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 Kee Yoon Jang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새로운 국가 발전비전으로 제시되면서,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산업부문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산업으로서, 다양한 정부 지원과 함께, 정보통신기술과 전문 인력 등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사업화의 기회가 많은 분야이다. 그러나 실제 기업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 수립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가기준은 델파이(Delphi) 방식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적용하여 지표별 중요도를 결정하여 수립하였다.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 선정 및 추진 시 리스크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역량 확보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효과적인 사업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델파이(Delphi), 계층적 분석방법(AHP) An Study on Indicator Selection of Renewable Energy Business Evaluation ABSTRACT Recently,“Low carbon, Green growth”is declared as national development vision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received attention to achieve the vision. Renewable energy industry has been forecasted high growth trend: with governmental suppor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erts. Those conditions are given good business opportunity to company. But there is no criterion of renewable energy business evaluation for company level. So, this paper is aim to establish the criteria to take part in renewable energy business. The criteria are consisted of evaluation indicators which are selected with Delphi method and weighed through AHP.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to decide renewable energy business fields and analyze the business risks. Also it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getting into the renewable energy business with securing company’s capacity. Keywords : Low carbon Green growth, renewable energy, Delphi, AHP *1)포스코경영연구소 녹색성장연구실 수석연구위원([email protected])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장 기 윤*1)Kee Yoon Jang초 록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새로운 국가 발전비전으로 제시되면서,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산업부문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산업으로서, 다양한 정부

지원과 함께, 정보통신기술과 전문 인력 등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사업화의 기회가

많은 분야이다. 그러나 실제 기업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평가기준 수립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가기준은 델파이(Delphi) 방식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으며,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적용하여 지표별 중요도를 결정하여 수립하였다.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 선정 및 추진 시 리스크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역량 확보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효과적인

사업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델파이(Delphi), 계층적 분석방법(AHP)

An Study on Indicator Selection of Renewable

Energy Business Evaluation

ABSTRACT

Recently,“Low carbon, Green growth”is declared as national development vision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received attention to achieve the vision. Renewable energy

industry has been forecasted high growth trend: with governmental suppor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erts. Those conditions are given good business

opportunity to company. But there is no criterion of renewable energy business evaluation

for company level. So, this paper is aim to establish the criteria to take part in renewable

energy business. The criteria are consisted of evaluation indicators which are selected

with Delphi method and weighed through AHP.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to decide

renewable energy business fields and analyze the business risks. Also it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getting into the renewable energy business with securing company’s capacity.

Keywords : Low carbon Green growth, renewable energy, Delphi, AHP

*1)포스코경영연구소 녹색성장연구실 수석연구위원([email protected])

Page 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17

Ⅰ. 서 론

전 세계는 미국발(發) 금융위기로 촉발된 경기 침체 뿐만 아니라, 에너지안보, 그리고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등 글로벌 이슈를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는 당면한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녹색뉴딜정책’을 앞 다투어 추진 중에 있다.

우리나라도 2008년 8.15 경축사를 통해서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국가 발전비전으로 제시하면서, 대통령 직속기구로서 녹색성장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녹색성장기본법」제정과 함께 관련예산을 마련하여 집행 중에 있다.

이전의 경제활동과 환경보전이 상충적 관계였다면, 녹색성장은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개념으로써,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까지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으로 확대될 수 있다.

각국 정부는 물론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선도적인 산업을 구체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녹색산업’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본문에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기존 주력산업의 녹색화, 환경산업,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그것이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연료의 고갈 우려에 대한 대체에너지로서, 지구온난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로서, 또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신성장 산업으로서 그 역할에 기대가 크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전후방 산업(예; 산업소재 및 부품개발 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예; 고용창출효과 등)를 고려한다면 녹색성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산업으로 제안될 수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향후 높은 성장세가 기대되며, 정부차원의 다양한 지원, 그리고 정보통신기술(IT)과 전문 인력 등 산업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사업화의 기회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산업화에 대한 접근이 정부 및 기업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사업성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위기, 에너지안보, 그리고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대한 사업적 접근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평가기준 수립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Page 3: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18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본 연구는 새롭게 대두되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 평가를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한 평가방식(가중치를 반영한 평가지표)을 제시함으로써, 사업 분야 선정과 사업 추진 시 리스크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역량확보를 통한 효과적인 사업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 제Ⅱ장,「선행연구 및 방법론」부문에서는 사업성을 평가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과 예비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들을 살펴보고, 지표선정 및 가중치 결정방식을 함께 살펴보았다. 제Ⅲ장,「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 선정」부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현황 및 전망과 함께, 사업성 평가지표의 선정과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Ⅳ장,「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고찰

1. 기존의 사업성 평가사례

최근까지 예비사업의 사업성 평가방식은 순현재가치법, 비용편익분석, 그리고 내부수익률 등이 대표적이며, 경제성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현재가치법(NPV; Net Present Value)은 사업추진에 따른 총 편익과 총 비용의 현재가치화한 차이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즉, 그 차이가 양(+)이면 경제성이 있고, 음(-)일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예비 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할 경우, NPV가 큰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둘째, 비용편익분석(B/C; benefit-cost ratio)은 총 편익을 총 비용으로 나눈 값을 가지고 예비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한다. 즉, B/C 값이 1보다 클 경우, 해당사업이 경제성이 있으며, 작을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다.

셋째,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방식이 있다. IRR은 순현재가치가 ‘0’이 될 때의 수익률을 의미한다. 즉, 내부수익률 방식은 예비사업의 예상되는 투자액의 현재가치와 비용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주는 할인율에 의해서 대상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IRR 방식은 장기간에 걸친 해당사업의 현재가치를 ‘0’으로 하는 수익률이 얼마인가를 알아보는 방식으로 IRR이 예상수익률 보다 클 경우

Page 4: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19

경제성이 있으며, 작을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NPV와 B/C는 이자율을 사전에 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IRR 방식은 이자율을 사전에 추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통적인 평가방식 이외에도 기업에서는 투자비회수기간(Pay-Out), 투자회수율(ROI 또는 ROE), 탐사성공률 같이 다양한 평가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원개발의 경우, 탐사성공률이 사업추진의 중요한 평가기준이 되며, 약 20% 이상의 성공률이 있을 경우, 투자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경우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환경사업의 경우, 규제강도(예: 총량 또는 농도규제 등)에 따라 사업추진에 대한 결정이 달라지며, 해외 진출 시에는 해당국가의 리스크(country risk)는 사업 추진의 중요한 의사결정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해당사업의 추진여부는 예비사업의 특성에 따라서 적합한 평가방식을 적용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신성장 산업으로 주목받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 평가는 기존의 경제성 중심의 평가방식을 고려함은 물론,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환경적, 사회적 측면을 어떻게 고려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해서 제반 여건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평가방식으로서,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2. 지표 및 지표선정에 관한 선행연구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경제성을 중시하였던 기존의 평가방식과는 다르게 환경, 사회, 그리고 기술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 또한 기업 내부의 역량까지 고려한 평가방식으로서, 중요도(가중치)를 고려한 지표선정 방식을 제안하여, 기존 평가방식과 차별성을 띄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표선정과 관련된 사항이다.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유용하고, 전체 목적에 부합되며, 설명력이 높아야 할 것”으로 지표에 대해 정의하면서, 신뢰성과 연관성, 그리고 재현성과 대표성을 갖출 것을 요구하였다.

OECD(1993)는 “여건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측정범위와 변수를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변수, 그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변수로부터 파생된 가치”로 지표를 정의

Page 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20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하였으며, 수많은 지표를 활용하여 자료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다.한편 이병욱(2005)은 지표 선정에 대해서, “목적이나 평가결과를 활용하는 이해관

계자의 요구에 따라 상이한 방향에서 접근되어야 하며, 접근방향에 따라 핵심지표가 다르게 선정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Mintcheva(2005)는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범위, 그리고 내용에 다양해짐으로써, 지표 선정에 대한 어려움이 많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Mayoux(2002) 역시 지표 선정이 “분석과 평가를 통제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선정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지표 선정은 “복잡한 현실을 가능한 모두 대표할 수 있도록 선정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도 이와 같은 기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따라서 현실의 다양한 측면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지표 선정은 불가능하며, 다만 현실의 중요한 측면을 가능한 많이 포함하도록 하여, 분석과 평가의 목적에 근접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는 수준에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표의 제한적인 유용성(availability)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결국 지표는 분석과 평가 절차가 통제 가능하도록 선정되어야 하며, 지표 자체가 객관적인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대표성, 객관성, 측정 가능성’ 등 지표이론을 충족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기존의 많은 연구결과들을 함축성 있게 통합하여 의미를 추출하는 메타 분석(Meta analysis) 방식과 함께,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을 수렴하고 종합하여 합의점을 찾아내는 델파이방식(Delphi)이 검토될 수 있다.

우선 메타분석은 기존의 수많은 분석결과를 대상으로 최종 합의점을 도출하기 위해 계량적,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단편적인 결과들로부터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조사방법으로 본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델파이방식은 일반적으로 면밀하게 계획된 익명(匿名)의 반복적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참가자들이 직접 한 곳에 모여 논쟁을 하지 않고도 집단 성원의 합의를 유도할 수 있는 조사방법으로서, 수많은 지표 중에서 적합한 대상을 선택해야하는 본 논문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론으로 보인다.

다만 델파이방식이 소수의 채택된 참여자에게 문제해결을 기대하는 문제, 중간 결과에 무의식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는 문제, 전문가들이 과도한 확신으로 인해 환상적이

Page 6: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21

되거나 체제 전체를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델파이방식은 일방적인 토의에 쏟는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일회성 조사가 아닌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피드백하여 결과의 편향성을 줄일 수 있으며, 몇몇 전문가의 의견이나 분위기에 말려 휩쓸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 논문에서 적합한 조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다음은 델파이방식으로 선택된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즉, 가중치의 결정에 대한 사항이다.

3. 가중치 결정에 관한 선행연구

사안별 가중치 결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Hinkle(1965)의 경우, 지표의 중요도에 대해서 ‘개인의 심리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즉, 자신이 중요시하는 부문의 변화에 대해서 부정적이라는 점을 주장하면서, 개별사안에 대한 중요도의 상대적인 크기는 달라질 수 있으나, 우선순위가 바뀌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즉, 수많은 지표 중에서 개별지표의 중요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려워도 그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Hokkanen(1994)은 사안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응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수를 매기도록 하여, 가장 많은 점수를 받은 사항의 평균값을 가지고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응답자는 1~7의 값을 선택하도록 하여(예; 여기서 7은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값 1은 가장 낮은 평가기준으로 적용), 가중치를 결정하였는데,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최고 높은 점수가 집중됨으로써, 극단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게 되거나 극단적으로 낮은 평가가 나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중요도를 표현하는 값(예; 1~7의 값)이 중복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였다.

통계학자 Simos(1990)은 각각의 평가기준에 대해 중요도의 점수를 한 번씩만 적용하도록 하여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즉, 15개의 평가기준이 있다면 중요도에 대한 점수는 1~15점으로 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극단적인 가중치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지만 실제 평가대상이 10개 이상이 될 경우, 실효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aaty(1980)는 가중치 결정방식으로 계층적 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이하 AHP)을 제안하였다. AHP는 의사결정의 전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Page 7: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22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단계별로 쌍대비교(1:1비교)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인 의사결정(가중치 결정)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AHP는 정량적인 분석이 곤란한 의사결정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정성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경쟁요소의 가중치를 도출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AHP 분석과정에서 응답자의 논리적 일관성 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1)을 통해 의사결정의 합리성과 논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AHP 방식을 활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Boss(1996)의 경우, 인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가모형을 개발하면서 경제, 환경, 사회 부문과 함께, 하부구조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AHP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Krajnc(2005)은 기업 활동의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서 평가기관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측정모형을 구축하면서, 기업 활동의 평가요소별 가중치 결정에 AHP를 활용하였다. 또한 Wattage(2005)는 스리랑카 습지(wetland) 보전과 개발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선호도 결정 과정에서 AHP 방식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AHP 방식은 에너지와 관련된 요인별 가중치 결정에도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Chatzimouratidis; 2008, Phivachi; 2009).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결정은 구체적인 분석프로세스가 정립되어 있으며,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AHP 방식2)을 활용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Ⅲ.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 선정

1.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및 전망

(1) 신재생에너지 개요 우리나라「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2009년)」은 신재생

1) 일관성비율(CR)은 CR=CI(일관성지수)/RI(랜덤지수)로 구성되며, 값이 0.1 이하일 경우, 응답자의 응답이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Satty, 1985).

2) AHP 방식은 Expert Choice, Right Choice 또는 Excel을 활용하여 분석 가능함.

Page 8: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23

구분 신에너지(3개) 재생에너지(8개)종류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 액화 및

가스화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특징 기존 화석연료를 친환경적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생산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생산

에너지를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 물 · 지열 · 강수 ·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친환경적으로 사용하는 ‘신에너지’와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재생에너지’로 다시 분류된다(<표 1> 참조).

<표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및 구분

자료 : 법제처(2009. 5),「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

(2)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특성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기회 및 위협 요인이 병존하고 있다. 기회요인으로 <첫째>

2030년까지 연간 10~20%의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어3), 기업에게 사업진출의 동기를 제공하며, <둘째>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 in tariff) 또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와 같은 정부지원이 보장되어, 사업 추진시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고, <셋째> 국내의 정보통신기술(IT) 및 전문인력 등 산업 인프라가 잘 갖춰져 사업화 기회가 많은 장점이 있다.

반면 위협요인으로는 <첫째> 높은 생산원가와 낮은 효율성으로 경제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둘째> 설비 및 운전관련 요소기술에 대한 개발능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원천기술 확보에는 아직 높은 장벽이 남아 있으며, <셋째> 다수의 시장 참여로 인한 과당경쟁의 문제가 남아있다(<표 2> 참조).

즉,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다양한 사업기회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위협요인 또한 존재함으로써, 기존 평가방식에서 소홀히 하였던 환경적, 사회적, 기술적 측면을 함께 검토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방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3)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09. 5), ‘그린에너지 전략로드맵,’ pp.1-13.

Page 9: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24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기회요인 위협요인ㆍ신규사업 발굴 기회∙ (연간 10~20% 높은 성장)

ㆍ경제성 확보문제∙ (높은 생산원가, 낮은 효율성)

ㆍ정부지원 활용기회∙ (발전차액지원, RPS활용, 공동 R&D 등)

ㆍ원천기술 확보 문제∙ (높은 기술장벽)

ㆍ풍부한 인프라 활용 기회∙ (IT, 연관산업 발전 등)

ㆍ다수 참여자 문제∙ (과당경쟁 문제)

<표 2>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기회 및 위협 요인

자료 : 장기윤(2008).「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 여건변화와 시사점」, 2008년. pp.2-11.

(3)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세계 각국에서는 녹색성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선정하여 보급 확대를 추진 중이다. 주요국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EU는「EU 신(新)에너지 공동전략 (2007년)」을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07년 현재 7%에서 2020년까지 20% 수준으로 확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전체 전력발전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미국은「신(新)에너지정책(2006년)」을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 비중(예; 석유소비량의 15% 포함)을 2025년까지 25% 수준으로 대체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를 위해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그리고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 시행을 확대할 방침이다.

셋째, 일본은「신(新) 국가에너지 전략(2006년)」을 수립하여, 2020년까지 재생 에너지의 1차 에너지 비중을 3% 수준까지 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태양광 분야에서 세계적인 주도권을 확보하며, 청정석탄기술을 확산시키고 미국과 같이 RPS를 확대할 방침이다.

넷째, 중국의 경우에는「11 · 5 경제계획(2006~2010년)」을 통해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4% 수준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신재생에너지법」을 수립하여 바이오-매스 보급 확대와 함께, 수송용 수소 및 연료전지에 투자를 확대하고 석탄가스액화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표 3> 참조).

Page 10: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25

EU :「신(新) 에너지공동전략(2007)」 [재생에너지 7%(2008년)→ 20%(2020년)]

미국 :「신(新) 에너지정책(2006)」 [신재생에너지 비중 25%(2025년)]

ㆍ발전량 20% 신재생에너지로 충당(2020년)ㆍ자동차 바이오 연료 10% 까지 확대ㆍ태양광, 풍력 집중투자(독일, 덴마크 등)

ㆍ태양 및 바이오 에너지 분야 집중 투자ㆍ수소 및 연료전지 개발 가속화(2003년~)ㆍ발전 의무비율할당제(RPS)시행(1997년~)

일본 :「신(新) 국가에너지전략(2006년)」 [1차 에너지의 3%로 확대(2020년)]

중국 :「11 · 5 경제계획(2006~2010)」 [新 재생에너지 4% 보급(2020년)]

ㆍ태양광 주도권 확보(세계 48% 차지)ㆍ친환경 석탄정책 Clean Coal Cycle 시행ㆍ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 투자확대ㆍRPS 시행(2003년~)

ㆍ신재생에너지법 수립(2006년)ㆍ바이오매스 전력공급 4%까지 확대(2020년) ㆍ수송용 수소 · 연료전지 투자 확대ㆍ석탄가스화 · 액화 투자확대

목표 년도 총 에너지 수요 신재생에너지 (비중)2007년 236백만 TOE 5,608 천TOE (2.40%)2011년 253백만 TOE 7,566 천TOE (2.98%)2020년 287백만 TOE 17,520 천TOE (6.08%)2030년 300백만 TOE 33,027 천TOE (11.0%)

연평균(2006~2030) 성장률 1.0% 8.0%

<표 3> 주요 선진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및 핵심사업

자료 : IEA(2005년),「World Energy Outlook」, 각국 에너지 장기계획(2006/2007년) 한편 우리나라는「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8년)」을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중을 총 에너지 수요에서 2020년에는 6%, 2030년에는 11%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표 4> 참조).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폐기물(33.4%), 바이오(31.4%), 풍력(12.6%), 태양광(4.1%), 수력(4.4%), 기타(11.4%) 순으로 보급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 이는 2030년까지 연평균 8%대의 증가세로 동기간 총 에너지수요 증가율(1% 수준)과 비교할 때 높은 증가세를 보여준다.

<표 4>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2007~2030년)

자료 : 지경부(2008),「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 보급 기본계획」, pp.2-19.

Page 11: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26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비고

대외여건(시장

매력도)

경제적 측면성장성 사업추진에 따른 성장률(매출증가율)안정성 사업추진에 따른 안정성(자기자본비율)수익성 사업추진에 따른 수익률(영업이익률)

기술적 측면효율성 기술 적용시 설비의 효율성 향상 여부독점성 기술 적용시 독점적 지위 확보여부 사업성 시장 확장 가능성(실적 확보 등)

환경적 측면온실가스 온실가스 저감효과입지제약 입지, 기후 등 설비설치에 대한 제약 2차오염 설치 및 운영시 2차 오염여부

사회적 측면정부지원 발전차액지원 등 정부지원 여부민원여부 토지보상, 설비설치 반대 등 민원여부 사회적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의 연계여부

대내여건(기업역량)

사업수행능력재무능력 기업의 투자 능력 확보여부인력확보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 확보여부운전능력 사업추진을 위한 설비 운전능력 여부

사업인프라고유사업 연계 고유시업과의 연계성 여부출자사 시너지 다른 출자사를 활용한 시너지 창출여부협력업체 시너지 협력업체를 활용한 시너지 창출여부

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

(1)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 선정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선

정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표선정은 이해관계자4)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 다시 의견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반영하여, 최종 결정하는 델파이(Delphi) 방식을 활용하였다.

<표 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

4) 이해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학계, 기업실무자, 컨설팅, 일반인 등 12명으로 구성하였음. 의견 수렴기간은 2009. 11. 17 ~ 11. 30까지 10일간 수행함.

Page 1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27

이해관계자는 사전에 준비된 지표세트(indicator set)에서 선정하도록 요구받았으며, 지표세트는 국내외 컨설팅 회사에서 활용하는 평가지표, 그리고 사업성 분석(feasibility study) 자료에서 활용되는 평가지표들로 구성되었다.

평가지표는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관련된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다양한 지표와 함께, 사업추진과 관련된 역량, 인프라, 그리고 계열사 및 협력사간의 시너지 창출관련 지표들로 분류하여 구성되었으며, 델파이방식을 통한 최종 평가지표의 선정결과는 <표 5>와 같다.

(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가중치 결정 다음은 앞 절에서 선정된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즉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Saaty(1980)의 AHP 방식을 활용하였다. AHP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단계 과정을 이행하였다(<그림 1> 참조).

<그림 1> 계층적 분석방법(AHP) 활용단계 첫째,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단계에서는 계층구조를 설정하기 위해 평가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평가에 중요한 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해 머리 속에 떠오르는 모든 관련된 항목과 대안을 열거하였다.

5단계피드백(feedback)

3단계1:1비교 및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 단계

2단계계층구조의 설정 단계

1단계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단계

4단계논리적 일관성 유지 확인 단계

Page 13: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28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청정석탄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둘째, 계층구조(hierarchy tree)의 설정 단계에서는 브레인스토밍 단계를 통해 찾아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종속관계를 찾아내고 그룹화하여 최상의 계층에는 문제의 궁극적인 목표를 도출하였다.

셋째, 쌍대비교(1:1비교) 및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 단계에서는 쌍대비교를 통해 상위요소 및 기준에 대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중요성을 갖는지를 검토하였다.

넷째, 논리적 일관성 유지 및 확인 단계에서는 응답자의 판단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가를 판단하였다.

다섯째, 피드백 단계에서는 도출된 요소별 가중치에 대해서 타당성과 가중치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계층구조(hierarchy tree)는 <그림 2>와 같이 구성된다.

<그림 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대한 계층구조(hierarchy tree) <그림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대한 계층

구조(hierarchy tree)가 구성됨에 따라, 평가지표 간 중요도의 결정은 <그림 3>과 같이, 대외여건과 대내여건 간의 중요성에 대한 쌍대비교로부터(예; 대분류간 쌍대 비교), 대외여건의 구성요인인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 대한 비교(예; 중분류간 쌍대비교)를 수행하고, 또한 경제적 측면의 수익성, 안정성, 그리고 성장성에 대해서도 중요도를 각각 평가하게 된다(예; 소분류간 쌍대비교).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

대외여건 대내여건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 사업 인프라사업수행역량사회적 측면환경적 측면

ㆍ수익성ㆍ안전성ㆍ성장성

ㆍ효율성ㆍ독점성ㆍ사업성

ㆍ온실가스ㆍ입지제약ㆍ2차오염

ㆍ정부지원ㆍ민원여부ㆍ사회적책임

ㆍ재무능력ㆍ인력확보ㆍ운전능력

ㆍ고유사업연계성ㆍ출자사 시너지ㆍ협력업체시너지

Page 14: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29

대외여건 대내여건Q1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대외여건이 더욱 중요 동등 대내여건이 더욱 중요 →

대외여건 0.441대내여건 0.559

과정을 대내여건에도 수행하게 된다.

<그림 3> 지표별 가중치 결정을 위한 9점 단위 비교방식한편 <표 3>의 설문지 구성에서 ‘1’점은 쌍대비교 대상이 되는 각 항목 간 중요도에서

차이가 없는 경우이며, 9점은 비교되는 한쪽 사항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경우이고, 7점은 매우 강하게 중요한 경우이며, 5점은 강하게 중요한 경우, 3점은 적당히 중요한 경우, 그리고 2, 4, 6, 8점은 각각 그 중간의 값을 가지는 경우로 하여, 평가할 것을 요구하였다.

(3) 평가지표 및 가중치 분석결과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대한 계층구조(hierarchy tree)에 따른 가중치

결정을 위해 엑셀(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5). 설문조사는 전체 39명중에서 29명6)이 응답하여 74.7% 응답률을 보였으며, 조사기간은 2009년 12/8~12/22까지 14일간 수행하였다. 다음은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이다.

<그림 4>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에서 대분류인 대외여건과 대내여건 사이의 중요성에 대해서, 대외여건이 0.441, 대내여건이 0.599으로 대내여건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내부여건(기업역량)이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 시 중요한 요인으로서 내부 사업역량과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일관성비율(CI)은 각각 0.013, 0.02로 나타나 분석결과의 활용기준인 0.1 이하를 모두 만족하였다.

<그림 4>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시 대내외여건의 중요도 평가결과(대분류)5) AHP를 통해 복수의 응답자가 응답한 속성별 중요도 값을 평균해야 하는데 이때 속성간 차이의 평균을

보다 잘 측정할 수 있는 기하평균을 사용함. 6) 응답자는 기업실무자 10명, 학계 5명, 전문가 9명, 컨설턴트 5명로 구성됨.

Page 1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30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경제적 측면 0.101기술적 측면 0.261환경적 측면 0.252사회적 측면 0.386

다음 <그림 5>는 대외여건의 중분류인 경제적(0.101), 기술적(0.261), 환경적(0.252), 사회적(0.386)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사회적 측면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기존 사업성 평가시 강조되었던 경제적 측면은 오히려 적게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자체가 아직까지 경제적 측면보다는 화석연료의 대체제로서, 또한 지구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청정연료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됨으로써 사회적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관성비율은 경제 0.027, 기술 0.031, 환경 0.022, 사회 0.006으로 나타나 분석결과를 활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시 대내외여건의 중요도 평가결과(대외여건-중분류) <그림 6>은 대외여건 중에서 소분류에 대한 가중치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경제적 측면에서 성장성(0.244), 안정성(0.603), 수익성(0.153)으로 각각 분석되어, 안정성을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특징으로 ‘정부주도의 산업’, ‘전력가격의 정부지원’ 등 수익성과 성장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어, 과당경쟁이 우려되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업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기술적 측면에서는 효율성(0.64), 독점성(0.197), 사업성(0.163)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어, 효율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낮은 효율성 개선이 사업추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기술적 측면에서 효율성 개선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된다.

셋째, 환경적 측면에서는 온실가스(0.206), 입지여부(0.351), 2차오염(0.444)으로 분석되어, 2차오염을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설문에 응답한 전문가 입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가 이미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고 입지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반면,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Page 16: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31

성장성 0.244안정성 0.603수익성 0.153

효율성 0.640독점성 0.197사업성 0.163

온실가스 0.206입지여부 0.3512차오염 0.444

정부지원 0.136민원여부 0.417

사회적책임 0.447

관련된 해상 및 토지 사용에 따른 2차 오염과 같이 환경문제 발생에 따른 우려를 심각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외여건-경제적 측면

대외여건-기술적 측면

대외여건-환경적 측면

대외여건-사회적 측면

<그림 6>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 시 대내외여건의 중요도 평가결과(대외여건_소분류)넷째, 사회적 측면에서는 정부지원(0.136), 민원여부(0.417), 사회적책임(0.447)으로

분석되어, 민원여부와 사회적책임을 중요한 요인으로 응답했다. 이는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사업추진에 따른 민원(民願) 발생 우려와 사회적책임 차원에서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그림 6> 참조). 여기서 일관성비율은 모두 0.1 이하의 값을 보여, 분석결과를 그대로 반영하였다.

한편 대내여건에서 각 지표간 중요도는 <그림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사업수행

능력(0.394), 사업인프라(0.606)로 분석되어, 사업인프라 구축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Page 17: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32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사업수행능력 0.394사업인프라 0.606

재무능력 0.119

인력확보 0.288

운전능력 0.593

고유사업연계성 0.234 출자사시너지 0.21

협력회사시너지 0.556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사업진출에 따른 위험분산은 물론 해당기업을 둘러싼 전 · 후방

기업간의 시너지 확보를 통한 역량확대의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

성비율은 각각 0.019, 0.012로 나타나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그림 7>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시 대내외여건의 중요도 평가결과(대내여건-중분류)다음 <그림 8>은 대내여건 중에서 소분류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첫

째, 사업수행능력은 재무능력(0.119), 인력확보(0.288), 운전능력(0.593)으로 각각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중에서 운전능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에 따른 재무능력 및 인력을 우선 확보한 이후에 추진하게 됨으로써, 그 이후 단계인 운전능력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업인프라 부문에서는 고유사업과의 연계성(0.234), 출자사와와의 시너지(0.210), 그리고 협력회사와의 시너지(0.556)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협력회사와의 시너지창출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유사업과의 연계성과 출자사와의 시너지 창출의 경우, 기업내부의 역량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외부인 협력회사와의 시너지 창출을 보다 강조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그림 8> 참조). 여기서 일관성비율은 각각 0.1 이하로 나타나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대내여건-사업수행능력

대내여건-사업인프라

<그림 8>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시 대내외여건의 중요도 평가결과(대내여건-소분류)

Page 18: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3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전체 18개 평가지표중 가중치

대외여건(시장매력도;

0.441)

경제적 측면(0.101)

성장성(0.244) 0.011안정성(0.603) 0.027수익성(0.153) 0.007

기술적 측면(0.261)

효율성(0.640) 0.074독점성(0.197) 0.023사업성(0.163) 0.019

환경적 측면(0.252)

온실가스(0.206) 0.023입지제약(0.351) 0.0392차오염(0.444) 0.049

사회적 측면(0.386)

정부지원(0.136) 0.023민원여부(0.417) 0.070

사회적책임(0.447) 0.076

대내여건(기업역량;

0.559)

사업수행능력(0.394)

재무능력(0.119 0.026인력확보(0.288) 0.063운전능력(0.593) 0.130

사업인프라(0.606)

고유사업 연계(0.234) 0.080출자사 시너지(0.210) 0.071

협력업체 시너지(0.556) 0.188

앞의 분석결과를 <표 6>으로 재구성해 보았다. 특히, 대분류와 중분류 그리고 전체 소분류와의 중요도를 각각 곱함으로써, 전체 18개 평가지표간의 중요도 차이를 동시에 살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전체 평가지표 중에서 대내여건(대분류)에서 운전능력과 협력업체와의 시너지 창출이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6>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결과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평가지표의 가중치 분석과정에서, 응답자가 두 속성 간 쌍대비교에 따라 서로 충돌하는 속성들에 대해 얼마나 일관되게 응답했는가를 확인 하는 일관성비율이 모두 0.1 이하의 값으로 나타나 분석결과로 활용하였다.

Page 19: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34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Ⅳ. 결 론

세계적인 화두(話頭)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끌어 갈 대표적인 산업으로 신재생 에너지가 주목받으면서, 그 사업성의 평가 또한 새로운 방식으로 검토해 보자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전통적인 평가방식으로서 순현재가치법, 비용편익분석, 내부수익률방식은 물론 예비사업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평가방식과 관련지표를 살펴보았으며, 기존 방식들의 문제점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즉, 신재생에너지 사업추진 시 마련해야 할 역량으로 대외여건과 내부여건으로 구분하고 각 부문별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별 가중치를 결정하여 평가기준을 수립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업 추진시, 대외여건(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 보다 대내여건(사업수행능력, 사업인프라)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내부 사업역량과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대외여건에서는 경제적, 기술적, 환경적 측면보다 사회적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내여건에서는 사업수행 능력 보다 사업인프라 구축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어, 역량강화를 통한 사업 진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번 분석결과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과정에서 해당기업의 대내 · 외여건에 대한 분석이 용이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다양한 평가지표에 대한 사전 점검을 통해 사업 추진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사업범위 및 추진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개별사업에 대한 사업성 평가결과를 정량화함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신속한 결정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평가지표 선정 및 지표별 가중치 결정과정에서 사업실무자 및 전문가 의견이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면 이번 평가방식의 활용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Page 20: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35

<參考文獻>

대한석유협회.「석유개발사업의 경제성평가」, 2006, pp.3-24.법제처.「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 2009, pp.1-11.이병욱.「환경경영: 21세기 신경영 패러다임」, 에코리브르, 2005, pp.585-635.장기윤.「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 여건변화와 시사점」, 포스코경영연구소, 2008,

pp.2-11. 장기윤.「기업의 환경경영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미치는 실증분석」, 환경정책연구 제8

권 제3호(통권22호),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pp.81-113.지식경제부.「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2008, pp.2-19.한국에너지기술평가연구원.「그린에너지 전략 로드맵」, 지식경제부, 2009, pp.33-40. Boss, K. Ranjan, Sustainable Urban Energy-Environment Management with

Multiple Objectives. The Journal of Energy, Vol.21, No.4, 1996, pp.305-318.Chatzimouratidis, and I. Athanasios. Multicriteria evaluation of power plants

impact on the living standar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nergy Policy 36, 2008, pp.1074-1089.

Hinkle, D.「The Change of Personal constructs from the viewpoint of a theory of construct implication」, Ph. D. Dissertation, 1965, Ohio State University.

Hokkanen, and Salminen.「Choice of a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by using the ELECTRE III method, Applying MCDA for Decision to Environment」. Holland Press, 1994, pp.33-41.

Krajnc, and Damjan. A Model for Integrated Assess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souces Conservation & Recycling 43, 2005, pp.189-208.

IEA.「World Energy Outlook 2005/6」, 2005, pp.5-35.Mayoux, L. From Impact Assessment to Sustainable and Participatory

Practical Learning: A Guide for Enterprise Development, Open University Working Paper, Milton Keynes, 2002, pp.1-23.

Mintcheva, V.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in the food supply chain,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No.13, 2005, pp.717-731.

Page 21: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36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OECD.「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1993, Paris, pp.2-42.

Pilavachi A. Petros. Evaluation of hydrogen production method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4, 2009, pp.5294-5303.

Saaty, Thomas L.「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ow-Hill, Inc. 1980, pp.3-88.

Simos, J. Evaluer. 「Impacts on Environment」, Presses Polytechniques et Universitaires Romandres, 1990, pp.30-39.

Wattage, P., Mardle, and Simon. Stakeholder Preference towards Conservation versus Development for a Wetland in Sri Lank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7, 2005, pp.122-132.

Wilson G. A, and Buller H. The Use of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EU Agri-Environmental Policy, European Environment Vol.11, 2001, pp.297-313.

Page 22: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37

구분 신에너지(3개) 재생에너지(8개)종류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 액화* 및

가스화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특징 기존 화석연료를 친환경적으로 변환하여 에너지를 생산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

[별첨 #1] 평가지표 가중치 결정을 위한 전문가용 설문지

안녕하십니까? 포스코경영연구소 녹색성장연구실은 우리나라 산업계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을 위한 사업성 평가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 조사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 평가기준을 ‘대외여건(시장매력도)’와 ‘대내여건(기업역량)’ 등 2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부문별, 개별지표의 중요도(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동 조사는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아니하며, 응답자의 개인정보 또한 공개하지 않음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 포스코경영연구소 녹색성장연구실 ☎ 02-3457-8134, FAX 02-3457-8070 이-메일 : ([email protected])

소속(근속연수) 회사명 : (근속 년) 성명(직위) 성명( ) (직위: ) 연락처 및 이메일 연락처(전화 : ) 이-메일( )

[참고 #1]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 물 · 지열 · 강수 ·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표 1>) 참조.

<표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종류 및 구분

자료 : 법제처(2009. 5),「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제2조 정의)

Page 23: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38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비고

대외여건(시장매력도)

경제적 측면수익성 사업추진에 따른 수익률(영업이익률)안정성 사업추진에 따른 안정성(자기자본비율)성장성 사업추진에 따른 성장률(매출증가율)

기술적 측면효율성 기술 적용시 설비의 효율성 향상 여부독점성 기술 적용시 독점적 지위 확보여부 사업성 시장 확장 가능성(실적 확보 등)

환경적 측면온실가스 온실가스 저감효과입지제약 입지, 기후 등 설비설치에 대한 제약 2차오염 설치 및 운영시 2차 오염여부

사회적 측면정부지원 발전차액지원 등 정부지원 여부민원여부 토지보상, 설비설치 반대 등 민원여부

사회적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의 연계여부

대내여건(기업역량)

사업수행능력재무능력 기업의 투자 능력 확보여부인력확보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 확보여부운전능력 사업추진을 위한 설비 운전능력 여부

사업인프라고유사업 연계 고유시업과의 연계성 여부출자사 시너지 다른 출자사를 활용한 시너지 창출여부

협력업체 시너지 협력업체를 활용한 시너지 창출여부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청정석탄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참고 #2] 아래 표는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들 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지표는 대외여건(시장매력도)”과 “대내여건(기업역량)”으로 구분되며(대분류) 또한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여 평가를 수행하게 됩니다.

[참고 #3] 아래 그림은 신재생에너지의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들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사항으로 설문응답에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

대외여건 대내여건

경제적 측면 기술적측면 사업인프라사업수행역량사회적측면 환경적측면 ㆍ수익성ㆍ안전성ㆍ성장성

ㆍ효율성ㆍ독점성ㆍ사업성

ㆍ온실가스ㆍ입지제약ㆍ2차오염

ㆍ정부지원ㆍ민원여부ㆍ사회적책임

ㆍ재무능력

ㆍ인력확보

ㆍ운전능력

ㆍ고유사업연계성ㆍ출자사 시너지ㆍ협력업체시너지

Page 24: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139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111 수익성(영업이익율)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안정성(자기자본비율)112 수익성(영업이익율)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성장성(매출증가율)113 안정성(자기자본비율)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성장성(매출증가율)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121 (기술적용시)효율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기술적용시)독점적지위확보122 (기술적용시)효율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시장 확장 가능성)사업성 123 (기술적용시)독점적 지위 확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시장 확장 가능성)사업성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131 온실가스 저감효과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기후 등 입지 제약132 온실가스 저감효과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설치, 운영시 2차오염여부133 기후 등 입지 제약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설치, 운영시 2차오염여부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141 정부의 정책적 지원여부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토지보상 등 민원여부142 정부의 정책적 지원여부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기업의 사회적책임 연계143 토지보상 등 민원여부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기업의 사회적책임 연계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151 경제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기술적 측면152 경제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환경적 측면153 경제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사회적 측면154 기술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환경적 측면155 기술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사회적 측면156 환경적 측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사회적 측면

[참고 #4] 설문 응답은 쌍대비교(1:1비교)를 통해 2가지 비교 대상 중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대상에 높은 점수를 주게 되며, 비교대상의 중요도가 같을 경우에 ‘1’점을 주시면 됩니다.(각각의 값은 1: 동등, 3: 약간 중요, 5: 분명히 중요, 7: 크게 중요, 9: 절대적 중요, 그리고 사이의 값은 각각의 중간 값으로 평가하도록 함.)

1. 대외여건(시장매력도)에 대한 가중치 결정1.1 대외여건(시장매력도) 평가 : ① 경제적 측면

1.2 대외여건(시장매력도) 평가 : ② 기술적 측면

1.3 대외여건(시장매력도) 평가 : ③ 환경적 측면

1.4 대외여건(시장매력도) 평가 : ④ 사회적 측면

1.5 대외여건(시장매력도) 평가 : ① 경제적 측면, ② 기술적 측면, ③ 환경적 측면, ④ 사회적 측면

Page 25: 신재생에너지 사업성 평가를 위한 지표선정에 관한 연구 · 지표 이론가인 Wilson(2001)은 “분석과 평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140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2010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211 재무능력 (투자 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확보212 재무능력 (투자 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설비 운전능력213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확보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설비 운전능력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221 고유사업과 연계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출자사 활용한 시너지효과222 고유사업과 연계성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협력업체 활용한 시너지효과223 출자사 활용한 시너지효과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협력업체 활용한 시너지효과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231 사업수행능력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사업 인프라

문항 평가지표 척도(상대적인 중요도 수준 평가) 평가지표311 대외여건(시장매력도) 9 8 7 6 5 4 3 2 1 2 3 4 5 6 7 8 9 대내여건(기업역량)

2. 대내여건(기업역량)에 대한 가중치 결정2.1 대내여건(기업역량) 평가 : ① 사업수행능력

2.2 대내여건(기업역량) 평가 : ② 사업 인프라

2.3 대내여건(기업역량) 평가 : ① 사업수행능력, ② 사업 인프라

3. 대외여건(시장매력도) 및 대내여건(기업역량)에 대한 가중치 결정

이상 설문조사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