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 2009. 2. 연구기관 : ( ) 한국출판학회 연구지원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Z v { ý u ¢ w p l1 [= sÝ [Y [Z v { ý u ¢ w p l1 [= sÝ [Y \ sÝ[Y\ Zí n I [Z { ý F y \ sÝ[Ywt½\ Zí i% A z¡ u Zí Zþ km uasÝ[Y` i% Az¡u ZíZþkmuEwt½u1js1w± vbsµp¢`µ`Ñ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

    2009. 2.

    ∙연구기관 : (사)한국출판학회

    ∙연구지원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 ∙연구기관

    사단법인 한국출판학회

    ∙연구지원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진

    책임연구원

    이정춘 (사단법인 한국출판학회 회장)

    공동연구원 (가나다 순)

    김경일 (김포대학 영상미디어과 교수)

    김기태 (세명대학교 미디어창작학과 교수)

    백원근 (재단법인 한국출판연구소 책임연구원)

    부길만 (동원대학 광고편집과 교수)

    신종락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전임연구원)

    윤세민 (경인여자대학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부 교수)

    한주리 (서일대학 미디어출판과 교수)

    보조연구원

    박호상 (재단법인 한국출판연구소 선임연구원)

    박홍재 (사단법인 한국출판학회 사무국장)

    이윤희 (해외조사 담당 연구원)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

    발 행 일 : 2009년 2월 27일

    연구기관 : (사)한국출판학회

    펴 낸 곳 : (사)한국출판학회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 5-104

    ☏ (02)712-9169

    www.kpss.or.kr

    ·····························································

    Printed in Korea

  •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

    2009. 2.

    ∙연구기관 : (사)한국출판학회

    ∙연구지원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이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국내외 환경 분석 ··················································································· 4

    (3) 연구 목표와 방향 ··················································································· 6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 7

    (1) 연구단 및 연구분과 구성 ······································································· 7

    (2) 연구 내용 ······························································································ 8

    (3) 연구 방법 ······························································································ 9

    (4) 연구 추진 절차 ···················································································· 11

    3.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 12

    제2장 국제출판유통 현황 통계조사 ··················································· 14

    1. 출판유통지수를 위한 통계조사 작업 개요 ·················································· 14

    2. 통계조사 내용 ··························································································· 15

    (1) 출판사수 ······························································································ 15

    (2) 발행량 ································································································· 17

    (3) 번역서 ································································································· 22

    (4) 정가 ····································································································· 25

    (5) 출판시장 규모 ······················································································ 27

    (6) 출판 분야별 점유율 ·············································································· 31

    (7) 인쇄도서 수출입 ··················································································· 33

    (8) 출판저작권 수출입 ················································································ 37

    (9) 출판유통 경로 ······················································································ 39

    (10) 서점수 ································································································ 42

    (11) 인터넷서점의 비중 ·············································································· 44

    (12) 유통 도서 종수 ··················································································· 46

    (13) 서점 종사자수 ···················································································· 47

    (14) 서점 면적 ··························································································· 48

    (15) 서점 마진율 및 반품률 ······································································· 50

    (16) 체인서점 및 대형서점 ········································································· 52

    (17) 중고서점수 ························································································· 55

  • (18) 위탁제도 ···························································································· 56

    (19) 서점인 교육제도 ················································································· 56

    (20) 서점 정보화 ························································································ 57

    (21) 상위권 인터넷서점 ·············································································· 59

    (22) 출판광고비 ························································································· 60

    (23) 디지털출판 ························································································· 63

    (24) 도서정가제 ························································································· 64

    (25) 공공도서관 ························································································· 65

    (26) 출판유통의 과제 ················································································· 68

    (27) 정부의 출판 지원정책 ········································································· 68

    (28) 출판 관련 학술 및 진흥단체 ······························································· 69

    제3장 출판유통지수의 구성체계 ························································ 71

    1. 출판유통지수의 정의 ················································································· 71

    2. 출판유통지수의 기능 ················································································· 72

    제4장 출판유통지수항목의 개발 ························································ 74

    1. 지수항목의 선정 목표 ··············································································· 74

    2. 출판유통지수의 체계 구축 ········································································· 75

    (1) 자료조사 ······························································································ 76

    (2) 초안 개발 ···························································································· 76

    (3) 지수영역 및 분류의 적정성 검토 ·························································· 78

    (4) 항목 보완 ···························································································· 79

    (5) 지수구성의 정확성 및 가중치 검토 ······················································· 80

    3. 세부영역별 지수의 항목과 내용 ································································· 81

    (1) 지수영역의 확정 ··················································································· 81

    (2) 세부영역별 지표의 내용 및 지수 ·························································· 83

    제5장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 ··························································· 87

    1. 출판유통시장 영역 ···················································································· 88

    (1) 서점의 집중도 ······················································································ 88

    (2) 유통의 활성화 정도 ············································································ 92

    2. 출판유통정보 영역 ···················································································· 98

    (1) 서점의 정보화 정도 ·············································································· 98

  • (2) 인터넷 서점의 활성화 정도 ······························································· 100

    3. 출판유통국제화 영역 ··············································································· 102

    (1) 타국과의 출판교류 정도 ······································································ 102

    4. 국제출판유통지수 종합 비교 ···································································· 106

    (1) 출판유통시장지수 비교 ······································································· 106

    (2) 출판유통정보지수 비교 ······································································· 107

    (3) 출판유통국제지수 비교 ······································································· 109

    (4) 국제출판유통지수 종합 비교 ······························································· 110

    제6장 결론 ······················································································· 117

    1. 연구의 요약 ···························································································· 117

    (1) 제1장 서론의 요약 ·············································································· 117

    (2) 제2장 국제출판유통 현황 통계조사 요약 ·············································· 119

    (3) 제3장 출판유통지수의 구성체계 요약 ·················································· 130

    (4) 제4장 출판유통지수항목의 개발 요약 ·················································· 130

    (5) 제5장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의 요약 ·················································· 131

    2. 국제출판유통지수 조사 결과의 정책적 함의 ············································· 133

    (1) 출판유통시장지수 검토 ······································································· 133

    (2) 출판유통정보지수 검토 ······································································· 134

    (3) 출판유통국제지수 검토 ······································································· 135

    (4) 출판유통지수의 종합 검토 ··································································· 135

    3. 국제출판유통지수 개발의 의의 ································································· 136

    (1) 세계 최초 국제출판유통지수 개발시도 ················································· 136

    (2) 국제 비교를 통한 한국출판유통의 위상 파악 ······································· 136

    (3) 출판진흥을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 가능 ··············································· 137

    (4) 출판문화지수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 ···················································· 137

    4. 향후 과제 ······························································································· 138

    ·············································································································· 140

    부록1. 설문지(한글) ····················································································· 141

    부록2. 설문지(영문) ····················································································· 144

    부록3. 조사대상 국가별 기본 통계 ······························································· 151

    부록4. WEF 국가경쟁력 순위(2007년) ··························································· 152

    ······································································································· 154

  • 지식기반사회의 특징 ·············································································· 1

    출판산업의 변화 양상 ············································································· 2

    OECD 주요 국가의 지식축적량 추계 ······················································ 3

    주요국의 철학․역사 분야 출판 발행종수 비중 ······································· 4

    주요국의 번역출판 비중 ········································································· 5

    연구분과 구성 ························································································ 8

    출판문화지수의 구체적 개요 ··································································· 8

    연구 추진 절차 ····················································································· 11

    국가별 출판사수 ··················································································· 16

    국가별 신간 발행종수 ········································································ 18

    국가별 1종당 평균 발행부수 ································································· 21

    국가별 신간 중 번역종수 ······································································ 22

    국가별 2007년 종합 베스트셀러 30위권 내 번역서 비중 ························· 24

    국가별 도서 평균 정가 ········································································· 25

    국가별 내수시장 규모 ··········································································· 28

    국가별 도서장르별 시장 점유율 ···························································· 32

    국가별 인쇄도서 수출입액 ··································································· 34

    국가별 도서 주요 수출국 ····································································· 36

    국가별 도서 주요 수입국 ····································································· 37

    국가별 저작권 수출입액 ······································································ 38

    국가별 주요 저작권 수출국 ································································· 38

    국가별 주요 저작권 수입국 ································································· 39

    국가별 유통 경로 비중 ········································································ 40

    국가별 서점수 ····················································································· 42

    국가별 인터넷 서점 비중 ····································································· 45

    국가별 유통 도서 종수 ······································································ 46

    국가별 서점 종사자수 ········································································· 47

    국가별 서점 면적 ·············································································· 49

    국가별 서점 평균 마진율 ····································································· 51

    국가별 서점 평균 반품율 ····································································· 52

    국가별 3대 대형체인서점 및 매출액 ···················································· 53

    국가별 중고서점수 ·············································································· 55

    국가별 서점 위탁제도 유무 ································································ 56

  • 국가별 서점인 교육기관 유무 ······························································ 57

    국가별 서점 POS 이용률 ····································································· 58

    국가별 출판사-서점 간 전산망 설치 유무 ············································· 59

    국가별 상위 인터넷 서점 ··································································· 59

    국가별 도서광고비 총액 ······································································ 60

    국가별 매체별 광고비 ········································································· 62

    국가별 디지털출판 시장 규모 ······························································ 63

    국가별 디지털출판 유형별 시장규모 ··················································· 63

    국가별 온라인 발행종수 ······································································ 63

    국가별 온라인 전자책 분야별 비중 ······················································ 64

    국가별 전자출판물 납본 제도 유무 ···················································· 64

    국가별 도서정가제 시행 유무 ····························································· 65

    국가별 공공도서관 수 ········································································· 66

    국가별 전국 공공도서관 연간 도서구입비 ··········································· 67

    국가별 출판유통의 문제점 또는 과제 ················································· 68

    국가별 정부의 대표적 출판활동 지원정책 ············································ 69

    국가별 출판관련 대표적 학술단체 및 출판관련 진흥기관 ···················· 70

    국제출판유통지수의 도출개념 ································································ 71

    국제출판유통지수의 영역 ····································································· 72

    지수의 선정 및 개발 절차 ····································································· 75

    지수의 초안 개발 ·················································································· 77

    지수의 개발 항목 보완 ········································································· 79

    지수의 확정 ·························································································· 83

    출판지수 점수, 지표 항목 및 등급과 배점 ············································· 87

    인구 10만명당 서점 수 ········································································· 88

    서점 당 평균 종사자 수 ········································································ 90

    오프라인 서점 유통 집중률 ··································································· 91

    GDP(국민총생산) 대비 시장규모 ···························································· 93

    GNI(1인당 국민소득) 대비 평균 정가율 ················································· 95

    가용지식 총량(유통도서 총 종수) ·························································· 96

    서점 당 평균 면적 ················································································ 97

    서점의 POS 비율 ·················································································· 99

    인터넷 서점 유통 점유율 ··································································· 100

    시장규모 대비 디지털 출판의 비율 ···················································· 101

    인쇄도서 수출액 비중 ········································································ 103

  • 인쇄도서 무역수지 ············································································· 104

    주요 응답 18개국 출판유통시장지수 ··················································· 106

    주요 응답 10개국 출판유통정보지수 ··················································· 108

    주요 응답 14개국 출판유통국제지수 ··················································· 109

    30개국의 출판유통지수 ······································································ 111

    주요 응답 18개국 출판유통지수 ························································· 113

    주요 응답 13개국 출판유통지수 ························································· 114

  • 인구 10만명당 출판사수 ····································································· 17

    인구 10만명당 발행종수 ····································································· 19

    출판사 1곳당 발행종수 ····································································· 19

    2002년 → 2007년 발행종수 증가율 ····················································· 20

    국가별 평균 발행부수(2007) ······························································· 21

    번역출판 비율(2007) ··········································································· 23

    2002 → 2007 번역출판 추이 ······························································ 23

    상위권 베스트셀러 중 번역서 비중 ···················································· 24

    평균 정가 ·························································································· 26

    1인당 GNI 대비 평균 정가 ······························································ 27

    시장 규모 순위(2007) ······································································· 29

    GDP 대비 시장규모 비중 ································································· 29

    2002 → 2007 시장증가율 ·································································· 30

    출판사 1곳당 매출액(출판시장 규모) ················································· 31

    아동도서 국가별 비율(대학진학율 대비) ············································ 33

    인쇄도서 수출입액 규모 ··································································· 35

    출판시장 규모 대비 수출액 비중 ······················································ 36

    유통경로별 비중 ·············································································· 41

    인구 10만명당 서점수 ······································································ 43

    서점 1곳당 국토면적 ········································································ 44

    국가별 인터넷서점 비중(인터넷 이용률 대비) ···································· 45

    유통 도서 종수 순위(최대서점 기준) ················································· 47

    서점 종사자 1인당 매출액 ································································ 48

    국가별 서점 총면적 ········································································· 49

    국토면적 대비 서점 총면적 비중 ······················································ 50

    국가별 서점 평균 마진율 ································································· 51

    국가별 3대 체인서점 수 ··································································· 54

    주요국 대형 체인서점의 매출 순위 ··················································· 54

    국가별 중고서점수 ··········································································· 55

    서점 POS 이용률(인터넷 이용률 대비) ·············································· 58

    출판시장 규모 대비 도서광고비 비중 ················································ 61

    매체별 광고비 비중 ········································································· 62

    인구 10만명당 공공도서관 수 ··························································· 66

  • 국민 1인당 공공도서관 구입비 ························································· 67

    인구 10만명당 서점수 비교 ································································ 89

    서점 당 평균 종사자수 비교 ······························································ 91

    오프라인 서점 유통 집중률 비교 ························································ 92

    GDP(국민총생산) 대비 시장규모 비교 ················································ 94

    GNI(1인당 국민소득) 대비 평균정가율 비교 ······································· 95

    가용지식 총량(유통도서 총 종수) 비교 ··············································· 97

    서점 당 평균 면적 비교 ····································································· 98

    서점의 POS 비율 비교 ······································································ 99

    인터넷 서점 유통 점유율 비교 ························································· 101

    시장규모 대비 디지털 출판의 비율 ················································· 102

    인쇄도서 수출액 비중 비교 ····························································· 104

    인쇄도서 무역수지 비교 ································································· 105

    주요 응답 18개국 출판유통시장지수 비교 ········································ 107

    주요 응답 10개국 출판유통정보지수 비교 ········································ 108

    주요 응답 14개국 출판유통국제지수 비교 ········································ 110

    30개국의 출판유통지수 비교 ··························································· 112

    주요 응답 18개국 출판유통지수 비교 ·············································· 114

    주요 응답 13개국 출판유통지수 비교 ·············································· 115

  •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디지털 미디어가 시대의 중심이 된 오늘날, 시대를 상징하는 패러다임은 산업사회에

    서 정보사회로, 그리고 급기야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기반사회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식기반사회의 특징

    구 분 변 화 양 상

    기술의 변화∙유비쿼터스 환경의 심화와 미디어 융합의 가속화

    ※ 웹2.0 기반 서비스, 와이브로, 개인휴대 복합단말기 등

    소비행태의

    변화

    ∙1인 미디어, UCC 등 개인의 창조적 활동이 급속히 증가

    ∙공급자․소비자의 융합 현상 확산(능동적 프로슈머)

    ※자크 아탈리, “21세기에는 불모지를 삶의 터전으로 바꾸는 유목민처럼

    창의력을 발휘하고 변화하는 ‘디지털 노마드’만이 생존”

    콘텐츠의

    변화

    ∙단순 지식정보가 아닌 감성과 창의성에 바탕을 둔 콘텐츠의 중요성 부각

    ※롤프 옌센, “정보화시대 이후는 꿈과 감성을 파는 사회, 상품에 담겨 있

    는 멋진 스토리를 파는 드림 소사이어티(Dream Society)가 도래”

    산업가치의

    변화

    ∙창의적 지식과 아이디어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로 변화

    ※피터 드러커, “지식이 사회적 부의 원천이자 핵심 생산수단”

    ※국내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03년 109조원→ ’13년 355조원으

    로 225% 증가 전망, 경제의 신성장 동력(산업자원부, 2003)

    * 출처 : 문화관광부, 「출판지식산업 육성방안」(2007. 4. 4.)

    최근 들어 콘텐츠 산업이 부상하면서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영역으로 떠오르고, 또 하

    나의 콘텐츠로부터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결국 이러

    한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과 콘텐츠의 창출과 적극적인 활용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

    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 바, 디지털 미디어 시장의 급성장에 따른 창의적 문화 콘텐츠

    - 1 -

  •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꿈과 감성, 창조성, 상상력에 바탕을 둔 콘텐

    츠산업이야말로 미래의 핵심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출판산업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크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의 출판은 바야흐로 ‘디지로그(디지털+아날로그)’ 지식콘텐츠 산

    업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판산업의 변화 양상

    구분 출판산업 (20세기) 출판지식산업 (21세기)

    산업 구조 도서제작(편집․인쇄) 중심 지식 콘텐츠 생산 중심

    시장 특성 공급자 중심 수요자 중심

    매체 형태 인쇄매체 중심 다매체화

    미디어

    환경미디어간 경쟁 미디어 융․복합화, 콘텐츠 경쟁

    수용자수동적 독자

    (생산과 이용의 분리)

    능동적 프로슈머

    (소비자+생산자)

    * 출처 : 문화관광부, 「출판지식산업 육성방안」(2007. 4. 4.)

    한편, 출판은 다양한 지식과 콘텐츠를 창출하는 기간 문화산업으로서 시장 규모로 보

    면 국내 문화산업 중 최대를 차지한다.

    그러나 우리 출판의 질적 수준은 안타깝게도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외국도서에

    대한 높은 의존도, 열악한 산업진흥기반, 출판문화의 지역별 균형 발전 부족과 같은 문

    제와 더불어 출판성장력의 정체가 지속되고, 출판 유통시스템의 현대화 미흡 등의 어려

    움을 겪어왔으며(문화관광부, 2007), 나아가 선진국 중심의 지식 공급구조 심화로 지식

    경쟁력 격차가 더욱 커질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이른바 ‘국민문화생산력(총체

    적인 문화의 산업화·상품화 능력)’을 2004년 미국(100)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프랑

    스 70, 일본 63의 수치를 보인 반면 우리 한국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1) 이뿐

    아니라 ‘지식축적량’에 있어서도 미국의 17분의 1에 불과한 5.9%, 일본을 기준으로 하

    였을 때에는 14.0%(1/7.4) 수준에 머물렀다.

    1) 현대경제연구원, , 2005년 8월호.

    - 2 -

  • OECD 주요 국가의 지식축적량 추계 (2000년 한국 = 1.0 기준)

    구분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한 국 0.0 0.1 0.1 0.3 0.5 1.0

    미 국 7.4 8.2 9.7 12.5 15.0 17.0

    영 국 1.3 1.4 1.6 1.8 2.0 2.1

    독 일 2.2 2/4 2.8 3.4 3.9 4.0

    프랑스 1.2 1.3 1.5 1.9 2.3 2.6

    일 본 2.0 2.3 3.0 4.2 6.1 7.4

    * 출처:「OECD 국가의 대학도서관 분석과 시사점」(윤희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10.)

    결국 한국은 세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유용한 지식기반은 부족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 최근에 와서야 출판문

    화의 중요성에 대해 재인식되고 있지만, 여전히 출판지식산업에 대한 인식은 턱없이 부

    족한 상태이다.

    현재 국내 출판지식산업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출판 관련 통계는 출판 관련 단체

    및 지자체 등을 통해 파악되는 출판사, 인쇄사, 서점수, 분야별 도서발행 종수, 발행량

    등 부분적, 단편적 자료에 불과하다. 2007년에 실시된 『출판지식산업 관련 통계 조사

    분석 연구』에 따르면,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출판과 관련된 표준화된 지표가 없을

    뿐만 아니라, 통계산출방식도 나라마다 다르고 한 국가 안에서도 때로는 수치상의 차이

    가 드러난다고 밝혔다. 따라서 출판지식산업 관련 통계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체계화하고 그 기준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출판문화를 총괄하여 출판 및 지식문화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 체

    계적, 미래지향적 준거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지식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을 높이고 FTA 체결에 따른 저작권 보호기간 연장 등 국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

    응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서라도 ‘출판문화지수’ 개발 및 그 기초를 위한

    ‘출판유통지수’ 개발을 통한 과학적이고도 체계적인 자료의 확보 및 축적은 반드시 필

    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출판문화지수(Publishing Culture Index)의 기초가 될 출판유통지수

    개발의 필요성은 시대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출판유통지수 개발이야말로 향후 관련

    연구와 정책에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3 -

  • (2) 국내외 환경 분석

    뉴미디어 시대에 들어서면서 자국어별로 제한되어 있었다고 생각되었던 출판과 출판

    시장 역시 본격적으로 세계체제화가 가속화되었다. 국제출판협회(IPA)에서 2006년 10월

    프랑크푸르트도서전 기간 중에 발표한 ‘2005년 세계도서출판산업 총판매액 통계’ 자료

    에 따르면, 다매체 시대에 있어 새로운 경쟁자가 많아진 출판업계가 그래도 여전히 선

    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서출판산업 외의 다른 산업을 살펴보면, 컴퓨터

    소프트웨어(컴퓨터 게임) 전세계 매출액이 210억 달러, DVD와 비디오 전세계 판매 및

    대여 금액이 450억 달러, 음악(온라인, CD) 전세계 판매액이 21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세계도서출판산업 총판매액은 기타 콘텐츠 미디어(컴퓨터 게임, DVD

    와 비디오, 온라인 음악과 음악 CD)의 판매액을 전부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것으로 밝

    혀졌다.

    출판산업을 비롯한 지식기반 환경의 변화 양상은 그 폭과 속도에 있어 매우 크고 넓

    으면서 동시에 빠르기 때문에 경쟁력에서 뒤지는 순간 글로벌 대열에서 낙오할 수밖에

    없다. 현재 한국의 출판산업은 출판사 수, 출판 발행종수, 출판시장 규모 등에서 세계 7

    위권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외형적 성장 면에서는 선진국에 근접한 것

    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육(학습) 분야의 출판비중은 과다

    한 반면, 인문학 등 기초학문 분야의 출판비율과 출판시장규모는 OECD 회원국 중 최

    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즉 우리 출판생산력의 질적 부실이 취약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주요국의 철학․역사 분야 출판 발행종수 비중 (단위 : %)

    구분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철학 1.9 4.5 4.7 5.7

    역사 2.9 5.6 9.8 10.4

    * 출처 : 한국출판연구소,「출판지식산업 관련 통계 조사분석 연구」(2006년)

    게다가 2000년 이후부터는 양적 성장마저도 점점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출판 생산력의 정체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출판사의 발행종수 증가 추

    이가 거의 정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반면, 일본과 중국은 지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 출판의 생산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환경적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

    된다.

    - 4 -

  • 1) 유통구조의 전근대성

    출판유통 기반의 부실과 영세성으로 인하여 전국 서점 수가 10년 전과 대비하였을

    때 절반 이하로 감소함으로써 유통구조의 난맥상이 증폭되고 있다. 아울러 출판유통 분

    야의 정보화가 미흡하여 저생산성의 악순환이 계속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부응하는 디지털 출판의 미성숙

    학교․도서관 등 기관수요(B2B) 중심의 전자책(e-Book) 산업 발전으로 인하여 개인구

    매(B2C)에 의한 대중적 소비 기반이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대책이 전무한 상

    태이며, 전자출판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 또한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보니

    더욱 다양한 문제점이 촉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3) 국민 독서량 저조로 인한 출판 수요의 위축

    2005년도에 실시한 ‘NOP 월드’의 국가별 국민들의 독서시간 조사에 따르면 인도 사

    람들이 주당 10.7시간으로 1위를 차지한 반면 한국인은 3.1시간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

    됨으로써 조사 대상 30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번역도서의 높은 비중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취약

    번역도서가 전체 출판종수의 약 30%, 시장규모의 약 50%를 차지하여 출판지식 콘텐

    츠의 대외 의존현상이 매우 높은 것 또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는 국내 우수

    저자의 발굴이라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FTA 체결 확산에 따른 저작권 보호

    기간 연장으로 로열티 지급에 따른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도 우리 출판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우리 콘텐츠에 기

    반한 저작권 수출의 부진과 추진동력 부재, 즉 언어권의 한계와 국제 경쟁력이 갖추어

    진 콘텐츠가 부족하고 국가적인 지원체계 또한 부실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의 번역출판 비중(2004년 발행종수 기준) (단위 : %)

    구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독일 한국

    비율 5 8 10 10 12 29

    * 출처 : 한국출판연구소,「출판지식산업 관련 통계 조사분석 연구」(2006년)

    - 5 -

  • 5) 중앙 집중에 따른 출판문화 불균형 심화

    현재 활동 중인 출판사의 83%, 출판 발행종수의 98%가 수도권에 집중됨으로써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하다는 점 또한 국가 경쟁력 약화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결국 이 같은

    현상은 신체적․지리적․경제적 여건에 의한 지식문화 소외계층을 증가시킴으로써 전

    국에 산재해 있는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4년제 이상 대학에서의 출판학과 부재 등 공교육의 출판 전문인력 양성기반

    이 취약하다는 점에서 전문인력 양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열거한 다양한 문제점들의 근간에는 우리 출판산업 진흥정책의 기반이 미

    약하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자리 잡고 있으며, 따라서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 개발

    및 추진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출판진흥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

    및 정보 관리체계를 확실히 구축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를 빠른 시일 내에 충족시켜

    야 할 것이다.

    (3) 연구 목표와 방향

    21세기는 지식기반 정보사회이다. 따라서 지식과 문화의 재생산구조에서 핵심적인 허

    브 기능을 담당하는 출판산업은 시대적 요청이요 그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지난 2007년 4월, 당시 문화관광부에서는 출판산업을 가리켜 ‘지식강국의 성장동력’으

    로 규정하고, 전문가 TFT의 논의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을

    발표한 바 있다. 출판지식산업 육성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각종 전략과 과제의

    원활한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진흥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가 되는 각종 자료

    일 것이다. 곧 종합적이고 일관된 정책개발 및 추진체계가 미흡하고, 이를 뒷받침할 기

    초 통계자료 및 정보관리체계가 부실하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우

    리 출판문화 관련 정책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는 인식의 바탕 위에서 이 ‘국제출판유통

    지수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리 한국출판학회 연구자들은 바야흐로 지식콘텐츠 산업으로 진화하기 위하여 변모

    의 기반을 탐색하고 있는 출판산업의 완벽한 인프라 조성에 있어 시급한 것이 국가 차

    원에서 출판 관련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일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대내외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출판지식산업과 국민의 지식문화 수준을 측정하는 기본

    지표가 되는 출판문화지수(PCI; Publishing Culture Index)를 개발해야 한다는 대전제

    아래 그 기초연구로서 이 연구에 매진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출판지식산업의 결과물들에 대한 생산 및 유통, 그리고 최종 소비에 이르

    는 과정의 투명성은 매우 열악하며, 그 양적․질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 6 -

  • 관련 통계 또한 대한출판문화협회․한국출판인회의․한국전자출판협회 등 일부 출판

    관련 단체와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하여 수집되고 있는 부분적․단편적 자료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출판을 비롯한 우리 지식문화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이

    고도 체계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준거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구에 바탕을

    두고 구체적인 ‘출판유통지수’의 국제간 비교를 통하여 향후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곧 출판유통지수의 도출을 통해 출판산업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바람직

    한 정책수립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 연구단 및 연구분과 구성

    출판지식산업의 생산, 유통, 이용 등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출판문화지수(PCI)’ 개발

    에 앞서 그 기초가 될 ‘출판유통지수’를 도출한다는 목표에 따라 한국출판학회 연구단

    은 다음과 같은 연구인력으로 구성된다.

    책임연구자 : 이정춘 (한국출판학회 회장, 중앙대 명예교수)

    공동연구자 : 김경일 (김포대학 영상미디어과 교수)

    김기태 (세명대학교 미디어창작학과 교수)

    백원근 (재단법인 한국출판연구소 책임연구원)

    부길만 (동원대학 광고편집과 교수)

    신종락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전임연구원)

    윤세민 (경인여자대학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부 교수)

    한주리 (서일대학 미디어출판과 교수)

    본 연구는 분야별 연구자로 구성된 연구분과 단위로 진행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종합토의 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인 연구분과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

    다.

    분야별 연구분과 이외에도 자문위원단을 통하여 연구의 완결성을 높여나갈 것이며,

    학회 사무국이 총괄 보조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 7 -

  • 책임 연구자

    이정춘

    국내 연구분과 동양권 연구분과 서양권 연구분과 조사방법 연구분과

    김경일, 부길만 김기태, 백원근 신종락, 한주리 윤세민, 이정춘

    연구분과 구성

    (2) 연구 내용

    그 동안 단편적으로 공표되었던 출판 관련 각종 통계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출판지식산업의 생산, 유통, 이용 등 모든 영역을 포괄하는 ‘출판문화지수(PCI)’

    개발에 앞서 그 기초가 될 ‘출판유통지수’를 도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국내 출판문화에 기반한 출판물 유통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준거지표

    의 개발이 이번 연구의 최대 목표인 만큼 기존 자료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수준이 아니

    라 시계열 비교 분석 및 국제적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출판유통지수 개발에

    연구역량을 집결시켜 나갈 것이다.

    이러한 출판유통지수는 향후 출판생산지수, 출판이용지수 등 종합적인 ‘출판문화지수’

    개발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출판문화지수’의 구체적 개요는 다음과 같다.

    출판문화지수의 구체적 개요

    총괄

    지수

    3대

    영역예상되는 측정 지표

    출판

    문화

    지수

    (PCI)

    생산

    출판사․인쇄사의 규모, 종사자 현황, 분야별 도서발행종수 및 수량,

    전자출판물 생산량, 지역별 생산량 비교, 국내출판물 생산 총규모,

    타문화산업대비 현황비교, 학술출판 등 지식문화 생산관련 통계

    유통

    국내출판시장 규모, 매출액 현황, 외국간행물 수입추천 현황, 저작권

    수출․수입 현황, 도서납본 현황, 도서관․서점․인터넷의 분야별 지식

    콘텐츠 유통량·판매량, 인쇄출판물의 수출․수입 통계, 도서 DB 구축

    현황 등 유통 현대화 관련 통계, 출판물 관련 유통업체 현황(도매점,

    소매점, 인터넷서점), 전자출판물 유통 현황, 전자출판물 납본인증 통계,

    지식정보 디지털화(데이터베이스) 관련 통계 등

    이용

    독서율, 독서량, 도서구입비, 공공도서관 이용률, 여가 활용시

    독서비중 및 경향, 내용별 독서 선호도, 매체별 지식정보 이용률,

    지식정보에 대한 저작권 인식 등

    - 8 -

  •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위의 항목 중에서 ‘유통’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며, 특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 비교를 통해 출판유통지수의 국제적 수준을

    점검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국내 통계자료(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대한출

    판문화협회, 한국출판연구소, 한국전자출판협회, 지방자치단체 등) 및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35개국의 출판 관련 통계자료를 최대한 활용하되, 새로운 지표에 따

    라 대폭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타당한 지표를 선정하는 데 역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출판유통지수 확정 및 그에 따른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

    과 같다.

    가. 기존 연구 및 통계자료를 통한 국가별 출판유통 현황 분석

    나. 출판유통지수에 포함할 적정항목의 선정

    다. 명료하고 이해하기 쉬운 국제 비교자료 도출

    라. 한국출판유통지수 도출

    (3) 연구 방법

    1) 문헌․자료 조사

    기존의 국내외 출판 관련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료를 종합하고, 새로운 데이터

    를 추가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선행 연구 및 통계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조사․분

    석하는 문헌․자료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2) 설문 조사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35개국의 대표적 출판협회를 조사 대상으로 하여

    전화, 팩스, 전자우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수는 OECD 가맹국, BRICs 등

    세계 주요국 35개국을 대상으로 새롭게 실시한 설문 및 전화조사(new primary

    research) 결과를 바탕으로 하되, 기존의 자료원을 활용해서 구축하였다.

    - 9 -

  • ○ 조사 대상 : 각국 대표적 출판협회 실무책임자

    ○ 표본수 : 35개국 (OECD 30개국과 BRICs 4개국 및 대만)

    ○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표준 설문조사 방식

    ( 팩스 설문조사 방식을 기본으로 전화와 전자우편 조사 병행 )

    ○ 조사 기간 : 2008. 11. 20 - 2009. 1. 23

    3) 설문지 내용

    해외 35개국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의 내용은 크게 출판통계, 시장규모, 도서 및 저작

    권 수출입, 유통경로(채널)별 비중, 서점 현황, 인터넷서점 현황, 광고, 디지털출판, 기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출판통계에서는 출판사 수, 발행종수(신간), 1종당 발행부수(신간),

    신간 중 번역종수, 평균정가, 2007년 종합 베스트셀러 30위까지의 도서 중 번역서 및

    국내서 종수를 질문하였다. 시장규모에서는 도서출판 내수시장 규모, 출판시장 장르(분

    야)별 시장 점유율(상위 5위까지)을 설문항목으로 삼았다. 도서 및 저작권 수출입 항목

    에서는 인쇄도서 수출입액, 주요 거래국 및 수출입액(상위 3개국), 저작권 수출입액, 주

    요 거래국 및 수출입액(상위 3개국)으로 구성하였다. 유통경로(채널)별 비중을 알아보기

    위해, ① 출판사→서점→독자, ② 출판사→도매기구→서점→독자, ③ 출판사→인터

    넷서점→독자, ④ 출판사→북클럽→독자, ⑤ 출판사→독자, ⑥ 출판사→일반소매점

    (슈퍼마켓 등)→독자, ⑦ 출판사→기타→독자별로 매출액을 질문하였다. 서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유통 중인 도서 총 종수, 전국 서점 종사자수, 서점 면적, 서점의 평균

    마진율, 서점 평균 반품률, 전국 체인서점 법인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서점 POS 이용

    률 및 출판사-서점 간 전산망 설치 유무, 인터넷서점 현황, 광고비 총액, 디지털 출판시

    장 규모, 온라인(전자책) 발행종수, 전자책 납본제도 유무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기타

    항목으로 도서정가제 시행 유무, 전국 공공도서관 수 및 연간 도서구입비, 출판유통의

    문제점, 지원정책, 대표적 학술단체 및 진흥기관 등을 질문하였다. 설문지 원본은 부록

    에 제시하였다.

    4) 유통지수 항목선정 및 유통지수 확정

    앞서 조사된 출판유통과 관련된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이 연구를 위한 유통지수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유통지수 초안 작성 시에는 각 지수영역에 대한 분류의 적절성 여

    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롭게 항목을 설정하였다. 또한 초안을 바

    탕으로 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정확성 및 가중치 필요여부 등을 검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였다.

    - 10 -

  • 연구단 구성

    출판유통지수 및 국가별 조사방법 협의

    문헌조사 실시

    출판유통지수 관련 현황 수집․조사․분석

    자문위원 및 관련종사자 FGI 실시

    한국 출판유통지수 항목 도출

    국가별 출판유통지수 조사 및 분석

    세미나 및 평가회

    최종 평가회

    최종 보고서 작성

    이런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출판유통시장지수, 출판유통정보지수, 출판유통국제지

    수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항목별로 가중치를 두어 계산하였다. 출판유통지

    수의 구성체계 및 지수항목의 개발은 제3장과 4장에서 정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정리

    된 지수는 제5장에 제시하였다.

    (4) 연구 추진 절차

    이 연구의 추진 절차를 간략히 도표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연구 추진 절차

    - 11 -

  • 3.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이번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는 분산되어 있는 출판 관련 통계 중 유통 관련

    자료의 소재 정보 및 개별 통계의 특성과 장단점을 파악하고, 출판과 관련된 유통지수

    를 도출함으로써 출판문화의 전체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판지식산업 전반에 관련된 문화와 콘텐츠의 유통과정을 분석․평가하는

    작업은 향후 출판, 학술, 콘텐츠, 독서 전반에 걸친 표준지수 개발연구의 토대를 마련한

    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클 것이다.

    특히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한 국제출판유통지수 개발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게

    될 것이다.

    (1) 세계 최초 국제출판유통지수 개발 시도

    (2) 국제 비교를 통한 한국출판유통의 위상 파악

    (3) 출판진흥을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 가능

    (4) 출판문화지수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

    이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기대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유통분야 산업주체들의 경쟁 유도 : 지역별, 연령별, 성별 출판유통 분야 참여지

    수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산업주체들로 하여금 선의의 경쟁에 나서게 유도함으

    로써 출판산업 진흥에 기여할 수 있다.

    (2) 출판산업 진흥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우리 출판문화의 유통과정에 대한

    질적 수준이 객관적으로 검증됨으로써 출판산업 진흥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

    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 정책의 효율성 제고 방안 제시 : 국가 차원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지

    식산업 진흥정책을 모색하고, 수립된 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4) 국내 지식문화유산의 집대성에 기여 : 현실 타개를 위한 준거지표를 제시함으로

    써 전국에 산재해 있는 우리 문화유산의 디지털화와 스토리텔링을 촉진하고, 이를

    집대성함으로써 국내 지식문화산업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5) 지식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 지식문화산업의 양적․질적 수준에 대한 국제적

    비교가 구체적이고도 객관적으로 가능해짐으로써 국가 및 민간 차원의 국제 경쟁

    - 12 -

  • 력 강화에 만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인 출판문화지수 개발과 함께 관련 통계자료를 축적

    함으로써 향후 정부와 출판계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출판산업 통계정보 시스템’ 구축

    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유통분야뿐만 아니라 생산 및 이용 측면을 망라한 출판문화지수 개발이 완료

    되고 출판산업 통계정보 종합시스템이 구축된다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활용방안이 마

    련되어 출판문화지수의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나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1) 창업, 취업, 전문인력 양성에 활용 : 생산지수, 유통지수를 활용하여 생산 및 유

    통의 규모에 따른 적정성을 예상함으로써 업계 진입(창업)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

    및 전문인력 양성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2) 이용 촉진 및 분야별 연계에 활용 : 이용지수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소비 촉진

    및 선호도 파악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축적할 수 있으며, 이를 생산 및 유통 분야

    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분야별 연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3) 저작권 수출 및 수입을 위한 자료로 활용 : 출판을 통한 지식정보의 창출에 따

    른 모든 정보를 영역별·연도별로 지수화한 것이므로 국가 지식산업의 전체 규모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만큼 취약한 분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작권 수출

    및 수입 등 국제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산학협력 및 지식산업 투자 가이드로 활용 : 분야별, 영역별 지수에 따른 장점

    과 단점이 고스란히 드러나게 되므로 산학협력을 통한 교류 증진 및 거대자본을

    가진 연관 산업의 투자 유도를 위한 안내 정보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13 -

  • 제2장 국제출판유통 현황 통계조사

    1. 출판유통지수를 위한 통계조사 작업 개요

    국제출판유통지수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 통계조사 작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0개국과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및 대만을 포함한 총 35개국을 대

    상으로 시행하였다. 비교적 출판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 주요국을 모두 포

    괄한 것이다.

    2008년 12월 한 달 동안 표준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전자우편, 전화, 팩스 등을 이

    용한 1차 설문조사를 각국 출판협회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1차

    조사 미응답국 대상으로 2009년 1월에 주요 항목에 대한 2차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응답

    항목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종 국제 출판통계 자료를 인용하였고(Ⓒ,Ⓓ,Ⓔ), 기타

    자료는 해당 항목별로 표기하였다.

    ◆ 자료 출처 표기

    Ⓐ 출처(별도 표기하지 않음) : 1차 설문조사 응답 자료

    Ⓑ 출처(별도 표기하지 않음) : 2차 간략조사 응답 자료

    Ⓒ 출처(표기) : www.buchreport.de (원 출처 Buchreport/Frankfurter Buchmesse/

    Buch und Buchhandel in Zahlen)

    Ⓓ 출처 : Barnes Report ― 2008 Worldwide Book Publishing Industry

    Barnes Report ― 2008 Worldwide Book Stores Retailing Industry

    Ⓔ 출처 : 일본출판연감 2008

    이외 출처는 별도 각주로 처리

    ◆ 환율 기준 : 한국은행 평균 환율(주요국 통화의 대미달러 환율)2)

    연도 유로/달러 원/달러 엔/달러 달러/파운드

    2000 0.9238 1,130.61 107.79 1.5157

    2001 0.8691 1,290.83 121.53 1.4408

    2002 0.9457 1,251.24 125.19 1.5033

    2003 1.1315 1,191.89 115.89 1.6351

    2004 1.2442 1,144.67 108.12 1.8334

    2005 1.244 1,024.31 110.25 1.8188

    2006 1.2557 955.51 116.34 1.842

    2007 1.37 929.2 117.77 2.0017

    2008 1.4707 1,102.59 103.34 1.852

    2) 이 연구의 통화 기준은 미국의 달러(US$)임.

    - 14 -

  • 2. 통계조사 내용

    (1) 출판사수

    조사 대상 35개국 중 ‘출판사수’ 항목이 파악된 나라는 모두 32개국이었다. 이 가운데

    2007년 기준(국가에 따라 연도 차이가 있음)으로 출판사수가 많은 나라는 미국(8만개),

    한국(2만 9977개), 폴란드(2만 2000개), 인도(1만 1329개), 대만(9176개), 독일(5986개), 프

    랑스(5500개), 러시아(4153개), 일본(4107개), 체코(3775개), 영국(2610개) 순으로 나타났

    다.

    한국의 출판사수는 주무관청 ‘신고’(과거의 ‘등록’) 출판사수 기준이며, 실제 매년 발

    행 실적이 있는 곳은 10분의 1 미만(대한출판문화협회 경유 납본 실적이 있는 곳은

    2333개)이다. 따라서 한국은 출판사수 절대치로만 보면 세계 2위이지만, 납본 실적 기준

    의 출판사수를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32개국 중 11위권임을 알 수 있다.

    인구 비례 기준 설립 출판사수 비교에서는 한국 출판사수가 1위에 올랐다. 인구 10만

    명당 출판사수는 한국이 61.9개로 가장 많았고, 폴란드 57.8개, 핀란드 47.4개 순이었다.

    출판사 절대수가 가장 많은 미국은 10만명당 26.2개로 한국의 절반 이하에 머물렀다.

    인구 비례로 출판사수가 가장 적은 나라는 단연 중국으로, 인구 10만명당 출판사수가

    고작 0.04개에 그쳤다. 이는 세계 최대의 인구수에 비해 국영으로 운영되는 대형 출판

    사가 544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인도 1.0개, 브라질·멕시코·벨기에가 각각 1.1

    개 순으로 나타나 인구 비례로 볼 때 출판사수가 적은 국가군에 속했다.

    - 15 -

  • 국가별 출판사수

    구분

    국가

    출판사수

    (단위 : 개)

    2002년 2007년

    그리스3) 719 798

    네덜란드 500Ⓒ

    노르웨이 258Ⓒ

    뉴질랜드 200 200

    대만 6,023Ⓔ 9,176Ⓔ

    덴마크 1,400 1,400

    독일 6,523 5,986

    러시아4) 4,153

    멕시코 1,203Ⓓ

    미국 80,000Ⓒ

    벨기에 118 Ⓓ

    브라질 2,058Ⓓ

    스웨덴5) 300

    스위스6) 448

    스페인 850

    아일랜드 59 937)

    영국8) 2,275 2,610

    오스트리아 1,368

    오스트레일리아 242Ⓓ

    이탈리아9) 1,630 2,255

    인도 11,329Ⓓ

    일본 4,424 4,107

    중국 532 544

    체코10) 3,267 3,775

    캐나다 390Ⓓ

    터키 1,724

    포르투갈 124Ⓓ

    폴란드 22,00011)

    프랑스 5,500

    핀란드 2,500Ⓒ

    한국 19,135 29,977

    헝가리 660Ⓓ

    3) 발행(active) 출판사 기준

    4) 2006년 자료, http://www.frankfurt-book-fair.com

    5) http://www.frankfurt-book-fair.com

    6) http://www.frankfurt-book-fair.com

    7) 2006년 자료

    8) VAT 납부 출판사 기준

    9) 연간 11종 이상 발행 출판사 기준

    10) 2002년 및 2005년 자료, http://www.sckn.cz

    11) 발행(active) 출판사 기준 3,000개

    - 16 -

  • 인구 10만명당 출판사수

    (단위 : 개)

    1.01.11.11.11.21.21.21.92.22.32.93.13.23.33.3

    4.34.85.56.06.67.27.3

    8.916.4

    25.726.2

    37.140.1

    57.861.9

    0.04

    47.4

    0 10 20 30 40 50 60 70

    중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

    벨기에

    오스트레일리아

    포르투갈

    캐나다

    스페인

    아일랜드

    터키

    러시아

    네덜란드

    일본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위스

    헝가리

    그리스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덴마크

    미국

    체코

    대만

    핀란드

    폴란드

    한국

    (2) 발행량

    조사 대상 35개국 중 ‘발행종수’ 항목이 파악된 나라는 모두 30개국이었다. 이 가운데

    2007년 기준(국가에 따라 연도 차이가 있음)으로 도서 발행종수가 많은 나라는 미국(27

    만 6649종), 중국(13만 6226종), 영국(11만 5420종), 러시아(10만 8791종), 독일(8만 6084

    종), 일본(7만 7417종), 이탈리아(6만 1440종), 프랑스(6만 376종), 대만(4만 2735종) 순이

    었고, 이어서 한국이 4만 1094종으로 10위에 올랐다.

    인구 비례로 살펴보기 위해 10만명당 발행종수를 분석한 결과, 덴마크가 216종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어서 체코 196종, 영국 190종, 대만 187종, 스위스 159종 순이었

    으며, 한국은 10만명당 발행종수가 약 85종으로 30개국 중 18위에 올랐다. 한국의 발행

    종수 지표는 대한출판문화협회 납본 통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직

    접 납본하는 도서 종수를 더하면 약 5만 종 이상으로 추산되어 10만명당 발행종수 순

    위 역시 상승하게 될 것이다(발행종수 5만종 기준시 인구 10만명당 발행종수는 103종으

    로 이탈리아 및 독일에 이어 11위권임).

    - 17 -

  • 국가별 신간 발행종수

    구분

    국가

    신간 발행종수

    (단위 : 종)

    2002년 2007년

    그리스12) 7,893 9,566

    네덜란드 19,061Ⓔ 16,380

    노르웨이13) 5,478 6,552

    뉴질랜드 2,220 2,500

    대만 43,035Ⓔ 42,73514)

    덴마크 10,983 11,758

    독일 59,916 86,084

    러시아 6,9747Ⓔ 108,79115)

    멕시코 6,039

    미국 147,12016) 276,649Ⓒ

    벨기에 7,40817) 6,96118)Ⓔ

    브라질 39,800Ⓔ 46,02619)

    스웨덴20) 3,489 4,671

    스위스21) 11,226 11,875

    스페인 31,423 38,081

    아일랜드22) 1,064 1,099

    영국 125,449 115,420

    오스트리아 7,809Ⓔ 7,806Ⓔ23)

    이탈리아 54,624 61,440

    일본 72,608 77,417

    중국 100,693 136,226

    체코 14,278Ⓔ 20,000Ⓒ

    캐나다24) 15,709 16,776

    터키25) 32,750

    포르투갈 11,331Ⓔ 15,59426)

    폴란드27) 21,647 25,225

    프랑스 45,788 60,376

    핀란드 3,996 4,646

    한국 36,186 41,094

    헝가리28) 9,990 13,239

    12) 초판 기준

    13) 2001년, 2006년 자료

    14) 2006년 자료

    15) http://www.bookchamber.ru

    16) The Bowker Annual of Library & Book Trade Almanac 2005

    17)

    18) 2005년 자료

    19) 2006년 자료, Sindicato Nacional dos Editores de Livros

    20) , The Swedish Publishers' Association

    21) 2002년 및 2006년 자료, http://www.sbvv.ch 및 http://www.frankfurt-book-fair.com

    22) 2002년, 2006년 자료

    23) 2005년 자료

    24) 2000년, 2004년 자료

    25) ISBN 기준

    26) 2006년 자료

    27) 2000년, 2007년 자료

    28) http://www.mkke.hu

    - 18 -

  • 인구 10만명당 발행종수

    (단위 : 종)

    5.710.3

    24.025.6

    43.751.051.2

    59.860.5

    65.666.2

    76.4

    85.886.088.090.593.4

    97.999.8

    104.2104.4

    132.0139.5

    146.8158.7

    186.5189.9

    196.4216.1

    84.8

    0 50 100 150 200 250

    멕시코

    중국

    브라질

    아일랜드

    터키

    캐나다

    스웨덴

    뉴질랜드

    일본

    벨기에

    폴란드

    러시아

    한국

    그리스

    스페인

    핀란드

    미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

    헝가리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위스

    대만

    영국

    체코

    덴마크

    출판사 1곳당 발행종수

    (단위 : 종)

    1.21.41.93.54.75.05.35.78.411.011.812.012.514.415.6

    18.919.020.122.4

    25.426.226.527.3

    32.843.044.244.8

    59.0125.8 250.4

    0 50 100 150 200 250

    폴란드

    한국

    핀란드

    미국

    대만

    멕시코

    체코

    오스트리아

    덴마크

    프랑스

    아일랜드

    그리스

    뉴질랜드

    독일

    스웨덴

    일본

    터키

    헝가리

    브라질

    노르웨이

    러시아

    스위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스페인

    벨기에

    포르투갈

    중국

    - 19 -

  • 출판사수에 의해 좌우되는 ‘출판사 1곳당 발행종수’는 중국이 가장 많은 250종 정도

    였으며, 무실적 출판사수가 많은 한국은 최하위권에 속해 1.4종에 머물렀다. 대한출판문

    화협회 납본 출판사 2333개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17.6종으로 일본과 비슷한 16위권 수

    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대비 2007년(국가에 따라 연도 차이가 있음) 도서 발행종수 증감 추이를 보면,

    평균적으로 약 5년 사이에 발행종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나라는 미국(88.0%)과 러시아

    (56.0%)이며 압도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대만

    등은 해당 기간 동안에 발행종수가 감소했으며, 한국은 13.6%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2002년 → 2007년 발행종수 증가율

    (단위 : %)

    -14.1

    -8.0

    5.8

    6.6

    6.8

    7.1

    12.5

    12.6

    16.3

    16.5

    19.6

    21.2

    21.2

    31.9

    32.5

    33.9

    35.3

    37.6

    40.1

    43.7

    56.088.0

    -3.3-0.7

    13.6

    15.6

    0.0

    0.0

    -20 0 20 40 60 80 100

    네덜란드

    영국

    아일랜드

    대만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일본

    캐나다

    덴마크

    이탈리아

    뉴질랜드

    한국

    브라질

    핀란드

    폴란드

    노르웨이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헝가리

    스웨덴

    중국

    포르투갈

    체코

    독일

    러시아

    미국

    조사 대상국 35개국 중 14개국의 수치가 파악된 ‘도서 1종당 평균 발행부수’는 인구

    가 많은 중국이 2만 5346부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중국어권으로의 수출이 많은 대만

    이 2만 4554부로 다음 순위에 올랐다. 나머지 국가들은 대부분 적게는 2000부대에서 많

    게는 8000부대까지의 분포를 보였는데, 구 식민지 지역 등을 포함해 인쇄도서의 해외

    수출에 주력하는 프랑스가 8691부로 상당히 많은 발행부수를 나타냈다.

    - 20 -

  • 국가별 1종당 평균 발행부수

    구분

    국가

    1종당 평균 발행부수

    (단위 : 부)

    2002년 2007년

    그리스 2,000 2,000

    뉴질랜드 5,000

    대만29) 24,554

    독일 4,436 5,099

    스웨덴 8,500

    스페인 4,222 5,070

    이탈리아 4,728 4,364

    일본 5,480 5,219

    중국 40,184 25,346

    폴란드30) 4,396 2,500

    프랑스 8,690 8,691

    핀란드31) 4,100

    한국 3,246 3,224

    헝가리32) 4,458 3,220

    2002년 대비 2007년(국가에 따라 연도 차이가 있음)의 5년간 발행부수 증감 추이를

    보면 중국, 폴란드, 헝가리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을 뿐 기타 국가들은 미약한 증가

    또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국가별 평균 발행부수(2007)

    (단위 : 부)

    3,220

    8,500

    5,219

    5,099

    5,070

    5,000

    4,364

    4,100

    3,224

    2,500

    2,000

    8,691

    24,554

    25,346

    0 10,000 20,000 30,000

    그리스

    폴란드

    헝가리

    한국

    핀란드

    이탈리아

    뉴질랜드

    스페인

    독일

    일본

    스웨덴

    프랑스

    대만

    중국

    29) 2006년 자료

    30) 2000년, 2007년 자료

    31) 모든 도서 기준. 4,250(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