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위한 세미나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 일시: 2008. 9. 5(금) 13:30 ~ 18:00 장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회의실 주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sÝ [Y u} f¹ 0 3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위한 세미나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

일시 2008 9 5( ) 1330 ~ 1800

장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회의실

주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세미나 일

시간 행사 내용

1330 ~ 1400 등 록

제1부 사회 민용성(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00 ~ 1420 개회식

개회사 김성열(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1420 ~ 1520

주제 발표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조(고려 학교)

-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1520 ~ 1620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 호(삼성 기)

-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1620 ~ 1630 휴식

제2부 사회 김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30 ~ 1730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 토론2 주성(경원 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1730 ~ 1800 종합 토론

의 말

안녕하십니까

주지하시다시피 학습자 사회인들이 향후 직면하게 될 미래 사회는 지식기반정보사

회 출산 고령화 사회 세계화 진 등의 특성을 띨 것으로 견됩니다 이러한 국

내외 환경 변화에 효율 이고 합리 으로 처하기 해서는 우선 으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간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이 무엇인가를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이

에서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서 요구

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을 필요

가 있을 것입니다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

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의 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 으며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등은 핵심 역량을 교

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

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새 정부도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해 핵심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핵심 역량 심 교육과정 개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비한 학교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고 미

래 교육과정 비 을 제시하기 해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

교 교육과정 비 연구rsquo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 계자 문

가 여러분들을 모시고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탐색하는 세미나를 개최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세미나를 통해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고 그것

들을 학교 사회 교육을 통해 어떻게 기를 수 있는지에 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안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될 수 있도록 성원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9월 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김성열

차 례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토론1 홍후주(고려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9

토론1 권 호(삼성 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9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3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8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3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2

토론2 주성(경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6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9

- 1 -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용어의 정의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1 외국의 선행 연구

2 국내의 선행 연구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1 뉴질랜드

2 호주의 빅토리아주

3 캐나다의 퀘벡주

4 핀란드

5 국

6 한국

7 시사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설문 조사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참고문헌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3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국가 수 의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

서 요구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

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에서 교육 계획 혹은 교육과정 설계 시 향후 도래할 미래 사

회를 망하고 그러한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 혹은 소양 계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한 재 사회의 상황보다는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견하고 견되는

미래 사회에 효율 으로 처하기 해 요구되는 다양한 능력 혹은 소양이 무엇인지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성장하는 학습자의 생활 상황은 바로 미래 사회이며 그러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이나 소양이 학교 교육 내용으로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는 미래

사회에 비한 교육에 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로

젝트를 추진하 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 의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 다(OECD 2002 Rychen amp Salganik 2003) 이들 핵심 역량은 3개 범주

의 9개 역으로 설정되었는데 뉴질랜드 호주 등은 핵심 역량에 한 OECD의 연구 결

과를 활용하여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

의 퀘백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 역량을 극 으로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다 정부 차원에서는 인 자원개발기본법

(2002년 8월 26일 법률 제6713호)1)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2) 등

1) 이 법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국가 인 자원개발정책을 범부처 으로 종합연계하여 효율 으로

추진하기 한 것이다 이 법은 인 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 조정 등에 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인

자원개발을 효율 으로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강화에 이바지함을 목 으

로 한다(인 자원개발기본법 제1조)

2) 인 자원개발기본법 제5조에 따라 수립된 인 자원개발분야의 법정 종합 계획으로서 lsquo학습 사회 인재 강국

건설rsquo을 정책 비 으로 설정하고 lsquo사람rsquo과 lsquo지식rsquo주도형 성장으로 인 자원분야 국가경쟁력 10 권 달성을 목

- 4 -

에 근거하여 lsquo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rsquo lsquo국민의 평생 학습 능력 향상rsquo 등의 과

제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2002 2003 2004)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를 통해 생애 능력 역을 기 문해력 핵심 능력 시민 의식 직업

특수 능력 등으로 설정하 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은 lsquo성인의 직업 기 능력 로

그램 실태 조사rsquo를 통해 성인의 직업 기 능력을 설정하고 성인의 직업 기 능력 향

상 방향을 제안하 다 서울 학교는 BK사업(2006-2012)의 일환으로 lsquoBK21 서울 학교

역량기반 교육 신 연구 사업단rsquo을 구성하 다 BK사업의 1차 2차년도 연구 결과로 소

경희 등(2006 2007)은 학교 지식의 변화 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

색rsquo lsquo캐나다 퀘백주의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rsquo 등의 연구를 통해 핵심 역량의 성격을

규명하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등을 제안하 다 이외에도 경 경제

분야 업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의 규명과 향상에 한 연구들이 개인 연구자 수 에서 수행

되어 왔다

이와 같이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

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3)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

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

성하기 해 우선 재와 연계하여 개될 수 있는 미래사회의 특징을 진단하고 핵심 역량

의 개념을 논의하며 련 문헌 분석과 경험 자료에 근거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

되어야 할 핵심 역량(안)을 추출설정하고자 한다 결론 으로 설정된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

과정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가에 한 방안을 시론 수 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2 용어의 정의

가 미래 사회의 특징

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실 하기 해 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 국민의 평생학습 능력 향상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3) 통령직 인수 원회는 새 정부 국정 지표의 하나로 lsquo인재 국rsquo을 설정하 고 2008년 2월 5일에 인재 국 18

개 국정 과제를 발표하 다 lsquo평생학습계좌제 도입rsquo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 lsquo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확

산rsquo lsquo기 학력 바른 인성 책임제rsquo lsquo맞춤형 산업기술인력 양성rsquo 등이 그것이다 이와 련하여 교육과학기술부

는 2008 통령 업무보고(2008 3 20)에서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와 련하여 lsquo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자율권 확 rsquo lsquo미래 사회에필요한핵심역량개발을 한교육과정개편rsquo등을 언 하 다

- 5 -

분야 미래 사회의 특징 상

기술 환경

과학기술의 가속 융합 기술의 도래 생명 공학 발 고령화

네트워크 사회 정보 통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

친환경 사회지속 가능한 개발 등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해 지구

체 차원에서 력

정치 경제

탈산업 사회 지식과정보 기반에근거 서비스 활동 강조

신자유주의의 득세국가보다 시장이 구심 이 됨 개인의 선택과 자유 확

빈부의 양극화

세계화 가속국가나 민족보다 경제 효율성 강조 국가간 양극화 국제

시장 강화 다 시민성으로 세계 연

사회 문화 다원주의 사회 다양한삶과가치문화사고 방식이 공존

교육 평생 학습 사회지식 정보의 확 로 학교 교육을 넘어서 자율 평생 학습

이 필요

미래 사회의 특징을 진단 혹은 측하는 궁극 인 목 은 방 변화에 처함으로

써 좋은 선택과 효율 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추구하는데 있다는 것에는 구나가 체로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고 돌발 인 상황이 개될 가능성이 있는 미래 사회를 체계 이고 합리 이며 효율

으로 측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델 이 조사론 시

나리오 기법 천재 미래 측 등의 방법이 동원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강약 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 이다

본 고에서는 선행연구 문가 델 이 조사 문가 의회 등을 거쳐 다음과 같이 미

래 사회를 진단4)하 다

lt표 Ⅰ-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

나 핵심 역량의 개념

핵심 역량을 한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련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직업기 기능 기 기능 등으로 번역되어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련 용어로는 core competence core skills key competence

enabling skills generic skills essential skills necessary skills enterprise skills

employability skills 등을 들 수 있다(정철 외 1998 15)

4) 구체 인 내용은 lsquo미래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rsquo 보고서(윤 진

외 2007 11-36)에 제시되어 있다

- 6 -

학자 정의

McClelland(1973) ㆍ업무 성과와 련된 범 한 심리 는 행동 특성

Boyatzis(1982)ㆍ직무 수행에 효과 이고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사원의 내재 인 특

질(동기 특성 기술 사회 역할 지식 체계)

Boyatzis(1982)

Jacobs(1989)

Dubis(1993)

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해 낼 수 있는 조직원

의 행동 특성

McLagan(1990) ㆍ높은 성과를 내는데 필수 인 개인 능력

Spencer amp

Spencer(1993)

ㆍ직무나 특정 상황에서 거가 되는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 성과에 직

련된 개인의 동기 특질 자아의식 지식 스킬 등의 안정 이고 지속 인

특성

Dubois(1993) ㆍ직무와 련하여 일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Hamel amp

Prahalad(1994)

ㆍ경쟁기업이 결코 따라 올 수 없는 자기 기업 특유의 차별화된 기술이나 노

하우의 결정체

Dow(1998) ㆍ조직과 구성원의 성공에 매우 요한 지식 스킬 행동의 결합체

Wynne amp

Stringer

ㆍ지식 스킬 태도의 집합체로서 개개인들이 자신들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결

과를 내기 해 보유하고 있거나 알고 있고 그리고 할수 있는 것

OECD(2002)ㆍ복잡한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혹은 활동 는 과제를 수행하

는 능력

김진모(2001)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원의

행동 특성으로 그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

역량5)이라는 용어는 20세기 반부터 경 학 심리학 교육학 등 기업 부문에서 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 들어 정치 등을 포함한 공공 부문에서까지 활용하는 등 그 활용 범

가 확 되어 가고 있다 인 역량(competency)의 개념을 정립한 학자는 성취동

기이론으로 유명한 Harvard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McClelland)이다 그는 lsquo지능

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rsquo(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이

라는 논문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실제의 성과

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lelland 1973)

맥클리랜드가 역량의 개념에 해 언 한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역량의 개념이

논의되었다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Ⅰ-2gt 역량(핵심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견해

5) 역량과 련된 용어로는 비 미션 핵심 능력 핵심 역량 역량 요소 역량 메뉴 고성과자 역량 지식 기술

내 특성 행동 등이 있다(이홍민김종인 2006 7)

- 7 -

정성휘(2004)ㆍ특정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필요한 능력 기술 지식 태도

경험

앙인사 원회ㆍ특정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요구되는 개인의 지속 이고 찰

가능한 행동 특성이나 태도

임동욱 외(2004)

ㆍ어떤 단일의 구체 기능이나 기술이기 보다는 개개의 기능과 기술들의 묶

음 혹은 다양한 개인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경쟁 우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량임

홍순정 외(2004)해당 조직내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향을 주는

찰 가능한 수행이나 행동의 거로 지식 기능 태도 등 을 포함함

표에서와 같이 학자에 따라 역량과 핵심 역량6)은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역

량과 핵심 역량을 체로 조직 내에서 개인이 업무의 성과를 내기 한 특성 는 조직

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한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역량과 핵심 역량의 개념은 크

게 구분되지 않으며 주로 직업상 수행하는 업무에서 필요한 경쟁력 있는 개인 는 조

직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역량에 한 개념 규정은 등학교교

육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개념으로 차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상의 정의를 변용하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

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 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

을 견지한다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핵심 역량을 무엇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선언 인 주장에 근

거하기보다는 합리 인 방법을 통하여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량을 추출하는 방

법도 논자에 따라 다양하다 문가 집단을 활용하는 방법 직무 과제 분석을 통한

방법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내재 특질을 도출하는 방법(Boyatzis

1982 Dubois 1993 Lucia amp Lepsinger 1999 Spencer amp Spencer 1993 허운나유

만 1995 홍순정 외 2004 86-87) 등이 있다

직업기 기능 추출과 련하여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s)는 패 을 구성

하여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산업 장에 들어가는데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결정하

6) Dubois(1993) Hamel amp Prahalad(1994) 정성휘(2004) 임동욱 외(2004) 등은 핵심역량 라는 어 사 하 다

- 8 -

다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는 고용주들을 상으로

속한 기술 변화 참여 경 기 생산 그리고 다른 산업 장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물어 직업기 능력을 설정하 다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소매업 음식숙박업 공공서

비스업의 다섯 분야에서 높은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의 직무에 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이를 기 로 산업체 경 인 공공기 의 리자 노동조합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와

감독 들의 논의와 면담을 진행하여 직업 기 기능을 설정하 다(정철 외 1998

133-134)

본 연구에서는 에서 언 한 방법론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고

자 한다 선행연구 외국사례 설문조사 문가 의회 등의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역

과 하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개념을 조작 으로 정의하는 귀납 인 연구 방법을

지향하 다

선행 연구(문헌) 분석 요구 조사 문가 의회 심층 면담 등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 설정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의 타당성 검증7)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설정

dArr

향후 국가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탐색

〔그림 Ⅰ-1〕 핵심 역량의 추출 차

7) 타당성 검증은 본 세미나 이후 9월 에 추진할 계획이다

- 9 -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이 장에서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한 기 로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요소에 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 다 핵심 역량과 련된 개념의

다양성으로 인해 련 선행 연구( 직업기 기능)는 많은 반면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규명에 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직업기 기능과 핵심

역량을 구분해서 볼 수 있는가 하는 에 해서는 추후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다 이

런 에서 여기서는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하 요소의

추출에 시사 을 제공할 수 있는 국내외 선행 연구8)들을 분석하 다

1 외국의 선행 연구

핵심 역량의 역 요소에 한 외국의 선행연구는 OECD의 DeSeCo 로젝트와

외국의 국가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있는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

다 사례를 개략 으로 고찰하 다

가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로젝트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로젝트9)는 1997년부

터 2003년에 걸쳐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수행했던 연구로서 역량에 한 개념을 제시

하고 성공 인 삶을 한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2) 이 로젝트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사회의 발 을 해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데 주요 목 을 두었다

DeSeCo 로젝트에서 정의한 핵심 역량의 거는 삶의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

키는데 수단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올바로 기능하는 사회를 이끄

8) 다 지능 이론 교육목표분류학 등 핵심 역량 추출에 련되는 선행연구 등이 지면 계상 생략되었음을 밝

힌다

9) OECD의 DeSeCo 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

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각기 다양한 근방법을 사용하면서

도 요한 유사 이 많은 반면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 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 도

있었다(Trier 2003)

- 10 -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1 자율 으

로 행동하기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할 필요성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big picture)에서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 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

호작용

으로 활용

하는 능력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도구를 자신의 목 에 맞게 선택

할 필요성

세계와 극 으로 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 이

질 집단에

서 상호작

용하기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3-1 다른 사람들과의 계를 잘 하는 능력

3-2 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는데 공헌해야 하며 모든 개인에게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Rychen 2003) 이

러한 거에 따라 세 가지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각각의 하 역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3)

lt표 Ⅱ-1gt OECD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 하고 있다 개인의 성공 이고 책임감 있는 삶을 이끄는데 있어서 그

리고 사회가 재와 미래의 도 에 직면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 하는

에서 범 한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직업이나 직무에 을 둔 역량 혹은

직업기 기능과는 차이가 있다(소경희 2006 130)

나 외국의핵심역량기반교육과정연구사례검토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다10)

뉴질랜드는 DeSeCo 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 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 용하고 있다 교육과정 설계는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 인 삶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 으

며 그 핵심 역량으로서 다음 lt표 Ⅱ-2gt와 같이 자기 리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참

10)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는외국의사례는Ⅲ장에서논의하고 있는내용과일부분 복됨을 밝힌다

- 11 -

핵심 역량 의미

자기 리

학생들이 자신이 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

을 한 높은 기 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 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극 으로 듣고 다른 을 인정하고 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공헌

지역 국가 지구 공동체에 극 으로 참여하는 것

집단 구성원으로서 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계를 형성하고 사람들

은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해 창조

비 메타 인지 반성 과정을 활용하는 것

지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지식이 표 되는 코드(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 하고 의사소통하기 한 체제

모든 종류의 텍스트(즉 문서화된 구두의 시각 정보 상상 비공식

공식 수학 과학 공학 )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요소(strand) 역(domain)

신체 개인 사회 학습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학문기반 학습

제2외국어

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상징텍스트의 활동 등이다

lt표 Ⅱ-2gt 뉴질랜드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호주 빅토리아 주는 최근 핵심 학습 기 rsquo(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lsquo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한 출발 으로 학생들이 미래에 성공하

기 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규명하 다

(VCAA 2005)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은 변하는 사회에서 성공 으로 살아나기 해

서는 그에 따른 일련의 지식 기능 행 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교

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한 방향으로 구안되었으며 호주 빅토리아

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의 체 인 구조를 개 하면 다음 lt표 Ⅱ-3gt과 같다

lt표 Ⅱ-3gt 호주 빅토리아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

- 12 -

인문학 경제 지리 역사

수학

과학

간학문 학습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한편 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학

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 ~ 4)에서 교육과정 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

고 있다 이 6개의 기능 일부 기능은 특정 과목의 것이며 일부는 여러 과목에 공

통 인 것들이다 6개의 주요 기능(key skills)으로는 의사소통 수 용 정보 기술 타인

과의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이다(경상남도교육청 2008

18-20)

lt표 Ⅱ-4gt 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

핵심 기능(key skills) 의미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일기 쓰기 기술을 포함함

수 용정 범 의 이성 계산에 한 발달과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것들을

활용하는 능력

정보 기술목 에 맞게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진술하기 해서 정 범 의

정보원과 정보통신기술 장비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타인과의 동소규모 집단이나 학 체의 토론 활동에 기여하는 능력 도 하기 해 타인

과 함께 수행하는 능력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학생들이 자신의 일과 그들이 배운 것을 생각해보고 비 으로 평가하는 것

과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능력

문제해결학생들이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 기술과 략을 개

발하는 능력

캐나다는 퀘벡주11)는 핵심 역량을 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

로 하고 있다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

11)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교육부를 따로 두지 않고 교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에 으로 임하고 있다

- 13 -

구성요소 하 범주

범 교육과정 역량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범 한 학습 역

건강과 참살이(well-being)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과 공동체 삶

교과 역

언어

수학 과학 공학

사회과학

술교육

개인발달

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

다 역량 심의 퀘벡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t표 Ⅱ-5gt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

2 국내의 선행 연구

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는 곽병선 외

(2001) 유 숙 외(2002) 교육 신 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 원회(2007)등 을

심으로 고찰하 다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지식 기술 태도는 능력의 필수 인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능력은 일반 인 범주의 개념으로 하 능력들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일반 범주의 능

력이 사실상 하 능력을 포 하는 메타능력을 함의하고 있다(윤여각 외 2002 22-23)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기 능력은 직업세계를 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능력이라고

본다 즉 직업세계에 있든 직업세계에 없든 인간으로서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으로 요

청되는 능력을 기 능력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기 능력으로 문제해결능력 정보통

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능력 동작업능력

등 7가지를 제안하 다 그들은 이러한 기 능력은 한 태도가 수반될 때 제 로 함

양증진될 수 있다고 보았다

- 14 -

생애 능력 하 범주

기 문해력 읽기 쓰기 셈하기

핵심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해석 능력

역할 수행 능력

자기 제시 능력

목표 설정 능력

메시지 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원인 분석

최 안 선정

계획 수립과 실행

수행평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학습 계획

학습 실행

학습 평가

시민 의식

국가 정체성국가 의식

역사 의식

신뢰

가치 공유

신뢰

기회 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책임

의식

법 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 의식보수 사회변 참여

지역 사회 참여

직업 특수 능력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특수 직무 능력

한국교육개발원(유 숙 외 2002 39)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

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에서 생애 능력을 기 문해력(3R) 핵심 역량(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의 4개 범주로 제시하 다 이

연구는 3년(2002-2004)에 걸쳐 수행한 연구로서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변화

와 지식 기반 사회의 특징 요구되는 필요 능력 추이를 분석하고 생애 능력의 개념과

하 요소를 학습 체제별로 추출하여 종합하 다 국가 수 의 생애 능력과 하 능력

요소는 다음 lt표 Ⅱ-6gt과 같다

lt표 Ⅱ-6gt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자료 유 숙 외(2002-2004) 연구의 재구성

이 연구에서 생애능력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종 인 측면에서 생애 능력이란 국민기 교육부터 등교육 고등교육 그리고

성인교육을 포함하는 평생(life-long)을 통해 습득되어야 할 능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 제시된 생애능력은 생애에 걸쳐 습득 되어야 할 능력이라는 에서 생애 단계

- 15 -

역 하 요소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력 비언어 표 능력 어문서

이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 능력 도표해석능력 도표표

능력

문제해결능력창조 사고력 논리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

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부심 추진력 건강 리능력 독립심 책임감 성취동기 성실성 정

인 태도 직장 자기이해능력 자기개발능력 법성 직업윤리의식 안

의식 사정신 장인정신 소명의식 충성심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다음 lt표 Ⅱ-7gt와 같이 국민기 교육단

계12)에서 습득해야 할 기 능력으로 lsquo인간 계능력rsquo lsquo의사소통능력rsquo lsquo이해력rsquo 등 세

가지를 제안하 다(유 숙 외 2002 82)

lt표 Ⅱ-7gt 국민기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기 능력과 그 하 역

기 능력 하 역

인간 계능력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양보하는 태도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표 이 끝날 때 까지 기다리고 그 뜻을 헤아리려는 태도

좀더 이해하기 쉽게 표 하려는 태도

이해력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끈기있게 집 하는 태도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토해 보려는 태도

자료 유 숙 외(2002) p 83

한편 실업교육체제 즉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 능력13)

을 lsquo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rsquo으로 보고 의사소통 능력 수리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

력 조직 이해 능력 등 9개 능력을 제시하 다

lt표 Ⅱ-8gt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애 능력 역 요소

12) 국민기 교육단계는 교육에서 기 가 되는 단계로서 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를 포함하며(유

숙 2004 81) 이때의 생애역량은 국민이 삶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기 능력이다

13) 이때의 생애 역량은 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공통 기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을 의미한다(유 숙 외 2002 169)

- 16 -

자원활용 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 능력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 사용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조직이해 능력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료 정철 외(2000) pp 50-52 유 숙 외(2002) pp 95-96

와 같이 실업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생애 능력은 부분의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

청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종류의 직업이든 그 직업에 종사하기 하여 가져야 할

기본 인 능력을 의미하고 성공 인 개인들의 삶을 유하는데 필요한 것이다(유 숙

2002 93)

교육 신 원회(2007 69)는 장기 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심으로 교육과정 개편을 언 하 다 모든 국민에게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 소양

교육을 강화 보장하며 행 교과 심의 교육과정을 핵심 역량 심으로 개편할 것

을 제안하 다 주요 선진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한다는 것이다 핵심 역량을 기존 교과와 연계하여

다학문 통합학문 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교육 신 원회는 핵심 역량의 주요 내용으로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등 8개의

내용을 시하 다 교육 신 원회(2007 69)는 교과 이외 경험과 활동을 통한 핵심 역

량 함양을 해 학습자 생애 발달 단계별 학습 경험을 구조화 학년 단계별로 체계화

할 것을 제안하 다

한편 국가 교육과정 포럼 원회(2007)14)는 lsquo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

을 갖추어야 하는가rsquo 라는 주제로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2007 10 26)

를 가졌다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해 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될 역량이 무엇

인가 하는 문제에 하여 미래학자 정치계 경제계 직업계 학부모단체 계자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의견이나 생각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한 문가들 간의

의견에는 거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와 미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가 있었으나 다

14) 이 원회는 넓게는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는데 좁게는 등학교 교육과정

개 의 기본 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총체 인 논의를 하기 하여 구성된 토론 성격의 모임이다

- 17 -

구분 핵심 역량

국외

OECD

DeSeCo(2002)

자율 으로 행동하기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교육부(2007)

자기 리 다른사람과의 계 형성 참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교육부(2007)16)

건강과 체육 인 계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국의

교육부(2007)

의사소통 수 용 정보기술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 시키기 문제해결

캐나다 퀘벡주

교육부(2001)17)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건강과 참살이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 공동체 삶

국내

곽병선(2001)

문제해결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

동작업능력

유 숙 외(2002)18)

생애 역량

기 문해력 핵심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국민공통기본교육체제에서요구되는 역량

인간 계 의사소통능력 이해력

직업교육체제( 문계고)에서 요구되는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음과 같은 역량들이 제안되었다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 일원으로 일하는 능

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

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등이15) 그것이다 거시 측면과 미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

여 역량을 제안하 다는 에서 볼 때 이러한 역량들 간에 그 경계가 명확한가라는 문

제제기는 가능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이상에서 고찰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국내외 선행연

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제시하면 다음 lt표 Ⅱ-9gt와 같다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15) 이러한 핵심 역량들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추출된 것이라기보다는 토론자들의 선언 주장에 근거한 것임을

밝힌다

- 18 -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 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 능력

교육 신 원회

(2007)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국가교육과정포럼

운 원회(2007)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일원으로일하는능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로 연구자별로 을 달리 하고 있지만 등

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계형성능력 시민 의식 자율 능력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는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는 거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학교 교육에서 설정하고 있는 교육 인간상이나 교육 목 은 학생들의 재의 교육

성취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 인 기 와 망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각국에서 제시

하고 있는 교육 미래상이나 국가 교육 목표는 재의 학생들 삶을 풍부하게 하고 학생

개인의 미래와 이후의 교육 미래의 직업을 계획하고 평생학습자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표방하고 있다 더욱이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몇 몇 외국의 경우에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생활의 복잡성 직업세계의 변

화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하고 한 미래 사

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개발해야 한다는 에

16) 호주의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에서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과 lsquo간학문 학습rsquo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17) 퀘벡주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에서 범교육과정 역량과 범 한 학습 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

시한 것이다

18) 생애역량과 등학교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있다

- 19 -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학교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재의 풍부

한 삶과 미래의 다양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는 국가의 교

육 비 교육 목 등학교 교육 목표 등에 일 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있어 핵심 역량 련 선

행연구뿐만 아니라 각국의 교육 비 이나 국가 교육 목표에 내재되어 있는 주요한 개

념이나 내용은 매우 요한 참고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

정을 구성하는 국가에서는 핵심 역량이 교육 비 이나 교육 목표에 긴 하게 연계되

어 설정되고 비 목표 역량 상호 간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는 에서 교육 비 이

나 교육 목표에 제시된 주요 핵심어(key words)는 핵심 역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에서 각국의 교육 비 이나 학교 별 교육 목표도 핵심 역량과 동일한 수 의

분석 상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국 등의 외국 사례에 제시된 각국의 교

육 비 목표 핵심 역량(기능)과 련된 내용을 심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 분석 상 국가 에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지 않은 국가도 있다 따라서 각국의 등학교 핵심 역량에 한

분석은 핵심 역량과 련된 국가 교육 비 교육과정상의 목표 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목 목표 등과 같이 다양한 자료를 분석 상으로 한다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

는 국가의 경우에는 국가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를 포함하여 교육 비

학교 별 교육 목표도 동일한 수 에서 분석한 것이다 즉 각국의 등학교 핵

심 역량을 추출하기 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 요소 등의 주요 핵심어를 심으로 분석하 으며 이

를 토 로 각국의 핵심 역량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1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등학교 교육과정은 2010년에 시행될 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국가 교육 비 을 근거로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가치(Values) 일상 삶과 평생학

습을 한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8개의 학습 역(Learning Areas)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뉴질랜드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에 제시된 교육 비 (Vision)과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교육부의 국가 교육 목표

(The National Education Goals)를 들 수 있다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비

은 ①창의 활동 진취 인 인간 ②지속가능한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미래 추

구를 한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인간 ③타민족 문화에 한 존 과 상호

- 20 -

구분 교육비 등교육목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유연성

명석함

극 인 지식의 추구활

용창조

진취성

재치

창의 비 메타인지 능력

지식의 탐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의사소통

의사소통 도구의 효과 활용

효율 인 의사 결정

다양한 맥락에서 언어 상징 텍스

트의 해석 활용

경청

력자로서 노력하는 인간 ④이상 인 삶을 해 가치 지식 역량을 지속 으로 개발

하는 인간 ⑤자신감 결속력 극 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

등 5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특히 다섯 번째 항목인 lsquo자신감 있고 결속력 있으며

극 으로 참여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rsquo은 보다 구체화된 하 요소를 설정함으로써

뉴질랜드의 교육 비 을 상세화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비 을 토 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는 일상 삶과 평생학습을 한

능력을 배양하기 해 lsquo사고하기rsquo lsquo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하기rsquo lsquo자기 리하기rsquo lsquo타인

과의 계맺기rsquo lsquo참여 공헌하기rsquo 등 5가지의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있다 한 뉴질

랜드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등학교 교육 목표를 ①잠재능력 개발 사회구성원으

로서의 역할 ②성취 증진을 한 기회의 공평성 제공 ③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④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⑤읽기 쓰기 수리력 과학 기술

등의 지식과 기능 향상 ⑥학습자 요구의 한 응 ⑦특별 지원이 요청되는 학습자

에 한 지원 ⑧ 학 교육에 한 근의 용이성 증진 ⑨마오리족의 교육 참여와 성공

증 ⑩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19)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 비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환경rsquo 등 9가지로 추출되었다20)

이상에서 고찰한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1gt과 같다

lt표 Ⅲ-1gt 뉴질랜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19) 이는 wwwminedugovtnz의 lsquoThe National Education Goalsrsquo라는 항목에서 제시하고 있다

20) 이하 lt표 Ⅲ-1에서 Ⅲ-6gt에 제시되는 각국의 등학교 교육 목표 핵심 기능(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은 본 연구 에서 1차 분석 추출하 으며 문가 검토 등을 통해 추출된 능력 요인(핵심 역량)에 한

성 여부를 단하고 수정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 21 -

인 계

타인과의 정 계

력자로서의 상호인식

결속력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능력

타인과 한 계 유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한 기여

다양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아이디어 공유 능력

집단 내 타인에게 기회 제공하기

자기 리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의욕

평생학습자

잠재능력 개발 자기 동기 부여

쾌활함

자신의 목표 수립 과제 리

자기주도 단 능력

자신의 학습과정 반성

반성 탐구학습

새로운 학습에 한 개방 태도

시민의식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의 구성원되기

국제사회의 시민되기

자국의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공동체에 극 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문화물리경제 환경의 지

속가능성에의 공헌하기

기 학습

문해력

수리력

읽기 쓰기

수리력

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상황 처

도 에 한 처 략 보유

새로운 환경 처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다문화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환경 국토 환경과의 연계

기 타

이상 인 삶 추구를 한 가

치지식역량 개발 능력

지속가능한 미래 추구를 한

신기술 지식 획득 능력

변화와 경쟁을 수반한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과학 기술체육 등

의 지식과 기능 향상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lsquo창의 사고rsquo는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지식의 탐

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의사소통rsquo은 의사소

통 도구의 효과 인 활용 효율 의사결정 경청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타인과의 정

계 결속력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아이디어 공유 능력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

하고 있다 lsquo자기 리rsquo에는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잠재능력 개발 자기주도 단

능력 반성 탐구학습 등이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신뢰감 소속감 지역사회 구성원

국제 사회 시민 역할 공동체에 극 여하기 권리역할 책무성 조화 등이 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22 -

lsquo기 지식 능력rsquo은 문해 수리력 학습 기 능력 배양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

고 있으며 lsquo상황 처rsquo는 그 하 내용으로 도 에 한 처 략 새로운 환경 체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등을 lsquo다문화 다양성 존 rsquo은 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을 lsquo환경rsquo은 국토 환경과의 연계를 하 내용으로 포

함하고 있다

2 호주의 빅토리아주

호주에서는 학교 교육 교육과정 내용에 한 결정 평가 방법 등에 한 법 책임이

각 주와 특별구에 있기 때문에 등학교 교육 체제 교육과정이 주별로 다르다

따라서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과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 목

표를 핵심 역량에 기반한 lsquo핵심 학습 기 rsquo을 심으로 구성하고 있는 빅토리아주를 살

펴보고자 한다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

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purposes) 미래 사회상(building the future) 교육 원리

(principles) 가치(values) 그리고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의 핵

심 학습 요소별 역 내용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미래

사회상으로는 ①미래 사회의 성공 인 삶을 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의 개발 ②지

속가능한 사회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한 이해 이들 요소의

효율 인 리 ③ 신 미래 사회에서 다양한 근 방식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 개

발 ④강력한 공동체 사회 구성을 한 공동의 목 가치 설정 상호 책임감과 신뢰

형성 등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 원리는 ①모든 학생들이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충

분한 시간과 지원 제공(learning for all) ②수월성 추구(pursuit of excellence) ③ 극

인 참여와 노력 추구(engagement and effort) ④탐구에 따른 결과 검증 문제에 한

해결 추구(respect for evidence) ⑤개방 태도(openness of mind)이며 빅토리아주에서

추구하는 교육 가치는 용과 이해 존 책임감 사회 정의 수월성 심 수용과 신

뢰 정직 자유와 윤리 등이다

한 빅토리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에서는

학생들이 복잡하고 변하는 사회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된 사회 높은 수 의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는 로벌 세계를 성공 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면서 핵심 학습 요소(strand) 3가지와

요소별 역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 학습 요소는 ①신체 개인 사회 학

습 ②학문 기반 학습 ③간학문 학습 등이다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은 21세기

도 세계에서 요구되는 학생 자신의 신체 건강과 학습 지역국가세계 공동체

- 23 -

구분교육비

(교육목 미래상)가치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

문제해결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환경사회문화경제 요인과 련된

과정과 산출에 한 분석 평가 능력

사고 략 획득(탐구정보처리추론문

제해결평가 반성)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설계 통제 능력

정보의 용 능력

ICT 활용 타인과의 의사소통

ICT 활용 이해 형성

ICT의 윤리도덕 활용

인 계

정 사회 계 형성

집단 내 활동 학습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

건강 유지

신체 활동 참여

신체 활동의 이해

학습 련 자기 지식 개발 학습 계획 설

정 능력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자신의 학습에 한 반성 책임감

자신의 학습과 실생활과 련짓기

동료 학습시 한 탐구 반응 능력

학습자원 리 능력

한 도구장비자료의선정 활용 능력

시민의식

공동 목 가치 설정

상호 책무성 신뢰감 형성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시민으로서의 권리 책무성 인식

사회 타인에 한 책무성 증진

에서의 타인과의 계 역할에 한 책무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 학습 요소는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등이다 lsquo학문 기반 학습rsquo의

역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과 련된 지식체와 특징 인 탐구 사고방식으로 이것은

술 어 인문학(경제 지리 역사) 제2외국어 수학 과학 등으로 구성된다 한 lsquo간

학문 학습rsquo은 학문 역들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으로 규정되며 여기

에서는 lsquo의사소통rsquo lsquo디자인 창의성 공학rsquo lsquo정보통신기술rsquo lsquo사고과정rsquo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 비 가치 핵

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

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환경rsquo 등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2gt와 같다

lt표 Ⅲ-2gt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4 -

책임감

수용과 신뢰

정직

용과 이해

자유와 윤리

사회 정의

집단 내 자신의 정체성 역할 이해

건 한 생활 양식

국제 사회에서의 자국의 역할 인식

환 경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

상호작용 이해

사회경제환경 요소들의

효율 리

기 타미래 사회의 성공 삶을

한 지식기능행동의 개발

간학문 지식기능행동 활용 능력

지식의 용 능력

lsquo창의력rsquo은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 해결rsquo은 주로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사고 략 획득 등

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이해 형성

윤리도덕 활용 정보의 용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는 정 사회 계 형성 갈등 조정 해결 등이 포함되며 lsquo자기 리rsquo에는

주로 건강유지 신체 활동 참여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학습에 한 책임감

학습자원 리 능력 등이 포함된다 lsquo시민의식rsquo은 공동 목 가치 설정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용과 이해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건 한 생활양식

등을 lsquo환경rsquo은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 이해와 요소들의 효율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3 캐나다의 퀘벡주

캐나다는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따로 교육부를 두지 않고 교

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21)에 으로

임하고 있어서 퀘벡주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캐나다 주(혹은 주)들의 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과 련한 구체 인 언 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각 주

( 주)들이 설정하고 있는 공통 필수 교과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면 해당 주 교육 당

국이 집 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의 면모를 강이나마 추정해 볼 수 있다

특히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로 천명하

고 있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960년 이래로 퀘벡주는 모든 학생들에게 평

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요한 교육 목표로 삼아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

21)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25 -

부분의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보편 으로 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목표는

사실상 시 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오히려 국제화 세계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

생활의 증하는 복잡성 직업 세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에서부터 개발하기 시작해야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이에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

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체제의 방향과 구조를 근본 으로 재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 고(소

경희 이상은 박정열 2007)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역량 심의 교육과정 개편이었다

캐나다 퀘벡주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등 교육 목 역량 기

반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첫째 lsquo새로운 확신을 바탕

으로 한 교수를 제공한다rsquo에서는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 등을 포함하고 있

다 둘째 lsquo타인들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도록 사회화 한다rsquo에서는 공동체에 한 강력한

소속감 계발 함께 사는 법 배우기 민주주의의 근원 가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lsquo다양한 선택을 통해 다양한 자격

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rsquo에서는 충분히 숙달된 직업능력 갖추기에 을 두고 있다

한 등학교의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4)은 lsquo세계 의 구축rsquo lsquo정체성의

확립)rsquo lsquo능력 강화rsquo 등을 제시하고 있다

퀘벡주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①범교육과정 역량(cross-curricular competencies)

② 범 한 학습 역(broad areas of learning) ③교과 역(subject areas) 등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이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squo범 교육과정 역량rsquo은

각 교과 역들이 갖는 경계를 넘어서 있다는 에서 교과 특정 역량보다도 훨씬 넓은

범 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들 역량은 교과 역 범 한 학습 역 모두에서 활용

될 수 있고 차 학습을 통합해가는 데 있어서 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한 맥락

에서 이 역량들은 복잡하고 측하기 어려우며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단히 귀 한 도구가 된다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은 간학문 성격을 가지며 오늘날의 은이들이 직면해야하는

삶의 여러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 범 한 학습 역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

의 맥락들에 한 진 된 이해를 갖도록 하고 련된 상황 속에서 가능한 다양한 행

들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것들은 학생들로 하여 서로 다른 학

습 역들 사이의 련을 악할 수 있게 하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개인 사회

문화 환경에 해서 비 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다

- 26 -

구분교육목

핵심 기능(역량)등학교 등학교

창의력창의력

비 단력

문제해결

복잡한 문제들에

히 처하기

문제 해결 련 경험

지식기능 획득

통합 지식 배양

문제해결력

효과 인 작업 방식 채택

로젝트(계획) 련 략의 채택

의사소통 한 의사소통 능력

인 계 함께 사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인과의 동

정보처리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미디어의 속성(지 역할 표상방식) 인식

이해

정보 활용력

자기 리

사회문화개인 정체

성의 형성

자아 발견

건 한 세계 의 형성

자신의 정체성 형성

자신의 잠재력 충족 방법 인식

자기 인식 자신의 기본 요구 인식

극 인 삶의 방식

행 선택에 따른 향(건강 등) 인식

안 행

시민의식

공동체에 한 강렬한

소속감 계발

민주주의의 근원 가

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 되기

공동체의 도덕 정신

가치 수용

참여 동연 성

평화에 공헌

사회 행 규칙 알리기

민주주의 제도 알리기

미디어와 련 권리책임

lsquo교과 역rsquo은 lsquo언어(languages)rsquo lsquo수학 과학 공학(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rsquo lsquo사회과학(social sciences)rsquo lsquo 술교육(arts education)rsquo lsquo개인 발달(personal

development)rsquo 등 5가지의 교과 역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언어는 불어와 어를 포함

하고 있고 수학과학 공학은 수학 과학 공학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과학은 지리

역사 시민성 교육을 포함하며 술교육은 드라마 시각 술 음악 스를 포함한다

한 개인발달은 체육 건강 도덕교육 종교교육(카톨릭 로테스탄트 종교교육)

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

(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

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환경rsquo 등 10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캐나다 퀘벡주의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

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3gt과 같다

lt표 Ⅲ-3gt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7 -

기 학습지 계발과지식의숙달

정신 계발

직업 비

숙달된 직업 능력 갖추기 직업 세계 사회 역할에 한 친숙함

획득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인 사용

소비의 사회 경제 윤리 측면 인식

환경자기 주변 환경에 한 인식

지속가능발 에 터한 생존 환경 추구

lsquo창의력rsquo은 하 내용으로 비 단력과 창의력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문

제에 한 처 통합 지식 배양 계획 로젝트 략의 선택 등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한 의사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함께 배우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

인과의 동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정보 활용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정체성 형성 자아발견 건 한 세계 자기 인식 요구 인식

극 삶의 방식과 안 행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공동체 소속감 계발 책임감 참

여 동연 성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직업능력 갖추기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사용 소비의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환경rsquo은 주변 환경에 한 인식과 지속가능 발 을 한 생존환경 구성을 포함

하고 있다

4 핀란드

핀란드는 국가 수 의 학교 교육과정과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지역 특색과 학교의 실정에 맞게 주 단 학교 단 교육과정이 개발 실천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교육 목 목표는 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법에 제

시되어 있으며 교육법에 기 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 핀란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학교 교육 목표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 그리고 기본교육법 기본교육

법령에 제시된 등학교의 교육 목 목표를 들 수 있다

핀란드의 교육법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①개인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장(자아 존 감 형성 비 사고) ②인간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책임감과 동심 배양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③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다양한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창의성 개발 스포츠 기술 개발 ④

- 28 -

구분교육법 교육과정(교육목 )

학교 고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창의성 개발

비 사고독창성 개발

문제해결 의사결정 능력 개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

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

의사소통 능력

자기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자국어 외국어 표

의사소통 기술

제2외국어 외국

어를 포함한 자기표

기술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력 배

양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정보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⑤다양한 언어에 련

된 지식과 기능 형성 세계 교육 지식과 기능 함양 ⑥건강 증진 사회 안녕

증진 ⑦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⑧비 학습 능력 력 기능 함양 등으로 제

시되어 있다 교육법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자발 활동 책임감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능에

한 책무성 기업가 정신 배양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타

인과의 지속 발 추구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문화 정체성 표 자신의 독자성

인식 등에 을 두고 있다

핀란드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문과 함께 8개의 목표

가 제시되어 있으며 ①독립심 책임감 자기 지식 개발 ② 동 상호작용 기술 습득

③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④의사결정 능력 개발 향후 학습과 직업장래 계획 ⑤자신

행동에 한 평가 능력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⑥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의 기 능력 배양 ⑦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⑧생활 환

경 처 기술 개발 등 8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고등학교 교육 목표에는 체로 학습

세계 형성 평생학습에 한 요구 강화 개인과 공동체의 윤리 인 문제 해결력

자아 존 감 개인의 독특성 인식 고등교육과 직업 설계 능력 제공 등에 을 두

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

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심미 감수성rsquo lsquo다문화rsquo 등 12가지

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4gt와 같다

lt표 Ⅲ-4gt 핀란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9 -

력 배양

정보능력과의사소통 기술

능력

정보와 의사소통 기능

활용

정보처리

정보기술 능력

매체 기능 숙달 정

보의 비 평가 능력

건 한 정보 사회 기능

습득

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ICT 기술

다양한 정보 획득

인 계 동심 배양

력 기능 함양

타인과의 지속 발

추구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기

술 습득

타인과의 동 기술

동상호작용

자기 리

자아 존 감 형성

자아 존 감 강화

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세계 교육 지식

과 기능 함양

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건

강 증진

자신의 독자성 인식

개인의 장 탐색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삶의 질 향상 능력

한 학습 방법 활용

능력

개인 학습기술 인식

실천

자신의 학습기술 평가

능력

평생학습 기술 개발

평생학습의 요성 내

면화

탐구 학습태도

독립심

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자기 지식 개발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자신 행동에 한 평

가 능력

향후 학습계획 갖기

개인 독특성 인식

자신의 신념과 행동

수정 능력

삶을 한 비

폭넓은 학습 구

조화된 세계 형성

평생학습 비

건강 복지 생활

양식 고양

시민 의식

인간 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사회 안녕 증진

책임감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

능에 한 책무성

의사결정에 한 책무성

책임감

자발 활동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시민정신

책임감 개인 공동체

련 윤리 문제의 인

식 처리 능력

타인 배려 능력

민주주의 사회에서

역할 수행 능력

의지 개발

기 학습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비 학습 능력

인간사회문화

자연에 한 일반 지식

습득

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

식과 기능의 기 능

력 배양

직업 비

사회와 직업 세계에서

자신의 치 인식하기

기업가 정신 배양

직업장래 계획 미래 설계 직업

설계 능력 개발

경제생활 기업가

정신 배양

- 30 -

상황 처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자신의

의지 갖기

변화에 한 조처

강구 용기

변화에 한 융통

응 능력

심미

감수성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획득 찰해석심미

표 능력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술 문화 생

활 증진

다문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형성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문화 정체성 표

기 타심화 지식종합 지

식과 기능 형성

의사결정에 따른 직

ㆍ간 결과 인식

lsquo창의력rsquo은 창의성 개발 비 사고 독창성 개발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능력 개발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주로 인지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

발 정보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자기 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등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정보기술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정보 획득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에는 주로 동심 배양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아 존 감 형성 건 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평

생학습 기술 개발 탐구 학습 태도 건강 복지 생활양식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임감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타인배려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기 학습rsquo은 기본 수학 능력 배양 일반 지식 습득 기 능력 배양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주로 직업 장래 계획 기업가 정신 배양 등을 lsquo상황 처rsquo는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융통 처 능력 등을 lsquo심미 감수성rsquo은 다양

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문화 정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5 국

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등 교육과정은 주요 12단계(Key

Stage 1 and 2)로 등 교육과정은 주요 34단계(Key Stage 3 and 4)로 구성되어 있

다 국가 수 의 교육과정 문서에는 학교 별로 구체 인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1장과 2장에는 포 인 수 에서 국가 학교 교육

- 31 -

과정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국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국가 교육과정의 목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 기능 등학교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국의 국가 교육과정 목표에서 추구하는 바는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

험에 한 비rsquo 2가지이다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에서는 ①학습

의 즐거움과 책무성 증진 ②독자 력 학습능력 ③문해 수리 정보통신 기술 함

양 탐구 합리 사고 능력 증진 ④다양한 사회 문화 유산에 한 지식과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 ⑤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⑥다양한 지식 이해와 기능 습득 창

의 비 사고 ⑦미래의 직업인과 시민으로서의 기회 제공 ⑧신체 기능 개발

건강한 생활 양식 추구 자신과 타인의 안 유지 등에 을 두고 있다 한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험에 한 비rsquo에

서는 ①선악 구별 능력 개발 ②자신의 가치 존 타인의 가치와 지식 존 태도 ③

가치 수 성실과 자율성 개발 ④환경에 한 이해와 존 ⑤소비자로서의 의사결

정 능력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등에 을 두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values)는 자기 자신(the self) 계(relationship) 사

회(society) 환경(environment) 등 4가지이다 lsquo자기 자신rsquo은 자기이해 자기존 자기

도야 삶의 방향 결정 책무성 평생학습태도 삶에 한 책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계rsquo는 타인 존 타인 심 타인 배려 타인에 한 선한 태도 성실 신용 자신감 타

인과의 동 작업 타인의 사생활 재산 존 분쟁 해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사회rsquo

는 시민의 책무성 이해 실행 공동선 추구 가족 돌보기 사회 제도 존 (결혼제도지

지) 사랑 헌신 법과 차에 한 정보 공유하기 법과 규칙 존 법의식 고취 조장

하기 종교 문화 다양성 존 다양한 기회 제공 받기 어려운 사람 도와주기 민주

과정에의 참여 경제 문화 자원의 활용 생산 lsquo진실 성실 정직 선의의 삶

추구rsquo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lsquo환경rsquo은 환경 보존에 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이 계 이

해 자연의 균형과 다양성 보존 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 자연 서식지 복구 등

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key skills)은 의사소통(communication) 수의

응용(application of number) 정보공학(information technology) 타인과의 력(working

with others) 자신의 학습 수행 능력 증진(improving own learning and

performance)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등 6가지이며 이들 기능은 학습자들이 학습

활동 직업 세계 일상 삶의 과정에서 학습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능력이다

- 32 -

구분 교육법

추구하는 가치 목

핵심 기능국가교육과정

학교교육 국가 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창의력

진취성창의 수완 발휘새로운 것에 한시도

탐구정신 갖추기

창의 사고탐구 정신비 사고

문제해결

사건의 배경을 총체 이해하기

당면 문제 확인해결 능력

합리 선택능력 갖추기합리 사고능력 증진

문제 확인 이해문제해결 방식의기획 검토

문제해결과정 모니터링

문제해결에 유용한 기능과 략개발

의사소통

소통 기술의변화에 처

읽고 쓰기 능력다양한 방식의 소통 능력 형성

정보 공학 의사 소통 련 필수 학습 기술소유

정보와 소통 기술갖기

효과 으로 말하기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집단 토론에 참여하기

텍스트 읽기비 성찰하기

에 한 비분석

유려하게 쓰기

인 계

타인 존타인 심타인 배려타인에 한선한 태도분쟁 해결

자신과 타인과의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타인 존타인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기

타인 존좋은 계 형성 유지타인과 계맺기공동선 추구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타인들의 경험 평가하기

서로 다른숙고하기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표는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 등 3가지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는 읽고 쓰기

능력 수리 사고 능력 성취 추구를 한 극 동기 갖기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구

성되어 있다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은 자기정체성 확립 자신과 타인과의 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험 요인 리 안 유지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은 삶과 일에 한 비 타인 존 자국 타문화 통 이해하기 인간의 권리

존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국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rsquo lsquo환경rsquo 등의 12가지로 추출

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국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국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3 -

타인과의동 작업

타인과의 조 한 력수행 능력 개발

도 에 직면해서타인과 조할 수있는 능력

사회 기술 개발타인의 필요성에

한 인식과 이해개발

정보처리

주어진 정보의 처리 추론

주어진 정보에한 의문 갖기평가 능력

정보의원천과 ICT 도구활용하는능력ICT 활용에 한과학 단 능력

ICT를 활용한 작업의검토수정평가하는능력정보처리 창조

사고 기능탐구와 의사 결정기능

자기 리

도덕문화정신발달

신체 발달

자기이해자기존자기 도야삶의방향결정자신감평생학습태도

도덕사회 문화 발달신체 발달

극 인 동기 갖기실패로부터 배우는 능력 갖기

자신의 가치 믿기자기정체성 확립자신의 감정 인식

조자기 조직 능력갖기

자신의 재능 인식원 한 포부

갖기독립 자세주도 자세세계 속에서의 자신의 치 인식하기

신체 으로 건강하기

신체 능력 갖기 험 요인 리

안 유지자신의 학습 방식이해

자주 력학습 능력 갖기

즐겁게 학습하기

자아정체성확립 도덕 사회 문화발달의 진자기 존 감정서 안녕고취자신 존신체 기능 개발자신과 타인의안 유지독자 력

학습능력학습의 즐거움과 학습에한 헌신 신장

자신의 학습에한 반성 비평가

자신의 학습수행 개선 방법확인

학습의 목 확인학습의 과정 반성학습의 진 정도사정

학습 장애와 문제확인 개선 계획 수립

시민의식 책무성

책무성시민의 책무성이해 실행민주 과정에의 참여성실신용진실정직선의의 삶추구어려운 사람도와주기사랑

의무감정의진실정직성신뢰

가치와 신념 견지건 한 삶의 방식선택

불의에 항거하기정직하고 성실한행 하기

인간의 권리 존선악 구별 원칙갖기

책무성에 응하기책임감있고 배려심있는시민지속 인 가치획득선악 구별 능력 개발성실과 자율성개발건강한 생활양식 추구자신 타인의 가치 지

- 34 -

헌신공동선 추구가족 돌보기사회 제도존 )타인의 사생활 재산존법과 차에한 정보공유하기법과 규칙존 법의식고취

식 존 태도

기 학습

수리 사고 능력 수학 사고능력읽고 쓰는 능력

암산 능력의 용능력 계발

수학 언어 이해활용 능력

계산 기능과 수개념을 타 교과실생활 문제에용하기

직업비

사회 삶의 비

경제 문화 자원의활용 생산

생산 인 경제활동

삶과 일에 한비

미래의 직업인과 시민 비다음 단계(교육 훈련 고용등)에 한 비소비자로서의의사결정 능력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상황 처

격한 변화에한 처

변화하는 일과여가에 처변화에 극여

세계화 추세처

세상 변화에 극으로 참여하기

기회 도에 응하기 험 리하기변화와 역경에

다문화

종교 문화 다양성존

자신 가족 사회의 다양성존

다양성 존다양성의 가치에감사하기

자국 타문화통 이해하기

환경

환경 보존에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의 계 이해자연의 균형과다양성보존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자연서식지복구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

환경 보존개선에 앞장서기

환경에 한이해와 존

기타자연 인간성취에 한 열린마음

사회 각 분야의 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 35 -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진취성 창의 사고 탐구 정신 등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당

면 문제 확인 해결 문제 해결 략 개발 등을 lsquo의사 소통rsquo은 주로 읽기 쓰기 능

력 말하기 듣기 다양한 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주로 타인 존 배려 타인

과의 동 타인과의 계 형성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정보의 처리 추론 정보에 한 평가 탐구 의사결정 기능 등을 포

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기 이해 존 신체 발달 평생 학습 태도 독자

력 학습 능력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무성 정직 신뢰 건 한 삶의 방식

법과 규칙 존 실천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수리 사고 읽고 쓰기 능력 수학 언어

이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자원의 활용 생산 삶과 일에 한 비 소비자로서의 의사결정

권리의무 이해 등을 포함하며 lsquo상황 처rsquo는 변하는 일과 여가에 한 처 세계화

추세에 한 처 험 리하기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종교문화 다양성 존 자국

타문화 이해 등을 lsquo환경rsquo은 주로 환경 보존의 책무성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에 한

이해와 존 등을 포함하고 있다

6 한국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육기본법에 제시된 교

육 이념 등교육법에 제시된 각 학교의 교육 목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 별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에 한 제반 사항을 법제화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기본법과

등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이념과 교육 목 이 국가 교육과정 구성의 토 가 된다 따라

서 교육 이념과 각 학교 교육 목 에 기 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가 설정된

다 우리나라의 교육기본법 제1장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 이념은 ldquo교육은 홍익

인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

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 과 인류

공 의 이상을 실 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제시되어 있다 한 동

법 제9조 ③항에서는 학교 교육의 기조를 인 교육으로 보고 있으며 ldquo학교 교육은 학

생의 창의력 계발 인성의 함양을 포함한 인 교육을 시하여 이루어져야 한다rdquo

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이념은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에 기

하여 주로 lsquo인격 도야rsquo lsquo자주 생활 능력rsquo lsquo민주시민 자질 함양rsquo lsquo인간다운 삶 rsquo

lsquo민주국가 발 인류공 실 에 이바지rsquo 등에 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에 기 하여 등교육법에는 각 학교의 교육 목 을 제시하고

- 36 -

구분 교육법교육비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 (목표)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자신의생각과느낌 의

다양한(창의 ) 표 력

자신의 생각과 느낌의

다양한(창의 ) 표 력

학문과 생활에 필

요한 논리 비

창의 사

고력 태도 형성

문제해결문제 인식 해결

능력문제해결력

자기 리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생활의 기본 능력 구비

자기 발견

성숙한 자아의식

시민 의식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

바지

폭넓은 교양

이웃과 나라 사랑

태도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

민주주의 기본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방식 형성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기 학습

기 학습

능력

문 학

습능력

기 능력 기 능력 배양 학습의 기본 능력 구비

있다 즉 등교육법 제38조에는 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 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

요한 기 인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고 동법 제41조에

는 학교 교육 목 이 ldquo 학교는 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한 동법 제45조에는 고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고등학교는 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 기 인 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 별 교육 목표는 7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의 교육기본법 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학교 별 교육

교육 목표로 제시된 것이다 학교 에 따른 교육 목표의 문에 제시되어 있는 학교

별 교육 목표의 주안 으로 등학교는 lsquo기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 형성rsquo에 학

교는 lsquo기본 능력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rsquo에 그리고 고등학교는 lsquo진로 개척 능력과 세

계시민 자질 함양rsquo에 두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

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

업 비rsquo lsquo다문화(문화 감수성)rsquo 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6gt과 같다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7 -

직업 비진로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극 인 진로 탐색 성과 소질에

합한진로개척 능력

다문화

(문화

감수성)

자국 문화의 이해 자국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의

발 태도 형성

자국의 통과 문화의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

의 발 태도 형성

기 타

인간다운 삶

인격도야

인 성장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능 습득

심신의 조화로운

인격 형성

다양한 분야의 지

식 기능 습득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자기

능력

시민

의식

학습

능력

직업

능력

상황

능력

심미

감수성

다문화

이해

환경

의식

뉴질

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한국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창의 표 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

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 인식 해결 능력 등을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민주시민 자질 함양 공동체 발

공헌 민주주의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 방식 형성 등을 포함한다 lsquo기 학

습rsquo은 기 능력 배양과 기본 학습 능력 구비를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진로 탐

색 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등을 lsquo다문화(문화감수성)rsquo는 주로 자국

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등을 포함한다

7 시사

이상에서와 같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기능) 요소 등을 상으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을 추출한

결과를 토 로 각국에서 설정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 련 능력 요인을 유목화하여

비교 제시하면 lt표 Ⅲ-7gt과 같다

lt표 Ⅲ-7gt 각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내재된 능력 요인 분석 결과(핵심어)

lt표 Ⅲ-7gt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상 국가의 핵심 역량 련 주요 능력

- 38 -

구분 내용

문항 형식 자유 응답형(1 문항)22)

조사 시기 4월 30일(수) ~ 5월 13일(화)

조사 방법 본원 공용 이메일(webzinekicerekr) 활용

요인은 몇 가지 역에서는 매우 한 공통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특

히 lsquo창의력rsquo lsquo자기 리능력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등의 역량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분석 상

국가에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으로 요하게 취 하고 있다 한 우리나

라를 제외한 외국의 경우에는 lsquo의사소통능력rsquo과 lsquo 인 계능력rsquo의 역량을 요한 역으

로 취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역량은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요한 핵

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도 핵심 역량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충분

히 반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 인 핵심 역량 요소에 한 설정은 이

후의 설문 조사 결과와 문가 의회 등에서 도출된 안에 기 하여 정련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강조하는 핵심 역량추출을 한 설문 조사

가 설문 조사의 방법과 상

본 연구에서는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비 으로 추출하기

해 등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기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 태도 등)

요인에 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 다

lt표 Ⅳ-1gt 문항 형식 조사 방법

22) 설문문항 시 ldquo향후 개될 미래 사회에 비하여 학생들이 각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길러야 할 가장 기

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skills) 태도 행동 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능력을 순서 로 5가지만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rdquo

- 39 -

핵심 역량 주요 내용(요소)

창의력

창의 사고력비 사고력분석 종합 사고력발산 사고통찰력진취 이고 도 태도지식의 재발견과 창조창의 탐구능력

상 표집 수 응답자수(회수율)

등학교 교사 30 28(933)

학교 교사 30 9(307)

일반계고등학교 교사 30 13(433)

문계고등학교 교사 30 19(633)

교육 학교 교수 30 27(903)

사범 학교 교수 30 12(400)

계 180 108(600)

설문 상23)은 본 요구 조사가 자유응답형 문항으로 응답의 어려움으로 인한 회수율

의 하를 감안하여 사 에 본원의 연구 업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들을 상으

로 표집하 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의 연구진 의진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를 상으로 하 으며 사 에 설문 조사 응답 여부를 수락하는 차를 거

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 회수율은 60를 넘었으나 학교 별로 회수율에 차이가

있었다 참고로 표집 상수에 따른 회수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Ⅳ-2gt 표집 상별 표집 수 응답자수

나 설문 조사의 결과(요지)

설문조사의 목 은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는 바 여기서는 응답자

별 빈도()는 제시하지 않고 다음 lt표 Ⅳ-3gt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응답자별 체 인 의

견을 종합 으로 제시하 다 구체 인 내용은 최종 보고서에 포함할 정이다

lt표 Ⅳ-3gt 핵심 역량 역 주요 내용에 한 응답자의 의견 종합24)

23) 본 요구조사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장 문가의 아이디어를 얻기 한 비 요구 조사로서 설문 조사

상을 최소화(학교 별 30명)하여 일종의 델 이 조사 성격을 띤 자유 응답형 문항으로 구성하 다 장 교

사 교육 문가를 선정한 이유는 교육 분야에 다년간 종사한 경험과 식견에 비추어 볼 때 본 요구 조사의

내용에 해 하게 응답할 수 있다고 단되었기 때문이다

24) 응답자의 유사한 응답을 유목화하여 체 인 의견을 종합 으로 제시한 것이다 주요 내용 개념간의 포

함 계(층 )는 추후 문가 의회를 통해 지속 으로 검토 보완할 정이다

- 40 -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력논리 이고 합리 사고력

변화에의 응 리 능력

가치 단력

순발력

합리 의사결정력

과학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올바른 경청태도

올바른 언어 사용법

논리 인 표 능력 화의 기술

기호 해득력

정보처리능력

정보화 사회 응 능력

정보화 소양 능력

정보 수집 탐색 능력

정보 리 능력

정보의 재구성 창출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정보통신 윤리

분석 독해력

인 계능력

사회 기술

인 계 능력

타인 배려 존

동심

공감 능력

릴 이션 쉽

자기 리능력

자기 리 계발능력

정 자아 존 감

올바른 가치 정립

정 가치 (사고방식)

기본생활 습 함양

자주 태도

정서 함양

자기 주도 학습력 신장

흥미 소질 계발

신체 운동 능력

평생 학습 능력

기 학습능력

기본 인 학습 능력(말하기 읽기 쓰기 셈하기)

독서 능력

상에 한 기 지식

시민의식

민주시민 의식

인성 도덕성(윤리)

공동체 의식

참여정신

책임감

사정신

건 한 비 의식

용 태도

- 41 -

환경 의식

환경보존 태도

친환경 사고방식(자연사랑)

환경과의 상호 작용

환경의 요성 인식

주변 환경의 체험과 탐구

세계화 소양

외국어 소통 능력

국제 사회에 한 이해 지식 갖기

세계 상에 한 감식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문화 정체성 확립

술과 문화 향유 태도(문화 감수성)

직업 소양

기 직업 능력

직업의 요성 인식

진로 탐색능력

직업 소명의식

서비스 태도 로정신 함양

성 련 기술 함양

문 지식

공 련 능력( 문 지식 등) 함양

해당 분야의 기 지식과 기술

사회 쟁 악 능력

과학 기술 소양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기 한 설문 조사 결과 lt표 Ⅳ-3gt에서와 같이 창

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

식 환경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이해능력 직업소양 문지식 등의 역량과 그 요소들

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범주화된 역량 요소들은 그것의 이론 근거나 개념 간의

포함 계(층 ) 등에 한 세 한 분석과 검토를 거쳐 향후 정교화 할 것이다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요지)

본 연구의 과정에서 핵심 역량 시안을 마련하고 잠정 안을 설정하기 해 다양한

분야의 문가를 상으로 수차례의 의회를 가졌다 문가 의회의 참석자들은

등학교 문가 등교육 문가 고등교육 문가 사회 각 분야 문가 등 35명이었

다 주요 논의 내용은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 인간상 핵심 역량(안)의 성

과 타당성에 한 것이었다

주요 논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우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궁극 인간상으로는 개인

차원에서 합리 인간 창의 인간 미래를 진취 으로 개척하는 인간상을 사회

차원에서는 원만한 인 계를 유지하는 인간 개방 인 인간 사회유지와 발 에 기여

- 42 -

핵심 역량 요소(내용)

창의력사고 기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사고 성향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문제해결능력

문제의 발견

문제의 명료화

해결 안의 탐색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

의사소통능력

경청 공감

이해 반응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분석평가

정보 달 공유

정보 활용

정보 윤리

인 계능력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정서 표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능력자아 정체성

정 사고(태도)

하는 인간상을 설정하 다 한 핵심 역량 요소의 성과 타당성에 한 문가

들의 검토를 거쳐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인 계능력 자

기 리능력 시민의식 국제 감각 진로개발능력 등 9가지 역과 요소들이 설정되었다

각 역에 따라서 하 요소들 간에 층 가 다르거나 통합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이

있어 이런 문제 은 차후에 연구 과 문가들의 검토를 바탕으로 정교화 할 정이다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이 장에서는 문헌 분석(선행 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 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lt표 Ⅴ-1gt 등학교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25)

25) 이안은 잠정 으로 설정한 것으로 향후 이에 한 지속 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교화할 정이다

- 43 -

요소 의미

사고기능

유창성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고정 인 시각을 변화시켜 다양한 아이디어나 반응을 산출하는 능력

독창성 남과 다른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정교성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유용하게 발 시키는 능력

유추성 특정한 상을 기존의 것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

사고성향

민감성 주변 세계와 문제에 민한 심을 보이며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성향

개방성 제한 없이 모든 가능성과 다양한 경험을 수용하는 성향

독립성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는 성향

과제집착력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과제에 몰두하는 성향

실행력기본생활태도

기 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여가 선용

건강 리

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

신뢰감 책무성

민주 생활방식 법정신

환경 의식

국제 감각

자 문화 계승 발

다문화 이해

외국어 소양

문화 감수성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개척

표에 제시된 9개의 핵심 역량 요소에 한 개념26)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의력은 새로운 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창의력은

사고 기능과 사고 성향으로 구성된다

lt표 Ⅴ-2gt 창의력의 요소와 의미

26) 개념 하 요소는 련 핵심 역량에 한 기존의 이론 논의(지면 계상 생략)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조

작 으로 정의한 것이다

- 44 -

자발성문제 상황에 극 으로 처하고 자신의 내 동기에 의해 필요한 아이디

어를 산출하려는 성향이나 태도

요소 의미

문제의 발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찾아내는 능력

문제의 명료화여러 가지의 창출된 문제들로부터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하여 명확하게 진술하는 능력

해결 안의 탐색문제를 해결하기 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합한 기 을 세워

아이디어를 평가함으로써 최 의 해결안을 선택하는 능력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선택한 해결 안을 실제로 실에 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능력

요소 의미

경청 공감타인의 생각과 감정 정서에 한 정확한 이해를 해 경청하고 공감하는

능력

이해 반응타인과의 상호작용 내용에 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기 한 하고 정확

한 반응 표 능력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정보 수집분석평가정보 수집은 정보를 이용하고 활용하기 하여 기록 장하는 행 이며 정

보 분석 평가는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사용하는 행 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논리 체계

창의 사고과정을 거쳐 가치로운 지식의 창출과 산출물을 창안해 내는 고등정신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3gt 문제해결능력의 요소와 의미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상황에 합한 언어와 비언어 형태들을 사용하는 능력으로

화자의 말뜻을 이해하고 어떤 개념 아이디어를 정확한 형태로 나타내는 능력과 사회

맥락에 알맞게 나타내는 능력까지를 포함하는 언어 형태 이상의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4gt 의사소통능력의 요소와 의미

정보처리능력은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하고 필요한 정

보를 발견하여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5gt 정보처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5 -

정보 달 공유 정보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와의 공유 행 능력

정보 활용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효율 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모든 방법 인 능력

정보 윤리 정보에 한 근 활용에 있어 사회 책무성으로서의 윤리 행 능력

요소 의미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집단 내 혹은 개인 간 계에서 자신의 이익과 요구에 반하거나 자신이 원

하지 않는 방향으로 일들이 진행될 때 참아내는 능력

정서 표 능력자신의 정서에 하여 분명하게 악하고 그 정서를 건강하게 외부로 표출

하는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개인이 타인과의 동을 통해 소기의 목 을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상호 간에 정 인 계를 유지하는 능력

갈등 조정 해결인 계에서 필수 으로 직면하게 되는 집단 간 혹은 집단 내 개인 간의

갈등을 의미 있고 건설 으로 해결하는 능력

요소 의미

자아 정체성 자신의 흥미 성 장 을 발견하고 이를 가치롭게 발 시키는 능력

정 사고(태도) 모든 상을 정 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마음가짐

실행력 수행해야 할 업무를 열정 으로 추진하는 능력

기본생활태도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기본 인 생활습 태도를 형성하기

기 학습능력 읽기 쓰기 셈하기 등과 같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변화하는 상황에 처하기 해 학습자 스스스의 학습 역량을 지속 으로

계발하는 자세

여가 선용 주어진 시간을 잘 활용하여 유익하게 놀 아는 능력

건강 리 생활에 필요한 체력을 보존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능력

인 계능력은 개인이 다른 개인을 하는 보편 인 심리 지향성으로 개인의 내

특성과 외 행동 간의 계를 의미한다

lt표 Ⅴ-6gt 인 계능력의 요소와 의미

자기 리능력은 자신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해 수행에 필요한 자기 자신의 능력

자질을 지속 으로 계발 리하고 장기 인 비 을 갖는 능력

lt표 Ⅴ-7gt 자기 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6 -

요소 의미

공동체 의식자신이 속한 공동체 는 그 구성원에 해 귀속의식이나 유 감을 갖고 공

동체의 유지 발 을 하여 공동체의 이익을 시하는 태도와 가치

신뢰감 책무성개인 기 사회에 한 신뢰감을 형성하고 사회 역할과 의무를 수행

하는 능력

민주 생활 방식상 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토 에서 타 과 상을 통하여 민주 차

를 거쳐 합리 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법정신공공의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기 해 만들어진 법이나 사회 규범을 수하

려는 의식

환경 의식환경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해 자신의 가치 소비습 생활방식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자 문화 계승 발 우리나라의 문화를 깊이있게 이해하고 계승 발 하는 창조 태도

다문화 이해 다원화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 용 존 하는 능력

외국어 소양 국제화 사회의 상호 소통에 요구되는 외국어 문해 능력

문화 감수성 술 문화에 한 감각을 넓히고 그 자체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진로 인식 진로 선택에 필요한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

진로 탐색 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탐색하는 능력

시민의식은 국가와 개인의 계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민주시

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가치 을 의미한다

lt표 Ⅴ-8gt 시민의식의 요소와 의미

국제 감각은 국제화 사회의 상호 작용에 요구되는 다양한 문화 언어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 변화에 능동 으로 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9gt 국제 감각의 요소와 의미

진로 개발 능력은 자신의 성과 소질에 부합하는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능력을 뜻한다

lt표 Ⅴ-10gt 진로 개발 능력의 요소와 의미

- 47 -

진로 개척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을

비하는 능력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

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연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

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결론에 신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어떻게 작동 혹

은 연계될 수 있는지에 해 시론 수 에서 논의27)하고 향후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 시키는 방안이다 즉 핵심 역

량 기반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정하

고자 할 때 가장 먼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기르고자 하는 인간 특성

을 명확히 하는 일이다 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인간형을 설정하고 이러

한 인간형을 달성하기 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은 교육과정 개발 혹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요한 작업이다(박순경 2005 66-67)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추구

하는 인간상 교육 목표는 학교 교육을 통해 달성 되어야 할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포 으로 담고 있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교 내외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을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들을 의미한다 이 에서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28)으로 참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시

에서 설정하는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27) 이는 핵심 역량의 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구성반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되

며 그 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존재 할 수 있다

28) 인간상은 교육목표와 불가분의 계에 있다 교육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에 기 하여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은 결국 인간상 설정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 까지 인간상 설정의 자원에

해서는 이론 논의가 활발하지는 않다 이로 인해 인간상 설정이 몇몇 선언 주장에 의해 결정되는 맹

을 지닐 수도 있다 역사 으로 볼 때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 인간상 혹은 바람직한 인간상들이 소개 되

었으나 이에 해서는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 다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 명시된 홍익인간의

이념은 인간상으로서 비과학 이라는 지 도 있으나 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포 인 교육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의 인간상도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해야 할

인간의 모습이기는 하지만 미래 사회에의 부합하는가 정말로 타당한가 실효성이 있는가 하는 지 들이 문

가들에 의해 언 되었다(손 호 1998 34)

- 48 -

이 무엇이며 이러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 어떤 교육 목표 혹은 능력을 기를 것인가

를 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인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는 미래사회에 당면하

는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하는 핵심 역량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할 경우 지나치게 학교

교육의 유용성 측면을 강조하는 외재 목 즉 개인의 성공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실

잠재 능력 개발 공동체 의식 등과 같은 교육의 내재 목 이 상 으로 소홀하게

취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귀납 방법

과 연역 방법을 동시에 견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귀납 방법은 학습자가 갖추어

야 할 능력을 설정한 후 그것들에 기 하여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을 말

하며 연역 방법은 미래사회에 어떤 인간을 양성해야 하는가 라는 제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능력을 도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교육 인

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개인 측면과 사회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컨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공동체 발 에 기여하는 사람 자기주도

인 사람 더불어 소통하는 사람 등으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된 국민 공통 기

본 교육과정에 핵심 역량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

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여 3개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

사결정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의 제는 행 국민공통 교육과정 편성운 의 실효성

을 비롯한 국가 교육과정 틀 속에 핵심 역량을 설정했을 경우의 기 효과29) 평가의

문제 등과 같은 교육과정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다 외국의 경우 핵심 역량을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교과교육과 연계시키는

토 로 삼고 있다 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해 계발해야 할 핵심 기능을 6가지

로 제시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역량 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lsquo범교육과정

역량rsquo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 lsquo교과 역rsquo을 설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인 것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교과 지식을 가르치되 그것을 통

하여 미래 사회의 삶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제고30)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29) 시 에서 행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외국 사례의 경우 핵심 역량 기반 교육의 성과에

한 정보가 없다는 을 감안하여 장기 으로 신 하게 근될 필요가 있다

30) 지 까지의 학교의 교과 교육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길러 주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종래의 교과 교육에서

- 49 -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은 lsquo교과 목표 설정에 핵심 역량을 반 하는 방

안rsquo lsquo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하는 방안rsquo lsquo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rsquo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재 교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교과 목표를 핵심 역량과 련하여 재진술 혹은

재구조화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교과별 교육 목 목표31)에 이미 제시되어 있는

역량과 련된 진술 혹은 내용들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컨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는 교과 목표로 ldquo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사고력과 창의

문제 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 이고 과학 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 소양을 기른다rdquo로 진술되어 있다 여기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

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은 실 으로 어렵다 교

과의 성격 가치 등과 같은 각 교과의 정체성32)을 고려해야 하며 교과교육 문가의

문 식견과 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핵심역량 기반 교과 목표의 설정이 가능

하다는 가정이 성립된다면 우선 으로 행의 교과목표를 재해석하는 작업과 함께 규

명된 핵심 역량을 어떤 교과에서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논의들이 심도 있게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핵심 역량을 교육내용의 선정조직에 반 하는 것이다 즉 해당 교과의 내용

체계표에 련 핵심 역량을 제시하는 방안이다

lt표 Ⅵ-1gt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의 연계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 방안( 시)

단원 핵심 역량 00과 교과 내용

1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A

B

C

2 000 능력 000 능력

3 000 능력 000 능력

4 000 능력 000 능력

도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와 련된 교육 목표를 설정해 왔으며 그

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해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해왔다 다만 학교 교육에서 자료 정보로 구성된 명제 지

식을 강조한 나머지 핵심 역량이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에서 학교 교육의 유용성에 한 문제 제기

는 가능하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수행과 무 한 lsquo지식 교육rsquo을 해왔다는 그간의 지 과 무 하지 않다

31) 교과목 목표의 설정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과 연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과교육목표 설정의 근간은 상 개념인 인간상 학교 별 교육목표에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상 교육

목표에 제시된 것들을 보다 구체 으로 교과 교육에서 추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총론과 교과교육과정과

의 연계성 문제는 교육과정사를 볼 때 일정 부분 쟁 이 되어 왔다

32) 이 에 있어서 교과별로 일 된 형식과 내용으로 핵심 역량 기반 교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차후 검토의

상이 된다

- 50 -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원에서 A B C 라는 교육내용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내용 선

정조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방안들이 강구될 수 있다 컨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교 별 학년별로 요구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을 수

별로 혹은 계 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학교 별 학년별로 핵심역량과 련된 교육내

용을 화하여 통합 으로 구성함으로써 교과 지식에 담긴 외연과 내연을 심화하는

학습을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정화 할 수 있다

셋째 재의 교과 틀 내에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재 국가 교육과정에 존재하는 교과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교수학습 장면에서 국가 교

육과정 교과 교육 목표에 제시한 핵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컨 사회과에서 핵심 역량으로서 lsquo시민의식rsquo의 하 요소로 설정된 사회 참여 능력을

효율 으로 제고하는데 유용한 토론 발표 등과 같은 교수학습 상황을 개한다 이러

한 근 방식은 기존의 교과 교육에서도 개되고 있는 방식으로 교과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제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교 보수 이면서 소극 인 연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비록 소극 인 방법이기는 하나 교육목표 교육 내용의 성격(

인지 정의 심동 측면)에 부합한 수업 략을 구 함으로써 핵심 역량에서 지향

하는 lsquo수행rsquo의 측면을 제고하는 장 을 지닌다

국의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의 제시방식은 핵심역량을 교과 내용과 련하여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해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한다 국의 경우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구성 체제(성격목표내용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과정 맨 뒤에 부록으로 핵심역량(key skills 의사소통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

의 응용능력 타인과의 동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lt표 Ⅵ-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 방식의 (생물 교과)

방안 련 단원 주제 시 해당 단원

토론 1 2 3 4 5 6

복제기술 사용과 련된 윤리 사회 문제 1

인간 게놈 로젝트의 의미 1

산림 벌채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향 3

식품과 음료 산업에의 미생물의 활용 4

유 공학의 활용 5

발표 1 2 4

생태계에서의 에 지의 순환 1

실험실 문화(안 련 쟁 ) 2

심장 질환의 원인 4

독서와

요약2 3 5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 6

극한과 극서 상황에서의 유기체의 용 2 3

화학 돌연 변이 물질의 향 5

쓰기 2 3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에 한 종합 에세이 6

흡연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향 2 6

지구 온난화에 한 신문 기사 3

- 51 -

표에서와 같이 각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각 교과에서 련되는 단원

을 제시하고 있다 각 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주제의 를 제시하고 제시된 주제

를 다룰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 내용과 련된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구 함으로써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화 될 수 있는 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량 심으로 교과 교육을 재구조화하다 보면 교과 교육을 통하여 우리가

무엇을 가르쳐 왔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과 교육을 통하여 그동

안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지 못했는지도 알게 되는 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 하고자 할 경우 가장 선결되어

야 할 과제는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rsquo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이다 주지하다시

피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한 교육의 질 리와 학교 교육의 책

무성 강화를 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 수 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미

국은 NCLB정책에 따라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2003년부터 매년 학

력향상을 한 학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도리(여유) 교육을 지양하고 기

학력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상당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에서 본다면 학교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증진 기 학력강화

학업성취도 향상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양립될 수 있는가 하는 이다 핵심 역량의 성

격과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지필형 검사로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편성운 의 성공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등학교와 학교에 비해 상 으로 학입시를 비하는 고등학교의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 은 실 으로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핵심 역량을 실질 으로 측정평가하는 교육과정 평가 질 리 체제의 도

입을 신 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거시 으로 국가 교육과정 평가라는 체의 틀 속

에서 질 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미시 으로는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핵심 역량의 요소 에서는 그 성격상

학업성취도를 통해 평가 가능한 것이 있고 그 지 않은 요소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심 역량 에서 학습자의 내 자질인 태도( 시민의식)를 강조하는

정의 측면은 내면화와 련된 것으로 가시 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며 실제 교수학

습장면에서 가르치기도 어려우며 지필형 검사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는가라는 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체 인 방향은 인 교육과 핵심 인재 양성 측

면에서 근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이 을 마치고자 한다 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

가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 52 -

참 고 문 헌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2006) 미래 사회의 도 한국교육 무엇을 비해야 하는가 학제 개편 토론회 자료

집 7-21

경상남도교육청(2008)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Ⅱ) - 국- 창원 경상남도교육청

교육 신 원회(2007) 학습 사회 실 을 한 「미래교육비 과 략(안)」공청회 자

료집 서울 교육 신 원회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 ldquo미래 사

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rdquo

김 철 외 (1996) 한국교육 비 202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안나 외 (2003)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

(Ⅱ)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진모(2001) 기업의 인 자원 개발을 한 역량 심의 교육과정 설계 직업교육연구

20(2)

김종인(2005) 역량에 한 새로운 정의와 인 자원개발에의 용 가능성 탐색 「임

연구」2005년 가을호

박순경(2008) 교육과정 선진화 개 방안 제3차 워크 자료(미간행 회의 자료)

소경희(2006) ldquo학교교육에서 lsquo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 시사rdquo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회 발표 자료집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 -역량 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17(4)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

구 24(3) 39-59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연구(Ⅰ)

연구보고 RR 2002-19

유 숙 외(2004)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 안 연구

(Ⅲ)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윤 진 외(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설정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 연구보고 RRC 2007-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53 -

이정표(2004) 성인의 직업기 능력 로그램 실태 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홍민김종인(2003) 핵심 역량 핵심 인재-인 자원 핵심 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서울 리드 출

인성교육정책자문 원회(1998) 21세기 한국인상 정립을 한 세미나 자료집

임동욱 외 3(2004 3) 국회사무처의 의정 지원을 한 핵심 역량의 요도 분석 한국정

책과학학회보 8(1) 135-158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133

정미라 외(2007) 유아기 핵심 역량 표 설정을 한 기 연구 인 자원개발정책

연구 2007-6 서울 교육인 자원부

정철 외(2000)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향상방안 신구 학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기본연구 98-7 서울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 연(2006) 평생교육과 인 자원개발의 계 고찰-북미 련 문헌을 심으로 평생교

육학연구 12(4) 1-17

진미석 외(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 개발 연구 정책연구개발사업

2007-공모-30 서울 교육인 자원부

최항섭(2007) 미래연구방법론 KISDI 이슈리포트 서울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홍후조(2006) 국가교육과정 안 분석 연구 정책연구 2006-02 서울 교육 신 원회

인 자원개발기본법(법률 제6713호)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

등교육법

고등교육법

Hamel G amp Prahalad C K(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79-93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QCA(2006) The curriculum QCA Looks forward

Rychen D S(2004) Key Competencies for all an overarching conceptual frame of

r e f e r en ce (h t tp www un a l e d u c od ira ca dcomp e ten c ia sKey

Competencespdf)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8) 민병모 외 역 핵심 역량 모델의 개

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

- 54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홍후조(고려 학교)

Ⅰ 핵심 역량의 근원 혹은 작용하는 터

핵심 역량을 열거할 때 요한 것 하나는 어디에서 어떤 장면에서 그것을 추출할

것이냐이다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 추출 장면에서 포 성과 배타성이 지켜지지 않으면

매우 복잡하거나 균형이 잡히지 않은 핵심 역량을 추출하거나 열거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발표문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나라의 교육목표에 나타난 핵심 역량을 분류하기

해 마련한 거인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정보처리능력

자기 리능력 시민의식 기 학습능력 직업 비능력 상황 처능력 심미 감수성 다

문화이해 환경의식 등은 나열 순서나 포함하는 범 나 언명하는 차원이 제각각이다 마

찬가지로 설문조사를 하기 해 열거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

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

문화 이해 능력 직업 소양 등도 여 히 차원 범 분량 수 이 제각각이다 이 에

서 본 연구는 추출 장면을 더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이 어디서 나온 것이

며 어디에 무엇하는데 쓰이는 것이며 구의 구를 한 것인지에 한 숙고가 더 필

요하다 이런 것을 제 로 확인하지 않고 핵심역량을 여러 나라나 연구에서 공통 으로

지 한다고 하여 본 연구는 이를 종합하여 나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토론자가 보기에 핵심 역량은 (1) 개인의 지정의체지덕체의 균형 측면 련 (2)

학습자로서 학습하는 장면 집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개인의 (3) 일상 생활인이나 가족

의 성원으로서 생활 장면 (4) 경제 직업인으로서 생활 장면 (5) 정치 시민으로서

생활 장면 (6) 지역 사회 국가 사회 지구 사회의 공동체 유지와 발 과 련된 장면

등에 터하여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도 일정한 근거를 가지는 셈이라고 본다 더 인

다면 재까지 여러 나라들이 상정한(추출한) 핵심 역량들도 (1) 개인의 인 성장(자

기 리) (2) 학습자로서 필요한 능력(기 학습 정보처리) (3) 집단의 성원으로서 필요한

능력( 인 계 상황 처 창의력 의사소통 문제해결) (4) 공동체의 유지와 발 에 필요

- 55 -

한 능력(시민의식 친환경 다문화)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이것들은 교육의 목표 추출

역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 교육과정 으로 보면 핵심 역량은 (1) 학문과 교과 련 핵심 역량(교과 공통과

교과 특수) (2) 학습자 개인 련 핵심 역량(지덕체지정의체) (3) 사회(경제 직업 정

치 시민 등)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별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열거한 핵심 역량을

이런 거에 따라 구분하면 (1) 자기 리능력은 학습자 개인 련 핵심역량으로 (2) 기

학습능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등은 교과학습 련 핵

심역량으로 (3) 인 계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 이해 능력 직

업 소양은 사회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과학 개념이나 활동을

두부 모 자르듯 할 수는 없지만 복잡한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는 있

다 (1) 자아 련 핵심 역량 자기 리력(건강체력의지감정시간) 자기존 감 술

심미성 진로개척능력(자활 선택과 비) 등 (2) 학습 련 핵심 역량 기 문해력 수리

력 정보처리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문제해결력(비 력과 창의력 논리 사고력과 경험

실증력 추리력 분석력과 종합력) 등 (3) 타인 련 핵심 역량 의사소통능력 인 계

능력( 동 타인 존 과 배려 용 공감) 등 (4) 사회 련 핵심 역량 직업수행능력(지식과

기술 태도 자격과 면허) 기획력 실행력(실천력) 교섭력 조직화능력 민주시민소양(권리 참여

의무 다양한 가치 수용 지속가능한 발 성찰 사고와 행동) 세계시민소양(다문화 응력)

등으로 나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 본 연구에서는 포 성과 함께 배타성을 견지하기

하여 핵심역량이 추출되는 장면과 근원에 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 기존의 핵심

역량들이 그것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해 추가 인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핵심 역량이 결국 쓰이는 곳에 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ldquo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핵심 역량은]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을 견지한다rdquo 핵심 역

량이 주로 사회인의 직무 수행과 련된 것으로 정의되어왔으나 연구진은 직장 업무와

함께 학교 학습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학교교육이 단기 으로

는 상 학습을 한 능력을 비하는 것이고 장기 으로 사회의 직업 업무 수행을

한 비라고 할 때 이 핵심 역량은 (1) 학업을 한 것과 (2) 직업을 한 것으로 나

수 있다

- 56 -

Ⅱ 교육에서 핵심 역량이 요청되는 이유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 왜 새삼스럽게 무엇 때문에 핵심역량이 문제가

되는가에 한 반성 고찰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본다 발표 에서는 OECD 국가들

이 핵심역량으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옮아가기 때문에 우리도 이를 받아들이는 것으

로 취 하는 편이다 토론자는 우리 교육이 교과 심의 그것도 청각과 시각 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데서 오는 한계에서 우리 교육은 핵심역량을 담아내는 교육 로그램

이 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교과 과잉 교과 학습이 제 특성을 잃고 동소이하게 가르

쳐지고 배우고 한 시험이 치러지는 상을 극복하기 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 안으

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 교육은 교과 지식 과잉과 시험 과잉의 극복이 요청된

다 교과 지식 일변도가 아니라 교과 아닌 것들도 개인 으로 유의미하고 사회 으로

한 것이 지 않기 때문이다 분과화된 교과의 분 지식과 내용으로는 미래 사

회에 처할 수 없다 창의 문제해결력 통합 인 에서 쟁 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

청된다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지식과 기술은 가시 이고 교육을 통해 변화 확

인 가능한 것이지만 동기 특성 자아 등은 비가시 이고 가르치고 배우기도 어렵다

교육을 통해 ldquo건강한 자기 존 감(healthy self-esteem)을 기른다는 핀란드의 교육은 핵

심역량을 기르는 것에 근 해 있다 인의 형성과 같은 교육 본래의 역할이 지식과 기

능 인 것 특히 정보와 지식에 치우치는 것을 넘어 실제 인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기 하여 핵심 역량은 학교교육에서 더 강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핵심 역량은 상

으로 생활력 사회 역량 할 수 있는 능력 체화된 역량 장에서 발 되는 암묵

지 략과 기술 등의 개발과 계되기 때문이다 핵심 역량을 기르는 목 은 통합 실

무 능력을 익 서 유능하고 경쟁력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는 교과와 교과외의 통합 교육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

으로 구성되는 균형 추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내용은 체로 (1) 지식(교

과) (2) 기능 과정 (3) 태도 가치 인식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한 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해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다 그러나

이것들 우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을 제외하고 기능 과정과 태도의 역은 상

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 습득과 능력 구비의 균형 추구 지식 기

능 태도 사회성의 균형 추구 개인 자본의 형성과 확 와 사회 자본의 형성과

확 의 균형과 조화 추구 역량 가치 태도의 교육을 소홀히 않는 교육과정 설계가 필

- 57 -

요하기 때문에 핵심 역량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Ⅲ 핵심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 역

핵심 역량을 기름에 있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져야할 부분과 일상생활이나 직업생활

을 통해서 길러져야할 부분에 한 구분이 필요하다 세 연구기 이 공동연구를 행하는

취지를 달성하기 해서도 역할분담은 필요하다 직능원에서 직업생활에 필요한 것 평

생교육진흥원에서 평생학습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드러낸다면 평가원은 학교교육

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 개발에 더 치 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등 lsquo학교rsquo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기존 교과(학습 역)나 특별활동 등 학교교육 체를 통해 달성해야할 모든

역량을 핵심역량이 망라하거나 교과나 특별활동에 의해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역들이 잘 못하거나 무 심한 부분에 한정하여 핵심역량을 달성할 방안을 모색

해야할 것이다 특히 교과와의 계에서 교과로 달성 가능한 것 부분 으로 달성되는

것 달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정도를 나 어서 교과로 () 달성되지 못하는 핵

심역량을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에서 달성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학교교육을 통해 달성할 핵심 역량을 규명해가다 보면 이미 여러 교과를 통해서

혹은 특별활동이나 창의 재량활동 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잘 하고 있는 것을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것을 확인하고 기존에 잘 달성해오던 핵심 역량은

그 로 두고 기존 교과나 다른 활동을 통해서 길러지지 못하고 있으나 단기 으로 학

교교육 장기 최종 으로 직업교육에 꼭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

를 길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핵심 역량에 한 포 성

배타성 높은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여 열거해주는 일도 요하지만 더 요한

것은 기존 학교교육에서는 잘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요하다 즉 각 교과는 나름 로 핵심역량들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그리고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도 나름 로 핵심 역량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

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교과나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서도 제 로 길러지지 못하

고 소홀히 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이며 그런 핵심 역량은 어떻게 길러질 수 있는지 확인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58 -

Ⅳ 각론 교육과정의 구성 역

ldquo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는 3개

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필요하다rdquo 과연 교과 이외의 활동을 복

수(複數)로 더 나 는 것이 바람직한가 각론을 구성하는 역들은 교과 재량 특활이

지만 재량이나 특활은 교과에 려서 차 미미한 비 에 머물고 있다 이 게 보았을

때 2원 구조로 가거나 3원 구조로 갈 때 필요한 것은 확실한 역할 분담을 찾는 일이다

핵심역량이 기존의 것들과 이름이 다르다고 하여 새로운 축으로 들어앉힐 수는 없을 것

이다 그 게 되면 옥상옥이 되고 창의 재량활동 꼴이 될 것이다 앞서 언 한 로

교과로써는 잘 달성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선무이다 교과와 교과외 활동을

구분하고 핵심역량과 창의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역할을 구분하는 논리 정지작

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것들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역이나 활동을 확인하여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역의 분할 문제는 2원 체제(교과 vs 교과 아닌 것특별활동)

이거나 3원 체제[교과(지식gt역량gt태도) 통합 역량(역량gt태도gt지식) 특활(태도gt역량gt

지식)]이면 충분할 것이다 비 도 얼마 되지 않는데 4원 체제를 언 하는 것은 주의를

요한다 달성할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배워야 할 핵심 교과 혹은 학습 역(key

learning areas)과 추구할 핵심 가치와 태도(key values and attitudes)와 연계되어 검토

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각각을 가장 잘 달성할 것 같은 교육 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 요하다 교과와 별도로 길러야할 핵심역량을 정하고 이에 맞는

cross-curricular theme을 정하고 어떤 로그램 혹은 integrated programsactivities을

통해서 integrated goals을 달성하도록 길을 여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 가 어디까지인지 잘 알지 못하지만 해당 핵심 역량을 어느 시기에서

기르는 것이 가장 한지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학년군별로 어떤 핵심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한 것인지에 한 확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학년군에 모든

역에서 모든 핵심 역량을 고루 기른다고 하면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

문이다

- 59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I 들어가며

이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

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다

이 을 읽으면서 가장 궁 했던 것은 새로 규명하는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 어떻

게 국가 교육과정에 흡수되어 학생들이 지 까지와는 달리 학교에서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을 어떻게 실질 으로 배워나갈 수 있는가 다 즉 발제문의 마지막 문장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답을 기 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는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 구체 인 교육과정 구성 등에 한 속

시원한 답을 얻지는 못했다

토론문은 결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방안을

심으로 작성하 고 그 외에 의견이나 의문 등을 간단히 정리했다

II 발제 원고에 한 의견

1 미래 사회의 특징

연구에 앞서 진단한 lt표 1-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의 내용은 우리에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 으로 공통 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여기에 한국인만이 직

면하고 있는 lsquo분단rsquo과 lsquo통일rsquo 요소가 빠져있는 듯하다 남북 계는 한국의 미래를 결정

- 60 -

하는 요한 변수로 재 lsquo분단rsquo으로 생기는 사회 문화 정치 경제 요소가 고려되어

야 하고 lsquo통일rsquo 이후의 변화 요소에 한 가상 미래사회 시나리오도 동시에 연구

되어야 할 매우 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 국가 간 핵심 역량 교육과정 련 문서 표 비교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서 국

외와 국내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국외는 핵심 역량의 항목이 비교 구체 이어서 교

육과정과의 연계가 쉽게 상상이 되는데 비해 국내는 추상 인 표 이 많아 실질 교육

과정과의 연계가 어렵다 국내 연구도 최근에 가까울수록 특히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의 경우는 단히 구체 이어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해가 쉽다

- OECD DeSeCo 2002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 뉴질랜드 2007 자기 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참여 공헌

- 호주 빅토리아주 2007 건강과 체육 정보통신기술 디자인 창의성 공학

- 캐나다 퀘백주 2001 환경의식 건강과 참살이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 곽병선 2001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동작업능력

- 교육 신 원회 2007 동과 사 갈등 리 술 문화의 감성 등

이러한 흐름은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lt표 Ⅲ-1gt과 lt표 Ⅲ-6gt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요

인 가운데 시민의식 항목을 뉴질랜드와 한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뉴질랜드 한국

교육비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 구성원 되기

국제사회 시민 되기

자국의 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바지

폭넓은 교양

핵심기능

공동체에 극 참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 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 문화 물리 경제 환경의 지속 가능

성에 공헌하기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 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 61 -

3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의 결과는 역이나 요소가 상당 부분 구체화된 경향이

보인다 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은 lsquo문제의 발견rsquo lsquo문제의 명료화 rsquo해결 안의 탐색lsquo rsquo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lsquo으로 36쪽의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의 문제해결 항목의 교육목 이 lsquo문제해결력rsquo 한 단어 던 것에

비해 단계 으로 요소가 나뉘었다

그러나 42쪽의 lsquo시민의식rsquo과 lsquo국제 감각rsquo의 요소는 여 히 추상 인 의미의 로 표

된 듯하다 시민의식은 lsquo공동체 의식rsquo lsquo신뢰감 책무성rsquo lsquo민주 생활방식rsquo 법정신

환경 의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감각은 lsquo자 문화 계승 발 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외

국어 소양rsquo lsquo문화 감수성rsquo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

이 은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작동 혹은 연계되는 것과 련해서 3가지 과

제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시키는 방안

이다 이는 이미 lsquo홍익인간rsquo 등의 설정이 있었다 다만 사회가 변화하면서 사회에 합한

인간상이나 교육목표로 바 는 수순을 밟고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핵심 역량은 교

육과정의 한 요소라기보다 교육과정 반을 통해 계발해야 할 총체 역량인 듯 하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 이다 lt표 VI-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방식의 와 같이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

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발제문 50쪽에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이 실

으로 어렵다고 했지만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

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해결책이라는 을 주목한다

면 어쩌면 연구자 입장에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야 할 작업일 것이다

이 경우 행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체제는 획기 인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행

의 일률 평가로는 핵심 역량을 평가할 수가 없으므로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비해야

할 것이다 수 별 평가 보다 범 한 수행 평가 교사별 평가 등 다양하면서도 구체

인 평가방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발제문 5쪽의 인 역량 개념을 정리한 하버드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

- 62 -

(McClelland)의 논문 lsquo지능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rsquo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

서 실제의 성과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

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elland 1973)는 연구결과

도 있다

III 나오며

최근 많은 학부모들이 왜 학교는 애들에게 세상살이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공부 즉

쓸데없는 공부를 많이 주입시키면서 시험을 한 시험을 보는지에 해 고민하면서 외

국학교와의 비교를 자주 한다

lsquo세계화 시 rsquo lsquo다원화 시 rsquo lsquo지식 정보화시 rsquo 등 세상에서 요구하는 것은 많이 바

는데 학교는 요지부동인 것이 많이 못마땅하다 새벽부터 밤까지 무엇을 한 공부인지

생각할 겨를 없이 무조건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도 지친다

책임자가 바뀔 때마다 교육은 바 어왔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 해오고 있지만 실질

으로 바 것은 많지 않다

이번 연구가 미래사회의 교육 핵심역량을 추출해서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주목 이었지만 결론에서 제안한 교육과정과까지 실

질 연계되는 단계로 연구가 발 하여 학교가 새로운 미래사회가 필요한 인재를 육성

하고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발 이 되기를 희망한다

- 63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정철 (서울 학교)

핵심 역량과 련하여 국내외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등 주요 선진 국가에서는 오래 부터 개인이 갖추어야 할 역

량이 무엇인가에 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연구 결과 이러한 역량을 Key

competency Core skill Common skill Basic skill Transferable skill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말 그 로 가장 요한 핵심(Key 는 Core)이 되거나 공통 으로 요구되는

(Common)이 되는 역량 기본이 되거나(Basic) 이도가 높은(Transferable) 능력을 말함

우리나라에서는 ldquo핵심역량rdquo ldquo생애능력rdquo ldquo직업기 능력rdquo ldquo기 직업능력rdquo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다면 미래 사회에서 인간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 (common)으로 요구되고

핵(key core)이 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그 핵심역량을 어떻게 등학교에서 교육

하고 육성할 것인가에 한 이 연구는 매우 요하며 시의 하다 이 요한 연구와

련하여 토론자로써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사항과 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Ⅰ 연구 제목과 련하여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rdquo은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

는 핵심 역량rdquo으로 이해 될 수도 있고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

량rdquo으로도 이해 될 수 있다 그런데 원고의 내용을 볼 때 이 연구는 ldquo 등학교 교

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이라고 단됨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제목을 수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 64 -

Ⅱ 선행 연구 고찰과 련하여

핵심역량 ( 는 직업기 능력)과 련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

었다(lt표 Ⅱ-1gt 참조)

유사 역군

국가 원회 명명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리

능력

자원활용능력

인계

력능력

정보의처리

활용능력

기술지식의용

능력

문화이해능력

기타

미국

SCANS1)

workplace know-how

ASTD2)

workplace basics

Michigan employment skills

New York basic skills

NAS3)

core competencies 12)

FEU4) core skills 13)

CBI5)

core skills 14)

NCC6)

core skills 15)

GNVQs7) core skills

호주

Karmel 원회 general competencies

Finn 원회 key competencies

Mayer 원회 key competencies

뉴질

랜드

CICAQ8)

generic skills

NZPC9)

generic skills 16)

교육부 generic skills 17)

CICAQ10)

generic skills

독일 PETRA11)

core skills

주 1) SCANS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2) 사회경제 연구능력

2) 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3) 산업 사회 환경에 한 연구능력

3) NA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4) 일의 세계와 국제사회에 한 이해능력

4) FEU Further Education Unit 15) 외국어능력

5) CBI Confederation of British Industry 16) 상업 경 능력

6) NCC National Curriculum Council 17) 신체능력

7) GNVQs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8) CICAQ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9) NZPC New Zealand Planning Council

10)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11) PERTRA ProjEct and Transfer oriented tRAining

자료 정철 (2008 8) 문 학에서의 직업기 능력 개발 문 학소식 103호 한국 문 학교육 의회 p 13

lt표 Ⅱ-1gt 선진 외국의 핵심 역량 ( 는 직업기 능력)의 역에 한 연구 종합

- 65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6년 교육개 원회에서 련 정책이 제안된 이후 1997년부

터 그 역과 요소에 한 논의와 연구가 교육부( 재의 교육과학기술부)를 심으로

본격 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노동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년에는 인문사회연구소 산하 국책연구기 에서 공동으로 많은 연구가 동시 다발 으로

수행되고 있음 따라서 이론 고찰에서 이러한 연구의 동향과 내용에 한 보다 심도

있는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Ⅲ 핵심 역량 추출 방법과 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등학교 교육 련자( 등학교 교사와 교육 학 사범 학 교수)를 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rdquo이라면

핵심 역량의 추출을 하여 재 등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하지만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인 경우에

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이 경우에는 핵심 역량이 무엇을 한 핵심 역량이며 어디서 필요한 핵심 역량

인가 요하다 등학교 시 에 수행해야 해야 하는 역할을 성공 으로 행하기

한 역량이라고 볼 수 도 있고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필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도 있

음 일반 으로 핵심역량은 후자를 일컬으며 연구자도 ldquo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rdquo 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을 추출하기 해서는 련 문가 학자 특히 산업 장의

리자 재직자 직업 직업교육 문가 미래학자 등을 주 상으로 조사하여 그 요

소들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학교 장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반 되고 있는가에 해서는 재 재직 이

신 선생님들과 련 학 교수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안)과 련하여

이 연구의 V장에서는 등학교를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안)이 제시되어 있는

- 66 -

데 연구자께서는 ldquo문헌 분석(선행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rdquo라고 하고 있지

만 구체 으로 핵심역량이 어떻게 추출되고 9개 역으로 묶여졌으며 9개 각 하 요

소들은 어떻게 구분되어 제시되었는지에 한 명확한 기 이나 구체 인 방법에 한

설명이 없다

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이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것과는 어떻게

다르며 차별화 되는지 그 차이의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지에 한 설명과 논의가 필요

하다 이와 련하여 몇 가지 세부 인 의문 사항을 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외국어 소양을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로 하고 있으

나 이 연구에서는 ldquo국제감각rdquo의 하 요소 구분하고 있음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는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 ldquo다양한 상호작용기

술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rdquo이라고 되어 있는데 의사소통능력에서 요한 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표

능력은 제시되어 있지 않음 한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은 다른 차원

의 분류가 아닌지( 를 들면 이해의 한 가지 방법이 경청은 아닌지)

윤리와 련해서는 ldquo직업윤리 ( 는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rdquo ldquo시민윤

리rdquo 등도 요한데 ldquo정보윤리rdquo만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음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는 다른 역량에 비하여 무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특히 하 요소로 제시된 학습능력은 기 학습능력과 자기주도 학

습능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다른 요소에 비하여 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일반 으로 사고기능( 는 사고력)은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창의력의 하 요소로 구분되어 있음

리더십은 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 계의 하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

구에서는 리더십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 등등

Ⅴ 연구 범 추후 연구와 련하여

이 연구의 범 를 등학교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의 추출에 국한 할 것인

가 아니면 핵심역량의 추출은 물론 그러한 역량들이 재 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한 실태 특히 교육과정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 되어

- 67 -

있고 교육방법으로는 어떻게 실시되고 있으며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한 사항들도 포함해야 할지가 요한 사안이다 자는 기본 제가 되고 후자는

등학교 장에서 더욱 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자의 내용을 정확히 추출하

고 이를 기 로 앞으로라도 후자가 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고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다 한

재의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의 개편 는 신설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고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히 선택 용하

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등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핵심 역량의 요성에 해서는

쉽게 합의가 도출되겠지만 그러한 요소들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지 특히 이와

련하여 교과의 명칭 는 내용을 어떻게 개편할 지에 해서는 각 교과 담당자의 이

해 계가 상충되므로 매우 어려울 것으로 견된다 따라서 각 교과 이해 계자들의 이

해와 수용을 어떻게 이끌어 내서 교육과정에 반 할 것인지 그리고 핵심역량과 련하

여 교사들이 올바르게 교육방법을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

지에 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Ⅵ 세미나 주제와 련하여

본 세미나의 주제는 ldquo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dquo이며 제1

주제는 등학교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제2주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제3주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제를

이와 같이 3개의 주제로 나 면 복해서 다루어야 하는 부분도 있고 다루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한 상호 주제간의 연 성이 모호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1)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지를 먼 구명하고 (2) 다음

으로 그러한 능력을 등학교 학교 평생학습기 기업 산업 장에서는 어

떻게 육성할 것인지를 다루고 (3) 마지막으로 이를 하여 이러한 기 간의 교육과정

의 편성 운 상의 역할 분담 연계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법 제도 으로 지원

할 것인지에 한 주제로 나 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단된다

쉽지 않은 방 한 주제에 하여 일목요연하게 자료를 정리하고 발표하신 연구자께

감사를 표하며 오늘의 토론이 앞으로의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토론을 마치고자 한다

- 68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6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방법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Ⅲ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4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결과 요약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추출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Ⅴ 결론 논의

참고문헌

- 70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7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구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변되는 격한 사회 변화 속에 개인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을 하고 사회의 지속 인 발 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어떠한 자질

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 한 국가 경쟁력의 핵심 인 요소가 그 나라 국민이 가진 역량이

라고 보고 각 국가는 그 나라의 국민의 역량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직업훈련의 강화와 교육체제를 개편하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고 있다

(OECD 2003 2005)

직업생활에 있어 주어진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인 직업능력은

크게 직업기 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기 능력은 직업능력의 하

구성요소로서 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 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고 직무수행능력은 특정 직종 는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

행하는 데 필요한 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정철 외 1998) 사

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살아가기 하여 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는 에서 핵심 역량에 한 논의는 바로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와 크게 구별되지 않

는다 모든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서의 직업기 능력의 부분의 요소들

은 그것이 단지 직업 생활이라는 맥락에서만 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생활

사회 참여자로서의 생활 가정 구성원으로서의 생활 등 삶이 모든 국면에 이가 가능

한 핵심 능력이다 따라서 포 인 의미에서의 핵심 역량과 직업기 능력은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

직업기 능력은 어로는 key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core skills basic skills

generic skills 등 다양한 용어로 표 되어 왔다 직업기 능력의 개념과 련하여 주의할

사항은 직업기 능력에서 lsquo기 rsquo라는 표 이 낮은 수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이

되고 공통이 된다는 이며 그것이 요청되는 수 은 직업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철 외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정철 나승일서우석송병국이종성이 수행한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에 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와 련된 많은

연구가 재까지 진행되었다 직업기 능력을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정

철 서우석나승일송병국강경종 2000a 정철 서우석이길순 2000b 정철

- 72 -

나승일김종우허 2001 박동열 2006)에 한 연구 직업능력인증제 혹은 국가

자격표 개발과 련하여 직업기 능력이 논의된 연구(이동임 외 2000 조정윤박종

성김상진 2002 나승일장석민서우석김진모이성 2003) 직업기 능력을 측정하

고자 한 연구(진미석이수 송창용 2007)가 있으며 2008년 재에도 몇 개의 연구가

진행 이다

많은 국내외 연구가 재까지 축 되었으나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무엇인가에

한 정설은 없는 가운데 재까지는 정철 외가 1998년에 제시한 하 요소가 많은 연

구에서 기본 틀로 활용되고 있으며 암묵 으로 하나의 기 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1998년도에 수행된 것으로서 시 에서 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하 역

요소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 은 직업기 능력에 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목 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표 하 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체하거나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자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하

고 있는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추출된 역량들은 최종 으로 종합

되어 향후 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 된다

2 연구 방법

가 역량 추출 방법 선정 근거

Weinhert(2001)에 따르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기본 으로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주목하여 역량을 추

출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규범 근은 직업세계에서 성공 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은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경험 근

에서도 성공의 기 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규범 요소가 포함된다는 에서 볼 때 가치

단 요소를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것은 규범 인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

며 따라서 보는 에 따라서 요하게 여기는 역량이 다를 수 있다 결국 구의 의견

이 반 된 규범인가 라는 것이 건이 될 것이다 논란을 피하는 가장 안 한 방법은 많

- 73 -

은 사람이 동의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할 경우 후보로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배제되는 역량이 있

을 것이다 다른 방법은 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 이 조사이다 그러나 충분한

사 논의나 숙의 과정이 없이 진행되는 델 이 조사를 통하여 수렴된 의견이 얼마나 설

득력이 있을 것인지에 해서 여 히 의문이 남게 된다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추출은 그것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따라서 합

의의 범 와 차가 달리 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 자격제도 운 과 같이

국가 수 에서의 정책 반 을 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결정하고자 한다

면 국가 수 에서 합의 차를 밟는 것이 요청된다

규모 설문조사와 델 이 조사가 가질 수 있는 한계에 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 즉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는 등의 실증 데이터 수집과정을 거치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기존에 국내에서 수행

된 표 인 연구 결과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데 을 맞추고자 한다 국내에서

표 으로 인정되고 있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하 요소와 가장 최근에 델 이 조사

를 통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선정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본

연구의 역량 추출의 출발 으로 삼고자 한다

나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련된 다양한 자료 분석

기존에 성실하게 수행된 연구 결과를 비 으로 검토하기 해서는 일정한 안목과 근

거가 요청된다 이를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 속에 나타나 있는 단서들

을 찾아서 분석하 다 그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국내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강조되는 특성 분석

- 국내 기업 직원 교육 로그램에 반 된 핵심 역량 분석

- OECD 직무요구분석(Job Requirement Analysis)에서 제시된 스킬 분석

- 산업별 직업 연구에서 제시된 기 직무능력 분석

다 주요 구인에 한 이론 논의 검토

선행 연구에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각 구인에 하여 충

분한 이론 논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험 자료에 기 하여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명이 설정되고 델 이 조사에 의하여 역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일정

- 74 -

한 임의성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비 하는 것 역시 임의성으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규모 실증 조사나 델 이 조사 근거가 없다는 에서 임

의 이라는 비 을 받을 가능성은 오히려 더 크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개선하기 보다

는 임의 기 에 의해서 비틀어 놓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험을 피하기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 요소를 변경하거나 역의 명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그 구인에 한 심리학 논의들을 최 한 참고하고자 하 다

라 문가 의회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단되는 하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개입되는 임의성을 최 한 배제하기 하여 련된 연구를 수행한 문가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반 하고자 하 다

[그림 Ⅰ-2] 직업기 능력 하 요소 추출 과정

- 75 -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가 역량의 개념

지난 수십 년 간 역량은 그 모호한 개념 속에서 학문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맥락 속

에서 매우 유행하는 용어가 되었으며 일종의 개념 ldquo인 이션rdquo이 일어남으로써 다

양한 의미가 추가되어 왔다 competence 즉 역량은 웹스터 사 에 ldquofitness 는

ability로 정의되어 있으며 비슷한 말로 capability capacity efficiency

proficiency skill이 제시되어있다 역량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나33) 공통 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특정한 목 에 도달하기 하여 필요한 능력

의 체계로 해석되고 있다 역량은 개인 성향(dispositions)에 용되거나 한 사회 혹은

집단 수 에서의 그러한 성향의 분포를 논하는 경우도 있다 역량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이는 사람들과 련됨과 동시에 매우 변하는 사회에서 박하게

요구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하여 개인이 반드시 가져야 할 학습 성향을 포함한다

(Weinert 2001)

스펜서(Spencer amp Spencer 1993)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보고 이는 지식 기술

자아개념 동기 등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한상근최동선정윤경(2006)은 역량의 개

념에 한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아래 lt표 Ⅱ-1gt과 같이 검토한 후에 역량의 구성 요

소는 지식 기술 태도라고 보았다 여기서의 지식이란 작업을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개념 원리 체계화된 이론이며 스킬이란 해당 작업 수행을 한 구체 인 차와 방법

에 따라 작업에 용해서 기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태도는 직무

33) 역량이라는 용어는 1920년 과학 리의 창시자로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 인 구성요소로 나 것

을 제안하면서 역량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 다 한 2차 세계 심리학자인 flanagan(1954)이 요사

건면 기법(critical incident interview)을 통해서 업무 사건 기 요 문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 하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lsquo성공 인 수행과 련된 결정 특질(trait)이나 기술

(skill) 등을 악하려고 시도하 다 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리랜

드(McClleland)로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

데 을 맞추었다(윤 진 김 이 우 제철 2007)

- 76 -

수행에 한 개인 차원의 행동 정서 인지 역에서의 비 상태 는 반응

경향성을 의미한다

lt표 Ⅱ-1gt 역량에 한 정의

한국직업

능력개발

원(1999)

Norton Robert E

(1999)

정철 외

(1998)

L G인화

(2004)

P a r r t

S c o t t

B(1998)

임 창 희

(2003)

Spencer

amp

Spencer

(1993)

McLagan

(1989)

박 우 성

(2002)

강순회 외

(2002)

황 욱

외(2004)

어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mpetency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석능력 성취 능력 직업능력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핵심역량 핵심역량

어떤 직종

에서 직무

를 성공

으로 수행

하는데

으 로

필요한 지

식 기능

태도 가치

등을 모

두 포 함

주어진 직

업의 과업

을 수행하

기 해 요

구되는 지

식 기술

태도의 성

개인이 주

어진 직업

의 과정을

효과 으로

그리고 능

률 으 로

수행할 수

있을 때 소

유하고 있

는 능력

주어진 직무

를 성공 으

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능력

의 총체

성과를 가

져오는 행

한 개인의

직무 (역할

는 책임)

수행에 큰

향을 미

치고 업무

성과와

련되며 공

인된 표

에 의해 측

정될 수 있

고 훈련과

개발을 통

해 향상될

수 있는 지

식 스킬

특 성 들 의

통합된 형

조직에 커

다란 업

을 실 하

는 사람이

지속 으로

소 지 하 고

있는 내

인 특성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

행의 원인

이 되는 개

인의 내

인 특성

고성과(고품

질)를 내는

데 필수

인 개인

능력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우

수한 성과

를 내게 하

는 원인 되

는 개인의

내 특질

조직에서 요

구하는 공통

역량(기본

역량)과 개인

의 특수직무

나 역할에서

요구하는 차

별화 역량(

문 역량) 의

직무를 성

공 으 로

수 행 하 기

한 핵심

능력

-지식

-기능

-태도

-가치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경험

-지식

-기술

-태도

-가치

-지식

-스킬

-특성

-지식

-스킬

-자아개념

-특질

-동기

-지식

-기술

-자기개념

-특질

-동기

-물리

로세스

-내면

로세스

-인지

로세스

- 범 한

사업(산업)

지식

- 문가

지식

-필요경력

-필요능력

-직업기

능력

-직무수행

능력

-공통역량

-기능역량

-직무역량

-필수 역량

-차별화 역량

자료 한상근 정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 77 -

나 일반 세분화된 인지역량 핵심 역량 메타역량

Weinert(2001)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활용되는 다양한 측면을 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일반 인지 역량) 역특수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메타역량(meta competencies) 등으로 구별

하여 제시하 다

1) 일반 인지 역량과 세분화된 인지역량

일반 인지 역량(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다양한 역에서 요구되

는 과제를 수행하기 하여 사용되는 모든 지 자원들을 포 하는 개념이다 일반

지 능력을 강조하는 근의 시 는 지능에 한 심리측정 근 정보처리 모델 인

지 발달에 한 피아제의 이론이 이에 속한다 심리측정에서 보는 일반지능은 목

행 한 추론 성공 인 학습 환경과의 효과 인 통합을 하여 인지 으로 요구

되는 능력을 지칭한다 한편 정보처리 근 이론에서 지능 는 일반 역량은 다양한 수

많은 지식과 스킬을 획득하게 하는 정보처리 기제로서 이해된다 피아제는 일반 인지

역량을 가정하기는 하 으나 그의 이론에서는 심리학 으로 조직된 응과정이 보다 핵

심 인 개념이다 즉 보편 발달 과정을 통하여 더 유연하며 추상 인 지식과 행

동 역량을 갖게 되고 따라서 구체 인 환경에 보다 잘 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분화된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특정한 역에서

과제를 잘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인지 선결 조건을 의미한다 컨 체스 이

피아노 연주 자동차 운 기계 문제해결 등의 과제를 하여 필요한 인지 능력이다

세부 역과 련된 인지 역량에 한 근은 특정 분야에서 문가가 되기 한 요건

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2) 핵심 역량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최근의 교육 사회 정책에서 매우 선호되고 있는

개념이다 학교 는 직업 생활에서 획득한 역량은 특수한 상황( 컨 특정 교과 혹은

특정 회사의 특정 직무)과 연계되어 학습되고 활용되었으나 생의 과정과 련된

부분의 활동들은 다양한 사회 직업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에

응하기 하여 다양한 기 혹은 조직에서 다른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동일하게 효율

일 수 있도록 맥락 는 상황과 어느 정도 독립 인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모색하

게 되었다

- 78 -

핵심 역량 개념이 매혹 인 이유는 이는 매우 다기능 이며 학문 역을 넘나드는

역량으로서 많은 요한 목표를 성취하며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낯선 상황에 응하

는데 유용하다는 이다 많은 교사와 정치인들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살아가기 하여

필요한 많은 역량들을 교육하기 하여 과 하게 복잡하게 구성된 교육과정이 몇 개의

제한 인 핵심 역량 심으로 축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 하고 있다

3) 메타 역량

메타 역량(meta competencies)은 역량에 한 역량을 의미한다 메타(meta)는 인식론

상에서 ldquo자신의 범주에 한rdquo이라는 의미로서 를 들어 메타 지식(meta knowledge)이

란 자신이 아는 것에 한 지식을 의미하며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에 한 데이터를 의

미한다( 키피디아) 동일한 맥락을 용할 때 메타 역량이란 바로 역량에 한 역량으

로서 자신이 어떠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할 수 있는가를

단할 수 있는 역량이 바로 메타 역량인 것임(Weinert 2001)

다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국제 력에 기 하여 수행된 연구인 DeSeCo 로젝트에서

는 lsquo역량(competence)rsquo이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첫째 역량에 하여

기능 인 근(functional approach)을 활용하고 있다 기본 으로 DeSeCo 로젝트

(Rychen amp Salganik 2003)에서는 역량을 lsquo인지 비인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

사회 특성(psychosocial prerequisites)을 활성화(mobilization)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

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 으로 응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둘째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내 구조(internal structure)를 강조한

다 요구지향 인 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단순히 lsquo~을 할 수 있는 능력rsquo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써의 내 정신 구조(internal

mental structure)로 개념화된다고 설명한다 즉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하여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 능력(분석 비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능

력 등)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으로 역량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DeSeCo 로젝트에서는 역량의 총체 이며 역동 인 근을 추구한다 즉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

( 는 내 정신 구조)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 79 -

라 직업기 능력

역량과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삶의 역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인가라

는 에서 논의되고 있다면 직업기 능력은 그 에서 특히 직업생활에서 공통 으

로 필요한 역량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에서 굳이 구분하자면 상 으로 좁은 개념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량에 한 논의가 애 에 직업 생활과 련하여 출발하 으며 따라서 그것

이 처음 논의된 1920년에는 굳이 vocational 는 occupational이라는 표 을 skill 는

occupation 앞에 추가할 필요가 없었다 은연 에 역량과 핵심 역량이라는 논의는 직업

생활과 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의 개념을 직업 생활을 넘어선 삶의

역으로 확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 히 직업 생활과 련하여

요구되는 핵심 능력에 한 논의에서도 occupational 는 vocational이라는 수식어가

없이 skills 는 competencies로서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

로 체하여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가 미국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의 직업기 능력

미국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실제 산업

장에서 높은 수 의 직무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에 을

두고 조사한 결과 lt표 Ⅱ-2gt와 같이 8가지의 직업기 능력을 제시하 다 여기서 직업

기 능력은 3 역의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과 5개 직무 장능력(five

competencies)으로 구분된다 기본능력이란 읽기 쓰기 수리 능력 등의 ①lsquo기 능력rsquo과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② lsquo사고력rsquo 그리고 책임감 자존감 등의 ③ lsquo개

인 자질rsquo이다 5개 직무 장능력이란 ① lsquo자원활용능력rsquo ②lsquo 인 계능력rsquo ③lsquo정보

처리능력rsquo ④lsquo시스템능력rsquo ⑤ lsquo기술활용능력rsquo으로 구성된다

- 80 -

lt표 Ⅱ-2gt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 능력

직무현장능력(five competencies)

자원활용능력(resources)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시스템능력(systems)

기술활용능력(technology)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능력

①팀원으로 참가 ②타인에게 새로운 기술 전수③고객 기대 만족 ④지도력 발휘⑤상호 합의 도출⑥다양한 배경의 사람과 같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①정보 습득평가②자료 조직유지③정보 해석교환④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조직적 기술적 체제(system)를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능력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

기초능력(basic skills)

사고력(thinking skills)

개인적 자질(personal qualities)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수리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 능력 심미적 사물 관찰 능력 학습능력 합리적 사고력

책임감 자존감 사회성 자기관리능력성실정직

자료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의 직업기 능력

미국의 훈련과 개발담당자들의 학술 장 문가들의 모임인 ASTD는 미국의 노동

부가 공동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에 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첫 연구는 1986년

에 시작되어 30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고용주들을 상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

이 무엇인지를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 기 하여 1988년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라는 보고서를 통해 7개 분야 16개 항목의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 다 연구에 의해 ASTD는 직업기 능력을 lt표 Ⅱ-3gt에서와

같이 기 능력(foundation skill 학습능력) 역량(competence 읽기 쓰기 셈하기) 의사

소통능력 (communication skill 말하기 듣기) 응력 (adaptability 창의 사고 문제

해결) 개인 리능력 (personal management 자존감 동기부여 목표설정 피고용능력

진로개발) 집단 효과성 (group effectiveness 인 계능력 상 워크) 그리고

향력 (influence 조직유효성 리더십)으로 구분하 다

1999년에는 다시 Rothwell 등을 심으로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모

형(WLP model)을 제시하 으며 여기서는 6 가지 역량군(분석 역량 기술 역량 리

더 역량 비즈니스 역량 인 계 역량 정보기술활용 역량) 총 52개 세부 역량을 제시

하 다 2004년에는 Bernthal이 통합 인 새로운 역량 모형을 제시하 는데 이는 비즈

- 81 -

1999 ASTD Model 2004 ASTD Model

sect 분석 역량 문제해결에 필요한 방법을 찾기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요구를 악해내는 역량

sect 비즈니스 역량 조직의 체계와 운 과정

의사결정기 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개인과 집단 사이의 효과 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량

sect 리더 역량 다른 사람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리더로서의 역량

sect 기술 역량 습득한 지식과 기술 활용

차를 이해하고 용하는 능력

sect 정보기술활용 역량 재와 미래의 에 지

통신 기술에 한 한 이해와 용능력

sect 비즈니스 리 역량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구를 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에

하여 략 으로 사고하는 경 수행

리에 요구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효율 계 형성 유지에 필요한 역량

sect 개인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개인 능력

sect 문 활동 역 학습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9가지의 구체 기술 문 기능과 능력

lt표 Ⅱ-3gt ASTD의 역량 모델 비교

니스 리 역량군 인 계 역량군 개인 역량군을 기반으로 문성 역을 더함으로

써 인 자원개발 문가가 수행해야하는 역할과 역량 등을 하나의 통합된 피라미드형

시스템으로 제시하 다(한 상김소 김민 2008) 장 문가들의 의견을 설문조

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검토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2004 ASTD

역량 모형에서는 3개의 기 역량과 9개의 문 활동 역 그리고 4개의 업무 학습과 수

행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서 기 역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 계역량

(Interpersonal) 비즈니스 리역량(BusinessManagement) 개인역량(Personal)이 있다

1999년 WLP모형이 역할별로 부합되는 역량들을 논리 으로 제시한 것과는 달리

2004년 모형은 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2004년 모델은 논리 개념 분리는 명확하지 않

지만 장 합성이 더 있다는 에서 차별화된다

자료 한 상김소 김민 (2008)

다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부르 사회연구조사기 (Infratest Burke Sozialforschung)이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에

해 1997년 12월에서 1998년 1월 사이에 시행한 약 500명의 교육 문가들을 상으로

한 『델 이 교육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독일의 교육 문가들은 2020년경의 교육제도

에서는 여러 교육부문에서 lt표 Ⅱ-4gt와 같은 핵심 직업기 능력들이 요한 치를 가

- 82 -

(순 와 수비율의 평균가)

핵심 직업 능력학교

일반교육직업훈련 고등교육

기술 방법론 학습 능력

(technic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

1순

(238)

2순

(226)

2순

(217)

특정 부문 련 능력

(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

6순

(147)

1순

(258)

1순

(280)

심리사회 능력

(Psychosocial skills)

2순

(236)

3순

(216)

4순

(189)

외국어 능력

(foreign language skills)

3순

(230)

4순

(184)

3순

(191)

매체 활용 능력

(Media Competence)

4순

(161)

5순

(157)

6순

(138)

다국가의 문화 이해능력

(Intercultural skill)

5순

(148)

6순

(123)

5순

(146)

기타 능력

(other types of skills)

7순

(039)

7순

(038)

7순

(039)출처 이영현(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4gt 2020년도의 개별 직업능력의 요성

질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학교교육에서 가장 요한 것은 기술 방법론 학습 능

력이며 그 다음이 심리사회 능력 외국어 능력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

련과 고등교육분야에서 핵심 직업기 능력들 에서 lsquo특정 부문 련 능력rsquo이 높게 평가

되었음 이는 특정 부문 련 능력의 습득이 여러 분야를 가로지르는 훈련

(cross-sectional training)의 습득과 긴 한 연 을 갖기 때문에 고등교육의 반에 용

되며 특히 다른 기능과의 연결성을 가지고 특정 부문 련 능력을 가르칠 것이 요구되

고 있는 직업훈련에 용됨(이 1999)

라 ONet에서 제시한 Skills

ONet은 미국의 종합직업정보망으로서 각 직업별 정보를 총망라함과 동시에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여 각 개인의 특성에 합한 직업을 안내하고 있다 ONET의 내용 모형

은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 경험 요건

(experience requirements) 직업 요건(occupational requirements) 직업-특수 요건

(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 직업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의 6 가지 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ONet에서 제시한 스킬의 역 하 요소는 다음 표와 같다

- 83 -

구분 역 하 능력

기 능력

내용 능력읽고 이해하기 극 듣기 쓰기 말하기

수학 과학

과정 능력비 사고 능동 학습 학습 략 모니터

이 가능한

능력

사회 능력지각력 조 설득력 상력 교수 서비스

지향성

문제해결 능력

문제 확인 정보수집 정보조직 종합 재구

성 아이디어 산출 아이디어 평가 실행계획

해결책 평가

기술 능력

작동분석 기술설계 장비선택 설치 로그

래 테스트

작동 모니터링 작동과 조정 생산품 조사 장

비유지 문제해결 수리

시스템 능력비 시스템 인지 결과 인식 주요원인 단

단과 의사결정 시스템 평가

자원 리 능력시간 리 재정자원 리 물 자원 리 인

자원 리

lt표 Ⅱ-5gt ONET이 제시한 skills 역과 하 능력

료 행박가열(2003) 한 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 한 고 정보원

마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핵심 역량을 추출을 하여 국제 동 연구로 수행된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을 규정하는 3가지의 일반 인 기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첫째 반 으로 성공 인 삶과 기능 인 사회(well-functioning society)를

하여 개인 middot사회 수 에서 높은 가치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이 개념은

개인의 인 사회 자본 경제 그리고 사회 으로 잘 사는 것(well-being)과 일치하

는 개념이다 둘째 다양한 상황에서 요하고 복잡한 요구나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구

인(instrumental) 역량이다 개인들은 매우 다른 역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잘 기능하거

나 성공 인 수행을 해 다른 역 는 특정 역할에서 역량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DeSeCo에서 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상황의 넓은 스펙트럼에서 개인 사회 으로

요한 요구들에 처하기 한 도구에 한 역량이다 셋째 모든 개인에게 요한 역

량이다 이것은 선천 인 능력보다는 학습된 기술에 엘리트에 국한되기 보다는 모든 사

람들에게 유용한 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해 필요한 역량에 을 둔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 에 터하여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핵심역량을 ①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use tools interactively) ②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③ 자율 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등의 세 가지 범

- 84 -

주로 구분하고 있다

역 요한 이유 핵심역량

1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Use tools interactively

기술 변화에 응

개인 목 에 맞게 변화 유

세상과 극 으로 화

1-a 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b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c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기

2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다원화된 사회에서 다양하게

응하기 함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2-a 타인과 계를 잘 맺음

2-b 력할 수 있는 능력

2-c 갈등을 리하고 해결

3 자율 으로 행동하기

Act autonomously

정체감을 악하고 목표를 수

권리를 찾고 의무를 수행

환경과 그것의 작동 원리를

이해

3-a 큰 맥락 안에서 행동

3-b 생애계획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김

3-c 권리 이익 한계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

자료 임언(2006) 기초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중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lt표 Ⅱ-6gt DeSeCo 로젝트에서 추출한 생애핵심역량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가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가 추출한 직업기 능력

정철 외(1998)는 직업기 능력에 계된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근로자와

고용주를 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 다

문헌 검토를 통하여 총 6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근로자 706명과

고용주 82명을 상으로 장조사를 실시하여 평균 350이상으로 응답한 52개의 능력을

추출하고 이 자료의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역을 구성하 으며 연구진회의와 문가

의회를 거쳐 최종 으로 9개 역으로 구성된 57개 직업기 능력을 확정하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으로 확정된 9개의 직업기 능력 역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

제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이며 하 요소는 lt표 Ⅱ-7gt과 같다

2003년 나승일 외는 노동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표

- 85 -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 외국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기 연산능력 기 통계능력 도표분석능

력 도표작성능력

문제해결능력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

자원활용능력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

력 자원할당능력

시간자원 리능력 산 리능력 물 자

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인 계능력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웍능력 리더쉽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

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능력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조직이해능력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

력 업무이해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lt표 Ⅱ-7gt 정철 외(1998)와 나승일 외(2003)가 제시한 하 역

개발 연구에서 정철 이 제시한 기 을 소폭으로 수정하 다 9개 역은 그 로 유지하

되 하 요소의 표 이 변경되거나 일부 요소가 삭제되고 추가되었으며 직업윤리라는

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나 진미석 외(2003) 학생 직업기 능력

진미석 외(2007)는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구축을 한 연구에서 선행

- 86 -

상 요소 평가 역 평가요소

인지

요소

(A)

A1 의사소통

(Communication)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listening amp comprehension)

효과 인 의사 달 발표(conversation amp presentation)

토론과 재

A2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Resource)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Information)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9quantitative reasoning and

data analysis)

A3 종합 사고력

(Higher-order thinking

skills)

비 사고력(critical thinking)

문제인식 해결(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논리 사고력(analytical reasoning)

A4 로벌 역량

(Global Competen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Understanding heterogeneous

amp diverse culture)

비인지

요소

(B)

B1 인 계 력

(Interpersoal amp

cooperative skills)

력(work with diversity teamwork)

리더십(leadership)

조직에 한 이해(system thinking)

B2 자기 리

(Self-management)

자기 주도 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목표 지향 계획수립능력(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시민의식(personal social civic responsibility)

정서 자기조 (emotion self-control)

자료 진미석 외 (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8gt 학생 직업기 능력 평가 역

연구 분석을 통하여 6개 역 19개 평가요소로 구성된 학생 직업기 능력 시안을 작

성하 으며 이를 문가 델 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 다 학생 직업기

능력의 6개 역은 의사소통 자원middot정보middot기술의 처리 활용 종합 사고력 로벌 역

량 인 계 력 자기 리이며 하 요소는 다음의 lt표 Ⅱ-8gt에 제시된 것과 같다

- 87 -

Ⅲ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 핵심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이 장에서는 직업 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반 될 것으로 단되는 자료들을 수집

하여 검토하 다 주요 기업에서 사원 선발 과정에서 용하는 기 이 무엇이며 재직자

에 한 교육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검토하 으며

아울러 산업별 직업 연구의 결과로서 자산업 보건의료산업 고령친화산업 재직자들

이 인식하고 있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추가로 검토하 다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기업에서 사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한 기 이 되는 것은 그 개인이 입직 후 직

업생활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이며 기업은 최선을 다하여 다양한 방법

을 통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 역량에 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

서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가 주요 기업의 인재 선발 차

이병욱(2007)에 의하면 주요 기업들의 입사 희망자에 한 평가는 서류 형 rarr 시험

rarr 인middot 성 검사 rarr 면 의 순으로 진행되며 면 을 가장 시한다 기업들은 입사 희

망자의 어학 학교 성 으로 기본 자질을 단하고 인성middot 성 검사를 통해 가치

직무능력을 악하며 최종 문인 면 에서는 응시자의 능력 자실 소양 태도 가치

을 종합 검하고 자신의 견해를 얼마나 논리 이며 설득력 있게 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기업의 인재선발도 과거의 수치화 정형화된 단편 방식에서 다면화 다양화

된 방식을 채용하고 객 이고 계량화 가능한 것을 강조하던 것에서 잠재 인 측면을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서류 형은 공별로 학교 성 어학 수를 기 으로 선발(통상 기업 필요인력

의 3~5배 규모)하며 그 밖에 외국 경험 사회활동 자격증 등 개별 특기사항은 가 을

주거나 면 시 참조한다 시험은 어학시험 주이며 TOEIC 성 미 제출자를 상으

- 88 -

로 실시한다 인middot 성 검사는 거의 모든 기업이 시행하고 있으며 면 시 기 자료로

활용일부 기업은 특정 유형의 인성 일정 수 이하의 성 결과에 해서는 채용 상

에서 배제된다

구분1단계

(서류 형)

2단계

(직무 성)

3단계

(인성기술면 )

4단계

(신체검사)

5단계

(최종합격)

평가요소

학 (CL)

어학(가 )

자격증(가 )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지각력

실무감성능력

기본인성

개인자질

공지식

활용성

건강검진각 단계별 통과

여부로 단함

비고

학 의 경우

Cut-Line통과여

부만 단

문제해결 능력

학습능력

극성 창의성

성실도 문지

식 등 단

결격 사유만 변

각 단계별 성

은 독립 으로

작용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

원부

lt표 Ⅲ-1gt 형단계별 평가요소

나 주요 기업에서 사용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하 요소

1) 공직 성검사 (PSAT)

공직 성검사는 공직 격성을 측정하고자 1차 시험에서 이루어지는 지필시험으로

이 시험에 통과한 사람은 2차 시험에서 문 인 지식을 측정하는 검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검사는 리자로서 필요한 일반 성과 공직 련 성을 측정

한다 한 재 직무에 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인지 인 문제해결능력 환경 응

인 상황 단력과 같은 리자로서 필요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되었다

공직 성검사는 언어능력 자료해석능력 상황 단능력 상식의 4가지 역으로 구성

되어있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은 통 인 지능이론 최근에 Gardner(1983)의 다

지능이론에서 제안된 7개 역 언어 능력 논리 수리능력의 개념과 Sternberg(1985)

의 실용 지능에 근거하여 실무와 련된 역을 추출하 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

이 일반 인 학습능력이라면 상황 단능력과 상식은 실생활 는 업무와 련의 학습

능력에 련된 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해 직에서 2-3년 된 고시

출신 공직자 52명에게 직무조사를 실시하여 개발하 다 공직 성검사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아래 lt표 Ⅲ-2gt과 같다

- 89 -

하 요인 평가 사항

어 공인어학성 으로 체 가능

언어논리

40문항

어휘 의 주요내용 악 체 인 내용이해 자의 핵심주장 논지 악

표 개요구성 문단 조직화 고쳐 쓰기를 통한 의 완성

추론주어진 로 새로운 정보 이끌어내기 논리 흐름 악을 통해 들어나지 않는 결

론 결말 악하기

비 의 논증구조 분석 타당성 일 성 련성에 의해 논증의 설득력 평가

상황 단

40문항

이해제시된 상황의 주요 쟁 문제 이해 주어진 개념을 새로운 상황이나 구체

사례에 용할 수 있는 능력

추론 분석상황을 안으로 설정하기 한 주요요인 추론 여러 형태의 안 비교 분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문제해결을 한 안설정 안의 실행 략 유추 결과 측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한 안 평가 기 설정 비교 평가하여 합리 안을 선택하는

능력

자료해석

40문항

이해 제시된 표 그래 의 의미 악

용 주어진 개념 방법 차 원리를 주어진 장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분석주어진 자료를 분해하여 구성요소간의 계와 조직원리 발견 amp 자료의 외

상에 잠재된 아이디어 조직원리 찾아내는 능력

종합평가여러 부분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체 구성하는 능력 주어진 결론은 도출하

기 한 차 단 자료 통합하여 논지를 검증하는 능력

자료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권 2호

2) 삼성 직무 성검사 (SSAT)

삼성직무 성검사는 기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나 어 평가가 진행되며 외국

어 직무 련 특수자격 등은 평가 시 우 를 받는다 SSAT는 단편 인 지식보다는 어떠

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보다 더 요하다는 단에

따라 1995년 하반기 사원 공채부터 학력제한을 철폐함에 따라 공 어 제2외국어

등의 입사필기시험을 폐지하고 간 보다는 능력 획일성보다는 개성이 존 되는 열린

채용의 실천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에서 어는 토익이나 토 의 공인어학성

으로 체된다

SSAT는 기 지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구성된다 기 지 능력검사는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공간 지각력 지각 속도력 등의 5가지 항목검사를 통해 삼성이 지향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 지 능력을 종합 으로 평가한다 문제의 난이도는 고졸

실력이면 구나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문항 수에 비해 시간이 부족한 능력검사이다 직

무능력검사는 업무능력 인 계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상식 등 실제로 기업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업무와 련된 시나리오와 각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행동 안들이 제기되어 응답자는 제시된 상황을 읽고 빠르고 정확하게 단

하여 각 안에 처할 수 있는 형식의 문제로 구성된다 일반 인 상식과 개념을 뛰어

넘는 독창 이고 주 인 단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lt표 Ⅲ-2gt 공직 성검사 하 요인

- 90 -

인성검사는 정서 인 측면 즉 정신건강 컨 정서 안정성 감정통제력 민감성

신경질경향 기분성 자책성 등을 평가한다

하 요인 평가사항(특이사항)

기 지 능력

AI

(Academic

Intelligence)

직무능력검사

PI

(Practical

Intelligence)

언어 역 어휘능력 문장이해력 문장구성력

수리 역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 해석

추리 역 언어 추리 수열 문자추리 도형 추리

지각능력 공간지각 지각정확성 속도 형태지각

창의력 수식 만들기 등식 메우기 가정세우기 그림완성 등

시사상식

정보화 능력 국제화 능

력 직장 사회 경

제 경 상식원활한 조직 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을 하기

해서 업무처리 인 계 사회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상식과 실제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각 상황에서 어떻게 응하

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구성됨상황 단능력

차계획능력 분석종합

능력 상황 평가능력

상황 처능력

성격검사 인성검사 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자료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2008) 한국고시회

lt표 Ⅲ-3gt 삼성직무 성검사 하 요인

지 까지 검토한 공직자와 근로자의 선발에 필요한 성검사에서 포함하고 있는 하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의 lt표 Ⅲ-4gt와 같다 부분의 성 검사에는 언어능력과 수

리능력 공간지각능력 상황 단력과 같은 일반 인 학습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근

로자를 선발하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추가 인 직무 련 지식을 측정하고 있다

- 91 -

직무 성검사

인성검사 어 창의력 기타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상황 단

공직 성

검사

어휘 표

추론 비-

이해 추론 분석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

- - - 자료해석

삼성

SSAT

어휘

문장이해

문장구성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해석

공간지각 상식 상황 단 추리력 성격검사 - 창의력지각정확성

속도

SK언어논리

유추 추리

응용계산

수 추리공간지각 단력 상황 단력 인성검사 G-TELP 창의력 한자능력

CJ어휘

문장이해

산술추론

계산

수리 패턴

공간지각BJI TEST BJI TEST

- - -

두산언어I

언어II수리능력 공간지각 -

정서역량

인성검사

- -기계이해

한자능력

LG CNS 언어추론 수리추론공간추론

도식추론- 인성검사 - - -

국민

은행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추리능력 인성검사 - -

논술

융상식

신한

은행

언어 유추

추리

응용

계산력수추

공간지각단력

상황 단력인성검사 - 창의력 지각정확성

lt표 Ⅲ-4gt 공직 표 기업의 인사 선발 성검사 하 요인

다 면 시험

면 시험은 모든 기업에서 가장 시되며 개인의 인성 자질 능력 조직과의 융화

문지식 등을 종합 으로 검토한다 장임원 면 과 기업 표 면 등 두 차례에

걸친 면 이 주를 이루나 일부 기업은 선배직원의 면 젠테이션 면 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수시채용 확산으로 기업 표임원 면 (1회)만을 실시하는 기업

도 증가하고 있다 면 방식은 주어진 주제에 해 응시자에게 의사결정을 하게 함으

로써 결론 도달 능력 가치 등을 악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주어진 주제에 한

의견 피력은 문제(질문)핵심 악 창의력과 문지식을 이용한 의견의 논리화 마지막

으로 설득력 있는 설명과 안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이병욱 2007)

- 92 -

단계별 면 내용 실시기업

1 선배직원 면 多 多 면 워크 사회성 개인태도 성향 검

젠테이션 면삼성 SK 삼보

2 장임원 면 多 多 면직무 합성 업무수행능력 개인지식 Skill

심 검

삼성 SK 한진

한화 두산 삼보

3 표임원 면 多 一 면인성(태도 성격 직업의식 조직 응력

융화)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등을 검全기업

多對多 면접 다수의 면접관(4~5인)이 다수의 응시자(2~8인)를 면접

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lt표 Ⅲ-5gt 기업의 단계별 면 내용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인 자원개발은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동기부여를 향상시켜 가치 있는 미래 조직의

구성원으로 만들기 한 장기 인 과정이다 인 자원개발에는 훈련뿐만 아니라 경력

그리고 다른 경험들까지도 포함된다 기업교육활동은 조직 환경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개인의 학습 니즈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업교육활동을 통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에서는 권 (1998)이 기업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심으로 기업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을 살펴보았다

가 호 MBA 과정

호 MBA 과정은 그룹임직원들에게 문경 지식의 습득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변

하는 기업환경에 능동 으로 처할 수 있는 응력을 배양하고 이를 통해 그룹의 양

질 성장의 균형을 도모하기 해 개설되었다 교육과목은 경 학 반 인 개론

각론과 체육활동 교양특강 컴퓨터 실습 등이 포함된다

호 MBA의 교육효과에 해 과정을 이수한 임직원들은 기업의 환경변화 인식능력

과 미래지향 업무자세가 가장 두드러진 교육효과로 지 했고 그 이외에도 경 반

에 한 통합 이해능력 업무 추진할 때 다양한 이론의 종합능력 자기 개발능력

호인으로서 자 심 고양 경 이론의 습득 성취의욕 고양 의사결정능력 등의 항목에

있어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호 MBA 교육과정은 체로 직무 련

지식 습득에 을 두고 있어 모든 기업에서 일반 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악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93 -

나 삼성물산 건설부문 장소장 교육과정

삼성 물산 인력개발 에서는 교육이 경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우선

인 육성시스템 구축 상을 장소장으로 정하 다 이를 해 우수한 장소장이

재 수행하는 과업(Task)과 그 과업에 련된 능력(Competency)을 악하고 미래의 장

운 에 필요한 능력을 악하기 한 조사도 실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

소장의 능력을 한 단계 상승시키기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다 S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S가 은 기존 리 리사원의 욕구와 가치 등의 심리 특성을 악하고 이에

맞는 체계 이고 실 인 제안능력을 개발하기 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리

리사원의 업무 특성상 인간행동에 한 이해와 제안기술 인 계 능력이 매우

요시 된다 따라서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다음 lt표 Ⅲ

-6gt은 S가 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부사항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 리사원은 다른 업무보다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 가장 요하기 때문에 이에

을 맞춘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라 견 리자의 품성 교육과정

에서는 기업문화는 조직원의 마음과 행동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철학에 입각하여

기업 내 품성개발 교육 로그램을 도입하 다 교육 로그램은 스티 코비 박사의

서lt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 gt의 내용을 교육 로그램화하여 보 하는 미국 코비

리더십센터(Covey Leadership Center KLC)와 의 하에 회차당 40명씩 10회차로 2회

차 교육까지는 한국리더십센터의 문 강사가 3차 이후는 그룹 자체 보유의 임

교수들이 진자 자격증을 KLC로부터 획득하여 진행토록 하 다

마 모토로라 코리아

모토로라 코리아는 상 20의 핵심인력에 해서는 차등화된 유지middot보상middot육성체계를

운 하고 있다(한국인사 리 회 2005)

- 94 -

기업명

(교육과정)교육 세부 사항

호 ( M B A

교육 과정)

조직간 커뮤니 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의사결정지원

국어 경 학 반 경 학 반 컴퓨터 특강

삼성물산 건

설부문

( 장소장 교

육 과정)

인간 계와 교섭력 화와 설득력 의 기능 의사

소통 리더십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어학습득 방안 정 사고방식 스트 스와 건

강 리 일정 리

S 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업환경 분석 제안활동의 개방법 커뮤니 이션기

법 인간행동의 이해와 인간 계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자신의 심리 특성 악

리자(품성 교

육 과정)

공감 커뮤니 이션 습 공감의 태도나 기술

인 계 리더십 개인 리더십의 습 타인을 한 리

더십 생산 조의 습 개인차 인정

시간 리 매트릭스 최고효과의 활동 등 계획과 조직

리 심신단련-자기쇄신의 습

모토로라 코

리아 (핵심인

재 리)

로벌 로젝트 참여 리더십 로젝트 리

경력개발 성과 리 방안 교육

lt표 Ⅲ-6gt 산업체 교육 로그램과 핵심역량의 계

앞에서 살펴본 각 기업들의 교육 로그램의 하 요인들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역량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Ⅲ-6gt과 같다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이 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어떠한 역량이 요한가에 하여 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 다

가 기업에서 요시 하는 역량

2008년 경련 산업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의 인재가 꼭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은

[그림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정신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동성과 조직 응

력 창의성 문지식 외국어 국제감각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 95 -

평균(표 편차)

구분직업기 능력의

직업에서 요도

학 졸업 당시

직업기 능력

직업기 능력의

괴리정도

의사

소통

능력

작문능력 37 (092) 33 (079) 04(105)

언어구사능력 42(080) 34(081) 08 (105)

의견을 분명하게 주장할 수 있는 능력 40(085) 34(086) 06(117)

외국어 능력 34(118) 28(082) 06(128)

계 38(07) 32(061) 06(081)

문제

해결

능력

문제해결능력 43(070) 34(071) 09(088)

분석능력 42(074) 34(073) 08(094)

창의력 40(095) 32(081) 08(116)

비 사고 능력 37(090) 34(080) 03(115)

경제 사고 능력 40(086) 31(087) 09(019)

lt표 Ⅲ-7gt 직업기 능력의 요도 괴리정도

[그림 Ⅲ-1]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자질

자료 전국경제인연합(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전경련 산업본부

나 청년 재직자의 직업기 능력에 한 인식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2005)은 2001년 2월에 4년제 학을 졸업한

청년층을 상으로 학교육 만족도와 노동시장 이행 실태에 한 조사를 실시하 다

그들이 직업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요시하는 직업기 능력이 무엇이며 재 자신

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 능력의 정도를 조사하 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어 능력

을 제외한 거의 부분의 능력에 해서 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어 능력의 요성은 평균 34로서 그 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 으로

다른 능력에 비하여 하게 낮게 평가되었다

- 96 -

융통성 42(072) 35(077) 07(095)

계 40(057) 33(055) 07(071)

자기

개발

능력

자신의 일에 한 객 평가능력 39(078) 33(073) 06(098)

제약을 극복하는 정신력 42(078) 35(090) 07(106)

정확하고 면 하게 일하는 능력 43(072) 34(080) 09(096)

시간 리 능력 44(073) 33(087) 11(108)

일에 한 응 능력 43(072) 36(083) 07(108)

독립 으로 일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 41(081) 34(082) 07(108)

자발성middot자주성 39(077) 34(082) 05(098)

일에 몰입하는 능력 41(076) 36(079) 05(099)

성실성 44(070) 39(082) 05(095)

책임감 44(068) 39(081) 05(095)

폭넓은 일반 지식middot소양 37(084) 32(074) 05(103)

여러 공분야를 포 하는 사고middot지식 37(088) 31(076) 06(103)

공 분야의 이론 지식 34(116) 34(074) 00(121)

공 분야의 분석 방법에 한 지식 35(111) 33(078) 02(117)

학습능력 39(079) 36(069) 03(095)

계 40(051) 35(052) 05(061)

자원

활용

능력

계획수립 조정middot조직화 하는 능력 42(081) 32(086) 10(109)

능력

상능력 42(085) 31(081) 11(112)

워크능력 43(080) 35(083) 08(103)

다른 의견을 포용하고 수용하는 능력 41(077) 36(078) 05(099)

리더십 41(087) 33(086) 08(110)

계 41(065) 33(065) 08(080)

정보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41(083) 36(087) 05(103)

정보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 42(078) 34(083) 08(105)

계 42(069) 35(071) 07(086)

기술

능력

수작업 능력 35(094) 33(083) 02(104)

지식middot기술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능력 40(085) 32(079) 08(104)

계 37(071) 32(068) 05(083)

조직

이해

능력

복잡한 사회조직middot기술체계 이해 38(089) 30(082) 06(111)

체 40(050) 34(050) 06(061)

표시한 것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항목을 나타냄자료 채창균 외(2005)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다 자산업 고령친화산업분야종사자가인식하는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한상근 외(2005)와 최동선 외(2007)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산업별 직업 연

구의 수행 과정에서 그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그 분야에 종사

를 상으로 질문하 다 자산업분야의 경우 각 분야별로 20개 직업 종사자들이 응답

한 결과를 평균한 것으로서 분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 되게 가장 낮게 나타난

- 97 -

기 직무능력 어매니 요양보호사노인 담

생활체육지도자크 이션 치료사 장례 지도사

공이론지식 393 337 396 427 373

공실무능력 420 367 443 453 428

문서작성능력 420 273 400 431 345

외국어활용능력 233 193 186 273 245

창의 사고능력 410 307 407 460 346

문제해결능력 457 366 414 473 390

의사소통능력 463 407 425 473 383

업능력 447 347 400 453 379

컴퓨터활용능력 420 247 382 367 369

사례수 30 30 28 30 29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 직무능력 자의료기 휴 폰 반도체

공이론지식 381 365 390

컴퓨터 활용 능력 389 408 391

외국어 활용 능력 335 321 349

창의 사고 능력 402 420 419

정보활용 능력 395 413 408

업능력 383 406 415

인 계 능력 376 395 403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Ⅲ-8gt 자산업 분야의 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lt표 Ⅲ-9gt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기 직무능력 요구도

것이 외국어 활용능력이다 고령친화산업의 경우 외국어 활용능력이 더욱 하게 낮

게 평가되어 외국어 활용능력이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로서 포함될 필요가 있는가를

신 하게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98 -

구분 역 하 요소 시사

기업 선발

고사

직무 성검사(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

력 상황 단추리력창의력)

어성

인성검사(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

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직업기 능력 역 요소

에 한 기존 논의에

이미 포함됨

4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핵심역량에 한근거 자료 분석결과요약

이 장에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는 직업기 능력에 해서 장에

서 인식하고 있는 바를 드러내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다음

4장에서 개될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에 한 기존의 논의를 비 으로 검토하는

데 기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 다 직업세계 장에서 재직자 는 고용주가 인식하고

있는 핵심역량에 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선발 시험에서 측정하고 있는 것은 크게 직무 성검사 어성 인

성검사로서 일반 인지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이 강조

되고 있음을 확인하 다 이러한 요소들은 부분 기존의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논의에 포함된 것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하게 작용하는 면 의 경우 시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태도와 가치 성향에 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사회

성 동성 성실성 열의 의사소통능력에 을 맞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들

한 기존의 직업기 능력에 반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체 교육 로그램의 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의사

결정 자기 리 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기존의 논의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국경제인연합회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인재상에는 기존의 논의에는 없는 도

정신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논의 과정에서 도 정신을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

을 제기하고 있다

다섯째 재직자에 한 규모 조사에서 공통 으로 드러난 것은 외국어 능력이 그리

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어능력이 선발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업무 추진 과정에서는 그 게 요하지 않다고 재직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

한 결과를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lt표 Ⅲ-10gt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한 검토 결과 종합

- 99 -

면 의 주요

내용

워크 사회성 조직 응력 융화

개인태도 성향

직무 합성 개인지식

직업의식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창의성을 추가할 필요성 시

기업체 교육

로그램에서

드러난 주요

역량

의사소통 능력

외국어 습득

의사결정능력

자기 리

인성심리 측면

리더십

업무 련 지식

기존 논의와 일치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 경련

산업본부)

책임감

외국어 국제감각

문지식

창의성

동성과 조직 응력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도 정신과 성취의식

창의성 도 정신을 추가

필요성 검토

재직자가

인식하는

기 직무능력

문서작성능력

외국어활용능력

창의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업능력

외국어 능력이 상 으로

덜 요하게 인식되고 있음

을 반 할 필요성 시사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추출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기 하여 정철 외(1998)와 진미

석 외(2007)가 제시한 결과를 기본 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이 두 가지 표 인 연구

결과의 공통 과 차이 을 분석하고 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철 (1998)이

제시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는 오랜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일종의 기 으

로서 작용해온 틀로서 암묵 으로 그 타당성을 리 인정받았으나 무 많은 요소들이

병렬되어 있어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규정한 가장 최근의 연구인 진미석 외(2007)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각 요소별로 검토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00 -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가 의사소통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의사소통능력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

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

나 말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진미석 외(2007)는 의사소통능력을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효율 으로 달하고 상 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철 외(1998)는 읽기 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 역 안에 제시하고 있다

나승일 외(2003)와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 한 표 만 조 변경

되었을 뿐이고 말과 로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는 에서 공통된다

Hymes (1972)에 의하면 의사소통능력이란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메시지를 달하고

해석하며 인간 상호간에 의미를 타 하게 해 주는 능력이다 즉 단지 문법 으로 맞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아는 능력이다

Canale amp Swain (1980)은 의사소통능력이 문법 역량 사회언어학 역량 사회 문화

역량담화 역량 략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Enache(2005)에 의하면 의

사소통을 해서는 문법 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드는 것보다 하게 표 을 만드는

언어생성능력(productive skills)이 요하며 읽기와 듣기에 있어서는 상 방이 표 한

내용의 구체 인 세부 내용을 집어내기 보다는 그 의도를 악하는 능력(receptive

skills)이 요하다고 보았다

DeSeCo 로젝트 결과로 제시된 핵심역량의 주요 역에는 lsquoThe ability to use

language symbols and text interactively(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의 핵심은 다양한 상황(가족 직장 도시의 삶)에서 언어

기술 계산 다른 수학 기술(그래 표 많은 형태의 상징들)들을 효과 으로 사용하

는 것이다 이러한 핵심역량은 한 통일된 개념규정 없이 ldquo의사소통 역량rdquo 는 ldquo문해

능력rdquo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보았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재 의사소통의 하 요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언

- 101 -

어능력을 말하며 모든 역량이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기본으로 작동되는 일종의 기 능

력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가 의사소통능력을 공통 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반

하여 외국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를 상 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 로 SCANS 모형에서는 이를 기 능력(basic skills)으로 제시하고 있으

며 거기에는 수리능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ASTD 1988년 모델에는 의사소통능력이

라는 역이 포함되지만 그 이후의 1999년 모델 2004년 모델에서는 빠지고 없다 재

와 같이 언어능력을 의사소통능력에 포함하다보면 수리능력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방황

하는 상이 나타난다 진미석 외(2007) 모델에서는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능력의 하

요소로 정철 외(1998)의 분류에서는 별도의 하 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의사소통이라는 역이 포함하는 세부 요소에 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

의 문화 속에서 이는 매우 요한 직업기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본다 특히 기업

체의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거의 모든 로그램에 의사소통에 한 내

용이 포함되어 있음은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DeSeCo에서 제시한 틀에 의하면 의사

소통능력이 lsquo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기존에 말하는 단순히 언어 인 의사소통 외에 그래 와 도표를 포함한 수학 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이라는 역을 유지하되

그 하 요소 속에서 수와 도표를 통한 의사소통을 포함하고자 한다

의사소통과 련하여 검토해야할 다른 사항은 외국어 능력에 한 것이다 정철

과 나승일이 외국어의 기 수 (외국어 읽기 기 외국어)을 의사소통능력으로 포함

하고 있는데 반하여 진미석 외(2007)는 이를 로벌 역량이라는 별도의 역 안에 하나

의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재 우리나라에서 기본 인 의사소통을

한 외국어란 다름 아닌 어를 의미한다 그 다면 여기서 외국어 능력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기 어 읽기 능력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본다 한 직업기 능

력에 하여 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외국어는 상 으로 덜 요한 능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우 기 인 수 의 어 문서 이해 능력 정도가 기본

으로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인 계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

국내외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

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미석 외(2007)는 인 계

- 102 -

력 능력을 lsquo조직 내에서 타인과 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려는 능력rsquo으로 정

의하고 그 하 요소로서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로 제시하고 있다 정철 외

(1998)는 인 계능력을 lsquo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하게 되는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

지 않고 원만하게 지내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

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인 계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효

과 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은 타인의 마음

상태가 재 어떠한지 추론할 수 있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상이한 감정의 다양한 특성

을 잘 알고 그에 맞게 올바른 처양식을 개발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각각 공유하

고 있는 차이 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창하고 세련된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

다 이 역이 뛰어난 사람은 조직과 집단 내에 동을 항상 유지하며 특정 목표를 달

성하기 하여 집단을 형성하고 리더십을 구사하며 심지어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도 조

정과 상의 기술을 통하여 사태를 잘 마무리한다(Gardner 1995)

인 계능력과 같은 맥락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회 지능은 ldquo사람들과 어울리는 능

력(Moss amp Hunt 1927)rd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 지능을 연구하는 연구자에 따

라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사회 지능의 하 개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Thorndike (1920)는 사회 능력을 인간 사이의 계에서 사람들을 이해하고 조

(manage)하며 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하 으며 Vernon (1933)은 사회 지능

을 일반 으로 사람들과 어울리는 능력 사회 기술이나 사회 내에서의 편안함 사회

문제에 한 지식 집단 내 다른 구성원으로부터의 자극에 한 수용력 낯선 이의 특징

이나 일시 인 기분에 한 통찰력 등으로 정의하 다 한 김명소 외(1996)는 본인 자

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정서 사고 행동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조 하거나 타인의 언행을 측하고 하게 반응하는 능력으로 인 계능력을 정의

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Interact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사회 으로 이

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rsquo를 세 가지 역 의 하나로서 강조하고 있다 통합 네

트워킹 트 십 연 동 등등이 종종 이 범주에서의 핵심단어로 언 된다 이러

한 역량의 발달은 특히 사회 자본 상호 으로 강화된 의무 계의 네트워크 기 정보

채 등의 창출과 련 있다 이 역의 하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lsquoThe ability to relate well to others(타인과 계를 잘 맺을 수 있는 능력)rsquo

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는다는 것은 사회 응집을 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증가하고 있는 경제 성공을 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들은 직장 동료 클라이언

트 고객들과 계를 맺기 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기 해

- 103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H Gardner 인 계지능

sect 사회 민감성(타인이해)

sect 타인과 어울리기

sect 리더십

Moss et al

(1955)사회 기술

sect 사회 상황의 단

sect 이름과 얼굴 기억하기

sect 비언어 표 인식

sect 인간 행동의 찰

sect 사회 정보에 한 지식

sect 말하는 사람의 심 상태 인식

Gilbert amp Fleishman

(1992)사회 기술

sect 행동의 융통성

sect 조정

sect 상

sect 설득

sect 사회 민감도

sect 코칭(coaching)

sect 자기 주장

Zaccaro et al (1991) 사회 지능sect 사회 인지사회 정보의 획득과 해석

sect 융통성 있는 행동 상황에 맞는 행동 수정능력

ONET (1995) 사회 기술

sect 사회 인지

sect 동

sect 설득

sect 상

sect 가르치기

sect 사 지향성

DeSeCo(2001)사회 으로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sect 계 맺기

sect 력

sect 갈등 리 해결

lt표 Ⅳ-1gt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의 하 구인

서는 몇 가지 필수요건들이 있다 공감(empathy)이 아마도 가장 요할 것이다 다른 사

람들과 계를 잘 맺는 것에 있어 요한 다른 측면은 바로 자기 자신의 감정과 내

부 감정을 효과 으로 잘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자기 자신 다른 사람들의

기 에 있는 정서 동기들을 자기 인식하고 효과 으로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능력은 lsquoThe ability to cooperate( 력할 수 있는 능력)rsquo이다 이는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다른 으로 주제들을 바라보고 그 개념 틀

로 바꿔볼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역량은 lsquoThe ability to manage and resolve

conflict(갈등 리 해결 능력)rsquo이다 서로 다른 욕구 목 는 가치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반 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있을 때 갈등을 피하거나 제거하려고만 하지

말고 이를 명하고 공 하게 그리고 효율 인 방식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

(Rychen amp Salganik 2001)

- 104 -

GWSIT

(George Washington

Social Intelligence

Test)

사회 지능

sect 사회 상황에 한 단

sect 이름 는 표정 기억

sect 인간 행동에 한 찰

sect 언어의 함축 의미 인식

sect 표정으로부터 마음상태 인식

sect 사회 정보

sect 유머

2) 수정 방향

이상에서 살펴 본 선행 논의에 따르면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

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이 다양하다 정철 외

(1998)가 제시한 방식은 인 계 능력이 작동하는 맥락을 심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

인다 즉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의

계로 제시하고 있다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이 타당하다고 단되어 그 로 수

용하고자 한다

다 문제해결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

문제해결능력은 공통 으로 제시된 역으로서 정철 외(1998)는 lsquo업무를 수행하면

서 문제 상황이 발생하 을 경우 창조 이고 논리 인 사고를 통하여 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히 해결하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는 가운데 하 요소로서 사고력 문제인식

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진미석 외(2007)는

문제해결력이라는 역명칭 신에 종합 사고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

사고력을 창조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 추론하는 능력으로 정의

하고 하는 가운데 그 하 요소로서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을

제시하고 있다

표 인 지능학자의 한 사람인 Sternberg는 그의 성공지능이론에서 성공 지능의

세 요소를 분석 능력(analytical abilities) 창의 종합 능력(creativesynthetic

abilities) 실용 능력(practical abilities)으로 제시하고 있다 분석 능력이란 개인의

삶에서 유용한 선택 사항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하

요소로서 문제 인식하기 문제 정의하기 문제 해결 략 수립하기 문제 해결 과정

검하기가 포함된다 창의 종합 능력은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창출하는 데 요구되

- 105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CLA

(College Learning Asse

ssment)

문제해결력

비 사고력

분석 추론력

문제 해결력

작문 의사소통 능력

삼성직무 성검사

SSAT

(직무능력검사)

문제해결 검사

상황 단력

차계획력

분석종합력

상황평가력

상황 처력

공직 성검사

PSAT문제해결력

상황 단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능력

ONET(1995) 복합 문제해결 기술

문제 규명

정보 수집

정보 조직화

종합 재조직화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평가

실행 계획하기

해결책 평가

lt표 Ⅳ-2gt 문제해결능력에 한 검사와 하 구인

는 것이며 실용 능력은 문제 해결안을 효과 으로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것으로서

암묵 지식이 여기에 해당된다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검토한 바에 의하

면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어서

이러한 견해들 속의 일 성을 찾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2) 수정 방향

문제해결과 련된 역의 명칭으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종합 사고력이라는

역 명칭보다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이 보다 실제 인 의미를 갖는

다고 단되어 본 연구에서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역 명을 채택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하 요소로서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바와 같이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을

제시하기 보다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능력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

더 하다고 본다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

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자 한다

- 106 -

[그림 Ⅳ-1] Sternberg 성공지능의 삼 일체

자료 김정휘 주영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라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정보능력 자원활용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을 별도의 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각각에 하여 상세한 하 요소를 제시한 반면 진미석 외(2007)는 이

를 통합하여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으로 제시하고 그 안에 정량 사고와 자

료해석 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즉 역 명칭에는 제시하지 않았지

만 정철 이 제시한 수리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다 생애의 모든 역에서 성공 으로 기능하기 해

- 107 -

개인들은 지식 정보에 해 근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효과 으로 성찰 으

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DeSeCo에서 규정한 것처럼 기술 역

량은 기술 인 숙달능력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일

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도구에 익숙해지도록 하며 다른 필요 상황에서 그것을 용하고

궁극 으로는 잠재 인 상황에까지 새로운 도구를 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술의

잠재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는 다른 상황 더 많은 상황들

에서 필수 인 것이다 즉 문제를 기술 으로 해결해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 숙달

능력 보다 더 요한 것은 다른 기술의 목 기능들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잠재성을

구상할 아는 것이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보 기술 자원의 활용이 직업생활에서 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들의

독립된 역으로 나열되는 것은 핵심 역량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원칙에 배되는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술

자원 활용을 묶어서 하나의 역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단 수리 능력의 경우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포함하며 이 역의 하 요소로는 제

시하지 않고자 한다

마 자기 리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자기 리 개발능력의 하 요소로서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

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 다 진미석 외(2007)는 자기주도 학

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을 하 요소로서 제시하

고 있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아래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능력)rsquo lsquoThe

ability to form and conduct life plans and personal projects(생애계획 개인 로젝

트를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lsquo rsquoThe ability to defend and assert ones rights

interests limits and needs(권리 이익 한계 요구사항들을 항변하고 주장하는 능력)

lsquo을 제시하 다(Rychen amp Salganik 2001)

- 108 -

2) 수정 방향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개념 틀 속에서는 자율 인 행동이 자신이 속한 사회

와의 극 인 계 맺음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요하다는 에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것과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은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진미석 외

(2007)가 자기 리의 하 요소로서 시민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철 외(1998)가 직

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측면을 드러낸다 두 연

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를 최 한 종합하여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

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자 한다 진미석 외(2007)가 정서 자기 조 을 강조하되 신체

건강에 한 언 이 없다는 을 보완하여 두 가지 요소를 병렬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

를 포 하는 측면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

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 다

바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업무를 원활하기 수행하기 하여 국제 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

의 체제와 경 에 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직업기 능력으로 요구된다고 보고 이를 조

직이해 능력으로 명명하 으며 그 하 요소로서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을 포함하 다 한편 진미석 외(2007)는 로벌 역량이라는 역을 설정하

고 그 안에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능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에 한 이

해는 인 계 력의 하 요소로 제시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의 하 요소로서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

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의 큰 그림이란 표 이고 사회경제 이며 역사 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큰 맥락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어떻게 그 맥락들이 기능하는

지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

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 큰 그림은 세계 인 시

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는 지역사회나 직장 같은 개인들의 생활 혹은 특

- 109 -

정 사회분야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량은 구조 문화 실천 그리고 시스템의 형식비형

식 규칙과 기 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법 규칙 등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문서화되지 않은 사회 규범 윤리강령 매 그리고 의례 등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

인행동 제약에 한 지식과 그들의 권리를 이해하는 것 시스템 내에서 개인들이 활동

하는 역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들을 결정하는 것 공유된 규범 목 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가능성들을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들에 따라 다양한 과정으로 행동하는 것을 구

상하는 것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변화를 측하며 개인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

의 향력을 잘 조 하고 그 방식에 따라 행동 계획 상을 재조정하는 것 등을 포

함한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철 외(1998)가 사용한 조직이라는 용어는 그가 개념 정의한 바와는 달리 일상

으로 매우 좁은 의미로 다가온다는 에서 부 하다고 본다 실제 그가 제시한 정의

안에서 조직은 국제 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 의 체제(시스템)에 한 것이므로 시

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우리의 일상용어와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의미를 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반면 진미석 외(2007)가 안으로 제시한

로벌 역량은 쉽게 다가오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직업기 능력의 별도 역으로 제시하

기에는 상 으로 좁은 개념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SeCo 로젝트에서 사용한 큰 그림 안에서 행동하기라는

표 을 살려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rsquo로 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맥락이라는 것이

환경의 종 인 측면 즉 역사성에 한 것이라면 환경이라는 것은 수평 인 측면을 일

컫는 것이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한 역사 사회 경제 이해를 바탕으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

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하 요소로는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을 선정하 다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앞에서의 논의는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가에 한 것이다 각 역별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하 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

- 110 -

진미석 외(2007)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 인 의사 달

발표

토론과 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

기 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인 계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리더십

-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

- 상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산자원 리능력

물 자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기 연산

기 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안하는 수정안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Ⅳ-3gt과 같다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이 최종 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기존의 표 인 국내

연구의 틀과 거의 유사하다 기존의 연구가 규모 조사 꼼꼼한 선행 연구 검토 문

가 델 이를 거치면서 확증된 결과를 제시한 것이므로 명백한 반론의 근거가 없는 한

최 한 이를 존 하면서 비 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역에 있어서는 최 한 간결하면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존 하는 선에서 정리가

되었으며 하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련된 선행 연구 결과를 반 하여 소폭으

로 수정하 다

lt표 Ⅳ-3gt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기 능력 하 요소와 수정안

- 111 -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

도표능력

종합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

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 리

- 자기주도 학습 능력

- 신체 정서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실천

- 직업윤리

역 하 요소 정의수정의 주요

근거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이야기하는 능력

DeSeCO

극 청취 언어 정보에 집 하고 하게 이해하는 능력

독해력 문서화된 자료로부터 도출된 정보의 이해 능력

쓰기문서를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의사소통하

는 능력

어 읽기 어로 작성된 기 수 의 문서 이해

수계산 능력 수리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도표 이해능력 숫자 도표로 제시된 정보 이해 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정보활용 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핵심정보를 찾기

자원활용업무에 필요한 한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기술활용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하게 배분하고 활용하

는 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문제를 발견하고 새롭고 독창 인 해결 방안을

착상하는 능력Sternberg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하 요소에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하 요소별 정의

- 112 -

분석 사고력수렴 사고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 아이디어의 질

을 평가하는 능력

문제해결실행력제시된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시도하

는 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행동과 역할의 련성을 이

해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변화를 측하고

비 DeSeCo

사회문화이해능력 법 규칙 사회 규범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리더십 업무 수행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능력

력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고객서비스 고객의 요구를 악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자기주도 으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능력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신체의 지구력과 민첩성을 유지하며 정서 조

을 통한 자존감 행복감 유지하는 능력

진로계획 수립

실천

삶의 계획을 극 으로 수립하고 실천하고자 애

쓰는 능력

직업윤리 책임감 있고 성실하게 직업에 임할 수 있는 태도

Ⅴ 결론 논의

본 연구는 직업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작업이 아니며 기존에 직업기 능력이라는 주제 하에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 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존 하는 가운데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특히 정철 외(1998)의 연구와 진미석 외

(2007)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Weinert(2001)에 의하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함에 있어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

인 반면에 규범 근은 바람직한 이상 인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가 지속 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는 없으므로 미래 에서 직업생활에서 요구

하는 기 능력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는 것이다

- 113 -

핵심 역량의 추출하는 경험 근거가 직업생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

징이 된다는 것은 핵심 역량이 일종의 엘리티시즘에 기 한다는 의미와는 다르다 즉

소수의 탁월한 인재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직업생활을 하는 사람

이라면 최소한의 성공 직업생활을 하여 그가 종사하는 직업과 무 하게 구나 갖

추어야할 공통 이고 기본 인 특성에 한 것이다 그 다고 하여 직업기 능력이 반

드시 보 인 수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각 역량은 직업에 따라서 그것이 최소

한으로 요구되는 역량 수 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제로 한다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근이 있었으며 어떠한 합의 과정을 거치더라도

항상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의견이 있다(Weinert 2001)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사

실과 련이 있을 것이다 우선 핵심역량은 매우 다양한 수 의 일반성 는 추상성을

가지고 정의된다는 사실이다 높은 수 의 추상성을 갖게 될 경우 논의의 편리함이 있

지만 실용 차원에서 주는 시사 이 낮으며 반면에 매우 구체 으로 역량이 제시될

경우 실용성은 높지만 의도하는 바를 모두 포 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과 하 요소 한 그것이 포 하는 범 다시 말해 추상성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

다는 이다 하나의 로 자기 리의 하 요소로 포함된 lsquo직업윤리rsquo는 다시 그 아래

하 요소가 다층 으로 존재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인 반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된 lsquo도표 이해 능력rsquo의 경우 매우 구체 인 의미를 갖는 능력이다

역과 역 사이 그리고 하 요소 간 추상성의 정도에 이와 같이 차이가 있는 한 역

을 재규정하고 하 요소의 소속을 변경하거나 추가 하는 일은 지속 으로 반복될 가

능성이 높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하나 고려할 사항은 핵심 역량이 정의되는 거

틀로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이다 이와 같은 질문에 한 가치 혹은 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을 하여 그리고 개인 사회 으로 잘 기능하거나 직업

으로 성공하기 하여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성공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한 견해 차이에 의해서 요한 역량이 사소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컨 lsquo다

양성의 존 rsquo은 문화 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나라의 경우 매우

요한 역량이 된다 우리나라도 차 이러한 성향의 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아직

까지는 우선순 에서 뒤로 빠질 수 있다 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역량 추출과정에

서 락되는 험을 피하기 해서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한 합의가 도출

되고 그것에 기 하여 핵심 역량이 추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를 이루

는 과정 한 녹록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향성을 상정하지 않은 가운데

최 한 가치배제 인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해왔으며 이는 객 논의 진행에는 도움

- 114 -

이 될 수 있지만 창백한 논의가 된다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목 은 그것을 강조하는 가운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거나 스스로 그와 같은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

는 데 있을 것이다 핵심 역량에서 제시되는 인지 능력 인지 양식 감정 특징에는 상

당한 개인차가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을 통하여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는지 의

심스러운 경우가 있다 만약 학습을 통하여 변화할 수 없는 것을 기 역량으로 강조하

게 될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상당한 개인차를 사소한 것으로 치부하는 가운데 차별

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역량들이 계획된 로그램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느냐라는 사실이며 만약 그 다면 어떻게 그러한 것이 가능하겠는

가 라는 질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핵심 역량의 하 역과 요소는 이와 같은 질문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당 론 인 차원에서 요한 특징들을 나열하는 것이 각 구인에 한

명료한 이론 근거와 논리 타당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 성공 이며 바

람직한 직업생활의 모습을 어떻게 가정할 것인가에 한 충분한 성찰을 하는 과정 한

생략되어 있다는 에서 근원 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철 (1998)이 제시한 역량 모델을 개선했는지 여부는 다른 문

가들에 의해서 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가 수 에서 본격 으로 원회를

구성하여 역량 추출을 한 방향을 설정하고 충분한 실증 근거와 이론 논의를 거

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 역량 모델로서 발 되기 한 기 로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 하는 바이다

- 115 -

참 고 문 헌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한국노동연구원

권 (1998) 한국의 기업교육 사례연구 박 사

김명소 김명언 이도형(1996) 산업장면에서의 실용 지능능력 한국심리학회 산업

조직 9(1) 117-137

김정휘 주 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원미사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기용 정상택(2003)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

는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한국 농업교육학회지 36(4) 139-158

박우성(2002) 역량 심의 인 자원 리 한국노동연구원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20(2)

임창희(2003) 신인 자원 리 명경사

정종진(2004) 등학생용 표 화 다 지능검사 개발연구 아동교육학회 13(2)

정철 (1998) 직업기 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교육월보 7월호 (통권

199호)

정철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 능력의 역 분류 하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지 17(2) 15-38

정철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강경종(2000a) 직업기 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

제 연구보고서

정철 서우석 이길순(2000b)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 향상 방안

신구 학 연구보고서

정철 나승일 김종우 허 (2001) 직업기 능력 개발을 한 교육 지원 방안 우

송공업 학 우송정보 학 연구보고서

이동임 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병욱(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이수 외(2007) lsquo07년 국제성인능력측정 로젝트(PIAAC) 직무요구분석(JRA) 사업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이 (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116 -

이요행 박가열(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국경제인연합 (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경련 산업본부

조정윤 박종성 김상진 (2002) 국가직무능력표 개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

발원

진미석 (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진미석 이수 송창용(2007)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 (200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 자원개

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하 (2005)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연구 과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1(1) 15-180

한국고시회 (2008)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 한국고시회 편집부

한국인사 리 회 (2005) 핵심인재 그들은 구인가 한국인사 리 회 편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직업교육훈련 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 식서창교장홍근이종선김기헌박종성정윤경최동선(2005) 자

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천수이동임정윤경최동선정향진이주호(2006) 보건의료산업의 직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최동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

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직업교육연구학회지 26(1) 157-193

한 상 김소 김민 (2008) 수행 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에 따른 기업 인 자원

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한 인식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27(2)

137-158

황 욱 안주엽 김승택 이상민 병유(2004)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직무분석

한국노동연구원

LG 인화원 (2004) 2004 HR-체계개발

ASTD (1990)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 SF Jossey-Bass

Bernthal P Colteryahn K Davis P Naughton J Rothwell W amp Wellines

R(2004) Mapping the future Shaping new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ompetencies Alexandria VA The American Society for Traing

and Development

Canale M amp Swain M(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 117 -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Canto-Sperber M amp Dupuy J-P (2001) Competencies for the Good Life and the

Good Society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pp 67-92) Goumlttingen Germany Hogrefe amp

Huber

Gilbert JR amp Fleishman EA (1992) Fleishmans job analysis survey Social and

interpersonal abilities Fairfax VA Center for Behavaioral and Cognitive

Studies

Gonczi Andrew 2003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ey Competenci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Salganik amp M E McLaughlin 119-131

Gardner H Kornhaber M L amp Wake W K(1995)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Hipkins R (2006) The n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A background paper

Wellington Report prepared by NZCER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Hymes D (1973)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ociolinguistics J B Pride and

J Homes Eds Harmodsworth Penguin

Campbell L Campbell B amp Dickson B (2004)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이신동 외 역 『다 지능과 교수-학습』 시그마 스

2006)

Malowe H A(1986)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52-58

McLagan P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ASTD Press

Moss F A Hunt J Omwake KT amp Woodward CG(1955) Manual fo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eries social intelligence test Washington DC

Center for Psychological Service

Norman G Michael D Walter C P Richard Jeanneeret amp Edwin A

Fleishman(1995)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ONET) Content Model

Norton R E (1999)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SCID)

Workshop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ates T(2003) Key SkillsKey Competencies Avoiding the Pitfalls of Current

- 118 -

Initiativ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 Salganik and M E McLaughlin 171ndash193 Neuchacirc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ECD(2003) Beyond Rhetoric Adult learning policies and practices Paris OECD

OECD(2005) Learning a living Paris OECD

Ridgeway C L (2001) How do status beliefs develop The role of resources and

interactional experiences In J T Jost amp B Major (Eds) The psychology of

legitimacy Emerging perspectives on ideology justice and intergroup

relations (pp 357ndash277)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thwell W Sanders E amp Soper J(1999) ASTD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lexandria VA ASTD

Sternberg R J (2000) Handbook of Intelligence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rnberg R J amp Hdelund J(2002) Practical intelligence g and work psychology

Human Performance 15(12) 143-160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SCANS(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Labor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외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PSI컨설 1998)

Thorndike E L(1920)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Vernon P E (193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Weinert F E (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Zaccaro S J Gilbert J A Thor K K amp Mumford M D(1991) Leadership and

social intelligence Linking social perspectiveness and behavior flexibility to

leader effectiveness Leadership Quarterly 2 317-342

- 11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에 한 토론

권 호(삼성 기)

Ⅰ 들어가며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6개 핵심역량 제시문에 해 학문

깊이를 떠나 장에서 평소 느끼고 생각했던 바를 논거함에 있어 발표자의 제시문

내용과 토론자에게 바라는 기 치에 미흡하거나 논문작성 의도와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넓은 이해를 바란다

Ⅱ 발표문에 한 소견

1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의사소통의 요성은 조직(기업문화) 한 이해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교감을 나

타내는 요 요소라 단되며 외국어( 어)의 활용능력이 다른 항목에 비해(79쪽

92~94쪽 참조) 의사소통에 있어 요도 순 가 낮으나 개인의 보유능력과 활용의

빈도(상황)에 계없이 국제화와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 상을 감안할 때 의

사소통의 요한 Tool로서 회화능력이 요하다고 단되어 기 어 회화(읽기가

포함된 역으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국내의 기업(조직)내에서도 다양한 민족의 외국인의 채용 타문화권 타민족과의

인 교류가 증가하고 있어 어를 통한 기본 의사소통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삼성 등

기업의 경우 채용기 에 어회화능력을 시함)

- 120 -

2 인 계능력

리더십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해결 상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가진 Client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해서는 상을 조정

충능력 능력이라 정의하고 조직내외부와의 인간 계 업무에 있어

Co-Work하는데 매우 요한 역량이라고 부연코자 한다

3 정보 기술 자원활용 능력

정보활용 기술활용 자원활용 네트웍 리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못지않게 이들을 묶고 연결하고 조직목표를 한 조직내외

의 다양한 인 물 자원을 유기 으로 리할 수 있는 Network 리능력에

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앞장의 2 인 계 능력의 하 요소로도 검토

가능)

4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요하게 작동되는 능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하다고 단한 것은 옳다고 본다 격한 기술변화 시

에 능동 으로 처하기 해서는 단계별 해결능력보다 Speed가 경쟁력의

심인 상황에서 창의력을 갖고 바로 안을 찾아서 자기완결형의 실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

발표문에 따르면 맥락은 역사성의 종 인 측면과 환경은 수평 인 측면으로 큰

그림 아래서 행동하기란 표 을 살려서 사용하기로 하셨는데 제 생각엔 직업과

련한 핵심 역량을 다루는데 있어 학문 으로는 마땅한 표 이겠으나 조직이란

말이 이제는 포 개념(국가조직 사회조직 기업조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

- 121 -

안하여 조직 환경에 한 이해로 변경을 제의한다

6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신체 정서 건강유지 진로계획 수립 실천 직업윤리

진로계획보다는 평생직업 고령화 사회에 비한 생애설계 수립 실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삶은 곧 직업과의 연 성과 사회 욕구인 사회공헌( 사)이

포함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기본자질도 갖춰야 한다고 고려하 다

하 항목에 Cyber 을 추가하여 최근 사회 으로 심사로 부각되는 Cyber

폭력 댓 등의 심각한 문제가 개인과 사회 문제만이 아닌 조직 국가 인 문제

로 비화되는 실을 반 할 필요성이 있다

Ⅲ 마무리하며

국내외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살펴보면 삼성은 인재제일(People) 최고지향

(Excellence) 변화선도(Change) 정도경 (Integrity) 상생추구(Co-Prosperity) 등이

며 LG는 개방(Openness) 력(Partnership) 신(Innovation) 등이다 PampG는 리

더십(leadership) 주인의식(Ownership) 정직성(Integrity) 승리에 한 열정

(Passion for Winning) 상호신뢰(Trust) 등이고 도요타는 도 (Challenge) 개선

(Improvement) 존 (Respect) 지 물(The Actual PlaceThing) 웍

(Teamwork) 등이다

사례에서 보듯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집약하면 도 신 최고지향 정직 등으

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런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공유하고 창의 인 실

천을 유도하는 핵심 역량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업 장에서 생각해 본 핵심역량 모델

회사의 핵심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핵심역량

1 최고를 향한 열망

- 122 -

- 보수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자체에 열정

소명의식과 자부심 최고를 향한 높은 열망(Aspiration)

2 승부근성

- 웬만한 험에 노출되어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 지구력

불굴의 의지와 용기 도 정신(challenging Spirit)

3 도덕 겸양

- 뛰어난 업무능력은 기본 실력을 쌓으면서도 겸손한

외유내강형(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4 감성지능

- 기술 역량은 물론 다양성의 문화와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존 하는 인간

상호간 감성 교감을 시(다양성의사회 응력)

5 직업윤리

- 나름의 철 한 룰(Rule)을 정하고 지키는 실천의지

규율있는 행동(Disciplined Action)

6 변화의지(흡수능력)

- 충분한 사 지식을 갖추는 일과 함께 새로운 것을 극 배우려는 자세와 의욕

7 핵심가치 실천 능력

- 회사의 가치와 생각을 같이 하는 사람

- 창의력과 유연성을 갖춘 스피디한 실천력

- 123 -

진미석 외(2007) 정철영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적극적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 및 발표

토론과 중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적극적 청취

-독해력

-쓰기

-기초영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유동환(호서 학교)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통해서 삶을 유지하고 실 하고 꿈꾸고 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하거나 선택 당한 직업 역에 맞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는 그 직업에 가장

잘맞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런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세부 역량을 재분류하고

재구조화하여 명확히 살펴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어 시사 이 큰 논문이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인 4장의 2 의 표에 한 의견을 정리해 보겠다

1 의사소통

한국 인 교육 환경의 특징은 의사소통에서 있어서 소통에 한 훈련이 매우 수동

으로 이 지고 있어 이는 고스란히 직업세계로 연결되어 의사소통의 하 요소인 말하

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총 인 언어능력에 한 필요성은 매우 강조되지만 실제로

는 직업세계 속 의사소통 당사자들 사이의 역량 수 에 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상황이

다 더구나 수와 도료를 활용한 수리능력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상황은 특수한 직업세계

에서나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이른바 리젠테이션이 업무활동에서 일반화되

면서 수와 도표의 활용과 비언어 인 상징을 통한 표 의 역할이 매우 요하게 발 하

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이 단순히 의사소통 상 자들 사이의 단순 능력의 차원

이 아니라 개념의 이해 개념의 표 개념의 달이라는 총 이고 순환하는 통합능

력에 기반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창조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지식 기반 직업의 경우

그러한 역량이 더욱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한 외국어의 경우 한국 인 상황에서 그

- 124 -

대인관계 및 협력

협력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능력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협력

-고객서비스

-갈등관리

-협상

종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인식 및 해결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대안선택

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평가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적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역량이 직업인으로 성공하는 핵심요소로 표 되지만 보편 인 직업환경에서 역량의 육

성이 쉽지 않은 것 한 사실이다

2 인 계 능력

논문에서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

의 계에서 각각 리더십- 력-고객서비스를 능력으로 배치하고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 리 능력에서 우

리나라의 경우와 달리 해외 연구자들의 경우 매우 구체 으로 상 자의 얼굴과 이름

기억하기 비언어 인 심리 상태 인식 사지향성 등을 들고 있다 실제로 기업 장에

서는 이러한 구체 이고 작은 능력이지만 직업세계에서 매일 매일 만나게 되는 인

계의 상황을 호 시킬 수 있는 역량에 한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3 문제해결능력

논문에서는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

고 있다 분석-종합-해결 이라는 틀에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최근의 문지식 기반

의 직업환경은 복잡하고 긴 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IT와 CT 등의 직업 역에서 삼성

직무 성검사SSAT(직무능력검사)에서 제시한 차계획력이나 CLA의 분석추론력 등

을 참고하여 과정추론력은 매우 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 125 -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및

활용

자원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및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량적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대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및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자기관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지향적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적 자기조절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관리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신체적 정서적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및 실천

- 직업윤리

4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이 역량은 최근 요도가 증하고 있는 역임에도 의사소통능력 등 다른 부분에 포

함되는 부분이 많아서 최종 결론은 정보-기술-자원으로 요약되어 있다 다만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

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는데 결국 이는 자원-기술-정보를 취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이

러한 역량이 서로 상호 으로 연결하는 능력인 계 역량으로 발 해야 한다고 보는

에서 최근의 문지식 기반 직업 분야에서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5 자기 리능력

- 126 -

글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및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를 포 하는 측면

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직업세계에서

자기 리에 한 강조 경향은 이 역량의 요성이 앞으로도 커지리라 생각하고 직업윤

리에 한 강조는 이 역량에서 윤리지수의 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6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당 로벌 역량과 조직이해 능력이라는 항목을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으로

통합 조정한 역량이다 수정안이 조직과 로벌 역량에 한 부분은 잘 수용되어 있는

데 사회문화이해능력이라 표 하면서 최근 시되고 있는 맥락의 역사 이해 능력이라

는 부분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

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에 해서 조정하고 이를 도표로 재구조화하 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은 직업세계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임에 틀림 없다 다만 그 6개 역의 하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근의 직업세계

의 변화경향과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래 비젼에 따라 강조 이나 치 이 달라져

야 할 것이다 매우 정교하고 객 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핵심역량에서 논자가 이

야기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은 핵심역량 추출에서 매우 요한 이다 한 한국의 직업세계이라는 특수조

건에 한 고려를 핵심역량 도출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지 여기 실 으로 존재

하는 한국 직업세계의 특수성은 개개 직업인들이 가져가고 길러가고 지향해야 할 핵심

역량의 요소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 자료는 결론으로써가 아니라 과정 기 으로

계속 연구하고 논의해 가야 할 것이고 구체 인 교육 장과 직업 장에서 실제 로그

- 127 -

램을 통하여 구 할 수 있는 방안의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업에 한 정치한 사회과학 논의를 하면서 인문학을 공하고 문화콘텐츠 문

기업을 운 했던 경험을 잣 로 살펴보다 보니 특정 직업세계에 기반하여 논문의 결론

을 바라보는 우를 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밝히면서 을 마친다

- 128 -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 이공계 졸업생의 직무 수행 핵심 역량 수 의 측정과 책 -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국내 첨단기술기업을 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실제 이공계 4년제 학을 졸

업하고 입사한 직원의 직무수행과 련한 핵심역량 평가 결과 업무 련 문지식(5

만 290) 실무 능력(269)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밖에 이론 문

제해석해결 능력(305) 커뮤니 이션 능력(312) 조직 응 능력(312) 등이 부족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25

3

35

4

어학능력 의사소통능력 컴퓨터 활용능

조직적응능력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업무 지식 업무 실무 기본인성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1] 이공계4년제 학 졸업 입사 직원 평가

- 129 -

과 목 설계 공정개발 생산 장비개발 기획amp마

반도체물리 52 50 43 50 41

화학 54 51 38 46 42

공업수학 56 47 40 46 52

회로이론 55 54 39 48 52

자기학 64 48 37 45 45

자회로 51 49 38 44 46

기 기실험 58 50 34 47 51

CAD실습 56 44 29 55 53

논리회로설계 64 44 31 48 44

5246

3845 4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설 계 공 정 개 발 생 산 장 비 개 발 기 획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2] 직무별 직무수행역량 역량습득 련 학재학시 학습수

이러한 신규 지원자의 질 미흡 문제는 기업과 교육훈련기 (공업고등학교 학 등)

간의 상호 연계 시스템 미비로 인한 인력양성의 비효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

서 신규 졸업자의 질 제고를 해서는 공업 고등학교 학 교육의 장성 강화로

수요자 심의 교육이 으로 요구되는 것이 실이다

업무지식과 업무실무와 련하여 실제 직무수행과 련한 지식의 습득정도를 측정하

으나 습득율이 50 수 에 머무르고 있다

아울러 과목별로 지식의 충족도는 부분 50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lt표 1gt 교과목별 지식충족도

[ 100]

- 130 -

논리회로실험 56 50 33 48 46

혼성모드 IC설계 47 38 38 54 38

고주 소자 모델링 40 50 38 25 50

RF반도체회로설계 47 25 33 50 75

VLSI설계 46 39 44 38 43

디지털시스템이론 51 35 34 44 43

반도체공학 48 48 46 48 41

IC 로세스 54 58 38 44 39

자공학 43 50 39 39 47

반도체실험 53 53 46 46 52

반도체응용실험 52 50 47 45 50

응용 자회로 51 35 28 39 46

자회로실험 49 44 30 42 45

신호 시스템 50 48 33 41 49

자장론 50 44 31 47 47

통신실험 53 42 38 38 52

통신시스템 49 38 28 44 51

고주 공학 53 38 20 33 44

디지털통신시스템 51 34 32 45 49

고주 회로 46 33 25 42 48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문역량과 련하여 학교육과 산업체 장요구와의격차(Gap)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육이 산업체의 Needs를 맞추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빠른 기술발 추이에

맞는 선행교육이 제 로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학교육에 있어 실험실습이 차지하는 비 은 실무에서의 요도에 비하여 을뿐

더러 학의 설비구비수 이 산업계의 수 보다 뒤처져 있는 실 인 문제가 이러한 결

과를 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기 해서는 주로 자기학습을 통한 노력과 실무를 통하여

익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131 -

분류 학습격차 보충방법

반도체설계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공정개발1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생산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반도체 장비개발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자기학습노력

반도체 기획마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lt표 1-2gt 직무능력 학습격차 보충방법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따라서 학교육과 장요구와의 격차(Gap)가 큰 교과목에 한 보완 방안을 학과

산업이 공동으로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학의 경우 공과정 교육체계작성 시 반

드시 산업계로부터의 Needs 분석을 실시하고 산업계 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실질

인 반도체 교육체계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육에서 필요교과목에 한 이수 의무화하여야 한다 재 많은 학에서 공학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궤도상에서 우선 요한 조건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 요) 교과목을 제 로 선정하여 학에서 교육시키도록 해야 한다

반도체 직군별 문가 육성을 한 학 내 반도체 교과목 연계 경력 로그램운 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학에서 학과마다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때 학과 내에서도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별 문가 양성을 미리 염두에 두

고 분야별 과목연계 경력 Program 운 을 제도화하여 학생들이 학 졸업 후에는 자신

의 공진로를 쉽게 찾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 132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3 -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조 연(숙명여자 학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Ⅱ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Ⅲ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134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5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식기반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 별되는 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과거 교육 역이

아니었던 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교육 학습활동이 이루지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은 기본 인 경제자원이며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회 통합

을 한 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상되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을 얻기 한 주요

통로가 등 학교육 등의 형식 (formal) 교육활동이었다 그러나 평생학습시

의 도래로 학습의 개념과 이 보다 다양해지고 형식 교육활동 만으로는 개인

사회발 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차 학교 이외의 학습 체제에 한 심이 증 하고

있다

불과 십여 년 까지 학교교육을 통해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재 과학기술의 속한 발달과

세계화 정보화로 인한 지식의 홍수 등으로 인해 학교교육에서 학습된 내용은 성인의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에 큰 도움을 장기간 제공해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한

다 학교교육은 창의성 사회성 문성 그리고 자율학습능력을 갖춘 인 자원을 양성해

야 하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후에도 지속 인 평생학습을 통해 인 자본 축

이 으로 필요하다(김장호 2007) 더욱이 환경의 변화주기는 더욱 짧아지고 있으

며 인간의 수명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은 더욱 미래사회

에 가속화 될 망이다 즉 생애 어느 한 시 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만으로는 새로운 사

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하기란 불가능하다(강순희 amp 신범석 2002) 따라서 선진

각국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생애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큰 틀로서 평생학습사회

를 하나의 지향 으로 설정하 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 는 평생학습34)은 학교교육과 성인(사회)교육의 유기

화학 통합(한숭희 2006) 는 유아교육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노인교

육의 생애 교육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기업교육 사이버교육 등 범생애

교육을 통칭(김진화 2006)하는 것으로 모든 교육 는 학습활동의 기 이며 조직원

34) 평생교육은 제공자 차원에서 학습자의 평생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 인 활동을 의미하며

평생학습은 학습자의 계획 이고 조직 인 교수학습과정에 참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발 으로 계획하고 실

천하거나 우연 으로 경험하는 학습을 의미한다(권 2007 150)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 ( 는 제

공자)가 동시에 존재하나 평생학습은 학습자만이 존재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 136 -

리 그리고 교육의 최상 개념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의 진 여부를 떠나

그 만큼 오늘날 평생교육 평생학습의 요성과 심이 증폭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결과 으로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정부 지역수 에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

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재구조화 하는 한편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해 많은 노력들을 꾸 히 실천해 오고 있다 를 들면 평생학습도시사업 평생학습

축제 평생교육법의 면개정 평생교육진흥원설립 주말소외계층평생교육지원사업 등을

통해 평생교육에 한 국민의 심 증 를 도모하고 평생학습 참여를 한 극 노력

들을 개하고 있다 2002년 OECD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선

진국에 비해 낮은 수 이었다(북유럽 3국 536 덴마크 562 국 449 한국

172) 그러나 2007년 12월에 발표된 교육인 자원부의 개인평생학습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참여율은 298로 OECD 국가 평균 26보다 높게 나

타났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 21세기 국가발 의 핵심의제가 됨에 따라(김승보 2007) 미래

평생교육의 요성과 평생학습의 참여율은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그 다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 구성원은 어떠한 모습일까 다

시 말해서 미래 사회의 학교 외 학습 체제에서 이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역량에 한 강조는 인 자원개발과 성인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넘어 공교육의

교육과정 구성에까지 확 되고 있다(윤정일 등 2007) 즉 평생학습사회 각 부분에서 구

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악하고 이를 함양하기 한 제도 실천 노력을

개함과 동시에 미래 사회 구성원이 될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한 목 이다 이를 하여 최근 정부와 국내 교육 련

연구기 들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역량이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사회구성원의 핵심역량을 악하고자 하 다

한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 정보와 지식 그리고 네트워크의 요성을 강조하면

서 사회구성원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제시하

다 를 들면 이돈희(1999)는 의사소통능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 사고

인간 계능력 자기 리 세계 인 안목과 응력을 강조하 고 김승보(2007)는 외국어

실력 디지털실력 자기주도학습력 이문화이종교이역사에 한 열린교육을 통해 창

조성 향상 문성 의사소통능력 활동 능력 노동철학과 직업윤리의식을 제시하 다

그러나 국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은 부분 재 시 에서 특정 분

야에 필요로 하는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미래 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

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근은 미흡

- 137 -

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 개인 연구자들의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평생학습사회에 사회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언 은 주로 선언 이며 규범 근이었다

Ouane(2002)는 역량정의에 있어 규범 이고 일반 인 정의는 실제 상황과 충돌이 있을

수 있음을 지 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당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목 을 해결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 다

가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최근 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를 종합분석하여 공

통 차이 을 도출하 으며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분석하 다 한 평생학

습사회에 한 개념 정의와 특징을 종합분석하 다 특히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

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통해 이들이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

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나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DeSeCo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학교 기타 국내외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

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한 선행연구분석 결과는 국가교육과정의 개발을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다 평생교육법 평생교육제도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을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

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한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

- 138 -

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을 분

석하여 각 제도들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통해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하 요소

들을 악하 다 그리고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 을 통해

각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하여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라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시사 도출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여 2차에 걸친 문가 의회를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

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련 선행연구분석 법제도 로그램 분석에서 도출된 역량과 문가 의회

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비교 분석하 고 이 결과는 설문분석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되

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우선순 를 제시하 다 마지막으

로 도출된 역량을 하 요소에 기 하여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교육과정 체제 측

면과 교육목 내용 측면에서 시사 을 제시하 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내용을 추진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이 사용되

었다

가 문헌연구

역량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그리고 시민을 한 역량도출 평생교육법 제도와

련된 최근 문헌들을 분석하 다 이와 같은 문헌의 종류로는 역량과 생애역량 그리고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제공하는 문헌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와 특징 그리

고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공하는 문헌 시민

상 역량 도출을 한 국내외 연구보고서 평생교육법령 해설집 다양한 평생교육제도(

를 들면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의 이념 목 취지 그

리고 구체 내용을 제공하는 문헌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의 목 을 제공

하는 문헌을 분석하 다

나 명목집단기법

- 139 -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역량별 하 요소의 비 설정을

하여 2차에 걸친 문가 10인과 의회를 실시하 다 문가 의회는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 다 명목집단기법은 문가들이 모여 하나의 주

제에 한 문제나 이슈들을 식별하고 순 를 정하는 가 서열화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비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함이다(Witkin amp Altschuld 1995)

일반 인 그룹 활동과는 달리 토의나 사호작용을 도하여 구성원 각자의 독립된 의견

을 수합한 후 필요하다면 토의와 상호작용을 통해 각각의 의견을 명료화 한 후 최종

인 아이디어들과 그 순 를 매기는 활동을 의미한다 최정임(2002)은 명목집단기법이

인스토 의 창조 인 특징을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한 통제된 틀에 통합시킨 그

룹 활동으로 정의하 다 여기서 명목(nominal)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기에 집단의 상

호작용 활동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름 상으로만 집단의 형식을 취한다는 뜻이다

다 설문조사 우선순 기법

1) 설문지 개발

문헌연구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결과를 기 로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들의 갖

추어야 할 역량 하 요소들로 설문지를 개발하 다 연구진 의회를 통해 설문지

안이 개발되었으며 개발한 설문지에 하여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보하기

해서 학교수와 평생교육 장 실무자 등 문가 4인으로 구성된 문가 의회의 도

움을 받았다 문가 의회는 이메일로 설문지에 한 내용과 형식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연구진 의회를 통해 이를 반 하 다

2) 조사 상 표집 실시

본 연구를 한 조사 상 표집 그리고 실시는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었다

3) 분석 방법

설문지 분석은 SPSSWIN 12를 사용하여 분석하 다 특히 역량의 우선순 를 악

하기 하여 본 연구는 The Locus for Focus Model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 그리고

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역량에 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하

다 3가지 우선순 방법 마다 장 과 단 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기 한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 다

- 140 -

II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1990년 이후 평생학습이 경제 필요와 사회문화 이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로벌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연스럽게 lsquo학습사회rsquo 는 lsquo평생학습사회rsquo라는 용어가

화되었다 평생학습사회에 한 정의는 연구자의 다양한 에 따라서 서로 다르

게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공통된 하나의 정의로 진술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련된 연구물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는 학습사회는 어떤 모습

으로 그려질 수 있으며 이들 사회의 특징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3가지 차원

에서 살펴보고자 하 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는 월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특히 학교를 심으로 한

통 인 교육기 을 넘어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기회를 창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즉

학습이 기존 학교로 표되던 특정한 교육기 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다

Tielen(1998148)은 평생학습사회란 학습을 한 다양한 자원이 통 인 교육기 을 넘

어 가정 지역사회 기업 그리고 다른 조직들로 확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고 하 다 손

유미(2005) 역시 학습과 교육이 학교나 공식 으로 부여된 특정 장소에서만 이루어지는

사회가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삶의 공간에서 학습이 매개될 수 있는 사회를 평생학습사

회로 정의하 다 결국 월성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사회는 기존 교육과 학습의 헤게모

니를 구축하고 있는 학교교육을 뛰어 넘어 사회교육 직업세계간에 단 과 장벽이 없는

사회 체가 평생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권 2003 차갑부 2003)

평생학습사회는 공간 차원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도 월성을 강조한다 평생

학습사회는 평생에 걸쳐 시간 제약이 없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평생 언제라도 자유롭게 학습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사회(이희수 외 2000) 평생

에 걸친 학습체제가 마련되는 사회(김장호 2004)로 정의된다 결국 월성을 강조한 평

생학습사회는 시간과 장소의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사회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월성의 측면에서 평생학습사회는 학습의 양 증 를 도모

한다

둘째 평생학습의 정의에는 평등을 기반으로 한 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학습기회

- 141 -

에 있어서 차별성이 없으며 모든 국민의 생애(lifelong) 학습권이 보장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등에 기반 한 성을 강조하기 해서 많은 학자들은 lsquo 구나rsquo lsquo모든 국

민rsquo 는 lsquo만인rsquo이라는 표 을 주로 쓴다 를 들면 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김승보 amp 이주호 2007 최상덕 외 2007) 모든 국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보장해 주는 사회(권 2003) 만인을 한 사회(이희수 외 2000)

구나 배울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모든 국민이 평생 동안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지식을 생성하는 사회(김신일 amp 박부권 2005) 등으로 설명된다

이처럼 국민 모두가 평생 동안 학습기회를 자유로이 가질 수 있는 학습의 평등화와

화를 도모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분명 일부 능력 있는 집

단만의 유물이었던 학제를 심으로 한 학교 심 사회와 다르다 더욱이 형식학습을

넘어 비형식 학습 그리고 무형식 학습 등이 새로운 유형의 의미 있는 학습기제로 활발

히 인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 구나 생애 학습자로 평생학습사회의 극 구성

원이 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학제를 심으로 학교 심사회와 비교하면 평생

학습사회는 학습기회가 분배되는 패턴이 평등과 성을 기반으로 변화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 리 평가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서 강조된

다 특히 통합성은 앞에서 언 한 월성과 성의 특징을 포함하는 종합 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국민을 상으로 생애를 통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하고 장소와 시

간에 구애됨이 없이 범생애(life-wide) 차원에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함으로써 수직

수평 통합을 강조한다 김장호(2004)는 개인 조직 사회의 모든 구성체가 학습조

직화되고 상호 학습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하 다 결국 다양한

주체의 통합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 구축이 평생학습사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통합성은 생애 그리고 범생애 차원에서 발생하는 학습기회를 단순히 나열하여 교육

과 학습의 역을 넓히는 물리 통합이 아닌 평생학습의 기본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교육과 학습활동을 유기 화학 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성에

기 한다면 기존 학제의 표로서 교육과 학습을 주로 리해 온 학교 역시 평생교육의

이념으로 개 되어야 한다(김승보 amp 이주호 2007) 한숭희(2006) 역시 등 학의

학교교육과 성인계속교육의 물리 통합 추구는 결국 일종의 학교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이는 근 학교모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결국 평생학습

사회의 구 이 어려울 수 있음을 지 하 다

많은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학습을 리하고 평가하는 것

에 주목한다 를 들면 평생학습사회는 자유로이 학습기회를 선택하여 배우고 그 성과

를 히 평가받을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이며 다양한 학습의 결과가 공식 으

- 142 -

로 인정되는 사회(최상덕 외 2007)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근거로 학습자의 학력이 아닌

능력을 평가하는 체제를 갖춘 사회(안상헌 2005)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한숭희

(2006)는 평생학습사회 논의의 이론 구체화를 도모하기 해서 학습의 사회 리양

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 최근 유럽을 심으로 사회 으로 다양한 학습의 리 방

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하 다

과거 학교에 유되었던 학습은 주로 교육의 부산물로 다루어졌지만 이제 교육은 학습

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 인 존재양식을 획득하기 시작한다 과거 학교의 교

육연한으로 산출되던 한 사회의 총학습량은 이제 형식교육 비형식 교육 무형식 학습을

총 한 평생학습시간으로 체되었고 그것을 측정하기 하여 비형식 무형식 학습을

계량화하기 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모색되기 시작하 다(한숭희 2006188)

우리나라의 사내 학 학습계좌제 학 은행제 등이 유럽에서 최근 등장하고 있는 무

형식 학습에 한 학습결과 인증노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u(2007)

는 평생학습사회란 교육된 사회 교육 심사회 교육력 있는 사회가 아니라 하나의 통합

인 모델이며 그 자체임을 강조하 다 평생학습사회는 시간과 공간의 월성 모두를

한 평등에 기 한 성 그리고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의 리와 평가가 이

루어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학습은 하나의 삶의 양식이며 살기

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처럼 생활을 해 성장과 성숙을 해 학습이 일상화되는

사회로서 학습에 한 고 통 가치가 개방 생활 가치로 환된 사회를 의

미한다 결국 평생학습사회는 우리가 추구해야할 이상 이면서 동시에 실천 목표라

고 할 수 있다

나 평생학습사회에서 추구하는 구성원의 모습

평생학습사회에서 바람직한 구성원의 모습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매우 한 련이 있다 즉 평생학습사회에서 극 인 구성원이란 결국 lsquo끊임없이 학

습하는 인간rsquo(김장호 2007)이며 학습은 지식을 창출하기 한 과정으로 인식할 때 지식

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는 함께 추구해야 할 사회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평생

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모습은 결국 지식기반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간상과 같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장은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물에서 제시된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

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 한 인간상을 분석하여 제시하 다

70년 반 Faure 보고서에서는 학습사회의 인간상으로 lsquo완 한 인간rsquo을 제시하면서

- 143 -

역량 (출처의 빈도) 출처

자기주도학습능력 (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

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유 숙 외 (1999)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정보획득 활용능력 (정보문해력 정보

획득을 한 기기활용능력)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능력 포함)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력 (5)오장원 선(2004)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유 숙 외 (1999)

신체 지 정서 도덕 으로 통합된 인간을 의미한다(Faure 1972) 이와 같은 학습

사회의 인간상은 2000년 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구체 인 수 에서 언 되고 있다 유

숙 외(1999)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으로 창의 인간 자기주도

인간 그리고 실용 인간을 제시하 다 조원경과 양은주(2001)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창조와 동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창조 인간 형성이 요청된다고 하 다 박

만(2002)은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간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강순희와 신범석(2002)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모델은 신지식인이며 지식기반

산업사회에서 주체 세력은 지식근로자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 다 유 옥(2005)은 평

생학습사회에서 추구되어야 할 새로운 교육 인간상으로 성숙한 개인의식을 지닌 인간

을 강조하 다 이재분 외(2006)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으로 자율 인간 창

의 인간 학습하는 인간 직 인 인간 동하는 인간 사고하는 인간 그리고 감성

인 인간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서 요구되는 능력을

역량과 역량요소로 구분하여 종합 으로 정리하면 lt표 Ⅱ-1gt과 같다

결과 으로 가장 많은 문헌들에서 강조한 역량은 자기주도학습력이며 그 다음으로 정

보획득 활용능력과 의사소통능력으로 나타났다 한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

력 문제해결력 수리력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인

계능력 그리고 학습동기가 비교 련 문헌들에서 강조한 주요 역량으로 분석되었

다 그 외에도 학습방법능력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문해력 장 응력 자기 리능

력이 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한 국제 연구 추세

를 정리한 김남희(2004)의 결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

의 타당성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lt표 Ⅱ-1gt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

- 144 -

문제해결력 (5)김장호(2007) 유 숙 외 (1999) 박 만(2002) 강순

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수리력 (4)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Tuijnman(2003)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3)강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오장원 선

(2004)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3) 유 숙 외 (1999) 유 숙 외 (1999) Tuijnman(2003)

인 계능력 (3)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

(2002)

학습동기 (3) 김 철(199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학습방법능력 (2) 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2) 유 숙 외 (1999) 차갑부(2001)

문해력 (2) 김 철(1999) Tuijnman(2003)

장 응력 (2) 김장호(2007) 차갑부(2001)

자기 리능력 (2)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추진력 유 숙 외 (1999)

기업가정신 김장호(2007)

도 의식 유 숙 외 (1999)

사명의식 유 숙 외 (1999)

로벌마인드 김장호(2007)

인본주의정신 김장호(2007)

민주의식 조원경양은주(2001)

인내 차갑부(2001)

가피 단능력 박 만(2002)

다문화이해능력 조원경양은주(2001)

2 역량과 생애역량

가 역량

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야까지 사회

- 145 -

학 자 역량의 정의

Klemp(1980) 직무 장에서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Boyatzis(1982) 직무에서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McLagan(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련된 개인의 능력특성

Bartram(1990)KEDI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능력 작업

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 인 강제상황에서 응할 수 있는 능력

Fletcher(1991) 규정된 기 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 으로 나타나면서 비교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What one

should know)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What one should be able do)을 포

함하는 능력

Dubois(1993)삶에서의 역할을 성공 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amp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에서 거에 따르는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내 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향을 주고 업무 성과와 련성

이 높고 조직에서 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 에 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

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rsquo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역량운동으로

까지 부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조 연김재 2007) 일반 으로 역

량은 lsquo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 (잠재 )인 특성rsquo으로

McClelland(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McClelland는 통 인 학업성취도가 직무

성과나 삶의 성공을 측하지 못하며 한 인종소수자 여성 등에서는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Adams 1996) 역량의 필요성을 주장하 다 이러한 McClelland(1973)의 정의

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lsquo평균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rsquo에

을 두었다(Linkage 1997 섭 외 2008에서 재인용)

그러나 역량에 한 정의는 학자마다 그리고 역량에 한 근방식에 따라 다르다

아래 lt표 Ⅱ-2gt에서 볼 수 있듯이 학자마다 역량을 정의하는 개념은 약간씩 다르며 통

일된 개념정의는 없는 것이 실이다 즉 역량의 개념에 한 공통 인 정의가 부족하

고 각 조직마다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명명한다든지 유사한 이름의 역량을 상

이한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Brundrett 2000 김종인 외 2006에서 재

인용)는 이 재 역량 논의의 쟁 이라고 볼 수 있다

lt표 Ⅱ-2gt 역량의 일반 개념

- 146 -

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irabile(1997) 우수 성과자와 평균 성과자를 구분해 주는 지식 기술 특성

권 (1998)조직의 핵심 사업을 수행하기 해 으로 필요한 인재들만이 발휘하고

있는 고유한 역량으로서 창의성과 문성을 바탕으로 한 자질

Green(1999)직무 목표 달성에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 개인 기술에 한

증거 자료

Lucia amp

Lepsinger(1999)업무에서 효과 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Herling(2000)최소한도로 효율 이고 동시에 결과에서 효과 인 개인에의 일 되게 보여진

행동

Schippmann et al (2000)특정 과업이나 활동에서의 성공 수행 는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에서의

한 지식

송 수(2000)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이하 수 의 사람들과 차별되는 공통된

특성

OECD(2002)개인이나 사회의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거나 특정 활동이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

김태기 외(2002)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출처 오헌석(2007) 조 연 외(2007)의 일부를 수정보완함

이러한 다양한 정의들 에서도 공통 으로 나타나는 것은 역량이 어떠한 lsquo능력rsquo을 의

미한다는 것이다 즉 역량은 lsquo능력rsquo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하다고 볼 수 있다 능력

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살펴보면 can ability capability competency 등이 있

으며 각각의 의미는 조 씩 다르다 일반 으로 competency에 가까울수록 고도의 문

행동 능력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주 외 2004) 한 주 외(2004)는 lsquo학력rsquo

과 lsquo역량rsquo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lsquo학력rsquo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lsquo무엇을 배웠는가rsquo

에 근 한 개념이라면 lsquo역량rsquo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지는

지 능력 이상의 복합 인 능력으로 궁극 인 lsquo행동능력rsquo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다 이 듯 역량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개인의 능력 특성과 련된 개념이

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며 조직의 성과나 개인의 성공을 해 필수 인 개념임에는

틀림없다

한 역량에 한 근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 McClelland와

Boyatzis의 근은 미국에서의 역량 논의에 지속 으로 향을 미쳤지만 국에서의 역

량 근에서는 체로 무시되어 왔다(Brundrett 2000) Brundrett(2000)는 미국과 국에

서의 역량에 한 근은 크게 두 가지 에서 구별된다고 하 다 첫째 역량에 한

- 147 -

비교기 행동역량모형(미국) 직무성과모형( 국)

목성과향상을 한 역량개발

우수수행자의 규명

종업원의 능력진담 자격화

최소 수행수 규명

상 리자 리자 뿐 아니라 모든 상

직무 개인의 특성

(직무의 특성에서 출발)

개인의 행동 특성

(사람의 특성에서 출발)

개발 차 개인(우수수행자)의 행동 특성직무기능에 필요한 성취

표 (과정결과물)

조직의 향 조직맥락보다는 직무기능 심 조직에서 요구하는 행동 특성

방법론 다차원 방법론 합리주의 실증주의

용어의 사용 competency competence

정의의 에 있어서 McClelland와 Boyatzis가 lsquo사람(people)에 을 맞춘 반면

국에서의 부분의 근은 rsquo직무(the job)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McClelland와

Boyatzis가 우수 성과자(superior performance)를 규명하기 한 행동에 심을 둔 반면

국에서는 최소한의 역량 수 을 규명하는 데 심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미국과

국에서의 다른 근방법에 해 오헌석(2007)은 역량에 한 미국식 근은 역량을 행

동에 미치는 독립변수로 간주하는 반면 국식 근은 역량을 종속변수로 간주하여 성

과와 동일시하고 있다고 하 다 한 미국식 근법은 다차원 방법론에 기반하고 있

는 반면 국식 근법은 합리주의 실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 다 역량에

한 미국과 국의 근법을 비교하면 아래 lt표 Ⅱ-3gt와 같다

lt표 Ⅱ-3gt 역량모형의 차이 비교

출처 Garavan amp McGuire(2001)와 Wood amp Payne(1998)을 통합수정 오헌석(2007)에서 재인용

Ouane(2002313)는 역량의 본질에 기 한 근방법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하

다 첫째 세분화된 직무(tasks)완수와 련된 분 행동으로 보는 근 둘째 하나의

구체 인 job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반 인 특성을 도출하려는 근 셋째 행동과 특

성을 종합하려는 근 한 Deist amp Winterton(2005)은 역량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

하고 국가별로 근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하 다 일차원 인 역량구조는 역량을 충분

히 이해하는데 부 하며 다차원 인 역량구조가 함을 주장하면서 미국에서는 행

동주의 역량에 기능 이고 인식 역량이 첨가되고 있다고 하 다 반면 국에

서는 직업 기능 역량 모형에 인식 이고 행동주의 인 역량이 추가되고 있으며

랑스 독일 그리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역량의 차원으로 지식 기술 그리고 행동을 고려하

는 체론 (holistic) 역량 모형이 채택되기 시작했다고 하 다 아래 [그림 Ⅱ-1]에서

- 148 -

제시된 인식 역량은 지식(Knowledge)과 련되며 기능 역량은 기술(Skill)과 련되

고 사회 역량은 태도(Attitude)와 련된다 이는 보편 으로 불리는 지식 기술 태도

의 종합인 역량의 의미와 같다 그러나 Deist amp Winterton(2005)은 Meta Competence라

는 개념을 추가하여 다차원 역량의 논의에서 실제 인 역량을 획득하기 한 역량으

로 메타 역량을 정의하며 지식 기술 태도 모두에 내재되어 있는 다차원 인 역량이 존

재를 강조하 다

Meta Competence는 보다 넓은 사회과학 맥락에서 역량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Rychen amp Salganik(2000)의 설명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Rychen amp Salganik(2000)은 역

량이 지식 기술 태도 등 능력 복합체이지만 기업 등 직장에서 요구되는 특정과업만 국

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일반능력이라는 에서 역량

의 범 가 상당히 넓을 수 있음을 주장하 다(김남희 2004 6쪽 재인용)

[그림 Ⅱ-1] 역량의 유형

출처 Deist amp Winterton(2005) pp39

나 생애역량

생애역량의 개념은 lsquo생애능력rsquo 혹은 lsquo핵심기술(key skills) 생애기술(life skills) 등과

동일시되어 연구되어 왔다 에서 살펴본 역량과 같이 생애역량에 한 서로 다른 이

해와 때문에 하나의 일반 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최근 Singh(20032-3)은 몇

- 149 -

학 자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정의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

유 숙 외(2002) 생애능력 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

몇 국제기구에서 사용되는 생애역량(life skills)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UNESCO의 IBE(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은 인간이 독립 으로 히 기능

하는 데 필요한 개인 리 사회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UNICEF는 일반 으로

요하다고 여겨지는 심리사회 기술과 인 계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WHO

의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olicy(MHP) 은 문화 발 인 한 방법

에 의해 심리사회 기술을 강화하고 실습하는 것을 생애역량교육이라고 정의하 다

특히 생애역량교육은 개인과 사회의 발 건강과 사회문제 방 그리고 인권보호증진

을 목 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생애역량은 기 의 고유 목 에 따라서 다양하

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ECD는 2001년 DeSeCo 포로젝트를 통해서 생애역량을 정의하 다 DeSeCo는 개인

의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하나의 구체 상황이 아닌 폭

넓은 련된 상황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해 요구되는 능력으로 rsquokey

competencies를 정의하 는데 이는 생애역량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

다 Singh(2003)는 생애역량이란 지식 행동 태도 그리고 가치의 복합체이며 목표를 달

성하거나 무엇인가를 하기 한 know-how 그리고 기술을 포함한다고 정의하 다

국내에서의 연구를 살펴보면 유 숙 외(2002) 김안나 외(2003) 이석재 외 (2003)의 연

구에서는 lsquo생애능력rsquo을 생애를 통해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으로 정의하 는데 이들 연

구들에서는 competency를 lsquo능력rsquo으로 정의하 으므로 lsquo생애능력rsquo이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

이다 장수명 외(2002)의 연구에서도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식 기

술 태도의 집합체를 lsquo생애능력rsquo으로 규정하 다 강경종 외(2002)의 연구에서는 lsquo생애능

력rsquo을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으로 규정하 다

lt표 Ⅱ-4gt 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와 정의

- 150 -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

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

김안나 외(2003) 생애능력삶의 장으로서의 횡단 장면과 종단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으로서 한 개인이 인생을 성공 으로 살아나갈 때 요구되는 능력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한 개인이 등학생으로부터 사회인으로 성장하면서 외부환경에 잘

응하면서 바람직한 성과를 내도록 하기 한 능력

DeSeCo(2001) key competency

읽기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 기술을 넘어서서 개인이 성공 이

고 책임 있는 삶을 이끌어나가기 하여 그리고 사회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하여 요구되는 능력

EC(2000) basic skill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

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

지 까지 논의된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에 있어 매우 유사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생애역량의 개념은 역량의 개념에서 lsquo생애rsquo라는 즉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삶의

시간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lsquo생애 동안rsquo lsquo일생을 통하여rsquo 등과 같은 시간 개념을 제

외하면 앞서 논의된 lsquo역량rsquo의 개념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Quane(2002)는 생애

역량은 모든 연령 성별 다양한 지 를 월한 개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즉 시간

개념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지 와 성별의 구분 없이 구나 사회구성 이라면 갖추어야

할 상이다 김남희(2004)는 평생을 통해 각 단계별 교육이나 학습이 연계되어 습득되

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결정 이고 구체 인 능력을 생애역량이라고 정

의하 다

에서 정의된 생애역량은 평생학습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측

면에서 생애역량은 개인의 자아실 에 기여할 수 있다 소득수 이 높아지고 평균수명

이 길어짐에 따라 문화 욕구 자아실 욕구 등 높은 단계의 욕구충족이 요해

지므로 개인이 학습을 통해 특정한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실 할 것을 고무하고

있다(김태 외 2002) 평생학습사회에서 개인은 평생학습을 통해 생애주기별로 생애역

량을 개발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제2 제3의 직업을 찾아 행복한 삶을

할 수 있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을 통해 개인이 다양한 맥락에서 필요로 하는 요

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

다 DeSeCo(2001)는 생애역량이 (1)개인을 한 가치 있는 결과에 기여할 수 있고 (2)개

인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요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와 있으며 (3) 문직을

한 것만이 아닌 모든 개인을 해 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 생애역량은 사회

차원의 안정과 통합에 활용된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의 개발을 통해 사회가 바

- 151 -

라는 가치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하 다 즉 생애역량을 통해 각 개인의 필요

역량을 구축함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량을 도출함에 있어 역량활용의 목 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Ouane(2002)는

그동안 역량도출이 개인차원에 집 되면서 개인 삶의 성공에 집 되었고 이를 통해 사

회 차원의 함의를 이끄는 수 이었다고 반성하면서 역량 도출의 주된 목 은 개인의

성공과 의미 있는 삶을 한 것 뿐만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책임 수행

을 비롯한 건 한 사회생활을 한 것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김남희(2004) 역시 생

애역량은 개인 차원의 성공 인 삶과 특정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공 인 삶을 살아가

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 다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본 장에서는 최근 기 차원에서 발표된 생애역량에 한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각 연구에서 생애역량의 요소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외 보고서 가운데 DeSeCo EC 국의 교육고용부 싱가폴의 인력부를 심으로 분석

하 으며 국내 연구 에서는 유 숙 외 이석재 외 김안나 외 등의 한국교육개발원 보

고서 Kim et al 김선미 그리고 최운실의 연구를 심으로 분석하여 생애역량의 요소

들을 탐색하 다

가 DeSeCo

OECD는 핵심역량에 한 이론 개념 토 를 마련하기 한 노력의 일환으로

DeSeCo 로젝트를 시작하 으며 OECD 로그램의 하나로 1997년 말에 시작되었으

며 미국 교육부 국립교육통계센터(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의

후원을 받아 스 스연방통계청(Swiss Federal Statistical Odffice)에 의해 운 되고 있다

(윤여각 외 2002)

DeSeCo의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 경제 요

구를 반 하면서 넓은 의미의 교육 결과물과 련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능력을 의

미한다 DeSeCo(2001)는 역량(competency)을 단순한 지식과 기술 이상의 개념으로 설정

하여 로벌화와 화로 인해 빠르게 다양화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well-functioning) 사회를 실 하기 해 필요한 역량을 생애역량(key

competencies)으로 규정하 다 기존의 선진국들이 직업기 능력을 심으로 핵심역량을

- 152 -

생애역량 역량요소

도구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논의하는 것과 달리 DeSeCo에서는 삶의 다양한 국면을 포함하는 포 능력으로 생애

역량에 근하고 있다(김남희 2004) DeSeCo(2001)가 규정한 생애역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1)도구(언어 기술 등)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Use tools

interactively) (2)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3)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Act autonomously)이 그것이다 각 생애역량 별

3개씩의 역량요소를 제안하고 있다 (아래 lt표 Ⅱ-5gt 참조)

lt표 Ⅱ-5gtDeSeCo에서 정의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출처 OECD(2001) pp10-15

Rychen amp Salganik(2003)은 DeSeCo가 규정한 생애역량의 특징을 네 가지로 분석하

다 첫째 생애역량은 다기능 (multifunctional)이라는 것 둘째 생애역량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 모두 용될 수 있다는 것(transversal) 셋째 생애역량은 고도의 복잡한 지 능

력을 필요로 하며 넷째 생애역량은 다차원 혹은 다국면 (multidimensional)이다 이

를 통해 볼 때 생애역량은 특정 직무에 국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수평 이고 수직

인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에서 일반 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개

념보다 그 범 가 넓음을 알 수 있다

나 EC 보고서

EC는 2000년 보고서 lsquo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을 통해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ies)에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요성을 언 하며 basic

skill의 요성을 강조하 다 EC는 rsquobasic skill을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 153 -

EC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사회성 기술 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social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active entrepreneurships)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arn)

- 응성과 변화 처력(adaptability and corresponding to change)

-정보변화 처력(follow up the information flow)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이 능력은 모

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하는 능력이며 이를 통해 직업의 세계(Working Life) 가족

생활(Family Life) 모든 수 의 사회생활(All Levels of Community Life)에 활동 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하 다

EC에서 규정한 basic skill이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할 능력을 규정한 바 이

는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이다 EC에서는 여섯 가지의 역량을 lsquo생애역량rsquo으로 규정하 는데

디지털 문해력 외국어 능력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학습방

법의 학습 응성과 변화 처력 정보변화 처력을 포함한다(아래 lt표 Ⅱ-6gt 참조)

lt표 Ⅱ-6gt EC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EAEA11

다 국 교육고용부

국정부는 2001년까지 교육고용부(Department for Education amp EmploymentDfEE)

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1년 선거 이후 rsquo교육숙련부(DfE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lsquo로 변경되었다 국 교육고용부는 2000년 보고서 lsquoThe Learning Age를 통

해 정보화와 로벌 경쟁사회라는 새로운 시 를 맞아 rsquo능력(Skill)lsquo을 개발해야 하며 이

는 고용상태별middot연령별로 다를 수 있다고 하 다 그러나 교육고용부는 모든 사람이 기

본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basic skills) 여섯 가지를 선정하 다 이는 곧 rsquo생애역량lsquo을

의미하는 것이며 의사소통능력 수리산술력 정보활용력 동과 워크 학습기술 문제

해결력을 포함하 다(아래 lt표 Ⅱ-7gt 참조)

- 154 -

DfEE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y)

-수리산술력(numeracy)

-정보활용력(information utilizing competency)

- 동과 워크(cooperation and teamwork)

-학습기술(성과제고력)(learning skills improve the achievement)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lt표 Ⅱ-7gt DfEE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라 싱가폴 인력부

싱가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는 싱가폴의 고용과 고용 계 일터 안 과 건

강 등을 장하는 싱가폴 정부조직이다 싱가폴은 21세기 인 자원 분야의 경쟁력 강화

를 해 1999년 8월 이후 lsquoManpower 21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Manpower 21계획은

모든 인 자원 스펙트럼을 포 하는 총체 근법(holistic approach)을 도입하 다 이

를 구체 으로 실천하기 해 인 자원 가치사슬(manpower value chain)의 모든 측면

을 강조하는 인 자원 계획입안(manpower planning)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 고

역량 확 (talent augmentation) 인 자원개발(manpower development) 작업환경 환

(workplace transformation)과 트 십 재설정 등을 포함하는 6개의 핵심 략이 도입

되었다(정재완 2000)

이러한 싱가포르의 lsquoManpower 21 계획 하나인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CREST)은 모든 수 의 사람들이 변화에 응하고 지식 경제(knowledge

economy) 환경의 도 에 처하기 해 꼭 갖춰야 할 lsquo핵심능력(core skills)을 제시하

고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된 rsquo생애역량lsquo의 의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싱가폴 인력

부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생애역량은 학습방법의 학습 문해력 경청력구술 표 력 문

제해결력창의력 개인효과성 집단효과성 조직효과성 등이다(아래 lt표 Ⅱ-8gt참조)

- 155 -

MOM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ran)

문해력(literacy)

경청력과 구술 표 력(listening and oral communication)

문제해결력과 창의력(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개인효과성(personal-effectiveness)

집단효과성(group-effectiveness)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dership)

lt표 Ⅱ-8gt MOM에서 규정한 생애역량(CREST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

출처 httpwwwgovsgmomm21indexhtm

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요구되는 능력의 규명을 토 로

국가 학습목표를 재설정하며 국가 학습목표 리를 한 학습체제의 질 리 방안을

모색하기 해 2002년부터 3단계에 걸쳐 총 3년 계획으로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연구를 하 다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는 물론 직업생

활과 사회생활 개인생활을 통해 일생을 보내게 되는 국민 각자의 삶을 보다 가치 있고

질 높게 유도하려는 취지를 갖고 연구를 실시하 다

1) 유 숙 외(2002)의 연구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는 생애능력(생애역량)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국의 NIACE(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dult

Learning) 미국의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싱

가폴 노동부(MOM Ministry Of Manpower) OECD 등에서 제시한 생애능력의 분류체

계를 기 로 생애능력을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 특수 능력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 다

먼 기 문해력은 읽기 쓰기 셈하기의 3R(Read wRite aRithmetic)로서 모든 학습

과 주요 능력 향상을 해 기 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middot 등교육과정의 학

습을 해 매우 요한 생애능력으로 규정하 다 핵심능력(key skills)은 최근 지식정보

화 사회로의 환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사회 변화에 따라 그 내용과 수

- 156 -

생애단계 역량 하 역량

성인학습체제

기 문해력(문해력) ①읽기 쓰기 계산능력②ICT③외국어 능력

핵심능력(직업

기 능력)

①자기학습능력②의사소통③문제해결력 창

의력④개인 효과성⑤집단 효과성⑥조직 효과성

직업 련 능력 1

문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련 능력 2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

①구직 기술②경력계획 리 기술③재무

리 자산 리 기술

시민의식①질서의식②자원 사의식③ 동정신④도덕성

⑤국제화 의식

이 변화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핵심능력으로는 정보화 기기 사용능력 정보지식

획득 숙지 능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핵심능력

은 기 문해력보다는 한 단계 높은 문해력으로 직업 개인생활을 해 필수 으로 구

비해야 할 기본 인 능력으로 규정하 다

시민의식은 사회 자본의 육성을 한 태도이며 사회 조직생활을 한 능력요인

을 의미한다 시민의식에는 동정신 질서의식 자원 사의식 동정신 도덕성 국제화

의식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직업 련능력은 문 직업능력과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으로 구분하여 하 요소를 규명하 다 즉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직무

능력(job specific competency)을 의미하며 직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한

다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은 아래 lt표 Ⅱ-9gt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lt표 Ⅱ-9gt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과 하 역량

2) 이석재 외(2003)의 연구

이석재 외(2003)는 유 숙 외(2002)에서 생애역량으로 설정한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lsquo핵심능력rsquo의 요소를 측정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

구에서는 핵심능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연구 상으로 하

고 등학생 등학생 성인( 학생과 일반성인) 등의 학습단계별로 3가지 능력을 측정

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핵심능력의 세부구성요소는 아래 lt표

Ⅱ-10gt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 속성 의사소통과정에 포함되는 지

인지 처리능력을 심으로 세부 역량 요소로는 해석능력 역할 수행능력 자기제시능

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화능력의 다섯 가지를 설정하 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문

- 157 -

핵심 역량 세부 역량 하 역량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 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개방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타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과 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자원 악

학습실행 학습 략선정 능력 과제집착력

학습평가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제해결자의 재 상태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상태의 차이를 신속하고 효과 으로 해소

시킬 수 있는 지 이며 창의 인 능력으로 정의하 다 문제해결능력의 세부 역량 요소

로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과 실행 수행평가의 다섯 가지를 설정

하 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요소를 규정하기 해 자기주도학습을 하나의 과정(a

process)으로 정의한 선행연구들을 종합분석하여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세

가지 세부 역량을 설정하고 하 역량요소를 포함하 다

lt표 Ⅱ-10gt 이석재 외(2003)의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능력의 하 요소

3) 김안나 외(2003)의 연구

김안나 외(2003)의 연구는 유 숙 외(2002) 연구의 기 에 핵심능력과 시민의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핵심능력을 지도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4가지 하 능력요소로 구분 개념화하 다 이 연구에서는 생

애능력이란 기본 으로 한 개인의 성공 인 성과(performance)를 측할 수 있는 다양

한 삶의 국면들(개인 경제 사회 )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본 능력 수 을 의미

한다 뿐만 아니라 생애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복합

이고 종합 인 능력으로서 정규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평생학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음

- 158 -

생애역량 역량 요소 하 요소

지도력

목표달성능력 목표달성능력 자기능력개발노력

재창조능력 재창조의지 성찰능력

통솔력 리더십 표 능력 설득력

인간 계능력 사교능력 역지사지 능력 도덕성

목 의식 비 목 의식 부재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다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학습실행 자원 악 학습 략 선정능력

학습평가 과제집착력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시민의식

국가 정체성 국가의식 역사의식

신뢰 가치공유 신뢰 기회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middot책임의식 법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의식 보수 middot사회변 참여 지역사회참여

을 제로 하 다 연구들과 차별 인 것은 지도력의 포함이다 지도력은 lsquo자신의 삶

과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 사회를 효과 이고 성공 으로 만들기 해서 지녀야

할 특성rsquo으로 정의하 다

lt표 Ⅱ-11gt 김안나 외(2003)의 연구에서 설정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하 요소

바 Minseong Kim 외(2007)의 연구

이 연구에서는 역량 역을 자기 리(managing self) 타인과의 계(Relating to

- 159 -

역량 역 성인학습(Adult Learning) 직장(Business)

자기 리사회 역량

문화 역량

개인 역량

타인과의 계 동 역량

도구 리문해

직업 핵심 기술직무 구체 역량

역 하 요소

국제 이슈 이해 환경 평화 빈곤 인권 형평성 자원소비 인구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간문화성 변화감각 치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 다양성 공통성 문화 가치의 평등성 문화 편견 인식

공공성 인류공동체 공공 선 상호작용에 한 가치

다양성 다양성 용 이타성

열린 자세 열린 마음 용 숙고(reflection) 연성(flexibility)

사회 참여 심 참여 책임감

계 존 감정이입 합리성 윤리 태도

고등사고력 분석 비 종합 평가 응용

정보사용력 정보수집 처리 활용력

상호작용 능력 상 동 표 력 토론 네트워킹

others) 도구 리(managing tools)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학습상황과 직장상황에 따라 하

핵심능력(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량에 한 거시 차원의 담

론을 제시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생애역량의 방향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을 다

그러나 역량을 구성하는 하 요소들을 규명하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lt표 Ⅱ-12gt역량의 역과 성인학습 직장 수 에서의 필요 역량

사 김선미(2007)의 연구

김선미(2007)는 학생을 상으로 세계 시민으로서 요청되는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네 가지 역으로 구분하

는데 첫 번째 역은 lsquo국제 이슈 이해 문제해결 한 안 이해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rsquo이며 두 번째 역은 lsquo공공성 다양성rsquo이며 세 번째 역은 lsquo열린 자세 사

회 참여 계 존 rsquo이며 마지막 네 번째 역은 lsquo고등사고력 정보사용력 상호작용 능

력rsquo이다 아래 lt표 Ⅱ-13gt과 같이 각 역별 하 역량요소를 제안하 다

lt표 Ⅱ-13gt 김선미(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 역 하 요소

- 160 -

아 최운실(2006)의 연구

최운실(2006)은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에 한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 최운실은 1977년 Resnick amp Resnick의 문해개념 4단계를 시작으로 UNESCO

OECD를 거쳐 ASTD SCANS FEU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기 능력 모형을 분석하

[그림 Ⅱ-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

출처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제4호p 236

으며 국내 연구로는 1959년 앙교육연구소의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등에서 연구한 성인기 능력의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동

향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 함양을 해 [그림 Ⅱ-2]과 같은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를 제시하 다 최운실의 모형에는 lsquo기 능력rsquo lsquo학습능력rsquo

lsquo핵심역량amp생애역량rsquo의 세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차원의 역량요소들이 제시되어 있다

- 161 -

역량 역량요소 빈도

문제해결

갈등(이슈)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DeSeCo)문제해결력( 국 교육고용부)문제해결력(싱가폴 인력부)문제해결력(유 숙 외)문제명료화(이석재 외)원인분석(이석재 외)최 안 선정(이석재 외)계획수립실행(이석재 외)수행평가(이석재 외)문제명료화(김안나 외)원인분석(김안나 외)최 안 선정(김안나 외)계획수립실행(김안나 외)수행평가(김안나 외)문제해결 한 안 이해(김선미)고등사고력(김선미)문제해결력(최운실)단력(최운실)

분석력(최운실)

19

자 선행연구 종합 분석

이 장에서 논의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과 역

량요소를 아래 lt표 Ⅱ-14gt와 같이 제시하 다 각 연구별로 분류방법에 따라 역량과 역

량요소들의 범주화가 다양하다 한 각 연구별로 역량과 역량요소에 한 수 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종합 분석을 시도하여 명확한 역량과 역량요소를 추출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연구에 따라서 분석의 수 이 다르기 때문에 역량 역량요소 하 세부요소 등

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악하

는 것이 주된 목 이므로 하 세부요소를 제외한 역량과 역량요소 수 에서 종합 분

석을 시도하 다 이를 하여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요소 별

출처와 빈도를 확인하고 연구진 의를 거쳐 역량요소들을 공통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

의 이름을 결정하 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역량은 lsquo문제해결력rsquo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의사소통 자기주도

학습능력 동능력 민주 시민의식이 10번 이상의 빈도를 보여 상 으로 주요 역량

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정보획득 활용능력 기 문해력 인 계능력 경력개

발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외국어능력 직업능력 자기 리능력 갈

등조 능력 변화 응력 로벌마인드는 상 으로 낮은 순 의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한 의사결정능력과 재산 리는 련 선행연구들로 부터 가장 낮은 빈도를 보 다

lt표 Ⅱ-14gt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평생학습사회 생애역량 빈도분석표

- 162 -

의사소통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DeSeCo)

의사소통능력( 국 교육고용부)

경청력과 구술 표 력(싱가폴 인력부)

의사소통(유 숙 외)

해석능력(이석재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이석재 외)

자기제시능력(이석재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이석재 외)

메시지 환능력(이석재 외)

해석능력(김안나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김안나 외)

자기제시능력(김안나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김안나 외)

메시지 환능력(김안나 외)

커뮤니 이션(최운실)

15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방법의 학습(EC)

학습기술( 국 교육고용부)

학습방법의 학습(싱가폴 인력부)

자기학습능력(유 숙 외)

학습계획(이석재 외)

학습실행(이석재 외)

학습평가(이석재 외)

학습계획(김안나 외)

학습실행(김안나 외)

학습평가(김안나 외)

학습방법의 학습(최운실)

자기주도학습력(최운실)

학습동기(최운실)

성과제고 학습력(최운실)

14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DeSeCo)동과 워크( 국 교육고용부)

집단 효과성(싱가폴 인력부)집단 효과성(유 숙 외)동정신(유 숙 외)

통솔력(김안나 외)상호작용능력(김선미)워크(최운실)

집단 역동(최운실)리더십(최운실)

10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DeSeCo)질서의식(유 숙 외)자원 사의식(유 숙 외)도덕성(유 숙 외)국가정체성(김안나 외)참여의식(김안나 외)신뢰 가치공유(김안나 외)권리middot책임의식(김안나 외)공공성(김선미)사회참여(김선미)

10

- 163 -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정보변화 처력(EC)

정보활용력( 국 교육고용부)

정보사용력(김선미)

5

기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유 숙 외)

수리산술력( 국 교육고용부)

문해력(싱가폴 인력부)

읽기 쓰기 셈하기(최운실)

4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DeSeCo)

인간 계능력(김안나 외)

계존 (김선미)

인 계(최운실)

4

경력개발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DeSeCo)

경력계획 리 기술(유 숙 외)

목표달성능력(김안나 외)

목 의식(김안나 외)

4

창의력

창의력(싱가폴 인력부)

창의력(유 숙 외)

재창조능력(김안나 외)

3

다문화이해능력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김선미)

열린 자세(김선미)

다양성(김선미)

3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싱가폴 인력부)

개인효과성(유 숙 외)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EC)

3

미디어정보문해력디지털 문해력(EC)

ICT(유 숙 외)2

외국어능력외국어 능력(EC)

외국어 능력(유 숙 외)2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유 숙 외)

구직 기술(유 숙 외)2

갈등조 능력조직 효과성(싱가폴 인력부)

조직 효과성(유 숙 외)2

변화 응력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DeSeCo)

응성과 변화 처력(EC)2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유 숙 외)

국제 이슈 이해(김선미)2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최운실) 1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유 숙 외) 1

- 164 -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 속에서 성공 인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성공 인 삶이란 것이 사회 맥락과 조건에 따라서 다른 모습으로 규정되어질

수 있다는 을 감안한다면 역량요소 역시 사회 맥락과 시 환경변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에서는 학교외 학습체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생학

습사회 구 의 도상에서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서 어떤 것들이 부각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해서 평생학습사회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재 우리 사

회에서 구체 으로 실천하고 있는 정책 제도가 지향하고 있는 바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의 온 한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

소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우리 사회가 변모해가야 할 사회체제로 평생학습사회를 지 하는 것은 이제 그리 낯

선 일이 아니다 지식기반사회로 어들면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하는 문제 상

황을 효과 으로 타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개인 사회 차원에서 지식을 보유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활동이 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은 격한 세계

환경변화에 응하여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

의 개인들 모두의 삶의 질 수 을 보장하는 핵심 기제가 된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사

회체제 재구조화의 요구는 이러한 맥락과 깊이 련된다 한숭희(2006b 116)는 평생학

습사회를 ldquo인간의 학습과 교육이 학교라는 독립된 시스템 안에서 고립 으로 이루어지

는 사회가 아니라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된 사회rdquo라고 정의하 다 즉 가

르치고 배우는 삶의 양식이 사회 반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를 말하는 것이며 학교교

육에 의해서 획득되는 학력이라는 기제를 넘어서 사회 삶으로부터 기인하는 경험에서

추출되는 능력이라는 기제에 의해서 사회 가치가 배분되는 사회인 것이다

그러므로 평생학습사회는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형식이 국가나 교육제공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일방 참여에 의존하는 그런 학습활동이 만연한 사회

체제를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이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

- 165 -

따라서 끊임없이 요구되는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려는 동기가 격려되고 동시에 구체

인 학습요구가 해소될 수 있는 학습기회가 사회 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

한 상태는 곧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고 제약이 최소화된 상

태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의 다른 표 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 평생학습사회란 그 사회 구성원 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학습

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사회 구성원 모두의 학습에

한 의지와 열정이 지원받고 인정되어지는 사회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구

나 자신의 상황에 합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

시에 필요한 지식에 편리하게 근하여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서의 문제해결에

이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모습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으로서 사회 구성원들의 학습과정을 핵 요소로 간주하

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에게 우선 으로 필요한 역량요소는 무엇

이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지 까지 논의되어져 왔던 통 사회체제에서 요구하는 역

량요소와는 어떤 차별성을 갖는가 이러한 물음에 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우선 사

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의 성공 인 삶의 의미도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에

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지식의 반감기가 재보다 훨씬 길었던 과거 통사회에서

는 사회 구성원들의 안정 인 삶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원활히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즉 기본 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이 강조되었다 한 허친스가 학습사회론을 제시

한 맥락에서는 인문학 지식과 소양을 배양하는 것이 인간다운 삶을 실 하는데 요

한 요소로 간주되었다(Elias amp Merriam 2005) 그래서 고 에 한 이해력 논리 분

석 비평능력 사고능력 등이 강조되었으며 이러한 소양을 길러낼 수 있는 교육기회

와 공간이 사회 역에 편재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부각되었다 허친스의 학습사회론은

이러한 배경에서 두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평생학습사회는 지식의 생산 소비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가

치가 창출되어지는 사회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사회 구성원들에

게 요구되는 기본 인 능력은 무엇보다도 한 지식을 효율 으로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 으로 사회 구성원 각자가 생활하는

복잡다단한 일상에 상황 합성이 극 화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상황 지식(situated knowledge)의 구성능력의 요성

에 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황 지식이란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 를 벌이고 있

는 실천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Merriam Caffarella amp Baumgartner

2007) 구체 상황 속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효과 해답으로서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

- 166 -

에서 탈맥락 으로 발 되는 성격이 아니라 실천 장의 독특한 조건에 따라서 나타나

는 것이다 결국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식은 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 붙

박 있으며 상황과 분리된 지식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상황

학습을 지지하는 입장이다(Lave amp Wenger 1991) 구조 으로 학교교육으로 표되

는 형식화된 교육체제에서는 지식과 기술을 개인이 용하려는 실제 생활에서의 상황과

분리가 된 조건에서 다룰 수밖에 없는 한계에 착하게 된다 따라서 형식화된 교육체

제에서 개인들의 일상 생활에서 하는 문제 상황을 미리 측하고 이에 응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배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각

자의 다양한 삶의 조건과 필요에 해서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형

태를 스스로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그러한 소양을 갖추는 것이 건이

된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를 상황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치환하 을 때 사회 구성원으로

서 개인 스스로 자신이 처한 구체 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한 지식과 기술을 구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며 이는 구성주의 에서 보았을 때 개인들의 학습능력

을 강조하는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개인의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하는 문제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와 규범 사회 기 를 간 하여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나름 로 규명할 수 있는 성찰능력의 강화 그리고 문제를 기

존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실 으로 효과 이면서 타당한 안을 도출해낼 수

있는 창의 문제해결 능력에 한 강조라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학습의 과정이 편

재되어 있는 평생학습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끊임없는 상황 합 지식의 생산 가능성은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제가 재

편되는 가운데 부각되는 요소이자 학습의 일상성에 해서 재조명하는 평생학습사회체

제에서 더욱 진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 으로 이러한 평생학습사회로

의 사회체제 재구조화 노력은 결국 개인 차원의 평생학습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차

원의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구동하는 것으로 구체 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런 에서

다음 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러

한 정책들과 련하여 수혜자들로 상정되는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

하고자 한다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가 평생학습도시

- 167 -

평생학습도시란 개인의 자아실 사회 통합 증진 경제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

으로 개인의 삶의 질 제고와 도시 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 도시 재구조화

운동이다 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변화시도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

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목 을 갖는다 결론 으로 평생학습도시는 지역 시민에 의한 시민을 한 시민의 지

역사회교육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1999년 경기도 명시가 우리나라 최 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 으며 2001년 경기

도 명시 유성구 북 진안군이 우리나라 최 의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재 76개 기 지방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어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일

정한 지역을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로 재구조화함으로써 개인의 학습참여 가능성을 진

하고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 을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구체 으로 평생학습도시

는 세 가지 목 을 염두에 두고 실행한다(한숭희 2006b)

첫째 지역주민의 자아실 이다 개인의 배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개인

이 살고 있는 생활터 인 지역에서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을 통한

자아실 을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경쟁력의 제고이다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하고 그들의 역량 증진을 통해서 생동하는 지역을 만들고 지역문화와 경제를 성장시키

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 통합의 증진이다 평생교육이념과 방향성을 도입하여

지역내 소외계층의 학습기회를 보장하여 이들이 교육과 학습을 통한 자생 성장가능성

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지역주민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주민자치의 활성화이다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에 한 지역주민의

자발 인 참여와 이런 문제의 해결을 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해서 주민간의 교류와

력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배양을 기 할 수 있는 것이다

나 학 은행제

학 은행제란 ldquo학 인정 등에 한 법률rdquo(법률 제6434호)에 의거하여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 으로 인정하고 학

이 되어 일정한 기 을 충족하면 학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 으로 열린교

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 하기 한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2008)

1995년 5월 통령직속 교육개 원회는 열린 평생학습사회의 발 을 조성하는 새로

운 교육체제에 한 비젼을 제시하면서 학 은행제를 제안하 으며 학 인정등에 한

법률 등 련법령을 제정하고 1998년 3월부터 시행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4)

- 168 -

학 은행제도는 다양한 고등교육기 에서의 경험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규 학교 시간제 등록제 원격 학 문 학의 심화과정 특별과정

독학학 제 문하생 학력인정제 국가기술자격 기타 국가자격 제도 등 고등교육 단계

의 많은 제도 기 과 연계되어 있으며 각 제도의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 에서 학 은행제도는 고등교육의 여러 제도를 포 하는 네트워크형 포

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백은순 2007)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 은행제는

정규 학교육으로부터 어떠한 이유로든지 소외된 집단이 학 학력을 취득할 수 있는

안 기회로서 의미가 있다 한 사회의 여러 교육기 에서의 교육경험에 한 인정

을 제도화함으로써 학교교육과 학교외 교육 부분을 균형 으로 인정하는 의의를 가진

다 이러한 학 은행제를 통해서 개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습경험 인정을 통한 평생학

습권이 보장될 수 있으며 사회 으로는 학교교육과 학교외교육의 상호연계를 강화함으

로써 평생학습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기틀이 된다

다 학습계좌제

학습계좌제의 기본이 되는 교육계좌제는 국민 각자가 학습한 결과를 평생학습 계좌에

등록하여 개인별 평생학습 경력을 리하는 제도를 뜻한다 교육계좌제는 성인에

국한시켜 성인들이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고유 평생학습계좌에 자신이 학습한 모든 종

류의 공식 비공식 학습 경험 에서 소정의 기 을 충족하는 경험을 수록하게 하여

리하게 함으로써 이를 학 이나 학 는 취업이나 승진 등 사회직업 경력 형

리 자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학교에서의 교육경험뿐만 아니라 학교외의 다양한 교육참여 경험도 개인의 지식

과 기술수 을 평가하는데 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계좌제란 통

으로 요하게 강조하 던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수한 경험뿐만 아니라 정규교육

과정 이후 수행한 다양한 학습의 결과를 체계 으로 기록하고 학력자격 등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재 우리나라에는 학교교육 이외에서 획득한 학습경험을 리 인정하는 제도

로 학 은행제와 독학학 제가 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제도는 모두 고등교육

수 의 학력을 인정하는 안 제도로서 의미를 가지며 고등교육수 을 넘어서 개인

의 생애 반에서의 학습활동을 포 으로 다루는 제도로서 학습계좌제의 의의를 모색

할 수 있다(변종임 2007) 학습계좌제가 운 되기 해서는 학교외 교육기 의 수업 결

과 자격취득 시험합격 결과 장업무경험 논문 포트폴리오 등 학습결과 평가인

- 169 -

정 등을 통해서 개인의 교육경력을 체계 으로 인정 리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구나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를 통하여 개인의 소질과 능

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공식 교육경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범 으로 운 을 실시하여 2015년에 제도화할 계획으로

되어있다 그 운 계획은 기존에 논의되었던 교육계좌제를 개편하여 학습결과 평가 인

정 기능을 추가하고 학 은행제와 연계하여 학 취득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라 독학학 제도

독학학 제도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정규학교를 다니지 않고도 자학에 의하여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독학자에게 학사학 취득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 하고 개인의 자아실 과 국가사회의 발 에 기여함을 목 으로 국가가 시

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학 를 수여해 학에서 취득한 학 와 동등한 우를 받는 제도

이다 독학학 를 취득하기 해서는 4단계 과정의 시험을 거쳐야 한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2008)

제1단계는 학의 교양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일반 으로 갖추어야 할 학력수 을 평

가하는 교양과정 인정시험이며 제2단계는 각 공 역의 학문을 연구하기 하여 각

학문 계열에서 공통 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공기 과정 인정시험이다

제3단계는 각 공 역에 하여 보다 심화된 문 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공심화과정 인정시험이며 마지막 4단계는 학사학 취득 상자로서 갖추

어야 할 소양과 지식 그리고 기술을 종합 으로 평가하는 학 취득 종합시험이다 4단

계 과정을 모두 통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독학학 지원자가 학 문

학에서 학습한 내용이 독학학 취득시험에 설치된 공분야와 그 학문 성격이 유사

한 경우 응시자격에 따라 2단계 는 3단계를 수료한 것으로 인정해주고 있다(한숭희

2006b)

재 독학학 제는 학습자들이 순수하게 능력에 의하여 열린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

과 학습자의 능력을 어느 정도 검증할 수 있다는 제도로서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하

지만 학 은행제의 도입으로 학습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로 인한 운 의

비효율성 인문학 분야 치 이라는 단 을 지니고 있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

센터 2008)

- 170 -

마 역량 요소 탐색

지 까지 재 우리나라에서 을 두고 있는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 제도의

방향 의도 형식 등을 검토하 다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들은 나름 로의

특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지만 그 기 에 공통 으로 세 가지 원리 혹은 가정을 제하

고 있다 자발성 다양성 력성의 원리로 정리될 수 있는 평생학습 정책과 제도를 안

내하는 원리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발성의 원리는 정책에의 참여가 개인의 자율 인 단과 의지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궁극 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개인이 리기

하여 국가나 특정 사회집단이나 단체에서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학습요구와

지원체제를 표 화하여 제단하지 않는다 한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한 개인

의 참여를 강요하지 않는다 학 은행제도나 독학학 제도의 잠재 참여 상자들에게

언제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가 열려있을 뿐이며 그 기회에 근하는 것은

으로 참여자 자신의 선택과 의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자신의 삶의 모습을 보다 더

성공 으로 이끌어가기 해서는 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필요한 학습요구가 무엇인지

스스로 악하고 그에 따른 하다고 단되는 정책에 자발 인 참여가 요구되는 것

이다

다양성의 원리는 개인의 성장과 자아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 과 통합이라는 결

과를 이끌어내기 해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자원과 지원체제를 결집하는

것을 말한다 학교교육의 맥락에서는 학교라는 공교육 제도의 범 안에서 학생들의 학

업성취수 을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 을 둔다 물론 사교육 형태의 교육경험이 발생하

고 있기는 하지만 여 히 학교교육과정이라는 공식 체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표 내

용 형식 그리고 결과와의 긴 한 련성을 제하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시도하는 정책들은 특정한 형식이나 내용에 국한하여 참여자들의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의 생애 단계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내용

을 종합 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력성의 원리는 평생학습 련 정책이 의도하는 효과를 기 하기 해서는 참여자의

개인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참여자간의 지원과 력 그리고 참여자

들에 한 사회 차원의 지원과 력이 제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평생교육은 교

육기회를 제공하는 형식과 구조에 한 논의보다는 교육을 통해서 기 할 수 있는 개

인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체의 차원에서의 결과의 내용과 의미에 해서 일차 인

심을 갖는다 따라서 가정 지역사회 일터 그리고 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회공간과

제도들은 구성원들의 학습을 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학습이라는

- 171 -

역량요소 개념

자기조 능력평생학습 련 정책과 사업에 참여하는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 행 를 심으로 사회 역이 상호 연계되어질 때 가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평생학습 련 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자발성 원리 학습내용의 다

양성 원리 그리고 사회 지원체제의 력성 원리를 고려하 을 때 정책의 수혜자로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기조 능력은 자신이 재 처한 여건에서 평생학습 련 제도 서비스에

참여하고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 제도 지원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 심리 환경 조건을 스스로 조 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리 능력이란 개인 스스로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

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활 가운데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 가운데 자

신의 상황에 합한 정보를 검색 단 활용하는 것은 평생학습을 통한 궁극 인 자기

발 을 효율 으로 추진해 가는데 있어서 요한 요소가 된다

셋째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은 자신이 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을 가

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검증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문제

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문제정의 근 방식을 넘어서 문제가 터해있는

제조건이나 가정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악하고 근할 수 있는 능력

이다 이는 개인에게 제공 되어지는 각종 지원을 창의 으로 원용하여 보다 효과 인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 력 능력은 공동선을 지향하는 평생학습의 이념과 련하여 개인

이 갖추어야 할 사회 책무를 구 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평생학습 서비스 삶의 다양한 상황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 필요한 물 정보

행정 지원을 하게 요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인의 요청에 지원해 수 있는 능

력인 것이다

lt표 Ⅲ-1gt은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하여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청되는 역량요소

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1gt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된 역량요소

- 172 -

정보 리 능력

개인 자신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 문제정의 분석 능력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

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

의사소통 동 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물론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의 특성을 감안하 을 때 이상의 네 가지 역량요소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역량요소의 부는 아니다 이외에도 자체의 속성상 역량요

소라고 분류할 수는 없으나 평생학습사회를 구 해가는 각종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수혜자로서 생활하기 해서는 시민의식이나 다문화 포용성과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으

로서 타자를 인식하고 배려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는 개인

에 한 존 을 기본 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상 인 사회모습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개인들이 함께 모여서 상호 학습을 진하고 지원하는 형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체성이라는 태도 측면을 개개인들이 내면화한 조건을 바탕으로 하여

앞서 살펴본 네 가지 역량요소를 충실히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정책과 제도의 독특한 성격과 목 에 따라서 부가 인 능력 요소들도 함께 강조되어

져야 할 것이다

3 평생교육 로그램

가 로그램 유형의 통 분류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 다양한 개념범주들이 존재하고 있다 보다 체계

인 평생교육 로그램의 개발 보 그리고 운 을 해서는 로그램에 한 합리

인 분류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는 국내외 여러 학자들이 논의

한 바 있다 Boyle(1981)은 평생교육 로그램이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개발형 로그

램 제도형 로그램 그리고 정보형 로그램으로 구분한 바 있다(기 화 2001 김진화

2005에서 재인용) 먼 개발형 로그램(developmental program)은 개인 집단 지역사

회의 요구와 문제에 근거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을 일차 인 목 으로 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즉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여 이들의 상황을 개선하는

데 주안 을 두는 로그램인 것이다

둘째 제도형 로그램(institutional program)이란 개인의 기 능력 지식 기술 등을

- 173 -

향상시키기 하여 제도화된 로그램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

는 문제나 요구에 기 하여 로그램이 운 되는 것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필요 그러나 문가의 에서 학습자 차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하여

제도 으로 로그램을 운 하는 것을 말한다 로그램 개발 문가와 내용 문가에

의해서 개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의 문교육 로그램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정보형 로그램(informational program)은 정보의 확산과 달이 핵심 목 이

되는 로그램 유형이다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즉각 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실행 후의 체계 인 평가활동이 없

는 것이 특징이다 Boyle의 로그램 구분은 로그램이 궁극 으로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구분하 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

하고 있는 단 이 있다 한 학습자 차원에서 기 할 수 있는 로그램 참여 효과

의의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회 효

과에 한 언 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참여자의 특성

에 따른 상이한 요구 그리고 그를 고려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형식과 목 그리고 효

과를 포 으로 언 하는 로그램 유형화 작업이 필요하다

나 로그램 유형의 안 분류

통 인 로그램 유형 분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안 분류를 시도함에 있어

서 Usher Bryant amp Johnston(1997)의 경험학습의 종류에 한 논의는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해 수 있다 Usher 등은 형식과 목 에 따라서 경험학습의 유형을 구분하 으

며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의 기 은 평생교육 로그램의 구분에 있어서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자의 개인 자율성의 표 과 사회 존재로서

응이라는 축과 사회 심과의 련성 정도라는 축의 교차를 통해서 라이 스타일

(lifestyle) 직업능력(vocational) 비 (critical) 자아표 (confessional)의 네 가지로 구

분하 다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 기 을 원용하여 평생교육 로그램은 로그램의 내

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의 두 가지 기 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우선 로그램 내용 범주에 따라서 개인 심과 련한 로그램과 사회 응을

돕는 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기 은 로그램이 개인의 삶의 질 만족을 한

개인 심과 흥미에 을 맞추어 구성되는지 아니면 개인이 사회 으로 수행해야

할 직업 지 역할 책임과 련하여 발생하는 응 요구에 맞추어 구성되는지에

따라서 로그램의 내용을 구분하는 기 이 된다

로그램 효과 범주에 의해서는 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개인이 습득하는 효과가 개

- 174 -

로그램 내용

로그램 효과개인 표 심 응

개인 개인 소비형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

조직 사회 사회 참여형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

인 만족과 흥미에 국한하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이 속한 조직 혹은 사회의 개 과 변

화에 정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차원으로의 효과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서 구분될 수 있다 로그램 내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에 따라서 평생교육 로

그램은 아래의 lt표 Ⅲ-2gt와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lt표 Ⅲ-2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분류

첫째 개인 소비형 로그램은 일반 시민으로서 개인의 흥미와 심을 표 하고 충

족할 수 있는 로그램들로서 여가활용을 통한 스포츠 취미 자유교양 로그램들을

말한다 이러한 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되는 교육내용은 새로운 경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목 보다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 재정 여력을 소비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향유하는 것에 을 맞추는 것이며 그런 에서 소비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개인 개발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 존재로서 안정 삶을 하기 해

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는 로그램들을 말함 즉 개인이 갖는 지 와

역할 - 주부 직장인 학생 등 - 의 효과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내용을 습득하기 한

것이다 주로 성인문해교육 수학 자녀교육 가정생활 련 로그램들이 여기에 속한다

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국어 컴퓨터 활용능력 등과 같이 특정한 직무수

행수 의 개선과는 직 련은 없지만 개인의 생애 반에 걸쳐서 잠재 으로 정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자기능력개발 련 로그램도 이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셋째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

나 조직의 상황이나 문제에 한 학습자의 의식 각성을 도모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 의식화된 조건을 바탕으로 자신이 여하는 사회 문

제를 독자 으로 해결하려는 자율 참여 속성을 진하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로그램이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 유형에는 비 리 시민사회단체에서 운 하는 로그

램들이 속하는데 체로 독자 시민으로서 개인의 가치와 생각을 형성하고 심화하는

것에 을 맞추며 교육 참여의 효과는 사회체제의 개선 개 을 부각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 응형 로그램은 주로 직업과 련하여 개인의 업무수행수 의 증진을

- 175 -

로그램 유형 정의

개인 소비형 로그램개인의 시간 경제 여유를 활용하여 개인 심과 요구충족을 돕

는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개인이 담당하는 사회 역할의 효과 수행을 돕기 해서 직업내용과

직 련이 없는 개인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로그램

사회 참여형 로그램사회 문제에 한 개인의 의식수 을 제고하고 사회개 의 주체로서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진하는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직업과 련한 능력향상을 지원함으로써 지속 고용 가능성을 제고하

고 사회체제 안에서 안정 삶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로그램

지원하거나 지속 고용가능성을 신장하는 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다 사회 응형

로그램은 경제 가치창출을 돕는 직업훈련 각종 직무연수 기업교육 로그램 등이 포

함되며 재의 사회체제의 구조 조건 하에서 안정 삶을 하는데 을 맞춘다

는 에서 사회체제 자체의 변화를 모색하는 사회 참여형 로그램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제시한 네 가지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lt표 Ⅲ-3gt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lt표 Ⅲ-3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의 개념

다 역량 요소 탐색

평생교육 로그램들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 잘 실행되어질 수 있고 그럼으로

써 각 로그램 유형에 따라서 차별 으로 나타나는 로그램 목 이 효과 으로 달성

되어질 수 있기 해서는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을

발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 까지 살펴본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고려하 을

때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능력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명확한 목표수립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명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능력은 자신

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평생교육의 맥락에

서 학습자 스스로 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무엇을 의도하는지 명확하게 인지

하는 것은 한 유형의 로그램을 탐색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인 요소가 된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할 지식 기술 혹은 태도의 요소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작업을 통해

서 재 혹은 미래에 참여하게 될 로그램의 내용이 자신에게 타당한 것인지 단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로그램 참여효과에 한 기 수 도 조 할 수 있게 된다 한

- 176 -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에 한 명확한 인식이 제된 상태에서 로

그램에 참여하 을 때 학습자의 로그램에 한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조 능력이 요청된다 자기조 능력은 교육활동에 한 학습자의 책임의식

학습활동에 한 주도 단능력과 련된다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운데

학습자 상황 기 의 특성 그리고 개인의 내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참여 장애요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하는 기

의 지원노력도 매우 요한 요인이지만 근본 으로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 자

신의 자발 인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개인의 속성

은 자신의 조건에 한 통제와 조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자신의 물리 심리 상황 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해서 참여행 를 스스로 조

하는 능력이 강조된다

셋째 의사소통 동능력이 필요하다 의사소통과 동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력이다 부분의 평생교육 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은 개발 과정에서 성인학습의 원리에 의거하여 조직된다 로그램 참여자들의 자

기주도성을 존 하면서 학습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생활의 경험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참여와 실행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구체 인 경험을 할 수 있

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강조된다 그래서 교수자의 일방 강의 주의 교육보다는 학습

자들 상호간의 토론 력 과제해결 학습자의 자기평가 등이 추 인 요소들로 포함

된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 을 때 학습 효과는 동료 학습자들과

의 원만한 의사소통과 력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이 갖추어질 때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 참여 실천능력이 요구된다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이란 사회 문제

와 안에 한 문제의식과 심을 바탕으로 보다 진보된 사회를 구 하기 하여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구체 인 실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로

그램 참여를 통해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변화를 해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 효과 이고 지속 인 평생교육 참여를 진하기 해서는 학습자들이 로그램을

통해서 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즉 비슷한 분야에 심을 가지고 있는 동료들과 자발 인 학습동아리를 조직하여

학습내용을 심화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자원 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역에 참여하여 학

습을 통해서 개발한 자신의 역량요소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경험을 사회 참

여형태로 확장하고 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내 학습동기가 진되어질 수

있다 한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은 학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이 지역사회의 발 에

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평생학습의 이념을 실 하는 석이 된다

다섯째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 177 -

역량요소 개념

목표수립능력로그램과 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

자기조 능력로그램 참여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

사회 참여 실천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미디어정보 처리 활용능력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

활용능력은 교육 으로 활용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의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활동은 통 으로 활자화

된 텍스트나 음성언어를 매개로 해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

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효율 으로 달하려고 하게 되며 평생교육

로그램에 있어서도 각종 테크놀로지를 부분 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사이버 교육과

같이 테크놀로지에 온 히 기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문해능력은 오늘날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서 개인이 달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술의 속성에 따라서 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타인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측면에 있어서 불가결

한 능력으로 부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여 로그램의 효과를 극 화하기 해

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

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로 요약

된다 그리고 이상의 다섯 가지 역량요소는 궁극 으로 로그램 참여과정 속에서 하

는 과제 즉 문제를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lt표 Ⅲ-4gt는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성공 인 참여와 련하여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4gt 평생교육 로그램 참여를 한 역량요소

결과 으로 이상의 다섯 역량 요소를 기본 으로 갖추었을 때 로그램 참여를 통해

서 학습자 개개인은 성공 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유용한 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개인

존재로서 갖는 독특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된 가치창출도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178 -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지 까지 평생학습사회의 주요 정책과 제도 그리고 평생교육 로그램의 성격과

련하여 참여자로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회에서는 실 으로 실질 인 의미를 지니면서 동시에 활용가능성이 극 화된 지식

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 사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 사회 흐름을 고려하 을 때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

제의 재구조화는 개인의 상황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지원하는 사

회 실천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은 편재화 된 학습기회를 매개로 시 창의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속 으로 제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체 인 실 은 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평생학습지원 정책과 제도의 원활한 구동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

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효과 으로 작동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

들이 정책과 제도가 포함하고 있는 활동들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

다 이와 련하여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

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 역량요소를 핵심 인 사항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네 가지 역량요소가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지향하는 이념 방

향성과 부합될 수 있기 해서는 시민의식 다문화에 한 포용성과 같은 태도 요소

도 함께 배양될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 실 의 토 가 되는 정책과 제도는 사회 구성원 개인들에게는 주로 구

체 인 그러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는 로그램의 형태로 제시가 된다 그

래서 개인들은 각종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교육 참여를 실 할 수 있게

되며 평생학습과 련한 지원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련해서 악할 수 있는 평생교육 로그램 참

여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로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가

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역량 요소에 한 배양을 통해서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사회의 사회 경쟁력

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과 더불어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안정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도 함께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179 -

IV 결과 분석

1 NGT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의 요소를 규명하기

한 목 으로 명목집단기법(NGT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여 문가들로부

터 다양한 정보와 단을 얻고자 하 다 Witkin amp Altschuld(1995)의 NGT 실시기법에

따라 NGT 실시 문가 집단에게 제시할 명확한 질문을 비하 다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평생학습사회에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를 먼 악하고자 하 다 따라서 평생교육 분야 문가로 구성

된 문가 집단(아래 lt표 Ⅳ-1gt 참조)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 에 부합하는 의견을

얻고자 연구진들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NGT를 실시하 다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일반 시민이라면 갖추어야 할 생애역량 ( 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

NGT실시에 앞서 참여 조에 한 유선 연락과 함께 공문을 발송하여 본 연구의 목

과 의의를 소개하고 의 질문에 해 미리 생각해올 것을 당부하 다

lt표 Ⅳ-1gt NGT 문가(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학교기 연구기 문가) 명단

구 분 성 명 소속 직

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문가

송병국 순천향 학교 교수

정민승 한국방송통신 학교 교수

강 서울 학교 교수

이경아 평생교육진흥원 연구 원

가 NGT 실시

NGT는 2008년 8월 21일 숙명여자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소요시간은 약 2시간이었

다 참석한 평생교육 문가들은 미리 제시된 질문들에 해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었

다 NGT를 본격 으로 실시하기 이 에 NGT집단 리더는 생애역량에 한 개념정의를

- 180 -

공유하고 이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rdquo라고 질문하 다 약 2시간에 걸친 NGT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은 일반

인 NGT 4단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되었다(최정임 2002)

① 1단계(Generating Ideas) 집단의 리더가 문제의 주제나 로세스를 주고 구성원

들에게 이에 한 아이디어 제시를 요청한다 이때 구성원들은 주어진 문제에 해 각

자의 아이디어를 혼자서 독립 으로 기록한다

② 2단계(Recording Ideas) 집단 구성원들이 개별 으로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인스토 방식을 활용하여 발표하고 기록자는 칠 는 벽면을 이용하여 집단 구성원

들의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이때 어떠한 토론이나 피드백도 허락되지 않는다

③ 3단계(Discussing Ideas) 기록된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평가하기 해 구성원들

의 토론을 실시한다 이때 내용 는 의미가 비슷한 아이디어는 참가자의 원 동의를

구해서 제외 는 수정하고 보다 큰 개념을 사용하여 묶는다 이때 큰 개념은 본 연구

에서 역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④ 4단계(Voting on Ideas) 단계에서 정리된 아이디어들을 놓고 구성원들 각자

우선순 를 매긴다 그런 다음 종합 으로 그룹 내에서 이 결과에 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해 낸다

본 NGT에서는 1단계부터 차례 로 4단계까지 실시되었다 4단계는 아이디어의 우선

순 를 결정하기 하여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 어 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요도 1 2 3 4 5순 를 결정하여 1순 는 5개 2순 는 4개 3순 는 3개 4

순 는 2개 5순 는 1개의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 다

나 NGT 실시 결과

국내 평생교육 분야 문가들로 구성된 NGT 회의를 통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을 심으로 풍부

한 정보를 얻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GT 우선 순 결과

가) 자기주도학습력

NGT 결과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에게 있어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

습력이 제시되었다 이는 성인이 평생학습사회 삶의 모든 장면에서 스스로 학습을 이끌

- 181 -

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진로개발 경력개발과 같은 역량과도 한 계

가 있다 즉 Lifelong Learning이라는 말이 의미하듯 평생동안 학습을 해야 하는 평생

학습사회의 성인에게는 학습을 자신이 주도하여 계획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기주

도학습력이 무엇보다 필수 이라는 것이다

나) 지식정보활용능력

일반 으로 지식과 정보는 유사한 개념이다 하지만 본 NGT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생

산과 소비의 개념과 같이 다르다는 의견이 나왔다 NGT에 참석한 문가 에서도 지

식과 정보는 동일한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문가도 있었지만 이는 일반 시민의 입장에

서는 지식이 곧 정보이고 정보가 곧 지식으로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NGT에 참

석한 다른 문가는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것이 되어야 지식이 된다고 주장하며

미래 평생학습사회 상황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다른 개념으로 근해야 함을 주장하

다 따라서 지식정보활용능력이라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지식정보활

용능력은 새로운 기술에 한 개방성을 갖고 지식을 활용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리하

고 활용하는 능력은 물론 정보공유에 한 감수성과 정보문해력을 포함하는 능력이다

다) 공동체의식

공동체의식은 공동체를 한 희생과 조직(공동체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나아가 자치활동에 한 감수성을 포 하는 능력이다

라) 생활문해력

생활문해력은 포 의미의 문해능력은 물론 최소한의 의사소통 도구 습득 활용능력

과 함께 어 일어 국어 등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생활 외국어 활용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국민의 13 정도가 외국인이 길을 물어볼 때 기본 으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한 이는 운 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기 기술(skill)까지도 포

함하는 즉 기술문해력을 포 하는 개념으로서 삶을 하는 데 기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한다

마) 사회정치 참여

사회정치 참여능력은 정치시민으로서 정치 심을 갖는 능력과 함께 민주시민

성을 갖추며 정치 단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사회활동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능

력과 함께 논술과 논리 말하기와 같은 사회 의사결정 참여능력을 의미한다

- 182 -

바) 인 계력

인 계력은 응과 배려 용의 자세를 갖추어 타인을 신뢰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 자기성찰력

자기성찰력은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으로서 객 으로 자신을 평가하

고 분석하는 능력과 자신의 행 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아)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은 비단 국 이 다른 다문화를 의미하는 것을 넘어 세

간 화능력과 다문화에 한 이해력을 의미하는 능력이다 즉 소극 의미로서 국 이

다른 다문화가정의 개념을 넘어서는 포 의미의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을 의미

한다

자) 창의 사고력

창의 사고력은 유연한 사고력과 함께 개방 사고를 갖추는 능력으로서 새로운 지

식과 기술에 해 개방 인 자세를 취하고 편견과 고집을 버리고 유연한 사고를 갖추는

능력을 의미한다

차)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에 한 감수성은 환경문제에 한 단력 환경 자연 생태계에 한 이해력과

지식을 포함하는 능력은 물론 감수성까지 포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카) 술 감수성

술 감수성은 술 활동에 한 람과 심미능력 술향유능력과 함께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과 즐길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타) 돌 능력

돌 능력은 타인을 보살피고 소외 계층에 한 배려능력과 함께 자원 사를 실천하

는 능력을 의미한다

- 183 -

순 내용 우선순 Rating

1 자기주도학습력

2 지식정보활용능력

3 공동체의식

4 건강 리력

4 생활문해력

6 진로개발능력

7 사회정치 참여

7 인 계력

7 자기성찰력

10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11 창의 사고력

11 환경에 한 감수성

13 술감수성

14 돌 능력

14 재산 리

사회조망능력

갈등조 력

추진능력행

의사소통력

의사결정능력

높은 도덕성

조하는 능력

지식창출

사회변화 측

조망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부모역할

네트워킹

유머

변화주도능력

시간 리

lt표 Ⅳ-2gt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우선 순

- 184 -

역량 역량 요소

문제해결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실행

수행평가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고등사고력

단력

분석력

의사소통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환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경청력과 구술 표 력

커뮤니 이션

Ⅴ 결론

본 연구는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 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

특징을 종합 으로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

을 통해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둘째

DeSeCo 등 국내외 최근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

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셋째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 마지막으로 구체 인 평생학

습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 등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

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넷째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

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4개 차원으로부터 도출된 역량 요소와 역량들을 연구진

에 의해 종합 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선정하 다

lt표 Ⅴ-1gt 역량 요소

- 185 -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주도성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학습동기

성과제고 학습력

학습방법의 학습

학습기술

학습목표수립능력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집단 효과성

집단효과성

워크

집단 역동

통솔력

리더십

상호작용능력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질서의식

공공성

참여의식

사회참여

자원 사의식

도덕성

신뢰 가치공유

권리middot책임의식

정치 심

정치 단능력

타인을 보살피는 능력

소외계층 노인에 한 배려 능력

자원 사amp실천능력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정보변화 처력

정보활용력

정보사용력

기 문해력

기 문해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

수리산술력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인간 계능력

인 계

계존

공감능력

네트워킹

- 186 -

경력개발

생애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경력계획 리 기술

경력목표수립능력

극 경 능력

조직화능력

목표달성능력

목 의식

비 설정

창의력

창의력

재창조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열린 자세

다양성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

세 간 화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ICT

디지털 문해력

정보화 능력

외국어능력 외국어 능력

직업능력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핵심 기술

구직 기술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

자신감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갈등조 능력 조직 효과성

변화 응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응성과 변화 처력

미래 응력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

국제 이슈 이해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탐구력

환경문제에 한 단력

감수성

환경 자연 생태계 이해력과 지식

자기성찰력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

자기평가능력(객 자기이해력)

자기분석

행 반성력(성찰력)

술감수성

술활동( 람취미)

심미능력( 술향유)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

즐길 아는 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건강 리력

- 187 -

참 고 문 헌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함양을 한 실업교육 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2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교육인 자원부 (2004) 평생교육백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 외(2000) 인 자원개발 리를 한 평생학습체제 종합발 방안탐색 세미나

발표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권 (1996) 평생학습사회교육 서울 학지사

권 (1999) 평생학습사회의 인력개발을 한 사회교육 인력개발연구 1(1) 25-38

권 (2003) 평생교육의 다섯 마당 서울 학지사

기 화(2001)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 서울 학지사

김남희(2004) 성인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평생학습체제 구안 한국교육 31(3)

307-331

김승보(2007) 국가 선진화와 평생학습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

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개 포럼

김승보 이주호(2007) lsquo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rsquo 內 lsquo제3장 평생학습사

회 실 을 한 실천 략- 편화에서 통합화로rsquo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신일 박부권 편(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안나 외(2003)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방안 연구(II)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

김장호(2004) 인 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총체 학습사회론 직업능력개발연구

7(2)

김장호(2007) 사람 심 발 패러다임과 평생학습사회 구축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

개 포럼

김진화 (2005)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기 외(2002) 생애단계별 능력형성의 에서 본 기업교육의 황과 과제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7

김태 외(2002) 학습사회에서 성인의 생애능력설정 성인학습체제 질 리 황과

- 188 -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5

백은순(2007) 학 은행제의 성과와 망 한국성인교육학회 학술 회 자료집 서울

한국성인교육학회

변종임(2007) 교육계좌제 추진 방안에 한 의견조사 결과 분석 교육계좌제 추진방안

모색을 한 문가 워크 연구자료 RM 2007-9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손유미(2005) 평생학습의 새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 수(2000)「21세기 지식경 시 와 핵심역량의 근방안」산업교육 2월호 76-79

안상헌(2005) 한국 평생학습사회의 이념 지향성과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1(1) 69-90

오장원 선(2004)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업인력교육 로그램 경 교육 4 207-226

오헌석(2007) 역량 심 인 자원개발의 비 과 쟁 분석 경 교육논총 47 191-213

유 숙 김동석 이만희 김이경(1999)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정책방향과 과제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연구(I)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2-19

유 옥(2005) 평생학습사회의 교육 실변화와 교육철학 연구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1(2) 141-160

윤여각 외(2002) 국민 기 교육 단계에서의 생애능력 형성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RR 2002-19-1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의 본질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이돈희(1999)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교육의 새로운 상 이돈희 외(편) 지식기반사회

와 교육(pp1-22) 교육부정책보고서

이명희(2000) 평생학습사회에 있어서 교환학습의 의의와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4(1) 55-73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3

이재분 외(2006)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이희수 외(2000)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발 방안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형성의 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연계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6

정재완(2000)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략 lsquoManpower 21의 주요 내용과

시사 세계경제 2000년 2월호 67-76

조 연 김재 (2007) 사회 자본을 통한 국가수 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국가인

- 189 -

자원개발을 심으로 인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105-122

조원경 양은주(2001)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교육과학연구 32(2) 1-21

차갑부(2001)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상생을 한 평생교육 방안 교육문제연구 14

25-42

차갑부(200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최돈민 이해주 윤여각(1998) 평생학습실 을 한 열린교육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최상덕 외(2007) 평생학습사회 실 을 한 고등교육체제 신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

학연구 12(4) 225-251

한숭희(200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숭희(2006) 평생학습사회의 평생학습체제 연구를 한 생태체제 개념모형탐색 평

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한숭희(2006b)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한 상(2004) 인력개발을 한 평생학습사회체제 구축 직업과 인력개발 2(2) 75-77

섭 외(2008)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용한 고객응 역량 모델링

CS교육 로그램 개발 사례 H社의 매 정비직을 상으로 인력개발연

구 10(1) 195-222

주 외(2004)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4-18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Brundrett M(2000) The Question of Competence the origins strengths and

inadequacies of a leadership training paradigm School Leadership amp

Management Vol20 No 3 pp353-369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2000) 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Dohmen G (1996) Lifelong learning Guidelines for a modern education policy

Wissenshaft Forschung and Technologie

Dubois D(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

Change Amberst MA HRD Press

Dubois D(1998) The Competency Case Book Amherst MA HRD Press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 190 -

EAEA11

Faure E et al (1972) Learning to be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Deist F D L amp Winterton J (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Development international Vol8 No 1 pp27-46

Elias J L amp Merriam S B (200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3rd

e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Garavan T N amp McGuire D Competencies and workplace learning somereflections on the rhetoric and the real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13(4) 2001 144-163

Green PC(1999)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c San Francisco Jossey-Bass

Irwin P(2008) Competencies and Employer Engag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9 No1 pp63-69

Klemp G P(Ed)(1980)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 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Knowles M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Association Press

Lave J amp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cia A amp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Pfeiffer

McLagan P A(1997)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May pp 40-47

Merriam S B Caffarella R S amp Baumgartner L M (2007) Learning in adulthood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Mirabile R J(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August pp73-77

OECD(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OECD(2002) Draft strategy paper on key competencies A frame of reference for a coherent

assessment program

OECD(2004) Lifelong Learning The OECD Policy Briefs

Ouane A (2002)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lising lifelong

learning Creating conducive environments for adult learning in the Asian

context Hamburg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 191 -

Parry S R(1996) The question for competencies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July pp48-56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and L H Salganik(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pp41-62) Cambridge MA Hogrefe amp Huber

Publisher

SCANS(1991)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Others(1999) US Department ofCommerce Report

Schippman J S Ash R A Batista M A Carr L Eyde L D Hesketh B

Kehoe J Pearlman K Prien E P amp Sanchez J(2000)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53(3) pp703-736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Su Y (2007) The learning society as itself Lifelong learning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and beyond education Studies of Continuing Education 29(2)

195-206

Tielen G (1998) Integrating senior citizens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Aging

International 24(2-3) 143-153

Tuijnman A (2003) Measuring lifelong learning for the new economy Compare

33(4) 471-482

Usher R Bryant I amp Johnson R (1997)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New York Routledge

Wood R amp Payne T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New York NY JohnWiley amp Sons Inc 1998

Zimmerman BJ(1989a)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 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________(1989b)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JZimmerman and DHSchunk(Eds)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1-25) New York

Springer-Verlag

httpwwwlllorkr 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httpswwwcborkrindexshtml 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httpbdesnileorkr 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 192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이희수( 앙 학교)

한국교육개발원에서의 일화가 떠오른다 원장님께서 원내외 평가 원분들과 함께 인

쇄된 모든 보고서들을 싸들고 교육문화회 에 들어가셔서 평가를 했다 상당 부분 재

인쇄 결정이 내려졌다 오탈자 참고문헌까지 다 보셨다 야단법석이었다 연구비도

다 썼는데 다시 수정보완해서 재인쇄하려니 이만 만한 일이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원

장님께서는 체 조회시간에 연구를 업으로 살아가는 자칭 연구의 달인이라는 연구원들

에게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질문을 던지셨다 그리고 스스로 모름지기 좋은

연구란 잘하는 연구라고 하셨다 제 로 하는 연구가 좋은 연구란다 조 연 교수의 연

구가 그러하다 그래서 토론에 응했다 정책연구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조 교수의 연구를

내심 흠모하는 사람의 인사로 토론을 연다

첫째 정책연구자는 돈지갑의 딸린 을 늘 의식한다 발주처가 교육과정개발과 평가

를 본업으로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라는 것은 이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가늠 한

다 연구 목 에서도 밝혔듯이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

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

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아마도 8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미래사회를 평

생학습사회로 망하고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상으로 평생학습인을 상정하고 국가교

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 을 제시하여 교육과정개발에 활용되면 소임을 다하는 것이

다 연구자의 탁월한 연구 리뷰는 기존에도 많은 유사 연구가 이미 이루어졌음을 확인

시켜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 시 에서 왜 이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하는가에 한 강한

논 근거는 이 연구의 시의성 목 성 차별성을 강화시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평생교육 성인교육 정책연구에 교육과정개발 기 연구 스타일을 가미할 필요성을 말해

다 간연구이니 향후는 Rigor보다는 Relevance에 방 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조 교수의 강 인 요 이 살아날 것이다

둘째 본질과 원칙에 충실하면 길이 보인다 조교수다운 문장을 집어내라고 한다면 다

음 문장이다 ldquo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

야까지 사회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 193 -

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dquo 특히 lsquo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squo는 말에 으로 동감하면서 조 교수의 진

면목을 보는 것 같아 무릎을 친다 오늘 토론의 소득이다 토론자가 가장 많이 듣고 보

는 단어도 역량이다 특히 국민의정부 참여정부의 교육인 자원부의 시 에서는 lsquo역량rsquo

lsquo성과rsquo lsquo액션rsquo이란 말을 참으로 많이 들었다 HRD의 교육 침투 상이라고 볼 수도 있

다 연구자의 발제는 정부출연기 에서도 1990년 말 2000년 에 유행처럼 역량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 다 여 히 재 진행형인 것으로 알고 있다 유치원 단계

의 정책연구도 연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토론자의 교육과정 개

발의 추억은 인지 역(지식) 정의 역(태도) 심체 역(기능)의 계열성 범주

를 설정하는 게 교육과정 개발의 요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 개발의 정통

보다는 로그램 개발의 기법이 지배하고 역량의 기반인 행동주의가 면에 나서는 것

은 아닌지 세인의 이목을 끌 수 있다 역량에 한 기존 교육과정개발의 원리를 용해

직도 하다 그럴 때 Competence-based Training Program 개발을 넘어설 것이다

셋째 연구의 차 모델과 역량에 한 개념 얼개는 연구에 모자를 워 다 이 연

구는 연구방법 면에서도 철 하고도 신선하다 명목집단기법 에 명목의 의미를 제

로 알게 된 것도 이번 토론의 소득신고감이다 좋은 연구기법과 차가 나열되어 있는

데 좌 이 보이지 않는다 좌 이 마련되면 물건이 가지런히 정리되고 빛날 것이다 역

량이란 말을 표기하는 어도 정말 가지가지다는 것을 연구 보고서는 확인시켜 다

OECD 등에서 쓰는 용어로서 우리에게 소개된 것만도 life skills human capital key

competencies literacies basic skills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국내외 문헌까지 합치면 lsquo역

량rsquo이란 말을 표기하는 말의 수자에 놀라게 된다 용어에는 족보가 따라붙기 마련이다

용어는 그냥 나온 게 아니고 학문 편향을 드러낸다 이 많은 용어들은 과연 서로

체가능한 용어인지에 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life skills는 생애역량으로 번역

하는 게 맞는가 등 원 질문을 필요로 한다 생애는 lifelong에 한 일본식 번역은

아닌가 말이다 기능문해를 뜻하는 생활기능은 아닌지 등 교정학습도 필요한 듯싶다

한 이 연구의 궁극 산출물은 역량 요소 추출이다 그 다면 어릴 석유를 따를 때

쓰던 깔때기가 생각난다 함양시켜주어야 할 역량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의 차모델은

그러한 역량 추출의 타당성을 높여 것이다 이와 함께 NGT 구성 운 기법이 돋

보인다 다만 세인들에게 은 사람이 많은 것을 결정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숫자를

늘리거나 구성원의 다양성을 높 으면 한다 역량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개발되는

것이므로 연구의 차 모델과 함께 역량개발의 얼개 속에 역량이 제시되면 상첨화일

것이라는 소망을 가져본다

넷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한 차별성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

- 194 -

는 평생교육 공 교수에 의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이다 그런데

읽으면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학교교육사회에서 교육과정 운 을 통

한 핵심역량은 과연 일치하는가에 한 생각이 불 듯 스쳐지나간다 평생교육 공자

가 아닌 학교교육 교육과정개발 공자도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을까라는 상상도

가능하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과 련하여 학교교육 교육과정 개

발자가 부족한 2를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자가 보충 해주는 데에서 차별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개발의 총론에서 앞으로 개될 미래사회의 모습이 평생학습사회이

고 그 사회를 주도할 사회구성원의 모습이 평생학습인이라면 추구하는 사회상과 인재

상이 가 손에 잡히게 제시되면 좋겠다 이를 해서 학 은행제 독학사제 학습계

좌제 평생학습도시 등 계법과 제도 평생교육 로그램을 분석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지만 핵심역량 추출과의 련성은 더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오히려 평생

교육법상의 평생교육 이념이 언 되는 게 더 정합성을 높일 것이다 이와 함께 평생학

습사회의 특성과 평생학습자의 핵심 역량 추출은 궁극 으로 평생학습개념의 특성을 실

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고 할 때 역량의 특성 못지않게 평생학습(인)의 특성에 즈

를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미래사회의 침투로서 평생학습사회상보다는 평생학습의 고 으로 돌아가는

게 교육과정개발에 도움이 된다 평생교육의 두 배경 의 하나는 lsquo탈학교론rsquo lsquo학교사

망론rsquo lsquo의식화론rsquo으로 별되는 학교교육의 병리 상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치유하기

한 체교육학 교정교육학 교육개 이데올로기로 두된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창

기 유네스코의 문헌은 학교교육과 립되는 평생교육 평생교육 원리를 학교교육과정에

반 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조직 방법 교육평가 교원양성 연수 학교 구

조 시스템을 어떻게 총체 으로 바꿀 것인가에 주안 이 주어졌다 유네스코 UIE의

모노그래 시리즈가 이를 웅변하며 이의 백미가 「평생교육과 학교 교육과정」(1973)

이다 학교의 병폐를 치유하기 한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로서 학교 장에 목시키려

는 시도로 읽 진다 이를 통하여 비로소 평생교육이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키기 한

목 으로서 자리 잡았다 평생교육의 개념 속성으로서 계속성 포 성 연계성 응

성 교정성 신성 총체성 다양성 보편성 유연성 역동성으로 구체화되었다 평생교육

의 조건으로서 기회 동기 교육의 가소성(educability)이 제시되어 학습사회의 조건을

형성하게 되었다 략으로서 수직 통합과 수평 통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평생교

육의 특성을 학교 교육과정에 목시키기 한 목표로서 평생학습의 필요에 한 인식

교육 가소성의 제고 범 한 학습 역에 한 체험 학교 경험과 학교 밖의 경험의 통

합으로 제시하 다는 에서 유토피아로서의 평생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에서 학

교를 개 하기 한 교육개 가이드라인으로 존재한다 가히 평생교육과정론이라고 불

- 195 -

러도 손색이 없다 여기서 토론자는 역량 개념 정립에 있어서 창기에 도입되었던

educability 개념에 해서도 언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학습사회와 핵심역량

의 특성과 요건도 단순하게 Opportunity Motivation Educability 면에서 근할 필요를

느끼게 한다

여섯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은 이번 정부가 강조하는 인재 국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얼마 까지만 해도 인 자원이라더니 어느 새 인재로 변신했다

핵심역량과 핵심인재는 늘 따라다닌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3 정책이념은 빈

도수로 보건데 lifelong employability와 social inclusion이다 핵심역량이 개인 수 에

서의 논의라 하더라도 이러한 정책이념과의 연속선상에서 언 될 가치를 느끼게 한다

핵심역량은 경제 개념인 employability에 경도된 느낌을 다 다른 한편 평생학습은

학습의 특권인 엘리트주의보다는 학습의 권리를 강조하는 성을 특질로 한다

Second chance maker로서의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은 핵심인재를 한 교육학이라기

보다는 주변인물을 한 교육학이다 지배의 교육학이기보다는 해방의 교육학이다 그런

데 제시된 핵심역량은 핵심인재의 역량으로 비쳐진다 이것은 평생교육이란 옷을 입은

핵심인재개발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일요일인 어제는 심신이 고달 서 lsquo정약용과 그

의 형제들rsquo이란 책 1권을 다 읽었다 거기서 ldquo여유당( 猶 )rdquo의 뜻을 알게 되었다 노자

(老子)의 『도덕경』의 한 목인 여( )함이여 겨울 냇물을 건 듯이 유(猶)함이여

의 이웃을 두려워하듯이라는 귀에서 따온 것으로 조심조심 세상을 살아가자는 것

이란다 여유당의 의미를 새기게 하는 이다 무릇 좋은 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다 다시 한 번 좋은 을 공유하게 해주신 조 연 교수님께 감사하는 것으로 토론자의

의무를 면하고자 한다 끝

- 196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주성(경원 학교)

후기 산업사회를 넘어서 21세기는 변화와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를 특징으로 자리매김

하며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조직체나 개인 혹은 더 큰 범의에서의 국가

는 작 의 치열한 로벌 생존환경에서 자기 존재 가치와 사회경제 경쟁에서 큰 어

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측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이러한 시 상황 하에서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

는 핵심역량rsquo이라는 주제의 연구가 국가 산하 연구기 에 의해 그 요성이 인식되어

추진하게 된 것에 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도 지 하고 있듯이 국

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이 부분 특정 역의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한 미래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

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총제 근은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오늘의 토론은 이 과제에 한 간보고서의 검토 향후 최종보고서의 작성에 의미

있는 방향 제시의 기회로서 요한 자리가 아닐 수 없다 먼 이 과제에 한 의

간보고서 검토 내용을 몇 가지 말 드리고 이어서 향후 최종보고서 작성과 련한 사

항에 해서도 언 하도록 하겠다

먼 간보고서와 련된 몇 가지 검토 사항에 해서 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과제의 수행의 로세스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의 핵심은 lsquo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이 극 인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

을 도출rsquo하는 것이다 역량 련 연구의 연구 로세스는 체로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비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최종화 단계 등 크게 3단

계에 따라 진행된다 구체 으로 말 드리면 첫 단계에서는 규명하고자하는 컴피턴시가

무엇인가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다음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기 해서 컴피턴시

모델링을 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컴피턴시 모델을 구축하는 최종화 단계로써 규명된

컴피턴시 그 하 요소를 검증하고 타당화하며 컴피턴시 모델의 활용방안 등을 제

안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진행 로세스에서 두 번째 단계에까지 와 있

다고 볼 수 있다 연구책임자는 여러 편의 역량 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 197 -

연구과제의 각 과정 요소 내용을 체 으로 조망하면서 체계 이며 체제 인 방법

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은 한 층 더 이 연구가 그 의도하는 바를 효과

으로 달성시켜 수 있는 가능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에서 매우 기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과제의 내용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과제는 역량과 평생학습사회

에서의 생애역량에 련된 국 내외의 많은 연구와 문헌들을 다각 인 측면에서 검토하

여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일차 으로 도출하고 있다 한 역량 련 용어에 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도 이

연구에서 규정하는 역량에 한 근을 시도한 은 매우 정 이라 할 수 있다 아울

러 연구자는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기 해 평

생학습제도(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

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와 평생학습 로그램 등의 분석까지도 방 으로

시도하고 있는 은 연구결과의 포 성 타당화를 한 이론 토 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 측면에 한 검토이다 연구자는 연구목 달

성을 해 문헌연구를 기 로 하여 일차 으로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악하 고 두 차례의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해 이들에 한 비 선정

을 시도하 다 NGT를 이용한 방법은 본 연구의 규모와 연구과제 수행시간 등을 고려

할 때 한 방법으로 이해되며 특히 NGT를 해 청된 문가들이 평생교육 각

역의 문가들로 구성된 은 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어서는 성공 인 연구과제 수행을 한 후속 작업 방향에 해 세 가지 을 제

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연구자는 문헌연구 NGT를 통해 비 선정된 lsquo평생학습사회

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들을 타당화하고 그

우선순 를 정하기 해 조사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조사 연구가 성공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먼 조사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되어 있어야만 할 것 이다

연구자도 계획(실행)하고 있는 것처럼 평생교육 문가들로 구성된 문가 의회(가능한

한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와 일반 피검자인 평생학습자

들을 상으로 한 안면타당도(face validity)의 확보 에서 조사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

다 조사 연구와 련된 방법 측면은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조사 상에

한 분명한 이해와 조사 상의 충분한 확보 샘 링 에러를 방지하는 한 샘 링

략 등에 한 깊이 있는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198 -

둘째 본 연구의 목 은 연구자가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① lsquo미래 평생학습

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

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rsquo이며 아울러 ② lsquo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

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는 것rsquo

이다 이 연구가 더욱 의의를 가질 수 있기 해서는 단순히 첫 번째 연구목표인 ls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인 성인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의 도출rsquo에만 을 두지 않고 이를 토 로 성인학습자를 한 평생학습과정

middot 고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을 한 아이디어를 구체 으로 제시해 주어

야 한다 물론 이 연구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의 개발

을 한 체계 인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그 자체

도 하나의 커다란 로젝트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소한 이러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연구 결과로 도출된 역량 그 하 요소들이 어떻게

체계 으로 그 교육과정 안에서 서로 상호 연 을 맺는지 그리고 교육 실천행 의 선택

에는 어떤 시사 을 주는지 등에 해서 구체 인 아이디어를 제공해 필요가 있다

끝으로 토론자의 마지막 논의는 본 연구과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탐색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squo라는 주

제 하에서 수행되는 연구과제들(본 과제 외에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

량rsquo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 포함) 의 한 과제이다 이들 각각의 연구는

lsquo 등교육rsquo lsquo직업세계rsquo 그리고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rsquo 등에 을

맞추고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각기 독립된 연구라기보다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rsquo이라는 큰 모자이크 그림을 완성시키기 한(완 하지는 않지만)부분 부분들이라고

말 드릴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들은(특히 본 연구과제는) 주제하에서 이들 주

제들을 아우르는 통합 이며 총체 에서 연구 시사 들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199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박지혜(국민 학교)

정보와 지식의 요성이 날로 증 하면서 사회는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응하고 나아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개인들은 끊

임없는 학습과 자기계발을 요청받고 있다 핵심역량이란 일반 으로 직무에서 구체 인

거나 기 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특성이라고 정의된다(Spencer amp Spencer 1993) 따라서 지 까지 핵심역량에 한 연구

는 주로 인 자원개발 역에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인재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

다 그러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심

은 상 으로 부족하 으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구성원을 교육하기 해 그 핵심역량

에 한 지속 인 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국가 체의 교육과정

과 내용에 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요성이 있다

특히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해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개념정의에 한 종합middot분석 국내외 연구보고서에 한 분석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법 제도 로그램 등에 한 분석뿐만 아니라 문가들과의 의를 거치는 등 매우 포

이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 다는 에서 이 연구결과가 미래 평생학습사회를 비

하는데 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결과를 더욱

의미있고 유용하게 하기 해 이 연구가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Ⅰ 연구 내용과 범

연구 내용과 범 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연구내용은 (1)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2)

- 200 -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middot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3) 평생교육법 제도 그리고

로그램 분석 (4) 문가 의회를 통한 역량분석 등이다 일반 연구의 구성으로 보

았을 때 앞의 두 연구 역은 이론 배경에 해당되는 내용이며 실질 인 자료 수집과

분석은 로그램 분석과 문가 의회를 통한 분석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연구내용의 구성에 한 재논의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 문가

의회는 학교수와 연구원 등 평생교육분야의 문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구성이 평생교육분야의 문가를 표할 수 있는지 그 표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평생교육 역( 를 들면 노인교육 청소년교육 여성교육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 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차를 갖는다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다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Ⅱ 보고서의 구성

에서 언 한 연구내용과 범 의 규정은 보고서 체의 구성에도 향을 주고 있다

이 보고서의 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1 학교의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분석

4 (소결) 평생학습에서의 역량요소

IV 결과 NGT 결과 분석

그러나 의 구성이 본 연구의 내용과 체계를 잘 반 하고 있는가 하는 에 해 숙

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범 로 네 가지를 언 하지만 그 두

- 201 -

가지에 해당되는 내용은 2장 이론 배경에 제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내용은 3장에 마

지막 내용은 4장 연구결과에 제시되어 있다 2장의 일부분과 3장 4장의 내용 즉 역량요

소를 분석middot제시한 부분은 모두 연구결과라는 제목 하에 기술되어야 하는 내용인 것으로

생각되며 보고서의 구성에 한 재검토를 통해 새로운 목차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III 연구결과

1 평생학습의 개념을 통한 역량도출

2 국내외 보고서 연구를 통한 역량도출

3 평생교육제도 로그램을 통한 역량도출

4 NGT를 통한 역량도출

5 종합 요약

IV 제언middot종합논의

에서 제안한 보고서의 재구성과 더불어 연구결과의 제시 시 각 역에서 도출된 역

량을 나열식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각각의 분석내용이 추가되면서 어떠한 역량요소들이

발견되었는지 즉 분석내용의 추가에 따라 새롭게 발견된 역량요소를 첨가하는 방식으

로 기술한다면 보고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보다 쉽고 분명하게 달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해 본다

Ⅲ 역량 요소에 한 논의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제도를 분석한 결과로서 자기조 능력 정보 리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의사소통 력능력 등의 역량요소를 제시하 다 한 평생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는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을 제시하 다 두

역에 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 요소는 매우 유사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 가지 요소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를 들면 명확한 목표수립능

력은 로그램 분석을 통해서는 제안되었지만 제도분석을 통한 결과에서는 언 되지

- 202 -

않았다 그러나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은 학습자의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없이는

지속되기 어려운 제도라고 생각되며 명확한 목표수립이라는 역량요소는 양쪽 모두에

필요한 필수 역량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 로그램 분석결과에서는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평생학습제도 분석

에서는 정보 리능력이 제안되었다 이 두 가지는 그 개념정의와 설명으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역량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평생교육 로그램에서 다

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로 ldquo미디어 정보처리rdquo라는 역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라

이해되지만 평생교육 제도의 하나인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에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도 간과할 수 없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명칭을 다르게 제안한 것에 해 충

분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NGT 결과를 통해 도출된 14가지 핵심역량 술감수성이 평생학습사

회의 구성원에서 필수 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데 부분의 평생교육 문가들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해 의문 이 생긴다 지식기반사회로 갈수록 인간의 창의성과 감

수성이 요구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은 인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사회의 핵심역량으로 술감수성이 제안된 것에

한 충분한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반 으로 다양한 연구내용을 통해 매우 범 하고 다양한 역량이 도출되었지만

그 역량이 왜 도출되었는지에 한 근거를 보고서에서 충분히 제시하 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종 으로 도출된 핵심역량 요소들이 어떠한 근거로 도출되었는지에

한 구체 인 설명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Ⅳ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역량

미래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갈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

의 목 의 하나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들은 부분 과거

혹은 재의 평생교육 련 문헌들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미래보다는 재 평생학습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미래 사회에 한 망과 그에 따른 핵심역량을 제시하기 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203 -

이상에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연구가 갖는 제한 혹은 고려할 이라 생각되는

들을 몇 가지 제시하 다 에서 제시한 내용들은 이 연구가 간단계에 있는 을 감

안하여 앞으로 더 나은 연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안한

것이다 에서 지 한 몇 가지 문제 혹은 논의할 들이 이 연구보고서가 평생학습

사회 실 을 해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님을 거듭 강조하며 이

을 마친다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한 세미나

발행일 2008년 9월 5일

발행인 김 성 열

발행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25-1

화 (02) 3704-3704

FAX (02) 3704-3710

인쇄처 유진문화사

화 (02)576-2358

ISBN 978-89-5931-897-1 93370

자료집 내용의 무단 복제를 함

  • 표제지
  • 세미나 일정
  • 초대의 말씀 김성열
  • 목차
    • 제1주제 초middot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표 이광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주[고려대학교]
      • 토론2 강윤봉[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 토론3 정철영[서울대학교]
        •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혁호[삼성전기]
          • 토론2 유동환[호서대학교]
          • 토론3 안기현[한국반도체연구조합]
            •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조대연[숙명여자대학교]
              • 토론1 이희수[중앙대학교]
              • 토론2 전주성[경원대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대학교]
                • 판권기

세미나 일

시간 행사 내용

1330 ~ 1400 등 록

제1부 사회 민용성(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00 ~ 1420 개회식

개회사 김성열(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1420 ~ 1520

주제 발표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조(고려 학교)

-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1520 ~ 1620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 호(삼성 기)

-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1620 ~ 1630 휴식

제2부 사회 김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30 ~ 1730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 토론2 주성(경원 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1730 ~ 1800 종합 토론

의 말

안녕하십니까

주지하시다시피 학습자 사회인들이 향후 직면하게 될 미래 사회는 지식기반정보사

회 출산 고령화 사회 세계화 진 등의 특성을 띨 것으로 견됩니다 이러한 국

내외 환경 변화에 효율 이고 합리 으로 처하기 해서는 우선 으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간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이 무엇인가를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이

에서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서 요구

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을 필요

가 있을 것입니다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

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의 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 으며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등은 핵심 역량을 교

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

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새 정부도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해 핵심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핵심 역량 심 교육과정 개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비한 학교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고 미

래 교육과정 비 을 제시하기 해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

교 교육과정 비 연구rsquo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 계자 문

가 여러분들을 모시고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탐색하는 세미나를 개최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세미나를 통해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고 그것

들을 학교 사회 교육을 통해 어떻게 기를 수 있는지에 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안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될 수 있도록 성원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9월 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김성열

차 례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토론1 홍후주(고려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9

토론1 권 호(삼성 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9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3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8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3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2

토론2 주성(경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6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9

- 1 -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용어의 정의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1 외국의 선행 연구

2 국내의 선행 연구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1 뉴질랜드

2 호주의 빅토리아주

3 캐나다의 퀘벡주

4 핀란드

5 국

6 한국

7 시사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설문 조사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참고문헌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3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국가 수 의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

서 요구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

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에서 교육 계획 혹은 교육과정 설계 시 향후 도래할 미래 사

회를 망하고 그러한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 혹은 소양 계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한 재 사회의 상황보다는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견하고 견되는

미래 사회에 효율 으로 처하기 해 요구되는 다양한 능력 혹은 소양이 무엇인지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성장하는 학습자의 생활 상황은 바로 미래 사회이며 그러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이나 소양이 학교 교육 내용으로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는 미래

사회에 비한 교육에 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로

젝트를 추진하 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 의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 다(OECD 2002 Rychen amp Salganik 2003) 이들 핵심 역량은 3개 범주

의 9개 역으로 설정되었는데 뉴질랜드 호주 등은 핵심 역량에 한 OECD의 연구 결

과를 활용하여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

의 퀘백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 역량을 극 으로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다 정부 차원에서는 인 자원개발기본법

(2002년 8월 26일 법률 제6713호)1)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2) 등

1) 이 법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국가 인 자원개발정책을 범부처 으로 종합연계하여 효율 으로

추진하기 한 것이다 이 법은 인 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 조정 등에 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인

자원개발을 효율 으로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강화에 이바지함을 목 으

로 한다(인 자원개발기본법 제1조)

2) 인 자원개발기본법 제5조에 따라 수립된 인 자원개발분야의 법정 종합 계획으로서 lsquo학습 사회 인재 강국

건설rsquo을 정책 비 으로 설정하고 lsquo사람rsquo과 lsquo지식rsquo주도형 성장으로 인 자원분야 국가경쟁력 10 권 달성을 목

- 4 -

에 근거하여 lsquo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rsquo lsquo국민의 평생 학습 능력 향상rsquo 등의 과

제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2002 2003 2004)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를 통해 생애 능력 역을 기 문해력 핵심 능력 시민 의식 직업

특수 능력 등으로 설정하 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은 lsquo성인의 직업 기 능력 로

그램 실태 조사rsquo를 통해 성인의 직업 기 능력을 설정하고 성인의 직업 기 능력 향

상 방향을 제안하 다 서울 학교는 BK사업(2006-2012)의 일환으로 lsquoBK21 서울 학교

역량기반 교육 신 연구 사업단rsquo을 구성하 다 BK사업의 1차 2차년도 연구 결과로 소

경희 등(2006 2007)은 학교 지식의 변화 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

색rsquo lsquo캐나다 퀘백주의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rsquo 등의 연구를 통해 핵심 역량의 성격을

규명하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등을 제안하 다 이외에도 경 경제

분야 업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의 규명과 향상에 한 연구들이 개인 연구자 수 에서 수행

되어 왔다

이와 같이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

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3)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

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

성하기 해 우선 재와 연계하여 개될 수 있는 미래사회의 특징을 진단하고 핵심 역량

의 개념을 논의하며 련 문헌 분석과 경험 자료에 근거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

되어야 할 핵심 역량(안)을 추출설정하고자 한다 결론 으로 설정된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

과정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가에 한 방안을 시론 수 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2 용어의 정의

가 미래 사회의 특징

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실 하기 해 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 국민의 평생학습 능력 향상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3) 통령직 인수 원회는 새 정부 국정 지표의 하나로 lsquo인재 국rsquo을 설정하 고 2008년 2월 5일에 인재 국 18

개 국정 과제를 발표하 다 lsquo평생학습계좌제 도입rsquo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 lsquo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확

산rsquo lsquo기 학력 바른 인성 책임제rsquo lsquo맞춤형 산업기술인력 양성rsquo 등이 그것이다 이와 련하여 교육과학기술부

는 2008 통령 업무보고(2008 3 20)에서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와 련하여 lsquo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자율권 확 rsquo lsquo미래 사회에필요한핵심역량개발을 한교육과정개편rsquo등을 언 하 다

- 5 -

분야 미래 사회의 특징 상

기술 환경

과학기술의 가속 융합 기술의 도래 생명 공학 발 고령화

네트워크 사회 정보 통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

친환경 사회지속 가능한 개발 등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해 지구

체 차원에서 력

정치 경제

탈산업 사회 지식과정보 기반에근거 서비스 활동 강조

신자유주의의 득세국가보다 시장이 구심 이 됨 개인의 선택과 자유 확

빈부의 양극화

세계화 가속국가나 민족보다 경제 효율성 강조 국가간 양극화 국제

시장 강화 다 시민성으로 세계 연

사회 문화 다원주의 사회 다양한삶과가치문화사고 방식이 공존

교육 평생 학습 사회지식 정보의 확 로 학교 교육을 넘어서 자율 평생 학습

이 필요

미래 사회의 특징을 진단 혹은 측하는 궁극 인 목 은 방 변화에 처함으로

써 좋은 선택과 효율 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추구하는데 있다는 것에는 구나가 체로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고 돌발 인 상황이 개될 가능성이 있는 미래 사회를 체계 이고 합리 이며 효율

으로 측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델 이 조사론 시

나리오 기법 천재 미래 측 등의 방법이 동원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강약 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 이다

본 고에서는 선행연구 문가 델 이 조사 문가 의회 등을 거쳐 다음과 같이 미

래 사회를 진단4)하 다

lt표 Ⅰ-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

나 핵심 역량의 개념

핵심 역량을 한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련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직업기 기능 기 기능 등으로 번역되어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련 용어로는 core competence core skills key competence

enabling skills generic skills essential skills necessary skills enterprise skills

employability skills 등을 들 수 있다(정철 외 1998 15)

4) 구체 인 내용은 lsquo미래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rsquo 보고서(윤 진

외 2007 11-36)에 제시되어 있다

- 6 -

학자 정의

McClelland(1973) ㆍ업무 성과와 련된 범 한 심리 는 행동 특성

Boyatzis(1982)ㆍ직무 수행에 효과 이고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사원의 내재 인 특

질(동기 특성 기술 사회 역할 지식 체계)

Boyatzis(1982)

Jacobs(1989)

Dubis(1993)

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해 낼 수 있는 조직원

의 행동 특성

McLagan(1990) ㆍ높은 성과를 내는데 필수 인 개인 능력

Spencer amp

Spencer(1993)

ㆍ직무나 특정 상황에서 거가 되는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 성과에 직

련된 개인의 동기 특질 자아의식 지식 스킬 등의 안정 이고 지속 인

특성

Dubois(1993) ㆍ직무와 련하여 일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Hamel amp

Prahalad(1994)

ㆍ경쟁기업이 결코 따라 올 수 없는 자기 기업 특유의 차별화된 기술이나 노

하우의 결정체

Dow(1998) ㆍ조직과 구성원의 성공에 매우 요한 지식 스킬 행동의 결합체

Wynne amp

Stringer

ㆍ지식 스킬 태도의 집합체로서 개개인들이 자신들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결

과를 내기 해 보유하고 있거나 알고 있고 그리고 할수 있는 것

OECD(2002)ㆍ복잡한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혹은 활동 는 과제를 수행하

는 능력

김진모(2001)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원의

행동 특성으로 그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

역량5)이라는 용어는 20세기 반부터 경 학 심리학 교육학 등 기업 부문에서 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 들어 정치 등을 포함한 공공 부문에서까지 활용하는 등 그 활용 범

가 확 되어 가고 있다 인 역량(competency)의 개념을 정립한 학자는 성취동

기이론으로 유명한 Harvard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McClelland)이다 그는 lsquo지능

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rsquo(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이

라는 논문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실제의 성과

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lelland 1973)

맥클리랜드가 역량의 개념에 해 언 한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역량의 개념이

논의되었다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Ⅰ-2gt 역량(핵심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견해

5) 역량과 련된 용어로는 비 미션 핵심 능력 핵심 역량 역량 요소 역량 메뉴 고성과자 역량 지식 기술

내 특성 행동 등이 있다(이홍민김종인 2006 7)

- 7 -

정성휘(2004)ㆍ특정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필요한 능력 기술 지식 태도

경험

앙인사 원회ㆍ특정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요구되는 개인의 지속 이고 찰

가능한 행동 특성이나 태도

임동욱 외(2004)

ㆍ어떤 단일의 구체 기능이나 기술이기 보다는 개개의 기능과 기술들의 묶

음 혹은 다양한 개인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경쟁 우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량임

홍순정 외(2004)해당 조직내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향을 주는

찰 가능한 수행이나 행동의 거로 지식 기능 태도 등 을 포함함

표에서와 같이 학자에 따라 역량과 핵심 역량6)은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역

량과 핵심 역량을 체로 조직 내에서 개인이 업무의 성과를 내기 한 특성 는 조직

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한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역량과 핵심 역량의 개념은 크

게 구분되지 않으며 주로 직업상 수행하는 업무에서 필요한 경쟁력 있는 개인 는 조

직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역량에 한 개념 규정은 등학교교

육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개념으로 차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상의 정의를 변용하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

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 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

을 견지한다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핵심 역량을 무엇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선언 인 주장에 근

거하기보다는 합리 인 방법을 통하여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량을 추출하는 방

법도 논자에 따라 다양하다 문가 집단을 활용하는 방법 직무 과제 분석을 통한

방법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내재 특질을 도출하는 방법(Boyatzis

1982 Dubois 1993 Lucia amp Lepsinger 1999 Spencer amp Spencer 1993 허운나유

만 1995 홍순정 외 2004 86-87) 등이 있다

직업기 기능 추출과 련하여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s)는 패 을 구성

하여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산업 장에 들어가는데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결정하

6) Dubois(1993) Hamel amp Prahalad(1994) 정성휘(2004) 임동욱 외(2004) 등은 핵심역량 라는 어 사 하 다

- 8 -

다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는 고용주들을 상으로

속한 기술 변화 참여 경 기 생산 그리고 다른 산업 장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물어 직업기 능력을 설정하 다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소매업 음식숙박업 공공서

비스업의 다섯 분야에서 높은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의 직무에 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이를 기 로 산업체 경 인 공공기 의 리자 노동조합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와

감독 들의 논의와 면담을 진행하여 직업 기 기능을 설정하 다(정철 외 1998

133-134)

본 연구에서는 에서 언 한 방법론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고

자 한다 선행연구 외국사례 설문조사 문가 의회 등의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역

과 하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개념을 조작 으로 정의하는 귀납 인 연구 방법을

지향하 다

선행 연구(문헌) 분석 요구 조사 문가 의회 심층 면담 등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 설정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의 타당성 검증7)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설정

dArr

향후 국가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탐색

〔그림 Ⅰ-1〕 핵심 역량의 추출 차

7) 타당성 검증은 본 세미나 이후 9월 에 추진할 계획이다

- 9 -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이 장에서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한 기 로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요소에 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 다 핵심 역량과 련된 개념의

다양성으로 인해 련 선행 연구( 직업기 기능)는 많은 반면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규명에 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직업기 기능과 핵심

역량을 구분해서 볼 수 있는가 하는 에 해서는 추후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다 이

런 에서 여기서는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하 요소의

추출에 시사 을 제공할 수 있는 국내외 선행 연구8)들을 분석하 다

1 외국의 선행 연구

핵심 역량의 역 요소에 한 외국의 선행연구는 OECD의 DeSeCo 로젝트와

외국의 국가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있는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

다 사례를 개략 으로 고찰하 다

가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로젝트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로젝트9)는 1997년부

터 2003년에 걸쳐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수행했던 연구로서 역량에 한 개념을 제시

하고 성공 인 삶을 한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2) 이 로젝트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사회의 발 을 해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데 주요 목 을 두었다

DeSeCo 로젝트에서 정의한 핵심 역량의 거는 삶의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

키는데 수단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올바로 기능하는 사회를 이끄

8) 다 지능 이론 교육목표분류학 등 핵심 역량 추출에 련되는 선행연구 등이 지면 계상 생략되었음을 밝

힌다

9) OECD의 DeSeCo 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

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각기 다양한 근방법을 사용하면서

도 요한 유사 이 많은 반면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 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 도

있었다(Trier 2003)

- 10 -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1 자율 으

로 행동하기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할 필요성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big picture)에서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 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

호작용

으로 활용

하는 능력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도구를 자신의 목 에 맞게 선택

할 필요성

세계와 극 으로 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 이

질 집단에

서 상호작

용하기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3-1 다른 사람들과의 계를 잘 하는 능력

3-2 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는데 공헌해야 하며 모든 개인에게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Rychen 2003) 이

러한 거에 따라 세 가지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각각의 하 역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3)

lt표 Ⅱ-1gt OECD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 하고 있다 개인의 성공 이고 책임감 있는 삶을 이끄는데 있어서 그

리고 사회가 재와 미래의 도 에 직면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 하는

에서 범 한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직업이나 직무에 을 둔 역량 혹은

직업기 기능과는 차이가 있다(소경희 2006 130)

나 외국의핵심역량기반교육과정연구사례검토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다10)

뉴질랜드는 DeSeCo 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 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 용하고 있다 교육과정 설계는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 인 삶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 으

며 그 핵심 역량으로서 다음 lt표 Ⅱ-2gt와 같이 자기 리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참

10)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는외국의사례는Ⅲ장에서논의하고 있는내용과일부분 복됨을 밝힌다

- 11 -

핵심 역량 의미

자기 리

학생들이 자신이 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

을 한 높은 기 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 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극 으로 듣고 다른 을 인정하고 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공헌

지역 국가 지구 공동체에 극 으로 참여하는 것

집단 구성원으로서 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계를 형성하고 사람들

은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해 창조

비 메타 인지 반성 과정을 활용하는 것

지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지식이 표 되는 코드(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 하고 의사소통하기 한 체제

모든 종류의 텍스트(즉 문서화된 구두의 시각 정보 상상 비공식

공식 수학 과학 공학 )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요소(strand) 역(domain)

신체 개인 사회 학습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학문기반 학습

제2외국어

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상징텍스트의 활동 등이다

lt표 Ⅱ-2gt 뉴질랜드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호주 빅토리아 주는 최근 핵심 학습 기 rsquo(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lsquo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한 출발 으로 학생들이 미래에 성공하

기 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규명하 다

(VCAA 2005)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은 변하는 사회에서 성공 으로 살아나기 해

서는 그에 따른 일련의 지식 기능 행 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교

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한 방향으로 구안되었으며 호주 빅토리아

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의 체 인 구조를 개 하면 다음 lt표 Ⅱ-3gt과 같다

lt표 Ⅱ-3gt 호주 빅토리아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

- 12 -

인문학 경제 지리 역사

수학

과학

간학문 학습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한편 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학

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 ~ 4)에서 교육과정 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

고 있다 이 6개의 기능 일부 기능은 특정 과목의 것이며 일부는 여러 과목에 공

통 인 것들이다 6개의 주요 기능(key skills)으로는 의사소통 수 용 정보 기술 타인

과의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이다(경상남도교육청 2008

18-20)

lt표 Ⅱ-4gt 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

핵심 기능(key skills) 의미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일기 쓰기 기술을 포함함

수 용정 범 의 이성 계산에 한 발달과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것들을

활용하는 능력

정보 기술목 에 맞게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진술하기 해서 정 범 의

정보원과 정보통신기술 장비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타인과의 동소규모 집단이나 학 체의 토론 활동에 기여하는 능력 도 하기 해 타인

과 함께 수행하는 능력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학생들이 자신의 일과 그들이 배운 것을 생각해보고 비 으로 평가하는 것

과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능력

문제해결학생들이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 기술과 략을 개

발하는 능력

캐나다는 퀘벡주11)는 핵심 역량을 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

로 하고 있다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

11)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교육부를 따로 두지 않고 교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에 으로 임하고 있다

- 13 -

구성요소 하 범주

범 교육과정 역량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범 한 학습 역

건강과 참살이(well-being)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과 공동체 삶

교과 역

언어

수학 과학 공학

사회과학

술교육

개인발달

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

다 역량 심의 퀘벡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t표 Ⅱ-5gt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

2 국내의 선행 연구

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는 곽병선 외

(2001) 유 숙 외(2002) 교육 신 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 원회(2007)등 을

심으로 고찰하 다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지식 기술 태도는 능력의 필수 인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능력은 일반 인 범주의 개념으로 하 능력들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일반 범주의 능

력이 사실상 하 능력을 포 하는 메타능력을 함의하고 있다(윤여각 외 2002 22-23)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기 능력은 직업세계를 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능력이라고

본다 즉 직업세계에 있든 직업세계에 없든 인간으로서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으로 요

청되는 능력을 기 능력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기 능력으로 문제해결능력 정보통

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능력 동작업능력

등 7가지를 제안하 다 그들은 이러한 기 능력은 한 태도가 수반될 때 제 로 함

양증진될 수 있다고 보았다

- 14 -

생애 능력 하 범주

기 문해력 읽기 쓰기 셈하기

핵심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해석 능력

역할 수행 능력

자기 제시 능력

목표 설정 능력

메시지 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원인 분석

최 안 선정

계획 수립과 실행

수행평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학습 계획

학습 실행

학습 평가

시민 의식

국가 정체성국가 의식

역사 의식

신뢰

가치 공유

신뢰

기회 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책임

의식

법 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 의식보수 사회변 참여

지역 사회 참여

직업 특수 능력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특수 직무 능력

한국교육개발원(유 숙 외 2002 39)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

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에서 생애 능력을 기 문해력(3R) 핵심 역량(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의 4개 범주로 제시하 다 이

연구는 3년(2002-2004)에 걸쳐 수행한 연구로서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변화

와 지식 기반 사회의 특징 요구되는 필요 능력 추이를 분석하고 생애 능력의 개념과

하 요소를 학습 체제별로 추출하여 종합하 다 국가 수 의 생애 능력과 하 능력

요소는 다음 lt표 Ⅱ-6gt과 같다

lt표 Ⅱ-6gt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자료 유 숙 외(2002-2004) 연구의 재구성

이 연구에서 생애능력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종 인 측면에서 생애 능력이란 국민기 교육부터 등교육 고등교육 그리고

성인교육을 포함하는 평생(life-long)을 통해 습득되어야 할 능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 제시된 생애능력은 생애에 걸쳐 습득 되어야 할 능력이라는 에서 생애 단계

- 15 -

역 하 요소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력 비언어 표 능력 어문서

이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 능력 도표해석능력 도표표

능력

문제해결능력창조 사고력 논리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

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부심 추진력 건강 리능력 독립심 책임감 성취동기 성실성 정

인 태도 직장 자기이해능력 자기개발능력 법성 직업윤리의식 안

의식 사정신 장인정신 소명의식 충성심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다음 lt표 Ⅱ-7gt와 같이 국민기 교육단

계12)에서 습득해야 할 기 능력으로 lsquo인간 계능력rsquo lsquo의사소통능력rsquo lsquo이해력rsquo 등 세

가지를 제안하 다(유 숙 외 2002 82)

lt표 Ⅱ-7gt 국민기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기 능력과 그 하 역

기 능력 하 역

인간 계능력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양보하는 태도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표 이 끝날 때 까지 기다리고 그 뜻을 헤아리려는 태도

좀더 이해하기 쉽게 표 하려는 태도

이해력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끈기있게 집 하는 태도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토해 보려는 태도

자료 유 숙 외(2002) p 83

한편 실업교육체제 즉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 능력13)

을 lsquo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rsquo으로 보고 의사소통 능력 수리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

력 조직 이해 능력 등 9개 능력을 제시하 다

lt표 Ⅱ-8gt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애 능력 역 요소

12) 국민기 교육단계는 교육에서 기 가 되는 단계로서 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를 포함하며(유

숙 2004 81) 이때의 생애역량은 국민이 삶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기 능력이다

13) 이때의 생애 역량은 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공통 기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을 의미한다(유 숙 외 2002 169)

- 16 -

자원활용 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 능력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 사용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조직이해 능력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료 정철 외(2000) pp 50-52 유 숙 외(2002) pp 95-96

와 같이 실업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생애 능력은 부분의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

청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종류의 직업이든 그 직업에 종사하기 하여 가져야 할

기본 인 능력을 의미하고 성공 인 개인들의 삶을 유하는데 필요한 것이다(유 숙

2002 93)

교육 신 원회(2007 69)는 장기 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심으로 교육과정 개편을 언 하 다 모든 국민에게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 소양

교육을 강화 보장하며 행 교과 심의 교육과정을 핵심 역량 심으로 개편할 것

을 제안하 다 주요 선진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한다는 것이다 핵심 역량을 기존 교과와 연계하여

다학문 통합학문 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교육 신 원회는 핵심 역량의 주요 내용으로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등 8개의

내용을 시하 다 교육 신 원회(2007 69)는 교과 이외 경험과 활동을 통한 핵심 역

량 함양을 해 학습자 생애 발달 단계별 학습 경험을 구조화 학년 단계별로 체계화

할 것을 제안하 다

한편 국가 교육과정 포럼 원회(2007)14)는 lsquo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

을 갖추어야 하는가rsquo 라는 주제로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2007 10 26)

를 가졌다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해 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될 역량이 무엇

인가 하는 문제에 하여 미래학자 정치계 경제계 직업계 학부모단체 계자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의견이나 생각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한 문가들 간의

의견에는 거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와 미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가 있었으나 다

14) 이 원회는 넓게는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는데 좁게는 등학교 교육과정

개 의 기본 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총체 인 논의를 하기 하여 구성된 토론 성격의 모임이다

- 17 -

구분 핵심 역량

국외

OECD

DeSeCo(2002)

자율 으로 행동하기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교육부(2007)

자기 리 다른사람과의 계 형성 참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교육부(2007)16)

건강과 체육 인 계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국의

교육부(2007)

의사소통 수 용 정보기술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 시키기 문제해결

캐나다 퀘벡주

교육부(2001)17)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건강과 참살이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 공동체 삶

국내

곽병선(2001)

문제해결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

동작업능력

유 숙 외(2002)18)

생애 역량

기 문해력 핵심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국민공통기본교육체제에서요구되는 역량

인간 계 의사소통능력 이해력

직업교육체제( 문계고)에서 요구되는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음과 같은 역량들이 제안되었다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 일원으로 일하는 능

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

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등이15) 그것이다 거시 측면과 미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

여 역량을 제안하 다는 에서 볼 때 이러한 역량들 간에 그 경계가 명확한가라는 문

제제기는 가능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이상에서 고찰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국내외 선행연

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제시하면 다음 lt표 Ⅱ-9gt와 같다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15) 이러한 핵심 역량들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추출된 것이라기보다는 토론자들의 선언 주장에 근거한 것임을

밝힌다

- 18 -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 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 능력

교육 신 원회

(2007)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국가교육과정포럼

운 원회(2007)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일원으로일하는능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로 연구자별로 을 달리 하고 있지만 등

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계형성능력 시민 의식 자율 능력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는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는 거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학교 교육에서 설정하고 있는 교육 인간상이나 교육 목 은 학생들의 재의 교육

성취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 인 기 와 망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각국에서 제시

하고 있는 교육 미래상이나 국가 교육 목표는 재의 학생들 삶을 풍부하게 하고 학생

개인의 미래와 이후의 교육 미래의 직업을 계획하고 평생학습자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표방하고 있다 더욱이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몇 몇 외국의 경우에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생활의 복잡성 직업세계의 변

화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하고 한 미래 사

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개발해야 한다는 에

16) 호주의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에서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과 lsquo간학문 학습rsquo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17) 퀘벡주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에서 범교육과정 역량과 범 한 학습 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

시한 것이다

18) 생애역량과 등학교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있다

- 19 -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학교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재의 풍부

한 삶과 미래의 다양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는 국가의 교

육 비 교육 목 등학교 교육 목표 등에 일 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있어 핵심 역량 련 선

행연구뿐만 아니라 각국의 교육 비 이나 국가 교육 목표에 내재되어 있는 주요한 개

념이나 내용은 매우 요한 참고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

정을 구성하는 국가에서는 핵심 역량이 교육 비 이나 교육 목표에 긴 하게 연계되

어 설정되고 비 목표 역량 상호 간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는 에서 교육 비 이

나 교육 목표에 제시된 주요 핵심어(key words)는 핵심 역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에서 각국의 교육 비 이나 학교 별 교육 목표도 핵심 역량과 동일한 수 의

분석 상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국 등의 외국 사례에 제시된 각국의 교

육 비 목표 핵심 역량(기능)과 련된 내용을 심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 분석 상 국가 에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지 않은 국가도 있다 따라서 각국의 등학교 핵심 역량에 한

분석은 핵심 역량과 련된 국가 교육 비 교육과정상의 목표 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목 목표 등과 같이 다양한 자료를 분석 상으로 한다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

는 국가의 경우에는 국가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를 포함하여 교육 비

학교 별 교육 목표도 동일한 수 에서 분석한 것이다 즉 각국의 등학교 핵

심 역량을 추출하기 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 요소 등의 주요 핵심어를 심으로 분석하 으며 이

를 토 로 각국의 핵심 역량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1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등학교 교육과정은 2010년에 시행될 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국가 교육 비 을 근거로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가치(Values) 일상 삶과 평생학

습을 한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8개의 학습 역(Learning Areas)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뉴질랜드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에 제시된 교육 비 (Vision)과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교육부의 국가 교육 목표

(The National Education Goals)를 들 수 있다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비

은 ①창의 활동 진취 인 인간 ②지속가능한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미래 추

구를 한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인간 ③타민족 문화에 한 존 과 상호

- 20 -

구분 교육비 등교육목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유연성

명석함

극 인 지식의 추구활

용창조

진취성

재치

창의 비 메타인지 능력

지식의 탐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의사소통

의사소통 도구의 효과 활용

효율 인 의사 결정

다양한 맥락에서 언어 상징 텍스

트의 해석 활용

경청

력자로서 노력하는 인간 ④이상 인 삶을 해 가치 지식 역량을 지속 으로 개발

하는 인간 ⑤자신감 결속력 극 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

등 5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특히 다섯 번째 항목인 lsquo자신감 있고 결속력 있으며

극 으로 참여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rsquo은 보다 구체화된 하 요소를 설정함으로써

뉴질랜드의 교육 비 을 상세화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비 을 토 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는 일상 삶과 평생학습을 한

능력을 배양하기 해 lsquo사고하기rsquo lsquo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하기rsquo lsquo자기 리하기rsquo lsquo타인

과의 계맺기rsquo lsquo참여 공헌하기rsquo 등 5가지의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있다 한 뉴질

랜드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등학교 교육 목표를 ①잠재능력 개발 사회구성원으

로서의 역할 ②성취 증진을 한 기회의 공평성 제공 ③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④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⑤읽기 쓰기 수리력 과학 기술

등의 지식과 기능 향상 ⑥학습자 요구의 한 응 ⑦특별 지원이 요청되는 학습자

에 한 지원 ⑧ 학 교육에 한 근의 용이성 증진 ⑨마오리족의 교육 참여와 성공

증 ⑩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19)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 비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환경rsquo 등 9가지로 추출되었다20)

이상에서 고찰한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1gt과 같다

lt표 Ⅲ-1gt 뉴질랜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19) 이는 wwwminedugovtnz의 lsquoThe National Education Goalsrsquo라는 항목에서 제시하고 있다

20) 이하 lt표 Ⅲ-1에서 Ⅲ-6gt에 제시되는 각국의 등학교 교육 목표 핵심 기능(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은 본 연구 에서 1차 분석 추출하 으며 문가 검토 등을 통해 추출된 능력 요인(핵심 역량)에 한

성 여부를 단하고 수정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 21 -

인 계

타인과의 정 계

력자로서의 상호인식

결속력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능력

타인과 한 계 유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한 기여

다양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아이디어 공유 능력

집단 내 타인에게 기회 제공하기

자기 리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의욕

평생학습자

잠재능력 개발 자기 동기 부여

쾌활함

자신의 목표 수립 과제 리

자기주도 단 능력

자신의 학습과정 반성

반성 탐구학습

새로운 학습에 한 개방 태도

시민의식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의 구성원되기

국제사회의 시민되기

자국의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공동체에 극 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문화물리경제 환경의 지

속가능성에의 공헌하기

기 학습

문해력

수리력

읽기 쓰기

수리력

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상황 처

도 에 한 처 략 보유

새로운 환경 처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다문화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환경 국토 환경과의 연계

기 타

이상 인 삶 추구를 한 가

치지식역량 개발 능력

지속가능한 미래 추구를 한

신기술 지식 획득 능력

변화와 경쟁을 수반한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과학 기술체육 등

의 지식과 기능 향상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lsquo창의 사고rsquo는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지식의 탐

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의사소통rsquo은 의사소

통 도구의 효과 인 활용 효율 의사결정 경청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타인과의 정

계 결속력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아이디어 공유 능력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

하고 있다 lsquo자기 리rsquo에는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잠재능력 개발 자기주도 단

능력 반성 탐구학습 등이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신뢰감 소속감 지역사회 구성원

국제 사회 시민 역할 공동체에 극 여하기 권리역할 책무성 조화 등이 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22 -

lsquo기 지식 능력rsquo은 문해 수리력 학습 기 능력 배양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

고 있으며 lsquo상황 처rsquo는 그 하 내용으로 도 에 한 처 략 새로운 환경 체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등을 lsquo다문화 다양성 존 rsquo은 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을 lsquo환경rsquo은 국토 환경과의 연계를 하 내용으로 포

함하고 있다

2 호주의 빅토리아주

호주에서는 학교 교육 교육과정 내용에 한 결정 평가 방법 등에 한 법 책임이

각 주와 특별구에 있기 때문에 등학교 교육 체제 교육과정이 주별로 다르다

따라서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과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 목

표를 핵심 역량에 기반한 lsquo핵심 학습 기 rsquo을 심으로 구성하고 있는 빅토리아주를 살

펴보고자 한다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

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purposes) 미래 사회상(building the future) 교육 원리

(principles) 가치(values) 그리고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의 핵

심 학습 요소별 역 내용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미래

사회상으로는 ①미래 사회의 성공 인 삶을 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의 개발 ②지

속가능한 사회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한 이해 이들 요소의

효율 인 리 ③ 신 미래 사회에서 다양한 근 방식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 개

발 ④강력한 공동체 사회 구성을 한 공동의 목 가치 설정 상호 책임감과 신뢰

형성 등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 원리는 ①모든 학생들이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충

분한 시간과 지원 제공(learning for all) ②수월성 추구(pursuit of excellence) ③ 극

인 참여와 노력 추구(engagement and effort) ④탐구에 따른 결과 검증 문제에 한

해결 추구(respect for evidence) ⑤개방 태도(openness of mind)이며 빅토리아주에서

추구하는 교육 가치는 용과 이해 존 책임감 사회 정의 수월성 심 수용과 신

뢰 정직 자유와 윤리 등이다

한 빅토리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에서는

학생들이 복잡하고 변하는 사회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된 사회 높은 수 의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는 로벌 세계를 성공 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면서 핵심 학습 요소(strand) 3가지와

요소별 역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 학습 요소는 ①신체 개인 사회 학

습 ②학문 기반 학습 ③간학문 학습 등이다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은 21세기

도 세계에서 요구되는 학생 자신의 신체 건강과 학습 지역국가세계 공동체

- 23 -

구분교육비

(교육목 미래상)가치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

문제해결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환경사회문화경제 요인과 련된

과정과 산출에 한 분석 평가 능력

사고 략 획득(탐구정보처리추론문

제해결평가 반성)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설계 통제 능력

정보의 용 능력

ICT 활용 타인과의 의사소통

ICT 활용 이해 형성

ICT의 윤리도덕 활용

인 계

정 사회 계 형성

집단 내 활동 학습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

건강 유지

신체 활동 참여

신체 활동의 이해

학습 련 자기 지식 개발 학습 계획 설

정 능력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자신의 학습에 한 반성 책임감

자신의 학습과 실생활과 련짓기

동료 학습시 한 탐구 반응 능력

학습자원 리 능력

한 도구장비자료의선정 활용 능력

시민의식

공동 목 가치 설정

상호 책무성 신뢰감 형성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시민으로서의 권리 책무성 인식

사회 타인에 한 책무성 증진

에서의 타인과의 계 역할에 한 책무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 학습 요소는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등이다 lsquo학문 기반 학습rsquo의

역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과 련된 지식체와 특징 인 탐구 사고방식으로 이것은

술 어 인문학(경제 지리 역사) 제2외국어 수학 과학 등으로 구성된다 한 lsquo간

학문 학습rsquo은 학문 역들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으로 규정되며 여기

에서는 lsquo의사소통rsquo lsquo디자인 창의성 공학rsquo lsquo정보통신기술rsquo lsquo사고과정rsquo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 비 가치 핵

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

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환경rsquo 등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2gt와 같다

lt표 Ⅲ-2gt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4 -

책임감

수용과 신뢰

정직

용과 이해

자유와 윤리

사회 정의

집단 내 자신의 정체성 역할 이해

건 한 생활 양식

국제 사회에서의 자국의 역할 인식

환 경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

상호작용 이해

사회경제환경 요소들의

효율 리

기 타미래 사회의 성공 삶을

한 지식기능행동의 개발

간학문 지식기능행동 활용 능력

지식의 용 능력

lsquo창의력rsquo은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 해결rsquo은 주로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사고 략 획득 등

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이해 형성

윤리도덕 활용 정보의 용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는 정 사회 계 형성 갈등 조정 해결 등이 포함되며 lsquo자기 리rsquo에는

주로 건강유지 신체 활동 참여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학습에 한 책임감

학습자원 리 능력 등이 포함된다 lsquo시민의식rsquo은 공동 목 가치 설정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용과 이해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건 한 생활양식

등을 lsquo환경rsquo은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 이해와 요소들의 효율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3 캐나다의 퀘벡주

캐나다는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따로 교육부를 두지 않고 교

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21)에 으로

임하고 있어서 퀘벡주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캐나다 주(혹은 주)들의 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과 련한 구체 인 언 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각 주

( 주)들이 설정하고 있는 공통 필수 교과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면 해당 주 교육 당

국이 집 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의 면모를 강이나마 추정해 볼 수 있다

특히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로 천명하

고 있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960년 이래로 퀘벡주는 모든 학생들에게 평

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요한 교육 목표로 삼아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

21)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25 -

부분의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보편 으로 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목표는

사실상 시 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오히려 국제화 세계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

생활의 증하는 복잡성 직업 세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에서부터 개발하기 시작해야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이에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

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체제의 방향과 구조를 근본 으로 재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 고(소

경희 이상은 박정열 2007)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역량 심의 교육과정 개편이었다

캐나다 퀘벡주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등 교육 목 역량 기

반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첫째 lsquo새로운 확신을 바탕

으로 한 교수를 제공한다rsquo에서는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 등을 포함하고 있

다 둘째 lsquo타인들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도록 사회화 한다rsquo에서는 공동체에 한 강력한

소속감 계발 함께 사는 법 배우기 민주주의의 근원 가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lsquo다양한 선택을 통해 다양한 자격

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rsquo에서는 충분히 숙달된 직업능력 갖추기에 을 두고 있다

한 등학교의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4)은 lsquo세계 의 구축rsquo lsquo정체성의

확립)rsquo lsquo능력 강화rsquo 등을 제시하고 있다

퀘벡주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①범교육과정 역량(cross-curricular competencies)

② 범 한 학습 역(broad areas of learning) ③교과 역(subject areas) 등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이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squo범 교육과정 역량rsquo은

각 교과 역들이 갖는 경계를 넘어서 있다는 에서 교과 특정 역량보다도 훨씬 넓은

범 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들 역량은 교과 역 범 한 학습 역 모두에서 활용

될 수 있고 차 학습을 통합해가는 데 있어서 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한 맥락

에서 이 역량들은 복잡하고 측하기 어려우며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단히 귀 한 도구가 된다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은 간학문 성격을 가지며 오늘날의 은이들이 직면해야하는

삶의 여러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 범 한 학습 역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

의 맥락들에 한 진 된 이해를 갖도록 하고 련된 상황 속에서 가능한 다양한 행

들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것들은 학생들로 하여 서로 다른 학

습 역들 사이의 련을 악할 수 있게 하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개인 사회

문화 환경에 해서 비 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다

- 26 -

구분교육목

핵심 기능(역량)등학교 등학교

창의력창의력

비 단력

문제해결

복잡한 문제들에

히 처하기

문제 해결 련 경험

지식기능 획득

통합 지식 배양

문제해결력

효과 인 작업 방식 채택

로젝트(계획) 련 략의 채택

의사소통 한 의사소통 능력

인 계 함께 사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인과의 동

정보처리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미디어의 속성(지 역할 표상방식) 인식

이해

정보 활용력

자기 리

사회문화개인 정체

성의 형성

자아 발견

건 한 세계 의 형성

자신의 정체성 형성

자신의 잠재력 충족 방법 인식

자기 인식 자신의 기본 요구 인식

극 인 삶의 방식

행 선택에 따른 향(건강 등) 인식

안 행

시민의식

공동체에 한 강렬한

소속감 계발

민주주의의 근원 가

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 되기

공동체의 도덕 정신

가치 수용

참여 동연 성

평화에 공헌

사회 행 규칙 알리기

민주주의 제도 알리기

미디어와 련 권리책임

lsquo교과 역rsquo은 lsquo언어(languages)rsquo lsquo수학 과학 공학(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rsquo lsquo사회과학(social sciences)rsquo lsquo 술교육(arts education)rsquo lsquo개인 발달(personal

development)rsquo 등 5가지의 교과 역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언어는 불어와 어를 포함

하고 있고 수학과학 공학은 수학 과학 공학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과학은 지리

역사 시민성 교육을 포함하며 술교육은 드라마 시각 술 음악 스를 포함한다

한 개인발달은 체육 건강 도덕교육 종교교육(카톨릭 로테스탄트 종교교육)

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

(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

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환경rsquo 등 10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캐나다 퀘벡주의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

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3gt과 같다

lt표 Ⅲ-3gt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7 -

기 학습지 계발과지식의숙달

정신 계발

직업 비

숙달된 직업 능력 갖추기 직업 세계 사회 역할에 한 친숙함

획득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인 사용

소비의 사회 경제 윤리 측면 인식

환경자기 주변 환경에 한 인식

지속가능발 에 터한 생존 환경 추구

lsquo창의력rsquo은 하 내용으로 비 단력과 창의력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문

제에 한 처 통합 지식 배양 계획 로젝트 략의 선택 등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한 의사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함께 배우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

인과의 동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정보 활용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정체성 형성 자아발견 건 한 세계 자기 인식 요구 인식

극 삶의 방식과 안 행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공동체 소속감 계발 책임감 참

여 동연 성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직업능력 갖추기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사용 소비의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환경rsquo은 주변 환경에 한 인식과 지속가능 발 을 한 생존환경 구성을 포함

하고 있다

4 핀란드

핀란드는 국가 수 의 학교 교육과정과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지역 특색과 학교의 실정에 맞게 주 단 학교 단 교육과정이 개발 실천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교육 목 목표는 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법에 제

시되어 있으며 교육법에 기 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 핀란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학교 교육 목표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 그리고 기본교육법 기본교육

법령에 제시된 등학교의 교육 목 목표를 들 수 있다

핀란드의 교육법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①개인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장(자아 존 감 형성 비 사고) ②인간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책임감과 동심 배양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③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다양한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창의성 개발 스포츠 기술 개발 ④

- 28 -

구분교육법 교육과정(교육목 )

학교 고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창의성 개발

비 사고독창성 개발

문제해결 의사결정 능력 개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

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

의사소통 능력

자기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자국어 외국어 표

의사소통 기술

제2외국어 외국

어를 포함한 자기표

기술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력 배

양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정보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⑤다양한 언어에 련

된 지식과 기능 형성 세계 교육 지식과 기능 함양 ⑥건강 증진 사회 안녕

증진 ⑦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⑧비 학습 능력 력 기능 함양 등으로 제

시되어 있다 교육법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자발 활동 책임감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능에

한 책무성 기업가 정신 배양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타

인과의 지속 발 추구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문화 정체성 표 자신의 독자성

인식 등에 을 두고 있다

핀란드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문과 함께 8개의 목표

가 제시되어 있으며 ①독립심 책임감 자기 지식 개발 ② 동 상호작용 기술 습득

③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④의사결정 능력 개발 향후 학습과 직업장래 계획 ⑤자신

행동에 한 평가 능력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⑥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의 기 능력 배양 ⑦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⑧생활 환

경 처 기술 개발 등 8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고등학교 교육 목표에는 체로 학습

세계 형성 평생학습에 한 요구 강화 개인과 공동체의 윤리 인 문제 해결력

자아 존 감 개인의 독특성 인식 고등교육과 직업 설계 능력 제공 등에 을 두

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

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심미 감수성rsquo lsquo다문화rsquo 등 12가지

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4gt와 같다

lt표 Ⅲ-4gt 핀란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9 -

력 배양

정보능력과의사소통 기술

능력

정보와 의사소통 기능

활용

정보처리

정보기술 능력

매체 기능 숙달 정

보의 비 평가 능력

건 한 정보 사회 기능

습득

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ICT 기술

다양한 정보 획득

인 계 동심 배양

력 기능 함양

타인과의 지속 발

추구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기

술 습득

타인과의 동 기술

동상호작용

자기 리

자아 존 감 형성

자아 존 감 강화

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세계 교육 지식

과 기능 함양

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건

강 증진

자신의 독자성 인식

개인의 장 탐색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삶의 질 향상 능력

한 학습 방법 활용

능력

개인 학습기술 인식

실천

자신의 학습기술 평가

능력

평생학습 기술 개발

평생학습의 요성 내

면화

탐구 학습태도

독립심

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자기 지식 개발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자신 행동에 한 평

가 능력

향후 학습계획 갖기

개인 독특성 인식

자신의 신념과 행동

수정 능력

삶을 한 비

폭넓은 학습 구

조화된 세계 형성

평생학습 비

건강 복지 생활

양식 고양

시민 의식

인간 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사회 안녕 증진

책임감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

능에 한 책무성

의사결정에 한 책무성

책임감

자발 활동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시민정신

책임감 개인 공동체

련 윤리 문제의 인

식 처리 능력

타인 배려 능력

민주주의 사회에서

역할 수행 능력

의지 개발

기 학습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비 학습 능력

인간사회문화

자연에 한 일반 지식

습득

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

식과 기능의 기 능

력 배양

직업 비

사회와 직업 세계에서

자신의 치 인식하기

기업가 정신 배양

직업장래 계획 미래 설계 직업

설계 능력 개발

경제생활 기업가

정신 배양

- 30 -

상황 처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자신의

의지 갖기

변화에 한 조처

강구 용기

변화에 한 융통

응 능력

심미

감수성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획득 찰해석심미

표 능력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술 문화 생

활 증진

다문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형성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문화 정체성 표

기 타심화 지식종합 지

식과 기능 형성

의사결정에 따른 직

ㆍ간 결과 인식

lsquo창의력rsquo은 창의성 개발 비 사고 독창성 개발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능력 개발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주로 인지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

발 정보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자기 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등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정보기술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정보 획득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에는 주로 동심 배양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아 존 감 형성 건 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평

생학습 기술 개발 탐구 학습 태도 건강 복지 생활양식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임감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타인배려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기 학습rsquo은 기본 수학 능력 배양 일반 지식 습득 기 능력 배양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주로 직업 장래 계획 기업가 정신 배양 등을 lsquo상황 처rsquo는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융통 처 능력 등을 lsquo심미 감수성rsquo은 다양

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문화 정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5 국

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등 교육과정은 주요 12단계(Key

Stage 1 and 2)로 등 교육과정은 주요 34단계(Key Stage 3 and 4)로 구성되어 있

다 국가 수 의 교육과정 문서에는 학교 별로 구체 인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1장과 2장에는 포 인 수 에서 국가 학교 교육

- 31 -

과정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국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국가 교육과정의 목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 기능 등학교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국의 국가 교육과정 목표에서 추구하는 바는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

험에 한 비rsquo 2가지이다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에서는 ①학습

의 즐거움과 책무성 증진 ②독자 력 학습능력 ③문해 수리 정보통신 기술 함

양 탐구 합리 사고 능력 증진 ④다양한 사회 문화 유산에 한 지식과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 ⑤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⑥다양한 지식 이해와 기능 습득 창

의 비 사고 ⑦미래의 직업인과 시민으로서의 기회 제공 ⑧신체 기능 개발

건강한 생활 양식 추구 자신과 타인의 안 유지 등에 을 두고 있다 한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험에 한 비rsquo에

서는 ①선악 구별 능력 개발 ②자신의 가치 존 타인의 가치와 지식 존 태도 ③

가치 수 성실과 자율성 개발 ④환경에 한 이해와 존 ⑤소비자로서의 의사결

정 능력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등에 을 두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values)는 자기 자신(the self) 계(relationship) 사

회(society) 환경(environment) 등 4가지이다 lsquo자기 자신rsquo은 자기이해 자기존 자기

도야 삶의 방향 결정 책무성 평생학습태도 삶에 한 책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계rsquo는 타인 존 타인 심 타인 배려 타인에 한 선한 태도 성실 신용 자신감 타

인과의 동 작업 타인의 사생활 재산 존 분쟁 해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사회rsquo

는 시민의 책무성 이해 실행 공동선 추구 가족 돌보기 사회 제도 존 (결혼제도지

지) 사랑 헌신 법과 차에 한 정보 공유하기 법과 규칙 존 법의식 고취 조장

하기 종교 문화 다양성 존 다양한 기회 제공 받기 어려운 사람 도와주기 민주

과정에의 참여 경제 문화 자원의 활용 생산 lsquo진실 성실 정직 선의의 삶

추구rsquo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lsquo환경rsquo은 환경 보존에 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이 계 이

해 자연의 균형과 다양성 보존 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 자연 서식지 복구 등

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key skills)은 의사소통(communication) 수의

응용(application of number) 정보공학(information technology) 타인과의 력(working

with others) 자신의 학습 수행 능력 증진(improving own learning and

performance)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등 6가지이며 이들 기능은 학습자들이 학습

활동 직업 세계 일상 삶의 과정에서 학습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능력이다

- 32 -

구분 교육법

추구하는 가치 목

핵심 기능국가교육과정

학교교육 국가 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창의력

진취성창의 수완 발휘새로운 것에 한시도

탐구정신 갖추기

창의 사고탐구 정신비 사고

문제해결

사건의 배경을 총체 이해하기

당면 문제 확인해결 능력

합리 선택능력 갖추기합리 사고능력 증진

문제 확인 이해문제해결 방식의기획 검토

문제해결과정 모니터링

문제해결에 유용한 기능과 략개발

의사소통

소통 기술의변화에 처

읽고 쓰기 능력다양한 방식의 소통 능력 형성

정보 공학 의사 소통 련 필수 학습 기술소유

정보와 소통 기술갖기

효과 으로 말하기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집단 토론에 참여하기

텍스트 읽기비 성찰하기

에 한 비분석

유려하게 쓰기

인 계

타인 존타인 심타인 배려타인에 한선한 태도분쟁 해결

자신과 타인과의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타인 존타인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기

타인 존좋은 계 형성 유지타인과 계맺기공동선 추구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타인들의 경험 평가하기

서로 다른숙고하기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표는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 등 3가지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는 읽고 쓰기

능력 수리 사고 능력 성취 추구를 한 극 동기 갖기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구

성되어 있다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은 자기정체성 확립 자신과 타인과의 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험 요인 리 안 유지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은 삶과 일에 한 비 타인 존 자국 타문화 통 이해하기 인간의 권리

존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국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rsquo lsquo환경rsquo 등의 12가지로 추출

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국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국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3 -

타인과의동 작업

타인과의 조 한 력수행 능력 개발

도 에 직면해서타인과 조할 수있는 능력

사회 기술 개발타인의 필요성에

한 인식과 이해개발

정보처리

주어진 정보의 처리 추론

주어진 정보에한 의문 갖기평가 능력

정보의원천과 ICT 도구활용하는능력ICT 활용에 한과학 단 능력

ICT를 활용한 작업의검토수정평가하는능력정보처리 창조

사고 기능탐구와 의사 결정기능

자기 리

도덕문화정신발달

신체 발달

자기이해자기존자기 도야삶의방향결정자신감평생학습태도

도덕사회 문화 발달신체 발달

극 인 동기 갖기실패로부터 배우는 능력 갖기

자신의 가치 믿기자기정체성 확립자신의 감정 인식

조자기 조직 능력갖기

자신의 재능 인식원 한 포부

갖기독립 자세주도 자세세계 속에서의 자신의 치 인식하기

신체 으로 건강하기

신체 능력 갖기 험 요인 리

안 유지자신의 학습 방식이해

자주 력학습 능력 갖기

즐겁게 학습하기

자아정체성확립 도덕 사회 문화발달의 진자기 존 감정서 안녕고취자신 존신체 기능 개발자신과 타인의안 유지독자 력

학습능력학습의 즐거움과 학습에한 헌신 신장

자신의 학습에한 반성 비평가

자신의 학습수행 개선 방법확인

학습의 목 확인학습의 과정 반성학습의 진 정도사정

학습 장애와 문제확인 개선 계획 수립

시민의식 책무성

책무성시민의 책무성이해 실행민주 과정에의 참여성실신용진실정직선의의 삶추구어려운 사람도와주기사랑

의무감정의진실정직성신뢰

가치와 신념 견지건 한 삶의 방식선택

불의에 항거하기정직하고 성실한행 하기

인간의 권리 존선악 구별 원칙갖기

책무성에 응하기책임감있고 배려심있는시민지속 인 가치획득선악 구별 능력 개발성실과 자율성개발건강한 생활양식 추구자신 타인의 가치 지

- 34 -

헌신공동선 추구가족 돌보기사회 제도존 )타인의 사생활 재산존법과 차에한 정보공유하기법과 규칙존 법의식고취

식 존 태도

기 학습

수리 사고 능력 수학 사고능력읽고 쓰는 능력

암산 능력의 용능력 계발

수학 언어 이해활용 능력

계산 기능과 수개념을 타 교과실생활 문제에용하기

직업비

사회 삶의 비

경제 문화 자원의활용 생산

생산 인 경제활동

삶과 일에 한비

미래의 직업인과 시민 비다음 단계(교육 훈련 고용등)에 한 비소비자로서의의사결정 능력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상황 처

격한 변화에한 처

변화하는 일과여가에 처변화에 극여

세계화 추세처

세상 변화에 극으로 참여하기

기회 도에 응하기 험 리하기변화와 역경에

다문화

종교 문화 다양성존

자신 가족 사회의 다양성존

다양성 존다양성의 가치에감사하기

자국 타문화통 이해하기

환경

환경 보존에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의 계 이해자연의 균형과다양성보존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자연서식지복구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

환경 보존개선에 앞장서기

환경에 한이해와 존

기타자연 인간성취에 한 열린마음

사회 각 분야의 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 35 -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진취성 창의 사고 탐구 정신 등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당

면 문제 확인 해결 문제 해결 략 개발 등을 lsquo의사 소통rsquo은 주로 읽기 쓰기 능

력 말하기 듣기 다양한 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주로 타인 존 배려 타인

과의 동 타인과의 계 형성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정보의 처리 추론 정보에 한 평가 탐구 의사결정 기능 등을 포

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기 이해 존 신체 발달 평생 학습 태도 독자

력 학습 능력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무성 정직 신뢰 건 한 삶의 방식

법과 규칙 존 실천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수리 사고 읽고 쓰기 능력 수학 언어

이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자원의 활용 생산 삶과 일에 한 비 소비자로서의 의사결정

권리의무 이해 등을 포함하며 lsquo상황 처rsquo는 변하는 일과 여가에 한 처 세계화

추세에 한 처 험 리하기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종교문화 다양성 존 자국

타문화 이해 등을 lsquo환경rsquo은 주로 환경 보존의 책무성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에 한

이해와 존 등을 포함하고 있다

6 한국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육기본법에 제시된 교

육 이념 등교육법에 제시된 각 학교의 교육 목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 별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에 한 제반 사항을 법제화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기본법과

등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이념과 교육 목 이 국가 교육과정 구성의 토 가 된다 따라

서 교육 이념과 각 학교 교육 목 에 기 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가 설정된

다 우리나라의 교육기본법 제1장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 이념은 ldquo교육은 홍익

인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

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 과 인류

공 의 이상을 실 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제시되어 있다 한 동

법 제9조 ③항에서는 학교 교육의 기조를 인 교육으로 보고 있으며 ldquo학교 교육은 학

생의 창의력 계발 인성의 함양을 포함한 인 교육을 시하여 이루어져야 한다rdquo

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이념은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에 기

하여 주로 lsquo인격 도야rsquo lsquo자주 생활 능력rsquo lsquo민주시민 자질 함양rsquo lsquo인간다운 삶 rsquo

lsquo민주국가 발 인류공 실 에 이바지rsquo 등에 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에 기 하여 등교육법에는 각 학교의 교육 목 을 제시하고

- 36 -

구분 교육법교육비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 (목표)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자신의생각과느낌 의

다양한(창의 ) 표 력

자신의 생각과 느낌의

다양한(창의 ) 표 력

학문과 생활에 필

요한 논리 비

창의 사

고력 태도 형성

문제해결문제 인식 해결

능력문제해결력

자기 리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생활의 기본 능력 구비

자기 발견

성숙한 자아의식

시민 의식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

바지

폭넓은 교양

이웃과 나라 사랑

태도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

민주주의 기본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방식 형성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기 학습

기 학습

능력

문 학

습능력

기 능력 기 능력 배양 학습의 기본 능력 구비

있다 즉 등교육법 제38조에는 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 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

요한 기 인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고 동법 제41조에

는 학교 교육 목 이 ldquo 학교는 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한 동법 제45조에는 고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고등학교는 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 기 인 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 별 교육 목표는 7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의 교육기본법 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학교 별 교육

교육 목표로 제시된 것이다 학교 에 따른 교육 목표의 문에 제시되어 있는 학교

별 교육 목표의 주안 으로 등학교는 lsquo기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 형성rsquo에 학

교는 lsquo기본 능력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rsquo에 그리고 고등학교는 lsquo진로 개척 능력과 세

계시민 자질 함양rsquo에 두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

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

업 비rsquo lsquo다문화(문화 감수성)rsquo 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6gt과 같다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7 -

직업 비진로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극 인 진로 탐색 성과 소질에

합한진로개척 능력

다문화

(문화

감수성)

자국 문화의 이해 자국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의

발 태도 형성

자국의 통과 문화의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

의 발 태도 형성

기 타

인간다운 삶

인격도야

인 성장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능 습득

심신의 조화로운

인격 형성

다양한 분야의 지

식 기능 습득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자기

능력

시민

의식

학습

능력

직업

능력

상황

능력

심미

감수성

다문화

이해

환경

의식

뉴질

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한국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창의 표 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

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 인식 해결 능력 등을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민주시민 자질 함양 공동체 발

공헌 민주주의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 방식 형성 등을 포함한다 lsquo기 학

습rsquo은 기 능력 배양과 기본 학습 능력 구비를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진로 탐

색 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등을 lsquo다문화(문화감수성)rsquo는 주로 자국

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등을 포함한다

7 시사

이상에서와 같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기능) 요소 등을 상으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을 추출한

결과를 토 로 각국에서 설정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 련 능력 요인을 유목화하여

비교 제시하면 lt표 Ⅲ-7gt과 같다

lt표 Ⅲ-7gt 각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내재된 능력 요인 분석 결과(핵심어)

lt표 Ⅲ-7gt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상 국가의 핵심 역량 련 주요 능력

- 38 -

구분 내용

문항 형식 자유 응답형(1 문항)22)

조사 시기 4월 30일(수) ~ 5월 13일(화)

조사 방법 본원 공용 이메일(webzinekicerekr) 활용

요인은 몇 가지 역에서는 매우 한 공통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특

히 lsquo창의력rsquo lsquo자기 리능력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등의 역량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분석 상

국가에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으로 요하게 취 하고 있다 한 우리나

라를 제외한 외국의 경우에는 lsquo의사소통능력rsquo과 lsquo 인 계능력rsquo의 역량을 요한 역으

로 취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역량은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요한 핵

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도 핵심 역량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충분

히 반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 인 핵심 역량 요소에 한 설정은 이

후의 설문 조사 결과와 문가 의회 등에서 도출된 안에 기 하여 정련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강조하는 핵심 역량추출을 한 설문 조사

가 설문 조사의 방법과 상

본 연구에서는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비 으로 추출하기

해 등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기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 태도 등)

요인에 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 다

lt표 Ⅳ-1gt 문항 형식 조사 방법

22) 설문문항 시 ldquo향후 개될 미래 사회에 비하여 학생들이 각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길러야 할 가장 기

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skills) 태도 행동 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능력을 순서 로 5가지만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rdquo

- 39 -

핵심 역량 주요 내용(요소)

창의력

창의 사고력비 사고력분석 종합 사고력발산 사고통찰력진취 이고 도 태도지식의 재발견과 창조창의 탐구능력

상 표집 수 응답자수(회수율)

등학교 교사 30 28(933)

학교 교사 30 9(307)

일반계고등학교 교사 30 13(433)

문계고등학교 교사 30 19(633)

교육 학교 교수 30 27(903)

사범 학교 교수 30 12(400)

계 180 108(600)

설문 상23)은 본 요구 조사가 자유응답형 문항으로 응답의 어려움으로 인한 회수율

의 하를 감안하여 사 에 본원의 연구 업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들을 상으

로 표집하 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의 연구진 의진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를 상으로 하 으며 사 에 설문 조사 응답 여부를 수락하는 차를 거

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 회수율은 60를 넘었으나 학교 별로 회수율에 차이가

있었다 참고로 표집 상수에 따른 회수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Ⅳ-2gt 표집 상별 표집 수 응답자수

나 설문 조사의 결과(요지)

설문조사의 목 은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는 바 여기서는 응답자

별 빈도()는 제시하지 않고 다음 lt표 Ⅳ-3gt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응답자별 체 인 의

견을 종합 으로 제시하 다 구체 인 내용은 최종 보고서에 포함할 정이다

lt표 Ⅳ-3gt 핵심 역량 역 주요 내용에 한 응답자의 의견 종합24)

23) 본 요구조사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장 문가의 아이디어를 얻기 한 비 요구 조사로서 설문 조사

상을 최소화(학교 별 30명)하여 일종의 델 이 조사 성격을 띤 자유 응답형 문항으로 구성하 다 장 교

사 교육 문가를 선정한 이유는 교육 분야에 다년간 종사한 경험과 식견에 비추어 볼 때 본 요구 조사의

내용에 해 하게 응답할 수 있다고 단되었기 때문이다

24) 응답자의 유사한 응답을 유목화하여 체 인 의견을 종합 으로 제시한 것이다 주요 내용 개념간의 포

함 계(층 )는 추후 문가 의회를 통해 지속 으로 검토 보완할 정이다

- 40 -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력논리 이고 합리 사고력

변화에의 응 리 능력

가치 단력

순발력

합리 의사결정력

과학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올바른 경청태도

올바른 언어 사용법

논리 인 표 능력 화의 기술

기호 해득력

정보처리능력

정보화 사회 응 능력

정보화 소양 능력

정보 수집 탐색 능력

정보 리 능력

정보의 재구성 창출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정보통신 윤리

분석 독해력

인 계능력

사회 기술

인 계 능력

타인 배려 존

동심

공감 능력

릴 이션 쉽

자기 리능력

자기 리 계발능력

정 자아 존 감

올바른 가치 정립

정 가치 (사고방식)

기본생활 습 함양

자주 태도

정서 함양

자기 주도 학습력 신장

흥미 소질 계발

신체 운동 능력

평생 학습 능력

기 학습능력

기본 인 학습 능력(말하기 읽기 쓰기 셈하기)

독서 능력

상에 한 기 지식

시민의식

민주시민 의식

인성 도덕성(윤리)

공동체 의식

참여정신

책임감

사정신

건 한 비 의식

용 태도

- 41 -

환경 의식

환경보존 태도

친환경 사고방식(자연사랑)

환경과의 상호 작용

환경의 요성 인식

주변 환경의 체험과 탐구

세계화 소양

외국어 소통 능력

국제 사회에 한 이해 지식 갖기

세계 상에 한 감식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문화 정체성 확립

술과 문화 향유 태도(문화 감수성)

직업 소양

기 직업 능력

직업의 요성 인식

진로 탐색능력

직업 소명의식

서비스 태도 로정신 함양

성 련 기술 함양

문 지식

공 련 능력( 문 지식 등) 함양

해당 분야의 기 지식과 기술

사회 쟁 악 능력

과학 기술 소양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기 한 설문 조사 결과 lt표 Ⅳ-3gt에서와 같이 창

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

식 환경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이해능력 직업소양 문지식 등의 역량과 그 요소들

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범주화된 역량 요소들은 그것의 이론 근거나 개념 간의

포함 계(층 ) 등에 한 세 한 분석과 검토를 거쳐 향후 정교화 할 것이다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요지)

본 연구의 과정에서 핵심 역량 시안을 마련하고 잠정 안을 설정하기 해 다양한

분야의 문가를 상으로 수차례의 의회를 가졌다 문가 의회의 참석자들은

등학교 문가 등교육 문가 고등교육 문가 사회 각 분야 문가 등 35명이었

다 주요 논의 내용은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 인간상 핵심 역량(안)의 성

과 타당성에 한 것이었다

주요 논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우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궁극 인간상으로는 개인

차원에서 합리 인간 창의 인간 미래를 진취 으로 개척하는 인간상을 사회

차원에서는 원만한 인 계를 유지하는 인간 개방 인 인간 사회유지와 발 에 기여

- 42 -

핵심 역량 요소(내용)

창의력사고 기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사고 성향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문제해결능력

문제의 발견

문제의 명료화

해결 안의 탐색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

의사소통능력

경청 공감

이해 반응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분석평가

정보 달 공유

정보 활용

정보 윤리

인 계능력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정서 표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능력자아 정체성

정 사고(태도)

하는 인간상을 설정하 다 한 핵심 역량 요소의 성과 타당성에 한 문가

들의 검토를 거쳐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인 계능력 자

기 리능력 시민의식 국제 감각 진로개발능력 등 9가지 역과 요소들이 설정되었다

각 역에 따라서 하 요소들 간에 층 가 다르거나 통합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이

있어 이런 문제 은 차후에 연구 과 문가들의 검토를 바탕으로 정교화 할 정이다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이 장에서는 문헌 분석(선행 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 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lt표 Ⅴ-1gt 등학교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25)

25) 이안은 잠정 으로 설정한 것으로 향후 이에 한 지속 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교화할 정이다

- 43 -

요소 의미

사고기능

유창성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고정 인 시각을 변화시켜 다양한 아이디어나 반응을 산출하는 능력

독창성 남과 다른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정교성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유용하게 발 시키는 능력

유추성 특정한 상을 기존의 것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

사고성향

민감성 주변 세계와 문제에 민한 심을 보이며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성향

개방성 제한 없이 모든 가능성과 다양한 경험을 수용하는 성향

독립성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는 성향

과제집착력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과제에 몰두하는 성향

실행력기본생활태도

기 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여가 선용

건강 리

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

신뢰감 책무성

민주 생활방식 법정신

환경 의식

국제 감각

자 문화 계승 발

다문화 이해

외국어 소양

문화 감수성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개척

표에 제시된 9개의 핵심 역량 요소에 한 개념26)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의력은 새로운 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창의력은

사고 기능과 사고 성향으로 구성된다

lt표 Ⅴ-2gt 창의력의 요소와 의미

26) 개념 하 요소는 련 핵심 역량에 한 기존의 이론 논의(지면 계상 생략)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조

작 으로 정의한 것이다

- 44 -

자발성문제 상황에 극 으로 처하고 자신의 내 동기에 의해 필요한 아이디

어를 산출하려는 성향이나 태도

요소 의미

문제의 발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찾아내는 능력

문제의 명료화여러 가지의 창출된 문제들로부터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하여 명확하게 진술하는 능력

해결 안의 탐색문제를 해결하기 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합한 기 을 세워

아이디어를 평가함으로써 최 의 해결안을 선택하는 능력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선택한 해결 안을 실제로 실에 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능력

요소 의미

경청 공감타인의 생각과 감정 정서에 한 정확한 이해를 해 경청하고 공감하는

능력

이해 반응타인과의 상호작용 내용에 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기 한 하고 정확

한 반응 표 능력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정보 수집분석평가정보 수집은 정보를 이용하고 활용하기 하여 기록 장하는 행 이며 정

보 분석 평가는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사용하는 행 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논리 체계

창의 사고과정을 거쳐 가치로운 지식의 창출과 산출물을 창안해 내는 고등정신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3gt 문제해결능력의 요소와 의미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상황에 합한 언어와 비언어 형태들을 사용하는 능력으로

화자의 말뜻을 이해하고 어떤 개념 아이디어를 정확한 형태로 나타내는 능력과 사회

맥락에 알맞게 나타내는 능력까지를 포함하는 언어 형태 이상의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4gt 의사소통능력의 요소와 의미

정보처리능력은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하고 필요한 정

보를 발견하여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5gt 정보처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5 -

정보 달 공유 정보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와의 공유 행 능력

정보 활용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효율 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모든 방법 인 능력

정보 윤리 정보에 한 근 활용에 있어 사회 책무성으로서의 윤리 행 능력

요소 의미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집단 내 혹은 개인 간 계에서 자신의 이익과 요구에 반하거나 자신이 원

하지 않는 방향으로 일들이 진행될 때 참아내는 능력

정서 표 능력자신의 정서에 하여 분명하게 악하고 그 정서를 건강하게 외부로 표출

하는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개인이 타인과의 동을 통해 소기의 목 을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상호 간에 정 인 계를 유지하는 능력

갈등 조정 해결인 계에서 필수 으로 직면하게 되는 집단 간 혹은 집단 내 개인 간의

갈등을 의미 있고 건설 으로 해결하는 능력

요소 의미

자아 정체성 자신의 흥미 성 장 을 발견하고 이를 가치롭게 발 시키는 능력

정 사고(태도) 모든 상을 정 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마음가짐

실행력 수행해야 할 업무를 열정 으로 추진하는 능력

기본생활태도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기본 인 생활습 태도를 형성하기

기 학습능력 읽기 쓰기 셈하기 등과 같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변화하는 상황에 처하기 해 학습자 스스스의 학습 역량을 지속 으로

계발하는 자세

여가 선용 주어진 시간을 잘 활용하여 유익하게 놀 아는 능력

건강 리 생활에 필요한 체력을 보존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능력

인 계능력은 개인이 다른 개인을 하는 보편 인 심리 지향성으로 개인의 내

특성과 외 행동 간의 계를 의미한다

lt표 Ⅴ-6gt 인 계능력의 요소와 의미

자기 리능력은 자신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해 수행에 필요한 자기 자신의 능력

자질을 지속 으로 계발 리하고 장기 인 비 을 갖는 능력

lt표 Ⅴ-7gt 자기 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6 -

요소 의미

공동체 의식자신이 속한 공동체 는 그 구성원에 해 귀속의식이나 유 감을 갖고 공

동체의 유지 발 을 하여 공동체의 이익을 시하는 태도와 가치

신뢰감 책무성개인 기 사회에 한 신뢰감을 형성하고 사회 역할과 의무를 수행

하는 능력

민주 생활 방식상 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토 에서 타 과 상을 통하여 민주 차

를 거쳐 합리 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법정신공공의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기 해 만들어진 법이나 사회 규범을 수하

려는 의식

환경 의식환경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해 자신의 가치 소비습 생활방식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자 문화 계승 발 우리나라의 문화를 깊이있게 이해하고 계승 발 하는 창조 태도

다문화 이해 다원화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 용 존 하는 능력

외국어 소양 국제화 사회의 상호 소통에 요구되는 외국어 문해 능력

문화 감수성 술 문화에 한 감각을 넓히고 그 자체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진로 인식 진로 선택에 필요한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

진로 탐색 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탐색하는 능력

시민의식은 국가와 개인의 계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민주시

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가치 을 의미한다

lt표 Ⅴ-8gt 시민의식의 요소와 의미

국제 감각은 국제화 사회의 상호 작용에 요구되는 다양한 문화 언어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 변화에 능동 으로 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9gt 국제 감각의 요소와 의미

진로 개발 능력은 자신의 성과 소질에 부합하는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능력을 뜻한다

lt표 Ⅴ-10gt 진로 개발 능력의 요소와 의미

- 47 -

진로 개척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을

비하는 능력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

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연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

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결론에 신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어떻게 작동 혹

은 연계될 수 있는지에 해 시론 수 에서 논의27)하고 향후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 시키는 방안이다 즉 핵심 역

량 기반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정하

고자 할 때 가장 먼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기르고자 하는 인간 특성

을 명확히 하는 일이다 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인간형을 설정하고 이러

한 인간형을 달성하기 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은 교육과정 개발 혹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요한 작업이다(박순경 2005 66-67)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추구

하는 인간상 교육 목표는 학교 교육을 통해 달성 되어야 할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포 으로 담고 있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교 내외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을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들을 의미한다 이 에서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28)으로 참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시

에서 설정하는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27) 이는 핵심 역량의 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구성반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되

며 그 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존재 할 수 있다

28) 인간상은 교육목표와 불가분의 계에 있다 교육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에 기 하여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은 결국 인간상 설정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 까지 인간상 설정의 자원에

해서는 이론 논의가 활발하지는 않다 이로 인해 인간상 설정이 몇몇 선언 주장에 의해 결정되는 맹

을 지닐 수도 있다 역사 으로 볼 때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 인간상 혹은 바람직한 인간상들이 소개 되

었으나 이에 해서는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 다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 명시된 홍익인간의

이념은 인간상으로서 비과학 이라는 지 도 있으나 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포 인 교육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의 인간상도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해야 할

인간의 모습이기는 하지만 미래 사회에의 부합하는가 정말로 타당한가 실효성이 있는가 하는 지 들이 문

가들에 의해 언 되었다(손 호 1998 34)

- 48 -

이 무엇이며 이러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 어떤 교육 목표 혹은 능력을 기를 것인가

를 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인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는 미래사회에 당면하

는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하는 핵심 역량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할 경우 지나치게 학교

교육의 유용성 측면을 강조하는 외재 목 즉 개인의 성공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실

잠재 능력 개발 공동체 의식 등과 같은 교육의 내재 목 이 상 으로 소홀하게

취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귀납 방법

과 연역 방법을 동시에 견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귀납 방법은 학습자가 갖추어

야 할 능력을 설정한 후 그것들에 기 하여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을 말

하며 연역 방법은 미래사회에 어떤 인간을 양성해야 하는가 라는 제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능력을 도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교육 인

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개인 측면과 사회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컨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공동체 발 에 기여하는 사람 자기주도

인 사람 더불어 소통하는 사람 등으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된 국민 공통 기

본 교육과정에 핵심 역량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

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여 3개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

사결정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의 제는 행 국민공통 교육과정 편성운 의 실효성

을 비롯한 국가 교육과정 틀 속에 핵심 역량을 설정했을 경우의 기 효과29) 평가의

문제 등과 같은 교육과정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다 외국의 경우 핵심 역량을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교과교육과 연계시키는

토 로 삼고 있다 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해 계발해야 할 핵심 기능을 6가지

로 제시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역량 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lsquo범교육과정

역량rsquo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 lsquo교과 역rsquo을 설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인 것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교과 지식을 가르치되 그것을 통

하여 미래 사회의 삶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제고30)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29) 시 에서 행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외국 사례의 경우 핵심 역량 기반 교육의 성과에

한 정보가 없다는 을 감안하여 장기 으로 신 하게 근될 필요가 있다

30) 지 까지의 학교의 교과 교육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길러 주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종래의 교과 교육에서

- 49 -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은 lsquo교과 목표 설정에 핵심 역량을 반 하는 방

안rsquo lsquo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하는 방안rsquo lsquo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rsquo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재 교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교과 목표를 핵심 역량과 련하여 재진술 혹은

재구조화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교과별 교육 목 목표31)에 이미 제시되어 있는

역량과 련된 진술 혹은 내용들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컨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는 교과 목표로 ldquo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사고력과 창의

문제 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 이고 과학 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 소양을 기른다rdquo로 진술되어 있다 여기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

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은 실 으로 어렵다 교

과의 성격 가치 등과 같은 각 교과의 정체성32)을 고려해야 하며 교과교육 문가의

문 식견과 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핵심역량 기반 교과 목표의 설정이 가능

하다는 가정이 성립된다면 우선 으로 행의 교과목표를 재해석하는 작업과 함께 규

명된 핵심 역량을 어떤 교과에서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논의들이 심도 있게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핵심 역량을 교육내용의 선정조직에 반 하는 것이다 즉 해당 교과의 내용

체계표에 련 핵심 역량을 제시하는 방안이다

lt표 Ⅵ-1gt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의 연계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 방안( 시)

단원 핵심 역량 00과 교과 내용

1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A

B

C

2 000 능력 000 능력

3 000 능력 000 능력

4 000 능력 000 능력

도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와 련된 교육 목표를 설정해 왔으며 그

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해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해왔다 다만 학교 교육에서 자료 정보로 구성된 명제 지

식을 강조한 나머지 핵심 역량이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에서 학교 교육의 유용성에 한 문제 제기

는 가능하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수행과 무 한 lsquo지식 교육rsquo을 해왔다는 그간의 지 과 무 하지 않다

31) 교과목 목표의 설정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과 연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과교육목표 설정의 근간은 상 개념인 인간상 학교 별 교육목표에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상 교육

목표에 제시된 것들을 보다 구체 으로 교과 교육에서 추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총론과 교과교육과정과

의 연계성 문제는 교육과정사를 볼 때 일정 부분 쟁 이 되어 왔다

32) 이 에 있어서 교과별로 일 된 형식과 내용으로 핵심 역량 기반 교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차후 검토의

상이 된다

- 50 -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원에서 A B C 라는 교육내용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내용 선

정조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방안들이 강구될 수 있다 컨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교 별 학년별로 요구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을 수

별로 혹은 계 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학교 별 학년별로 핵심역량과 련된 교육내

용을 화하여 통합 으로 구성함으로써 교과 지식에 담긴 외연과 내연을 심화하는

학습을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정화 할 수 있다

셋째 재의 교과 틀 내에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재 국가 교육과정에 존재하는 교과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교수학습 장면에서 국가 교

육과정 교과 교육 목표에 제시한 핵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컨 사회과에서 핵심 역량으로서 lsquo시민의식rsquo의 하 요소로 설정된 사회 참여 능력을

효율 으로 제고하는데 유용한 토론 발표 등과 같은 교수학습 상황을 개한다 이러

한 근 방식은 기존의 교과 교육에서도 개되고 있는 방식으로 교과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제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교 보수 이면서 소극 인 연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비록 소극 인 방법이기는 하나 교육목표 교육 내용의 성격(

인지 정의 심동 측면)에 부합한 수업 략을 구 함으로써 핵심 역량에서 지향

하는 lsquo수행rsquo의 측면을 제고하는 장 을 지닌다

국의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의 제시방식은 핵심역량을 교과 내용과 련하여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해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한다 국의 경우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구성 체제(성격목표내용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과정 맨 뒤에 부록으로 핵심역량(key skills 의사소통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

의 응용능력 타인과의 동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lt표 Ⅵ-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 방식의 (생물 교과)

방안 련 단원 주제 시 해당 단원

토론 1 2 3 4 5 6

복제기술 사용과 련된 윤리 사회 문제 1

인간 게놈 로젝트의 의미 1

산림 벌채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향 3

식품과 음료 산업에의 미생물의 활용 4

유 공학의 활용 5

발표 1 2 4

생태계에서의 에 지의 순환 1

실험실 문화(안 련 쟁 ) 2

심장 질환의 원인 4

독서와

요약2 3 5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 6

극한과 극서 상황에서의 유기체의 용 2 3

화학 돌연 변이 물질의 향 5

쓰기 2 3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에 한 종합 에세이 6

흡연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향 2 6

지구 온난화에 한 신문 기사 3

- 51 -

표에서와 같이 각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각 교과에서 련되는 단원

을 제시하고 있다 각 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주제의 를 제시하고 제시된 주제

를 다룰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 내용과 련된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구 함으로써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화 될 수 있는 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량 심으로 교과 교육을 재구조화하다 보면 교과 교육을 통하여 우리가

무엇을 가르쳐 왔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과 교육을 통하여 그동

안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지 못했는지도 알게 되는 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 하고자 할 경우 가장 선결되어

야 할 과제는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rsquo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이다 주지하다시

피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한 교육의 질 리와 학교 교육의 책

무성 강화를 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 수 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미

국은 NCLB정책에 따라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2003년부터 매년 학

력향상을 한 학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도리(여유) 교육을 지양하고 기

학력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상당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에서 본다면 학교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증진 기 학력강화

학업성취도 향상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양립될 수 있는가 하는 이다 핵심 역량의 성

격과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지필형 검사로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편성운 의 성공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등학교와 학교에 비해 상 으로 학입시를 비하는 고등학교의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 은 실 으로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핵심 역량을 실질 으로 측정평가하는 교육과정 평가 질 리 체제의 도

입을 신 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거시 으로 국가 교육과정 평가라는 체의 틀 속

에서 질 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미시 으로는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핵심 역량의 요소 에서는 그 성격상

학업성취도를 통해 평가 가능한 것이 있고 그 지 않은 요소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심 역량 에서 학습자의 내 자질인 태도( 시민의식)를 강조하는

정의 측면은 내면화와 련된 것으로 가시 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며 실제 교수학

습장면에서 가르치기도 어려우며 지필형 검사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는가라는 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체 인 방향은 인 교육과 핵심 인재 양성 측

면에서 근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이 을 마치고자 한다 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

가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 52 -

참 고 문 헌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2006) 미래 사회의 도 한국교육 무엇을 비해야 하는가 학제 개편 토론회 자료

집 7-21

경상남도교육청(2008)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Ⅱ) - 국- 창원 경상남도교육청

교육 신 원회(2007) 학습 사회 실 을 한 「미래교육비 과 략(안)」공청회 자

료집 서울 교육 신 원회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 ldquo미래 사

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rdquo

김 철 외 (1996) 한국교육 비 202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안나 외 (2003)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

(Ⅱ)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진모(2001) 기업의 인 자원 개발을 한 역량 심의 교육과정 설계 직업교육연구

20(2)

김종인(2005) 역량에 한 새로운 정의와 인 자원개발에의 용 가능성 탐색 「임

연구」2005년 가을호

박순경(2008) 교육과정 선진화 개 방안 제3차 워크 자료(미간행 회의 자료)

소경희(2006) ldquo학교교육에서 lsquo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 시사rdquo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회 발표 자료집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 -역량 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17(4)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

구 24(3) 39-59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연구(Ⅰ)

연구보고 RR 2002-19

유 숙 외(2004)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 안 연구

(Ⅲ)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윤 진 외(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설정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 연구보고 RRC 2007-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53 -

이정표(2004) 성인의 직업기 능력 로그램 실태 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홍민김종인(2003) 핵심 역량 핵심 인재-인 자원 핵심 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서울 리드 출

인성교육정책자문 원회(1998) 21세기 한국인상 정립을 한 세미나 자료집

임동욱 외 3(2004 3) 국회사무처의 의정 지원을 한 핵심 역량의 요도 분석 한국정

책과학학회보 8(1) 135-158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133

정미라 외(2007) 유아기 핵심 역량 표 설정을 한 기 연구 인 자원개발정책

연구 2007-6 서울 교육인 자원부

정철 외(2000)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향상방안 신구 학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기본연구 98-7 서울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 연(2006) 평생교육과 인 자원개발의 계 고찰-북미 련 문헌을 심으로 평생교

육학연구 12(4) 1-17

진미석 외(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 개발 연구 정책연구개발사업

2007-공모-30 서울 교육인 자원부

최항섭(2007) 미래연구방법론 KISDI 이슈리포트 서울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홍후조(2006) 국가교육과정 안 분석 연구 정책연구 2006-02 서울 교육 신 원회

인 자원개발기본법(법률 제6713호)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

등교육법

고등교육법

Hamel G amp Prahalad C K(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79-93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QCA(2006) The curriculum QCA Looks forward

Rychen D S(2004) Key Competencies for all an overarching conceptual frame of

r e f e r en ce (h t tp www un a l e d u c od ira ca dcomp e ten c ia sKey

Competencespdf)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8) 민병모 외 역 핵심 역량 모델의 개

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

- 54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홍후조(고려 학교)

Ⅰ 핵심 역량의 근원 혹은 작용하는 터

핵심 역량을 열거할 때 요한 것 하나는 어디에서 어떤 장면에서 그것을 추출할

것이냐이다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 추출 장면에서 포 성과 배타성이 지켜지지 않으면

매우 복잡하거나 균형이 잡히지 않은 핵심 역량을 추출하거나 열거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발표문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나라의 교육목표에 나타난 핵심 역량을 분류하기

해 마련한 거인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정보처리능력

자기 리능력 시민의식 기 학습능력 직업 비능력 상황 처능력 심미 감수성 다

문화이해 환경의식 등은 나열 순서나 포함하는 범 나 언명하는 차원이 제각각이다 마

찬가지로 설문조사를 하기 해 열거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

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

문화 이해 능력 직업 소양 등도 여 히 차원 범 분량 수 이 제각각이다 이 에

서 본 연구는 추출 장면을 더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이 어디서 나온 것이

며 어디에 무엇하는데 쓰이는 것이며 구의 구를 한 것인지에 한 숙고가 더 필

요하다 이런 것을 제 로 확인하지 않고 핵심역량을 여러 나라나 연구에서 공통 으로

지 한다고 하여 본 연구는 이를 종합하여 나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토론자가 보기에 핵심 역량은 (1) 개인의 지정의체지덕체의 균형 측면 련 (2)

학습자로서 학습하는 장면 집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개인의 (3) 일상 생활인이나 가족

의 성원으로서 생활 장면 (4) 경제 직업인으로서 생활 장면 (5) 정치 시민으로서

생활 장면 (6) 지역 사회 국가 사회 지구 사회의 공동체 유지와 발 과 련된 장면

등에 터하여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도 일정한 근거를 가지는 셈이라고 본다 더 인

다면 재까지 여러 나라들이 상정한(추출한) 핵심 역량들도 (1) 개인의 인 성장(자

기 리) (2) 학습자로서 필요한 능력(기 학습 정보처리) (3) 집단의 성원으로서 필요한

능력( 인 계 상황 처 창의력 의사소통 문제해결) (4) 공동체의 유지와 발 에 필요

- 55 -

한 능력(시민의식 친환경 다문화)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이것들은 교육의 목표 추출

역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 교육과정 으로 보면 핵심 역량은 (1) 학문과 교과 련 핵심 역량(교과 공통과

교과 특수) (2) 학습자 개인 련 핵심 역량(지덕체지정의체) (3) 사회(경제 직업 정

치 시민 등)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별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열거한 핵심 역량을

이런 거에 따라 구분하면 (1) 자기 리능력은 학습자 개인 련 핵심역량으로 (2) 기

학습능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등은 교과학습 련 핵

심역량으로 (3) 인 계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 이해 능력 직

업 소양은 사회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과학 개념이나 활동을

두부 모 자르듯 할 수는 없지만 복잡한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는 있

다 (1) 자아 련 핵심 역량 자기 리력(건강체력의지감정시간) 자기존 감 술

심미성 진로개척능력(자활 선택과 비) 등 (2) 학습 련 핵심 역량 기 문해력 수리

력 정보처리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문제해결력(비 력과 창의력 논리 사고력과 경험

실증력 추리력 분석력과 종합력) 등 (3) 타인 련 핵심 역량 의사소통능력 인 계

능력( 동 타인 존 과 배려 용 공감) 등 (4) 사회 련 핵심 역량 직업수행능력(지식과

기술 태도 자격과 면허) 기획력 실행력(실천력) 교섭력 조직화능력 민주시민소양(권리 참여

의무 다양한 가치 수용 지속가능한 발 성찰 사고와 행동) 세계시민소양(다문화 응력)

등으로 나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 본 연구에서는 포 성과 함께 배타성을 견지하기

하여 핵심역량이 추출되는 장면과 근원에 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 기존의 핵심

역량들이 그것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해 추가 인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핵심 역량이 결국 쓰이는 곳에 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ldquo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핵심 역량은]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을 견지한다rdquo 핵심 역

량이 주로 사회인의 직무 수행과 련된 것으로 정의되어왔으나 연구진은 직장 업무와

함께 학교 학습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학교교육이 단기 으로

는 상 학습을 한 능력을 비하는 것이고 장기 으로 사회의 직업 업무 수행을

한 비라고 할 때 이 핵심 역량은 (1) 학업을 한 것과 (2) 직업을 한 것으로 나

수 있다

- 56 -

Ⅱ 교육에서 핵심 역량이 요청되는 이유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 왜 새삼스럽게 무엇 때문에 핵심역량이 문제가

되는가에 한 반성 고찰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본다 발표 에서는 OECD 국가들

이 핵심역량으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옮아가기 때문에 우리도 이를 받아들이는 것으

로 취 하는 편이다 토론자는 우리 교육이 교과 심의 그것도 청각과 시각 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데서 오는 한계에서 우리 교육은 핵심역량을 담아내는 교육 로그램

이 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교과 과잉 교과 학습이 제 특성을 잃고 동소이하게 가르

쳐지고 배우고 한 시험이 치러지는 상을 극복하기 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 안으

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 교육은 교과 지식 과잉과 시험 과잉의 극복이 요청된

다 교과 지식 일변도가 아니라 교과 아닌 것들도 개인 으로 유의미하고 사회 으로

한 것이 지 않기 때문이다 분과화된 교과의 분 지식과 내용으로는 미래 사

회에 처할 수 없다 창의 문제해결력 통합 인 에서 쟁 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

청된다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지식과 기술은 가시 이고 교육을 통해 변화 확

인 가능한 것이지만 동기 특성 자아 등은 비가시 이고 가르치고 배우기도 어렵다

교육을 통해 ldquo건강한 자기 존 감(healthy self-esteem)을 기른다는 핀란드의 교육은 핵

심역량을 기르는 것에 근 해 있다 인의 형성과 같은 교육 본래의 역할이 지식과 기

능 인 것 특히 정보와 지식에 치우치는 것을 넘어 실제 인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기 하여 핵심 역량은 학교교육에서 더 강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핵심 역량은 상

으로 생활력 사회 역량 할 수 있는 능력 체화된 역량 장에서 발 되는 암묵

지 략과 기술 등의 개발과 계되기 때문이다 핵심 역량을 기르는 목 은 통합 실

무 능력을 익 서 유능하고 경쟁력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는 교과와 교과외의 통합 교육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

으로 구성되는 균형 추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내용은 체로 (1) 지식(교

과) (2) 기능 과정 (3) 태도 가치 인식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한 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해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다 그러나

이것들 우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을 제외하고 기능 과정과 태도의 역은 상

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 습득과 능력 구비의 균형 추구 지식 기

능 태도 사회성의 균형 추구 개인 자본의 형성과 확 와 사회 자본의 형성과

확 의 균형과 조화 추구 역량 가치 태도의 교육을 소홀히 않는 교육과정 설계가 필

- 57 -

요하기 때문에 핵심 역량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Ⅲ 핵심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 역

핵심 역량을 기름에 있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져야할 부분과 일상생활이나 직업생활

을 통해서 길러져야할 부분에 한 구분이 필요하다 세 연구기 이 공동연구를 행하는

취지를 달성하기 해서도 역할분담은 필요하다 직능원에서 직업생활에 필요한 것 평

생교육진흥원에서 평생학습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드러낸다면 평가원은 학교교육

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 개발에 더 치 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등 lsquo학교rsquo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기존 교과(학습 역)나 특별활동 등 학교교육 체를 통해 달성해야할 모든

역량을 핵심역량이 망라하거나 교과나 특별활동에 의해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역들이 잘 못하거나 무 심한 부분에 한정하여 핵심역량을 달성할 방안을 모색

해야할 것이다 특히 교과와의 계에서 교과로 달성 가능한 것 부분 으로 달성되는

것 달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정도를 나 어서 교과로 () 달성되지 못하는 핵

심역량을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에서 달성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학교교육을 통해 달성할 핵심 역량을 규명해가다 보면 이미 여러 교과를 통해서

혹은 특별활동이나 창의 재량활동 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잘 하고 있는 것을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것을 확인하고 기존에 잘 달성해오던 핵심 역량은

그 로 두고 기존 교과나 다른 활동을 통해서 길러지지 못하고 있으나 단기 으로 학

교교육 장기 최종 으로 직업교육에 꼭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

를 길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핵심 역량에 한 포 성

배타성 높은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여 열거해주는 일도 요하지만 더 요한

것은 기존 학교교육에서는 잘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요하다 즉 각 교과는 나름 로 핵심역량들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그리고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도 나름 로 핵심 역량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

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교과나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서도 제 로 길러지지 못하

고 소홀히 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이며 그런 핵심 역량은 어떻게 길러질 수 있는지 확인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58 -

Ⅳ 각론 교육과정의 구성 역

ldquo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는 3개

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필요하다rdquo 과연 교과 이외의 활동을 복

수(複數)로 더 나 는 것이 바람직한가 각론을 구성하는 역들은 교과 재량 특활이

지만 재량이나 특활은 교과에 려서 차 미미한 비 에 머물고 있다 이 게 보았을

때 2원 구조로 가거나 3원 구조로 갈 때 필요한 것은 확실한 역할 분담을 찾는 일이다

핵심역량이 기존의 것들과 이름이 다르다고 하여 새로운 축으로 들어앉힐 수는 없을 것

이다 그 게 되면 옥상옥이 되고 창의 재량활동 꼴이 될 것이다 앞서 언 한 로

교과로써는 잘 달성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선무이다 교과와 교과외 활동을

구분하고 핵심역량과 창의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역할을 구분하는 논리 정지작

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것들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역이나 활동을 확인하여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역의 분할 문제는 2원 체제(교과 vs 교과 아닌 것특별활동)

이거나 3원 체제[교과(지식gt역량gt태도) 통합 역량(역량gt태도gt지식) 특활(태도gt역량gt

지식)]이면 충분할 것이다 비 도 얼마 되지 않는데 4원 체제를 언 하는 것은 주의를

요한다 달성할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배워야 할 핵심 교과 혹은 학습 역(key

learning areas)과 추구할 핵심 가치와 태도(key values and attitudes)와 연계되어 검토

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각각을 가장 잘 달성할 것 같은 교육 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 요하다 교과와 별도로 길러야할 핵심역량을 정하고 이에 맞는

cross-curricular theme을 정하고 어떤 로그램 혹은 integrated programsactivities을

통해서 integrated goals을 달성하도록 길을 여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 가 어디까지인지 잘 알지 못하지만 해당 핵심 역량을 어느 시기에서

기르는 것이 가장 한지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학년군별로 어떤 핵심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한 것인지에 한 확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학년군에 모든

역에서 모든 핵심 역량을 고루 기른다고 하면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

문이다

- 59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I 들어가며

이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

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다

이 을 읽으면서 가장 궁 했던 것은 새로 규명하는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 어떻

게 국가 교육과정에 흡수되어 학생들이 지 까지와는 달리 학교에서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을 어떻게 실질 으로 배워나갈 수 있는가 다 즉 발제문의 마지막 문장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답을 기 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는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 구체 인 교육과정 구성 등에 한 속

시원한 답을 얻지는 못했다

토론문은 결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방안을

심으로 작성하 고 그 외에 의견이나 의문 등을 간단히 정리했다

II 발제 원고에 한 의견

1 미래 사회의 특징

연구에 앞서 진단한 lt표 1-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의 내용은 우리에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 으로 공통 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여기에 한국인만이 직

면하고 있는 lsquo분단rsquo과 lsquo통일rsquo 요소가 빠져있는 듯하다 남북 계는 한국의 미래를 결정

- 60 -

하는 요한 변수로 재 lsquo분단rsquo으로 생기는 사회 문화 정치 경제 요소가 고려되어

야 하고 lsquo통일rsquo 이후의 변화 요소에 한 가상 미래사회 시나리오도 동시에 연구

되어야 할 매우 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 국가 간 핵심 역량 교육과정 련 문서 표 비교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서 국

외와 국내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국외는 핵심 역량의 항목이 비교 구체 이어서 교

육과정과의 연계가 쉽게 상상이 되는데 비해 국내는 추상 인 표 이 많아 실질 교육

과정과의 연계가 어렵다 국내 연구도 최근에 가까울수록 특히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의 경우는 단히 구체 이어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해가 쉽다

- OECD DeSeCo 2002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 뉴질랜드 2007 자기 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참여 공헌

- 호주 빅토리아주 2007 건강과 체육 정보통신기술 디자인 창의성 공학

- 캐나다 퀘백주 2001 환경의식 건강과 참살이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 곽병선 2001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동작업능력

- 교육 신 원회 2007 동과 사 갈등 리 술 문화의 감성 등

이러한 흐름은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lt표 Ⅲ-1gt과 lt표 Ⅲ-6gt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요

인 가운데 시민의식 항목을 뉴질랜드와 한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뉴질랜드 한국

교육비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 구성원 되기

국제사회 시민 되기

자국의 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바지

폭넓은 교양

핵심기능

공동체에 극 참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 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 문화 물리 경제 환경의 지속 가능

성에 공헌하기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 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 61 -

3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의 결과는 역이나 요소가 상당 부분 구체화된 경향이

보인다 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은 lsquo문제의 발견rsquo lsquo문제의 명료화 rsquo해결 안의 탐색lsquo rsquo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lsquo으로 36쪽의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의 문제해결 항목의 교육목 이 lsquo문제해결력rsquo 한 단어 던 것에

비해 단계 으로 요소가 나뉘었다

그러나 42쪽의 lsquo시민의식rsquo과 lsquo국제 감각rsquo의 요소는 여 히 추상 인 의미의 로 표

된 듯하다 시민의식은 lsquo공동체 의식rsquo lsquo신뢰감 책무성rsquo lsquo민주 생활방식rsquo 법정신

환경 의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감각은 lsquo자 문화 계승 발 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외

국어 소양rsquo lsquo문화 감수성rsquo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

이 은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작동 혹은 연계되는 것과 련해서 3가지 과

제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시키는 방안

이다 이는 이미 lsquo홍익인간rsquo 등의 설정이 있었다 다만 사회가 변화하면서 사회에 합한

인간상이나 교육목표로 바 는 수순을 밟고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핵심 역량은 교

육과정의 한 요소라기보다 교육과정 반을 통해 계발해야 할 총체 역량인 듯 하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 이다 lt표 VI-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방식의 와 같이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

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발제문 50쪽에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이 실

으로 어렵다고 했지만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

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해결책이라는 을 주목한다

면 어쩌면 연구자 입장에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야 할 작업일 것이다

이 경우 행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체제는 획기 인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행

의 일률 평가로는 핵심 역량을 평가할 수가 없으므로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비해야

할 것이다 수 별 평가 보다 범 한 수행 평가 교사별 평가 등 다양하면서도 구체

인 평가방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발제문 5쪽의 인 역량 개념을 정리한 하버드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

- 62 -

(McClelland)의 논문 lsquo지능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rsquo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

서 실제의 성과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

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elland 1973)는 연구결과

도 있다

III 나오며

최근 많은 학부모들이 왜 학교는 애들에게 세상살이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공부 즉

쓸데없는 공부를 많이 주입시키면서 시험을 한 시험을 보는지에 해 고민하면서 외

국학교와의 비교를 자주 한다

lsquo세계화 시 rsquo lsquo다원화 시 rsquo lsquo지식 정보화시 rsquo 등 세상에서 요구하는 것은 많이 바

는데 학교는 요지부동인 것이 많이 못마땅하다 새벽부터 밤까지 무엇을 한 공부인지

생각할 겨를 없이 무조건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도 지친다

책임자가 바뀔 때마다 교육은 바 어왔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 해오고 있지만 실질

으로 바 것은 많지 않다

이번 연구가 미래사회의 교육 핵심역량을 추출해서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주목 이었지만 결론에서 제안한 교육과정과까지 실

질 연계되는 단계로 연구가 발 하여 학교가 새로운 미래사회가 필요한 인재를 육성

하고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발 이 되기를 희망한다

- 63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정철 (서울 학교)

핵심 역량과 련하여 국내외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등 주요 선진 국가에서는 오래 부터 개인이 갖추어야 할 역

량이 무엇인가에 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연구 결과 이러한 역량을 Key

competency Core skill Common skill Basic skill Transferable skill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말 그 로 가장 요한 핵심(Key 는 Core)이 되거나 공통 으로 요구되는

(Common)이 되는 역량 기본이 되거나(Basic) 이도가 높은(Transferable) 능력을 말함

우리나라에서는 ldquo핵심역량rdquo ldquo생애능력rdquo ldquo직업기 능력rdquo ldquo기 직업능력rdquo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다면 미래 사회에서 인간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 (common)으로 요구되고

핵(key core)이 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그 핵심역량을 어떻게 등학교에서 교육

하고 육성할 것인가에 한 이 연구는 매우 요하며 시의 하다 이 요한 연구와

련하여 토론자로써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사항과 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Ⅰ 연구 제목과 련하여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rdquo은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

는 핵심 역량rdquo으로 이해 될 수도 있고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

량rdquo으로도 이해 될 수 있다 그런데 원고의 내용을 볼 때 이 연구는 ldquo 등학교 교

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이라고 단됨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제목을 수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 64 -

Ⅱ 선행 연구 고찰과 련하여

핵심역량 ( 는 직업기 능력)과 련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

었다(lt표 Ⅱ-1gt 참조)

유사 역군

국가 원회 명명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리

능력

자원활용능력

인계

력능력

정보의처리

활용능력

기술지식의용

능력

문화이해능력

기타

미국

SCANS1)

workplace know-how

ASTD2)

workplace basics

Michigan employment skills

New York basic skills

NAS3)

core competencies 12)

FEU4) core skills 13)

CBI5)

core skills 14)

NCC6)

core skills 15)

GNVQs7) core skills

호주

Karmel 원회 general competencies

Finn 원회 key competencies

Mayer 원회 key competencies

뉴질

랜드

CICAQ8)

generic skills

NZPC9)

generic skills 16)

교육부 generic skills 17)

CICAQ10)

generic skills

독일 PETRA11)

core skills

주 1) SCANS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2) 사회경제 연구능력

2) 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3) 산업 사회 환경에 한 연구능력

3) NA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4) 일의 세계와 국제사회에 한 이해능력

4) FEU Further Education Unit 15) 외국어능력

5) CBI Confederation of British Industry 16) 상업 경 능력

6) NCC National Curriculum Council 17) 신체능력

7) GNVQs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8) CICAQ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9) NZPC New Zealand Planning Council

10)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11) PERTRA ProjEct and Transfer oriented tRAining

자료 정철 (2008 8) 문 학에서의 직업기 능력 개발 문 학소식 103호 한국 문 학교육 의회 p 13

lt표 Ⅱ-1gt 선진 외국의 핵심 역량 ( 는 직업기 능력)의 역에 한 연구 종합

- 65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6년 교육개 원회에서 련 정책이 제안된 이후 1997년부

터 그 역과 요소에 한 논의와 연구가 교육부( 재의 교육과학기술부)를 심으로

본격 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노동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년에는 인문사회연구소 산하 국책연구기 에서 공동으로 많은 연구가 동시 다발 으로

수행되고 있음 따라서 이론 고찰에서 이러한 연구의 동향과 내용에 한 보다 심도

있는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Ⅲ 핵심 역량 추출 방법과 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등학교 교육 련자( 등학교 교사와 교육 학 사범 학 교수)를 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rdquo이라면

핵심 역량의 추출을 하여 재 등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하지만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인 경우에

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이 경우에는 핵심 역량이 무엇을 한 핵심 역량이며 어디서 필요한 핵심 역량

인가 요하다 등학교 시 에 수행해야 해야 하는 역할을 성공 으로 행하기

한 역량이라고 볼 수 도 있고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필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도 있

음 일반 으로 핵심역량은 후자를 일컬으며 연구자도 ldquo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rdquo 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을 추출하기 해서는 련 문가 학자 특히 산업 장의

리자 재직자 직업 직업교육 문가 미래학자 등을 주 상으로 조사하여 그 요

소들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학교 장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반 되고 있는가에 해서는 재 재직 이

신 선생님들과 련 학 교수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안)과 련하여

이 연구의 V장에서는 등학교를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안)이 제시되어 있는

- 66 -

데 연구자께서는 ldquo문헌 분석(선행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rdquo라고 하고 있지

만 구체 으로 핵심역량이 어떻게 추출되고 9개 역으로 묶여졌으며 9개 각 하 요

소들은 어떻게 구분되어 제시되었는지에 한 명확한 기 이나 구체 인 방법에 한

설명이 없다

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이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것과는 어떻게

다르며 차별화 되는지 그 차이의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지에 한 설명과 논의가 필요

하다 이와 련하여 몇 가지 세부 인 의문 사항을 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외국어 소양을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로 하고 있으

나 이 연구에서는 ldquo국제감각rdquo의 하 요소 구분하고 있음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는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 ldquo다양한 상호작용기

술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rdquo이라고 되어 있는데 의사소통능력에서 요한 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표

능력은 제시되어 있지 않음 한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은 다른 차원

의 분류가 아닌지( 를 들면 이해의 한 가지 방법이 경청은 아닌지)

윤리와 련해서는 ldquo직업윤리 ( 는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rdquo ldquo시민윤

리rdquo 등도 요한데 ldquo정보윤리rdquo만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음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는 다른 역량에 비하여 무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특히 하 요소로 제시된 학습능력은 기 학습능력과 자기주도 학

습능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다른 요소에 비하여 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일반 으로 사고기능( 는 사고력)은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창의력의 하 요소로 구분되어 있음

리더십은 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 계의 하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

구에서는 리더십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 등등

Ⅴ 연구 범 추후 연구와 련하여

이 연구의 범 를 등학교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의 추출에 국한 할 것인

가 아니면 핵심역량의 추출은 물론 그러한 역량들이 재 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한 실태 특히 교육과정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 되어

- 67 -

있고 교육방법으로는 어떻게 실시되고 있으며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한 사항들도 포함해야 할지가 요한 사안이다 자는 기본 제가 되고 후자는

등학교 장에서 더욱 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자의 내용을 정확히 추출하

고 이를 기 로 앞으로라도 후자가 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고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다 한

재의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의 개편 는 신설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고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히 선택 용하

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등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핵심 역량의 요성에 해서는

쉽게 합의가 도출되겠지만 그러한 요소들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지 특히 이와

련하여 교과의 명칭 는 내용을 어떻게 개편할 지에 해서는 각 교과 담당자의 이

해 계가 상충되므로 매우 어려울 것으로 견된다 따라서 각 교과 이해 계자들의 이

해와 수용을 어떻게 이끌어 내서 교육과정에 반 할 것인지 그리고 핵심역량과 련하

여 교사들이 올바르게 교육방법을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

지에 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Ⅵ 세미나 주제와 련하여

본 세미나의 주제는 ldquo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dquo이며 제1

주제는 등학교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제2주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제3주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제를

이와 같이 3개의 주제로 나 면 복해서 다루어야 하는 부분도 있고 다루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한 상호 주제간의 연 성이 모호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1)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지를 먼 구명하고 (2) 다음

으로 그러한 능력을 등학교 학교 평생학습기 기업 산업 장에서는 어

떻게 육성할 것인지를 다루고 (3) 마지막으로 이를 하여 이러한 기 간의 교육과정

의 편성 운 상의 역할 분담 연계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법 제도 으로 지원

할 것인지에 한 주제로 나 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단된다

쉽지 않은 방 한 주제에 하여 일목요연하게 자료를 정리하고 발표하신 연구자께

감사를 표하며 오늘의 토론이 앞으로의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토론을 마치고자 한다

- 68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6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방법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Ⅲ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4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결과 요약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추출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Ⅴ 결론 논의

참고문헌

- 70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7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구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변되는 격한 사회 변화 속에 개인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을 하고 사회의 지속 인 발 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어떠한 자질

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 한 국가 경쟁력의 핵심 인 요소가 그 나라 국민이 가진 역량이

라고 보고 각 국가는 그 나라의 국민의 역량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직업훈련의 강화와 교육체제를 개편하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고 있다

(OECD 2003 2005)

직업생활에 있어 주어진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인 직업능력은

크게 직업기 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기 능력은 직업능력의 하

구성요소로서 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 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고 직무수행능력은 특정 직종 는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

행하는 데 필요한 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정철 외 1998) 사

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살아가기 하여 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는 에서 핵심 역량에 한 논의는 바로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와 크게 구별되지 않

는다 모든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서의 직업기 능력의 부분의 요소들

은 그것이 단지 직업 생활이라는 맥락에서만 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생활

사회 참여자로서의 생활 가정 구성원으로서의 생활 등 삶이 모든 국면에 이가 가능

한 핵심 능력이다 따라서 포 인 의미에서의 핵심 역량과 직업기 능력은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

직업기 능력은 어로는 key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core skills basic skills

generic skills 등 다양한 용어로 표 되어 왔다 직업기 능력의 개념과 련하여 주의할

사항은 직업기 능력에서 lsquo기 rsquo라는 표 이 낮은 수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이

되고 공통이 된다는 이며 그것이 요청되는 수 은 직업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철 외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정철 나승일서우석송병국이종성이 수행한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에 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와 련된 많은

연구가 재까지 진행되었다 직업기 능력을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정

철 서우석나승일송병국강경종 2000a 정철 서우석이길순 2000b 정철

- 72 -

나승일김종우허 2001 박동열 2006)에 한 연구 직업능력인증제 혹은 국가

자격표 개발과 련하여 직업기 능력이 논의된 연구(이동임 외 2000 조정윤박종

성김상진 2002 나승일장석민서우석김진모이성 2003) 직업기 능력을 측정하

고자 한 연구(진미석이수 송창용 2007)가 있으며 2008년 재에도 몇 개의 연구가

진행 이다

많은 국내외 연구가 재까지 축 되었으나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무엇인가에

한 정설은 없는 가운데 재까지는 정철 외가 1998년에 제시한 하 요소가 많은 연

구에서 기본 틀로 활용되고 있으며 암묵 으로 하나의 기 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1998년도에 수행된 것으로서 시 에서 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하 역

요소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 은 직업기 능력에 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목 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표 하 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체하거나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자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하

고 있는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추출된 역량들은 최종 으로 종합

되어 향후 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 된다

2 연구 방법

가 역량 추출 방법 선정 근거

Weinhert(2001)에 따르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기본 으로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주목하여 역량을 추

출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규범 근은 직업세계에서 성공 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은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경험 근

에서도 성공의 기 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규범 요소가 포함된다는 에서 볼 때 가치

단 요소를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것은 규범 인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

며 따라서 보는 에 따라서 요하게 여기는 역량이 다를 수 있다 결국 구의 의견

이 반 된 규범인가 라는 것이 건이 될 것이다 논란을 피하는 가장 안 한 방법은 많

- 73 -

은 사람이 동의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할 경우 후보로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배제되는 역량이 있

을 것이다 다른 방법은 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 이 조사이다 그러나 충분한

사 논의나 숙의 과정이 없이 진행되는 델 이 조사를 통하여 수렴된 의견이 얼마나 설

득력이 있을 것인지에 해서 여 히 의문이 남게 된다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추출은 그것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따라서 합

의의 범 와 차가 달리 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 자격제도 운 과 같이

국가 수 에서의 정책 반 을 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결정하고자 한다

면 국가 수 에서 합의 차를 밟는 것이 요청된다

규모 설문조사와 델 이 조사가 가질 수 있는 한계에 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 즉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는 등의 실증 데이터 수집과정을 거치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기존에 국내에서 수행

된 표 인 연구 결과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데 을 맞추고자 한다 국내에서

표 으로 인정되고 있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하 요소와 가장 최근에 델 이 조사

를 통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선정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본

연구의 역량 추출의 출발 으로 삼고자 한다

나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련된 다양한 자료 분석

기존에 성실하게 수행된 연구 결과를 비 으로 검토하기 해서는 일정한 안목과 근

거가 요청된다 이를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 속에 나타나 있는 단서들

을 찾아서 분석하 다 그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국내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강조되는 특성 분석

- 국내 기업 직원 교육 로그램에 반 된 핵심 역량 분석

- OECD 직무요구분석(Job Requirement Analysis)에서 제시된 스킬 분석

- 산업별 직업 연구에서 제시된 기 직무능력 분석

다 주요 구인에 한 이론 논의 검토

선행 연구에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각 구인에 하여 충

분한 이론 논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험 자료에 기 하여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명이 설정되고 델 이 조사에 의하여 역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일정

- 74 -

한 임의성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비 하는 것 역시 임의성으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규모 실증 조사나 델 이 조사 근거가 없다는 에서 임

의 이라는 비 을 받을 가능성은 오히려 더 크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개선하기 보다

는 임의 기 에 의해서 비틀어 놓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험을 피하기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 요소를 변경하거나 역의 명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그 구인에 한 심리학 논의들을 최 한 참고하고자 하 다

라 문가 의회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단되는 하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개입되는 임의성을 최 한 배제하기 하여 련된 연구를 수행한 문가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반 하고자 하 다

[그림 Ⅰ-2] 직업기 능력 하 요소 추출 과정

- 75 -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가 역량의 개념

지난 수십 년 간 역량은 그 모호한 개념 속에서 학문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맥락 속

에서 매우 유행하는 용어가 되었으며 일종의 개념 ldquo인 이션rdquo이 일어남으로써 다

양한 의미가 추가되어 왔다 competence 즉 역량은 웹스터 사 에 ldquofitness 는

ability로 정의되어 있으며 비슷한 말로 capability capacity efficiency

proficiency skill이 제시되어있다 역량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나33) 공통 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특정한 목 에 도달하기 하여 필요한 능력

의 체계로 해석되고 있다 역량은 개인 성향(dispositions)에 용되거나 한 사회 혹은

집단 수 에서의 그러한 성향의 분포를 논하는 경우도 있다 역량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이는 사람들과 련됨과 동시에 매우 변하는 사회에서 박하게

요구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하여 개인이 반드시 가져야 할 학습 성향을 포함한다

(Weinert 2001)

스펜서(Spencer amp Spencer 1993)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보고 이는 지식 기술

자아개념 동기 등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한상근최동선정윤경(2006)은 역량의 개

념에 한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아래 lt표 Ⅱ-1gt과 같이 검토한 후에 역량의 구성 요

소는 지식 기술 태도라고 보았다 여기서의 지식이란 작업을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개념 원리 체계화된 이론이며 스킬이란 해당 작업 수행을 한 구체 인 차와 방법

에 따라 작업에 용해서 기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태도는 직무

33) 역량이라는 용어는 1920년 과학 리의 창시자로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 인 구성요소로 나 것

을 제안하면서 역량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 다 한 2차 세계 심리학자인 flanagan(1954)이 요사

건면 기법(critical incident interview)을 통해서 업무 사건 기 요 문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 하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lsquo성공 인 수행과 련된 결정 특질(trait)이나 기술

(skill) 등을 악하려고 시도하 다 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리랜

드(McClleland)로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

데 을 맞추었다(윤 진 김 이 우 제철 2007)

- 76 -

수행에 한 개인 차원의 행동 정서 인지 역에서의 비 상태 는 반응

경향성을 의미한다

lt표 Ⅱ-1gt 역량에 한 정의

한국직업

능력개발

원(1999)

Norton Robert E

(1999)

정철 외

(1998)

L G인화

(2004)

P a r r t

S c o t t

B(1998)

임 창 희

(2003)

Spencer

amp

Spencer

(1993)

McLagan

(1989)

박 우 성

(2002)

강순회 외

(2002)

황 욱

외(2004)

어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mpetency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석능력 성취 능력 직업능력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핵심역량 핵심역량

어떤 직종

에서 직무

를 성공

으로 수행

하는데

으 로

필요한 지

식 기능

태도 가치

등을 모

두 포 함

주어진 직

업의 과업

을 수행하

기 해 요

구되는 지

식 기술

태도의 성

개인이 주

어진 직업

의 과정을

효과 으로

그리고 능

률 으 로

수행할 수

있을 때 소

유하고 있

는 능력

주어진 직무

를 성공 으

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능력

의 총체

성과를 가

져오는 행

한 개인의

직무 (역할

는 책임)

수행에 큰

향을 미

치고 업무

성과와

련되며 공

인된 표

에 의해 측

정될 수 있

고 훈련과

개발을 통

해 향상될

수 있는 지

식 스킬

특 성 들 의

통합된 형

조직에 커

다란 업

을 실 하

는 사람이

지속 으로

소 지 하 고

있는 내

인 특성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

행의 원인

이 되는 개

인의 내

인 특성

고성과(고품

질)를 내는

데 필수

인 개인

능력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우

수한 성과

를 내게 하

는 원인 되

는 개인의

내 특질

조직에서 요

구하는 공통

역량(기본

역량)과 개인

의 특수직무

나 역할에서

요구하는 차

별화 역량(

문 역량) 의

직무를 성

공 으 로

수 행 하 기

한 핵심

능력

-지식

-기능

-태도

-가치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경험

-지식

-기술

-태도

-가치

-지식

-스킬

-특성

-지식

-스킬

-자아개념

-특질

-동기

-지식

-기술

-자기개념

-특질

-동기

-물리

로세스

-내면

로세스

-인지

로세스

- 범 한

사업(산업)

지식

- 문가

지식

-필요경력

-필요능력

-직업기

능력

-직무수행

능력

-공통역량

-기능역량

-직무역량

-필수 역량

-차별화 역량

자료 한상근 정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 77 -

나 일반 세분화된 인지역량 핵심 역량 메타역량

Weinert(2001)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활용되는 다양한 측면을 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일반 인지 역량) 역특수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메타역량(meta competencies) 등으로 구별

하여 제시하 다

1) 일반 인지 역량과 세분화된 인지역량

일반 인지 역량(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다양한 역에서 요구되

는 과제를 수행하기 하여 사용되는 모든 지 자원들을 포 하는 개념이다 일반

지 능력을 강조하는 근의 시 는 지능에 한 심리측정 근 정보처리 모델 인

지 발달에 한 피아제의 이론이 이에 속한다 심리측정에서 보는 일반지능은 목

행 한 추론 성공 인 학습 환경과의 효과 인 통합을 하여 인지 으로 요구

되는 능력을 지칭한다 한편 정보처리 근 이론에서 지능 는 일반 역량은 다양한 수

많은 지식과 스킬을 획득하게 하는 정보처리 기제로서 이해된다 피아제는 일반 인지

역량을 가정하기는 하 으나 그의 이론에서는 심리학 으로 조직된 응과정이 보다 핵

심 인 개념이다 즉 보편 발달 과정을 통하여 더 유연하며 추상 인 지식과 행

동 역량을 갖게 되고 따라서 구체 인 환경에 보다 잘 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분화된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특정한 역에서

과제를 잘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인지 선결 조건을 의미한다 컨 체스 이

피아노 연주 자동차 운 기계 문제해결 등의 과제를 하여 필요한 인지 능력이다

세부 역과 련된 인지 역량에 한 근은 특정 분야에서 문가가 되기 한 요건

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2) 핵심 역량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최근의 교육 사회 정책에서 매우 선호되고 있는

개념이다 학교 는 직업 생활에서 획득한 역량은 특수한 상황( 컨 특정 교과 혹은

특정 회사의 특정 직무)과 연계되어 학습되고 활용되었으나 생의 과정과 련된

부분의 활동들은 다양한 사회 직업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에

응하기 하여 다양한 기 혹은 조직에서 다른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동일하게 효율

일 수 있도록 맥락 는 상황과 어느 정도 독립 인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모색하

게 되었다

- 78 -

핵심 역량 개념이 매혹 인 이유는 이는 매우 다기능 이며 학문 역을 넘나드는

역량으로서 많은 요한 목표를 성취하며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낯선 상황에 응하

는데 유용하다는 이다 많은 교사와 정치인들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살아가기 하여

필요한 많은 역량들을 교육하기 하여 과 하게 복잡하게 구성된 교육과정이 몇 개의

제한 인 핵심 역량 심으로 축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 하고 있다

3) 메타 역량

메타 역량(meta competencies)은 역량에 한 역량을 의미한다 메타(meta)는 인식론

상에서 ldquo자신의 범주에 한rdquo이라는 의미로서 를 들어 메타 지식(meta knowledge)이

란 자신이 아는 것에 한 지식을 의미하며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에 한 데이터를 의

미한다( 키피디아) 동일한 맥락을 용할 때 메타 역량이란 바로 역량에 한 역량으

로서 자신이 어떠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할 수 있는가를

단할 수 있는 역량이 바로 메타 역량인 것임(Weinert 2001)

다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국제 력에 기 하여 수행된 연구인 DeSeCo 로젝트에서

는 lsquo역량(competence)rsquo이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첫째 역량에 하여

기능 인 근(functional approach)을 활용하고 있다 기본 으로 DeSeCo 로젝트

(Rychen amp Salganik 2003)에서는 역량을 lsquo인지 비인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

사회 특성(psychosocial prerequisites)을 활성화(mobilization)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

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 으로 응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둘째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내 구조(internal structure)를 강조한

다 요구지향 인 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단순히 lsquo~을 할 수 있는 능력rsquo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써의 내 정신 구조(internal

mental structure)로 개념화된다고 설명한다 즉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하여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 능력(분석 비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능

력 등)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으로 역량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DeSeCo 로젝트에서는 역량의 총체 이며 역동 인 근을 추구한다 즉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

( 는 내 정신 구조)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 79 -

라 직업기 능력

역량과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삶의 역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인가라

는 에서 논의되고 있다면 직업기 능력은 그 에서 특히 직업생활에서 공통 으

로 필요한 역량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에서 굳이 구분하자면 상 으로 좁은 개념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량에 한 논의가 애 에 직업 생활과 련하여 출발하 으며 따라서 그것

이 처음 논의된 1920년에는 굳이 vocational 는 occupational이라는 표 을 skill 는

occupation 앞에 추가할 필요가 없었다 은연 에 역량과 핵심 역량이라는 논의는 직업

생활과 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의 개념을 직업 생활을 넘어선 삶의

역으로 확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 히 직업 생활과 련하여

요구되는 핵심 능력에 한 논의에서도 occupational 는 vocational이라는 수식어가

없이 skills 는 competencies로서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

로 체하여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가 미국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의 직업기 능력

미국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실제 산업

장에서 높은 수 의 직무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에 을

두고 조사한 결과 lt표 Ⅱ-2gt와 같이 8가지의 직업기 능력을 제시하 다 여기서 직업

기 능력은 3 역의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과 5개 직무 장능력(five

competencies)으로 구분된다 기본능력이란 읽기 쓰기 수리 능력 등의 ①lsquo기 능력rsquo과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② lsquo사고력rsquo 그리고 책임감 자존감 등의 ③ lsquo개

인 자질rsquo이다 5개 직무 장능력이란 ① lsquo자원활용능력rsquo ②lsquo 인 계능력rsquo ③lsquo정보

처리능력rsquo ④lsquo시스템능력rsquo ⑤ lsquo기술활용능력rsquo으로 구성된다

- 80 -

lt표 Ⅱ-2gt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 능력

직무현장능력(five competencies)

자원활용능력(resources)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시스템능력(systems)

기술활용능력(technology)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능력

①팀원으로 참가 ②타인에게 새로운 기술 전수③고객 기대 만족 ④지도력 발휘⑤상호 합의 도출⑥다양한 배경의 사람과 같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①정보 습득평가②자료 조직유지③정보 해석교환④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조직적 기술적 체제(system)를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능력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

기초능력(basic skills)

사고력(thinking skills)

개인적 자질(personal qualities)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수리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 능력 심미적 사물 관찰 능력 학습능력 합리적 사고력

책임감 자존감 사회성 자기관리능력성실정직

자료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의 직업기 능력

미국의 훈련과 개발담당자들의 학술 장 문가들의 모임인 ASTD는 미국의 노동

부가 공동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에 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첫 연구는 1986년

에 시작되어 30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고용주들을 상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

이 무엇인지를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 기 하여 1988년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라는 보고서를 통해 7개 분야 16개 항목의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 다 연구에 의해 ASTD는 직업기 능력을 lt표 Ⅱ-3gt에서와

같이 기 능력(foundation skill 학습능력) 역량(competence 읽기 쓰기 셈하기) 의사

소통능력 (communication skill 말하기 듣기) 응력 (adaptability 창의 사고 문제

해결) 개인 리능력 (personal management 자존감 동기부여 목표설정 피고용능력

진로개발) 집단 효과성 (group effectiveness 인 계능력 상 워크) 그리고

향력 (influence 조직유효성 리더십)으로 구분하 다

1999년에는 다시 Rothwell 등을 심으로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모

형(WLP model)을 제시하 으며 여기서는 6 가지 역량군(분석 역량 기술 역량 리

더 역량 비즈니스 역량 인 계 역량 정보기술활용 역량) 총 52개 세부 역량을 제시

하 다 2004년에는 Bernthal이 통합 인 새로운 역량 모형을 제시하 는데 이는 비즈

- 81 -

1999 ASTD Model 2004 ASTD Model

sect 분석 역량 문제해결에 필요한 방법을 찾기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요구를 악해내는 역량

sect 비즈니스 역량 조직의 체계와 운 과정

의사결정기 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개인과 집단 사이의 효과 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량

sect 리더 역량 다른 사람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리더로서의 역량

sect 기술 역량 습득한 지식과 기술 활용

차를 이해하고 용하는 능력

sect 정보기술활용 역량 재와 미래의 에 지

통신 기술에 한 한 이해와 용능력

sect 비즈니스 리 역량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구를 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에

하여 략 으로 사고하는 경 수행

리에 요구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효율 계 형성 유지에 필요한 역량

sect 개인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개인 능력

sect 문 활동 역 학습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9가지의 구체 기술 문 기능과 능력

lt표 Ⅱ-3gt ASTD의 역량 모델 비교

니스 리 역량군 인 계 역량군 개인 역량군을 기반으로 문성 역을 더함으로

써 인 자원개발 문가가 수행해야하는 역할과 역량 등을 하나의 통합된 피라미드형

시스템으로 제시하 다(한 상김소 김민 2008) 장 문가들의 의견을 설문조

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검토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2004 ASTD

역량 모형에서는 3개의 기 역량과 9개의 문 활동 역 그리고 4개의 업무 학습과 수

행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서 기 역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 계역량

(Interpersonal) 비즈니스 리역량(BusinessManagement) 개인역량(Personal)이 있다

1999년 WLP모형이 역할별로 부합되는 역량들을 논리 으로 제시한 것과는 달리

2004년 모형은 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2004년 모델은 논리 개념 분리는 명확하지 않

지만 장 합성이 더 있다는 에서 차별화된다

자료 한 상김소 김민 (2008)

다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부르 사회연구조사기 (Infratest Burke Sozialforschung)이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에

해 1997년 12월에서 1998년 1월 사이에 시행한 약 500명의 교육 문가들을 상으로

한 『델 이 교육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독일의 교육 문가들은 2020년경의 교육제도

에서는 여러 교육부문에서 lt표 Ⅱ-4gt와 같은 핵심 직업기 능력들이 요한 치를 가

- 82 -

(순 와 수비율의 평균가)

핵심 직업 능력학교

일반교육직업훈련 고등교육

기술 방법론 학습 능력

(technic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

1순

(238)

2순

(226)

2순

(217)

특정 부문 련 능력

(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

6순

(147)

1순

(258)

1순

(280)

심리사회 능력

(Psychosocial skills)

2순

(236)

3순

(216)

4순

(189)

외국어 능력

(foreign language skills)

3순

(230)

4순

(184)

3순

(191)

매체 활용 능력

(Media Competence)

4순

(161)

5순

(157)

6순

(138)

다국가의 문화 이해능력

(Intercultural skill)

5순

(148)

6순

(123)

5순

(146)

기타 능력

(other types of skills)

7순

(039)

7순

(038)

7순

(039)출처 이영현(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4gt 2020년도의 개별 직업능력의 요성

질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학교교육에서 가장 요한 것은 기술 방법론 학습 능

력이며 그 다음이 심리사회 능력 외국어 능력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

련과 고등교육분야에서 핵심 직업기 능력들 에서 lsquo특정 부문 련 능력rsquo이 높게 평가

되었음 이는 특정 부문 련 능력의 습득이 여러 분야를 가로지르는 훈련

(cross-sectional training)의 습득과 긴 한 연 을 갖기 때문에 고등교육의 반에 용

되며 특히 다른 기능과의 연결성을 가지고 특정 부문 련 능력을 가르칠 것이 요구되

고 있는 직업훈련에 용됨(이 1999)

라 ONet에서 제시한 Skills

ONet은 미국의 종합직업정보망으로서 각 직업별 정보를 총망라함과 동시에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여 각 개인의 특성에 합한 직업을 안내하고 있다 ONET의 내용 모형

은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 경험 요건

(experience requirements) 직업 요건(occupational requirements) 직업-특수 요건

(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 직업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의 6 가지 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ONet에서 제시한 스킬의 역 하 요소는 다음 표와 같다

- 83 -

구분 역 하 능력

기 능력

내용 능력읽고 이해하기 극 듣기 쓰기 말하기

수학 과학

과정 능력비 사고 능동 학습 학습 략 모니터

이 가능한

능력

사회 능력지각력 조 설득력 상력 교수 서비스

지향성

문제해결 능력

문제 확인 정보수집 정보조직 종합 재구

성 아이디어 산출 아이디어 평가 실행계획

해결책 평가

기술 능력

작동분석 기술설계 장비선택 설치 로그

래 테스트

작동 모니터링 작동과 조정 생산품 조사 장

비유지 문제해결 수리

시스템 능력비 시스템 인지 결과 인식 주요원인 단

단과 의사결정 시스템 평가

자원 리 능력시간 리 재정자원 리 물 자원 리 인

자원 리

lt표 Ⅱ-5gt ONET이 제시한 skills 역과 하 능력

료 행박가열(2003) 한 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 한 고 정보원

마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핵심 역량을 추출을 하여 국제 동 연구로 수행된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을 규정하는 3가지의 일반 인 기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첫째 반 으로 성공 인 삶과 기능 인 사회(well-functioning society)를

하여 개인 middot사회 수 에서 높은 가치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이 개념은

개인의 인 사회 자본 경제 그리고 사회 으로 잘 사는 것(well-being)과 일치하

는 개념이다 둘째 다양한 상황에서 요하고 복잡한 요구나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구

인(instrumental) 역량이다 개인들은 매우 다른 역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잘 기능하거

나 성공 인 수행을 해 다른 역 는 특정 역할에서 역량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DeSeCo에서 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상황의 넓은 스펙트럼에서 개인 사회 으로

요한 요구들에 처하기 한 도구에 한 역량이다 셋째 모든 개인에게 요한 역

량이다 이것은 선천 인 능력보다는 학습된 기술에 엘리트에 국한되기 보다는 모든 사

람들에게 유용한 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해 필요한 역량에 을 둔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 에 터하여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핵심역량을 ①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use tools interactively) ②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③ 자율 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등의 세 가지 범

- 84 -

주로 구분하고 있다

역 요한 이유 핵심역량

1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Use tools interactively

기술 변화에 응

개인 목 에 맞게 변화 유

세상과 극 으로 화

1-a 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b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c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기

2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다원화된 사회에서 다양하게

응하기 함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2-a 타인과 계를 잘 맺음

2-b 력할 수 있는 능력

2-c 갈등을 리하고 해결

3 자율 으로 행동하기

Act autonomously

정체감을 악하고 목표를 수

권리를 찾고 의무를 수행

환경과 그것의 작동 원리를

이해

3-a 큰 맥락 안에서 행동

3-b 생애계획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김

3-c 권리 이익 한계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

자료 임언(2006) 기초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중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lt표 Ⅱ-6gt DeSeCo 로젝트에서 추출한 생애핵심역량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가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가 추출한 직업기 능력

정철 외(1998)는 직업기 능력에 계된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근로자와

고용주를 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 다

문헌 검토를 통하여 총 6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근로자 706명과

고용주 82명을 상으로 장조사를 실시하여 평균 350이상으로 응답한 52개의 능력을

추출하고 이 자료의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역을 구성하 으며 연구진회의와 문가

의회를 거쳐 최종 으로 9개 역으로 구성된 57개 직업기 능력을 확정하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으로 확정된 9개의 직업기 능력 역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

제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이며 하 요소는 lt표 Ⅱ-7gt과 같다

2003년 나승일 외는 노동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표

- 85 -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 외국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기 연산능력 기 통계능력 도표분석능

력 도표작성능력

문제해결능력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

자원활용능력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

력 자원할당능력

시간자원 리능력 산 리능력 물 자

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인 계능력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웍능력 리더쉽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

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능력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조직이해능력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

력 업무이해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lt표 Ⅱ-7gt 정철 외(1998)와 나승일 외(2003)가 제시한 하 역

개발 연구에서 정철 이 제시한 기 을 소폭으로 수정하 다 9개 역은 그 로 유지하

되 하 요소의 표 이 변경되거나 일부 요소가 삭제되고 추가되었으며 직업윤리라는

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나 진미석 외(2003) 학생 직업기 능력

진미석 외(2007)는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구축을 한 연구에서 선행

- 86 -

상 요소 평가 역 평가요소

인지

요소

(A)

A1 의사소통

(Communication)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listening amp comprehension)

효과 인 의사 달 발표(conversation amp presentation)

토론과 재

A2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Resource)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Information)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9quantitative reasoning and

data analysis)

A3 종합 사고력

(Higher-order thinking

skills)

비 사고력(critical thinking)

문제인식 해결(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논리 사고력(analytical reasoning)

A4 로벌 역량

(Global Competen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Understanding heterogeneous

amp diverse culture)

비인지

요소

(B)

B1 인 계 력

(Interpersoal amp

cooperative skills)

력(work with diversity teamwork)

리더십(leadership)

조직에 한 이해(system thinking)

B2 자기 리

(Self-management)

자기 주도 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목표 지향 계획수립능력(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시민의식(personal social civic responsibility)

정서 자기조 (emotion self-control)

자료 진미석 외 (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8gt 학생 직업기 능력 평가 역

연구 분석을 통하여 6개 역 19개 평가요소로 구성된 학생 직업기 능력 시안을 작

성하 으며 이를 문가 델 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 다 학생 직업기

능력의 6개 역은 의사소통 자원middot정보middot기술의 처리 활용 종합 사고력 로벌 역

량 인 계 력 자기 리이며 하 요소는 다음의 lt표 Ⅱ-8gt에 제시된 것과 같다

- 87 -

Ⅲ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 핵심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이 장에서는 직업 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반 될 것으로 단되는 자료들을 수집

하여 검토하 다 주요 기업에서 사원 선발 과정에서 용하는 기 이 무엇이며 재직자

에 한 교육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검토하 으며

아울러 산업별 직업 연구의 결과로서 자산업 보건의료산업 고령친화산업 재직자들

이 인식하고 있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추가로 검토하 다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기업에서 사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한 기 이 되는 것은 그 개인이 입직 후 직

업생활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이며 기업은 최선을 다하여 다양한 방법

을 통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 역량에 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

서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가 주요 기업의 인재 선발 차

이병욱(2007)에 의하면 주요 기업들의 입사 희망자에 한 평가는 서류 형 rarr 시험

rarr 인middot 성 검사 rarr 면 의 순으로 진행되며 면 을 가장 시한다 기업들은 입사 희

망자의 어학 학교 성 으로 기본 자질을 단하고 인성middot 성 검사를 통해 가치

직무능력을 악하며 최종 문인 면 에서는 응시자의 능력 자실 소양 태도 가치

을 종합 검하고 자신의 견해를 얼마나 논리 이며 설득력 있게 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기업의 인재선발도 과거의 수치화 정형화된 단편 방식에서 다면화 다양화

된 방식을 채용하고 객 이고 계량화 가능한 것을 강조하던 것에서 잠재 인 측면을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서류 형은 공별로 학교 성 어학 수를 기 으로 선발(통상 기업 필요인력

의 3~5배 규모)하며 그 밖에 외국 경험 사회활동 자격증 등 개별 특기사항은 가 을

주거나 면 시 참조한다 시험은 어학시험 주이며 TOEIC 성 미 제출자를 상으

- 88 -

로 실시한다 인middot 성 검사는 거의 모든 기업이 시행하고 있으며 면 시 기 자료로

활용일부 기업은 특정 유형의 인성 일정 수 이하의 성 결과에 해서는 채용 상

에서 배제된다

구분1단계

(서류 형)

2단계

(직무 성)

3단계

(인성기술면 )

4단계

(신체검사)

5단계

(최종합격)

평가요소

학 (CL)

어학(가 )

자격증(가 )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지각력

실무감성능력

기본인성

개인자질

공지식

활용성

건강검진각 단계별 통과

여부로 단함

비고

학 의 경우

Cut-Line통과여

부만 단

문제해결 능력

학습능력

극성 창의성

성실도 문지

식 등 단

결격 사유만 변

각 단계별 성

은 독립 으로

작용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

원부

lt표 Ⅲ-1gt 형단계별 평가요소

나 주요 기업에서 사용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하 요소

1) 공직 성검사 (PSAT)

공직 성검사는 공직 격성을 측정하고자 1차 시험에서 이루어지는 지필시험으로

이 시험에 통과한 사람은 2차 시험에서 문 인 지식을 측정하는 검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검사는 리자로서 필요한 일반 성과 공직 련 성을 측정

한다 한 재 직무에 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인지 인 문제해결능력 환경 응

인 상황 단력과 같은 리자로서 필요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되었다

공직 성검사는 언어능력 자료해석능력 상황 단능력 상식의 4가지 역으로 구성

되어있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은 통 인 지능이론 최근에 Gardner(1983)의 다

지능이론에서 제안된 7개 역 언어 능력 논리 수리능력의 개념과 Sternberg(1985)

의 실용 지능에 근거하여 실무와 련된 역을 추출하 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

이 일반 인 학습능력이라면 상황 단능력과 상식은 실생활 는 업무와 련의 학습

능력에 련된 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해 직에서 2-3년 된 고시

출신 공직자 52명에게 직무조사를 실시하여 개발하 다 공직 성검사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아래 lt표 Ⅲ-2gt과 같다

- 89 -

하 요인 평가 사항

어 공인어학성 으로 체 가능

언어논리

40문항

어휘 의 주요내용 악 체 인 내용이해 자의 핵심주장 논지 악

표 개요구성 문단 조직화 고쳐 쓰기를 통한 의 완성

추론주어진 로 새로운 정보 이끌어내기 논리 흐름 악을 통해 들어나지 않는 결

론 결말 악하기

비 의 논증구조 분석 타당성 일 성 련성에 의해 논증의 설득력 평가

상황 단

40문항

이해제시된 상황의 주요 쟁 문제 이해 주어진 개념을 새로운 상황이나 구체

사례에 용할 수 있는 능력

추론 분석상황을 안으로 설정하기 한 주요요인 추론 여러 형태의 안 비교 분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문제해결을 한 안설정 안의 실행 략 유추 결과 측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한 안 평가 기 설정 비교 평가하여 합리 안을 선택하는

능력

자료해석

40문항

이해 제시된 표 그래 의 의미 악

용 주어진 개념 방법 차 원리를 주어진 장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분석주어진 자료를 분해하여 구성요소간의 계와 조직원리 발견 amp 자료의 외

상에 잠재된 아이디어 조직원리 찾아내는 능력

종합평가여러 부분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체 구성하는 능력 주어진 결론은 도출하

기 한 차 단 자료 통합하여 논지를 검증하는 능력

자료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권 2호

2) 삼성 직무 성검사 (SSAT)

삼성직무 성검사는 기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나 어 평가가 진행되며 외국

어 직무 련 특수자격 등은 평가 시 우 를 받는다 SSAT는 단편 인 지식보다는 어떠

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보다 더 요하다는 단에

따라 1995년 하반기 사원 공채부터 학력제한을 철폐함에 따라 공 어 제2외국어

등의 입사필기시험을 폐지하고 간 보다는 능력 획일성보다는 개성이 존 되는 열린

채용의 실천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에서 어는 토익이나 토 의 공인어학성

으로 체된다

SSAT는 기 지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구성된다 기 지 능력검사는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공간 지각력 지각 속도력 등의 5가지 항목검사를 통해 삼성이 지향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 지 능력을 종합 으로 평가한다 문제의 난이도는 고졸

실력이면 구나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문항 수에 비해 시간이 부족한 능력검사이다 직

무능력검사는 업무능력 인 계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상식 등 실제로 기업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업무와 련된 시나리오와 각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행동 안들이 제기되어 응답자는 제시된 상황을 읽고 빠르고 정확하게 단

하여 각 안에 처할 수 있는 형식의 문제로 구성된다 일반 인 상식과 개념을 뛰어

넘는 독창 이고 주 인 단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lt표 Ⅲ-2gt 공직 성검사 하 요인

- 90 -

인성검사는 정서 인 측면 즉 정신건강 컨 정서 안정성 감정통제력 민감성

신경질경향 기분성 자책성 등을 평가한다

하 요인 평가사항(특이사항)

기 지 능력

AI

(Academic

Intelligence)

직무능력검사

PI

(Practical

Intelligence)

언어 역 어휘능력 문장이해력 문장구성력

수리 역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 해석

추리 역 언어 추리 수열 문자추리 도형 추리

지각능력 공간지각 지각정확성 속도 형태지각

창의력 수식 만들기 등식 메우기 가정세우기 그림완성 등

시사상식

정보화 능력 국제화 능

력 직장 사회 경

제 경 상식원활한 조직 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을 하기

해서 업무처리 인 계 사회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상식과 실제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각 상황에서 어떻게 응하

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구성됨상황 단능력

차계획능력 분석종합

능력 상황 평가능력

상황 처능력

성격검사 인성검사 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자료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2008) 한국고시회

lt표 Ⅲ-3gt 삼성직무 성검사 하 요인

지 까지 검토한 공직자와 근로자의 선발에 필요한 성검사에서 포함하고 있는 하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의 lt표 Ⅲ-4gt와 같다 부분의 성 검사에는 언어능력과 수

리능력 공간지각능력 상황 단력과 같은 일반 인 학습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근

로자를 선발하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추가 인 직무 련 지식을 측정하고 있다

- 91 -

직무 성검사

인성검사 어 창의력 기타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상황 단

공직 성

검사

어휘 표

추론 비-

이해 추론 분석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

- - - 자료해석

삼성

SSAT

어휘

문장이해

문장구성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해석

공간지각 상식 상황 단 추리력 성격검사 - 창의력지각정확성

속도

SK언어논리

유추 추리

응용계산

수 추리공간지각 단력 상황 단력 인성검사 G-TELP 창의력 한자능력

CJ어휘

문장이해

산술추론

계산

수리 패턴

공간지각BJI TEST BJI TEST

- - -

두산언어I

언어II수리능력 공간지각 -

정서역량

인성검사

- -기계이해

한자능력

LG CNS 언어추론 수리추론공간추론

도식추론- 인성검사 - - -

국민

은행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추리능력 인성검사 - -

논술

융상식

신한

은행

언어 유추

추리

응용

계산력수추

공간지각단력

상황 단력인성검사 - 창의력 지각정확성

lt표 Ⅲ-4gt 공직 표 기업의 인사 선발 성검사 하 요인

다 면 시험

면 시험은 모든 기업에서 가장 시되며 개인의 인성 자질 능력 조직과의 융화

문지식 등을 종합 으로 검토한다 장임원 면 과 기업 표 면 등 두 차례에

걸친 면 이 주를 이루나 일부 기업은 선배직원의 면 젠테이션 면 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수시채용 확산으로 기업 표임원 면 (1회)만을 실시하는 기업

도 증가하고 있다 면 방식은 주어진 주제에 해 응시자에게 의사결정을 하게 함으

로써 결론 도달 능력 가치 등을 악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주어진 주제에 한

의견 피력은 문제(질문)핵심 악 창의력과 문지식을 이용한 의견의 논리화 마지막

으로 설득력 있는 설명과 안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이병욱 2007)

- 92 -

단계별 면 내용 실시기업

1 선배직원 면 多 多 면 워크 사회성 개인태도 성향 검

젠테이션 면삼성 SK 삼보

2 장임원 면 多 多 면직무 합성 업무수행능력 개인지식 Skill

심 검

삼성 SK 한진

한화 두산 삼보

3 표임원 면 多 一 면인성(태도 성격 직업의식 조직 응력

융화)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등을 검全기업

多對多 면접 다수의 면접관(4~5인)이 다수의 응시자(2~8인)를 면접

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lt표 Ⅲ-5gt 기업의 단계별 면 내용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인 자원개발은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동기부여를 향상시켜 가치 있는 미래 조직의

구성원으로 만들기 한 장기 인 과정이다 인 자원개발에는 훈련뿐만 아니라 경력

그리고 다른 경험들까지도 포함된다 기업교육활동은 조직 환경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개인의 학습 니즈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업교육활동을 통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에서는 권 (1998)이 기업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심으로 기업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을 살펴보았다

가 호 MBA 과정

호 MBA 과정은 그룹임직원들에게 문경 지식의 습득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변

하는 기업환경에 능동 으로 처할 수 있는 응력을 배양하고 이를 통해 그룹의 양

질 성장의 균형을 도모하기 해 개설되었다 교육과목은 경 학 반 인 개론

각론과 체육활동 교양특강 컴퓨터 실습 등이 포함된다

호 MBA의 교육효과에 해 과정을 이수한 임직원들은 기업의 환경변화 인식능력

과 미래지향 업무자세가 가장 두드러진 교육효과로 지 했고 그 이외에도 경 반

에 한 통합 이해능력 업무 추진할 때 다양한 이론의 종합능력 자기 개발능력

호인으로서 자 심 고양 경 이론의 습득 성취의욕 고양 의사결정능력 등의 항목에

있어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호 MBA 교육과정은 체로 직무 련

지식 습득에 을 두고 있어 모든 기업에서 일반 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악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93 -

나 삼성물산 건설부문 장소장 교육과정

삼성 물산 인력개발 에서는 교육이 경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우선

인 육성시스템 구축 상을 장소장으로 정하 다 이를 해 우수한 장소장이

재 수행하는 과업(Task)과 그 과업에 련된 능력(Competency)을 악하고 미래의 장

운 에 필요한 능력을 악하기 한 조사도 실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

소장의 능력을 한 단계 상승시키기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다 S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S가 은 기존 리 리사원의 욕구와 가치 등의 심리 특성을 악하고 이에

맞는 체계 이고 실 인 제안능력을 개발하기 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리

리사원의 업무 특성상 인간행동에 한 이해와 제안기술 인 계 능력이 매우

요시 된다 따라서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다음 lt표 Ⅲ

-6gt은 S가 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부사항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 리사원은 다른 업무보다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 가장 요하기 때문에 이에

을 맞춘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라 견 리자의 품성 교육과정

에서는 기업문화는 조직원의 마음과 행동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철학에 입각하여

기업 내 품성개발 교육 로그램을 도입하 다 교육 로그램은 스티 코비 박사의

서lt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 gt의 내용을 교육 로그램화하여 보 하는 미국 코비

리더십센터(Covey Leadership Center KLC)와 의 하에 회차당 40명씩 10회차로 2회

차 교육까지는 한국리더십센터의 문 강사가 3차 이후는 그룹 자체 보유의 임

교수들이 진자 자격증을 KLC로부터 획득하여 진행토록 하 다

마 모토로라 코리아

모토로라 코리아는 상 20의 핵심인력에 해서는 차등화된 유지middot보상middot육성체계를

운 하고 있다(한국인사 리 회 2005)

- 94 -

기업명

(교육과정)교육 세부 사항

호 ( M B A

교육 과정)

조직간 커뮤니 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의사결정지원

국어 경 학 반 경 학 반 컴퓨터 특강

삼성물산 건

설부문

( 장소장 교

육 과정)

인간 계와 교섭력 화와 설득력 의 기능 의사

소통 리더십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어학습득 방안 정 사고방식 스트 스와 건

강 리 일정 리

S 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업환경 분석 제안활동의 개방법 커뮤니 이션기

법 인간행동의 이해와 인간 계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자신의 심리 특성 악

리자(품성 교

육 과정)

공감 커뮤니 이션 습 공감의 태도나 기술

인 계 리더십 개인 리더십의 습 타인을 한 리

더십 생산 조의 습 개인차 인정

시간 리 매트릭스 최고효과의 활동 등 계획과 조직

리 심신단련-자기쇄신의 습

모토로라 코

리아 (핵심인

재 리)

로벌 로젝트 참여 리더십 로젝트 리

경력개발 성과 리 방안 교육

lt표 Ⅲ-6gt 산업체 교육 로그램과 핵심역량의 계

앞에서 살펴본 각 기업들의 교육 로그램의 하 요인들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역량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Ⅲ-6gt과 같다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이 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어떠한 역량이 요한가에 하여 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 다

가 기업에서 요시 하는 역량

2008년 경련 산업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의 인재가 꼭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은

[그림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정신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동성과 조직 응

력 창의성 문지식 외국어 국제감각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 95 -

평균(표 편차)

구분직업기 능력의

직업에서 요도

학 졸업 당시

직업기 능력

직업기 능력의

괴리정도

의사

소통

능력

작문능력 37 (092) 33 (079) 04(105)

언어구사능력 42(080) 34(081) 08 (105)

의견을 분명하게 주장할 수 있는 능력 40(085) 34(086) 06(117)

외국어 능력 34(118) 28(082) 06(128)

계 38(07) 32(061) 06(081)

문제

해결

능력

문제해결능력 43(070) 34(071) 09(088)

분석능력 42(074) 34(073) 08(094)

창의력 40(095) 32(081) 08(116)

비 사고 능력 37(090) 34(080) 03(115)

경제 사고 능력 40(086) 31(087) 09(019)

lt표 Ⅲ-7gt 직업기 능력의 요도 괴리정도

[그림 Ⅲ-1]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자질

자료 전국경제인연합(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전경련 산업본부

나 청년 재직자의 직업기 능력에 한 인식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2005)은 2001년 2월에 4년제 학을 졸업한

청년층을 상으로 학교육 만족도와 노동시장 이행 실태에 한 조사를 실시하 다

그들이 직업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요시하는 직업기 능력이 무엇이며 재 자신

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 능력의 정도를 조사하 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어 능력

을 제외한 거의 부분의 능력에 해서 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어 능력의 요성은 평균 34로서 그 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 으로

다른 능력에 비하여 하게 낮게 평가되었다

- 96 -

융통성 42(072) 35(077) 07(095)

계 40(057) 33(055) 07(071)

자기

개발

능력

자신의 일에 한 객 평가능력 39(078) 33(073) 06(098)

제약을 극복하는 정신력 42(078) 35(090) 07(106)

정확하고 면 하게 일하는 능력 43(072) 34(080) 09(096)

시간 리 능력 44(073) 33(087) 11(108)

일에 한 응 능력 43(072) 36(083) 07(108)

독립 으로 일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 41(081) 34(082) 07(108)

자발성middot자주성 39(077) 34(082) 05(098)

일에 몰입하는 능력 41(076) 36(079) 05(099)

성실성 44(070) 39(082) 05(095)

책임감 44(068) 39(081) 05(095)

폭넓은 일반 지식middot소양 37(084) 32(074) 05(103)

여러 공분야를 포 하는 사고middot지식 37(088) 31(076) 06(103)

공 분야의 이론 지식 34(116) 34(074) 00(121)

공 분야의 분석 방법에 한 지식 35(111) 33(078) 02(117)

학습능력 39(079) 36(069) 03(095)

계 40(051) 35(052) 05(061)

자원

활용

능력

계획수립 조정middot조직화 하는 능력 42(081) 32(086) 10(109)

능력

상능력 42(085) 31(081) 11(112)

워크능력 43(080) 35(083) 08(103)

다른 의견을 포용하고 수용하는 능력 41(077) 36(078) 05(099)

리더십 41(087) 33(086) 08(110)

계 41(065) 33(065) 08(080)

정보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41(083) 36(087) 05(103)

정보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 42(078) 34(083) 08(105)

계 42(069) 35(071) 07(086)

기술

능력

수작업 능력 35(094) 33(083) 02(104)

지식middot기술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능력 40(085) 32(079) 08(104)

계 37(071) 32(068) 05(083)

조직

이해

능력

복잡한 사회조직middot기술체계 이해 38(089) 30(082) 06(111)

체 40(050) 34(050) 06(061)

표시한 것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항목을 나타냄자료 채창균 외(2005)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다 자산업 고령친화산업분야종사자가인식하는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한상근 외(2005)와 최동선 외(2007)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산업별 직업 연

구의 수행 과정에서 그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그 분야에 종사

를 상으로 질문하 다 자산업분야의 경우 각 분야별로 20개 직업 종사자들이 응답

한 결과를 평균한 것으로서 분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 되게 가장 낮게 나타난

- 97 -

기 직무능력 어매니 요양보호사노인 담

생활체육지도자크 이션 치료사 장례 지도사

공이론지식 393 337 396 427 373

공실무능력 420 367 443 453 428

문서작성능력 420 273 400 431 345

외국어활용능력 233 193 186 273 245

창의 사고능력 410 307 407 460 346

문제해결능력 457 366 414 473 390

의사소통능력 463 407 425 473 383

업능력 447 347 400 453 379

컴퓨터활용능력 420 247 382 367 369

사례수 30 30 28 30 29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 직무능력 자의료기 휴 폰 반도체

공이론지식 381 365 390

컴퓨터 활용 능력 389 408 391

외국어 활용 능력 335 321 349

창의 사고 능력 402 420 419

정보활용 능력 395 413 408

업능력 383 406 415

인 계 능력 376 395 403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Ⅲ-8gt 자산업 분야의 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lt표 Ⅲ-9gt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기 직무능력 요구도

것이 외국어 활용능력이다 고령친화산업의 경우 외국어 활용능력이 더욱 하게 낮

게 평가되어 외국어 활용능력이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로서 포함될 필요가 있는가를

신 하게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98 -

구분 역 하 요소 시사

기업 선발

고사

직무 성검사(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

력 상황 단추리력창의력)

어성

인성검사(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

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직업기 능력 역 요소

에 한 기존 논의에

이미 포함됨

4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핵심역량에 한근거 자료 분석결과요약

이 장에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는 직업기 능력에 해서 장에

서 인식하고 있는 바를 드러내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다음

4장에서 개될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에 한 기존의 논의를 비 으로 검토하는

데 기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 다 직업세계 장에서 재직자 는 고용주가 인식하고

있는 핵심역량에 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선발 시험에서 측정하고 있는 것은 크게 직무 성검사 어성 인

성검사로서 일반 인지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이 강조

되고 있음을 확인하 다 이러한 요소들은 부분 기존의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논의에 포함된 것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하게 작용하는 면 의 경우 시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태도와 가치 성향에 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사회

성 동성 성실성 열의 의사소통능력에 을 맞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들

한 기존의 직업기 능력에 반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체 교육 로그램의 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의사

결정 자기 리 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기존의 논의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국경제인연합회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인재상에는 기존의 논의에는 없는 도

정신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논의 과정에서 도 정신을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

을 제기하고 있다

다섯째 재직자에 한 규모 조사에서 공통 으로 드러난 것은 외국어 능력이 그리

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어능력이 선발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업무 추진 과정에서는 그 게 요하지 않다고 재직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

한 결과를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lt표 Ⅲ-10gt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한 검토 결과 종합

- 99 -

면 의 주요

내용

워크 사회성 조직 응력 융화

개인태도 성향

직무 합성 개인지식

직업의식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창의성을 추가할 필요성 시

기업체 교육

로그램에서

드러난 주요

역량

의사소통 능력

외국어 습득

의사결정능력

자기 리

인성심리 측면

리더십

업무 련 지식

기존 논의와 일치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 경련

산업본부)

책임감

외국어 국제감각

문지식

창의성

동성과 조직 응력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도 정신과 성취의식

창의성 도 정신을 추가

필요성 검토

재직자가

인식하는

기 직무능력

문서작성능력

외국어활용능력

창의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업능력

외국어 능력이 상 으로

덜 요하게 인식되고 있음

을 반 할 필요성 시사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추출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기 하여 정철 외(1998)와 진미

석 외(2007)가 제시한 결과를 기본 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이 두 가지 표 인 연구

결과의 공통 과 차이 을 분석하고 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철 (1998)이

제시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는 오랜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일종의 기 으

로서 작용해온 틀로서 암묵 으로 그 타당성을 리 인정받았으나 무 많은 요소들이

병렬되어 있어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규정한 가장 최근의 연구인 진미석 외(2007)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각 요소별로 검토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00 -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가 의사소통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의사소통능력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

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

나 말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진미석 외(2007)는 의사소통능력을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효율 으로 달하고 상 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철 외(1998)는 읽기 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 역 안에 제시하고 있다

나승일 외(2003)와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 한 표 만 조 변경

되었을 뿐이고 말과 로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는 에서 공통된다

Hymes (1972)에 의하면 의사소통능력이란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메시지를 달하고

해석하며 인간 상호간에 의미를 타 하게 해 주는 능력이다 즉 단지 문법 으로 맞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아는 능력이다

Canale amp Swain (1980)은 의사소통능력이 문법 역량 사회언어학 역량 사회 문화

역량담화 역량 략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Enache(2005)에 의하면 의

사소통을 해서는 문법 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드는 것보다 하게 표 을 만드는

언어생성능력(productive skills)이 요하며 읽기와 듣기에 있어서는 상 방이 표 한

내용의 구체 인 세부 내용을 집어내기 보다는 그 의도를 악하는 능력(receptive

skills)이 요하다고 보았다

DeSeCo 로젝트 결과로 제시된 핵심역량의 주요 역에는 lsquoThe ability to use

language symbols and text interactively(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의 핵심은 다양한 상황(가족 직장 도시의 삶)에서 언어

기술 계산 다른 수학 기술(그래 표 많은 형태의 상징들)들을 효과 으로 사용하

는 것이다 이러한 핵심역량은 한 통일된 개념규정 없이 ldquo의사소통 역량rdquo 는 ldquo문해

능력rdquo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보았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재 의사소통의 하 요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언

- 101 -

어능력을 말하며 모든 역량이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기본으로 작동되는 일종의 기 능

력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가 의사소통능력을 공통 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반

하여 외국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를 상 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 로 SCANS 모형에서는 이를 기 능력(basic skills)으로 제시하고 있으

며 거기에는 수리능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ASTD 1988년 모델에는 의사소통능력이

라는 역이 포함되지만 그 이후의 1999년 모델 2004년 모델에서는 빠지고 없다 재

와 같이 언어능력을 의사소통능력에 포함하다보면 수리능력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방황

하는 상이 나타난다 진미석 외(2007) 모델에서는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능력의 하

요소로 정철 외(1998)의 분류에서는 별도의 하 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의사소통이라는 역이 포함하는 세부 요소에 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

의 문화 속에서 이는 매우 요한 직업기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본다 특히 기업

체의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거의 모든 로그램에 의사소통에 한 내

용이 포함되어 있음은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DeSeCo에서 제시한 틀에 의하면 의사

소통능력이 lsquo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기존에 말하는 단순히 언어 인 의사소통 외에 그래 와 도표를 포함한 수학 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이라는 역을 유지하되

그 하 요소 속에서 수와 도표를 통한 의사소통을 포함하고자 한다

의사소통과 련하여 검토해야할 다른 사항은 외국어 능력에 한 것이다 정철

과 나승일이 외국어의 기 수 (외국어 읽기 기 외국어)을 의사소통능력으로 포함

하고 있는데 반하여 진미석 외(2007)는 이를 로벌 역량이라는 별도의 역 안에 하나

의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재 우리나라에서 기본 인 의사소통을

한 외국어란 다름 아닌 어를 의미한다 그 다면 여기서 외국어 능력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기 어 읽기 능력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본다 한 직업기 능

력에 하여 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외국어는 상 으로 덜 요한 능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우 기 인 수 의 어 문서 이해 능력 정도가 기본

으로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인 계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

국내외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

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미석 외(2007)는 인 계

- 102 -

력 능력을 lsquo조직 내에서 타인과 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려는 능력rsquo으로 정

의하고 그 하 요소로서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로 제시하고 있다 정철 외

(1998)는 인 계능력을 lsquo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하게 되는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

지 않고 원만하게 지내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

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인 계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효

과 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은 타인의 마음

상태가 재 어떠한지 추론할 수 있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상이한 감정의 다양한 특성

을 잘 알고 그에 맞게 올바른 처양식을 개발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각각 공유하

고 있는 차이 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창하고 세련된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

다 이 역이 뛰어난 사람은 조직과 집단 내에 동을 항상 유지하며 특정 목표를 달

성하기 하여 집단을 형성하고 리더십을 구사하며 심지어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도 조

정과 상의 기술을 통하여 사태를 잘 마무리한다(Gardner 1995)

인 계능력과 같은 맥락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회 지능은 ldquo사람들과 어울리는 능

력(Moss amp Hunt 1927)rd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 지능을 연구하는 연구자에 따

라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사회 지능의 하 개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Thorndike (1920)는 사회 능력을 인간 사이의 계에서 사람들을 이해하고 조

(manage)하며 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하 으며 Vernon (1933)은 사회 지능

을 일반 으로 사람들과 어울리는 능력 사회 기술이나 사회 내에서의 편안함 사회

문제에 한 지식 집단 내 다른 구성원으로부터의 자극에 한 수용력 낯선 이의 특징

이나 일시 인 기분에 한 통찰력 등으로 정의하 다 한 김명소 외(1996)는 본인 자

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정서 사고 행동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조 하거나 타인의 언행을 측하고 하게 반응하는 능력으로 인 계능력을 정의

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Interact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사회 으로 이

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rsquo를 세 가지 역 의 하나로서 강조하고 있다 통합 네

트워킹 트 십 연 동 등등이 종종 이 범주에서의 핵심단어로 언 된다 이러

한 역량의 발달은 특히 사회 자본 상호 으로 강화된 의무 계의 네트워크 기 정보

채 등의 창출과 련 있다 이 역의 하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lsquoThe ability to relate well to others(타인과 계를 잘 맺을 수 있는 능력)rsquo

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는다는 것은 사회 응집을 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증가하고 있는 경제 성공을 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들은 직장 동료 클라이언

트 고객들과 계를 맺기 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기 해

- 103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H Gardner 인 계지능

sect 사회 민감성(타인이해)

sect 타인과 어울리기

sect 리더십

Moss et al

(1955)사회 기술

sect 사회 상황의 단

sect 이름과 얼굴 기억하기

sect 비언어 표 인식

sect 인간 행동의 찰

sect 사회 정보에 한 지식

sect 말하는 사람의 심 상태 인식

Gilbert amp Fleishman

(1992)사회 기술

sect 행동의 융통성

sect 조정

sect 상

sect 설득

sect 사회 민감도

sect 코칭(coaching)

sect 자기 주장

Zaccaro et al (1991) 사회 지능sect 사회 인지사회 정보의 획득과 해석

sect 융통성 있는 행동 상황에 맞는 행동 수정능력

ONET (1995) 사회 기술

sect 사회 인지

sect 동

sect 설득

sect 상

sect 가르치기

sect 사 지향성

DeSeCo(2001)사회 으로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sect 계 맺기

sect 력

sect 갈등 리 해결

lt표 Ⅳ-1gt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의 하 구인

서는 몇 가지 필수요건들이 있다 공감(empathy)이 아마도 가장 요할 것이다 다른 사

람들과 계를 잘 맺는 것에 있어 요한 다른 측면은 바로 자기 자신의 감정과 내

부 감정을 효과 으로 잘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자기 자신 다른 사람들의

기 에 있는 정서 동기들을 자기 인식하고 효과 으로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능력은 lsquoThe ability to cooperate( 력할 수 있는 능력)rsquo이다 이는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다른 으로 주제들을 바라보고 그 개념 틀

로 바꿔볼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역량은 lsquoThe ability to manage and resolve

conflict(갈등 리 해결 능력)rsquo이다 서로 다른 욕구 목 는 가치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반 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있을 때 갈등을 피하거나 제거하려고만 하지

말고 이를 명하고 공 하게 그리고 효율 인 방식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

(Rychen amp Salganik 2001)

- 104 -

GWSIT

(George Washington

Social Intelligence

Test)

사회 지능

sect 사회 상황에 한 단

sect 이름 는 표정 기억

sect 인간 행동에 한 찰

sect 언어의 함축 의미 인식

sect 표정으로부터 마음상태 인식

sect 사회 정보

sect 유머

2) 수정 방향

이상에서 살펴 본 선행 논의에 따르면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

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이 다양하다 정철 외

(1998)가 제시한 방식은 인 계 능력이 작동하는 맥락을 심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

인다 즉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의

계로 제시하고 있다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이 타당하다고 단되어 그 로 수

용하고자 한다

다 문제해결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

문제해결능력은 공통 으로 제시된 역으로서 정철 외(1998)는 lsquo업무를 수행하면

서 문제 상황이 발생하 을 경우 창조 이고 논리 인 사고를 통하여 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히 해결하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는 가운데 하 요소로서 사고력 문제인식

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진미석 외(2007)는

문제해결력이라는 역명칭 신에 종합 사고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

사고력을 창조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 추론하는 능력으로 정의

하고 하는 가운데 그 하 요소로서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을

제시하고 있다

표 인 지능학자의 한 사람인 Sternberg는 그의 성공지능이론에서 성공 지능의

세 요소를 분석 능력(analytical abilities) 창의 종합 능력(creativesynthetic

abilities) 실용 능력(practical abilities)으로 제시하고 있다 분석 능력이란 개인의

삶에서 유용한 선택 사항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하

요소로서 문제 인식하기 문제 정의하기 문제 해결 략 수립하기 문제 해결 과정

검하기가 포함된다 창의 종합 능력은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창출하는 데 요구되

- 105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CLA

(College Learning Asse

ssment)

문제해결력

비 사고력

분석 추론력

문제 해결력

작문 의사소통 능력

삼성직무 성검사

SSAT

(직무능력검사)

문제해결 검사

상황 단력

차계획력

분석종합력

상황평가력

상황 처력

공직 성검사

PSAT문제해결력

상황 단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능력

ONET(1995) 복합 문제해결 기술

문제 규명

정보 수집

정보 조직화

종합 재조직화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평가

실행 계획하기

해결책 평가

lt표 Ⅳ-2gt 문제해결능력에 한 검사와 하 구인

는 것이며 실용 능력은 문제 해결안을 효과 으로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것으로서

암묵 지식이 여기에 해당된다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검토한 바에 의하

면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어서

이러한 견해들 속의 일 성을 찾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2) 수정 방향

문제해결과 련된 역의 명칭으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종합 사고력이라는

역 명칭보다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이 보다 실제 인 의미를 갖는

다고 단되어 본 연구에서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역 명을 채택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하 요소로서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바와 같이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을

제시하기 보다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능력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

더 하다고 본다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

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자 한다

- 106 -

[그림 Ⅳ-1] Sternberg 성공지능의 삼 일체

자료 김정휘 주영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라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정보능력 자원활용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을 별도의 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각각에 하여 상세한 하 요소를 제시한 반면 진미석 외(2007)는 이

를 통합하여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으로 제시하고 그 안에 정량 사고와 자

료해석 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즉 역 명칭에는 제시하지 않았지

만 정철 이 제시한 수리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다 생애의 모든 역에서 성공 으로 기능하기 해

- 107 -

개인들은 지식 정보에 해 근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효과 으로 성찰 으

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DeSeCo에서 규정한 것처럼 기술 역

량은 기술 인 숙달능력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일

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도구에 익숙해지도록 하며 다른 필요 상황에서 그것을 용하고

궁극 으로는 잠재 인 상황에까지 새로운 도구를 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술의

잠재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는 다른 상황 더 많은 상황들

에서 필수 인 것이다 즉 문제를 기술 으로 해결해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 숙달

능력 보다 더 요한 것은 다른 기술의 목 기능들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잠재성을

구상할 아는 것이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보 기술 자원의 활용이 직업생활에서 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들의

독립된 역으로 나열되는 것은 핵심 역량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원칙에 배되는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술

자원 활용을 묶어서 하나의 역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단 수리 능력의 경우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포함하며 이 역의 하 요소로는 제

시하지 않고자 한다

마 자기 리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자기 리 개발능력의 하 요소로서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

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 다 진미석 외(2007)는 자기주도 학

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을 하 요소로서 제시하

고 있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아래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능력)rsquo lsquoThe

ability to form and conduct life plans and personal projects(생애계획 개인 로젝

트를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lsquo rsquoThe ability to defend and assert ones rights

interests limits and needs(권리 이익 한계 요구사항들을 항변하고 주장하는 능력)

lsquo을 제시하 다(Rychen amp Salganik 2001)

- 108 -

2) 수정 방향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개념 틀 속에서는 자율 인 행동이 자신이 속한 사회

와의 극 인 계 맺음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요하다는 에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것과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은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진미석 외

(2007)가 자기 리의 하 요소로서 시민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철 외(1998)가 직

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측면을 드러낸다 두 연

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를 최 한 종합하여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

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자 한다 진미석 외(2007)가 정서 자기 조 을 강조하되 신체

건강에 한 언 이 없다는 을 보완하여 두 가지 요소를 병렬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

를 포 하는 측면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

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 다

바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업무를 원활하기 수행하기 하여 국제 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

의 체제와 경 에 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직업기 능력으로 요구된다고 보고 이를 조

직이해 능력으로 명명하 으며 그 하 요소로서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을 포함하 다 한편 진미석 외(2007)는 로벌 역량이라는 역을 설정하

고 그 안에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능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에 한 이

해는 인 계 력의 하 요소로 제시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의 하 요소로서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

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의 큰 그림이란 표 이고 사회경제 이며 역사 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큰 맥락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어떻게 그 맥락들이 기능하는

지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

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 큰 그림은 세계 인 시

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는 지역사회나 직장 같은 개인들의 생활 혹은 특

- 109 -

정 사회분야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량은 구조 문화 실천 그리고 시스템의 형식비형

식 규칙과 기 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법 규칙 등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문서화되지 않은 사회 규범 윤리강령 매 그리고 의례 등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

인행동 제약에 한 지식과 그들의 권리를 이해하는 것 시스템 내에서 개인들이 활동

하는 역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들을 결정하는 것 공유된 규범 목 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가능성들을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들에 따라 다양한 과정으로 행동하는 것을 구

상하는 것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변화를 측하며 개인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

의 향력을 잘 조 하고 그 방식에 따라 행동 계획 상을 재조정하는 것 등을 포

함한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철 외(1998)가 사용한 조직이라는 용어는 그가 개념 정의한 바와는 달리 일상

으로 매우 좁은 의미로 다가온다는 에서 부 하다고 본다 실제 그가 제시한 정의

안에서 조직은 국제 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 의 체제(시스템)에 한 것이므로 시

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우리의 일상용어와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의미를 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반면 진미석 외(2007)가 안으로 제시한

로벌 역량은 쉽게 다가오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직업기 능력의 별도 역으로 제시하

기에는 상 으로 좁은 개념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SeCo 로젝트에서 사용한 큰 그림 안에서 행동하기라는

표 을 살려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rsquo로 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맥락이라는 것이

환경의 종 인 측면 즉 역사성에 한 것이라면 환경이라는 것은 수평 인 측면을 일

컫는 것이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한 역사 사회 경제 이해를 바탕으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

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하 요소로는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을 선정하 다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앞에서의 논의는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가에 한 것이다 각 역별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하 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

- 110 -

진미석 외(2007)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 인 의사 달

발표

토론과 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

기 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인 계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리더십

-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

- 상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산자원 리능력

물 자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기 연산

기 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안하는 수정안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Ⅳ-3gt과 같다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이 최종 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기존의 표 인 국내

연구의 틀과 거의 유사하다 기존의 연구가 규모 조사 꼼꼼한 선행 연구 검토 문

가 델 이를 거치면서 확증된 결과를 제시한 것이므로 명백한 반론의 근거가 없는 한

최 한 이를 존 하면서 비 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역에 있어서는 최 한 간결하면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존 하는 선에서 정리가

되었으며 하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련된 선행 연구 결과를 반 하여 소폭으

로 수정하 다

lt표 Ⅳ-3gt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기 능력 하 요소와 수정안

- 111 -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

도표능력

종합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

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 리

- 자기주도 학습 능력

- 신체 정서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실천

- 직업윤리

역 하 요소 정의수정의 주요

근거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이야기하는 능력

DeSeCO

극 청취 언어 정보에 집 하고 하게 이해하는 능력

독해력 문서화된 자료로부터 도출된 정보의 이해 능력

쓰기문서를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의사소통하

는 능력

어 읽기 어로 작성된 기 수 의 문서 이해

수계산 능력 수리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도표 이해능력 숫자 도표로 제시된 정보 이해 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정보활용 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핵심정보를 찾기

자원활용업무에 필요한 한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기술활용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하게 배분하고 활용하

는 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문제를 발견하고 새롭고 독창 인 해결 방안을

착상하는 능력Sternberg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하 요소에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하 요소별 정의

- 112 -

분석 사고력수렴 사고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 아이디어의 질

을 평가하는 능력

문제해결실행력제시된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시도하

는 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행동과 역할의 련성을 이

해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변화를 측하고

비 DeSeCo

사회문화이해능력 법 규칙 사회 규범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리더십 업무 수행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능력

력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고객서비스 고객의 요구를 악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자기주도 으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능력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신체의 지구력과 민첩성을 유지하며 정서 조

을 통한 자존감 행복감 유지하는 능력

진로계획 수립

실천

삶의 계획을 극 으로 수립하고 실천하고자 애

쓰는 능력

직업윤리 책임감 있고 성실하게 직업에 임할 수 있는 태도

Ⅴ 결론 논의

본 연구는 직업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작업이 아니며 기존에 직업기 능력이라는 주제 하에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 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존 하는 가운데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특히 정철 외(1998)의 연구와 진미석 외

(2007)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Weinert(2001)에 의하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함에 있어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

인 반면에 규범 근은 바람직한 이상 인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가 지속 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는 없으므로 미래 에서 직업생활에서 요구

하는 기 능력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는 것이다

- 113 -

핵심 역량의 추출하는 경험 근거가 직업생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

징이 된다는 것은 핵심 역량이 일종의 엘리티시즘에 기 한다는 의미와는 다르다 즉

소수의 탁월한 인재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직업생활을 하는 사람

이라면 최소한의 성공 직업생활을 하여 그가 종사하는 직업과 무 하게 구나 갖

추어야할 공통 이고 기본 인 특성에 한 것이다 그 다고 하여 직업기 능력이 반

드시 보 인 수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각 역량은 직업에 따라서 그것이 최소

한으로 요구되는 역량 수 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제로 한다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근이 있었으며 어떠한 합의 과정을 거치더라도

항상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의견이 있다(Weinert 2001)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사

실과 련이 있을 것이다 우선 핵심역량은 매우 다양한 수 의 일반성 는 추상성을

가지고 정의된다는 사실이다 높은 수 의 추상성을 갖게 될 경우 논의의 편리함이 있

지만 실용 차원에서 주는 시사 이 낮으며 반면에 매우 구체 으로 역량이 제시될

경우 실용성은 높지만 의도하는 바를 모두 포 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과 하 요소 한 그것이 포 하는 범 다시 말해 추상성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

다는 이다 하나의 로 자기 리의 하 요소로 포함된 lsquo직업윤리rsquo는 다시 그 아래

하 요소가 다층 으로 존재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인 반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된 lsquo도표 이해 능력rsquo의 경우 매우 구체 인 의미를 갖는 능력이다

역과 역 사이 그리고 하 요소 간 추상성의 정도에 이와 같이 차이가 있는 한 역

을 재규정하고 하 요소의 소속을 변경하거나 추가 하는 일은 지속 으로 반복될 가

능성이 높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하나 고려할 사항은 핵심 역량이 정의되는 거

틀로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이다 이와 같은 질문에 한 가치 혹은 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을 하여 그리고 개인 사회 으로 잘 기능하거나 직업

으로 성공하기 하여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성공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한 견해 차이에 의해서 요한 역량이 사소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컨 lsquo다

양성의 존 rsquo은 문화 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나라의 경우 매우

요한 역량이 된다 우리나라도 차 이러한 성향의 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아직

까지는 우선순 에서 뒤로 빠질 수 있다 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역량 추출과정에

서 락되는 험을 피하기 해서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한 합의가 도출

되고 그것에 기 하여 핵심 역량이 추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를 이루

는 과정 한 녹록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향성을 상정하지 않은 가운데

최 한 가치배제 인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해왔으며 이는 객 논의 진행에는 도움

- 114 -

이 될 수 있지만 창백한 논의가 된다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목 은 그것을 강조하는 가운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거나 스스로 그와 같은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

는 데 있을 것이다 핵심 역량에서 제시되는 인지 능력 인지 양식 감정 특징에는 상

당한 개인차가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을 통하여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는지 의

심스러운 경우가 있다 만약 학습을 통하여 변화할 수 없는 것을 기 역량으로 강조하

게 될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상당한 개인차를 사소한 것으로 치부하는 가운데 차별

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역량들이 계획된 로그램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느냐라는 사실이며 만약 그 다면 어떻게 그러한 것이 가능하겠는

가 라는 질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핵심 역량의 하 역과 요소는 이와 같은 질문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당 론 인 차원에서 요한 특징들을 나열하는 것이 각 구인에 한

명료한 이론 근거와 논리 타당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 성공 이며 바

람직한 직업생활의 모습을 어떻게 가정할 것인가에 한 충분한 성찰을 하는 과정 한

생략되어 있다는 에서 근원 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철 (1998)이 제시한 역량 모델을 개선했는지 여부는 다른 문

가들에 의해서 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가 수 에서 본격 으로 원회를

구성하여 역량 추출을 한 방향을 설정하고 충분한 실증 근거와 이론 논의를 거

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 역량 모델로서 발 되기 한 기 로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 하는 바이다

- 115 -

참 고 문 헌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한국노동연구원

권 (1998) 한국의 기업교육 사례연구 박 사

김명소 김명언 이도형(1996) 산업장면에서의 실용 지능능력 한국심리학회 산업

조직 9(1) 117-137

김정휘 주 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원미사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기용 정상택(2003)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

는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한국 농업교육학회지 36(4) 139-158

박우성(2002) 역량 심의 인 자원 리 한국노동연구원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20(2)

임창희(2003) 신인 자원 리 명경사

정종진(2004) 등학생용 표 화 다 지능검사 개발연구 아동교육학회 13(2)

정철 (1998) 직업기 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교육월보 7월호 (통권

199호)

정철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 능력의 역 분류 하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지 17(2) 15-38

정철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강경종(2000a) 직업기 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

제 연구보고서

정철 서우석 이길순(2000b)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 향상 방안

신구 학 연구보고서

정철 나승일 김종우 허 (2001) 직업기 능력 개발을 한 교육 지원 방안 우

송공업 학 우송정보 학 연구보고서

이동임 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병욱(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이수 외(2007) lsquo07년 국제성인능력측정 로젝트(PIAAC) 직무요구분석(JRA) 사업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이 (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116 -

이요행 박가열(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국경제인연합 (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경련 산업본부

조정윤 박종성 김상진 (2002) 국가직무능력표 개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

발원

진미석 (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진미석 이수 송창용(2007)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 (200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 자원개

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하 (2005)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연구 과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1(1) 15-180

한국고시회 (2008)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 한국고시회 편집부

한국인사 리 회 (2005) 핵심인재 그들은 구인가 한국인사 리 회 편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직업교육훈련 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 식서창교장홍근이종선김기헌박종성정윤경최동선(2005) 자

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천수이동임정윤경최동선정향진이주호(2006) 보건의료산업의 직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최동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

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직업교육연구학회지 26(1) 157-193

한 상 김소 김민 (2008) 수행 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에 따른 기업 인 자원

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한 인식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27(2)

137-158

황 욱 안주엽 김승택 이상민 병유(2004)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직무분석

한국노동연구원

LG 인화원 (2004) 2004 HR-체계개발

ASTD (1990)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 SF Jossey-Bass

Bernthal P Colteryahn K Davis P Naughton J Rothwell W amp Wellines

R(2004) Mapping the future Shaping new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ompetencies Alexandria VA The American Society for Traing

and Development

Canale M amp Swain M(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 117 -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Canto-Sperber M amp Dupuy J-P (2001) Competencies for the Good Life and the

Good Society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pp 67-92) Goumlttingen Germany Hogrefe amp

Huber

Gilbert JR amp Fleishman EA (1992) Fleishmans job analysis survey Social and

interpersonal abilities Fairfax VA Center for Behavaioral and Cognitive

Studies

Gonczi Andrew 2003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ey Competenci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Salganik amp M E McLaughlin 119-131

Gardner H Kornhaber M L amp Wake W K(1995)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Hipkins R (2006) The n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A background paper

Wellington Report prepared by NZCER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Hymes D (1973)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ociolinguistics J B Pride and

J Homes Eds Harmodsworth Penguin

Campbell L Campbell B amp Dickson B (2004)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이신동 외 역 『다 지능과 교수-학습』 시그마 스

2006)

Malowe H A(1986)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52-58

McLagan P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ASTD Press

Moss F A Hunt J Omwake KT amp Woodward CG(1955) Manual fo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eries social intelligence test Washington DC

Center for Psychological Service

Norman G Michael D Walter C P Richard Jeanneeret amp Edwin A

Fleishman(1995)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ONET) Content Model

Norton R E (1999)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SCID)

Workshop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ates T(2003) Key SkillsKey Competencies Avoiding the Pitfalls of Current

- 118 -

Initiativ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 Salganik and M E McLaughlin 171ndash193 Neuchacirc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ECD(2003) Beyond Rhetoric Adult learning policies and practices Paris OECD

OECD(2005) Learning a living Paris OECD

Ridgeway C L (2001) How do status beliefs develop The role of resources and

interactional experiences In J T Jost amp B Major (Eds) The psychology of

legitimacy Emerging perspectives on ideology justice and intergroup

relations (pp 357ndash277)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thwell W Sanders E amp Soper J(1999) ASTD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lexandria VA ASTD

Sternberg R J (2000) Handbook of Intelligence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rnberg R J amp Hdelund J(2002) Practical intelligence g and work psychology

Human Performance 15(12) 143-160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SCANS(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Labor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외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PSI컨설 1998)

Thorndike E L(1920)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Vernon P E (193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Weinert F E (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Zaccaro S J Gilbert J A Thor K K amp Mumford M D(1991) Leadership and

social intelligence Linking social perspectiveness and behavior flexibility to

leader effectiveness Leadership Quarterly 2 317-342

- 11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에 한 토론

권 호(삼성 기)

Ⅰ 들어가며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6개 핵심역량 제시문에 해 학문

깊이를 떠나 장에서 평소 느끼고 생각했던 바를 논거함에 있어 발표자의 제시문

내용과 토론자에게 바라는 기 치에 미흡하거나 논문작성 의도와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넓은 이해를 바란다

Ⅱ 발표문에 한 소견

1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의사소통의 요성은 조직(기업문화) 한 이해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교감을 나

타내는 요 요소라 단되며 외국어( 어)의 활용능력이 다른 항목에 비해(79쪽

92~94쪽 참조) 의사소통에 있어 요도 순 가 낮으나 개인의 보유능력과 활용의

빈도(상황)에 계없이 국제화와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 상을 감안할 때 의

사소통의 요한 Tool로서 회화능력이 요하다고 단되어 기 어 회화(읽기가

포함된 역으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국내의 기업(조직)내에서도 다양한 민족의 외국인의 채용 타문화권 타민족과의

인 교류가 증가하고 있어 어를 통한 기본 의사소통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삼성 등

기업의 경우 채용기 에 어회화능력을 시함)

- 120 -

2 인 계능력

리더십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해결 상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가진 Client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해서는 상을 조정

충능력 능력이라 정의하고 조직내외부와의 인간 계 업무에 있어

Co-Work하는데 매우 요한 역량이라고 부연코자 한다

3 정보 기술 자원활용 능력

정보활용 기술활용 자원활용 네트웍 리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못지않게 이들을 묶고 연결하고 조직목표를 한 조직내외

의 다양한 인 물 자원을 유기 으로 리할 수 있는 Network 리능력에

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앞장의 2 인 계 능력의 하 요소로도 검토

가능)

4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요하게 작동되는 능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하다고 단한 것은 옳다고 본다 격한 기술변화 시

에 능동 으로 처하기 해서는 단계별 해결능력보다 Speed가 경쟁력의

심인 상황에서 창의력을 갖고 바로 안을 찾아서 자기완결형의 실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

발표문에 따르면 맥락은 역사성의 종 인 측면과 환경은 수평 인 측면으로 큰

그림 아래서 행동하기란 표 을 살려서 사용하기로 하셨는데 제 생각엔 직업과

련한 핵심 역량을 다루는데 있어 학문 으로는 마땅한 표 이겠으나 조직이란

말이 이제는 포 개념(국가조직 사회조직 기업조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

- 121 -

안하여 조직 환경에 한 이해로 변경을 제의한다

6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신체 정서 건강유지 진로계획 수립 실천 직업윤리

진로계획보다는 평생직업 고령화 사회에 비한 생애설계 수립 실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삶은 곧 직업과의 연 성과 사회 욕구인 사회공헌( 사)이

포함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기본자질도 갖춰야 한다고 고려하 다

하 항목에 Cyber 을 추가하여 최근 사회 으로 심사로 부각되는 Cyber

폭력 댓 등의 심각한 문제가 개인과 사회 문제만이 아닌 조직 국가 인 문제

로 비화되는 실을 반 할 필요성이 있다

Ⅲ 마무리하며

국내외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살펴보면 삼성은 인재제일(People) 최고지향

(Excellence) 변화선도(Change) 정도경 (Integrity) 상생추구(Co-Prosperity) 등이

며 LG는 개방(Openness) 력(Partnership) 신(Innovation) 등이다 PampG는 리

더십(leadership) 주인의식(Ownership) 정직성(Integrity) 승리에 한 열정

(Passion for Winning) 상호신뢰(Trust) 등이고 도요타는 도 (Challenge) 개선

(Improvement) 존 (Respect) 지 물(The Actual PlaceThing) 웍

(Teamwork) 등이다

사례에서 보듯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집약하면 도 신 최고지향 정직 등으

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런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공유하고 창의 인 실

천을 유도하는 핵심 역량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업 장에서 생각해 본 핵심역량 모델

회사의 핵심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핵심역량

1 최고를 향한 열망

- 122 -

- 보수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자체에 열정

소명의식과 자부심 최고를 향한 높은 열망(Aspiration)

2 승부근성

- 웬만한 험에 노출되어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 지구력

불굴의 의지와 용기 도 정신(challenging Spirit)

3 도덕 겸양

- 뛰어난 업무능력은 기본 실력을 쌓으면서도 겸손한

외유내강형(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4 감성지능

- 기술 역량은 물론 다양성의 문화와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존 하는 인간

상호간 감성 교감을 시(다양성의사회 응력)

5 직업윤리

- 나름의 철 한 룰(Rule)을 정하고 지키는 실천의지

규율있는 행동(Disciplined Action)

6 변화의지(흡수능력)

- 충분한 사 지식을 갖추는 일과 함께 새로운 것을 극 배우려는 자세와 의욕

7 핵심가치 실천 능력

- 회사의 가치와 생각을 같이 하는 사람

- 창의력과 유연성을 갖춘 스피디한 실천력

- 123 -

진미석 외(2007) 정철영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적극적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 및 발표

토론과 중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적극적 청취

-독해력

-쓰기

-기초영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유동환(호서 학교)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통해서 삶을 유지하고 실 하고 꿈꾸고 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하거나 선택 당한 직업 역에 맞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는 그 직업에 가장

잘맞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런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세부 역량을 재분류하고

재구조화하여 명확히 살펴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어 시사 이 큰 논문이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인 4장의 2 의 표에 한 의견을 정리해 보겠다

1 의사소통

한국 인 교육 환경의 특징은 의사소통에서 있어서 소통에 한 훈련이 매우 수동

으로 이 지고 있어 이는 고스란히 직업세계로 연결되어 의사소통의 하 요소인 말하

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총 인 언어능력에 한 필요성은 매우 강조되지만 실제로

는 직업세계 속 의사소통 당사자들 사이의 역량 수 에 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상황이

다 더구나 수와 도료를 활용한 수리능력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상황은 특수한 직업세계

에서나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이른바 리젠테이션이 업무활동에서 일반화되

면서 수와 도표의 활용과 비언어 인 상징을 통한 표 의 역할이 매우 요하게 발 하

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이 단순히 의사소통 상 자들 사이의 단순 능력의 차원

이 아니라 개념의 이해 개념의 표 개념의 달이라는 총 이고 순환하는 통합능

력에 기반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창조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지식 기반 직업의 경우

그러한 역량이 더욱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한 외국어의 경우 한국 인 상황에서 그

- 124 -

대인관계 및 협력

협력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능력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협력

-고객서비스

-갈등관리

-협상

종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인식 및 해결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대안선택

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평가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적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역량이 직업인으로 성공하는 핵심요소로 표 되지만 보편 인 직업환경에서 역량의 육

성이 쉽지 않은 것 한 사실이다

2 인 계 능력

논문에서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

의 계에서 각각 리더십- 력-고객서비스를 능력으로 배치하고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 리 능력에서 우

리나라의 경우와 달리 해외 연구자들의 경우 매우 구체 으로 상 자의 얼굴과 이름

기억하기 비언어 인 심리 상태 인식 사지향성 등을 들고 있다 실제로 기업 장에

서는 이러한 구체 이고 작은 능력이지만 직업세계에서 매일 매일 만나게 되는 인

계의 상황을 호 시킬 수 있는 역량에 한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3 문제해결능력

논문에서는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

고 있다 분석-종합-해결 이라는 틀에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최근의 문지식 기반

의 직업환경은 복잡하고 긴 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IT와 CT 등의 직업 역에서 삼성

직무 성검사SSAT(직무능력검사)에서 제시한 차계획력이나 CLA의 분석추론력 등

을 참고하여 과정추론력은 매우 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 125 -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및

활용

자원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및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량적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대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및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자기관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지향적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적 자기조절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관리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신체적 정서적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및 실천

- 직업윤리

4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이 역량은 최근 요도가 증하고 있는 역임에도 의사소통능력 등 다른 부분에 포

함되는 부분이 많아서 최종 결론은 정보-기술-자원으로 요약되어 있다 다만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

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는데 결국 이는 자원-기술-정보를 취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이

러한 역량이 서로 상호 으로 연결하는 능력인 계 역량으로 발 해야 한다고 보는

에서 최근의 문지식 기반 직업 분야에서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5 자기 리능력

- 126 -

글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및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를 포 하는 측면

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직업세계에서

자기 리에 한 강조 경향은 이 역량의 요성이 앞으로도 커지리라 생각하고 직업윤

리에 한 강조는 이 역량에서 윤리지수의 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6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당 로벌 역량과 조직이해 능력이라는 항목을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으로

통합 조정한 역량이다 수정안이 조직과 로벌 역량에 한 부분은 잘 수용되어 있는

데 사회문화이해능력이라 표 하면서 최근 시되고 있는 맥락의 역사 이해 능력이라

는 부분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

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에 해서 조정하고 이를 도표로 재구조화하 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은 직업세계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임에 틀림 없다 다만 그 6개 역의 하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근의 직업세계

의 변화경향과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래 비젼에 따라 강조 이나 치 이 달라져

야 할 것이다 매우 정교하고 객 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핵심역량에서 논자가 이

야기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은 핵심역량 추출에서 매우 요한 이다 한 한국의 직업세계이라는 특수조

건에 한 고려를 핵심역량 도출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지 여기 실 으로 존재

하는 한국 직업세계의 특수성은 개개 직업인들이 가져가고 길러가고 지향해야 할 핵심

역량의 요소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 자료는 결론으로써가 아니라 과정 기 으로

계속 연구하고 논의해 가야 할 것이고 구체 인 교육 장과 직업 장에서 실제 로그

- 127 -

램을 통하여 구 할 수 있는 방안의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업에 한 정치한 사회과학 논의를 하면서 인문학을 공하고 문화콘텐츠 문

기업을 운 했던 경험을 잣 로 살펴보다 보니 특정 직업세계에 기반하여 논문의 결론

을 바라보는 우를 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밝히면서 을 마친다

- 128 -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 이공계 졸업생의 직무 수행 핵심 역량 수 의 측정과 책 -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국내 첨단기술기업을 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실제 이공계 4년제 학을 졸

업하고 입사한 직원의 직무수행과 련한 핵심역량 평가 결과 업무 련 문지식(5

만 290) 실무 능력(269)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밖에 이론 문

제해석해결 능력(305) 커뮤니 이션 능력(312) 조직 응 능력(312) 등이 부족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25

3

35

4

어학능력 의사소통능력 컴퓨터 활용능

조직적응능력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업무 지식 업무 실무 기본인성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1] 이공계4년제 학 졸업 입사 직원 평가

- 129 -

과 목 설계 공정개발 생산 장비개발 기획amp마

반도체물리 52 50 43 50 41

화학 54 51 38 46 42

공업수학 56 47 40 46 52

회로이론 55 54 39 48 52

자기학 64 48 37 45 45

자회로 51 49 38 44 46

기 기실험 58 50 34 47 51

CAD실습 56 44 29 55 53

논리회로설계 64 44 31 48 44

5246

3845 4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설 계 공 정 개 발 생 산 장 비 개 발 기 획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2] 직무별 직무수행역량 역량습득 련 학재학시 학습수

이러한 신규 지원자의 질 미흡 문제는 기업과 교육훈련기 (공업고등학교 학 등)

간의 상호 연계 시스템 미비로 인한 인력양성의 비효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

서 신규 졸업자의 질 제고를 해서는 공업 고등학교 학 교육의 장성 강화로

수요자 심의 교육이 으로 요구되는 것이 실이다

업무지식과 업무실무와 련하여 실제 직무수행과 련한 지식의 습득정도를 측정하

으나 습득율이 50 수 에 머무르고 있다

아울러 과목별로 지식의 충족도는 부분 50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lt표 1gt 교과목별 지식충족도

[ 100]

- 130 -

논리회로실험 56 50 33 48 46

혼성모드 IC설계 47 38 38 54 38

고주 소자 모델링 40 50 38 25 50

RF반도체회로설계 47 25 33 50 75

VLSI설계 46 39 44 38 43

디지털시스템이론 51 35 34 44 43

반도체공학 48 48 46 48 41

IC 로세스 54 58 38 44 39

자공학 43 50 39 39 47

반도체실험 53 53 46 46 52

반도체응용실험 52 50 47 45 50

응용 자회로 51 35 28 39 46

자회로실험 49 44 30 42 45

신호 시스템 50 48 33 41 49

자장론 50 44 31 47 47

통신실험 53 42 38 38 52

통신시스템 49 38 28 44 51

고주 공학 53 38 20 33 44

디지털통신시스템 51 34 32 45 49

고주 회로 46 33 25 42 48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문역량과 련하여 학교육과 산업체 장요구와의격차(Gap)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육이 산업체의 Needs를 맞추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빠른 기술발 추이에

맞는 선행교육이 제 로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학교육에 있어 실험실습이 차지하는 비 은 실무에서의 요도에 비하여 을뿐

더러 학의 설비구비수 이 산업계의 수 보다 뒤처져 있는 실 인 문제가 이러한 결

과를 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기 해서는 주로 자기학습을 통한 노력과 실무를 통하여

익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131 -

분류 학습격차 보충방법

반도체설계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공정개발1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생산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반도체 장비개발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자기학습노력

반도체 기획마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lt표 1-2gt 직무능력 학습격차 보충방법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따라서 학교육과 장요구와의 격차(Gap)가 큰 교과목에 한 보완 방안을 학과

산업이 공동으로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학의 경우 공과정 교육체계작성 시 반

드시 산업계로부터의 Needs 분석을 실시하고 산업계 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실질

인 반도체 교육체계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육에서 필요교과목에 한 이수 의무화하여야 한다 재 많은 학에서 공학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궤도상에서 우선 요한 조건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 요) 교과목을 제 로 선정하여 학에서 교육시키도록 해야 한다

반도체 직군별 문가 육성을 한 학 내 반도체 교과목 연계 경력 로그램운 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학에서 학과마다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때 학과 내에서도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별 문가 양성을 미리 염두에 두

고 분야별 과목연계 경력 Program 운 을 제도화하여 학생들이 학 졸업 후에는 자신

의 공진로를 쉽게 찾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 132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3 -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조 연(숙명여자 학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Ⅱ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Ⅲ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134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5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식기반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 별되는 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과거 교육 역이

아니었던 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교육 학습활동이 이루지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은 기본 인 경제자원이며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회 통합

을 한 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상되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을 얻기 한 주요

통로가 등 학교육 등의 형식 (formal) 교육활동이었다 그러나 평생학습시

의 도래로 학습의 개념과 이 보다 다양해지고 형식 교육활동 만으로는 개인

사회발 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차 학교 이외의 학습 체제에 한 심이 증 하고

있다

불과 십여 년 까지 학교교육을 통해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재 과학기술의 속한 발달과

세계화 정보화로 인한 지식의 홍수 등으로 인해 학교교육에서 학습된 내용은 성인의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에 큰 도움을 장기간 제공해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한

다 학교교육은 창의성 사회성 문성 그리고 자율학습능력을 갖춘 인 자원을 양성해

야 하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후에도 지속 인 평생학습을 통해 인 자본 축

이 으로 필요하다(김장호 2007) 더욱이 환경의 변화주기는 더욱 짧아지고 있으

며 인간의 수명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은 더욱 미래사회

에 가속화 될 망이다 즉 생애 어느 한 시 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만으로는 새로운 사

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하기란 불가능하다(강순희 amp 신범석 2002) 따라서 선진

각국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생애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큰 틀로서 평생학습사회

를 하나의 지향 으로 설정하 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 는 평생학습34)은 학교교육과 성인(사회)교육의 유기

화학 통합(한숭희 2006) 는 유아교육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노인교

육의 생애 교육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기업교육 사이버교육 등 범생애

교육을 통칭(김진화 2006)하는 것으로 모든 교육 는 학습활동의 기 이며 조직원

34) 평생교육은 제공자 차원에서 학습자의 평생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 인 활동을 의미하며

평생학습은 학습자의 계획 이고 조직 인 교수학습과정에 참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발 으로 계획하고 실

천하거나 우연 으로 경험하는 학습을 의미한다(권 2007 150)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 ( 는 제

공자)가 동시에 존재하나 평생학습은 학습자만이 존재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 136 -

리 그리고 교육의 최상 개념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의 진 여부를 떠나

그 만큼 오늘날 평생교육 평생학습의 요성과 심이 증폭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결과 으로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정부 지역수 에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

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재구조화 하는 한편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해 많은 노력들을 꾸 히 실천해 오고 있다 를 들면 평생학습도시사업 평생학습

축제 평생교육법의 면개정 평생교육진흥원설립 주말소외계층평생교육지원사업 등을

통해 평생교육에 한 국민의 심 증 를 도모하고 평생학습 참여를 한 극 노력

들을 개하고 있다 2002년 OECD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선

진국에 비해 낮은 수 이었다(북유럽 3국 536 덴마크 562 국 449 한국

172) 그러나 2007년 12월에 발표된 교육인 자원부의 개인평생학습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참여율은 298로 OECD 국가 평균 26보다 높게 나

타났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 21세기 국가발 의 핵심의제가 됨에 따라(김승보 2007) 미래

평생교육의 요성과 평생학습의 참여율은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그 다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 구성원은 어떠한 모습일까 다

시 말해서 미래 사회의 학교 외 학습 체제에서 이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역량에 한 강조는 인 자원개발과 성인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넘어 공교육의

교육과정 구성에까지 확 되고 있다(윤정일 등 2007) 즉 평생학습사회 각 부분에서 구

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악하고 이를 함양하기 한 제도 실천 노력을

개함과 동시에 미래 사회 구성원이 될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한 목 이다 이를 하여 최근 정부와 국내 교육 련

연구기 들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역량이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사회구성원의 핵심역량을 악하고자 하 다

한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 정보와 지식 그리고 네트워크의 요성을 강조하면

서 사회구성원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제시하

다 를 들면 이돈희(1999)는 의사소통능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 사고

인간 계능력 자기 리 세계 인 안목과 응력을 강조하 고 김승보(2007)는 외국어

실력 디지털실력 자기주도학습력 이문화이종교이역사에 한 열린교육을 통해 창

조성 향상 문성 의사소통능력 활동 능력 노동철학과 직업윤리의식을 제시하 다

그러나 국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은 부분 재 시 에서 특정 분

야에 필요로 하는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미래 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

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근은 미흡

- 137 -

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 개인 연구자들의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평생학습사회에 사회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언 은 주로 선언 이며 규범 근이었다

Ouane(2002)는 역량정의에 있어 규범 이고 일반 인 정의는 실제 상황과 충돌이 있을

수 있음을 지 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당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목 을 해결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 다

가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최근 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를 종합분석하여 공

통 차이 을 도출하 으며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분석하 다 한 평생학

습사회에 한 개념 정의와 특징을 종합분석하 다 특히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

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통해 이들이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

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나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DeSeCo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학교 기타 국내외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

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한 선행연구분석 결과는 국가교육과정의 개발을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다 평생교육법 평생교육제도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을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

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한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

- 138 -

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을 분

석하여 각 제도들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통해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하 요소

들을 악하 다 그리고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 을 통해

각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하여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라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시사 도출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여 2차에 걸친 문가 의회를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

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련 선행연구분석 법제도 로그램 분석에서 도출된 역량과 문가 의회

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비교 분석하 고 이 결과는 설문분석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되

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우선순 를 제시하 다 마지막으

로 도출된 역량을 하 요소에 기 하여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교육과정 체제 측

면과 교육목 내용 측면에서 시사 을 제시하 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내용을 추진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이 사용되

었다

가 문헌연구

역량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그리고 시민을 한 역량도출 평생교육법 제도와

련된 최근 문헌들을 분석하 다 이와 같은 문헌의 종류로는 역량과 생애역량 그리고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제공하는 문헌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와 특징 그리

고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공하는 문헌 시민

상 역량 도출을 한 국내외 연구보고서 평생교육법령 해설집 다양한 평생교육제도(

를 들면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의 이념 목 취지 그

리고 구체 내용을 제공하는 문헌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의 목 을 제공

하는 문헌을 분석하 다

나 명목집단기법

- 139 -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역량별 하 요소의 비 설정을

하여 2차에 걸친 문가 10인과 의회를 실시하 다 문가 의회는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 다 명목집단기법은 문가들이 모여 하나의 주

제에 한 문제나 이슈들을 식별하고 순 를 정하는 가 서열화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비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함이다(Witkin amp Altschuld 1995)

일반 인 그룹 활동과는 달리 토의나 사호작용을 도하여 구성원 각자의 독립된 의견

을 수합한 후 필요하다면 토의와 상호작용을 통해 각각의 의견을 명료화 한 후 최종

인 아이디어들과 그 순 를 매기는 활동을 의미한다 최정임(2002)은 명목집단기법이

인스토 의 창조 인 특징을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한 통제된 틀에 통합시킨 그

룹 활동으로 정의하 다 여기서 명목(nominal)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기에 집단의 상

호작용 활동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름 상으로만 집단의 형식을 취한다는 뜻이다

다 설문조사 우선순 기법

1) 설문지 개발

문헌연구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결과를 기 로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들의 갖

추어야 할 역량 하 요소들로 설문지를 개발하 다 연구진 의회를 통해 설문지

안이 개발되었으며 개발한 설문지에 하여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보하기

해서 학교수와 평생교육 장 실무자 등 문가 4인으로 구성된 문가 의회의 도

움을 받았다 문가 의회는 이메일로 설문지에 한 내용과 형식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연구진 의회를 통해 이를 반 하 다

2) 조사 상 표집 실시

본 연구를 한 조사 상 표집 그리고 실시는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었다

3) 분석 방법

설문지 분석은 SPSSWIN 12를 사용하여 분석하 다 특히 역량의 우선순 를 악

하기 하여 본 연구는 The Locus for Focus Model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 그리고

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역량에 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하

다 3가지 우선순 방법 마다 장 과 단 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기 한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 다

- 140 -

II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1990년 이후 평생학습이 경제 필요와 사회문화 이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로벌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연스럽게 lsquo학습사회rsquo 는 lsquo평생학습사회rsquo라는 용어가

화되었다 평생학습사회에 한 정의는 연구자의 다양한 에 따라서 서로 다르

게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공통된 하나의 정의로 진술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련된 연구물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는 학습사회는 어떤 모습

으로 그려질 수 있으며 이들 사회의 특징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3가지 차원

에서 살펴보고자 하 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는 월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특히 학교를 심으로 한

통 인 교육기 을 넘어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기회를 창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즉

학습이 기존 학교로 표되던 특정한 교육기 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다

Tielen(1998148)은 평생학습사회란 학습을 한 다양한 자원이 통 인 교육기 을 넘

어 가정 지역사회 기업 그리고 다른 조직들로 확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고 하 다 손

유미(2005) 역시 학습과 교육이 학교나 공식 으로 부여된 특정 장소에서만 이루어지는

사회가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삶의 공간에서 학습이 매개될 수 있는 사회를 평생학습사

회로 정의하 다 결국 월성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사회는 기존 교육과 학습의 헤게모

니를 구축하고 있는 학교교육을 뛰어 넘어 사회교육 직업세계간에 단 과 장벽이 없는

사회 체가 평생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권 2003 차갑부 2003)

평생학습사회는 공간 차원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도 월성을 강조한다 평생

학습사회는 평생에 걸쳐 시간 제약이 없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평생 언제라도 자유롭게 학습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사회(이희수 외 2000) 평생

에 걸친 학습체제가 마련되는 사회(김장호 2004)로 정의된다 결국 월성을 강조한 평

생학습사회는 시간과 장소의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사회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월성의 측면에서 평생학습사회는 학습의 양 증 를 도모

한다

둘째 평생학습의 정의에는 평등을 기반으로 한 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학습기회

- 141 -

에 있어서 차별성이 없으며 모든 국민의 생애(lifelong) 학습권이 보장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등에 기반 한 성을 강조하기 해서 많은 학자들은 lsquo 구나rsquo lsquo모든 국

민rsquo 는 lsquo만인rsquo이라는 표 을 주로 쓴다 를 들면 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김승보 amp 이주호 2007 최상덕 외 2007) 모든 국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보장해 주는 사회(권 2003) 만인을 한 사회(이희수 외 2000)

구나 배울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모든 국민이 평생 동안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지식을 생성하는 사회(김신일 amp 박부권 2005) 등으로 설명된다

이처럼 국민 모두가 평생 동안 학습기회를 자유로이 가질 수 있는 학습의 평등화와

화를 도모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분명 일부 능력 있는 집

단만의 유물이었던 학제를 심으로 한 학교 심 사회와 다르다 더욱이 형식학습을

넘어 비형식 학습 그리고 무형식 학습 등이 새로운 유형의 의미 있는 학습기제로 활발

히 인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 구나 생애 학습자로 평생학습사회의 극 구성

원이 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학제를 심으로 학교 심사회와 비교하면 평생

학습사회는 학습기회가 분배되는 패턴이 평등과 성을 기반으로 변화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 리 평가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서 강조된

다 특히 통합성은 앞에서 언 한 월성과 성의 특징을 포함하는 종합 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국민을 상으로 생애를 통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하고 장소와 시

간에 구애됨이 없이 범생애(life-wide) 차원에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함으로써 수직

수평 통합을 강조한다 김장호(2004)는 개인 조직 사회의 모든 구성체가 학습조

직화되고 상호 학습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하 다 결국 다양한

주체의 통합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 구축이 평생학습사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통합성은 생애 그리고 범생애 차원에서 발생하는 학습기회를 단순히 나열하여 교육

과 학습의 역을 넓히는 물리 통합이 아닌 평생학습의 기본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교육과 학습활동을 유기 화학 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성에

기 한다면 기존 학제의 표로서 교육과 학습을 주로 리해 온 학교 역시 평생교육의

이념으로 개 되어야 한다(김승보 amp 이주호 2007) 한숭희(2006) 역시 등 학의

학교교육과 성인계속교육의 물리 통합 추구는 결국 일종의 학교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이는 근 학교모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결국 평생학습

사회의 구 이 어려울 수 있음을 지 하 다

많은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학습을 리하고 평가하는 것

에 주목한다 를 들면 평생학습사회는 자유로이 학습기회를 선택하여 배우고 그 성과

를 히 평가받을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이며 다양한 학습의 결과가 공식 으

- 142 -

로 인정되는 사회(최상덕 외 2007)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근거로 학습자의 학력이 아닌

능력을 평가하는 체제를 갖춘 사회(안상헌 2005)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한숭희

(2006)는 평생학습사회 논의의 이론 구체화를 도모하기 해서 학습의 사회 리양

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 최근 유럽을 심으로 사회 으로 다양한 학습의 리 방

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하 다

과거 학교에 유되었던 학습은 주로 교육의 부산물로 다루어졌지만 이제 교육은 학습

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 인 존재양식을 획득하기 시작한다 과거 학교의 교

육연한으로 산출되던 한 사회의 총학습량은 이제 형식교육 비형식 교육 무형식 학습을

총 한 평생학습시간으로 체되었고 그것을 측정하기 하여 비형식 무형식 학습을

계량화하기 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모색되기 시작하 다(한숭희 2006188)

우리나라의 사내 학 학습계좌제 학 은행제 등이 유럽에서 최근 등장하고 있는 무

형식 학습에 한 학습결과 인증노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u(2007)

는 평생학습사회란 교육된 사회 교육 심사회 교육력 있는 사회가 아니라 하나의 통합

인 모델이며 그 자체임을 강조하 다 평생학습사회는 시간과 공간의 월성 모두를

한 평등에 기 한 성 그리고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의 리와 평가가 이

루어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학습은 하나의 삶의 양식이며 살기

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처럼 생활을 해 성장과 성숙을 해 학습이 일상화되는

사회로서 학습에 한 고 통 가치가 개방 생활 가치로 환된 사회를 의

미한다 결국 평생학습사회는 우리가 추구해야할 이상 이면서 동시에 실천 목표라

고 할 수 있다

나 평생학습사회에서 추구하는 구성원의 모습

평생학습사회에서 바람직한 구성원의 모습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매우 한 련이 있다 즉 평생학습사회에서 극 인 구성원이란 결국 lsquo끊임없이 학

습하는 인간rsquo(김장호 2007)이며 학습은 지식을 창출하기 한 과정으로 인식할 때 지식

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는 함께 추구해야 할 사회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평생

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모습은 결국 지식기반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간상과 같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장은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물에서 제시된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

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 한 인간상을 분석하여 제시하 다

70년 반 Faure 보고서에서는 학습사회의 인간상으로 lsquo완 한 인간rsquo을 제시하면서

- 143 -

역량 (출처의 빈도) 출처

자기주도학습능력 (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

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유 숙 외 (1999)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정보획득 활용능력 (정보문해력 정보

획득을 한 기기활용능력)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능력 포함)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력 (5)오장원 선(2004)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유 숙 외 (1999)

신체 지 정서 도덕 으로 통합된 인간을 의미한다(Faure 1972) 이와 같은 학습

사회의 인간상은 2000년 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구체 인 수 에서 언 되고 있다 유

숙 외(1999)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으로 창의 인간 자기주도

인간 그리고 실용 인간을 제시하 다 조원경과 양은주(2001)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창조와 동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창조 인간 형성이 요청된다고 하 다 박

만(2002)은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간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강순희와 신범석(2002)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모델은 신지식인이며 지식기반

산업사회에서 주체 세력은 지식근로자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 다 유 옥(2005)은 평

생학습사회에서 추구되어야 할 새로운 교육 인간상으로 성숙한 개인의식을 지닌 인간

을 강조하 다 이재분 외(2006)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으로 자율 인간 창

의 인간 학습하는 인간 직 인 인간 동하는 인간 사고하는 인간 그리고 감성

인 인간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서 요구되는 능력을

역량과 역량요소로 구분하여 종합 으로 정리하면 lt표 Ⅱ-1gt과 같다

결과 으로 가장 많은 문헌들에서 강조한 역량은 자기주도학습력이며 그 다음으로 정

보획득 활용능력과 의사소통능력으로 나타났다 한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

력 문제해결력 수리력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인

계능력 그리고 학습동기가 비교 련 문헌들에서 강조한 주요 역량으로 분석되었

다 그 외에도 학습방법능력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문해력 장 응력 자기 리능

력이 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한 국제 연구 추세

를 정리한 김남희(2004)의 결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

의 타당성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lt표 Ⅱ-1gt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

- 144 -

문제해결력 (5)김장호(2007) 유 숙 외 (1999) 박 만(2002) 강순

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수리력 (4)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Tuijnman(2003)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3)강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오장원 선

(2004)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3) 유 숙 외 (1999) 유 숙 외 (1999) Tuijnman(2003)

인 계능력 (3)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

(2002)

학습동기 (3) 김 철(199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학습방법능력 (2) 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2) 유 숙 외 (1999) 차갑부(2001)

문해력 (2) 김 철(1999) Tuijnman(2003)

장 응력 (2) 김장호(2007) 차갑부(2001)

자기 리능력 (2)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추진력 유 숙 외 (1999)

기업가정신 김장호(2007)

도 의식 유 숙 외 (1999)

사명의식 유 숙 외 (1999)

로벌마인드 김장호(2007)

인본주의정신 김장호(2007)

민주의식 조원경양은주(2001)

인내 차갑부(2001)

가피 단능력 박 만(2002)

다문화이해능력 조원경양은주(2001)

2 역량과 생애역량

가 역량

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야까지 사회

- 145 -

학 자 역량의 정의

Klemp(1980) 직무 장에서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Boyatzis(1982) 직무에서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McLagan(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련된 개인의 능력특성

Bartram(1990)KEDI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능력 작업

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 인 강제상황에서 응할 수 있는 능력

Fletcher(1991) 규정된 기 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 으로 나타나면서 비교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What one

should know)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What one should be able do)을 포

함하는 능력

Dubois(1993)삶에서의 역할을 성공 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amp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에서 거에 따르는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내 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향을 주고 업무 성과와 련성

이 높고 조직에서 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 에 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

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rsquo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역량운동으로

까지 부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조 연김재 2007) 일반 으로 역

량은 lsquo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 (잠재 )인 특성rsquo으로

McClelland(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McClelland는 통 인 학업성취도가 직무

성과나 삶의 성공을 측하지 못하며 한 인종소수자 여성 등에서는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Adams 1996) 역량의 필요성을 주장하 다 이러한 McClelland(1973)의 정의

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lsquo평균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rsquo에

을 두었다(Linkage 1997 섭 외 2008에서 재인용)

그러나 역량에 한 정의는 학자마다 그리고 역량에 한 근방식에 따라 다르다

아래 lt표 Ⅱ-2gt에서 볼 수 있듯이 학자마다 역량을 정의하는 개념은 약간씩 다르며 통

일된 개념정의는 없는 것이 실이다 즉 역량의 개념에 한 공통 인 정의가 부족하

고 각 조직마다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명명한다든지 유사한 이름의 역량을 상

이한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Brundrett 2000 김종인 외 2006에서 재

인용)는 이 재 역량 논의의 쟁 이라고 볼 수 있다

lt표 Ⅱ-2gt 역량의 일반 개념

- 146 -

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irabile(1997) 우수 성과자와 평균 성과자를 구분해 주는 지식 기술 특성

권 (1998)조직의 핵심 사업을 수행하기 해 으로 필요한 인재들만이 발휘하고

있는 고유한 역량으로서 창의성과 문성을 바탕으로 한 자질

Green(1999)직무 목표 달성에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 개인 기술에 한

증거 자료

Lucia amp

Lepsinger(1999)업무에서 효과 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Herling(2000)최소한도로 효율 이고 동시에 결과에서 효과 인 개인에의 일 되게 보여진

행동

Schippmann et al (2000)특정 과업이나 활동에서의 성공 수행 는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에서의

한 지식

송 수(2000)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이하 수 의 사람들과 차별되는 공통된

특성

OECD(2002)개인이나 사회의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거나 특정 활동이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

김태기 외(2002)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출처 오헌석(2007) 조 연 외(2007)의 일부를 수정보완함

이러한 다양한 정의들 에서도 공통 으로 나타나는 것은 역량이 어떠한 lsquo능력rsquo을 의

미한다는 것이다 즉 역량은 lsquo능력rsquo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하다고 볼 수 있다 능력

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살펴보면 can ability capability competency 등이 있

으며 각각의 의미는 조 씩 다르다 일반 으로 competency에 가까울수록 고도의 문

행동 능력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주 외 2004) 한 주 외(2004)는 lsquo학력rsquo

과 lsquo역량rsquo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lsquo학력rsquo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lsquo무엇을 배웠는가rsquo

에 근 한 개념이라면 lsquo역량rsquo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지는

지 능력 이상의 복합 인 능력으로 궁극 인 lsquo행동능력rsquo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다 이 듯 역량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개인의 능력 특성과 련된 개념이

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며 조직의 성과나 개인의 성공을 해 필수 인 개념임에는

틀림없다

한 역량에 한 근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 McClelland와

Boyatzis의 근은 미국에서의 역량 논의에 지속 으로 향을 미쳤지만 국에서의 역

량 근에서는 체로 무시되어 왔다(Brundrett 2000) Brundrett(2000)는 미국과 국에

서의 역량에 한 근은 크게 두 가지 에서 구별된다고 하 다 첫째 역량에 한

- 147 -

비교기 행동역량모형(미국) 직무성과모형( 국)

목성과향상을 한 역량개발

우수수행자의 규명

종업원의 능력진담 자격화

최소 수행수 규명

상 리자 리자 뿐 아니라 모든 상

직무 개인의 특성

(직무의 특성에서 출발)

개인의 행동 특성

(사람의 특성에서 출발)

개발 차 개인(우수수행자)의 행동 특성직무기능에 필요한 성취

표 (과정결과물)

조직의 향 조직맥락보다는 직무기능 심 조직에서 요구하는 행동 특성

방법론 다차원 방법론 합리주의 실증주의

용어의 사용 competency competence

정의의 에 있어서 McClelland와 Boyatzis가 lsquo사람(people)에 을 맞춘 반면

국에서의 부분의 근은 rsquo직무(the job)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McClelland와

Boyatzis가 우수 성과자(superior performance)를 규명하기 한 행동에 심을 둔 반면

국에서는 최소한의 역량 수 을 규명하는 데 심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미국과

국에서의 다른 근방법에 해 오헌석(2007)은 역량에 한 미국식 근은 역량을 행

동에 미치는 독립변수로 간주하는 반면 국식 근은 역량을 종속변수로 간주하여 성

과와 동일시하고 있다고 하 다 한 미국식 근법은 다차원 방법론에 기반하고 있

는 반면 국식 근법은 합리주의 실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 다 역량에

한 미국과 국의 근법을 비교하면 아래 lt표 Ⅱ-3gt와 같다

lt표 Ⅱ-3gt 역량모형의 차이 비교

출처 Garavan amp McGuire(2001)와 Wood amp Payne(1998)을 통합수정 오헌석(2007)에서 재인용

Ouane(2002313)는 역량의 본질에 기 한 근방법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하

다 첫째 세분화된 직무(tasks)완수와 련된 분 행동으로 보는 근 둘째 하나의

구체 인 job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반 인 특성을 도출하려는 근 셋째 행동과 특

성을 종합하려는 근 한 Deist amp Winterton(2005)은 역량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

하고 국가별로 근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하 다 일차원 인 역량구조는 역량을 충분

히 이해하는데 부 하며 다차원 인 역량구조가 함을 주장하면서 미국에서는 행

동주의 역량에 기능 이고 인식 역량이 첨가되고 있다고 하 다 반면 국에

서는 직업 기능 역량 모형에 인식 이고 행동주의 인 역량이 추가되고 있으며

랑스 독일 그리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역량의 차원으로 지식 기술 그리고 행동을 고려하

는 체론 (holistic) 역량 모형이 채택되기 시작했다고 하 다 아래 [그림 Ⅱ-1]에서

- 148 -

제시된 인식 역량은 지식(Knowledge)과 련되며 기능 역량은 기술(Skill)과 련되

고 사회 역량은 태도(Attitude)와 련된다 이는 보편 으로 불리는 지식 기술 태도

의 종합인 역량의 의미와 같다 그러나 Deist amp Winterton(2005)은 Meta Competence라

는 개념을 추가하여 다차원 역량의 논의에서 실제 인 역량을 획득하기 한 역량으

로 메타 역량을 정의하며 지식 기술 태도 모두에 내재되어 있는 다차원 인 역량이 존

재를 강조하 다

Meta Competence는 보다 넓은 사회과학 맥락에서 역량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Rychen amp Salganik(2000)의 설명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Rychen amp Salganik(2000)은 역

량이 지식 기술 태도 등 능력 복합체이지만 기업 등 직장에서 요구되는 특정과업만 국

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일반능력이라는 에서 역량

의 범 가 상당히 넓을 수 있음을 주장하 다(김남희 2004 6쪽 재인용)

[그림 Ⅱ-1] 역량의 유형

출처 Deist amp Winterton(2005) pp39

나 생애역량

생애역량의 개념은 lsquo생애능력rsquo 혹은 lsquo핵심기술(key skills) 생애기술(life skills) 등과

동일시되어 연구되어 왔다 에서 살펴본 역량과 같이 생애역량에 한 서로 다른 이

해와 때문에 하나의 일반 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최근 Singh(20032-3)은 몇

- 149 -

학 자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정의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

유 숙 외(2002) 생애능력 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

몇 국제기구에서 사용되는 생애역량(life skills)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UNESCO의 IBE(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은 인간이 독립 으로 히 기능

하는 데 필요한 개인 리 사회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UNICEF는 일반 으로

요하다고 여겨지는 심리사회 기술과 인 계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WHO

의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olicy(MHP) 은 문화 발 인 한 방법

에 의해 심리사회 기술을 강화하고 실습하는 것을 생애역량교육이라고 정의하 다

특히 생애역량교육은 개인과 사회의 발 건강과 사회문제 방 그리고 인권보호증진

을 목 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생애역량은 기 의 고유 목 에 따라서 다양하

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ECD는 2001년 DeSeCo 포로젝트를 통해서 생애역량을 정의하 다 DeSeCo는 개인

의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하나의 구체 상황이 아닌 폭

넓은 련된 상황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해 요구되는 능력으로 rsquokey

competencies를 정의하 는데 이는 생애역량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

다 Singh(2003)는 생애역량이란 지식 행동 태도 그리고 가치의 복합체이며 목표를 달

성하거나 무엇인가를 하기 한 know-how 그리고 기술을 포함한다고 정의하 다

국내에서의 연구를 살펴보면 유 숙 외(2002) 김안나 외(2003) 이석재 외 (2003)의 연

구에서는 lsquo생애능력rsquo을 생애를 통해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으로 정의하 는데 이들 연

구들에서는 competency를 lsquo능력rsquo으로 정의하 으므로 lsquo생애능력rsquo이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

이다 장수명 외(2002)의 연구에서도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식 기

술 태도의 집합체를 lsquo생애능력rsquo으로 규정하 다 강경종 외(2002)의 연구에서는 lsquo생애능

력rsquo을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으로 규정하 다

lt표 Ⅱ-4gt 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와 정의

- 150 -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

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

김안나 외(2003) 생애능력삶의 장으로서의 횡단 장면과 종단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으로서 한 개인이 인생을 성공 으로 살아나갈 때 요구되는 능력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한 개인이 등학생으로부터 사회인으로 성장하면서 외부환경에 잘

응하면서 바람직한 성과를 내도록 하기 한 능력

DeSeCo(2001) key competency

읽기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 기술을 넘어서서 개인이 성공 이

고 책임 있는 삶을 이끌어나가기 하여 그리고 사회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하여 요구되는 능력

EC(2000) basic skill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

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

지 까지 논의된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에 있어 매우 유사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생애역량의 개념은 역량의 개념에서 lsquo생애rsquo라는 즉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삶의

시간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lsquo생애 동안rsquo lsquo일생을 통하여rsquo 등과 같은 시간 개념을 제

외하면 앞서 논의된 lsquo역량rsquo의 개념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Quane(2002)는 생애

역량은 모든 연령 성별 다양한 지 를 월한 개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즉 시간

개념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지 와 성별의 구분 없이 구나 사회구성 이라면 갖추어야

할 상이다 김남희(2004)는 평생을 통해 각 단계별 교육이나 학습이 연계되어 습득되

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결정 이고 구체 인 능력을 생애역량이라고 정

의하 다

에서 정의된 생애역량은 평생학습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측

면에서 생애역량은 개인의 자아실 에 기여할 수 있다 소득수 이 높아지고 평균수명

이 길어짐에 따라 문화 욕구 자아실 욕구 등 높은 단계의 욕구충족이 요해

지므로 개인이 학습을 통해 특정한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실 할 것을 고무하고

있다(김태 외 2002) 평생학습사회에서 개인은 평생학습을 통해 생애주기별로 생애역

량을 개발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제2 제3의 직업을 찾아 행복한 삶을

할 수 있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을 통해 개인이 다양한 맥락에서 필요로 하는 요

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

다 DeSeCo(2001)는 생애역량이 (1)개인을 한 가치 있는 결과에 기여할 수 있고 (2)개

인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요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와 있으며 (3) 문직을

한 것만이 아닌 모든 개인을 해 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 생애역량은 사회

차원의 안정과 통합에 활용된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의 개발을 통해 사회가 바

- 151 -

라는 가치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하 다 즉 생애역량을 통해 각 개인의 필요

역량을 구축함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량을 도출함에 있어 역량활용의 목 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Ouane(2002)는

그동안 역량도출이 개인차원에 집 되면서 개인 삶의 성공에 집 되었고 이를 통해 사

회 차원의 함의를 이끄는 수 이었다고 반성하면서 역량 도출의 주된 목 은 개인의

성공과 의미 있는 삶을 한 것 뿐만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책임 수행

을 비롯한 건 한 사회생활을 한 것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김남희(2004) 역시 생

애역량은 개인 차원의 성공 인 삶과 특정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공 인 삶을 살아가

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 다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본 장에서는 최근 기 차원에서 발표된 생애역량에 한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각 연구에서 생애역량의 요소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외 보고서 가운데 DeSeCo EC 국의 교육고용부 싱가폴의 인력부를 심으로 분석

하 으며 국내 연구 에서는 유 숙 외 이석재 외 김안나 외 등의 한국교육개발원 보

고서 Kim et al 김선미 그리고 최운실의 연구를 심으로 분석하여 생애역량의 요소

들을 탐색하 다

가 DeSeCo

OECD는 핵심역량에 한 이론 개념 토 를 마련하기 한 노력의 일환으로

DeSeCo 로젝트를 시작하 으며 OECD 로그램의 하나로 1997년 말에 시작되었으

며 미국 교육부 국립교육통계센터(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의

후원을 받아 스 스연방통계청(Swiss Federal Statistical Odffice)에 의해 운 되고 있다

(윤여각 외 2002)

DeSeCo의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 경제 요

구를 반 하면서 넓은 의미의 교육 결과물과 련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능력을 의

미한다 DeSeCo(2001)는 역량(competency)을 단순한 지식과 기술 이상의 개념으로 설정

하여 로벌화와 화로 인해 빠르게 다양화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well-functioning) 사회를 실 하기 해 필요한 역량을 생애역량(key

competencies)으로 규정하 다 기존의 선진국들이 직업기 능력을 심으로 핵심역량을

- 152 -

생애역량 역량요소

도구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논의하는 것과 달리 DeSeCo에서는 삶의 다양한 국면을 포함하는 포 능력으로 생애

역량에 근하고 있다(김남희 2004) DeSeCo(2001)가 규정한 생애역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1)도구(언어 기술 등)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Use tools

interactively) (2)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3)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Act autonomously)이 그것이다 각 생애역량 별

3개씩의 역량요소를 제안하고 있다 (아래 lt표 Ⅱ-5gt 참조)

lt표 Ⅱ-5gtDeSeCo에서 정의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출처 OECD(2001) pp10-15

Rychen amp Salganik(2003)은 DeSeCo가 규정한 생애역량의 특징을 네 가지로 분석하

다 첫째 생애역량은 다기능 (multifunctional)이라는 것 둘째 생애역량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 모두 용될 수 있다는 것(transversal) 셋째 생애역량은 고도의 복잡한 지 능

력을 필요로 하며 넷째 생애역량은 다차원 혹은 다국면 (multidimensional)이다 이

를 통해 볼 때 생애역량은 특정 직무에 국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수평 이고 수직

인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에서 일반 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개

념보다 그 범 가 넓음을 알 수 있다

나 EC 보고서

EC는 2000년 보고서 lsquo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을 통해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ies)에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요성을 언 하며 basic

skill의 요성을 강조하 다 EC는 rsquobasic skill을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 153 -

EC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사회성 기술 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social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active entrepreneurships)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arn)

- 응성과 변화 처력(adaptability and corresponding to change)

-정보변화 처력(follow up the information flow)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이 능력은 모

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하는 능력이며 이를 통해 직업의 세계(Working Life) 가족

생활(Family Life) 모든 수 의 사회생활(All Levels of Community Life)에 활동 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하 다

EC에서 규정한 basic skill이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할 능력을 규정한 바 이

는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이다 EC에서는 여섯 가지의 역량을 lsquo생애역량rsquo으로 규정하 는데

디지털 문해력 외국어 능력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학습방

법의 학습 응성과 변화 처력 정보변화 처력을 포함한다(아래 lt표 Ⅱ-6gt 참조)

lt표 Ⅱ-6gt EC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EAEA11

다 국 교육고용부

국정부는 2001년까지 교육고용부(Department for Education amp EmploymentDfEE)

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1년 선거 이후 rsquo교육숙련부(DfE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lsquo로 변경되었다 국 교육고용부는 2000년 보고서 lsquoThe Learning Age를 통

해 정보화와 로벌 경쟁사회라는 새로운 시 를 맞아 rsquo능력(Skill)lsquo을 개발해야 하며 이

는 고용상태별middot연령별로 다를 수 있다고 하 다 그러나 교육고용부는 모든 사람이 기

본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basic skills) 여섯 가지를 선정하 다 이는 곧 rsquo생애역량lsquo을

의미하는 것이며 의사소통능력 수리산술력 정보활용력 동과 워크 학습기술 문제

해결력을 포함하 다(아래 lt표 Ⅱ-7gt 참조)

- 154 -

DfEE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y)

-수리산술력(numeracy)

-정보활용력(information utilizing competency)

- 동과 워크(cooperation and teamwork)

-학습기술(성과제고력)(learning skills improve the achievement)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lt표 Ⅱ-7gt DfEE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라 싱가폴 인력부

싱가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는 싱가폴의 고용과 고용 계 일터 안 과 건

강 등을 장하는 싱가폴 정부조직이다 싱가폴은 21세기 인 자원 분야의 경쟁력 강화

를 해 1999년 8월 이후 lsquoManpower 21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Manpower 21계획은

모든 인 자원 스펙트럼을 포 하는 총체 근법(holistic approach)을 도입하 다 이

를 구체 으로 실천하기 해 인 자원 가치사슬(manpower value chain)의 모든 측면

을 강조하는 인 자원 계획입안(manpower planning)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 고

역량 확 (talent augmentation) 인 자원개발(manpower development) 작업환경 환

(workplace transformation)과 트 십 재설정 등을 포함하는 6개의 핵심 략이 도입

되었다(정재완 2000)

이러한 싱가포르의 lsquoManpower 21 계획 하나인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CREST)은 모든 수 의 사람들이 변화에 응하고 지식 경제(knowledge

economy) 환경의 도 에 처하기 해 꼭 갖춰야 할 lsquo핵심능력(core skills)을 제시하

고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된 rsquo생애역량lsquo의 의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싱가폴 인력

부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생애역량은 학습방법의 학습 문해력 경청력구술 표 력 문

제해결력창의력 개인효과성 집단효과성 조직효과성 등이다(아래 lt표 Ⅱ-8gt참조)

- 155 -

MOM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ran)

문해력(literacy)

경청력과 구술 표 력(listening and oral communication)

문제해결력과 창의력(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개인효과성(personal-effectiveness)

집단효과성(group-effectiveness)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dership)

lt표 Ⅱ-8gt MOM에서 규정한 생애역량(CREST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

출처 httpwwwgovsgmomm21indexhtm

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요구되는 능력의 규명을 토 로

국가 학습목표를 재설정하며 국가 학습목표 리를 한 학습체제의 질 리 방안을

모색하기 해 2002년부터 3단계에 걸쳐 총 3년 계획으로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연구를 하 다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는 물론 직업생

활과 사회생활 개인생활을 통해 일생을 보내게 되는 국민 각자의 삶을 보다 가치 있고

질 높게 유도하려는 취지를 갖고 연구를 실시하 다

1) 유 숙 외(2002)의 연구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는 생애능력(생애역량)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국의 NIACE(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dult

Learning) 미국의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싱

가폴 노동부(MOM Ministry Of Manpower) OECD 등에서 제시한 생애능력의 분류체

계를 기 로 생애능력을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 특수 능력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 다

먼 기 문해력은 읽기 쓰기 셈하기의 3R(Read wRite aRithmetic)로서 모든 학습

과 주요 능력 향상을 해 기 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middot 등교육과정의 학

습을 해 매우 요한 생애능력으로 규정하 다 핵심능력(key skills)은 최근 지식정보

화 사회로의 환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사회 변화에 따라 그 내용과 수

- 156 -

생애단계 역량 하 역량

성인학습체제

기 문해력(문해력) ①읽기 쓰기 계산능력②ICT③외국어 능력

핵심능력(직업

기 능력)

①자기학습능력②의사소통③문제해결력 창

의력④개인 효과성⑤집단 효과성⑥조직 효과성

직업 련 능력 1

문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련 능력 2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

①구직 기술②경력계획 리 기술③재무

리 자산 리 기술

시민의식①질서의식②자원 사의식③ 동정신④도덕성

⑤국제화 의식

이 변화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핵심능력으로는 정보화 기기 사용능력 정보지식

획득 숙지 능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핵심능력

은 기 문해력보다는 한 단계 높은 문해력으로 직업 개인생활을 해 필수 으로 구

비해야 할 기본 인 능력으로 규정하 다

시민의식은 사회 자본의 육성을 한 태도이며 사회 조직생활을 한 능력요인

을 의미한다 시민의식에는 동정신 질서의식 자원 사의식 동정신 도덕성 국제화

의식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직업 련능력은 문 직업능력과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으로 구분하여 하 요소를 규명하 다 즉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직무

능력(job specific competency)을 의미하며 직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한

다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은 아래 lt표 Ⅱ-9gt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lt표 Ⅱ-9gt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과 하 역량

2) 이석재 외(2003)의 연구

이석재 외(2003)는 유 숙 외(2002)에서 생애역량으로 설정한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lsquo핵심능력rsquo의 요소를 측정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

구에서는 핵심능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연구 상으로 하

고 등학생 등학생 성인( 학생과 일반성인) 등의 학습단계별로 3가지 능력을 측정

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핵심능력의 세부구성요소는 아래 lt표

Ⅱ-10gt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 속성 의사소통과정에 포함되는 지

인지 처리능력을 심으로 세부 역량 요소로는 해석능력 역할 수행능력 자기제시능

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화능력의 다섯 가지를 설정하 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문

- 157 -

핵심 역량 세부 역량 하 역량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 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개방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타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과 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자원 악

학습실행 학습 략선정 능력 과제집착력

학습평가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제해결자의 재 상태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상태의 차이를 신속하고 효과 으로 해소

시킬 수 있는 지 이며 창의 인 능력으로 정의하 다 문제해결능력의 세부 역량 요소

로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과 실행 수행평가의 다섯 가지를 설정

하 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요소를 규정하기 해 자기주도학습을 하나의 과정(a

process)으로 정의한 선행연구들을 종합분석하여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세

가지 세부 역량을 설정하고 하 역량요소를 포함하 다

lt표 Ⅱ-10gt 이석재 외(2003)의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능력의 하 요소

3) 김안나 외(2003)의 연구

김안나 외(2003)의 연구는 유 숙 외(2002) 연구의 기 에 핵심능력과 시민의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핵심능력을 지도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4가지 하 능력요소로 구분 개념화하 다 이 연구에서는 생

애능력이란 기본 으로 한 개인의 성공 인 성과(performance)를 측할 수 있는 다양

한 삶의 국면들(개인 경제 사회 )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본 능력 수 을 의미

한다 뿐만 아니라 생애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복합

이고 종합 인 능력으로서 정규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평생학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음

- 158 -

생애역량 역량 요소 하 요소

지도력

목표달성능력 목표달성능력 자기능력개발노력

재창조능력 재창조의지 성찰능력

통솔력 리더십 표 능력 설득력

인간 계능력 사교능력 역지사지 능력 도덕성

목 의식 비 목 의식 부재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다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학습실행 자원 악 학습 략 선정능력

학습평가 과제집착력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시민의식

국가 정체성 국가의식 역사의식

신뢰 가치공유 신뢰 기회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middot책임의식 법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의식 보수 middot사회변 참여 지역사회참여

을 제로 하 다 연구들과 차별 인 것은 지도력의 포함이다 지도력은 lsquo자신의 삶

과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 사회를 효과 이고 성공 으로 만들기 해서 지녀야

할 특성rsquo으로 정의하 다

lt표 Ⅱ-11gt 김안나 외(2003)의 연구에서 설정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하 요소

바 Minseong Kim 외(2007)의 연구

이 연구에서는 역량 역을 자기 리(managing self) 타인과의 계(Relating to

- 159 -

역량 역 성인학습(Adult Learning) 직장(Business)

자기 리사회 역량

문화 역량

개인 역량

타인과의 계 동 역량

도구 리문해

직업 핵심 기술직무 구체 역량

역 하 요소

국제 이슈 이해 환경 평화 빈곤 인권 형평성 자원소비 인구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간문화성 변화감각 치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 다양성 공통성 문화 가치의 평등성 문화 편견 인식

공공성 인류공동체 공공 선 상호작용에 한 가치

다양성 다양성 용 이타성

열린 자세 열린 마음 용 숙고(reflection) 연성(flexibility)

사회 참여 심 참여 책임감

계 존 감정이입 합리성 윤리 태도

고등사고력 분석 비 종합 평가 응용

정보사용력 정보수집 처리 활용력

상호작용 능력 상 동 표 력 토론 네트워킹

others) 도구 리(managing tools)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학습상황과 직장상황에 따라 하

핵심능력(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량에 한 거시 차원의 담

론을 제시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생애역량의 방향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을 다

그러나 역량을 구성하는 하 요소들을 규명하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lt표 Ⅱ-12gt역량의 역과 성인학습 직장 수 에서의 필요 역량

사 김선미(2007)의 연구

김선미(2007)는 학생을 상으로 세계 시민으로서 요청되는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네 가지 역으로 구분하

는데 첫 번째 역은 lsquo국제 이슈 이해 문제해결 한 안 이해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rsquo이며 두 번째 역은 lsquo공공성 다양성rsquo이며 세 번째 역은 lsquo열린 자세 사

회 참여 계 존 rsquo이며 마지막 네 번째 역은 lsquo고등사고력 정보사용력 상호작용 능

력rsquo이다 아래 lt표 Ⅱ-13gt과 같이 각 역별 하 역량요소를 제안하 다

lt표 Ⅱ-13gt 김선미(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 역 하 요소

- 160 -

아 최운실(2006)의 연구

최운실(2006)은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에 한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 최운실은 1977년 Resnick amp Resnick의 문해개념 4단계를 시작으로 UNESCO

OECD를 거쳐 ASTD SCANS FEU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기 능력 모형을 분석하

[그림 Ⅱ-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

출처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제4호p 236

으며 국내 연구로는 1959년 앙교육연구소의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등에서 연구한 성인기 능력의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동

향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 함양을 해 [그림 Ⅱ-2]과 같은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를 제시하 다 최운실의 모형에는 lsquo기 능력rsquo lsquo학습능력rsquo

lsquo핵심역량amp생애역량rsquo의 세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차원의 역량요소들이 제시되어 있다

- 161 -

역량 역량요소 빈도

문제해결

갈등(이슈)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DeSeCo)문제해결력( 국 교육고용부)문제해결력(싱가폴 인력부)문제해결력(유 숙 외)문제명료화(이석재 외)원인분석(이석재 외)최 안 선정(이석재 외)계획수립실행(이석재 외)수행평가(이석재 외)문제명료화(김안나 외)원인분석(김안나 외)최 안 선정(김안나 외)계획수립실행(김안나 외)수행평가(김안나 외)문제해결 한 안 이해(김선미)고등사고력(김선미)문제해결력(최운실)단력(최운실)

분석력(최운실)

19

자 선행연구 종합 분석

이 장에서 논의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과 역

량요소를 아래 lt표 Ⅱ-14gt와 같이 제시하 다 각 연구별로 분류방법에 따라 역량과 역

량요소들의 범주화가 다양하다 한 각 연구별로 역량과 역량요소에 한 수 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종합 분석을 시도하여 명확한 역량과 역량요소를 추출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연구에 따라서 분석의 수 이 다르기 때문에 역량 역량요소 하 세부요소 등

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악하

는 것이 주된 목 이므로 하 세부요소를 제외한 역량과 역량요소 수 에서 종합 분

석을 시도하 다 이를 하여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요소 별

출처와 빈도를 확인하고 연구진 의를 거쳐 역량요소들을 공통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

의 이름을 결정하 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역량은 lsquo문제해결력rsquo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의사소통 자기주도

학습능력 동능력 민주 시민의식이 10번 이상의 빈도를 보여 상 으로 주요 역량

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정보획득 활용능력 기 문해력 인 계능력 경력개

발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외국어능력 직업능력 자기 리능력 갈

등조 능력 변화 응력 로벌마인드는 상 으로 낮은 순 의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한 의사결정능력과 재산 리는 련 선행연구들로 부터 가장 낮은 빈도를 보 다

lt표 Ⅱ-14gt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평생학습사회 생애역량 빈도분석표

- 162 -

의사소통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DeSeCo)

의사소통능력( 국 교육고용부)

경청력과 구술 표 력(싱가폴 인력부)

의사소통(유 숙 외)

해석능력(이석재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이석재 외)

자기제시능력(이석재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이석재 외)

메시지 환능력(이석재 외)

해석능력(김안나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김안나 외)

자기제시능력(김안나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김안나 외)

메시지 환능력(김안나 외)

커뮤니 이션(최운실)

15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방법의 학습(EC)

학습기술( 국 교육고용부)

학습방법의 학습(싱가폴 인력부)

자기학습능력(유 숙 외)

학습계획(이석재 외)

학습실행(이석재 외)

학습평가(이석재 외)

학습계획(김안나 외)

학습실행(김안나 외)

학습평가(김안나 외)

학습방법의 학습(최운실)

자기주도학습력(최운실)

학습동기(최운실)

성과제고 학습력(최운실)

14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DeSeCo)동과 워크( 국 교육고용부)

집단 효과성(싱가폴 인력부)집단 효과성(유 숙 외)동정신(유 숙 외)

통솔력(김안나 외)상호작용능력(김선미)워크(최운실)

집단 역동(최운실)리더십(최운실)

10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DeSeCo)질서의식(유 숙 외)자원 사의식(유 숙 외)도덕성(유 숙 외)국가정체성(김안나 외)참여의식(김안나 외)신뢰 가치공유(김안나 외)권리middot책임의식(김안나 외)공공성(김선미)사회참여(김선미)

10

- 163 -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정보변화 처력(EC)

정보활용력( 국 교육고용부)

정보사용력(김선미)

5

기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유 숙 외)

수리산술력( 국 교육고용부)

문해력(싱가폴 인력부)

읽기 쓰기 셈하기(최운실)

4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DeSeCo)

인간 계능력(김안나 외)

계존 (김선미)

인 계(최운실)

4

경력개발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DeSeCo)

경력계획 리 기술(유 숙 외)

목표달성능력(김안나 외)

목 의식(김안나 외)

4

창의력

창의력(싱가폴 인력부)

창의력(유 숙 외)

재창조능력(김안나 외)

3

다문화이해능력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김선미)

열린 자세(김선미)

다양성(김선미)

3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싱가폴 인력부)

개인효과성(유 숙 외)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EC)

3

미디어정보문해력디지털 문해력(EC)

ICT(유 숙 외)2

외국어능력외국어 능력(EC)

외국어 능력(유 숙 외)2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유 숙 외)

구직 기술(유 숙 외)2

갈등조 능력조직 효과성(싱가폴 인력부)

조직 효과성(유 숙 외)2

변화 응력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DeSeCo)

응성과 변화 처력(EC)2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유 숙 외)

국제 이슈 이해(김선미)2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최운실) 1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유 숙 외) 1

- 164 -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 속에서 성공 인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성공 인 삶이란 것이 사회 맥락과 조건에 따라서 다른 모습으로 규정되어질

수 있다는 을 감안한다면 역량요소 역시 사회 맥락과 시 환경변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에서는 학교외 학습체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생학

습사회 구 의 도상에서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서 어떤 것들이 부각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해서 평생학습사회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재 우리 사

회에서 구체 으로 실천하고 있는 정책 제도가 지향하고 있는 바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의 온 한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

소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우리 사회가 변모해가야 할 사회체제로 평생학습사회를 지 하는 것은 이제 그리 낯

선 일이 아니다 지식기반사회로 어들면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하는 문제 상

황을 효과 으로 타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개인 사회 차원에서 지식을 보유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활동이 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은 격한 세계

환경변화에 응하여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

의 개인들 모두의 삶의 질 수 을 보장하는 핵심 기제가 된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사

회체제 재구조화의 요구는 이러한 맥락과 깊이 련된다 한숭희(2006b 116)는 평생학

습사회를 ldquo인간의 학습과 교육이 학교라는 독립된 시스템 안에서 고립 으로 이루어지

는 사회가 아니라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된 사회rdquo라고 정의하 다 즉 가

르치고 배우는 삶의 양식이 사회 반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를 말하는 것이며 학교교

육에 의해서 획득되는 학력이라는 기제를 넘어서 사회 삶으로부터 기인하는 경험에서

추출되는 능력이라는 기제에 의해서 사회 가치가 배분되는 사회인 것이다

그러므로 평생학습사회는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형식이 국가나 교육제공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일방 참여에 의존하는 그런 학습활동이 만연한 사회

체제를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이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

- 165 -

따라서 끊임없이 요구되는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려는 동기가 격려되고 동시에 구체

인 학습요구가 해소될 수 있는 학습기회가 사회 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

한 상태는 곧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고 제약이 최소화된 상

태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의 다른 표 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 평생학습사회란 그 사회 구성원 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학습

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사회 구성원 모두의 학습에

한 의지와 열정이 지원받고 인정되어지는 사회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구

나 자신의 상황에 합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

시에 필요한 지식에 편리하게 근하여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서의 문제해결에

이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모습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으로서 사회 구성원들의 학습과정을 핵 요소로 간주하

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에게 우선 으로 필요한 역량요소는 무엇

이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지 까지 논의되어져 왔던 통 사회체제에서 요구하는 역

량요소와는 어떤 차별성을 갖는가 이러한 물음에 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우선 사

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의 성공 인 삶의 의미도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에

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지식의 반감기가 재보다 훨씬 길었던 과거 통사회에서

는 사회 구성원들의 안정 인 삶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원활히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즉 기본 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이 강조되었다 한 허친스가 학습사회론을 제시

한 맥락에서는 인문학 지식과 소양을 배양하는 것이 인간다운 삶을 실 하는데 요

한 요소로 간주되었다(Elias amp Merriam 2005) 그래서 고 에 한 이해력 논리 분

석 비평능력 사고능력 등이 강조되었으며 이러한 소양을 길러낼 수 있는 교육기회

와 공간이 사회 역에 편재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부각되었다 허친스의 학습사회론은

이러한 배경에서 두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평생학습사회는 지식의 생산 소비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가

치가 창출되어지는 사회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사회 구성원들에

게 요구되는 기본 인 능력은 무엇보다도 한 지식을 효율 으로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 으로 사회 구성원 각자가 생활하는

복잡다단한 일상에 상황 합성이 극 화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상황 지식(situated knowledge)의 구성능력의 요성

에 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황 지식이란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 를 벌이고 있

는 실천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Merriam Caffarella amp Baumgartner

2007) 구체 상황 속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효과 해답으로서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

- 166 -

에서 탈맥락 으로 발 되는 성격이 아니라 실천 장의 독특한 조건에 따라서 나타나

는 것이다 결국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식은 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 붙

박 있으며 상황과 분리된 지식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상황

학습을 지지하는 입장이다(Lave amp Wenger 1991) 구조 으로 학교교육으로 표되

는 형식화된 교육체제에서는 지식과 기술을 개인이 용하려는 실제 생활에서의 상황과

분리가 된 조건에서 다룰 수밖에 없는 한계에 착하게 된다 따라서 형식화된 교육체

제에서 개인들의 일상 생활에서 하는 문제 상황을 미리 측하고 이에 응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배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각

자의 다양한 삶의 조건과 필요에 해서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형

태를 스스로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그러한 소양을 갖추는 것이 건이

된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를 상황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치환하 을 때 사회 구성원으로

서 개인 스스로 자신이 처한 구체 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한 지식과 기술을 구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며 이는 구성주의 에서 보았을 때 개인들의 학습능력

을 강조하는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개인의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하는 문제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와 규범 사회 기 를 간 하여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나름 로 규명할 수 있는 성찰능력의 강화 그리고 문제를 기

존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실 으로 효과 이면서 타당한 안을 도출해낼 수

있는 창의 문제해결 능력에 한 강조라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학습의 과정이 편

재되어 있는 평생학습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끊임없는 상황 합 지식의 생산 가능성은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제가 재

편되는 가운데 부각되는 요소이자 학습의 일상성에 해서 재조명하는 평생학습사회체

제에서 더욱 진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 으로 이러한 평생학습사회로

의 사회체제 재구조화 노력은 결국 개인 차원의 평생학습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차

원의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구동하는 것으로 구체 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런 에서

다음 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러

한 정책들과 련하여 수혜자들로 상정되는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

하고자 한다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가 평생학습도시

- 167 -

평생학습도시란 개인의 자아실 사회 통합 증진 경제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

으로 개인의 삶의 질 제고와 도시 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 도시 재구조화

운동이다 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변화시도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

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목 을 갖는다 결론 으로 평생학습도시는 지역 시민에 의한 시민을 한 시민의 지

역사회교육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1999년 경기도 명시가 우리나라 최 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 으며 2001년 경기

도 명시 유성구 북 진안군이 우리나라 최 의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재 76개 기 지방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어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일

정한 지역을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로 재구조화함으로써 개인의 학습참여 가능성을 진

하고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 을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구체 으로 평생학습도시

는 세 가지 목 을 염두에 두고 실행한다(한숭희 2006b)

첫째 지역주민의 자아실 이다 개인의 배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개인

이 살고 있는 생활터 인 지역에서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을 통한

자아실 을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경쟁력의 제고이다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하고 그들의 역량 증진을 통해서 생동하는 지역을 만들고 지역문화와 경제를 성장시키

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 통합의 증진이다 평생교육이념과 방향성을 도입하여

지역내 소외계층의 학습기회를 보장하여 이들이 교육과 학습을 통한 자생 성장가능성

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지역주민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주민자치의 활성화이다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에 한 지역주민의

자발 인 참여와 이런 문제의 해결을 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해서 주민간의 교류와

력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배양을 기 할 수 있는 것이다

나 학 은행제

학 은행제란 ldquo학 인정 등에 한 법률rdquo(법률 제6434호)에 의거하여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 으로 인정하고 학

이 되어 일정한 기 을 충족하면 학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 으로 열린교

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 하기 한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2008)

1995년 5월 통령직속 교육개 원회는 열린 평생학습사회의 발 을 조성하는 새로

운 교육체제에 한 비젼을 제시하면서 학 은행제를 제안하 으며 학 인정등에 한

법률 등 련법령을 제정하고 1998년 3월부터 시행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4)

- 168 -

학 은행제도는 다양한 고등교육기 에서의 경험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규 학교 시간제 등록제 원격 학 문 학의 심화과정 특별과정

독학학 제 문하생 학력인정제 국가기술자격 기타 국가자격 제도 등 고등교육 단계

의 많은 제도 기 과 연계되어 있으며 각 제도의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 에서 학 은행제도는 고등교육의 여러 제도를 포 하는 네트워크형 포

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백은순 2007)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 은행제는

정규 학교육으로부터 어떠한 이유로든지 소외된 집단이 학 학력을 취득할 수 있는

안 기회로서 의미가 있다 한 사회의 여러 교육기 에서의 교육경험에 한 인정

을 제도화함으로써 학교교육과 학교외 교육 부분을 균형 으로 인정하는 의의를 가진

다 이러한 학 은행제를 통해서 개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습경험 인정을 통한 평생학

습권이 보장될 수 있으며 사회 으로는 학교교육과 학교외교육의 상호연계를 강화함으

로써 평생학습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기틀이 된다

다 학습계좌제

학습계좌제의 기본이 되는 교육계좌제는 국민 각자가 학습한 결과를 평생학습 계좌에

등록하여 개인별 평생학습 경력을 리하는 제도를 뜻한다 교육계좌제는 성인에

국한시켜 성인들이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고유 평생학습계좌에 자신이 학습한 모든 종

류의 공식 비공식 학습 경험 에서 소정의 기 을 충족하는 경험을 수록하게 하여

리하게 함으로써 이를 학 이나 학 는 취업이나 승진 등 사회직업 경력 형

리 자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학교에서의 교육경험뿐만 아니라 학교외의 다양한 교육참여 경험도 개인의 지식

과 기술수 을 평가하는데 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계좌제란 통

으로 요하게 강조하 던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수한 경험뿐만 아니라 정규교육

과정 이후 수행한 다양한 학습의 결과를 체계 으로 기록하고 학력자격 등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재 우리나라에는 학교교육 이외에서 획득한 학습경험을 리 인정하는 제도

로 학 은행제와 독학학 제가 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제도는 모두 고등교육

수 의 학력을 인정하는 안 제도로서 의미를 가지며 고등교육수 을 넘어서 개인

의 생애 반에서의 학습활동을 포 으로 다루는 제도로서 학습계좌제의 의의를 모색

할 수 있다(변종임 2007) 학습계좌제가 운 되기 해서는 학교외 교육기 의 수업 결

과 자격취득 시험합격 결과 장업무경험 논문 포트폴리오 등 학습결과 평가인

- 169 -

정 등을 통해서 개인의 교육경력을 체계 으로 인정 리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구나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를 통하여 개인의 소질과 능

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공식 교육경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범 으로 운 을 실시하여 2015년에 제도화할 계획으로

되어있다 그 운 계획은 기존에 논의되었던 교육계좌제를 개편하여 학습결과 평가 인

정 기능을 추가하고 학 은행제와 연계하여 학 취득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라 독학학 제도

독학학 제도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정규학교를 다니지 않고도 자학에 의하여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독학자에게 학사학 취득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 하고 개인의 자아실 과 국가사회의 발 에 기여함을 목 으로 국가가 시

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학 를 수여해 학에서 취득한 학 와 동등한 우를 받는 제도

이다 독학학 를 취득하기 해서는 4단계 과정의 시험을 거쳐야 한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2008)

제1단계는 학의 교양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일반 으로 갖추어야 할 학력수 을 평

가하는 교양과정 인정시험이며 제2단계는 각 공 역의 학문을 연구하기 하여 각

학문 계열에서 공통 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공기 과정 인정시험이다

제3단계는 각 공 역에 하여 보다 심화된 문 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공심화과정 인정시험이며 마지막 4단계는 학사학 취득 상자로서 갖추

어야 할 소양과 지식 그리고 기술을 종합 으로 평가하는 학 취득 종합시험이다 4단

계 과정을 모두 통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독학학 지원자가 학 문

학에서 학습한 내용이 독학학 취득시험에 설치된 공분야와 그 학문 성격이 유사

한 경우 응시자격에 따라 2단계 는 3단계를 수료한 것으로 인정해주고 있다(한숭희

2006b)

재 독학학 제는 학습자들이 순수하게 능력에 의하여 열린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

과 학습자의 능력을 어느 정도 검증할 수 있다는 제도로서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하

지만 학 은행제의 도입으로 학습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로 인한 운 의

비효율성 인문학 분야 치 이라는 단 을 지니고 있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

센터 2008)

- 170 -

마 역량 요소 탐색

지 까지 재 우리나라에서 을 두고 있는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 제도의

방향 의도 형식 등을 검토하 다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들은 나름 로의

특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지만 그 기 에 공통 으로 세 가지 원리 혹은 가정을 제하

고 있다 자발성 다양성 력성의 원리로 정리될 수 있는 평생학습 정책과 제도를 안

내하는 원리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발성의 원리는 정책에의 참여가 개인의 자율 인 단과 의지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궁극 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개인이 리기

하여 국가나 특정 사회집단이나 단체에서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학습요구와

지원체제를 표 화하여 제단하지 않는다 한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한 개인

의 참여를 강요하지 않는다 학 은행제도나 독학학 제도의 잠재 참여 상자들에게

언제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가 열려있을 뿐이며 그 기회에 근하는 것은

으로 참여자 자신의 선택과 의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자신의 삶의 모습을 보다 더

성공 으로 이끌어가기 해서는 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필요한 학습요구가 무엇인지

스스로 악하고 그에 따른 하다고 단되는 정책에 자발 인 참여가 요구되는 것

이다

다양성의 원리는 개인의 성장과 자아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 과 통합이라는 결

과를 이끌어내기 해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자원과 지원체제를 결집하는

것을 말한다 학교교육의 맥락에서는 학교라는 공교육 제도의 범 안에서 학생들의 학

업성취수 을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 을 둔다 물론 사교육 형태의 교육경험이 발생하

고 있기는 하지만 여 히 학교교육과정이라는 공식 체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표 내

용 형식 그리고 결과와의 긴 한 련성을 제하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시도하는 정책들은 특정한 형식이나 내용에 국한하여 참여자들의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의 생애 단계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내용

을 종합 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력성의 원리는 평생학습 련 정책이 의도하는 효과를 기 하기 해서는 참여자의

개인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참여자간의 지원과 력 그리고 참여자

들에 한 사회 차원의 지원과 력이 제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평생교육은 교

육기회를 제공하는 형식과 구조에 한 논의보다는 교육을 통해서 기 할 수 있는 개

인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체의 차원에서의 결과의 내용과 의미에 해서 일차 인

심을 갖는다 따라서 가정 지역사회 일터 그리고 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회공간과

제도들은 구성원들의 학습을 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학습이라는

- 171 -

역량요소 개념

자기조 능력평생학습 련 정책과 사업에 참여하는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 행 를 심으로 사회 역이 상호 연계되어질 때 가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평생학습 련 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자발성 원리 학습내용의 다

양성 원리 그리고 사회 지원체제의 력성 원리를 고려하 을 때 정책의 수혜자로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기조 능력은 자신이 재 처한 여건에서 평생학습 련 제도 서비스에

참여하고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 제도 지원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 심리 환경 조건을 스스로 조 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리 능력이란 개인 스스로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

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활 가운데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 가운데 자

신의 상황에 합한 정보를 검색 단 활용하는 것은 평생학습을 통한 궁극 인 자기

발 을 효율 으로 추진해 가는데 있어서 요한 요소가 된다

셋째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은 자신이 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을 가

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검증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문제

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문제정의 근 방식을 넘어서 문제가 터해있는

제조건이나 가정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악하고 근할 수 있는 능력

이다 이는 개인에게 제공 되어지는 각종 지원을 창의 으로 원용하여 보다 효과 인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 력 능력은 공동선을 지향하는 평생학습의 이념과 련하여 개인

이 갖추어야 할 사회 책무를 구 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평생학습 서비스 삶의 다양한 상황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 필요한 물 정보

행정 지원을 하게 요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인의 요청에 지원해 수 있는 능

력인 것이다

lt표 Ⅲ-1gt은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하여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청되는 역량요소

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1gt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된 역량요소

- 172 -

정보 리 능력

개인 자신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 문제정의 분석 능력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

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

의사소통 동 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물론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의 특성을 감안하 을 때 이상의 네 가지 역량요소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역량요소의 부는 아니다 이외에도 자체의 속성상 역량요

소라고 분류할 수는 없으나 평생학습사회를 구 해가는 각종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수혜자로서 생활하기 해서는 시민의식이나 다문화 포용성과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으

로서 타자를 인식하고 배려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는 개인

에 한 존 을 기본 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상 인 사회모습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개인들이 함께 모여서 상호 학습을 진하고 지원하는 형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체성이라는 태도 측면을 개개인들이 내면화한 조건을 바탕으로 하여

앞서 살펴본 네 가지 역량요소를 충실히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정책과 제도의 독특한 성격과 목 에 따라서 부가 인 능력 요소들도 함께 강조되어

져야 할 것이다

3 평생교육 로그램

가 로그램 유형의 통 분류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 다양한 개념범주들이 존재하고 있다 보다 체계

인 평생교육 로그램의 개발 보 그리고 운 을 해서는 로그램에 한 합리

인 분류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는 국내외 여러 학자들이 논의

한 바 있다 Boyle(1981)은 평생교육 로그램이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개발형 로그

램 제도형 로그램 그리고 정보형 로그램으로 구분한 바 있다(기 화 2001 김진화

2005에서 재인용) 먼 개발형 로그램(developmental program)은 개인 집단 지역사

회의 요구와 문제에 근거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을 일차 인 목 으로 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즉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여 이들의 상황을 개선하는

데 주안 을 두는 로그램인 것이다

둘째 제도형 로그램(institutional program)이란 개인의 기 능력 지식 기술 등을

- 173 -

향상시키기 하여 제도화된 로그램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

는 문제나 요구에 기 하여 로그램이 운 되는 것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필요 그러나 문가의 에서 학습자 차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하여

제도 으로 로그램을 운 하는 것을 말한다 로그램 개발 문가와 내용 문가에

의해서 개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의 문교육 로그램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정보형 로그램(informational program)은 정보의 확산과 달이 핵심 목 이

되는 로그램 유형이다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즉각 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실행 후의 체계 인 평가활동이 없

는 것이 특징이다 Boyle의 로그램 구분은 로그램이 궁극 으로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구분하 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

하고 있는 단 이 있다 한 학습자 차원에서 기 할 수 있는 로그램 참여 효과

의의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회 효

과에 한 언 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참여자의 특성

에 따른 상이한 요구 그리고 그를 고려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형식과 목 그리고 효

과를 포 으로 언 하는 로그램 유형화 작업이 필요하다

나 로그램 유형의 안 분류

통 인 로그램 유형 분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안 분류를 시도함에 있어

서 Usher Bryant amp Johnston(1997)의 경험학습의 종류에 한 논의는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해 수 있다 Usher 등은 형식과 목 에 따라서 경험학습의 유형을 구분하 으

며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의 기 은 평생교육 로그램의 구분에 있어서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자의 개인 자율성의 표 과 사회 존재로서

응이라는 축과 사회 심과의 련성 정도라는 축의 교차를 통해서 라이 스타일

(lifestyle) 직업능력(vocational) 비 (critical) 자아표 (confessional)의 네 가지로 구

분하 다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 기 을 원용하여 평생교육 로그램은 로그램의 내

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의 두 가지 기 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우선 로그램 내용 범주에 따라서 개인 심과 련한 로그램과 사회 응을

돕는 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기 은 로그램이 개인의 삶의 질 만족을 한

개인 심과 흥미에 을 맞추어 구성되는지 아니면 개인이 사회 으로 수행해야

할 직업 지 역할 책임과 련하여 발생하는 응 요구에 맞추어 구성되는지에

따라서 로그램의 내용을 구분하는 기 이 된다

로그램 효과 범주에 의해서는 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개인이 습득하는 효과가 개

- 174 -

로그램 내용

로그램 효과개인 표 심 응

개인 개인 소비형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

조직 사회 사회 참여형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

인 만족과 흥미에 국한하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이 속한 조직 혹은 사회의 개 과 변

화에 정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차원으로의 효과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서 구분될 수 있다 로그램 내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에 따라서 평생교육 로

그램은 아래의 lt표 Ⅲ-2gt와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lt표 Ⅲ-2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분류

첫째 개인 소비형 로그램은 일반 시민으로서 개인의 흥미와 심을 표 하고 충

족할 수 있는 로그램들로서 여가활용을 통한 스포츠 취미 자유교양 로그램들을

말한다 이러한 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되는 교육내용은 새로운 경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목 보다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 재정 여력을 소비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향유하는 것에 을 맞추는 것이며 그런 에서 소비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개인 개발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 존재로서 안정 삶을 하기 해

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는 로그램들을 말함 즉 개인이 갖는 지 와

역할 - 주부 직장인 학생 등 - 의 효과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내용을 습득하기 한

것이다 주로 성인문해교육 수학 자녀교육 가정생활 련 로그램들이 여기에 속한다

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국어 컴퓨터 활용능력 등과 같이 특정한 직무수

행수 의 개선과는 직 련은 없지만 개인의 생애 반에 걸쳐서 잠재 으로 정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자기능력개발 련 로그램도 이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셋째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

나 조직의 상황이나 문제에 한 학습자의 의식 각성을 도모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 의식화된 조건을 바탕으로 자신이 여하는 사회 문

제를 독자 으로 해결하려는 자율 참여 속성을 진하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로그램이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 유형에는 비 리 시민사회단체에서 운 하는 로그

램들이 속하는데 체로 독자 시민으로서 개인의 가치와 생각을 형성하고 심화하는

것에 을 맞추며 교육 참여의 효과는 사회체제의 개선 개 을 부각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 응형 로그램은 주로 직업과 련하여 개인의 업무수행수 의 증진을

- 175 -

로그램 유형 정의

개인 소비형 로그램개인의 시간 경제 여유를 활용하여 개인 심과 요구충족을 돕

는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개인이 담당하는 사회 역할의 효과 수행을 돕기 해서 직업내용과

직 련이 없는 개인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로그램

사회 참여형 로그램사회 문제에 한 개인의 의식수 을 제고하고 사회개 의 주체로서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진하는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직업과 련한 능력향상을 지원함으로써 지속 고용 가능성을 제고하

고 사회체제 안에서 안정 삶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로그램

지원하거나 지속 고용가능성을 신장하는 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다 사회 응형

로그램은 경제 가치창출을 돕는 직업훈련 각종 직무연수 기업교육 로그램 등이 포

함되며 재의 사회체제의 구조 조건 하에서 안정 삶을 하는데 을 맞춘다

는 에서 사회체제 자체의 변화를 모색하는 사회 참여형 로그램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제시한 네 가지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lt표 Ⅲ-3gt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lt표 Ⅲ-3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의 개념

다 역량 요소 탐색

평생교육 로그램들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 잘 실행되어질 수 있고 그럼으로

써 각 로그램 유형에 따라서 차별 으로 나타나는 로그램 목 이 효과 으로 달성

되어질 수 있기 해서는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을

발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 까지 살펴본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고려하 을

때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능력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명확한 목표수립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명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능력은 자신

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평생교육의 맥락에

서 학습자 스스로 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무엇을 의도하는지 명확하게 인지

하는 것은 한 유형의 로그램을 탐색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인 요소가 된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할 지식 기술 혹은 태도의 요소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작업을 통해

서 재 혹은 미래에 참여하게 될 로그램의 내용이 자신에게 타당한 것인지 단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로그램 참여효과에 한 기 수 도 조 할 수 있게 된다 한

- 176 -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에 한 명확한 인식이 제된 상태에서 로

그램에 참여하 을 때 학습자의 로그램에 한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조 능력이 요청된다 자기조 능력은 교육활동에 한 학습자의 책임의식

학습활동에 한 주도 단능력과 련된다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운데

학습자 상황 기 의 특성 그리고 개인의 내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참여 장애요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하는 기

의 지원노력도 매우 요한 요인이지만 근본 으로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 자

신의 자발 인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개인의 속성

은 자신의 조건에 한 통제와 조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자신의 물리 심리 상황 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해서 참여행 를 스스로 조

하는 능력이 강조된다

셋째 의사소통 동능력이 필요하다 의사소통과 동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력이다 부분의 평생교육 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은 개발 과정에서 성인학습의 원리에 의거하여 조직된다 로그램 참여자들의 자

기주도성을 존 하면서 학습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생활의 경험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참여와 실행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구체 인 경험을 할 수 있

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강조된다 그래서 교수자의 일방 강의 주의 교육보다는 학습

자들 상호간의 토론 력 과제해결 학습자의 자기평가 등이 추 인 요소들로 포함

된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 을 때 학습 효과는 동료 학습자들과

의 원만한 의사소통과 력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이 갖추어질 때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 참여 실천능력이 요구된다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이란 사회 문제

와 안에 한 문제의식과 심을 바탕으로 보다 진보된 사회를 구 하기 하여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구체 인 실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로

그램 참여를 통해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변화를 해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 효과 이고 지속 인 평생교육 참여를 진하기 해서는 학습자들이 로그램을

통해서 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즉 비슷한 분야에 심을 가지고 있는 동료들과 자발 인 학습동아리를 조직하여

학습내용을 심화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자원 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역에 참여하여 학

습을 통해서 개발한 자신의 역량요소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경험을 사회 참

여형태로 확장하고 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내 학습동기가 진되어질 수

있다 한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은 학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이 지역사회의 발 에

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평생학습의 이념을 실 하는 석이 된다

다섯째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 177 -

역량요소 개념

목표수립능력로그램과 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

자기조 능력로그램 참여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

사회 참여 실천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미디어정보 처리 활용능력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

활용능력은 교육 으로 활용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의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활동은 통 으로 활자화

된 텍스트나 음성언어를 매개로 해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

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효율 으로 달하려고 하게 되며 평생교육

로그램에 있어서도 각종 테크놀로지를 부분 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사이버 교육과

같이 테크놀로지에 온 히 기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문해능력은 오늘날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서 개인이 달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술의 속성에 따라서 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타인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측면에 있어서 불가결

한 능력으로 부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여 로그램의 효과를 극 화하기 해

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

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로 요약

된다 그리고 이상의 다섯 가지 역량요소는 궁극 으로 로그램 참여과정 속에서 하

는 과제 즉 문제를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lt표 Ⅲ-4gt는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성공 인 참여와 련하여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4gt 평생교육 로그램 참여를 한 역량요소

결과 으로 이상의 다섯 역량 요소를 기본 으로 갖추었을 때 로그램 참여를 통해

서 학습자 개개인은 성공 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유용한 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개인

존재로서 갖는 독특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된 가치창출도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178 -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지 까지 평생학습사회의 주요 정책과 제도 그리고 평생교육 로그램의 성격과

련하여 참여자로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회에서는 실 으로 실질 인 의미를 지니면서 동시에 활용가능성이 극 화된 지식

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 사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 사회 흐름을 고려하 을 때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

제의 재구조화는 개인의 상황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지원하는 사

회 실천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은 편재화 된 학습기회를 매개로 시 창의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속 으로 제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체 인 실 은 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평생학습지원 정책과 제도의 원활한 구동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

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효과 으로 작동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

들이 정책과 제도가 포함하고 있는 활동들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

다 이와 련하여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

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 역량요소를 핵심 인 사항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네 가지 역량요소가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지향하는 이념 방

향성과 부합될 수 있기 해서는 시민의식 다문화에 한 포용성과 같은 태도 요소

도 함께 배양될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 실 의 토 가 되는 정책과 제도는 사회 구성원 개인들에게는 주로 구

체 인 그러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는 로그램의 형태로 제시가 된다 그

래서 개인들은 각종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교육 참여를 실 할 수 있게

되며 평생학습과 련한 지원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련해서 악할 수 있는 평생교육 로그램 참

여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로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가

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역량 요소에 한 배양을 통해서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사회의 사회 경쟁력

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과 더불어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안정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도 함께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179 -

IV 결과 분석

1 NGT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의 요소를 규명하기

한 목 으로 명목집단기법(NGT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여 문가들로부

터 다양한 정보와 단을 얻고자 하 다 Witkin amp Altschuld(1995)의 NGT 실시기법에

따라 NGT 실시 문가 집단에게 제시할 명확한 질문을 비하 다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평생학습사회에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를 먼 악하고자 하 다 따라서 평생교육 분야 문가로 구성

된 문가 집단(아래 lt표 Ⅳ-1gt 참조)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 에 부합하는 의견을

얻고자 연구진들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NGT를 실시하 다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일반 시민이라면 갖추어야 할 생애역량 ( 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

NGT실시에 앞서 참여 조에 한 유선 연락과 함께 공문을 발송하여 본 연구의 목

과 의의를 소개하고 의 질문에 해 미리 생각해올 것을 당부하 다

lt표 Ⅳ-1gt NGT 문가(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학교기 연구기 문가) 명단

구 분 성 명 소속 직

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문가

송병국 순천향 학교 교수

정민승 한국방송통신 학교 교수

강 서울 학교 교수

이경아 평생교육진흥원 연구 원

가 NGT 실시

NGT는 2008년 8월 21일 숙명여자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소요시간은 약 2시간이었

다 참석한 평생교육 문가들은 미리 제시된 질문들에 해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었

다 NGT를 본격 으로 실시하기 이 에 NGT집단 리더는 생애역량에 한 개념정의를

- 180 -

공유하고 이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rdquo라고 질문하 다 약 2시간에 걸친 NGT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은 일반

인 NGT 4단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되었다(최정임 2002)

① 1단계(Generating Ideas) 집단의 리더가 문제의 주제나 로세스를 주고 구성원

들에게 이에 한 아이디어 제시를 요청한다 이때 구성원들은 주어진 문제에 해 각

자의 아이디어를 혼자서 독립 으로 기록한다

② 2단계(Recording Ideas) 집단 구성원들이 개별 으로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인스토 방식을 활용하여 발표하고 기록자는 칠 는 벽면을 이용하여 집단 구성원

들의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이때 어떠한 토론이나 피드백도 허락되지 않는다

③ 3단계(Discussing Ideas) 기록된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평가하기 해 구성원들

의 토론을 실시한다 이때 내용 는 의미가 비슷한 아이디어는 참가자의 원 동의를

구해서 제외 는 수정하고 보다 큰 개념을 사용하여 묶는다 이때 큰 개념은 본 연구

에서 역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④ 4단계(Voting on Ideas) 단계에서 정리된 아이디어들을 놓고 구성원들 각자

우선순 를 매긴다 그런 다음 종합 으로 그룹 내에서 이 결과에 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해 낸다

본 NGT에서는 1단계부터 차례 로 4단계까지 실시되었다 4단계는 아이디어의 우선

순 를 결정하기 하여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 어 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요도 1 2 3 4 5순 를 결정하여 1순 는 5개 2순 는 4개 3순 는 3개 4

순 는 2개 5순 는 1개의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 다

나 NGT 실시 결과

국내 평생교육 분야 문가들로 구성된 NGT 회의를 통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을 심으로 풍부

한 정보를 얻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GT 우선 순 결과

가) 자기주도학습력

NGT 결과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에게 있어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

습력이 제시되었다 이는 성인이 평생학습사회 삶의 모든 장면에서 스스로 학습을 이끌

- 181 -

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진로개발 경력개발과 같은 역량과도 한 계

가 있다 즉 Lifelong Learning이라는 말이 의미하듯 평생동안 학습을 해야 하는 평생

학습사회의 성인에게는 학습을 자신이 주도하여 계획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기주

도학습력이 무엇보다 필수 이라는 것이다

나) 지식정보활용능력

일반 으로 지식과 정보는 유사한 개념이다 하지만 본 NGT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생

산과 소비의 개념과 같이 다르다는 의견이 나왔다 NGT에 참석한 문가 에서도 지

식과 정보는 동일한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문가도 있었지만 이는 일반 시민의 입장에

서는 지식이 곧 정보이고 정보가 곧 지식으로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NGT에 참

석한 다른 문가는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것이 되어야 지식이 된다고 주장하며

미래 평생학습사회 상황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다른 개념으로 근해야 함을 주장하

다 따라서 지식정보활용능력이라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지식정보활

용능력은 새로운 기술에 한 개방성을 갖고 지식을 활용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리하

고 활용하는 능력은 물론 정보공유에 한 감수성과 정보문해력을 포함하는 능력이다

다) 공동체의식

공동체의식은 공동체를 한 희생과 조직(공동체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나아가 자치활동에 한 감수성을 포 하는 능력이다

라) 생활문해력

생활문해력은 포 의미의 문해능력은 물론 최소한의 의사소통 도구 습득 활용능력

과 함께 어 일어 국어 등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생활 외국어 활용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국민의 13 정도가 외국인이 길을 물어볼 때 기본 으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한 이는 운 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기 기술(skill)까지도 포

함하는 즉 기술문해력을 포 하는 개념으로서 삶을 하는 데 기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한다

마) 사회정치 참여

사회정치 참여능력은 정치시민으로서 정치 심을 갖는 능력과 함께 민주시민

성을 갖추며 정치 단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사회활동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능

력과 함께 논술과 논리 말하기와 같은 사회 의사결정 참여능력을 의미한다

- 182 -

바) 인 계력

인 계력은 응과 배려 용의 자세를 갖추어 타인을 신뢰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 자기성찰력

자기성찰력은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으로서 객 으로 자신을 평가하

고 분석하는 능력과 자신의 행 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아)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은 비단 국 이 다른 다문화를 의미하는 것을 넘어 세

간 화능력과 다문화에 한 이해력을 의미하는 능력이다 즉 소극 의미로서 국 이

다른 다문화가정의 개념을 넘어서는 포 의미의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을 의미

한다

자) 창의 사고력

창의 사고력은 유연한 사고력과 함께 개방 사고를 갖추는 능력으로서 새로운 지

식과 기술에 해 개방 인 자세를 취하고 편견과 고집을 버리고 유연한 사고를 갖추는

능력을 의미한다

차)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에 한 감수성은 환경문제에 한 단력 환경 자연 생태계에 한 이해력과

지식을 포함하는 능력은 물론 감수성까지 포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카) 술 감수성

술 감수성은 술 활동에 한 람과 심미능력 술향유능력과 함께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과 즐길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타) 돌 능력

돌 능력은 타인을 보살피고 소외 계층에 한 배려능력과 함께 자원 사를 실천하

는 능력을 의미한다

- 183 -

순 내용 우선순 Rating

1 자기주도학습력

2 지식정보활용능력

3 공동체의식

4 건강 리력

4 생활문해력

6 진로개발능력

7 사회정치 참여

7 인 계력

7 자기성찰력

10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11 창의 사고력

11 환경에 한 감수성

13 술감수성

14 돌 능력

14 재산 리

사회조망능력

갈등조 력

추진능력행

의사소통력

의사결정능력

높은 도덕성

조하는 능력

지식창출

사회변화 측

조망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부모역할

네트워킹

유머

변화주도능력

시간 리

lt표 Ⅳ-2gt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우선 순

- 184 -

역량 역량 요소

문제해결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실행

수행평가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고등사고력

단력

분석력

의사소통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환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경청력과 구술 표 력

커뮤니 이션

Ⅴ 결론

본 연구는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 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

특징을 종합 으로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

을 통해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둘째

DeSeCo 등 국내외 최근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

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셋째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 마지막으로 구체 인 평생학

습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 등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

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넷째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

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4개 차원으로부터 도출된 역량 요소와 역량들을 연구진

에 의해 종합 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선정하 다

lt표 Ⅴ-1gt 역량 요소

- 185 -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주도성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학습동기

성과제고 학습력

학습방법의 학습

학습기술

학습목표수립능력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집단 효과성

집단효과성

워크

집단 역동

통솔력

리더십

상호작용능력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질서의식

공공성

참여의식

사회참여

자원 사의식

도덕성

신뢰 가치공유

권리middot책임의식

정치 심

정치 단능력

타인을 보살피는 능력

소외계층 노인에 한 배려 능력

자원 사amp실천능력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정보변화 처력

정보활용력

정보사용력

기 문해력

기 문해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

수리산술력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인간 계능력

인 계

계존

공감능력

네트워킹

- 186 -

경력개발

생애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경력계획 리 기술

경력목표수립능력

극 경 능력

조직화능력

목표달성능력

목 의식

비 설정

창의력

창의력

재창조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열린 자세

다양성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

세 간 화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ICT

디지털 문해력

정보화 능력

외국어능력 외국어 능력

직업능력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핵심 기술

구직 기술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

자신감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갈등조 능력 조직 효과성

변화 응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응성과 변화 처력

미래 응력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

국제 이슈 이해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탐구력

환경문제에 한 단력

감수성

환경 자연 생태계 이해력과 지식

자기성찰력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

자기평가능력(객 자기이해력)

자기분석

행 반성력(성찰력)

술감수성

술활동( 람취미)

심미능력( 술향유)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

즐길 아는 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건강 리력

- 187 -

참 고 문 헌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함양을 한 실업교육 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2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교육인 자원부 (2004) 평생교육백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 외(2000) 인 자원개발 리를 한 평생학습체제 종합발 방안탐색 세미나

발표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권 (1996) 평생학습사회교육 서울 학지사

권 (1999) 평생학습사회의 인력개발을 한 사회교육 인력개발연구 1(1) 25-38

권 (2003) 평생교육의 다섯 마당 서울 학지사

기 화(2001)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 서울 학지사

김남희(2004) 성인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평생학습체제 구안 한국교육 31(3)

307-331

김승보(2007) 국가 선진화와 평생학습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

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개 포럼

김승보 이주호(2007) lsquo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rsquo 內 lsquo제3장 평생학습사

회 실 을 한 실천 략- 편화에서 통합화로rsquo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신일 박부권 편(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안나 외(2003)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방안 연구(II)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

김장호(2004) 인 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총체 학습사회론 직업능력개발연구

7(2)

김장호(2007) 사람 심 발 패러다임과 평생학습사회 구축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

개 포럼

김진화 (2005)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기 외(2002) 생애단계별 능력형성의 에서 본 기업교육의 황과 과제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7

김태 외(2002) 학습사회에서 성인의 생애능력설정 성인학습체제 질 리 황과

- 188 -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5

백은순(2007) 학 은행제의 성과와 망 한국성인교육학회 학술 회 자료집 서울

한국성인교육학회

변종임(2007) 교육계좌제 추진 방안에 한 의견조사 결과 분석 교육계좌제 추진방안

모색을 한 문가 워크 연구자료 RM 2007-9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손유미(2005) 평생학습의 새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 수(2000)「21세기 지식경 시 와 핵심역량의 근방안」산업교육 2월호 76-79

안상헌(2005) 한국 평생학습사회의 이념 지향성과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1(1) 69-90

오장원 선(2004)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업인력교육 로그램 경 교육 4 207-226

오헌석(2007) 역량 심 인 자원개발의 비 과 쟁 분석 경 교육논총 47 191-213

유 숙 김동석 이만희 김이경(1999)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정책방향과 과제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연구(I)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2-19

유 옥(2005) 평생학습사회의 교육 실변화와 교육철학 연구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1(2) 141-160

윤여각 외(2002) 국민 기 교육 단계에서의 생애능력 형성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RR 2002-19-1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의 본질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이돈희(1999)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교육의 새로운 상 이돈희 외(편) 지식기반사회

와 교육(pp1-22) 교육부정책보고서

이명희(2000) 평생학습사회에 있어서 교환학습의 의의와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4(1) 55-73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3

이재분 외(2006)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이희수 외(2000)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발 방안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형성의 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연계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6

정재완(2000)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략 lsquoManpower 21의 주요 내용과

시사 세계경제 2000년 2월호 67-76

조 연 김재 (2007) 사회 자본을 통한 국가수 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국가인

- 189 -

자원개발을 심으로 인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105-122

조원경 양은주(2001)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교육과학연구 32(2) 1-21

차갑부(2001)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상생을 한 평생교육 방안 교육문제연구 14

25-42

차갑부(200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최돈민 이해주 윤여각(1998) 평생학습실 을 한 열린교육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최상덕 외(2007) 평생학습사회 실 을 한 고등교육체제 신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

학연구 12(4) 225-251

한숭희(200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숭희(2006) 평생학습사회의 평생학습체제 연구를 한 생태체제 개념모형탐색 평

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한숭희(2006b)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한 상(2004) 인력개발을 한 평생학습사회체제 구축 직업과 인력개발 2(2) 75-77

섭 외(2008)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용한 고객응 역량 모델링

CS교육 로그램 개발 사례 H社의 매 정비직을 상으로 인력개발연

구 10(1) 195-222

주 외(2004)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4-18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Brundrett M(2000) The Question of Competence the origins strengths and

inadequacies of a leadership training paradigm School Leadership amp

Management Vol20 No 3 pp353-369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2000) 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Dohmen G (1996) Lifelong learning Guidelines for a modern education policy

Wissenshaft Forschung and Technologie

Dubois D(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

Change Amberst MA HRD Press

Dubois D(1998) The Competency Case Book Amherst MA HRD Press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 190 -

EAEA11

Faure E et al (1972) Learning to be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Deist F D L amp Winterton J (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Development international Vol8 No 1 pp27-46

Elias J L amp Merriam S B (200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3rd

e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Garavan T N amp McGuire D Competencies and workplace learning somereflections on the rhetoric and the real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13(4) 2001 144-163

Green PC(1999)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c San Francisco Jossey-Bass

Irwin P(2008) Competencies and Employer Engag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9 No1 pp63-69

Klemp G P(Ed)(1980)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 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Knowles M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Association Press

Lave J amp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cia A amp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Pfeiffer

McLagan P A(1997)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May pp 40-47

Merriam S B Caffarella R S amp Baumgartner L M (2007) Learning in adulthood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Mirabile R J(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August pp73-77

OECD(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OECD(2002) Draft strategy paper on key competencies A frame of reference for a coherent

assessment program

OECD(2004) Lifelong Learning The OECD Policy Briefs

Ouane A (2002)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lising lifelong

learning Creating conducive environments for adult learning in the Asian

context Hamburg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 191 -

Parry S R(1996) The question for competencies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July pp48-56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and L H Salganik(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pp41-62) Cambridge MA Hogrefe amp Huber

Publisher

SCANS(1991)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Others(1999) US Department ofCommerce Report

Schippman J S Ash R A Batista M A Carr L Eyde L D Hesketh B

Kehoe J Pearlman K Prien E P amp Sanchez J(2000)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53(3) pp703-736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Su Y (2007) The learning society as itself Lifelong learning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and beyond education Studies of Continuing Education 29(2)

195-206

Tielen G (1998) Integrating senior citizens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Aging

International 24(2-3) 143-153

Tuijnman A (2003) Measuring lifelong learning for the new economy Compare

33(4) 471-482

Usher R Bryant I amp Johnson R (1997)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New York Routledge

Wood R amp Payne T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New York NY JohnWiley amp Sons Inc 1998

Zimmerman BJ(1989a)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 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________(1989b)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JZimmerman and DHSchunk(Eds)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1-25) New York

Springer-Verlag

httpwwwlllorkr 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httpswwwcborkrindexshtml 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httpbdesnileorkr 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 192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이희수( 앙 학교)

한국교육개발원에서의 일화가 떠오른다 원장님께서 원내외 평가 원분들과 함께 인

쇄된 모든 보고서들을 싸들고 교육문화회 에 들어가셔서 평가를 했다 상당 부분 재

인쇄 결정이 내려졌다 오탈자 참고문헌까지 다 보셨다 야단법석이었다 연구비도

다 썼는데 다시 수정보완해서 재인쇄하려니 이만 만한 일이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원

장님께서는 체 조회시간에 연구를 업으로 살아가는 자칭 연구의 달인이라는 연구원들

에게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질문을 던지셨다 그리고 스스로 모름지기 좋은

연구란 잘하는 연구라고 하셨다 제 로 하는 연구가 좋은 연구란다 조 연 교수의 연

구가 그러하다 그래서 토론에 응했다 정책연구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조 교수의 연구를

내심 흠모하는 사람의 인사로 토론을 연다

첫째 정책연구자는 돈지갑의 딸린 을 늘 의식한다 발주처가 교육과정개발과 평가

를 본업으로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라는 것은 이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가늠 한

다 연구 목 에서도 밝혔듯이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

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

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아마도 8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미래사회를 평

생학습사회로 망하고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상으로 평생학습인을 상정하고 국가교

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 을 제시하여 교육과정개발에 활용되면 소임을 다하는 것이

다 연구자의 탁월한 연구 리뷰는 기존에도 많은 유사 연구가 이미 이루어졌음을 확인

시켜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 시 에서 왜 이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하는가에 한 강한

논 근거는 이 연구의 시의성 목 성 차별성을 강화시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평생교육 성인교육 정책연구에 교육과정개발 기 연구 스타일을 가미할 필요성을 말해

다 간연구이니 향후는 Rigor보다는 Relevance에 방 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조 교수의 강 인 요 이 살아날 것이다

둘째 본질과 원칙에 충실하면 길이 보인다 조교수다운 문장을 집어내라고 한다면 다

음 문장이다 ldquo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

야까지 사회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 193 -

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dquo 특히 lsquo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squo는 말에 으로 동감하면서 조 교수의 진

면목을 보는 것 같아 무릎을 친다 오늘 토론의 소득이다 토론자가 가장 많이 듣고 보

는 단어도 역량이다 특히 국민의정부 참여정부의 교육인 자원부의 시 에서는 lsquo역량rsquo

lsquo성과rsquo lsquo액션rsquo이란 말을 참으로 많이 들었다 HRD의 교육 침투 상이라고 볼 수도 있

다 연구자의 발제는 정부출연기 에서도 1990년 말 2000년 에 유행처럼 역량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 다 여 히 재 진행형인 것으로 알고 있다 유치원 단계

의 정책연구도 연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토론자의 교육과정 개

발의 추억은 인지 역(지식) 정의 역(태도) 심체 역(기능)의 계열성 범주

를 설정하는 게 교육과정 개발의 요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 개발의 정통

보다는 로그램 개발의 기법이 지배하고 역량의 기반인 행동주의가 면에 나서는 것

은 아닌지 세인의 이목을 끌 수 있다 역량에 한 기존 교육과정개발의 원리를 용해

직도 하다 그럴 때 Competence-based Training Program 개발을 넘어설 것이다

셋째 연구의 차 모델과 역량에 한 개념 얼개는 연구에 모자를 워 다 이 연

구는 연구방법 면에서도 철 하고도 신선하다 명목집단기법 에 명목의 의미를 제

로 알게 된 것도 이번 토론의 소득신고감이다 좋은 연구기법과 차가 나열되어 있는

데 좌 이 보이지 않는다 좌 이 마련되면 물건이 가지런히 정리되고 빛날 것이다 역

량이란 말을 표기하는 어도 정말 가지가지다는 것을 연구 보고서는 확인시켜 다

OECD 등에서 쓰는 용어로서 우리에게 소개된 것만도 life skills human capital key

competencies literacies basic skills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국내외 문헌까지 합치면 lsquo역

량rsquo이란 말을 표기하는 말의 수자에 놀라게 된다 용어에는 족보가 따라붙기 마련이다

용어는 그냥 나온 게 아니고 학문 편향을 드러낸다 이 많은 용어들은 과연 서로

체가능한 용어인지에 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life skills는 생애역량으로 번역

하는 게 맞는가 등 원 질문을 필요로 한다 생애는 lifelong에 한 일본식 번역은

아닌가 말이다 기능문해를 뜻하는 생활기능은 아닌지 등 교정학습도 필요한 듯싶다

한 이 연구의 궁극 산출물은 역량 요소 추출이다 그 다면 어릴 석유를 따를 때

쓰던 깔때기가 생각난다 함양시켜주어야 할 역량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의 차모델은

그러한 역량 추출의 타당성을 높여 것이다 이와 함께 NGT 구성 운 기법이 돋

보인다 다만 세인들에게 은 사람이 많은 것을 결정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숫자를

늘리거나 구성원의 다양성을 높 으면 한다 역량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개발되는

것이므로 연구의 차 모델과 함께 역량개발의 얼개 속에 역량이 제시되면 상첨화일

것이라는 소망을 가져본다

넷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한 차별성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

- 194 -

는 평생교육 공 교수에 의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이다 그런데

읽으면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학교교육사회에서 교육과정 운 을 통

한 핵심역량은 과연 일치하는가에 한 생각이 불 듯 스쳐지나간다 평생교육 공자

가 아닌 학교교육 교육과정개발 공자도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을까라는 상상도

가능하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과 련하여 학교교육 교육과정 개

발자가 부족한 2를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자가 보충 해주는 데에서 차별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개발의 총론에서 앞으로 개될 미래사회의 모습이 평생학습사회이

고 그 사회를 주도할 사회구성원의 모습이 평생학습인이라면 추구하는 사회상과 인재

상이 가 손에 잡히게 제시되면 좋겠다 이를 해서 학 은행제 독학사제 학습계

좌제 평생학습도시 등 계법과 제도 평생교육 로그램을 분석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지만 핵심역량 추출과의 련성은 더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오히려 평생

교육법상의 평생교육 이념이 언 되는 게 더 정합성을 높일 것이다 이와 함께 평생학

습사회의 특성과 평생학습자의 핵심 역량 추출은 궁극 으로 평생학습개념의 특성을 실

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고 할 때 역량의 특성 못지않게 평생학습(인)의 특성에 즈

를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미래사회의 침투로서 평생학습사회상보다는 평생학습의 고 으로 돌아가는

게 교육과정개발에 도움이 된다 평생교육의 두 배경 의 하나는 lsquo탈학교론rsquo lsquo학교사

망론rsquo lsquo의식화론rsquo으로 별되는 학교교육의 병리 상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치유하기

한 체교육학 교정교육학 교육개 이데올로기로 두된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창

기 유네스코의 문헌은 학교교육과 립되는 평생교육 평생교육 원리를 학교교육과정에

반 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조직 방법 교육평가 교원양성 연수 학교 구

조 시스템을 어떻게 총체 으로 바꿀 것인가에 주안 이 주어졌다 유네스코 UIE의

모노그래 시리즈가 이를 웅변하며 이의 백미가 「평생교육과 학교 교육과정」(1973)

이다 학교의 병폐를 치유하기 한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로서 학교 장에 목시키려

는 시도로 읽 진다 이를 통하여 비로소 평생교육이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키기 한

목 으로서 자리 잡았다 평생교육의 개념 속성으로서 계속성 포 성 연계성 응

성 교정성 신성 총체성 다양성 보편성 유연성 역동성으로 구체화되었다 평생교육

의 조건으로서 기회 동기 교육의 가소성(educability)이 제시되어 학습사회의 조건을

형성하게 되었다 략으로서 수직 통합과 수평 통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평생교

육의 특성을 학교 교육과정에 목시키기 한 목표로서 평생학습의 필요에 한 인식

교육 가소성의 제고 범 한 학습 역에 한 체험 학교 경험과 학교 밖의 경험의 통

합으로 제시하 다는 에서 유토피아로서의 평생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에서 학

교를 개 하기 한 교육개 가이드라인으로 존재한다 가히 평생교육과정론이라고 불

- 195 -

러도 손색이 없다 여기서 토론자는 역량 개념 정립에 있어서 창기에 도입되었던

educability 개념에 해서도 언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학습사회와 핵심역량

의 특성과 요건도 단순하게 Opportunity Motivation Educability 면에서 근할 필요를

느끼게 한다

여섯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은 이번 정부가 강조하는 인재 국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얼마 까지만 해도 인 자원이라더니 어느 새 인재로 변신했다

핵심역량과 핵심인재는 늘 따라다닌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3 정책이념은 빈

도수로 보건데 lifelong employability와 social inclusion이다 핵심역량이 개인 수 에

서의 논의라 하더라도 이러한 정책이념과의 연속선상에서 언 될 가치를 느끼게 한다

핵심역량은 경제 개념인 employability에 경도된 느낌을 다 다른 한편 평생학습은

학습의 특권인 엘리트주의보다는 학습의 권리를 강조하는 성을 특질로 한다

Second chance maker로서의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은 핵심인재를 한 교육학이라기

보다는 주변인물을 한 교육학이다 지배의 교육학이기보다는 해방의 교육학이다 그런

데 제시된 핵심역량은 핵심인재의 역량으로 비쳐진다 이것은 평생교육이란 옷을 입은

핵심인재개발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일요일인 어제는 심신이 고달 서 lsquo정약용과 그

의 형제들rsquo이란 책 1권을 다 읽었다 거기서 ldquo여유당( 猶 )rdquo의 뜻을 알게 되었다 노자

(老子)의 『도덕경』의 한 목인 여( )함이여 겨울 냇물을 건 듯이 유(猶)함이여

의 이웃을 두려워하듯이라는 귀에서 따온 것으로 조심조심 세상을 살아가자는 것

이란다 여유당의 의미를 새기게 하는 이다 무릇 좋은 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다 다시 한 번 좋은 을 공유하게 해주신 조 연 교수님께 감사하는 것으로 토론자의

의무를 면하고자 한다 끝

- 196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주성(경원 학교)

후기 산업사회를 넘어서 21세기는 변화와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를 특징으로 자리매김

하며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조직체나 개인 혹은 더 큰 범의에서의 국가

는 작 의 치열한 로벌 생존환경에서 자기 존재 가치와 사회경제 경쟁에서 큰 어

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측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이러한 시 상황 하에서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

는 핵심역량rsquo이라는 주제의 연구가 국가 산하 연구기 에 의해 그 요성이 인식되어

추진하게 된 것에 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도 지 하고 있듯이 국

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이 부분 특정 역의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한 미래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

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총제 근은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오늘의 토론은 이 과제에 한 간보고서의 검토 향후 최종보고서의 작성에 의미

있는 방향 제시의 기회로서 요한 자리가 아닐 수 없다 먼 이 과제에 한 의

간보고서 검토 내용을 몇 가지 말 드리고 이어서 향후 최종보고서 작성과 련한 사

항에 해서도 언 하도록 하겠다

먼 간보고서와 련된 몇 가지 검토 사항에 해서 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과제의 수행의 로세스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의 핵심은 lsquo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이 극 인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

을 도출rsquo하는 것이다 역량 련 연구의 연구 로세스는 체로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비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최종화 단계 등 크게 3단

계에 따라 진행된다 구체 으로 말 드리면 첫 단계에서는 규명하고자하는 컴피턴시가

무엇인가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다음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기 해서 컴피턴시

모델링을 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컴피턴시 모델을 구축하는 최종화 단계로써 규명된

컴피턴시 그 하 요소를 검증하고 타당화하며 컴피턴시 모델의 활용방안 등을 제

안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진행 로세스에서 두 번째 단계에까지 와 있

다고 볼 수 있다 연구책임자는 여러 편의 역량 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 197 -

연구과제의 각 과정 요소 내용을 체 으로 조망하면서 체계 이며 체제 인 방법

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은 한 층 더 이 연구가 그 의도하는 바를 효과

으로 달성시켜 수 있는 가능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에서 매우 기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과제의 내용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과제는 역량과 평생학습사회

에서의 생애역량에 련된 국 내외의 많은 연구와 문헌들을 다각 인 측면에서 검토하

여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일차 으로 도출하고 있다 한 역량 련 용어에 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도 이

연구에서 규정하는 역량에 한 근을 시도한 은 매우 정 이라 할 수 있다 아울

러 연구자는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기 해 평

생학습제도(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

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와 평생학습 로그램 등의 분석까지도 방 으로

시도하고 있는 은 연구결과의 포 성 타당화를 한 이론 토 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 측면에 한 검토이다 연구자는 연구목 달

성을 해 문헌연구를 기 로 하여 일차 으로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악하 고 두 차례의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해 이들에 한 비 선정

을 시도하 다 NGT를 이용한 방법은 본 연구의 규모와 연구과제 수행시간 등을 고려

할 때 한 방법으로 이해되며 특히 NGT를 해 청된 문가들이 평생교육 각

역의 문가들로 구성된 은 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어서는 성공 인 연구과제 수행을 한 후속 작업 방향에 해 세 가지 을 제

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연구자는 문헌연구 NGT를 통해 비 선정된 lsquo평생학습사회

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들을 타당화하고 그

우선순 를 정하기 해 조사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조사 연구가 성공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먼 조사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되어 있어야만 할 것 이다

연구자도 계획(실행)하고 있는 것처럼 평생교육 문가들로 구성된 문가 의회(가능한

한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와 일반 피검자인 평생학습자

들을 상으로 한 안면타당도(face validity)의 확보 에서 조사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

다 조사 연구와 련된 방법 측면은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조사 상에

한 분명한 이해와 조사 상의 충분한 확보 샘 링 에러를 방지하는 한 샘 링

략 등에 한 깊이 있는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198 -

둘째 본 연구의 목 은 연구자가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① lsquo미래 평생학습

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

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rsquo이며 아울러 ② lsquo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

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는 것rsquo

이다 이 연구가 더욱 의의를 가질 수 있기 해서는 단순히 첫 번째 연구목표인 ls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인 성인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의 도출rsquo에만 을 두지 않고 이를 토 로 성인학습자를 한 평생학습과정

middot 고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을 한 아이디어를 구체 으로 제시해 주어

야 한다 물론 이 연구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의 개발

을 한 체계 인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그 자체

도 하나의 커다란 로젝트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소한 이러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연구 결과로 도출된 역량 그 하 요소들이 어떻게

체계 으로 그 교육과정 안에서 서로 상호 연 을 맺는지 그리고 교육 실천행 의 선택

에는 어떤 시사 을 주는지 등에 해서 구체 인 아이디어를 제공해 필요가 있다

끝으로 토론자의 마지막 논의는 본 연구과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탐색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squo라는 주

제 하에서 수행되는 연구과제들(본 과제 외에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

량rsquo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 포함) 의 한 과제이다 이들 각각의 연구는

lsquo 등교육rsquo lsquo직업세계rsquo 그리고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rsquo 등에 을

맞추고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각기 독립된 연구라기보다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rsquo이라는 큰 모자이크 그림을 완성시키기 한(완 하지는 않지만)부분 부분들이라고

말 드릴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들은(특히 본 연구과제는) 주제하에서 이들 주

제들을 아우르는 통합 이며 총체 에서 연구 시사 들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199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박지혜(국민 학교)

정보와 지식의 요성이 날로 증 하면서 사회는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응하고 나아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개인들은 끊

임없는 학습과 자기계발을 요청받고 있다 핵심역량이란 일반 으로 직무에서 구체 인

거나 기 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특성이라고 정의된다(Spencer amp Spencer 1993) 따라서 지 까지 핵심역량에 한 연구

는 주로 인 자원개발 역에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인재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

다 그러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심

은 상 으로 부족하 으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구성원을 교육하기 해 그 핵심역량

에 한 지속 인 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국가 체의 교육과정

과 내용에 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요성이 있다

특히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해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개념정의에 한 종합middot분석 국내외 연구보고서에 한 분석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법 제도 로그램 등에 한 분석뿐만 아니라 문가들과의 의를 거치는 등 매우 포

이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 다는 에서 이 연구결과가 미래 평생학습사회를 비

하는데 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결과를 더욱

의미있고 유용하게 하기 해 이 연구가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Ⅰ 연구 내용과 범

연구 내용과 범 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연구내용은 (1)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2)

- 200 -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middot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3) 평생교육법 제도 그리고

로그램 분석 (4) 문가 의회를 통한 역량분석 등이다 일반 연구의 구성으로 보

았을 때 앞의 두 연구 역은 이론 배경에 해당되는 내용이며 실질 인 자료 수집과

분석은 로그램 분석과 문가 의회를 통한 분석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연구내용의 구성에 한 재논의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 문가

의회는 학교수와 연구원 등 평생교육분야의 문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구성이 평생교육분야의 문가를 표할 수 있는지 그 표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평생교육 역( 를 들면 노인교육 청소년교육 여성교육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 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차를 갖는다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다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Ⅱ 보고서의 구성

에서 언 한 연구내용과 범 의 규정은 보고서 체의 구성에도 향을 주고 있다

이 보고서의 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1 학교의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분석

4 (소결) 평생학습에서의 역량요소

IV 결과 NGT 결과 분석

그러나 의 구성이 본 연구의 내용과 체계를 잘 반 하고 있는가 하는 에 해 숙

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범 로 네 가지를 언 하지만 그 두

- 201 -

가지에 해당되는 내용은 2장 이론 배경에 제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내용은 3장에 마

지막 내용은 4장 연구결과에 제시되어 있다 2장의 일부분과 3장 4장의 내용 즉 역량요

소를 분석middot제시한 부분은 모두 연구결과라는 제목 하에 기술되어야 하는 내용인 것으로

생각되며 보고서의 구성에 한 재검토를 통해 새로운 목차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III 연구결과

1 평생학습의 개념을 통한 역량도출

2 국내외 보고서 연구를 통한 역량도출

3 평생교육제도 로그램을 통한 역량도출

4 NGT를 통한 역량도출

5 종합 요약

IV 제언middot종합논의

에서 제안한 보고서의 재구성과 더불어 연구결과의 제시 시 각 역에서 도출된 역

량을 나열식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각각의 분석내용이 추가되면서 어떠한 역량요소들이

발견되었는지 즉 분석내용의 추가에 따라 새롭게 발견된 역량요소를 첨가하는 방식으

로 기술한다면 보고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보다 쉽고 분명하게 달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해 본다

Ⅲ 역량 요소에 한 논의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제도를 분석한 결과로서 자기조 능력 정보 리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의사소통 력능력 등의 역량요소를 제시하 다 한 평생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는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을 제시하 다 두

역에 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 요소는 매우 유사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 가지 요소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를 들면 명확한 목표수립능

력은 로그램 분석을 통해서는 제안되었지만 제도분석을 통한 결과에서는 언 되지

- 202 -

않았다 그러나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은 학습자의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없이는

지속되기 어려운 제도라고 생각되며 명확한 목표수립이라는 역량요소는 양쪽 모두에

필요한 필수 역량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 로그램 분석결과에서는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평생학습제도 분석

에서는 정보 리능력이 제안되었다 이 두 가지는 그 개념정의와 설명으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역량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평생교육 로그램에서 다

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로 ldquo미디어 정보처리rdquo라는 역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라

이해되지만 평생교육 제도의 하나인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에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도 간과할 수 없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명칭을 다르게 제안한 것에 해 충

분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NGT 결과를 통해 도출된 14가지 핵심역량 술감수성이 평생학습사

회의 구성원에서 필수 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데 부분의 평생교육 문가들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해 의문 이 생긴다 지식기반사회로 갈수록 인간의 창의성과 감

수성이 요구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은 인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사회의 핵심역량으로 술감수성이 제안된 것에

한 충분한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반 으로 다양한 연구내용을 통해 매우 범 하고 다양한 역량이 도출되었지만

그 역량이 왜 도출되었는지에 한 근거를 보고서에서 충분히 제시하 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종 으로 도출된 핵심역량 요소들이 어떠한 근거로 도출되었는지에

한 구체 인 설명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Ⅳ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역량

미래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갈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

의 목 의 하나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들은 부분 과거

혹은 재의 평생교육 련 문헌들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미래보다는 재 평생학습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미래 사회에 한 망과 그에 따른 핵심역량을 제시하기 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203 -

이상에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연구가 갖는 제한 혹은 고려할 이라 생각되는

들을 몇 가지 제시하 다 에서 제시한 내용들은 이 연구가 간단계에 있는 을 감

안하여 앞으로 더 나은 연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안한

것이다 에서 지 한 몇 가지 문제 혹은 논의할 들이 이 연구보고서가 평생학습

사회 실 을 해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님을 거듭 강조하며 이

을 마친다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한 세미나

발행일 2008년 9월 5일

발행인 김 성 열

발행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25-1

화 (02) 3704-3704

FAX (02) 3704-3710

인쇄처 유진문화사

화 (02)576-2358

ISBN 978-89-5931-897-1 93370

자료집 내용의 무단 복제를 함

  • 표제지
  • 세미나 일정
  • 초대의 말씀 김성열
  • 목차
    • 제1주제 초middot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표 이광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주[고려대학교]
      • 토론2 강윤봉[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 토론3 정철영[서울대학교]
        •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혁호[삼성전기]
          • 토론2 유동환[호서대학교]
          • 토론3 안기현[한국반도체연구조합]
            •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조대연[숙명여자대학교]
              • 토론1 이희수[중앙대학교]
              • 토론2 전주성[경원대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대학교]
                • 판권기

의 말

안녕하십니까

주지하시다시피 학습자 사회인들이 향후 직면하게 될 미래 사회는 지식기반정보사

회 출산 고령화 사회 세계화 진 등의 특성을 띨 것으로 견됩니다 이러한 국

내외 환경 변화에 효율 이고 합리 으로 처하기 해서는 우선 으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인간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이 무엇인가를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이

에서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서 요구

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을 필요

가 있을 것입니다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핵

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의 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 으며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등은 핵심 역량을 교

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

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습니다 새 정부도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해 핵심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핵심 역량 심 교육과정 개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비한 학교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고 미

래 교육과정 비 을 제시하기 해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

교 교육과정 비 연구rsquo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일환으로 교육 계자 문

가 여러분들을 모시고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탐색하는 세미나를 개최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이번 세미나를 통해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고 그것

들을 학교 사회 교육을 통해 어떻게 기를 수 있는지에 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안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될 수 있도록 성원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9월 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 김성열

차 례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토론1 홍후주(고려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9

토론1 권 호(삼성 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9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3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8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3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2

토론2 주성(경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6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9

- 1 -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용어의 정의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1 외국의 선행 연구

2 국내의 선행 연구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1 뉴질랜드

2 호주의 빅토리아주

3 캐나다의 퀘벡주

4 핀란드

5 국

6 한국

7 시사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설문 조사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참고문헌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3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국가 수 의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

서 요구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

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에서 교육 계획 혹은 교육과정 설계 시 향후 도래할 미래 사

회를 망하고 그러한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 혹은 소양 계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한 재 사회의 상황보다는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견하고 견되는

미래 사회에 효율 으로 처하기 해 요구되는 다양한 능력 혹은 소양이 무엇인지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성장하는 학습자의 생활 상황은 바로 미래 사회이며 그러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이나 소양이 학교 교육 내용으로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는 미래

사회에 비한 교육에 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로

젝트를 추진하 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 의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 다(OECD 2002 Rychen amp Salganik 2003) 이들 핵심 역량은 3개 범주

의 9개 역으로 설정되었는데 뉴질랜드 호주 등은 핵심 역량에 한 OECD의 연구 결

과를 활용하여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

의 퀘백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 역량을 극 으로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다 정부 차원에서는 인 자원개발기본법

(2002년 8월 26일 법률 제6713호)1)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2) 등

1) 이 법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국가 인 자원개발정책을 범부처 으로 종합연계하여 효율 으로

추진하기 한 것이다 이 법은 인 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 조정 등에 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인

자원개발을 효율 으로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강화에 이바지함을 목 으

로 한다(인 자원개발기본법 제1조)

2) 인 자원개발기본법 제5조에 따라 수립된 인 자원개발분야의 법정 종합 계획으로서 lsquo학습 사회 인재 강국

건설rsquo을 정책 비 으로 설정하고 lsquo사람rsquo과 lsquo지식rsquo주도형 성장으로 인 자원분야 국가경쟁력 10 권 달성을 목

- 4 -

에 근거하여 lsquo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rsquo lsquo국민의 평생 학습 능력 향상rsquo 등의 과

제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2002 2003 2004)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를 통해 생애 능력 역을 기 문해력 핵심 능력 시민 의식 직업

특수 능력 등으로 설정하 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은 lsquo성인의 직업 기 능력 로

그램 실태 조사rsquo를 통해 성인의 직업 기 능력을 설정하고 성인의 직업 기 능력 향

상 방향을 제안하 다 서울 학교는 BK사업(2006-2012)의 일환으로 lsquoBK21 서울 학교

역량기반 교육 신 연구 사업단rsquo을 구성하 다 BK사업의 1차 2차년도 연구 결과로 소

경희 등(2006 2007)은 학교 지식의 변화 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

색rsquo lsquo캐나다 퀘백주의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rsquo 등의 연구를 통해 핵심 역량의 성격을

규명하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등을 제안하 다 이외에도 경 경제

분야 업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의 규명과 향상에 한 연구들이 개인 연구자 수 에서 수행

되어 왔다

이와 같이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

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3)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

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

성하기 해 우선 재와 연계하여 개될 수 있는 미래사회의 특징을 진단하고 핵심 역량

의 개념을 논의하며 련 문헌 분석과 경험 자료에 근거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

되어야 할 핵심 역량(안)을 추출설정하고자 한다 결론 으로 설정된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

과정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가에 한 방안을 시론 수 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2 용어의 정의

가 미래 사회의 특징

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실 하기 해 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 국민의 평생학습 능력 향상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3) 통령직 인수 원회는 새 정부 국정 지표의 하나로 lsquo인재 국rsquo을 설정하 고 2008년 2월 5일에 인재 국 18

개 국정 과제를 발표하 다 lsquo평생학습계좌제 도입rsquo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 lsquo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확

산rsquo lsquo기 학력 바른 인성 책임제rsquo lsquo맞춤형 산업기술인력 양성rsquo 등이 그것이다 이와 련하여 교육과학기술부

는 2008 통령 업무보고(2008 3 20)에서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와 련하여 lsquo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자율권 확 rsquo lsquo미래 사회에필요한핵심역량개발을 한교육과정개편rsquo등을 언 하 다

- 5 -

분야 미래 사회의 특징 상

기술 환경

과학기술의 가속 융합 기술의 도래 생명 공학 발 고령화

네트워크 사회 정보 통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

친환경 사회지속 가능한 개발 등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해 지구

체 차원에서 력

정치 경제

탈산업 사회 지식과정보 기반에근거 서비스 활동 강조

신자유주의의 득세국가보다 시장이 구심 이 됨 개인의 선택과 자유 확

빈부의 양극화

세계화 가속국가나 민족보다 경제 효율성 강조 국가간 양극화 국제

시장 강화 다 시민성으로 세계 연

사회 문화 다원주의 사회 다양한삶과가치문화사고 방식이 공존

교육 평생 학습 사회지식 정보의 확 로 학교 교육을 넘어서 자율 평생 학습

이 필요

미래 사회의 특징을 진단 혹은 측하는 궁극 인 목 은 방 변화에 처함으로

써 좋은 선택과 효율 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추구하는데 있다는 것에는 구나가 체로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고 돌발 인 상황이 개될 가능성이 있는 미래 사회를 체계 이고 합리 이며 효율

으로 측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델 이 조사론 시

나리오 기법 천재 미래 측 등의 방법이 동원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강약 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 이다

본 고에서는 선행연구 문가 델 이 조사 문가 의회 등을 거쳐 다음과 같이 미

래 사회를 진단4)하 다

lt표 Ⅰ-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

나 핵심 역량의 개념

핵심 역량을 한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련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직업기 기능 기 기능 등으로 번역되어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련 용어로는 core competence core skills key competence

enabling skills generic skills essential skills necessary skills enterprise skills

employability skills 등을 들 수 있다(정철 외 1998 15)

4) 구체 인 내용은 lsquo미래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rsquo 보고서(윤 진

외 2007 11-36)에 제시되어 있다

- 6 -

학자 정의

McClelland(1973) ㆍ업무 성과와 련된 범 한 심리 는 행동 특성

Boyatzis(1982)ㆍ직무 수행에 효과 이고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사원의 내재 인 특

질(동기 특성 기술 사회 역할 지식 체계)

Boyatzis(1982)

Jacobs(1989)

Dubis(1993)

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해 낼 수 있는 조직원

의 행동 특성

McLagan(1990) ㆍ높은 성과를 내는데 필수 인 개인 능력

Spencer amp

Spencer(1993)

ㆍ직무나 특정 상황에서 거가 되는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 성과에 직

련된 개인의 동기 특질 자아의식 지식 스킬 등의 안정 이고 지속 인

특성

Dubois(1993) ㆍ직무와 련하여 일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Hamel amp

Prahalad(1994)

ㆍ경쟁기업이 결코 따라 올 수 없는 자기 기업 특유의 차별화된 기술이나 노

하우의 결정체

Dow(1998) ㆍ조직과 구성원의 성공에 매우 요한 지식 스킬 행동의 결합체

Wynne amp

Stringer

ㆍ지식 스킬 태도의 집합체로서 개개인들이 자신들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결

과를 내기 해 보유하고 있거나 알고 있고 그리고 할수 있는 것

OECD(2002)ㆍ복잡한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혹은 활동 는 과제를 수행하

는 능력

김진모(2001)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원의

행동 특성으로 그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

역량5)이라는 용어는 20세기 반부터 경 학 심리학 교육학 등 기업 부문에서 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 들어 정치 등을 포함한 공공 부문에서까지 활용하는 등 그 활용 범

가 확 되어 가고 있다 인 역량(competency)의 개념을 정립한 학자는 성취동

기이론으로 유명한 Harvard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McClelland)이다 그는 lsquo지능

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rsquo(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이

라는 논문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실제의 성과

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lelland 1973)

맥클리랜드가 역량의 개념에 해 언 한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역량의 개념이

논의되었다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Ⅰ-2gt 역량(핵심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견해

5) 역량과 련된 용어로는 비 미션 핵심 능력 핵심 역량 역량 요소 역량 메뉴 고성과자 역량 지식 기술

내 특성 행동 등이 있다(이홍민김종인 2006 7)

- 7 -

정성휘(2004)ㆍ특정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필요한 능력 기술 지식 태도

경험

앙인사 원회ㆍ특정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요구되는 개인의 지속 이고 찰

가능한 행동 특성이나 태도

임동욱 외(2004)

ㆍ어떤 단일의 구체 기능이나 기술이기 보다는 개개의 기능과 기술들의 묶

음 혹은 다양한 개인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경쟁 우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량임

홍순정 외(2004)해당 조직내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향을 주는

찰 가능한 수행이나 행동의 거로 지식 기능 태도 등 을 포함함

표에서와 같이 학자에 따라 역량과 핵심 역량6)은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역

량과 핵심 역량을 체로 조직 내에서 개인이 업무의 성과를 내기 한 특성 는 조직

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한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역량과 핵심 역량의 개념은 크

게 구분되지 않으며 주로 직업상 수행하는 업무에서 필요한 경쟁력 있는 개인 는 조

직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역량에 한 개념 규정은 등학교교

육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개념으로 차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상의 정의를 변용하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

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 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

을 견지한다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핵심 역량을 무엇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선언 인 주장에 근

거하기보다는 합리 인 방법을 통하여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량을 추출하는 방

법도 논자에 따라 다양하다 문가 집단을 활용하는 방법 직무 과제 분석을 통한

방법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내재 특질을 도출하는 방법(Boyatzis

1982 Dubois 1993 Lucia amp Lepsinger 1999 Spencer amp Spencer 1993 허운나유

만 1995 홍순정 외 2004 86-87) 등이 있다

직업기 기능 추출과 련하여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s)는 패 을 구성

하여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산업 장에 들어가는데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결정하

6) Dubois(1993) Hamel amp Prahalad(1994) 정성휘(2004) 임동욱 외(2004) 등은 핵심역량 라는 어 사 하 다

- 8 -

다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는 고용주들을 상으로

속한 기술 변화 참여 경 기 생산 그리고 다른 산업 장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물어 직업기 능력을 설정하 다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소매업 음식숙박업 공공서

비스업의 다섯 분야에서 높은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의 직무에 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이를 기 로 산업체 경 인 공공기 의 리자 노동조합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와

감독 들의 논의와 면담을 진행하여 직업 기 기능을 설정하 다(정철 외 1998

133-134)

본 연구에서는 에서 언 한 방법론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고

자 한다 선행연구 외국사례 설문조사 문가 의회 등의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역

과 하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개념을 조작 으로 정의하는 귀납 인 연구 방법을

지향하 다

선행 연구(문헌) 분석 요구 조사 문가 의회 심층 면담 등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 설정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의 타당성 검증7)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설정

dArr

향후 국가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탐색

〔그림 Ⅰ-1〕 핵심 역량의 추출 차

7) 타당성 검증은 본 세미나 이후 9월 에 추진할 계획이다

- 9 -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이 장에서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한 기 로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요소에 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 다 핵심 역량과 련된 개념의

다양성으로 인해 련 선행 연구( 직업기 기능)는 많은 반면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규명에 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직업기 기능과 핵심

역량을 구분해서 볼 수 있는가 하는 에 해서는 추후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다 이

런 에서 여기서는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하 요소의

추출에 시사 을 제공할 수 있는 국내외 선행 연구8)들을 분석하 다

1 외국의 선행 연구

핵심 역량의 역 요소에 한 외국의 선행연구는 OECD의 DeSeCo 로젝트와

외국의 국가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있는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

다 사례를 개략 으로 고찰하 다

가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로젝트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로젝트9)는 1997년부

터 2003년에 걸쳐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수행했던 연구로서 역량에 한 개념을 제시

하고 성공 인 삶을 한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2) 이 로젝트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사회의 발 을 해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데 주요 목 을 두었다

DeSeCo 로젝트에서 정의한 핵심 역량의 거는 삶의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

키는데 수단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올바로 기능하는 사회를 이끄

8) 다 지능 이론 교육목표분류학 등 핵심 역량 추출에 련되는 선행연구 등이 지면 계상 생략되었음을 밝

힌다

9) OECD의 DeSeCo 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

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각기 다양한 근방법을 사용하면서

도 요한 유사 이 많은 반면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 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 도

있었다(Trier 2003)

- 10 -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1 자율 으

로 행동하기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할 필요성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big picture)에서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 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

호작용

으로 활용

하는 능력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도구를 자신의 목 에 맞게 선택

할 필요성

세계와 극 으로 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 이

질 집단에

서 상호작

용하기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3-1 다른 사람들과의 계를 잘 하는 능력

3-2 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는데 공헌해야 하며 모든 개인에게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Rychen 2003) 이

러한 거에 따라 세 가지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각각의 하 역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3)

lt표 Ⅱ-1gt OECD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 하고 있다 개인의 성공 이고 책임감 있는 삶을 이끄는데 있어서 그

리고 사회가 재와 미래의 도 에 직면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 하는

에서 범 한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직업이나 직무에 을 둔 역량 혹은

직업기 기능과는 차이가 있다(소경희 2006 130)

나 외국의핵심역량기반교육과정연구사례검토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다10)

뉴질랜드는 DeSeCo 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 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 용하고 있다 교육과정 설계는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 인 삶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 으

며 그 핵심 역량으로서 다음 lt표 Ⅱ-2gt와 같이 자기 리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참

10)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는외국의사례는Ⅲ장에서논의하고 있는내용과일부분 복됨을 밝힌다

- 11 -

핵심 역량 의미

자기 리

학생들이 자신이 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

을 한 높은 기 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 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극 으로 듣고 다른 을 인정하고 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공헌

지역 국가 지구 공동체에 극 으로 참여하는 것

집단 구성원으로서 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계를 형성하고 사람들

은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해 창조

비 메타 인지 반성 과정을 활용하는 것

지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지식이 표 되는 코드(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 하고 의사소통하기 한 체제

모든 종류의 텍스트(즉 문서화된 구두의 시각 정보 상상 비공식

공식 수학 과학 공학 )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요소(strand) 역(domain)

신체 개인 사회 학습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학문기반 학습

제2외국어

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상징텍스트의 활동 등이다

lt표 Ⅱ-2gt 뉴질랜드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호주 빅토리아 주는 최근 핵심 학습 기 rsquo(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lsquo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한 출발 으로 학생들이 미래에 성공하

기 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규명하 다

(VCAA 2005)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은 변하는 사회에서 성공 으로 살아나기 해

서는 그에 따른 일련의 지식 기능 행 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교

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한 방향으로 구안되었으며 호주 빅토리아

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의 체 인 구조를 개 하면 다음 lt표 Ⅱ-3gt과 같다

lt표 Ⅱ-3gt 호주 빅토리아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

- 12 -

인문학 경제 지리 역사

수학

과학

간학문 학습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한편 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학

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 ~ 4)에서 교육과정 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

고 있다 이 6개의 기능 일부 기능은 특정 과목의 것이며 일부는 여러 과목에 공

통 인 것들이다 6개의 주요 기능(key skills)으로는 의사소통 수 용 정보 기술 타인

과의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이다(경상남도교육청 2008

18-20)

lt표 Ⅱ-4gt 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

핵심 기능(key skills) 의미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일기 쓰기 기술을 포함함

수 용정 범 의 이성 계산에 한 발달과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것들을

활용하는 능력

정보 기술목 에 맞게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진술하기 해서 정 범 의

정보원과 정보통신기술 장비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타인과의 동소규모 집단이나 학 체의 토론 활동에 기여하는 능력 도 하기 해 타인

과 함께 수행하는 능력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학생들이 자신의 일과 그들이 배운 것을 생각해보고 비 으로 평가하는 것

과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능력

문제해결학생들이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 기술과 략을 개

발하는 능력

캐나다는 퀘벡주11)는 핵심 역량을 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

로 하고 있다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

11)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교육부를 따로 두지 않고 교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에 으로 임하고 있다

- 13 -

구성요소 하 범주

범 교육과정 역량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범 한 학습 역

건강과 참살이(well-being)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과 공동체 삶

교과 역

언어

수학 과학 공학

사회과학

술교육

개인발달

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

다 역량 심의 퀘벡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t표 Ⅱ-5gt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

2 국내의 선행 연구

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는 곽병선 외

(2001) 유 숙 외(2002) 교육 신 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 원회(2007)등 을

심으로 고찰하 다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지식 기술 태도는 능력의 필수 인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능력은 일반 인 범주의 개념으로 하 능력들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일반 범주의 능

력이 사실상 하 능력을 포 하는 메타능력을 함의하고 있다(윤여각 외 2002 22-23)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기 능력은 직업세계를 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능력이라고

본다 즉 직업세계에 있든 직업세계에 없든 인간으로서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으로 요

청되는 능력을 기 능력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기 능력으로 문제해결능력 정보통

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능력 동작업능력

등 7가지를 제안하 다 그들은 이러한 기 능력은 한 태도가 수반될 때 제 로 함

양증진될 수 있다고 보았다

- 14 -

생애 능력 하 범주

기 문해력 읽기 쓰기 셈하기

핵심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해석 능력

역할 수행 능력

자기 제시 능력

목표 설정 능력

메시지 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원인 분석

최 안 선정

계획 수립과 실행

수행평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학습 계획

학습 실행

학습 평가

시민 의식

국가 정체성국가 의식

역사 의식

신뢰

가치 공유

신뢰

기회 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책임

의식

법 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 의식보수 사회변 참여

지역 사회 참여

직업 특수 능력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특수 직무 능력

한국교육개발원(유 숙 외 2002 39)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

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에서 생애 능력을 기 문해력(3R) 핵심 역량(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의 4개 범주로 제시하 다 이

연구는 3년(2002-2004)에 걸쳐 수행한 연구로서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변화

와 지식 기반 사회의 특징 요구되는 필요 능력 추이를 분석하고 생애 능력의 개념과

하 요소를 학습 체제별로 추출하여 종합하 다 국가 수 의 생애 능력과 하 능력

요소는 다음 lt표 Ⅱ-6gt과 같다

lt표 Ⅱ-6gt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자료 유 숙 외(2002-2004) 연구의 재구성

이 연구에서 생애능력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종 인 측면에서 생애 능력이란 국민기 교육부터 등교육 고등교육 그리고

성인교육을 포함하는 평생(life-long)을 통해 습득되어야 할 능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 제시된 생애능력은 생애에 걸쳐 습득 되어야 할 능력이라는 에서 생애 단계

- 15 -

역 하 요소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력 비언어 표 능력 어문서

이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 능력 도표해석능력 도표표

능력

문제해결능력창조 사고력 논리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

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부심 추진력 건강 리능력 독립심 책임감 성취동기 성실성 정

인 태도 직장 자기이해능력 자기개발능력 법성 직업윤리의식 안

의식 사정신 장인정신 소명의식 충성심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다음 lt표 Ⅱ-7gt와 같이 국민기 교육단

계12)에서 습득해야 할 기 능력으로 lsquo인간 계능력rsquo lsquo의사소통능력rsquo lsquo이해력rsquo 등 세

가지를 제안하 다(유 숙 외 2002 82)

lt표 Ⅱ-7gt 국민기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기 능력과 그 하 역

기 능력 하 역

인간 계능력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양보하는 태도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표 이 끝날 때 까지 기다리고 그 뜻을 헤아리려는 태도

좀더 이해하기 쉽게 표 하려는 태도

이해력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끈기있게 집 하는 태도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토해 보려는 태도

자료 유 숙 외(2002) p 83

한편 실업교육체제 즉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 능력13)

을 lsquo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rsquo으로 보고 의사소통 능력 수리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

력 조직 이해 능력 등 9개 능력을 제시하 다

lt표 Ⅱ-8gt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애 능력 역 요소

12) 국민기 교육단계는 교육에서 기 가 되는 단계로서 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를 포함하며(유

숙 2004 81) 이때의 생애역량은 국민이 삶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기 능력이다

13) 이때의 생애 역량은 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공통 기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을 의미한다(유 숙 외 2002 169)

- 16 -

자원활용 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 능력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 사용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조직이해 능력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료 정철 외(2000) pp 50-52 유 숙 외(2002) pp 95-96

와 같이 실업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생애 능력은 부분의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

청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종류의 직업이든 그 직업에 종사하기 하여 가져야 할

기본 인 능력을 의미하고 성공 인 개인들의 삶을 유하는데 필요한 것이다(유 숙

2002 93)

교육 신 원회(2007 69)는 장기 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심으로 교육과정 개편을 언 하 다 모든 국민에게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 소양

교육을 강화 보장하며 행 교과 심의 교육과정을 핵심 역량 심으로 개편할 것

을 제안하 다 주요 선진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한다는 것이다 핵심 역량을 기존 교과와 연계하여

다학문 통합학문 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교육 신 원회는 핵심 역량의 주요 내용으로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등 8개의

내용을 시하 다 교육 신 원회(2007 69)는 교과 이외 경험과 활동을 통한 핵심 역

량 함양을 해 학습자 생애 발달 단계별 학습 경험을 구조화 학년 단계별로 체계화

할 것을 제안하 다

한편 국가 교육과정 포럼 원회(2007)14)는 lsquo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

을 갖추어야 하는가rsquo 라는 주제로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2007 10 26)

를 가졌다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해 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될 역량이 무엇

인가 하는 문제에 하여 미래학자 정치계 경제계 직업계 학부모단체 계자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의견이나 생각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한 문가들 간의

의견에는 거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와 미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가 있었으나 다

14) 이 원회는 넓게는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는데 좁게는 등학교 교육과정

개 의 기본 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총체 인 논의를 하기 하여 구성된 토론 성격의 모임이다

- 17 -

구분 핵심 역량

국외

OECD

DeSeCo(2002)

자율 으로 행동하기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교육부(2007)

자기 리 다른사람과의 계 형성 참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교육부(2007)16)

건강과 체육 인 계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국의

교육부(2007)

의사소통 수 용 정보기술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 시키기 문제해결

캐나다 퀘벡주

교육부(2001)17)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건강과 참살이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 공동체 삶

국내

곽병선(2001)

문제해결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

동작업능력

유 숙 외(2002)18)

생애 역량

기 문해력 핵심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국민공통기본교육체제에서요구되는 역량

인간 계 의사소통능력 이해력

직업교육체제( 문계고)에서 요구되는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음과 같은 역량들이 제안되었다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 일원으로 일하는 능

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

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등이15) 그것이다 거시 측면과 미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

여 역량을 제안하 다는 에서 볼 때 이러한 역량들 간에 그 경계가 명확한가라는 문

제제기는 가능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이상에서 고찰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국내외 선행연

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제시하면 다음 lt표 Ⅱ-9gt와 같다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15) 이러한 핵심 역량들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추출된 것이라기보다는 토론자들의 선언 주장에 근거한 것임을

밝힌다

- 18 -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 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 능력

교육 신 원회

(2007)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국가교육과정포럼

운 원회(2007)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일원으로일하는능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로 연구자별로 을 달리 하고 있지만 등

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계형성능력 시민 의식 자율 능력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는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는 거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학교 교육에서 설정하고 있는 교육 인간상이나 교육 목 은 학생들의 재의 교육

성취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 인 기 와 망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각국에서 제시

하고 있는 교육 미래상이나 국가 교육 목표는 재의 학생들 삶을 풍부하게 하고 학생

개인의 미래와 이후의 교육 미래의 직업을 계획하고 평생학습자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표방하고 있다 더욱이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몇 몇 외국의 경우에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생활의 복잡성 직업세계의 변

화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하고 한 미래 사

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개발해야 한다는 에

16) 호주의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에서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과 lsquo간학문 학습rsquo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17) 퀘벡주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에서 범교육과정 역량과 범 한 학습 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

시한 것이다

18) 생애역량과 등학교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있다

- 19 -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학교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재의 풍부

한 삶과 미래의 다양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는 국가의 교

육 비 교육 목 등학교 교육 목표 등에 일 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있어 핵심 역량 련 선

행연구뿐만 아니라 각국의 교육 비 이나 국가 교육 목표에 내재되어 있는 주요한 개

념이나 내용은 매우 요한 참고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

정을 구성하는 국가에서는 핵심 역량이 교육 비 이나 교육 목표에 긴 하게 연계되

어 설정되고 비 목표 역량 상호 간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는 에서 교육 비 이

나 교육 목표에 제시된 주요 핵심어(key words)는 핵심 역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에서 각국의 교육 비 이나 학교 별 교육 목표도 핵심 역량과 동일한 수 의

분석 상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국 등의 외국 사례에 제시된 각국의 교

육 비 목표 핵심 역량(기능)과 련된 내용을 심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 분석 상 국가 에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지 않은 국가도 있다 따라서 각국의 등학교 핵심 역량에 한

분석은 핵심 역량과 련된 국가 교육 비 교육과정상의 목표 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목 목표 등과 같이 다양한 자료를 분석 상으로 한다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

는 국가의 경우에는 국가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를 포함하여 교육 비

학교 별 교육 목표도 동일한 수 에서 분석한 것이다 즉 각국의 등학교 핵

심 역량을 추출하기 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 요소 등의 주요 핵심어를 심으로 분석하 으며 이

를 토 로 각국의 핵심 역량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1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등학교 교육과정은 2010년에 시행될 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국가 교육 비 을 근거로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가치(Values) 일상 삶과 평생학

습을 한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8개의 학습 역(Learning Areas)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뉴질랜드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에 제시된 교육 비 (Vision)과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교육부의 국가 교육 목표

(The National Education Goals)를 들 수 있다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비

은 ①창의 활동 진취 인 인간 ②지속가능한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미래 추

구를 한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인간 ③타민족 문화에 한 존 과 상호

- 20 -

구분 교육비 등교육목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유연성

명석함

극 인 지식의 추구활

용창조

진취성

재치

창의 비 메타인지 능력

지식의 탐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의사소통

의사소통 도구의 효과 활용

효율 인 의사 결정

다양한 맥락에서 언어 상징 텍스

트의 해석 활용

경청

력자로서 노력하는 인간 ④이상 인 삶을 해 가치 지식 역량을 지속 으로 개발

하는 인간 ⑤자신감 결속력 극 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

등 5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특히 다섯 번째 항목인 lsquo자신감 있고 결속력 있으며

극 으로 참여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rsquo은 보다 구체화된 하 요소를 설정함으로써

뉴질랜드의 교육 비 을 상세화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비 을 토 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는 일상 삶과 평생학습을 한

능력을 배양하기 해 lsquo사고하기rsquo lsquo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하기rsquo lsquo자기 리하기rsquo lsquo타인

과의 계맺기rsquo lsquo참여 공헌하기rsquo 등 5가지의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있다 한 뉴질

랜드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등학교 교육 목표를 ①잠재능력 개발 사회구성원으

로서의 역할 ②성취 증진을 한 기회의 공평성 제공 ③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④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⑤읽기 쓰기 수리력 과학 기술

등의 지식과 기능 향상 ⑥학습자 요구의 한 응 ⑦특별 지원이 요청되는 학습자

에 한 지원 ⑧ 학 교육에 한 근의 용이성 증진 ⑨마오리족의 교육 참여와 성공

증 ⑩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19)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 비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환경rsquo 등 9가지로 추출되었다20)

이상에서 고찰한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1gt과 같다

lt표 Ⅲ-1gt 뉴질랜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19) 이는 wwwminedugovtnz의 lsquoThe National Education Goalsrsquo라는 항목에서 제시하고 있다

20) 이하 lt표 Ⅲ-1에서 Ⅲ-6gt에 제시되는 각국의 등학교 교육 목표 핵심 기능(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은 본 연구 에서 1차 분석 추출하 으며 문가 검토 등을 통해 추출된 능력 요인(핵심 역량)에 한

성 여부를 단하고 수정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 21 -

인 계

타인과의 정 계

력자로서의 상호인식

결속력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능력

타인과 한 계 유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한 기여

다양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아이디어 공유 능력

집단 내 타인에게 기회 제공하기

자기 리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의욕

평생학습자

잠재능력 개발 자기 동기 부여

쾌활함

자신의 목표 수립 과제 리

자기주도 단 능력

자신의 학습과정 반성

반성 탐구학습

새로운 학습에 한 개방 태도

시민의식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의 구성원되기

국제사회의 시민되기

자국의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공동체에 극 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문화물리경제 환경의 지

속가능성에의 공헌하기

기 학습

문해력

수리력

읽기 쓰기

수리력

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상황 처

도 에 한 처 략 보유

새로운 환경 처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다문화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환경 국토 환경과의 연계

기 타

이상 인 삶 추구를 한 가

치지식역량 개발 능력

지속가능한 미래 추구를 한

신기술 지식 획득 능력

변화와 경쟁을 수반한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과학 기술체육 등

의 지식과 기능 향상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lsquo창의 사고rsquo는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지식의 탐

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의사소통rsquo은 의사소

통 도구의 효과 인 활용 효율 의사결정 경청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타인과의 정

계 결속력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아이디어 공유 능력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

하고 있다 lsquo자기 리rsquo에는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잠재능력 개발 자기주도 단

능력 반성 탐구학습 등이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신뢰감 소속감 지역사회 구성원

국제 사회 시민 역할 공동체에 극 여하기 권리역할 책무성 조화 등이 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22 -

lsquo기 지식 능력rsquo은 문해 수리력 학습 기 능력 배양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

고 있으며 lsquo상황 처rsquo는 그 하 내용으로 도 에 한 처 략 새로운 환경 체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등을 lsquo다문화 다양성 존 rsquo은 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을 lsquo환경rsquo은 국토 환경과의 연계를 하 내용으로 포

함하고 있다

2 호주의 빅토리아주

호주에서는 학교 교육 교육과정 내용에 한 결정 평가 방법 등에 한 법 책임이

각 주와 특별구에 있기 때문에 등학교 교육 체제 교육과정이 주별로 다르다

따라서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과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 목

표를 핵심 역량에 기반한 lsquo핵심 학습 기 rsquo을 심으로 구성하고 있는 빅토리아주를 살

펴보고자 한다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

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purposes) 미래 사회상(building the future) 교육 원리

(principles) 가치(values) 그리고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의 핵

심 학습 요소별 역 내용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미래

사회상으로는 ①미래 사회의 성공 인 삶을 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의 개발 ②지

속가능한 사회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한 이해 이들 요소의

효율 인 리 ③ 신 미래 사회에서 다양한 근 방식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 개

발 ④강력한 공동체 사회 구성을 한 공동의 목 가치 설정 상호 책임감과 신뢰

형성 등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 원리는 ①모든 학생들이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충

분한 시간과 지원 제공(learning for all) ②수월성 추구(pursuit of excellence) ③ 극

인 참여와 노력 추구(engagement and effort) ④탐구에 따른 결과 검증 문제에 한

해결 추구(respect for evidence) ⑤개방 태도(openness of mind)이며 빅토리아주에서

추구하는 교육 가치는 용과 이해 존 책임감 사회 정의 수월성 심 수용과 신

뢰 정직 자유와 윤리 등이다

한 빅토리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에서는

학생들이 복잡하고 변하는 사회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된 사회 높은 수 의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는 로벌 세계를 성공 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면서 핵심 학습 요소(strand) 3가지와

요소별 역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 학습 요소는 ①신체 개인 사회 학

습 ②학문 기반 학습 ③간학문 학습 등이다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은 21세기

도 세계에서 요구되는 학생 자신의 신체 건강과 학습 지역국가세계 공동체

- 23 -

구분교육비

(교육목 미래상)가치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

문제해결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환경사회문화경제 요인과 련된

과정과 산출에 한 분석 평가 능력

사고 략 획득(탐구정보처리추론문

제해결평가 반성)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설계 통제 능력

정보의 용 능력

ICT 활용 타인과의 의사소통

ICT 활용 이해 형성

ICT의 윤리도덕 활용

인 계

정 사회 계 형성

집단 내 활동 학습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

건강 유지

신체 활동 참여

신체 활동의 이해

학습 련 자기 지식 개발 학습 계획 설

정 능력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자신의 학습에 한 반성 책임감

자신의 학습과 실생활과 련짓기

동료 학습시 한 탐구 반응 능력

학습자원 리 능력

한 도구장비자료의선정 활용 능력

시민의식

공동 목 가치 설정

상호 책무성 신뢰감 형성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시민으로서의 권리 책무성 인식

사회 타인에 한 책무성 증진

에서의 타인과의 계 역할에 한 책무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 학습 요소는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등이다 lsquo학문 기반 학습rsquo의

역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과 련된 지식체와 특징 인 탐구 사고방식으로 이것은

술 어 인문학(경제 지리 역사) 제2외국어 수학 과학 등으로 구성된다 한 lsquo간

학문 학습rsquo은 학문 역들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으로 규정되며 여기

에서는 lsquo의사소통rsquo lsquo디자인 창의성 공학rsquo lsquo정보통신기술rsquo lsquo사고과정rsquo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 비 가치 핵

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

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환경rsquo 등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2gt와 같다

lt표 Ⅲ-2gt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4 -

책임감

수용과 신뢰

정직

용과 이해

자유와 윤리

사회 정의

집단 내 자신의 정체성 역할 이해

건 한 생활 양식

국제 사회에서의 자국의 역할 인식

환 경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

상호작용 이해

사회경제환경 요소들의

효율 리

기 타미래 사회의 성공 삶을

한 지식기능행동의 개발

간학문 지식기능행동 활용 능력

지식의 용 능력

lsquo창의력rsquo은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 해결rsquo은 주로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사고 략 획득 등

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이해 형성

윤리도덕 활용 정보의 용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는 정 사회 계 형성 갈등 조정 해결 등이 포함되며 lsquo자기 리rsquo에는

주로 건강유지 신체 활동 참여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학습에 한 책임감

학습자원 리 능력 등이 포함된다 lsquo시민의식rsquo은 공동 목 가치 설정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용과 이해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건 한 생활양식

등을 lsquo환경rsquo은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 이해와 요소들의 효율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3 캐나다의 퀘벡주

캐나다는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따로 교육부를 두지 않고 교

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21)에 으로

임하고 있어서 퀘벡주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캐나다 주(혹은 주)들의 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과 련한 구체 인 언 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각 주

( 주)들이 설정하고 있는 공통 필수 교과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면 해당 주 교육 당

국이 집 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의 면모를 강이나마 추정해 볼 수 있다

특히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로 천명하

고 있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960년 이래로 퀘벡주는 모든 학생들에게 평

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요한 교육 목표로 삼아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

21)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25 -

부분의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보편 으로 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목표는

사실상 시 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오히려 국제화 세계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

생활의 증하는 복잡성 직업 세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에서부터 개발하기 시작해야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이에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

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체제의 방향과 구조를 근본 으로 재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 고(소

경희 이상은 박정열 2007)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역량 심의 교육과정 개편이었다

캐나다 퀘벡주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등 교육 목 역량 기

반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첫째 lsquo새로운 확신을 바탕

으로 한 교수를 제공한다rsquo에서는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 등을 포함하고 있

다 둘째 lsquo타인들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도록 사회화 한다rsquo에서는 공동체에 한 강력한

소속감 계발 함께 사는 법 배우기 민주주의의 근원 가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lsquo다양한 선택을 통해 다양한 자격

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rsquo에서는 충분히 숙달된 직업능력 갖추기에 을 두고 있다

한 등학교의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4)은 lsquo세계 의 구축rsquo lsquo정체성의

확립)rsquo lsquo능력 강화rsquo 등을 제시하고 있다

퀘벡주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①범교육과정 역량(cross-curricular competencies)

② 범 한 학습 역(broad areas of learning) ③교과 역(subject areas) 등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이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squo범 교육과정 역량rsquo은

각 교과 역들이 갖는 경계를 넘어서 있다는 에서 교과 특정 역량보다도 훨씬 넓은

범 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들 역량은 교과 역 범 한 학습 역 모두에서 활용

될 수 있고 차 학습을 통합해가는 데 있어서 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한 맥락

에서 이 역량들은 복잡하고 측하기 어려우며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단히 귀 한 도구가 된다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은 간학문 성격을 가지며 오늘날의 은이들이 직면해야하는

삶의 여러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 범 한 학습 역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

의 맥락들에 한 진 된 이해를 갖도록 하고 련된 상황 속에서 가능한 다양한 행

들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것들은 학생들로 하여 서로 다른 학

습 역들 사이의 련을 악할 수 있게 하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개인 사회

문화 환경에 해서 비 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다

- 26 -

구분교육목

핵심 기능(역량)등학교 등학교

창의력창의력

비 단력

문제해결

복잡한 문제들에

히 처하기

문제 해결 련 경험

지식기능 획득

통합 지식 배양

문제해결력

효과 인 작업 방식 채택

로젝트(계획) 련 략의 채택

의사소통 한 의사소통 능력

인 계 함께 사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인과의 동

정보처리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미디어의 속성(지 역할 표상방식) 인식

이해

정보 활용력

자기 리

사회문화개인 정체

성의 형성

자아 발견

건 한 세계 의 형성

자신의 정체성 형성

자신의 잠재력 충족 방법 인식

자기 인식 자신의 기본 요구 인식

극 인 삶의 방식

행 선택에 따른 향(건강 등) 인식

안 행

시민의식

공동체에 한 강렬한

소속감 계발

민주주의의 근원 가

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 되기

공동체의 도덕 정신

가치 수용

참여 동연 성

평화에 공헌

사회 행 규칙 알리기

민주주의 제도 알리기

미디어와 련 권리책임

lsquo교과 역rsquo은 lsquo언어(languages)rsquo lsquo수학 과학 공학(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rsquo lsquo사회과학(social sciences)rsquo lsquo 술교육(arts education)rsquo lsquo개인 발달(personal

development)rsquo 등 5가지의 교과 역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언어는 불어와 어를 포함

하고 있고 수학과학 공학은 수학 과학 공학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과학은 지리

역사 시민성 교육을 포함하며 술교육은 드라마 시각 술 음악 스를 포함한다

한 개인발달은 체육 건강 도덕교육 종교교육(카톨릭 로테스탄트 종교교육)

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

(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

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환경rsquo 등 10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캐나다 퀘벡주의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

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3gt과 같다

lt표 Ⅲ-3gt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7 -

기 학습지 계발과지식의숙달

정신 계발

직업 비

숙달된 직업 능력 갖추기 직업 세계 사회 역할에 한 친숙함

획득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인 사용

소비의 사회 경제 윤리 측면 인식

환경자기 주변 환경에 한 인식

지속가능발 에 터한 생존 환경 추구

lsquo창의력rsquo은 하 내용으로 비 단력과 창의력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문

제에 한 처 통합 지식 배양 계획 로젝트 략의 선택 등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한 의사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함께 배우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

인과의 동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정보 활용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정체성 형성 자아발견 건 한 세계 자기 인식 요구 인식

극 삶의 방식과 안 행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공동체 소속감 계발 책임감 참

여 동연 성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직업능력 갖추기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사용 소비의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환경rsquo은 주변 환경에 한 인식과 지속가능 발 을 한 생존환경 구성을 포함

하고 있다

4 핀란드

핀란드는 국가 수 의 학교 교육과정과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지역 특색과 학교의 실정에 맞게 주 단 학교 단 교육과정이 개발 실천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교육 목 목표는 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법에 제

시되어 있으며 교육법에 기 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 핀란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학교 교육 목표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 그리고 기본교육법 기본교육

법령에 제시된 등학교의 교육 목 목표를 들 수 있다

핀란드의 교육법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①개인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장(자아 존 감 형성 비 사고) ②인간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책임감과 동심 배양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③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다양한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창의성 개발 스포츠 기술 개발 ④

- 28 -

구분교육법 교육과정(교육목 )

학교 고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창의성 개발

비 사고독창성 개발

문제해결 의사결정 능력 개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

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

의사소통 능력

자기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자국어 외국어 표

의사소통 기술

제2외국어 외국

어를 포함한 자기표

기술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력 배

양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정보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⑤다양한 언어에 련

된 지식과 기능 형성 세계 교육 지식과 기능 함양 ⑥건강 증진 사회 안녕

증진 ⑦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⑧비 학습 능력 력 기능 함양 등으로 제

시되어 있다 교육법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자발 활동 책임감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능에

한 책무성 기업가 정신 배양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타

인과의 지속 발 추구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문화 정체성 표 자신의 독자성

인식 등에 을 두고 있다

핀란드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문과 함께 8개의 목표

가 제시되어 있으며 ①독립심 책임감 자기 지식 개발 ② 동 상호작용 기술 습득

③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④의사결정 능력 개발 향후 학습과 직업장래 계획 ⑤자신

행동에 한 평가 능력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⑥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의 기 능력 배양 ⑦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⑧생활 환

경 처 기술 개발 등 8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고등학교 교육 목표에는 체로 학습

세계 형성 평생학습에 한 요구 강화 개인과 공동체의 윤리 인 문제 해결력

자아 존 감 개인의 독특성 인식 고등교육과 직업 설계 능력 제공 등에 을 두

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

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심미 감수성rsquo lsquo다문화rsquo 등 12가지

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4gt와 같다

lt표 Ⅲ-4gt 핀란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9 -

력 배양

정보능력과의사소통 기술

능력

정보와 의사소통 기능

활용

정보처리

정보기술 능력

매체 기능 숙달 정

보의 비 평가 능력

건 한 정보 사회 기능

습득

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ICT 기술

다양한 정보 획득

인 계 동심 배양

력 기능 함양

타인과의 지속 발

추구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기

술 습득

타인과의 동 기술

동상호작용

자기 리

자아 존 감 형성

자아 존 감 강화

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세계 교육 지식

과 기능 함양

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건

강 증진

자신의 독자성 인식

개인의 장 탐색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삶의 질 향상 능력

한 학습 방법 활용

능력

개인 학습기술 인식

실천

자신의 학습기술 평가

능력

평생학습 기술 개발

평생학습의 요성 내

면화

탐구 학습태도

독립심

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자기 지식 개발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자신 행동에 한 평

가 능력

향후 학습계획 갖기

개인 독특성 인식

자신의 신념과 행동

수정 능력

삶을 한 비

폭넓은 학습 구

조화된 세계 형성

평생학습 비

건강 복지 생활

양식 고양

시민 의식

인간 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사회 안녕 증진

책임감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

능에 한 책무성

의사결정에 한 책무성

책임감

자발 활동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시민정신

책임감 개인 공동체

련 윤리 문제의 인

식 처리 능력

타인 배려 능력

민주주의 사회에서

역할 수행 능력

의지 개발

기 학습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비 학습 능력

인간사회문화

자연에 한 일반 지식

습득

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

식과 기능의 기 능

력 배양

직업 비

사회와 직업 세계에서

자신의 치 인식하기

기업가 정신 배양

직업장래 계획 미래 설계 직업

설계 능력 개발

경제생활 기업가

정신 배양

- 30 -

상황 처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자신의

의지 갖기

변화에 한 조처

강구 용기

변화에 한 융통

응 능력

심미

감수성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획득 찰해석심미

표 능력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술 문화 생

활 증진

다문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형성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문화 정체성 표

기 타심화 지식종합 지

식과 기능 형성

의사결정에 따른 직

ㆍ간 결과 인식

lsquo창의력rsquo은 창의성 개발 비 사고 독창성 개발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능력 개발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주로 인지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

발 정보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자기 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등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정보기술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정보 획득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에는 주로 동심 배양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아 존 감 형성 건 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평

생학습 기술 개발 탐구 학습 태도 건강 복지 생활양식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임감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타인배려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기 학습rsquo은 기본 수학 능력 배양 일반 지식 습득 기 능력 배양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주로 직업 장래 계획 기업가 정신 배양 등을 lsquo상황 처rsquo는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융통 처 능력 등을 lsquo심미 감수성rsquo은 다양

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문화 정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5 국

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등 교육과정은 주요 12단계(Key

Stage 1 and 2)로 등 교육과정은 주요 34단계(Key Stage 3 and 4)로 구성되어 있

다 국가 수 의 교육과정 문서에는 학교 별로 구체 인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1장과 2장에는 포 인 수 에서 국가 학교 교육

- 31 -

과정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국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국가 교육과정의 목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 기능 등학교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국의 국가 교육과정 목표에서 추구하는 바는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

험에 한 비rsquo 2가지이다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에서는 ①학습

의 즐거움과 책무성 증진 ②독자 력 학습능력 ③문해 수리 정보통신 기술 함

양 탐구 합리 사고 능력 증진 ④다양한 사회 문화 유산에 한 지식과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 ⑤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⑥다양한 지식 이해와 기능 습득 창

의 비 사고 ⑦미래의 직업인과 시민으로서의 기회 제공 ⑧신체 기능 개발

건강한 생활 양식 추구 자신과 타인의 안 유지 등에 을 두고 있다 한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험에 한 비rsquo에

서는 ①선악 구별 능력 개발 ②자신의 가치 존 타인의 가치와 지식 존 태도 ③

가치 수 성실과 자율성 개발 ④환경에 한 이해와 존 ⑤소비자로서의 의사결

정 능력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등에 을 두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values)는 자기 자신(the self) 계(relationship) 사

회(society) 환경(environment) 등 4가지이다 lsquo자기 자신rsquo은 자기이해 자기존 자기

도야 삶의 방향 결정 책무성 평생학습태도 삶에 한 책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계rsquo는 타인 존 타인 심 타인 배려 타인에 한 선한 태도 성실 신용 자신감 타

인과의 동 작업 타인의 사생활 재산 존 분쟁 해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사회rsquo

는 시민의 책무성 이해 실행 공동선 추구 가족 돌보기 사회 제도 존 (결혼제도지

지) 사랑 헌신 법과 차에 한 정보 공유하기 법과 규칙 존 법의식 고취 조장

하기 종교 문화 다양성 존 다양한 기회 제공 받기 어려운 사람 도와주기 민주

과정에의 참여 경제 문화 자원의 활용 생산 lsquo진실 성실 정직 선의의 삶

추구rsquo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lsquo환경rsquo은 환경 보존에 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이 계 이

해 자연의 균형과 다양성 보존 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 자연 서식지 복구 등

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key skills)은 의사소통(communication) 수의

응용(application of number) 정보공학(information technology) 타인과의 력(working

with others) 자신의 학습 수행 능력 증진(improving own learning and

performance)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등 6가지이며 이들 기능은 학습자들이 학습

활동 직업 세계 일상 삶의 과정에서 학습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능력이다

- 32 -

구분 교육법

추구하는 가치 목

핵심 기능국가교육과정

학교교육 국가 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창의력

진취성창의 수완 발휘새로운 것에 한시도

탐구정신 갖추기

창의 사고탐구 정신비 사고

문제해결

사건의 배경을 총체 이해하기

당면 문제 확인해결 능력

합리 선택능력 갖추기합리 사고능력 증진

문제 확인 이해문제해결 방식의기획 검토

문제해결과정 모니터링

문제해결에 유용한 기능과 략개발

의사소통

소통 기술의변화에 처

읽고 쓰기 능력다양한 방식의 소통 능력 형성

정보 공학 의사 소통 련 필수 학습 기술소유

정보와 소통 기술갖기

효과 으로 말하기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집단 토론에 참여하기

텍스트 읽기비 성찰하기

에 한 비분석

유려하게 쓰기

인 계

타인 존타인 심타인 배려타인에 한선한 태도분쟁 해결

자신과 타인과의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타인 존타인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기

타인 존좋은 계 형성 유지타인과 계맺기공동선 추구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타인들의 경험 평가하기

서로 다른숙고하기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표는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 등 3가지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는 읽고 쓰기

능력 수리 사고 능력 성취 추구를 한 극 동기 갖기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구

성되어 있다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은 자기정체성 확립 자신과 타인과의 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험 요인 리 안 유지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은 삶과 일에 한 비 타인 존 자국 타문화 통 이해하기 인간의 권리

존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국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rsquo lsquo환경rsquo 등의 12가지로 추출

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국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국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3 -

타인과의동 작업

타인과의 조 한 력수행 능력 개발

도 에 직면해서타인과 조할 수있는 능력

사회 기술 개발타인의 필요성에

한 인식과 이해개발

정보처리

주어진 정보의 처리 추론

주어진 정보에한 의문 갖기평가 능력

정보의원천과 ICT 도구활용하는능력ICT 활용에 한과학 단 능력

ICT를 활용한 작업의검토수정평가하는능력정보처리 창조

사고 기능탐구와 의사 결정기능

자기 리

도덕문화정신발달

신체 발달

자기이해자기존자기 도야삶의방향결정자신감평생학습태도

도덕사회 문화 발달신체 발달

극 인 동기 갖기실패로부터 배우는 능력 갖기

자신의 가치 믿기자기정체성 확립자신의 감정 인식

조자기 조직 능력갖기

자신의 재능 인식원 한 포부

갖기독립 자세주도 자세세계 속에서의 자신의 치 인식하기

신체 으로 건강하기

신체 능력 갖기 험 요인 리

안 유지자신의 학습 방식이해

자주 력학습 능력 갖기

즐겁게 학습하기

자아정체성확립 도덕 사회 문화발달의 진자기 존 감정서 안녕고취자신 존신체 기능 개발자신과 타인의안 유지독자 력

학습능력학습의 즐거움과 학습에한 헌신 신장

자신의 학습에한 반성 비평가

자신의 학습수행 개선 방법확인

학습의 목 확인학습의 과정 반성학습의 진 정도사정

학습 장애와 문제확인 개선 계획 수립

시민의식 책무성

책무성시민의 책무성이해 실행민주 과정에의 참여성실신용진실정직선의의 삶추구어려운 사람도와주기사랑

의무감정의진실정직성신뢰

가치와 신념 견지건 한 삶의 방식선택

불의에 항거하기정직하고 성실한행 하기

인간의 권리 존선악 구별 원칙갖기

책무성에 응하기책임감있고 배려심있는시민지속 인 가치획득선악 구별 능력 개발성실과 자율성개발건강한 생활양식 추구자신 타인의 가치 지

- 34 -

헌신공동선 추구가족 돌보기사회 제도존 )타인의 사생활 재산존법과 차에한 정보공유하기법과 규칙존 법의식고취

식 존 태도

기 학습

수리 사고 능력 수학 사고능력읽고 쓰는 능력

암산 능력의 용능력 계발

수학 언어 이해활용 능력

계산 기능과 수개념을 타 교과실생활 문제에용하기

직업비

사회 삶의 비

경제 문화 자원의활용 생산

생산 인 경제활동

삶과 일에 한비

미래의 직업인과 시민 비다음 단계(교육 훈련 고용등)에 한 비소비자로서의의사결정 능력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상황 처

격한 변화에한 처

변화하는 일과여가에 처변화에 극여

세계화 추세처

세상 변화에 극으로 참여하기

기회 도에 응하기 험 리하기변화와 역경에

다문화

종교 문화 다양성존

자신 가족 사회의 다양성존

다양성 존다양성의 가치에감사하기

자국 타문화통 이해하기

환경

환경 보존에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의 계 이해자연의 균형과다양성보존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자연서식지복구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

환경 보존개선에 앞장서기

환경에 한이해와 존

기타자연 인간성취에 한 열린마음

사회 각 분야의 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 35 -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진취성 창의 사고 탐구 정신 등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당

면 문제 확인 해결 문제 해결 략 개발 등을 lsquo의사 소통rsquo은 주로 읽기 쓰기 능

력 말하기 듣기 다양한 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주로 타인 존 배려 타인

과의 동 타인과의 계 형성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정보의 처리 추론 정보에 한 평가 탐구 의사결정 기능 등을 포

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기 이해 존 신체 발달 평생 학습 태도 독자

력 학습 능력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무성 정직 신뢰 건 한 삶의 방식

법과 규칙 존 실천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수리 사고 읽고 쓰기 능력 수학 언어

이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자원의 활용 생산 삶과 일에 한 비 소비자로서의 의사결정

권리의무 이해 등을 포함하며 lsquo상황 처rsquo는 변하는 일과 여가에 한 처 세계화

추세에 한 처 험 리하기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종교문화 다양성 존 자국

타문화 이해 등을 lsquo환경rsquo은 주로 환경 보존의 책무성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에 한

이해와 존 등을 포함하고 있다

6 한국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육기본법에 제시된 교

육 이념 등교육법에 제시된 각 학교의 교육 목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 별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에 한 제반 사항을 법제화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기본법과

등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이념과 교육 목 이 국가 교육과정 구성의 토 가 된다 따라

서 교육 이념과 각 학교 교육 목 에 기 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가 설정된

다 우리나라의 교육기본법 제1장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 이념은 ldquo교육은 홍익

인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

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 과 인류

공 의 이상을 실 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제시되어 있다 한 동

법 제9조 ③항에서는 학교 교육의 기조를 인 교육으로 보고 있으며 ldquo학교 교육은 학

생의 창의력 계발 인성의 함양을 포함한 인 교육을 시하여 이루어져야 한다rdquo

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이념은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에 기

하여 주로 lsquo인격 도야rsquo lsquo자주 생활 능력rsquo lsquo민주시민 자질 함양rsquo lsquo인간다운 삶 rsquo

lsquo민주국가 발 인류공 실 에 이바지rsquo 등에 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에 기 하여 등교육법에는 각 학교의 교육 목 을 제시하고

- 36 -

구분 교육법교육비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 (목표)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자신의생각과느낌 의

다양한(창의 ) 표 력

자신의 생각과 느낌의

다양한(창의 ) 표 력

학문과 생활에 필

요한 논리 비

창의 사

고력 태도 형성

문제해결문제 인식 해결

능력문제해결력

자기 리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생활의 기본 능력 구비

자기 발견

성숙한 자아의식

시민 의식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

바지

폭넓은 교양

이웃과 나라 사랑

태도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

민주주의 기본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방식 형성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기 학습

기 학습

능력

문 학

습능력

기 능력 기 능력 배양 학습의 기본 능력 구비

있다 즉 등교육법 제38조에는 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 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

요한 기 인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고 동법 제41조에

는 학교 교육 목 이 ldquo 학교는 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한 동법 제45조에는 고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고등학교는 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 기 인 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 별 교육 목표는 7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의 교육기본법 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학교 별 교육

교육 목표로 제시된 것이다 학교 에 따른 교육 목표의 문에 제시되어 있는 학교

별 교육 목표의 주안 으로 등학교는 lsquo기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 형성rsquo에 학

교는 lsquo기본 능력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rsquo에 그리고 고등학교는 lsquo진로 개척 능력과 세

계시민 자질 함양rsquo에 두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

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

업 비rsquo lsquo다문화(문화 감수성)rsquo 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6gt과 같다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7 -

직업 비진로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극 인 진로 탐색 성과 소질에

합한진로개척 능력

다문화

(문화

감수성)

자국 문화의 이해 자국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의

발 태도 형성

자국의 통과 문화의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

의 발 태도 형성

기 타

인간다운 삶

인격도야

인 성장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능 습득

심신의 조화로운

인격 형성

다양한 분야의 지

식 기능 습득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자기

능력

시민

의식

학습

능력

직업

능력

상황

능력

심미

감수성

다문화

이해

환경

의식

뉴질

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한국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창의 표 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

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 인식 해결 능력 등을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민주시민 자질 함양 공동체 발

공헌 민주주의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 방식 형성 등을 포함한다 lsquo기 학

습rsquo은 기 능력 배양과 기본 학습 능력 구비를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진로 탐

색 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등을 lsquo다문화(문화감수성)rsquo는 주로 자국

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등을 포함한다

7 시사

이상에서와 같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기능) 요소 등을 상으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을 추출한

결과를 토 로 각국에서 설정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 련 능력 요인을 유목화하여

비교 제시하면 lt표 Ⅲ-7gt과 같다

lt표 Ⅲ-7gt 각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내재된 능력 요인 분석 결과(핵심어)

lt표 Ⅲ-7gt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상 국가의 핵심 역량 련 주요 능력

- 38 -

구분 내용

문항 형식 자유 응답형(1 문항)22)

조사 시기 4월 30일(수) ~ 5월 13일(화)

조사 방법 본원 공용 이메일(webzinekicerekr) 활용

요인은 몇 가지 역에서는 매우 한 공통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특

히 lsquo창의력rsquo lsquo자기 리능력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등의 역량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분석 상

국가에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으로 요하게 취 하고 있다 한 우리나

라를 제외한 외국의 경우에는 lsquo의사소통능력rsquo과 lsquo 인 계능력rsquo의 역량을 요한 역으

로 취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역량은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요한 핵

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도 핵심 역량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충분

히 반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 인 핵심 역량 요소에 한 설정은 이

후의 설문 조사 결과와 문가 의회 등에서 도출된 안에 기 하여 정련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강조하는 핵심 역량추출을 한 설문 조사

가 설문 조사의 방법과 상

본 연구에서는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비 으로 추출하기

해 등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기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 태도 등)

요인에 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 다

lt표 Ⅳ-1gt 문항 형식 조사 방법

22) 설문문항 시 ldquo향후 개될 미래 사회에 비하여 학생들이 각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길러야 할 가장 기

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skills) 태도 행동 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능력을 순서 로 5가지만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rdquo

- 39 -

핵심 역량 주요 내용(요소)

창의력

창의 사고력비 사고력분석 종합 사고력발산 사고통찰력진취 이고 도 태도지식의 재발견과 창조창의 탐구능력

상 표집 수 응답자수(회수율)

등학교 교사 30 28(933)

학교 교사 30 9(307)

일반계고등학교 교사 30 13(433)

문계고등학교 교사 30 19(633)

교육 학교 교수 30 27(903)

사범 학교 교수 30 12(400)

계 180 108(600)

설문 상23)은 본 요구 조사가 자유응답형 문항으로 응답의 어려움으로 인한 회수율

의 하를 감안하여 사 에 본원의 연구 업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들을 상으

로 표집하 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의 연구진 의진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를 상으로 하 으며 사 에 설문 조사 응답 여부를 수락하는 차를 거

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 회수율은 60를 넘었으나 학교 별로 회수율에 차이가

있었다 참고로 표집 상수에 따른 회수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Ⅳ-2gt 표집 상별 표집 수 응답자수

나 설문 조사의 결과(요지)

설문조사의 목 은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는 바 여기서는 응답자

별 빈도()는 제시하지 않고 다음 lt표 Ⅳ-3gt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응답자별 체 인 의

견을 종합 으로 제시하 다 구체 인 내용은 최종 보고서에 포함할 정이다

lt표 Ⅳ-3gt 핵심 역량 역 주요 내용에 한 응답자의 의견 종합24)

23) 본 요구조사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장 문가의 아이디어를 얻기 한 비 요구 조사로서 설문 조사

상을 최소화(학교 별 30명)하여 일종의 델 이 조사 성격을 띤 자유 응답형 문항으로 구성하 다 장 교

사 교육 문가를 선정한 이유는 교육 분야에 다년간 종사한 경험과 식견에 비추어 볼 때 본 요구 조사의

내용에 해 하게 응답할 수 있다고 단되었기 때문이다

24) 응답자의 유사한 응답을 유목화하여 체 인 의견을 종합 으로 제시한 것이다 주요 내용 개념간의 포

함 계(층 )는 추후 문가 의회를 통해 지속 으로 검토 보완할 정이다

- 40 -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력논리 이고 합리 사고력

변화에의 응 리 능력

가치 단력

순발력

합리 의사결정력

과학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올바른 경청태도

올바른 언어 사용법

논리 인 표 능력 화의 기술

기호 해득력

정보처리능력

정보화 사회 응 능력

정보화 소양 능력

정보 수집 탐색 능력

정보 리 능력

정보의 재구성 창출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정보통신 윤리

분석 독해력

인 계능력

사회 기술

인 계 능력

타인 배려 존

동심

공감 능력

릴 이션 쉽

자기 리능력

자기 리 계발능력

정 자아 존 감

올바른 가치 정립

정 가치 (사고방식)

기본생활 습 함양

자주 태도

정서 함양

자기 주도 학습력 신장

흥미 소질 계발

신체 운동 능력

평생 학습 능력

기 학습능력

기본 인 학습 능력(말하기 읽기 쓰기 셈하기)

독서 능력

상에 한 기 지식

시민의식

민주시민 의식

인성 도덕성(윤리)

공동체 의식

참여정신

책임감

사정신

건 한 비 의식

용 태도

- 41 -

환경 의식

환경보존 태도

친환경 사고방식(자연사랑)

환경과의 상호 작용

환경의 요성 인식

주변 환경의 체험과 탐구

세계화 소양

외국어 소통 능력

국제 사회에 한 이해 지식 갖기

세계 상에 한 감식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문화 정체성 확립

술과 문화 향유 태도(문화 감수성)

직업 소양

기 직업 능력

직업의 요성 인식

진로 탐색능력

직업 소명의식

서비스 태도 로정신 함양

성 련 기술 함양

문 지식

공 련 능력( 문 지식 등) 함양

해당 분야의 기 지식과 기술

사회 쟁 악 능력

과학 기술 소양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기 한 설문 조사 결과 lt표 Ⅳ-3gt에서와 같이 창

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

식 환경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이해능력 직업소양 문지식 등의 역량과 그 요소들

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범주화된 역량 요소들은 그것의 이론 근거나 개념 간의

포함 계(층 ) 등에 한 세 한 분석과 검토를 거쳐 향후 정교화 할 것이다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요지)

본 연구의 과정에서 핵심 역량 시안을 마련하고 잠정 안을 설정하기 해 다양한

분야의 문가를 상으로 수차례의 의회를 가졌다 문가 의회의 참석자들은

등학교 문가 등교육 문가 고등교육 문가 사회 각 분야 문가 등 35명이었

다 주요 논의 내용은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 인간상 핵심 역량(안)의 성

과 타당성에 한 것이었다

주요 논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우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궁극 인간상으로는 개인

차원에서 합리 인간 창의 인간 미래를 진취 으로 개척하는 인간상을 사회

차원에서는 원만한 인 계를 유지하는 인간 개방 인 인간 사회유지와 발 에 기여

- 42 -

핵심 역량 요소(내용)

창의력사고 기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사고 성향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문제해결능력

문제의 발견

문제의 명료화

해결 안의 탐색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

의사소통능력

경청 공감

이해 반응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분석평가

정보 달 공유

정보 활용

정보 윤리

인 계능력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정서 표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능력자아 정체성

정 사고(태도)

하는 인간상을 설정하 다 한 핵심 역량 요소의 성과 타당성에 한 문가

들의 검토를 거쳐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인 계능력 자

기 리능력 시민의식 국제 감각 진로개발능력 등 9가지 역과 요소들이 설정되었다

각 역에 따라서 하 요소들 간에 층 가 다르거나 통합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이

있어 이런 문제 은 차후에 연구 과 문가들의 검토를 바탕으로 정교화 할 정이다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이 장에서는 문헌 분석(선행 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 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lt표 Ⅴ-1gt 등학교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25)

25) 이안은 잠정 으로 설정한 것으로 향후 이에 한 지속 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교화할 정이다

- 43 -

요소 의미

사고기능

유창성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고정 인 시각을 변화시켜 다양한 아이디어나 반응을 산출하는 능력

독창성 남과 다른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정교성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유용하게 발 시키는 능력

유추성 특정한 상을 기존의 것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

사고성향

민감성 주변 세계와 문제에 민한 심을 보이며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성향

개방성 제한 없이 모든 가능성과 다양한 경험을 수용하는 성향

독립성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는 성향

과제집착력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과제에 몰두하는 성향

실행력기본생활태도

기 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여가 선용

건강 리

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

신뢰감 책무성

민주 생활방식 법정신

환경 의식

국제 감각

자 문화 계승 발

다문화 이해

외국어 소양

문화 감수성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개척

표에 제시된 9개의 핵심 역량 요소에 한 개념26)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의력은 새로운 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창의력은

사고 기능과 사고 성향으로 구성된다

lt표 Ⅴ-2gt 창의력의 요소와 의미

26) 개념 하 요소는 련 핵심 역량에 한 기존의 이론 논의(지면 계상 생략)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조

작 으로 정의한 것이다

- 44 -

자발성문제 상황에 극 으로 처하고 자신의 내 동기에 의해 필요한 아이디

어를 산출하려는 성향이나 태도

요소 의미

문제의 발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찾아내는 능력

문제의 명료화여러 가지의 창출된 문제들로부터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하여 명확하게 진술하는 능력

해결 안의 탐색문제를 해결하기 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합한 기 을 세워

아이디어를 평가함으로써 최 의 해결안을 선택하는 능력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선택한 해결 안을 실제로 실에 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능력

요소 의미

경청 공감타인의 생각과 감정 정서에 한 정확한 이해를 해 경청하고 공감하는

능력

이해 반응타인과의 상호작용 내용에 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기 한 하고 정확

한 반응 표 능력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정보 수집분석평가정보 수집은 정보를 이용하고 활용하기 하여 기록 장하는 행 이며 정

보 분석 평가는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사용하는 행 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논리 체계

창의 사고과정을 거쳐 가치로운 지식의 창출과 산출물을 창안해 내는 고등정신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3gt 문제해결능력의 요소와 의미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상황에 합한 언어와 비언어 형태들을 사용하는 능력으로

화자의 말뜻을 이해하고 어떤 개념 아이디어를 정확한 형태로 나타내는 능력과 사회

맥락에 알맞게 나타내는 능력까지를 포함하는 언어 형태 이상의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4gt 의사소통능력의 요소와 의미

정보처리능력은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하고 필요한 정

보를 발견하여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5gt 정보처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5 -

정보 달 공유 정보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와의 공유 행 능력

정보 활용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효율 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모든 방법 인 능력

정보 윤리 정보에 한 근 활용에 있어 사회 책무성으로서의 윤리 행 능력

요소 의미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집단 내 혹은 개인 간 계에서 자신의 이익과 요구에 반하거나 자신이 원

하지 않는 방향으로 일들이 진행될 때 참아내는 능력

정서 표 능력자신의 정서에 하여 분명하게 악하고 그 정서를 건강하게 외부로 표출

하는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개인이 타인과의 동을 통해 소기의 목 을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상호 간에 정 인 계를 유지하는 능력

갈등 조정 해결인 계에서 필수 으로 직면하게 되는 집단 간 혹은 집단 내 개인 간의

갈등을 의미 있고 건설 으로 해결하는 능력

요소 의미

자아 정체성 자신의 흥미 성 장 을 발견하고 이를 가치롭게 발 시키는 능력

정 사고(태도) 모든 상을 정 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마음가짐

실행력 수행해야 할 업무를 열정 으로 추진하는 능력

기본생활태도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기본 인 생활습 태도를 형성하기

기 학습능력 읽기 쓰기 셈하기 등과 같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변화하는 상황에 처하기 해 학습자 스스스의 학습 역량을 지속 으로

계발하는 자세

여가 선용 주어진 시간을 잘 활용하여 유익하게 놀 아는 능력

건강 리 생활에 필요한 체력을 보존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능력

인 계능력은 개인이 다른 개인을 하는 보편 인 심리 지향성으로 개인의 내

특성과 외 행동 간의 계를 의미한다

lt표 Ⅴ-6gt 인 계능력의 요소와 의미

자기 리능력은 자신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해 수행에 필요한 자기 자신의 능력

자질을 지속 으로 계발 리하고 장기 인 비 을 갖는 능력

lt표 Ⅴ-7gt 자기 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6 -

요소 의미

공동체 의식자신이 속한 공동체 는 그 구성원에 해 귀속의식이나 유 감을 갖고 공

동체의 유지 발 을 하여 공동체의 이익을 시하는 태도와 가치

신뢰감 책무성개인 기 사회에 한 신뢰감을 형성하고 사회 역할과 의무를 수행

하는 능력

민주 생활 방식상 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토 에서 타 과 상을 통하여 민주 차

를 거쳐 합리 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법정신공공의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기 해 만들어진 법이나 사회 규범을 수하

려는 의식

환경 의식환경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해 자신의 가치 소비습 생활방식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자 문화 계승 발 우리나라의 문화를 깊이있게 이해하고 계승 발 하는 창조 태도

다문화 이해 다원화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 용 존 하는 능력

외국어 소양 국제화 사회의 상호 소통에 요구되는 외국어 문해 능력

문화 감수성 술 문화에 한 감각을 넓히고 그 자체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진로 인식 진로 선택에 필요한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

진로 탐색 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탐색하는 능력

시민의식은 국가와 개인의 계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민주시

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가치 을 의미한다

lt표 Ⅴ-8gt 시민의식의 요소와 의미

국제 감각은 국제화 사회의 상호 작용에 요구되는 다양한 문화 언어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 변화에 능동 으로 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9gt 국제 감각의 요소와 의미

진로 개발 능력은 자신의 성과 소질에 부합하는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능력을 뜻한다

lt표 Ⅴ-10gt 진로 개발 능력의 요소와 의미

- 47 -

진로 개척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을

비하는 능력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

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연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

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결론에 신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어떻게 작동 혹

은 연계될 수 있는지에 해 시론 수 에서 논의27)하고 향후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 시키는 방안이다 즉 핵심 역

량 기반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정하

고자 할 때 가장 먼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기르고자 하는 인간 특성

을 명확히 하는 일이다 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인간형을 설정하고 이러

한 인간형을 달성하기 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은 교육과정 개발 혹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요한 작업이다(박순경 2005 66-67)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추구

하는 인간상 교육 목표는 학교 교육을 통해 달성 되어야 할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포 으로 담고 있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교 내외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을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들을 의미한다 이 에서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28)으로 참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시

에서 설정하는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27) 이는 핵심 역량의 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구성반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되

며 그 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존재 할 수 있다

28) 인간상은 교육목표와 불가분의 계에 있다 교육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에 기 하여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은 결국 인간상 설정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 까지 인간상 설정의 자원에

해서는 이론 논의가 활발하지는 않다 이로 인해 인간상 설정이 몇몇 선언 주장에 의해 결정되는 맹

을 지닐 수도 있다 역사 으로 볼 때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 인간상 혹은 바람직한 인간상들이 소개 되

었으나 이에 해서는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 다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 명시된 홍익인간의

이념은 인간상으로서 비과학 이라는 지 도 있으나 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포 인 교육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의 인간상도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해야 할

인간의 모습이기는 하지만 미래 사회에의 부합하는가 정말로 타당한가 실효성이 있는가 하는 지 들이 문

가들에 의해 언 되었다(손 호 1998 34)

- 48 -

이 무엇이며 이러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 어떤 교육 목표 혹은 능력을 기를 것인가

를 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인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는 미래사회에 당면하

는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하는 핵심 역량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할 경우 지나치게 학교

교육의 유용성 측면을 강조하는 외재 목 즉 개인의 성공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실

잠재 능력 개발 공동체 의식 등과 같은 교육의 내재 목 이 상 으로 소홀하게

취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귀납 방법

과 연역 방법을 동시에 견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귀납 방법은 학습자가 갖추어

야 할 능력을 설정한 후 그것들에 기 하여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을 말

하며 연역 방법은 미래사회에 어떤 인간을 양성해야 하는가 라는 제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능력을 도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교육 인

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개인 측면과 사회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컨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공동체 발 에 기여하는 사람 자기주도

인 사람 더불어 소통하는 사람 등으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된 국민 공통 기

본 교육과정에 핵심 역량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

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여 3개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

사결정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의 제는 행 국민공통 교육과정 편성운 의 실효성

을 비롯한 국가 교육과정 틀 속에 핵심 역량을 설정했을 경우의 기 효과29) 평가의

문제 등과 같은 교육과정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다 외국의 경우 핵심 역량을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교과교육과 연계시키는

토 로 삼고 있다 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해 계발해야 할 핵심 기능을 6가지

로 제시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역량 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lsquo범교육과정

역량rsquo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 lsquo교과 역rsquo을 설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인 것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교과 지식을 가르치되 그것을 통

하여 미래 사회의 삶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제고30)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29) 시 에서 행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외국 사례의 경우 핵심 역량 기반 교육의 성과에

한 정보가 없다는 을 감안하여 장기 으로 신 하게 근될 필요가 있다

30) 지 까지의 학교의 교과 교육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길러 주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종래의 교과 교육에서

- 49 -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은 lsquo교과 목표 설정에 핵심 역량을 반 하는 방

안rsquo lsquo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하는 방안rsquo lsquo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rsquo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재 교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교과 목표를 핵심 역량과 련하여 재진술 혹은

재구조화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교과별 교육 목 목표31)에 이미 제시되어 있는

역량과 련된 진술 혹은 내용들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컨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는 교과 목표로 ldquo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사고력과 창의

문제 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 이고 과학 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 소양을 기른다rdquo로 진술되어 있다 여기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

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은 실 으로 어렵다 교

과의 성격 가치 등과 같은 각 교과의 정체성32)을 고려해야 하며 교과교육 문가의

문 식견과 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핵심역량 기반 교과 목표의 설정이 가능

하다는 가정이 성립된다면 우선 으로 행의 교과목표를 재해석하는 작업과 함께 규

명된 핵심 역량을 어떤 교과에서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논의들이 심도 있게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핵심 역량을 교육내용의 선정조직에 반 하는 것이다 즉 해당 교과의 내용

체계표에 련 핵심 역량을 제시하는 방안이다

lt표 Ⅵ-1gt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의 연계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 방안( 시)

단원 핵심 역량 00과 교과 내용

1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A

B

C

2 000 능력 000 능력

3 000 능력 000 능력

4 000 능력 000 능력

도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와 련된 교육 목표를 설정해 왔으며 그

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해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해왔다 다만 학교 교육에서 자료 정보로 구성된 명제 지

식을 강조한 나머지 핵심 역량이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에서 학교 교육의 유용성에 한 문제 제기

는 가능하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수행과 무 한 lsquo지식 교육rsquo을 해왔다는 그간의 지 과 무 하지 않다

31) 교과목 목표의 설정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과 연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과교육목표 설정의 근간은 상 개념인 인간상 학교 별 교육목표에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상 교육

목표에 제시된 것들을 보다 구체 으로 교과 교육에서 추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총론과 교과교육과정과

의 연계성 문제는 교육과정사를 볼 때 일정 부분 쟁 이 되어 왔다

32) 이 에 있어서 교과별로 일 된 형식과 내용으로 핵심 역량 기반 교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차후 검토의

상이 된다

- 50 -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원에서 A B C 라는 교육내용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내용 선

정조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방안들이 강구될 수 있다 컨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교 별 학년별로 요구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을 수

별로 혹은 계 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학교 별 학년별로 핵심역량과 련된 교육내

용을 화하여 통합 으로 구성함으로써 교과 지식에 담긴 외연과 내연을 심화하는

학습을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정화 할 수 있다

셋째 재의 교과 틀 내에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재 국가 교육과정에 존재하는 교과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교수학습 장면에서 국가 교

육과정 교과 교육 목표에 제시한 핵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컨 사회과에서 핵심 역량으로서 lsquo시민의식rsquo의 하 요소로 설정된 사회 참여 능력을

효율 으로 제고하는데 유용한 토론 발표 등과 같은 교수학습 상황을 개한다 이러

한 근 방식은 기존의 교과 교육에서도 개되고 있는 방식으로 교과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제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교 보수 이면서 소극 인 연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비록 소극 인 방법이기는 하나 교육목표 교육 내용의 성격(

인지 정의 심동 측면)에 부합한 수업 략을 구 함으로써 핵심 역량에서 지향

하는 lsquo수행rsquo의 측면을 제고하는 장 을 지닌다

국의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의 제시방식은 핵심역량을 교과 내용과 련하여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해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한다 국의 경우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구성 체제(성격목표내용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과정 맨 뒤에 부록으로 핵심역량(key skills 의사소통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

의 응용능력 타인과의 동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lt표 Ⅵ-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 방식의 (생물 교과)

방안 련 단원 주제 시 해당 단원

토론 1 2 3 4 5 6

복제기술 사용과 련된 윤리 사회 문제 1

인간 게놈 로젝트의 의미 1

산림 벌채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향 3

식품과 음료 산업에의 미생물의 활용 4

유 공학의 활용 5

발표 1 2 4

생태계에서의 에 지의 순환 1

실험실 문화(안 련 쟁 ) 2

심장 질환의 원인 4

독서와

요약2 3 5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 6

극한과 극서 상황에서의 유기체의 용 2 3

화학 돌연 변이 물질의 향 5

쓰기 2 3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에 한 종합 에세이 6

흡연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향 2 6

지구 온난화에 한 신문 기사 3

- 51 -

표에서와 같이 각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각 교과에서 련되는 단원

을 제시하고 있다 각 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주제의 를 제시하고 제시된 주제

를 다룰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 내용과 련된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구 함으로써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화 될 수 있는 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량 심으로 교과 교육을 재구조화하다 보면 교과 교육을 통하여 우리가

무엇을 가르쳐 왔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과 교육을 통하여 그동

안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지 못했는지도 알게 되는 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 하고자 할 경우 가장 선결되어

야 할 과제는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rsquo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이다 주지하다시

피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한 교육의 질 리와 학교 교육의 책

무성 강화를 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 수 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미

국은 NCLB정책에 따라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2003년부터 매년 학

력향상을 한 학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도리(여유) 교육을 지양하고 기

학력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상당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에서 본다면 학교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증진 기 학력강화

학업성취도 향상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양립될 수 있는가 하는 이다 핵심 역량의 성

격과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지필형 검사로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편성운 의 성공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등학교와 학교에 비해 상 으로 학입시를 비하는 고등학교의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 은 실 으로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핵심 역량을 실질 으로 측정평가하는 교육과정 평가 질 리 체제의 도

입을 신 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거시 으로 국가 교육과정 평가라는 체의 틀 속

에서 질 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미시 으로는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핵심 역량의 요소 에서는 그 성격상

학업성취도를 통해 평가 가능한 것이 있고 그 지 않은 요소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심 역량 에서 학습자의 내 자질인 태도( 시민의식)를 강조하는

정의 측면은 내면화와 련된 것으로 가시 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며 실제 교수학

습장면에서 가르치기도 어려우며 지필형 검사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는가라는 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체 인 방향은 인 교육과 핵심 인재 양성 측

면에서 근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이 을 마치고자 한다 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

가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 52 -

참 고 문 헌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2006) 미래 사회의 도 한국교육 무엇을 비해야 하는가 학제 개편 토론회 자료

집 7-21

경상남도교육청(2008)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Ⅱ) - 국- 창원 경상남도교육청

교육 신 원회(2007) 학습 사회 실 을 한 「미래교육비 과 략(안)」공청회 자

료집 서울 교육 신 원회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 ldquo미래 사

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rdquo

김 철 외 (1996) 한국교육 비 202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안나 외 (2003)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

(Ⅱ)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진모(2001) 기업의 인 자원 개발을 한 역량 심의 교육과정 설계 직업교육연구

20(2)

김종인(2005) 역량에 한 새로운 정의와 인 자원개발에의 용 가능성 탐색 「임

연구」2005년 가을호

박순경(2008) 교육과정 선진화 개 방안 제3차 워크 자료(미간행 회의 자료)

소경희(2006) ldquo학교교육에서 lsquo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 시사rdquo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회 발표 자료집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 -역량 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17(4)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

구 24(3) 39-59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연구(Ⅰ)

연구보고 RR 2002-19

유 숙 외(2004)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 안 연구

(Ⅲ)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윤 진 외(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설정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 연구보고 RRC 2007-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53 -

이정표(2004) 성인의 직업기 능력 로그램 실태 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홍민김종인(2003) 핵심 역량 핵심 인재-인 자원 핵심 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서울 리드 출

인성교육정책자문 원회(1998) 21세기 한국인상 정립을 한 세미나 자료집

임동욱 외 3(2004 3) 국회사무처의 의정 지원을 한 핵심 역량의 요도 분석 한국정

책과학학회보 8(1) 135-158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133

정미라 외(2007) 유아기 핵심 역량 표 설정을 한 기 연구 인 자원개발정책

연구 2007-6 서울 교육인 자원부

정철 외(2000)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향상방안 신구 학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기본연구 98-7 서울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 연(2006) 평생교육과 인 자원개발의 계 고찰-북미 련 문헌을 심으로 평생교

육학연구 12(4) 1-17

진미석 외(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 개발 연구 정책연구개발사업

2007-공모-30 서울 교육인 자원부

최항섭(2007) 미래연구방법론 KISDI 이슈리포트 서울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홍후조(2006) 국가교육과정 안 분석 연구 정책연구 2006-02 서울 교육 신 원회

인 자원개발기본법(법률 제6713호)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

등교육법

고등교육법

Hamel G amp Prahalad C K(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79-93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QCA(2006) The curriculum QCA Looks forward

Rychen D S(2004) Key Competencies for all an overarching conceptual frame of

r e f e r en ce (h t tp www un a l e d u c od ira ca dcomp e ten c ia sKey

Competencespdf)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8) 민병모 외 역 핵심 역량 모델의 개

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

- 54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홍후조(고려 학교)

Ⅰ 핵심 역량의 근원 혹은 작용하는 터

핵심 역량을 열거할 때 요한 것 하나는 어디에서 어떤 장면에서 그것을 추출할

것이냐이다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 추출 장면에서 포 성과 배타성이 지켜지지 않으면

매우 복잡하거나 균형이 잡히지 않은 핵심 역량을 추출하거나 열거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발표문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나라의 교육목표에 나타난 핵심 역량을 분류하기

해 마련한 거인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정보처리능력

자기 리능력 시민의식 기 학습능력 직업 비능력 상황 처능력 심미 감수성 다

문화이해 환경의식 등은 나열 순서나 포함하는 범 나 언명하는 차원이 제각각이다 마

찬가지로 설문조사를 하기 해 열거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

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

문화 이해 능력 직업 소양 등도 여 히 차원 범 분량 수 이 제각각이다 이 에

서 본 연구는 추출 장면을 더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이 어디서 나온 것이

며 어디에 무엇하는데 쓰이는 것이며 구의 구를 한 것인지에 한 숙고가 더 필

요하다 이런 것을 제 로 확인하지 않고 핵심역량을 여러 나라나 연구에서 공통 으로

지 한다고 하여 본 연구는 이를 종합하여 나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토론자가 보기에 핵심 역량은 (1) 개인의 지정의체지덕체의 균형 측면 련 (2)

학습자로서 학습하는 장면 집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개인의 (3) 일상 생활인이나 가족

의 성원으로서 생활 장면 (4) 경제 직업인으로서 생활 장면 (5) 정치 시민으로서

생활 장면 (6) 지역 사회 국가 사회 지구 사회의 공동체 유지와 발 과 련된 장면

등에 터하여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도 일정한 근거를 가지는 셈이라고 본다 더 인

다면 재까지 여러 나라들이 상정한(추출한) 핵심 역량들도 (1) 개인의 인 성장(자

기 리) (2) 학습자로서 필요한 능력(기 학습 정보처리) (3) 집단의 성원으로서 필요한

능력( 인 계 상황 처 창의력 의사소통 문제해결) (4) 공동체의 유지와 발 에 필요

- 55 -

한 능력(시민의식 친환경 다문화)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이것들은 교육의 목표 추출

역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 교육과정 으로 보면 핵심 역량은 (1) 학문과 교과 련 핵심 역량(교과 공통과

교과 특수) (2) 학습자 개인 련 핵심 역량(지덕체지정의체) (3) 사회(경제 직업 정

치 시민 등)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별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열거한 핵심 역량을

이런 거에 따라 구분하면 (1) 자기 리능력은 학습자 개인 련 핵심역량으로 (2) 기

학습능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등은 교과학습 련 핵

심역량으로 (3) 인 계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 이해 능력 직

업 소양은 사회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과학 개념이나 활동을

두부 모 자르듯 할 수는 없지만 복잡한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는 있

다 (1) 자아 련 핵심 역량 자기 리력(건강체력의지감정시간) 자기존 감 술

심미성 진로개척능력(자활 선택과 비) 등 (2) 학습 련 핵심 역량 기 문해력 수리

력 정보처리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문제해결력(비 력과 창의력 논리 사고력과 경험

실증력 추리력 분석력과 종합력) 등 (3) 타인 련 핵심 역량 의사소통능력 인 계

능력( 동 타인 존 과 배려 용 공감) 등 (4) 사회 련 핵심 역량 직업수행능력(지식과

기술 태도 자격과 면허) 기획력 실행력(실천력) 교섭력 조직화능력 민주시민소양(권리 참여

의무 다양한 가치 수용 지속가능한 발 성찰 사고와 행동) 세계시민소양(다문화 응력)

등으로 나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 본 연구에서는 포 성과 함께 배타성을 견지하기

하여 핵심역량이 추출되는 장면과 근원에 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 기존의 핵심

역량들이 그것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해 추가 인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핵심 역량이 결국 쓰이는 곳에 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ldquo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핵심 역량은]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을 견지한다rdquo 핵심 역

량이 주로 사회인의 직무 수행과 련된 것으로 정의되어왔으나 연구진은 직장 업무와

함께 학교 학습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학교교육이 단기 으로

는 상 학습을 한 능력을 비하는 것이고 장기 으로 사회의 직업 업무 수행을

한 비라고 할 때 이 핵심 역량은 (1) 학업을 한 것과 (2) 직업을 한 것으로 나

수 있다

- 56 -

Ⅱ 교육에서 핵심 역량이 요청되는 이유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 왜 새삼스럽게 무엇 때문에 핵심역량이 문제가

되는가에 한 반성 고찰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본다 발표 에서는 OECD 국가들

이 핵심역량으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옮아가기 때문에 우리도 이를 받아들이는 것으

로 취 하는 편이다 토론자는 우리 교육이 교과 심의 그것도 청각과 시각 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데서 오는 한계에서 우리 교육은 핵심역량을 담아내는 교육 로그램

이 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교과 과잉 교과 학습이 제 특성을 잃고 동소이하게 가르

쳐지고 배우고 한 시험이 치러지는 상을 극복하기 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 안으

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 교육은 교과 지식 과잉과 시험 과잉의 극복이 요청된

다 교과 지식 일변도가 아니라 교과 아닌 것들도 개인 으로 유의미하고 사회 으로

한 것이 지 않기 때문이다 분과화된 교과의 분 지식과 내용으로는 미래 사

회에 처할 수 없다 창의 문제해결력 통합 인 에서 쟁 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

청된다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지식과 기술은 가시 이고 교육을 통해 변화 확

인 가능한 것이지만 동기 특성 자아 등은 비가시 이고 가르치고 배우기도 어렵다

교육을 통해 ldquo건강한 자기 존 감(healthy self-esteem)을 기른다는 핀란드의 교육은 핵

심역량을 기르는 것에 근 해 있다 인의 형성과 같은 교육 본래의 역할이 지식과 기

능 인 것 특히 정보와 지식에 치우치는 것을 넘어 실제 인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기 하여 핵심 역량은 학교교육에서 더 강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핵심 역량은 상

으로 생활력 사회 역량 할 수 있는 능력 체화된 역량 장에서 발 되는 암묵

지 략과 기술 등의 개발과 계되기 때문이다 핵심 역량을 기르는 목 은 통합 실

무 능력을 익 서 유능하고 경쟁력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는 교과와 교과외의 통합 교육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

으로 구성되는 균형 추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내용은 체로 (1) 지식(교

과) (2) 기능 과정 (3) 태도 가치 인식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한 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해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다 그러나

이것들 우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을 제외하고 기능 과정과 태도의 역은 상

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 습득과 능력 구비의 균형 추구 지식 기

능 태도 사회성의 균형 추구 개인 자본의 형성과 확 와 사회 자본의 형성과

확 의 균형과 조화 추구 역량 가치 태도의 교육을 소홀히 않는 교육과정 설계가 필

- 57 -

요하기 때문에 핵심 역량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Ⅲ 핵심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 역

핵심 역량을 기름에 있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져야할 부분과 일상생활이나 직업생활

을 통해서 길러져야할 부분에 한 구분이 필요하다 세 연구기 이 공동연구를 행하는

취지를 달성하기 해서도 역할분담은 필요하다 직능원에서 직업생활에 필요한 것 평

생교육진흥원에서 평생학습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드러낸다면 평가원은 학교교육

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 개발에 더 치 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등 lsquo학교rsquo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기존 교과(학습 역)나 특별활동 등 학교교육 체를 통해 달성해야할 모든

역량을 핵심역량이 망라하거나 교과나 특별활동에 의해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역들이 잘 못하거나 무 심한 부분에 한정하여 핵심역량을 달성할 방안을 모색

해야할 것이다 특히 교과와의 계에서 교과로 달성 가능한 것 부분 으로 달성되는

것 달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정도를 나 어서 교과로 () 달성되지 못하는 핵

심역량을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에서 달성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학교교육을 통해 달성할 핵심 역량을 규명해가다 보면 이미 여러 교과를 통해서

혹은 특별활동이나 창의 재량활동 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잘 하고 있는 것을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것을 확인하고 기존에 잘 달성해오던 핵심 역량은

그 로 두고 기존 교과나 다른 활동을 통해서 길러지지 못하고 있으나 단기 으로 학

교교육 장기 최종 으로 직업교육에 꼭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

를 길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핵심 역량에 한 포 성

배타성 높은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여 열거해주는 일도 요하지만 더 요한

것은 기존 학교교육에서는 잘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요하다 즉 각 교과는 나름 로 핵심역량들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그리고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도 나름 로 핵심 역량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

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교과나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서도 제 로 길러지지 못하

고 소홀히 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이며 그런 핵심 역량은 어떻게 길러질 수 있는지 확인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58 -

Ⅳ 각론 교육과정의 구성 역

ldquo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는 3개

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필요하다rdquo 과연 교과 이외의 활동을 복

수(複數)로 더 나 는 것이 바람직한가 각론을 구성하는 역들은 교과 재량 특활이

지만 재량이나 특활은 교과에 려서 차 미미한 비 에 머물고 있다 이 게 보았을

때 2원 구조로 가거나 3원 구조로 갈 때 필요한 것은 확실한 역할 분담을 찾는 일이다

핵심역량이 기존의 것들과 이름이 다르다고 하여 새로운 축으로 들어앉힐 수는 없을 것

이다 그 게 되면 옥상옥이 되고 창의 재량활동 꼴이 될 것이다 앞서 언 한 로

교과로써는 잘 달성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선무이다 교과와 교과외 활동을

구분하고 핵심역량과 창의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역할을 구분하는 논리 정지작

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것들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역이나 활동을 확인하여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역의 분할 문제는 2원 체제(교과 vs 교과 아닌 것특별활동)

이거나 3원 체제[교과(지식gt역량gt태도) 통합 역량(역량gt태도gt지식) 특활(태도gt역량gt

지식)]이면 충분할 것이다 비 도 얼마 되지 않는데 4원 체제를 언 하는 것은 주의를

요한다 달성할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배워야 할 핵심 교과 혹은 학습 역(key

learning areas)과 추구할 핵심 가치와 태도(key values and attitudes)와 연계되어 검토

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각각을 가장 잘 달성할 것 같은 교육 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 요하다 교과와 별도로 길러야할 핵심역량을 정하고 이에 맞는

cross-curricular theme을 정하고 어떤 로그램 혹은 integrated programsactivities을

통해서 integrated goals을 달성하도록 길을 여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 가 어디까지인지 잘 알지 못하지만 해당 핵심 역량을 어느 시기에서

기르는 것이 가장 한지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학년군별로 어떤 핵심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한 것인지에 한 확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학년군에 모든

역에서 모든 핵심 역량을 고루 기른다고 하면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

문이다

- 59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I 들어가며

이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

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다

이 을 읽으면서 가장 궁 했던 것은 새로 규명하는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 어떻

게 국가 교육과정에 흡수되어 학생들이 지 까지와는 달리 학교에서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을 어떻게 실질 으로 배워나갈 수 있는가 다 즉 발제문의 마지막 문장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답을 기 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는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 구체 인 교육과정 구성 등에 한 속

시원한 답을 얻지는 못했다

토론문은 결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방안을

심으로 작성하 고 그 외에 의견이나 의문 등을 간단히 정리했다

II 발제 원고에 한 의견

1 미래 사회의 특징

연구에 앞서 진단한 lt표 1-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의 내용은 우리에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 으로 공통 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여기에 한국인만이 직

면하고 있는 lsquo분단rsquo과 lsquo통일rsquo 요소가 빠져있는 듯하다 남북 계는 한국의 미래를 결정

- 60 -

하는 요한 변수로 재 lsquo분단rsquo으로 생기는 사회 문화 정치 경제 요소가 고려되어

야 하고 lsquo통일rsquo 이후의 변화 요소에 한 가상 미래사회 시나리오도 동시에 연구

되어야 할 매우 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 국가 간 핵심 역량 교육과정 련 문서 표 비교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서 국

외와 국내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국외는 핵심 역량의 항목이 비교 구체 이어서 교

육과정과의 연계가 쉽게 상상이 되는데 비해 국내는 추상 인 표 이 많아 실질 교육

과정과의 연계가 어렵다 국내 연구도 최근에 가까울수록 특히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의 경우는 단히 구체 이어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해가 쉽다

- OECD DeSeCo 2002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 뉴질랜드 2007 자기 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참여 공헌

- 호주 빅토리아주 2007 건강과 체육 정보통신기술 디자인 창의성 공학

- 캐나다 퀘백주 2001 환경의식 건강과 참살이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 곽병선 2001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동작업능력

- 교육 신 원회 2007 동과 사 갈등 리 술 문화의 감성 등

이러한 흐름은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lt표 Ⅲ-1gt과 lt표 Ⅲ-6gt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요

인 가운데 시민의식 항목을 뉴질랜드와 한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뉴질랜드 한국

교육비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 구성원 되기

국제사회 시민 되기

자국의 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바지

폭넓은 교양

핵심기능

공동체에 극 참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 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 문화 물리 경제 환경의 지속 가능

성에 공헌하기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 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 61 -

3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의 결과는 역이나 요소가 상당 부분 구체화된 경향이

보인다 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은 lsquo문제의 발견rsquo lsquo문제의 명료화 rsquo해결 안의 탐색lsquo rsquo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lsquo으로 36쪽의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의 문제해결 항목의 교육목 이 lsquo문제해결력rsquo 한 단어 던 것에

비해 단계 으로 요소가 나뉘었다

그러나 42쪽의 lsquo시민의식rsquo과 lsquo국제 감각rsquo의 요소는 여 히 추상 인 의미의 로 표

된 듯하다 시민의식은 lsquo공동체 의식rsquo lsquo신뢰감 책무성rsquo lsquo민주 생활방식rsquo 법정신

환경 의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감각은 lsquo자 문화 계승 발 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외

국어 소양rsquo lsquo문화 감수성rsquo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

이 은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작동 혹은 연계되는 것과 련해서 3가지 과

제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시키는 방안

이다 이는 이미 lsquo홍익인간rsquo 등의 설정이 있었다 다만 사회가 변화하면서 사회에 합한

인간상이나 교육목표로 바 는 수순을 밟고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핵심 역량은 교

육과정의 한 요소라기보다 교육과정 반을 통해 계발해야 할 총체 역량인 듯 하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 이다 lt표 VI-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방식의 와 같이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

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발제문 50쪽에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이 실

으로 어렵다고 했지만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

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해결책이라는 을 주목한다

면 어쩌면 연구자 입장에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야 할 작업일 것이다

이 경우 행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체제는 획기 인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행

의 일률 평가로는 핵심 역량을 평가할 수가 없으므로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비해야

할 것이다 수 별 평가 보다 범 한 수행 평가 교사별 평가 등 다양하면서도 구체

인 평가방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발제문 5쪽의 인 역량 개념을 정리한 하버드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

- 62 -

(McClelland)의 논문 lsquo지능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rsquo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

서 실제의 성과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

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elland 1973)는 연구결과

도 있다

III 나오며

최근 많은 학부모들이 왜 학교는 애들에게 세상살이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공부 즉

쓸데없는 공부를 많이 주입시키면서 시험을 한 시험을 보는지에 해 고민하면서 외

국학교와의 비교를 자주 한다

lsquo세계화 시 rsquo lsquo다원화 시 rsquo lsquo지식 정보화시 rsquo 등 세상에서 요구하는 것은 많이 바

는데 학교는 요지부동인 것이 많이 못마땅하다 새벽부터 밤까지 무엇을 한 공부인지

생각할 겨를 없이 무조건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도 지친다

책임자가 바뀔 때마다 교육은 바 어왔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 해오고 있지만 실질

으로 바 것은 많지 않다

이번 연구가 미래사회의 교육 핵심역량을 추출해서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주목 이었지만 결론에서 제안한 교육과정과까지 실

질 연계되는 단계로 연구가 발 하여 학교가 새로운 미래사회가 필요한 인재를 육성

하고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발 이 되기를 희망한다

- 63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정철 (서울 학교)

핵심 역량과 련하여 국내외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등 주요 선진 국가에서는 오래 부터 개인이 갖추어야 할 역

량이 무엇인가에 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연구 결과 이러한 역량을 Key

competency Core skill Common skill Basic skill Transferable skill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말 그 로 가장 요한 핵심(Key 는 Core)이 되거나 공통 으로 요구되는

(Common)이 되는 역량 기본이 되거나(Basic) 이도가 높은(Transferable) 능력을 말함

우리나라에서는 ldquo핵심역량rdquo ldquo생애능력rdquo ldquo직업기 능력rdquo ldquo기 직업능력rdquo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다면 미래 사회에서 인간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 (common)으로 요구되고

핵(key core)이 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그 핵심역량을 어떻게 등학교에서 교육

하고 육성할 것인가에 한 이 연구는 매우 요하며 시의 하다 이 요한 연구와

련하여 토론자로써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사항과 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Ⅰ 연구 제목과 련하여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rdquo은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

는 핵심 역량rdquo으로 이해 될 수도 있고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

량rdquo으로도 이해 될 수 있다 그런데 원고의 내용을 볼 때 이 연구는 ldquo 등학교 교

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이라고 단됨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제목을 수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 64 -

Ⅱ 선행 연구 고찰과 련하여

핵심역량 ( 는 직업기 능력)과 련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

었다(lt표 Ⅱ-1gt 참조)

유사 역군

국가 원회 명명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리

능력

자원활용능력

인계

력능력

정보의처리

활용능력

기술지식의용

능력

문화이해능력

기타

미국

SCANS1)

workplace know-how

ASTD2)

workplace basics

Michigan employment skills

New York basic skills

NAS3)

core competencies 12)

FEU4) core skills 13)

CBI5)

core skills 14)

NCC6)

core skills 15)

GNVQs7) core skills

호주

Karmel 원회 general competencies

Finn 원회 key competencies

Mayer 원회 key competencies

뉴질

랜드

CICAQ8)

generic skills

NZPC9)

generic skills 16)

교육부 generic skills 17)

CICAQ10)

generic skills

독일 PETRA11)

core skills

주 1) SCANS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2) 사회경제 연구능력

2) 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3) 산업 사회 환경에 한 연구능력

3) NA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4) 일의 세계와 국제사회에 한 이해능력

4) FEU Further Education Unit 15) 외국어능력

5) CBI Confederation of British Industry 16) 상업 경 능력

6) NCC National Curriculum Council 17) 신체능력

7) GNVQs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8) CICAQ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9) NZPC New Zealand Planning Council

10)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11) PERTRA ProjEct and Transfer oriented tRAining

자료 정철 (2008 8) 문 학에서의 직업기 능력 개발 문 학소식 103호 한국 문 학교육 의회 p 13

lt표 Ⅱ-1gt 선진 외국의 핵심 역량 ( 는 직업기 능력)의 역에 한 연구 종합

- 65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6년 교육개 원회에서 련 정책이 제안된 이후 1997년부

터 그 역과 요소에 한 논의와 연구가 교육부( 재의 교육과학기술부)를 심으로

본격 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노동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년에는 인문사회연구소 산하 국책연구기 에서 공동으로 많은 연구가 동시 다발 으로

수행되고 있음 따라서 이론 고찰에서 이러한 연구의 동향과 내용에 한 보다 심도

있는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Ⅲ 핵심 역량 추출 방법과 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등학교 교육 련자( 등학교 교사와 교육 학 사범 학 교수)를 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rdquo이라면

핵심 역량의 추출을 하여 재 등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하지만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인 경우에

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이 경우에는 핵심 역량이 무엇을 한 핵심 역량이며 어디서 필요한 핵심 역량

인가 요하다 등학교 시 에 수행해야 해야 하는 역할을 성공 으로 행하기

한 역량이라고 볼 수 도 있고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필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도 있

음 일반 으로 핵심역량은 후자를 일컬으며 연구자도 ldquo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rdquo 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을 추출하기 해서는 련 문가 학자 특히 산업 장의

리자 재직자 직업 직업교육 문가 미래학자 등을 주 상으로 조사하여 그 요

소들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학교 장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반 되고 있는가에 해서는 재 재직 이

신 선생님들과 련 학 교수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안)과 련하여

이 연구의 V장에서는 등학교를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안)이 제시되어 있는

- 66 -

데 연구자께서는 ldquo문헌 분석(선행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rdquo라고 하고 있지

만 구체 으로 핵심역량이 어떻게 추출되고 9개 역으로 묶여졌으며 9개 각 하 요

소들은 어떻게 구분되어 제시되었는지에 한 명확한 기 이나 구체 인 방법에 한

설명이 없다

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이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것과는 어떻게

다르며 차별화 되는지 그 차이의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지에 한 설명과 논의가 필요

하다 이와 련하여 몇 가지 세부 인 의문 사항을 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외국어 소양을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로 하고 있으

나 이 연구에서는 ldquo국제감각rdquo의 하 요소 구분하고 있음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는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 ldquo다양한 상호작용기

술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rdquo이라고 되어 있는데 의사소통능력에서 요한 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표

능력은 제시되어 있지 않음 한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은 다른 차원

의 분류가 아닌지( 를 들면 이해의 한 가지 방법이 경청은 아닌지)

윤리와 련해서는 ldquo직업윤리 ( 는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rdquo ldquo시민윤

리rdquo 등도 요한데 ldquo정보윤리rdquo만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음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는 다른 역량에 비하여 무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특히 하 요소로 제시된 학습능력은 기 학습능력과 자기주도 학

습능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다른 요소에 비하여 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일반 으로 사고기능( 는 사고력)은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창의력의 하 요소로 구분되어 있음

리더십은 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 계의 하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

구에서는 리더십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 등등

Ⅴ 연구 범 추후 연구와 련하여

이 연구의 범 를 등학교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의 추출에 국한 할 것인

가 아니면 핵심역량의 추출은 물론 그러한 역량들이 재 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한 실태 특히 교육과정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 되어

- 67 -

있고 교육방법으로는 어떻게 실시되고 있으며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한 사항들도 포함해야 할지가 요한 사안이다 자는 기본 제가 되고 후자는

등학교 장에서 더욱 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자의 내용을 정확히 추출하

고 이를 기 로 앞으로라도 후자가 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고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다 한

재의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의 개편 는 신설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고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히 선택 용하

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등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핵심 역량의 요성에 해서는

쉽게 합의가 도출되겠지만 그러한 요소들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지 특히 이와

련하여 교과의 명칭 는 내용을 어떻게 개편할 지에 해서는 각 교과 담당자의 이

해 계가 상충되므로 매우 어려울 것으로 견된다 따라서 각 교과 이해 계자들의 이

해와 수용을 어떻게 이끌어 내서 교육과정에 반 할 것인지 그리고 핵심역량과 련하

여 교사들이 올바르게 교육방법을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

지에 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Ⅵ 세미나 주제와 련하여

본 세미나의 주제는 ldquo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dquo이며 제1

주제는 등학교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제2주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제3주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제를

이와 같이 3개의 주제로 나 면 복해서 다루어야 하는 부분도 있고 다루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한 상호 주제간의 연 성이 모호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1)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지를 먼 구명하고 (2) 다음

으로 그러한 능력을 등학교 학교 평생학습기 기업 산업 장에서는 어

떻게 육성할 것인지를 다루고 (3) 마지막으로 이를 하여 이러한 기 간의 교육과정

의 편성 운 상의 역할 분담 연계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법 제도 으로 지원

할 것인지에 한 주제로 나 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단된다

쉽지 않은 방 한 주제에 하여 일목요연하게 자료를 정리하고 발표하신 연구자께

감사를 표하며 오늘의 토론이 앞으로의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토론을 마치고자 한다

- 68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6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방법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Ⅲ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4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결과 요약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추출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Ⅴ 결론 논의

참고문헌

- 70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7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구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변되는 격한 사회 변화 속에 개인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을 하고 사회의 지속 인 발 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어떠한 자질

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 한 국가 경쟁력의 핵심 인 요소가 그 나라 국민이 가진 역량이

라고 보고 각 국가는 그 나라의 국민의 역량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직업훈련의 강화와 교육체제를 개편하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고 있다

(OECD 2003 2005)

직업생활에 있어 주어진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인 직업능력은

크게 직업기 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기 능력은 직업능력의 하

구성요소로서 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 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고 직무수행능력은 특정 직종 는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

행하는 데 필요한 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정철 외 1998) 사

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살아가기 하여 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는 에서 핵심 역량에 한 논의는 바로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와 크게 구별되지 않

는다 모든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서의 직업기 능력의 부분의 요소들

은 그것이 단지 직업 생활이라는 맥락에서만 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생활

사회 참여자로서의 생활 가정 구성원으로서의 생활 등 삶이 모든 국면에 이가 가능

한 핵심 능력이다 따라서 포 인 의미에서의 핵심 역량과 직업기 능력은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

직업기 능력은 어로는 key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core skills basic skills

generic skills 등 다양한 용어로 표 되어 왔다 직업기 능력의 개념과 련하여 주의할

사항은 직업기 능력에서 lsquo기 rsquo라는 표 이 낮은 수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이

되고 공통이 된다는 이며 그것이 요청되는 수 은 직업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철 외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정철 나승일서우석송병국이종성이 수행한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에 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와 련된 많은

연구가 재까지 진행되었다 직업기 능력을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정

철 서우석나승일송병국강경종 2000a 정철 서우석이길순 2000b 정철

- 72 -

나승일김종우허 2001 박동열 2006)에 한 연구 직업능력인증제 혹은 국가

자격표 개발과 련하여 직업기 능력이 논의된 연구(이동임 외 2000 조정윤박종

성김상진 2002 나승일장석민서우석김진모이성 2003) 직업기 능력을 측정하

고자 한 연구(진미석이수 송창용 2007)가 있으며 2008년 재에도 몇 개의 연구가

진행 이다

많은 국내외 연구가 재까지 축 되었으나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무엇인가에

한 정설은 없는 가운데 재까지는 정철 외가 1998년에 제시한 하 요소가 많은 연

구에서 기본 틀로 활용되고 있으며 암묵 으로 하나의 기 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1998년도에 수행된 것으로서 시 에서 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하 역

요소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 은 직업기 능력에 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목 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표 하 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체하거나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자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하

고 있는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추출된 역량들은 최종 으로 종합

되어 향후 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 된다

2 연구 방법

가 역량 추출 방법 선정 근거

Weinhert(2001)에 따르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기본 으로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주목하여 역량을 추

출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규범 근은 직업세계에서 성공 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은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경험 근

에서도 성공의 기 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규범 요소가 포함된다는 에서 볼 때 가치

단 요소를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것은 규범 인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

며 따라서 보는 에 따라서 요하게 여기는 역량이 다를 수 있다 결국 구의 의견

이 반 된 규범인가 라는 것이 건이 될 것이다 논란을 피하는 가장 안 한 방법은 많

- 73 -

은 사람이 동의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할 경우 후보로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배제되는 역량이 있

을 것이다 다른 방법은 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 이 조사이다 그러나 충분한

사 논의나 숙의 과정이 없이 진행되는 델 이 조사를 통하여 수렴된 의견이 얼마나 설

득력이 있을 것인지에 해서 여 히 의문이 남게 된다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추출은 그것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따라서 합

의의 범 와 차가 달리 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 자격제도 운 과 같이

국가 수 에서의 정책 반 을 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결정하고자 한다

면 국가 수 에서 합의 차를 밟는 것이 요청된다

규모 설문조사와 델 이 조사가 가질 수 있는 한계에 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 즉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는 등의 실증 데이터 수집과정을 거치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기존에 국내에서 수행

된 표 인 연구 결과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데 을 맞추고자 한다 국내에서

표 으로 인정되고 있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하 요소와 가장 최근에 델 이 조사

를 통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선정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본

연구의 역량 추출의 출발 으로 삼고자 한다

나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련된 다양한 자료 분석

기존에 성실하게 수행된 연구 결과를 비 으로 검토하기 해서는 일정한 안목과 근

거가 요청된다 이를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 속에 나타나 있는 단서들

을 찾아서 분석하 다 그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국내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강조되는 특성 분석

- 국내 기업 직원 교육 로그램에 반 된 핵심 역량 분석

- OECD 직무요구분석(Job Requirement Analysis)에서 제시된 스킬 분석

- 산업별 직업 연구에서 제시된 기 직무능력 분석

다 주요 구인에 한 이론 논의 검토

선행 연구에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각 구인에 하여 충

분한 이론 논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험 자료에 기 하여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명이 설정되고 델 이 조사에 의하여 역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일정

- 74 -

한 임의성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비 하는 것 역시 임의성으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규모 실증 조사나 델 이 조사 근거가 없다는 에서 임

의 이라는 비 을 받을 가능성은 오히려 더 크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개선하기 보다

는 임의 기 에 의해서 비틀어 놓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험을 피하기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 요소를 변경하거나 역의 명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그 구인에 한 심리학 논의들을 최 한 참고하고자 하 다

라 문가 의회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단되는 하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개입되는 임의성을 최 한 배제하기 하여 련된 연구를 수행한 문가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반 하고자 하 다

[그림 Ⅰ-2] 직업기 능력 하 요소 추출 과정

- 75 -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가 역량의 개념

지난 수십 년 간 역량은 그 모호한 개념 속에서 학문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맥락 속

에서 매우 유행하는 용어가 되었으며 일종의 개념 ldquo인 이션rdquo이 일어남으로써 다

양한 의미가 추가되어 왔다 competence 즉 역량은 웹스터 사 에 ldquofitness 는

ability로 정의되어 있으며 비슷한 말로 capability capacity efficiency

proficiency skill이 제시되어있다 역량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나33) 공통 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특정한 목 에 도달하기 하여 필요한 능력

의 체계로 해석되고 있다 역량은 개인 성향(dispositions)에 용되거나 한 사회 혹은

집단 수 에서의 그러한 성향의 분포를 논하는 경우도 있다 역량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이는 사람들과 련됨과 동시에 매우 변하는 사회에서 박하게

요구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하여 개인이 반드시 가져야 할 학습 성향을 포함한다

(Weinert 2001)

스펜서(Spencer amp Spencer 1993)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보고 이는 지식 기술

자아개념 동기 등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한상근최동선정윤경(2006)은 역량의 개

념에 한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아래 lt표 Ⅱ-1gt과 같이 검토한 후에 역량의 구성 요

소는 지식 기술 태도라고 보았다 여기서의 지식이란 작업을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개념 원리 체계화된 이론이며 스킬이란 해당 작업 수행을 한 구체 인 차와 방법

에 따라 작업에 용해서 기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태도는 직무

33) 역량이라는 용어는 1920년 과학 리의 창시자로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 인 구성요소로 나 것

을 제안하면서 역량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 다 한 2차 세계 심리학자인 flanagan(1954)이 요사

건면 기법(critical incident interview)을 통해서 업무 사건 기 요 문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 하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lsquo성공 인 수행과 련된 결정 특질(trait)이나 기술

(skill) 등을 악하려고 시도하 다 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리랜

드(McClleland)로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

데 을 맞추었다(윤 진 김 이 우 제철 2007)

- 76 -

수행에 한 개인 차원의 행동 정서 인지 역에서의 비 상태 는 반응

경향성을 의미한다

lt표 Ⅱ-1gt 역량에 한 정의

한국직업

능력개발

원(1999)

Norton Robert E

(1999)

정철 외

(1998)

L G인화

(2004)

P a r r t

S c o t t

B(1998)

임 창 희

(2003)

Spencer

amp

Spencer

(1993)

McLagan

(1989)

박 우 성

(2002)

강순회 외

(2002)

황 욱

외(2004)

어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mpetency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석능력 성취 능력 직업능력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핵심역량 핵심역량

어떤 직종

에서 직무

를 성공

으로 수행

하는데

으 로

필요한 지

식 기능

태도 가치

등을 모

두 포 함

주어진 직

업의 과업

을 수행하

기 해 요

구되는 지

식 기술

태도의 성

개인이 주

어진 직업

의 과정을

효과 으로

그리고 능

률 으 로

수행할 수

있을 때 소

유하고 있

는 능력

주어진 직무

를 성공 으

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능력

의 총체

성과를 가

져오는 행

한 개인의

직무 (역할

는 책임)

수행에 큰

향을 미

치고 업무

성과와

련되며 공

인된 표

에 의해 측

정될 수 있

고 훈련과

개발을 통

해 향상될

수 있는 지

식 스킬

특 성 들 의

통합된 형

조직에 커

다란 업

을 실 하

는 사람이

지속 으로

소 지 하 고

있는 내

인 특성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

행의 원인

이 되는 개

인의 내

인 특성

고성과(고품

질)를 내는

데 필수

인 개인

능력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우

수한 성과

를 내게 하

는 원인 되

는 개인의

내 특질

조직에서 요

구하는 공통

역량(기본

역량)과 개인

의 특수직무

나 역할에서

요구하는 차

별화 역량(

문 역량) 의

직무를 성

공 으 로

수 행 하 기

한 핵심

능력

-지식

-기능

-태도

-가치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경험

-지식

-기술

-태도

-가치

-지식

-스킬

-특성

-지식

-스킬

-자아개념

-특질

-동기

-지식

-기술

-자기개념

-특질

-동기

-물리

로세스

-내면

로세스

-인지

로세스

- 범 한

사업(산업)

지식

- 문가

지식

-필요경력

-필요능력

-직업기

능력

-직무수행

능력

-공통역량

-기능역량

-직무역량

-필수 역량

-차별화 역량

자료 한상근 정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 77 -

나 일반 세분화된 인지역량 핵심 역량 메타역량

Weinert(2001)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활용되는 다양한 측면을 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일반 인지 역량) 역특수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메타역량(meta competencies) 등으로 구별

하여 제시하 다

1) 일반 인지 역량과 세분화된 인지역량

일반 인지 역량(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다양한 역에서 요구되

는 과제를 수행하기 하여 사용되는 모든 지 자원들을 포 하는 개념이다 일반

지 능력을 강조하는 근의 시 는 지능에 한 심리측정 근 정보처리 모델 인

지 발달에 한 피아제의 이론이 이에 속한다 심리측정에서 보는 일반지능은 목

행 한 추론 성공 인 학습 환경과의 효과 인 통합을 하여 인지 으로 요구

되는 능력을 지칭한다 한편 정보처리 근 이론에서 지능 는 일반 역량은 다양한 수

많은 지식과 스킬을 획득하게 하는 정보처리 기제로서 이해된다 피아제는 일반 인지

역량을 가정하기는 하 으나 그의 이론에서는 심리학 으로 조직된 응과정이 보다 핵

심 인 개념이다 즉 보편 발달 과정을 통하여 더 유연하며 추상 인 지식과 행

동 역량을 갖게 되고 따라서 구체 인 환경에 보다 잘 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분화된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특정한 역에서

과제를 잘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인지 선결 조건을 의미한다 컨 체스 이

피아노 연주 자동차 운 기계 문제해결 등의 과제를 하여 필요한 인지 능력이다

세부 역과 련된 인지 역량에 한 근은 특정 분야에서 문가가 되기 한 요건

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2) 핵심 역량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최근의 교육 사회 정책에서 매우 선호되고 있는

개념이다 학교 는 직업 생활에서 획득한 역량은 특수한 상황( 컨 특정 교과 혹은

특정 회사의 특정 직무)과 연계되어 학습되고 활용되었으나 생의 과정과 련된

부분의 활동들은 다양한 사회 직업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에

응하기 하여 다양한 기 혹은 조직에서 다른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동일하게 효율

일 수 있도록 맥락 는 상황과 어느 정도 독립 인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모색하

게 되었다

- 78 -

핵심 역량 개념이 매혹 인 이유는 이는 매우 다기능 이며 학문 역을 넘나드는

역량으로서 많은 요한 목표를 성취하며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낯선 상황에 응하

는데 유용하다는 이다 많은 교사와 정치인들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살아가기 하여

필요한 많은 역량들을 교육하기 하여 과 하게 복잡하게 구성된 교육과정이 몇 개의

제한 인 핵심 역량 심으로 축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 하고 있다

3) 메타 역량

메타 역량(meta competencies)은 역량에 한 역량을 의미한다 메타(meta)는 인식론

상에서 ldquo자신의 범주에 한rdquo이라는 의미로서 를 들어 메타 지식(meta knowledge)이

란 자신이 아는 것에 한 지식을 의미하며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에 한 데이터를 의

미한다( 키피디아) 동일한 맥락을 용할 때 메타 역량이란 바로 역량에 한 역량으

로서 자신이 어떠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할 수 있는가를

단할 수 있는 역량이 바로 메타 역량인 것임(Weinert 2001)

다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국제 력에 기 하여 수행된 연구인 DeSeCo 로젝트에서

는 lsquo역량(competence)rsquo이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첫째 역량에 하여

기능 인 근(functional approach)을 활용하고 있다 기본 으로 DeSeCo 로젝트

(Rychen amp Salganik 2003)에서는 역량을 lsquo인지 비인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

사회 특성(psychosocial prerequisites)을 활성화(mobilization)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

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 으로 응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둘째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내 구조(internal structure)를 강조한

다 요구지향 인 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단순히 lsquo~을 할 수 있는 능력rsquo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써의 내 정신 구조(internal

mental structure)로 개념화된다고 설명한다 즉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하여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 능력(분석 비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능

력 등)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으로 역량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DeSeCo 로젝트에서는 역량의 총체 이며 역동 인 근을 추구한다 즉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

( 는 내 정신 구조)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 79 -

라 직업기 능력

역량과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삶의 역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인가라

는 에서 논의되고 있다면 직업기 능력은 그 에서 특히 직업생활에서 공통 으

로 필요한 역량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에서 굳이 구분하자면 상 으로 좁은 개념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량에 한 논의가 애 에 직업 생활과 련하여 출발하 으며 따라서 그것

이 처음 논의된 1920년에는 굳이 vocational 는 occupational이라는 표 을 skill 는

occupation 앞에 추가할 필요가 없었다 은연 에 역량과 핵심 역량이라는 논의는 직업

생활과 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의 개념을 직업 생활을 넘어선 삶의

역으로 확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 히 직업 생활과 련하여

요구되는 핵심 능력에 한 논의에서도 occupational 는 vocational이라는 수식어가

없이 skills 는 competencies로서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

로 체하여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가 미국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의 직업기 능력

미국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실제 산업

장에서 높은 수 의 직무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에 을

두고 조사한 결과 lt표 Ⅱ-2gt와 같이 8가지의 직업기 능력을 제시하 다 여기서 직업

기 능력은 3 역의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과 5개 직무 장능력(five

competencies)으로 구분된다 기본능력이란 읽기 쓰기 수리 능력 등의 ①lsquo기 능력rsquo과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② lsquo사고력rsquo 그리고 책임감 자존감 등의 ③ lsquo개

인 자질rsquo이다 5개 직무 장능력이란 ① lsquo자원활용능력rsquo ②lsquo 인 계능력rsquo ③lsquo정보

처리능력rsquo ④lsquo시스템능력rsquo ⑤ lsquo기술활용능력rsquo으로 구성된다

- 80 -

lt표 Ⅱ-2gt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 능력

직무현장능력(five competencies)

자원활용능력(resources)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시스템능력(systems)

기술활용능력(technology)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능력

①팀원으로 참가 ②타인에게 새로운 기술 전수③고객 기대 만족 ④지도력 발휘⑤상호 합의 도출⑥다양한 배경의 사람과 같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①정보 습득평가②자료 조직유지③정보 해석교환④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조직적 기술적 체제(system)를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능력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

기초능력(basic skills)

사고력(thinking skills)

개인적 자질(personal qualities)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수리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 능력 심미적 사물 관찰 능력 학습능력 합리적 사고력

책임감 자존감 사회성 자기관리능력성실정직

자료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의 직업기 능력

미국의 훈련과 개발담당자들의 학술 장 문가들의 모임인 ASTD는 미국의 노동

부가 공동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에 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첫 연구는 1986년

에 시작되어 30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고용주들을 상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

이 무엇인지를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 기 하여 1988년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라는 보고서를 통해 7개 분야 16개 항목의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 다 연구에 의해 ASTD는 직업기 능력을 lt표 Ⅱ-3gt에서와

같이 기 능력(foundation skill 학습능력) 역량(competence 읽기 쓰기 셈하기) 의사

소통능력 (communication skill 말하기 듣기) 응력 (adaptability 창의 사고 문제

해결) 개인 리능력 (personal management 자존감 동기부여 목표설정 피고용능력

진로개발) 집단 효과성 (group effectiveness 인 계능력 상 워크) 그리고

향력 (influence 조직유효성 리더십)으로 구분하 다

1999년에는 다시 Rothwell 등을 심으로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모

형(WLP model)을 제시하 으며 여기서는 6 가지 역량군(분석 역량 기술 역량 리

더 역량 비즈니스 역량 인 계 역량 정보기술활용 역량) 총 52개 세부 역량을 제시

하 다 2004년에는 Bernthal이 통합 인 새로운 역량 모형을 제시하 는데 이는 비즈

- 81 -

1999 ASTD Model 2004 ASTD Model

sect 분석 역량 문제해결에 필요한 방법을 찾기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요구를 악해내는 역량

sect 비즈니스 역량 조직의 체계와 운 과정

의사결정기 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개인과 집단 사이의 효과 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량

sect 리더 역량 다른 사람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리더로서의 역량

sect 기술 역량 습득한 지식과 기술 활용

차를 이해하고 용하는 능력

sect 정보기술활용 역량 재와 미래의 에 지

통신 기술에 한 한 이해와 용능력

sect 비즈니스 리 역량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구를 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에

하여 략 으로 사고하는 경 수행

리에 요구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효율 계 형성 유지에 필요한 역량

sect 개인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개인 능력

sect 문 활동 역 학습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9가지의 구체 기술 문 기능과 능력

lt표 Ⅱ-3gt ASTD의 역량 모델 비교

니스 리 역량군 인 계 역량군 개인 역량군을 기반으로 문성 역을 더함으로

써 인 자원개발 문가가 수행해야하는 역할과 역량 등을 하나의 통합된 피라미드형

시스템으로 제시하 다(한 상김소 김민 2008) 장 문가들의 의견을 설문조

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검토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2004 ASTD

역량 모형에서는 3개의 기 역량과 9개의 문 활동 역 그리고 4개의 업무 학습과 수

행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서 기 역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 계역량

(Interpersonal) 비즈니스 리역량(BusinessManagement) 개인역량(Personal)이 있다

1999년 WLP모형이 역할별로 부합되는 역량들을 논리 으로 제시한 것과는 달리

2004년 모형은 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2004년 모델은 논리 개념 분리는 명확하지 않

지만 장 합성이 더 있다는 에서 차별화된다

자료 한 상김소 김민 (2008)

다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부르 사회연구조사기 (Infratest Burke Sozialforschung)이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에

해 1997년 12월에서 1998년 1월 사이에 시행한 약 500명의 교육 문가들을 상으로

한 『델 이 교육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독일의 교육 문가들은 2020년경의 교육제도

에서는 여러 교육부문에서 lt표 Ⅱ-4gt와 같은 핵심 직업기 능력들이 요한 치를 가

- 82 -

(순 와 수비율의 평균가)

핵심 직업 능력학교

일반교육직업훈련 고등교육

기술 방법론 학습 능력

(technic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

1순

(238)

2순

(226)

2순

(217)

특정 부문 련 능력

(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

6순

(147)

1순

(258)

1순

(280)

심리사회 능력

(Psychosocial skills)

2순

(236)

3순

(216)

4순

(189)

외국어 능력

(foreign language skills)

3순

(230)

4순

(184)

3순

(191)

매체 활용 능력

(Media Competence)

4순

(161)

5순

(157)

6순

(138)

다국가의 문화 이해능력

(Intercultural skill)

5순

(148)

6순

(123)

5순

(146)

기타 능력

(other types of skills)

7순

(039)

7순

(038)

7순

(039)출처 이영현(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4gt 2020년도의 개별 직업능력의 요성

질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학교교육에서 가장 요한 것은 기술 방법론 학습 능

력이며 그 다음이 심리사회 능력 외국어 능력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

련과 고등교육분야에서 핵심 직업기 능력들 에서 lsquo특정 부문 련 능력rsquo이 높게 평가

되었음 이는 특정 부문 련 능력의 습득이 여러 분야를 가로지르는 훈련

(cross-sectional training)의 습득과 긴 한 연 을 갖기 때문에 고등교육의 반에 용

되며 특히 다른 기능과의 연결성을 가지고 특정 부문 련 능력을 가르칠 것이 요구되

고 있는 직업훈련에 용됨(이 1999)

라 ONet에서 제시한 Skills

ONet은 미국의 종합직업정보망으로서 각 직업별 정보를 총망라함과 동시에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여 각 개인의 특성에 합한 직업을 안내하고 있다 ONET의 내용 모형

은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 경험 요건

(experience requirements) 직업 요건(occupational requirements) 직업-특수 요건

(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 직업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의 6 가지 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ONet에서 제시한 스킬의 역 하 요소는 다음 표와 같다

- 83 -

구분 역 하 능력

기 능력

내용 능력읽고 이해하기 극 듣기 쓰기 말하기

수학 과학

과정 능력비 사고 능동 학습 학습 략 모니터

이 가능한

능력

사회 능력지각력 조 설득력 상력 교수 서비스

지향성

문제해결 능력

문제 확인 정보수집 정보조직 종합 재구

성 아이디어 산출 아이디어 평가 실행계획

해결책 평가

기술 능력

작동분석 기술설계 장비선택 설치 로그

래 테스트

작동 모니터링 작동과 조정 생산품 조사 장

비유지 문제해결 수리

시스템 능력비 시스템 인지 결과 인식 주요원인 단

단과 의사결정 시스템 평가

자원 리 능력시간 리 재정자원 리 물 자원 리 인

자원 리

lt표 Ⅱ-5gt ONET이 제시한 skills 역과 하 능력

료 행박가열(2003) 한 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 한 고 정보원

마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핵심 역량을 추출을 하여 국제 동 연구로 수행된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을 규정하는 3가지의 일반 인 기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첫째 반 으로 성공 인 삶과 기능 인 사회(well-functioning society)를

하여 개인 middot사회 수 에서 높은 가치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이 개념은

개인의 인 사회 자본 경제 그리고 사회 으로 잘 사는 것(well-being)과 일치하

는 개념이다 둘째 다양한 상황에서 요하고 복잡한 요구나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구

인(instrumental) 역량이다 개인들은 매우 다른 역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잘 기능하거

나 성공 인 수행을 해 다른 역 는 특정 역할에서 역량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DeSeCo에서 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상황의 넓은 스펙트럼에서 개인 사회 으로

요한 요구들에 처하기 한 도구에 한 역량이다 셋째 모든 개인에게 요한 역

량이다 이것은 선천 인 능력보다는 학습된 기술에 엘리트에 국한되기 보다는 모든 사

람들에게 유용한 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해 필요한 역량에 을 둔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 에 터하여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핵심역량을 ①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use tools interactively) ②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③ 자율 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등의 세 가지 범

- 84 -

주로 구분하고 있다

역 요한 이유 핵심역량

1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Use tools interactively

기술 변화에 응

개인 목 에 맞게 변화 유

세상과 극 으로 화

1-a 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b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c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기

2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다원화된 사회에서 다양하게

응하기 함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2-a 타인과 계를 잘 맺음

2-b 력할 수 있는 능력

2-c 갈등을 리하고 해결

3 자율 으로 행동하기

Act autonomously

정체감을 악하고 목표를 수

권리를 찾고 의무를 수행

환경과 그것의 작동 원리를

이해

3-a 큰 맥락 안에서 행동

3-b 생애계획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김

3-c 권리 이익 한계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

자료 임언(2006) 기초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중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lt표 Ⅱ-6gt DeSeCo 로젝트에서 추출한 생애핵심역량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가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가 추출한 직업기 능력

정철 외(1998)는 직업기 능력에 계된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근로자와

고용주를 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 다

문헌 검토를 통하여 총 6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근로자 706명과

고용주 82명을 상으로 장조사를 실시하여 평균 350이상으로 응답한 52개의 능력을

추출하고 이 자료의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역을 구성하 으며 연구진회의와 문가

의회를 거쳐 최종 으로 9개 역으로 구성된 57개 직업기 능력을 확정하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으로 확정된 9개의 직업기 능력 역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

제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이며 하 요소는 lt표 Ⅱ-7gt과 같다

2003년 나승일 외는 노동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표

- 85 -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 외국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기 연산능력 기 통계능력 도표분석능

력 도표작성능력

문제해결능력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

자원활용능력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

력 자원할당능력

시간자원 리능력 산 리능력 물 자

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인 계능력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웍능력 리더쉽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

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능력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조직이해능력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

력 업무이해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lt표 Ⅱ-7gt 정철 외(1998)와 나승일 외(2003)가 제시한 하 역

개발 연구에서 정철 이 제시한 기 을 소폭으로 수정하 다 9개 역은 그 로 유지하

되 하 요소의 표 이 변경되거나 일부 요소가 삭제되고 추가되었으며 직업윤리라는

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나 진미석 외(2003) 학생 직업기 능력

진미석 외(2007)는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구축을 한 연구에서 선행

- 86 -

상 요소 평가 역 평가요소

인지

요소

(A)

A1 의사소통

(Communication)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listening amp comprehension)

효과 인 의사 달 발표(conversation amp presentation)

토론과 재

A2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Resource)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Information)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9quantitative reasoning and

data analysis)

A3 종합 사고력

(Higher-order thinking

skills)

비 사고력(critical thinking)

문제인식 해결(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논리 사고력(analytical reasoning)

A4 로벌 역량

(Global Competen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Understanding heterogeneous

amp diverse culture)

비인지

요소

(B)

B1 인 계 력

(Interpersoal amp

cooperative skills)

력(work with diversity teamwork)

리더십(leadership)

조직에 한 이해(system thinking)

B2 자기 리

(Self-management)

자기 주도 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목표 지향 계획수립능력(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시민의식(personal social civic responsibility)

정서 자기조 (emotion self-control)

자료 진미석 외 (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8gt 학생 직업기 능력 평가 역

연구 분석을 통하여 6개 역 19개 평가요소로 구성된 학생 직업기 능력 시안을 작

성하 으며 이를 문가 델 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 다 학생 직업기

능력의 6개 역은 의사소통 자원middot정보middot기술의 처리 활용 종합 사고력 로벌 역

량 인 계 력 자기 리이며 하 요소는 다음의 lt표 Ⅱ-8gt에 제시된 것과 같다

- 87 -

Ⅲ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 핵심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이 장에서는 직업 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반 될 것으로 단되는 자료들을 수집

하여 검토하 다 주요 기업에서 사원 선발 과정에서 용하는 기 이 무엇이며 재직자

에 한 교육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검토하 으며

아울러 산업별 직업 연구의 결과로서 자산업 보건의료산업 고령친화산업 재직자들

이 인식하고 있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추가로 검토하 다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기업에서 사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한 기 이 되는 것은 그 개인이 입직 후 직

업생활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이며 기업은 최선을 다하여 다양한 방법

을 통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 역량에 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

서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가 주요 기업의 인재 선발 차

이병욱(2007)에 의하면 주요 기업들의 입사 희망자에 한 평가는 서류 형 rarr 시험

rarr 인middot 성 검사 rarr 면 의 순으로 진행되며 면 을 가장 시한다 기업들은 입사 희

망자의 어학 학교 성 으로 기본 자질을 단하고 인성middot 성 검사를 통해 가치

직무능력을 악하며 최종 문인 면 에서는 응시자의 능력 자실 소양 태도 가치

을 종합 검하고 자신의 견해를 얼마나 논리 이며 설득력 있게 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기업의 인재선발도 과거의 수치화 정형화된 단편 방식에서 다면화 다양화

된 방식을 채용하고 객 이고 계량화 가능한 것을 강조하던 것에서 잠재 인 측면을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서류 형은 공별로 학교 성 어학 수를 기 으로 선발(통상 기업 필요인력

의 3~5배 규모)하며 그 밖에 외국 경험 사회활동 자격증 등 개별 특기사항은 가 을

주거나 면 시 참조한다 시험은 어학시험 주이며 TOEIC 성 미 제출자를 상으

- 88 -

로 실시한다 인middot 성 검사는 거의 모든 기업이 시행하고 있으며 면 시 기 자료로

활용일부 기업은 특정 유형의 인성 일정 수 이하의 성 결과에 해서는 채용 상

에서 배제된다

구분1단계

(서류 형)

2단계

(직무 성)

3단계

(인성기술면 )

4단계

(신체검사)

5단계

(최종합격)

평가요소

학 (CL)

어학(가 )

자격증(가 )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지각력

실무감성능력

기본인성

개인자질

공지식

활용성

건강검진각 단계별 통과

여부로 단함

비고

학 의 경우

Cut-Line통과여

부만 단

문제해결 능력

학습능력

극성 창의성

성실도 문지

식 등 단

결격 사유만 변

각 단계별 성

은 독립 으로

작용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

원부

lt표 Ⅲ-1gt 형단계별 평가요소

나 주요 기업에서 사용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하 요소

1) 공직 성검사 (PSAT)

공직 성검사는 공직 격성을 측정하고자 1차 시험에서 이루어지는 지필시험으로

이 시험에 통과한 사람은 2차 시험에서 문 인 지식을 측정하는 검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검사는 리자로서 필요한 일반 성과 공직 련 성을 측정

한다 한 재 직무에 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인지 인 문제해결능력 환경 응

인 상황 단력과 같은 리자로서 필요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되었다

공직 성검사는 언어능력 자료해석능력 상황 단능력 상식의 4가지 역으로 구성

되어있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은 통 인 지능이론 최근에 Gardner(1983)의 다

지능이론에서 제안된 7개 역 언어 능력 논리 수리능력의 개념과 Sternberg(1985)

의 실용 지능에 근거하여 실무와 련된 역을 추출하 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

이 일반 인 학습능력이라면 상황 단능력과 상식은 실생활 는 업무와 련의 학습

능력에 련된 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해 직에서 2-3년 된 고시

출신 공직자 52명에게 직무조사를 실시하여 개발하 다 공직 성검사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아래 lt표 Ⅲ-2gt과 같다

- 89 -

하 요인 평가 사항

어 공인어학성 으로 체 가능

언어논리

40문항

어휘 의 주요내용 악 체 인 내용이해 자의 핵심주장 논지 악

표 개요구성 문단 조직화 고쳐 쓰기를 통한 의 완성

추론주어진 로 새로운 정보 이끌어내기 논리 흐름 악을 통해 들어나지 않는 결

론 결말 악하기

비 의 논증구조 분석 타당성 일 성 련성에 의해 논증의 설득력 평가

상황 단

40문항

이해제시된 상황의 주요 쟁 문제 이해 주어진 개념을 새로운 상황이나 구체

사례에 용할 수 있는 능력

추론 분석상황을 안으로 설정하기 한 주요요인 추론 여러 형태의 안 비교 분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문제해결을 한 안설정 안의 실행 략 유추 결과 측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한 안 평가 기 설정 비교 평가하여 합리 안을 선택하는

능력

자료해석

40문항

이해 제시된 표 그래 의 의미 악

용 주어진 개념 방법 차 원리를 주어진 장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분석주어진 자료를 분해하여 구성요소간의 계와 조직원리 발견 amp 자료의 외

상에 잠재된 아이디어 조직원리 찾아내는 능력

종합평가여러 부분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체 구성하는 능력 주어진 결론은 도출하

기 한 차 단 자료 통합하여 논지를 검증하는 능력

자료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권 2호

2) 삼성 직무 성검사 (SSAT)

삼성직무 성검사는 기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나 어 평가가 진행되며 외국

어 직무 련 특수자격 등은 평가 시 우 를 받는다 SSAT는 단편 인 지식보다는 어떠

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보다 더 요하다는 단에

따라 1995년 하반기 사원 공채부터 학력제한을 철폐함에 따라 공 어 제2외국어

등의 입사필기시험을 폐지하고 간 보다는 능력 획일성보다는 개성이 존 되는 열린

채용의 실천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에서 어는 토익이나 토 의 공인어학성

으로 체된다

SSAT는 기 지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구성된다 기 지 능력검사는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공간 지각력 지각 속도력 등의 5가지 항목검사를 통해 삼성이 지향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 지 능력을 종합 으로 평가한다 문제의 난이도는 고졸

실력이면 구나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문항 수에 비해 시간이 부족한 능력검사이다 직

무능력검사는 업무능력 인 계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상식 등 실제로 기업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업무와 련된 시나리오와 각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행동 안들이 제기되어 응답자는 제시된 상황을 읽고 빠르고 정확하게 단

하여 각 안에 처할 수 있는 형식의 문제로 구성된다 일반 인 상식과 개념을 뛰어

넘는 독창 이고 주 인 단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lt표 Ⅲ-2gt 공직 성검사 하 요인

- 90 -

인성검사는 정서 인 측면 즉 정신건강 컨 정서 안정성 감정통제력 민감성

신경질경향 기분성 자책성 등을 평가한다

하 요인 평가사항(특이사항)

기 지 능력

AI

(Academic

Intelligence)

직무능력검사

PI

(Practical

Intelligence)

언어 역 어휘능력 문장이해력 문장구성력

수리 역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 해석

추리 역 언어 추리 수열 문자추리 도형 추리

지각능력 공간지각 지각정확성 속도 형태지각

창의력 수식 만들기 등식 메우기 가정세우기 그림완성 등

시사상식

정보화 능력 국제화 능

력 직장 사회 경

제 경 상식원활한 조직 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을 하기

해서 업무처리 인 계 사회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상식과 실제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각 상황에서 어떻게 응하

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구성됨상황 단능력

차계획능력 분석종합

능력 상황 평가능력

상황 처능력

성격검사 인성검사 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자료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2008) 한국고시회

lt표 Ⅲ-3gt 삼성직무 성검사 하 요인

지 까지 검토한 공직자와 근로자의 선발에 필요한 성검사에서 포함하고 있는 하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의 lt표 Ⅲ-4gt와 같다 부분의 성 검사에는 언어능력과 수

리능력 공간지각능력 상황 단력과 같은 일반 인 학습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근

로자를 선발하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추가 인 직무 련 지식을 측정하고 있다

- 91 -

직무 성검사

인성검사 어 창의력 기타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상황 단

공직 성

검사

어휘 표

추론 비-

이해 추론 분석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

- - - 자료해석

삼성

SSAT

어휘

문장이해

문장구성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해석

공간지각 상식 상황 단 추리력 성격검사 - 창의력지각정확성

속도

SK언어논리

유추 추리

응용계산

수 추리공간지각 단력 상황 단력 인성검사 G-TELP 창의력 한자능력

CJ어휘

문장이해

산술추론

계산

수리 패턴

공간지각BJI TEST BJI TEST

- - -

두산언어I

언어II수리능력 공간지각 -

정서역량

인성검사

- -기계이해

한자능력

LG CNS 언어추론 수리추론공간추론

도식추론- 인성검사 - - -

국민

은행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추리능력 인성검사 - -

논술

융상식

신한

은행

언어 유추

추리

응용

계산력수추

공간지각단력

상황 단력인성검사 - 창의력 지각정확성

lt표 Ⅲ-4gt 공직 표 기업의 인사 선발 성검사 하 요인

다 면 시험

면 시험은 모든 기업에서 가장 시되며 개인의 인성 자질 능력 조직과의 융화

문지식 등을 종합 으로 검토한다 장임원 면 과 기업 표 면 등 두 차례에

걸친 면 이 주를 이루나 일부 기업은 선배직원의 면 젠테이션 면 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수시채용 확산으로 기업 표임원 면 (1회)만을 실시하는 기업

도 증가하고 있다 면 방식은 주어진 주제에 해 응시자에게 의사결정을 하게 함으

로써 결론 도달 능력 가치 등을 악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주어진 주제에 한

의견 피력은 문제(질문)핵심 악 창의력과 문지식을 이용한 의견의 논리화 마지막

으로 설득력 있는 설명과 안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이병욱 2007)

- 92 -

단계별 면 내용 실시기업

1 선배직원 면 多 多 면 워크 사회성 개인태도 성향 검

젠테이션 면삼성 SK 삼보

2 장임원 면 多 多 면직무 합성 업무수행능력 개인지식 Skill

심 검

삼성 SK 한진

한화 두산 삼보

3 표임원 면 多 一 면인성(태도 성격 직업의식 조직 응력

융화)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등을 검全기업

多對多 면접 다수의 면접관(4~5인)이 다수의 응시자(2~8인)를 면접

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lt표 Ⅲ-5gt 기업의 단계별 면 내용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인 자원개발은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동기부여를 향상시켜 가치 있는 미래 조직의

구성원으로 만들기 한 장기 인 과정이다 인 자원개발에는 훈련뿐만 아니라 경력

그리고 다른 경험들까지도 포함된다 기업교육활동은 조직 환경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개인의 학습 니즈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업교육활동을 통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에서는 권 (1998)이 기업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심으로 기업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을 살펴보았다

가 호 MBA 과정

호 MBA 과정은 그룹임직원들에게 문경 지식의 습득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변

하는 기업환경에 능동 으로 처할 수 있는 응력을 배양하고 이를 통해 그룹의 양

질 성장의 균형을 도모하기 해 개설되었다 교육과목은 경 학 반 인 개론

각론과 체육활동 교양특강 컴퓨터 실습 등이 포함된다

호 MBA의 교육효과에 해 과정을 이수한 임직원들은 기업의 환경변화 인식능력

과 미래지향 업무자세가 가장 두드러진 교육효과로 지 했고 그 이외에도 경 반

에 한 통합 이해능력 업무 추진할 때 다양한 이론의 종합능력 자기 개발능력

호인으로서 자 심 고양 경 이론의 습득 성취의욕 고양 의사결정능력 등의 항목에

있어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호 MBA 교육과정은 체로 직무 련

지식 습득에 을 두고 있어 모든 기업에서 일반 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악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93 -

나 삼성물산 건설부문 장소장 교육과정

삼성 물산 인력개발 에서는 교육이 경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우선

인 육성시스템 구축 상을 장소장으로 정하 다 이를 해 우수한 장소장이

재 수행하는 과업(Task)과 그 과업에 련된 능력(Competency)을 악하고 미래의 장

운 에 필요한 능력을 악하기 한 조사도 실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

소장의 능력을 한 단계 상승시키기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다 S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S가 은 기존 리 리사원의 욕구와 가치 등의 심리 특성을 악하고 이에

맞는 체계 이고 실 인 제안능력을 개발하기 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리

리사원의 업무 특성상 인간행동에 한 이해와 제안기술 인 계 능력이 매우

요시 된다 따라서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다음 lt표 Ⅲ

-6gt은 S가 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부사항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 리사원은 다른 업무보다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 가장 요하기 때문에 이에

을 맞춘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라 견 리자의 품성 교육과정

에서는 기업문화는 조직원의 마음과 행동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철학에 입각하여

기업 내 품성개발 교육 로그램을 도입하 다 교육 로그램은 스티 코비 박사의

서lt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 gt의 내용을 교육 로그램화하여 보 하는 미국 코비

리더십센터(Covey Leadership Center KLC)와 의 하에 회차당 40명씩 10회차로 2회

차 교육까지는 한국리더십센터의 문 강사가 3차 이후는 그룹 자체 보유의 임

교수들이 진자 자격증을 KLC로부터 획득하여 진행토록 하 다

마 모토로라 코리아

모토로라 코리아는 상 20의 핵심인력에 해서는 차등화된 유지middot보상middot육성체계를

운 하고 있다(한국인사 리 회 2005)

- 94 -

기업명

(교육과정)교육 세부 사항

호 ( M B A

교육 과정)

조직간 커뮤니 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의사결정지원

국어 경 학 반 경 학 반 컴퓨터 특강

삼성물산 건

설부문

( 장소장 교

육 과정)

인간 계와 교섭력 화와 설득력 의 기능 의사

소통 리더십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어학습득 방안 정 사고방식 스트 스와 건

강 리 일정 리

S 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업환경 분석 제안활동의 개방법 커뮤니 이션기

법 인간행동의 이해와 인간 계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자신의 심리 특성 악

리자(품성 교

육 과정)

공감 커뮤니 이션 습 공감의 태도나 기술

인 계 리더십 개인 리더십의 습 타인을 한 리

더십 생산 조의 습 개인차 인정

시간 리 매트릭스 최고효과의 활동 등 계획과 조직

리 심신단련-자기쇄신의 습

모토로라 코

리아 (핵심인

재 리)

로벌 로젝트 참여 리더십 로젝트 리

경력개발 성과 리 방안 교육

lt표 Ⅲ-6gt 산업체 교육 로그램과 핵심역량의 계

앞에서 살펴본 각 기업들의 교육 로그램의 하 요인들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역량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Ⅲ-6gt과 같다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이 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어떠한 역량이 요한가에 하여 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 다

가 기업에서 요시 하는 역량

2008년 경련 산업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의 인재가 꼭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은

[그림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정신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동성과 조직 응

력 창의성 문지식 외국어 국제감각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 95 -

평균(표 편차)

구분직업기 능력의

직업에서 요도

학 졸업 당시

직업기 능력

직업기 능력의

괴리정도

의사

소통

능력

작문능력 37 (092) 33 (079) 04(105)

언어구사능력 42(080) 34(081) 08 (105)

의견을 분명하게 주장할 수 있는 능력 40(085) 34(086) 06(117)

외국어 능력 34(118) 28(082) 06(128)

계 38(07) 32(061) 06(081)

문제

해결

능력

문제해결능력 43(070) 34(071) 09(088)

분석능력 42(074) 34(073) 08(094)

창의력 40(095) 32(081) 08(116)

비 사고 능력 37(090) 34(080) 03(115)

경제 사고 능력 40(086) 31(087) 09(019)

lt표 Ⅲ-7gt 직업기 능력의 요도 괴리정도

[그림 Ⅲ-1]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자질

자료 전국경제인연합(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전경련 산업본부

나 청년 재직자의 직업기 능력에 한 인식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2005)은 2001년 2월에 4년제 학을 졸업한

청년층을 상으로 학교육 만족도와 노동시장 이행 실태에 한 조사를 실시하 다

그들이 직업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요시하는 직업기 능력이 무엇이며 재 자신

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 능력의 정도를 조사하 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어 능력

을 제외한 거의 부분의 능력에 해서 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어 능력의 요성은 평균 34로서 그 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 으로

다른 능력에 비하여 하게 낮게 평가되었다

- 96 -

융통성 42(072) 35(077) 07(095)

계 40(057) 33(055) 07(071)

자기

개발

능력

자신의 일에 한 객 평가능력 39(078) 33(073) 06(098)

제약을 극복하는 정신력 42(078) 35(090) 07(106)

정확하고 면 하게 일하는 능력 43(072) 34(080) 09(096)

시간 리 능력 44(073) 33(087) 11(108)

일에 한 응 능력 43(072) 36(083) 07(108)

독립 으로 일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 41(081) 34(082) 07(108)

자발성middot자주성 39(077) 34(082) 05(098)

일에 몰입하는 능력 41(076) 36(079) 05(099)

성실성 44(070) 39(082) 05(095)

책임감 44(068) 39(081) 05(095)

폭넓은 일반 지식middot소양 37(084) 32(074) 05(103)

여러 공분야를 포 하는 사고middot지식 37(088) 31(076) 06(103)

공 분야의 이론 지식 34(116) 34(074) 00(121)

공 분야의 분석 방법에 한 지식 35(111) 33(078) 02(117)

학습능력 39(079) 36(069) 03(095)

계 40(051) 35(052) 05(061)

자원

활용

능력

계획수립 조정middot조직화 하는 능력 42(081) 32(086) 10(109)

능력

상능력 42(085) 31(081) 11(112)

워크능력 43(080) 35(083) 08(103)

다른 의견을 포용하고 수용하는 능력 41(077) 36(078) 05(099)

리더십 41(087) 33(086) 08(110)

계 41(065) 33(065) 08(080)

정보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41(083) 36(087) 05(103)

정보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 42(078) 34(083) 08(105)

계 42(069) 35(071) 07(086)

기술

능력

수작업 능력 35(094) 33(083) 02(104)

지식middot기술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능력 40(085) 32(079) 08(104)

계 37(071) 32(068) 05(083)

조직

이해

능력

복잡한 사회조직middot기술체계 이해 38(089) 30(082) 06(111)

체 40(050) 34(050) 06(061)

표시한 것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항목을 나타냄자료 채창균 외(2005)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다 자산업 고령친화산업분야종사자가인식하는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한상근 외(2005)와 최동선 외(2007)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산업별 직업 연

구의 수행 과정에서 그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그 분야에 종사

를 상으로 질문하 다 자산업분야의 경우 각 분야별로 20개 직업 종사자들이 응답

한 결과를 평균한 것으로서 분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 되게 가장 낮게 나타난

- 97 -

기 직무능력 어매니 요양보호사노인 담

생활체육지도자크 이션 치료사 장례 지도사

공이론지식 393 337 396 427 373

공실무능력 420 367 443 453 428

문서작성능력 420 273 400 431 345

외국어활용능력 233 193 186 273 245

창의 사고능력 410 307 407 460 346

문제해결능력 457 366 414 473 390

의사소통능력 463 407 425 473 383

업능력 447 347 400 453 379

컴퓨터활용능력 420 247 382 367 369

사례수 30 30 28 30 29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 직무능력 자의료기 휴 폰 반도체

공이론지식 381 365 390

컴퓨터 활용 능력 389 408 391

외국어 활용 능력 335 321 349

창의 사고 능력 402 420 419

정보활용 능력 395 413 408

업능력 383 406 415

인 계 능력 376 395 403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Ⅲ-8gt 자산업 분야의 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lt표 Ⅲ-9gt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기 직무능력 요구도

것이 외국어 활용능력이다 고령친화산업의 경우 외국어 활용능력이 더욱 하게 낮

게 평가되어 외국어 활용능력이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로서 포함될 필요가 있는가를

신 하게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98 -

구분 역 하 요소 시사

기업 선발

고사

직무 성검사(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

력 상황 단추리력창의력)

어성

인성검사(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

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직업기 능력 역 요소

에 한 기존 논의에

이미 포함됨

4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핵심역량에 한근거 자료 분석결과요약

이 장에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는 직업기 능력에 해서 장에

서 인식하고 있는 바를 드러내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다음

4장에서 개될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에 한 기존의 논의를 비 으로 검토하는

데 기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 다 직업세계 장에서 재직자 는 고용주가 인식하고

있는 핵심역량에 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선발 시험에서 측정하고 있는 것은 크게 직무 성검사 어성 인

성검사로서 일반 인지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이 강조

되고 있음을 확인하 다 이러한 요소들은 부분 기존의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논의에 포함된 것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하게 작용하는 면 의 경우 시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태도와 가치 성향에 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사회

성 동성 성실성 열의 의사소통능력에 을 맞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들

한 기존의 직업기 능력에 반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체 교육 로그램의 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의사

결정 자기 리 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기존의 논의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국경제인연합회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인재상에는 기존의 논의에는 없는 도

정신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논의 과정에서 도 정신을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

을 제기하고 있다

다섯째 재직자에 한 규모 조사에서 공통 으로 드러난 것은 외국어 능력이 그리

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어능력이 선발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업무 추진 과정에서는 그 게 요하지 않다고 재직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

한 결과를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lt표 Ⅲ-10gt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한 검토 결과 종합

- 99 -

면 의 주요

내용

워크 사회성 조직 응력 융화

개인태도 성향

직무 합성 개인지식

직업의식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창의성을 추가할 필요성 시

기업체 교육

로그램에서

드러난 주요

역량

의사소통 능력

외국어 습득

의사결정능력

자기 리

인성심리 측면

리더십

업무 련 지식

기존 논의와 일치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 경련

산업본부)

책임감

외국어 국제감각

문지식

창의성

동성과 조직 응력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도 정신과 성취의식

창의성 도 정신을 추가

필요성 검토

재직자가

인식하는

기 직무능력

문서작성능력

외국어활용능력

창의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업능력

외국어 능력이 상 으로

덜 요하게 인식되고 있음

을 반 할 필요성 시사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추출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기 하여 정철 외(1998)와 진미

석 외(2007)가 제시한 결과를 기본 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이 두 가지 표 인 연구

결과의 공통 과 차이 을 분석하고 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철 (1998)이

제시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는 오랜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일종의 기 으

로서 작용해온 틀로서 암묵 으로 그 타당성을 리 인정받았으나 무 많은 요소들이

병렬되어 있어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규정한 가장 최근의 연구인 진미석 외(2007)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각 요소별로 검토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00 -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가 의사소통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의사소통능력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

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

나 말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진미석 외(2007)는 의사소통능력을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효율 으로 달하고 상 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철 외(1998)는 읽기 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 역 안에 제시하고 있다

나승일 외(2003)와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 한 표 만 조 변경

되었을 뿐이고 말과 로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는 에서 공통된다

Hymes (1972)에 의하면 의사소통능력이란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메시지를 달하고

해석하며 인간 상호간에 의미를 타 하게 해 주는 능력이다 즉 단지 문법 으로 맞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아는 능력이다

Canale amp Swain (1980)은 의사소통능력이 문법 역량 사회언어학 역량 사회 문화

역량담화 역량 략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Enache(2005)에 의하면 의

사소통을 해서는 문법 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드는 것보다 하게 표 을 만드는

언어생성능력(productive skills)이 요하며 읽기와 듣기에 있어서는 상 방이 표 한

내용의 구체 인 세부 내용을 집어내기 보다는 그 의도를 악하는 능력(receptive

skills)이 요하다고 보았다

DeSeCo 로젝트 결과로 제시된 핵심역량의 주요 역에는 lsquoThe ability to use

language symbols and text interactively(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의 핵심은 다양한 상황(가족 직장 도시의 삶)에서 언어

기술 계산 다른 수학 기술(그래 표 많은 형태의 상징들)들을 효과 으로 사용하

는 것이다 이러한 핵심역량은 한 통일된 개념규정 없이 ldquo의사소통 역량rdquo 는 ldquo문해

능력rdquo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보았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재 의사소통의 하 요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언

- 101 -

어능력을 말하며 모든 역량이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기본으로 작동되는 일종의 기 능

력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가 의사소통능력을 공통 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반

하여 외국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를 상 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 로 SCANS 모형에서는 이를 기 능력(basic skills)으로 제시하고 있으

며 거기에는 수리능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ASTD 1988년 모델에는 의사소통능력이

라는 역이 포함되지만 그 이후의 1999년 모델 2004년 모델에서는 빠지고 없다 재

와 같이 언어능력을 의사소통능력에 포함하다보면 수리능력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방황

하는 상이 나타난다 진미석 외(2007) 모델에서는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능력의 하

요소로 정철 외(1998)의 분류에서는 별도의 하 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의사소통이라는 역이 포함하는 세부 요소에 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

의 문화 속에서 이는 매우 요한 직업기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본다 특히 기업

체의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거의 모든 로그램에 의사소통에 한 내

용이 포함되어 있음은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DeSeCo에서 제시한 틀에 의하면 의사

소통능력이 lsquo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기존에 말하는 단순히 언어 인 의사소통 외에 그래 와 도표를 포함한 수학 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이라는 역을 유지하되

그 하 요소 속에서 수와 도표를 통한 의사소통을 포함하고자 한다

의사소통과 련하여 검토해야할 다른 사항은 외국어 능력에 한 것이다 정철

과 나승일이 외국어의 기 수 (외국어 읽기 기 외국어)을 의사소통능력으로 포함

하고 있는데 반하여 진미석 외(2007)는 이를 로벌 역량이라는 별도의 역 안에 하나

의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재 우리나라에서 기본 인 의사소통을

한 외국어란 다름 아닌 어를 의미한다 그 다면 여기서 외국어 능력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기 어 읽기 능력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본다 한 직업기 능

력에 하여 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외국어는 상 으로 덜 요한 능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우 기 인 수 의 어 문서 이해 능력 정도가 기본

으로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인 계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

국내외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

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미석 외(2007)는 인 계

- 102 -

력 능력을 lsquo조직 내에서 타인과 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려는 능력rsquo으로 정

의하고 그 하 요소로서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로 제시하고 있다 정철 외

(1998)는 인 계능력을 lsquo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하게 되는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

지 않고 원만하게 지내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

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인 계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효

과 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은 타인의 마음

상태가 재 어떠한지 추론할 수 있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상이한 감정의 다양한 특성

을 잘 알고 그에 맞게 올바른 처양식을 개발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각각 공유하

고 있는 차이 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창하고 세련된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

다 이 역이 뛰어난 사람은 조직과 집단 내에 동을 항상 유지하며 특정 목표를 달

성하기 하여 집단을 형성하고 리더십을 구사하며 심지어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도 조

정과 상의 기술을 통하여 사태를 잘 마무리한다(Gardner 1995)

인 계능력과 같은 맥락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회 지능은 ldquo사람들과 어울리는 능

력(Moss amp Hunt 1927)rd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 지능을 연구하는 연구자에 따

라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사회 지능의 하 개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Thorndike (1920)는 사회 능력을 인간 사이의 계에서 사람들을 이해하고 조

(manage)하며 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하 으며 Vernon (1933)은 사회 지능

을 일반 으로 사람들과 어울리는 능력 사회 기술이나 사회 내에서의 편안함 사회

문제에 한 지식 집단 내 다른 구성원으로부터의 자극에 한 수용력 낯선 이의 특징

이나 일시 인 기분에 한 통찰력 등으로 정의하 다 한 김명소 외(1996)는 본인 자

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정서 사고 행동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조 하거나 타인의 언행을 측하고 하게 반응하는 능력으로 인 계능력을 정의

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Interact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사회 으로 이

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rsquo를 세 가지 역 의 하나로서 강조하고 있다 통합 네

트워킹 트 십 연 동 등등이 종종 이 범주에서의 핵심단어로 언 된다 이러

한 역량의 발달은 특히 사회 자본 상호 으로 강화된 의무 계의 네트워크 기 정보

채 등의 창출과 련 있다 이 역의 하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lsquoThe ability to relate well to others(타인과 계를 잘 맺을 수 있는 능력)rsquo

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는다는 것은 사회 응집을 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증가하고 있는 경제 성공을 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들은 직장 동료 클라이언

트 고객들과 계를 맺기 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기 해

- 103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H Gardner 인 계지능

sect 사회 민감성(타인이해)

sect 타인과 어울리기

sect 리더십

Moss et al

(1955)사회 기술

sect 사회 상황의 단

sect 이름과 얼굴 기억하기

sect 비언어 표 인식

sect 인간 행동의 찰

sect 사회 정보에 한 지식

sect 말하는 사람의 심 상태 인식

Gilbert amp Fleishman

(1992)사회 기술

sect 행동의 융통성

sect 조정

sect 상

sect 설득

sect 사회 민감도

sect 코칭(coaching)

sect 자기 주장

Zaccaro et al (1991) 사회 지능sect 사회 인지사회 정보의 획득과 해석

sect 융통성 있는 행동 상황에 맞는 행동 수정능력

ONET (1995) 사회 기술

sect 사회 인지

sect 동

sect 설득

sect 상

sect 가르치기

sect 사 지향성

DeSeCo(2001)사회 으로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sect 계 맺기

sect 력

sect 갈등 리 해결

lt표 Ⅳ-1gt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의 하 구인

서는 몇 가지 필수요건들이 있다 공감(empathy)이 아마도 가장 요할 것이다 다른 사

람들과 계를 잘 맺는 것에 있어 요한 다른 측면은 바로 자기 자신의 감정과 내

부 감정을 효과 으로 잘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자기 자신 다른 사람들의

기 에 있는 정서 동기들을 자기 인식하고 효과 으로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능력은 lsquoThe ability to cooperate( 력할 수 있는 능력)rsquo이다 이는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다른 으로 주제들을 바라보고 그 개념 틀

로 바꿔볼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역량은 lsquoThe ability to manage and resolve

conflict(갈등 리 해결 능력)rsquo이다 서로 다른 욕구 목 는 가치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반 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있을 때 갈등을 피하거나 제거하려고만 하지

말고 이를 명하고 공 하게 그리고 효율 인 방식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

(Rychen amp Salganik 2001)

- 104 -

GWSIT

(George Washington

Social Intelligence

Test)

사회 지능

sect 사회 상황에 한 단

sect 이름 는 표정 기억

sect 인간 행동에 한 찰

sect 언어의 함축 의미 인식

sect 표정으로부터 마음상태 인식

sect 사회 정보

sect 유머

2) 수정 방향

이상에서 살펴 본 선행 논의에 따르면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

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이 다양하다 정철 외

(1998)가 제시한 방식은 인 계 능력이 작동하는 맥락을 심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

인다 즉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의

계로 제시하고 있다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이 타당하다고 단되어 그 로 수

용하고자 한다

다 문제해결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

문제해결능력은 공통 으로 제시된 역으로서 정철 외(1998)는 lsquo업무를 수행하면

서 문제 상황이 발생하 을 경우 창조 이고 논리 인 사고를 통하여 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히 해결하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는 가운데 하 요소로서 사고력 문제인식

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진미석 외(2007)는

문제해결력이라는 역명칭 신에 종합 사고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

사고력을 창조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 추론하는 능력으로 정의

하고 하는 가운데 그 하 요소로서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을

제시하고 있다

표 인 지능학자의 한 사람인 Sternberg는 그의 성공지능이론에서 성공 지능의

세 요소를 분석 능력(analytical abilities) 창의 종합 능력(creativesynthetic

abilities) 실용 능력(practical abilities)으로 제시하고 있다 분석 능력이란 개인의

삶에서 유용한 선택 사항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하

요소로서 문제 인식하기 문제 정의하기 문제 해결 략 수립하기 문제 해결 과정

검하기가 포함된다 창의 종합 능력은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창출하는 데 요구되

- 105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CLA

(College Learning Asse

ssment)

문제해결력

비 사고력

분석 추론력

문제 해결력

작문 의사소통 능력

삼성직무 성검사

SSAT

(직무능력검사)

문제해결 검사

상황 단력

차계획력

분석종합력

상황평가력

상황 처력

공직 성검사

PSAT문제해결력

상황 단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능력

ONET(1995) 복합 문제해결 기술

문제 규명

정보 수집

정보 조직화

종합 재조직화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평가

실행 계획하기

해결책 평가

lt표 Ⅳ-2gt 문제해결능력에 한 검사와 하 구인

는 것이며 실용 능력은 문제 해결안을 효과 으로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것으로서

암묵 지식이 여기에 해당된다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검토한 바에 의하

면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어서

이러한 견해들 속의 일 성을 찾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2) 수정 방향

문제해결과 련된 역의 명칭으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종합 사고력이라는

역 명칭보다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이 보다 실제 인 의미를 갖는

다고 단되어 본 연구에서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역 명을 채택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하 요소로서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바와 같이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을

제시하기 보다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능력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

더 하다고 본다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

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자 한다

- 106 -

[그림 Ⅳ-1] Sternberg 성공지능의 삼 일체

자료 김정휘 주영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라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정보능력 자원활용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을 별도의 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각각에 하여 상세한 하 요소를 제시한 반면 진미석 외(2007)는 이

를 통합하여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으로 제시하고 그 안에 정량 사고와 자

료해석 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즉 역 명칭에는 제시하지 않았지

만 정철 이 제시한 수리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다 생애의 모든 역에서 성공 으로 기능하기 해

- 107 -

개인들은 지식 정보에 해 근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효과 으로 성찰 으

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DeSeCo에서 규정한 것처럼 기술 역

량은 기술 인 숙달능력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일

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도구에 익숙해지도록 하며 다른 필요 상황에서 그것을 용하고

궁극 으로는 잠재 인 상황에까지 새로운 도구를 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술의

잠재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는 다른 상황 더 많은 상황들

에서 필수 인 것이다 즉 문제를 기술 으로 해결해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 숙달

능력 보다 더 요한 것은 다른 기술의 목 기능들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잠재성을

구상할 아는 것이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보 기술 자원의 활용이 직업생활에서 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들의

독립된 역으로 나열되는 것은 핵심 역량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원칙에 배되는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술

자원 활용을 묶어서 하나의 역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단 수리 능력의 경우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포함하며 이 역의 하 요소로는 제

시하지 않고자 한다

마 자기 리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자기 리 개발능력의 하 요소로서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

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 다 진미석 외(2007)는 자기주도 학

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을 하 요소로서 제시하

고 있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아래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능력)rsquo lsquoThe

ability to form and conduct life plans and personal projects(생애계획 개인 로젝

트를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lsquo rsquoThe ability to defend and assert ones rights

interests limits and needs(권리 이익 한계 요구사항들을 항변하고 주장하는 능력)

lsquo을 제시하 다(Rychen amp Salganik 2001)

- 108 -

2) 수정 방향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개념 틀 속에서는 자율 인 행동이 자신이 속한 사회

와의 극 인 계 맺음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요하다는 에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것과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은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진미석 외

(2007)가 자기 리의 하 요소로서 시민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철 외(1998)가 직

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측면을 드러낸다 두 연

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를 최 한 종합하여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

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자 한다 진미석 외(2007)가 정서 자기 조 을 강조하되 신체

건강에 한 언 이 없다는 을 보완하여 두 가지 요소를 병렬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

를 포 하는 측면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

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 다

바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업무를 원활하기 수행하기 하여 국제 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

의 체제와 경 에 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직업기 능력으로 요구된다고 보고 이를 조

직이해 능력으로 명명하 으며 그 하 요소로서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을 포함하 다 한편 진미석 외(2007)는 로벌 역량이라는 역을 설정하

고 그 안에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능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에 한 이

해는 인 계 력의 하 요소로 제시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의 하 요소로서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

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의 큰 그림이란 표 이고 사회경제 이며 역사 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큰 맥락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어떻게 그 맥락들이 기능하는

지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

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 큰 그림은 세계 인 시

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는 지역사회나 직장 같은 개인들의 생활 혹은 특

- 109 -

정 사회분야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량은 구조 문화 실천 그리고 시스템의 형식비형

식 규칙과 기 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법 규칙 등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문서화되지 않은 사회 규범 윤리강령 매 그리고 의례 등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

인행동 제약에 한 지식과 그들의 권리를 이해하는 것 시스템 내에서 개인들이 활동

하는 역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들을 결정하는 것 공유된 규범 목 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가능성들을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들에 따라 다양한 과정으로 행동하는 것을 구

상하는 것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변화를 측하며 개인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

의 향력을 잘 조 하고 그 방식에 따라 행동 계획 상을 재조정하는 것 등을 포

함한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철 외(1998)가 사용한 조직이라는 용어는 그가 개념 정의한 바와는 달리 일상

으로 매우 좁은 의미로 다가온다는 에서 부 하다고 본다 실제 그가 제시한 정의

안에서 조직은 국제 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 의 체제(시스템)에 한 것이므로 시

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우리의 일상용어와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의미를 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반면 진미석 외(2007)가 안으로 제시한

로벌 역량은 쉽게 다가오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직업기 능력의 별도 역으로 제시하

기에는 상 으로 좁은 개념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SeCo 로젝트에서 사용한 큰 그림 안에서 행동하기라는

표 을 살려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rsquo로 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맥락이라는 것이

환경의 종 인 측면 즉 역사성에 한 것이라면 환경이라는 것은 수평 인 측면을 일

컫는 것이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한 역사 사회 경제 이해를 바탕으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

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하 요소로는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을 선정하 다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앞에서의 논의는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가에 한 것이다 각 역별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하 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

- 110 -

진미석 외(2007)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 인 의사 달

발표

토론과 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

기 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인 계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리더십

-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

- 상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산자원 리능력

물 자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기 연산

기 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안하는 수정안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Ⅳ-3gt과 같다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이 최종 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기존의 표 인 국내

연구의 틀과 거의 유사하다 기존의 연구가 규모 조사 꼼꼼한 선행 연구 검토 문

가 델 이를 거치면서 확증된 결과를 제시한 것이므로 명백한 반론의 근거가 없는 한

최 한 이를 존 하면서 비 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역에 있어서는 최 한 간결하면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존 하는 선에서 정리가

되었으며 하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련된 선행 연구 결과를 반 하여 소폭으

로 수정하 다

lt표 Ⅳ-3gt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기 능력 하 요소와 수정안

- 111 -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

도표능력

종합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

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 리

- 자기주도 학습 능력

- 신체 정서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실천

- 직업윤리

역 하 요소 정의수정의 주요

근거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이야기하는 능력

DeSeCO

극 청취 언어 정보에 집 하고 하게 이해하는 능력

독해력 문서화된 자료로부터 도출된 정보의 이해 능력

쓰기문서를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의사소통하

는 능력

어 읽기 어로 작성된 기 수 의 문서 이해

수계산 능력 수리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도표 이해능력 숫자 도표로 제시된 정보 이해 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정보활용 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핵심정보를 찾기

자원활용업무에 필요한 한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기술활용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하게 배분하고 활용하

는 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문제를 발견하고 새롭고 독창 인 해결 방안을

착상하는 능력Sternberg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하 요소에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하 요소별 정의

- 112 -

분석 사고력수렴 사고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 아이디어의 질

을 평가하는 능력

문제해결실행력제시된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시도하

는 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행동과 역할의 련성을 이

해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변화를 측하고

비 DeSeCo

사회문화이해능력 법 규칙 사회 규범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리더십 업무 수행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능력

력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고객서비스 고객의 요구를 악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자기주도 으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능력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신체의 지구력과 민첩성을 유지하며 정서 조

을 통한 자존감 행복감 유지하는 능력

진로계획 수립

실천

삶의 계획을 극 으로 수립하고 실천하고자 애

쓰는 능력

직업윤리 책임감 있고 성실하게 직업에 임할 수 있는 태도

Ⅴ 결론 논의

본 연구는 직업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작업이 아니며 기존에 직업기 능력이라는 주제 하에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 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존 하는 가운데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특히 정철 외(1998)의 연구와 진미석 외

(2007)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Weinert(2001)에 의하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함에 있어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

인 반면에 규범 근은 바람직한 이상 인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가 지속 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는 없으므로 미래 에서 직업생활에서 요구

하는 기 능력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는 것이다

- 113 -

핵심 역량의 추출하는 경험 근거가 직업생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

징이 된다는 것은 핵심 역량이 일종의 엘리티시즘에 기 한다는 의미와는 다르다 즉

소수의 탁월한 인재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직업생활을 하는 사람

이라면 최소한의 성공 직업생활을 하여 그가 종사하는 직업과 무 하게 구나 갖

추어야할 공통 이고 기본 인 특성에 한 것이다 그 다고 하여 직업기 능력이 반

드시 보 인 수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각 역량은 직업에 따라서 그것이 최소

한으로 요구되는 역량 수 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제로 한다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근이 있었으며 어떠한 합의 과정을 거치더라도

항상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의견이 있다(Weinert 2001)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사

실과 련이 있을 것이다 우선 핵심역량은 매우 다양한 수 의 일반성 는 추상성을

가지고 정의된다는 사실이다 높은 수 의 추상성을 갖게 될 경우 논의의 편리함이 있

지만 실용 차원에서 주는 시사 이 낮으며 반면에 매우 구체 으로 역량이 제시될

경우 실용성은 높지만 의도하는 바를 모두 포 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과 하 요소 한 그것이 포 하는 범 다시 말해 추상성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

다는 이다 하나의 로 자기 리의 하 요소로 포함된 lsquo직업윤리rsquo는 다시 그 아래

하 요소가 다층 으로 존재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인 반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된 lsquo도표 이해 능력rsquo의 경우 매우 구체 인 의미를 갖는 능력이다

역과 역 사이 그리고 하 요소 간 추상성의 정도에 이와 같이 차이가 있는 한 역

을 재규정하고 하 요소의 소속을 변경하거나 추가 하는 일은 지속 으로 반복될 가

능성이 높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하나 고려할 사항은 핵심 역량이 정의되는 거

틀로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이다 이와 같은 질문에 한 가치 혹은 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을 하여 그리고 개인 사회 으로 잘 기능하거나 직업

으로 성공하기 하여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성공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한 견해 차이에 의해서 요한 역량이 사소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컨 lsquo다

양성의 존 rsquo은 문화 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나라의 경우 매우

요한 역량이 된다 우리나라도 차 이러한 성향의 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아직

까지는 우선순 에서 뒤로 빠질 수 있다 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역량 추출과정에

서 락되는 험을 피하기 해서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한 합의가 도출

되고 그것에 기 하여 핵심 역량이 추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를 이루

는 과정 한 녹록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향성을 상정하지 않은 가운데

최 한 가치배제 인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해왔으며 이는 객 논의 진행에는 도움

- 114 -

이 될 수 있지만 창백한 논의가 된다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목 은 그것을 강조하는 가운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거나 스스로 그와 같은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

는 데 있을 것이다 핵심 역량에서 제시되는 인지 능력 인지 양식 감정 특징에는 상

당한 개인차가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을 통하여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는지 의

심스러운 경우가 있다 만약 학습을 통하여 변화할 수 없는 것을 기 역량으로 강조하

게 될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상당한 개인차를 사소한 것으로 치부하는 가운데 차별

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역량들이 계획된 로그램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느냐라는 사실이며 만약 그 다면 어떻게 그러한 것이 가능하겠는

가 라는 질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핵심 역량의 하 역과 요소는 이와 같은 질문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당 론 인 차원에서 요한 특징들을 나열하는 것이 각 구인에 한

명료한 이론 근거와 논리 타당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 성공 이며 바

람직한 직업생활의 모습을 어떻게 가정할 것인가에 한 충분한 성찰을 하는 과정 한

생략되어 있다는 에서 근원 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철 (1998)이 제시한 역량 모델을 개선했는지 여부는 다른 문

가들에 의해서 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가 수 에서 본격 으로 원회를

구성하여 역량 추출을 한 방향을 설정하고 충분한 실증 근거와 이론 논의를 거

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 역량 모델로서 발 되기 한 기 로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 하는 바이다

- 115 -

참 고 문 헌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한국노동연구원

권 (1998) 한국의 기업교육 사례연구 박 사

김명소 김명언 이도형(1996) 산업장면에서의 실용 지능능력 한국심리학회 산업

조직 9(1) 117-137

김정휘 주 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원미사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기용 정상택(2003)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

는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한국 농업교육학회지 36(4) 139-158

박우성(2002) 역량 심의 인 자원 리 한국노동연구원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20(2)

임창희(2003) 신인 자원 리 명경사

정종진(2004) 등학생용 표 화 다 지능검사 개발연구 아동교육학회 13(2)

정철 (1998) 직업기 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교육월보 7월호 (통권

199호)

정철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 능력의 역 분류 하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지 17(2) 15-38

정철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강경종(2000a) 직업기 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

제 연구보고서

정철 서우석 이길순(2000b)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 향상 방안

신구 학 연구보고서

정철 나승일 김종우 허 (2001) 직업기 능력 개발을 한 교육 지원 방안 우

송공업 학 우송정보 학 연구보고서

이동임 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병욱(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이수 외(2007) lsquo07년 국제성인능력측정 로젝트(PIAAC) 직무요구분석(JRA) 사업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이 (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116 -

이요행 박가열(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국경제인연합 (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경련 산업본부

조정윤 박종성 김상진 (2002) 국가직무능력표 개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

발원

진미석 (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진미석 이수 송창용(2007)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 (200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 자원개

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하 (2005)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연구 과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1(1) 15-180

한국고시회 (2008)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 한국고시회 편집부

한국인사 리 회 (2005) 핵심인재 그들은 구인가 한국인사 리 회 편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직업교육훈련 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 식서창교장홍근이종선김기헌박종성정윤경최동선(2005) 자

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천수이동임정윤경최동선정향진이주호(2006) 보건의료산업의 직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최동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

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직업교육연구학회지 26(1) 157-193

한 상 김소 김민 (2008) 수행 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에 따른 기업 인 자원

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한 인식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27(2)

137-158

황 욱 안주엽 김승택 이상민 병유(2004)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직무분석

한국노동연구원

LG 인화원 (2004) 2004 HR-체계개발

ASTD (1990)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 SF Jossey-Bass

Bernthal P Colteryahn K Davis P Naughton J Rothwell W amp Wellines

R(2004) Mapping the future Shaping new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ompetencies Alexandria VA The American Society for Traing

and Development

Canale M amp Swain M(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 117 -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Canto-Sperber M amp Dupuy J-P (2001) Competencies for the Good Life and the

Good Society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pp 67-92) Goumlttingen Germany Hogrefe amp

Huber

Gilbert JR amp Fleishman EA (1992) Fleishmans job analysis survey Social and

interpersonal abilities Fairfax VA Center for Behavaioral and Cognitive

Studies

Gonczi Andrew 2003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ey Competenci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Salganik amp M E McLaughlin 119-131

Gardner H Kornhaber M L amp Wake W K(1995)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Hipkins R (2006) The n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A background paper

Wellington Report prepared by NZCER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Hymes D (1973)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ociolinguistics J B Pride and

J Homes Eds Harmodsworth Penguin

Campbell L Campbell B amp Dickson B (2004)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이신동 외 역 『다 지능과 교수-학습』 시그마 스

2006)

Malowe H A(1986)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52-58

McLagan P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ASTD Press

Moss F A Hunt J Omwake KT amp Woodward CG(1955) Manual fo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eries social intelligence test Washington DC

Center for Psychological Service

Norman G Michael D Walter C P Richard Jeanneeret amp Edwin A

Fleishman(1995)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ONET) Content Model

Norton R E (1999)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SCID)

Workshop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ates T(2003) Key SkillsKey Competencies Avoiding the Pitfalls of Current

- 118 -

Initiativ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 Salganik and M E McLaughlin 171ndash193 Neuchacirc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ECD(2003) Beyond Rhetoric Adult learning policies and practices Paris OECD

OECD(2005) Learning a living Paris OECD

Ridgeway C L (2001) How do status beliefs develop The role of resources and

interactional experiences In J T Jost amp B Major (Eds) The psychology of

legitimacy Emerging perspectives on ideology justice and intergroup

relations (pp 357ndash277)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thwell W Sanders E amp Soper J(1999) ASTD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lexandria VA ASTD

Sternberg R J (2000) Handbook of Intelligence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rnberg R J amp Hdelund J(2002) Practical intelligence g and work psychology

Human Performance 15(12) 143-160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SCANS(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Labor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외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PSI컨설 1998)

Thorndike E L(1920)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Vernon P E (193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Weinert F E (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Zaccaro S J Gilbert J A Thor K K amp Mumford M D(1991) Leadership and

social intelligence Linking social perspectiveness and behavior flexibility to

leader effectiveness Leadership Quarterly 2 317-342

- 11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에 한 토론

권 호(삼성 기)

Ⅰ 들어가며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6개 핵심역량 제시문에 해 학문

깊이를 떠나 장에서 평소 느끼고 생각했던 바를 논거함에 있어 발표자의 제시문

내용과 토론자에게 바라는 기 치에 미흡하거나 논문작성 의도와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넓은 이해를 바란다

Ⅱ 발표문에 한 소견

1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의사소통의 요성은 조직(기업문화) 한 이해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교감을 나

타내는 요 요소라 단되며 외국어( 어)의 활용능력이 다른 항목에 비해(79쪽

92~94쪽 참조) 의사소통에 있어 요도 순 가 낮으나 개인의 보유능력과 활용의

빈도(상황)에 계없이 국제화와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 상을 감안할 때 의

사소통의 요한 Tool로서 회화능력이 요하다고 단되어 기 어 회화(읽기가

포함된 역으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국내의 기업(조직)내에서도 다양한 민족의 외국인의 채용 타문화권 타민족과의

인 교류가 증가하고 있어 어를 통한 기본 의사소통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삼성 등

기업의 경우 채용기 에 어회화능력을 시함)

- 120 -

2 인 계능력

리더십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해결 상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가진 Client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해서는 상을 조정

충능력 능력이라 정의하고 조직내외부와의 인간 계 업무에 있어

Co-Work하는데 매우 요한 역량이라고 부연코자 한다

3 정보 기술 자원활용 능력

정보활용 기술활용 자원활용 네트웍 리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못지않게 이들을 묶고 연결하고 조직목표를 한 조직내외

의 다양한 인 물 자원을 유기 으로 리할 수 있는 Network 리능력에

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앞장의 2 인 계 능력의 하 요소로도 검토

가능)

4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요하게 작동되는 능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하다고 단한 것은 옳다고 본다 격한 기술변화 시

에 능동 으로 처하기 해서는 단계별 해결능력보다 Speed가 경쟁력의

심인 상황에서 창의력을 갖고 바로 안을 찾아서 자기완결형의 실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

발표문에 따르면 맥락은 역사성의 종 인 측면과 환경은 수평 인 측면으로 큰

그림 아래서 행동하기란 표 을 살려서 사용하기로 하셨는데 제 생각엔 직업과

련한 핵심 역량을 다루는데 있어 학문 으로는 마땅한 표 이겠으나 조직이란

말이 이제는 포 개념(국가조직 사회조직 기업조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

- 121 -

안하여 조직 환경에 한 이해로 변경을 제의한다

6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신체 정서 건강유지 진로계획 수립 실천 직업윤리

진로계획보다는 평생직업 고령화 사회에 비한 생애설계 수립 실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삶은 곧 직업과의 연 성과 사회 욕구인 사회공헌( 사)이

포함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기본자질도 갖춰야 한다고 고려하 다

하 항목에 Cyber 을 추가하여 최근 사회 으로 심사로 부각되는 Cyber

폭력 댓 등의 심각한 문제가 개인과 사회 문제만이 아닌 조직 국가 인 문제

로 비화되는 실을 반 할 필요성이 있다

Ⅲ 마무리하며

국내외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살펴보면 삼성은 인재제일(People) 최고지향

(Excellence) 변화선도(Change) 정도경 (Integrity) 상생추구(Co-Prosperity) 등이

며 LG는 개방(Openness) 력(Partnership) 신(Innovation) 등이다 PampG는 리

더십(leadership) 주인의식(Ownership) 정직성(Integrity) 승리에 한 열정

(Passion for Winning) 상호신뢰(Trust) 등이고 도요타는 도 (Challenge) 개선

(Improvement) 존 (Respect) 지 물(The Actual PlaceThing) 웍

(Teamwork) 등이다

사례에서 보듯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집약하면 도 신 최고지향 정직 등으

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런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공유하고 창의 인 실

천을 유도하는 핵심 역량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업 장에서 생각해 본 핵심역량 모델

회사의 핵심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핵심역량

1 최고를 향한 열망

- 122 -

- 보수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자체에 열정

소명의식과 자부심 최고를 향한 높은 열망(Aspiration)

2 승부근성

- 웬만한 험에 노출되어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 지구력

불굴의 의지와 용기 도 정신(challenging Spirit)

3 도덕 겸양

- 뛰어난 업무능력은 기본 실력을 쌓으면서도 겸손한

외유내강형(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4 감성지능

- 기술 역량은 물론 다양성의 문화와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존 하는 인간

상호간 감성 교감을 시(다양성의사회 응력)

5 직업윤리

- 나름의 철 한 룰(Rule)을 정하고 지키는 실천의지

규율있는 행동(Disciplined Action)

6 변화의지(흡수능력)

- 충분한 사 지식을 갖추는 일과 함께 새로운 것을 극 배우려는 자세와 의욕

7 핵심가치 실천 능력

- 회사의 가치와 생각을 같이 하는 사람

- 창의력과 유연성을 갖춘 스피디한 실천력

- 123 -

진미석 외(2007) 정철영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적극적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 및 발표

토론과 중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적극적 청취

-독해력

-쓰기

-기초영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유동환(호서 학교)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통해서 삶을 유지하고 실 하고 꿈꾸고 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하거나 선택 당한 직업 역에 맞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는 그 직업에 가장

잘맞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런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세부 역량을 재분류하고

재구조화하여 명확히 살펴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어 시사 이 큰 논문이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인 4장의 2 의 표에 한 의견을 정리해 보겠다

1 의사소통

한국 인 교육 환경의 특징은 의사소통에서 있어서 소통에 한 훈련이 매우 수동

으로 이 지고 있어 이는 고스란히 직업세계로 연결되어 의사소통의 하 요소인 말하

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총 인 언어능력에 한 필요성은 매우 강조되지만 실제로

는 직업세계 속 의사소통 당사자들 사이의 역량 수 에 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상황이

다 더구나 수와 도료를 활용한 수리능력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상황은 특수한 직업세계

에서나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이른바 리젠테이션이 업무활동에서 일반화되

면서 수와 도표의 활용과 비언어 인 상징을 통한 표 의 역할이 매우 요하게 발 하

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이 단순히 의사소통 상 자들 사이의 단순 능력의 차원

이 아니라 개념의 이해 개념의 표 개념의 달이라는 총 이고 순환하는 통합능

력에 기반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창조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지식 기반 직업의 경우

그러한 역량이 더욱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한 외국어의 경우 한국 인 상황에서 그

- 124 -

대인관계 및 협력

협력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능력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협력

-고객서비스

-갈등관리

-협상

종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인식 및 해결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대안선택

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평가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적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역량이 직업인으로 성공하는 핵심요소로 표 되지만 보편 인 직업환경에서 역량의 육

성이 쉽지 않은 것 한 사실이다

2 인 계 능력

논문에서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

의 계에서 각각 리더십- 력-고객서비스를 능력으로 배치하고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 리 능력에서 우

리나라의 경우와 달리 해외 연구자들의 경우 매우 구체 으로 상 자의 얼굴과 이름

기억하기 비언어 인 심리 상태 인식 사지향성 등을 들고 있다 실제로 기업 장에

서는 이러한 구체 이고 작은 능력이지만 직업세계에서 매일 매일 만나게 되는 인

계의 상황을 호 시킬 수 있는 역량에 한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3 문제해결능력

논문에서는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

고 있다 분석-종합-해결 이라는 틀에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최근의 문지식 기반

의 직업환경은 복잡하고 긴 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IT와 CT 등의 직업 역에서 삼성

직무 성검사SSAT(직무능력검사)에서 제시한 차계획력이나 CLA의 분석추론력 등

을 참고하여 과정추론력은 매우 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 125 -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및

활용

자원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및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량적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대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및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자기관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지향적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적 자기조절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관리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신체적 정서적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및 실천

- 직업윤리

4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이 역량은 최근 요도가 증하고 있는 역임에도 의사소통능력 등 다른 부분에 포

함되는 부분이 많아서 최종 결론은 정보-기술-자원으로 요약되어 있다 다만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

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는데 결국 이는 자원-기술-정보를 취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이

러한 역량이 서로 상호 으로 연결하는 능력인 계 역량으로 발 해야 한다고 보는

에서 최근의 문지식 기반 직업 분야에서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5 자기 리능력

- 126 -

글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및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를 포 하는 측면

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직업세계에서

자기 리에 한 강조 경향은 이 역량의 요성이 앞으로도 커지리라 생각하고 직업윤

리에 한 강조는 이 역량에서 윤리지수의 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6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당 로벌 역량과 조직이해 능력이라는 항목을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으로

통합 조정한 역량이다 수정안이 조직과 로벌 역량에 한 부분은 잘 수용되어 있는

데 사회문화이해능력이라 표 하면서 최근 시되고 있는 맥락의 역사 이해 능력이라

는 부분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

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에 해서 조정하고 이를 도표로 재구조화하 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은 직업세계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임에 틀림 없다 다만 그 6개 역의 하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근의 직업세계

의 변화경향과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래 비젼에 따라 강조 이나 치 이 달라져

야 할 것이다 매우 정교하고 객 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핵심역량에서 논자가 이

야기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은 핵심역량 추출에서 매우 요한 이다 한 한국의 직업세계이라는 특수조

건에 한 고려를 핵심역량 도출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지 여기 실 으로 존재

하는 한국 직업세계의 특수성은 개개 직업인들이 가져가고 길러가고 지향해야 할 핵심

역량의 요소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 자료는 결론으로써가 아니라 과정 기 으로

계속 연구하고 논의해 가야 할 것이고 구체 인 교육 장과 직업 장에서 실제 로그

- 127 -

램을 통하여 구 할 수 있는 방안의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업에 한 정치한 사회과학 논의를 하면서 인문학을 공하고 문화콘텐츠 문

기업을 운 했던 경험을 잣 로 살펴보다 보니 특정 직업세계에 기반하여 논문의 결론

을 바라보는 우를 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밝히면서 을 마친다

- 128 -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 이공계 졸업생의 직무 수행 핵심 역량 수 의 측정과 책 -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국내 첨단기술기업을 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실제 이공계 4년제 학을 졸

업하고 입사한 직원의 직무수행과 련한 핵심역량 평가 결과 업무 련 문지식(5

만 290) 실무 능력(269)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밖에 이론 문

제해석해결 능력(305) 커뮤니 이션 능력(312) 조직 응 능력(312) 등이 부족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25

3

35

4

어학능력 의사소통능력 컴퓨터 활용능

조직적응능력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업무 지식 업무 실무 기본인성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1] 이공계4년제 학 졸업 입사 직원 평가

- 129 -

과 목 설계 공정개발 생산 장비개발 기획amp마

반도체물리 52 50 43 50 41

화학 54 51 38 46 42

공업수학 56 47 40 46 52

회로이론 55 54 39 48 52

자기학 64 48 37 45 45

자회로 51 49 38 44 46

기 기실험 58 50 34 47 51

CAD실습 56 44 29 55 53

논리회로설계 64 44 31 48 44

5246

3845 4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설 계 공 정 개 발 생 산 장 비 개 발 기 획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2] 직무별 직무수행역량 역량습득 련 학재학시 학습수

이러한 신규 지원자의 질 미흡 문제는 기업과 교육훈련기 (공업고등학교 학 등)

간의 상호 연계 시스템 미비로 인한 인력양성의 비효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

서 신규 졸업자의 질 제고를 해서는 공업 고등학교 학 교육의 장성 강화로

수요자 심의 교육이 으로 요구되는 것이 실이다

업무지식과 업무실무와 련하여 실제 직무수행과 련한 지식의 습득정도를 측정하

으나 습득율이 50 수 에 머무르고 있다

아울러 과목별로 지식의 충족도는 부분 50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lt표 1gt 교과목별 지식충족도

[ 100]

- 130 -

논리회로실험 56 50 33 48 46

혼성모드 IC설계 47 38 38 54 38

고주 소자 모델링 40 50 38 25 50

RF반도체회로설계 47 25 33 50 75

VLSI설계 46 39 44 38 43

디지털시스템이론 51 35 34 44 43

반도체공학 48 48 46 48 41

IC 로세스 54 58 38 44 39

자공학 43 50 39 39 47

반도체실험 53 53 46 46 52

반도체응용실험 52 50 47 45 50

응용 자회로 51 35 28 39 46

자회로실험 49 44 30 42 45

신호 시스템 50 48 33 41 49

자장론 50 44 31 47 47

통신실험 53 42 38 38 52

통신시스템 49 38 28 44 51

고주 공학 53 38 20 33 44

디지털통신시스템 51 34 32 45 49

고주 회로 46 33 25 42 48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문역량과 련하여 학교육과 산업체 장요구와의격차(Gap)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육이 산업체의 Needs를 맞추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빠른 기술발 추이에

맞는 선행교육이 제 로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학교육에 있어 실험실습이 차지하는 비 은 실무에서의 요도에 비하여 을뿐

더러 학의 설비구비수 이 산업계의 수 보다 뒤처져 있는 실 인 문제가 이러한 결

과를 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기 해서는 주로 자기학습을 통한 노력과 실무를 통하여

익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131 -

분류 학습격차 보충방법

반도체설계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공정개발1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생산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반도체 장비개발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자기학습노력

반도체 기획마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lt표 1-2gt 직무능력 학습격차 보충방법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따라서 학교육과 장요구와의 격차(Gap)가 큰 교과목에 한 보완 방안을 학과

산업이 공동으로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학의 경우 공과정 교육체계작성 시 반

드시 산업계로부터의 Needs 분석을 실시하고 산업계 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실질

인 반도체 교육체계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육에서 필요교과목에 한 이수 의무화하여야 한다 재 많은 학에서 공학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궤도상에서 우선 요한 조건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 요) 교과목을 제 로 선정하여 학에서 교육시키도록 해야 한다

반도체 직군별 문가 육성을 한 학 내 반도체 교과목 연계 경력 로그램운 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학에서 학과마다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때 학과 내에서도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별 문가 양성을 미리 염두에 두

고 분야별 과목연계 경력 Program 운 을 제도화하여 학생들이 학 졸업 후에는 자신

의 공진로를 쉽게 찾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 132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3 -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조 연(숙명여자 학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Ⅱ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Ⅲ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134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5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식기반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 별되는 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과거 교육 역이

아니었던 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교육 학습활동이 이루지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은 기본 인 경제자원이며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회 통합

을 한 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상되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을 얻기 한 주요

통로가 등 학교육 등의 형식 (formal) 교육활동이었다 그러나 평생학습시

의 도래로 학습의 개념과 이 보다 다양해지고 형식 교육활동 만으로는 개인

사회발 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차 학교 이외의 학습 체제에 한 심이 증 하고

있다

불과 십여 년 까지 학교교육을 통해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재 과학기술의 속한 발달과

세계화 정보화로 인한 지식의 홍수 등으로 인해 학교교육에서 학습된 내용은 성인의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에 큰 도움을 장기간 제공해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한

다 학교교육은 창의성 사회성 문성 그리고 자율학습능력을 갖춘 인 자원을 양성해

야 하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후에도 지속 인 평생학습을 통해 인 자본 축

이 으로 필요하다(김장호 2007) 더욱이 환경의 변화주기는 더욱 짧아지고 있으

며 인간의 수명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은 더욱 미래사회

에 가속화 될 망이다 즉 생애 어느 한 시 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만으로는 새로운 사

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하기란 불가능하다(강순희 amp 신범석 2002) 따라서 선진

각국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생애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큰 틀로서 평생학습사회

를 하나의 지향 으로 설정하 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 는 평생학습34)은 학교교육과 성인(사회)교육의 유기

화학 통합(한숭희 2006) 는 유아교육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노인교

육의 생애 교육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기업교육 사이버교육 등 범생애

교육을 통칭(김진화 2006)하는 것으로 모든 교육 는 학습활동의 기 이며 조직원

34) 평생교육은 제공자 차원에서 학습자의 평생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 인 활동을 의미하며

평생학습은 학습자의 계획 이고 조직 인 교수학습과정에 참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발 으로 계획하고 실

천하거나 우연 으로 경험하는 학습을 의미한다(권 2007 150)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 ( 는 제

공자)가 동시에 존재하나 평생학습은 학습자만이 존재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 136 -

리 그리고 교육의 최상 개념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의 진 여부를 떠나

그 만큼 오늘날 평생교육 평생학습의 요성과 심이 증폭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결과 으로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정부 지역수 에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

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재구조화 하는 한편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해 많은 노력들을 꾸 히 실천해 오고 있다 를 들면 평생학습도시사업 평생학습

축제 평생교육법의 면개정 평생교육진흥원설립 주말소외계층평생교육지원사업 등을

통해 평생교육에 한 국민의 심 증 를 도모하고 평생학습 참여를 한 극 노력

들을 개하고 있다 2002년 OECD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선

진국에 비해 낮은 수 이었다(북유럽 3국 536 덴마크 562 국 449 한국

172) 그러나 2007년 12월에 발표된 교육인 자원부의 개인평생학습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참여율은 298로 OECD 국가 평균 26보다 높게 나

타났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 21세기 국가발 의 핵심의제가 됨에 따라(김승보 2007) 미래

평생교육의 요성과 평생학습의 참여율은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그 다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 구성원은 어떠한 모습일까 다

시 말해서 미래 사회의 학교 외 학습 체제에서 이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역량에 한 강조는 인 자원개발과 성인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넘어 공교육의

교육과정 구성에까지 확 되고 있다(윤정일 등 2007) 즉 평생학습사회 각 부분에서 구

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악하고 이를 함양하기 한 제도 실천 노력을

개함과 동시에 미래 사회 구성원이 될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한 목 이다 이를 하여 최근 정부와 국내 교육 련

연구기 들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역량이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사회구성원의 핵심역량을 악하고자 하 다

한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 정보와 지식 그리고 네트워크의 요성을 강조하면

서 사회구성원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제시하

다 를 들면 이돈희(1999)는 의사소통능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 사고

인간 계능력 자기 리 세계 인 안목과 응력을 강조하 고 김승보(2007)는 외국어

실력 디지털실력 자기주도학습력 이문화이종교이역사에 한 열린교육을 통해 창

조성 향상 문성 의사소통능력 활동 능력 노동철학과 직업윤리의식을 제시하 다

그러나 국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은 부분 재 시 에서 특정 분

야에 필요로 하는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미래 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

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근은 미흡

- 137 -

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 개인 연구자들의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평생학습사회에 사회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언 은 주로 선언 이며 규범 근이었다

Ouane(2002)는 역량정의에 있어 규범 이고 일반 인 정의는 실제 상황과 충돌이 있을

수 있음을 지 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당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목 을 해결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 다

가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최근 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를 종합분석하여 공

통 차이 을 도출하 으며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분석하 다 한 평생학

습사회에 한 개념 정의와 특징을 종합분석하 다 특히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

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통해 이들이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

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나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DeSeCo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학교 기타 국내외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

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한 선행연구분석 결과는 국가교육과정의 개발을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다 평생교육법 평생교육제도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을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

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한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

- 138 -

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을 분

석하여 각 제도들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통해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하 요소

들을 악하 다 그리고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 을 통해

각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하여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라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시사 도출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여 2차에 걸친 문가 의회를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

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련 선행연구분석 법제도 로그램 분석에서 도출된 역량과 문가 의회

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비교 분석하 고 이 결과는 설문분석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되

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우선순 를 제시하 다 마지막으

로 도출된 역량을 하 요소에 기 하여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교육과정 체제 측

면과 교육목 내용 측면에서 시사 을 제시하 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내용을 추진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이 사용되

었다

가 문헌연구

역량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그리고 시민을 한 역량도출 평생교육법 제도와

련된 최근 문헌들을 분석하 다 이와 같은 문헌의 종류로는 역량과 생애역량 그리고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제공하는 문헌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와 특징 그리

고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공하는 문헌 시민

상 역량 도출을 한 국내외 연구보고서 평생교육법령 해설집 다양한 평생교육제도(

를 들면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의 이념 목 취지 그

리고 구체 내용을 제공하는 문헌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의 목 을 제공

하는 문헌을 분석하 다

나 명목집단기법

- 139 -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역량별 하 요소의 비 설정을

하여 2차에 걸친 문가 10인과 의회를 실시하 다 문가 의회는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 다 명목집단기법은 문가들이 모여 하나의 주

제에 한 문제나 이슈들을 식별하고 순 를 정하는 가 서열화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비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함이다(Witkin amp Altschuld 1995)

일반 인 그룹 활동과는 달리 토의나 사호작용을 도하여 구성원 각자의 독립된 의견

을 수합한 후 필요하다면 토의와 상호작용을 통해 각각의 의견을 명료화 한 후 최종

인 아이디어들과 그 순 를 매기는 활동을 의미한다 최정임(2002)은 명목집단기법이

인스토 의 창조 인 특징을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한 통제된 틀에 통합시킨 그

룹 활동으로 정의하 다 여기서 명목(nominal)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기에 집단의 상

호작용 활동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름 상으로만 집단의 형식을 취한다는 뜻이다

다 설문조사 우선순 기법

1) 설문지 개발

문헌연구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결과를 기 로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들의 갖

추어야 할 역량 하 요소들로 설문지를 개발하 다 연구진 의회를 통해 설문지

안이 개발되었으며 개발한 설문지에 하여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보하기

해서 학교수와 평생교육 장 실무자 등 문가 4인으로 구성된 문가 의회의 도

움을 받았다 문가 의회는 이메일로 설문지에 한 내용과 형식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연구진 의회를 통해 이를 반 하 다

2) 조사 상 표집 실시

본 연구를 한 조사 상 표집 그리고 실시는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었다

3) 분석 방법

설문지 분석은 SPSSWIN 12를 사용하여 분석하 다 특히 역량의 우선순 를 악

하기 하여 본 연구는 The Locus for Focus Model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 그리고

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역량에 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하

다 3가지 우선순 방법 마다 장 과 단 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기 한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 다

- 140 -

II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1990년 이후 평생학습이 경제 필요와 사회문화 이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로벌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연스럽게 lsquo학습사회rsquo 는 lsquo평생학습사회rsquo라는 용어가

화되었다 평생학습사회에 한 정의는 연구자의 다양한 에 따라서 서로 다르

게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공통된 하나의 정의로 진술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련된 연구물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는 학습사회는 어떤 모습

으로 그려질 수 있으며 이들 사회의 특징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3가지 차원

에서 살펴보고자 하 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는 월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특히 학교를 심으로 한

통 인 교육기 을 넘어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기회를 창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즉

학습이 기존 학교로 표되던 특정한 교육기 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다

Tielen(1998148)은 평생학습사회란 학습을 한 다양한 자원이 통 인 교육기 을 넘

어 가정 지역사회 기업 그리고 다른 조직들로 확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고 하 다 손

유미(2005) 역시 학습과 교육이 학교나 공식 으로 부여된 특정 장소에서만 이루어지는

사회가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삶의 공간에서 학습이 매개될 수 있는 사회를 평생학습사

회로 정의하 다 결국 월성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사회는 기존 교육과 학습의 헤게모

니를 구축하고 있는 학교교육을 뛰어 넘어 사회교육 직업세계간에 단 과 장벽이 없는

사회 체가 평생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권 2003 차갑부 2003)

평생학습사회는 공간 차원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도 월성을 강조한다 평생

학습사회는 평생에 걸쳐 시간 제약이 없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평생 언제라도 자유롭게 학습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사회(이희수 외 2000) 평생

에 걸친 학습체제가 마련되는 사회(김장호 2004)로 정의된다 결국 월성을 강조한 평

생학습사회는 시간과 장소의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사회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월성의 측면에서 평생학습사회는 학습의 양 증 를 도모

한다

둘째 평생학습의 정의에는 평등을 기반으로 한 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학습기회

- 141 -

에 있어서 차별성이 없으며 모든 국민의 생애(lifelong) 학습권이 보장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등에 기반 한 성을 강조하기 해서 많은 학자들은 lsquo 구나rsquo lsquo모든 국

민rsquo 는 lsquo만인rsquo이라는 표 을 주로 쓴다 를 들면 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김승보 amp 이주호 2007 최상덕 외 2007) 모든 국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보장해 주는 사회(권 2003) 만인을 한 사회(이희수 외 2000)

구나 배울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모든 국민이 평생 동안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지식을 생성하는 사회(김신일 amp 박부권 2005) 등으로 설명된다

이처럼 국민 모두가 평생 동안 학습기회를 자유로이 가질 수 있는 학습의 평등화와

화를 도모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분명 일부 능력 있는 집

단만의 유물이었던 학제를 심으로 한 학교 심 사회와 다르다 더욱이 형식학습을

넘어 비형식 학습 그리고 무형식 학습 등이 새로운 유형의 의미 있는 학습기제로 활발

히 인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 구나 생애 학습자로 평생학습사회의 극 구성

원이 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학제를 심으로 학교 심사회와 비교하면 평생

학습사회는 학습기회가 분배되는 패턴이 평등과 성을 기반으로 변화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 리 평가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서 강조된

다 특히 통합성은 앞에서 언 한 월성과 성의 특징을 포함하는 종합 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국민을 상으로 생애를 통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하고 장소와 시

간에 구애됨이 없이 범생애(life-wide) 차원에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함으로써 수직

수평 통합을 강조한다 김장호(2004)는 개인 조직 사회의 모든 구성체가 학습조

직화되고 상호 학습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하 다 결국 다양한

주체의 통합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 구축이 평생학습사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통합성은 생애 그리고 범생애 차원에서 발생하는 학습기회를 단순히 나열하여 교육

과 학습의 역을 넓히는 물리 통합이 아닌 평생학습의 기본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교육과 학습활동을 유기 화학 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성에

기 한다면 기존 학제의 표로서 교육과 학습을 주로 리해 온 학교 역시 평생교육의

이념으로 개 되어야 한다(김승보 amp 이주호 2007) 한숭희(2006) 역시 등 학의

학교교육과 성인계속교육의 물리 통합 추구는 결국 일종의 학교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이는 근 학교모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결국 평생학습

사회의 구 이 어려울 수 있음을 지 하 다

많은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학습을 리하고 평가하는 것

에 주목한다 를 들면 평생학습사회는 자유로이 학습기회를 선택하여 배우고 그 성과

를 히 평가받을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이며 다양한 학습의 결과가 공식 으

- 142 -

로 인정되는 사회(최상덕 외 2007)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근거로 학습자의 학력이 아닌

능력을 평가하는 체제를 갖춘 사회(안상헌 2005)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한숭희

(2006)는 평생학습사회 논의의 이론 구체화를 도모하기 해서 학습의 사회 리양

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 최근 유럽을 심으로 사회 으로 다양한 학습의 리 방

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하 다

과거 학교에 유되었던 학습은 주로 교육의 부산물로 다루어졌지만 이제 교육은 학습

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 인 존재양식을 획득하기 시작한다 과거 학교의 교

육연한으로 산출되던 한 사회의 총학습량은 이제 형식교육 비형식 교육 무형식 학습을

총 한 평생학습시간으로 체되었고 그것을 측정하기 하여 비형식 무형식 학습을

계량화하기 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모색되기 시작하 다(한숭희 2006188)

우리나라의 사내 학 학습계좌제 학 은행제 등이 유럽에서 최근 등장하고 있는 무

형식 학습에 한 학습결과 인증노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u(2007)

는 평생학습사회란 교육된 사회 교육 심사회 교육력 있는 사회가 아니라 하나의 통합

인 모델이며 그 자체임을 강조하 다 평생학습사회는 시간과 공간의 월성 모두를

한 평등에 기 한 성 그리고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의 리와 평가가 이

루어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학습은 하나의 삶의 양식이며 살기

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처럼 생활을 해 성장과 성숙을 해 학습이 일상화되는

사회로서 학습에 한 고 통 가치가 개방 생활 가치로 환된 사회를 의

미한다 결국 평생학습사회는 우리가 추구해야할 이상 이면서 동시에 실천 목표라

고 할 수 있다

나 평생학습사회에서 추구하는 구성원의 모습

평생학습사회에서 바람직한 구성원의 모습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매우 한 련이 있다 즉 평생학습사회에서 극 인 구성원이란 결국 lsquo끊임없이 학

습하는 인간rsquo(김장호 2007)이며 학습은 지식을 창출하기 한 과정으로 인식할 때 지식

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는 함께 추구해야 할 사회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평생

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모습은 결국 지식기반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간상과 같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장은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물에서 제시된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

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 한 인간상을 분석하여 제시하 다

70년 반 Faure 보고서에서는 학습사회의 인간상으로 lsquo완 한 인간rsquo을 제시하면서

- 143 -

역량 (출처의 빈도) 출처

자기주도학습능력 (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

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유 숙 외 (1999)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정보획득 활용능력 (정보문해력 정보

획득을 한 기기활용능력)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능력 포함)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력 (5)오장원 선(2004)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유 숙 외 (1999)

신체 지 정서 도덕 으로 통합된 인간을 의미한다(Faure 1972) 이와 같은 학습

사회의 인간상은 2000년 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구체 인 수 에서 언 되고 있다 유

숙 외(1999)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으로 창의 인간 자기주도

인간 그리고 실용 인간을 제시하 다 조원경과 양은주(2001)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창조와 동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창조 인간 형성이 요청된다고 하 다 박

만(2002)은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간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강순희와 신범석(2002)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모델은 신지식인이며 지식기반

산업사회에서 주체 세력은 지식근로자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 다 유 옥(2005)은 평

생학습사회에서 추구되어야 할 새로운 교육 인간상으로 성숙한 개인의식을 지닌 인간

을 강조하 다 이재분 외(2006)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으로 자율 인간 창

의 인간 학습하는 인간 직 인 인간 동하는 인간 사고하는 인간 그리고 감성

인 인간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서 요구되는 능력을

역량과 역량요소로 구분하여 종합 으로 정리하면 lt표 Ⅱ-1gt과 같다

결과 으로 가장 많은 문헌들에서 강조한 역량은 자기주도학습력이며 그 다음으로 정

보획득 활용능력과 의사소통능력으로 나타났다 한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

력 문제해결력 수리력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인

계능력 그리고 학습동기가 비교 련 문헌들에서 강조한 주요 역량으로 분석되었

다 그 외에도 학습방법능력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문해력 장 응력 자기 리능

력이 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한 국제 연구 추세

를 정리한 김남희(2004)의 결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

의 타당성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lt표 Ⅱ-1gt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

- 144 -

문제해결력 (5)김장호(2007) 유 숙 외 (1999) 박 만(2002) 강순

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수리력 (4)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Tuijnman(2003)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3)강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오장원 선

(2004)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3) 유 숙 외 (1999) 유 숙 외 (1999) Tuijnman(2003)

인 계능력 (3)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

(2002)

학습동기 (3) 김 철(199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학습방법능력 (2) 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2) 유 숙 외 (1999) 차갑부(2001)

문해력 (2) 김 철(1999) Tuijnman(2003)

장 응력 (2) 김장호(2007) 차갑부(2001)

자기 리능력 (2)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추진력 유 숙 외 (1999)

기업가정신 김장호(2007)

도 의식 유 숙 외 (1999)

사명의식 유 숙 외 (1999)

로벌마인드 김장호(2007)

인본주의정신 김장호(2007)

민주의식 조원경양은주(2001)

인내 차갑부(2001)

가피 단능력 박 만(2002)

다문화이해능력 조원경양은주(2001)

2 역량과 생애역량

가 역량

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야까지 사회

- 145 -

학 자 역량의 정의

Klemp(1980) 직무 장에서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Boyatzis(1982) 직무에서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McLagan(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련된 개인의 능력특성

Bartram(1990)KEDI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능력 작업

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 인 강제상황에서 응할 수 있는 능력

Fletcher(1991) 규정된 기 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 으로 나타나면서 비교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What one

should know)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What one should be able do)을 포

함하는 능력

Dubois(1993)삶에서의 역할을 성공 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amp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에서 거에 따르는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내 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향을 주고 업무 성과와 련성

이 높고 조직에서 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 에 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

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rsquo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역량운동으로

까지 부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조 연김재 2007) 일반 으로 역

량은 lsquo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 (잠재 )인 특성rsquo으로

McClelland(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McClelland는 통 인 학업성취도가 직무

성과나 삶의 성공을 측하지 못하며 한 인종소수자 여성 등에서는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Adams 1996) 역량의 필요성을 주장하 다 이러한 McClelland(1973)의 정의

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lsquo평균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rsquo에

을 두었다(Linkage 1997 섭 외 2008에서 재인용)

그러나 역량에 한 정의는 학자마다 그리고 역량에 한 근방식에 따라 다르다

아래 lt표 Ⅱ-2gt에서 볼 수 있듯이 학자마다 역량을 정의하는 개념은 약간씩 다르며 통

일된 개념정의는 없는 것이 실이다 즉 역량의 개념에 한 공통 인 정의가 부족하

고 각 조직마다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명명한다든지 유사한 이름의 역량을 상

이한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Brundrett 2000 김종인 외 2006에서 재

인용)는 이 재 역량 논의의 쟁 이라고 볼 수 있다

lt표 Ⅱ-2gt 역량의 일반 개념

- 146 -

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irabile(1997) 우수 성과자와 평균 성과자를 구분해 주는 지식 기술 특성

권 (1998)조직의 핵심 사업을 수행하기 해 으로 필요한 인재들만이 발휘하고

있는 고유한 역량으로서 창의성과 문성을 바탕으로 한 자질

Green(1999)직무 목표 달성에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 개인 기술에 한

증거 자료

Lucia amp

Lepsinger(1999)업무에서 효과 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Herling(2000)최소한도로 효율 이고 동시에 결과에서 효과 인 개인에의 일 되게 보여진

행동

Schippmann et al (2000)특정 과업이나 활동에서의 성공 수행 는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에서의

한 지식

송 수(2000)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이하 수 의 사람들과 차별되는 공통된

특성

OECD(2002)개인이나 사회의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거나 특정 활동이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

김태기 외(2002)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출처 오헌석(2007) 조 연 외(2007)의 일부를 수정보완함

이러한 다양한 정의들 에서도 공통 으로 나타나는 것은 역량이 어떠한 lsquo능력rsquo을 의

미한다는 것이다 즉 역량은 lsquo능력rsquo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하다고 볼 수 있다 능력

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살펴보면 can ability capability competency 등이 있

으며 각각의 의미는 조 씩 다르다 일반 으로 competency에 가까울수록 고도의 문

행동 능력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주 외 2004) 한 주 외(2004)는 lsquo학력rsquo

과 lsquo역량rsquo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lsquo학력rsquo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lsquo무엇을 배웠는가rsquo

에 근 한 개념이라면 lsquo역량rsquo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지는

지 능력 이상의 복합 인 능력으로 궁극 인 lsquo행동능력rsquo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다 이 듯 역량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개인의 능력 특성과 련된 개념이

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며 조직의 성과나 개인의 성공을 해 필수 인 개념임에는

틀림없다

한 역량에 한 근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 McClelland와

Boyatzis의 근은 미국에서의 역량 논의에 지속 으로 향을 미쳤지만 국에서의 역

량 근에서는 체로 무시되어 왔다(Brundrett 2000) Brundrett(2000)는 미국과 국에

서의 역량에 한 근은 크게 두 가지 에서 구별된다고 하 다 첫째 역량에 한

- 147 -

비교기 행동역량모형(미국) 직무성과모형( 국)

목성과향상을 한 역량개발

우수수행자의 규명

종업원의 능력진담 자격화

최소 수행수 규명

상 리자 리자 뿐 아니라 모든 상

직무 개인의 특성

(직무의 특성에서 출발)

개인의 행동 특성

(사람의 특성에서 출발)

개발 차 개인(우수수행자)의 행동 특성직무기능에 필요한 성취

표 (과정결과물)

조직의 향 조직맥락보다는 직무기능 심 조직에서 요구하는 행동 특성

방법론 다차원 방법론 합리주의 실증주의

용어의 사용 competency competence

정의의 에 있어서 McClelland와 Boyatzis가 lsquo사람(people)에 을 맞춘 반면

국에서의 부분의 근은 rsquo직무(the job)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McClelland와

Boyatzis가 우수 성과자(superior performance)를 규명하기 한 행동에 심을 둔 반면

국에서는 최소한의 역량 수 을 규명하는 데 심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미국과

국에서의 다른 근방법에 해 오헌석(2007)은 역량에 한 미국식 근은 역량을 행

동에 미치는 독립변수로 간주하는 반면 국식 근은 역량을 종속변수로 간주하여 성

과와 동일시하고 있다고 하 다 한 미국식 근법은 다차원 방법론에 기반하고 있

는 반면 국식 근법은 합리주의 실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 다 역량에

한 미국과 국의 근법을 비교하면 아래 lt표 Ⅱ-3gt와 같다

lt표 Ⅱ-3gt 역량모형의 차이 비교

출처 Garavan amp McGuire(2001)와 Wood amp Payne(1998)을 통합수정 오헌석(2007)에서 재인용

Ouane(2002313)는 역량의 본질에 기 한 근방법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하

다 첫째 세분화된 직무(tasks)완수와 련된 분 행동으로 보는 근 둘째 하나의

구체 인 job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반 인 특성을 도출하려는 근 셋째 행동과 특

성을 종합하려는 근 한 Deist amp Winterton(2005)은 역량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

하고 국가별로 근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하 다 일차원 인 역량구조는 역량을 충분

히 이해하는데 부 하며 다차원 인 역량구조가 함을 주장하면서 미국에서는 행

동주의 역량에 기능 이고 인식 역량이 첨가되고 있다고 하 다 반면 국에

서는 직업 기능 역량 모형에 인식 이고 행동주의 인 역량이 추가되고 있으며

랑스 독일 그리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역량의 차원으로 지식 기술 그리고 행동을 고려하

는 체론 (holistic) 역량 모형이 채택되기 시작했다고 하 다 아래 [그림 Ⅱ-1]에서

- 148 -

제시된 인식 역량은 지식(Knowledge)과 련되며 기능 역량은 기술(Skill)과 련되

고 사회 역량은 태도(Attitude)와 련된다 이는 보편 으로 불리는 지식 기술 태도

의 종합인 역량의 의미와 같다 그러나 Deist amp Winterton(2005)은 Meta Competence라

는 개념을 추가하여 다차원 역량의 논의에서 실제 인 역량을 획득하기 한 역량으

로 메타 역량을 정의하며 지식 기술 태도 모두에 내재되어 있는 다차원 인 역량이 존

재를 강조하 다

Meta Competence는 보다 넓은 사회과학 맥락에서 역량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Rychen amp Salganik(2000)의 설명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Rychen amp Salganik(2000)은 역

량이 지식 기술 태도 등 능력 복합체이지만 기업 등 직장에서 요구되는 특정과업만 국

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일반능력이라는 에서 역량

의 범 가 상당히 넓을 수 있음을 주장하 다(김남희 2004 6쪽 재인용)

[그림 Ⅱ-1] 역량의 유형

출처 Deist amp Winterton(2005) pp39

나 생애역량

생애역량의 개념은 lsquo생애능력rsquo 혹은 lsquo핵심기술(key skills) 생애기술(life skills) 등과

동일시되어 연구되어 왔다 에서 살펴본 역량과 같이 생애역량에 한 서로 다른 이

해와 때문에 하나의 일반 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최근 Singh(20032-3)은 몇

- 149 -

학 자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정의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

유 숙 외(2002) 생애능력 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

몇 국제기구에서 사용되는 생애역량(life skills)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UNESCO의 IBE(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은 인간이 독립 으로 히 기능

하는 데 필요한 개인 리 사회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UNICEF는 일반 으로

요하다고 여겨지는 심리사회 기술과 인 계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WHO

의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olicy(MHP) 은 문화 발 인 한 방법

에 의해 심리사회 기술을 강화하고 실습하는 것을 생애역량교육이라고 정의하 다

특히 생애역량교육은 개인과 사회의 발 건강과 사회문제 방 그리고 인권보호증진

을 목 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생애역량은 기 의 고유 목 에 따라서 다양하

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ECD는 2001년 DeSeCo 포로젝트를 통해서 생애역량을 정의하 다 DeSeCo는 개인

의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하나의 구체 상황이 아닌 폭

넓은 련된 상황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해 요구되는 능력으로 rsquokey

competencies를 정의하 는데 이는 생애역량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

다 Singh(2003)는 생애역량이란 지식 행동 태도 그리고 가치의 복합체이며 목표를 달

성하거나 무엇인가를 하기 한 know-how 그리고 기술을 포함한다고 정의하 다

국내에서의 연구를 살펴보면 유 숙 외(2002) 김안나 외(2003) 이석재 외 (2003)의 연

구에서는 lsquo생애능력rsquo을 생애를 통해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으로 정의하 는데 이들 연

구들에서는 competency를 lsquo능력rsquo으로 정의하 으므로 lsquo생애능력rsquo이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

이다 장수명 외(2002)의 연구에서도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식 기

술 태도의 집합체를 lsquo생애능력rsquo으로 규정하 다 강경종 외(2002)의 연구에서는 lsquo생애능

력rsquo을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으로 규정하 다

lt표 Ⅱ-4gt 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와 정의

- 150 -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

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

김안나 외(2003) 생애능력삶의 장으로서의 횡단 장면과 종단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으로서 한 개인이 인생을 성공 으로 살아나갈 때 요구되는 능력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한 개인이 등학생으로부터 사회인으로 성장하면서 외부환경에 잘

응하면서 바람직한 성과를 내도록 하기 한 능력

DeSeCo(2001) key competency

읽기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 기술을 넘어서서 개인이 성공 이

고 책임 있는 삶을 이끌어나가기 하여 그리고 사회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하여 요구되는 능력

EC(2000) basic skill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

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

지 까지 논의된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에 있어 매우 유사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생애역량의 개념은 역량의 개념에서 lsquo생애rsquo라는 즉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삶의

시간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lsquo생애 동안rsquo lsquo일생을 통하여rsquo 등과 같은 시간 개념을 제

외하면 앞서 논의된 lsquo역량rsquo의 개념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Quane(2002)는 생애

역량은 모든 연령 성별 다양한 지 를 월한 개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즉 시간

개념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지 와 성별의 구분 없이 구나 사회구성 이라면 갖추어야

할 상이다 김남희(2004)는 평생을 통해 각 단계별 교육이나 학습이 연계되어 습득되

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결정 이고 구체 인 능력을 생애역량이라고 정

의하 다

에서 정의된 생애역량은 평생학습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측

면에서 생애역량은 개인의 자아실 에 기여할 수 있다 소득수 이 높아지고 평균수명

이 길어짐에 따라 문화 욕구 자아실 욕구 등 높은 단계의 욕구충족이 요해

지므로 개인이 학습을 통해 특정한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실 할 것을 고무하고

있다(김태 외 2002) 평생학습사회에서 개인은 평생학습을 통해 생애주기별로 생애역

량을 개발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제2 제3의 직업을 찾아 행복한 삶을

할 수 있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을 통해 개인이 다양한 맥락에서 필요로 하는 요

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

다 DeSeCo(2001)는 생애역량이 (1)개인을 한 가치 있는 결과에 기여할 수 있고 (2)개

인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요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와 있으며 (3) 문직을

한 것만이 아닌 모든 개인을 해 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 생애역량은 사회

차원의 안정과 통합에 활용된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의 개발을 통해 사회가 바

- 151 -

라는 가치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하 다 즉 생애역량을 통해 각 개인의 필요

역량을 구축함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량을 도출함에 있어 역량활용의 목 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Ouane(2002)는

그동안 역량도출이 개인차원에 집 되면서 개인 삶의 성공에 집 되었고 이를 통해 사

회 차원의 함의를 이끄는 수 이었다고 반성하면서 역량 도출의 주된 목 은 개인의

성공과 의미 있는 삶을 한 것 뿐만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책임 수행

을 비롯한 건 한 사회생활을 한 것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김남희(2004) 역시 생

애역량은 개인 차원의 성공 인 삶과 특정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공 인 삶을 살아가

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 다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본 장에서는 최근 기 차원에서 발표된 생애역량에 한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각 연구에서 생애역량의 요소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외 보고서 가운데 DeSeCo EC 국의 교육고용부 싱가폴의 인력부를 심으로 분석

하 으며 국내 연구 에서는 유 숙 외 이석재 외 김안나 외 등의 한국교육개발원 보

고서 Kim et al 김선미 그리고 최운실의 연구를 심으로 분석하여 생애역량의 요소

들을 탐색하 다

가 DeSeCo

OECD는 핵심역량에 한 이론 개념 토 를 마련하기 한 노력의 일환으로

DeSeCo 로젝트를 시작하 으며 OECD 로그램의 하나로 1997년 말에 시작되었으

며 미국 교육부 국립교육통계센터(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의

후원을 받아 스 스연방통계청(Swiss Federal Statistical Odffice)에 의해 운 되고 있다

(윤여각 외 2002)

DeSeCo의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 경제 요

구를 반 하면서 넓은 의미의 교육 결과물과 련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능력을 의

미한다 DeSeCo(2001)는 역량(competency)을 단순한 지식과 기술 이상의 개념으로 설정

하여 로벌화와 화로 인해 빠르게 다양화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well-functioning) 사회를 실 하기 해 필요한 역량을 생애역량(key

competencies)으로 규정하 다 기존의 선진국들이 직업기 능력을 심으로 핵심역량을

- 152 -

생애역량 역량요소

도구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논의하는 것과 달리 DeSeCo에서는 삶의 다양한 국면을 포함하는 포 능력으로 생애

역량에 근하고 있다(김남희 2004) DeSeCo(2001)가 규정한 생애역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1)도구(언어 기술 등)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Use tools

interactively) (2)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3)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Act autonomously)이 그것이다 각 생애역량 별

3개씩의 역량요소를 제안하고 있다 (아래 lt표 Ⅱ-5gt 참조)

lt표 Ⅱ-5gtDeSeCo에서 정의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출처 OECD(2001) pp10-15

Rychen amp Salganik(2003)은 DeSeCo가 규정한 생애역량의 특징을 네 가지로 분석하

다 첫째 생애역량은 다기능 (multifunctional)이라는 것 둘째 생애역량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 모두 용될 수 있다는 것(transversal) 셋째 생애역량은 고도의 복잡한 지 능

력을 필요로 하며 넷째 생애역량은 다차원 혹은 다국면 (multidimensional)이다 이

를 통해 볼 때 생애역량은 특정 직무에 국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수평 이고 수직

인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에서 일반 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개

념보다 그 범 가 넓음을 알 수 있다

나 EC 보고서

EC는 2000년 보고서 lsquo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을 통해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ies)에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요성을 언 하며 basic

skill의 요성을 강조하 다 EC는 rsquobasic skill을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 153 -

EC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사회성 기술 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social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active entrepreneurships)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arn)

- 응성과 변화 처력(adaptability and corresponding to change)

-정보변화 처력(follow up the information flow)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이 능력은 모

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하는 능력이며 이를 통해 직업의 세계(Working Life) 가족

생활(Family Life) 모든 수 의 사회생활(All Levels of Community Life)에 활동 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하 다

EC에서 규정한 basic skill이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할 능력을 규정한 바 이

는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이다 EC에서는 여섯 가지의 역량을 lsquo생애역량rsquo으로 규정하 는데

디지털 문해력 외국어 능력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학습방

법의 학습 응성과 변화 처력 정보변화 처력을 포함한다(아래 lt표 Ⅱ-6gt 참조)

lt표 Ⅱ-6gt EC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EAEA11

다 국 교육고용부

국정부는 2001년까지 교육고용부(Department for Education amp EmploymentDfEE)

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1년 선거 이후 rsquo교육숙련부(DfE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lsquo로 변경되었다 국 교육고용부는 2000년 보고서 lsquoThe Learning Age를 통

해 정보화와 로벌 경쟁사회라는 새로운 시 를 맞아 rsquo능력(Skill)lsquo을 개발해야 하며 이

는 고용상태별middot연령별로 다를 수 있다고 하 다 그러나 교육고용부는 모든 사람이 기

본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basic skills) 여섯 가지를 선정하 다 이는 곧 rsquo생애역량lsquo을

의미하는 것이며 의사소통능력 수리산술력 정보활용력 동과 워크 학습기술 문제

해결력을 포함하 다(아래 lt표 Ⅱ-7gt 참조)

- 154 -

DfEE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y)

-수리산술력(numeracy)

-정보활용력(information utilizing competency)

- 동과 워크(cooperation and teamwork)

-학습기술(성과제고력)(learning skills improve the achievement)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lt표 Ⅱ-7gt DfEE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라 싱가폴 인력부

싱가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는 싱가폴의 고용과 고용 계 일터 안 과 건

강 등을 장하는 싱가폴 정부조직이다 싱가폴은 21세기 인 자원 분야의 경쟁력 강화

를 해 1999년 8월 이후 lsquoManpower 21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Manpower 21계획은

모든 인 자원 스펙트럼을 포 하는 총체 근법(holistic approach)을 도입하 다 이

를 구체 으로 실천하기 해 인 자원 가치사슬(manpower value chain)의 모든 측면

을 강조하는 인 자원 계획입안(manpower planning)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 고

역량 확 (talent augmentation) 인 자원개발(manpower development) 작업환경 환

(workplace transformation)과 트 십 재설정 등을 포함하는 6개의 핵심 략이 도입

되었다(정재완 2000)

이러한 싱가포르의 lsquoManpower 21 계획 하나인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CREST)은 모든 수 의 사람들이 변화에 응하고 지식 경제(knowledge

economy) 환경의 도 에 처하기 해 꼭 갖춰야 할 lsquo핵심능력(core skills)을 제시하

고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된 rsquo생애역량lsquo의 의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싱가폴 인력

부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생애역량은 학습방법의 학습 문해력 경청력구술 표 력 문

제해결력창의력 개인효과성 집단효과성 조직효과성 등이다(아래 lt표 Ⅱ-8gt참조)

- 155 -

MOM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ran)

문해력(literacy)

경청력과 구술 표 력(listening and oral communication)

문제해결력과 창의력(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개인효과성(personal-effectiveness)

집단효과성(group-effectiveness)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dership)

lt표 Ⅱ-8gt MOM에서 규정한 생애역량(CREST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

출처 httpwwwgovsgmomm21indexhtm

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요구되는 능력의 규명을 토 로

국가 학습목표를 재설정하며 국가 학습목표 리를 한 학습체제의 질 리 방안을

모색하기 해 2002년부터 3단계에 걸쳐 총 3년 계획으로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연구를 하 다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는 물론 직업생

활과 사회생활 개인생활을 통해 일생을 보내게 되는 국민 각자의 삶을 보다 가치 있고

질 높게 유도하려는 취지를 갖고 연구를 실시하 다

1) 유 숙 외(2002)의 연구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는 생애능력(생애역량)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국의 NIACE(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dult

Learning) 미국의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싱

가폴 노동부(MOM Ministry Of Manpower) OECD 등에서 제시한 생애능력의 분류체

계를 기 로 생애능력을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 특수 능력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 다

먼 기 문해력은 읽기 쓰기 셈하기의 3R(Read wRite aRithmetic)로서 모든 학습

과 주요 능력 향상을 해 기 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middot 등교육과정의 학

습을 해 매우 요한 생애능력으로 규정하 다 핵심능력(key skills)은 최근 지식정보

화 사회로의 환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사회 변화에 따라 그 내용과 수

- 156 -

생애단계 역량 하 역량

성인학습체제

기 문해력(문해력) ①읽기 쓰기 계산능력②ICT③외국어 능력

핵심능력(직업

기 능력)

①자기학습능력②의사소통③문제해결력 창

의력④개인 효과성⑤집단 효과성⑥조직 효과성

직업 련 능력 1

문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련 능력 2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

①구직 기술②경력계획 리 기술③재무

리 자산 리 기술

시민의식①질서의식②자원 사의식③ 동정신④도덕성

⑤국제화 의식

이 변화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핵심능력으로는 정보화 기기 사용능력 정보지식

획득 숙지 능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핵심능력

은 기 문해력보다는 한 단계 높은 문해력으로 직업 개인생활을 해 필수 으로 구

비해야 할 기본 인 능력으로 규정하 다

시민의식은 사회 자본의 육성을 한 태도이며 사회 조직생활을 한 능력요인

을 의미한다 시민의식에는 동정신 질서의식 자원 사의식 동정신 도덕성 국제화

의식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직업 련능력은 문 직업능력과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으로 구분하여 하 요소를 규명하 다 즉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직무

능력(job specific competency)을 의미하며 직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한

다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은 아래 lt표 Ⅱ-9gt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lt표 Ⅱ-9gt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과 하 역량

2) 이석재 외(2003)의 연구

이석재 외(2003)는 유 숙 외(2002)에서 생애역량으로 설정한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lsquo핵심능력rsquo의 요소를 측정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

구에서는 핵심능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연구 상으로 하

고 등학생 등학생 성인( 학생과 일반성인) 등의 학습단계별로 3가지 능력을 측정

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핵심능력의 세부구성요소는 아래 lt표

Ⅱ-10gt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 속성 의사소통과정에 포함되는 지

인지 처리능력을 심으로 세부 역량 요소로는 해석능력 역할 수행능력 자기제시능

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화능력의 다섯 가지를 설정하 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문

- 157 -

핵심 역량 세부 역량 하 역량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 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개방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타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과 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자원 악

학습실행 학습 략선정 능력 과제집착력

학습평가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제해결자의 재 상태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상태의 차이를 신속하고 효과 으로 해소

시킬 수 있는 지 이며 창의 인 능력으로 정의하 다 문제해결능력의 세부 역량 요소

로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과 실행 수행평가의 다섯 가지를 설정

하 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요소를 규정하기 해 자기주도학습을 하나의 과정(a

process)으로 정의한 선행연구들을 종합분석하여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세

가지 세부 역량을 설정하고 하 역량요소를 포함하 다

lt표 Ⅱ-10gt 이석재 외(2003)의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능력의 하 요소

3) 김안나 외(2003)의 연구

김안나 외(2003)의 연구는 유 숙 외(2002) 연구의 기 에 핵심능력과 시민의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핵심능력을 지도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4가지 하 능력요소로 구분 개념화하 다 이 연구에서는 생

애능력이란 기본 으로 한 개인의 성공 인 성과(performance)를 측할 수 있는 다양

한 삶의 국면들(개인 경제 사회 )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본 능력 수 을 의미

한다 뿐만 아니라 생애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복합

이고 종합 인 능력으로서 정규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평생학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음

- 158 -

생애역량 역량 요소 하 요소

지도력

목표달성능력 목표달성능력 자기능력개발노력

재창조능력 재창조의지 성찰능력

통솔력 리더십 표 능력 설득력

인간 계능력 사교능력 역지사지 능력 도덕성

목 의식 비 목 의식 부재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다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학습실행 자원 악 학습 략 선정능력

학습평가 과제집착력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시민의식

국가 정체성 국가의식 역사의식

신뢰 가치공유 신뢰 기회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middot책임의식 법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의식 보수 middot사회변 참여 지역사회참여

을 제로 하 다 연구들과 차별 인 것은 지도력의 포함이다 지도력은 lsquo자신의 삶

과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 사회를 효과 이고 성공 으로 만들기 해서 지녀야

할 특성rsquo으로 정의하 다

lt표 Ⅱ-11gt 김안나 외(2003)의 연구에서 설정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하 요소

바 Minseong Kim 외(2007)의 연구

이 연구에서는 역량 역을 자기 리(managing self) 타인과의 계(Relating to

- 159 -

역량 역 성인학습(Adult Learning) 직장(Business)

자기 리사회 역량

문화 역량

개인 역량

타인과의 계 동 역량

도구 리문해

직업 핵심 기술직무 구체 역량

역 하 요소

국제 이슈 이해 환경 평화 빈곤 인권 형평성 자원소비 인구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간문화성 변화감각 치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 다양성 공통성 문화 가치의 평등성 문화 편견 인식

공공성 인류공동체 공공 선 상호작용에 한 가치

다양성 다양성 용 이타성

열린 자세 열린 마음 용 숙고(reflection) 연성(flexibility)

사회 참여 심 참여 책임감

계 존 감정이입 합리성 윤리 태도

고등사고력 분석 비 종합 평가 응용

정보사용력 정보수집 처리 활용력

상호작용 능력 상 동 표 력 토론 네트워킹

others) 도구 리(managing tools)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학습상황과 직장상황에 따라 하

핵심능력(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량에 한 거시 차원의 담

론을 제시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생애역량의 방향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을 다

그러나 역량을 구성하는 하 요소들을 규명하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lt표 Ⅱ-12gt역량의 역과 성인학습 직장 수 에서의 필요 역량

사 김선미(2007)의 연구

김선미(2007)는 학생을 상으로 세계 시민으로서 요청되는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네 가지 역으로 구분하

는데 첫 번째 역은 lsquo국제 이슈 이해 문제해결 한 안 이해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rsquo이며 두 번째 역은 lsquo공공성 다양성rsquo이며 세 번째 역은 lsquo열린 자세 사

회 참여 계 존 rsquo이며 마지막 네 번째 역은 lsquo고등사고력 정보사용력 상호작용 능

력rsquo이다 아래 lt표 Ⅱ-13gt과 같이 각 역별 하 역량요소를 제안하 다

lt표 Ⅱ-13gt 김선미(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 역 하 요소

- 160 -

아 최운실(2006)의 연구

최운실(2006)은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에 한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 최운실은 1977년 Resnick amp Resnick의 문해개념 4단계를 시작으로 UNESCO

OECD를 거쳐 ASTD SCANS FEU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기 능력 모형을 분석하

[그림 Ⅱ-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

출처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제4호p 236

으며 국내 연구로는 1959년 앙교육연구소의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등에서 연구한 성인기 능력의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동

향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 함양을 해 [그림 Ⅱ-2]과 같은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를 제시하 다 최운실의 모형에는 lsquo기 능력rsquo lsquo학습능력rsquo

lsquo핵심역량amp생애역량rsquo의 세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차원의 역량요소들이 제시되어 있다

- 161 -

역량 역량요소 빈도

문제해결

갈등(이슈)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DeSeCo)문제해결력( 국 교육고용부)문제해결력(싱가폴 인력부)문제해결력(유 숙 외)문제명료화(이석재 외)원인분석(이석재 외)최 안 선정(이석재 외)계획수립실행(이석재 외)수행평가(이석재 외)문제명료화(김안나 외)원인분석(김안나 외)최 안 선정(김안나 외)계획수립실행(김안나 외)수행평가(김안나 외)문제해결 한 안 이해(김선미)고등사고력(김선미)문제해결력(최운실)단력(최운실)

분석력(최운실)

19

자 선행연구 종합 분석

이 장에서 논의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과 역

량요소를 아래 lt표 Ⅱ-14gt와 같이 제시하 다 각 연구별로 분류방법에 따라 역량과 역

량요소들의 범주화가 다양하다 한 각 연구별로 역량과 역량요소에 한 수 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종합 분석을 시도하여 명확한 역량과 역량요소를 추출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연구에 따라서 분석의 수 이 다르기 때문에 역량 역량요소 하 세부요소 등

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악하

는 것이 주된 목 이므로 하 세부요소를 제외한 역량과 역량요소 수 에서 종합 분

석을 시도하 다 이를 하여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요소 별

출처와 빈도를 확인하고 연구진 의를 거쳐 역량요소들을 공통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

의 이름을 결정하 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역량은 lsquo문제해결력rsquo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의사소통 자기주도

학습능력 동능력 민주 시민의식이 10번 이상의 빈도를 보여 상 으로 주요 역량

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정보획득 활용능력 기 문해력 인 계능력 경력개

발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외국어능력 직업능력 자기 리능력 갈

등조 능력 변화 응력 로벌마인드는 상 으로 낮은 순 의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한 의사결정능력과 재산 리는 련 선행연구들로 부터 가장 낮은 빈도를 보 다

lt표 Ⅱ-14gt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평생학습사회 생애역량 빈도분석표

- 162 -

의사소통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DeSeCo)

의사소통능력( 국 교육고용부)

경청력과 구술 표 력(싱가폴 인력부)

의사소통(유 숙 외)

해석능력(이석재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이석재 외)

자기제시능력(이석재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이석재 외)

메시지 환능력(이석재 외)

해석능력(김안나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김안나 외)

자기제시능력(김안나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김안나 외)

메시지 환능력(김안나 외)

커뮤니 이션(최운실)

15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방법의 학습(EC)

학습기술( 국 교육고용부)

학습방법의 학습(싱가폴 인력부)

자기학습능력(유 숙 외)

학습계획(이석재 외)

학습실행(이석재 외)

학습평가(이석재 외)

학습계획(김안나 외)

학습실행(김안나 외)

학습평가(김안나 외)

학습방법의 학습(최운실)

자기주도학습력(최운실)

학습동기(최운실)

성과제고 학습력(최운실)

14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DeSeCo)동과 워크( 국 교육고용부)

집단 효과성(싱가폴 인력부)집단 효과성(유 숙 외)동정신(유 숙 외)

통솔력(김안나 외)상호작용능력(김선미)워크(최운실)

집단 역동(최운실)리더십(최운실)

10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DeSeCo)질서의식(유 숙 외)자원 사의식(유 숙 외)도덕성(유 숙 외)국가정체성(김안나 외)참여의식(김안나 외)신뢰 가치공유(김안나 외)권리middot책임의식(김안나 외)공공성(김선미)사회참여(김선미)

10

- 163 -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정보변화 처력(EC)

정보활용력( 국 교육고용부)

정보사용력(김선미)

5

기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유 숙 외)

수리산술력( 국 교육고용부)

문해력(싱가폴 인력부)

읽기 쓰기 셈하기(최운실)

4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DeSeCo)

인간 계능력(김안나 외)

계존 (김선미)

인 계(최운실)

4

경력개발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DeSeCo)

경력계획 리 기술(유 숙 외)

목표달성능력(김안나 외)

목 의식(김안나 외)

4

창의력

창의력(싱가폴 인력부)

창의력(유 숙 외)

재창조능력(김안나 외)

3

다문화이해능력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김선미)

열린 자세(김선미)

다양성(김선미)

3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싱가폴 인력부)

개인효과성(유 숙 외)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EC)

3

미디어정보문해력디지털 문해력(EC)

ICT(유 숙 외)2

외국어능력외국어 능력(EC)

외국어 능력(유 숙 외)2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유 숙 외)

구직 기술(유 숙 외)2

갈등조 능력조직 효과성(싱가폴 인력부)

조직 효과성(유 숙 외)2

변화 응력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DeSeCo)

응성과 변화 처력(EC)2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유 숙 외)

국제 이슈 이해(김선미)2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최운실) 1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유 숙 외) 1

- 164 -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 속에서 성공 인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성공 인 삶이란 것이 사회 맥락과 조건에 따라서 다른 모습으로 규정되어질

수 있다는 을 감안한다면 역량요소 역시 사회 맥락과 시 환경변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에서는 학교외 학습체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생학

습사회 구 의 도상에서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서 어떤 것들이 부각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해서 평생학습사회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재 우리 사

회에서 구체 으로 실천하고 있는 정책 제도가 지향하고 있는 바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의 온 한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

소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우리 사회가 변모해가야 할 사회체제로 평생학습사회를 지 하는 것은 이제 그리 낯

선 일이 아니다 지식기반사회로 어들면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하는 문제 상

황을 효과 으로 타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개인 사회 차원에서 지식을 보유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활동이 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은 격한 세계

환경변화에 응하여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

의 개인들 모두의 삶의 질 수 을 보장하는 핵심 기제가 된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사

회체제 재구조화의 요구는 이러한 맥락과 깊이 련된다 한숭희(2006b 116)는 평생학

습사회를 ldquo인간의 학습과 교육이 학교라는 독립된 시스템 안에서 고립 으로 이루어지

는 사회가 아니라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된 사회rdquo라고 정의하 다 즉 가

르치고 배우는 삶의 양식이 사회 반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를 말하는 것이며 학교교

육에 의해서 획득되는 학력이라는 기제를 넘어서 사회 삶으로부터 기인하는 경험에서

추출되는 능력이라는 기제에 의해서 사회 가치가 배분되는 사회인 것이다

그러므로 평생학습사회는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형식이 국가나 교육제공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일방 참여에 의존하는 그런 학습활동이 만연한 사회

체제를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이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

- 165 -

따라서 끊임없이 요구되는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려는 동기가 격려되고 동시에 구체

인 학습요구가 해소될 수 있는 학습기회가 사회 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

한 상태는 곧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고 제약이 최소화된 상

태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의 다른 표 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 평생학습사회란 그 사회 구성원 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학습

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사회 구성원 모두의 학습에

한 의지와 열정이 지원받고 인정되어지는 사회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구

나 자신의 상황에 합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

시에 필요한 지식에 편리하게 근하여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서의 문제해결에

이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모습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으로서 사회 구성원들의 학습과정을 핵 요소로 간주하

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에게 우선 으로 필요한 역량요소는 무엇

이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지 까지 논의되어져 왔던 통 사회체제에서 요구하는 역

량요소와는 어떤 차별성을 갖는가 이러한 물음에 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우선 사

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의 성공 인 삶의 의미도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에

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지식의 반감기가 재보다 훨씬 길었던 과거 통사회에서

는 사회 구성원들의 안정 인 삶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원활히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즉 기본 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이 강조되었다 한 허친스가 학습사회론을 제시

한 맥락에서는 인문학 지식과 소양을 배양하는 것이 인간다운 삶을 실 하는데 요

한 요소로 간주되었다(Elias amp Merriam 2005) 그래서 고 에 한 이해력 논리 분

석 비평능력 사고능력 등이 강조되었으며 이러한 소양을 길러낼 수 있는 교육기회

와 공간이 사회 역에 편재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부각되었다 허친스의 학습사회론은

이러한 배경에서 두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평생학습사회는 지식의 생산 소비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가

치가 창출되어지는 사회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사회 구성원들에

게 요구되는 기본 인 능력은 무엇보다도 한 지식을 효율 으로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 으로 사회 구성원 각자가 생활하는

복잡다단한 일상에 상황 합성이 극 화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상황 지식(situated knowledge)의 구성능력의 요성

에 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황 지식이란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 를 벌이고 있

는 실천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Merriam Caffarella amp Baumgartner

2007) 구체 상황 속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효과 해답으로서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

- 166 -

에서 탈맥락 으로 발 되는 성격이 아니라 실천 장의 독특한 조건에 따라서 나타나

는 것이다 결국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식은 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 붙

박 있으며 상황과 분리된 지식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상황

학습을 지지하는 입장이다(Lave amp Wenger 1991) 구조 으로 학교교육으로 표되

는 형식화된 교육체제에서는 지식과 기술을 개인이 용하려는 실제 생활에서의 상황과

분리가 된 조건에서 다룰 수밖에 없는 한계에 착하게 된다 따라서 형식화된 교육체

제에서 개인들의 일상 생활에서 하는 문제 상황을 미리 측하고 이에 응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배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각

자의 다양한 삶의 조건과 필요에 해서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형

태를 스스로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그러한 소양을 갖추는 것이 건이

된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를 상황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치환하 을 때 사회 구성원으로

서 개인 스스로 자신이 처한 구체 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한 지식과 기술을 구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며 이는 구성주의 에서 보았을 때 개인들의 학습능력

을 강조하는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개인의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하는 문제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와 규범 사회 기 를 간 하여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나름 로 규명할 수 있는 성찰능력의 강화 그리고 문제를 기

존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실 으로 효과 이면서 타당한 안을 도출해낼 수

있는 창의 문제해결 능력에 한 강조라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학습의 과정이 편

재되어 있는 평생학습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끊임없는 상황 합 지식의 생산 가능성은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제가 재

편되는 가운데 부각되는 요소이자 학습의 일상성에 해서 재조명하는 평생학습사회체

제에서 더욱 진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 으로 이러한 평생학습사회로

의 사회체제 재구조화 노력은 결국 개인 차원의 평생학습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차

원의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구동하는 것으로 구체 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런 에서

다음 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러

한 정책들과 련하여 수혜자들로 상정되는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

하고자 한다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가 평생학습도시

- 167 -

평생학습도시란 개인의 자아실 사회 통합 증진 경제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

으로 개인의 삶의 질 제고와 도시 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 도시 재구조화

운동이다 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변화시도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

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목 을 갖는다 결론 으로 평생학습도시는 지역 시민에 의한 시민을 한 시민의 지

역사회교육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1999년 경기도 명시가 우리나라 최 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 으며 2001년 경기

도 명시 유성구 북 진안군이 우리나라 최 의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재 76개 기 지방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어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일

정한 지역을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로 재구조화함으로써 개인의 학습참여 가능성을 진

하고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 을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구체 으로 평생학습도시

는 세 가지 목 을 염두에 두고 실행한다(한숭희 2006b)

첫째 지역주민의 자아실 이다 개인의 배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개인

이 살고 있는 생활터 인 지역에서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을 통한

자아실 을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경쟁력의 제고이다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하고 그들의 역량 증진을 통해서 생동하는 지역을 만들고 지역문화와 경제를 성장시키

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 통합의 증진이다 평생교육이념과 방향성을 도입하여

지역내 소외계층의 학습기회를 보장하여 이들이 교육과 학습을 통한 자생 성장가능성

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지역주민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주민자치의 활성화이다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에 한 지역주민의

자발 인 참여와 이런 문제의 해결을 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해서 주민간의 교류와

력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배양을 기 할 수 있는 것이다

나 학 은행제

학 은행제란 ldquo학 인정 등에 한 법률rdquo(법률 제6434호)에 의거하여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 으로 인정하고 학

이 되어 일정한 기 을 충족하면 학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 으로 열린교

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 하기 한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2008)

1995년 5월 통령직속 교육개 원회는 열린 평생학습사회의 발 을 조성하는 새로

운 교육체제에 한 비젼을 제시하면서 학 은행제를 제안하 으며 학 인정등에 한

법률 등 련법령을 제정하고 1998년 3월부터 시행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4)

- 168 -

학 은행제도는 다양한 고등교육기 에서의 경험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규 학교 시간제 등록제 원격 학 문 학의 심화과정 특별과정

독학학 제 문하생 학력인정제 국가기술자격 기타 국가자격 제도 등 고등교육 단계

의 많은 제도 기 과 연계되어 있으며 각 제도의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 에서 학 은행제도는 고등교육의 여러 제도를 포 하는 네트워크형 포

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백은순 2007)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 은행제는

정규 학교육으로부터 어떠한 이유로든지 소외된 집단이 학 학력을 취득할 수 있는

안 기회로서 의미가 있다 한 사회의 여러 교육기 에서의 교육경험에 한 인정

을 제도화함으로써 학교교육과 학교외 교육 부분을 균형 으로 인정하는 의의를 가진

다 이러한 학 은행제를 통해서 개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습경험 인정을 통한 평생학

습권이 보장될 수 있으며 사회 으로는 학교교육과 학교외교육의 상호연계를 강화함으

로써 평생학습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기틀이 된다

다 학습계좌제

학습계좌제의 기본이 되는 교육계좌제는 국민 각자가 학습한 결과를 평생학습 계좌에

등록하여 개인별 평생학습 경력을 리하는 제도를 뜻한다 교육계좌제는 성인에

국한시켜 성인들이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고유 평생학습계좌에 자신이 학습한 모든 종

류의 공식 비공식 학습 경험 에서 소정의 기 을 충족하는 경험을 수록하게 하여

리하게 함으로써 이를 학 이나 학 는 취업이나 승진 등 사회직업 경력 형

리 자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학교에서의 교육경험뿐만 아니라 학교외의 다양한 교육참여 경험도 개인의 지식

과 기술수 을 평가하는데 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계좌제란 통

으로 요하게 강조하 던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수한 경험뿐만 아니라 정규교육

과정 이후 수행한 다양한 학습의 결과를 체계 으로 기록하고 학력자격 등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재 우리나라에는 학교교육 이외에서 획득한 학습경험을 리 인정하는 제도

로 학 은행제와 독학학 제가 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제도는 모두 고등교육

수 의 학력을 인정하는 안 제도로서 의미를 가지며 고등교육수 을 넘어서 개인

의 생애 반에서의 학습활동을 포 으로 다루는 제도로서 학습계좌제의 의의를 모색

할 수 있다(변종임 2007) 학습계좌제가 운 되기 해서는 학교외 교육기 의 수업 결

과 자격취득 시험합격 결과 장업무경험 논문 포트폴리오 등 학습결과 평가인

- 169 -

정 등을 통해서 개인의 교육경력을 체계 으로 인정 리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구나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를 통하여 개인의 소질과 능

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공식 교육경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범 으로 운 을 실시하여 2015년에 제도화할 계획으로

되어있다 그 운 계획은 기존에 논의되었던 교육계좌제를 개편하여 학습결과 평가 인

정 기능을 추가하고 학 은행제와 연계하여 학 취득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라 독학학 제도

독학학 제도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정규학교를 다니지 않고도 자학에 의하여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독학자에게 학사학 취득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 하고 개인의 자아실 과 국가사회의 발 에 기여함을 목 으로 국가가 시

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학 를 수여해 학에서 취득한 학 와 동등한 우를 받는 제도

이다 독학학 를 취득하기 해서는 4단계 과정의 시험을 거쳐야 한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2008)

제1단계는 학의 교양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일반 으로 갖추어야 할 학력수 을 평

가하는 교양과정 인정시험이며 제2단계는 각 공 역의 학문을 연구하기 하여 각

학문 계열에서 공통 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공기 과정 인정시험이다

제3단계는 각 공 역에 하여 보다 심화된 문 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공심화과정 인정시험이며 마지막 4단계는 학사학 취득 상자로서 갖추

어야 할 소양과 지식 그리고 기술을 종합 으로 평가하는 학 취득 종합시험이다 4단

계 과정을 모두 통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독학학 지원자가 학 문

학에서 학습한 내용이 독학학 취득시험에 설치된 공분야와 그 학문 성격이 유사

한 경우 응시자격에 따라 2단계 는 3단계를 수료한 것으로 인정해주고 있다(한숭희

2006b)

재 독학학 제는 학습자들이 순수하게 능력에 의하여 열린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

과 학습자의 능력을 어느 정도 검증할 수 있다는 제도로서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하

지만 학 은행제의 도입으로 학습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로 인한 운 의

비효율성 인문학 분야 치 이라는 단 을 지니고 있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

센터 2008)

- 170 -

마 역량 요소 탐색

지 까지 재 우리나라에서 을 두고 있는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 제도의

방향 의도 형식 등을 검토하 다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들은 나름 로의

특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지만 그 기 에 공통 으로 세 가지 원리 혹은 가정을 제하

고 있다 자발성 다양성 력성의 원리로 정리될 수 있는 평생학습 정책과 제도를 안

내하는 원리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발성의 원리는 정책에의 참여가 개인의 자율 인 단과 의지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궁극 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개인이 리기

하여 국가나 특정 사회집단이나 단체에서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학습요구와

지원체제를 표 화하여 제단하지 않는다 한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한 개인

의 참여를 강요하지 않는다 학 은행제도나 독학학 제도의 잠재 참여 상자들에게

언제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가 열려있을 뿐이며 그 기회에 근하는 것은

으로 참여자 자신의 선택과 의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자신의 삶의 모습을 보다 더

성공 으로 이끌어가기 해서는 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필요한 학습요구가 무엇인지

스스로 악하고 그에 따른 하다고 단되는 정책에 자발 인 참여가 요구되는 것

이다

다양성의 원리는 개인의 성장과 자아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 과 통합이라는 결

과를 이끌어내기 해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자원과 지원체제를 결집하는

것을 말한다 학교교육의 맥락에서는 학교라는 공교육 제도의 범 안에서 학생들의 학

업성취수 을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 을 둔다 물론 사교육 형태의 교육경험이 발생하

고 있기는 하지만 여 히 학교교육과정이라는 공식 체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표 내

용 형식 그리고 결과와의 긴 한 련성을 제하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시도하는 정책들은 특정한 형식이나 내용에 국한하여 참여자들의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의 생애 단계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내용

을 종합 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력성의 원리는 평생학습 련 정책이 의도하는 효과를 기 하기 해서는 참여자의

개인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참여자간의 지원과 력 그리고 참여자

들에 한 사회 차원의 지원과 력이 제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평생교육은 교

육기회를 제공하는 형식과 구조에 한 논의보다는 교육을 통해서 기 할 수 있는 개

인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체의 차원에서의 결과의 내용과 의미에 해서 일차 인

심을 갖는다 따라서 가정 지역사회 일터 그리고 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회공간과

제도들은 구성원들의 학습을 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학습이라는

- 171 -

역량요소 개념

자기조 능력평생학습 련 정책과 사업에 참여하는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 행 를 심으로 사회 역이 상호 연계되어질 때 가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평생학습 련 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자발성 원리 학습내용의 다

양성 원리 그리고 사회 지원체제의 력성 원리를 고려하 을 때 정책의 수혜자로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기조 능력은 자신이 재 처한 여건에서 평생학습 련 제도 서비스에

참여하고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 제도 지원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 심리 환경 조건을 스스로 조 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리 능력이란 개인 스스로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

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활 가운데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 가운데 자

신의 상황에 합한 정보를 검색 단 활용하는 것은 평생학습을 통한 궁극 인 자기

발 을 효율 으로 추진해 가는데 있어서 요한 요소가 된다

셋째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은 자신이 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을 가

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검증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문제

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문제정의 근 방식을 넘어서 문제가 터해있는

제조건이나 가정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악하고 근할 수 있는 능력

이다 이는 개인에게 제공 되어지는 각종 지원을 창의 으로 원용하여 보다 효과 인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 력 능력은 공동선을 지향하는 평생학습의 이념과 련하여 개인

이 갖추어야 할 사회 책무를 구 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평생학습 서비스 삶의 다양한 상황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 필요한 물 정보

행정 지원을 하게 요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인의 요청에 지원해 수 있는 능

력인 것이다

lt표 Ⅲ-1gt은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하여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청되는 역량요소

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1gt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된 역량요소

- 172 -

정보 리 능력

개인 자신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 문제정의 분석 능력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

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

의사소통 동 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물론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의 특성을 감안하 을 때 이상의 네 가지 역량요소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역량요소의 부는 아니다 이외에도 자체의 속성상 역량요

소라고 분류할 수는 없으나 평생학습사회를 구 해가는 각종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수혜자로서 생활하기 해서는 시민의식이나 다문화 포용성과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으

로서 타자를 인식하고 배려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는 개인

에 한 존 을 기본 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상 인 사회모습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개인들이 함께 모여서 상호 학습을 진하고 지원하는 형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체성이라는 태도 측면을 개개인들이 내면화한 조건을 바탕으로 하여

앞서 살펴본 네 가지 역량요소를 충실히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정책과 제도의 독특한 성격과 목 에 따라서 부가 인 능력 요소들도 함께 강조되어

져야 할 것이다

3 평생교육 로그램

가 로그램 유형의 통 분류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 다양한 개념범주들이 존재하고 있다 보다 체계

인 평생교육 로그램의 개발 보 그리고 운 을 해서는 로그램에 한 합리

인 분류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는 국내외 여러 학자들이 논의

한 바 있다 Boyle(1981)은 평생교육 로그램이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개발형 로그

램 제도형 로그램 그리고 정보형 로그램으로 구분한 바 있다(기 화 2001 김진화

2005에서 재인용) 먼 개발형 로그램(developmental program)은 개인 집단 지역사

회의 요구와 문제에 근거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을 일차 인 목 으로 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즉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여 이들의 상황을 개선하는

데 주안 을 두는 로그램인 것이다

둘째 제도형 로그램(institutional program)이란 개인의 기 능력 지식 기술 등을

- 173 -

향상시키기 하여 제도화된 로그램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

는 문제나 요구에 기 하여 로그램이 운 되는 것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필요 그러나 문가의 에서 학습자 차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하여

제도 으로 로그램을 운 하는 것을 말한다 로그램 개발 문가와 내용 문가에

의해서 개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의 문교육 로그램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정보형 로그램(informational program)은 정보의 확산과 달이 핵심 목 이

되는 로그램 유형이다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즉각 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실행 후의 체계 인 평가활동이 없

는 것이 특징이다 Boyle의 로그램 구분은 로그램이 궁극 으로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구분하 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

하고 있는 단 이 있다 한 학습자 차원에서 기 할 수 있는 로그램 참여 효과

의의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회 효

과에 한 언 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참여자의 특성

에 따른 상이한 요구 그리고 그를 고려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형식과 목 그리고 효

과를 포 으로 언 하는 로그램 유형화 작업이 필요하다

나 로그램 유형의 안 분류

통 인 로그램 유형 분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안 분류를 시도함에 있어

서 Usher Bryant amp Johnston(1997)의 경험학습의 종류에 한 논의는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해 수 있다 Usher 등은 형식과 목 에 따라서 경험학습의 유형을 구분하 으

며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의 기 은 평생교육 로그램의 구분에 있어서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자의 개인 자율성의 표 과 사회 존재로서

응이라는 축과 사회 심과의 련성 정도라는 축의 교차를 통해서 라이 스타일

(lifestyle) 직업능력(vocational) 비 (critical) 자아표 (confessional)의 네 가지로 구

분하 다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 기 을 원용하여 평생교육 로그램은 로그램의 내

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의 두 가지 기 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우선 로그램 내용 범주에 따라서 개인 심과 련한 로그램과 사회 응을

돕는 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기 은 로그램이 개인의 삶의 질 만족을 한

개인 심과 흥미에 을 맞추어 구성되는지 아니면 개인이 사회 으로 수행해야

할 직업 지 역할 책임과 련하여 발생하는 응 요구에 맞추어 구성되는지에

따라서 로그램의 내용을 구분하는 기 이 된다

로그램 효과 범주에 의해서는 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개인이 습득하는 효과가 개

- 174 -

로그램 내용

로그램 효과개인 표 심 응

개인 개인 소비형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

조직 사회 사회 참여형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

인 만족과 흥미에 국한하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이 속한 조직 혹은 사회의 개 과 변

화에 정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차원으로의 효과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서 구분될 수 있다 로그램 내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에 따라서 평생교육 로

그램은 아래의 lt표 Ⅲ-2gt와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lt표 Ⅲ-2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분류

첫째 개인 소비형 로그램은 일반 시민으로서 개인의 흥미와 심을 표 하고 충

족할 수 있는 로그램들로서 여가활용을 통한 스포츠 취미 자유교양 로그램들을

말한다 이러한 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되는 교육내용은 새로운 경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목 보다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 재정 여력을 소비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향유하는 것에 을 맞추는 것이며 그런 에서 소비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개인 개발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 존재로서 안정 삶을 하기 해

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는 로그램들을 말함 즉 개인이 갖는 지 와

역할 - 주부 직장인 학생 등 - 의 효과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내용을 습득하기 한

것이다 주로 성인문해교육 수학 자녀교육 가정생활 련 로그램들이 여기에 속한다

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국어 컴퓨터 활용능력 등과 같이 특정한 직무수

행수 의 개선과는 직 련은 없지만 개인의 생애 반에 걸쳐서 잠재 으로 정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자기능력개발 련 로그램도 이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셋째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

나 조직의 상황이나 문제에 한 학습자의 의식 각성을 도모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 의식화된 조건을 바탕으로 자신이 여하는 사회 문

제를 독자 으로 해결하려는 자율 참여 속성을 진하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로그램이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 유형에는 비 리 시민사회단체에서 운 하는 로그

램들이 속하는데 체로 독자 시민으로서 개인의 가치와 생각을 형성하고 심화하는

것에 을 맞추며 교육 참여의 효과는 사회체제의 개선 개 을 부각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 응형 로그램은 주로 직업과 련하여 개인의 업무수행수 의 증진을

- 175 -

로그램 유형 정의

개인 소비형 로그램개인의 시간 경제 여유를 활용하여 개인 심과 요구충족을 돕

는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개인이 담당하는 사회 역할의 효과 수행을 돕기 해서 직업내용과

직 련이 없는 개인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로그램

사회 참여형 로그램사회 문제에 한 개인의 의식수 을 제고하고 사회개 의 주체로서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진하는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직업과 련한 능력향상을 지원함으로써 지속 고용 가능성을 제고하

고 사회체제 안에서 안정 삶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로그램

지원하거나 지속 고용가능성을 신장하는 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다 사회 응형

로그램은 경제 가치창출을 돕는 직업훈련 각종 직무연수 기업교육 로그램 등이 포

함되며 재의 사회체제의 구조 조건 하에서 안정 삶을 하는데 을 맞춘다

는 에서 사회체제 자체의 변화를 모색하는 사회 참여형 로그램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제시한 네 가지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lt표 Ⅲ-3gt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lt표 Ⅲ-3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의 개념

다 역량 요소 탐색

평생교육 로그램들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 잘 실행되어질 수 있고 그럼으로

써 각 로그램 유형에 따라서 차별 으로 나타나는 로그램 목 이 효과 으로 달성

되어질 수 있기 해서는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을

발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 까지 살펴본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고려하 을

때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능력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명확한 목표수립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명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능력은 자신

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평생교육의 맥락에

서 학습자 스스로 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무엇을 의도하는지 명확하게 인지

하는 것은 한 유형의 로그램을 탐색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인 요소가 된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할 지식 기술 혹은 태도의 요소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작업을 통해

서 재 혹은 미래에 참여하게 될 로그램의 내용이 자신에게 타당한 것인지 단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로그램 참여효과에 한 기 수 도 조 할 수 있게 된다 한

- 176 -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에 한 명확한 인식이 제된 상태에서 로

그램에 참여하 을 때 학습자의 로그램에 한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조 능력이 요청된다 자기조 능력은 교육활동에 한 학습자의 책임의식

학습활동에 한 주도 단능력과 련된다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운데

학습자 상황 기 의 특성 그리고 개인의 내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참여 장애요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하는 기

의 지원노력도 매우 요한 요인이지만 근본 으로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 자

신의 자발 인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개인의 속성

은 자신의 조건에 한 통제와 조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자신의 물리 심리 상황 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해서 참여행 를 스스로 조

하는 능력이 강조된다

셋째 의사소통 동능력이 필요하다 의사소통과 동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력이다 부분의 평생교육 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은 개발 과정에서 성인학습의 원리에 의거하여 조직된다 로그램 참여자들의 자

기주도성을 존 하면서 학습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생활의 경험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참여와 실행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구체 인 경험을 할 수 있

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강조된다 그래서 교수자의 일방 강의 주의 교육보다는 학습

자들 상호간의 토론 력 과제해결 학습자의 자기평가 등이 추 인 요소들로 포함

된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 을 때 학습 효과는 동료 학습자들과

의 원만한 의사소통과 력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이 갖추어질 때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 참여 실천능력이 요구된다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이란 사회 문제

와 안에 한 문제의식과 심을 바탕으로 보다 진보된 사회를 구 하기 하여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구체 인 실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로

그램 참여를 통해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변화를 해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 효과 이고 지속 인 평생교육 참여를 진하기 해서는 학습자들이 로그램을

통해서 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즉 비슷한 분야에 심을 가지고 있는 동료들과 자발 인 학습동아리를 조직하여

학습내용을 심화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자원 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역에 참여하여 학

습을 통해서 개발한 자신의 역량요소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경험을 사회 참

여형태로 확장하고 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내 학습동기가 진되어질 수

있다 한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은 학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이 지역사회의 발 에

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평생학습의 이념을 실 하는 석이 된다

다섯째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 177 -

역량요소 개념

목표수립능력로그램과 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

자기조 능력로그램 참여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

사회 참여 실천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미디어정보 처리 활용능력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

활용능력은 교육 으로 활용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의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활동은 통 으로 활자화

된 텍스트나 음성언어를 매개로 해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

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효율 으로 달하려고 하게 되며 평생교육

로그램에 있어서도 각종 테크놀로지를 부분 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사이버 교육과

같이 테크놀로지에 온 히 기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문해능력은 오늘날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서 개인이 달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술의 속성에 따라서 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타인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측면에 있어서 불가결

한 능력으로 부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여 로그램의 효과를 극 화하기 해

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

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로 요약

된다 그리고 이상의 다섯 가지 역량요소는 궁극 으로 로그램 참여과정 속에서 하

는 과제 즉 문제를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lt표 Ⅲ-4gt는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성공 인 참여와 련하여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4gt 평생교육 로그램 참여를 한 역량요소

결과 으로 이상의 다섯 역량 요소를 기본 으로 갖추었을 때 로그램 참여를 통해

서 학습자 개개인은 성공 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유용한 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개인

존재로서 갖는 독특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된 가치창출도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178 -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지 까지 평생학습사회의 주요 정책과 제도 그리고 평생교육 로그램의 성격과

련하여 참여자로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회에서는 실 으로 실질 인 의미를 지니면서 동시에 활용가능성이 극 화된 지식

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 사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 사회 흐름을 고려하 을 때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

제의 재구조화는 개인의 상황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지원하는 사

회 실천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은 편재화 된 학습기회를 매개로 시 창의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속 으로 제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체 인 실 은 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평생학습지원 정책과 제도의 원활한 구동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

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효과 으로 작동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

들이 정책과 제도가 포함하고 있는 활동들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

다 이와 련하여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

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 역량요소를 핵심 인 사항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네 가지 역량요소가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지향하는 이념 방

향성과 부합될 수 있기 해서는 시민의식 다문화에 한 포용성과 같은 태도 요소

도 함께 배양될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 실 의 토 가 되는 정책과 제도는 사회 구성원 개인들에게는 주로 구

체 인 그러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는 로그램의 형태로 제시가 된다 그

래서 개인들은 각종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교육 참여를 실 할 수 있게

되며 평생학습과 련한 지원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련해서 악할 수 있는 평생교육 로그램 참

여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로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가

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역량 요소에 한 배양을 통해서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사회의 사회 경쟁력

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과 더불어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안정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도 함께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179 -

IV 결과 분석

1 NGT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의 요소를 규명하기

한 목 으로 명목집단기법(NGT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여 문가들로부

터 다양한 정보와 단을 얻고자 하 다 Witkin amp Altschuld(1995)의 NGT 실시기법에

따라 NGT 실시 문가 집단에게 제시할 명확한 질문을 비하 다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평생학습사회에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를 먼 악하고자 하 다 따라서 평생교육 분야 문가로 구성

된 문가 집단(아래 lt표 Ⅳ-1gt 참조)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 에 부합하는 의견을

얻고자 연구진들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NGT를 실시하 다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일반 시민이라면 갖추어야 할 생애역량 ( 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

NGT실시에 앞서 참여 조에 한 유선 연락과 함께 공문을 발송하여 본 연구의 목

과 의의를 소개하고 의 질문에 해 미리 생각해올 것을 당부하 다

lt표 Ⅳ-1gt NGT 문가(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학교기 연구기 문가) 명단

구 분 성 명 소속 직

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문가

송병국 순천향 학교 교수

정민승 한국방송통신 학교 교수

강 서울 학교 교수

이경아 평생교육진흥원 연구 원

가 NGT 실시

NGT는 2008년 8월 21일 숙명여자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소요시간은 약 2시간이었

다 참석한 평생교육 문가들은 미리 제시된 질문들에 해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었

다 NGT를 본격 으로 실시하기 이 에 NGT집단 리더는 생애역량에 한 개념정의를

- 180 -

공유하고 이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rdquo라고 질문하 다 약 2시간에 걸친 NGT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은 일반

인 NGT 4단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되었다(최정임 2002)

① 1단계(Generating Ideas) 집단의 리더가 문제의 주제나 로세스를 주고 구성원

들에게 이에 한 아이디어 제시를 요청한다 이때 구성원들은 주어진 문제에 해 각

자의 아이디어를 혼자서 독립 으로 기록한다

② 2단계(Recording Ideas) 집단 구성원들이 개별 으로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인스토 방식을 활용하여 발표하고 기록자는 칠 는 벽면을 이용하여 집단 구성원

들의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이때 어떠한 토론이나 피드백도 허락되지 않는다

③ 3단계(Discussing Ideas) 기록된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평가하기 해 구성원들

의 토론을 실시한다 이때 내용 는 의미가 비슷한 아이디어는 참가자의 원 동의를

구해서 제외 는 수정하고 보다 큰 개념을 사용하여 묶는다 이때 큰 개념은 본 연구

에서 역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④ 4단계(Voting on Ideas) 단계에서 정리된 아이디어들을 놓고 구성원들 각자

우선순 를 매긴다 그런 다음 종합 으로 그룹 내에서 이 결과에 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해 낸다

본 NGT에서는 1단계부터 차례 로 4단계까지 실시되었다 4단계는 아이디어의 우선

순 를 결정하기 하여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 어 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요도 1 2 3 4 5순 를 결정하여 1순 는 5개 2순 는 4개 3순 는 3개 4

순 는 2개 5순 는 1개의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 다

나 NGT 실시 결과

국내 평생교육 분야 문가들로 구성된 NGT 회의를 통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을 심으로 풍부

한 정보를 얻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GT 우선 순 결과

가) 자기주도학습력

NGT 결과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에게 있어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

습력이 제시되었다 이는 성인이 평생학습사회 삶의 모든 장면에서 스스로 학습을 이끌

- 181 -

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진로개발 경력개발과 같은 역량과도 한 계

가 있다 즉 Lifelong Learning이라는 말이 의미하듯 평생동안 학습을 해야 하는 평생

학습사회의 성인에게는 학습을 자신이 주도하여 계획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기주

도학습력이 무엇보다 필수 이라는 것이다

나) 지식정보활용능력

일반 으로 지식과 정보는 유사한 개념이다 하지만 본 NGT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생

산과 소비의 개념과 같이 다르다는 의견이 나왔다 NGT에 참석한 문가 에서도 지

식과 정보는 동일한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문가도 있었지만 이는 일반 시민의 입장에

서는 지식이 곧 정보이고 정보가 곧 지식으로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NGT에 참

석한 다른 문가는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것이 되어야 지식이 된다고 주장하며

미래 평생학습사회 상황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다른 개념으로 근해야 함을 주장하

다 따라서 지식정보활용능력이라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지식정보활

용능력은 새로운 기술에 한 개방성을 갖고 지식을 활용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리하

고 활용하는 능력은 물론 정보공유에 한 감수성과 정보문해력을 포함하는 능력이다

다) 공동체의식

공동체의식은 공동체를 한 희생과 조직(공동체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나아가 자치활동에 한 감수성을 포 하는 능력이다

라) 생활문해력

생활문해력은 포 의미의 문해능력은 물론 최소한의 의사소통 도구 습득 활용능력

과 함께 어 일어 국어 등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생활 외국어 활용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국민의 13 정도가 외국인이 길을 물어볼 때 기본 으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한 이는 운 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기 기술(skill)까지도 포

함하는 즉 기술문해력을 포 하는 개념으로서 삶을 하는 데 기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한다

마) 사회정치 참여

사회정치 참여능력은 정치시민으로서 정치 심을 갖는 능력과 함께 민주시민

성을 갖추며 정치 단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사회활동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능

력과 함께 논술과 논리 말하기와 같은 사회 의사결정 참여능력을 의미한다

- 182 -

바) 인 계력

인 계력은 응과 배려 용의 자세를 갖추어 타인을 신뢰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 자기성찰력

자기성찰력은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으로서 객 으로 자신을 평가하

고 분석하는 능력과 자신의 행 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아)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은 비단 국 이 다른 다문화를 의미하는 것을 넘어 세

간 화능력과 다문화에 한 이해력을 의미하는 능력이다 즉 소극 의미로서 국 이

다른 다문화가정의 개념을 넘어서는 포 의미의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을 의미

한다

자) 창의 사고력

창의 사고력은 유연한 사고력과 함께 개방 사고를 갖추는 능력으로서 새로운 지

식과 기술에 해 개방 인 자세를 취하고 편견과 고집을 버리고 유연한 사고를 갖추는

능력을 의미한다

차)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에 한 감수성은 환경문제에 한 단력 환경 자연 생태계에 한 이해력과

지식을 포함하는 능력은 물론 감수성까지 포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카) 술 감수성

술 감수성은 술 활동에 한 람과 심미능력 술향유능력과 함께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과 즐길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타) 돌 능력

돌 능력은 타인을 보살피고 소외 계층에 한 배려능력과 함께 자원 사를 실천하

는 능력을 의미한다

- 183 -

순 내용 우선순 Rating

1 자기주도학습력

2 지식정보활용능력

3 공동체의식

4 건강 리력

4 생활문해력

6 진로개발능력

7 사회정치 참여

7 인 계력

7 자기성찰력

10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11 창의 사고력

11 환경에 한 감수성

13 술감수성

14 돌 능력

14 재산 리

사회조망능력

갈등조 력

추진능력행

의사소통력

의사결정능력

높은 도덕성

조하는 능력

지식창출

사회변화 측

조망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부모역할

네트워킹

유머

변화주도능력

시간 리

lt표 Ⅳ-2gt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우선 순

- 184 -

역량 역량 요소

문제해결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실행

수행평가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고등사고력

단력

분석력

의사소통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환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경청력과 구술 표 력

커뮤니 이션

Ⅴ 결론

본 연구는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 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

특징을 종합 으로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

을 통해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둘째

DeSeCo 등 국내외 최근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

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셋째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 마지막으로 구체 인 평생학

습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 등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

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넷째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

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4개 차원으로부터 도출된 역량 요소와 역량들을 연구진

에 의해 종합 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선정하 다

lt표 Ⅴ-1gt 역량 요소

- 185 -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주도성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학습동기

성과제고 학습력

학습방법의 학습

학습기술

학습목표수립능력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집단 효과성

집단효과성

워크

집단 역동

통솔력

리더십

상호작용능력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질서의식

공공성

참여의식

사회참여

자원 사의식

도덕성

신뢰 가치공유

권리middot책임의식

정치 심

정치 단능력

타인을 보살피는 능력

소외계층 노인에 한 배려 능력

자원 사amp실천능력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정보변화 처력

정보활용력

정보사용력

기 문해력

기 문해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

수리산술력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인간 계능력

인 계

계존

공감능력

네트워킹

- 186 -

경력개발

생애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경력계획 리 기술

경력목표수립능력

극 경 능력

조직화능력

목표달성능력

목 의식

비 설정

창의력

창의력

재창조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열린 자세

다양성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

세 간 화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ICT

디지털 문해력

정보화 능력

외국어능력 외국어 능력

직업능력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핵심 기술

구직 기술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

자신감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갈등조 능력 조직 효과성

변화 응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응성과 변화 처력

미래 응력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

국제 이슈 이해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탐구력

환경문제에 한 단력

감수성

환경 자연 생태계 이해력과 지식

자기성찰력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

자기평가능력(객 자기이해력)

자기분석

행 반성력(성찰력)

술감수성

술활동( 람취미)

심미능력( 술향유)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

즐길 아는 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건강 리력

- 187 -

참 고 문 헌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함양을 한 실업교육 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2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교육인 자원부 (2004) 평생교육백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 외(2000) 인 자원개발 리를 한 평생학습체제 종합발 방안탐색 세미나

발표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권 (1996) 평생학습사회교육 서울 학지사

권 (1999) 평생학습사회의 인력개발을 한 사회교육 인력개발연구 1(1) 25-38

권 (2003) 평생교육의 다섯 마당 서울 학지사

기 화(2001)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 서울 학지사

김남희(2004) 성인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평생학습체제 구안 한국교육 31(3)

307-331

김승보(2007) 국가 선진화와 평생학습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

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개 포럼

김승보 이주호(2007) lsquo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rsquo 內 lsquo제3장 평생학습사

회 실 을 한 실천 략- 편화에서 통합화로rsquo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신일 박부권 편(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안나 외(2003)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방안 연구(II)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

김장호(2004) 인 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총체 학습사회론 직업능력개발연구

7(2)

김장호(2007) 사람 심 발 패러다임과 평생학습사회 구축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

개 포럼

김진화 (2005)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기 외(2002) 생애단계별 능력형성의 에서 본 기업교육의 황과 과제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7

김태 외(2002) 학습사회에서 성인의 생애능력설정 성인학습체제 질 리 황과

- 188 -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5

백은순(2007) 학 은행제의 성과와 망 한국성인교육학회 학술 회 자료집 서울

한국성인교육학회

변종임(2007) 교육계좌제 추진 방안에 한 의견조사 결과 분석 교육계좌제 추진방안

모색을 한 문가 워크 연구자료 RM 2007-9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손유미(2005) 평생학습의 새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 수(2000)「21세기 지식경 시 와 핵심역량의 근방안」산업교육 2월호 76-79

안상헌(2005) 한국 평생학습사회의 이념 지향성과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1(1) 69-90

오장원 선(2004)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업인력교육 로그램 경 교육 4 207-226

오헌석(2007) 역량 심 인 자원개발의 비 과 쟁 분석 경 교육논총 47 191-213

유 숙 김동석 이만희 김이경(1999)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정책방향과 과제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연구(I)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2-19

유 옥(2005) 평생학습사회의 교육 실변화와 교육철학 연구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1(2) 141-160

윤여각 외(2002) 국민 기 교육 단계에서의 생애능력 형성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RR 2002-19-1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의 본질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이돈희(1999)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교육의 새로운 상 이돈희 외(편) 지식기반사회

와 교육(pp1-22) 교육부정책보고서

이명희(2000) 평생학습사회에 있어서 교환학습의 의의와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4(1) 55-73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3

이재분 외(2006)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이희수 외(2000)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발 방안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형성의 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연계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6

정재완(2000)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략 lsquoManpower 21의 주요 내용과

시사 세계경제 2000년 2월호 67-76

조 연 김재 (2007) 사회 자본을 통한 국가수 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국가인

- 189 -

자원개발을 심으로 인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105-122

조원경 양은주(2001)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교육과학연구 32(2) 1-21

차갑부(2001)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상생을 한 평생교육 방안 교육문제연구 14

25-42

차갑부(200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최돈민 이해주 윤여각(1998) 평생학습실 을 한 열린교육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최상덕 외(2007) 평생학습사회 실 을 한 고등교육체제 신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

학연구 12(4) 225-251

한숭희(200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숭희(2006) 평생학습사회의 평생학습체제 연구를 한 생태체제 개념모형탐색 평

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한숭희(2006b)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한 상(2004) 인력개발을 한 평생학습사회체제 구축 직업과 인력개발 2(2) 75-77

섭 외(2008)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용한 고객응 역량 모델링

CS교육 로그램 개발 사례 H社의 매 정비직을 상으로 인력개발연

구 10(1) 195-222

주 외(2004)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4-18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Brundrett M(2000) The Question of Competence the origins strengths and

inadequacies of a leadership training paradigm School Leadership amp

Management Vol20 No 3 pp353-369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2000) 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Dohmen G (1996) Lifelong learning Guidelines for a modern education policy

Wissenshaft Forschung and Technologie

Dubois D(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

Change Amberst MA HRD Press

Dubois D(1998) The Competency Case Book Amherst MA HRD Press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 190 -

EAEA11

Faure E et al (1972) Learning to be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Deist F D L amp Winterton J (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Development international Vol8 No 1 pp27-46

Elias J L amp Merriam S B (200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3rd

e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Garavan T N amp McGuire D Competencies and workplace learning somereflections on the rhetoric and the real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13(4) 2001 144-163

Green PC(1999)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c San Francisco Jossey-Bass

Irwin P(2008) Competencies and Employer Engag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9 No1 pp63-69

Klemp G P(Ed)(1980)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 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Knowles M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Association Press

Lave J amp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cia A amp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Pfeiffer

McLagan P A(1997)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May pp 40-47

Merriam S B Caffarella R S amp Baumgartner L M (2007) Learning in adulthood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Mirabile R J(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August pp73-77

OECD(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OECD(2002) Draft strategy paper on key competencies A frame of reference for a coherent

assessment program

OECD(2004) Lifelong Learning The OECD Policy Briefs

Ouane A (2002)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lising lifelong

learning Creating conducive environments for adult learning in the Asian

context Hamburg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 191 -

Parry S R(1996) The question for competencies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July pp48-56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and L H Salganik(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pp41-62) Cambridge MA Hogrefe amp Huber

Publisher

SCANS(1991)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Others(1999) US Department ofCommerce Report

Schippman J S Ash R A Batista M A Carr L Eyde L D Hesketh B

Kehoe J Pearlman K Prien E P amp Sanchez J(2000)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53(3) pp703-736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Su Y (2007) The learning society as itself Lifelong learning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and beyond education Studies of Continuing Education 29(2)

195-206

Tielen G (1998) Integrating senior citizens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Aging

International 24(2-3) 143-153

Tuijnman A (2003) Measuring lifelong learning for the new economy Compare

33(4) 471-482

Usher R Bryant I amp Johnson R (1997)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New York Routledge

Wood R amp Payne T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New York NY JohnWiley amp Sons Inc 1998

Zimmerman BJ(1989a)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 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________(1989b)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JZimmerman and DHSchunk(Eds)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1-25) New York

Springer-Verlag

httpwwwlllorkr 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httpswwwcborkrindexshtml 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httpbdesnileorkr 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 192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이희수( 앙 학교)

한국교육개발원에서의 일화가 떠오른다 원장님께서 원내외 평가 원분들과 함께 인

쇄된 모든 보고서들을 싸들고 교육문화회 에 들어가셔서 평가를 했다 상당 부분 재

인쇄 결정이 내려졌다 오탈자 참고문헌까지 다 보셨다 야단법석이었다 연구비도

다 썼는데 다시 수정보완해서 재인쇄하려니 이만 만한 일이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원

장님께서는 체 조회시간에 연구를 업으로 살아가는 자칭 연구의 달인이라는 연구원들

에게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질문을 던지셨다 그리고 스스로 모름지기 좋은

연구란 잘하는 연구라고 하셨다 제 로 하는 연구가 좋은 연구란다 조 연 교수의 연

구가 그러하다 그래서 토론에 응했다 정책연구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조 교수의 연구를

내심 흠모하는 사람의 인사로 토론을 연다

첫째 정책연구자는 돈지갑의 딸린 을 늘 의식한다 발주처가 교육과정개발과 평가

를 본업으로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라는 것은 이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가늠 한

다 연구 목 에서도 밝혔듯이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

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

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아마도 8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미래사회를 평

생학습사회로 망하고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상으로 평생학습인을 상정하고 국가교

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 을 제시하여 교육과정개발에 활용되면 소임을 다하는 것이

다 연구자의 탁월한 연구 리뷰는 기존에도 많은 유사 연구가 이미 이루어졌음을 확인

시켜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 시 에서 왜 이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하는가에 한 강한

논 근거는 이 연구의 시의성 목 성 차별성을 강화시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평생교육 성인교육 정책연구에 교육과정개발 기 연구 스타일을 가미할 필요성을 말해

다 간연구이니 향후는 Rigor보다는 Relevance에 방 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조 교수의 강 인 요 이 살아날 것이다

둘째 본질과 원칙에 충실하면 길이 보인다 조교수다운 문장을 집어내라고 한다면 다

음 문장이다 ldquo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

야까지 사회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 193 -

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dquo 특히 lsquo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squo는 말에 으로 동감하면서 조 교수의 진

면목을 보는 것 같아 무릎을 친다 오늘 토론의 소득이다 토론자가 가장 많이 듣고 보

는 단어도 역량이다 특히 국민의정부 참여정부의 교육인 자원부의 시 에서는 lsquo역량rsquo

lsquo성과rsquo lsquo액션rsquo이란 말을 참으로 많이 들었다 HRD의 교육 침투 상이라고 볼 수도 있

다 연구자의 발제는 정부출연기 에서도 1990년 말 2000년 에 유행처럼 역량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 다 여 히 재 진행형인 것으로 알고 있다 유치원 단계

의 정책연구도 연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토론자의 교육과정 개

발의 추억은 인지 역(지식) 정의 역(태도) 심체 역(기능)의 계열성 범주

를 설정하는 게 교육과정 개발의 요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 개발의 정통

보다는 로그램 개발의 기법이 지배하고 역량의 기반인 행동주의가 면에 나서는 것

은 아닌지 세인의 이목을 끌 수 있다 역량에 한 기존 교육과정개발의 원리를 용해

직도 하다 그럴 때 Competence-based Training Program 개발을 넘어설 것이다

셋째 연구의 차 모델과 역량에 한 개념 얼개는 연구에 모자를 워 다 이 연

구는 연구방법 면에서도 철 하고도 신선하다 명목집단기법 에 명목의 의미를 제

로 알게 된 것도 이번 토론의 소득신고감이다 좋은 연구기법과 차가 나열되어 있는

데 좌 이 보이지 않는다 좌 이 마련되면 물건이 가지런히 정리되고 빛날 것이다 역

량이란 말을 표기하는 어도 정말 가지가지다는 것을 연구 보고서는 확인시켜 다

OECD 등에서 쓰는 용어로서 우리에게 소개된 것만도 life skills human capital key

competencies literacies basic skills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국내외 문헌까지 합치면 lsquo역

량rsquo이란 말을 표기하는 말의 수자에 놀라게 된다 용어에는 족보가 따라붙기 마련이다

용어는 그냥 나온 게 아니고 학문 편향을 드러낸다 이 많은 용어들은 과연 서로

체가능한 용어인지에 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life skills는 생애역량으로 번역

하는 게 맞는가 등 원 질문을 필요로 한다 생애는 lifelong에 한 일본식 번역은

아닌가 말이다 기능문해를 뜻하는 생활기능은 아닌지 등 교정학습도 필요한 듯싶다

한 이 연구의 궁극 산출물은 역량 요소 추출이다 그 다면 어릴 석유를 따를 때

쓰던 깔때기가 생각난다 함양시켜주어야 할 역량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의 차모델은

그러한 역량 추출의 타당성을 높여 것이다 이와 함께 NGT 구성 운 기법이 돋

보인다 다만 세인들에게 은 사람이 많은 것을 결정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숫자를

늘리거나 구성원의 다양성을 높 으면 한다 역량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개발되는

것이므로 연구의 차 모델과 함께 역량개발의 얼개 속에 역량이 제시되면 상첨화일

것이라는 소망을 가져본다

넷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한 차별성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

- 194 -

는 평생교육 공 교수에 의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이다 그런데

읽으면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학교교육사회에서 교육과정 운 을 통

한 핵심역량은 과연 일치하는가에 한 생각이 불 듯 스쳐지나간다 평생교육 공자

가 아닌 학교교육 교육과정개발 공자도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을까라는 상상도

가능하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과 련하여 학교교육 교육과정 개

발자가 부족한 2를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자가 보충 해주는 데에서 차별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개발의 총론에서 앞으로 개될 미래사회의 모습이 평생학습사회이

고 그 사회를 주도할 사회구성원의 모습이 평생학습인이라면 추구하는 사회상과 인재

상이 가 손에 잡히게 제시되면 좋겠다 이를 해서 학 은행제 독학사제 학습계

좌제 평생학습도시 등 계법과 제도 평생교육 로그램을 분석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지만 핵심역량 추출과의 련성은 더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오히려 평생

교육법상의 평생교육 이념이 언 되는 게 더 정합성을 높일 것이다 이와 함께 평생학

습사회의 특성과 평생학습자의 핵심 역량 추출은 궁극 으로 평생학습개념의 특성을 실

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고 할 때 역량의 특성 못지않게 평생학습(인)의 특성에 즈

를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미래사회의 침투로서 평생학습사회상보다는 평생학습의 고 으로 돌아가는

게 교육과정개발에 도움이 된다 평생교육의 두 배경 의 하나는 lsquo탈학교론rsquo lsquo학교사

망론rsquo lsquo의식화론rsquo으로 별되는 학교교육의 병리 상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치유하기

한 체교육학 교정교육학 교육개 이데올로기로 두된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창

기 유네스코의 문헌은 학교교육과 립되는 평생교육 평생교육 원리를 학교교육과정에

반 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조직 방법 교육평가 교원양성 연수 학교 구

조 시스템을 어떻게 총체 으로 바꿀 것인가에 주안 이 주어졌다 유네스코 UIE의

모노그래 시리즈가 이를 웅변하며 이의 백미가 「평생교육과 학교 교육과정」(1973)

이다 학교의 병폐를 치유하기 한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로서 학교 장에 목시키려

는 시도로 읽 진다 이를 통하여 비로소 평생교육이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키기 한

목 으로서 자리 잡았다 평생교육의 개념 속성으로서 계속성 포 성 연계성 응

성 교정성 신성 총체성 다양성 보편성 유연성 역동성으로 구체화되었다 평생교육

의 조건으로서 기회 동기 교육의 가소성(educability)이 제시되어 학습사회의 조건을

형성하게 되었다 략으로서 수직 통합과 수평 통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평생교

육의 특성을 학교 교육과정에 목시키기 한 목표로서 평생학습의 필요에 한 인식

교육 가소성의 제고 범 한 학습 역에 한 체험 학교 경험과 학교 밖의 경험의 통

합으로 제시하 다는 에서 유토피아로서의 평생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에서 학

교를 개 하기 한 교육개 가이드라인으로 존재한다 가히 평생교육과정론이라고 불

- 195 -

러도 손색이 없다 여기서 토론자는 역량 개념 정립에 있어서 창기에 도입되었던

educability 개념에 해서도 언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학습사회와 핵심역량

의 특성과 요건도 단순하게 Opportunity Motivation Educability 면에서 근할 필요를

느끼게 한다

여섯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은 이번 정부가 강조하는 인재 국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얼마 까지만 해도 인 자원이라더니 어느 새 인재로 변신했다

핵심역량과 핵심인재는 늘 따라다닌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3 정책이념은 빈

도수로 보건데 lifelong employability와 social inclusion이다 핵심역량이 개인 수 에

서의 논의라 하더라도 이러한 정책이념과의 연속선상에서 언 될 가치를 느끼게 한다

핵심역량은 경제 개념인 employability에 경도된 느낌을 다 다른 한편 평생학습은

학습의 특권인 엘리트주의보다는 학습의 권리를 강조하는 성을 특질로 한다

Second chance maker로서의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은 핵심인재를 한 교육학이라기

보다는 주변인물을 한 교육학이다 지배의 교육학이기보다는 해방의 교육학이다 그런

데 제시된 핵심역량은 핵심인재의 역량으로 비쳐진다 이것은 평생교육이란 옷을 입은

핵심인재개발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일요일인 어제는 심신이 고달 서 lsquo정약용과 그

의 형제들rsquo이란 책 1권을 다 읽었다 거기서 ldquo여유당( 猶 )rdquo의 뜻을 알게 되었다 노자

(老子)의 『도덕경』의 한 목인 여( )함이여 겨울 냇물을 건 듯이 유(猶)함이여

의 이웃을 두려워하듯이라는 귀에서 따온 것으로 조심조심 세상을 살아가자는 것

이란다 여유당의 의미를 새기게 하는 이다 무릇 좋은 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다 다시 한 번 좋은 을 공유하게 해주신 조 연 교수님께 감사하는 것으로 토론자의

의무를 면하고자 한다 끝

- 196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주성(경원 학교)

후기 산업사회를 넘어서 21세기는 변화와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를 특징으로 자리매김

하며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조직체나 개인 혹은 더 큰 범의에서의 국가

는 작 의 치열한 로벌 생존환경에서 자기 존재 가치와 사회경제 경쟁에서 큰 어

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측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이러한 시 상황 하에서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

는 핵심역량rsquo이라는 주제의 연구가 국가 산하 연구기 에 의해 그 요성이 인식되어

추진하게 된 것에 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도 지 하고 있듯이 국

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이 부분 특정 역의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한 미래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

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총제 근은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오늘의 토론은 이 과제에 한 간보고서의 검토 향후 최종보고서의 작성에 의미

있는 방향 제시의 기회로서 요한 자리가 아닐 수 없다 먼 이 과제에 한 의

간보고서 검토 내용을 몇 가지 말 드리고 이어서 향후 최종보고서 작성과 련한 사

항에 해서도 언 하도록 하겠다

먼 간보고서와 련된 몇 가지 검토 사항에 해서 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과제의 수행의 로세스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의 핵심은 lsquo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이 극 인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

을 도출rsquo하는 것이다 역량 련 연구의 연구 로세스는 체로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비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최종화 단계 등 크게 3단

계에 따라 진행된다 구체 으로 말 드리면 첫 단계에서는 규명하고자하는 컴피턴시가

무엇인가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다음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기 해서 컴피턴시

모델링을 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컴피턴시 모델을 구축하는 최종화 단계로써 규명된

컴피턴시 그 하 요소를 검증하고 타당화하며 컴피턴시 모델의 활용방안 등을 제

안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진행 로세스에서 두 번째 단계에까지 와 있

다고 볼 수 있다 연구책임자는 여러 편의 역량 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 197 -

연구과제의 각 과정 요소 내용을 체 으로 조망하면서 체계 이며 체제 인 방법

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은 한 층 더 이 연구가 그 의도하는 바를 효과

으로 달성시켜 수 있는 가능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에서 매우 기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과제의 내용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과제는 역량과 평생학습사회

에서의 생애역량에 련된 국 내외의 많은 연구와 문헌들을 다각 인 측면에서 검토하

여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일차 으로 도출하고 있다 한 역량 련 용어에 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도 이

연구에서 규정하는 역량에 한 근을 시도한 은 매우 정 이라 할 수 있다 아울

러 연구자는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기 해 평

생학습제도(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

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와 평생학습 로그램 등의 분석까지도 방 으로

시도하고 있는 은 연구결과의 포 성 타당화를 한 이론 토 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 측면에 한 검토이다 연구자는 연구목 달

성을 해 문헌연구를 기 로 하여 일차 으로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악하 고 두 차례의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해 이들에 한 비 선정

을 시도하 다 NGT를 이용한 방법은 본 연구의 규모와 연구과제 수행시간 등을 고려

할 때 한 방법으로 이해되며 특히 NGT를 해 청된 문가들이 평생교육 각

역의 문가들로 구성된 은 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어서는 성공 인 연구과제 수행을 한 후속 작업 방향에 해 세 가지 을 제

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연구자는 문헌연구 NGT를 통해 비 선정된 lsquo평생학습사회

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들을 타당화하고 그

우선순 를 정하기 해 조사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조사 연구가 성공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먼 조사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되어 있어야만 할 것 이다

연구자도 계획(실행)하고 있는 것처럼 평생교육 문가들로 구성된 문가 의회(가능한

한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와 일반 피검자인 평생학습자

들을 상으로 한 안면타당도(face validity)의 확보 에서 조사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

다 조사 연구와 련된 방법 측면은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조사 상에

한 분명한 이해와 조사 상의 충분한 확보 샘 링 에러를 방지하는 한 샘 링

략 등에 한 깊이 있는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198 -

둘째 본 연구의 목 은 연구자가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① lsquo미래 평생학습

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

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rsquo이며 아울러 ② lsquo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

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는 것rsquo

이다 이 연구가 더욱 의의를 가질 수 있기 해서는 단순히 첫 번째 연구목표인 ls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인 성인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의 도출rsquo에만 을 두지 않고 이를 토 로 성인학습자를 한 평생학습과정

middot 고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을 한 아이디어를 구체 으로 제시해 주어

야 한다 물론 이 연구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의 개발

을 한 체계 인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그 자체

도 하나의 커다란 로젝트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소한 이러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연구 결과로 도출된 역량 그 하 요소들이 어떻게

체계 으로 그 교육과정 안에서 서로 상호 연 을 맺는지 그리고 교육 실천행 의 선택

에는 어떤 시사 을 주는지 등에 해서 구체 인 아이디어를 제공해 필요가 있다

끝으로 토론자의 마지막 논의는 본 연구과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탐색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squo라는 주

제 하에서 수행되는 연구과제들(본 과제 외에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

량rsquo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 포함) 의 한 과제이다 이들 각각의 연구는

lsquo 등교육rsquo lsquo직업세계rsquo 그리고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rsquo 등에 을

맞추고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각기 독립된 연구라기보다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rsquo이라는 큰 모자이크 그림을 완성시키기 한(완 하지는 않지만)부분 부분들이라고

말 드릴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들은(특히 본 연구과제는) 주제하에서 이들 주

제들을 아우르는 통합 이며 총체 에서 연구 시사 들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199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박지혜(국민 학교)

정보와 지식의 요성이 날로 증 하면서 사회는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응하고 나아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개인들은 끊

임없는 학습과 자기계발을 요청받고 있다 핵심역량이란 일반 으로 직무에서 구체 인

거나 기 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특성이라고 정의된다(Spencer amp Spencer 1993) 따라서 지 까지 핵심역량에 한 연구

는 주로 인 자원개발 역에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인재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

다 그러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심

은 상 으로 부족하 으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구성원을 교육하기 해 그 핵심역량

에 한 지속 인 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국가 체의 교육과정

과 내용에 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요성이 있다

특히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해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개념정의에 한 종합middot분석 국내외 연구보고서에 한 분석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법 제도 로그램 등에 한 분석뿐만 아니라 문가들과의 의를 거치는 등 매우 포

이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 다는 에서 이 연구결과가 미래 평생학습사회를 비

하는데 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결과를 더욱

의미있고 유용하게 하기 해 이 연구가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Ⅰ 연구 내용과 범

연구 내용과 범 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연구내용은 (1)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2)

- 200 -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middot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3) 평생교육법 제도 그리고

로그램 분석 (4) 문가 의회를 통한 역량분석 등이다 일반 연구의 구성으로 보

았을 때 앞의 두 연구 역은 이론 배경에 해당되는 내용이며 실질 인 자료 수집과

분석은 로그램 분석과 문가 의회를 통한 분석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연구내용의 구성에 한 재논의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 문가

의회는 학교수와 연구원 등 평생교육분야의 문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구성이 평생교육분야의 문가를 표할 수 있는지 그 표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평생교육 역( 를 들면 노인교육 청소년교육 여성교육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 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차를 갖는다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다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Ⅱ 보고서의 구성

에서 언 한 연구내용과 범 의 규정은 보고서 체의 구성에도 향을 주고 있다

이 보고서의 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1 학교의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분석

4 (소결) 평생학습에서의 역량요소

IV 결과 NGT 결과 분석

그러나 의 구성이 본 연구의 내용과 체계를 잘 반 하고 있는가 하는 에 해 숙

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범 로 네 가지를 언 하지만 그 두

- 201 -

가지에 해당되는 내용은 2장 이론 배경에 제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내용은 3장에 마

지막 내용은 4장 연구결과에 제시되어 있다 2장의 일부분과 3장 4장의 내용 즉 역량요

소를 분석middot제시한 부분은 모두 연구결과라는 제목 하에 기술되어야 하는 내용인 것으로

생각되며 보고서의 구성에 한 재검토를 통해 새로운 목차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III 연구결과

1 평생학습의 개념을 통한 역량도출

2 국내외 보고서 연구를 통한 역량도출

3 평생교육제도 로그램을 통한 역량도출

4 NGT를 통한 역량도출

5 종합 요약

IV 제언middot종합논의

에서 제안한 보고서의 재구성과 더불어 연구결과의 제시 시 각 역에서 도출된 역

량을 나열식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각각의 분석내용이 추가되면서 어떠한 역량요소들이

발견되었는지 즉 분석내용의 추가에 따라 새롭게 발견된 역량요소를 첨가하는 방식으

로 기술한다면 보고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보다 쉽고 분명하게 달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해 본다

Ⅲ 역량 요소에 한 논의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제도를 분석한 결과로서 자기조 능력 정보 리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의사소통 력능력 등의 역량요소를 제시하 다 한 평생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는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을 제시하 다 두

역에 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 요소는 매우 유사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 가지 요소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를 들면 명확한 목표수립능

력은 로그램 분석을 통해서는 제안되었지만 제도분석을 통한 결과에서는 언 되지

- 202 -

않았다 그러나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은 학습자의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없이는

지속되기 어려운 제도라고 생각되며 명확한 목표수립이라는 역량요소는 양쪽 모두에

필요한 필수 역량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 로그램 분석결과에서는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평생학습제도 분석

에서는 정보 리능력이 제안되었다 이 두 가지는 그 개념정의와 설명으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역량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평생교육 로그램에서 다

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로 ldquo미디어 정보처리rdquo라는 역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라

이해되지만 평생교육 제도의 하나인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에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도 간과할 수 없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명칭을 다르게 제안한 것에 해 충

분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NGT 결과를 통해 도출된 14가지 핵심역량 술감수성이 평생학습사

회의 구성원에서 필수 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데 부분의 평생교육 문가들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해 의문 이 생긴다 지식기반사회로 갈수록 인간의 창의성과 감

수성이 요구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은 인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사회의 핵심역량으로 술감수성이 제안된 것에

한 충분한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반 으로 다양한 연구내용을 통해 매우 범 하고 다양한 역량이 도출되었지만

그 역량이 왜 도출되었는지에 한 근거를 보고서에서 충분히 제시하 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종 으로 도출된 핵심역량 요소들이 어떠한 근거로 도출되었는지에

한 구체 인 설명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Ⅳ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역량

미래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갈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

의 목 의 하나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들은 부분 과거

혹은 재의 평생교육 련 문헌들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미래보다는 재 평생학습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미래 사회에 한 망과 그에 따른 핵심역량을 제시하기 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203 -

이상에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연구가 갖는 제한 혹은 고려할 이라 생각되는

들을 몇 가지 제시하 다 에서 제시한 내용들은 이 연구가 간단계에 있는 을 감

안하여 앞으로 더 나은 연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안한

것이다 에서 지 한 몇 가지 문제 혹은 논의할 들이 이 연구보고서가 평생학습

사회 실 을 해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님을 거듭 강조하며 이

을 마친다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한 세미나

발행일 2008년 9월 5일

발행인 김 성 열

발행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25-1

화 (02) 3704-3704

FAX (02) 3704-3710

인쇄처 유진문화사

화 (02)576-2358

ISBN 978-89-5931-897-1 93370

자료집 내용의 무단 복제를 함

  • 표제지
  • 세미나 일정
  • 초대의 말씀 김성열
  • 목차
    • 제1주제 초middot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표 이광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주[고려대학교]
      • 토론2 강윤봉[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 토론3 정철영[서울대학교]
        •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혁호[삼성전기]
          • 토론2 유동환[호서대학교]
          • 토론3 안기현[한국반도체연구조합]
            •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조대연[숙명여자대학교]
              • 토론1 이희수[중앙대학교]
              • 토론2 전주성[경원대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대학교]
                • 판권기

차 례

제1주제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발 표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

토론1 홍후주(고려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토론2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9

토론3 정철 (서울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9

토론1 권 호(삼성 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19

토론2 유동환(호서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3

토론3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28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발 표 조 연(숙명여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3

토론1 이희수( 앙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2

토론2 주성(경원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6

토론3 박지혜(국민 학교)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9

- 1 -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이 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용어의 정의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1 외국의 선행 연구

2 국내의 선행 연구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1 뉴질랜드

2 호주의 빅토리아주

3 캐나다의 퀘벡주

4 핀란드

5 국

6 한국

7 시사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설문 조사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참고문헌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3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국가 수 의 교육과정은 재의 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면서도 미래 사회에

서 요구되는 인간상에 기 한 능력과 소양을 갖춘 국민을 양성한다는 국가의 비 을 담

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에서 교육 계획 혹은 교육과정 설계 시 향후 도래할 미래 사

회를 망하고 그러한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 혹은 소양 계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한 재 사회의 상황보다는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견하고 견되는

미래 사회에 효율 으로 처하기 해 요구되는 다양한 능력 혹은 소양이 무엇인지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성장하는 학습자의 생활 상황은 바로 미래 사회이며 그러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능력이나 소양이 학교 교육 내용으로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되는 미래

사회에 비한 교육에 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며 그러한 연구 결과를 교육과정에

반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OECD는 개인의 성공 삶과 사회의 발 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기 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 로

젝트를 추진하 으며 그 결과 생애 학습과 교육 체제의 최 의 목표로서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 다(OECD 2002 Rychen amp Salganik 2003) 이들 핵심 역량은 3개 범주

의 9개 역으로 설정되었는데 뉴질랜드 호주 등은 핵심 역량에 한 OECD의 연구 결

과를 활용하여 자국의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의 기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캐나다

의 퀘백주도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 역량을 극 으로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 이후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이에 한 육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련된 연구들이 지속 으로 수행되어 왔다 정부 차원에서는 인 자원개발기본법

(2002년 8월 26일 법률 제6713호)1)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2) 등

1) 이 법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국가 인 자원개발정책을 범부처 으로 종합연계하여 효율 으로

추진하기 한 것이다 이 법은 인 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 조정 등에 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인

자원개발을 효율 으로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강화에 이바지함을 목 으

로 한다(인 자원개발기본법 제1조)

2) 인 자원개발기본법 제5조에 따라 수립된 인 자원개발분야의 법정 종합 계획으로서 lsquo학습 사회 인재 강국

건설rsquo을 정책 비 으로 설정하고 lsquo사람rsquo과 lsquo지식rsquo주도형 성장으로 인 자원분야 국가경쟁력 10 권 달성을 목

- 4 -

에 근거하여 lsquo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rsquo lsquo국민의 평생 학습 능력 향상rsquo 등의 과

제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2002 2003 2004)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를 통해 생애 능력 역을 기 문해력 핵심 능력 시민 의식 직업

특수 능력 등으로 설정하 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은 lsquo성인의 직업 기 능력 로

그램 실태 조사rsquo를 통해 성인의 직업 기 능력을 설정하고 성인의 직업 기 능력 향

상 방향을 제안하 다 서울 학교는 BK사업(2006-2012)의 일환으로 lsquoBK21 서울 학교

역량기반 교육 신 연구 사업단rsquo을 구성하 다 BK사업의 1차 2차년도 연구 결과로 소

경희 등(2006 2007)은 학교 지식의 변화 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

색rsquo lsquo캐나다 퀘백주의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rsquo 등의 연구를 통해 핵심 역량의 성격을

규명하고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등을 제안하 다 이외에도 경 경제

분야 업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의 규명과 향상에 한 연구들이 개인 연구자 수 에서 수행

되어 왔다

이와 같이 교육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에서 재 미래 사회에 요

구되는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이러한 핵심 역량을 학교 교육을 통해 계발 혹은 획득하게

하는 것은 최근 각국 교육 정책3)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

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 을 달

성하기 해 우선 재와 연계하여 개될 수 있는 미래사회의 특징을 진단하고 핵심 역량

의 개념을 논의하며 련 문헌 분석과 경험 자료에 근거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

되어야 할 핵심 역량(안)을 추출설정하고자 한다 결론 으로 설정된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

과정에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가에 한 방안을 시론 수 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2 용어의 정의

가 미래 사회의 특징

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실 하기 해 국제 경쟁력 있는 핵심 인재 양성 국민의 평생학습 능력 향상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3) 통령직 인수 원회는 새 정부 국정 지표의 하나로 lsquo인재 국rsquo을 설정하 고 2008년 2월 5일에 인재 국 18

개 국정 과제를 발표하 다 lsquo평생학습계좌제 도입rsquo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 lsquo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확

산rsquo lsquo기 학력 바른 인성 책임제rsquo lsquo맞춤형 산업기술인력 양성rsquo 등이 그것이다 이와 련하여 교육과학기술부

는 2008 통령 업무보고(2008 3 20)에서 lsquo교육과정교과서 선진화rsquo와 련하여 lsquo학교 교육과정 편성운

자율권 확 rsquo lsquo미래 사회에필요한핵심역량개발을 한교육과정개편rsquo등을 언 하 다

- 5 -

분야 미래 사회의 특징 상

기술 환경

과학기술의 가속 융합 기술의 도래 생명 공학 발 고령화

네트워크 사회 정보 통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

친환경 사회지속 가능한 개발 등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해 지구

체 차원에서 력

정치 경제

탈산업 사회 지식과정보 기반에근거 서비스 활동 강조

신자유주의의 득세국가보다 시장이 구심 이 됨 개인의 선택과 자유 확

빈부의 양극화

세계화 가속국가나 민족보다 경제 효율성 강조 국가간 양극화 국제

시장 강화 다 시민성으로 세계 연

사회 문화 다원주의 사회 다양한삶과가치문화사고 방식이 공존

교육 평생 학습 사회지식 정보의 확 로 학교 교육을 넘어서 자율 평생 학습

이 필요

미래 사회의 특징을 진단 혹은 측하는 궁극 인 목 은 방 변화에 처함으로

써 좋은 선택과 효율 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삶의 질을

추구하는데 있다는 것에는 구나가 체로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고 돌발 인 상황이 개될 가능성이 있는 미래 사회를 체계 이고 합리 이며 효율

으로 측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미래를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델 이 조사론 시

나리오 기법 천재 미래 측 등의 방법이 동원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강약 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 이다

본 고에서는 선행연구 문가 델 이 조사 문가 의회 등을 거쳐 다음과 같이 미

래 사회를 진단4)하 다

lt표 Ⅰ-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

나 핵심 역량의 개념

핵심 역량을 한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련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직업기 기능 기 기능 등으로 번역되어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련 용어로는 core competence core skills key competence

enabling skills generic skills essential skills necessary skills enterprise skills

employability skills 등을 들 수 있다(정철 외 1998 15)

4) 구체 인 내용은 lsquo미래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rsquo 보고서(윤 진

외 2007 11-36)에 제시되어 있다

- 6 -

학자 정의

McClelland(1973) ㆍ업무 성과와 련된 범 한 심리 는 행동 특성

Boyatzis(1982)ㆍ직무 수행에 효과 이고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사원의 내재 인 특

질(동기 특성 기술 사회 역할 지식 체계)

Boyatzis(1982)

Jacobs(1989)

Dubis(1993)

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해 낼 수 있는 조직원

의 행동 특성

McLagan(1990) ㆍ높은 성과를 내는데 필수 인 개인 능력

Spencer amp

Spencer(1993)

ㆍ직무나 특정 상황에서 거가 되는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 성과에 직

련된 개인의 동기 특질 자아의식 지식 스킬 등의 안정 이고 지속 인

특성

Dubois(1993) ㆍ직무와 련하여 일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Hamel amp

Prahalad(1994)

ㆍ경쟁기업이 결코 따라 올 수 없는 자기 기업 특유의 차별화된 기술이나 노

하우의 결정체

Dow(1998) ㆍ조직과 구성원의 성공에 매우 요한 지식 스킬 행동의 결합체

Wynne amp

Stringer

ㆍ지식 스킬 태도의 집합체로서 개개인들이 자신들의 업무에서 요구되는 결

과를 내기 해 보유하고 있거나 알고 있고 그리고 할수 있는 것

OECD(2002)ㆍ복잡한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는 능력 혹은 활동 는 과제를 수행하

는 능력

김진모(2001)ㆍ조직 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 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원의

행동 특성으로 그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

역량5)이라는 용어는 20세기 반부터 경 학 심리학 교육학 등 기업 부문에서 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 들어 정치 등을 포함한 공공 부문에서까지 활용하는 등 그 활용 범

가 확 되어 가고 있다 인 역량(competency)의 개념을 정립한 학자는 성취동

기이론으로 유명한 Harvard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McClelland)이다 그는 lsquo지능

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rsquo(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이

라는 논문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서 실제의 성과

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lelland 1973)

맥클리랜드가 역량의 개념에 해 언 한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역량의 개념이

논의되었다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Ⅰ-2gt 역량(핵심 역량)의 개념에 한 제 학자들의 견해

5) 역량과 련된 용어로는 비 미션 핵심 능력 핵심 역량 역량 요소 역량 메뉴 고성과자 역량 지식 기술

내 특성 행동 등이 있다(이홍민김종인 2006 7)

- 7 -

정성휘(2004)ㆍ특정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필요한 능력 기술 지식 태도

경험

앙인사 원회ㆍ특정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기 해 요구되는 개인의 지속 이고 찰

가능한 행동 특성이나 태도

임동욱 외(2004)

ㆍ어떤 단일의 구체 기능이나 기술이기 보다는 개개의 기능과 기술들의 묶

음 혹은 다양한 개인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경쟁 우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량임

홍순정 외(2004)해당 조직내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향을 주는

찰 가능한 수행이나 행동의 거로 지식 기능 태도 등 을 포함함

표에서와 같이 학자에 따라 역량과 핵심 역량6)은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역

량과 핵심 역량을 체로 조직 내에서 개인이 업무의 성과를 내기 한 특성 는 조직

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한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역량과 핵심 역량의 개념은 크

게 구분되지 않으며 주로 직업상 수행하는 업무에서 필요한 경쟁력 있는 개인 는 조

직의 능력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역량에 한 개념 규정은 등학교교

육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개념으로 차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상의 정의를 변용하여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

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 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 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

을 견지한다

3 핵심 역량의 추출 방법

핵심 역량을 무엇으로 결정할 것인가는 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선언 인 주장에 근

거하기보다는 합리 인 방법을 통하여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량을 추출하는 방

법도 논자에 따라 다양하다 문가 집단을 활용하는 방법 직무 과제 분석을 통한

방법 탁월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내재 특질을 도출하는 방법(Boyatzis

1982 Dubois 1993 Lucia amp Lepsinger 1999 Spencer amp Spencer 1993 허운나유

만 1995 홍순정 외 2004 86-87) 등이 있다

직업기 기능 추출과 련하여 NAS(National Academy of Sciences)는 패 을 구성

하여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산업 장에 들어가는데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결정하

6) Dubois(1993) Hamel amp Prahalad(1994) 정성휘(2004) 임동욱 외(2004) 등은 핵심역량 라는 어 사 하 다

- 8 -

다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는 고용주들을 상으로

속한 기술 변화 참여 경 기 생산 그리고 다른 산업 장에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물어 직업기 능력을 설정하 다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제조업 보건서비스업 소매업 음식숙박업 공공서

비스업의 다섯 분야에서 높은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의 직무에 한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이를 기 로 산업체 경 인 공공기 의 리자 노동조합 다양한 분야의 근로자와

감독 들의 논의와 면담을 진행하여 직업 기 기능을 설정하 다(정철 외 1998

133-134)

본 연구에서는 에서 언 한 방법론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고

자 한다 선행연구 외국사례 설문조사 문가 의회 등의 논의 결과를 종합하여 역

과 하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개념을 조작 으로 정의하는 귀납 인 연구 방법을

지향하 다

선행 연구(문헌) 분석 요구 조사 문가 의회 심층 면담 등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 설정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안)의 타당성 검증7)

dArr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설정

dArr

향후 국가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탐색

〔그림 Ⅰ-1〕 핵심 역량의 추출 차

7) 타당성 검증은 본 세미나 이후 9월 에 추진할 계획이다

- 9 -

Ⅱ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 분석

이 장에서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한 기 로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요소에 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 다 핵심 역량과 련된 개념의

다양성으로 인해 련 선행 연구( 직업기 기능)는 많은 반면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규명에 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직업기 기능과 핵심

역량을 구분해서 볼 수 있는가 하는 에 해서는 추후 논의의 상이 될 수 있다 이

런 에서 여기서는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 역 하 요소의

추출에 시사 을 제공할 수 있는 국내외 선행 연구8)들을 분석하 다

1 외국의 선행 연구

핵심 역량의 역 요소에 한 외국의 선행연구는 OECD의 DeSeCo 로젝트와

외국의 국가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있는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

다 사례를 개략 으로 고찰하 다

가 OECD의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로젝트

OECD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로젝트9)는 1997년부

터 2003년에 걸쳐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수행했던 연구로서 역량에 한 개념을 제시

하고 성공 인 삶을 한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2) 이 로젝트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사회의 발 을 해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데 주요 목 을 두었다

DeSeCo 로젝트에서 정의한 핵심 역량의 거는 삶의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

키는데 수단이 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성공 인 삶과 올바로 기능하는 사회를 이끄

8) 다 지능 이론 교육목표분류학 등 핵심 역량 추출에 련되는 선행연구 등이 지면 계상 생략되었음을 밝

힌다

9) OECD의 DeSeCo 로젝트에서는 OECD 국가들 국가 기여 과정(CCP Country Contribution Process)에 12

개 국가가 참여하여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각기 다양한 근방법을 사용하면서

도 요한 유사 이 많은 반면 역량과 역량들 간의 순 에서 문화와 상황 가치의 차이로부터 오는 차이 도

있었다(Trier 2003)

- 10 -

범주 선정 이유 핵심 역량

1 자율 으

로 행동하기

복잡한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목표를 실 할 필요성

권리를 행사하고 책임을 다할 필요성

자신의 환경과 그 기능을 이해할 필요성

1-1 넓은 시각(big picture)에서행동하는 능력

1-2 인생의 계획과 개인 인 과제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능력

1-3 자신의 권리 심 한계 욕구를 옹호하고

주장하는 능력

2 도구를 상

호작용

으로 활용

하는 능력

새로운 기술을 가져야 할 필요성

도구를 자신의 목 에 맞게 선택

할 필요성

세계와 극 으로 화할 필요성

2-1 언어 상징 텍스트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

용하는 능력

2-2 지식과 정보를 상호 작용하도록 활용하는

능력

2-3 기술을 상호 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

3 사회 이

질 집단에

서 상호작

용하기

다원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다룰

필요성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3-1 다른 사람들과의 계를 잘 하는 능력

3-2 동하는 능력

3-3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는데 공헌해야 하며 모든 개인에게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고 보았다(Rychen 2003) 이

러한 거에 따라 세 가지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각각의 하 역을 설정하 다(윤

진 외 2007 3)

lt표 Ⅱ-1gt OECD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이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 역량은 교육과정의 인지 지식보다는 삶에 필요한 기술

태도 가치를 포 하고 있다 개인의 성공 이고 책임감 있는 삶을 이끄는데 있어서 그

리고 사회가 재와 미래의 도 에 직면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가 하는

에서 범 한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직업이나 직무에 을 둔 역량 혹은

직업기 기능과는 차이가 있다(소경희 2006 130)

나 외국의핵심역량기반교육과정연구사례검토 뉴질랜드 호주 국 캐나다10)

뉴질랜드는 DeSeCo 로젝트에서 제안한 핵심 역량을 자국의 맥락에서 재개념화하여

이를 토 로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설계 용하고 있다 교육과정 설계는 학생들이

의무 교육 이후의 성공 인 삶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 으

며 그 핵심 역량으로서 다음 lt표 Ⅱ-2gt와 같이 자기 리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참

10)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는외국의사례는Ⅲ장에서논의하고 있는내용과일부분 복됨을 밝힌다

- 11 -

핵심 역량 의미

자기 리

학생들이 자신이 구인지 어디로부터 왔는지 어디에 어울리는지를 아는 것

자기 동기화 할 수 있다는 태도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자신

을 한 높은 기 을 정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계

형성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과 효과 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

극 으로 듣고 다른 을 인정하고 상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능력

참여 공헌

지역 국가 지구 공동체에 극 으로 참여하는 것

집단 구성원으로서 하게 반응하고 다른 사람과 계를 형성하고 사람들

은 집단 활동에 포함시키기 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

사고하기

정보 경험 아이디어에 한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의문시하기 해 창조

비 메타 인지 반성 과정을 활용하는 것

지 호기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지식이 표 되는 코드(기호)를 가지고 일하고 그것의 의미를 만드는 것

언어와 상징은 정보 경험 아이디어를 표 하고 의사소통하기 한 체제

모든 종류의 텍스트(즉 문서화된 구두의 시각 정보 상상 비공식

공식 수학 과학 공학 )를 산출하는데 언어와 상징 사용

요소(strand) 역(domain)

신체 개인 사회 학습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학문기반 학습

제2외국어

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상징텍스트의 활동 등이다

lt표 Ⅱ-2gt 뉴질랜드 새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의 범주와 의미

호주 빅토리아 주는 최근 핵심 학습 기 rsquo(VELS Victorian Essential Learning

Standards)lsquo이라 불리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한 출발 으로 학생들이 미래에 성공하

기 해서 알 필요가 있고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규명하 다

(VCAA 2005)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은 변하는 사회에서 성공 으로 살아나기 해

서는 그에 따른 일련의 지식 기능 행 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교

육과정은 이러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키기 한 방향으로 구안되었으며 호주 빅토리아

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의 체 인 구조를 개 하면 다음 lt표 Ⅱ-3gt과 같다

lt표 Ⅱ-3gt 호주 빅토리아주 lsquo핵심 학습 요소rsquo

- 12 -

인문학 경제 지리 역사

수학

과학

간학문 학습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한편 국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한 기능(skills)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학

습자가 교육 일 삶에서 그들의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6개 기능을 모든 주요 단계(key stage 1 ~ 4)에서 교육과정 체에 걸쳐 익히도록 하

고 있다 이 6개의 기능 일부 기능은 특정 과목의 것이며 일부는 여러 과목에 공

통 인 것들이다 6개의 주요 기능(key skills)으로는 의사소통 수 용 정보 기술 타인

과의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문제해결 등이다(경상남도교육청 2008

18-20)

lt표 Ⅱ-4gt 국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

핵심 기능(key skills) 의미

의사소통 말하기 듣기 일기 쓰기 기술을 포함함

수 용정 범 의 이성 계산에 한 발달과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것들을

활용하는 능력

정보 기술목 에 맞게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진술하기 해서 정 범 의

정보원과 정보통신기술 장비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타인과의 동소규모 집단이나 학 체의 토론 활동에 기여하는 능력 도 하기 해 타인

과 함께 수행하는 능력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시키기

학생들이 자신의 일과 그들이 배운 것을 생각해보고 비 으로 평가하는 것

과 학습과 수행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능력

문제해결학생들이 학습이나 삶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 기술과 략을 개

발하는 능력

캐나다는 퀘벡주11)는 핵심 역량을 등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

로 하고 있다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

11)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교육부를 따로 두지 않고 교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에 으로 임하고 있다

- 13 -

구성요소 하 범주

범 교육과정 역량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범 한 학습 역

건강과 참살이(well-being)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과 공동체 삶

교과 역

언어

수학 과학 공학

사회과학

술교육

개인발달

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역량 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

다 역량 심의 퀘벡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t표 Ⅱ-5gt 캐나다 퀘벡주의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

2 국내의 선행 연구

등학교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선행 연구는 곽병선 외

(2001) 유 숙 외(2002) 교육 신 원회(2007) 국가교육과정포럼 원회(2007)등 을

심으로 고찰하 다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지식 기술 태도는 능력의 필수 인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능력은 일반 인 범주의 개념으로 하 능력들이 있다는 것이다 즉 일반 범주의 능

력이 사실상 하 능력을 포 하는 메타능력을 함의하고 있다(윤여각 외 2002 22-23)

곽병선 등(2001)에 의하면 기 능력은 직업세계를 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능력이라고

본다 즉 직업세계에 있든 직업세계에 없든 인간으로서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으로 요

청되는 능력을 기 능력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기 능력으로 문제해결능력 정보통

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능력 동작업능력

등 7가지를 제안하 다 그들은 이러한 기 능력은 한 태도가 수반될 때 제 로 함

양증진될 수 있다고 보았다

- 14 -

생애 능력 하 범주

기 문해력 읽기 쓰기 셈하기

핵심 능력

의사소통

능력

해석 능력

역할 수행 능력

자기 제시 능력

목표 설정 능력

메시지 환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문제 명료화

원인 분석

최 안 선정

계획 수립과 실행

수행평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학습 계획

학습 실행

학습 평가

시민 의식

국가 정체성국가 의식

역사 의식

신뢰

가치 공유

신뢰

기회 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책임

의식

법 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 의식보수 사회변 참여

지역 사회 참여

직업 특수 능력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특수 직무 능력

한국교육개발원(유 숙 외 2002 39)은 lsquo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

제 질 리 방안 연구rsquo에서 생애 능력을 기 문해력(3R) 핵심 역량(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의 4개 범주로 제시하 다 이

연구는 3년(2002-2004)에 걸쳐 수행한 연구로서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변화

와 지식 기반 사회의 특징 요구되는 필요 능력 추이를 분석하고 생애 능력의 개념과

하 요소를 학습 체제별로 추출하여 종합하 다 국가 수 의 생애 능력과 하 능력

요소는 다음 lt표 Ⅱ-6gt과 같다

lt표 Ⅱ-6gt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자료 유 숙 외(2002-2004) 연구의 재구성

이 연구에서 생애능력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종 인 측면에서 생애 능력이란 국민기 교육부터 등교육 고등교육 그리고

성인교육을 포함하는 평생(life-long)을 통해 습득되어야 할 능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 제시된 생애능력은 생애에 걸쳐 습득 되어야 할 능력이라는 에서 생애 단계

- 15 -

역 하 요소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력 비언어 표 능력 어문서

이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 능력 도표해석능력 도표표

능력

문제해결능력창조 사고력 논리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

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부심 추진력 건강 리능력 독립심 책임감 성취동기 성실성 정

인 태도 직장 자기이해능력 자기개발능력 법성 직업윤리의식 안

의식 사정신 장인정신 소명의식 충성심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다음 lt표 Ⅱ-7gt와 같이 국민기 교육단

계12)에서 습득해야 할 기 능력으로 lsquo인간 계능력rsquo lsquo의사소통능력rsquo lsquo이해력rsquo 등 세

가지를 제안하 다(유 숙 외 2002 82)

lt표 Ⅱ-7gt 국민기 교육단계에서 요구되는 기 능력과 그 하 역

기 능력 하 역

인간 계능력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양보하는 태도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인정하고 존 하는 태도

표 이 끝날 때 까지 기다리고 그 뜻을 헤아리려는 태도

좀더 이해하기 쉽게 표 하려는 태도

이해력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에 끈기있게 집 하는 태도

개되는 상황이나 맥락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토해 보려는 태도

자료 유 숙 외(2002) p 83

한편 실업교육체제 즉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 능력13)

을 lsquo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rsquo으로 보고 의사소통 능력 수리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 능력 정보 능력 기술 능

력 조직 이해 능력 등 9개 능력을 제시하 다

lt표 Ⅱ-8gt 실업계( 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애 능력 역 요소

12) 국민기 교육단계는 교육에서 기 가 되는 단계로서 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를 포함하며(유

숙 2004 81) 이때의 생애역량은 국민이 삶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기 능력이다

13) 이때의 생애 역량은 자신의 삶과 직업생활에서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공통 기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을 의미한다(유 숙 외 2002 169)

- 16 -

자원활용 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 능력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 사용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조직이해 능력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자료 정철 외(2000) pp 50-52 유 숙 외(2002) pp 95-96

와 같이 실업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생애 능력은 부분의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

청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종류의 직업이든 그 직업에 종사하기 하여 가져야 할

기본 인 능력을 의미하고 성공 인 개인들의 삶을 유하는데 필요한 것이다(유 숙

2002 93)

교육 신 원회(2007 69)는 장기 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심으로 교육과정 개편을 언 하 다 모든 국민에게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 소양

교육을 강화 보장하며 행 교과 심의 교육과정을 핵심 역량 심으로 개편할 것

을 제안하 다 주요 선진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한다는 것이다 핵심 역량을 기존 교과와 연계하여

다학문 통합학문 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교육 신 원회는 핵심 역량의 주요 내용으로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등 8개의

내용을 시하 다 교육 신 원회(2007 69)는 교과 이외 경험과 활동을 통한 핵심 역

량 함양을 해 학습자 생애 발달 단계별 학습 경험을 구조화 학년 단계별로 체계화

할 것을 제안하 다

한편 국가 교육과정 포럼 원회(2007)14)는 lsquo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

을 갖추어야 하는가rsquo 라는 주제로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2007 10 26)

를 가졌다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해 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될 역량이 무엇

인가 하는 문제에 하여 미래학자 정치계 경제계 직업계 학부모단체 계자 등 사회

각계 각층의 의견이나 생각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진지한 토론이 이루어졌다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한 문가들 간의

의견에는 거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와 미시 으로 역량을 보는 견해가 있었으나 다

14) 이 원회는 넓게는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하는데 좁게는 등학교 교육과정

개 의 기본 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총체 인 논의를 하기 하여 구성된 토론 성격의 모임이다

- 17 -

구분 핵심 역량

국외

OECD

DeSeCo(2002)

자율 으로 행동하기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뉴질랜드

교육부(2007)

자기 리 다른사람과의 계 형성 참여 공헌

사고하기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호주 빅토리아주

교육부(2007)16)

건강과 체육 인 계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의사소통 디자인 창의성 공학

정보통신기술 사고력

국의

교육부(2007)

의사소통 수 용 정보기술

동 자신의 학습과 수행 향상 시키기 문제해결

캐나다 퀘벡주

교육부(2001)17)

지 역량 방법론 역량 개인 사회 역량

의사소통 련 역량 건강과 참살이 개인 직업 계획

환경의식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시민성 공동체 삶

국내

곽병선(2001)

문제해결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학습능력 신체활용 리

동작업능력

유 숙 외(2002)18)

생애 역량

기 문해력 핵심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국민공통기본교육체제에서요구되는 역량

인간 계 의사소통능력 이해력

직업교육체제( 문계고)에서 요구되는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음과 같은 역량들이 제안되었다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 일원으로 일하는 능

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

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등이15) 그것이다 거시 측면과 미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

여 역량을 제안하 다는 에서 볼 때 이러한 역량들 간에 그 경계가 명확한가라는 문

제제기는 가능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이상에서 고찰한 등학교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 역량에 한 국내외 선행연

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제시하면 다음 lt표 Ⅱ-9gt와 같다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15) 이러한 핵심 역량들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추출된 것이라기보다는 토론자들의 선언 주장에 근거한 것임을

밝힌다

- 18 -

자기 리 개발 능력 자원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 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 능력

교육 신 원회

(2007)

창의력 갈등 리 문제해결력

동과 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극 시민성 술문화 감성

국가교육과정포럼

운 원회(2007)

내면 자원 기본학습능력 의일원으로일하는능력

외국어 역량 공동체 의식 놀기 능력

리더십 사정신 정 인 생각

자신감 건강 경제의식

시민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보활용능력 인성교육

ICT 리터러시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로 연구자별로 을 달리 하고 있지만 등

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계형성능력 시민 의식 자율 능력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는

핵심 역량의 역을 설정하는 거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Ⅲ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

학교 교육에서 설정하고 있는 교육 인간상이나 교육 목 은 학생들의 재의 교육

성취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 인 기 와 망을 함축하고 있다 특히 각국에서 제시

하고 있는 교육 미래상이나 국가 교육 목표는 재의 학생들 삶을 풍부하게 하고 학생

개인의 미래와 이후의 교육 미래의 직업을 계획하고 평생학습자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표방하고 있다 더욱이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몇 몇 외국의 경우에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생활의 복잡성 직업세계의 변

화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하고 한 미래 사

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교육에서부터 개발해야 한다는 에

16) 호주의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에서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과 lsquo간학문 학습rsquo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시한 것이다

17) 퀘벡주 역량 심의 교육과정 구성 요소에서 범교육과정 역량과 범 한 학습 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

시한 것이다

18) 생애역량과 등학교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있다

- 19 -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학교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재의 풍부

한 삶과 미래의 다양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는 국가의 교

육 비 교육 목 등학교 교육 목표 등에 일 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있어 핵심 역량 련 선

행연구뿐만 아니라 각국의 교육 비 이나 국가 교육 목표에 내재되어 있는 주요한 개

념이나 내용은 매우 요한 참고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

정을 구성하는 국가에서는 핵심 역량이 교육 비 이나 교육 목표에 긴 하게 연계되

어 설정되고 비 목표 역량 상호 간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는 에서 교육 비 이

나 교육 목표에 제시된 주요 핵심어(key words)는 핵심 역량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에서 각국의 교육 비 이나 학교 별 교육 목표도 핵심 역량과 동일한 수 의

분석 상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국 등의 외국 사례에 제시된 각국의 교

육 비 목표 핵심 역량(기능)과 련된 내용을 심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한다 핵심

역량 분석 상 국가 에는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국가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 하는

경우도 있고 그 지 않은 국가도 있다 따라서 각국의 등학교 핵심 역량에 한

분석은 핵심 역량과 련된 국가 교육 비 교육과정상의 목표 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목 목표 등과 같이 다양한 자료를 분석 상으로 한다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

는 국가의 경우에는 국가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를 포함하여 교육 비

학교 별 교육 목표도 동일한 수 에서 분석한 것이다 즉 각국의 등학교 핵

심 역량을 추출하기 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 요소 등의 주요 핵심어를 심으로 분석하 으며 이

를 토 로 각국의 핵심 역량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1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등학교 교육과정은 2010년에 시행될 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국가 교육 비 을 근거로 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가치(Values) 일상 삶과 평생학

습을 한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8개의 학습 역(Learning Areas)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뉴질랜드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뉴질랜드 교육과정

에 제시된 교육 비 (Vision)과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 교육부의 국가 교육 목표

(The National Education Goals)를 들 수 있다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비

은 ①창의 활동 진취 인 인간 ②지속가능한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미래 추

구를 한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인간 ③타민족 문화에 한 존 과 상호

- 20 -

구분 교육비 등교육목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유연성

명석함

극 인 지식의 추구활

용창조

진취성

재치

창의 비 메타인지 능력

지식의 탐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의사소통

의사소통 도구의 효과 활용

효율 인 의사 결정

다양한 맥락에서 언어 상징 텍스

트의 해석 활용

경청

력자로서 노력하는 인간 ④이상 인 삶을 해 가치 지식 역량을 지속 으로 개발

하는 인간 ⑤자신감 결속력 극 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

등 5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특히 다섯 번째 항목인 lsquo자신감 있고 결속력 있으며

극 으로 참여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인간rsquo은 보다 구체화된 하 요소를 설정함으로써

뉴질랜드의 교육 비 을 상세화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비 을 토 로 뉴질랜드 교육과정에는 일상 삶과 평생학습을 한

능력을 배양하기 해 lsquo사고하기rsquo lsquo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하기rsquo lsquo자기 리하기rsquo lsquo타인

과의 계맺기rsquo lsquo참여 공헌하기rsquo 등 5가지의 핵심 역량을 규정하고 있다 한 뉴질

랜드 교육부 홈페이지에는 등학교 교육 목표를 ①잠재능력 개발 사회구성원으

로서의 역할 ②성취 증진을 한 기회의 공평성 제공 ③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④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⑤읽기 쓰기 수리력 과학 기술

등의 지식과 기능 향상 ⑥학습자 요구의 한 응 ⑦특별 지원이 요청되는 학습자

에 한 지원 ⑧ 학 교육에 한 근의 용이성 증진 ⑨마오리족의 교육 참여와 성공

증 ⑩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 10가지를 제시하고 있다19)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 비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환경rsquo 등 9가지로 추출되었다20)

이상에서 고찰한 뉴질랜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1gt과 같다

lt표 Ⅲ-1gt 뉴질랜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19) 이는 wwwminedugovtnz의 lsquoThe National Education Goalsrsquo라는 항목에서 제시하고 있다

20) 이하 lt표 Ⅲ-1에서 Ⅲ-6gt에 제시되는 각국의 등학교 교육 목표 핵심 기능(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은 본 연구 에서 1차 분석 추출하 으며 문가 검토 등을 통해 추출된 능력 요인(핵심 역량)에 한

성 여부를 단하고 수정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 21 -

인 계

타인과의 정 계

력자로서의 상호인식

결속력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능력

타인과 한 계 유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한 기여

다양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아이디어 공유 능력

집단 내 타인에게 기회 제공하기

자기 리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의욕

평생학습자

잠재능력 개발 자기 동기 부여

쾌활함

자신의 목표 수립 과제 리

자기주도 단 능력

자신의 학습과정 반성

반성 탐구학습

새로운 학습에 한 개방 태도

시민의식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의 구성원되기

국제사회의 시민되기

자국의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공동체에 극 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문화물리경제 환경의 지

속가능성에의 공헌하기

기 학습

문해력

수리력

읽기 쓰기

수리력

학습 성취를 한 기

능력 배양

상황 처

도 에 한 처 략 보유

새로운 환경 처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다문화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환경 국토 환경과의 연계

기 타

이상 인 삶 추구를 한 가

치지식역량 개발 능력

지속가능한 미래 추구를 한

신기술 지식 획득 능력

변화와 경쟁을 수반한

사회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개발

과학 기술체육 등

의 지식과 기능 향상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lsquo창의 사고rsquo는 창의성 비 사고 진취성 지식의 탐

색활용창조 지 호기심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의사소통rsquo은 의사소

통 도구의 효과 인 활용 효율 의사결정 경청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타인과의 정

계 결속력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아이디어 공유 능력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

하고 있다 lsquo자기 리rsquo에는 정 자아 정체성 자신감 잠재능력 개발 자기주도 단

능력 반성 탐구학습 등이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신뢰감 소속감 지역사회 구성원

국제 사회 시민 역할 공동체에 극 여하기 권리역할 책무성 조화 등이 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22 -

lsquo기 지식 능력rsquo은 문해 수리력 학습 기 능력 배양 등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

고 있으며 lsquo상황 처rsquo는 그 하 내용으로 도 에 한 처 략 새로운 환경 체에

한 자신감 상황에 따른 역할 수행 등을 lsquo다문화 다양성 존 rsquo은 모든 문화 존

인종 문화의 다양성 존 등을 lsquo환경rsquo은 국토 환경과의 연계를 하 내용으로 포

함하고 있다

2 호주의 빅토리아주

호주에서는 학교 교육 교육과정 내용에 한 결정 평가 방법 등에 한 법 책임이

각 주와 특별구에 있기 때문에 등학교 교육 체제 교육과정이 주별로 다르다

따라서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내용과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 목

표를 핵심 역량에 기반한 lsquo핵심 학습 기 rsquo을 심으로 구성하고 있는 빅토리아주를 살

펴보고자 한다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

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purposes) 미래 사회상(building the future) 교육 원리

(principles) 가치(values) 그리고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의 핵

심 학습 요소별 역 내용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 미래

사회상으로는 ①미래 사회의 성공 인 삶을 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의 개발 ②지

속가능한 사회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한 이해 이들 요소의

효율 인 리 ③ 신 미래 사회에서 다양한 근 방식을 활용한 문제 해결 능력 개

발 ④강력한 공동체 사회 구성을 한 공동의 목 가치 설정 상호 책임감과 신뢰

형성 등이다 빅토리아주의 교육 원리는 ①모든 학생들이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충

분한 시간과 지원 제공(learning for all) ②수월성 추구(pursuit of excellence) ③ 극

인 참여와 노력 추구(engagement and effort) ④탐구에 따른 결과 검증 문제에 한

해결 추구(respect for evidence) ⑤개방 태도(openness of mind)이며 빅토리아주에서

추구하는 교육 가치는 용과 이해 존 책임감 사회 정의 수월성 심 수용과 신

뢰 정직 자유와 윤리 등이다

한 빅토리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학습 기 (essential learning standards)에서는

학생들이 복잡하고 변하는 사회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된 사회 높은 수 의 지식과

이해가 요구되는 로벌 세계를 성공 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면서 핵심 학습 요소(strand) 3가지와

요소별 역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 학습 요소는 ①신체 개인 사회 학

습 ②학문 기반 학습 ③간학문 학습 등이다 lsquo신체 개인 사회 학습rsquo은 21세기

도 세계에서 요구되는 학생 자신의 신체 건강과 학습 지역국가세계 공동체

- 23 -

구분교육비

(교육목 미래상)가치 핵심 기능(역량)

창의력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

문제해결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환경사회문화경제 요인과 련된

과정과 산출에 한 분석 평가 능력

사고 략 획득(탐구정보처리추론문

제해결평가 반성)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설계 통제 능력

정보의 용 능력

ICT 활용 타인과의 의사소통

ICT 활용 이해 형성

ICT의 윤리도덕 활용

인 계

정 사회 계 형성

집단 내 활동 학습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

건강 유지

신체 활동 참여

신체 활동의 이해

학습 련 자기 지식 개발 학습 계획 설

정 능력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자신의 학습에 한 반성 책임감

자신의 학습과 실생활과 련짓기

동료 학습시 한 탐구 반응 능력

학습자원 리 능력

한 도구장비자료의선정 활용 능력

시민의식

공동 목 가치 설정

상호 책무성 신뢰감 형성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시민으로서의 권리 책무성 인식

사회 타인에 한 책무성 증진

에서의 타인과의 계 역할에 한 책무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 학습 요소는

건강과 체육 교육 인 계 발달 개인 학습 시민성 등이다 lsquo학문 기반 학습rsquo의

역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과 련된 지식체와 특징 인 탐구 사고방식으로 이것은

술 어 인문학(경제 지리 역사) 제2외국어 수학 과학 등으로 구성된다 한 lsquo간

학문 학습rsquo은 학문 역들을 가로지르는 일련의 지식 기능 행동으로 규정되며 여기

에서는 lsquo의사소통rsquo lsquo디자인 창의성 공학rsquo lsquo정보통신기술rsquo lsquo사고과정rsquo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 비 가치 핵

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

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환경rsquo 등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2gt와 같다

lt표 Ⅲ-2gt 호주 빅토리아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4 -

책임감

수용과 신뢰

정직

용과 이해

자유와 윤리

사회 정의

집단 내 자신의 정체성 역할 이해

건 한 생활 양식

국제 사회에서의 자국의 역할 인식

환 경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

상호작용 이해

사회경제환경 요소들의

효율 리

기 타미래 사회의 성공 삶을

한 지식기능행동의 개발

간학문 지식기능행동 활용 능력

지식의 용 능력

lsquo창의력rsquo은 수월성 아이디어 창안 개발 능력을 하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 해결rsquo은 주로 문제 해결을 한 다양한 근 탐구 문제 해결 사고 략 획득 등

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ICT 활용 정보 처리 리제시 능력 ICT 활용 이해 형성

윤리도덕 활용 정보의 용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는 정 사회 계 형성 갈등 조정 해결 등이 포함되며 lsquo자기 리rsquo에는

주로 건강유지 신체 활동 참여 자신의 학습 성장 리 능력 학습에 한 책임감

학습자원 리 능력 등이 포함된다 lsquo시민의식rsquo은 공동 목 가치 설정 극 참여

노력 개방 태도 용과 이해 사회 가치 인식 실천 능력 건 한 생활양식

등을 lsquo환경rsquo은 사회경제환경 요소 간의 상호작용 이해와 요소들의 효율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3 캐나다의 퀘벡주

캐나다는 교육 분권화 정책에 따라 앙 정부 수 에서 따로 교육부를 두지 않고 교

육과 련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각 주(provinces) 혹은 주(territories)21)에 으로

임하고 있어서 퀘벡주를 제외하고는 여타의 캐나다 주(혹은 주)들의 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핵심 역량과 련한 구체 인 언 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각 주

( 주)들이 설정하고 있는 공통 필수 교과의 내용과 성격을 살펴보면 해당 주 교육 당

국이 집 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의 면모를 강이나마 추정해 볼 수 있다

특히 퀘벡주는 핵심 역량을 등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 하는 기반으로 천명하

고 있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960년 이래로 퀘벡주는 모든 학생들에게 평

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요한 교육 목표로 삼아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

21) 캐나다는 10개의 주와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25 -

부분의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보편 으로 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목표는

사실상 시 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오히려 국제화 세계화 지식과 기술의 폭증 사회

생활의 증하는 복잡성 직업 세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장차

부단히 변화하는 환경에 쉽게 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을 학교

에서부터 개발하기 시작해야할 필요성이 두되고 있다 이에 퀘벡주는 학생들이 변화

하는 가족생활 사회 계 경제구조 직업조직 등에 히 처하고 원만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교육체제의 방향과 구조를 근본 으로 재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 고(소

경희 이상은 박정열 2007)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역량 심의 교육과정 개편이었다

캐나다 퀘벡주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등 교육 목 역량 기

반 교육과정을 들 수 있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제시되어 있다 첫째 lsquo새로운 확신을 바탕

으로 한 교수를 제공한다rsquo에서는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 등을 포함하고 있

다 둘째 lsquo타인들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도록 사회화 한다rsquo에서는 공동체에 한 강력한

소속감 계발 함께 사는 법 배우기 민주주의의 근원 가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lsquo다양한 선택을 통해 다양한 자격

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rsquo에서는 충분히 숙달된 직업능력 갖추기에 을 두고 있다

한 등학교의 교육 목 (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4)은 lsquo세계 의 구축rsquo lsquo정체성의

확립)rsquo lsquo능력 강화rsquo 등을 제시하고 있다

퀘벡주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①범교육과정 역량(cross-curricular competencies)

② 범 한 학습 역(broad areas of learning) ③교과 역(subject areas) 등 3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이다(Ministegravere de lEacuteducation 2001 15) lsquo범 교육과정 역량rsquo은

각 교과 역들이 갖는 경계를 넘어서 있다는 에서 교과 특정 역량보다도 훨씬 넓은

범 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들 역량은 교과 역 범 한 학습 역 모두에서 활용

될 수 있고 차 학습을 통합해가는 데 있어서 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한 맥락

에서 이 역량들은 복잡하고 측하기 어려우며 부단히 변화하는 상황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단히 귀 한 도구가 된다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은 간학문 성격을 가지며 오늘날의 은이들이 직면해야하는

삶의 여러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 범 한 학습 역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삶

의 맥락들에 한 진 된 이해를 갖도록 하고 련된 상황 속에서 가능한 다양한 행

들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것들은 학생들로 하여 서로 다른 학

습 역들 사이의 련을 악할 수 있게 하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개인 사회

문화 환경에 해서 비 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 다

- 26 -

구분교육목

핵심 기능(역량)등학교 등학교

창의력창의력

비 단력

문제해결

복잡한 문제들에

히 처하기

문제 해결 련 경험

지식기능 획득

통합 지식 배양

문제해결력

효과 인 작업 방식 채택

로젝트(계획) 련 략의 채택

의사소통 한 의사소통 능력

인 계 함께 사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인과의 동

정보처리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미디어의 속성(지 역할 표상방식) 인식

이해

정보 활용력

자기 리

사회문화개인 정체

성의 형성

자아 발견

건 한 세계 의 형성

자신의 정체성 형성

자신의 잠재력 충족 방법 인식

자기 인식 자신의 기본 요구 인식

극 인 삶의 방식

행 선택에 따른 향(건강 등) 인식

안 행

시민의식

공동체에 한 강렬한

소속감 계발

민주주의의 근원 가

치 증진

책임감 있는 시민 되기

공동체의 도덕 정신

가치 수용

참여 동연 성

평화에 공헌

사회 행 규칙 알리기

민주주의 제도 알리기

미디어와 련 권리책임

lsquo교과 역rsquo은 lsquo언어(languages)rsquo lsquo수학 과학 공학(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rsquo lsquo사회과학(social sciences)rsquo lsquo 술교육(arts education)rsquo lsquo개인 발달(personal

development)rsquo 등 5가지의 교과 역군으로 설정되어 있다 언어는 불어와 어를 포함

하고 있고 수학과학 공학은 수학 과학 공학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과학은 지리

역사 시민성 교육을 포함하며 술교육은 드라마 시각 술 음악 스를 포함한다

한 개인발달은 체육 건강 도덕교육 종교교육(카톨릭 로테스탄트 종교교육)

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

(역량)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

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환경rsquo 등 10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캐나다 퀘벡주의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

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3gt과 같다

lt표 Ⅲ-3gt 캐나다 퀘벡주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7 -

기 학습지 계발과지식의숙달

정신 계발

직업 비

숙달된 직업 능력 갖추기 직업 세계 사회 역할에 한 친숙함

획득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인 사용

소비의 사회 경제 윤리 측면 인식

환경자기 주변 환경에 한 인식

지속가능발 에 터한 생존 환경 추구

lsquo창의력rsquo은 하 내용으로 비 단력과 창의력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문

제에 한 처 통합 지식 배양 계획 로젝트 략의 선택 등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한 의사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함께 배우는 법 배우기 타인에 한 이해 타

인과의 동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미디어 련 도구 의사소통 코드의 활용 정보 활용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정체성 형성 자아발견 건 한 세계 자기 인식 요구 인식

극 삶의 방식과 안 행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공동체 소속감 계발 책임감 참

여 동연 성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지 계발과 지식의 숙달 정신 계발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직업능력 갖추기 상품과 서비스의 합리 사용 소비의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환경rsquo은 주변 환경에 한 인식과 지속가능 발 을 한 생존환경 구성을 포함

하고 있다

4 핀란드

핀란드는 국가 수 의 학교 교육과정과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지역 특색과 학교의 실정에 맞게 주 단 학교 단 교육과정이 개발 실천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교육 목 목표는 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법에 제

시되어 있으며 교육법에 기 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일 되게 진술되어 있다 핀란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핀란드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학교 교육 목표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 목표 그리고 기본교육법 기본교육

법령에 제시된 등학교의 교육 목 목표를 들 수 있다

핀란드의 교육법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①개인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장(자아 존 감 형성 비 사고) ②인간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책임감과 동심 배양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③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다양한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창의성 개발 스포츠 기술 개발 ④

- 28 -

구분교육법 교육과정(교육목 )

학교 고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창의성 개발

비 사고독창성 개발

문제해결 의사결정 능력 개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

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

의사소통 능력

자기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자국어 외국어 표

의사소통 기술

제2외국어 외국

어를 포함한 자기표

기술

인지 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발 모국어와 제2국어타언어에 의한 상호작용 능력 배

양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정보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⑤다양한 언어에 련

된 지식과 기능 형성 세계 교육 지식과 기능 함양 ⑥건강 증진 사회 안녕

증진 ⑦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⑧비 학습 능력 력 기능 함양 등으로 제

시되어 있다 교육법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자발 활동 책임감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능에

한 책무성 기업가 정신 배양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타

인과의 지속 발 추구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문화 정체성 표 자신의 독자성

인식 등에 을 두고 있다

핀란드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학교 교육 목표에는 문과 함께 8개의 목표

가 제시되어 있으며 ①독립심 책임감 자기 지식 개발 ② 동 상호작용 기술 습득

③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④의사결정 능력 개발 향후 학습과 직업장래 계획 ⑤자신

행동에 한 평가 능력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⑥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의 기 능력 배양 ⑦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⑧생활 환

경 처 기술 개발 등 8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 고등학교 교육 목표에는 체로 학습

세계 형성 평생학습에 한 요구 강화 개인과 공동체의 윤리 인 문제 해결력

자아 존 감 개인의 독특성 인식 고등교육과 직업 설계 능력 제공 등에 을 두

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

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심미 감수성rsquo lsquo다문화rsquo 등 12가지

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핀란드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4gt와 같다

lt표 Ⅲ-4gt 핀란드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29 -

력 배양

정보능력과의사소통 기술

능력

정보와 의사소통 기능

활용

정보처리

정보기술 능력

매체 기능 숙달 정

보의 비 평가 능력

건 한 정보 사회 기능

습득

정보 수집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증진

ICT 기술

다양한 정보 획득

인 계 동심 배양

력 기능 함양

타인과의 지속 발

추구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기

술 습득

타인과의 동 기술

동상호작용

자기 리

자아 존 감 형성

자아 존 감 강화

개인 구성원으로서의

성장

세계 교육 지식

과 기능 함양

심화 확장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건

강 증진

자신의 독자성 인식

개인의 장 탐색

건 한 행동 양식 배양

삶의 질 향상 능력

한 학습 방법 활용

능력

개인 학습기술 인식

실천

자신의 학습기술 평가

능력

평생학습 기술 개발

평생학습의 요성 내

면화

탐구 학습태도

독립심

자신의 학습기술 향상

자기 지식 개발

자신의 계획 실행 능력

자신 행동에 한 평

가 능력

향후 학습계획 갖기

개인 독특성 인식

자신의 신념과 행동

수정 능력

삶을 한 비

폭넓은 학습 구

조화된 세계 형성

평생학습 비

건강 복지 생활

양식 고양

시민 의식

인간 집단민족문화

간의 용 신뢰 진

사회 안녕 증진

책임감

극 인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자신과 타인의 복지에

한 책무성

환경과 시민사회의 기

능에 한 책무성

의사결정에 한 책무성

책임감

자발 활동

학습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인권민주주의평등

증진

시민정신

책임감 개인 공동체

련 윤리 문제의 인

식 처리 능력

타인 배려 능력

민주주의 사회에서

역할 수행 능력

의지 개발

기 학습

기본 인 수학 사고

능력 배양

비 학습 능력

인간사회문화

자연에 한 일반 지식

습득

향후 입학 비

학습에 요구되는 지

식과 기능의 기 능

력 배양

직업 비

사회와 직업 세계에서

자신의 치 인식하기

기업가 정신 배양

직업장래 계획 미래 설계 직업

설계 능력 개발

경제생활 기업가

정신 배양

- 30 -

상황 처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자신의

의지 갖기

변화에 한 조처

강구 용기

변화에 한 융통

응 능력

심미

감수성

문화 에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획득 찰해석심미

표 능력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술 문화 생

활 증진

다문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형성

문화 정체성과 지식 증진

인간의 본질과 문화의

다양성 존

문화 정체성 표

기 타심화 지식종합 지

식과 기능 형성

의사결정에 따른 직

ㆍ간 결과 인식

lsquo창의력rsquo은 창의성 개발 비 사고 독창성 개발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능력 개발을 lsquo의사소통rsquo은 주로 인지발달과 의사소통 기술 개

발 정보 능력과 의사소통 기술 자기 표 상호작용 기술 획득 등을 lsquo정보처리rsquo는

주로 정보기술 능력 정보통신 활용 능력 정보 획득 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인 계rsquo에는 주로 동심 배양 동 기술 습득 동 상호작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아 존 감 형성 건 한 세계 형성 스포츠 기술 개발 평

생학습 기술 개발 탐구 학습 태도 건강 복지 생활양식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임감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삶과 인권 존 타인배려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기 학습rsquo은 기본 수학 능력 배양 일반 지식 습득 기 능력 배양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주로 직업 장래 계획 기업가 정신 배양 등을 lsquo상황 처rsquo는

생활 환경 처 기술 개발 변화에 한 융통 처 능력 등을 lsquo심미 감수성rsquo은 다양

한 심미 경험과 기능 개발 심미 술 경험 술 활동 참여 향유 능력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다양한 언어 련 지식과 기능 문화 정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5 국

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등 교육과정은 주요 12단계(Key

Stage 1 and 2)로 등 교육과정은 주요 34단계(Key Stage 3 and 4)로 구성되어 있

다 국가 수 의 교육과정 문서에는 학교 별로 구체 인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1장과 2장에는 포 인 수 에서 국가 학교 교육

- 31 -

과정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국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국가 교육과정의 목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 기능 등학교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국의 국가 교육과정 목표에서 추구하는 바는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

험에 한 비rsquo 2가지이다 lsquo모든 학생에 한 학습 성취 기회 제공rsquo에서는 ①학습

의 즐거움과 책무성 증진 ②독자 력 학습능력 ③문해 수리 정보통신 기술 함

양 탐구 합리 사고 능력 증진 ④다양한 사회 문화 유산에 한 지식과 이해를

통한 정체성 확립 ⑤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⑥다양한 지식 이해와 기능 습득 창

의 비 사고 ⑦미래의 직업인과 시민으로서의 기회 제공 ⑧신체 기능 개발

건강한 생활 양식 추구 자신과 타인의 안 유지 등에 을 두고 있다 한 lsquo학생의

정신 도덕 사회 문화 성장 진 삶의 기회 책무성 경험에 한 비rsquo에

서는 ①선악 구별 능력 개발 ②자신의 가치 존 타인의 가치와 지식 존 태도 ③

가치 수 성실과 자율성 개발 ④환경에 한 이해와 존 ⑤소비자로서의 의사결

정 능력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등에 을 두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가치(values)는 자기 자신(the self) 계(relationship) 사

회(society) 환경(environment) 등 4가지이다 lsquo자기 자신rsquo은 자기이해 자기존 자기

도야 삶의 방향 결정 책무성 평생학습태도 삶에 한 책무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

계rsquo는 타인 존 타인 심 타인 배려 타인에 한 선한 태도 성실 신용 자신감 타

인과의 동 작업 타인의 사생활 재산 존 분쟁 해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사회rsquo

는 시민의 책무성 이해 실행 공동선 추구 가족 돌보기 사회 제도 존 (결혼제도지

지) 사랑 헌신 법과 차에 한 정보 공유하기 법과 규칙 존 법의식 고취 조장

하기 종교 문화 다양성 존 다양한 기회 제공 받기 어려운 사람 도와주기 민주

과정에의 참여 경제 문화 자원의 활용 생산 lsquo진실 성실 정직 선의의 삶

추구rsquo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lsquo환경rsquo은 환경 보존에 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이 계 이

해 자연의 균형과 다양성 보존 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 자연 서식지 복구 등

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기능(key skills)은 의사소통(communication) 수의

응용(application of number) 정보공학(information technology) 타인과의 력(working

with others) 자신의 학습 수행 능력 증진(improving own learning and

performance)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등 6가지이며 이들 기능은 학습자들이 학습

활동 직업 세계 일상 삶의 과정에서 학습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능력이다

- 32 -

구분 교육법

추구하는 가치 목

핵심 기능국가교육과정

학교교육 국가 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창의력

진취성창의 수완 발휘새로운 것에 한시도

탐구정신 갖추기

창의 사고탐구 정신비 사고

문제해결

사건의 배경을 총체 이해하기

당면 문제 확인해결 능력

합리 선택능력 갖추기합리 사고능력 증진

문제 확인 이해문제해결 방식의기획 검토

문제해결과정 모니터링

문제해결에 유용한 기능과 략개발

의사소통

소통 기술의변화에 처

읽고 쓰기 능력다양한 방식의 소통 능력 형성

정보 공학 의사 소통 련 필수 학습 기술소유

정보와 소통 기술갖기

효과 으로 말하기타인의 말을 경청이해반응하기

집단 토론에 참여하기

텍스트 읽기비 성찰하기

에 한 비분석

유려하게 쓰기

인 계

타인 존타인 심타인 배려타인에 한선한 태도분쟁 해결

자신과 타인과의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타인 존타인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기

타인 존좋은 계 형성 유지타인과 계맺기공동선 추구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타인들의 경험 평가하기

서로 다른숙고하기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등학교 교육 목표는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 등 3가지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squo성공 인 학습자rsquo는 읽고 쓰기

능력 수리 사고 능력 성취 추구를 한 극 동기 갖기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구

성되어 있다 lsquo신념에 찬 개인rsquo은 자기정체성 확립 자신과 타인과의 계 짓기 좋은

계 형성 험 요인 리 안 유지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lsquo책임감 있는

시민rsquo은 삶과 일에 한 비 타인 존 자국 타문화 통 이해하기 인간의 권리

존 등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국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의사소통rsquo lsquo 인 계rsquo lsquo정보처리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업 비rsquo lsquo상황 처rsquo lsquo다문화rsquo lsquo환경rsquo 등의 12가지로 추출

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국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5gt와 같다

lt표 Ⅲ-5gt 국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3 -

타인과의동 작업

타인과의 조 한 력수행 능력 개발

도 에 직면해서타인과 조할 수있는 능력

사회 기술 개발타인의 필요성에

한 인식과 이해개발

정보처리

주어진 정보의 처리 추론

주어진 정보에한 의문 갖기평가 능력

정보의원천과 ICT 도구활용하는능력ICT 활용에 한과학 단 능력

ICT를 활용한 작업의검토수정평가하는능력정보처리 창조

사고 기능탐구와 의사 결정기능

자기 리

도덕문화정신발달

신체 발달

자기이해자기존자기 도야삶의방향결정자신감평생학습태도

도덕사회 문화 발달신체 발달

극 인 동기 갖기실패로부터 배우는 능력 갖기

자신의 가치 믿기자기정체성 확립자신의 감정 인식

조자기 조직 능력갖기

자신의 재능 인식원 한 포부

갖기독립 자세주도 자세세계 속에서의 자신의 치 인식하기

신체 으로 건강하기

신체 능력 갖기 험 요인 리

안 유지자신의 학습 방식이해

자주 력학습 능력 갖기

즐겁게 학습하기

자아정체성확립 도덕 사회 문화발달의 진자기 존 감정서 안녕고취자신 존신체 기능 개발자신과 타인의안 유지독자 력

학습능력학습의 즐거움과 학습에한 헌신 신장

자신의 학습에한 반성 비평가

자신의 학습수행 개선 방법확인

학습의 목 확인학습의 과정 반성학습의 진 정도사정

학습 장애와 문제확인 개선 계획 수립

시민의식 책무성

책무성시민의 책무성이해 실행민주 과정에의 참여성실신용진실정직선의의 삶추구어려운 사람도와주기사랑

의무감정의진실정직성신뢰

가치와 신념 견지건 한 삶의 방식선택

불의에 항거하기정직하고 성실한행 하기

인간의 권리 존선악 구별 원칙갖기

책무성에 응하기책임감있고 배려심있는시민지속 인 가치획득선악 구별 능력 개발성실과 자율성개발건강한 생활양식 추구자신 타인의 가치 지

- 34 -

헌신공동선 추구가족 돌보기사회 제도존 )타인의 사생활 재산존법과 차에한 정보공유하기법과 규칙존 법의식고취

식 존 태도

기 학습

수리 사고 능력 수학 사고능력읽고 쓰는 능력

암산 능력의 용능력 계발

수학 언어 이해활용 능력

계산 기능과 수개념을 타 교과실생활 문제에용하기

직업비

사회 삶의 비

경제 문화 자원의활용 생산

생산 인 경제활동

삶과 일에 한비

미래의 직업인과 시민 비다음 단계(교육 훈련 고용등)에 한 비소비자로서의의사결정 능력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이해

상황 처

격한 변화에한 처

변화하는 일과여가에 처변화에 극여

세계화 추세처

세상 변화에 극으로 참여하기

기회 도에 응하기 험 리하기변화와 역경에

다문화

종교 문화 다양성존

자신 가족 사회의 다양성존

다양성 존다양성의 가치에감사하기

자국 타문화통 이해하기

환경

환경 보존에한 책무성

자연과 인간의 계 이해자연의 균형과다양성보존자연의 아름다움과 이로움 보존자연서식지복구

지속가능한 환경 개발

환경 보존개선에 앞장서기

환경에 한이해와 존

기타자연 인간성취에 한 열린마음

사회 각 분야의 인류의 목표와 성취 인식

- 35 -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진취성 창의 사고 탐구 정신 등을 포함하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주로 당

면 문제 확인 해결 문제 해결 략 개발 등을 lsquo의사 소통rsquo은 주로 읽기 쓰기 능

력 말하기 듣기 다양한 소통 능력 등을 lsquo 인 계rsquo는 주로 타인 존 배려 타인

과의 동 타인과의 계 형성 집단 논의에 공헌하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lsquo정보처리rsquo는 정보의 처리 추론 정보에 한 평가 탐구 의사결정 기능 등을 포

함하고 있으며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기 이해 존 신체 발달 평생 학습 태도 독자

력 학습 능력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책무성 정직 신뢰 건 한 삶의 방식

법과 규칙 존 실천 등을 lsquo기 학습rsquo은 수리 사고 읽고 쓰기 능력 수학 언어

이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lsquo직업 비rsquo는 자원의 활용 생산 삶과 일에 한 비 소비자로서의 의사결정

권리의무 이해 등을 포함하며 lsquo상황 처rsquo는 변하는 일과 여가에 한 처 세계화

추세에 한 처 험 리하기 등을 lsquo다문화rsquo는 종교문화 다양성 존 자국

타문화 이해 등을 lsquo환경rsquo은 주로 환경 보존의 책무성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에 한

이해와 존 등을 포함하고 있다

6 한국

우리나라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에 련된 것으로는 교육기본법에 제시된 교

육 이념 등교육법에 제시된 각 학교의 교육 목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

된 추구하는 인간상 학교 별 교육 목표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에 한 제반 사항을 법제화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기본법과

등교육법에 제시된 교육 이념과 교육 목 이 국가 교육과정 구성의 토 가 된다 따라

서 교육 이념과 각 학교 교육 목 에 기 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가 설정된

다 우리나라의 교육기본법 제1장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 이념은 ldquo교육은 홍익

인간의 이념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

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 과 인류

공 의 이상을 실 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제시되어 있다 한 동

법 제9조 ③항에서는 학교 교육의 기조를 인 교육으로 보고 있으며 ldquo학교 교육은 학

생의 창의력 계발 인성의 함양을 포함한 인 교육을 시하여 이루어져야 한다rdquo

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이념은 홍익인간이라는 개념에 기

하여 주로 lsquo인격 도야rsquo lsquo자주 생활 능력rsquo lsquo민주시민 자질 함양rsquo lsquo인간다운 삶 rsquo

lsquo민주국가 발 인류공 실 에 이바지rsquo 등에 을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에 기 하여 등교육법에는 각 학교의 교육 목 을 제시하고

- 36 -

구분 교육법교육비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 (목표)

등학교 학교 고등학교

창의력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자신의생각과느낌 의

다양한(창의 ) 표 력

자신의 생각과 느낌의

다양한(창의 ) 표 력

학문과 생활에 필

요한 논리 비

창의 사

고력 태도 형성

문제해결문제 인식 해결

능력문제해결력

자기 리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생활의 기본 능력 구비

자기 발견

성숙한 자아의식

시민 의식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

바지

폭넓은 교양

이웃과 나라 사랑

태도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

민주주의 기본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방식 형성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기 학습

기 학습

능력

문 학

습능력

기 능력 기 능력 배양 학습의 기본 능력 구비

있다 즉 등교육법 제38조에는 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 등학교는 국민생활에 필

요한 기 인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고 동법 제41조에

는 학교 교육 목 이 ldquo 학교는 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한 동법 제45조에는 고등학교 교육 목 이

ldquo고등학교는 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 에 등교육 기 인 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 으로 한다rdquo고 규정되어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 별 교육 목표는 7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의 교육기본법 등교육법 개정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 학교 별 교육

교육 목표로 제시된 것이다 학교 에 따른 교육 목표의 문에 제시되어 있는 학교

별 교육 목표의 주안 으로 등학교는 lsquo기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습 형성rsquo에 학

교는 lsquo기본 능력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rsquo에 그리고 고등학교는 lsquo진로 개척 능력과 세

계시민 자질 함양rsquo에 두고 있다

이들 내용에 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 목 핵심 기능에 내

재된 주요 능력 요인으로는 lsquo창의력rsquo lsquo문제해결rsquo lsquo자기 리rsquo lsquo시민의식rsquo lsquo기 학습rsquo lsquo직

업 비rsquo lsquo다문화(문화 감수성)rsquo 등의 7가지로 추출되었다 이상에서 고찰한 우리나라

등학교의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은 다음 lt표 Ⅲ

-6gt과 같다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

- 37 -

직업 비진로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극 인 진로 탐색 성과 소질에

합한진로개척 능력

다문화

(문화

감수성)

자국 문화의 이해 자국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의

발 태도 형성

자국의 통과 문화의

애호 태도

자국 통 문화

의 발 태도 형성

기 타

인간다운 삶

인격도야

인 성장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심신의 균형 성장

발달 추구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능 습득

심신의 조화로운

인격 형성

다양한 분야의 지

식 기능 습득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능력

정보

처리

능력

자기

능력

시민

의식

학습

능력

직업

능력

상황

능력

심미

감수성

다문화

이해

환경

의식

뉴질

랜드

호주

캐나다

핀란드

한국

lsquo창의력rsquo은 주로 창의 능력 새로운 가치 창조 창의 표 력 등을 포함하고 있으

며 lsquo문제해결rsquo은 문제 인식 해결 능력 등을 lsquo자기 리rsquo는 주로 자주 생활 능력

개성 추구 기본생활습 형성 등을 lsquo시민의식rsquo은 주로 민주시민 자질 함양 공동체 발

공헌 민주주의 가치 원리 이해 민주 생활 방식 형성 등을 포함한다 lsquo기 학

습rsquo은 기 능력 배양과 기본 학습 능력 구비를 포함하고 있으며 lsquo직업 비rsquo는 진로 탐

색 개척 능력 다양한 직업세계에 한 이해 등을 lsquo다문화(문화감수성)rsquo는 주로 자국

의 통과 문화 이해 애호 태도 등을 포함한다

7 시사

이상에서와 같이 핵심 역량과 련된 각국의 교육 이념 비 국가 수 의 교육

목 목표 핵심 역량(기능) 요소 등을 상으로 주요 능력 요인(핵심어)을 추출한

결과를 토 로 각국에서 설정제시하고 있는 핵심 역량 련 능력 요인을 유목화하여

비교 제시하면 lt표 Ⅲ-7gt과 같다

lt표 Ⅲ-7gt 각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내재된 능력 요인 분석 결과(핵심어)

lt표 Ⅲ-7gt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석 상 국가의 핵심 역량 련 주요 능력

- 38 -

구분 내용

문항 형식 자유 응답형(1 문항)22)

조사 시기 4월 30일(수) ~ 5월 13일(화)

조사 방법 본원 공용 이메일(webzinekicerekr) 활용

요인은 몇 가지 역에서는 매우 한 공통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악되고 있다 특

히 lsquo창의력rsquo lsquo자기 리능력rsquo lsquo시민 의식rsquo 등의 역량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분석 상

국가에서 등학교 교육의 핵심 역량으로 요하게 취 하고 있다 한 우리나

라를 제외한 외국의 경우에는 lsquo의사소통능력rsquo과 lsquo 인 계능력rsquo의 역량을 요한 역으

로 취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역량은 등학교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요한 핵

심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도 핵심 역량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충분

히 반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 인 핵심 역량 요소에 한 설정은 이

후의 설문 조사 결과와 문가 의회 등에서 도출된 안에 기 하여 정련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

1 등학교교육에서강조하는 핵심 역량추출을 한 설문 조사

가 설문 조사의 방법과 상

본 연구에서는 등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비 으로 추출하기

해 등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기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 태도 등)

요인에 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 다

lt표 Ⅳ-1gt 문항 형식 조사 방법

22) 설문문항 시 ldquo향후 개될 미래 사회에 비하여 학생들이 각 학교 교육에서 반드시 길러야 할 가장 기

본 이고 공통 인 능력(지식 기능(skills) 태도 행동 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능력을 순서 로 5가지만 자유롭게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rdquo

- 39 -

핵심 역량 주요 내용(요소)

창의력

창의 사고력비 사고력분석 종합 사고력발산 사고통찰력진취 이고 도 태도지식의 재발견과 창조창의 탐구능력

상 표집 수 응답자수(회수율)

등학교 교사 30 28(933)

학교 교사 30 9(307)

일반계고등학교 교사 30 13(433)

문계고등학교 교사 30 19(633)

교육 학교 교수 30 27(903)

사범 학교 교수 30 12(400)

계 180 108(600)

설문 상23)은 본 요구 조사가 자유응답형 문항으로 응답의 어려움으로 인한 회수율

의 하를 감안하여 사 에 본원의 연구 업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들을 상으

로 표집하 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의 연구진 의진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문가를 상으로 하 으며 사 에 설문 조사 응답 여부를 수락하는 차를 거

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 회수율은 60를 넘었으나 학교 별로 회수율에 차이가

있었다 참고로 표집 상수에 따른 회수율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lt표 Ⅳ-2gt 표집 상별 표집 수 응답자수

나 설문 조사의 결과(요지)

설문조사의 목 은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는 데 있는 바 여기서는 응답자

별 빈도()는 제시하지 않고 다음 lt표 Ⅳ-3gt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응답자별 체 인 의

견을 종합 으로 제시하 다 구체 인 내용은 최종 보고서에 포함할 정이다

lt표 Ⅳ-3gt 핵심 역량 역 주요 내용에 한 응답자의 의견 종합24)

23) 본 요구조사는 핵심 역량 추출을 한 장 문가의 아이디어를 얻기 한 비 요구 조사로서 설문 조사

상을 최소화(학교 별 30명)하여 일종의 델 이 조사 성격을 띤 자유 응답형 문항으로 구성하 다 장 교

사 교육 문가를 선정한 이유는 교육 분야에 다년간 종사한 경험과 식견에 비추어 볼 때 본 요구 조사의

내용에 해 하게 응답할 수 있다고 단되었기 때문이다

24) 응답자의 유사한 응답을 유목화하여 체 인 의견을 종합 으로 제시한 것이다 주요 내용 개념간의 포

함 계(층 )는 추후 문가 의회를 통해 지속 으로 검토 보완할 정이다

- 40 -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력논리 이고 합리 사고력

변화에의 응 리 능력

가치 단력

순발력

합리 의사결정력

과학 사고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올바른 경청태도

올바른 언어 사용법

논리 인 표 능력 화의 기술

기호 해득력

정보처리능력

정보화 사회 응 능력

정보화 소양 능력

정보 수집 탐색 능력

정보 리 능력

정보의 재구성 창출 능력

정보 활용 능력

정보통신 윤리

분석 독해력

인 계능력

사회 기술

인 계 능력

타인 배려 존

동심

공감 능력

릴 이션 쉽

자기 리능력

자기 리 계발능력

정 자아 존 감

올바른 가치 정립

정 가치 (사고방식)

기본생활 습 함양

자주 태도

정서 함양

자기 주도 학습력 신장

흥미 소질 계발

신체 운동 능력

평생 학습 능력

기 학습능력

기본 인 학습 능력(말하기 읽기 쓰기 셈하기)

독서 능력

상에 한 기 지식

시민의식

민주시민 의식

인성 도덕성(윤리)

공동체 의식

참여정신

책임감

사정신

건 한 비 의식

용 태도

- 41 -

환경 의식

환경보존 태도

친환경 사고방식(자연사랑)

환경과의 상호 작용

환경의 요성 인식

주변 환경의 체험과 탐구

세계화 소양

외국어 소통 능력

국제 사회에 한 이해 지식 갖기

세계 상에 한 감식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다문화 이해 능력

문화 정체성 확립

술과 문화 향유 태도(문화 감수성)

직업 소양

기 직업 능력

직업의 요성 인식

진로 탐색능력

직업 소명의식

서비스 태도 로정신 함양

성 련 기술 함양

문 지식

공 련 능력( 문 지식 등) 함양

해당 분야의 기 지식과 기술

사회 쟁 악 능력

과학 기술 소양

핵심 역량 역 요소를 추출하기 한 설문 조사 결과 lt표 Ⅳ-3gt에서와 같이 창

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

식 환경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이해능력 직업소양 문지식 등의 역량과 그 요소들

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범주화된 역량 요소들은 그것의 이론 근거나 개념 간의

포함 계(층 ) 등에 한 세 한 분석과 검토를 거쳐 향후 정교화 할 것이다

2 핵심 역량 역 요소 추출을 한 문가 의회 결과(요지)

본 연구의 과정에서 핵심 역량 시안을 마련하고 잠정 안을 설정하기 해 다양한

분야의 문가를 상으로 수차례의 의회를 가졌다 문가 의회의 참석자들은

등학교 문가 등교육 문가 고등교육 문가 사회 각 분야 문가 등 35명이었

다 주요 논의 내용은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 인간상 핵심 역량(안)의 성

과 타당성에 한 것이었다

주요 논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우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궁극 인간상으로는 개인

차원에서 합리 인간 창의 인간 미래를 진취 으로 개척하는 인간상을 사회

차원에서는 원만한 인 계를 유지하는 인간 개방 인 인간 사회유지와 발 에 기여

- 42 -

핵심 역량 요소(내용)

창의력사고 기능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사고 성향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문제해결능력

문제의 발견

문제의 명료화

해결 안의 탐색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

의사소통능력

경청 공감

이해 반응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

정보처리능력

정보 수집분석평가

정보 달 공유

정보 활용

정보 윤리

인 계능력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정서 표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갈등 조정 해결

자기 리능력자아 정체성

정 사고(태도)

하는 인간상을 설정하 다 한 핵심 역량 요소의 성과 타당성에 한 문가

들의 검토를 거쳐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인 계능력 자

기 리능력 시민의식 국제 감각 진로개발능력 등 9가지 역과 요소들이 설정되었다

각 역에 따라서 하 요소들 간에 층 가 다르거나 통합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이

있어 이런 문제 은 차후에 연구 과 문가들의 검토를 바탕으로 정교화 할 정이다

Ⅴ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이 장에서는 문헌 분석(선행 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 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 다

lt표 Ⅴ-1gt 등학교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25)

25) 이안은 잠정 으로 설정한 것으로 향후 이에 한 지속 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교화할 정이다

- 43 -

요소 의미

사고기능

유창성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고정 인 시각을 변화시켜 다양한 아이디어나 반응을 산출하는 능력

독창성 남과 다른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정교성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유용하게 발 시키는 능력

유추성 특정한 상을 기존의 것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

사고성향

민감성 주변 세계와 문제에 민한 심을 보이며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성향

개방성 제한 없이 모든 가능성과 다양한 경험을 수용하는 성향

독립성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는 성향

과제집착력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고 과제에 몰두하는 성향

실행력기본생활태도

기 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여가 선용

건강 리

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

신뢰감 책무성

민주 생활방식 법정신

환경 의식

국제 감각

자 문화 계승 발

다문화 이해

외국어 소양

문화 감수성

진로 개발 능력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개척

표에 제시된 9개의 핵심 역량 요소에 한 개념26)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의력은 새로운 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능력이다 창의력은

사고 기능과 사고 성향으로 구성된다

lt표 Ⅴ-2gt 창의력의 요소와 의미

26) 개념 하 요소는 련 핵심 역량에 한 기존의 이론 논의(지면 계상 생략)에 근거하여 연구진이 조

작 으로 정의한 것이다

- 44 -

자발성문제 상황에 극 으로 처하고 자신의 내 동기에 의해 필요한 아이디

어를 산출하려는 성향이나 태도

요소 의미

문제의 발견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찾아내는 능력

문제의 명료화여러 가지의 창출된 문제들로부터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하여 명확하게 진술하는 능력

해결 안의 탐색문제를 해결하기 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합한 기 을 세워

아이디어를 평가함으로써 최 의 해결안을 선택하는 능력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선택한 해결 안을 실제로 실에 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능력

요소 의미

경청 공감타인의 생각과 감정 정서에 한 정확한 이해를 해 경청하고 공감하는

능력

이해 반응타인과의 상호작용 내용에 한 명확한 이해와 이에 기 한 하고 정확

한 반응 표 능력

다양한 상호작용 기술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정보 수집분석평가정보 수집은 정보를 이용하고 활용하기 하여 기록 장하는 행 이며 정

보 분석 평가는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사용하는 행 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논리 체계

창의 사고과정을 거쳐 가치로운 지식의 창출과 산출물을 창안해 내는 고등정신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3gt 문제해결능력의 요소와 의미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상황에 합한 언어와 비언어 형태들을 사용하는 능력으로

화자의 말뜻을 이해하고 어떤 개념 아이디어를 정확한 형태로 나타내는 능력과 사회

맥락에 알맞게 나타내는 능력까지를 포함하는 언어 형태 이상의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4gt 의사소통능력의 요소와 의미

정보처리능력은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하고 필요한 정

보를 발견하여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5gt 정보처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5 -

정보 달 공유 정보의 송수신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와의 공유 행 능력

정보 활용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효율 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모든 방법 인 능력

정보 윤리 정보에 한 근 활용에 있어 사회 책무성으로서의 윤리 행 능력

요소 의미

인내력(타인 이해 존

태도)

집단 내 혹은 개인 간 계에서 자신의 이익과 요구에 반하거나 자신이 원

하지 않는 방향으로 일들이 진행될 때 참아내는 능력

정서 표 능력자신의 정서에 하여 분명하게 악하고 그 정서를 건강하게 외부로 표출

하는 능력

타인과의 동 정

계 유지

개인이 타인과의 동을 통해 소기의 목 을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상호 간에 정 인 계를 유지하는 능력

갈등 조정 해결인 계에서 필수 으로 직면하게 되는 집단 간 혹은 집단 내 개인 간의

갈등을 의미 있고 건설 으로 해결하는 능력

요소 의미

자아 정체성 자신의 흥미 성 장 을 발견하고 이를 가치롭게 발 시키는 능력

정 사고(태도) 모든 상을 정 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마음가짐

실행력 수행해야 할 업무를 열정 으로 추진하는 능력

기본생활태도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기본 인 생활습 태도를 형성하기

기 학습능력 읽기 쓰기 셈하기 등과 같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 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변화하는 상황에 처하기 해 학습자 스스스의 학습 역량을 지속 으로

계발하는 자세

여가 선용 주어진 시간을 잘 활용하여 유익하게 놀 아는 능력

건강 리 생활에 필요한 체력을 보존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능력

인 계능력은 개인이 다른 개인을 하는 보편 인 심리 지향성으로 개인의 내

특성과 외 행동 간의 계를 의미한다

lt표 Ⅴ-6gt 인 계능력의 요소와 의미

자기 리능력은 자신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해 수행에 필요한 자기 자신의 능력

자질을 지속 으로 계발 리하고 장기 인 비 을 갖는 능력

lt표 Ⅴ-7gt 자기 리능력의 요소와 의미

- 46 -

요소 의미

공동체 의식자신이 속한 공동체 는 그 구성원에 해 귀속의식이나 유 감을 갖고 공

동체의 유지 발 을 하여 공동체의 이익을 시하는 태도와 가치

신뢰감 책무성개인 기 사회에 한 신뢰감을 형성하고 사회 역할과 의무를 수행

하는 능력

민주 생활 방식상 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토 에서 타 과 상을 통하여 민주 차

를 거쳐 합리 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법정신공공의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기 해 만들어진 법이나 사회 규범을 수하

려는 의식

환경 의식환경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해 자신의 가치 소비습 생활방식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자 문화 계승 발 우리나라의 문화를 깊이있게 이해하고 계승 발 하는 창조 태도

다문화 이해 다원화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의 차이를 이해 용 존 하는 능력

외국어 소양 국제화 사회의 상호 소통에 요구되는 외국어 문해 능력

문화 감수성 술 문화에 한 감각을 넓히고 그 자체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요소 의미

진로 인식 진로 선택에 필요한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

진로 탐색 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탐색하는 능력

시민의식은 국가와 개인의 계에서 개인의 권리와 의미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민주시

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가치 을 의미한다

lt표 Ⅴ-8gt 시민의식의 요소와 의미

국제 감각은 국제화 사회의 상호 작용에 요구되는 다양한 문화 언어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 변화에 능동 으로 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lt표 Ⅴ-9gt 국제 감각의 요소와 의미

진로 개발 능력은 자신의 성과 소질에 부합하는 진로를 설계하고 직업을 선택하는

능력을 뜻한다

lt표 Ⅴ-10gt 진로 개발 능력의 요소와 의미

- 47 -

진로 개척자신의 성과 소질에 합한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을

비하는 능력

Ⅵ 결론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며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

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연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

는 것이다 본 장에서는 결론에 신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어떻게 작동 혹

은 연계될 수 있는지에 해 시론 수 에서 논의27)하고 향후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 시키는 방안이다 즉 핵심 역

량 기반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개정하

고자 할 때 가장 먼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육과정을 통해서 기르고자 하는 인간 특성

을 명확히 하는 일이다 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인간형을 설정하고 이러

한 인간형을 달성하기 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은 교육과정 개발 혹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요한 작업이다(박순경 2005 66-67)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추구

하는 인간상 교육 목표는 학교 교육을 통해 달성 되어야 할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을

포 으로 담고 있다 이러한 능력들은 학교 내외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을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들을 의미한다 이 에서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28)으로 참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시

에서 설정하는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27) 이는 핵심 역량의 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구성반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되

며 그 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존재 할 수 있다

28) 인간상은 교육목표와 불가분의 계에 있다 교육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에 기 하여 설정되기 때문이다 따

라서 교육목표 설정의 자원은 결국 인간상 설정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지 까지 인간상 설정의 자원에

해서는 이론 논의가 활발하지는 않다 이로 인해 인간상 설정이 몇몇 선언 주장에 의해 결정되는 맹

을 지닐 수도 있다 역사 으로 볼 때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 인간상 혹은 바람직한 인간상들이 소개 되

었으나 이에 해서는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 다 1949년에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 명시된 홍익인간의

이념은 인간상으로서 비과학 이라는 지 도 있으나 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포 인 교육이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의 인간상도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해야 할

인간의 모습이기는 하지만 미래 사회에의 부합하는가 정말로 타당한가 실효성이 있는가 하는 지 들이 문

가들에 의해 언 되었다(손 호 1998 34)

- 48 -

이 무엇이며 이러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 어떤 교육 목표 혹은 능력을 기를 것인가

를 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인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는 미래사회에 당면하

는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하는 핵심 역량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할 경우 지나치게 학교

교육의 유용성 측면을 강조하는 외재 목 즉 개인의 성공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실

잠재 능력 개발 공동체 의식 등과 같은 교육의 내재 목 이 상 으로 소홀하게

취 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교육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귀납 방법

과 연역 방법을 동시에 견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귀납 방법은 학습자가 갖추어

야 할 능력을 설정한 후 그것들에 기 하여 인간상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을 말

하며 연역 방법은 미래사회에 어떤 인간을 양성해야 하는가 라는 제하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능력을 도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교육 인

간상과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개인 측면과 사회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

다 컨 창의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공동체 발 에 기여하는 사람 자기주도

인 사람 더불어 소통하는 사람 등으로 진술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으로 구성된 국민 공통 기

본 교육과정에 핵심 역량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

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여 3개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

사결정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의 제는 행 국민공통 교육과정 편성운 의 실효성

을 비롯한 국가 교육과정 틀 속에 핵심 역량을 설정했을 경우의 기 효과29) 평가의

문제 등과 같은 교육과정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다 외국의 경우 핵심 역량을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교과교육과 연계시키는

토 로 삼고 있다 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를 통해 계발해야 할 핵심 기능을 6가지

로 제시하고 있다 캐나다 퀘벡주는 역량 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로 lsquo범교육과정

역량rsquo lsquo 범 한 학습 역rsquo lsquo교과 역rsquo을 설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분 인 것이라기보다는 상호 히 련된 것으로서 보완 인 치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다 교과 지식을 가르치되 그것을 통

하여 미래 사회의 삶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제고30)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29) 시 에서 행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외국 사례의 경우 핵심 역량 기반 교육의 성과에

한 정보가 없다는 을 감안하여 장기 으로 신 하게 근될 필요가 있다

30) 지 까지의 학교의 교과 교육에서 학습자의 역량을 길러 주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종래의 교과 교육에서

- 49 -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은 lsquo교과 목표 설정에 핵심 역량을 반 하는 방

안rsquo lsquo핵심 역량 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하는 방안rsquo lsquo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rsquo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재 교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교과 목표를 핵심 역량과 련하여 재진술 혹은

재구조화는 방안이다 우리나라의 교과별 교육 목 목표31)에 이미 제시되어 있는

역량과 련된 진술 혹은 내용들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컨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는 교과 목표로 ldquo자연 상과 사물에 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사고력과 창의

문제 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창의 이고 과학 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 소양을 기른다rdquo로 진술되어 있다 여기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

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은 실 으로 어렵다 교

과의 성격 가치 등과 같은 각 교과의 정체성32)을 고려해야 하며 교과교육 문가의

문 식견과 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핵심역량 기반 교과 목표의 설정이 가능

하다는 가정이 성립된다면 우선 으로 행의 교과목표를 재해석하는 작업과 함께 규

명된 핵심 역량을 어떤 교과에서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논의들이 심도 있게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핵심 역량을 교육내용의 선정조직에 반 하는 것이다 즉 해당 교과의 내용

체계표에 련 핵심 역량을 제시하는 방안이다

lt표 Ⅵ-1gt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의 연계에 따른 교육내용 조직 방안( 시)

단원 핵심 역량 00과 교과 내용

1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A

B

C

2 000 능력 000 능력

3 000 능력 000 능력

4 000 능력 000 능력

도 Bloom 등의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와 련된 교육 목표를 설정해 왔으며 그

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해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해왔다 다만 학교 교육에서 자료 정보로 구성된 명제 지

식을 강조한 나머지 핵심 역량이 수행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에서 학교 교육의 유용성에 한 문제 제기

는 가능하다 이는 학교 교육에서 수행과 무 한 lsquo지식 교육rsquo을 해왔다는 그간의 지 과 무 하지 않다

31) 교과목 목표의 설정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인간상 교육목표 설정과 연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과교육목표 설정의 근간은 상 개념인 인간상 학교 별 교육목표에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상 교육

목표에 제시된 것들을 보다 구체 으로 교과 교육에서 추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총론과 교과교육과정과

의 연계성 문제는 교육과정사를 볼 때 일정 부분 쟁 이 되어 왔다

32) 이 에 있어서 교과별로 일 된 형식과 내용으로 핵심 역량 기반 교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차후 검토의

상이 된다

- 50 -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1단원에서 A B C 라는 교육내용을 통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내용을 선정조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내용 선

정조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방안들이 강구될 수 있다 컨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교 별 학년별로 요구되거나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과 교육내용을 수

별로 혹은 계 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학교 별 학년별로 핵심역량과 련된 교육내

용을 화하여 통합 으로 구성함으로써 교과 지식에 담긴 외연과 내연을 심화하는

학습을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정화 할 수 있다

셋째 재의 교과 틀 내에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재 국가 교육과정에 존재하는 교과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교수학습 장면에서 국가 교

육과정 교과 교육 목표에 제시한 핵심 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컨 사회과에서 핵심 역량으로서 lsquo시민의식rsquo의 하 요소로 설정된 사회 참여 능력을

효율 으로 제고하는데 유용한 토론 발표 등과 같은 교수학습 상황을 개한다 이러

한 근 방식은 기존의 교과 교육에서도 개되고 있는 방식으로 교과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제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교 보수 이면서 소극 인 연계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비록 소극 인 방법이기는 하나 교육목표 교육 내용의 성격(

인지 정의 심동 측면)에 부합한 수업 략을 구 함으로써 핵심 역량에서 지향

하는 lsquo수행rsquo의 측면을 제고하는 장 을 지닌다

국의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의 제시방식은 핵심역량을 교과 내용과 련하여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해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한다 국의 경우 GCE A-Level

교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구성 체제(성격목표내용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과정 맨 뒤에 부록으로 핵심역량(key skills 의사소통능력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수

의 응용능력 타인과의 동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lt표 Ⅵ-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 방식의 (생물 교과)

방안 련 단원 주제 시 해당 단원

토론 1 2 3 4 5 6

복제기술 사용과 련된 윤리 사회 문제 1

인간 게놈 로젝트의 의미 1

산림 벌채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향 3

식품과 음료 산업에의 미생물의 활용 4

유 공학의 활용 5

발표 1 2 4

생태계에서의 에 지의 순환 1

실험실 문화(안 련 쟁 ) 2

심장 질환의 원인 4

독서와

요약2 3 5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 6

극한과 극서 상황에서의 유기체의 용 2 3

화학 돌연 변이 물질의 향 5

쓰기 2 3 6

유기체에서의 물의 역할에 한 종합 에세이 6

흡연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향 2 6

지구 온난화에 한 신문 기사 3

- 51 -

표에서와 같이 각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 각 교과에서 련되는 단원

을 제시하고 있다 각 단원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주제의 를 제시하고 제시된 주제

를 다룰 수 있는 단원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 내용과 련된 핵심 역량의 교수 방안을

구 함으로써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화 될 수 있는 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량 심으로 교과 교육을 재구조화하다 보면 교과 교육을 통하여 우리가

무엇을 가르쳐 왔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과 교육을 통하여 그동

안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지 못했는지도 알게 되는 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 하고자 할 경우 가장 선결되어

야 할 과제는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rsquo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이다 주지하다시

피 세계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경쟁력 제고를 한 교육의 질 리와 학교 교육의 책

무성 강화를 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 수 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미

국은 NCLB정책에 따라 매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2003년부터 매년 학

력향상을 한 학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도리(여유) 교육을 지양하고 기

학력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상당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 이 에서 본다면 학교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증진 기 학력강화

학업성취도 향상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 양립될 수 있는가 하는 이다 핵심 역량의 성

격과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지필형 검사로 측정하는 학업 성취도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편성운 의 성공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등학교와 학교에 비해 상 으로 학입시를 비하는 고등학교의 경

우 핵심 역량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 은 실 으로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핵심 역량을 실질 으로 측정평가하는 교육과정 평가 질 리 체제의 도

입을 신 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거시 으로 국가 교육과정 평가라는 체의 틀 속

에서 질 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미시 으로는 핵심 역량을 고려하여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핵심 역량의 요소 에서는 그 성격상

학업성취도를 통해 평가 가능한 것이 있고 그 지 않은 요소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심 역량 에서 학습자의 내 자질인 태도( 시민의식)를 강조하는

정의 측면은 내면화와 련된 것으로 가시 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며 실제 교수학

습장면에서 가르치기도 어려우며 지필형 검사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는가라는 이다

끝으로 미래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체 인 방향은 인 교육과 핵심 인재 양성 측

면에서 근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이 을 마치고자 한다 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

가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 52 -

참 고 문 헌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2006) 미래 사회의 도 한국교육 무엇을 비해야 하는가 학제 개편 토론회 자료

집 7-21

경상남도교육청(2008)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Ⅱ) - 국- 창원 경상남도교육청

교육 신 원회(2007) 학습 사회 실 을 한 「미래교육비 과 략(안)」공청회 자

료집 서울 교육 신 원회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5차 패 토론회 ldquo미래 사

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rdquo

김 철 외 (1996) 한국교육 비 202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안나 외 (2003)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안 연구

(Ⅱ)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진모(2001) 기업의 인 자원 개발을 한 역량 심의 교육과정 설계 직업교육연구

20(2)

김종인(2005) 역량에 한 새로운 정의와 인 자원개발에의 용 가능성 탐색 「임

연구」2005년 가을호

박순경(2008) 교육과정 선진화 개 방안 제3차 워크 자료(미간행 회의 자료)

소경희(2006) ldquo학교교육에서 lsquo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 시사rdquo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추계 학술 회 발표 자료집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2007)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 사례 고찰 -역량 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17(4)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안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

구 24(3) 39-59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연구(Ⅰ)

연구보고 RR 2002-19

유 숙 외(2004) 국가 수 의 생애 능력 표 설정 학습 체제 질 리 방 안 연구

(Ⅲ)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윤 진 외(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설정을 한 등학교 교육과정 비

연구(Ⅰ) 연구보고 RRC 2007-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53 -

이정표(2004) 성인의 직업기 능력 로그램 실태 조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홍민김종인(2003) 핵심 역량 핵심 인재-인 자원 핵심 역량 모델의 개발과 역량

평가 서울 리드 출

인성교육정책자문 원회(1998) 21세기 한국인상 정립을 한 세미나 자료집

임동욱 외 3(2004 3) 국회사무처의 의정 지원을 한 핵심 역량의 요도 분석 한국정

책과학학회보 8(1) 135-158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133

정미라 외(2007) 유아기 핵심 역량 표 설정을 한 기 연구 인 자원개발정책

연구 2007-6 서울 교육인 자원부

정철 외(2000)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향상방안 신구 학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분석 기본연구 98-7 서울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조 연(2006) 평생교육과 인 자원개발의 계 고찰-북미 련 문헌을 심으로 평생교

육학연구 12(4) 1-17

진미석 외(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 개발 연구 정책연구개발사업

2007-공모-30 서울 교육인 자원부

최항섭(2007) 미래연구방법론 KISDI 이슈리포트 서울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홍후조(2006) 국가교육과정 안 분석 연구 정책연구 2006-02 서울 교육 신 원회

인 자원개발기본법(법률 제6713호)

제2차 국가인 자원개발 기본 계획(2006-2010)

등교육법

고등교육법

Hamel G amp Prahalad C K(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79-93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DeSeCo) OECD Press

QCA(2006) The curriculum QCA Looks forward

Rychen D S(2004) Key Competencies for all an overarching conceptual frame of

r e f e r en ce (h t tp www un a l e d u c od ira ca dcomp e ten c ia sKey

Competencespdf)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8) 민병모 외 역 핵심 역량 모델의 개

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

- 54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홍후조(고려 학교)

Ⅰ 핵심 역량의 근원 혹은 작용하는 터

핵심 역량을 열거할 때 요한 것 하나는 어디에서 어떤 장면에서 그것을 추출할

것이냐이다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 추출 장면에서 포 성과 배타성이 지켜지지 않으면

매우 복잡하거나 균형이 잡히지 않은 핵심 역량을 추출하거나 열거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발표문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나라의 교육목표에 나타난 핵심 역량을 분류하기

해 마련한 거인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인 계능력 정보처리능력

자기 리능력 시민의식 기 학습능력 직업 비능력 상황 처능력 심미 감수성 다

문화이해 환경의식 등은 나열 순서나 포함하는 범 나 언명하는 차원이 제각각이다 마

찬가지로 설문조사를 하기 해 열거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

능력 인 계능력 자기 리능력 기 학습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

문화 이해 능력 직업 소양 등도 여 히 차원 범 분량 수 이 제각각이다 이 에

서 본 연구는 추출 장면을 더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역량이 어디서 나온 것이

며 어디에 무엇하는데 쓰이는 것이며 구의 구를 한 것인지에 한 숙고가 더 필

요하다 이런 것을 제 로 확인하지 않고 핵심역량을 여러 나라나 연구에서 공통 으로

지 한다고 하여 본 연구는 이를 종합하여 나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토론자가 보기에 핵심 역량은 (1) 개인의 지정의체지덕체의 균형 측면 련 (2)

학습자로서 학습하는 장면 집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개인의 (3) 일상 생활인이나 가족

의 성원으로서 생활 장면 (4) 경제 직업인으로서 생활 장면 (5) 정치 시민으로서

생활 장면 (6) 지역 사회 국가 사회 지구 사회의 공동체 유지와 발 과 련된 장면

등에 터하여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도 일정한 근거를 가지는 셈이라고 본다 더 인

다면 재까지 여러 나라들이 상정한(추출한) 핵심 역량들도 (1) 개인의 인 성장(자

기 리) (2) 학습자로서 필요한 능력(기 학습 정보처리) (3) 집단의 성원으로서 필요한

능력( 인 계 상황 처 창의력 의사소통 문제해결) (4) 공동체의 유지와 발 에 필요

- 55 -

한 능력(시민의식 친환경 다문화)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이것들은 교육의 목표 추출

역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 교육과정 으로 보면 핵심 역량은 (1) 학문과 교과 련 핵심 역량(교과 공통과

교과 특수) (2) 학습자 개인 련 핵심 역량(지덕체지정의체) (3) 사회(경제 직업 정

치 시민 등)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별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열거한 핵심 역량을

이런 거에 따라 구분하면 (1) 자기 리능력은 학습자 개인 련 핵심역량으로 (2) 기

학습능력 정보처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등은 교과학습 련 핵

심역량으로 (3) 인 계능력 시민의식 환경 의식 세계화 소양 다문화 이해 능력 직

업 소양은 사회 련 핵심 역량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과학 개념이나 활동을

두부 모 자르듯 할 수는 없지만 복잡한 핵심 역량의 추출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는 있

다 (1) 자아 련 핵심 역량 자기 리력(건강체력의지감정시간) 자기존 감 술

심미성 진로개척능력(자활 선택과 비) 등 (2) 학습 련 핵심 역량 기 문해력 수리

력 정보처리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문제해결력(비 력과 창의력 논리 사고력과 경험

실증력 추리력 분석력과 종합력) 등 (3) 타인 련 핵심 역량 의사소통능력 인 계

능력( 동 타인 존 과 배려 용 공감) 등 (4) 사회 련 핵심 역량 직업수행능력(지식과

기술 태도 자격과 면허) 기획력 실행력(실천력) 교섭력 조직화능력 민주시민소양(권리 참여

의무 다양한 가치 수용 지속가능한 발 성찰 사고와 행동) 세계시민소양(다문화 응력)

등으로 나 수도 있을 것이다 요컨 본 연구에서는 포 성과 함께 배타성을 견지하기

하여 핵심역량이 추출되는 장면과 근원에 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 기존의 핵심

역량들이 그것들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해 추가 인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핵심 역량이 결국 쓰이는 곳에 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ldquo핵심 역량은

lsquo다양한 상이나 문제를 효율 으로 혹은 합리 으로 해결하기 해 학습자(혹은 사회

인)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rsquo로 규정한다 [핵심 역량은] 개개 학습자 혹은

사회인이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되고 독특한 능력이라기보다는 등학교교육을 통해

구나가 길러야할 기본 이고 보편 이며 공통 인 능력의 성격을 견지한다rdquo 핵심 역

량이 주로 사회인의 직무 수행과 련된 것으로 정의되어왔으나 연구진은 직장 업무와

함께 학교 학습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학교교육이 단기 으로

는 상 학습을 한 능력을 비하는 것이고 장기 으로 사회의 직업 업무 수행을

한 비라고 할 때 이 핵심 역량은 (1) 학업을 한 것과 (2) 직업을 한 것으로 나

수 있다

- 56 -

Ⅱ 교육에서 핵심 역량이 요청되는 이유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 왜 새삼스럽게 무엇 때문에 핵심역량이 문제가

되는가에 한 반성 고찰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본다 발표 에서는 OECD 국가들

이 핵심역량으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을 옮아가기 때문에 우리도 이를 받아들이는 것으

로 취 하는 편이다 토론자는 우리 교육이 교과 심의 그것도 청각과 시각 심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데서 오는 한계에서 우리 교육은 핵심역량을 담아내는 교육 로그램

이 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교과 과잉 교과 학습이 제 특성을 잃고 동소이하게 가르

쳐지고 배우고 한 시험이 치러지는 상을 극복하기 하여 핵심 역량이 교육 안으

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 교육은 교과 지식 과잉과 시험 과잉의 극복이 요청된

다 교과 지식 일변도가 아니라 교과 아닌 것들도 개인 으로 유의미하고 사회 으로

한 것이 지 않기 때문이다 분과화된 교과의 분 지식과 내용으로는 미래 사

회에 처할 수 없다 창의 문제해결력 통합 인 에서 쟁 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

청된다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지식과 기술은 가시 이고 교육을 통해 변화 확

인 가능한 것이지만 동기 특성 자아 등은 비가시 이고 가르치고 배우기도 어렵다

교육을 통해 ldquo건강한 자기 존 감(healthy self-esteem)을 기른다는 핀란드의 교육은 핵

심역량을 기르는 것에 근 해 있다 인의 형성과 같은 교육 본래의 역할이 지식과 기

능 인 것 특히 정보와 지식에 치우치는 것을 넘어 실제 인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기 하여 핵심 역량은 학교교육에서 더 강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핵심 역량은 상

으로 생활력 사회 역량 할 수 있는 능력 체화된 역량 장에서 발 되는 암묵

지 략과 기술 등의 개발과 계되기 때문이다 핵심 역량을 기르는 목 은 통합 실

무 능력을 익 서 유능하고 경쟁력 있는 민주시민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핵심 역량이 강조되는 이유는 교과와 교과외의 통합 교육활동 특별활동 교육과정

으로 구성되는 균형 추구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 내용은 체로 (1) 지식(교

과) (2) 기능 과정 (3) 태도 가치 인식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한 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해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다 그러나

이것들 우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을 제외하고 기능 과정과 태도의 역은 상

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지식 습득과 능력 구비의 균형 추구 지식 기

능 태도 사회성의 균형 추구 개인 자본의 형성과 확 와 사회 자본의 형성과

확 의 균형과 조화 추구 역량 가치 태도의 교육을 소홀히 않는 교육과정 설계가 필

- 57 -

요하기 때문에 핵심 역량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Ⅲ 핵심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 역

핵심 역량을 기름에 있어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져야할 부분과 일상생활이나 직업생활

을 통해서 길러져야할 부분에 한 구분이 필요하다 세 연구기 이 공동연구를 행하는

취지를 달성하기 해서도 역할분담은 필요하다 직능원에서 직업생활에 필요한 것 평

생교육진흥원에서 평생학습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을 드러낸다면 평가원은 학교교육

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 개발에 더 치 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 등 lsquo학교rsquo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확인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기존 교과(학습 역)나 특별활동 등 학교교육 체를 통해 달성해야할 모든

역량을 핵심역량이 망라하거나 교과나 특별활동에 의해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고 다른

역들이 잘 못하거나 무 심한 부분에 한정하여 핵심역량을 달성할 방안을 모색

해야할 것이다 특히 교과와의 계에서 교과로 달성 가능한 것 부분 으로 달성되는

것 달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정도를 나 어서 교과로 () 달성되지 못하는 핵

심역량을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에서 달성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학교교육을 통해 달성할 핵심 역량을 규명해가다 보면 이미 여러 교과를 통해서

혹은 특별활동이나 창의 재량활동 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잘 하고 있는 것을 만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것을 확인하고 기존에 잘 달성해오던 핵심 역량은

그 로 두고 기존 교과나 다른 활동을 통해서 길러지지 못하고 있으나 단기 으로 학

교교육 장기 최종 으로 직업교육에 꼭 필요한 핵심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

를 길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핵심 역량에 한 포 성

배타성 높은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확인하여 열거해주는 일도 요하지만 더 요한

것은 기존 학교교육에서는 잘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요하다 즉 각 교과는 나름 로 핵심역량들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그리고 재량활동이나 특별활동도 나름 로 핵심 역량을 기르는데 일정한 역

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교과나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서도 제 로 길러지지 못하

고 소홀히 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이며 그런 핵심 역량은 어떻게 길러질 수 있는지 확인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58 -

Ⅳ 각론 교육과정의 구성 역

ldquo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 핵심역량 등 4개로 구성할 것인가 혹은 재구성하는 3개

로 할 것인가 하는 등의 교육과정 의사결정이 필요하다rdquo 과연 교과 이외의 활동을 복

수(複數)로 더 나 는 것이 바람직한가 각론을 구성하는 역들은 교과 재량 특활이

지만 재량이나 특활은 교과에 려서 차 미미한 비 에 머물고 있다 이 게 보았을

때 2원 구조로 가거나 3원 구조로 갈 때 필요한 것은 확실한 역할 분담을 찾는 일이다

핵심역량이 기존의 것들과 이름이 다르다고 하여 새로운 축으로 들어앉힐 수는 없을 것

이다 그 게 되면 옥상옥이 되고 창의 재량활동 꼴이 될 것이다 앞서 언 한 로

교과로써는 잘 달성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선무이다 교과와 교과외 활동을

구분하고 핵심역량과 창의 재량활동 특별활동의 역할을 구분하는 논리 정지작

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것들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역이나 활동을 확인하여 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 역의 분할 문제는 2원 체제(교과 vs 교과 아닌 것특별활동)

이거나 3원 체제[교과(지식gt역량gt태도) 통합 역량(역량gt태도gt지식) 특활(태도gt역량gt

지식)]이면 충분할 것이다 비 도 얼마 되지 않는데 4원 체제를 언 하는 것은 주의를

요한다 달성할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배워야 할 핵심 교과 혹은 학습 역(key

learning areas)과 추구할 핵심 가치와 태도(key values and attitudes)와 연계되어 검토

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각각을 가장 잘 달성할 것 같은 교육 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 요하다 교과와 별도로 길러야할 핵심역량을 정하고 이에 맞는

cross-curricular theme을 정하고 어떤 로그램 혹은 integrated programsactivities을

통해서 integrated goals을 달성하도록 길을 여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 가 어디까지인지 잘 알지 못하지만 해당 핵심 역량을 어느 시기에서

기르는 것이 가장 한지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학년군별로 어떤 핵심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한 것인지에 한 확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학년군에 모든

역에서 모든 핵심 역량을 고루 기른다고 하면 사실과 다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

문이다

- 59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강윤 (인간교육실 학부모연 )

I 들어가며

이 은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이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 지를 탐

색하는 것을 목 으로 하고 있다

이 을 읽으면서 가장 궁 했던 것은 새로 규명하는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이 어떻

게 국가 교육과정에 흡수되어 학생들이 지 까지와는 달리 학교에서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을 어떻게 실질 으로 배워나갈 수 있는가 다 즉 발제문의 마지막 문장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답을 기 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교육과정과의 연계 문제는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 구체 인 교육과정 구성 등에 한 속

시원한 답을 얻지는 못했다

토론문은 결론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방안을

심으로 작성하 고 그 외에 의견이나 의문 등을 간단히 정리했다

II 발제 원고에 한 의견

1 미래 사회의 특징

연구에 앞서 진단한 lt표 1-1gt 미래 사회의 특징과 상의 내용은 우리에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 으로 공통 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겠으나 여기에 한국인만이 직

면하고 있는 lsquo분단rsquo과 lsquo통일rsquo 요소가 빠져있는 듯하다 남북 계는 한국의 미래를 결정

- 60 -

하는 요한 변수로 재 lsquo분단rsquo으로 생기는 사회 문화 정치 경제 요소가 고려되어

야 하고 lsquo통일rsquo 이후의 변화 요소에 한 가상 미래사회 시나리오도 동시에 연구

되어야 할 매우 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 국가 간 핵심 역량 교육과정 련 문서 표 비교

lt표 Ⅱ-9gt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등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서 국

외와 국내의 연구를 비교해 보면 국외는 핵심 역량의 항목이 비교 구체 이어서 교

육과정과의 연계가 쉽게 상상이 되는데 비해 국내는 추상 인 표 이 많아 실질 교육

과정과의 연계가 어렵다 국내 연구도 최근에 가까울수록 특히 국가교육과정포럼운

원회(2007)의 경우는 단히 구체 이어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해가 쉽다

- OECD DeSeCo 2002 도구를 상호작용 으로 활용하는 능력 사회 이질 집단에서

상호 작용하기

- 뉴질랜드 2007 자기 리 언어 상징 텍스트의 활용 참여 공헌

- 호주 빅토리아주 2007 건강과 체육 정보통신기술 디자인 창의성 공학

- 캐나다 퀘백주 2001 환경의식 건강과 참살이 소비자 권리와 책임 미디어 리터러시

- 곽병선 2001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동작업능력

- 교육 신 원회 2007 동과 사 갈등 리 술 문화의 감성 등

이러한 흐름은 각국의 교육목표 련 문서에 내재된 핵심 역량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lt표 Ⅲ-1gt과 lt표 Ⅲ-6gt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요

인 가운데 시민의식 항목을 뉴질랜드와 한국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뉴질랜드 한국

교육비

극 참여

신뢰감

활동성

지역사회 구성원 되기

국제사회 시민 되기

자국의 사회 문화 경제 환경

안녕에 공헌

민주시민 의식 자질

공동체 민주국가 발 에 공헌

인류공 실 에 이바지

폭넓은 교양

핵심기능

공동체에 극 참여하기

신뢰하기

자신의 권리 역할과 책무성 조화

소속감

사회 문화 물리 경제 환경의 지속 가능

성에 공헌하기

국가 공동체 형성 발 에 노력

세계 시민 의식과 태도 형성

세계 시민의 자질 함양

- 61 -

3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안)

핵심 역량에 한 의견 조사의 결과는 역이나 요소가 상당 부분 구체화된 경향이

보인다 를 들어 문제해결능력은 lsquo문제의 발견rsquo lsquo문제의 명료화 rsquo해결 안의 탐색lsquo rsquo

안의 실행과 효과 검증lsquo으로 36쪽의 lt표 Ⅲ-6gt 한국의 등학교 교육과정 련

문서에 제시된 능력 요인의 문제해결 항목의 교육목 이 lsquo문제해결력rsquo 한 단어 던 것에

비해 단계 으로 요소가 나뉘었다

그러나 42쪽의 lsquo시민의식rsquo과 lsquo국제 감각rsquo의 요소는 여 히 추상 인 의미의 로 표

된 듯하다 시민의식은 lsquo공동체 의식rsquo lsquo신뢰감 책무성rsquo lsquo민주 생활방식rsquo 법정신

환경 의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감각은 lsquo자 문화 계승 발 rsquo lsquo다문화 이해rsquo lsquo외

국어 소양rsquo lsquo문화 감수성rsquo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핵심 역량과 교육과정 구성의 연계 방안

이 은 핵심 역량이 교육과정 구성에 작동 혹은 연계되는 것과 련해서 3가지 과

제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핵심 역량을 lsquo인간상rsquo lsquo교육목표rsquo 설정과 연계시키는 방안

이다 이는 이미 lsquo홍익인간rsquo 등의 설정이 있었다 다만 사회가 변화하면서 사회에 합한

인간상이나 교육목표로 바 는 수순을 밟고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의 요소로 핵심역량 설정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핵심 역량은 교

육과정의 한 요소라기보다 교육과정 반을 통해 계발해야 할 총체 역량인 듯 하다

셋째 핵심 역량을 교과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 이다 lt표 VI-2gt 국의 GCE A-level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교수방안 제시방식의 와 같이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

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발제문 50쪽에서 행 설정된 교과의

목 과 목표를 핵심 역량 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구체 으로 제시하는 것이 실

으로 어렵다고 했지만 lsquo많이 알면서 시험 성 은 좋은데 당면한 문제 상황에 요구되

는 실질 인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rsquo에 한 해결책이라는 을 주목한다

면 어쩌면 연구자 입장에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야 할 작업일 것이다

이 경우 행 lsquo교육과정 평가와 질 리체제는 획기 인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행

의 일률 평가로는 핵심 역량을 평가할 수가 없으므로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비해야

할 것이다 수 별 평가 보다 범 한 수행 평가 교사별 평가 등 다양하면서도 구체

인 평가방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발제문 5쪽의 인 역량 개념을 정리한 하버드 학의 심리학자 맥클리랜드

- 62 -

(McClelland)의 논문 lsquo지능검사에 한 역량 검사의 우 성(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rsquo에서 통 인 의미의 지능검사보다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에

서 실제의 성과로 나타나는 역량평가가 더 의미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학업 성

검사나 성취도 검사들이 업무 성과나 직업에서의 성공을 측하지만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 수행자를 비교

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을 맞추었다(McCelland 1973)는 연구결과

도 있다

III 나오며

최근 많은 학부모들이 왜 학교는 애들에게 세상살이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공부 즉

쓸데없는 공부를 많이 주입시키면서 시험을 한 시험을 보는지에 해 고민하면서 외

국학교와의 비교를 자주 한다

lsquo세계화 시 rsquo lsquo다원화 시 rsquo lsquo지식 정보화시 rsquo 등 세상에서 요구하는 것은 많이 바

는데 학교는 요지부동인 것이 많이 못마땅하다 새벽부터 밤까지 무엇을 한 공부인지

생각할 겨를 없이 무조건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도 지친다

책임자가 바뀔 때마다 교육은 바 어왔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운 해오고 있지만 실질

으로 바 것은 많지 않다

이번 연구가 미래사회의 교육 핵심역량을 추출해서 향후 국가 교육과정 구성에 어떤

시사 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주목 이었지만 결론에서 제안한 교육과정과까지 실

질 연계되는 단계로 연구가 발 하여 학교가 새로운 미래사회가 필요한 인재를 육성

하고 그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발 이 되기를 희망한다

- 63 -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정철 (서울 학교)

핵심 역량과 련하여 국내외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미국

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등 주요 선진 국가에서는 오래 부터 개인이 갖추어야 할 역

량이 무엇인가에 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연구 결과 이러한 역량을 Key

competency Core skill Common skill Basic skill Transferable skill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말 그 로 가장 요한 핵심(Key 는 Core)이 되거나 공통 으로 요구되는

(Common)이 되는 역량 기본이 되거나(Basic) 이도가 높은(Transferable) 능력을 말함

우리나라에서는 ldquo핵심역량rdquo ldquo생애능력rdquo ldquo직업기 능력rdquo ldquo기 직업능력rdquo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다면 미래 사회에서 인간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 (common)으로 요구되고

핵(key core)이 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그 핵심역량을 어떻게 등학교에서 교육

하고 육성할 것인가에 한 이 연구는 매우 요하며 시의 하다 이 요한 연구와

련하여 토론자로써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사항과 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Ⅰ 연구 제목과 련하여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rdquo은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

는 핵심 역량rdquo으로 이해 될 수도 있고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

량rdquo으로도 이해 될 수 있다 그런데 원고의 내용을 볼 때 이 연구는 ldquo 등학교 교

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이라고 단됨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제목을 수정하

는 것이 필요하다

- 64 -

Ⅱ 선행 연구 고찰과 련하여

핵심역량 ( 는 직업기 능력)과 련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

었다(lt표 Ⅱ-1gt 참조)

유사 역군

국가 원회 명명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리

능력

자원활용능력

인계

력능력

정보의처리

활용능력

기술지식의용

능력

문화이해능력

기타

미국

SCANS1)

workplace know-how

ASTD2)

workplace basics

Michigan employment skills

New York basic skills

NAS3)

core competencies 12)

FEU4) core skills 13)

CBI5)

core skills 14)

NCC6)

core skills 15)

GNVQs7) core skills

호주

Karmel 원회 general competencies

Finn 원회 key competencies

Mayer 원회 key competencies

뉴질

랜드

CICAQ8)

generic skills

NZPC9)

generic skills 16)

교육부 generic skills 17)

CICAQ10)

generic skills

독일 PETRA11)

core skills

주 1) SCANS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12) 사회경제 연구능력

2) ASTD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3) 산업 사회 환경에 한 연구능력

3) NA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4) 일의 세계와 국제사회에 한 이해능력

4) FEU Further Education Unit 15) 외국어능력

5) CBI Confederation of British Industry 16) 상업 경 능력

6) NCC National Curriculum Council 17) 신체능력

7) GNVQs General National Vocational Qualifications

8) CICAQ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9) NZPC New Zealand Planning Council

10) Committee of Inquiry into Curriculum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in Forms 5 to 7

11) PERTRA ProjEct and Transfer oriented tRAining

자료 정철 (2008 8) 문 학에서의 직업기 능력 개발 문 학소식 103호 한국 문 학교육 의회 p 13

lt표 Ⅱ-1gt 선진 외국의 핵심 역량 ( 는 직업기 능력)의 역에 한 연구 종합

- 65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96년 교육개 원회에서 련 정책이 제안된 이후 1997년부

터 그 역과 요소에 한 논의와 연구가 교육부( 재의 교육과학기술부)를 심으로

본격 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노동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년에는 인문사회연구소 산하 국책연구기 에서 공동으로 많은 연구가 동시 다발 으로

수행되고 있음 따라서 이론 고찰에서 이러한 연구의 동향과 내용에 한 보다 심도

있는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Ⅲ 핵심 역량 추출 방법과 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등학교 교육 련자( 등학교 교사와 교육 학 사범 학 교수)를 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rdquo이라면

핵심 역량의 추출을 하여 재 등학교에 재직하고 계시는 선생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하지만 ldquo 등학교 교육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rdquo인 경우에

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이 경우에는 핵심 역량이 무엇을 한 핵심 역량이며 어디서 필요한 핵심 역량

인가 요하다 등학교 시 에 수행해야 해야 하는 역할을 성공 으로 행하기

한 역량이라고 볼 수 도 있고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필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도 있

음 일반 으로 핵심역량은 후자를 일컬으며 연구자도 ldquo본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등학교 학생들이 획득해야 될 핵심 역량을 규명하고 추출rdquo 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을 추출하기 해서는 련 문가 학자 특히 산업 장의

리자 재직자 직업 직업교육 문가 미래학자 등을 주 상으로 조사하여 그 요

소들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학교 장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반 되고 있는가에 해서는 재 재직 이

신 선생님들과 련 학 교수님들을 상으로 물어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Ⅳ 핵심 역량(안)과 련하여

이 연구의 V장에서는 등학교를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안)이 제시되어 있는

- 66 -

데 연구자께서는 ldquo문헌 분석(선행연구 외국 사례 등) 문가 의회 설문조사 등에

기 하여 등학교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 역량을 설정하 다rdquo라고 하고 있지

만 구체 으로 핵심역량이 어떻게 추출되고 9개 역으로 묶여졌으며 9개 각 하 요

소들은 어떻게 구분되어 제시되었는지에 한 명확한 기 이나 구체 인 방법에 한

설명이 없다

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이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것과는 어떻게

다르며 차별화 되는지 그 차이의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지에 한 설명과 논의가 필요

하다 이와 련하여 몇 가지 세부 인 의문 사항을 시하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에서는 일반 으로 외국어 소양을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로 하고 있으

나 이 연구에서는 ldquo국제감각rdquo의 하 요소 구분하고 있음

의사소통능력의 하 요소는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 ldquo다양한 상호작용기

술 (다양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상징 텍스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rdquo이라고 되어 있는데 의사소통능력에서 요한 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표

능력은 제시되어 있지 않음 한 ldquo경청 공감rdquo ldquo이해 반응rdquo은 다른 차원

의 분류가 아닌지( 를 들면 이해의 한 가지 방법이 경청은 아닌지)

윤리와 련해서는 ldquo직업윤리 ( 는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rdquo ldquo시민윤

리rdquo 등도 요한데 ldquo정보윤리rdquo만이 별도로 제시되어 있음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는 다른 역량에 비하여 무 다양하고 세분화 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특히 하 요소로 제시된 학습능력은 기 학습능력과 자기주도 학

습능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다른 요소에 비하여 무 세분화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일반 으로 사고기능( 는 사고력)은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창의력의 하 요소로 구분되어 있음

리더십은 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 계의 하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 연

구에서는 리더십이 제시되어 있지 않음 등등

Ⅴ 연구 범 추후 연구와 련하여

이 연구의 범 를 등학교에서 강조해야 하는 핵심 역량의 추출에 국한 할 것인

가 아니면 핵심역량의 추출은 물론 그러한 역량들이 재 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에 한 실태 특히 교육과정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 되어

- 67 -

있고 교육방법으로는 어떻게 실시되고 있으며 어떻게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한 사항들도 포함해야 할지가 요한 사안이다 자는 기본 제가 되고 후자는

등학교 장에서 더욱 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자의 내용을 정확히 추출하

고 이를 기 로 앞으로라도 후자가 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방법으로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고 등학교 시 에 으로 해야 할 것이 있다 한

재의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의 개편 는 신설 교과를 통한 방법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고 이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히 선택 용하

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등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핵심 역량의 요성에 해서는

쉽게 합의가 도출되겠지만 그러한 요소들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지 특히 이와

련하여 교과의 명칭 는 내용을 어떻게 개편할 지에 해서는 각 교과 담당자의 이

해 계가 상충되므로 매우 어려울 것으로 견된다 따라서 각 교과 이해 계자들의 이

해와 수용을 어떻게 이끌어 내서 교육과정에 반 할 것인지 그리고 핵심역량과 련하

여 교사들이 올바르게 교육방법을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

지에 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Ⅵ 세미나 주제와 련하여

본 세미나의 주제는 ldquo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dquo이며 제1

주제는 등학교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 제2주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제3주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제를

이와 같이 3개의 주제로 나 면 복해서 다루어야 하는 부분도 있고 다루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한 상호 주제간의 연 성이 모호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1)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지를 먼 구명하고 (2) 다음

으로 그러한 능력을 등학교 학교 평생학습기 기업 산업 장에서는 어

떻게 육성할 것인지를 다루고 (3) 마지막으로 이를 하여 이러한 기 간의 교육과정

의 편성 운 상의 역할 분담 연계체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법 제도 으로 지원

할 것인지에 한 주제로 나 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단된다

쉽지 않은 방 한 주제에 하여 일목요연하게 자료를 정리하고 발표하신 연구자께

감사를 표하며 오늘의 토론이 앞으로의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토론을 마치고자 한다

- 68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6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방법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Ⅲ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4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결과 요약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추출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Ⅴ 결론 논의

참고문헌

- 70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7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구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 변되는 격한 사회 변화 속에 개인이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행복한 삶을 하고 사회의 지속 인 발 이 이루어지기 해서는 어떠한 자질

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 한 국가 경쟁력의 핵심 인 요소가 그 나라 국민이 가진 역량이

라고 보고 각 국가는 그 나라의 국민의 역량이 어떻게 분포하는가를 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직업훈련의 강화와 교육체제를 개편하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자 하고 있다

(OECD 2003 2005)

직업생활에 있어 주어진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인 직업능력은

크게 직업기 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업기 능력은 직업능력의 하

구성요소로서 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행하는 데 공통 으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이고 직무수행능력은 특정 직종 는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 으로 수

행하는 데 필요한 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정철 외 1998) 사

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살아가기 하여 부분의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는 에서 핵심 역량에 한 논의는 바로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와 크게 구별되지 않

는다 모든 직업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서의 직업기 능력의 부분의 요소들

은 그것이 단지 직업 생활이라는 맥락에서만 용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생활

사회 참여자로서의 생활 가정 구성원으로서의 생활 등 삶이 모든 국면에 이가 가능

한 핵심 능력이다 따라서 포 인 의미에서의 핵심 역량과 직업기 능력은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

직업기 능력은 어로는 key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core skills basic skills

generic skills 등 다양한 용어로 표 되어 왔다 직업기 능력의 개념과 련하여 주의할

사항은 직업기 능력에서 lsquo기 rsquo라는 표 이 낮은 수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이

되고 공통이 된다는 이며 그것이 요청되는 수 은 직업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철 외 1998)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정철 나승일서우석송병국이종성이 수행한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에 한 연구」를 시작으로 이와 련된 많은

연구가 재까지 진행되었다 직업기 능력을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 할 것인가(정

철 서우석나승일송병국강경종 2000a 정철 서우석이길순 2000b 정철

- 72 -

나승일김종우허 2001 박동열 2006)에 한 연구 직업능력인증제 혹은 국가

자격표 개발과 련하여 직업기 능력이 논의된 연구(이동임 외 2000 조정윤박종

성김상진 2002 나승일장석민서우석김진모이성 2003) 직업기 능력을 측정하

고자 한 연구(진미석이수 송창용 2007)가 있으며 2008년 재에도 몇 개의 연구가

진행 이다

많은 국내외 연구가 재까지 축 되었으나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무엇인가에

한 정설은 없는 가운데 재까지는 정철 외가 1998년에 제시한 하 요소가 많은 연

구에서 기본 틀로 활용되고 있으며 암묵 으로 하나의 기 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1998년도에 수행된 것으로서 시 에서 그 연구가 제시하고 있는 하 역

요소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 은 직업기 능력에 한 기존의 논의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데 목 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표 하 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

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로 체하거나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자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수행하

고 있는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추출된 역량들은 최종 으로 종합

되어 향후 학교 교육과정의 개편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 된다

2 연구 방법

가 역량 추출 방법 선정 근거

Weinhert(2001)에 따르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기본 으로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주목하여 역량을 추

출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규범 근은 직업세계에서 성공 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은 바람직한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경험 근

에서도 성공의 기 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규범 요소가 포함된다는 에서 볼 때 가치

단 요소를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것은 규범 인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

며 따라서 보는 에 따라서 요하게 여기는 역량이 다를 수 있다 결국 구의 의견

이 반 된 규범인가 라는 것이 건이 될 것이다 논란을 피하는 가장 안 한 방법은 많

- 73 -

은 사람이 동의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할 경우 후보로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있을 것이며 그 과정에서 배제되는 역량이 있

을 것이다 다른 방법은 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 이 조사이다 그러나 충분한

사 논의나 숙의 과정이 없이 진행되는 델 이 조사를 통하여 수렴된 의견이 얼마나 설

득력이 있을 것인지에 해서 여 히 의문이 남게 된다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추출은 그것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따라서 합

의의 범 와 차가 달리 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 자격제도 운 과 같이

국가 수 에서의 정책 반 을 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결정하고자 한다

면 국가 수 에서 합의 차를 밟는 것이 요청된다

규모 설문조사와 델 이 조사가 가질 수 있는 한계에 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 즉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는 등의 실증 데이터 수집과정을 거치지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기존에 국내에서 수행

된 표 인 연구 결과들을 비 으로 검토하는 데 을 맞추고자 한다 국내에서

표 으로 인정되고 있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하 요소와 가장 최근에 델 이 조사

를 통하여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선정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연구 결과를 본

연구의 역량 추출의 출발 으로 삼고자 한다

나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련된 다양한 자료 분석

기존에 성실하게 수행된 연구 결과를 비 으로 검토하기 해서는 일정한 안목과 근

거가 요청된다 이를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 속에 나타나 있는 단서들

을 찾아서 분석하 다 그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국내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강조되는 특성 분석

- 국내 기업 직원 교육 로그램에 반 된 핵심 역량 분석

- OECD 직무요구분석(Job Requirement Analysis)에서 제시된 스킬 분석

- 산업별 직업 연구에서 제시된 기 직무능력 분석

다 주요 구인에 한 이론 논의 검토

선행 연구에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각 구인에 하여 충

분한 이론 논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경험 자료에 기 하여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명이 설정되고 델 이 조사에 의하여 역이 확정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일정

- 74 -

한 임의성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비 하는 것 역시 임의성으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규모 실증 조사나 델 이 조사 근거가 없다는 에서 임

의 이라는 비 을 받을 가능성은 오히려 더 크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개선하기 보다

는 임의 기 에 의해서 비틀어 놓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험을 피하기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하 요소를 변경하거나 역의 명칭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그 구인에 한 심리학 논의들을 최 한 참고하고자 하 다

라 문가 의회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단되는 하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필연 으로

개입되는 임의성을 최 한 배제하기 하여 련된 연구를 수행한 문가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반 하고자 하 다

[그림 Ⅰ-2] 직업기 능력 하 요소 추출 과정

- 75 -

Ⅱ 직업기 능력의 개념 하 요소에 한 선행 논의

1 개념 정의 핵심 역량 직업기 능력

가 역량의 개념

지난 수십 년 간 역량은 그 모호한 개념 속에서 학문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맥락 속

에서 매우 유행하는 용어가 되었으며 일종의 개념 ldquo인 이션rdquo이 일어남으로써 다

양한 의미가 추가되어 왔다 competence 즉 역량은 웹스터 사 에 ldquofitness 는

ability로 정의되어 있으며 비슷한 말로 capability capacity efficiency

proficiency skill이 제시되어있다 역량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나33) 공통 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특정한 목 에 도달하기 하여 필요한 능력

의 체계로 해석되고 있다 역량은 개인 성향(dispositions)에 용되거나 한 사회 혹은

집단 수 에서의 그러한 성향의 분포를 논하는 경우도 있다 역량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이는 사람들과 련됨과 동시에 매우 변하는 사회에서 박하게

요구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하여 개인이 반드시 가져야 할 학습 성향을 포함한다

(Weinert 2001)

스펜서(Spencer amp Spencer 1993)는 역량을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보고 이는 지식 기술

자아개념 동기 등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한상근최동선정윤경(2006)은 역량의 개

념에 한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아래 lt표 Ⅱ-1gt과 같이 검토한 후에 역량의 구성 요

소는 지식 기술 태도라고 보았다 여기서의 지식이란 작업을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개념 원리 체계화된 이론이며 스킬이란 해당 작업 수행을 한 구체 인 차와 방법

에 따라 작업에 용해서 기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태도는 직무

33) 역량이라는 용어는 1920년 과학 리의 창시자로 불리는 Taylor가 업무를 세부 인 구성요소로 나 것

을 제안하면서 역량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 다 한 2차 세계 심리학자인 flanagan(1954)이 요사

건면 기법(critical incident interview)을 통해서 업무 사건 기 요 문제 등과 같이 특정한 상황 하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한 자료를 수집하여 lsquo성공 인 수행과 련된 결정 특질(trait)이나 기술

(skill) 등을 악하려고 시도하 다 인 역량의 개념을 정립한 것은 성취동기이론으로 유명한 맥클리랜

드(McClleland)로서 성공 인 업무 수행자와 평균 인 업무수행자를 비교해서 성공과 련된 특성을 규명하는

데 을 맞추었다(윤 진 김 이 우 제철 2007)

- 76 -

수행에 한 개인 차원의 행동 정서 인지 역에서의 비 상태 는 반응

경향성을 의미한다

lt표 Ⅱ-1gt 역량에 한 정의

한국직업

능력개발

원(1999)

Norton Robert E

(1999)

정철 외

(1998)

L G인화

(2004)

P a r r t

S c o t t

B(1998)

임 창 희

(2003)

Spencer

amp

Spencer

(1993)

McLagan

(1989)

박 우 성

(2002)

강순회 외

(2002)

황 욱

외(2004)

어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mpetency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e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석능력 성취 능력 직업능력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역량 핵심역량 핵심역량

어떤 직종

에서 직무

를 성공

으로 수행

하는데

으 로

필요한 지

식 기능

태도 가치

등을 모

두 포 함

주어진 직

업의 과업

을 수행하

기 해 요

구되는 지

식 기술

태도의 성

개인이 주

어진 직업

의 과정을

효과 으로

그리고 능

률 으 로

수행할 수

있을 때 소

유하고 있

는 능력

주어진 직무

를 성공 으

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일정 수

이상의 능력

의 총체

성과를 가

져오는 행

한 개인의

직무 (역할

는 책임)

수행에 큰

향을 미

치고 업무

성과와

련되며 공

인된 표

에 의해 측

정될 수 있

고 훈련과

개발을 통

해 향상될

수 있는 지

식 스킬

특 성 들 의

통합된 형

조직에 커

다란 업

을 실 하

는 사람이

지속 으로

소 지 하 고

있는 내

인 특성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

행의 원인

이 되는 개

인의 내

인 특성

고성과(고품

질)를 내는

데 필수

인 개인

능력

특정한 상

황이나 직

무에서 우

수한 성과

를 내게 하

는 원인 되

는 개인의

내 특질

조직에서 요

구하는 공통

역량(기본

역량)과 개인

의 특수직무

나 역할에서

요구하는 차

별화 역량(

문 역량) 의

직무를 성

공 으 로

수 행 하 기

한 핵심

능력

-지식

-기능

-태도

-가치

-지식

-기술

-태도

-지식

-기술

-태도

-경험

-지식

-기술

-태도

-가치

-지식

-스킬

-특성

-지식

-스킬

-자아개념

-특질

-동기

-지식

-기술

-자기개념

-특질

-동기

-물리

로세스

-내면

로세스

-인지

로세스

- 범 한

사업(산업)

지식

- 문가

지식

-필요경력

-필요능력

-직업기

능력

-직무수행

능력

-공통역량

-기능역량

-직무역량

-필수 역량

-차별화 역량

자료 한상근 정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 77 -

나 일반 세분화된 인지역량 핵심 역량 메타역량

Weinert(2001)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활용되는 다양한 측면을 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일반 인지 역량) 역특수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메타역량(meta competencies) 등으로 구별

하여 제시하 다

1) 일반 인지 역량과 세분화된 인지역량

일반 인지 역량(general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다양한 역에서 요구되

는 과제를 수행하기 하여 사용되는 모든 지 자원들을 포 하는 개념이다 일반

지 능력을 강조하는 근의 시 는 지능에 한 심리측정 근 정보처리 모델 인

지 발달에 한 피아제의 이론이 이에 속한다 심리측정에서 보는 일반지능은 목

행 한 추론 성공 인 학습 환경과의 효과 인 통합을 하여 인지 으로 요구

되는 능력을 지칭한다 한편 정보처리 근 이론에서 지능 는 일반 역량은 다양한 수

많은 지식과 스킬을 획득하게 하는 정보처리 기제로서 이해된다 피아제는 일반 인지

역량을 가정하기는 하 으나 그의 이론에서는 심리학 으로 조직된 응과정이 보다 핵

심 인 개념이다 즉 보편 발달 과정을 통하여 더 유연하며 추상 인 지식과 행

동 역량을 갖게 되고 따라서 구체 인 환경에 보다 잘 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세분화된 인지 역량(specialized cognitive competencies)은 개인이 특정한 역에서

과제를 잘 수행하기 하여 필요한 인지 선결 조건을 의미한다 컨 체스 이

피아노 연주 자동차 운 기계 문제해결 등의 과제를 하여 필요한 인지 능력이다

세부 역과 련된 인지 역량에 한 근은 특정 분야에서 문가가 되기 한 요건

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2) 핵심 역량

핵심 역량(Key competencies)은 최근의 교육 사회 정책에서 매우 선호되고 있는

개념이다 학교 는 직업 생활에서 획득한 역량은 특수한 상황( 컨 특정 교과 혹은

특정 회사의 특정 직무)과 연계되어 학습되고 활용되었으나 생의 과정과 련된

부분의 활동들은 다양한 사회 직업 맥락 속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에

응하기 하여 다양한 기 혹은 조직에서 다른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동일하게 효율

일 수 있도록 맥락 는 상황과 어느 정도 독립 인 핵심 역량이 무엇인가를 모색하

게 되었다

- 78 -

핵심 역량 개념이 매혹 인 이유는 이는 매우 다기능 이며 학문 역을 넘나드는

역량으로서 많은 요한 목표를 성취하며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낯선 상황에 응하

는데 유용하다는 이다 많은 교사와 정치인들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살아가기 하여

필요한 많은 역량들을 교육하기 하여 과 하게 복잡하게 구성된 교육과정이 몇 개의

제한 인 핵심 역량 심으로 축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 하고 있다

3) 메타 역량

메타 역량(meta competencies)은 역량에 한 역량을 의미한다 메타(meta)는 인식론

상에서 ldquo자신의 범주에 한rdquo이라는 의미로서 를 들어 메타 지식(meta knowledge)이

란 자신이 아는 것에 한 지식을 의미하며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에 한 데이터를 의

미한다( 키피디아) 동일한 맥락을 용할 때 메타 역량이란 바로 역량에 한 역량으

로서 자신이 어떠한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할 수 있는가를

단할 수 있는 역량이 바로 메타 역량인 것임(Weinert 2001)

다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

역량을 추출하기 하여 국제 력에 기 하여 수행된 연구인 DeSeCo 로젝트에서

는 lsquo역량(competence)rsquo이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첫째 역량에 하여

기능 인 근(functional approach)을 활용하고 있다 기본 으로 DeSeCo 로젝트

(Rychen amp Salganik 2003)에서는 역량을 lsquo인지 비인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심리

사회 특성(psychosocial prerequisites)을 활성화(mobilization)함으로써 어느 특정한 상

황에서의 복잡한 요구에 성공 으로 응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있다

둘째 DeSeCo 로젝트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내 구조(internal structure)를 강조한

다 요구지향 인 에서의 역량의 개념은 단순히 lsquo~을 할 수 있는 능력rsquo이 아니라

개인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 성향 자원의 의미로써의 내 정신 구조(internal

mental structure)로 개념화된다고 설명한다 즉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하여

개인이 활용하는 지식 인지 능력(분석 비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능

력 등) 태도 감정 가치 동기 등으로 역량을 개념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DeSeCo 로젝트에서는 역량의 총체 이며 역동 인 근을 추구한다 즉 한

개인이 역량을 갖고 있다는 것은 어느 특정한 상황에서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자원

( 는 내 정신 구조)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조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 79 -

라 직업기 능력

역량과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삶의 역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인가라

는 에서 논의되고 있다면 직업기 능력은 그 에서 특히 직업생활에서 공통 으

로 필요한 역량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에서 굳이 구분하자면 상 으로 좁은 개념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량에 한 논의가 애 에 직업 생활과 련하여 출발하 으며 따라서 그것

이 처음 논의된 1920년에는 굳이 vocational 는 occupational이라는 표 을 skill 는

occupation 앞에 추가할 필요가 없었다 은연 에 역량과 핵심 역량이라는 논의는 직업

생활과 련하여 논의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의 개념을 직업 생활을 넘어선 삶의

역으로 확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핵심 역량에 한 논의가 직업기

능력에 한 논의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 히 직업 생활과 련하여

요구되는 핵심 능력에 한 논의에서도 occupational 는 vocational이라는 수식어가

없이 skills 는 competencies로서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직업기 능력이라는 용어

로 체하여 병행해서 사용하고자 한다

2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외국의 논의

가 미국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의 직업기 능력

미국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는 실제 산업

장에서 높은 수 의 직무 수행을 보이는 근로자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에 을

두고 조사한 결과 lt표 Ⅱ-2gt와 같이 8가지의 직업기 능력을 제시하 다 여기서 직업

기 능력은 3 역의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과 5개 직무 장능력(five

competencies)으로 구분된다 기본능력이란 읽기 쓰기 수리 능력 등의 ①lsquo기 능력rsquo과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② lsquo사고력rsquo 그리고 책임감 자존감 등의 ③ lsquo개

인 자질rsquo이다 5개 직무 장능력이란 ① lsquo자원활용능력rsquo ②lsquo 인 계능력rsquo ③lsquo정보

처리능력rsquo ④lsquo시스템능력rsquo ⑤ lsquo기술활용능력rsquo으로 구성된다

- 80 -

lt표 Ⅱ-2gt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 능력

직무현장능력(five competencies)

자원활용능력(resources)

대인관계능력(interpersonal)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시스템능력(systems)

기술활용능력(technology)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을 확인조직계획할당할 수 있는 능력

①팀원으로 참가 ②타인에게 새로운 기술 전수③고객 기대 만족 ④지도력 발휘⑤상호 합의 도출⑥다양한 배경의 사람과 같이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①정보 습득평가②자료 조직유지③정보 해석교환④컴퓨터를 이용해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사회적 조직적 기술적 체제(system)를 이해 관리 개선할 수 있는 능력

관련 기술 지식을 선택하고 이를 직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기본능력(three-part foundations)

기초능력(basic skills)

사고력(thinking skills)

개인적 자질(personal qualities)

읽기 능력 쓰기 능력 수리 능력 듣기 능력 말하기 능력

창의력 의사결정력 문제해결 능력 심미적 사물 관찰 능력 학습능력 합리적 사고력

책임감 자존감 사회성 자기관리능력성실정직

자료 정철 외(1998) 『직업기 능력에 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 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의 직업기 능력

미국의 훈련과 개발담당자들의 학술 장 문가들의 모임인 ASTD는 미국의 노동

부가 공동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에 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첫 연구는 1986년

에 시작되어 30개월 동안 실시되었는데 고용주들을 상으로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능력

이 무엇인지를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 기 하여 1988년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라는 보고서를 통해 7개 분야 16개 항목의

직업기 능력을 추출하 다 연구에 의해 ASTD는 직업기 능력을 lt표 Ⅱ-3gt에서와

같이 기 능력(foundation skill 학습능력) 역량(competence 읽기 쓰기 셈하기) 의사

소통능력 (communication skill 말하기 듣기) 응력 (adaptability 창의 사고 문제

해결) 개인 리능력 (personal management 자존감 동기부여 목표설정 피고용능력

진로개발) 집단 효과성 (group effectiveness 인 계능력 상 워크) 그리고

향력 (influence 조직유효성 리더십)으로 구분하 다

1999년에는 다시 Rothwell 등을 심으로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모

형(WLP model)을 제시하 으며 여기서는 6 가지 역량군(분석 역량 기술 역량 리

더 역량 비즈니스 역량 인 계 역량 정보기술활용 역량) 총 52개 세부 역량을 제시

하 다 2004년에는 Bernthal이 통합 인 새로운 역량 모형을 제시하 는데 이는 비즈

- 81 -

1999 ASTD Model 2004 ASTD Model

sect 분석 역량 문제해결에 필요한 방법을 찾기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요구를 악해내는 역량

sect 비즈니스 역량 조직의 체계와 운 과정

의사결정기 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개인과 집단 사이의 효과 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역량

sect 리더 역량 다른 사람에게 향력을 행사하는

리더로서의 역량

sect 기술 역량 습득한 지식과 기술 활용

차를 이해하고 용하는 능력

sect 정보기술활용 역량 재와 미래의 에 지

통신 기술에 한 한 이해와 용능력

sect 비즈니스 리 역량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구를 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에

하여 략 으로 사고하는 경 수행

리에 요구되는 역량

sect 인 계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효율 계 형성 유지에 필요한 역량

sect 개인 역량 학습과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개인 능력

sect 문 활동 역 학습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9가지의 구체 기술 문 기능과 능력

lt표 Ⅱ-3gt ASTD의 역량 모델 비교

니스 리 역량군 인 계 역량군 개인 역량군을 기반으로 문성 역을 더함으로

써 인 자원개발 문가가 수행해야하는 역할과 역량 등을 하나의 통합된 피라미드형

시스템으로 제시하 다(한 상김소 김민 2008) 장 문가들의 의견을 설문조

사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검토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2004 ASTD

역량 모형에서는 3개의 기 역량과 9개의 문 활동 역 그리고 4개의 업무 학습과 수

행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에서 기 역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 계역량

(Interpersonal) 비즈니스 리역량(BusinessManagement) 개인역량(Personal)이 있다

1999년 WLP모형이 역할별로 부합되는 역량들을 논리 으로 제시한 것과는 달리

2004년 모형은 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경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2004년 모델은 논리 개념 분리는 명확하지 않

지만 장 합성이 더 있다는 에서 차별화된다

자료 한 상김소 김민 (2008)

다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부르 사회연구조사기 (Infratest Burke Sozialforschung)이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에

해 1997년 12월에서 1998년 1월 사이에 시행한 약 500명의 교육 문가들을 상으로

한 『델 이 교육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독일의 교육 문가들은 2020년경의 교육제도

에서는 여러 교육부문에서 lt표 Ⅱ-4gt와 같은 핵심 직업기 능력들이 요한 치를 가

- 82 -

(순 와 수비율의 평균가)

핵심 직업 능력학교

일반교육직업훈련 고등교육

기술 방법론 학습 능력

(technic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skills)

1순

(238)

2순

(226)

2순

(217)

특정 부문 련 능력

(specific subject-related skills)

6순

(147)

1순

(258)

1순

(280)

심리사회 능력

(Psychosocial skills)

2순

(236)

3순

(216)

4순

(189)

외국어 능력

(foreign language skills)

3순

(230)

4순

(184)

3순

(191)

매체 활용 능력

(Media Competence)

4순

(161)

5순

(157)

6순

(138)

다국가의 문화 이해능력

(Intercultural skill)

5순

(148)

6순

(123)

5순

(146)

기타 능력

(other types of skills)

7순

(039)

7순

(038)

7순

(039)출처 이영현(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파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4gt 2020년도의 개별 직업능력의 요성

질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학교교육에서 가장 요한 것은 기술 방법론 학습 능

력이며 그 다음이 심리사회 능력 외국어 능력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훈

련과 고등교육분야에서 핵심 직업기 능력들 에서 lsquo특정 부문 련 능력rsquo이 높게 평가

되었음 이는 특정 부문 련 능력의 습득이 여러 분야를 가로지르는 훈련

(cross-sectional training)의 습득과 긴 한 연 을 갖기 때문에 고등교육의 반에 용

되며 특히 다른 기능과의 연결성을 가지고 특정 부문 련 능력을 가르칠 것이 요구되

고 있는 직업훈련에 용됨(이 1999)

라 ONet에서 제시한 Skills

ONet은 미국의 종합직업정보망으로서 각 직업별 정보를 총망라함과 동시에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여 각 개인의 특성에 합한 직업을 안내하고 있다 ONET의 내용 모형

은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 경험 요건

(experience requirements) 직업 요건(occupational requirements) 직업-특수 요건

(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 직업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의 6 가지 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다 ONet에서 제시한 스킬의 역 하 요소는 다음 표와 같다

- 83 -

구분 역 하 능력

기 능력

내용 능력읽고 이해하기 극 듣기 쓰기 말하기

수학 과학

과정 능력비 사고 능동 학습 학습 략 모니터

이 가능한

능력

사회 능력지각력 조 설득력 상력 교수 서비스

지향성

문제해결 능력

문제 확인 정보수집 정보조직 종합 재구

성 아이디어 산출 아이디어 평가 실행계획

해결책 평가

기술 능력

작동분석 기술설계 장비선택 설치 로그

래 테스트

작동 모니터링 작동과 조정 생산품 조사 장

비유지 문제해결 수리

시스템 능력비 시스템 인지 결과 인식 주요원인 단

단과 의사결정 시스템 평가

자원 리 능력시간 리 재정자원 리 물 자원 리 인

자원 리

lt표 Ⅱ-5gt ONET이 제시한 skills 역과 하 능력

료 행박가열(2003) 한 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 한 고 정보원

마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핵심 역량을 추출을 하여 국제 동 연구로 수행된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을 규정하는 3가지의 일반 인 기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

고 있다 첫째 반 으로 성공 인 삶과 기능 인 사회(well-functioning society)를

하여 개인 middot사회 수 에서 높은 가치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이 개념은

개인의 인 사회 자본 경제 그리고 사회 으로 잘 사는 것(well-being)과 일치하

는 개념이다 둘째 다양한 상황에서 요하고 복잡한 요구나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구

인(instrumental) 역량이다 개인들은 매우 다른 역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잘 기능하거

나 성공 인 수행을 해 다른 역 는 특정 역할에서 역량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DeSeCo에서 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상황의 넓은 스펙트럼에서 개인 사회 으로

요한 요구들에 처하기 한 도구에 한 역량이다 셋째 모든 개인에게 요한 역

량이다 이것은 선천 인 능력보다는 학습된 기술에 엘리트에 국한되기 보다는 모든 사

람들에게 유용한 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해 필요한 역량에 을 둔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 에 터하여 DeSeCo 로젝트에서는 생애핵심역량을 ①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use tools interactively) ②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③ 자율 으로 행동하기(act autonomously) 등의 세 가지 범

- 84 -

주로 구분하고 있다

역 요한 이유 핵심역량

1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Use tools interactively

기술 변화에 응

개인 목 에 맞게 변화 유

세상과 극 으로 화

1-a 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b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1-c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기

2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다원화된 사회에서 다양하게

응하기 함

공감의 요성

사회 자본의 요성

2-a 타인과 계를 잘 맺음

2-b 력할 수 있는 능력

2-c 갈등을 리하고 해결

3 자율 으로 행동하기

Act autonomously

정체감을 악하고 목표를 수

권리를 찾고 의무를 수행

환경과 그것의 작동 원리를

이해

3-a 큰 맥락 안에서 행동

3-b 생애계획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김

3-c 권리 이익 한계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

자료 임언(2006) 기초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중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lt표 Ⅱ-6gt DeSeCo 로젝트에서 추출한 생애핵심역량

3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국내 논의

가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가 추출한 직업기 능력

정철 외(1998)는 직업기 능력에 계된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근로자와

고용주를 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 다

문헌 검토를 통하여 총 6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근로자 706명과

고용주 82명을 상으로 장조사를 실시하여 평균 350이상으로 응답한 52개의 능력을

추출하고 이 자료의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역을 구성하 으며 연구진회의와 문가

의회를 거쳐 최종 으로 9개 역으로 구성된 57개 직업기 능력을 확정하 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으로 확정된 9개의 직업기 능력 역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

제해결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원 활용 능력 인 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이며 하 요소는 lt표 Ⅱ-7gt과 같다

2003년 나승일 외는 노동부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표

- 85 -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의사소통능력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 외국어능력

수리능력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기 연산능력 기 통계능력 도표분석능

력 도표작성능력

문제해결능력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

자원활용능력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

력 자원할당능력

시간자원 리능력 산 리능력 물 자

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인 계능력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웍능력 리더쉽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

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능력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

조직이해능력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

력 업무이해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lt표 Ⅱ-7gt 정철 외(1998)와 나승일 외(2003)가 제시한 하 역

개발 연구에서 정철 이 제시한 기 을 소폭으로 수정하 다 9개 역은 그 로 유지하

되 하 요소의 표 이 변경되거나 일부 요소가 삭제되고 추가되었으며 직업윤리라는

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나 진미석 외(2003) 학생 직업기 능력

진미석 외(2007)는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구축을 한 연구에서 선행

- 86 -

상 요소 평가 역 평가요소

인지

요소

(A)

A1 의사소통

(Communication)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listening amp comprehension)

효과 인 의사 달 발표(conversation amp presentation)

토론과 재

A2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Resource)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Information)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9quantitative reasoning and

data analysis)

A3 종합 사고력

(Higher-order thinking

skills)

비 사고력(critical thinking)

문제인식 해결(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논리 사고력(analytical reasoning)

A4 로벌 역량

(Global Competen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Understanding heterogeneous

amp diverse culture)

비인지

요소

(B)

B1 인 계 력

(Interpersoal amp

cooperative skills)

력(work with diversity teamwork)

리더십(leadership)

조직에 한 이해(system thinking)

B2 자기 리

(Self-management)

자기 주도 학습능력(self-directed learning)

목표 지향 계획수립능력(goal-oriented planning and

organizing)

시민의식(personal social civic responsibility)

정서 자기조 (emotion self-control)

자료 진미석 외 (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Ⅱ-8gt 학생 직업기 능력 평가 역

연구 분석을 통하여 6개 역 19개 평가요소로 구성된 학생 직업기 능력 시안을 작

성하 으며 이를 문가 델 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 다 학생 직업기

능력의 6개 역은 의사소통 자원middot정보middot기술의 처리 활용 종합 사고력 로벌 역

량 인 계 력 자기 리이며 하 요소는 다음의 lt표 Ⅱ-8gt에 제시된 것과 같다

- 87 -

Ⅲ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 핵심역량에 한 근거 자료 분석

이 장에서는 직업 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반 될 것으로 단되는 자료들을 수집

하여 검토하 다 주요 기업에서 사원 선발 과정에서 용하는 기 이 무엇이며 재직자

에 한 교육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검토하 으며

아울러 산업별 직업 연구의 결과로서 자산업 보건의료산업 고령친화산업 재직자들

이 인식하고 있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추가로 검토하 다

1 국내 주요 기업의 선발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

기업에서 사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한 기 이 되는 것은 그 개인이 입직 후 직

업생활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이며 기업은 최선을 다하여 다양한 방법

을 통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 역량에 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

서 기업에서 직원을 선발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에 한 시사 을 주고 있다

가 주요 기업의 인재 선발 차

이병욱(2007)에 의하면 주요 기업들의 입사 희망자에 한 평가는 서류 형 rarr 시험

rarr 인middot 성 검사 rarr 면 의 순으로 진행되며 면 을 가장 시한다 기업들은 입사 희

망자의 어학 학교 성 으로 기본 자질을 단하고 인성middot 성 검사를 통해 가치

직무능력을 악하며 최종 문인 면 에서는 응시자의 능력 자실 소양 태도 가치

을 종합 검하고 자신의 견해를 얼마나 논리 이며 설득력 있게 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기업의 인재선발도 과거의 수치화 정형화된 단편 방식에서 다면화 다양화

된 방식을 채용하고 객 이고 계량화 가능한 것을 강조하던 것에서 잠재 인 측면을

주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서류 형은 공별로 학교 성 어학 수를 기 으로 선발(통상 기업 필요인력

의 3~5배 규모)하며 그 밖에 외국 경험 사회활동 자격증 등 개별 특기사항은 가 을

주거나 면 시 참조한다 시험은 어학시험 주이며 TOEIC 성 미 제출자를 상으

- 88 -

로 실시한다 인middot 성 검사는 거의 모든 기업이 시행하고 있으며 면 시 기 자료로

활용일부 기업은 특정 유형의 인성 일정 수 이하의 성 결과에 해서는 채용 상

에서 배제된다

구분1단계

(서류 형)

2단계

(직무 성)

3단계

(인성기술면 )

4단계

(신체검사)

5단계

(최종합격)

평가요소

학 (CL)

어학(가 )

자격증(가 )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지각력

실무감성능력

기본인성

개인자질

공지식

활용성

건강검진각 단계별 통과

여부로 단함

비고

학 의 경우

Cut-Line통과여

부만 단

문제해결 능력

학습능력

극성 창의성

성실도 문지

식 등 단

결격 사유만 변

각 단계별 성

은 독립 으로

작용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

원부

lt표 Ⅲ-1gt 형단계별 평가요소

나 주요 기업에서 사용하는 직무능력 검사의 하 요소

1) 공직 성검사 (PSAT)

공직 성검사는 공직 격성을 측정하고자 1차 시험에서 이루어지는 지필시험으로

이 시험에 통과한 사람은 2차 시험에서 문 인 지식을 측정하는 검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 검사는 리자로서 필요한 일반 성과 공직 련 성을 측정

한다 한 재 직무에 한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인지 인 문제해결능력 환경 응

인 상황 단력과 같은 리자로서 필요한 잠재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되었다

공직 성검사는 언어능력 자료해석능력 상황 단능력 상식의 4가지 역으로 구성

되어있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은 통 인 지능이론 최근에 Gardner(1983)의 다

지능이론에서 제안된 7개 역 언어 능력 논리 수리능력의 개념과 Sternberg(1985)

의 실용 지능에 근거하여 실무와 련된 역을 추출하 다 언어능력과 자료해석능력

이 일반 인 학습능력이라면 상황 단능력과 상식은 실생활 는 업무와 련의 학습

능력에 련된 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해 직에서 2-3년 된 고시

출신 공직자 52명에게 직무조사를 실시하여 개발하 다 공직 성검사의 하 요인에

한 설명은 아래 lt표 Ⅲ-2gt과 같다

- 89 -

하 요인 평가 사항

어 공인어학성 으로 체 가능

언어논리

40문항

어휘 의 주요내용 악 체 인 내용이해 자의 핵심주장 논지 악

표 개요구성 문단 조직화 고쳐 쓰기를 통한 의 완성

추론주어진 로 새로운 정보 이끌어내기 논리 흐름 악을 통해 들어나지 않는 결

론 결말 악하기

비 의 논증구조 분석 타당성 일 성 련성에 의해 논증의 설득력 평가

상황 단

40문항

이해제시된 상황의 주요 쟁 문제 이해 주어진 개념을 새로운 상황이나 구체

사례에 용할 수 있는 능력

추론 분석상황을 안으로 설정하기 한 주요요인 추론 여러 형태의 안 비교 분석하는

능력

문제해결 문제해결을 한 안설정 안의 실행 략 유추 결과 측

의사결정

문제해결을 한 안 평가 기 설정 비교 평가하여 합리 안을 선택하는

능력

자료해석

40문항

이해 제시된 표 그래 의 의미 악

용 주어진 개념 방법 차 원리를 주어진 장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분석주어진 자료를 분해하여 구성요소간의 계와 조직원리 발견 amp 자료의 외

상에 잠재된 아이디어 조직원리 찾아내는 능력

종합평가여러 부분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체 구성하는 능력 주어진 결론은 도출하

기 한 차 단 자료 통합하여 논지를 검증하는 능력

자료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권 2호

2) 삼성 직무 성검사 (SSAT)

삼성직무 성검사는 기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나 어 평가가 진행되며 외국

어 직무 련 특수자격 등은 평가 시 우 를 받는다 SSAT는 단편 인 지식보다는 어떠

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보다 더 요하다는 단에

따라 1995년 하반기 사원 공채부터 학력제한을 철폐함에 따라 공 어 제2외국어

등의 입사필기시험을 폐지하고 간 보다는 능력 획일성보다는 개성이 존 되는 열린

채용의 실천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에서 어는 토익이나 토 의 공인어학성

으로 체된다

SSAT는 기 지 능력검사와 직무능력검사로 구성된다 기 지 능력검사는 언어력

수리력 추리력 공간 지각력 지각 속도력 등의 5가지 항목검사를 통해 삼성이 지향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 지 능력을 종합 으로 평가한다 문제의 난이도는 고졸

실력이면 구나 풀 수 있는 문제지만 문항 수에 비해 시간이 부족한 능력검사이다 직

무능력검사는 업무능력 인 계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상식 등 실제로 기업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업무와 련된 시나리오와 각 상황에서의

여러 가지 행동 안들이 제기되어 응답자는 제시된 상황을 읽고 빠르고 정확하게 단

하여 각 안에 처할 수 있는 형식의 문제로 구성된다 일반 인 상식과 개념을 뛰어

넘는 독창 이고 주 인 단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lt표 Ⅲ-2gt 공직 성검사 하 요인

- 90 -

인성검사는 정서 인 측면 즉 정신건강 컨 정서 안정성 감정통제력 민감성

신경질경향 기분성 자책성 등을 평가한다

하 요인 평가사항(특이사항)

기 지 능력

AI

(Academic

Intelligence)

직무능력검사

PI

(Practical

Intelligence)

언어 역 어휘능력 문장이해력 문장구성력

수리 역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 해석

추리 역 언어 추리 수열 문자추리 도형 추리

지각능력 공간지각 지각정확성 속도 형태지각

창의력 수식 만들기 등식 메우기 가정세우기 그림완성 등

시사상식

정보화 능력 국제화 능

력 직장 사회 경

제 경 상식원활한 조직 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을 하기

해서 업무처리 인 계 사회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상식과 실제 조직 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각 상황에서 어떻게 응하

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구성됨상황 단능력

차계획능력 분석종합

능력 상황 평가능력

상황 처능력

성격검사 인성검사 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자료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2008) 한국고시회

lt표 Ⅲ-3gt 삼성직무 성검사 하 요인

지 까지 검토한 공직자와 근로자의 선발에 필요한 성검사에서 포함하고 있는 하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의 lt표 Ⅲ-4gt와 같다 부분의 성 검사에는 언어능력과 수

리능력 공간지각능력 상황 단력과 같은 일반 인 학습능력이 포함되어 있으며 근

로자를 선발하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추가 인 직무 련 지식을 측정하고 있다

- 91 -

직무 성검사

인성검사 어 창의력 기타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상황 단

공직 성

검사

어휘 표

추론 비-

이해 추론 분석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

- - - 자료해석

삼성

SSAT

어휘

문장이해

문장구성

기 통계

산술응용

자료해석

공간지각 상식 상황 단 추리력 성격검사 - 창의력지각정확성

속도

SK언어논리

유추 추리

응용계산

수 추리공간지각 단력 상황 단력 인성검사 G-TELP 창의력 한자능력

CJ어휘

문장이해

산술추론

계산

수리 패턴

공간지각BJI TEST BJI TEST

- - -

두산언어I

언어II수리능력 공간지각 -

정서역량

인성검사

- -기계이해

한자능력

LG CNS 언어추론 수리추론공간추론

도식추론- 인성검사 - - -

국민

은행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추리능력 인성검사 - -

논술

융상식

신한

은행

언어 유추

추리

응용

계산력수추

공간지각단력

상황 단력인성검사 - 창의력 지각정확성

lt표 Ⅲ-4gt 공직 표 기업의 인사 선발 성검사 하 요인

다 면 시험

면 시험은 모든 기업에서 가장 시되며 개인의 인성 자질 능력 조직과의 융화

문지식 등을 종합 으로 검토한다 장임원 면 과 기업 표 면 등 두 차례에

걸친 면 이 주를 이루나 일부 기업은 선배직원의 면 젠테이션 면 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수시채용 확산으로 기업 표임원 면 (1회)만을 실시하는 기업

도 증가하고 있다 면 방식은 주어진 주제에 해 응시자에게 의사결정을 하게 함으

로써 결론 도달 능력 가치 등을 악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주어진 주제에 한

의견 피력은 문제(질문)핵심 악 창의력과 문지식을 이용한 의견의 논리화 마지막

으로 설득력 있는 설명과 안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이병욱 2007)

- 92 -

단계별 면 내용 실시기업

1 선배직원 면 多 多 면 워크 사회성 개인태도 성향 검

젠테이션 면삼성 SK 삼보

2 장임원 면 多 多 면직무 합성 업무수행능력 개인지식 Skill

심 검

삼성 SK 한진

한화 두산 삼보

3 표임원 면 多 一 면인성(태도 성격 직업의식 조직 응력

융화)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등을 검全기업

多對多 면접 다수의 면접관(4~5인)이 다수의 응시자(2~8인)를 면접

자료 이병욱(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lt표 Ⅲ-5gt 기업의 단계별 면 내용

2 산업체의 인 자원 개발 로그램에서 강조하는 역량

인 자원개발은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동기부여를 향상시켜 가치 있는 미래 조직의

구성원으로 만들기 한 장기 인 과정이다 인 자원개발에는 훈련뿐만 아니라 경력

그리고 다른 경험들까지도 포함된다 기업교육활동은 조직 환경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개인의 학습 니즈를 수행하기 때문에 기업교육활동을 통해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에서는 권 (1998)이 기업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내용을 심으로 기업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량을 살펴보았다

가 호 MBA 과정

호 MBA 과정은 그룹임직원들에게 문경 지식의 습득기회를 부여함으로써 변

하는 기업환경에 능동 으로 처할 수 있는 응력을 배양하고 이를 통해 그룹의 양

질 성장의 균형을 도모하기 해 개설되었다 교육과목은 경 학 반 인 개론

각론과 체육활동 교양특강 컴퓨터 실습 등이 포함된다

호 MBA의 교육효과에 해 과정을 이수한 임직원들은 기업의 환경변화 인식능력

과 미래지향 업무자세가 가장 두드러진 교육효과로 지 했고 그 이외에도 경 반

에 한 통합 이해능력 업무 추진할 때 다양한 이론의 종합능력 자기 개발능력

호인으로서 자 심 고양 경 이론의 습득 성취의욕 고양 의사결정능력 등의 항목에

있어서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호 MBA 교육과정은 체로 직무 련

지식 습득에 을 두고 있어 모든 기업에서 일반 으로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악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93 -

나 삼성물산 건설부문 장소장 교육과정

삼성 물산 인력개발 에서는 교육이 경 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우선

인 육성시스템 구축 상을 장소장으로 정하 다 이를 해 우수한 장소장이

재 수행하는 과업(Task)과 그 과업에 련된 능력(Competency)을 악하고 미래의 장

운 에 필요한 능력을 악하기 한 조사도 실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

소장의 능력을 한 단계 상승시키기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다 S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S가 은 기존 리 리사원의 욕구와 가치 등의 심리 특성을 악하고 이에

맞는 체계 이고 실 인 제안능력을 개발하기 한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다 리

리사원의 업무 특성상 인간행동에 한 이해와 제안기술 인 계 능력이 매우

요시 된다 따라서 이에 맞는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요하다 다음 lt표 Ⅲ

-6gt은 S가 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세부사항이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 리사원은 다른 업무보다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이 가장 요하기 때문에 이에

을 맞춘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라 견 리자의 품성 교육과정

에서는 기업문화는 조직원의 마음과 행동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철학에 입각하여

기업 내 품성개발 교육 로그램을 도입하 다 교육 로그램은 스티 코비 박사의

서lt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 gt의 내용을 교육 로그램화하여 보 하는 미국 코비

리더십센터(Covey Leadership Center KLC)와 의 하에 회차당 40명씩 10회차로 2회

차 교육까지는 한국리더십센터의 문 강사가 3차 이후는 그룹 자체 보유의 임

교수들이 진자 자격증을 KLC로부터 획득하여 진행토록 하 다

마 모토로라 코리아

모토로라 코리아는 상 20의 핵심인력에 해서는 차등화된 유지middot보상middot육성체계를

운 하고 있다(한국인사 리 회 2005)

- 94 -

기업명

(교육과정)교육 세부 사항

호 ( M B A

교육 과정)

조직간 커뮤니 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의사결정지원

국어 경 학 반 경 학 반 컴퓨터 특강

삼성물산 건

설부문

( 장소장 교

육 과정)

인간 계와 교섭력 화와 설득력 의 기능 의사

소통 리더십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어학습득 방안 정 사고방식 스트 스와 건

강 리 일정 리

S 가 리

리사원

(제안능력과정)

업환경 분석 제안활동의 개방법 커뮤니 이션기

법 인간행동의 이해와 인간 계

의사결정 시뮬 이션 략 사고와 행동

자신의 심리 특성 악

리자(품성 교

육 과정)

공감 커뮤니 이션 습 공감의 태도나 기술

인 계 리더십 개인 리더십의 습 타인을 한 리

더십 생산 조의 습 개인차 인정

시간 리 매트릭스 최고효과의 활동 등 계획과 조직

리 심신단련-자기쇄신의 습

모토로라 코

리아 (핵심인

재 리)

로벌 로젝트 참여 리더십 로젝트 리

경력개발 성과 리 방안 교육

lt표 Ⅲ-6gt 산업체 교육 로그램과 핵심역량의 계

앞에서 살펴본 각 기업들의 교육 로그램의 하 요인들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역량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Ⅲ-6gt과 같다

3 직업생활에서 필요한 역량에 한 직자의 인식

이 에서는 직업생활에서 어떠한 역량이 요한가에 하여 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 다

가 기업에서 요시 하는 역량

2008년 경련 산업본부의 조사에 의하면 기업의 인재가 꼭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은

[그림 Ⅲ-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정신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동성과 조직 응

력 창의성 문지식 외국어 국제감각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 95 -

평균(표 편차)

구분직업기 능력의

직업에서 요도

학 졸업 당시

직업기 능력

직업기 능력의

괴리정도

의사

소통

능력

작문능력 37 (092) 33 (079) 04(105)

언어구사능력 42(080) 34(081) 08 (105)

의견을 분명하게 주장할 수 있는 능력 40(085) 34(086) 06(117)

외국어 능력 34(118) 28(082) 06(128)

계 38(07) 32(061) 06(081)

문제

해결

능력

문제해결능력 43(070) 34(071) 09(088)

분석능력 42(074) 34(073) 08(094)

창의력 40(095) 32(081) 08(116)

비 사고 능력 37(090) 34(080) 03(115)

경제 사고 능력 40(086) 31(087) 09(019)

lt표 Ⅲ-7gt 직업기 능력의 요도 괴리정도

[그림 Ⅲ-1]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자질

자료 전국경제인연합(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전경련 산업본부

나 청년 재직자의 직업기 능력에 한 인식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2005)은 2001년 2월에 4년제 학을 졸업한

청년층을 상으로 학교육 만족도와 노동시장 이행 실태에 한 조사를 실시하 다

그들이 직업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요시하는 직업기 능력이 무엇이며 재 자신

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 능력의 정도를 조사하 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어 능력

을 제외한 거의 부분의 능력에 해서 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어 능력의 요성은 평균 34로서 그 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 으로

다른 능력에 비하여 하게 낮게 평가되었다

- 96 -

융통성 42(072) 35(077) 07(095)

계 40(057) 33(055) 07(071)

자기

개발

능력

자신의 일에 한 객 평가능력 39(078) 33(073) 06(098)

제약을 극복하는 정신력 42(078) 35(090) 07(106)

정확하고 면 하게 일하는 능력 43(072) 34(080) 09(096)

시간 리 능력 44(073) 33(087) 11(108)

일에 한 응 능력 43(072) 36(083) 07(108)

독립 으로 일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 41(081) 34(082) 07(108)

자발성middot자주성 39(077) 34(082) 05(098)

일에 몰입하는 능력 41(076) 36(079) 05(099)

성실성 44(070) 39(082) 05(095)

책임감 44(068) 39(081) 05(095)

폭넓은 일반 지식middot소양 37(084) 32(074) 05(103)

여러 공분야를 포 하는 사고middot지식 37(088) 31(076) 06(103)

공 분야의 이론 지식 34(116) 34(074) 00(121)

공 분야의 분석 방법에 한 지식 35(111) 33(078) 02(117)

학습능력 39(079) 36(069) 03(095)

계 40(051) 35(052) 05(061)

자원

활용

능력

계획수립 조정middot조직화 하는 능력 42(081) 32(086) 10(109)

능력

상능력 42(085) 31(081) 11(112)

워크능력 43(080) 35(083) 08(103)

다른 의견을 포용하고 수용하는 능력 41(077) 36(078) 05(099)

리더십 41(087) 33(086) 08(110)

계 41(065) 33(065) 08(080)

정보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41(083) 36(087) 05(103)

정보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정리 42(078) 34(083) 08(105)

계 42(069) 35(071) 07(086)

기술

능력

수작업 능력 35(094) 33(083) 02(104)

지식middot기술을 실생활에 응용하는 능력 40(085) 32(079) 08(104)

계 37(071) 32(068) 05(083)

조직

이해

능력

복잡한 사회조직middot기술체계 이해 38(089) 30(082) 06(111)

체 40(050) 34(050) 06(061)

표시한 것은 전체 평균보다 높은 항목을 나타냄자료 채창균 외(2005)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다 자산업 고령친화산업분야종사자가인식하는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한상근 외(2005)와 최동선 외(2007)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행한 산업별 직업 연

구의 수행 과정에서 그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 직무능력이 무엇인가를 그 분야에 종사

를 상으로 질문하 다 자산업분야의 경우 각 분야별로 20개 직업 종사자들이 응답

한 결과를 평균한 것으로서 분야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 되게 가장 낮게 나타난

- 97 -

기 직무능력 어매니 요양보호사노인 담

생활체육지도자크 이션 치료사 장례 지도사

공이론지식 393 337 396 427 373

공실무능력 420 367 443 453 428

문서작성능력 420 273 400 431 345

외국어활용능력 233 193 186 273 245

창의 사고능력 410 307 407 460 346

문제해결능력 457 366 414 473 390

의사소통능력 463 407 425 473 383

업능력 447 347 400 453 379

컴퓨터활용능력 420 247 382 367 369

사례수 30 30 28 30 29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 직무능력 자의료기 휴 폰 반도체

공이론지식 381 365 390

컴퓨터 활용 능력 389 408 391

외국어 활용 능력 335 321 349

창의 사고 능력 402 420 419

정보활용 능력 395 413 408

업능력 383 406 415

인 계 능력 376 395 403

자료 최동선 외(2007)고령친화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lt표 Ⅲ-8gt 자산업 분야의 기 직무수행 능력 요구도

lt표 Ⅲ-9gt 고령친화산업 분야 주요 직업에서의 기 직무능력 요구도

것이 외국어 활용능력이다 고령친화산업의 경우 외국어 활용능력이 더욱 하게 낮

게 평가되어 외국어 활용능력이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로서 포함될 필요가 있는가를

신 하게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98 -

구분 역 하 요소 시사

기업 선발

고사

직무 성검사(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능

력 상황 단추리력창의력)

어성

인성검사(외향성 정서 안정성 지 개방

성 호감성 친근성 성실성 등)

직업기 능력 역 요소

에 한 기존 논의에

이미 포함됨

4 직업세계에서요구되는핵심역량에 한근거 자료 분석결과요약

이 장에서는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는 직업기 능력에 해서 장에

서 인식하고 있는 바를 드러내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다음

4장에서 개될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에 한 기존의 논의를 비 으로 검토하는

데 기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 다 직업세계 장에서 재직자 는 고용주가 인식하고

있는 핵심역량에 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의 선발 시험에서 측정하고 있는 것은 크게 직무 성검사 어성 인

성검사로서 일반 인지 능력이라 할 수 있는 언어능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이 강조

되고 있음을 확인하 다 이러한 요소들은 부분 기존의 직업기 능력 하 요소에

한 논의에 포함된 것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요하게 작용하는 면 의 경우 시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태도와 가치 성향에 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으로서 사회

성 동성 성실성 열의 의사소통능력에 을 맞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들

한 기존의 직업기 능력에 반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체 교육 로그램의 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의사

결정 자기 리 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논의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기존의 논의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국경제인연합회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인재상에는 기존의 논의에는 없는 도

정신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논의 과정에서 도 정신을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

을 제기하고 있다

다섯째 재직자에 한 규모 조사에서 공통 으로 드러난 것은 외국어 능력이 그리

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어능력이 선발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업무 추진 과정에서는 그 게 요하지 않다고 재직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

한 결과를 어떻게 반 할 것인지에 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lt표 Ⅲ-10gt 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한 검토 결과 종합

- 99 -

면 의 주요

내용

워크 사회성 조직 응력 융화

개인태도 성향

직무 합성 개인지식

직업의식

창의력

커뮤니 이션 능력

창의성을 추가할 필요성 시

기업체 교육

로그램에서

드러난 주요

역량

의사소통 능력

외국어 습득

의사결정능력

자기 리

인성심리 측면

리더십

업무 련 지식

기존 논의와 일치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 경련

산업본부)

책임감

외국어 국제감각

문지식

창의성

동성과 조직 응력

도덕성과 올바른 가치

도 정신과 성취의식

창의성 도 정신을 추가

필요성 검토

재직자가

인식하는

기 직무능력

문서작성능력

외국어활용능력

창의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업능력

외국어 능력이 상 으로

덜 요하게 인식되고 있음

을 반 할 필요성 시사

Ⅳ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추출

본 연구에서는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추출하기 하여 정철 외(1998)와 진미

석 외(2007)가 제시한 결과를 기본 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이 두 가지 표 인 연구

결과의 공통 과 차이 을 분석하고 안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철 (1998)이

제시한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는 오랜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일종의 기 으

로서 작용해온 틀로서 암묵 으로 그 타당성을 리 인정받았으나 무 많은 요소들이

병렬되어 있어서 재구조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기 능력의 하 요소를

규정한 가장 최근의 연구인 진미석 외(2007)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각 요소별로 검토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00 -

1 하 역별 검토 내용 수정 방향

가 의사소통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의사소통능력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

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

나 말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진미석 외(2007)는 의사소통능력을 자신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효율 으로 달하고 상 의 생각 의견 아이디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철 외(1998)는 읽기 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 능

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 역 안에 제시하고 있다

나승일 외(2003)와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 한 표 만 조 변경

되었을 뿐이고 말과 로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는 에서 공통된다

Hymes (1972)에 의하면 의사소통능력이란 인간이 특정 상황에서 메시지를 달하고

해석하며 인간 상호간에 의미를 타 하게 해 주는 능력이다 즉 단지 문법 으로 맞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 뿐 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아는 능력이다

Canale amp Swain (1980)은 의사소통능력이 문법 역량 사회언어학 역량 사회 문화

역량담화 역량 략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Enache(2005)에 의하면 의

사소통을 해서는 문법 으로 정확한 문장을 만드는 것보다 하게 표 을 만드는

언어생성능력(productive skills)이 요하며 읽기와 듣기에 있어서는 상 방이 표 한

내용의 구체 인 세부 내용을 집어내기 보다는 그 의도를 악하는 능력(receptive

skills)이 요하다고 보았다

DeSeCo 로젝트 결과로 제시된 핵심역량의 주요 역에는 lsquoThe ability to use

language symbols and text interactively(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의 핵심은 다양한 상황(가족 직장 도시의 삶)에서 언어

기술 계산 다른 수학 기술(그래 표 많은 형태의 상징들)들을 효과 으로 사용하

는 것이다 이러한 핵심역량은 한 통일된 개념규정 없이 ldquo의사소통 역량rdquo 는 ldquo문해

능력rdquo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보았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재 의사소통의 하 요소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언

- 101 -

어능력을 말하며 모든 역량이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기본으로 작동되는 일종의 기 능

력이다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가 의사소통능력을 공통 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반

하여 외국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를 상 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 로 SCANS 모형에서는 이를 기 능력(basic skills)으로 제시하고 있으

며 거기에는 수리능력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ASTD 1988년 모델에는 의사소통능력이

라는 역이 포함되지만 그 이후의 1999년 모델 2004년 모델에서는 빠지고 없다 재

와 같이 언어능력을 의사소통능력에 포함하다보면 수리능력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방황

하는 상이 나타난다 진미석 외(2007) 모델에서는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능력의 하

요소로 정철 외(1998)의 분류에서는 별도의 하 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의사소통이라는 역이 포함하는 세부 요소에 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

의 문화 속에서 이는 매우 요한 직업기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본다 특히 기업

체의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거의 모든 로그램에 의사소통에 한 내

용이 포함되어 있음은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DeSeCo에서 제시한 틀에 의하면 의사

소통능력이 lsquo언어 상징 문자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기존에 말하는 단순히 언어 인 의사소통 외에 그래 와 도표를 포함한 수학 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이라는 역을 유지하되

그 하 요소 속에서 수와 도표를 통한 의사소통을 포함하고자 한다

의사소통과 련하여 검토해야할 다른 사항은 외국어 능력에 한 것이다 정철

과 나승일이 외국어의 기 수 (외국어 읽기 기 외국어)을 의사소통능력으로 포함

하고 있는데 반하여 진미석 외(2007)는 이를 로벌 역량이라는 별도의 역 안에 하나

의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재 우리나라에서 기본 인 의사소통을

한 외국어란 다름 아닌 어를 의미한다 그 다면 여기서 외국어 능력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기 어 읽기 능력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본다 한 직업기 능

력에 하여 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외국어는 상 으로 덜 요한 능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우 기 인 수 의 어 문서 이해 능력 정도가 기본

으로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 인 계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

국내외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

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미석 외(2007)는 인 계

- 102 -

력 능력을 lsquo조직 내에서 타인과 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려는 능력rsquo으로 정

의하고 그 하 요소로서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로 제시하고 있다 정철 외

(1998)는 인 계능력을 lsquo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하게 되는 사람들과 문제를 일으키

지 않고 원만하게 지내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

능력 고객서비스능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인 계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효

과 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능력을 갖춘 사람은 타인의 마음

상태가 재 어떠한지 추론할 수 있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상이한 감정의 다양한 특성

을 잘 알고 그에 맞게 올바른 처양식을 개발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각각 공유하

고 있는 차이 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창하고 세련된 의사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

다 이 역이 뛰어난 사람은 조직과 집단 내에 동을 항상 유지하며 특정 목표를 달

성하기 하여 집단을 형성하고 리더십을 구사하며 심지어 갈등이 유발되었을 때도 조

정과 상의 기술을 통하여 사태를 잘 마무리한다(Gardner 1995)

인 계능력과 같은 맥락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회 지능은 ldquo사람들과 어울리는 능

력(Moss amp Hunt 1927)rdquo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 지능을 연구하는 연구자에 따

라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능력을 사회 지능의 하 개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Thorndike (1920)는 사회 능력을 인간 사이의 계에서 사람들을 이해하고 조

(manage)하며 명하게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하 으며 Vernon (1933)은 사회 지능

을 일반 으로 사람들과 어울리는 능력 사회 기술이나 사회 내에서의 편안함 사회

문제에 한 지식 집단 내 다른 구성원으로부터의 자극에 한 수용력 낯선 이의 특징

이나 일시 인 기분에 한 통찰력 등으로 정의하 다 한 김명소 외(1996)는 본인 자

신을 포함한 사람들의 정서 사고 행동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조 하거나 타인의 언행을 측하고 하게 반응하는 능력으로 인 계능력을 정의

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Interact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사회 으로 이

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rsquo를 세 가지 역 의 하나로서 강조하고 있다 통합 네

트워킹 트 십 연 동 등등이 종종 이 범주에서의 핵심단어로 언 된다 이러

한 역량의 발달은 특히 사회 자본 상호 으로 강화된 의무 계의 네트워크 기 정보

채 등의 창출과 련 있다 이 역의 하 요소로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lsquoThe ability to relate well to others(타인과 계를 잘 맺을 수 있는 능력)rsquo

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는다는 것은 사회 응집을 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증가하고 있는 경제 성공을 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들은 직장 동료 클라이언

트 고객들과 계를 맺기 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를 잘 맺기 해

- 103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H Gardner 인 계지능

sect 사회 민감성(타인이해)

sect 타인과 어울리기

sect 리더십

Moss et al

(1955)사회 기술

sect 사회 상황의 단

sect 이름과 얼굴 기억하기

sect 비언어 표 인식

sect 인간 행동의 찰

sect 사회 정보에 한 지식

sect 말하는 사람의 심 상태 인식

Gilbert amp Fleishman

(1992)사회 기술

sect 행동의 융통성

sect 조정

sect 상

sect 설득

sect 사회 민감도

sect 코칭(coaching)

sect 자기 주장

Zaccaro et al (1991) 사회 지능sect 사회 인지사회 정보의 획득과 해석

sect 융통성 있는 행동 상황에 맞는 행동 수정능력

ONET (1995) 사회 기술

sect 사회 인지

sect 동

sect 설득

sect 상

sect 가르치기

sect 사 지향성

DeSeCo(2001)사회 으로 이질 인 집단과

상호작용하기

sect 계 맺기

sect 력

sect 갈등 리 해결

lt표 Ⅳ-1gt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인 계능력의 하 구인

서는 몇 가지 필수요건들이 있다 공감(empathy)이 아마도 가장 요할 것이다 다른 사

람들과 계를 잘 맺는 것에 있어 요한 다른 측면은 바로 자기 자신의 감정과 내

부 감정을 효과 으로 잘 다루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자기 자신 다른 사람들의

기 에 있는 정서 동기들을 자기 인식하고 효과 으로 해석하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능력은 lsquoThe ability to cooperate( 력할 수 있는 능력)rsquo이다 이는 자신의 생각을

표출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다른 으로 주제들을 바라보고 그 개념 틀

로 바꿔볼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역량은 lsquoThe ability to manage and resolve

conflict(갈등 리 해결 능력)rsquo이다 서로 다른 욕구 목 는 가치들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반 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있을 때 갈등을 피하거나 제거하려고만 하지

말고 이를 명하고 공 하게 그리고 효율 인 방식으로 다루는 능력을 의미한다

(Rychen amp Salganik 2001)

- 104 -

GWSIT

(George Washington

Social Intelligence

Test)

사회 지능

sect 사회 상황에 한 단

sect 이름 는 표정 기억

sect 인간 행동에 한 찰

sect 언어의 함축 의미 인식

sect 표정으로부터 마음상태 인식

sect 사회 정보

sect 유머

2) 수정 방향

이상에서 살펴 본 선행 논의에 따르면 인 계능력 사회 기술 혹은 사회 지

능에 한 조작 정의와 각 연구자들이 설정해 놓은 하 구인이 다양하다 정철 외

(1998)가 제시한 방식은 인 계 능력이 작동하는 맥락을 심으로 제시한 것으로 보

인다 즉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의

계로 제시하고 있다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이 타당하다고 단되어 그 로 수

용하고자 한다

다 문제해결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의 하 요소

문제해결능력은 공통 으로 제시된 역으로서 정철 외(1998)는 lsquo업무를 수행하면

서 문제 상황이 발생하 을 경우 창조 이고 논리 인 사고를 통하여 이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히 해결하는 능력rsquo으로 정의하는 가운데 하 요소로서 사고력 문제인식

능력 안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진미석 외(2007)는

문제해결력이라는 역명칭 신에 종합 사고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종합

사고력을 창조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 추론하는 능력으로 정의

하고 하는 가운데 그 하 요소로서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을

제시하고 있다

표 인 지능학자의 한 사람인 Sternberg는 그의 성공지능이론에서 성공 지능의

세 요소를 분석 능력(analytical abilities) 창의 종합 능력(creativesynthetic

abilities) 실용 능력(practical abilities)으로 제시하고 있다 분석 능력이란 개인의

삶에서 유용한 선택 사항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하

요소로서 문제 인식하기 문제 정의하기 문제 해결 략 수립하기 문제 해결 과정

검하기가 포함된다 창의 종합 능력은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창출하는 데 요구되

- 105 -

연구자 구인 하 구인

CLA

(College Learning Asse

ssment)

문제해결력

비 사고력

분석 추론력

문제 해결력

작문 의사소통 능력

삼성직무 성검사

SSAT

(직무능력검사)

문제해결 검사

상황 단력

차계획력

분석종합력

상황평가력

상황 처력

공직 성검사

PSAT문제해결력

상황 단

문제해결

단 의사결정능력

ONET(1995) 복합 문제해결 기술

문제 규명

정보 수집

정보 조직화

종합 재조직화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평가

실행 계획하기

해결책 평가

lt표 Ⅳ-2gt 문제해결능력에 한 검사와 하 구인

는 것이며 실용 능력은 문제 해결안을 효과 으로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것으로서

암묵 지식이 여기에 해당된다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하 요소로 제시하고 있는 것을 검토한 바에 의하

면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 능력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어서

이러한 견해들 속의 일 성을 찾아내기가 쉽지는 않다

2) 수정 방향

문제해결과 련된 역의 명칭으로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종합 사고력이라는

역 명칭보다는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문제해결능력이 보다 실제 인 의미를 갖는

다고 단되어 본 연구에서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역 명을 채택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하 요소로서 정철 외(1998)가 제시한 바와 같이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을

제시하기 보다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하게 작동하는 능력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

더 하다고 본다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

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고자 한다

- 106 -

[그림 Ⅳ-1] Sternberg 성공지능의 삼 일체

자료 김정휘 주영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라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정보능력 자원활용능력 기술능력 수리능력을 별도의 역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각각에 하여 상세한 하 요소를 제시한 반면 진미석 외(2007)는 이

를 통합하여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으로 제시하고 그 안에 정량 사고와 자

료해석 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 즉 역 명칭에는 제시하지 않았지

만 정철 이 제시한 수리능력을 하 요소의 하나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다 생애의 모든 역에서 성공 으로 기능하기 해

- 107 -

개인들은 지식 정보에 해 근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효과 으로 성찰 으

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DeSeCo에서 규정한 것처럼 기술 역

량은 기술 인 숙달능력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일

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도구에 익숙해지도록 하며 다른 필요 상황에서 그것을 용하고

궁극 으로는 잠재 인 상황에까지 새로운 도구를 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기술의

잠재성을 이해한다는 것은 기술을 상호 으로 사용하는 다른 상황 더 많은 상황들

에서 필수 인 것이다 즉 문제를 기술 으로 해결해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술 숙달

능력 보다 더 요한 것은 다른 기술의 목 기능들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잠재성을

구상할 아는 것이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보 기술 자원의 활용이 직업생활에서 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들의

독립된 역으로 나열되는 것은 핵심 역량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원칙에 배되는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미석 외(2007)가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술

자원 활용을 묶어서 하나의 역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단 수리 능력의 경우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포함하며 이 역의 하 요소로는 제

시하지 않고자 한다

마 자기 리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자기 리능력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자기 리 개발능력의 하 요소로서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

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 다 진미석 외(2007)는 자기주도 학

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을 하 요소로서 제시하

고 있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아래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능력)rsquo lsquoThe

ability to form and conduct life plans and personal projects(생애계획 개인 로젝

트를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lsquo rsquoThe ability to defend and assert ones rights

interests limits and needs(권리 이익 한계 요구사항들을 항변하고 주장하는 능력)

lsquo을 제시하 다(Rychen amp Salganik 2001)

- 108 -

2) 수정 방향

DeSeCo 로젝트에서 제시한 개념 틀 속에서는 자율 인 행동이 자신이 속한 사회

와의 극 인 계 맺음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요하다는 에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는 것과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은 우리나라의 주요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진미석 외

(2007)가 자기 리의 하 요소로서 시민의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철 외(1998)가 직

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측면을 드러낸다 두 연

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 요소를 최 한 종합하여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

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자 한다 진미석 외(2007)가 정서 자기 조 을 강조하되 신체

건강에 한 언 이 없다는 을 보완하여 두 가지 요소를 병렬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

를 포 하는 측면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

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 다

바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1) 기존 논의에서 제시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rsquo의 하 요소

정철 외(1998)는 업무를 원활하기 수행하기 하여 국제 인 추세를 포함하여 조직

의 체제와 경 에 하여 이해하는 능력이 직업기 능력으로 요구된다고 보고 이를 조

직이해 능력으로 명명하 으며 그 하 요소로서 국제감각 체제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을 포함하 다 한편 진미석 외(2007)는 로벌 역량이라는 역을 설정하

고 그 안에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능력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직에 한 이

해는 인 계 력의 하 요소로 제시하 다

DeSeCo 로젝트에서는 lsquoActing autonomously(자율 으로 행동하기)rsquo라는 역

의 하 요소로서 lsquoThe ability to act within the big picture(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

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의 큰 그림이란 표 이고 사회경제 이며 역사 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큰 맥락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어떻게 그 맥락들이 기능하는

지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

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 큰 그림은 세계 인 시

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는 지역사회나 직장 같은 개인들의 생활 혹은 특

- 109 -

정 사회분야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량은 구조 문화 실천 그리고 시스템의 형식비형

식 규칙과 기 들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것은 법 규칙 등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문서화되지 않은 사회 규범 윤리강령 매 그리고 의례 등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

인행동 제약에 한 지식과 그들의 권리를 이해하는 것 시스템 내에서 개인들이 활동

하는 역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들을 결정하는 것 공유된 규범 목 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가능성들을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들에 따라 다양한 과정으로 행동하는 것을 구

상하는 것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고 변화를 측하며 개인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

의 향력을 잘 조 하고 그 방식에 따라 행동 계획 상을 재조정하는 것 등을 포

함한다(Rychen amp Salganik 2001)

2) 수정 방향

정철 외(1998)가 사용한 조직이라는 용어는 그가 개념 정의한 바와는 달리 일상

으로 매우 좁은 의미로 다가온다는 에서 부 하다고 본다 실제 그가 제시한 정의

안에서 조직은 국제 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 의 체제(시스템)에 한 것이므로 시

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우리의 일상용어와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의미를 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반면 진미석 외(2007)가 안으로 제시한

로벌 역량은 쉽게 다가오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직업기 능력의 별도 역으로 제시하

기에는 상 으로 좁은 개념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SeCo 로젝트에서 사용한 큰 그림 안에서 행동하기라는

표 을 살려서 lsquo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rsquo로 역을 설정하고자 한다 맥락이라는 것이

환경의 종 인 측면 즉 역사성에 한 것이라면 환경이라는 것은 수평 인 측면을 일

컫는 것이다 개인이 처한 상황에 한 역사 사회 경제 이해를 바탕으로 큰 맥락

안에서 행동하고 결정하며 그 맥락 안에서 사람들은 어떤 지 를 갖고 무엇이 이슈화

되며 장기 으로 그리고 간 으로 행동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행동했을

때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다 하 요소로는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을 선정하 다

2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요약

앞에서의 논의는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가에 한 것이다 각 역별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는 하 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

- 110 -

진미석 외(2007) 정철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극 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 인 의사 달

발표

토론과 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 표 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

기 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인 계 력

리더십

조직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 리능력

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인 계능력

-리더십

-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

- 상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활용

자원의 처리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활용능력

정량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 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산자원 리능력

물 자원 리능력

인 자원 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용능력

수리능력

기 연산

기 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안하는 수정안을 정리하면 아래 lt표 Ⅳ-3gt과 같다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이 최종 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기존의 표 인 국내

연구의 틀과 거의 유사하다 기존의 연구가 규모 조사 꼼꼼한 선행 연구 검토 문

가 델 이를 거치면서 확증된 결과를 제시한 것이므로 명백한 반론의 근거가 없는 한

최 한 이를 존 하면서 비 으로 검토한 결과이다

역에 있어서는 최 한 간결하면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존 하는 선에서 정리가

되었으며 하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련된 선행 연구 결과를 반 하여 소폭으

로 수정하 다

lt표 Ⅳ-3gt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기 능력 하 요소와 수정안

- 111 -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한 계산능

도표능력

종합 사고력

비 사고력

문제인식 해결

논리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안

선택능력 안 용능력

안평가능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 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지향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 자기조

자기 리 개발능력

자기 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한 건 한 가치

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 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 리

- 자기주도 학습 능력

- 신체 정서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실천

- 직업윤리

역 하 요소 정의수정의 주요

근거

의사소통능력

말하기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이야기하는 능력

DeSeCO

극 청취 언어 정보에 집 하고 하게 이해하는 능력

독해력 문서화된 자료로부터 도출된 정보의 이해 능력

쓰기문서를 통해 다른 사람과 효과 으로 의사소통하

는 능력

어 읽기 어로 작성된 기 수 의 문서 이해

수계산 능력 수리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도표 이해능력 숫자 도표로 제시된 정보 이해 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정보활용 한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핵심정보를 찾기

자원활용업무에 필요한 한 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

기술활용업무에 필요한 자원을 하게 배분하고 활용하

는 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문제를 발견하고 새롭고 독창 인 해결 방안을

착상하는 능력Sternberg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하 요소에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lt표 Ⅳ-4gt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하 요소별 정의

- 112 -

분석 사고력수렴 사고 과정을 통하여 제시된 아이디어의 질

을 평가하는 능력

문제해결실행력제시된 문제해결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로 시도하

는 능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시스템 내에서 개인의 행동과 역할의 련성을 이

해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변화를 측하고

비 DeSeCo

사회문화이해능력 법 규칙 사회 규범에 한 이해

인 계능력

리더십 업무 수행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이끄는 능력

력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고객서비스 고객의 요구를 악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자기주도 으로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능력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신체의 지구력과 민첩성을 유지하며 정서 조

을 통한 자존감 행복감 유지하는 능력

진로계획 수립

실천

삶의 계획을 극 으로 수립하고 실천하고자 애

쓰는 능력

직업윤리 책임감 있고 성실하게 직업에 임할 수 있는 태도

Ⅴ 결론 논의

본 연구는 직업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는 새로운 작업이 아니며 기존에 직업기 능력이라는 주제 하에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 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존 하는 가운데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수정안을 제시하고자 하 다 특히 정철 외(1998)의 연구와 진미석 외

(2007)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Weinert(2001)에 의하면 핵심역량 혹은 직업기 능력을 추출함에 있어 크게 두 가지

근이 가능하다 하나는 경험 근이며 다른 하나는 규범 근이다 경험 근은

재 직업 세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징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

인 반면에 규범 근은 바람직한 이상 인 모습을 상정하고 그것에 기 하여 역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가 지속 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고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는 없으므로 미래 에서 직업생활에서 요구

하는 기 능력이 무엇인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는 것이다

- 113 -

핵심 역량의 추출하는 경험 근거가 직업생활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특

징이 된다는 것은 핵심 역량이 일종의 엘리티시즘에 기 한다는 의미와는 다르다 즉

소수의 탁월한 인재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직업생활을 하는 사람

이라면 최소한의 성공 직업생활을 하여 그가 종사하는 직업과 무 하게 구나 갖

추어야할 공통 이고 기본 인 특성에 한 것이다 그 다고 하여 직업기 능력이 반

드시 보 인 수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각 역량은 직업에 따라서 그것이 최소

한으로 요구되는 역량 수 이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제로 한다

핵심역량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근이 있었으며 어떠한 합의 과정을 거치더라도

항상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의견이 있다(Weinert 2001)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사

실과 련이 있을 것이다 우선 핵심역량은 매우 다양한 수 의 일반성 는 추상성을

가지고 정의된다는 사실이다 높은 수 의 추상성을 갖게 될 경우 논의의 편리함이 있

지만 실용 차원에서 주는 시사 이 낮으며 반면에 매우 구체 으로 역량이 제시될

경우 실용성은 높지만 의도하는 바를 모두 포 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과 하 요소 한 그것이 포 하는 범 다시 말해 추상성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

다는 이다 하나의 로 자기 리의 하 요소로 포함된 lsquo직업윤리rsquo는 다시 그 아래

하 요소가 다층 으로 존재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인 반면 의사소통 능력의

하 요소로 제시된 lsquo도표 이해 능력rsquo의 경우 매우 구체 인 의미를 갖는 능력이다

역과 역 사이 그리고 하 요소 간 추상성의 정도에 이와 같이 차이가 있는 한 역

을 재규정하고 하 요소의 소속을 변경하거나 추가 하는 일은 지속 으로 반복될 가

능성이 높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하나 고려할 사항은 핵심 역량이 정의되는 거

틀로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이다 이와 같은 질문에 한 가치 혹은 이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일상생활을 하여 그리고 개인 사회 으로 잘 기능하거나 직업

으로 성공하기 하여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성공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한 견해 차이에 의해서 요한 역량이 사소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컨 lsquo다

양성의 존 rsquo은 문화 으로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나라의 경우 매우

요한 역량이 된다 우리나라도 차 이러한 성향의 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아직

까지는 우선순 에서 뒤로 빠질 수 있다 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역량 추출과정에

서 락되는 험을 피하기 해서는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한 합의가 도출

되고 그것에 기 하여 핵심 역량이 추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를 이루

는 과정 한 녹록치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향성을 상정하지 않은 가운데

최 한 가치배제 인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해왔으며 이는 객 논의 진행에는 도움

- 114 -

이 될 수 있지만 창백한 논의가 된다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핵심 역량을 추출하는 목 은 그것을 강조하는 가운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거나 스스로 그와 같은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하

는 데 있을 것이다 핵심 역량에서 제시되는 인지 능력 인지 양식 감정 특징에는 상

당한 개인차가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학습을 통하여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는지 의

심스러운 경우가 있다 만약 학습을 통하여 변화할 수 없는 것을 기 역량으로 강조하

게 될 경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상당한 개인차를 사소한 것으로 치부하는 가운데 차별

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역량들이 계획된 로그램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느냐라는 사실이며 만약 그 다면 어떻게 그러한 것이 가능하겠는

가 라는 질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출한 핵심 역량의 하 역과 요소는 이와 같은 질문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당 론 인 차원에서 요한 특징들을 나열하는 것이 각 구인에 한

명료한 이론 근거와 논리 타당성을 갖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한 성공 이며 바

람직한 직업생활의 모습을 어떻게 가정할 것인가에 한 충분한 성찰을 하는 과정 한

생략되어 있다는 에서 근원 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철 (1998)이 제시한 역량 모델을 개선했는지 여부는 다른 문

가들에 의해서 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가 수 에서 본격 으로 원회를

구성하여 역량 추출을 한 방향을 설정하고 충분한 실증 근거와 이론 논의를 거

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 역량 모델로서 발 되기 한 기 로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 하는 바이다

- 115 -

참 고 문 헌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한국노동연구원

권 (1998) 한국의 기업교육 사례연구 박 사

김명소 김명언 이도형(1996) 산업장면에서의 실용 지능능력 한국심리학회 산업

조직 9(1) 117-137

김정휘 주 숙 하종덕(2002) 교육심리학 입문 원미사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김기용 정상택(2003) 산업체 종사자에게 요구되

는 기 직업능력 역 설정 한국 농업교육학회지 36(4) 139-158

박우성(2002) 역량 심의 인 자원 리 한국노동연구원

이순묵 김청택 김명소 설 소 외(2001) 역참조 검사제작의 논리와 용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20(2)

임창희(2003) 신인 자원 리 명경사

정종진(2004) 등학생용 표 화 다 지능검사 개발연구 아동교육학회 13(2)

정철 (1998) 직업기 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교육월보 7월호 (통권

199호)

정철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1998) 직업기 능력의 역 분류 하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지 17(2) 15-38

정철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강경종(2000a) 직업기 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

제 연구보고서

정철 서우석 이길순(2000b) 농업계열 문 학 재학생의 직업기 능력 향상 방안

신구 학 연구보고서

정철 나승일 김종우 허 (2001) 직업기 능력 개발을 한 교육 지원 방안 우

송공업 학 우송정보 학 연구보고서

이동임 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병욱(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진단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이수 외(2007) lsquo07년 국제성인능력측정 로젝트(PIAAC) 직무요구분석(JRA) 사업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이 (1999)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 독일 교육연구부의 델 이 조사 보고서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 116 -

이요행 박가열(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개발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임언(2006) 기 능력의 국제비교 DeSeCo와 ALL을 심으로 직업과 인력개발 9(1) p

133

국경제인연합 (2008)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경련 산업본부

조정윤 박종성 김상진 (2002) 국가직무능력표 개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

발원

진미석 (2007) 학생 직업기 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교육인 자원부

진미석 이수 송창용(2007)

채창균 최지희 김안국 오호 옥 필 (200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 자원개

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하 (2005) R Sternbe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연구 과제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1(1) 15-180

한국고시회 (2008) 삼성그룹직무 성검사 NEW SSAT 한국고시회 편집부

한국인사 리 회 (2005) 핵심인재 그들은 구인가 한국인사 리 회 편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직업교육훈련 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 식서창교장홍근이종선김기헌박종성정윤경최동선(2005) 자

산업의 직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박천수이동임정윤경최동선정향진이주호(2006) 보건의료산업의 직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상근 최동선 정윤경 (2006) 자산업 분야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컨피턴시와 공학

교육의 격차에 한연구 직업교육연구학회지 26(1) 157-193

한 상 김소 김민 (2008) 수행 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에 따른 기업 인 자원

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에 한 인식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27(2)

137-158

황 욱 안주엽 김승택 이상민 병유(2004) 문화콘텐츠산업 인력구조 직무분석

한국노동연구원

LG 인화원 (2004) 2004 HR-체계개발

ASTD (1990) Workplace basics The essential skills employers want SF Jossey-Bass

Bernthal P Colteryahn K Davis P Naughton J Rothwell W amp Wellines

R(2004) Mapping the future Shaping new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ompetencies Alexandria VA The American Society for Traing

and Development

Canale M amp Swain M(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 117 -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Canto-Sperber M amp Dupuy J-P (2001) Competencies for the Good Life and the

Good Society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pp 67-92) Goumlttingen Germany Hogrefe amp

Huber

Gilbert JR amp Fleishman EA (1992) Fleishmans job analysis survey Social and

interpersonal abilities Fairfax VA Center for Behavaioral and Cognitive

Studies

Gonczi Andrew 2003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ey Competenci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Salganik amp M E McLaughlin 119-131

Gardner H Kornhaber M L amp Wake W K(1995)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Hipkins R (2006) The n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A background paper

Wellington Report prepared by NZCER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Hymes D (1973)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ociolinguistics J B Pride and

J Homes Eds Harmodsworth Penguin

Campbell L Campbell B amp Dickson B (2004)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이신동 외 역 『다 지능과 교수-학습』 시그마 스

2006)

Malowe H A(1986) Social intelligence Evidence for multi-dimensionality and

construct independ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52-58

McLagan P (1989) Models for HRD practice ASTD Press

Moss F A Hunt J Omwake KT amp Woodward CG(1955) Manual for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eries social intelligence test Washington DC

Center for Psychological Service

Norman G Michael D Walter C P Richard Jeanneeret amp Edwin A

Fleishman(1995) Development of Prototype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ONET) Content Model

Norton R E (1999)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SCID)

Workshop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Oates T(2003) Key SkillsKey Competencies Avoiding the Pitfalls of Current

- 118 -

Initiatives In Selected contributions to the 2nd DeSeCo Symposium ed by

D S Rychen L H Salganik and M E McLaughlin 171ndash193 Neuchacirctel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ECD(2003) Beyond Rhetoric Adult learning policies and practices Paris OECD

OECD(2005) Learning a living Paris OECD

Ridgeway C L (2001) How do status beliefs develop The role of resources and

interactional experiences In J T Jost amp B Major (Eds) The psychology of

legitimacy Emerging perspectives on ideology justice and intergroup

relations (pp 357ndash277)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Rothwell W Sanders E amp Soper J(1999) ASTD Models for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Alexandria VA ASTD

Sternberg R J (2000) Handbook of Intelligence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rnberg R J amp Hdelund J(2002) Practical intelligence g and work psychology

Human Performance 15(12) 143-160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SCANS(1991) What work requires of school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Labor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외 역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PSI컨설 1998)

Thorndike E L(1920)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Vernon P E (1933)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Weinert F E (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 S

Rychen amp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amp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Zaccaro S J Gilbert J A Thor K K amp Mumford M D(1991) Leadership and

social intelligence Linking social perspectiveness and behavior flexibility to

leader effectiveness Leadership Quarterly 2 317-342

- 119 -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에 한 토론

권 호(삼성 기)

Ⅰ 들어가며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6개 핵심역량 제시문에 해 학문

깊이를 떠나 장에서 평소 느끼고 생각했던 바를 논거함에 있어 발표자의 제시문

내용과 토론자에게 바라는 기 치에 미흡하거나 논문작성 의도와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넓은 이해를 바란다

Ⅱ 발표문에 한 소견

1 의사소통 능력

말하기 극 청취 독해력 쓰기 기 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의사소통의 요성은 조직(기업문화) 한 이해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교감을 나

타내는 요 요소라 단되며 외국어( 어)의 활용능력이 다른 항목에 비해(79쪽

92~94쪽 참조) 의사소통에 있어 요도 순 가 낮으나 개인의 보유능력과 활용의

빈도(상황)에 계없이 국제화와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 상을 감안할 때 의

사소통의 요한 Tool로서 회화능력이 요하다고 단되어 기 어 회화(읽기가

포함된 역으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국내의 기업(조직)내에서도 다양한 민족의 외국인의 채용 타문화권 타민족과의

인 교류가 증가하고 있어 어를 통한 기본 의사소통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삼성 등

기업의 경우 채용기 에 어회화능력을 시함)

- 120 -

2 인 계능력

리더십 력 고객서비스 갈등 리해결 상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가진 Client와의 갈등을 해결하기 해서는 상을 조정

충능력 능력이라 정의하고 조직내외부와의 인간 계 업무에 있어

Co-Work하는데 매우 요한 역량이라고 부연코자 한다

3 정보 기술 자원활용 능력

정보활용 기술활용 자원활용 네트웍 리능력

정보 기술 자원활용 못지않게 이들을 묶고 연결하고 조직목표를 한 조직내외

의 다양한 인 물 자원을 유기 으로 리할 수 있는 Network 리능력에

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앞장의 2 인 계 능력의 하 요소로도 검토

가능)

4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문제가 해결되는 단계별 능력보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요하게 작동되는 능력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하다고 단한 것은 옳다고 본다 격한 기술변화 시

에 능동 으로 처하기 해서는 단계별 해결능력보다 Speed가 경쟁력의

심인 상황에서 창의력을 갖고 바로 안을 찾아서 자기완결형의 실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5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사회 이해능력

발표문에 따르면 맥락은 역사성의 종 인 측면과 환경은 수평 인 측면으로 큰

그림 아래서 행동하기란 표 을 살려서 사용하기로 하셨는데 제 생각엔 직업과

련한 핵심 역량을 다루는데 있어 학문 으로는 마땅한 표 이겠으나 조직이란

말이 이제는 포 개념(국가조직 사회조직 기업조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

- 121 -

안하여 조직 환경에 한 이해로 변경을 제의한다

6 자기 리

자기주도 학습능력 신체 정서 건강유지 진로계획 수립 실천 직업윤리

진로계획보다는 평생직업 고령화 사회에 비한 생애설계 수립 실천으로

변경을 제언한다 삶은 곧 직업과의 연 성과 사회 욕구인 사회공헌( 사)이

포함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기본자질도 갖춰야 한다고 고려하 다

하 항목에 Cyber 을 추가하여 최근 사회 으로 심사로 부각되는 Cyber

폭력 댓 등의 심각한 문제가 개인과 사회 문제만이 아닌 조직 국가 인 문제

로 비화되는 실을 반 할 필요성이 있다

Ⅲ 마무리하며

국내외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살펴보면 삼성은 인재제일(People) 최고지향

(Excellence) 변화선도(Change) 정도경 (Integrity) 상생추구(Co-Prosperity) 등이

며 LG는 개방(Openness) 력(Partnership) 신(Innovation) 등이다 PampG는 리

더십(leadership) 주인의식(Ownership) 정직성(Integrity) 승리에 한 열정

(Passion for Winning) 상호신뢰(Trust) 등이고 도요타는 도 (Challenge) 개선

(Improvement) 존 (Respect) 지 물(The Actual PlaceThing) 웍

(Teamwork) 등이다

사례에서 보듯 선진기업의 핵심 가치를 집약하면 도 신 최고지향 정직 등으

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런 기업들에서 요구하는 핵심가치를 공유하고 창의 인 실

천을 유도하는 핵심 역량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업 장에서 생각해 본 핵심역량 모델

회사의 핵심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핵심역량

1 최고를 향한 열망

- 122 -

- 보수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자체에 열정

소명의식과 자부심 최고를 향한 높은 열망(Aspiration)

2 승부근성

- 웬만한 험에 노출되어도 쉽게 포기하지 않는 지구력

불굴의 의지와 용기 도 정신(challenging Spirit)

3 도덕 겸양

- 뛰어난 업무능력은 기본 실력을 쌓으면서도 겸손한

외유내강형(An Iron Hand in a Velvet Glove)

4 감성지능

- 기술 역량은 물론 다양성의 문화와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존 하는 인간

상호간 감성 교감을 시(다양성의사회 응력)

5 직업윤리

- 나름의 철 한 룰(Rule)을 정하고 지키는 실천의지

규율있는 행동(Disciplined Action)

6 변화의지(흡수능력)

- 충분한 사 지식을 갖추는 일과 함께 새로운 것을 극 배우려는 자세와 의욕

7 핵심가치 실천 능력

- 회사의 가치와 생각을 같이 하는 사람

- 창의력과 유연성을 갖춘 스피디한 실천력

- 123 -

진미석 외(2007) 정철영 외(1998) 나승일 외(2003) 제안

의사소통

적극적인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 및 발표

토론과 중재

의사소통

읽기능력

쓰기능력

듣기능력

말하기능력

비언어적 표현능력

외국어읽기능력

의사소통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표현

기초외국어

의사소통

-말하기

-적극적 청취

-독해력

-쓰기

-기초영어읽기

-수와 도표 이해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유동환(호서 학교)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통해서 삶을 유지하고 실 하고 꿈꾸고 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하거나 선택 당한 직업 역에 맞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는 그 직업에 가장

잘맞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해서는 매우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런 의미에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세부 역량을 재분류하고

재구조화하여 명확히 살펴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어 시사 이 큰 논문이다

본 논문의 핵심 논의인 4장의 2 의 표에 한 의견을 정리해 보겠다

1 의사소통

한국 인 교육 환경의 특징은 의사소통에서 있어서 소통에 한 훈련이 매우 수동

으로 이 지고 있어 이는 고스란히 직업세계로 연결되어 의사소통의 하 요소인 말하

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총 인 언어능력에 한 필요성은 매우 강조되지만 실제로

는 직업세계 속 의사소통 당사자들 사이의 역량 수 에 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상황이

다 더구나 수와 도료를 활용한 수리능력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상황은 특수한 직업세계

에서나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이른바 리젠테이션이 업무활동에서 일반화되

면서 수와 도표의 활용과 비언어 인 상징을 통한 표 의 역할이 매우 요하게 발 하

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이 단순히 의사소통 상 자들 사이의 단순 능력의 차원

이 아니라 개념의 이해 개념의 표 개념의 달이라는 총 이고 순환하는 통합능

력에 기반한 것이어야 한다 특히 창조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지식 기반 직업의 경우

그러한 역량이 더욱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한 외국어의 경우 한국 인 상황에서 그

- 124 -

대인관계 및 협력

협력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능력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대인관계능력

-리더십

-협력

-고객서비스

-갈등관리

-협상

종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문제인식 및 해결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사고력 문제인식능력 대안선택

능력 대안적용능력 대안평가능

문제해결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분석적 사고

-문제해결 실행력

역량이 직업인으로 성공하는 핵심요소로 표 되지만 보편 인 직업환경에서 역량의 육

성이 쉽지 않은 것 한 사실이다

2 인 계 능력

논문에서 수평 차원에서의 인 계로서 동 수직 인 차원에서의 리더십 고객과

의 계에서 각각 리더십- 력-고객서비스를 능력으로 배치하고 갈등 리와 상은 이

세 가지 맥락에서 공통 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 리 능력에서 우

리나라의 경우와 달리 해외 연구자들의 경우 매우 구체 으로 상 자의 얼굴과 이름

기억하기 비언어 인 심리 상태 인식 사지향성 등을 들고 있다 실제로 기업 장에

서는 이러한 구체 이고 작은 능력이지만 직업세계에서 매일 매일 만나게 되는 인

계의 상황을 호 시킬 수 있는 역량에 한 배려가 필요해 보인다

3 문제해결능력

논문에서는 Sternbsrg의 삼 일체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 지능 분석 지능

실천 지능을 바탕으로 창의력 분석 사고력 문제해결실행력을 하 요소로 제시하

고 있다 분석-종합-해결 이라는 틀에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최근의 문지식 기반

의 직업환경은 복잡하고 긴 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IT와 CT 등의 직업 역에서 삼성

직무 성검사SSAT(직무능력검사)에서 제시한 차계획력이나 CLA의 분석추론력 등

을 참고하여 과정추론력은 매우 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 125 -

자원 정보 기술의 처리 및

활용

자원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보의 처리 및 활용능력

기술(Technology)의 처리 및

활용능력

정량적 사고와 자료해석능력

정보능력

정보수집능력

정보분석능력

정보조직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활용능력

컴퓨터사용능력

자원활용능력

자원확인능력

자원조직능력

자원계획능력

자원할당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사칙연산이해능력

통계와 확률에 대한 계산능력

도표능력

정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자원활용능력

시간자원활용능력

예산자원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수리능력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도표작성

정보 기술 및 자원활용

- 정보활용

- 기술활용

- 자원활용

자기관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목표지향적 계획수립능력

시민의식

정서적 자기조절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기관리능력

진로개발능력

직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과 태도

자기개발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경력개발능력

직업윤리

근로윤리

공동체윤리

자기관리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신체적 정서적 건강 유지

- 진로계획 수립 및 실천

- 직업윤리

4 정보 기술 자원 활용 능력

이 역량은 최근 요도가 증하고 있는 역임에도 의사소통능력 등 다른 부분에 포

함되는 부분이 많아서 최종 결론은 정보-기술-자원으로 요약되어 있다 다만 DeSeCO

로젝트에서는 도구를 상호 으로 사용하기 역의 하나로서 lsquoThe ability to us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eractively(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

력)rsquo과 lsquoThe ability to use technology interactively(기술을 상호작용 으로 사용할 수 있

는 능력)rsquo을 제시하고 있는데 결국 이는 자원-기술-정보를 취하는 역량뿐만 아니라 이

러한 역량이 서로 상호 으로 연결하는 능력인 계 역량으로 발 해야 한다고 보는

에서 최근의 문지식 기반 직업 분야에서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5 자기 리능력

- 126 -

글로벌 역량

외국어 능력

다문화 이해 및 수용 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국제감각

체계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이해능력

-조직이해능력

-사회문화이해능력

-국제감각

일과 학습과정을 조직하고 계획하는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직업윤리 신체

정서 건강 유지 진로개발 능력을 하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직업윤리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의식 직업에 한 가치 과 태도를 포 하는 측면

으로서 개인의 자기 리가 개인 인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사회 맥락과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하여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최근 직업세계에서

자기 리에 한 강조 경향은 이 역량의 요성이 앞으로도 커지리라 생각하고 직업윤

리에 한 강조는 이 역량에서 윤리지수의 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6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 능력

당 로벌 역량과 조직이해 능력이라는 항목을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능력으로

통합 조정한 역량이다 수정안이 조직과 로벌 역량에 한 부분은 잘 수용되어 있는

데 사회문화이해능력이라 표 하면서 최근 시되고 있는 맥락의 역사 이해 능력이라

는 부분이 드러나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논문은 국내 주요 연구에서 제시하는 직업생활에서 요구하는 핵심역

량 즉 직업기 능력의 역 요소가 무엇이며 이를 수정하여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가에 해서 조정하고 이를 도표로 재구조화하 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인 계능력 정보기술자원활용능력 문제해결력

맥락과 환경에 한 이해력 자기 리능력의 6개 역은 직업세계에서 꼭 필요한 핵심

역량임에 틀림 없다 다만 그 6개 역의 하 요소를 구성함에 있어서 최근의 직업세계

의 변화경향과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래 비젼에 따라 강조 이나 치 이 달라져

야 할 것이다 매우 정교하고 객 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핵심역량에서 논자가 이

야기한 무엇이 훌륭한 삶이며 바람직한 사회인가 인류에 한 기 가 무엇인가 라

는 은 핵심역량 추출에서 매우 요한 이다 한 한국의 직업세계이라는 특수조

건에 한 고려를 핵심역량 도출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지 여기 실 으로 존재

하는 한국 직업세계의 특수성은 개개 직업인들이 가져가고 길러가고 지향해야 할 핵심

역량의 요소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 자료는 결론으로써가 아니라 과정 기 으로

계속 연구하고 논의해 가야 할 것이고 구체 인 교육 장과 직업 장에서 실제 로그

- 127 -

램을 통하여 구 할 수 있는 방안의 고민이 반드시 필요하다

직업에 한 정치한 사회과학 논의를 하면서 인문학을 공하고 문화콘텐츠 문

기업을 운 했던 경험을 잣 로 살펴보다 보니 특정 직업세계에 기반하여 논문의 결론

을 바라보는 우를 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밝히면서 을 마친다

- 128 -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 이공계 졸업생의 직무 수행 핵심 역량 수 의 측정과 책 -

안기 (한국반도체연구조합)

국내 첨단기술기업을 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실제 이공계 4년제 학을 졸

업하고 입사한 직원의 직무수행과 련한 핵심역량 평가 결과 업무 련 문지식(5

만 290) 실무 능력(269)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밖에 이론 문

제해석해결 능력(305) 커뮤니 이션 능력(312) 조직 응 능력(312) 등이 부족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25

3

35

4

어학능력 의사소통능력 컴퓨터 활용능

조직적응능력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업무 지식 업무 실무 기본인성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1] 이공계4년제 학 졸업 입사 직원 평가

- 129 -

과 목 설계 공정개발 생산 장비개발 기획amp마

반도체물리 52 50 43 50 41

화학 54 51 38 46 42

공업수학 56 47 40 46 52

회로이론 55 54 39 48 52

자기학 64 48 37 45 45

자회로 51 49 38 44 46

기 기실험 58 50 34 47 51

CAD실습 56 44 29 55 53

논리회로설계 64 44 31 48 44

5246

3845 47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설 계 공 정 개 발 생 산 장 비 개 발 기 획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그림 2] 직무별 직무수행역량 역량습득 련 학재학시 학습수

이러한 신규 지원자의 질 미흡 문제는 기업과 교육훈련기 (공업고등학교 학 등)

간의 상호 연계 시스템 미비로 인한 인력양성의 비효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

서 신규 졸업자의 질 제고를 해서는 공업 고등학교 학 교육의 장성 강화로

수요자 심의 교육이 으로 요구되는 것이 실이다

업무지식과 업무실무와 련하여 실제 직무수행과 련한 지식의 습득정도를 측정하

으나 습득율이 50 수 에 머무르고 있다

아울러 과목별로 지식의 충족도는 부분 50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lt표 1gt 교과목별 지식충족도

[ 100]

- 130 -

논리회로실험 56 50 33 48 46

혼성모드 IC설계 47 38 38 54 38

고주 소자 모델링 40 50 38 25 50

RF반도체회로설계 47 25 33 50 75

VLSI설계 46 39 44 38 43

디지털시스템이론 51 35 34 44 43

반도체공학 48 48 46 48 41

IC 로세스 54 58 38 44 39

자공학 43 50 39 39 47

반도체실험 53 53 46 46 52

반도체응용실험 52 50 47 45 50

응용 자회로 51 35 28 39 46

자회로실험 49 44 30 42 45

신호 시스템 50 48 33 41 49

자장론 50 44 31 47 47

통신실험 53 42 38 38 52

통신시스템 49 38 28 44 51

고주 공학 53 38 20 33 44

디지털통신시스템 51 34 32 45 49

고주 회로 46 33 25 42 48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문역량과 련하여 학교육과 산업체 장요구와의격차(Gap)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육이 산업체의 Needs를 맞추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빠른 기술발 추이에

맞는 선행교육이 제 로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학교육에 있어 실험실습이 차지하는 비 은 실무에서의 요도에 비하여 을뿐

더러 학의 설비구비수 이 산업계의 수 보다 뒤처져 있는 실 인 문제가 이러한 결

과를 래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기 해서는 주로 자기학습을 통한 노력과 실무를 통하여

익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131 -

분류 학습격차 보충방법

반도체설계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공정개발1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반도체 생산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선배지도를 통한 실무지식보완

반도체 장비개발1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2 자기학습노력

반도체 기획마1 자기학습노력

2 실무를 통한 지식보완

lt표 1-2gt 직무능력 학습격차 보충방법

출처 반도체 산업 인 자원개발 의체 구축운 사업 수행성과보고서 (2005)

따라서 학교육과 장요구와의 격차(Gap)가 큰 교과목에 한 보완 방안을 학과

산업이 공동으로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학의 경우 공과정 교육체계작성 시 반

드시 산업계로부터의 Needs 분석을 실시하고 산업계 문가로부터 자문을 받아 실질

인 반도체 교육체계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학교육에서 필요교과목에 한 이수 의무화하여야 한다 재 많은 학에서 공학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궤도상에서 우선 요한 조건은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 요) 교과목을 제 로 선정하여 학에서 교육시키도록 해야 한다

반도체 직군별 문가 육성을 한 학 내 반도체 교과목 연계 경력 로그램운 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학에서 학과마다 학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때 학과 내에서도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별 문가 양성을 미리 염두에 두

고 분야별 과목연계 경력 Program 운 을 제도화하여 학생들이 학 졸업 후에는 자신

의 공진로를 쉽게 찾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 132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3 -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조 연(숙명여자 학교)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Ⅱ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Ⅲ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134 -

Administrator
새 스탬프

- 135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목

지식기반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 별되는 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과거 교육 역이

아니었던 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교육 학습활동이 이루지고 있다 더욱이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은 기본 인 경제자원이며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회 통합

을 한 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상되고 있다 과거에는 지식을 얻기 한 주요

통로가 등 학교육 등의 형식 (formal) 교육활동이었다 그러나 평생학습시

의 도래로 학습의 개념과 이 보다 다양해지고 형식 교육활동 만으로는 개인

사회발 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차 학교 이외의 학습 체제에 한 심이 증 하고

있다

불과 십여 년 까지 학교교육을 통해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재 과학기술의 속한 발달과

세계화 정보화로 인한 지식의 홍수 등으로 인해 학교교육에서 학습된 내용은 성인의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등에 큰 도움을 장기간 제공해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한

다 학교교육은 창의성 사회성 문성 그리고 자율학습능력을 갖춘 인 자원을 양성해

야 하며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한 후에도 지속 인 평생학습을 통해 인 자본 축

이 으로 필요하다(김장호 2007) 더욱이 환경의 변화주기는 더욱 짧아지고 있으

며 인간의 수명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은 더욱 미래사회

에 가속화 될 망이다 즉 생애 어느 한 시 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만으로는 새로운 사

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습득하기란 불가능하다(강순희 amp 신범석 2002) 따라서 선진

각국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생애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큰 틀로서 평생학습사회

를 하나의 지향 으로 설정하 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 는 평생학습34)은 학교교육과 성인(사회)교육의 유기

화학 통합(한숭희 2006) 는 유아교육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노인교

육의 생애 교육과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기업교육 사이버교육 등 범생애

교육을 통칭(김진화 2006)하는 것으로 모든 교육 는 학습활동의 기 이며 조직원

34) 평생교육은 제공자 차원에서 학습자의 평생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 인 활동을 의미하며

평생학습은 학습자의 계획 이고 조직 인 교수학습과정에 참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발 으로 계획하고 실

천하거나 우연 으로 경험하는 학습을 의미한다(권 2007 150)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와 교수자 ( 는 제

공자)가 동시에 존재하나 평생학습은 학습자만이 존재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 136 -

리 그리고 교육의 최상 개념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의 진 여부를 떠나

그 만큼 오늘날 평생교육 평생학습의 요성과 심이 증폭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결과 으로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정부 지역수 에서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

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재구조화 하는 한편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해 많은 노력들을 꾸 히 실천해 오고 있다 를 들면 평생학습도시사업 평생학습

축제 평생교육법의 면개정 평생교육진흥원설립 주말소외계층평생교육지원사업 등을

통해 평생교육에 한 국민의 심 증 를 도모하고 평생학습 참여를 한 극 노력

들을 개하고 있다 2002년 OECD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선

진국에 비해 낮은 수 이었다(북유럽 3국 536 덴마크 562 국 449 한국

172) 그러나 2007년 12월에 발표된 교육인 자원부의 개인평생학습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평생학습참여율은 298로 OECD 국가 평균 26보다 높게 나

타났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이 21세기 국가발 의 핵심의제가 됨에 따라(김승보 2007) 미래

평생교육의 요성과 평생학습의 참여율은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할 수 있다

그 다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 구성원은 어떠한 모습일까 다

시 말해서 미래 사회의 학교 외 학습 체제에서 이들이 갖추어야할 역량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역량에 한 강조는 인 자원개발과 성인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넘어 공교육의

교육과정 구성에까지 확 되고 있다(윤정일 등 2007) 즉 평생학습사회 각 부분에서 구

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악하고 이를 함양하기 한 제도 실천 노력을

개함과 동시에 미래 사회 구성원이 될 학생들에게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한 목 이다 이를 하여 최근 정부와 국내 교육 련

연구기 들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국민의 지 역량과 학습역량이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인식하에 사회구성원의 핵심역량을 악하고자 하 다

한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 정보와 지식 그리고 네트워크의 요성을 강조하면

서 사회구성원이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제시하

다 를 들면 이돈희(1999)는 의사소통능력 분석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 사고

인간 계능력 자기 리 세계 인 안목과 응력을 강조하 고 김승보(2007)는 외국어

실력 디지털실력 자기주도학습력 이문화이종교이역사에 한 열린교육을 통해 창

조성 향상 문성 의사소통능력 활동 능력 노동철학과 직업윤리의식을 제시하 다

그러나 국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은 부분 재 시 에서 특정 분

야에 필요로 하는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미래 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

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근은 미흡

- 137 -

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 개인 연구자들의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평생학습사회에 사회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언 은 주로 선언 이며 규범 근이었다

Ouane(2002)는 역량정의에 있어 규범 이고 일반 인 정의는 실제 상황과 충돌이 있을

수 있음을 지 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당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목 을 해결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추진하 다

가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최근 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를 종합분석하여 공

통 차이 을 도출하 으며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분석하 다 한 평생학

습사회에 한 개념 정의와 특징을 종합분석하 다 특히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

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통해 이들이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

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나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DeSeCo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학교 기타 국내외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

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한 선행연구분석 결과는 국가교육과정의 개발을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다 평생교육법 평생교육제도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을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

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한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

- 138 -

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을 분

석하여 각 제도들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통해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역량과 하 요소

들을 악하 다 그리고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 을 통해

각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분석하여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라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시사 도출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여 2차에 걸친 문가 의회를 통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

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련 선행연구분석 법제도 로그램 분석에서 도출된 역량과 문가 의회

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비교 분석하 고 이 결과는 설문분석을 한 기 자료로 활용되

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의 타당화 작업 우선순 를 제시하 다 마지막으

로 도출된 역량을 하 요소에 기 하여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교육과정 체제 측

면과 교육목 내용 측면에서 시사 을 제시하 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에서 제시된 연구내용을 추진하는데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이 사용되

었다

가 문헌연구

역량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그리고 시민을 한 역량도출 평생교육법 제도와

련된 최근 문헌들을 분석하 다 이와 같은 문헌의 종류로는 역량과 생애역량 그리고

역량 악을 한 근방법을 제공하는 문헌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와 특징 그리

고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공하는 문헌 시민

상 역량 도출을 한 국내외 연구보고서 평생교육법령 해설집 다양한 평생교육제도(

를 들면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의 이념 목 취지 그

리고 구체 내용을 제공하는 문헌 유형별 구체 인 평생학습 로그램의 목 을 제공

하는 문헌을 분석하 다

나 명목집단기법

- 139 -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의 역량과 역량별 하 요소의 비 설정을

하여 2차에 걸친 문가 10인과 의회를 실시하 다 문가 의회는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 다 명목집단기법은 문가들이 모여 하나의 주

제에 한 문제나 이슈들을 식별하고 순 를 정하는 가 서열화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비교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함이다(Witkin amp Altschuld 1995)

일반 인 그룹 활동과는 달리 토의나 사호작용을 도하여 구성원 각자의 독립된 의견

을 수합한 후 필요하다면 토의와 상호작용을 통해 각각의 의견을 명료화 한 후 최종

인 아이디어들과 그 순 를 매기는 활동을 의미한다 최정임(2002)은 명목집단기법이

인스토 의 창조 인 특징을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한 통제된 틀에 통합시킨 그

룹 활동으로 정의하 다 여기서 명목(nominal)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기에 집단의 상

호작용 활동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름 상으로만 집단의 형식을 취한다는 뜻이다

다 설문조사 우선순 기법

1) 설문지 개발

문헌연구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결과를 기 로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들의 갖

추어야 할 역량 하 요소들로 설문지를 개발하 다 연구진 의회를 통해 설문지

안이 개발되었으며 개발한 설문지에 하여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보하기

해서 학교수와 평생교육 장 실무자 등 문가 4인으로 구성된 문가 의회의 도

움을 받았다 문가 의회는 이메일로 설문지에 한 내용과 형식에 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연구진 의회를 통해 이를 반 하 다

2) 조사 상 표집 실시

본 연구를 한 조사 상 표집 그리고 실시는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었다

3) 분석 방법

설문지 분석은 SPSSWIN 12를 사용하여 분석하 다 특히 역량의 우선순 를 악

하기 하여 본 연구는 The Locus for Focus Model Borich의 요구도 계산방법 그리고

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역량에 한 요구도를 비교분석하

다 3가지 우선순 방법 마다 장 과 단 이 존재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기 한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 다

- 140 -

II 이론 배경

1 학교 외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

1990년 이후 평생학습이 경제 필요와 사회문화 이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로벌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연스럽게 lsquo학습사회rsquo 는 lsquo평생학습사회rsquo라는 용어가

화되었다 평생학습사회에 한 정의는 연구자의 다양한 에 따라서 서로 다르

게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공통된 하나의 정의로 진술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련된 연구물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는 학습사회는 어떤 모습

으로 그려질 수 있으며 이들 사회의 특징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다음과 같이 3가지 차원

에서 살펴보고자 하 다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는 월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특히 학교를 심으로 한

통 인 교육기 을 넘어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기회를 창출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즉

학습이 기존 학교로 표되던 특정한 교육기 에서만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다

Tielen(1998148)은 평생학습사회란 학습을 한 다양한 자원이 통 인 교육기 을 넘

어 가정 지역사회 기업 그리고 다른 조직들로 확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고 하 다 손

유미(2005) 역시 학습과 교육이 학교나 공식 으로 부여된 특정 장소에서만 이루어지는

사회가 아니라 살아가는 모든 삶의 공간에서 학습이 매개될 수 있는 사회를 평생학습사

회로 정의하 다 결국 월성을 기반으로 평생학습사회는 기존 교육과 학습의 헤게모

니를 구축하고 있는 학교교육을 뛰어 넘어 사회교육 직업세계간에 단 과 장벽이 없는

사회 체가 평생교육의 장이 될 수 있는 사회를 의미한다(권 2003 차갑부 2003)

평생학습사회는 공간 차원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도 월성을 강조한다 평생

학습사회는 평생에 걸쳐 시간 제약이 없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평생 언제라도 자유롭게 학습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사회(이희수 외 2000) 평생

에 걸친 학습체제가 마련되는 사회(김장호 2004)로 정의된다 결국 월성을 강조한 평

생학습사회는 시간과 장소의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사회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월성의 측면에서 평생학습사회는 학습의 양 증 를 도모

한다

둘째 평생학습의 정의에는 평등을 기반으로 한 성의 개념이 강조된다 학습기회

- 141 -

에 있어서 차별성이 없으며 모든 국민의 생애(lifelong) 학습권이 보장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등에 기반 한 성을 강조하기 해서 많은 학자들은 lsquo 구나rsquo lsquo모든 국

민rsquo 는 lsquo만인rsquo이라는 표 을 주로 쓴다 를 들면 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김승보 amp 이주호 2007 최상덕 외 2007) 모든 국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보장해 주는 사회(권 2003) 만인을 한 사회(이희수 외 2000)

구나 배울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 모든 국민이 평생 동안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지식을 생성하는 사회(김신일 amp 박부권 2005) 등으로 설명된다

이처럼 국민 모두가 평생 동안 학습기회를 자유로이 가질 수 있는 학습의 평등화와

화를 도모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분명 일부 능력 있는 집

단만의 유물이었던 학제를 심으로 한 학교 심 사회와 다르다 더욱이 형식학습을

넘어 비형식 학습 그리고 무형식 학습 등이 새로운 유형의 의미 있는 학습기제로 활발

히 인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 구나 생애 학습자로 평생학습사회의 극 구성

원이 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학제를 심으로 학교 심사회와 비교하면 평생

학습사회는 학습기회가 분배되는 패턴이 평등과 성을 기반으로 변화된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 리 평가가 평생학습사회의 정의에서 강조된

다 특히 통합성은 앞에서 언 한 월성과 성의 특징을 포함하는 종합 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국민을 상으로 생애를 통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하고 장소와 시

간에 구애됨이 없이 범생애(life-wide) 차원에서 다양한 학습기회를 통합함으로써 수직

수평 통합을 강조한다 김장호(2004)는 개인 조직 사회의 모든 구성체가 학습조

직화되고 상호 학습네트워크가 구축되는 사회를 평생학습사회라고 하 다 결국 다양한

주체의 통합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 구축이 평생학습사회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통합성은 생애 그리고 범생애 차원에서 발생하는 학습기회를 단순히 나열하여 교육

과 학습의 역을 넓히는 물리 통합이 아닌 평생학습의 기본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교육과 학습활동을 유기 화학 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통합성에

기 한다면 기존 학제의 표로서 교육과 학습을 주로 리해 온 학교 역시 평생교육의

이념으로 개 되어야 한다(김승보 amp 이주호 2007) 한숭희(2006) 역시 등 학의

학교교육과 성인계속교육의 물리 통합 추구는 결국 일종의 학교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이는 근 학교모형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결국 평생학습

사회의 구 이 어려울 수 있음을 지 하 다

많은 연구자들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학습을 리하고 평가하는 것

에 주목한다 를 들면 평생학습사회는 자유로이 학습기회를 선택하여 배우고 그 성과

를 히 평가받을 수 있는 사회(최돈민 외 1998)이며 다양한 학습의 결과가 공식 으

- 142 -

로 인정되는 사회(최상덕 외 2007)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근거로 학습자의 학력이 아닌

능력을 평가하는 체제를 갖춘 사회(안상헌 2005)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한숭희

(2006)는 평생학습사회 논의의 이론 구체화를 도모하기 해서 학습의 사회 리양

식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 최근 유럽을 심으로 사회 으로 다양한 학습의 리 방

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하 다

과거 학교에 유되었던 학습은 주로 교육의 부산물로 다루어졌지만 이제 교육은 학습

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독자 인 존재양식을 획득하기 시작한다 과거 학교의 교

육연한으로 산출되던 한 사회의 총학습량은 이제 형식교육 비형식 교육 무형식 학습을

총 한 평생학습시간으로 체되었고 그것을 측정하기 하여 비형식 무형식 학습을

계량화하기 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모색되기 시작하 다(한숭희 2006188)

우리나라의 사내 학 학습계좌제 학 은행제 등이 유럽에서 최근 등장하고 있는 무

형식 학습에 한 학습결과 인증노력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u(2007)

는 평생학습사회란 교육된 사회 교육 심사회 교육력 있는 사회가 아니라 하나의 통합

인 모델이며 그 자체임을 강조하 다 평생학습사회는 시간과 공간의 월성 모두를

한 평등에 기 한 성 그리고 통합성에 기 한 다양한 학습의 리와 평가가 이

루어지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평생학습사회에서 학습은 하나의 삶의 양식이며 살기

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처럼 생활을 해 성장과 성숙을 해 학습이 일상화되는

사회로서 학습에 한 고 통 가치가 개방 생활 가치로 환된 사회를 의

미한다 결국 평생학습사회는 우리가 추구해야할 이상 이면서 동시에 실천 목표라

고 할 수 있다

나 평생학습사회에서 추구하는 구성원의 모습

평생학습사회에서 바람직한 구성원의 모습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상과

매우 한 련이 있다 즉 평생학습사회에서 극 인 구성원이란 결국 lsquo끊임없이 학

습하는 인간rsquo(김장호 2007)이며 학습은 지식을 창출하기 한 과정으로 인식할 때 지식

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는 함께 추구해야 할 사회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평생

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모습은 결국 지식기반사회에서 바람직한 인간상과 같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장은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물에서 제시된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

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 한 인간상을 분석하여 제시하 다

70년 반 Faure 보고서에서는 학습사회의 인간상으로 lsquo완 한 인간rsquo을 제시하면서

- 143 -

역량 (출처의 빈도) 출처

자기주도학습능력 (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

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유 숙 외 (1999)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정보획득 활용능력 (정보문해력 정보

획득을 한 기기활용능력)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의사소통능력 (외국어 능력 포함) (6)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2002) 오장원 선(2004) 김 철

(1999)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력 (5)오장원 선(2004) 김장호(2007) 차갑부(2001) 김

철(1999) 유 숙 외 (1999)

신체 지 정서 도덕 으로 통합된 인간을 의미한다(Faure 1972) 이와 같은 학습

사회의 인간상은 2000년 로 넘어오면서 상당히 구체 인 수 에서 언 되고 있다 유

숙 외(1999)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으로 창의 인간 자기주도

인간 그리고 실용 인간을 제시하 다 조원경과 양은주(2001)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창조와 동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창조 인간 형성이 요청된다고 하 다 박

만(2002)은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인간의 필요성을 강조하 다

강순희와 신범석(2002)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모델은 신지식인이며 지식기반

산업사회에서 주체 세력은 지식근로자의 특성을 갖는다고 하 다 유 옥(2005)은 평

생학습사회에서 추구되어야 할 새로운 교육 인간상으로 성숙한 개인의식을 지닌 인간

을 강조하 다 이재분 외(2006)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으로 자율 인간 창

의 인간 학습하는 인간 직 인 인간 동하는 인간 사고하는 인간 그리고 감성

인 인간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간상을 구 하기 해서 요구되는 능력을

역량과 역량요소로 구분하여 종합 으로 정리하면 lt표 Ⅱ-1gt과 같다

결과 으로 가장 많은 문헌들에서 강조한 역량은 자기주도학습력이며 그 다음으로 정

보획득 활용능력과 의사소통능력으로 나타났다 한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동

력 문제해결력 수리력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인

계능력 그리고 학습동기가 비교 련 문헌들에서 강조한 주요 역량으로 분석되었

다 그 외에도 학습방법능력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문해력 장 응력 자기 리능

력이 언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한 국제 연구 추세

를 정리한 김남희(2004)의 결과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

의 타당성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lt표 Ⅱ-1gt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

- 144 -

문제해결력 (5)김장호(2007) 유 숙 외 (1999) 박 만(2002) 강순

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수리력 (4)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Tuijnman(2003)

지식창출을 한 창의력 (3)강순원신범석(2002) Tuijnman(2003) 오장원 선

(2004)

개방 인 태도 유연한 사고 (3) 유 숙 외 (1999) 유 숙 외 (1999) Tuijnman(2003)

인 계능력 (3)조원경양은주(2001) 박 만(2002) 강순원신범석

(2002)

학습동기 (3) 김 철(1999) 이명희(2000) 조원경양은주(2001)

학습방법능력 (2) 김 철(1999) 조원경양은주(2001)

일에 한 열정과 책임감 (2) 유 숙 외 (1999) 차갑부(2001)

문해력 (2) 김 철(1999) Tuijnman(2003)

장 응력 (2) 김장호(2007) 차갑부(2001)

자기 리능력 (2) 유 숙 외 (1999) 조원경양은주(2001)

추진력 유 숙 외 (1999)

기업가정신 김장호(2007)

도 의식 유 숙 외 (1999)

사명의식 유 숙 외 (1999)

로벌마인드 김장호(2007)

인본주의정신 김장호(2007)

민주의식 조원경양은주(2001)

인내 차갑부(2001)

가피 단능력 박 만(2002)

다문화이해능력 조원경양은주(2001)

2 역량과 생애역량

가 역량

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야까지 사회

- 145 -

학 자 역량의 정의

Klemp(1980) 직무 장에서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Boyatzis(1982) 직무에서 효과 이고 탁월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McLagan(1982) 직무나 역할 수행에서 뛰어난 수행자와 련된 개인의 능력특성

Bartram(1990)KEDI특정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응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능력 작업

환경에 의해 부과되는 자연 인 강제상황에서 응할 수 있는 능력

Fletcher(1991) 규정된 기 에 따라 업무활동을 수행하는 능력

Cuion(1991)개인의 내 인 특성으로 다양한 상황 하에서 일반 으로 나타나면서 비교

장시간 지속되는 행동 사고방식

Corbin(1993)

바람직한 목표나 성과를 달성하기 하여 개인이 알아야 할 것(What one

should know)과 할 수 있어야 하는 것(What one should be able do)을 포

함하는 능력

Dubois(1993)삶에서의 역할을 성공 으로 수행하도록 사용되거나 소유하고 있는 개인의

특성

Spencer amp

Spencer(1993)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 에서 거에 따르는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내 인 특성

Parry(1996)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의 주요한 부분들에 향을 주고 업무 성과와 련성

이 높고 조직에서 리 받아들여지는 성과기 에 비하여 측정될 수 있으

며 교육훈련과 개발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의 집합체rsquo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역량운동으로

까지 부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조 연김재 2007) 일반 으로 역

량은 lsquo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게 하는 개인의 내 (잠재 )인 특성rsquo으로

McClelland(1973)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McClelland는 통 인 학업성취도가 직무

성과나 삶의 성공을 측하지 못하며 한 인종소수자 여성 등에서는 편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Adams 1996) 역량의 필요성을 주장하 다 이러한 McClelland(1973)의 정의

를 시작으로 역량의 개념은 lsquo평균 수행자로부터 우수한 수행자를 구별하는 행동rsquo에

을 두었다(Linkage 1997 섭 외 2008에서 재인용)

그러나 역량에 한 정의는 학자마다 그리고 역량에 한 근방식에 따라 다르다

아래 lt표 Ⅱ-2gt에서 볼 수 있듯이 학자마다 역량을 정의하는 개념은 약간씩 다르며 통

일된 개념정의는 없는 것이 실이다 즉 역량의 개념에 한 공통 인 정의가 부족하

고 각 조직마다 유사한 내용의 역량을 다르게 명명한다든지 유사한 이름의 역량을 상

이한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Brundrett 2000 김종인 외 2006에서 재

인용)는 이 재 역량 논의의 쟁 이라고 볼 수 있다

lt표 Ⅱ-2gt 역량의 일반 개념

- 146 -

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irabile(1997) 우수 성과자와 평균 성과자를 구분해 주는 지식 기술 특성

권 (1998)조직의 핵심 사업을 수행하기 해 으로 필요한 인재들만이 발휘하고

있는 고유한 역량으로서 창의성과 문성을 바탕으로 한 자질

Green(1999)직무 목표 달성에 사용되는 측정 가능한 업무 습 개인 기술에 한

증거 자료

Lucia amp

Lepsinger(1999)업무에서 효과 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산출하는 개인의 잠재 특성

Herling(2000)최소한도로 효율 이고 동시에 결과에서 효과 인 개인에의 일 되게 보여진

행동

Schippmann et al (2000)특정 과업이나 활동에서의 성공 수행 는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에서의

한 지식

송 수(2000)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수행자가 보통이하 수 의 사람들과 차별되는 공통된

특성

OECD(2002)개인이나 사회의 요구를 성공 으로 충족시키거나 특정 활동이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

김태기 외(2002)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에서 거에 따른 효과 이고 우수한 수행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인 특성

주 외(2004)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과제를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출처 오헌석(2007) 조 연 외(2007)의 일부를 수정보완함

이러한 다양한 정의들 에서도 공통 으로 나타나는 것은 역량이 어떠한 lsquo능력rsquo을 의

미한다는 것이다 즉 역량은 lsquo능력rsquo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하다고 볼 수 있다 능력

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용어들을 살펴보면 can ability capability competency 등이 있

으며 각각의 의미는 조 씩 다르다 일반 으로 competency에 가까울수록 고도의 문

행동 능력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 주 외 2004) 한 주 외(2004)는 lsquo학력rsquo

과 lsquo역량rsquo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lsquo학력rsquo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lsquo무엇을 배웠는가rsquo

에 근 한 개념이라면 lsquo역량rsquo은 학교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여러 국면에서 길러지는

지 능력 이상의 복합 인 능력으로 궁극 인 lsquo행동능력rsquo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다 이 듯 역량의 개념은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개인의 능력 특성과 련된 개념이

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으며 조직의 성과나 개인의 성공을 해 필수 인 개념임에는

틀림없다

한 역량에 한 근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 McClelland와

Boyatzis의 근은 미국에서의 역량 논의에 지속 으로 향을 미쳤지만 국에서의 역

량 근에서는 체로 무시되어 왔다(Brundrett 2000) Brundrett(2000)는 미국과 국에

서의 역량에 한 근은 크게 두 가지 에서 구별된다고 하 다 첫째 역량에 한

- 147 -

비교기 행동역량모형(미국) 직무성과모형( 국)

목성과향상을 한 역량개발

우수수행자의 규명

종업원의 능력진담 자격화

최소 수행수 규명

상 리자 리자 뿐 아니라 모든 상

직무 개인의 특성

(직무의 특성에서 출발)

개인의 행동 특성

(사람의 특성에서 출발)

개발 차 개인(우수수행자)의 행동 특성직무기능에 필요한 성취

표 (과정결과물)

조직의 향 조직맥락보다는 직무기능 심 조직에서 요구하는 행동 특성

방법론 다차원 방법론 합리주의 실증주의

용어의 사용 competency competence

정의의 에 있어서 McClelland와 Boyatzis가 lsquo사람(people)에 을 맞춘 반면

국에서의 부분의 근은 rsquo직무(the job)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McClelland와

Boyatzis가 우수 성과자(superior performance)를 규명하기 한 행동에 심을 둔 반면

국에서는 최소한의 역량 수 을 규명하는 데 심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미국과

국에서의 다른 근방법에 해 오헌석(2007)은 역량에 한 미국식 근은 역량을 행

동에 미치는 독립변수로 간주하는 반면 국식 근은 역량을 종속변수로 간주하여 성

과와 동일시하고 있다고 하 다 한 미국식 근법은 다차원 방법론에 기반하고 있

는 반면 국식 근법은 합리주의 실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 다 역량에

한 미국과 국의 근법을 비교하면 아래 lt표 Ⅱ-3gt와 같다

lt표 Ⅱ-3gt 역량모형의 차이 비교

출처 Garavan amp McGuire(2001)와 Wood amp Payne(1998)을 통합수정 오헌석(2007)에서 재인용

Ouane(2002313)는 역량의 본질에 기 한 근방법을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명하

다 첫째 세분화된 직무(tasks)완수와 련된 분 행동으로 보는 근 둘째 하나의

구체 인 job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일반 인 특성을 도출하려는 근 셋째 행동과 특

성을 종합하려는 근 한 Deist amp Winterton(2005)은 역량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

하고 국가별로 근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하 다 일차원 인 역량구조는 역량을 충분

히 이해하는데 부 하며 다차원 인 역량구조가 함을 주장하면서 미국에서는 행

동주의 역량에 기능 이고 인식 역량이 첨가되고 있다고 하 다 반면 국에

서는 직업 기능 역량 모형에 인식 이고 행동주의 인 역량이 추가되고 있으며

랑스 독일 그리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역량의 차원으로 지식 기술 그리고 행동을 고려하

는 체론 (holistic) 역량 모형이 채택되기 시작했다고 하 다 아래 [그림 Ⅱ-1]에서

- 148 -

제시된 인식 역량은 지식(Knowledge)과 련되며 기능 역량은 기술(Skill)과 련되

고 사회 역량은 태도(Attitude)와 련된다 이는 보편 으로 불리는 지식 기술 태도

의 종합인 역량의 의미와 같다 그러나 Deist amp Winterton(2005)은 Meta Competence라

는 개념을 추가하여 다차원 역량의 논의에서 실제 인 역량을 획득하기 한 역량으

로 메타 역량을 정의하며 지식 기술 태도 모두에 내재되어 있는 다차원 인 역량이 존

재를 강조하 다

Meta Competence는 보다 넓은 사회과학 맥락에서 역량 개념을 정의하고 있는

Rychen amp Salganik(2000)의 설명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Rychen amp Salganik(2000)은 역

량이 지식 기술 태도 등 능력 복합체이지만 기업 등 직장에서 요구되는 특정과업만 국

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일반능력이라는 에서 역량

의 범 가 상당히 넓을 수 있음을 주장하 다(김남희 2004 6쪽 재인용)

[그림 Ⅱ-1] 역량의 유형

출처 Deist amp Winterton(2005) pp39

나 생애역량

생애역량의 개념은 lsquo생애능력rsquo 혹은 lsquo핵심기술(key skills) 생애기술(life skills) 등과

동일시되어 연구되어 왔다 에서 살펴본 역량과 같이 생애역량에 한 서로 다른 이

해와 때문에 하나의 일반 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최근 Singh(20032-3)은 몇

- 149 -

학 자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정의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

유 숙 외(2002) 생애능력 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

몇 국제기구에서 사용되는 생애역량(life skills)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UNESCO의 IBE(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은 인간이 독립 으로 히 기능

하는 데 필요한 개인 리 사회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UNICEF는 일반 으로

요하다고 여겨지는 심리사회 기술과 인 계기술을 생애역량으로 정의한다 WHO

의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olicy(MHP) 은 문화 발 인 한 방법

에 의해 심리사회 기술을 강화하고 실습하는 것을 생애역량교육이라고 정의하 다

특히 생애역량교육은 개인과 사회의 발 건강과 사회문제 방 그리고 인권보호증진

을 목 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생애역량은 기 의 고유 목 에 따라서 다양하

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ECD는 2001년 DeSeCo 포로젝트를 통해서 생애역량을 정의하 다 DeSeCo는 개인

의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하나의 구체 상황이 아닌 폭

넓은 련된 상황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해 요구되는 능력으로 rsquokey

competencies를 정의하 는데 이는 생애역량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

다 Singh(2003)는 생애역량이란 지식 행동 태도 그리고 가치의 복합체이며 목표를 달

성하거나 무엇인가를 하기 한 know-how 그리고 기술을 포함한다고 정의하 다

국내에서의 연구를 살펴보면 유 숙 외(2002) 김안나 외(2003) 이석재 외 (2003)의 연

구에서는 lsquo생애능력rsquo을 생애를 통해 육성시켜야 할 핵심능력으로 정의하 는데 이들 연

구들에서는 competency를 lsquo능력rsquo으로 정의하 으므로 lsquo생애능력rsquo이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

이다 장수명 외(2002)의 연구에서도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식 기

술 태도의 집합체를 lsquo생애능력rsquo으로 규정하 다 강경종 외(2002)의 연구에서는 lsquo생애능

력rsquo을 재 사는 사람들이 자신의 생애 동안 성공 인 삶을 할 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일을 성공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공통

이며 기본 인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과 경험을 포함하는 집합으로 규정하 다

lt표 Ⅱ-4gt 생애역량을 나타내는 용어와 정의

- 150 -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한 개인이 일생을 통하여 개인 으로 만족스럽고 직업 으로 생산

이며 사회 으로 건 한 시민이 되기 하여 습득하여야 할 지

식 기술 태도의 집합체

김안나 외(2003) 생애능력삶의 장으로서의 횡단 장면과 종단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

으로서 한 개인이 인생을 성공 으로 살아나갈 때 요구되는 능력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한 개인이 등학생으로부터 사회인으로 성장하면서 외부환경에 잘

응하면서 바람직한 성과를 내도록 하기 한 능력

DeSeCo(2001) key competency

읽기 쓰기 계산하기와 같은 기 기술을 넘어서서 개인이 성공 이

고 책임 있는 삶을 이끌어나가기 하여 그리고 사회에서

재와 미래의 도 에 처하기 하여 요구되는 능력

EC(2000) basic skill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

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

지 까지 논의된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정의에 있어 매우 유사 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생애역량의 개념은 역량의 개념에서 lsquo생애rsquo라는 즉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삶의

시간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lsquo생애 동안rsquo lsquo일생을 통하여rsquo 등과 같은 시간 개념을 제

외하면 앞서 논의된 lsquo역량rsquo의 개념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Quane(2002)는 생애

역량은 모든 연령 성별 다양한 지 를 월한 개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즉 시간

개념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지 와 성별의 구분 없이 구나 사회구성 이라면 갖추어야

할 상이다 김남희(2004)는 평생을 통해 각 단계별 교육이나 학습이 연계되어 습득되

고 만족스러운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결정 이고 구체 인 능력을 생애역량이라고 정

의하 다

에서 정의된 생애역량은 평생학습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측

면에서 생애역량은 개인의 자아실 에 기여할 수 있다 소득수 이 높아지고 평균수명

이 길어짐에 따라 문화 욕구 자아실 욕구 등 높은 단계의 욕구충족이 요해

지므로 개인이 학습을 통해 특정한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실 할 것을 고무하고

있다(김태 외 2002) 평생학습사회에서 개인은 평생학습을 통해 생애주기별로 생애역

량을 개발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제2 제3의 직업을 찾아 행복한 삶을

할 수 있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을 통해 개인이 다양한 맥락에서 필요로 하는 요

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

다 DeSeCo(2001)는 생애역량이 (1)개인을 한 가치 있는 결과에 기여할 수 있고 (2)개

인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요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와 있으며 (3) 문직을

한 것만이 아닌 모든 개인을 해 요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 생애역량은 사회

차원의 안정과 통합에 활용된다 OECD(2001)는 생애역량의 개발을 통해 사회가 바

- 151 -

라는 가치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하 다 즉 생애역량을 통해 각 개인의 필요

역량을 구축함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량을 도출함에 있어 역량활용의 목 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Ouane(2002)는

그동안 역량도출이 개인차원에 집 되면서 개인 삶의 성공에 집 되었고 이를 통해 사

회 차원의 함의를 이끄는 수 이었다고 반성하면서 역량 도출의 주된 목 은 개인의

성공과 의미 있는 삶을 한 것 뿐만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 책임 수행

을 비롯한 건 한 사회생활을 한 것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 다 김남희(2004) 역시 생

애역량은 개인 차원의 성공 인 삶과 특정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공 인 삶을 살아가

는데 필요한 역량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 다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본 장에서는 최근 기 차원에서 발표된 생애역량에 한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각 연구에서 생애역량의 요소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외 보고서 가운데 DeSeCo EC 국의 교육고용부 싱가폴의 인력부를 심으로 분석

하 으며 국내 연구 에서는 유 숙 외 이석재 외 김안나 외 등의 한국교육개발원 보

고서 Kim et al 김선미 그리고 최운실의 연구를 심으로 분석하여 생애역량의 요소

들을 탐색하 다

가 DeSeCo

OECD는 핵심역량에 한 이론 개념 토 를 마련하기 한 노력의 일환으로

DeSeCo 로젝트를 시작하 으며 OECD 로그램의 하나로 1997년 말에 시작되었으

며 미국 교육부 국립교육통계센터(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의

후원을 받아 스 스연방통계청(Swiss Federal Statistical Odffice)에 의해 운 되고 있다

(윤여각 외 2002)

DeSeCo의 핵심역량(key competencies)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 경제 요

구를 반 하면서 넓은 의미의 교육 결과물과 련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능력을 의

미한다 DeSeCo(2001)는 역량(competency)을 단순한 지식과 기술 이상의 개념으로 설정

하여 로벌화와 화로 인해 빠르게 다양화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성공 인 삶과

잘 기능하는(well-functioning) 사회를 실 하기 해 필요한 역량을 생애역량(key

competencies)으로 규정하 다 기존의 선진국들이 직업기 능력을 심으로 핵심역량을

- 152 -

생애역량 역량요소

도구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논의하는 것과 달리 DeSeCo에서는 삶의 다양한 국면을 포함하는 포 능력으로 생애

역량에 근하고 있다(김남희 2004) DeSeCo(2001)가 규정한 생애역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1)도구(언어 기술 등)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Use tools

interactively) (2)이질 인 집단에서 상호작용하는 능력(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3)자율 으로 행동하는 능력(Act autonomously)이 그것이다 각 생애역량 별

3개씩의 역량요소를 제안하고 있다 (아래 lt표 Ⅱ-5gt 참조)

lt표 Ⅱ-5gtDeSeCo에서 정의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출처 OECD(2001) pp10-15

Rychen amp Salganik(2003)은 DeSeCo가 규정한 생애역량의 특징을 네 가지로 분석하

다 첫째 생애역량은 다기능 (multifunctional)이라는 것 둘째 생애역량은 사회의 여러

분야에 모두 용될 수 있다는 것(transversal) 셋째 생애역량은 고도의 복잡한 지 능

력을 필요로 하며 넷째 생애역량은 다차원 혹은 다국면 (multidimensional)이다 이

를 통해 볼 때 생애역량은 특정 직무에 국한된 능력이 아니라 삶의 수평 이고 수직

인 다양한 국면에서 용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에서 일반 으로 논의되는 역량의 개

념보다 그 범 가 넓음을 알 수 있다

나 EC 보고서

EC는 2000년 보고서 lsquo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을 통해 지식사회

(knowledge societies)에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요성을 언 하며 basic

skill의 요성을 강조하 다 EC는 rsquobasic skill을 읽기 쓰기 셈하기 학습능력과 같이

- 153 -

EC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

-외국어 능력(foreign language)

-사회성 기술 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social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active entrepreneurships)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arn)

- 응성과 변화 처력(adaptability and corresponding to change)

-정보변화 처력(follow up the information flow)

통 으로 기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던 것과 더불어 정보기술능력 외국어 기술문화

기업정신 사회 태도 등과 같은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면서 이 능력은 모

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하는 능력이며 이를 통해 직업의 세계(Working Life) 가족

생활(Family Life) 모든 수 의 사회생활(All Levels of Community Life)에 활동 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하 다

EC에서 규정한 basic skill이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 가져야 할 능력을 규정한 바 이

는 곧 lsquo생애역량rsquo인 셈이다 EC에서는 여섯 가지의 역량을 lsquo생애역량rsquo으로 규정하 는데

디지털 문해력 외국어 능력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학습방

법의 학습 응성과 변화 처력 정보변화 처력을 포함한다(아래 lt표 Ⅱ-6gt 참조)

lt표 Ⅱ-6gt EC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EAEA11

다 국 교육고용부

국정부는 2001년까지 교육고용부(Department for Education amp EmploymentDfEE)

의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1년 선거 이후 rsquo교육숙련부(DfE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lsquo로 변경되었다 국 교육고용부는 2000년 보고서 lsquoThe Learning Age를 통

해 정보화와 로벌 경쟁사회라는 새로운 시 를 맞아 rsquo능력(Skill)lsquo을 개발해야 하며 이

는 고용상태별middot연령별로 다를 수 있다고 하 다 그러나 교육고용부는 모든 사람이 기

본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basic skills) 여섯 가지를 선정하 다 이는 곧 rsquo생애역량lsquo을

의미하는 것이며 의사소통능력 수리산술력 정보활용력 동과 워크 학습기술 문제

해결력을 포함하 다(아래 lt표 Ⅱ-7gt 참조)

- 154 -

DfEE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competency)

-수리산술력(numeracy)

-정보활용력(information utilizing competency)

- 동과 워크(cooperation and teamwork)

-학습기술(성과제고력)(learning skills improve the achievement)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lt표 Ⅱ-7gt DfEE에서 규정한 생애역량요소

출처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라 싱가폴 인력부

싱가폴 인력부(Ministry of Manpower)는 싱가폴의 고용과 고용 계 일터 안 과 건

강 등을 장하는 싱가폴 정부조직이다 싱가폴은 21세기 인 자원 분야의 경쟁력 강화

를 해 1999년 8월 이후 lsquoManpower 21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Manpower 21계획은

모든 인 자원 스펙트럼을 포 하는 총체 근법(holistic approach)을 도입하 다 이

를 구체 으로 실천하기 해 인 자원 가치사슬(manpower value chain)의 모든 측면

을 강조하는 인 자원 계획입안(manpower planning) 평생교육(lifelong learning) 고

역량 확 (talent augmentation) 인 자원개발(manpower development) 작업환경 환

(workplace transformation)과 트 십 재설정 등을 포함하는 6개의 핵심 략이 도입

되었다(정재완 2000)

이러한 싱가포르의 lsquoManpower 21 계획 하나인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CREST)은 모든 수 의 사람들이 변화에 응하고 지식 경제(knowledge

economy) 환경의 도 에 처하기 해 꼭 갖춰야 할 lsquo핵심능력(core skills)을 제시하

고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된 rsquo생애역량lsquo의 의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싱가폴 인력

부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생애역량은 학습방법의 학습 문해력 경청력구술 표 력 문

제해결력창의력 개인효과성 집단효과성 조직효과성 등이다(아래 lt표 Ⅱ-8gt참조)

- 155 -

MOM

학습방법의 학습(learning-to-leran)

문해력(literacy)

경청력과 구술 표 력(listening and oral communication)

문제해결력과 창의력(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개인효과성(personal-effectiveness)

집단효과성(group-effectiveness)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dership)

lt표 Ⅱ-8gt MOM에서 규정한 생애역량(CREST Critical Enabling Skills Training)

출처 httpwwwgovsgmomm21indexhtm

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요구되는 능력의 규명을 토 로

국가 학습목표를 재설정하며 국가 학습목표 리를 한 학습체제의 질 리 방안을

모색하기 해 2002년부터 3단계에 걸쳐 총 3년 계획으로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연구를 하 다 이를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는 물론 직업생

활과 사회생활 개인생활을 통해 일생을 보내게 되는 국민 각자의 삶을 보다 가치 있고

질 높게 유도하려는 취지를 갖고 연구를 실시하 다

1) 유 숙 외(2002)의 연구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는 생애능력(생애역량)을 lsquo생애를 통하여 육성시켜 주어야

할 핵심능력rsquo으로 정의하고 국의 NIACE(The National Organization for Adult

Learning) 미국의 SCANS(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싱

가폴 노동부(MOM Ministry Of Manpower) OECD 등에서 제시한 생애능력의 분류체

계를 기 로 생애능력을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 특수 능력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 다

먼 기 문해력은 읽기 쓰기 셈하기의 3R(Read wRite aRithmetic)로서 모든 학습

과 주요 능력 향상을 해 기 으로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middot 등교육과정의 학

습을 해 매우 요한 생애능력으로 규정하 다 핵심능력(key skills)은 최근 지식정보

화 사회로의 환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사회 변화에 따라 그 내용과 수

- 156 -

생애단계 역량 하 역량

성인학습체제

기 문해력(문해력) ①읽기 쓰기 계산능력②ICT③외국어 능력

핵심능력(직업

기 능력)

①자기학습능력②의사소통③문제해결력 창

의력④개인 효과성⑤집단 효과성⑥조직 효과성

직업 련 능력 1

문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련 능력 2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

①구직 기술②경력계획 리 기술③재무

리 자산 리 기술

시민의식①질서의식②자원 사의식③ 동정신④도덕성

⑤국제화 의식

이 변화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핵심능력으로는 정보화 기기 사용능력 정보지식

획득 숙지 능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핵심능력

은 기 문해력보다는 한 단계 높은 문해력으로 직업 개인생활을 해 필수 으로 구

비해야 할 기본 인 능력으로 규정하 다

시민의식은 사회 자본의 육성을 한 태도이며 사회 조직생활을 한 능력요인

을 의미한다 시민의식에는 동정신 질서의식 자원 사의식 동정신 도덕성 국제화

의식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직업 련능력은 문 직업능력과 노동시장 직업 환

능력으로 구분하여 하 요소를 규명하 다 즉 특정 직업이나 직종에서 요구되는 직무

능력(job specific competency)을 의미하며 직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능력을 의미한

다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은 아래 lt표 Ⅱ-9gt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lt표 Ⅱ-9gt 유 숙 외(2002)의 연구에서 제시한 성인에게 필요한 생애역량과 하 역량

2) 이석재 외(2003)의 연구

이석재 외(2003)는 유 숙 외(2002)에서 생애역량으로 설정한 기 문해력 핵심능력

시민의식 직업특수능력 lsquo핵심능력rsquo의 요소를 측정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

구에서는 핵심능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연구 상으로 하

고 등학생 등학생 성인( 학생과 일반성인) 등의 학습단계별로 3가지 능력을 측정

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핵심능력의 세부구성요소는 아래 lt표

Ⅱ-10gt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 속성 의사소통과정에 포함되는 지

인지 처리능력을 심으로 세부 역량 요소로는 해석능력 역할 수행능력 자기제시능

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화능력의 다섯 가지를 설정하 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문

- 157 -

핵심 역량 세부 역량 하 역량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 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개방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타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과 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자원 악

학습실행 학습 략선정 능력 과제집착력

학습평가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제해결자의 재 상태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상태의 차이를 신속하고 효과 으로 해소

시킬 수 있는 지 이며 창의 인 능력으로 정의하 다 문제해결능력의 세부 역량 요소

로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과 실행 수행평가의 다섯 가지를 설정

하 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의 요소를 규정하기 해 자기주도학습을 하나의 과정(a

process)으로 정의한 선행연구들을 종합분석하여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의 세

가지 세부 역량을 설정하고 하 역량요소를 포함하 다

lt표 Ⅱ-10gt 이석재 외(2003)의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능력의 하 요소

3) 김안나 외(2003)의 연구

김안나 외(2003)의 연구는 유 숙 외(2002) 연구의 기 에 핵심능력과 시민의식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핵심능력을 지도력 의사소통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등 4가지 하 능력요소로 구분 개념화하 다 이 연구에서는 생

애능력이란 기본 으로 한 개인의 성공 인 성과(performance)를 측할 수 있는 다양

한 삶의 국면들(개인 경제 사회 )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본 능력 수 을 의미

한다 뿐만 아니라 생애발달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하는 복합

이고 종합 인 능력으로서 정규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평생학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음

- 158 -

생애역량 역량 요소 하 요소

지도력

목표달성능력 목표달성능력 자기능력개발노력

재창조능력 재창조의지 성찰능력

통솔력 리더십 표 능력 설득력

인간 계능력 사교능력 역지사지 능력 도덕성

목 의식 비 목 의식 부재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정보수집 종합 경청

역할수행능력 고정 념 사고극복 창의 의사소통

자기제시능력 자기 드러내기

목표설정능력 주도 의사소통

메시지 환능력 정서표 다인 이해

문제해결능력

문제명료화 목표인식 호기심

원인분석 정보수집 분석능력

최 안 선정 확산 사고 의사결정

계획수립실행 기획력 모험감수

수행평가 평가 략 피드백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계획 욕구형성 목표설정

학습실행 자원 악 학습 략 선정능력

학습평가 과제집착력 평가와 후속의 피드백

시민의식

국가 정체성 국가의식 역사의식

신뢰 가치공유 신뢰 기회균등 민주 가치 다양성

권리middot책임의식 법의식 도덕성 양심

참여의식 보수 middot사회변 참여 지역사회참여

을 제로 하 다 연구들과 차별 인 것은 지도력의 포함이다 지도력은 lsquo자신의 삶

과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 사회를 효과 이고 성공 으로 만들기 해서 지녀야

할 특성rsquo으로 정의하 다

lt표 Ⅱ-11gt 김안나 외(2003)의 연구에서 설정한 생애역량과 역량요소 하 요소

바 Minseong Kim 외(2007)의 연구

이 연구에서는 역량 역을 자기 리(managing self) 타인과의 계(Relating to

- 159 -

역량 역 성인학습(Adult Learning) 직장(Business)

자기 리사회 역량

문화 역량

개인 역량

타인과의 계 동 역량

도구 리문해

직업 핵심 기술직무 구체 역량

역 하 요소

국제 이슈 이해 환경 평화 빈곤 인권 형평성 자원소비 인구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간문화성 변화감각 치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 다양성 공통성 문화 가치의 평등성 문화 편견 인식

공공성 인류공동체 공공 선 상호작용에 한 가치

다양성 다양성 용 이타성

열린 자세 열린 마음 용 숙고(reflection) 연성(flexibility)

사회 참여 심 참여 책임감

계 존 감정이입 합리성 윤리 태도

고등사고력 분석 비 종합 평가 응용

정보사용력 정보수집 처리 활용력

상호작용 능력 상 동 표 력 토론 네트워킹

others) 도구 리(managing tools)로 구분하면서 동시에 학습상황과 직장상황에 따라 하

핵심능력(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역량에 한 거시 차원의 담

론을 제시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생애역량의 방향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을 다

그러나 역량을 구성하는 하 요소들을 규명하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lt표 Ⅱ-12gt역량의 역과 성인학습 직장 수 에서의 필요 역량

사 김선미(2007)의 연구

김선미(2007)는 학생을 상으로 세계 시민으로서 요청되는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을 네 가지 역으로 구분하

는데 첫 번째 역은 lsquo국제 이슈 이해 문제해결 한 안 이해 문화 다양성 amp

보편성 이해rsquo이며 두 번째 역은 lsquo공공성 다양성rsquo이며 세 번째 역은 lsquo열린 자세 사

회 참여 계 존 rsquo이며 마지막 네 번째 역은 lsquo고등사고력 정보사용력 상호작용 능

력rsquo이다 아래 lt표 Ⅱ-13gt과 같이 각 역별 하 역량요소를 제안하 다

lt표 Ⅱ-13gt 김선미(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lsquo세계화 정보화 역량rsquo 역 하 요소

- 160 -

아 최운실(2006)의 연구

최운실(2006)은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에 한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

연구에서 최운실은 1977년 Resnick amp Resnick의 문해개념 4단계를 시작으로 UNESCO

OECD를 거쳐 ASTD SCANS FEU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인기 능력 모형을 분석하

[그림 Ⅱ-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

출처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제4호p 236

으며 국내 연구로는 1959년 앙교육연구소의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등에서 연구한 성인기 능력의 연구동향을 분석하 다 이러한 연구동

향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에서 성인기 능력 함양을 해 [그림 Ⅱ-2]과 같은

다원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도를 제시하 다 최운실의 모형에는 lsquo기 능력rsquo lsquo학습능력rsquo

lsquo핵심역량amp생애역량rsquo의 세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차원의 역량요소들이 제시되어 있다

- 161 -

역량 역량요소 빈도

문제해결

갈등(이슈)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DeSeCo)문제해결력( 국 교육고용부)문제해결력(싱가폴 인력부)문제해결력(유 숙 외)문제명료화(이석재 외)원인분석(이석재 외)최 안 선정(이석재 외)계획수립실행(이석재 외)수행평가(이석재 외)문제명료화(김안나 외)원인분석(김안나 외)최 안 선정(김안나 외)계획수립실행(김안나 외)수행평가(김안나 외)문제해결 한 안 이해(김선미)고등사고력(김선미)문제해결력(최운실)단력(최운실)

분석력(최운실)

19

자 선행연구 종합 분석

이 장에서 논의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과 역

량요소를 아래 lt표 Ⅱ-14gt와 같이 제시하 다 각 연구별로 분류방법에 따라 역량과 역

량요소들의 범주화가 다양하다 한 각 연구별로 역량과 역량요소에 한 수 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종합 분석을 시도하여 명확한 역량과 역량요소를 추출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연구에 따라서 분석의 수 이 다르기 때문에 역량 역량요소 하 세부요소 등

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악하

는 것이 주된 목 이므로 하 세부요소를 제외한 역량과 역량요소 수 에서 종합 분

석을 시도하 다 이를 하여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요소 별

출처와 빈도를 확인하고 연구진 의를 거쳐 역량요소들을 공통으로 묶을 수 있는 역량

의 이름을 결정하 다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역량은 lsquo문제해결력rsquo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의사소통 자기주도

학습능력 동능력 민주 시민의식이 10번 이상의 빈도를 보여 상 으로 주요 역량

으로 분석되었다 그 다음으로 정보획득 활용능력 기 문해력 인 계능력 경력개

발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외국어능력 직업능력 자기 리능력 갈

등조 능력 변화 응력 로벌마인드는 상 으로 낮은 순 의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한 의사결정능력과 재산 리는 련 선행연구들로 부터 가장 낮은 빈도를 보 다

lt표 Ⅱ-14gt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평생학습사회 생애역량 빈도분석표

- 162 -

의사소통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DeSeCo)

의사소통능력( 국 교육고용부)

경청력과 구술 표 력(싱가폴 인력부)

의사소통(유 숙 외)

해석능력(이석재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이석재 외)

자기제시능력(이석재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이석재 외)

메시지 환능력(이석재 외)

해석능력(김안나 외)

역할수행능력(개방 의사소통 김안나 외)

자기제시능력(김안나 외)

목표설정능력(주도 의사소통 김안나 외)

메시지 환능력(김안나 외)

커뮤니 이션(최운실)

15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방법의 학습(EC)

학습기술( 국 교육고용부)

학습방법의 학습(싱가폴 인력부)

자기학습능력(유 숙 외)

학습계획(이석재 외)

학습실행(이석재 외)

학습평가(이석재 외)

학습계획(김안나 외)

학습실행(김안나 외)

학습평가(김안나 외)

학습방법의 학습(최운실)

자기주도학습력(최운실)

학습동기(최운실)

성과제고 학습력(최운실)

14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DeSeCo)동과 워크( 국 교육고용부)

집단 효과성(싱가폴 인력부)집단 효과성(유 숙 외)동정신(유 숙 외)

통솔력(김안나 외)상호작용능력(김선미)워크(최운실)

집단 역동(최운실)리더십(최운실)

10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DeSeCo)질서의식(유 숙 외)자원 사의식(유 숙 외)도덕성(유 숙 외)국가정체성(김안나 외)참여의식(김안나 외)신뢰 가치공유(김안나 외)권리middot책임의식(김안나 외)공공성(김선미)사회참여(김선미)

10

- 163 -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DeSeCo)

정보변화 처력(EC)

정보활용력( 국 교육고용부)

정보사용력(김선미)

5

기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유 숙 외)

수리산술력( 국 교육고용부)

문해력(싱가폴 인력부)

읽기 쓰기 셈하기(최운실)

4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DeSeCo)

인간 계능력(김안나 외)

계존 (김선미)

인 계(최운실)

4

경력개발

생애 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DeSeCo)

경력계획 리 기술(유 숙 외)

목표달성능력(김안나 외)

목 의식(김안나 외)

4

창의력

창의력(싱가폴 인력부)

창의력(유 숙 외)

재창조능력(김안나 외)

3

다문화이해능력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김선미)

열린 자세(김선미)

다양성(김선미)

3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싱가폴 인력부)

개인효과성(유 숙 외)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EC)

3

미디어정보문해력디지털 문해력(EC)

ICT(유 숙 외)2

외국어능력외국어 능력(EC)

외국어 능력(유 숙 외)2

직업능력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유 숙 외)

구직 기술(유 숙 외)2

갈등조 능력조직 효과성(싱가폴 인력부)

조직 효과성(유 숙 외)2

변화 응력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DeSeCo)

응성과 변화 처력(EC)2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유 숙 외)

국제 이슈 이해(김선미)2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최운실) 1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유 숙 외) 1

- 164 -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 속에서 성공 인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소라고 할 수

있다 성공 인 삶이란 것이 사회 맥락과 조건에 따라서 다른 모습으로 규정되어질

수 있다는 을 감안한다면 역량요소 역시 사회 맥락과 시 환경변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에서는 학교외 학습체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평생학

습사회 구 의 도상에서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서 어떤 것들이 부각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해서 평생학습사회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재 우리 사

회에서 구체 으로 실천하고 있는 정책 제도가 지향하고 있는 바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의 온 한 삶을 해서 필요한 역량요

소가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한다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역량

우리 사회가 변모해가야 할 사회체제로 평생학습사회를 지 하는 것은 이제 그리 낯

선 일이 아니다 지식기반사회로 어들면서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하는 문제 상

황을 효과 으로 타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개인 사회 차원에서 지식을 보유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활동이 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은 격한 세계

환경변화에 응하여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사회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

의 개인들 모두의 삶의 질 수 을 보장하는 핵심 기제가 된다 평생학습사회로의 사

회체제 재구조화의 요구는 이러한 맥락과 깊이 련된다 한숭희(2006b 116)는 평생학

습사회를 ldquo인간의 학습과 교육이 학교라는 독립된 시스템 안에서 고립 으로 이루어지

는 사회가 아니라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된 사회rdquo라고 정의하 다 즉 가

르치고 배우는 삶의 양식이 사회 반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를 말하는 것이며 학교교

육에 의해서 획득되는 학력이라는 기제를 넘어서 사회 삶으로부터 기인하는 경험에서

추출되는 능력이라는 기제에 의해서 사회 가치가 배분되는 사회인 것이다

그러므로 평생학습사회는 획일화된 교육내용과 형식이 국가나 교육제공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일방 참여에 의존하는 그런 학습활동이 만연한 사회

체제를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이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

- 165 -

따라서 끊임없이 요구되는 학습에 스스로 참여하려는 동기가 격려되고 동시에 구체

인 학습요구가 해소될 수 있는 학습기회가 사회 역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

한 상태는 곧 지식의 생산과 소비가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그리고 제약이 최소화된 상

태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의 다른 표 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 평생학습사회란 그 사회 구성원 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학습

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사회 구성원 모두의 학습에

한 의지와 열정이 지원받고 인정되어지는 사회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구

나 자신의 상황에 합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

시에 필요한 지식에 편리하게 근하여 각자의 사회 지 와 역할에서의 문제해결에

이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모습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으로서 사회 구성원들의 학습과정을 핵 요소로 간주하

는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들에게 우선 으로 필요한 역량요소는 무엇

이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지 까지 논의되어져 왔던 통 사회체제에서 요구하는 역

량요소와는 어떤 차별성을 갖는가 이러한 물음에 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은 우선 사

회가 변화함에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의 성공 인 삶의 의미도 함께 변화한다는 사실에

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지식의 반감기가 재보다 훨씬 길었던 과거 통사회에서

는 사회 구성원들의 안정 인 삶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원활히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즉 기본 인 읽기 쓰기 셈하기 능력이 강조되었다 한 허친스가 학습사회론을 제시

한 맥락에서는 인문학 지식과 소양을 배양하는 것이 인간다운 삶을 실 하는데 요

한 요소로 간주되었다(Elias amp Merriam 2005) 그래서 고 에 한 이해력 논리 분

석 비평능력 사고능력 등이 강조되었으며 이러한 소양을 길러낼 수 있는 교육기회

와 공간이 사회 역에 편재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부각되었다 허친스의 학습사회론은

이러한 배경에서 두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 한 바와 같이 평생학습사회는 지식의 생산 소비과정을 통해서 유용한 가

치가 창출되어지는 사회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사회 구성원들에

게 요구되는 기본 인 능력은 무엇보다도 한 지식을 효율 으로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 으로 사회 구성원 각자가 생활하는

복잡다단한 일상에 상황 합성이 극 화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상황 지식(situated knowledge)의 구성능력의 요성

에 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황 지식이란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 를 벌이고 있

는 실천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Merriam Caffarella amp Baumgartner

2007) 구체 상황 속에서 당면하는 문제의 효과 해답으로서 지식은 행 자의 머릿속

- 166 -

에서 탈맥락 으로 발 되는 성격이 아니라 실천 장의 독특한 조건에 따라서 나타나

는 것이다 결국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식은 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 붙

박 있으며 상황과 분리된 지식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상황

학습을 지지하는 입장이다(Lave amp Wenger 1991) 구조 으로 학교교육으로 표되

는 형식화된 교육체제에서는 지식과 기술을 개인이 용하려는 실제 생활에서의 상황과

분리가 된 조건에서 다룰 수밖에 없는 한계에 착하게 된다 따라서 형식화된 교육체

제에서 개인들의 일상 생활에서 하는 문제 상황을 미리 측하고 이에 응할 수

있는 지식 기술 태도를 배양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각

자의 다양한 삶의 조건과 필요에 해서 효과 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의 형

태를 스스로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그러한 소양을 갖추는 것이 건이

된다

지식의 생산과 소비를 상황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치환하 을 때 사회 구성원으로

서 개인 스스로 자신이 처한 구체 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한 지식과 기술을 구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며 이는 구성주의 에서 보았을 때 개인들의 학습능력

을 강조하는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부언하면 개인의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하는 문제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와 규범 사회 기 를 간 하여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나름 로 규명할 수 있는 성찰능력의 강화 그리고 문제를 기

존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실 으로 효과 이면서 타당한 안을 도출해낼 수

있는 창의 문제해결 능력에 한 강조라고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학습의 과정이 편

재되어 있는 평생학습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끊임없는 상황 합 지식의 생산 가능성은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제가 재

편되는 가운데 부각되는 요소이자 학습의 일상성에 해서 재조명하는 평생학습사회체

제에서 더욱 진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 으로 이러한 평생학습사회로

의 사회체제 재구조화 노력은 결국 개인 차원의 평생학습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차

원의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고 구동하는 것으로 구체 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런 에서

다음 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러

한 정책들과 련하여 수혜자들로 상정되는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

하고자 한다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가 평생학습도시

- 167 -

평생학습도시란 개인의 자아실 사회 통합 증진 경제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

으로 개인의 삶의 질 제고와 도시 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

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공동체 건설을 도모하는 총체 도시 재구조화

운동이다 한 평생학습도시로의 변화시도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

간 연계 지역사회간 연계 국가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목 을 갖는다 결론 으로 평생학습도시는 지역 시민에 의한 시민을 한 시민의 지

역사회교육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1999년 경기도 명시가 우리나라 최 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 으며 2001년 경기

도 명시 유성구 북 진안군이 우리나라 최 의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었다

재 76개 기 지방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되어 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일

정한 지역을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로 재구조화함으로써 개인의 학습참여 가능성을 진

하고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 을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구체 으로 평생학습도시

는 세 가지 목 을 염두에 두고 실행한다(한숭희 2006b)

첫째 지역주민의 자아실 이다 개인의 배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개인

이 살고 있는 생활터 인 지역에서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을 통한

자아실 을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경쟁력의 제고이다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하고 그들의 역량 증진을 통해서 생동하는 지역을 만들고 지역문화와 경제를 성장시키

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 통합의 증진이다 평생교육이념과 방향성을 도입하여

지역내 소외계층의 학습기회를 보장하여 이들이 교육과 학습을 통한 자생 성장가능성

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지역주민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주민자치의 활성화이다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에 한 지역주민의

자발 인 참여와 이런 문제의 해결을 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해서 주민간의 교류와

력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 배양을 기 할 수 있는 것이다

나 학 은행제

학 은행제란 ldquo학 인정 등에 한 법률rdquo(법률 제6434호)에 의거하여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과 자격을 학 으로 인정하고 학

이 되어 일정한 기 을 충족하면 학 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 으로 열린교

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 하기 한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2008)

1995년 5월 통령직속 교육개 원회는 열린 평생학습사회의 발 을 조성하는 새로

운 교육체제에 한 비젼을 제시하면서 학 은행제를 제안하 으며 학 인정등에 한

법률 등 련법령을 제정하고 1998년 3월부터 시행하 다(교육인 자원부 2004)

- 168 -

학 은행제도는 다양한 고등교육기 에서의 경험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규 학교 시간제 등록제 원격 학 문 학의 심화과정 특별과정

독학학 제 문하생 학력인정제 국가기술자격 기타 국가자격 제도 등 고등교육 단계

의 많은 제도 기 과 연계되어 있으며 각 제도의 참여자들의 학습 경험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 에서 학 은행제도는 고등교육의 여러 제도를 포 하는 네트워크형 포

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백은순 2007)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 은행제는

정규 학교육으로부터 어떠한 이유로든지 소외된 집단이 학 학력을 취득할 수 있는

안 기회로서 의미가 있다 한 사회의 여러 교육기 에서의 교육경험에 한 인정

을 제도화함으로써 학교교육과 학교외 교육 부분을 균형 으로 인정하는 의의를 가진

다 이러한 학 은행제를 통해서 개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습경험 인정을 통한 평생학

습권이 보장될 수 있으며 사회 으로는 학교교육과 학교외교육의 상호연계를 강화함으

로써 평생학습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기틀이 된다

다 학습계좌제

학습계좌제의 기본이 되는 교육계좌제는 국민 각자가 학습한 결과를 평생학습 계좌에

등록하여 개인별 평생학습 경력을 리하는 제도를 뜻한다 교육계좌제는 성인에

국한시켜 성인들이 원하는 경우에 자신의 고유 평생학습계좌에 자신이 학습한 모든 종

류의 공식 비공식 학습 경험 에서 소정의 기 을 충족하는 경험을 수록하게 하여

리하게 함으로써 이를 학 이나 학 는 취업이나 승진 등 사회직업 경력 형

리 자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2008) 학교에서의 교육경험뿐만 아니라 학교외의 다양한 교육참여 경험도 개인의 지식

과 기술수 을 평가하는데 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습계좌제란 통

으로 요하게 강조하 던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수한 경험뿐만 아니라 정규교육

과정 이후 수행한 다양한 학습의 결과를 체계 으로 기록하고 학력자격 등으로

인정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재 우리나라에는 학교교육 이외에서 획득한 학습경험을 리 인정하는 제도

로 학 은행제와 독학학 제가 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제도는 모두 고등교육

수 의 학력을 인정하는 안 제도로서 의미를 가지며 고등교육수 을 넘어서 개인

의 생애 반에서의 학습활동을 포 으로 다루는 제도로서 학습계좌제의 의의를 모색

할 수 있다(변종임 2007) 학습계좌제가 운 되기 해서는 학교외 교육기 의 수업 결

과 자격취득 시험합격 결과 장업무경험 논문 포트폴리오 등 학습결과 평가인

- 169 -

정 등을 통해서 개인의 교육경력을 체계 으로 인정 리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구나 다양한 평생학습의 기회를 통하여 개인의 소질과 능

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공식 교육경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범 으로 운 을 실시하여 2015년에 제도화할 계획으로

되어있다 그 운 계획은 기존에 논의되었던 교육계좌제를 개편하여 학습결과 평가 인

정 기능을 추가하고 학 은행제와 연계하여 학 취득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라 독학학 제도

독학학 제도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정규학교를 다니지 않고도 자학에 의하여 학 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다 독학자에게 학사학 취득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 하고 개인의 자아실 과 국가사회의 발 에 기여함을 목 으로 국가가 시

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학 를 수여해 학에서 취득한 학 와 동등한 우를 받는 제도

이다 독학학 를 취득하기 해서는 4단계 과정의 시험을 거쳐야 한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2008)

제1단계는 학의 교양과정을 이수한 사람이 일반 으로 갖추어야 할 학력수 을 평

가하는 교양과정 인정시험이며 제2단계는 각 공 역의 학문을 연구하기 하여 각

학문 계열에서 공통 으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공기 과정 인정시험이다

제3단계는 각 공 역에 하여 보다 심화된 문 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공심화과정 인정시험이며 마지막 4단계는 학사학 취득 상자로서 갖추

어야 할 소양과 지식 그리고 기술을 종합 으로 평가하는 학 취득 종합시험이다 4단

계 과정을 모두 통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독학학 지원자가 학 문

학에서 학습한 내용이 독학학 취득시험에 설치된 공분야와 그 학문 성격이 유사

한 경우 응시자격에 따라 2단계 는 3단계를 수료한 것으로 인정해주고 있다(한숭희

2006b)

재 독학학 제는 학습자들이 순수하게 능력에 의하여 열린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

과 학습자의 능력을 어느 정도 검증할 수 있다는 제도로서의 장 을 가지고 있다 하

지만 학 은행제의 도입으로 학습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로 인한 운 의

비효율성 인문학 분야 치 이라는 단 을 지니고 있다(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

센터 2008)

- 170 -

마 역량 요소 탐색

지 까지 재 우리나라에서 을 두고 있는 주요 평생학습 련 정책 제도의

방향 의도 형식 등을 검토하 다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들은 나름 로의

특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지만 그 기 에 공통 으로 세 가지 원리 혹은 가정을 제하

고 있다 자발성 다양성 력성의 원리로 정리될 수 있는 평생학습 정책과 제도를 안

내하는 원리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발성의 원리는 정책에의 참여가 개인의 자율 인 단과 의지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궁극 으로 의도하는 효과를 개인이 리기

하여 국가나 특정 사회집단이나 단체에서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학습요구와

지원체제를 표 화하여 제단하지 않는다 한 다양한 평생학습 련 정책에 한 개인

의 참여를 강요하지 않는다 학 은행제도나 독학학 제도의 잠재 참여 상자들에게

언제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가 열려있을 뿐이며 그 기회에 근하는 것은

으로 참여자 자신의 선택과 의지에 달려 있다 따라서 자신의 삶의 모습을 보다 더

성공 으로 이끌어가기 해서는 재의 삶과 미래의 삶에 필요한 학습요구가 무엇인지

스스로 악하고 그에 따른 하다고 단되는 정책에 자발 인 참여가 요구되는 것

이다

다양성의 원리는 개인의 성장과 자아실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 과 통합이라는 결

과를 이끌어내기 해서 사회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학습자원과 지원체제를 결집하는

것을 말한다 학교교육의 맥락에서는 학교라는 공교육 제도의 범 안에서 학생들의 학

업성취수 을 향상시키는 것에 주안 을 둔다 물론 사교육 형태의 교육경험이 발생하

고 있기는 하지만 여 히 학교교육과정이라는 공식 체계에서 규정하고 있는 목표 내

용 형식 그리고 결과와의 긴 한 련성을 제하고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시도하는 정책들은 특정한 형식이나 내용에 국한하여 참여자들의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의 생애 단계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내용

을 종합 으로 인정하고 지원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력성의 원리는 평생학습 련 정책이 의도하는 효과를 기 하기 해서는 참여자의

개인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참여자간의 지원과 력 그리고 참여자

들에 한 사회 차원의 지원과 력이 제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평생교육은 교

육기회를 제공하는 형식과 구조에 한 논의보다는 교육을 통해서 기 할 수 있는 개

인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 체의 차원에서의 결과의 내용과 의미에 해서 일차 인

심을 갖는다 따라서 가정 지역사회 일터 그리고 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회공간과

제도들은 구성원들의 학습을 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학습이라는

- 171 -

역량요소 개념

자기조 능력평생학습 련 정책과 사업에 참여하는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 행 를 심으로 사회 역이 상호 연계되어질 때 가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평생학습 련 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자발성 원리 학습내용의 다

양성 원리 그리고 사회 지원체제의 력성 원리를 고려하 을 때 정책의 수혜자로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기조 능력은 자신이 재 처한 여건에서 평생학습 련 제도 서비스에

참여하고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 제도 지원효과를

극 화하기 해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신체 심리 환경 조건을 스스로 조 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 리 능력이란 개인 스스로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

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활 가운데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 가운데 자

신의 상황에 합한 정보를 검색 단 활용하는 것은 평생학습을 통한 궁극 인 자기

발 을 효율 으로 추진해 가는데 있어서 요한 요소가 된다

셋째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은 자신이 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을 가

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검증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문제

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문제정의 근 방식을 넘어서 문제가 터해있는

제조건이나 가정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악하고 근할 수 있는 능력

이다 이는 개인에게 제공 되어지는 각종 지원을 창의 으로 원용하여 보다 효과 인

문제 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능력이다

넷째 의사소통 력 능력은 공동선을 지향하는 평생학습의 이념과 련하여 개인

이 갖추어야 할 사회 책무를 구 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평생학습 서비스 삶의 다양한 상황에 효과 으로 응하기 해서 필요한 물 정보

행정 지원을 하게 요청할 수 있으며 동시에 타인의 요청에 지원해 수 있는 능

력인 것이다

lt표 Ⅲ-1gt은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하여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청되는 역량요소

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1gt 평생학습 정책 제도와 련된 역량요소

- 172 -

정보 리 능력

개인 자신에게 한 평생학습 련 제도가 무엇인지 효과

으로 탐색하고 획득한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실 으로 타당하게 용할 수 있는 능력

창의 문제정의 분석 능력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문제를 효과 으로 해

결할 수 있는 제조건이 되는 능력

의사소통 동 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물론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의 특성을 감안하 을 때 이상의 네 가지 역량요소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역량요소의 부는 아니다 이외에도 자체의 속성상 역량요

소라고 분류할 수는 없으나 평생학습사회를 구 해가는 각종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수혜자로서 생활하기 해서는 시민의식이나 다문화 포용성과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으

로서 타자를 인식하고 배려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는 개인

에 한 존 을 기본 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상 인 사회모습으로 스스로 학습하는

개인들이 함께 모여서 상호 학습을 진하고 지원하는 형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동체성이라는 태도 측면을 개개인들이 내면화한 조건을 바탕으로 하여

앞서 살펴본 네 가지 역량요소를 충실히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정책과 제도의 독특한 성격과 목 에 따라서 부가 인 능력 요소들도 함께 강조되어

져야 할 것이다

3 평생교육 로그램

가 로그램 유형의 통 분류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 다양한 개념범주들이 존재하고 있다 보다 체계

인 평생교육 로그램의 개발 보 그리고 운 을 해서는 로그램에 한 합리

인 분류가 필요하다 평생교육 로그램의 유형에 해서는 국내외 여러 학자들이 논의

한 바 있다 Boyle(1981)은 평생교육 로그램이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개발형 로그

램 제도형 로그램 그리고 정보형 로그램으로 구분한 바 있다(기 화 2001 김진화

2005에서 재인용) 먼 개발형 로그램(developmental program)은 개인 집단 지역사

회의 요구와 문제에 근거하여 이를 해결하는 것을 일차 인 목 으로 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즉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여 이들의 상황을 개선하는

데 주안 을 두는 로그램인 것이다

둘째 제도형 로그램(institutional program)이란 개인의 기 능력 지식 기술 등을

- 173 -

향상시키기 하여 제도화된 로그램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

는 문제나 요구에 기 하여 로그램이 운 되는 것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필요 그러나 문가의 에서 학습자 차원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하여

제도 으로 로그램을 운 하는 것을 말한다 로그램 개발 문가와 내용 문가에

의해서 개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의 문교육 로그램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 정보형 로그램(informational program)은 정보의 확산과 달이 핵심 목 이

되는 로그램 유형이다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즉각 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실행 후의 체계 인 평가활동이 없

는 것이 특징이다 Boyle의 로그램 구분은 로그램이 궁극 으로 지향하는 목 에

따라서 구분하 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

하고 있는 단 이 있다 한 학습자 차원에서 기 할 수 있는 로그램 참여 효과

의의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로그램 참여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회 효

과에 한 언 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참여자의 특성

에 따른 상이한 요구 그리고 그를 고려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형식과 목 그리고 효

과를 포 으로 언 하는 로그램 유형화 작업이 필요하다

나 로그램 유형의 안 분류

통 인 로그램 유형 분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안 분류를 시도함에 있어

서 Usher Bryant amp Johnston(1997)의 경험학습의 종류에 한 논의는 의미있는 시사

을 제공해 수 있다 Usher 등은 형식과 목 에 따라서 경험학습의 유형을 구분하 으

며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의 기 은 평생교육 로그램의 구분에 있어서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자의 개인 자율성의 표 과 사회 존재로서

응이라는 축과 사회 심과의 련성 정도라는 축의 교차를 통해서 라이 스타일

(lifestyle) 직업능력(vocational) 비 (critical) 자아표 (confessional)의 네 가지로 구

분하 다 이들의 경험학습 구분 기 을 원용하여 평생교육 로그램은 로그램의 내

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의 두 가지 기 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우선 로그램 내용 범주에 따라서 개인 심과 련한 로그램과 사회 응을

돕는 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기 은 로그램이 개인의 삶의 질 만족을 한

개인 심과 흥미에 을 맞추어 구성되는지 아니면 개인이 사회 으로 수행해야

할 직업 지 역할 책임과 련하여 발생하는 응 요구에 맞추어 구성되는지에

따라서 로그램의 내용을 구분하는 기 이 된다

로그램 효과 범주에 의해서는 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개인이 습득하는 효과가 개

- 174 -

로그램 내용

로그램 효과개인 표 심 응

개인 개인 소비형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

조직 사회 사회 참여형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

인 만족과 흥미에 국한하는 것인지 아니면 개인이 속한 조직 혹은 사회의 개 과 변

화에 정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회 차원으로의 효과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서 구분될 수 있다 로그램 내용 범주와 로그램 효과 범주에 따라서 평생교육 로

그램은 아래의 lt표 Ⅲ-2gt와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lt표 Ⅲ-2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분류

첫째 개인 소비형 로그램은 일반 시민으로서 개인의 흥미와 심을 표 하고 충

족할 수 있는 로그램들로서 여가활용을 통한 스포츠 취미 자유교양 로그램들을

말한다 이러한 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되는 교육내용은 새로운 경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목 보다 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시간 재정 여력을 소비하여 배움의

즐거움을 향유하는 것에 을 맞추는 것이며 그런 에서 소비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분류할 수 있다

둘째 개인 개발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 존재로서 안정 삶을 하기 해

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함양하는 로그램들을 말함 즉 개인이 갖는 지 와

역할 - 주부 직장인 학생 등 - 의 효과 수행을 도울 수 있는 내용을 습득하기 한

것이다 주로 성인문해교육 수학 자녀교육 가정생활 련 로그램들이 여기에 속한다

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외국어 컴퓨터 활용능력 등과 같이 특정한 직무수

행수 의 개선과는 직 련은 없지만 개인의 생애 반에 걸쳐서 잠재 으로 정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자기능력개발 련 로그램도 이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셋째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

나 조직의 상황이나 문제에 한 학습자의 의식 각성을 도모하는 로그램을 말한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은 학습자 의식화된 조건을 바탕으로 자신이 여하는 사회 문

제를 독자 으로 해결하려는 자율 참여 속성을 진하는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로그램이다 사회 참여형 로그램 유형에는 비 리 시민사회단체에서 운 하는 로그

램들이 속하는데 체로 독자 시민으로서 개인의 가치와 생각을 형성하고 심화하는

것에 을 맞추며 교육 참여의 효과는 사회체제의 개선 개 을 부각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 응형 로그램은 주로 직업과 련하여 개인의 업무수행수 의 증진을

- 175 -

로그램 유형 정의

개인 소비형 로그램개인의 시간 경제 여유를 활용하여 개인 심과 요구충족을 돕

는 로그램

개인 개발형 로그램개인이 담당하는 사회 역할의 효과 수행을 돕기 해서 직업내용과

직 련이 없는 개인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로그램

사회 참여형 로그램사회 문제에 한 개인의 의식수 을 제고하고 사회개 의 주체로서

스스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진하는 로그램

사회 응형 로그램직업과 련한 능력향상을 지원함으로써 지속 고용 가능성을 제고하

고 사회체제 안에서 안정 삶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로그램

지원하거나 지속 고용가능성을 신장하는 로그램을 말하는 것이다 사회 응형

로그램은 경제 가치창출을 돕는 직업훈련 각종 직무연수 기업교육 로그램 등이 포

함되며 재의 사회체제의 구조 조건 하에서 안정 삶을 하는데 을 맞춘다

는 에서 사회체제 자체의 변화를 모색하는 사회 참여형 로그램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제시한 네 가지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lt표 Ⅲ-3gt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lt표 Ⅲ-3gt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의 개념

다 역량 요소 탐색

평생교육 로그램들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내용이 잘 실행되어질 수 있고 그럼으로

써 각 로그램 유형에 따라서 차별 으로 나타나는 로그램 목 이 효과 으로 달성

되어질 수 있기 해서는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을

발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 까지 살펴본 평생교육 로그램 유형을 고려하 을

때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능력 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명확한 목표수립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명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능력은 자신

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평생교육의 맥락에

서 학습자 스스로 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무엇을 의도하는지 명확하게 인지

하는 것은 한 유형의 로그램을 탐색하여 참여할 수 있는 기본 인 요소가 된다

즉 자신에게 필요한 할 지식 기술 혹은 태도의 요소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작업을 통해

서 재 혹은 미래에 참여하게 될 로그램의 내용이 자신에게 타당한 것인지 단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로그램 참여효과에 한 기 수 도 조 할 수 있게 된다 한

- 176 -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에 한 명확한 인식이 제된 상태에서 로

그램에 참여하 을 때 학습자의 로그램에 한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조 능력이 요청된다 자기조 능력은 교육활동에 한 학습자의 책임의식

학습활동에 한 주도 단능력과 련된다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운데

학습자 상황 기 의 특성 그리고 개인의 내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참여 장애요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하는 것에 있어서 교육 로그램을 제공하는 기

의 지원노력도 매우 요한 요인이지만 근본 으로 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 자

신의 자발 인 의지와 노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개인의 속성

은 자신의 조건에 한 통제와 조 능력이 갖추어졌을 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자신의 물리 심리 상황 조건을 이해하고 그에 해서 참여행 를 스스로 조

하는 능력이 강조된다

셋째 의사소통 동능력이 필요하다 의사소통과 동능력은 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력이다 부분의 평생교육 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은 개발 과정에서 성인학습의 원리에 의거하여 조직된다 로그램 참여자들의 자

기주도성을 존 하면서 학습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생활의 경험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참여와 실행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구체 인 경험을 할 수 있

도록 하는 학습활동이 강조된다 그래서 교수자의 일방 강의 주의 교육보다는 학습

자들 상호간의 토론 력 과제해결 학습자의 자기평가 등이 추 인 요소들로 포함

된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 을 때 학습 효과는 동료 학습자들과

의 원만한 의사소통과 력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이 갖추어질 때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사회 참여 실천능력이 요구된다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이란 사회 문제

와 안에 한 문제의식과 심을 바탕으로 보다 진보된 사회를 구 하기 하여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 함께 구체 인 실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로

그램 참여를 통해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사회변화를 해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 효과 이고 지속 인 평생교육 참여를 진하기 해서는 학습자들이 로그램을

통해서 한 다양한 학습경험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즉 비슷한 분야에 심을 가지고 있는 동료들과 자발 인 학습동아리를 조직하여

학습내용을 심화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자원 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역에 참여하여 학

습을 통해서 개발한 자신의 역량요소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경험을 사회 참

여형태로 확장하고 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내 학습동기가 진되어질 수

있다 한 사회 참여와 실천능력은 학습을 통한 개인의 성장이 지역사회의 발 에

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평생학습의 이념을 실 하는 석이 된다

다섯째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 177 -

역량요소 개념

목표수립능력로그램과 련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 능력

자기조 능력로그램 참여 가운데 자신의 목표 의지 동기 노력 등을

조 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동료 학습자들과의 사회 계를 형성 유지 발 시키는 능

사회 참여 실천능력동료 학습자들과 더불어 사회 성장과 변화를 해서 학습

내용을 용 실천할 수 있는 능력

미디어정보 처리 활용능력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

활용능력은 교육 으로 활용되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서 정보나 지식을 이해하고

달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의 정보화 사회에서 학습활동은 통 으로 활자화

된 텍스트나 음성언어를 매개로 해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

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량의 정보를 효율 으로 달하려고 하게 되며 평생교육

로그램에 있어서도 각종 테크놀로지를 부분 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사이버 교육과

같이 테크놀로지에 온 히 기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미디어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문해능력은 오늘날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서 개인이 달하고자 하는 지식이나 기술의 속성에 따라서 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타인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측면에 있어서 불가결

한 능력으로 부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평생교육 로그램에 참여하여 로그램의 효과를 극 화하기 해

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

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로 요약

된다 그리고 이상의 다섯 가지 역량요소는 궁극 으로 로그램 참여과정 속에서 하

는 과제 즉 문제를 효율 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lt표 Ⅲ-4gt는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성공 인 참여와 련하여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정리한 것이다

lt표 Ⅲ-4gt 평생교육 로그램 참여를 한 역량요소

결과 으로 이상의 다섯 역량 요소를 기본 으로 갖추었을 때 로그램 참여를 통해

서 학습자 개개인은 성공 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유용한 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로그램을 통해서 개인

존재로서 갖는 독특한 요구에 따른 차별화된 가치창출도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178 -

4 소결 평생학습사회에서 역량 요소

지 까지 평생학습사회의 주요 정책과 제도 그리고 평생교육 로그램의 성격과

련하여 참여자로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회에서는 실 으로 실질 인 의미를 지니면서 동시에 활용가능성이 극 화된 지식

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 사회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 사회 흐름을 고려하 을 때 평생학습사회로의 사회체

제의 재구조화는 개인의 상황 학습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지원하는 사

회 실천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은 편재화 된 학습기회를 매개로 시 창의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속 으로 제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평생학습사회의 구체 인 실 은 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행하는 다양한

평생학습지원 정책과 제도의 원활한 구동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

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효과 으로 작동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사회 구성원

들이 정책과 제도가 포함하고 있는 활동들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

다 이와 련하여 자기조 능력 정보 리 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그리

고 의사소통 력 능력의 네 가지 역량요소를 핵심 인 사항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네 가지 역량요소가 평생학습 련 정책과 제도가 지향하는 이념 방

향성과 부합될 수 있기 해서는 시민의식 다문화에 한 포용성과 같은 태도 요소

도 함께 배양될 필요가 있다

평생학습사회 실 의 토 가 되는 정책과 제도는 사회 구성원 개인들에게는 주로 구

체 인 그러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고 있는 로그램의 형태로 제시가 된다 그

래서 개인들은 각종 평생교육 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해서 교육 참여를 실 할 수 있게

되며 평생학습과 련한 지원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로그램이 효과 으로 운 되기 해서는 그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일정한

수 의 참여와 능력이 필요하다 이와 련해서 악할 수 있는 평생교육 로그램 참

여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로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그리고 미디어 정보처리 활용능력의 다섯 가지가

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역량 요소에 한 배양을 통해서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사회의 사회 경쟁력

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과 더불어서 사회 구성원 개개인의 안정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도 함께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179 -

IV 결과 분석

1 NGT 결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미래 평생학습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의 요소를 규명하기

한 목 으로 명목집단기법(NGT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하여 문가들로부

터 다양한 정보와 단을 얻고자 하 다 Witkin amp Altschuld(1995)의 NGT 실시기법에

따라 NGT 실시 문가 집단에게 제시할 명확한 질문을 비하 다 본 연구의 목

은 미래 평생학습사회에 구성원에게 필요한 생애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를 먼 악하고자 하 다 따라서 평생교육 분야 문가로 구성

된 문가 집단(아래 lt표 Ⅳ-1gt 참조)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목 에 부합하는 의견을

얻고자 연구진들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NGT를 실시하 다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일반 시민이라면 갖추어야 할 생애역량 ( 는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

NGT실시에 앞서 참여 조에 한 유선 연락과 함께 공문을 발송하여 본 연구의 목

과 의의를 소개하고 의 질문에 해 미리 생각해올 것을 당부하 다

lt표 Ⅳ-1gt NGT 문가(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학교기 연구기 문가) 명단

구 분 성 명 소속 직

평생교육

평생학습

성인교육

문가

송병국 순천향 학교 교수

정민승 한국방송통신 학교 교수

강 서울 학교 교수

이경아 평생교육진흥원 연구 원

가 NGT 실시

NGT는 2008년 8월 21일 숙명여자 학교에서 실시되었으며 소요시간은 약 2시간이었

다 참석한 평생교육 문가들은 미리 제시된 질문들에 해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었

다 NGT를 본격 으로 실시하기 이 에 NGT집단 리더는 생애역량에 한 개념정의를

- 180 -

공유하고 이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

각하십니까rdquo라고 질문하 다 약 2시간에 걸친 NGT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은 일반

인 NGT 4단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되었다(최정임 2002)

① 1단계(Generating Ideas) 집단의 리더가 문제의 주제나 로세스를 주고 구성원

들에게 이에 한 아이디어 제시를 요청한다 이때 구성원들은 주어진 문제에 해 각

자의 아이디어를 혼자서 독립 으로 기록한다

② 2단계(Recording Ideas) 집단 구성원들이 개별 으로 갖고 있는 아이디어를

인스토 방식을 활용하여 발표하고 기록자는 칠 는 벽면을 이용하여 집단 구성원

들의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이때 어떠한 토론이나 피드백도 허락되지 않는다

③ 3단계(Discussing Ideas) 기록된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평가하기 해 구성원들

의 토론을 실시한다 이때 내용 는 의미가 비슷한 아이디어는 참가자의 원 동의를

구해서 제외 는 수정하고 보다 큰 개념을 사용하여 묶는다 이때 큰 개념은 본 연구

에서 역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④ 4단계(Voting on Ideas) 단계에서 정리된 아이디어들을 놓고 구성원들 각자

우선순 를 매긴다 그런 다음 종합 으로 그룹 내에서 이 결과에 해 통합된 의견을

도출해 낸다

본 NGT에서는 1단계부터 차례 로 4단계까지 실시되었다 4단계는 아이디어의 우선

순 를 결정하기 하여 참가자들에게 스티커를 나 어 주고 벽면에 있는 아이디어들

가운데 요도 1 2 3 4 5순 를 결정하여 1순 는 5개 2순 는 4개 3순 는 3개 4

순 는 2개 5순 는 1개의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 다

나 NGT 실시 결과

국내 평생교육 분야 문가들로 구성된 NGT 회의를 통해서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rdquo라는 질문을 심으로 풍부

한 정보를 얻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GT 우선 순 결과

가) 자기주도학습력

NGT 결과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에게 있어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자기주도학

습력이 제시되었다 이는 성인이 평생학습사회 삶의 모든 장면에서 스스로 학습을 이끌

- 181 -

어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진로개발 경력개발과 같은 역량과도 한 계

가 있다 즉 Lifelong Learning이라는 말이 의미하듯 평생동안 학습을 해야 하는 평생

학습사회의 성인에게는 학습을 자신이 주도하여 계획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자기주

도학습력이 무엇보다 필수 이라는 것이다

나) 지식정보활용능력

일반 으로 지식과 정보는 유사한 개념이다 하지만 본 NGT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생

산과 소비의 개념과 같이 다르다는 의견이 나왔다 NGT에 참석한 문가 에서도 지

식과 정보는 동일한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문가도 있었지만 이는 일반 시민의 입장에

서는 지식이 곧 정보이고 정보가 곧 지식으로 통용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NGT에 참

석한 다른 문가는 정보를 획득하여 자신의 것이 되어야 지식이 된다고 주장하며

미래 평생학습사회 상황에서는 지식과 정보는 다른 개념으로 근해야 함을 주장하

다 따라서 지식정보활용능력이라는 역량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지식정보활

용능력은 새로운 기술에 한 개방성을 갖고 지식을 활용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리하

고 활용하는 능력은 물론 정보공유에 한 감수성과 정보문해력을 포함하는 능력이다

다) 공동체의식

공동체의식은 공동체를 한 희생과 조직(공동체활동)에 참여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나아가 자치활동에 한 감수성을 포 하는 능력이다

라) 생활문해력

생활문해력은 포 의미의 문해능력은 물론 최소한의 의사소통 도구 습득 활용능력

과 함께 어 일어 국어 등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생활 외국어 활용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국민의 13 정도가 외국인이 길을 물어볼 때 기본 으로 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한 이는 운 과 같은 생활에 필요한 기 기술(skill)까지도 포

함하는 즉 기술문해력을 포 하는 개념으로서 삶을 하는 데 기 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한다

마) 사회정치 참여

사회정치 참여능력은 정치시민으로서 정치 심을 갖는 능력과 함께 민주시민

성을 갖추며 정치 단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사회활동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능

력과 함께 논술과 논리 말하기와 같은 사회 의사결정 참여능력을 의미한다

- 182 -

바) 인 계력

인 계력은 응과 배려 용의 자세를 갖추어 타인을 신뢰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 자기성찰력

자기성찰력은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으로서 객 으로 자신을 평가하

고 분석하는 능력과 자신의 행 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아)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은 비단 국 이 다른 다문화를 의미하는 것을 넘어 세

간 화능력과 다문화에 한 이해력을 의미하는 능력이다 즉 소극 의미로서 국 이

다른 다문화가정의 개념을 넘어서는 포 의미의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을 의미

한다

자) 창의 사고력

창의 사고력은 유연한 사고력과 함께 개방 사고를 갖추는 능력으로서 새로운 지

식과 기술에 해 개방 인 자세를 취하고 편견과 고집을 버리고 유연한 사고를 갖추는

능력을 의미한다

차)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에 한 감수성은 환경문제에 한 단력 환경 자연 생태계에 한 이해력과

지식을 포함하는 능력은 물론 감수성까지 포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카) 술 감수성

술 감수성은 술 활동에 한 람과 심미능력 술향유능력과 함께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과 즐길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타) 돌 능력

돌 능력은 타인을 보살피고 소외 계층에 한 배려능력과 함께 자원 사를 실천하

는 능력을 의미한다

- 183 -

순 내용 우선순 Rating

1 자기주도학습력

2 지식정보활용능력

3 공동체의식

4 건강 리력

4 생활문해력

6 진로개발능력

7 사회정치 참여

7 인 계력

7 자기성찰력

10 이질 집단에 한 이해력

11 창의 사고력

11 환경에 한 감수성

13 술감수성

14 돌 능력

14 재산 리

사회조망능력

갈등조 력

추진능력행

의사소통력

의사결정능력

높은 도덕성

조하는 능력

지식창출

사회변화 측

조망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부모역할

네트워킹

유머

변화주도능력

시간 리

lt표 Ⅳ-2gt 평생학습사회에서 성인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우선 순

- 184 -

역량 역량 요소

문제해결

갈등을 리하고 해결하는 능력

문제명료화

원인분석

최 안 선정

계획수립실행

수행평가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 한 안 이해

고등사고력

단력

분석력

의사소통

의사소통능력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환능력

언어 상징 그리고 텍스트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경청력과 구술 표 력

커뮤니 이션

Ⅴ 결론

본 연구는 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 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정의

특징을 종합 으로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 요구되는 사회구성원의 바람직한 모습

을 통해 극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을 도출하 다 둘째

DeSeCo 등 국내외 최근 련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에서 사회구성원

들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과 하 요소들을 종합 으로 분석하 다 셋째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 평생교육제도의 이념 목 취지 그리고 구체 내용 마지막으로 구체 인 평생학

습 로그램 유형들이 추구하는 인간상 등을 분석하여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

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 다 넷째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

해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모습과 극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그 하

요소가 무엇인지를 악하 다 4개 차원으로부터 도출된 역량 요소와 역량들을 연구진

에 의해 종합 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역량과 역량요소들을 선정하 다

lt표 Ⅴ-1gt 역량 요소

- 185 -

자기주도학습능력

자기학습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주도성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학습동기

성과제고 학습력

학습방법의 학습

학습기술

학습목표수립능력

동능력

에서 동하고 력할 수 있는 능력

집단 효과성

집단효과성

워크

집단 역동

통솔력

리더십

상호작용능력

민주 시민의식

권리 이익 한계 그리고 요구를 주장하는 능력

질서의식

공공성

참여의식

사회참여

자원 사의식

도덕성

신뢰 가치공유

권리middot책임의식

정치 심

정치 단능력

타인을 보살피는 능력

소외계층 노인에 한 배려 능력

자원 사amp실천능력

정보획득 활용능력

지식과 정보를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기술을 상호 으로 활용하는 능력

정보변화 처력

정보활용력

정보사용력

기 문해력

기 문해

문해력

읽기 쓰기 계산능력

수리산술력

인 계능력

타인들과 잘 계하는 능력

인간 계능력

인 계

계존

공감능력

네트워킹

- 186 -

경력개발

생애계획을 정립하고 실행하는 능력

경력계획 리 기술

경력목표수립능력

극 경 능력

조직화능력

목표달성능력

목 의식

비 설정

창의력

창의력

재창조능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다문화이해능력

열린 자세

다양성

문화 다양성 보편성 이해

세 간 화능력

미디어정보문해력

ICT

디지털 문해력

정보화 능력

외국어능력 외국어 능력

직업능력

해당 직업에서 필요한 문 직업능력

직업 핵심 기술

구직 기술

자기 리능력

개인효과성

자신감

사회성 기술(자신감 자기주도성 극 경 능력)

갈등조 능력 조직 효과성

변화 응력

큰 맥락에서 행동하는 능력

응성과 변화 처력

미래 응력

로벌마인드국제화 의식

국제 이슈 이해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능력

재산 리 재무 리 자산 리 기술

환경에 한 감수성

환경탐구력

환경문제에 한 단력

감수성

환경 자연 생태계 이해력과 지식

자기성찰력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단하는 능력

자기평가능력(객 자기이해력)

자기분석

행 반성력(성찰력)

술감수성

술활동( 람취미)

심미능력( 술향유)

작은 것에 감탄하는 감수성

즐길 아는 능력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능력

건강 리력

- 187 -

참 고 문 헌

강경종 외(2002) 생애능력 함양을 한 실업교육 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2

강순희 신범석(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교육인 자원부 (2004) 평생교육백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곽병선 외(2001) 국민 기본교육 단계 인 자원의 기 소양 증진 방안 교육인 자원정

책 원회

곽병선 외(2000) 인 자원개발 리를 한 평생학습체제 종합발 방안탐색 세미나

발표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권 (1996) 평생학습사회교육 서울 학지사

권 (1999) 평생학습사회의 인력개발을 한 사회교육 인력개발연구 1(1) 25-38

권 (2003) 평생교육의 다섯 마당 서울 학지사

기 화(2001)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 서울 학지사

김남희(2004) 성인의 핵심역량 향상을 한 평생학습체제 구안 한국교육 31(3)

307-331

김승보(2007) 국가 선진화와 평생학습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

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개 포럼

김승보 이주호(2007) lsquo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rsquo 內 lsquo제3장 평생학습사

회 실 을 한 실천 략- 편화에서 통합화로rsquo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신일 박부권 편(2005) 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김안나 외(2003) 국가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방안 연구(II)한국

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

김장호(2004) 인 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총체 학습사회론 직업능력개발연구

7(2)

김장호(2007) 사람 심 발 패러다임과 평생학습사회 구축 박세일 김승보 박정수

(편) 평생학습사회 만들기 교육에서 학습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교육

개 포럼

김진화 (2005)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기 외(2002) 생애단계별 능력형성의 에서 본 기업교육의 황과 과제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7

김태 외(2002) 학습사회에서 성인의 생애능력설정 성인학습체제 질 리 황과

- 188 -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5

백은순(2007) 학 은행제의 성과와 망 한국성인교육학회 학술 회 자료집 서울

한국성인교육학회

변종임(2007) 교육계좌제 추진 방안에 한 의견조사 결과 분석 교육계좌제 추진방안

모색을 한 문가 워크 연구자료 RM 2007-9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손유미(2005) 평생학습의 새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송 수(2000)「21세기 지식경 시 와 핵심역량의 근방안」산업교육 2월호 76-79

안상헌(2005) 한국 평생학습사회의 이념 지향성과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1(1) 69-90

오장원 선(2004)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업인력교육 로그램 경 교육 4 207-226

오헌석(2007) 역량 심 인 자원개발의 비 과 쟁 분석 경 교육논총 47 191-213

유 숙 김동석 이만희 김이경(1999)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한국교육정책방향과 과제 서

울 한국교육개발원

유 숙 외(2002) 국가 수 의 생애능력 표 설정 학습체제 질 리 연구(I) 한국교

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2-19

유 옥(2005) 평생학습사회의 교육 실변화와 교육철학 연구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1(2) 141-160

윤여각 외(2002) 국민 기 교육 단계에서의 생애능력 형성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

원 연구보고서 RR 2002-19-1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의 본질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이돈희(1999)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교육의 새로운 상 이돈희 외(편) 지식기반사회

와 교육(pp1-22) 교육부정책보고서

이명희(2000) 평생학습사회에 있어서 교환학습의 의의와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4(1) 55-73

이석재 외(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3-15-3

이재분 외(2006)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이희수 외(2000) 평생학습지원체제 종합발 방안연구(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수명 외(2002) 생애능력 형성의 에서 본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연계체제의

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2-19-6

정재완(2000) 싱가포르의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략 lsquoManpower 21의 주요 내용과

시사 세계경제 2000년 2월호 67-76

조 연 김재 (2007) 사회 자본을 통한 국가수 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국가인

- 189 -

자원개발을 심으로 인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105-122

조원경 양은주(2001)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교육과학연구 32(2) 1-21

차갑부(2001)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상생을 한 평생교육 방안 교육문제연구 14

25-42

차갑부(200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최돈민 이해주 윤여각(1998) 평생학습실 을 한 열린교육체제 연구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최상덕 외(2007) 평생학습사회 실 을 한 고등교육체제 신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최운실(2006) 평생교육 에서의 성인기 능력 개념 모형과 연구동향 분석 평생교육

학연구 12(4) 225-251

한숭희(2004) 평생교육체제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개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숭희(2006) 평생학습사회의 평생학습체제 연구를 한 생태체제 개념모형탐색 평

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한숭희(2006b)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서울 학지사

한 상(2004) 인력개발을 한 평생학습사회체제 구축 직업과 인력개발 2(2) 75-77

섭 외(2008)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용한 고객응 역량 모델링

CS교육 로그램 개발 사례 H社의 매 정비직을 상으로 인력개발연

구 10(1) 195-222

주 외(2004)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을 한 기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4-18

Boyat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Brundrett M(2000) The Question of Competence the origins strengths and

inadequacies of a leadership training paradigm School Leadership amp

Management Vol20 No 3 pp353-369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2000) A Memorandum on Lifelong Learning

DfEE(2000) The Learning Age A Renaissance for a New Britain

Dohmen G (1996) Lifelong learning Guidelines for a modern education policy

Wissenshaft Forschung and Technologie

Dubois D(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

Change Amberst MA HRD Press

Dubois D(1998) The Competency Case Book Amherst MA HRD Press

European Commission(2000) A Memorandom on Lifelong Learning Brussels

- 190 -

EAEA11

Faure E et al (1972) Learning to be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Deist F D L amp Winterton J (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Development international Vol8 No 1 pp27-46

Elias J L amp Merriam S B (2005)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3rd

e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Garavan T N amp McGuire D Competencies and workplace learning somereflections on the rhetoric and the real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13(4) 2001 144-163

Green PC(1999)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c San Francisco Jossey-Bass

Irwin P(2008) Competencies and Employer Engag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9 No1 pp63-69

Klemp G P(Ed)(1980)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Washington D C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Knowles M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Association Press

Lave J amp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cia A amp Lepsinger R(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Pfeiffer

McLagan P A(1997)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May pp 40-47

Merriam S B Caffarella R S amp Baumgartner L M (2007) Learning in adulthood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Mirabile R J(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August pp73-77

OECD(2001)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OECD(2002) Draft strategy paper on key competencies A frame of reference for a coherent

assessment program

OECD(2004) Lifelong Learning The OECD Policy Briefs

Ouane A (2002)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lising lifelong

learning Creating conducive environments for adult learning in the Asian

context Hamburg UNESCO Institute for Education

- 191 -

Parry S R(1996) The question for competencies Training amp Development Journal

July pp48-56

Rychen D S amp Salganik L H(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and L H Salganik(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pp41-62) Cambridge MA Hogrefe amp Huber

Publisher

SCANS(1991)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Others(1999) US Department ofCommerce Report

Schippman J S Ash R A Batista M A Carr L Eyde L D Hesketh B

Kehoe J Pearlman K Prien E P amp Sanchez J(2000)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53(3) pp703-736

Spencer L M amp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Su Y (2007) The learning society as itself Lifelong learning individualization of

learning and beyond education Studies of Continuing Education 29(2)

195-206

Tielen G (1998) Integrating senior citizens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Aging

International 24(2-3) 143-153

Tuijnman A (2003) Measuring lifelong learning for the new economy Compare

33(4) 471-482

Usher R Bryant I amp Johnson R (1997)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Learning beyond the limits New York Routledge

Wood R amp Payne T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New York NY JohnWiley amp Sons Inc 1998

Zimmerman BJ(1989a)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 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________(1989b)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JZimmerman and DHSchunk(Eds) Self 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1-25) New York

Springer-Verlag

httpwwwlllorkr 평생교육진흥원 평생교육센터

httpswwwcborkrindexshtml 평생교육진흥원 학 은행센터

httpbdesnileorkr 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 검정센터

- 192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이희수( 앙 학교)

한국교육개발원에서의 일화가 떠오른다 원장님께서 원내외 평가 원분들과 함께 인

쇄된 모든 보고서들을 싸들고 교육문화회 에 들어가셔서 평가를 했다 상당 부분 재

인쇄 결정이 내려졌다 오탈자 참고문헌까지 다 보셨다 야단법석이었다 연구비도

다 썼는데 다시 수정보완해서 재인쇄하려니 이만 만한 일이 아니었다 그러고 나서 원

장님께서는 체 조회시간에 연구를 업으로 살아가는 자칭 연구의 달인이라는 연구원들

에게 좋은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질문을 던지셨다 그리고 스스로 모름지기 좋은

연구란 잘하는 연구라고 하셨다 제 로 하는 연구가 좋은 연구란다 조 연 교수의 연

구가 그러하다 그래서 토론에 응했다 정책연구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조 교수의 연구를

내심 흠모하는 사람의 인사로 토론을 연다

첫째 정책연구자는 돈지갑의 딸린 을 늘 의식한다 발주처가 교육과정개발과 평가

를 본업으로 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라는 것은 이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가늠 한

다 연구 목 에서도 밝혔듯이 ld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

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링의 정교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동시에 결과에 한 타

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dquo고 되어 있다 아마도 8차 교육과정개편에서는 미래사회를 평

생학습사회로 망하고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상으로 평생학습인을 상정하고 국가교

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 을 제시하여 교육과정개발에 활용되면 소임을 다하는 것이

다 연구자의 탁월한 연구 리뷰는 기존에도 많은 유사 연구가 이미 이루어졌음을 확인

시켜주고 있다 그럼에도 이 시 에서 왜 이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하는가에 한 강한

논 근거는 이 연구의 시의성 목 성 차별성을 강화시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평생교육 성인교육 정책연구에 교육과정개발 기 연구 스타일을 가미할 필요성을 말해

다 간연구이니 향후는 Rigor보다는 Relevance에 방 을 두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조 교수의 강 인 요 이 살아날 것이다

둘째 본질과 원칙에 충실하면 길이 보인다 조교수다운 문장을 집어내라고 한다면 다

음 문장이다 ldquo오늘날 기업을 심으로 인 자원개발 직업교육훈련 그리고 학교교육분

야까지 사회 역에서 lsquo역량강화rsquo 는 lsquo역량 심rsquo이라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으며

- 193 -

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dquo 특히 lsquo역량운동으로까지

불릴 정도로 역량이란 용어가 화되었다rsquo는 말에 으로 동감하면서 조 교수의 진

면목을 보는 것 같아 무릎을 친다 오늘 토론의 소득이다 토론자가 가장 많이 듣고 보

는 단어도 역량이다 특히 국민의정부 참여정부의 교육인 자원부의 시 에서는 lsquo역량rsquo

lsquo성과rsquo lsquo액션rsquo이란 말을 참으로 많이 들었다 HRD의 교육 침투 상이라고 볼 수도 있

다 연구자의 발제는 정부출연기 에서도 1990년 말 2000년 에 유행처럼 역량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보여 다 여 히 재 진행형인 것으로 알고 있다 유치원 단계

의 정책연구도 연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런데 토론자의 교육과정 개

발의 추억은 인지 역(지식) 정의 역(태도) 심체 역(기능)의 계열성 범주

를 설정하는 게 교육과정 개발의 요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교육과정 개발의 정통

보다는 로그램 개발의 기법이 지배하고 역량의 기반인 행동주의가 면에 나서는 것

은 아닌지 세인의 이목을 끌 수 있다 역량에 한 기존 교육과정개발의 원리를 용해

직도 하다 그럴 때 Competence-based Training Program 개발을 넘어설 것이다

셋째 연구의 차 모델과 역량에 한 개념 얼개는 연구에 모자를 워 다 이 연

구는 연구방법 면에서도 철 하고도 신선하다 명목집단기법 에 명목의 의미를 제

로 알게 된 것도 이번 토론의 소득신고감이다 좋은 연구기법과 차가 나열되어 있는

데 좌 이 보이지 않는다 좌 이 마련되면 물건이 가지런히 정리되고 빛날 것이다 역

량이란 말을 표기하는 어도 정말 가지가지다는 것을 연구 보고서는 확인시켜 다

OECD 등에서 쓰는 용어로서 우리에게 소개된 것만도 life skills human capital key

competencies literacies basic skills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국내외 문헌까지 합치면 lsquo역

량rsquo이란 말을 표기하는 말의 수자에 놀라게 된다 용어에는 족보가 따라붙기 마련이다

용어는 그냥 나온 게 아니고 학문 편향을 드러낸다 이 많은 용어들은 과연 서로

체가능한 용어인지에 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life skills는 생애역량으로 번역

하는 게 맞는가 등 원 질문을 필요로 한다 생애는 lifelong에 한 일본식 번역은

아닌가 말이다 기능문해를 뜻하는 생활기능은 아닌지 등 교정학습도 필요한 듯싶다

한 이 연구의 궁극 산출물은 역량 요소 추출이다 그 다면 어릴 석유를 따를 때

쓰던 깔때기가 생각난다 함양시켜주어야 할 역량요소가 추출되는 과정의 차모델은

그러한 역량 추출의 타당성을 높여 것이다 이와 함께 NGT 구성 운 기법이 돋

보인다 다만 세인들에게 은 사람이 많은 것을 결정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숫자를

늘리거나 구성원의 다양성을 높 으면 한다 역량은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개발되는

것이므로 연구의 차 모델과 함께 역량개발의 얼개 속에 역량이 제시되면 상첨화일

것이라는 소망을 가져본다

넷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한 차별성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

- 194 -

는 평생교육 공 교수에 의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연구이다 그런데

읽으면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학교교육사회에서 교육과정 운 을 통

한 핵심역량은 과연 일치하는가에 한 생각이 불 듯 스쳐지나간다 평생교육 공자

가 아닌 학교교육 교육과정개발 공자도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을까라는 상상도

가능하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과 련하여 학교교육 교육과정 개

발자가 부족한 2를 평생교육 로그램 개발자가 보충 해주는 데에서 차별화를 찾아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개발의 총론에서 앞으로 개될 미래사회의 모습이 평생학습사회이

고 그 사회를 주도할 사회구성원의 모습이 평생학습인이라면 추구하는 사회상과 인재

상이 가 손에 잡히게 제시되면 좋겠다 이를 해서 학 은행제 독학사제 학습계

좌제 평생학습도시 등 계법과 제도 평생교육 로그램을 분석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지만 핵심역량 추출과의 련성은 더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오히려 평생

교육법상의 평생교육 이념이 언 되는 게 더 정합성을 높일 것이다 이와 함께 평생학

습사회의 특성과 평생학습자의 핵심 역량 추출은 궁극 으로 평생학습개념의 특성을 실

하고 있는 정도를 말한다고 할 때 역량의 특성 못지않게 평생학습(인)의 특성에 즈

를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미래사회의 침투로서 평생학습사회상보다는 평생학습의 고 으로 돌아가는

게 교육과정개발에 도움이 된다 평생교육의 두 배경 의 하나는 lsquo탈학교론rsquo lsquo학교사

망론rsquo lsquo의식화론rsquo으로 별되는 학교교육의 병리 상 학교교육의 황폐화를 치유하기

한 체교육학 교정교육학 교육개 이데올로기로 두된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창

기 유네스코의 문헌은 학교교육과 립되는 평생교육 평생교육 원리를 학교교육과정에

반 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조직 방법 교육평가 교원양성 연수 학교 구

조 시스템을 어떻게 총체 으로 바꿀 것인가에 주안 이 주어졌다 유네스코 UIE의

모노그래 시리즈가 이를 웅변하며 이의 백미가 「평생교육과 학교 교육과정」(1973)

이다 학교의 병폐를 치유하기 한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로서 학교 장에 목시키려

는 시도로 읽 진다 이를 통하여 비로소 평생교육이 삶의 질을 유지향상시키기 한

목 으로서 자리 잡았다 평생교육의 개념 속성으로서 계속성 포 성 연계성 응

성 교정성 신성 총체성 다양성 보편성 유연성 역동성으로 구체화되었다 평생교육

의 조건으로서 기회 동기 교육의 가소성(educability)이 제시되어 학습사회의 조건을

형성하게 되었다 략으로서 수직 통합과 수평 통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평생교

육의 특성을 학교 교육과정에 목시키기 한 목표로서 평생학습의 필요에 한 인식

교육 가소성의 제고 범 한 학습 역에 한 체험 학교 경험과 학교 밖의 경험의 통

합으로 제시하 다는 에서 유토피아로서의 평생교육이 아니라 평생교육 에서 학

교를 개 하기 한 교육개 가이드라인으로 존재한다 가히 평생교육과정론이라고 불

- 195 -

러도 손색이 없다 여기서 토론자는 역량 개념 정립에 있어서 창기에 도입되었던

educability 개념에 해서도 언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학습사회와 핵심역량

의 특성과 요건도 단순하게 Opportunity Motivation Educability 면에서 근할 필요를

느끼게 한다

여섯째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은 이번 정부가 강조하는 인재 국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얼마 까지만 해도 인 자원이라더니 어느 새 인재로 변신했다

핵심역량과 핵심인재는 늘 따라다닌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3 정책이념은 빈

도수로 보건데 lifelong employability와 social inclusion이다 핵심역량이 개인 수 에

서의 논의라 하더라도 이러한 정책이념과의 연속선상에서 언 될 가치를 느끼게 한다

핵심역량은 경제 개념인 employability에 경도된 느낌을 다 다른 한편 평생학습은

학습의 특권인 엘리트주의보다는 학습의 권리를 강조하는 성을 특질로 한다

Second chance maker로서의 평생학습이다 평생학습은 핵심인재를 한 교육학이라기

보다는 주변인물을 한 교육학이다 지배의 교육학이기보다는 해방의 교육학이다 그런

데 제시된 핵심역량은 핵심인재의 역량으로 비쳐진다 이것은 평생교육이란 옷을 입은

핵심인재개발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일요일인 어제는 심신이 고달 서 lsquo정약용과 그

의 형제들rsquo이란 책 1권을 다 읽었다 거기서 ldquo여유당( 猶 )rdquo의 뜻을 알게 되었다 노자

(老子)의 『도덕경』의 한 목인 여( )함이여 겨울 냇물을 건 듯이 유(猶)함이여

의 이웃을 두려워하듯이라는 귀에서 따온 것으로 조심조심 세상을 살아가자는 것

이란다 여유당의 의미를 새기게 하는 이다 무릇 좋은 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다 다시 한 번 좋은 을 공유하게 해주신 조 연 교수님께 감사하는 것으로 토론자의

의무를 면하고자 한다 끝

- 196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주성(경원 학교)

후기 산업사회를 넘어서 21세기는 변화와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를 특징으로 자리매김

하며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조직체나 개인 혹은 더 큰 범의에서의 국가

는 작 의 치열한 로벌 생존환경에서 자기 존재 가치와 사회경제 경쟁에서 큰 어

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측되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이러한 시 상황 하에서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

는 핵심역량rsquo이라는 주제의 연구가 국가 산하 연구기 에 의해 그 요성이 인식되어

추진하게 된 것에 해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도 지 하고 있듯이 국

내 연구기 차원에서 행해진 역량 연구들이 부분 특정 역의 역량 규명에 을

두었고 한 미래사회 혹은 장기 에서 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

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하 요소의 규명을 한 총제 근은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오늘의 토론은 이 과제에 한 간보고서의 검토 향후 최종보고서의 작성에 의미

있는 방향 제시의 기회로서 요한 자리가 아닐 수 없다 먼 이 과제에 한 의

간보고서 검토 내용을 몇 가지 말 드리고 이어서 향후 최종보고서 작성과 련한 사

항에 해서도 언 하도록 하겠다

먼 간보고서와 련된 몇 가지 검토 사항에 해서 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과제의 수행의 로세스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의 핵심은 lsquo미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이 극 인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과 하 요소들

을 도출rsquo하는 것이다 역량 련 연구의 연구 로세스는 체로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비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단계 역량(컴피턴시) 모델링 최종화 단계 등 크게 3단

계에 따라 진행된다 구체 으로 말 드리면 첫 단계에서는 규명하고자하는 컴피턴시가

무엇인가에 한 심도 있는 논의가 다음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에 기 해서 컴피턴시

모델링을 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컴피턴시 모델을 구축하는 최종화 단계로써 규명된

컴피턴시 그 하 요소를 검증하고 타당화하며 컴피턴시 모델의 활용방안 등을 제

안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진행 로세스에서 두 번째 단계에까지 와 있

다고 볼 수 있다 연구책임자는 여러 편의 역량 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 197 -

연구과제의 각 과정 요소 내용을 체 으로 조망하면서 체계 이며 체제 인 방법

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은 한 층 더 이 연구가 그 의도하는 바를 효과

으로 달성시켜 수 있는 가능성을 공고히 하고 있다는 에서 매우 기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과제의 내용 측면에 한 검토이다 이 연구과제는 역량과 평생학습사회

에서의 생애역량에 련된 국 내외의 많은 연구와 문헌들을 다각 인 측면에서 검토하

여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일차 으로 도출하고 있다 한 역량 련 용어에 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도 이

연구에서 규정하는 역량에 한 근을 시도한 은 매우 정 이라 할 수 있다 아울

러 연구자는 평생학습사회가 요구하는 구성원의 역량과 하 요소들을 악하기 해 평

생학습제도( 평생교육법에 내포되어 있는 법 취지와 법 정신 독학사제도 학 은행

제 평생학습도시 학습계좌제 등)와 평생학습 로그램 등의 분석까지도 방 으로

시도하고 있는 은 연구결과의 포 성 타당화를 한 이론 토 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과제의 연구방법 측면에 한 검토이다 연구자는 연구목 달

성을 해 문헌연구를 기 로 하여 일차 으로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를 악하 고 두 차례의 명목집단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을 활용한 문가 의회를 통해 이들에 한 비 선정

을 시도하 다 NGT를 이용한 방법은 본 연구의 규모와 연구과제 수행시간 등을 고려

할 때 한 방법으로 이해되며 특히 NGT를 해 청된 문가들이 평생교육 각

역의 문가들로 구성된 은 이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어서는 성공 인 연구과제 수행을 한 후속 작업 방향에 해 세 가지 을 제

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연구자는 문헌연구 NGT를 통해 비 선정된 lsquo평생학습사회

의 학교 외 학습체제에서 성인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그 하 요소rsquo들을 타당화하고 그

우선순 를 정하기 해 조사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조사 연구가 성공 으로 수행되기

해서는 무엇보다도 먼 조사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되어 있어야만 할 것 이다

연구자도 계획(실행)하고 있는 것처럼 평생교육 문가들로 구성된 문가 의회(가능한

한 여러 차례의 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와 일반 피검자인 평생학습자

들을 상으로 한 안면타당도(face validity)의 확보 에서 조사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

다 조사 연구와 련된 방법 측면은 동연구기 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으로

평가원의 주 아래 진행되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조사 상에

한 분명한 이해와 조사 상의 충분한 확보 샘 링 에러를 방지하는 한 샘 링

략 등에 한 깊이 있는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198 -

둘째 본 연구의 목 은 연구자가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① lsquo미래 평생학습

사회에서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으로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

하고 악된 역량의 정의와 함께 역량별 하 요소를 추출하여 역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rsquo이며 아울러 ② lsquo이를 통해 향후 평생교육체제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인

을 한 평생학습과정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에 한 시사 을 얻는 것rsquo

이다 이 연구가 더욱 의의를 가질 수 있기 해서는 단순히 첫 번째 연구목표인 lsquo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의 학교 외 학습체제의 극 구성원인 성인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의 도출rsquo에만 을 두지 않고 이를 토 로 성인학습자를 한 평생학습과정

middot 고 학생들을 한 국가교육과정 구성을 한 아이디어를 구체 으로 제시해 주어

야 한다 물론 이 연구에서 역량 기반 교육과정(Competency-based curriculum)의 개발

을 한 체계 인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그 자체

도 하나의 커다란 로젝트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소한 이러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연구 결과로 도출된 역량 그 하 요소들이 어떻게

체계 으로 그 교육과정 안에서 서로 상호 연 을 맺는지 그리고 교육 실천행 의 선택

에는 어떤 시사 을 주는지 등에 해서 구체 인 아이디어를 제공해 필요가 있다

끝으로 토론자의 마지막 논의는 본 연구과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탐색 - 미래 한국인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rsquo라는 주

제 하에서 수행되는 연구과제들(본 과제 외에 lsquo 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하는 핵심 역

량rsquo lsquo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 포함) 의 한 과제이다 이들 각각의 연구는

lsquo 등교육rsquo lsquo직업세계rsquo 그리고 lsquo평생학습사회의 학교 외 학습체제rsquo 등에 을

맞추고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각기 독립된 연구라기보다는 lsquo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rsquo이라는 큰 모자이크 그림을 완성시키기 한(완 하지는 않지만)부분 부분들이라고

말 드릴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구들은(특히 본 연구과제는) 주제하에서 이들 주

제들을 아우르는 통합 이며 총체 에서 연구 시사 들을 도출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199 -

lsquo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rsquo에 한 토론

박지혜(국민 학교)

정보와 지식의 요성이 날로 증 하면서 사회는 평생학습사회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응하고 나아가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개인들은 끊

임없는 학습과 자기계발을 요청받고 있다 핵심역량이란 일반 으로 직무에서 구체 인

거나 기 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효과 이고 우수한 성과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내

특성이라고 정의된다(Spencer amp Spencer 1993) 따라서 지 까지 핵심역량에 한 연구

는 주로 인 자원개발 역에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인재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

다 그러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 한 심

은 상 으로 부족하 으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구성원을 교육하기 해 그 핵심역량

에 한 지속 인 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국가 체의 교육과정

과 내용에 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요성이 있다

특히 미래 평생학습사회에서 구성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해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개념정의에 한 종합middot분석 국내외 연구보고서에 한 분석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법 제도 로그램 등에 한 분석뿐만 아니라 문가들과의 의를 거치는 등 매우 포

이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 다는 에서 이 연구결과가 미래 평생학습사회를 비

하는데 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의의와 결과를 더욱

의미있고 유용하게 하기 해 이 연구가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면 다음

과 같다

Ⅰ 연구 내용과 범

연구 내용과 범 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연구내용은 (1) 역량과 평생학습사회의 이론 배경 분석 (2)

- 200 -

생애 역량 탐색을 한 련 국middot내외 연구 보고서 분석 (3) 평생교육법 제도 그리고

로그램 분석 (4) 문가 의회를 통한 역량분석 등이다 일반 연구의 구성으로 보

았을 때 앞의 두 연구 역은 이론 배경에 해당되는 내용이며 실질 인 자료 수집과

분석은 로그램 분석과 문가 의회를 통한 분석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연구내용의 구성에 한 재논의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 문가

의회는 학교수와 연구원 등 평생교육분야의 문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구성이 평생교육분야의 문가를 표할 수 있는지 그 표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평생교육 역( 를 들면 노인교육 청소년교육 여성교육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 문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차를 갖는다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다 높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Ⅱ 보고서의 구성

에서 언 한 연구내용과 범 의 규정은 보고서 체의 구성에도 향을 주고 있다

이 보고서의 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1 학교의 학습체제 구 을 한 평생학습사회

2 역량과 생애역량

3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생애역량 탐색

III 평생학습제도와 유형별 평생학습 로그램 분석을 통한 역량 악

1 평생학습사회와 사회구성원의 역량

2 평생학습 련 주요 제도

3 평생교육 로그램 분석

4 (소결) 평생학습에서의 역량요소

IV 결과 NGT 결과 분석

그러나 의 구성이 본 연구의 내용과 체계를 잘 반 하고 있는가 하는 에 해 숙

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범 로 네 가지를 언 하지만 그 두

- 201 -

가지에 해당되는 내용은 2장 이론 배경에 제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내용은 3장에 마

지막 내용은 4장 연구결과에 제시되어 있다 2장의 일부분과 3장 4장의 내용 즉 역량요

소를 분석middot제시한 부분은 모두 연구결과라는 제목 하에 기술되어야 하는 내용인 것으로

생각되며 보고서의 구성에 한 재검토를 통해 새로운 목차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I 서론

II 이론 배경

III 연구결과

1 평생학습의 개념을 통한 역량도출

2 국내외 보고서 연구를 통한 역량도출

3 평생교육제도 로그램을 통한 역량도출

4 NGT를 통한 역량도출

5 종합 요약

IV 제언middot종합논의

에서 제안한 보고서의 재구성과 더불어 연구결과의 제시 시 각 역에서 도출된 역

량을 나열식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각각의 분석내용이 추가되면서 어떠한 역량요소들이

발견되었는지 즉 분석내용의 추가에 따라 새롭게 발견된 역량요소를 첨가하는 방식으

로 기술한다면 보고서를 읽는 독자들에게 보다 쉽고 분명하게 달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해 본다

Ⅲ 역량 요소에 한 논의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제도를 분석한 결과로서 자기조 능력 정보 리능력 창의

문제 정의 분석 능력 의사소통 력능력 등의 역량요소를 제시하 다 한 평생

교육 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로는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자기조 능력 의사소통

동능력 사회 참여 실천능력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을 제시하 다 두

역에 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 요소는 매우 유사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 가지 요소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를 들면 명확한 목표수립능

력은 로그램 분석을 통해서는 제안되었지만 제도분석을 통한 결과에서는 언 되지

- 202 -

않았다 그러나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은 학습자의 명확한 목표수립능력 없이는

지속되기 어려운 제도라고 생각되며 명확한 목표수립이라는 역량요소는 양쪽 모두에

필요한 필수 역량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 로그램 분석결과에서는 미디어 정보의 처리와 활용능력이 평생학습제도 분석

에서는 정보 리능력이 제안되었다 이 두 가지는 그 개념정의와 설명으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유사한 역량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평생교육 로그램에서 다

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로 ldquo미디어 정보처리rdquo라는 역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라

이해되지만 평생교육 제도의 하나인 학습계좌제나 학 은행제 등에서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증가도 간과할 수 없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 명칭을 다르게 제안한 것에 해 충

분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NGT 결과를 통해 도출된 14가지 핵심역량 술감수성이 평생학습사

회의 구성원에서 필수 으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라는데 부분의 평생교육 문가들이

동의할 수 있는지에 해 의문 이 생긴다 지식기반사회로 갈수록 인간의 창의성과 감

수성이 요구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산업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은 인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사회의 핵심역량으로 술감수성이 제안된 것에

한 충분한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반 으로 다양한 연구내용을 통해 매우 범 하고 다양한 역량이 도출되었지만

그 역량이 왜 도출되었는지에 한 근거를 보고서에서 충분히 제시하 다고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종 으로 도출된 핵심역량 요소들이 어떠한 근거로 도출되었는지에

한 구체 인 설명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Ⅳ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역량

미래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갈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

의 목 의 하나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들은 부분 과거

혹은 재의 평생교육 련 문헌들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미래보다는 재 평생학습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서는 미래 사회에 한 망과 그에 따른 핵심역량을 제시하기 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203 -

이상에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연구가 갖는 제한 혹은 고려할 이라 생각되는

들을 몇 가지 제시하 다 에서 제시한 내용들은 이 연구가 간단계에 있는 을 감

안하여 앞으로 더 나은 연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안한

것이다 에서 지 한 몇 가지 문제 혹은 논의할 들이 이 연구보고서가 평생학습

사회 실 을 해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님을 거듭 강조하며 이

을 마친다

연구자료 ORM 2008-14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한 세미나

발행일 2008년 9월 5일

발행인 김 성 열

발행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25-1

화 (02) 3704-3704

FAX (02) 3704-3710

인쇄처 유진문화사

화 (02)576-2358

ISBN 978-89-5931-897-1 93370

자료집 내용의 무단 복제를 함

  • 표제지
  • 세미나 일정
  • 초대의 말씀 김성열
  • 목차
    • 제1주제 초middot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
      • 발표 이광우[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토론1 홍후주[고려대학교]
      • 토론2 강윤봉[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 토론3 정철영[서울대학교]
        • 제2주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 토론1 권혁호[삼성전기]
          • 토론2 유동환[호서대학교]
          • 토론3 안기현[한국반도체연구조합]
            • 제3주제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 발표 조대연[숙명여자대학교]
              • 토론1 이희수[중앙대학교]
              • 토론2 전주성[경원대학교]
              • 토론3 박지혜[국민대학교]
                • 판권기