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 · 강신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심각한 집단인 대학생 중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 에 대한 문제점을 유아교육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지역 소재 와 대학교의 유아 교육과 학년 재학생 명을 대상으로 사용시간 사용기간 사용비율에 따른 상위 하위 집단을 추출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질문지와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변수에 따른 전 두엽 기능 검사 검사 스트룹 검사 를 스마트폰 사용이 억제되는 교생 실습 기간 전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기간 전보다 실습기간 후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이 전두엽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으며 교사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사회적으로는 더 나은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생태 적 교육시스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예비유아교사 스마트폰 사용 전두엽 기능 색 선로 검사 스트룹 검사 생태적 교육시스템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연구는 년 포스터발표논문을 확장연구한 것임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교신저자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외래강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4호 , 81 - 98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 강신영***

요 약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심각한 집단인 대학생 중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

에 대한 문제점을 유아교육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B지역 소재, P와 S대학교의 유아

교육과 4학년 재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사용시간, 사용기간, 사용비율에 따른 상위 30%, 하위

30% 집단을 추출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질문지와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변수에 따른 전

두엽 기능 검사(CCTT검사, 스트룹 검사)를 스마트폰 사용이 억제되는 교생 실습 기간 전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습기간 전보다 실습기간 후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이 전두엽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으며, 교사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사회적으로는 더 나은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생태

적 교육시스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예비유아교사(pre-early childhood teachers)

스마트폰 사용(using smart-phone)

전두엽 기능(frontal lobe`s function)

색 선로 검사(CCTT)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생태적 교육시스템(eco-edu system)

※ 논문접수 : 2015. 10. 31 / 수정본 접수 : 2015. 12. 14 / 게재승인 : 2015. 12. 22* 본 연구는 2013년 포스터발표논문을 확장연구한 것임.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고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외래강사

Page 2: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11년 3월 우리나라 스마트폰(Smart-phone) 사용자는 1,000만 명을 돌파하였고(방송통신

위원회, 2011), 2013년 1월에는 3330만 명에 달하였다(방송통신위원회, 2013). 2013년 미래창

조과학부가 발표한 ‘2012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서도 우리 국민의 절반가량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2년 동안 3배에 가까울 정도로 급격하게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난 것은 스마트폰의 작은 크기로 인한 편리성, 사용자가 항상 소지할 수 있는 이동성, 인

터넷에 상시 접속할 수 있는 연결성 등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이상민, 한문승, 박정선,

2011).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인간에게 유익하며 편리한 이점들도 있지만 반면 중독, 인간소외 등의

각종 문제점들도 증가시키고 있고, 사용자가 늘면서 그에 따른 크고 작은 여러 가지 부작용

도 드러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인터넷, 게임, 이동전화, PC, 디지털 카메라, MP3, 어학

기, 사전 등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지닌 문제점들을 고

스란히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수의 연구결과(김대환, 2013; 남영옥, 이상준, 2005; 봉은주,

하윤주, 2013; 박선해, 조준오, 정희남, 2012; 조준오, 김은정, 2015)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은 개인은 물론 사회적인 문제로의 확장으로 이

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는 것이다.

뇌는 인간의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통제를 담당하고 있다. 뇌부위 중에서도 6개월부터 발달을

시작하여 영유아기에 급격하게 발달하는 전두엽은 사회성이나 도덕성, 영성, 종합적인 사고를

관할하는 부위이다(김상윤, 2010; 이시형, 2005; 전세일, 2003). 또한 이상신, 유병국, 김양태, 김

희숙(2007)의 연구에 의하면 전두엽은 보상과 처벌, 의사결정, 공격성, 공포와 소거 등의 실행기

능을 가지고 인지적인 정보와 감정적인 정보를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전두엽의 기능은 심리적

안녕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곽윤정, 2004; 김유미, 2005; Goleman, Boyatzis, & McKee,

2002). 전두엽은 기억력·사고력 등의 고등행동을 관장하며, 대인관계와 관련되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이 손상되면 다른 문제해결력은 손상되지 않는 반면 심각한 인성변화가 초래된다.

또한 자기성찰지능과 관련하여 전두엽의 아랫부분이 손상되면 짜증을 잘 내거나 다행증을 야

기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윗부분이 손상되면 무관심, 무기력, 둔함, 그리고 무감정증(우울한

기질을 드러냄)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Gardner, 2007). 또한, 전두엽에 이상이 생길 경우, 판

Page 3: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83

단력, 통찰력, 인지적 유연성, 창의성, 계획력, 추상적 사고 등 생활에서 일처리 능력의 감퇴, 신

중성 저하, 책임감 감소 등 여러 적응적 행동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홍근, 2001).

Ratey(2010)의 저서에서 뇌는 가소성이 있으며, 뇌는 우리 체중의 5% 차지하지만 에너지

소모는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관이라 하였다. 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해 뇌는 잘 사

용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고 불필요한 기능은 비활성화 시키는 가소성을 가지며, 뇌의 가소성

(brain plasticity)은 신경자극에 의해서 뇌의 뉴런 갯수, 연결 상태, 뉴런군의 역할등을 바꾸

어 간다는 것이다.

즉, 뇌는 시각적인 정보는 후두엽에서 처리를 하고 이 시각적인 정보를 행동으로 옮기는 여

부는 전두엽에서 이루어진 후에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 게임을

하게 되면 보는 즉시 행동으로 옮겨야 하므로 전두엽이 행동으로 나타나게 할지의 여부를 결

정하는 기능을 생략하도록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설명하면 다음 그림 1, 2와 같다.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면

후두엽에서 처리

후두엽의 정보를 전두엽에서 판단

전두엽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위해

운동신경으로 명령을 전달

눈-후두엽-전두엽-운동신경 순서로

활성화됨

[그림 1] 전두엽 사용이 활성화 되어 지는 정보처리 과정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면 후두엽에서 처리

빠른 처리를 위해 바로 운동신경으로 반응

눈-후두엽-운동신경 순서로 활성화됨

[그림 2] 전두엽 사용이 비활성화 되어 지는 정보처리 과정

Page 4: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장보근(2011)에 의하면 뇌 기능과 관련 깊은 뉴런과 시냅스는 뇌가 완성되는 20년 동안 나

이가 들수록 감소하며 시냅스는 생후 2년에 40%가 제거되고, 10년가까이 그 양이 계속 줄어

든다고 한다. 시냅스의 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뇌가 일종의 가지치기를 하기 때문이며, 뇌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가 지속적인 경험이 제공되지 않아 사용되지 않는 시냅스를 쳐냄

으로써 효율적인 적응을 한다. 전두엽은 모든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유아기 때는 전두엽

이 특히 발달한다.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신체적 문제가 일차적으로 일어나며, 정신적인 문제

도 야기하게 된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즉각 검색하고, 수시로 관심뉴스를 들여다보며, 메신

저로 쉴 새 없이 연락하면서, 짧은 게임으로 순간순간 반응하고 즐기면 사고의 주기가 짧아

진다. 그와 동시에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전두엽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시사저널, 2011.05.19;

SBS뉴스, 2012.11.19; 2013.01.14; YTN뉴스, 2012.11.24.).

특히,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서는 그 문제가 더욱 드러나고 있다. 이상민, 한문

승, 박정선(2011)의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사용빈도는 20-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직업군으로는 골드칼라 다음으로 대학생이 높았다. 또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파

악하고 중독정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조사한 연구(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언,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 2011)에서, 66%가 중독 현상을 보이고, 스마

트폰 완전 중독도 17%나 된다고 하면서 이들은 눈의 피로, 근육통, 신경계 장애 등의 건강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최근 미디어를 통해 보육,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학대나 폭력, 방임 같은 각종 문제들이

보도되며 이의 원인들이 교사의 개인적 인성이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조준

오, 김은정, 2015)되고 있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유아교육현장의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고민을 해보면, 유아들의 스마트

폰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으며, 결정적 시기를 가지고 급격한 발달을 하고 있는 영

유아들에게서도 스마트폰에 대한 중독현상들이 보고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

흥원에서 발표한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와 미래창조과학부과 발표한 ‘2012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서 살펴보면 만 5세 유아의 중독률이 3.6%에서 4.3%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

며, 김희재(2014)의 연구에서도 저연령층의 인터넷 이용률 증가추세로 인하여 유아 및 아동

인터넷 중독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원석·성영화(2013)의 연구에

의하면 유아에게 스마트폰을 처음 접하게 한 사람은 부모가 82.1%라고 보고했다. 또한 전두

엽의 실행기능과 연관된 도덕성은 인지, 정서, 사회성 등 유아의 다른 발달영역에도 직접적으

로 전반적인 영향(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2009)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

Page 5: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85

두엽 발달이 유아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들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생태적 교육시스템을 적용하거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을 실시

함에 있어 기초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하겠다.

이 외에도 여러 선행연구들(김종민, 문정주, 권미량, 2014: 이주연, 2011;황태경, 2013)에서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종을 울려주고 있으나, 이들을 교육할 스마트폰 사용 고휘

험군에 속한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연구(조준오, 김성숙, 송주연, 2014; 조준

오, 김은정, 2015)는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스마트폰 사용이 영유아 자신들에게도 문제가 되

고 있지만, 발달상 많은 모델링을 토대로 세상을 알아가는 영유아들에게 직접적인 모델링이

되고 있는 교사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그에 따른 다양한 결과들을 알아가는 것도 의미가 있

다. 따라서 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연구도 이루어져야할 시점이다. 특히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빈도와 시간에 대한 비중이 높다는 연구결과들과 더불어 예비유아교사의 스마

트폰 사용과 그에 따른 영향점들을 찾아보는 것은 예비유아교사에게 제공될 스마트폰 사용

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교사교육 등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전혜연, 현명

호, 전영민(2011)의 연구에서도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인터넷 중독진단검사를 사용하여 검사를 한 결과, 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이

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가 저하되었음을 보고한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가장 심각한 집단인 대학생 중에서도 결정적 시기에

있는 영유아를 교육해야하는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유아교육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대뇌 전두엽은 기억력, 사고력 등의 고등행동과, 인지통합, 대인관

계, 자기성찰지능, 감정, 정서, 주의력과 자기인식, 심리적 안정 등의 인간적인 기능을 담당(김

상윤, 2010; 하태민, 2008)한다. 또한 예절과 배려, 양보와 같은 행동들을 배우는 것은 아이들

의 전두엽 발달에 도움이 되며, 성인이 되어서도 발달된 사회적 뇌 부분으로 인해 더불어 살

아가는 능력을 발휘하며 살게 된다(장미연, 2010). 이러한 연구들에서도 전두엽 기능의 중요

성에 대해 알 수 있듯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 나타나는 문제 중 전두엽 기능의

저하는 교사 자질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더불어 전두엽의 발달은 유아들의 기본생활습관

과 이타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최근 유아교육에서도 전두엽 발달과 관련된 교육을 강조

하는데(장미연, 2010), 유아교사가 전두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공감과 정서, 통

제 등의 전두엽이 관정하는 교육이 활성화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전두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이 가장 많이 억제되는 교생실습

기간을 전후하여 전두엽 기능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적으로는 스마

Page 6: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트폰의 과도한 사용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사회적으로는 더 나은 교사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 추후 이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문제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는 어떠한가?

2) 스마트폰 사용기간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는 어떠한가?

3) 스마트폰 사용비율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P대학교와 S대학교의 유아교육과 4학년 재학생 총 50명을 대상

으로 교생실습 전후에 전두엽 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스마트폰 사용실태에

관한 변수를 측정하여 하위 30%와 상위 30% 집단을 추출하였다. 그 변수의 특성과 각 집단

별 인원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스마트폰 사용실태 변인별 연구대상의 수

측정치 측정치 인원

사용시간최소치 1시간 하위 30% 3시간 이하 14

최대치 16시간 상위 30% 6시간 이상 18

사용기간최소치 7개월 하위 30% 23개월 이하 14

최대치 38개월 상위 30% 36개월 이상 14

사용비율최소치 10% 하위 30% 25% 이하 15

최대치 95% 상위 30% 70% 이상 16

연구대상을 상위 30%, 하위 30%를 나눈 기준은 연구대상 전체 사용패턴의 시간, 기간, 비

율의 상·하위 30%로 결정하였다.

사용시간은 하루 중 사용하는 누적시간을 말하며, 누적시간이 많아도 집중적인 경우가 있

Page 7: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87

고, 하루 종일에 걸쳐 조금씩 들여다보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대상의 상위 30%는 누적시간

이 6시간 이상이며, 하위 30%는 3시간 이하이다.

사용기간은 스마트폰을 등록한 때부터 검사시점까지의 기간을 말하며, 상위 30%는 사용기

간이 30개월 이상, 하위 30%는 23개월 이하이다.

사용비율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빈도를 각성시간 중의 백분율로 응답한 것으로, 하루 종

일 자주 들여다보면 비율이 높고, 가끔 꺼내보면 비율은 낮다. 본 연구대상의 상위 30%는 사

용비율이 80% 이상이며, 하위 30%는 20% 이하이다.

2. 연구 도구

1) 설문지

본 연구에 사용한 예비유아교사용 설문지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것으로, 인구학적 변인을

묻는 질문들과, 자기보고식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 비율’은 ‘하루 사용시간’의 양적

총합에 대비되는 주관적 의존도로서, 하루 사용시간의 합이 1시간이라 할지라도 수시로 들여

다보아야 한다면 90%의 사용비중으로 답할 수도 있다. 본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박사학위를

가진 전문가 3명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한 문항은 개

방식 질문, 5점 척도 등의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전두엽 기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전두엽 기능 측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CCTT(신민섭, 구훈

정, 2007)와 스트룹 검사(신민섭, 박민주, 2007) 과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의

학적으로 검증되었고, 현재 병원과 상담실에서 많이 사용되어 표준화검사 수준으로 그 유용

성이 검증되었다. 점수 환산을 위한 14세까지의 규준이 준비되어 있으나, 타 연령 규준과의

비교가 아니라 연구대상의 교생실습 전후에 전두엽기능의 차이를 보려 하였으므로 과제 제

시라는 목적에는 충실한 도구이다. 아동용 검사와 성인용 검사와 과제의 성격이 숫자와 문자

라는 차이 정도로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1) CCTT(Children's Color Trails Test) 검사 : 아동 색 선로 검사

CCTT-1형은 지면 위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숫자들을 순서대로 선을 그어 연결시키는 것

으로 주의지속력과 정신운동속도가 주로 요구된다. CCTT-2형은 숫자와 색상을 번갈아가며

순서대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주의전환과 집중력, 즉시기억력, 숫자와 색상에 대한 즉시재인

Page 8: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등 1형보다 복잡한 정신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목표 자극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융통성 있게 주의를 전환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으며, 주의력 및 전두엽 기능

을 보다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숫자가 그려진 원을 선으로 연결하

는 완성시간과 오류 수가 검사의 측정치가 된다.

(2) 스트룹(STROOP Color And Word Test) 검사: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스트룹 검사(Stroop test)는 인지과정 중에서 억제 기능을 측정하며(Dempster, 1992), 선택

적 주의력 즉 경합하는 반응이 존재할 때 이를 억제하고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의 전략

을 발휘하는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신민섭, 박민주, 2007). 검사의 구성은 단어,

색상, 색상-단어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페이지를 읽는 데는 45초가 주어지며, 단어 페

이지에서는 단어를, 색상 페이지에서는 색상의 이름을, 색상-단어 페이지에서는 단어의 의미

와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단어의 색상 이름을 빨리 읽고 그 개수를 측정한다. 간섭 점수는 색

상점수에서 색상-단어점수를 뺀 점수이다.

3. 연구절차와 자료분석

1) 연구절차

연구대상인 4학년 학생들이 교생실습을 가기 전, 학기 초에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상태에서

설문조사와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이나 행사 등 스마트폰 사용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최소화한 시점에 실시하였다.

또한 사후검사는 연구대상 학생들이 교생실습을 다녀온 직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

습기간인 1개월여동안 스마트폰 사용제한이 있었을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사용제한의

영향이 약해지기 전에 실습종료일 이후 첫 등교일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2) 자료분석

CCTT 검사의 측정치 원점수는 완성시간이며, 스트룹 검사의 측정치 원점수는 단어 개수이

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생이므로 규준을 적용하지 않고 시간과 단어 개수의 원점수를 그

대로 사용하였다.

집단의 사전과 사후 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상위와 하위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Page 9: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89

Ⅲ.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전두엽 기능이 좋을수록 CCTT검사점수인 시간은 단축되며, 스트룹 검사점수

인 단어 읽은 개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

스마트폰 사용시간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기간 전후 전두엽 기능 검

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 표 2, 3과 같다.

<표 2> 사용시간 상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n M sd t

CCTT1사전 18 11.18 3.52

1.386사후 18 9.82 1.60

CCTT2사전 18 26.82 5.06

1.864사후 18 22.55 5.61

스트룹-단어사전 18 114.36 11.17

-1.725사후 18 120.82 15.74

스트룹-색상사전 18 92.73 10.47

-.688사후 18 94.27 9.26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8 58.91 11.32

-2.995*사후 18 64.64 9.78

스트룹-간섭사전 18 33.82 8.51

.962사후 18 30.55 6.50

*p<.05

사용시간이 많은 학생들은 스트룹 단어-색상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한 것이 스트룹 단어-색상 점수의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표 3에 의하면 사용시간이 적은 학생들의 CCTT 1,2 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룹 검사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

한 것이 전두엽 기능의 전반적인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용시간 하위 30% 집단

은 스마트폰 사용의 억제가 사용시간 상위 30% 집단보다 전두엽 기능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Page 10: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n M sd t

CCTT1사전 14 12.27 2.31

3.300**

사후 14 9.73 1.91

CCTT2사전 14 29.80 6.78

5.133***

사후 14 23.60 5.41

스트룹-단어사전 14 109.93 9.22

-2.500*

사후 14 116.80 11.01

스트룹-색상사전 14 85.73 10.25

-3.310**사후 14 93.80 9.87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4 56.73 13.49

-5.158***사후 14 65.20 11.92

스트룹-간섭사전 14 29.00 9.10

-.090사후 14 29.27 8.13

n M sd t

CCTT1사전 14 13.82 5.46

3.193*사후 14 8.64 2.42

CCTT2사전 14 26.27 4.52

2.514*

사후 14 21.18 6.06

스트룹-단어사전 14 105.73 10.37

-2.835*

사후 14 115.36 15.57

스트룹-색상사전 14 84.82 9.42

-2.941*

사후 14 91.36 8.45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4 55.55 11.54

-5.631***

사후 14 65.73 9.36

스트룹-간섭사전 14 29.27 7.09

1.789사후 14 25.64 8.36

<표 3> 사용시간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p<.05, ***p<.001

2. 스마트폰 사용기간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

스마트폰 사용기간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기간 전후 전두엽 기능 검

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 표 4, 5와 같다.

<표 4>사용기간 상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p<.05, **p<.01, ***p<.001

사용기간이 긴 학생들의 CCTT 1,2 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룹 검사점수는 유

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한 것이 전두엽 기능

Page 11: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91

n M sd t

CCTT1사전 14 14.57 6.66

2.414사후 14 8.86 1.77

CCTT2사전 14 25.57 4.35

1.088사후 14 21.29 7.63

스트룹-단어사전 14 107.86 13.87

-2.228사후 14 118.14 12.56

스트룹-색상사전 14 88.14 10.50

-1.419사후 14 92.86 11.32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4 56.14 6.91

-4.041*

사후 14 66.57 7.61

스트룹-간섭사전 14 32.00 6.53

3.714*사후 14 26.29 6.26

의 전반적인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5> 사용기간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p<.05

사용기간이 짧은 학생들의 스트룹 단어-색상 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스트룹 간섭

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한 것이 전

두엽 기능의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3. 스마트폰 사용비율에 따른 교생실습 전후의 전두엽 기능검사 차이

스마트폰 사용기비율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기간 전후 전두엽 기능

검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 표 6, 7과 같다.

표 6에 의하면 사용비율이 높은 학생들은 스트룹 단어-색상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한 증가

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한 것이 스트룹 단어-색상

점수의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표 7에 의하면 사용비율이 낮은 학생들의 CCTT 1 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룹 검사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교생실습 기간동안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

한 것이 전두엽 기능의 전반적인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용비율 하위 30% 집단

은 스마트폰 사용의 억제가 더 사용비율 상위 30% 집단보다 전두엽 기능의 향상에 큰 영향

을 준다고 볼 수 있다.

Page 12: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n M sd t

CCTT1사전 16 10.92 3.33

1.477사후 16 9.69 1.70

CCTT2사전 16 26.92 5.78

2.172사후 16 22.38 5.17

스트룹-단어사전 16 112.62 11.12

-2.017사후 16 119.15 15.48

스트룹-색상사전 16 90.62 12.09

-1.116사후 16 93.23 8.89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6 57.92 10.84

-3.606**

사후 16 64.00 9.86

스트룹-간섭사전 16 32.69 8.78

.812사후 16 30.00 6.72

n M sd t

CCTT1사전 15 14.00 5.03

3.252**사후 15 9.00 2.26

CCTT2사전 15 25.92 7.04

1.525사후 15 22.58 6.61

스트룹-단어사전 15 104.67 8.36

-3.298**사후 15 116.67 14.51

스트룹-색상사전 15 83.58 9.34

-3.839**사후 15 92.25 10.72

스트룹-단어 색상사전 15 57.17 11.92

-5.776***

사후 15 69.33 10.86

스트룹-간섭사전 15 25.75 9.50

1.357사후 15 22.92 7.29

<표 6>사용비율 상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p<.01

<표 7> 사용비율 하위 30% 집단의 교생실습 전후 검사 차이

**p<.01, ***p<.001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그 결과를 요약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시간이 많은 학생들은 스트룹 단어-색상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

내었으나, 사용시간이 적은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하였다. 이

는 사용시간이 많은 상위 30% 집단보다 사용시간이 적은 하위 30%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향

상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순차적 처리능력 및 범주들간을 교대로 이동하여 움직

Page 13: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93

이는 것은 친숙한 반응을 억제하고 보다 새롭고 복잡한 반응을 하는 능력을 요구하는데, 이

러한 능력들은 전두엽 기능과 관련된 것이다(신민섭, 구훈정, 2007). 즉, 스마트폰을 적은 시

간 사용할 경우 전두엽의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기능 향상 또한 빠르

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이인희(2015)의 연구에서도 35세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

성이 높다고 보고되어진바,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필요한 기능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만 짧

은 시간 내에 꼭 필요한 것만 집중적으로 사용 하는 것이 전두엽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둘째, 사용기간이 긴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사용기간이 짧은 학생들의 스트룹 단어-색상 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스트룹 간섭 점

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즉, 사용기간이 짧은 하위 30% 집단보다 기간이 긴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향상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사용기간이 길다

하더라도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면 전두엽 기능이 회복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간섭 점수가

낮은 것은 전두엽 기능 중에서도 매우 융통성 있고 과제 요구에 반응하는 능력이 우수한 정

도를 나타내는데(신민섭, 박민주, 2007), 깨어있는 동안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비중이 낮은

집단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 사용 비중이 적은 집단은 전두

엽 기능이 더 우수하며, 스마트폰 사용 비중이 높을수록 전두엽 기능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사용을 절제하는 것이 전두엽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준오, 김은정(2015)에 의해 스마트폰 사용의 중재를 통해 정

신건강을 지키기 위한 교육 연수가 제공되어질 필요가 있다는 연구와 함께 앞으로 예비유아

교사들을 위한 스마트폰 중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쨰, 사용비율이 높은 학생들은 스트룹 단어-색상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

내었으나, 사용비율이 낮은 학생들의 전두엽 기능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

다. 사용비율이 많은 상위 30% 집단보다 사용비율이 낮은 하위 30% 학생의 전두엽 기능향상

이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용시간의 결과와 같이 스마트폰을 적은 비율

로 사용할 경우 전두엽의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으로 향상 또한 빠르게 되

었음을 시사한다. 전혜연, 현명호, 전영민(2011)의 연구에서도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인터넷 중독진단검사를 사용하여 검사를 한 결

과, 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이 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가 저하되었음을 밝힘으로써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교사 개인에게 있어서도 문제해결력이나 사회적 능력에 따른 결여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교사로서 공감이나 정서 등 유아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서론에서도 제시한 뇌의 가소성에 대해 설명하는

Page 14: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Ratey(2010)과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으며, 김홍근(2001)의 전두엽에 이상이 생길 경우,

판단력, 통찰력, 인지적 유연성, 창의성, 계획력, 추상적 사고 등 생활에서 일처리 능력의 감

퇴, 신중성 저하, 책임감 감소 등 여러 적응적 행동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와도 그 의견을 같이 한다고 하겠다. 즉, 스마트폰을 필요와 목적에 의함보다는 습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은 전두엽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전두엽은 뇌에서 융통성 있고 과제요구에 반응하는 능력 및 자기통제력을 관장하는 영역

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지속적인 만족지연 훈련을 통해 더 활성화될 수 있다. 현대사회의

학업성취나 인성 등은 전두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반대로, 즉각적인 만족의 추구를

지속하면 전두엽 기능을 저하시킨다. 예를 들면, 컴퓨터 게임의 즉각적 보상체계가 그러하다.

따라서 게임중독이 있는 사람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 경우가 많이 보도되고 있으며, 게임중

독 관련법까지 발의되기도 했다. 서론에 제시한 장보근(2011)의 연구에서와 같이 즉각적인

만족,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게 되면 전두엽 기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은 이

러한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에 많이 노출되지 않을수록 전두엽

기능의 손상이 적을 것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휴식을 취

하는 중이나 지하철 등에서 무심코 들여다보지 말고 사용 목적을 분명히 하여 사용하면 도움

이 된다. 전화 통화, 뉴스 검색, 문자 주고받기 등 특정 목적으로 이용한 후에는 바로 스마트

기기에서 눈을 떼는 습관이 중요하다(시사저널, 2011.05.19.).

또한 김희재(2014)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무와 무관한 인터넷 실제 사용시간이 크다는

것을 보고하며 자신의 업무와 관련없는 인터넷 활동을 오랜 시간 하게 되면 중독으로 인해

가정, 사회, 조직, 국가의 엄청난 손실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전두엽은 자신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고려와 타인의 정서적 성서적 상태에 대한 고려 간의 융통성 있는 전환

을 할 수 있는 경향성인 공감능력을 결정(김상윤, 2010)하는데, 이러한 전두엽의 발달은 유아

들의 기본생활습관과 이타심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최근 유아교육에서도 전두엽 발달과 관

련된 정서교육이 활발하여 생태교육과정이나 숲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현장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이 도입되어도 유아를 교육해야 하는 유아

교사가 전두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전두엽 교육이 활성화되기 힘들다. 이에 유

아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을 받으며 준비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전

두엽 기능저하에 대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체계에 경종을 울려줄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므로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의 즉각적 만족을 가져오는 체제

가 미래의 주역인 영유아를 교육할 예비유아교사들의 전두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고, 유아교육학적인 측면에서 조명하여 교사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Page 15: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95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스마트폰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용과 건강한 사용에 대해 스스로 인

식하게 하며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줄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 대학 두 곳의 예비유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추후 지역과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 되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의 검사들이 아동용으로 제작되어 14세까지의 규준으로

되어 진 것이다. 본 연구가 타 연령 규준과의 비교가 아니라 집단 내의 전두엽 능력을 측정하

는 과제를 수행하는데만 목적이 있고, 아동용 검사와 성인용 검사와 과제의 성격이 크게 다

르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였으나, 추후에는 성인용 검사로 연구하여 비교해 볼 필

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이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기간이 교생 실습기간이

라 사료되어 전두엽 기능검사를 교생실습 전후로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으나, 정

확히 억제되어진 정도가 주관적이므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 실험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예

비유아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Page 16: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참고문헌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김대환(201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건강형태 및 정신건강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2), 1-10.

김상윤(2010). 아동발달. 서울: 학지사.

김유미(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 서울: 학지사.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2014). 유아기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3(1): 199-219.

김희재(2014).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을 통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진단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7(3), 1-10.

남영옥, 이상준(2005).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정신건강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3), 195-22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박선해, 조준오, 정희남(2010).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생태

유아교육연구, 9(2), 23-39.

방송통신위원회(2011). 유무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 (2011년 1월말 기준). www.kcc.go.kr

(2013). 유무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 (2013년 1월말 기준). www.kcc.go.kr

봉은주, 하윤주(2013).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성인아이 성향,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14(10). 5037-5047.

신민섭, 구훈정(2007). 임상 심리학회 : 포스터발표 ; 한국판 아동 색 선로 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

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48-649.

신민섭, 박민주(2007).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 실시요강. 서울: 학지사.

이상민, 한문승, 박정선(2011). 스마트폰 이용 저해요인 분석과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안전경

영과학회지, 13(4): 237-245.

이상신, 유병국, 김양태, 김희숙 (2007). 안와전두피질의 기능. 생물치료정신의학, 13(1), 36-44.

이주연(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 앱에 대한 부모 인식조사-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

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언,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2011).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3(2), 92-104.

이시형(2005). 우뇌가 희망이다. 서울: 풀잎.

이원석, 성영화(2013).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Page 17: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97

이인희(2015). 중·장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미연(2010).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장보근(2011). 뇌를 살리는 부모, 뇌를 망치는 부모. 경기: 예담.

전세일(2003). 뇌와 앎과 기쁨. 한국정신과학 학술대회 논문집18 (pp.91-98).

전혜연, 현명호, 전영민(2011). 경험논문: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 한국심리

학회지 건강, 16(1): 215-229.

조준오, 김성숙, 송주연(2014). 예비유아교사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정신건강과의 관

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31-152.

조준오, 김은정(2015). 예비보육교사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싱건강 간의 관계. 생

태유아교육연구, 14(3), 115-139.

하태민(2008). 심리적 안녕감과 뇌교육적 함의. 뇌교육연구 2, 47-75.

황태경(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시사저널(2011.05.19). 무심코 터치에 심신 망가진다.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103.에서 인출.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SBS뉴스(2012.11.19.). 스마트폰 중독 어린이 뇌 반응 이상…팝콘브레인.

http://news.nate.com/view/20121119n32859.에서 인출.

(2013.01.14.). 잘 때까지 놓지 않아요. 마약이 된 스마트폰.에서 인출.

http://news.nate.com/view/20130114n31925?modit=1358209987.에서 인출.

YTN뉴스(2012.11.24.). 엄마 미워! 무엇에 중독 됐길래 이런 그림을?.

http://www.ytn.co.kr/_ln/0105_201211240811309096]에서 인출.

Dempster.(1992). “The rise and fall of the inhibitory mechanism : Toward a unified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aging”.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3, 23.

Gardner, H.(2007). Mutiple intelligences. 다중지능. (문용린, 유경재 역). 서울: 웅진싱크빅. (원저

2006 출판)

Goleman, D., Boyatzis, R. E., &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

Ratey, J. J.(2010). A user's guide to the brain. 하버드 정신의학 교수가 밝히는 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 (김소희 역). 경기도: 21세기 북스. (원저 2002 출판)

Page 18: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스마트폰 사용과 전두엽 기능 간의 관계 연구 하연희**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Abstract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using smartphones and the frontal

lobe functions of the Pre-early childhood teachers

Yeon Hee Ha · Shin Young Kang

In this study in smartphone use status is a serious group of college students who alternate

lighting in terms of the problem of the smartphone use of educational chil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50 senior students who were recruited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P

university and S university in Busan city. And among them two groups, one had over than 70%

scores and another had lower than 30% scores in time, period and ratio of use smart phone, were

compared by questionaries relating the use of smartphone and prefrontal function test(CCTT,

stroop test) scores. As a result, the trial period earlier, students improved overall functionality of

the frontal lobe after the trial period. It was the impact on the frontal lobe of smartphone users of

smartphone users, and teachers to personally know better by to have awareness, socialPreliminary

data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eacher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