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위탁연구 2011-05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 가 실려 있습니다.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박경수․이채식․이형렬․이세영․박현주․박영미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탁연구 2011-05

본 보고서의 우측 상단에는 시각장애인을 한 음성변환용 바코드 보이스아이(VOICEYE)가 실려 있습니다.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박경수․이채식․이형렬․이세 ․박 주․박 미

Page 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집 필 진 ․수 탁 기 : 성공회 학교 산학 력단

․책임연구자 : 박경수 (한양사이버 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 이채식 (우송정보 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형렬 ( 보건 학교 노인보건복지과 교수)

․연구보조원 : 이세 (일본여자 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박 주 (서울시립 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박 미 ( 시시립장애인종합복지 직업재활 )

자문위원

(가나다순)

김동기 (목원 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재익 (강남굿잡자립생활센터 소장)

이정주 (성남시 한마음복지 장)

윤재 (삼육 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본 보고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탁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이며, 본 서에 수록된 내용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공식 인 의견을 반 하는

것이 아님을 밝 둡니다.

Page 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i

목 차

Abstract ································································································· 1

연구요약 ································································································ 3

제1장 서론 ·························································································· 11

제1 연구의 필요성 목 ························································ 11

1. 문제제기 연구목 ···························································· 11

2. 연구내용 ················································································· 13

제2 연구 방법 ············································································· 13

1. 문헌연구 ················································································· 14

2. 설문조사 ················································································· 14

3. 심층면 조사 ·········································································· 15

4. 조사 상자 선정 ····································································· 16

5. 연구조사과정 ·········································································· 19

6. 연구의 한계 ········································································ 19

제2장 이론 배경 ·············································································· 23

제1 자립생활개념의 이해 ····························································· 23

1.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의 확립과정 ········································· 23

2. 자립생활 이념 의의 ·························································· 26

3. 각국의 장애인 자립생활운동 개념의 확립과정 ················· 29

Page 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ii

4. 국내 장애인 자립생활운동 개념의 확립과정 ···················· 43

제2 자립생활의 구성요소 결정요인 ········································ 59

1. 장애인 자립생활의 구성요소 ·················································· 59

2. 자립생활 결정요인 ································································· 62

제3 자립생활과 고용과의 계성 ··············································· 70

1. 자립생활에 있어서 직업의 요성 ········································· 70

2. 자립생활이 장애인고용에 미치는 향 ·································· 71

3. 자립생활 패러다임 향에 의한 고용지원서비스 ··················· 73

제3장 조사결과 분석 ··········································································· 75

제1 양 조사결과 ······································································· 75

1. 조사개요 ················································································· 75

2. 조사결과 ················································································· 83

제2 질 조사결과 ···································································· 132

1. 조사개요 ··············································································· 132

2. 연구참여자의 일반 특성 ···················································· 137

3. 조사결과 ··············································································· 140

제3 조사결과의 시사 ····························································· 162

1. 조사 상자의 특성 ······························································ 162

2. 일상생활정도 ········································································ 165

3. 조사 상자의 자립생활 특성 ················································ 166

4. 조사 상자의 취업 련 특성 ················································ 170

5. 조사 상자의 자립생활 향요인 ········································· 174

Page 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iii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 181

제1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 련 인 라구축 ················ 181

1. 복지혜택 유보기 완화 ······················································· 181

2. 활동지원서비스 확 ···························································· 183

3. 주택확보 주거환경 개선 ·················································· 184

제2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 185

1. 기 체력 교육 로그램에 한 리 ·························· 185

2. 취업경험 이미지 트 이닝 ···················································· 186

3. 근로지원인 지원체계의 정비 홍보 ·································· 187

4. 유연근무제 확 실시 ···························································· 188

5. 동료상담가 과정 제도화 ······················································· 188

6. 자립생활센터의 제도화 ························································· 189

7. 직업훈련 단계별 트 제 운 ·············································· 189

참고문헌 ···························································································· 191

[부록1] 설문조사표 ············································································ 201

[부록2] 심층면 조사지 ····································································· 210

[부록3] 심층면 상자 사례 개요 ···················································· 211

Page 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iv

표목차

<표 1-1> 설문지 배부 회수 황 ····································································· 17

<표 2-1> 미국 자립생활센터의 구체 인 서비스 ················································ 30

<표 2-2> 지역사회 자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 ················································ 31

<표 2-3> 자립을 한 과학 인 연구 개발내용 ············································· 32

<표 2-4> IL센터의 연방정부보조 수 조건 ······················································ 33

<표 2-5> 증장애인의 범 ··············································································· 46

<표 2-6> 장애등 장애유형별 분포 ······························································ 47

<표 2-7>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의 장애등 ····················································· 47

<표 2-8> 2005년 2008년 월 평균 총 가구 소득액의 비교 ····························· 48

<표 2-9> 등록 장애인 등의 월평균개인 소득(2008) ············································ 48

<표 2-10> 특수학교 수 학 ·········································································· 50

<표 2-11> 장애정도별 경제활동상태 추정 ··························································· 51

<표 2-12>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 ··········································· 52

<표 2-13>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되는 선택 서비스 ··········································· 53

<표 2-14> 서울시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조례가 있는 7개구 ·························· 55

<표 2-15> 25개 자치구 등록장애인 황 ···························································· 56

<표 2-16> 서울시 자치구 재정자립도 황 ························································· 57

<표 3-1> 조사지 구성 ·························································································· 76

<표 3-2> 설문지 배부 회수 황 ····································································· 82

<표 3-3> 응답자의 인구사회학 특성 ································································ 84

<표 3-4> 응답자의 인구사회학 특성(계속) ······················································· 85

<표 3-5> 응답자의 경제 특성 ·········································································· 86

Page 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v

<표 3-6> 장애유형 ······························································································· 87

<표 3-7> 복장애 장애등 ·········································································· 88

<표 3-8> 일상생활능력(ADL) ·············································································· 90

<표 3-9> 주 도움 제공자 ····················································································· 91

<표 3-10> 의료서비스 특성 ················································································· 91

<표 3-11> 필요 의료서비스( 복응답) ································································· 92

<표 3-12> 활동보조서비스 ··················································································· 93

<표 3-13> 활동보조서비스(계속) ·········································································· 94

<표 3-14> 자립생활 - 자기신뢰 ··········································································· 95

<표 3-15> 자립생활 - 자기결정 ··········································································· 96

<표 3-16> 자립생활 - 자기역량강화 ···································································· 97

<표 3-17> 자립생활 - 가족 계 ··········································································· 98

<표 3-18> 자립생활 - 이웃 동료 계 ····························································· 99

<표 3-19> 자립생활 - 복잡한 인 계 ····························································· 100

<표 3-20> 자립생활 - 공동체 계 ···································································· 101

<표 3-21> 자립생활 - 생산성 ············································································ 102

<표 3-22> 자립생활 - 사회환경 ········································································· 102

<표 3-23> 자립생활 선행요소 ············································································ 103

<표 3-24> 취업특성 ··························································································· 104

<표 3-25> 직무유형 ··························································································· 105

<표 3-26> 근로지원서비스 이용여부 ·································································· 106

<표 3-27> 근로지원 서비스 만족도 ··································································· 106

<표 3-28> 근로지원서비스 만족도(계속) ···························································· 107

<표 3-29>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 ·································································· 108

<표 3-30>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계속) ························································ 109

<표 3-31> 일한 없는 이유 ············································································ 111

<표 3-32> 일을 시작(지속)함에 있어 필요한 것 ················································ 112

Page 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vi

<표 3-33> 희망업종( 복응답) ··········································································· 113

<표 3-34> 취업 비도 ························································································ 114

<표 3-35> 취업 비도(계속) ··············································································· 115

<표 3-36> 취업 비도(계속) ··············································································· 116

<표 3-37> 취업 비도(계속) ··············································································· 117

<표 3-38> 인구사회학 요인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0

<표 3-39> 거주지 형태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1

<표 3-40>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2

<표 3-41> 장애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4

<표 3-42> 일상생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5

<표 3-43> 취업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 127

<표 3-44> 취업 비도에 따른 자립생활정도 ····················································· 128

<표 3-45> 자립생활 련 요인간 상 계 ························································· 129

<표 3-46> 회귀모형 검증 ··················································································· 130

<표 3-47> 회귀분석 결과 ··················································································· 131

<표 3-48> 증장애인의 심층면 진행 일정 ···················································· 136

<표 3-49> 장 문가 심층면 진행 일정 ······················································· 136

<표 3-50> 증장애인 부모 심층면 진행 일정 ··············································· 137

<표 3-51> 분석결과에 한 범주화 ··································································· 140

<표 4-1> 의료비 지원 신청 흐름도 ··································································· 183

그림 목차

〔그림 2-1〕 장애인자립지원법에서의 고용지원 내용 ········································ 74

Page 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Abstract 1

Abstract

Study on employment support for severe disabilities

persons for settlement of independent living

Park, Kyung-Su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anyang Cyber University)

Lee, Che-Sik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Woosong Information College)

Lee, Hyung-Yeol

(Professor,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Daejeon Health Sciences College)

Recently, interest in employment in the independent living paradigm is

increasing. Therefore, disabilities persons self-help group in the traditional

personal assistant service, disability advocacy movement and beyond, and

unique busines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 is an evolving trend.

With severe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settle a truly

independent living link with the employment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facto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living and

vocational factors must be identified and measures that support should be

specifically sought, but the situation is not ma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mployment

associated with severe disabilities persons for settlement of independent

living.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ndependent living for severe

disabilities persons to ensure Labor policies and practical dimension.

Key words : Independent living, severe disabilities persons, Independent

living paradigm, employment support

Page 1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Page 1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연구요약 3

연구요약

⃞ 연구의 필요성 목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결정과 유지에 미치는 직업의 요인을 탐색

하고 증장애인에게 합한 고용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 이 있다.

직업재활 문가들은 재활의 가장 상 의 목표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한 노력을 시한 반면, 자립생활 활동가들은 취업을 자립생활이 지향하는 통

합된 목표의 하나의 요소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최근 직업을 통해 자립생활

을 하는 통합복지패러다임의 등장으로 직업재활을 자립생활 이념의 립

계로 보기보다는 자립생활의 일부로 보고 있다.

한 최근 자립생활 패러다임에서도 직업에 한 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립생활모델에 향을 받아 설립된 장애인 당사자 심의 단

체에서도 기존의 활동보조서비스, 장애운동과 권익옹호활동 등의 고유사업을

뛰어넘어 고용지원서비스를 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진정한 자립생활 정착을 해서는 고용

과의 연계가 매우 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에도 증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직

업요인과의 계성을 규명하고 그 지원방안을 구체 으로 모색한 연구는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자립생활을 희망하는 증장애인에게 근로보장을 해 정책 ․실

천 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할 방안마련에 한 기 자료로 본 연구는 유용성

이 있을 것이다.

Page 1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

⃞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한 이론 검토를 먼 실시하

여 자립생활의 의미와 향후 방향성에 한 검토를 하 다. 한 자립생활과

취업 고용 련 서비스의 연 성을 검토하고 국내 자립생활 련 제도

실태를 분석하 다. 한 련 법령 정부와 지자체(자립생활지원 조례 등)

의 지원체계에 한 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자료를 토 로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요인과 련된 선행연구

를 검토하고 취업 고용과 련된 자립생활 결정요인 해요인에 해

분석하 으며, 자립생활 결정 유지와 취업 고용과의 계를 설문조사

심층인터뷰를 통해 조사하 다.

이러한 다층 조사를 토 로 자립생활 유지를 한 효과 인 취업 고

용 지원방안을 모색하 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연구의 타당성 이론 검증,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을 모색하기 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개별 심층인터뷰조

사를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는 국내외의 증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자립의 개념 자립생활

척도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념 토 를 마련하는데 활용되었다.

설문조사는 자립생활센터(IL센터)를 이용하는 증장애인과 장애인복지

을 이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자립생활정착을 함에 있어 고용과

의 계성과 그 결정 인 요인이 무엇인지에 해 조사하는 것에 사용되었고,

심층면 조사는 설문조사에서 청취가 어려운 세부 인 내용과 증장애인에

자립생활을 정착함에 있어 해되는 요인의 세부 사항에 해 밝히고 보완

Page 1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연구요약 5

하기 해 실시되었다.

조사 상자 선정에 있어 설문조사는 취업을 경험하 거나 취업욕구를 가

지고 있는 장애인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고 있거나 장애인복지 등을 이

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여 장애유형, 거주지역 등을 기 으로

모집단인 장애인구 특성을 반 하 다. 본 조사의 모집단은 자립생활센터를

활용 인 증장애인으로 선정하 으나, 센터를 활용 인 증장애인과 복

지 등을 이용하거나 센터를 활용하지 않는 증장애인 간의 “자립”에 한

인식과 이해에 차이가 있어, 본 연구의 자문 원회(2011. 08 .23)와 간보고회

(2011. 09. 22)의 의견을 반 하여 상자 선정기 을 수정하 다. 이에 국

183개 장애인 련단체 25개 단체의 조를 받아 1,000부를 발송하 고, 총

504부를 회수하 으나 이들 기입에 문제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35부를

통계에 활용하 다. 심층면 조사의 상자는 증장애인 12명, 장실천가 3

명, 부모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조사의 취지와 합한 상자의 참여를 유

도하고자 조기 추천자에게 취지에 해 설명하고 이에 상자의 자원

을 받아 1:1 면 을 실시하 다.

⃞ 연구결과

〇 양 조사

분석은 SPSS 17.0 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 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평균비교, 상 계분석, 회귀분석 등이다.

조사 상자의 기본 특성은 성별은 남성 63.7%, 여성 36.3%로 남성의 비율

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퇴)이 46.5%로 반

가까운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거주지역은 도시가 66.5%로 과반수 고, 혼인

상태는 미혼이 77.6%로 높은 비율을 보 다. 기 생활보장수 여부는 해당없

음이 71.2%로 나타났고 기 생활 수 자는 22.0%로 나타났다. 거주형태는 가

Page 1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

족소유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분포

는 21~30세가 41.1%로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34.6세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경제 특성 개인 인 월수입여부는 50.4%는 없다고 응답하

고 평균수입은 약 83만원(201명 응답)으로 나타났다. 주 수입원은 취업으로

인한 여가 1순 가장 높은 비율을 보 고, 2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

족지원, 3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족지원, 장애연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장애유형은 지체장애가 27.6%로 가장 많았고, 뇌병변장애 18.9%,

지 장애 19.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복장애가 있다고 한 경우는 54명이었

는데 언어장애(38.9%)가 가장 많았다. 장애등 은 2 이 36.2%로 가장 많았으

나 1 32.1%, 3 31.7%로 비슷한 비율을 보 다.

일상생활능력 수평균은 2.8 (3 만 )으로 일상생활능력이 높은 편으

로 나타났고, 주로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어머니로 25.3%, 아버지가 19.6%로 주로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으로 부모가 차

지하고 있었다. 의료서비스는 54.6%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 고, 가장 많

이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는 재활치료(24.1%)로 나타났다. 상황 시

한 의료 조치를 받을 수 있는가에 해서는 ‘매우 그 다’라고 응답한 경우

가 29.4%로 가장 많았다.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과 련하여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가 72.5% 고, 활동보조 서비스에 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활동보조에

한 만족도 평균은 2.3 (5 만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도를 측정하기 하여 윤재 (2010)의 자립생활

척도를 활용하는데, 자기신뢰와 련된 척도범주에 한 조사결과는 체 으

로 정 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과 련된 척도범주에서도 스스로의 경제

상황과 의식주를 걱정하고 고민하는 부분에 있어 응답자들이 많은 고민을 하

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에 한 질문결과 장애연

Page 1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연구요약 7

등의 소득보장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

로는 고용지원(27.3%), 독립 인 주거지원(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취업 련 특성으로는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본 이 없는

경우가 39.5%로 가장 많았고 과거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경우가 31.4%,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가 29.2%로 나타났다.

취업 이거나 취업했던 직장에서 했던 일은 기타가 41.6%로 가장 많았고

컴퓨터 련 는 인쇄업이 18.2%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근로지원인 서비스는 응답자 260명 21.9%가 이용한 이 있다고 응답

하 고 만족도 평균은 2.7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일을 시작하거나 하고 있는 일을 지속하기 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에 해서 ‘일에 한 기술이나 자격 습득’으로 13.6%의 응답이 있었다. 그 다

음으로는 ‘ 정수 의 여’ 10.4%, ‘장애특성별 합직종 개발’ 9.6%, ‘고용주

동료의 장애에 한 배려’ 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업종에 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문가로 18.9%를 차지

하 다. 그 다음으로는 사무종사자 17.7%, 서비스 종사자 13.8%, 단순노무종사

자 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 비도에서는 1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직업 비도 척도를 이용하여 질

문하 다. 척도 체의 평균은 3.05 으로 100 만 으로 환산했을 때는 약

61 정도로 나타났다.

자립생활 향요인을 보기 해 각 변수들에 따른 자립생활도의 평균을

비교하 는데, 각 변수들간 자립생활도 평균차를 검증하기 하여 독립 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 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보는 요인인 자립생활 정도와 취업 비도와 상

계를 가지는 요인들을 각각 정리해보면 자립생활 정도는 취업 비도, 월 평균

수입, 교육 년 수, 장애등 이 상 계가 있는 것으로 정리되었고, 취업 비

도의 경우에는 자립생활 정도, 월 평균 수입, 교육 년 수와 상 계가 있는

Page 1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 계에서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다른 변수들과의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상 계

분석을 통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된 교육 년 수,

월 평균 수입, 장애정도, 취업 비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4개의 독립변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변수는 취업 비

도로 나타났다. 취업 비도 수가 높을수록 자립생활 수도 높아지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취업 비도와 자립생활과의 회귀 계를 통하여 취업에 한

비가 잘 된 증장애인 일수록 자립생활도 잘 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〇 질 조사

분석에는 일상 언어로 구성된 의미단 들을 변형하여 경험의 의미를 함축

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 다. 한 이 내용을 토 로 범주화 작업을 진

행하 으며 연 성이 있는 범주들을 찾아 상 범주와 하 범주로 구분하 다.

증장애인, 장 문가, 부모들은 자립요인으로 주거요인, 소득요인, 교육

요인, 의료요인, 인식요인, 근로지원요인에 해당되는 경험 사례를 들었다.

주거요인으로는 부모(가족)와의 갈등으로 부모가 과보호하는 것, 가족의 장

애에 한 몰이해 등을 들었으며 이러한 것들이 지역사회나 취업활동에 동참

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 지역주거 주민과의 갈등으로 주거지

선택과 확보의 어려움을 들었으며,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도 다수 거론되었다.

소득요인으로는 임 불안과 장시간 노동시간에 비해 턱없이 낮은 임 등

이다.

교육요인으로는 직업훈련 로그램의 다양성이 부재하다는 것과 취업연계

와 상 없는 시혜성 로그램이 남발되고 있다는 을 들었다.

의료요인으로는 의료비에 한 부담과 3차병원 이용에 한 부담을 들었

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취업활동을 하는 것을 주 하게 한다고 하 다.

Page 1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연구요약 9

인식요인으로는 증장애인에 한 이해부족으로 출퇴근 시의 어려움과

직장생활을 유지할 때 동화되지 못하는 어려움, 이로 인해 더욱 축되고 자

존감을 잃게 되는 등을 들었다.

근로지원요인으로는 근로연계 지원이 부족하다는 과 탄력 인 업무

시간 내용에 한 지 , 활동보조인과 근로보조인을 활용할 시의 운용방향

이나 방법에 한 의구심 등을 들었다.

⃞ 결론 제언

본 연구의 결론 제언은 먼 제1 에서는 자립생활정착을 해 고용지

원을 함에 있어서 사 에 구축되어야 할 인 라에 해서 소득, 주거지원을

심으로 논하고 있으며, 2 에서는 취업을 한 고용지원방안으로 양 , 질

조사에서 지 되었던 취업 비에 제되어야하는 직무의 다양성에 한 개발

에 해 언 하고, 취업 비와 과제에 해 구체 으로 어떠한 것들이 지원되

어야 하는 지에 해 논하고 있다.

제1 의 제언으로 첫 번째 복지혜택의 유보기 완화를 들었는데, 기 생

활수 자나 차상 계층에 있는 증장애인이 취업을 통하여 소득기 이 과

되어 수 권 상에서 제외될 경우, 개별 사정을 통하여 의료비 지원을 박탈

하는 것을 일정 기간 유 해주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는 활동지원서비스의 확 로 재 220시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확 하는

방안이다. 세 번째는 주택확보 주거환경의 개선으로 이러한 것이 제되어

야만 증장애인이 취업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2 의 제언으로는 증장애인의 기 체력 교육 로그램에 한

리를 들었으며, 두 번째로는 취업경험의 이미지 트 이닝으로 취업에 한

심상을 키우고 실에 맞는 감각을 익히는 로그램을 제언하 으며, 세 번째

로는 근로지원인 지원체계의 정비 홍보, 네 번째로는 유연근무제의 확 실

Page 1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

시, 다섯 번째로는 동료상담가 과정에 한 제도화를 제언하 고, 여섯째는 자

립생활센터의 제도화와 마지막으로 직업훈련 단계별 트 제 운 을 제언하

다.

와 같이 제언한 내용으로 복지 인 차원의 인 라가 구축 된 후 취업과

련된 구체 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착이 좀 더

용이해 질 것으로 분석된다.

Page 1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11

제 1 장

서 론

제1 연구의 필요성 목

1. 문제제기 연구목

최근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한 심축이 재활 패러다임에서 자립생활 패

러다임으로 환되고 있으며 특히 증장애인의 경우 자립생활을 통한 사회참

여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세계 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체계도 2000년 이후 지속 으로 진행된 탈시설

화 운동, 장애인자립생활 련 법률 제․개정, 활동보조인제도화, 장애인소득

보장제도 개선, 장애인 환센터 운 등 자립생활을 한 필요 정책과 서비스

도입을 통해 차 자립생활지원체계로 이동하고 있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장애인 자립생활의 완 한 성취를 해서는 우선 탈시설지원(소득․주거․

활동보조 등)과 더불어 자립생활 정착지원(직업, 의료, 교육 등)이 병행되어야

하는데 특히 자립생활 정착 시 노동을 통한 소비자성 강화를 한 방안으로

근로보장이 시되고 있다.

특히 증 재가장애인과 자립생활 장의 다수의 실천가들은 자립생활정

착 단계에서 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직업을 들고 있다. 즉 취업이 이루

어지지 않으면 진정한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없고 취업을 통한

Page 2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

소득으로 자신의 생활을 꾸려나가는 것이 자립생활의 가장 바람직한 모습으로

보고하고 있다.

과거 직업재활 문가들은 재활의 가장 상 의 목표로 장애인의 직업재활

에 한 노력을 시한 반면, 자립생활 활동가들은 취업을 자립생활이 지향하

는 통합된 목표의 하나의 요소로 간주해 왔다. 그러나 최근 직업을 통해 자립

생활을 하는 통합복지패러다임의 등장으로 직업재활을 자립생활 이념의

립 계로 보기보다는 자립생활의 일부로 보고 있다.

최근 자립생활 패러다임에서도 직업에 한 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립생활모델에 향을 받아 설립된 장애인 당사자 심의 단체에서도

기존의 활동보조서비스, 장애운동과 권익옹호활동 등의 고유사업을 뛰어넘어

고용지원서비스를 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진정한 자립생활 정착을 해서는 고용

과의 연계가 매우 요한 요인(Lachat, 1988; 타니구치 아키히로 외, 1999; 김

동기 외, 2008)1)이 되고 있음에도 증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직업요인과의

계성을 규명하고 그 지원방안을 구체 으로 모색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결정과 유지에 미치는 직업의 요인

을 탐색하고 증장애인에게 합한 고용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 이 있

다. 본 연구는 자립생활을 희망하는 증장애인에게 근로보장을 해 정책

․실천 차원에서 지원되어야 할 방안마련에 한 기 자료로 유용성이 있

을 것이다.

1) 자립생활의 거틀로 Lachat(1988)는 활동보조, 시민권/법, 커뮤니 이션, 교육/훈련, 고

용, 보장구,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택, 셀 어/일상생활, 자조 / 개인 인 성장, 사회/

여가, 이동 등으로 보고 있으며, 타니구치 아키히로 외(1999)는 ‘자립의 5 과제’로 신

변자립(활동보조), 경제 자립(사회보장, 직업), 주거환경의 자립(거주권), 정신 자립(

선택권, 자기결정권), 사회 자립(차별 지) 등을 들고 있다. 한편 김동기 외(2008)는 교

육지원, 자립생활기술훈련, 가퇴소 제도, 자립정착 의 실화, 주거지원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체계, 구매력(소득) 지원, 노동권지원 등을 자립생활의 요소로 보고 있다.

Page 2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13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한 이론 검토를 먼 실시하

여 자립생활의 의미와 향후 방향성에 한 검토를 하 다. 한 자립생활과

취업 고용 련 서비스의 연 성을 검토하고 국내 자립생활 련 제도

실태를 분석하 다. 한 련 법령 정부와 지자체(자립생활지원 조례 등)

의 지원체계에 한 황을 살펴보았다.

한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요인과 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취업

고용과 련된 자립생활 결정요인 해요인에 해 분석하고 자립생활 결

정 유지와 취업 고용과의 계를 설문조사 심층인터뷰를 통해 조사

하 다.

이러한 다층 조사를 토 로 자립생활 유지를 한 효과 인 취업 고

용 지원방안을 모색하 다.

제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연구의 타당성 이론 검증,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을 모색하기 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개별 심층인터뷰조

사를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는 국내외의 증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자립의 개념 자립생활

척도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념 토 를 마련하는데 활용되었다.

설문조사는 자립생활센터(IL센터)를 이용하는 증장애인과 장애인복지

을 이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자립생활정착을 함에 있어 고용과

의 계성과 그 결정 인 요인이 무엇인지에 해 조사하는 것에 사용되었고,

심층면 조사는 설문조사에서 청취가 어려운 세부 인 내용과 증장애인에

자립생활을 정착함에 있어 해되는 요인의 세부 사항에 해 밝히고 보완

하기 해 실시되었다.

Page 2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

1. 문헌연구

문헌연구를 통해 자립의 개념 자립생활척도에 한 이론 검토,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자립생활정착에 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해 악하

다. 특히 이론 차원에서는 자립의 개념, 의의 하여 국내외 이론을 논의

하고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정착과 고용과의 계성을 규명하고자 하 다.

문헌연구에서는 증장애인이 자립생활을 하기에 앞서 필수 이라고 볼

수 있는 탈시설 지원요인인 주거와 활동보조 그리고 탈시설을 통한 지역생활

을 뒷받침하는 자립생활정착요인인 소득, 의료, 교육의 요인과 신변자립에

한 요인에 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한 우리나라의 증장애인의 기본실태와 자립생활과 련된 정책 황을 살

펴보았으며 국내․외의 자립생활의 이론 정책에 한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2. 설문조사

자립생활정착요인에 한 실태조사 과정에는 설문조사 방식을 이용했다.

설문은 구조화된 질문과 개방형 질문을 복합구성한 반 구조화 설문지를 활용

했으며 설문조사의 내용은 신체 자립 내용에 한 일상생활에 한 내용,

탈시설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주거에 한 내용, 자립생활정착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소득, 의료, 교육, 고용요인을 범주로 해서 구성되었다.

특히 신변 자립에 있어서는 일상생활능력(ADL)과 수단 일상생활능력

(IADL)을, 탈시설요인인 주거에 해서는 주거형태와 가족동거여부를 소득에

해서는 월평균소득과 소득원을, 의료에 해서는 의료 도움 필요여부와

의료 근성을, 고용요인에 해서는 고용여부, 고용형태, 임 수 , 직무내

용 등, 교육에서는 교육기간과 최종학력 등을 알아보고자 하 다.

설문지 마지막 부분에서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정착에 한 개인 인

생각에 해 기술하도록 하 다.

Page 2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15

3. 심층면 조사

자립생활 연구에 한 국내 외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일상생활, 소득,

고용, 의료, 교육, 주거 등의 일반 으로 용되는 사항에 한 설문조사와 함

께 증장애인의 장애특성과 장애인개인의 생애 생활구조의 차이에 따라

개별 인 사례로 다루어 설문조사에서 구체 이고 세부 으로 청취하지 못했

던 부분을 보완하도록 하 다.

인터뷰 상자는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 등을 담당하고 있는 증장애

인, 재가장애인 등 개별에 한 조사와 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에서 활동

하고 있는 실천가 문가에 해 이루어졌다.

심층면 조사기법에 있어서는 면 과정을 녹취한 후 녹취내용을 풀어서

기록을 하 으며 기록내용을 지속 비교 근(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방법을 통해 범주화 하는 방식으로 자료 분석을 하 다. 구체 인 범주화는

장애인 개인에 한 경우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며 조사 상자가 자신의 생애

를 통한 생활력(life history)에 해 답한 것에 해 자립생활 취업과 련

하여 재구성하고 그 경험이 갖는 구체 인 의미를 고찰하 다. 한 실천가

문가의 경우는 센터 등을 활용하고 있는 장애인 개개인의 취업욕구의 다

양성(variation)과 문가의 에서 본 자립생활정착의 해요인에 해

장 상황을 재구성하여 구체 인 분석을 시도하 다.

면 은 개방형 질문조사를 해 조사 상자를 연구원이 직 방문하여

면 을 진행하 으며, 직업경험이 있는 증장애인과 증장애인 에서도

도장애인과 그 지 않은 장애인으로 나뉘어 이루어졌다. 직업경험이 없는

장애인에 해서도 자립생활정착을 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한 개별

면 을 일 일로 실시하 다.

Page 2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

4. 조사 상자 선정

가. 설문조사

본 조사의 모집단은 주로 도시 소도시에 있는 자립생활센터를 활

용하는 증장애인과 장애인복지 이나 이와 유사한 기 을 이용하고 있는

증장애인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는 15~65세 미만의 증장애인을 표본집

단으로 추출하 다. 조사는 취업을 경험하 거나 취업욕구를 가지고 있는 장

애인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고 있거나 장애인복지 등을 이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 다. 조사 상자의 선정은 장애유형, 거주지역 등을

기 으로 모집단인 장애인구 특성을 반 하여 상자를 선정하 다. 본 조사

의 모집단은 자립생활센터(이하 “센터”라고 함)를 활용 인 증장애인으로

선정하 으나, 센터를 활용 인 증장애인과 복지 등을 이용하거나 센터

를 활용하지 않는 증장애인 간의 “자립”에 한 인식과 이해에 차이가 있

어, 본 연구의 자문 원회(2011. 08 .23)와 간보고회(2011. 09. 22)의 의견을

반 하여 상자 선정기 을 수정하 다(이에 한 경과설명은 연구의 한계

부분을 참고). 이에 국의 등록장애인 15세이상 65세이하의 경제활동인구

의 증 1~3 에 해당되는 장애인 , 기존의 통계자료를 통해서는 증장애

인의 사례를 정확하게 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국의 장애인종합복지

시․청각장애인복지 , 뇌병변 뇌성마비복지 을 상으로 유선을 통해 연

구의 취지 상자에 해 설명한 후 조사 상자를 추천받아 설문조사를 실

시하 다.

국 183개 장애인 련단체 25개 단체의 조를 받아 1,000부를 발송하

고, 총 504부를 회수하 으나 이들 기입에 문제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35부를 통계에 활용하 다.

설문지 배부 회수 황은 다음 <표 1-1>과 같다.

Page 2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17

구분배포가능한

배포한

설문지

배부 황설문지 회수 황

합계 183 25 1,000 504

<표 1-1> 설문지 배부 회수 황

조사기간은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2개월간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

를 배포한 후 회수를 한 독려 화와 설문지에 한 질문 는 문의사항에

한 의문이 있는지에 한 화를 각 기 마다 3차례씩 진행하 다.

나. 심층면 조사

심층면 조사 참여자는 증장애인 당사자, 장실천가, 부모로 구성되어

있다. 증장애인 12명, 장실천가 문가 3명, 증장애인의 부모 2명이

기 의 추천 본인의 자원에 의해 심층면 에 응하 다.

조사 상자의 선정에 있어 본 조사의 취지와 합한 상자의 참여를 유

도하고자 조기 추천자에게 취지에 해 설명하고 이에 상자의 자원

을 받아 면 을 실시하 다.

1) 증장애인

면 상자인 증장애인은 무작 선정을 원칙으로 하 으나 증장애인

에 한 근의 한계로 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소개로 간사 는 동료상담

을 담당하고 있는 증장애인, 장 문가로부터 추천을 통해 소개받은 취업

경험이 있거나 취업욕구가 있는 증장애인이 심이 되었다.

심층면 은 녹취기록을 원칙으로 하 고, 연구 참여자의 정도에 따라 의사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녹취와 서면기록을 동시에 진행하 다.

Page 2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

2) 장실천가 문가

10년 이상 증장애인의 자립과 련된 직무에 종사하고 있거나 증장애

인과 련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장 문가를 상으로 하 고, 특히 증

장애인의 취업알선 취업활동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취업에 련된

업무에 한 지원욕구가 강한 장 문가의 자원을 통해 면 을 실시하 다.

심층면 은 녹취기록을 원칙으로 하 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추후 화를

통한 면 도 진행하 다.

3) 증장애인의 부모

증장애인인 자녀가 있는 부모의 자원으로 심층면 이 이루어졌으며,

복장애가 있는 자녀의 모친 1인과 자폐성장애가 있는 자녀의 모친 1인으로 구

성되었다. 녹취기록을 원칙으로 면 조사가 이루어졌다.

4) 자료수집방법

심층면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에 한 동의를 받은 후 일 일 개별면

으로 진행하 다. 면 은 2011년 9월 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사례 당 각 1

회기씩 심층면 경험이 있는 3명의 면 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Page 2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19

5. 연구조사과정

Step 1 문헌연구 국내자료 이론 검토 해외자료 검토

Step 2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에 한 련 법, 제도 검토

Step 3 증장애인 자립생활 황에 한 실태 악

Step 4 증장애인 자립생활정착요인과 고용의 계성에 한 논의

Step 5 증장애인 자립생활정착 요인에 한 설문조사 심층인터뷰조사 실시

Step 6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조사 분석

Step 7 증장애인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제시

6. 연구의 한계

가. 장애정도에 심을 둔 조사에 따른 한계

설문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유형의 장애인을 망라하 는데, 이는 신체

, 정신 으로 장애 유형별로 차이가 하고 개개인마다 특징이 있다는

을 감안했을 때 장애 유형에 맞는 다양한 욕구가 설문조사를 통해서 표출될

수 없는 한계 이 있다. 를 들면 시․청각장애인의 경우 신변자립이 가능한

경우가 부분이고 자립에 한 개념자체가 신체장애인이나 지 , 정신장애인

Page 2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0

과는 다른 노선으로 걸어왔던 부분이 있어 하나의 설문지에 이들 모든 장애인

의 욕구를 다양하게 표출되도록 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랐다. 한 정신장애인

의 경우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에서 이동상의 어려움과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측정하 을 때 정신장애인의 98.6%가 경도로 측정이 되어 거의 어려움을 호

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의 도움의 필요 정도도 51.2%가 혼

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

을 알기 해서는 도움을 받는가의 여부보다는 스스로의 리능력과 기술이

얼마큼 되느냐가 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조사에 있어서도 정신

장애인의 경우 그에 맞는 척도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유의미한 의미를 도출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립생활을 정착함에 있어 각 장애 유형별로 고용에 한

계성을 살펴보는 것 보다 장애의 정도, 즉 증도에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한계 을 노정할 수밖에 없다.

이에 후속 인 연구로 증장애인의 유형별 특징을 토 로 한 자립생활정

착에 한 고용지원방안 연구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나. 모집단의 표성의 한계

본 조사에서는 자립생활센터를 활용 인 취업을 하고 있거나 취업 경험

이 있는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고 있었으나 조사를 진행함에 따라 자립생

활센터를 활용하는 증장애인과 일반 재가 증장애인 간의 자립생활개념에

한 이해에 있어 간극이 있음을 발견하 다. 한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고

있는 증장애인의 경우 우리나라의 자립생활센터가 미국의 자립생활운동과도

맞물려 있는 을 고려하면, 미국이 자립생활운동의 개가 부분 신체장애

인을 심으로 진행된 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자립생활센터도 신체장애인,

특히 뇌병변장애인이 심이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애유형보다는 장애정

Page 2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1장 서론 21

도에 을 두고 있는 본 연구의 취지와는 맞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의 자문 원회(2011. 08 .23)와 간보고회(2011. 09. 22)의 의

견을 반 하여 상자선정기 을 수정하여,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는 증장

애인과 장애인복지 이와 동등한 기 을 활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설

문조사에 포함하 다. 따라서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이에 한 한계 에 유

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 심층면 조사 상자의 표성의 한계

심층면 조사에 있어 상자는 증장애인에 한 근의 한계로 인해 자

립생활센터 장애인종합복지 의 기 장의 소개 본인의 자원으로 상자

가 선정되었다. 이에 다양한 유형의 증장애인을 포함시키고자 했던 연구의

취지와는 다르게 신체장애인을 다수 포함하게 되었고, 지 장애인과 복장애

인의 경우 본인이 아닌 모친의 자원으로 면 조사가 진행되었다. 심층면 의

경우 당사자의 언사에서만 청취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태도나 행동에서

도 동기 욕구 등이 악 가능하다고 하고 있는 을 고려했을 때 당사자를

통해서 이러한 을 연구에 반 하지 못한 등이 한계로 남는다.

Page 3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Page 3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23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1 자립생활개념의 이해

본 에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개념의 확립과정을 살펴보고, 자립생활의

실천 차원의 근간이 되는 이념과 의의에 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한 반 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한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국, 일본의 각 국가별로 자

립생활운동과 개념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정책 실태를 악

하고자 한다.

1.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의 확립과정

장애인의 자립생활은 정치 (political), 이념 (ideal), 그리고 실천 (practical)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한다(김동호, 2000: 27, 윤재 , 2010: 재인용). 윤

재 (2010)에 따르면 정치 인 면은 장애인복지의 주도 역할이 문가에서

장애인으로 이 되어 가는 사회 운동을 자립생활이 표상한다는 것이며, 이

념 인 면은 사회 맥락에서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에 새롭고 주목할 만한 철

학 사상을 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실천 인 면은 자립생활이 장애인복

지를 해 구체 인 서비스로 활용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여기서는 이러한 자립생활이 가지고 있는 다른 차원의 개념을 토 로 자

립생활 운동이 구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 무엇을 성취하고자 개되어 왔

는지 선행연구를 기 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Page 3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

자립생활운동 = 사회운동의 성격

1960년 :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하고자 하는 미국의 증장애인들이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

1962년: UC. Berkely에서 Ed Robert와 그 동료들에 의해 자립생활운동이 개

1972년: 미국 최 로 CIL이 설립

1973년: 수정재활법 504조의 집행과 실행을 이끌어 냄

1990년: 장애인차별 지법 ADA 제정과 지역 시설들의 탈시설화를 이끌어냄.

가. 자립생활운동의 개과정

자립생활은 사회운동을 통해서 개되어 왔다. 이는 1960년 에 지역사회

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미국의 증장애인들이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자 하는 생각에서 출발하 으며 1962년 버클리 학(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에서 이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후 1972년 버클리 학에 미국 최 의

자립생활센터(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 CIL)가 Ed Robert2)에 의해 설

립되었다. Ed Robert에 의해 개된 자립생활운동은 이후 수정재활법

(Rehabilitation Act of 1973) 504조의 집행과 실행을 이끌어 내었고 1990년에

는 차별 지법 ADA(American with Disabilities Act)를 통과시키는데 결정

인 역할을 하 으며 탈시설화를 이끌어 낸 가장 요한 사회운동이다(성숙진,

2002:26, 윤재 , 2010:재인용).

○ 자립생활운동의 향

한 자립생활운동은 장애인 당사자가 주도한 운동으로 핵심참여자와 장

애인복지 문가(혹은 특정 이익집단)로 핵심참여자는 척수장애, 소아마비 등

2) 에드워드 로버츠(Edward Verne Roberts)는 소아마비로 인해 신체기능이 마비되어 왼손

의 두 손가락과 오른발이 두 발가락만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어머니의 지지 속에 학

업을 지속하여 Community College of San Mateo에서 정치학을 공했고 이후 1962년

UC Berkely에 진학하 고 이후 동료들과 CIL을 시작한다. 자립생활운동의 아버지로 불

린다.

Page 3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25

의 신체장애를 가진 청년과 은 성인이었다(Dejong, 1981: kim, 2008: 이익

섭·김경미·윤재 , 2007). 이 게 은 층과 신체장애인이 심이 된 이유는

운동의 근간이 학 공동체 때문이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고, 운동의 철학이

장애가 있는 고령자와 크게 연 지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후 자립생활센터는 10여개소가 1973년 재활법이 개정된 시 에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서서히 공공서비스 역에 가담하기 시작하나 재에 이르기까지

운동성은 지속되고 있다.

나. 자립생활운동의 패러다임 확립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설립되고 운동이 개되었던 원동력은 1960년 에

제공되었던 재활 로그램은 어떤 측면에서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했고, 문가들이 주도하는 재활서비스는 분 된 근방법(segregated

approaches)을 갖고 있어 장애인들의 욕구에 포 으로 응하는 체론 인

(holistic)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실패하 기(Condeluci, 1998: 6, 윤재 , 2009:

재인용)때문이다. 즉 의료재활 로그램은 신체 기능의 극 화를 자립이라고

하고 직업재활은 유 고용만을 자립이라고 봤으며, 그룹 홈은 지역사회에 그

룹지어 생활하는 것을 자립이라 여겼다(Cole, 1979: 459). 이러한 당시의 사회

환경 속에서 사회운동을 개하여 조직화된 모습으로 장애인정책의 반에 커

다란 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상은 자립생활이 장애인의 문제와 장애인복지

정책 그리고 장애연구를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의

미한다(Dejong, 1981: 7-33).

Dejong(1981)은 장애가 무 심해 재활서비스의 상이 되지 못했던 증

장애인들이 재활 문가의 도움 없이 자립생활을 해내고 있는(achieving

independence) 사실은 기존 과학(normal science)이 설명할 수 없는 외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보았으며, 자립생활운동으로 인해 수많은 외가 발생했기

Page 3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6

에 자립생활은 새로운 방식의 사고로 주목받게 될 것이며 결국 재활 패러다임

은 서서히 폐기될 것이라는 논의를 제기했다.

이러한 자립패러다임은 장애인의 사회모델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운동을 기

반으로 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이해되며(Braddock and Parish, 2001), '자기

결정권, 동등한 기회 그리고 자존감을 가지려는 장애인들의 운동이자 철학이

며(Morris, 2004), "지 까지 장애인문제를 근하는 새로운 들을 총체 으

로 담아내고 있는 것(김동호, 2000)으로 장애인의 문제, 이의 안, 이에 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된다(권선진, 2007)고 하고 있다.

2. 자립생활 이념 의의

자립생활이란 단순히 혼자 생활할 수 있다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 특히

증장애인의 경우 좀 더 복잡한 개념과 사회 환경 인 요인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자립생활의 철학 배경이 되는 이념과 그 의의를 살

펴보도록 하겠다.

먼 자립생활개념에 한 역사를 살펴보면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일하

게 시민권, 선택권, 그리고 선택한 것에 한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는 철학에

서 유래되었다(Gina Mcdonald & Mike Oxford ,2002: 12)고 하고 있다. 이에

해 미국의 DRC3)는 Miller te al(2006)을 인용하며,「모든 장애를 가진 사람

들은 통상 인 사회구성원이 집이나 직장에서 그러는 것처럼 다른 어떤 시민

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선택과 자유를 행사할 수 있는데 이것은 반드시 '장애

인을 해 모든 것을 다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어떤 실질 인

도움도 그 자신의 선택과 소망에 근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 한다」

고 정의하며, 장애인이 원하는 것을 모두 해줘야 하는 것이 자립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스스로가 어떠한 선택을 할 때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

3) Disability Rights Commission

Page 3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27

도록 지원하는 것이 자립이라고 하며 선택권에 해 강조하고 있다. ,

Kestenbaum(1999)은 개인 인 보조인을 얻는 것보다 더 많은 의미가 있는 것

이라고 정의하며 자립생활을 성취하기 해서는 주거, 활동보조, 주변 환경에

근 할 수 있는 이동권, 권익옹호와 훈련, 정보와 상담 그리고 보장구의 보조

가 필요하다고 하며, 자립생활에 실질 으로 필요하다고 고려되어지는 요인에

해 제언하 다. 즉 단순히 활동보조인만을 통해 신변 인 자립만을 하는 것

이 자립이 아니라, 일상생활이나 취업생활 등 실질 인 삶을 운 함에 있어

필요한 실질 인 요인을 합하게 활용하는 것이 자립이라는 것이다.

Harris(2000)는 개인 으로나 단체, 사회조직이 그들의 삶의 질을 극 화하여

일을 할 수 있게 하고 장애인의 처해있는 상황과 어떠한 목 을 성취하기

해 하는 행 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며 구체 으로 자립생활에

필요로 하는 지원요인보다는 장애인 스스로가 개인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엠

워먼트가 자립생활을 함에 있어 요한 요인이라고 정의하 다.

국내의 자립생활 개념을 확립해 온 연구를 살펴보면, 정종화(2001)는 자립

생활을 장애인이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그 결정에

하여 험을 동반할지라도 그에 한 책임은 당사자 자신이 지며, 자신의

인생에 한 창조 삶을 하는 과정이라 하 다(강희숙, 2004 : 6 재인용).

오혜경(1998: 41)에 따르면 자립생활이란 장애인도 보통사람처럼 평등한 일상

생활을 가지고 살아야한다는 것이다. 타인의 보호와 의존으로부터 벗어나 자

기 삶의 통제권을 회복한 상태로, 지역사회에서 한 지원과 더불어 자기선

택권과 결정권을 행사하며, 주체 으로 살아가는 삶의 과정을 말한다고 한다.

따라서 장애인 자신의 삶에 한 결정과정에서 타인의 개입이나 보호를 최소

한으로 하여 장애인 당사자가 자신의 의지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모든 과정에

주도 으로 참여하는 것을 자립생활이라고 보았다.

한 자립생활에 해 구체 으로 살펴본, 최 (2000)은 장애인 자립생

활을 “자립”이라는 것과 “자립생활”이라는 것을 구분하여 정의하 는데, 자립

Page 3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8

을 “장애인의 자립 인 삶을 하여 스스로 지원이 가능한 상태로 개인이 자

아와 권리를 가진 자립의 주체로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장애인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 한 활용함으로써 직업 ․경제 으로 자립 인 생활

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 다. 자립생활은 장애인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조정하며, 자신의 삶의 부를 리하는 일로서 장애인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해서는 장애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

고 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과 원조를 제공하는 일이 필수 으로 요구된

다고 하 다(양희택, 2005: 62 재인용). 이경혜(2000)는 스스로 모든 일을 수행

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스스로가 해결할 수 없으면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

는 능력,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리하며, 자신의 권리를 실 하기 한 사회

행동을 마다하지 않는 극 인 개념으로 정의하 다.

이처럼 자립생활의 개념은 경제 자립 는 소득 자립에서부터 장애인

당사자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주체 으로 살아가는 것을 자립생활로 보

는 것까지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양희택(2005)은 장애인 자립생활에 한 다양한 개념을 3가지 측면

으로 정리하 는데, 첫째, 근로와 연계된 소득보장을 심으로 바라보는 개념,

즉 일반교육이나 직업교육을 통하여 직업에 참여하고, 그에 따른 보상으로 인

하여 장애인이 완 하게 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가는 것을 자립생활이라고 한

다. 두 번째, 장애를 신체 , 정신 , 심리 으로 손상된 것으로 보고 회복시켜

서 사회 기능을 정상 으로 수행하기 한 개념으로 장애를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극복, 치료, 훈련하는 것으로 목 으로 한다. 세 번째, 장애인에게 제공되

는 서비스 패러다임에 의한 개념으로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강조하고, 장애에 한 문제를 단선 인 시각에서 복합 인 측면으로 근하

며 장애에 한 문제를 장애인 당사자가 아닌 환경자체나 환경과의 상호작용

에 을 둔다고 하 다. 즉 양희택(2005)은 장애인 당사자가 일상생활(동작)

Page 3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29

을 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한 소득이 보장되어졌을 때 실

되는 것이라고 보았으며, 이동에 있어서 권리보장, 장애인 복지서비스

로그램에 한 선택권과 결정권의 보장까지를 장애인의 자립생활이라고 정

의하 다.

재활패러다임이 지배 이었던 종 에는 시설이나 재가에서 증장애인이

사회참여를 하기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이 산재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자립

패러다임은 이러한 증장애인의 극 인 사회참여에 한 해요인을 제거

하고 자립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결정 인 역할을 해 왔다고 볼 수 있다.

3. 각국의 장애인 자립생활운동 개념의 확립과정

여기서는 미국, 국, 일본의 세 국가의 자립생활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자

립생활에 한 개념과 운동이 어떠한 형태로 각 국가마다 확립되어갔는지 살

펴보도록 하겠다.

가. 미국

1) 자립생활의 기원

1960년 자립생활운동의 사실상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미국 일리

노이 학에서 시행한 장애인을 한 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 로그램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과 지역사회에서 편리한 생활을 해

계획한 것으로 1962년 4명의 증장애학생들을 이들이 수용되어 있던 증장

애인 수용시설로부터 캠퍼스에서 가까운 수용시설로 이주시켜 학교육을 받

을 수 있는 편의 시설과 보조기구들을 마련하여 주었다. 그 이후 장애학생

Page 3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30

로그램은 요한 자조 노력의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이 학은 물리

장벽을 제거하여 장애인의 근이 용이하도록 만드는데 일조하 다.

1970년 의 자립생활운동은 결과 으로 자립생활센터로써 조성되었는데,

이념과 철학이 명실공이 장애인권리운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자립생활운동은 1970년 미국 최 의 자립생활지원센터인 버클리 자

립생활센터(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Berkeley)를 심으로 본격화

된 장애운동이 시발 이 되었다. 미국의 자립생활센터 (CIL)에서 제공되는 서

비스의 궁극 인 목 은 장애인이 자신의 생활을 효율 으로 리하고 주도권

을 행사하여 선택권과 자기결정권을 만끽하며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서 완

참여를 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핵심 인 서비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자립생활센터 서비스 내용

①주택 서비스 (지역 내의 근권이 보장된 임 주택 조사, 확보 열람 서비스,

주택개조서비스)

②자립생활기술 (훈련신변처리, 보장구의 사용, 요리, 세탁, 청소, 물건사기, 소비생

활에 한 지식, 법률, 성생활, 크리에이션, 직업생활의 비)

③ 동료간 상담

④ 개호 서비스

⑤ 이동 서비스

<표 2-1> 미국 자립생활센터의 구체 인 서비스

2) 자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

1970년 후반부터 미국의 자립생활운동은 본격 으로 개되어 가는데,

철학 으로나 략 으로 다음 제시하는 5가지의 사회운동 활동의 이념과 방

향을 제시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① 시민권운동(Civil rights)

② 소비자운동(Consumerism)

③ 자조운동(Self-help)

Page 3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31

④ 탈의료화운동(Demedicalization)

⑤ 탈시설화운동(Deinstitutionalization)

한 Dejong(1979)은 지역사회 자립(독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을 다음

3가지로 요약 제시 하 다.

지역사회 자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

1소비자 주권

(consumer sovereignty)

자기결정권 부여

서비스 로그램 선택, 조직함에 있어 장애

인의 자기선택권(self-determination)을 인정

2 자기의존권(self-reliance)

자기 자신에 한 의존

자신의 자원 재능에 의존하는 것과 함께 권

리와 이익도 스스로 쟁취

3정치 ․경제 권리

(political and economic rights)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활동에 완 하게․

자유롭게 참여

자료: Dejong(1979). 지역사회 자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

<표 2-2> 지역사회 자립생활운동의 철학과 이념

3) 자립을 한 과학 연구 개발

자립을 한 연구개발은 다음 표에서와 같이 연구, 로그램 개발 그리고

평가를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립의 연구로는 유아․아동 발달기의 자립, 심리 특질(psychological

trait)로써 자립, 개인의 사회 특질로써 자립, 개인의 기능 능력(functional

abilities)과 함께 연결된 자립, 행동감각(behavior sense)에 있어서 자립, 인간

서비스 로그램과 이들 로그램의 결과가 합리 ・윤리 인 면을 고려한 자

립 등으로 세분화 하여 진행한다고 하며, 자립 로그램 개발이 이동을 고려한

것, 일상생활동작에 한 것, 개인보조자나 보조기구의 활용, 생활 반에 걸친

리와 사회활동, 운동과 같은 다방면에 걸친 활동에 한 로그램을 개발하

는 것, 마지막으로 자립생활에 한 평가를 통해 자립을 어느 정도 실 하고

있는 지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Page 4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32

① 자립의 연구 ② 자립 로그램 개발 ③ 자립생활의 평가결과

• 유아․아동 발달기의

자립

• 심리 특질

(psychological trait)로써

자립

• 개인의 사회

특질로써 자립

• 개인의 기능

능력(functional

abilities)과 함께 연결된

자립

• 행동감각(behavior

sense)에 있어서 자립

• 인간서비스

로그램과 이들

로그램의 결과가

합리 ・윤리 인 면을

고려한 자립

• 이동(mobility), 집과

지역사회의 공공 교통을

이용한 이동

•일상 생활동작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개인보조자

(personal assistants) 활용

• 보조기구의 사용

•의사소통능력

(communication abilities)

• 수입액수와 근원

• 생활 리 •

고용상태

• 교육수

• 시간의 사용

• 건강상태 •

사회활동

• 자아개념(self-concept)

Arkansas4) 이 평가

결과로써 내놓은 것은

다음과 같다.

a. 건강기능

(Health function)

b. 사회 태도 기능

(Social-attitudinal

functions)

c. 이동기능

(Mobility functions)

d. 인지 기능

(Cognitive-intellectuals

functioning)

e. 의사소통기능

(Communication

functioning)

<표 2-3> 자립을 한 과학 인 연구 개발내용

4) 미국의 자립생활의 황 향후방향

재 미국에는 역에 400여개소의 CIL(Center for Independent Living)이

있으며 1973제정된 재활법(Rehabilitation Act) Title Ⅶ에 자립생활과 CIL

해당 서비스에 한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이 자립생활 서비스는 증장애인에게 개별 으로 용․시행되는 로그

램으로써 특히 미국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시각장애인으로써 65세 이상 되는

사람에게는 특별한 CIL서비스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IL센터가 연방정부의 보조 을 받는 자격 조건은 재활법(1978) 개정에 근

거한 다음 네 가지 조건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

4) Arkansas 학에 있는 The Arkansas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에서는

1980년 이후 지 까지 자립생활의 평가에 해 크게 기여해 오고 있다.

Page 4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33

미국 자립생활센터의 자격요건 서비스 내용

① 운 원의 50%는 장애인일 것㉠ 정보제공과 조회

(활동보조인이나 주택 등)

㉡ 피어카운셀링(동료상담)

㉢ 자립생활 기술훈련

㉣ 권익옹호 운동

②요한 결정을 내릴 때의 간부 한 사람은

장애인이어야 할 것

③ 직원 한명은 장애인일 것

④ 종합 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

자료: 미장애인평의회(NCD: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1985)

<표 2-4> IL센터의 연방정부보조 수 조건

여기서 서비스 내용은 미장애인평의회(NCD: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

가 1985년에 규정 것이다.

의 모든 서비스는 요한 서비스이므로 그 외의 서비스에도 장려확 하

고 있다. 한 서비스 상을 특정 장애인으로 한정하지 않고 두 종류 이상의

장애를 상으로 하는 등 매년 그 기 은 엄격해 지고 있다.

미국은 향후 자립생활센터가 계속 발 할 것으로 망된다.

ILRU(Independent Living Research Utilization)에서는 ILC가 2010년 까지

미국 역에 1000여개는 넘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LRU에서는 ILC와 련

된 자료와 정보 그리고 운 방법에 해서 보내주고 있다.

이미 1985년 NCD(National Council on Disability)에서 11개의 모범이 되

는 자립생활센터를 선정 발표함으로써 본격 으로 시작된 증 신체장애인 주

거모델인 동시에 삶의 형태인 센터는 지역사회 심재활(Community Based

Rehumiliation)이라는 명제와 함께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나. 국

1) 자립개념과 통합개념

국에서도 IL운동의 이념이나 철학은 미국의 그것과 크게 다른 은 없

Page 4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34

다. 하지만 국은 Oliver(1993)가 진단, 분석한 것과 같이 장애인의 권리를 기

본 인 시민권으로써 보장하는 것에 해서는 부정 인 법률체계를 이루고 있

다. Oliver는 장애인들에 한 지원이 군가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주장하

고 있으며 개인 으로 인간 계를 갖는 권리, 직업을 찾는 일, 휴가나 정치

인 일들과 련한 일들 까지도 통제받고 있다고 했다.

그러한 이유로 국에서는 자립생활을 IL(Independent Living) 운동보다는

1980년 까지는 Integrated Living 즉 통합생활이 주류를 이루었다.

2) 통합 생활의 모델

사실상 IL운동의 기 가 된 4가지 센터의 통합생활(Integrated Living)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더비통합생활센터(Derbyshire Center for Integrated Living: DCIL)설립

인간의 권리와 시민권증진 서비스 개발을 한 목 으로-1980년 실시되었

다. 장애인의 7개의 기본욕구(정보, 상담, 주택, 각종 원조 개인 인 원조, 교

통, 근 련 업무등)를 제안하 는데, 이는 공공 서비스 제공을 해 정책을

개발하는 일과 서비스의 틀을 만드는 일에 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능력 있는 장애인이 동등하게 사회 참여를 하도록 하기 한 반 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장애인 조직, 자립생활의 장애인의 체범주와 련

되어 있다.

② 1981년에는 국장애인단체연합회(BCODP) 결성

1981년 세계장애인의 해에는 국 장애인단체연합회가 결성되어 장애인들

의 자립생활을 성취하기 한 방안의 하나로서, 자립생활에 한 개념 정의를

어떻게 내릴 수 있을까 하는 내용을 심으로 국 차원의 세미나를 개최하

다. 이후에도 계속 유럽자립생활지원을 한 연개망(European Network on

Integrated Living)의 구성과 국제 장애인 회(Disabled People's International)

의 설립 등이 추진되었다. 이들 단체와 조직들을 통해서도 장애인의 자립생활

Page 4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35

한 각종 지원사업과 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③ 범 맨체스터 연맹(Greater Manchester Coalitions)에서 장애청소년을

한 로젝트(Young Disabled People Project) 개발, 시행

1981년부터 맨체스터연맹에서 장애청소년의 자기권익(self-Advocacy) 훈련

을 한 로젝트 개발, 시행 했다. 은 장애인들 가운데, 자신감을 고취시키

기 한일( 를 들어 비장애아동들과 장애아동간의 교육의 분리를 통해 생겨

난 낮아진 자 심을 상담을 통해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일), 주택정보 제공,

개인의 지원과 원조에 한 개인의 선택, 이외 운 교습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과 련한 로젝트에 여하는 일 등을 실시하고 있다.

④ 1985년 설립된 척수장애인 회(the Spinal Injuries Association: SIA)의

개인원조 계획(personal associations scheme)실시

1985년 설립된 척수장애인 회에서는 개인 원조계획을 실시하여 증장

애인 자립생활 로그램의 하나를 실시했다. SIA의 회원들을 개인원조에 있어

즉각 인 원조가 필요한 응 인 원조뿐만 아니라 개인의 잠재 인 욕구에

한 반응에 한 내용 모두를 다루고 있다. 를 들면, 휴가동안 여행이나 업

무차 여행하는 일 까지 포함한다. 이는 회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기도 하고,

사용자는 그들이 지불할 수 있는 액만 지불하도록 되어있다.

3) 자립운동의 본격실시 자립생활기 조성

1980년 후반 들어 본격 으로 자립생활활동이 다양한 종류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첫째, 장애인들에 의해 조직・운 된 자립생활활동 (Independent Living

Alternatives)을 시작했다.

둘째, 햄 셔 지방에서는 개인지원소비자를 해 신문을 발간하는 활동을

심으로 햄 셔지방 자립생활센터가 운 되었다. 그리고 장애인개인에게 일

정 액 기 을 지 하기도 했다.

Page 4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36

셋째, 국에서는 장애인자립생활기 (Fund)을 조성하고 활용하 다. 자립

생활 실천학을 이해하고 자립생활을 추진하기 하여 장애단체들은 계속해서

지방이나 앙정보에 자신들의 압력을 가해왔다. 지역사회보호의 맥락에서 장

애인에게 제공되는 각종 지원이 장애인 개인에게 직 으로 지 될 수 있도

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를 들면, 국의 경우, 지원 의 직 인 지 을

해 자립생활 기 의 활용이 장애인 자신들에게 효율 으로 지 되는 일에

해 지속 인 압력을 행사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다. 일본의 자립생활의 변천

1) 일본 자립생활센터의 기원

일본에 자립생활운동이 개된 시 는 1981년의 국제장애인의 해에 Ed

Roberts가 일본에 방문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 후에 Judy Heumann을 비롯

한 다수의 자립생활 운동가가 일본 국을 순회 공연하 다.

자립생활의 이념에 하여는 매우 열띤 토론이 개되어 많은 이로 하여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이념에 하여는 열띤 토론을 불러 일으켰

으나 IL센터의 서비스에 하여는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끝나버리고 말았다.

일본에 있어서도 1960년 부터 뇌성마비 장애인을 심으로 한 장애인운

동이 활발하게 개 되었다. 그 운동단체는 「아오이 사바의 모임(青い芝の )」

라고 하는 단체로써 열렬한 장애인운동을 개하 으며, 「장애는 개성이다」라

는 표어와 함께 자립생활운동의 이념에 가까운 것도 사실이었다. 이 시기 캐

나다에서는 1980년부터 온타리오주 키치나에서 Henry Enns가 보호와 리를

장애인에게 강요하는 의료재활로부터의 탈피를 부르짖으며 뿌리 깊은 장애인

조직의 활성화를 부르짖었다. 동시 에 세계 인 추세는 자립생활운동이 활발

해지고 있었던 것이 틀림없다.

Page 4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37

일본에서 처음으로 IL센터가 1986년 6월 동경의 하 오우지시(八王子 )에

휴먼 어 회의 발족과 함께 설립되었다. 지 까지의 장애인운동은 행정부의

장애인 시책에 의해 좌우되어 왔고 그 책의 요구와 정책비 권익옹호

운동이 심이었으나 장애인이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시 은

없었거나 부족했었다.

휴먼 어 회는 발족과 동시에 장애인이 복지 서비스의 수 자인 동시에

제공자라는 시 을 명확히 하고 서비스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자각하고 IL센터

의 조직화에 총력을 기울 다.

서비스 상은 노인을 포함한 모든 장애인으로 하고 자립생활운동의 차원

을 넘어 사회개 운동의 핵심단체가 될 것을 선언했다.

지 까지 장애인운동은 장애종별을 심으로 개되어 왔다. 를 들면 뇌

성마비나 시각장애등으로 구분되어 왔다는 것이다. 한 지역별 운동으로

개되어 왔으나 휴먼 어 회는 직종별 우수한 인재를 지역구분을 넘어 인재를

모집하고 의도 으로 조직하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것도 장애인운동 역

사상 없었던 일이다.

2) 일본 IL센터와 휴먼 어 회

일본의 IL센터 모델이 된 휴먼 어 회(Human Care Association)에서는

창립당시부터 자립생활 로그램과 개호인 견 서비스를 히 연 시켜 유

지해오고 있다. 휴먼 어 회는 1970년 당시 국에 두 곳 밖에 없었던 장애

인 자립운 조직인 「와까고마노 이에= 은 말들의 집」을 모태로 출발했다.

이들 주요 멤버는 시설이나 가정에서 어릴 때부터 고립된 생활을 해온 사회경

험이 없는 장애인들의 교류가 많아 자립생활을 원하는 상황을 잘 악할 수 있

었다. 만약 개호서비스만 제공할 경우 이용자가 의존 일 가능성이 있고 자기결

정 자기선택의 요성을 인식치 못한 채 자립생활을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독단 인 생활을 할 험성이 있다. 한 자립생활 로그램

Page 4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38

이 선행될 경우 자립을 한 학습에 도움은 되지만 지역사회에 개호서비스가

없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단하고 동시에 두 서비스를 동시에 실시하게

된 것이다.

3) 자립생활 센터(CIL)서비스

CIL의 필수 인 요소로서 개호서비스(Care Service), 자립생활 로그램

(ILP), 동료상담(peer counseling)을 들 수 있다.

① 개호서비스

이용자도 개호인(활동보조인)도 회원이 된다. 2000년 7월 재이용자 400

명, 개호인 200명으로 되어 있다. 개호인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개호내용, 시간

을 등록하고 이용자는 필요한 서비스를 사무소에 의뢰하며, 코디네이터가 알

선한다. 이용자가 지불하는 액수는 평일 9-5시 까지 1000엔(약 15,000원 정도)

그 외의 공휴일이 1200엔, 국경일이 1400엔이다.

개호인에게 지 되는 시 액에서 100엔을 사무비용으로 취한다. 유료개

호서비스이므로 24시간의 장시간에 걸친 생활이 안 하게 보장 받을 수 있다.

② ILP(자립생활 로그램)

1986년 6월 1기 12회 연속으로 자립생활 로그램이 실시되었는데, 이것이

일본에서 장애인 자신이 리더가 되어 실시하게 된 첫 로그램이다. 자립생활

로그램 매뉴얼은 6회에 걸쳐 실시한 로그램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매뉴얼

교재는 10장에 걸쳐 정리되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리더십 로그램 내용

①목표설정, ②자기인지, ③건강 리와 긴 사태, ④개호, ⑤가족 계, ⑥ 리,

⑦거주, ⑧식단 짜기와 쇼핑, ⑨성에 하여, ⑩사교와 정보

Page 4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39

③ 동료상담(Peer counseling)

생활 기술 인 면에서 보는 자립도 장시간을 요하는 어려운 과정이나

다른 한 가지의 자립은 심리 인 면에 있어서 자기 확립과 장애의 수용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장애에 하여 인지했을 때「장애인이기 때문에 안 돼」,

「결혼은 안 돼」,「외출하면 사람들에게 피해를 다」등의 자신감을 잃게

하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 으로 계하여 말이나 생활 반에 걸쳐 마음의 상

처로 남게 된다.

인간은 주 의 환경에 따라 심리 으로 동요하며 심리 동요는 폐쇄

인간으로 변모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장애를 가진 당사자는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 아무 가치도 없는 존재라고 자신을 과소평가하게 되고 결과 으

로 인간으로서의 가치마 도 부정하게 되고 나아가 자기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과정을 방지하기 해 상담이 필요해진다. 피어 카운셀링

(동료상담)은 같은 장애를 가진 동료장애인이 등한 입장에서 장애인의 여러

문제를 함께 의논하고 상담에 응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담효과는 장

애인의 마음을 열고 과거의 마음의 상처로부터 해방되어 자립생활의 첫발을

내딛게 되는 것이다. 피어 카운셀링(동료상담)에서는 장애인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그 자체를 하나의 「개성」으로 보며, 부정 인 시각에서 탈피하는 것을

지원해 다. 다만 주 의 사회 환경이 장애인을 부 수용할 만한 비가 되

어 있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장애인 자신이 용기를 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

은데, 이는 사회 구성원의 의식개 과 물리 장벽의 제거 개선으로 인하여

장애인이라는 장애에서 벗어날 수 있다.

피어 카운셀링에서 「피어」(peer)라고 하는 말은 1970년 부터 미국의 알

콜 독자 회(AA)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말이다.

일본에서 피어 카운셀링이란 말을 사용하기 시작한 배경에는 장애인운동

을 들을 수 있으나 당시의 피어 카운셀링이라는 말의 의미는 카운셀러와 클라

이언트의 상 계를 의미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상 계를

Page 4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0

형성하지 않은 코우카운셀링술을 활용하여 로그램을 실시한 것이 휴먼 어

회가 처음이다.

이러한 기법을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휴먼 어 회 직원 에 미국에서

코우카운셀링을 연수한 직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재는 미국과 같은 동일

한 로그램으로 실시하고 있는 단체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장애인은 자립생활의 실천가이며 자립생활에 있어서는 구보다도 문가

라고 하는 사실을 세상에 알려야 한다고 보고 장애인 스스로가 피어 카운셀러

(동료상담가) 자격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 우선 피어 카운셀링이라는 용어를

의도 으로 보 하기에 목표를 두고 있었는데 다행히도 이 피어 카운셀링이라

는 말이 신문이나 매스컴을 통하여 보 되고 있었고 장애인 단체에도 보 되

어 있었으므로 보 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이 받아들여졌다. 재는 정부에

서도 지 장애인 분야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4) 국 자립생활센터 의회

1989년부터 휴먼 어 회를 모델로 연수 등이 이루어졌으며 차 으로

일본 국에 보 되기에 이르 다. 마 다 휴면넷트웍, 한즈세타가야, CIL다

가와 등을 심으로 자립생활센터가 국 으로 조직되기에 이르 다.

이 부터 활동하고 있던 사포로 이 고노까이(일본 북해도의 사포로시)등

이 조직정비를 하여 AJU자립의 집, 시즈오까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등이 조직

되었다. 자립생활 로그램과 개호서비스, 피어카운셀링(동료상담)등이 차로

정비되기 시작했다.

1990년 , 국 자립생활센터 의회(JIL)의 결성 비 원회가 동경의 신주

꾸에서 개회되었다. 다음해 1991년 11월 22일 「 국 자립생활문제 연구집

회」가 개최되었다.

JIL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이 규칙들은 미국의 자립생활센터 의회

(NICL)의 향을 많이 받았다.

Page 4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41

JIL 규칙

1 요한 사항의 결정에 있어 결의 원의 과반수를 장애인으로 할 것

2 결정기 의 책임자 는 담당자는 장애인이어야 할 것

3 장애종류에 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

4

정보제공과 권익옹호 활동을 기본사업으로 하며 그 외에 다음 서비스를 실시할 것

(가) 자립생활 로그램

(나) 피어카운셀링(동료상담원= peer counseling)

(다) 개호서비스

(라) 주택수리서비스

상기의 서비스 에서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센터를 정회원

이라 하고, 1개 이상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센터를 회원, 서비스 실시를

하여 비하고 있는 센터를 미래회원이라 한다.

일본자립생활센터 의회 내에는 다음의 5개 원회가 조직되어 있다.

(가) 자립생활 로그램 원회

(나) 피어카운셀링 원회

(다) 자립생활센터 운 과 그 외 서비스 원회

(라) 개호서비스 원회

(마) 권익옹호 원회

상기의 각 원회는 2개월에 1회 정도 국 원회를 개최하고 각 원회

별 신입회원 단체를 하여 안내서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자립생활센터 사무국장회의를 매년 개최하며 운 기능의 향상과 사회공헌

을 목 으로 활동을 개하고 있다.

2000년 7월 재 국의 자립생활센터는 90개소에 이르고 있으며 그 에

동경에 30%정도가 존재하고 있다.

매년 10개소 이상의 자립생활센터가 증설되고 있다. 각 센터의 운 자

은 충분하지 않지만 동경도의 경우, 지역복지진흥재단을 통하여 개호서비스,

Page 5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2

자립생활 로그램에 하여는 보조 을 받고 있다. 연간 1,500만엔(약 1억 9천

만원)의 보조를 받고 있다.

그러나 제도 으로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에

착하고 있는 것 한 사실이다.

1995년 福島縣(후쿠시마 )에서 처음으로 자립생활센터가 제도 으로 정비

되었으나 보조 은 체운 자 의 50%에 해당하므로 운 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고 한다.

5) 일본의 과제 향후 발 방향

일본의 자립생활센터는 과거 20여 년 동안 큰 성장을 해왔다. 한 지역

심의 장애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역할(행정기 과의 조정과 주

민서비스 실시)을 해왔다고 하고 있다. 그 결과 주민의 인식이 새로워 졌으며

정부와 지방 행정기 에서도 센터의 활동에 주목하고 있다.

자립생활의 이념 보 은 행정기 이 지 까지 행해오던 지역 심의 서비

스 체제 정비에 큰 공헌을 해왔으며 장애인복지의 근본 인 문제제시를 실행

해 왔다고 하고 있다. 앞으로의 자립생활센터의 과제를 정의한다면 다음과 같

다고 하겠다.

첫째 복지서비스를 이용자 심의 사회 서비스로 확 하는 것이다. 사회복

지 서비스를 65세 이상의 노인이나 장애등 에 따라 부여하는 종래의 서비스

범 를 넘어서 보편 , 일반 서비스로 확 ,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즉 사회

서비스의 일환으로 확 , 개편하여 서비스의 보편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IL센터의 기능과 역할도 확 ,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질 인

서비스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질 인 향상을 하여 JIL(

국자립생활센터 의회), TIL(동경자립생활센터 의회)의 역할이 요하다고 하

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립생활센터의 문성 향상이다. 자립생활 센터가 실시하고

Page 5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43

있는 서비스의 향상을 해서도 질 인 개선과 장애인 문가의 양성이 시

히 요구되고 있다. 사회복지의 문가로서도 활약하여야 할 것이다.

4. 국내 장애인 자립생활운동 개념의 확립과정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증장애인의 자립생활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증장

애인의 실태를 장애인실태조사 각 종 통계자료를 통해 악하고자 한다.

가. 국내 증장애인 자립생활 변천과정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자립생활개념의 확산은 자립생활센터를 기 으로 이

루어졌으며, 그 시 는 우리나라 최 로 2000년도에 일본 자립생활센터 의회

(Japan Council on Independent Living Centers)의 지원 하에 서울 동 문구

의「피노키오 자립생활센터」와「 주 우리이웃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설

립․운 되면서 시작되었다. 한 2005년도에는 보건복지부가 「 증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을 10개소의 자립생활센터를 상으로 실시함으로써

자립생활센터에 한 정부차원의 심을 불러오기 시작했으며, 2007년도에는

시범사업센터가 20개소로 확 되어 운 하고 있다. 자립생활센터는 그 수가

계속해서 양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재 국 으로 100개 이상의

자립생활센터가 운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3월에 공표되어 10월을 기 으로 시행되고 있는 개정 장애인복지

법 제54조에서는 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를 최 로 명문화함으로써 이제

는 자립생활센터도 법 테두리 안에서 증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의한 자립생

활을 하여 활동보조인의 견 등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에 한 심이 증가하고 자립생활센터에

한 법 근거가 확립됨에 따라서 향후 자립생활센터의 수 증가와 서비스

Page 5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4

역의 확 등 다양한 역에서 변모할 것으로 기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 까지 우리나라는 시범사

업을 한 증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운 지침이외에는 자립생활센터 운 에

필요한 정형화된 지침이나 기 등이 구비되지 못한 실정이며5), 운 기 과

지침의 미 구비는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자립생활센터 뿐 만 아니라 향후

체 자립생활센터를 상 한 정부 차원의 평가기 을 마련하고자 할 때 방향

성과 기 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한계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한 증장애인에 한 자립생활을 한 지원이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만

집 되는 상으로 인해 증장애인의 체 인 자립에 한 욕구를 아우르지

못하고 있다는 도 문제 으로 제기되고 있다.

나. 증장애인의 기본실태 정책 황

1) 증장애인의 정의 인정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와 련된 주요법률은 장애인복지

법, 장애인차별 지 권리구제 등에 한 법률,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

활법, 장애인 등에 한 특수교육법 등이 있다. 이들 각 법률은 법의 목 에

따라 다소 다르게 장애를 규정하고 있다. 이 표 인 것이 장애인복지법

인데 이 법에서는 장애범주를 꾸 히 확 해 왔는데 1989년에 개정된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신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정신지체만은 장애범주

에 포함시켰다가 1999년에 개정되었을 때에 정신장애와 내부장애(신장장애,

심장장애)가 새로이 포함되었다. 뇌병변장애는 지체장애에서 분리되었고, 발달

5) 김경혜 외(2004, p. 60)는 우리나라가 자립생활센터의 운 지침이나 기 등이 미비한

이유로 자립생활 운동이 민간부문을 심으로 먼 소개되었고 공공부문은 최근 들어서

야 심을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Page 5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45

장애가 정신지체에서 분리되어 범주화되었다.

2003년에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에서는 호흡기, 간, 안면, 장루 요루, 간

질 등 5개 질환을 장애범주에 포함시켰으며, 2007년 개정에서는 정신지체를

지 장애로 발달장애를 자폐성장애로 개칭하 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은 행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 ‘장애인이란 신체 ․

정신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

로 규정하고 있으며, 신체 장애와 정신 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한 우리나라의 증장애인에 한 기 을 살펴보면 장애인의 인정 범

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의 인정 범 >

① 「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따른 장애인등록증을 소지한 자

② 「국가유공자 등 우 지원에 한 법률 시행령」제101조에 따른

국가유공자증을 소지한 자

③ 「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따른 장애진단서가 있는 자

이 세 가지 범 가 증장애인으로 인정하는 범 의 기 이 되고 있다.

장애인의 범 는 다음의 표와 같으며 증장애인의 범주는 지체, 뇌병변,

시각 지 , 정신, 자폐성 장애인이 1~3 까지가 포함되며, 청각장애인은 2

이 증장애인이며, 심장․호흡기 장애인은 1~3 까지, 신장․안면․장루

장애인은 2 , 간 장애가 1~2 까지, 간질장애는 2,3 이 증장애인의 범주에

포함된다.

Page 5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6

유형

장애분류 등 ( 증장애인의 범 )

1 2 3 4 5 6 7

지체장애 * 음 처리된 부분은 증장

애인을 표시한 것이며, 사선

은 해당 장애등 이 없음을

나타냄

* 지체장애인 3 음 표

시된 부분은 팔에 장애가

있는 지체3 의 경우에만

증장애인으로 인정

* 호흡기, 간, 안면, 장루, 간

장애는 ‘03. 7. 1일부터 장

애범주에 추가

- ‘10.1.1부터 호흡기, 간 장

애인의 경우 3 까지 증인

정 범 확

- ‘10.1.1부터 폐를 이식 받

은 사람의 경우 호흡기장애

5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 산재장애인의 경우

‘03. 3. 1일부터 10-14등 은

장애인의 범주에서 제외

- ‘05. 1. 1일부터 모든 등

이 장애인의 범주에서 제외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 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장애

안면장애

장루장애

간질장애

국가유공자

자료: 증장애인 기 장애연 법, 2010

<표 2-5> 증장애인의 범

2) 증장애인의 실태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 장애인 추정인구는 2,137,226명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체 인구의 4.5%에 해당된다. 장애등 별로 살펴보면

증장애(1~3 ) 가 차지하는 비율은 체 장애인구 43.3%로 나타났고, 장

애유형별로는 지 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호흡기장애는 모두 증증장애인

Page 5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47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증장애 비율이 50%가 넘는 장애유형으로는 신장장

애(83.7%), 뇌병변 장애(79.3%), 안면장애(55.8%), 간 장애(53.8%), 언어장애

(53.5%)로 나타났다. 장애등 장애유형별 분포는 아래의 표와 같다.

구분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호흡기장애

간장애

안면장애

장루‧요루장애

간질장애

1 3.6 26.5 14.3 2.7 0.6 29.6 41.9 13.8 4.9 6.7 18.8 13.8 3.6 0.2 2.0 9.4

2 7.4 28.5 3.8 22.3 9.5 38.7 40.6 49.2 78.6 29.2 26.8 18.3 17.2 1.9 11.5 16.5

3 14.2 24.3 5.7 18.3 43.4 31.7 17.5 37.1 0.2 62.2 54.4 21.7 35.1 8.5 32.0 17.4

4 18.9 9.4 5.1 19.7 46.5 0.0 0.0 0.0 0.6 0.0 0.0 0.8 44.2 39.5 54.5 14.2

5 28.6 6.7 8.5 20.8 0.0 0.0 0.0 0.0 15.8 1.9 0.0 45.4 0.0 49.8 0.0 19.5

6 27.3 4.6 62.7 16.1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23.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추정수1,132,116 219,156 220,061 207,383 15,103 140,079 12,329 84,780 48,284 14,606 14,393 6,514 2,185 11,356 8,881 2,137,226

자료: 보건복지부(2009),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표 2-6> 장애등 장애유형별 분포

(단 : %, 명)

이 18세 이상 1~2 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은 51만명으로 18세 이상

체 등록 장애인의 23.4%에 달하고 있다.

연도 계 1 2 3 4 5 6

인원 2,174 179 330 377 323 447 518

비율 100.0% 8.2% 15.2% 17.3% 14.8% 20.6% 23.8%

자료: 보건복지가족부(2009), 장애인등록 황

<표 2-7>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의 장애등

(단 : 천명)

Page 5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48

3) 증장애인의 소득실태

2008년 재 장애인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181만 9천원으로 국 월평균

가구소득(3,370천원)의 54.0% 수 에 불과하다.

구분 2005년 2008년

국추정수 1,944,791 2,136,526

장애인가구월평균소득(A) 157.2 181.9

국가구월평균소득 (B) 291.9 337.0

국 비 장애인가구 소득수 (A/B) 53.8 54.0

자료: 1)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년도 장애인실태조사 2009.

2) 통계청, <한국통계월보>, 2008.

<표 2-8> 2005년 2008년 월 평균 총 가구 소득액의 비교

(단 : %, 명, 만원)

한 2008년 재 장애인 개인 월평균 소득은 63만원이며, 특히 1~2

증장애인의 월평균 개인 소득은 39만 5천원으로 이는 65세 이상 노인의 57만

4천원보다 낮은 수 이다. 소득실태를 봤을 때 증장애인의 경우 소득활동이

어렵고 생활실태가 열악하여 우리 사회의 가장 취약계층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고 할 수 있다.

구분 등록장애인65세 이상 노인

단 :만원 체 1-2 3-6

월평균개인소득 63.0 39.5 71.2 58.4

자료: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년도 장애인실태조사, 2009

<표 2-9> 등록 장애인 등의 월평균개인 소득(2008)

Page 5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49

4) 장애인의 의료보험 실태

2010년 장애백서에 따르면 장애인의 의료보험 황은 2008년도 장애인 실

태조사에서 99% 이상이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거나 의료 여 혜택을 받고

있다고 하고 있다. 건강보험 이외에 장애인에 한 추가 인 의료비 지원은

2008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재가장애인의 68.5%가 장애로 인하여 월평균

159천원을 추가로 지출하고 있다고 하고, 추가비용 의료비가 57,300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장애인의 사회 국가에 한 요구사항 1순

는 의료보장(30.1%)이고, 2순 가 소득보장(25.5%)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의

료비에 한 부담이 장애인의 가계에 있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5) 장애인의 교육 실태

특수교육은 지난 2000년부터 재까지 양 , 질 으로 큰 변화를 이루어

왔다.

<표 2-10>을 보면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확산으로 특수학 수가 매년 크게

늘어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600학 이 증가했다. 통합교육의 추세에 따라

특수학교는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그 반면 장애정도가 심한 도

복장애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져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장애인의 경우 연령 가 높을수록 교육수 이 낮은 경우가 많고 도

에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 통합교육이나 교원 수의 증가 등으로 인해

교육을 도포기 하는 경우가 었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 학으로 진학하는

장애인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age 5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50

구분 ’00 ’01 ’02 ’03 ’04 ’05 ’06 ’07(A) ’08(B) B-A

특수학교수 129 134 136 137 141 142 143 144 149 5

특수학 수 3,802 3,846 3,953 4,102 4,366 4,697 5,204 5,753 6,352 599

계 54,732 53,896 54,470 53,404 55,374 58,362 62,538 65,940 71,484 5,544

유치원 1,745 1,765 1,809 1,932 2,677 3,057 3,243 3,125 3,236 111

등학교 33,936 32,178 32,006 30,838 30,329 31,064 32,263 32,752 33,974 1,222

학교 10,968 11,086 11,356 11,055 11,326 12,493 13,972 15,267 16,833 1,566

고등학교 8,083 8,867 9,299 9,579 11,042 11,748 13,060 14,796 15,686 890

교원수 8,201 8,376 8,695 9,175 9,846 10,429 11,259 12,249 13,165 916

※ 특수교육 상학생 : 장애학생 특수교육 상자로 선정되어 특수학교, 특수학 , 일

반학 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을 의미함

자료: 특수교육 연차보고서(2008).

<표 2-10> 특수학교 수 학

(교, 학 , 명)

6) 장애인의 경제활동 황

2008년에 실시된 장애인고용패 경제활동조사에 따르면, 장애정도별 경제

활동인구를 추정한 결과 15~64세의 증장애인 567,311명 경제활동인구는

210,576명이며, 이 취업한 인구는 175,610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증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7.1%로 경증장애인(65.6%)의 반 수 으

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더라도 경증장애인(10.0%)보다 실업률이 16.6%로 높게

나타나 경제활동상태가 열악함을 알 수 있다. 한 증장애인의 고용률은

31.0%로 경증장애인(59.0%)의 반 수 임을 알 수 있다.

Page 5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51

장애

정도

15~64세

인구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

동인구

경제

활동률

취업

실업

고용

률계 취업 실업

증 567,311 210,576 175,610 34,966 356,735 37.1 83.4 16.6 31.0

경증 793,059 520,454 468,200 52,254 272,605 65.6 90.0 10.0 59.0

체 1,360,370 731,030 643,810 87,220 629,340 53.7 88.1 11.9 47.3

자료 : 김호진 외, 2008, 장애인고용패 경제활동조사.

<표 2-11> 장애정도별 경제활동상태 추정

(단 : 명, %)

증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별 인구 규모는 15~64세 증장애인 567,311명

37.1%인 210,576명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고, 62.9%인 356,735명은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악되었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증장애인 지난 주 1시간 이상 수입을 목 으로

일한 취업자는 83.4%인 175,61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취업자 175,610명 임 근로자는 62.4%인 109,493명(상용 50.9%,

임시 20.7%, 일용 28.4%)이며, 비임 근로자는 37.6%인 66,117명(자 업자

72.6%, 고용주 3.2%, 무 가족종사자 24.2%)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책 황

여기서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해 시행되고 있는 정책 등에 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자립생활센터 제공 서비스

자립생활센터의 법 근거는 장애인복지법 제53조(자립생활지원), 제54조

( 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제56조(장애동료간 상담)에 있다. 증장애인을

Page 6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52

자립생활(IL)서비스 내 용

정보제공과 의뢰

(Information/Referral)

자립생활에 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제도․정책, 지역사회자원에

한 정보제공과 다른 기 에서 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알선하는 활동

권익옹호

(Advocacy)

개인 ․사회 권리침해에 해 옹호 활동을 하고, 법률 자문

지원

* 인권교육 인식 개선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료상담

(Peer Counseling)

자립생활을 경험한 동료장애인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담.

동료역할모델을 통해 자기신뢰(장애수용)등을 목 으로 함.

이외 가족 계, 지역사회자원 활용방법, 곤란한 문제에의 처 방

법 법률 자문 등에 해 상담을 하거나 정보를 제공함

자립생활기술훈련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스스로의 의사결정의 요성, 활동보조서비스 리, 신변처리

일상생활 리, 개인 재정 리,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등에 한

교육 로그램․동료지원방식을 극 활용함

* 자립생활 체험홈을 활용하는 로그램을 포함 할 수 있다.

* 장애인의 자립을 한 기본 인 교육활동 로그램도 포함할 수

있다( : 야학, 검정고시 비 등).

<표 2-12>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

상으로 포 인 자립생활 정보제공, 권익옹호 활동, 동료상담, 자립생활기

술훈련, 활동보조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강화와 지

역사회에서의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을 지원하기 해 설치되어 있다.

제공되고 있는 기본 인 서비스 내용을 살펴보면, 정보제공과 의뢰, 권익

옹호, 동료상담, 자립생활기술훈련 등이 있다. 한 활동보조서비스를 지원하

고 주거서비스, 보조기구 리, 수리, 임 에 련된 서비스 한 제공한다. 활

동보조서비스, 주거서비스, 보장구 서비스 그리고 기타 서비스에 해서는 센

터의 규모나 역량에 따라서 제공되는 곳이 있고 앞서 언 한 권익옹호와 동료

상담 등을 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가 있다.

Page 6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53

자립생활(IL)서비스 내 용

활동보조서비스

(Personal Assistance

Service)

증장애인에게 신변활동, 가사 일상생활의 보조, 이동 등

의 활동보조 서비스 지원

※활동보조서비스를, 자원 사서비스와는 달리 유료로 하는

것은 장애인이 선택권과 결정권을 가지고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당사자)의 입장에서 서비스 시간, 용도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삶에 한 통제권과 자율성을

높이기 한 것임

주거서비스

(Assistance in obtaining

and modifying accessible

housing)

주택의 개조(改造), 소개, 주택비용의 조성, 지원

제도의 활용 등의 서비스

이동서비스(Transportation) 리 트 차량 등을 활용한 이동(Door to Door)서비스

보조기구 리, 수리, 임

(Equipment maintenance,

repair and loan)

각종 장애인보조기구, 련 장비의 유지․ 리 지원

기타 사업

시설장애인의 자립생활 환 지원사업, 장애청소년사업, 가족

지원사업, 교육·훈련사업, 고용지원사업, 자원개발사업 등 기

타 사업

※ 본 사업의 지원비로 활동보조서비스를 제공하여서는 안되며, 장애인 활동보조바우처사

업에 의해서만 제공 가능. 단, 별도의 자체 산을 통해 활동보조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은 가능함.

<표 2-13>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되는 선택 서비스

2) 재정, 의료지원 기타 서비스

(1) 재정지원

증장애인에 한 재정지원으로는 기본 으로 국민기 생활보호서비스,

장애수당이 있다.

국민기 생활보호서비스를 수 하기 해서는 소정의 선정기 을 만족시

켜야 하며, 기 으로는 소득인정액이 최 생계비 이하인 자, 재산범 의 규정

Page 6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54

에 합한 자이어야 한다.

장애수당은 국민기 생활보장법에 의한 수 자 차상 계층의 18세 이

상 등록장애인이 해당되며 수 규정에 합한 자에게 지 된다.

지 액은 기 수 증장애인의 경우 1인당 월 130천원, 경증장애인은

1인당 월 30천원, 차상 증장애인 1인당 월 120천원, 차상 경증장애인은

1인당 월 30천원이다.

(2) 의료지원

지원 상으로는 의료 여법에 의한 의료 여 2종 수 권자인 장애인, 차상

계층 의료 여 2종인 경우가 해당된다.

(3) 장애인자립자 여

장애인복지법 제41조(자 여 등) 규정에 의거 자활 자립이 가능한

소득 장애인에게 자립자 을 여하여 자활 자립 생활안정을 도모하

고자 시행 에 있다.

1인가구인 경우 93만원 이하이며, 최고 6인 가구인 경우 342만 이하이며

7인에서 1인 증가시마다 44만원씩 증가된다. 단 국민기 생활보장법의 수 자

차상 계층인 장애인에 해서는 자립자 여를 제한하되, 이들이 융자하

는 생업자 이 부족하여 여를 못 받는 장애인의 경우 여가 가능하다고 하

고 있다. 여조건은 규정하는 조건에 합해야 가능하며, 상환조건도 제시하

는 차에 따라야 한다.

(4) 기타

이 외 민간기 의 재정서비스로 국민연 의 장애연 부문이 있으며, 장애

인고용공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창업자 융자, 자동차융자, 직업생활안

Page 6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55

구분 서울시 강남구 성동구 구 양천구 동작구 서 구 악구

제정일2011.

01. 13

2008.

03. 07

2008.

07. 23

2008.

11. 25

2009.

05. 11

2009.

07. 15

2009.

12. 24

2010.

12. 10

자료: 지방자치단체의 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 모색을 한 토론회(2011).

<표 2-14> 서울시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조례가 있는 7개구

(2011년 6월 기 )

정자 등이 있으며 소정의 규정에 합한 경우 융자가 가능하다.

한 사회복지공동모 회에서 지원하는 소득가정 긴 생계비 등이 있으

며, 그 외 각종 재정지원 서비스로 소득세 공제, 상속세 증여세 감면, 화

요 할인, 기요 지원, TV수신료 면제, 이동통신 요 감면, 고속 인터

넷 요 감면, 교통요 , 공공시설 이용요 등 할인 등을 규정하는 조건에

합한 경우 지원 받을 수 있다.

라.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조례를 시행 인 지방자치단체(서울시)

1) 서울시 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한 자치구

재 우리나라에는 장애인복지법의 제4장 54에서 자립생활 지원에 한

조항이 있다. 이에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해 본격 으로 지역운동으로 확산해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표<2-10>을 보면 재 서울시의 경우도 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하 고,

서울시 25개 자치구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조례가 있는 구는 7개구 밖에

없는 실정이다. 강남구, 성동구, 구가 2008년도에 제정되었고, 양천구, 동작

구, 서 구가 2009년, 악구가 2010년에 제정되었다.

Page 6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56

제정 된 지구 외에도 재 자립생활지원조례를 한 노력을 하고 있어,

재는 7개구에 지나지 않지만 차 늘어날 것으로 상하고 있다.

2) 서울시 25개 자치구 등록장애인 황

서울시에서 장애인이 가장 많은 구는 노원구이며 다음이 강서구, 은평구

순이다. 그러나 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있는 구는 등록장애인 수가 비

교 은 구가 먼 제정하여 자립생활 정책지원에 한 구를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

노원구 강서구 은평구 송 구 악구

28,801 27,783 21,717 21,432 21,265

랑구 성북구 강동구 양천구 구로구

20,883 19,914 18,698 18,302 17,781

강북구 등포구 동 문구 동작구 강남구

17,745 16,950 16,847 15,682 15,587

마포구 도 구 진구 서 문구 성동구

15,209 15,101 13,498 13,227 12,997

천구 서 구 용산구 종로구 구

11,315 10,892 9,408 7,097 6,391

자료: 지방자치단체의 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 모색을 한 토론회(2011).

<표 2-15> 25개 자치구 등록장애인 황

2010년 12월말 기 <단 : 명>

3) 서울시 25개 자치구 재정자립도 황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재정자립도의 황을 보면 자립도가 비교 높은

Page 6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57

구가 자립생활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강남구, 서 구, 구의

경우 등록장애인은 비교 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재정자립도는 25개구

상 5 내에 들어있다.

강남구 서 구 구 종로구 용산구

82.2 79.4 77.1 72.1 63.8

송 구 등포 성동구 마포구 강동구

61.2 59.5 51 49.3 47.7

동작구 동 문구 진구 양천구 천구

47.7 43.1 42.5 41.1 41

서 문 구로구 성북구 강서구 악구

40 38.7 35.8 34.5 34.3

강북구 도 구 랑구 은평구 노원구

32.1 32.1 31.5 29.7 27.7

자료: 지방자치단체의 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 모색을 한 토론회(2011).

<표 2-16> 서울시 자치구 재정자립도 황

2011년 기 <단 : %>

마. 우리나라의 자립생활지원 조사에 한 검토

2011년 1월 13일 서울시는 “서울특별시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조례(이

하 조례안)를 공포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한 제

도와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한 시책을 수립해 공포 후 3개월이 지난 시 부

터 조례를 시행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조례에서는 증장애인에게 자립생활에

필요한 정보, 행정 재정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의 인원으로 자립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으며, 시는 활동보조서비스의 추가

Page 6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58

지원과 자립생활에 필요한 교육 홍보사업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한 3년마다 자립생활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하여 다양한 지원을 제시하고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의견을 수렴하여 자립생활에 한 지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조례안에는 주거지원을 한 지원도 마련되며 시가 분양

하는 공공임 주택( 구임 주택, 공공임 주택, 국민임 주택 등) 일부 는

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한 지역사회에서의 증

장애인 자립생활 활성의 토 가 될 수 있는 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세터에

한 경비 지원 센터 육성을 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서울시는 2011년 조례안이 통과한 것이 비해 지방도시 경기도, 경상북도,

주, 부산 등의 경우 2008, 2009년도에 이미 조례가 통과되어 부산의 경우 부

산복지개발원을 통한 재가장애인 복지실태 욕구조사(2009) 한 결과도 나

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립생활지원을 한 행정차원의 움직임은 해외의 연구나 개념정의

에 기 어야 했던 상황에서 국내토양에 맞는 자립정의가 가능하게 하는 기

자료가 되어 것이라고 본다. 이는 단순히 해외의 개념과 정책을 받아들이는

차원의 수동 인 지원이 아니라 자립생활지원조례가 발족됨에 따라 자립, 자립

생활구조, 자립생활과 고용의 계성에 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국내의 자료가 충분히 축 되어지면 해외와의 비교를 통해 차이와 수렴되

어지는 부분을 분석 악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자립개념의 정의와 발 가능

한 자립의 구조를 보다 정한 것으로 도출해 나가는 것도 기 할 수 있을 것

으로 본다.

Page 6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59

제2 자립생활의 구성요소 결정요인

본 에서는 자립생활에 한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증장애인이 자립생

활을 함에 있어 이를 결정짓는 요인과 해하는 요인에 해 양 조사와 질

조사를 통해 밝 낸 선행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장애인 자립생활의 구성요소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구성요소에 한 연구로는 미국의

National Independent Living Skills(NILS)의 자립생활기술훈련6)(Independent

Living Skill Program 혹은 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의 성과를 측정

하기 해 개발된 것으로 자립생활의 구성요소로 건강과 생, 가족에 한

책임, 리, 지역사회에 한 지식, 법에 한 지식, 사회 인 계 기

술, 부 응 행동 등 7가지 역을 포함시켰다(Dunlap and Sands, 2005: 60).

NILS는 4 으로 구성된 다음과 같은 서열척도를 활용한다. 즉, (1) 수행할 수

없음, (2) 물리 인 도움이 필요함, (3) 말로서의 도움이 필요함, (4) 혼자 할

수 있음 등이다. NILS는 서비스의 욕구를 확인하기 한 정도구(screening

instrument)로 사용될 수 있으며, 7개 역에 한 클라이언트의 지식과 수행

능력을 확인할 수 있고, 7개 역의 자립생활기술훈련목표를 설정하는 데 용

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NILS는 역별 문항의 수가 평균 130개를 육

박하여 매우 방 한 조사가 필요한 도구이며, 장애인 자립생활에 한 개념

인 근을 통해 구성하기 보다는 ADL 혹은 IADL의 내용을 상당부분 담고 있

는 것으로 자립생활의 기본 인 개념들을 그 로 함축하고 있다기보다는 자립

6) 자립생활센터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의 하나로, 장애에 해 실질 인 이해와 경

험에서 얻어지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장애를 갖은 동료(peer)

가 자립생활을 달성할 수 있는 략을 수하는 로그램이다. 보통의 경우, 신변처리기

술, 가정생활기술, 사회생활기술 등 3가지 역으로 구성된다(김동호, 2000: 33).

Page 6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0

생활에 필요한 신체 인 기술의 정도를 사정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 정도

구라 하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한 이는 서양의 문화 요소를 고스란히 담

고 있으므로, 이를 국내에 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의 NILS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자립생활 측정도구로 일본의

휴먼 어 회가 개발하여 보 한 「자립생활에 한 자가평가도구」가 있는

데, 이 한 자립생활기술훈련 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인들의 서비스 욕구와

성과를 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정신장애인을 심으로 한 자립생

활훈련기술훈련 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 하는 과정에서 제시된 평가지라

고 할 수 있다(아사카, 나카니시, 1998). 이 평가도구의 구성요소는 건강 리,

자기신뢰와 자기주장, 인생설계, 리, 주거생활, 가정살림, 식사, 사회생활

과 사교성, 시간 리, 권리와 정보, 개호서비스, 일(직업), 성, 차별과 장애운동

등 14개의 역으로, 각 역에 평균 9개 문항(총 129개 문항)이 제시되어 있

다. 각각의 문항은 장애인이 자립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가를 사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조재훈, 2005). 이 구성요소를 토 로 우리

나라의 국립재활원에서는 3개 역 29개 문항의 증장애인 자립생활 자가평

가지표를 개발하여 신체 기능, 정신 기능, 사회 기능 력으로 구분하여

사회 기능에 건강 리, 일상생활, 생 청결 등을 내포하고, 정신 기능

에는 자기신뢰, 자기결정, 감정 리, 정 사고, 권익옹호 등 그리고 사회

기능에는 인 계, 시간 여가 리, 생활 리, 지역사회참여, 재정 리, 주

거 리 정보획득 등을 하부 항목으로 선정하여 각 항목을 5 리커트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고 있다(김미경 외 2005). 그러나 항목의 선정기 과 자립생활의

구성개념에 한 체계 인 근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김동기,

2005). 타당도의 경우, 문가 4명의 안면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 다고만 언

하고 있을 뿐이며, 신뢰도에 있어서도 조사결과에 따른 Cronbach's α값만 제

시하고 있어 구성개념에 한 타당도를 분석할 수 있음에도 항목선정에 있어

타당도와 신뢰도의 완벽성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국내의 장애인 자립생

Page 6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61

활 연구에서 자립생활자가평가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김순곤, 2002; 최성원,

2005; 이상록, 2007).

한 본 조사에서 자립생활도의 척도를 해 본 조사에 맞게 수정하여 활

용7)되었던 윤재 (2010)이 개발한 자립생활척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먼

의료재활 로그램과 자립생활센터에서 주창하는 자립생활개념에 차이가 있음

을 언 하 다. 이에 따르면 의료재활 로그램 통 재활 로그램에서는

신체 기능을 극 화시켜 지역사회에 복귀하는 것을 돕고 유 고용만을 자립

이라고 정의하 다고 했다면, 자립생활센터의 개념에서는 "장애인 개인의 목

과 생활방식을 스스로 선택" 하도록 문가들에게 빼앗긴 지배권과 선택권

을 이용자들에게 찾아주고자 한 것이라고 하고 있다. 즉 재활과 독립에는 이

러한 근본 인 차이가 있음을 제로 하며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제시했다.

자기결정, 역량강화, 계, 생산성, 사회환경의 다섯 가지 구성개념은 각각 네

개씩의 하 개념들을 갖는데, 자기결정은 심리 역량강화를 포함하여 행동

상의 자율성, 자기규제 행동, 자기실 등을 내포하며, 역량강화는 타인에

한 향을 비롯하여 자기고찰, 불평등에 한 의식화, 자기개발과 성장이라는

특성을, 계성은 공동체 공식 인 계 그리고 가족 이웃과의 계를

포함하며, 생산성은 유 고용, 교육 훈련 참여, 가사 여가활동을 포 한

다고 하고 있다. 환경은 개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외 지지체계를 망라하

는 개념으로 생산물과 테크놀로지, 지지와 계, 태도, 그리고 서비스, 제도

정책 등으로 분류된다(윤재 , 2010).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에 있어

취업 비도가 요한 요인임을 악하고 일본의 National Institu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에서 2011년 3월에 발간한 ‘장해자의 자립지원과 취

업지원의 효과 연계를 한 실증 연구’에서 장애인이 취업하거나 직장 복

귀와 련하여 스스로의 비도를 검하기 한 요인으로 취업의지, 선택, 사

7) 원작자(윤재 )에 의해 본 조사의 취지에 맞도록 척도가 수정되었음.

Page 7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2

조사, 능력습득, 미래계획, 정보수집, 서류작성, 면 참여, 장애설명, 배려요

구, 창업정보수집 등의 요소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활용되었던 ICF의 건

강요인(장애, 질환), 환경요인, 개인요인의 세 가지 요소 환경요인에 해당되

고 사회활동 참여의 항목으로 지정하여 직업 과제로써 취업 비요인을

설명하 다. 이 외 취업 과제로 자기효력감, 취업활동(구직활동), 취업상황,

직장 응, 직업생활 만족도, 생활만족도라고 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충족

될 경우 자립지원과 취업지원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고 하고 있다.

질 조사에서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착을 해 해요인과 진요인

을 살펴보기 해 국의 Sandra Wallman8)의 "가정의 세 가지 자원-시간, 정

보, 정체성-"을 토 로 한 개인의 life history를 이끌어내고자 하 다. 이에

Sandra Wallman이 연구에서 한 개인의 주 실, 생활과정, 체성을 구

조 으로 보기 한 구성요소로 첫 번째 구조 자원, 두 번째 시간, 세 번째

정체성을 활용하 는데, "자립생활"이 삶의 어느 한 요인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만큼, 삶 체를 조명하여 자립생활과 고용과의 계성을 규명하기 해

이러한 구성요소를 면 에서 활용하 다.

본 연구에서는 자립생활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을 통해 고용과의 계성이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통해 제도 정책을 제언하고자 함으로써 여기서

는 신체 인 의료 재활에 이 놓 던 척도와 자립생활 패러다임의 개념

을 내포하는 척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 으로써 본 조사에서 활용한 척

도에 한 이론 설명을 하고자 하 다.

2. 자립생활 결정요인

앞서 본 바와 같이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요인에 한 연구

8) 질 조사를 토 로 국 런던 등의 노동자, 여성 등 사회취약계층의 생활을 조사하

여 life history를 근거로 생활구조론을 논함.

Page 7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63

는 다양한 에서 논의되고 있다. ADL의 자립, 경제 자립, 정신 자립을

각각 단독 으로 시하는 경우나 이들을 복합해서 보는 경우 자기결정,

자기선택, 자기책임이라는 통제활동(자율성)을 시하는 경우와 발달단계도

요하다고 보는 경우가 있다. 한 실질 인 생활면에서 자립을 결정짓는 요인

에 해서 Kestenbaum(1999)에 따르면 개인 인 보조인을 단순히 얻게 되는

것보다 더 많은 의미가 있는 것이 자립생활이라고 정의하며 그러한 자립생활

을 성취하기 해서는 주거, 활동보조, 주변 환경에 근 할 수 있는 이동권,

권익옹호와 훈련, 정보와 상담 그리고 보장구의 보조가 필요하다고 하며, 자립

생활을 하기 해 실질 으로 필요하다고 고려되어지는 요인에 해 제언

하 다.

여기서는 앞서 논한 구성요소가 포함하는 내용에 해 살펴보고 자립생활

을 결정짓는 요인에 다양한 자립개념이 있다는 것에 해 논하고자 한다.

가. 신변자립(ADL)자립

일상생활에서의 신변처리동작의 자립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변의 사항을

스스로가 독자 으로 실행하는 것(谷口, 武田, 1994)이라고 정의되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의 한계를 알고 필요한 지원과 이를 요구하는 것도 신변자립

의 하나라고 보는 경우가 있다(大泉, 1989).

  이러한 개념에 따라 활동보조인 등의 활용을 통해 신변자립을 성취하

는 것을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요인의 하나로 보고 있다. 만약 어떤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을 받아 15분 만에 옷을 입고 일하러 나간다면, 2시간 동안 옷을

스스로 입고 집안에 머무는 사람보다 훨씬 더 자립 인 것(Dejong, 1981)으로

보고 어떤 장애인에게 타인의 도움이 더 많이 요구된다는 사실만으로 그가 그

만큼 더 의존 이라고 단정하지 않는다.

Page 7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4

나. 심리 ․정신 자립

인간 계나 집단생활에서의 자립성으로 “자기결정과 자기선택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른 결과에 책임을 질 수 있게 되는 것”(谷口, 武田,

1994)이라고 하는 것처럼 통제력을 시하는 입장과 “권력을 가지고 지배하는

는 지배받는”, “ 리하거나 받는” 계에서 탈피(일본사회임상학회편, 1996),

“강요된 사 인 가족에 한 의존생태, 비호 종속 지 , 반독립 의존으

로부터의 자립” (河野, 1984)과 같이 계성의 자립을 시하는 입장, “사람들

과의 교류, 의존, 애착, 상호요구를 해결하며 자립하는 것, 인간 계의 교류 속

에서 나 자신을 만들어가는 길”(折出, 1984)과 같이 계 속에서 정체성을 확

립하는 것을 자립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심리 ․정신 자립도가 높을수록

시설을 나오는 것이, 가족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시설이나 가

족에 한 의존도가 높은 장애인이 선뜻 사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가 심리

․정신 자립이 확립되어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 경제 자립

“직업생활에 있어 노동자로서의 자립”(大泉, 1989)이라는 과 "취업을

하여 스스로 생활비를 버는 것, 장애 때문에 취업하는 것이 불가능해도 연

이나 생활보호수당에 해 스스로 리가 가능 한 것“(谷口, 武田, 1994)과

같이 노동을 통한 경제 자립뿐만 아니라 리에 주안 이 놓여있는 입

장이 있다. 증장애인의 경우 가족과 동거하거나 시설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많지 않다. 시설을 나오거나 가족으로부터 독립

하 을 때 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당장의 생활에

한 것뿐만 아니라 장래에 한 리에도 서툰 경우가 부분이어서 취

업생활을 통한 소득으로 자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수당과 같은 소득을 통

한 자립에도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자립생활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경

Page 7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65

제 자립에는 에 한 리도 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라. 사회 자립

“사회에 존재하는 질서나 도덕을 습 화하여 자기를 둘러싼 사람들이나

사회로부터, 사회에 공헌하는 사람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고 스스로도 그것을

확인 가능하게 되는 것”(谷口, 武田, 1994)과 같이 여러 차원의 사회 개념을

복합 으로 다루는 경우와 “사회참가활동에 있어 자율성”(大泉, 1989)과 같이

략 인 것을 말하는 경우, “사회 속에서 주체 으로 살아가는 힘”(시설변

과 자기결정 편집 원회 편, 2000)을 시하는 경우 등이 있다.

마. 자율성에 따른 자립

자율성을 시한 자립은 “자기결정, 자기선택 자기선택(자기 리)”라고

볼 수 있다.

加藤(1997)는 이들을 정리하며 자기결정을 “타자로부터 구속되지 않고, 스

스로의 생활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으로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자립 는

자립의 요건으로 보는 것”, 자기선택은, “자기결정권과 표리의 계에 있는데

그 자기선택권의 행사가 자립”이라고 보는 것, 자기책임 자기 리에 해

서는 “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하여 의의 있는 역할을 계속 으로 추구하기 해

서는 스스로의 능력과 그 한계를 정확히 악하고 자기를 리해 나가는 것이

요”하며 자유로운 책임주체로서 스스로의 생활을 계획하고 리해 나가는

것이 자립생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논하고 있다.

이 같은 입장에서는 “의사결정 일상생활의 제반 활동 수행에 있어 타

자에 한 의존을 최소한으로 하고 수용 가능한 선택에 기 한 자기통제활

동”(加藤, 1997)이 요하다고 하고 있다. 자기결정이나 자기선택은 증장애인

의 자립에 있어 매우 요한 요소이다. 증장애인의 경우 장애인이기 때문에

Page 7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6

취업활동을 함에 있어서도 스스로 희망직종에 취직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주

변으로부터 정해진 노선으로 가는 것을 추천받아, 스스로의 선택보다는 주변인

들이 이끄는 노선으로 선택해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율성에 따른

자립의 요인은 증장애인의 자립을 결정짓는 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바. 환경 자립

“자기에게 맞는 생활 형태를 결정하고 생활의 장을 확보하고 실천가능하

게 되는 것. 는 설비나 내장이 불편하고 사용불가능한 이 있다는 개조하

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谷口, 武田, 1994)

을 환경 자립이라고 하고 있다. 이는 신체 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을 상정

해서 내린 정의이기 때문에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주거환경도 포함되고 있다.

증장애인의 경우 특히 신체장애인은 재택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가능한 주거환경의 정비가 요하며, 한 물리 인 측면뿐만 아

니라 주거환경을 얻게 되는 경로 한 증장애인의 자립을 결정짓는 요한

요인이다. 물리 장애가 많은 신체장애인의 경우 한 주거환경을 발견하

여 입주하는 것조차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사. 발달단계에 따른 자립

“각 연령에 따른 다양한 리스크에 도 하고 경험을 쌓아 단력을 키워나

가는 것”(中村, 板山 편, 1984)이라고 하며 삶을 통해 라이 사이클을 통해 일

어나는 이벤트를 해결해 나가는 힘을 키우는 것이 자립을 함에 있어 요한

요인이라고 하고 있다. 일반 으로 사람은 일생을 통해 다양한 사건과 마주하

게 된다. 이러한 사건들에 해 극 으로 도 하고 해결하는 힘을 키우지

못하면 스스로 축되어 사회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게 됨으로 각 삶의 발달단

Page 7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67

계에 맞춰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도 요한

자립요인이다.

아. 의사표시에 따른 자립

“타자의 결정을 배제하며 거부의사를 표할 수 있는 것(平田, 2000), ”필요

할 때 지원을 요청하는 힘“(加藤, 1997) 등을 들 수 있다. 한 자립요건으로

지원자와 원만하게 계를 맺는 힘도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증장애인의 경

우 제공정보 지식의 부족이라는 면도 있지만 타인이 결정하는 것에 해

거부를 표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를 들면 시설 등에서 오

랜 생활을 한 장애인의 경우 집단생활에 익숙해져 있어 타인의 의견 로 행동

하게 되는 경우가 그 다.

자. 목표개념으로서의 자립

“독립된 사회 인격으로서 자기의 신체, 생활, 인인의 주인공이 될 수 있

는 것” (河野, 1984) 이는 가족으로부터 과보호로 인한 경우 는 시설에서 오

랫동안 생활해오면서 가족으로부터 심을 받지 못한 경우 등 심리 으로 자

립이 용이하지 않은 증장애인일수록 사회에 나왔을 때 다양한 문제에 부딪

혔을 때 해결이 잘 되지 않으면 자괴감에 빠지거나 축되어 주변으로 려나

거나 아 사회에 참여하고 생활하는 것을 거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럼

으로 자신의 생활에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요인도 자

립생활을 함에 있어 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Page 7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68

차. Sandra Wallman의 생활구조론의 구성요인

1) 구조 자원

주거, 리, 서비스 등의 생활을 형성하게 하는 자원을 악하는 것으

로 이러한 요인의 악을 통해 생활구조를 살펴 볼 수 있다고 한다.

2) 정보

정보는 생활 내 외상의 규정요인에 해 변화를 측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때로는 자기욕구에 따라 생활변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다. Wallman은 정보에 해 "모든 물질 구조 자원의 용도나 유용성을 정

보를 통해 얻는다"라고 하며 요한 자원으로 "사람은 정보를 악함에 따라

생활을 통제할 수 있다"(Wallman, 1984)고 논하고 있다.

3) 시간

시간 개념에서는 두 가지를 언 하고 있는데, 한 가지는 일상생활 과정의

시간개념이고 두 번째는 과거, 재, 미래를 통틀어 삶 체를 조명하는 시간

개념이다. 증장애인의 경우 자립에 있어 일상생활 과정상에서 노동, 일상생

활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시간이 편성되는가에 따라 자립의 경우 활동보조인

근로지원인의 활용도가 달라지고, 서비스 지원방향에도 향을 미치게 됨

으로 매우 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한 노동진입과정이 비장애인과 다르

게 융통성을 요한다는 의미에서, 를 들면 학교 진학이 늦거나 는 졸업이

늦는 경우, 교육과정을 수료하는 것에 탄력성을 요하는 경우 그리고 취업생활을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빨리 종료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탄력성을 요할 수 있기

때문에 삶 체를 조명하는 시간상의 개념도 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Page 7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69

4) 정체성

Wallman(1984)에 따르면 의 세 가지 요인보다 가장 침투해 있으면서도

가장 놓치기 쉬운 요인이라고 하고 있는데, 이는 "외견, 행동, 만나는 사람 등

으로 개인의 정체성이 결정된다고 볼 수는 없다" 고 하며 "외부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집단의 특징이 그 집단내부의 구성원 의식과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

다. 외부에서 찰할 수 있는 집단의 식별은 집단내부의 정체성 성립과정과

련되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고 하고 있다. 자립생활운동을 주도해 온 장

애인단체 장애인의 경우 "자립"에 한 개념에 해 일반 재가 증장애인

과는 차이가 있음을 앞서 밝힌 바 있다. 이 경우 같은 장애인집단이라는 특징

을 보고 모든 장애인집단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그 정체성에 해

서도 장애인 간에 "자립"에 해 생각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보고, 한 자

립생활 운동의 핵심참여자의 경우 자립이 유 고용이 아니라 리, 장애

연 의 자기 리 등이 경제 활동이라고 논의하는 경우와 자립생활 운동에

가담하지 않았던 증장애인의 경우 취업을 해야만 자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 자립생활 운동에 가담하면서도 취업이 자립의 핵심이라고 주장

하는 경우도 있어, 이에 한 정체성을 정리하고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고용과

의 계를 규명함에 있어 자립생활운동을 이끄는 센터 운동가 단체에

하고 필요한 지원과 일반 으로 자립욕구가 있는 장애인에 한 지원이

욕구에 맞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자립생활에 한 지원이 어느 한쪽에 편

되는 상황을 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ge 7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70

제3 자립생활과 고용과의 계성

앞선 2 에서는 자립생활의 구성요소들과 그것이 내포하는 내용들을 살펴

보았다. 본 에서는 자립생활과 고용과의 계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

도록 하겠다.

1. 자립생활에 있어서 직업의 요성

직업생활은 국민으로서의 고유한 권리이자 의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

애인의 직업생활도 고유한 시민의 권리이자 의무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들의

사회 가치를 찾고 경제 재활과 자아실 을 이룰 수 있도록 보장하여야 한

다. 그러나 장애인은 신체 혹은 정신 그리고 사회 인 많은 제한들로 인

해 직업생활을 하는데 상 으로 불리하 을 뿐만 아니라 여태까지 장애

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만 가지고 직업을 가질 수가 없어가 직업으로부터 소외

되어 삶의 질은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이달엽, 2003; 김재익, 2011 재인용).

그리고 직업은 부분의 사람에게 있어서 소득보장의 주요수단으로 생존

과도 직결되므로 인생의 가장 요한 과업 의 하나이다. 한 경제 안정

은 개인의 사회 인 지 를 보장해 뿐만 아니라 자아발 에 미치는 향도

크다. 그래서 직업은 인간의 생활에서 아주 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

다. 한 직업은 개인의 삶의 형태와 내용을 결정하는 요한 요인이므로 우

리의 삶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그리고 인간은 직업을 통하여 자기 자신

과 가족들의 경제 안정을 이루며, 아울러 사회 속에서 자기실 의 잠재 인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더욱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장애인은 신체 ․정신 손상으로 인해 실제로 안정된 직업을 확보하

고 유지할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실 으로 월등히 낮다. 직업에 있어서의

Page 7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71

선택과 의사결정은 개인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사건이다. 그러나 역사 으

로 신체 ․정신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큰 향을 미치는 이러

한 기회를 박탈당해 왔다(이달엽, 1997). 이러한 직업 은 장애인의 삶의 안정

과 사회참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으로서 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우리사회에서 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직업유지는 경제 자립과 사회통합을

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사회 과제이다. 특히, 증 의 장애인들에 있어서

직업이라는 것은 생계수단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존재에 한

자 심과 자기성취를 통하여 삶에의 강한 의욕을 갖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직업은 자신과 타인에게 혜택을 주는 것을 목 으로 하는 의식 인

노력이며, 이는 생계수단을 제공하고, 일산생활을 규칙화하며, 개인의 가치를

확인해 주고 사회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며, 자아를 실 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

다(김삼섭, 1995). 따라서 직업을 통하여 경제 보수를 받아 생계유지의 수단

이 된다면 이는 자립생활을 해나가는데 매우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2. 자립생활이 장애인고용에 미치는 향

장애인에게 있어서의 고용은 경제 수 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뿐만 아니

라 사회참여를 통한 사회통합의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참여의 기회가 히

낮은 장애인에게 있어서 고용은 매우 요한 사회참여의 기회이며, 더불어 고

용을 통한 직업만족은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도 향을 미치게 된다(김 자,

2011). 한, 사회에서 직업이라는 것은 한 개개인의 삶의 행복을 추구하

기 한 주요한 수단이 되고 나아가 사회 기여, 자아실 이라는 세 가지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즉 직업을 통하여 생계가 유지되고, 이러한 경제 활동

을 통해서 얻는 소득은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 따라서 직업은 사회활동의 가

장 요한 수단이기에 직업이 없이는 극히 제한 인 사회활동만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련하여 Brown(1997)은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부조 여

에 의존하여 살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비록 그 일자리가 임 의 단순노동이

Page 8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72

라고 해도, 일을 통하여 근로습 과 기술을 익히며 더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무슨 일이든 일을 시작하는 것 자체가 요하다고 언 하고 있다

(이성규, 2000).

한 장애인에게 있어서의 고용은 심리ㆍ사회 으로도 안정감을 주고 있는

데, 이에 해 Barnes(1998)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사람들은 사회 ㆍ심리 안

정을 리게 된다고 하 다. 이것은 단지 직업이 만족의 수단임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무 의 노동이나 를 통해서도 동일한 사회 ㆍ심리 안녕감을

얻게 되지만 직업은 상당한 가치와 지 그리고 많은 인간 계를 가져다주므로

결과 으로 장애인을 포함해 직업을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은 사회 ㆍ심리 으

로 고통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Lonsales(1990)도 장애인의 취업은 하루일과를

조직하고 회사와 동료를 갖게 해주며 체면도 세워 다고 하 고, Shearer(1981)

도 직업은 ‘성인의 세계에 진입하는 허가증“이라고 하면서, 실업의 지루함과 고

립감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개인 사회 이익을 가져다주어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향을 다(이성규, 2002) 라고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인의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립을 해서는 장애인의 고용이

매우 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해서 부분의 복지국가에서도

증의 장애인들에게 보호보다는 근로를 통한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립을 도모

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의 소규모작업장 역시 증의 장애인들이 특

수학교 고등부 졸업 후 생활시설보다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립의 한 수단으

로서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일본의 소규모작업장의 설립배경을 보면 증의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노동을 통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인 자조모임,

여가, 스포츠, 평생학습 등 사회참여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조원일 외, 2007).

따라서 장애인고용은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을 하기 해서 경제 소득

뿐만이 아니라 고용을 통한 지역사회 참여가 가능하고 지역사회 참여를 통하

여 사회구성원으로서 삶을 해나가는데 매우 요한 역임을 알 수 있다.

Page 8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2장 이론 배경 73

3. 자립생활 패러다임 향에 의한 고용지원서비스

장애인에게 있어서의 고용이 자립생활을 하는데 매우 요한 요소이

기 때문에 최근 자립생활 패러다임에서도 장애인 고용에 한 심이 매우 높

다. 따라서 자립생활모델에 향을 받아 설립된 장애인 당사자 심의 기 에

서도 기존의 활동보조서비스, 장애운동과 권익옹호활동 등의 고유사업에서 벗

어나 고용지원서비스를 개하고 있고, 재활모델에 의한 문가 심의 기

에서도 기존의 직업훈련이나 직업교육 로그램에서 벗어나 지원고용, 근로지

원인 제도 등 인 ㆍ물 지원을 통한 고용서비스 제공으로 변화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주로 자립생활 이념에 의해 설립된 자립생활센터를 심으로 고용

지원서비스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미국의 경우를 보면, 미국의 자립생활센터에서는 권익옹호활동, 자립

생활기술훈련, 정보제공과 의뢰, 동료상담 등 4가지 사업이 핵심 사업으로 구

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지역사회내의 장애인들의 욕구를 반 하여 4가지

핵심 사업에다 고용지원서비스 사업을 추가하여 국의 자립생활센터를 하나

의 네트워크로 활용하여 고용지원서비스를 개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자

립생활센터에서도 구직자에 한 직업목표설정, 직업개발, 직업소개, 사후지도,

고용주 서비스 등 통 인 고용지원서비스가 행해지고 있다. 1995년 미국의

141개 자립생활센터를 상으로 고용지원서비스 실시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24%가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2003년 109개 자립생활센

터를 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77%가 고용지원서비스를 행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정식, 2006).

일본의 경우에는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을 보장하기 해 근간이 되고 있는

법은 2006년 4월에 법제화된 ‘장애인자립지원법’이다. 이는 1996년 「시정

(시군구) 장해자생활지원사업」의 향을 받아 2003년 4월 제정된 ‘지원비제

도’의 개정법이라 할 수 있다.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경우

에도 ‘장애인자립지원법’ 제 3장 지역생활지원사업(시정 지역생활지원사업)의

Page 8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74

제77조 제78조에서 규정에 의해 운 되고 있고, 센터의 사업으로는 자립

생활 로그램, 동료상담, 권리옹호, 체험홈 운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최근에

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고용지원서비스를 극 으로 개하고 있다(이채식,

2010).

장애인자립지원법에서 시행되는 사업은 다음의 〔그림 2-1〕에서 알 수 있

듯이 크게 생활개호(활동보조서비스), 취로이행지원, 취로계속사업, 지역활동지

원사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고용지원사업이 주요 핵심 사업으로

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립지원법 제정 이후 생활시설에서 지역사

회로 이행하는 증의 장애인들이 증가하고 있고, 많은 증의 장애인들이 고

용에 한 욕구가 높아 고용지원서비스에 한 사업은 확 일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2-1〕 장애인자립지원법에서의 고용지원 내용

현재의 소규모작업장

・ 복수의 장애 종류를

받아들이고 있는 경우

・ 중증장애인의 지역생활을

지지하고 있는 경우

・ 취로지원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경우

・ 설비・법인격의 유무는 다양

《신 사업체계의 핵심》

☆ 3장애 공통의 사업도 가능

☆ 사회복지법인이 아니라도

NPO법인 등에서도 가능

☆ 일정 설비・인원 기준을

충족시킬 것이 필요

☆ 빈 교실・빈 점포 이용도

가능하도록 규제완화

이행이 상정되는 사업

생활개호

취로이행지원

취로계속지원

지역활동지원센터(시정촌 위탁)

중증장애인에 대해 일상생활을

케어하는 외에 창작적 활동 등을

행하는 사업

취로를 희망하는 장애인에게

직장실습 등을 통해 취로에 필요한

능력 , 지식을 육성하는 사업

장애인에게 취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 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사업

장애인의 교류 , 창조적 활동 ,

생산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것들을 조합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

※소규모작업장에 따라서는

다른 유형으로 이행할 수도 있음

장애복지계획에 의거하여

계획적으로 이행

자료 : 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障害保健福祉課(2006)

Page 8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75

제 3 장

조사결과 분석

제1 양 조사결과

1. 조사개요

가. 조사지 구성

본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자 하는 것은 최근 증장애인의 사회참여의 핵

심패러다임인 자립생활과 련하여 고용과의 계를 규명하고 효과 인 지원

체계 수립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 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조

사지를 구성하 다. 조사지의 내용은 다음의 <표 3-1>에 정리되어 있다.

1) 인구사회학 배경

조사지의 인구사회학 변수는 응답자의 성별, 연령, 학력, 거주지, 결혼상

태, 수 여부, 거주형태, 월 평균수입, 주 수입처, 동거가족의 월 평균수입, 장

애유형, 의료서비스 련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8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76

변수 측정도구 문항수

인구사회학

배경인구사회학 변수

성별, 연령, 학력, 거주지, 결혼상태,

수 여부, 거주형태, 월수입, 주수입

처, 동거가족의 월평균수입, 장애유형,

의료서비스

17

일상생활

능력

(ADL)

일상생활능력척도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

동하기, 화장실 사용, 소변조7

일상생활에 한 도움

필요정도, 활동보조서

비스

도움을 많이 받는 사람, 활동보조서비

스의 활용, 활동보조서비스의 만족도3

자립생활

정도

자기결정, 역량강화,

계, 생산성, 사회환

경, 사회참여 변수

권리행사, 자기책임, 자기옹호, 자기신

뢰, 소득, 경험/도 , 자기개발, 가족,

포 계, 의사소통, 활동, 역할,

참여, 취업, 근성, 거주공간

24

취업

취업경험, 고용형태,

작업형태, 근로지원인,

근로지원인 만족도

취업여부, 고용형태, 취업시간, 고용의

무제 용여부, 직장에서의 작업, 근

로지원인의 활용 만족도

7

취업경험 있는 경우:

직장의 배려 지원

보장구, 컴퓨터 지원, 작업매뉴얼, 근

무환경개조, 시설개선1, 시설개선2, 상

사 동료의 인식개선, 공평한 인사

정책, 사내 친목, 연수 훈련, 동료

의 작업보조, 수화통역 등의 지원, 복

약 자기 리, 개별 조정 배

치, 근무형태의 탄력성, 개방형문항

16

취업경험 없는 경우:

일한 없는 이유,

일을 지속시키는 요인

취업 비도, 구체

과제에 한 척도

일을 한 이 없는 요인, 일을 지속함

에 필요한 요인2

취업의지, 취업선택, 취업사 조사, 사

능력습득, 미래에 한 계획, 정보

수집, 취업 련 서류작성, 면 참여,

나의장래에 한 설명, 배려요구, 나

를 설명, 창업에 한 정보수집

13

희망직종, 제도제언 희망하는 업종, 제도제언 개방형문항 2

<표 3-1> 조사지 구성

Page 8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77

① 인구사회학 특성

성별과 연령은 응답자의 기본 인 인구사회학 특성을 나타내며, 분석의

기본 인 변수로 활용하 다. 학력은 기본 인 인구사회학 척도이자 자립생

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학력은 단계별 학교에

한 졸업, 재학여부의 문항으로 구성된 서열척도와 교육년수를 기입하는 비율

척도의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주지는 도시, 소도시, 농어 으로 구

분된 명목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결혼상태는 미혼, 기혼, 사별, 이혼 등과 같은

혼인정보를 얻기 한 문항이다. 거주형태는 자립생활요인과 련하여 거주요

인과 련된 거주형태를 알아보기 한 문항으로 가족소유, 자가, 세, 월세,

시설 등의 주거형태를 질문하 다.

② 경제 특성

증장애인의 경제 특성을 알아보기 하여 월수입여부, 월 평균소득,

주 수입원, 동거가족의 월평균소득 등을 조사지 내용에 포함하 다. 월 수입여

부는 증장애인 당사자의 수입여부를 질문하는 것이고, 월 평균소득은 직

최근 6개월간의 평균 소득을 기입하도록 하 다. 주 수입원은 당사자의 수입

이 있는 경우 수입원을 3순 로 3가지까지 기입하도록 하 다. 동거가족의 월

평균소득은 장애인 당사자가 수입이 없는 경우 의존하는 동거가족의 월수입을

기재하도록 하 다.

③ 장애특성

장애특성은 응답자의 주장애, 복장애, 장애등 을 직 기입하도록 하

고, 장애발생연령을 기입하도록 하여 장애기간을 산출하려 하 다. 의료서비스

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련 요인과 련하여 의료 자립여부를 측정하기

하여 의료서비스 필요여부와 필요한 의료서비스 항목을 질문하 고, 상

Page 8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78

황시 필요한 의료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한 문항을 포함하 다.

2) 일상생활자립능력(ADL)

일상생활자립능력은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을 결정하는 주요요인 하나

이다. 일상생활자립능력을 측정하기 하여 일상생활척도(ADL),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 활동보조서비스 련 문항을 조사지에 포함하 다.

① 일상생활척도(ADL)

일상생활척도는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하기, 화장실 사용

하기, 소변 조 하기 등의 7문항으로 Kenny(1965)가 개발한 자기 리척도를

기반으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재구성하 으며, ‘ 으로 다른 사람에게 의

존한다.’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혼자서 한다.’의 3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② 주 도움자

주 도움자는 집에서 증장애인 당사자에게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에

해서 3순 로 3명까지 응답하도록 하 다.

③ 활동보조서비스

활동보조 련 문항은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여부를 묻는 질문과 활동보조서

비스에 한 만족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 다. 활동보조서비스에 한 만

족도는 서비스 이용시간, 서비스 내용, 활동보조인의 숙련도, 제공기 의 문

성, 본인부담, 서비스 체 등 6문항 5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Page 8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79

3) 자립생활척도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정도를 측정하기 한 척도로는 윤재 (2010)이 개

발한 장애인자립생활척도를 활용하 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일본의 휴먼 어

회가 개발한 ‘자립생활에 한 자기평가’도구를 기반으로 국립재활원에서 개

발한 증장애인 자립생활 자가평가지표를 많이 활용하 으나 척도가 체계

이지 못하고 타당도와 신뢰도에 논란이 많았다. 따라서 최근에 개발된 윤재

의 장애인 자립생활 척도를 활용하기로 하 다. 원 척도는 자기신뢰, 자기결

정, 역량강화, 가족 계, 이웃 동료 계, 복잡한 인 계, 공동체 계, 생

산성, 사회환경의 9개 역 47개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 활용하

기에 문항수가 무 많아 원 개발자와의 의를 통하여 확인 요인분석 요인

부하량에 근거하여 기여수 이 높은 문항 순으로 9개 항목 23개 문항으로 축

소된 척도를 활용하 다. 척도에 한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은

0.917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 다.

그리고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한 선행요소에 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자립생활 결정요인으로 도출된, 주거, 소득, 고용, 신변자립, 정서 지원, 보장

구, 의료비, 이동권 등에 하여 질문하 다.

4) 취업

취업에 해서는 취업과 련된 취업경험여부, 고용형태, 직업형태, 근로지

원인,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 미취업 이유, 취업지속(시작)요인, 취업 비도

등의 항목으로 조사지를 구성하 다.

① 취업경험

취업경험과 련하여 취업경험여부에 한 질문은 재 소득이 있는 직장

에 취업, 과거에 취업, 취업경험 없음의 2개 항목으로 질문하 고, 취업경험과

Page 8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0

련하여 정규직, 비정규직 등의 고용형태, 주당 근무시간에 따른 취업시간,

고용의무제 용여부 등을 질문하 으며, 취업경험이 있는 경우 직장에서의

직무에 하여 질문하 다.

② 근로지원인

증장애인을 상으로 한 표 인 취업지원 서비스인 근로지원인과

련하여 근로지원인 서비스 이용여부와 만족도를 질문하 다. 만족도는 활동보

조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이용시간, 서비스 내용, 근로지원인의 숙련도,

제공기 의 문성, 본인부담, 서비스 체 등 6문항 5 척도로 구성하 다.

③ 직장 내 배려 지원

취업경험이 있는 증장애인의 경우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 여부와 필

요도를 알아보기 하여 직장 내 배려 지원에 한 16개 문항을 질문하

다. 이 문항들은 일본의 National Institu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에서

2011년 3월에 발간한 ‘장해자의 자립지원과 취업지원의 효과 연계를 한

실증 연구’의 조사지 직장의 배려 지원에 한 34문항을 우리나라

실에 맞도록 수정하여 보장구, 작업매뉴얼, 근무환경, 시설개선, 인식개선, 인

사정책, 사내 친목, 연수 훈련, 동료의 작업보조, 수화통역 등의 15문항으로

재구성하 다. 마지막에는 필요한 직장 내 배려 지원에 한 개방형 질문

을 추가하 다.

④ 미취업 이유, 고용지속(시작)요인

취업경험이 없는 장애인을 상으로는 소득이 있는 일에 종사하지 않은

사유에 하여 질문하 다. 그리고 취업자, 미취업자 공통문항으로 취업을 시

작하거나 지속하기 하여 필요한 요인 지원에 하여 질문하 다.

Page 8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81

⑤ 취업지원도

취업지원도는 일본의 National Institu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에서

2011년 3월에 발간한 ‘장해자의 자립지원과 취업지원의 효과 연계를 한

실증 연구’의 조사지 장애인이 취업하거나 직장 복귀와 련하여 스스로

의 비도를 검하기 한 취업의지, 선택, 사 조사, 능력습득, 미래계획, 정

보수집, 서류작성, 면 참여, 장애설명, 배려요구, 창업정보수집 등의 13개 문

항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 다.

⑥ 희망직종

희망직종은 취업할 경우 원하는 직종에 하여 복으로 응답하도록 하 다.

나. 조사방법

1) 조사 상자 선정

본 조사는 취업을 경험하 거나 취업욕구를 가지고 있는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고 있거나 복지 등을 이용 인 재가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 다.

조사 상자의 선정은 장애유형, 거주지역 등을 기 으로 모집단인 장애인구

특성을 반 하여 상자를 선정하 다. 본 조사의 모집단은 자립생활센터(이

하 “센터”라고 함)를 활용 인 증장애인으로 선정하 으나, 센터를 활용

인 증장애인과 복지 등을 이용하거나 센터를 활용하지 않는 증장애인

간의 “자립”에 한 인식과 이해에 차이가 있어, 본 연구의 자문 원회(2011.

08 .23)와 간보고회(2011. 09. 22)의 의견을 수렴하여 상자선정을 수정하

다(이에 한 경과설명은 연구의 한계 부분을 참고). 이에 국의 등록장애인

15세이상 65세이하의 경제활동인구의 증 1~3 에 해당되는 장애인 ,

Page 9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2

기존의 통계자료를 통해서는 증장애인의 사례를 정확하게 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국의 장애인종합복지 시․청각복지 , 뇌병변, 뇌성마비복지

을 상으로 유선을 통해 연구의 취지 상자에 해 설명한 후 설문조사

상자를 추천받아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2) 자료수집방법

본 조사는 국에 치한 장애인복지 , 직업능력개발원, 보호작업장, 자립

생활센터, 장애인 단체 등 국 183개 장애인 련단체 25개 단체의 조를

받아 1,000부를 발송하 고, 총 504부를 회수하 으며 이 기입에 문제가 있

는 설문지를 제외한 435부를 통계에 활용하 다.

상 기 이용 증장애인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작성하게 하여 수거하

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수도권 일부 기 에는 연구원이 직 방문하여 조사

를 실시하 고, 지방에 치한 기 의 경우 우편으로 설문을 보내고 담당자가

설문을 주도하여 회수하고 우편으로 반송하는 형식을 활용하 다. 한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보이스리더 로그램 활용을 하여 련 단체를 통한 이

메일 조사를 실시하 다.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설문에 한 이해를 돕기

하여 수화통역사를 활용하여 설문 내용을 설명하고 기입하게 하는 방식으로

직 조사를 실시하 다. 응답률을 높이기 하여 우편, 이메일, 팩스, 조사원활

용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 다.

설문지 배부 회수 황은 다음 <표 3-2>와 같다.

구분배포가능한

배포한

설문지

배부 황

설문지

회수 황

합계 183 25 1,000 504

<표 3-2> 설문지 배부 회수 황

Page 9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83

3) 조사기간

조사기간은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2개월간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

를 배포한 후 회수를 한 독려 화와 설문지에 한 질문 는 문의사항에

한 의문이 있는지에 한 화를 각 기 마다 3차례씩 진행하 다.

다. 분석방법

회수된 설문지는 코딩이 완료 된 후 SPSS 17.0 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을 실시하 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평균비교, 상 계분석, 회귀

분석 등이다.

2. 조사결과

가. 조사 상자의 기본 인 특성

1) 인구사회학 특성

조사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은 다음의 표에 정리되어 있다.

① 일반 인 특성

응답자의 성별분포는 남성 63.7%, 여성 36.3%로 남성의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퇴)이 46.5%로 반 가까

운 비율을 나타내었다.

응답자의 거주지역은 도시가 66.5%로 과반수 이상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조사에 참여한 장애인복지 , 자립생활센터 등이 도시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것과 련이 있다고 추측된다. 응답자의 혼인상태는 미혼이 77.6%로 높은 비

율을 보 고 기혼은 17.4%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기 생활보장수 여부는 해

Page 9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4

당없음이 71.2%로 나타났고 기 생활 수 자는 22.0%로 나타났다. 거주형태는

가족소유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가 45.%로 나타났다. 연령분포는 21~30

세가 41.1%로 가장 많았고, 31~40세 26.0%, 41~50세 13.6% 등의 순으로 나타

났다. 응답자의 평균 연령은 34.6세로 나타났다.

빈도 비율

성별

남성 277 63.7

여성 158 36.3

합계 435 100.0

학력

등학교 졸업 이하 22 5.1

학교 졸업, 퇴 33 7.6

고등학교 재학 10 2.3

고등학교 졸업, 퇴 201 46.5

학교 재학 34 7.9

학교 졸업, 퇴 114 26.4

학원 이상 재학 7 1.6

기타 11 2.5

합계 432 100.0

거주지역

도시(특별시, 역시) 280 66.5

소도시(시, 구) 126 29.9

농어 (군) 15 3.6

합계 421 100.0

혼인상태

미혼 330 77.6

기혼 74 17.4

이혼 12 2.8

별거 2 .5

사별 7 1.6

합계 425 100.0

기 수 여부

해당없음 294 71.2

차상 계층 28 6.8

기 생활수 자 91 22.0

합계 413 100.0

<표 3-3> 응답자의 인구사회학 특성

Page 9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85

빈도 비율

거주형태

본인 소유의 집 45 10.4

가족 소유의 집 195 45.0

세 63 14.5

월세 39 9.0

자립생활 체험홈 10 2.3

공공임 주택 49 11.3

복지시설 13 3.0

기타 19 4.4

합계 433 100.0

연령

20세 미만 15 3.4

21~30세 179 41.1

31~40세 113 26.0

41~50세 59 13.6

51~60세 48 11.0

61~70세 14 3.2

71세 이상 7 1.6

합계 435 100.0

<표 3-4> 응답자의 인구사회학 특성(계속)

② 응답자의 경제 특성

응답자의 경제 특성을 살펴보기 하여 개인 인 월수입여부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50.4%는 없다고 응답하 고, 49.6%는 있다고 응답하 다. 응답

자의 평균수입은 약 83만원(201명 응답)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의 최소값은 2

만원이었고, 최 값은 500만원이었다. 주 수입원을 3순 까지 선택하게 한 결

과, 취업으로 인한 여가 1순 가장 높았고, 2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

족지원, 3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족지원, 장애연 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9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6

빈도 비율

월수입여부

있다 211 49.6

없다 214 50.4

합계 425 100.0

수입원

1순

취업으로 인한 여 96 45.3

장애인수당 16 7.5

자 업에 의한 수입 3 1.4

보호작업장 임 30 14.2

가족지원 13 6.1

기 생활수 자 생계비 30 14.2

장애연 13 6.1

기타 11 5.2

합계 212 100.0

수입원

2순

취업으로 인한 여 9 8.0

장애인수당 35 31.0

부동산 등으로 인한 수입 3 2.7

보호작업장 임 9 8.0

가족지원 29 25.7

기 생활수 자 생계비 11 9.7

장애연 9 8.0

기타 8 7.1

합계 113 100.0

수입원

3순

취업으로 인한 여 2 3.8

장애인수당 16 30.8

자 업에 의한 수입 2 3.8

보호작업장 임 1 1.9

가족지원 14 26.9

기 생활수 자 생계비 1 1.9

장애연 11 21.2

기타 5 9.6

합계 52 100.0

<표 3-5> 응답자의 경제 특성

Page 9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87

③ 응답자의 장애 특성

응답자의 장애유형을 살펴보면 지체장애가 27.6%로 가장 많았고, 뇌병변장

애 18.9%, 지 장애 19.3%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장애가 있다고 한 경우는

54명이었는데 언어장애(38.9%)가 가장 많았다. 장애등 은 2 이 36.2%로 가

장 많았으나 1 32.1%, 3 31.7%로 비슷한 비율을 보 다.

장애발생연령은 평균 12세로 최소 연령은 0세, 최고 연령은 65세로 나타났다.

빈도 비율

장애유형

지체장애 120 27.6

뇌병변장애 82 18.9

시각장애 39 9.0

청각장애 46 10.6

언어장애 1 .2

지 장애 84 19.3

발달장애 6 1.4

정신장애 48 11.0

호흡기장애 1 .2

간장애 1 .2

장루요루장애 1 .2

간질장애 3 .7

신장장애 3 .7

합계 435 100.0

<표 3-6> 장애유형

Page 9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88

빈도 비율

복장애

지체장애 5 9.3

뇌병변장애 7 13.0

시각장애 4 7.4

청각장애 4 7.4

언어장애 21 38.9

지 장애 1 1.9

발달장애 1 1.9

정신장애 2 3.7

호흡기장애 1 1.9

간장애 1 1.9

장루요루장애 1 1.9

간질장애 2 3.7

안면장애 2 3.7

신장장애 2 3.7

합계 54 100.0

장애등

1 135 32.1

2 152 36.2

3 133 31.7

합계 420 100.0

<표 3-7> 복장애 장애등

2) 일상생활 특성

증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측정하기 하여 ADL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

를 실시하 다. 3 척도로 옷입기부터 소변 조 까지 7개 문항으로 이루어

진 ADL 척도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9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89

① 일상생활능력

조사결과 증답자의 일상생활능력 수평균은 2.8 (3 만 )으로 일상생

활능력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에 정리되어 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 식사하기, 이동하기, 화장실사

용하기, 소변조 하기 등에 하여 혼자서 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압

도 으로 많았으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하는 경우는 체 으

로 5% 미만이었다. 다만 목욕하기의 경우에는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하는 경우가 8.2%로 다른 문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옷입기(12.3%), 목욕(14.7%), 식사하기(10.2%)가

10%가 넘는 결과를 나타냈다.

② 주 도움자

응답자에게 주로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에 하여 질문한 결과 총 948개의

복응답이 제출되었다. 응답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 가장 높은 비율

을 나타낸 것은 어머니로 25.3%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아버지로 19.6%로

주로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으로 부모가 차지하는 비 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 형제자매도 16.0%로 나타나 증장애인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사

람이 여 히 가족에 치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③ 의료서비스 필요도

응답자에게 일상생활을 하여 의료서비스가 필요한가를 질문한 결과 응

답자의 54.6%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 다. 그러나 필요로 하는 경우도

45.3%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ge 9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90

빈도 비율 평균

옷입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24 5.6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53 12.3

혼자서 한다 355 82.2

합계 432 100.0

세수

하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20 4.7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28 6.5

혼자서 한다 381 88.8

합계 429 100.0

목욕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35 8.2

2.7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63 14.7

혼자서 한다 331 77.2

합계 429 100.0

식사

하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17 3.9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44 10.2

혼자서 한다 371 85.9

합계 432 100.0

이동

하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18 4.2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38 8.9

혼자서 한다 372 86.9

합계 428 100.0

화장실

사용

하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17 3.9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36 8.4

혼자서 한다 378 87.7

합계 431 100.0

소변

하기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17 4.0

2.8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27 6.3

혼자서 한다 385 89.7

합계 429 100.0

<표 3-8> 일상생활능력(ADL)

Page 9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91

빈도 비율

의료서비스

필요로 한다 193 45.4

필요로 하지 않는다 232 54.6

합계 425 100.0

시 한

의료서비스

이용이 가능한가

그 지 않다 29 7.2

별로 그 지 않다 42 10.4

그 그 다 108 26.9

약간 그 다 105 26.1

매우 그 다 118 29.4

합계 402 100.0

<표 3-10> 의료서비스 특성

빈도 비율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99 10.4

아버지 186 19.6

어머니 240 25.3

배우자 36 3.8

형제자매 152 16.0

조부모 7 0.7

친척 21 2.2

자녀 36 3.8

자녀의 배우자 2 0.2

활동보조인 59 6.2

친구 는 지인 60 6.3

자원 사자 13 1.4

이웃 15 1.6

기타 22 2.3

합계 948 100.0

<표 3-9> 주 도움 제공자

Page 10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92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를 복응답으로 처리한 결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는 재활치료(24.1%)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압, 체온, 호

흡 맥박의 체크, 세안, 이발, 입욕도움 등 청결에 한 도움(15.3%), 식사,

수분, 양 리(1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황시 한 의료 조

치를 받을 수 있는가에 해서는 ‘매우 그 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29.4%로

가장 많았다.

빈도 비율

압, 체온, 호흡 맥박의 체크 77 19.9

세안, 이발, 입욕도움 등 청결에 한 도움 59 15.3

식사, 수분, 양 리 58 15.0

욕창 등의 조치 11 2.8

산소, 인공호흡기 등의 의료기기 사용 8 2.1

복약지도 리 39 10.1

장 등 배설도움 15 3.9

재활치료 93 24.1

기타 26 6.7

Total 386 100.0

<표 3-11> 필요 의료서비스( 복응답)

④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과 련하여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는 27.5%로 나타났고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72.5%로 부

분을 차지하 다.

활동보조 서비스에 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활동보조에 한 만족도

Page 10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93

평균은 2.3 (5 만 )으로 나타나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빈도 비율 평균

활동보조

이용하고 있다 116 27.5

- 이용하지 않는다 306 72.5

합계 422 100.0

만족도

:서비스이용

시간

매우 만족스럽다 34 29.3

2.6

약간 만족스럽다 22 19.0

그 그 다 31 26.7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17 14.7

만족스럽지 않다 12 10.3

합계 116 100.0

만족도

:서비스내용

매우 만족스럽다 38 33.9

2.1

약간 만족스럽다 37 33.0

그 그 다 29 25.9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4 3.6

만족스럽지 않다 4 3.6

합계 112 100.0

만족도

:활동보조인의

숙련도

매우 만족스럽다 37 33.0

2.1

약간 만족스럽다 41 36.6

그 그 다 27 24.1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4 3.6

만족스럽지 않다 3 2.7

합계 112 100.0

만족도

:제공기 의

문성

매우 만족스럽다 38 34.5

2.2

약간 만족스럽다 32 29.1

그 그 다 29 26.4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6 5.5

만족스럽지 않다 5 4.5

합계 110 100.0

<표 3-12> 활동보조서비스

Page 10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94

빈도 비율 평균

만족도

:본인부담

매우 만족스럽다 25 22.3

2.9

약간 만족스럽다 20 17.9

그 그 다 28 25.0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20 17.9

만족스럽지 않다 19 17.0

합계 112 100.0

만족도

:서비스 체

만족도

매우 만족스럽다 33 29.2

2.3

약간 만족스럽다 35 31.0

그 그 다 32 28.3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8 7.1

만족스럽지 않다 5 4.4

합계 113 100.0

<표 3-13> 활동보조서비스(계속)

만족도 문항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이용시간에 한 만족도는 2.6 으로 나

타났으며, 서비스 내용에 해서는 2.1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활동보조

인의 숙련도 2.1, 제공기 의 문성 2.2, 서비스 체의 만족도는 2.3로 낮은

편이었고, 본인부담에 한 만족도는 2.9 으로 다른 문항에 비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나. 조사 상자의 자립생활 특성

1) 자립생활정도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도를 측정하기 하여 윤재 (2010)의 자립생활

척도를 활용하 다. 윤재 이 재수정한 23개 척도문항을 활용하 다.

각 문항에 한 조사 상자의 응답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10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95

빈도 비율 평균

나의 권리를 찾아

행사하고 있다

그 지 않다 22 5.1

3.5

별로 그 지 않다 63 14.5

그 그 다 126 29.0

약간 그 다 122 28.0

매우 그 다 102 23.4

합계 435 100.0

나 자신의

생각이나 필요를

자신있게 남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

그 지 않다 23 5.3

3.7

별로 그 지 않다 41 9.4

그 그 다 106 24.4

약간 그 다 140 32.2

매우 그 다 125 28.7

합계 435 100.0

나 자신에게

떳떳하다

그 지 않다 15 3.4

3.7

별로 그 지 않다 48 11.0

그 그 다 126 29.0

약간 그 다 117 26.9

매우 그 다 129 29.7

합계 435 100.0

<표 3-14> 자립생활 - 자기신뢰

자기신뢰와 련된 척도범주에 한 조사결과는 체 으로 정 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생각을 표 하고 스스로를 떳떳하게 여기는 일에 해서 그

다고 정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리행사의 측면에서도

정 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Page 10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96

빈도 비율 평균

나의 경제

상황을 고민하고

계획하고 있다

그 지 않다 27 6.2

3.8

별로 그 지 않다 44 10.1

그 그 다 89 20.5

약간 그 다 114 26.2

매우 그 다 161 37.0

합계 435 100.0

내 삶에 필요한

의식주를

걱정한다

그 지 않다 33 7.6

3.7

별로 그 지 않다 49 11.3

그 그 다 92 21.1

약간 그 다 112 25.7

매우 그 다 149 34.3

합계 435 100.0

<표 3-15> 자립생활 - 자기결정

자기결정과 련된 척도범주에서도 스스로의 경제 상황과 의식주를 걱정

하고 고민하는 부분에 있어 응답자들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역량강화와 련된 문항에 해서도 정 인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새로운 삶에 한 꿈(3.8 )과 성장과 발 에 한 욕심(3.8 )을 가지고 새로

운 희망을 가지고 변화에 도 (3.6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0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97

빈도 비율 평균

새로운 삶에 한

꿈을 가지고 있다

그 지 않다 21 4.8

3.8

별로 그 지 않다 44 10.1

그 그 다 96 22.1

약간 그 다 104 23.9

매우 그 다 170 39.1

합계 435 100.0

나의 성장과

발 에 한

욕심을 가지고

있다

그 지 않다 19 4.4

3.8

별로 그 지 않다 51 11.7

그 그 다 86 19.8

약간 그 다 104 23.9

매우 그 다 175 40.2

합계 435 100.0

새로운 희망을

가지고 변화에

도 한다

그 지 않다 23 5.3

3.6

별로 그 지 않다 67 15.4

그 그 다 101 23.2

약간 그 다 101 23.2

매우 그 다 143 32.9

합계 435 100.0

<표 3-16> 자립생활 - 자기역량강화

Page 10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98

빈도 비율 평균

부모님의 보호를

벗어나

심리 으로

충분히 독립되어

있다

그 지 않다 53 12.2

3.4

별로 그 지 않다 69 15.9

그 그 다 92 21.1

약간 그 다 102 23.4

매우 그 다 119 27.4

합계 435 100.0

가족들과의 계

속에서 나의

치가 명확하다

그 지 않다 20 4.6

3.7

별로 그 지 않다 53 12.2

그 그 다 119 27.4

약간 그 다 102 23.4

매우 그 다 141 32.4

합계 435 100.0

가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

그 지 않다 45 10.3

3.2

별로 그 지 않다 82 18.9

그 그 다 123 28.3

약간 그 다 97 22.3

매우 그 다 88 20.2

합계 435 100.0

<표 3-17> 자립생활 - 가족 계

가족 계와 련된 문항에서는 가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문항에서는 비

교 낮은 수(3.2 )를 나타냈으나 가족 계 속에서의 치가 명확한가(3.7

), 부모에게서 심리 으로 독립되어 있는가(3.4 )에 해서는 정에 기운

수결과를 보 다.

Page 10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99

빈도 비율 평균

집에 사는

이웃과 알고

지낸다

그 지 않다 59 13.6

3.1

별로 그 지 않다 79 18.2

그 그 다 121 27.8

약간 그 다 119 27.4

매우 그 다 57 13.1

합계 435 100.0

동료 장애인들이

나의 생활에 큰

힘이 된다

그 지 않다 17 3.9

3.6

별로 그 지 않다 40 9.2

그 그 다 132 30.3

약간 그 다 146 33.6

매우 그 다 100 23.0

합계 435 100.0

<표 3-18> 자립생활 - 이웃 동료 계

이웃 동료 계에 한 문항에서는 집에 사는 이웃과 알고 지내는 부

분에 해서는 다소 낮은 수(3.1 )를 보 으나 동료 장애인들과의 계에

해서는 정 인 반응(3.6 )을 나타내었다.

인 계와 련된 문항들에서는 사람들은 많이 만나는 편(3.5 )이며,

스스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3.6 )고 답하 으나

남들이 자신을 필요로 하는가에 한 부분(3.3 )에 해서는 다소 낮게 나타

났다.

Page 10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0

빈도 비율 평균

사람들을 많이

만난다

그 지 않다 17 3.9

3.5

별로 그 지 않다 59 13.6

그 그 다 130 29.9

약간 그 다 127 29.2

매우 그 다 102 23.4

합계 435 100.0

남들이 나를

필요로 한다

그 지 않다 25 5.7

3.3

별로 그 지 않다 81 18.6

그 그 다 143 32.9

약간 그 다 122 28.0

매우 그 다 64 14.7

합계 435 100.0

내가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활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 지 않다 17 3.9

3.6

별로 그 지 않다 45 10.3

그 그 다 131 30.1

약간 그 다 136 31.3

매우 그 다 106 24.4

합계 435 100.0

<표 3-19> 자립생활 - 복잡한 인 계

공동체에서의 계와 련된 문항에서는 자신의 장애를 잘 설명할 수 있

는가에 해서는 3.6 의 평균을 보 고, 이런 런 일로 바쁜지(3.4 ), 단체등

에 소속감을 가지고 있는지(3.4 )에 해서는 약간 낮은 수를 보 다.

Page 10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01

빈도 비율 평균

나의 장애를

남에게 잘

설명해 수 있다

그 지 않다 25 5.7

3.6

별로 그 지 않다 61 14.0

그 그 다 116 26.7

약간 그 다 111 25.5

매우 그 다 122 28.0

합계 435 100.0

이런 런 일로

바쁘다

그 지 않다 32 7.4

3.4

별로 그 지 않다 64 14.7

그 그 다 134 30.8

약간 그 다 116 26.7

매우 그 다 89 20.5

합계 435 100.0

사회인으로서

단체나 모임에

소속감을 가지고

있다

그 지 않다 33 7.6

3.4

별로 그 지 않다 71 16.3

그 그 다 108 24.8

약간 그 다 114 26.2

매우 그 다 109 25.1

합계 435 100.0

<표 3-20> 자립생활 - 공동체 계

생산성과 련된 문항은 다른 문항범주들에 비해 낮은 수를 보 는데,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쓰는가에 해서는 2.7 , 한 수입이 있는 직장을

가지고 있는가에 해서는 2.2 으로 부정 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증

장애인들이 경제 생산성의 측면에서 아직 많이 취약하다는 것을 부분 으로

보여주는 증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Page 11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2

빈도 비율 평균

나의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쓴다

그 지 않다 148 34.0

2.7

별로 그 지 않다 64 14.7

그 그 다 86 19.8

약간 그 다 65 14.9

매우 그 다 72 16.6

합계 435 100.0

한 수입이

있는 직장을

가지고 있다

그 지 않다 211 48.5

2.2

별로 그 지 않다 58 13.3

그 그 다 71 16.3

약간 그 다 44 10.1

매우 그 다 51 11.7

합계 435 100.0

<표 3-21> 자립생활 - 생산성

빈도 비율 평균

마음만 먹으면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다

그 지 않다 60 13.8

3.2

별로 그 지 않다 72 16.6

그 그 다 107 24.7

약간 그 다 96 22.1

매우 그 다 99 22.8

합계 434 100.0

나만의

생활공간을 갖고

있다

그 지 않다 46 10.6

3.4

별로 그 지 않다 60 13.8

그 그 다 117 27.0

약간 그 다 95 21.9

매우 그 다 116 26.7

합계 434 100.0

<표 3-22> 자립생활 - 사회환경

Page 11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03

사회환경과 련된 문항에서는 ‘마음만 먹으면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

다’ 3.2 , ‘자신만의 생활공간을 가지고 있다’ 3.4 으로 정 인 결과를 보

다.

자립생활척도 체 평균 수는 약 3.5 으로 간보다 다소 높은 수를

보 다. 정 인 쪽에 기운 수이기는 하나 100 으로 환산했을 경우 평균

69.09 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인 윤재 의 연구(2010)에서의 자립생활도 평

균 63.63 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2) 자립생활 선행요소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에 한 질문결과 다음과

같은 응답이 제시되었다.

빈도 비율

자립생활

선행요소

독립 인 주거지원 88 21.1

장애연 등의 소득보장지원 149 35.7

고용지원 114 27.3

신변자립에 한 지원 14 3.4

동료상담 등의 정서 지원 21 5.0

보장구 지원 7 1.7

의료비 지원 10 2.4

이동권 지원 9 2.2

기타 5 1.2

합계 417 100.0

<표 3-23> 자립생활 선행요소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에 해서는 장애연 등

의 소득보장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고용지원(27.3%), 독립 인 주거지원(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1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4

빈도 비율

직장경험

여부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119 29.2

재는 수입이 없지만 과거에 수입이 있는 직장

에서 일 한 이 128 31.4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 본 이 없다 161 39.5

합계 408 100.0

고용

취업형태

정규직 92 35.1

트타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91 34.7

자 업, 개인사업 15 5.7

보호고용(보호작업장 등) 54 20.6

기타 10 3.8

합계 262 100.0

취업시간

상근(주 40시간 이상)근무 153 61.7

주 20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무 63 25.4

주 20시간 미만 근무 32 12.9

합계 248 100.0

장애인

의무고용

장애인의무고용(50인 이상) 69 32.9

자회사형 표 사업장 40 19.0

장애인의무고용 미 용(50인 미만) 101 48.1

합계 210 100.0

<표 3-24> 취업특성

다. 조사 상자의 취업 련 특성

1) 취업경험

조사 상 장애인들의 취업경험을 알아보기 하여 지 까지 수입이 있는

직장에 종사한 이 있는 지 질문해 보았다.

Page 11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05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본 이 없는 경우가 39.5%로

가장 많았고 과거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경우가 31.4%,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가 29.2%로 나타났다.

과거 는 재의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35.1%, 트타임. 아르바이트, 비정

규직이 34.7%로 나타났으며 보호고용(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했던

경우도 20.6%로 나타났다. 취업시간은 주 40시간 이상 상근근무가 61.7%로 과

반수를 차지하 고, 취업 사업장의 48.1%는 장애인의무고용 미 용사업체인

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이었다.

Responses

N Percent

a

제과, 제빵이나 도시락 등 식품제조 매 17 5.8

카페 등의 음식 매 에서 근무 24 8.2

목공, 재 , 악세사리 등 제조 매 14 4.8

컴퓨터 련이나 인쇄 등에 근무 53 18.2

투 붙이기, 로셔 기 등의 가벼운 작업 29 10.0

동료상담, 활동가 등 자립생활센터 련 직업 25 8.6

안마업 7 2.4

도배업 1 0.3

기타 121 41.6

Total 291 100.0

<표 3-25> 직무유형

취업 이거나 취업했던 직장에서 했던 일은 기타가 41.6%로 가장 많았고

컴퓨터 련 는 인쇄업이 18.2%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Page 11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6

① 근로지원 서비스 이용여부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한 이 있는 지를 질문한 결

과 응답자 260명 21.9%가 이용한 이 있다고 응답하 다.

빈도 비율

근로지원인

서비스

이용한 있다 57 21.9

이용한 없다 203 78.1

합계 260 100.0

<표 3-26> 근로지원서비스 이용여부

빈도 비율 평균

서비스 이용시간

매우 만족스럽다 12 21.1

2.7

약간 만족스럽다 13 22.8

그 그 다 19 33.3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5 8.8

만족스럽지 않다 8 14.0

합계 57 100.0

서비스내용

매우 만족스럽다 14 25.5

2.6

약간 만족스럽다 11 20.0

그 그 다 19 34.5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6 10.9

만족스럽지 않다 5 9.1

합계 55 100.0

<표 3-27> 근로지원 서비스 만족도

Page 11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07

빈도 비율 평균

근로보조인의

숙련도

매우 만족스럽다 10 18.2

2.7

약간 만족스럽다 13 23.6

그 그 다 21 38.2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7 12.7

만족스럽지 않다 4 7.3

합계 55 100.0

제공기 의 문성

매우 만족스럽다 12 21.4

2.8

약간 만족스럽다 7 12.5

그 그 다 24 42.9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9 16.1

만족스럽지 않다 4 7.1

합계 56 100.0

본인부담

매우 만족스럽다 10 17.9

2.8

약간 만족스럽다 10 17.9

그 그 다 22 39.3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8 14.3

만족스럽지 않다 6 10.7

합계 56 100.0

서비스

체의만족도

매우 만족스럽다 11 19.6

2.7

약간 만족스럽다 12 21.4

그 그 다 21 37.5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7 12.5

만족스럽지 않다 5 8.9

합계 56 100.0

<표 3-28> 근로지원서비스 만족도(계속)

근로지원인 서비스에 한 만족도 평균은 2.7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

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이용시간 2.7 , 서비스 내용 2.6 , 근로

보조인의 숙련도 2.7 , 제공기 의 문성 2.8 , 본인부담 2.8 , 서비스 체

Page 11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08

만족도 2.7 으로 체 으로 낮은 수분포를 보 다.

② 직장에서 받았던 배려나 지원

취업하고 있거나 취업했던 직장에서 받았던 지원에 해서는 15개 항목으

로 질문하 다.

빈도 비율

작업보조를 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없음 148 60.4

지원있음 97 39.6

합계 245 100.0

의사소통 컴퓨터이용을 한지원기기

지원없음 146 60.3

지원있음 96 39.7

합계 242 100.0

작업매뉴얼이나 훈련교재

지원없음 141 58.8

지원있음 99 41.3

합계 240 100.0

작업데스크 등

근무환경 개조

지원없음 109 45.6

지원있음 130 54.4

합계 239 100.0

직장출입구, 이동통로 등의 시설개선

지원없음 102 42.9

지원있음 136 57.1

합계 238 100.0

화장실, 휴게소, 식당 등의 시설개선

지원없음 97 40.4

지원있음 143 59.6

합계 240 100.0

편견 등 차별방지를 한 상사

동료의 인식개선

지원없음 91 38.1

지원있음 148 61.9

합계 239 100.0

<표 3-29>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

Page 11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09

빈도 비율

장애와 상 없이 승진이 가능한

인사정책

지원없음 120 50.2

지원있음 119 49.8

합계 239 100.0

사내 친목활동, 동아리 등의 참가지원

지원없음 102 42.9

지원있음 136 57.1

합계 238 100.0

취업 는 직무변화 시 연수나 훈련

지원없음 99 41.8

지원있음 138 58.2

합계 237 100.0

필요시 동료들의 작업보조

지원없음 80 33.6

지원있음 158 66.4

합계 238 100.0

직업생활상담원이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

지원없음 138 57.5

지원있음 102 42.5

합계 240 100.0

근무시간 복약이나 자기 리,

통원치료 등에 한 직장의 배려

지원없음 92 38.7

지원있음 146 61.3

합계 238 100.0

장애특성을 고려한 직무의 개별 인

조정 는 배치

지원없음 90 37.8

지원있음 148 62.2

합계 238 100.0

재택근무, 단축근무, 출근시간 변경 등

융통성있는 근무시간 제공

지원없음 110 46.4

지원있음 127 53.6

합계 237 100.0

<표 3-30> 직장에서의 배려 지원(계속)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작업보조를 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의사소통, 컴

퓨터 이용을 한 지원기기 지원, 작업매뉴얼이나 훈련교재 지원, 직업생활상

담원이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은 지원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리고 장애와 상 없는 승진정책도 약간의 차이로 지원이 없는 경우가

Page 11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10

많았다. 보조공학기기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은 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지원

되는 장애인근로자 지원서비스이나 지원받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볼 때

지원에 한 홍보와 확 가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직장출입구, 이동 통로 등 시설 개선, 화장실, 휴게소, 식장 등의 시설 개

선은 장애인에 한 편의시설 제공과 맞물려 지원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한 차별방지를 한 상사와 동료에 한 인식개선, 사내 친목활동이나

동아리 등의 참가 지원, 취업 는 직무변화 시 연수나 훈련, 필요시 동료들의

작업보조 등은 지원되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직장 내 장애인과 동료, 상

사들과의 계개선을 한 지원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무시간 복약이나 자기 리, 통원치료 등에 한 배려, 장애특

성을 고려한 직무의 조정 는 배치, 재택근무, 단축근무, 출근시간 변경 등의

융통성 있는 근무시간 제공 등도 지원되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③ 일을 한 이 없는 이유

조사 상자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에게

일한 이 없는 이유에 하여 질문하 다. 300개의 복응답이 제시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에 정리되어 있다.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답변은 ‘마땅히 일할 곳을 찾지 못했다’로 27.0%

의 응답률을 보 다. 그 다음으로는 ‘장애가 직장에서 일하는데 합하지 않

아서’ 13.7%, ‘잘 몰라서’ 13.3%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는 ‘일을 따라갈

수 없을 것 같아서’ 10.0%, ‘자신이 없어서’ 8.0% 등의 응답이 있었다.

일을 한 이 없는 장애인들의 미취업 사유는 일할 곳을 찾지 못하거나

합한 일을 찾지 못하거나, 잘 몰라서 등 취업과 련된 정보부족과 자신의

능력에 한 자신감 부족이 체 인 이유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을 볼 때

증장애인의 취업을 활성화하기 해서는 정보제공, 합한 직무개발, 자신감

향상 등의 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Page 11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11

빈도 비율

마땅히 일 할 곳을 찾지 못했다 81 27.0

일을 하면 건강이 악화된다 12 4.0

직장에 통근하는 것이 어려워서 13 4.3

일을 따라갈 수가 없을 것 같아서 30 10.0

직장 내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므로 14 4.7

장애가 직장에서 일하기 합하지 않아서 41 13.7

의사나 가족이 말려서 7 2.3

의욕이 없어서 12 4.0

자신이 없어서 24 8.0

잘 몰라서 40 13.3

기타 26 8.7

합계 300 100.0

<표 3-31> 일한 없는 이유

④ 일을 시작(지속)함에 있어 필요한 것

조사 상자를 상으로 일을 시작하거나 하고 있는 일을 지속하기 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해서 복응답으로 질문하 다. 총 1,218개의 응답

이 있었으며 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응답은 ‘일에 한 기술이나 자격

습득’으로 13.6%의 응답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 정수 의 여’ 10.4%,

‘장애특성별 합직종 개발’ 9.6%, ‘고용주 동료의 장애에 한 배려’ 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2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12

빈도 비율

일에 한 기술이나 자격습득 166 13.6

직업 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 인 매 습득 80 6.6

신체 인 재활 63 5.2

장애특성별 합직종 개발 117 9.6

취직이나 일에 한 정보의 제공 83 6.8

근로지원인과 같은 제도확 배치 37 3.0

고용주에 한 인식개선 58 4.8

통근수단의 확보 53 4.4

장애에 맞는 보조공학 정비 48 3.9

융통성있는 근무시간 72 5.9

재택근무 39 3.2

고용상 지 (정규직) 확보 48 3.9

정수 의 여 127 10.4

근무환경 개선 59 4.8

고용주 동료의 장애에 한 이해와 배려 114 9.4

취업 자립생활을 한 무 상담 확 43 3.5

기타 11 .9

합계 1218 100.0

<표 3-32> 일을 시작(지속)함에 있어 필요한 것

Page 12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13

⑤ 희망업종

조사 상자의 희망업종에 하여 복응답을 받은 결과 487개의 응답이

제시되었다.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업종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문

가로 18.9%를 차지하 다. 그 다음으로는 사무종사자 17.7%, 서비스 종사자

13.8%, 단순노무종사자 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빈도 비율

희망업종

의회의원, 고 임직원 리자 12 2.5

문가 92 18.9

기술공 문가 41 8.4

사무종사자 86 17.7

서비스 종사자 67 13.8

매 종사자 27 5.5

농업 임업 어업 숙련종사자 6 1.2

기능원 련 기능 종사자 34 7.0

장치 기계조작 조립 종사자 29 6.0

단순노무종사자 62 12.7

군인 2 .4

학생 16 3.3

주부(집안일, 가사) 13 2.7

Total 487 100.0

<표 3-33> 희망업종( 복응답)

2) 직업 비도

조사 상자들의 직업 비도를 알아보기 하여 1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직

업 비도 척도를 이용하여 질문하 다. 척도 체의 평균은 3.05 으로 100

만 으로 환산했을 때는 약 61 정도로 나타났다.

Page 12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14

빈도 비율 평균

취업하려는

의지를 주변

사람에게

표 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35 8.6

3.3

비되어 있지 않다 57 14.0

보통이다 160 39.2

조 비되어 있다 83 20.3

잘 비되어 있다 73 17.9

합계 408 100.0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해

조사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39 9.6

3.2

비되어 있지 않다 65 16.0

보통이다 137 33.7

조 비되어 있다 114 28.1

잘 비되어 있다 51 12.6

합계 406 100.0

직장을

견학하거나

직장학습에

참여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44 10.9

3.0

비되어 있지 않다 82 20.4

보통이다 157 39.1

조 비되어 있다 73 18.2

잘 비되어 있다 46 11.4

합계 402 100.0

<표 3-34> 취업 비도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취업하려는 의지를 주변 사람에게 표 하는 것’

에 해서는 평균 3.3 으로 간정도의 수를 나타냈다. ‘할 수 있는 일을

조사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견학하거나 직장학습에 참여하는

것’은 실제 취업 가능한 회사에 방문하여 견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에

한 수는 3.0 으로 높은 편은 아니었다.

Page 12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15

빈도 비율 평균

희망하는 직업을

해 필요한 기술

능력을

습득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39 9.6

3.2

비되어 있지 않다 61 15.1

보통이다 126 31.1

조 비되어 있다 123 30.4

잘 비되어 있다 56 13.8

합계 405 100.0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인생과

미래에 해

계획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40 9.9

3.3

비되어 있지 않다 50 12.4

보통이다 138 34.2

조 비되어 있다 116 28.7

잘 비되어 있다 60 14.9

합계 404 100.0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회사에

한 정보수집

비되어 있지 않다 51 12.8

2.9

비되어 있지 않다 94 23.5

보통이다 143 35.8

조 비되어 있다 72 18.0

잘 비되어 있다 40 10.0

합계 400 100.0

취업 희망

업체에 문의하는

비되어 있지 않다 59 14.6

2.8

비되어 있지 않다 97 24.0

보통이다 136 33.7

조 비되어 있다 77 19.1

잘 비되어 있다 35 8.7

합계 404 100.0

<표 3-35> 취업 비도(계속)

‘희망하는 직업을 해 필요한 기술 능력을 습득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인생과 미래에 해 계획하는 것’은 3.3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회사에 한 정보수집’은 2.9

, ‘취업 희망업체에 문의하는 것’은 2.8 으로 낮게 나타났다.

Page 12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16

빈도 비율 평균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취업 련 서류

작성

비되어 있지 않다 63 15.6

3.1

비되어 있지 않다 64 15.8

보통이다 116 28.6

조 비되어 있다 98 24.2

잘 비되어 있다 64 15.8

합계 405 100.0

면 에

참여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57 14.2

3.0

비되어 있지 않다 66 16.5

보통이다 137 34.2

조 비되어 있다 83 20.7

잘 비되어 있다 58 14.5

합계 401 100.0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의

장애에 하여 잘

설명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43 10.7

3.2

비되어 있지 않다 66 16.4

보통이다 145 36.1

조 비되어 있다 82 20.4

잘 비되어 있다 66 16.4

합계 402 100.0

<표 3-36> 취업 비도(계속)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취업 련 서류 작성’은 3.1 이었으며, ‘면 에

참여하는 것’ 은 3.0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의 장애에 하여 잘 설명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장애에 해 설명하는 것은 어느 정도 비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그에 비해 취업 련 서류 작성이나 면 참여 등에

해서는 비교 낮은 수를 보 다.

Page 12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17

빈도 비율 평균

회사에 나에게

필요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44 10.9

3.0

비되어 있지 않다 78 19.4

보통이다 159 39.6

조 비되어 있다 77 19.2

잘 비되어 있다 44 10.9

합계 402 100.0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를 잘 설명하는 것

비되어 있지 않다 41 10.1

3.2

비되어 있지 않다 65 16.1

보통이다 148 36.6

조 비되어 있다 91 22.5

잘 비되어 있다 59 14.6

합계 404 100.0

창업에 한

정보수집

비되어 있지 않다 125 30.9

2.5

비되어 있지 않다 75 18.6

보통이다 127 31.4

조 비되어 있다 44 10.9

잘 비되어 있다 33 8.2

합계 404 100.0

<표 3-37> 취업 비도(계속)

‘회사에 나에게 필요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은 3.0 ,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를 잘 설명하는 것’은 3.2 으로 간 이상의 수를 보 으나 ‘창업에 한

정보수집’은 2.5 으로 가장 낮은 수를 보 다. 이는 장애인들이 창업에

한 의지가 기 때문에 낮은 수가 나왔다고 추측할 수도 있고 다른 측면

으로는 창업에 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수가 낮은 것으로 추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Page 12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18

라. 자립생활 향요인

1) 변수에 따른 자립생활 평균비교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각 변수

들에 따른 자립생활도의 평균을 비교하 다. 각 변수들간 자립생활도 평균차

를 검증하기 하여 독립 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

다. 자립생활도는 총 23개 문항에 한 합산 값을 기 으로 하 으며 최소

값은 23 , 최 값은 115 이다.

① 인구사회학 특성

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를 알아보기 하여 성별, 연령,

교육기간, 학력, 결혼상태, 지역 등의 변수에 따른 평균비교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는 다음의 <표 3-38>과 <표 3-39>에 정리되어 있다.

성별 자립생활도를 살펴보면 남성의 자립생활도 수는 80.4 으로 여성의

77.7 보다 높게 나타났다. T-test 분석결과에 따른 p값은 0.125로 통계상으로

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령별 자립생활도를 살펴보면 41~50세가 84.4 으로 높은 수를 보 고,

31~40세 82.7 으로 평균 79.5 보다 높은 수를 보 다. ANOVA 분석결과

p값은 0.005(p<0.05)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자립생활도의 분포

를 살펴보면 20세 미만부터 순차 으로 자립생활도가 증가하여 41~50세에서

정 을 이루었다가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립생활도가 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

인다. 이는 증장애인이 성인기에 어들면서 자립생활을 체험하게 되면서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고 그 활동이 정 에 이르는 4~50 까지 자립생활도

가 높다가 차 노령화되어 신체 자립과 사회참여가 감소하는 60 이후부

터 자립생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age 12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19

교육기간과 학력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모두 ANOVA 분석결과 p값이 각

각 0.002(p<0.05)와 0.000(p<0.001)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교육기간이 길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립생활도 수는 증가하는 성향을 보

여 다. 이는 증장애인의 교육정도가 자립생활에 주요한 향을 주는 요인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증장애인이 자립생활에 성공 으로 진입하기 해서

는 증장애인에 한 교육장벽을 먼 제거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거주 지역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남 81.5 , 서울 81.2 , 80.0 이

순으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는 않았으나 남과 이 높게 나타난 것은 응답자의 부분이 직업능력개

발원을 이용하고 있는 증장애인인 것과 연 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주지를 도시, 소도시, 농어 으로 구분하여 자립생활도를 분석한 결

과 농어 이 82.4 으로 높게 나타났고, 도시도 80.9 으로 평균 이상의

수를 보 다.

거주형태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복지시설이 84.8 으로 가장 높았고, 본인

소우의 집에 거주하는 경우 83.7 , 월세 80.5 , 자립생활 체험홈 80.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age 12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0

N 평균표

편차p

성별

남성 250 80.4 16.9

.125여성 135 77.7 16.8

합계 385 79.5 16.9

연령

20세 미만 12 69.4 22.6

.005*

21~30세 162 77.6 15.6

31~40세 106 82.7 16.6

41~50세 54 84.4 17.9

51~60세 39 76.7 17.1

61~70세 8 73.4 16.6

71세 이상 4 69.0 9.6

합계 385 79.5 16.9

교육

기간

무학 1 80.0 .

.002*

5년 이하 9 67.6 9.3

6~10년 이하 44 73.2 17.3

11~15년 이하 250 79.5 16.6

16~20년 이하 66 84.5 16.0

21년 이상 4 91.0 18.6

합계 374 79.5 16.8

학력

등학교 졸업 이하 14 71.1 9.4

.000**

학교 졸업, 퇴 26 73.8 20.2

고등학교 재학 8 65.3 17.8

고등학교 졸업, 퇴 182 77.8 16.9

학교 재학 31 83.1 13.1

학교 졸업, 퇴 107 84.5 15.7

학원 이상 재학 6 89.2 20.3

기타 11 76.8 17.5

합계 385 79.5 16.9

결혼

상태

미혼 299 79.6 16.6

.578

기혼 63 80.1 18.4

이혼 10 77.7 19.6

별거 2 70.5 13.4

사별 3 65.3 10.3

합계 377 79.5 16.9

* p<0.05, ** p<0.001

<표 3-38> 인구사회학 요인에 따른 자립생활도

Page 12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21

N 평균표

편차p

지역

서울 176 81.2 17.7

.252

인천 7 72.4 14.6

51 80.0 13.4

부산 69 75.9 16.8

경기 15 76.9 12.1

남 37 81.5 16.1

경북 12 72.6 23.6

충남 18 79.2 17.5

합계 385 79.5 16.9

거주지

도시(특별시, 역시) 250 80.9 17.2

.072소도시(시, 구) 111 76.7 16.3

농어 (군) 14 82.4 11.9

합계 375 79.7 16.9

거주형태

본인 소유의 집 38 83.7 16.5

.456

가족소유의 집 176 79.9 16.0

세 61 77.3 17.3

월세 32 80.5 18.8

자립생활 체험홈 8 80.5 12.0

공공임 주택 39 76.0 18.5

복지시설 12 84.8 15.8

기타 18 78.0 15.6

합계 384 79.6 16.7

* p<0.05, ** p<0.001

<표 3-39> 거주지 형태에 따른 자립생활도

② 경제 특성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는 기 생활수 여부, 장애인 당사자의

월 평균 소득, 동거가족의 월 평균 소득을 기 으로 비교해 보았다.

기 생활 수 여부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기 생활 수 권자가 아닌 경우

가 80.6 으로 가장 높았으며 차상 계층이나 기 생활수 권자는 각각 75.7

과 78.3 으로 평균 이하의 수를 보 다.

Page 13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2

N 평균표

편차p

기 생활수

여부

해당없음 267 80.6 17.0

.285차상 계층 23 75.7 16.5

기 생활수 자 77 78.3 17.1

합계 367 79.8 17.0

평균소득

10만원 미만 7 63.4 15.3

.000**

10~20만원 미만 26 80.7 14.9

20~30만원 미만 12 80.1 17.0

30~50만원 미만 28 80.9 16.5

50~100만원 미만 44 77.4 16.2

100~120만원 미만 17 83.5 17.0

120~150만원 미만 6 72.2 31.5

150~200만원 미만 19 91.1 15.9

200만원 이상 18 97.9 12.3

합계 177 82.0 17.8

동거가족

평균소득

없음 11 84.3 16.6

.050

10만원 미만 3 74.3 19.0

10~20만원 미만 1 115.0 .

20~30만원 미만 1 54.0 .

30~50만원 미만 3 72.7 28.1

50~100만원 미만 13 74.0 18.8

100~120만원 미만 29 73.5 14.4

120~150만원 미만 7 77.6 13.8

150~200만원 미만 13 78.0 17.5

200만원 이상 62 81.7 13.4

합계 143 78.7 15.7

* p<0.05, ** p<0.001

<표 3-40>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장애인 당사자의 월 평균소득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월수입 150~200만원

인 경우 91.1 , 200만원 이상인 경우 97.9 으로 평균 82.0 보다 매우 높은

자립생활 수를 보 다. 100~120만원의 경우도 83.5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다. ANOVA 분석결과 p값은 0.000(p<0.001)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Page 13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23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가족의 월 평균수입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동거가족 월수입이 없는 경우와 200만원 이상인

경우에 평균 수보다 높은 자립생활 수를 나타냈다.

③ 장애 특성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는 장애유형, 장애등 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를 실시하 다. 분석결과 장애유형은 집단 간 자립생활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 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유형의 경우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호흡기, 간, 간질, 신장 등 신체

장애와 련된 장애유형들의 자립생활도 수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지 장애, 발달장애, 정신장애 등의 지 , 정서 장애유형의 경우

에는 평균보다 낮은 자립생활 수를 보 다.

장애등 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1 인 경우가 82.5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으며 2.3 은 평균 이하의 수를 보 다. 윤재 (2010)의 연구에서

는 1, 3 이 2 보다 자립생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었는데 윤재 은 자신

의 연구결과에 하여 자립생활과 련하여 2 장애인들에 비해 1 장애인

들이 실제 자립생활센터에서의 역할이나 서비스 비 이 큰 것에 그 이유를 들

었다. 본 연구에서는 1, 2, 3 의 순으로 자립생활도가 순차 으로 나타난 결

과를 보 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장애정도가 심한 1 이 자립생활 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윤재 의 의견 뿐 아니라 1 에게 지원되는 활동지원제도의

용여부도 자립생활 수에 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주

인 평가로 작성하는 척도인 만큼 2 이나 3 장애인에 비해 1 장애인이

스스로 자립생활을 해내고 있다는 것에 한 자아성취도가 클 수 있다는 을

고려하면 장애정도가 할수록 자립생활 수가 높아지는 것을 일부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13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4

N 평균 표 편차 p

장애유형

지체장애 100 80.4 16.1

.000**

뇌병변장애 71 85.1 17.1

시각장애 36 84.8 12.8

청각장애 42 81.3 15.5

언어장애 1 67.0 .

지 장애 76 70.6 16.6

발달장애 5 73.2 15.7

정신장애 46 76.8 17.8

호흡기장애 1 95.0 .

간장애 1 82.0 .

장루요루장애 1 64.0 .

간질장애 3 91.0 9.5

신장장애 2 100.5 10.6

합계 385 79.5 16.9

장애등

1 117 82.5 16.3

.0792 132 79.0 17.3

3 121 77.7 17.1

합계 370 79.7 17.0

* p<0.05, ** p<0.001

<표 3-41> 장애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④ 일상생활 특성

일상생활과 련하여 일상생활정도(ADL), 의료서비스 필요여부, 상황

시 한 의료 조치 근 여부,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여부 등에 따른 자립

생활도를 분석해보았다.

Page 13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25

N 평균표

편차p

일상생활

정도 (ADL)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

한다5 83.0 17.9

.100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

는다21 71.8 17.9

혼자서 한다 355 79.8 16.8

합계 381 79.4 17.0

의료

서비스

필요로 한다 164 80.4 17.6.360

필요로 하지 않는다 212 78.8 16.6

의료

조치

근성

그 지 않다 23 77.1 16.3

.022*

별로 그 지 않다 38 75.0 17.4

그 그 다 98 78.8 16.1

약간 그 다 91 78.5 17.0

매우 그 다 108 84.1 17.2

합계 358 79.8 17.0

활동보조서

비스

이용여부

이용하고 있다 87 82.8 16.6.050

이용하지 않는다 288 78.7 17.0

* p<0.05, ** p<0.001

<표 3-42> 일상생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일상생활정도(ADL)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

존하는 경우가 83.0 , 혼자서 하는 경우 79.8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고, 부분 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경우는 71.8 으로 평균보다 낮은

수를 보 다. 다만 집단 간 크기에 차이가 커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 다.

의료서비스와 련해서는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80.4 으로 높은 수

를 보 으나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age 13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6

긴 상황 시 의료 조치를 받을 수 있는가에 해서는 한 조치를 잘

받을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 자립생활도 수가 84.1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고, ANOVA 분석결과 p값 0.022(p<0.05)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

를 보 다.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과 련해서는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자립생활 수가 82.8 으로 이용하지 않는 경우 78.7 보다 높게 나타났다.

⑤ 취업 련 특성

취업 련 변수들과 자립생활정도와의 계를 찾아보기 하여 취업경험여

부, 고용형태, 취업시간, 의무고용여부, 근로지원인 이용여부 등에 따라 평균비

교를 해 보았다.

취업경험여부와 련하여 집단 간 자립생활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밝 졌다. ANOVA 분석결과 p값은 0.000(p<0.001)으로 나타났다.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85.7 으로 평균 79.6 보다 높은 수를 보

고, 재는 수입이 없으나 과거에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이 있는 경우도

81.5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다. 이는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

거나 종사했던 경험을 가진 것이 스스로의 자립생활정도를 평가함에 정 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Page 13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27

N 평균표

편차p

취업여부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109 85.7 16.9

.000**

재는 수입이 없지만 과거에 수입이

있는 직장에서 일 한 이 있다118 81.5 15.7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 본 이 없다 136 73.1 15.9

합계 363 79.6 17.0

고용형태

정규직 87 90.3 15.0

.000**

트타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84 79.9 15.8

자 업, 개인사업 13 83.9 15.5

보호고용(보호작업장 등) 46 74.2 15.1

기타 9 90.3 16.5

합계 239 83.2 16.5

취업시간

상근(주 40시간 이상)근무 144 84.3 16.6

.443주 20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무 57 81.7 16.3

주 20시간 미만 근무 29 80.9 17.2

합계 230 83.3 16.6

장애인

의무고용

여부

장애인의무고용(근로자 50인 이상) 62 84.2 16.0

.338자회사형 표 사업장 39 87.3 13.8

장애인의무고용 미 용

(근로자 50인 미만)98 82.9 16.5

합계 199 84.2 15.9

근로

지원인

서비스

이용여부

이용한 있다 37 90.4 14.4

.005*

이용한 없다 202 82.1 16.5

* p<0.05, ** p<0.001

<표 3-43> 취업특성에 따른 자립생활도

Page 13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28

⑥ 취업 비도

취업 비도에 따른 자립생활정도를 알아보기 하여 취업 비도의 합을 5

개 범주로 구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 p값은

0.000(p<0.001)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취업 비가 잘 되어

있다고 응답한 경우 자립생활도 수도 평균 이상의 수를 나타내었다.

N 평균표

편차p

취업

비도

비되어 있지 않다 9 67.7 28.1

.000**

비되어 있지 않다 43 66.8 18.1

보통이다 124 73.3 13.1

조 비되어 있다 130 83.7 13.1

잘 비되어 있다 48 96.1 12.9

합계 354 79.3 16.8

* p<0.05, ** p<0.001

<표 3-44> 취업 비도에 따른 자립생활정도

2) 변수간 상 계 탐색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자립생

활척도와 다른 변수요인들을 상으로 이변량 상 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

과 자립생활과 유의미한 상 계를 가지는 변수로는 응답자의 교육년수, 월

평균수입, 장애등 , 취업 비도가 도출되었다.

Page 13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29

상 계수

자립

생활

교육

년수

평균

수입

장애

취업

자립생활 Pearson 1 .218** .328** -.113* .582**

유의확률 .000 .000 .030 .000

N 385 374 177 370 354

교육년수 Pearson 1 .203** -.036 .252**

유의확률 .004 .477 .000

N 418 196 403 380

평균수입 Pearson 1 -.159* .281**

유의확률 .027 .000

N 201 195 178

장애등 Pearson 1 -.018

유의확률 .732

N 420 374

취업 비 Pearson 1

유의확률

N 387

** p<0.01, * p<0.05

<표 3-45> 자립생활 련 요인간 상 계

이 Pearson계수 값이 낮아 실질 인 상 계 향력이 은 교육년수

와 장애등 을 제외하면 취업 비도와 평균 수입이 자립생활과 상 계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 비도의 경우 자립생활정도와 높은 정

인 상 계를 보 다. 평균 수입도 자립생활정도와 정 상 계를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년수의 경우에도 약하지만 정 상 계를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등 의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장애정도가 할수록

자립생활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상 계는 매우 미약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자립생활정도 외 다른 변수들 간 상 계를 살펴보면 교육 년 수와 월평

균 수입, 취업 비도가 각각 유의미한 상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age 13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30

그 정도는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월 평균 수입은 장애등 과 취업 비도와

유의미한 상 계를 가지나 정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보는 요인인 자립생활 정도와 취업 비도와 상

계를 가지는 요인들을 각각 정리해보면 자립생활 정도는 취업 비도, 월 평균

수입, 교육년수, 장애등 이 상 계가 있는 것으로 정리되었고, 취업 비도

의 경우에는 자립생활 정도, 월 평균 수입, 교육 년 수와 상 계가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2) 자립생활 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상 계에서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다른 변수들과의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상 계

분석을 통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된 교육 년 수,

월 평균 수입, 장애정도, 취업 비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모형 요약

형R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오차

추정값의

표 오차

통계량 변화량

R

제곱

변화

F 변화량 df1 df2

유의확

률 F

변화량

1 .662a .438 .423 .57424 .438 29.804 4 153 .000

a. 측값: (상수), 취업 비도, 장애등 , 월평균수입, 교육년수

<표 3-46> 회귀모형 검증

4개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이 모형은 유의미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Page 13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31

계수a

모형

비표 화 계수표 화

계수t 유의확률

B표 오차

오류베타

1

(상수) 2.108 .242 8.713 .000

교육년수 .012 .013 .059 .900 .370

월평균수입 .001 .001 .124 1.894 .060

장애등 -.083 .060 -.086 -1.383 .169

취업 비도 .439 .051 .568 8.566 .000

a. 종속변수: 자립생활정도

<표 3-47> 회귀분석 결과

4개의 독립변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변수는 취업 비

도로 나타났다. 취업 비도 수가 높을수록 자립생활 수도 높아지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취업 비도와 자립생활과의 회귀 계를 통하여 취업에 한

비가 잘 된 증장애인 일수록 자립생활도 잘 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Page 14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32

제2 질 조사결과

1. 조사개요

자립생활 연구에 한 국내 외 선행연구를 통해 본 일상생활, 소득, 고용,

의료, 교육, 주거 등의 일반 으로 용되는 사항에 한 설문조사와 함께

증장애인의 장애특성과 장애인개인의 생애 생활구조의 차이에 따라 개별

인 사례로 다루어 설문조사에서 구체 이고 세부 으로 청취하지 못했던 부분

을 심층면 조사에서는 보완하고자 하 다.

가. 조사지 구성

본 심층면 조사에서는 양 조사에서 구체 이고 세부 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증장애인 개개인의 생활력(life history)에 한 부분과 이를 토 로

자립생활과 련하여 고용과의 계를 규명하여 효과 인 지원체계를 제시하

고자 한다.

1) 인구사회학 배경

기본속성에 한 질의로 연령, 주 장애, 장애등 , 복지서비스 수 자 소득

구분, 의료보험, 취업형태, 가계 의 리자, 거주형태, 거주 지역을 보

았다. 이러한 기본속성은 면 조사자의 장애유형과 소득, 의료서비스여부, 취

업형태 거주 지역에 따라 재의 상태를 악할 수 있다.

Page 14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33

2) 생활력(life history)

과거, 재, 미래에 해 자유롭게 논하도록 하 고, 과거의 부모와의

계, 동거인, 훈련 학교 교육 생활, 좌 했던 경험과 취업경험 는 희망했

었던 취업 등을 주로 논하도록 하 다.

3) 재의 생활상황

재의 자립생활도를 보기 해 재의 소득 리, 일상생활, 교육 훈련

는 재활상황, 의료 도움 상황, 취업에 한 생각 등을 자유롭게 논하도록

하 다.

4) 자립생활에 한 본인의 생각

본인이 생각하는 자립생활이 무엇인가에 해 자유롭게 말하도록 물었고,

이를 통해 자립생활센터나 단체 운동가라 할지라도 "자립" 의 개념을 받아

들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보고 그 정체성을 구분하고자 하 다.

나. 심층면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증장애인 당사자, 장실천가 문가, 증장

애인의 부모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 으로는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 등

을 담당하고 있는 증장애인, 재가장애인 등 개별에 한 조사와 장애인자립

생활센터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천가 문가에 해 이루어졌다.

1) 증장애인

면 상자인 증장애인은 무작 선정을 원칙으로 하 으나 증장애인

Page 14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34

에 한 근의 한계로 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소개로 간사 는 동료상담

을 담당하고 있는 증장애인, 장 문가로부터 추천을 통해 소개받은 취업

경험이 있거나 취업욕구가 있는 증장애인이 심이 되었다.

심층면 은 녹취기록을 원칙으로 하 고, 연구 참여자의 정도에 따라 의사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녹취와 서면기록을 동시에 진행하 다.

2) 장실천가 문가

10년 이상 증장애인의 자립과 련된 직무에 종사하고 있거나 증장애

인과 련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장 문가를 상으로 하 고, 특히 증

장애인의 취업알선 취업활동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취업에 련된

업무에 한 지원욕구가 강한 장 문가의 자원을 통해 면 을 실시하 다.

심층면 은 녹취기록은 원칙으로 하 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추후 화를

통한 면 도 진행하 다.

3) 증장애인의 부모

증장애인인 자녀가 있는 부모의 자원으로 심층면 이 이루어졌으며, 자

폐성장애가 있는 자녀의 모친 1명과 뇌병변 시각의 복장애가 있는 자녀

의 모친 1명이 참여하 으며, 녹취기록을 원칙으로 면 조사가 이루어졌다.

다. 자료수집방법

심층면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에 한 동의를 받은 후 일 일 개별면

으로 진행하 다. 면 은 2011년 9월 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사례 당 각 1

회기씩 심층면 경험이 있는 3명의 면 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Page 14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35

라. 심층면 조사기법 방법

심층면 조사기법에 있어서는 면 과정을 녹취한 후 녹취내용을 풀어서

기록을 하 으며 기록내용을 지속 비교 근(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방법을 통해 범주화 하는 방식으로 자료 분석을 하 다. 구체 인 범주화는

장애인 개인에 한 경우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며 조사 상자가 자신의 생애

를 통한 생활력(life history)에 해 답한 것에 해 자립생활 취업과 련

하여 재구성하고 그 경험이 갖는 구체 인 의미를 고찰하 다. 한 실천가

문가의 경우는 센터 등을 활용하고 있는 장애인 개개인의 취업욕구의 다

양성(variation)과 문가의 에서 본 자립생활정착의 해요인에 해

장 상황을 재구성하여 구체 인 분석을 시도하 다.

면 방법은 개방형 질문조사를 해 조사 상자를 연구원이 직 방문

하여 면 을 진행하 으며, 직업경험이 있는 증장애인과 증장애인

에서도 도장애인과 그 지 않은 장애인으로 나뉘어 이루어졌다. 직업경험이

없는 장애인에 해서도 자립생활정착을 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한

개별 면 을 일 일로 실시하 다.

마. 면 장소 소요시간

주된 면 장소는 연구참여자가 활동하고 있는 자립생활센터 는 복지 ,

면 상자가 편안해 하는 장소를 빌려 이루어졌으며, 면 시간은 최소 40분

에서 60분이 소요되었다.

증장애인에 한 심층면 진행일정은 다음 <표3-48>, 장 문가는

<표3-49>, 증장애인의 부모는 <표3-50>와 같다.

Page 14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36

사례유형 심층면 장소 심층면 일정 녹음시간

참여자 1 근무처 2011. 09. 08 40분

참여자 2 근무처 2011. 09. 14 60분

참여자 3 근무처 2011. 09. 15 60분

참여자 4 근무처 2011. 09. 16 60분

참여자 5 근무처 2011. 09. 20 40분

참여자 6 복지 2011. 09. 22 50분

참여자 7 복지 2011. 09. 27 40분

참여자 8 회의실 2011. 09. 30 40분

참여자 9 복지 2011. 10. 06 40분

참여자 10 회의실 2011. 10. 07 40분

참여자 11 회의실 2011. 10. 11 40분

참여자 12 회의실 2011. 10. 12 40분

<표 3-48> 증장애인의 심층면 진행 일정

사례유형 심층면 장소 심층면 일정 녹음시간

참여자 1 근무처 2011. 09. 08 60분

참여자 2 근무처 2011. 09. 16 60분

참여자 3 근무처 2011. 09. 20 60분

<표 3-49> 장 문가 심층면 진행 일정

Page 14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37

사례유형 심층면 장소 심층면 일정 녹음시간

참여자 1 회의실 2011. 10. 05 40분

참여자 2 회의실 2011. 10. 05 60분

<표 3-50> 증장애인 부모 심층면 진행 일정

2. 연구참여자의 일반 특성

가. 증장애인의 일반 특성

<2011. 10.31 재>

참여

자연령

별직업

장애

등소득

결혼

여부

주거

형태

활동보조

근로지원 형태

1 20 남 간사9)지체

1

100만원

이하미혼 독거 180시간

2 30 여 간사뇌병변

1

100만원

이하미혼 독거 없음

3 40 남 센터장뇌병변

1미상 미혼

부모

동거230시간

4 30 여 간사뇌병변

1

100만원

이하미혼 독거 230시간

5 20 남활동가

10)

뇌병변

1

100만원

이하미혼 독거 164시간

6 30 남 무직지체

1

50만원

이하미혼 독거 120시간

7 30 여 활동가뇌변병

1

50만원

이하미혼 독거 없음

9) 본 보고서에서 간사라고 함은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가로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10) 본 보고서에서 활동가라고 함은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을 하고 있는 활동가를 의

미한다.

Page 14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38

참여

자연령

별직업

장애

등소득

결혼

여부

주거

형태

활동보조

근로지원

형태

8 30 여 학생뇌병변

1

100만원

이하미혼 독거 없음

9 20 여 학생지체

1

50만원

이하미혼

가족

동거없음

10 40 남 무직뇌병변

1

100만원

이하기혼

가족

동거180시간

11 40 남아르바

이트

뇌병변

1

100만원

이하기혼

가족

동거없음

12 30 남 매업지체

1

100만원

이하미혼

부모

동거180시간

심층면 조사에 참여한 증장애인의 연령을 살펴보면 15명 30 가 5

명으로 가장 많으며, 20 와 40 가 각각 3명씩 참여하 다. 성별은 15명

남성이 10명으로 여성의 두 배를 차지하 다. 직업은 자립생활센터에서 간사

활동가로 일하고 있는 경우가 6명으로 가장 많으며, 학생이 2명, 트타임

으로 일하고 있는 경우가 2명, 나머지 무직인 사람이 도장애인인 2명이었다.

소득은 50만원 이하가 3명으로 그 2명이 학생이고 나머지 1명은 시설에서

막 나와 체험홈에서 살고 있는 여성 1명이었다. 증장애인이라는 장애특성으

로 인해 소득의 부분이 연 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자립생활센터나

트타임으로 일하여 소액의 소득을 얻고 있었다. 결혼여부를 보면 체로 15

명 결혼을 한 경우는 2명이며 배우자도 모두 증의 장애가 있었다. 주거형

태는 부모와 동거 인 경우가 20 여성 학생 1명과 자립생활센터장인 40

남성, 매업을 하고 있는 30 남성이 1명 있었고, 배우자가 있는 2명은

배우자와 동거 이며 나머지 모두 독거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활동보조인

은 상지에 불편이 덜 하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체로 은 사람이 활용도

가 낮았고, 남성의 경우 활동보조인의 활용도가 높은 편인데 특히 독거인 경

우 식사를 해 요리를 하거나 방 정리, 세탁 등에 어려움이 많아 활동보조인

Page 14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39

을 극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보조인을 활용하는 여성의 경우 직장에

출퇴근하기 해 이동시 어려움이 많아 활동보조인을 활용하는 경우가 1명 있

었고, 주택의 구조 인 문제로 동차 등으로 움직이는 것에 있어 불편이 많

아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나. 장 문실천가의 일반 특성

<2011. 10.31 재>

참여자 연령 성별 직 장애여부 주요활동 범

1 남 30 국장 비장애 A장애인자립생활센터

2 여 40 국장 비장애 B장애인자립생활센터

3 남 40 소장 장애 C장애인자립생활센터

조사에 응한 장실천가 문가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과 련하여

10이상의 경력이 있으며 자립생활센터에서 센터장 는 국장직을 맡고 있으며

할구역의 증장애인들의 주 욕구에 한 악이 되어 있는 문가를 상

으로 하 다. 이 남성 문가가 2명이며, 여성은 1명이다. A, C자립생활센

터는 서울시 25개구 자립생활지원조례가 있는 7개구 2개구에 있는 곳이

며, B자립생활지원센터는 조례가 아직 없는 구에 있는 센터이다.

Page 14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0

다. 증장애인부모의 일반 특성

<2011. 10.31 재>

참여자 연령 성별 직 자녀의 장애 장애여부

1 여 40 주부 자폐성장애 1 비장애

2 여 40 주부 뇌병변 시각장애( 복) 1 비장애

증장애인의 부모 어머니가 참여하 으며, 2명 모두 비장애인이다. 40

이며 업주부로 참여자1은 자폐성장애 1 의 남아 자녀가 있으며, 참여자2

는 뇌병변 시각장애 1 인 복장애가 있다.

3. 조사결과

가. 심층면 참여자의 경험을 통한 의미 재구성

구분 상 범주 하 범주 속성

주거요인

부모(가족)와의 갈등 부모가 증장애인 자녀를 지역사회나

취업활동에 동참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 는 부양부담으로 인한 거부로

인한 갈등이 존재. 지역주거 제공자의

차별 시선. 주거개조의 어려움으로

인한 본인의 집안에서도 감수해야하는

불편함

지역의 차별

주거확보의 어려움

정보부족

소득요인

임 불안

장시간 노동

낮은 임

기 생활수 자의 경우 취업을 하게

되면 장애로 인해 유지하기가 어려워,

취업 에는 소득보장에 한 유 기

간이 필요함

<표 3-51> 분석결과에 한 범주화

Page 14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41

교육요인

직업 로그램의

다양성 부재비장애인이 회피하는 하향성 직업교육

이나 단발 로그램 주이고 단순

하고 문 이지 못한 수 의 로그

램이 많음취업연계와 상 없는

시혜성 로그램

의료요인의료비와 3차병원

이용에 한 부담

수 을 받지 못하면 의료비에 한 부

담이 임 의 70%이상을 차지하는 경

우도 발생, 더욱 취업진입에 한 시

도를 주 하게 함. 1차병원의 편의

시설이 제 로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경

우가 많아 간단한 타박상에도 3차병원

까지 가서 비싼 진료비를 부담해야하

는 경우가 있음

인식요인

증장애인에 한

이해 부족 직장이나 동료, 지역사회 주민들의 장

애인에 한 이해 부족

장애인 당사자의 인식개선의 필요성증장애인 당사자의

인식문제

근로지원

요인

근로연계

지원 부족

시혜 의미의 단기 로그램만 있

고 고용으로 연계되는 경우가 없음.

체험 인턴쉽 로그램 등 트 드에

맞는 직종개발이 없음. 지속 인 근로

를 한 업무 내용 업무 시간 활용

에 한 탄력성.

근로지원인 제도가 시행된다고 하는데

활동보조인과 어떻게 구분해서 장에

서 활용할 것인지 증장애인 체계가

다른 두 보조인을 스스로 운용하는 것

에 어려움은 없을 것인지에 한 의구

심.

탄력 인 업무시간

내용

활동보조인과 근로지

원인의 운용에 한

의구

Page 15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2

1) 실천가 문가의 경험에 한 의미재구성

장의 실천가 문가가 자립생활정착을 해 첫 번째 요하게 생각

하는 요인은 취업생활이었다. 취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정한 자립생활이라

고 볼 수 없고 취업을 통한 소득으로 자신의 생활을 꾸려나가는 것이 가장 바

람직한 형태라고 보고 있었다. 이는 자립생활운동을 주도해 온 핵심참여자, 센

터, 련 단체들의 문가가 정의하는 "자립생활"은 장애연 는 수당의

리 등도 경제활동이라고 하는 이론상의 논의와는 실질 으로 거리가 있었

다. 그 이유는 실 으로 증장애인이 비장애인과 경쟁하여 소득을 취득 할

수 있는 업종이 많지 않음을 고려했을 때 자립운동을 주도해 온 핵심참여자들

의 논의가 틀렸다라고 볼 수 없으나 증장애인이 받아들여지는 사회 환경이

조성된다면 취업을 통한 자립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한 자립생활 정착에 향을 미치는 요 요인으로 주거확보를 언 했으

며, 주거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자립생활정착의 최종목표인 취업을 한 활

동단계로 넘어 갈 수 없다고 하고 안정 인 주거확보는 취업진입시도에 앞서

매우 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교육 훈련에 해서는 취업에 앞서 로그램 등을 통해 좀 더 경쟁력

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계속 으로 기술의 업데이트가 빠르게 이루어지

고 있는 것에 해 민첩한 응을 마련하는 것이 취업을 유지하는 것에 향

을 미친다고 보고 있었다.

소득보장에 해서는 증장애인의 경우 부분이 취업을 장기간 유지하

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일정 기간 최 생계비에 한 유 기간을 둘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증장애인이 좀 더 극 으로 취업을 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었다.

한 취업을 하게 될 경우 증장애인은 의료비가 소득의 상당부분을 차

지하게 되는데, 기 생활수 자인 경우 의료비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취업을 통한 소득으로 의료비 감당이 어려워지는 실 때문에 취업을 주 하

Page 15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43

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고 보고 있었다.

증장애인의 경우 일반인과 같은 시간 에 출근하고 퇴근하게 되면 일반

시민이 많은 부분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 증장애인에 한 불

쾌감을 나타내는 경우도 많고, 기업 등은 이미지나 생산성을 고려해 정부에

해 부담 을 지 하고 장애인은 고용하지 않는 경우다 부분이어서 이러한

이 취업을 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한 취업의 직 인 어려움으로는 다양한 직종의 부재, 하향성 직종의

강요, 단계 으로 기술에 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인턴쉽 등

을 제공하여 증장애인이 어떠한 직종이 가능한지에 한 직역개발에 극

이지 못한 실정 등이 장애인의 취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자립생활정착에 가장 요하다고 생각하는 취업생활을

해하는 요인들이 되고 있다고 실천가 문가는 보고 있었다.

(1) 주거요인

① 안정 인 주거확보가 취업진입 시도에 연결된다.

② 주거확보와 더불어 증장애인만이 가지는 주택개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주택개조가 가능한 주거 정보의 확보, 편의시설이 갖추

어져 있는 주택의 확보 등)

③ 장애인에 한 부양부담 는 과보호 등으로 증장애인과 가족 간의 갈

등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느 쪽도 증장애인의 사회참여를 조하

게 하고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취업의지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증장애인 분들 에는 자립생활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체험홈에서 자립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데, 체험홈에서 경험하는 동안 주거를 확보하지 못하면

계속해서 체험홈만을 하게 되요. 그런 분들 많이 있습니다. 이 부분이 해

결되지 않으면 취업을 한 다음 단계로 나갈 수가 없어요.

Page 15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4

안정 인 주거가 확보되지 않으면 기본 으로 내가 어디서 일하게 될 지에

한 책도 세울 수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인천에 살고 있는데 직장이 평택

에 생겼다고 연락이 왔어요. 그 게 멀리까지 이동이 어려워 다른 곳을 알아

주겠다고 했더니 굳이 취업을 하겠다고 해서 일을 시작했는데 일주일도 안

되서 그만뒀어요. 증장애인에게는 그런 일자리 기회가 자주 오는 것이 아니

기 때문에 자신의 주거지와 직장과의 이동 상의 문제에 해서는 그 순간 고

려하지 못해요. 그래서 직장생활을 해본 후 마음먹은 로 되지 않아서 자괴

감에 빠지게 되고 직장상사는 그들 로 장애인에 한 인식을 안 좋게 가지게

되는 계기가 생기게 되죠. 장애인에게 있어 주거의 문제는 다른 사회 약자

인 가정폭력피해자 여성이나 다문화가정 등의 주거문제와는 다르게 다루

어져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는 사실을 정책가들은 외면하면 안 돼요.

(2) 소득요인

① 기 생활수 자의 경우 임 에 한 불안감이 있다.

② 취업을 하고자 하는 장애인에 한 인센티 가 시 한 것이 아니라, 수

과 취업을 통한 수입에 한 융통성 있는 운용이 필요하다(수 유

기간이 필요)

증장애인이기 때문에 취업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을 지에 한 자신의 불안

감이 있어요. 당장 취업을 했을 경우 임 이 나오게 되면 수 이 끊기고, 그

후에 만약 취업이 유지 되지 못하는 경우 생활을 어떻게 해 나가는가에 한

불안감이 있죠. 수 수당과 취업수당에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도 큰 갈등

을 하는 경우가 부분이에요.

증장애인의 경우 의료비와 주거비, 일반 인 소비생활비에 한 부담이 만

만치 않은데 취업을 통해 수입이 생긴다고 해도 당장 수 권자에 한 수 을

Page 15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45

끊어버리는 것은 취업을 주 하게 만들게 하는 요인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를 들면 수 과 병행해서 증장애인이 자신이 취업한 것에 해 어느 정도

응기간을 가질 수 있는 유 기간을 용한다던지 하는 안정장치가 마련되어

야지 증장애인이 더욱 극 으로 취업을 하려고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여를 최 임 이하로 주는 곳도 많아요. 만약 수 을 60만원 버는데 임

을 60만원 받는다면 수 을 포기하는 장애인은 아무도 없지 않겠어요?

(3) 교육요인

① 사회 으로 받아들여지는 트 드에 맞는 직종개발의 시 성

② 시혜 인 교육 로그램이 아니라 문 이고 단계 인 발 을 통해 취

업에 연결 가능한 내용 개발이 필요하다

③ 장애인이 직업훈련학교에서 받은 교육이 부이다 보니 직업에 한

정보도 다양하지 못하고 교육이 한정 이므로 선택의 폭도 좁다.

일반 사회에서는 직종이 지속 으로 업데이트 되고 트 드가 바 고 있지

만, 장애인이 받고 있는 직업훈련 로그램은 몇 년간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어요. 낙후 된 로그램으로 교육 받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어떻게 경쟁을

하겠어요?

교육 로그램을 받을 때 장애인들은 비장애인과 경쟁하면서 배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자로부터 잘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으면 자신이 비장애인과

경쟁이 가능한 상태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 지만 실제로는 교양수

에 머무는 교육 로그램이기 때문에 취업에 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age 15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6

취업을 원하시는 분들의 상담은 체로 뇌성마비이신 증장애인이 많은데,

체로 이 분들은 컴퓨터 련 교육을 받은 사람이 많아요. 다들 같은 로

그램을 교육받은 사람이 아주 많습니다. 이 다보니 서로가 공유하는 정보도

한정되어 있고, 직종에 해 아는 것이 없기 때문에 선택의 폭도 매우 좁을

수밖에 없어요.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교육은 훨씬 많이 받으러 다니고 교육 받을 기회도

많아요. 그 게 교육받으면서도 많은 증장애인들이 자신이 받고 있는 교육

에 해 회의 인 경우가 많아요. 이 게 교육받아서 뭐하나? 그 다고 취업

이 되는 것도 아닌데... 그러면서도 계속 교육을 받으러 다니는 이유는 혹시라

도 교육자나 그 기 에서 내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면 고용해주지 않을까

하는 기 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4) 의료요인

① 다른 것 보다 의료비만 지원해 다면 당장 취업활동을 하겠다고 하는

장애인도 다수 있다

장애특성 때문에 본인이 몸이 불편하기 때문에 다치게 되는 경우도 많아

요. 당연히 2차 으로 돈이 많이 드는데, 수 권자의 경우 의료비 부담을 국가

가 덜어주는데 그 게 많이 드는 비용을 스스로 낮은 여를 받으면서 그

여에서 의료비를 부담하려고 할까요? 상식 으로요. 의료비의 부담은 증장

애인분들의 취업활동을 해하는 요인 하나라고 생각해요.

(5) 인식요인

① 증장애인에 한 직 인 모욕 언사 등이 자신감을 하시켜 지역

사회 취업활동을 더욱 해시키고 있다

Page 15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47

② 취업을 한 장애인의 경우도 동료나 상사의 에 보이지 않는 차별 때

문에 스스로 그만두게 되는 경우가 많다

비장애인들이 출퇴근하는 시간에 장애인도 취업했을 경우 당연히 직장에 가

기 해 나가게 되지만, 부분의 사람들이 바쁜 시간에 장애인이 동휠체어

등을 타고 나타나면 굉장히 싫어하고 놓고 욕하는 분들도 많아요. 당연히

축되고 안 나가게 되고, 취업활동 안하려고 하죠.

(6) 근로지원요인

근로지원요인에 해서는 직업훈련 로그램의 내용자체에 한 불만과 연

계 등의 조치 차원의 문제에 해 지 했다. 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로그

램이 많기는 하지만 부분이 트 드에서 벗어난 직종이라는 것과 내용 한

일반화되어 있지 않고 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로그램이어서 일반직장으로

연계가 용이하지 않다는 이었다. 내용이나 로그램의 다양성은 비장애인들

이 선택하는 것과 유사하게 하더라도 훈련시스템이나 방법에 있어 장애인을

상으로 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일반직장으로 취업이 가능한데, 내용이나 다

양성에서 이미 장애인들이 받는 교육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있어 일반직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라고 보고 있었다.

근로지원인에 해서는 필요로 할 것이라고 하지만 이에 한 정확한 정보

가 부족한 탓인지 활동보조인과 어떻게 같이 활용이 가능한지에 해 고민이

많았다. 장애인에게 이에 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할 때 자신들도 정확하게

와 닿는 것이 없는데 정보제공이 가능한 지에 한 고민도 볼 수 있었다.

① 근로연계 지원 부족

② 탄력 인 업무시간 내용의 필요성

③ 활동보조인과 근로지원인의 운용에 한 의문

Page 15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48

직업훈련 로그램이 어도 장 인터쉽이나 취업체험을 경험하는 부분까지 이

어지는 로그램이었으면 좋겠어요. 일반기업에서도 장애인을 채용하면 채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장애인에 한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방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증장애인의 경우 으로 시간의 탄력 인 운 이 요하죠. 그런데 그분

들도 알아요. 그 게 하면 채용하기 싫어한다는 걸요. 그래서 오히려 아쉬운 소리

안 듣고 말지 하면서 취업활동을 으시는 경우가 많죠. 어차피 고용되어도 장애

특성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취업활동에 한 노력조차 안하시

는 분들도 계세요.

우리는 보건복지부 체계 하에서 서비스를 달하기 때문에 활동보조인 서비스

를 하고 있지만, 근로지원인 같은 경우는 노동부인데 장애인이 활용하기에 이 두

가지 체계를 혼란을 겪지 않고 활용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7) 면 후기

장 실천가 문가의 경우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 취업욕구를 가지고

증장애인들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제 로 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분이라고 하 다. 센터가 증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면이 크지만, 재원

이나 재정 으로 모든 증장애인을 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센터의 경

우도 증장애인 소통이 가능한 사람이나 장애가 덜 심각한 사람을 주로

고용하게 되는 모순 을 안고 있다고 자평하는 모습을 보 다. 근로지원인 제

도에 해서는 복지부 체계에서 운 되고 있는 자립생활센터 특성으로 인해

운 체계에 해 혼란스러움을 토로했다. 한 활동보조인을 활용하고 있는

증장애인이 근로지원인을 어떤 식으로 운용하게 될지에 한 염려와 시행하

게 된다면 자립생활센터가 근로지원인에 해서는 활동보조인과 더불어 어떻

Page 15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49

게 응해야 할지에 한 뚜렷한 방향이 아직 없다는 을 매우 어려운 과제

로 생각하고 있었다.

2) 증장애인의 경험에 한 의미재구성

증장애인이 자립생활정착에 가장 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취

업에 한 부분이었다. 증장애인이 취업생활을 유지해 나가는 것은 용이하

지 않기 때문에 더욱 취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일정의 자립생활을 정착시키고

유지해 나가고 있다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취업

생활을 유지하기 한 요인에 해서는 소득, 교육, 주거, 의료, 인식 인 면

등 개개인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요인이 고르게 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그럼에도 특히 증장애인이 취업을 유지하고 자립생활을 정착하는데 필

수 이라고 보고 있는 것은 주거와 의료비의 문제이다.

주거의 경우 앞서 장 실천가와 문가도 언 했듯이 주거확보에 한

문제, 개조, 직장과의 거리상으로 근 해 있는 문제 등 비슷한 에서 보고

있었으나 의료비의 경우 다른 어떤 문제보다 강조하고 있다는 에서 실천가

문가와 차이를 보 다. 의료비가 해결이 된다면 여가 다소 낮거나 수

받고 있는 것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더라도 취업활동을 시도할 것 같다고

하는 장애인이 다수 있었다. 이는 비단 의료비라는 직 인 비용의 문제뿐만

아니라 장애라는 본인이 가진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의료 인 처우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한 직장의 이해에 한 문제도 내포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한 실천가 문가와 다른 은 특히 인식 요인에 있어서 부분의

장애인이 강조를 했는데, 기업이나 지역주민, 일반 시민의 이해도 요하지만

장애인 스스로가 취업에 한 인식을 자립과 연결시켜 고려해 나가야 한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다.

Page 15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50

(1) 주거요인

주거요인에 해서는 자립을 하고자 자신이 있던 주거지 즉, 시설이나 부

모의 집에서 나오게 될 때, 는 가족과의 갈등이 심화될 때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는 에서, 20 후반이나 30, 40 등의 장애인들이 문제의식을 많이

느끼고 있는 편이고,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인 비장애인의 경우에도 동년

배의 사람들에게서 비슷한 문제를 볼 수 있다는 에서 장애라는 특수성 때문

에 갖는 문제와 일반 인 문제 등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먼 장애로 인해 갖는 특수 인 주거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지역주민의 차별 인 시선으로 인해 주거지를 선택함에 있어 어려움을

래하고 있다.

② 독립을 해도 집세를 마련하기가 쉽지가 않다.

③ 주거지가 자가가 아닌 경우 주택개조를 할 수 없다.

④ 시설을 나오고 싶지만 사회 응에 한 두려움 때문에 주 하는 경우

가 많다.

⑤ 가족과의 갈등(부모 혹은 형제들) 때문에 집에서 견딜 수 없지만 주거

마련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주 하게 된다.

집을 제가 구했는데 엄청 힘들게 구했어요. 그것도 그나마 자립생활센터 직

원 분들의 도움을 받아서 구할 수 있었어요. 제가 시설에 살았었는데 요 몇

년 간 이사만 여섯 차례 다녔는데요. 6개월 동안 3번 한 도 있었어요.

는 휠체어를 타고 다니니깐 집 밖 복도에 휠체어를 두면 사람들이 지나다

니면서 외 상 보기 안 좋다고 나가라고 하고. 심지어는 계약조건이 2년이라

고 하더라도 다 채우지 않고 나가야 될 경우 복비를 집주인이 부담해야 되는

경운데도 불구하고 그것도 다 지불하면서 무조건 나가기만 하면 된다고 하는

Page 15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51

일도 있었고 이런 경우는 좀 다행이고, 그냥 네 맘 로 해라하는 사람도 있었

고요.

이러한 문제들은 신체 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 통상 으로 겪게 되는 문

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남성에 상 없이 가족 는 시설에서 나와 독립

하게 되었을 때 동휠체어 등 때문에 집 주인과 마찰을 겪거나 아 집을 구

할 수 없게 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 집을 구한 여성 장애인은 경

우 동휠체어로 살기에는 불편한 집이지만 살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상황이어서 그러한 것을 감수하고 살고 있다고 한다. 활동보조인이 없으면 집

안에서도 움직일 때 불편함이 많고 출퇴근 시에도 활동보조인의 도움 없이

는 계단을 내려올 수 없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날씨가 궂을 때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도 자가 주택이 아니기 때문에 기

본 으로 개조가 어렵고, 개조가 가능한 경우라도 비용이 지 않게 들고

다른 주거지로 이동할 경우 원상복귀 해야 하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섣부르게

개조를 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따른다고 한다.

집구할 때는 재정 인 어려움 같은 것은 기본 으로 깔리는 건데 그건 정부

든 군가 지원을 해주지 않으면, 수 비만 받아가지고서는 집세를 내기 한

여윳돈을 마련하기가 쉽지가 않아요.

제가 지 월세 내는 곳에서 생활하고 있어서 으로 무 빠듯하고 정

부 지원 받는 게 거의 반 이상이 월세로 나가요. 그거 내고 남은 걸로 생활하

고 있는데 주거공간에서는 좀 더 편하게 생활을 해야 되는데 집 주인이 집 개

조 자체를 불가능하다고 하셔가지고 모든 불편을 감수하면서 생활하고 있어

요. 지 당장 다른 집을 얻을 수 있는 형편도 아니고…….

Page 16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52

가족과의 갈등이나 가족의 과보호에서 벗어나서 사회생활을 하고자 하는

경우, 시설에서 나와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식비, 잡비

를 제외한 생활비-공공요 , 집세 등-의 부담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부분이나 이에 한 책은 개인 으로 단체 등에서 단기 으로 도움을 받

거나 가족으로부터 지원 받는 등 개별 으로 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불

안정한 경우가 많았다.

이 밖에 주거요인으로 시설에 살고 있는 장애인의 경우 학에 가게 되거

나 기타 활동으로 인해 사회생활을 경험하게 되면 시설을 벗어나 자립하여 생

활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지만, 자립 한 후에 생활에 한 걱정과 주거를 구하

는 것에 한 어려움, 정보의 부족 등으로 지역생활에 한 두려움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 가족과의 갈등은 주거문제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자립함에 있어 많

은 어려움을 래하는데, 갈등 문제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한 가지는 부모

의 과보호이고 한 가지는 가족의 무 심이나 장애에 한 몰이해이다. 신

체 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는 부모의 과보호나 몰이해의 경우에도 소통이 가

능하기 때문에 갈등이 고조되는 경우가 많고, 지 장애인의 경우에는 부모가

지속 으로 보살펴야 한다는 의식이 커서 사회생활을 쉽게 용납하지 않는 경

우가 많았다. 이러한 갈등은 신체 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는 갈등고조로 인해

는 과보호에서 벗어나 사회생활을 하고 싶은 욕구로 인해 가족에게서 독립

하고자 하지만 주거확보의 어려움으로 단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2) 소득요인

소득요인으로는 증장애인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업무속도나 직무상의

이해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는 에서 여가 낮은 직종에 종사하게 되

는 경우가 많다. 재활시설에서 단순조립과 쇼핑백 등을 가공했던 여성 장애인

의 경우 하루 8시간 5일 근무했지만 한 달간 받은 여는 5만원이라고 했으

Page 16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53

며, 정도의 숙련자일 경우는 3만원, 자인 경우는 일 만원을 한 달간

일하고 받게 된다고 했다. 한 어떤 경우는 주문량이 많아 과근무를 하게

되었지만 그에 한 수당을 받지 못했다고 했다. 직업에 한 선택의 여

지가 없는 경우 노동시간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여를 받게 되는 상황이

다. 이와 상황은 같으나 지 장애인의 경우는 복지 등에서 운 하는 보호

작업장에서 하는 작업이 작업량이 많지 않아 어떤 때는 일을 당히 하게 되

지만 어떤 경우는 일이 없어서 일을 하지 않게 되는 등 지속 으로 소득

을 받으면서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 문제라는 지 도 있었다.

다음은 면 내용 소득요인으로 볼 수 있는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① 노동시간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여

② 수 비를 받는 것과 일을 해서 여를 받는 것과 큰 차이가 없어서 일

을 포기하게 된다.

③ 수입에 한 만족도는 낮아도 소득 때문이 아니라 사회참여의 의미에

서 직장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는 취업했던 이 있는데 그때는 단순 조립하면서 한 달에 20만 원 정도

를 받았는데 6시간 주 일 근무했어요. 소득에 한 만족도 별로 없었지만 일

에 한 욕심도 가지기 어려웠어요. 단순노동만 시키니까.

시설에 있을 때, 쇼핑백이랑 조립 같은 걸 했었는데요. 하루 8시간 일했어

요. 밥 먹는 시간 빼고요. 토요일하고 일요일은 쉬었는데 그때는 시설에서

다른 일이 있고 그래서...... 한 달 동안 일하고 오만원 받았어요. 그래도 시설

에서 다 해줘서 별로 돈을 많이 쓸데가 없어서 다행이었죠. 친구들이랑 밥도

사먹고, 놀러도 가고 그랬어요. 어떤 때는 주문량이 무 많아서 8시간 다하고

과 근무했는데, 그 달에 받은 돈은 같았어요. 5만원. 그래도 는 숙련자

Page 16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54

니까 제일 많이 받은거구요. 간정도는 3만원. 자는 느리다고...... 만원 받

았어요. 학교도 오래 안다녀서...... 다른 일은 해 본 게 없어서...... 안해봤어요.

그냥 그 일만 해봤어요.

시설에서 계속 생활한 경우나 교육기간이 짧은 경우 여가 낮으나 노동

시간은 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신체장애인과 지 장애인의

양자 간에 일의 분량이나 속도 등에 한 차이는 있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이

소득이 낮고 노동시간이 긴 근무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공통 이라

고 볼 수 있다.

(3) 교육요인

취업희망에 한 질문은 생각보다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장애인의 부분

이 어려서부터 는 태어날 때부터 장애가 있었던 경우가 많아, 직장경험이

한정되어 있고, 그에 한 교육이나 훈련도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직업에

한 정보가 없었고 그에 한 이미지도 구체 이지 못했다. 한 자신이 장애

인인데 희망하는 취업이 뭐냐고 물어보는 게 이상하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교육에 련된 다양한 정보로 장애인고용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훈련 교

육 로그램이나 기타 복지 , 센터 등에서 비 이 로그램 등을 제시하면

그런 것은 알지 못했다, 어떻게 그런 것을 알아 야하는지도 잘 모르겠다, 라

고 하는 경우가 부분이어서 정보취득의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과 일정부

분 취업에 한 박함이 크지 않다는 도 볼 수 있었다.

면 을 했던 부분의 장애인이 공통 으로 컴퓨터 인쇄와 련된 교

육과정을 이수했던 경험이 있었지만 자신이 이수했던 로그램을 통해 취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았다. 다른 사람들이 하니까 나도 해

야한다 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다음은 교육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을 정리한 것이다.

Page 16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55

① 스스로 취업희망을 가져 본 이 없다

② 직업훈련 로그램 이수 과정이 모든 장애인에게 공통 이다(컴퓨터

련 교육에 한정되어 있다)

③ 직업훈련 로그램이 취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없고 단지 복지시혜

인 로그램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④ 자신이 이수한 로그램에 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기

술이 낙후되고 있다.

⑤ 천편일률 인 직업훈련 로그램보다 자기발 을 한 로그램이나 단

계 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까지는 희망직종에 한 생각을 가져본 이 거의 없었던 것 같아요.

지 은 어느 정도 생각을 하기 시작했는데, 같은 경우에는 주 에서 "

는 장애인이니까 컴퓨터를 해라" 라고 들으면 쪼르륵 가서 컴퓨터 배우고 이

런 경우고, 같은 경우는 하지 쪽에 장애가 있으니까 멀리 이동하려고 하면,

지 은 동이 잘 보 되고 있지만 제가 막 졸업했을 때는 잘 없었거든요.

동이. 그래서 거의 재택근무 할 수 있는 일만 찾았던 것 같아요. 이동이 어려

우니까. 희망 로 직종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잖아요.

자꾸 희망직종, 희망취업 이런 거 얘기하는데, 잘 모르겠어요. 솔직히. 는

일하기도 에 다쳐서 고등학교 졸업할 때 쯤 바로 그랬거든요. 교통사고로.

그러니까...... 별로 그런 거 없어요. 있다고 해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잖아요.

배우고 싶은 거는 있는데, 그것 배웠다고 취업은 하고 싶지 않아요. 컴퓨터요.

컴퓨터 배우고 싶어요. 근데 그걸로 일하고 싶지는 않아요. 그냥 컴퓨터 나 혼

자 잘하고 싶어요.

컴퓨터 에 배웠었는데, 요즘 배우는 사람한테 물어보니깐 비슷하더라

Page 16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56

고...... 다른 것도 좀 배우고 싶은데. 그런 건 없지요? 몰라요?

컴퓨터나 뭐든 훈련은 많이 받는데 도 체 왜 배우러 다니는지 모르는 사람

많은걸요. 다들 배우니깐 나도 같이 배우는데, 이게 무슨 도움이 되는지

몰라요. 다 같은 것 배우는데 다 취직되는 것도 아니고 는 학교를 다 못

마치고 끝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장애인도 취업에 한 욕구가 있는 사람에

해서는 좀 더 장기 으로 뭔가 계획 으로 교육을 해줘야 된다고 생각해요.

아 심이 없다면...... 그런 것 까지 정부한테 어떻게 해달라고 할 수는 없잖

아요. 근데 일을 해야 먹고 사는데...... 근데 배운 건 우르르 몰려가서 컴퓨터

배운 게 다고......

증장애인 에서도 고등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교육이 취업으로 연결되는

것을 좀 더 국가 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하는 등 구체 인 방안을 이야기

하는 경우나 교육이 취업으로 연결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고등교육을 지

받고 있다고 답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교육년수가 등부에 머무는 경우나

교육을 통한 취업을 경험하지 못한 경우는 이에 한 구체 인 언 이 없었고

교육만 받으면 취직이 잘 되어야 되는데 그 지 못하다 라는 회의 인 반응이

거나 교육이 취업으로 연결된다는 것에 한 이미지가 없는 경우도 있어 장애

인의 교육년수나 장애종별 간에 있어 교육에 한 인식의 차이가 컸다.

(4) 의료요인

의료비 는 의료 인 처우에 한 부담은 증장애인 모두가 상당히 높

았다. 의료비에 한 걱정으로 인해 취업을 했을 경우 의료헤택을 받지 못하

면 어떻게 되나 하는 우려가 있었다. 취업을 했으나 의료 인 처우가 필요

한데 직장에서 이해해주지 못하거나 이에 해서 견디기 힘든 총을 받게 되

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Page 16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57

한 1차 병원 이용에 한 부담감도 큰 경우가 많은데, 3차 병원이 아닌

1차 병원을 이용해도 되는 경우의 질환, 를 들면 감기나 약간의 골 등의

경우에도 1차 병원의 시설문제( 부분이 2층 이상의 건물에 있거나 문이 좁거

나 복도가 좁은 등의 물리 문제가 있음)때문에 1차 병원의 의료비용이 렴

함에도 물리 인 어려움 등으로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 다.

다음은 의료비 의료지원에 한 요인을 정리한 내용이다.

① 증장애인의 경우 의료비에 한 부담이 상당히 높다

② 취업을 하는 것보다 수 하면서 국가에서 의료비에 한 부담을 여

주는 것이 오히려 낫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취업을 하면...... 만약 심하게 아 경우 병원비가 많이 나올텐데 그럼 직장

에도 못나가고, 병원비는 많이 드는거잖아요. 취업활동하려고 해도 그런 것도

무시 못 하죠......

는 휠체어 때문에 그냥 약간 다쳐서 병원에 가야 될 일이 가끔 살다보면

생기잖아요. 근데 병원 안가기는 뭐하고 가야되기는 한데, 동네 병원에서도 충

분한데 동네에 갈만한 병원이 없어요...... 그래서 큰 병원까지 가거나 아 참

거나...... 의료혜택 없어도 1차 병원 이용만 좀 편하면 는 직장 다니면서 어

떻게 살 수 있을 것도 같은데, 흔치 안잖아요. 는 그런 것 같아요.

의료비와 의료시설 활용에 한 부담이 취업활동을 해하는 직 인 요

인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age 16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58

(5) 인식요인

비장애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장애인의 경우도 장애라는 특성 외에

본인의 성격상의 특성도 직장생활에 많은 부분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직장에서의 태도나 본인의 처세술이 낙천 이거나 극 인 경우 좀 더 직장

생활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지 못한 경우 취업을 유지

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본인의 성격이 원만한 경우에

도 장애로 인해 차별 인 시선이나 처우를 받아온 경우가 많아 심리 으로

축되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성격 인 면을 본인의 탓으로 보기는 어려우

며 사회생활을 원만하게 응할 수 있게 하게 자신감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요하다고 볼 수 있다.

면 을 했던 부분의 장애인이 스스로도 인식이 바 어야 한다는 것을

느낀다고 답했는데, 받는 것에만 무 익숙해져 있고 내가 나서서 어떻게 해

야겠다는 마음이 없는 장애인들을 많이 왔다고 지 하는 경우도 있었다.

혜택을 히 활용하여 자립해나가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것을 이용해

리기만 한다면 스스로도 발 하지 못할 것이고 사람들도 장애인에게 더 이

상 기 하는 것도 없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었다.

다음은 면 을 통해 인식요인으로 보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① 취업한 이 있지만 부분 비장애인보다 일 처리가 느리거나 새로운

기술이 없다는 에 해 스스로 시선을 견디지 못하고 그만두는 경우

가 많다.

② 출퇴근 시간의 이동 시에 교통 이용 시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이

힘들어 축되는 경우가 많다.

③ 나 자신이 사람과 어떻게 계를 맺어야 할 지 몰라서 축된 경험이

많다.

④ 사업주나 일반 시민들의 인식이 장애인은 무조건 집에 라는 인식이 강

Page 16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59

하다.

⑤ 장애인은 단순노동만 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인쇄하고 복사하고...... 그런데서 일했는데 는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

람(비장애인)이 더 빠르고 잘하니까 직장에 폐가 되는 것 같고 그래서 그만둘

수밖에 없었어요. 그만두라고 그런 말은 안했지만 직장이 그런 분 기 어요.

그런데는 원래 빨리 해야 되는데요. 제가 느리고 치도 보이고 그러니까요.

는 걸을 수 있지만 출근시간에 사람이 많은 곳에 있으면 좀 험하기도

하고 그래서 노약자 석에 앉게 되는데 가끔 할아버지랑 싸우기도 해요. 막 욕

하고 소리 지르기 때문에. 제가 죄송하다고 일어나면 그제야 좀 미안하게 쳐

다보고 그래요.

제가 변두리에 살 때 도심으로 오는 철을 탔는데 동휠체어를 타고 출근

시간에 철을 타니까 어떤 어르신이 막 욕했어요. 집안에 박 있지 왜 나오

고 난리냐고. 정말 놀랬죠. 가슴이 벌 거리고.

컴퓨터 일을 좀 했는데 딱히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없었어요. 제가 첨부터

그 회사에서 일 했던 게 아니라서 정직원도 아닌데 도 좀 친하게 지내기도

그 더라구요...... 심도 혼자 먹고 그랬어요. 일 때문에 뭐 물어보는 것 빼고

친하게 지내는 사람은 그냥 일 끝나고 에 친했던 장애인들하고 놀러 다니

고 그랬어요.

장애인이라고 집에만 있으라는 법 있어요? 이왕 장애인을 받아들인 회사라

면 거기 사람이라도 장애인을 좀 받아들여주면 안되나요? 그러면 좀 덜 치

보게 될 것 같아요. 잘해주고 그런 것 필요 없고 그냥 동료로 받아들여주면

Page 16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0

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것 같은데요.

증장애인의 경우 직장에서 그만두라는 직 인 언 이 없지만 분 기

에 스스로 압박을 느껴 그만두는 경우가 있다.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

하는 것 등의 요인도 이러한 압박을 느끼는데 큰 몫을 한다.

출퇴근 이동 시에 교통 이용 사람들에게 욕설을 들은 경우도 12명

7명으로 반 수 이상이 경험했고, 한 부분이 고령자 등 장애에 한 잘

못된 인식을 갖고 있거나 이해심이 부족한 사람들로부터 심한 언사를 들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약자 석 등을 이용하게 되는 장애인의 특성 때문이

라고도 볼 수 있다.

비장애인의 경우에도 새로운 직장이나 새로운 집단에 속하게 될 경우 사람

들과의 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장애인의 경우 자신이 지 까지

겪어왔던 일들로 인해 축되어 있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어울렸던 경험

이 많아 좀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직무상 는 집단 특성의 언어나

행동에 응되지 않아 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도 많다.

장애인이니까 컴퓨터를 배워야한다, 조립하는 훈련을 해라, 등의 교육의

강요를 하는 장애인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단정 짓는 사람들이 장애인을

다른 인식을 가지고 줬으면 한다는 것에서 인식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았다.

(6) 근로지원요인

근로지원에 해서는 정보습득 능력의 부재, 정보 활용 방법 등이 문제라

고 볼 수 있다. 부분이 고용공단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훈련이나 교육

등을 모르고 있거나 알고 있어도 정확한 정보에 해서는 알고 있지 못했으

며, 어디서 습득해야 하는지에 해서도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직장을 다니면서 장애인이 인사나 승진에 있어 불리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Page 16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61

것, 직무능력이 다른 사람에게 뒤처지지 않도록 사후 리가 필요한 지에 한

질문에 해서는 부분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이 한 직장생활이 없는 장애

인의 경우 구체 인 심상은 없는 듯 보 다.

다음은 면 한 내용에서 근로지원요인으로 분류한 것이다.

① 근로지원인이 시행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내가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해 아는 것이 없다.

② 취업에 한 정보를 어디에서 습득해야 하는지 모른다.

③ 직무능력 업데이트를 한 사후 리가 필요하다.

④ 인사나 승진에 있어 불리함을 겪지 않도록 리가 필요하다.

근로지원인 알지요. 근데 직장가면 해주는 건가요? 들어봤어요. 어디서 들었

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하여튼 들어봤어요. 근데 내가 신청할 수 있는 건

가? 나는 아르바이트라서......

비장애인하고 같이 연수 받고 그러면 더욱 좋겠지만, 장애인을 해 좀 더

배려가 있는 연수나 리 같은 게 자주 있어주면 아무래도 덜 불안할 것 같아

요. 혹시나 내가 장애가 있어서 뭔가 차별받고 있을게 아닌가 그런 것도 덜

느낄 것도 같고......

직장으로부터 인사정책이나 승진에서 제외되거나 비장애인과 같이 교육이

나 연수를 받는 것에 막연한 자신감 결여 등이 있어 직업 인 업데이트뿐만

아니라 심리 인 근로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볼 수 있었다.

(7) 면 후기

근로지원인에 해서는 증장애인 당사자의 경우 그러한 제도가 있다는

Page 17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2

것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에 한 뚜렷한 심상을 가지

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단지 근로지원인 있으면 좋지요. 하는 수 의 혜택이

주어지니까 받아야 하겠다는 의지만 표명하고 있었고, 내 직장생활에서 어떤

식으로 활용해야겠다. 라는 계획이나 운용 방법에 한 심상은 구체 으로 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분이었다.

취업에 한 의지는 있으나 재 센터에서 하고 있는 일에 한 만족도가

높아서 당장 다른 직업을 가지고 싶다는 희망도는 낮았다. 이는 비장애인 사

이에서 일하는 것보다 서로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끼리 일하는 것에 한 만

족감이 높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기개발 로그램이나 기업의

인턴쉽 로그램 같은 것이 있어서 참여가 가능하다면 반드시 참여하겠다고

하는 증장애인의 경우가 5명 4명에 달했다.

제3 조사결과의 시사

1. 조사 상자의 특성

가. 양 조사

조사 상자의 인구사회학 특성은 성별은 남성 63.7%, 여성 36.3%로 남

성의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퇴)이 46.5%

로 반 가까운 비율을 나타내었다. 거주지역은 도시가 66.5%로 과반수 이

상을 나타내었고 혼인상태는 미혼이 77.6%로 높은 비율을 보 고 기 생활보

장수 여부는 해당없음이 71.2%로 나타났고 기 생활 수 자는 22.0%로 나타

났다. 거주형태는 가족소유의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Page 17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63

나타났다. 연령분포는 21~30세가 41.1%로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34.6세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경제 특성 개인 인 월수입여부는 50.4%는 없다고

응답하 다. 응답자의 평균수입은 약 83만원(201명 응답)으로 나타났다. 주수

입원은 취업으로 인한 여가 1순 가장 높은 비율을 보 고, 2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족지원, 3순 로는 장애인수당과 가족지원, 장애연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장애유형은 지체장애가 27.6%로 가장 많았고, 뇌병변장애

18.9%, 지 장애 19.3%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장애가 있다고 한 경우는 54

명이었는데 언어장애(38.9%)가 가장 많았다. 장애등 은 2 이 36.2%로 가장

많았으나 1 32.1%, 3 31.7%로 비슷한 비율을 보 다.

나. 질 조사

1) 문가 실천가

조사에 응한 장실천가 문가는 증장애인의 자립생활과 련하여

10이상의 경력이 있으며 자립생활센터에서 센터장 는 국장직을 맡고 있으며

할구역의 증장애인들의 주 욕구에 한 악이 되어 있는 문가를 상

으로 하 다. 이 남성 문가가 2명이며, 여성은 1명이다. A, C자립생활센

터는 서울시 25개구 자립생활지원조례가 있는 7개구 2개구에 있는 곳이

며, B자립생활지원센터는 조례가 아직 없는 구에 있는 센터이다.

2) 증장애인 부모

증장애인의 부모 어머니가 참여하 으며, 2명 모두 비장애인이다. 40

이며 업주부로 참여자1은 자폐성장애 1 의 남아 자녀가 있으며, 참여자2

는 뇌병변 시각장애 1 인 복장애가 있다.

Page 17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4

3) 증장애인

심층면 조사에 참여한 증장애인의 연령을 살펴보면 15명 30 가 5

명으로 가장 많으며, 20 와 40 가 각각 3명씩 참여하 다. 성별은 15명

남성이 10명으로 여성의 두 배를 차지하 다. 직업은 자립생활센터에서 간사

활동가로 일하고 있는 경우가 6명으로 가장 많으며, 학생이 2명, 트타임

으로 일하고 있는 경우가 2명, 나머지 무직인 사람이 도장애인인 2명이었다.

소득은 50만원 이하가 3명으로 그 2명이 학생이고 나머지 1명은 시설에서

막 나와 체험홈에서 살고 있는 여성 1명이었다. 증장애인이라는 장애특성으

로 인해 소득의 부분이 연 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자립생활센터나

트타임으로 일하여 소액의 소득을 얻고 있었다. 결혼여부를 보면 체로 15

명 결혼을 한 경우는 2명이며 배우자도 모두 증의 장애가 있었다. 주거형

태는 부모와 동거 인 경우가 20 여성 학생 1명과 자립생활센터장인 40

남성, 매업을 하고 있는 30 남성이 1명 있었고, 배우자가 있는 2명은

배우자와 동거 이며 나머지 모두 독거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활동보조인

은 상지에 불편이 덜 하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체로 은 사람이 활용도

가 낮았고, 남성의 경우 활동보조인의 활용도가 높은 편인데 특히 독거인 경

우 식사를 해 요리를 하거나 방 정리, 세탁 등에 어려움이 많아 활동보조인

을 극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보조인을 활용하는 여성의 경우 직장에

출퇴근하기 해 이동시 어려움이 많아 활동보조인을 활용하는 경우가 1명 있

었고, 주택의 구조 인 문제로 동차 등으로 움직이는 것에 있어 불편이 많

아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Page 17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65

2. 일상생활정도

가. 양 조사

일상생활능력 수평균은 2.8 (3 만 )으로 일상생활능력이 높은 편으

로 나타났다. 주로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어머니로 25.3%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아버지로 19.6%로 주로 도움을 제

공하는 사람으로 부모가 차지하는 비 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의료서

비스는 응답자의 54.6%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 다. 가장 많이 필요로 하

는 의료서비스는 재활치료(24.1%)로 나타났다. 상황시 한 의료 조

치를 받을 수 있는가에 해서는 ‘매우 그 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29.4%로

가장 많았다.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과 련하여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가 72.5%로 부분을 차지하 다. 활동보조 서비스에 한 만족도를 측정한 결

과 활동보조에 한 만족도 평균은 2.3 (5 만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나. 질 조사

질 조사에서 증장애인 당사자의 일상생활도는 활동보조인의 활용도를

통해 보면 12명 7명이 활용 이며 가장 많은 시간은 230시간이 12명

두 명으로 그 남성 1명, 여성 1명이었다. 이들은 미혼이며 동휠체어를 이

용 으로 남성의 경우 부모와 동거 이며, 여성은 독거이다. 활동보조인을 쓰

지 않는 경우도 12명 5명에 달했는데 이 여성이 4명이고 남성이 1명이

다. 활동보조인을 쓰지 않는 경우 동휠체어를 활용하는 장애인이 5명 1

명이었고, 5명 두 명이 학생이며 그 한명을 가족과 동거 인 여성이고

한명은 독거인 여성이다. 한 활동보조인을 쓰지 않는 남성 한명은 아르바이

Page 17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6

트를 통해 소득활동을 하고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어려움 은 이동 시와 가정에 있을 때로 개조가 불가

능한 주거환경에 한 것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있어서는 크게 어려움을 토

로하는 경우는 없었다.

3. 조사 상자의 자립생활 특성

가. 양 조사

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정도를 측정하기 하여 윤재 (2010)의 자립생활

척도를 활용하 다. 윤재 이 재수정한 23개 척도문항을 활용하 다.

- 자기신뢰와 련된 척도범주에 한 조사결과는 체 으로 정 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과 련된 척도범주에서도 스스로의 경제 상황과

의식주를 걱정하고 고민하는 부분에 있어 응답자들이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자기역량강화와 련된 문항에 해서도 정 인 결과가 도출되었고,

가족 계와 련된 문항에서는 가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문항에서는

비교 낮은 수(3.2 )를 나타냈으나 가족 계 속에서의 치가 명확

한가(3.7 ), 부모에게서 심리 으로 독립되어 있는가(3.4 )에 해서는

정에 기운 수결과를 보 다.

- 이웃 동료 계에 한 문항에서는 집에 사는 이웃과 알고 지내는

부분에 해서는 다소 낮은 수(3.1 )를 보 으나 동료 장애인들과의

계에 해서는 정 인 반응(3.6 )을 나타내었다.

- 인 계와 련된 문항들에서는 사람들은 많이 만나는 편(3.5 )이며,

스스로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3.6 )고 답하

Page 17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67

으나 남들이 자신을 필요로 하는가에 한 부분(3.3 )에 해서는 다

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상자가 복지 자립생활센터를 활용 인

사회활동이 있는 장애인으로 어느 정도의 사회성이 있음을 고려해야하

는 부분이다. 한 사회활동이 있으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한 활동에

한정되어 있어 사 인 인간 계에 있어서는 자신을 필요로 하는지에

해 수가 낮다는 을 봤을 때 이러한 상황에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 공동체에서의 계와 련된 문항에서는 자신의 장애를 잘 설명할 수 있

는가에 해서는 3.6 의 평균을 보 고, 이런 런 일로 바쁜지(3.4 ),

단체 등에 소속감을 가지고 있는지(3.4 )에 해서는 약간 낮은 수를

보 다.

- 생산성과 련된 문항은 다른 문항범주들에 비해 낮은 수를 보 는데,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쓰는가에 해서는 2.7 , 한 수입이 있는

직장을 가지고 있는가에 해서는 2.2 으로 부정 인 결과를 보여주었

다. 이는 증장애인들이 경제 생산성의 측면에서 아직 많이 취약하다

는 것을 부분 으로 보여주는 증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사회환경과 련된 문항에서는 ‘마음만 먹으면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

다’ 3.2 , ‘자신만의 생활공간을 가지고 있다’ 3.4 으로 정 인 결과

를 보 다.

- 자립생활척도 체 평균 수는 3.5 으로 간보다 다소 높은 수를 보

다. 정 인 쪽에 기운 수이기는 하나 100 으로 환산했을 경우 평

균 70 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에 한 질문결과 장애연

등의 소득보장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

로는 고용지원(27.3%), 독립 인 주거지원(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Page 17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68

나. 질 조사

질 조사에서 자립생활의 특성을 보면, 스스로 생각하는 자립생활에 한

개념에서 자립생활센터를 활용하고 있는 장애인의 경우 자기결정이나 자기신

뢰에 한 에 한 언 이 많았다. 자립생활센터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

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자가 20~60 미만이었던 을 감안하면 양 조

사에서 20~40 사이에 자립생활도에 한 수가 높게 나왔던 과 일맥상

통함을 알 수 있다.

인 계에 한 에 있어서는 부분의 면 상자가 만나는 사람과 가

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으며 특히 시설에서 나와서 체험홈을 이용 인 미혼

의 30 여성 뇌병변 장애인과 시설에서 나와서 독거 인 미혼의 20 남성

의 경우 가족과도 단 되어 있어 더욱 인 계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시

설을 나왔기 때문에 시설 외의 사람들과의 만남이나 장소의 확보의 폭은 훨씬

넓어졌다.

생산성과 련해서는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서 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는 하지만 실 으로 그러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부분이어서, 양 조사에

서 나타난 생활비에 한 항목(2.7 ), 한 수입이 있는 직장을 가지고 있

는가에 한 항목(2.2 )과 상통하는 면이 있었다. 이는 자립생활도의 측정도

구에서 자기결정이나 자기신뢰 등과 같은 항목에서는 수가 높게 나오지만,

직 인 생활에 향을 미치는 소득이나 경제 인 부분에서 수가 낮게 나

오는 을 봤을 때 장애인 자신이 생각하는 자립 과 실생활에서 자립에 차

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사회환경과 련해서는 하지와 상지의 움직임에 장애가 있는 경우 동휠

체어를 부 가지고 있었고, 이동이 가능한 장애인은 스스로 이동을 하고 있

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어보 다. 이는 양 조사의 이동성에 해서(3.2

), 자신만의 생활공간(3.4)의 수가 평균을 상회하는 것을 봤을 때 정 이

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시에 출근시간이나 차량의 통근양이 많은

Page 17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69

시간은 여 히 기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부분의 장애인이 그런

시간에 지하철 는 버스를 탑승했다가 주변 사람들로부터 모욕 인 언사를

들었던 경험이 있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바쁜 시간에 왜 나와서 난리냐"

는 " 은 사람이 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나?" 는 "여기는 노약자석이다.

은이가 앉을 곳이 아니야" 등의 언사를 들은 이 있다고 답했고 이러한 경

험은 외부출입에 해 더욱 축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하 다.

자립생활도의 체를 놓고 봤을 때 자기결정, 자기신뢰에 한 스스로가

생각하는 자립감에 한 것은 비교 정 인 답변이 많지만 실 인 문제,

이동상, 소득상, 주거상의 문제에서 부정 인 측면이 많았고, 이는 증장애인

스스로가 생각하는 자립생활도의 수만을 가지고 자립생활도가 정 인지

부정 인지에 해 평가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에 해서는 의료지원과

주거마련과 주택개조에 한 것이었는데, 양 조사에서는 소득보장에 한

것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고용지원, 독립 인 주거지원으로 나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질 조사에서 상자들이 언 했던 의료지원이란 의료비가

싸지 않기 때문에 만약 취업을 했을 경우 소득이 지 장애연 을 받고 있는

수 이라면 의료비로 부분 쓰게 된다는 에서 취업을 하게 되었을 때,

는 자립생활을 함에 있어 시 하다는 의미 다. 이러한 의미로 봤을 때 성공

인 자립생활을 함에 있어 취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 에 우선 으로

증장애인에게 의료비에 한 지원과 주거에 한 지원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쉽사리 취업활동에 뛰어들기가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Page 17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70

4. 조사 상자의 취업 련 특성

가. 양 조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본 이 없는 경우가 39.5%로

가장 많았고 과거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경우가 31.4%,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가 29.2%로 나타났다. 과거 는 재의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35.1%, 트타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이 34.7%로 나타났으며 보호

고용(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했던 경우도 20.6%로 나타났다. 취업시

간은 주 40시간 이상 상근근무가 61.7%로 과반수를 차지하 고, 취업 사업장

의 48.1%는 장애인의무고용 미 용사업체인 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이었다.

취업 이거나 취업했던 직장에서 했던 일은 기타가 41.6%로 가장 많았고

컴퓨터 련 는 인쇄업이 18.2%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근로지원인 서비스는 응답자 260명 21.9%가 이용한 이 있다고 응답

하 다. 근로지원인 서비스에 한 만족도 평균은 2.7 으로 낮은 편으로 나타

났다.

취업하고 있거나 취업했던 직장에서 받았던 지원에 해서는 15개 항목으

로 작업보조를 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의사소통, 컴퓨터 이용을 한 지원기

기 지원, 작업매뉴얼이나 훈련교재 지원, 직업생활상담원이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은 지원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와 상

없는 승진정책도 약간의 차이로 지원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보조공학기기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은 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지원되는 장애인근로자 지원

서비스이나 지원받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볼 때 지원에 한 홍보와 확

가 지속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일을 한 이 없는 장애인들의 미취업 사유는 일할 곳을 찾지 못하거나

합한 일을 찾지 못하거나, 잘 몰라서 등 취업과 련된 정보부족과 자신의

Page 17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71

능력에 한 자신감 부족이 체 인 이유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을 볼 때

증장애인의 취업을 활성화하기 해서는 정보제공, 합한 직무개발, 자신감

향상 등의 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조사 상자를 상으로 일을 시작하거나 하고 있는 일을 지속하기 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해서 ‘일에 한 기술이나 자격 습득’으로 13.6%의

응답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 정수 의 여’ 10.4%, ‘장애특성별 합직종

개발’ 9.6%, ‘고용주 동료의 장애에 한 배려’ 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희망업종에 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문가로

18.9%를 차지하 다. 그 다음으로는 사무종사자 17.7%, 서비스 종사자 13.8%,

단순노무종사자 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들의 직업 비도를 알아보기 하여 13개 문항으로 구성된 직

업 비도 척도를 이용하여 질문하 다. 척도 체의 평균은 3.05 으로 100

만 으로 환산했을 때는 약 61 정도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취업하려는 의지를 주변 사람에게 표 하는 것’

에 해서는 평균 3.3 으로 간정도의 수를 나타냈다. ‘할 수 있는 일을

조사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견학하거나 직장학습에 참여하는

것’은 실제 취업 가능한 회사에 방문하여 견학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에

한 수는 3.0 으로 높은 편은 아니었다.

‘희망하는 직업을 해 필요한 기술 능력을 습득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인생과 미래에 해 계획하는 것’은 3.3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회사에 한 정보수집’은 2.9

, ‘취업 희망업체에 문의하는 것’은 2.8 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취업 련 서류 작성’은 3.1 이었으며, ‘면 에

참여하는 것’ 은 3.0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의 장애에 하여 잘 설명하는

것’은 3.2 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장애에 해 설명하는 것은 어느 정도 비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그에 비해 취업 련 서류 작성이나 면 참여 등에

Page 18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72

해서는 비교 낮은 수를 보 다.

‘회사에 나에게 필요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은 3.0 ,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를 잘 설명하는 것’은 3.2 으로 간 이상의 수를 보 으나 ‘창업에 한

정보수집’은 2.5 으로 가장 낮은 수를 보 다. 이는 장애인들이 창업에

한 의지가 기 때문에 낮은 수가 나왔다고 추측할 수도 있고 다른 측면

으로는 창업에 한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수가 낮은 것으로 추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 질 조사

질 조사에서 취업 련 특성을 보면 12명 소득이 있는 취업활동을 하

고 있는 경우가 2명의 40 , 30 남성이며, 12명 6명이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 등의 활동 등으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하고 있는 실정이며, 12명

도장애인인 남성 두 명이 무직이며 그 30 인 남성 한명은 일할 의사가

아 없다고 잘라 말하 다. 12명 두 명이 학생이며 여성으로 20 와 30

이며 졸업 후 복지 련 일에 종사하고 싶다고 답하 다.

12명 학을 졸업하고 사회복지를 공한 사람이 두 사람 있는데 사회

복지사로써의 활동은 없고, 한 명은 자립생활센터의 센터장으로 40 남성이

며, 한 명은 30 남성으로 체험홈에서 살고 있으며 사회복지사와 무 한 일

을 해왔다.

12명 한 명이 30 여성으로 학 퇴자이며 공은 사회복지 외의

련 과목을 이수했으나 이와 련된 직업을 가졌던 경험은 없다고 하 다.

12명 소득이 있는 취업 활동을 하고 있는 두 명의 남성의 경우 아르바

이트와 매업으로 정규직이 아니며, 12명 2명이 이 자신이 생활하 던

시설에 있을 때 보호작업장에서 작업한 경험이 있다고 하 다.

취업과 련하여 보호작업장에서 작업한 경험이 있는 30 여성 장애인은

Page 18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73

일주일에 8시간 6일 일했으며 어떤 경우는 작업량이 많아 잔업을 했음에도 소

득은 항상 한 달에 5만원으로 일정하 다고 하여, 보호작업장에서의 일과 소

득에 불만이 있었다. 한 보호작업장의 작업이 집 을 요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님에도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작업이 아니어서 일에 한 보람을 느 던

은 없었다고 하 다.

30 여성으로 재 학생 생활을 하고 있는 도장애인은 장애를 입은 일

이 극복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다시 살고자 노력했을 때에 이 에 자신이 일

했던 경험이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며, 다시 일할 수 있는 기회

를 가지기 해 공부를 하고 있다고 하 다.

양 조사에서 취업 이거나 취업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답했던 가

장 많은 직종이 기타 다음으로 컴퓨터 인쇄업이라고 하 는데, 12명 9

명이 자신의 의사와는 상 없이 컴퓨터 련 직업훈련 인쇄 련 직업훈련

을 받았으며 그 6명이 이 에 이와 련된 직업을 가졌던 경험이 있다고

하 으나 오래 지속되지는 못했다고 하 다. 그 이유로는 자신의 의사와 상

없이 배운 작업이고, 장애인들과 경쟁해서 배울 때는 자신이 잘한다고 생각하

고 있었는데 막상 비장애인들과 같이 작업을 했을 때 시간 공간 인 제한과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 고 이에 한 조치가 없었다는 이 유지하는데 어

려움을 느끼게 했다고 하 다. 한 본인이 잘하고 싶어도 컴퓨터 련 작업

은 지속 인 교육과 업데이트를 요하는 작업으로 잠시 이직했을 경우 소 트

웨어 자체의 변화가 커 이 의 경험이 쓸모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하 다.

근로지원인에 해서는 부분이 활동보조인과의 활용도에 있어 차이 을

인지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고, 12명 모두가 활용한 경험이 없다고 답하 다.

근로지원인이 지원된다면 취업활동을 할 것인가에 해서는 근로지원인을

어떤 식으로 활용해야할 지에 해 알게 된다면 극 으로 활용하고 싶다고

답하는 경우가 부분이었다.

일을 한 이 없는 경우는 도장애인인 무직의 30 남성은 2002년에 입

Page 18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74

은 장애에 한 경험이 아직 극복되지 않은 상태로 보여 취업에 한 의지가

없다고 답하고, 컴퓨터를 하거나 뭔가를 배우기는 하겠지만 취업은 필요 없다

고 취업에 한 사항에 해 냉담한 반응을 보 다. 일은 한 이 있지만 본

인이 원하는 일을 찾지 못했다고 답한 경우가 12명 3명이 있었는데 그

20 의 남성으로 학에서 공 를 졸업한 장애인의 경우 취업에 한 정보가

무 한정 이고 희망취업이라든지 이런 생각조차 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도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희망직종이 없다는 의미는 "장애

인이기 때문에 는 컴퓨터를 해야 한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단순조립 일이

잘 맞을 것이다"라는 주변인의 얘기를 끊임없이 들어왔기 때문에 처음부터 그

러한 생각을 가져본 이 없다고 답하며,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

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 다.

"회사에 배려를 요구하는 것, 취업하는 회사에 나를 잘 설명하는 것" 은

장애인 개개인에 따라 이러한 것에 극 으로 표명하는 경우가 있고 그 지

못한 경우가 있다고 문가 실천가들이 언 했다. 이러한 은 비장애인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것처럼 교육보다는 본인의 의지와 련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 다.

5. 조사 상자의 자립생활 향요인

가. 양 조사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각 변수

들에 따른 자립생활도의 평균을 비교하 다. 각 변수들간 자립생활도 평균차

를 검증하기 하여 독립 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

다.

Page 18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75

1) 인구사회학 특성

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를 알아보기 하여 성별, 연령,

교육기간, 학력, 결혼상태, 지역 등의 변수에 따른 평균비교분석을 실시한 결

과 연령, 교육기간, 학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자립생활도를 살펴보면 41~50세가 84.4 으로 높은 수를 보 고, 31~40세

82.7 으로 평균 79.5 보다 높은 수를 보 다. 교육기간과 학력에 따른 자

립생활도는 교육기간이 길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립생활도 수는 증가하는

성향을 보여 다.

2)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

경제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는 기 생활수 여부, 장애인 당사자의

월 평균 소득, 동거가족의 월 평균 소득을 기 으로 비교해 보았다. 장애인 당

사자의 월 평균소득에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당사자의

월 평균소득에 따른 자립생활도는 월수입 150~200만원 인 경우 91.1 , 200만

원 이상인 경우 97.9 으로 평균 82.0 보다 매우 높은 자립생활 수를 보

다. 100~120만원의 경우도 83.5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다.

3) 장애유형, 장애등 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

장애유형, 장애등 에 따른 집단 간 평균비교를 실시하 다. 분석결과 장

애유형은 집단 간 자립생활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

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유형의 경우 지체, 뇌병변, 시각, 청

각, 호흡기, 간, 간질, 신장 등 신체장애와 련된 장애유형들의 자립생활도

수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 장애, 발달장애, 정신장

애 등의 지 , 정서 장애유형의 경우에는 평균보다 낮은 자립생활 수를

보 다.

Page 18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76

4) 일상생활과 련된 자립생활도

일상생활과 련하여 일상생활정도(ADL), 의료서비스 필요여부, 상황

시 한 의료 조치 근 여부, 활동보조 서비스 이용여부 등에 따른 자립

생활도를 분석해보았다. 긴 상황 시 의료 조치를 받을 수 있는가에 해

서는 한 조치를 잘 받을 수 있다고 응답한 경우 자립생활도 수가 84.1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고, ANOVA 분석결과 p값 0.022(p<0.05)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 다.

5) 취업 련 변수들과 자립생활정도와의 계

취업 련 변수들과 자립생활정도와의 계를 찾아보기 하여 취업경험여

부, 고용형태, 취업시간, 의무고용여부, 근로지원인 이용여부 등에 따라 평균비

교를 해 보았다. 취업경험여부, 고용형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취업경험여부와 련하여 집단 간 자립생활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

음이 밝 졌다. ANOVA 분석결과 p값은 0.000(p<0.001)으로 나타났다. 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85.7 으로 평균 79.6 보다 높은 수

를 보 고, 재는 수입이 없으나 과거에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한 이 있는

경우도 81.5 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를 보 다.

6) 취업 비도에 따른 자립생활정도

취업 비도에 따른 자립생활정도를 알아보기 하여 취업 비도의 합을 5개

범주로 구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과 p값은 0.000(p<0.001)으

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취업 비가 잘 되어 있다고 응답한

경우 자립생활도 수도 평균 이상의 수를 나타내었다.

Page 18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77

7) 자립생활척도와 다른 변수요인들을 상으로 이변량 상 분석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자립생

활척도와 다른 변수요인들을 상으로 이변량 상 분석을 실시하 다. 분석결

과 자립생활과 유의미한 상 계를 가지는 변수로는 응답자의 교육년수, 월

평균수입, 장애등 , 취업 비도가 도출되었다.

이 Pearson계수 값이 낮아 실질 인 상 계 향력이 은 교육년수

와 장애등 을 제외하면 교육년수와 취업 비도가 자립생활과 상 계를 가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 비도의 경우 자립생활정도와 높은 정

인 상 계를 보 다. 평균 수입도 자립생활정도와 정 상 계를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년수의 경우에도 약하지만 정 상 계를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등 의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장애정도가 할수록

자립생활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상 계는 매우 미약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8) 자립생활 정도와 취업 비도와 상 계를 가지는 요인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보는 요인인 자립생활 정도와 취업 비도와 상

계를 가지는 요인들을 각각 정리해보면 자립생활 정도는 취업 비도, 월 평균

수입, 교육 년 수, 장애등 이 상 계가 있는 것으로 정리되었고, 취업 비

도의 경우에는 자립생활 정도, 월 평균 수입, 교육 년 수와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9) 자립생활 정도와 다른 변수들과의 회귀분석

상 계에서 증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다른 변수들과의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상 계

분석을 통하여 자립생활 정도와 상 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된 교육 년 수,

Page 18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78

월 평균 수입, 장애정도, 취업 비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4개의 독립변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변수는 취업 비

도로 나타났다. 취업 비도 수가 높을수록 자립생활 수도 높아지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취업 비도와 자립생활과의 회귀 계를 통하여 취업에 한

비가 잘 된 증장애인 일수록 자립생활도 잘 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나. 질 조사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기간, 학력이 양 조사에

서 유의미한 결과로 도출된 것은 20~40 가 일반 으로 자립을 해야 하는 시

기이고, 고학력일수록 자립생활 개념 확립이 잘 서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

립생활이 최종 으로 취업을 하는 것이라고 답한 경우가 많은 을 감안하면,

실생활과 자립개념과에 간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증장애인 당사자의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자립생활도가 높게 양

조사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의 월 평균소득보다 본인 스스로의 소득에 의

해 생활하는 것이 더욱 자립생활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큰 질 조사 상자

의 답변에서도 일맥상통하는 것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 조사 상자의

경우 12명 2명이 부모와 동거하고 있었고, 2명이 배우자와 동거, 나머지 8

명은 독거 다. 본인이 스스로 소득을 해결해서 생활해야 하는 경우가 8명에

달하는 을 감안하면, 생산성에 한 자립개념은 비장애인과 비교해도 큰 차

이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8명 6명이 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 이며 여기서 발생하는 소득으로 생활에 보태고 있다는 을 염두에 둬

야한다. 자립생활센터의 직무환경은 일반 직장과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고, 자

립생활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장애인의 경우 그 자체로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과 비장애인과 일하는 것에서 발생하는 스트 스나 당사자들에 한 이해도

가 높은 동료들, 문가가 자립생활센터의 구성원임을 고려한다면 어디서 발

Page 18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79

생하는 소득을 통해 생활하는 것이 자립인 것인가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장애유형간의 자립생활도에서 양 조사에서는 지 장애인보다 신체장애

인의 경우가 좀 더 자립생활도가 높다고 나왔는데, 이는 자립생활에 하 개

념이 신체장애인을 심으로 한 자립생활센터에서 비롯되었다는 과 지 장

애인의 자립은 신체장애인과는 측정자체가 상이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 장애인(자폐성장애)의 부모에 한 면 에서도 드러났는데, 신

체 인 장벽에 해서는 스스로 해결되는 경우가 부분이고 오히려 본인의

주변정리나 식사 생 인 면에 있어 항상 주의를 줘야한다는 을 상기시

킨 부분에 있어, 개인 생, 주변정리, 식사, 수면, 배설 리, 의복 리, 여가

인 계 활용 등의 측면(Orem, 1985)에 을 둬야한다는 척도상의 한계도

있음이 노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양 조사에서 취업경험과 자립생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왔다

는 에 해서는 질 조사 상자에 있어서도 일맥상통한 논의가 가능하다.

취업경험이 있는 경우가 무한 장애인보다 "자립"에 한 의지가 더욱 높은

것으로 한 번이라도 취업을 경험해 본 사람들이 12명 무한 두 명보다 취

업에 한 심을 표명하 다. 취업진입 유지에 취업경험이 있거나 취업

인 장애인이 자립생활을 정착함에 있어 보다 용이하다는 은 정신 인 측면

뿐만 아니라 환경 인 측면에서도 말할 수 있다. 이 의 경험이 아직 해 본

없는 일에 해 도 해 야겠다는 동기가 된다는 은 취업경험 는 취업의

이미지 트 이닝과 취업의 체험장이 될 수 있는 장․단기 인턴쉽 로그램 등

의 고려해야 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장애인의 교육수 이 이 과 다르게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단순노무직

에서 사무직 는 문직에 한 의지도 크다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장․

단기 로그램이 정규직 채용 고용을 해 비단계가 될 수 있는 것이고

장애인에게 자신감을 고취시키고 취업진입에 큰 향을 미칠 수 있다.

Page 18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0

양 조사에서 취업 비도가 높을수록 자립생활 수도 높아진다고 나왔

는데 질 조사 상자의 조사에서는 취업 비도보다는 취업 비를 하기 해

교육받는 직무내용이 무엇인가에 따라 실질 인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것

으로 해석될 수 있는 내용이 나왔다. 를 들면 컴퓨터를 배운 장애인이 취업

비에 포함되는 정보수집, 견학, 기술 능력 습득, 미래계획, 면 서류 비,

회사에 해 나를 설명하는 것 등에 한 항목을 비하여 련 업체에 취업

활동을 한다고 했을 때, 취업 비도에 포함되어 있는 "희망직종" "희망회사

"에서 좌 하는 경우가 많다는 을 언 하 는데, 장애인이기 때문에 희망직

종자체를 가지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에서 실 으로 직시하고 있는 자립과

취업 비도에서 높게 나온 것과 간극이 있다는 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Page 18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181

제 4 장

자립생활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본 조사에서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을 고려했을 때 신변자립에

한 척도, 자립생활도 척도, 취업 비도에 한 척도 등에서 취업 비에 한

수가 높을수록 자립생활도의 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취업 비에 한

고용지원이 자립생활 정착을 해 모색되어야 함을 나타냈다. 이에 여기에서

는 취업 비도와 련하여 고용지원방안을 구체 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 1 에서는 자립생활정착을 해 고용지원을 함에 있어서 사 에 구

축되어야 할 인 라에 해서 소득, 주거지원을 심으로 논하도록 하겠다.

2 에서는 취업을 한 고용지원방안으로 양 , 질 조사에서 지 되었던

취업 비에 제되어야하는 직무의 다양성에 한 개발에 해 먼 논하고,

취업 비와 과제에 해 구체 으로 어떠한 것들이 지원되어야 하는 지에

해 논하고자 한다.

제1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 련 인 라구축

1. 복지혜택 유보기 완화

증장애인이 취업을 하지 못하는 이유에 해서 심층면 등에서 제기된

이유 하나는 기 생활수 자인 증장애인의 경우 취업의 기회가 주어져도

취업을 할 경우 기존에 받고 있는 생계수당, 장애수당, 의료비지원 등이 끊기

Page 19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2

는 것을 우려하는 의견이 있었고 이에 공감하는 증장애인이 많았다.

증장애인이 취업할 경우 받는 임 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소득이 발생

하면 기존의 지원이 끊기는데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의료비의 문제

이다.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증장애인의 경우 의료 서비스가

지속 으로 필요한 경우가 부분이다. 지체장애의 경우, 특히 증장애의 많

은 부분을 차지하는 척수장애의 경우는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뇌병변 장애의 경우에도 갑작스러운 발작 등으로 의료 처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증장애인에게 의료서비스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증장애인도 보다 나은 생활을 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그

러나 부분의 기 생활수 권을 가진 증장애인들은 자신의 생활을 업그

이드하려는 노력보다는 기존의 혜택을 리는 것에 안주하려는 모습을 보인

다. 증장애인이 취업할 수 있는 기회도 많지 않고, 취업기회가 있다고 하더

라도 임 수 은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장애인은 선택

을 강요당하게 된다.

심층면 에 참여한 한 증장애인은 기능 회 입상경력도 있어 취업의뢰

를 받은 이 있었지만 월 여 120만원으로는 기존의 기 생활수 혜택에서

생계수당이나 장애수당 등은 보완될지 모르지만 지속 으로 이용해야 하는 의

료비 부분에서 감당이 어려울 것 같아 취업을 포기했다고 자신의 경험을 이야

기 하 다. 만약 취업한 이후에도 의료비만이라도 지원받을 수 있었다면 취업

했을 것이라고 하 다.

이러한 사례를 볼 때 일률 으로 용되는 기 생활수 의 기 을 일부

완화할 필요가 있다. 증장애인에게 무조건 인 혜택을 주자는 것은 아니다.

기 생활수 자나 차상 계층에 있는 증장애인이 취업을 통하여 소득기 이

과되어 수 권 상에서 제외될 경우, 개별 사정을 통하여 의료비 지원을

박탈하는 것을 일정 기간 유 해주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age 19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183

동사무소 등에서

신청서 작성

(당사자)

→건강보험공단에서

사정평가→ 지원등 결정

1단계 : 취업 등으로 기 생활수 상 제외된 경우 동사무소 등에서 의료비 지원 신

청서 작성

2단계 : 건강보험공단에서 의료비 지원 필요여부 사정 평가

3단계 : 6개월 / 1년 / 1년 이상 의료비 지원기간에 따른 지원등 정

※ 소득변동에 따라 재사정 가능

<표 4-1> 의료비 지원 신청 흐름도

2. 활동지원서비스 확

증장애인에 있어 활동지원서비스는 손이자 발이고, 입이기도 하다. 재

활동지원서비스는 최 220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월 220시간을 일별로 계

산하면 1일 7시간정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증장애인이 외출 시 이동지원,

식사나 세면 등의 일상생활지원 등에 활용한다고 할 때 매일 이용하기에는 빠

듯한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취업을 하지 않은 재가 증장애인의 경우 월 220시간의 이용시간이 부족

하지 않을 수 있지만 증장애인이 취업을 했다는 가정 하에서는 220시간은

매우 부족하다 할 수 있다. 1일 7시간 정도로는 출퇴근에 소요되는 이동시간,

출근을 한 세면 단장 등의 비시간, 식사 화장실 이용 등의 일상생

활 시간 등을 고려하면 많이 부족하다 할 수 있다. 회사 내에서의 지원은 근

로지원인으로 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재 근로지원인 서비스 규모가

크지 않은 것을 보았을 때 증장애인이 충분히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증장애인을 상으로 하는 활동지원 서비스시간을

Page 19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4

보다 확 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3. 주택확보 주거환경 개선

자립을 해 주택확보 주거환경 개선은 증장애인의 자립을 해 매

우 요한 요인이다. 질 조사에서 실천가에 의하면 주거확보 환경정비와

기본 생활에 한 소득의 안정감이 생기면 부분의 장애인이 다음으로 하는

행동은 취업활동이라고 한다. 질 조사에서 증장애인의 모친의 경우에서

봤듯이 증장애인 당사자가 사회생활을 해 외부에 나가고 싶어도 가정에서

외부활동을 바람직하지 않게 생각하거나 는 이와 정 반 로 장애가 있는 가

족에 해 무 심하다. 이 때문에 증장애인의 부분이 어느 정도 연령에

달하면 가정을 나오거나 시설을 나오고 싶어 하지만, 시설의 경우 국가에서

수 하는 수 비확보를 해, 가정의 경우 자녀에 한 걱정 사회의 시선

때문에 꺼리게 된다. 이는 증장애인 특히 신체장애인의 경우 부모와의

갈등이 심한 경우가 많은데, 장애인 당사자는 자신에 한 어 등으로 인해

부모에게 가 되는 부담이 심리 으로 무겁게 느껴져 가족으로부터 자립하고

자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장애인이 자립을 하여 시설이나 가족과

함께 살던 집을 나올 경우, 장애라는 특성 때문에 지역사회의 주거지에 받아

들여지지 않는 등 차별 처우를 받거나 어렵게 주택을 선택했음에도 주거환

경이 장애특성으로 인해 불편함을 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 에 해 실천가가 제시하는 해결방책으로 장애인을 받아들

일 수 있는 지역부동산의 데이터베이스 확립을 제안하 다.

데이터베이스의 확립을 통해 장애인이 지역에서 거부당하는 상황을 직

마주하지 않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장애인에게 확보 가능한 주택상황을 검

할 수 있어 증장애인에게 발생하는 주택확보에 한 문제 한 공공단체

가 직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age 19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185

주거환경 개조의 경우 증장애인이 주거할 수 있는 제공주택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래되고 낙후된 건물의 주거환경일지라도 감안하고 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많다. 그러나 임 계약이 부분이어서 개조가 어렵고 개조를 하

더라도 비용의 측면에서 자 조달에 어려움이 많아 활동보조인 등의 활용을

늘리는 방안 등으로 자립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다.

주거환경 정비가 어려운 경우의 안 에 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부동

산 데이터베이스 확립 등을 계획하며 염두에 두고 주택확보 주거환경의

체 인 검토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제2 자립생활 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본 에서는 다양한 직무형태의 취업을 한 훈련과 연계 방안을 양 조

사 질 조사의 결과를 토 로 실질 으로 용 가능한 서비스 지원방책을

모색해보도록 하겠다.

1. 기 체력 교육 로그램에 한 리

취업에 앞서 증장애인의 경우 건강 리 체력 리가 취업유지 진

입에 매우 요한 요인임을 양 조사 질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특

히 질 조사에서는 12명 6명 이상이 직장에서 는 재택근무를 통해 취업

활동을 하 으나 체력 인 문제로 인해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었다고 했다.

직무시간에 한 융통성 탄력성에 한 논의는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

지만, 바로 이를 시행할 만한 직장은 많지 않고, 이에 한 인식을 개선함에

있어서도 한계가 많다는 을 고려해서, 이에 한 개선에 한 홍보 등을

개하면서도 장애인 자신이 개별 인 체력 리 로그램을 통해 스스로의 체력

과 정신력을 리할 필요가 있다.

Page 19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6

이에 취업훈련 로그램 기 체력의 향상, 작업 직무의 지속력․집

력을 한 훈련, 성 확인 과제의 악능력, 직무상의 소통(직무상의 언

어)방법의 향상, 직업습 의 (인사, 용모)을 익히고 이러한 것에 한

한 평가를 가한 교육 로그램의 리를 통해 취업 시 이러한 평가가 이력서에

첨부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 취업경험 이미지 트 이닝

증장애인의 부분이 일반직장에 취업을 원 한다 는 기업에서 일하고

싶다, 문직 종사자가 되고 싶다, 사무직을 하고 싶다 등의 욕구가 있지만 이

에 한 구체 인 이미지가 없고 주변의 동료가 부분 같은 증장애인의 경

우가 많기 때문에 롤 모델도 없다. 내가 원하는 사무직 는 문직이 되기

해서 어떠한 교육을 통해 어디서 정보를 얻어, 무엇을 통해 그러한 직종을

얻게 되는지에 한 경로에 한 구체 인 심상이 없어서 양 조사에서도 희

망직종에서 문직, 사무직이 다수 차지하고 있지만 실질 으로 희망에 그치

는 경우가 부분이다. 한 일에 한 정확한 심상이 없기 때문에 련 자격

증 취득에 열을 올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자격증이 취업을 하는데 있어 요

건이 될 수 있는 면허증이지만 일을 잘 하게 하는 증서는 아님을 인지하지 못

하는 경우가 부분이어서, 자격증이 있는데도 취업이 안 되기 때문에 차별받

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거나 자격증이 있으니까 일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하

는 경우도 많다.

한 훈련 로그램이나 학교에서 경쟁하는 상 가 같은 장애인인 경우가

많아 일반 직장에서의 취업에 한 이해에 진 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장

애인을 상으로 하는 로그램에서는 가족 인 분 기 는 장애인을 어하

는 입장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사회의 엄격함이나 스트 스

가 높은 직무에 한 이미지가 없는 것이 그 이유이기도 하다. 질 조사에서

Page 19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187

도 증장애인이 직장이 생겨 자신의 주거지에서 2시간 가까이 걸리는 거리임

에도 취업하겠다고 하여 막상 취업하여 직장에서의 스트 스와 이동상의 문제

로 인해 일주일도 유지하지 못한 사례를 실천가가 시하 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해 "직업의식", "취업이란 무엇인가" 에 한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한 "구체 직업심상"에 한 교육

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고 본다.

한 이러한 이미지 트 이닝은 증장애인 당사자뿐만 아니라 기업 소

기업, 작업장에서도 증장애인을 고용 했을 시의 트 이닝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미지 트 이닝의 가상경험을 통해 직업의식, 취업생활의 엄격함을 인식

하고 비장애인과의 경쟁에서 오는 스트 스를 스스로 어느 정도 학습해 둠으

로써 취업에 한 정확한 이미지를 가지고 직업생활 진입 유지를 통해 자

립생활 정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3. 근로지원인 지원체계의 정비 홍보

양 조사 질 조사의 양 조사에 있어 근로지원인에 한 인식이 매

우 낮았던 을 감안하면 이에 한 극 인 홍보가 필요로 되어 진다고 본

다. 한 활동보조인을 활용 인 증장애인은 근로지원인을 활용하는 것에

해 아직 거부감이 있어 활동보조인의 활동 역을 근로지원교육을 통해 확

하거나 근로지원인 지원에 한 설명회 세미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 증장애인이 활동보조인과 근로지원인을 두 사람 모두 고용할 경우

직장의 양해를 구하는 , 공간 인 제약 , 두 보조인의 활동반경 등에 한

의문 등이 많았으며 이에 한 뚜렷한 답안을 제시받지 못하고 있다는 에서

활동보조인과 근로지원인의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활동 역의 구분과 증장애

인 당사자에 한 교육 하 서비스 제공부처에 한 교육, 근로지원인에

한 근로지원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보인다.

Page 19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88

4. 유연근무제 확 실시

증장애인의 경우 기 체력이 부족함을 앞서 지 했다. 취업에 진입하

는 과정이나 유지함에 있어 이러한 체력 인 문제는 증장애인들이 가장 어

려워하는 부분 에 하나이다. 활동보조인이나 근로지원인이 반 인 생활이

나 직장생활을 지원하게 되더라도 지체되는 시간상의 문제와 보장구나 기기를

활용함에 있어서도 비장애인의 생활과 비교한다면 한계가 있다.

이에 재 국에서 시범 으로 운 하고 있는 유연근무제를 증장애인

의 경우 원칙 으로 그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

활법이 개정되어 한다. 증장애인의 경우 유연근무제를 원칙 으로 법 보장

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쉽게 취업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고 직장 상사 동료

의 이해도 보다 쉽게 얻을 수 있어 취업활동이나 진입에 있어 주 하는 경우

가 하게 어드는 효과를 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동료상담가 과정 제도화

재 자립생활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동료상담 사업에 한 달체로서

동료상담가 과정을 국가에서 할하고 이를 일종의 자격제도로 발 시켜 문

직종화 할 필요가 있다. 일반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도 많지만 실질 으로

일반 직장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증장애인의 경우 자립생활센터와 같이 자

신의 장애에 한 이해도 있고 같은 장애인에게 지원이 가능한 동료상담활

동에 보람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한 증장애인이 시설이나 가족에게서 자

립하여 사회생활에 응함에도 큰 효과를 리고 있어 동료상담가를 문 으

로 양성하여 사회 반 인 응과 생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age 19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제4장 자립생활정착을 한 고용지원방안 189

6. 자립생활센터의 제도화

의 동료상담과 련되는 제언으로 증장애인들의 자립생활센터에서의

활동이 많은 상황에서 이와 같은 센터를 제도화하는 것이 단순히 장애인의

취업통로만의 역할이 아니라 장에서도 자립생활센터에서 증장애인만 할

수 있고 그들만의 역할과 기능이 있기 때문에 센터의 제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증장애인 사회복지사의 자격증을 취득하 지만, 복지 이나 사회복지

련 단체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 장애인 는 사회 취약계층에 한 지원

활동을 하는 것이 희망직종이라고 하고 이와 련된 교육을 받았음에도 취업

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한 상담과 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은 없지

만, 본인의 생활력(life history)을 통해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정보를 제

공하는 것은 생활상에서 비슷한 문제를 겪거나 사건을 겪게 되는 장애인에게

는 큰 도움이 되고, 상담을 담당하는 장애인도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기여하

는 활동을 하면서 자존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일반 취업을 희망하는 증장애인에 한 지원을 하면서 동시에 자립생활

센터가 기능할 수 있는 부분을 살려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7. 직업훈련 단계별 트 제 운

최근 학에서는 동일 공 학과에서 ‘기 역량 과정’과 ‘ 공과정’으로 이

원화된 트 제를 도입하여 학사운 을 시도하고 있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간의 학력차이가 심하고, 한 기 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한

학제개편을 말한다. 이러한 트 제 운 을 장애정도를 감안하여 직업훈련시설

에서 용할 필요가 있다. 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운 하는 직업능력개

발원의 경우에는 훈련생들의 직업 측면에서의 장애정도가 차 증ㆍ 복

화 되어가고 있고, 취업률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실을 감

Page 19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90

안하여 부분의 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가 직업 경증장애인 주의 훈

련생을 선발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선발경향 때문에 훈련생 모

집에 한 곳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러한 실태를 감안하여 재의 직업

훈련생을 직업 장애정도로 평가하여 구분하고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훈련계

획목표를 ‘재활과정’과 ‘고용훈련과정’으로 이원화하여 트 제로 운 할 것을

제안한다. 즉 직업 증장애인을 1단계인 ‘재활과정’에 배치하고 일정정도

재활성과를 바탕으로 2단계인 ‘고용훈련과정’을 거쳐 고용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별 트 제 운 은 일본 ‘태양의 집’ 사례에서도 찾을 수

있다. 사회복지법인 ‘태양의 집’이 증장애인들의 고용지원을 해 기업과 연

계하여 기업 내에 생산라인공정을 1트 과 2트 으로 구분하여 1트 에서는

재활훈련생으로 훈련하고 2트 에서는 고용인으로 생산활동하고 있다. 즉 1트

에서 훈련을 받고 어느 정도 생산성이 나타나면 2트 고용의 장소로 옮길

수 있도록 연계하고 있다.

Page 19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참고문헌 191

참고문헌

김삼섭 (1995). 뇌성마비인의 성직업에 한 연구. 박사학 논문, 단국 학

교.

정일교 (1997), 장애인의 자립생활 개념에 한 일고찰: 일본을 심으로. 사회

복지정책, 5, 142-153.

이달엽 (1997). 재활과학론. 구: 형설출 사

오혜경 (1998). 장애인 자립생활실천에 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3, 39-63.

타니구치아키히로, 타 다이스하루 (1999). 자립생활은 즐겁고 구체 으로(이기

량, 최경익 역). 나눔의 집

오혜경 (2000). 정신지체장애인 자립생활실천모델 개발을 한 기 연구. 재활

재단논문집, 9, 3-78.

이경혜 (2000).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 논문,

앙 학교.

이윤화 (2000). 역량강화 실천의 자립생활패러다임 용에 한 연구. 수원

학교 논문집 제39호.

이성규 (2000). 사회통합과 장애인복지정책. 나남출 .

최 (2000). 생활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로그램 도입을 한 기 환

경 탐색. 석사학 논문, 가톨릭 학교.

김동호 (2001). 자립생활패러다임에서 본 한국장애인복지 연구. 석사학

논문, 연세 학교 행정 학원.

김동호 (2001). 미국 자립생활운동의 역사. VOICE, 2, 12-17

김병식 외 (2001), 장애인 자립생활 황 향후 방향. 국립재활원.

정무성, 정진모 (2001). 사회복지 로그램개발과 평가. 경기: 양서원

Page 20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92

정종화 (2001). 장애인 자립생활실천을 한 과제와 망. 2001국제 장애인복

지 실천세미나.

정립회 역 (2002), 자립생활서비스 모델.

이성규, 양숙미, 조미경, 심진례, 혜연 (2002). 장애인 직업문제 응을 한

노동·복지·교육의 계에 한 연구. 장애인직업안정연구원, 한국장애

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수탁연구.

성숙진 (2002). 미국 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 운동개념과 발달과정. 재활복지,

6(2), 24-54.

우수명 (2004). 사회복지 로그램 개발과 평가. 인간과 복지.

강희숙 (2004).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활동보조서비스에 한 연구. 석사학

논문, 삼육 학교 보건복지 학원.

김경혜, 최상미 (2004).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 기반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이선우 (2004).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평가 : 문제와 개선방안. 직업재활연구,

14(2), 119-140.

양희택(2005). 장애인 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정의를

한 시론 연구. 재활복지, 9(2), 53-86.

김통원, 오창순, 고미 , 정원오, 김형모, 김철수, 이종환, 김향미, 김 학

(2006). 2005 사회복지시설평가. 한국사회복지 의회, 보건복지부 수

탁연구

정식, 조한진, 최미 (2006). 증장애인고용확 를 한 자립생활센터 역

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정무성, 고이경, 이 , 김성미, 김주 (2007). 장애인단체 사업평가체계 구

축방안에 한 연구. 숭실 학교, 보건복지부 수탁연구.

권선진 (2007), 장애인권리의 법 환경의 변화와 응.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춘계학술 회 자료집. 85-105.

Page 20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참고문헌 193

이익섭, 김경미, 윤재 (2007). 한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평가와 향

후과제. 한국사회복지학, 59(2), 197-222.

성기원. 이정화 (2007).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실태조사 운 모델 개발. 서

울복지재단.

조원일, 이채식, 김명식, 이은 (2007). 일본 장애인 소규모 공동작업장 실태

조사를 통한 한국형 모형 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보건복지부(2008), 장애인복지 법령집. 보건복지부.

김미경 외(2008),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가이드, 국립재활원

김호진, 류정진, 장 석, 류기섭 (2009), 장애인고용패 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

단 고용개발원.

통계청(2008), 한국통계월보

특수교육 연차보고서(2008), 교육과학기술부

정무성, , 구재 , 이 주, 성정 , 구자연, 정아름, 황명희, 김수상, 정

, 성기옥 (2009). 2009 사회복지시설 평가(1). 한국사회복지 의회, 보

건복지부 수탁연구.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강민희, 최미 , 손창균, 오혜경 (2009).

2008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윤재 (2009). 개념도를 활용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 구성. 재활복

지, 13(1), 41-60.

(2010). 장애인 자립생활의 의미와 측정: 자립생활센터 이용장애인을

심으로. 석사학 논문, 성균 학교 사회복지 학원.

이채식 (2010), 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조례 제정을 한 토론회. 토론자료집

65-69.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2010 장애인백서. 한국장애인개발원.

지방자치단체의 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 모색을 한 토론회(2011),

김 자 (2011).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함께걸

Page 20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94

음, 272, 31-33.

김재익 (2011). 뇌성마비근로자의 직업유지에 미치는 측요인에 한 연구.

박사학 논문, 구 학교.

Barnes, C., and Mercer, G. (2006). Independent futures: creating user-led

disability services in disabling society. UK: Policy Press.

Bonnie O MAy, JeAn Wilson, MAry Killeen & RoAert Ficke (2004).

Consumer outcomes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program.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OS Press.

Braddock, D., and Parish, S. (2001). An institutional history of disability. in

hadbook of Disability Studies, edited by G. G. Albrecht, K. D.

Seelman, and M. Bury. Sage.

Budde, J.F., Lachat, M.A., Lattimore, J., Jones, M.L. & Stolzman, L. (1987).

Standards for Independent Livimg Centers, RTCIL.

Dejong, G., & Batavia, A. I. (1991). Toward a health services research

capacity in spinal cord injury. Paraplegia, 29(6), 373-389.

Dejong, G & T, Wenker. (1983). Attendant care as a Prototype Independent

Living Service. Caring Nov, 26-30.

Dejong, G (1981).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Independent Living

Outcomes.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USA/Michigan State University. 정립회 역(2001). 장애인의 근여

건과 자립생활의 성과 - 장애인복지정책과 장애인복지연구의 방향-.

Dejong, G. (1979). Independent Living: From Social Movement to Analytic

Paradigm.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0, 435-446.

Delong. G (1985). Economics and Independent Living. Research and Training

Centre on Independent Living, University of Kansas.

Douglas J. Usiak, Vathsala I. Stone, Ronald A. House & Mark E.

Page 20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참고문헌 195

Montgomery (2004). Stakeholder perceptions of An effective CIL.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OS Press, 35-43.

Douglas J. Usiak, John Moffat & Mochael L. Wechmeyer (2004).

Independent Living Management.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OS Press, 1-3.

Cole, J. A. (1979) . What;s new about independent living. Arch Phys Med

Rehabil, 60, 458-462.

Condeluci, A. (1998). Independence: the route to community. 2nd ed. St.

Lucie Press.

Evaluation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program (2003). CESSI.

Jennifer Hurestfield (2007). The costs and benefits of independent living.

Office for Disability Issue(England).

Gina Mcdonald & Mike Oxford (2002). IL 201: History & Philosophy of the

independent living movement, IL net.

Kristi E. Wilson (1998).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in Support of

Transition.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 A disabilities, 13,

246-252.

Kestenbaum. A (1999). Independent Living: A Review: Joseph Rowntree

Foundation.

Lacht, M. A. 1988. The Independent Living Service Model. Center for

Management, Inc. Hampton, New Hampshire.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역. 2003.『자립생활 서비스 모델: 역사 뿌리, 핵심요소, 실천방안』.

Machiko R. Tomita, Maureen Moffat, Douglas J. Usiak And John

Moffat(2004), Profile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based on the

National CIL Management Databas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0, IOS Press.

Page 20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196

Meyer, M. N., & Rowan, B. 1977.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nd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7: 340-363.

Morris, J. (2004). Independent living and community care: A disempowering

framework. Disability and Society, 19(5), 427-442.

Oliver, M (1989). “Disability and Dependency: A Creation of Industrial

Societies“ in Disability and Dependency. edited by Len Barton.

RoutledgeFalmer.

Romel. W Mackelprang & Richard O. Salsgiver (1982). Disability -A

Diversity Model Approach in Human Service Practic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Y.

サンドラウォルマン(1984)家庭の三つの資源―時間・情報・アイデンティティ

ロンドン下町の8つの家庭

橋本明弘(1996)、探索的調査と深層面接に関する一 察、大阪大学教育学年報

Vol.1

星加良司(2001)自立と自己決定、ソシオロゴス25:160-175

吉川かおり(2002)、障害 ”自立”概念のパラダイム転換ーその必要性と展望ー

東洋大学社会学部紀要40-2号

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障害保健福祉課(2006) 障害 自立支援法に終えける雇用

厚生労働省社会援護局障害保健福祉課(2006). 「雇用, 福祉, 教育等の連携によ

る就労支援」, 내부자료(미간행)

平井利明(2008)障害 の就労支援とその施策、課題

厚生労働省(2008)、(2009)、障害 の就労支援対策の状況

田中 恵美子 (2009) 『障害 の「自立生活」と生活の資源――多様で個別な

その世界』,生活書院

障害 雇用支援機構障害 職業総合センター(2011)、障害 の自立支援と就業

Page 20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참고문헌 197

支援の効果的連携のための実証的研究。

http://www.soc.toyo.ac.jp/bulletin/40-2yosikawa.pdf

http://www.shakyo.or.jp/pdf/pamphlet.pdf

http://www8.cao.go.jp/shougai/suishin/kaikaku/s_kaigi/k_3/pdf/s1.pdf

Page 20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Page 20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 부 록 -

1. 설문조사표 ··································································· 201

2. 심층면 조사지 ···························································· 210

3. 심층면 상자 사례 개요 ··········································· 211

Page 20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Page 20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01

[부록1] 설문조사표

ID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안)

안 녕 하 십 니 까 ?

한 국 장 애 인 고 용 공 단 의 의 뢰 로 , 중 증 장 애 인 의 자 립 생 활 정 착 을 위 한 고 용

지 원 방 안 에 관 한 욕 구 와 개 선 방 향 을 모 색 하 고 자 이 번 설 문 조 사 를 실 시

하 게 되 었 습 니 다 . 이 번 조 사 자 료 는 중 증 장 애 인 의 성 공 적 인 자 립 생 활 정

착 을 확 대 하 고 , 고 용 지 원 제 도 를 보 완 하 기 위 한 기 초 자 료 로 활 용 될 것 입

니 다 .

조 사 표 에 응 답 하 신 내 용 은 통 계 법 제 3 3 조 에 의 거 , 통 계 작 성 의 목 적 이

외 에 는 사 용 되 지 않 으 며 , 비 밀 이 보 장 될 것 을 약 속 드 립 니 다 . 귀 하 의 충 분

하 고 성 실 한 답 변 은 향 후 중 증 장 애 인 자 립 생 활 정 착 을 위 한 효 과 적 이 고

체 계 적 인 고 용 지 원 방 안 을 위 한 기 초 자 료 가 될 것 입 니 다 .

본 설 문 작 성 을 위 해 바 쁘 시 더 라 도 많 은 협 조 를 부 탁 드 립 니 다 . 귀 중 한

시 간 을 내 어 주 셔 서 깊 이 감 사 드 립 니 다 .

��작 성 하 신 설 문 지 는 설 문 지 를 1 0월 1 2일 (화 )까 지 배 포 하 신 선 생 님 에 게

제 출 해 주 시 면 감 사 하 겠 습 니 다 .

문 의 사 항 : ☎ 0 2 -2 2 8 2 -3 3 7 3

✉ p o p b o p @ n a te .co m 연 구 원 이 세 영

책 임 연 구 원 박 경 수 교 수

※ 설문지 작성시 주의사항

장애인 당사자께서 직접작성이 어려운 경우 도움을 통한 기입을 부탁드립니다.

대리인이 기입할 경우, 설문지의 모든 문항은 장애인 당사자 기준으로 응답하여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Page 21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02

Ⅰ . 기 본 적 인 정 보 에 관 한 문 항

Q 1 .성 별 ① 남 성 ② 여 성 Q 2 . 연

령 만 ( )세

Q 3 . 최 종 학 력

① 초 등 학 교 졸 업 이 하 ② 중 학 교 졸 업 , 중 퇴 ③ 고 등 학 교 재 학

④ 고 등 학 교 졸 업 , 중 퇴 ⑤ 대 학 교 재 학 ⑥ 대 학 교 졸 업 , 중 퇴

⑦ 대 학 원 재 학 이 상 ⑧ 기 타

총 교 육 년 수 _________________________ 년

Q 4 . 거 주 지 역 ① 대 도 시 (특 별 시 , 광 역 시 ) ② 중 소 도 시 (시 , 구 ) ③ 농 어 촌 (군 )

Q 5 . 결 혼 상 태 ① 미 혼 ② 기 혼 ③ 동 거 ④ 이 혼 ⑤ 별 거 ⑥ 사 별

Q 6 . 수 급 여 부 ① 해 당 없 음 ② 차 상 위 계 층 ③ 기 초 생 활 수 급 자

Q 7 . 귀 하 께 서 현 재 생 활 하 고 있 는 곳 은 어 디 입 니 까 ? 해 당 되 는 곳 에 표 시 해 주 십 시 오 .

① 본 인 소 유 의 집 ② 가 족 소 유 의 집 ③ 전 세 ④ 월 세

⑤ 자 립 생 활 체 험 홈 ⑥ 공 공 임 대 주 택 ⑦ 복 지 시 설 (장 애 인 을 위 한 )

⑧ 기 타 ( )

Q 8 . 최 근 6개 월 간 귀 하 는 월 수 입 이 있 었 습 니 까 ?

① 있 다 ☞ 8 -1번 으 로 ② 없 다 ☞ 8 -3번 으 로

8-1. 최근 6개월간 귀하의 월 평균수입은 얼마입니까? ☞ 월( )만원

8-2. 최근 6개월간 귀하의 주 수입의 종류에 대해 수입액이 많은 순으로 다음 표에 3개까지 기

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① 취업으로 인한 급여 ② 장애인수당 ③ 자영업에 의한 수입

④ 부동산 등으로 인한 수입 ⑤ 보호작업장 임금 ⑥ 가족지원

⑦ 기초생활수급자 생계비 ⑧ 장애연금

⑨ 기타( )

8 -3 . “② 없 다 ” 라 고 응 답 하 신 분 께 질 문 드 립 니 다 .

최 근 6개 월 간 귀 하 를 포 함 한 귀 하 의 동 거 가 족 의 월 평 균 수 입 은 어 느 정 도 입 니 까 ?

☞ ( )원

Q 9 . 귀 하 의 장 애 유 형 은 무 엇 입 니 까 ? 주 장 애 를 적 어 주 십 시 오 . ☞ ( )장 애

9 -1 . 중 복 장 애 가 있 다 면 적 어 주 십 시 오 . ☞ ( )장 애

9 -2 귀 하 의 장 애 발 생 시 기 는 언 제 입 니 까 ? ☞ 만 ( )세

9 -3 귀 하 의 장 애 는 몇 급 입 니 까 ? ☞ ( )급

Page 21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03

Ⅱ . 일 상 생 활 에 관 한 문 항

Q 10 . 다 음 은 일 상 생 활 의 도 움 이 나 지 원 에 관 한 질 문 입 니 다 . 각 문 항 을 잘 읽 고 해 당 되 는 곳 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일상생활 내용

① 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한다

②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③ 혼자서

한다

옷입기 - 내복, 외투를 포함한 모든 옷을 옷장이나

서랍, 옷걸이에서 꺼내 챙겨 입고 단추나 지펴, 벨트

사용하기

세수하기 - 세수, 양치질, 머리감기

*세수는 얼굴에 물을 묻히는 정도도 괜찮음

목욕 - 욕조에 들어가서 목욕하거나, 욕조에 들어가

지 않고 물수건으로 때 밀기, 샤워 등을 모두 포함

식사하기 - 음식이 차려져 있을 때 혼자서 식사할 수

있는 것

이동하기 - 잠자리(침상)에서 벗어나 방문을 열고 밖

으로 나오기

화장실 사용하기 - 대소변을 보기 위해 화장실에

가는 것과 대소변을 본 후에 닦고 옷을 추려 입기

대소변 조절하기 - 대변이나 소변을 참거나 조절

하는 것

Q 11 . 집 에 서 귀 하 께 도 움 을 주 는 분 은 주 로 누 구 입 니 까 ? 도 움 을 많 이 주 는 사 람 순 으 로 다 음 표 에 3

명 까 지 선 택 하 여 번 호 를 기 입 해 주 십 시 오 .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① 도 움 을 필 요 로 하 지 않 는 다 ② 아 버 지 ③ 어 머 니 ④ 배 우 자

⑤ 형 제 자 매 ⑥ 조 부 모 ⑦ 친 척 ⑧ 자 녀 ⑨ 자 녀 의 배 우 자

⑩ 활 동 보 조 인 ⑪ 친 구 또 는 지 인 ⑫ 방 문 간 호 사 ⑬ 자 원 봉 사 자 ⑭ 이 웃

⑮ 기 타 ( )

Q 12 . 귀 하 는 원 만 한 일 상 생 활 을 위 하 여 의 료 서 비 스 를 필 요 로 합 니 까 ?

① 필 요 로 한 다 ☞ 12 -1로 ② 필 요 로 하 지 않 는 다 ☞ Q 13으 로

12-1 ‘① 필요로 한다’고 답하신 분에게 질문하겠습니다.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에 대해 해당되는 것에 모두 표시하여 주십시오.

① 혈압, 체온, 호흡 및 맥박의 체크 ② 세안, 이발, 입욕도움 등 청결에 관한 도움

③ 식사, 수분, 영양관리 ④ 욕창 등의 조치

⑤ 산소, 인공호흡기 등의 의료기기 사용 ⑥ 복약지도 및 관리

⑦ 관장 등 배설도움 ⑧ 재활치료

⑨ 기타 ( )

Page 21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04

① 매우

만족스럽다

② 약간

만족스럽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⑤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서비스 이용시간

서비스 내용

활동보조인의 숙련도

제공기관의 전문성

본인 부담

서비스 전체의 만족도

자립생활 관련

전혀

그렇

않다

별로

그렇

않다

그저

그렇

약간

그렇

매우

그렇

1) 나의 권리를 찾아 행사하고 있다.

2) 나 자신의 생각이나 필요를 자신 있게 남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

3) 나 자신에게 떳떳하다.

4) 나의 경제적 상황을 고민하고 계획하고 있다.

5) 내 삶에 필요한 의식주를 걱정한다.

6) 새로운 삶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다.

7) 나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욕심을 가지고 있다.

8) 새로운 희망을 가지고 변화에 도전한다.

9) 부모님의 보호를 벗어나 심리적으로 충분히 독립되어 있

다.

10) 가족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의 위치가 명확하다.

11) 가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

Q 13 . 귀 하 는 위 급 상 황 또 는 필 요 시 적 절 한 의 료 적 조 치 를 받 을 수 있 습 니 까 ?

(병 원 외 래 이 용 , 응 급 실 이 용 , 방 문 간 호 등 )

① 전 혀 그 렇 지 않 다 ② 별 로 그 렇 지 않 다 ③ 그 저 그 렇 다

④ 약 간 그 렇 다 ⑤ 매 우 그 렇 다

Q 14 . 귀 하 는 현 재 활 동 보 조 서 비 스 를 이 용 하 고 계 십 니 까 ?

① 이 용 하 고 있 다 ☞ 14 -1로 ② 이 용 하 지 않 는 다 ☞ Q 15로

1 4 -1 . 귀 하 는 지 금 받 고 있 는 활 동 보 조 서 비 스 의 내 용 에 만 족 하 십 니 까 ? 각 각 의 아 래 항 목 에 해 당 되 는

것 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Ⅲ . 자 립 생 활 관 련

Q 15 . 다 음 은 자 립 생 활 과 관 련 된 문 항 입 니 다 . 각 문 항 에 해 당 되 는 곳 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Page 21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05

1) 나의 권리를 찾아 행사하고 있다.

2) 나 자신의 생각이나 필요를 자신 있게 남에게 이야기할 수

있다.

3) 나 자신에게 떳떳하다.

4) 나의 경제적 상황을 고민하고 계획하고 있다.

5) 내 삶에 필요한 의식주를 걱정한다.

6) 새로운 삶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다.

7) 나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욕심을 가지고 있다.

8) 새로운 희망을 가지고 변화에 도전한다.

9) 부모님의 보호를 벗어나 심리적으로 충분히 독립되어 있다.

10) 가족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의 위치가 명확하다.

11) 가족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

Q 16 . 귀 하 는 성 공 적 인 자 립 생 활 을 위 해 선 행 되 어 야 하 는 요 소 가 있 다 면 어 떤 것 이 라 고 생 각 하 십 니 다 .

가 장 필 요 하 다 고 생 각 되 는 것 을 하 나 만 선 택 하 여 주 십 시 오 .

① 독 립 적 인 주 거 지 원 ② 장 애 연 금 등 의 소 득 보 장 지 원 ③ 고 용 지 원

④ 신 변 자 립 에 대 한 지 원 ⑤ 동 료 상 담 등 의 정 서 적 지 원 ⑥ 보 장 구 지 원

⑦ 의 료 비 지 원 ⑧ 이 동 권 지 원

⑨ 기 타 ( )

Ⅳ . 취 업 에 관 한 문 항

Q 17 . 지 금 까 지 장 애 를 가 지 면 서 수 입 이 있 는 직 장 에 종 사 한 적 이 있 습 니 까 ?

현재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다 ① ①,②번 선택 ☞ Q18번으로

③번 선택 ☞ Q22번으로

현재는 수입이 없지만 과거에 수입이 있는 직장에서

일 한 적이 있다. ②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해 본 적이 없다 ③

Q 18 . 귀 하 가 종 사 하 고 있 는 또 는 종 사 했 었 던 일 은 어 떠 한 것 이 있 습 니 까 ?

해 당 되 는 것 에 모 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18-1. 고용 및 취업형태 18-2. 취업시간

정규직 ① 상근(주 40시간 이상) 근무 ①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② 주 20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근무 ②

자영업, 개인사업 ③ 주 20시간 미만 근무 ③

보호고용(보호작업장 등) ④ 18-3. 장애인의무고용제의 적용 유무에 대해

기타( ) ⑤ 장애인의무고용(근로자 50인 이상) ①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②

장애인의무고용 미적용(근로자 50인 이하) ③

Page 21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06

① 매우 만족스럽다

② 약간 만족스럽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별로 만족스럽지

않다

⑤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서비스 이용시간

서비스 내용

근로보조인의 숙련도

제공기관의 전문성

본인 부담

서비스 전체의 만족도

Q 19 . 현 재 다 니 고 있 는 직 장 또 는 예 전 에 다 녔 던 직 장 에 서 는 어 떠 한 작 업 을 하 고 있 습 니 까 ?

해 당 되 는 것 에 모 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① 제 과 , 제 빵 이 나 도 시 락 등 식 품 제 조 판 매 ② 카 페 등 의 음 식 및 판 매 점 에 서 근 무

③ 목 공 , 재 봉 , 악세 사리 등 제 조 판 매 ④ 컴퓨터 관 련 이 나 인쇄 등 에 근 무

⑤ 봉투 붙이 기 , 브로셔 접기 등 가벼운 작 업

⑥ 동 료 상 담 , 활 동 가 등 자 립 생 활센터 관 련 직 업

⑦ 안마업 ⑧ 도 배 업

⑨ 기 타 ( )

Q 20 . 귀 하 는 근 로 지 원 인 서 비 스 를 현 재 이 용 하 고 있 거 나 과 거 이 용 한 적 이 있 습 니 까 ?

① 이 용 한 적 있 다 ☞ 20 -1로 ② 이 용 한 적 없 다 ☞ Q 21으 로

2 0 -1 . 귀 하 는 경험 한 근 로 지 원 인 서 비 스 의 내 용 에 만 족 하 십 니 까 ? 각 각 의 아 래 항 목 에 해 당 되 는 것 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Page 21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07

21-1. 귀하에게 직업생활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직장에서의 배려나 지원 내

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써 주십시오.

Q 21 . 직 장 에 서 받 은 배려나 지 원 은 어 떠 합 니 까 ? 또 는 어 떠 했 습 니 까 ?

②지원 있음

구체적인 지원내용

㉠ 매우

도움이 되었다

㉡ 조금

도움이 되었다

㉢ 그저 그렇다

㉣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1) 작업보조를 위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2) 의사소통․컴퓨터 이용을 위한 지원기기

(소프트웨어 포함)

3) 작업매뉴얼이나 훈련교재(점자 등 장애

를 고려한 것)

4) 작업 데스크 등 근무환경 개조

5) 직장 출입구, 이동 통로 등의 시설개선

(문, 주차장, 통로, 바닥, 손잡이 등)

6) 화장실, 휴게소, 식당 등의 시설 개선

7) 편견 및 차별방지를 위한 상사 및 동료

의 인식개선

8) 장애와 상관없이 승진이 가능한 인사정책

9) 사내 친목활동, 동아리 등의 참가 지원

10) 취업 또는 직무변화 시 연수나 훈련

11) 필요시 동료들의 작업보조

12) 직업생활상담원이나 수화통역사 등의

지원

13) 근무시간 중 복약이나 자기관리, 통원

치료 등에 대한 직장의 배려

14) 장애특성을 고려한 직무의 개별적인

조정 또는 배치

15) 재택근무, 단축근무, 출근시간 변경 등

융통성 있는 근무시간 제공

☞ Q 23으 로

Page 21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08

Q 22 . Q 17에 서 ③ 번 이 라 고 응 답 한 분 께 질 문 드 립 니 다 . 다 음 의 내 용 중 귀 하 가 일 을 한 적 이 없 는 이

유 에 대 해 해 당 되 는 모든 것 에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① 마땅히 일 할 곳 을 찾지 못했 다 ② 일 을 하 면 건강이 악화된 다 .

③ 직 장 에 통근 하 는 것 이 어려워서 ④ 일 을 따라갈 수 가 없 을 것 같아 서

⑤ 직 장 내 에 서 필 요 한 지 원 을 받 지 못하므로

⑥ 장 애 가 직 장 에 서 일 하 기 적 합 하 지 않 아 서

⑦ 의 사 나 가 족 이 말려서 ⑧ 의욕이 없 어 서

⑨ 자 신 이 없 어 서 ⑩ 잘 몰라 서

⑪ 기 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Q 23 . 귀 하 가 일 을 지속 (또 는 일 을 시 작 하 는 )함 에 있 어 필 요 한 것 은 무 엇 이 라 고 생 각 합 니 까 ? 해 당 되 는

것 세 가 지 를 골라 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① 일 에 관 한 기술이 나 자격습 득 ② 직 업 또 는 사회생 활 에 필 요 한 기 본 적 매너습 득

③ 신 체 적 인 재 활 ④ 장 애 특 성 별 적 합 직 종 개 발

⑤ 취직 이 나 일 에 관 한 정 보 의 제 공 ⑥ 근 로 지 원 인 과 같은 제 도확대 및 배 치

⑦ 고 용 주 에 대 한 인 식 개 선 ⑧ 통근 수단의 확보

⑨ 장 애 에 맞는 보 조 공 학 정 비 ⑩ 융통성 있 는 근 무 시 간

⑪ 재 택 근 무 ⑫ 고 용 상 지 위 (정규직 ) 확보

⑬ 적 정 수준의 급 여 ⑭ 근 무환경 개 선

⑮ 고 용 주 및 동 료 의 장 애 에 대 한 이 해와 배려

⑯ 취업 및 자 립 생 활 을 위 한 전 문 상 담 확대

⑰ 기 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Q 24 . 장 애 인 으 로써 현 재 까 지 (과 거 의 경험 도 포 함 )의 취업 을 생 각할 때 다 음 의 항 목들에 대 해 어떻게

느끼십 니 까 ?

취업을 위한 구체적 과제

① 전혀 준 비 되어 있지 않다

② 준비되어 있지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조금 준비되어 있다

⑤ 잘 준 비되 어 있다

1) 취업하려는 의지를 주변 사람에게 표현하는 것

2)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조사하는 것

3) 직장을 견학하거나 직장학습에 참여하는 것

4) 희망하는 직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 및 능력을 습득하는 것

5)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인생과 미래에 대해 계획하는 것

6)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회사에 대한 정보수집

7) 취업 희망 업체에 문의하는 것

8)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등 취업관련 서류 작성

9) 면접에 참가하는 것

10)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의 장애에 대하여 잘 설명하는 것

11) 회사에 나에게 필요한 배려를 요구하는 것

12) 취업하려는 회사에 나를 잘 설명하는 것

13) 창업에 대한 정보수집

Page 21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09

Q 25 . 귀 하 께 서 희망하 는 업 종 은 어 떠 한 것 입 니 까 ?

(현 재 직 장 에 서 종 사 하 고 있 는 경우 에 도 희망하 는 직 종 이 있 다 면 표 시 해 주 십 시 오 )

① 의회의 원 , 고 위 임 직 원 및 관리자 ② 전 문 가

③ 기술공 및 준 전 문 가 ④ 사 무 종 사 자

⑤ 서 비 스 종 사 자 ⑥ 판 매 종 사 자

⑦ 농 업 ․임 업 ․어 업 숙련 종 사 자 ⑧ 기능원 및 관 련 기능 종 사 자

⑨ 장 치 ․기 계 조 작 ․조 립 종 사 자 ⑩ 단순노무 종 사 자

⑪ 군 인 ⑫ 학 생

⑬ 주 부 (집안일 , 가 사 )

Q .26 . 중증장 애 인 의 자 립 생 활 이 성 공 적 으 로 정착하 기 위 해 우 선 적 으 로 필 요 한 것 에 는 어 떤 것 이 있 습

니 까 ? 필 요 한 지 원 , 제 도 의 개 선 등 자 유 롭 게 의 견 을 제 시 하 여 주 십 시 오 .

◐ 감 사 합 니 다 .

Page 21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10

[부록2] 심층면접조사지

조사일시:

조사장소:

주 회답자:

조사원:

담당자:

A. 기본속성

① 연령 성별:

② 주 장애:

③ 장애등 :

④ 복지서비스 수 자 소득구분:

⑤ 의료보험:

⑥ 취업형태:

⑦ 가계 의 리자:

⑧ 거주형태:

⑨ 거주지역:

B. 주 생활력

C. 재의 생활상황

D.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Page 21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11

[부록3] 심층면접대상자 사례 개요

본 보고서의 심층면 조사에 있어 연구 참여 상으로 되어 있는 증장

애인의 12사례, 문가 실천가 3사례, 증장애인의 부모 사례 2사례의

개요를 정리하 다.

내역을 살펴보면 증장애인은 조사 상의 추출 기 이 된 카테고리

비상근을 포함하여 취업경험이 있는 사례가 6사례, 취업경험이 없는 사례

가 3사례, 재 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 인 사례가 3사례이다.

1) 증장애인의 사례

(1) 비상근 취업경험이 있으나 재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

가로 근무 인 지체장애인의 사례

조사일시: 2011. 09. 08

조사장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20 남성

② 주 장애: 지체(하지)

③ 장애등 : 1

Page 22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12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에서 활동가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음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주택 월세, 독거(활동보조인의 보조)

⑨ 거주지역: 도시

B. 주 생활력

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설에서 생활했다. 부모님은 그때 이후로 딱 한번

연락이 닿았고 재까지 연락 없이 살고 있다. 성인이 되고 시설을 나온 후

시설에서 같이 생활했던 다른 세 사람과 셋집에서 후원 을 받아 생활했다.

학도 후원 을 받아 다녔는데, 학비가 무 비싸고 공학 쪽 공이어서 컴

퓨터 로그램을 다루는 일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비장애인이 1시간 걸리는 작

업이 나는 3시간씩 걸리고 그래서 강의를 쫒아가기가 쉽지 않아 퇴하 다.

그 후로 같이 살던 사람들과도 다 헤어지고 몇 년 부터 혼자 생활하고 있

다. 부모님이나 친척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

문에 기 수 있는 곳이 없이 우울증에 빠지기도 했었는데 2년 부터 자립생

활센터에서 일하면서 그런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

센터에 오는 사람들은 취업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나는 상 쪽

으로 일해 본 경험이 있어서 그러한 것도 같이 동료상담을 통해서 정보도 공

유하고 서로 이해를 해주고 있다.

C. 재의 생활상황

활동보조인이 가사 등을 도와주고 있다. 혼자 살고 있기 때문에 식사를 해결

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 가끔 서로 맞지 않아서 활동보조인과 트러블이 생길

때도 있지만 그런 로 요즘은 잘 하고 있는 것 같다. 에는 직장에서 먼

Page 22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13

곳에 살아서 힘들었는데, 주거공간이 편리한 것은 아니지만 이동상의 불편이

은 편이어서 체로 만족하면서 살고 있다.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을 하면서 살고 있는데, 나 같은 경우는 의료비에

한 부담만 경감이 된다면 다른 직업에 도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그

지만 그 부담이 실질 으로 경감된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 의 일을 계속

하게 될 것 같다. 그 지만 지 일로는 노후 책이나 미래를 한 같이

목돈을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뭔가 방책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취업에 한 기업의 인턴쉽 과정이나 자기계발을 한 교육 로그램이 있다

면, 시혜 인 것 아니라 문 이고 단계 인 실질 으로 도움이 되는 것이라

면 반드시 참여해서 자기발 에 기여가 되었으면 좋겠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의료비 부담경감과 주거공간 확보, 개조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들이 해결

되기 해서는 목돈이 필요한데 당장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마련될

수 없는 것이고, 취업을 해서는 이러한 인 라가 없다면 쉽게 도 할 수 있

는 상황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취업에 한 욕구의 유무는 그 게 요한지는 모르겠다. 사람들이 내

가 장애인이니까 이런 일 해야 한다, 런 일 해야 한다라고 하는 것만 배워

왔다. 희망직종이 무슨 소용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비장애인에 비하면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자립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Page 22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14

(2) 취업경험은 센터에서 활동가이며 고졸이지만 복지 련 취업에

한 욕구가 있는 증장애인의 사례

조사일시: 2011. 09. 14

조사장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30 여성

② 주 장애: 뇌병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에서 활동가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음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주택 세, 독거

⑨ 거주지역: 도시

B. 주 생활력

지방에서 도시로 왔다. 나는 부모님이 많이 이해해주는 편이어

서 셋집을 마련할 수 있는 인 도움도 받고 있다. 고등학교

까지를 지방에서 나와서 서울로 올라왔는데,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병신이라고 놀리는 것이 무 싫었고 지 도 그 말이 제일 싫다.

혼자 독립하기 에는 오빠와 같이 생활했는데, 오빠는 나의 장애

Page 22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15

에 한 이해가 부족해 항상 나에게 불만이 많았고 둘이 있으면 자

주 싸우고 트러블이 많았다. 지 은 그런 일이 없어서 좋지만 여

히 계는 좋지 않다. 나를 이해할 마음이 없는 것 같다. 내가 장애

가 있어서 방을 비장애인처럼 더 정갈하게 정리하지 못한다는 것을

항상 나무랐다.

에 인쇄업 련 일을 한 이 있는데 내가 일이 무 더디니

까 동료나 상사에게 미안해서 스스로 그만두었다. 이해만 바라면서

살수는 없지 않나? 비장애인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이 물리 인 측

면 뿐만 아니라 정신 인 면에서 쉬운 것이 아니다.

학업을 무 일 마쳐서 학업에 한 욕구는 항상 있어왔다. 기회

가 된다면 사회복지 쪽을 공부해서 장애인을 해 일을 하고 싶다.

C. 재의 생활상황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간사를 맡고 있다. 일에 해서는 매우

만족한다. 모두 장애를 이해하는 사람들이고, 나는 걸을 수 있지만

사람이 많은 지하철에서 서서 이동한다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다.

그래서 지하철 노약자석에서나 엘리베이터에서 어르신 분들하고 항

상 마찰이 자주 일어나곤 했는데 센터에서는 이러한 것에 해 이

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편하다. 인쇄업에서 일할 때가

지 보다 여는 좋았지만 마음이 편하기 때문에 재 일에 만족하

고 있고, 앞으로도 이 일을 계속 하고 싶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남의 간섭을 받지 않고 스스로 결정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직종

을 선택해서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장애인이라서 쉽

Page 22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16

지는 않은 일이지만 쉬운 일은 없지 않은가.

가족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공간도 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운 좋게 부모님이 주거를 마련해줘서 직장생활을 그런 로 하고 있

지만 마찰이 심하거나 이해가 부족한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직장

생활하거나 사회 생활하는 것도 큰 스트 스라고 생각한다. 나의

장애에 해 이해할 마음이 없는데 직장생활이든 사회생활이든 가

족과의 계에 있어서도 잘 될 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내 스스로 자취생활을 하고 있고 리도 하고 있다. 소득이

더 많고 비장애인과도 함께 지낼 수 있는 직장에 취직 할 수 있으

면 좋겠지만 내가 원하는 것 다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그

다고 그런 것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섣부르게 비장애인들과 함께

일하다가 오히려 안 좋은 인상만 주고 그만두게 되는 경우도 허다

하기 때문에. 나는 이 정도면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이

을 것 같다.

Page 22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17

(3) 체육기 을 통한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는 증장애인의 사례

조사일시: 2011. 09. 15

조사장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40 남성

② 주 장애: 뇌병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장

⑦ 가계․ 의 리자: 부모님

⑧ 거주형태: 주택(부모님의 집), 가족과 동거(활동보조인의 보조)

⑨ 거주지역: 서울 시내

B. 주 생활력

어렸을 때부터 장애인이었다. 올림픽 보치아 선수로 두 차례 회

에 나가서 메달을 획득했다. 학교는 학원 석사과정을 마쳤고,

장애인선수들에 한 심리상태에 한 논문을 썼다. 올림픽에서

메달을 땄기 때문에 그걸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데, 리는

부모님께서 하고 있다.

Page 22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18

C. 재의 생활상황

재도 보치아 클럽에서 매주 활동 이다. 센터에서 소장으로

일하고 있고 동료상담도 병행하고 있다.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는

데 부모님과의 갈등이 만만치가 않다. 부모님은 내가 밖에서 활동

하는 것을 싫어하신다. 그로 인한 마찰이 심각하다.

목이 굳어서 움직이는 것이 같지 못하다. 딱히 의료

인 지원을 받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건강에 한 염려가 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가장 요한 것은 사업주나 일반 시민들의 의식이 가장 요한 요

소라고 생각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가족과의 갈등이 해소된다면 진정한 자립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

을 것 같다. 그 에는 내가 자립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안 들 것

같다.

Page 22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19

(4) 장애인직업훈련학교에서 컴퓨터 로그램을 교육받았으나

련 직종에 오랫동안 종사하지 못하고 자립생활센터에서 간사

로 활동하고 있는 사례

조사일시: 2011. 09. 16

조사장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30 여성

② 주 장애: 뇌병변 장애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에서 활동가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음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주택 월세, 독거(활동보조인의 보조)

⑨ 거주지역: 서울 시내

B. 주 생활력

학 이후부터 독립해서 생활해 왔다. 내가 독립하는 것에 해

처음에는 부모님들이 반 가 심했지만 잘 사는 모습을 보여드리니

지 은 납득하고 이해해주시는 편이다. 학교를 다녔는데 내가

학교를 다닐 당시에는 학교에서 장애인에 한 지원이 요즘처럼 많

Page 22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20

은 편은 아니어서 학업을 단하는 수 밖에 없었다. 학교에 언덕이

굉장히 많았는데 학업 인 문제보다 이동 때문에 항상 학우들한테

미안한 마음이 들었고, 화장실 이용할 때도 매번 미안한 마음 때문

에 불편했었다. 무엇보다 그런 마음이 학업을 지속하지 못하게 했

던 것 같다.

학 단 후 장애인직업훈련 학교에서 컴퓨터를 배우고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취직에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재택근무를 한 이 있

지만 사람들과 단 되어 있고, 컴퓨터 련 일이라 일이 한꺼번에

몰아닥치는 경우가 많아서 내가 혼자 그런 것들을 통제하는 것이

쉽지가 않아서 결국 오래 하지는 못하고 그만뒀다. 재택근무 외에

는 일할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이 에 출퇴근 시간에 비장애인에

게 욕을 먹고 난 후 더욱 그런 마음이 들었던 것 같다.

C. 재의 생활상황

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을 하고 있다. 취업을 하기 해서 센

터에 많은 장애인들이 오는데, 센터 외에 취업을 원하시는 분들께

는 이 의 재택근무 경험담 같은 것을 얘기해 다. 재택근무 했을

때의 여가 지 보다 훨씬 좋았지만, 지 같이 고민을 가지고 서

로를 이해해 주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만족하고

있다. 다른 직종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고 재 상태를 계

속 유지해나갔으면 좋겠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인식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비장애인의 인식도 요하지만 장애인

스스로도 바 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기 심 인 장애인도 굉장

Page 22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21

히 많고 의존 인 경우도 많다. 서비스를 받는 것에만 익숙해진 경

우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들부터 스스로 고쳐나가야 된다고 생각

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내가 스스로 결정하고 내 생활에

해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Page 23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22

(5) 체험홈에서 생활하며 센터에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는 활

동가의 사례

조사일시: 2011. 09. 20

조사장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주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남성

② 주 장애: 뇌병변 장애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에서 활동가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음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체험홈, 다른 장애인 2인과 함께 동거

⑨ 거주지역: 서울 시내(자립생활센터에서 운 인 체험홈)

B. 주 생활력

생후 6개월 때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들었다. 아직 결혼은 안했고,

학교에서 공이 작곡이어서 잠시 했던 취업도 고음악 련 분야

다. 소 고업체에서 고 상에 삽입되는 고음악을 제작하는

일을 하게 되었는데 한 달 정도 근무하다가 그만두었다. 일을 그만

둔 이유는 고음악이 상업 인 것을 추구하다보니 내가 가진 음악

Page 23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23

취향과 맞지 않았다. 취업을 하게 된 것은 워크넷에 이력서를

올렸었고 내가 올린 이력서를 본 회사에서 연락이 와서 다니게 되

었다. 사장님의 장애인에 한 편견도 크지 않고 근무환경 등이 나

쁘지 않았었지만 추구하는 바가 달라서 그만둘 수 밖에 없었다.

C. 재의 생활상황

자립생활센터에서 작년(2010)부터 활동가로 일해오고 있다. 상시로

일하는 것은 아니고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하고 있다. 월 은 월 30

만원 정도 받고 있다. 주로 하는 일은 활동가로서 정보제공과 권익

옹호, 동료 상담, 편의시설실태조사 등을 하고 있다. 센터의 정규직

원으로 채용되는 것을 희망하고 있는데 그와 련해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따려고 생각 이다. 재 기 생활수 자로 생계수당과

장애연 을 받고 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자립생활과 련하여 취업은 경제 인 부분에서 도움을 다는 면

이 꽤 크게 작용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증장애인의 경우 취업해

서 일을 하다가 건강이 안 좋아져서 일을 그만두게 되는 상황이 생

길 수 있는데 그런 경우를 비할 수 있는 안이 있어야 증장애

인들이 더 일을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를 들어 수 권자가

취업하여 소득이 생겨 수 권이 없어진 상황에서 건강이 안 좋아져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왔을 때 바로 수 권을 돌려받을

수 있다면 장애인들이 걱정없이 일을 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 지

않으면 수 권을 받기 한 어려운 과정을 겪어야 한다고 한다면

일하려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을 것 같다.

Page 23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24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부분 으로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주거 인 부분

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완 한 자립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Page 23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25

(6) 시설에서 자립하여 체험 홈에서 생활하며 취업 비 인 사례

조사일시: 2011. 09. 22

조사장소: 장애인종합복지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여성

② 주 장애: 뇌병변 장애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센터에서 활동가로 동료상담을 담당하고 있음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체험 홈에서 혼자 생활

⑨ 거주지역: 시내

B. 주 생활력

날 때부터 장애가 있었고, 3살 때부터 재활원에 맡겨져서 올 에

시설을 나오기 까지 32년을 시설에서 생활했다. 시설에서 뭐든

해줘서 생활하기 편했지만, 주변에서 계속 언제까지 시설에서 생활

할꺼냐고 해서 큰 결심하고 나왔다. 시설에서 나오기 까지는 재

활원의 보호작업장에서 쇼핑백을 만드는 작업을 했었는데 나는 숙

Page 23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26

련공이라 하루 8시간 일주일 6일 일하고 한 달에 5만원 벌었다. 나

는 많이 번 편이다. 간 정도의 숙달된 사람은 3만원 받고 잘 못

하는 사람은 한 달에 1만원 받는다. 어떤 때는 일이 많이 려서

야근도 했었지만 그에 한 수당은 받았던 이 없다. 그래서 그런

런 이유로 시설을 나와야겠다고 생각했다. 거기 있던 친구들도

나오라고 권하고 있지만 시설에서 다 해주기 때문에 선뜻 그런 결

심을 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부모는 나를 시설에 보내고 이혼

했고 지 은 각자 다른 배우자들과 살고 있다. 연락은 자주하지 않

는다. 최근에도 연락한 이 없다.

C. 재의 생활상황

올해 5월에 재활원에 들어간 지 32년 만에 시설을 나와서 지 은

체험홈에서 생활하고 있다. 처음에는 시설에서 뭐든 다 해줬기 때

문에 많이 불편했고 힘들었는데 지 은 익숙해져서 혼자 사는 것이

좋다. 언제까지 시설에서 살 수는 없기 때문에 나오기를 잘 한 것

같다. 장애 때문에 불편한 들이 많지만 특히 방향감각이 없어서

어디를 나가면 약속 시간에 도착하기가 쉽지가 않다. 도로가 울

퉁불퉁하면 걸어가는 것이 무 불편해서 빨리 가는 것이 어렵다.

다른 것보다 이동하는 것 때문에 많이 불편하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나의 경우는 아무래도 방향감각과 이동권의 문제인데, 개인 인

문제라서 딱히 말하기는 좀 그런 것 같기는 하다. 그 지만 오랫동

안 시설생활을 해오다보니 그런 방향감각이 길러지는 것이 쉽지가

않다. 시설 등에서 오래 생활해 왔던 장애인에 해 사회 응에 필

Page 23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27

요한 지원이 개별 으로 이루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장애

인도 능력이 천차만별이다. 개별 인 욕구에 해 지원이 이루어지

지 않는다면 지원도 어차피 돈 낭비라고 생각한다. 지 은 자립생

활센터에서 일하면서 어떤 일을 할지 생각 이지만 아직 회사 같

은 곳에서 일할 엄두는 내지 못하고 있다. 그 지만 기업이나 공공

기 같은 곳에서 장애인에 한 인턴쉽과 같은 로그램을 한다면

꼭 지원해보고 내가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내가 지 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설에서 있을

때는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뭐든 다 해줬었다. 지 은 밥 먹는 것,

세 내는 것, 시장에 다니는 것, 모두 내가 하고 있고 시설 친구들

도 없이 나 혼자 생활하고 있다. 이런 것이 자립생활이라고 생각한

다. 취업을 해야만 진정한 자립생활이라고 생각하지만, 지 은 시설

에서 나와서 사회생활에 먼 응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자립생활을 수로 매긴다면 올해 시설에서 갖 나왔기 때문

에 높은 수를 주기는 어렵다. 차차 수가 높아졌으면 좋겠지만

지 은 60 정도를 주고 싶다.

Page 23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28

(7) 교통사고로 도장애인인 취업의사가 없는 지체장애인의 사례

조사일시: 2011. 09. 27

조사장소: 사회복지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주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남성

② 주 장애: 지체(하지) 장애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무직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주택 월세, 독거

⑨ 거주지역: 시내

B. 주 생활력

2002년에 교통사고로 지체장애를 입었다.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장

애를 입었기 때문에 자퇴했고 그 이후로 학교교육은 포기했다. 취

업 비 같은 것은 한 이 없다. 취업을 하려고 생각한 도 없기

때문에 비는 하려는 생각조차 한 없다. 취업 비를 해서는

아니지만 컴퓨터를 좋아하기 때문에 컴퓨터를 조 배웠다.

Page 23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29

C. 재의 생활상황

혼자 살고 있고 활동보조인이 생활을 도와 다. 매일 오는 것은

아니다. 자립생활센터에 나와서 사람들을 만나고 컴퓨터도 한다. 웹

디자인에 심이 있어서 배우고 싶지만 그걸로 취업을 하고 싶지는

않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취업에 정보와 선택 할 수 있는 취업이 다양해야 된다고 생각한

다. 장애인들만 경쟁해서 잘해봤자 비장애인들이 있는 직장에 가면

어차피 경쟁에서 리기 때문에 아무 소용없다고 생각한다. 일반

직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된다고 생각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지 내가 원하는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한다. 내가 원하는 생활은 식사도 하고 밖에 사람도 만나러

다니는 것이다. 나의 자립생활을 수로 매긴다면, 그러고 싶지 않

지만 굳이 매긴다면 50 정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Page 23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30

(8) 다발성 경화증으로 도장애인이 되어 원래 직장을 그만두고

학교에 다니며 다른 취업을 비 인 사례

조사일시: 2011. 09. 30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39세 여성

② 주 장애: 뇌병변(다발성 경화증)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권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사이버 학교 상담심리학 공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독거

⑨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방사선사로 일하다가 2001년 다발성 경화증이 발병하면서 뇌병변

장애를 얻게 되었다. 장애 때문에 기존에 하던 일을 할 수 없게 되

었고 지 은 기 생활 수 권자로 살아가고 있다.

Page 23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31

C. 재의 생활상황

지 은 사이버 학교에서 상담심리를 공하고 있다. 장애인 상담

사로 일하고 싶은 것이 목표이지만 아직 실 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은 없어서 일단 미래를 비한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고 있다.

공부를 시작하기 에 기능경기 회에 나가서 워드로 상을 받은

도 있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취업에 한 제의가 있었다. 연

1,200만원짜리의 일이었는데, 그 연 으로는 지 수 권자로 받고

있는 의료비 문제 등을 해결해 수 없었기 때문에 한참을 고민하

다가 포기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환경 인 측면이 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좋은 조건의 직장

이 있어도 그 직장의 치가 장애인이 갈 수 없는 곳에 치해 있

으면 그곳에 취업할 수 없다. 여기 의 경우에도 지하철이 닿는

곳은 어떻게든 갈 수 있지만 그 지 않은 지역에는 쉽게 갈 수가

없다. 장애인의 이동능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료비의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수 권자가

직업을 가지게 되었을 때 의료비 등의 혜택이 끊기는 문제로 직업

을 가지는 것을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취업을 하더라도 의료

비 지원은 어느 정도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내가 생각하는 자립이란 경제 으로 자립하는 것과 혼자 스스로

신변처리를 하면서 생활할 수 있고 독립 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나의 자립생활을 수로 매긴다면 65 이라

Page 24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32

고 생각한다. 일단 작년 10월에 가족에게서 독립하면서 아직 많은

부분 자립에 응하지 못하 고, 우선 으로 경제 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있다.

Page 24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33

(9) 학교에 다니며 취업 비를 하고 있는 학생의 사례

조사일시: 2011. 10. 06

조사장소: 사회복지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20 여성

② 주 장애: 지체(하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해당 없음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학교 사회복지학과 1학년에 재학

⑦ 가계․ 의 리자: 부모

⑧ 거주형태: 가족동거

⑨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재 가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으며 가족사항은 부모님과 언니와

함께 거주하고 있다. 장애는 3세 때 교통사고로 인하여 얻게 되었

다. 나는 원래 성격이 그 게 시끄러운 편이 아니어서 체로 조

용하고 말썽 없이 지내왔다. 언니나 가족하고도 잘 지내왔다. 고등

학교나 학교 친구들과도 그럭 럭 잘 지내온 편이고 친구들도 나

의 불편한 들에 해 체로 잘 이해해주는 편이어서 큰 문제없

Page 24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34

이 지내온 것 같다.

C. 재의 생활상황

A 학교 사회복지학과 1학년에 재학 이며 동휠체어를 이용하

여 스스로 등하교 하고 있다.

활동보조인은 욕구와 서비스가 일치하지 않아서 재 사용하고 있

지 않다. 목욕서비스나 방청소 등의 서비스를 원하는데 배정된 활

동보조인이 그런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여 활동보조서비스

는 받고 있지 않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학교에 입학하고 나서 정부청사 근처 공공기 에서 아르바

이트를 한 이 있었다. 산입력 된 내용을 서류와 조하여 확인

하고 오류 수정하는 아르바이트 는데 동일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

이 있는 언니가 정보를 줘서 신청해서 할 수 있었다. 아르바이트

업무에 어려움은 없었는데 화장실 사용이 불편했다. 모든 층에 장

애인화장실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쉬는 시간에 화장실을 가려면 1

층까지 내려갔다 와야 해서 휴식시간이 모자랄 뻔 했던 도 있다.

증장애인이 취업하기 해서는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이 필요한데

기업이나 공공기 이 아니면 제 로 갖춰져 있지 않아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취업이나 아르바이트 등에 한 정보가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증장애인들은 아르바이트나 취업을 하고 싶어도 정보

를 빠르게 얻지 못하는 경우가 부분이다. 나 에 좋은 아르바이

트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해보려고 하면 이미 끝났거나 마감

Page 24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35

된 경우가 많다. 지난번 했던 아르바이트도 언니가 알려주지 않았

다면 못했을 것이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나의 자립생활정도를 수로 평가한다면 60 정도 될 것이다. 그

게 생각한 이유는 혼자 독립해서 사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는 이 한 이유이고, 내가 혼자 할 수 있는 것과 혼

자 할 수 없는 것을 아직 내가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도 나에

게 60 을 이유이다.

Page 24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36

(10) 자립생활센터에 다니며 취업보다 신변 인 자립생활을 하는

것을 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장애인의 사례

조사일시: 2011. 10. 07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주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40 남성

② 주 장애: 뇌병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권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무직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⑨ 거주지역: 도시지역

B. 주 생활력

뇌병변 1 으로 태어나면서 장애가 발생하 다. 장애정도가 심한

편으로 언어장애가 심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 소통에 어려

움이 많다보니 내가 달하고 싶은 생각은 많은데 부분 달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포기하는 경우가 더 많았었다. 사람들이

어떤 질문을 해도 답을 하지만 부분 내 얘기를 잘 못 알아듣는

Page 24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37

것 같아서 많은 이야기를 나 었는데도 내용이 없는 경우가 많고,

서로 동문서답할 때도 많다.

C. 재의 생활상황

재 기혼으로 부인과 함께 살고 있으며 기 생활수 권자로 생활

하고 있다. 장애수당과 생계수당 외 다른 소득은 없으며 자립생활

센터에 다니고 있다. 의사소통에 문제가 많기 때문에 취업을 하고

싶지만 쉽지가 않다. 신체에 장애가 있는 것보다 의사소통이 안 되

는 것이 취업을 하기에는 더 어려움이 많은 것 같다. 기본 인 의

사소통이 어렵고 화응 나 기본 인 인응 도 어렵기 때문이

다. 재는 취업 비보다는 군가의 도움 없이 내 신변처리를 잘

하는 것에 집 하고 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의사소통이라고 생각한다. 의사를 달하고 다른 사람이 하는

얘기에 해 한 응을 하는 것이 가장 요한 것 같다. 장애

인들 에는 상 방이 하는 얘기에 하게 응하지 못하는 경우

가 간혹 있다. 그러한 의사소통에 한 문제부터 먼 해결되어야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자립생활이란 허용될 수 있는 법 안에서 내 마음 로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법을 어기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살아가는 것

이다.

자립생활 수를 매겨본다면 70 정도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경제

Page 24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38

인 부분이 자립하고 있지 못하고, 이동과 련된 부분이 활동보

조인을 쓴다고 해도 여 히 부족함이 많기 때문에 70 정도라고

생각한다.

Page 24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39

(11) 자립생활센터에 컴퓨터수리부서를 만들어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해 생활하고 있는 사례

조사일시: 2011. 10. 11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42

② 주 장애: 뇌병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기 생활수 자

⑤ 의료보험: 있음

⑥ 취업형태: 자립생활센터에서 이용자 상 컴퓨터 수리

⑦ 가계․ 의 리자: 가족

⑧ 거주형태: 가족동거

⑨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시설에서 살다가 지 의 부인을 만나 결혼하면서 시설에서 독립하

다. 부인도 뇌병변 장애 증장애인이며 기 생활수 자로 살아

왔다. 시설에서 나온 지 10여년 되었는데 시설에서 알아서 해주던

것이 사회에 나와 자립하면서 알아서 하려니 어려운 이 많았고

반에는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특히 소통이 어렵다보니 내 의

Page 24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0

사가 잘 달되지 않아 겪는 어려움이 많았다. 그런 일이 잦아지면

나도 의기소침해지고 자신감이 떨어져 사람들을 멀리하게 되는데

반에는 그런 일이 많았다.

C. 재의 생활상황

재 다니는 자립생활센터는 2006년부터 알게 되었으며 센터에서

활동하면서 센터장님을 1년 이상 졸라서 컴퓨터 수리일하는 부서를

만들었다. 센터 이용자들 상으로 컴퓨터를 수리하는 일을 하고

이용자들에게는 부품비를 받고 나는 센터에서 소정의 수고비를 월

마다 지 받고 있다. 기 생활수 자이기 때문에 수입의 근거가 있

으면 안 되기 때문에 으로 받는데 큰 액은 아니지만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일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좋다고 생각한다. 일을 함으

로써 몰랐던 것도 많이 알게 되고 정보를 다른 사람들보다 먼 알

게 된다. 일을 하면서 갖게 되는 자부심도 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에도 군가의 컴퓨터를 고쳐 으로써 상 방의 고마움을

느낄 때 나 스스로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된다.

직업훈련과 련하여 지 하고 있는 컴퓨터 수리업무와 련된 더

많은 지식을 알고 싶다. 책으로 공부하고는 있는데 책만으로는 배

울 수 없는 지식들도 새로 배우고 싶다. 공단 훈련센터도 처음엔

알아봤는데 거리도 멀고 내가 원하는 교육이 없어서 포기했다. 지

은 일요일마다 자상가에 가서 그곳에 있는 직원들과 이야기하

면서 이것 것 배운다.

Page 24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41

장애인 취업과 련하여 장애인 개개인에 한 맞춤서비스가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장애인이 하고자 원하는 일에 해서 련 지식

을 가진 사람이 일 일로 붙어서 그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응할

때까지 지원해주면 좋겠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나의 자립생활 수는 80 정도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수리일을

하면서 어느 정도 경제 으로 자립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동과

련해서 계단이나 턱 등이 걸리고 기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20

정도 감 되었다고 생각한다.

Page 25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2

(12) 사고로 도장애를 입은 후 자립생활센터에서 컴퓨터수리 일

을 하고 있는 사례

조사일시: 2011. 10. 12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연령․성별: 30 남성

② 주 장애: 지체(하지)

③ 장애등 : 1

④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해당 없음

⑤ 의료보험: 있음(가족)

⑥ 취업형태: 장애인용 하이패스 단말기 매업

⑦ 가계․ 의 리자: 본인

⑧ 거주형태: 가족동거

⑨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장애는 93년 사고로 얻게 되었다. 장애를 얻기 에는 보안업체에

근무했었고 사고로 장애가 생긴 후에는 복귀하지 못했다.

C. 재의 생활상황

재는 미혼으로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으며 장애인용 하이패스

Page 25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43

단말기 매업을 하고 있다. H자립생활센터에 다니면서 생활하고

있다. 재 활동보조인을 사용하고 있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장애인들은 직업훈련이든 창업 등 받을 수 있는 혜택들에 쉽게

근하지 못한다. 근한다고 하더라도 증장애인은 경증장애인

들과 경쟁해야 한다. 장애인을 뽑는다고 해서 가보면 경증장애인들

이 이미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증장애인에게 필요한 지원은 창업에 한 지원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한다. 지 하고 있는 것처럼 창업자 얼마를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하고자하는 업종으로 창업하도록 업장을 꾸미고

문 컨설 하는 사람이 장애인의 창업사업이 자리 잡을 때까지 도

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돈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창업스

쿨과 컨설 등의 과정에서의 도움이 필요하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자립생활이란 비장애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

다. 이동권, 편의시설, 지역경제 등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장애인

이 리고 살아갈 때 그것이 자립생활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자립생활을 수로 매긴다면 40 정도 밖에 안 된다고 생각한

다. 일단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어 자립이 안 되었고, 혼자 사는 것

을 생각해보아도 나 같은 경추손상장애인의 경우에는 갑작스럽게

당 증세가 오기 때문에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

럴 경우 항상 군가 곁에 붙어있어야 하는데 지 의 활동보조 180

시간 지원으로는 자립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Page 252: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4

2) 문가 실천가의 사례 개요

(1) A 자립생활센터 장실천가

조사일시: 2011. 09. 08

조사장소: A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① 나이: 30

② 경력: 학 졸업 후 10년 이상 장애인권익옹호 련 직종 종사

후 2009년부터 장애인자립생활 련 업무 담당

③ 직 : 국장

(2) B 자립생활센터 장실천가

조사일시: 2011. 09. 16

조사장소: B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주

담당자: 박경수

① 나이: 40

② 경력: 장애인 련으로 일 해 온 것은 12년이고 장애인자립생

활 련해서는 2010년부터이다

③ 직 : 국장

Page 253: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45

(3) C 자립생활센터 장실천가

조사일시: 2011. 09. 20

조사장소: C장애인자립생활센터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미

담당자: 박경수

① 나이: 40

② 경력: 학 졸업 후 계속 장애인 련 직종에 종사

③ 직 : 소장

Page 254: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6

3) 증장애인 부모의 사례개요

(1) 자폐성 장애 1 자녀가 있는 어머니의 사례

조사일시: 2011. 10. 05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이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본인의 연령․성별: 40 , 여성

② 자녀의 주 장애: 자폐성 장애

③ 자녀의 장애등 : 1

④ 자녀의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없음

⑤ 자녀의 의료보험: 있음

⑥ 자녀의 취업형태: 보호고용(작업장)

⑦ 자녀의 가계․ 의 리자: 부모가 리

⑧ 자녀의 거주형태: 부모와 동거

⑨ 자녀의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아이가 만 3세 즈음에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때부터 어딜

가도 항상 같이 다녔다. 학교뿐만 아니라 어딜 가도 함께 다녔다.

학교 졸업 후에는 복지 에 다니고 있는데 직업재활훈련을 받았고

Page 25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47

보호작업장에서 작업을 했었다. 보호작업장에는 항상 일이 있는 것

이 아니라 일이 있다 없다하고 아이들도 집 해서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직장이라는 개념보다는 그냥 아무것도 안하는

것보다는 뭔가를 하고 자기가 조 이라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게

요하다고 생각해서 작업을 시키고 있다. 아이가 처음 돈을 받아왔

을 때 결코 많은 돈은 아니었지만, 겨우 몇 천원 정도 되었는데 아

까워서 쓰지를 못했다. 아마 부모들은 다 같은 마음일꺼다. 보호작

업장에서 벌었던 돈은 많은 돈은 아니었다. 그 게 집 도 잘 못하

는 편이고 일이 끊임없이 려드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돈을 많

이 벌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돈 벌자고 하는 일은 아니었기 때문

에 상 없다고 생각했다.

C. 재의 생활상황

M복지 에서 사회 응훈련, 직업재활훈련을 받고 있고 보호작업

장에서 작업도 하고 있다. 작업은 투만들기나 부품 조립 같은 단

순작업을 하고 있는데 많이 지겨워하는 것 같다. 집 도 잘 못하고

선생님이 꾸짖어도 자기가 잘 못한 것을 알고 있는데 자기도 하기

싫으니까 그냥 선생님을 쳐다보고 쓰윽 웃고 그런다고 한다. 당장

어디 취업한다고 해도 걱정 되서 못 시킬 것 같다. 우선은 복지

에서 내가 보살필 수 있을 때까지는 그 게 지냈으면 좋겠다. 아이

를 어딘가 떠나보내는 것이 말처럼 쉽지가 않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우리 아이는 정리를 정말 잘한다. 일반 비장애인들하고 같이 뭔가

를 하는 것은 의사소통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바라지도 않지만, 자

Page 256: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48

기가 즐거워하고 집 할 수 있는 일을 개발해줬으면 좋겠다. 복지

에서 벌써 몇 년째 투만들기와 부품조립을 하고 있는데 아이가

지겨워해서 집 도 잘 못하고, 그냥 그것밖에 할 것이 없어서 하고

는 있는데 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일은 없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솔직히 그런 단순작업을 가지고 직무라고 하기에도 뭐한 일

이다. 그냥 낮에 집에만 있기는 뭐하니까 복지 에 가서 그거라도

하고 있는 거니까. 일반인들하고 같이 직장 생활하는 것은 바라지

도 않는다. 그냥 좀 더 다양한 직무를 개발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

은 많이 든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나도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지만, 아직 내가 어서 그런지 아이가

자립하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 아직은 내가 보살피고 돌보고 싶다.

그 지만 언젠가는 자립을 해야 하긴 하는데 그건 그때 가서 생각

해보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나를 보면 나도 참 문제라고 생

각도 들지만, 사회를 보면 우리 아이가 나가서 안심하고 생활한 만

한 곳은 없다는 생각이 들어 나도 아이를 사회에 그냥 내보내고 싶

지가 않다.

Page 257: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49

(2) 시각 장애 1 자녀가 있는 어머니의 사례

조사일시: 2011. 10. 05

조사장소: 회의실

주 회답자: 본인

조사원: 박 미

담당자: 박경수

A. 기본속성

① 본인의 연령․성별: 40 , 여성

② 자녀의 주 장애: 뇌병변 시각 장애( 복장애)

③ 자녀의 장애등 : 1

④ 자녀의 복지서비스수 자 소득구분: 없음

⑤ 자녀의 의료보험: 있음

⑥ 자녀의 취업형태: 학생

⑦ 자녀의 가계․ 의 리자: 부모가 리

⑧ 자녀의 거주형태: 부모와 동거

⑨ 자녀의 거주지역: 소도시

B. 주 생활력

아이가 태어나면서 뇌병변(지체)과 시각장애가 있었다. 일반학교에

다니다가 장애인들이 있는 시각장애학교로 보냈었는데, 학교에서는

응을 잘 못했고 비장애인 아이들보다 뭘 해도 잘 못하니까 아이

가 항상 자신 없어 했는데 시각장애인들이 다니는 학교로 보내고

난 후 자신감도 회복했고 자기가 어떤 걸 하고 싶다는 얘기도 하게

Page 258: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250

되었다. 음악에 한 소질이 있어 음악가가 되고 싶어 해서 악기를

이것 것 배웠다. 방과 후에는 복지 에 가서 사회 응훈련도 하고

여러 로그램에도 참여했다. 시각장애학교를 보내기 에는 그런

곳에 보내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시각장애인이 하고 있

는 안마시술소에서 가보니 소득이 생각보다 많았다. 게다가 안마시

술소라고 하면 왠지 퇴폐업소 같은 이미지가 있어서 아이에게 시킬

만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는데 요즘은 안마시술소도 같지

않고 많이 세련되어져서 은 사람들도 많이 찾아오고 내부 인테리

어도 깨끗하고 환해서 우리 아이도 그런 기술을 배워서 소득도 생

기고 독립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시각장애인 학

교에 보내기를 잘했다고 생각한다.

C. 재의 생활상황

취업 비 이다. 지 은 시각장애인 에 안마시술소 같은 것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보고 어떻게 직업생활을 시작하면 좋을지

정보를 알아내고 있다. 체험홈이 있다는 얘기를 오늘 면 하면서

처음 들었는데 우리 아이도 그런 곳에서 생활하는 것을 고려해 야

겠다. 언젠가는 부모도 가고 혼자 남게 될 텐데 그런 정보를 많이

알아내서 아이가 자립할 수 있게 도와주고 싶다. 보통 부모들은 아

이들을 품에서 놓기를 두려워한다. 나도 마찬가지인데 그런 생각을

빨리 떨치는 것이 정말 쉽지 않다.

D. 증장애인이 취업을 함에 있어 가장 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고 생각하는가?

아이들도 문제지만, 우선은 부모들도 아이가 자립할 수 있게 스스

로 마음을 굳게 먹어야 되는 것 같다. 장애아들의 부모는 두 종류

Page 259: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부록 251

다. 어떤 부모는 아이에게 아 심이 없어서 시설 같은데 맡겨버

리고 안 찾아가거나 어떤 부모는 아 아이를 싸고돌아서 사회생활

을 하는 것을 아이보다 부모가 더 무서워하는 경우다. 뭐든 부모가

해주려고 하고 아이가 자립하는 것을 막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

다. 나도 그런 일이 많은데 마음을 고쳐먹기가 쉽지 않다. 부모들도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하고 자립하는데 극 인 태도를 가질 수 있

도록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다. 여태까지 일생을 아이가 장애가 있

어서 돌 왔는데 갑자기 컸으니까 자립해야 된다고 품에서 떨궈

내야 한다면 비장애인 아이들 부모보다 아무래도 걱정이 많을 것이

다. 그런 생각이 들지 않도록 안심하고 아이들을 지역에 내보낼 수

있게 부모에 한 지원도 극 으로 검토해줬으면 좋겠다.

E. 자립생활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아이가 자립생활 할 수 있도록 모든 정보를 찾아서 제공해주고 싶

다. 하고 싶은 것이 많은 아이이기 때문에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

지만, 그래도 꿈을 이룰 수 있도록 극 으로 지원해주고 싶다. 자

기가 하고 싶은 것을 이루기 해 노력하는 것도 자립이 아닐까 생

각한다. 부모하고 같이 살아도 그 게 산다면 자립이라고 생각한다.

Page 260: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Page 261: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빈도분석,

탁연구 2011-05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정착을 위한 고용지원방안 연구

발 행 일 2011년 12월

발 행 인 김 용

발 행 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주 소 (463-93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59

화 (031) 728-7000

팩 스 (031) 728-7199

홈페이지 http://edi.kead.or.kr

자우편 [email protected]

I S B N 978-89-5813-838-9 93330

인 쇄 (주)우정디앤피 ☏ (02) 2274-4009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