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online © ML Comm 84 Copyright 2010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 ger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84-8 / DOI 10.3342/kjorl-hns.2010.53.2.84 Otology pISSN 2092-5859 / eISSN 2092-6529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External Auditory Canal Jeong-In Oh 1 , Han Shin Kim 1 , Kyu Young Choi 1 , Seong Jin Cho 2 and Chang Woo Kim 1 1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 Path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외이도에 발생한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특징 오정인 1 ·김한신 1 ·최규영 1 ·조성진 2 ·김창우 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1 병리학교실 2 Received November 13, 2009 Revised January 11, 2010 Accepted January 13, 2010 Address for correspondence Chang Woo Kim,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0 Seongnae-gil, Kangdong-gu, Seoul 134-701, Korea Tel +82-2-2224-2279 Fax +82-2-482-2279 E-mail [email protected] Background and ObjectivesZZA nevus is a benign tumor composed of nevus cells that are derived from melanocytes. It may occur anywhere on the skin, but its appearanc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s very ra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l- anocytic nevi of the EAC. Subjects and MethodZZ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0 consecutive pa- 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excision of EAC nevi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09. ResultsZZThe size of these nevi ranged from 4 mm to 12 mm in diameter, with an average of 6.1 mm. Otoscopic examination revealed 7 cases of dome-shaped mass and 3 cases of pap- illomatous mass. Histological examinations revealed intradermal nevi in all cases, but there was one case of dysplastic nevus and two cases of papillomatous nevi that coexisted with choles- teatoma. These nevi were composed of epidermal hyperplasia and necrobiotic keratin debris within the papillomatous cleft. There has been no recurrence in these patients after 6 to 26 months (average 12.6 months) of follow-up. ConclusionZZA melanocytic nevus of the EAC may be composed of dysplastic cells or coexist with cholesteatoma; in particular, its gross appearance is papillomatous. Therefore, every nevus should be excised to make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 ; 53 : 84-8 Key WordsZZExternal auditory canal·Melanocytic nevus·Dysplastic nevus. 멜라닌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은 피부에 발생 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멜라닌세포에서 유래된 모 반세포로 구성되며 색소모반(pigmented nevus), 모반세포 모반(nevocytic nevus), 보통모반(common mole) 등으 로도 불려진다. 신생아의 1%에서 선천성으로 존재하고 대 부분은 유아기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후천성으로 발생하 게 되어 모반의 수가 증가해서 40대에 정점을 이루게 된 다. 1) 후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수와 발생 위치는 햇볕 노출이나 면역학적 요인, 유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 되며 대부분은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서 관찰된다. 육안 으로는 편평하거나 융기된 모양을 보이며, 황갈색에서 검은색 까지 다양한 색깔을 띨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필요 없 으나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비대칭이거나 불규칙한 표면, 색깔 이나 크기의 변화 등 악성이 의심되거나 증상이나 염증을 유 발할 때, 미용적인 목적 등으로 외과적 절제를 하게 된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 는데, 외이도의 형태가 좁고 굴곡이 있는 원통형의 구조라는 특이성 때문에 다른 부위의 멜라닌세포성 모반과는 다른 임 상 양상과 특징을 가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모반의 크기 와 외이도의 형태에 따라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내측 부분에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 Upload
    others

  • View
    8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online © ML Comm

84 Copyright ⓒ 2010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84-8 / DOI 10.3342/kjorl-hns.2010.53.2.84Otology

pISSN 2092-5859 / eISSN 2092-6529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External Auditory Canal

Jeong-In Oh1, Han Shin Kim1, Kyu Young Choi1, Seong Jin Cho2 and Chang Woo Kim1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Path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외이도에 발생한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특징 오정인1·김한신1·최규영1·조성진2·김창우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 병리학교실2

Received November 13, 2009 Revised January 11, 2010 Accepted January 13, 2010 Address for correspondence Chang Woo Kim, M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0 Seongnae-gil, Kangdong-gu, Seoul 134-701, Korea Tel +82-2-2224-2279 Fax +82-2-482-2279 E-mail [email protected]

Background and ObjectivesZZA nevus is a benign tumor composed of nevus cells that are derived from melanocytes. It may occur anywhere on the skin, but its appearanc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s very ra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i of the EAC.

Subjects and MethodZZ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0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excision of EAC nevi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09.

ResultsZZThe size of these nevi ranged from 4 mm to 12 mm in diameter, with an average of 6.1 mm. Otoscopic examination revealed 7 cases of dome-shaped mass and 3 cases of pap-illomatous mass. Histological examinations revealed intradermal nevi in all cases, but there was one case of dysplastic nevus and two cases of papillomatous nevi that coexisted with choles-teatoma. These nevi were composed of epidermal hyperplasia and necrobiotic keratin debris within the papillomatous cleft. There has been no recurrence in these patients after 6 to 26 months (average 12.6 months) of follow-up.

ConclusionZZA melanocytic nevus of the EAC may be composed of dysplastic cells or coexist with cholesteatoma; in particular, its gross appearance is papillomatous. Therefore, every nevus should be excised to make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84-8 Key WordsZZExternal auditory canal·Melanocytic nevus·Dysplastic nevus.

서 론

멜라닌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은 피부에 발생

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으로 멜라닌세포에서 유래된 모

반세포로 구성되며 색소모반(pigmented nevus), 모반세포

모반(nevocytic nevus), 보통모반(common mole) 등으

로도 불려진다. 신생아의 1%에서 선천성으로 존재하고 대

부분은 유아기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후천성으로 발생하

게 되어 모반의 수가 증가해서 40대에 정점을 이루게 된

다.1) 후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수와 발생 위치는 햇볕

노출이나 면역학적 요인, 유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

되며 대부분은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서 관찰된다. 육안

으로는 편평하거나 융기된 모양을 보이며, 황갈색에서 검은색

까지 다양한 색깔을 띨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필요 없

으나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비대칭이거나 불규칙한 표면, 색깔

이나 크기의 변화 등 악성이 의심되거나 증상이나 염증을 유

발할 때, 미용적인 목적 등으로 외과적 절제를 하게 된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

는데, 외이도의 형태가 좁고 굴곡이 있는 원통형의 구조라는

특이성 때문에 다른 부위의 멜라닌세포성 모반과는 다른 임

상 양상과 특징을 가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모반의 크기

와 외이도의 형태에 따라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내측 부분에

Page 2: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Melanocytic Nevus of the EAC ■ Oh JI, et al.

www.jkorl.org 85

대한 노출이 불충분하고 관찰할 수 없거나 귀지전색과 전음

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으며, 외이도의 물리적인 폐쇄에 의

해 2차성 외이도 진주종이 생길 수 있다.2) 그러나 외이도에

발생하는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모반의

다른 특징에 대한 연구 보고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2-5)

본 연구에서는 외이도에 발생한 멜라닌세포성 모반 환자

들의 임상 양상과 모반의 형태 및 조직학적 결과를 분석해

서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본원에서 외이도의

종물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조직검사에서

멜라닌세포성 모반으로 확인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멜

라닌세포성 모반의 형태와 위치, 임상 양상과 수술 방법

및 조직학적 특징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

였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형태는 귀 내시경 소견에 따라

편평형과 융기형, 유두상형, 반구상형 및 다리형으로 분류

하였으며,6) 위치와 크기는 수술 기록을 분석하였다. 임상 양

상은 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증상으로 하였으며 순음청력검

사로 청력 상태를 평가하였다. 수술 방법은 9예에서는 국

소마취하에 수술현미경을 이용해서 경외이도 접근술로 절제

를 시행하였으며, 1예에서는 전신마취하에 이개 후 접근술

로 동측의 만성 중이염 수술을 시행할 때 같이 절제하였다

(증례 9). 수술할 때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경계에서 1 mm

정도의 정상 외이도 피부를 포함해서 절제하였으며 깊이는 피

하조직이 보일 때까지 절제를 진행하였다.

결 과

남자가 4명, 여자는 6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1세(33~

68세)였다(Table 1). 과거력에서 병변 쪽의 외이도에 외

상이나 수술을 받았던 예는 없었으며, 습관적인 귀이개의

사용이나 수영, 잠수 등에 의한 외이도의 자극, 잦은 외이

도염 등 특이 소견은 없었다. 증상은 외이도의 종물이 4예

로 가장 흔했으며 이충만감이 2예, 난청과 이물감이 각각

1예에서 있었고 이루나 이통을 호소한 경우는 없었다. 귀

진찰에서 우연히 발견된 경우도 2예가 있었는데 증례 5는

반대쪽 귀의 중이 수술 후 정기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었

으며, 처음 내원 당시의 진찰 후 1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

로 추정되고, 증례 9는 반대쪽 귀의 이루로 내원한 환자의

진찰에서 우연하게 발견되었다. 순음청력검사에서는 증례

2와 증례 10에서 기도청력 35 dB, 골도청력 10 dB 정도

의 전음성 난청 소견을 보였고, 증례 9는 만성 중이염에

의한 고막 천공으로 혼합성 난청 소견을 보였으며 나머지

예에서는 정상이었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위치는 외이도

의 앞쪽과 뒤쪽이 각각 4예에서 있었고, 위쪽에서 2예가

발생하였다. 6예에서 측두골 단층촬영을 시행했으며 주변

측두골의 골 파괴 없이 외이도를 막고 있는 연부 조직 음영

으로 관찰되었고 증례 10에서는 외이도의 내측에 귀지로

생각되는 연부 조직 음영이 관찰되었다(Fig. 1). 멜라닌세

포성 모반의 크기는 4 mm에서 12 mm의 분포를 보였으며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ase Sex Age Chief complaint Side Location Diameter (mm) Shape Histopathology

01 F 47 Ear fullness R Anterior 06 Dome IDN 02 F 33 Ear fullness L Anterior 09 Dome IDN with Dysplastic03 F 45 EAC mass L Superior 06 Dome IDN 04 M 52 FB sensation R Superior 04 Papillomatous IDN 05 F 46 Incidental R Anterior 04 Dome IDN 06 M 68 EAC mass R Posterior 05 Dome IDN 07

F

56

EAC mass

L

Superior

06

Papillomatous

IDN with cholesteatoma

08 M 47 EAC mass L Anterior 04 Dome IDN 09 M 67 Incidental L Posterior 05 Dome IDN 10

F

49

Hearing loss

R

Posterior

12

Papillomatous

IDN with cholesteatoma

EAC: external auditory canal, FB: foreign body, IDN: intradermal nevus

Fig. 1. Axial image of temporal bone computed tomography (case10) shows soft tissue density mass lesion (arrow) in the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without bony erosion. Note the accumulationof earwax medial to the mass lesion.

Page 3: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 2010;53:84-8

86

평균 크기는 6.1 mm였다. 3예에서 유두상형의 모양을 보

였으며 나머지 7예는 모두 반구상형의 형태로 관찰되었다

(Fig. 2). 조직검사 결과는 모든 예에서 여러 개의 세포들이

모여 형성된 모반세포 집단들이 진피층에서만 발견되었는데

(Fig. 3), 증례 2에서는 모반세포들 중 일부가 비정형의 세

포로 구성되어서 이형성 모반으로 진단하였고 증례 7과 10

은 표면 상피의 내측 증식과 각질낭의 형성이 관찰되어 진주

종이 동반된 것으로 진단하였다(Fig. 4). 술 후 추적관찰 기

간은 6개월에서 26개월로 평균 12.6개월이었으며 모든 예

에서 재발 소견은 없었다.

고 찰

후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일반적으로 모반세포의 위

치를 기준으로 모반세포가 표피와 진피의 경계 부위를 따라

존재할 때 경계성 모반, 진피 내에만 존재할 때 진피 내 모

반, 이 두 가지가 혼합된 경우 복합성 모반으로 구분하게 된

다.7) 이는 모반세포의 발달 과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

로 생각되며, 초기에는 표피와 진피의 경계 부위에 위치하던

모반세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피 내로 하강하면서 최종

적으로는 진피 내 모반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멜

라닌세포성 모반의 형태는 경계성 모반은 주로 편평형이나

융기형을 보이고 복합성 모반은 융기형이나 반구상형, 진피

내 모반은 주로 반구상형이나 유두상형, 다리형을 보이게

된다. 대부분의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10대에서 20대 사이

에 발생하게 되는데, 소아에서는 주로 경계성 모반이 관찰

되고 성인에서는 진피 내 모반이 관찰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섬유화나 지방 변성 등에 의해 수가 줄어 들고 형태가 불

Fig. 2. Otoscopic images. Dome-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6)(A). Papillomatous shaped nevuson the superior cartilaginous wall ofthe left EAC (case 4)(B).

A B

Fig. 3.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mass showing nests of nevus cellsin the dermis covered with normalskin (Hematoxylin-eosin, original mag-nification×40). Dome-shaped ne-vus (case 3)(A). Papillomatous shap-ed nevus (case 4)(B).

A B

Fig. 4. Histopathologic findings ofcase 7. Low-power view showing hy-perkeratosis, horn pseudocyst (ar-row) and downward growth of epi-dermal strands encircled by nests ofnevus cells (Hematoxylin-eosin, or-iginal magnification ×40)(A). High-power view showing epidermal hy-perplasia with intact basal membraneand necrobiotic keratin debris (Hem-atoxylin-eosin, original magnification×200)(B).

A B

Page 4: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Melanocytic Nevus of the EAC ■ Oh JI, et al.

www.jkorl.org 87

명확해지게 된다.7,9)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대부분이

진피 내 모반으로 관찰되고 일부에서 복합성 모반의 형태

를 볼 수 있는데,2,3) 경계성 모반이 보고된 적은 아직 없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40대 이후에 새로운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생기는 것은 매

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33세

환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은 모두 45세 이후에 발견

되었으며 60대 환자도 2명이었다. Lee2)의 연구에서도 전

체 11명의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 환자 중 5명이 40대

이후에 발견되었는데, 다른 부위의 멜라닌세포성 모반에

비해 환자의 연령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외이도 멜라닌세

포성 모반이 외이도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에 쉽게 노

출되지 않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증례

5는 46세 환자로 초기 진찰 이후 1년 사이에 멜라닌세포

성 모반이 발생했는데,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다른

부위의 멜라닌세포성 모반에 비해 늦은 연령에 발생하는

것도 또 다른 특징으로 생각된다.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은 소양감이나 이구전색, 이물

감, 그리고 외이도 폐색을 일으킬 정도로 큰 경우에는 전음

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증은 없다.2-5)

본 연구에서는 난청이나 이충만감 등 청각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2예씩이었으며 나머지 예에서는 귀이개를 사용하

다가 외이도의 종물을 알게 되거나 정기 검진시 우연히 발

견된 경우였다.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특징적인 증

상은 없으며 다른 외이도 종물에서 볼 수 있는 증상과 비

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위치는 외이도 연골부

의 앞, 뒤, 위 쪽에서 비슷한 분포로 발생했으며 외이도의

뒤쪽에서 발생한 경우의 크기가 제일 컸다. Lee2)의 연구

에서는 외이도의 뒤쪽이나 아래쪽에 호발하며 특히 아래쪽

에서 발생한 경우에 큰 멜라닌세포성 모반으로 발견되었는

데, 멜라닌세포성 모반의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증례 7과 10의 조직검사 결과에서 진피내 모반 안으로

표면 상피의 내측 증식이 있고 각질낭이 축적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는데, Naim10)의 분류에 의한 stage I 외이도 진

주종이 동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멜라닌세포성 모

반의 1/3 정도에서 표면 상피의 증식과 과다 각질이 형성되

는 각화 멜라닌세포성 모반(keratotic melanocytic nevus)

의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조직학적으로는 과

각화증과 상피층의 하방 증식, 유두종증이 특징적인 소견

이며 가성낭종을 형성하게 된다.11) 이 현상이 외이도의 멜

라닌세포성 모반 내에서 발생하게 되면 모반이 커지면서

외이도의 벽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어 가성낭종 안의 각질

이 정체되고 축적되면서 진주종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

로 생각된다. 특히 증례 7과 10에서 모반의 형태가 유두상

형이었는데, 상피의 증식과 과각화증이 유두 사이의 좁은

틈새에 발생하면서 각질이 축적되기 쉬운 조건이 되어 각질

낭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외이도 폐쇄에 의한

외이도 진주종의 발생기전과는 다른 과정이며 외이도 멜라

닌세포성 모반의 중요한 특징으로 생각된다.

이형성 모반은 6 mm 이상 크기의 반점 형태를 보이며

조직학적으로는 모반세포에서 핵이 커지거나 불규칙성, 과

염색증 등의 비정형성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멜라닌세포

성 모반보다 크고 경계가 불명확하며 임상적으로는 악성

흑색종과 유사한 모양을 보이거나 때때로 악성 흑색종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구병변으로 알려져 있다.12) 본 연구의 증

례2는 외관상으로는 일반적인 진피 내 모반의 형태를 보였

지만 조직검사상 모반세포 중 일부가 비정형적인 세포로

구성되어서 이형성 모반으로 진단하였다. 이 증례는 외이

도에 발생한 이형성 모반의 첫 증례로 보고한 바 있다.13) 이

형성 모반은 외부 형태와 관련 없이 조직병리학적으로 진

단되는 것이기 때문에 진단을 위해서 외과적 절제가 필수

적이다.

멜라닌세포성 모반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필요 없으

나 멜라닌세포성 모반이 비대칭이거나 불규칙한 표면, 색

깔이나 크기의 변화 등 악성이 의심되거나 증상이나 염증을

유발할 때, 미용적인 목적 등으로 외과적 절제를 고려하게

된다.6) 그러나 외이도 멜라닌세포성 모반인 경우에는 증례

7 또는 10과 같이 멜라닌세포성 모반 내에 각질낭을 형성

하면서 외이도 진주종으로 진행하거나 증례 2와 같이 일반

적인 진피 내 모반의 형태에서 이형성 모반이 존재하는 경

우를 고려하면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또한 외

이도가 좁은 원통 모양의 구조이기 때문에 외이도에 발생

한 멜라닌세포성 모반에서 내측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비록 양성 종물처럼 보이더

라도 임상 증상의 발생 여부와 상관없이 진단과 치료를 위

한 외과적 절제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Case 2 was previously published in Yonsei Medical Journal(2009;

50:845-7) as a case report and described in this article by permission of the editor of Yonsei Medical Journal.

REFERENCES

1) Pariser RJ. Benign neoplasms of the skin. Med Clin North Am 1998;82(6):1285-307.

2) Lee FP. Pigmented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6;135(1):124-8.

3) Kim SM, Cho JJ, Huh HB, Hur CH. A case of compound nevus of

Page 5: Characteristics of Melanocytic Nevus Arising from the ...kjorl.org/upload/pdf/0012010017.pdf · shaped nevus on the posterior carti-laginous wall of the right EAC (case 6)(A). Papillomatou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 2010;53:84-8

88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8;41(6):792-4.

4) Kim YK, Park BA, Cho YS, Yoon YJ. Two cases of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8;41(11):1478-80.

5) Jang CH, Kim JO. A case of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3):

332-4. 6) Youngs R, Hawke M, Kwok P. Intradermal nevus of the ear canal. J

Otolaryngol 1988;17(5):241-3. 7) Pariser RJ. Benign neoplams of the skin. Med Clin North Am

1998;82(6):1285-307. 8) Elder D, Elenitas R. Benign pigmented lesion and malignant mel-

anoma. In: Elder D, Elenitas R, Jaworsky C, Johnson B, editors. Lev-er’s histopathology of the skin, 8th ed. Philadelphia, New York: Lippincott-Raven;1997. p.625-81.

9) Grichnik JM, Rhodes AR, Sober AJ. Benign hyperplasia and ne-oplasias of melanocyte. In: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 LA, Kartz SL, editors.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Vol 1. 6th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2003. p.889-93.

10) Naim R, Linthicum F Jr, Shen T, Bran G, Hormann K. Classification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holesteatoma. Laryngoscope 2005;115 (3):455-60.

11) Horenstein MG, Prieto VG, Burchette JL, Shea CR. Keratotic me-lanocytic nevu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J Cutan Pathol 2000;27(7):344-50.

12) Elder DE. Precursors to melanoma and their mimics: nevi of special sites. Mod Pathol 2006;19 Suppl 2:S4-S20.

13) Kim CW, Oh SJ, Rho YS, Cho SJ, Koh ES. Dysplastic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Yonsei Med J 2009;50(6):8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