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I. 배배 ▶ “ 인인” 인인 “ ui`o,j tou/ avnqrwpou/” 인인 인인인 인인인 bar nash a 인인 bar enasha 인 인인인인 ben adam 인 인인 인인인 인인 - 인인인인 인인인 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인 인인 인인 인인 8:4, 80:17, 144:3(ben enosh) 인인 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인 인인 80:17 인인 인 “인인”인 인인 인인인인인 , 인인 “인인”인인 인인 인인인 “ 인인인인 인인인 인인 인인” (Mortal), “ 인 인인” (O mortal, 인인인인인 “ 인인” ) 인인 인인인 인인인인인 인인인인인 인인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93 인 인인 인인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인인인 인 인인인 인인 - 인인인인 인인인인 인인인인인인 인인인인 인인인인 인 인인’인인인 인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인인인 7:13

I. 배경

Embed Size (px)

DESCRIPTION

I. 배경. ▶ “ 인자 ” 혹은 “ ui`o,j tou/ avnqrwpou/ ” 라는 용어는 아람어 bar nasha 혹은 bar enasha 와 히브리어 ben adam 에 대한 헬라어 번역 - 구약성서 내에서 이 용어는 시편과 에스겔 그리고 다니엘에 나옴 시편 ① 시편 8:4, 80:17, 144:3( ben enosh ) 에서 이 용어는 동의어 병행구절 ② 시편 80:17 에서 그 “ 사람 ” 은 왕을 가리키지만 , 단지 “ 사람 ” 이란 의미 에스겔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I.  배경

I. 배경

▶ “ 인자” 혹은 “ ui`o,j tou/ avnqrwpou/” 라는 용어는 아람어 bar nasha 혹은

bar enasha 와 히브리어 ben adam 에 대한 헬라어 번역 - 구약성서 내에서 이 용어는 시편과 에스겔 그리고 다니엘에 나옴 시편 ① 시편 8:4, 80:17, 144:3(ben enosh) 에서 이 용어는 동의어 병행구절 ② 시편 80:17 에서 그 “사람”은 왕을 가리키지만 , 단지 “사람”이란 의미 에스겔 “ 죽어야할 운명을 지닌 인간” (Mortal), “ 그 인간” (O mortal, 문자적으로 “ 인자” ) 이란 표현은 하나님께서 선지자에게 말씀하시는 호칭의 형태로

93 번 등장 → ① 일반적으로 일치된 견해는 복음서들에서 이 칭호의 사용 - 시편이나 에스겔의 용법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았다는 것 ② ‘ 인자’표현을 사용하는 중요한 구절은 다니엘 7:13

Page 2: I.  배경

- 학파 3

▶ 학파 3

① 그 표현이 칭호로서 기능을 할 수 있었다는 점을 부인하는 주장

② ui`o,j tou/ avnqrwpou/ 가 예수가 사용한 bar enasha 의 보다 부정확한 번역이라고 가정

③ 인자 표현의 진정성에 관해 논증하는 것

④ 현재의 헬라어 칭호가 예수께서 bar enasha 를 칭호의 방식으로 사용하셨다는 그릇된 느낌을 주고 있음을 논증

⑤ 예수께서 이 표현을 통해 의미하셨던 바가 무엇인가에 관해서는 전혀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음

Page 3: I.  배경

- 동네 이름으로서의 ‘나사렛’

▶ 동네 이름으로서의 ‘나사렛’ ① ‘ 나자렛’ ( Nazare,q 과 Nazaret, 두 가지 표기법이 나타남 ) 은 신약 성경에 모두

12 회 출현 ( 마 2:23; 4:13; 21:11; 막 1:9; 눅 1:26; 2:4, 39, 51; 4:16;요 1:45, 45; 행 10:38)

② 히브리어로 옮길 경우 ( 나쯔랏 ) ▶ ‘ 나사렛’의 언어유희 ① 민 6:1-23 의 나실인 () 과 연관시키는 해석은 예수가 ‘나실인’으로 지내셨다는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받아들이기 어려움 ② 마태는 메시야를 가리켜 ‘한 가지’라고 부른 이사야의 예언 ( 사 11:1) 을 염두에 둠 ③ ‘ 한 가지’란 히브리어 ‘네째르’를 번역한 것인데 , 나사렛의 히브리어 발음 ‘나쯔랏’

과 유사 ④ 마태는 이를 약간 변형시켜 ‘나사렛 사람’ ( 히브리어로는 , ‘ 노쯔리’ 또는 , ‘

나쯔라티’ ) 이라는 칭호를 예수에게 주며 , 이를 헬라어로는 Nazwrai/oj (‘나조라이오스’ ) 라고 음역

⑤ 히브리인의 문학에서 드물지 않은 언어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