업과 연 된 기술 등이 속히 변화하지 않고 안정 인 사업

장기에 걸친 사업

민간사업자가 참여할 인센티 가 있는 사업 등

재무부에서는 2003년 7월에 그간의 PFI 사업 추진 황을 고찰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한 「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를 발간하고 이에 한 후속작업으로

당해년도에 새로 발간된 Green Book의 내용에 입각하여 2004년 8월 「VFM Assessment Guidance」를 통해 실부 인 VFM 산정방법을 제시하 다 이는 기존에

PFI 사업 추진에 한 지침으로 사용되어 왔던 Treasury Taskforce의 Technical Note를

체하는 지침이라 할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VFM 평가를 세 단계에 걸쳐 실시하

고 특히 사업계획 기단계에서 VFM 평가를 수행하여 조달방식의 결정 도변

경을 한 유연성을 증 시킬 것을 강조하 다 한 VFM 산정시 비용 측면에 비

해 상 으로 평가될 수 있는 정성 인 측면에 한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사업의 각 추진 단계에 따른 VFM 산정방법 과정은 다음에서 보다 자세히 설

명하도록 한다

다 PFI 대상사업 선정 절차

국 재무부의 PFI 추진지침 하나인 「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1999년 보완)에서는 PFI 사업의 추진 체계를 lt표 Ⅹ-8gt과 같이 체 14단계

로 구성하 다 이 3912단계에서 정부실행 안(Public Sector Comparator 이하 PSC)을 산정하여 정량 인 VFM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95)

3단계에서는 거사업안(목표된 산출량 혹은 성과를 달성하기 해 시범 으로

작성된 사업안) 작성시 총사업비와 정량화된 험비용을 포함한 개략 인 형태의

PSC를 산정한다 이 때 수행하는 험분석은 개략 인 수 이기 때문에 험의 발생

가능성을 정확하게 측할 수는 없으나 가능한 모든 험의 종류를 악하고 정부

보유와 민간이 상 가능한 험으로 분류하여 차후 PFI 사업의향자가 입찰안을

작성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9단계에서는 기존에 작성한 개략

인 PSC를 재검토하고 실제 입찰안과 비교를 해 험 분담이 명확히 제시된 상

세한 PSC를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12단계에서는 입찰안 최선안을 선택하고 이를

PSC와 비교하기 해 각종 자료와 험분담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여 PSC를 재검토

한다

95) PSC란 정부가 종래의 조달방식으로 사업 추진시 소요되는 가상 인 험조정비용을 의미한다

2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8gt PFI 사업 추진 프로세스

단 계 내 용

1 사업 필요성 인식 (Establish Business Need)

2 안 평가 (Appraise the Options)

3 사업 계획 거 로젝트 (Business Case and Reference Project)

4 결성 (Developing the Team)

5 략 결정 (Deciding Tactics)

6 사업 의향서 수 (Invite Expressions of Interest Publish OJEU Notice)

7 입찰 자격 심사 (Prequalification of Bidders)

8 입찰자 제한 (Selection of Bidders (ie Shortlisting))

9 상세 평가 (Refine the Appraisal)

10 상 개시 (The Invitation to Negotiate)

11 입찰 수 평가 (Receipt and Evaluation of Bids)

12 우선 상자 선정 입찰안 최종평가

(Selection of preferred Bidder and the Final Evaluation)

13 계약 체결 (Contract Award and Financial Close)

14 계약 리 (Contract Management)

출처 Treasury Taskforce ꡔ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ꡕ Revised 1999 11

재무부는 2003년 발간한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에서 그간 추진된

PFI 사업들을 평가하면서 보다 엄 한 VFM 분석과 PSC 산정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이를 해 VFM 평가를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수행하고 특히 기존에 로젝트

수립단계에서 수행해오고 있던 정량 인 VFM 분석을 보다 기단계에서 실시할 것

을 강조하 다 실제 으로 민간사업자가 개입된 단계에서는 PFI 방식이 부 합한

것으로 명되어도 이미 민간사업자와 진행 인 상을 취소시키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보다 먼 PFI 방식의 합성에 해 엄 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이다 따라서 사업 조달방식 선택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해 사업구상 단계 혹은 보

다 포 인 로그램 수립 단계에서부터 VFM을 검증하고 이후 단계에서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조달방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VFM 평가의 세 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투자 로그램 단계 평가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3

(Investment Programme Level Assessment)는 구체 인 개별사업 이 의 다수의 련

사업을 포 하는 상 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이다 두 번째인 개별사업 단계 평

가(Project Level Assessment)는 구체화된 사업단계에서의 평가로 PSC 산정을 통한 정

량 분석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조달 단계 평가(Procurement Level Assessment)는

민간사업자 선정 이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시장 환경 분석 등이 수행된다 VFM 평가의 체 인 흐름은 [그림 Ⅹ-3]과 같다

[그림 Ⅹ-3] VFM 산정의 3단계

투 자 프 로 그 램 평 가

최 종 조 달 방 식 평 가

사 업 단 계 PSC 평 가

PFI 방 식 제 안개 략 적 사 업 계 획 안

최 종 적 사 업 계 획 안

입 찰 공 시

민 간 사 업 자 와계 약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PFI 부 적 절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 방 식 기 존 방 식

투 자 프 로 그 램 평 가

최 종 조 달 방 식 평 가

사 업 단 계 PSC 평 가

PFI 방 식 제 안개 략 적 사 업 계 획 안

최 종 적 사 업 계 획 안

입 찰 공 시

민 간 사 업 자 와계 약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기 존 조 달 방 식

PFI 부 적 절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있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의 VFM 가 없 음

PFI 방 식 기 존 방 식

자료 HM Treasury ꡔ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ꡕ 2003 7

2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1단계 투자 프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Investment Programme

Level Assessment)

투자 로그램이란 공통 인 성격을 지니거나 서로 연 이 있어 공통의 목표를

갖는 개별사업들을 포 하는 상 인 계획으로 모든 개별 PFI 사업들은 보다 포

인 로그램에 속하는 것을 제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PFI 추진 가능성이 있는

사업에 해 PFI 방식이 다른 조달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합한 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국 정부의 재정운 계획 단계(Spending Review)에서 수행한다 VFM 평가는 정성 평가와 정량 평가로 이루어지는데 정성 평가로는 PFI

방식으로 추진할 경우 효율성 책임성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서비스 요구

수 산출물이 계약으로 규정하는 상으로 합한지(viability) 인센티 험이

자 조달장기계약 등 측면에서의 장단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할 때 기타 조

달방식에 비해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desirability) PFI 방식으로 수

행하기에 시장 환경은 어떠한지 공공기 이 PFI 사업을 제 로 리할 수 있는지

(achievability) 등이 포함된다(표 Ⅹ-9 참고) 정량 평가는 로그램에 한 투자비와 운 비를 낙 편의(optimism bias)와

험 거래비용 등을 감안하여 산정하는 것이다96) 본 단계에서의 평가는 불확실성이

내재된 개략 인 수 의 추정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로그램 내의 개별사업에 한

엄 한 평가는 다음 단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로그램 체의 PFI 방식

에 한 합성은 낮다고 하더라도 로그램 내의 개별 사업은 PFI 방식으로 추진하

는 것이 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96) 낙 편의란 평가자가 해당 사업에 해 낙 인 시각으로 사업을 평가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5

lt표 Ⅹ-9gt 정성적 평가 요소

주요 내용 세부 검토 항목

Viability투자목표와 결과가 계약으로 규정 가능한

산출물 형태인지 략 규범 인 측면

에서 PFI 방식에 문제가 없는지 여부

∙ 로그램 단계의 목표와 결과물의

합성

∙운 단계에서의 유연성

∙효율성 책임성 형평성

DesirabilityPFI 방식의 정 측면( 험이 공기단

축 등)과 부정 측면(추가 비용 둥)을

비교했을 때 PFI 방식이 유리한지 여부

∙ 험 리

∙ 신

∙서비스 공

∙인센티 와 리감독

∙생애주기비용과 잔존가치

AchievabilityPFI 사업을 지속 으로 리감독할 역

량이 있는지 시장 환경이 PFI 사업 추진

에 합한지 여부

∙거래비용 탁자의 역량

∙경쟁

간 요인 기타 간 인 VFM 요인들

∙계획의 질 수

∙환경 요인

∙정부의 다른 분야에서 응용가능한

신 창출 유무 등

자료 HM Treasury 「VFM Assessment Guidance」 내용 참고

2) 2단계 개별 사업 단계에서의 평가(Project Level Assessment)

본 평가는 개별 사업의 기본계획(Outline Business Case)에 해 VFM 평가를 수행

하는 것으로 투자 로그램 단계에서의 평가가 했는지 재검토한다 개별 사업에

한 보다 구체화된 정보가 제공되므로 보다 엄 한 평가를 통해 로그램 단계의

평가결과를 수정할 수 있다정성 인 평가는 1단계에서 검토한 조건들(viability desirability achievability)이 개

별 사업에 해서도 유효한지를 평가한다 한편 사업에 한 정량 인 VFM 평가는

PSC 산정을 통해 실시한다 이 때에는 1단계 평가 이후 변화된 시장 환경 등을 반

하여 개별 사업에 한 정량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12단계에서는 공히 상 로그램 개별 사업이 정부의 가용 산 범 에 있

는지 우선 으로 검토해야 한다

2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3단계 조달 단계에서의 평가(Procurement Level Assessment)

본 평가는 사업 기본계획 단계 이후부터 민간사업자와의 계약체결까지 시장 환경

변화에 한 분석에 을 맞추어 지속 으로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시장의 경

쟁 요건 민간으로의 한 험이 경쟁으로 인한 비용의 합리성 안정성 등이

VFM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량 분석은 별도로 수행하지 않는다의 세 단계의 VFM 평가는 앙정부의 지원을 받는 지방정부 사업을 포함하여

PFI의 상이 되는 모든 사업에 해 이루어진다 각 평가단계에서 축 된 자료

정보는 다음 단계로 이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차후 유사사업의 평가시 참고

할 수 있도록 체계 으로 취합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라 정량적 VFM 분석

PFI 방식에 한 정량 분석은 PSC를 산정하여 PFI 방식과 비교하는 과정이다 PSC란 해당 공공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했을 경우의 가상 인 소요비용으로 사

업 기간 내 발생 가능한 모든 험을 비용에 반 하여 산출한다 따라서 PSC와 PFI의 VFM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각 경우에 내재되는 험을 명확히 악하여 정량화

하는 작업이 매우 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의 [그림 Ⅹ-4]에서와 같이 각 추진

방식에 한 비용을 산출하여 험에 따라 이를 조정한 후 PSC가 PFI 방식보다 상

소요비용이 높은 경우 PFI 방식의 VFM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수 의 서

비스를 제공하기 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이 재정사업의

경우보다 을 경우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유인이 있는 것이다 특히 VFM 산정에 있어서 건설 운 단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험

에 해 정부와 민간 간에 리 책임을 하게 분배하는 것이 필수 이다 재정사업의 경우 공기 지연 비용 상승 등에 한 험이 총사업비 산정에 반 되지

않아 실제 사업비가 상 사업비를 과하는 경우가 일반 이므로 이와 같은 공기

지연 공사비 과 등 건설 험에 해서는 민간이 책임을 질 경우 보다 효율 효

과 으로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한편 정부의 사업계획의 변경 제도

변경 등 민간사업자가 책임질 수 없는 요인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험에 해서는

정부가 책임을 지는 것이 합리 일 것이다 이와 같이 PFI의 VFM은 다양한 종류의

험이 민간사업자와 정부 간에 하게 분배되었을 경우 높아지는 것으로 최 수

의 험이 이 바로 PFI 사업의 목표라 할 수 있다(그림 Ⅹ-5 참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7

[그림 Ⅹ-4] VFM 산출 방법

예상비용예상비용

예상비용위험 조정

기본 투자비

정부보유위험 정부보유위험

정부지급액의현재가치

PSC PFI

예상비용예상비용

예상비용위험 조정

기본 투자비

정부보유위험 정부보유위험

정부지급액의현재가치

PSC PFI

자료 Treasury Taskforce 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1999

[그림 Ⅹ-5] 최적 위험 이전과 VFM

최적의 위험 이전민간사업자에게이전된 위험

최상의 VFM

최적의 위험 이전민간사업자에게이전된 위험

최상의 VFM

자료 Treasury Taskforce 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1999

2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참고gt 효율적인 위험 분담의 예

다음의 입찰안의 비교 사례는 한 험 측정 분담의 효과를 잘 보

여 다

lt참고-표gt 입찰안의 위험 분담

(단 억원)

 기본 입찰안 변경 입찰안

A B A B

입찰가 430 440 450 450

순사업비 (NPV) 395 405 375 400

  민간이 험 35 35 75 50

정부보유 험 70 70 30 55

이 가능(transferable)

DBFO 이 이 이 이

유지 리비 이 이 10 이

상가능(negotiable)

보건안 법제도 10 10 이 10

기술 발 15 15 이 이

정부보유(retainable)

요구수 혹은 내용 변경 25 25 이 25

  차별 법제도 20 20 20 20

험이 조정된 NPV 500 510 480 505

주 Design-Build-Finance-Operate 자료 Treasury Taskforce의ꡔ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 내용 참고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79

[참고-그림] 입찰안의 위험 분담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500 480510 505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395 405 375 400

35 35 75 5070 70 30 55

A B A B

정부보유위험

민간이전위험

기본투자비

입찰가

정부보유위험

500 480510 505

의 사례에서 기본 입찰안 A B는 정부가 제시한 이 가능 험만을 민

간사업자측이 수용한 안으로서 A의 입찰가는 430억원이지만 정부보유 험

을 포함하여 조정된 총 NPV는 500억원이다 B보다 입찰가가 낮고 정부보유

험은 동일하기 때문에 A안이 B안에 비해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A와 B는 험분담이 조정된 변경안이다 A의 입찰가는 450억원으

로 기본입찰안 A의 입찰가인 430억원에 비해 높으나 기존에 정부보유 험

으로 분류된 험 많은 부분이 민간으로 이 되어 결과 으로 험이 조

정된 총 NPV는 480억원으로 기본 입찰안 A의 500억원보다 낮다 하나의

변경 입찰안 B는 입찰가는 A와 같으나 정부보유 험이 높아 총 NPV는 505억원으로 A보다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으로 A이 VFM이 있는 입찰

안이라 할 수 있다

국 재무부는 VFM 평가지침과 함께 ꡔPFI Quantitative Evaluation Spreadsheetꡕ를

제공하여 조달담당처에서 PFI 방식에 한 정량 분석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스 드시트는 분석자가 12단계의 VFM 정량 평가를 해 로그램(혹은 로

그램 내 표사업)과 개별 사업에 해 종래 방식으로 추진했을 경우(PSC)와 PFI 방식으로 추진했을 경우 소요되는 비용과 여러 가지 재무 가정을 분석자가 직 입

력하여 PFI 추진시의 VFM을 도출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각 사업에 해 입력하는 항목들은 lt표 Ⅹ-10gt과 같다 각 비용항목은 사업 특성

2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가능한 한 반 하여 산정하고 특히 PFI 추진안에 용되는 비용은 과거 유사사업

의 입찰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lt표 Ⅹ-10gt VFM 산정을 위한 입력 항목

항 목 내 용

비용

투자비

∙ 기투자비 체투자비

∙PFI의 경우 험비용을 감안하기 때문에 기투자비가 PSC에 비

해 일반 으로 높음∙PSC의 체투자비의 경우 매년 기투자비의 일정액을 반

운 비

∙인건비 기타 운 비 고용자수 등을 포함

∙고용자수는 추진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인건비는 추진방식

과 무 하게 동일하게 용1)

잔존비용

∙계약완료 시 에서 계약조건에 규정된 조건으로 시설을 보수하

는 데 소요되는 비용

∙운 단계의 체투자비의 수 에 따라 조정

낙 편의

(optimism bias OB)

∙사 OB는 사업의 기본계획과 실제 계약 내용과의 차이에 의

해 발생하며 PSC와 PFI에서 동일하게 용

∙사후 OB는 계약 이후에 발생하는 편차로 PSC에서만 발생

거래비용 ∙공공사업자와 민간사업자 간의 여러 계약과 련된 거래비용

제3자 수입 ∙PFI의 서비스 지 액(unitary charge)을 보완하는 기타 수입

변경가능성

(flexibility)

∙사업범 변경과 련하여 변경 시기 확률 향정도 등

∙사업범 변경과 련된 추가비용은 PFI가 PSC보다 높은데 이

는 PFI 계약이 정부 시행시보다 경직 이라는 가정에 기인

∙사업내용(규모 범 등) 변경시 PFI 지 액이 일반 으로 증가

간 인

VFM 요소

∙정량화 가능한 간 +- 편익

∙추진방식에 따라 비 칭 으로 발생하는 요소만을 계산

∙비시장 효과의 로는 외부성 기술 신 등이 있음세 ∙PFI로 인한 추가 세수입에 해 PSC를 조정

부채비율 이자율 등∙PFI의 자기자본비율은 통상 10 정도

∙부채는 일반 으로 은행차입을 가정

일반

사업기간 ∙계약기간은 6~40년 이내로 제한

상승률

(escalator)∙투자비 운 비 PFI 지 액이 일정하게 증가한다고 가정

실질 할인율 ∙사회 할인율인 35 용2)

주 1) PFI 방식에 따른 공공부문 근로자의 고용조건 악화를 방지하기 해 추진방식에 따른 인건비의

차이는 고려하지 않음 2) 2003년도 Green Book에서 제시된 수치임자료 HM Treasury ꡔ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ꡕ 내용을 정리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1

의 항목 기존의 재무부 지침인 ꡔTechnical Note 5 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ꡕ와 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낙 편의( optimism bias)와

세 항목이 있다97) 낙 편의란 평가자가 낙 인 시각으로 사업을 평가하는 경향에 의해 발생

하는 것으로서 주로 편익의 과 추정 공기 사업비의 과소추정 등이 원인이 된다 낙 편의는 최종계획(Final Business Case FBC) 단계를 기 으로 그 이 과 이후

로 구분되는데 사업 내용이 구체화 될수록 편차는 어들게 된다 이 FBC 이후의

낙 편의는 최종계획 상의 비용 수입 편익 등의 추정치와 완공시 혹은 운 기간

동안의 실제 수치간의 차이로 조달방식에 따라 차이가 크다 [그림 Ⅹ-6]과 같이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 계약 체결단계 즉 최종계획 단계에서 부분의 낙 편

의가 제거되는 데 비해 PSC의 경우 편차가 감소되기는 하나 완공시까지 어느 정도의

낙 편이가 존재한다98)

[그림 Ⅹ-6] 조달 방식에 따른 정부보유위험

PSC

완공FBCamp

계약체결

FBC 이전

낙관적 편의

FBC 이후

낙관적 편의 PFI 방식 제거불가능한

공통위험

정부보유

위험

시간

PSC

완공FBCamp

계약체결

FBC 이전

낙관적 편의

FBC 이후

낙관적 편의 PFI 방식 제거불가능한

공통위험

정부보유

위험

시간

자료 HM Treasury ꡔ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ꡕ 2004

97) 세 계산과 련한 자세한 내용은 Green Book 보조자료인 KPMG의 「Adjusting for Taxation in PFI vs PSC Comparisons」를 참고

98) 외 으로 PSC의 경우에 정부가 유사한 사업에 한 추진 경험이 많아 정부의 추정치가 정확하다

는 확신이 있을 경우나 정부가 주체가 되어 추진할 경우에도 개별 인 도 계약을 통해 정부보유

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단될 경우에는 PSC의 낙 편의가 어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 으로 공공부문이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맺는 계약들은 성과(Output) 주가 아닌 투입물(Input) 주로 규정되어 있어 계약자들이 정부가 기 하는 성과를 정확히 맞추기가 쉽지 않다

2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낙 편의의 산정은 PSC에 한 험조정 과정을 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사업에 한 험분석을 지속 으로 실시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변

화된 환경을 반 하여 사업과 련된 모든 험을 인식하고 험을 하게 분배

하는 한편 정부가 민간에게 이 할 수 없는 험에 해서는 한 험 리 방법

을 지속 으로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 인 험 분석 과정은 lt표 Ⅹ-11gt과

같다

lt표 Ⅹ-11gt 위험 분석 과정

단 계 내 용

1 사업 련 험 인식∙다양한 분야의 문가와 경험자들이 참여하여 각 분야별

험 종류 도출

2 험의 향 평가

∙경험 증거를 바탕으로 각 험에 해 상되는 합리

인 험비용 산출

∙직 인 향 뿐 아니라 간 인 향까지 고려

3 험 발생 확률 평가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확률 추정

4 재무 향 평가∙lsquo 상 험비용= 험의 향times발생 확률rsquo을 재가치로 계산

∙해당 험에 한 보험료를 험비용의 근사치로 체 가능

5 험 련 민감도 분석∙사업주체가 통제 불가능한 험과 불확실성 악

∙추정된 NPV의 신뢰성 단에 참고

6 험의 분담

∙일차 으로는 정부보유 험과 이 가능 험 상 가능한

험으로 구분할 수 있음∙다양한 PFI 입찰안과의 비교를 해 유용

7 험 리와 완화를 한 정책 차 개발

∙정부보유 험의 감소 최소화 방안 연구

「PFI Quantitative Evaluation Spreadsheet」는 lt표 Ⅹ-10gt의 다양한 입력값에 따라

PFI의 VFM 여부를 산정한다 결과의 신뢰도는 입력값들의 신뢰성에 달려있으므로

평가자는 여러 가지 경우를 가정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해 볼 필요가 있다 즉 항

목별 사업비 제3자 수입 정부의 서비스 지 액 등을 변화시켜 이에 따라 PFI의

VFM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되는지를 찰하여 VFM에 크게 향을 미치는지 요소

를 악하도록 한다 일반 으로 투자비와 정부지 에 한 민감도가 가장 크므로

VFM을 0으로 하는 PSC 기투자비의 하한선 PFI 정부지 의 상한선을 계산해

볼 필요가 있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3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산출된 정량 VFM는 PFI 추진의 합성에 해 매우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정량 VFM는 사업 추진방식 결정을 한 요한

단근거이기는 하나 최종 인 결정을 해서는 정성 VFM 요소에 한 평가가 반

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2 일본의 사례

가 PFI 사업의 추진 현황

일본 정부는 국가 지방공공단체에서 수행하는 공공시설 건설사업에 해서 민

간의 자 경 노하우 기술 등을 도입하여 효율성 효과성을 증 시키는 것을

목 으로 1999년(平成11년) 「민간자본등의활용에따른공공시설정비등의 진에 한법

률」(이하 PFI법)을 제정하 다 이는 앞서 PFI 제도를 도입한 국의 사례를 바탕으

로 일본의 법제도에 맞게 용시킨 것이다 PFI법 제21조에 따라 내각부(內閣府)에

민간자 등활용사업추진 원회(이하 PFI 추진 원회)가 설치되어 국가의 PFI 사업에

한 추진 황 조사 통합 조정 민간의견 청취 련정보 수집 배포 등 PFI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한 연구 활동 홍보를 담당하고 있다 이어서 2000년에는

PFI의 상사업 효과 선정과정 원칙 등에 해 명시하는 「민간자본등의활용에따

른공공시설정비등에 한사업의실시에 한기본방침」을 수립하여 사회간 자본의 정

비운 에 있어서 PFI 방식을 극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2000년 기본방침 수립 이후 2004년 10월까지 실시방침이 책정공표된 PFI 사업

은 총 167건에 이르고 있는데 이 앙정부 사업이 17건 지방공공단체의 사업이

125건 특수법인 등에 의한 사업이 26건으로 지방공공단체에 의한 PFI 사업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앙정부의 PFI 사업은 2002년 4건을 시작으로 차차 증가하는 추세인

한편 지방공공단체의 PFI 사업은 2000년부터 시작하여 재까지 도(都) (県) 시

( ) 구(區) 단 로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167건 체를 사업 분야별로 분류하면 [그림 Ⅹ-7]과 같다 학교 사회체육시설

식센터 도서 등 교육문화시설이 54건으로 가장 많고 의료시설 보건 생시설 폐기물처리시설 수도시설 등 보건환경시설이 31건 주차장 공원 하수도 항만 공주택 등 사회인 라시설은 21건 청사와 숙사는 19건 직업훈련시설 복지시설 등 생

활복지시설이 11건 농공업진흥시설 시설 등 산업시설이 7건 경찰소 소방서

등 안 련 시설이 4건 복합시설 등 기타시설이 20건을 이루고 있다

2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7] 일본 PFI 사업의 분야별 분류

교육문화시설32

보건환경시설19

사회인프라시설13

청사 숙사11

생활복지시설7

산업시설4

안전관련시설2

기타12

자료 PFI 추진 원회 홈페이지 httpwww8caogojppfiiinkaihtml

한편 사업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하면 이미 완공되어 운 인 사업이 35건 공공부문과 민간사업자간에 계약이 체결된 사업은 75건 민간사업자 선정 심사결과가

공표된 사업이 9건 민간사업자 선정업무가 진행 인 사업이 31건 PFI 사업으로 선

정된 사업은 5건 실시방침이 책정공표된 사업이 11건이다99)

나 PFI 사업 추진의 기본 원칙

내각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PFI 상 사업의 선정 기 은 다음과 같다

공공성이 있는 사업 (공공성 원칙) 민간의 자본경 능력기술수 등의 활용 (민간경 자원 활용 원칙) 민간의 창의력 도입으로 효율성 증 (효율성 원칙) 상사업 민간시행자 선정 과정에서 공평성이 보장 (공평성 원칙) 사업제안에서 종료까지 과정에서 투명성이 보장 (투명성 원칙)

99) PFI 사업 추진단계는 lt표 Ⅹ-12gt를 참고하라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5

PFI 사업 실시에 있어 각 단계별 평가기 의 객 성 확보 (객 주의) 공공시설의 담당자와 민간사업 시행자 간의 역할 책임 분담에 한 계약내

용을 명문화 (계약주의) 사업 시행자의 법인격상 독립성 혹은 사업부문의 경 리상의 독립성이 확보

(독립주의)

이와 같은 기 에 따라 도로 철도 항만 공항 공원 상하수도 등의 공공시설과

청사 숙사 등 공용시설 공 주택 교육문화시설 의료시설 사회복지시설 등 공익시

설 정보통신시설 열공 시설 시설 등을 PFI의 상시설로 규정하고 있다PFI 추진 원회는 PFI법 제정 5년 이내 사업의 시행 황에 한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제2조 규정에 따라 2004년 6월에 ꡔPFI 추진 원회 간보고ꡕ를 발간하 다 본 보고서에서는 그간의 사업추진 경험에 입각하여 PFI 방식 도입이 극 권장되는

사업의 특성을 제시하 는데 운 업무 비 이 높고 사업구조가 복잡하여 민간의 창

의성이 발휘되는 사업 로젝트 이낸스 등 새롭고 복잡한 융기법이 활용되는

사업 지방의 기업들이 극 참여하여 지역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사업 등을

PFI 추진사업으로 극 권장하고 있다이와 같은 PFI 사업 추진으로 인해 특히 크게 기 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부분의 참여에 의해 공공부문의 경직 인 행정시스템의 개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효율 인 역할 분담에 의한 새로운 트 쉽 형성

셋째 민간의 사업기회 창출로 경제 활성화 융시장 발

넷째 지방공공단체 사업의 효율성 증 로 지역경제의 경쟁력 증 활성화

다 PFI 대상사업 선정 절차

특정 사업이 제안되면 문가를 활용하여 PFI 방식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하고 PFI 방식이 채택되면 실시방침을 수립공표한 후 특정 사업에 한 평가선정공표

를 실시한다 PFI 사업의 추진 단계는 lt표 Ⅹ-12gt과 같다

2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2gt PFI 사업의 추진 단계

단 계 내 용 비 고

사업 선정

1 사업 제안 ∙정부 혹은 민간 모두 가능

∙PFI 방식 합성 조사

2실시방침 수립

발표

∙구체 인 사업 내용을 명시한 실시방침을

공표

∙사업과 련된 험의 종류 분담 방안을

가능한 한 구체화명확화

∙민간사업자의 유지 리운 범

보조 융자 혜택범 등 구체화

3상사업(PFI 사업)

평가선정 공표

∙PFI 방식이 효율성효과성 측면에서

하다고 단될 경우 상사업에 해

VFM을 측정(동일 서비스 수 을 한

재정부담액 최소화 혹은 동일한 재정부담

하에서의 서비스 수 향상 방안) ∙VFM 산정

∙정량 정성 평가

민간사업자

모집 선정

4민간사업자 모집 평가선정 공표

∙가격이외의 조건을 고려한 종합평가시

평가기 의 객 성 확보

∙성능 주의 발주 시

∙선정 과정의 투명성

5 계약 체결

∙당사자의 의무권리 구체화

∙ 정한 공공서비스 제공 보장을 한 규정

명확화

∙ 험분담 명확화 등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비상사태에 비한

응을 명확히 규정

6 사업 실시 감독∙계약에 따른 사업의 실시

∙제공되는 서비스 수 의 감독

PFI 사업 실시 7 사업 종료 ∙용지 자산 등 계약에 따라 처리

자료 PFI 추진 원회 홈페이지 httpwww8caogojppfiiinkaihtml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7

지방자치제도가 발달한 일본에서는 지방정부가 주체가 되는 공공사업이 차지하

는 비율이 높은 만큼 PFI 사업을 지방정부가 직 추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

라 PSC 산정을 포함한 PFI 방식의 합성에 한 조사도 지방정부가 직 실시하고

있다100)

라 VFM 및 PSC의 산정 방법

PFI 추진 원회는 PFI법과 기본방침에 이어 2001년 ꡔVFM에 한 가이드라인ꡕ을

수립하여 각 앙부처의 사업을 포함하여 지방정부 특수법인 등이 주체가 되는

PFI 사업 수행에 있어서 참고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편 PFI 사업을 극 으로 추

진하고 있는 국토교통성(國土交通省)에서는 소 사업을 상으로 VFM 산정의 원칙

사례연구 등을 독자 으로 실시하고 있고 지방정부에서도 앙정부의 지침에 의

거하여 PFI에 한 기본방침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101) 사업의 VFM는 동일한 성과를 기 으로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경우의 투입비용과

PFI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의 사업 기간에 걸친 생애주기비용(lifecycle cost 이하

LCC)을 비교하거나 비용이 동일한 경우 제공되는 공공서비스 수 을 정량 으로 비

교하여 산정한다 VFM의 구체 인 산정 과정은 [그림 Ⅹ-8]과 같다

[그림 Ⅹ-8] VFM 산정 과정

공공민간부문의 1차 험 분담 결과에 따른 PSCPFI의 LCC 산정

dArr

험 조정 VFM 산정

dArr

공공민간부문의 험분담 재조정(정량 평가)dArr

정성 평가

100) 를 들어 三重県의 「신박물 정비에 한 PFI도입가능성조사」는 三重県교육 원회가 민간컨설

회계법인인 PriceWaterhouseCoopers에 탁하여 실시하 고(20023) 長野 는 「나가노시 PFI사업 도입가능성조사」를 자체 으로 실시하 다(20033)

101) 2003년 12월에 지자체와 민간의 의견을 취합하여 「국토교통성소 사업을 상으로하는VFM간이시

뮬 이션」을 공표하 다

2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1)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102)

PSC와 PFI 사업의 LCC의 산정 방법은 lt표 Ⅹ-13gt과 같다 산정 시 에서 가능한 정 한 분석이 필요하나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

입하지 않도록 한 범 내에서 실시한다 산정 과정에 있어서 객 성과 투명성

이 필수 이다

lt표 Ⅹ-13gt PSC와 PFI사업의 LCC 산정 방법

PSC PFI 사업의 LCC

제조건

∙ 상사업을 공공부문이 시행했을

경우 투입되는 총 재정부담분

∙사업의 유형 범 명확화

∙본래 공공부문이 필요한 사업만을 상정

하나 실시방침에서 부 사업 내용이

구체화된 경우 부 사업을 포함한 LCC를 추가 으로 산정할 수 있음

산정방법

∙설계건설유지 리운 등

각 단계에 소요되는 사업비 산정

∙lsquo 한 조정rsquo이 필요

∙각 연도의 투자비를 가로 계산

∙각 사업 단계 혹은 사업기간 체

에 걸쳐 발생 가능한 험을 정량

화하여 비용에 포함

∙계획 사업 추진 단계에 소요되

는 인건비 등 공공부문의 간 비

산입

∙설계건설유지 리운 등 민간

사업자 추진시 소요되는 사업비를 추정

하여 공공부문이 사업기간 체를 통해

부담해야할 비용(지불액)을 산정sup1∙민간사업자의 매년도 손익계산 자 수

지계획 등을 산정하고 민간사업자의

정한 이익과 배당 을 포함

∙PSC에 하여 간 비를 산입

주 1) 「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에서는 PFI 사업의 설계건설비와

유지 리운 비를 산출하는 데 있어서 PFI 방식으로 추진하는 경우 PSC에 비해 효율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PSC의 사업비 비 95 90 85 80로 감될 것으로 가정하여 시나

리오 분석을 하고 있음

「PFI 추진 원회 간보고」(2004)에서는 VFM의 객 성 신뢰성 향상을 해

가능한 범 내에서 정 도를 높일 것을 강조하 다 특히 일반 으로 락되는 비

용항목으로 PSC 수행시 정부의 자 조달비용(국채 지방채 발행비용 등) PFI 방식

으로 추진시의 각종 수수료 자문비용 각종 융비용 등 간 비용을 산입할 것을 지

102) PSC는 lsquo특정 사업을 공공부문이 실시할 경우 사업 기간에 걸쳐 소요되는 공 재정부담액의 재

가치rsquo로 정의한다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89

하 다 이러한 비용들은 체 비용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크지 않으나 정확한 비

교를 해 문가를 활용하거나 시장정보의 수집분석을 통해 계상할 필요가 있음

을 보여주고 있다103)

2) 위험 분석

PFI 방식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분담하는 험의 가를 포함하여 총사업비를 산

정하므로 공정한 비교를 해 PFI 사업에서 민간에 이 되는 험에 해서는 PSC 산정에서도 공공부문이 떠맡는 험비용으로 포함해야 한다

험의 정량화는 VFM에 향이 큰 험을 심으로 계산하는데 이는 주로 공기

지연 사업비 증가 등이 포함된다 험 항목이 정의되면 각 험에 해 lsquo(발생확

률) times (공공부문의 재무 부담)rsquo을 계산한 후 모든 험 비용을 종합하여 각 연도별

로 산정하거나 혹은 사업기간 체로 총 험비용을 계산한다 험 발생 확률 재

무 향에 한 자료는 과거 사례 시장조사를 통해 분석하는데 일부 험에

해서는 해당하는 험에 한 보험료를 험비용으로 체할 수 있다

3) 적절한 조정

한 조정이란 PFI 제도에 근거하여 PFI 사업에 해 재정상 융상 지원이

제공되는 경우 이를 재정부담액으로 PFI사업의 LCC에 포함시키는 과정이다 를

들어 세 등 재정수입이 되는 부분은 재정부담액의 감소이므로 PFI의 LCC와 PSC에

서 제외한다

4) 현재가치로 환산

PSC와 PFI 사업의 LCC를 재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반드시 동일한 할인율을

용하여야 한다 PFI 추진 원회의 지침상에서 할인율은 무 험이자율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에 한 구체 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성의 지

침에서는 「사회자본정비 련 비용 비효과 분석에 한 통일 운용지침(구건설성 1999)」에 하여 4의 할인율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원칙 으로 지방공공단체 등 분석수행 주체에 따라 자율 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

국고에서 일부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앙정부가 이용하는 할인율과 동일한 수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03) 국토교통성에서 실시한 「 앙합동청사제7호 정비사업」(2002)의 경우 입찰단계 이 VFM 산정을

해 공사비는 시설정비수 에 기반하여 간단한 설계를 통해 PSC의 장래가치를 산정하고 PFI의

LCC에 해서는 민간의 사례조사를 통해 비용 감분을 산정하 다 운 비의 경우 필요업무 내용

과 분량을 가정하여 계산하고 험 비용은 보험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는 등 유사사례를 통해 추정하

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도출된 PFI 사업의 재정 감액은 45억엔인 것으로 나타났다

2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A 재정사업으로 수행(PSC)] [B PFI 사업으로 수행]

보조금

공공

부문

의지

공공부문

수행시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VFM= (Ac-Ar) ndash (Bc-Br)

공공부문

수행시

설계 건설비

공공

부문

의수

공공

부문

의지

출공

공부

문의

수입

보조금

민간사업자의설계 건설비

민간사업자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세후 이익

공공부문이 민간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가

공공부문의 감독 비용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

순 재정

부담액

순 재정

부담액

공공부문이 관여하는 관리업무와 관련된 비용

세금

PSC 계산 PFI의 LCC 계산

지출

에서

수입

을차

지출

에서

수입

을차

Ac 지출Bc 지출

Ar 수입 Br 수입

Bc-BrAc-Ar

개업비(입찰등) 개업비(입찰등)

세금

VFM

[A 재정사업으로 수행(PSC)] [B PFI 사업으로 수행]

보조금

공공

부문

의지

공공부문

수행시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VFM= (Ac-Ar) ndash (Bc-Br)

공공부문

수행시

설계 건설비

공공

부문

의수

공공

부문

의지

출공

공부

문의

수입

보조금

민간사업자의설계 건설비

민간사업자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

금리

세후 이익

공공부문이 민간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가

공공부문의 감독 비용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

순 재정

부담액

순 재정

부담액

공공부문이 관여하는 관리업무와 관련된 비용

세금

PSC 계산 PFI의 LCC 계산

지출

에서

수입

을차

지출

에서

수입

을차

Ac 지출Bc 지출

Ar 수입 Br 수입

Bc-BrAc-Ar

개업비(입찰등) 개업비(입찰등)

세금

VFM

최종 으로 1) ~ 4)의 과정을 통해 정량화된 VFM을 산정하고 이를 근거로 1차으로 PFI 방식의 도입여부를 단한다

PSC ≧ PFI의 LC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VFM이 있음

PSC lt PFI의 LCC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VFM이 없음

재정사업으로 수행시 재정부담액 gt PFI사업으로 수행시 재정부담액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PFI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

[그림 Ⅹ-9] 일본 VFM 산정의 예시 (위험 조정 전)

자료 국토교통성 ꡔ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ꡕ 2003

이와 같은 1차 인 정량 분석을 통해 VFM을 평가한 후 2차 으로 기존에 정

부에서 분담해 온 험에 해 민간사업자와 재조정하여 그 분석 결과를 재평가하고 이와 함께 정성 평가를 실시하여 종합 으로 VFM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정성 평가의 기 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104)

104) 국토교통성 「국토교통성소 사업을 상으로한 VFM 간이시뮬 이션」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1

산제약으로 인해 착수하지 못했던 사업을 민간 자 을 활용하여 조기에

착수함으로서 발생하는 공공서비스의 조기 공 효과(민간사업자가 수행함으

로 인해 공기단축의 가능성도 있음)

규모 사업비를 사업 기에 투입하는 신 민간사업자에게 매년 일정액의

서비스 가를 지불함으로서 발생하는 재정지출의 평 화 효과

명확한 험 분담에 따른 안정 사업운

시설의 유지 리 보수의 신속성

일 발주에 따른 행정업무 효율화

독립채산형의 경우 사업자의 수익성 향상을 한 서비스 수 개선효과

3 소결 예비타당성조사에의 적용 가능성 검토

1990년 부터 PFI 제도를 도입하여 운 하고 있는 국과 일본의 사례를 통해 민

간투자사업 합성 평가 과정과 주요 단 기 인 VFM의 산정 방법에 해 살펴보

았다 PFI 사업의 VFM 평가는 동일한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재정사업으로 수행할

경우와 민간사업자가 수행할 경우 험을 포함한 비용과 성과를 객 으로 비교하

는 방법으로서 특히 정량 인 VFM 분석의 경우 각각의 사업비를 정형화된 방법으

로 산출하여 사업 추진방식 결정 기 에 한 객 성을 상당 부분 보완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특히 재정사업의 문제 하나가 공기지연과 비효율 리운

등으로 인한 총사업비 상승이라고 볼 때 이와 련된 험을 민간부문에 히 이

하는 것을 제로 국가 인 차원에서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의 비용을 산출

비교할 수 있다는 에서 합리 인 단기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PSC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과 일본 등의 경험에서 볼 수 있

듯이 정량 인 분석은 민간투자사업 선정의 합성을 단하는 하나의 요한 기

이 될 수 있으나 이와 더불어 PSC 비교를 통해 고려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사항을

비교평가하기 하여 반드시 정성 인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민간투자사업 선정의 최종 인 결정은 정성 인 요소와 정량 인 요소를 포 하

는 종합 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재정사업의 경우 비타당성조사 등

을 통하여 국민 경제 정책 인 측면에서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이 제도화되어

있으나 민간제안사업의 경우 정성 인 평가가 소홀해질 수 있다는 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2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와 더불어 국과 일본 등에서 시행 인 VFM 평가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하

기 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을 유의하여 우리나라의 제도와 차에 맞게 보

완개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의 민간투자 련 제도 차와 연계하여 한 VFM 평가의

도입 단계에 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해서는 어느 단계에서 한 정보가 제

공될 수 있는지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은 어느 정도인지 등이 고려되어야 한

다 사업의 내용이 구체화 될수록 보다 상세한 정보를 바탕으로 엄 한 VFM을 산정

할 수 있겠으나 기 단계에서 민간사업 선정 타당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 차후 산

의 낭비를 방지하는 등 정 인 효과가 크기 때문에 기 단계에서 개략 으로

VFM를 검토하고 단계 으로 보다 엄 하게 분석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에서 재정사업에 해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VFM를 검토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둘째 민간투자사업 시행시의 총사업비에 한 합리 인 추정이 필요하다 비

타당성조사는 민간투자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이 단계이기 때

문에 합리 인 근거 가정에 입각하여 민간사업의 가상입찰안을 추정해야 할 것이

다 재정사업과 비교하여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시의 사업비 추정에 있어서 민간사

업자 시행시 정 사용료 수 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정확한 수요를 산출하는 한편 건설비 유지 리 비용 감 부분에 한 합리 인 추정을 실시하여 반 하는 등

보다 차별화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민간투자사업의 경험이

많지 않아 사업구상 단계에서 사업비 험 등을 산정하기 해 참고할만한 충분

한 데이터가 축 되었다고 볼 수 없겠으나 개략 인 분석을 해서 기존의 련 자

료를 취합 정리하여 유의미한 데이터로 환시키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더

불어 앞으로 진행되는 민간투자사업에 해 련자료 보 공유를 의무화체계

화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험 분석에 한 고려가 필요하다 정부와 민간사업자 간의 한 험

분담이 VFM를 발생시키는 가장 큰 요소인 만큼 기 단계의 PSC의 경우에 있어서

도 가능한 한 상세하고 신뢰 가능한 험 분석이 필수 이다 험의 발생 가능성

재무 향을 분석하기 하여 국내외의 유사사업 사례에 기반한 통계자료를 작

성하고 보다 합리 인 험 정량화 방법을 개발하기 한 심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

다 자료수집 분석에 한계가 있을 경우 개별 사업에 한 험 분석 단계에서 재

무 기술 험분석 등 다양한 방면의 문가가 참여하는 워크샵을 개최하여 련

험을 악하고 재무 향을 분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넷째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사업 유형에 합한 PSC 산정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과 일본의 제도는 우리나라의 제도와는 민간투자사업의 유형 주요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3

상사업의 종류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

려한 도입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지 했듯이 국과 일본의 분석 방법

은 민간사업자가 설계 건설하고 일정기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로 정부로부터 일

정한 액을 받는 공공서비스 제공형을 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로 교육시설 공공청사 보건시설 등이 상사업이 되고 있다 국의 경우 도로 교량 등 건설이

PFI 방식을 통해 시행되는 경우가 있으나 우리나라 고속도로와 같이 사용자가 통행

료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무료로 운 하고 민간사업자와 계약을 해서 사

용자수 가상의 통행료를 계산하는 방식(shadow toll)이라는 에서 우리나라와 차

이가 있다 국의 표 인 민 화 사례인 런던지하철의 경우도 민간부문은 시설

시스템 리 개량 업무를 맡고 이에 한 일정한 가를 정부로부터 받는 형식으

로 운 수익성에 해서는 여 히 공공부문이 책임지고 있다105) 이와 같이

국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고 험 고수익을 기 하고 공공사업에 투자하기 보다는 안

정 인 수익을 기 하고 험이 거의 없는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

리 우리나라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의 주 상인 교통사업(고속도로 경 철 항만 등)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직 사용자에게 사용료를 징수하여 투자비를 회수하고 수익

을 창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사업의 유형에 맞는

분석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를 들어 고속도로 경 철 사업의 경우

실제 으로 입찰 단계에서 사용료 수 이 조정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요변화등을

고려하여 VFM 분석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106) 이처럼 사업의 유형에 따라 사업효

과(제공되는 서비스 수 )를 동일하게 가정하고 PSC와 PFI의 LCC를 산출비교하는

기존의 국일본의 방법론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107) 이처럼 민간투자사업의 합성 단을 해 VFM을 산정하는 방법은 객 성과

합리성 측면에서 우수한 방안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하기 해

105) London Underground Limited(LUL)은 정부의 산제약 불규칙한 산배정으로 인해 객차 역사 시스템 등 지하철 인 라시설에 한 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자 2002년과 2003년 두차례에 걸

쳐 지하철의 시설과 시스템 리 개량 업무를 일정기간 동안 민간사업자에게 운 을 맡기는 계

약을 체결하 다 민간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의 가로 매월 일정액(Infrastructure service charge)을

받고 LUL은 소유권 운 권을 유지하기 때문에 승객감소로 인한 수입 감소 험은 정부가 계속

보유하게 된다 그러나 서비스의 질 승객의 만족도 승객여행시간 등을 일정한 기 에 따라 측정하

여 서비스 향상의 효과가 계약상 규정된 기 을 과하거나 미달할 경우 인센티 혹은 패 티를

부여함으로써 민간사업자들에게 서비스 향상에 한 동기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106) 요 수 이 변화될 경우 수요 편익이 변하게 되므로 앞서 수행하는 경제성 분석을 재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107) 민간사업자가 시설 완공 후 일정기간 동안 정복 혹은 제3자에게 임 하여 투자비를 회수하고 임

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국가 는 지방정부에 이 하는 BLT(Build-Lease-Transfer) 방식의 경우 국

일본의 평가 방법론에 한 활용도가 보다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2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서는 우리나라 제도의 실정에 맞게 지속 으로 보완개발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

다 이미 자국 실정에 합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활용 인 국과 일본의 경우에도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제도 운용 경험을 축 하고 이를 통해 기존 방법론을 계속

으로 개선하고 있다 한 VFM은 사업 추진 과정에 걸쳐 다양한 측면에서 지

속 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여러 단계에서의 VFM 검토를 통해 사업 추진

의 간 단계에서 추진 방식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도의 유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1 현 일반지침의 한계

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재정사업에 한 타당성 평가과정에서 민간투자사업

추진요건을 충족하고 경제성이 높은 사업에 해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투자 추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즉 경제성이 있는 사업에 한하여 재무성 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민자사업으로 추진할 것인지에

한 1차 인 단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 비타당성조사에서 재무성 분석을 수행하는 목 은 해당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

로 추진했을 경우 수익성 여부 최소 재정지원비율을 개략 으로 제시하여 향후

민간투자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할 때 기 인 정보를 제공해 주기 함이다 즉 사

업의 구체성이 떨어지고 민간투자사업 평가를 한 자료가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민간투자 가능성을 개략 으로나마 평가하려는 이유는 사업

의 기단계에서부터 추진 가능성과 타당성이 낮은 사업을 여과함과 동시에 추진 타

당성이 월등히 높을 것으로 보이는 사업을 선별하여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 때문이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 단을 한 행 비

타당성조사의 재무성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첫째 재의 재무성 분석은 연구진이 재무 할인율을 자체 으로 결정하고 사

업별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등 일 된 지침 없이 분석자의 재량에 따라 수행되어

왔다 둘째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사용료를 반 하여 수요를 추정하지 못하는 등 민

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을 단하는 데 미흡한 이 있었다 즉 도로사업의 경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5

재 일반지침 도로부문 표 지침에는 유입 추정을 한 사용료 수 이 하

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정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추

정 결과를 바탕으로 수입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 분석에서와 같이 도로공사

의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추정 결과를 용하 기 때문에 민간사업으로 추진시

의 정한 수요와 수입규모를 추정하지 못하 다셋째 민간투자사업 추진과 련된 정책 단 자료를 제공함에 있어 한계를 갖고

있다 즉 재까지의 비타당성조사 재무성 분석에서는 정 사용료 수 을 반 한

수요의 재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재무성이 있도록 하는(FNPV=0) 정부의

최소 재정지원 수 만을 분석결과로 제시해 왔는데 개별 사업에 해 산출된 최소

재정지원 규모가 국가 경제 차원에서 하고 타당한 규모인지에 한 단기

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마지막으로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을 단하는 데 있어 수익성 이외에 사

업의 험 추가 비용 정성 단요소 등을 종합 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는 지 이 제기되어 왔다

2 민간투자사업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본 개정연구에서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비타당성조사 상사업의 민간투자사

업 추진 가능성 합성을 단하기 한 개략 인 분석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

다 특히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해서 국과 일본에서 수행하고 있

는 VFM 평가방식을 응용하여 정부실행 안과 민간사업자 실행 안을 비교평가하

는 방안을 연구해 보도록 한다 이는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민간투자사업 가상안(이하 PFI 안)을 설정하여 재무 순 재가치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 재무성이 있는

민간투자사업안과 이에 비되는 정부실행 안을 설정하여 정부의 입장에서 비용 험도 편익 등을 비교하여 VFM 여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VFM 분석을 통해 국가가 계획하고 있는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으

로 지정하여 정부가 고시할 만한 사업을 개략 인 수 에서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타당성조사의 본래 목 과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정보의 한계를 감안할 때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합성 평가는

개략 인 수 에서 정책 단의 기 자료를 제시하는 수 으로 이해되는 것이 합당

할 것이다 즉 민간투자사업 추진의 합성 평가를 한 구체 지침 평가 방법은

사업 타당성에 한 보다 구체 인 분석자료와 민간투자사업 계획서나 상안이 제

시되는 본타당성조사 lsquo민자사업 격성조사rsquo 등 비타당성조사 이후 단계에서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2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사업규모 치(교통사업일 경우 노선) 등은 사업제안자의 사업계획서가 없

는 상황에서는 가상 안일 수밖에 없으며 구체 인 사용료 수 과 재정지원 수 기타 제반 조건들도 사업자 선정과정과 상을 통해 정해지므로 본 에서는 사

단계에서 일반 으로 용 가능한 개략 인 평가방안에 해 연구해 보도록 한다

가 민간투자사업 대안의 재무적 순현재가치(FNPV) 추정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가능성을 알아보기 해 일차 으로는 제Ⅲ장 제5 제

Ⅸ장에서 제시된 재무성 분석 지침을 이용하여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사용료 수

을 반 한 재무성 분석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재무성 분석의 상 사업은 유료도로 철도 사회기반시설 등 민간투자법령 기본계획상의 상사업 요건을 충족하고

BC 비율이 1을 과하거나 근 하여(BC 비율 09이상)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명

된 사업들이 해당된다 이때 해당 사업에 해서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와는

다른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을 설정해야 한다 이는 노선 입지 사업규모와 내용

등은 재정사업으로 실행할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료 수 을 조정하여

수요를 재추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정된 유출과 유입에 해 재무

할인율을 용하여 재무 순 재가치를 도출하도록 한다이때 분석을 한 건설보조 수 은 유사 부문의 민간투자사업에 한 정부의

재정지원 사례와 정부의 지원원칙 등을 감안해 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 적정 사용료 수준을 반영한 재무성 분석

민간투자사업의 이용수요는 사용료 수 에 따라 변화할 것인데 만일 요 에

한 수요탄력성이 제시되어 있다면 사용료 수 을 반 하여 수요를 재분석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이 가장 활발한 교통부문의 경우에도 요 의 수요

탄력성에 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 까지 특정한 가정 하에 재무성 분

석을 수행하고 있다108) 따라서 민간투자사업의 사용료 수 이 결정되기 이 에 수

행되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실 가능한 정 사용료 수 을 가정하여 수요를 재분

석해야 할 것으로 단된다 정 사용료 수 은 련 규정과 유사시설의 실 단가를 참고하여 이를 시나리

오로 설정하여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를 들어 유료도로 사업의

108) 최근의 로는 교통개발연구원의 ꡔ 주시 경 철 도입 타당성 조사ꡕ(1999)에서 요 에 한 수요

탄력성을 -025로 가정하여 재무성 분석을 하 다 비타당성조사의 경우 ꡔ사가정-암사동 역도로

건설사업ꡕ(2000)과 ꡔ신분당선 건설사업ꡕ(2001)에서 요 에 한 수요 탄력성을 -02로 가정하여 재

무성 분석을 하 다 한편 국의 지하철의 경우 요 에 한 수요의 단기탄력성은 연구자에 따라

서 -02~-04 장기탄력성은 -06~-10으로 추정되고 있다(Goodwin(1992) 참조)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7

경우 정 사용료 수 의 설정은 유사시설의 사용료 수 을 검토한 뒤 「민간투자사

업기본계획」상의 사용료 조건을 용하는데 재 기본계획에서는 유료도로의 사용

료 수 상한을 도로공사 통행료의 15~2배로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재무성 분석시

에는 한국도로공사 폐쇄식 고속도로 km당 통행료 단가를 기 으로 기본계획상의 상

한 배율을 용하여 도로공사 요 의 15배의 통행료를 용하는 안과 2배를 용하

는 안을 두 가지 시나리오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lt표 Ⅹ-14gt 도로부문 민간투자사업 차종별 통행료 적용 단가(2004년 기준)

(단 원km)

도로공사 요 도로공사 요 의 15배 도로공사 요 의 2배

승용차(1종) 381 572 762

버스(3종) 412 618 824

트럭(2종)1) 401 602 802

주 1) 트럭의 요 은 소형트럭을 기 으로 한 것으로 형트럭을 별도로 고려할 경우 4종 710원km 5종

724원km의 요율을 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 분석시 이용한 기 과 일 성을 유지하도록 함

철도 도시철도 사업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된 사업의 운 실 과 련 규정

이 없으므로 재 약이 체결되었거나 상과정에서 사용료 수 이 잠정 책정된 유

사사업의 요 을 참고하여 분석 기 년도로 보정하여 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간 일반철도의 경우 액 국고지원을 통해 재정사업으로 시행되는 것이 일반 이며

사실상 민간투자사업으로 시행되기 어려우나 재 추진 인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같이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상되는 특수한 사업에 해 재무성 분석을 해야 할 경

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요 수 을 참고해 사업별 특성에 맞는 정 요 수 을 설

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철도사업 민간투자사업으로 가장 활발히 추진되고 있

는 경량 철의 경우에는 재 운 노선이 없어 역시 기 단가를 책정하기 어려우나

기추진된 민간투자사업의 실시 약상의 상요 을 바탕으로 기 단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 사업의 부 사업 규모 역세권 개발 망 등 사용료 수 에 향을 주

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정 요 수 을 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역시 지

하철의 경우 향후 막 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량 철 심의 지하철 건설은 추진하

지 않는다는 정부의 원칙에 따라 민간투자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희박하나 만일

상사업이 있을 경우 재 상이 진행 인 서울지하철 9호선의 사례 등을 참고하여

재 서울지하철 요 의 12배와 15배를 용할 수 있을 것이다

2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5gt 철도부문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상의 요금 현황

요 비고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10km 826원+716원km- 직통 10km 2065원+179원km

rsquo02년 불변가

부산김해경 철- 1구간 8911원- 2구간 10911원

rsquo00년 불변가

용인경 철- 1구간(10km 미만) 1086원- 2구간(10km 이상) 1272원

rsquo01년 불변가

서울지하철 9호선 - 1구간 1000원사업시행자 자율결정

rsquo04년 불변가

자료 서울지하철건설본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9호선 1단계구간 민간투자사업 사업시행자지정(안)」 2004 10 인천국제공항철도(주) 홈페이지

한편 항만사업 기타 건축사업의 경우 사업성격이 다양하고 시설유형 입지

에 따라 사용료 임 료 수 이 차별 이기 때문에 개별사업의 비타당성조사시

용되는 사용료 임 료 단가를 용하여 재무성을 분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건설보조금의 반영

민간투자사업에 추진시 건설비에 한 정부보조 수 은 시설유형에 따라 다르

며 개별 사업의 상과정에서 결정되므로 이를 사 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각

사업부문별 건설보조 지원 기 은 이하에서 상론하도록 한다

나 재정사업대안과 민간투자사업 대안간의 VFM 비교

재무성 분석을 통해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의 재무성 여부를 검증한 후 재무

타당성이 있는 사업에 해서는 정부실행 안(이하 PSC)을 설정하고 VFM 개념을

이용하여 해당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합한지 아니면 민간투자사업

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종합 으로 비교평가한다 즉 국민 경제 에서 분석한 경제 타당성과 민간사업자 입장에서의 수익성

여부를 검토할 뿐만 아니라 VFM 분석을 통해 정부측에서 소요되는 비용 각종

험 수입 등을 종합 으로 반 하여 PSC와 PFI 가상 안을 비교평가하는 방식이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299

1) 정부 투입비용

VFM 분석을 해서는 재정사업으로 추진시와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시 모두 동

일한 서비스 수 을 제공한다고 가정 하에 특정 성과수 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

사업(Reference Project)을 설정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제성 분석 결과 최

안으로 선정되어 재무성 분석을 수행한 안을 거사업으로 하여 이에 해 재

정사업으로 수행할 경우와 민자로 추진할 경우 건설과 운 기간 반에 걸쳐 정부측

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하여 비교하도록 한다

가) 건설단계 투입비용

건설단계에 소요되는 투자비로는 조사비 설계비 공사비 보상비 부 비 운 설

비비 제세공과 업 비 등이 있다 PSC의 경우 경제성 분석시 산정한 비용을

참고로 하여 정부 투입비용을 산정한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는 우선 건설단계의 투자비를 산정하기 해 PSC의 비용 산

정 결과를 참고하되 부 비( 융부 비용 등) 업 비 (법인 창업비 개업비 등) 제세공과 융비용 등 민간투자사업 추진시 별도의 추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상되는 경우 이를 시설투자비에 반 해야 할 것이다 한편 공사비 등 민간이 추진

할 경우 비용증감에 한 합리 인 근거가 있을 경우 이를 반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산정한 PFI 가상 안에 한 비용 정부 건설보조 비 은 사업계

획서상에 재원분담에 한 기 이 있을 경우 이를 용하고 그 지 않을 경우 일반

인 재정지원 기 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는 민간투자사업

에 한 사업부문별 지원 비율이 구체 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존 추진 사

업의 실 자료를 참고로 지원비율의 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2003년 8월 재 민간투자심의 원회 의결을 거쳐 실시 약이 체결된 교통부문 주요

국가 리 민자사업의 정부 지자체 건설보조 재정지원 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6gt 교통부문 민간투자사업 정부 및 지자체 건설보조금 투입 현황

사업부문 사례 단계 보조 비율

고속도로

천안-논산 고속도로

구-부산 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완공

시공

시공

건교부 274건교부 277서울시 272

철도

일반 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시공 철도청 245

경 철 부산김해경량 철 상 건교부 351

지하철 서울지하철 9호선 시공 서울시 47

항만인천북항

목포신외항 1-2단계 다목 부두

시공

시공

해수부 258해수부 436

자료 기획 산처

나) 운영단계 투입비용

운 단계에는 인건비 등을 포함한 시설운 비 유지 리비 리감독비 등이 소요

된다 PSC와는 달리 PFI 가상 안(BTO BOT 사업)의 경우 민간사업자가 운 을 책

임지고 운 수입을 통해 투자 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정부소요비용

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재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에 따라 실제 운 수입

이 추정운 수입의 일정수 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정부가 손실액의 일부를 운 수입

보장비용으로 지 해주고 있다 이 비용에 해서는 이하 험비용 부분에서 논의하

도록 한다

2) 위험비용의 반영

재정사업의 경우에도 험에 따른 사회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민간투자사

업 추진시 발생되는 험은 실시 약 출자자구성 수익성 재원조달의 용이성 융

약 사용료 무상사용기간 등 사업구조 반에 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명백한 비

용발생 요인이 된다 민간투자사업의 험 유형은 정부귀책 험과 사업자귀책 험 불가항력 험 등으로 구분되는데 측정 가능한 험을 평가에 반 하고 정한

험분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민간투자사업 평가에 있어 핵심 인 사항이 된다 따라서 본 항목에서는 재정사업 안과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의 비교평가를 해

험부담 항목을 선별하고 주요 험에 한 추가투입비용을 사업비에 반 하는 방안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1

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 총사업비 증액비용

총사업비 증액은 물가변동과 물량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물가변동에 의한 사

업비 변동은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에 공통 으로 해당되므로 고려하지 않고 물량

변동에 따른 총사업비 증액 비용만을 고려하도록 한다 이 경우 증액은 주요 변경요

인인 공사비에 해서만 용하는 것이 합리 일 것이다 PSC의 경우 총사업비 증액비율은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를 집계하여 이

물가변동에 의한 변동은 제외하고 물량변동에 따른 lsquo공사비 비 변경 액 평균

비율rsquo만을 도출한 자료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표 Ⅹ-17 18 참고) 단 공사기간이

비교 짧은 건물 건축사업은 별다른 변동 요인이 없는 경우가 부분이므로 총사업

비 증액비율을 0로 가정해도 무방할 것이다

lt표 Ⅹ-17gt 도로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단 백만원)

구분 변경내역

고속도로 국도

공사비 비

변경 액 비율액

공사비 비

변경 액 비율

평균 최 비율 평균 최 비율

총사업비

변경 액

물가변동 303718 60 97 432245 107 348

물량변동 314285 62 102 498491 124 902

합계 618003 122 199 930736 231 1133

총공사비 5060036 402661

자료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 집계

3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8gt 일반철도사업의 총사업비 변경 비율

(단 백만원)

구분A 2복선

철B 개량 C 복선화

D 2복선

E 복선 철

F 동차사

무소 건설합계

총사

업비

변경

물가

변동

47761(41)

198485(316)

120871(266)

119190(181)

21699(43)

19922(91)

527928(146)

물량

변동

389736(335)

94662(151)

85948(189)

98468(149)

188014(373)

24877(114)

881705(243)

합계437497(376)

293147(467)

206819(456)

217658(330)

209713(416)

44799(206)

1409633(389)

총공사비 1164923 627594 453784 658783 503622 217912 3626618

주 호 안은 공사비 비 요인별 비용 증감액의 비율임자료 발주처의 총사업비 변경요구서 집계

나) 공기연장 비용

우리나라의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의 공기연장 황에 한 자료는 없으나 해외 사례 등을 참고할 때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109) 공사기간

이 일정기간 이상인 재정사업 안의 경우에는 공기연장이 평균 2년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110) 공기연장비용은 (발생확률 50) times (공사비 향

정도) times (년 수)로 계산될 수 있으며 연장된 기간만큼 연도별 비용을 배분하여 반

하면 될 것이다

다) 최소운영수입보장 비용

기존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수요추정의 불확실성과 사업수행주체의 lsquo낙 편의rsquo 비 실 인 사용료 수 등으로 인해 큰 폭의 운 자가 발생해왔고 이를 정부의

109) 국 감사원(NAO)에서 2002년까지 완공된 PFI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평가한 결과 37개 PFI 사업

28개 사업(86)이 계약상의 공기를 수하 고 공기가 연장된 사업들의 경우에도 2개월 이내의

경미한 지연이 있었을 뿐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과거 다른 방식(재정사업)의 공기 수율 30보다

성과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ldquoPFI Construction Performancerdquo National Audit Office 2003 2)

110) 1994년부터 1998년 사이에 추진된 총 175개의 장기 형사업을 장기계속계약으로 산 편성하여 진

행한 결과 계획 로 완공된 공사는 20수 에 불과하 으며 50이상의 사업이 2년 이상의 공기지

연을 래했으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 인 손실은 체 사업비의 1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건설교통부 ldquo 행 최 가 낙찰제도의 문제 과 책방안rdquo)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3

최소운 수입보장(Minimum Revenue Guarantee MRG) 비용으로 충당해 왔다 기본계

획에 제시되어 있는 최소운 수입 보장 기 을 보면 ldquo운 수입 보장의 최 한도는

운 개시 후 5년간은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추정운 수입의 90이며 이후 보장한도

를 진 으로 축소하여 운 개시 후 6~10년 동안은 80 11~15년 동안은 70를 한

도로 설정rdquo하고 있다장래에 운 수입 자가 어느 정도 발생할지에 한 측은 과거 민간투자사업의

사례를 통계 으로 분석하여 추정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재정사업의 경우

립 인 기 이 수요분석을 수행하여 민간투자사업보다는 수요가 과 추정될 험

이 을 것으로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를 들어 교통부문 사업의 경우 수요추정의

정확도가 높다는 가정 하에 교통수요 추정의 오차범 를 3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과운 수입 환수는 지 까지의 사례를 볼 때 실 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으므로 분석에 반 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111)

라) 이자 및 환율변동 위험과 자금재조달

민간투자사업 시행 융여건과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이자 환율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는 험요소이지만 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정부도 이익을

공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자 환율 변동 자 재조달(refinancing)에 따른

이익 손실은 사 으로 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고

려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마) 기타 위험

형 공공투자사업의 추진 과정에서는 공기연장 운 수입 미달 이외에도 lt표

Ⅹ-19gt와 같이 계획 건설 운 단계에서 다양한 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민간투자사업으로 실시할 경우 개별사업과 연 된 다양한 험의 종류를 정부귀

책 험과 민간귀책 험으로 분류하고 민간귀책 험에 해서 정량 으로 추정

가능할 경우에는 사업의 생애주기에 걸쳐서 (발생가능성)times(재무 향)을 계산하

여 PSC를 조정해 주어야 한다 정량화가 불가능한 험은 정성 으로 검토하도록 한

111) 과수입 환수 기 은 정부고시사업의 경우 운 개시 후 5년간은 실제 운 수입이 110 과시 6~10년 동안은 120 과시 11~15년 동안은 130 과시 과수입을 환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19gt 위험 분담의 예시

단계 험 종류 험 내용 PSC PFI

민원사업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 -제도법령 변경 사업기간 제도 법령의 변경

자 조달 필요한 자 확보 가능성 - 리 리의 변동 가능성 -

사업 지연기인허가 지연으로 인한 사업 지 연기

하도 자 부도로 인한 사업 지 연기 -

계획

설계

자료의 오류 사업자료의 오류(설계 사업계획 련) -비용 과 설계 등 비용이 약정 액 과 -기간 과 설계 등 완료의 지연 -하자 발생 설계 등 성과물의 하자발생 -

배상책임손해 계획 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

자연재해 자연재해로 인해 건설이 단되거나 건설기간이 연장

정치 험 테러 폭동 등으로 건설이 단되거나 건설기간이 연장

물가 인 이션 디 이션 - -

설계변경시의 제시조건 지시의 미비 변경에 의한 것

사업자의 지시 단의 미비에 의한 것 -공사연기 미완공 공사지연 미완공에 의한 인도의 지연 -

공사감리 감리 결함 -공사비 증 공사비의 증가 -

성능 요구수 부 합(시공불량을 포함) -일반 담보 인도 에 공사목 물 재료 기타 련공사에 해 발생한 손해 -

배상책임손해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하자담보 발견되지 않은 하자의 담보책임 -

유지

자연재해 자연재해로 인해 유지보수 운 의 변경 지 연기

정치 험 테러 폭동 등에 의한 유지보수 운 의 변경 지 연기

물가 인 이션 디 이션

배상책임손해 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배상책임손해 -유지 리

운 비 상승상기 이외의 요인에 의한 유지 리 운 비용의 증 -

시설 등의 손상 시설 등의 손상 험 -성능 요구수 부 합에 의한 시설 설비에의 손해 운 에의 장해 -

시설양도 시설을 양도할 경우 수선 회복비용이 정액을 과 - -해 지 해지시 지 지 -

주 1) 상기 표는 시로서 개별사업마다 험 분담주체가 다를 수 있음 2) 정부와 민간이 공통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사안의 원인 성격에 따라 분담주체를 정함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5

3) 수입 및 편익의 고려

국과 일본에서 수행하고 있는 VFM 분석의 기본 제는 사업 추진주체와 상

없이 시설이 제공하는 서비스 수 은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사업수행의 결과

(output)는 동일하다고 보고 이를 해 투입한 정부측 비용(input)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수행할 경우 정부는 시설운 으로 인한 운 수입이

없어지고 신 세 수입 등 추가 인 수입을 기 할 수 있는 등 사업 추진방식에 따

라 비용을 조정해 필요가 있다

가) 운영 수입

고속도로 철도 등 유료시설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민간사업자들이 시

설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하지만 정부에서 수행할 경우 사용료는 정부의 운

수입이 되기 때문에 이를 운 기간 동안 마이 스 비용으로 반 해 주어야 할 것이

나) 세금 수입

재정사업 안과 민간투자사업 가상 안 모두 법인세 부가세 등 세 수입을

정부의 추가 수입으로 고려할 수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경우 민간투자사업 기본계획

상의 지원 규정112)에 의거하여 세 감면 혜택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반 해야

할 것이다

다) 부대사업 수입

본 사업과 한 연 이 부 사업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PSC PFI 안 모두에서 반 할 수 있다 PSC의 경우 부 사업 수입을 비용에서 차감할 수 있

을 것이다 PFI 가상 안의 경우에는 부 사업 수입은 민간사업자의 수입이므로 직

인 정부의 수입으로 볼 수는 없으나 건설비보조 비율을 낮추는 등 간 인 정

부소요비용 감 요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단 부 사업 수입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이에 응하는 부 사업 운 비용을 반드시 계산하여야 할 것이다

112) 사업시행자가 민간투자사업에 투자할 경우 투자액의 5를 투자 비 으로 인정하여 법인세 부과

시 손 으로 처리함(2006 12 31까지 조세특례제한법 제28조) 한 사회간 자본시설에 한민간

투자법 제4조제1호(건설기부채납 후 운 BTO) 제2호(건설소유운 후 기부채납 BOT)에 의한 방식으로 국가 는 지방자치단체에 공 하는 사회간 자본시설 는 동 시설의 건설용역

에 한 부가가치세는 세율을 용한다(조세특례제한법 제105조제1항제3의2호)

3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정성적 VFM

사업추진방식을 결정하기 해서는 정량 VFM 이외에 이 과정에서 고려하지

못한 정성 인 요소에 해 고려하여 종합 인 검토를 수행하여야 한다 정성 인

VFM 평가를 해서는 우선 개별사업이 ꡔ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ꡕ에 제시된

민간투자 상사업 지정기 을 충족하는지 검토하고 개별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비타당성조사 정책 분석 부분에서 제기되는 특수쟁 사항 향후

사업추진방식에 따라 여건이 달라지는 핵심 사항을 평가하도록 한다 와 같은 항

목을 포함한 정성 VFM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lt표 Ⅹ-20gt 정성적 VFM 평가항목 예시

평가 항목 세부 내용

서비스 질 향상∙민간의 창의를 활용한 SOC 건설운 의 효율 제고 정부재정 시설과

의 경쟁 진으로 서비스질 제고 등이 기 되는지 여부

계약 체결

리의 용이성

∙서비스 제공 수 을 포함하여 건설운 련 제반 규정이 민간사업

자와 정부간의 상 계약의 상으로 합한지 여부

∙정부기 의 리 감독의 필요수 능력 보유 여부

∙건설 운 을 민간에 일 으로 이양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 향상

이 기 되는지 여부

험분담 효과∙정부와 민간사업자간의 명확한 험분담에 따른 안정 사업운 이

가능한지 여부

효과

∙민간사업자 참여로 인해 공공부문으로의 기술 경 능력 등의

효과가 기 되는지 여부

∙고도의 융기법 도입 등으로 융시장 활성화 효과가 기 되는지 여부

사업의 특수성

∙보안성 등의 측면에서 사업추진방식에 있어 제한이 있는지 여부

∙공공성이 강하여 민간부문이 추진하기에 합비효율 인지 여부

∙국내외에서 독 권리를 가지고 있거나 지 재산권으로 보호되고

있는 공법이나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방안 연구 307

다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 방안의 예시

다음 표는 도로사업의 경우를 로 들어 민간투자사업 추진 합성 평가 방안을

개략 으로 정리한 것이다

lt표 Ⅹ-21gt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가상대안간 비교평가 방안(도로사업 예시)

구분 재정사업 안민간투자사업 가상 안

비고시나리오1 시나리오2

FNPV

수요추정

(사용료 수 )해당 없음

도로공사

요 의 15배

도로공사

요 의 2배

도로공사 요 의 15~2배

비용 해당 없음 재무 유출경제성 분석상의 비용에

재무 비용 추가

재무

순 재가치해당 없음 재무 순 재가치

총사업비의 3050를

정부보조 으로 처리

정량

VFM

평가

lt비 용gt

건설단계

- 공사비

- 조사설계비

- 부 비

- 운 설비비

- 제세공과 등

- 건설보조

(총사업비의 3050)

운 단계

- 운 리비

- 유지보수비

- 정부 리감독비

부 사업 운 비 포함

험비용- 총사업비 증액

- 공기연장- 운 수입보장 비용

비용 계 ①

lt수 입gt운 수입 - 운 수입

세 수입 - 법인세 부가세 등 - 법인세 부가세 등민투사업 가상 안은

법인세 감면분 고려

부 사업수입 - 부 사업수입

수입 계 ②

연차별 lsquo비용-수입(①-②)rsquo의 순 재가치의 합PSC의 ①-②가 클 경우

PFI의 VFM이 있음

정성 VFM 평가

조사쟁 사항 정량화

불가능한 사업 험 요소

포함

3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의 표 세부 항목에 해서는 사업별 부문별로 차이 이 있을 것이므로 사용

료 수 건설보조 비율 총사업비 증액비용 정부 운 비 투입비용 등을 달리 용

하여 재무 순 재가치(FNPV)와 VFM을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VFM 평가는 정부 입장에서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재정사업보다 합한 지에 한 정보를 제공해 다는 에서 기존에 실시해

온 재무성 분석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재무 타당성이 있는 민

간투자사업 가상 안에 해 VFM 평가를 추가로 수행하여 해당 가상 안이 VFM이

있을 경우에 한해 민간투자사업 추진 상사업으로 검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재무성 분석 결과 일정수 의 재정지원으로도 재무 타당성이 없다면 민간사업자가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기가 힘들 것이고 재무성이 있

어도 VFM이 없다면 국가 체 인 차원에서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

는 것 보다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보다 효율 일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는 사업에 한

구체 인 자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정 하에서 개략 인 분석을 수

행하는 것이 불가피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평가 결과는 차후 민간투

자사업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의 실정에 맞는 VFM 분석 방법론 개발을

하여 향후 재정사업 민간투자사업에 한 경험자료가 더욱 축 되고 재 기

획 산처에서 비 인 민간제안사업에 한 격성조사 지침이 구체화되면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방법론을 보다 정교화 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본 장에서는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평가함에 있어서 lsquo 험rsquo을 다루는 방법에

해 보다 심도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 으로 어떤 일이 잘못 진행

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 lsquo 험rsquo이라 하고 일련의 행 로 인한 결과가 불확정 이거나

의심스러울 때 lsquo불확실성rsquo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여기에서 lsquo 험rsquo은 두 가지 의미

모두로 사용된다 험은 공사비용의 과지출 신기술의 성공여부 불확실한 미래

소득에 의존하는 수요의 불확실성 미래의 임 이나 연료비 는 소비자 취향의 변

화 다른 공 자의 시장진입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만일 이

게 발생한 험과 이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lsquo비용 효과 rsquo(cost effective)이라면 이는 반드시 감소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의 입장에서는 한정된 재원을 가지고

산을 편성하여 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이러한 사실을 감안한다면 어떻게 해

야 산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자원을 보다 효율 으로 사용하는가 하는 이

요 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를 해 일럿 로젝트 심화 연구 유연성 있고 표

인 시나리오 설계 는 험을 보다 효과 으로 다룰 수 있는 사람에게 험을

가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정부가 공공사업을 운 하는 과정에도 기치 못한 변동 상황이 발생하며 각종의

험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는데 이는 그만큼 미래에서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공공사업은 부분 규모 사업이므로 한 번 잘못된 선택을

한 경우 발생하는 피해는 크고 장기 이다 이는 투자사업의 불가역성을 생각할 때

더욱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사업에 한 타당성 여부를 사 에 평가할

3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때 이와 같은 상황을 미리 고려하여 이것이 사업의 성패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

에 한 분석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변동 상황에 한 분석결과는 의사 결정자에게

사업선택에 한 최종 단을 내리도록 하는데 도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사업의 성공 집행을 한 사 방조치를 강구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가 공공투자사업을 평가 선정하는데 있어서 해당 사업의 험과 불확실

성에 한 충분한 검토와 분석이 요구되며 그 결과를 토 로 명한 선택이 이루어

져야 한다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1 위험 분석에 관한 일반사항

험분석은 낙 편의(bias)의 효과를 상쇄시키고 상되는 결과의 변화가능성

(variability)을 수치화하며 로젝트에 있어서 어떤 요한 불가역성(irreversibility)이

존재할 경우 이를 평가하기 해 이루어진다 우선 비용과 편익에 있어서 낙 편

의의 제거는 가능한 한 유사한 특징을 갖는 기존 로젝트( 를 들어 과거 로젝트

의 정확한 수치자료)를 참고로 하여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기존 로젝트의 수치자료

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참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서 추정된 편의가 무

낙 일 수 있다는 의심이 있다면 그 로젝트가 채택되기 해서는 편익이 더 높

거나 비용이 더 낮아야 할 것이다113)

결과의 변화가능성 역시 심각한 비용을 래할 수 있다 사업수익을 보장해 주거

나 변화가능성이 최소한으로 통제될 수 있다면 사업자는 자신에게 돌아가는 기 편

익이 격하게 작아지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수도 있다 그 지 않다면 역으로 불확

실성이 가 된 로젝트의 경우 사업자에게 더 높은 기 편익을 제공해 두어야 한다

는 주장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러한 계는 비용-편익 분석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113) 일반 으로 벤처 사업이나 신기술을 한 제안서는 같은 목 을 가지고 이미 알려진 기술을 사용한

안과의 비교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비용이나 편익 양 측면에서 낙 성향이 매우 보편

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1

2 민감도 분석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동 상황이 사업에 어떤 향을 미치게 되는가

를 분석하는 것을 민감도 분석이라고 한다 일반 으로 순 가(NPV)가 양의 값을

가지고 내부수익률(IRR)이 자본비용을 상회하는 로젝트에 투자를 하 더라도 실

제 상황이 처음 상했던 수 에 미치지 못하여 투자가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자

주 발생하는데 이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변동 상황에 한 충분한 검토가 없었

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민감도 분석은 험을 평가하기 해 가장 리 통용되

는 기법으로서 모든 비용과 편익에 한 가정의 변동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지

를 제시해 다 이러한 민감도 분석은 모든 로젝트 평가에서 고려되어져야 하는데 안별 결과

를 고려해 보는 이 방법론은 때로는 험과 안에 한 새로운 생각과 단을 이끌

어 내기도 한다 보다 구체 으로 민감도 분석은 특정한 가정 하에서의 변화가 순

가(NPV) 총비용 는 다른 로젝트의 경과에 얼마나 향을 주는지를 보여 다 그러므로 분석 용에 있어서 안 가정에 한 가 치를 부여하는 단과정이

필요하다민감도 분석은 보다 상세한 정보가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밝 주는데 있어 유용

한 때로는 필수 인 지침이 되기도 하며 한 이 방법은 특별히 세심한 평가나 운

을 요하는 요인들에 해 심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

은 일반 으로 로젝트나 정책 투입요소 가령 지역 선정 상 가격의 변화와 같은

가능성을 모두 포함하게 되고 한 서로 다른 평가자에게 가능성 있는 비용과 편익

에 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갖도록 허용함으로써 그 성과에 어떻게 향을 것인지

알아보는 방법으로서도 유용하다114)

민감도 분석은 다음의 경우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우선 비용과 편익의 추정치에 있어 한 편의를 상해야 할 이유가 있는 경우

특히 요한 신기술 실질 인 재배치 외 으로 큰 규모 건설 로젝트 재건축 혹은 시장 유율의 측 등을 수반하는 로젝트에 용되어야 한다

한 경 에 있어 로젝트의 불확실성이 잠재 인 산문제를 야기하는 경우

특히 총 산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큰 종류의 로젝트에 용되어야 하며 환 험

과 같이 커다란 불확실성 하에서 진행되는 로젝트의 경우에도 반드시 용되어야

한다

114) 로젝트의 경제 는 재무 타당성을 분석하는 분석자가 가지기 쉬운 낙 편의(optimistic bias)를 통제하는 방안도 될 수 있다

3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민감도 분석은 추정치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하여 가능하면 과거 데이터를 이용

하여 산출해야 하는데 를 들어 건설 로젝트의 경우 비용 과와 공기연장에

한 과거기록들 수요 측의 정확성에 한 기록들이 이용될 수 있다특정 변화의 가능성에 하여 서로 다른 가정이 상되는 순 재가치(NPV)에 어

떻게 향을 미치는가를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 민감도 분석시 비

그리고 낙 변수들끼리 묶어주는 방식으로 변수들을 그룹화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로젝트를 계속 진행시켜 나갈 것인지 아닐지를 결정하

기 해 책임자들이 그 성과의 가능성에 해 포 인 평가를 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한편 어떠한 한 로젝트나 안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요인이 매우

요하게 작용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그 요인의 가치가 편익이라면 얼마만

큼 감소되어야 그 안을 취할 가치가 없어지는지 비용이라면 얼마만큼 증가되어야

그 안을 할 가치가 없어지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값은 소 환값

(switching value) 는 환 (switching point)으로 불리는데 일단 환 이 설정된 경

우라면 결과가 나빠질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상 으로 용이해 진다

3 시나리오 설정

시나리오 설정은 기 투자 계획에서부터 체 략 수립에 이르기까지 어떤

목 을 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는 상황의 귀결을 바라보는 것이다 즉 시나리오는

측이 아니라 발생 가능한 미래의 경제정치 환경에 한 일 된 묘사이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종종 투자 로그램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외 으로

규모이고 복잡한 로젝트들을 해서도 사용된다시나리오는 특정 로젝트나 안 혹은 략의 성공을 좌우하는 주요한 기술

경제 정치 불확실성에 한 의사결정자의 심을 유도하기 해 선정된다 일반 으로 최상의 근법은 두 개 아니면 세 개 정도의 시나리오를 마련하는 것인

데 선정된 다수의 시나리오 어떤 것도 가장 유력하거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처

럼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시나리오별로 각 안의 상 순 재가치를 계

산하고 하나의 시나리오 안에서 몇 가지의 민감도 분석을 해보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시나리오 계획은 가끔은 최악일 경우의 수익 최 화(Maximin-returns 컨 가장

나쁜 ldquo최악의 가능성rdquo의 결과를 가진 안) 혹은 최선일 경우의 불만 최소화

(Minimax-regret 컨 불만에 한 최소의 잠재 유인을 제공하는 안)의 범주

결정과 련되어 있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3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흐름의 험 외에 사업의 수행에 향을 미치는 상황들이 다수 발생할 수 있

는바 변동상황이 사업의 재무 타당성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해 민감

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시뮬 이션(simulation) 그리고 의사결정 나무분석

(decision tree analysis) 등을 수행할 수 있다다음에서는 앞 에서 험 민감도 분석과 련하여 언 한 환값(switching

value) 몬테 칼로 분석(Monte Carlo simulation)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등에 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1 전환값

일반 으로 민감도 분석은 주요 변수에 한 가정이 일정하게 변화할 때 재가

치 혹은 내부수익률이 얼마나 변화하는가를 보여주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lt표 Ⅺ-1gt의 에서와 같이 어떤 고속도로의 건설에 따른 재가치가 자동차

수요나 유가 등의 망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경우 자동차에 한 수요가 10 하락

할 때 사업의 재가치가 얼마나 변화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때 주요변수에

한 가정을 변화시킴에 있어서는 비 인 경우를 주로 고려하게 되는데 이는

험 기피 인 효용 하에서는 기 이하의 수익이 발생함에 따른 추가 인 불만족이

기 이상의 수익이 발생함에 따른 추가 인 만족보다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물론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비 인 경우와 낙 인 경우에 하여

칭 으로 민감도 분석을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lt표 Ⅺ-1gt 민감도 분석의 예

주요 변수의 변화 재가치의 변화

자동차 수요 -10 -30억

유가 +10 -15억

건설비용 +10 -30억

3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편 환값이란 사업의 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어떤 변수의 값을 의미하며 주로 재가치를 0으로 만들기 해 필요한 어떤 변수의 변화분을 백분율로 나타낸

다 를 들어 lt표 Ⅺ-2gt와 같이 자동차 수요가 상치보다 10 감소할 때 혹은 유

가가 상치보다 20 상승할 때 고속도로의 재가치가 0이 된다면 이 고속도로 사

업에 한 자동차 수요의 환값은 -10 유가의 환값은 +20가 되는 것이다

lt표 Ⅺ-2gt 전환값의 예

변수 환값

자동차 수요 -10

유가 +20

건설비용 +10

민감도 분석의 결과를 보고함에 있어서는 선호에 따라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의 형태 하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감도 분석의 목 이 어떤 변수에 한 순

편익의 탄력성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업의 재가치가 마이 스가 될 지도

모를 험을 개략 으로 따져보기 한 것이라면 lt표 Ⅺ-2gt와 같이 재가치가 0이

되는 각 변수의 변화분 즉 환값을 보고하는 것이 보다 더 간편하고 유용할 수 있

2 일반적인 민감도 분석의 한계점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 을 가진다첫째로 lt표 Ⅺ-2gt에서 계산된 환값이 얼마나 실 가능성이 높은지에 한 정보

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를 들어 lt표 Ⅺ-2gt를 보면 자동차 수요가 상보다

10 이상 하락하면 투자사업의 재가치가 마이 스로 돌아설 것으로 추정되고 있

으나 자동차 수요가 10 이상 하락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이에

한 해결로는 lt표 Ⅺ-2gt의 경우 각 환값에 하여 그 값 혹은 그보다 더 나쁜 값

이 실 될 확률을 개략 으로 제시하여 다거나 lt표 Ⅺ-2gt의 경우 고려되는 변수

의 변화분을 해당 표 편차에 따라 설정해 다거나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한계 은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에서와 같이 다른 변수들을 일정하게

두고 한 가지 변수의 변화만을 고려할 경우 여러 변수들이 서로 독립 이 아닌 이상

험을 제 로 반 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이다 를 들어 국제 유가가 인상될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5

경우 국내 건설비용 한 더불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면 유가인상에 따른 험은

lt표 Ⅺ-1gt이나 lt표 Ⅺ-2gt에서 제시된 것보다 더 클 수 있는 것이다이러한 민감도 분석의 단 들을 종합 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몬테 칼로 분

석이다

3 몬테 칼로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은 한 마디로 가능한 모든 경우에 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즉 주요 변수별로 몇 개의 특정 값을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분포

체를 가정하고 그에 따라 재가치에 해서도 몇 개의 값이 아니라 분포 체를

계산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한 민감도 분석과 달리 주요 변수의 변화가 얼마나

실 가능한 것인지에 한 정보가 자동 으로 고려되고 한 변수들의 확률분포를

가정함에 있어 변수들간의 상 계 한 가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변수들의 변화

를 종합 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몬테 칼로 분석은 크게 각 변수에 한

확률분포 가정 변수들 간의 상 계 가정 그리고 그에 따른 재가치의 확률분포

계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먼 각 변수의 확률분포를 가정하기 해서는 과거의 실제자료를 이용하여 히스

토그램을 그려본다든지 아니면 과거 자료가 부족할 경우 정규분포 삼각분포 등의

단순한 분포에 의존할 수 있다 삼각분포는 최 값과 최고값 그리고 최빈값의 세 가

지 값만으로 결정되는 분포로서 그 단순성 때문에 리 이용된다 [그림 Ⅺ-1]은 삼

각분포의 인데 x는 최 값 y는 최고값 z는 최빈값을 나타내며 최빈값의 확률은

x부터 y까지의 확률의 합이 1이 되도록 2(y-x)로 결정된다

[그림 Ⅺ-1] 삼각분포의 예

확 률

2 ( y - x )

x z z

확 률

2 ( y - x )

x z z

[ 그 림 X I- 1 ] 삼 각 분 포 의 예

확 률

2 ( y - x )

x z z

확 률

2 ( y - x )

x z z

[ 그 림 X I- 1 ] 삼 각 분 포 의 예

3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편 변수들 간의 비독립성은 주로 변수들 간의 상 계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가정해 으로써 고려할 수 있다 재 많은 소 트웨어들이 정규 삼

각 베타 등 여러 가지 확률분포에 하여 변수들 간의 상 계수를 지정해 수 있

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도 기술 으로는 변수들 간의 비독립성을

고려하는 것이 그 게 어렵지 않다마지막으로 이러한 주요 변수들의 확률분포가 결정되고 나면 그 결과로 재가치

의 확률분포가 계산되는데 이 한 시뮬 이션용 소 트웨어를 통하여 비교 쉽게

행해질 수 있다 일단 재가치의 확률분포가 주어지면 그로부터 재가치의 기 값

뿐 아니라 표 편차와 같은 험 련 통계치들도 간단히 구할 수 있게 된다이처럼 몬테 칼로 분석은 단순한 민감도 분석에 비하여 다소 복잡한 반면 재가

치의 다양한 값들이 어떤 확률로 발생할 것인지를 일목요연하게 고려할 수 있으므로

특히 두 가지 이상 사업의 비교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물론 몬테 칼로 분석

을 해서는 주요 변수별로 확률분포를 가정해야 하므로 사 으로 요구되는 정보

의 양이 많아진다는 단 이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로 주요변수의 확률분포

에 한 사 인 정보가 없이는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의 결과도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험을 고려하기 해서는 개략 이나마 주요 변수의 확률분포에

한 사 인 정보를 가지고 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 재가치의 불확실

성이 주로 어떤 변수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알고자 할 때에는 각 변수의 확률분포를

개별 으로 고려하여 각각에 한 재가치의 분포를 계산해 냄으로써 [그림 Ⅺ-1]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림 Ⅺ-1]과 몬테 칼로 분석의 차이는 자

가 몇 가지 특정한 경우만을 고려하는 데 비해 후자는 모든 가능한 경우를 다 고려한

다는 차이가 있다

4 몬테 칼로 분석과 현재가치의 기대값

이처럼 몬테 칼로 분석은 어떤 투자사업에 수반되는 험을 고려하기 하여 주로

이용되지만 엄 히 얘기하자면 험의 고려 뿐 아니라 재가치의 기 값을 정확하

게 계산하기 해서도 몬테 칼로 분석은 매우 요할 수 있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제

시하는 재가치는 원칙 으로 재가치의 기 값을 나타내어야 한다 즉 어떤 사업

에는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험이 따르며 그 결과 재가치의 값도 달라질 수 있으

므로 비용-편익 분석에서 제시하는 재가치는 재가치의 여러 가능한 값들의 평균 혹은 기 값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 으로 재가치가 계산되는 방법 즉

각 변수에 해서 일정한 값을 가정한 다음 그에 기 하여 상되는 편익과 비용의

흐름을 할인하는 방법은 반드시 재가치의 기 값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115)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7

이러한 문제 은 기본 으로 몬테 칼로 분석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앞에서 설명했듯이 몬테 칼로 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확률분포 뿐 아니라 변수들

간의 상 계도 고려하므로 그 결과로 계산된 재가치의 분포는 엄 한 의미에서

의 재가치의 기 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몬테 칼로 분석은 단지 민감도 분

석의 목 을 해서만이 아니라 재가치의 정확한 계산을 해서도 매우 요하다

고 할 수 있다 물론 몬테 칼로 분석에 수반되는 시간과 정보 비용을 고려할 때 모든

비용-편익 분석에서 몬테 칼로 분석을 반드시 해야한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지만 어도 주요 변수들 간의 상 계가 높을 것으로 상되고 한 그 변수들이 곱이

나 비율 등의 형태로 재가치의 계산에 이용될 때에는 변수들 간의 상 계를 감

안하여 재가치의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5 민감도 분석 및 몬테 칼로 분석의 한계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의 근본 인 문제 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첫째 주요 변수의 일정한 변화를 가정하여 재가치의 확률분포를 구하 다 하

더라도 그 결과를 구체 으로 최종의사결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에 해서는 일

된 규칙이 세워져 있지 않다 를 들어 두 가지 사업 A와 B 가운데 사업 A가 사

업 B보다 재가치의 기 치와 표 편차 모두 더 크다고 할 때 A와 B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 것인가가 분명치 않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사업평가주체의 험기피도

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므로 험기피도에 한 고려가 없이는 체계

인 단기 을 수립할 수 없을 것이다둘째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은 여러 투자사업을 개별 으로 분석하며 투

자사업들 간의 계를 무시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 으로 민감도 분석과 몬테 칼로

분석의 결과는 고려되는 투자사업의 정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러 투

자사업을 총체 으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사업인 것처럼 고려한다면 그 지 않은 경

우와 비교하여 다른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를 들어 두 가지 사업 A와 B의 순편익이 서로 독립 이라면 사업 A와 B를 개별 으로 고려했을 때보다 A와 B를

묶어서 하나의 사업으로 취 했을 때의 험이 더 낮게 나타날 것이다 보다 극단

으로 A와 B의 순편익이 완벽한 음의 상 계를 가지고 있다면 A와 B는 개별 으로

115) 를 들어 어떤 사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총수익 R을 계산하기 해 가격 P와 매량 Q 각각에 하여 일정한 값(기 값)을 가정하 다고 하자 그런데 이 때 가격과 매량의 곱으로서 계산되는 총수익은

가격과 매량이 서로 확률 독립이 아닌 이상실제 총수익의 기 값과는 다를 수 있는 것이다E(R)=E(PtimesQ )=E(P )timesE(Q )+Cov(PQ )

3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는 아무리 험이 크더라도 A와 B를 동시에 고려한 순편익은 항상 일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 으로 공공투자사업은 여러 개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여러 투자사업간의 계를 제 로 고려하지 못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민감도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의 단 은 매우 치명 인 것일 수 있다셋째 민감도 분석 몬테 칼로 분석은 수량화하기 어려운 변수의 변화를 제 로

반 하지 못한다 이들 분석은 주요 변수의 확률분포를 제로 하므로 확률분포가

정의되기 어려운 변수들에 해서는 그 험도를 제 로 반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다 를 들어 사 조사가 상보다 늦게 끝날 가능성이나 혹은 사업이 도에 포기

될 가능성과 같은 계획상의 불확실성은 일반 인 민감도 분석이나 몬테 칼로 분석으

로는 고려하기가 어렵다첫째와 둘째 문제에 한 한 가지 안으로는 사회 할인율의 수 을 히 조

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험에 따라 투자사업별로 할인율을 다르게

용함으로써 험이 클수록 재가치가 작게 추정되게 하는 방법이다 한편 셋째 문

제에 해서는 바로 다음에 설명되듯이 의사결정 나무를 이용함으로써 사업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사건과 그 결과들을 열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6 의사결정 나무

많은 경우 투자사업의 평가는 하나의 의사결정이 아니라 여러 차례의 단계 인

결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에서와 같이 사업 체의 재가치

를 추정하는 신 사업의 각 단계에서 가능한 안과 각 안별 재가치를 비교해

보는 것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를 들어 새로운 교통 체계를 도입하기 한 사 연구 테스트 그리고 실행

의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고 하면 이 때 각 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사건들과 그 확률

을 정리하면 [그림 Ⅺ-2]와 같은 형태를 취할 것이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19

[그림 Ⅺ-2] 의사결정 나무의 예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그림 XI-2] 의사결정 나무의 예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1

2

1

연구

성공

테스트

성공

도입

편익추정

실패(50)

중단연구없음

중단

테스트안함

중단

실패(25)

중단

도입안함

중단

[그림 XI-2] 의사결정 나무의 예

[그림 Ⅺ-2]에서 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을 의미하며 는 그에 따라 발생

가능한 사건들을 나타낸다 일반 인 비용-편익 분석이 이루어지는 시 은 [그림 Ⅺ

-2]에서 단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림 Ⅺ-2]를 보면 그림의 모든

마다 그에 해당되는 재가치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가장 높은 재가

치를 생성하는 이 선택되어야 할 것임을 알 수 있다각 에서의 재가치를 계산하기 해서는 맨 끝 단계에서부터 역으로 거슬러

가는 소 backward induction의 방법을 쓸 수 있다 먼 단계에서는 연구를 수행

하는 경우와 그 지 않은 경우의 재가치를 비교하여 연구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일반 으로 연구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의 재가치는 0일 것이므로 연구의 재가치

가 0보다 큰 이상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그 다음은 연구가 실제로 성공하는지

실패하는지를 살펴본 후에 다음 단계로의 이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의사결

정 나무의 장 은 사업평가자에게 가능한 여러 안들을 고려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합리 인 의사결정을 돕는다는 이다 한편 [그림 Ⅺ-2]의 의사결정 나무에 해서

도 성공과 실패의 확률에 한 가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앞에서 설명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3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7 기타 위험분석 방법론(공공투자사업에 있어서 실물옵션 분석방법의 적용)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은 투자사업의 타당성 평가와 실제 수행과정에서

추가 인 의사결정이 가능함을 알려주고 있다 투자사업은 정 (static)인 환경에서 수

행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동 (dynamic) 환경에서

수행되기 마련이다 컨 공공사업에 투자를 할 때만 해도 그 사업이 창출하는 공

공서비스에 한 수요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정보가 없지만 사업이 일단 시작되면

수요에 한 정보가 생겨나고 그에 따른 추가 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유연성은 실물옵션(real options)으로 경제 가치가 있기 때문

에 이는 로젝트 평가에 반 되어야 한다 몇 가지 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사업포기옵션

민간사업자가 사업을 수행하다가 포기할 수 있는 옵션(abandonment option)은 정부

가 부담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이므로 로젝트의 순 가에 가산해 주어야 한다 이는 민간사업자가 사업의 수행결과에 한 무한책임을 감면해 주는 것이므로 융옵

션 풋옵션(put option)116) 가치평가 모형을 사용하여 사업포기옵션을 평가할 수 있

다 사업포기옵션을 감안하지 않는 경우 민간자본을 공공사업에 투자하게 하기 해

사용료 무상사용기간 는 국고보조 의 수 이 실제보다 높게 설정될 소지가 있다

나 사업확장옵션

도로 교량 항만 등의 공공시설의 건설이 다른 사회기반시설의 경제 타당성

을 제고하거나 는 부 사업의 수익성을 제고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에 법의 테

두리 안에서 사업자가 사업의 확장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옵션(expansion option)은 공공투자사업에 한 기 평가( 를 들어 비타당성조사)시에는 알 수 없

었던 것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겨나는 추가 인 옵션이므로 로젝트의 순

가에 가산해 주어야 한다 이는 민간사업자가 추가 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

는 것이므로 융옵션 콜옵션(call option)117)의 가치평가모형을 사용해 평가할 수

있다

116) 자산을 만기 혹은 만기 이 에 팔 수 있는 권리

117) 자산을 만기 혹은 만기 이 에 살 수 있는 권리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21

다 기다림의 가치(timing option)

비타당성조사 시 부터 사업자 선정 상이 마무리되는 때까지 경과되는 시간

에 새로이 생성되는 정보에 의해 사업의 타당성 여부가 더욱 확실해지므로 기다리는

시간의 옵션가치 추가로 생성되는 정보이용옵션의 가치가 재무 수익성에 포함

되어야 한다 즉 비타당성조사는 타당성조사 그리고 사업자 선정 등의 순으로 이

어지는바 각 단계별로 사업진행의 여부가 재검토되므로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한

종합 인 검토가 가능하며 옵션가격평가모형을 용하여 수치화할 수 있다

라 원자력 발전소에 적용한 사례

민간사업자가 사업자로 선정된 후 더 이상 번복이 불가능한 정도로 투자하기

에 사업의 수행을 포기하거나 건설시작을 지연하는 옵션의 가치 역시 재무성 평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은 이러한 옵션의 가치를 원자력 발 소 건설의 투자 의사결

정에 용한 사례이다118)

LNG 화력발 소 1000MW 건설계획이 있는 경우 흐름할인법은 상되는

유출과 유입을 재가치로 환산하여 건설할 지 여부의 결정만을 내리게 된다 반면에 설비투자의 연기옵션을 사용하여 건설을 연기했을 때의 옵션가치를 산출함으

로써 당장 건설할 것인가 상황변화에 따라 건설을 연기할 것인가의 결정을 내리게

되어 의사결정의 융통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발 소를 지 당장 건설하지 않고

10년 이내까지 건설을 연기할 수 있다면 이러한 연기옵션은 아메리칸 콜옵션

(American call option)119)에 해당한다 먼 옵션가치를 제외하고 이 설비투자의 재

가치를 추계하는데 여기서 흐름할인법에 의한 로젝트의 재가치를 원자산의

가격으로 볼 수 있다 발 소가 발 에 의해 산출하는 이익을 흐름(Free Cash Flow FCF)으로 보고 매년의 FCF를 당한 할인율에 의해 재가치로 계산한 액

이 발 소 가치(PV)가 되는데 본 사례에서는 발 소의 재가치가 1266백만달러로

계산되었다 한편 LNG 화력 1000MW의 시 에서의 투자비가 1274백만 달러라고

하면 NPV는 -08백만 달러가 되어 이 투자안은 포기 상이다 그러나 연기옵션을 감안하면 결과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해 발 소 재가치

118) 본 사례는 ldquo설비투자의 투자지연옵션의 가치평가rdquo Hattori and Yamaguchi Issues in Real Option Valuation i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2003에서 인용 윤우진 ldquo원자력발 산업의 정 할인율 산

정 (20042)에서 재인용

119) 만기 이 에도 미리 정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 cf) European option 만기시에만 행사할 수 있는 옵션

3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의 변동성(volatility)을 추계할 필요가 있다 변동성의 추계방법은 여러 가지 이지만

본 사례에서는 발 소 재가치의 계산을 이용한 시뮬 이션에 의해 추계하는데 변동성이 추계되면 그 값을 토 로 원자산(발 소의 가치)의 event tree를 작성한다 이는 주어진 변동성 하에서 원자산이 옵션의 행사기간 에 얻을 수 있는 값을 binomial tree로 나타낸 것이다(binomial tree를 사용한 옵션가격 결정모형은 생략)

옵션가치 tree는 험 립 확률 근법에 의해 각 상태에서의 의사결정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가치를 나타내는데 최종 시기로부터 역산에 의해 계산된다 최종 시기에는

옵션을 행사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두 가지 선택지 유리한 쪽을 선택하게 되는

바 건설비( I )를 투입하여 투자를 실행함으로써 event tree상의 발 소 재가치를 얻

을 것인가(PV - I ) 투자를 하지 않고 이익을 0으로 할 것인가의 선택이다(max(PV - I 0)) 변동성이 6인 경우 연기옵션의 가치는 1566백만 달러가 되는데 즉 향후

10년간 연기하는 옵션이 1566백만 달러 이상의 비용을 래하지 않는 한 투자를 연

기하여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이와 같이 실물옵션(real option) 가치평가모형에 의한 가치평가는 이제까지 정량

화할 수 없었던 경 의사결정의 융통성을 반 할 수 있는 장 이 있는 반면 일부

실성이 없는 여러 가지 가정들을 해야 한다는 단 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투자 로

젝트의 재가치와 변동성을 추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나 몇 가지 입력변수

를 확실하게 추계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일정 범 의 값 내에서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을 함으로써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로젝트 평가시에 불확실성과 험에 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

음과 같다

① 먼 험의 주된 발생지와 비용과 편익에 향을 미치는 요한 불확실성

이 무엇인지를 식별하여야 한다

② 성과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에 한 확률과 그 범 에 해 략 인 수치

단을 도출해야 한다

③ 과거의 유사 로젝트로부터의 증거자료 확보가 가능하다면 이를 기 로 발

생가능한 효과를 수량화하여야 한다

제Ⅺ장 불확실성과 험의 분석 323

④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할 경우 환값을 계산하여야 한다

⑤ 시나리오나 민감도 분석보다 더 정 한 다른 방법들이 유용한지를 고려하여

야 한다

⑥ 일럿 로젝트나 심화 연구가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⑦ 더 유연한 설계를 한 방도가 있는지를 고려하고 더욱 유연성 있는 로

젝트를 한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⑧ 계약상에 더 나은 타 을 한 여지가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⑨ 변화가능성이 로젝트 혹은 로그램 경 에 해 어떤 비용을 부담시키며

변화가능성이 개인들에게 큰 부담으로 와 닿는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⑩ 만일 변화가능성이 문제가 된다면 보다 확실한 안이 선호될 수 있는지 여

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⑪ 사후 평가를 해 그리고 험분석과 련하여 이후의 로젝트에 도움이

되는 요한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본 장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정책 평가의 주요 항목인 지역경제 효과 추정

을 하여 한국개발연구원의 다지역산업연 모형(KDI MRIO Model KDI Multi-Regional Input Output Model)을 어떻게 구축하 고 어떻게 생산 부가가치 고용 임 등의 유발효과를 추정하 는지를 논의하고 그 추정결과를 제시하도록 한

다120) 먼 논의에 앞서 밝 둘 사항은 본 모형의 갱신 작업의 필요성에 한 것이다

본 KDI MRIO 모형은 한국은행의 1995년 산업연 표를 기 로 하여 작성된 것으로

서 모형 자체가 오래되어 그간 지역의 산업 교역구조의 변화를 히 반 하지

못하는 문제 이 제기되어 왔다 이와 련하여 국가균형발 원회에서는 2000년

산업연 표를 이용하여 보다 최신의 MRIO 모형을 구축한 바 있다 따라서 KDI에서

는 향후 국가균형발 원회의 MRIO 모형을 비타당성조사에 용하는 것이

한지 검토하고 토목건설부문 세분화 등 필요시 모형의 수정 보완작업을 통해 보

다 최신의 모형을 마련하여 지역 효과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려 한다 다만 이러

한 내용은 본 지침 개정시까지 결정되지 않은 사항이므로 향후 과제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존 KDI MRIO 모형에 한 내용을 그 로 수록하도록 한다 이미 1999년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해서도 사업기간 발생하는 투자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하여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이 시도된

바 있는데 1999년의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은 모형의 구체 인 정립과정 활용

방안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 을 안고 있었다 첫째 연구시간 제약 등에 기인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삼성경제연구소(1995))를 거의 그 로 원용하여 모형을 정립했기 때

문에 모형이 갖는 유용성 한계에 하여 분명한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원천 으

120) KDI MRIO의 구축방안에 해서는 제1부 제Ⅳ장 제1 에서 간략히 언 한 바 있지만 여기서 보

다 상세한 논의를 추가하기로 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5

로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둘째 1999년의 모형분석은 모형의 변수선택

추정 방법론 선택상의 문제를 완 히 공론화하지 못했다 다지역산업연 모형

분석에서는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는 방법 혹은 지역교역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나 이용 자료의 코드매칭(code-matching) 등에 있어서 연구자의 lsquo 단rsquo이 상당부분 개입

될 수밖에 없으며 방 한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수요부문의 계수를 추정하기 해

각 단계마다 연구자의 lsquo자의 단rsquo이 지 않게 개입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

이 모두 상세히 기술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셋째 1999년의 모형은

원래 비타당성조사에 활용할 목 으로 구축된 것이 아니라 기존의 모형을 변형한

것이기 때문에 산업분류에 있어서 비타당성조사 목 에 가장 잘 부합되도록 설계

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공공투자사업이 여러 산업 가운데에서도 특히 건설산업

부문을 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설부문을 정 하게 세분류하여 분석할 필요성

이 제기되었는데 이러한 에서 1999년 모형은 만족스럽지 못하 던 것이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할 수 있는 lsquoKDI MRIO 모형rsquo의 체계 인 정립

을 하여 이론 고찰과 실증 분석 결과를 총체 으로 보고하는데 을 둔

다121)

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한국개발연구원 다지역산업연 모형 즉 KDI MRIO 모형 구축은 기본 으로 체

리-모제스형의 경쟁형 다지역 산업연 모형을 바탕으로 하 다 굳이 추계방법상

구분에 의한다면 직 조사방식(survey)에 의한 모형인 IRIO와 비조사방식(non-survey)에 의한 모형인 MRIO의 lsquo혼합형태rsquo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MRIO의 경우 지역기술계수 지역교역계수 모두를 비조사방식에 의하여 추정하지만 KDI MRIO는 지역기술계수 추정시 직 조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한 것은 아니더라도

수출입 등 일부 부문을 제외하면 지역내총생산 공업통계조사 서비스업 통계조

사 등과 같이 직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KDI MRIO 모형의 형태를 2지역(L M) 3산업(1 2 3)을 가정하여 단순한 형태로

시해 보면 lt표 Ⅻ-1gt과 같다 모형은 지역기술계수 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 지역별 최종수요 지역교역계수 등의 추정부문들을 결합작성하여 구축되었다 KDI MRIO는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5 역시와 9개 도를 총 하는 15개 지역모형이며

121) 이하에서 제시되는 KDI MRIO 모형의 구축 추정결과에 한 자세한 논의는 ꡔ공공투자사업에

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을 한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 구축 분석ꡕ(한국개발연구원 2000 12)을 참조하라

3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산업부문은 12개 토목건설부문을 포함한 총 37개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555times555) 모형이다

모형의 산업분류는 기본 으로 1995년 국산업연 표의 산업분류 기 으로 하

으며 부문 수는 총 37개 부문이나 세분류된 토목건설 부문을 하나의 부문으로 간

주하면 총 26개 부문이라 할 수 있으며 국 IO 통합 분류(28부문)의 부문수와 유사

하다고 할 수 있다 토목건설부문을 국 IO의 기본부문과 동일한 12개 부문으로 세

분화한 것은 본 모형이 일반 인 지역산업연 표의 이용목 에도 합하지만 비타

당성조사 상사업인 공공투자의 지역경제 효과 계측에 1차 인 목 을 두었기

때문이다

lt표 Ⅻ-1gt KDI MRIO 구조의 예시(2지역 3산업 경쟁이입형)

산출

투입

간수요 최종수요총

지역 L 지역 M 소

산업 산업 산업

1 2 3산업 산업 산업

1 2 3

L

산업 1산업 2산업 3

10 15 20 20 10 40 20 25 10

5 10 15 15 25 20 10 35 15

405085

153545

130215245

5105

-25 5-10

150200250

M

산업 1산업 2산업 3

5 20 10 25 10 30 10 35 30

40 50 30 70 30 90 60 80 80

8070

100

953025

330355420

51010

25-510

300350400

부가 가치 60 85 110 100 120 150

총 투 입 150 200 250 300 350 400

주 1) 순이입 = 이입-이출

2) 수입 순이입은 공제항목임(음의 값을 갖는 경우는 이출이 더 큰 경우로 총수요와 합하면 산업

별 총투입과 총산출이 일치함)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7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KDI MRIO 모형의 단계별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지역기술계수 추정

② 부가가치부문 추정

③ 최종수요부문 추정

④ 지역산업연 표 작성

⑤ 지역교역계수 추정

⑥ 지역투입계수(지역기술계수와 지역교역계수 결합) 추정

⑦ 다지역산업연 모형 완성

이하에서는 7가지 단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역기술계수 지역교역계

수 추정 방식과 부가가치 최종수요 산정방식에 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지역기술계수 추정

KDI MRIO 모형에서의 지역기술계수 추정은 기본 으로 생산물조합법(product-mix approach)을 이용하지만 간투입 부가가치 추정방법에 있어 다소 다른 방법을 용

하 다생산물조합법으로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할 경우 국 하부산업의 부가가치비율은

간투입 비율에 의해 자동 으로 결정된다 즉 생산물조합방식에 의한 지역기술계수는 다음과 같다

a Ri j=sumka Ni jsdotksdotX

Rjsdotk

sumkX Rjsdotk

그러므로 부가가치(VA value added)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3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VA Rj =sum

k(1-a

Rij)X

Rjsdotk

여기서 a Rij는 지역기술계수로 i는 매하는 산업 j는 구매하는 산업 a Nijsdotk 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산업 k의 국기술계수 X R

jk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

산업 k의 지역별 생산량이다 그런데 지역별 하부산업의 부가가치와 간투입에 한 자료가 있다면 지역기술

계수를 추정하는 데에 있어 지역별산업별 총생산량보다 총 간투입을 이용하여

지역기술계수 부가가치를 추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별 생

산량이 아닌 총 간투입을 이용하는 간투입조합법(intermediate input-mix approach)에 의해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계하고 부가가치는 총투입에서 간투입을 제외한 나머

지가 아닌 지역별산업별 실제 부가가치를 용하는 것이다 총 간투입으로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정하는 경우 지역기술계수와 부가가치는

다음과 같이 된다

지역기술계수 a Ri j=sumka Ni jsdotksdotZ

Rjsdotk

sumkZ Rjsdotk

부가가치 VA Rj =sum

k(X

Rjsdotk-Z

Rjsdotk)

여기서 Z Rjsdotk는 j산업을 구성하는 하부산업 k의 지역별 총 간투입량이다이 방법은 Ji(1999)의 6개 지역 MRIO 구축 시 처음으로 사용된 방법으로 산업별

간투입 비율은 국자료를 이용하면서 부가가치는 지역별 자료를 이용한다는 면에

서 일 성이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지만 추가 인 정보를 포함하 다는 과

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율의 차이를 모델 내에 수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체 리-모제스의 방식을 개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122)

2 지역교역계수 추정

우리나라의 경우 재화 서비스에 한 지역간 거래 통계는 교통개발연구원의

농림어업 공업부문의 물동량조사(1994)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부

문에 한 지역간 거래통계는 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림어업 공업부문

을 제외한 서비스부문의 지역 자료는 추계에 의존하여 도출할 수밖에 없다 KDI MRIO 모형에서 농림어업 공업부문의 지역간 거래규모 추계는 교통

122) 이 경우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의 지역합계는 국 IO와 일치하도록 조정하지만 부가가치 항

목별로는 국 IO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29

개발연구원의 1994년 물동량조사 자료를 이용하 으나 서비스업종은 지역간 거래규

모가 악되지 않고 있으므로 엔트로피 극 화 모형(entropy maximization model)을

이용하여 별도 추정하 다엔트로피 극 화 모형에 이용되는 자료는 지역별산업별 생산량 수요량 운송비

용 지역간 거리 등이다 서비스부문의 지역별 생산량 자료는 력 운수 건설부

문의 경우는 ꡔ 력통계ꡕ ꡔ운수업통계조사보고서ꡕ ꡔ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ꡕ 등 부문

별 자료를 이용하 으나 나머지 서비스부문은 모두 통계청의 1995년ꡔ지역내총생산ꡕ

자료를 이용하 다 지역별산업별 수요량은 앞에서 구한 지역별 산업연 표에서

간수요 최종수요의 합으로 간주하 다 그리고 총운송비용 자료는 국 산업

연 표에서 각 산업이 운수보 (산업연 표 402분류 6301~6313) 부문에 지불

한 액을 산업별 총운송 비용으로 평균단 운송비용은 (총운수보 비용)(산업

별 총생산)으로 처리계산하 다 마지막으로 지역별산업별 단 운송비용은 산

업별 평균 단 운송비용을 지역별 거리로 조정하여 도출하 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지역간 교역 추정모형은 슨(Wilson 1970)이 제시한 엔트로

피 극 화 모형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max x xmij -sum

isumjxmij ln x

mij+ x

mij

(Ⅻ-1)

st 1) sumjxmij =X

mi

2) sumixmij = Y

mj

3) sumisumjxmijsdotc

mij =C

m

여기서 xmij 은 상품 m의 지역 i에서 지역 j로의 이동 Xmi 은 지역 i의 m상품

생산량 Ymj 은 지역 j의 상품 m수요량 cmij 은 상품 m의 지역 i에서 지역 j로의 이

동에 소요되는 단 운반보 비용 Cm은 상품 m의 총 운반보 비용을 나타낸

이를 라그랑지안 함수 형태로 만들고 x ij로 미분하면

L = - sumisumjxmij lnx

mij+x

mij + λ (Xmi - sum

jxmij )

+ γ (Ymj - sumixmij ) + μ ( Cm- sum

isumjxmijsdotc

mij )

(Ⅻ-2)

x ij= e- λ i- γ j- c i jsdotμ forallij (Ⅻ-3)

여기에 제약식 1) 2)를 입하여 지역별 거래량 x ij에 하여 정리하고 변환하면

3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수송비 승수( μ)의 감소함수 형태의 식이 도출된다

xmij =AiB jX iY j exp (-μsdotcmij ) (Ⅻ-4)

여기서 Balancing factor Ai Bj는 다음과 같다

Ai= (sumjB jY j exp (-μsdotcmij ))

- 1 Bj=(sumiA iX i exp (-μsdotcmij ))

- 1

식 (Ⅻ-4)를 이용하여 지역간 거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수송비 승수( μ)를 반

복 으로 변화시켜(iteration procedure) 경험 으로 찰된 총 운송비용과 모형 내에서

결정되는 총 운송비용이 같아지는 에서 해(解) 즉 지역별 거래량이 결정되는 것이

다 반복법에 의해서 나타난 산업별 지역별 교역량의 합이 체 생산량 체 수

요량과 일치해야 하며 모형의 정합성도 이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출한 서비스 부문의 지역별 교역계수는 앞에서 상술한 농림어업 공업 부문

의 교역계수와 결합되어 지역별 교역계수를 형성하게 된다

3 부가가치 및 최종수요

본 모형에서의 부가가치 산정 방법은 생산물조합법(product mix approach)과 다소

차이가 있다 컨 생산물조합법은 부가가치 부문이 잔차(residual) 개념으로서 부

가가치율의 지역별차이를 반 하지 못하는 단 이 있다는 을 보완하기 하여 생

산물조합법을 다소 수정하 다 즉 간투입구조를 추정할 때 지역별 총투입(=총생

산액)이 아닌 총 간투입을 이용하는 간투입조합법(intermediate input-mix approach)에 의해 지역별 기술계수를 추계하고 부가가치는 총투입에서 간투입을 제외한 나

머지가 아닌 지역별 실제 부가가치를 용한 것이다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

의 지역합계는 국 IO의 산업별 간투입 부가가치와 일치하도록 사후 으로 조

정하 다따라서 본 모형에서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업잉여 등)별로는 산업별 지역

합계가 국 IO 산업별 부가가치 항목과 일치하지 않는 단 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한 범 에서 지역별 부가가치율의 차이를 모형 내에 포함하고자 하는데 기인한

것이다지역별 부가가치는 지역내총생산(GRDP)의 지역별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wage bill) 업잉여 감가상각비 순간 세(간 세-보조 ))을 이용하여 국표의 부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1

가가치 항목을 지역별로 배분하고 지역내총생산 융귀속서비스는 산업별로 배

분처리하여 추계하 다지역내총생산 자료에는 우리의 모형에서 이용하는 하부단 산업까지의 부가가

치 통계가 없기 때문에 공업통계조사보고서 서비스업통계조사보고서의 부문별

자료를 가 치를 이용하여 지역별로 배분하 다기존연구의 경우는 최종수요부문을 추정하지 않거나 혹은 구성항목 일부만을

추정하 으나 KDI MRIO 모형에서는 국산업연 표상의 최종수요항목 모두를 추계

하 다최종수요 변동에 따른 총생산량 변동 등을 계측하는 산업연 모형 분석을 해서

는 산업간 간투입거래 내역을 나타내는 부문(A matrix)만 있으면 가능하지만 최종

수요부문을 포함함으로써 지역별산업별 총공 과 총수요의 일치 등 모형의 내

정합성을 검토할 수 있고 모형이 각 지역을 포 하는 하나의 일반균형 통계체제로

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지역별 기술계수 지역별 최종수요 수입 그리고 부가가치 항목을 결합하여 다

른 지역과의 거래를 고려하지 않은 15개 지역별 산업연 표를 작성하 다 지역별

교역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의 지역별 산업연 표는 지역별산업별

총수요와 총공 이 일치하지 않지만 수출 수입까지 포함한 국가 체의 산업별

총수요와 총공 은 일치하게 된다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1 모형의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 제고

지역별 산업연 표를 결합한 형태의 다지역산업연 표에서도 총 간투입과 총

간수요가 일치하여야 한다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여 총 간투입을 구하면 일반 으

로 국 산업연 표의 총 간수요와 일치하지 않는 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불일

치(inconsistency)는 정확한 지역 자료의 부족 산업연 표상의 오류 지역교역 자료와

지역기술계수간의 불일치 등에 기인한다 KDI MRIO의 작성과정에서도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하 으나 산업별 총 간투입

과 총 간수요의 불일치는 보편 으로 사용되는 조정방법인 RAS방식에 의하여 다시

조정하 다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 항목은 피용자보수 업잉여 감가상각 순간 세(간

3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세-보조 )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도 언 한 바와 같이 생산물조합법으로 지역기

술계수를 추정하면 부가가치는 간투입비율에 따라 자동 으로 결정되므로 지역별

부가가치의 차이를 반 할 수 없게 된다따라서 본 모형에서는 지역별 부가가치의 차이를 모형내에 수용하기 해 부가가

치 항목별 지역합계는 국 IO 부가가치 항목과 일치하지 않으나 지역별 부가가치

의 산업별 합계는 국의 산업별 부가가치와 일치하도록 하 다지역별 최종수요는 앞에서 언 한 바와 같이 지역별 민간소비 정부소비 고정자

본 형성(민간고정자본 형성 + 정부고정자본 형성) 재고 수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의 지역별 합은 국 산업연 표의 항목과 일치한다개별 지역내의 총생산과 총공 은 일치하지 않지만(이출입을 포함하면 개별

지역 내에서의 총생산과 총공 도 일치) 지역간 거래에 의해 최종 으로 산업별

총생산과 산업별 총공 이 일치하게 된다 KDI MRIO 모형에서는 간투입부문 부가가치부문을 일치시킨 후 최종수요부문 재고증가 항목을 잔차(residual) 개념

으로 하여 지역별산업별 총생산과 총공 (수입 차감)을 일치시켰다

2 건설부문의 세분류(12개 부문)

KDI MRIO 모형의 산업구분은 37개 분류 산업으로 분류되었고 건설부문을 제

외하면 체로 국 IO의 28개 통합 분류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모형은 특히 공공투자사업의 지역경제 효과 계측을 목 으로 구축되었으

므로 건설부문을 주택부문과 토목건설로 구분하고 토목건설부문을 다시 국 산업

연 표의 최소분류단 인 12개 부문으로 분류하 다 따라서 본 모형은 SOC분야를

하나의 산업으로 분류한 모형에 비해서 각기 다른 SOC 련투자에 한 산업간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3 지역 및 국가경제의 파급효과 추정 가능

KDI MRIO는 15개 지역이 결합된 하나의 국산업연 표 형태이나 각 지역경제

의 합이 국가경제가 되며 지역간 교역이 각 지역을 연계하는 형태로 모형이 정식화

(specification)되어 있으므로 각 지역은 경제 인 측면에서 독자 인 경제단 로 기능

하게 된다(bottom-up approach) 지역별 기술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경제 기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지

역별 기술계수가 지역간 교역계수와 결합될 경우 지역 내외에서 공 하는 간투

입의 규모가 결정된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3

지역교역계수는 간투입 최종수요의 지역간 배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되

는 동시에 지역별산업별 생산과 공 이 국 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담

당한다 이를 통해서 다지역산업연 표는 단순화된 일반균형 통계체계로서 기능하

게 되는 것이다부가가치 각 항목은 지역별산업별 차이를 반 하고 있으므로 각 항목별로 지

역별 최종수요 혹은 투자의 효과 지역 내외의 산출구조를 추정할 수 있다결국 KDI MRIO 모형은 1995년 균형상태의 경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역별 경

제 조건의 변화가 해당지역 뿐만 아니라 국의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생산량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

4 이용자료의 양적 및 질적 수준 제고

KDI MRIO 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비교하여 기 자료의 양 질 측면에서의

장 도 지 않게 갖고 있다 우선 기 자료의 양 인 면에서 볼 때 기존 모형은 산업 분류(28부문) 혹은 분

류(77부문) 규모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가 부분이나 본 모형의 경우는 최종 으로

37개 산업으로 분류하 고 실제로 생산물조합법에 이용된 하부산업은 334개 산업에

달하는 등 방 한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지역별 산업 분류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가능한 한 하부산업까지를 고려하여 지역기술계수를 추정하 으므로 본 연구의

모형이 지역별 산업구조를 보다 잘 반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행의 국 산업연 표상의 산업분류는 기 조사 과정에서 산업이 아닌 상

품단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업연 표의 산업별 총생산 자료와 산업별로 조사되는

지역내총생산(GRDP)의 총생산 자료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하여 농림수산 통계 공업통계 소비통계 등 지역자료를 상품별로 구분하여

국 산업연 표의 품목과 일치시켜 이를 지역별로 배분하는 방식을 사용하 다 따라서 KDI 모형은 국 자료와 지역 자료의 추계방식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했다는

장 을 갖는다 본 모형은 기존 연구에 비해 보다 공신력 있는 자료를 생산 이용하 다는 에서

질 수 을 제고시켰다고 할 수 있다 지역통계의 황을 보면 제조업의 경우는 통

계청의 공업통계조사보고서 총사업체보고서 자료가 있으나 서비스 부문에 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도소매업 총조사보고서 등 서비스부문에 한 조사

보고서가 공표되고 있기는 하나 정부부문이 없고 국공립 민간부문이 구분되어

있지 않은 등 국 산업연 표와 산업분류상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3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의 경우 통계청의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 기 때문

에 개별 인 추계방법 보다 상 으로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선행연구에서도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공식 으로 발표되는

18개 부문만을 이용하는데 그쳤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KDI MRIO는 보다 세분

화된 산업분류의(65 부문)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이용하 다는 에서 차이가 있다 공업의 경우는 공업통계조사보고서 보다 산업총조사보고서가 조사 상(종사

자 1인 이상)이 범 하고 공업부문 이외에 기수도가스업을 포 하고 있는

장 이 있으나 산업총조사보고서의 경우 조사시기(끝자리가 3 8로 끝나는 해 최근

의 로 1993 1998년)가 본 모형의 기 시 (1995년 기 )과 다르기 때문에 공업

통계조사보고서를 이용하 다 음식숙박업의 경우는 도소매총조사보고서(통계청 1998) 건설업(주택부문과 12개 토목부문으로 세분류)의 경우는 건설업통계조사보고

서(통계청 1996)를 이용하는 등 부문에 따라서 개별자료를 병행이용하 다 이처

럼 공식 으로 정부기 의 발표자료 혹은 내부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수출입과 같이

지역별산업별 자료가 가능하지 않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별 인 추계 자

료의 이용을 최소화하 다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KDI MRIO 모형을 이용한 지역경제 효과 추정결과는 토목건설의 표 인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도로건설 사업을 로 하여 생산유발효과를 각각 지역별

효과 산업별 효과로 나 어 분석해 보고하기로 한다123)

1 지역별 생산유발효과

lt표 Ⅻ-2gt 는 15개 역시도 각각에서 도로건설에 1억원을 투자했을 경우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를 추정정리한 것이다 도로부문의 생산 유발효과는 서울(2412백만

원) 제주도(2401) 북(2399) 순으로 높고 충남(2255)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

123) 생산유발효과 이외에도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임 유발효과 등을 추정 분석할 수 있다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5

lt표 Ⅻ-2gt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단 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서울 1400 96 155 361 131 224 362 303 252 236 178 118 145 105 103

부산 11 1205 121 11 67 53 13 30 34 29 57 78 135 198 58

구 09 49 1076 08 30 36 09 18 24 20 26 26 76 52 22

인천 267 26 48 1223 38 90 219 138 130 116 59 31 47 29 34

주 05 15 15 05 1126 20 05 05 12 18 84 110 13 22 151

14 15 32 12 24 1058 16 13 46 52 60 22 29 20 22

경기 450 58 101 422 82 202 1439 257 289 260 134 72 113 65 70

강원 85 23 54 89 20 63 79 1176 75 101 45 20 56 29 16

충북 52 23 55 59 32 118 61 55 1100 95 72 33 81 26 28

충남 38 19 33 35 34 103 47 26 75 1087 122 34 34 19 33

북 13 20 25 12 82 56 15 12 30 50 1115 67 22 28 75

남 16 78 67 16 400 62 16 18 36 43 188 1361 63 161 418

경북 23 151 209 29 42 89 25 117 102 54 52 51 1176 121 36

경남 29 525 397 31 223 188 33 93 106 91 196 323 404 1487 192

제주 02 06 06 02 29 05 02 02 03 04 10 24 05 08 1143

계 2412 2309 2393 2315 2358 2368 2340 2264 2315 2255 2399 2370 2398 2368 2401

주 음 부분은 도로부문투자 해당지역의 유발효과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생산 유발효과가 크다는 것이 해당산업의 생산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은 아니라는 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를 들어 다른 조건이 같다면 즉 지

역별산업별 간투입구조가 동일하다면 해당산업의 총 간투입비 이 높을수록

생산유발효과는 크게 된다 동일산업간 비교의 경우 다른 조건이 같고 총 간투입

비 이 크다는 것은 다른 산업부문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만 동일한 재화생산을

하여 간투입비율이 높으므로 해당산업의 생산기술 수 이 다른 지역의 동일한

산업의 생산기술 수 에 비해 상 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오히려 생산효율

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lt표 Ⅻ-3gt은 지역별 생산 유발효과를 총생산유발액으로 나 비 을 나타낸 것으

로 도로부문 투자시의 생산 유발효과를 지역내 효과(intra-regional effect)와 지역

간 효과(inter-regional effect)로 구분한 것이다

3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Ⅻ-3gt 생산 유발효과 지역 내 비중 도로건설

(단 )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서울 580 41 65 156 55 95 155 134 109 105 74 50 60 44 43

부산 05 522 51 05 28 23 05 13 15 13 24 33 56 83 24

구 04 21 449 03 13 15 04 08 10 09 11 11 32 22 09

인천 111 11 20 528 16 38 93 61 56 51 25 13 19 12 14

주 02 06 06 02 477 09 02 02 05 08 35 46 05 09 63

06 06 13 05 10 447 07 06 20 23 25 09 12 08 09

경기 186 25 42 182 35 86 615 114 125 115 56 30 47 27 29

강원 35 10 23 38 08 27 34 519 33 45 19 08 23 12 07

충북 21 10 23 26 14 50 26 24 475 42 30 14 34 11 12

충남 16 08 14 15 14 43 20 11 32 482 51 14 14 08 14

북 06 09 11 05 35 23 06 05 13 22 465 28 09 12 31

남 07 34 28 07 169 26 07 08 16 19 79 574 26 68 174

경북 09 66 88 12 18 38 11 52 44 24 22 22 490 51 15

경남 12 227 166 13 94 79 14 41 46 40 82 136 169 628 80

제주 01 02 02 01 12 02 01 01 01 02 04 10 02 03 47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서울의 경우 지역내 효과는 580로 나타났고 나머지 420의 지역간

효과는 부분 수도권에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기도에 186 인천에 111로 서울을 포함하면 수도권에 약 88의 효과가 미친 것으로 나타나 거의 부

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도권에 부분의 산업이 집 되어 있어 이 지

역에 없는 산업을 외로 하면 부분의 산업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

각된다 지역내 효과가 가장 큰 지역은 경남(628)이고 다음으로 경기(615) 서울

(580) 남(574) 지역의 순이며 반 로 가장 은 지역 즉 지역외 효과가

큰 지역은 (447) 구(4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우 생산 효과는 서울 다음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지역내 효과

는 476로 상 으로 낮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주도의 경우 도로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7

부문의 총 간투입 비 이 클 뿐만 아니라 도로부문의 간투입에 포함되는 산업이

제주도에 없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이입이 많음을 시사한다

2 산업별 생산유발효과

앞에서의 총생산 유발효과를 산업별로 살펴 본 것이 lt표 Ⅻ-4gt이다 국 으로

동일한 산업이라면 간투입구조 간투입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산업

별 생산 유발효과는 15개 지역에서 산업별 비 이 비슷하고 한 유발액 역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생산 유발효과의 산업별 비 은 체 으로 석탄

석유비 속 물(산업 6) 25~30 일반기계(산업 8) 18~21 사업서비스(산업 34) 13~15 등의 비 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별 산업구조가 상이하므로 총생산 유발효과 산업별 lsquo지역내rsquo 효과를 계산한 lt표 Ⅻ-5gt를 보면 지역별산업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목건설 부문(산업 17~28) 공공행정 국방(산업 35)을 제외한 24개 산업의 지

역내 효과 비율의 단순평균을 보면 경기(483) 서울(471) 경남(436) 지역

이 비교 높고 (273) 구(288) 충북(289) 지역이 비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개별 산업별로 보면 더욱 큰 격차를 보인다 사업서비스

(산업 34)의 경우 서울(947)을 제외하면 지역이 70 내외의 비교 고른 지역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자통신기기(산업 11)의 경우 지역내 효과가

경기도의 경우 약 68에 이르지만 구 남 제주의 경우 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자통신산업이 경기도에 집 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3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Ⅻ-4gt 산업별 생산 유발효과 비중 도로건설(1억원 투자시)

(단 백만원 )

산업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1 14 11 16 12 21 17 10 12 12 11 11 12 12 10 112 45 83 45 73 38 42 47 65 47 78 46 53 54 76 483 10 08 09 09 09 09 09 09 08 08 09 08 08 08 084 07 05 08 05 11 09 06 04 06 05 05 05 05 04 055 40 36 39 36 35 37 40 40 38 36 35 30 36 34 336 271 241 265 254 275 269 288 241 267 263 296 302 280 264 3027 17 13 16 14 17 15 17 13 16 15 15 14 15 13 138 193 207 205 202 206 210 185 200 209 195 199 203 203 209 1979 22 22 23 21 24 23 22 22 23 22 22 21 22 22 23

10 10 10 10 09 09 09 10 10 10 10 09 09 09 10 0911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4 04 05 05 0412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2 03 02 03 0213 12 12 11 13 11 12 12 14 13 13 12 10 11 12 1014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15 21 20 21 20 20 22 21 35 25 22 23 24 23 22 2016 05 05 05 05 05 05 05 06 05 05 05 05 05 05 0529 29 27 29 27 30 29 30 28 29 28 30 28 29 27 3130 38 37 38 39 36 36 37 42 37 36 37 38 39 36 4231 09 08 08 08 08 08 08 08 08 08 07 07 08 07 0732 31 28 31 30 31 31 31 31 31 30 30 29 30 29 3033 08 07 07 07 06 07 07 06 06 05 06 05 05 06 0534 146 151 144 150 141 143 145 147 142 144 137 137 140 141 13535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36 10 09 10 10 10 10 10 10 10 10 10 11 10 10 1137 52 49 49 48 48 49 50 48 48 48 47 43 46 46 47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유발액 2412 2309 2393 2315 2358 2368 2340 2264 2315 2255 2399 2370 2398 2368 2401주 산업 17~28부문은 토목건설 12개 부문으로 모든 산업에서 이 부문을 직 간투입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모두 0 으로 생략한 것임(이하 산업별 효과 련 표 부문은 동일한 이유로

생략하 음)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39

지역산업연 표의 작성시 지역별 기술계수는 지역데이터의 부족으로 국산업연

표상 가장 세분된 분류(402개 산업)의 산업별 간투입구조를 이용하므로 국

으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추계하 다 따라서 산업별 효과 비 의 지역별

격차는 크지 않지만 지역별 산업구조 규모의 차이로 산업별 지역 내외의

효과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lt표 Ⅻ-5gt 산업별 지역 내 생산파급효과 비중 도로건설

(단 )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

1 137 244 123 427 120 118 309 316 216 305 324 518 315 389 386

2 321 199 306 238 375 343 416 707 358 235 331 489 385 322 356

3 204 156 30 157 100 75 374 133 131 109 222 125 100 229 113

4 466 470 247 158 87 100 318 166 135 155 235 149 259 233 484

5 428 364 233 529 286 244 449 272 248 285 357 317 278 347 287

6 582 662 567 662 568 588 733 720 659 658 579 776 580 778 535

7 203 205 131 333 160 202 568 189 236 285 200 570 182 604 202

8 471 503 410 598 493 396 716 473 419 458 411 483 490 777 439

9 332 386 272 502 378 273 612 349 286 313 278 379 380 697 295

10 483 523 446 624 529 460 703 485 453 480 478 543 536 754 472

11 234 62 44 113 57 38 681 71 60 72 51 47 227 185 43

12 445 333 318 371 336 308 765 367 353 366 335 327 500 449 323

13 324 369 305 469 420 285 593 323 287 287 281 418 403 671 352

14 325 251 113 426 112 105 326 175 120 124 155 143 188 162 126

15 381 210 141 172 130 103 311 119 112 119 132 244 251 303 139

16 289 177 130 112 125 65 348 93 71 91 81 114 163 178 129

29 711 552 436 427 427 394 449 414 385 410 380 438 419 476 441

30 745 668 513 553 527 519 535 486 510 529 495 617 525 569 538

31 645 401 304 283 295 253 319 252 249 274 272 327 298 346 321

32 744 414 301 269 293 247 307 252 244 258 258 298 280 332 325

33 593 173 85 38 79 45 212 52 24 21 43 67 75 111 212

34 947 748 709 676 719 696 711 696 707 715 712 726 704 714 757

36 663 514 421 406 425 405 464 397 385 396 390 415 423 458 410

37 641 432 324 299 325 282 380 291 284 300 297 353 329 372 345

평균 471 376 288 368 307 273 483 325 289 302 304 370 345 436 335

주 평균은 24개 산업 산업별 지역내 효과 비 의 단순 평균임

3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KDI MRIO 모형을 통한 지역경제 효과 분석은 정책 분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볼 때 우리 지역에 가장

효과가 높은 투자사업이 무엇인지를 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수 있

다 KDI MRIO 분석은 지방자치단체가 계획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이 미치는

효과를 사업 특성별로 각각 수치화해 수 있기 때문에 사업간의 경제 효과

를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둘째 지역 내ㆍ외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계량화함으로써 공공투자가 지역

의 내(內) 혹은 외(外)에 미치는 실제 효과의 크기가 얼마인지 분석할 수 있게 해

다 지역 내의 산업연 계 등을 고려해 볼 때 투자가 이루어지더라도 사실상 해당

지역에 미치는 효과는 상 으로 매우 작을 수 있는데 그러한 가능성을 미리 진단

해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셋째 15개 역자치단체 각 지역간의 투자 효과를 계량화해 주기 때문에 어

떤 투자를 어느 지역에 하는 것이 정책 측면( 를 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지 단할 근거를 제공한다 를 들어 앞에서 논의되었지만 자ㆍ통

신기기 산업에 한 투자의 경우 경기도에 투자하게 되면 지역내 생산 효과가

66에 이르지만 구 제주 등에 투자하는 경우는 약 40 내외의 효과에

그쳐 어느 지역을 투자 상지역으로 선택하는 것이 정책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지

를 보여 다 하겠다 넷째 KDI MRIO 분석은 공공투자의 지역간 배분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한 과제에 해서도 일부 해답을 제공할 수 있다 컨 공공투자의 집행을 후

하여 발생하는 생산 부가가치 임 고용 등의 유발효과가 기존의 지역간 격차를

얼마나 감축 혹은 확 시키느냐를 비교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투자

가 지역균형을 진하는지 아니면 불균형을 확 하는지 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KDI MRIO 모형은 규모 공공투자사업의 비타당성조사 단계

에서 하나의 요한 분석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특히 KDI MRIO 모형은 도로건설 철도건설 항만건설 뿐만 아니라 산업 문화 단지 조성 등 다양한 형태의 공공투자사업에 하여 lsquo동일한 모형rsquo lsquo동일한

데이터rsquo를 활용하여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업간의 상호 비교가 가능

하다는 장 도 가진다 동일한 모형 동일한 데이터에 입각하여 다양한 사업들에

해 한꺼번에 지역경제 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므로 KDI MRIO는 서로 다른 사

제Ⅻ장 다지역산업연 모형(MRIO)의 구축 분석 34 1

업(혹은 지역)간 정책 우선순 의 결정을 한 단자료로 활용 가능한 것이다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이상과 같이 KDI MRIO 모형이 지역경제 분석과 련하여 단히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모형 자체가 갖는 한계 을 비롯하여

모형의 정립 과정 추정결과의 해석상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 을 내포하고 있

는 것 한 사실이다 우선 MRIO 모형 자체가 갖는 한계 때문에 두 가지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첫째

KDI MRIO 모형은 산업연 표의 기본가정 즉 투입계수의 안정성을 한 가정인 생

산물이 동질 이고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의 제약에 직면한다는 비

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 은 산업연 분석에 있어서 원천 으로 내

재되어 있는 제약이며 특별히 KDI MRIO라고 해서 발생한 제약은 아니라고 할 수 있

다 더구나 생산물의 질 차이가 없다는 가정이나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는 가정 등은 경제분석에서 일반 으로 직면하는 제약의 범 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고 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고 단된다 둘째는 MRIO 모형은 사업비 지출에 따른 정(正)의 효과만을 분석할 뿐이며

재원조달에 따른 부(負)의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없는 모형이라는 비 이다 즉 지출을 해서는 이를 한 재원조달이 필요하며 다른 곳에 투자할 재원이 재

의 사업으로 투입됨에 따라 여타 투자가 축되는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 즉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산업연 분석은 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모형이라는 비

이다 구축효과는 분명 발생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구축효과까지를 완벽

하게 고려해 주는 모형은 단히 드물며 모든 효과를 동시에 분석해 주기 해

서는 다지역다부문 모형의 정립이 필요하게 된다 재 지역의 시계열 자료의 축

이 상당히 열악한 상태에서 다지역다부문 모형의 정립은 단계 으로 근해야 할

과제라고 단된다 한편 모형의 정립과정과 련한 문제 도 지 될 수 있다 첫째 MRIO는 지역간

서비스부문의 교역계수 추정시 어떤 모형을 쓰느냐 즉 KDI MRIO에서 처럼 엔트로

피 모형을 쓰느냐 아니면 력모형을 쓰느냐 등에 따라 그 추정결과가 매우 상이하

게 나올 수 있다는 이 큰 약 으로 지 될 수 있다 지역간 서비스 거래를 추정하

는 방식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지역간 거래량 추정결과가 좌지우지 된다는 것

은 모형이 갖는 큰 결 이 아닐 수 없다 그 다고 하더라도 이것 역시 KDI MRIO가 고유하게 갖는 문제 은 아니라는 을 지 할 수 있고 재와 같이 지역간 거래

3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량을 추정하기 한 완벽한 지역데이터가 아직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 등을 고려

한다면 더 좋은 안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는 을 지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모형의 정립과 련하여 두 번째로 지 할 수 있는 문제는 본 모형은 15개 지역

이 결합된 하나의 국 산업연 모형 형태이지만 각 지역의 생산 분배 과정과 지

역간 연계구조가 국의 생산 분배 과정을 규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에 각 지역은 경제 인 측면에서 모두 독자 인 단 로 기능할 수 있도록(bottom up approach) 구성되어 있으나 과연 그러하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이다 지역

기술계수는 지역별 기술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경제 기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지역별 기술계수가 지역간 교역계수와 결합될 경우 지역 내외에서 공 하는

간투입의 규모가 결정된다 그리고 지역교역계수는 간투입 최종수요의 지역

간 배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동시에 지역별산업별 생산과 공 이 국

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교역계수를 통해서 다지역산업연

표는 단순화된 일반균형 통계체계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bottom up approach가 정확한 것이냐에 한 검토는 추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KDI MRIO 모형의 추정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다음

과 같은 에 항상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MRIO 모형은 사업비 지출에 따른 간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므로 그 사업

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 편익 즉 사업의 완료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추정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이다 따라서 지역경제 효과를 경제 편익과 혼동하는

일이 없도록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둘째 투입계수의 안정성과 련하여 사업비 지출의 분석기간 투입계수는 지

속 으로 불변인 것으로 가정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업구조 생산기술 등

이 변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동태 경제 효과를 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이다 동태 효과 분석은 모형의 동태화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사업비 지출에 따른 정(正)의 효과만을 분석할 뿐이며 재원조달에 따른

부(負)의 효과를 함께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사업들간에 사업비의 지출에

따른 경제 효과의 상 비교는 가능하나 서로 다른 사업간 비교나

특정사업에 한 효과의 인 크기를 단하는 데는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서로 다른 사업간의 상 효과 비교시에도 비교의 목 이 지역간

효과의 상 크기에 있다면 사업간 특성의 차이에 따른 투입구조 투자 배분

구조의 차이 등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항상 내재되어 있다는 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제1절 개요

비타당성조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경제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

여 사업의 추진여부에 한 최종 인 단을 도출한다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

결과를 종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따른다첫째 정량 분석 결과와 정성 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어려움이다 경제성 분석

은 그 결과가 BC 비율 순편익의 재가치(NPV) 내부수익율(IRR) 등 정량 으로 제

시되는 반면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많은 평가항목 컨 지역의 사업추진의지 국고조달 가능성 련계획과의 일치성 등은 계량화가 어려우므로 정성 표 으로

제시된다 를 들면 BC 비율은 높지만 상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사업의 타당성을

어떻게 종합평가할 것인가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둘째 정량 분석의 경우에도 서로 상이한 척도(scale)를 갖는 평가항목을 통합하

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를 들면 BC 비율이 10보다 작은 09이지만 2000명의 고

용창출 효과를 갖는 사업에 해 어떤 기 을 가지고 사업의 시행여부를 종합 으로

단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셋째 평가의 일 성과 사업의 특수성을 동시에 반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비타당성조사 상 사업 가운데는 국가 략 차원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나 문화재

보호 등 경제성 분석 틀 안에서 계량화되지 않는 특수한 평가항목이 월등히 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비타당성조사 체계의 정책 분석에서는 이러한 사업의 특수성

을 평가의 틀 속에 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사업 특수성이 종합평가에서

차지하는 비 이 지나치게 클 경우 다른 사업과 평가의 일 성이 떨어질 험성이

3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존재한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체계가 일반 으로 용될 수 있는 분석 틀로서

가치를 유지하기 해서는 해당사업의 특수성이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

어 얼마만큼 요한 향을 미쳤는지를 객 으로 보여 수 있어야 한다넷째 종합평가에 참여하는 여러 평가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결론을

도출하는 어려움이다 한 사람의 평가자가 종합평가를 내릴 경우에는 그 단의 타

당성 여부만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의견이 종합되어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표성을 가진 종합 단이 될 것인가 특히 개별 연구진들이 해당사업

의 시행여부에 해 상반된 견해를 갖는 경우에는 어떻게 최종의사결정에 도달할 것

인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하여 비타당성조사에서는 다기 분석 방법론

(multi-criteria analysis)의 하나인 분석 계층화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채택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종합 으로 단하고 있다 AHP기법은 공공투자사업의

정성 인 특성을 평가에 반 하고 평가에 참여한 연구진의 문 단을 히

유도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비타당성조사가 본 타당성조사의 단계로서 비교

짧은 기간에 은 산으로 수행되는 을 고려할 때 차가 간결하면서도 복잡

한 의사결정 문제를 체계 으로 분석하게 해 주는 AHP기법은 용가능성 측면에서

장 을 갖는다 AHP 분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개념화(conceptualizing) ②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③ 가 치 산정(weighting) 일 성 검증(consistency test) ④ 안별 선호도 측정(measuring) ⑤ 종합 수 산정(synthesizing) ⑥ 환류과정

(feedback) ⑦ 종합 단 (concluding)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기본 으로 단계에 따라 AHP 분석을 수행하여 왔다

7단계의 AHP 분석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면 계층구조화 평가 종합평 검토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일 으로 AHP 분석을

수행하여 왔다 lsquo계층구조화 단계rsquo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기본구조를 기 로 해당사업의 특

성을 반 하여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추가하여 종합평가를 한 AHP 구조를 설정하

는 단계이다 AHP 구조설정을 하여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는 해당 연구

들에게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lsquo구조설문지rsquo를 발송하여 평가항목과 평가내용

평가기 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평가 내용상 상호 복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lsquo평가단계rsquo에서는 AHP 분석에 필요한 평가항목간 가 치 산정과 안간 성

비교 자료를 조사하여 자료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를 하여 lsquo응답설문지rsquo를

작성하여 AHP 평가자들에게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1차 분석결과를 검토한다 이때 응답의 비일 성 비율이 015를 과하는 응답자에게는 비일 성이 높은 원인을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5

분석하여 알려주고 재설문을 수행하여 응답의 일 성을 높이도록 한다lsquo평 검토단계rsquo에서는 평가결과에 한 종합 수를 산정하고 평가자별 응답

특성 평가자간 평가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등을 분석한다 평가자간 응답

이 큰 편차를 보이는 경우 각 연구 들에게 분석결과를 알려주고 연구 간 의사수렴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한다비타당성조사의 종합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AHP기법의 용이 갖는 의의를 정

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타당성조사 종합결론을 체계 으로 도출하고 그

과정을 투명하게 밝힌다 의사결정과정을 구조화함으로써 공공투자사업에 해 사

회 으로 인정된 가치를 객 으로 수렴하여 사회 합의의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 평가항목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단을 내리는 과정과 근거를 명확히 밝

힘으로써 제3자가 그 종합 단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둘째 공공부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공공투자사업에 한 의사

결정에 해서는 ldquo정치 고려 는 평가자의 자의 단이 향을 미친다rdquo는 비

이 제기되는 사례가 많았다 이 같은 비 은 한편으로 과거 권 주의 행정수행 방

식이 스스로 래한 측면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공투자사업 련 의사결정을

한 일 된 기 이 없었기 때문에 야기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비 을 극복하기

해서는 일 된 기 을 여러 가지 사업에 그리고 장기 으로 용함으로써 공공부

문 투자결정에 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셋째 사업간 평가오차를 인다 종합평가 단계에서 각 평가자는 해당사업의 특

수성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들과 공통되는 기본 인 단기 들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을 수행하게 된다 를 들어 BC 비율의 경우에는 부분의 사업들이 요한 단

기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동일한 BC 비율을 사업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하는 경우

에는 사업간 평가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다기 분석에서는 이러한 을 고려하

여 사업간 평가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객 기 을 제시함으로써 동일한 기

에 한 해석의 다양성으로 인한 사업평가의 비일 성을 일 수 있다넷째 후속사업에 한 평가의 자료로 활용된다 일단 다기 분석 모형을 통해 하

나의 표 안이 제시되면 그것은 일종의 귀무가설(null hypothesis)로서의 상을 갖는

다 즉 모든 사업에 이 표 안을 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이 표 안을 수정해

용해야만 하는 지역의 특수성 는 사업의 특수성이 입증되지 않는 한 동일한 기

을 용한다 이것은 평가시기가 달라질 때 유사사업에 한 평가의 편차가 커지

는 문제 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이러한 장 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에 한 AHP기법 용에 하여 다음

과 같은 비 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평가항목의 요도가 연구진의 개별 단에

의해 결정되며 평가항목에 한 정성 인 평가를 계량화된 수치로 나타내기 때문에

34 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연구진의 자의 단의 여지가 크며 동기 편향(motivational bias)을 배제하기 어렵

다 둘째 AHP 평가자가 비타당성조사 연구 으로만 구성되고 사업별 평가자가

3~4명으로 무 은 인원이 참여한다는 이 지 되고 있다 소수의 평가자만이 참

여하는 이유는 비타당성조사 보고서는 기본 으로 연구진의 의견을 종합한 것으로

서 해당사업의 지속 인 추진에 한 최종 인 결정은 산당국과 주무부처의 몫이

라는 을 감안하 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타당성조사 보고서가 산

편성의 공식 차의 하나로 간주되는 상황에서 동기 편향을 제어할 수 있는 의사

결정 구조를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연구자간 서로 다른 평가의견이 도출될 경우에 평가자별 평 결과를 종합

한 종합평 못지않게 연구진간 의사결정의 통일성 개별 평가자간 의사결정의 차

이를 심도있게 검토하여 의사결정의 특성을 명확하게 밝 필요성이 있다AHP 분석에서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KDI(2001)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II)ꡕ(이하 다기 분석 2001)에서는 과거 자료를 이용하여

표 화된 가 치를 사 으로 도출하여 그 용가능성을 검토한 바 있다 그러나

자의 단은 그 연구진의 문 단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무조건 으로 터부시

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한 사 으로 가 치를 설정할 경우 사업별 특수성을

반 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모든 의사결정 기법이 의사결정자의 동기 편향 발생 가능성으로부터 완 히 자

유로울 수는 없다 AHP기법은 비일 성 비율을 통하여 인지 오류를 시정할 수 있

고 고유벡터를 계산해 내기 에는 최종가 치의 분포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등 다기

분석기법 에서도 동기 편향에 의한 조작 시비로부터 가장 자유로운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기법을 비타당성조사에서 용하는 과정에

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그러므로 본 지침에서는 재의 AHP기법 용상에 발생할 수 있는 평가자의 동기

편향을 완화하는 데 주안 을 두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7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1 AHP 분석의 조기 수행

AHP기법을 비타당성조사에 용할 때 문제 의 하나는 개별 연구 에서는

AHP 분석을 직 수행하지 않고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AHP 분석을 신

수행한다는 이다 연구 은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발송한 구조설문지와 응

답설문지에 응답하고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 Expert Choice의 TeamEC_Platform version 950A05소 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결과를 연구 에게 나

어주는 방식으로 AHP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HP 분석을 수

행하는 것은 개별 연구 이 AHP라는 분석도구의 숙달사용자(power user)로서의 문

성을 갖지 못하고 개별 연구 이 고가의 소 트웨어 패키지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

이 효과 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AHP분석 수행방식은 구성원간 의사교환을 통하여 집단의사결정에 도

달하기 한 지원도구로서 AHP가 가지고 있는 장 을 활용하는데 제약조건으로 작

용한다 이와 같은 제약이 발생하는 원인의 하나는 AHP 분석을 비타당성조사

리 이 조사 을 신하여 수행하면서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이 완료된 시 에

야 착수하기 때문에 사업특수 평가항목 설정 AHP 구조의 성에 한 검토가

미흡한 측면이 있다 한 연구자별 AHP 평가결과에 한 심도있는 의견 교환 등

사업의 타당성에 한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이 제약을 받는다 이와 같은 문제 을 완화하기 하여 본 지침에서는 AHP 분석시 을 다음과 같

이 설정한다 첫째 AHP 평가항목을 선택하고 AHP 구조를 설정하는 작업은 간보

고 단계에서 수행한다 즉 간보고서에 AHP 구조를 포함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사 에 AHP 구조에 하여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갖고 검토함으로써 최종 으로 사

업의 타당성을 단하기 한 평가항목을 미리 선정할 수 있다 평가항목의 선정은

우선 으로 개념화 단계에서 출발하게 되는데 의사결정자와 이해 계자 제약조건 가용자원 고려요소 잠정 인 안 상되는 쟁 등과 련된 사항들을 통하여 이

루어진다 조사의 간단계에서 이와 같은 사항을 종합 으로 미리 검토함으로써

락된 평가항목에 하여 보다 구체 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 여유를 확

보할 수 있다둘째 평가자별 평 종합평가 결과를 최종보고 이 에 완료하도록 한다 평

34 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가자간 의사결정의 차이가 큰 사업에 해서는 차이발생의 원인 등 평가자별 의사결

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의사결정의 강건성을 미리 검토하도록 한다 연구자별 의사

결정의 차이가 큰 사업의 경우 AHP 평가자가 한자리에 모여 각자 의사결정 근거에

하여 상호 토론하고 의사결정 편차를 일 수 있는 가능성에 하여 검토한다

2 AHP 평가자의 확대

비타당성조사 종합 단과정은 다수의 문가로 구성된 비타당성조사 연구진

각자의 의견을 반 하여 종합 인 단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집단의사결정의 성격

을 갖는다 AHP기법은 개개인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인 의사결정에 도달하도록

지원하는 집단의사결정 지원도구(group decision support system)로서도 한 방법론

이다 집단의사결정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의사결정 결과에 직 인

향을 미치므로 AHP기법을 통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종합 단할 때 평가자를 신

히 선정해야 한다 비타당성조사 AHP 평가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충족

하여야 한다 첫째 AHP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에 한 충분한 지식을 가진 해당분야 문가

여야 한다 평가자는 평가 상 사업의 목표 목표달성을 한 요구사항 사업의 구체

내용 련분야에 한 지식 등을 갖추고 그 사업이 미치는 사회경제 정책

효과를 측할 수 있는 치에 있어야 한다둘째 AHP 평가자는 공공투자사업이라는 특성상 공공이익의 에서 사업을 평

가할 수 있는 객 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평가자가 첫 번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 상 공공투자사업과 이해 계를 가

지고 있고 그 이해 계가 평가에 반 된다면 공공투자사업이 추구하는 공공이익

의 극 화라는 최종 인 목표를 달성하기 한 의사결정을 왜곡시킬 험성이 있다공공투자사업과 련된 주체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개 집단을 상정할 수 있다

첫째 공무원 집단으로서 해당사업을 장하는 앙정부의 담당부처 부처간 이해를

조정하고 사업간 우선순 를 정하여 산을 배정하는 산담당부처 해당사업이 시

행되는 지역의 시도 는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포함한다 둘째 공공투자사업을 장하는 연구자 집단으로서 비타당성을 수행하는 KDI의 연구진

련분야의 교수 는 해당분야 연구기 연구진 비타당성조사 시행을 장하는

KDI 공공투자 리센터 그리고 기술 부분에 한 연구와 자문을 수행하는 엔지니

어링 회사 등 민간 기업체 연구인력 등이다 셋째 지역주민으로서 해당사업의 시행

으로 향을 받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넷째 해당사업에 이해를 가진 이익

단체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4 9

이 가운데 AHP 평가자의 조건인 문성과 객 성을 가장 만족시키는 집단으로는

산담당 앙공무원 KDI 연구책임자 KDI 공공투자 리센터 련분야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기존의 비타당성조사에서는 최종 으로 산담당 공무원을 제외하고

비타당성조사의 기술 부분의 분석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을 평

가진에 포함하 다 산담당 공무원을 포함하지 않은 이유는 비타당성조사에

한 종합 인 의견이 연구진의 의견이며 사업의 비타당성을 최종 으로 결정하는

산담당 부처는 자신들의 의견을 최종 이고 직 으로 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

기 때문이다 비타당성조사 연구 으로 참여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회사를 포함하여 련분

야 민간기업체 연구 인력 등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인력들의 경우 무의식 으로 업계

의 이익을 표하는 동기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비 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AHP 분석에 포함시키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조사 의 일원일

뿐 아니라 실제로 다양한 형태로 사회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는 실을 반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한 특정 사업에 해 AHP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이해도가 높은 문가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을 고려하 다 해당 사업의

몰이해에서 오는 평가 결과의 왜곡이 동기 편향에 의한 왜곡 문제보다 심각할 수

있다 AHP 평가과정에서 집단간 의사교류 평가결과에 한 검증 차를 강화함

으로써 동기 편향은 일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하지만 자는 불가능한 측면이 존

재한다지역주민과 이익단체 등 공공투자사업으로 향을 받는 이해당사자는 사회 체

의 이익을 객 으로 단할 치에 있지 않다고 간주하고 조사 상에서 제외하

다 그럼에도 다원화된 사회에서 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여러 경로로 의

사결정과정에 반 되어 사업시행의 정치 타당성(political feasibility)에 향을 미친

다 이러한 실을 고려하여 정책 분석 과정에서 사업의 추진의지 선호도 사업시행으로 인한 지역경제 효과 지역낙후도 분석 등을 통하여 사업시행이 지역

발 에 미치는 향을 종합 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지역의 의견을 반 할 수 있도록

하 다이와 같은 3~4명의 소수 평가자로 AHP 평가를 수행할 경우 일부 평가자의 동기

편향에 의하여 체 인 의사결정이 왜곡될 수 있는 취약 이 있다는 문제 제기

가 있었다 그 안으로는 AHP 평가자 집단의 규모를 확장하여 개별 평가자의 동기

편향으로 인한 향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동기 편향의 문제가

심각할 경우 동기 편향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종합평 결

과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두 가지 방안 모두 재 3~4명으로 구성

된 AHP 평가자 집단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 제되어야한다

35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따라서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진행과정을 지속 으로 검하여 해당 사

업에 한 이해도가 높다는 것을 제로 AHP 평가자를 확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먼 개별 비타당성조사 사업에 한 검토 원을 별도로 지정하여 AHP 평가에

참여시킨다 이 검토 원은 사업 부문에 한 문가일 뿐 아니라 평가의 객 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검토 원은 KDI의 비타당성조사 검회의

기획 산처에 시행되는 보고회의에 참여하여 사업의 진행과정을 상세하게 악할

기회를 갖도록 한다 검토 원의 문성을 최 한 활용하여 해당 사업에 한 연구

의 질을 향상시키는 부수 인 결과를 기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해당 연구진의 AHP 평가 참여를 확 시킨다 이 에는 수요분석 사업

비 분석 의 각 책임자들만 평가에 참여하 던 것을 각 에서 두 명씩 평가에 참여

하는 것으로 확 한다 이에 맞춰 KDI 리인력도 2인으로 확 한다이러한 을 반 하여 AHP 평가인력은 다음과 같이 총 7~8명으로 평가자들을 구

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연구 (4~5인)124) 연구책임자 1인 수요분석 2인 사업비 분석 2인

비타당성조사 리 인력(2인) KDI 공공투자 리센터 소장 담당부서 실장

외부 검토 원(1인)

다만 종합평 산정 시 평가자 7~8인 최 값과 최소값을 부여한 평가자를 제

외한 5~6인의 응답결과를 가지고 종합평 을 도출하도록 한다

3 교통부문(도로 철도) 사업에 있어서 표준 가중치의 적용

앞에서 언 하 듯이 ꡔ다기 분석 2001ꡕ에서는 AHP분석에서의 동기 편향을

이기 하여 표 화된 가 치를 사 으로 도출하 으나 축 된 자료의 수가

어 그 용을 유보한 바 있다 본 지침에서는 도로 철도 부문에 한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가 치의 범

를 설정하여 AHP 종합분석에 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가 치 산정에는 2001 ~ 2004년 상반기 도로철도 부문 비타당성조사 98개 사업의 380개 설문자료를 이용

하 다 다음 표는 과거자료를 이용한 평가항목 간 가 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124) 연구책임자가 수요분석 의 일원일 경우 연구책임자 수요분석 1인 사업비 분석 2인 총 4인

이 평가에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1

lt표 ⅩⅢ -1gt 평가항목 가중치

비 고도로철도

도로 철도

개정 기존sup1 개정 기존

경제성분석 0546 0551 06 0536 055

정책 분석 0454 0449 04 0464 045

기본 평가항목 0253 0245 025 0265 022

지역낙후도 0037 0043 005 0027 002

지역경제 효과 0041 0042 005 0039 003

사업추진 의지 0045 0040 004 0053 004

국고조달 가능성 0045 0042 004 0049 004

련계획과의 일치성 0060 0052 005 0073 006

환경성 평가 0025 0025 002 0025 003

사업특수 평가항목 0201 0206 015 0199 023

주 1) 기존 결과는 KDI(2001)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II)ꡕ에서 산정된 결과

를 나타냄 2) 2001년 ~ 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 사업 도로철도 부문 98개 사업을 이용 총 380개(도

로 245개 철도 135개) 설문자료 이용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의 가 치는 도로부문 사업의 경우 551 449 고 철도 부문 사업의 경우 536 464로 계산되었다 두 사업부문간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로철도 이외의 부문에 하여 사 가 치를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하 으나

타부문 사업의 경우 자료수가 많지 않았고 사업간 가 치 편차가 커서 일반 인 경

향을 발견하여 사 가 치를 제시하는 것이 치 않다고 단되었다사 가 치 설정 상은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의 가 치로 한정하 다 경

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은 AHP 구조상의 제1계층에 속하는 평가항목으로서 최상

계층의 가 치가 AHP 결정에 미치는 향이 가장 크다 한 제2계층 제3계층의

평가항목에 해서는 사 가 치를 설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평가자의 문 단

을 지나치게 제약할 뿐 아니라 제약의 실익도 많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125)

125) AHP 평가구조에 해서는 제3 을 참조하라

35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사 가 치를 특정 수치로 설정할 경우 사업별 특수성을 반 하기 어렵고 연구진의 문 단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문제 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로철도부문 사업에 한 사 가 치는 기존 사업에 한 lt표 ⅩⅢ -1gt에서 제시한

AHP 응답의 평균 가 치를 심으로 일정 범 로 설정하는 것이 할 것으로

단된다가 치의 범 를 설정하는 기 으로는 가 치의 표 편차를 이용한다126) 도로부

문 사업 경제성분석 가 치의 표 편차는 0097 철도부문사업의 표 편차는 0104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도로철도부문 사업에 한 경제성 분석 가 치를 앞에서 구한

평균치인 055를 기 으로 다음 범 로 설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5 lt 경제성 분석 가 치 lt 65

다만 본 지침에서 제시하는 범 를 넘어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사업의 특수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평가자가 제

시된 가 치 범 를 벗어나는 가 치를 설정할 수 있다

4 환류과정(feedback)의 강화

비타당성조사에서는 AHP 분석을 한 자료 수집을 lsquo구조설문지rsquo와 lsquo응답설문

지rsquo라는 2종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한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방식은 연

구자별 AHP 기법에 한 이해 정도 평가항목에 한 이해 정도 사업에 한 사

인 태도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KDI 비타당성조사 은 체 조사 원들에게 AHP 기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AHP 구조

작성과정에서 긴 한 의를 거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HP 기법이 문가

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한 도구로서 각 연구진들이 AHP 분석을 직 수행하는

것에 비해서는 의사결정을 한 상호 교류에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AHP 분석결과가 의사결정의 일치도가 높은 경우 를 들어 평가자가 모두 사업

시행 는 사업미시행이 하다고 단하는 경우 와 같은 AHP 수행방식의 제

약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타당성에 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간 의사결정 결과가 22로 양분되거나 의사결정 결과가 13으로 나뉘

었음에도 불구하고 1명의 AHP 평 으로 표출된 의사결정의 강도가 매우 높아 체

평 결과에 향을 미치는 경우 등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낮은 경우 평가자간 평가결

126) 표 편차 산정에 해서는 제2 5 lsquoAHP 분석결과의 활용rsquo 부분을 참조하라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3

과에 상호 토의하는 추가 인 차가 필요하다집단 의사결정 과정에서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갈등이 표출되는 경우

의사결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하여 집단역학(group dynamics) 리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단역학이란 소규모 집단은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서

로 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며 이를 리한다는 것은 상호작용과정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정 효과(process gain)를 극 화하고 부정 폐해(process loss)를 극소화 하는 것이다 집단 의사결정에 이르는 방법으로는 공감(consensus) 상(negotiation) 투표(voting) 등이 있다 공감 를 제고시키기 한 노력 없이 일종의

투표행 인 개별평가를 단순 취합해서 종합평가를 도출해 낸다면 단일한 결론을 만

들어 내기는 했지만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가 진심으로 자신의 의견이 반 되었다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타당성조사 연구책임자(PM)는 집단역학 리기법을 사용해서 공감

형성을 통한 종합의견을 이끌어 내기 해 노력하여야 한다 구체 으로 AHP 분석

결과로 도출된 의사결정 결과가 안정성이 높지 않을 경우 체 평가자들이 한자리

에 모여서 상호 토론과 논쟁을 통하여 각자 자신들의 평가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평

가자 상호간의 의견에 한 공감 를 높일 수 있다 한 토론과 논쟁 과정에 AHP 분석을 다시 수행하여 평가자간 견해 차이를 좁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5 AHP 분석결과의 활용

AHP 분석을 통하여 최종 으로 얻는 산출물은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 각각에 한 평가기 별 가 치와 각 기 에 한 안들의 평 을 곱해서 계

산한 안별 종합평 (weighted sum)이다 기존 지침에서는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

시행 안보다 상 으로 높은 종합평 (05를 과하는 수)을 얻으면 사업의 타

당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 다 이와 같은 기계 인 결론 도출 방식은

비타당성조사의 최종 인 결과가 사업을 지속 으로 추진하기 한 산을 배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양자택일 의사결정(binary decision)에 활용하기 한 기

자료의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AHP 분석결과를 기 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할 때는 제

약이 따른다 첫째 평가자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특히 평가자간 22로

의견이 양분되었을 때 AHP 종합평 결과가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수를 보이

고 있다 하더라도 평가자간 공감 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단정 으로 사업의 시

행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 경우 사업시행 여부에 하여 양자택일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평가자별 평가의견을 기술하고 평가자간 차이발생의 원인

35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을 보고서에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단된다둘째 종합평 결과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의 차이가 미세하여 의사

결정의 강건성(robustness)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이다 AHP 종합 수를 근거로 사업

의 시행여부를 결정할 때 흔히 제기되는 질문은 ldquoAHP 종합 수 051과 049 차이가

사업의 타당성 여부에 한 양자택일 단을 내릴 만큼 한 차이가 있는가ldquo라는 것이다 이 질문에 하여 자신 있게 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에서

양자택일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 던 이유는 궁극 으로 비타당성조사의 목 이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가 는 없는가를 단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침은 AHP 분석방법이 가진 제약을 고려할 때 AHP 분석

결과를 지나치게 확정 으로 용하는 측면이 있다AHP분석의 종합평 은 평가자들의 체 풀에서 일부의 평가자를 선택한 표본의

평균이다 이 표본평균은 표본마다 달라질 수 있는 확률변수이다 따라서 종합평 을

기 로 평가자 체의 평균이 05보다 큰지 는 작은지에 하여 어느 정도의 확신

을 가지기 해서는 종합평 의 표본확률분포(sampling distribution)의 분산을 알아야

한다

먼 개별 사업 j에 한 평가자 i의 평가 수를 Xij라고 하면127) Xij는 다

음의 모분포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Xij ~ N(μ j σ 2 ) (ⅩⅢ -1)

여기서 μ j는 j번째 사업에 한 평가자모집단의 평균을 σ 2 은 동 모집단 분산

을 나타낸다 평균에 하첨자가 있는 것은 사업마다 모집단의 평균이 다를 가능성을

인정하 기 때문이며 분산의 경우 하첨자가 없는 것은 사업간 등분산성을 가정하

기 때문이다 그러면 j번째 사업의 종합평 Xj 의 다음의 확률분포를 따른다

Xj ~ N(μ jσ 2

m) (ⅩⅢ -2)

여기서 m은 해당사업의 평가자 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타당성이 없다는 가설

검정은 다음을 통해 수행되게 된다

127) j는 사업의 일련번호를 i는 평가자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5

귀무가설 (H0) μ j le 0500립가설 (H1) μ j gt 0500

종합평균이 05보다 충분히 커서 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을 때 모분산의 평

균이 05보다 크다(타당성이 있다)고 보다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이와 반 로 종합평균이 05보다 작을 경우에는 그 값이 충분히 작아서 다음의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을 때여야 한다

귀무가설 (H0) μ j ge 0500립가설 (H1) μ j lt 0500

이러한 가설 검정은 우선 개별 사업마다 각 평가자별 평가 수의 분산을 기 로

신뢰구간을 구한 후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AHP 수 를 구하는 방법으로 수

행할 수 있다

Xj 가 05보다 클 경우

if Pr ( Xj gt 05+ z ασm

) lt α 귀무가설 기각 (ⅩⅢ -3)

Xj 가 05보다 작을 경우

if Pr ( Xj lt 05- z ασm

) lt α 귀무가설 기각 (ⅩⅢ -4)

여기서 α 는 유의수 을 z α는 유의수 α 의 표 정규분포 값을 나타낸다128) 그러나 개별사업에 한 AHP 평가자가 3 ~ 4명임을 고려하면 가설검정의 검정

력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 이 생긴다 물론 개별 사업의 평가 수의 모확률분포의 분산이 식 (ⅩⅢ -1)과 같이 서로 같다

고 가정할 수 있다면 그동안 공공투자 리센터에서 수행한 사업들의 평가결과를 이

용하여 해당사업의 확률분포의 분산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업간 특수성을

반 한 평균의 차이를 감안하여 사업별 평균과의 차이(mean deviation) 자료를 이용하

여 다음 식과 같이 분산을 구할 수 있다

128) 통상 인 단측검정에서 z α = 1은 통상 인 단측검정에서 84의 신뢰수 즉 α = 016을 z α = 164는 95의 신뢰수 α = 005를 나타낸다

35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σ =sumn

j=1summj

i=1(Xij - Xj )

2

sumn

j=1(mj-1 )

(ⅩⅢ -5)

여기서 n은 사업수를 mj는 j번째 사업의 평가자수를 나타낸다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의 AHP 667건의 응답결과에서 표 편차를 구하여 보면 다음

표와 같다

lt표 ⅩⅢ -2gt 사업부문별 AHP 평점의 표준편차

구분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기타 체

자료수 253 179 66 39 130 667

표 편차 0077 0095 0119 0087 0117 0096

사업부문간 표 편차가 다름을 볼 수 있으나 수자원항만 부문의 자료 수가

어 시 에서 사업부문간 차등 용은 실 으로 어려울 것으로 단된다 체

사업의 표 편차 값은 0096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평가자수가 4인이라면 식 (ⅩⅢ

-3)과 (ⅩⅢ -4)의 σ m 값은 0048이 된다 한 164 σ m값은 078이 된다

물론 앞에서 언 하 듯이 사업간 분산이 같다는 가정은 맞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본 지침에서는 이를 가정하고 다음과 같은 회색 역을 설정하 다

05 - 005 lt AHP 종합평 lt 05 + 005즉 045 lt AHP 종합평 lt 055

회색 역이란 만약 연구진 구성이 달라진다면 재의 종합평 의 결과가 뒤바

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역을 뜻한다 결국 이러한 역에 속하 을 경우에 연구

진들은 AHP 분석을 통한 종합 결론을 내림에 있어 신 한 근이 필요할 것이다편차의 범 가 되는 005는 앞에서 언 하 듯이 신뢰수 약 84에 해당하는 값

이다 참고로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에 한 AHP 분석결과 종합 수

가 회색 역에 속하는 사례는 31건으로 체 AHP 분석 사례 172건의 18를 차지한

다다음으로 이 회색 역을 평가자 의견의 일치정도에 따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우

리는 평가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을 때는 평가자의 모집단의 평균도 표본평균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7

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데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을 때는 평가자 모집단의 평균은 종합평 과 다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 있다 따라서 평가자간의 의견일치도가 낮을수록 회색 역을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을 종합하여 회색 역의 용은 다음과 같은 원

칙을 따르도록 한다첫째 4명의 평가자 의견이 일치하는 경우 AHP 평 이 05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

라 평가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종합의견을 도출한다둘째 31로 갈린 경우 84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표본평균이 055보다 큰 경우

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5보다 작은 경우 사업

의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AHP 수가 045보다 크거나 같고 055보다 작

은 경우에는 회색 역에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셋째 22로 갈리는 경우에는 95의 신뢰구간을 용하여 AHP 수가 058보다 높

은 경우에는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AHP 수가 042보다 작은 경우

에는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회색지 에 있는 것

으로 톤을 완화하고 결론에 신 을 기한다다만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가 31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의

AHP 수가 045보다 작거나 역으로 그 비율이 13임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

의 AHP 수가 055보다 큰 경우는 한 평가자의 단이 다른 세 평가자의 단을 압

도하는 상황으로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공감 가 형성된 의사결정으로 보기 어렵

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평가자가 집단역학 리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공감 를 형

성하기 한 feedback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feedback 과정을 거친 후에도 이와 같

은 상이 반복된다면 결론에 신 을 기한다

35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Ⅲ -3gt 평가자별 의견일치도와 AHP 평점에 따른 결론

종합평

시행미시행AHP lt 045 045 le AHP lt05 05le AHP lt055 055 le AHP

4 0 - - 타당성 있음 타당성 있음

3 1 Feedback 아주신 약간신 타당성 있음

2 2

AHPlt042타당성없음

AHPgt042약간신

신 신

AHPgt058타당성 있음

AHPlt058약간신

1 3 타당성 없음 약간신 아주신 Feedback

0 4 타당성 없음 타당성 없음 - -

주 1) lsquo시행미시행rsquo은 사업시행 평가자 수와 사업미시행 평가자 수의 비율(4인 기 )을 나타냄 2) AHP는 사업시행 안의 AHP 종합 수를 나타냄 3) lsquo-rsquo는 해당 사항 없음을 나타냄

결국 평가자간 의견의 일치정도와 종합평 이 회색 역 안과 밖에 있는 지 여부

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질 것이다 회색 역 밖에 치한다면 해당 사업의 시행미

시행 여부에 하여 보다 분명하게 종합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것이고 그 지 않다면

연구진들은 회색 역에 속함을 분명히 밝히고 타당성 여부에 하여 결론을 내릴

때 톤을 완화하거나 신 을 기하여야 할 것이며 의견이 갈릴수록 더욱 신 해야 할

것이다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1 계층구조의 설정

본 지침에서는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의 기본구조를 [그림 ⅩⅢ -1]과 같이 설정

한다 AHP 분석의 최종목 의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1계층은 경제

성 분석과 정책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제2계층은 정책 분석을 구성하는 lsquo지역균

형발 rsquo lsquo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rsquo lsquo사업추진상의 험요인rsquo lsquo사업특수 평가(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59

분류)rsquo 항목으로 구성된다 제3계층은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평가항목으

로 구성된다

[그림 ⅩⅢ -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

계층

1

2

평가 대안 사업 시행 사업 미시행

기존 지침에서는 정책 분석에 포함되는 분류 평가항목을 기본 평가항목과 사

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다 그러나 기존의 AHP 구조가 평가내용이 연계된

항목을 상호 분리시킴으로써 AHP 분석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들이 평가 요소

36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에 집 하여 평가를 수행하는데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을 개선하기 하여

평가 내용에 따라 3개 분류 평가항목과 사업특수 평가항목으로 분류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 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평가항목으로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제2계층과 제3계층에 동

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AHP 구조를 설계하 다 이는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평가내

용이 유사한 평가항목과 분류 범주에 함께 묶음으로써 평가자들의 인식체계와 유

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 성 있는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장 이 있다고 단되기

때문이다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분류 기본평가항목과 연계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분류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AHP 구조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분류 사업특수

평가항목에 속하는 세부 사업특수 평가항목이 1개인 경우 제2계층과 제3계층의 평가

항목과 평가내용이 동일하다구조설문의 사업특수 평가항목을 설정하여 AHP 구조를 설정할 때 다음 두 가지

AHP의 공리(axioms)를 만족하여야 한다129) 첫째 동질성(homogeneity)의 공리로서

요도는 제한된 범 내에서 정해지 척도(bounded scale)에 의하여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제2계층의 분류 평가항목에 속한 제3계층의 평가항목들이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수 의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종속성(dependency)의 공리로

서 한 계층의 요소들은 인 한 상 계층의 요소에 하여 종속 이어야 한다 그러

나 상 계층의 모든 요소에 하여 인 한 하 계층 내의 모든 요소들 간에 독립성

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130)

비타당성조사 구조설문 과정에서 조사 은 구조설문지에 AHP 구조를 제출하

는 동시에 lt표 ⅩⅢ -4gt의 형식에 맞게 평가항목 평가내용 등을 구체 으로 기술하

여야 한다 이는 식별된 평가항목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하여 평가자간 평가항목

에 한 일치된 이해를 갖고 평가에 임하도록 하기 한 것이다

129) 이외에도 AHP 공리로는 역수성(reciprocal) 기 성(expectation)의 공리가 있다 역수성의 공리란 의

사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짝지어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선호의 강도를

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선호와 강도는 역수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를 들어 A가 B보

다 x배 요시된다면 B는 A보다 1x배 요하다는 의미가 된다 기 성의 공리는 의사결정의 목

에 한 사항을 계층이 완 하게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130) 조근태 조용 강 수 (2003) ꡔ계층분석 의사결정ꡕ 동 출 사 p4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1

lt표 ⅩⅢ -4gt 구조설문지의 평가 내용(예 부산신항 배후도로Ⅱ 건설사업)

사업 특수성 평가항목 평 가 내 용

평가항목1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부산신항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로 인한 항만기능 활성화

효과

평가항목2도로 건설주체

리체계 미확립

배후도로 건설 사후 리 주체의 미확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업 추진 상의 비효율

KDI 비타당성조사 리인력은 조사 에서 설정한 구조와 평가항목의 평가내용

이 한가를 검토하고 평가항목의 추가여부에 한 의견을 조사 에게 제시한다

2 복수 대안의 평가

비타당성조사 제도는 규모 공공투자사업에 한 신규투자를 우선순 에 입

각하여 투명하고 공정하게 결정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 에 따라 개별 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해당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단하는 것을 직 인 목 으로 한다 이는 사업간 우선순 를 결정하는

문제는 정부의 거시 인 재정운용 정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정부의 산제약을

개별사업에 한 비타당성조사 단계에 반 하는 것은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기 때

문이다이와 같은 취지에 따라 비타당성조사를 한 AHP 구조는 1차 으로 최 안

을 기 으로 한 lsquo사업시행rsquo 안과 lsquo사업미시행rsquo 안에 한 상 평가를 기본원칙으

로 하고 있다 이는 의사결정상황을 단순하게 하는 장 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

으로도 다수의 안 에서 최 안을 경제성 분석의 결과를 통해 손쉽게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사업의 경우 조사 과정에서 검토한 복수의 안 가운

데 최 안을 손쉽게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를 들어 A 지 에서 B 지 을 연결하는 도로사업의 경우 여러 개의 노선 안이 존재할 수 있다 산업단지

에 련된 사업평가의 경우 경제환경의 변화 공단 입주율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한

복수의 시나리오에 따라 복수의 평가 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안이 존재

하는 경우 AHP 분석의 기 이 되는 안을 어떤 안으로 선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에 한 사 인 선정이 어려운 사업에 한 평가가 필요

36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한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AHP 분석을 통한 종합평가가 가능하다 첫째 먼 복

수의 안 가운데 최 안을 선택하기 한 1단계 AHP 분석을 수행하여 최

안을 선택한 후 선택된 최 안의 시행여부에 한 2단계 AHP 분석을 수행한다 둘째 복수의 안과 lsquo사업미시행 안rsquo을 동시에 비교하여 최 안의 선택과 최

안에 한 사업시행 여부를 동시에 결정하는 통합된 AHP 분석을 수행한다 최 안과 사업시행 여부를 동시에 결정하는 AHP 분석에서는 가장 많은 수를

얻은 안을 최 안으로 선택한다 이때 사업시행을 한 최 안의 AHP 수

가 반드시 05를 과할 필요는 없다 최 안의 AHP 수가 사업미시행 안의

수보다 높다면 최 안의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경

우 사업의 타당성을 단하는 AHP 수를 사 으로 결정할 수 없다 만약 lsquo사업

미시행rsquo 안이 최고 수를 얻었을 경우 최 안도 시행하지 않는 것이 하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지침에서는 사업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AHP 수 기 의 일 성을 확보하

는 차원에서 복수의 안에 한 AHP 분석에서 2단계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즉 1단계에서 [그림 ⅩⅢ -2]와 같이 최 안 선택을 한 AHP 구조를 설정한 후 AHP 분석을 통하여 최 안을 선택한 후 사업 시행의 성에 한 2단계 AHP 분석

을 수행하여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1단계와 2단계 분석의 AHP 구조가 반

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를 들어 동일한 지역에서 수행되는 안1과 안2는 지

역낙후도 분석결과가 동일하므로 안간 비교에서는 의미가 없으므로 안간 비교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다만 AHP 분석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 의 경우 지역

낙후도 평가 항목을 AHP 구조에는 포함하되 안간 차별이 없도록 평 을 함으로써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의 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는 반 로 안 선택에 있어서

기술 타당성이 요 평가기 이 되는 경우 안간 비교를 한 1단계 AHP분석에

는 평가 항목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하다 일단 기술 문제 이 없는 안을 최

안으로 선택한 후 최 안의 시행여부에 한 AHP 분석에서는 기술 타당성

평가항목을 제거할 수 있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3

[그림 ⅩⅢ -2] 최적대안 선택을 위한 AHP 구조

비타당성

제1계층

경제성 분석 정책 분석

제2계층

지역균형발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사업추진상의

험 요인

사업특수

평가

제3

계층

1

2

평가 대안 대안 1 대안 2 대안 3

36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평점 기준 설정

평 은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안에 한 선호도를 수로 부여하는 과정이

다 lt표 ⅩⅢ -5gt는 비타당성조사의 평 기 을 보여 다 사 으로 선택된 평

가항목 가운데 경제성 분석 지역균형발 을 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평가항목은 BC 지역낙후도지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지수 등 계량 지표를 기

으로 평가한다 기타 다른 평가항목들은 조사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정성 으로

단하여 평가항목별 평 을 수행한다평 과정에서 주의할 은 특정 평가항목에 한 평 이 다른 평가항목의 평

과 독립 이라는 이다 를 들어 사업의 타당성에 하여 갖고 있는 일반 인 태

도를 개별 평가항목의 평 과정에 반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를 들어 지역낙후

도 지수와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항목은 평 기 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lsquo지역균형

발 rsquo이라는 분류 범주에 속한다는 이유로 두 평가항목의 평 을 상호 연계하려는

태도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AHP 기법의 요한 장 의 하나는 평가항목별로 한

가지 성질을 기 으로 사업의 시행여부를 단한다는 에서 인간의 정보처리능력을

제고한다는 이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가 치 설정단계와 마찬가지로 각 평가항목을

기 으로 사업시행 안과 사업미시행 안간의 상 정성을 비교를 통하여

악하여 평 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평 을 한 평 척도는 Saaty의 9 척도

를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평 과정에서 다음 두 가지 사항에 한 고

려가 필요하다첫째 부분의 사업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lsquo재원조달 가능성rsquo lsquo환경성rsquo

평가항목에 한 평 시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 안의 상 성을 어떻게 평

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를 들어 사업 시행시 특별한 환경문제가 발생하

지 않는 경우 환경성 측면에서 사업시행 안의 성을 9 으로 평가할 것인가

는 사업미시행 안과 립 인 1 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단구간

국도건설 사업과 같이 재원조달상의 문제 이 없는 사업의 경우에도 사업시행 안

의 성 평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에서는 재원조

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항목에 한 평 의 최 수를 1 으로 설정한다 즉 환경성 는 재원조달 상의 문제 이 없다는 사실이 해당 사업의 시행을 진하는 역

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사업추진 상에 부정 인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는 것으로 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5

lt표 ⅩⅢ -5gt AHP 평가항목별 평가내용 및 평점 기준

평가 항목 평가 내용 평 기 비고

경제성 분석∙경제 측면에서의 사업

타당성

∙경제성 분석결과 도출된

BC비율

∙BC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 분석

지역균형발

지역낙후도

∙지역균형발 측면에서

사업의 필요성

∙지역낙후도지수 순

(해당 사업이 다수의 시

군에 걸쳐있는 경우 표

시군의 낙후도를 기 으

로 평가)

∙낙후 정도가 심할수

록 lsquo사업 시행rsquo 수

가 높고 발달된 지

역일수록 lsquo사업미시

행rsquo 수가 높음

지역경제

효과

∙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가

가치 유발 등 지역경제

효과

∙지역내부가가치유발액GRDP(지역내총생산)

∙비율이 높을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정책의 일 성

추진의지

련계획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상 계획 련계획에

의 반 여부

∙주무부처에서 추진하는

정책방향과의 일치여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반 이 구체 일 수

록 일치성이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 추진의지

선호도

∙ 앙정부 해당지자체

주민의 사업에 한 추진

의지 선호도 숙원도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사업 추진 의지가

클수록 lsquo사업 시행rsquo수가 높고 반

의견이 많을수록 lsquo사업

미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의

비정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인

력 재원의 투입정도

등 사업추진의 구체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 비정도가 높을 수록

lsquo사업시행rsquo 수가 높음

사업추진상의

험요인

재원조달

가능성

∙재원조달계획의 실 가

능성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조

달의 가능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재원조달 문제가 없

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우 lsquo사업미시행rsquo수가 높음

환경성

∙해당사업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향 사업추진

시 환경문제발생가능성

에 한 개략 평가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정성 으로 단

∙환경성 문제가 없을

경우 AHP 평 은

lsquo1rsquo 문제가 있을 경

우 lsquo사업미시행rsquo 수

가 높음

사업특수

평가항목

∙기타 사업 타당성 평가를

하여 고려할 사항

36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둘째 계량화된 평가항목에 해서는 표 수를 부여하여 사업간 평가의 일 성

을 제고한다 본 지침에서는 평가의 일 성이 특히 요구되는 경제성 분석과 지역낙

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평 에 용한다 경제성 분석은 모

든 비타당성조사에 공통 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용하는데 동일한 BC 비율에

하여 연구자에 따라 각기 상이한 단을 내리는 문제 을 해소하기 해서이다 비타당성조사의 요한 목 의 하나가 일 된 평가기 을 다양한 공공투자사업에

용하여 공공투자에 한 의사결정의 객 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음을 감안할 때 공통의 기 에 의하여 산정한 비교가능한 계량지표에 한 평가에 해서는 일 성

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단된다

4 평점을 위한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표 수는 평가항목별로 주어진 계량지표를 평 에 반 하는 기 으로서 사업

내 연구진간 사업간 연구진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하여 모든 사업 평가에 공통

으로 용하는 스 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 지침에서는 BC 비율 지역낙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식을 추정하여 AHP 분석에 활용하 다 이는 경제성 분

석과 지역낙후도지수 평가항목이 사업의 타당성 평가에 요한 향을 미치기 때문

이다 본 지침에서는 BC 비율과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을 최근의 AHP 분석

결과를 반 하여 갱신한다 추정과정에서 Saaty의 9 척도를 표 수 환식 추정

에 합하도록 환하는 과정에서 수를 수정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사용의

모호성을 배제하기 하여 평가자가 설문지에 실제 부여한 수를 ldquo응답 수rdquo로 환식 추정을 하여 수정한 수를 ldquo수정된 9 수rdquo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ldquo표

수rdquo는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BC 비율 지역낙후도지수를 AHP 분석을

한 평 단계에서 Saaty의 9 척도에 상응하는 값으로 환하여 실제분석에 입력

하는 수를 지칭한다

lt표 ⅩⅢ -6gt 수정된 9점 점수

원 수 -9 -8 -7 -6 -5 -4 -3 -2

수정 수 -8 -7 -6 -5 -4 -3 -2 -1

원 수 1 2 3 4 5 6 7 8 9

수정 수 0 1 2 3 4 5 6 7 8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7

가 BC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 사업 163건에 한 AHP 평 결과를 활용

하여 BC 표 수 환식을 추정한다 추정 방법은 기존 지침과 동일하게 BC 비율에 한 경제성 분석 응답 수의 회귀식을 추정하 다 즉 BC 비율을 기 로 한

경제성 분석 응답 수의 기 치를 BC 표 수 환식으로 추정하여 일종의 lsquo평균

인rsquo 평가자의 평 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가자간 BC 비율에 한 인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사업간 평가의 비일 성을 통제하도록 한다응답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상 (outlier)을 환식 추정 이 에 제거하 다 이

상 으로 별한 자료는 BC 비율이 1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 안이 매우

하다고 응답한 경우와 BC 비율이 1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사업미시행 안이 매

우 하다고 응답한 자료이다 이는 통상 경제 타당성을 단하는 기 으로 받

아들여지는 lsquoBC ge 1rsquo의 조건을 표 수 환식에도 용시키기 함이다 한

BC 비율의 증가에 따라 표 수도 증가하는 단조증가함수 형태를 갖도록 하 다 여러 가지 모형을 용한 결과 자연로그함수 형태의 합도가 우수하 다 추정

모형은 식 (ⅩⅢ -6)과 같다

수정된 9 수 = β times ln (BC) +ε (ⅩⅢ -6)

추정결과는 lt표 ⅩⅢ -7gt과 같다 회귀식의 유의확률은 00001 이하로 나타나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895로 나타났다 회귀계수

β 1의 추정치는 511532로 나타났으며 이 회귀계수의 유의확률도 00001 이하로 나타

나 통계 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단할 수 있다

lt표 ⅩⅢ -7gt BC 비율 표준점수 전환식의 분산분석표

Analysis of Variance

Source DF Sum of Squares Mean Square F Value ProbgtF

Model 1 657255426 657255426 82418 lt00001

Error 574 457744574 797464

U Total 575 11150

R-Square 05895

36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수 환식의 계수가 이 지침의 8592933에 비해 크게 감소하 는데 이는

기울기의 감소를 의미하며 결국 BC 비율의 차이에 따른 표 수의 차이가 다소 감

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BC 비율의 차이가 AHP 수에 미치는 향이 상

으로 덜 민감하게 반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BC 비율과 AHP분석에 최종 반

되는 표 수와의 계로 환하면 식 (ⅩⅢ -6)과 같다131)

BC 표 수 511532 times ln (BC) + i단 BC ≧ 1 rarr i= 1 BC 1 rarr i= -1 (ⅩⅢ -6)

lt표 ⅩⅢ -8gt은 수정된 표 수 환식을 이용하여 BC 비율에 따른 표 수를

산출한 결과를 기존 환식의 표 수 결과와 비교하고 있다 양자 모두 BC=1일

때 사업시행과 사업미시행간의 선호가 동일한 표 수 1을 보이고 있다 BC 비율

이 증가함에 따라 표 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그 증가비율은 기존 환식에 비하

여 완만하다 를 들어 BC=25일 때의 표 수가 569로서 기존의 887에 비하여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BC가 1미만인 역에서도 기울기가 완만하여 표 수

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상을 보이고 있다기존 환식과 동일한 편을 유지하면서 기울기가 완만해짐에 따라서 표 수

-9 ~ 9 에 상응하는 BC의 폭이 020~478로 넓어지는 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존의 BC 폭인 039~254에 비하여 확장됨으로써 BC의 차이를 표 수에 반

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131) 기존 지침에서의 BC 표 수 환식은 다음과 같다

BC 표 수 = 8592933 times ln(BC) + i단 BC ge 1 rarr i =1 BC lt 1 rarr i =-1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69

lt표 ⅩⅢ -8gt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된 표준점수의 비교

BC 비율수정

표 수

기존

표 수BC 비율

수정

표 수

기존

표 수

020 lt -9 lt -9 100 100 100

021 -898 lt -9 105 125 142

025 -809 lt -9 110 149 182

030 -716 lt -9 115 171 220

035 -637 lt -9 120 193 257

039 -582 lt -9 125 214 292

040 -569 -887 130 234 325

045 -508 -786 135 254 358

050 -455 -696 140 272 389

065 -320 -470 200 455 696

060 -361 -539 250 569 887

065 -320 -470 254 577 gt 9

070 -282 -406 300 662 gt 9

075 -247 -347 350 741 gt 9

080 -214 -292 400 809 gt 9

085 -183 -240 450 869 gt 9

090 -154 -191 477 899 gt 9

095 -126 -144 478 gt 9 gt 9

나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

BC 표 수 환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역낙후도 지수에 한 표 수 환

식을 추정한다 기존 표 수 환식은 기 자치단체의 지역낙후도만을 반 하여

역자치단체인 시도의 지역낙후도를 반 하지 않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낙후도는 기 자치단체 뿐 아니라 기 자치단체가 속한 역자치단체의 낙후정

도에 의해서도 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정된 지역낙후도 표 수 환식은 역

자치단체의 지역낙후도 수 을 반 하도록 하 다

37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지역낙후도에 한 가 치 순 에 따른 표 수의 차이는 정책방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의지를 비타당성조사 종합평가 과정에

반 하기 한 기 으로 기존 비타당성조사에 참여한 평가자들의 지역낙후도에

한 인식을 반 하여 표 수 환식에 반 하도록 하 다 지역낙후도에 한 평

가자들의 인식을 통계 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이상 (outlier)을 제거하 다 응답

의 신뢰도가 낮다고 단한 기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낙후도지수 순 1~70로서 비교 개발정도가 양호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에 하여

큰 양(+)의 AHP 수를 부여한 경우이다 둘째 이와 반 로 지역낙후도 순 가 100 보다 커서 낙후정도가 큰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낙후도 평가항목에 하여 큰

음(-)의 AHP 수를 부여한 경우이다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와 시도의 지역낙후도지수 순 와 AHP 평 과의

계를 살펴본 결과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 순 는 3차 함수 형태 시도별 지역

낙후도지수 순 는 2차 함수 계를 보이는 것으로 악되었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lt표 ⅩⅢ -9gt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전환식 추정결과

사용변수 추정계수 표 오차 t-통계량 p-값

223298 026115 855062 lt 00001

-029626 014575 -203266 004316

074302 014949 497041 lt 00001

032728 013358 245004 001498

C 081220 020800 390488 000012

0782 F-통계량 22094898

수정 0778 p-값(F-통계량) lt 00001

주 1) LIR은 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표 화한 값 2) MIR은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표 화한 값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LIR은 3차항까지 통계 으로 유의한 값을 가졌으나

MIR의 경우 2차항만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귀모형의 유의확률

은 00001이하로 나타나 통계 유의성을 갖고 모형의 설명력은 782로 비교 높

게 나타났다 모든 추정계수의 유의확률이 005이하로 나타나 신뢰도 95이상에서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 로 지역낙후도지수 표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1

수 환식을 식 (ⅩⅢ -7)과 같이 도출한다

지역낙후도 지수 표 수 =α+ i

단 α = 081220 + 223298 timesLIR - 029626 timesLIR 2 + 074302 timesLIR 3

+ 032728 timesMIR2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 (ⅩⅢ -7)

개정된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을 기존 표 수 환식과 비교하면 다

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132) 첫째 개정 환식은 지역낙후도지수 순 를 설명변수

로 채택하고 있어 지역낙후도지수 수 을 설명변수로 채택하고 있는 기존 환식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역낙후도지수 수 신 순 를 설명변수로 사용한 이유는

지역낙후도지수가 8개 지표의 통합지표(Aggregate Indicator)로서 응답자들이 지표의

수 으로부터 지역의 낙후정도를 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상 지역의 지역낙후도 수 에 따라 평 을 차별화하는 효과가 발생하

다 [그림 ⅩⅢ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정 환식은 상 지역에서 지역낙후도 표

수의 차이가 하다 기존 환식에서는 지역낙후도지수 순 가 1~40 에 해당

하는 지역에 해서는 표 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개정 환식은 해당

구간에서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지역낙후도 상 지역에 한 부(-)의 평 효

과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상이 발생하고 있다 하 지역의 경우 기존 표 수

환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셋째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가 낮을수록(지역낙후 정도가 심할수록) 반드시 지

역낙후도 표 수가 높지 않을 수도 있는 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개정된 표 수 환식이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뿐만 아니라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를 반 하여 표 수를 산출하 기 때문이다 를 들어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 가 낮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소속된 시도별 순 가 높은 경우

에 시군별 순 가 높은 지역에 비하여 표 수가 낮아지는 상이 발생할 수 있다

132) 기존 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환식은 다음과 같다지역낙후도지수 표 수 = α+ i 단 α = - 17685 - 56355 timesUDI + 41845 timesUDI

2 - 09290 timesUDI3

αge0 rarr i =1 α lt 0 rarr i =-1 UDI =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

37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Ⅲ -3] 지역낙후도지수 기존 표준점수와 수정 표준점수의 비교

-10

-5

0

5

10

15

0 50 100 150 200

UDIR

BEFOREAFTER

시군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기존 표 수개정 표 수

lt표 ⅩⅢ -10gt은 개정된 시군별 시도별 지역낙후도지수 순 에 상응하는 표

수를 산정한 비교표를 나타낸다 기존 환식에서는 지역낙후도 순 80 권에

서 지역낙후도 표 수가 (-)에서 (+) 값으로 환되었으나 개정 환식에서는 60권에서 표 수가 양(+)의 값으로 환되었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3

lt표 ⅩⅢ -10gt 개정된 전환식에 의한 지역낙후도 지수 표준점수

시군별

지수 순

시군별

표 환값

시도별

지수 순

시도별

표 환값기존 표 수 개정 표 수

1 -171682 1 -157532 -673851 -784235

10 -153396 3 -115523 -494673 -655537

20 -133079 6 -052511 -514824 -534503

30 -112762 4 -094519 -508139 -385539

40 -092444 11 052511 -485921 -3002

50 -072127 7 -031506 -430648 -219881

60 -051809 4 -094519 -376826 -123516

70 -031492 16 157532 -273536 186859

80 -011175 9 010502 -139123 156155

90 009143 10 031506 206278 204694

100 02946 14 115523 264576 29001

110 049778 4 -094519 311457 323435

120 070095 15 136527 346132 409778

130 090412 16 157532 461473 495024

140 11073 3 -115523 547471 536708

150 131047 10 031506 647097 593435

160 151365 16 157532 749339 790231

170 171682 16 157532 gt 9 gt 9

5 AHP 민감도 분석

민감도 분석의 기본 개념은 평가자들의 가 치가 변화함에 따라 AHP 종합평 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의사결정의 강건성(robustness)을 검증

하는 것이다 특히 종합평 결과가 에서 언 한 lsquo 단 유보rsquo 역에 속하는 경우

평가자의 응답에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하는지를 보여 수 있다 AHP 기법은 어의

표 (verbal judgement)을 통하여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반복 으로 수

행하여 비교행렬을 구성하고 고유벡터를 도출한다 AHP 이론에서는 비교행렬의 특정 값이 변화함에 따라 고유벡터가 얼마나 민

감하게 변화하는지 여부에 한 민감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비교행렬의 n의

값이 9 이하인 경우에는 민감도가 작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 으로 보여주었다

37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Saaty 1996 p195~195) 그러나 안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경우 혹은 상

계층에서 평가항목들간 가 치에 한 의견의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종 안들의 우선순 의 변화여부를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이와 같은 분석의 필요성은 AHP 분석이 평가자의 정성 인 단을 어의 인 표

으로 나타내고 이를 수치화하기 때문에 특정한 추정값(estimation value)의 정확성에

해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를 들어 평가항목 A가 평가항목 B보다 4배 요한지 5배 요한지 평가자 자신도 확신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평가항목의 가 치 는 안의 선호도가 일정수 변화할 때 종합평 의 결과가 얼

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민감도 분석은 특히 feedback 과정에서 평가자들이 자신의 가 치 변화에 따라

AHP 평가 수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악함으로써 자신의 의사결정의 강건성을 검

토하는 동시에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에 한 논의를 활성화하는 효

과를 가져올 수 있다 재 KDI 비타당성조사 리 에서는 Expert Choice의

TeamEC_Platform version 950A05소 트웨어를 이용하여 AHP 분석을 수행한다 Expert Choice에서는 민감도 분석의 주안 에 따라 성과 민감도(performance sensitivity) 동 민감도(dynamic sensitivity) 경사 민감도(gradient sensitivity) 2차원 민

감도(two dimensional sensitivity) 가 차이 민감도(weighted difference sensitivity) 분석

등 5가지 민감도 분석 모듈(module)을 제공한다 각각의 모듈은 기본 으로 동일한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본질 으로는 평가항목의 변화에 따라

의사결정이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는 에서 동일하다그러므로 비타당성조사에서는 경사 민감도 분석 모듈을 심으로 민감도 분석

을 수행하도록 한다 경사 민감도 분석은 재 평가자들의 치와 평가항목의 방향

성을 축약해서 나타내주며 치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 결과가 뒤바뀔 수 있

는지에 한 정보를 한 에 제시해 다는 장 을 가진다 통상 상 계층의 가

치 변화가 평 에 가장 큰 향력을 미치므로 비타당성조사의 제1계층을 구성하

는 평가항목인 경제석 분석과 정책 분석의 상 가 치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를

살펴본다 [그림 ⅩⅢ -4]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 분석의 가 치 변화에 따른 평 의 변화를

보여 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은 경제성 분석의 상 가 치를 나타내고 세로축

은 사업시행 미시행 수의 평 을 나타낸다133) 그림에서 수직 실선은 재의

경제성 분석 가 치 수 을 보여주는 선으로서 04 보다 크고 05보다 작은 수 을

보이고 있다 재의 가 치 선과 교차하는 사업시행 평 은 05를 미세하게 과하

133) 통상 인 비타당성조사 AHP 구조하에서 사업시행 사업미시행 안으로 양분하는 경우 사업

시행과 사업미시행 안 각각의 평 합은 10이다

제ⅩⅢ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375

고 있다 따라서 재의 경제성 분석 가 치 하에서 사업시행 안이 사업미시행

안보다 미세하게 한 안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수직 실선과 평행하는 두 개의 선은 미리 설정한 경제성 분석 가 치의 변화

범 ( 를 들어 005)를 나타낸다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오른쪽 선이 제시하는

05수 으로 증가시킬 경우 사업시행 수는 05 미만으로 감소한다 반 로 왼쪽

선 수 으로 경제성 분석 가 치를 감소시키면 사업시행 수는 당 종합 수보다

증가하여 사업 시행 안의 성이 더욱 높아진다 이는 본 민감도 분석의 상이

되는 사업의 BC가 1보다 작은 수치로서 경제성 분석의 가 치를 높일수록 사업시행

의 타당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 다

[그림 ⅩⅢ -4]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시 행미 시 행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AHP 평 이 05를 과하여 사업의 타당성이 있

다는 1차 인 의사결정을 내렸으나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조 만 변하더라도 의

사결정이 바뀔 수 있는 강건성이 높지 않은 결정임을 시사한다 특히 사 으로

설정한 선으로 표시된 경제성 분석의 변동성(variability) 범 내의 가 치 변경에

해서도 의사결정이 뒤바뀔 수 있는 상황임을 보여 다[그림 ⅩⅢ -5]는 [그림 ⅩⅢ -4]와 달리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변화하여도 여 히

사업시행 안이 한 경우를 나타낸다 [그림 ⅩⅢ -5]의 경우는 경제성 분석의 가

치가 높아질수록 사업시행 안의 평 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해당 사업의 BC가 1을 과하는 사업임을 알 수 있다 한 경제성 분석이 0의 값을 갖는 경우에도 평

이 06을 과하여 사업시행 안이 함을 보여 다 즉 경제성 분석을 제외하

고 정책 분석 결과만을 고려할 경우에도 사업의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이다

37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그림 ⅩⅢ -5] 경사 민감도 분석 그래프 (유형 2)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0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시 행미 시 행

따라서 [그림 ⅩⅢ -5]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업에 한 민감도 분석의 실익은 높지

않다 민감도 분석이 유용한 경우는 [그림 ⅩⅢ -4]에 해당하는 사업이다 유형 1에

해당하는 사업의 경우 재의 가 치의 변화가능 역을 설정하여 선으로 표시하

고 선의 범 내에서 사업시행 는 사업미시행 안의 평 간 역 상이 발생

하는가를 분석한다 가 치의 변화가능 역 내에서 의사결정 결과가 변화하지 않

을 경우 의사결정의 강건성이 높은 수 으로 해석할 수 있다가 치의 변화가능 역을 설정하기 하여 가 치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가 치의 변이를 측정하기 한 변수로는 앞의 종합평 과 마찬가지로 평

가자별 경제성 분석의 가 치와 해당 사업의 경제성 분석 평균가 치의 차이(MD mean deviation)를 이용한 표 편차를 계산하 다 다음 표는 2000~2004년 상반기

비타당성조사의 AHP 분석 자료로부터 총 667개의 측치로부터 사업부문별 표 편

차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lt표 ⅩⅢ -11gt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가중치의 표준편차

구분 도로 철도 수자원 항만 기타 체

자료수 253 179 66 39 130 667

표 편차 0097 0104 0110 0148 0095 0104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종합평 에서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경제성 분석 가

치의 변동가능 역을 plusmn005로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제1절 개 요

본 장에서는 세부 행정단 별로 지역내 총생산(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하고

자 한다 교통사업과 같이 지역 성격이 강한 투자의 타당성을 단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지역의 GRP에 한 망이 필요한데 일반 으로 재화에 한 수요의

가장 요한 결정요인은 소득수 이기 때문이다 ꡔ일반지침(제3 )ꡕ에서는 16개

역시도 행정단 에 하여 GRP 망치가 제시되었으나 많은 경우 어떤 공공투자

사업의 타당성을 악하기 해서는 보다 세부 인 수 에서의 GRP 망이 필요하

다 그러므로 국의 약 250개 시군구 단 세부 행정구역에 하여 2000년부터

2030년까지의 GRP 망치를 추정하고자 한다이론 으로는 가능한 한 가장 세부 인 행정단 까지 GRP의 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실제로는 행정단 의 구분이 세부 이 될 수록 다음과 같은

이유로 GRP의 망은 더 어려워진다

첫째 세부 행정단 별로는 과거의 GRP 값 자체가 발표되어 있지 않아 GRP의

망이 그만큼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둘째 행정단 의 구분이 세부 으로 될 수록 그 행정단 의 GRP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가 개념 으로 불분명해진다 를 들면 서울의 구나 종로구의 경우 서울의

다른 구에 비해서 GRP의 수 이 높을 것으로 상되지만 그 GRP의 상당 부분은 다

른 구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단지 구나 종로구에서 생산활동에 종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부 행정단 수 에서는 GRP의 수 과 어

떤 공공투자사업에 한 수요 사이의 계가 덜 긴 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37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지 까지는 세부 행정단 별 GRP의 값이 필요할 경우 단

순히 그 행정단 가 속한 시도의 GRP를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본 장에서는 세부 행정단 의 GRP 망에 따르는 기본 인 문제 과 한계 들을

인식하되 좀 더 체계 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세부 행정단 별 GRP의 장기 추세에

한 새로운 망치를 제시하고자 한다세부 행정단 별로 GRP의 장기 망치를 추정하는 작업은 크게 두 단계로 이루

어진다 첫째 단계는 행정단 별로 GRP의 과거 값을 구하는 것이고 둘째 단계는

GRP의 과거 값으로부터 출발하여 GRP의 미래 값들을 망하는 것이다 첫째 단계에

서는 특히 상부 행정단 ( 역시도별) 자료로부터 1인당 GRP의 결정식을 도출한

다음 이를 세부 행정단 (시군구)에 그 로 용함으로써 GRP의 과거 값을 계

산한다 세부 행정단 별 1인당 GRP의 수 이 결정되면 둘째 단계에서는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한다 이 단계에서는 1인당 생산의 지역간 격차가 차 으로 어

드는 경향이 있다는 신고 성장이론의 수렴(convergence) 결과를 이용하 다 한편 행정단 별 GRP의 규모를 구하기 해서는 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구한

1인당 GRP의 망치를 인구규모의 망치와 곱해야 하는데 인구규모의 망은 출

생과 사망에 따른 변화 외에 지역간 인구 이동의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제2절 GRP의 추이

재 우리나라의 GRP 자료는 1985년부터 2002년까지 국 16개 주요 역시

도에 하여 연간으로 발표되어 있다 16개 주요 행정구역은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북 남 경북 경남 제주로 이루어져 있

다 한 각 지역마다 16개 산업별로 생산량이 발표되고 있는데 그 산업들은 농림수

산업 업 제조업 기가스수도 건설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운수창고 통신 융보험 부동산사업 사회 개인 서비스 일반공공행정 사회 서비스업 기타 민간 비 리단체 융귀속 서비스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할 은 국의 모든 GRP를 합한 값이 GDP와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GDP가 한국은행에서 집계되는 반면 GRP는 통계청에서 집

계되며 따라서 두 가지 변수가 서로 조 씩 다른 원자료들에 기 해서 작성되어지

기 때문이다 한 GRP의 경우 국에 해서는 국방 련 생산 수입세가 포함된

값과 그 지 않은 값이 모두 발표되고 있으나 각 지역에 해서는 국방 수입세를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79

제외한 값만 발표되는 것도 그 이유이다 GDP 자료와 국의 GRP 자료를 비교하여

계산해 보면 국방 련 생산은 총생산의 약 1 수입세는 총생산의 약 25에 해당하

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방 수입세의 비 이 요하지 않다고 할 수는

없으나 통계청에서 발표되는 지역별 GRP 자료가 국방 수입세를 제외한 값이므로

여기서는 일 성이 있도록 국의 GRP도 국방 수입세를 제외한 값을 사용하기로

하 다 즉 각 지역의 GRP를 모두 합한 값이 국의 GRP와 같아지도록 한 것이다먼 지역별로 GRP 성장률을 살펴보면 lt표 ⅩⅣ-1gt과 같다 지난 20년간의 GRP

성장률의 단순평균은 약 64로 나타나며 부분의 지역에서 GRP 성장률은 진

으로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우리나라 체의 GDP 성장률에서

찰되는 패턴과 기본 으로 유사한 것이다

lt표 ⅩⅣ-1gt 지역별 GRP 성장률의 추이(95년 기준년도 가격)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1986 0132 0122 0141 0227 0150

1987 0138 0109 0139 0094 0164

1988 0098 0078 0115 0071 0144 0156

1989 0076 0030 0051 0081 0008 0072

1990 0109 0078 0121 0104 0182 0123 0129

1991 0074 0053 0048 0099 0055 0112 0165

1992 0063 0013 0045 0072 0058 0086 0091

1993 0070 0036 0060 0068 0079 0059 0078

1994 0040 0071 0091 0109 0079 0045 0084

1995 0030 0060 0028 0120 0089 0028 0113

1996 0070 0077 0062 0056 0047 0058 0086

1997 0009 -0004 0000 0023 0032 0084 0092

1998 -0091 -0076 -0120 -0140 -0128 -0061 -0020

1999 0095 0074 0088 0151 0139 0088 0125 0238

2000 0068 0052 0047 0085 0095 0069 0058 0203

2001 0023 0090 0033 0029 0030 0066 0001 0063

2002 0067 0046 0084 0041 0056 0072 0094 0102

38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 계속)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1986 0075 0002 0135 0112 0090 0105 0128 0041

1987 0063 -0018 0066 0032 -0180 0073 0111 0126

1988 0011 0078 0094 0062 0108 0090 0126 0050

1989 0087 0125 -0241 0008 0037 0083 0043 0218

1990 0047 0063 0021 0037 0086 0068 0105 -0005

1991 0032 0102 0081 0100 0102 0085 0126 0112

1992 0037 0110 0121 0062 0068 0067 0092 0120

1993 0043 0105 0082 0049 0058 0031 0025 -0026

1994 0066 0085 0132 0085 0108 0132 0126 0044

1995 0072 0095 0065 0056 0080 0088 0117 0056

1996 0110 0117 0205 0074 0090 0081 0086 0056

1997 0074 0120 0066 0020 0081 0077 0065 0074

1998 -0105 -0058 -0098 -0080 -0053 -0073 -0444 -0097

1999 0044 0145 0138 0080 0035 0181 0088 0099

2000 0038 0111 0084 0046 0032 0113 0032 0050

2001 0007 -0032 0034 0013 0042 0080 0102 0055

2002 0034 0085 0048 0011 0004 0053 -0006 0047

한편 지역별로 1인당 GRP의 수 을 살펴보면 lt표 ⅩⅣ-2gt와 같다 1인당 GRP가

아니라 체 GRP의 지역간 차이는 일차 으로 지역간 인구규모의 차이에 의해서

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GRP 신 1인당 GRP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lt표 ⅩⅣ

-2gt에 의하면 지역마다 1인당 GRP의 수 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울산 경기 경북 경남 등이 지난 20년 동안 비교 높은 수 을 보인 반면 구 주 강원 등은 상 으로 낮은 편이었다

한편 산업구조 한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lt표 ⅩⅣ-3gt에서 보듯이 울산 경기

도 경상도 등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상 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구 강원 등

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낮게 나타났다따라서 지 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제조업의 비 이 높은 지역일수록 비교 높은

수 의 빠른 성장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lt표 ⅩⅣ-2gt의 2002년 재 1인당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1

GRP의 수 과 lt표 ⅩⅣ-3gt의 2002년 재 제조업 생산의 비 사이의 상 계수는 약

08로 계산되어졌다지역별로 1인당 GRP의 수 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각 지역의 GRP를

단순히 그 지역의 인구규모와 비례하여 추정하는 과거의 행이 어느 정도 개선될

여지가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각 지역의 인구규모에 비례하여 GRP를 상정하는

것은 1인당 GRP의 수 이 모든 지역에 동일함을 제로 하기 때문이다 한 1인당

GRP의 지역간 차이가 산업구조의 차이와 한 계를 가진다는 것은 산업구조에

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세부 행정단 별로 보다 엄 한 1인당 GRP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lt표 ⅩⅣ-2gt 지역별 1인당 GRP 수준(95년 기준년도 가격)

(단 백만원)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1985 3939 3560 2941 4360 4181

1986 4419 3945 3305 5174 4517

1987 4971 4314 3708 5475 4139 4971

1988 5340 4591 4070 5648 4689 5530

1989 5616 4689 4209 5847 4637 5125 5726

1990 6174 5054 4662 6076 5357 5573 6162

1991 6637 5304 4803 6398 5505 5926 6810

1992 7069 5354 4936 6572 5675 6154 7050

1993 7580 5535 5153 6734 5975 6240 7216

1994 7912 5918 5541 7170 6291 6252 7432

1995 8180 6265 5623 7716 6692 6166 7862

1996 8878 6794 5939 8005 6904 6383 8122

1997 9029 6806 5922 8037 6993 6794 8538

1998 8258 6336 5199 6788 5988 6291 18792 8146

1999 9057 6847 5635 7718 6716 6750 21071 9845

2000 9630 7243 5861 8284 7243 7119 22093 11514

2001 9867 7926 6040 8410 7375 7471 21889 11919

2002 10543 8326 6533 8654 7709 7887 23713 12830

38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2 계속)

(단 백만원)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1985 3344 4142 4393 3269 4176 3694 6090 3801

1986 3635 4170 5007 3690 4597 4149 6883 3945

1987 3929 4116 5363 3871 3829 4517 7672 4427

1988 4066 4469 5912 4180 4340 5000 8652 4626

1989 4546 5055 4534 4288 4607 5509 9032 5593

1990 4898 5374 4687 4521 5119 5965 9942 5496

1991 5106 5884 5177 5031 5841 6484 11074 6104

1992 5349 6486 5932 5406 6453 6930 11971 6824

1993 5635 7126 6562 5740 7067 7160 12159 6640

1994 6076 7696 7600 6308 8101 8130 13570 6926

1995 6591 8390 8280 6749 9052 8882 15044 7313

1996 7313 9246 9866 7242 9919 9523 16145 7691

1997 7820 10211 10365 7392 10784 10178 17006 8224

1998 6937 9503 9232 6792 10239 9389 9372 7383

1999 7191 10781 10422 7320 10624 11045 10129 8063

2000 7447 11890 11237 7668 11075 12279 10399 8435

2001 7485 11437 11547 7788 11611 13246 11397 8835

2002 7728 12343 12046 7891 11739 13938 11280 918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3

lt표 ⅩⅣ-3gt 지역별 산업구조 2002년

구분 서울 부산 구 인천 주 울산 경기

농림어업 0003 0016 0009 0017 0023 0006 0007 0020

업 0000 0000 0000 0004 0000 0000 0001 0001

제조업 0105 0181 0230 0334 0276 0225 0743 0610

기가스수도사업 0013 0038 0016 0031 0014 0017 0027 0015

건설업 0071 0087 0111 0088 0092 0107 0044 0074

도소매업 0167 0148 0148 0080 0137 0146 0037 0042

음식숙박업 0022 0026 0025 0022 0035 0033 0009 0015

운수창고 0069 0150 0044 0127 0052 0049 0039 0021

통신업 0067 0051 0061 0057 0052 0049 0015 0016

융보험업 0173 0080 0091 0057 0092 0085 0021 0039

부동산사업서비스 0253 0132 0152 0111 0115 0124 0030 0094

사회 개인서비스 0081 0059 0072 0039 0066 0067 0014 0036

일반공공행정 0027 0026 0031 0022 0032 0036 0007 0014

사회서비스업기타 0023 0028 0033 0024 0029 0064 0009 0016

민간비 리단체 0030 0027 0029 0015 0035 0034 0007 0013

융귀속서비스 -0104 -0048 -0053 -0032 -0050 -0041 -0011 -0026

38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3 계속)

구분 강원 경북 경남 북 남 충북 충남 제주

농림어업 0098 0081 0131 0140 0152 0094 0086 0265

업 0017 0003 0003 0002 0003 0002 0002 0002

제조업 0158 0496 0377 0250 0315 0500 0451 0032

기가스수도사업 0028 0014 0091 0017 0081 0059 0047 0020

건설업 0152 0084 0097 0116 0104 0082 0095 0114

도소매업 0097 0049 0050 0089 0057 0044 0064 0108

음식숙박업 0061 0019 0018 0031 0034 0020 0019 0073

운수창고 0044 0030 0027 0051 0064 0033 0039 0052

통신업 0035 0023 0020 0033 0022 0018 0022 0034

융보험업 0069 0042 0043 0071 0046 0034 0043 0072

부동산사업서비스 0092 0091 0076 0082 0053 0056 0066 0093

사회 개인서비스 0069 0032 0026 0044 0027 0024 0032 0086

일반공공행정 0045 0021 0021 0037 0028 0019 0023 0038

사회서비스업기타 0050 0027 0025 0044 0033 0019 0025 0039

민간비 리단체 0026 0014 0022 0031 0011 0019 0014 0017

융귀속서비스 -0041 -0025 -0028 -0040 -0029 -0022 -0029 -0045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재 우리나라의 GRP는 16개 역시도에 해서만 발표되어 있으며 보다 세

부 인 행정단 에 해서는 강원도와 경기도 등의 외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지 까지는 체로 16개 역시도의 GRP를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따라 단순히 나 어 사용하여 왔다그러나 재 세부 행정단 별로 발표되어 있는 여러 통계지표들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단순한 추정방법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만일 1인당 GRP의 지역간 차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5

이가 다양한 통계지표들에 의해서 체계 으로 설명될 수 있다면 세부 행정단 별로

그 통계지표들의 값을 이용해서 1인당 GRP의 과거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추정치에다 세부 행정단 별 인구수를 곱함으로써 보다 엄 한 GRP의 추정치를 구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법이 용되기 해서는 세부 행정단 수 에서

사용가능한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선택해야 한다

1 사용자료와 변수

세부 행정단 수 에서 사용가능한 자료는 그리 많지 않은데 먼 통계청의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를 들 수 있다 이 자료에는 각 행정단 의 면 농경지면

총인구 연령별 인구 연령별교육수 별 인구 자동차 등록 수 1인당 수량 지방세액 등의 변수가 나와 있다 이 가운데 자동차 등록 수 지방세액 교육수 별

인구 등은 일반 으로 소득수 과 한 연 을 가질 것으로 상된다실제 자료를 살펴보면 GRP와 총인구와의 상 계수보다는 GRP와 총자동차 등록

수 혹은 총지방세액 등과의 상 계수가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곧 GRP를 단순

히 인구규모에 의해서만 결정하는 행이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134) 한 사업체 기 통계조사에는 세부 행정단 수 에서 각 산업별 종사인구 수가 발

표되어 있는데 앞의 lt표 ⅩⅣ-2gt와 lt표 ⅩⅣ-3gt에서 본 것처럼 산업구조 한 그 지

역의 생산과 한 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산업별 종사인구 자료를 이용함으로

써 세부 행정단 수 에서 GRP의 과거 값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상된다따라서 재 GRP가 발표되어 있는 16개 역시도 지역에 해서 GRP와 이들

변수들 간의 계를 회귀분석으로 구한 다음 그 추정식을 세부 행정단 에 용함으

로써 세부 행정단 별 GRP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16개 역시도의 GRP를

단순히 각 세부 행정단 의 인구규모에 따라 나 어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추

정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 된다여기서는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로부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자료 그리고

사업체 기 통계조사로부터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를 설명변수로 이용함으로써 1인당 GRP를 추정하 다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에 나와 있는 많은 지표들 가운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만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른 변수들을 이용함으로써 추가로 얻

어지는 편익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의 다수 변수

들 간에는 높은 상 계가 존재하므로 이들 변수들을 동시에 설명변수로 사용하는

134) GRP와 총인구의 상 계는 091 GRP와 자동차 등록 수의 상 계는 095로 나타남

38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것은 다 공선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소수의 표 인 변수들만을 사

용하거나 통계 으로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을 구하여 사용하는 여러 변수들의

공통부분만을 추출해내는 방법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비추정결과에 의하면 1인당 GRP와 가장 한 계를 가지는 것은 1인당 자

동차 등록 수인 것으로 나타나며 자동차 등록 수와 여타 변수들과의 주성분

(principal component)을 신 사용한 경우에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여기서는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 가운데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만을 사용한 결과만을 보고하기로 한다 한편 역시도 수 의 산업별 생산과 산업별 종사자 수로부터 산업별 1인당 생

산액을 구할 수 있는데 이 결과를 해당 시도의 시군구 수 에 용하기 해

서는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어떤 지역의 GRP 규모를 추정하기 해서는 1인당 GRP 외에 인구규모 자

료도 필요한데 여기서는 총인구조사에 나타난 세부 행정단 별 연령별 인구 자료를

이용하기로 하 다여기서는 2000년과 2002년의 가운데인 2001년을 분석의 기 기간으로 상정하고

2000년 총인구조사의 시군구별 연령별 인구분포의 구조가 2001년에도 그 로

유지된다고 가정하 다 자동차 등록 수 자료는 1970년부터 가장 최근까지 월별로

발표되어 있으며 시도별 산업별 GRP 자료와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시군구

별 산업별 종사자 수 자료는 재 2002년까지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총인구조사는

매 5년마다 이루어지는 계로 2000년이 가장 최근 자료에 해당되기 때문에 2000년

의 인구분포 구조가 유지된다는 가정을 한 것이다

2 추정방법

앞에서 언 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16개 역시도 자료로부터 1인당 GRP의 결

정식을 추정한 다음 그 추정식에다 세부 행정단 의 변수값들을 입함으로써 1인

당 GRP를 추정하 고 이 게 추정된 값에 세부 행정단 별 총인구수를 곱함으로써

최종 으로 GRP의 값을 구하 다먼 1인당 GRP를 구하기 해서는 각 시도별 산업별 1인당 생산액을 시

군구별 산업별 종사자 자료와 결합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를 들면 서울

시 구의 2001년도 1인당 GRP를 구하기 해서는 서울시의 2001년도 산업별 1인당

생산액을 종로구의 산업별 종사자 비 에다 곱한 다음 모든 산업에 하여 더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1인당 GRP를 구할 경우 각 시군구의 고유한

개별 특성이 제 로 반 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 구의 를 다시 들면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7

같은 개인 서비스 산업이라 하더라도 서울시 구의 서비스 산업이 서울의 다른 지

역에 비해 더 생산 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서울시 체의 평균 인 산업

별 생산성을 용함으로써 구의 GRP가 과소 추정될 수 있는 것이다물론 이러한 문제는 산업 구분이 충분히 세 하게 이루어진다면 부분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시도 수 에서의 산업별 생산은 lt표 ⅩⅣ-3gt에서 본 것처럼

16개 항목으로만 분류되어 있어 시군구 수 에서의 산업별 종사인구가 세세분

류까지 발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분류 산업별 종사인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한 lt표 ⅩⅣ-3gt의 산업별 생산에 사용된 산업분류와 사업체 기 통계조사의 산

업별 종사인구에 사용된 산업분류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이들 두 가

지 분류가 서로 일 성을 가지도록 새로운 제 3의 산업분류를 사용하 다 기존의 두

가지 산업분류와 이 둘을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lt표 ⅩⅣ-4gt와 같이 제 3의 산업분류

를 새로이 구성하 다 본 분석에서는 lt표 ⅩⅣ-4gt의 새로운 산업분류에 따라 체 산

업을 13개로 분류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단 GRP의 산업별 분류에서 일반공공행정

부문은 국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반면 종사인구의 산업별 분류에서 이에 상응하는

공공행정 국방 사회보장행정 부문은 국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 3의 산업분류에서 이 두 부문을 서로 일 일 응시키고 있는 것은 엄 한 의미에서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 되었듯이 지역별 GRP에는 국

방 부문이 제외되어 있으므로 국방 부문의 종사인구가 별도로 발표되지 않는 이상

lt표 ⅩⅣ-4gt와 같은 분류가 불가피하 다이처럼 본 장에서 사용하는 산업분류는 분류에 가깝기 때문에 세부 행정단 의

개별 인 특성을 재 로 반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상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

게 산업별 평균생산을 반 하여 계산된 GRP의 추정치에 더하여 개별 시군구의

특성을 보다 직 으로 반 할 것으로 기 되는 시군구별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추가 으로 사용하기로 하 다 즉 서울시 체의 평균 인 산업별 자료를 이

용한 추정치와 개별 시군구 자료를 이용한 추정치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일종의

가 평균에 해당하는 추정치를 계산하 다

38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Ⅳ-4gt 산업분류

생산의 산업별분류 종사인구의 산업별 분류 새로운 분류

농림어업(1) 농업 임업(a) 1 = a+b

업(2) 어업(b) 2 = c

제조업(3) 업(c) 3 = d

기가스수도사업(4) 제조업(d) 4 = e

건설업(5) 기 가스 수도사업(e) 5 = f

도소매업(6) 건설업(f) 6 = g

음식숙박업(7) 도소매업(g) 7 = h

운수창고(8) 숙박 음식 업(h) 8 = i

통신업(9) 운수업(i) 9 = j

융보험업(10) 통신업(j) 10 = k

부동산사업서비스(11) 융 보험업(k) 11 = l+m

사회 개인서비스(12) 부동산 기계장비 임 업(l) 12+14+15+16=o+p+q+r

일반공공행정(13) 사업서비스업(m) 13 = n

사회서비스업 기타(14) 공공행정 국방 사회보장행정(n)

민간비 리단체(15) 교육 서비스업(o)

융귀속서비스(16) 보건 사회복지사업(p)

오락 문화 운동 련산업(q)

기타 공공 수리 개인서비스업(r)

이 때 필요한 가 치의 크기를 결정하기 해서는 16개 시도별 자료를 이용하

다 시군구의 1인당 GRP 결정식을 구하기 하여 해당 시도의 산업별 생산

자료와 개별 시군구의 자동차 등록 수 자료를 이용할 것이므로 그에 상응하도

록 16개 시도의 1인당 GRP 결정식을 우리나라 경제 체의 산업별 생산 자료와

개별 시도의 자동차 등록 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 다 보다 구체 으로는

lt표 ⅩⅣ-4gt에 나타난 13개 산업별(새로운 산업분류)로 종사자 수를 구한 다음 이를

국의 산업별 종사자 1인당 생산과 결합으로써 가상 인 시도별 1인당 GRP 시리

즈를 구축하 고 이 가상 인 1인당 GRP 변수와 시도별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설명변수로 그리고 실제 1인당 GRP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가 치의 값을 얻었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89

3 추정결과

종속변수는 산업 종사자 1인당 GRP로 정의된다 산업별 1인당 생산이란 산업별

총생산을 각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수로 나 값이다 그러므로 산업별 1인당 생산 자

료를 이용하여 얻은 가상 인 1인당 GRP 시리즈는 체 1인당 GRP(GRP를 체 인

구로 나 값)보다는 근로자 1인당 GRP(GRP를 체 근로자수로 나 값)에 개념

으로 더 가깝다 따라서 이와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종속변수 한 1인당 GRP보다는 산업 종사자 1인당 GRP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도 이와 상응하도록 체 인구 1인당이 아니라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으로 정의하 다 물론 GRP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등록

수를 체 산업 종사자 수로 나 어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모

두가 동일한 값 즉 산업 종사자 수로 나 어짐에 따라 추정결과에 편차가 발생할 가

능성이 높다 따라서 산업 종사자 수와 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추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한 1인당 GRP와 같은 규모변수를 회귀분석에서 사용할 경우 지역간 혹은 기간

간 규모의 차이에 따른 이분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변수를 로그변

환한 값을 사용하 다1993년부터 2001년까지 기간 동안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

-5gt와 같다 표본기간이 1993년 이후로 주어진 것은 시도별 산업별 종사자수 자료

가 1993년 이후부터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이며 표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연도 고

정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연도 더미들을 포함하 다

lt표 ⅩⅣ-5gt 시middot도별 1인당 GRP의 결정식 1993-2001년

구 분 log(종사자 1인당 GRP)

log(종사자 1인당 GRP 가상치)071

(478)

log(15세 이상 64세 이하 1인당 자동차 등록 수)032

(196)

측치수 139

R2 028

39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lt표 ⅩⅣ-5gt의 추정결과를 보면 평균 인 산업별 생산 자료를 이용한 추정치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가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정

계수의 크기는 산업별 생산 자료를 이용한 가상 GRP 자료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

에 한 가 치가 약 07과 03으로 주어질 수 있음을 보여 다 이제 lt표 ⅩⅣ-5gt의 추정결과를 각 역시도내의 시군구별 자료에 용함으

로써 시군구별 1인당 GRP를 도출하 다 앞에서 언 되었듯이 시군구별 산

업별 종사자 자료는 2001년과 2002년의 사업체 기 통계조사에서 얻을 수 있고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 필요한 시군구별 연령별 자료

는 총인구조사에서 얻을 수 있다 두 설명변수에 한 가 치는 lt표 ⅩⅣ-5gt의 결과에

기 하여 각각 07과 03으로 가정한다 이 게 얻은 시군구별 산업 종사자 1인

당 GRP의 추정치와 시군구별 산업 종사자의 수를 결합함으로써 시군구별

GRP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다단 이 게 해서 얻어진 시군구별 GRP 추정치를 상 행정단 별 즉 시도

별로 합할 경우 기존에 발표되어 있는 시도별 GRP 자료와 일반 으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사실 lt표 ⅩⅣ-5gt의 결과에 기 하여 추정한 GRP 값들은 시군구 간의

상 차이를 나타낼 뿐이지 인 수 까지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추정된 시군구별 GRP 값의 상 인 분포를 유지하면서 상 행정단 별 GRP 시리즈와의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추정된 시군구 GRP의 값을 일 으로

규모 조정해주면 될 것이다 를 들어 서울시의 25개 구에 해서 추정된 GRP 값들

을 더한 결과가 실제 서울시 GRP의 15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얻어졌다면 25개 구의

GRP 값들을 모두 15로 나 어 주면 되는 것이다이 게 규모 조정을 하여 최종 으로 얻어진 시군구별 GRP의 추정값들은

lt표 ⅩⅣ-6gt과 같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1

lt표 ⅩⅣ-6gt 시middot군middot구별 2001년 GRP 추정치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11 서울특별시 99268549 21 부산 역시 29458666

11010 종로구 2094618 21010 구 580439

11020 구 1839470 21020 서구 1183416

11030 용산구 2436963 21030 동구 1041318

11040 성동구 2968036 21040 도구 1295383

11050 진구 3684246 21050 부산진구 3284735

11060 동 문구 3281381 21060 동래구 2321515

11070 랑구 3775154 21070 남구 2326786

11080 성북구 3629541 21080 북구 2253218

11090 강북구 2955966 21090 해운 구 3059171

11100 도 구 3165666 21100 사하구 2988649

11110 노원구 5508608 21110 정구 2265608

11120 은평구 3810223 21120 강서구 495388

11130 서 문구 3290569 21130 연제구 1831305

11140 마포구 3913113 21140 수 구 1371535

11150 양천구 4639236 21150 사상구 2403081

11160 강서구 5027980 21310 기장군 757120

11170 구로구 3904545 22 구 역시 15313495

11180 천구 2420254 22010 구 569669

11190 등포구 4948080 22020 동구 2036126

11200 동작구 4147088 22030 서구 1537571

11210 악구 4365322 22040 남구 1137417

11220 서 구 4852502 22050 북구 2506694

11230 강남구 7174266 22060 수성구 3119010

11240 송 구 6786692 22070 달서구 3459700

11250 강동구 4649035 22310 달성군 947310

39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23 인천 역시 21506822 26030 동구 4720969

23010 구 692207 26040 북구 3530415

23020 동구 631989 26310 울주군 4622421

23030 남구 3344871 31 경기도 111987695

23040 연수구 2029105 31010 수원시 10500000

23050 남동구 3714415 31020 성남시 9740997

23060 부평구 4247225 31030 의정부시 3163568

23070 계양구 2689809 31040 안양시 6528042

23080 서구 3216359 31050 부천시 9070657

23310 강화군 625049 31060 명시 3366087

23320 옹진군 315794 31070 평택시 4803810

24 주 역시 10315057 31080 동두천시 746675

24010 동구 813580 31090 안산시 8539554

24020 서구 2114384 31100 고양시 8150423

24030 남구 1435116 31110 과천시 889000

24040 북구 3520933 31120 구리시 1580758

24050 산구 2431045 31130 남양주시 4120232

25 역시 10605755 31140 오산시 1246972

25010 동구 1773311 31150 시흥시 4881914

25020 구 1892635 31160 군포시 3339989

25030 서구 3640485 31170 의왕시 1484114

25040 유성구 1249721 31180 하남시 1305584

25050 덕구 2049603 31190 용인시 5558071

26 울산 역시 22908261 31200 주시 2689218

26010 구 3069479 31210 이천시 2729567

26020 남구 6964976 31220 안성시 220257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3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1230 김포시 2515815 32400 고성군 225106

31240 화성시 3367787 32410 양양군 187067

31250 주시 2052117 33 충청북도 17197198

31310 양주군 1768098 33010 청주시 6484244

31320 여주군 1490246 33020 충주시 2228190

31350 연천군 632507 33030 제천시 1418364

31360 포천군 2004193 33310 청원군 1730779

31370 가평군 555076 33320 보은군 479826

31380 양평군 915398 33330 옥천군 751392

32 강원도 11371408 33340 동군 854873

32010 춘천시 1845962 33350 진천군 927294

32020 원주시 2033447 33360 괴산군 514186

32030 강릉시 1790650 33370 음성군 1294491

32040 동해시 737492 33380 단양군 513560

32050 태백시 378406 34 충청남도 21827939

32060 속 시 563081 34010 천안시 4759297

32070 삼척시 584798 34020 공주시 1365552

32310 홍천군 549138 34030 보령시 1681054

32320 횡성군 350070 34040 아산시 2172996

32330 월군 355903 34050 서산시 1755708

32340 평창군 386902 34060 논산시 1508827

32350 정선군 342152 34310 산군 625077

32360 철원군 507632 34320 연기군 918940

32370 화천군 157113 34330 부여군 1081823

32380 양구군 167818 34340 서천군 816151

32390 인제군 208673 34350 청양군 535259

39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4360 홍성군 928063 36320 곡성군 432393

34370 산군 1103246 36330 구례군 278697

34380 태안군 881806 36350 고흥군 857276

34390 당진군 1694142 36360 보성군 949255

35 라북도 14973586 36370 화순군 949401

35010 주시 4442503 36380 장흥군 512124

35020 군산시 2055555 36390 강진군 442542

35030 익산시 2612899 36400 해남군 918850

35040 정읍시 980179 36410 암군 854237

35050 남원시 810184 36420 무안군 779361

35060 김제시 926485 36430 함평군 431100

35310 완주군 681039 36440 군 1104267

35320 진안군 255186 36450 장성군 580142

35330 무주군 191580 36460 완도군 618686

35340 장수군 267244 36470 진도군 408253

35350 임실군 329572 36480 신안군 510450

35360 순창군 286495 37 경상북도 36767894

35370 고창군 540549 37010 포항시 6510063

35380 부안군 594116 37020 경주시 3814163

36 라남도 23473691 37030 김천시 1911527

36010 목포시 2089016 37040 안동시 1926666

36020 여수시 4467781 37050 구미시 5365580

36030 순천시 2641408 37060 주시 1459201

36040 나주시 1169175 37070 천시 1550540

36060 양시 1740357 37080 상주시 1414394

36310 담양군 738923 37090 문경시 1026079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5

(표 ⅩⅣ-6 계속)

(단 백만원)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행정구역

번호행정구역 이름

2001년 GRP 추정치

37100 경산시 3148350 38060 사천시 1205648

37310 군 군 447592 38070 김해시 4128971

37320 의성군 1346406 38080 양시 1465694

37330 청송군 337230 38090 거제시 2287177

37340 양군 249664 38100 양산시 2355183

37350 덕군 434086 38310 의령군 469339

37360 청도군 557007 38320 함안군 846367

37370 고령군 612985 38330 창녕군 875431

37380 성주군 680982 38340 고성군 914657

37390 칠곡군 1647184 38350 남해군 539479

37400 천군 596673 38360 하동군 846034

37410 화군 595032 38370 산청군 569175

37420 울진군 965179 38380 함양군 610235

37430 울릉군 171312 38390 거창군 864637

38 경상남도 34777294 38400 합천군 674089

38010 창원시 6326283 39 제주도 4662966

38020 마산시 4043914 39010 제주시 2089623

38030 진주시 3362707 39020 서귀포시 653027

38040 진해시 1280930 39310 북제주군 1048604

38050 통 시 1111347 39320 남제주군 871711

39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GRP의 망치를 구하는 과정은 다시 두 가지로 나 어진다 먼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고 이를 lt표 ⅩⅣ-6gt의 시작 연도(2001년)의 1인당 GRP 값과 결합함

으로써 1인당 GRP 수 의 망치를 구한다 그 다음 인구규모의 망치를 구해서 1인당 GRP의 망치와 결합함으로써 최종 으로 GRP의 망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에서는 먼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 다1인당 GRP 성장률을 망하기 하여 여기서는 신고 학 성장이론의 수렴

(convergence) 결과를 주로 이용하 다 그 동안 신고 학 성장이론의 체계 하에서

성장률의 장기 결정을 설명하기 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온 결과 국가간 성

장률의 차이는 수렴 상 이외에도 1인당 축률의 차이 교육 수 의 차이 정부 정

책의 차이 등에 의해서 체계 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요

인들 가운데 수렴 상을 제외한 부분의 요인들은 국가간 성장률의 차이를 설명하

는 데에는 유용할 수 있으나 한 국가 내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를 설명하기에는 다

소 부 하다 축률이나 교육 수 정부 정책 등은 국가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나

타낼 수 있으나 한 국가 내에서는 비교 동질 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기 GRP 수 이 낮은 지역일수록 그 이후의 성장률이 높게 나

타난다는 수렴 결과만을 이용함으로써 지역별 1인당 GRP의 성장률을 망하 다 한 국가내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에 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을 심으로 이루

어졌는데 그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한 국가내의 지역간 1인당 생산에는 수렴 경향이

매우 뚜렷하게 존재하며 그 속도는 1년에 약 2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한 국가는 아니지만 비교 동질 인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 OECD 유럽 국가들을

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속도의 수렴 경향이 찰되었다 본 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수렴 경향이 존재하는지 그 다면 그 속도는

어느 정도인지에 해서도 과거 시도별 GRP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해보았다

1 사용자료와 변수

앞 에서 과거의 1인당 GRP 수 을 추정하기 해서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를

이용했던 과 일 성을 유지하기 해 여기서도 1인당 GRP 성장률 외에 1인당 자

동차 등록 수의 증가율을 종속변수로 고려하 다수렴 상이 비교 장기 인 상임을 고려한다면 1985년 이후부터만 자료가 발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7

표되어 있는 GRP보다는 그 이 기간까지 자료가 이용 가능한 1인당 자동차 등록

수(1980년부터 발표)에서 수렴 상이 더 뚜렷하게 찰될 수 있을 것으로 기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1인당이란 이 과 마찬가지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을

의미한다 한편 산업 종사자 수는 1993년 이후부터만 사용가능하여 GRP를 종사자 1인당으로 정의할 경우 표본기간이 무 짧아지게 되므로 여기서는 GRP 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값을 나타내도록 정의하 다한편 수렴 상 이외에 지역간 자연조건의 차이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도 가능할

수 있다 를 들면 지리 으로 임야면 의 비 이 높은 지역은 성장에 불리할 것으

로 상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보듯이 지역별 임야면 의 비율과 경지면 의

비율을 추가로 고려해 보았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추정방법

결국 1인당 GRP 성장률의 추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주어진다 즉 각 시도

별로 표본기간 체의 평균 증가율을 구해서 종속변수로 사용하고 표본기간 첫해의

값을 설명변수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1인당 GRP연간증가율 = 상수 times 1인당 GRP 기타 기조건

여기서 T는 표본기간의 마지막 해를 0 은 표본기간의 첫 해를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변수는 앞에서 언 되었듯이 1인당 GRP와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이다 단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증가율은 1인당 GRP 증가율보다 평균과 표 편차가 약 2배 정도 더 크므로 추정계수의 크기가 서로 비교 가능하도록 GRP 증가율을 기 으

로 하여 크기(scale)를 조정하 다135) 한 주 울산의 경우에는 각각 1987년 1989년 1989년 이후부터만 GRP 자료가 발표되어 있으므로 회귀분석시 여타 행정구

역과 동일하게 취 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의 식을 이들 세 측치들

을 포함한 경우와 제외한 경우 각각에 해서 추정해 보기로 하 다 추정방법은 통

상최소자승법(OLS)을 이용하 다

135) 즉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값에다 12을 곱한 다음 설명변수로 사용하 다

39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추정결과

앞의 추정식을 16개 역시도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7gt과 같

다 측치 수가 13인 열(열 2와 4)은 주 울산을 표본에서 제외한 경우를 나

타낸다 lt표 ⅩⅣ-7gt을 보면 1인당 GRP 증가율에서는 수렴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경우에는 유의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서의 수렴 경향은 그림으로도 쉽게 찰할 수 있다(그림 ⅩⅣ-1 참조)

lt표 ⅩⅣ-7gt 1인당 GRP 성장률의 회귀방정식

구 분

종속변수

1인당 자동차 증가율 1인당 GRP 증가율

(1) (2) (3) (4)

log( 기 1인당 수 )-00156(-1223)

-00260(-1500)

-00136(-118)

-00202(-067)

Rsup2 091 095 009 004

측치수 16 13 16 13

구 분

종속변수

1인당 자동차 증가율 1인당 GRP 증가율

(1)lsquo (2)lsquo (3)lsquo (4)lsquo

log( 기 1인당 수 )-0015

(-1399)-0024(-928)

-0015(-13)

-0020(-064)

기 임야면

비율

0000189(262)

769E-05(116)

0000331(089)

0000218(056)

Rsup2 094 095 014 007

측치수 16 13 16 1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399

[그림 ⅩⅣ-1] 지역간 convergence

-5

-45

-4

-35

006 0065 007 0075 008 0085 009

1인당 자동차 증가율

log(초

기 1

인당

수준

)

이처럼 자동차 등록 수에서 수렴 경향이 더 뚜렷이 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

다첫째 표본기간이 더 길기 때문이다 수렴 상은 상당히 장기 인 상이므로 1

인당 GRP와 같이 표본기간이 짧은 변수에서는 쉽게 찰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1인당 자동차 등록 수는 그 물질 인 특성 때문에 실제로도 수렴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를 들면 소득수 이 2배 3배로 증가하더라도

1인당 자동차 보유 수가 2 3 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오히려 그보다는 보

유 자동차의 질이나 평균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상된다 한 각 행정구역의 면

혹은 도로 면 이 지속 으로 확 될 수 없다고 한다면 1인당 자동차 보유 수 한

지속 으로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1인당 생산보다는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에서 지역간 수렴 상이 더 쉽게 나타날 것으로 기 되어진다어 든 1인당 GRP의 경우에 수렴 상이 뚜렷이 찰되지 않는다는 은 향후의

연구에서 다시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표본기간이 앞으로 더 길어진다

하더라도 기본 으로 측치의 수가 16개 혹은 13개로 제한되어 있는 이상 뚜렷한

4 0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결과는 쉽게 나오지 않을 수 있다한편 지리 요건 특히 기 임야면 비율 한 성장률에 뚜렷한 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t표 ⅩⅣ-7gt의 열 (1)과 (2)에서 추정된 b의 크기는 약 -002로

나타나는데 1인당 GRP 증가율의 경우(열 3과 4)에도 유의하지는 않으나 추정된 계

수의 크기는 체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간 수렴 상의 평균속도 β는 추정된 계수 b와 b= -[ (1- e -βT )T ]라는

계를 가진다 앞에서 언 된 것처럼 자동차의 경우 1인당 소득보다 수렴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을 고려하여 b의 추정치를 -0015으로 가정한다면 β는

약 0018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렴 속도는 기존의 미국과 일본의 지역에 한 추

정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값이다(Barro amp Sala-i-Martin 1995)이러한 수렴 상을 우리나라의 GRP에 용할 경우 상되는 결과는 지역간 1인

당 GRP의 차이가 장기 으로 차 축소되는 것처럼 나타날 것이라는 이다136) 그러나 실제로 향후 30년 동안 1인당 GRP의 지역간 차이는 이처럼 어들지 않을 수

도 있다 기 소득수 이 낮은 지역이 상 으로 더 빨리 성장하는 경향이 실제로

존재한다 하더라도 각 지역의 GRP는 수렴 상 이외에 무수히 많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도 향을 받기 때문이다 각 지역에 수렴 경향과는 별도로 그 지역에만 해당

되는 특이(idiosyncratic) 충격이 지속 으로 발생한다면 실제로 실 되는 1인당 GRP의 분포는 일정한 분산을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개별 특이(idiosyncratic) 충격은 정의상 미리 측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본 장에서는 다만 수렴 경향에만

을 맞추어서 GRP를 망하 다한편 이러한 수렴 결과는 원래 지역간 성장률의 차이 즉 횡단면 인 차이를 고려

하기 하여 주로 사용되는 것이나 소득수 이 높아질수록 성장률이 상 으로 더

낮아지는 패턴은 시간에 따른 성장률의 변화를 측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lt표 ⅩⅣ-7gt의 추정결과는 매 기간 경제 체의 GRP가 미리 주어진 상태에서 각 지역

의 상 인 GRP의 크기를 결정하기 해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각 지역의 GRP의

시간에 걸친 변화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경제 체의 GRP 망

치 자체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추정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을 고려할 때 lt표 ⅩⅣ

-7gt의 결과로부터 각 지역의 GRP의 시간에 걸친 변화를 구하는 것은 경제 체의

GRP의 망치를 구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lt표 ⅩⅣ-7gt의 결과를 기 로 1인당 GRP 증가율을 망하기 하여 여기서는 구

체 으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 다

136) 실제로 지난 20년간의 시도별 자료를 보면 log(1인당 GRP)의 시도간 분포의 표 편차는 오히려

확 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1인당 자동차 등록 수의 시도간 분포의 표 편차는

차 축소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1

1인당 GRP 연간 증가율 = 상수항 times 1인당 GRP

여기서 -015라는 추정치는 lt표 ⅩⅣ-7gt의 결과 기존의 외국의 연구결과를 기

로 해서 선택한 값이다 한편 상수항의 크기는 기 1인당 GRP의 값을 입하 을 때 그로부터 얻어지는

1인당 GRP 증가율의 추정치의 표본기간 평균이 실제 1인당 GRP 증가율의 평균치와

일치하도록 결정된다 즉 결과 으로 상수항의 크기는 lt표 ⅩⅣ-7gt의 식 (3)과 (4)에서

추정되는 상수항의 값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의 식을 일단 횡단면과 시계열 모두에 해서 동일하게 용하여 성장률을 구

한 결과는 lt표 ⅩⅣ-8gt과 같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간 성장률의 편차가 시간이

지날수록 차 축소되는 동시에 한 각 지역별로도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률이 차

하락하는 패턴을 찰할 수 있는데 이는 표의 값들이 수렴 상에 기 해서 계산된

것이라는 을 고려할 때 당연한 것이다

lt표 ⅩⅣ-8gt 지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전망치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서울특별시 00494 00403 00369 00337 00309 00282

종로구 01314 01213 01109 01014 00928 00849

구 01292 01192 01091 00997 00912 00835

용산구 01338 01235 01130 01034 00945 00865

성동구 01365 01260 01153 01054 00964 00882

진구 01356 01252 01145 01047 00958 00876

동 문구 01370 01264 01156 01058 00967 00885

랑구 01377 01271 01162 01063 00972 00890

성북구 01391 01284 01174 01074 00983 00899

강북구 01375 01269 01161 01062 00971 00888

도 구 01369 01263 01156 01057 00967 00884

노원구 01367 01262 01154 01055 00965 00883

은평구 01376 01270 01162 01063 00972 00889

서 문구 01361 01256 01149 01051 00961 00879

마포구 01339 01236 01131 01034 00946 00865

양천구 01348 01244 01138 01041 00952 00871

4 0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강서구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구로구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3

천구 01366 01261 01153 01055 00965 00883

등포구 01309 01208 01105 01011 00924 00845

동작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악구 01375 01269 01161 01062 00971 00889

서 구 01302 01202 01099 01006 00920 00841

강남구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송 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5

강동구 01353 01249 01142 01045 00956 00874

부산 역시 00480 00439 00402 00368 00336 00307

구 01306 01205 01102 01008 00922 00844

서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동구 01333 01231 01126 01030 00942 00861

도구 01361 01256 01149 01051 00961 00879

부산진구 01347 01243 01137 01040 00951 00870

동래구 01344 01240 01135 01038 00949 00868

남구 01344 01240 01135 01038 00949 00868

북구 01354 01250 01143 01046 00957 00875

해운 구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2

사하구 01345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정구 01345 01241 01136 01039 00950 00869

강서구 01320 01219 01115 01020 00933 00853

연제구 01334 01231 01126 01030 00942 00862

수 구 01349 01245 01138 01041 00953 00871

사상구 01340 01237 01131 01035 00946 00866

기장군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3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구 역시 00579 00475 00434 00397 00363 00332

구 01339 01236 01131 01034 00946 00865

동구 01354 01249 01143 01045 00956 00875

서구 01372 01266 01158 01060 00969 00887

남구 01358 01254 01147 01049 00959 00878

북구 01348 01244 01138 01041 00952 00871

수성구 01330 01228 01123 01027 00940 00860

달서구 01358 01253 01146 01049 00959 00877

달성군 01344 01241 01135 01038 00950 00869

인천 역시 00404 00426 00390 00357 00326 00298

구 01281 01182 01081 00989 00905 00827

동구 01314 01213 01109 01015 00928 00849

남구 01324 01222 01118 01022 00935 00855

연수구 01331 01229 01124 01028 00940 00860

남동구 01299 01199 01097 01003 00918 00840

부평구 01326 01224 01120 01024 00937 00857

계양구 01322 01220 01116 01021 00934 00854

서구 01296 01196 01094 01001 00915 00837

강화군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옹진군 01141 01054 00964 00881 00806 00737

주 역시 00472 00444 00406 00371 00340 00311

동구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서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4

남구 01370 01264 01156 01058 00967 00885

북구 01341 01238 01133 01036 00948 00867

산구 01292 01193 01091 00998 00913 00835

4 0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역시 00489 00443 00405 00370 00339 00310

동구 01338 01235 01130 01033 00945 00864

구 01331 01229 01124 01028 00940 00860

서구 01325 01223 01118 01023 00936 00856

유성구 01325 01223 01118 01023 00936 00856

덕구 01303 01203 01100 01006 00920 00842

울산 역시 00401 00263 00240 00220 00201 00184

구 01313 01212 01109 01014 00928 00848

남구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동구 01201 01109 01014 00928 00849 00776

북구 01175 01085 00992 00908 00830 00759

울주군 01183 01092 00998 00913 00835 00764

경기도 00467 00360 00329 00301 00275 00252

수원시 01286 01187 01086 00993 00908 00831

성남시 01294 01195 01093 00999 00914 00836

의정부시 01325 01223 01119 01023 00936 00856

안양시 01285 01186 01085 00992 00908 00830

부천시 01275 01176 01076 00984 00900 00823

명시 01304 01203 01101 01007 00921 00842

평택시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동두천시 01300 01200 01098 01004 00918 00840

안산시 01231 01136 01039 00951 00869 00795

고양시 01294 01194 01092 00999 00914 00836

과천시 01256 01159 01060 00970 00887 00811

구리시 01308 01207 01104 01010 00924 00845

남양주시 01272 01174 01074 00982 00899 00822

오산시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5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시흥시 01224 01129 01033 00945 00864 00791

군포시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의왕시 01265 01168 01068 00977 00894 00818

하남시 01291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용인시 01242 01146 01048 00959 00877 00802

주시 01234 01139 01042 00953 00871 00797

이천시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안성시 01219 01125 01029 00941 00861 00787

김포시 01215 01121 01026 00938 00858 00785

화성시 01203 01111 01016 00929 00850 00778

주시 01220 01126 01030 00942 00862 00788

양주군 01220 01126 01030 00942 00862 00788

여주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연천군 01262 01165 01065 00974 00891 00815

포천군 01239 01143 01046 00957 00875 00800

가평군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양평군 01273 01175 01075 00983 00899 00823

강원도 00445 00440 00402 00368 00336 00308

춘천시 01328 01225 01121 01025 00938 00858

원주시 01321 01219 01115 01020 00933 00854

강릉시 01316 01214 01111 01016 00929 00850

동해시 01320 01218 01114 01019 00932 00853

태백시 01336 01233 01128 01032 00944 00863

속 시 01351 01247 01140 01043 00954 00873

삼척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홍천군 01309 01208 01105 01011 00925 00846

횡성군 01301 01201 01099 01005 00919 00841

4 0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월군 01310 01209 01106 01012 00925 00846

평창군 01285 01186 01085 00992 00908 00830

정선군 01326 01223 01119 01024 00936 00856

철원군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화천군 01338 01235 01129 01033 00945 00864

양구군 01314 01213 01109 01015 00928 00849

인제군 01341 01238 01132 01036 00947 00867

고성군 01336 01233 01128 01032 00944 00863

양양군 01350 01246 01140 01043 00954 00872

충청북도 00490 00363 00332 00304 00278 00254

청주시 01290 01190 01089 00996 00911 00833

충주시 01303 01203 01100 01006 00920 00842

제천시 01309 01209 01105 01011 00925 00846

청원군 01238 01143 01045 00956 00875 00800

보은군 01269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옥천군 01261 01164 01065 00974 00891 00815

동군 01248 01152 01053 00964 00881 00806

진천군 01224 01129 01033 00945 00864 00791

괴산군 01257 01161 01062 00971 00888 00812

음성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단양군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증평출장소

충청남도 00412 00362 00332 00303 00277 00254

천안시 01272 01174 01074 00982 00899 00822

공주시 01287 01188 01087 00994 00909 00832

보령시 01222 01128 01031 00943 00863 00789

아산시 01263 01166 01066 00975 00892 00816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7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서산시 01260 01163 01064 00973 00890 00814

논산시 01279 01181 01080 00988 00903 00826

산군 01282 01183 01082 00990 00906 00828

연기군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부여군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서천군 01261 01164 01065 00974 00891 00815

청양군 01239 01144 01046 00957 00875 00801

홍성군 01291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산군 01274 01176 01076 00984 00900 00823

태안군 01245 01149 01051 00962 00880 00805

당진군 01232 01138 01040 00952 00871 00796

계룡출장소

라북도 00392 00433 00396 00362 00331 00303

주시 01326 01224 01120 01024 00937 00857

군산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익산시 01307 01206 01103 01009 00923 00844

정읍시 01318 01216 01113 01018 00931 00851

남원시 01298 01198 01096 01002 00917 00838

김제시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완주군 01296 01196 01094 01001 00915 00837

진안군 01300 01200 01098 01004 00918 00840

무주군 01333 01230 01125 01029 00941 00861

장수군 01247 01151 01053 00963 00881 00806

임실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4

순창군 01281 01183 01082 00990 00905 00828

고창군 01302 01202 01099 01006 00920 00841

부안군 01285 01186 01085 00993 00908 00830

4 0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라남도 00335 00363 00332 00304 00278 00254

목포시 01317 01216 01112 01017 00930 00851

여수시 01219 01126 01030 00942 00861 00788

순천시 01287 01188 01087 00994 00909 00832

나주시 01258 01161 01062 00972 00889 00813

양시 01239 01144 01046 00957 00875 00801

담양군 01234 01139 01042 00953 00871 00797

곡성군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구례군 01292 01192 01090 00997 00912 00834

고흥군 01291 01191 01090 00997 00912 00834

보성군 01196 01104 01009 00923 00845 00773

화순군 01238 01143 01046 00956 00875 00800

장흥군 01276 01178 01078 00986 00902 00825

강진군 01286 01187 01085 00993 00908 00831

해남군 01282 01183 01082 00990 00906 00828

암군 01226 01132 01035 00947 00866 00792

무안군 01248 01152 01053 00964 00881 00806

함평군 01279 01180 01080 00988 00903 00826

군 01196 01104 01010 00924 00845 00773

장성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4

완도군 01285 01186 01085 00993 00908 00831

진도군 01276 01178 01077 00986 00901 00825

신안군 01270 01172 01072 00981 00897 00821

경상북도 00413 00341 00312 00286 00261 00239

포항시 01268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경주시 01253 01156 01058 00967 00885 00809

김천시 01264 01167 01067 00976 00893 0081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09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안동시 01299 01199 01097 01003 00918 00839

구미시 01230 01135 01038 00950 00869 00794

주시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천시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상주시 01276 01177 01077 00985 00901 00824

문경시 01288 01189 01087 00995 00910 00832

경산시 01252 01156 01057 00967 00884 00809

군 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6

의성군 01192 01101 01007 00921 00842 00770

청송군 01296 01197 01094 01001 00916 00838

양군 01277 01179 01078 00986 00902 00825

덕군 01312 01211 01108 01013 00927 00848

청도군 01284 01185 01084 00992 00907 00830

고령군 01213 01120 01024 00937 00857 00784

성주군 01245 01149 01051 00961 00879 00804

칠곡군 01223 01129 01033 00945 00864 00790

천군 01293 01193 01092 00998 00913 00835

화군 01233 01138 01041 00952 00871 00797

울진군 01227 01133 01036 00948 00867 00793

울릉군 01219 01125 01029 00941 00861 00788

경상남도 00282 00378 00345 00316 00289 00264

창원시 01274 01176 01075 00984 00900 00823

마산시 01321 01220 01115 01020 00933 00854

진주시 01311 01210 01107 01012 00926 00847

진해시 01308 01207 01104 01010 00924 00845

통 시 01328 01226 01121 01025 00938 00858

사천시 01295 01195 01093 01000 00915 00837

4 1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8 계속)

구분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김해시 01271 01173 01073 00981 00898 00821

양시 01269 01171 01071 00980 00896 00820

거제시 01255 01158 01060 00969 00887 00811

양산시 01273 01175 01075 00983 00899 00822

의령군 01240 01145 01047 00958 00876 00801

함안군 01246 01150 01052 00962 00880 00805

창녕군 01259 01162 01063 00972 00889 00813

고성군 01224 01130 01034 00946 00865 00791

남해군 01307 01207 01104 01010 00923 00845

하동군 01225 01130 01034 00946 00865 00791

산청군 01241 01146 01048 00958 00877 00802

함양군 01245 01149 01051 00961 00879 00804

거창군 01263 01166 01066 00975 00892 00816

합천군 01273 01175 01074 00983 00899 00822

제주도 00434 00409 00374 00342 00313 00286

제주시 01332 01229 01125 01029 00941 00861

서귀포시 01319 01217 01113 01018 00931 00852

북제주군 01251 01155 01056 00966 00884 00808

남제주군 01232 01137 01040 00951 00870 00796

한편 lt표 ⅩⅣ-8gt의 망치들은 경제 체의 성장률 망에 한 아무런 사

제약이 없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lt표 ⅩⅣ-8gt로부터 도출되는 경제 체의 성장률이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견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만일 그

지 않다면 경제 체의 성장률에 해서는 기존의 KDI 망치들을 사용하고 lt표 Ⅹ

Ⅳ-8gt의 값들은 그와 일치하도록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lt표 ⅩⅣ-8gt의 망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해서 상부 행정단 (시도)별로

GRP의 시리즈를 구한 다음 이를 모두 더함으로써 경제 체의 GRP 시리즈를 구해

볼 수 있다 16개 역시도에 해서는 통계청에서 2050년까지 연령별 추계인구

망치를 발표하고 있으므로 lt표 ⅩⅣ-8gt에 기 해서 시도별로 (15세 이상 64세 이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1

하 인구) 1인당 GRP를 구한 다음 이를 시도별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수와 곱함

으로써 시도별 GRP 시리즈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GRP 시리즈들을 16개

시도에 하여 모두 더하여 경제 체의 생산을 구하고 이 게 구한 경제 체 생

산의 증가율을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KDI 망치와 비교함으로써 lt표 ⅩⅣ-8gt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장기 GDP 성장률에 한 기존의 KDI 망치로는 이진면김동석김민수(2001)와 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2002)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의 잠재성장률 망

과 lt표 ⅩⅣ-8gt로부터 얻어지는 성장률 망을 비교해 보면 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표 ⅩⅣ-9 참조) 단 lt표 ⅩⅣ-8gt로부터 얻어지는 경제 체의 성장률 가운데

2002년까지는 실 치이고 2003년부터는 망치인데 그 이유는 2003년 연간 GDP가

아직 공식 으로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3년 34분기까지의 실 과 여타 지

까지 발표된 자료들을 고려할 때 2003년도 성장률 실 치는 아마도 lt표 ⅩⅣ-8gt로부

터 얻어지는 망치보다 낮을 것으로 상된다 그러나 lt표 ⅩⅣ-9gt에서 인용된 기존

의 잠재성장률 망치들도 2001년과 2002년에 발표된 것이므로 이들 망치 역시

2003년의 낮은 실 치를 염두에 두지는 못했을 거라고 생각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2003년 성장률의 실 치 신 망치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타당한 비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 든 lt표 ⅩⅣ-9gt의 결과에 기 하여 여기서는 lt표 ⅩⅣ-8gt의

망치를 별다른 재조정 없이 그 로 사용하기로 하 다

lt표 ⅩⅣ-9gt GDP 성장률 전망치 비교

2001-2010 2011-20202003-2007 2008-2012

고성장 성장 고성장 성장

이진면 등(2001) 표 3-7 52 45 40 32 - -

lt표 ⅩⅣ-8gt의 망치 49 49 36 36 - -

한진희 등(2002) 표 28 - - - - 48 46

lt표 ⅩⅣ-8gt의 망치 - - - - 48 45

4 1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lt표 ⅩⅣ-6gt의 2001년도 GRP 수 과 lt표 ⅩⅣ-8gt의 향후 GRP 성장률 망을 결합

함으로써 향후의 세부 행정구역별 1인당 GRP 수 을 망할 수 있다 세부 행정구역

별 GRP의 규모를 결정하기 해서는 이에 더하여 각 지역의 연령별 인구규모를

망하면 된다 연령별 인구가 필요한 것은 lt표 ⅩⅣ-6gt과 lt표 ⅩⅣ-8gt의 결과가 15세 이

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GRP에 한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재 지역별 연령별 인구에 한 망치로는 통계청의 시도별 추계인구 망이

2050년까지 발표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통계청의 시도별 인구 망치를 각

시도 내의 세부 행정단 별로 하게 나눔으로써 통계청의 망치와의 일 성

을 유지하면서 시군구별 인구 망치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1 사용자료와 변수

경제 체의 인구 규모와 달리 어떤 지역의 인구 규모는 자연 인 출생 사망

외에 지역간 인구 이동에 의해서도 크게 향을 받는다 물론 국가 체 으로도 외

국과의 이민이 가능하지만 그 비 은 한 국가 내의 지역간 인구 이동에 비해 상

으로 작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과거 자료를 보면 동일한 기간의 지역간 인구 규모의

차이 즉 지역간 인구의 횡단면 차이는 출생이나 사망보다는 오히려 인구 이동에

의하여 더 큰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역별 인구 망을 해서는 출

생과 사망 외에 인구 이동에 한 분석이 으로 필요하다 먼 출생과 사망에 따른 지역별 인구 변동을 계산하기 해서는 통계청의 연령

별(5세별) 장래 인구추계로부터 새로이 태어나는 인구의 비율 각 연령그룹의 사망

률을 구할 수 있다 각 시도별로 출산율과 연령별 사망률을 구한 다음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에 해서는 동일한 값들이 용된다고 가정함으로써 출생

과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은 쉽게 구할 수 있다 단 16개 역시도에 한 통계청의

장래 인구추계는 출생률과 사망률 외에 시도간 인구이동의 요소까지도 이미 고려

한 것이다 따라서 시도별 연령별 인구 망으로부터 구한 연령그룹별 이비율(를 들면 2002년의 5~9세 인구 수를 2002년의 5~9세 인구 수로 나 비율)은 엄 하

게는 사망률이라고 할 수 없으나 만일 각 시도 내에서는 출생과 사망뿐 아니라 인

구이동의 연령별 패턴도 유사하게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연령별 이행

렬(transition matrix)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3

한편 지역간 인구이동에 한 Braun(1993)의 모형에 따르면 어떤 지역으로의 인구

순유입은 다른 지역과 비교한 그 지역의 기 임 수 과 기 인구 도에 의해서

결정될 것으로 상한다 어떤 지역의 임 수 이 높을수록 인구 순유입이 증가하

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한 Braun(1993)과 같이 생산함수에 고정 생산요소

( 를 들면 토지나 기타 자연자원)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경우 인구 도의 증가는 규

모에 따른 수확체감을 래함으로써 인구 순유입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가

정에 따르면 어떤 지역도 인구가 하나도 없이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존

의 규모에 한 수익불변의 가정보다 더 직 으로 타당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Braun(1993)의 모형에 기 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의 결정식을 추정하기 해서 1

인당 GRP를 지역의 임 수 의 용변수로 사용하 다 한 인구 도의 지표로는

인구 규모를 시군구 주요 통계지표에 나와 있는 행정구역별 면 으로 나 값을

사용하 다

2 추정방법

Braun(1993)의 가설 로 인구이동이 소득수 인구 도의 함수로 주어지는지

를 검증하기 해서는 16개 역시도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의 순유입 비율이 과거

의 소득수 인구 도와 체계 인 계를 가지는가를 살펴보면 된다인구의 이동 역시 소득의 수렴 상과 마찬가지로 장기 인 상이라고 가정한다

면 lt표 ⅩⅣ-7gt에서처럼 표본기간 체의 평균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

나 만일 인구이동이 단기 으로도 소득수 인구 도에 의해서 체계 으로 결정

된다면 표본기간의 평균 신 연간자료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장에서

는 매 연도에 해서 GRP 인구를 망해야 하므로 소득수 인구 도가 인구

이동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 한 연간자료와 부합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lt표 ⅩⅣ-7gt에서는 20년 평균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의 계수로부터 연간

수렴 속도에 해당하는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인구이동의 경우에는 그런 변환

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는 표본기간의 평균값 외에 연간자료를 사용한 추

정도 고려하기로 하 다 연간 인구이동의 결정식이 추정되면 기년도의 변수 값들이 주어졌을 때 그로부

터 다음 연도에 각 지역에 순유입될 인구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게 결정된

순유입 인구의 크기를 앞에서 언 된 출생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 부분과 결합함

으로써 다음 연도의 각 지역의 인구규모가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연도에

하여 순차 으로 반복함으로써 모든 연도에 한 인구 망을 구할 수 있다

4 1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3 추정결과

이상의 논의에 기 하여 각 지역별 인구 순유입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는 lt표

ⅩⅣ-10gt과 같다 추정기간은 1990년부터 2002년까지이며 표본은 16개 역시도이

다 종속변수는 지역별 순유입인구지역별 총인구이며 세부 행정단 별 임 률에

한 자료는 구할 수 없으므로 여기서는 지역별 1인당 GRP를 설명변수로 사용하 다 다른 설명변수인 인구 도는 제곱킬로미터 당 천명으로 정의하 다 이분산성의

문제를 피하기 하여 1인당 GRP와 인구 도는 모두 로그변환한 값을 사용하 다한편 Braun(1993)에서 논의되지는 않았지만 실제 인구이동의 연령별 패턴을 보면

15세 이상 34세 이하 인구의 이동이 특히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다 일반 으로 15세

이상 34세 이하 인구는 교육 취업 등의 이유로 다른 연령층보다 더 쉽게 움직일 것

으로 상된다 따라서 1인당 GRP와 인구 도 외에 지역별로 체 인구에서 15세 이

상 34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 한 지역간 인구 이동에 요한 향을 미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를 들어 어떤 지역의 1인당 GRP가 낮고 인구 도가 높아서 인구

순유출의 압력이 있다 하더라도 그 지역에 15세 이상 34세 인구의 비 이 낮다면 실

제 순유출 인구의 크기는 그 지역의 총인구에 비해서 작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인구이동이 이상 고려된 요인들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다양한 주기별로 살펴본

결과가 lt표 ⅩⅣ-10gt에 나타나 있다 표의 열 (1)은 연간자료를 열 (2)는 1990년sim2002년을 1995년을 기 으로 양분한 자료를 열 (3)은 1990년sim2002년을 하나의 기간으로

묶은 자료를 사용한 결과이다 기간별 고정효과를 통제하기 하여 식 (1)의 경우에

는 연도 더미를 식 (2)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기간 더미를 모두 포함하 다

lt표 ⅩⅣ-10gt 지역별 인구이동의 회귀방정식

종속변수 순유입인구총인구

(1) (2) (3)

log( 기 1인당 GRP)0014(349)

0030(223)

00371(123)

log( 기 인구 도)-0006(-534)

-0007(-302)

-0007(-277)

기 15세sim34세

인구비율

053(851)

062(462)

056(338)

Rsup2 035 052 065

측치수 176 29 14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5

lt표 ⅩⅣ-10gt의 추정결과에 의하면 상 로 인구 유입은 1인당 소득수 과 양의

계를 가지며 인구 도와는 음의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 1인당 GRP의 계수는 002sim003으로서 이는 일본과 미국의 추정결과와 매우 유사한 값이다 한 자료의 주기와 상 없이 기 1인당 GRP의 계수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연간

자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기 1인당 GRP가 유의하게 나타나므로 연도별 인구 망

에서 열 (1)의 추정결과를 그 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상된다 인구 도의 계

수도 -0006sim-0007로서 일본 미국의 추정결과와 유사하 다 한편 15세 이상 34세 인구비율의 계수는 양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의 이론 의미

가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어떤 지역의 15세 이상 34세 인구비율이 높다

는 것은 그 만큼 그 지역이 15세 이상 34세 인구를 유인할 수 있는 어떤 요소를 가지

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1인당 소득이나 인구 도 이외의 어떤 고정효

과를 반 하는 것일 수 있다한편 이 게 구한 순유입 인구 규모를 출생사망 자료와 결합하여 지역별 인구를

망하기 해서는 단순히 순유입 인구의 규모만이 아니라 순유입 인구의 연령별 구

성이 필요하다 그런데 순유입 인구의 성별연령별 패턴을 보면 남녀간의 차이는 거

의 없는 반면 앞에서도 언 되었듯이 연령별로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과 남성의 순유입인구 비율(성별 순유입인구성별 총인구)은 별 차

이가 없으나 연령별 순유입인구 비율(연령별 순유입인구연령별 총인구)은 15세에서

34세 사이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 유입의 연령별 차이에

도 불구하고 그러한 차이를 체계 으로 설명하기는 매우 힘들다 를 들면 에서

논의된 설명변수들은 연령별 순유입인구 비율에 해서는 유 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여기서는 유입 인구의 성별 차이는 무시하고(즉 체 순유입 인구에서 남

자와 여자의 비 은 각각 12씩이라고 가정하고) 유입 인구의 연령별 분포는 해당지

역의 연령별 인구분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기로 하 다 즉 어떤 지역의 순유입 혹

은 순유출 인구의 연령구조는 그 지역의 체 인구의 연령구조와 동일하다고 가정하

다 이 가정은 물론 비 실 이며 인구이동이 일부 연령층에서 집 으로 발생하

는 사실과도 모순된다 그러나 인구이동에 해서 특정한 연령분포를 고정 으로 가

정할 경우에는 지역에 따라 장기 으로 인구규모가 음의 값으로 떨어지는 문제 이

나타난다lt표 ⅩⅣ-10gt의 추정결과 가운데 연간자료를 이용한 열 (1)의 결과에 기 하여 인

구이동을 망할 경우 설명변수들( 기 1인당 GRP와 기 인구 도)의 값은 바로

년도의 값이 된다 따라서 년도의 설명변수 값으로부터 결정된 이번 연도의 순유

입 인구의 크기를 앞에서 언 된 출생 사망에 따른 인구변동 부분과 결합함으로

4 1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써 이번 연도의 인구규모가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연도에 하여 순차 으

로 반복하여 모든 연도에 하여 인구 망을 완성할 수 있다앞에서 말한 것처럼 출생률과 연령별 사망률은 16개 역시도에 한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로부터 구한 것으로서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에 해서는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출생과 사망에 따른 인구 변동만을 고려할

경우 각 시도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의 인구를 합한 값은 자동 으로 각 16개

역시도의 인구와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를 들어 2001년도의 서울의 각 구에

하여 연령별 인구가 주어져 있고 서울시 체의 인구는 이들 구별 인구의 합으로 주

어져 있다고 하자 이제 모든 구에 하여 동일한 이행렬(transition matrix)을 용

함으로써 얻어지는 2002년도의 구별 인구의 망을 모두 합한 값은 2001년의 서울시

체의 연령별 인구에다 동일한 이행렬을 용한 결과와 같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한편 통계청의 16개 역시도별 장래 인구추계는 출생과 사망 외에 지역간 인

구이동까지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통계청의 망과 일 성을 유지하기 해서는

lt표 ⅩⅣ-10gt에 기 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을 고려하더라도 그것이 16개 역시도별

인구 망에는 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즉 lt표 ⅩⅣ-10gt에 기 한 지역간 인구이동은

각 역시도 내에서의 세부 행정구역간 인구이동에만 용되어야 하며 역시

도 간의 인구이동과는 무 한 것이다 결과 으로 lt표 ⅩⅣ-10gt에 기 한 각 시도

내의 모든 세부 행정구역의 순유입 인구를 합한 값은 0이 되어야 한다 lt표 ⅩⅣ-10gt의 열 (1)의 추정결과를 이용하여 지역간 인구이동을 결정할 때 상수항의 크기는 바

로 이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즉 각 시도별로 세부 행정구역의 순유입 인구

의 합이 사후 으로 0이 되도록 상수항을 결정하는 것이다137)이 게 하여 모든 세부 행정단 에 하여 2030년까지 인구규모를 망한 결과가

lt표 ⅩⅣ-11gt과 같다 lt표 ⅩⅣ-11gt을 보면 부분의 지역에서 장기 으로 인구규모는

감소하는 것으로 즉 인구증가율이 마이 스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나라 반 인 출산율 하추세를 반 하는 것이다

137) 일단 상수항을 0으로 두고 각 세부 행정단 의 순유입 인구를 구한다 상수항은 모든 세부 행정단

의 순유입인구를 합한 값을 모든 세부 행정단 의 총인구의 합으로 나 값의 마이 스 값으로 주

어진다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7

lt표 ⅩⅣ-11gt 지역별 인구규모 전망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서울특별시 10060193 -00019 -00023 -00030 -00045 -00050 -00054 9025667

종로구 172718 00027 00003 -00017 -00042 -00070 -00092 156550

구 133459 00048 00021 -00013 -00048 -00069 -00086 123357

용산구 231861 00028 00005 -00025 -00055 -00076 -00092 207515

성동구 330249 00007 -00003 -00028 -00056 -00060 -00058 298894

진구 388214 00061 00050 00031 00006 00004 00010 418330

동 문구 374261 -00013 -00036 -00057 -00079 -00091 -00103 309799

랑구 448993 -00136 -00122 -00120 -00136 -00133 -00122 309159

성북구 469103 -00052 -00066 -00084 -00101 -00112 -00118 360861

강북구 347660 -00041 -00054 -00072 -00088 -00098 -00103 277755

도 구 359251 -00202 -00176 -00155 -00168 -00170 -00162 217608

노원구 618161 -00189 -00160 -00139 -00152 -00152 -00146 392683

은평구 451844 -00099 -00099 -00107 -00123 -00130 -00133 322522

서 문구 356656 00004 -00015 -00040 -00066 -00079 -00086 309547

마포구 373931 00106 00076 00038 00005 -00009 -00021 407596

양천구 467428 -00196 -00174 -00148 -00148 -00150 -00151 292850

강서구 513725 -00069 -00058 -00052 -00064 -00066 -00067 428378

구로구 398505 -00004 -00012 -00025 -00042 -00042 -00042 366487

천구 270845 -00035 -00030 -00041 -00062 -00056 -00044 237643

등포구 396018 00059 00044 00019 -00009 -00017 -00022 408560

동작구 409278 00079 00050 00017 -00008 -00018 -00030 424482

악구 514954 00191 00153 00112 00089 00081 00074 715393

서 구 374293 00143 00105 00091 00078 00062 00033 475948

강남구 531301 00126 00089 00082 00073 00053 00020 654330

송 구 645217 -00048 -00047 -00040 -00048 -00052 -00058 559819

강동구 482272 -00135 -00121 -00099 -00101 -00104 -00107 349599

4 1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부산 역시 3716837 -00043 -00044 -00046 -00057 -00057 -00065 3189808

구 58885 -00011 -00044 -00095 -00124 -00145 -00174 43758

서구 150588 -00013 -00047 -00086 -00110 -00128 -00157 114848

동구 123926 -00004 -00041 -00093 -00118 -00140 -00171 93177

도구 180848 -00022 -00048 -00074 -00094 -00107 -00127 143019

부산진구 422712 -00039 -00050 -00064 -00081 -00090 -00105 342269

동래구 293884 -00082 -00099 -00103 -00105 -00100 -00112 219114

남구 294609 00018 -00002 -00027 -00045 -00050 -00065 270142

북구 302793 -00125 -00081 -00038 -00044 -00030 -00019 259012

해운 구 401574 -00131 -00098 -00070 -00080 -00072 -00070 313150

사하구 380223 -00053 -00039 -00025 -00032 -00025 -00029 345230

정구 288703 00042 00028 00020 00011 00009 -00006 302755

강서구 54647 00056 00032 00009 -00004 -00028 -00063 54358

연제구 218891 -00052 -00073 -00085 -00094 -00094 -00108 170505

수 구 178341 -00078 -00106 -00132 -00138 -00138 -00155 123411

사상구 296999 -00009 00016 00038 00027 00037 00043 320578

기장군 69215 00051 00057 00049 00022 00002 -00024 74481

구 역시 2535524 00021 00016 00001 -00017 -00026 -00038 2476782

구 88454 00025 -00026 -00092 -00136 -00185 -00223 63993

동구 343222 00104 00090 00057 00026 00003 -00023 385881

서구 288691 00047 00028 -00002 -00026 -00048 -00065 277972

남구 196957 00094 00054 00002 -00038 -00080 -00121 186439

북구 409098 00012 00023 00022 00007 00007 00001 423676

수성구 459692 -00016 -00034 -00051 -00064 -00077 -00091 389513

달서구 598035 -00039 -00026 -00018 -00021 -00009 -00006 565637

달성군 151375 00050 00079 00081 00063 00069 00056 18367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19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인천 역시 2557153 00106 00090 00072 00049 00032 00008 3022965

구 68460 00330 00281 00190 00111 00046 -00004 106136

동구 75856 00169 00111 00026 -00057 -00132 -00178 72198

남구 424881 00196 00154 00091 00026 -00033 -00076 497559

연수구 268993 -00029 -00044 -00034 -00020 -00006 -00009 251309

남동구 409743 00174 00153 00129 00102 00082 00054 568398

부평구 547708 00078 00059 00042 00021 00002 -00025 593412

계양구 337525 -00013 -00007 00024 00045 00064 00053 367042

서구 347007 00147 00141 00145 00136 00138 00115 514150

강화군 63068 -00070 -00091 -00142 -00183 -00217 -00235 39566

옹진군 13912 00088 00053 -00010 -00046 -00071 -00102 13189

주 역시 1398596 00100 00090 00065 00041 00028 00012 1637320

동구 120531 00149 00097 00046 00010 -00056 -00117 126559

서구 290625 00050 00049 00024 00002 00000 -00011 306131

남구 237262 00076 00048 00017 -00007 -00049 -00083 235633

북구 494158 00133 00120 00097 00074 00057 00040 632030

산구 256021 00090 00112 00098 00071 00095 00105 336965

역시 1419667 00145 00130 00106 00078 00057 00035 1840128

동구 257104 00260 00213 00159 00116 00067 00018 378550

구 264072 00116 00078 00027 -00011 -00047 -00087 270960

서구 488331 00056 00045 00035 00018 00005 -00008 523593

유성구 167725 00226 00237 00234 00203 00193 00183 308498

덕구 242435 00174 00177 00155 00120 00110 00088 358525

울산 역시 1046588 00088 00074 00063 00048 00035 00010 1215266

구 235341 00014 -00010 -00042 -00072 -00100 -00122 198924

남구 334858 00070 00045 00026 00008 -00001 -00012 355719

4 2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동구 188858 00063 00034 00016 00006 00015 00020 202607

북구 121544 00059 00079 00130 00157 00170 00136 173692

울주군 165988 00271 00263 00235 00188 00131 00054 284324

경기도 9395545 00232 00187 00138 00097 00078 00045 13500000

수원시 991466 00279 00228 00186 00152 00127 00102 1641448

성남시 959843 00245 00181 00109 00052 00004 -00030 1237330

의정부시 372554 00142 00093 00045 00006 -00025 -00054 406936

안양시 609129 00188 00123 00060 00010 -00027 -00050 695115

부천시 797033 00160 00098 00044 00007 -00019 -00037 888572

명시 350728 00189 00136 00078 00032 -00001 -00032 420273

평택시 360394 00284 00238 00180 00129 00081 00030 558375

동두천시 76183 00220 00170 00107 00047 -00014 -00069 93662

안산시 582130 00321 00276 00248 00240 00238 00213 1202986

고양시 801512 00036 -00012 -00050 -00071 -00076 -00090 699804

과천시 70064 00129 00066 00012 -00017 -00020 -00030 74096

구리시 168789 00112 00056 00010 -00031 -00060 -00073 168011

남양주시 356843 00193 00146 00102 00061 00035 00008 458919

오산시 107263 00391 00355 00313 00284 00262 00217 253147

시흥시 318908 00173 00134 00120 00125 00150 00140 476118

군포시 275961 00175 00120 00069 00037 00028 00010 337424

의왕시 123663 00143 00085 00037 00000 -00014 -00021 136701

하남시 126495 00249 00187 00115 00049 -00004 -00030 163352

용인시 403783 00400 00354 00309 00256 00215 00175 900877

주시 186456 00294 00245 00178 00109 00039 -00019 275166

이천시 188153 00490 00438 00387 00327 00257 00193 50085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1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안성시 139989 00443 00380 00305 00220 00126 00053 284176

김포시 156223 00227 00177 00121 00074 00033 -00002 208797

화성시 195733 00436 00382 00302 00221 00142 00064 401672

주시 131208 00370 00314 00254 00194 00145 00103 249858

양주군 113026 00355 00297 00235 00178 00131 00087 205556

여주군 102671 00330 00274 00206 00128 00050 -00005 161455

연천군 51604 00251 00204 00132 00062 -00015 -00073 66456

포천군 142918 00275 00226 00166 00110 00053 00004 210314

가평군 54945 00116 00069 00005 -00050 -00108 -00144 51298

양평군 79880 00091 00046 -00018 -00084 -00146 -00180 68288

강원도 1519180 00007 -00002 -00014 -00028 -00038 -00048 1427491

춘천시 257881 00146 00123 00113 00093 00067 00042 339712

원주시 273610 00057 00043 00041 00038 00037 00025 306686

강릉시 233126 00099 00077 00050 00019 -00005 -00022 257272

동해시 98507 -00054 -00063 -00086 -00105 -00106 -00111 76082

태백시 55424 -00034 -00050 -00082 -00117 -00138 -00142 41910

속 시 89866 -00106 -00112 -00115 -00124 -00111 -00100 64905

삼척시 77462 -00020 -00037 -00076 -00111 -00136 -00154 59331

홍천군 68783 -00119 -00127 -00138 -00145 -00155 -00172 45213

횡성군 41982 -00183 -00193 -00211 -00228 -00237 -00252 22115

월군 44847 -00143 -00150 -00170 -00202 -00221 -00231 25889

평창군 42226 -00146 -00152 -00175 -00193 -00202 -00211 24855

정선군 47210 -00090 -00105 -00145 -00174 -00192 -00201 30167

철원군 49042 -00062 -00060 -00086 -00100 -00107 -00117 37757

화천군 23273 -00133 -00115 -00122 -00129 -00132 -00143 15980

4 2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양구군 21638 -00208 -00198 -00205 -00199 -00182 -00184 12210

인제군 31523 -00123 -00114 -00125 -00120 -00108 -00112 22432

고성군 32992 -00107 -00103 -00135 -00178 -00203 -00214 20750

양양군 29786 00015 00003 -00028 -00090 -00144 -00164 24222

충청북도 1503645 00047 00038 00023 00005 -00007 -00019 1563037

청주시 601426 00115 00098 00087 00073 00068 00062 763387

충주시 223560 00068 00055 00034 00005 -00018 -00039 234096

제천시 147533 00048 00033 00010 -00024 -00047 -00065 143531

청원군 118977 00119 00095 00057 00020 -00020 -00062 130336

보은군 39452 -00353 -00335 -00355 -00356 -00358 -00359 13919

옥천군 59149 -00075 -00087 -00127 -00156 -00185 -00214 38944

동군 62164 00082 00059 00013 -00030 -00077 -00120 59393

진천군 58580 00049 00039 00011 -00015 -00034 -00063 57902

괴산군 39542 -00360 -00349 -00362 -00364 -00374 -00379 13453

음성군 86168 -00061 -00065 -00087 -00107 -00116 -00134 65074

단양군 37125 -00148 -00147 -00170 -00194 -00207 -00220 21774

증평출장소 29969 -00073 -00083 -00112 -00130 -00144 -00159 21213

충청남도 1890296 00041 00024 00006 -00012 -00026 -00033 1882526

천안시 426987 00189 00146 00134 00139 00147 00144 654400

공주시 133717 00080 00052 00030 -00024 -00081 -00110 129095

보령시 112410 -00016 -00034 -00075 -00119 -00153 -00175 84387

아산시 184554 00210 00182 00161 00127 00093 00057 272765

서산시 146885 00006 -00019 -00047 -00069 -00079 -00091 126340

논산시 140873 -00038 -00057 -00087 -00130 -00171 -00197 100408

산군 59362 -00100 -00109 -00140 -00185 -00228 -00255 35899

연기군 81860 00208 00167 00139 00092 00026 -00025 10837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3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부여군 85949 -00276 -00269 -00300 -00338 -00360 -00367 33478

서천군 68763 -00283 -00277 -00316 -00353 -00376 -00384 25734

청양군 39622 -00156 -00160 -00191 -00227 -00264 -00288 21000

홍성군 92925 -00087 -00097 -00123 -00173 -00217 -00240 58423

산군 100184 -00017 -00035 -00073 -00119 -00166 -00202 73772

태안군 67660 -00023 -00035 -00072 -00126 -00172 -00205 49311

당진군 120648 -00016 -00035 -00068 -00105 -00138 -00161 92873

계룡출장소 27898 -00053 -00114 -00204 -00250 -00235 -00224 16238

라북도 1922751 -00027 -00029 -00036 -00045 -00049 -00057 1706655

주시 626605 00045 00033 00030 00022 00019 00012 676015

군산시 277060 00070 00055 00035 00014 00001 -00017 297579

익산시 328585 00059 00041 00029 00015 00004 -00014 349137

정읍시 131429 -00161 -00162 -00186 -00214 -00230 -00248 72839

남원시 96693 -00097 -00108 -00132 -00163 -00186 -00205 62312

김제시 104520 -00153 -00163 -00199 -00228 -00254 -00278 55675

완주군 80451 00126 00105 00065 00021 -00024 -00069 88711

진안군 30869 -00086 -00107 -00144 -00174 -00207 -00241 19195

무주군 28020 -00249 -00251 -00273 -00287 -00299 -00305 12363

장수군 23773 -00317 -00306 -00330 -00347 -00357 -00354 8829

임실군 31448 -00408 -00397 -00415 -00412 -00417 -00412 9333

순창군 31115 -00370 -00347 -00371 -00389 -00403 -00404 10093

고창군 66198 -00384 -00365 -00381 -00400 -00408 -00409 20786

부안군 65985 -00319 -00319 -00342 -00357 -00367 -00367 23769

라남도 2021739 -00068 -00075 -00079 -00086 -00089 -00091 1593618

목포시 253241 00011 00003 00009 00002 -00014 -00028 250737

여수시 307080 00017 -00011 -00024 -00033 -00037 -00039 287845

4 2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순천시 269123 00057 00032 00041 00048 00045 00038 304966

나주시 100671 -00095 -00109 -00141 -00184 -00222 -00253 61221

양시 134164 00059 00028 00063 00089 00137 00148 173086

담양군 55174 00134 00120 00065 -00009 -00088 -00150 56329

곡성군 38532 -00010 -00029 -00068 -00125 -00186 -00232 27797

구례군 29119 -00318 -00323 -00353 -00377 -00395 -00396 10001

고흥군 89202 -00333 -00338 -00382 -00419 -00443 -00444 27704

보성군 56825 -00207 -00219 -00262 -00309 -00346 -00361 24431

화순군 72884 00026 00020 00010 -00009 -00027 -00079 70571

장흥군 49000 -00315 -00314 -00347 -00379 -00392 -00392 17031

강진군 44707 -00330 -00324 -00360 -00391 -00405 -00406 14950

해남군 90876 -00226 -00237 -00268 -00289 -00306 -00323 40269

암군 61032 -00052 -00060 -00082 -00119 -00144 -00183 44452

무안군 63139 -00060 -00083 -00113 -00172 -00235 -00265 39737

함평군 41869 -00201 -00205 -00242 -00294 -00338 -00369 18507

군 66356 -00169 -00175 -00204 -00234 -00242 -00260 35272

장성군 50255 -00055 -00063 -00100 -00142 -00190 -00232 34066

완도군 62391 -00262 -00267 -00297 -00330 -00356 -00371 24612

진도군 39032 -00277 -00279 -00312 -00342 -00369 -00385 14796

신안군 47067 -00326 -00335 -00368 -00395 -00423 -00434 15202

경상북도 2775834 -00006 -00012 -00021 -00035 -00043 -00051 2554405

포항시 526287 -00003 -00036 -00063 -00089 -00100 -00106 430937

경주시 281209 00033 00002 -00033 -00074 -00108 -00142 238457

김천시 150538 00012 -00020 -00064 -00108 -00153 -00191 115490

안동시 185936 00013 -00020 -00062 -00118 -00172 -00210 139347

구미시 346160 00236 00220 00225 00218 00214 00200 647245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5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주시 129120 -00067 -00087 -00125 -00180 -00226 -00255 80889

천시 113287 -00105 -00123 -00162 -00200 -00232 -00270 65961

상주시 119119 -00241 -00251 -00287 -00318 -00344 -00366 48742

문경시 92834 -00024 -00062 -00110 -00160 -00218 -00260 61110

경산시 231274 00252 00222 00207 00166 00122 00078 378879

군 군 29381 -00318 -00324 -00354 -00371 -00397 -00414 10000

의성군 69945 -00445 -00426 -00450 -00458 -00464 -00467 18300

청송군 32048 -00411 -00393 -00406 -00419 -00425 -00426 9422

양군 21219 -00323 -00306 -00332 -00361 -00382 -00397 7523

덕군 45251 -00419 -00401 -00425 -00444 -00459 -00464 12430

청도군 49315 -00209 -00219 -00267 -00309 -00348 -00379 20917

고령군 35961 -00081 -00102 -00143 -00184 -00224 -00262 21939

성주군 48002 -00275 -00288 -00326 -00346 -00369 -00382 17978

칠곡군 102466 00241 00236 00199 00157 00129 00072 167034

천군 55588 -00399 -00391 -00412 -00433 -00457 -00467 15652

화군 39149 -00329 -00326 -00353 -00366 -00383 -00393 13540

울진군 61359 -00231 -00232 -00265 -00289 -00301 -00316 27430

울릉군 10384 -00165 -00184 -00233 -00263 -00288 -00309 5088

경상남도 3051481 00037 00025 00012 -00001 -00010 -00023 3102170

창원시 528429 00082 00064 00081 00111 00142 00143 714831

마산시 445559 00151 00114 00075 00029 -00018 -00048 510137

진주시 348519 00175 00148 00115 00064 00011 -00028 435855

진해시 130559 00023 00006 -00028 -00056 -00083 -00116 114629

통 시 127249 -00071 -00092 -00136 -00172 -00203 -00222 81562

사천시 113921 00021 00008 -00040 -00091 -00135 -00179 92217

김해시 339168 00037 00021 00032 00043 00049 00032 376065

4 2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1 계속)

구 분

인구규모 인구 증가율 인구규모

20012001

~20052006

~20102011

~20152016

~20202021

~20252026

~20302030

양시 119195 -00044 -00064 -00112 -00162 -00210 -00243 78599

거제시 171574 00080 00071 00042 00042 00051 00021 198427

양산시 195971 00081 00065 00072 00072 00072 00052 238961

의령군 32294 -00208 -00205 -00248 -00282 -00312 -00344 14656

함안군 60194 -00082 -00097 -00138 -00178 -00219 -00255 37224

창녕군 67136 -00202 -00200 -00240 -00281 -00316 -00342 30733

고성군 57429 -00156 -00163 -00215 -00261 -00295 -00315 28648

남해군 54791 -00385 -00366 -00403 -00431 -00443 -00440 16165

하동군 53141 -00196 -00196 -00240 -00273 -00304 -00324 24935

산청군 39360 -00069 -00075 -00127 -00187 -00251 -00289 23926

함양군 43176 -00211 -00202 -00241 -00283 -00319 -00339 19633

거창군 67835 -00054 -00056 -00101 -00165 -00219 -00248 44566

합천군 55982 -00314 -00296 -00326 -00353 -00375 -00390 20326

제주도 527799 00059 00044 00028 00012 00001 -00009 561243

제주시 287559 00099 00083 00077 00070 00068 00064 358155

서귀포시 83151 00022 00007 -00019 -00045 -00063 -00080 75873

북제주군 90022 00044 00025 -00013 -00051 -00096 -00138 79883

남제주군 67068 -00050 -00065 -00099 -00131 -00165 -00192 47327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7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세부 행정단 별로 (15세 이상 64세 이하 인구) 1인당 GRP 수 과 연령별 인구

망이 주어지면 세부 행정단 별 GRP 망은 이에 따라 결정된다 최종 으로 얻어진

지역별 GRP 망치는 lt표 ⅩⅣ-12gt와 같다 표를 보면 부분의 지역에서 GRP 성장

률은 장기 으로 하락할 것으로 상된다 앞에서 언 되었듯이 16개 역시도별

GRP의 망치는 lt표 ⅩⅣ-10gt과 lt표 ⅩⅣ-11gt의 인구 망 이 에 이미 결정되었으며 이들의 합의 증가율이 기존의 GDP 성장률 망과 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t표 ⅩⅣ-12gt의 결과도 부분 기존의 결과와 일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lt표 ⅩⅣ-12gt 지역별 GRP 증가율 전망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서울특별시 99268549 00467 00360 00285 00261 00189 00162 221531988

종로구 2094618 00472 00350 00264 00234 00142 00100 4311535

구 1839470 00471 00347 00249 00210 00127 00092 3666730

용산구 2436963 00499 00375 00277 00240 00153 00115 5247798

성동구 2968036 00506 00392 00297 00260 00189 00168 6885030

진구 3684246 00552 00438 00350 00316 00248 00232 9954238

동 문구 3281381 00489 00362 00271 00240 00159 00125 7031735

랑구 3775154 00367 00280 00212 00186 00122 00111 6844173

성북구 3629541 00470 00352 00263 00233 00154 00123 7602386

강북구 2955966 00465 00349 00260 00234 00157 00129 6190031

도 구 3165666 00289 00216 00169 00147 00078 00064 4954036

노원구 5508608 00301 00230 00184 00162 00095 00080 8999789

4 2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은평구 3810223 00405 00303 00226 00200 00125 00099 7152432

서 문구 3290569 00498 00376 00282 00246 00166 00137 7242828

마포구 3913113 00582 00449 00343 00302 00222 00192 10300000

양천구 4639236 00275 00199 00159 00152 00084 00062 7157036

강서구 5027980 00410 00321 00261 00240 00172 00153 10400000

구로구 3904545 00478 00368 00288 00262 00196 00175 8888127

천구 2420254 00462 00366 00285 00254 00194 00183 5455459

등포구 4948080 00501 00387 00297 00264 00184 00184 11500000

동작구 4147088 00559 00428 00327 00293 00217 00182 10500000

악구 4365322 00710 00564 00452 00425 00338 00302 15900000

서 구 4852502 00581 00444 00365 00343 00266 00220 13600000

강남구 7174266 00556 00413 00359 00331 00261 00199 19200000

송 구 6786692 00420 00321 00270 00232 00177 00163 14200000

강동구 4649035 00343 00259 00214 00204 00135 00111 8396726

부산 역시 29458666 00429 00385 00295 00240 00166 00159 64374919

구 580439 00423 00349 00212 00142 00050 00024 1004857

서구 1183416 00461 00383 00255 00187 00094 00066 2304109

동구 1041318 00459 00377 00238 00170 00074 00045 1945446

도구 1295383 00468 00397 00281 00216 00127 00108 2714980

부산진구 3284735 00436 00382 00280 00218 00135 00121 6820719

동래구 2321515 00388 00328 00237 00192 00122 00112 4409497

남구 2326786 00493 00429 00316 00253 00174 00160 5435761

북구 2253218 00353 00356 00313 00263 00202 00214 5030071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29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해운 구 3059171 00343 00334 00277 00222 00155 00158 6167055

사하구 2988649 00419 00391 00318 00267 00200 00197 6926925

정구 2265608 00519 00461 00365 00312 00235 00220 6068822

강서구 495388 00507 00441 00332 00276 00179 00146 1187484

연제구 1831305 00409 00345 00246 00195 00121 00109 3550775

수 구 1371535 00397 00324 00211 00161 00086 00071 2444195

사상구 2403081 00460 00443 00379 00324 00259 00267 6544325

기장군 757120 00468 00437 00346 00278 00186 00164 1819904

구 역시 15313495 00614 00515 00427 00342 00250 00196 45390461

구 569669 00609 00462 00321 00210 00079 00000 1221176

동구 2036126 00707 00597 00488 00389 00282 00213 7011836

서구 1537571 00666 00550 00444 00350 00244 00182 4736533

남구 1137417 00701 00564 00435 00327 00200 00116 3333880

북구 2506694 00603 00521 00448 00365 00282 00235 7848470

수성구 3119010 00555 00445 00356 00277 00183 00129 7667800

달서구 3459700 00560 00480 00414 00343 00273 00229 10100000

달성군 947310 00640 00577 00506 00420 00343 00288 3445502

인천 역시 21506822 00561 00587 00481 00365 00243 00179 66310072

구 692207 00758 00754 00575 00402 00233 00145 2590925

동구 631989 00626 00609 00434 00256 00076 -00010 1570323

남구 3344871 00664 00664 00510 00350 00184 00108 10500000

연수구 2029105 00437 00463 00387 00308 00216 00174 5151627

남동구 3714415 00616 00639 00528 00418 00278 00213 13000000

4 3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부평구 4247225 00544 00567 00461 00352 00223 00152 12400000

계양구 2689809 00444 00492 00438 00367 00282 00230 7774504

서구 3216359 00583 00622 00541 00440 00338 00273 11900000

강화군 625049 00346 00369 00233 00102 -00032 -00087 954411

옹진군 315794 00361 00382 00247 00131 00016 -00045 521443

주 역시 10315057 00577 00569 00485 00407 00317 00252 34849987

동구 813580 00647 00591 00477 00386 00239 00126 2544852

서구 2114384 00529 00528 00442 00367 00287 00226 6436988

남구 1435116 00590 00557 00463 00384 00260 00173 4438140

북구 3520933 00620 00606 00522 00445 00343 00282 13100000

산구 2431045 00522 00549 00478 00401 00351 00314 8304637

역시 10605755 00669 00618 00518 00419 00322 00268 39192051

동구 1773311 00806 00718 00584 00469 00341 00259 7679029

구 1892635 00647 00570 00442 00333 00220 00147 5623739

서구 3640485 00577 00529 00443 00357 00268 00219 11100000

유성구 1249721 00756 00730 00651 00549 00461 00419 6552871

덕구 2049603 00678 00646 00549 00445 00360 00307 8211174

울산 역시 22908261 00557 00409 00319 00209 00115 00061 49192837

구 3069479 00566 00400 00278 00146 00034 -00020 5775851

남구 6964976 00541 00370 00293 00163 00076 00030 13600000

동구 4720969 00500 00338 00240 00139 00070 00050 8670123

북구 3530415 00468 00359 00335 00271 00207 00150 8128694

울주군 4622421 00696 00555 00448 00312 00168 00079 1300000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1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경기도 111987695 00750 00619 00513 00382 00259 00179 388407242

수원시 10500000 00823 00679 00571 00444 00320 00248 43400000

성남시 9740997 00791 00628 00496 00352 00205 00117 31800000

의정부시 3163568 00707 00572 00460 00324 00197 00115 9407914

안양시 6528042 00714 00562 00438 00296 00167 00100 18500000

부천시 9070657 00681 00519 00412 00285 00172 00101 24500000

명시 3366087 00735 00596 00476 00335 00207 00132 10500000

평택시 4803810 00774 00647 00538 00386 00247 00148 16900000

동두천시 746675 00764 00628 00503 00346 00191 00083 2358671

안산시 8539554 00797 00664 00589 00493 00396 00319 38500000

고양시 8150423 00552 00436 00344 00220 00118 00057 18000000

과천시 889000 00620 00476 00365 00245 00153 00094 2176465

구리시 1580758 00658 00517 00409 00273 00149 00084 4117791

남양주시 4120232 00704 00576 00472 00331 00234 00131 12700000

오산시 1246972 00911 00793 00690 00567 00451 00354 7057859

시흥시 4881914 00632 00516 00448 00374 00298 00234 15600000

군포시 3339989 00677 00540 00431 00308 00208 00140 9636174

의왕시 1484114 00645 00506 00399 00271 00165 00110 3884282

하남시 1305584 00785 00637 00503 00342 00194 00117 4242442

용인시 5558071 00889 00767 00653 00513 00390 00290 27800000

주시 2689218 00770 00641 00517 00358 00197 00090 8724172

이천시 2729567 00974 00840 00732 00585 00411 00302 15900000

안성시 2202577 00909 00767 00635 00459 00274 00154 9489584

4 3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김포시 2515815 00679 00552 00442 00306 00177 00096 7069740

화성시 3367787 00886 00754 00618 00444 00282 00148 14100000

주시 2052117 00834 00699 00583 00433 00294 00205 8313908

양주군 1768098 00818 00681 00564 00417 00279 00188 6840592

여주군 1490246 00806 00670 00545 00376 00207 00105 5138396

연천군 632507 00755 00626 00495 00331 00162 00055 1912190

포천군 2004193 00755 00626 00509 00363 00214 00117 6557311

가평군 555076 00648 00518 00392 00243 00091 00004 1315354

양평군 915398 00599 00472 00349 00191 00037 -00047 1887683

강원도 11371408 00416 00454 00433 00304 00188 00142 28252380

춘천시 1845962 00572 00594 00574 00436 00302 00238 6572886

원주시 2033447 00472 00503 00493 00375 00266 00217 6068138

강릉시 1790650 00510 00534 00498 00351 00219 00165 5191466

동해시 737492 00355 00391 00359 00226 00119 00078 1511972

태백시 378406 00393 00421 00377 00226 00098 00057 788340

속 시 563081 00333 00370 00356 00230 00136 00109 1159971

삼척시 584798 00389 00417 00368 00219 00088 00033 1184977

홍천군 549138 00276 00314 00295 00176 00061 00009 933620

횡성군 350070 00202 00239 00213 00084 -00028 -00078 468660

월군 355903 00253 00292 00262 00118 -00005 -00051 532673

평창군 386902 00224 00266 00236 00108 -00004 -00046 557161

정선군 342152 00324 00353 00302 00159 00035 -00010 588002

철원군 507632 00290 00342 00310 00187 00078 00036 910213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3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화천군 157113 00292 00354 00337 00215 00105 00057 298580

양구군 167818 00189 00245 00230 00124 00037 00000 247802

인제군 208673 00306 00359 00337 00227 00133 00090 414251

고성군 225106 00317 00365 00322 00162 00031 -00017 390173

양양군 187067 00459 00490 00447 00266 00101 00043 433496

충청북도 17197198 00525 00436 00398 00288 00189 00135 42928316

청주시 6484244 00616 00519 00480 00361 00284 00219 20500000

충주시 2228190 00581 00482 00437 00312 00199 00133 6009884

제천시 1418364 00566 00466 00417 00286 00173 00111 3606465

청원군 1730779 00565 00461 00403 00275 00149 00067 4192234

보은군 479826 00103 00043 00002 -00087 -00172 -00214 402372

옥천군 751392 00386 00294 00233 00113 -00001 -00072 1155377

동군 854873 00537 00433 00365 00232 00098 00015 1847394

진천군 927294 00476 00389 00343 00227 00125 00057 1958592

괴산군 514186 00084 00018 -00014 -00104 -00197 -00242 404720

음성군 1294491 00371 00290 00249 00140 00048 -00010 2133625

단양군 513560 00295 00218 00175 00062 -00035 -00087 679658

증평출장소

충청남도 21827939 00412 00423 00398 00289 00180 00116 51234188

천안시 4759297 00578 00560 00544 00448 00366 00298 17600000

공주시 1365552 00481 00477 00444 00296 00140 00053 3291062

보령시 1681054 00314 00324 00277 00146 00020 -00055 2700651

아산시 2172996 00591 00589 00558 00431 00300 00206 7569522

4 3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서산시 1755708 00376 00376 00340 00227 00123 00055 3537674

논산시 1508827 00350 00355 00315 00180 00042 -00041 2633472

산군 625077 00289 00304 00263 00125 -00014 -00098 932042

연기군 918940 00597 00581 00543 00403 00237 00129 2923116

부여군 1081823 00074 00109 00069 -00056 -00171 -00231 966754

서천군 816151 00078 00110 00062 -00063 -00180 -00242 717561

청양군 535259 00186 00210 00172 00049 -00080 -00159 632545

홍성군 928063 00312 00326 00288 00145 00004 -00077 1469740

산군 1103246 00367 00374 00326 00188 00044 -00049 1967181

태안군 881806 00331 00346 00301 00157 00017 -00070 1453841

당진군 120648 00325 00334 00294 00169 00043 -00034 203866

계룡출장소

라북도 14973586 00331 00431 00384 00300 00199 00149 35019778

주시 4442503 00432 00518 00472 00384 00293 00225 13300000

군산시 2055555 00450 00534 00471 00372 00259 00197 6014933

익산시 2612899 00426 00508 00454 00364 00253 00192 7354979

정읍시 980179 00210 00306 00240 00135 00021 -00040 1476864

남원시 810184 00255 00343 00278 00172 00053 -00008 1354253

김제시 926485 00188 00276 00200 00097 -00024 -00090 1251321

완주군 681039 00484 00564 00482 00361 00217 00128 1939804

진안군 255186 00269 00347 00268 00163 00033 -00044 413845

무주군 191580 00134 00227 00162 00071 -00039 -00088 238006

장수군 267244 -00023 00089 00030 -00057 -00157 -00193 228640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5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임실군 329572 -00105 00006 -00049 -00114 -00211 -00244 231772

순창군 286495 -00043 00078 00016 -00074 -00181 -00221 232052

고창군 540549 -00038 00079 00023 -00070 -00172 -00214 444860

부안군 594116 00013 00111 00049 -00038 -00142 -00181 539223

라남도 23473691 00206 00310 00294 00199 00097 00052 40748487

목포시 2089016 00347 00448 00440 00339 00217 00155 5249827

여수시 4467781 00253 00341 00319 00226 00123 00081 8452978

순천시 2641408 00364 00450 00447 00363 00256 00203 7082340

나주시 1169175 00178 00275 00232 00101 -00038 -00111 1571827

양시 1740357 00316 00400 00426 00367 00314 00283 4746777

담양군 738923 00387 00489 00424 00262 00082 -00023 1574468

곡성군 432393 00271 00364 00313 00167 00004 -00086 699207

구례군 278697 -00018 00084 00040 -00072 -00191 -00235 228802

고흥군 857276 -00034 00068 00009 -00116 -00240 -00284 635354

보성군 949255 00000 00102 00053 -00075 -00207 -00260 779055

화순군 949401 00282 00390 00371 00266 00147 00052 1940193

장흥군 512124 -00030 00079 00034 -00086 -00198 -00241 410630

강진군 442542 -00037 00078 00028 -00091 -00205 -00249 348954

해남군 918850 00067 00165 00121 00011 -00107 -00168 951919

암군 854237 00189 00296 00265 00143 00019 -00061 1275589

무안군 779361 00203 00292 00252 00105 -00058 -00131 1057975

함평군 431100 00089 00195 00144 00004 -00141 -00216 442248

군 1104267 00039 00149 00114 00002 -00102 -00158 1122192

4 36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장성군 580142 00219 00324 00276 00145 -00004 -00090 871488

완도군 618686 00033 00137 00093 -00028 -00155 -00214 575077

진도군 408253 00009 00116 00070 -00048 -00174 -00233 356905

신안군 510450 -00048 00052 00007 -00107 -00235 -00288 374686

경상북도 36767894 00378 00350 00317 00224 00135 00085 73784082

포항시 6510063 00389 00330 00272 00171 00089 00017 11700000

경주시 3814163 00409 00355 00295 00174 00059 -00017 6862053

김천시 1911527 00400 00342 00273 00147 00021 -00059 3195312

안동시 1926666 00437 00376 00305 00165 00027 -00056 3415308

구미시 5365580 00596 00558 00533 00460 00374 00315 20200000

주시 1459201 00339 00293 00227 00090 -00040 -00111 2087774

천시 1550540 00265 00224 00160 00043 -00069 -00148 1908427

상주시 1414394 00148 00114 00052 -00059 -00165 -00229 1295689

문경시 1026079 00387 00322 00246 00113 -00028 -00113 1556521

경산시 3148350 00637 00582 00542 00419 00292 00200 10900000

군 군 447592 00025 -00002 -00054 -00145 -00250 -00305 308411

의성군 1346406 -00146 -00144 -00186 -00265 -00344 -00384 648863

청송군 337230 -00008 -00014 -00054 -00147 -00233 -00277 233058

양군 249664 00065 00059 00007 -00102 -00203 -00260 198902

덕군 434086 00000 -00007 -00060 -00160 -00258 -00305 290962

청도군 557007 00190 00155 00080 -00043 -00163 -00237 539684

고령군 612985 00251 00210 00148 00030 -00087 -00163 723479

성주군 680982 00083 00047 -00014 -00111 -00212 -00265 531379

제ⅩⅣ장 세부 행정단 별 인구 GRP 장기 망 4 37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칠곡군 1647184 00595 00569 00508 00387 00278 00181 5319171

천군 596673 00002 -00015 -00063 -00164 -00269 -00321 391763

화군 595032 00014 -00003 -00052 -00141 -00235 -00283 417018

울진군 965179 00110 00089 00033 -00066 -00156 -00209 862265

울릉군 171312 00170 00131 00059 -00046 -00148 -00207 164555

경상남도 34777294 00323 00456 00394 00282 00177 00121 79678033

창원시 6326283 00371 00496 00466 00395 00317 00285 19100000

마산시 4043914 00492 00595 00501 00346 00196 00125 11600000

진주시 3362707 00506 00620 00533 00374 00219 00123 10200000

진해시 1280930 00346 00468 00381 00248 00121 00042 2722685

통 시 1111347 00269 00385 00286 00144 00012 -00053 1807464

사천시 1205648 00331 00458 00358 00202 00058 -00031 2291555

김해시 4128971 00323 00448 00411 00320 00228 00176 10200000

양시 1465694 00237 00358 00260 00108 -00036 -00112 2135930

거제시 2287177 00351 00485 00408 00307 00219 00146 5658160

양산시 2355183 00369 00497 00454 00352 00253 00190 6405654

의령군 469339 00040 00184 00094 -00037 -00160 -00233 439998

함안군 846367 00175 00302 00214 00074 -00062 -00139 1095722

창녕군 875431 00065 00207 00118 -00022 -00152 -00219 864912

고성군 914657 00077 00213 00116 -00028 -00154 -00213 908321

남해군 539479 -00075 00079 -00009 -00139 -00248 -00287 384782

하동군 846034 00037 00179 00090 -00040 -00163 -00222 790408

산청군 569175 00183 00320 00220 00060 -00098 -00177 716158

4 38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표 ⅩⅣ-12 계속)

구분

GRP규모 GRP 증가율 GRP규모

2001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21-2025

2026-2030

2030

함양군 610235 00041 00191 00106 -00035 -00165 -00224 579717

거창군 864637 00221 00361 00266 00100 -00050 -00121 1237287

합천군 674089 -00037 00120 00041 -00085 -00202 -00258 545500

제주도 4662966 00474 00501 00448 00351 00241 00174 13019447

제주시 2089623 00567 00587 00541 00449 00345 00280 7639291

서귀포시 653027 00472 00494 00429 00320 00201 00124 1695035

북제주군 1048604 00425 00448 00375 00259 00119 00021 2257417

남제주군 871711 00157 00327 00307 00203 00085 -00024 1442339

이상으로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 최종 으로 세부 행정단 별 GRP의 망치를

구하여 보았다 물론 이 망치에는 여러 가지 문제 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본 장에

서는 각 단계마다 사용된 가정과 한계 들을 명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 들의 근원

과 성격을 제시하려고 하 다 일단 서론에서 언 되었듯이 세부 행정단 에서는 GRP라는 개념 자체가 지역별

소득과는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만일 어떤 공공투자사업이 주

로 소비자들에게 향을 수 있는 것이라면 그에 한 세부 행정단 별 수요의 크

기를 GRP에 기 하여 단하는 것은 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여러 단계의 추정과정 가운데에서도 가장 논란의 여지가 많을 수 있는 부분은 지

역별 1인당 GRP 성장률의 망이다 본 장에서는 신고 학 성장모형에 기 하

여 소득수 이 상승할수록 성장률은 차 하락하게 되는 한계생산체감의 추세를

망의 기본 메카니즘으로 사용하 다 이는 장기 으로 지역별 1인당 GRP의 값이 끝

없이 발산하지 않고 서로 수렴하는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는 장 을 가진다 그러나

GRP 성장률을 망하는 방법은 이 외에도 얼마든지 많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를

들면 과거의 일반지침에서처럼 산업별 장기 성장률을 먼 망한 다음 산업별 성장

률을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결합함으로써도 GRP의 망치를 구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물론 그 자체로서 어려운 과제인 산업별 성장률의 망이 제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 ꡔ공공교통시설사업 투자평가지침ꡕ 2003__________ ꡔ민자유치백서ꡕ 1996__________ ꡔ치수사업 경제성분석 방법 연구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ꡕ 2004기획 산처 ꡔSOC 민간투자사업에 한 PSC 도입방안 연구ꡕ 2003__________ ꡔ2004년도 민간투자사업기본계획ꡕ 2004__________ ꡔlsquo04~rsquo08 국개재정운용계획(안)ꡕ 2004 9사회간 자본기획단 ꡔ사회간 자본 주요통계ꡕ 1993박 유경 곽승 「문화시설 가치추정 연구」 ꡔKDI 연구보고서 2004-15ꡕ 2004윤우진 ꡔ원자력발 산업의 정 할인율 산정ꡕ 산업연구원 2004이규방 외 ꡔ민간투자사업의 성능제안형 방식 도입에 한 연구ꡕ 국토연구원 2002이규방송병록강동진박경애김난주 ꡔ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에 한 연구ꡕ 국토연구

원 2001-37 2001이진면김동석김민수 「다부문 모형에 의한 산업구조 변화의 장기 망」 ꡔKDI정책연구시

리즈ꡕ 2001-14 2001정건호 외 ꡔSOC민간투자사업에 한 PSC 도입방안 연구ꡕ 기획 산처 200312최도성 「공공투자사업의 할인율 분석」 ꡔ교통개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ꡕ 98-05 1998한국개발연구원 ꡔ민간투자사업에 한 재정지원 기 차 개선방안ꡕ 2000______________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다기 분석 방안 연구(Ⅱ)ꡕ 2001______________ ꡔ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연구(제3 )ꡕ 2001______________ ꡔ도로철도 부문사업의 비타당성조사 표 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ꡕ 2004한진희최경수김동석임경묵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망 2003-2012」 ꡔKDI정책연구

시리즈ꡕ 2002-07 2002PFI 추진 원회 ꡔPFI 추진 원회 간보고ꡕ 2004 6PriceWaterhouseCoopers ꡔ신박물 정비에 한 PFI도입가능성 조사보고서ꡕ 20023

【일본어 자료】

國土交通省 ꡔ國土交通省所管事業を対象とした VFM簡易シミュレーション(국토교통성 소

사업을 상으로 하는 VFM 간이시뮬 이션)ꡕ 2003 6長野 ꡔ長野 PFI事業 入可能性調査 結果報告書(나가노시 PFI사업 도입가능성조사 결과

보고서)ꡕ 20033內閣府 ꡔPFI 事業実施プロセス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PFI 사업실시 로세스에 한 가이드

라인)ꡕ 20011______ ꡔVFM(Value For Money)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VFM에 한 가이드라인)ꡕ 20017

4 4 0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______ ꡔ民間資金等の活用による公共施設等の整備等に関する事業の実施に関する基本方針

(민간자본등의 활용에 따른 공공시설정비 등에 한 사업의 실시에 한 기본방침)ꡕ 2000

PFI 推進委員会 ꡔPFI 推進委員会 中間報告ꡕ 2004 6PriceWaterhouseCoopers Financial Advisory Service(株) ꡔ新博物館の整備に係るPFI 入可能

性調査業務報告書(신박물 정비에 한 PFI 도입가능성조사업무 보고서)ꡕ 2002 3

【 문 자료】

Arrow K J Discounting and Public Investment Criteria in A V Kneese and S C Smith(eds) Water researc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966

Barro Robert L and Xavier Sala-i-Martin Economic Growth McGraw-Hill 1995 Baumol W J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8 1968

pp788~802Boadway R Cost-benefit rules in general equilibrium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42

1975 pp 361~374Bradford David F Constraints on Goverment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the Choice of Discount

Rate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5 1975 pp887~899Braun Juan Essays on Economic Growth and Migration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93Brealey R and SC Myers Principles of Corporate Finance 8th ed McGraw-Hill 2004BTE ldquoFacts and Furphies in Benefit-cost Analysis Transportrdquo BTE Report 100 1999BTRE ldquoBrisbane Melbourne Rail Link Economic Analysisrdquo BTRE Working Paper 45 2000Burgess David F Complementarity and the Discount Rate for Public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03 1988 pp527~541Dasgupta P S Marglin and A Sen 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Vienna 1972Dasgupta A K and D W Pearce Cost-benefit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Macmillan Press

London 1972Dasgupta P and J Stiglitz On optimal taxation and public producti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39 pp87~103 1972 Benefit-cost analysis and trade polici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2 pp1~33 1974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ransport and the Regions LONDON A New Deal for Trunk

Roads in England Guidance on The New Approach to Appraisal 1998 Department of Transfortation California California Life-Cycle BenefitCost Analysis Model

(Cal-BC) 1999Department of Transfortation Minnesota Highway Project Development Process (HPDP)

Handbook 2001

참고문헌 4 4 1

Diamond P ldquoThe Opportunity Cost of Public Investment Commentrdquo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2 1968 pp682~688

Diamond P and J Mirrlees Optimal taxation and public production Ⅰ and Ⅱ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1 pp8~27 and 261~278 197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rivate constant returns and public shadow pric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22 pp41~47 1976

Dreze J and N Stern The theory of cost-benefit analysis in A Auerbach and M Feldstein eds Handbook of public economics Vol 2 North-Holland Amsterdam 1987

Eckstein O Water-resource development the economics of project evalu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58

Essen-Bonn Macro-Economic Evaluation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nvestment Federal Minister of Transport 1993

European Commission Guide of cost-benefit analysis of investment projects 2002Feldstein M S The Social Time Preference Discount Rate in Cost-Benefit Analysis The

Economic Journal Vol 74 1964a pp360~379 ldquoNet social benefit calculation and the public investment decisionrdquo Oxford

Economic Papers 16 pp114~131 1964b Opportunity Cost Calculation in Cost-Benefit Analysis Public Finance 1964c The derivation of social time preference rate Kyklos 18 pp277~286 1965 Cost-benefi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valuation of projects

financed by aid and external loans in W L David(ed) Public finance planning and economic development essays in honour of Ursula Hicks Macmillan London 1973

The Inadequacy of Weighted Discount Rates in R Layard(ed) Cost-benefit analysis Penguin Books Hammondsworth England 1974

Financing in the evaluation of public expenditure in Warren L Smith and John M Culbertson(ed) Public finance and stabilization policy essays in honor of Richard A Musgrave North-Holland Amsterdam 1974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Procedural Guidelines for Highway Feasibility Studies 1998Fisher I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London 1930Gollier Christian Discounting an Uncertain Future Journal of Pubilc Economics Vol 85 2002

pp 149~166Harberger A C Professor Arrow on the Social Discount Rate in G G Somers and W D

Wood(ed) Cost-benefit analysis of manpower policies Industrial Relations Centre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1969

________________ Project evaluation collected paper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72

Harlow K C amp Windsor D Integration of Cost-Benefit and Financial Analysis in Project Evalu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Washington SepOct 1988 pp918~928

4 4 2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Hirshleifer J J C DeHaven and J W Milliman Water Supply Economics Technology and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HM Treasury The Green Book Appraisal and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2003____________ PFI Meeting the Investment Challenge 20037____________ Quantitative Assessment User Guide 20048____________ Value For Money Assessment Guidance 20048Jenkins G P and Kuo C Y Measuring the Social Opportunity Cost of Permanent and Temporary

Employment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 11 1978Krutilla J V and O Eckstein Multipurpose river development Johns Hopkins Press Cambridge

1958Lind Robert C A primer on the major issues relating to the discount rate for evaluating national

energy options in R Lind et al(ed) Discounting for time and risk in energy policy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982

Little I M D and J A Mirrlees Manual of industrial projec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Vol Ⅱ OECD Development Centre Paris 1968

Marchand M and P Pestieau Discount Rates and Shadow Prices for Public Invest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24 1984b pp 153~169

Marglin S A The social rate of discount and the optimal rate of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7 pp95~111 1963

______________ The Opportunity Cost of Public Invest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7 1964 pp274~289

Mendelsohn R The choice of discount rates for public project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1 pp239~241 1981

Mikesell R F The Rate of Discount for Evaluating Public Projects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1977

Miller E Ronald and Peter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tion 1985 pp70~72

Mirrlees J On producer taxation Review of Economic Studies 39 pp105~111 1972Modigliani and Miller The Cost of Capital Corporate Finance and the Theory of Invest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48 No 3 1958 6 pp261~297Musgrave Peggy B Public debt and cost-benefit analysis in Public finance and public debt

Proceedings of the 40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Public Finance Innsbruck pp81~96 1984

Newell Richard and William Pizer Discounting the Distant Future How Much Do Uncertain Rates Increase Valuations Resources for the Future Discussion Paper 00-45 2001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ldquoGuidelines and Discount Rates For Benefit-Cost Analysis of Federal Programsrdquo OMB Circular No A-94 1992

Olson M and M J Bailey Positive time prefere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9 pp1~25 1981

참고문헌 4 4 3

OXERA A Social Time Preference Rate for Use in Long-Term Discounting A report for ODPM DfT and Defra 2002

Pearce David and David Ulph A Social Discount Rate for the United Kingdom CSERGE Working Paper GEC 95-01 1995

Ramsey D D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Com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9 1969 pp919~924

Ramsey F P A Mathematical Theory of Saving The Economic Journal Vol 38 No 152 1928 pp 543~559

Saaty Thomas L Decision Making for Leaders Ⅱ AHP Series RWS Publication 1995 ________________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1996________________ Fundamentals of Decision Making and Priority Theory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RWS Publications 1994________________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London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 1980Saaty Thomas L Kevin P Kearns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Pittsburgh

PA RWS 1991Sandmo A and J H Dreze Discount Rates for Public Investment in Closed and Open

Economies Economica Vol 38 1971 pp396~412Scott M Fg and Monica Dowley The Test Rate of Discount and Changes in Base-Level Income

in the United Kingdom The Economic Journal Vol 87 No 346 1977 pp 219~241Sen A K Isolation assurance and the social rate of discou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81 pp112~124 1967Stiglitz J E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s and the shadow prices in LDCs in Richard H

Sabot(ed) Essays in migration and the labor market in LDCs Westview Press 1982____________ Rate of discount for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theory of the second best in R

C Lind et al(ed) Discounting for time and risk in energy policy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1982

Stiglitz J E and P Dasgupta Differential taxation public goods and economic efficiency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 38 pp154~178 1971

Squire L and Herman G van der Tak Economic analysis of project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975

Treasury Taskforce Step by Step Guide to the PFI Procurement Process 1999(revised)__________________ How to Construct a Public Sector Comparator 1999Tresch R W Public finance A normative theory Business Publications Plano Texas 1981UNIDO Guidelines for Project Evaluation 1972Usher D On the Social Rate of Discount Com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9

1969 pp924~929

4 4 4 비타당성조사 수행을 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4 )

Warr P G Savings propensities and the shadow wage Economica Vol 40 pp410~415 1973WASHINGTONDC Report of the Presidents Commission to Study Capital Budgeting February

1999Weitzman Martin L Why the Far Distant Future Should Be Discounted at Its Lowest Possible

Rate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36 1998 pp 201~208____________________ Gamma Discounting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91 No 1 2001

pp 260~271

  • 제Ⅰ장 연구개요
    • 제1절 일반지침 개정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방향 및 주요 연구내용
      • 제 1 부예비타당성조사의 일반지침
        • 제Ⅱ장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 제1절 사업의 개요
          • 제2절 기초자료 분석
          • 제3절 조사의 쟁점 부각
            • 제Ⅲ장 경제성 분석
              • 제1절 수요 추정
              • 제2절 편익 추정
              • 제3절 비용 추정
              • 제4절 경제적 타당성 평가
              • 제5절 재무적 타당성 평가
                • 제Ⅳ장 정책적 분석
                  • 제1절 정책적 분석 체계
                  • 제2절 평가항목별 분석 내용
                    • 제Ⅴ장 종합평가 분석적계층화법(AHP기법)
                      • 제1절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과 AHP기법
                      • 제2절 AHP 분석 과정
                      • 제3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요약 매트릭스표
                          • 제 2 부일반지침 수립을 위한 방법론 연구
                            • 제Ⅵ장 비용-편익 분석의 기초이론
                              • 제1절 비용-편익 분석의 필요성 및 의의
                              • 제2절 의사결정의 기본원칙 기준 및 제약
                              • 제3절 비용middot편익의 유형 및 고려사항
                              • 제4절 비용middot편익의 측정
                              • 제5절 소득분배와 비용-편익 분석
                                • 제Ⅶ장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 제1절 문제의 제기
                                  • 제2절 비용-편익 분석의 잠재가격과 평가가격
                                  • 제3절 한국의 비용-편익 분석과 평가가격
                                    • 제Ⅷ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 제1절 사회적 할인율 조정
                                      • 제2절 사업부문별 경제성 분석 방법의 차별화 방안
                                        • 제Ⅸ장 재무적 타당성 분석 보완연구
                                          • 제1절 경제성 분석과 재무성 분석
                                          • 제2절 재무성 분석의 방법론
                                          • 제3절 적정 재무적 할인율의 시산
                                            • 제Ⅹ장 민간투자사업 추진 적합성 평가방안 연구
                                              • 제1절 민간투자제도 개요
                                              • 제2절 민간투자제도 개선 방향
                                              •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 제4절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의 민간투자사업 적합성평가방안 연구
                                                • 제Ⅺ장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
                                                  • 제1절 불확실성과 위험 분석의 필요성
                                                  • 제2절 불확실성과 위험의 분석방안
                                                  • 제3절 위험과 민감도 분석
                                                  • 제4절 불확실성과 위험에 대한 관리
                                                    • 제Ⅻ장 다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의 구축 및 분석
                                                      • 제1절 KDI MRIO 모형의 구축
                                                      • 제2절 KDI MRIO 모형의 구축방법
                                                      • 제3절 KDI MRIO 모형의 특징
                                                      • 제4절 KDI MRIO 추정 결과
                                                      • 제5절 KDI MRIO 모형의 활용방안
                                                      • 제6절 KDI MRIO 모형의 한계
                                                        • 제ⅩⅢ 장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보완연구
                                                          • 제1절 개요
                                                          • 제2절 AHP 분석체계의 보완
                                                          • 제3절 AHP 분석 기법의 보완
                                                            • 제ⅩⅣ 장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및 GRP 장기전망
                                                              • 제1절 개 요
                                                              • 제2절 GRP의 추이
                                                              • 제3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의 과거치 추정
                                                              • 제4절 세부 행정단위별 1인당 GRP의 성장률 전망
                                                              • 제5절 세부 행정단위별 인구 전망
                                                              • 제6절 세부 행정단위별 GRP 전망 및 결론
                                                                  • 참고문헌
Page 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5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6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7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8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9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0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1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2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3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4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5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6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7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8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19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0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1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2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3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4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5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6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7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8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29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0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1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2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3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4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5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6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7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8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39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0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1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2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3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49: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3: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4: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5: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6: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
Page 457: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4판)decision.kr/data/site2data_feasibility/KDI-General... ·  「예비타당성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